2025년 03월 11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힘스 | |
대 표 이 사 : | 김주환 | |
본 점 소 재 지 :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126(고잔동) | |
(전 화) 032-821-2511 | ||
(홈페이지)http://www.him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김현중 |
(전 화)032-821-2511 | ||
(제26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 363조와 정관 제 21조에 의거 제 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시 : 2025년 03월 26일 수요일 오전 09시2. 장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126(고잔동) (주)힘스 본관 4층 대회의실3. 회의목적사항1)보고사항 가. 감사보고 나. 영업보고 다.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2)결의사항제 1호 의안 : 제26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승인의 건제 2호 의안 : 사내이사, 사외이사 재선임 및 사내이사 신규선임의 건(후보자 홍춘선) -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주일 재선임 -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김선태 재선임 - 제 2-3호 의안 : 사내이사 김미희 재선임 - 제 2-4호 의안 : 사외이사 손수익 재선임 - 제 2-5호 의안 : 사내이사 홍춘선 신규선임제 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 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주총 참석장, 신분증- 대리행사 : 주총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5. 경영참고사항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03월 11일 주식회사 힘스 대표이사 김 주 환(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손수익 사외이사(출석률: 87.5%) |
---|---|---|---|
찬 반 여 부 | |||
1회차 | 2024.01.02 | 직제규정 변경의 건 | 찬성 |
2회차 | 2024.02.14 | 제25기 결산재무제표 확정 및 현금배당 지급 결정의 건 | 찬성 |
3회차 | 2024.02.14 | 내부회게관리제도 관련 보고의 건 | 찬성 |
4회차 | 2024.02.27 |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5회차 | 2024.02.27 |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 찬성 |
6회차 | 2024.04.29 |
(주)힘스 윤리강령 제정의건 취업규칙 변경의 건 외2 건 |
찬성 |
7회차 | 2024.06.17 |
개인정보보호규정 제정의 건 취업규칙 변경의 건 외 1건 |
찬성 |
8회차 | 2024.12.13 |
제26기(2024년)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위한 권리주주확정 제26기(2024년) 이익배당금(결산배당)권리주주 확정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3,000 | 24 | 24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보수한도 금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OLED 디스플레이 현황
1) OLED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최근 OLED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TV, PC 등의 완제품에 적용되어 LCD를 대체할 디스플레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렉서블 OLED가 상용화됨에 따라 기존의 스마트폰, TV, PC 등의 완제품에서는 Form Factor 차별화가 확대되고, 신규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상업용 디스플레이로 확대되는 등 이에 OLED의 시장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스플레이 전문기관인 OMDIA에 따르면,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규모는 2023년 1,181억 달러에서 2028년 1,517억 달러로 연평균 5.1%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LCD부문은 2023년 745억 달러에서 2028년 834억 달러로 1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OLED 부문은 2023년 425억 달러에서 2028년 647억 달러로 5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디스플레이 품질 및 양산 수율 개선, 수요처 확대 등을 통해 OLED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서 OLED의 비중은 2023년 36%에서 2028년 42.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OLED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2000년대 중반 이후, LCD 시장에서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업체는 중국 정부의 지원 속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며 한국 및 일본 업체 중심이었던 LCD 시장에서 주요 업체로 급부상했습니다. TV, PC, 스마트폰 등 주요 완제품의 수요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업체 입장에서 중국발 대규모 증설의 대응 방안은 LCD 디스플레이 사업을 접거나, OLED로 경쟁무대를 옮기는 전략뿐 이었습니다.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들은 산업 완숙기에 접어든 LCD시장에서 중국 업체와 치킨 게임을 벌이기보다는 OLED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했습니다. 양사는 2000년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기술개발 및 투자를 진행하였고, 그룹 관계사의 제품전략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바일용 중소형 패널에, LG디스플레이는 TV에 들어가는 대형 패널에 집중하였습니다.
2019년 기준 글로벌 AMOLED 시장은 한국이 89.4%, 중국이 9.7%의 점유율로 한국이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중국업체 들의 꾸준한 설비투자로 2024년 상반기 기준 중국이 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업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대형의 경우에는 LG Display 가 55.4%, 섬성Display 36.6% 순이고 기타 제조사들은 미미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중소형의 경우에는 삼성Display 43.6%, BOE 19.6%, LG Display 14.4% 순을 보이고 있으며 기타 여려 회사들이 생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3) OLED 디스플레이 Capa 및 전망
스마트폰을 포함해 VR, 자동차용, 노트북 등으로 중소형 OLED패널에 대한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패널사들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역별 OLED 생산 capa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2023년 대비 2028년에는 33.5%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은 같은 기간동안 무려 68.1%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 OLED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규모 및 전망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사이클에서 OLED 사이클로 전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등 장치산업은 장비 시장이 해당 산업의 사이클보다 선행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여 년간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을 이끌었던 LCD 장비투자 사이클이 쇠퇴하고 차세대 Big Cycle인 OLED 장비투자로 사이클이 전환되어 가고 있습니다.장비현황 전망표에서 보듯이 AMOLED 관련 장비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2023년 대비 2028년에는 무려 262.1%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99년 1월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후공정 머신비전 장비 제조를 시작으로 비전장비의 국산화와 보편화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 부터는 삼성디스플레이에 OLED Mask 공정장비를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회사가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2017년 07월 20일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업체에 OLED 핵심공정인 유기물 증착공정에 관련된 모바일용 분할 메탈 Mask 연관 장비와 Glass 검사 공정에관련된 장비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OLED장비 이외에도 스마트폰 카메라용블루필터 검사기, 반도체 관련 펠리클 검사기, 헬스케어 관련 혈당측정시트 검사기 등의 장비를 제조하여 관련업체에 판매하고 있으며, 장비에 필요한 각종 모듈도 제조하여 판매 중이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제조 산업의 특성상 타 소자업체에 대한 총 발주량 및 업체별 수주량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시장의 공식 통계자료의 부재로 인해 구체적인 시장점유율 파악이 어려우므로 기재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당사의 주력 장비인 OLED Mask 인장기 부문에서 실질적인 경쟁업체는 없는 것으로판단됩니다. 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전세계 중소형 OLED 생산량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으며, 당사가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적으로 장비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업체들이 OLED 투자를 시작하고 있으며, 생산설비 구축을 위하여국내의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K사 H사와 거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OLED Mask 인장기는 OLED 공정 중 유기물 증착공정 전 단계인 메탈 Mask를 인장하는장비로서 생산 수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정 장비입니다. 향후 OLED 시장의 확대에 따라 제품에 대한 경쟁의 강도는 높아질 수 있겠으나 삼성디스플레이에 대한 독점 공급 경험과 압도적인 기술경쟁력 등을 고려시 당사가 지속적으로 OLED Mask 인장기 시장을 주도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 경쟁업체라고 할 수 있는 K사와 H사는 최근에 대주주가 바뀌면서 주사업을 바꾸는 분위기여서 당사의 독점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OLED Mask 장비의 경우에도 대부분 당사가 독점공급해 왔기 때문에 실질적인경쟁업체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OLED Mask 측정기의 경우 과거 일본 Sin-to S-Precision社가 삼성디스플레이에 주로 공급한 바 있으나, 대기업과 중소협력업체간 상생협력 프로그램인 CrePas(Creative Partership)를 통해 당사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제품을 공동개발하면서 당사와 일본 Sinto S-Precision社사가 경쟁하는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다른 OLED Mask 장비의 경우 국내에서는 당사가 대부분의 독점체제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중국시장에서는 국내업체 및 일본, 대만 업체들과 경쟁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 재무제표의 종류 | 연결 | |||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변동내용(단위:원) | 당해사업연도 | 직전사업연도 | 증감금액 | 증감비율(%) |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 61,263,780,643 | 50,101,822,416 | 11,161,958,227 | 22 |
- 영업이익 | 168,690,245 | 5,660,357,935 | -5,491,667,690 | -97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2,119,142,354 | 6,187,316,370 | -4,068,174,016 | -66 |
- 당기순이익 | 2,916,828,624 | 5,781,511,673 | -2,864,683,049 | -50 |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작성기준에 따라 기재함.매출액은 전기 대비 22% 증가, 영업이익은 71% 감소하였습니다. 전년대비 원가율 증가가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입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 2024. 12. 31 현재 |
제 25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22,927,653,831 | 38,461,100,584 |
현금및현금성자산 | 9,238,673,512 | 2,729,269,839 |
단기금융상품 | 400,000,000 | 5,400,000,000 |
매출채권 | 2,617,090,267 | 1,866,639,380 |
계약자산(유동) | 2,313,034,210 | 960,829,793 |
기타수취채권 | 1,371,371,931 | 1,454,317,858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770,929,490 | 1,502,038,985 |
재고자산 | 5,154,044,031 | 23,526,076,420 |
당기법인세자산 | 51,813,670 | 78,502,569 |
기타자산 | 1,010,696,720 | 943,425,740 |
비유동자산 | 63,959,580,246 | 57,131,277,539 |
관계기업투자주식 | 18,694,390 | 21,517,324 |
종속기업투자주식 | 773,203 | 2,211,561 |
계약자산(비유동) | 1,477,449,323 | 1,200,389,39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6,408,766,011 | 5,840,751,694 |
투자자산 | 1,500,000 | - |
기타수취채권 | 848,527,354 | 1,052,280,278 |
유형자산 | 45,012,478,202 | 39,528,403,962 |
무형자산 | 3,126,391,642 | 3,218,409,476 |
이연법인세자산 | 7,065,000,121 | 6,267,313,851 |
자산총계 | 86,887,234,077 | 95,592,378,123 |
부채 | ||
유동부채 | 14,413,661,016 | 25,368,941,601 |
매입채무 | 2,080,529,751 | 4,869,883,659 |
계약부채 | 2,418,501,919 | 11,530,210,360 |
기타지급채무 | 1,717,529,149 | 1,372,156,275 |
단기차입금 | 6,200,000,000 | 6,000,000,000 |
판매보증충당부채 | 1,824,329,960 | 1,293,197,208 |
기타금융부채 | 22,588,031 | 83,253,329 |
기타유동부채 | 150,182,206 | 220,240,770 |
비유동부채 | 1,580,444,779 | 1,692,288,470 |
판매보증충당부채 | 1,558,613,433 | 1,506,008,342 |
기타금융부채 | 21,831,346 | 21,080,030 |
기타비유동부채 | - | 165,200,098 |
부채총계 | 15,994,105,795 | 27,061,230,071 |
자본 | ||
보통주자본금 | 5,656,118,000 | 5,656,118,000 |
자본잉여금 | 17,982,409,270 | 17,982,409,270 |
기타자본구성요소 | (2,916,551,091) | (2,916,699,697) |
이익잉여금(결손금) | 50,171,152,103 | 47,809,320,479 |
자본총계 | 70,893,128,282 | 68,531,148,052 |
부채및자본총계 | 86,887,234,077 | 95,592,378,123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
매출액 | 61,263,780,643 | 50,099,847,521 |
매출원가 | (46,724,670,381) | (29,717,735,441) |
매출총이익 | 14,539,110,262 | 20,382,112,080 |
판매비와관리비 | (18,303,411,441) | (17,324,109,577) |
대손상각비 | 3,938,201,515 | 2,805,800,046 |
영업이익(손실) | 173,900,336 | 5,863,802,549 |
금융수익 | 3,694,172,428 | 2,858,841,371 |
금융비용 | (1,753,992,684) | (2,519,890,351) |
지분법손익 | (4,409,898) | (199,202,993) |
기타영업외수익 | 18,024,032 | 114,682,172 |
기타영업외비용 | (8,551,860) | (64,221,152)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119,142,354 | 6,054,011,596 |
법인세비용(수익) | 797,686,270 | (454,516,466) |
당기순이익(손실) | 2,916,828,624 | 5,599,495,130 |
기타포괄손익 | 148,606 | 2,617,929 |
총포괄손익 | 2,916,977,230 | 5,602,113,059 |
주당이익 | - |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263 | 511.0 |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263 | 511.0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
---|---|---|---|---|
l .미 처 분 이 익 잉 여 금 (결 손 금) |
- | 49,371,142,255 | - | 47,064,810,331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46,454,313,631 | - | 41,465,315,201 | - |
회계정책의 변경 누적효과 | - | - | - | - |
보험수리적손익 | - | - | - | - |
당기순이익(손실) | 2,916,828,624 | - | 5,599,495,130 | - |
ll. 이 익 잉 여 금 처 분 액 | - | - | - | 610,496,700 |
이익준비금 | - | - | 55,499,700 | - |
현금배당금 | - | - | 554,997,000 | - |
수익인식기준 누적 | - | - | - | -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 - | - | - | - |
당기 : 보통주배당금(율) : 100원 (20%) | - | - | - | - |
전기 : 보통주배당금(율) : 150원 (30%) | - | - | - | - |
lll. 차 기 이 월 미 처 분 이 익 잉 여 금 | - | 49,371,142,255 | - | 46,454,313,631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과목 | 제26(당)기 | 제25(전)기 |
주당배당금(원) | - | 50 |
배당금총액(원) | - | 555,000,000 |
시가배당율(%) | - | 0.7 |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주일 | 1968.11.21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김선태 | 1960.02.03 | - | - | - | 이사회 |
김미희 | 1990.11.20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홍춘선 | 1977.03.01 | - | - | - | 이사회 |
손수익 | 1960.06.09 | 사외이사 | - | - | 이사회 |
총 ( 5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주일 | (주)힘스 C.T.O |
1999.01.15 ~ 현재 |
현, (주)힘스 C.T.O (주)미래로시스템 개발부장 |
없음 |
김선태 | (주)힘스 생산/영업본부장 |
2021.06.01 ~ 현재 |
현, (주)힘스 생산/영업본부장 만도기계 영업부장 |
없음 |
김미희 | (주)힘스 전략기획부장 |
2019.03.01 ~ 현재 |
현, (주)힘스 전략기획부장현, (주)노보 이사 (주)휴럼 전략기획실장 |
없음 |
홍춘선 | (주)힘스 사업본부장 |
2000.12.19 ~ 현재 |
현, (주)힘스 사업본부장 용산전자상가 홈페이지제작자 |
없음 |
손수익 | 협성대학교 아시아교류원사무총장 |
2022.03.24 ~ 현재 |
현, 협성대학교 아시아교류원 사무총장경기도 안성시 부시장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주일 | - | - | - |
김선태 | - | - | - |
김미희 | - | - | - |
홍춘선 | - | - | - |
손수익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손수익 사외이사 후보자 1. 사외이사의 기본적 역할 및 전문성본 후보자는 다년간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에 필요한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회사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또한,상장회사의 사외이사 후보자로서 엄중한 책임을 느끼고, 회사의 경영에 관한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의 구성원으로 이사회의 모든 의사결정이 기업가치 및 주주의 이익 제고를 위한 최선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전문성 및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2. 사외이사로서의 독립성본 후보자는 상법 등 관련 법규 상의 사외이사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며, (주)힘스의 사외이사로서 독립성 훼손의 우려가 있는 사정은 없습니다. 향후 직무수행 과정에서 혹시라도 회사 이익과 본인의 이해관계가 상충될 우려가 있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사결정 과정 및 결의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회사 및 전체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첫째, 회사의 영속성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둘째, 기업 성장을 통한 구성원 및 주주 가치 제고셋째, 동반 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 및 고객 가치 제고넷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 가치 제고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의무, 경업금지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회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 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경영 전반에서 넓은 이해도와 경험으로 기업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2. 경영에 있어서 감독자 역할을 수행하며, 전반적인 정책 조율에 우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 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65 백만원 |
최고한도액 | 3,00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 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 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시행령 제 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03.18)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예정입니다. - 당사 홈페이지 : http://www.hims.co.kr※ 해당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