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8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투자설명서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5년 08월 05일 |
3. 정정사유 :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
4. 정정사항 |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2025년 08월 05일 | 투자설명서 | 최초 제출 |
2025년 08월 08일 | [정정]투자설명서 | 1차정정( "굵은 빨간색") |
금번 정정에 따른 변동사항은 투자자 편의를 위해 "굵은 빨간색" 으로 기재하였습니다.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공통 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 17,000원 ~ 20,000원- 모집(매출)총액(예정) : 33,150,000,000원 ~ 39,000,000.000원- 우리사주조합 배정주식수: 97,500주-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487,500주 ~ 585,000주-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267,500주 ~ 1,365,000주- 우리사주조합 배정비율: 5.0%-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65.0% ~ 70.0% | - 모집(매출)가액(예정) : 15,0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29,250,000,000원 - 우리사주조합 배정주식수: 97,500주-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487,5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365,000주 - 우리사주조합 배정비율: 5.0%-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
요약정보 |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2. 공모방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 (13) 수요예측 결과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다. 청약방법 - (7)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
2. 회사위험- 거. 상장 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 (주10) 정정 전 | (주10) 정정 후 |
3. 기타위험-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 (주11) 정정 전 | (주11) 정정 후 |
3. 기타위험- 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희석 위험 | (주12) 정정 전 | (주12) 정정 후 |
3. 기타위험-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 (주13) 정정 전 | (주13) 정정 후 |
3. 기타위험- 거.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 | (주14) 정정 전 | (주14) 정정 후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주15) 정정 전 | (주15) 정정 후 |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
V. 자금의 사용목적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16) 정정 전 | (주16) 정정 후 |
2. 자금의 사용 목적 | (주17) 정정 전 | (주17) 정정 후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1,950,000 | 500 | 17,000 | 33,15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1,462,500 | 24,862,500,000 | 1,152,376,875 | 총액인수 |
공동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487,500 | 8,287,500,000 | 384,125,62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2일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4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인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입니다. 참고 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액인 20,0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39,000,000,000원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1일간)-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은 청약 초일인 2025년 08월 11일(월)에 실시되고,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2일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이틀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8)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5년 01월 17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6월 0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범위의 최저가액 기준이며,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발행회사는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 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5 .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희망공모가액 하단 17,000원 기준 58,5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공모물량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1,950,000 | 500 | 15,000 | 29,25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1,462,500 | 21,937,500,000 | 1,016,803,125 | 총액인수 |
공동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487,500 | 7,312,500,000 | 338,934,37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2일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4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1일간)-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은 청약 초일인 2025년 08월 11일(월)에 실시되고,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2일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이틀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8)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5년 01월 17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6월 0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이 외에 발행회사는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 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5 .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58,5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공모물량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1,950,000주 (공모주식의 10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주1)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4)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97,500주(공모주식의 5.0%)를 우선배정하였습니다. |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일반공모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7,000원 | 1,657,500,000원 | 우선배정_주2) |
일반청약자 | 487,500주~ 585,000주 | 25.0%~ 30.0% | 8,287,500,000원~ 9,945,000,000원 | 주3), 주4) | |
기관투자자 | 1,267,500주~ 1,365,000주 | 65.0%~ 70.0% | 21,547,500,000원~ 23,20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_주5), 주6), 주7) | |
합계 | 1,950,000주 | 100.0% | 33,15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 17,000원~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 모집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 모집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모집가액 | 모집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7,000원 | 1,657,500,000원 | - |
일반청약자 | 487,500주~ 585,000주 | 25.0%~ 30.0% | 8,287,500,000원~ 9,945,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267,500주~ 1,365,000주 | 65.0%~ 70.0% | 21,547,500,000원~ 23,20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계 | 1,950,000주 | 100.0% | 33,15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모집물량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금번 모집 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해당 투자신탁 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 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 한다.②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의거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한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조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 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 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가 주관하는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한 모든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 확인 등에 관한 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시 수요예측 참여가 불가합니다. |
||||||||||||||||||
주5)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
주6)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의「 라. 청약결정과 배정에 관한 사항」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⑤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7) | 주당모집가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 기준으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8)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10) | 금번 공모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금번 (주)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
구 분 | 취득주식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 고 |
KB증권㈜ | 43,875주 | 17,000원 | 745,875,000원 | 주1) |
신한투자증권㈜ | 14,625주 | 248,625,000원 | ||
합계 | 58,500주 | - | 994,5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연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승인 하에 연장 가능)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1,950,000주 (공모주식의 10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주1)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4)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97,500주(공모주식의 5.0%)를 우선배정하였습니다. |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일반공모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5,000원 | 1,462,500,000원 | 우선배정_주2) |
일반청약자 | 487,500주 | 25.0% | 7,312,500,000원 | 주3), 주4)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20,4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_주5), 주6), 주7) | |
합계 | 1,950,000주 | 100.0% | 29,25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 모집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 모집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모집가액 | 모집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5,000원 | 1,462,500,000원 | - |
일반청약자 | 487,500주 | 25.0% | 7,312,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20,4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계 | 1,950,000주 | 100.0% | 29,25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모집물량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금번 모집 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해당 투자신탁 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 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 한다.②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의거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한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조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 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 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가 주관하는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한 모든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 확인 등에 관한 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시 수요예측 참여가 불가합니다. |
||||||||||||||||||
주5)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
주6)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의「 라. 청약결정과 배정에 관한 사항」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⑤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7) | 주당모집가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8)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9)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10) | 금번 공모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금번 (주)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
구 분 | 취득주식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 고 |
KB증권㈜ | 43,875원 | 15,000원 | 658,125,000원 | 주1) |
신한투자증권㈜ | 14,625원 | 219,375,000원 | ||
합계 | 58,500원 | - | 877,5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연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승인 하에 연장 가능) |
(주3) 정정 전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와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평가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정정 후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와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평가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5,00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4) 정정 전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267,500주~ 1,365,000주 | 65.0%~ 7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배정수량을 포함합니다 |
(주2) | 상기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1,95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487,500주 ~ 585,000주(25.0%~30.0%) 및 우리사주조합 배정분 97,500주(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주4) 정정 후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배정수량을 포함합니다 |
(주2) | 상기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1,95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487,500주(25.0%) 및 우리사주조합 배정분 97,500주(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주5) 정정 전
-(주5) 정정 후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 | 252 | 82 | 14 | 3 | 180 | 80 | 56 | - | 667 |
수량 | - | 130,991,000 | 16,129,000 | 7,419,000 | 3,030,000 | 47,537,000 | 31,662,000 | 11,867,000 | - | 248,635,000 |
경쟁률 | - | 95.96 | 11.82 | 5.44 | 2.22 | 34.83 | 23.20 | 8.69 | - | 182.15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주2) | 경쟁률은 기관투자자 배정주수 1,365,000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단순경쟁률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해외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 초과 | - | - | 1 | 225,000 | 4 | 1,453,000 | - | - | - | - | 12 | 4,700,000 | 5 | 4,398,000 | 16 | 1,453,000 | - | - | 38 | 12,229,000 |
밴드상단 | - | - | 36 | 20,377,000 | 28 | 8,402,000 | 5 | 2,744,000 | 2 | 2,730,000 | 46 | 13,842,000 | 29 | 19,988,000 | 36 | 10,388,000 | - | - | 182 | 78,471,000 |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 - | - | - | - | 1 | 30,000 | - | - | - | - | - | - | - | - | - | - | - | - | 1 | 30,000 |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 ~ 50% 이상 | - | - | 1 | 16,000 | 1 | 3,000 | - | - | - | - | - | - | - | - | - | - | - | - | 2 | 19,000 |
밴드 하위 50% 미만 ~ 75% 이상 | - | - | - | - | 1 | 422,000 | - | - | - | - | - | - | - | - | - | - | - | - | 1 | 422,000 |
밴드 하위 75% 미만 ~ 10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 - | - | 36 | 13,008,000 | 15 | 1,465,000 | 2 | 1,370,000 | - | - | 56 | 5,938,000 | 23 | 1,760,000 | 1 | 6,000 | - | - | 133 | 23,547,000 |
밴드하단 미만 | - | - | 170 | 93,675,000 | 32 | 4,354,000 | 7 | 3,305,000 | 1 | 300,000 | 63 | 22,329,000 | 22 | 5,263,000 | 1 | 7,000 | - | - | 296 | 129,233,000 |
미제시 | - | - | 8 | 3,690,000 | - | - | - | - | - | - | 3 | 728,000 | 1 | 253,000 | 2 | 13,000 | - | - | 14 | 4,684,000 |
합 계 | - | - | 252 | 130,991,000 | 82 | 16,129,000 | 14 | 7,419,000 | 3 | 3,030,000 | 180 | 47,537,000 | 80 | 31,662,000 | 56 | 11,867,000 | - | - | 667 | 248,635,000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건, 주, %) |
구분 | 참여건수기준 | 신청수량기준 | ||
---|---|---|---|---|
참여건수 | 비율 | 신청수량 | 비율 | |
가격 미제시 | 14 | 2.1% | 4,684,000 | 1.9% |
20,000원 초과 | 38 | 5.7% | 12,229,000 | 4.9% |
20,000원 | 182 | 27.3% | 78,471,000 | 31.6% |
17,000원 초과 20,000원 미만 | 4 | 0.6% | 471,000 | 0.2% |
17,000원 | 133 | 19.9% | 23,547,000 | 9.5% |
15,000원 초과 17,000원 미만 | 7 | 1.0% | 2,050,000 | 0.8% |
15,000원 | 220 | 33.0% | 116,443,000 | 46.8% |
15,000원 미만 | 69 | 10.3% | 10,740,000 | 4.3% |
합계 | 667 | 100.0% | 248,635,000 | 100.0% |
(다)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일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252 | 130,991,000 | 15,453 | 82 | 16,129,000 | 18,446 | 14 | 7,419,000 | 16,700 | 3 | 3,030,000 | 19,505 | 180 | 47,537,000 | 17,004 | 80 | 31,662,000 | 18,863 |
합계 | - | - | - | 252 | 130,991,000 | 15,453 | 82 | 16,129,000 | 18,446 | 14 | 7,419,000 | 16,700 | 3 | 3,030,000 | 19,505 | 180 | 47,537,000 | 17,004 | 80 | 31,662,000 | 18,863 |
(단위: 건, 주) |
구분 | 해외 기관투자자 | 합계 | |||||||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무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3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1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15 일 확약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56 | 11,867,000 | 20,452 | - | - | - | 667 | 248,635,000 | 16,703 |
합계 | 56 | 11,867,000 | 20,452 | - | - | - | 667 | 248,635,000 | 16,703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라) 주당 확정공모가액의 결정상기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그래피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6)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1,95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7,000원 (주1)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33,150,000,000원 (주1)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주2) | ||
청약기일 주3) | 우리사주조합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종료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청약증거금 주4) | 우리사주조합 | 100% |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0%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08월 14일(목) |
주1)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 주당 공모가액은 공모희망가액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으로서,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것입니다. | ||||||||
주2) |
청약단위: ① 우리사주조합 및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하며, 이중청약은 금지합니다.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8)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사항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
주3) | 청약기일: ①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 (1일간, 10:00부터 16:00까지) ② 기관투자자, 일반투자자(청약자) 청약일 : 2025년 08월 11일 ~ 12일(2일간, 10:00부터~16:00까지) ③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④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청약증거금: 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 ②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2025년 08월 1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① 우리사주조합 : KB증권㈜ 본ㆍ지점 ② 기관투자자 : KB증권㈜ 본ㆍ지점 ③ 일반투자자(청약자) : KB증권㈜ 및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④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6조제1항제3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7)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각 청약취급처인 인수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8월 14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6)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1,95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7,000원 | |
확정가액 | 15,000원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33,150,000,000원 | |
확정가액 | 29,250,000,000원 (주1) | ||
청 약 단 위 | (주2) | ||
청약기일 주3) | 우리사주조합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종료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청약증거금 주4) | 우리사주조합 | 100% |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0%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08월 14일(목) |
주1)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 주당 공모가액은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청약단위: ① 우리사주조합 및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하며, 이중청약은 금지합니다.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8)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사항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
주3) | 청약기일: ①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 (1일간, 10:00부터 16:00까지) ② 기관투자자, 일반투자자(청약자) 청약일 : 2025년 08월 11일 ~ 12일(2일간, 10:00부터~16:00까지) ③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④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청약증거금: 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 ②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2025년 08월 1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① 우리사주조합 : KB증권㈜ 본ㆍ지점 ② 기관투자자 : KB증권㈜ 본ㆍ지점 ③ 일반투자자(청약자) : KB증권㈜ 및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④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6조제1항제3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7)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각 청약취급처인 인수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8월 14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7) 정정 전
(7)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일반청약자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KB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 일반투자자(청약자)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KB증권㈜ | 365,625주 ~ 438,750주 | 주) | 50% |
주) |
KB증권㈜의 일반청약자(100%) 최고청약한도는 12,000주 ~ 14,000주이나, KB증권(주)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청약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1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1,000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21,875주 ~ 146,250주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2,000주 ~ 14,400주(300%) 8,000주 ~ 9,600주(200%)□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4,000주 ~ 4,800주(100%) |
[신한투자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4,000주 이하 | 100주 |
4,000주 초과 | 400주 |
④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미달을 고려하여 추가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과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금액 또는 최고 청약한도 1,365,000주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주7) 정정 후
(7)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일반청약자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KB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 일반투자자(청약자)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KB증권㈜ | 365,625주 | 주) | 50% |
주) |
KB증권(주)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청약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1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1,000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21,875주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2,000주(300%) 8,000주(200%)□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4,000주(100%) |
[신한투자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4,000주 이하 | 100주 |
4,000주 초과 | 400주 |
④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미달을 고려하여 추가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과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금액 또는 최고 청약한도 1,365,000주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주8) 정정 전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공모주식의 5.0%(97,500주)를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65.0%~70.0%(1,267,500주 ~ 1,365,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30.0% (487,500주 ~ 585,0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의거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특히,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인 487,500주에 우리사주조합 청약 결과에 따른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공모주식의 5%, 97,500주)를 합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그래피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우선배정 주식수 내에서 청약한 주식수대로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 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④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487,500주 ~ 585,000주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43,750주에서 292,500주 이상이며, 균등방식의 세부 방법은 일괄청약방식입니다.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청약자 배정은 전부 비례방식으로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⑤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각 인수단의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각 인수단의 배정방법 간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KB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⑧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 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 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 2023.04.27>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금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신한투자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⑧ 비례배정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5사 6입 등 소숫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숫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숫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삭제>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이하 생략) |
(주8) 정정 후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공모주식의 5.0%(97,500주)를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1,365,000주) 를 배정합니다. 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487,500주) 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의거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특히,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인 487,500주에 우리사주조합 청약 결과에 따른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공모주식의 5%, 97,500주)를 합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그래피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우선배정 주식수 내에서 청약한 주식수대로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 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④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487,500주 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43,750주 이상이며, 균등방식의 세부 방법은 일괄청약방식입니다.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청약자 배정은 전부 비례방식으로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⑤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각 인수단의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각 인수단의 배정방법 간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KB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⑧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 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 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 2023.04.27>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금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신한투자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⑧ 비례배정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5사 6입 등 소숫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숫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숫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삭제>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이하 생략) |
(주9)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인 수 인 |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 인수금액주1) | 인수비율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KB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기명식 보통주1,462,500주 | 24,862,500,000원 | 75.0% | 총액인수(주2)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기명식 보통주487,500주 | 8,287,500,000원 | 25.0% | 총액인수(주2)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17,000원 ~ 20,000원) 밴드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 관련계약 내용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이력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 KB증권㈜ | 1,152,376,87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384,125,62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KB증권㈜ | 미정 | 인수금액 최대 1.0% | 납입일 다음 3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
사무주관수수료 | KB증권㈜ | 341,445,000 | 총공모금액 1.0%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주1) |
2025년 07월 14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중 제16조(수수료)①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2조 제3항에 정한 인수주식 수(제2조 제5항에 따라 실제 인수주식 수가 달라진 경우 그 실제 인수주식 수)에 따라 안분하여 각각의 인수단 구성원에게 인수수수료로 지급한다. ② 발행회사는 제1항에 따른 기본수수료와는 별도로 사무주관수수료로서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표주관회사에 지급한다. ③ 발행회사는 제1항의 기본수수료 외에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④ 발행회사는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수수료를 주금납입기일 다음 3영업일 내에 대표주관회사가 지정한 계좌로 현금입금 또는 계좌이체 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 ⑤ 대표주관회사는 본 조 제1항에 따른 수수료를 받은 경우 수수료를 받은 날로부터 5영업일 이내에 본 계약서 제2조 제3항에 따른 인수비율에 따라 공동주관회사에게 지급하기로 한다. |
주2) | 2023년 10월 31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중 제8조(수수료 지급)"본건 상장" 관련 주관회사 수수료 및 지급시기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지급절차와 방법은 향후 "갑"(주식회사 그래피)과 "을"(KB증권 주식회사,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이 체결하는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서에서 정하기로 한다. |
주3) | 인수수수료는 희망공모가액인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한편,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를 대상으로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에게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1.0% 범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사무주관수수료는 희망공모가액인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인 2023년 10월 31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중략)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이하 "의무인수"라 한다)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
KB증권㈜ | 기명식보통주 | 43,875 | 745,875,000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신한투자증권㈜ | 14,625 | 248,625,000 | ||
합계 | 58,500 | 994,500,000 | -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7,000원 ~ 20,000원 중 최저가액인 17,000원 기준으로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거래소는 상장신청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업의 상장주선인에 대하여 제5항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1. 대형법인. 다만, 외국기업이나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제외한다. |
(중략)
(6) 인수인의 투자내역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총 185,185주(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의 1.68%, 공모가 하단 기준, 의무인수주식수 포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KB증권㈜는 2023년 11월 01일자로 당사의 전환사채 총 20억원을 인수하였으며 2024년 12월 26일자로 인수한 전환사채 전액에 대하여 전환권을 행사하여 보통주로 전환하였습니다. KB증권㈜의 당사 주식 취득의 상세내역 및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 주식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증권 취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인수인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취득주식수(주1) | 주당 취득가액(주1) | 총 취득금액(주3) | 비 고 |
---|---|---|---|---|---|---|---|
전환사채인수 | KB증권㈜ | 전환사채 | 2023-11-01 | 76,045 | 26,300 | 2,000,000,000 |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 |
주1) | 주당 취득가액은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 당시의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건의 경우 전환권 행사 당시의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취득주식수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환가능 주식수를 기재하였습니다. | ||||||||||||||
주2) |
전환사채 인수 계약에 따른 최초 전환가액은 26,300원이나 동계약 조건에 따라 전환권 행사 시점의 전환가액은 아래와 같이 10,80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
||||||||||||||
주3) | 전환권 행사 이후 총 취득금액은 전환권 행사에 따른 단수대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재하였습니다. |
[상장주선인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주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보유자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보유주식수 | 주당취득가액 | 총취득금액 | 공모전지분율 | 공모후지분율(주1) | 비 고(주2)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2.05% | 1.68% | - 129,629주: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
주1)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상장예정주식수(우선주, 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2) |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당사 보통주식 185,185주(공모후 1.68%)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129,629주(공모후 1.17%)에 대하여「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공모후 0.50%)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7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 |
상기 사항 이외에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추가적으로 당사 주식을 취득한 사실은 없습니다. KB증권㈜가 보유하고있는 당사 보통주식의 지분율은 공모 전 2.05%이며, 공모 후 기준으로 1.68%(공모가 하단 기준 상장예정주식수, 의무인수주식수 포함) 수준입니다.
한편, 상장주선인인 KB증권㈜의 당사 보통주식 취득가액은 주당 10,800원(=총 취득금액/현재 주식수)으로 금번 공모시 희망 공모가액 중 최저가액인 17,000원과의 괴리율은 54.4%, 최고가액인 20,000원과의 괴리율은 85.2%입니다.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가액 대비 공모가액 괴리율] |
인수인 명 | 주식종류 | 희망 공모가액 | 취득일 | 취득주식수(공모 후 지분율) | 주당취득가액 | 괴리율 | 비고 |
---|---|---|---|---|---|---|---|
KB증권㈜ | 보통주 | 17,000원 ~ 20,000원 | 2024-12-26 |
185,185주 (1.68%) |
10,800원 | 57.4%~85.2% | - |
주1) | 희망 공모가액과의 괴리율은 '(희망 공모가액-취득가액)/취득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상장예정주식수(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3) | 상기 취득주식수 및 주당 취득가액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입니다. |
(중략)
(주9)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인 수 인 |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 인수금액주1) | 인수비율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KB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기명식 보통주1,462,500주 | 21,937,500,000원 | 75.0% | 총액인수(주2)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기명식 보통주487,500주 | 7,312,500,000원 | 25.0% | 총액인수(주2)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 관련계약 내용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이력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 KB증권㈜ | 1,016,803,12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338,934,37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KB증권㈜ | 미정 | 인수금액 최대 1.0% | 납입일 다음 3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
사무주관수수료 | KB증권㈜ | 301,275,000 | 총공모금액 1.0%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주1) |
2025년 08월 08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중 제16조(수수료)①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2조 제3항에 정한 인수주식 수(제2조 제5항에 따라 실제 인수주식 수가 달라진 경우 그 실제 인수주식 수)에 따라 안분하여 각각의 인수단 구성원에게 인수수수료로 지급한다. ② 발행회사는 제1항에 따른 기본수수료와는 별도로 사무주관수수료로서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표주관회사에 지급한다. ③ 발행회사는 제1항의 기본수수료 외에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④ 발행회사는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수수료를 주금납입기일 다음 3영업일 내에 대표주관회사가 지정한 계좌로 현금입금 또는 계좌이체 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 ⑤ 대표주관회사는 본 조 제1항에 따른 수수료를 받은 경우 수수료를 받은 날로부터 5영업일 이내에 본 계약서 제2조 제3항에 따른 인수비율에 따라 공동주관회사에게 지급하기로 한다. |
주2) | 2023년 10월 31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중 제8조(수수료 지급)"본건 상장" 관련 주관회사 수수료 및 지급시기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지급절차와 방법은 향후 "갑"(주식회사 그래피)과 "을"(KB증권 주식회사,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이 체결하는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서에서 정하기로 한다. |
주3) | 인수수수료는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한편,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를 대상으로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에게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1.0% 범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사무주관수수료는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인 2023년 10월 31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중략)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이하 "의무인수"라 한다)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
KB증권㈜ | 기명식보통주 | 43,875 | 658,125,000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신한투자증권㈜ | 14,625 | 219,375,000 | ||
합계 | 58,500 | 877,500,000 | -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거래소는 상장신청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업의 상장주선인에 대하여 제5항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1. 대형법인. 다만, 외국기업이나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제외한다. |
(중략)
(6) 인수인의 투자내역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총 185,185주(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의 1.68%, 공모가 하단 기준, 의무인수주식수 포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KB증권㈜는 2023년 11월 01일자로 당사의 전환사채 총 20억원을 인수하였으며 2024년 12월 26일자로 인수한 전환사채 전액에 대하여 전환권을 행사하여 보통주로 전환하였습니다. KB증권㈜의 당사 주식 취득의 상세내역 및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 주식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증권 취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인수인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취득주식수(주1) | 주당 취득가액(주1) | 총 취득금액(주3) | 비 고 |
---|---|---|---|---|---|---|---|
전환사채인수 | KB증권㈜ | 전환사채 | 2023-11-01 | 76,045 | 26,300 | 2,000,000,000 |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 |
주1) | 주당 취득가액은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 당시의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건의 경우 전환권 행사 당시의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취득주식수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환가능 주식수를 기재하였습니다. | ||||||||||||||
주2) |
전환사채 인수 계약에 따른 최초 전환가액은 26,300원이나 동계약 조건에 따라 전환권 행사 시점의 전환가액은 아래와 같이 10,80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
||||||||||||||
주3) | 전환권 행사 이후 총 취득금액은 전환권 행사에 따른 단수대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재하였습니다. |
[상장주선인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주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보유자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보유주식수 | 주당취득가액 | 총취득금액 | 공모전지분율 | 공모후지분율(주1) | 비 고(주2)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2.05% | 1.68% | - 129,629주: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
주1)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상장예정주식수(우선주, 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2) |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당사 보통주식 185,185주(공모후 1.68%)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129,629주(공모후 1.17%)에 대하여「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공모후 0.50%)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7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 |
상기 사항 이외에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추가적으로 당사 주식을 취득한 사실은 없습니다. KB증권㈜가 보유하고있는 당사 보통주식의 지분율은 공모 전 2.05%이며, 공모 후 기준으로 1.68%(상장예정주식수, 의무인수주식수 포함 기준) 수준입니다.
한편, 상장주선인인 KB증권㈜의 당사 보통주식 취득가액은 주당 10,800원(=총 취득금액/현재 주식수)으로 금번 공모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과의 괴리율은 38.9%입니다.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가액 대비 공모가액 괴리율] |
인수인 명 | 주식종류 | 확정공모가액 | 취득일 | 취득주식수(공모 후 지분율) | 주당취득가액 | 괴리율 | 비고 |
---|---|---|---|---|---|---|---|
KB증권㈜ | 보통주 | 15,000원 | 2024-12-26 |
185,185주 (1.68%) |
10,800원 | 38.9% | - |
주1) | 확정공모가액과의 괴리율은 '( 확정공모가액-취득가액)/취득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상장예정주식수(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3) | 상기 취득주식수 및 주당 취득가액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입니다. |
(중략)
(주10) 정정 전
거. 상장 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공모가 하단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 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간의 지분 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시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공모가 하단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및 상환전환우선주의 전량 보통주 전환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53%로 소폭 낮아지지만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및 상환전환우선주 이외에 당사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관련 사채 및 잔여 상환전환우선주 외에 종류주식 등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금번 공모 및 희석으로 인한 경영권 관련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합니다. 당사의 공모 후 지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주주등의 공모 전 및 공모 후 지분율 변동]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관계 | 공모전 | 공모후 | 비고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24개월 의무보유 |
심미순 | 특수관계인 | 1,518 | 0.02% | 1,518 | 0.01%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 | 특수관계인 | 22,500 | 0.25% | 22,500 | 0.20%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특수관계인 | 8,903 | 0.10% | 8,903 | 0.08% | 24개월 의무보유 | |
조태연 | 등기임원 | 14,000 | 0.16% | 14,000 | 0.13% | 24개월 의무보유 | |
합계 | 3,175,690 | 35.16% | 3,175,690 | 28.77%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공모 주식수 1,950,000주와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주식수 58,500주를 반영한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그 외에 추가 희석이 가능한 주식수는 주식매수선택권으로 부여된 489,200주,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의 전환권 행사시 발행되는 보통주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입니다. |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 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회사의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의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10) 정정 후
거. 상장 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 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간의 지분 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시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및 상환전환우선주의 전량 보통주 전환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53%로 소폭 낮아지지만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및 상환전환우선주 이외에 당사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관련 사채 및 잔여 상환전환우선주 외에 종류주식 등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금번 공모 및 희석으로 인한 경영권 관련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합니다. 당사의 공모 후 지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주주등의 공모 전 및 공모 후 지분율 변동]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관계 | 공모전 | 공모후 | 비고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24개월 의무보유 |
심미순 | 특수관계인 | 1,518 | 0.02% | 1,518 | 0.01%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 | 특수관계인 | 22,500 | 0.25% | 22,500 | 0.20%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특수관계인 | 8,903 | 0.10% | 8,903 | 0.08% | 24개월 의무보유 | |
조태연 | 등기임원 | 14,000 | 0.16% | 14,000 | 0.13% | 24개월 의무보유 | |
합계 | 3,175,690 | 35.16% | 3,175,690 | 28.77%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확정공모가액 기준 공모 주식수 1,950,000주와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주식수 58,500주를 반영한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그 외에 추가 희석이 가능한 주식수는 주식매수선택권으로 부여된 489,200주,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의 전환권 행사시 발행되는 보통주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입니다. |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 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회사의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의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11) 정정 전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공모가 하단 기준) 중 약 37.74%에 해당하는 4,166,434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6,497,569주(58.86%), 상장 3개월 후 7,709,829주(69.84%), 상장 6개월 후 7,720,198주(69.94%), 상장 12개월 후 7,842,513주(71.05%), 상장 24개월 후 11,038,777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공모가 하단 기준) 중 최대주주인 대표이사 심운섭이 보유한 3,128,769주 및 특수관계인 3인이 보유한 46,921주(박성현 사내이사의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지분을 통한 보유 주식수 8,903주 합)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대상이며, 본문의 단서 조항에 따라 1년간 의무보유 기간을 추가하여, 총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전영진 등 3인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한편, 당사의 직원인 '김훈'은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선택권 행사를 통해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으며 해당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진앤투자파트너스 등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이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공모가 하단 기준 1,103,935주)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그 외 ㈜우리은행 등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당사의 주식중 일부 주식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인 KB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따라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공모가 하단 기준)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합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물량 세부내역]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회사와의관계 | 주식의종류 | 공모 전 보유 주식 | 공모 후 | 매각제한기간 | 매각제한사유 | ||||||
보유주식 | 매각제한 물량 | 유통가능 물량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보통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3,128,769 | 28.34%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심미순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18 | 0.02% | 1,518 | 0.01% | 1,518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박성현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2,500 | 0.25% | 22,500 | 0.20% | 22,500 | 0.20%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박성현)(주2)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8,903 | 0.10% | 8,903 | 0.08% | 8,903 | 0.08%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2,3) | |
조태연 | 등기 임원 | 보통주 | 14,000 | 0.16% | 14,000 | 0.13% | 14,000 | 0.13%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기존주주 | 김훈 | 직원 | 보통주 | 19,287 | 0.21% | 19,287 | 0.17% | 19,287 | 0.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4) |
정하림 | 직원 | 보통주 | 1,287 | 0.01% | 1,287 | 0.01% | 1,287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5) | |
전영진 | 직원 | 보통주 | 90,264 | 1.00% | 90,264 | 0.82% | 90,264 | 0.82%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조영삼 | 타인 | 보통주 | 18,051 | 0.20% | 18,051 | 0.16% | 18,051 | 0.16%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신왕기 | 타인 | 보통주 | 25,070 | 0.28% | 25,070 | 0.23% | 14,000 | 0.13% | 11,070 | 0.1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우리은행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66,222 | 1.84% | 166,222 | 1.51% | 66,488 | 0.60% | 74,799 | 0.68%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4,935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제이더블유홀딩스㈜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76,930 | 3.07% | 276,930 | 2.51% | 110,772 | 1.00% | 124,618 | 1.1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41,540 | 0.3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현대투자파트너스제2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8,861 | 1.87% | 168,861 | 1.53% | 67,544 | 0.61% | 75,987 | 0.6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330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IBKC-인탑스뉴딜소부장신기술사업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 벤처금융 | 보통주 | 256,044 | 2.84% | 256,044 | 2.32% | 102,417 | 0.93% | 115,219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408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어니스트 스마트시티첨단산업 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68,236 | 0.62% | 76,765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589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KB증권 주식회사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129,629 | 1.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6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JB우리캐피탈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85,135 | 0.94% | 85,135 | 0.77% | 59,594 | 0.5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541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AFWP-YP 3D 머터리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71,647 | 0.65% | 47,765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1,178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716,963 | 7.94% | 716,963 | 6.49% | 301,124 | 2.73% | 200,749 | 1.8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15,090 | 1.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액시스 넥스트덴탈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351,212 | 3.89% | 351,212 | 3.18% | 147,508 | 1.34% | 98,338 | 0.8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05,366 | 0.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플로우-액시스 세컨더리1호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7,954 | 1.97% | 177,954 | 1.61% | 74,740 | 0.68% | 49,827 | 0.4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3,387 | 0.4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9,252 | 1.87% | 169,252 | 1.53% | 71,085 | 0.64% | 47,390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50,777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킹고 세컨더리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55,595 | 1.72% | 155,595 | 1.41% | 62,235 | 0.56%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벤처금융 | 보통주 | 83,644 | 0.93% | 83,644 | 0.76% | 35,130 | 0.32% | 23,420 | 0.2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094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6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85,690 | 0.95% | 85,690 | 0.78% | 17,138 | 0.16% | 68,552 | 0.6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0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42,844 | 0.47% | 42,844 | 0.39% | 8,569 | 0.08% | 34,275 | 0.3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GVA자산운용㈜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1,000 | 0.23% | 21,000 | 0.19% | 4,200 | 0.04% | 16,800 | 0.1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흥국 멀티플랫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77,777 | 3.08% | 277,777 | 2.52% | 116,666 | 1.06% | 77,777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83,334 | 0.7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마트 HIP 제4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77,777 | 0.70% | 51,851 | 0.47%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7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투자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37,033 | 0.41% | 37,033 | 0.34% | 15,553 | 0.1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1,111 | 0.1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10,369 | 0.09% | 상장일로부터 6개월 | (주8) |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18,594 | 1.31% | 118,594 | 1.07% | 88,594 | 0.8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30,000 | 0.2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벤처금융 | 보통주 | 296,536 | 3.28% | 296,536 | 2.69% | 221,523 | 2.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75,013 | 0.6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한빛인베스트먼트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모비릭스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기타 주주 | - | 보통주 | 841,758 | 9.32% | 841,758 | 7.63% | - | 0.00% | 841,758 | 7.63%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 | - | - | 570 | 0.01% | - | - | |||
공모주주 | 일반공모주주 | - | 보통주 | - | 0.00% | 1,852,500 | 16.78% | - | 0.00% | 1,852,500 | 16.78% | - | - |
우리사주조합 | 보통주 | - | 0.00% | 97,500 | 0.88% | 97,500 | 0.88% | - | - | 예탁일로부터 12개월 | (주9) | ||
상장주선인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 - | 보통주 | - | 0.00% | 58,500 | 0.53% | 58,500 | 0.53% | - | 0.0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10) |
합계 | 보통주 | 9,030,277 | 99.99% | 11,038,777 | 99.99% | 6,872,343 | 62.25% | 4,166,434 | 37.74%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0.01% | - | 0.00% | 570 | 0.01% | - | (주1) | |||
총계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0% | 6,872,343 | 62.25% | 4,167,004 | 37.75% | -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의무인수분 58,500주 포함)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통주로 전환되지 않은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를 포함한 주식수입니다. 금번 상장에 따른 상장 대상 주식은 당사의 보통주식으로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시장에서 유통되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상환전환우선주식에 대해서는 별도 의무보유 예정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바,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되어있는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전량에 대한 전환권 행사시 추가 발행 및 상장 예정인 보통주 주식수는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로 해당 주식은 별도 기재하였습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은 박성현의 출자 지분에 해당하는 8,903주에 대하여 상장일로부터 4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박성현 이사는 이후 조합의 청산에 따라 배부 받을 8,903주에 대하여 조합의 청산에 따른 주식 배분일부터 상장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날까지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3) | 당사의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4) | '김훈'은 당사의 직원으로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제3자 배정)를 통해 당사의 보통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따르면 해당주식은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5) |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6) |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주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7)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8) | 해당 주식(주주)은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의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의 주식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공모가 하단 기준 1,103,935주)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9)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0) | 상장주선인 케이비증권㈜ 및 신한투자증권㈜는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을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기간별 유통가능 주식수] |
구분 | 주식수 | 유통가능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4,166,434 | 37.74% |
상장 후 1개월 후 유통가능 | 6,497,569 | 58.86% |
상장 후 3개월 후 유통가능 | 7,709,829 | 69.84% |
상장 후 6개월 후 유통가능 | 7,720,198 | 69.94% |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 7,842,513 | 71.05% |
상장 후 2년 후 유통가능 | 11,038,777 | 100.00% |
주1) | 유통가능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인 11,038,777주 대비 유통가능주식수의 비율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해당 주식수는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한편, 벤처금융 및 전문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5,008,073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공모가 하단 기준)의 45.4%에 해당합니다. 금번 공모의 공모예정 주식수는 1,950,000주로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공모가 하단 기준)의 17.7%에 해당합니다. 즉,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들은 당사의 공모 및 상장 이후 공모주주보다 당사에 대하여 많은 주식 수를 보유하게 되므로 투자자분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코스닥시장 상장 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등록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중략)
(주11) 정정 후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중 약 37.74%에 해당하는 4,166,434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6,497,569주(58.86%), 상장 3개월 후 7,709,829주(69.84%), 상장 6개월 후 7,720,198주(69.94%), 상장 12개월 후 7,842,513주(71.05%), 상장 24개월 후 11,038,777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중 최대주주인 대표이사 심운섭이 보유한 3,128,769주 및 특수관계인 3인이 보유한 46,921주(박성현 사내이사의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지분을 통한 보유 주식수 8,903주 합)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대상이며, 본문의 단서 조항에 따라 1년간 의무보유 기간을 추가하여, 총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전영진 등 3인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한편, 당사의 직원인 '김훈'은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선택권 행사를 통해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으며 해당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진앤투자파트너스 등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이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그 외 ㈜우리은행 등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당사의 주식중 일부 주식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인 KB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따라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합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물량 세부내역]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회사와의관계 | 주식의종류 | 공모 전 보유 주식 | 공모 후 | 매각제한기간 | 매각제한사유 | ||||||
보유주식 | 매각제한 물량 | 유통가능 물량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보통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3,128,769 | 28.34%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심미순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18 | 0.02% | 1,518 | 0.01% | 1,518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박성현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2,500 | 0.25% | 22,500 | 0.20% | 22,500 | 0.20%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박성현)(주2)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8,903 | 0.10% | 8,903 | 0.08% | 8,903 | 0.08%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2,3) | |
조태연 | 등기 임원 | 보통주 | 14,000 | 0.16% | 14,000 | 0.13% | 14,000 | 0.13%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기존주주 | 김훈 | 직원 | 보통주 | 19,287 | 0.21% | 19,287 | 0.17% | 19,287 | 0.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4) |
정하림 | 직원 | 보통주 | 1,287 | 0.01% | 1,287 | 0.01% | 1,287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5) | |
전영진 | 직원 | 보통주 | 90,264 | 1.00% | 90,264 | 0.82% | 90,264 | 0.82%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조영삼 | 타인 | 보통주 | 18,051 | 0.20% | 18,051 | 0.16% | 18,051 | 0.16%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신왕기 | 타인 | 보통주 | 25,070 | 0.28% | 25,070 | 0.23% | 14,000 | 0.13% | 11,070 | 0.1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우리은행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66,222 | 1.84% | 166,222 | 1.51% | 66,488 | 0.60% | 74,799 | 0.68%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4,935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제이더블유홀딩스㈜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76,930 | 3.07% | 276,930 | 2.51% | 110,772 | 1.00% | 124,618 | 1.1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41,540 | 0.3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현대투자파트너스제2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8,861 | 1.87% | 168,861 | 1.53% | 67,544 | 0.61% | 75,987 | 0.6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330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IBKC-인탑스뉴딜소부장신기술사업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 벤처금융 | 보통주 | 256,044 | 2.84% | 256,044 | 2.32% | 102,417 | 0.93% | 115,219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408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어니스트 스마트시티첨단산업 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68,236 | 0.62% | 76,765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589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KB증권 주식회사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129,629 | 1.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6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JB우리캐피탈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85,135 | 0.94% | 85,135 | 0.77% | 59,594 | 0.5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541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AFWP-YP 3D 머터리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71,647 | 0.65% | 47,765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1,178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716,963 | 7.94% | 716,963 | 6.49% | 301,124 | 2.73% | 200,749 | 1.8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15,090 | 1.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액시스 넥스트덴탈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351,212 | 3.89% | 351,212 | 3.18% | 147,508 | 1.34% | 98,338 | 0.8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05,366 | 0.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플로우-액시스 세컨더리1호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7,954 | 1.97% | 177,954 | 1.61% | 74,740 | 0.68% | 49,827 | 0.4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3,387 | 0.4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9,252 | 1.87% | 169,252 | 1.53% | 71,085 | 0.64% | 47,390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50,777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킹고 세컨더리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55,595 | 1.72% | 155,595 | 1.41% | 62,235 | 0.56%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벤처금융 | 보통주 | 83,644 | 0.93% | 83,644 | 0.76% | 35,130 | 0.32% | 23,420 | 0.2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094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6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85,690 | 0.95% | 85,690 | 0.78% | 17,138 | 0.16% | 68,552 | 0.6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0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42,844 | 0.47% | 42,844 | 0.39% | 8,569 | 0.08% | 34,275 | 0.3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GVA자산운용㈜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1,000 | 0.23% | 21,000 | 0.19% | 4,200 | 0.04% | 16,800 | 0.1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흥국 멀티플랫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77,777 | 3.08% | 277,777 | 2.52% | 116,666 | 1.06% | 77,777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83,334 | 0.7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마트 HIP 제4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77,777 | 0.70% | 51,851 | 0.47%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7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투자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37,033 | 0.41% | 37,033 | 0.34% | 15,553 | 0.1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1,111 | 0.1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10,369 | 0.09% | 상장일로부터 6개월 | (주8) |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18,594 | 1.31% | 118,594 | 1.07% | 88,594 | 0.8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30,000 | 0.2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벤처금융 | 보통주 | 296,536 | 3.28% | 296,536 | 2.69% | 221,523 | 2.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75,013 | 0.6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한빛인베스트먼트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모비릭스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기타 주주 | - | 보통주 | 841,758 | 9.32% | 841,758 | 7.63% | - | 0.00% | 841,758 | 7.63%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 | - | - | 570 | 0.01% | - | - | |||
공모주주 | 일반공모주주 | - | 보통주 | - | 0.00% | 1,852,500 | 16.78% | - | 0.00% | 1,852,500 | 16.78% | - | - |
우리사주조합 | 보통주 | - | 0.00% | 97,500 | 0.88% | 97,500 | 0.88% | - | - | 예탁일로부터 12개월 | (주9) | ||
상장주선인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 - | 보통주 | - | 0.00% | 58,500 | 0.53% | 58,500 | 0.53% | - | 0.0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10) |
합계 | 보통주 | 9,030,277 | 99.99% | 11,038,777 | 99.99% | 6,872,343 | 62.25% | 4,166,434 | 37.74%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0.01% | - | 0.00% | 570 | 0.01% | - | (주1) | |||
총계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0% | 6,872,343 | 62.25% | 4,167,004 | 37.75% | -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확정공모가액 기준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의무인수분 58,500주 포함)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통주로 전환되지 않은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를 포함한 주식수입니다. 금번 상장에 따른 상장 대상 주식은 당사의 보통주식으로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시장에서 유통되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상환전환우선주식에 대해서는 별도 의무보유 예정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바,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되어있는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전량에 대한 전환권 행사시 추가 발행 및 상장 예정인 보통주 주식수는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로 해당 주식은 별도 기재하였습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은 박성현의 출자 지분에 해당하는 8,903주에 대하여 상장일로부터 4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박성현 이사는 이후 조합의 청산에 따라 배부 받을 8,903주에 대하여 조합의 청산에 따른 주식 배분일부터 상장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날까지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3) | 당사의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4) | '김훈'은 당사의 직원으로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제3자 배정)를 통해 당사의 보통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따르면 해당주식은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5) |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6) |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주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7)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8) | 해당 주식(주주)은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의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의 주식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9)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0) | 상장주선인 케이비증권㈜ 및 신한투자증권㈜는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을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기간별 유통가능 주식수] |
구분 | 주식수 | 유통가능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4,166,434 | 37.74% |
상장 후 1개월 후 유통가능 | 6,497,569 | 58.86% |
상장 후 3개월 후 유통가능 | 7,709,829 | 69.84% |
상장 후 6개월 후 유통가능 | 7,720,198 | 69.94% |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 7,842,513 | 71.05% |
상장 후 2년 후 유통가능 | 11,038,777 | 100.00% |
주1) | 유통가능비율은 공모가 하단 기준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인 11,038,777주 대비 유통가능주식수의 비율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해당 주식수는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한편, 벤처금융 및 전문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5,008,073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의 45.4%에 해당합니다. 금번 공모의 공모예정 주식수는 1,950,000주로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의 17.7%에 해당합니다. 즉,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들은 당사의 공모 및 상장 이후 공모주주보다 당사에 대하여 많은 주식 수를 보유하게 되므로 투자자분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코스닥시장 상장 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등록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중략)
(주12) 정정 전
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희석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당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489,200주입니다.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 11,039,347주의 4.43% 수준입니다.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은 당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수 있으며,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회사의 설립, 경영, 해외영업 또는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역은 아래와 같으며,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489,200주로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인 11,039,347주(공모가 하단 기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4.43% 수준입니다.(중략)
(주12) 정정 후
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희석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당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489,200주입니다.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 11,039,347주의 4.43% 수준입니다.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은 당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수 있으며,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회사의 설립, 경영, 해외영업 또는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역은 아래와 같으며,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489,200주로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4.43% 수준입니다.(중략)
(주13) 정정 전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322억 원(공모가 하단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 등 운영자금(71억 원), 연구개발(55억 원), 특허전략(30억 원),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60억 원),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322억 원(공모가 하단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 등 운영자금(65억 원), 연구개발(55억 원), 특허전략(30억 원),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60억 원),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20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Ⅴ.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1,800 | 1,800 | 1,900 | 5,500 | |
특허전략 | 1,000 | 1,000 | 1,000 | 3,0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500 | 3,465 | 6,000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10,735 | 8,900 | 12,577 | 32,212 |
(중략)
(주13) 정정 후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284억 원(확정공모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운영(71억 원), 연구개발( 40억 원 ), 특허전략( 21억 원 ),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 46억 원 ),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284억 원(확정공모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운영(71억 원), 연구개발( 40억 원 ), 특허전략( 21억 원 ),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 46억 원 ),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Ⅴ.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700 | 1,300 | 2,000 | 4,000 | |
특허전략 | 700 | 700 | 700 | 2,1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2,000 | 569 | 4,604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9,335 | 9,600 | 9,481 | 28,416 |
(중략)
(주14) 정정 전
거.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58,500주(공모가 하단 기준)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공모가 하단 기준)를 추가로 인수하게 되며,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 전ㆍ후 주식수] |
(단위: 주) |
구분 | 주식 종류 | 상장 전 | 상장 후 | ||
---|---|---|---|---|---|
주식수 | 비율 | 주식수 | 비율 | ||
공모전 주식수 | 보통주 | 9,030,847 | 100.00% | 9,030,847 | 81.8% |
신주모집 주식수 | 보통주 | - | - | 1,950,000 | 17.7%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보통주 | - | - | 58,500 | 0.5% |
합계 | 보통주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 |
주1) | 상장 후 비율은 공모가 하단을 기준으로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58,500주 및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58,500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주14) 정정 후
거.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추가로 인수하게 되며,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 전ㆍ후 주식수] |
(단위: 주) |
구분 | 주식 종류 | 상장 전 | 상장 후 | ||
---|---|---|---|---|---|
주식수 | 비율 | 주식수 | 비율 | ||
공모전 주식수 | 보통주 | 9,030,847 | 100.00% | 9,030,847 | 81.8% |
신주모집 주식수 | 보통주 | - | - | 1,950,000 | 17.7%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보통주 | - | - | 58,500 | 0.5% |
합계 | 보통주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 |
주1) | 상장 후 비율은 확정공모가액을 기준으로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58,500주 및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58,500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주15) 정정 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x 비교기업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 가치 | 11,776백만원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 참조 | |
② | 유사기업 PER | 28.96배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비교기업 선정' 참조 | |
③ | 주식수 | 11,528,547주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참조 | |
주당 평가 가액 | 29,581원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액에 대한 할인율 | 42.53% - 32.39%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참조 | |
공모가 산정결과 | 17,000원 - 20,0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동사는 상대가치법(유사기업 PER)에 따라 장래 3년간(2025년, 2026년, 2027년)의 손익을 추정하여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동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리며, 동사의 추정실적은 본 장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중략)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PER Multiple에 의한 ㈜그래피의 평가가치]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 고 |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 | A | 20,346백만원 | 주1,2) |
현재가치 연할인율 | B | 22.0% | 주2,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 C = A/(1+B)^2.75 | 11,778백만원 | - |
적용 당기순이익 | C | 11,778백만원 | - |
적용 PER | D | 28.96배 | - |
기업가치 평가액 | E = C * D | 341,026백만원 | |
적용주식수 | F | 11,528,547주 | 주4) |
주당 평가가액 | G = E / F | 29,581원 | - |
주1)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산정내역은 하단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평가가액 산출에 있어서 동사는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적용한 이유는 동사가 수립한 사업계획에 따라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제품 매출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적정 이익 구조를 갖추는 최초 사업연도가 2027년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에 기반한 기업 가치 평가가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를 산정함에 있어 적용한 연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 기술평가기업의 연할인율 평균을 참고하였습니다.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적용 실적 및 할인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전자공시시스템(DART) |
|||||||||||||||||||||||||||||||||||||||||||||||||||||||||||||||||||||||||||||||||||||||||||||||||||||||||||||||||||||||||||||||||||||||||||||||||||||||||||||||||||||||||||||||||||||||||||||||||||||||||||||||||||||||||||||||||||||||||||||||||||||||||||||||||||||||||||||||||||||||||||||||||||||||||||||||||||||||||||||||||||||||||||||||||||||||||||||||||||||||||||||||||||||||||||||||||||||||||||||||||||||||||||||||||||||||||||||||||||||||||||||||||||||||||||||||||||||||||||||||||||||||||||||||||||||||||||||||||||||||||||||||||||||||||||||
주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 할인율 22.0%는 비교기업 3개사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평균값인 9.8%와 동사의 재무위험, 예상 매출의 실현 가능성, 시장의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산정하였습니다. WACC 산정시 차입에 따른 평균 차입이자율과 비교기업과의 재무규모의 차이 등도 고려하였습니다.동사 적용 연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평가기업 추정실적 연 할인율 평균값인 21.3%보다 0.7p 할증된 수치이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 3개사의 평균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9.8% 대비 약 12.2%p 할증하였습니다. 다만, 동 현재가치 할인율은 인수인의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적용주식수는 다음의 주식수를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 분석일 기준 1년 이내에 행사 가능한 물량 489,200주가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보통주로 미전환된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또한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 및 변수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그래피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주당 평가가액 | 29,581원 | PER에 의한 평가가치 산출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42.53% ~ 32.39%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7,000원 ~ 20,000원 | - |
확정 주당공모가액 | - | 주2) |
주1) |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42.53% ~ 32.39%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17,000원 ~ 2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15) 정정 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x 비교기업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 가치 | 11,776백만원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 참조 | |
② | 유사기업 PER | 28.96배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비교기업 선정' 참조 | |
③ | 주식수 | 11,528,547주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참조 | |
주당 평가 가액 | 29,581원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액에 대한 할인율 | 42.53% - 32.39%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참조 | |
공모가 산정결과 | 17,000원 - 20,0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최종 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동사는 상대가치법(유사기업 PER)에 따라 장래 3년간(2025년, 2026년, 2027년)의 손익을 추정하여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동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리며, 동사의 추정실적은 본 장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희망공모가액 및 확정공모가액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중략)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PER Multiple에 의한 ㈜그래피의 평가가치]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 고 |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 | A | 20,346백만원 | 주1,2) |
현재가치 연할인율 | B | 22.0% | 주2,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 C = A/(1+B)^2.75 | 11,778백만원 | - |
적용 당기순이익 | C | 11,778백만원 | - |
적용 PER | D | 28.96배 | - |
기업가치 평가액 | E = C * D | 341,026백만원 | |
적용주식수 | F | 11,528,547주 | 주4) |
주당 평가가액 | G = E / F | 29,581원 | - |
주1)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산정내역은 하단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평가가액 산출에 있어서 동사는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적용한 이유는 동사가 수립한 사업계획에 따라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제품 매출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적정 이익 구조를 갖추는 최초 사업연도가 2027년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에 기반한 기업 가치 평가가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를 산정함에 있어 적용한 연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 기술평가기업의 연할인율 평균을 참고하였습니다.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적용 실적 및 할인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전자공시시스템(DART) |
|||||||||||||||||||||||||||||||||||||||||||||||||||||||||||||||||||||||||||||||||||||||||||||||||||||||||||||||||||||||||||||||||||||||||||||||||||||||||||||||||||||||||||||||||||||||||||||||||||||||||||||||||||||||||||||||||||||||||||||||||||||||||||||||||||||||||||||||||||||||||||||||||||||||||||||||||||||||||||||||||||||||||||||||||||||||||||||||||||||||||||||||||||||||||||||||||||||||||||||||||||||||||||||||||||||||||||||||||||||||||||||||||||||||||||||||||||||||||||||||||||||||||||||||||||||||||||||||||||||||||||||||||||||||||||||
주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 할인율 22.0%는 비교기업 3개사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평균값인 9.8%와 동사의 재무위험, 예상 매출의 실현 가능성, 시장의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산정하였습니다. WACC 산정시 차입에 따른 평균 차입이자율과 비교기업과의 재무규모의 차이 등도 고려하였습니다.동사 적용 연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평가기업 추정실적 연 할인율 평균값인 21.3%보다 0.7p 할증된 수치이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 3개사의 평균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9.8% 대비 약 12.2%p 할증하였습니다. 다만, 동 현재가치 할인율은 인수인의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적용주식수는 다음의 주식수를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 분석일 기준 1년 이내에 행사 가능한 물량 489,200주가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보통주로 미전환된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또한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 및 변수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그래피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주당 평가가액 | 29,581원 | PER에 의한 평가가치 산출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42.53% ~ 32.39%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7,000원 ~ 20,000원 | - |
확정 주당공모가액 | 15,000원 | 주2) |
주1) |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15,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42.53% ~ 32.39%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17,000원 ~ 2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주16)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33,15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994,500,000 |
발행제비용 (3) | 1,932,767,900 |
순수입금 [(1) + (2) - (3)] | 32,211,732,100 |
주1)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17,000원 ~ 20,000원 중 하단인 17,000원 기준이며, 추후 확정 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근거하여 공모희망가액 17,000원 ~ 20,000원 중 17,0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 산 근 거 |
---|---|---|
인수수수료 | 1,536,502,500 | 총 공모금액의 4.5% |
사무주관수수료 | 341,445,000 | 총 공모금액의 1.0% |
상장심사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등록세 | 4,017,000 | 자본금 증가액의 0.4% |
교육세 | 803,400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50,000,000 | IR비용, 회계법인용역비, 인쇄비, 광고비 등 |
합 계 | 1,932,767,900 | -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17,000~20,000원 중 하단인17,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이 포함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6)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29,25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877,500,000 |
발행제비용 (3) | 1,711,832,900 |
순수입금 [(1) + (2) - (3)] | 28,415,667,100 |
주1) | 총 공모금액은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에 근거하여 확정공모가액 15,000원 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 산 근 거 |
---|---|---|
인수수수료 | 1,355,737,500 | 총 공모금액의 4.5% |
사무주관수수료 | 301,275,000 | 총 공모금액의 1.0% |
상장심사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등록세 | 4,017,000 | 자본금 증가액의 0.4% |
교육세 | 803,400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50,000,000 | IR비용, 회계법인용역비, 인쇄비, 광고비 등 |
합 계 | 1,711,832,900 | -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이 포함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7) 정정 전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기준일 : | 2025.06.24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3,200 | - | 21,612 | 6,000 | 1,400 | - | 32,212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으로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설비투자, 재무구조 개선, 해외법인 설립, 연구개발, 마케팅, 특허전략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목적별 배정 금액 및 집행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1,800 | 1,800 | 1,900 | 5,500 | |
특허전략 | 1,000 | 1,000 | 1,000 | 3,0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500 | 3,465 | 6,000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10,735 | 8,900 | 12,577 | 32,212 |
한편,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시점에서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공모가 하단 기준 총 공모금액을 기준으로 예상 자금조달금액총액을 산정하였으나, 증권신고서 제출 과정에서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 및 발행제비용을 반영한 순수입금액 기준으로 조정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전체 조달자금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금집행 우선순위 및 사업추진계획의 현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항목의 금액이 조정되었습니다. 특히, 설비투자(시설자금) 항목의 경우, 생산공간 확충 및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투자는 유지하되, 구체적 설비(스마트팩토리) 도입 범위 및 시기를 조정하면서 총 투자규모를 42억 원에서 32억 원으로 조정하였습니다. 해당 조정은 자금의 과다 계상 가능성을 보완하고, 공모자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사전 재조정 과정의 일환이며, 설비투자 계획 자체에는 본질적 변화가 없습니다.또한, 당초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에서 해외법인 설립 관련 자금 중 일부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를 위한 자금으로 활용될 계획이며, 해당 인수자금은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회계상 구분하여 계상함에 따라, 증권신고서 기준 해외법인 설립자금이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기재한 금액 대비 14억 원 감소하고, 타법인증권취득자금이 14억 원 증가하게 되었습니다.아울러,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당시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 미국, 유럽(독일), 일본 외에 중국 법인 설립 계획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후 조사 및 검토 과정에서 중국 진출 전략이 변경됨에 따라, 증권신고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의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서는 이를 제외하였습니다.당초 당사는 중국 덴탈특구를 통한 직접 진출 방식으로, 패스트트랙 절차(약 6개월 소요)를 통해 의료기기 인증을 신속히 완료하고자 하였으나, 조사 과정에서 실제 인증 절차에 장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중국 진출 전략을 현지 대형 덴탈 유통회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대비 자금의 사용목적 변경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역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 본 증권신고서 | 증감(차이금액) | ||
---|---|---|---|---|---|---|
상세내역 | 금액 | 상세내역 | 금액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 생산시설 확대- 시설 고도화 | 4,200 | - 생산시설 확대- 시설 고도화 | 3,200 | (1,0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설립/운영 | - 미국(기공소 인수 포함), 중국, 유럽(독일), 일본 | 8,500 | - 미국, 유럽(독일), 일본 | 7,100 | (1,400) |
연구개발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연구인력 확정 | 5,500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연구인력 확정 | 5,500 | - | |
특허전략 | - 핵심특허 강화 및- 신규 IP 창출 전략 | 3,000 | - 핵심특허 강화 및- 신규 IP 창출 전략 | 3,000 | - | |
마케팅 | - 전시 이벤트- 광고 커뮤니케이션- CRM | 6,000 | - 전시 이벤트- 광고 커뮤니케이션- CRM | 6,012 | 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 대출 상환 | 6,000 | - 대출 상환 | 6,000 | -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관련 인수 | - | - | - 미국 기공소 인수 | 1,400 | 1,400 |
합계 | 33,200 | 32,212 | (988) |
각 자금의 사용목적별 세부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략)
(2) 재무구조 개선
[재무구조 개선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단기차입금 상환 | 2,035 | 2,000 | 1,965 | 6,000 |
(중략)
(4) 연구개발
[연구개발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연구개발 | [연구개발 인력채용] 전문연구원 채용 및 교육프로그램 | 200 | 300 | 500 | 1,000 |
[고분자 연구소 강화] 분석/합성 장비 매입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 | 500 | 1,000 | 1,500 | 3,000 | ||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세포배양 시설 및 클린룸 설치 | - | - | 1,500 | 1,500 | ||
합계 | 700 | 1,300 | 3,500 | 5,500 |
(중략)
(6) 특허전략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특허전략 | [핵심특허 강화] 주요국가 특허 추가 및 보완 | 1,000 | 1,000 | 1,000 | 3,000 |
(중략)
(주17) 정정 후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기준일 : | 2025.06.24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3,200 | - | 19,212 | 4,604 | 1,400 | - | 28,416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으로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설비투자, 재무구조 개선, 해외법인 설립, 연구개발, 마케팅, 특허전략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목적별 배정 금액 및 집행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700 | 1,300 | 2,000 | 4,000 | |
특허전략 | 700 | 700 | 700 | 2,1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2,000 | 569 | 4,604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9,335 | 9,600 | 9,481 | 28,416 |
한편,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시점에서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공모가 하단 기준 총 공모금액을 기준으로 예상 자금조달금액 총액을 산정하였으나, 증권신고서 제출 과정에서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 및 발행제비용을 반영한 순수입금액 기준으로 조정하였습니다.이 과정에서 전체 조달자금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금집행 우선순위 및 사업추진계획의 현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항목의 금액이 조정되었습니다. 특히, 설비투자(시설자금) 항목의 경우, 생산공간 확충 및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투자는 유지하되, 구체적 설비(스마트팩토리) 도입 범위 및 시기를 조정하면서 총 투자규모를 42억 원에서 32억 원으로 조정하였습니다. 해당 조정은 자금의 과다 계상 가능성을 보완하고, 공모자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사전 재조정 과정의 일환이며, 설비투자 계획 자체에는 본질적 변화가 없습니다.또한, 당초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에서 해외법인 설립 관련 자금 중 일부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를 위한 자금으로 활용될 계획이며, 해당 인수자금은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회계상 구분하여 계상함에 따라, 증권신고서 기준 해외법인 설립자금이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기재한 금액 대비 14억 원 감소하고, 타법인증권취득자금이 14억 원 증가하게 되었습니다.아울러,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당시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 미국, 유럽(독일), 일본 외에 중국 법인 설립 계획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후 조사 및 검토 과정에서 중국 진출 전략이 변경됨에 따라, 증권신고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의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서는 이를 제외하였습니다.당초 당사는 중국 덴탈특구를 통한 직접 진출 방식으로, 패스트트랙 절차(약 6개월 소요)를 통해 의료기기 인증을 신속히 완료하고자 하였으나, 조사 과정에서 실제 인증 절차에 장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중국 진출 전략을 현지 대형 덴탈 유통회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편, 확정공모가가 15,000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기존 증권신고서 대비 약 38억 원의 순수입금 감소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연구개발, 특허전략, 재무구조 개선 등 일부 항목의 자금 사용계획을 조정하였습니다.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대비 자금의 사용목적 변경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역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 본 증권신고서 | 증감(차이금액) | ||
---|---|---|---|---|---|---|
상세내역 | 금액 | 상세내역 | 금액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 생산시설 확대- 시설 고도화 | 4,200 | - 생산시설 확대- 시설 고도화 | 3,200 | (1,0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운영 | - 미국(기공소 인수 포함), 중국, 유럽(독일), 일본 | 8,500 | - 미국, 유럽(독일), 일본 | 7,100 | (1,400) |
연구개발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연구인력 확정 | 5,500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연구인력 확정 | 4,000 | (1,500) | |
특허전략 | - 핵심특허 강화 및 - 신규 IP 창출 전략 | 3,000 | - 핵심특허 강화 및 - 신규 IP 창출 전략 | 2,100 | (900) | |
마케팅 | - 전시 이벤트- 광고 커뮤니케이션- CRM | 6,000 | - 전시 이벤트- 광고 커뮤니케이션- CRM | 6,012 | 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 대출 상환 | 6,000 | - 대출 상환 | 4,604 | (1,396)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관련 인수 | - | - | - 미국 기공소 인수 | 1,400 | 1,400 |
합계 | 33,200 | 28,416 | (4,784) |
각 자금의 사용목적별 세부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중략)
(2) 재무구조 개선
[재무구조 개선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단기차입금 상환 | 2,035 | 2,000 | 569 | 4,604 |
(중략)
(4) 연구개발
[연구개발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연구개발 | [연구개발 인력채용] 전문연구원 채용 및 교육프로그램 | 200 | 300 | 500 | 1,000 |
[고분자 연구소 강화] 분석/합성 장비 매입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 | 500 | 1,000 | 500 | 2,000 | ||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세포배양 시설 및 클린룸 설치 | - | - | 1,000 | 1,000 | ||
합계 | 700 | 1,300 | 2,000 | 4,000 |
(중략)
(6) 특허전략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특허전략 | [핵심특허 강화] 주요국가 특허 추가 및 보완 | 700 | 700 | 700 | 2,100 |
(중략)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8월 05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투자설명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25년 08월 08일 | |
( 발 행 회 사 명 )주식회사 그래피 | |
( 증권의 종목과 발행증권수 )기명식 보통주식 1,950,000주 | |
( 모 집 또는 매 출 총 액 ) 29,250,000,000원 | |
1.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일 : | 2025년 08월 05일 |
2. 모집가액 : | 15,000원 |
3. 청약기간 : | 2025년 08월 11일(월) ~ 2025년 08월 12일(화) |
4. 납입기일 : | 2025년 08월 14일(목) |
5.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의 열람장소 | |
가. 증권신고서 : | 전자문서: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나. 일괄신고 추가서류 : | 해당사항 없음 |
다.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서면문서:1) 한국거래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62) ㈜그래피: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6층3) KB증권㈜: - 본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지점 : 별첨 참조4) 신한투자증권㈜: - 본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지점 : 별첨 참조 |
6. 안정조작 또는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 |
해당사항 없음 |
이 투자설명서에 대한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이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대 표 주 관 회 사 명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공 동 주 관 회 사 명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
[투자자 유의사항] |
투자자의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결정에 있어 당사는 오직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상의 책임을 부담합니다.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 내용과 다른 내용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할 권한을 누구에게도 부여한 사실이 없으며,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이외의 내용에 대하여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공모주식, 당사에 관한 내용 및 본건 공모의 조건과 관련한 위험 등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조사하고, 자기 책임하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를 작성ㆍ교부하였다고 해서 당사가 투자자에게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자의 투자에 따른 결과에 대해 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닙니다.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스스로 별도의 독립된 자문을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투자의 결과에 대하여는 투자자가 책임을 부담합니다.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되어 있는 시장 또는 산업에 관한 정보 중 제3자의 간행물 또는 일반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인용한 부분의 경우 그 정확성과 완전함의 여부에 대하여는 당사가 독립적으로 조사, 확인하지는 않았습니다.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가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날 또는 투자자가 당사의 공모주식을 취득하는 날에 상관없이 표지에 기재된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한 것입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당사의 영업성과, 재무상황 등은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 이후에 기재 내용과는 다르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건 공모주식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 및 그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구체적인 공모 절차에 관해서는 『제1부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
자본시장법에 의하면, 증권신고서에는 매출규모, 이익규모 등 발행인의 영업실적과 기타 경영성과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자본금규모, 자금흐름 등 발행인의 재무상태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특정한 사실의 발생 또는 특정한 계획의 수립으로 인한 발행인의 경영성과 또는 재무상태의 변동 및 일정 시점에서의 목표수준에 관한 사항, 기타 발행인의 미래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본 증권신고서에서 "전망", "전망입니다", "예상", "예상입니다", "추정", "추정됩니다", "E(estimate)", "기대", "기대됩니다", "계획", "계획입니다", "목표", "목표입니다", "예정", "예정입니다"와 같은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되거나, 기타 발행인의 미래의 재무상태나 영업실적 등에 관한 내용을 기재한 부분이 예측정보에 관한 부분입니다.예측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 당사의 미래 재무상태 또는 영업실적에 관한 당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인 케이비증권 주식회사와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의 합리적 가정 및 예상에 기초한 것일 뿐이므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본 증권신고서 "제1부 III.투자위험요소"에 열거된 사항 및 기타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애초에 예측했던 것과는 중요한 점에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관한 내용은 오직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하므로,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 제출 이후 예측정보의 기초가 된 정보의 변경에 대해 이를 다시 투자자에게 알려 줄 의무를 부담하지 않습니다.따라서 예측정보가 오직 현재를 기준으로 당사의 전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기재된 것일 뿐이므로, 투자자는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서 예측정보에만 의존하여 판단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기타 공지사항] |
"당사", "동사", "회사", "주식회사 그래피", "㈜그래피", "그래피" 또는 "발행회사"라 함은 본건 공모에 있어서의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그래피를 말합니다."대표주관회사"라 함은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 업무를 맡고 있는 케이비증권 주식회사를 말하여, "공동주관회사"라 함은 금번 공모의 공동주관회사 업무를 맡고 있는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를, "주관회사", "인수회사", " 상장주선인"이라 함은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 업무를 맡고 있는 케이비증권 주식회사와 공동주관 업무를 맡고 있는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를 말합니다.아울러 "케이비증권", "케이비증권㈜", "KB증권", "KB증권㈜"는 케이비증권 주식회사를 말하며, "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는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를 말합니다."코스닥", "코스닥시장"이라 함은 한국거래소 내 코스닥시장을 말합니다. |
▣ KB증권㈜ 본ㆍ지점 현황
본 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고객지원센터 | 1588-6611 |
홈페이지 | https://www.kbsec.com/go.able |
지역 | 지점명 | 주소 |
서울 | KB GOLD&WISE the FIRST 압구정*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849 (신사동, 국민은행빌딩) |
KB GOLD&WISE the FIRST 도곡*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30길 39, 6~7층(도곡동, 린스퀘어) | |
KB GOLD&WISE the FIRST 반포* |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91, 3층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스퀘어) | |
가산디지털 |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86, 3층 | |
강남스타PB센터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 21층(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 | |
강동 | 서울시 강동구 양재대로 1443, 4층(길동, 동우빌딩) | |
광화문금융센터 |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82, 11층 (신문로1가, 에스타워) | |
노원PB센터 |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 1405, 3층(상계동, 국민은행빌딩) | |
대치금융센터 | 서울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3008 (대치동) KB증권빌딩 1,2층 | |
마곡 |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190, 2층(마곡동, 푸리마타워) | |
명동스타PB센터 | 서울시 중구 을지로 51, 6층(을지로 2가, 내외빌딩) | |
목동PB센터 |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381, 3층(목동, 국민은행빌딩) | |
반포라운지 |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157, 5층(잠원동, 반포쇼핑타운) | |
삼성동금융센터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 6층(대치동, 섬유센터빌딩) | |
서초 |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286 서초프라자 3층 KB증권 서초지점 | |
송파 |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80, (문정동, 롯데마트) 3층 KB증권 | |
신림 | 서울시 관악구 신림로 318, 청암두산위브센티움 3층 | |
압구정 |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878, (신사동,중산빌딩) 2층 KB증권 압구정지점 | |
여의도라운지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26, 2층(여의도동) | |
역삼PB센터 |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298, 5층 (역삼동, KB라이프타워) | |
영업부금융센터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2층(여의도동, The-K타워) | |
용산 |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92, 2층(한강로2가,LS용산타워) | |
이촌PB센터라운지 | 서울시 용산구 이촌로 206,2층(이촌동,국민은행빌딩) | |
잠실롯데PB센터 |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4층(잠실동, 롯데호텔) | |
청담스타PB센터 |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416 , 6층(청담동,더트리니티빌딩) | |
테크노마트 | 서울시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 (구의동,테크노마트) 사무동 4층 | |
합정역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45, 1층(서교동, 메세나폴리스) | |
강원 | 원주 | 강원도 원주시 능라동길 61 (무실동) 정한타워3층 |
경기 | 과천 | 경기 과천시 별양상가3로 5, 유니온빌딩 2층 |
구리라운지 | 경기 구리시 경춘로 260, 3층(수택동, KB손해보험 구리빌딩) | |
김포 | 경기 김포시 사우중로 49, 5층(사우동, BYC빌딩) | |
미금역 | 경기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67, 2층(금곡동,금산젬월드빌딩) | |
부천 | 경기 부천시 소향로 245, 3층 (중동,국민은행빌딩) | |
분당PB센터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12번길 22 (서현동)KB국민은행건물3층 | |
수원금융센터 | 경기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78, 412호 501호 (인계동,파비오더씨타) | |
안산 | 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로 64, 3층(고잔동,국민은행빌딩) | |
용인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289, 3층(역북동) | |
의정부라운지 | 경기 의정부시 행복로 39, 2층(의정부동, 국민은행빌딩) | |
일산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14, 3층 (주엽동, 국민은행빌딩) | |
판교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45, 2동 2층(백현동, 알파리움타워) | |
평촌 | 경기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196 (호계동,국민은행빌딩 3층) | |
평택 | 경기 평택시 합정동 736-12 (중앙2로 47) KB증권빌딩 2층 | |
경남 | 김해 | 경상남도 김해시 내외중앙로 59 (내동), 햄튼타워2층 |
마산라운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로 152, 2층 (동성동, 국민은행빌딩) | |
진주라운지 | 경상남도 진주시 순환로 529, 8층(평거동, 영성빌딩) | |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상남로 87, 5층 (상남동, 국민은행빌딩) | |
경북 | 구미 |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7 용은빌딩2층 |
김천 |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로 94 (평화동), 2층 | |
영주 | 경상북도 영주시 중앙로 106, KB증권 영주지점 2층(하망동, KB증권빌딩) | |
포항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흥로 171, 6층(죽도동, 미르빌딩 신관) | |
광주 | 광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205, 2층(우산동, 국민은행빌딩) |
광주PB센터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04, 4층(금남로4가, 국민은행빌딩) | |
대구 | 대구금융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18, KB증권빌딩 2,3층 |
서대구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676 ,4층(두류동) | |
대전 | 대전 |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19, 3층(선화동, 대전테크노파크빌딩) |
대전PB센터 | 대전 서구 대덕대로 212 (둔산동)3층 KB증권 대전PB센터 | |
부산 | 부산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9, 3층(중앙동2가,국민은행빌딩) |
부산PB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11, 5층 (부전동,국민은행빌딩) | |
센텀시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25 1,2층(우동, 대우월드마크센텀상가) | |
해운대PB센터라운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3로 51,상가 205호(우동, 해운대더샵아델리스) | |
세종 |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99, 2층(어진동, 세종포스트빌딩) |
울산 | 동울산 | 울산광역시 동구 대학길 43, 3층(화정동, 새마을금고빌딩) |
북울산 |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로 337-10 , 3층(신천동) | |
울산금융센터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53 (달동) KB증권빌딩 1,2,3층 | |
인천 | 부평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20, 5층(부평동, 국민은행빌딩) |
송도라운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194, A동 2층(송도동,더샵센트럴파크2) | |
연수 |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01, 2층(청학동, 국민은행빌딩) | |
전남 | 목포라운지 |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 310, 2층 (상동) |
전북 | 군산 | 전라북도 군산시 월명로 216, 2층(수송동, 강남빌딩) |
익산라운지 | 전라북도 익산시 무왕로 1052, 2층(영등동, 아오아빌딩) | |
전주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46, 2층(효자동2가,이지움빌딩) | |
제주 |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남광북1길 1, 3층(이도이동, 제주법조타워) |
충남 | 대천 | 충청남도 보령시 중앙로 110 (대천동432-3) KB증권빌딩 2층 |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21로 71, 2층(불당동, 정석프라자3) | |
충북 |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대로 103, (사창동,국민은행) 3층 |
충주라운지 | 충청북도 충주시 번영대로 237 (연수동) 푸른빌딩 1층 |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며 일반업무가 불가한 지점이오니 이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주) | KB증권㈜ 지점에 방문하시기를 원하는 투자자께서는, 지점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현황
본 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의사당대로 96 TP Tower |
고객지원센터 | 1588-0365 |
홈페이지 | www.shinhansec.com |
지점명 | 주 소 | 전화번호 |
강남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29 삼흥빌딩 2층,3층 | (02)538-0707 |
도곡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6 군인공제회관 25층 | (02)2057-0707 |
청담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43 이유덕빌딩 1~3층 | (02)2096-5450 |
마곡역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195 힐스테이트에코동익오피스텔 2층 | (02)887-0809 |
광진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10 스타시티 영존빌딩 B동 2층 | (02)2254-4090 |
구로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마산로 263 뉴월드빌딩 3층 | (02)857-8600 |
강남대로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서초동) 신덕빌딩 2층 | (02)6354-5300 |
반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24 반포자이프라자 3층 | (02)533-1851 |
목동 |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 300 목동현대하이페리온 2차 206동 201호 | (02)2653-0844 |
본사 영업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TP타워 41층 | (02)3772-1200 |
센트럴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일로 134 (평동) 디타워 돈의문 3층 | (02)718-0900 |
광화문센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76 콘코디언빌딩 17층 | (02)2096-5400 |
남대문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태평로2가) 신한은행 지하1층 | (02)757-0707 |
서울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54 신한은행 광교빌딩 1층 | (02)739-7155 |
프리미어 원주금융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능라동길 61 4층 | (033)1588-0365 |
분당금융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258번길 37 흥국생명빌딩 3층 | (031)712-0109 |
수원금융센터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195 학산빌딩 4층 | (031)246-0606 |
안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곡로 17 2층 | (031)485-4481 |
의정부 | 경기도 의정부시 행복로8 (의정부동) 신한은행빌딩 3층 | (031)848-9100 |
평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126 (호계동) 신한은행빌딩 3층 | (031)381-8686 |
판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내곡로 117 그레이츠판교 3층 | (031) 8016-0266 |
창원금융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60 1층 | (055)285-5500 |
구미 |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 5 신한투자증권빌딩 1층 | (054)451-0707 |
광주금융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342 국선빌딩 2층 | (062)956-0707 |
대구금융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34 한국교직원공제회관 6층 | (053)423-7700 |
대전금융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29 명화빌딩 2층 | (042)484-9090 |
동래금융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로 18 세종빌딩 2층 | (051)505-6400 |
부산금융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6 신한은행 부산서면지점 사옥 7층 | (051)818-0100 |
울산금융센터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27 4층 | (052)273-8700 |
인천금융센터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617 용진빌딩 2층 | (032)819-0110 |
광양금융센터 | 전라남도 광양시 광장로 148-3 (중동) 신한투자증권빌딩 2층 | (061)791-8020 |
전북금융센터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194 2층 | (063)286-9911 |
제주금융센터 | 제주도 제주시 연북로 17(노형동) 전문건설공제조합2층 | (064)743-9011 |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 343 신한은행 충북영업부 금융센터 | (043)296-5600 |
신한PWM 강남파이낸스 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 20층 | (02)2052-5511 |
신한PWM 압구정중앙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53(신사동) 3층 | (02)547-0202 |
신한PWM 압구정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52 (신사동) 극동스포츠빌딩 2층 | (02)541-5566 |
신한 PWM PIB 강남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40 (대치동) 포스코센터 서관 15층 | (02)559-3399 |
신한PWM 도곡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30길 39 (도곡동) SEI빌딩 10층 | (02)554-6556 |
신한PWM 강남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2 (대치동) 동부금융센터 25층 | (02)508-2210 |
신한PWM 서교센터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45 메세나폴리스 몰 제2층 제201~203호 | (02)335-6600 |
신한PWM 패밀리오피스 반포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35 (반포동) 반포빌딩 12층 | (02)3478-2400 |
신한PWM 서초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54 오퓨런스 16층 1602호 | (02)532-6181 |
신한PWM 잠실센터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69 (신천동) 롯데캐슬골드 2층 | (02)2143-0800 |
신한PWM 목동센터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59-1 CBS 방송국 본사 18층 | (02)2649-0101 |
신한PWM 여의도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TP타워 27층 | (02)782-8331 |
신한PWM 이촌동센터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293 (이촌동) 3,4층 | (02)3785-2536 |
신한PWM 한남동센터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1 THE ZOOM 아트센터 1층 | (02)749-6175 |
신한PWM 패밀리오피스 서울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 (남대문로 4가) 상공회의소 9층 | (02)6050-8100 |
신한PWM 태평로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길 20 (태평로 2가) 신한은행 본점 2층 | (02)317-9100 |
신한PWM 서울파이낸스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36 (무교동, 태평로 1가) 서울파이낸스 25층 | (02)778-9600 |
신한PWM 분당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248 (정자동) 파크뷰 오피스타워 21층 | (031)717-0280 |
신한PWM판교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52 알파돔타워 지상 3층 (백현동) | (031)718-5015 |
신한PWM 일산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11 | (031)906-3891 |
신한PWM 광주센터 |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 133 (북동) 2층 | (062) 524-8452 |
신한PWM 대구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25 9층 | (053)252-3560 |
신한PWM 대전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04 | (042) 489-7904 |
신한PWM 부산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 롯데호텔 16층 | (051)819-9011 |
신한PWM 인천센터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776 (구월동) 신한은행빌딩 2층 | (032)464-0707 |
주) | 신한투자증권㈜ 지점에 방문하시기를 원하는 투자자께서는, 지점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1. 핵심투자위험
하단의 핵심투자위험은 증권신고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중요한 항목만을 투자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간단ㆍ명료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투자위험요소는 "본문-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구 분 | 내 용 |
사업위험 |
가. 국내외 경기 변동 위험한국은행이 2025년 02월 발간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 국내 경제성장률은 1.8%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2025년 경제성장률은 직전('24년 11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하였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025년 4월 발표한 Worl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2025년 세계경제성장률 추정치는 2025년 1월 추정치 대비 0.5%p 하향된 수치인 2.8%로 전망되었습니다.향후 성장률 전망은 각국이 현재의 무역 정책 기조를 완화하고 새로운 무역 협정을 체결할 경우 즉각적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무역 불균형 해소는 수년에 걸친 경제적 위험을 상쇄하고 글로벌 생산량을 늘리는 동시에 대외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세의 급격한 상승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성장은 크게 둔화할 것이며, 물가상승, 경제심리 위축 등 대내외적 부정적인 요소에 따른 향후 국내외 경기의 변동성 확대는 여전히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는 글로벌 경기 및 공급망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성 지속으로 민간소비 위축,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지연 등의 경제 지표로 인해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 요인에 대해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나. 투명교정 시장의 성장 둔화 가능성과 관련한 위험치과 교정 시장은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과 '투명교정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치아 교정에 대한 침투율 증가로 치아교정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한편,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체 교정 시장(약 91.8조 원)의 27.7%(약 25.5조 원)에 달하는 투명교정 시장은 '치과교정시장의 지속 성장'과 '치과교정 시장 내 투명교정장치 사용비중 증가' 등 긍정적 시장환경에 힘입어 연평균 13.6% 성장하여, 2030년에는 전체 교정 시장(약 150조 원)의 40%(약 60조 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VID-19 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요인에 따른 전체 치아 교정에 대한 수요 감소, 산업 규제의 증가 및 대체 교정 방식의 비용 감소, 신개념 대체 교정 방식의 출현, 경기침체에 따른 교정 수요 감소 또는 저비용성 교정 방식에 대한 선호 등으로 투명교정 시장 규모가 위축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다. 투명교정시장 내 경쟁 심화에 따른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속한 치과교정 시장은 크게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치과교정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75.4 십억 USD, 한화로 약 102.8조원 (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이며,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 규모는 약 22.4 십억 USD 한화로 약 30.6조원(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교정시장 규모의 약 29.7%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현재 치과 교정 시장은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 시장이 양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한편, 미국의 Align Technology는 1997년 세계 최초로 투명교정장치를 출시한 이래로 시장을 선도하여 2024년말 기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있어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대표적인 업체로 볼 수 있습니다. 2017년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장치 특허가 만료되면서 해당 시점을 전후로 다수의 후발주자들 생겨나,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기존의 투명교정 브랜드는 대부분 열가소성 PETG 소재 기반의 열성형 투명교정장치(Thermoformed Clear Al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는 직접 3D 프린팅이 가능한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인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 브랜드 대비 높은 치료 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명교정 장치가 기존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 시장을 대체하지 못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글로벌 투명교정시장내 점유율은 0.1% 미만으로 추정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다수의 국내외 업체가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거나 신규 진출하고있어 향후 시장내 경쟁이 심화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투명교정장치 관련 경쟁사의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영업전략의 고도화, 원재료비 절감 및 가격인하 등의 노력을 통해 당사의 잠재고객이 줄어들 수 있으며,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은 전체적인 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투명 교정 장치 업체 간의 경쟁을 통해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당사의 제품을 능가하는 더 우수한 경쟁제품이 등장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점유율 축소 및 매출액과 영업이익 감소 등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기술경쟁력 확보 위험당사는 설립 초기부터 3D프린팅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습니다. 그 결과, 당사는 3D프린팅 광경화성 소재의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D프린팅 제품에 가장 적합한 물성과 특성을 완벽히 충족하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는 노하우와 기술 특허를 축적하였습니다.당사는 이러한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이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사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직접 3D프린팅이 가능하고 형상복원력이 뛰어난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단시간 내 높은 치료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고난도 치료 진행시에도 추가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높은 편의성과 심미성을 제공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기술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소재의 고도화, 신소재 개발 그리고 3D프린팅 공정 전반에 대한 기술력 강화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 고도화 노력을 통해 경쟁업체와의 기술격차를 더욱 확대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을 통한 선도적인 기술력 확보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시장의 기술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여 고객사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지 못할 경우, 또는 고도화된 연구인력의 유입 등 연구개발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적 차별성을 달성하지 못하여 투명 교정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실하거나, 신규사업 및 신규 시장 진출이 실패할 경우, 시장에서 당사의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마. 해외 지역별 주요 파트너십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2024년말 기준 해외매출 비중이 81.1%를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당사의 자회사 등으로 설립된 해외 법인은 존재하지 않고, 각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Dealer)와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90여 개국에서 다수의 유통회사(Dealer)와 거래를 이어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치과 교정 의료기기 또는 덴탈 소재 유통 분야에서 오랜 업력을 지니고 현지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유통회사(Dealer)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의 사업모델은 크게 당사에서 직접 SMA를 생산 공급하는 'SMA 사업'과 교정치과에 당사의 소재와 장비를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뉘며, 특히 솔루션 사업은 대부분 SMA를 최종소비자가 직접 생산하는 형태인 '인하우스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기 사업모델 중 당사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판매)하는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즉, 당사의 사업모델은 대부분 인하우스(In-house) 모델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공소 혹은 교정치과에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생산을 위한 소재 및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직접 제작·판매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사업 모델은 기공소 및 교정치과에서 최초 SMA 제작을 위한 장비세트를 구매하게되며 SMA 제작을 위해 지속적으로 당사의 SMA 소재를 구매하기 때문에 향후 특정 지역의 유통회사 또는 파트너사와의 계약이 종료된다고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소재 수요가 급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중단될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 사업구조의 특성상 현지 유통회사와의 갑작스러운 계약 해지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매출 또는 성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판매 전략은 의도와 달리 일부 유통회사의 판매 방식에 따라 당사 제품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외 유통회사 관리 실패, 불리한 판매 계약 체결, 소비자와의 관계 악화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바. 해외 사업 관련 위험당사는 2024년도 연결기준 해외매출 약 81.1%, 국내매출 약 18.9%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국내 보다 해외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특히 제품 인지도 및 신뢰도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써왔으며,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신속히 의료기기 인증 및 인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그 결과 미국 FDA, 유럽 CE, 일본 PMDA, 브라질 ANVISA, 호주 TGA 등 주요 국가(지역)의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누적 90여 개국 150여 개 유통회사와 거래하고 있습니다.해외 비중이 높은 당사의 실적은 해외 치과교정 시장의 성장세 혹은 둔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관련 동향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에도 해외지역에서 발생되는 매출은 국가별로 예상치 못한 정치 및 지정학적 문제, 통신 관련 정책 변화, 해외 주요 거래처의 사업정책 변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해외 매출은 상대적으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매출처를 다양화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해당 국가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수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거나 무역갈등이 존재하는 국가에 소재하는 매출처로부터 매출채권 회수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시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해외 영업 네트워크 확보의 지연, 관련 제도의 변동 가능성, 현지 정치적 이슈로 인한 사업 불확실성, 현지 법적 규제나 인허가 이슈 등의 사유로 인하여 해외 매출이 당사 예상보다 저조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사. 미국의 관세 정책 관련 위험 2025년 1월 20일, 자국 내 제조업 부흥과 이를 위한 무역장벽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 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고율 관세로 인한 글로벌 무역 위축 및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월 멕시코 및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전 세계 교역 대상국에 대한 보편적인 상호 관세안을 발표했을 뿐 아니라, 중국 등 일부 개별 국가에는 특별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알루미늄, 철강 등 일부 수입 품목에 개별 품목 관세를 적용하는 등 폭넓은 관세 ·비관세 무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당사의 2024년말 기준 미국시장내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6.8%수준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미국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지 않으며 향후 계획하고 있는 미국 시장내 SMA 완제품 판매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및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현지 생산 및 판매를 계획하고 있는 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당사의 미국시장내 매출규모가 커지는 경우 고율 관세 등 미국 정부의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본격화된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및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위축시키고, 세계 경제 회복세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트럼프 정부는 출범 초기라는 점에서 고율 관세를 포함한 정책 방향의 변동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미국 시장의 관세 정책, 규제 및 대외 변수에 따라 당사의 사업 및 경영성과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 신규사업 및 신규 지역 진출 관련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3D프린팅 소재 개발'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3D프린팅용 광경화성 레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 · 합성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추게 되었으며 올리고머 자체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을 개발했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소재 기술을 통해 투명 교정장치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물성을 지닌 3D프린팅 레진 개발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의료 및 일반산업 분야에서의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사업의 미국, 중국 등 신규 지역에 대한 사업 진출 및 확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미국은 전세계 투명교정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입니다. 당사는 미국시장에 진출을 위해 그동안 많은 기업 또는 유명 교정 전문의들과 파트너 관계를 쌓아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당사는 법인설립을 통한 빠른 현지화 전략이 최선의 전략이라는 판단하에 현재 이를 준비중입니다. 한편, 중국시장은 소득증가, 고령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가로 치과산업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장입니다. 당사는 효율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중국 현지의 유수의 덴탈기업 A社와 2025년 03월 중 MOU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A社는 당사의 중국 내 공식 파트너로서 상업적 프로모션 및 유통 협력을 함께 수행할 예정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A社는 당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제조에 대한 중국내 의료기기 인증 절차를 진행중에 있으며 최종 인증 등록은 2026년 상반기 중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존 사업 분야의 신규시장 및 신규 사업분야의 진출을 추진중에 있으며 이러한 신규 시장 및 신규 사업의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당사가 신규사업에 투입하는 회사의 인력, 시간, 영업비용 등은 단기간 내에는 회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사업에서 고객사 확대에 따른 변동성 증가, 신규 제품의 고객사 수요 부진 등에 따라 유의미한 매출 및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이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더라도, 신규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확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추정한 향후 사업계획은 신규 사업 진출 진척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만일 사업계획 보다 신규 사업의 진출이 늦어질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자. SMA 사업모델(SMA 직접공급) 확대에 따른 위험 당사의 판매 구조(사업모델)는 크게 당사가 SMA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공급하는 SMA 사업과 소비자가 SMA를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소재, 장비 등을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뉩니다. 솔루션 사업은 다시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OEM 모델로 세분류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당사는 장기적으로 국내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당사가 SMA를 직접 생산하여 공급하는 사업(SMA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SMA 사업은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달리, SMA 생산 장비를 직접 갖추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SMA 생산 장비 구비와 본인이 직접 생산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는 고객에게 좋은 대안으로서 SMA 도입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줍니다. 다만, SMA 사업의 경우 당사에서 SMA 제품을 직접 생산하여 공급한다는점에서 고객 수요 대응 및 제품의 품질 등 측면에서의 고객의 당사에 대한 신뢰도 확보가 중요하며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직접 SMA를 생산 및 공급하여야하는만큼 당사의 SMA 공급 역량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합니다. 이처럼 당사는 중장기적 측면에서 SMA를 직접 생산하고 공급하는 SMA 사업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브랜드 신뢰도(인지도) 확대 및 공급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가 당사가 기대한 수준의 실적 개선 등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 이는 당사의 이익률 등 재무구조에 부담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SMA 사업의 확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당사의 매출처 다변화 및 실적 확대가 제한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성장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차. 일본시장 직접 거래처 변경에 관한 위험 일본 시장은 당사 매출의 약 18.8%(2024년도 연결기준)을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으로 당사의 일본시장 내 2024년도 매출은 약 30.3억원으로 2023년 약 10.2억원 대비 198.3% 성장하였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일본 현지의 투명교정장치교육 전문 회사인 F社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 시장 내 소재 및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2년 일본 시장 진출 당시 F社의 현지 의료기기 인증 및 유통 라이선스(License) 미확보 등의 이슈로 F社와의 협의를 통해 현지 치과재료 및 장비 유통 전문 업체인 C社와 별도의 공급을 체결하여 일본내 당사 제품에 대한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수행하고 판매활동은 C社가 수행하는 형태로 최근까지 거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한편, 2024년 중 F社가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F社의 일본내 당사 소재에 대한 유통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최초 계획한 형태로의 일본시장내 거래구조의 변경 차원에서 2025년 04월 중 F社와 일본 현지내 변경 공급계약(Exclusive Partnership & Distribution Agreement)을 신규로 체결하였습니다.이처럼 당사의 일본 내 주요 판매업체가 변경되었으나 이미 다수의 일본 현지 치과병원이 당사의 SMA 제작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원내 생산하고 있어 당사의 소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과거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전담하였던만큼, 일본시장내 공급업체 변경 사실이 당사의 일본내 영업활동에 끼치는 영향은 미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전술한바와 같이 당사는 기존 C社에 당사의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 당시 F社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수수료를 반영하여 공급단가를 책정하였으나 F社에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구조로 변경하게되면서 당사의 일본 시장내 제품 및 상품의 공급단가가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유로 일시적으로는 당사의 일본 시장 내 매출 금액이 감소할 수 있으나 일본내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는 치과 교정의 수는 2022년 16명에서 2024년 8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 다수의 SMA 관련 치과 강연 세미나가 계획되어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일본 현지 공급단가 감소에 따른 매출 축소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내 판매를 담당하는 업체가 변경된 후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사유로 일본시장내 주요 유통회사의 변경 사실이 일본 시장 내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경우 당사의 성장성 및 수익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카. 브랜드 인지도 및 평판 관련 위험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치과 교정시장은 매우 전문적인 지식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장으로 의학적 지식, 객관적 데이터 그리고 실제 임상사례 등을 통해 기업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당사의 경우 교정치료환자가 아니라 병원, 치과, 기공소 등에 제품을 공급하므로 교정전문의를 중심으로 브랜드 파워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주요 연자들을 앞세워 당사 제품을 적극 알리고 있으며, 행사를 거듭할수록 당사 및 당사 제품의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편,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최종 사용자는 치과 교정 치료를 받고자하는 개별 환자 고객으로 최종적인 판매를 위해서는 개별 환자 고객을 대상으로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 또한 중요합니다. 당사는 현재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 당사의 브랜드 인지도가 확대되어 본격적인 사업 확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사는 향후 개별 환자 고객 측면에서의 마케팅 전략 또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상기와 같은 전략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이 지연되거나 측하지 못한 브랜드 인지도 측면의 부정적 요소가 발생하여 고객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환경이 악화되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타. 국내 및 해외 인증 관련 위험 의료기기는 제품 판매를 위한 허가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국가별로 상이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치아 교정 장치 산업은 다른 의료소재 또는 의약품산업과 마찬가지로 높은 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산업이나, 사업화를 위해서는 각 인허가 기관으로부터 허가나 인증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지난 2020년 MFDS 2등급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동사는 GLP 기관의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과 화학적 특성 및 독성학적 평가에서 생체적합성을 확인한 동사의 주력 판매 제품 Tera Harz Clear에 대하여 국내 판매를 위한 의료기기 품목 인증 및 GMP 인증뿐만 아니라 유럽 CE Class Ⅱ인증과 미국 FDA 510(k)을 획득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고 2024년에는 일본 PMDA Class Ⅱ 인증을 추가 획득하였으며 호주, 대만, 인도 등의 개별국 인증 또한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03월 중 당사의 주요 소재인 TA-28에 대하여 유럽시장의 CE-MDR 인증 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동사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NMPA(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인증 취득 절차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격해진 규제로 인해 향후 인허가 완료에 오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의료정책 및 규제 등이 변경되거나 강화되는 경우 인허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현재 의료기기 인증 취득을 진행중인 중국 및 유럽 시장은 당사가 미국과 함께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시장으로 모종의 사유로 인증 취득 절차가 지연되는 경우 당사의 중국 및 유럽 시장 내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인증의 지연이나, 규제 및 정책변화에 따라 추가 인증을 받아야 할 경우 당사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수주물량 미확정 위험 당사는 제품을 정기적 수주에 의해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기공소 및 교정치과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면서 소요에 따라 소재 및 장비의 수요를 확인하고 유통회사를 통해 이를 주문하면 당사가 그에 맞게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즉 고객사와는 기본거래 계약만 체결한 후 수시로 발주 물량을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향후 수주물량에 대하여 확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향후 수주물량을 추정하는데 있어 고객사별(현재 및 잠재적 고객사 포함) 과거 추이, 주문물량, 구매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당사 제품의 수주 예상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고객사와 구두, 이메일 등을 통해 협의중인 실현가능성 높은 예상 수주물량, 수취한 구매주문서(Purchase Order)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상 수주물량에 대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추정치에 근거하여 단기 내부전략 및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당사는 해당 추정치가 충분히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정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수주물량은 현재 시점에서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고객사의 주문 물량이 감소하거나 구매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등 당사의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현재 추정하고 있는 실적 등 사업계획이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하. 주요제품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 관련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입니다. 인체에 접촉하거나 삽입되는 의료기기는 잠재적인 부작용 및 독성을 결정하고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국내 식약처 품목인증 및 미국 FDA 510(k) 획득 등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그러나 매우 드문 경우로 일부 환자의 경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착용시 입술 부종 및 자극, 혀 및 잇몸 부종 등 경미한 이상 반응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환자의 개별적인 면역 반응이나 당사의 제작 프로토콜 등을 준수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증상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고유의 부작용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형상기억소재 등 제품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 제품의 판매가 감소하거나 관련 당국에 의해 당사 제품의 회수, 폐기, 사용중지 등의 조치가 취해 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거. 치료수단 미채택 관련 위험 당사는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형상기억'과 '다이렉트 프린팅'이라는 두가지 특성을 통해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여러 특장점 및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사용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합니다.당사는 소비자 가치 측면에서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이점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향후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차별화된 장점을 살려 시장 공략한다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당사의 이러한 사업 전략과 달리 당사 제품의 수요자인 교정의 및 최종 소비자인 교정환자가 경쟁 제품에 익숙해 교체 수요가 크지 않거나 당사보다 효과적인 대체 제품이 개발되어 시장에 진입하게 된다면 당사의 제품은 치료수단으로 미채택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당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너. 원재료 수급 및 가격변동 관련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은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 소재 및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의 생산을 위한 장비로 당사는 소재 및 장비 생산을 위한 원재료를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매입하는 주요 원재료는 소재, 질소경화기용 가공품(보드류) 및 서브 모듈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원재료 중 질소경화기 SUB모듈은 주로 해외 업체로부터 수입하고있으며 그 외 원재료의 경우 대부분 국내 업체로부터 매입하고있습니다.당사는 원재료 수급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생산계획(Forecast)을 미리 구입처에 제공함으로써, 원재료 수급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재료 가격변동 리스크 대응 방안으로 원재료 수급라인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른 재무 변동성을 완화하고 있으며, 원재료 공급처와의 가격 협상력을 높임으로써 원재료를 합리적 가격에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향후 당사 원재료의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더. 3D프린터 등 하드웨어 상품 매입 공급에 따른 위험 당사는 소재합성 기술 기반의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기업입니다. 3D프린팅을 위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통합솔루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당사는 SMA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 공급하고 있으나 3D프린터, 구강스캐너, 페이스(Face)스캐너는 타사의 제품을 매입하여 상품 형태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업 초기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업화 및 사업확대에 비용 및 연구개발 인력을 집중하기 위한 사업 운영의 효율 측면에서의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 당사는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을 통해 3D프린터, 구강 및 페이스 스캐너를 포함한 SMA 통합 솔루션의 전반에 걸친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요 제품인 SMA의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일부 하드웨어를 외부 업체로부터 구매하고 있어 향후 외부 업체의 하드웨어의 품질이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처의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회사위험 |
가. 기술성장기업 특례 적용에 따른 이익 미실현 관련 위험'기술성장기업'은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 심사가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요건 등에 있어 제약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코스닥시장 기술성장특례 요건을 기반으로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6월 12일 기술평가를 신청하였으며, 2024년 8월 27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개 전문평가 기관인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과 '이크레더블'로부터 A 등급, A 등급을 취득하였습니다. 당사는 외부 전문평가 기관으로부터 사전 기술평가를 진행 후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평가특례 기준에 부합하여 코스닥시장 상장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업화 및 연구개발이 현재에도 진행 중임에 따라 설립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사업 본격화로 인한 일정 규모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손실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와 같이 기술성장특례의 적용을 받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은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의 경우에도 상기 사업위험 및 회사위험에 기술한 요인들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나. 사업계획에 근거한 추정손익 미달성 위험 당사는 2022년 43억원 , 2023년 104억원, 2024년 161억원 및 2025년 1분기 23억원의 매출을 시현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투명교정 장치 3D프린팅 제조를 위한 자체 보유 기술력 및 제품라인을 기반으로 하여 일본, 유럽, 대만, 미국, 인도 등 매년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제품 판매처가 확대됨에 따라 2022년~2024년 연결 매출액은 CAGR 94%로 가파르게 성장 중입니다.당사의 매출은 2020년 이후 최근 4개년 연평균 98%로 성장하여 시장점유율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경쟁사 대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객 편의성이 개선된 제품을 가장 많이 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은 위 사실에 기반하여 향후에도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및 마케팅 비용 투입에 따라 2024년 연결기준 영업손실 9,170백만원, 당기순손실 32,664백만원으로 3년 연속 지속 손실이 발생중입니다. 특히 2024년의 경우 기술평가수수료, 지정감사수수료 및 IPO를 위한 법률자문비용 지출, 일본 등 해외 지역 진출에 따른 마케팅성 비용 증대로 인해 영업손실이 증가하였으며,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등 금융상품 관련 파생상품평가손실 증가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내재화 및 특허 등록 완료하였으며 등록된 특허는 국내 및 해외 특허등록 34건, 특허출원 29건을 확보하여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일본, 유럽,미국, 인도 등 해외 각지 고객사 확보와 당사의기술 및 제품을 마케팅 지원 예정인 글로벌 교정 주요 연자(Speaker)를 지속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영업실적이 크게 개선할 것 예상하고 있으며, 창출가능한 영업기회를 바탕으로 당사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추정실적을 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내외부의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수준에서 사업계획에 근거하여 영업실적을 추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상기 사업계획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시점에서 미래 영업실적을 예상했으나, 경기 변동성, 산업 내 투자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투자 심리 악화, 목표 시장 내 경쟁 심화, 유관 정책과 규제의 개정, 대외적인 변수 등으로 인한 매출처 이탈 등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예측하기 어려운 체계적 위험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당사가 예측하지 못한 대내외적인 이유로 당사의 추정 매출이 변동되거나 및 추정 손익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이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상장 이후 당사가 제시한 추정 실적과 실제 실적치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는 상장 이후 공시할 사업보고서에 그 사실을 충실히 기재하고, 괴리율이 10%를 초과할 시에는 그 원인을 상세하게 기재할 예정입니다. 다.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관리종목 지정사유 중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지만,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 당사의 사업성과가 미진하여 재무성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가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한편, 형식적 상장폐지 요건 중 '자본전액잠식' 요건은 기술성장특례기업에 대해 별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2024년 온기 별도 기준 자본총계액이 3,828백만원, 자본잠식률은 15.2% 로 해당사항 없으며,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한 자기자본 증가로 인해 상기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게 당사의 사업성과가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하여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거나, 자금유치에 실패하는 등의 원인으로 당사의 자본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상장 후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라.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각각 43억원, 104억원, 161억원으로 연간 매출액은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22억원으로 2024년 1분기 매출액 12억원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총이익률은 각각 37.3%, 43.0%, 47.5%, 2025년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56.5%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주요 개선 사유는 매출원가율이 낮은 소재 매출의 비중의 증가가 주요 사유입니다.다만 신제품 연구개발과 글로벌 행사 참여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 및 회사 규모 성장에 따른 지속적인 인력 충원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설립일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영업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3사업연도(2022~2024년)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당기순손실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판매수수료, 글로벌 마케팅 확대에 따른 광고선전비, 그리고 IPO 추진에 따른 지정감사 및 법률자문 등 일회성 수수료 발생에 기인합니다. 2023년 말 기준 당사는 완전자본잠식 상태였으나, 2024년 중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대부분이 보통주로 전환되면서 2024년 말 기준 자본잠식은 해소된 상태입니다.판매관리비는 2023년 115억원에서 2024년 168억원으로 53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증가 사유는 인건비의 경우 2024년 IPO를 위한 재무/기획 인력 충원 및 글로벌 사업 확장에 따라 영업, 마케팅 인력 지속 충원(2023년 월평균 근무인원수 82명에서 2024년 기준 92명으로 증가)에 따라 2023년 대비 급여 및 퇴직급여가 10억원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지급수수료의 경우 2024년에는 IPO 준비를 위한 기술평가, 지정감사, 법률자문료와 매출 증가에 따른 판매수수료 증가 등으로 인해 지급수수료가 2.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광고선전비의 경우 해외 학회 및 및 해외 출장과 미국, 유럽 AAO 등 행사참여로 약 8억원의 비용이 증가하였습니다. 판매관리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치과 교정 사업 특성상 초기 많은 글로벌 및 국내 마케팅 비용이 지출되나 일정 부분 영업망및 브랜드 인지도 형성 되고나면 일정 수준의 마케팅 비용 감소에도 매출액이 감소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마케팅으로 인한 광고선전비지출 비율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상기와 같이 당사는 지속적인 매출액 성장과 함께 미국 등 다양한 지역 진출 및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및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 감소로 인해 향후 수익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시장 내 경쟁 심화 및 글로벌 경기 악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고객사 판매 부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출이 현재 실적보다 악화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핵심인력 확보/유출 관련 위험당사는 기술 기반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 및 기술의 개발·고도화 과정에서 핵심 연구개발 인력의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소재 설계 기술 등은 소수의 고숙련 인력에 의존하는 바가 커, 특정 인력의 유출 시 연구개발 일정 지연, 기술 노하우 유출, 품목허가 준비 차질 등 기술 사업화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최근 3개년 당사 연구개발 인력의 평균 퇴사율은 17~19% 수준으로, 일정 수준의 이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재직중인 인원의 장기 근속 유도 및 애사심 고취, 전문 역량을 보유한 신규 인력의 확보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기술성장기업으로서 연구인력 개발 활동을 장려하고 근로 의욕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직무발명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핵심 인력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을 지급함으로써 회사의 성장에 따른 성과를 임직원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직원의 근로 의욕을 고취시키는 한편, 우수연구인력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는 특허를 통해 핵심기술에 대한 권리보호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추가적인 임상은 제한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핵심 연구인력의 유출이 당사의 사업 계획이나 임상 진행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아울러, 당사의 기술은 총 68건(등록 37건, 출원 31건)의 특허를 통해 보호받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 노하우는 문서 중앙화 및 보안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도부터 해당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인력의 개인용 컴퓨터에 자료 저장을 제한하고, 외부 송부 시 승인 절차를 의무화하였으며, 정기·불시 보안 점검(파일 반출, 접근기록 등)을 통해 정보 유출을 사전적으로 방지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와의 인재 경쟁이 심화되는 경우 핵심 연구인력의 이탈이 발행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특히 당사의 기술은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도를 요구하는 분야로, 주요 기술의 고도화 및 신규 응용제품 개발, 글로벌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함에 있어 핵심인력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들 인력의 이탈은 대체 인력 확보 및 재교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내부 기술 축적의 연속성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인력이 경쟁사로 유출되는 경우 당사의 기술 노하우 보호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은 인적 자원 관련 위험에도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연구일정 지연, 품목허가 준비 지연 등 실질적 사업 차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 재무 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당사는 연구개발 및 사업확장을 위해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를 통해 다수 자금 조달을 하였으며 관련 금융상품을 부채로 인식함에 따라 2023년말 기준 유동비율은 21.3%, 부채비율은 자본잠식에 따른 음의 지표였으나 2024년 중 대부분의 상환우선주 및 전환사채가 보통주로 전환됨에 2024년말 및 신고서 제출일 현재는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2023년말 76.1%에서 2024년말 62.1%로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에도 지속 적자 시현함에 따라 2024년말 대비 2025년 1분기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악화되었으며 이자보상배율이 음(-)의 수치를 기록하였고,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회전율 하락 등으로 단기적 운전자금 부담 요인이 존재합니다. 이는 수익성 전환 이전 단계에 있는 성장기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준은 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것으로 나타납니다.당사는 매출 확대 및 여신관리 체계 정비를 통해 영업현금흐름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고정비 통제를 위한 보수적 인력 운영 및 디지털 마케팅 중심 전략을 병행하여 지출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및 연구개발 지출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투자현금유출이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을 통한 차입금 상환 및 자금 조달구조 개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차입금이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금시장 경색, 금리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차환 실패, 이자비용 증가 등 유동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실제로 당사는 2022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3년 이상 연속으로 음(-)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익성 전환 지연 시에는 추가적인 외부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당사는 향후 공모자금의 적기 집행, 미국 시장 본격 진출 및 고수익 제품군 매출 증가를 통해 영업 및 투자, 재무현금흐름 전반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나, 매출 성장 지연, 자금 소요 확대, 연구개발 일정 변경, 또는 자본조달 계획의 변경 등이 발생할 경우 재무구조 개선 속도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당사의 재무현황, 유동성 구조 및 자금수지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무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요인을 면밀히 검토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사. 재고자산 관련 위험 당사는 원재료의 안전재고를 확보하고 있으며, 매출액 확대에 따라 재고자산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4.6회, 2023년 8.6회, 2024년 9.3회, 2025년 1분기 기준 7.6회로 2022년 제외 시 업종평균(7.4회)을 상회하고 있습니다.다만, 2022년에는 매출 대비 재고자산 보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업종 평균(7.4회)을 하회하는 4.60회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당사의 형상기억투명교정 관련 제품이 지속 개발 및 임상 테스트가 지속되는 기간 및 해외 각국의 판매를 위한 인증 취득 기간으로 본격적인 매출이 시현되기 이전입니다. 또한 당시 해외 학회 및 글로벌 고객군 확보를 위해 일정 재고를 확보함에 따라 업종평균 대비 회전율이 하회하였습니다. 이후 글로벌 인지도 상승 및 본격적으로 진출한 첫 해외 시장인 일본내에서 성공적으로 당사 제품이 안착함에 따라 2023년부터는 재고자산회전율이 빠르게 개선되었습니다. 당사는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매출처와의 사전 협력을 통한 적시 생산을 수행하여 재고의 불용화 및 장기체화 가능성을 줄일 계획이나, 주력시장의 트렌드가 급변하거나 고객사의 주문 취소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고자산이 증가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향후 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의 소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장기체화 재고에 대한 손상차손 발생 및 영업현금흐름 악화 등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 매출채권 미회수 관련 위험 당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4년은 4.52회, 2025년 1분기는 4.86회로 업종 평균 5.03회보다 소폭 하회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6.66회에서 2025년 1분기말 현재 4.86회로 최근 3년간 및 당해연도 회전율이 지속 감소하고 있습니다.회전율 주요 감소는 매출 규모가 지속 증가 하고 있으며, 각 유통회사의 연간 구매 주문 예산편성이 연말에 집행됨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12월에 매출이 집중됨에 따라 연말에 매출채권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입니다.2025년 1분기 기준 주요 매출처의 매출채권 내역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채권 중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총 680백만 원으로, 전체 대비 약 16.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인도 내 고객사인 D사는 현지 시장 내 주요 거래처인 L사와의 경쟁에서 열위에 놓이며 실적이 저조해졌고, 이에 따라 391백만 원이 1년 초과 연체 상태로 분류되었습니다. 당사는 D사로부터 발생한 미회수 매출채권과 관련하여 D사가 보유 중이던 당사의 재고자산 및 판매권을 동일 국가내 당사 주요 거래처인 L사로 이전 후 해당 매출채권을 L사를 통해 회수를 진행중입니다. 다만, 해당 방식에 따른 회수 실현 여부는 거래처와의 협의 경과, 제품 공급 조건 및 거래 구조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채권 회수가 지연되거나 회수되지 않을 경우 당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D사 관련 매출채권에 대해 전액(100%) 대손충당금을 설정한 바 있으며, 기타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N사, C사 등 일부 거래처의 유동성 상황 및 발주 지연 등에 기인한 것으로, 지속적인 회수 관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매출채권 회수를 위해 지속적으로 영업팀 담당자를 통해 거래처 모니터링하여 채권 회수 및 거래처 영업현황을 파악중입니다. 해외 거래처의 경우 향후 일부 유통회사에서 채권회수가 지연될 경우 무역보험등을 통해 보상 또는 유통회사 영업권 및 관련재고를 지역내 다른 유통회사로 이관등을 통해 회수가 가능합니다. 유통회사 거래처 이외 국내 병원을 포함한 일부 거래처에 대해서는 선수금 수령을 통해 매출채권 회수 시점을 단축하기 위해 지속 노력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회사의 매출 규모가 증가하고 매출처가 증가함에 따라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시장 침투율 증대와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매출채권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향후 거시 경제의 악화와 특정 거래처의 자금경색으로 인하여 대금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회수가 지연될 시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 환율 변동 위험 당사는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다양한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주로 달러와 관련된 환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환율 변동은 당사의 수출 경쟁력 뿐 아니라 매출과 손익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의 국내 및 해외 매출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1분기 86.0%, 2024년 81.0%, 2023년 82.7%, 2022년 73.5%입니다. 당사의 수출금액 및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환율관련 익스포저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 및 손익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 환경 등의 변화에 따른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한편,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최근분기의 누적 외화 관련 영업외손익은 326,415천원으로 해당기간 누적 영업손익 -27,243,160천원 대비 1.2%(절댓값 기준) 수준으로 외화관련 영업외손익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파생상품을 활용한 별도의 환헷지 정책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며, 당사의 사업구조상 원재료 및 상품 매입은 대부분 국내 거래처와 원화거래를 하는 반면, 매출 중 외화거래 비중이 높은 편으로 외환차손, 외화환산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에, 환율변동에 따라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이 변동될 수 있으며 외화 관련 손익(외화환산이익, 외화환산손실)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위험 관리 목적 상 환율 관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율 변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며, 필요한 경우 회계법인 등 외부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하여 파생상품을 활용한 환헷지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 변동은 당사가 보유한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사업 및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지적재산권 관련 위험 당사가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그 소재와 이에 관련된 장비 및 소프트웨어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 및 제품화 능력에 의하여 시장성이 좌우됩니다. 특히, 형상기억소재 등의 올리고머 합성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는 다양하게 존재하며 제품 목적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됩니다.또한 개발을 성공하더라도 경쟁업체들의 모방 제품 출시로 인하여 당사의 제품 경쟁력에 대한 위협 요소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의 확보 및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핵심 기술 연구개발과 함께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특허 등록 및 출원을 국내 및 해외에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소재, 장비, 공정과 관련하여 주요기술들을 특허를 통해 철저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핵심소재인 'Tera Harz'의 베이스가 되는 올리고머의 구조 특허, 물성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의 핵심인 후공정(질소경화)에 대한 특허는 '구조 설계 → 물성 제어 → 제조 공정'의 전 주기 기술 보호 체계를 구축하여, 단일 특허 중심이 아닌 다중 방어 기술 전략을 통해 기술 유출 및 유사제품의 시장 진입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삼중 특허 보호는 기술 유출 방지, 향후 법적 분쟁 대응,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점적 위치 확보에 있어 전략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정에 필수로 사용되는 장비(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를 자체 개발하고 특허로 등록함으로써 당사의 기술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특허에 대한 침해 또는 이와 관련된 분쟁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쟁사 및 예상치 못한 제3자가 당사의 특허를 침해하거나 우회하여 제품 개발을 하여 당사의 경쟁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향후 어떤 경로를 통해서 특허 분쟁이나 소송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해당 상황이 발생 시 당사의 영업 및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소송 또는 분쟁 관련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류중인 중요 소송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당사 영업 관련 소송 및 분쟁 관련 우발채무에 따른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이 더욱 활발해지고 해외 현지법인 설립 등으로 당사가 외형적으로 확대될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권리 분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당사 기술과 관련된 특허권 분쟁, 핵심인력의 유출입, 임직원 및 관련자가 당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히는 경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분쟁 또는 소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로 향후 당사 제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향후 당사의 제품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의 최종 소비자인 개별 환자 등으로부터 소송 등 법률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타. 내부 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상장 후에도 각종 유관기관의 공시전문교육을 충실히 이수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당사는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경영진의 경영능력 및 경영환경 변화 관련 위험 당사의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등기 임원 및 주요 임원의 경력과 구성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경영진은 충분한 경영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표이사 및 주요 임원은 법률 위반 사실 등이 없으므로 적격한 경영진으로 판단 됩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에 제정되어 있는 이사회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의사록을 작성 및 날인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사외이사 및 감사 선임으로 선임된 사외이사 및 감사는 이사회를 견제하고 주주권리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최근사업연도(2024년) 매출액이 16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54.3% 성장하는 등 준수한 경영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우수한 경영성과가 앞으로의 경영성과 또한 좋을 것임을 보장하지 아니하며, 신청회사 경영진이 부적절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등의 경우 신청회사의 손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최대주주의 변경으로 인한 최고경영자 및 주요임원의 교체, 위법행위로 인한 사임,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퇴사 등 현재는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당사의 핵심인력인 최고 경영자나 주요 임원이 교체될 경우 당사의 경영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거. 상장 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 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간의 지분 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시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너 .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관련 위험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가 계속기업으로서 존속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자산과 부채는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장부가액으로 회수되거나 상환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회계 처리되었습니다.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기업으로서 새로운 기술 및 제품에 개발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신소재 및 의료기기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및 임상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동안 타 산업 대비 막대한 자금 소요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당사의 재무 안정성 및 유동성 비율을 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당사는 현재 국내외 시장 인지도 증가 및 신규 해외시장 진출에 따라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향후 매출액 증가에 따라 이익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당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운영 자금을 확보하여 재무 구조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는 높은 마케팅 비용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고 있습니다.당사의 지속적인 개발 및 투자활동이 회사의 계획에 따라 영업성과로 연결되면 회사의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유로 외부감사인 또한 당사의 지속적인 영업손실 발생, 유동부채 금액의 유동자산 금액 초과와 관련하여 최근 3개년 당사의 감사보고서 및 2025년 1분기 검토보고서에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을 특기사항으로 기재하였으니, 투자 시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더.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나, 당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회계처리 오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하여는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 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1분기 검토 이후, 감사(검토) 받지 않은 당사 자체 결산 별도재무제표 기준 2025년 6월까지 누적매출액 약 67억원, 영업손실 약 6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사업 추진 현황 및 추정치에 대한 변동이 있을 수 있사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러. 이해관계자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부통제시스템 강화를 위해 2024년 01월 02일자로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사외이사 3인 및 사내이사 4인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종속회사 및 이해관계자 간 거래에 대해 연간 한도 사전 승인 및 거래 발생시 마다 각 이사회 결의를 통해 거래 필요성 및 적정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 투명성 재고를 위하여 2024년 06월 중 덴탈그래피와의 거래관계를 종료하였으며 2025년 04월 14일자로 덴탈그래피의 폐업 처리를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2025년내로 주식회사 디지털그래피를 흡수합병하여 향후 자회사와의 거래의 발생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2025년 06월 18일자로 비특수관계인인 서창백 이사를 당사의 재무담당이사로 신규 채용하였으며 금번 공모에 따른 청약 개시일 이전에 서창백 이사의 사내이사 취임 등기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가 발생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내부통제 절차를 취하지 않아 이해관계자로의 부의 이전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당사는 최선을 다하여 이해관계자 거래에 공정성을 기하고 부의 이전 등 주주의 이해를 해하는 거래에 대하여 경계를 하고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머. 공정거래규약 등 법규 위반 발생 가능성 관련 위험 동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의료기기법 제2조에 따른 '의료기기'로 당사는 동조항에서 정의하는 '의료기기 제조업자'에 해당합니다. 의료기기법 제13조제3항에 따르면 의료기기 제조업자는 원칙적으로 의료기기의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의료인 등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여서는 아니됩니다. 다만, 동조항의 단서조항에 따라 견본품 제공, 학술대회 지원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일정한 유형의 행위에 대하여는 경제적 이익의 제공을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치과기재업계의 음성적 리베이트 제공행위를 자율규제하고자 지난 2012년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지난 2012년 08월 0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당사는 2023년부터 공정경쟁규약에 따라 국제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신고를 해오고 있으며,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하기 위하여 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 담당자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 준비 중 과거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해외학술대회 지원 및 세미나 강연료 지급 과정에서 공정경쟁규약 제12조제2항에 따른 '강연료 및 자문료의 지급에 대한 신고' 및 제9조제2항 내지 제4호에 따른 '직접적인 지원금지 및 동반자 지원금지 사항'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해당 위반 사항과 관련하여 당사에 경고 및 경징계 조치를 부과한 바 있으며 해당 조치를 통해 상기 위반사항은 종결된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상기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의 처분(경고 및 경징계)은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에 대한 조치로 이러한 처분 사실은 당사의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등 기타 제반법규의 위반 여부 혹은 위반에 따른 처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과거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실이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사항(불법적 리베이트 해당 여부)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외부 법무법인의 법률 검토를 받았으며 해당 위반건이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법무법인의 의견서를 수령하였습니다. 다만,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에 따른 불법적 리베이트의 해당 여부에 대한 최종 행정처분기관은 식품의약안전처 및 공정거래위원회로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항이 향후 최종 행정처분기관에 의하여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되어 처분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당사는 향후 '보건의료인'에게 지급되는 수수료 등에 대하여는 법무법인의 검토 및 협회내 공정경쟁위원회 상담을 거쳐 신고 등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인 투명경영위원회를 설립하고 운영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과 관련된 제반법규의 준수에 대한 내부통제가 강화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등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금품류 제공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향후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하는 경우 공정경쟁규약 제20조에 따른 '1억원 이하의 위약금', '관계당국 고발' 등 중징계에 해당하는 조치, 의료기기법 제52조에 따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등의 조치가 당사에 취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버. 사업 초기 투자비용 관련 위험 당사는 기술 및 제품의 상용화와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인력 확보, 글로벌 마케팅, 제품 고도화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선제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교정 시장의 특성상 학계 및 전문가의 영향력이 높고, 초기 제품 확산의 핵심 채널이 광고가 아닌 임상 기반 신뢰 형성이기 때문에 글로벌 연자(speaker) 연계 마케팅, 글로벌 학회 참여, 현지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및 행사마케팅비의 경우 고정비 성격으로 시장 진입 지연 시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선제적으로 채용된 인력의 생산성과 매출기여도가 단기간 내 실현되지 않을 경우, 투자대비 효과가 저조해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특히 일본, 미국 등 당사의 초기 수출 주요 국가에서 활동 중인 주요 연자와의 협업이 중단될 경우, 해당 국가에서의 딜러십 모델 및 의료진 기반 네트워크 유지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신뢰도 저하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매출 위축과 재진입 지연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사업 추진 일정이나 수익 실현 속도, 주요 연자와의 협업 지속성 등에 따라 손익 및 유동성 구조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투자 판단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신중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서. 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 당사는 2025년 01월 17일에 한국거래소 예비심사신청 이후 2025년 06월 04일 예비심사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내부통제 강화 및 투자자보호를 위한 4가지의 사항에 대해 즉시이행을 하거나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① 2025년 7월말까지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를 설치하고 상장 후 3년간 위원회 운영내역을 공시할 것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하였고, ②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박성현 前 재무담당이사의 보직 변경 및 신규 서창백 現 재무담당이사로 교체 선임(채용)하였으며, ③ 자회사인 (주)디지털그래피와 연내 합병절차를 완료할 것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하였고, ④ 향후 원자재 구매 및 관련 자금 집행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운영하고, 심사 과정에서 보직 변경되었거나 변경키로 한 최대주주의 친인척 등을 기존 업무로 재배치하지 않을 것과 원자재 등 구매와 재고 관리 업무 부서를 분리하고, 이관된 원자재 구매 업무를 원복시키지 않을 것에 대한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당사는 확약 사항을 전사 차원에서 성실하게 이행할 예정이나 부득이하게 확약 사항이 미이행되는 경우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 등 조치를 받게 될 수 있으며, 향후 확약사항이 미이행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어. 주주간계약 관련 위험 당사는 2017년 설립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사용목적으로 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다수의 외부 투자를유치하였습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시 일부 주주 및 사채권자와 체결한 투자계약서(인수계약서 및 주주간계약서)에는 '주식매수청구권', '경영감시권', '우선매도권' 등 상장 후 주주평등 원칙에 저촉될 소지가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상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대부분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해당 조항들은 상장 이후 일반주주들에 대하여 주주평등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당사는 현재 위 주주들에 대해 신주인수계약서 및 전환사채인수계약서내 특약사항에 대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가 된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함에 대해 확약을 받았으며, 확약서를 징구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계약주주의 조항들은 당사의 IPO가 완료된 경우 효력을 상실합니다. 이는 상장 후 일반공모 투자자와 기존 투자자 간의 차등적 권리부여 가능성을 사전에 해소하고자 한 조치입니다. 다만, 당사의 상장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 해당 투자계약서 및 주주간계약서 상 조항은 그 효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저. 공시 위반 발생 가능성과 관련한 위험자본시장법 제9조에 따르면 '모집'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하며, '매출'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발행인(회사)은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부담합니다. 다만, 자본시장법 제119조 제1항 에 따라 모집 또는 매출 금액이 10억원 미만의 '소액공모'에 해당되는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는 없으나, 자본시장법 제130조에 따라 관련 서류의 제출 및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당사의 과거 증권의 발행 내역을 검토한 결과 모든 발행건은 상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발행 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자본시장법에서 정하는 발행공시(증권신고서, 소액공모공시서류) 제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또한, 당사 주식의 거래 내역을 검토한 결과, 자본시장법상 매출에 해당하는 거래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발행공시의 제출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장 이후 발행공시를 포함한 공시 위반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력 및 조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관련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 관리의 중요성, 공시의무사항 및 위반시 제재 등에 대한 공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코스닥 시장 상장 이후 당사가 자본시장법 및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공시규정에 등에 따른 공시 제출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 공시 제출의무 위반에 따라 당사에 제재조치가 취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투자위험 |
가.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심사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혹은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나.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당사의 공모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신중히 검토한 후 독자적으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당사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내용 외에도 현재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시장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미래 예측 정보는 다양한 불확실성에 따라 실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다. 공모가격 이하 매각 시 투자손실 위험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최초 거래되는 것입니다. 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은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 시장에서 거래된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금번 공모 이후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은 하락할 수 있으며, 상장 후 공모가격 이하로 매각 할 시, 투자자는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중 약 37.74%에 해당하는 4,166,434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6,497,569주(58.86%), 상장 3개월 후 7,709,829주(69.84%), 상장 6개월 후 7,720,198주(69.94%), 상장 12개월 후 7,842,513주(71.05%), 상장 24개월 후 11,038,777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희석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당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489,200주입니다.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 11,039,347주의 4.43% 수준입니다.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은 당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수 있으며,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공모가 산정 및 결정 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당사의 희망 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주요 판매 제품의 종류 및 비중, 주요 사업지역, 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성장성 등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 시 활용된 변수들은 별도 외부전문기관의 평가 등을 받지 아니한 당사의 자체적인 추정이며, 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아니합니다.당사는 금번 공모 시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유사성 및 일반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교대상회사를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상기 기준에 따라, 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s AG-REG, Modern Dental Group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대상회사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상기 선정된 비교기업이 회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기업규모의 차이 및 부문별 매출 비중의 상이성, 선정 기준의 임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종 선정된 기업들이 반드시 적합한 비교기업의 선정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차이점이 존재함에 따라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청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아. 환매청구권 및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일반청약자에게 "공모가격의 90% 이상에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Back Option)"가 부여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자. 증권 인수업무 등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차.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일반청약자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해당 청약방식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타. 미래 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내지 별도 시점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의 예상을 담은 미래 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 예측 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망 수치들은 시장의 추세 및 당사의 영업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기타 불확실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의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미래 예측적 서술에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파. 상장요건 일부 미충족시 거래 제약에 따른 위험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의 방법으로 실시 됩니다. 금번 공모 후 당사가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필요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를 개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월 이내인 2025년 12월 03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등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당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투자자는 주식의 환금성에 큰 제약 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284억 원(확정공모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운영(71억 원), 연구개발( 40억 원 ), 특허전략( 21억 원 ),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 46억 원 ),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거.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너.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7월 31일(목) ~ 2025년 08월 06일(수)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8월 11일(월) ~ 2025년 08월 12일(화)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심운섭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3,175,69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상장예정주식수의 28.8%)를 보유 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러.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 미적용에 대한 위험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를 적용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머. 수요예측에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의 범위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시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만 참여가 가능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버.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 가능성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산업 및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기준 등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비교 참고회사 선정기준의 임의성 및 기타 증권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해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 수요예측에 따른 공모가격 결정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어. 공모주식수 변경 위험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효력발생시기의 특례 등) 제2항제1호에 따라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 신규상장일 기준가 산정방식 및 가격제한폭 변경 2023년 06월 26일부터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종목의 신규상장일 기준가격이 기존 '공모가격의 90~200% 내에서 호가를 접수하여 결정된 시가'에서 '공모가격'으로 변경되어, 신규상장일 가격제한폭은 기존 '기준가격 대비 ±30%'에서 '기준가격(공모가격)의 60~400%'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일 당사 주식의 장중 가격 변동이 기준가격 대비 60%~400% 수준까지 발생할 수 있음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처. 상장폐지 관련 위험 당사의 주권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커. 재무제표 작성 기준일 이후 변동 미반영 당사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2025년 1분기 재무제표에 대해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를 받은 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였습니다. 본 증권신고서 상의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및 감사인의 의견에 관한 사항은 2025년 1분기 작성기준일 이후의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터.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위험 소수주주의 소수주주권 행사로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퍼. 집단 소송 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을 허용하는 국내 법규로 인해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1,950,000 | 500 | 15,000 | 29,25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예 | 코스닥시장 | 신규상장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1,462,500 | 21,937,500,000 | 1,016,803,125 | 총액인수 |
공동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487,500 | 7,312,500,000 | 338,934,37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2일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4일 | -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시설자금 | 3,200,000,000 |
운영자금 | 19,211,667,100 |
채무상환자금 | 4,604,000,000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1,400,000,000 |
발행제비용 | 1,711,832,9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기 타】 | - |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1,950,000 | 500 | 15,000 | 29,25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1,462,500 | 21,937,500,000 | 1,016,803,125 | 총액인수 |
공동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487,500 | 7,312,500,000 | 338,934,37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2일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14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 확정 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1일간)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2일간)※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은 청약 초일인 2025년 08월 11일(월)에 실시되고,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2일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2025년 08월 11일(월)부터 2025년 08월 12일(화)까지 이틀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8)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5년 01월 17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6월 0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이 외에 발행회사는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 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5 .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58,5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공모물량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1,950,000주 (공모주식의 10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주1)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4)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97,500주(공모주식의 5.0%)를 우선배정하였습니다. |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일반공모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5,000원 | 1,462,500,000원 | 우선배정_주2) |
일반청약자 | 487,500주 | 25.0% | 7,312,500,000원 | 주3), 주4)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20,4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_주5), 주6), 주7) | |
합계 | 1,950,000주 | 100.0% | 29,25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 모집방법: 일반공모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852,500주 | 9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1,950,000주 | 100.0% | - |
[ 모집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모집가액 | 모집총액 | 비고 |
우리사주조합 | 97,500주 | 5.0% | 15,000원 | 1,462,500,000원 | - |
일반청약자 | 487,500주 | 25.0% | 7,312,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20,4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계 | 1,950,000주 | 100.0% | 29,25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모집물량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금번 모집 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해당 투자신탁 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 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 한다.②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의거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한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조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 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 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가 주관하는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한 모든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 확인 등에 관한 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시 수요예측 참여가 불가합니다. |
||||||||||||||||||
주5)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공모주식의 97,500주(5.0%)를 우선배정합니다. | ||||||||||||||||||
주6)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의「 라. 청약결정과 배정에 관한 사항」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⑤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7) | 주당모집가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8)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9)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10) | 금번 공모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주)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
구 분 | 취득주식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 고 |
KB증권㈜ | 43,875주 | 15,000원 | 658,125,000원 | 주1) |
신한투자증권㈜ | 14,625주 | 219,375,000원 | ||
합계 | 58,500주 | - | 877,5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연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승인 하에 연장 가능) |
본 장은 공모가격 결정방법의 개요 및 절차를 안내하는 장으로, 구체적인 (희망)공모가 산정 방식에 대한 정보는 'IV.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다.「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액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를통하여 개별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와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평가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5,00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1) 수요예측 공고 및 수요예측 일시
구 분 | 내 용 | 비 고 |
공고 일시 | 2025년 07월 31일(목) | 주1) |
기업 IR | 2025년 07월 21일(월) ~ 2025년 08월 01일(금) | 주2) |
수요예측 일시 | 2025년 07월 31일(목) ~ 2025년 08월 06일(수) | 주3) |
공모가액 확정공고 | 2025년 08월 08일(금) | - |
문의처 | KB증권㈜ (☎ 02-6114-1827, 0996, 0965) | -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7월 31일(목)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홈페이지(https://www.kb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본 공모와 관련하여 기업 IR은 국내 및 해외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주3)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17:00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마감시각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4)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 참가자격 (가) 기관투자자"기관투자자"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집합투자회사등(「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를 말한다)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것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①「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중략)⑦ 제3항제1호를 적용할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만기일 전 3개월 및 설정일ㆍ설립일 후 3개월은 같은 호 전단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본다. |
주1) |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 |
주2) |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16조(벤처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의 100분의 10(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의 경우에는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 중 3천만원 이하분은 100분의 100, 3천만원 초과분부터 5천만원 이하분까지는 100분의 70, 5천만원 초과분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의 100분의 50을 한도로 한다)을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제3항의 경우에는 제1항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따른 기업에 해당하게 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를 말한다)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거주자가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1과세연도를 선택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시기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한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다만, 타인의 출자지분이나 투자지분 또는 수익증권을 양수하는 방법으로 출자하거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벤처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또는 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의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3.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금액을 벤처기업 또는 이에 준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이하 이 조 및 제16조의5에서 "벤처기업등"이라 한다)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하는 경우 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등에 투자하는 경우 5.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에 따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의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경우)『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14조(벤처투자조합 등에의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2.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3.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추가)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4.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 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신탁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요건 충족여부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자산총액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청약금액의 1%)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 수요예측 참여 제외대상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다만, ④항 및 ⑥항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⑥항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① |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한다). 다만, 동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
② |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하며,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은 제외한다) |
③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
④ | 대표주관회사가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3항에 의거 금번 공모 이전에 실시한 공모에서 수요예측일 현재 한국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분류되어 제재기간 중에 있는 기관투자자 |
⑥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에서 정의하는 창업투자회사등 |
⑦ |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항부터 제6항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제10조의3(환매청구권)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후「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3항에 의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는 경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요예측의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제한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1항에 따라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1.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식 또는 무보증사채를 배정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주금 또는 무보증사채의 납입금을 납입하지 아니한 경우. | ||||||||
2. |
기업공개시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의무보유를 확약하고 주식을 배정받은 후 의무보유기간 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의무보유기간 확약의 준수여부는 해당기간 중 일별 잔고를 기준으로 확인하며, 의무보유 확약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주관회사의 자료 제출요구에 허위자료를 제출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불응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기간 확약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
|
||||||||
3.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면서 관련정보를 허위로 작성ㆍ제출하는 경우 | ||||||||
4.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을 투자자에게 매도함으로써 법 제11조를 위반한 경우 | ||||||||
5. |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가 제5조의2 제1항부터 제6항까지를 위반하여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경우 | ||||||||
6. |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신탁계약이 설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탁계약이 해지(신탁계약기간이 3년 이상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계약기간 종료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 ||||||||
7. | 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이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후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환매되는 경우 | ||||||||
8. |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설정일·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지(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만기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 ||||||||
9. | 기업공개시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제5조의3제1항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 ||||||||
10. |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9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의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에 의거 KB증권㈜는 상기사유에 해당하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대한 정보 및 제재사항 등을 기재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등록부를 작성하여 관리합니다.1.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외국인투자등록번호2.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칭3. 해당 사유가 발생한 종목4. 해당 사유5. 해당 사유의 발생일6. 기타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 제재사항] |
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 행위의 동기 및 그 결과를 고려하여 일정기간 수요예측 등 참여 제재(미청약ㆍ미납입과 의무보유 확약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기준을 분리ㆍ적용) |
적용 대상 | 위반금액 | 수요예측 참여제한기간 | |
---|---|---|---|
정의 | 규모 | ||
미청약ㆍ미납입 | 미청약ㆍ미납입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5천만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의무보유확약위반 | 의무보유 확약위반주식수 주1)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참여금액의주금납입능력 초과 | (배정받은 주식수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참여제한 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정보 허위 작성ㆍ제출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법 제11조 위반대리청약 | 대리청약 처분이익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투자일임회사등수요예측등 참여조건 위반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미납입과 동일(참여제한기간 상한 : 6개월) | |
벤처기업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환매금지 위반 | 12개월 X 환매비율 주2)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기타 인수질서 문란행위 | 6개월 이내 금지 |
(주1)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의무보유확약 주식수와 의무보유확약 기간 중 보유주식수가 가장 적은 날의 주식수와의 차이 | ||||||||||||||||
(주2)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비율: 환매금액 누계/(설정액 누계 - 환매외 출금액 누계) | ||||||||||||||||
(주3) | 가중: 해당 사유발생일 직전 2년 이내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된 사실이 있는 자에 대하여는 100분의 200 범위 내 가중할 수 있으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횟수(종목수 기준이며, 해당 지정심의건을 포함)가 2회인 경우 100분의 50, 3회 및 4회인 경우 100분의 100, 5회 이상인 경우 100분의 200을 가중할 수 있음. 다만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은 미청약·미납입 및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의 경우 36개월, 기타의 경우 24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 | ||||||||||||||||
(주4) |
감면:
|
||||||||||||||||
(주5) |
제재금 산정기준:
** 위원회 의결일 전 5 영업일까지 의무보유 확약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위원회 의결일 5 영업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3영업일간의 종가평균을 확약종료일 종가로 적용하여 산정 |
||||||||||||||||
(주6) | 가중ㆍ감경 사유가 경합된 때에는 가중 적용 후 감경을 적용(다만, (주4)의 2)에 따른 감경은 다른 가중ㆍ감경 보다 우선 적용)하고 감경적용 후 월 단위 미만의 참여제한기간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
(주7)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를 같은 날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경우 참여제한기간이 가장 긴 기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기준으로 가중을 적용하고 해당 사유 발생일은 최근일을 기준으로 함 | ||||||||||||||||
(주8)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 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에 대하여 일부 건에 대한 제재를 위원회에서 의결하고, 해당 의결일 이전에 발생한 나머지 건에 대한 제재를 이후에 의결하는 경우 제재의 합은 주7)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 제재와 동일하여야 함 |
(다) 주관회사의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금융투자업규정」제4-19조제8호 및「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에 따르면,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의 청약자의 주금 납입능력 확인절차가 필요하며, 이는 확약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시,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을 수행함에 있어「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제1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표준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1호)] |
구 분 | 내 용 |
---|---|
확인대상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재산에 따라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위탁재산은 수요예측등 참여 건(계좌)별 개별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확인 |
확인방법 | 기관투자자는 '확인대상'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확약서(*)에 기재하여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의 결재를 받아 주관회사에 제출하고,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기준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① 고유재산: 자기자본을 기준으로 하며,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② 위탁재산: 수요예측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으로 함. 합계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함 |
(*) |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 참여 화면(인터넷 홈페이지)에 주금납입능력('확인대상'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입력하면 확약서상에 주금납입능력이 기재되고(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한 참여금액으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없도록 전산통제), 기관투자자는 동 확약서를 인쇄하여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 제출하도록 합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다만,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KB증권㈜의 국제영업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2호)] |
구분 | 내용 |
---|---|
확인대상 | KB증권㈜의 국제영업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①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QIB)에 해당하거나 ②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는 경우 주금납입능력을 USD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 ③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지 않거나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더라도 USD100,000,000 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위탁재산은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인합니다. |
확인방법 | ① 미국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이하 "QIB"라 한다)의 지위에 있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주금납입능력은 USD 100,000,000으로 간주하고, 인바운드영업부는 외국인 기관투자자 본인이 QIB임을 확인한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②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제1항의 QIB에 준하여 주금납입능력을 USD 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③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지 않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이거나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중 USD 100,000,000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또는 직전 분기(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 3개월간 일평균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하고, 인바운드영업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 |
(*) | "대체확약서"란 외국인 기관투자자 본인이 QIB의 지위 여부, 고유재산의 경우 자기자본, 위탁재산의 경우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 등을 기재하여 본인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고, 적법한 서명권한을 가진 의사결정자가 서명한 후 제출한 서류입니다. |
(**) | "국부펀드"란 국가의 자산을 정부가 직접 운용하여 증식시키기 위해 설립한 특수 목적 기관입니다. |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365,000주 | 7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배정수량을 포함합니다 |
(주2) | 상기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1,95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487,500주(25.0%) 및 우리사주조합 배정분 97,500주(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4) 수요예측 참가 신청수량 최고 및 최저한도
구분 | 최고한도 | 최저한도 |
---|---|---|
기관투자자 | 각 기관별로 법령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또는 1,365,000주(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적은 수량 | 1,000주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물량 배정 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및 가격 분석능력, 투자 및 매매 성향, 의무보유 확약기간, 공모 참여실적,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량 배정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해서는 최대 수요예측 참여수량 전체에 해당하는 물량이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 참여 시 이러한 사항을 각별히 유의하여 반드시 각 수요예측 참여자가 소화할 수 있는 실수요량 범위 내에서 수요예측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3)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최고한도는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이 70.00%(1,365,000주)인 경우를 가정하고, 참여수량 단위가 1,000주인 점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5) 수요예측 참가 수량단위 및 가격단위
구 분 | 내 용 |
---|---|
수량단위 | 1,000주 |
가격단위 | 100원 |
주)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
(6) 수요예측 참여방법국내기관투자자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접수를 받으며, 서면으로는 접수 받지 않습니다. 다만, KB증권㈜의 홈페이지 문제로 인해 인터넷 접수가 불가능할 경우 및 수요예측 참여자의 인터넷 수요예측 참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보완적으로 유선, FAX, E-Mail 등의 방법에 의해 접수를 받습니다.인터넷 접수와 관련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KB증권㈜ 인터넷 접수방법] |
|
[국내 기관투자자] |
접수처 | ① 인터넷 접수 : KB증권㈜ 홈페이지(www.kbsec.com)② 서면 접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The-K타워 11층 ECM3부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및 서면(우편/인편) 접수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The-K타워 11층 ECM3부 |
TEL | 02) 6114-1827, 0996, 0965 |
ipo@kbsec.com | |
FAX | 02) 6114-5676 |
[해외 기관투자자] |
접수처 | ① 인터넷 접수 : KB증권㈜ 홈페이지(www.kbsec.com)② 서면 접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The-K타워 16층 국제영업부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The-K타워 16층 국제영업부 |
담당자 | 정필수 과장 |
전화번호 | 02) 6114-1543 |
orders@kbsec.com | |
Fax | 02) 6114-5678 |
※ 인터넷 접수시 유의사항
① |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참여 전까지 KB증권㈜에 본인 명의의 위탁계좌가 개설되어 있어야 합니다. 집합투자회사는 고유재산, 집합투자재산, 투자일임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각각 개별 계좌로 참여하여야 하며, 그 외 기관투자자는 고유재산, 투자일임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각각 계별 계좌로 참여하여야 합니다. |
② | 비밀번호 5회 입력 오류시에는 소정의 서류를 지참하여 KB증권㈜ 영업점을 방문하여 비밀번호 변경을 하여야 하오니, 수요예측참여 전 반드시 비밀번호를 확인하신 후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③ | 수요예측참여 내역은 수요예측마감시간 이전까지 정정 또는 취소가 가능하며, 최종 접수된 참여내역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④ |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집합투자재산과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구분하여 접수하셔야 하며, 집합투자재산의 경우 펀드별 참여내역을 통합하여 1건으로 참여하셔야 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후 물량배정시 당해 집합투자회사에 집합투자재산과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구분하여 배정하며, 집합투자재산의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집합투자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자율적으로 배정하여야 합니다. |
⑤ | 또한, 집합투자회사 참여분 중 집합투자재산의 경우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 를 수요예측 인터넷 접수시 Excel 파일로 첨부하여야합니다. |
⑥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각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펀드별 참여내역을 기관투자자 명의 1건으로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후 물량 배정시 당해 기관투자자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해 1건으로 통합 배정하며,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기관투자자가 마련한 기준 및 법령 등 관계 규정에 따른 기준에 의해 배정합니다. |
⑦ | 또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양식(「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에 해당하는 고위험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확약서")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하여야 합니다. |
⑧ |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각 벤처기업투자신탁 펀드별 참여내역을 기관투자자 명의 1건으로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후 물량 배정시 당해 기관투자자의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해 1건으로 통합 배정하며,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기관투자자가 마련한 기준 및 법령 등 관계 규정에 따른 기준에 의해 배정합니다. |
⑨ | 또한,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양식(「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9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 확약서")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하여야 합니다. |
⑩ | 투자일임회사가 투자일임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여부, 제9조 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 수요예측 참여일 현재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여부와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 부터 3개월 경과여부 및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해당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⑪ | 투자일임회사가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와 제5조의2의 2항에 따라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 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인지 혹은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해당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⑫ | 신탁회사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여부, 제9조 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 수요예측 참여일 현재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여부와 신탁계약 체결일로 부터 3개월 경과여부 및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해당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⑬ |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 제1항에 따른 "확약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집합투자회사등이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⑭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
※ |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에 해당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7) 수요예측 접수일시 및 방법 ① 접수기간: 2025년 07월 31일(목) ~ 08월 06일(수)② 접수시간(한국시간 기준): 09:00 ~ 17:00② 접수방법: 인터넷 접수(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도 동일)
(8) 기타 수요예측 참여와 관련한 유의사항① 수요예측 마감시간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정정/취소가 불가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② 모든 수요예측 참가자는 수요예측 인터넷 참여 이전까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에 본인 명의의 위탁 계좌를 개설하여야 합니다.③ 참가신청금액이 각 수요예측 참여자별 최고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최고 한도로 참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④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⑤ 수요예측 참여시 입력(또는 확인)된 참여기관의 기본정보에 허위의 내용이 있을 경우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하며,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관리합니다. 특히, 집합투자업자가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당해 집합투자업자가 운용하는 전체 펀드에 대해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관리합니다. 또한,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합니다.또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펀드가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일 경우에는 같은 법시행령 제93조제3항 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 일것)를 확인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에 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에 의거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 협회는 협회 정관 제41조에 따라 설치된 자율규제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하고,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의 명단을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다만, 한국금융투자협회는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에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해당 사유 발생일 직전 1년 이내에 해당 집합투자회사 또는 해당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에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적이 없는 경우에 한한다) 해당 집합투자회사에게 협회 정관 제45조 제1항 제4호의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에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⑥ 투자일임회사가 투자일임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여부, 제9조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 수요예측 참여일 현재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 여부와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 부터 3개월 경과여부 및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에 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⑦ 투자일임회사가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와 제5조의2의 2항에 따라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인지 혹은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에 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⑧ 부동산신탁회사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고유재산으로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으며,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에 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⑨ 집합투자회사가 통합신청하는 각 펀드의 경우 수요예측일 현재 약관승인 및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합니다. 또한, 동일한 집합투자업자의 경우 각 펀드별 수요를 취합하여 1건으로 통합신청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각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펀드별 참여내역을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한편, 해당 펀드의 종목별 편입한도, 만기일 등은 사전에 자체적으로 확인한 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⑩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가입자가 인수회사 또는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이 공모주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합니다.⑪ 수요예측 인터넷 참여를 위한 "사업자(투자) 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의 책임은 전적으로 기관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사업자(투자) 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당해 기관투자자에게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⑫ 수요예측 참가시 의무보유 확약기간을 미확약, 15일,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로 제시가 가능합니다.⑬ 수요예측참가시 의무보유 확약을 한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기준일로부터 의무보유 확약 +2일의 기간까지의 일별잔고증명서 및 매매내역서를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 후 1주일 이내에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ECM본부 E-mail(ip@kbsec.com)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때 제출하지 않은 기관투자자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 이후 1년 이내의 일정 기간동안 KB증권㈜가 대표주관회사로 실시하는 수요예측 참여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 만기가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 이전에 도래하여 매도를 하는 경우에도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으니 기관투자자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전 해당 펀드의 만기를 확인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바랍니다.⑭ 의무보유확약기간은 결제일 기준이 아니므로 의무보유확약기간 종료일 익일부터 매매가 가능하며, 잔고증명서 및 매매내역서는 동 기준에 근거하여 제출하시길 바랍니다.⑮ 금번 공모시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수요예측 시 동 규정 제2조 제8항에 따른 기관투자자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9)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며, 대표주관회사는 최종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을 KB증권 홈페이지(www.kbsec.com)에 게시합니다.
(10) 수량배정방법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정된 확정공모가액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가격, 참여시점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투자성향, 공모 참여실적, 의무보유 확약여부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배정물량을 결정합니다.특히, 금번 수요예측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별 배정 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20(공모의 방법으로 설정ㆍ설립된 고수익고위험투자신탁은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안됩니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1. 수요예측에 참여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순자산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2. 제1호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수량에 공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은 110%의 가중치를, 사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투자일임재산 및 신탁재산을 포함한다)은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수량을 산출한 후, 해당 조정수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또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합니다.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벤처기업투자식탁별 배정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됩니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1. 수요예측에 참여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순자산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2. 제1호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수량에 공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은 110%의 가중치를, 사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은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수량을 산출한 후, 해당 조정수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다만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과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의무 배정이 미달될 때에는 그외 기관투자자에게 추가로 배정할 수 있습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제1항에 따른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 |
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11) 배정결과 통보
① 대표주관회사는 최종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을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에 게시합니다.② 기관별 배정 물량은 수요예측 참여기관이 개별적으로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 최하단의 "기업금융" ⇒ "수요예측" ⇒ "수요예측참가" ⇒ "수요예측 배정결과 조회")에 접속한 후 배정물량을 직접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개별 통보에 갈음합니다.③ 수요예측 참여에 의해 배정된 물량을 미청약한 경우에는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금융투자협회 회원 홈페이지(http://work.kofia.or.kr/) 에 게시 등록됩니다. (12) 기타 수요예측 실시에 관한 유의사항 ①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② 상기와 같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추가 청약 후 잔여물량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③ 수요예측 참가 시 참가신청서를 허위로 작성 또는 제출된 참가신청서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수요예측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합니다.④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 | 252 | 82 | 14 | 3 | 180 | 80 | 56 | - | 667 |
수량 | - | 130,991,000 | 16,129,000 | 7,419,000 | 3,030,000 | 47,537,000 | 31,662,000 | 11,867,000 | - | 248,635,000 |
경쟁률 | - | 95.96 | 11.82 | 5.44 | 2.22 | 34.83 | 23.20 | 8.69 | - | 182.15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주2) | 경쟁률은 기관투자자 배정주수 1,365,000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단순경쟁률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해외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 초과 | - | - | 1 | 225,000 | 4 | 1,453,000 | - | - | - | - | 12 | 4,700,000 | 5 | 4,398,000 | 16 | 1,453,000 | - | - | 38 | 12,229,000 |
밴드상단 | - | - | 36 | 20,377,000 | 28 | 8,402,000 | 5 | 2,744,000 | 2 | 2,730,000 | 46 | 13,842,000 | 29 | 19,988,000 | 36 | 10,388,000 | - | - | 182 | 78,471,000 |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 - | - | - | - | 1 | 30,000 | - | - | - | - | - | - | - | - | - | - | - | - | 1 | 30,000 |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 ~ 50% 이상 | - | - | 1 | 16,000 | 1 | 3,000 | - | - | - | - | - | - | - | - | - | - | - | - | 2 | 19,000 |
밴드 하위 50% 미만 ~ 75% 이상 | - | - | - | - | 1 | 422,000 | - | - | - | - | - | - | - | - | - | - | - | - | 1 | 422,000 |
밴드 하위 75% 미만 ~ 10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 - | - | 36 | 13,008,000 | 15 | 1,465,000 | 2 | 1,370,000 | - | - | 56 | 5,938,000 | 23 | 1,760,000 | 1 | 6,000 | - | - | 133 | 23,547,000 |
밴드하단 미만 | - | - | 170 | 93,675,000 | 32 | 4,354,000 | 7 | 3,305,000 | 1 | 300,000 | 63 | 22,329,000 | 22 | 5,263,000 | 1 | 7,000 | - | - | 296 | 129,233,000 |
미제시 | - | - | 8 | 3,690,000 | - | - | - | - | - | - | 3 | 728,000 | 1 | 253,000 | 2 | 13,000 | - | - | 14 | 4,684,000 |
합 계 | - | - | 252 | 130,991,000 | 82 | 16,129,000 | 14 | 7,419,000 | 3 | 3,030,000 | 180 | 47,537,000 | 80 | 31,662,000 | 56 | 11,867,000 | - | - | 667 | 248,635,000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건, 주, %) |
구분 | 참여건수기준 | 신청수량기준 | ||
---|---|---|---|---|
참여건수 | 비율 | 신청수량 | 비율 | |
가격 미제시 | 14 | 2.1% | 4,684,000 | 1.9% |
20,000원 초과 | 38 | 5.7% | 12,229,000 | 4.9% |
20,000원 | 182 | 27.3% | 78,471,000 | 31.6% |
17,000원 초과 20,000원 미만 | 4 | 0.6% | 471,000 | 0.2% |
17,000원 | 133 | 19.9% | 23,547,000 | 9.5% |
15,000원 초과 17,000원 미만 | 7 | 1.0% | 2,050,000 | 0.8% |
15,000원 | 220 | 33.0% | 116,443,000 | 46.8% |
15,000원 미만 | 69 | 10.3% | 10,740,000 | 4.3% |
합계 | 667 | 100.0% | 248,635,000 | 100.0% |
(다)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일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252 | 130,991,000 | 15,453 | 82 | 16,129,000 | 18,446 | 14 | 7,419,000 | 16,700 | 3 | 3,030,000 | 19,505 | 180 | 47,537,000 | 17,004 | 80 | 31,662,000 | 18,863 |
합계 | - | - | - | 252 | 130,991,000 | 15,453 | 82 | 16,129,000 | 18,446 | 14 | 7,419,000 | 16,700 | 3 | 3,030,000 | 19,505 | 180 | 47,537,000 | 17,004 | 80 | 31,662,000 | 18,863 |
(단위: 건, 주) |
구분 | 해외 기관투자자 | 합계 | |||||||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무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3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1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15 일 확약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56 | 11,867,000 | 20,452 | - | - | - | 667 | 248,635,000 | 16,703 |
합계 | 56 | 11,867,000 | 20,452 | - | - | - | 667 | 248,635,000 | 16,703 |
주1) | 대표주관회사와 거래관계가 있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로 구분되는 기관입니다. |
(라) 주당 확정공모가액의 결정상기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그래피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1,95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7,000원 | |
확정가액 | 15,000원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33,150,000,000원 | |
확정가액 | 29,250,000,000원 (주1) | ||
청 약 단 위 | (주2) | ||
청약기일 주3) | 우리사주조합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종료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청약증거금 주4) | 우리사주조합 | 100% |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0%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08월 14일(목) |
주1)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주당 공모가액은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청약단위: ① 우리사주조합 및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하며, 이중청약은 금지합니다.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8)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사항은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
주3) | 청약기일: ①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2025년 08월 11일 (1일간, 10:00부터 16:00까지) ② 기관투자자, 일반투자자(청약자) 청약일 : 2025년 08월 11일 ~ 12일(2일간, 10:00부터~16:00까지) ③ 우리사주조합,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④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청약증거금: 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 ②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2025년 08월 1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① 우리사주조합 : KB증권㈜ 본ㆍ지점 ② 기관투자자 : KB증권㈜ 본ㆍ지점 ③ 일반투자자(청약자) : KB증권㈜ 및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④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6조제1항제3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7)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각 청약취급처인 인수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8월 14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 모집 또는 매출의 절차
(1) 공모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비 고 | |
---|---|---|---|
수요예측일 | 2025년 07월 31일(목) ~ 2025년 08월 06일(수) | - | |
청약기일 | 개시일 | 2025년 08월 11일(월) | 주1) |
종료일 | 2025년 08월 12일(화) | ||
배정 및 환불 | 2025년 08월 14일(목) | - | |
납입기일 | 2025년 08월 14일(목) | - |
구 분 | 일 자 | 매 체 |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2025년 07월 31일(목) | 인터넷 공고 주2) |
모집 또는 매출가액 확정의 공고 | 2025년 08월 08일(금) | 인터넷 공고 주3) |
청 약 공 고 | 2025년 08월 11일(월) | 인터넷 공고 주4) |
배 정 공 고 | 2025년 08월 14일(목) | 인터넷 공고 주5) |
주1) |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 2025.08.11(월) (1일간)기관투자자 청약일 : 2025.08.11(월) ~ 2025.08.12(화) (2일간)일반청약자 청약일 : 2025.08.11(월) ~ 2025.08.12(화) (2일간)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청약자 청약은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및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 이중청약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7월 31일(목)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
주3) | 모집가액 확정공고는 2025년 08월 08일(금)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함으로써 갈음하며,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홈페이지(https://www.kb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
주4) | 청약공고는 2025년 08월 11일(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https://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
주5) |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공고는 2025년 08월 14일(목)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https://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
주6)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각 청약취급처인 인수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8월 14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7) |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및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청약방법(1) 일반 사항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우리사주조합 청약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청약증거금률 100%)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에 우리사주조합장 명의로 합니다.※ 청약사무 취급처: KB증권㈜의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은 불가능합니다.2021년 6월 20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분부터 중복청약이 금지 되었습니다. 즉,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청약사무 취급처: KB증권㈜ 및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
(4)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의 일반투자자(청약자)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KB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분 | 청약자격 | |||||
---|---|---|---|---|---|---|
청약자격 | KB증권 영업점 개설 계좌 | 청약개시일(초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 계좌 보유 고객 | ||||
제휴은행 영업점 개설 계좌 | ||||||
KB증권 비대면 개설 계좌 | 청약 당일 계좌개설 후 청약 가능 (별도 제한 없음) | |||||
제휴은행 비대면 개설 계좌 | ||||||
최고 청약한도 | ■ 일반고객(100%): 청약한도의 100% | |||||
■ 우대고객(12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20% | ||||||
■ 우대고객(1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50% | ||||||
■ 우대고객(2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00% | ||||||
■ 우대고객(2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50% | ||||||
■ 우대고객(3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300% | ||||||
청약방법 | ■ HTS/MTS/홈페이지 청약 | |||||
■ 지점 내방 청약 | ||||||
■ 유선청약(지점/고객센터) | ||||||
■ ARS 청약 | ||||||
※ 일반고객의 경우 온라인 청약만 가능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불가) | ||||||
※ 단, 만 65세 이상 고객은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가능 | ||||||
청약한도우대기준 | 일반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100%, 우대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120%, 150%, 200%, 250% 또는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구분 | 세부내용 | |||||
일반 | 100% | 우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 | ||||
우대 | 120% | 아래 ①, ②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프라임클럽 가입 및 유지 | ||||||
②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마이데이터 타사계좌 연동 및 유지 | ||||||
15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30 만원 이상(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 2개월(전월말기준) | ||||||
② 전월말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백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③ 직전월말까지 KB국민은행 'KB증권 공모주 청약우대 1.5배 정기예금'가입 | ||||||
- KB able Plus 계좌 보유 동시 만족 | ||||||
④ 직전월 3개월 주식약정 3천만원 이상 | ||||||
⑤ 직전월 자산 평잔 3천만원 이상 | ||||||
20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⑥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3개월 주식약정 1억원 이상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1억원 이상 | ||||||
③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1백만원 이상 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2개월(전월말기준) | ||||||
④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⑤ 직전월말까지 개인형 IRP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⑥ 퇴직연금 가입법인(소속직원) | ||||||
※ '12년 12월 3일 이전 가입법인 계약에 한함 | ||||||
250% | KB스타클럽(VIP/그랜드 등급) 고객 | |||||
- 개인: 매월 10일 변경 등급 반영 / 법인: 매월 1일 변경 등급 반영 | ||||||
300% | 아래 ①, ②, ③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공모주 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계좌에 2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3억원 이상 & 전월말 자산 3억원 이상 동시 만족(동시 만족) | ||||||
- 자산: 국내/해외주식, CMA, 현금성자산, 금융상품 등 총자산(단, 신용공여 자산 제외) | ||||||
③ KB스타클럽 (VVIP 등급) 고객 | ||||||
- Able Premier Members 고객은 매월 10일 KB스타크럽 그룹 등급 산정시 전월말 기준으로 해당여부를 체크하여 VVIP 등급으로 특별 선정함(VVIP 등급 청약 우대기간: 당월 10일 ~ 익월 9일) | ||||||
주1) 개인/법인 고객 우대요건 동일 적용 | ||||||
유통시장별 구분 | 유통시장별 구분없이 청약 | |||||
배정기준 | ■ 50% 이상을 균등배정 방식으로 배정하고, 나머지 청약수량을 비례배정 방식으로 배정 | |||||
■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 단수주는 5사6입 등 방법으로 잔여주식이 최소화하도록 배정하며,필요시 추첨 또는 KB증권㈜가 인수할 수 있음 | ||||||
청약수수료 | 구분 | VVIP/VIP/그랜드 | 베스트 | 패밀리, 법인(모든 등급) | ||
오프라인(지점/고객센터) | 무료 | 4,000원 | ||||
온라인(HTS/MTS/홈페이지/ARS) | 무료 | 1,500원 | ||||
기타사항 | - 경로자(만65세) 수수료 면제 | |||||
- 기존 자문형 랩 '공모주서비스' 등록 계좌 수수료 면제 | ||||||
- 개인 공모주 청약 수수료는 able포인트로 납부 가능 | ||||||
- 법인우수고객 수수료 면제 | ||||||
청약증거금 | 청약증거금률 50%(모든 고객에 동일 적용) |
주)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신한투자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 분 | 내 용 | ||||||||||||||||||
---|---|---|---|---|---|---|---|---|---|---|---|---|---|---|---|---|---|---|---|
청약자격 | - 청약일 초일의 전일까지 계좌를 개설한 고객(청약기간내 영업점 창구 계좌개설 후 청약불가)- 비대면 개설 및 은행 제휴계좌는 청약일 종일까지 개설할 경우 청약가능 | ||||||||||||||||||
최고 청약한도 | - 일반고객(100%): 청약한도의 100% | ||||||||||||||||||
- 우대고객(2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00% | |||||||||||||||||||
- 우대고객(3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300% | |||||||||||||||||||
청약한도우대기준 |
일반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100%, 우대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200% 또는300% 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 수수료 및청약방법 |
- 청약수수료
- 신한 Tops Club은 3개월 총자산 평잔을 기준으로 4단계 등급으로 구분(프리미어: 총자산 1억원 이상, 에이스 : 총자산 6,000만원 이상, 베스트 : 총자산 4,000만원 이상, 클래식 : 총자산 2,500만원 이상, 일반 : 2,500만원 미만)- 상기 청약수수료에 관한 등급은 신한투자증권 Tops Club 등급 뿐 아니라 신한금융그룹 슈퍼SOL 멤버십 등급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경우 프리미어 이상 등급은 프리미어 등급과 같이 청약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이전 3개월 주식(선물/옵션포함) 매매수수료 금액이 12만원 이상인 계좌 면제* 계좌별 환불계좌 기준으로 환불일에 적용함. |
||||||||||||||||||
청약채널구분 |
|
주1) | 신한투자증권㈜를 통해 청약하는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납입일(2025년 08월 1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8월 13일(수) 오후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5)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 수요예측에 참가하여 배정 받은 주식에 대한 청약은 청약일인 2025년 08월 11일(월) ~ 12일(화) 10:00 ~ 16:00 (한국시간 기준)에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 하단 '기업금융' > 수요예측 > 수요예측종목청약 > 로그인 후 청약)를 통하여 접수 받으며, KB증권㈜의 본ㆍ지점 및 서면으로는 접수 받지 않습니다.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목)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에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한편, 수요예측에 참가한 기관투자자 중 수요예측 결과 배정받은 물량을 초과하여 청약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범위 내에서 추가 청약이 가능합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 등은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배정 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청약증거금
구 분 | 내 용 | 비 고 | |
---|---|---|---|
청약증거금 | 우리사주조합 | 100% | 주) |
일반투자자(청약자) | 50% | ||
기관투자자 | 0% |
주) | 청약증거금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②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상기 ①, ②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 전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대표주관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기일 당일(2025년 08월 1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 08:00 ~ 12: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 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7)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일반청약자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KB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 일반투자자(청약자)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KB증권㈜ | 365,625주 | 주) | 50% |
주) |
KB증권(주)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청약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1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1,000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21,875주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2,000주(300%) 8,000주(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4,000주(100%) |
[신한투자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4,000주 이하 | 100주 |
4,000주 초과 | 400주 |
④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미달을 고려하여 추가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과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금액 또는 최고 청약한도 1,365,000주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9) 청약사무취급처① 우리사주조합 : KB증권㈜ 본ㆍ지점② 기관투자자 : KB증권㈜ 본ㆍ지점③ 일반투자자(청약자) : KB증권㈜ 및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10) 청약이 제한되는 자아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4호 및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삭제 2023. 4 .27>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10) 기타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① 우리사주조합 : 공모주식의 5.0%(97,500주)를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1,365,000주) 를 배정합니다. 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487,500주) 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의거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특히,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인 487,500주에 우리사주조합 청약 결과에 따른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공모주식의 5%, 97,500주)를 합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그래피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우선배정 주식수 내에서 청약한 주식수대로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 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④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487,500주 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43,750주 이상이며, 균등방식의 세부 방법은 일괄청약방식입니다.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청약자 배정은 전부 비례방식으로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⑤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각 인수단의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각 인수단의 배정방법 간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KB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⑧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 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 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 2023.04.27>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금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신한투자증권㈜ 일반청약자 배정 방법]
⑥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⑦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⑧ 비례배정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5사 6입 등 소숫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숫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숫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중략)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삭제>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이하 생략) |
(3) 배정결과의 통지 일반투자자(청약자)에 대한 배정 결과 각 청약자에 대한 배정 내용 및 초과청약금의 환불 또는 미달청약금에 대한 추가납입 등에 관한 배정공고는 2025년 08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https://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기관투자자등의 경우에는 수요예측을 통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내역과 청약내역이 다른 경우에 한하여 개별통지합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1) 투자설명서의 교부2009년 2월 4일부로 시행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하면 누구든지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자 (전문투자자, 그밖에 아래에서 언급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함)에게 동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본 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전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합니다. 다만, (i) 동법 제9조제5항의 전문투자자 / (ii)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규정된, 회계법인, 신용평가업자 등 / (iii)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 전신, 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밖에 금융위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는 투자설명서의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2) 투자설명서의 교부 방법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가 있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의하여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동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청약 전 교부할 예정입니다. 투자설명서 교부 후 투자자는 투자설명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청약기간에 각각의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① 본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은 후 교부확인서에 서명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②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청약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가)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는 경우
[KB증권㈜ 투자설명서 교부방법] |
청약방법 | 투자설명서 교부형태 |
---|---|
지점내방 청약 | 책자 형태로 투자설명서 교부 받은 후 내점청약 |
HTS/MTS/홈페이지 청약 | HTS/MTS/홈페이지로 로그인 후 청약화면에서 투자설명서 교부받은 후 청약 |
지점/고객만족센터 유선청약ARS 청약 | 본,지점 방문을 통해 투자설명서 교부 받은 후 청약홈페이지로 로그인 후 투자설명서 교부 받은 후 청약E-mail로 투자설명서 교부 받은 후 청약 |
주1) | 지점 내방 청약본 공모의 청약 취급처인 KB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하실 경우에는 인쇄물에 의한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쇄물에 의한 투자설명서 교부시는 투자설명서 교부확인서를 작성하셔서 청약을 하셔야 합니다. |
주2) | HTS/MTS/홈페이지 청약KB증권㈜의 HTS, MTS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청약할 경우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 교부에 동의하여야 하고, 전자매체를 지정하여야 하며, 수신 사실이 확인되어야지만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주3) | 지점/고객만족센터 유선청약 및 ARSKB증권㈜에서 ARS나 유선 청약을 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이전에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아야만 청약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청약 이전에 KB증권㈜ 홈페이지(https://www.kbsec.com : 인터넷뱅킹 → 청약 → 투자설명서 교부)에서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투자설명서를 교부받거나 KB증권 본, 지점에 내방하여 인쇄물에 의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으실 수 있으며, KB증권㈜에 등록되어 있는 E-mail을 통해서도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는 투자자는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 교부에 동의하여야 하고, 전자매체를 지정하여야 하며, 수신 사실이 확인되어야지만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으며, 지점에 내방하여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을 경우에는 반드시 교부확인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또한 E-mail을 통해 투자설명서를 교부받는 투자자는 유선으로 반드시 투자설명서 교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와 같이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은 투자자는 KB증권㈜ 지점/고객만족센터로 유선청약 또는 ARS 청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신한투자증권㈜ 투자설명서 교부방법] |
청약방법 | 투자설명서 교부형태 |
---|---|
지점내방청약 | 주식청약서를 통한 투자설명서 수령확인서 작성(투자설명서 수령 혹은 거부 확인)후 청약 가능합니다. |
MTS/HTS/홈페이지 청약 |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전자문서 수령절차에 따라 온라인 투자설명서 다운로드 확인 후 청약이 가능합니다. |
ARS/유선 청약 | 영업점 내방 및 홈페이지(www.shinhansec.com)를 통한 투자설명서 수령(다운로드) 후 청약 가능합니다. |
(나)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32조 및「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제2-5조제2항에 의거 투자설명서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인수회사에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 전신, 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3)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의 주체「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금번 청약에 대한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는 발행회사에 있습니다. 다만, 투자설명서 교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실제 투자설명서 교부는 청약취급처인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의 본ㆍ지점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합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①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집합투자증권의 경우 투자자가 제123조에 따른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별도로 요청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를 말한다. 이하 이 항 및 제132조에서 같다)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 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 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 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 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32조(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1. 제11조제1항제1호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의2. 제11조제2항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자 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팩스,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 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만 해당한다. ■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제2-5조(설명의무 등)① (생략)② 금융투자회사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제19조제2항에 따라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권유를 하는 경우에는 설명서(제안서, 설명서 등 명칭을 불문한다. 이하 같다)를 일반투자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다만, 법 제123조제1항에 따른 투자설명서, 법 제124조제2항제3호에 따른 공모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의 간이투자설명서 및 법 제249조의4제2항에 따른 일반 사모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의 핵심상품설명서(이하 "핵심상품설명서"라 한다)에 대해서는 일반투자자가 영 제132조제2호에 따라 수령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 경우 법 제123조제1항에 따른 투자설명서와 법 제124조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를 제외한 설명서 및 핵심상품설명서는 준법감시인 또는 금융소비자보호 총괄책임자의 사전심의를 받아야 하며, 내용 중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중요한 내용은 부호, 색채, 굵고 큰 글자 등으로 명확하게 표시하여 알아보기 쉽게 작성하여야 한다. |
바. 청약증거금의 대체, 반환 및 납입에 관한 사항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 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환불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4일에 08:00 ~ 12: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 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와 공동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는 각 청약자의 주금납입금을 납입기일인 2025년 08월 14일에 우리은행 목동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사. 주권교부에 관한 사항1) 주권교부예정일 : 청약 결과 주식배정 확정시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합니다.2)「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이 2019년 9월 16일 시행되었으며, 전자증권법 시행 이후에는 상장법인의 상장 주식에 대한 실물 주권 발행이 금지됩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공모로 발행하는 주식의 실물 주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에 주식의 권리를 전자등록하는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할 예정입니다.따라서 주금을 납입한 청약자 또는 인수인은 계좌관리기관 또는 전자등록기관에 전자등록계좌를 개설하여야 하며, 해당 계좌에 주식이 전자등록되는 방법으로 주식이 발행될 예정입니다. 전자증권법 제35조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자는 해당 주식에 대하여 전자등록된 권리를 적법하게 가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 기타의 사항 (1) 전자등록된 주식양도의 효력에 관한 사항전자증권법 제35조제2항에 따라 전자등록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동법 제30조에 따른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을 하여야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2) 신주인수권증서에 관한 사항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한 신주모집이므로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3) 정보이용 제한 및 비밀유지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총액인수계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입수한 정보 등을 제3자에게 누설하거나 발행회사의 경영 개선 이외의 목적에 이용하여서는 아니됩니다. (4)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신청 승인에 관한 사항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5년 01월 17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5년 06월 04일)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주권의 매매개시일주권의 신규상장 및 매매개시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한국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통하여 안내할 예정입니다. (6)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환매청구권)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7) 기타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효력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당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 중 일부가 청약일전까지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에 따라,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인 수 인 |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 인수금액주1) | 인수비율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KB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기명식 보통주1,462,500주 | 21,937,500,000원 | 75.0% | 총액인수(주2)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기명식 보통주487,500주 | 7,312,500,000원 | 25.0% | 총액인수(주2)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 관련계약 내용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이력 | 대가 관련계약 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 KB증권㈜ | 1,016,803,12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338,934,375 | 인수금액 4.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KB증권㈜ | 미정 | 인수금액 최대 1.0% | 납입일 다음 3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신한투자증권㈜ | ||||||||
사무주관수수료 | KB증권㈜ | 301,275,000 | 총공모금액 1.0%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내 | 주1) | - | - | 주3) |
주1) |
2025년 08월 08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중 제16조(수수료)①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2조 제3항에 정한 인수주식 수(제2조 제5항에 따라 실제 인수주식 수가 달라진 경우 그 실제 인수주식 수)에 따라 안분하여 각각의 인수단 구성원에게 인수수수료로 지급한다. ② 발행회사는 제1항에 따른 기본수수료와는 별도로 사무주관수수료로서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표주관회사에 지급한다. ③ 발행회사는 제1항의 기본수수료 외에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인수단에게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④ 발행회사는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수수료를 주금납입기일 다음 3영업일 내에 대표주관회사가 지정한 계좌로 현금입금 또는 계좌이체 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 ⑤ 대표주관회사는 본 조 제1항에 따른 수수료를 받은 경우 수수료를 받은 날로부터 5영업일 이내에 본 계약서 제2조 제3항에 따른 인수비율에 따라 공동주관회사에게 지급하기로 한다. |
주2) | 2023년 10월 31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중 제8조(수수료 지급)"본건 상장" 관련 주관회사 수수료 및 지급시기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지급절차와 방법은 향후 "갑"(주식회사 그래피)과 "을"(KB증권 주식회사,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이 체결하는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서에서 정하기로 한다. |
주3) | 인수수수료는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한편,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를 대상으로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에게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1.0% 범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사무주관수수료는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취득금액 포함)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인 2023년 10월 31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2) 신주인수권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도록 신주인수권을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2(신주인수권)① 대표주관회사가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발행회사로부터 신 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이라 한다)에 관한 계약을 발행회사와 체 결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취득할 수 있는 주식의 수량은 공모주식 수량의 10% 이내일 것2.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은 상장일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일 것3. 신주인수권의 행사가격은 공모가격 이상일 것② 대표주관회사는 제1항에서 정하는 신주인수권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사실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하며, 해당 권리를 행사하여 신주를 취득한 경우 자신의 홈 페이지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체없이 게시하여야 한다.1. 발행회사명2. 신주인수권 계약 체결일 및 행사일3. 신주인수권 행사로 취득한 주식의 종류 및 수량4. 주당 취득가격 |
다. 환매청구권에 관한 사항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인수회사는 일반청약자에게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여야 하나, 당사는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10조의3 제1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3(환매청구권)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 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을 제5조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39호나목에 따른 사업모델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41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이하 "이익미실현 기업"이라 한다)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이하 "의무인수"라 한다)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
KB증권㈜ | 기명식보통주 | 43,875 | 658,125,000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신한투자증권㈜ | 14,625 | 219,375,000 | ||
합계 | 58,500 | 877,500,000 | -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 및 공동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거래소는 상장신청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업의 상장주선인에 대하여 제5항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1. 대형법인. 다만, 외국기업이나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제외한다. |
마. 기타의 사항(1) 회사와 인수인간 특약사항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체결한 총액인수계약일로부터 코스닥시장 상장 후 6개월까지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의 사전 서면동의 없이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한 공모 대상 주식을 대표주관회사에게 매각하는 것 이외로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 주식과 연계된 증권을 발행하거나 직ㆍ간접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를 하지 않습니다.또한, 당사의 최대주주등과 의무보유 대상자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및 상장예비심사신청 시 제출한 의무보유 확약서 및 대표주관회사와 체결한 의무보유 약정서에 의거하여 소유주식을 상장일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예탁하며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인수, 합병 등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주식을 인출하거나 매각할 수 없으며, 보관, 인출 또는 매각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는 확약서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2) 회사와 주관회사 간 중요한 이해관계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공동주관회사) 제1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6조(공동주관회사)①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의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기업인수목적회사2. 외국 기업(한국거래소의「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8호 및 「코스닥시장상장규정」제2조제22항에 따른 외국기업과 주식등의 보유를 통하여 해당 외국 기업의 사업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 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관하여는 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을 준용한다. ③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6항제2호에 따라 취득하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 및 「코넥스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지정자문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코넥스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은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있어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 ④ 제2항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또는 집합투자기구(이하 이항에서 "조합등"이라 한다)의 경우 출자자 또는 수익자가 해당 조합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비율만큼 조합등에서 보유한 주식등을 보유한 것으로 본다. 1.「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제5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2.「여신전문금융업법」제41조제3항에 따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3.「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4조의3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 4.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사모집합투자기구 중 환매가 금지된 집합투자기구[후략] |
(3) 초과배정옵션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는 "초과배정옵션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4) 기타 공모 관련 서비스 내역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기타 인수인이 아닌 자로부터 인수회사 탐색 중개, 모집 또는 매출의 주선, 공모가격 또는 공모조건에 대한 컨설팅, 증권신고서 작성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5) 최대주주등의 지분에 대한 의무보유예탁당사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최대주주등의 지분에 대하여 의무보유등록 의무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시 의무보유확약서를 제출하였고, 상장예비심사 승인 후 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의무보유증명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 각 주주의 의무보유 기간에 대한 세부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 상의「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당사 최대주주의 지분은 의무보유기간 동안 그 소유주식을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며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인수, 합병 등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주식을 인출하거나 매각할 수 없으며, 보관 인출 또는 매각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는 위 확약서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6) 인수인의 투자내역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총 185,185주(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의 1.68%, 의무인수주식수 포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KB증권㈜는 2023년 11월 01일자로 당사의 전환사채 총 20억원을 인수하였으며 2024년 12월 26일자로 인수한 전환사채 전액에 대하여 전환권을 행사하여 보통주로 전환하였습니다. KB증권㈜의 당사 주식 취득의 상세내역 및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 주식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증권 취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인수인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취득주식수(주1) | 주당 취득가액(주1) | 총 취득금액(주3) | 비 고 |
---|---|---|---|---|---|---|---|
전환사채인수 | KB증권㈜ | 전환사채 | 2023-11-01 | 76,045 | 26,300 | 2,000,000,000 |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 |
주1) | 주당 취득가액은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 당시의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건의 경우 전환권 행사 당시의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취득주식수의 경우 '전환사채 인수'건의 경우 최초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환가능 주식수를 기재하였습니다. | ||||||||||||||
주2) |
전환사채 인수 계약에 따른 최초 전환가액은 26,300원이나 동계약 조건에 따라 전환권 행사 시점의 전환가액은 아래와 같이 10,80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
||||||||||||||
주3) | 전환권 행사 이후 총 취득금액은 전환권 행사에 따른 단수대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재하였습니다. |
[상장주선인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주식 내역] |
(단위: 주, 원) |
구 분 | 보유자명 |
증권의 종류 |
취득일 | 보유주식수 | 주당취득가액 | 총취득금액 | 공모전지분율 | 공모후지분율(주1) | 비 고(주2) |
---|---|---|---|---|---|---|---|---|---|
전환사채전환권 행사 | KB증권㈜ | 보통주 | 2024-12-26 | 185,185 | 10,800 | 1,999,998,000 | 2.05% | 1.68% | - 129,629주: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
주1)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확정공모가액 기준 상장예정주식수(우선주, 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2) | KB증권㈜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중인 당사 보통주식 185,185주(공모후 1.68%)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129,629주(공모후 1.17%)에 대하여「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55,556주(공모후 0.50%)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7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 |
상기 사항 이외에 당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추가적으로 당사 주식을 취득한 사실은 없습니다. KB증권㈜가 보유하고있는 당사 보통주식의 지분율은 공모 전 2.05%이며, 공모 후 기준으로 1.68%(상장예정주식수, 의무인수주식수 포함 기준 ) 수준입니다.
한편, 상장주선인인 KB증권㈜의 당사 보통주식 취득가액은 주당 10,800원(=총 취득금액/현재 주식수)으로 금번 공모시 확정공모가액인 15,000원과의 괴리율은 38.9%입니다.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가액 대비 공모가액 괴리율] |
인수인 명 | 주식종류 | 확정공모가액 | 취득일 | 취득주식수(공모 후 지분율) | 주당취득가액 | 괴리율 | 비고 |
---|---|---|---|---|---|---|---|
KB증권㈜ | 보통주 | 15,000원 | 2024-12-26 |
185,185주 (1.68%) |
10,800원 | 38.9% | - |
주1) | 확정공모가액과의 괴리율은 '( 확정공모가액-취득가액)/취득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공모후 지분율은 상장예정주식수(희석가능주식수 미포함)인 11,038,777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지분율입니다. |
주3) | 상기 취득주식수 및 주당 취득가액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입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6조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KB증권㈜의 주식에 대한 지분율은 2.05%(의무인수분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6조3항에 따라 포함하지 않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6조(공동주관회사)①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의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1. 6. 17>1. 기업인수목적회사2. 외국 기업(한국거래소의「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8호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23호에 따른 외국기업과 주식등의 보유를 통하여 해당 외국 기업의 사업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 <개정 2018. 4. 19, 2018. 8. 31, 2022. 2. 24>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관하여는 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을 준용한다.③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따라 취득하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 및 「코넥스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지정자문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코넥스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은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있어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 <개정 2022. 2. 24>④ 제2항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또는 집합투자기구(이하 이항에서 "조합등"이라 한다)의 경우 출자자 또는 수익자가 해당 조합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비율만큼 조합등에서 보유한 주식등을 보유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8. 8. 31, 2019. 8. 14>1. 「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제5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2. 「여신전문금융업법」제41조제3항에 따른 신기술사업투자조합3.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4조의3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4.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사모집합투자기구 중 환매가 금지된 집합투자기구 <개정 2018. 8. 31, 2019. 8. 14>⑤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발행회사의 주식등 중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주식등은 금융투자회사가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 한다.1. 기업공개의 경우 : 주식등의 취득일이 상장예비심사신청일 이전이고, 해당 주식등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하겠다는 확약서(<별지 제1호 서식>)를 협회에 제출한 경우 <개정 2019. 9. 11, 2022. 2. 24>2. 장외법인공모의 경우 : 주식등의 취득일이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대표주관계약체결일 이전이고, 해당 주식등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또는 보호예수)하겠다는 확약서(<별지 제1호 서식>)를 협회에 제출한 경우 <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⑥ 금융투자회사는 제5항의 확약서를 대표주관계약 체결일(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한 이후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취득일)로부터 5 영업일 이내에 협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 이전에 해당 확약내용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협회에 지체없이 신고하여야 한다. <신설 2015. 12. 15>⑦ 제5항의 주식등을 발행한 발행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기간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해당 주식등을 지체없이 의무보유등록(또는 보호예수)하고,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증명서를 의무보유등록일(또는 보호예수일)로부터 10 영업일 이내에 협회에 제출하여야 한다.1. 기업공개의 경우 : 한국거래소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2. 장외법인공모의 경우 : 장외법인공모 주식의 발행일로부터 6개월간<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⑧ 제7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는 법령상의 의무 이행 등을 위하여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의무보유등록을 취소하거나 보호예수된 주식등을 인출할 수 있다. <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전문개정 2013. 11. 29] 제15조(불건전한 인수행위의 금지)④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7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이해관계가 있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자를 말한다. 다만, 한국거래소, 증권금융회사, 기업인수목적회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발행회사와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금융투자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2. 금융투자회사가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다만 , 발행회사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 제4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종은 제외한다)에는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10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개정 2021. 6. 17>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특수목적기구 및 부동산 관련 법인은 제외한다) <신설 2021. 6. 17>나.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벤처기업 <신설 2021. 6. 17>다.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따른 중견기업으로서 직전 3개 회계연도의 평균 매출액이 3천억원 미만인 기업 <신설 2021. 6. 17>라. 그 밖에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기업(「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제외한다) <신설 2021. 6. 17>1)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별표7에 따른 신성장ㆍ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이와 관련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신설 2021. 6. 17>2) 1개 이상의 기술신용평가기관(「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제8의3다목에 따른 기술신용평가업무를 영위하는 신용정보회사를 말한다) 또는 기술전문평가기관(「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에 따라 기술평가기관으로 지정된 자를 말한다)이 평가한 기술등급(기업의 기술과 관련된 기술성ㆍ시장성ㆍ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등급을 말한다)이 기술등급체계상 상위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기업 <신설 2021. 6. 17>3. 금융투자회사와 금융투자회사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발행회사의 주식 등을 100분의 10(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개정 2021. 6. 17>4. 금융투자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주주와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동일인이거나 이해관계인인 경우. 다만, 그 동일인 또는 이해관계인이 정부 또는 기관투자자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5.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이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1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6.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이 발행회사의 임원이거나 발행회사의 임원이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인 경우7. 금융투자회사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이거나 발행회사와 제2조제9호라목의 계열회사 관계에 있는 경우 <신설 2015. 12. 15> |
상기와 같이 상장주선인의 당사 주식 보유는 관련 규정상 문제가 없으며, 상장주선인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 동규정 제26조제1항제7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하는 점을 고려 시 일반투자자와의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8) 투자권유대행인을 통한 투자권유 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투자권유대행인을 통해 투자권유를 대행하지 않습니다.
당사가 금번 공모를 통해 발행할 증권은 「상법」에서 정하는 액면가액 500원의 기명식 보통주로서 특이사항은 없으며, 당사 정관상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액면금액
제6조 (1주의 금액) 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금 500원으로 한다. |
2. 주식에 관한 사항
제5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본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한다. 제6조 (1주의 금액) 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금 500원으로 한다. 제7조 (회사설립시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 본 회사가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는 140,000 주로 한다. 제7조의2 (주식등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법령에 따른 등록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주식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8조 (주식의 발행과 주권의 종류) ① 본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기명식 보통주식과 기명식 종류주식으로 한다.② 회사는 이익의 배당 또는 잔여재산의 분배, 의결권의 배제 또는 제한, 상환 및 전환 등에 관하여 내용이 다른 주식(이하 종류주식이라 한다)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③ 본 회사가 발행할 주권의 종류는 일주권, 오주권, 일십주권, 오십주권, 일백주권, 오백주권, 일천주권, 일만주권의 8종으로 한다. 다만,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동 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제8조의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① 의결권 부 종류주식의 경우 의결권은 1주에 대하여 1개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연 [0]% 이상 [10]% 이내에서 발행 시에 이사회가 정한 우선 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으로 우선 배당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률이 종류주식의 배당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 ④ 종류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년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된 미배당분을 다음 사업년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종류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 및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보통주식에 배정하는 주식과 동일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한다. ⑥ 종류주식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경우에는 그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류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는 것으로 한다. ⑦ 전환권이 있는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의 청구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1. 전환의 사유, 전환조건,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와 내용, 전환청구기간,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신주식의 발행가액 등 전환권 행사를 위하여 필요하거나 관련된 사항은 본 조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발행 시에 이사회가 결정한다. 2. 전환 또는 전환청구 할 수 있는 기간(전환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개월 이상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결의로 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면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된 것으로 본다. 3.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한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한다. ⑧ 전환기간 만료일까지 소정의 배당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을 완료할 때까지 그 기간을 연장한다. ⑨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1조 규정을 준용한다. ⑩ 상환권이 있는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의 상환청구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1. 상환가액은 「발행가액 + 연1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한 가산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배당률, 시장상황 기타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 시에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려는 경우 이사회에서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다는 뜻, 조정사유, 조정의 기준일 및 조정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상환기간 또는 상환청구기간은 발행일이 속하는 사업년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익일부터 발행 후 10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사업년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이후 1개월이 되는 날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청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상환하지 못한 경우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3. 주주는 종류주식 전부를 일시에 또는 이를 분할하여 상환해줄 것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다. 다만 회사는 상환청구 당시에 배당가능이익이 부족한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 방법에 의하여 종류주식을 정할 수 있으며, 안분비례 시 발생하는 단주는 이를 상환하지 아니한다. 4. 주주가 상환을 청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주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상환청구의 뜻과 상환청구 대상 주식을 회사에 통지하여야 한다. ⑪ 회사는 주식의 취득의 대가로 현금 외에 유가증권(다른 종류의 주식은 제외한다)이나 그 밖의 자산을 교부할 수 있다. |
3.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제9조(신주인수권)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연구개발, 생산, 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상법 제542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개인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 7. 근로자복지기본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4. 배당에 관한 사항
제10조(신주의 동등배당)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제57조(이익배당) ① 이익배당은 금전 또는 금전외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회사는 제1항의 배당을 위하여 이사회결의로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여야 하며, 그 경우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제58조(중간배당) ① 본 회사는 영업 년도 중 1회에 한하여 상법 제462조의 3의 규정에 의하여 주주에게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중간배당은 이사회의 결의로 하며, 이사회가 없는 경우 주주총회의 결의로 한다. ③ 중간배당은 직전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으로 배당하거나 지급하기로 정한 금액 4.중간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 ④ 회사는 당해 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이 상법 제462조 제1항 각 호의 금액의 합계액에 미치지 못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중간배당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배당을 한 경우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연대하여 그 차액(배당액이 그 차액보다 적을 경우 배당액)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 다만, 이사가 위와 같은 우려가 없다고 판단함에 있어 주의를 게을리 하지 않았음을 증명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사업연도개시일 이후 제1항의 기준일 이전에 신주를 발행한 경우(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배당,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신주인수권 행사의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중간배당에 관해서는 당해 신주는 직전 사업연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제59조(배당금지급청구권 소멸시효) 배당금지급청구권은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소멸시효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본 회사에 귀속한다. |
5. 의결권에 관한 사항
제28조(주주의 의결권) 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한다. 제29조(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회사, 회사와 회사의 자회사 또는 회사의 자회사가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가 가지고 있는 이 회사의 주식은 의결권이 없다. 제30조(의결권의 불통일행사) ① 2 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일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② 회사는 주주의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주주가 주식의 신탁을 인수하였거나 기타 타인을 위하여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1조(의결권의 행사) ① 주주는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②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는 의결권행사에 관한 서면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회일의 전일까지 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③ 주주는 대리인으로 하여금 그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리인은 주주총회 개시 전에 그 대리권을 증명하는 서면(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제32조(주주총회의 결의방법) 주주총회의 결의는 법령과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한다. |
6.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사항
제15조(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범위내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단, 벤처기업의 경우에는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라 발생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상법 제542조의3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 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 또는 주가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부여할 수 있다. ②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따라 이사회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경우에는 그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③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대상자는 회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이사, 감사 또는 피용자 및 상법 시행령 제30조 제1항이 정하는 관계회사의 이사, 감사 또는 피용자(단, 벤처기업의 경우에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6조의3 및 동법 시행령 제11조의3에서 정한 자)로 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상법 제542조의8 제2항의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및 주요주주와 그 특수관계인에게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없다. 다만, 회사 또는 제3항의 관계회사의 임원이 됨으로써 특수관계인에 해당하게 된 자(그 임원이 계열회사의 상무에 종사하지 아니하는 이사, 감사인 경우를 포함한다)에게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⑤ 임원 또는 직원 1인에 대하여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을 초과할 수 없다. ⑥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사임 또는 사직한 경우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3. 회사의 파산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4. 기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⑦ 회사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다음 각호의 1에서 정한 방법으로 부여한다. 1.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방법 2.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의 자기주식을 교부하는 방법 3.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⑧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로부터 2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그 밖에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0조의 규정을 준수한다. |
[투자자 유의사항] |
---|
■ 금번 당사의 코스닥 상장에 따른 일반공모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분들께서는 투자결정을 하기 전에 본 증권신고서의 다른 기재 부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 기재된 투자위험요소를 주의 깊게 검토한 후 이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 당사가 현재 알고 있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아래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당사의 운영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분들께서는 아래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판단을 해서는 안되며, 투자자 자신의 독자적이고도 세밀한 판단에 의해야 합니다.■ 만일 아래 기재한 투자위험요소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기타 운영결과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가 금번 코스닥 상장 과정에서 취득하게 되는 당사 보통주의 경우, 시장가격이 하락하여 예상하였던 투자수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정부가 인정하거나,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사업위험에는 당사의 주요 사업적 위험요소들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들의 이해 편의를 위하여, 당사의 주요 사업 용어와 산업 구조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요약 기재하였으니, 투자판단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해 주요 용어 해설표를 아래와 같이 기재합니다.
[관련 용어 설명] |
용어 | 설명 |
부정교합 | 위, 아래 치아가 맞물리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함 |
치과(치아) 교정 | 부정교합, 치열 이상 등을 개선하여 정상적인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키는 치과 치료 분야임 |
투명교정 | 투명교정장치(얼라이너)를 사용하여 부정교합, 치열 이상 등을 개선(교정)하는 것을 의미함 |
얼라이너(Aligner) |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투명한 교정 장치. 투명교정장치라고도 함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 | 당사가 개발한 형상 복원 기능을 지닌 투명교정장치로, (착용 시)구강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형상을 복원하기 때문에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치료(교정)의 정확도, 효율성 등에서 경쟁우위를 지님 |
브라켓(Bracket) | 전통적인 교정 치료에서 치아에 부착하여 와이어를 지지하는 금속 또는 세라믹 부속 장치를 의미함 |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 | 자외선(UV) 등에 노출될 시, 화학반응을 통해 단단하게 경화되는 고분자 물질로, 3D 프린팅 등에 주로 사용됨 |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 | 당사가 개발한 형상기억 특성을 지닌 3D프린팅 소재로, 체온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특성을 지니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재로 사용됨 |
적합 (또는 적합도) | 투명교정장치가 치아와 얼마나 정확하게 접촉하는지를 의미함 |
올리고머(Oligomer) | 단량체(Monomer) 몇 개가 결합된 저분자 화합물로, 고분자화 반응 전단계에서 자주 사용됨 |
레진(Resin) | 레진(Resin)은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로, 단단하거나 반고체 상태로 경화될 수 있는 성질을 지님 |
질소경화기 | 3D 프린팅 직후의 출력물을 질소환경(산소가 최대한 차단된 환경)에서 광경화시키는 장비 |
기공소 | 치과 보철물(크라운, 브릿지 등)이나 교정 장치 등을 제작하는 전문 기술 작업소를 의미함 |
GMP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우수 제조관리기준)는 의약품 및 기타 제품이 품질 기준에 따라 일관되게 제조되고 관리되도록 보장하는 절차와 지침의 체계를 의미함 |
치근 | 치아에서 백악질로 덮여 있는 부분으로 잇몸과 뼈 속에 있는 치아의 부분으로 상악과 하악의 치조골 내에 심어져 있어 치아를 고정,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 |
절치 | 앞니(incisor)를 의미하며, 음식을 자르는 기능을 수행함 |
크라운 (Crown) | 손상된 치아를 덮어 보호하고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인공 치아 보철물을 의미함 |
어태치먼트 (Attachment) | 투명교정 시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투명교정장치의 힘 전달을 돕는 부착물을 의미함 |
심바이오틱(Symbiotic) | 유해균과 유익균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함 |
최종소비자 | 당사의 사업 구조 및 유통망에서 최종적으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치아교정 목적 사용)하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로 문맥에 따라 치과 또는 치과의사를 의미함. 엔드유저(End-user)라고 부르기도 함 |
가. 국내외 경기 변동 위험 한국은행이 2025년 02월 발간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 국내 경제성장률은 1.8%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2025년 경제성장률은 직전('24년 11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하였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025년 4월 발표한 Worl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2025년 세계경제성장률 추정치는 2025년 1월 추정치 대비 0.5%p 하향된 수치인 2.8%로 전망되었습니다.향후 성장률 전망은 각국이 현재의 무역 정책 기조를 완화하고 새로운 무역 협정을 체결할 경우 즉각적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무역 불균형 해소는 수년에 걸친 경제적 위험을 상쇄하고 글로벌 생산량을 늘리는 동시에 대외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세의 급격한 상승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성장은 크게 둔화할 것이며, 물가상승, 경제심리 위축 등 대내외적 부정적인 요소에 따른 향후 국내외 경기의 변동성 확대는 여전히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는 글로벌 경기 및 공급망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성 지속으로 민간소비 위축,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지연 등의 경제 지표로 인해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 요인에 대해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1) 국내 경기 동향한국은행이 2025년 02월 발간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 국내 경제성장률은 1.8%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2025년 경제성장률은 직전('24년 11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국내 경제가 미국의 관세정책, 정치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 하방합력이 증대되면서 1.5%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한국은행은 올해 각 부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민간소비는 예상치 못한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와 소득 개선세 둔화로 증가세가 크게 약화되었으나,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금융여건이 개선되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건설투자는 수주 및 착공 위축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이겠으나, 하반기 이후 지난해 선행지표 개선 효과와 금융여건 완화의 영향으로 낮은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입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장비 투자를 중심으로 대기업의 AI 및 첨단 공정, 생산라인 고도화 관련 투자가 지속되면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재화 수출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미국의 통상 압력 강화 등을 고려할 때, 이전 전망보다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국은행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
(단위: %) |
구분 | 2023 | 2024(E) | 2025(E) | 2026(E) | ||||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연간 | |
GDP | 1.4 | 2.8 | 1.6 | 2.2 | 0.8 | 2.2 | 1.5 | 1.8 |
민간소비 | 1.8 | 1.0 | 1.4 | 1.2 | 1.0 | 1.7 | 1.4 | 1.8 |
건설투자 | 1.5 | 0.4 | -2.9 | -1.3 | -6.7 | 1.1 | -2.8 | 2.5 |
설비투자 | 1.1 | -1.8 | 4.9 | 1.5 | 5.7 | -0.2 | 2.6 | 2.0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1.7 | 1.5 | -0.1 | 0.7 | 2.5 | 4.9 | 3.7 | 3.1 |
재화수출 | 2.9 | 8.4 | 4.3 | 6.3 | 0.7 | 1.2 | 0.9 | 0.8 |
재화수입 | -0.3 | -1.3 | 3.6 | 1.1 | 2.0 | 0.2 | 1.1 | 1.9 |
자료: 한국은행(경제전망보고서, 2025.02) |
한국은행은 하반기부터 정치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고 금융여건 완화의 영향이 나타나면서 내수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미국정부의 관세정책이 예상보다 강하게 추진되는 등 통상환경의 악화의 가능성이 존재함에 따라 국내 경기 회복의 속도가 더딜 가능성 또한 제시하였습니다.
2) 글로벌 경기 동향국제통화기금(IMF)이 2025년 4월 발표한 Worl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2025년 세계경제성장률 추정치는 2025년 1월 추정치 대비 0.5%p 하향된 수치인 2.8%로전망되었습니다. IMF가 전망한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미국 관세 조치 영향 및 계엄·탄핵 사태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2024년 대비 1.0%p 하향 조정되어 1.0%로 전망되었습니다. 선진국 그룹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4%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미국 성장률 역시 1.8%로 2025년 4월 추정치 대비 0.9%p 하향되었습니다. 스페인을 제외한 유로존 선진국 국가들(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은 무역 불확실성과 제조업 약세로 성장률이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신흥개도국 그룹(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3.7%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IMF는 높은 정책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기존의 단일 전망 대신, 전망 기준일('25.04.04)에 따른 ① 기준 전망(Reference Forecast)과 ② 보완 전망(Alternatives)을 함께 제시하는 새로운 방식을 활용하였습니다. IMF는 기준 전망에 대해서는, 급격한 관세 인상에 따른 무역긴장 및 정책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였으며, 2025년 세계경제성장률을 동년 1월 대비 0.5%p 하향한 2.8%로 전망하였습니다.보완 전망에 대해서는, 1)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25.04.02) 이전과 2)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및 美·中 보복관세('25.04.09) 이후로 구분하여 전망을 제시하였습니다. 2025년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부과된 펜타닐 관세를 시작으로 동년 4월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였고, 실효관세율은 대공황이 발생했던 1930년대 수준을 넘어 급등했으며, 교역 상대국들의 보복 조치로 글로벌 관세율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IMF는 상호관세 발표 이전 기준으로, 미국의 2~3월 무역정책 및 높은 유가 전망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성장률이 대폭 둔화됨에 따라 금년도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1%p 하향한 3.2%로 전망하였으나, 동년 4월 9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및 美·中 보복관세 이후 기준으로는, 2025년의 경우 상호관세 90일 유예의 효과가 미국과 중국의 성장률 하락으로 상쇄되어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2026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손실이 다른 국가의 이득을 넘어섬에 따라 기준 전망(3.0%) 보다 소폭 낮은 2.9%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2025년 4월 IMF 세계 경제성장률 기준전망 및 보완전망] |
(단위 : %, 1월전망 대비 %p) |
구분 | 2025년 세계 성장률 전망 | 2026년 세계 성장률 전망 |
2025년 1월 전망 | 3.3 | 3.3 |
기준전망('25.4.4 기준) | 2.8 (△0.5) | 3.0 (△0.3) |
보완전망('25.4.2 이전) | 3.2 (△0.1) | 3.2 (△0.1) |
보완전망('25.4.9 이후) | 2.8 (△0.5) | 2.9 (△0.4) |
자료: 국제통화기금(World Economic Oulook, 2025.04) |
IMF는 관세에 따른 인식론적 불확실성과 미국 경제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은 경제 전망의 주요 동인으로 언급했으며, 광범위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비용 증가와 공급망 혼란에 따른 투자 및 소비 심리 위축을 부정적 요인으로 언급했습니다. 특히 미국에 대해서는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인해 성장 둔화를 전망하였습니다. 유로존의 경우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무역 불확실성 및 독일 등 주요국의 제조업 부진으로 인한 성장 둔화를 전망하였으며, 중국에 대해서는 예상보다 견조한 2024년 4분기 실적 및 재정확대에도 불구하고, 최근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으로 2025년, 2026년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2025년 4월 IMF의 세계 및 주요 국가별 경제 성장률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4월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
(단위: %, %p) |
구 분 | '24년 | 2025년(E) | 2026년(E) | ||||
'25.1월전망 | '25.4월전망 | 조정폭 | '25.1월전망 | '25.4월전망 | 조정폭 | ||
(A) | (B) | (B-A) | (C) | (D) | (D-C) | ||
세계 | 3.3 | 3.3 | 2.8 | -0.5 | 3.3 | 3.0 | -0.3 |
선진국 | 1.8 | 1.9 | 1.4 | -0.5 | 1.8 | 1.5 | -0.3 |
미국 | 2.8 | 2.7 | 1.8 | -0.9 | 2.1 | 1.7 | -0.4 |
유로존 | 0.8 | 1.0 | 0.8 | -0.2 | 1.4 | 1.2 | -0.2 |
독일 | -0.2 | 0.3 | 0.0 | -0.3 | 1.1 | 0.9 | -0.2 |
영국 | 1.1 | 1.6 | 1.1 | -0.5 | 1.5 | 1.4 | -0.1 |
일본 | 0.1 | 1.1 | 0.6 | -0.5 | 0.8 | 0.6 | -0.2 |
한국 | 2.0 | 2.0 | 1.0 | -1.0 | 2.1 | 1.4 | -0.7 |
신흥국 | 4.3 | 4.2 | 3.7 | -0.5 | 4.3 | 3.9 | -0.4 |
중국 | 5.0 | 4.6 | 4.0 | -0.6 | 4.5 | 4.0 | -0.5 |
인도 | 6.5 | 6.5 | 6.2 | -0.3 | 6.5 | 6.3 | -0.2 |
자료: 국제통화기금(World Economic Oulook, 2025.04) |
2024년 11월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함으로써 이전 집권 1기 당시의 보호무역 기조가 집권 2기에서 보다 강하게 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보호무역 정책을 통해 미국은 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대폭 인상하게 되고 이는 물가상승을 자극하여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확정 이후 미 연준이 11·12월 각각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를 단행하며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였지만,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및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에 따른 정책기조로 인해 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 대비 늦춰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강도 및 시행시기에 따라 외환 및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고 진단하면서,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고금리 및 높은 부채수준으로 인한 재정·통화 정책 여력 부족, 주가 및 시장가격 재조정 가능성 등 금융·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될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한편, 최근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는 글로벌 경기 및 공급망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원유 및 원자재 가격의 급등 가능성뿐만 아니라, 글로벌 소비심리 위축, 운송 및 물류 차질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당사의 해외 진출 전략 및 수출입 일정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향후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의 장기화 여부에 따라 글로벌 경기 전반의 회복 속도와 사업 추진 여건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향후 성장률 전망은 각국이 현재의 무역 정책 기조를 완화하고 새로운 무역 협정을 체결할 경우 즉각적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무역 불균형 해소는 수년에 걸친 경제적 위험을 상쇄하고 글로벌 생산량을 늘리는 동시에 대외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세의 급격한 상승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성장은 크게 둔화할 것이며, 물가상승, 경제심리 위축 등 대내외적 부정적인 요소에 따른 향후 국내외 경기의 변동성 확대는 여전히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는 글로벌 경기 및 공급망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성 지속으로 민간소비 위축,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지연 등의 경제 지표로 인해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 요인에 대해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나. 투명교정 시장의 성장 둔화 가능성과 관련한 위험 치과 교정 시장은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과 '투명교정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치아 교정에 대한 침투율 증가로 치아교정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한편, 산 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체 교정 시장(약 91.8조 원)의 27.7%(약 25.5조 원)에 달하는 투명교정 시장은 '치과교정시장의 지속 성장'과 '치과교정 시장 내 투명교정장치 사용비중 증가' 등 긍정적 시장환경에 힘입어 연평균 13.6% 성장하여, 2030년에는 전체 교정 시장(약 150조 원)의 40%(약 60조 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VID-19 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요인에 따른 전체 치아 교정에 대한 수요 감소, 산업 규제의 증가 및 대체 교정 방식의 비용 감소, 신개념 대체 교정 방식의 출현, 경기침체에 따른 교정 수요 감소 또는 저비용성 교정 방식에 대한 선호 등으로 투명교정 시장 규모가 위축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치과 산업은 사람 치아에 직접 이식하는 수복시장(재료, 장치, 임플란트, 보철재 포함), 교정기기 시장, 치과치료용 소비재 및 기타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치과 의료서비스 수요의 확대 등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치과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이 중 당사 주력 제품이 속한 치과교정 시장은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과 '투명교정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치아 교정에 대한 침투율 증가로 치과교정 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 규모 및 전망, 2015-2030(E)] |
(단위 : 십억 USD) |
|
자료: | Angelalign, CIC Report, 당사 정리 |
한편,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체 교정 시장(약 91.8조 원)의 27.7%(약 25.5조 원)에 달하는 투명교정 시장은 '치과교정시장의 지속 성장'과 '치과교정 시장 내 투명교정장치 사용비중 증가' 등 긍정적 시장환경에 힘입어 연평균 13.6% 성장하여, 2030년에는 전체 교정 시장(약 150조 원)의 40%(약 60조 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명교정 시장 전망 및 전체 교정시장 내 비중] |
(단위 : 십억 달러, %) |
|
자료: Angelalign, CIC Report,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그러나 상기 추이를 보면 2020년 COVID-19로 인해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의 규모가 축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0년 COVID-19로 인하여 초기 감염에 대한 불안감으로 치과를 찾는 환자 수가 급감하였으며,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이어지면서 미백, 깨진 치아 등에 대한 진료 수요가 감소하여 투명 교정 시장 또한 타격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마스크 착용 의무 등 코로나 관련 규제가 해제되면서 향후 투명 교정에 대한 수요는 반등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VID-19 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요인에 따른 전체 치아 교정에 대한 수요 감소, 산업 규제의 증가 및 대체 교정 방식의 비용 감소, 신개념 대체 교정 방식의 출현, 경기침체에 따른 교정 수요 감소는 저비용성 교정 방식에 대한 선호 등으로 투명교정 시장 규모가 위축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투명교정시장 내 경쟁 심화에 따른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속한 치과교정 시장은 크게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치과교정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75.4 십억 USD, 한화로 약 102.8조원 (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이며,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 규모는 약 22.4 십억 USD 한화로 약 30.6조원(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교정시장 규모의 약 29.7%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현재 치과 교정 시장은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 시장이 양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한편, 미국의 Align Technology는 1997년 세계 최초로 투명교정장치를 출시한 이래로 시장을 선도하여 2024년말 기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있어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대표적인 업체로 볼 수 있습니다. 2017년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장치 특허가 만료되면서 해당 시점을 전후로 다수의 후발주자들 생겨나,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기존의 투명교정 브랜드는 대부분 열가소성 PETG 소재 기반의 열성형 투명교정장치(Thermoformed Clear Al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는 직접 3D 프린팅이 가능한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인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 브랜드 대비 높은 치료 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명교정 장치가 기존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 시장을 대체하지 못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글로벌 투명교정시장내 점유율은 0.1% 미만으로 추정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다수의 국내외 업체가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거나 신규 진출하고있어 향후 시장내 경쟁이 심화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투명교정장치 관련 경쟁사의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영업전략의 고도화, 원재료비 절감 및 가격인하 등의 노력을 통해 당사의 잠재고객이 줄어들 수 있으며,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은 전체적인 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투명 교정 장치 업체 간의 경쟁을 통해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당사의 제품을 능가하는 더 우수한 경쟁제품이 등장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점유율 축소 및 매출액과 영업이익 감소 등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속한 치과교정 시장은 크게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 컨설팅 업체인 The CIC Repor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치과교정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75.4 십억 USD, 한화로 약 102.8조원 (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이며,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 규모는 약 22.4 십억 USD 한화로 약 30.6조원(2024년 평균환율(1,363.98원) 적용)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교정시장 규모의 약 29.7%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현재 치과 교정 시장은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 시장이 양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투명 교정장치는 기존 브라켓&와이어 교정장치 대비 심미성, 환자의 편의성 등 측면에서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치과 교정 시장내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 높아진 소득 수준(구매력 증가) 등의 이유로 교정치료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결과, 투명교정 시장은 기존에 소외됐던 시장 또는 국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 성장하고 있습니다. '투명교정 시장'은 향후 수년 동안 연평균 13.6% 성장하여, 2030년에는 전체 교정 시장(약 150조 원)의 40%(약 60조 원)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포함한 치과 교정 장치별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치과 교정장치별 특성 비교] |
구분 | 브라켓 & 와이어 교정장치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주성분 | 금속(스테인리스스틸), 세라믹 | 열가소성 PETG |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 |
작동 원리 |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이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치아에 힘을 가함 | 치아의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는 형상의 투명한 플라스틱 틀(투명교정장치)을 착용하여, 불일치에 의해 발생하는 미는 힘을 치아에 가함 | 구강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착용하여, 형상이 복원되며 발생하는 힘 (형상복원력)을 치아에 가함 |
힘의 크기 | 매우 강한 힘 | 브라켓&와이어 교정장치보단 작지만 치아 이동에 적절하지 않은 강한 힘 | 생역학적으로 치아 이동에 적절한 크기의 힘 |
접촉/적합 | 제한된 적합 면 (브라켓 부착면이 적합면임) |
잘 적합 되지 않음 (치아와 교정장치 사이 들뜸) |
치아에 완벽히 적합 |
치근경사 |
브라켓 위치와 와이어 밴딩으로 치근 경사 조절 |
부착물(어태치먼트) 사용하여치근 경사 조절 |
투명교정장치 두께 조절하여 치근 경사 조절 |
절치경사 | 교정 시 전치 전방경사 경향 있음 | 절치경사 약간 조절 가능 | 절치경사 조절 용이 |
정중선 조절 | 고무줄 사용에 의존 | 투명교정장치만으로 조절 가능 | 투명교정장치만으로 조절 가능 |
맞춤 제작 | 불가 | 제한적 | 완벽히 가능 |
교정 정확도 |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름 |
낮음 (치료예측율 50%) |
높음 (치료예측율 99.6%) |
교정 정밀도 |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름 |
낮음 (치료예측율 50%) |
높음 (치료예측율 99.6%) |
교정장치 탈착 여부 |
불가능 |
가능 (탈착시 통증 및 불편함 유발, 부착물 사용한 경우 교정장치 파절 등 가능성 있음) |
가능 (형상기억 특성으로 부드러운 탈착 가능) |
심미성 | 매우 낮음 | 높은 편이나 부착물 사용으로 심미성반감되는 경향 있음 | 매우 높음 |
자료: 당사 |
한편, 미국의 Align Technology는 1997년 세계 최초로 투명교정장치를 출시한 이래로 시장을 선도하여 2024년말 기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있어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대표적인 업체로 볼 수 있습니다. 2017년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장치 특허가 만료되면서 해당 시점을 전후로 다수의 후발주자들 생겨나,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6년에는 Dentsply Sirona가 SureSmile이라는 자체 브랜드를 출시하였고, 2017년에는 Straumann Group이 ClearCorrect를 인수하여 투명교정시장에 진출하였으며, 2018년에는 Henry Schein과 3M이 각각 SLX Clear Aligner와 Clarity라는 자체 투명교정 브랜드를 출시했고, 같은 해에 Envista Holdings는 자회사 Ormco를 통해 Spark Clear Aligner라는 투명교정 브랜드를 출시하였습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치과용 임플란트 전문 기업인 ㈜덴티스가 지난 2021년 4월 자회사인 ㈜티에네스를 통해 투명교정장치인 Serafin Clear Aligner System을 출시한 바 있으며 임플란트 전문 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 또한 2022년 3월 매직얼라인이라는 브랜드의 투명교정장치를 출시한 바 있습니다. 그외 시스루테크㈜, ㈜오디에스 등 국내 기업이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투명 교정 시장은 현재 Align Technology의 Invisalign 브랜드가 2024년 기준 약 250만케이스(Align Technoloy Q4 and Fiscal 2024 Financial Results 기준)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세계 투명교정환자수가 약 500만명(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기준)으로 추정됨을 감안 하였을 때, Align Technology는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다만, 기존의 투명교정 브랜드는 대부분 열가소성 PETG 소재 기반의 열성형 투명교정장치(Thermoformed Clear Al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는 직접 3D 프린팅이 가능한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인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 브랜드 대비 높은 치료 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1) 직접출력 3D프린팅, 2) 구강내 형상복원이라는 혁신적 기술을 최초 개발 및 적용한 투명교정장치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면 기존 열성형 투명교정장치로 치료할 수 없거나,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해야만 치료 가능했던 케이스도 손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열성형 투명교정장치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교정이 가능하며, 그 과정도 더 신속하고 효율적입니다. 뿐만 아니라, 실제 투명교정장치를 착용하는 환자에게는 더욱 편리하고 편안한 치료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여러 측면에서 기존 열성형 투명교정장치보다 진일보한 투명교정장치라 말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제품 경쟁력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기술, 품질, 성능, 편의성 등 많은 면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기존 열성형 투명교정장치보다 경쟁우위에 있다고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교정시장 내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2024년말 기준 치과교정 시장은 일반교정 시장과 투명교정 시장이 각각 전체 시장의 규모의 약 70.3%, 29.7%를 차지하며 양립하고 있는 상태로 투명교정 장치가 기존 일반교정(브라켓&와이어 교정) 시장을 대체하지 못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글로벌 투명교정시장내 점유율은 0.1% 미만으로 추정(2024년 글로벌 투명교정시장 규모 추정치 30.6조원, 당사 2024년 (연결기준)매출액 161억원 기준)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다수의 국내외 업체가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거나 신규 진출하고있어 향후 시장내 경쟁이 심화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투명교정장치 관련 경쟁사의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영업전략의 고도화, 원재료비 절감 및 가격인하 등의 노력을 통해 당사의 잠재고객이 줄어들 수 있으며,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은 전체적인 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투명 교정 장치 업체 간의 경쟁을 통해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당사의 제품을 능가하는 더 우수한 경쟁제품이 등장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점유율 축소 및 매출액과 영업이익 감소 등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기술경쟁력 확보 위험 당사는 설립 초기부터 3D프린팅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습니다. 그 결과, 당사는 3D프린팅 광경화성 소재의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D프린팅 제품에 가장 적합한 물성과 특성을 완벽히 충족하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는 노하우와 기술 특허를 축적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이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사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직접 3D프린팅이 가능하고 형상복원력이 뛰어난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단시간 내 높은 치료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고난도 치료 진행시에도 추가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높은 편의성과 심미성을 제공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기술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소재의 고도화, 신소재 개발 그리고 3D프린팅 공정 전반에 대한 기술력 강화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 고도화 노력을 통해 경쟁업체와의 기술격차를 더욱 확대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을 통한 선도적인 기술력 확보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시장의 기술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여 고객사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지 못할 경우, 또는 고도화된 연구인력의 유입 등 연구개발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적 차별성을 달성하지 못하여 투명 교정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실하거나, 신규사업 및 신규 시장 진출이 실패할 경우, 시장에서 당사의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자체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기업입니다. 당사는 설립 초기부터 3D프린팅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습니다. 그 결과, 당사는 3D프린팅 광경화성 소재의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D프린팅 제품에 가장 적합한 물성과 특성을 완벽히 충족하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는 노하우와 기술 특허를 축적하였습니다.당사 기술의 핵심은 올리고머에 대한 단순 '합성 기술'이 아닌 올리고머에 대한 '화학적 구조 설계 기술'에 있습니다. 즉, 반응기법 그 자체가 아닌 교정장치에 꼭 필요한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재료의 '설계도'를 그리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구조설계 로직은 단순한 시행착오 기반의 노하우 축적이 아니라, '목표 물성 중심의 역설계 방식'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즉, 특정 용도에 필요한 기계적 특성(강도, 탄성, 투명도, 복원력 등)을 먼저 정의한 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올리고머 구조를 거꾸로 설계해 가는 방식입니다. 이처럼 수년간 수천 회의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조 설계 시스템은 단순히 한두 명의 인력이 반복해서 따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 물성을 목표로 하는 구조를 다시 예측·설계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후발주자가 단기간 내 모방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을 갖고 있습니다.당사는 이러한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이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사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직접 3D프린팅이 가능하고 형상복원력이 뛰어난 형상기억 투명교정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단시간 내 높은 치료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고난도 치료 진행시에도 추가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높은 편의성과 심미성을 제공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기술경쟁력을 지니고 있습니다.이러한 기술경쟁력은 당사의 SMA와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임상데이터를 분석한 각각의 논문상의 객관적 수치의 비교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발표한 임상 관찰 연구에서는 당사의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3D프린팅 방식으로 직접 제작하여, 치아이동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른 다기관 리뷰 논문에서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치아이동 효율성에 대한 생체역학적 관점의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두 연구는 각각의 목적은 상이하지만, 동일한 생체역학적 원리와 디지털 분석 구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두 연구 결과를 비교 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임상 연구 결과에 근거한 SMA얼라이너와 기존 열성형 얼라이너 비교 분석] |
항목 | 기존 열성형 얼라이너(주2) | 당사 SMA 얼라이너(주1) |
Torque 정밀도 | 낮음 (~50% 이하)(치아에 따라 변동 큼) | 67.6%(최대 100%, 평균 ±표준편차 포함) |
Tip 정밀도 | 불안정,root control 어려움 | 64.2% |
Rotation 정밀도 | 50~60% 수준(회전 각도 클수록 실패율 증가) | 72.0%(특정 소구치에서 98%) |
Transverse 정확도 | 56.18% (주3) | 99.6% |
재료적 안정성 및 Force 유지력 | Force Decay 심각 | 형상기억 응력 유지 |
Root Control (치아 뿌리) | 구조적 한계 존재 | 재현성 확보 가능성 |
주요 이동 유형 | Crown 중심 Tipping 위주 | Torque, Tip, Rotation 정밀 제어 가능 |
주1) | 자료: Migliorati, Marco, et al. "Accuracy of orthodontic movements with 3D printed aligner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54.3 (2024): 160-170. | |||||||||||||||||||||
주2) | 자료: Upadhyay, Madhur, and Sarah Abu Arqub. "Biomechanics of clear aligners: hidden truths & first principles." Journal of the World Federation of Orthodontists 11.1 (2022): 12-21. | |||||||||||||||||||||
주3) | 자료: Haouili, Nada, et al. "Has Invisalign improved?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on the efficacy of tooth movement with Invisalign."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58.3 (2020): 420-425.'Transverse 정확도'의 경우 주석2에 출처로 기재한 논문상 구체적인 수치의 확인이 불가하여 별도의 논문을 참고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
주4) |
각 비교 항목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상기 임상데이터의 비교에 따르면, 당사의 SMA는 기존 투명교정장치가 구조적으로 한계를 보여온 치료 정밀도 및 치료 예측 가능성(Torque 정밀도, Tip 정밀도, Rotation 정밀도, Transverse 정확도) 측면에서 우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형상기억 특성을 기반으로 환자의 치아에 지속적이고 균일한 힘(재료적 안정성 및 Force 유지력)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함은 적은 반면, 치아이동(교정)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편,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소재의 고도화, 신소재 개발 그리고 3D프린팅 공정 전반에 대한 기술력 강화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사업화에 성공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재 라인업 확대를 위해 기계적 물성 및 생체적합성이 더욱 개선된 신규 소재를 2024년에 개발 완료하였으며, 형상기억소재 외에도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기 등 3D프린팅 작업을 위한 하드웨어 개발과 보철 치과 소재 및 기타 의료기기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3D프린팅 소재를 지속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 고도화 노력을 통해 경쟁업체와의 기술격차를 더욱 확대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내부 연구개발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래피 연구개발 실적] |
연구개발명 | 연구기간(연월) | 정부출연금 (백만원) | 관련 제품 | 비고 |
모델 소재 개발 | 2017.01~2017.12 | - | S-1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17.06~2019.02 | - | TC-85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ABS 유사 소재 개발 | 2017.06~2018.05 | - | S-100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디지털 깁스 제작을 위한 3D프린팅용 광경화수지 신소재 개발 | 2018.06~2019.03 | 55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완료 |
증강현실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올온엑스임플란트 식립 지원 및 치아보철 솔루션 개발 | 2019.06~2020.12 | 100 | SG-100, TH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120MPa 이상 개인 맞춤형 부목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 제품화 | 2020.05~2021.03 | 400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200 MPa 이상 개인 맞춤형 의치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개발 | 2020.12~2022.12 | 400 | TC-80, THD,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터용 고기능성 Smart Materials 기술 | 2020.11~2021.03 | 112 | 3D프린팅 탄성 소재 | 개발 완료 |
DLP 기반 자동차 지그 고정구용 고내열성, 고강도 광경화성 레진개발 | 2020.09~2021.06 | 100 | 3D프린팅 자동차 지그 소재 | 개발 완료 |
모델 소재 개발 | 2020.09~2021.06 | - | S-2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 기반 신체 맞춤형 자전거 안장 대량 제조기술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 2021.04~2022.12 | 166 | 3D프린팅 자전거 안장 소재 | 개발 완료 |
개인맞춤형 영구보철을 위한 3D프린팅 나노복합 신소재 개발 | 2021.04~2023.01 | 500 | BR-23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정전기 방지가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스마트 그리퍼용 이중강성 소재 개발 | 2021.04~2022.12 | 200 | 3D프린팅 그리퍼 소재 | 개발 완료 |
질소발생기를 포함한 고광량 경화기 개발 | 2021.04~2021.11 | - | THC(Tera Harz Cure)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용 플렉시블 덴처 광경화성 소재 개발 | 2021.09~2023.08 | 400 |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2~2024.05 | - | TR-07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원심분리형 탈레진기 개발 | 2022.03~2023.09 | - | THSP(Tera Harz Spinner)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디자인 셋업 소프트웨어(DAD) 개발 | 2022.04~2024.02 | - | DA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6~2024.05 | - | TA-28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환자맞춤형 직접출력 담도 스텐트-치아교정장치용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소재 및 제품화 기술 개발 | 2023.04~2027.12 | 970 | SMA, 담도 스텐트 소재 | 개발중 |
Aligner 초음파 세척기 | 2023.08~2023.10 | - | THCA(Tera Harz Care) | 외주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자동분할 AI솔루션 | 2024.05~2024.11 | 300 | DAD, DAS | 개발 완료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저함량) | 2024.01~현재 | - | R-191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개발 | 2024.01~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Phase 1 개발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중함량) | 2024.06~현재 | - | C-191 | 개발중 |
바이오단량체 적용 올리고머 개발 | 2024.06~현재 | - | 올리고머 반제품 | 개발중 |
DAS 개발 | 2024.01~현재 | - | DAS | 개발중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 자동분할 AI 솔루션 도입 및 응용 SW 개발 | 2024.01~2024.11 | - | DAD, DAS | 개발 완료 |
오토 트림라인 기능이 포함된 투명교정장치 쉘(shell) 자동 생성 소프트웨어 | 2024.10~현재 | - | DAC | 개발중 |
친환경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25.01~현재 | - | TA 시리즈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고도화 (Multi-cyle 적용) | 2025.01~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개발중 |
자료: 당사 |
이러한 형상기억 투명 교정 장치 및 신소재 관련 기술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당사가 연구인력 등에 투자한 연구개발비용의 현황 및 향후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 연구개발비용 현황 및 전망]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현황 | 전망 | |||||
---|---|---|---|---|---|---|---|
2021년(제5기) | 2022년(제6기) | 2023년(제7기) | 2024년(제8기) | 2025년(제9기) | 2026년(제10기) | 2027년(제11기) | |
매출액 | 3,061 | 4,282 | 10,472 | 16,149 | 26,534 | 41,954 | 55,613 |
연구개발비(주2) | 1,409 | 1,372 | 2,496 | 3,970 | 4,009 | 4,099 | 4,198 |
(매출액 대비 비율) | 46.0% | 32.0% | 23.8% | 24.6% | 15.1% | 9.8% | 7.5% |
자료: 당사 | |
주1) | 자산처리되는 연구개발 비용은 없습니다 |
주2) | 국고보조금 등 차감 항목을 차감하지 않은 금액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3) |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별도기준 K-IFRS 재무제표, 2021년은 감사받지않은 별도기준 K-IFRS 재무제표 상의 수치입니다. |
한편, 당사는 상기한 핵심기술들을 특허로 철저히 보호함으로써, 후발주자들의 기술 모방 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특허출원 등으로 기술진입장벽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을 통한 선도적인 기술력 확보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시장의 기술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여 고객사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지 못할 경우, 또는 고도화된 연구인력의 유입 등 연구개발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적 차별성을 달성하지 못하여 투명 교정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실하거나, 신규사업 및 신규 시장 진출이 실패할 경우, 시장에서 당사의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마. 해외 지역별 주요 파트너십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2024년말 기준 해외매출 비중이 81.1%를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당사의 자회사 등으로 설립된 해외 법인은 존재하지 않고, 각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Dealer)와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90여 개국에서 다수의 유통회사(Dealer)와 거래를 이어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치과 교정 의료기기 또는 덴탈 소재 유통 분야에서 오랜 업력을 지니고 현지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유통회사(Dealer)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의 사업모델은 크게 당사에서 직접 SMA를 생산 공급하는 'SMA 사업'과 교정치과에 당사의 소재와 장비를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뉘며, 특히 솔루션 사업은 대부분 SMA를 최종소비자가 직접 생산하는 형태인 '인하우스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기 사업모델 중 당사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판매)하는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즉, 당사의 사업모델은 대부분 인하우스(In-house) 모델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공소 혹은 교정치과에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생산을 위한 소재 및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직접 제작·판매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사업 모델은 기공소 및 교정치과에서 최초 SMA 제작을 위한 장비세트를 구매하게되며 SMA 제작을 위해 지속적으로 당사의 SMA 소재를 구매하기 때문에 향후 특정 지역의 유통회사 또는 파트너사와의 계약이 종료된다고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소재 수요가 급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중단될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 사업구조의 특성상 현지 유통회사와의 갑작스러운 계약 해지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매출 또는 성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판매 전략은 의도와 달리 일부 유통회사의 판매 방식에 따라 당사 제품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외 유통회사 관리 실패, 불리한 판매 계약 체결, 소비자와의 관계 악화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말 기준 해외매출 비중이 81.1%를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당사의 자회사 등으로 설립된 해외 법인은 존재하지 않고, 각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Dealer)와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90여 개국에서 다수의 유통회사(Dealer)와 거래를 이어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치과 교정 의료기기 또는 덴탈 소재 유통 분야에서 오랜 업력을 지니고 현지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유통회사(Dealer)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당사의 글로벌 유통회사 구축 현황 및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의 현황과 당사의 최근 3개년 주요 매출처에 대한 매출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글로벌 유통회사 구축 현황] |
|
자료: 당사 |
[당사 주요 매출처 최근 3개년 매출 추이] |
(단위: 백만원) |
매출처명 | 국가 | 2024년 | 2023년 | 2022년 |
C社 | 일본 | 2,298 | 874 | 171 |
덴트리온 | 대한민국 | 1,164 | - | - |
TD&S | 멕시코 | 691 | 92 | - |
APEX Digital Dental SDN BHD | 말레이시아 | 457 | - | - |
Libral Traders Pvt Ltd | 인도 | 438 | 30 | - |
Concern Ltd. | 대만 | 437 | - | - |
F社 | 일본 | 405 | 126 | 24 |
Wahaj Group LLC | 사우디아라비아 | 359 | 136 | - |
YEN CO. S.R.L. | 이탈리아 | 332 | 601 | 192 |
NABIGATE GMBH | 독일 | 321 | 750 | - |
주1) | 당사의 2024년 매출액 상위 10개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 일본 일본 시장의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현지 투명교정장치 교육 및 기공소 운영 회사인 F社와 독점 계약을 체결하고 치과 소재 및 3D프린팅 관련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2년 최초 일본 시장 진출 당시 F 社 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사업 초기 F 社 의 유통 라이선스 미확보 등의 이슈로 현지 치과재료 및 장비 유통 전문 업체인 C 社 와 계약을 체결하여 일본내 마케팅 활동은 F 社 가 수행하고 판매활동은 C 社 가 수행하는 형태로 최근까지 거래를 이어 왔으며, 2025년 4월 30일자 변경 공급계약(Exclusive Partnership & Distribution Agreement)을 통하여 다시 F 社 에게 직접 제품을 공급하는 구조로 일본 사업구조를 변경하였습니다.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본 증권신고서의 'Ⅲ.투자위험요소-1.사업위험-차. 일본시장 내 판매 업체 변경에 따른 위험'에 기재하였습니다.) 일본시장에 대한 매출액은 C 社 를 통한 2022년 최초 거래 이후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당사의 C 社 를 통한 2024년 일본 매출액은 약 23억원으로 2023년 매출액인 약 8.7억원 대비 162.9% 증가하였습니다. ■ 유럽 당사는 이탈리아의 민간 치과기자재 전문 기업인 YEN CO. S.R.L.을 통해 이탈리아 현지에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YEN CO.는 유통회사 채널(70%)과 병원·기공소·교육기관 대상의 직판 구조(30%)가 병행된 다채널 매출 모델을 통해, 시장 내 리스크 분산과 동시에 반복 매출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 및 Revello 등 기술 차별성이 높은 공급사와의 협업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안정적인 수요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소재는 YEN CO.가 진행 중인 이탈리아 내 임플란트 및 교정 브랜드와의 공동 개발 프로젝트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단순 공급사 이상의 공동 가치 창출 파트너로 기능함으로써 수요 고착화 및 채널 연계 매출 확대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독일의 Forestadent Bernhard Forster GmbH)와 2023년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당사의 대표 소재인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의 글로벌 유통 및 임상 적용 확대를 위한 협업을 본격화하였습니다. Forestadent는 독일에 본사를 둔 정밀 교정장치 전문 제조사로, 1907년 설립되어 현재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글로벌 교정 솔루션 공급사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5년 상반기 중 독일의 치과 치료 시스템 및 심미 보철 솔루션 전문 기업인 Medentis Medical GmbH와 신규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Medentis는 당사의 기존 거래처로 2024년 12월부터 당사와 거래 관계를 이어왔으며 본 계약을 통해 Medentis는 당사의 시스템과 소재를 통해 자체 브랜드 기반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를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대량생산 모델 런칭 사례 및 유럽시장 내 당사 소재를 기반으로 생산된 투명교정장치의 임상 케이스를 다수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당사는 독일 SCHEU-DENTAL GmbH와의 신규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유럽내(우선지역: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프랑스) 당사 제품 공급을 확대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SCHEU-DENTAL GmbH는 당사의 기존 거래처 중 하나로 자회사인 CA Digital GmbH를 통해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를 통해 영위 중이며 3D프린팅 관련 제품(3D프린터, 후경화기, 레진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 남미 당사의 남미지역 매출의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멕시코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의 교정 관련 부품 및 소재 전문 공급기업인 TD&S는 당사와 2023년 최초 거래 후 지속적으로 재구매가 발생하고 있으며 당사의 TD&S 向 2024년 매출액은 2023년 대비 749.2% 증가하였습니다. TD&S는 당사의 연자(speaker)인 Dr. Ravindra Nanda, Dr. Kenji Ojima, Dr. Ignacio Cepeda를 초대하여 멕시코 주요 도시에서 주기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는 한편 주요 학회 참여를 통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고 이를 통해 멕시코 시장내 그래피 인지도 상승에 큰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TD&S는 현재 멕시코 현지의 약 60여명의 고객에게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다양한 홍보 활동을 지속하고 있어 25년에는 약 2배 수준의 고객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D&S는 2025년도 하반기 중 중남이 거점 기지의 역할을 할 파나마 지역까지 당사의 제품 판매를 확대할 예정입니다.상기 주요 시장 외에도 당사는 대만, 인도, 중동 등 다양한 지역의 치과 교정 분야에서 오랜 업력을 지니고 현지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파트너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의 사업모델은 크게 당사에서 직접 SMA를 생산 공급하는 'SMA 사업'과 교정치과에 당사의 소재와 장비를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뉘며, 특히 솔루션 사업은 대부분 SMA를 최종소비자가 직접 생산하는 형태인 '인하우스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모델별 판매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 사업모델별 판매 구조] |
|
자료: 당사 |
상기 사업모델 중 당사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판매)하는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즉, 당사의 사업모델은 대부분 인하우스(In-house) 모델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공소 혹은 교정치과에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생산을 위한 소재 및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직접 제작·판매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사업 모델은 기공소 및 교정치과에서 최초 SMA 제작을 위한 장비세트를 구매하게되며 SMA 제작을 위해 지속적으로 당사의 SMA 소재를 구매하기 때문에 향후 특정 지역의 유통회사 또는 파트너사와의 계약이 종료된다고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소재 수요가 급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중단될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국내 및 해외 판매과정에서 대부분 유통회사를 통해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요 판매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는 대부분 치과 교정 관련 분야에서 오랜 업력 및 전문성을 보유하고있으며 당사와의 거래 금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매출 지속성 및 성장성 측면에서 우려할만한 사항은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는 150여 개 해외 유통회사와 판매를 진행하고 있어 유사한 시점에 다수의 유통회사로부터 계약이 갑작스럽게 해지될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일부 갑작스러운 해지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 사업구조의 특성상 현지 유통회사와의 갑작스러운 계약 해지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매출 또는 성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판매 전략은 의도와 달리 일부 유통회사의 판매 방식에 따라 당사 제품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외 유통회사 관리 실패, 불리한 판매 계약 체결, 소비자와의 관계 악화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해외 사업 관련 위험 당사는 2024년도 연결기준 해외매출 약 81.1%, 국내매출 약 18.9%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국내 보다 해외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특히 제품 인지도 및 신뢰도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써왔으며,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신속히 의료기기 인증 및 인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그 결과 미국 FDA, 유럽 CE, 일본 PMDA, 브라질 ANVISA, 호주 TGA 등 주요 국가(지역)의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누적 90여 개국 150여 개 유통회사와 거래하고 있습니다.해외 비중이 높은 당사의 실적은 해외 치과교정 시장의 성장세 혹은 둔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관련 동향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에도 해외지역에서 발생되는 매출은 국가별로 예상치 못한 정치 및 지정학적 문제, 통신 관련 정책 변화, 해외 주요 거래처의 사업정책 변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해외 매출은 상대적으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매출처를 다양화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해당 국가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수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거나 무역갈등이 존재하는 국가에 소재하는 매출처로부터 매출채권 회수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시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해외 영업 네트워크 확보의 지연, 관련 제도의 변동 가능성, 현지 정치적 이슈로 인한 사업 불확실성, 현지 법적 규제나 인허가 이슈 등의 사유로 인하여 해외 매출이 당사 예상보다 저조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도 연결기준 해외매출 약 81.1%, 국내매출 약 18.9%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국내 투명교정 시장은 이제 막 도입기를 지나고 있는 상황으로 글로벌 시장 대비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이에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국내 보다 해외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특히 제품 인지도 및 신뢰도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써왔으며,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신속히 의료기기 인증 및 인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그 결과 미국 FDA, 유럽 CE, 일본 PMDA, 브라질 ANVISA, 호주 TGA 등 주요 국가(지역)의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90여 개국 150여 개 유통회사와 거래하고 있습니다.
[당사 품목별 매출 및 국내/수출 비중] |
(단위 : 원) |
매출유형 | 품목 | 매출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제품 | 소재 | 국내 | 248,960,399 | 11.0% | 1,262,212,965 | 7.8% | 982,291,154 | 9.4% | 545,458,331 | 12.8% |
수출 | 1,001,025,856 | 44.0% | 5,562,579,177 | 34.5% | 3,059,759,096 | 29.3% | 1,276,808,000 | 30.0% | ||
소계 | 1,249,986,255 | 55.0% | 6,824,792,142 | 42.3% | 4,042,050,250 | 38.7% | 1,822,266,331 | 42.8% | ||
HW | 국내 | 16,134,545 | 0.7% | 303,135,068 | 1.9% | 379,591,814 | 3.6% | 248,525,002 | 5.8% | |
수출 | 343,008,923 | 15.1% | 2,530,879,336 | 15.7% | 2,938,129,250 | 28.1% | 1,207,713,458 | 28.4% | ||
소계 | 359,143,468 | 15.8% | 2,834,014,404 | 17.6% | 3,317,721,064 | 31.8% | 1,456,238,460 | 34.2% | ||
상품 | 3D 프린터 등 | 국내 | 45,993,772 | 2.0% | 1,385,988,028 | 8.6% | 407,840,055 | 3.9% | 313,918,634 | 7.4% |
수출 | 525,919,645 | 23.1% | 4,458,209,991 | 27.6% | 2,397,643,959 | 22.9% | 623,639,975 | 14.6% | ||
소계 | 571,913,417 | 25.2% | 5,844,198,019 | 36.2% | 2,805,484,014 | 26.9% | 937,558,609 | 22.0% | ||
기타 | 국내 | 8,230,183 | 0.4% | 93,219,907 | 0.6% | 33,587,272 | 0.3% | 18,876,819 | 0.4% | |
수출 | 84,311,796 | 3.7% | 528,279,817 | 3.3% | 249,091,072 | 2.4% | 22,572,596 | 0.5% | ||
소계 | 92,541,979 | 4.1% | 621,499,724 | 3.9% | 282,678,344 | 2.7% | 41,449,415 | 1.0% | ||
합계 | 국내 | 319,318,899 | 14.0% | 3,044,555,968 | 18.9% | 1,803,310,295 | 17.3% | 1,126,778,786 | 26.5% | |
수출 | 1,954,266,220 | 86.0% | 13,079,948,321 | 81.1% | 8,644,623,377 | 82.7% | 3,130,734,029 | 73.5% | ||
소계 | 2,273,585,119 | 100.0% | 16,124,504,289 | 100.0% | 10,447,933,672 | 100.0% | 4,257,512,815 | 100.0% |
자료: 당사 | |
주1) | 상기 매출액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해외 비중이 높은 당사의 실적은 해외 치과교정 시장의 성장세 혹은 둔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관련 동향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에도 해외지역에서 발생되는 매출은 국가별로 예상치 못한 정치 및 지정학적 문제, 통신 관련 정책 변화, 해외 주요 거래처의 사업정책 변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당사는 해외사업의 전략적인 대응을 위하여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에 현지 법인 설립하여 운영할 계획 중에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투명교정 시장으로, 교정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타국가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기피하고 미국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현지법인을 통해서만 거래하려 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미국 현지법인 설립은 당사에게 매우 중요한 미국시장 진출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등 주요시장 현지법인 설립은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장을 통해 확보되는 공모자금 중 일부를 현지법인 설립에 사용할 계획입니다.해외 매출은 상대적으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매출처를 다양화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해당 국가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수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거나 무역갈등이 존재하는 국가에 소재하는 매출처로부터 매출채권 회수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시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해외 영업 네트워크 확보의 지연, 관련 제도의 변동 가능성, 현지 정치적 이슈로 인한 사업 불확실성, 현지 법적 규제나 인허가 이슈 등의 사유로 인하여 해외 매출이 당사 예상보다 저조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사. 미국의 관세 정책 관련 위험 2025년 1월 20일, 자국 내 제조업 부흥과 이를 위한 무역장벽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 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고율 관세로 인한 글로벌 무역 위축 및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월 멕시코 및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전 세계 교역 대상국에 대한 보편적인 상호 관세안을 발표했을 뿐 아니라, 중국 등 일부 개별 국가에는 특별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알루미늄, 철강 등 일부 수입 품목에 개별 품목 관세를 적용하는 등 폭넓은 관세 ·비관세 무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당사의 2024년말 기준 미국시장내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6.8%수준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미국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지 않으며 향후 계획하고 있는 미국 시장내 SMA 완제품 판매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및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현지 생산 및 판매를 계획하고 있는 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당사의 미국시장내 매출규모가 커지는 경우 고율 관세 등 미국 정부의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본격화된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및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위축시키고, 세계 경제 회복세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트럼프 정부는 출범 초기라는 점에서 고율 관세를 포함한 정책 방향의 변동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미국 시장의 관세 정책, 규제 및 대외 변수에 따라 당사의 사업 및 경영성과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1월 20일, 자국 내 제조업 부흥과 이를 위한 무역장벽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 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고율 관세로 인한 글로벌 무역 위축 및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월 멕시코 및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전 세계 교역 대상국에 대한 보편적인 상호 관세안을 발표했을 뿐 아니라, 중국 등 일부 개별 국가에는 특별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알루미늄, 철강 등 일부 수입 품목에 개별 품목 관세를 적용하는 등 폭넓은 관세 ·비관세 무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세부 사항은 국가별 협상 결과 및 미국 내외부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3월 전 세계 교역국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하였으나, 04월 09일 중국을 제외한 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를 발표하였습니다.중국 ·EU 등 글로벌 주요국가들은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시행하며 무역 분쟁의 위험이 고조되기도 하였습니다. EU의 경우 지난 3월 13일 이후 미국에 대한 연이은 보복 관세를 발표하였고, 중국 역시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를 두 차례 상향 조정해 125%로 인상함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후 미국과 교역국 간의 협상이 진척되며 각 국가들은 상호 관세 적용을 유예 혹은 축소하였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25년 07월 07일(미국 현지시각), 서한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상호관세율을 08월 0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내용을 통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초 2025년 07월 0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던 상호관세 부과 시점은 08월 01일로 연기되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의 내용] |
구분 | 대상국가(품목) | 수입품 적용 관세율 |
국별 관세 | 전세계 | 보편관세 10%, 상호관세를 중국 제외 90일간 유예 |
중국 | 20%(2/4 10%, 3/4 10% 부과) | |
캐나다, 멕시코 | 25%(캐나다 일부 에너지 품목은 10%) | |
영국 | 10%(차량 10만대 한정), 철강과 알루미늄은 0% | |
품목별 관세 | 철강, 알루미늄 | 25%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 25%(승용차부터 개시) | |
구리 및 목재 |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거 조사 중 | |
반도체 및 의약품 | 미정(반도체는 4/11부터 상호관세에서 개별관세로) |
자료: 국제금융센터(KCIF) |
한편,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국 시장에 형상기억소재 및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 장비를 포함한 제품 및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2024년말 기준 당사의 미국向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6.8%(연결기준) 수준으로 당사의 미국에 대한 매출 의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투명교정 시장으로 당사는 사업 확장을 위해 미국 시장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직접 공급(SMA 사업)을 통한 미국시장내 매출 확대를 계획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당사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및 현지법인의 설립을 통해 사업을 영위할 예정입니다. 이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과는 별개로 교정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타국가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기피하고 미국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현지법인을 통해서만 거래하려 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당사는 설립 예정인 미국 법인에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며 이를 기반으로 SMA 완제품은 미국 현지법인에서 생산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미국시장내에 공급되는 SMA 완제품의 경우 미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당사의 미국 시장 진출에 따른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현재 당사가 판매하는 3D프린터는 중국에서 생산된 상품을 공급하고있으나 미국의 중국을 상대로한 고율 관세 정책을 고려하여 미국에 공급하는 3D프린터의 경우 미국 현지 업체가 생산한 상품을 구매하여 공급할 예정입니다.한편, 당사의 과거 3개년 및 최근분기의 원재료 매입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는 대부분의 원재료를 국내(2024년 기준 전체 원재료 매입금액의 87.2%)에서 매입하고 있어 관세와 관련된 정책변경으로 인해 원재료 가격 변동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해외 원재료 매입처는 모두 중국 현지 업체로 중국에서 매입하는 원재료의 경우 결제통화는 USD 입니다.
(단위: 백만원, USD) |
매입유형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원재료 | 국내 | 76 | 86.4% | 1,839 | 87.2% | 1,581 | 81.0% | 1,018 | 84.5% |
수입 | 12(USD 9천) | 13.6% | 269(USD 197천) | 12.8% | 372(USD 285천) | 19.0% | 187(USD 145천) | 15.5% | |
소계 | 88 | 100.0% | 2,108 | 100.0% | 1,953 | 100.0% | 1,205 | 100.0%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재무 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의 2024년말 기준 미국시장내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6.8%수준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미국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지 않으며 향후 계획하고 있는 미국 시장내 SMA 완제품 판매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및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현지 생산 및 판매를 계획하고 있는 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당사의 미국시장내 매출규모가 커지는 경우 고율 관세 등 미국 정부의 정책이 당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본격화된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및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위축시키고, 세계 경제 회복세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트럼프 정부는 출범 초기라는 점에서 고율 관세를 포함한 정책 방향의 변동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미국 시장의 관세 정책, 규제 및 대외 변수에 따라 당사의 사업 및 경영성과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 신규사업 및 신규 지역 진출 관련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3D프린팅 소재 개발'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3D프린팅용 광경화성 레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 · 합성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추게 되었으며 올리고머 자체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을 개발했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소재 기술을 통해 투명 교정장치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물성을 지닌 3D프린팅 레진 개발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의료 및 일반산업 분야에서의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사업의 미국, 중국 등 신규 지역에 대한 사업 진출 및 확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미국은 전세계 투명교정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입니다. 당사는 미국시장에 진출을 위해 그동안 많은 기업 또는 유명 교정 전문의들과 파트너 관계를 쌓아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당사는 법인설립을 통한 빠른 현지화 전략이 최선의 전략이라는 판단하에 현재 이를 준비중입니다. 한편, 중국시장은 소득증가, 고령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가로 치과산업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장입니다. 당사는 효율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중국 현지의 유수의 덴탈기업 A社와 2025년 03월 중 MOU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A社는 당사의 중국 내 공식 파트너로서 상업적 프로모션 및 유통 협력을 함께 수행할 예정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A社는 당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제조에 대한 중국내 의료기기 인증 절차를 진행중에 있으며 최종 인증 등록은 2026년 상반기 중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상기와 같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존 사업 분야의 신규시장 및 신규 사업분야의 진출을 추진중에 있으며 이러한 신규 시장 및 신규 사업의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당사가 신규사업에 투입하는 회사의 인력, 시간, 영업비용 등은 단기간 내에는 회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사업에서 고객사 확대에 따른 변동성 증가, 신규 제품의 고객사 수요 부진 등에 따라 유의미한 매출 및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이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더라도, 신규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확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추정한 향후 사업계획은 신규 사업 진출 진척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만일 사업계획 보다 신규 사업의 진출이 늦어질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설립 이후 '3D프린팅 소재 개발'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3D프린팅용 광경화성 레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 · 합성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추게 되었으며 올리고머 자체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을 개발했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소재 기술을 통해 투명 교정장치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물성을 지닌 3D프린팅 레진 개발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의료 및 일반산업 분야에서의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의료산업 진출을 목표로 여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으로는 현재 정부과제로 진행 중인 담도관 스텐트 개발이 있습니다. 담도관 스텐트는 담도 폐쇄증(담즙의 통로인 담도가 막히는 질환)으로 인해 좁아진 담도을 넓히기 위해 환자의 담도에 삽입하는 의료기기로 당사는 당사의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로 담도관 스텐트를 개발하는 연구과제를 수행중에 있습니다. 이는 심바이오틱 표면처리 기술과 나노소재 이종재료 복합화 기술을 개발하고 해당기술이 적용된 스텐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하며 단순히 담도관 스텐트를 개발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향후 당사가 개발하게 될 모든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습니다. 이는 향후 당사의 의료산업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서 기술개발 추진 일정에 따라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연구개발 현황에 대한 연차보고서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 제출하고 있습니다. 해당 과제가 계획대로 진행되는 경우 2027년 중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 소재'의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는 개발 완료 예정인 소재에 대하여 의료기기 인증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상기 담도관 스텐트 연구개발과 관련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담도관 스텐트 연구개발 개요] |
연구개발과제명 | 환자맞춤형 직접 프린팅 담도 스텐트-치아교정장치용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소재 및 제품화 기술개발 |
중앙행정기관명 | 산업통상자원부 |
전문기관명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전체 연구개발기간 | 2023.04.01 - 2027.12.31(4년 9개월)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 4,850,000천원 |
주관연구개발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동연구개발기관 | - ㈜그래피- 이원의료재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 | University of Michigan |
자료: | 연구개발계획서(환자맞춤형 직접 프린팅 담도 스텐트-치아교정장치용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소재 및 제품화 기술개발) |
당사는 상기 표면처리 기술과 해당기술이 적용된 담도관 스텐트에 대한 특허를 2024년 12월에 출원 완료하였으며 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담도관 스텐트 관련 특허 출원 내역] |
No. | 발명의 명칭 | 출원일 | 출원번호 |
1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 | 2025.01.07 | 10-2025-0002009 |
2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 | 2025.01.07 | 10-2025-0002011 |
3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 | 2025.01.07 | 10-2025-0002012 |
자료: 당사 |
또한,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사업의 미국, 중국 등 신규 지역에 대한 사업 진출 및 확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미국은 전세계 투명교정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입니다. 당사는 미국시장에 진출을 위해 그동안 많은 기업 또는 유명 교정 전문의들과 파트너 관계를 쌓아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당사는 법인설립을 통한 빠른 현지화 전략이 최선의 전략이라는 판단하에 현재 이를 준비중입니다. 미국은 이미 투명교정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당사의 인하우스(In-house)모델과 SMA 사업모델(SMA 직접 공급)을 동시에 전개할 계획입니다. 미국시장은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시장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격적인 사업 전개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 제품과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를 통해 미국 GMP 인증을 획득할 계획중입니다.
한편, 중국시장은 소득증가, 고령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가로 치과산업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장입니다. 당사는 효율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중국 현지의 유수의 덴탈기업 A社와 2025년 03월 중 MOU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A社는 당사의 중국 내 공식 파트너로서 상업적 프로모션 및 유통 협력을 함께 수행할 예정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A社는 당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제조에 대한 중국내 의료기기 인증 절차를 진행중에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장비 및 소모품 구매 및 샘플 생산을 통한 내부 검증 단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술한 중국내 의료기기 최종 인증 등록은 2026년 상반기 중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중국내 의료기기 등록 (예상)일정표] |
단계 | 시작일 | 종료일 | 상태 |
데이터 수집 | 2025년 02월 중 | 2025년 03월 중 | 완료 |
3D 프린트 재료 및 장비 조사 | 2025년 03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MPA와 면담 | 2025년 03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공정 프로세스 확인 | 2025년 04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장비 및 소모품 구매 | 2025년 05월 중 | 2025년 07월 중 | 진행중 |
내부 검증 | 2025년 07월 중 | 2025년 09월 중 | 진행중 |
샘플 생산 | 2025년 06월 중 | 2025년 08월 중 | 진행중 |
제품 검사 | 2025년 06월 중 | 2025년 12월 중 | 진행중 |
인증서 등록 | 2025년 12월 중 | 2026년 05월 중 | 예정 |
자료: 당사 |
상기와 같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존 사업 분야의 신규시장 및 신규 사업분야의 진출을 추진중에 있으며 이러한 신규 시장 및 신규 사업의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당사가 신규사업에 투입하는 회사의 인력, 시간, 영업비용 등은 단기간 내에는 회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사업에서 고객사 확대에 따른 변동성 증가, 신규 제품의 고객사 수요 부진 등에 따라 유의미한 매출 및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이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더라도, 신규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확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추정한 향후 사업계획은 신규 사업 진출 진척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만일 사업계획 보다 신규 사업의 진출이 늦어질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자. SMA 사업모델(SMA 직접공급) 확대에 따른 위험 당사의 판매 구조(사업모델)는 크게 당사가 SMA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공급하는 SMA 사업과 소비자가 SMA를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소재, 장비 등을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뉩니다. 솔루션 사업은 다시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OEM 모델로 세분류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당사는 장기적으로 국내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당사가 SMA를 직접 생산하여 공급하는 사업(SMA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SMA 사업은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달리, SMA 생산 장비를 직접 갖추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SMA 생산 장비 구비와 본인이 직접 생산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는 고객에게 좋은 대안으로서 SMA 도입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줍니다. 다만, SMA 사업의 경우 당사에서 SMA 제품을 직접 생산하여 공급한다는점에서 고객 수요 대응 및 제품의 품질 등 측면에서의 고객의 당사에 대한 신뢰도 확보가 중요하며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직접 SMA를 생산 및 공급하여야하는만큼 당사의 SMA 공급 역량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합니다. 이처럼 당사는 중장기적 측면에서 SMA를 직접 생산하고 공급하는 SMA 사업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브랜드 신뢰도(인지도) 확대 및 공급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가 당사가 기대한 수준의 실적 개선 등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 이는 당사의 이익률 등 재무구조에 부담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SMA 사업의 확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당사의 매출처 다변화 및 실적 확대가 제한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성장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판매 구조(사업모델)는 크게 당사가 SMA를 생산하여 완제품 형태로 공급하는 SMA 사업과 소비자가 SMA를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소재, 장비 등을 공급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나뉩니다. 솔루션 사업은 다시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OEM 모델로 세분류 됩니다. 인하우스 모델은 최종소비자(치과 등)가 치과 원내(In-house)에서 SMA를 직접 생산하여 치료에 사용하는 형태로, 원내 SMA 생상 장비를 구비하는것 만으로도 환자 진료 후 지체없이 SMA를 생산하여 당일 치료 착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투명교정장치들의 주문 생산 방식 대비 경쟁 우위를 지닙니다. OEM 모델은 당사의 SMA 솔루션(소재, 장비 등)을 도입하고자 하는 거래 상대방(얼라이너 사업자, 대형기공소)을 대상으로 당사 소재, 장비를 공급하는 모델입니다. 거래 상대방은 당사로부터 형상기억소재나 장비를 공급받아 개별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당사에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SMA 사업의 주요 대상은 국내시장이며, 이와 관련한 2024년 매출액은 약 2.9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당사의 사업모델별 판매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 사업모델별 판매 구조] |
|
자료: 당사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SMA 사업(SMA 직접 공급)은 국내 일부 교정치과를 대상으로 국한되어 있으나, 당사는 장기적으로 국내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당사가 SMA를 직접 생산하여 공급하는 사업(SMA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SMA 사업은 인하우스(In-house) 모델과 달리, SMA 생산 장비를 직접 갖추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SMA 생산 장비 구비와 본인이 직접 생산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는 고객에게 좋은 대안으로서 SMA 도입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줍니다. 따라서, SMA 사업모델의 확대는 당사의 매출처 다변화 및 매출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다만, SMA 사업의 경우 당사에서 SMA 제품을 직접 생산하여 공급한다는점에서 고객 수요 대응 및 제품의 품질 등 측면에서의 고객의 당사에 대한 신뢰도 확보가 중요하며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직접 SMA를 생산 및 공급하여야하는만큼 당사의 SMA 공급 역량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나가는 중소업체로 기존의 글로벌 대형 투명교정 업체 대비 인지도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위를 갖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당사는 우선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주요 연자들을 앞세워 각국의 교정전문의를 상대로 당사 제품을 적극 알리고 있으며 행사를 거듭할수록 당사 및 당사 제품의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한편, 당사는 현재 국내 교정치과를 상대로 직접 생산 및 공급하는 SMA의 경우 본사에 갖추어진 생산 설비를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내 SMA 사업에 대한 수요는 중단기적으로는 현재 본사에 갖추어진 생산 설비를 통해 대응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SMA 사업에 대한 국내 고객의 수요가 크게 확대되는 경우 이에 대응 하기 위한 생산설비의 증설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향후 미국 시장의 진출을 위해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기공소를 인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미국 시장내 SMA 직접 생산을 위한 공급 역량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이처럼 당사는 중장기적 측면에서 SMA를 직접 생산하고 공급하는 SMA 사업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브랜드 신뢰도(인지도) 확대 및 공급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가 당사가 기대한 수준의 실적 개선 등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 이는 당사의 이익률 등 재무구조에 부담으로 작용하여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SMA 사업의 확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당사의 매출처 다변화 및 실적 확대가 제한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성장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차. 일본시장 직접 거래처 변경에 관한 위험 일본 시장은 당사 매출의 약 18.8%(2024년도 연결기준)을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으로 당사의 일본시장 내 2024년도 매출은 약 30.3억원으로 2023년 약 10.2억원 대비 198.3% 성장하였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일본 현지의 투명교정장치교육 전문 회사인 F社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 시장 내 소재 및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2년 일본 시장 진출 당시 F社의 현지 의료기기 인증 및 유통 라이선스(License) 미확보 등의 이슈로 F社와의 협의를 통해 현지 치과재료 및 장비 유통 전문 업체인 C社와 별도의 공급을 체결하여 일본내 당사 제품에 대한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수행하고 판매활동은 C社가 수행하는 형태로 최근까지 거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한편, 2024년 중 F社가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F社의 일본내 당사 소재에 대한 유통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최초 계획한 형태로의 일본시장내 거래구조의 변경 차원에서 2025년 04월 중 F社와 일본 현지내 변경 공급계약(Exclusive Partnership & Distribution Agreement)을 신규로 체결하였습니다.이처럼 당사의 일본 내 주요 판매업체가 변경되었으나 이미 다수의 일본 현지 치과병원이 당사의 SMA 제작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원내 생산하고 있어 당사의 소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과거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전담하였던만큼, 일본시장내 공급업체 변경 사실이 당사의 일본내 영업활동에 끼치는 영향은 미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전술한바와 같이 당사는 기존 C社에 당사의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 당시 F社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수수료를 반영하여 공급단가를 책정하였으나 F社에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구조로 변경하게되면서 당사의 일본 시장내 제품 및 상품의 공급단가가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유로 일시적으로는 당사의 일본 시장 내 매출 금액이 감소할 수 있으나 일본내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는 치과 교정의 수는 2022년 16명에서 2024년 8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 다수의 SMA 관련 치과 강연 세미나가 계획되어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일본 현지 공급단가 감소에 따른 매출 축소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내 판매를 담당하는 업체가 변경된 후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사유로 일본시장내 주요 유통회사의 변경 사실이 일본 시장 내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경우 당사의 성장성 및 수익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도 연결기준 해외매출 약 81.1%, 국내매출 약 18.9%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또한, 당사는 해외는 대부분 유통회사를 통해 당사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본 시장은 당사 매출의 약 18.8%(2024년도 연결기준)을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으로 당사의 일본시장 내 2024년도 매출은 약 30.3억원으로 2023년 약 10.2억원 대비 198.3% 성장하였습니다.당사는 다른 해외시장과 마찬가지로 일본 시장에서도 주로 유통회사를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일본 현지의 투명교정장치교육 전문 회사인 F社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 시장 내 소재 및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2년 일본 시장 진출 당시 F社의 현지 의료기기 인증 및 유통 라이선스(License) 미확보 등의 이슈로 F社와의 협의를 통해 현지 치과재료 및 장비 유통 전문 업체인 C社와 별도의 공급을 체결하여 일본내 당사 제품에 대한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수행하고 판매활동은 C社가 수행하는 형태로 최근까지 거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당사는 F社에 마케팅 활동 수행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하였으며 C社에는 이러한 수수료를 반영한 공급가액으로 제품을 판매하였습니다. C社는 당사의 주요 연자인 Dr. Kenji Ojima의 영업 및 교육 지원하에 다수의 일본 교정치과에 당사의 형상기억소재, 경화기, 3D프린터 등을 공급해왔으며 그 결과 C社는 2022년 당사와의 최초 거래 이후 거래금액이 2022년 약 1.7억원에서 2024년 30.0억원으로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일본 시장 내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는 치과 교정의 수 또한 2022년 16명에서 2024년 8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일본 시장내 당사 소재의 도입량 역시 지속 증가하였습니다.한편, 2024년 중 F社가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F社의 일본내 당사 소재에 대한 유통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따라당사는 최초 계획한 형태로의 일본시장내 거래구조의 변경 차원에서 2025년 04월 중 F社와 일본 현지내 변경 공급계약(Exclusive Partnership & Distribution Agreement)을 신규로 체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F社에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직접 공급하고 있으며 F社는 당사의 일본 현지 유통회사(Dealer)로서 C社를 포함한 일본 현지 유통업체 및 교정치과 등에 소재 및 장비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일본 내 주요 판매업체가 변경되었으나 이미 다수의 일본 현지 치과병원이 당사의 SMA 제작 장비를 구매하여 SMA를 원내 생산하고 있어 당사의 소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과거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마케팅 활동은 F社가 전담하였던만큼, 일본시장내 공급업체 변경 사실이 당사의 일본내 영업활동에 끼치는 영향은 미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전술한바와 같이 당사는 기존 C社에 당사의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 당시 F社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수수료를 반영하여 공급단가를 책정하였으나 F社에 제품 및 상품을 직접 공급하는 거래구조로 변경하게되면서 당사의 일본 시장내 제품 및 상품의 공급단가가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유로 일시적으로는 당사의 일본 시장 내 매출 금액이 감소할 수 있으나 일본내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는 치과 교정의 수는 2022년 16명에서 2024년 8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 다수의 SMA 관련 치과 강연 세미나가 계획되어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일본 현지 공급단가 감소에 따른 매출 축소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제품의 일본 현지 내 판매를 담당하는 업체가 변경된 후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사유로 일본시장내 주요 유통회사의 변경 사실이 일본 시장 내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경우 당사의 성장성 및 수익성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카. 브랜드 인지도 및 평판 관련 위험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치과 교정시장은 매우 전문적인 지식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장으로 의학적 지식, 객관적 데이터 그리고 실제 임상사례 등을 통해 기업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당사의 경우 교정치료환자가 아니라 병원, 치과, 기공소 등에 제품을 공급하므로 교정전문의를 중심으로 브랜드 파워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주요 연자들을 앞세워 당사 제품을 적극 알리고 있으며, 행사를 거듭할수록 당사 및 당사 제품의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편,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최종 사용자는 치과 교정 치료를 받고자하는 개별 환자 고객으로 최종적인 판매를 위해서는 개별 환자 고객을 대상으로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 또한 중요합니다. 당사는 현재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 당사의 브랜드 인지도가 확대되어 본격적인 사업 확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사는 향후 개별 환자 고객 측면에서의 마케팅 전략 또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상기와 같은 전략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이 지연되거나 측하지 못한 브랜드 인지도 측면의 부정적 요소가 발생하여 고객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환경이 악화되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글로벌 투명 교정 시장은 현재 Align Technology의 Invisalign 브랜드가 2024년 기준 약 250만케이스(Align Technoloy Q4 and Fiscal 2024 Financial Results 기준)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세계 투명교정환자수가 약 500만명(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기준)으로 추정됨을 감안 하였을 때, Align Technology는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7년에는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장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해당 시점을 전후로 다수의 후발주자들이 생겨났으며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한편, 치과 교정시장은 매우 전문적인 지식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장으로 의학적 지식, 객관적 데이터 그리고 실제 임상사례 등을 통해 기업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당사의 경우 교정치료환자가 아니라 병원, 치과, 기공소 등에 제품을 공급하므로 교정전문의를 중심으로 브랜드 파워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주요 연자들을 앞세워 당사 제품을 적극 알리고 있으며, 행사를 거듭할수록 당사 및 당사 제품의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세계 각지에 약 100여명의 글로벌 연자(speaker)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연자들은 각종 국제행사에서 강연 및 세미나를 진행하여 당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글로벌 인지도 향상 및 인식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와 같이 이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제품의 경우, 청중의 대부분은 제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지만 아직은 기술 · 제품 도입을 망설이고 있거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직접 확인한 후 도입하길 희망하는 잠재고객으로 당사 제품 구매 의사가 있는 잠재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연자(speaker)들의 설명과 실험 데이터 제시는 당사 기술과 제품을 알리고 실구매를 유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그 동안 유럽, 아시아, 중동, 남미 등 미국 외 누적 90여 개국의 고객사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는 임상, 논문 등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다수 확보하였습니다. 현재 전 세계 유수의 교정의들 다양한 임상에 당사의 교정 솔루션을 적용해보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우수성을 직접 경험하고 있으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교정력 및 제품 우수성에 관한 논문과 학술자료의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객관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와 관련하여 발표된 주요 연구논문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 기술 관련 외부 전문가 작성 주요 논문] |
제목 | 학회/논문지 | 저자 | 게재일자 |
---|---|---|---|
Biocompatibility of variable thicknesses of a novel directly printed aligner in orthodontics | Scientific Reports | Maximilian Bleilob, Claudia Welte-Jzyk, Vanessa Knode, Bjorn Ludwig, Christina Erbe | 2025.01.25 |
Comparison of the cytotoxicity of 3D-printed aligners using different post-curing procedures: an in vitro study | Australasian Orthodontic Journal | Campobasso Alessandra, Ariano Anastasia, Battista Giovanni, Posa Francesca, Migliorati Marco, Drago Sara, Lo Muzio Eleonora, Mori Giorgio | 2023.08.14 |
Cytotoxicity and estrogenicity of a novel 3-dimensional printed orthodontic aligner | AJO-DO | Harris Pratsinis, Spyridon N. Papageorgiou, Nearchos Panayi, Anna Iliadi, Theodore Eliades, Dimitris Kletsasa | 2022.07.13 |
Evaluation of mechanical changes to clear aligners caused by exposure to different liquids | Australasian Orthodontic Journal | Tarık Sarı, Hasan Camcı, Kubilay Aslantas | 2024.09.16 |
Influence of Printing Orientation on Surface Roughness and Gloss of 3D Printed Resins for Orthodontic Devices | Materials | Cecilia Goracci, Carlo Bosoni, Patrizia Marti , Nicola Scotti , Lorenzo Franchi Alessandro Vichi | 2025.01.23 |
In-house 3D-printed aligners: effect of in vivo ageing on mechanical properties |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 Esad Can, Nearchos Panayi, Georgios Polychronis, Spyridon N Papageorgiou, Spiros Zinelis, George Eliades, Theodore Eliades | 2021.05.05 |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3D printed photocurable shape memory resin for clear aligners | Scientific Reports | Se Yeon Lee, Hoon Kim, Hyun-Joong Kim, Chooryung J. Chung, Yoon Jeong Choi, Su-Jung Kim, Jung-Yul Cha | 2022.04.15 |
Surface characteristics, cytotoxicity, and microbial adhesion of 3D-printed hybrid resin-ceramic materials for definitive restoration | Journal of Dentistry | Suya Wang, Jingtao Dai, Shulan Xu, Ping Li, Ahmed Mahmoud Fouda, Burak Yilmaz, Abdulaziz Alhotan | 2024.10.31 |
A dual-layered 3D-printed appliance for pre-surgical orthopedics in infa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 Seminars in Orthodontics | PuneetBatraa, DigantThakkara, NikitaMohelaya, SanjanaMathura | 2024.11.16 |
Accelerated and hybrid orthodontic treatment using a combination of 2D lingual appliance and in-house aligner: An anterior cross-bite and TMD case report after 1-year | APOS Trends in Orthodontics | Viet Hoang, Thao Thi Nhu Dang, My Khanh Nguyen, Phuoc Hong Tran | 2024.08.08 |
Class II Correction and Crowding Treatment Using In-House Direct Printed Clear Aligner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 Cureus | Hoang Viet, Tran Hung Lam, Nguyen Ngoc Phuc, Nguyen Ngoc Lenh, Dang Thi Nhu Thao | 2024.07.21 |
Directly printed aligner therapy: A 12-month evaluation of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 AJO-DO | Vanessa Knode,Bjorn Ludwig, Jean-Marc Retrouvey, Nikolaos Pandis, Jonas Q. Schmid, Christina Erbe, Padhraig S. Flemingh | 2024.10.18 |
Direct-Printed Aligners - A Clinical Status Report | Journal of Clinical Orthodontics | BJORN LUDWIG, KENJI OJIMA, JONAS Q. SCHMID, VANESSA KNODE, RAVINDRA NANDA | 2024.11 |
In-House 3D-Printed Shape Memory Aligners for Retreatment after Fixed Retainer Failure | Journal of Clinical Orthodontics | Matias Gabriel Sivak, Yong-Min Jo, Ravindra Nanda, Till E. Bechtold | 2024.06.10 |
Shape memory aligners: A new dimension in aligner orthodontic | Journal of Aligner Orthodontics | Werner Schupp, Julia Haubrich, Mario Klingberg, Wolfgang BoisserEe, Un-seob Sim, Hoon Kim | 2023.07.03 |
Direct printing of clear aligners | Journal of Clinical Orthodontics | Ki Beom Kim, Simon Graf | 2023.08.01 |
Accuracy of orthodontic movements with 3D printed aligner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pilot study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Marco Migliorati , Sara Drago , Tommaso Castroflorio , Paolo Pesce , Giovanni Battista , Alessandra Campobasso , Giorgio Gastaldi , Filippo Forin Valvecchi , Anna De Marie | 2024.05.25 |
Comparison of dimensional accuracy between direct-printed and thermoformed aligners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Nickolas Koenig , Jin-Young Choi , Julie McCray, Andrew Hayes, Patricia Schneider, Ki Beom Kim | 2022.07.25 |
Force and moment analysis of clear aligners - Impact of material properties and design on premolar rotation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Dong-Woo Kim, Hyun-Jun Lee, Ki Beom Kim, Sung-Hun Kim, Seong-Sik Kim, Soo-Byung Park, Youn-Kyung Choi, Yong-Il Kim | 2025.03.26 |
Force Assessment of Thermoformed and Direct-printed Aligners in a Lingual Bodily Movement of a Central Incisor Over Time: A 14-day In Vitro Study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Mary Linda Remley, Gabriel Ferreira Pessoa Carvalho Miranda, Brent Bankhead, Julie McCray, Ki Beom Kim | 2023.02.09 |
Force profile assessment of direct-printed aligners versus thermoformed aligners and the effects of non-engaged surface patterns | Progress in Orthodontics | Evan Hertan, Julie McCray, Brent Bankhead, Ki Beom Kim | 2022.11.29 |
Force system of 3D-printed orthodontic aligners made of shape memory polymers: an in vitro study | Virtual and Physical Prototyping | Madina Sharif,Christoph Bourauel,Ahmed Ghoneima,Jorg Schwarze,Abdulaziz Alhotan, Tarek M. Elshazly | 2024.07.02 |
Forces and moments generated by 3D direct printed clear aligners of varying labial and lingual thicknesses during lingual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 in vitro study | Progress in Orthodontics | James Grant, Patrick Foley, Brent Bankhead, Gabriel Miranda, Samar M. Adel, Ki Beom Kim | 2023.07.10 |
Forces and moments generated during extrusion of a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clear aligners: an in vitro study | BMC Oral Health | Abraham McKay, Julie McCray, Brent Bankhead, Michael M. Lee, Gabriel Miranda, Samar M. Adel, Ki Beom Kim | 2023.07.17 |
자료: 당사 |
상기와 같은 노력을 통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 세계 90여 개국에 150여개의 유통회사를 두고 있으며 2024년에는 매출액 161억원을 달성하여 2022년 43억원 대비 매출액은 연평균 94.6%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1%로 제품의 시장성을 전세계로부터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선 2021년 '신제품 인증' 획득, 2022년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선정 그리고 2024년에는 '장영실상'을 수상하였으며 2025년에는 당사의 심운섭 대표이사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포장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에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최종 사용자는 치과 교정 치료를 받고자하는 개별 환자 고객으로 최종적인 판매를 위해서는 개별 환자 고객을 대상으로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 또한 중요합니다. 환자의 건강과 직결된 의료기기의 경우 최종 고객들은 다수의 적용 사례를 통해 안전성 및 치료 효과가 보장된 시장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선택 및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외 투명교정장치 시장의 경우 현재 Invisalign이 전체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갖고있는 만큼 투명 교정 시장은 최종 환자의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 진입 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현재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교정전문의 등을 상대로 당사의 브랜드 인지도가 확대되어 본격적인 사업 확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사는 향후 개별 환자 고객 측면에서의 마케팅 전략 또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상기와 같은 전략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이 지연되거나 측하지 못한 브랜드 인지도 측면의 부정적 요소가 발생하여 고객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환경이 악화되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타. 국내 및 해외 인증 관련 위험의료기기는 제품 판매를 위한 허가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국가별로 상이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치아 교정 장치 산업은 다른 의료소재 또는 의약품산업과 마찬가지로 높은 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산업이나, 사업화를 위해서는 각 인허가 기관으로부터 허가나 인증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지난 2020년 MFDS 2등급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동사는 GLP 기관의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과 화학적 특성 및 독성학적 평가에서 생체적합성을 확인한 동사의 주력 판매 제품 Tera Harz Clear에 대하여 국내 판매를 위한 의료기기 품목 인증 및 GMP 인증뿐만 아니라 유럽 CE Class Ⅱ인증과 미국 FDA 510(k)을 획득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고 2024년에는 일본 PMDA Class Ⅱ 인증을 추가 획득하였으며 호주, 대만, 인도 등의 개별국 인증 또한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03월 중 당사의 주요 소재인 TA-28에 대하여 유럽시장의 CE-MDR 인증 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동사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NMPA(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인증 취득 절차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격해진 규제로 인해 향후 인허가 완료에 오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의료정책 및 규제 등이 변경되거나 강화되는 경우 인허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현재 의료기기 인증 취득을 진행중인 중국 및 유럽 시장은 당사가 미국과 함께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시장으로 모종의 사유로 인증 취득 절차가 지연되는 경우 당사의 중국 및 유럽 시장 내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인증의 지연이나, 규제 및 정책변화에 따라 추가 인증을 받아야 할 경우 당사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기는 제품 판매를 위한 허가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국가별로 상이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으로는 국내 의료기기법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국내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제조업/수입업 허가, 의료기기 제조/수입 및 품질관리기준(GMP) 적합 인정과 함께 제품별로 제조/수입 품목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해외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ISO 13485, QSR, GMP 또는 이에 준하는 품질시스템 기준)과 함께 제품별로 각국의 인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유럽은 MDR 2017/745 따라 CE Marking제도, 미국은 FDA, 중국은 NMPA, 캐나다는 Health Canada 등 대부분의 국가가 자국 인허가 제도를 운영하면서 자국의 인허가를 획득한 제품에 한하여 자국내 판매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치아 교정 장치 산업은 다른 의료소재 또는 의약품산업과 마찬가지로 높은 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산업이나, 사업화를 위해서는 각 인허가 기관으로부터 허가나 인증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각 사업에서의 제품에 대한 위험 부분은 의료기기 등급으로 구분되며, 각 제품의 국내 식약처, 미국 FDA 및 유럽 CE 인증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국내외 주요 시장별 의료기기 규제 등급] |
시장 구분 | 등급분류(위험등급) | 위험도 | 규제사항 | Tera Harz Clear |
국내 시장 | 1등급 |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음 | 신고 | - |
2등급 | 잠재적 위해성이 낮음 | 시판전 인증 | O | |
3등급 | 중증도 잠재적 위해성을 갖음 | 시판전 허가 | - | |
4등급 | 고도의 위해성을 갖음 | 시판전 허가 | - | |
유럽 시장 | Class I(Class A) | 낮음 | 제조업자 보증 | - |
Class II a(Class B) | 중간 | 인증기관 인증 | O | |
Class II b(Class C) | 위험 | 인증기관 인증 | - | |
Class III(Class D) | 매우 위험 | 설계검증 자료 제출 | - | |
미국 시장 | Class I | 낮음 | 대부분의 관련 규제들 면제, 리스팅 필요 | - |
Class II | 중간 | 시판전 신고인 510k 제출 필요 | O | |
Class III | 위험 | 시판전 승인(PMA) 필요 | - |
국내외 의료기기 관련 규제상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포함한 모든 소재 및 제품은 (국내 식약처 기준) 2등급 의료기기에 해당하여 판매를 위하여는 관련 기관의 인증 취득을 필요로 합니다. 당사의 제조품목은 사람의 생명,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기이므로 시스템에 대한 인증과 시스템하에서 만들어진 제품에 대한 안정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과 각국의 의료기기 법적요건"에 대한 만족여부를 평가받아야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합니다. 그에 따라 개발된 제품에 대한 시험, 시판 전 인허가 및 품질시스템 인증 절차를 진행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난 2020년 MFDS 2등급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GLP 기관의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과 화학적 특성 및 독성학적 평가에서 생체적합성을 확인한 당사의 주력 판매 제품 Tera Harz Clear에 대하여 국내 판매를 위한 의료기기 품목 인증 및 GMP 인증뿐만 아니라 유럽 CE Class Ⅱ인증과 미국 FDA 510(k)을 획득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고 2024년에는 일본 PMDA Class Ⅱ 인증을 추가 획득하였으며 호주, 대만, 인도 등의 개별국 인증 또한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별 주요 인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제품에 대한 인허가 취득 내역] |
제품명 | 구분 | 상세 내역 | 인증번호 | 취득 일자 등 |
---|---|---|---|---|
Tera Harz Clear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20-4106 호 |
최초 취득: 2020. 02. 11 유효 기간: 2030. 08. 31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40597 | 최초 취득: 2022. 11. 03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최초 취득: 2020. 04. 27 유효 기간: 2028. 05. 2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일본PMDA | 제306AKBZX00005000 호 |
최초 취득: 2024. 01. 30 유효 기간: 2029. 01. 29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호주TGA | 456265 | 최초 취득: 2024. 07. 24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캐나다MDL | 112504 | 최초 취득: 2025. 01. 10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브라질ANVISA | 80601269002 | 최초 취득: 2023. 07. 0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만TFDA | 37357 | 최초 취득: 2025. 03. 18유효 기간: 2029. 08. 0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의료기기 시스템인증 | ISO 13485 | 22-B-0572 |
최초 취득: 2019. 12. 03 유효 기간: 2025. 12. 02 |
|
의료기기 시스템인증 | GMP | KTC-ABBA-15747 |
최초 취득: 2019. 11. 12 유효 기간: 2025. 11. 11 |
|
Tera Harz (TC-80)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0-4082 | 취득일자 : 2020-02-04유효기간 : 2030-08-31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02846 | 취득일자 : 2021-07-15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취득일자 : 2020-04-27유효기간 : 2028-12-3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만TFDA | 37338 | 취득일자 : 2024-07-29유효기간 : 2029-07-29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II (BR-23)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3-4658 | 취득일자 : 2023-04-21유효기간 : 2028-04-20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33502 | 취득일자 : 2023-11-0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취득일자 : 2021-05-21유효기간 : 2028-12-3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FlexibleDenture (TFDH)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2-4443 | 취득일자 : 2022-06-13유효기간 : 2027-06-12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22414 | 취득일자 : 2022-08-1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캐나다MDL | 113255 | 취득일자 : 2025-05-07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Denture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0-5151 | 취득일자 : 2020-12-24유효기간 : 2025-12-23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자료: 당사 |
한편, 당사는 2024년 03월 중 당사의 주요 소재인 TA-28에 대하여 유럽시장의 CE-MDR 인증 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CE-MDR은 기존 CE-MDD 대비 크게 강화된 규제로, 인증기관의 제한된 수와 높은 심사 요건으로 인해 도입 초기에는 전반적인 심사 지연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인증기관의 심사 자원 확충과 프로세스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심사 적체가 점차 해소되고 있습니다. 최근 Class IIa 의료기기의 MDR 인증 소요 기간은 약 1년 6개월에서 2년 정도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당사의 인증건 또한 작년 3월 신청 이후 원활히 심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 3분기 중 최종 MDR 인증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또한, 중국시장은 소득증가, 고령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가로 치과산업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장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NMPA(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인증 취득 절차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중국은 특유의 규제 및 사업환경으로 외국기업이 의료장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시장으로 중국국가의약제품관리국(NMPA)의 규정에 따라 당사 제품에 대한 인증 및 등록 과정이 필요하며 2~3년 이상 시간이 소요됩니다.
[중국 의료기기 분류 등급] |
분류 | 정의 | 임상여부 | 인허가 | Tera Harz Clear |
1등급 | 위험도(Risk) 낮고, 통상적인 규정을 통해그 안전성 및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의료기기 | 면제 | 신고 | - |
2등급 | 위험도(Risk) 중간이고, 엄격한 통제 관리를 통해그 안전성 및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의료기기 | 조건부면제 | 등록 | O |
3등급 | 위험도(Risk) 비교적 높고, 특별 조치엄격한 통제 관리를 통해서그 안전성 및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의료기기 | 조건부면제 | 등록 | - |
자료: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당사는 효율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중국 현지의 유수의 덴탈기업 A社와 2025년 03월 중 MOU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A社는 당사의 중국 내 공식 파트너로서 상업적 프로모션 및 유통 협력을 함께 수행할 예정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A社는 당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의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제조에 대한 중국내 의료기기 인증 절차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A社의 당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데이터 수집, 공정 프로세스 확인 등이 완료된 상태로, 향후 A社 자체 검증 및 테스트를 완료한 뒤 연내 인증서 등록까지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 소재 및 장비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중국내 의료기기 등록 (예상)일정표] |
단계 | 시작일 | 종료일 | 상태 |
데이터 수집 | 2025년 02월 중 | 2025년 03월 중 | 완료 |
3D 프린트 재료 및 장비 조사 | 2025년 03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MPA와 면담 | 2025년 03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공정 프로세스 확인 | 2025년 04월 중 | 2025년 04월 중 | 완료 |
장비 및 소모품 구매 | 2025년 05월 중 | 2025년 07월 중 | 진행중 |
내부 검증 | 2025년 07월 중 | 2025년 09월 중 | 진행중 |
샘플 생산 | 2025년 06월 중 | 2025년 08월 중 | 진행중 |
제품 검사 | 2025년 06월 중 | 2025년 12월 중 | 진행중 |
인증서 등록 | 2025년 12월 중 | 2026년 05월 중 | 예정 |
자료: 당사 |
당사는 상기와 같은 각국의 인증을 위해 자체 품질 인력과 인증 부서를 설치하여 품목허가 및 사후 관리 절차까지 이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내부의 담당 인력과 연구 개발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들을 통하여 급변할 수 있는 규제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각국의 보건 당국과의 소통을 통해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국내외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위험은 다소 제한적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격해진 규제로 인해 향후 인허가 완료에 오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의료정책 및 규제 등이 변경되거나 강화되는 경우 인허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현재 의료기기 인증 취득을 진행중인 중국 및 유럽 시장은 당사가 미국과 함께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하고 있는 시장으로 모종의 사유로 인증 취득 절차가 지연되는 경우 당사의 중국 및 유럽 시장 내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인증의 지연이나, 규제 및 정책변화에 따라 추가 인증을 받아야 할 경우 당사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수주물량 미확정 위험 당사는 제품을 정기적 수주에 의해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기공소 및 교정치과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면서 소요에 따라 소재 및 장비의 수요를 확인하고 유통회사를 통해 이를 주문하면 당사가 그에 맞게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즉 고객사와는 기본거래 계약만 체결한 후 수시로 발주 물량을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향후 수주물량에 대하여 확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향후 수주물량을 추정하는데 있어 고객사별(현재 및 잠재적 고객사 포함) 과거 추이, 주문물량, 구매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당사 제품의 수주 예상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고객사와 구두, 이메일 등을 통해 협의중인 실현가능성 높은 예상 수주물량, 수취한 구매주문서(Purchase Order)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상 수주물량에 대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추정치에 근거하여 단기 내부전략 및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당사는 해당 추정치가 충분히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정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수주물량은 현재 시점에서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고객사의 주문 물량이 감소하거나 구매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등 당사의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현재 추정하고 있는 실적 등 사업계획이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당사는 제품을 정기적 수주에 의해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기공소 및 교정치과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면서 소요에 따라 소재 및 장비의 수요를 확인하고 유통회사를 통해 이를 주문하면 당사가 그에 맞게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즉 고객사와는 기본거래 계약만 체결한 후 수시로 발주 물량을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향후 수주물량에 대하여 확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당사가 주요 매출처와 체결한 물품 공급 계약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품 공급 관련 주요 계약 체결 현황] |
계약상대방 | 계약일자 | 계약기간 |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비고 |
F社 | 2025.04.30 | 2025.04.30~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일본 |
Concern Ltd. | 2023.05.25 | 2023.05.25~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대만 |
TD&S | 2024.05.08 | 2024.05.08~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멕시코 |
Forestadent GmbH | 2022.06.20 | 2022.06.20~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독일 |
Yen Co s.r.l | 2020.09.15 | 2020.09.15~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이탈리아 |
Wahaj Group LLC | 2023.08.18 | 2023.08.18~현재 | 물품공급 기본 계약 | 사우디아리비아 |
이러한 사업 특성상 고객사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발주를 받기 때문에 사전에 발주량을 미리 파악이 어려우며, 최종 고객사의 수요 및 구매계획 등의 변경 및 실제 집행 여부 등에 따라 당사 제품 주문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향후 수주물량을 추정하는데 있어 고객사별(현재 및 잠재적 고객사 포함) 과거 추이, 주문물량, 구매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당사 제품의 수주 예상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고객사와 구두, 이메일 등을 통해 협의중인 실현가능성 높은 예상 수주물량, 수취한 구매주문서(Purchase Order)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상 수주물량에 대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추정치에 근거하여 단기 내부전략 및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당사는 해당 추정치가 충분히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정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수주물량은 현재 시점에서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고객사의 주문 물량이 감소하거나 구매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등 당사의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 당사가 현재 추정하고 있는 실적 등 사업계획이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주요제품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 관련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입니다. 인체에 접촉하거나 삽입되는 의료기기는 잠재적인 부작용 및 독성을 결정하고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국내 식약처 품목인증 및 미국 FDA 510(k) 획득 등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그러나 매우 드문 경우로 일부 환자의 경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착용시 입술 부종 및 자극, 혀 및 잇몸 부종 등 경미한 이상 반응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환자의 개별적인 면역 반응이나 당사의 제작 프로토콜 등을 준수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증상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고유의 부작용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형상기억소재 등 제품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 제품의 판매가 감소하거나 관련 당국에 의해 당사 제품의 회수, 폐기, 사용중지 등의 조치가 취해 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정성 정보 관리에 관한 규정' 제2조제3호에 따르면 부작용(Side Effect)이란 의료기기를 정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할 경우 발생한 모든 의도되지 아니한 결과를 말합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입니다. 인체에 접촉하거나 삽입되는 의료기기는 잠재적인 부작용 및 독성을 결정하고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국내 식약처 품목인증 및 미국 FDA 510(k) 등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소재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그러나 매우 드문 경우로 일부 환자의 경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착용시 입술 부종 및 자극, 혀 및 잇몸 부종 등 경미한 이상 반응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환자의 개별적인 면역 반응이나 당사의 제작 프로토콜 등을 준수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증상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고유의 부작용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당사는 환자 치료 이전에 치료 동의서를 통해 이상 반응의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개별 환자에게 고지하고 있으며 발생할 수 있는 구강 반응에 대한 이해 및 치료 진행에 대한 환자의 동의를 득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는 당사의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자 피드백 등 접수되는 문의 또는 불만사항에 대하여 내부 프로세스에 따라 사안을 검토 후 제품의 개선 또는 신규제품 개발을 검토하며, 필요시 연구·개발·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부서를 통해 제품의 개선 및 개발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관리에 관한 규정' 제5조에 따르면 의료기기취급자는 의료기기와 관련한 이상사례(부작용 중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식약처장)에게 제출할 의무가 있으며 의료인, 환자, 의료기기 소비자는 이상사례를 의료기기 취급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장은 보고된 이상사례를 검토 및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이상사례가 보고된 의료기기에 대해 회수, 폐기, 판매 금지 등 동규정 제8조에 따른 각호의 후속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관리에 관한 규정] |
제5조(이상사례의 보고) ① 「의료기기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1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7조제1항, 제33조제1항 및 제51조제1항에 따라 이상사례를 보고하고자 하는 의료기기취급자는 그 사실을 안 날부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1조제1항 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날까지 별지 제1호서식의 보고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하 "식약처장"이라 한다)에게 제출하여야 한다.(후 략) 제8조(후속조치) 식약처장은 제7조의 검토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다음 각 호 중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1. 법 제33조에 따른 검사명령 2. 법 제34조에 따른 회수, 폐기 및 봉함ㆍ봉인 3. 법 제35조에 따른 사용중지 또는 수리 등 필요한 조치 4. 법 제36조에 따른 허가의 취소, 영업소의 폐쇄, 품목류 또는 품목의 제조ㆍ수입 및 판매의 금지 또는 시행규칙 제58조에 따른 기간의 범위에서 해당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 정지 5. 삭제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형상기억소재 등 제품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 제품의 판매가 감소하거나 관련 당국에 의해 당사 제품의 회수, 폐기, 사용중지 등의 조치가 취해 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거. 치료수단 미채택 관련 위험 당사는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형상기억'과 '다이렉트 프린팅'이라는 두가지 특성을 통해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여러 특장점 및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사용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합니다. 당사는 소비자 가치 측면에서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이점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향후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차별화된 장점을 살려 시장 공략한다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당사의 이러한 사업 전략과 달리 당사 제품의 수요자인 교정의 및 최종 소비자인 교정환자가 경쟁 제품에 익숙해 교체 수요가 크지 않거나 당사보다 효과적인 대체 제품이 개발되어 시장에 진입하게 된다면 당사의 제품은 치료수단으로 미채택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당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형상기억'과 '다이렉트 프린팅'이라는 두가지 특성을 통해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여러 특장점 및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두가지 특성에 대한 설명] |
구분 | 특성 | 특장점 및 차별성 |
형상기억(Shape Memory) |
- 특정 온도(구강온도) 이상에서 형상복원- 치아이동에 이상적인 힘 발현 |
- 치아에 완벽히 적합하여 언더컷 부위에 대한 블록아웃 작업 불필요- 치아에 의도한 힘을 정확히 가할 수 있으며 추가 부착물 사용 불필요- 착용 내내 일정한 힘을 가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불편함이 적음- 초기의 교정력이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되며 신속한 치아교정 가능- 교정장치의 고온열탕 소독이 가능하여 청결한 관리 가능- 교정장치의 편안한 탈부착 가능 |
다이렉트프린팅(Direct Printing) | -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제작 | - 제작과정의 간소화 및 수작업 의존도를 낮춰 누적오차 감소- 디자인한 두께 그대로 재현하여 높은 접합력 시현, 교정 효과 제고- 부착물(어태치먼트) 없이 교정이 가능하여 높은 심미적 만족도 제공- 부착물(어태치먼트) 사용에 따른 유해물질 용충이 없어 생체적합성 우수 |
자료: 당사 |
상기와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사용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용자는 수요자(치과, 기공소 등)와 최종소비자(치료환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수요자 입장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했을 때 얻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비자 가치 (수요자인 교정의 기준)] |
구분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수익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치료 기간 | 상대적으로 짧음 (평균 8 ~ 10개월) |
진료 시간 | 상대적으로 짧음 (5분 이내, 상담 위주) |
자료: 당사 |
첫째, 교정치료를 진행했을 때 수요자가 얻게 되는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과에서 직접 3D프린팅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이는 수요자에게 더 높은 수익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둘째, 치료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정확하고 신속한 치아교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투명교정치료 대비 치료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이는 높은 만족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셋째, 진료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부착물을 사용하지 않고, 치료예측율 또한 높기 때문에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습니다. 이 역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며,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리하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의 투명교정장치 대비 ① 우수한 치아교정 효과 및 ②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므로, 수요자를 대상으로 더 높은 시장경쟁력을 지닌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최종소비자(치료환자) 입장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했을 때 얻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비자 가치 (최종소비자인 교정환자 기준)] |
구분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치료 기간 | 상대적으로 짧음 (평균 8 ~ 10개월) |
사용의 편의성 | 편리함 |
심미성 |
높음 (어태치먼트 부착하지 않음) |
통증 | 없음 또는 경미함 |
고온 살균/세척 | 가능 |
치료 대기기간 |
없음 (내원 당일 치료 착수) |
자료: 당사 |
첫째,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정확한 치아이동, 신속한 치아이동, 높은 치료예측율 등의 결과로 기존 대비 치료기간을 단축시킵니다. 둘째, 사용이 편리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 및 불편감이 거의 없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심미성이 뛰어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교정장치가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즉, 교정장치가 티 나지 않아 높은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넷째, 통증이 없거나 경미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아 이동에 이상적인 소프트한 힘을 발현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거의 없습니다. 이외 고온 살균 · 세척이 가능하다는 점, 내원 당일 지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최종소비자에게 치료 및 제품의 사용 전반에 걸쳐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기와 같은 소비자 가치 측면에서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이점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향후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차별화된 장점을 살려 시장 공략한다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당사의 이러한 사업 전략과 달리 당사 제품의 수요자인 교정의 및 최종 소비자인 교정환자가 경쟁 제품에 익숙해 교체 수요가 크지 않거나 당사보다 효과적인 대체 제품이 개발되어 시장에 진입하게 된다면 당사의 제품은 치료수단으로 미채택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당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너. 원재료 수급 및 가격변동 관련 위험 당사의 주요 제품은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 소재 및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의 생산을 위한 장비로 당사는 소재 및 장비 생산을 위한 원재료를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매입하는 주요 원재료는 소재, 질소경화기용 가공품(보드류) 및 서브 모듈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원재료 중 질소경화기 SUB모듈은 주로 해외 업체로부터 수입하고있으며 그 외 원재료의 경우 대부분 국내 업체로부터 매입하고있습니다. 당사는 원재료 수급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생산계획(Forecast)을 미리 구입처에 제공함으로써, 원재료 수급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재료 가격변동 리스크 대응 방안으로 원재료 수급라인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른 재무 변동성을 완화하고 있으며, 원재료 공급처와의 가격 협상력을 높임으로써 원재료를 합리적 가격에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향후 당사 원재료의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주요 제품은 형상기억소재 및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생산을 위한 장비로 당사는 소재 및 장비 생산을 위한 원재료를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매입하는 주요 원재료는 소재, 질소경화기용 가공품(보드류) 및 서브 모듈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원재료 중 질소경화기 SUB모듈은 주로 해외 업체로부터 수입하고있으며 그 외 원재료의 경우 대부분 국내 업체로부터 매입하고있습니다.
[주요 원재료 단가 추이] |
(단위: 원,USD/KG, EA) |
매입유형 | 품목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원재료 | 3D 프린팅 소재 | 국내 | 12,236 | 17,249 | 12,531 | 13,479 |
질소경화기 SUB모듈(기성품) | 국내 | 2,994 | 2,994 | 3,311 | 3,911 | |
수입 | 73,509(USD 50.60) | 73,509(USD 53.89) | 81,236(USD 62.23) | 94,977(USD 73.51) | ||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 국내 | 27,875 | 27,875 | 27,822 | 26,883 | |
질소경화기 SUB모듈(전장류) | 국내 | 2,219 | 2,219 | 2,161 | 2,563 | |
질소경화기 사급품 | 국내 | 2,282 | 2,282 | 3,472 | 4,950 | |
질소경화기 SUB모듈(공구류) | 국내 | 15,635 | 15,635 | 14,222 | 14,348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과 관련하여, 3D 프린팅 소재의 경우 2024년 신규 개발 및 판매중인 TA-28 생산에 따라 원재료 단가가 상승하였습니다. TA-28의 경우 소재 매입단가가 타 소재 대비 높으며 상기 3D프린팅 소재의 원재료 단가는 TA-28 및 주요 제품인 TC-85 등 주요 소재 제품의 원재료의 평균 단가입니다. 그외에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중 주요 원재료 단가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었습니다.한편, 당사의 최근 3개년도 원재료의 매입처별 매입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USD) |
품목 | 구입처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원재료 | 3D 프린팅 소재 가 | 국내 | E사 | 67 | 19.1% | 26 | 14.1% | 16 | 15.5% |
3D 프린팅 소재 나 | 국내 | B사 | 44 | 12.6% | 66 | 35.7% | 30 | 29.1% | |
3D 프린팅 소재 다 | 국내 | C사 | 44 | 12.6% | 31 | 16.8% | 16 | 15.5% | |
3D 프린팅 소재 라 | 국내 | C사 | 41 | 11.7% | 32 | 17.3% | 22 | 21.4% | |
3D 프린팅 소재 마 | 국내 | A사 | 133 | 38.0% | - | 0.0% | - | 0.0% | |
3D 프린팅 소재 바 | 국내 | D사 | 21 | 6.0% | 30 | 16.2% | - | 0.0% | |
3D 프린팅 소재 사 | 국내 | F사 | - | 0.0% | - | 0.0% | 19 | 18.4% | |
3D 프린팅 소재 아 | 국내 | G사 | - | 0.0% | - | 0.0% | - | 0.0% | |
3D 프린팅 소재 소계 | 350 | 100.0% | 185 | 100.0% | 103 | 100.0% | |||
기타소재 | 국내 | B사 | 6 | 26.1% | 75 | 54.3% | 5 | 55.6% | |
국내 | D사 | 14 | 60.9% | 34 | 24.6% | 1 | 11.1% | ||
국내 | E사 | 3 | 13.0% | 29 | 21.0% | 3 | 33.3% | ||
기타소재 소계 | 23 | 100.0% | 138 | 100.0% | 9 | 100.0% | |||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 국내 | 건영산업 | 288 | 67.4% | 325 | 68.0% | 138 | 66.3% | |
국내 | 모든방열판 | 97 | 22.7% | 93 | 19.5% | 48 | 23.1% | ||
국내 | 세모에프에이 | 42 | 9.8% | 60 | 12.6% | 22 | 10.6% | ||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소계 | 427 | 100.0% | 478 | 100.0% | 208 | 100.0% | |||
질소경화기 SUB모듈(기성품) | 국내 | (주)엘엠에이치코리아 | - | 0.0% | 135 | 26.7% | 141 | 43.0% | |
국내 | 조일교역 | 193 | 41.8% | - | 0.0% | - | 0.0% | ||
수입 | DFRobot | 76(USD 56천) | 16.5% | 51(USD 39천) | 10.1% | 26(USD 20천) | 7.9% | ||
수입 | Wuhan Wangling Intelligent Tec | 193(USD 141천) | 41.8% | 320(USD 245천) | 63.2% | 161(USD 125천) | 49.1% | ||
질소경화기 SUB모듈(기성품) 소계 | 462 | 100.0% | 506 | 100.0% | 328 | 100.0% | |||
질소경화기 사급품 | 국내 | 아이씨에스 | 53 | 86.9% | 171 | 70.7% | 201 | 100.0% | |
국내 | 제이에스티 | 8 | 13.1% | 71 | 29.3% | - | 0.0% | ||
질소경화기 사급품 소계 | 61 | 100.0% | 242 | 100.0% | 201 | 100.0% | |||
질소경화기 기타 | 국내 | 세모에프에이 | 23 | 14.1% | 35 | 28.9% | 11 | 20.8% | |
국내 | 파카솔루션 | 5 | 3.1% | 25 | 20.7% | 13 | 24.5% | ||
국내 | 맑은전자 | 23 | 14.1% | 23 | 19.0% | 10 | 18.9% | ||
국내 | 메리텍 | 87 | 53.4% | 19 | 15.7% | 3 | 5.7% | ||
국내 | 로봇마트 | 25 | 15.3% | 19 | 15.7% | 16 | 30.2% | ||
질소경화기 기타 소계 | 163 | 100.0% | 121 | 100.0% | 53 | 100.0%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 소재의 경우 핵심기술 보호 등을 고려하여 원재료의 세부명칭 및 구입처 정보는 공개하지 않으며 매입실적에 대한 총괄 정보만을 공시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비중은 각 품목내 거래처별 거래 금액의 비중입니다. |
당사는 기타소재,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질소경화기 사급품, 질소경화 기기타 등 일부 원재료에 대해 특정 매입처에 대한 매입 비중이 다소 높은(2024년 기준 단일 거래처 비중 50% 이상)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이는 해당 원재료가 독과점 시장에서 거래되거나 공급선을 바꾸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발생한 결과가 아니며 효율적인 원재료 매입을 위해 당사가 시장내 존재하는 원재료 공급자를 검토 후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공급자로부터 지속적으로 원재료를 매입하였기 때문입니다. 당사의 주요 원재료인 질소경화기 관련 SUB모듈, 사급품 등은 현재 당사의 주요 매입처를 대체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급자가 시장에 존재하여 향후 원재료와 관련한 납기 지연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해당 원재료의 경우 기술발전 등에 따라 품질 등에 중요한 영향을 받지 않아 후방산업의 기술 및 성장등에 따라 당사의 성장이 제약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한편 당사는 원재료 매입처와 경영상 중요하다고 판단할만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지 않아 원재료 매입 계약 조건에 따라 당사의 매출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 또한 낮은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당사는 원재료를 60일 이내 결제조건으로 직접수급하고 있으며, 소재 원재료의 경우 발주부터 입고까지 근무일(Working Day) 기준 7일 이내 입고되며, 하드웨어 원재료의 경우 대부분 4~8주 이내 입고됩니다. 다만, 일부 조달처로부터 입고되는 원재료는 아이템 특성상 10~12주 소요되며, 당사는 원재료 수급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생산계획(Forecast)을 미리 구입처에 제공함으로써, 원재료 수급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재료 가격변동 리스크 대응 방안으로 원재료 수급라인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른 재무 변동성을 완화하고 있으며, 원재료 공급처와의 가격 협상력을 높임으로써 원재료를 합리적 가격에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있습니다. 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향후 출하량에 대한 전망치를 세부적으로 산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재료를 일정 재고수준으로 지속 확보 ·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원재료 가격이 단기간 급변하는 상황에 대한 리스크 헷지 수단으로, 불안정한 세계 정세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인 원재료 가격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줍니다.
그럼에도 향후 당사 원재료의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더. 3D프린터 등 하드웨어 상품 매입 공급에 따른 위험 당사는 소재합성 기술 기반의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기업입니다. 3D프린팅을 위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통합솔루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당사는 SMA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 공급하고 있으나 3D프린터, 구강스캐너, 페이스(Face)스캐너는 타사의 제품을 매입하여 상품 형태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업 초기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업화 및 사업확대에 비용 및 연구개발 인력을 집중하기 위한 사업 운영의 효율 측면에서의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 당사는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을 통해 3D프린터, 구강 및 페이스 스캐너를 포함한 SMA 통합 솔루션의 전반에 걸친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요 제품인 SMA의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일부 하드웨어를 외부 업체로부터 구매하고 있어 향후 외부 업체의 하드웨어의 품질이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처의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소재합성 기술 기반의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기업입니다. 3D프린팅을 위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통합솔루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생산(3D프린팅)하고자 하는 제품을 위한 맞춤형 소재부터 해당 소재로 출력물을 디자인하고 출력하고 제품화하는 전 과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저 플랫폼 그리고 생산 프로토콜까지 직접 개발·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의 생산을 위한 통합 솔루션은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통합 솔루션 구성] |
분류 | 구성 | 제품/상품 구분 | 제품(상품)명 | 기능 및 역할 |
소재 | 형상기억 3D프린팅 소재 | 제품 | Tera Harz Clear | 특성 부여 |
하드웨어 | 질소경화기 | 제품 | Tera Harz Cure | 3D출력물 경화 |
잔여레진제거장치 | 제품 | Tera Harz Spinner | 잔여레진 제거 | |
SMA 로봇시스템 | 제품 | Tera Harz Smart Robot System | 제작 공정 자동화 | |
온열초음파세척기 | 제품 | Tera Harz Care | 보관 및 위생관리 | |
3D프린터 | 상품 | UNIZ NBEE, UNIZ UBEE 등 | 3D 출력 | |
구강스캐너 | 상품 | RAYiOS 2 | 환자 구강구조 스캔 | |
페이스스캐너 | 상품 | RAYFace | 환자 얼굴구조 스캔 | |
소프트웨어 /플랫폼 | 전용 디자인 소프트웨어 | 제품 | DAD(Direct Aligner Designer) | 디자인&셋업 |
사용자 플랫폼 | 제품 | GraphyTeams | 주문/케이스관리 등 | |
공정 | 제작 공정/프로토콜 | - | - | 제작방법/절차 규정 |
기술 | 신기술, 신제품 | - | - | 제품 업그레이드, 신제품 출시 등 |
자료: 당사 |
상기와 같이 당사는 SMA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 공급하고 있으나 3D프린터, 구강스캐너, 페이스(Face)스캐너는 타사의 제품을 매입하여 상품 형태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업 초기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업화 및 사업확대에 비용 및 연구개발 인력을 집중하기 위한 사업 운영의 효율 측면에서의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
한편, 당사는 출력속도, 광량, 광 균일도, 출력물 품질 및 공급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당사의 SMA 통합솔루션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UNIZ Technology社의 3D프린터 모델을 도입하였으며 구강 및 페이스 스캐너 또한 스캔 품질 및 공급가격 등을 고려하여 레이社의 스캐너 제품을 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을 통해 3D프린터, 구강 및 페이스 스캐너를 포함한 SMA 통합 솔루션의 전반에 걸친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요 제품인 SMA의 통합 솔루션을 구성하는 일부 하드웨어를 외부 업체로부터 구매하고 있어 향후 외부 업체의 하드웨어의 품질이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처의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 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가. 기술성장기업 특례 적용에 따른 이익 미실현 관련 위험'기술성장기업'은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 심사가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요건 등에 있어 제약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코스닥시장 기술성장특례 요건을 기반으로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6월 12일 기술평가를 신청하였으며, 2024년 8월 27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개 전문평가 기관인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과 '이크레더블'로부터 A 등급, A 등급을 취득하였습니다. 당사는 외부 전문평가 기관으로부터 사전 기술평가를 진행 후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평가특례 기준에 부합하여 코스닥시장 상장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업화 및 연구개발이 현재에도 진행 중임에 따라 설립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사업 본격화로 인한 일정 규모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손실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와 같이 기술성장특례의 적용을 받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은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의 경우에도 상기 사업위험 및 회사위험에 기술한 요인들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기술력과 성장성이 인정되는 기업인 혁신기술기업(기술특례상장)으로, 2025년 06월 04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 특례를 통해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기 위해서는 전문평가기관 2개 기관으로부터 기술평가를 받아야 하며, 당사는 3D 프린팅용 올리고머의 자체 설계 및 합성기술,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토탈 솔루션 등 3가지 핵심 기술에 대해 평가를 의뢰하여 2024년 08월 27일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과 '이크레더블'로부터 아래와 같이 각각 A등급, A등급을 취득하였습니다.
[ 전문평가기관의 종합의견 ] |
구 분 | 평 가등 급 | 종 합 의 견 |
평가기관1 | A |
신청사는 기술성 검토 대상으로 형상기억 3D 프린팅 소재 합성, 다이렉트 프린팅,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토털 솔루션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3D 프린팅용 레진, 질소경화기, AI 스마트 로봇 시스템을 포함하였음. 형상기억 고분자 소재를 활용한 투명교정장치의 기술적 완성도와 경쟁력은 양호하며, 관련 제품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체 개발 역량도 높은 수준으로 확인됨. 연구개발 활성화와 기술 인력 관리 체계는 동종 업계와 비교하여 적절하며, 목표 시장의 성장성도 양호하게 평가됨. 그러나 제품 및 서비스의 사업화 추진과 시장 점유율 확대는 미래의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기술의 완성도) 신청사가 제시한 3D 프린팅용 올리고머 설계 및 합성 기술, 형상기억소재, 토털 솔루션 등 핵심 기술은 매출 증빙, 지적재산권, 품목허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개발이 완료된 것으로 평가됨. 의료기기 제품의 대부분이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취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함을 확인함. 기술 및 품질 성능 평가와 관련된 근거 자료가 적절히 제시되었고, 특허 및 부가 요소기술의 보유 수준도 양호하여 신청사의 기술 신뢰성은 우수하다고 판단됨 □ (기술의 경쟁우위도) 신청사의 주요 제품 및 기술에 대한 형상 치수, 세포 독성, 소재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기존 기술 및 경쟁사 대비 차별성이 양호하다고 평가됨. 특히,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기술적 측면에서 Align Technology와 명확한 차별점이 있으며, 형상기억 고분자는 다양한 의료기기에 적용 가능할 정도로 기술 확장성이 높음. 그러나, 일부 제품과 기술이 경쟁사 대비 낮은 성능을 보이며, 기술적 차별성에 대한 상세 자료가 부족한 부분이 있음. 레진 조성물의 등록 특허는 권리 범위가 다소 좁을 수 있으나, 무효 가능성은 낮으며, 기술 보호 방안은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됨 □ (기술개발 환경 및 인프라) 신청사의 연구개발비는 2021년 1,409백만원에서 2022년 1,371백만원으로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2,495백만원으로 증가함. 연구개발비 증가 비율은 매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투자 비율도 2021년 46%, 2022년 32%, 2023년 23.8%로 창업 초기 중소기업 기준으로 매우 높은 편임. 2017년부터 운영된 서울소재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연구개발 전담 조직이 빠르게 구축되었음. 연구개발, 경영관리, 치과교정 분야에 적합한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경영진이 구성되어 있음. 주요 내규를 통해 보상 체계를 구축했으나, 인센티브 관련 세부 정보는 부족함. 현재 90명이 근무 중이며, 3년 이상 근속 연수를 가진 직원이 25.5%에 불과하고, 창업 이후 퇴사자 102명의 평균 근속 개월 수는 12.8개월로 인력 유지율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됨 □ (목표 시장의 잠재력) 신청사의 주요 제품인 치아 투명교정장치는 2022년 38.6억 달러에서 2030년 288.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력이 큰 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국내 시장 규모도 2023년 약 400억원으로 평가되어, 목표 시장의 규모가 양호함. 그러나 현재 시장은 Align Technology가 4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시장 지배력이 강하며, 다양한 국가의 의료법과 규제 때문에 시장 진입이 다소 어려울 수 있음. □ (제품/서비스의 사업화 수준) 신청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 프린팅과 형상기억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열성형 교정장치와는 다른 제작 방식과 유통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제품의 토털 솔루션을 직접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음. 재무적으로는 자기자본과 매출액 증가율이 긍정적이나, 수익성, 안정성, 생산성 지표는 악화되고 있으며, 영업 활동은 외부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신청사는 의료기기 품질 관리 및 인증을 갖추고 있으며, 판매처와 매출액은 한국과 일본에 집중되어 있으나, 판매처와 제품 다양성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됨 □ (제품/서비스의 경쟁력) 신청사의 투명교정장치는 Invisalign과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In-house 생산 시 단가가 최소 20% 낮아져 판매 마진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음. 그러나 임상 사례와 제품 효과성에 대한 자료의 근거가 다소 부족하며, 중소기업으로서 단기간 내 시장 점유율 확대는 어려울 수 있음. 신청사는 3D 프린터와 형상기억소재를 활용하여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서 소재와 부품, 장치 등 다양한 범위에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
평가기관2 | A | 1. 기술성동사의 핵심기술은 3D프린팅용 광경화성 소재 개발과 이를 이용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조 및 통합솔루션 공급 기술이며, 기술의 상용화 단계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미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동사는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 설계 및 합성하여 형상기억 특성을 가진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를 상용화했다. 이런 특성은 구강 내 온도에서 꾸준한 교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기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열성형 투명교정장치(TFA: Thermoforming Aligner)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높은 수준의 교정 적합도를 달성하게 되었다. 동사는 최근 3년 이내에 3D프린팅 직접출력 방식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위한 치과교정장치용 소재를 제품화 및 상용화하였고, NEP인증을 취득하였다. 주요 기술에 대한 인증으로는 '벤처기업', '이노비즈', 'ISO 13485', 'GMP' 등의 인증 실적과 국무총리표창수상 실적 등이 있다. 또한, 동사는 '범부처 임상과제'를 비롯하여 총 17건의 연구과제를 유치하여, 이 중 15건은 이미 완료하였고 현재 2건의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동사는 상기의 국가 과제 수행을 통해 치과용 3D프린팅 소재 기술의 실증을 진행하여 검증을 완료하였으며, 연세대학교에서의 비교 평가를 통해 제품의 성능을 검증받았다. 향후 인체 삽입형 의료용 스텐트 소재 개발 등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만드는 반면, 타사의 열성형 투명교정장치는 치아모델을 활용하여 열성형 플라스틱 시트를 진공열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경쟁기술은 치아 모델 제작과 시트의 트리밍 작업 등 불필요한 작업을 증가시킴은 물론이며, 해당 과정에서 발생되는 누적오차와 수작업 비율의 증가는 정교하고 정밀한 제작을 방해한다. 다시 말해, 동사의 3D프린터 직접출력방식은 경쟁기술 대비 기존의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었던 공정을 개선하는 동시에, 정확하고 정교한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평가대상기술은 투명교정장치 제작을 위한 소재, 장비, 맞춤형 교정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플랫폼 등 관련된 모든 것들을 통합솔루션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동사는 본 평가대상기술을 포함하여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의 사업화 등에 필요한 다수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등록된 특허 18건과 출원 중인 특허 8건으로 총 26건의 특허권 및 출원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3D프린팅 소재와 직접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11건이며, 3D프린팅 공정 관련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12건이다. 또한, 본 3D프린팅 제조 기반 장치의 사업과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13건이다.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재인 'Tera Harz Clear'는 개발 초기부터 원하는 기계적 물성과 유변학적 특성을 설정하고, 단량체 선정, 단량체 비율, 목표 분자량 등을 설계하는 과정을 거쳤다. 합성된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 단량체와 혼합되고, 소량의 기타 첨가제 및 광개시제가 첨가되어 완성된다. 이렇게 혼합된 재료는 각각의 원료를 분석하기 어려워, 경쟁사의 모방이 쉽지않다. 동사의 기업부설연구소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로부터 ㈜그래피 기업부설연구소(서울, 2017.06)와 ㈜그래피 울산기업부설연구소(울산, 2020.11)가 인정되어 연구개발조직으로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분자재료공학, 화학공학, 물리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치기공학, 치의학, 치과교정학 등의 관련 전공 자격을 보유한 기술인력 30명(전체 인원대비 R&D인력 비율 40%)을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 개발, 제조를 수행하고 있다. 동사는 2017년 창립 이후 총 17건의 국책과제에 참여하여 약 38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연구개발을 진행해 온 경력이 있으며, 현재 본 기술사업과 관련된 3개의 국책과제를 진행 중이다. 특히 2023년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시건대학교, 이원의료재단과 함께 3D 첨단 바이오 신소재 품목 분야 국책 과제를 주관하고 공동으로 연구 개발(R&D)을 진행하고 있다. 동사의 주요 경영진은 대표이사 '심운섭'과 상무이사 '조태연', 최고재무책임자 '박성현', 최고기술책임자 '김 훈', 최고임상책임자 '김수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Dr. Ravindra Nanda'는 최고전략책임자(CSO)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경영진 5인의 평균근속연수는 4년이고 동종업계 평균경력은 14.8년이다. 이들은 각 담당사업부를 총괄하고 있으며, 회사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2. 시장성전세계 치과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교정 치료를 받는 교정환자가 지불하는 비용 기준 산정된 것으로, 실제 기업 매출(도매) 기준 시장규모와는 차이가 있다. (도매시장의 규모는 소매시장의 약 1/4 수준) 투명교정시장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향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 기관별로 추정치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23년 기준 투명교정시장의 평균 시장 규모는 평균 약 52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평균 성장률(CAGR) 약 12.6%~25.2%로 예측되고 시장 규모는 2032년까지 평균 약 217.9억 달러에 이르게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별 살펴보면, Business Research Insights(BRI, 2024)는 2022년 시장 규모를 약 31.7억 달러로 추정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6.70%를 전망하고 있다. Fortune Business Insights(FBI, 2024)는 2023년 시장 규모를 약 38억 달러로 추정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 25.20%의 성장을 예측하고 있다. Fairfield Market Research(FMR, 2023)는 2023년 시장 규모를 약 66억 달러로 추정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9.80%를 전망하고 있다. Data Bridge Market Research(DBMR, 2022)는 2021년 시장 규모를 약 52.8억 달러로 추정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2.60%를 예측하고 있다. 투명교정 시장 내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주요 경쟁 요인은 기술 혁신, 가격 경쟁, 제품 품질, 브랜드 인지도, 그리고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투명교정 시장에서는 3D프린팅, CAD/CAM 소프트웨어, AI 기술의 도입으로 치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우위는 시장 점유율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투명교정 장치의 높은 가격은 여전히 주요한 제약 요인이다. 일부 업체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명교정 장치에 대한 상담 및 주문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교정 장치의 사용은 여전히 치과 의사의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안전성과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제품의 품질은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 요소이다. 새로운 재료 개발로 투명교정 장치의 내구성과 편안함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새로운 투명교정 재료는 얼룩과 파손에 더 강하며, 개별 치아에 맞춤화된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기도 하다. 시장 내 주요 업체들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주요 업체들은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고 있다. 이들은 지속적인 광고 캠페인과 고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 투명교정 시장은 기술 혁신, 가격 경쟁, 제품 품질, 브랜드 인지도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프린팅과 형상기억이라는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기존 열성형 교정장치와는 다른 제작방식과 유통구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제작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이들은 각자의 비즈니스모델에 따라 다양한 요구 사항을 갖는데, 동사는 이러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 소재· 장비뿐만 아니라, 제품 전반에 대한 통합솔루션(소재, 장비, 맞춤형 교정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직접 개발 및 구축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동사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사업모델 역시 다양하게(3D 프린팅 소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공급, 3D 형상제작 플랫폼 서비스 등) 넓혀가고 있다. 동사의 제품은 수요자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어, 각 제품의 판매가격과 사용목적에 따라 생산 능력이 변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별 정확한 생산능력을 산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주력 제품인 'Tera Harz Clear'를 예로 들어 설비 기준 생산 가능량을 고려하여 산출하면, 동시 생산 가능 대수와 평균 가동 시간을 고려하여 연간 378톤의 의료기기용 3D프린팅 소재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보완 투자를 통해 총 생산 능력을 47톤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동사는 특정 거래처에 대한 집중보다는 전세계의 다양한 지역에 공급하며 동사 제품의 인지도를 확산시키고 있다. 매년 많은 새로운 업체들이 거래처를 희망하고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특정업체에 대한 독점과 우선권은 지양하고 있다. 형상기억소재의 강점인 투명도, 생체적합성, 그리고 형상기억특성은 다양한 치과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성을 활용하여 투명교정장치 이외의 치과용 의료기기들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철식 장치 (Spring Aligner/Retainer), 투명 브라켓, 브라켓 간접접착트레이(Indirect Bonding Tray), 투명 수술가이드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가능성은 동사의 소재 제조 기술을 통해 소재의 투명도, 강도 등의 물성을 최적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기억소재의 색상 및 기계적 물성을 용도에 알맞게 조절하여 다양한 치과용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은 치과교정장치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사는 국내시장과 해외시장 내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인지도 확대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목표시장 내 시장점유율, 인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30조에 따른 혁신기술기업의 기술성 평가 등급에 대한 주요 내용은 하기의 표와 같습니다.
[ 전문평가의 평가등급 체계 및 등급별 정의 ] |
평가등급 | 등급별 정의 |
---|---|
AAA |
최고의 사업성을 가진 기업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음) |
AA |
매우 높은 사업성을 가진 기업 (장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준임) |
A |
높은 수준의 사업성을 가진 기업 (장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준임) |
BBB |
우수한 사업성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BB |
우수한 사업성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B |
우수한 사업성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많음) |
CCC |
보통 수준의 사업성 (장래 환경변화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CC |
보통 수준의 사업성 (장래 환경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C |
보통 수준의 사업성 (장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많음) |
D | 보통 수준 이하의 사업성 |
출처: 한국거래소 전문평가제도 운영지침 |
한편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의 유형별 외형요건은 아래와 같이 일부 차이가 존재합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신청기업 유형별 주요 외형요건 비교 ] |
구 분 | 일반기업(벤처기업 포함) | 기술성장기업 | ||
---|---|---|---|---|
수익성ㆍ매출액 기준 | 시장평가ㆍ성장성기준 |
전문평가 (기술/사업모델) |
성장성 추천 | |
주식 분산(택일, 신규상장신청일기준) |
① 소액주주 500명 이상 & ⒜ 또는 ⒝ ⒜ 소액주주 25% 미만 소유 시(청구일 기준) : 공모 10% 이상 & 소액주주 지분 25% 이상 ⒝ 소액주주 25% 이상 소유 시(청구일 기준) : 공모 5% 이상(10억원 이상) ② 소액주주 500명 이상 & 공모 10% 이상 & 공모주식수가 일정주식수 이상 주1) ③ 소액주주 500명 & 공모 25% 이상 ④ 소액주주 500명 & 국내외 동시공모 20% 이상 & 국내 공모주식수 30만주 이상 ⑤ 청구일 기준 소액주주 500명 & 모집에 의한 소액주주 지분 25% (또는 10% 이상 & 공모주식수가 일정주식수 이상 주 2)) |
|||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 등(택일) | ①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20억 원[벤처: 10억원]& 시가총액 90억원 | ① 시가총액 500억원 & 매출 30억원 &최근 2사업연도 평균 매출증가율 20% 이상 |
① 자기자본 10억원 ② 시가총액 90억원 |
|
②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20억원[벤처: 10억원]& 자기자본 30억 원[벤처: 15억원] | ② 시가총액 300억원 &매출액 100억 원 이상[벤처: 50억원] | 전문평가기관의 기술 등에 대한 평가를 받고,평가등급 중 높은 등급이 A등급 이상, 낮은 등급이BBB등급 이상일 것 | 상장주선인이 성장성을평가하여 추천한중소기업일 것 | |
③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있을 것 & 시가총액 200억원& 매출액 100억 원[벤처: 50억원] | ③ 시가총액 500억원 &PBR 200% 이상 | |||
④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50억 원 | ④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 |||
⑤ 자기자본 250억원 이상 | ||||
감사 의견 | 최근 사업연도 적정 | |||
경영투명성 (지배구조) | 사외이사, 상근감사 충족 | |||
기타 요건 | 주식양도 제한이 없을 것 등 |
주1) 일정 공모주식수: 100만주(자기자본 500~1,000억원), 200만주(자기자본 1,000~2,500억원), 500만주(자기자본 2,500억원 이상) |
상기와 같이 혁신기술기업으로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경우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이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 요건 등에 있어 제한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혁신기술기업은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므로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보이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혁신기술기업(기술특례상장)으로서 일반(벤처)기업에 비해 완화된 외형요건을 적용 받았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일반 신규상장기업 대비 낮은 수준의 영업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 당사 요약 손익계산서 ]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제9기 1분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2021년(제5기) |
매출액 | 2,274 | 16,125 | 10,448 | 4,258 | 3,046 |
영업이익(손실) | (3,636) | (9,170) | (6,978) | (7,459) | (5,062) |
당기순이익(손실) | (3,810) | (32,664) | (5,425) | (17,663) | (7,225)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1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는 현재 형상기억소재, 장비 제품 매출 및 상품 매출이 일부 발생하고 있으나, 향후 기존 제품의 고도화와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수적입니다. 현재 당사의 사업 성과가 본격화되지는 않은 상황으로, 설립 이후 재무실적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금번 공모자금 또한 대부분이 운영자금(해외법인 설립, 마케팅, 연구개발 등)으로 사용될 계획으로 당사의 사업이 정상궤도에 진입하여 안정적인 수익이 창출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자금 및 인건비, 행사마케팅비 등 고정비성 지출로 당기순손실이 예상됩니다. 이는 당사의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내외 경영환경 및 투명교정기 산업 전반의 부진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이처럼 당사는 기술성장특례의 적용을 받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지 않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투자의사결정 시 당사의 향후 매출 실현 과정 및 연구개발자금 등 사용 계획을 면밀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나. 사업계획에 근거한 추정손익 미달성 위험 당사는 2022년 43억원 , 2023년 104억원, 2024년 161억원 및 2025년 1분기 23억원의 매출을 시현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투명교정 장치 3D프린팅 제조를 위한 자체 보유 기술력 및 제품라인을 기반으로 하여 일본, 유럽, 대만, 미국, 인도 등 매년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제품 판매처가 확대됨에 따라 2022년~2024년 연결 매출액은 CAGR 94%로 가파르게 성장 중입니다.당사의 매출은 2020년 이후 최근 4개년 연평균 98%로 성장하여 시장점유율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경쟁사 대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객 편의성이 개선된 제품을 가장 많이 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은 위 사실에 기반하여 향후에도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및 마케팅 비용 투입에 따라 2024년 연결기준 영업손실 9,170백만원, 당기순손실 32,664백만원으로 3년 연속 지속 손실이 발생중입니다. 특히 2024년의 경우 기술평가수수료, 지정감사수수료 및 IPO를 위한 법률자문비용 지출, 일본 등 해외 지역 진출에 따른 마케팅성 비용 증대로 인해 영업손실이 증가하였으며,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등 금융상품 관련 파생상품평가손실 증가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내재화 및 특허 등록 완료하였으며 등록된 특허는 국내 및 해외 특허등록 34건, 특허출원 29건을 확보하여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일본, 유럽,미국, 인도 등 해외 각지 고객사 확보와 당사의기술 및 제품을 마케팅 지원 예정인 글로벌 교정 주요 연자(Speaker)를 지속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영업실적이 크게 개선할 것 예상하고 있으며, 창출가능한 영업기회를 바탕으로 당사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추정실적을 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내외부의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수준에서 사업계획에 근거하여 영업실적을 추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상기 사업계획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시점에서 미래 영업실적을 예상했으나, 경기 변동성, 산업 내 투자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투자 심리 악화, 목표 시장 내 경쟁 심화, 유관 정책과 규제의 개정, 대외적인 변수 등으로 인한 매출처 이탈 등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예측하기 어려운 체계적 위험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당사가 예측하지 못한 대내외적인 이유로 당사의 추정 매출이 변동되거나 및 추정 손익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이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상장 이후 당사가 제시한 추정 실적과 실제 실적치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는 상장 이후 공시할 사업보고서에 그 사실을 충실히 기재하고, 괴리율이 10%를 초과할 시에는 그 원인을 상세하게 기재할 예정입니다. |
당사는 2022년 43억원 , 2023년 104억원, 2024년 161억원 및 2025년 1분기 23억원의 매출을 시현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투명교정 장치 3D프린팅 제조를 위한 자체 보유 기술력 및 제품라인을 기반으로 하여 일본, 유럽, 대만, 미국, 인도 등 매년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제품 판매처가 확대됨에 따라 2022년~2024년 연결 매출액은 CAGR 94%로 가파르게 성장 중입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요약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그래피 최근 3개년 요약 연결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구분/사업연도 | 2025년 1분기(제9기)(주1)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삼덕회계법인 (-)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연결손익계산서 | 2025.01.01 ~ 2025.03.31(제9기 1분기) | 2024.01.01 ~ 2024.12.31(제8기) | 2023.01.01 ~ 2023.12.31(제7기) | 2022.01.01 ~ 2022.12.31(제6기) |
매출액 | 2,274 | 16,125 | 10,448 | 4,258 |
영업이익(손실) | (3,636) | (9,170) | (6,978) | 1,589 |
당기순이익(손실) | (3,810) | (32,664) | (5,425) | (7,459)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보고서에 따른 재무 수치를 기재하였습니다. |
당사의 주요 제품은 형상기억투명교정 3D프린팅 장치 생산을 위한 소재 제품인 형상기억소재 및 기타 소재 제품과 장비 제품인 질소경화기 및 잔여레진 제거장치, 그리고 SMA(Shape Memory Aligner) 제품 및 SMA 로봇 시스템 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사의 주요 상품은 3D 프린터, 구강스캐너 및 기타상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 제품명 | 비고 | 매출 추정 방식 |
---|---|---|---|
제품 매출 | 형상기억소재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동사가 보유한 소재 물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 자체설계 및 합성 기술을 통하여 구강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위하여 맞춤 개발된 형상기억소재 | 각 주요 지역별로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Orthodontist)의 수를 추정하고,해당 교정전문의 수에 따른 제품 수요량을 추정하여 매출 추정,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과거 매출액이 향후 유지되는 것으로 보수적 가정하여 추정 |
기타 소재 | - 투명교정 관련 소재 외 보철, 덴처 및 임플란트 관련 다양한 소재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보철 및 덴처 관련 소재 제품이 대부분을 구성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
질소경화기 | -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제작된 소재를 질소경화 기능으로 경화하여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잔여레진 제거장치 | -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고속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발생시켜 투명교정장치 제작 후 표면에 남아있는 레진을 완벽히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SMA(Shape Memory Aligner) | - 구강온도에서 형상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주요 지역인 북미 및 한국에서의 별도 목표하는 교정전문의 수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수요량을 추정하여 매출 추정 | |
SMA 로봇 시스템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생산 및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공정자동화로봇으로, 24시간 자동 생산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품질의 정교한 완성품을 균일하게 지속 생산한다는 특징을 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제품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상품 매출 | 3D 프린터 | - 동사의 3D 프린팅 소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3D 프린팅 제품을 생산(출력)하는 기기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구강스캐너 | - 투명교정 등 치과진료를 목적으로 구강구조를 3D모델링하는 기기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
기타 매출 | - | - 치과진료 관련 교육매출 및 운송료매출 등으로 구성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조를 위한 대부분의 제품을 자체 개발 및 생산 중이며 관련 형상기억 소재 합성 기술 및 3D프린팅 제조 공정에 대한 핵심 기술은 모두 특허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형상기억소재(TA-28 등) 제품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당사가 보유한 소재 물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 자체설계 및 합성 기술을 통하여 구강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위하여 맞춤 개발된 형상기억소재입니다.국내에서는 현재 등록된 특허 20건과 출원 중인 특허 22건으로 총 42건의 특허권 및 출원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3D프린팅 소재와 직접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20건이며. 3D프린팅 공정 관련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18건입니다. 또한, 본 3D프린팅 제조 기반 장치의 사업과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4건 입니다. 국내 및 해외에서 등록된 지식재산권은 37건, 출원된 지식 재산권은 31건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 보유 지적재산권 현황] |
(단위 : 건) |
구분 | 등록 | 출원 | 소계 | |
국내 | 특허/실용 | 20 | 22 | 42 |
디자인 | 1 | 0 | 1 | |
상표 | 5 | 0 | 5 | |
해외 | 특허/실용 | 7 | 9 | 16 |
상표 | 4 | - | 4 | |
합계 | 37 | 31 | 68 |
주1) |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Ⅱ.사업의 내용-7.기타 참고사항-가.지적재산권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당사의 기술 및 제품을 마케팅 지원 예정인 글로벌 교정 주요 연자(Speaker)를 지속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치과 교정계 주요 인사들은 교정 커뮤니티 내 영향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들이 진행하는 강연과 세미나의 메세지는 청중(치과의사, 교정전문의 등)들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됩니다. 이에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글로벌 연자 확보에 힘써왔고, 그 결과 현재는 100여명의 글로벌 연자를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확보된 연자들과 사업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치과 교정 행사 참여 및 각국내 형상기억 투명교정의 주요 기술력 및 교정 특장점을 홍보 예정이며,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시킬 계획입니다.당사는 특허로 인증받은 자체 형상기억투명교정 장치 제조 기술, 교정 관련 주요 연자 확보 및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신규 해외 시장 진출 이력을 통해 영업실적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명교정시장규모는 2023년 25조원 규모에서 2030년 60조원 규모로 약 2.5배 성장하여 연평균 13.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당사의 매출은 2020년 이후 최근 4개년 연평균 98%로 성장하여 시장점유율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습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객 편의성이 개선된제품을 지속 출시하고 있기때문입니다.그럼에도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및 마케팅 비용 투입에 따라 2024년 연결기준 영업손실 9,170백만원, 당기순손실 32,664백만원으로 3년 연속 지속 손실이 발생중입니다. 특히 2024년의 경우 기술평가수수료, 지정감사수수료 및 IPO를 위한 법률자문비용 지출, 일본 등 해외 지역 진출에 따른 마케팅성 비용 증대로 인해 영업손실이 증가하였으며,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등 금융상품 관련 파생상품평가손실 증가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증가하였습니다.
[2024년 (주)그래피 연결감사보고서 중 금융 비용] |
(단위 : 천원) |
구 분 | 당 기(2024년) | 전 기(2023년) |
---|---|---|
이자비용 | 3,799,811 | 2,034,164 |
외환차손 | 81,628 | 109,283 |
외화환산손실 | 16,213 | 18,766 |
파생상품평가손실 | 20,863,469 | 567,436 |
파생상품거래손실 | 13,673 | 10,858 |
합 계 | 24,774,794 | 2,740,507 |
다만, 당사는 현재 형상기억소재 매출과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하드웨어 제품 매출 및 상품 매출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시점으로 주력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의 신규 확보 매출처가 증가하고, 이익률이 높은 소재 매출의 기존 거래처에 대한 반복 매출 등 재구매율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매출 규모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향후 교정 시장 내에서 안정적인 시장 지위 구축 및 제품 고도화가 완료되면, 주요 오피니언 리더(Key Opinion Leader) 관련 핵심 마케팅 비용의 지출이 안정화 되며 순이익 확보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당사의 향후 3개년 추정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이후 ㈜그래피 추정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4년(A) | 2025년 1분기(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매출액 | 16,149 | 2,280 | 26,534 | 41,947 | 55,542 |
매출원가 | 8,559 | 1,006 | 11,944 | 14,153 | 15,137 |
매출총이익 | 7,590 | 1,274 | 14,590 | 27,794 | 40,404 |
판매비와관리비 | 16,784 | 4,917 | 16,786 | 18,138 | 19,376 |
영업손익 | (9,194) | (3,642) | (2,196) | 9,656 | 21,029 |
영업외손익 | (23,494) | (174)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법인세비용 | - | - | - | - | - |
당기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주1) | 상기 추정손익계산서는 K-IFRS에 따른 손익계산서입니다. |
주2) | 상기 추정손익계산서는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당사는 각 제품별, 지역별로 시장분석자료, 당사 사업계획 등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방법으로 향후 3개년 매출액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습니다. 당사 추정 실적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 산출방법』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 1분기(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제품 매출 | 소재 | 형상기억소재 | 일본 | 1,954 | 168 | 3,710 | 9,962 | 17,092 |
남미 | 302 | 5 | 1,212 | 2,508 | 3,720 | |||
북미 | 191 | 45 | 526 | 1,341 | 1,936 | |||
유럽 | 443 | 165 | 2,647 | 4,205 | 4,453 | |||
한국 | 340 | 59 | 860 | 1,102 | 1,319 | |||
기타 | 1,051 | 306 | 1,051 | 1,051 | 1,051 | |||
기타 소재 | 2,251 | 441 | 2,416 | 2,592 | 2,781 | |||
소계 | 6,534 | 1,188 | 12,421 | 22,760 | 32,353 | |||
장비 | 질소경화기 | 2,139 | 256 | 2,001 | 2,059 | 2,532 | ||
잔여레진제거장치 | 235 | 46 | 237 | 244 | 300 | |||
기타장비 | 44 | 8 | - | - | - | |||
소계 | 2,419 | 309 | 2,238 | 2,303 | 2,832 | |||
SMA | 북미 | - | - | 2,375 | 7,125 | 11,875 | ||
한국 | 291 | 62 | 772 | 1,673 | 2,818 | |||
소계 | 291 | 62 | 3,147 | 8,798 | 14,693 | |||
SMA 로봇 시스템 | 383 | 50 | 1,109 | 927 | 373 | |||
제품 소계 | 9,627 | 1,609 | 18,916 | 34,787 | 50,252 | |||
상품 매출 | 3D 프린터 | 3,256 | 414 | 4,274 | 3,572 | 1,439 | ||
구강스캐너 | 2,471 | 107 | 2,651 | 2,845 | 3,052 | |||
기타상품 | 149 | 52 | - | - | - | |||
상품 소계 | 5,876 | 572 | 6,925 | 6,416 | 4,492 | |||
기타 매출 | 교육 매출 등 | 646 | 99 | 693 | 744 | 798 | ||
합계 | 16,149 | 2,280 | 26,534 | 41,947 | 55,542 |
동사가 영위하는 3D 프린팅 통합솔루션 사업은 대규모 수주를 기반으로 향후 매출액이 예상되는 사업이 아닙니다. 따라서, 동사는 향후 사업계획, 국내 및 해외 시장의 분석, 제품군별 교체 시기 등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동사의 사업은 사업의 영위 국가, 개별 제품의 품목수, 제품의 국가별 인증 여부, 판매 방식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동사는 공통적인 하나의 논리가 아닌 이러한 변수를 반영하기 위해 개별 제품군별 매출 추정 논리를 상이하게 적용하였습니다.당사는 과거 영업 관련 내부 자료 및 시장 분석 자료 등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수준에서 미래 영업실적을 추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중인 신규 솔루션 및 서비스의 개발 완료 시점이 지연되거나 관련 솔루션 및 서비스가 최종적으로 고객사에 의한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가 추정한 실적과 실제 실적 간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 침체로 인한 전방 수요 위축 및 신기술의 등장으로 인한 경쟁력 저하, 신규 경쟁업체의 시장 진입에 따른 경쟁 심화 등 통제 불가능한 외생변수에 의해 당사가 추정한 사업계획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미래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는 당사가 추정하는 사업계획 상 고객사 및 정부 예산 기반 사업 동향, 제반 산업 전망 등 예측하기 어려운 체계적 위험에 대한 가정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며, 상장 후 추정 실적 및 실제 실적 간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가 공시할 사업보고서 상 관련 사항을 충실히 기재할 예정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사업계획에 근거한 추정손익 미달성 위험에 대해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관리종목 지정사유 중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지만,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 당사의 사업성과가 미진하여 재무성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가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한편, 형식적 상장폐지 요건 중 '자본전액잠식' 요건은 기술성장특례기업에 대해 별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2024년 온기 별도 기준 자본총계액이 3,828백만원, 자본잠식률은 15.2%로 해당사항 없으며,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한 자기자본 증가로 인해 상기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게 당사의 사업성과가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하여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거나, 자금유치에 실패하는 등의 원인으로 당사의 자본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상장 후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제시하는 미래 사업계획은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한 평가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의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2027년 추정 (요약)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4년 | 2025년 1분기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매출액 | 16,149 | 2,280 | 26,534 | 41,947 | 55,542 |
매출원가 | 8,559 | 1,006 | 11,944 | 14,153 | 15,137 |
매출총이익 | 7,590 | 1,274 | 14,590 | 27,794 | 40,404 |
판매비와관리비 | 16,784 | 4,917 | 16,786 | 18,138 | 19,376 |
영업손익 | (9,194) | (3,642) | (2,196) | 9,656 | 21,029 |
영업외손익 | (23,494) | (174)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법인세비용 | - | - | - | - | - |
당기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자료: 당사 | |
주1) | 2024년은 온기 별도 감사보고서, 2025년 1분기는 검토 받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며, 2025년~2027년은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된 추정 손익계산서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3조(관리종목)에서는 매출액,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장기 영업손실, 자본잠식 및 자기자본 미달 등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에 미달하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4년 매출액은 16,149백만원을 시현하였으나, 기술사업화 가속화 및 해외사업 확대를 위한 선제적 인력 투입 및 관련 인프라 확대로 인해 전년 대비 영업비용이 증가하여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매출원가 및 인건비, 운반비 등 주요 고정비성 비용이 전년 대비 각각 50% 이상 증가하며 손익 구조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향후 당사는 일본, 유럽 등 기존 진출국 외에도 미국, 인도, 중국 등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법인 설립 및 파트너십 확대 등 사업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확대 전략이 예정대로 성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손실 폭이 확대될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또한, 일부 거래처와 선불 패키지 계약이 체결되는 등 일정 수준의 매출 가시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이는 장기적인 사업성과를 보장하는 요소는 아니며, 향후 추가 비용 발생이나 시장 환경 변화 등에 따라 당사의 재무성과가 악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편,「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2조(투자주의 환기종목) 및 제53조(관리종목)에서는 매출액,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장기영업손실, 자본잠식 등 코스닥 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 요건 미달 시 투자주의 환기종목 및 관리종목으로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상장종목 관리요건 ] |
구 분 | 사 유 | 최근 사업연도(2024년도)경영성과 및 재무상태(별도기준) |
매출액 | [관리종목]- 최근 사업연도 30억원 미만- 이익미실현 기업 또는 세칙으로 정하는 기술성장기업은 상장후 5년간 미적용(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부터 적용) | - 매출액: 16,149백만원 |
영업손실 | [투자주의 환기종목]- 최근 5개 사업연도 각각 영업손실(기술성장기업은 미적용) | - 영업손실: 9,194백만원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
[관리종목]- 자기자본 50% 초과(&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최근연도 계속사업손실) - 세칙으로 정하는 기술성장기업은 상장후 3년간 미적용(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부터 적용)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32,688백만원 |
자본잠식 및자기자본 미달 |
[투자주의 환기종목]- 최근 반기 말 현재 자본잠식률이 100분의 50 이상- 최근 반기 말 현재 자기자본이 10억원 미만- 기술성장기업 미적용 요건 없음[관리종목]- 최근 사업연도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 기술성장기업 미적용 요건 없음 |
- 자본잠식률: 15.2%- 자기자본: 3,828백만원 |
주1) | 상기 관리종목 지정기준은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와 관련된 지정기준만 표기한 것입니다. |
주2) | 자본잠식률(%) = (자본금-자기자본) ÷ 자본금 x 100 |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관리종목)에 따라 매출액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습니다.다만, 상기 유예기간 이후에도 충분한 재무성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가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 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상장폐지 관련 기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사는 유예기간 이전에도 상장폐지 될 수 있으며, 유예기간 이후 상기 요건에 해당할 경우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한편, 2025년 1월 21일 발표된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관계기관 합동 보도자료(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에 따르면, 주식시장 내 저성과 기업의 적시 퇴출을 위해 상장폐지 요건은 강화되고, 절차는 효율화될 예정입니다. 상장폐지 요건 강화와 관련하여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가총액/매출액 상장폐지 요건 강화 방안] |
유가증권 시장 | 코스닥 시장 | |||
---|---|---|---|---|
시가총액 | 매출액 | 시가총액 | 매출액 | |
현행 | 50억원 | 50억원 | 40억원 | 30억원 |
2026년 이후 | 200억원 | 50억원 | 150억원 | 30억원 |
2027년 이후 | 300억원 | 100억원 | 200억원 | 50억원 |
2028년 이후 | 500억원 | 200억원 | 300억원 | 75억원 |
2029년 이후 | - | 300억원 | - | 100억원 |
자료: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2025.01.21) |
주1) | 매출액의 경우, 유가증권시장은 시가총액 1,000억원 미만 기업에 적용되며 코스닥시장은 시가총액 600억원 미만의 경우에 적용 |
상기와 같이 상장폐지의 대표적인 두 가지 요건인 시가총액 및 매출액 요건이 기간에 걸쳐 상향조정될 예정이오니, 투자자께서는 당사의 상장 이후 관련 요건 강화 여부를 면밀히 확인하는 등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형식적 상장폐지 사유] |
제54조(형식적 상장폐지) ① 거래소는 보통주식 상장법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보통주식을 상장폐지한다.1. 감사인 의견 미달: 최근 사업연도의 개별재무제표 또는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부적정, 의견거절이거나 감사범위 제한에 따른 한정인 경우. 다만, 해당 감사의견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에 의한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인 경우에는 사업보고서 법정 제출기한의 다음 날부터 10일 이내에 해당 사유 해소에 관하여 세칙으로 정하는 감사인의 확인서(해당 감사보고서를 작성한 감사인이 작성한 것으로 한정한다)를 제출하여 거래소가 인정하는 때에는 그 제출일이 속하는 반기를 기준으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다. 가. 반기 개별재무제표 또는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부적정, 의견거절이거나 감사범위 제한에 따른 한정인 경우 나. 반기보고서 법정 제출기한의 다음 날부터 10일 이내에 반기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이 경우 종속회사가 있는 법인은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포함한다. (중략) 6. 자본전액잠식: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본전액잠식 상태인 경우. 다만, 사업보고서의 법정 제출기한까지 자본전액잠식이 해소되었음을 증명하는 재무제표 및 이에 대한 감사인(정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작성한 감사인과 동일한 감사인으로 한정한다)의 감사보고서(감사의견이 적정인 경우로 한정한다)를 제출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한편, 형식적 상장폐지 요건 중 '자본전액잠식' 요건은 기술성장특례기업에 대해 별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사의 2024년 온기 별도 기준 자본잠식률은 15.2%이며, 2025년 1분기 별도 기준 자본잠식률은 98.0%로 증가하게 되나, 공모를 통한 추가 자본 확충 가정 시 자본잠식률은 0% 미만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추진하고 있는 기술사업화 실적이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하여 지속적인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거나 결손금 규모가 확대될 경우, 상장 이후에 필요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경우 상장 이후 수 년 내 자본잠식에 해당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형식적 상장폐지사유에 해당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매출액 및 세전이익 요건의 적용 유예에도 불구하고 해당 요건 이외에 상장폐지 관련 기타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사는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며, 유예기간 이후 매출액 또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으로 인하여 상장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 후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도 당사 주요 사업의 역성장, 신규사업 지연 또는 취소에 따른 비용 및 지출 증대 등의 이유로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 또는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본 및 자본잠식률에 관한 사항]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온기 | 2025년 1분기 | 2025년 1분기 (공모 가정) |
자본금 | 4,514 | 4,515 | 5,519 |
자본잉여금 | 70,435 | 70,441 | 103,581 |
기타자본항목 | 582 | 652 | 652 |
이익잉여금(결손금) | (71,703) | (75,520) | (75,520) |
자본총계 | 3,828 | 89 | 34,232 |
자본잠식률 | 15.2% | 98.0% | 자본잠식 없음 |
주1) | 2025년 1분기 자본 내역의 경우 검토받은 K-IFRS 별도 기준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한 수치로 향후 최종 재무제표 확정 과정에서 변동이 수반될 수 있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2) | 공모 가정의 경우 2025년 1분기 별도 기준 자본 항목에서 확정공모가액 기준 2,008,500주(공모 1,950,000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58,500주)의 증자를 반영하여 산출한 예시이며, 발행제비용은 제외된 수치입니다. 향후 최종 재무제표 확정 및 확정 공모가 등에 의거 변동이 수반될 수 있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3)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자본잠식률 기준일은 사업연도말 또는 반기말 기준이며, 1분기 수치는 참고용입니다. |
라.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각각 43억원, 104억원, 161억원으로 연간 매출액은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22억원으로 2024년 1분기 매출액 12억원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총이익률은 각각 37.3%, 43.0%, 47.5%, 2025년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56.5%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주요 개선 사유는 매출원가율이 낮은 소재 매출의 비중의 증가가 주요 사유입니다.다만 신제품 연구개발과 글로벌 행사 참여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 및 회사 규모 성장에 따른 지속적인 인력 충원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설립일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영업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3사업연도(2022~2024년)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당기순손실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판매수수료, 글로벌 마케팅 확대에 따른 광고선전비, 그리고 IPO 추진에 따른 지정감사 및 법률자문 등 일회성 수수료 발생에 기인합니다. 2023년 말 기준 당사는 완전자본잠식 상태였으나, 2024년 중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대부분이 보통주로 전환되면서 2024년 말 기준 자본잠식은 해소된 상태입니다.판매관리비는 2023년 115억원에서 2024년 168억원으로 53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증가 사유는 인건비의 경우 2024년 IPO를 위한 재무/기획 인력 충원 및 글로벌 사업 확장에 따라 영업, 마케팅 인력 지속 충원(2023년 월평균 근무인원수 82명에서 2024년 기준 92명으로 증가)에 따라 2023년 대비 급여 및 퇴직급여가 10억원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지급수수료의 경우 2024년에는 IPO 준비를 위한 기술평가, 지정감사, 법률자문료와 매출 증가에 따른 판매수수료 증가 등으로 인해 지급수수료가 2.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광고선전비의 경우 해외 학회 및 및 해외 출장과 미국, 유럽 AAO 등 행사참여로 약 8억원의 비용이 증가하였습니다. 판매관리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치과 교정 사업 특성상 초기 많은 글로벌 및 국내 마케팅 비용이 지출되나 일정 부분 영업망및 브랜드 인지도 형성 되고나면 일정 수준의 마케팅 비용 감소에도 매출액이 감소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마케팅으로 인한 광고선전비지출 비율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상기와 같이 당사는 지속적인 매출액 성장과 함께 미국 등 다양한 지역 진출 및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및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 감소로 인해 향후 수익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시장 내 경쟁 심화 및 글로벌 경기 악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고객사 판매 부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출이 현재 실적보다 악화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주요 매출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을 위한 소재와 생산에 필요한 3D프린팅 하드웨어(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SMA로봇시스템) 등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에 필요한 교정 소프트웨어, 교육을 포함한 대부분의 솔루션을을 자체적으로 개발, 생산, 조달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수익성 관련 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수익성 관련 지표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회계기준 | K-IFRS(연결) | K-IFRS(연결) | K-IFRS(연결) | K-IFRS(연결)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매출액 | 2,274 | 100.00% | 16,125 | 100.00% | 10,448 | 100.00% | 4,258 | 100.00% |
- 국내 | 325 | 14.29% | 3,045 | 18.88% | 1,803 | 17.26% | 1,135 | 26.66% |
- 해외 | 1,949 | 85.71% | 13,080 | 81.12% | 8,645 | 82.74% | 3,123 | 73.34% |
매출총이익 | 1,285 | 56.51% | 7,660 | 47.5% | 4,496 | 43.0% | 1,589 | 37.3% |
영업이익(손실) | (3,636) | -159.89% | (9,170) | -56.9% | (6,978) | -66.8% | (7,459) | -175.2% |
당기순이익(손실) | (3,810) | -167.55% | (32,664) | -202.6% | (5,425) | -51.9% | (17,663) | -414.9%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비중은 해당 기간의 매출액 대비 비중입니다. |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각각 43억원, 104억원, 161억원으로 최근 3사업연도 연간 매출액은 CAGR 94%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22억원으로 2024년 1분기 매출액 12억원 대비 증가하여 83.5%성장하였습니다. 당사는 아래표와 같이 최근 3개년 연도별 및 분기별로 지속 매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당사 분기별 매출액 및 비중] |
(단위: 백만원) |
구분 | 매출액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1분기 | 315 | 7.42% | 915 | 8.77% | 1,240 | 7.69% |
2분기 | 377 | 8.89% | 2,180 | 20.89% | 5,213 | 32.34% |
3분기 | 1,252 | 29.50% | 1,510 | 14.47% | 2,897 | 17.97% |
4분기 | 2,300 | 54.20% | 5,831 | 55.88% | 6,769 | 42.00% |
합계 | 4,245 | 100.00% | 10,436 | 100.00% | 16,119 | 100.00% |
주) |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당사의 주요 매출 증가 사유는 형상기억투명교정 토탈솔루션에 대한 국내 및 해외 인증을 마쳤으며 글로벌 치과 학회 및 글로벌 박람회 참여를 통한 글로벌 치과 교정 연자 확보와 마케팅을 통한 해외 시장 진출입니다. 특히 첫번째 주요 진출 국가인 일본에서 빠르게 매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내 매출 성장의 주요 사유는 와 당사의 일본내 주요 거래처인 F社와 독점공급 및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일본내 성공적으로 진출하였기 때문입니다.
당사는 일본, 인도, 대만, 유럽 시장 진출 외 향후 미국시장에도 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치과 교정 미국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당사는 현지 미국법인을 설립하하여 본격 진출을 계획 중이며 관련 미국 진출을 위한 FDA 인증을 2022년 취득 완료하여 향후 성장동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의 2022년~2024년 매출총이익률은 각각 37.3%, 43.0%, 47.5%, 2025년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56.5%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주요 개선 사유는 매출원가율이 낮은 소재 매출의 비중의 증가가 주요 사유입니다.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의 주요 제품별 제품매출 비중 및 관련 매출원가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제품별 매출 및 매출원가율 ] |
(단위: 백만원,%) |
제품 매출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액 | 제품내 비중 | 매출원가율 | 매출액 | 제품내 비중 | 매출원가율 | 매출액 | 제품내 비중 | 매출원가율 | 매출액 | 제품내 비중 | 매출원가율 | |
소재 매출 | 1,250 | 77.7% | 18.1% | 6,825 | 70.9% | 16.1% | 4,042 | 54.9% | 25.9% | 1,822 | 55.6% | 40.3% |
장비 매출(질소경화기 등) | 359 | 22.3% | 131.8% | 2,802 | 29.1% | 80.3% | 3,318 | 45.1% | 81.5% | 1,456 | 44.4% | 83.9% |
제품매출 합계 | 1,609 | 100.0% | 43.4% | 9,627 | 100.0% | 34.8% | 7,360 | 100.0% | 50.9% | 3,279 | 100.0% | 59.6%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제품내 비중은 각 제품별 매출이 제품매출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
형상기억투명교정을 위해서는 관련 소재 뿐만이 아니라 질소경화기 등 관련 장비 구매도 함께 구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련 장비 매출 이후 수요처는 지속 소재를 구매하게 되며, 당사의 주요 거래처가 다변화 될 수록 소재 매출 비중이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1분기 장비매출의 매출원가율이 증가한 사유는 당사의 형상기억투명교정을 확산하기 위해 일부 지역 및 거래처 대상으로 장비를 할인하여 제공하였기 때문입니다. 향후 동 거래처에 대해 소재 매출이 지속 발주 될 경우 이익률은 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당사는 신제품 연구개발과 글로벌 행사 참여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 및 회사 규모 성장에 따른 지속적인 인력 충원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설립일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영업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3사업연도(2022~2024년)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당기순손실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판매수수료, 글로벌 마케팅 확대에 따른 광고선전비, 그리고 IPO 추진에 따른 지정감사 및 법률자문 등 일회성 수수료 발생에 기인합니다. 2023년 말 기준 당사는 완전자본잠식 상태였으나, 2024년 중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대부분이 보통주로 전환되면서 2024년 말 기준 자본잠식은 해소된 상태입니다. 당사는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확대 및 신규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감안할 시 2026년 온기에는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판매비와 관리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판매비와 관리비 분류 ]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급여 및 퇴직급여 | 1,130 | 4,513 | 3,502 | 3,132 |
경상연구개발비 | 895 | 3,970 | 2,496 | 1,372 |
여비교통비 | 534 | 1,140 | 986 | 753 |
광고선전비 | 942 | 1,934 | 1,166 | 922 |
지급수수료 | 225 | 1,657 | 1,399 | 1,032 |
복리후생비 | 158 | 1,934 | 1,166 | 922 |
기타 | 1,038 | 1,683 | 759 | 916 |
합 계 | 4,921 | 16,831 | 11,474 | 9,049 |
판매관리비/매출액 | 216.4% | 104.4% | 109.8% | 212.5% |
당사는 기술기업 특성상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에서 주요 항목은 연구개발 인력 충원에 따른 비용, 소재 개발에 따른 비용 및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료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투명 교정을 위한 주요 제품을 개발 및 주요 국가 인증을 완료한 상태로 추가적인 인력 확충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사업 확장에 필요한 경상연구개발비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이미 성공적으로 진입한 일본과 유럽시장에서는 기존 파트너들의 거래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인도, 미국, 중국과 같은 대규모 시장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하여 해외 매출 증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전체적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당사가 예상하지 못 하는 비경상적 시장 변화에 따라 매출을 달성하지 못 할 경우 고정비 및 변동비를 충당하지 못해 적자가 지속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장 내 경쟁 강화에 따라 제품 판매가 부진할 수 있으며 대체기술 출현, 각국 정치적 이슈로 인한 판매 지연 등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사오니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마. 핵심인력 확보/유출 관련 위험당사는 기술 기반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 및 기술의 개발·고도화 과정에서 핵심 연구개발 인력의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소재 설계 기술 등은 소수의 고숙련 인력에 의존하는 바가 커, 특정 인력의 유출 시 연구개발 일정 지연, 기술 노하우 유출, 품목허가 준비 차질 등 기술 사업화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최근 3개년 당사 연구개발 인력의 평균 퇴사율은 17~19% 수준으로, 일정 수준의 이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재직중인 인원의 장기 근속 유도 및 애사심 고취, 전문 역량을 보유한 신규 인력의 확보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기술성장기업으로서 연구인력 개발 활동을 장려하고 근로 의욕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직무발명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핵심 인력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을 지급함으로써 회사의 성장에 따른 성과를 임직원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직원의 근로 의욕을 고취시키는 한편, 우수연구인력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습니다.한편 당사는 특허를 통해 핵심기술에 대한 권리보호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추가적인 임상은 제한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핵심 연구인력의 유출이 당사의 사업 계획이나 임상 진행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아울러, 당사의 기술은 총 68건(등록 37건, 출원 31건)의 특허를 통해 보호받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 노하우는 문서 중앙화 및 보안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도부터 해당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인력의 개인용 컴퓨터에 자료 저장을 제한하고, 외부 송부 시 승인 절차를 의무화하였으며, 정기·불시 보안 점검(파일 반출, 접근기록 등)을 통해 정보 유출을 사전적으로 방지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와의 인재 경쟁이 심화되는 경우 핵심 연구인력의 이탈이 발행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특히 당사의 기술은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도를 요구하는 분야로, 주요 기술의 고도화 및 신규 응용제품 개발, 글로벌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함에 있어 핵심인력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들 인력의 이탈은 대체 인력 확보 및 재교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내부 기술 축적의 연속성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인력이 경쟁사로 유출되는 경우 당사의 기술 노하우 보호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은 인적 자원 관련 위험에도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연구일정 지연, 품목허가 준비 지연 등 실질적 사업 차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당사는 기술 기반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 및 기술의 개발·고도화 과정에서 핵심 연구개발 인력의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소재 설계 기술 등은 소수의 고숙련 인력에 의존하는 바가 커, 특정 인력의 유출 시 연구개발 일정 지연, 기술 노하우 유출, 품목허가 준비 차질 등 기술 사업화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총 30인의 연구개발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박사학위 소지자가 6인, 석사학위 소지자가 9인으로, 연구인력의 약 50.0%가 석 · 박사급 연구인력에 해당합니다. 당사의 연구개발 조직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개발 조직도] |
|
[ 연구개발인력 구성 현황 ] |
(단위: 명) |
학력 | 박사 | 석사 | 학사 | 기타 |
인원수 | 5 | 10 | 15 | - |
또한, 당사 핵심 연구인력들은 아래와 같이 당사가 영위하는 소재 개발 등 관련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당사의 연구인력의 수준은 동종업계에서 경쟁사 대비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당사가 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연구개발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인력 현황] |
(근속연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근속연수 |
---|---|---|---|---|---|
대표 | 심운섭 | 최고경영자(CEO), 연구개발 총괄 | - 숭실대학교 정보처리학과 전공(99 졸업)- ㈜코리아스테파(94.11~96.12) - ㈜남양계전(97.01~99.03)- ㈜한국아카이브(99.06~11.06)- ㈜디디에스(11.08~16.11)- ㈜그래피 대표이사(17.01~현재) | - 3D프린팅용 광경화성 소재 개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개발 | 8년 5월 |
원장 | 김수진 | 최고임상책임자, 임상연구개발 총괄책임자 |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졸업(97.02)- 미국 UCLA 치의학석사(98.12)- 서울대학교 치의학박사(03.02)-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교정과 레지던트(04.07~06.06)- 서울유펜치과교정과치과 원장(07.04~18.12)-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치과교정과 임상조교수(18.12~21.02)- ㈜그래피 원장(21.07~현재)-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강의교수(23.09~현재)** 외래교수직-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교정과 조교수(06.09~11.06)- 한림대병원 치과 교정과 부교수(12.09~18.12)-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자문교수(18.03~23.08) | - 신제품(NEP)인증 심사 대응- 직접출력방식 의료기기 인증(미국 FDA) 프로젝트 참여- Shape Memory Aligner 특성 및 임상적용 전세계 선구적 전파(대면/비대면) | 3년 11월 |
수석 | 김훈 | 국가과제 총괄 책임자 | -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 박사(21 졸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21.01~현재)-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과 연구원(16.03~21.02)- ㈜그래피 수석연구원(21.01~현재) | - 당사 특허 작성 및 출원(17건)- 당사 SCI 논문 작성(17건)- 국가과제 수주 및 총괄책임(산업통상자원부, 48.5억)(범부처임상과제, 5억) | 4년 5월 |
부장 | 장순호 | 소재개발 총괄 | - 전북대학교 고분자 공학 석사(11.03~14.02)- 한솔케미칼 선임(10.01~15.02)- 바커케미칼코리아 과장(16.01~17.06)- 디오임플란트 과장 (17.07~19.07)- ㈜그래피 부장(19.08~현재) | - 올리고머 합성 설계 및 최적화- 전체 덴탈 소재 개발(Teraharz Clear, C&B, Denture, 세라믹 보철소재)- 덴탈 모델 및 산업용 소재개발(S-200M외)- 국책과제 6건 수행(책임연구원) | 5년 10월 |
부장 | 정하림 | 소재개발 | - 영남대학교 신소재이학 석사(08.03~10.02)- 애경화학 대리(09.10~14.08)- KCC중앙연구소 과장(14.09~19.05)- ㈜그래피 부장(19.06~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Model 소재, casting 소재, 탄성 소재, 글래이징 소재 등)-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색상 조색- 3D 프린터용 소재 분석 및 불량 제품 분석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6년 |
부장 | 승채린 | 기술지원 | - 신구대학교 치과기공학 전공(93.03~95.02)- 캐나다 Tritar Dental Lab 실습(99~00)- 연세 치과기공소(00.02~01.12)- TMJ 치과(02.04~12.07)- ㈜리얼오쏘 (12.11~17.07)- ㈜카이로덴탈(17.10~20.06)- ㈜그래피 부장(20.06~현재) | - TC85 임상 케이스 적용 및 유효성 검증- SMA 생산, 제작에 필요한 Workflow 정립- SMA 디자인에 적합한 최적값 연구 (offet, 두께 등)- TC85를 이용해 SMA 외 다양한 교정용 Appliance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연구, 고안 (Twin Block, Anterior Bite Plate, Mono Block 등) | 5년 |
이사 | 김원경 | 연구개발 | - 충남대 물리학과 석사(02)- ㈜이오시스템 제품기술팀 주임(03.03~04.06)- ㈜이오테크닉스 디스플레이사업부 과장(04.07~05.10)- ㈜하드램 Laser광학팀차장(05.11~07.02)- ㈜르호봇테크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07.03~09.10)- ㈜엠쓰리모바일 연구기술본부 차장(09.11~12.09)- ㈜미래컴퍼니 비전개발팀 책임(12.10~13.08)- ㈜디디에스 기술연구소 책임(13.10~16.12)- ㈜그래피 이사(18.04~현재) | - 정부지원사업 38억원 수주 및 관리- 신제품(NEP)인증 및 IR52장영실상 수상 외 13건 기여- 국내외 특허 25건 및 상표권 7건 등록관리 | 7년 2월 |
이사 | 김인 | HW사업 | - 경북대 기계공학과 석사(01)- 한일루브텍 기술설계 주임 (02.02~03.10)- 위너베아링 재료연구소 대리(03.10~05.02)- 리스템중앙연구소 주임연구원(0707~07.11)- 오리엔트엠지 연구소 과장 (07.11~08.07)- 비피온 연구소 차장(08.09~10.02)- 메가젠 전략기획 과장(10.09~10.12)- 한진디디엑스 연구소 과장 (11.01~12.03)- 디디에스 생산본부 부장 (12.04~21.03)- ㈜그래피 이사(21.03~현재) | - 질소경화기(Tera Harz Cure) 개발- 잔여레진제거장치(Tera Harz Spinner) 개발- 로봇시스템(Tera Harz Smart Robot) 개발 | 4년 3월 |
소장 | 심미순 | 3D프린팅생산 | - 대구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80.03~82.02)- 치과 기공소 운영(84.04~05.05)- 라인 치과기공소(09.08~11.06)- EDS치과기공소(11.06~14.12)- J&J 덴탈 랩 근무(15.04)- 해성치과기공소(16.02)- 덕천 화이트E치과(17.03)- 리더스 덴탈(17.08~18.02)- ㈜그래피 소장(19.10~현재) | - New 소재 테스트 및 보철소재와 비교분석- 신소재 보철 출력후 공정과정 연구- New 글레징 테스트 | 5년 8월 |
실장 | 유동현 | 기술지원 | - 대전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96.02 졸업)- 로얄치과기공소(96.01~99.02)- 럭키치과기공소(99.02~01.02)- 필봉건설(01.05~04.08)- 주연치과기공소(04.09~15.08) - 디디에스(15.09~21.03)- ㈜그래피 실장(21.04~현재) | - TFDH 소재를 활용한 Flexible Dentured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TE-151 소재를 활용한 Mouth Guard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R-191 소재를 활용한 심미 보철(Internal stain technique)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 4년 2월 |
팀장 | 백종훈 | 기술지원 | - 한국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 전공(03.03~09.02)- 보라정보통신 사원(07.12~09.02)- ONC네트워크 주임(10.03~10.09)- 이클리어인터내셔날 대리(10.10~11.12)- 대승인터컴 대리(11.12~12.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책임(12.10~18.03)- ㈜아이티티 차장(18.03~19.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책임(20.02~20.11)- 씨앤아이테크 차장(21.04~22.05)- ㈜그래피 기술지원1팀장(22.06~현재) | - 고객 기술 지원을 통한 제품 개선 아이디어 등 상신- 내부 직원 교육, 고객 교육을 통한 Graphy 제품의 저변 확대- 그래피 제품관련 논문 작성 기술 지원 | 3년 |
책임 | 구유란 | 기술지원 | - 원광보건대 치과기공학 전공(09.03~12.02)- (주)이클리어인터내셔날 과장(12.03~18.02)- ㈜아이티티 과장(18.03~19.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과장(20.09~20.11)- 파이토웨이 과장(21.02~22.11)- ㈜그래피 책임(22.12~현재) | - 고객 기술 지원을 통한 제품 기능 개선 아이디어 제공- DAD sw 기능 ideation- Graphy Teams 기능 변경- DAC 기획- 고객 교육을 통한 Graphy 제품의 저변확대- 그래피 제품 관련 논문 자료 기술지원- 임상 케이스 Treatment Plan 체킹 및 planner 제작- 딜러 맨파워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지원 | 2년 6월 |
책임 | Tanveer Khan | 기술지원 | - University Malaysia Pahang, PhD(15.10)- 서울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 Postdoc(19.06)- Maharashtra Institute of Technology(19.07~19.10)- Modern Mill&Gigantic Bag Co.LLC(20.02~20.10)- ㈜그래피 책임(22.11~현재) | - 치과교정학회 등에서 SMA레진, 후경화공정 등 발표- 그래피 SMA 레진 관련 문제 해결 지원- 그래피 SMA 레진소개, DAD sw교육 등 | 2년 7월 |
선임 | 전설희 | 소재개발 | - 동국대학교 화학 전공(13.03~17.08)- 안톤파코리아 주임(17.05~21.03)- ㈜그래피 선임(21.03~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탄성 소재)-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3D 프린터용 소재 분석 및 불량 제품 분석 | 4년 3월 |
차장 | 이정연 | 마케팅 | - 선문대학교 치위생학 전공(09.02~13.02)- ㈜디디에스 사원(15.08~18.06)- 오스템임플란트 연구원(18.07~19.03)- 레이 과장(19.04~21.02)- 이보클라비바덴트(21.06~21.10)- ㈜그래피 선임(21.10~현재) | - 환자 임상케이스 진행 및 정리- FEM(유한요소법) 파악 및 보고- 3D프린팅 소재로 제작한 다기관 무작위 임상연구 등 | 3년 8월 |
과장 | 김영교 | 소재개발 | - 동양미래대학교 생명화학 전공(11.03~13.02)- 해동고분자사업 사원(13.10~15.12)- 벽산페인트 대리(16.04~21.07)- 한국무사시도료 대리(21.09~22.02)- 벽산페인트 대리(22.03~22.06)- ㈜그래피 과장(22.10~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글래이징 소재)-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색상 조색(A1, A2, Light gray 등)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2년 8월 |
과장 | 조현준 | 소재개발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 전공(08.03~15.08)-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연구원(15.07~17.05)- 디오 대리(17.06~18.10)- 3DP 대리(18.11~19.06)- ㈜그래피 과장(19.07~현재) | - 덴탈소재, 산업용 소재에 대한 개발지원- 품질 분석 및 3D프린팅 파라미터 최적화- 기술지원 (국/내외 고객 기술지원)- 국책과제 6건 수행(참여연구원) | 5년 11월 |
과장 | 채유승 | 소재개발 | -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신소재공학과 석사(15.03~17.02)- 서흥무역 대리(12.09~14.11)- 울텍 주임연구원(17.02~17.05)- ㈜이노바이오써지(20.10~21.06)- ㈜그래피 과장(21.06~현재) | - 세라믹 보철소재 개발(R-191, C-191)- Teraharz Clear 소재분석 및 개발첨여- 개발조성 물성 분석- 국책과제 4건 수행(참여연구원) | 4년 |
과장 | 지현일 | 인증표준 | - 신구대학교 치기공학과 전공(21.03~22.02)- 한결치과기공소(18.02~18.09)- ㈜유니덴탈 대리(19.09~22.05)- ㈜그래피 과장(22.07~현재) | - 의료기기 품질책임자, 유럽 PRRC(규제준수책임자)- 식약처인증, FDA 510(k) 등 의료기기 제품인증 획득 및 사후관리- MDSAP, GMP 등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획득 및 사후관리 | 2년 11월 |
과장 | 박문수 | 인증표준 |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통번역학과(15.02~22.03)- 와이즈컴퍼니 사원(22.02~22.05)- ㈜그래피 과장(22.07~현재) | - 국내외 의료기기 기술문서 및 품질문서 관리- 식약처인증, FDA 510(k) 등 의료기기 제품인증 획득 및 사후관리- MDSAP, GMP 등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획득 및 사후관리 | 2년 11월 |
대리 | 백시윤 | 인증표준 | - 경성대학교 신소재공학과(15.03~20.02)- 삼성그라테크 연구원(21.03~22.10)- 네이처글루텍 연구원(22.11~25.03)- ㈜그래피 대리(25.06~현재) | - 품질문서 체계 내실화 및 품질시스템 인증 대응력 강화- 의료기기 사후관리 체계강화 및 안정성 정보대응- 주요 인허가 관리지원 및 개별국 등록 주도 | 0년 |
과장 | 이건호 | 클리닉디자인 | - 대전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 전공(09.03~14.02)- 투명치과 사원(14.02~16.12)- 클리어테크놀로지 사원(17.06~18.02)- 리얼라이너 대리(19.02~21.02)- ㈜그래피 과장(21.03~현재) | - 3D프틴팅용 플랙시블 덴처 광경화성 소재개발- 다이렉트 3D 프린팅 신기술 이용한 투명교정장치 임상적 효능 평가 | 4년 3월 |
주임연구원 | 이지호 | 연구기획 | -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석사- 3D 프린팅 전공(20.03~22.02)- KAIST Academy 기계공학과 조교(21.09~22.02)- ㈜그래피 주임연구원(22.04~현재) | - DLP 3D프린팅 공정 조건에 따른 광경화형 고분자의 기계적 특성 변화 분석(Additive Manufacturing, 2022) SCI논문 출판- 최신 연구동향 파악 DB관리- 국가과제 계획서 작성 | 3년 2월 |
연구원 | 장근영 | 연구기획 | - 수원대학교대학원 신소재공학 석사(22.03~24.02)- ㈜그래피 연구원(25.04~현재) | - 치과 및 의료용 광경화성 3D 프린팅 레진 연구개발- 산업용 3D프린팅용 고분자 합성 및 배합 연구 | 0년 2월 |
대리 | 민진홍 | 연구기획 | - 상명대학원 화공신소재학(18.03~20.02)- ㈜그래피 대리(20.02~현재) | - 당사 보철용 BR-23 소재 개발 주도- 국가과제 계획서 작성- 국가과제 연구 실험 실무 수행- 국가과제 성적서 인증 관리- 과제 연구 관련 문헌조사 | 5년 4월 |
닥터 | Mohamed Hassan Ibrahim Bayome | 임상기술지원 | - 가톨릭대학교 치과학 박사(11)-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과 조교수(11.10~16.10)- 파라과이 Asuncion 개인진료소 교정의(16.12~18.03)- ㈜그래피 닥터(23.12~현재) | - 교정장치 최종 제품품질 보증 위한 품질관리 프로세스 구축- 전 세계 의사들에게 그래피 제품에 대한 임상기술 지원 제공- 부착물 없이 다양한 생체역학적 접근 테스트하는 전 임상 시험 수행 | 1년 6월 |
닥터 | Tina Chang | 임상기술지원 | - 연세대학교 치과교정과 박사(18.03~22.02)- 연세대학교 치과교정과 조교(18.03~22.02)- ㈜그래피 닥터(24.03~현재) | - 연세대 법무처 임상실험과제 set up- 고객 불만(임상치료, tissue reaction) 해결- 고객 교육, 임상 및 치료문제 상담 | 1년 3월 |
닥터 | Daniel Kaba Jaeger | 임상기술지원 | - Universidade Cidade de Sao Paulo (UNICID)(02) 브라질 공군 병원장 및 장교(02.03~11.03)- Sao Paulo Dental Clinic(2012.02~2017.12)'- Macedo Clinic(2017.12~2024.09) - ㈜그래피 닥터(24.09~현재) | - 그래피 제품 및 기술을 포럼, 강의에 홍보- 그래피의 3D 프린팅 소재 관련 환자 응용 분야에 조언 | 9월 |
선임 | 김홍연 | SW개발 | - 강원대 컴퓨터과학 전공(10.03~16.02)- 매니지온 개발자(16.04~22.04)- ㈜디케이테크인 개발자(22.06~23.07)- ㈜그래피 선임연구원(23.08~현재) | -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환경 구성- 그래피 홈페이지 AWS 서비스로 이관 작업- 그래피용 닥터 플랫폼 개발 진행 중 : DB설계, 화면 템플릿 기본 레이아웃 구성, 웹 서버 설계 및 구축 | 1년 10월 |
연구원 | 김나연 | SW개발 | -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22.08)-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22.03~24.08)- ㈜그래피 연구원(24.04~현재) | - DAS(자동 서포트 부착 기능) 개발 참여 : UI, 기능 개발, 유지 보수- 닥터플랫폼(의사-기공소 플랫폼) 개발 참여 : UI | 1년 2월 |
주요 연구개발 인력의 평균 근속연수 | 3년 7월 |
자료: 당사 |
당사는 핵심인력 유출에 따른 위험을 완화하기 위하여 직무발명보상제도, 성과보상 제도, 스톡옵션 부여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 직무발명보상제도당사는 직무발명 보상을 통해 임직원의 직무발명을 장려하고 연구개발 의욕을 향상시켜 기술 개발을 촉진 시키기 위해 직무발명보상제도를 운영 중이며, 스톡옵션제도와 연계하여 운영 중입니다. (2) 성과보상제도연간 인사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 연동 성과급제 운영 중이며, 향후 사업화로 인한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면, 성과에 따른 차등지급은 물론 임직원 전체적 연봉수준이 상향되도록 할 예정입니다.(3) 스톡옵션제도스톡옵션의 경우 2019년 이후 주요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부여하였으며, 핵심연구직군에 대한 중장기 보상체계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당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발행된 주식매수선택권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현황] | |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원) |
부여받은자 | 관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조태연 | 등기임원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94,000 | 2022.01.23~2027.01.22 | 1,807 |
변창환 외 2인 | 기타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83,200 | 2022.01.23~2027.01.22 | 1,807 |
김훈 | 임직원 | 2020.03.31 | 신주교부 | 보통주 | 18,000 | 2023.04.01~2028.02.28 | 2,967 |
김수진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정하림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장순호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곽춘 외 1인(주2) | 외부전문가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 | - | - |
곽춘 외 2인 | 외부전문가 | 2024.03.28 | 신주교부 | 보통주 | 204,000 | 2026.03.29~2028.03.30 | 7,334 |
합 계 | 489,200 | - | - |
주1) | 2024년 6월 무상증자에 따른 부여 주식수 및 행사 가격의 조정을 반영하였습니다. |
주2) | 2022년 3월 30일 곽춘 외 1인에게 43,000주를 부여하였으나 부여 취소되었습니다. |
이러한 다양한 제도 운영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 분야의 기업 간 경쟁 심화 등 불가피한 사정으로 인하여 핵심인력의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총 임직원 수는 109명이며, 이 중 연구개발 인력은 30명(전체의 약 28%)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인력군의 평균 근속연수는 약 3년 7개월이며, 최근 3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감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연구개발인력 증감 현황] |
(단위: 명, %) |
구분 | 직위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퇴사율 |
---|---|---|---|---|---|---|
2022년도 | 임원 | 3 | 3 | 1 | 5 | - |
닥터 | - | - | - | - | - | |
수석/실장/소장/부장 |
5 | - | - | 5 | - | |
팀장 | 3 | 1 | 1 | 3 | - | |
책임/차장 | 3 | 1 | 1 | 3 | - | |
선임/과장 | 4 | 1 | 1 | 4 | - | |
주임,연구원/대리이하 |
4 | 2 | 1 | 5 | - | |
치과위생사 | 4 | - | - | 4 | - | |
계 | 26 | 11 | 5 | 32 | 17.2% | |
2023년도 | 임원 | 5 | - | - | 5 | - |
닥터 | - | 1 | - | 1 | - | |
수석/실장/소장/부장 |
5 | - | - | 5 | - | |
팀장 | 3 | - | - | 3 | - | |
책임/차장 | 5 | 1 | 2 | 4 | - | |
선임/과장 | 3 | 1 | - | 4 | - | |
주임,연구원/대리이하 |
7 | 1 | - | 8 | - | |
치과위생사 | 4 | - | 4 | - | - | |
계 | 32 | 4 | 6 | 30 | 19.4% | |
2024년 |
임원 | 6 | 1 | 3 | 4 | - |
닥터 | 1 | 3 | - | 4 | - | |
수석/실장/ 소장/부장 |
7 | - | 1 | 6 | - | |
팀장 | 1 | - | - | 1 | - | |
책임/차장 | 3 | - | - | 3 | - | |
선임/과장 | 8 | - | - | 8 | - | |
주임,연구원/대리이하 |
4 | 1 | 1 | 4 | - | |
계 | 30 | 5 | 5 | 30 | 16.7% | |
증권신고서제출일 현재 | 임원 | 4 | - | - | 4 | - |
닥터 | 4 | - | 1 | 3 | - | |
수석/실장/소장/부장 |
6 | - | - | 6 | - | |
팀장 | 1 | - | - | 1 | - | |
책임/차장 | 3 | - | 1 | 2 | - | |
선임/과장 | 9 | - | - | 9 | - | |
주임,연구원/대리이하 |
3 | 2 | - | 5 | - | |
계 | 30 | 2 | 2 | 30 | 6.7% |
주) | 퇴사율 = 기중 퇴사자/([기초 인원 + 기말 인원]/2) |
최근 3개년 당사 연구개발 인력의 평균 퇴사율은 17~19% 수준으로, 일정 수준의 이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인사제도 고도화, 성과보상 확대, 교육훈련 강화 등 다양한 개선 노력을 통해 우수 인력의 확보 및 이직률의 안정적 관리를 도모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직군의 역량 제고와 조직문화 개선 활동도 함께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일부 기술영역에서 연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초기 제품 설계 및 임상전략 수립을 병행하고 있는 바, 해당 영역의 주도 인력이 이탈할 경우 관련 전략 수립 및 실행력이 단기간 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핵심 인력 다변화 및 협업 구조 이원화 등 제도적 대응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한편 당사는 특허를 통해 핵심기술에 대한 권리보호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추가적인 임상은 제한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핵심 연구인력의 유출이 당사의 사업 계획이나 임상 진행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아울러, 당사의 기술은 총 68건(등록 37건, 출원 31건)의 특허를 통해 보호받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 노하우는 문서 중앙화 및 보안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도부터 해당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인력의 개인용 컴퓨터에 자료 저장을 제한하고, 외부 송부 시 승인 절차를 의무화하였으며, 정기·불시 보안 점검(파일 반출, 접근기록 등)을 통해 정보 유출을 사전적으로 방지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와의 인재 경쟁이 심화되는 경우 핵심 연구인력의 이탈이 발행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특히 당사의 기술은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도를 요구하는 분야로, 주요 기술의 고도화 및 신규 응용제품 개발, 글로벌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함에 있어 핵심인력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들 인력의 이탈은 대체 인력 확보 및 재교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내부 기술 축적의 연속성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인력이 경쟁사로 유출되는 경우 당사의 기술 노하우 보호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은 인적 자원 관련 위험에도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연구일정 지연, 품목허가 준비 지연 등 실질적 사업 차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 재무 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당사는 연구개발 및 사업확장을 위해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를 통해 다수 자금 조달을 하였으며 관련 금융상품을 부채로 인식함에 따라 2023년말 기준 유동비율은 21.3%, 부채비율은 자본잠식에 따른 음의 지표였으나 2024년 중 대부분의 상환우선주 및 전환사채가 보통주로 전환됨에 2024년말 및 신고서 제출일 현재는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2023년말 76.1%에서 2024년말 62.1%로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에도 지속 적자 시현함에 따라 2024년말 대비 2025년 1분기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악화되었으며 이자보상배율이 음(-)의 수치를 기록하였고,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회전율 하락 등으로 단기적 운전자금 부담 요인이 존재합니다. 이는 수익성 전환 이전 단계에 있는 성장기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준은 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것으로 나타납니다.당사는 매출 확대 및 여신관리 체계 정비를 통해 영업현금흐름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고정비 통제를 위한 보수적 인력 운영 및 디지털 마케팅 중심 전략을 병행하여 지출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및 연구개발 지출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투자현금유출이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을 통한 차입금 상환 및 자금 조달구조 개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차입금이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금시장 경색, 금리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차환 실패, 이자비용 증가 등 유동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실제로 당사는 2022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3년 이상 연속으로 음(-)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익성 전환 지연 시에는 추가적인 외부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당사는 향후 공모자금의 적기 집행, 미국 시장 본격 진출 및 고수익 제품군 매출 증가를 통해 영업 및 투자, 재무현금흐름 전반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나, 매출 성장 지연, 자금 소요 확대, 연구개발 일정 변경, 또는 자본조달 계획의 변경 등이 발생할 경우 재무구조 개선 속도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당사의 재무현황, 유동성 구조 및 자금수지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무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요인을 면밀히 검토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형상기억 투명교정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및 임상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이후에도 글로벌 교정 학회 및 박람회 참여와 주요 연자를 활용한 교육·홍보 마케팅 비용 등 사업초기 필요한지출금액이 큰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등 고부가 의료기기 제품의 상용화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설립 초기부터 연구개발(R&D)과 해외 마케팅 등 투자를 지속해왔습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지출은 매출 창출 이전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영업손실 누적을 초래하였으며, 연구개발 및 마케팅에 필요한 현금 조달을 위해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관련 금융상품을 부채로 인식하여 당사는 2023년까지 자본총계가 음수인 완전자본잠식 상태였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의 재무안전성 및 유동성 관련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재무 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 |
(단위 : %, 배, 회)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업종평균 (주2) |
부채비율(주3) | 14,447.0% | 470.0% | - | - | 98.0% |
차입금의존도 | 75.4% | 62.1% | 76.1% | 73.3% | 29.6% |
유동비율 | 41.9% | 62.7% | 21.3% | 12.2% | 162.4% |
이자보상배율 | -20.8배 | -2.4배 | -3.4배 | -6.0배 | 212.81배 |
재고자산회전율(주4) | 7.6회 | 9.3회 | 8.6회 | 4.6회 | 7.4회 |
매출채권회전율(주5) | 4.9회 | 4.5회 | 5.4회 | 6.7회 | 5.0회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업종평균 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C27.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중소기업)" 기준입니다. |
주3) | 당사는 2023년까지 완전자본잠식상태로 부채비율의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주4) | 재고자산회전율(재고자산 순액 기준): 매출액÷평균 재고자산단, 2025년 1분기 재고자산회전율 산출 시 매출액은 최근 12개월(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5) | 매출채권회전율(매출채권 순액 기준): 매출액÷평균 매출채권단, 2025년 1분기 매출채권회전율 산출 시 매출액은 최근 12개월(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당사는 제품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여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나, 2025년 1분기말 현재까지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수익성 전환 이전 단계의 성장기업으로, 구조적 특성상 업종 평균 대비 재무 안정성은 다소 열위한 수준입니다.
2024년 중 당사가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가 보통주로 전환됨에 따라 관련 금융상품이 자본으로 대체되었고 이로 인해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 또한 금융상품 관련 유동부채가 자본으로 전환됨에 따라 유동비율은 2024년말 기준 62.7%로 개선되었으며 차입금의존도 또한 62.1%로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에도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을 시현함에 따라 2024년말 대비 2025년 1분기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악화되었으며 부분자본잠식 상태입니다.이자보상배율의 경우, 2025년 1분기까지 음(-)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주요 제품 상용화 이후에도 해외시장 확대에 따른 마케팅 및 인력 투자 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고정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익성 회복이 지연될 경우 재무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이 장기간 음(-)의 상태로 유지될 경우, 외부 자금조달 여건 악화나 금리변동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어, 당사는 매출 성장 및 고정비 비중 축소를 통해 점진적인 회복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은 2022년 4.6회에서 2024년 9.3회로 꾸준히 상승하다 2025년 1분기에는 7.6회로 다소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업종 평균(7.4회)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럽, 일본 등 고부가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수요 확대 및 제품 공급 안정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재고를 확대한 데 따른 일시적인 변동으로 판단되며, 당사는 국가별 발주 주기와 인증 일정, 고객사 협업 프로젝트의 조정 등에 따라 재고자산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월 단위 생산계획 승인, ERP 기반 실시간 재고관리, 반품 모니터링 등 내부통제 절차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시장 수요예측 정밀도를 높이고, 수요 연동형 생산체계를 지속 개선함으로써 재고 회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장기체화 및 손상차손 발생 리스크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매출채권회전율은 2022년 6.7회에서 2025년 1분기 4.9회로 점진적인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업종 평균(5.0회) 대비 소폭 낮은 수준으로 이는 고객에 대한 매출채권 회수 기간이 다소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당사는 연말에 집중되는 유통회사 주문에 따른 매출채권의 일시적 증가와 해외 신규 거래처에 대한 전략적 신용판매 확대 등에 기인하여 매출채권회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당사는 거래처별 회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장기 미회수 채권은 유통구조 조정을 통해 회수를 추진 중입니다. 또한 주요 거래처에 대해서는 무역보험가입, 선수금 유도 등 회수 안정화 장치를 병행하고 있어, 향후 매출채권회전율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회수가 지연될 경우 운전자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표입니다.
당사의 최근 3 사업연도 및 당분기 재무현황 및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사업연도 및 당분기 재무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3 | 3,038 | 3,272 | 2,092 |
단기금융자산 | 394 | 394 | 2,000 | 530 |
소 계_현금성자산 | 1,207 | 3,432 | 5,272 | 2,622 |
단기차입금 | 2,900 | 2,900 | 900 | 1,400 |
장기차입금 | - | - | 2,065 | 2,125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 | 10,520 | 8,575 | 8,653 |
전환상환우선주부채(유동) | 1 | 3 | 5,615 | 4,295 |
전환상환우선주부채(비유동) | - | - | 27 | 174 |
전환사채(비유동) | - | - | 5,210 | - |
리스부채 | 113 | 116 | 68 | 74 |
소 계_이자부부채 | 13,504 | 13,539 | 22,460 | 16,721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a) | (2,145) | (9,623) | (7,990) | (7,774)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b) | (27) | 1,361 | (1,906) | (236)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c) | (58) | 8,007 | 11,077 | 5,015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d=a+b+c) | (2,230) | (254) | 1,182 | (2,995) |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e) | 3,038 | 3,272 | 2,092 | 5,068 |
현금및현금성자산 환율변동효과 (f) | 5 | 21 | (2) | 19 |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g=d+e+f) | 813 | 3,038 | 3,272 | 2,092 |
주)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의 2025년 1분기말 기준 현금성자산(단기금융자산 포함)은 약 12억원으로, 2024년 말 대비 약 22억원 감소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이자부부채는 약 135억원으로, 2024년 말 대비 유사한 수준(약 0.3억원 감소)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기 유동성에 대한 부담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의료기기 산업 특성상 장기간의 연구개발, 임상시험, 인허가 절차를 선행적으로 수반해야 하며, 또한 글로벌 연자(speaker)를 활용한 교육 및 홍보 중심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고정비성 비용이 지속 지출되며 IPO 준비에 따른 회계감사비용, 법률 등 자문성 비용 지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음(-)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기준 약 21억원의 영업현금 유출이 발생하였습니다.한편, 당사의 차입금은 모두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이며, 2025년 1분기말 및 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차입금 현황 및 이와 관련하여 담보로 제공된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고서제출일 현재 차입금 현황] |
(단위: 백만원) |
용도 | 차입처 | 상환방법 | 만기일 | 연 이자율 | 신고서제출일현재 | 2025년1분기말 |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09-22 | CD연동대출기준금리 + 2.1900 | 2,035 | 2,05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11-10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5700 | 7,925 | 7,940 |
시설자금 | 하나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5-11-26 | 여신시장금리CD3개월물 + 3.4610 | 500 | 5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3-17 | 여신시장금리CD3개월물 + 2.8500 | 1,950 | 2,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5-29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8100 | 600 | 6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5-29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8100 | 300 | 300 |
합계 | 13,310 | 13,390 |
주1) | 2025년 1분기말은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신고서제출일 현재 기준은 당사 집계 기준입니다. |
[담보 제공 자산 내역] |
(단위: 백만원) |
담보제공자산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담보권자 | 과목 | 차입금액 |
---|---|---|---|---|---|
토지 및건물 | 9,552 | 12,480 | 우리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9,990 |
600 | 하나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500 | ||
특허권 | 20 | 2,400 | 우리은행 | 단기차입금 | 2,000 |
주) | 2025년 1분기말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의 차입금은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으로 편중되어 있어 전반적인 만기구조가 단기화되어 있는 상황이나 운전자금 수요에 따라 유연한 자금 운용이 가능하도록 금융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 및 차입에 대한 담보 제공 등을 통해 차환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주요 금융기관과의 약정 갱신 및 신용도 유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05월 30일 만기 도래한 900백만원 규모의 단기차입금에 대해 차입처(우리은행)와 사전 협의를 거쳐 전액 2026년 05월 29일로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만기 연장을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부담은 완화된 상황이나, 향후 추가 차입금의 만기 도래 시점 및 자금소요 일정에 따라 단기 유동성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한편, 당사의 차입금 상환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입금 상환 계획] |
(단위: 천원) |
구분 | 기관 | 2025년 1분기말차입금 잔액 | 상환 예상 금액 | |
---|---|---|---|---|
2025년 | 2026년 | |||
원금분할상환 | 우리은행 | 9,990,000 | 9,990,000 | - |
소계 | 9,990,000 | 9,990,000 | - | |
만기일시상환 | 우리은행 | 2,900,000 | 900,000 | 2,000,000 |
하나은행 | 500,000 | 500,000 | - | |
소계 | 3,400,000 | 1,400,000 | - | |
총 합계 | 13,390,000 | 11,390,000 | 2,000,000 |
주1) | 2025년 1분기말 차입금 잔액은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만기일시상환액은 원금분할상환과 달리 상환 스케쥴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차입금으로서 만기시점 자금상황에 따라 차입금 갱신 또는 상환 예정인 금액이며, 2025년 상환 예상 금액은 공모자금유입을 통한 상환 금액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
당사는 본 건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차입금 상환을 통한 부채비율 개선과 이자부담 경감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일본,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제품 상용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생산 효율화, 고정비 통제를 통해 중장기적인 영업현금흐름의 안정화 및 재무구조 개선을 도모할 예정입니다. 특히, 고정비성 비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리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마케팅비 효율화]당사의 주력 제품은 이미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신규 시장 개척보다 기존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과거 진입기 단계에서 집행되던 대규모 초기 마케팅 비용은 제한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디지털 마케팅 등 비용 효율적인 채널을 활용함으로써 고정성 판관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인건비 관리]당사는 주요 제품이 상용화 단계를 마무리함에 따라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글로벌 사업 확장에 필요한 영업 등 주요 인력을 최대한 선제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향후 신규 채용 및 급격한 급여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TA-28 등 형상기억 투명교정 관련 주요 제품은 이미 상용화 단계로 개발 인력에 대한 충원 또한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선제적으로 확보한 인력을 통해 사업 확장과 연구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인건비 증가는 과거 대비 일정 수준에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이러한 비용 구조의 효율화와 수익성 확보 전략을 병행하여, 당사는 재무안정성의 실질적인 개선을 도모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만, 이러한 계획의 성과 여부는 시장 상황, 사업 성과, 자금 조달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은 재무안정성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당사의 향후 1개년간 자금수지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향후 1년간 자금 수지 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영업 현금흐름 | ⒜수입 | 매출대금 | 4,583 | 7,744 | 10,750 | 10,489 |
기타 | 138 | - | - | - | ||
계 | 4,721 | 7,744 | 10,750 | 10,489 | ||
⒝지출 |
원재료비 |
1,151 | 4,122 | 6,330 | 6,176 | |
급여 | 1,344 | 1,526 | 1,899 | 1,842 | ||
판매관리비 | 1,802 | 1,370 | 1,570 | 1,532 | ||
경상연구비 | 954 | 1,294 | 1,887 | 1,851 | ||
기타 | - | - | - | - | ||
계 | 5,251 | 8,312 | 11,685 | 11,401 | ||
영업수지(= ⒜ - ⒝) | -530 | -568 | -935 | -913 | ||
투자 현금흐름 | ⒞수입 | 자산매각 | - | -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 | - | - | ||
⒟지출 | 설비추가/고도화 | - | - | 2,000 | - | |
해외법인 투자 | - | 1,900 |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1,900 | 2,000 | - | ||
투자수지(= ⒞ - ⒟) | - | -1,900 | -2,000 | - | ||
재무 현금흐름 | ⒠수입 | 유상증자 | - | 32,212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32,212 | - | - | ||
⒡지출 | 차입금 상환 | 50 | - | 2,200 | - | |
이자비용 | 201 | 203 | 162 | 162 | ||
기타 | - | - | - | - | ||
계 | 251 | 203 | 2,362 | 162 | ||
재무수지(= ⒠ - ⒡) | -251 | 32,008 | -2,362 | -162 | ||
기초 자금 | 1,202 | 422 | 29,962 | 24,664 | ||
기말 자금 | 422 | 29,962 | 24,664 | 23,590 |
자료: 당사 |
당사는 매출 확대 및 여신관리 체계 정비를 통해 영업현금흐름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고정비 통제를 위한 보수적 인력 운영 및 디지털 마케팅 중심 전략을 병행하여 지출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및 연구개발 지출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투자현금유출이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을 통한 차입금 상환 및 자금 조달구조 개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전체 차입금이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금시장 경색, 금리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차환 실패, 이자비용 증가 등 유동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실제로 당사는 2022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3년 이상 연속으로 음(-)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익성 전환 지연 시에는 추가적인 외부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당사는 향후 공모자금의 적기 집행, 미국 시장 본격 진출 및 고수익 제품군 매출 증가를 통해 영업 및 투자, 재무현금흐름 전반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나, 매출 성장 지연, 자금 소요 확대, 연구개발 일정 변경, 또는 자본조달 계획의 변경 등이 발생할 경우 재무구조 개선 속도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당사의 재무현황, 유동성 구조 및 자금수지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무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요인을 면밀히 검토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사. 재고자산 관련 위험 당사는 원재료의 안전재고를 확보하고 있으며, 매출액 확대에 따라 재고자산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4.6회, 2023년 8.6회, 2024년 9.3회, 2025년 1분기 기준 7.6회로 2022년 제외 시 업종평균(7.4회)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다만, 2022년에는 매출 대비 재고자산 보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업종 평균(7.4회)을 하회하는 4.60회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당사의 형상기억투명교정 관련 제품이 지속 개발 및 임상 테스트가 지속되는 기간 및 해외 각국의 판매를 위한 인증 취득 기간으로 본격적인 매출이 시현되기 이전입니다. 또한 당시 해외 학회 및 글로벌 고객군 확보를 위해 일정 재고를 확보함에 따라 업종평균 대비 회전율이 하회하였습니다. 이후 글로벌 인지도 상승 및 본격적으로 진출한 첫 해외 시장인 일본내에서 성공적으로 당사 제품이 안착함에 따라 2023년부터는 재고자산회전율이 빠르게 개선되었습니다. 당사는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매출처와의 사전 협력을 통한 적시 생산을 수행하여 재고의 불용화 및 장기체화 가능성을 줄일 계획이나, 주력시장의 트렌드가 급변하거나 고객사의 주문 취소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고자산이 증가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향후 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의 소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장기체화 재고에 대한 손상차손 발생 및 영업현금흐름 악화 등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당사의 재고자산은 원재료, 재공품, 제품 및 상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고자산 평가 시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의 당사의 재고자산 및 재고자산회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재고자산 및 재고자산 회전율] |
(단위: 백만원, 회)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업종평균 (주2) |
---|---|---|---|---|---|
원재료 | 507 | 535 | 460 | 546 | - |
재공품 | 177 | 127 | 105 | 145 | - |
제품 | 1,217 | 1,128 | 141 | 140 | - |
상품 | 461 | 369 | 603 | 269 | - |
미착품 | - | - | - | 29 | |
기말잔액 합계 | 2,362 | 2,158 | 1,309 | 1,129 | - |
재고자산회전율 | 7.6회 | 9.3회 | 8.6회 | 4.6회 | 7.4회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업종평균 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C27.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중소기업)" 기준입니다. |
주3) | 적용된 재고자산 회전율 산식은 재고자산 순액 기준이며, 매출액÷{(기초재고+기말재고)÷2}] 입니다.1분기 재고자산회전율은 1분기 LTM 매출액 기준 산출하였습니다. |
당사는 형상기억소재 기반 투명교정장치 및 관련 제품(부자재, 장비 포함)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고객 주문에 따라 커스터마이징되는 방식으로 공급됩니다. 이에 따라 소재 수급 안정성 및 납기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재료, 반제품 및 일부 완제품에 대해 적정 수준의 안전재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최근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유럽, 일본, 북미 등 고부가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에 따라 소재 제품 및 HW장비 제품을 충분히 확보하는 정책 및 글로벌 매출의 지속 확대에 따라 연결 기준 재고자산은 2022년 11.3억원, 2023년 13.1억원, 2024년에는 21.6억원으로 점진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4.6회, 2023년 8.6회, 2024년에는 9.3회, 2025년 1분기 기준 7.6회로 2022년을 제외하고 한국은행이 발표한 동종 업종(C27.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중소기업 기준) 평균치(7.4회, 2023년 기준)를 상회하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의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특정 국가별 전략적 유통 구조 개선 및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매출 및 재고자산회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2022년에는 매출 대비 재고자산 보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업종 평균(7.4회)을 하회하는 4.60회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당사의 형상기억투명교정 관련 제품이 지속 개발 및 임상 테스트가 지속되는 기간 및 해외 각국의 판매를 위한 인증 취득 기간으로 본격적인 매출이 시현되기 이전입니다. 또한 당시 해외 학회 및 글로벌 고객군 확보를 위해 일정 재고를 확보함에 따라 업종평균 대비 회전율이 하회하였습니다. 이후 글로벌 인지도 상승 및 본격적으로 진출한 첫 해외 시장인 일본내에서 성공적으로 당사 제품이 안착함에 따라 2023년부터는 재고자산회전율이 빠르게 개선되었습니다.한편, 당사는 재고자산 관련 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해 월별 생산계획 검토·승인, 입출고 시 이중 점검 및 권한 통제, 재고실사 보고 및 반품 검토 절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사적 ERP 시스템과 연계된 내부통제 체계를 통해 장기체화, 과잉재고, 미출고 누락 등에 따른 재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의 주요 제품은 치과 전문의의 교정 계획에 따라 주문 제작 및 가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별 규제환경(의료기기 인증, MDR/PMDA 등)과 유통 파트너의 판매 전략, 발주 주기 등에 따라 수요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품의 사용 적기(time-to-treat)가 지연되거나, 고객사 발주 일정 변경 또는 공동 프로젝트 진행이 조정될 경우, 보유 재고가 일시적으로 장기체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의 소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신소재 기반 제품 특성상 일정 기간 경과 시 품질 보증 기한이 경과하거나, 제품 설계가 빠르게 고도화될 경우 기존 재고의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재고자산에 대해 평가손실 또는 손상차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의 영업현금흐름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매출채권 미회수 관련 위험 당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4년은 4.52회, 2025년 1분기는 4.86회로 업종 평균 5.03회보다 소폭 하회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6.66회에서 2025년 1분기말 현재 4.86회로 최근 3년간 및 당해연도 회전율이 지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회전율 주요 감소는 매출 규모가 지속 증가 하고 있으며, 각 유통회사의 연간 구매 주문 예산편성이 연말에 집행됨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12월에 매출이 집중됨에 따라 연말에 매출채권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입니다.2025년 1분기 기준 주요 매출처의 매출채권 내역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채권 중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총 680백만 원으로, 전체 대비 약 16.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인도 내 고객사인 D사는 현지 시장 내 주요 거래처인 L사와의 경쟁에서 열위에 놓이며 실적이 저조해졌고, 이에 따라 391백만 원이 1년 초과 연체 상태로 분류되었습니다. 당사는 D사로부터 발생한 미회수 매출채권과 관련하여 D사가 보유 중이던 당사의 재고자산 및 판매권을 동일 국가내 당사 주요 거래처인 L사로 이전 후 해당 매출채권을 L사를 통해 회수를 진행중입니다. 다만, 해당 방식에 따른 회수 실현 여부는 거래처와의 협의 경과, 제품 공급 조건 및 거래 구조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채권 회수가 지연되거나 회수되지 않을 경우 당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D사 관련 매출채권에 대해 전액(100%) 대손충당금을 설정한 바 있으며, 기타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N사, C사 등 일부 거래처의 유동성 상황 및 발주 지연 등에 기인한 것으로, 지속적인 회수 관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매출채권 회수를 위해 지속적으로 영업팀 담당자를 통해 거래처 모니터링하여 채권 회수 및 거래처 영업현황을 파악중입니다. 해외 거래처의 경우 향후 일부 유통회사에서 채권회수가 지연될 경우 무역보험등을 통해 보상 또는 유통회사 영업권 및 관련재고를 지역내 다른 유통회사로 이관등을 통해 회수가 가능합니다. 유통회사 거래처 이외 국내 병원을 포함한 일부 거래처에 대해서는 선수금 수령을 통해 매출채권 회수 시점을 단축하기 위해 지속 노력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회사의 매출 규모가 증가하고 매출처가 증가함에 따라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시장 침투율 증대와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매출채권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향후 거시 경제의 악화와 특정 거래처의 자금경색으로 인하여 대금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회수가 지연될 시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말 매출채권 및 매출채권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채권 관련 지표]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업종 평균 |
매출액 | 2,280 | 16,125 | 10,448 | 4,258 | - |
매출채권 총액 | 4,235 | 5,225 | 3,211 | 942 | - |
대손(손실)충당금 | (1,332) | (1,066) | (239) | (79) | - |
대손충당금 설정률 | 31.46% | 20.40% | 7.44% | 8.44% | - |
매출채권 순액 | 2,902 | 4,159 | 2,972 | 862 | - |
매출채권 평균 | 3,531 | 3,565 | 1,917 | 640 | - |
매출채권 회전율 | 4.86 회 | 4.52 회 | 5.45 회 | 6.66 회 | 5.03회 |
자산총계 | 18,020 | 21,987 | 22,229 | 16,835 | - |
매출채권 비중 | 16.11% | 18.91% | 13.37% | 5.12% | -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업종평균 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C27.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중소기업)" 기준입니다. |
주3) | 매출채권 평균: (기초 매출채권 순액+기말 매출채권 순액)/2 |
주4) | 매출채권 회전율: 연환산 매출액/평균 매출채권단, 2025년 1분기 매출채권회전율 산출 시 매출액은 최근 12개월(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5) | 대손충당금 설정률: 대손충당금/(매출채권 총액+대손충당금) |
주6) | 매출채권 비중: 매출채권 순액/자산총계 |
당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4년은 4.52회, 2025년 1분기는 4.86회로 업종 평균 5.03회보다 소폭 하회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6.66회에서 2025년 1분기말 현재 4.86회로 최근 3년간 및 당해연도 회전율이 지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회전율 주요 감소는 매출 규모가 지속 증가 하고 있으며, 각 유통회사의 연간 구매 주문 예산편성이 연말에 집행됨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매년 12월에 매출이 집중되며 다수의 거래가 판매 이후 3개월내 회수조건으로 연말에 매출 및 매출채권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편입니다.
[최근 3개년 당사 분기별 매출액 및 비중] |
(단위: 백만원) |
구분 | 매출액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1분기 | 315 | 7.42% | 915 | 8.77% | 1,240 | 7.69% |
2분기 | 377 | 8.89% | 2,180 | 20.89% | 5,213 | 32.34% |
3분기 | 1,252 | 29.50% | 1,510 | 14.47% | 2,897 | 17.97% |
4분기 | 2,300 | 54.20% | 5,831 | 55.88% | 6,769 | 42.00% |
합계 | 4,245 | 100.00% | 10,436 | 100.00% | 16,119 | 100.00% |
주) |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또한 해외 신규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신규 유통회사에 대해 전략적 신용판매를 하기 때문입니다. 매출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해외 신규 거래처 매출대상은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의료기기가 해외에 안정적으로 유통되기 위해서는 신규 거래처의 유동성이 뒷받침되어야 함에 따라 일부 신규 거래처에 대해서는 전략적신용 판매 정책을 추진중입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매출채권 연령분석 및 2025년 1분기말 기준 당사의 주요 매출처별 매출채권 연령분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매출채권 연령분석표] |
(단위: 천원) |
구분 | 연체되지않은 채권 | 연령분석 | 대손(손실)충당금 | 합계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2022년말 | 790,502 | 53,812 | 7,994 | 9,492 | 54,510 | - | (79,467) | 836,843 |
2023년말 | 3,058,535 | 25,645 | 3,809 | 9,489 | 22,247 | 59,784 | (225,107) | 2,954,402 |
2024년말 | 3,960,023 | 336,145 | 182,990 | - | 685,921 | 59,572 | (1,065,839) | 4,158,812 |
2025년 1분기말 | 1,174,924 | 2,066,214 | 156,983 | 156,370 | - | 680,060 | (1,332,308) | 2,902,243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전체 매출채권 대비 1년 초과 채권의 비중은 2023년 1.9%, 2024년 1.1%로 감소하였으나, 2025년 1분기 16.1%로 증가하였습니다. 1년 초과 매출채권 주요 증가 사유는 당사는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 진출함에 따라 브랜드 인지도 확보 및 각 지역내 유통회사 및 고객사가 안정적으로 각 지역내 당사 제품을 홍보 및 판매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신용을 제공하였기 때문입니다.2025년 1분기 기준 주요 매출처의 매출채권 내역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채권 중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총 680백만 원으로, 전체 대비 약 16.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인도 내 고객사인 D사는 현지 시장 내 주요 거래처인 L사와의 경쟁에서 열위에 놓이며 실적이 저조해졌고, 이에 따라 391백만 원이 1년 초과 연체 상태로 분류되었습니다. 당사는 D사로부터 발생한 미회수 매출채권과 관련하여 D사가 보유 중이던 당사의 재고자산 및 판매권을 동일 국가내 당사 주요 거래처인 L사로 이전 후 해당 매출채권을 L사를 통해 회수를 진행중입니다. 다만, 해당 방식에 따른 회수 실현 여부는 거래처와의 협의 경과, 제품 공급 조건 및 거래 구조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채권 회수가 지연되거나 회수되지 않을 경우 당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D사 관련 매출채권에 대해 전액(100%) 대손충당금을 설정한 바 있으며, 기타 1년 초과 연체 채권은 N사, C사 등 일부 거래처의 유동성 상황 및 발주 지연 등에 기인한 것으로, 지속적인 회수 관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주요 매출처별 매출채권 연령분석표]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연체되지않은 채권 | 연령분석 | 대손(손실)충당금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C社 | 100 | 0 | 444 | - | - | - | 96 |
N社 | - | - | 325 | - | - | 157 | 223 |
L社 | 145 | 32 | 221 | - | - | - | 56 |
D社 | - | - | - | - | - | 391 | 391 |
W社 | - | - | 337 | - | - | - | 68 |
기타 | 696 | 203 | 740 | 157 | 156 | 132 | 499 |
합계 | 940 | 235 | 2,066 | 157 | 156 | 680 | 1,332 |
또한 당사는 매출채권 회수를 위해 지속적으로 영업팀 담당자를 통해 거래처 모니터링하여 채권 회수 및 거래처 영업현황을 파악중입니다. 해외 거래처의 경우 향후 일부 유통회사에서 채권회수가 지연될 경우 무역보험등을 통해 보상 또는 유통회사 업권 및 관련재고를 지역내 다른 유통회사로 이관등을 통해 회수가 가능합니다. 유통회사 거래처 이외 국내 병원을 포함한 일부 거래처에 대해서는 선수금 수령을 통해 매출채권 회수 시점을 단축하기 위해 지속 노력중입니다. 당사의 매출채권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실충당금 변동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2년(제8기) | 2023년(제9기) | 2024년(제10기) | 2025년 1분기(제11기) |
---|---|---|---|---|
기 초 | 43 | 107 | 225 | 1,066 |
대 체 | (1) | (21) | - | - |
대손상각비(환입) | 65 | 139 | 841 | 267 |
제 각 | - | - | - | - |
기 말 | 107 | 225 | 1,066 | 1,332 |
또한 손실충당금의 경우 매출채권의 부도위험 및 기대신용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한 기대신용손실을 바탕으로 손실충당금을 설정하는 등 IFRS 회계기준에 따른 손실충당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신규 발생 채권의 회수율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매출채권 회수에 대한 위험은 제한적이라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회사의 매출 규모가 증가하고 매출처가 증가함에 따라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시장 침투율 증대와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매출채권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향후 거시 경제의 악화와 특정 거래처의 자금경색으로 인하여 대금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회수가 지연될 시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 환율 변동 위험 당사는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다양한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주로 달러와 관련된 환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환율 변동은 당사의 수출 경쟁력 뿐 아니라 매출과 손익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의 국내 및 해외 매출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1분기 86.0%, 2024년 81.0%, 2023년 82.7%, 2022년 73.5%입니다. 당사의 수출금액 및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환율관련 익스포저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 및 손익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 환경 등의 변화에 따른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한편,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최근분기의 누적 외화 관련 영업외손익은 326,415천원으로 해당기간 누적 영업손익 -27,243,160천원 대비 1.2%(절댓값 기준) 수준으로 외화관련 영업외손익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파생상품을 활용한 별도의 환헷지 정책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며, 당사의 사업구조상 원재료 및 상품 매입은 대부분 국내 거래처와 원화거래를 하는 반면, 매출 중 외화거래 비중이 높은 편으로 외환차손, 외화환산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에, 환율변동에 따라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이 변동될 수 있으며 외화 관련 손익(외화환산이익, 외화환산손실)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위험 관리 목적 상 환율 관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율 변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며, 필요한 경우 회계법인 등 외부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하여 파생상품을 활용한 환헷지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 변동은 당사가 보유한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사업 및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다양한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주로 달러와 관련된 환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환율 변동은 당사의 수출 경쟁력 뿐 아니라 매출과 손익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의 국내 및 해외 매출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출 및 국내 매출액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수출 | 1,954 | 86.0% | 13,080 | 81.1% | 8,645 | 82.7% | 3,131 | 73.5% |
국내 | 319 | 14.0% | 3,045 | 18.9% | 1,803 | 17.3% | 1,127 | 26.5% |
합계 | 2,274 | 100.0% | 16,125 | 100.0% | 10,448 | 100.0% | 4,258 | 100.0%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1분기 86.0%, 2024년 81.1%, 2023년 82.7%, 2022년 73.5%입니다. 당사의 수출금액 및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환율관련 익스포저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 및 손익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 환경 등의 변화에 따른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2025년 1분기 기준 당사가 보유한 외화표시 화폐성 순자산은 38억원으로 환율이 10% 증가할 경우 약 3.8억원의 세전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나, 반대로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 약 3.8억원의 세전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지속적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한 점을 고려할 시 향후 급격한 환율 변동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재무제표 기준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의 장부금액 내역 및 기능통화의 환율 10% 변동 시 환율 변동이 당기와 전기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화표시 화폐성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 |
(단위 : 천원,%) |
통화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 년 | 2022 년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USD | 3,173,928 | 267,195 | 4,460,604 | 432,861 | 1,705,174 | 271 | 514,868 | 27,064 |
EUR | 625,483 | 132,068 | 1,187,589 | 115,315 | 1,124,097 | 5,092 | 592,703 | - |
JPY | - | - | 32,918 | 10,623 | - | - | - | - |
AED | - | 22,237 | - | - | - | - | - | - |
합계 | 3,799,411 | 421,500 | 5,681,111 | 558,799 | 2,829,271 | 5,363 | 1,107,571 | 27,064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 환율 10% 변동시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 ] |
(단위: 천원) |
통화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 년 | 2022 년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USD | 290,673 | -290,673 | 402,774 | (402,774) | 170,490 | (170,490) | 48,781 | (48,781) |
EUR | 49,342 | -49,342 | 107,227 | (107,227) | 111,901 | (111,901) | 59,270 | (59,270) |
JPY | - | - | 2,230 | (2,230) | - | - | - | - |
AED | -2,224 | 2,224 | - | - | - | - | - | -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당사의 과거 3개년 및 최근분기의 원재료 매입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는 대부분의 원재료를 국내(2024년 기준 전체 원재료 매입금액의 87.2%)에서 매입하고 있어 환율변동과 관련한 원재료 가격 변동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해외 원재료 매입처는 모두 중국 현지 업체로 중국에서 매입하는 원재료의 경우 결제통화는 USD 입니다.
(단위: 백만원, USD) |
매입유형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원재료 | 국내 | 76 | 86.4% | 1,839 | 87.2% | 1,581 | 81.0% | 1,018 | 84.5% |
수입 | 12(USD 9천) | 13.6% | 269(USD 197천) | 12.8% | 372(USD 285천) | 19.0% | 187(USD 145천) | 15.5% | |
소계 | 88 | 100.0% | 2,108 | 100.0% | 1,953 | 100.0% | 1,205 | 100.0%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재무 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한편,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최근분기의 외화 관련 영업외손익 현황은 아래와 같으며, 동기간 누적 외화 관련 영업외손익은 326,415천원으로 해당기간 누적 영업손익 -27,243,160천원 대비 1.2%(절댓값 기준) 수준으로 외화관련 영업외손익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근 3개년 및 최근분기 외화관련 영업외손익현황] |
(단위 :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
외화 관련 영업외수익 | 외환차익 | 93,241 | 195,872 | 139,576 | 16,721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221,713 | 10,016 | 20,901 | |
합계 | 244,223 | 417,585 | 149,592 | 37,622 | |
외화 관련 영업외손실 | 외환차손 | 251,366 | 81,628 | 109,283 | 9,219 |
외화환산손실 | 10,393 | 16,213 | 18,766 | 25,739 | |
합계 | 261,759 | 97,841 | 128,049 | 34,958 | |
총합계 | (17,536) | 319,744 | 21,543 | 2,664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최근 3개년 및 최근 분기 영업손익 대비 외화관련 영업외손익 비중 현황] |
(단위 :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최근 3개년 누적금액 |
외화 관련 영업외손익 | (17,536) | 319,744 | 21,543 | 2,664 | 326,415 |
영업손익 | (3,635,891) | (9,170,305) | (6,977,587) | (7,459,376) | (27,243,160) |
영업손익 대비 외화관련 손익의 비중 | 0.5% | 3.5% | 0.3% | 0.0% | 1.2%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영업손익 대비 외환관련 손익의 비중'은 각 손익의 절댓값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당사가 환율의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주요 통화 미국달러(USD)의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의 평균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원/달러 환율 추이] |
|
자료: 서울외국환중개 |
당사는 파생상품을 활용한 별도의 환헷지 정책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며, 당사의 사업구조상 원재료 및 상품 매입은 대부분 국내 거래처와 원화거래를 하는 반면, 매출 중 외화거래 비중이 높은 편으로 외환차손, 외화환산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에, 환율변동에 따라 당사의 재무상태 및 손익이 변동될 수 있으며 외화 관련 손익(외화환산이익, 외화환산손실)을 인식하고 있습니다.당사는 향후 위험 관리 목적 상 환율 관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율 변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며, 필요한 경우 회계법인 등 외부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하여 파생상품을 활용한 환헷지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 변동은 당사가 보유한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의 사업 및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지적재산권 관련 위험 당사가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그 소재와 이에 관련된 장비 및 소프트웨어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 및 제품화 능력에 의하여 시장성이 좌우됩니다. 특히, 형상기억소재 등의 올리고머 합성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는 다양하게 존재하며 제품 목적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됩니다.또한 개발을 성공하더라도 경쟁업체들의 모방 제품 출시로 인하여 당사의 제품 경쟁력에 대한 위협 요소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의 확보 및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핵심 기술 연구개발과 함께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특허 등록 및 출원을 국내 및 해외에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소재, 장비, 공정과 관련하여 주요기술들을 특허를 통해 철저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핵심소재인 'Tera Harz'의 베이스가 되는 올리고머의 구조 특허, 물성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의 핵심인 후공정(질소경화)에 대한 특허는 '구조 설계 → 물성 제어 → 제조 공정'의 전 주기 기술 보호 체계를 구축하여, 단일 특허 중심이 아닌 다중 방어 기술 전략을 통해 기술 유출 및 유사제품의 시장 진입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삼중 특허 보호는 기술 유출 방지, 향후 법적 분쟁 대응,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점적 위치 확보에 있어 전략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정에 필수로 사용되는 장비(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를 자체 개발하고 특허로 등록함으로써 당사의 기술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특허에 대한 침해 또는 이와 관련된 분쟁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쟁사 및 예상치 못한 제3자가 당사의 특허를 침해하거나 우회하여 제품 개발을 하여 당사의 경쟁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향후 어떤 경로를 통해서 특허 분쟁이나 소송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해당 상황이 발생 시 당사의 영업 및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및 그 소재와 이에 관련된 장비 및 소프트웨어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 및 제품화 능력에 의하여 시장성이 좌우됩니다. 특히, 형상기억소재 등의 올리고머 합성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는 다양하게 존재하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소재의 특성 및 적용 가능한 제품군이 달라집니다. 올리고머 합성에는 단일 폴리올과 단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조합하여 합성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제품 목적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됩니다.또한 개발을 성공하더라도 경쟁업체들의 모방 제품 출시로 인하여 당사의 제품 경쟁력에 대한 위협 요소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의 확보 및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핵심 기술 연구개발과 함께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특허 등록 및 출원을 국내 및 해외에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사의 지적재산권 현황입니다.
[국내외 지적재산권 현황] |
구분 | 등록 | 출원 | 소계 | |
국내 | 특허/실용 | 20 | 22 | 42 |
디자인 | 1 | - | 1 | |
상표 | 5 | - | 5 | |
해외 | 특허/실용 | 7 | 9 | 16 |
상표 | 4 | - | 4 | |
합계 | 37 | 31 | 68 |
자료: 당사 | |
주1) |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Ⅱ.사업의 내용-7.기타 참고사항-가.지적재산권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소재, 장비, 공정과 관련하여 주요기술들을 특허를 통해 철저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핵심소재인 'Tera Harz'의 베이스가 되는 올리고머의 구조 특허, 물성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의 핵심인 후공정(질소경화)에 대한 특허는 '구조 설계 → 물성 제어 → 제조 공정'의 전 주기 기술 보호 체계를 구축하여, 단일 특허 중심이 아닌 다중 방어 기술 전략을 통해 기술 유출 및 유사제품의 시장 진입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삼중 특허 보호는 기술 유출 방지, 향후 법적 분쟁 대응,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점적 위치 확보에 있어 전략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정에 필수로 사용되는 장비(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를 자체 개발하고 특허로 등록함으로써 당사의 기술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핵심기술 외부유출 방지를 위해 모든 원재료에 대한 입고 및 배포코드를 암호화 및 다중화하여 내부/외부 유출을 방지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거래처 매입 원재료를 내부 생산직원은 알 수 없도록 암호 처리하였으며 퇴사 및 기타 기술유출에 대한 강력한 보호관리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이와 별도로 2023년, 2024년에 제정된 사내보안관리규정 및 전산 세부 규정 및 개인정보보호규정에 의거하여 사내 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모든 임직원은 입사시 정보보안서약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퇴사시 보안 및 경업금지 서약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표준 비밀유지계약서 제정하여 외부 협력 시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게 함으로써 임직원의 보안의 중요성의 인식 개선과 의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특허에 대한 침해 또는 이와 관련된 분쟁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쟁사 및 예상치 못한 제3자가 당사의 특허를 침해하거나 우회하여 제품 개발을 하여 당사의 경쟁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향후 어떤 경로를 통해서 특허 분쟁이나 소송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해당 상황이 발생 시 당사의 영업 및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소송 또는 분쟁 관련 위험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류중인 중요 소송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당사 영업 관련 소송 및 분쟁 관련 우발채무에 따른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이 더욱 활발해지고 해외 현지법인 설립 등으로 당사가 외형적으로 확대될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권리 분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당사 기술과 관련된 특허권 분쟁, 핵심인력의 유출입, 임직원 및 관련자가 당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히는 경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분쟁 또는 소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로 향후 당사 제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향후 당사의 제품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의 최종 소비자인 개별 환자 등으로부터 소송 등 법률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송 등의 분쟁 사항은 없습니다. 하지만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이 활발해져 사업의 외형이 증가할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권리 분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당사 기술과 관련된 특허권 분쟁, 핵심인력 유출입, 임직원 및 관련자가 당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히는 경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분쟁 또는 소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히,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잇몸 등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의료기기로 향후 당사 제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당사는 국내 식약처 품목인증 및 미국 FDA 510(k) 등을 통해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장장치 소재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형상기억소재 등 제품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당사의 제품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 경우 당사의 최종 소비자인 개별 환자 등으로부터 소송 등 법률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법률 분쟁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사안에 따라 매우 큰 규모의 분쟁이 될 경우 큰 규모의 소송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법률위반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지속적으로 회사의 영업활동에 관련된 법률검토 및 법률자문을 받고 있으며 담당 임직원에 대한 법률적 내부통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타. 내부 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상장 후에도 각종 유관기관의 공시전문교육을 충실히 이수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장 이후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주요한 사항들을 적시에 공시 가능하도록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는 상장 이후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및 동규정 시행세칙에서 정하는 공시전문교육을 이수할 예정입니다.
[공시 담당 인력 현황] |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비고 |
이사 | 박성현 | 공시책임자 |
- 서울대학교 학사(05) - 신한투자증권 부지점장(08-22) - ㈜그래피 경영지원본부장(23-현재) |
(주1) |
팀장 | 양대호 | 공시담당자(정) | - 홍익대학교 회계학 학사(07)- ㈜스텍 경영기획팀장(16-20)- ㈜그래피 경영지원팀장(25-현재) | - |
차장 | 김보현 | 공시담당자(부) |
- 한양대학교 석사(15) - ㈜진로발효 파트장(15-23) - ㈜그래피 경영지원팀 차장(24-현재) |
- |
주1) |
박성현 이사(前 재무담당이사)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으로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당사 재무담당이사(CFO)의 비특수관계인인으로의 교체 선임과 관련한 이행확약서를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2025년 06월 18일자로 당사의 재무담담이사로서 서창백 이사를 신규 채용하였으며 금번 공모를 위한 청약 개시일 이전에 서창백 이사의 취임에 대한 등기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시책임자는 서창백 재무담당이사의 취임 등기 및 한국거래소 상장전문가 과정 교육 수료 일정을 고려하여 박성현 이사로 기재하였으나 실제 당사의 상장 이후 공시책임자 역할은 서창백 이사가 수행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서창백 이사에 관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당사는 공시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위해 공시담당 임직원에 대해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제2장 공시의무 제1절 주요 경영사항 신고 및 공시 등 관련 법률 및 제규정을 충분히 숙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공시책임자와 공시담당자로 하여금 공시업무에 대해 상호 점검 및 보완할 수 있도록 업무프로세스를 갖추어 나가고 있습니다. 전자공시와 관련하여 변경된 사항이나 교육에 필요한 사항은 자체교육을 실시하고, 향후 신속하고 정확한 공시를 위해 금융 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관련기관에서 실시하는 주요 공시관련 교육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중 내부정보관리규정을 제정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제반 법규에 따른 신속·정확한 공시 및 임원·직원의 내부자거래 방지를 위하여 내부정보의 종합관리 및 적정한 공개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임직원들이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습니다. 향후 상장사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당사 내부정보관리규정 및 관련 법률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을 진행하여 불공정거래 등의 발생을 방지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의 상기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시 위반이나 불공정거래 등의 발생 및 예상치 못한 관리인력 이탈에 따른 내부 정보 관리 미흡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점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당사는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 및 관련 진행중인 소송은 존재하지 않으며, 당사는 위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임직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한편,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는 당사의 법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당사에 대한 제재 및 소송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평판 훼손 혹은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위법행위는 고객 영업 중 거짓된 정보의 제공 또는 사기 행위, 비인가 또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은폐, 고지되지 않거나 관리되지 않는 위험 또는 당사의 평판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 또는 법령, 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당사는 위와 같은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를 항상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위법행위 방지를 위한 예방 조치들은 항상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경영진의 경영능력 및 경영환경 변화 관련 위험당사의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등기 임원 및 주요 임원의 경력과 구성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경영진은 충분한 경영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표이사 및 주요 임원은 법률 위반 사실 등이 없으므로 적격한 경영진으로 판단 됩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에 제정되어 있는 이사회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의사록을 작성 및 날인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사외이사 및 감사 선임으로 선임된 사외이사 및 감사는 이사회를 견제하고 주주권리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최근사업연도(2024년) 매출액이 16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54.3% 성장하는 등 준수한 경영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우수한 경영성과가 앞으로의 경영성과 또한 좋을 것임을 보장하지 아니하며, 신청회사 경영진이 부적절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등의 경우 신청회사의 손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최대주주의 변경으로 인한 최고경영자 및 주요임원의 교체, 위법행위로 인한 사임,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퇴사 등 현재는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당사의 핵심인력인 최고 경영자나 주요 임원이 교체될 경우 당사의 경영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
당사의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등기 임원 및 주요 임원의 경력과 구성에 비추어 볼때 당사의 경영진은 충분한 경영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표이사 및 주요 임원은 법률 위반 사실 등이 없으므로 적격한 경영진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에 제정되어 있는 이사회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의사록을 작성 및 날인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독립적인 제3의 전문가로 사외이사 3인 및 비상근 감사 1인을 선임하였고, 사외이사 및 감사는 이사회를 견제하고 주주권리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임원 현황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 가. 임원 현황'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 천억원 미만 법인으로 상법 제542조의8에 의한 사외이사 선임 의무가 존재하지 않으나 경영투명성 및 내부통제 수준의 제고를 위하여 3인의 사외이사를 선임하였습니다. 당사의 사외이사는 최대주주와 특수관계가 없는 타인이며 이사회 참여를 통한 적절한 감시 및 견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영의 독립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사외이사 1인을 추가 선임(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사외이사 3인)하였으며 이사회내 위원회로서 사내이사 1인 및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를 설립하여 당사의 영업상 제반법규 준수 및 윤리경영을 실현하고자합니다. 사외이사 추가 선임 및 투명경영위원회의 설립은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 결의를 통해 완료하였으며 당사는 이와 관련한 이행확약서를 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당사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이행 확약서의 세부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투자위험요소-2.회사위험-서.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한편, 당사는 최근사업연도(2024년) 매출액이 16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54.3% 성장하는 등 준수한 경영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우수한 경영성과가 앞으로의 경영성과 또한 좋을 것임을 보장하지 아니하며, 당사 경영진이 부적절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등의 경우 당사의 손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향후 최대주주의 변경으로 인한 최고경영자 및 주요임원의 교체, 위법행위로 인한 사임,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퇴사 등 현재는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당사의 핵심인력인 최고 경영자나 주요 임원이 교체될 경우 당사의 경영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거. 상장 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 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간의 지분 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시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합계는 35.16%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1,95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예상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핵심인력의 이탈방지, 장기근속, 주인의식 함양 등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한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489,200주와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전량 전환권 행사시 보통주 38,200주 발행)가 존재합니다.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및 상환전환우선주의 전량 보통주 전환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53%로 소폭 낮아지지만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및 상환전환우선주 이외에 당사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관련 사채 및 잔여 상환전환우선주 외에 종류주식 등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금번 공모 및 희석으로 인한 경영권 관련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합니다. 당사의 공모 후 지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주주등의 공모 전 및 공모 후 지분율 변동]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관계 | 공모전 | 공모후 | 비고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24개월 의무보유 |
심미순 | 특수관계인 | 1,518 | 0.02% | 1,518 | 0.01%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 | 특수관계인 | 22,500 | 0.25% | 22,500 | 0.20% | 24개월 의무보유 | |
박성현(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특수관계인 | 8,903 | 0.10% | 8,903 | 0.08% | 24개월 의무보유 | |
조태연 | 등기임원 | 14,000 | 0.16% | 14,000 | 0.13% | 24개월 의무보유 | |
합계 | 3,175,690 | 35.16% | 3,175,690 | 28.77%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확정공모가액 기준 공모 주식수 1,950,000주와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주식수 58,500주를 반영한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그 외에 추가 희석이 가능한 주식수는 주식매수선택권으로 부여된 489,200주, 상환전환우선주 570주의 전환권 행사시 발행되는 보통주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입니다. |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 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동사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경우 회사의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의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 유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너.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관련 위험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가 계속기업으로서 존속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자산과 부채는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장부가액으로 회수되거나 상환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회계 처리되었습니다.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기업으로서 새로운 기술 및 제품에 개발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신소재 및 의료기기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및 임상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동안 타 산업 대비 막대한 자금 소요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당사의 재무 안정성 및 유동성 비율을 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당사는 현재 국내외 시장 인지도 증가 및 신규 해외시장 진출에 따라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향후 매출액 증가에 따라 이익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당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운영 자금을 확보하여 재무 구조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는 높은 마케팅 비용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고 있습니다.당사의 지속적인 개발 및 투자활동이 회사의 계획에 따라 영업성과로 연결되면 회사의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유로 외부감사인 또한 당사의 지속적인 영업손실 발생, 유동부채 금액의 유동자산 금액 초과와 관련하여 최근 3개년 당사의 감사보고서 및 2025년 1분기 검토보고서에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을 특기사항으로 기재하였으니, 투자 시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가 계속기업으로서 존속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자산과 부채는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장부가액으로 회수되거나 상환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회계 처리되었습니다. 한편,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기업으로서 새로운 기술 및 제품에 개발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신소재 및 의료기기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및 임상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동안 타 산업 대비 막대한 자금 소요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투자위험요소-2.회사위험-바.재무 안정성 및 현금흐름 관련 위험'에서 기재한바와 같이 당사의 재무 안정성 및 유동성 비율을 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당사는 현재 국내외 시장 인지도 증가 및 신규 해외시장 진출에 따라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향후 매출액 증가에 따라 이익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 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활한 연구개발, 임상을 위해 설립 이후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등 재무안전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있습니다. 추가로 당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운영 자금을 확보하여 재무 구조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는 높은 마케팅 비용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고 있습니다.
[감사(검토)보고서상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특기사항] |
구분 | 내용 |
분기재무제표검토보고서(2025년 1분기별도) |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이 보고서의이용자는주석37에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7은 2025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에 당기순손실 3,816백만원이 발생하였고, 보고기간말현재로기업의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10,265백만 만큼 더 많음을 나타내고있습니다.주석37에서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건이나 상황은 주석 37에서설명하고있는다른사항과 더불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의견은 이 사항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합니다. |
독립된 감사인의감사보고서(2024년 별도) |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8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8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에 9,194,129천원의 영업손실 및 9,600,635천원의 부의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하였고, 보고기간말 현재로 기업의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6,677,744천원만큼 더 많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이나 상황은 주석 38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른 사항과 더불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의견은 이 사항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합니다. |
독립된 감사인의감사보고서(2023년 별도) |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8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8은 2023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에 5,445,529천원의 순손실 및 7,991,505천원의 부의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하였고, 보고기간말 현재로 기업의 유동부채가 총자산보다 23,413,946천원 만큼 더 많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주석 3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건이나 상황은 주석 38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른 사항과 더불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존재함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의견은 이 사항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합니다. |
독립된 감사인의감사보고서(2022년 별도) |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40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40은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에 17,676,658천원의 순손실 및 7,769,493천원의 부의 영업현금흐름 발생하였고, 보고기간말 현재로 기업의 유동부채가 총자산보다 24,754,980천원 만큼 더 많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주석 4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건이나 상황은 주석 40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른 사항과 더불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의견은 이사항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합니다. |
자료: 감사보고서 및 검토보고서 |
당사의 지속적인 개발 및 투자활동이 회사의 계획에 따라 영업성과로 연결되면 회사의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만일 이러한 계획에 차질이 있어서 회사가 계속기업으로서 존속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정상적인 영업활동과정을 통하여 장부가액으로 회수하거나 상환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불확실성의 결과로 계속기업가정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는 자산과 부채의 금액 및 분류표시와 관련 손익항목에 대한 수정사항은 당사의 재무제표에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사유로 외부감사인 또한 당사의 지속적인 영업손실 발생, 유동부채 금액의 유동자산 금액 초과와 관련하여 최근 3개년 당사의 감사보고서 및 2025년 1분기 검토보고서에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을 특기사항으로 기재하였으니, 투자 시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더.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나, 당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회계처리 오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하여는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 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1분기 검토 이후, 감사(검토) 받지 않은 당사 자체 결산 별도재무제표 기준 2025년 6월까지 누적매출액 약 67억원, 영업손실 약 6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사업 추진 현황 및 추정치에 대한 변동이 있을 수 있사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발행회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으로 판단되나, 발행회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증권신고서 작성 지침] |
II.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및 공시대상기간 1. 증권신고서의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로 한다. 다만, 「발행인에 관한 사항」중 '재무에 관한 사항',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부속명세서' 등 회사의 회계처리 또는 감사와 관련된 사항과 사업의 내용 중 사업연도별로 비교표시하는 사항 등(이하 "재무에 관한 사항 등")은 제출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최근 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말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한다. 2. 증권신고서에 적용되는 공시대상기간은 최근 3사업연도로 한다. 최근 3사업연도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3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를 말하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가 제출되었거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에 기재될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최근 2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로 한다. 3. 위 1, 2에서 정한 사항에도 불구하고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및 서식에서 별도로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또는 공시대상기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며, 공시대상기간의 적용은 위 2의 방식을 준용한다. 투자자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등으로서 회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시대상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서 공시대상기간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게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정하는 경우, 직전 사업연도의 사업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은 때에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의 내용을 기재한다. |
자료: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작성 시 기재상의 주의 |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하여는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 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안내서 개정 주요내용] |
|
자료: 금융감독원 보도자료(2024.01.22) |
이에, 당사의 2025년 1분기(1월~3월) 검토 이후 2025년 5월까지의 잠정 매출액 및 영업손익을 아래와 같이 공시합니다. 당사는 2025년 1분기 검토 이후, 감사(검토) 받지 않은 당사 자체 결산 별도재무제표 기준 2025년 6월까지 누적매출액 약 67억원, 영업손실 약 6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아래 기재한 잠정실적은 당사의 가결산 기준의 재무수치로서 향후 감사(검토)받을 확정실적과의 차이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당사의 실적 악화에 의한 주가하락 등의 투자위험이 존재함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1분기 검토 이후 월별 가결산 영업손익]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06월(누계, 가결산) | 2025년 06월(가결산) | 2025년 05월(가결산) | 2025년 04월(가결산) | 2025년 1분기(검토) | 2024년(감사의견 적정) |
매출액 | 6,666 | 2,572 | 1,214 | 600 | 2,280 | 16,149 |
영업이익(손실) | (6,184) | (328) | (633) | (1,580) | (3,642) | (9,194) |
당기순이익(손실) | (6,808) | (538) | (688) | (1,766) | (3,817) | (32,688) |
자료: 당사, 감사보고서, 검토보고서 | |
주1) | 상기 수치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사업 추진 현황 및 추정치에 대한 변동이 있을 수 있사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러. 이해관계자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부통제시스템 강화를 위해 2024년 01월 02일자로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사외이사 3인 및 사내이사 4인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종속회사 및 이해관계자 간 거래에 대해 연간 한도 사전 승인 및 거래 발생시 마다 각 이사회 결의를 통해 거래 필요성 및 적정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 투명성 재고를 위하여 2024년 06월 중 덴탈그래피와의 거래관계를 종료하였으며 2025년 04월 14일자로 덴탈그래피의 폐업 처리를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2025년내로 주식회사 디지털그래피를 흡수합병하여 향후 자회사와의 거래의 발생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2025년 06월 18일자로 비특수관계인인 서창백 이사를 당사의 재무담당이사로 신규 채용하였으며 금번 공모에 따른 청약 개시일 이전에 서창백 이사의 사내이사 취임 등기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가 발생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내부통제 절차를 취하지 않아 이해관계자로의 부의 이전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당사는 최선을 다하여 이해관계자 거래에 공정성을 기하고 부의 이전 등 주주의 이해를 해하는 거래에 대하여 경계를 하고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부통제시스템 강화를 위해 2024년 01월 02일자로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사외이사 3인 및 사내이사 4인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종속회사 및 이해관계자 간 거래에 대해 연간 한도 사전 승인 및 거래 발생시 마다 각 이사회 결의를 통해 거래 필요성 및 적정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 주요 내용] |
조항 | 내용 |
---|---|
제3조 (대상) |
이 규정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다. 1. "이해관계자"란 당해 법인의 주요주주(그의 특수관계인을 포함한다), 이사(상법 제401조의2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포함한다), 감사 및 관계회사를 말한다. 2. "주요주주"라 함은 상법 제542조의 8 제2항 6호에 해당하는 자로서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이사·감사위원의 선임과 해임 등 회사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주를 말한다. 3. "특수관계인"이라 함은 본인과 상법 시행령 제34조 제4항에 해당하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를 말한다. 4. "관계회사"라 함은 기업회계기준서 제20호 문단9(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5호 문단 5 및 6,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조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
제4조 (거래의 범위) |
이해관계자 거래의 유형은 다음의 각 호와 같다. 1. 매출/매입거래 2. 부동산 구입/처분 3. 용역거래 4. 임대차 협약 5. 지적재산권의 이전 6. 대여와 출자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7. 담보/보증 8. 경영계약 및 기타의 거래 |
제5조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의 필요성, 적정성) |
1. 회사와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는 오로지 회사의 경영상의 필요를 위하 여서만 이루어져야 하며, 회사 또는 이해관계자 일방에게 이익 또는 손실을 귀속시키려는 목적 기타 위법 또는 부당한 목적을 위하여 이루어져서는 아니된다. 2. 이해관계자 거래를 해야 할 경영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회사와 이해관계자와의 모든 거래는 이해관계자가 없는 독립된 제3자와의 거래였다면 형성되었을 공정한 가격 기타 조건(arm's length basis)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제 6 조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의 절차) |
1.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의 필요성, 거래조건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회사와 이해관계자 간의 모든 거래는 이사회의 연간 한도 승인을 얻어야 하며, 한도 초과 시 사유 등을 기재하여 추가 이사회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이해관계자 거래 승인을 위한 이사회 결의를 함에 있어, 대표이사는 이사들에게 ① 해당 이해관계자와의 특수관계의 성격(특수관계의 이해에 필요할 경우 이해관계자의 명단을 포함한다.)과 ② 거래 조건(거래 조건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의 효과를 표시). ③ 해당 거래의 필요성, 거래 조건의 적정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출석한 이사들의 만장일치 결의에 의한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
제 7조 (이사회의 의무와 권한) |
1. 이사회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의 필요성, 적정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거래를 승인하여서는 아니된다. 2. 이사회는 공정한 거래 조건의 산정이 어려울 경우 외부평가기관을 지정하고 그 평가를 의뢰하여 거래 조건을 결정할 수 있고, 이해관계자 거래의 필요성, 적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의 부과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제8조 (거래가격의 적정성) |
이해관계자와의 모든 거래는 독립된 제3자와의 거래에서 형성된 가격으로 집행되어야 하며, 독립된 제 3자와의 거래가격 산정이 어려운 경우 거래의 정당성을 위해 이사회는 외부평가기관을 지정하고 그 평가를 의뢰하여 거래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중 발생한 당사와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내역] |
(단위: 백만원) |
성명 (법인명) |
관계 | 구 분 |
2025연도1분기 |
2024연도 | 2023연도 | 2022연도 | ||||
---|---|---|---|---|---|---|---|---|---|---|
금액 | 내용 | 금액 | 내용 | 금액 | 내용 | 금액 | 내용 | |||
주식회사디지털그래피 | 종속회사 | 매출거래 | 6 | 임대수입 | 24 | 임대수입 | 24 | 임대수입 | 25 |
제품매출 임대수입 |
매출채권잔액 | - | - | - | - | 31 | 매출채권 | 35 | 매출채권 | ||
매입거래 | 17 | GMP사용료 | 95 | GMP사용료 | 69 | GMP사용료 | 1 | GMP사용료 | ||
매입채무잔액 | 38 | 매입채무 | 31 | 매입채무 | 24 |
임대보증금 매입채무 |
20 | 임대보증금 | ||
덴탈그래피 | 특수관계자 | 매출거래 | - | - | 6 | 임대수입 | 12 | 임대수입 | 12 | 임대수입 |
매출채권잔액 | - | - | - | - | - | 매출채권 | 22 | 매출채권 | ||
매입거래 | - | - | 12 | 기공소사용료 | 35 | 기공소사용료 | - | - | ||
매입채무잔액 | - | - | - | - | 1 | 매입채무 | - | - | ||
박성현 | 특수관계자 | 매입거래 | - | - | - | - | 52 | 경영컨설팅 | 22 | 경영컨설팅 |
매입채무잔액 | - | - | - | - | - | - | - | - |
자료: 당사 |
디지털그래피는 당사가 사업 초기 시장 진출을 위해 전략으로 설립한 소재 유통 및 투명교정장치 제조 전문 자회사입니다. 디지털그래피를 상대로 발생한 매출 거래는 당사 본사 사무실 사용에 따른 부동산 임대 수입이며 매입 거래는 GMP시설 사용에 따른 GMP 사용료 지급건입니다. 덴탈그래피는 심운섭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인 심미순 소장의 개인사업자인 치과 기공소로 당사가 개발한 치과용 보철 소재의 임상유효성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기공물을 제작할 목적으로 설립 후 거래를 진행 하였습니다. 당사와 덴탈그래피간 발생한 매출 및 매입 거래는 각각 당사 본사 사무실 사용에 따른 부동산 임대 수입과 기공소 사용에 따른 사용료 지급건입니다.한편,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 투명성 재고를 위하여 2024년 06월 중 덴탈그래피와의 거래관계를 종료하였으며 2025년 04월 14일자로 덴탈그래피의 폐업 처리를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덴탈그래피의 폐업 처리에 따라 향후에는 타 기공소와의 거래를 통해 기공물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타 기공소를 통해 기공물을 제작하는 경우 기공수가는 품목별로 20.0%에서 최대 316.7%까지 상승하게 되나 과거 덴탈그래피를 통한 거래가 당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외의 치과용 보철 장치 관련 기공물 제작으로 한정된다는 점, 최근 3개년간 당사의 덴탈그래피와의 기공소 사용에 대한 거래 금액의 합계가 47백만원정도로 크지 않다는점 등을 감안하였을 때, 타 기공소와의 거래에 따른 기공수가 상승이 당사의 영업 및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치과용 소재 품목별 기공수가] |
(단위 원) |
품목 | 덴탈그래피 기공수가 | 타 기공소 기공수가 | 가격 상승률 |
인레이 | 30,000 | 60,000~80,000 | 100.0%~166.7% |
크라운 | 50,000 | 80,000~100,000 | 60.0%~100.0% |
풀덴처 | 100,000 | 120,000~180,000 | 20.0%~80.0% |
플렉시블 | 80,000 | 130,000~220,000 | 62.5%~175.0% |
스플린트 | 100,000 | 130,000 | 30.0% |
샘플박스(교정장치 등 10종 구성) | 120,000 | 500,000 | 316.7% |
자료: 당사 조사 | |
주1) | 가격상승률은 각 품목별 덴탈그래피 대신 타 기공소를 통해 기공물을 제작하였을 때의 가격 상승률입니다. |
또한 당사는 상장 이후 2025년내로 주식회사 디지털그래피를 흡수합병하여 향후 자회사와의 거래의 발생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박성현 사내이사는 당사 심운섭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으로 2023년 01월부터 당사의 등기임원으로 재직중입니다. 박성현 이사는 과거 증권사에서 자금운용 업무를 오랫동안 담당한 금융전문가로서 당사 입사 이전인 2022년 11월 중 당사와 투자유치 및 회계감사 대응 업무와 관련한 자문용역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계약조건에 따라 업무 수행에 대한 대가로 당사로부터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총 약 74백만원의 수수료를 지급받았습니다.박성현 이사는 당사 입사 이후 경영지원, 자금계획 및 조달, 재무관리, 상장을 위한 회사 업무 시스템 개선 구축 등 회사의 재무관련 업무에 적극적으로 기여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에 해당하는 바,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2025년 06월 18일자로 비특수관계인인 서창백 이사를 당사의 재무담당이사로 신규 채용하였습니다. 당사는 재무담당이사의 신규 채용 과정에서 절차 상의 독립성을 준수하기 위하여 온라인 구인 플랫폼의 구인 공고 게시를 통해 지원한 다수의 지원자의 이력 사항 등을 검토하였으며 당사의 재무담당이사로서 역할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후보자로 판단되는 서창백 이사를 최종 채용하였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에 따른 청약 개시일 이전에 서창백 이사의 사내이사 취임 등기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이와 함께, 당사는 사외이사 1인을 신규 선임하고 투명경영위원회를 설치 완료하여 공개기업으로서의 내부통제를 강화 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이행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본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확약 사항과 관련하여 당사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이행 확약서의 세부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투자위험요소-2.회사위험-서.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을 참고 바랍니다.상기와 같이 당사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고 이에 따라 매년 연초 이사회에서 일정기간을 정하여 과거 실적 및 차년도 사업계획을 근거로 관계사 간 거래 한도를 설정하고 그 금액 내에서 거래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장 준비 과정에서 공개기업으로서의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특수관계인과의 거래를 중단하고 특수관계인인 등기임원의 교체 선임, 특수관계인인 개인사업자의 폐업 및 자회사의 합병 등 특수관계인과의 거래를 차단하기 위한 개선 사항 및 사외이사 선임,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등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사항을 이행 완료하였거나 완료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가 발생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내부통제 절차를 취하지 않아 이해관계자로의 부의 이전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당사는 최선을 다하여 이해관계자 거래에 공정성을 기하고 부의 이전 등 주주의 이해를 해하는 거래에 대하여 경계를 하고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머. 공정거래규약 등 법규 위반 발생 가능성 관련 위험 동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의료기기법 제2조에 따른 '의료기기'로 당사는 동조항에서 정의하는 '의료기기 제조업자'에 해당합니다. 의료기기법 제13조제3항에 따르면 의료기기 제조업자는 원칙적으로 의료기기의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의료인 등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여서는 아니됩니다. 다만, 동조항의 단서조항에 따라 견본품 제공, 학술대회 지원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일정한 유형의 행위에 대하여는 경제적 이익의 제공을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치과기재업계의 음성적 리베이트 제공행위를 자율규제하고자 지난 2012년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지난 2012년 08월 0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당사는 2023년부터 공정경쟁규약에 따라 국제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신고를 해오고 있으며,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하기 위하여 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 담당자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 준비 중 과거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해외학술대회 지원 및 세미나 강연료 지급 과정에서 공정경쟁규약 제12조제2항에 따른 '강연료 및 자문료의 지급에 대한 신고' 및 제9조제2항 내지 제4호에 따른 '직접적인 지원금지 및 동반자 지원금지 사항'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해당 위반 사항과 관련하여 당사에 경고 및 경징계 조치를 부과한 바 있으며 해당 조치를 통해 상기 위반사항은 종결된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상기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의 처분(경고 및 경징계)은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에 대한 조치로 이러한 처분 사실은 당사의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등 기타 제반법규의 위반 여부 혹은 위반에 따른 처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과거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실이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사항(불법적 리베이트 해당 여부)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외부 법무법인의 법률 검토를 받았으며 해당 위반건이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법무법인의 의견서를 수령하였습니다. 다만,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에 따른 불법적 리베이트의 해당 여부에 대한 최종 행정처분기관은 식품의약안전처 및 공정거래위원회로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항이 향후 최종 행정처분기관에 의하여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되어 처분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당사는 향후 '보건의료인'에게 지급되는 수수료 등에 대하여는 법무법인의 검토 및 협회내 공정경쟁위원회 상담을 거쳐 신고 등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인 투명경영위원회를 설립하고 운영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과 관련된 제반법규의 준수에 대한 내부통제가 강화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등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금품류 제공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향후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하는 경우 공정경쟁규약 제20조에 따른 '1억원 이하의 위약금', '관계당국 고발' 등 중징계에 해당하는 조치, 의료기기법 제52조에 따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등의 조치가 당사에 취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의료기기법 제2조에 따른 '의료기기'로 당사는 동조항에서 정의하는 '의료기기 제조업자'에 해당합니다. 의료기기법 제13조제3항에 따르면 의료기기 제조업자는 원칙적으로 의료기기의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의료인 등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여서는 아니됩니다. 다만, 동조항의 단서조항에 따라 견본품 제공, 학술대회 지원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일정한 유형의 행위에 대하여는 경제적 이익의 제공을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유통 및 판매질서 유지에 관한 규칙] |
제2조(경제적 이익등의 범위) 「의료기기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3조제3항 단서(법 제15조제6항 및 제16조제4항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및 제18조제2항 단서에 따라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등의 범위는 별표와 같다. |
[의료기기 유통 및 판매질서 유지에 관한 규칙[별표]] | ||||||||||||||||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등의 범위(제2조 관련)
|
다만, 의료기기법은 허용되는 경제적 이익제공행위 유형에 대해서 일부는 시행규칙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있지 않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45조제1항 제4호에 따라 불공정거래행위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사업자가 준수하여야할 지침을 제정·고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침 및 규약 등은 의료기기법 등 관련 법규의 위반 여부 등을 판단하는 일응의 구체적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치과기재업계의 음성적 리베이트 제공행위를 자율규제하고자 지난 2012년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지난 2012년 08월 0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공정경쟁규약은 치과기재 거래에서의 부당 고객유인을 방지하기위해 치과기재 사업자가 준수해야 할 원칙 및 행동강령(code)으로 해당 규약에 따르면 치과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금품류 제공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견본품 제공, 학술대회·제품설명회 지원, 교육·훈련 실시, 강연·자문 지원 등 환자진료를 위한 의학적·과학적·교육적 정보수집·제공 및 이에 부수되는 활동에 있어 금품류 제공이 일부 허용됩니다.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상의 금품류 제공행위별 주요 준수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상 주요 금품류 제공행위별 가이드라인] |
금품류 제공행위 | 가이드라인(준수원칙) |
학술대회 참가지원(제9조) |
① 사업자는 다음 각 호의 1의 기관ㆍ단체가 주관하여 개최하는 국내외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보건의료인을 해당 학술대회의 주최자를 통하여 지원할 수 있다. 1. 치의학 관련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법인 2. 「의료법」 제28조 제1항에 따른 치과의사회, 같은 법 제52조 제1항에 따른 의료기관 단체 및 이들 협회 또는 단체가 승인ㆍ인정한 학회(해외학회 포함), 학술기관ㆍ단체나 연구기관ㆍ단체 3.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대학 또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1항에 따른 산학협력단 4. 협회가 인정한 학회(해외학회 포함), 학술기관ㆍ단체나 연구기관ㆍ단체 ② 지원행위를 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다음 각 호의 원칙에 따른다. 1. 제1항의 국내외 학술대회는 학술적ㆍ교육적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과 방식으로 적절한 장소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로 한정한다. 2. 보건의료인에 대한 지원 내용은 발표자, 좌장, 토론자가 학술대회 주최자로부터 지원받는 실비의 교통비, 등록비, 식대, 숙박비에 한한다. 3. 사업자는 지원하려는 학술대회만을 지정하여 협회에 기탁하는 방식으로 보건의료인을 지원하여야 하며, 협회를 통해 지원하는 것 외에 학술대회를 주관하는 기관ㆍ단체나 그 관계자, 학술대회 참가자 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허용되지 아니 한다. 4. 학술대회 참가지원이 여행ㆍ관광ㆍ여가활동 지원 등 향응이나 접대와 결부되어서는 아니 되고, 보건의료인의 동반자에 대한 지원은 허용되지 아니 한다. 5. 사업자는 학술대회 참가지원 경비의 회계처리 시 관련 학술대회의 주최자, 내용, 대상, 지원금액 등에 대한 구체적인 증빙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③ 학술대회 참가지원과 관련하여 협회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사업자를 대신하여 사업자가 지정한 학술대회의 주최자에게 지원금을 제공한다. 단, 협회는 제2항 제2호에 해당하는 목적과 용도만을 지정할 수 있을 뿐, 학술대회 참가자 개인을 지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2. 학술대회가 완료된 이후 학술대회 주최 측 또는 참가 보건의료인으로부터 필요한 증빙자료를 받아 학술대회의 주체, 내용, 지원금액, 지원금액의 사용내역 등을 협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야 한다. 3. 경비 지급과 관련한 자료 일체를 성실히 관리하고, 지원 사업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언제라도 관련 자료를 열람ㆍ복사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강연·자문(제12조) |
① 사업자는 보건의료인에 대한 판촉목적으로 강연 또는 자문을 의뢰하고 강연료 또는 자문료를 지급하여서는 아니 되며, 치의학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보건의료인의 치의학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여 강연 또는 자문을 의뢰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원칙과 기준에 따라야 한다. 1. 보건의료인에 대한 강연 또는 자문의 요청은 제10조에 의한 제품설명회 및 제11조에 의한 교육·훈련의 경우와 회원사 소속 임직원에 대한 자문 및 교육ㆍ훈련 등 치의학적, 전문적 정보습득의 목적에서 그 필요성이 객관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로 한정되어야 한다. 2. 강연료 또는 자문료는 보건의료인의 지식, 경험 수준 및 사회통념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행한 강의활동 또는 자문활동을 기초로 산정되어야 한다. 강연 또는 자문의 완료 이전에 강연료 또는 자문료 전액을 미리 지급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사업자는 강연료 또는 자문료의 회계처리 시 해당 강연자 선정 및 자문위원 위촉사유, 강연 및 자문일시, 강연 및 자문내용, 강연 및 자문내용의 활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증빙자료를 보존하여야 한다. ② 사업자는 강연료 또는 자문료 지급이 완료된 후 강연 또는 자문일시, 강연료 또는 자문료 지급내역 등을 협회에서 정한 신고양식에 따라 지급일 기준 20일 이내에 협회에 신고하여야 한다. |
자료: 치과기재 거래에 관한 공정경쟁규약 |
한편, 당사는 당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브랜드 인지도 확대 목적으로 다수의 국제학술대회 개최 및 운영을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부터 공정경쟁규약에 따라 국제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신고를 해오고 있으며,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하기 위하여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가 주최한 공정거래법 및 공정경쟁규약 설명회에 대외협력팀 이 참가하는 등 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 담당자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 준비 중 과거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해외학술대회 지원 및 세미나 강연료 지급 과정에서 공정경쟁규약 제12조제2항에 따른 '강연료 및 자문료의 지급에 대한 신고' 및 제9조제2항 내지 제4호에 따른 '직접적인 지원금지 및 동반자 지원금지 사항'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위반 사실을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에 사후 신고하였습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해당 위반 사항과 관련하여 당사에 경고 및 경징계 조치를 부과한 바 있으며 해당 조치를 통해 상기 위반사항은 종결된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그러나 상기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의 처분(경고 및 경징계)은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에 대한 조치로 이러한 처분 사실은 당사의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등 기타 제반법규의 위반 여부 혹은 위반에 따른 처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과거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실이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사항(불법적 리베이트 해당 여부)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외부 법무법인의 법률 검토를 받았으며 해당 위반건이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법무법인의 의견서를 수령하였습니다. 다만, 의료기기법 및 공정거래법에 따른 불법적 리베이트의 해당 여부에 대한 최종 행정처분기관은 식품의약안전처 및 공정거래위원회로 당사의 공정경쟁규약 위반 사항이 향후 최종 행정처분기관에 의하여 불법적 리베이트로 판단돠어 처분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향후 당사의 의료기기법, 공정거래법 등 기타 제반법규의 위반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당사는 관련 내용을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당국에 신고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당사는 의료기기법 제52조(벌칙) 등에 따른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당사의 제반 법규 위반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수시공시 등을 통해 관련 사실을 투자자들에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향후 보건의료인에게 지급되는 수수료 등에 대하여는 법무법인의 검토 및 협회내 공정경쟁위원회 상담을 거쳐 신고 등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한국거래소에 '투명경영위원회 설립 확약서'를 제출하였습니다. 해당 확약서의 내용에 따라 당사는 2025년 07월 25일자로 이사회내 위원회인 투명경영위원회를 설립하고 운영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과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되며 당사가 영업활동 및 이와 수반되는 활동을 함에 있어 발생하는 거래가 공정거래법 규약 및 제반법규를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 심의 및 의결할 예정입니다. 투명경영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향후 당사의 영업활동과 관련된 제반법규의 준수에 대한 내부통제가 강화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투명경영위원회 설치와 관련된 사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투자위험요소-2.회사위험-서.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학술대회 개최 운영지원 등 당사의 의료인에 대한 금품류 제공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향후 당사가 공정경쟁규약 등 제반법규를 위반하는 경우 공정경쟁규약 제20조에 따른 '1억원 이하의 위약금', '관계당국 고발' 등 중징계에 해당하는 조치, 의료기기법 제52조에 따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등의 조치가 당사에 취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버. 사업 초기 투자비용 관련 위험 당사는 기술 및 제품의 상용화와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인력 확보, 글로벌 마케팅, 제품 고도화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선제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교정 시장의 특성상 학계 및 전문가의 영향력이 높고, 초기 제품 확산의 핵심 채널이 광고가 아닌 임상 기반 신뢰 형성이기 때문에 글로벌 연자(speaker) 연계 마케팅, 글로벌 학회 참여, 현지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및 행사마케팅비의 경우 고정비 성격으로 시장 진입 지연 시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선제적으로 채용된 인력의 생산성과 매출기여도가 단기간 내 실현되지 않을 경우, 투자대비 효과가 저조해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특히 일본, 미국 등 당사의 초기 수출 주요 국가에서 활동 중인 주요 연자와의 협업이 중단될 경우, 해당 국가에서의 딜러십 모델 및 의료진 기반 네트워크 유지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신뢰도 저하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매출 위축과 재진입 지연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사업 추진 일정이나 수익 실현 속도, 주요 연자와의 협업 지속성 등에 따라 손익 및 유동성 구조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투자 판단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신중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기술 및 제품의 상용화와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인력 확보, 글로벌 마케팅, 제품 고도화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선제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교정 시장의 특성상 학계 및 전문가의 영향력이 높고, 초기 제품 확산의 핵심 채널이 광고가 아닌 임상 기반 신뢰 형성이기 때문에 주요 연자 연계 마케팅, 글로벌 학회 참여, 현지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이는 향후 매출 성장과 신뢰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나, 이러한 활동은 단기간 내 직접적인 성과로 연결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고정비 성격을 수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시장 진입이 지연되거나 예상 대비 매출 확대 속도가 더딜 경우, 사업 초기 투자비용이 당사의 수익성 및 자금 운용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① 인건비 분석
[최근 3개년 인건비 현황] |
(단위: 백만원, 명)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급여액 | 4,253 | 4,904 | 5,950 |
월평균 지급액 | 354 | 409 | 496 |
월평균 근무인원수 | 74 | 82 | 92 |
자료: 당사 제시 |
당사는 글로벌 사업 확장에 따라 생산, 영업, 마케팅 인력을 최근 3개년 확대하였습니다. 이러한 인력 확충에 따라 급여액 기준 인건비는 2022년 42.5억원에서 2024년 59.5억원으로 약 17억원 증가하였으며, 월평균 근무 인원수는 18명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IPO 준비에 따른 CFO 및 IPO 경험을 보유한 재무팀장 등 재무/기획 관련 인원 확대 및 글로벌 마케팅 역량을 가진 사업개발부 실장 등 해외 영업인력의 선제 충원에 따라 인원수가 증가하였으며, 높은 역량을 보유한 인원 충원에 따라 월평균 지급액도 증가하였습니다.당사는 인도, 미국 등 사업 확장에 필요한 인력을 최대한 선제 확보하였으며, 연구개발인력의 경우 TA28, TC85 등 주요 제품 개발이 완료되었고, 그간 소재합성 기술에 관한 충분한 기술 등 개발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향후 신규 채용 및 급격한 급여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미국, 인도 등 주요 시장의 본격적인 진출을 위해 글로벌 마케팅 및 사업개발 인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특히 시장 확대 속도나 수익성 개선이 계획보다 지연될 경우, 이러한 인건비 수준이 고정비 부담으로 작용하여 손익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선제적으로 채용된 인력의 생산성과 매출기여도가 단기간 내 실현되지 않을 경우, 투자대비 효과가 저조해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② 행사·마케팅비용 분석
[최근 3개년 행사 마케팅비용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행사마케팅비 | 1,678 | 2,541 | 4,200 |
참석 행사 수(개) | 25 | 50 | 76 |
참석 행사당 비용 | 67 | 51 | 55 |
자료: 당사 |
행사마케팅비는 주로 강연료, 전시회 부스 비용, 여비교통비 등으로 행사 참여에 따라 지급하는 비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사의 행사마케팅비는 최근 3개년 지속 증가하여 2024년 기준 42억원 규모입니다. 당사는 2024년 본격적인 일본 매출 외형 성장 및 미국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해 글로벌 주요 행사에 다수 참여하는 과정에서 행사마케팅비가 증가하였습니다. 현재 당사는 아래와 같이 총 4인의 주요 연자와 협업을 통해 마케팅 활동을 진행 중이며, 이들은 주요 학회 강연, 임상 케이스 발표, 의료진 교육, 제품 자문 등의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자와의 협업 사항] |
성명 | 국적 | 주요 역할 | 주요 경력 사항 |
---|---|---|---|
Dr. Kenji Ojima | 일본 | 일본 시장 주요 연자, 임상 확산 및 행사 주도 | - D.D.S M.D.Sc- Invisalign faculty- Adjunct Professor University of Torino- President of Japan Academy of Aligner Orthodontics |
Dr. Ravindra Nanda | 미국 | 글로벌 학회 강연, 자문 | - Department of Orthodontics University of Connecticut- Adjunct Professor The Forsyth Institute- Editor-in-Chief Progress in Orthodontics- Progress in Orthodontics (편집장)- Journal of Clinical Orthodontics (수석 편집자)- The Angle Orthodontist, Turkish Journal of Orthodontics 등 총 10개 이상 편집위원 활동 |
김기범 교수 | 미국 | 국내 교육, 글로벌 웨비나 활동 | -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교 치의학대학 교정과 학과장- Dr. Lysle Johnston 석좌 교수-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ABO) 인증 전문의- American Board of Orofacial Pain 인증 전문의- AAO(미국 교정학회) 교육 위원회 위원장- 3권의 교정학 교과서 저자 및 100편 이상의 국제 논문 발표- 다수의 석사 및 박사 연구 지도 (130건 이상) |
조용민 원장 | 독일 | 교육 콘텐츠 개발, 연자 활동 | - 유럽의 Graphy Certification Course 운영 및 관리자- 쇼위 그룹 Development & Innovation Office- Scheu Dental, CA Digital, Smile Dental Companies |
Dr. Kenji Ojima의 주요 컨설팅 내용은 그래피 내외부 행사에서 메인스피커 역할, 행사 전후 주요 연자 및 고객처 대응 및 관리, 일본시장내 그래피 제품으로의 시장 전환 조력 등입니다. Dr. Ravindra Nanda의 주요 컨설팅 내용은 'Progress in Orthodontics'의 편집장으로서의 그래피 관련 논문 우선 발표 및 과학/임상적 고찰 의견 추가, 논문 억셉트 결정, 행사 자문, 그래피 스피커의 관리, 각 행사 업무 조율 등입니다. 이외 조용민 원장, 김기범 교수가 미국, 유럽 등에서 당사의 주요 연자로서 강연 및 당사 제품의 신뢰성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부터 2024년까지 2개년간 총 11건의 글로벌 전시회 및 학술행사에 참가하였으며, 주요 참가행사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2개년 글로벌 전시회/행사 참가내역] |
연도 | 전시회명 | 국가 | 참가형태 |
---|---|---|---|
2023 | AAO (미국 치과교정학회)(주1) | 미국 | 부스 + 연자 강연 |
JDA Annual Meeting(주2) | 일본 | 부스 + 연자 강연 | |
SIDEX(주3) | 한국 | 부스 | |
2024 | IDS (쾰른 국제덴탈쇼)(주4) | 독일 | 부스 + 바이어 응대 |
GNYDM(주5) | 미국 | 부스 | |
그외 다수 | DIO, GAC, KDX 등(주6) | 다국가 | 부스 또는 연자 협업 |
주1) | AAO: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미국 치과교정학회) |
주2) | JDA: Japan Digital Orthodont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일본 디지털교정학회 연례회의) |
주3) | SIDEX: Seoul International Dental Exhibition & Scientific Congress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 |
주4) | IDS: Internationale Dental-Schau (독일 쾰른 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 |
주5) | GNYDM: Greater New York Dental Meeting (미국 뉴욕 국제치과학술대회 및 전시회) |
주6) | DIO, GAC, KDX: 기타 지역별 또는 전문 교정 분야 중심 전시회 및 바이어 미팅 행사 |
[최근 2개년 국가별 행사 참석 횟수] |
(단위: 회) |
국가 | 2023년 | 2024년 |
그리스 | - | 1 |
대만 | 1 | 2 |
독일 | 9 | 7 |
두바이 | 1 | 1 |
루마니아 | - | 1 |
마카오 | - | 1 |
멕시코 | - | 1 |
미국 | 10 | 10 |
바르샤바 | - | 1 |
베트남 | - | 2 |
불가리아 | - | 1 |
브라질 | - | 1 |
사우디아라비아 | - | 2 |
스페인 | 1 | 3 |
엘살바도르 | - | 1 |
오스트리아 | - | 1 |
우즈벡 | - | 1 |
이라크 | - | 1 |
이집트 | - | 1 |
이탈리아 | 3 | 3 |
인도 | 1 | 2 |
일본 | 1 | 4 |
체코 | - | 2 |
칠레 | - | 1 |
콜롬비아 | - | 1 |
터키 | - | 1 |
포르투갈 | - | 1 |
폴란드 | - | 1 |
프랑스 | 2 | 2 |
한국 | 19 | 16 |
헝가리 | - | 1 |
호주 | 1 | 1 |
홍콩 | 1 | 1 |
합계 | 50 | 76 |
자료: 당사 |
당사의 최근 3개년 주요 연자 관련 마케팅 비용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주요 연자 행사 마케팅비용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숙박/교통비 | 59 | 91 | 368 |
행사마케팅(연자강연) | 49 | 199 | 479 |
임상자문료 | 54 | 258 | 411 |
기념품, 식음료 등 | 2 | - | 11 |
주식보상비용 | - | - | 152 |
합계 | 164 | 548 | 1,421 |
자료: 당사 |
주요 연자 행사 관련 비용은 해외 학회 등 방문시 필요한 숙박/교통비, 학회(통상 5일정도) 강연에 대한 강연비, 제품 개발 및 업그레이드 관련 임상자문료와 주식보상비용(김기범 교수, Dr. Ravindra Nanda) 등으로 구성됩니다.주요 연자 관련 마케팅 비용은 최근 3개년 지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4년은 본격적인 일본 매출 외형 성장 및 미국 진출 기반을 위해 글로벌 행사에 당사의 주요 연자들이 대다수 참여하며 주요 연자 행사 마케팅 비용이 14.2억으로 전년 대비 +159% 증가하였습니다. 교육 측면에서도 당사는 Graphy Academy 브랜드 하에 국내외 의료진 대상 제품 실습, 장비 운용법, 임상 전략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SMA는 장치-치면 밀착도, 치아이동 경로 설계 등에서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성과 편차가 크기 때문에, 교육은 제품 확산의 필수 요소로 작용합니다. 주요 연자들은 강연/세미나 외 다양한 방식으로 당사 기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제품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요 연자들의 활동과 당사 브랜드 노출 효과가 유통회사 유입 및 임상 채택과의 정량적 상관관계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일례로 일본의 Dr. Kenji Ojima는 직접 JAAO(Japan Academic of Aligner Orthodontics)를 설립하여 매년 컨퍼런스 미팅을 개최하며 여러 임상사례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노하우를 전하고 교육하는 등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우수성과 임상케이스별 적용 방법 등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Dr. Kenji Ojima와의 협업 이후 당사의 일본향 매출은 최근 3개년 연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해당 딜러십 모델의 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년 일본향 매출 추이]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220 | 1,016 | 3,030 |
전년대비 증가율 | - | 362% | 198% |
자료: 당사 |
상기와 같은 주요 연자 기반 마케팅 전략은 제품의 초기 확산 단계에서 핵심적이었으며, 향후 주요 거점 국가에 대한 시장 침투율이 일정 수준 도달한 이후에는 일부 비용 항목의 효율화 및 안정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본 전략의 고정비 성격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시장 진입 지연 시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 미국 등 당사의 초기 수출 주요 국가에서 활동 중인 주요 연자와의 협업이 중단될 경우, 해당 국가에서의 딜러십 모델 및 의료진 기반 네트워크 유지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신뢰도 저하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매출 위축과 재진입 지연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사업 추진 일정이나 수익 실현 속도, 주요 연자와의 협업 지속성 등에 따라 손익 및 유동성 구조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투자 판단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신중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서. 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 당사는 2025년 01월 17일에 한국거래소 예비심사신청 이후 2025년 06월 04일 예비심사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내부통제 강화 및 투자자보호를 위한 4가지의 사항에 대해 즉시이행을 하거나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① 2025년 7월말까지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를 설치하고 상장 후 3년간 위원회 운영내역을 공시할 것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하였고, ②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박성현 前 재무담당이사의 보직 변경 및 신규 서창백 現 재무담당이사로 교체 선임(채용)하였으며, ③ 자회사인 (주)디지털그래피와 연내 합병절차를 완료할 것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하였고, ④ 향후 원자재 구매 및 관련 자금 집행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운영하고, 심사 과정에서 보직 변경되었거나 변경키로 한 최대주주의 친인척 등을 기존 업무로 재배치하지 않을 것과 원자재 등 구매와 재고 관리 업무 부서를 분리하고, 이관된 원자재 구매 업무를 원복시키지 않을 것에 대한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당사는 확약 사항을 전사 차원에서 성실하게 이행할 예정이나 부득이하게 확약 사항이 미이행되는 경우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 등 조치를 받게 될 수 있으며, 향후 확약사항이 미이행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5년 01월 17일에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2025년 06월 04일 예비심사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내부통제 강화 및 투자자보호를 위해 하기 사항에 대해 즉시이행을 하거나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그래피의 상장예비심사 시 중요 확약사항 및 조치사항] |
순번 | 내용 | 조치 사항 | ||
① |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및 상장 후 3년간 위원회 운영내역 공시
|
- 2025년 6월 12일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이사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정관개정(위원회 설치근거 신설) 완료- 2025년 7월 25일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규정 제정 이사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신임 사내이사(서창백_前 한컴라이프케어 재무담당이사), 사외이사(장영렬_現 한길회계법인 회계사) 취임 완료- 2025년 7월 25일 서창백 사내이사, 장영렬 사외이사 취임 등기 신청 완료- 2025년 7월 25일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완료- 상장 완료 후 분기, 반기, 온기 사업보고서에 위원회 운영내역 3년간 공시 예정 |
||
② | 재무담당이사 변경 등 - 증권신고서 제출 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에 해당하는 박성현 재무담당이사의 교체 및 신임 비특수관계인 재무담당이사 선임- 공모(청약) 이전 임시주총 개최 및 취임 등기 완료- 신임 비특수관계인 재무담당이사 선임 이후 시점에 공모자금 집행 | - 2025년 6월 18일 신임 재무담당이사(서창백_前 한컴라이프케어 재무담당이사) 입사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취임 등기 신청 완료- 신임 재무담당이사 선임등기 이후 공모자금 집행 예정 | ||
③ |
자회사 합병 등- 2025년 12월 31일까지 (주)그래피(이하 '회사')와 (주)디지털그래피(이하 '자회사') 간 아래의 합병 절차를 완료
- 양수도 완료 이후 합병 완료시까지 회사와 자회사간 모든 거래 중단- 회사와 자회사간 합병 완료 전 자회사의 자본금 및 지분구조 변동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 2025년 7월 25일 자회사 주요자산(GMP 인증 및 의료기기 품목허가 등) 양수의 건 임시주주총회 개최 완료- 2025년 12월 내 회사와 자회사간 합병 이사회 개최 예정- 2025년 12월 내 합병 완료 및 등기 완료 예정 | ||
④ |
추가 확약사항 - 원자재 등 구매, 재고관리 및 자금집행 승인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변경 및 이를 원복시키지 않을 것- 소재 원자재 입출고 등 재고관리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운영하고, 심사 과정에서 보직 변경되었거나 변경키로 한 최대주주의 친인척 등을 기존 업무로 재배치하지 않을 것 |
- 2025년 4월 21일 자재관리팀에서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전모 차장이 담당하던 구매업무를 생산팀으로 이관하였으며 비특수관계인 책임 소관으로 조치 완료. 또한 소재 구매 관련 자금집행에 대한 승인권한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박성현 前 CFO에서 서창백 現CFO로 변경- 2025년 4월 21일 과거 물류팀(천안) 관리자로 재직하던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권모 팀장을 경영지원본부 산하 자재관리팀으로 전보 조치 및 비특수관계인 물류팀장으로 교체 배치 완료 |
①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및 상장 후 3년간 운영내역 공시 당사는 이사회 내 투명경영위원회 설치를 위해 정관을 개정하고, 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되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및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가 제정한 공정경쟁규약, 상법 등 제반법규 준수 여부 등에 대한 사전심의권을 보유합니다.
[투명경영위원회 구성안] |
구분 | 내용 |
---|---|
투명경영위원회구성안 | 투명경영위원회 위원장 : 사외이사 위원 : 장영렬(사외이사/회계사), 김동현(사외이사/변호사), 서창백(사내이사/CFO) |
운영 방안 |
- 분기 1회 이상 정기회의를 개최하여 심의 및 의결을 진행-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전원 찬성으로 결의 - 주요 심의 사항 1. 공정거래법 및 규약 준수 여부의 사전 점검 및 사후 조치, 2. 특수관계인 거래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사후 모니터링 3. 국내외 주요 연자, 매출처, 관계사, 이해관계자 등과의 거래 관련 계약형태, 판매관리비 지급규모 및 회계처리의 적정성 4. 매출채권 관련 회수 현황 및 대손충당의 적정성 5. 재고자산 관련 소진 현황 및 평가충당의 적정성 |
관련 규정 | 투명경영위원회 운영규정 |
설치일 | 2025년 7월 25일 설치 완료 |
투명경영위원회는 2025년 8월 중 최초 회의를 개시하고, 연간 계획에 따라 정기 운영될 예정이며, 운영 내역을 상장 후 3년간 분기, 반기, 온기 사업보고서에 상세히 공시할 예정입니다.
[투명경영위원회 심의·의결 대상] |
제7조(위원회의 심의·의결 사항)① 위원회의 심의 사항은 다음 각호로 한다.1. 공정거래법 및 규약 준수 여부의 사전 점검 및 사후 조치2. 특수관계인 거래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사후 모니터링3. 국내외 주요 연자, 매출처, 관계사, 이해관계자 등과의 거래에 대한 지급규모 및 회계처리의 적정성4. 매출채권 관련 회수 현황 및 대손 평가의 적정성5. 재고자산 관련 소진 현황 및 평가의 적정성6. 전사적 준법 교육 계획 수립 및 집행7. 내부 제보 및 감시제도 구축 및 감독8. 관련 규제기관의 감사 대응 및 개선조치 이행② 위원회의 의결 사항은 다음 각호로 한다.1. 전항의 심의 사항 중 이행을 위하여 이사회 결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2. 전항의 심의 사항 중 이사회 안건 부의 및 승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수관계자 및 이해관계인 간의 거래 특성상 이해상충의 여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통제시스템이 모든 이해상충가능성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② 재무담당이사(CFO) 변경 등 당사의 재무담당이사인 박성현은 대표이사 심운섭과 상법 제542조의 8 제2항 제5호에 따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이하 '특수관계인'이라 한다)에 해당하는 바,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의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되 상장업무의 안정적인 종료를 감안하여 비특수관계인으로 재무담당이사를 변경(증권신고서 제출 전 신규 재무담당이사 채용 및 공모(청약) 이전에 신규 재무담당이사 취임 등기 완료)하고, 신임 비특수관계인 재무담당이사 선임 등기 이후 청약 및 공모자금을 집행한다는 내용에 대한 이행 확약서를 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박성현 前 CFO는 서울대학교 졸업 후 신한투자증권에서 자금운용 등 금융업무를 수행한 경력을 바탕으로 당사 입사 후 자금관리, 재무기획, IPO 준비 등 주요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공개기업으로서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운영담당 이사로 보직을 전환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CFO는 서창백 이사로 2025년 6월 18일자로 입사하여 당사의 재무담당이사직을 수행 중입니다. 당사는 재무담당이사의 신규 채용 과정에서 절차 상의 독립성을 준수하기 위하여 온라인 구인 플랫폼의 구인 공고 게시를 통해 지원한 다수의 지원자의 이력 사항 등을 검토하였으며 당사의 재무담당이사로서 역할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서창백 이사를 최종 채용하였습니다. 서창백 이사는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공식 취임하였으며 당사의 금번 공모 청약일 이전까지 등기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박성현, 서창백 이사 주요 이력사항] |
성명 | 직위 | 직책 | 주요경력 |
박성현 | 이사(등기) | 운영담당이사(前재무담당이사) | - 서울대 언론정보경영 졸업(05.08)- 신한투자증권 부지점장 (08.12~22.12)- ㈜그래피 경영지원본부 이사(23.01~현재) |
서창백 | 이사(등기) | 재무담당이사 | - Utah State University Accounting 학사(04)- 연세대학교 기업경제전공 석사(17)- ㈜삼영테크놀로지 주임(05-08)- ㈜한글과컴퓨터 부장(08-19)- ㈜아큐플라이에이아이 CFO(19-22)- ㈜한컴라이프케어 CFO(21-24)- ㈜그래피 재무담당이사(25-현재) |
③ 자회사 합병 등
당사는 공개기업으로서 경영투명성 확보 차원에서 내부거래 발생 등으로 인한 이해관계상충 등 이슈를 경감하기 위하여 당사와 당사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디지털그래피의 합병 및 등기를 이행하고자 합니다.
다만, 당사와 자회사는 각각 GM 및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각자의 사업장에 보유하고 있어 합병 진행시 GMP 변경심사 및 품목허가 승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품질문서와 시스템 통합, 품질 및 인증 인력 교육 및 업무 분담도 병행되야하는바 행정절차상 약 3~5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 개최를 통해 우선적으로 디지털그래피의 GMP 인증 및 의료기기 품목허가 등을 그래피로 양도하여 그래피와 디지털그래피간 거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 조치 하여 양사간의 거래가 중단되도록 조치하였으며, 추후 추가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2025년 12월 31일까지 양사에 대한 합병 및 등기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④ 추가 확약사항
당사는 상법상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으로서 원자재 등 구매와 재고 관리 등 사내 주요 보직을 담당하고 있는 직원에 대하여 전보 및 해당업무 배제 조치함으로써 공개회사로서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고 이해상충 가능성을 해소하였습니다. 당사는 제품 생산을 위해 다양한 소재 원자재의 구매가 필요하며, 구매한 소재는 1차적으로 당사의 천안 물류창고에서 물류팀을 통해 소재의 입고 및 검수 과정을 거칩니다. 당사는 과거 확약이전에는 소재의 구매는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전OO 차장)이 본사 자재관리팀에서 구매업무를 담당하였으며, 구매 후 천안의 물류팀내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권OO 팀장)이 관리자로서 소재 입고를 관리하였습니다. 또한 원자재 구매 및 관련 자금집행에 대한 승인권한은 박성현 前 CFO가 승인권한을 보유함에 따라 특수관계자를 중심으로 소재 구매 및 자금출납 프로세스와 내부통제가 운영되었습니다.당사는 상장 준비과정 중에서 공개기업으로서 투명경영성 확보 및 구매 프로세스 관련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기존 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소재 구매 및 자금 프로세스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습니다.
[소재 구매 관련 내부통제강화 확약 및 조치사항] |
주요 프로세스 | 변경 전 | 변경 후 | 비고 |
소재 구매 담당 | 자재관리팀(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전OO 차장") | 생산팀내 비특수관계인 담당자로 변경완료 (소재 구매 관련 기능은 생산팀으로 이관하였습니다) |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전OO 차장"은 보직 변경 후 자재관리팀에서 재고관리 업무만 수행하는 것으로 변경 완료하였습니다. |
소재 입출고 및 재고관리 담당 | 천안 물류팀(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권OO 팀장") | 천안 물류팀내 비특수관계인 담당자로 변경완료 |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권OO 팀장"은 본사 자재관리팀으로 부서 이동 조치하였으며, 자재관리팀에서 제품 운송 및 출고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변경 완료하였습니다. |
소재 구매 관련 자금집행 승인 | 박성현 前 CFO(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서창백 現 CFO | 박성현 前 CFO는 운영담당이사로 역할이 변경되었습니다. |
위와 같이 변경함에 따라 변경전에는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전OO 차장)이 자재관리팀에서 구매업무를 담당하였으나, 해당 업무를 2025년 4월 21일자로 생산팀으로 이관 및 비특수관계인의 책임 소관으로 조치하였으며,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전OO 차장)은 자재관리팀내에서 재고관리만을 담당하는 것으로 역할을 변경하였습니다.또한, 물류팀(천안)내 소재 입출고 관리 및 재고관리 담당은 과거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권OO 팀장)이 관리자로 재직하고 있었으나, 해당 인력을 2025년 4월 21일자로 경영지원본부 산하 자재관리팀으로 전보 조치 및 주요 담당역할을 제품 운송 및 출고관리로 변경하였으며, 기존 소재 입출고 관리 및 재고관리는 비특수관계인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추가로 소재 구매에 따른 자금집행에 승인권한을 변경 전에는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박성현 박성현 前 CFO가 담당하였으나, 현재는 비특수관계인인 서창백 現 CFO가 승인함에 따라 소재 구매 및 구매 관련 자금출납 내부통제를 보다 강화하였습니다. 다만, 회사는 변경 이전 및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경영관리팀에서 재고자산수불부를 통해 재고의 입출고를 관리 및 통제하고 있으며, 재고자산 실사 수행 및 외부감사인의 재고실사입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재고자산의 적정성에 대해 검증을 수행중입니다.
현재는 입고·출고를 담당하는 물류팀과 구매를 담당하는 생산팀 모두 비특수관계인 책임자가 관리하고 있으며, 양 부서 간 이해상충 가능성을 제거하여 공정한 자재 흐름 통제 체계를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해당 인사 발령 및 업무 조정 관련 자료를 거래소에 제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자금 및 원자재 등 관련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운영하고, 심사 과정에서 보직 변경되었거나 변경키로 한 최대주주의 친인척 등을 기존 업무로 재배치하지 않을 것, 원자재 등 구매와 재고 관리 업무 부서를 분리하고, 이관된 원자재 구매 업무를 원복시키지 않을 것에 대한 확약서를 제출하였습니다.상기한 일련의 개선 조치를 통해, 당사는 과거 특수관계자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와 내부거래에 따른 불투명성 리스크를 해소하였고, 상장회사로서 요구되는 수준의 지배구조 및 내부통제체계를 상당 부분 구축하였습니다. 다만, 상장 초기 단계에서는 내부통제 제도의 실질적 정착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상기 조치들이 내부 규정 미이행, 디지털그래피 흡수합병과 관련된 GMP 변경심사 및 품목허가 승계 등 인허가 지연 등 사유로 이행되지 않거나 실효성이 미흡할 경우, 특수관계자 거래의 공정성 훼손, 경영 투명성 저하, 회계정보 신뢰도 저하 등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당사의 의사결정 공정성과 투자자 신뢰도, 나아가 상장회사로서의 지속가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어. 주주간계약 관련 위험 당사는 2017년 설립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사용목적으로 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다수의 외부 투자를유치하였습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시 일부 주주 및 사채권자와 체결한 투자계약서(인수계약서 및 주주간계약서)에는 '주식매수청구권', '경영감시권', '우선매도권' 등 상장 후 주주평등 원칙에 저촉될 소지가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상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대부분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해당 조항들은 상장 이후 일반주주들에 대하여 주주평등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당사는 현재 위 주주들에 대해 신주인수계약서 및 전환사채인수계약서내 특약사항에 대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가 된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함에 대해 확약을 받았으며, 확약서를 징구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계약주주의 조항들은 당사의 IPO가 완료된 경우 효력을 상실합니다. 이는 상장 후 일반공모 투자자와 기존 투자자 간의 차등적 권리부여 가능성을 사전에 해소하고자 한 조치입니다. 다만, 당사의 상장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 해당 투자계약서 및 주주간계약서 상 조항은 그 효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17년 설립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사용목적으로 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다수의 외부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시 일부 주주 및 사채권자와 체결한 투자계약서(신주인수계약서 및 주주간계약서)에는 '주식매수청구권', '경영감시권', '우선매도권' 등 상장 후 주주평등 원칙에 저촉될 소지가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상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대부분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당사는 현대투자파트너스 제2호 벤처투자조합 등으로부터 설립 이후 현재까지 다수의 외부기관 및 개인투자자로부터 상환전환우선주(RCPS) 신부 발행을 통해 자금을 유치하였으며 투자유치 과정에서 아래와 같이 회사와 계약주주의 권리의무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신주 참여 주주 중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과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 관련 주요 주주 및 특약사항 현황] |
주주명 | 인수일자 | 특약 사항 | 제출일 현재보유 주식수 |
현대투자파트너스 제2호 벤처투자조합 | 2019. 5. 30.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 168,861주 |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등 | |||
스마트대한민국 창업초기조합T | 2020. 10. 15. | 제10조의1(주식의 매수청구권) | 256,044주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등 | |||
IBKC-INTOPS 뉴딜 소부장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2020. 10. 27.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255,883주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등) | |||
스마트시티 첨단산업 투자조합 | 2020. 12. 22.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170,590주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등 | |||
연구개발특구일자리 | 2020. 12. 24. | 제11조의1 (조기상환권) | 255,883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및 손해배상) | |||
(별지3) 퇴사제한 및 경업금지 약정서 등 |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2022. 11. 29. | 제11조의1 (조기상환권) | 169,252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및 손해배상) 등 | |||
진앤투자파트너스 | 2023. 11. 23. | 4장 (거래 완결 후 회사 경영) | 27,775주 |
제5장 (거래 완결 후 지분의 처분) | |||
제40조 (위약벌 및 손해배상청구) 등 | |||
진승현 | 2023. 11. 23. | 제4장 (거래 완결 후 회사 경영) | 9,258주 |
제5장 (거래 완결 후 지분의 처분) | |||
제40조 (위약벌 및 손해배상청구) 등 |
상기 신주 발행 관련 우선주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모두 보통주로 전환되었으며,발행 당시 주요 특약사항인 투자자의 경영감시, 거래 완결 후 회사 경영, 거래 완결 후 지분의 처분 등이 포함되어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 해당 조항들은 상장 이후 일반주주들에 대하여 주주평등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당사는 현재 위 주주들에 대해 신주인수계약서내 특약사항에 대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가 된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함에 대해 확약을 받았으며, 확약서를 징구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계약주주의 조항들은 당사의 IPO가 완료된 경우 효력을 상실합니다.또한 동사는 과거 특약조항이 포함된 상환전환우선주(RCPS) 신주 발행에 참여한 주주 중 매각을 완료한 주주에 대해서는 해당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인수한 주주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가 된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함에 대해 확약을 받았으며, 확약서를 징구 완료하였습니다. 아래는 구주 인수를 통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 현황입니다.
[과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 관련 구주 인수 주주 및 특약사항 현황] |
증권신고서제출일 현재주식을 인수 및 보유한 주주 | 구주 인수일자 | 구주 인수 주식수 | 특약사항 | 최초 인수 주주 및취득일자 |
---|---|---|---|---|
아이엠엠 세컨더리 벤처펀드 제5호 | 2023.07.14 | 337,722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 현대청년펀드2호(2019. 5. 30) |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등 | ||||
AFWP-YP 3D 머터리얼 신기술투자조합 | 2024.07.15 | 153,531주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SK증권(신기사)(2020. 12. 24)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 ||||
(별지2) 이해관계인의 퇴사 제한 등 | ||||
제이비우리캐피탈 | 2024.08.02 | 76,622주 | 제10조의1(주식의 매수청구권)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2020. 10. 15.)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등 | ||||
글로벌덴탈테크유니콘 조합 | 2024.10.07 | 56,961주 | 제1조 (사전동의사항, 협의사항) | 송현K클라우드 (2019.4.12) |
제2조 (통지의무, 자료제출) 등 |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2024.12.12 | 173,641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 현대청년펀드2호 (2019. 5. 30) |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등 | ||||
한빛인베스트먼트㈜ | 2024.12.13 | 43,410주 | 제5장 (주식 인수 후의 약정) | 동훈 테크스타5호 투자조합 (2020. 10. 22.) |
제6장 (위약벌) 등 | ||||
㈜모비릭스파트너스 | 2024.12.13 | 43,410주 | 제5장 (주식 인수 후의 약정) | 동훈 테크스타5호 투자조합 (2020. 10. 22.) |
제6장 (위약벌) 등 |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 벤처투자조합 | 2023.11.13 | 104,961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 신한-수인베스트먼트 청년창업투자조합 (2019. 5. 29.) |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등 | ||||
2023.11.13 | 105,861주 | 제3장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 | 신한캐피탈 (2019. 5. 30.) | |
제4장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 | ||||
제5장 (위약벌) 등 | ||||
2023.10.26 | 230,295주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산은캐피탈 (2020. 10. 28.) |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 ||||
2023.11.13 | 76,764주 | 제5장 (피투자기업 및 이해관계인의 의무) | SK증권 (2020. 10. 21.) | |
제6장 (투자자의 경영감시권) | ||||
제8장 (투자금의 회수 등) |
또한 동사는 과거 특약조항이 포함된 전환사채(CB)를 발행하였으며, 제출일 현재 모두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다만 전환된 보통주에 대해서도 최초 전환사채 발행시 사채인수계약내 포함되었던 특약사항에 대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가 된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함에 대해 확약을 받았으며, 확약서를 징구 완료하였습니다. 아래는 전환사채 인수 및 보통주 전환을 통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 현황입니다.
[과거 전환사채(CB) 발행 관련 인수 투자자 및 특약사항 현황] |
전환사채 인수기관 | 전환사채 인수일자 | 특약사항 | 전환사채 인수금액 | 전환된 보통주 주식수 |
---|---|---|---|---|
흥국 멀티플랫폼 신기술투자조합 4호 | 2023.10.13 | 제4장 거래 완결 후 회사경영제5장 거래 완결 후 지분의 처분제6장 권리행사 및 의무이행제8장 회사의 매도 청구권 (Call Option)의행사에 관한 협약 등 | 3,000,000,000 | 277,777주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 벤처투자조합 | 2023.10.26 | 1,781,623,000 | 164,965주 | |
KB증권 주식회사 | 2023.10.31 | 2,000,000,000 | 185,185주 | |
스마트 HIP 제4호 벤처투자조합 | 2023.11.08 | 2,000,000,000 | 185,185주 | |
액시스 넥스트덴탈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2023.11.09 | 854,996,000 | 79,166주 |
이는 상장 후 일반공모 투자자와 기존 투자자 간의 차등적 권리부여 가능성을 사전에 해소하고자 한 조치입니다. 다만, 당사의 상장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 해당 투자계약서내 특약사항은 그 효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저. 공시 위반 발생 가능성과 관련한 위험 자본시장법 제9조에 따르면 '모집'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하며, '매출'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발행인(회사)은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부담합니다. 다만, 자본시장법 제119조 제1항 에 따라 모집 또는 매출 금액이 10억원 미만의 '소액공모'에 해당되는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는 없으나, 자본시장법 제130조에 따라 관련 서류의 제출 및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당사의 과거 증권의 발행 내역을 검토한 결과 모든 발행건은 상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발행 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자본시장법에서 정하는 발행공시(증권신고서, 소액공모공시서류) 제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또한, 당사 주식의 거래 내역을 검토한 결과, 자본시장법상 매출에 해당하는 거래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발행공시의 제출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장 이후 발행공시를 포함한 공시 위반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력 및 조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관련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 관리의 중요성, 공시의무사항 및 위반시 제재 등에 대한 공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코스닥 시장 상장 이후 당사가 자본시장법 및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공시규정에 등에 따른 공시 제출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 공시 제출의무 위반에 따라 당사에 제재조치가 취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자본시장법 제9조에 따르면 '모집'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하며, '매출'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발행인(회사)은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부담합니다. 다만, 자본시장법 제119조 제1항 에 따라 모집 또는 매출 금액이 10억원 미만의 '소액공모'에 해당되는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는 없으나, 자본시장법 제130조에 따라 관련 서류의 제출 및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한 실적이 있는 발행인은 청약의 권유를 받는 자의 수가 50인 미만이더라도 같은 종류의 증권이 모집 또는 매출된 실적이 있으면 전매기준에 해당되며, 이에 대하여 전매제한조치를 취하지 아니하면 모집에 해당(간주모집)됩니다(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1조 제3항, 증권의 발행 및 공시에 관한 규정 제2-2조 제1항 제1호). 또한, 모집가액의 합계액이 10억원 이상인 경우에는 증권신고서, 10억 미만인 경우 소액공모공시서류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해야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약칭: 자본시장법) 및 시행령] |
제9조(그 밖의 용어의 정의)⑦ 이 법에서 "모집"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한다.⑨ 이 법에서 "매출"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한다.제119조(모집 또는 매출의 신고)①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각각의 총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은 발행인이 그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 수리되지 아니하면 이를 할 수 없다.제130조(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는 모집ㆍ매출)① 제119조제1항에 따른 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고 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하는 발행인은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재무상태에 관한 사항의 공시,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제119조제6항에서 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61조(주요사항보고서의 제출)①사업보고서 제출대상법인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실이 발생한 날의 다음 날까지(제6호의 경우에는 그 사실이 발생한 날부터 3일 이내에) 그 내용을 기재한 보고서(이하 "주요사항보고서"라 한다)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159조제6항 및 제7항을 준용한다.5.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자본 또는 부채의 변동에 관한 이사회 등의 결정이 있은 때시행령 제120조(모집 또는 매출의 신고대상)① 법 제119조제1항에 따라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을 하기 위하여 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1. 모집 또는 매출하려는 증권(제3호 각 목의 증권은 제외한다)의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과 해당 모집일 또는 매출일부터 과거 1년 동안 이루어진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로서 그 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소액출자자(그 증권의 발행인과 인수인은 제외한다)가 제178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장외거래 방법에 따라 증권을 매출하는 경우에는 해당 매출가액은 제외한다] 각각의 합계액이 10억원 이상인 경우시행령 제137조(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는 모집ㆍ매출)① 법 제130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조치"란 다음 각 호의 조치를 말한다.1.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 전에 발행인(투자신탁의 수익증권이나 투자익명조합의 지분증권인 경우에는 그 투자신탁이나 투자익명조합을 말하며, 법 제159조제1항에 따른 사업보고서 제출대상법인 및 제176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외국법인등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재무상태와 영업실적을 기재한 서류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할 것. 이 경우 해당 서류(집합투자증권인 경우는 제외한다)는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회계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거나 공인회계사의 확인과 의견표시를 받은 것이어야 한다.4.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이 끝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모집 또는 매출 실적에 관한 결과를 금융위원회에 보고할 것시행령 제138조(금융위원회의 조치)법 제132조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조치"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1. 1년의 범위에서 증권의 발행 제한2. 임원에 대한 해임권고3. 법을 위반한 경우에는 고발 또는 수사기관에의 통보4. 다른 법률을 위반한 경우에는 관련 기관이나 수사기관에의 통보5. 경고 또는 주의 |
한편, 증권신고서, 소액공모 공시서류의 제출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다음의 제재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위반 사항 | 구분 | 조치사항 | 관련 근거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 금융위원회 조치 | 금융위원회는 위반자에게 증권의 발행, 모집, 매출 그밖에 거래를 정지 또는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 | 자본시장법 제132조 제1호 및 동법 시행령 제138조 |
과징금 부과 |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모가액의 3%까지 과징금 부과할 수 있음 | 자본시장법 제429조 제1항 제2호 | |
형사벌 | 형사상으로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 등에 처해질 수 있음 | 자본시장법 제444조 제12, 13호 | |
소액공모 공시서류제출의무 | 금융위원회 조치 | 금융위원회는 위반자에게 증권의 발행, 모집, 매출 그밖에 거래를 정지 또는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 | 자본시장법 제132조 제1호 및 동법 시행령 제138조 |
과태료 부과 | 1억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음 | 자본시장법 제449조 제1항 제36호 |
당사는 2017년 설립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사용목적으로 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다수의 외부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 발행 내역] |
(단위: 주, 원) |
증권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증권의 내용 | 발행공시제출대상 여부 | 비고 | ||||
증권의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가액 | 발행총액(백만원) | ||||
2017.01.02 | 유상증자 | 보통주 | 140,000 | 500 | 500 | 70 | 부 | 설립 |
2017.02.22 | 유상증자 | 보통주 | 60,000 | 500 | 500 | 30 | 부 | - |
2019.01.17 | 유상증자 | 보통주 | 16,667 | 500 | 30,000 | 500 | 부 | - |
2019.04.12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38,200 | 500 | 7,900 | 302 | 부 | (주1) |
2019.06.01 | 유상증자 | 보통주 | 56,287 | 500 | 8,883 | 500 | 부 | - |
2019.06.01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394,009 | 500 | 8,883 | 3,500 | 부 | - |
2020.10.17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1,000 | 부 | - |
2020.10.23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76,765 | 500 | 19,540 | 1,500 | 부 | - |
2020.10.29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153,530 | 500 | 19,540 | 3,000 | 부 | - |
2020.10.31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1,000 | 부 | - |
2020.12.23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1,000 | 부 | - |
2020.12.25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127,942 | 500 | 19,540 | 2,500 | 부 | - |
2021.08.07 | 유상증자 | 보통주 | 150,000 | 500 | 20,000 | 3,000 | 부 | - |
2022.07.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706 | 500 | 33,235 | 389 | 부 | - |
2022.10.07 | 유상증자 | 보통주 | 12,495 | 500 | 33,235 | 415 | 부 | - |
2022.10.18 | 유상증자 | 보통주 | 8,623 | 500 | 33,235 | 287 | 부 | - |
2022.12.01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55,000 | 500 | 33,235 | 1,828 | 부 | - |
2023.03.11 | 유상증자 | 보통주 | 30,849 | 500 | 33,235 | 1,025 | 부 | - |
2023.07.20 | 유상증자 | 보통주 | 9,024 | 500 | 33,235 | 300 | 부 | - |
2023.09.02 | 유상증자 | 보통주 | 3,962 | 500 | 33,235 | 132 | 부 | - |
2023.10.13 | 전환사채 발행 | 전환사채 | - | - | 26,300 | 3,000 | 부 | (주2) |
2023.10.27 | 전환사채 발행 | 전환사채 | - | - | 26,300 | 1,782 | 부 | (주2) |
2023.11.01 | 전환사채 발행 | 전환사채 | - | - | 26,300 | 2,000 | 부 | (주2) |
2023.11.10 | 전환사채 발행 | 전환사채 | - | - | 26,300 | 855 | 부 | (주2) |
2023.11.10 | 전환사채 발행 | 전환사채 | - | - | 26,300 | 2,000 | 부 | (주2) |
2023.11.11 | 유상증자 | 보통주 | 5,335 | 500 | 33,235 | 177 | 부 | - |
2023.11.25 | 유상증자 | 보통주 | 2,538 | 500 | 33,235 | 84 | 부 | - |
2023.11.30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11,406 | 500 | 26,300 | 300 | 부 | - |
2023.12.05 | 유상증자 | 상환전환우선주 | 3,802 | 500 | 26,300 | 100 | 부 | - |
2024.03.01 | 유상증자 | 보통주 | 36,105 | 500 | 33,235 | 1,200 | 부 | - |
2024.11.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8,594 | 500 | 16,274 | 1,930 | 부 | - |
2024.11.28 | 유상증자 | 보통주 | 46,000 | 500 | 2,261 | 104 | 부 | 스톡옵션 행사 |
2024.12.13 | 유상증자 | 보통주 | 184,343 | 500 | 16,274 | 3,000 | 부 | - |
주1) | 해당 상환전환우선주의 경우 의결권이 없는 상환전환우선주이며 이후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는 모두 의결권이 있는 상환전환우선주입니다. |
주2) | 전환사채 발행건의 주당 발행가액은 최초 발행시의 전환가액을 기재하였습니다. |
당사의 과거 증권의 발행 내역을 검토한 결과 모든 발행건은 상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발행 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자본시장법에서 정하는 발행공시(증권신고서, 소액공모공시서류) 제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또한, 당사 주식의 거래 내역을 검토한 결과, 자본시장법상 매출에 해당하는 거래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한편,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게되며 상장 이후에는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공시규정'등 관련 법규에서 정하는 상장회사로서의 공시제출 의무를 지니게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는 상장 이후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주요한 사항들을 적시에 공시 가능하도록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는 상장 이후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및 동규정 시행세칙에서 정하는 공시전문교육을 이수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발행공시의 제출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장 이후 발행공시를 포함한 공시 위반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력 및 조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관련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 관리의 중요성, 공시의무사항 및 위반시 제재 등에 대한 공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코스닥 시장 상장 이후 당사가 자본시장법 및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공시규정에 등에 따른 공시 제출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 공시 제출의무 위반에 따라 당사에 제재조치가 취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가.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심사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혹은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심사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혹은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상 기재사항 및 발행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증권신고서 수리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나.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당사의 공모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신중히 검토한 후 독자적으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당사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내용 외에도 현재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시장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미래 예측 정보는 다양한 불확실성에 따라 실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건 공모주식을 청약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투자 결정을 하기 전 본 증권신고서의 투자위험요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다만, 당사가 현재 인지하고 있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당사의 사업 영위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투자자께서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 판단을 하여서는 안 되며, 투자자 본인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야 합니다.
만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금번 공모 과정에서 취득하게 되는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이 하락하여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본건 공모를 위한 분석 중에는 일부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당초 예측했던 것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역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공모가격 이하 매각 시 투자손실 위험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최초 거래되는 것입니다. 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은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 시장에서 거래된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금번 공모 이후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은 하락할 수 있으며, 상장 후 공모가격 이하로 매각 할 시, 투자자는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이외의 기타 다른 주식 거래 시장에 상장할 것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이후 당사의 주식에 대한 매매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협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이 기업공개 이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금번 공모 이후 당사 보통주의 시장가는 시장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당사 재무 실적 |
- | 당사 및 당사가 속한 산업의 연혁 및 향후 전망 |
- | 당사 경영에 대한 평가, 과거 및 현재의 영업상태, 향후 시기별 매출 전망,그리고 현재 및 향후의 비용 구조 전망 |
- | 당사와 유사한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상장회사들에 대한 가치평가 |
- | 기존 주주 또는 당사에 의한 향후 당사의 보통주 매도 |
- | 국내외 증시 변동성 |
따라서 투자자는 공모가격 이하로 매각 할 시,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중 약 37.74%에 해당하는 4,166,434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6,497,569주(58.86%), 상장 3개월 후 7,709,829주(69.84%), 상장 6개월 후 7,720,198주(69.94%), 상장 12개월 후 7,842,513주(71.05%), 상장 24개월 후 11,038,777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중 최대주주인 대표이사 심운섭이 보유한 3,128,769주 및 특수관계인 3인이 보유한 46,921주(박성현 사내이사의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지분을 통한 보유 주식수 8,903주 합)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대상이며, 본문의 단서 조항에 따라 1년간 의무보유 기간을 추가하여, 총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전영진 등 3인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한편, 당사의 직원인 '김훈'은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선택권 행사를 통해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으며 해당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진앤투자파트너스 등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이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1,103,935주)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그 외 ㈜우리은행 등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당사의 주식중 일부 주식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인 KB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따라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합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물량 세부내역]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회사와의관계 | 주식의종류 | 공모 전 보유 주식 | 공모 후 | 매각제한기간 | 매각제한사유 | ||||||
보유주식 | 매각제한 물량 | 유통가능 물량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심운섭 | 최대주주 | 보통주 | 3,128,769 | 34.65% | 3,128,769 | 28.34% | 3,128,769 | 28.34%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심미순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18 | 0.02% | 1,518 | 0.01% | 1,518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박성현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2,500 | 0.25% | 22,500 | 0.20% | 22,500 | 0.20%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박성현)(주2) |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 보통주 | 8,903 | 0.10% | 8,903 | 0.08% | 8,903 | 0.08%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2,3) | |
조태연 | 등기 임원 | 보통주 | 14,000 | 0.16% | 14,000 | 0.13% | 14,000 | 0.13%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3) | |
기존주주 | 김훈 | 직원 | 보통주 | 19,287 | 0.21% | 19,287 | 0.17% | 19,287 | 0.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4) |
정하림 | 직원 | 보통주 | 1,287 | 0.01% | 1,287 | 0.01% | 1,287 | 0.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24개월 | (주5) | |
전영진 | 직원 | 보통주 | 90,264 | 1.00% | 90,264 | 0.82% | 90,264 | 0.82%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조영삼 | 타인 | 보통주 | 18,051 | 0.20% | 18,051 | 0.16% | 18,051 | 0.16% | - | 0.0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신왕기 | 타인 | 보통주 | 25,070 | 0.28% | 25,070 | 0.23% | 14,000 | 0.13% | 11,070 | 0.10% | 상장일로부터 12개월 | (주6) | |
㈜우리은행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66,222 | 1.84% | 166,222 | 1.51% | 66,488 | 0.60% | 74,799 | 0.68%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4,935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제이더블유홀딩스㈜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76,930 | 3.07% | 276,930 | 2.51% | 110,772 | 1.00% | 124,618 | 1.1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41,540 | 0.3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현대투자파트너스제2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8,861 | 1.87% | 168,861 | 1.53% | 67,544 | 0.61% | 75,987 | 0.6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330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IBKC-인탑스뉴딜소부장신기술사업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255,883 | 2.83% | 255,883 | 2.32% | 102,353 | 0.93% | 115,147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383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 벤처금융 | 보통주 | 256,044 | 2.84% | 256,044 | 2.32% | 102,417 | 0.93% | 115,219 | 1.04%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38,408 | 0.3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어니스트 스마트시티첨단산업 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68,236 | 0.62% | 76,765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25,589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KB증권 주식회사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129,629 | 1.17%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6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JB우리캐피탈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85,135 | 0.94% | 85,135 | 0.77% | 59,594 | 0.5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541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AFWP-YP 3D 머터리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0,590 | 1.89% | 170,590 | 1.55% | 71,647 | 0.65% | 47,765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1,178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716,963 | 7.94% | 716,963 | 6.49% | 301,124 | 2.73% | 200,749 | 1.8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15,090 | 1.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액시스 넥스트덴탈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351,212 | 3.89% | 351,212 | 3.18% | 147,508 | 1.34% | 98,338 | 0.89%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05,366 | 0.9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플로우-액시스 세컨더리1호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77,954 | 1.97% | 177,954 | 1.61% | 74,740 | 0.68% | 49,827 | 0.4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3,387 | 0.4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69,252 | 1.87% | 169,252 | 1.53% | 71,085 | 0.64% | 47,390 | 0.43%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50,777 | 0.46%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7) | ||||||||||
킹고 세컨더리투자조합 제1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55,595 | 1.72% | 155,595 | 1.41% | 62,235 | 0.56%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46,680 | 0.42%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주2) | 벤처금융 | 보통주 | 83,644 | 0.93% | 83,644 | 0.76% | 35,130 | 0.32% | 23,420 | 0.2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25,094 | 0.23%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6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85,690 | 0.95% | 85,690 | 0.78% | 17,138 | 0.16% | 68,552 | 0.62%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삼성증권(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0호) | 일반법인 | 보통주 | 42,844 | 0.47% | 42,844 | 0.39% | 8,569 | 0.08% | 34,275 | 0.31%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GVA자산운용㈜ | 전문투자자 | 보통주 | 21,000 | 0.23% | 21,000 | 0.19% | 4,200 | 0.04% | 16,800 | 0.1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7) | |
흥국 멀티플랫폼신기술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277,777 | 3.08% | 277,777 | 2.52% | 116,666 | 1.06% | 77,777 | 0.7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83,334 | 0.75%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스마트 HIP 제4호벤처투자조합 | 벤처금융 | 보통주 | 185,185 | 2.05% | 185,185 | 1.68% | 77,777 | 0.70% | 51,851 | 0.47%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55,557 | 0.5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진앤투자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37,033 | 0.41% | 37,033 | 0.34% | 15,553 | 0.14%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1,111 | 0.1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10,369 | 0.09% | 상장일로부터 6개월 | (주8) |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벤처금융 | 보통주 | 118,594 | 1.31% | 118,594 | 1.07% | 88,594 | 0.8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30,000 | 0.2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벤처금융 | 보통주 | 296,536 | 3.28% | 296,536 | 2.69% | 221,523 | 2.01%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75,013 | 0.68%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한빛인베스트먼트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모비릭스파트너스 | 벤처금융 | 보통주 | 74,134 | 0.82% | 74,134 | 0.67% | 55,380 | 0.50% | - | 0.00%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주8) | |
18,754 | 0.1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8) | ||||||||||
기타 주주 | - | 보통주 | 841,758 | 9.32% | 841,758 | 7.63% | - | 0.00% | 841,758 | 7.63%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 | - | - | 570 | 0.01% | - | - | |||
공모주주 | 일반공모주주 | - | 보통주 | - | 0.00% | 1,852,500 | 16.78% | - | 0.00% | 1,852,500 | 16.78% | - | - |
우리사주조합 | 보통주 | - | 0.00% | 97,500 | 0.88% | 97,500 | 0.88% | - | - | 예탁일로부터 12개월 | (주9) | ||
상장주선인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 - | 보통주 | - | 0.00% | 58,500 | 0.53% | 58,500 | 0.53% | - | 0.00%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주10) |
합계 | 보통주 | 9,030,277 | 99.99% | 11,038,777 | 99.99% | 6,872,343 | 62.25% | 4,166,434 | 37.74% | - | - | ||
우선주 | 570 | 0.01% | 570 | 0.01% | - | 0.00% | 570 | 0.01% | - | (주1) | |||
총계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0% | 6,872,343 | 62.25% | 4,167,004 | 37.75% | - | - |
주1) | 공모 후 지분율은 확정공모가액 기준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의무인수분 58,500주 포함)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통주로 전환되지 않은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를 포함한 주식수입니다. 금번 상장에 따른 상장 대상 주식은 당사의 보통주식으로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시장에서 유통되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상환전환우선주식에 대해서는 별도 의무보유 예정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바,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되어있는 당사의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전량에 대한 전환권 행사시 추가 발행 및 상장 예정인 보통주 주식수는 38,200주입니다. |
주2) | 당사의 박성현 이사는 당사의 주주인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의 출자자입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하고있는 당사 주식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중 박성현의 출자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는 8,903주로 해당 주식은 별도 기재하였습니다.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은 박성현의 출자 지분에 해당하는 8,903주에 대하여 상장일로부터 4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박성현 이사는 이후 조합의 청산에 따라 배부 받을 8,903주에 대하여 조합의 청산에 따른 주식 배분일부터 상장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날까지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3) | 당사의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4) | '김훈'은 당사의 직원으로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제3자 배정)를 통해 당사의 보통주식 18,000주를 취득하였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따르면 해당주식은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또한,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 주식 외에 '김훈'이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1,287주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5) | '정하림'은 당사의 직원으로 보유하고있는 당사의 보통주식 전량에 대하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6) | 당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당사가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주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3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7)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7항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3개월간 자발적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
주8) | 해당 주식(주주)은 전문투자자 및 벤처금융의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의 주식으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4조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일부 의무보유 대상 수량 대하여는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한편, 해당 의무보유 대상자의 경우 동 규정 제26조제1항4조에 따라 당사의 상장신청일 기준 자본금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주식(1,103,935주)에 대하여만 의무보유하도록 규정되어있으나 전술한 의무보유 대상자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 주주는 의무보유 대상 주식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 할 예정이며 벤처금융 주주는 이를 초과하는 수량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1~6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
주9)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0) | 상장주선인 케이비증권㈜ 및 신한투자증권㈜는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을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기간별 유통가능 주식수] |
구분 | 주식수 | 유통가능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4,166,434 | 37.74% |
상장 후 1개월 후 유통가능 | 6,497,569 | 58.86% |
상장 후 3개월 후 유통가능 | 7,709,829 | 69.84% |
상장 후 6개월 후 유통가능 | 7,720,198 | 69.94% |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 7,842,513 | 71.05% |
상장 후 2년 후 유통가능 | 11,038,777 | 100.00% |
주1) | 유통가능비율은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인 11,038,777주 대비 유통가능주식수의 비율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를 통해 취득 예정인 당사의 우리사주조합 물량 97,500주는 상장 후 12개월간 우리사주조합 계좌에 의무보유 예탁될 예정입니다. 해당 주식수는 상장 후 1년 후 유통가능 주식수에 합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단,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주식수는 청약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한편, 벤처금융 및 전문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보통주식 5,008,073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의 45.4%에 해당합니다. 금번 공모의 공모예정 주식수는 1,950,000주로 이는 당사의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의 17.7%에 해당합니다. 즉, 당사의 재무적 투자자들은 당사의 공모 및 상장 이후 공모주주보다 당사에 대하여 많은 주식 수를 보유하게 되므로 투자자분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코스닥시장 상장 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등록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6조(의무보유의 예외 등)① 거래소는 법령상 의무의 이행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하여 세칙으로 정하는 인수ㆍ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법령상 의무의 이행, 기업의 인수ㆍ합병 등으로 주식등을 취득하거나 교부받은 자는 잔여 의무보유 기간 동안 해당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②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 대상자는 의무보유된 주식등의 권리행사 등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거래소의 승인을 받아 인출, 질권 설정·말소 등을 할 수 있다. ③ 제1항 및 제2항 외에 의무보유 예외 사유의 적용 방법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세칙으로 정한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7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규정 제16조제1항 전단에서 "세칙으로 정하는 인수ㆍ합병 등"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인수ㆍ합병 등을 말한다. 1. 기술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및 능률 증진을 위한 경우 2.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금액이 과다하거나 위험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전문 경영인의 영입 등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우 4. 거래 조건의 합리화를 위한 경우 5. 그 밖에 기업의 인수나 합병 등으로 인한 기대효과가 최대주주등의 지분 매각을 금지하는 효과보다 크다고 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 (하략) |
그 외 향후 당사가 보통주를 추가적으로 발행하거나 당사의 주주가 보유한 주식을 대규모로 매각하거나,(매도금지기간이 종료한 이후에는 매도금지 대상 물량을 보유한 주주들도 포함) 이와 같은 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인식이 형성되는 경우, 당사 보통주의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상기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의 단기간 내 급격한 출회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주요 주주 등의 소유주식 매각은 당사의 사업성, 성장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희석 위험 당사는 설립 이후 당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489,200주입니다.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 11,039,347주의 4.43% 수준입니다.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은 당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수 있으며, 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회사의 설립, 경영, 해외영업 또는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임직원 등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역은 아래와 같으며,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489,200주로 이는 공모 후 발행주식총수인 11,039,347주( 확정공모가액 기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4.43% 수준입니다.향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가 발행되어 시장에 출회될 경우 당사의 상장 후 주가에 희석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상기와 같이 출회 가능한 물량에 대해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현황] | |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원) |
부여받은자 | 관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조태연 | 등기임원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94,000 | 2022.01.23~2027.01.22 | 1,807 |
변창환 외 2인 | 기타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83,200 | 2022.01.23~2027.01.22 | 1,807 |
김훈 | 임직원 | 2020.03.31 | 신주교부 | 보통주 | 18,000 | 2023.04.01~2028.02.28 | 2,967 |
김수진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정하림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장순호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곽춘 외 1인 | 외부전문가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 | - | - |
곽춘 외 2인 | 외부전문가 | 2024.03.28 | 신주교부 | 보통주 | 204,000 | 2026.03.29~2028.03.30 | 7,334 |
합 계 | - | - | 489,200 | - | - |
주1) | 2024년 6월 무상증자에 따른 부여 주식수 및 행사 가격의 조정을 반영하였습니다. |
주2) | 2022년 3월 30일 곽춘 외 1인에게 43,000주를 부여하였으나 부여 취소되었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현황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2. 임원의 보수 등 - 마.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통한 주식보상비용은 당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의하여 신주가 발행될 경우 상장주식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를 통해 발행된 신주가 일시에 유통될 경우 당사의 주가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들께서는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바. 공모가 산정 및 결정 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당사의 희망 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주요 판매 제품의 종류 및 비중, 주요 사업지역, 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성장성 등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 시 활용된 변수들은 별도 외부전문기관의 평가 등을 받지 아니한 당사의 자체적인 추정이며, 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아니합니다.당사는 금번 공모 시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유사성 및 일반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교대상회사를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상기 기준에 따라, 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s AG-REG, Modern Dental Group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대상회사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상기 선정된 비교기업이 회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기업규모의 차이 및 부문별 매출 비중의 상이성, 선정 기준의 임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종 선정된 기업들이 반드시 적합한 비교기업의 선정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차이점이 존재함에 따라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희망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PER 평가방식과 같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적용에 필요한 유사회사의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기관)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등에 기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 발생 가능성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PER 방식의 희망공모가액 선정방법의 한계] |
구분 | 한계 |
PER가치평가 | PER는 기업의 수익성에 기반한 수치로 비교대상회사에서 적자(-)가 발생한 경우 적용할 수 없습니다. |
PER 결정요인은 일정 시점의 주가와 주당 경상이익뿐만 아니라 배당성향및 할인율, 성장율 등 다양합니다. 따라서 경상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유보율, 자본금 등 여러요인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동업종 회사가 아닌 이상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PER 가치평가는 추정 실적만을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연구인력의 유출 및 영입 여부, 제품의 경쟁 현황, 정부 정책 변화, 생산시설 활용 등 실적 외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 |
비교대상회사가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각 회사에 고유한 사업구성, 시장점유율 추이, 인력수준, 재무위험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업종 소속회사의 비율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일정 시점의 주가 수준은 과거 실적보다는 미래 예상이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비교평가회사의 과거 재무제표에 의거한 비교분석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당기순이익은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창출 외에 영업외손익 등이 반영된 최종 결과물이므로 PER를 적용한 비교가치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의 질을 파악할 수 없으며, 회계처리 등에 의해 순이익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
위에서 기술하였듯, 당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당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상황의 변동 및 당사가 속한 산업의 성장성 및 위험, 당사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등이 계량화되어 있지않습니다. 따라서, 금번 평가의 결과로 산출된 당사의 평가가치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그 가치를 보증하거나 향후 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아님을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본 증권신고서의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금번 공모 시 당사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회사는 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s AG-REG, Modern Dental Group Ltd 총 3개사로 비교기업이 산업분류상 유사한 산업에 속해 있다고는 하나 실제로 영위하는 사업은 당사의 사업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또한 상기 최종 비교기업 3개사는 주력 제품 및 관련 시장, 영업 환경, 기술력, 성장성 등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비교기업과 당사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선정된 비교기업이 당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수준 존재하더라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사업구조, 시장점유율, 인력수준, 재무안정성,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청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금번 총 공모주식 1,950,000주의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은 우리사주조합 97,500주 (공모주식의 5.0%), 일반청약자 487,500주~585,000주(공모주식의 25.0%~30.0%), 기관투자자 1,267,500주~1,365,000주(공모주식의 65.0%~70.0%)입니다. 기관투자자 배정주식 1,365,000~1,462,500주를 대상으로 2025년 07월 31일부터 08월 06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한편, 2025년 08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실시되는 청약결과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자기분으로 인수 또는 추첨에 의한 재배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청약자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초과 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과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아. 환매청구권 및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일반청약자에게 "공모가격의 90% 이상에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Back Option)"가 부여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07년 6월 18일부터 시행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제11조 일반투자자의 권리 및 인수회사의 의무(Put-Back Option) 조항이 삭제됨에 따라 이와 관련해서 투자자께서는 해당 권리를 행사할 수 없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2016년 12월 13일 개정되어 2017년 1월 1일부로 시행되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주식에 대한 초과 청약이 있을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발행사로부터 추가로 공모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 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을 제5조 제1항 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 2.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 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7항 제1호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7항 제2호에 따른 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② 인수회사가 일반청약자에게 제1항의 환매청구권을 부여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환매청구권 행사가능기간 가. 제1항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 상장일부터 1개월까지 나. 제1항 제4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6개월까지 다. 제1항 제5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2. 인수회사의 매수가격 : 공모가격의 90% 이상. 다만,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 이상. 이 경우, 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또는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별주가지수 중 대표주관회사가 정한 주가지수를 말한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자. 증권 인수업무 등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①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는 공모주식을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여야 한다.1.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1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한다. 다만, 외국법인등의 기업공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2. 코스닥시장 또는 코넥스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2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할 수 있다.3.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한다.4.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상법」제469조제2항제3호에 따른 사채로서 법 제4조제7항제1호에 해당하는 증권(이하 이 조에서 "파생결합사채"라 한다)을 제외한 고위험고수익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인 경우에 한하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파생결합사채를 제외한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산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공모주식의 5% 이상을 배정한다. 다만,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에는 10% 이상을 배정한다.5.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30% 이상을 배정한다.6. 제1호 또는 제2호에도 불구하고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 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이하 "우리사주 잔여주식"이라 한다)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한 사유 등을 감안하여 발행인과 협의하여야 한다.7. 제1호부터 제6호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은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한다. |
부칙제2호(적용례)① 제9조제1항제6호, 제9조제11항부터 제13항까지의 개정규정은 2020년 12월 1일 이후 증권신고서를 최초로 제출한 기업공개부터 적용한다.② 제9조제1항제3호, 제9조제1항제4호, 제9조제2항제3호, 제9조제2항제6호가목 및 제9조제6항은 2021년 1월 1일 이후 증권신고서를 최초로 제출한 기업공개 또는 공모증자부터 적용한다. |
차.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일반청약자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해당 청약방식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 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또한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
1. 일괄청약방식 (금번 공모에서 적용)(청약) 현행과 마찬가지로 각자 원하는 수량을 청약(배정)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의 절반을 모든 청약자에 대해 균등배정*한 후 남은 절반을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수요가 일정물량에 미달하는 청약자에 대해서는 해당 수요만큼 배정 |
2. 분리청약방식(청약)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을 절반씩 A군과 B군으로 나누고 청약자는 A군과 B군을 선택하여 청약(배정) A군에 대해서는 추첨, 균등배정(1/n)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당첨자간 동일한 물량*을 배정하고, B군에 대해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증거금 부담을 감안하여 청약자별 최대 배정가능 수량을 설정ㆍ안내할 필요 |
3. 다중청약방식(청약) 분리청약방식의 A군에서 청약자의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A군 청약접수 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수요량을 청약자가 선택하며, B군 청약자는 A군 수요량을 초과하는 첨위에서 원하는 수량을 청약*(배정) A군의 각 그룹내에서 추첨, 균등배정(1/n) 등으로 물량배정, B군에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예시) A군(10주, 20주, 30주), B군(30주이상(직접입력)) 중 하나를 선택 |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청약 배정 방법은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 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이에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주식의 배정) 개정사항] |
⑪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가 제1항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인수한 공모주식 중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하여야 한다⑫ 제11항에도 불구하고 균등방식 배정 또는 비례방식 배정의 배정수량 보다 해당 배정방식을 선택한 일반청약자의 청약수량이 적은 경우 다음 각 호에 따라 배정하여야 한다.1.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 중 어느 한쪽의 청약수량은 배정수량에 미달하고 다른 한쪽의 청약수량은 배정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청약수량이 미달한 쪽의 잔여주식을 초과한 쪽에 배정하도록 할 것2.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 모두 청약수량이 배정수량에 미달하는 경우 각각의 청약수량까지 배정하고 잔여주식을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인수회사가 취득할 것⑬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제11항에 따른 균등방식 배정의 방법과 수량을 준법감시인의 사전승인을 받아 결정하여야 하며, 인수회사가 복수인 경우 대표주관회사는 인수회사간 균등방식 배정의 방법이 동일하도록 하여야 한다. |
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 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2023년 04월 27일 신설)]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타. 미래 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내지 별도 시점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의 예상을 담은 미래 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 예측 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망 수치들은 시장의 추세 및 당사의 영업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기타 불확실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의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미래 예측적 서술에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실제 실적은 본 공시서류에 포함된 여러 미래 예측적 서술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투자계획 및 금번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등과 관련한 미래 예측적 서술도 해당됩니다. 한편,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당사 사업과 관련하여 앞서 서술한 위험요소와 다음과 같은 기타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며, 아래 사항에 반드시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경제, 사업 및 정치 상황
- 당사가 발표한 사업계획 지연 또는 취소
- 당사 제품ㆍ서비스 관련 시장 상황 및 사업 전망
- COVID-19와 같이 광범위하게 전파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감염병
- 원자재 가격 변동
- 규제, 입법 및 사업 관련 상황의 부정적 동향
- 금리 및 환율 변동
- 당사의 차입 및 채무 상환력
-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앞서 언급하였던 위험요소 및 다른 위험요소와 관련한 일부 기업정보 공시는 추정에 기반할 뿐이며, 하나 이상의 불확실성 또는 리스크가 발현할 시 실제 결과는 추정, 예상 또는 추산했던 것 뿐만이 아니라 과거 경험치와도 크게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 감소, 비용 증가, 자본비용 증가, 자본투자 지연, 실적 개선 예상치 달성실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예상 자료들은 본 공시서류 기준일자 현 시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법률이 요구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정보 취득, 미래 사건 발생 등과 관계 없이 미래 예측 자료를 갱신 또는 수정할 어떠한 의무도 없으며, 이와 같은 의무를 명시적으로 부인하는 바입니다. 향후 당사 또는 당사 대리인이 제공하는 모든 추정재무자료는 본 공시서류에 기재된 유의사항이 적용되는 바, 투자자께서는 본 공시서류의 공개일자 기준으로 작성된 미래예측 진술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s://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결정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파. 상장요건 일부 미충족시 거래 제약에 따른 위험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의 방법으로 실시 됩니다. 금번 공모 후 당사가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필요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를 개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월 이내인 2025년 12월 03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등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당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투자자는 주식의 환금성에 큰 제약 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공모하는 것으로 당사는 2025년 0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6월 0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지 받았습니다. 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에 필요한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집 및 매출을 통해 공모하는 것입니다.당사는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인 2025년 12월 03일까지 신규상장 신청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당사가 금번 공모 일정 연기, 공모 철회, 그 외 사유 등으로 인하여 2025년 12월 03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시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9조제1항에 의거, 한국거래소는 시장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사의 상장예비심사결과에 대하여 그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결과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완료일)까지 주식의 분산(「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요건을 구비하여야 하며, 당사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8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하며, 이 경우 재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주식은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습니다. 주식의 코스닥 상장일 이후 신주를 배정받은 신규 주주 및 기존 주주는 당사 주식의 매매개시일 이후에 코스닥 시장을 통하여 당사의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주권의 상장 및 매매개시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일정이 확정되는대로 코스닥시장지 등을 통하여 공고될 예정입니다.
당사가 한국거래소로부터 수령한 공문에 따르면, 공모 후에 심사가 가능한 상장주식수 및 주식의 분산요건을 제외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장 전 하기와 같은 사유가 발생하고 한국거래소가 판단하기에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한국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승인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다시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할 수도 있으며, 당사 주식의 상장 연기 혹은 상장 취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건 공모 후 신규상장신청 제출일까지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결과] |
1. 상장예비심사결과 □ ㈜그래피가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제출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 및 동 첨부서류를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이하 "상장규정"이라한다.) 제6조(상장예비심사등)에 의거하여 심사('25.6.4)한 결과, 사후 이행사항을 제외하고 신규상장 심사요건을 구비하였기에 다음의 조건으로 승인함 - 다 음 - □ 사후 이행사항 - 청구법인은 상장규정 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 또는 매출의 주금납입기일)까지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주식의 분산)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함 - 만약 청구법인이 신규상장 신청일에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제38호에서 정하는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동 규정 제28조의 벤처기업 요건이 적용되지 아니하고 일반기업 상장요건을 구비하여야 함 2. 상장예비심사결과의 효력 불인정 □ 청구법인이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제1항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라 한다)가 판단하는 경우, 시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1) 상장규정 제5조제2호에서 정하는 경영상 중대한 사실(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이 발생한 경우 2)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또는 첨부서류를 거짓으로 기재하거나 중요한 사항을 빠뜨린 사실이 확인된 경우 3) 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증권 발행제한, 검찰 고발, 검찰통보 또는 과징금 부과 조치(금융위원회의 과징금 부과조치를 포함)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2조에 따른 정정신고서의 정정내용이 중요한 경우 5)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상장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다만, 해당 법인이 코스닥시장의 상황 급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상장신청서 제출기한 연장을 신청하여 거래소가 승인하는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서 제출기한을 연장할 수 있음 6) 상장을 신청할 때 제출한 재무내용 등이 상장예비심사신청 시에 제출한 내용 등과 현저하게 다르거나 중대한 변경이 발견된 경우 7) 그 밖에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상장규정시행세칙 제13조에서 정하는 경우 □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최근 사업연도의 개별·연결재무제표 및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 등)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상장신청인에 대하여 임원(상법 제408조의2에 따른 집행임원을 포함)의 해임·면직 권고, 임원의 직무정지 또는 감사인 지정조치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거래소는 상장 심사요건에 따라 심사하여 심사의 효력이 불인정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시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3. 기타 신규상장에 필요한 사항 □ 상장신청인은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5조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함 1) 증권에 관한 사항에 대한 이사회나 주주총회의 결의 2) 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상법 제522조, 제527조의2, 제527조의3에 따른 합병을 말함),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 경영상 중대한 사실 3) 모집 또는 매출의 신고. 이 경우 투자설명서(예비투자설명서 포함)와 그 기재내용의 정정사항을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함 4)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이고, 당해 사업연도 반기종료 후 45일이 경과한 경우, 반기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검토보고서 5) 최근 사업연도의 결산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개최(상법 제449조의2제1항에 따라 이사회결의로 재무제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개최). 이 경우 최근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를 같이 제출하여야 함 |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284억 원(확정공모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운영(71억 원), 연구개발( 40억 원 ), 특허전략( 21억 원 ),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 46억 원 ),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약 284억 원(확정공모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차감 후 순수입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며, 해당 자금은 설비 투자(32억 원), 해외법인 설립/운영(71억 원), 연구개발( 40억 원 ), 특허전략( 21억 원 ), 마케팅 등(60억 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 46억 원 ), 수직계열화를 위한 타법인증권 취득(14억 원)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본 자금 사용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및 재무건전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Ⅴ.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700 | 1,300 | 2,000 | 4,000 | |
특허전략 | 700 | 700 | 700 | 2,1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2,000 | 569 | 4,604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9,335 | 9,600 | 9,481 | 28,416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거.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8,500주( 확정공모가액 기준)를 추가로 인수하게 되며,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 전ㆍ후 주식수] |
(단위: 주) |
구분 | 주식 종류 | 상장 전 | 상장 후 | ||
---|---|---|---|---|---|
주식수 | 비율 | 주식수 | 비율 | ||
공모전 주식수 | 보통주 | 9,030,847 | 100.00% | 9,030,847 | 81.8% |
신주모집 주식수 | 보통주 | - | - | 1,950,000 | 17.7%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보통주 | - | - | 58,500 | 0.5% |
합계 | 보통주 | 9,030,847 | 100.00% | 11,039,347 | 100.0% |
주1) | 상장 후 비율은 확정공모가액을 기준으로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58,500주 및 공모 후 총발행주식수인 11,039,347주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58,500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너.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7월 31일(목) ~ 2025년 08월 06일(수)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8월 11일(월) ~ 2025년 08월 12일(화)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7월 31일(목) ~ 2025년 08월 06일(수)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8월 11일(월) ~ 2025년 08월 12일(화)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심운섭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3,175,690주(상장예정주식수의 28.8%)를 보유 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심운섭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3,175,690주(총 발행주식수의 28.8%)를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러.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 미적용에 대한 위험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를 적용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가 적용되지 않으며, 상장 익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변동성완화장치가 없더라도 가격 변동은 기준가의 가격제한폭(60~400%) 내로 제한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참고하시어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머. 수요예측에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의 범위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시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만 참여가 가능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16년 12월 15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2조제8호에도 불구하고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에 따라 창업투자회사 등도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 조항에 따른 창업투자회사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동 규정 제2조제8호에서 규정하는 기관투자자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버.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 가능성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산업 및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기준 등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비교 참고회사 선정기준의 임의성 및 기타 증권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해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 시 당사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산업 및 사업 유사성, 영업성과 시현, 일반기준, 평가결과 유의성 검토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상기 기준에 따라, 총 3개사(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를 당사의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상기 기준에 따른 비교회사의 선정은 비교회사의 사업 내용이 일정 부분 당사의 사업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기업가치 평가요소의 공통점이 있고, 일정 수준의 질적요건을 충족하는 비교회사를 선정함으로써 본 지분증권 평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선정된 비교기업이 주력 제품 및 관련 시장, 영업 환경, 성장성 등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비교참고 정보를토대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따라서, 기업규모의 차이 및 부문별 매출 비중의 상이성, 선정 기준의 임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종 선정된 기업들이 반드시 적합한 비교기업의 선정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따라 차이가 존재합니다.
비교기업 3개사의 2024년 요약 재무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그래피 및 비교기업 2024년 요약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주)그래피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 | Modern Dental Group Ltd |
---|---|---|---|---|
유동자산 | 11,155 | 3,685,199 | 2,479,746 | 332,835 |
비유동자산 | 10,832 | 5,503,398 | 3,414,579 | 442,797 |
자산총계 | 21,987 | 9,188,597 | 5,894,325 | 775,632 |
유동부채 | 17,804 | 3,013,325 | 1,536,133 | 110,069 |
비유동부채 | 326 | 479,920 | 1,029,431 | 146,761 |
부채총계 | 18,130 | 3,493,244 | 2,565,564 | 256,830 |
자본금 | 4,514 | 10 | 2,598 | 13,927 |
자본총계 | 3,857 | 5,695,352 | 3,328,760 | 518,802 |
매출액 | 16,125 | 5,456,170 | 3,879,921 | 588,242 |
영업이익(손실) | (9,170) | 829,034 | 931,282 | 104,412 |
당기순이익(손실) | (32,664) | 574,898 | 601,715 | 71,344 |
자료: 각사 공시자료, Bloomberg | |
주1) | 연결재무제표 작성 법인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은 지배주주귀속 당기순이익입니다. |
주2)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4년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앞서 검토한 최종 선정 비교기업의 사업 및 재무 현황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배) |
기업명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REG | Modern Dental Group Ltd |
구분 |
2024년도 | 2024년도 | 2024년도 |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
약 80.7% | 약 7.9% | 약 1.4% |
매출액 (동사 대비 차이) |
5,456,170 | 3,879,921 | 588,242 |
338배 | 240배 | 36배 | |
시가총액(동사 대비 차이) | 17,454,564 | 28,060,407 | 675,797 |
93배 | 149배 | 3배 |
출처: Bloomberg | |
주1)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4년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주관회사는 최초 당사의 비교기업 선정을 위하여 당사와 같이 투명교정장치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국내외 상장사를 선정하고자하였습니다. 주관회사의 검토 결과, 'Align Technology' 외에는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비교기업이 없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따라서 주관회사는 비교 기업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으로 사업 유사성 요건의 수준을 낮추어, 더 많은 잠재 비교기업들을 검토하였습니다. 그 결과 'Straumann Holding AG'(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약 7.9% 추정), 'Modern Dental Group Ltd'(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약 1.4% 추정)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사업 유사성을 국내 및 해외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국내 잠재 비교기업의 경우(덴티스, 디오, 레이) 2차 선정 기준인 재무 유사성에서 제외되어 3차 선정 기준인 사업 유사성의 판단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당사의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한 3개사는 모두 동사 대비 시가총액의 경우 4~150배, 매출액의 경우 36~338배 수준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명교정장치 사업의 경우 기존 업체의 높은 시장 점유율, 기술력 확보 등으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아 당사와 같은 중소기업이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입니다. 따라서, 당사와 같이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외 기업들은 대부분 매출액 및 자산총계 등이 당사와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상장사의 절대적인 수가 많지 않아, 당사가 정한 비교기업의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 또한 적습니다. 상기와 같은 사유로 당사는 부득이하게 동사와 시가총액 및 매출액 규모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기업을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 투명교정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 최종 비교기업에서 제외된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오디에스(AlignMiracle), 시스루테크㈜(시스루얼라이너), 오스템임플란트㈜(매직얼라이너)의 경우 비상장법인인 관계로 상대가치평가 방법 하에 비교기업으로 사용될 수 없어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국내 투명교정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
기업명(브랜드명) | 표준산업분류 | 사업내용 및 매출구성(2024년) | 매출액(2024년) |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 |
---|---|---|---|---|
㈜덴티스(세라핀) | (C27191)치과용 기기 제조업 | - 임플란트(80.8%)- 의료용 조명등(15.5%)- 바이오(치과용 합성골이식재, 치과용 차단막)(3.0%)- 치과용 3D 프린터(0.7%) | 1,143억원 | 2024년 온기: 29억원2025년 1분기: -5억원 |
㈜디오(올소나비) | (C27194)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 | - 치과용 임플란트, 치약(90.09%)- 치과용 장비, 스텐트(9.91%) | 1,197억원 | 2024년 온기: -413억원2025년 1분기: -454억원 |
㈜레이(RaySmiler) | (C27191)치과용 기기 제조업 | - 디지털 치료 솔루션(51.7%)- 디지털 진단 시스템(48.3%) | 798억원 | 2024년 온기: -604억원2025년 1분기: -528억원 |
자료: | 각 사 정기보고서(연결기준) |
주1) | ㈜덴티스의 경우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자회사인 ㈜티에네스를 통해서 영위하고 있습니다. ㈜티에네스의 2024년 매출액 53억원과 ㈜덴티스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 1,143억원을 기준으로 단순 계산한 ㈜덴티스의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은 약 4.6%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그 외 기업들은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함을 확인했으나, 공시된 정보로부터 해당 매출 비중을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
상기 국내 회사들이 최종 비교 기업에서 제외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투명교정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에 대한 비교기업 선정 기준 적용표] |
기업명(브랜드명) | 1차 기준: 산업 유사성 | 2차 기준: 재무 유사성 | 3차 기준: 사업 유사성 | 4차 기준: 일반 요건 |
---|---|---|---|---|
㈜덴티스(세라핀) | O | X | O | O |
㈜디오(올소나비) | O | X | O | - |
㈜레이(RaySmiler) | X | X | O | - |
주1) |
공모가격 산정 과정에서 적용한 비교기업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관회사는 비교기업 선정을 위한 기준을 설정할 때, 동사의 산업, 사업, 재무적 특성을 고려하여 동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가 선정될 수 있도록 국내 및 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였습니다. 형상기억소재를 바탕으로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동사의 사업 구조와 유사한 비교 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으로 비교적 유사성의 요건을 낮추어 광범위한 잠재 비교기업들을 검토할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했습니다. 또한, 동사의 상장 후 실적 성장 및 계속적 기업으로서의 유지를 전망하며, 유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에서 최근 공시 실적 기준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실현시킨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습니다. 동사의 기업가치 평가 방법인 PER multiple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이 적자가 아닌 기업들을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에, 위와 같은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 및 제외하였습니다.상세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는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IV. 인수인의 의견-다. 비교기업 선정-(3) 비교기업 선정 결과'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 비교회사 최고경영자의 경영능력 및 주가관리 의지, 매출의 안정성 및 기타 거래 계약, 결제 조건 등 기타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 수요예측에 따른 공모가격 결정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
2016년 12월 13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5조 제 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3.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일정가격(이하"최저공모가격"이라 한다) 이상의 입찰에 대해 해당 입찰자가 제출한 가격으로 정하는 방법4.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산정한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2016년 12월 13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2조제8호에도 불구하고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에 따라 창업투자회사 등도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호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 조항에 따른 창업투자회사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동 규정 제2호 제8호에서 규정하는 기관투자자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어. 공모주식수 변경 위험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효력발생시기의 특례 등) 제2항제1호에 따라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지분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하는 경우로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 수를 당초에 제출한 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하는 경우 정정신고서를 제출시, 당초의 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금번 공모의 경우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주식수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 신규상장일 기준가 산정방식 및 가격제한폭 변경 2023년 06월 26일부터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종목의 신규상장일 기준가격이 기존 '공모가격의 90~200% 내에서 호가를 접수하여 결정된 시가'에서 '공모가격'으로 변경되어, 신규상장일 가격제한폭은 기존 '기준가격 대비 ±30%'에서 '기준가격(공모가격)의 60~400%'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일 당사 주식의 장중 가격 변동이 기준가격 대비 60%~400% 수준까지 발생할 수 있음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거래소는 신규상장종목의 기준가격 결정방법을 개선하고 가격제한폭을 확대함으로써 신규상장일 당일 신속한 균형가격 발견기능을 제고할 목적으로 2023년 04월 12일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을 개정하였습니다.금번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의 주요 개정내용은, 1) 신규상장종목의 최초 가격 결정을 시가기준가 방식에 따르지 않고, 발행가액 자체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과 2) 신규상장종목의 가격제한폭을 신규상장일 기준가격 대비 60~400%로 상한가 및 하한가를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신규상장종목의 상장일 기준가격 및 가격 변동 범위] |
구분 | 기존 | 변경 |
---|---|---|
상장일 기준가격 | 시가(공모가의 90% ~ 200%) | 공모가격(별도의 가격결정 절차 없음) |
상장일 가격제한폭 | 기준가격의 70% ~ 130% | 기준가격의 60% ~ 400% |
주1) | 대상시장: 유가 및 코스닥 시장(코넥스는 미적용) |
주2) | 대상증권 및 종목 : 신규상장종목(주권, 외국주식예탁증권, 외국주권, 투자회사, 부동산투자회사, 사회간접투융자회사, 선박투자회사) |
주3) | 적용시간 : 신규상장일의 정규시장 및 장종료 후 시간외시장 |
한편, 상기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은 2023년 06월 26일 부로 시행되었으며, 당사의 상장매매개시 예정일은 개정안의 시행일 이후임에 따라 개정된 규정을 적용 받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변경된 기준가격 결정방법에 유의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처. 상장폐지 관련 위험 당사의 주권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사 주권은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관리종목 지정에 관한 위험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3조(관리종목)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커. 재무제표 작성 기준일 이후 변동 미반영 당사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2025년 1분기 재무제표에 대해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를 받은 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였습니다. 본 증권신고서 상의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및 감사인의 의견에 관한 사항은 2025년 1분기 작성기준일 이후의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된 2025년 1분기 재무제표에 대해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를 받은 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였습니다. 본 증권신고서 상의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및 감사인의 의견에 관한 사항은 2025년 1분기 작성기준일 이후의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재무제표의 작성기준일 이후 본 증권신고서 제출일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에 자산, 부채, 현금흐름 또는 손익사항에 중대한 변동을 가져오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없습니다.
터.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위험
소수주주의 소수주주권 행사로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본건 공모 이후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될 예정입니다. 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인 제542조의6(소수주주권)에 따라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제외하고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소집청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청구할 수 있고, 1.0%(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5%)에 해당하는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또한 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 감사 등의 해임을 요구할 수 있고, 0.1%(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의 회계장부를 열람청구할 수 있습니다. 0.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가 법령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여 이로 인하여 회사에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회사를 위하여 이사에 대하여 그 행위를 유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고, 0.01%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를 대신하여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회사의 소액주주들과 이사회 및 주요주주들과의 이해관계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법적 행동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를 상대로 상기와 같은 소송 또는 법원명령이 발생할경우, 당사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전략 시행이 방해 받을 수 있으며 사업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영자원이 핵심사업에 집중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퍼. 집단 소송 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을 허용하는 국내 법규로 인해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증권 관련 집단소송법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의 합계 지분율이 총지분의 0.01% 이상이고 회사가 발행한 주식 관련 거래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5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신하여 한 명 이상의 원고가 집단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집단소송 관련 조항에 따르면 증권신고서 혹은 투자설명서의 허위 기재, 오해의 소지가 있는 사업보고서의 제출,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 혹은 시세 조종 행위에 따른 손해 그리고 회계감사인에게 회계 부정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당사는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신의성실에 원칙에 입각하여 충실히 작성하여 공시하고 기타 제반 공시사항에 대해 적시성과 완전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향후 집단소송이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를 완벽히 통제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만약 집단소송이 당사를 상대로 제기되어 패소하게 되면 상당한 비용의 지출이 수반될 수 있으며 사업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본 장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125조 제1항 제2호 마목에 의거, 금번 공모주식의 인수인이 공모주식에 대한 의견을 기재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본 장의 작성 주체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이므로 문장의 주어를 "당사", "KB증권㈜", "신한투자증권㈜", "주관사단", "인수단"으로 기재하였습니다. 발행회사인 ㈜그래피의 경우에는 "동사", "회사"로 기재하였습니다.■ 본 장에 기재된 평가의견은 금번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의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금번 공모주식의 발행회사인 ㈜그래피에 대한 기업실사 과정을 통하여 발행회사인 ㈜그래피으로부터 제공받거나 취득한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조건 충족여부 및 상장과정에서의 희망공모가액 제시범위(공모가 밴드) 산정논리와 적정성에 대한 판단범위로 한정됩니다.■ 즉, 본 장의 평가의견은 금번 공모주식의 발행회사인 ㈜그래피에 대한 기업 실사과정 중에 있어서 동사의 코스닥시장 상장 및 공모주식의 가치평가를 검토 및 산정하기 위해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인수인이 합리적 추정 및 판단의 가정하에 제시하는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그러므로, 본 증권신고서의 당해 기재내용이 금번 공모주식의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투자자에게 투자의사결정 여부, 이와 관련한 동사의 영업, 경영관리, 재무, 기술 등 전반적인 사업 개황을 평가한 후의 조언 및 자문, 이에 상응하는 청약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인수인의 분석의견 제시가 본 증권신고서, 예비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기재내용의 고의적인 허위기재사실 이외 진실성, 정확성과 관련하여 자본시장법 상에서의 모든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장에 기재된 인수인의 분석의견 중에는 투자자에게 회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된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결과는 여러 가지 내ㆍ외부 요인들의 변화에 의해 기재된 예측정보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투자자는 유의하셔야 합니다. 예측정보와 관련하여 투자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본 신고서의 서두에 기재된 "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x 비교기업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 가치 | 11,776백만원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 참조 | |
② | 유사기업 PER | 28.96배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비교기업 선정' 참조 | |
③ | 주식수 | 11,528,547주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참조 | |
주당 평가 가액 | 29,581원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액에 대한 할인율 | 42.53% - 32.39%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참조 | |
공모가 산정결과 | 17,000원 - 20,0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최종 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동사는 상대가치법(유사기업 PER)에 따라 장래 3년간(2025년, 2026년, 2027년)의 손익을 추정하여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동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리며, 동사의 추정실적은 본 장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희망공모가액 및 확정공모가액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7,000원 ~ 20,0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그래피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나. 희망공모가액 산출방법
(1) 희망공모가액 산출 방법 개요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2025년 1분기까지의 영업실적, 재무지표, 경영성과 등과 향후 성장성, 산업의 특성, 유사기업과와의 재무지표 비교 및 주가수준 등을 감안하여 공모가액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동사의 공모가 밴드를 제시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2) 평가방법 선정 (가) 평가방법 선정 개요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절대가치 평가방법과 상대가치 평가방법이 있습니다.절대가치 평가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할인모형(DCF: Discounted Cash Flow Method)과 본질가치 평가방법이 있습니다.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할인모형(DCF)은 미래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연도별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에 적정한 할인율(가중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기업의 자본조달 원천별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한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의 합)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를 산정하는 평가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의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추정하여야 하며, 비교기업과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교기업의 미래현금흐름 및 할인율을 추정하여야만 상호비교가 가능한 모형으로 이러한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산정함에 있어 객관적인 기준이 명확하지가 않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경우 평가 지표로서 유의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습니다.본질가치 평가방법은 2002년 8월 "유가증권인수업무에 관한 규칙" 개정 이전에 공모주식의 평가를 위해 사용하던 규정상의 평가방법으로 최근 사업연도의 자산가치와 향후 2개년 추정실적을 기준으로 한 수익가치를 1과 1.5의 가중치를 두어 산출하는 절대가치 평가방법의 한 기법입니다. 그러나 본질가치를 구성하는 자산가치는 역사적 가치로서 기업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과거 실적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 있어 한계가존재합니다. 또한 이를 보완하는 향후 2개년간 추정손익에 의해 산정되는 수익가치는 손익 추정시 평가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추정기간의 불충분성 및 자본환원율로 인한 기업가치의 고평가 가능성 등은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EV/Pipeline 등)은 주식시장에 분석대상 기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비교가능성이 높은 비교기업들이 존재하고, 주식시장은 이런 기업들의 가치를 평균적으로 올바르고 적정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분석대상기업과 비교기업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그 평가방법이 간단하고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유용한 기업가치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그러나, 비교기업의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기관)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등에 기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 발생가능성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EV/Pipeline 비교 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사기업들이 일정한 재무적 요건 및 비교 유의성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또한 사업, 기술, 관련 시장 성장성, 주요 제품군 등 질적 측면에서 일정 수준 이상 평가대상 회사와 비교 유의성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나) 평가방법의 산정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금번 공모를 위한 ㈜그래피의 주당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상대가치평가방법 중 하나인 PER을 산정하여 가치평가에 활용하였습니다.
[PER Valuation 적용 사유] |
적용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적합성 |
PER | PER(Price/Earning Ratio)는 해당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EPS)의 관계를 규명하는 비율로서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력에 대한 시장의 평가, 성장성, 영업활동의 위험성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된 지표입니다.또한 개념이 명확하고 계산의 용이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자지표이기도 합니다. 또한 개념의 명확성, 산출의 용이성 등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자지표이기도 합니다. PER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가치평가를 산정하므로 개별 기업의 수익성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 대한 향후 미래의 성장성이 반영되어 개별 기업의 PER가 형성되므로, PER를 적용할 경우 특정산업에 속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산업 고유위험에 대한 Risk 요인도 주가를 통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발행회사인 (주)그래피의 금번 공모주식에 대한 평가에 있어 상대가치 평가방법 중 가장 보편적이고 소속업종 및 해당기업의 성장, 수익, 위험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인 PER를 활용하였습니다. |
[ EV/EBITDA, PBR, PSR 제외 사유] |
제외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부적합성 |
EV/EBITDA | EV/EBITDA는 기업가치(EV)와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상각전영업이익(EBITDA)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BITDA는 유형자산이나 기계장비에 대한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이 많은 산업 및 기업의 가치평가에 유용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동사는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이 실적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동사는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지출의 비중이 크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금번 공모가격 평가 시 EV/EBITDA 방식을 평가방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PBR | PBR(주가순자산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BPS(주당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엄격한 회계기준이 적용되고 자산건전성을 중요시하는 금융기관의 평가나 고정자산의 비중이 큰 장치산업의 경우 주로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동사의 경우 금융기관이 아니며, 고정자산 비중이 크지 않아 순자산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평가의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어 가치산정시 제외하였습니다. |
PSR | PSR(주가매출액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SPS(주당매출액)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비교기업의 이익이 적자(-)일 경우 사용하는 보조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PSR이 적합한 투자지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비교기업간에 매출액 대비 수익률이 유사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업마다 매출액 대비 수익율(ROS)은 상이하며, 단순히 매출액과 관련하여 주가 비교시에 수익성을 배제한 외형적 크기만을 비교하여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습니다. |
다. 비교기업 선정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업종, 재무, 사업 및 일반 유사성을 고려하여 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 총 3개사를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비교기업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상세 선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최종 선정된 3개 비교기업은 동사의 사업 구조와 영업적 특성, 재무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선정되었으나, 주요 사업 및 매출 비중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또한, 사업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등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비교참고 정보를 토대로 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비교기업 선정 요약
[비교기업 선정 기준표] |
구분 | 선정기준 | 세부검토기준 | 선정회사 |
1차 | 산업 유사성 | ① 블룸버그산업분류(BICS) 분류가 Level 4 '의료 기기'에 속하는 회사②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5조에서 규정하는 적격 해외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 또는 국내증권시장 상장회사 | 168개사 |
2차 | 재무 유사성 | ① 최근 사업연도(2024년) (연결기준)매출액 100억원 이상 실현한 회사②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실현한 회사③ 결산일 혹은 회계연도말이 12월말인 회사 | 38개사 |
3차 | 사업 유사성 | ① 치과 의료기기 연관 제품 공급 사업 비중이 50% 이상이고,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할 것 | 4개사 |
4차 | 일반 요건 | ①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 후 1년이 경과하였을 것② 분석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간 합병, 분할, 최대주주 변경 등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없을 것③ 비경상적 PER제외(PER 5배 미만, 50배 초과)④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일 것 | 3개사 |
(2) 비교기업 선정 세부내역
[1차 선정 기준 : 산업 유사성]동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3D 프린팅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소재 및 하드웨어에 대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세계 최초로 형상기억 3D프린팅 소재(Tera Harz Clear (TC-85, TA-28 등)) 개발 및 이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hape Memory Aligner, SMA)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높은 에너지 밀도를 바탕으로 100% 표면전환율을 달성가능하게 한 질소경화기(Tera Harz Cure, THC),투명교정장치 제작 이후 잔여레진 제거를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매 대신 보다 안전하며 투명도 높게 제거할 수 있는 잔여레진 제거 장치(Tera Harz Spinner, THS),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는 SMA 로봇시스템(Tera Harz Smart Robot, THSR), Auto Segmentation 및 Auto Support 등 AI 기능이 탑재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전용 디자인 프로그램(Direct Aligner Designer, DAD) 등을 자체 개발을 완료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최적화된 통합 솔루션을 구축 완료하였습니다.동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C20202)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동사의 핵심 제품인 형상기억 소재(Tera Harz Clear)는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서(GMP 인증)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법」제2조제1항에 의거하여 동사는 의료기기를 제조하는 기업에 해당하며, 핵심 제품인 형상기억 소재(Tera Harz Clear) 및 주요 제품의 의료기기 인증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제품에 대한 인허가 취득 내역] |
제품명 | 구분 | 상세 내역 | 인증번호 | 취득 일자 등 |
---|---|---|---|---|
Tera Harz Clear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20-4106 호 |
최초 취득: 2020. 02. 11 유효 기간: 2030. 08. 31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40597 | 최초 취득: 2022. 11. 03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최초 취득: 2020. 04. 27 유효 기간: 2028. 05. 2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일본PMDA | 제306AKBZX00005000 호 |
최초 취득: 2024. 01. 30 유효 기간: 2029. 01. 29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호주TGA | 456265 | 최초 취득: 2024. 07. 24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캐나다MDL | 112504 | 최초 취득: 2025. 01. 10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브라질ANVISA | 80601269002 | 최초 취득: 2023. 07. 0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만TFDA | 37357 | 최초 취득: 2025. 03. 18유효 기간: 2029. 08. 06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의료기기 시스템인증 | ISO 13485 | 22-B-0572 |
최초 취득: 2019. 12. 03 유효 기간: 2025. 12. 02 |
|
의료기기 시스템인증 | GMP | KTC-ABBA-15747 |
최초 취득: 2019. 11. 12 유효 기간: 2025. 11. 11 |
|
Tera Harz (TC-80)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0-4082 | 취득일자 : 2020-02-04유효기간 : 2030-08-31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02846 | 취득일자 : 2021-07-15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취득일자 : 2020-04-27유효기간 : 2028-12-3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만TFDA | 37338 | 취득일자 : 2024-07-29유효기간 : 2029-07-29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II (BR-23)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3-4658 | 취득일자 : 2023-04-21유효기간 : 2028-04-20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33502 | 취득일자 : 2023-11-0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유럽CE MDD | CE-MDD-0093/04/2020/01 | 취득일자 : 2021-05-21유효기간 : 2028-12-3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FlexibleDenture (TFDH)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2-4443 | 취득일자 : 2022-06-13유효기간 : 2027-06-12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미국FDA 510(k) | K222414 | 취득일자 : 2022-08-11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캐나다MDL | 113255 | 취득일자 : 2025-05-07 |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
Tera Harz Denture | 의료기기 제품인증 | 대한민국식약처 품목인증 | 제인 20-5151 | 취득일자 : 2020-12-24유효기간 : 2025-12-23 |
의료기기 제품인증 | 사우디아라비아SFDA | ME0000001917 | 최초 취득: 2024. 07. 13 |
자료: 동사 |
주1) | 유럽 CE의 경우 의료기기 관련 규제 사항이 MDD(Medical Device Directive)에서 MDR(Medical Device Regulation)로 변경됨에 따라, 주요 사항에 대한 인증 전환이 필요한 바, 동사는 기존 MDD 인증 심사기관(Notice(NB 2746))과 계약을 체결하여, MDR 인증 전환을 진행 중입니다. |
한편 동사는 글로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액 중 해외에서 발생한 매출은 2025년 1분기 기준 86%, 2024년 온기 기준 81%로 수출 비중이 매우 높은 해외 시장 중심의 기업입니다. 동사는 90여개 국가에 진출하여 다수의 유통회사(dealer)와 거래 중이며, 약 100여명의 글로벌 연자(speaker)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의학적 지식, 객관적 데이터, 임상사례 등을 필요로 하는 치과 교정 산업 및 학계의 주요 행사에서 동사의 기술과 제품을 홍보하며, 동사의 해외에서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와 같이 이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제품의 경우, 청중의 대부분은 제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지만 아직은 기술 · 제품 도입을 망설이고 있거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직접 확인한 후 도입하길 희망하는 잠재고객으로 동사 제품 구매 의사가 있는 잠재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연자(speaker)들의 설명과 실험 데이터 제시는 동사 기술과 제품을 알리고 실구매를 유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동사는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수출에서 창출하고 있으며, 해외 치과 교정 전문의들로부터 제품의 기술력과 상품성을 인정받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고,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본격적으로 영위하는 기업들이 주로 해외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사의 비교 기업은 국내 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기준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동사가 영위하는 투명교정장치 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비교기업을 선정하고자 블룸버그산업분류(BICS, Bloomberg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s) Level 4 '의료 기기' 기준에 속하면서, 국내증권시장에 상장되어있거나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적격 해외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 168개사를 1차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
제5조(적격 해외증권시장)규정 제2조제1항제33호에서 "세칙으로 정하는 해외증권시장"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시장을 말한다.1. 뉴욕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 2. 나스닥증권시장(NASDAQ Stock Market) 3. 유로넥스트(Euronext) 4. 동경증권거래소(Tokyo Stock Exchange) 5. 런던증권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 6. 독일거래소(Deutsche Borse) 7. 홍콩거래소(Hong Kong Exchanges and Clearing) 8. 싱가포르거래소(Singapore Exchange) 9. 호주증권거래소(Australian Securities Exchange) 10. 토론토증권거래소(Toronto Stock Exchange) 11. 그 밖에 시장의 안정성·유동성·투명성 등을 고려하여 거래소가 인정하는 해외증권시장 |
[선정 1차 선정 기준에 따른 모집단] |
No. | Name | BICS L4 하위산업명 | 국가 | 주요 상장 거래소명 |
1 | ABBOTT LABORATORIES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2 | BOSTON SCIENTIFIC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3 | STRYKER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4 | MEDTRONIC PLC | 의료 기기 | Ireland | New York |
5 | EDWARDS LIFESCIENCES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6 | TERUMO CORP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7 | STRAUMANN HOLDING AG-REG | 의료 기기 | Switzerland | SIX Swiss Ex |
8 | SONOVA HOLDING AG-REG | 의료 기기 | Switzerland | SIX Swiss Ex |
9 | ZIMMER BIOMET HOLDING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10 | ALIGN TECHNOLOGY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11 | SMITH & NEPHEW PLC | 의료 기기 | United Kingdom | London |
12 | COCHLEAR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3 | PENUMBRA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14 | DEMANT A/S | 의료 기기 | Denmark | Copenhagen |
15 | GLOBUS MEDICAL INC - A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16 | MERIT MEDICAL SYSTEM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17 | IRHYTHM TECHNOLOGI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18 | INSPIRE MEDICAL SYSTEM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19 | ASAHI INTECC CO LTD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20 | INTEGER HOLDINGS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21 | MEDACTA GROUP SA | 의료 기기 | Switzerland | SIX Swiss Ex |
22 | LIVANOVA PLC | 의료 기기 | United Kingdom | NASDAQ GS |
23 | EMBLA MEDICAL HF | 의료 기기 | Iceland | Copenhagen |
24 | NOVOCURE LTD | 의료 기기 | Jersey | NASDAQ GS |
25 | NIHON KOHDEN CORP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26 | ENOVIS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27 | ALPHATEC HOLDING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28 | LEMAITRE VASCULAR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29 | FUKUDA DENSHI CO LTD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30 | ATRICURE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31 | MICROPORT SCIENTIFIC CORP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32 | MEDARTIS HOLDING AG | 의료 기기 | Switzerland | SIX Swiss Ex |
33 | ARTIVION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34 | ANGELALIGN TECHNOLOGY INC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35 | KANGJI MEDICAL HOLDINGS LTD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36 | KESTRA MEDICAL TECHNOLOGIES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37 | PULSE BIOSCIENC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38 | DYNAVOX GROUP AB | 의료 기기 | Sweden | Stockholm |
39 | ESTABLISHMENT LABS HOLDINGS | 의료 기기 | Costa Rica | NASDAQ CM |
40 | EL.EN. SPA | 의료 기기 | Italy | BrsaItaliana |
41 | LIFETECH SCIENTIFIC CORP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42 | INMODE LTD | 의료 기기 | Israel | NASDAQ GS |
43 | LEPU SCIENTECH MEDICAL TEC-H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44 | NANOSONICS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45 | PHC HOLDINGS CORP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46 | AK MEDICAL HOLDINGS LTD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47 | SI-BONE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48 | MICROPORT NEUROSCIENTIFIC CO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49 | BETA BIONIC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50 | RXSIGHT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51 | CERIBELL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52 | NEUROPACE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53 | SHANGHAI INT MEDICAL INSTRUM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54 | BIOVENTUS INC - A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55 | ORTHOPEDIATRICS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56 | PEIJIA MEDICAL LTD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57 | MODERN DENTAL GROUP LTD | 의료 기기 | Hong Kong | Hong Kong |
58 | CASTLE BIOSCIENC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59 | ORTHOFIX MEDICAL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60 | SURMODIC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61 | ORBUSNEICH MEDICAL GROUP HOL | 의료 기기 | Hong Kong | Hong Kong |
62 | JENSCARE SCIENTIFIC CO LTD-H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63 | ANGIODYNAMIC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64 | CUORIPS INC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65 | IMRICOR MEDICAL SYSTEMS-CDI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ASE |
66 | AMPLITUDE SURGICAL SAS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67 | WIN-PARTNERS CO LTD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68 |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69 | MICROPORT CARDIOFLOW MEDTECH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0 | ZIMVIE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71 | TACTILE SYSTEMS TECHNOLOGY I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72 | 주식회사 디오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73 | BEIJING AIRDOC TECHNOLOGY CO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4 | CRYOFOCUS MEDTECH SHANGHAI C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5 | ARRAIL GROUP LTD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6 | PROFOUND MEDICAL CORP | 의료 기기 | Canada | Toronto |
77 | VENUS MEDTECH HANGZHOU INC-H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8 | SHANGHAI HEARTCARE MEDICAL-H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79 | OSSDSIGN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80 | SEDANA MEDICAL AB | 의료 기기 | Sweden | Stockholm |
81 | PULMONX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82 | ANTERIS TECHNOLOGIES GLOBAL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83 | BIOSIG TECHNOLOGI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84 | MYOMO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YSEAmerican |
85 | 동국생명과학 주식회사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86 | ORCHESTRA BIOMED HOLDINGS IN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87 | XTANT MEDICAL HOLDING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YSEAmerican |
88 | JAPAN MEDICAL DYNAMIC MKT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89 | AROA BIOSURGERY LTD | 의료 기기 | New Zealand | ASE |
90 | 주식회사 엘앤케이바이오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91 | FRACTYL HEALTH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M |
92 | TRAJAN GROUP HOLDINGS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93 | 주식회사 덴티스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94 | SENSUS HEALTHCARE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95 | ZYNEX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GS |
96 | CREO MEDICAL GROUP PLC | 의료 기기 | United Kingdom | London |
97 | NEXSTIM OYJ | 의료 기기 | Finland | FN Finland |
98 | 주식회사 피제이전자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99 | 노을 주식회사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00 | SEQUANA MEDICAL NV | 의료 기기 | Belgium | EN Brussels |
101 | AFFLUENT MEDICAL SA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102 | ENVVENO MEDICAL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03 | 주식회사 코렌텍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04 | ARTRYA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05 | 주식회사 라메디텍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06 | ORTOMA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07 | MODULAR MEDICAL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08 | 주식회사 디알젬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09 | SHL TELEMEDICINE LTD-REG | 의료 기기 | Israel | SIX Swiss Ex |
110 | PRECISION SYSTEM SCIENCE CO | 의료 기기 | Japan | Tokyo |
111 | INTEGRUM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12 | RENALYTIX PL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London |
113 | NOVACYT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114 | ENVOY MEDICAL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15 | 주식회사 멕아이씨에스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16 | NEUROONE MEDICAL TECHNOLOGIE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17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 | 의료 기기 | South Korea | KOSDAQ |
118 | DIAGNOSTIC MEDICAL SYSTEMS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119 | RAINMED MEDICAL LTD | 의료 기기 | China | Hong Kong |
120 | ALLURION TECHNOLOGI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ew York |
121 | NOVA EYE MEDICAL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22 | NEXALIN TECHNOLOGY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23 | NEOLA MEDICAL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24 | GERATHERM MEDICAL AG | 의료 기기 | Germany | Xetra |
125 | AAP IMPLANTATE | 의료 기기 | Germany | Xetra |
126 | ADAGIO MEDICAL HOLDING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27 | NOSA PLUGS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28 | WORK MEDICAL TECHNOLOGY GR-A | 의료 기기 | China | NASDAQ CM |
129 | IRIDEX CORP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30 | KAISA HEALTH GROUP HOLDINGS | 의료 기기 | Hong Kong | Hong Kong |
131 | MAXWIN INTERNATIONAL HOLDING | 의료 기기 | Hong Kong | Hong Kong |
132 | IMPLANET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133 | CARDIEX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34 | LIFECARE ASA | 의료 기기 | Norway | Oslo |
135 | QUANTUM HEALTHCARE LTD | 의료 기기 | Singapore | Singapore |
136 | INSPIRA TECHNOLOGIES OXY BHN | 의료 기기 | Israel | NASDAQ CM |
137 | RESONANCE HEALTH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38 | PAVMED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39 | IMMUNOVIA AB | 의료 기기 | Sweden | Stockholm |
140 | RENERVE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41 | RUA LIFE SCIENCES PLC | 의료 기기 | United Kingdom | London |
142 | EKSO BIONICS HOLDING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43 | ATOMO DIAGNOSTICS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44 | SCANDINAVIAN REAL HEART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45 | NORDIC TECHNOLOGY GROUP AS | 의료 기기 | Norway | Oslo |
146 | CONTROL BIONICS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47 | HERAMED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48 | HITIQ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49 | AUTONOMIX MEDICAL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0 | BEBO HEALTH SA | 의료 기기 | Switzerland | EN Paris |
151 | SHARPS TECHNOLOGY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2 | NUWELLI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3 | INVO FERTILITY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4 | GLUCOTRACK INC | 의료 기기 | Israel | NASDAQ CM |
155 | TIVIC HEALTH SYSTEM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6 | RESHAPE LIFESCIENCE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57 | KNOW LABS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YSEAmerican |
158 | ICONOVO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59 | VENUS CONCEPT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ASDAQ CM |
160 | USCOM LTD | 의료 기기 | Australia | ASE |
161 | QLIFE HOLDING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62 | CATHETER PRECISION INC | 의료 기기 | United States | NYSEAmerican |
163 | OBSERVE MEDICAL ASA | 의료 기기 | Norway | Oslo |
164 | CHORDATE MEDICAL HOLDING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65 | PROSTATYPE GENOMICS AB | 의료 기기 | Sweden | FN Stockholm |
166 | MYNDTEC INC | 의료 기기 | Canada | Canadian Sec |
167 | CO.DON AG | 의료 기기 | Germany | Frankfurt |
168 | SAFE ORTHOPAEDICS SA | 의료 기기 | France | EN Paris |
[2차 선정 기준: 재무 유사성]동사는 상기의 1차 기준으로 선정한 168개의 기업 중 아래의 재무 유사성에 따라 38개의 기업을 2차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동사의 최근 3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25년 1분기 2,274백만원, 2024년 16,125백만원, 2023년 10,448백만원, 2022년 4,258백만원을 기록하였으며, 각 년도 연결 기준 영업손실액은 2025년 1분기 3,817백만원, 2024년 32,688백만원, 2023년 5,445백만원, 2022년 17,677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구분 | 선정기준 | 세부검토기준 |
---|---|---|
2차 | 재무 유사성 | ① 최근 사업연도(2024년) (연결기준)매출액 100억원 이상 실현한 회사②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실현한 회사③ 결산일 혹은 회계연도말이 12월말인 회사 |
(단위: 백만원) |
No. | 기업명 | 결산월 | 매출액(주1) |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주2) | 선정기준해당여부 | (제외시) 미충족 기준 |
1 | ABBOTT LABORATORIES | 12 | 57,235,713 | 18,857,342 | O | 선정 |
2 | BOSTON SCIENTIFIC CORP | 12 | 22,849,261 | 2,851,322 | O | 선정 |
3 | STRYKER CORP | 12 | 30,828,152 | 3,976,246 | O | 선정 |
4 | MEDTRONIC PLC | 4 | 46,948,409 | 6,523,546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5 | EDWARDS LIFESCIENCES CORP | 12 | 7,421,541 | 5,725,640 | O | 선정 |
6 | TERUMO CORP | 3 | 9,481,957 | 1,065,073 | X | 매출액 기준 미충족 |
7 | STRAUMANN HOLDING AG-REG | 12 | 3,879,921 | 599,431 | O | 선정 |
8 | SONOVA HOLDING AG-REG | 3 | 6,079,487 | 854,111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9 | ZIMMER BIOMET HOLDINGS INC | 12 | 10,476,524 | 1,270,109 | O | 선정 |
10 | ALIGN TECHNOLOGY INC | 12 | 5,456,170 | 570,349 | O | 선정 |
11 | SMITH & NEPHEW PLC | 12 | 7,927,044 | 561,868 | O | 선정 |
12 | COCHLEAR LTD | 6 | 1,955,161 | 333,756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13 | PENUMBRA INC | 12 | 1,629,908 | 61,588 | O | 선정 |
14 | DEMANT A/S | 12 | 4,435,225 | 472,170 | O | 선정 |
15 | GLOBUS MEDICAL INC - A | 12 | 3,437,356 | 260,541 | O | 선정 |
16 | MERIT MEDICAL SYSTEMS INC | 12 | 1,850,800 | 170,460 | O | 선정 |
17 | IRHYTHM TECHNOLOGIES INC | 12 | 807,493 | -136,65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8 | INSPIRE MEDICAL SYSTEMS INC | 12 | 1,095,329 | 92,150 | O | 선정 |
19 | ASAHI INTECC CO LTD | 6 | 962,246 | 94,221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20 | INTEGER HOLDINGS CORP | 12 | 2,342,088 | 103,994 | O | 선정 |
21 | MEDACTA GROUP SA | 12 | 871,460 | 107,496 | O | 선정 |
22 | LIVANOVA PLC | 12 | 1,710,164 | -330,13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23 | EMBLA MEDICAL HF | 12 | 1,166,393 | 100,138 | O | 선정 |
24 | NOVOCURE LTD | 12 | 825,750 | -229,32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25 | NIHON KOHDEN CORP | 3 | 2,062,845 | 131,250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26 | ENOVIS CORP | 12 | 2,875,597 | -1,133,03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27 | ALPHATEC HOLDINGS INC | 12 | 834,403 | -231,54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28 | LEMAITRE VASCULAR INC | 12 | 299,977 | 62,969 | O | 선정 |
29 | FUKUDA DENSHI CO LTD | 3 | 1,272,047 | 171,446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30 | ATRICURE INC | 12 | 634,855 | -53,21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31 | MICROPORT SCIENTIFIC CORP | 12 | 1,406,761 | -292,28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32 | MEDARTIS HOLDING AG | 12 | 348,387 | 5,417 | O | 선정 |
33 | ARTIVION INC | 12 | 530,112 | -29,81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34 | ANGELALIGN TECHNOLOGY INC | 12 | 50,957 | 2,297 | O | 선정 |
35 | KANGJI MEDICAL HOLDINGS LTD | 12 | 191,215 | 110,243 | O | 선정 |
36 | KESTRA MEDICAL TECHNOLOGIES | 4 | 36,828 | -112,63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37 | PULSE BIOSCIENCES INC | 12 | 0 | -84,32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38 | DYNAVOX GROUP AB | 12 | 254,467 | 20,748 | O | 선정 |
39 | ESTABLISHMENT LABS HOLDINGS | 12 | 226,521 | -124,58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40 | EL.EN. SPA | 12 | 835,040 | 76,168 | X | 선정 |
41 | LIFETECH SCIENTIFIC CORP | 12 | 247,158 | 41,718 | O | 선정 |
42 | INMODE LTD | 12 | 538,682 | 244,071 | O | 선정 |
43 | LEPU SCIENTECH MEDICAL TEC-H | 12 | 89,415 | 46,554 | O | 선정 |
44 | NANOSONICS LTD | 6 | 148,685 | 14,934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45 | PHC HOLDINGS CORP | 3 | 3,308,922 | 95,948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46 | AK MEDICAL HOLDINGS LTD | 12 | 255,249 | 51,916 | O | 선정 |
47 | SI-BONE INC | 12 | 228,094 | -36,96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48 | MICROPORT NEUROSCIENTIFIC CO | 12 | 144,417 | 48,185 | O | 선정 |
49 | BETA BIONICS INC | 12 | 88,854 | -74,70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0 | RXSIGHT INC | 12 | 190,914 | -37,13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1 | CERIBELL INC | 12 | 89,290 |
-55,19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2 | NEUROPACE INC | 12 | 109,022 | -34,61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3 | SHANGHAI INT MEDICAL INSTRUM | 12 | 161,515 | 36,359 | O | 선정 |
54 | BIOVENTUS INC - A | 12 | 782,171 | -43,49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5 | ORTHOPEDIATRICS CORP | 12 | 279,325 | -56,97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6 | PEIJIA MEDICAL LTD | 12 | 116,685 | -43,14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7 | MODERN DENTAL GROUP LTD | 12 | 588,242 | 71,291 | O | 선정 |
58 | CASTLE BIOSCIENCES INC | 12 | 453,068 | -8,81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59 | ORTHOFIX MEDICAL INC | 12 | 1,090,809 | -200,90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0 | SURMODICS INC | 9 | 169,525 | -27,71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1 | ORBUSNEICH MEDICAL GROUP HOL | 12 | 223,891 | 54,189 | O | 선정 |
62 | JENSCARE SCIENTIFIC CO LTD-H | 12 | 0 | -33,65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3 | ANGIODYNAMICS INC | 5 | 403,378 | -56,80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4 | CUORIPS INC | 3 | 1,603 | -5,89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5 | IMRICOR MEDICAL SYSTEMS-CDI | 12 | 1,309 | -40,72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66 | AMPLITUDE SURGICAL SAS | 6 | 152,955 | 1,588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67 | WIN-PARTNERS CO LTD | 3 | 744,982 | 18,561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68 |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12 | 9,543 | 2,860 | X | 매출액 기준 미충족 |
69 | MICROPORT CARDIOFLOW MEDTECH | 12 | 68,546 | -9,22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0 | ZIMVIE INC | 12 | 613,628 | -27,20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1 | TACTILE SYSTEMS TECHNOLOGY I | 12 | 399,741 | 22,161 | O | 선정 |
72 | 주식회사 디오 | 12 | 119,650 | -45,41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3 | BEIJING AIRDOC TECHNOLOGY CO | 12 | 29,644 | -48,64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4 | CRYOFOCUS MEDTECH SHANGHAI C | 12 | 10,149 | -19,78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5 | ARRAIL GROUP LTD | 3 | 321,579 | 3,161 | X | 결산월 기준 미충족 |
76 | PROFOUND MEDICAL CORP | 12 | 14,572 | -45,22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7 | VENUS MEDTECH HANGZHOU INC-H | 12 | 89,262 | -136,10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8 | SHANGHAI HEARTCARE MEDICAL-H | 12 | 52,685 | -2,58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79 | OSSDSIGN AB | 12 | 17,283 | -6,96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0 | SEDANA MEDICAL AB | 12 | 23,065 | -7,24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1 | PULMONX CORP | 12 | 114,320 | -79,61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2 | ANTERIS TECHNOLOGIES GLOBAL | 12 | 3,688 | -104,20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3 | BIOSIG TECHNOLOGIES INC | 12 | 55 | -13,58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4 | MYOMO INC | 12 | 44,412 | -8,24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5 | 동국생명과학 주식회사 | 12 | 131,816 | 2,245 | O | 선정 |
86 | ORCHESTRA BIOMED HOLDINGS IN | 12 | 3,599 | -92,68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7 | XTANT MEDICAL HOLDINGS INC | 12 | 159,997 | -16,45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8 | JAPAN MEDICAL DYNAMIC MKT | 3 | 229,817 | -4,83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89 | AROA BIOSURGERY LTD | 3 | 59,985 | -6,73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0 | 주식회사 엘앤케이바이오 | 12 | 36,092 | 5,578 | O | 선정 |
91 | FRACTYL HEALTH INC | 12 | 127 | -124,46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2 | TRAJAN GROUP HOLDINGS LTD | 6 | 135,577 | -25,40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3 | 주식회사 덴티스 | 12 | 114,283 | -53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4 | SENSUS HEALTHCARE INC | 12 | 57,041 | 2,286 | O | 선정 |
95 | ZYNEX INC | 12 | 262,444 | -11,06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6 | CREO MEDICAL GROUP PLC | 12 | 6,975 | -50,04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7 | NEXSTIM OYJ | 12 | 12,890 | -1,30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98 | 주식회사 피제이전자 | 12 | 169,299 | 10,085 | O | 선정 |
99 | 노을 주식회사 | 12 | 1,601 | -22,46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0 | SEQUANA MEDICAL NV | 12 | 156 | -66,22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1 | AFFLUENT MEDICAL SA | 12 | 0 | -22,11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2 | ENVVENO MEDICAL CORP | 12 | 0 | -29,70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3 | 주식회사 코렌텍 | 12 | 93,667 | 38 | O | 선정 |
104 | ARTRYA LTD | 6 | N/A | -12,24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5 | 주식회사 라메디텍 | 12 | 6,577 | -9,48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6 | ORTOMA AB | 12 | 6,337 | 1,431 | X | 매출액 조건 미충족 |
107 | MODULAR MEDICAL INC | 3 | 0 | -24,81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08 | 주식회사 디알젬 | 12 | 104,006 | 7,528 | O | 선정 |
109 | SHL TELEMEDICINE LTD-REG | 12 | 77,468 | -38,33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0 | PRECISION SYSTEM SCIENCE CO | 6 | 35,609 | -5,79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1 | INTEGRUM AB | 4 | 12,968 | -2,56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2 | RENALYTIX PLC | 6 | 3,054 | -31,84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3 | NOVACYT | 12 | 28,966 | -61,70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4 | ENVOY MEDICAL INC | 12 | 307 | -27,21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5 | 주식회사 멕아이씨에스 | 12 | 11,369 | -9,36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6 | NEUROONE MEDICAL TECHNOLOGIE | 9 | 4,643 | -9,13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7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 | 12 | 40,629 | -3,98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8 | DIAGNOSTIC MEDICAL SYSTEMS | 12 | 67,979 | -4,25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19 | RAINMED MEDICAL LTD | 12 | 7,550 | -21,51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0 | ALLURION TECHNOLOGIES INC | 12 | 7,824 | -33,96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1 | NOVA EYE MEDICAL LTD | 6 | 20,399 | -7,72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2 | NEXALIN TECHNOLOGY INC | 12 | 230 | -10,37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3 | NEOLA MEDICAL AB | 12 | 0 | -1,36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4 | GERATHERM MEDICAL AG | 12 | 20,631 | 1,041 | X | 선정 |
125 | AAP IMPLANTATE | 12 | 18,008 | -5,35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6 | ADAGIO MEDICAL HOLDINGS INC | 12 | 821 | -102,38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7 | NOSA PLUGS AB | 12 | 2,077 | -1,04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8 | WORK MEDICAL TECHNOLOGY GR-A | 9 | 15,472 | -4,69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29 | IRIDEX CORP | 12 | 66,361 | -9,91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0 | KAISA HEALTH GROUP HOLDINGS | 12 | 32,412 | -8,10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1 | MAXWIN INTERNATIONAL HOLDING | 12 | 10,677 | -2,67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2 | IMPLANET | 12 | 13,878 | -6,45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3 | CARDIEX LTD | 6 | 9,538 | -13,08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4 | LIFECARE ASA | 12 | 1,227 | -9,22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5 | QUANTUM HEALTHCARE LTD | 12 | 12,950 | -2,16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6 | INSPIRA TECHNOLOGIES OXY BHN | 12 | 0 | -15,06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7 | RESONANCE HEALTH LTD | 6 | 7,512 | -29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38 | PAVMED INC | 12 | 4,086 | 102,024 | X | 매출액 조건 미충족 |
139 | IMMUNOVIA AB | 12 | 120 | -17,40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0 | RENERVE LTD | 6 | 155 | -2,610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1 | RUA LIFE SCIENCES PLC | 3 | 3,636 | 396 | X | 매출액 조건 미충족 |
142 | EKSO BIONICS HOLDINGS INC | 12 | 24,456 | -15,09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3 | ATOMO DIAGNOSTICS LTD | 6 | 3,574 | -5,79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4 | SCANDINAVIAN REAL HEART AB | 12 | 0 | -4,78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5 | NORDIC TECHNOLOGY GROUP AS | 12 | 6,296 | 1,91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6 | CONTROL BIONICS LTD | 6 | 4,680 | -6,24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7 | HERAMED LTD | 12 | 328 | -6,41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8 | HITIQ LTD | 6 | 4,153 | -4,29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49 | AUTONOMIX MEDICAL INC | 3 | 0 | -18,49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0 | BEBO HEALTH SA | 12 | N/A | N/A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1 | SHARPS TECHNOLOGY INC | 12 | 0 | -8,70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2 | NUWELLIS INC | 12 | 11,925 | -13,82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3 | INVO FERTILITY INC | 12 | 8,912 | -35,991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4 | GLUCOTRACK INC | 12 | 0 | -37,10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5 | TIVIC HEALTH SYSTEMS INC | 12 | 1,064 | -7,92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6 | RESHAPE LIFESCIENCES INC | 12 | 10,923 | -4,654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7 | KNOW LABS INC | 9 | 0 | -22,282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8 | ICONOVO AB | 12 | 379 | -5,609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59 | VENUS CONCEPT INC | 12 | 88,457 | -69,05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0 | USCOM LTD | 6 | 3,259 | -2,12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1 | QLIFE HOLDING AB | 12 | 6 | -6,996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2 | CATHETER PRECISION INC | 12 | 573 | -25,12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3 | OBSERVE MEDICAL ASA | 12 | 2,345 | -16,095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4 | CHORDATE MEDICAL HOLDING AB | 12 | 86 | -3,51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5 | PROSTATYPE GENOMICS AB | 12 | 256 | -5,298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6 | MYNDTEC INC | 12 | 111 | -1,24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7 | CO.DON AG | 12 | 8,383 | -15,497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168 | SAFE ORTHOPAEDICS SA | 12 | 7,958 | -31,393 | X | 순이익 실현 조건 미충족 |
자료: | Bloomberg |
주1) | 최근 사업연도인 2024년 온기 기준 (연결기준)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주2) | 2025년 1분기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해당 분기 재무수치 공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조회 가능한 가장 최근 분기 결산기(2024년 온기) 기준의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주3) | 매출액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4년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으며,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LTM 기간의 평균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3차 선정 기준: 사업 유사성]동사는 2차 선정 기준으로 분류된 38개사 중 3차 선정 기준인 사업 유사성을 바탕으로 4개사를 선정하였습니다.
구분 | 선정기준 | 세부검토기준 |
---|---|---|
3차 | 사업 유사성 | ① 치과 의료기기 연관 제품 공급 사업 비중이 50% 이상이고,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할 것 |
동사의 핵심 사업은 형상기억 소재(Tera Harz Clear)이며, 이외 매출이 발생하는 기타소재와 장비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등의 장비 또한 동사의 핵심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를 제작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사업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교기업이 치과 의료기기 제품을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며,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이 발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각 기업의 사업 내용은 사업부 혹은 제품 매출이 발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분석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No. | 기업명 | 2024년 (연결기준)매출 비중(%) | 선정기준해당여부 |
1 | ABBOTT LABORATORIES | Medical Devices 42%, Diagnostics Products 27%, Nutrition Products 19%, Established Pharmaceutical Products 12% | X |
2 | BOSTON SCIENTIFIC CORP | Cardiovascular 64%, MedSurg 36% | X |
3 | STRYKER CORP | MedSurg & Neurotechnology 60%, Orthopaedics 40% | X |
4 | EDWARDS LIFESCIENCES CORP | TAVR(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75%, Surgical Structural Heart 18%, TMTT(Transcatheter Mitral and Tricuspid Therapies) 7% | X |
5 | STRAUMANN HOLDING AG-REG | Implant solutions 59%, Restorative solutions 23%, Other 18% (Other: scanner hardware, software licenses, orthodontics, biomaterials, customer training and other miscellaneous products) - 이 중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은 7.9%로 추정되며, Other에 포함됩니다. (주2) | O |
6 | ZIMMER BIOMET HOLDINGS INC | Knees 41%, Hips 26%, S.E.T. (Sports Med, Extremities, Trauma) 24%, Technology & Data, Bone Cement and Surgical 9% | X |
7 | ALIGN TECHNOLOGY INC | Clear Aligners 81%, Systems & Services 19% | O |
8 | SMITH & NEPHEW PLC | Orthopaedics 39%, Sports Med & ENT 31%, Advanced Wound Management 30% | X |
9 | PENUMBRA INC | Thrombectomy 68%, Embolization and Access 32% | X |
10 | DEMANT A/S | Hearing Aids 45%, Hearing Care 44%, Diagnostics 11% | X |
11 | GLOBUS MEDICAL INC - A | Musculoskeletal Solutions 94%, Enabling Technologies 6% | X |
12 | MERIT MEDICAL SYSTEMS INC | Cardiovascular 96%, Endoscopy 4% | X |
13 | INSPIRE MEDICAL SYSTEMS INC | Obstructive Sleep Apnea Therapy Systems 100% | X |
14 | INTEGER HOLDINGS CORP | Cardio & Vascular 55%, Cardiac Rhythm Management & Neuromodulation 38%, Other Markets 6% | X |
15 | MEDACTA GROUP SA | Hip 42%, Knee 41%, Spine 9%, Extermities 8% | X |
16 | EMBLA MEDICAL HF | Prosthetics & Neuro Orthotics 49%, Bracing & Supports 17%, Patient Care 34% | X |
17 | LEMAITRE VASCULAR INC | Vascular Grafts, Vascular Patches, Other Vascular Devices 100% | X |
18 | MEDARTIS HOLDING AG | Upper Extremities 67%, Lower Extremities 19%, CMF & Others 14% | X |
19 | ANGELALIGN TECHNOLOGY INC | Clear aligner treatment solutions 67%, Sales of clear aligners 28%, Sales of other products & Other services 5% | O |
20 | KANGJI MEDICAL HOLDINGS LTD | Disposable products(trocars, clips, etc) 89%, Reusable products 11% | X |
21 | DYNAVOX GROUP AG | Goods 93%, Services 6%, Royalty 1% | X |
22 | LIFETECH SCIENTIFIC CORP | Structural Heart Diseases Business 40%,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Business 58%, Cardiac pacing & electrophysiology business 2% | X |
23 | INMODE LTD | Minimal-Invasive 87%, Hands-Free 5%, Non-Invasive 8% | X |
24 | LEPU SCIENCE MEDICAL TEC-H | CHD occluder products 52%, Pathway products 17%, PFO & LAA occluder products 30%, Other products 1% | X |
25 | AK MEDICAL HOLDINGS LTD | Hip replacement implants 54%, Knee replacement implants 30%, Spinal and trauma implants 10%, Digital orthopedics customised products and services 4%, Others 2% | X |
26 | MICROPORT NEUROSCIENTIFIC CO | Hemorrhagic stroke products 53%, Cerebral atherosclerotic stenosis products 35%, Acute ischemic stroke products 6%, Access products 5%, Other business revenue 1% | X |
27 | SHANGHAI INTL MEDICAL INSTRUM |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s 91%, Others 9% | X |
28 | MODERN DENTAL GROUP LTD | Fixed Prosthetic devices 61%, Removable prosthetic devices 24%, Others 15% (Others: orthodontic devices, dental equipment, clear aligner, etc) - 이 중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 비중은 1.4%로 추정되며, Others에 포함됩니다.( 주3) | O |
29 | ORBUSNEICH MEDICAL GROUP HOL | Coronary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s 83%, Peripheral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s 8%, Other medical accessories 4%, Third party products 5% | X |
30 | TACTILE SYSTEMS TECHNOLOGY I | Lymphedema products 89%, Airway clearance products 11% | X |
31 | 동국생명과학 | 조영제(제품) 47%, 조영제 API(제품) 13%, 조영제(상품) 8%, 조영제 API(상품) 4%, 진단장비(상품) 17%, 의료기기(상품) 11% | X |
32 | 엘앤케이바이오 | Thoraco Lumbar 80%, Cervical 10%, 기타 10% | X |
33 | SENSUS HEALTHCARE INC | Product Revenue(SRT-100, TDI, Lasers, etc) 88%, Service Revenue 12% | X |
34 | 피제이전자 | 초음파진단장비 외 96%, 전자부품가공 2%, 부동산임대 2% | X |
35 | 코렌텍 | 인공고관절(HIP) 38%, 인공슬관절(KNEE) 47%, 척추고정체(SPINE) 5%, 인공견관절(SHOULDER) 7%, 기타 3% | X |
36 | 디알젬 | Diagnostic X-ray Stationary System 80%, Mobile X-ray System 11%, 기타 제품 8%, 용역/서비스 1% | X |
37 | EL.EN. SPA | Aesthetic(57%), Medical Service(19%), Surgery(19%), Physiotheraphy(4%), Others(1%) | X |
38 | GERATHERM MEDICAL AG | Healthcare Diagnostic(39%), Respiratory(50%), Incubator Systems(11%) | X |
자료: | SEC EDGAR, HKEX, 전자공시시스템(DART), 각 사 Annual Report, |
주1) | 매출 구성은 최근 사업연도(2024년)의 각 사 (연결기준)매출액 구성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Straumann Group의 2024 Annual Report에 따르면, 전체 투명교정시장 규모는 약 4,000-5,000백만 스위스프랑(CHF)로 추정되며, 이 중 Straumann Group의 시장점유율은 5%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2024년 Straumann Group의 전체 매출액은 2,503.9백만 스위스프랑(CHF)입니다. 따라서 전체 투명교정시장 규모를 4,000백만 스위스프랑(CHF), Straumann Group의 투명교정시장 시장점유율을 5%로 가정하여, 전체 매출액 대비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 비중을 7.9%로 추정했습니다. |
주3) | Modern Dental Group의 2024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24년 전체 매출액은 3,364,018,000 홍콩달러(HKD)이며 투명교정 사업(TrioCelar) 매출액은 약 47,587,000 홍콩달러(HKD)임을 명시했습니다. 따라서 전체 매출액 대비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 비중을 1.4%로 추정했습니다. |
[4차 선정 기준: 일반 유사성]4차 비교기업 선정은 3차 선정 기준으로 분류된 비교기업 중 일반 요건을 고려하여 최종 3개사를 선정하였습니다.
구분 | 선정기준 | 세부검토기준 |
---|---|---|
4차 | 일반 요건 | ①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 후 1년이 경과하였을 것② 분석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간 합병, 분할, 최대주주 변경 등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없을 것③ 비경상적 PER 제외(PER 5배 미만, 50배 초과)④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일 것 |
기업명 | PER 값 | 상장 후 1년 경과 여부 |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미치는 사건 발행 여부 | 최근 사업연도감사의견 적정 여부 | 최종 선정 |
---|---|---|---|---|---|
ALIGN TECHNOLOGY INC | 30.60 | O | X | O | 선정 |
STRAUMANN HOLDING AG-REG | 46.81 | O | X | O | 선정 |
MODERN DENTAL GROUP LTD | 9.48 | O | X | O | 선정 |
ANGELALIGN TECHNOLOGY INC | 720.98 | O | X | O | 제외 |
자료: | Bloomberg |
주1) | PER 산정시 유사회사의 기준주가는 평가기준일(2025년 06월 17일)기준 최근 1개월 종가의 산술평균, 1주일 종가의 산술평균, 평가기준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PER 산정시 비교기업의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 적용한 PER을 적용하였습니다.(Align Technology Inc는 2025년 1분기 기준,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 Angelalign Technology Inc는 조회 가능한 가장 최근 분기 결산기(2024년 온기) 기준의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3) 비교기업 선정 결과 (가) 최종 비교기업 선정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상기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기업로 선정하였습니다.그러나 동사와 선정된 비교기업간의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 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및 과정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차이점이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특히 최종 비교회사 3개사의 경우 해외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태(Align Technology Inc - 미국, Straumann Holding AG - 스위스, Modern Dental Group - 홍콩)인데, 국가별로 지정학적인 상황, 정치적인 이슈, 거시 경제적인 차이 등 종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증권시장 간 밸류에이션수준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주관사단은 동사와 유사회사의 사업 유사성, 제품 유사성, 지역별 매출 구성 및 수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비교기업 선정 범위를 글로벌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하였습니다.또한 동사의 희망공모가액은 선정 유사회사의 기준 주가를 특정 시점에서 적용하였기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사회사의 주가 변동에 따라서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유사회사의 기준 주가가 향후 예상 경영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동사와 비교기업의 과거 경영실적을 활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평가방법으로서 완전성을 보장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나) 비교기업 제외 사유 한편, 국내에서 투명교정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 최종 비교기업에서 제외된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주)오디에스(AlignMiracle), 시스루테크(주)(시스루얼라이너), 오스템임플란트(주)(매직얼라이너)의 경우 비상장법인인 관계로 상대가치평가 방법 하에 비교기업으로 사용될 수 없어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국내 투명교정 사업 영위 상장회사 현황] |
기업명(브랜드명) | 표준산업분류 | 사업내용 및 매출구성(2024년) | 매출액(2024년) |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 |
---|---|---|---|---|
㈜덴티스(세라핀) | (C27191)치과용 기기 제조업 | - 임플란트(80.8%)- 의료용 조명등(15.5%)- 바이오(치과용 합성골이식재, 치과용 차단막)(3.0%)- 치과용 3D 프린터(0.7%) | 1,143억원 | 2024년: 29억원2025년 1분기: -5억원 |
㈜디오(올소나비) | (C27194)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 | - 치과용 임플란트, 치약(90.09%)- 치과용 장비, 스텐트(9.91%) | 1,197억원 | 2024년 온기: -413억원2025년 1분기: -454억원 |
㈜레이(RaySmiler) | (C27191)치과용 기기 제조업 | - 디지털 치료 솔루션(51.7%)- 디지털 진단 시스템(48.3%) | 798억원 | 2024년 온기: -604억원2025년 1분기: -528억원 |
자료: | 각 사 정기보고서(연결기준) |
주1) |
㈜덴티스의 경우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자회사인 ㈜티에네스를 통해서 영위하고 있습니다. ㈜티에네스의 2024년 매출액 53억원과 ㈜덴티스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 1,143억원을 기준으로 단순 계산한 ㈜덴티스의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은 약 4.6%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그 외 기업들은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함을 확인했으나, 공시된 정보로부터 해당 매출 비중을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
상기 국내 회사들이 최종 비교 기업에서 제외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투명교정 사업 영위 상장회사에 대한 비교기업 선정 기준 적용표] |
기업명(브랜드명) | 1차 기준: 산업 유사성 | 2차 기준: 재무 유사성 | 3차 기준: 사업 유사성 | 4차 기준: 일반 요건 |
---|---|---|---|---|
㈜덴티스(세라핀) | O | X | O | O |
㈜디오(올소나비) | O | X | O | - |
㈜레이(RaySmiler) | X | X | O | - |
주1) |
공모가격 산정 과정에서 적용한 비교기업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관회사는 비교기업 선정을 위한 기준을 설정할 때, 동사의 산업, 사업, 재무적 특성을 고려하여 동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가 선정될 수 있도록 국내 및 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였습니다. 형상기억소재를 바탕으로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동사의 사업 구조와 유사한 비교 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으로 비교적 유사성의 요건을 낮추어 광범위한 잠재 비교기업들을 검토할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했습니다. 또한, 동사의 상장 후 실적 성장 및 계속적 기업으로서의 유지를 전망하며, 유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에서 최근 공시 실적 기준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실현시킨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습니다. 동사의 기업가치 평가 방법인 PER multiple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이 적자가 아닌 기업들을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에, 위와 같은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 및 제외하였습니다.1) ㈜덴티스덴티스는 2005년 설립되어 202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덴탈 전문 기업으로, 임플란트 및 투명 교정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영위하는 사업 부문은 덴탈 임플란트 및 장비, 디지털 투명교정 치료 플랫폼 및 교정장치, 수술실 의료기기입니다. 2024년 기준 제품별 매출 비중은 임플란트 81%, 의료용 조명 16%, 치과용 3D 프린터 1%, 바이오(합성골이식재, 치과용 차단막) 3% 이며,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54.5%, 45.5% 입니다.덴티스의 주요 제품은 임플란트 관련 제품이며, 자회사 ㈜티에네스를 통해 '세라핀(Serafin)'이라는 브랜드명의 디지털 투명교정장치의 개발 및 생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설립된 티에네스는 덴티스의 디지털 투명교정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로 2021년 4월 7일 'Serafin Clear Aligner System'을 출시하여 본격적인 디지털 투명교정 사업에 진출을 하였습니다. 티에네스는 덴티스의 중요한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2024년 기준 매출액은 5,287백만원, 당기순손익은 -1,474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주관회사는 덴티스와 티에네스의 투명 교정 관련 매출액의 규모 및 비중은 공시된 자료로부터 확인 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주관회사는 덴티스의 투명 교정 관련 매출을 티에네스의 2024년 매출액 53억원과 덴티스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 1,143억원을 기준으로 파악하여,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이 약 4.6%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덴티스는 블룸버그산업 분류(BICS) level 4 기준, '의료기기'에 속하는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인 바, 비교기업 1차 기준인 산업 유사성을 충족합니다. 또한, 2024년 기준 치과용 임플란트 매출이 전체 매출의 50%를 초과하고, 투명교정장치 사업(매출 비중 4.6% 미만으로 추정)을 영위한다는 점에서 3차 기준인 산업 유사성 또한 만족합니다. 다만, 덴티스의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은 2025년 1분기 -310백만원, 2024년 온기 2,943백만원, 2024년 1분기 3,171백만원으로, 최근 실적 공시 기준인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손실(-537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덴티스는 2차 기준인 재무 유사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습니다.
[㈜덴티스 최근 3개년 (연결기준)재무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4년 1분기 | 2023년 | 2022년 |
---|---|---|---|---|---|
자산총계 | 214,299 | 214,247 | 201,310 | 187,639 | 131,070 |
부채총계 | 156,278 | 156,317 | 141,164 | 130,230 | 98,820 |
자본총계 | 58,021 | 57,930 | 60,146 | 57,409 | 32,250 |
매출액 | 32,481 | 114,283 | 28,572 | 94,335 | 87,087 |
영업이익 | 1,024 | -446 | 1,425 | 429 | 5,586 |
(지배주주)당기순이익 | -310 | 2,943 | 3,171 | 3,834 | 1,229 |
자료: ㈜덴티스 정기보고서 |
주관회사의 분석에 따르면, 덴티스의 2025년 1분기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손실의 원인은 우선 2025년 1분기의 기타수익 감소, 기타비용 증가, 금융비용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덴티스의 2025년 1분기 외화환산이익은 2.1억원 수준으로, 전년 동기 외화환산이익 23.8억원에 비해 매우 낮습니다. 반면 외환차손은 8.1억원으로 전년 동기 1.5억원에 비해 대폭 증가되었으며, 외화환산손실 또한 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유무형자산처분손실 및 잡손실 발생이 기타비용 증가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덴티스의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금융비용은 약 12.8억원으로 전년 동기 8.9억원에 비해 약 44%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차입금 증가 및 이자율 상승에 따라 이자비용의 상승과 단기금융상품처분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2024년, 덴티스는 확대되는 임플란트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약 380억원을 투자하여 임플란트 전용 공장을 증설했습니다. 2025년 1분기 생산 라인 가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총 생산 CAPA는 기존 1,100억원 규모에서 현재 약 1,600억원 규모로 확대되었습니다(출처: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확대된 시설투자 및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한 생산 시설의 운영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신규 해외법인 설립 및 제품 판매를 위한 인허가 비용 또한 증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덴티스의 2024년 온기 연결기준 판관비는 약 524억원으로, 전년도인 2023년 468억원 대비 약 12%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인건비(급여) 212억원, 지급수수료 43억원, 해외시장개척비 32억원이 전년도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상기 사항을 종합해볼 때, 회사의 외연 확장을 위한 투자 및 운영 비용에 의해 2024년 이익의 폭이 제한적이었고, 2025년 1분기 기준 LTM 당기순손익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덴티스의 2024년 온기를 기준으로 산정한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은 약 29.4억원입니다. 이러한 당기순이익을 바탕으로 다른 비교기업들과 동일한 기준에 따라 PER multiple을 산정하는 경우 산출되는 PER 값은 37.17배입니다. 그러나 주관회사는 덴티스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공시된 시점에서 덴티스의 2024년 온기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과 최근 주가를 기준으로 PER을 산정하는 경우 그 값에 왜곡이 발생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동사는 상장 후 기업의 실적 성장 및 계속적 기업으로서의 유지를 전망하며, 유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에서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실현시킨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습니다. 동사의 금번 공모시 기업가치 평가 방법인 PER multiple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잠재 비교기업들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PER을 활용한 기업가치평가방법은 주가에 공시된 실적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기 때문에,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을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2차 기준인 재무 유사성을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하여 덴티스를 최종 비교기업에서 제외하였습니다.2) ㈜디오㈜디오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솔루션을 중심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및 관련 제품을 개발·제조·판매하는 코스닥시장 상장 기업입니다. 2005년 의료기기(치과용임플란트) 제조업에 신규 진출하여 현재 직영 영업으로 국내지점 25개, 해외법인 18개로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디오의 핵심 제품은 임플란트 제품 및 시스템, 디지털 가이드 수술 시스템(DIO NAVI), 디지털 보철 솔루션, 3D 프린팅 기반 덴처(틀니) 등이 있습니다. 디오는 국내 시장 외에도 유럽 등 주요 국가에 법인을 설립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디오는 2024년 연결기준 매출의 절반 이상(약 81%)이 해외에서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진단·치료 계획 플랫폼 고도화와 함께 정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덴탈 제품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한편, 디오는 '올소나비(Ortho Navi)'라는 브랜드를 통하여 투명교정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디오는 블룸버그산업 분류(BICS) level 4 기준, '의료기기'에 속하는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인 바, 비교기업 1차 기준인 산업 유사성을 충족합니다. 또한, 2024년 기준 치과용 임플란트 매출이 전체 매출의 50%를 초과하고,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함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3차 기준인 산업 유사성 또한 만족합니다. 다만, 디오는 2025년 1분기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손실(-45,411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디오는 2024년 온기를 기준으로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손익을 산정하더라도 순손실(-41,320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디오는 2차 기준인 재무 유사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습니다.
[㈜디오 최근 3개년 (연결기준)재무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자산총계 | 341,986 | 348,860 | 367,632 | 330,318 |
부채총계 | 138,252 | 135,720 | 173,205 | 163,066 |
자본총계 | 203,734 | 213,141 | 194,427 | 167,252 |
매출액 | 35,805 | 119,650 | 155,817 | 131,306 |
영업이익 | 1,518 | -40,735 | 20,896 | -4,405 |
(지배주주)당기순이익 | 116 | -41,320 | 2,619 | -20,107 |
자료: ㈜디오 정기보고서 |
3) ㈜레이㈜레이는 2004년 설립 후 치과용 디지털 X-ray 영상진단 장비를 개발하여 생산 및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Digital Dentistry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레이는 디지털 진단시스템, 디지털 치료솔루션,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 중 디지털 진단시스템의 매출은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약 52%를 차지합니다. 디지털 진단시스템(치과용 방사선촬영장치)은 치과에서 치아, 뼈, 연조직 등에 대해 방사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레이의 디지털 치료솔루션 매출은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약 48%를 차지합니다. 디지털 치료솔루션은 치과 등의 병원에서 임시치아를 포함하는 보철, 교정, 임플란트 수술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절차를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인상채득, 석고 모델 제작, 기공소로 배송 및 제작 등)을 디지털화하여 빠르고 안전한 치과 치료를 수행하도록 합니다.레이는 'RaySmiler'라는 브랜드를 통해 투명교정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RaySmiler는 투명교정장치 제품이나 소재가 아닌 환자 개개인별 투명교정장치의 맞춤 제작을 지원하는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한편, 레이는 2024년 중 Modern Dental Group과의 제휴를 통해 TrioCelar라는 투명교정장치 브랜드를 국내에 공식 론칭한 바 있으며 Modern Dental Group과 AI 기반 교정 치료 설계 소프트웨어 및 치과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의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주관회사는 레이의 투명 교정 관련 사업의 매출액 규모 및 비중을 공시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레이의 주요 제품은 '치과용 디지털 진단 시스템' 즉, X-Ray 영상장치, CT 등입니다. 이러한 제품은 동사의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와 같은 보철, 임플란트, 교정장치 등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되는 의료기기와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레이를 동사 비교기업의 검토대상에서 제외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레이는 동사의 1차 기준인 산업 유사성 기준인 블룸버그산업 분류(BICS) level 4 기준, '의료기기'가 아닌 '의료장비'에 속합니다. 또한, 2차 기준인 재무 유사성 기준에 비추어 보더라도, 레이는 최근 실적 공시 기준인 2025년 1분기 LTM 연결기준과 2024년 온기 기준 (지배주주)당기순손익은 각각 -52,757백만원, -60.427백만원으로 모두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레이는 2차 기준인 재무 유사성 또한 만족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습니다.
[㈜레이 최근 3개년 (연결기준)재무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자산총계 | 206,293 | 204,215 | 259,552 | 222,196 |
부채총계 | 129,338 | 129,797 | 128,356 | 105,888 |
자본총계 | 76,955 | 74,418 | 131,196 | 116,308 |
매출액 | 24,464 | 79,843 | 145,882 | 128,998 |
영업이익 | 214 | -44,254 | 6,118 | 16,206 |
(지배주주)당기순이익 | 2,500 | -60,427 | -2,146 | 7,957 |
자료: ㈜레이 정기보고서 |
(4) 비교기업 사업 및 재무 현황
동사의 최종 선정 비교기업의 사업 및 재무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배) |
기업명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REG | Modern Dental Group Ltd |
구분 |
2024년도 | 2024년도 | 2024년도 |
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
약 80.7% | 약 7.9% | 약 1.4% |
매출액 (동사 대비 차이) |
5,456,170 | 3,879,921 | 588,242 |
338배 | 240배 | 36배 | |
시가총액(동사 대비 차이) | 17,454,564 | 28,060,407 | 675,797 |
93배 | 150배 | 4배 |
자료: Bloomberg | |
주1)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4년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시가총액의 경우 동사의 시가총액은 상장예정주식수인 11,038,777주를 기반으로 187,659백만원으로 산정하여 비교하였습니다. |
주관회사는 최초 동사의 비교기업 선정을 위하여 동사와 같이 투명교정장치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국내외 상장사를 선정하고자하였습니다. 주관회사의 검토 결과, 투명교정장치 관련 사업을 매출 비중 과반의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국내외 상장사는 미국 상장사인 'Align Technology'(매출 비중 약 81%)와 홍콩 상장사인 'Angelalign Technology'(매출 비중 약 95%), 총 2개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이 중 'Angelalign Technology'의 경우, 동사의 비교기업 선정을 위한 1-3차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적용 PER이 약 721배 수준으로 높아 적용할 수 없는 상황으로, 'Align Technology' 외에는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비교기업이 없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따라서 주관회사는 비교 기업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으로 사업 유사성 요건의 수준을 낮추어, 더 많은 잠재 비교기업들을 검토하였습니다. 그 결과 'Straumann Holding AG'(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약 7.9% 추정), 'Modern Dental Group Ltd'(투명교정장치 관련 매출 비중 약 1.4% 추정)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사업 유사성을 국내 및 해외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국내 잠재 비교기업의 경우(덴티스, 디오, 레이) 2차 선정 기준인 재무 유사성에서 제외되어 3차 선정 기준인 사업 유사성의 판단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동사의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한 3개사는 모두 동사 대비 시가총액의 경우 4~150배, 매출액의 경우 36~338배 수준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명교정장치 사업의 경우 기존 업체의 높은 시장 점유율, 기술력 확보 등으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아 동사와 같은 중소기업이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입니다. 따라서, 동사와 같이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외 기업들은 대부분 매출액 및 자산총계 등이 동사와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상장사의 절대적인 수가 많지 않아, 동사가 정한 비교기업의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 또한 적습니다. 상기와 같은 사유로 동사는 부득이하게 동사와 시가총액 및 매출액 규모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기업을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가) Align Technology Inc.
Align Technology는 1997년 세계 최초로 투명교정장치(clear aligner)를 출시 후 현재까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에서 약 50%에 가까운 점유율을 나타내는 기업입니다. Align Technology의 대표 브랜드인 'Invisalign'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명교정 솔루션으로, 150개국 이상에서 누적 1,950만 명 이상의 환자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27만 명 이상의 치과의사가 인증을 받아 사용 중입니다. 또한, 회사는 디지털 치과 진료의 핵심 인프라인 iTero 구강스캐너 및 exocad 치과 CAD/CAM 소프트웨어를 통해 진단, 치료계획, 치료 후 관리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교정 전문의들에게 제공합니다.Align Technology는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강력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치과 시장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트렌드 속에서 개인 맞춤형 치료 수요 증가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Align Technology는 주요 사업으로 투명교정장치를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한다는 점과 투명교정장치 제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장비를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동사와 가장 유사한 비교기업입니다. 그러나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 브랜드인 Invisalign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50%(2024년 기준)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와 인지도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Align Technology의 경우 열가소성 PETG 소재 기반의 열성형 투명교정장치(Thermoformed Clear Al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는 직접 3D 프린팅이 가능한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인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Align Technology의 2024년 매출액은 투명교정장치 부문이 전체의 약 80.7%를 차지하며, 나머지 19.3%는 디지털 스캐너 및 서비스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Align Technology의 매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Align Technology 최근 3개년 (연결기준)매출 현황] |
(단위 : 천USD)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투명교정사업(Clear Aligner) | 796,843 | 3,230,122 | 3,199,329 | 3,072,585 |
시스템 및 서비스(Systems and Services) | 182,419 | 768,890 | 662,931 | 662,050 |
합계 | 979,262 | 3,999,012 | 3,862,260 | 3,734,635 |
출처: SEC EDGAR |
또한, Align Technology의 매출액은 2025년 1분기 796,843천USD(1,422,395백만원), 2024년 3,230,122천USD(5,456,170백만원)으로, 동사의 매출액 2025년 1분기 2,274백만원, 2024년 16,125백만원과 비교시 2024년 기준 약 338배 더 높습니다. 더불어, 희망공모가액 평가기준일에 따라 산정한 Align Technology의 기업가치(시가총액) 규모는 약 17,454,564백만원으로, 동사의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 시가총액인 187,659백만원 대비 약 93배 수준입니다.(나) Straumann Holding AG
Straumann Holding AG(이하 "Straumann")는 스위스 바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치과 임플란트 및 디지털 치의학 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Straumann은 임플란트, 보철, 투명교정장치, 치과용 바이오재료 등 치과 치료 전 영역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고급 임플란트 브랜드('Straumann', 'Neodent', 'Anthogyr'등)와 투명교정 브랜드('ClearCorrect')를 중심으로 전 세계 100여 개국에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Straumann Holding AG 사업 부문별 내용]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설명 |
치과 임플란트 및 기구 | 프리미엄 브랜드(Straumann)와 챌린저 브랜드(Anthogyr, Medentika, Neodent, NUVO)를 통해 다양한 가격대의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4년에는 새로운 iEXCEL 임플란트 시스템을 출시하여 임상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고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합니다. |
CAD/CAM 보철물 | CAD/CAM 장비 및 클라우드 기반의 보철물 디자인 서비스(UN!Q)를 통해 치과 기공소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투명교정장치(ClearCorrect) | 2017년 ClearCorrect 인수를 통해 교정 사업에 진출했으며, 2024년에는 Doctor Portal 개선, ClearPilot 9.0 출시 등 치료 결과 개선 및 의사 워크플로우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생체 소재 및 조직 재생 제품 | 치과 치료에 필요한 재생 솔루션을 제공하여 치료의 성공률을 높입니다. |
디지털 솔루션 | Straumann AXS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중심으로 구강 스캐너(SIRIOS, AlliedStar IOS), 동적 내비게이션 시스템(Straumann Falcon) 등 디지털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치과 치료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자료: Straumann Group 홈페이지 및 2024 Annual Report |
Straumann은 유럽, 북미, 아시아 등 글로벌 영업망과 현지화된 서비스 조직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부터 실속형 시장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임플란트 솔루션(Implant Solutions)이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나, 투명교정 및 디지털 솔루션 부문도 고령화 및 미용 치과 수요 증가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투명 교정 시장 내에서는 약 5% 미만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Straumann 자체 추정 시장점유율 (치과 시장 내 사업별 분류)] |
|
자료: Straumann Group 홈페이지 및 Annual Report |
Straumann은 투명교정 사업의 매출액 및 매출 비중을 공시하고 있지 않으나, 글로벌 투명 교정 시장 추정 규모와 자사의 시장 점유율 추정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습니다. Straumann에 따르면 2024년 전체 투명교정시장 규모는 약 4,000-5,000백만 스위스프랑(CHF)로 추정되며, 이 중 Straumann Group의 시장점유율은 5%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2024년 Straumann Group의 전체 매출액은 2,503.9백만CHF입니다. 따라서 투명교정시장 규모를 4,000백만CHF, Straumann의 투명교정시장 시장점유율을 5%로 가정하여, 두 수치를 곱하여 2024년 전체 매출액 대비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 비중을 7.9%로 추정했습니다.상기한 바와 같이 Straumann은 치과 임플란트, 교정, 생체 소재 등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진 통합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특히 임플란트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내 약 35%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반면 동사는 투명교정장치 제조 및 관련 통합 솔루션을 주 사업모델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업 구조적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투명교정장치 사업 측면에서도 Straumann은 동사 대비 높은 글로벌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Straumann 또한 대부분의 투명교정장치 제조사들과 같이 PETG 소재의 열성형 방식을 톨해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고 있어, 형상기억 소재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방식으로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는 동사와 차이가 있습니다.Straumann의 공식 자료인 Annual Report 등에서 사업 부문을 임플란트 솔루션 사업(Implant Solutions), 보철 솔루션 사업(Restorative Solutions), 기타(Other) 3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액 비중은 임플란트 솔루션 사업(Implant Solutions) 약 67%, 보철 솔루션 사업(Restorative Solutions) 약 23%, 기타(Other) 약 1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투명교정장치 사업의 경우 기타(Other)에 포함되며 상기 한 바와 같이 투명교정장치 사업의 매출 비중은 약 7.9%로 추정됩니다. Straumann의 매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Straumann 최근 3개년 (연결기준)매출 현황] |
(단위 : 천CHF)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임플란트 솔루션 사업(Implant Solutions) | 1,479,008 | 1,320,565 | 1,221,695 |
보철 솔루션 사업(Restorative Solutions) | 573,124 | 542,055 | 550,309 |
기타(Other) | 451,768 | 414,070 | 548,781 |
합 계 | 2,503,900 | 2,276,690 | 2,320,785 |
자료: 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
Straumann의 매출액은 2024년 2,503,900천CHF(3,879,921백만원)으로, 동사의 2024년 매출액 16,125백만원에 비해 약 240배 수준입니다. 또한, 희망공모가액 평가기준일에 따라 산정한 Straumann의 기업가치(시가총액) 규모는 약 28,060,407백만원으로, 동사의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 시가총액인 187,659백만원에 대비 약 150배 수준입니다.(다) Modern Dental Group Ltd
Modern Dental Group은 홍콩에 본사를 둔 글로벌 치과 보철물 및 디지털 치과 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Modern Dental Group은 치과용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보철물, 투명교정장치 등 다양한 치과 보철 제품을 자체 생산 및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전 세계 30여 개국에 제공하고 있습니다.Modern Dental Group은 아시아,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등 주요 시장에 생산거점과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치과의사 및 치과기공소 등 B2B 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보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디지털 인상채득(구강 및 치아 본뜨기), CAD/CAM 설계, 3D 프린팅 등 첨단 디지털 제조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제품 품질과 생산 효율성을 동시에 제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Modern Dental Group가 자체 개발한 투명교정장치 브랜드인 'TrioClear'를 통해 중국 및 유럽 지역을 위주로 투명교정장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전사적인 전략 중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특정하여 사업을 확장할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아직까지 투명교정 관련 사업 매출은 미미한 편입니다. Modern Dental Group 2024 Annual Report에 의하면, 2024년 전체 매출액은 3,364,018천 홍콩달러(HKD)이며 투명교정 브랜드(TrioClear) 매출액은 약 47,587천 홍콩달러(HKD)임을 명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Modern Dental Group의 2024년 전체 매출액 대비 투명교정장치 연관 매출 비중을 1.4%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과 같이 Modern Dental Group은 크라운, 브릿지, 틀니 등 보철물 관련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일부 영위하는 반면, 동사는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주로 영위한다는 측면에서 사업 구조적 차이가 존재합니다. 다만, 동사는 주요 제품인 형상기억소재 이외에 '기타소재'의 매출 비중이 2024년 기준 약 14%이며, 기타소재는 보철용 소재(Tera Harz), 임플란트 Surgical Guide용 소재(Tera Harz SG), 의치상용 소재(Tera Harz Denture) 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Modern Dental Group와 사업적인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2024년 기준, Modern Dental Group의 매출은 크라운/브릿지 등 고정식 보철물(Fixed prosthetic devices) 사업부문이 약 61%, 틀니 등 이동식 보철물(Removable prosthetic devices) 사업부문이 약 24%, 기타 맞춤형 제품(Other custom-made devices) 사업부문이 약 9%, 기타(Others)는 약 6%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Modern Dental Group 최근 3개년 (연결기준)매출 현황] |
(단위 : 천HKD)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고정식 보철물(Fixed prosthetic devices) | 2,048,609 | 1,985,044 | 1,803,466 |
이동식 보철물(Removable prosthetic devices) | 799,010 | 712,962 | 535,091 |
기타 맞춤형 제품(Other custom-made devices) | 295,503 | 283,865 | 491,531 |
기타(Others)(주1) | 220,896 | 190,177 | - |
합 계 | 3,364,018 | 3,172,048 | 2,830,088 |
자료: HKEX, Modern Dental Group 2024 Annual Report | |
주1) | 2024년 처음으로 2024년과 2023년의 Other custom-made devices와 Others를 분리하여 기재하였습니다. 투명교정장치사업의 경우 2024년과 2023년은 Others에, 2022년은 Other custom-made devices에 포함됩니다. |
Modern Dental Group의 매출액은 2024년 3,364,018천HKD(588,242백만원)으로, 동사의 2024년 매출액 16,125백만원에 대비 약 36배 수준입니다. 더불어, 희망공모가액 평가기준일에 따라 산정한 Modern Dental Group의 기업가치(시가총액) 규모는 약 675,797백만원으로, 이는 동사의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 시가총액인 187,659백만원 대비 3배 수준입니다.
(5) 비교기업 기준 주가기준 주가는 시장상황의 일시적인 변동요인을 배제하고, 일정 기간 이상의 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2025년 06월 17일(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5영업일 전일)을 분석기준일로 하여 분석기준일로부터 소급하여 1개월간(2025년 05월 19일 ~ 2025년 06월 17일)의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격과 1주일간(2025년 06월 14일 ~ 2025년 06월 17일)의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격, 분석기준일(2025년 06월 17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비교기업의 기준 주가 산출] |
(단위 : 원) |
구분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 | Modern Dental Group Ltd |
---|---|---|---|
2025-06-17 | 240,803 | 175,977 | 743 |
2025-06-16 | 248,048 | 176,805 | 736 |
2025-06-13 | 242,463 | 176,335 | 740 |
2025-06-12 | 246,492 | 179,646 | 736 |
2025-06-11 | 253,957 | 184,394 | 738 |
2025-06-10 | 257,124 | 183,304 | 737 |
2025-06-09 | 245,066 | 176,564 | 721 |
2025-06-06 | 245,896 | 176,564 | 720 |
2025-06-05 | 244,362 | 175,988 | 712 |
2025-06-04 | 245,472 | 177,758 | 704 |
2025-06-03 | 246,762 | 175,531 | 716 |
2025-06-02 | 246,137 | 175,705 | 729 |
2025-05-30 | 250,084 | 177,432 | 707 |
2025-05-29 | 251,015 | 178,147 | 708 |
2025-05-28 | 247,615 | 178,147 | 707 |
2025-05-27 | 245,731 | 181,976 | 706 |
2025-05-26 | 233,222 | 180,013 | 700 |
2025-05-23 | 233,222 | 176,402 | 703 |
2025-05-22 | 238,657 | 178,916 | 717 |
2025-05-21 | 235,732 | 181,792 | 709 |
2025-05-20 | 254,453 | 185,050 | 723 |
2025-05-19 | 256,896 | 186,116 | 723 |
1개월 평균(A) | 249,372 | 181,104 | 718 |
1주일 평균(B) | 249,707 | 180,094 | 730 |
분석기준일 종가(C) | 246,492 | 179,646 | 736 |
기준 주가(MIN([(A),(B),(C)]) | 246,492 | 179,646 | 718 |
자료: | Bloomberg |
주1) | 분석기준일(2025.06.17) 기준 각 일자별 Bloomberg 원화(KRW) 환산 수치를 적용하였습니다. |
라. 상대가치 평가모형 적용
㈜그래피의 주당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상장기업 중에서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이들 회사와 비교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평가방법은 PER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상대가치를 산출하였습니다.
(1) PER 평가방법을 통한 상대가치 산출
[PER 평가방법 적용 상대가치 산출 의의, 방법 및 한계점] |
① 의의PER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수익성을 중시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PER은 대부분의 기업에 적용하여 계산이 간단하고 자료 수집이 용이하며 산업 및 기업 특성에 따른 위험, 성장률을 반영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② 산출방법PER 평가방법을 적용한 상대가치는 2025년 1분기 혹은 최근 실적 공시 기준 LTM 실적을 기준으로 산출한 비교기업들의 산술평균 PER 배수를 동사의 2027년 당기순이익을 현가화하여 계산된 주당 순이익에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PER를 이용한 비교가치 = 비교기업 PER 배수 X 추정 주당 순이익의 현가※ 동사의 2027년 추정 순이익의 2025년 1분기말 현가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 / (1 + 현가할인율)^2.75}-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비교가치 산정시 비교기업의 주식수는 상장주식수를 반영하였으며, 발행사의 발행주식수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주식총수에 신주모집주식수,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수, 행사 가능한 주식매수선택권을 포함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적용주식수:유사기업 :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주식수발행회사 : 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수 + 신주모집 주식수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수 + 행사 가능한 주식매수선택권 주식수※ 비교기업의 재무자료는 Bloomberg를 참조하였습니다.③ 한계점미래 주당순이익을 추정해야 하며 추정과정에서의 여러 단계의 가정이 필요하므로 평가자의 자의성 개입가능성이 있습니다.동사의 2027년 추정 주당순이익을 사업의 리스크를 감안한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산정하기 때문에 동사 미래 실적에 추정, 현재가치 할인을 위한 할인율 및 가중평균 비율에 대한 불확실성 및 평가자의 자의성 개입가능성이 있습니다.순손실 시현 기업의 경우 PER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유사기업이 동일 업종, 사업을 영위하여도 각 회사의 고유한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경영진, 경영 전략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 기업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또한 PER 배수 결정요인에는 주당순이익 이외에도 배당 성향 및 할인율, 기업 성장률 등이 있으므로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순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내부유보율, 자본금 규모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할 경우 비교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유사기업 간의 적용회계기준 및 연결 대상 기준 차이점 등으로 유사기업 간 PER의 비교에 제약사항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가) 평균 PER 배수 산출
[비교기업 PER 산정] |
(단위 : 원, 주, 백만원, 배) |
구분 | 산식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 | MODERN DENTAL GROUP LTD |
---|---|---|---|---|
기준 주가(원) | (A) | 246,492 | 179,646 | 718 |
상장주식총수(주) | (B) | 72,484,841 | 159,455,239 | 938,950,000 |
기준 시가총액(백만원) | (C) = (A) x (B) | 17,454,564 | 28,060,407 | 675,797 |
적용 당기순이익(백만원) | (D) | 570,349 | 599,431 | 71,291 |
PER배수(배) | (E) = (C)/(D) | 30.60 | 46.81 | 9.48 |
평균 PER(배) | - | 28.96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은 연결기준LTM 지배지분순이익을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상장주식총수는 Bloomberg 기준 분석기준일(2025.06.17) 기준입니다. |
주3) | 적용 당기순이익은 2025년 1분기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해당 분기 재무수치 공시가 존재하지 않는 회사의 경우 조회 가능한 가장 최근 분반기 결산기 기준의 재무수치를 대신 기재하였습니다.(Align Technology Inc는 2025년 1분기 기준,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는 2024년 온기 기준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 적용) |
주4) | 평균 PER은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를 절사한 수치입니다. |
주5) | 적용 당기순이익인 LTM 연결기준 (지배주주)당기순이익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LTM 기간의 평균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
[PER Multiple에 의한 ㈜그래피의 평가가치]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 고 |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 | A | 20,346백만원 | 주1,2) |
현재가치 연할인율 | B | 22.0% | 주2,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 C = A/(1+B)^2.75 | 11,778백만원 | - |
적용 당기순이익 | C | 11,778백만원 | - |
적용 PER | D | 28.96배 | - |
기업가치 평가액 | E = C * D | 341,026백만원 | |
적용주식수 | F | 11,528,547주 | 주4) |
주당 평가가액 | G = E / F | 29,581원 | - |
주1)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산정내역은 하단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평가가액 산출에 있어서 동사는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적용한 이유는 동사가 수립한 사업계획에 따라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제품 매출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적정 이익 구조를 갖추는 최초 사업연도가 2027년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에 기반한 기업 가치 평가가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를 산정함에 있어 적용한 연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 기술평가기업의 연할인율 평균을 참고하였습니다.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적용 실적 및 할인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전자공시시스템(DART) |
|||||||||||||||||||||||||||||||||||||||||||||||||||||||||||||||||||||||||||||||||||||||||||||||||||||||||||||||||||||||||||||||||||||||||||||||||||||||||||||||||||||||||||||||||||||||||||||||||||||||||||||||||||||||||||||||||||||||||||||||||||||||||||||||||||||||||||||||||||||||||||||||||||||||||||||||||||||||||||||||||||||||||||||||||||||||||||||||||||||||||||||||||||||||||||||||||||||||||||||||||||||||||||||||||||||||||||||||||||||||||||||||||||||||||||||||||||||||||||||||||||||||||||||||||||||||||||||||||||||||||||||||||||||||||||||
주3) |
2027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 할인율 22.0%는 비교기업 3개사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평균값인 9.8%와 동사의 재무위험, 예상 매출의 실현 가능성, 시장의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산정하였습니다. WACC 산정시 차입에 따른 평균 차입이자율과 비교기업과의 재무규모의 차이 등도 고려하였습니다.동사 적용 연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평가기업 추정실적 연 할인율 평균값인 21.3%보다 0.7p 할증된 수치이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 3개사의 평균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9.8% 대비 약 12.2%p 할증하였습니다. 다만, 동 현재가치 할인율은 인수인의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적용주식수는 다음의 주식수를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 분석일 기준 1년 이내에 행사 가능한 물량 489,200주가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보통주로 미전환된 상환전환우선주 570주 또한 발행 시점과 조건에 따라 희석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주식수 산정에 반영하였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 및 변수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다)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그래피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주당 평가가액 | 29,581원 | PER에 의한 평가가치 산출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42.53% ~ 32.39%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7,000원 ~ 20,000원 | - |
확정 주당공모가액 | 15,000원 | 주2) |
주1) |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15,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42.53% ~ 32.39%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17,000원 ~ 2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15,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그래피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해 동사가 제시한 아래 추정 손익계산서 항목별 추정 근거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였으며,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기업실사결과 및 평가내용』에 기재한 동사의 시장성(시장의 규모, 시장경쟁 상황), 기술성(기술의 완성도, 기술의 경쟁우위, 기술의 상용화 경쟁력, 연구인력의 수준), 성장성(기업 성장 전략, 향후 사업 계획) 재무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동사가 제시한 추정 손익계산서 및 항목별 추정 근거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습니다.그러나 동사의 사업에는 수요처의 증가세 둔화, 시장 내 기술 경쟁 심화 등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 위험이 반영되어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시장추정 및 매출추정에 적용된 예상 수주 금액 및 매출액 증가율 예측치 등의 수치는 회사의 사업계획상 목표치 이므로 회사의 입장에서 판단한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향후 실제 매출 및 이익 달성 수준은 현재의 추정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향후에 신규로 발생하는 매출 또는 일부 사업 분야의 급격한 매출 증가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매출구조와 상이할 수 있으며, 동사가 제시한 추정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은 동사의 과거 영업실적과 연속성 및 연관성이 높지 않다는 점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
(1) 추정 손익계산서
[2024년 이후 ㈜그래피 추정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4년(A) | 2025년 1분기(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매출액 | 16,149 | 2,280 | 26,534 | 41,947 | 55,542 |
매출원가 | 8,559 | 1,006 | 11,944 | 14,153 | 15,137 |
매출총이익 | 7,590 | 1,274 | 14,590 | 27,794 | 40,404 |
판매비와관리비 | 16,784 | 4,917 | 16,786 | 18,138 | 19,376 |
영업손익 | (9,194) | (3,642) | (2,196) | 9,656 | 21,029 |
영업외손익 | (23,494) | (174)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법인세비용 | - | - | - | - | - |
당기순손익 | (32,688) | (3,817) | (2,879) | 8,973 | 20,346 |
주1)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된 손익계산서입니다.
(2) 항목별 추정 근거
(가) 매출액 추정 동사의 향후 3개년 매출액 추정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 1분기(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제품 매출 | 소재 | 형상 기억 소재 | 일본 | 1,954 | 168 | 3,710 | 9,962 | 17,092 |
남미 | 302 | 5 | 1,212 | 2,508 | 3,720 | |||
북미 | 191 | 45 | 526 | 1,341 | 1,936 | |||
유럽 | 443 | 165 | 2,647 | 4,205 | 4,453 | |||
한국 | 340 | 59 | 860 | 1,102 | 1,319 | |||
기타 | 1,051 | 306 | 1,051 | 1,051 | 1,051 | |||
기타 소재 | 2,251 | 441 | 2,416 | 2,592 | 2,781 | |||
소계 | 6,534 | 1,188 | 12,421 | 22,760 | 32,353 | |||
장비 | 질소경화기 | 2,139 | 256 | 2,001 | 2,059 | 2,532 | ||
잔여레진제거장치 | 235 | 46 | 237 | 244 | 300 | |||
기타장비 | 44 | 8 | - | - | - | |||
소계 | 2,419 | 309 | 2,238 | 2,303 | 2,832 | |||
SMA | 북미 | - | - | 2,375 | 7,125 | 11,875 | ||
한국 | 291 | 62 | 772 | 1,673 | 2,818 | |||
소계 | 291 | 62 | 3,147 | 8,798 | 14,693 | |||
SMA 로봇 시스템 | 383 | 50 | 1,109 | 927 | 373 | |||
제품 소계 | 9,627 | 1,609 | 18,916 | 34,787 | 50,252 | |||
상품 매출 | 3D 프린터 | 3,256 | 414 | 4,274 | 3,572 | 1,439 | ||
구강스캐너 | 2,471 | 107 | 2,651 | 2,845 | 3,052 | |||
기타상품 | 149 | 52 | - | - | - | |||
상품 소계 | 5,876 | 572 | 6,925 | 6,416 | 4,492 | |||
기타 매출 | 교육 매출 등 | 646 | 99 | 693 | 744 | 798 | ||
합계 | 16,149 | 2,280 | 26,534 | 41,947 | 55,542 |
① 매출액 추정시 제품별 기본 가정 및 근거 요약 동사가 영위하는 투명교정용 3D 프린팅 통합솔루션 사업은 대규모 수주를 기반으로 향후 매출액이 예상되는 사업이 아닙니다. 따라서, 동사는 향후 사업계획, 국내 및 해외 시장의 분석, 제품군별 교체 시기 등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동사의 사업은 사업의 영위 국가, 개별 제품의 품목수, 제품의 국가별 인증 여부, 판매 방식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동사는 공통적인 하나의 논리가 아닌 이러한 변수를 반영하기 위해 개별 제품군별 매출 추정 논리를 상이하게 적용하였습니다.
동사의 주요 제품은 소재 제품인 투명교정용 형상기억소재 및 기타 소재 제품과 장비 제품인 질소경화기 및 잔여레진 제거장치, 그리고 SMA(Shape Memory Aligner) 제품 및 SMA 로봇 시스템 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사의 주요 상품은 3D 프린터, 구강스캐너 및 기타상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 제품명 | 비고 | 매출 추정 방식 |
---|---|---|---|
제품 매출 | 형상기억소재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동사가 보유한 소재 물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 자체설계 및 합성 기술을 통하여 구강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위하여 맞춤 개발된 형상기억소재 | 각 주요 지역별로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Orthodontist)의 수를 추정하고,해당 교정전문의 수에 따른 제품 수요량을 추정하여 매출 추정,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과거 매출액이 향후 유지되는 것으로 보수적 가정하여 추정 |
기타 소재 | - 투명교정 관련 소재 외 보철, 덴처 및 임플란트 관련 다양한 소재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보철 및 덴처 관련 소재 제품이 대부분을 구성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
질소경화기 | -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제작된 소재를 질소경화 기능으로 경화하여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잔여레진 제거장치 | -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고속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발생시켜 투명교정장치 제작 후 표면에 남아있는 레진을 완벽히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SMA(Shape Memory Aligner) | - 구강온도에서 형상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주요 지역인 북미 및 한국에서의 별도 목표하는 교정전문의 수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수요량을 추정하여 매출 추정 | |
SMA 로봇 시스템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생산 및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공정자동화로봇으로, 24시간 자동 생산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품질의 정교한 완성품을 균일하게 지속 생산한다는 특징을 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제품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
상품 매출 | 3D 프린터 | - 동사의 3D 프린팅 소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3D 프린팅 제품을 생산(출력)하는 기기 | 동사 소재를 취급하는 지역별 교정전문의 수의 연도별 증가에 연동하여 매출규모를 추정 |
구강스캐너 | - 투명교정 등 치과진료를 목적으로 구강구조를 3D모델링하는 기기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
기타 매출 | - | - 치과진료 관련 교육매출 및 운송료매출 등으로 구성 | 매출이 향후 3년간 산업의 성장률 전망치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 |
기존 투명교정시장은 대부분 치과에서 투명교정장치 제조사(또는 기공소)에 투명교정장치 생산을 의뢰하고 이를 배송받아 치료에 사용하는 구조를 지녔습니다. 이와 달리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 원내(In-house)에서 직접 생산하여 지체없이 치료에 착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차별화된 사업모델(이하 "원내생산모델" 또는 "In-house 모델")을 바탕으로 적극 시장 공략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 투명교정시장의 주류 사업모델(이하 "주문생산모델")도 병행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한편, 상기 두가지 사업모델은 각기 다른 매출구성을 지니는데, 원내생산모델의 주요 매출 구성은 형상기억소재 및 SMA 생산설비(3D 프린터,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및 SMA 로봇시스템 등) 및 이며, 주문생산모델의 주요 매출 구성은 SMA(Shape Memory Aligner) 입니다.제품 및 상품 매출액 추정치는 각 제품 및 상품 별 매출 추정수량에 단가(가격)를 곱해서 산출하였습니다. 다만, 각 제품별 단가(가격)는 국가별, 판매방식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동사의 시장경쟁력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으로 제품별 예상 판매수량 및 단가는 제시할 수 없음을 양해바랍니다.1) 소재 관련 매출 추정 및 근거소재 관련 매출은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 및 기타 소재 매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 관련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제품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동사가 보유한 소재 물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 자체설계 및 합성 기술을 통하여 구강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위하여 맞춤 개발된 형상기억소재입니다.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명교정시장규모는 2023년 25조원 규모에서 2030년 60조원 규모로 약 2.5배 성장하여 연평균 13.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동사의 매출은 2020년 이후 최근 4개년 연평균 98%로 성장하여 시장점유율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경쟁사 대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객 편의성이 개선된 제품을 다수 출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
자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기반의 투명교정장치는 3D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제작합니다. 이는 진공열성형 방식으로 제작하던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제작 공정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킵니다. 형상기억소재 기반의 투명교정장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14~68% 수준으로, 이는 신속한 생산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차이는 더욱 확대됩니다.또한, 3D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 후 원내 생산하여 지체 없이 교정치료를 시작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교정장치를 진료 후 3~4주 지나서야 받아볼 수 있었던 기존 방식과 크게 대조되는 특징입니다. 한편, 형상기억소재 기반의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달리 뜨거운 물에 의한 영구변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교정장치 착용 전 미리 온수에 담가 부드럽게 연화시킨 후 손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장치를 제거할 때도 미온수를 입에 머금는 방법을 통해 장치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높은 효율성 및 편의성 등 특화된 장점과 점점 증가하는 투명교정제품에 대한 수요와 심미성에 대한 관심도 향상으로 인하여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관련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동사는 약 90여개 국가에 형상기억소재를 판매하고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로 유통방식이 상이한 판매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거래처에 형상기억소재를 판매하고 있음에 따라 주요 국가 및 지역을 일본, 남미, 북미, 유럽, 한국 및 기타로 총 5개의 주요 지역과 1개의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매출액을 추정하였습니다. 주요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매출액은 기본적으로 각 지역별로 사업계획에 따른 동사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를 추정하고, 해당 교정전문의 수에 따라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동사 형상기억소재 사용량 및 소재 판매단가를 고려하여 매출액을 추정하였습니다. 한편, 기타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매출액은 과거 매출액이 향후 3년간 유지됨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상기 5개의 주요 지역과 1개의 기타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추정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매출 추정내역] |
(단위: 백만원) |
지역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일본 | 1,954 | 3,710 | 9,962 | 17,092 | |
남미 | 302 | 1,212 | 2,508 | 3,720 | |
북미 | 191 | 526 | 1,341 | 1,936 | |
유럽 | 인하우스 모델 | 443 | 1,914 | 2,377 | 2,377 |
OEM 모델 | - | 733 | 1,827 | 2,076 | |
소계 | 443 | 2,647 | 4,205 | 4,453 | |
한국 | 340 | 860 | 1,102 | 1,319 | |
기타 | 1,051 | 1,051 | 1,051 | 1,051 | |
합계 | 4,282 | 10,005 | 20,168 | 29,572 |
주1) | OEM 모델은 동사의 SMA 솔루션(소재, 장비 등)을 도입하고자 하는 거래 상대방(얼라이너 사업자, 대형기공소)을 대상으로 동사 소재, 장비를 공급하는 모델입니다. 거래 상대방은 동사로부터 형상기억소재나 장비를 공급받아 개별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동사에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
주요 5개국의 형상기억소재 매출의 경우, 각각의 판매방식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방식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주요 지역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추정 근거 요약] |
지역 | 비고 |
---|---|
일본 |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일본 지역 과거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증가 추이를 감안, 일본투명교정학회(Japan Academy of Aligner Orthodontics, JAAO) 회원을 1차 목표고객으로 하여 수립한 2026년까지 동사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였으며,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2027년 이후에는 시장성장률(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일본 지역의 소재사용량 과거 성장추세를 고려하여, 장기적으로(2028년까지) 회사 사업계획에 점진적 수렴하는 것으로 가정 |
남미 |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멕시코, 칠레 및 엘살바도르에 소재한 각 유통사로부터 수령한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 기반의 동사의 사업계획에 따라 2026년까지 증가함을 가정하고, 이후 2027년도에 약 2개 국가(브라질 및 아르헨티나 등)를 추가 진출하여 교정전문의 모집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신규 진출 지역의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사업계획 대비 80% 수준의 모집을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해당지역 과거 실적이 향후 유지됨을 가정 |
북미 |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북미 지역 사업초기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과 북미 지역 유통회사와의 협업을 고려한 동사의 사업계획에 따라 2026년까지 증가함을 가정하고, 이후 2027년도에 북미 서부지역 추가 진출 및 파트너쉽 협약 논의중인 3D 구강스캐너 업체의 영업망을 고려하여 교정전문의 모집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신규 진출 지역의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사업계획 대비 50% 수준의 모집을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투명교정시장 주요 경쟁업체 제품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동사의 Case 당 소재사용량을 가정 |
유럽 | 메덴티스 거래처는 투명교정장치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 생산에 동사 소재 및 3D 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존재하여 구분하여 추정[인하우스 사업]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유럽 지역 내 형상기억소재 추가 인증, 전략적 협업 파트너쉽 체결 및 과거 유럽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여, 2025년까지 동사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였으며, 2026년 이후 보수적인 관점에서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가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과거 실적을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동사 취급 주요지역 중 가장 낮은 실적인 국내시장의 연간 소재사용량을 달성함을 가정[OEM 사업]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메덴티스 거래처의 사전예약 물량에 따른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사업계획을 구상중인 2025년까지 동사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였으며,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2026년 이후에는 시장성장률(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투명교정시장 주요 경쟁업체 제품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동사의 Case 당 소재사용량을 가정 |
한국 |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 동사 제품 인지도 확대 기조, 과거 성장 추세, 영업팀에서 확보한 잠재고객 리스트 등을 고려하여 2025년까지 동사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였으며,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2026년 이후 시장성장률(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투명교정시장의 현 정착상황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약 10년 후인 2035년에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공시 기반의 소재사용량(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을 점진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정 |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취급 기말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 |
(단위: 명) |
지역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일본 | 81 | 200 | 400 | 454 | |
남미 | 28 | 86 | 150 | 200 | |
북미 | 13 | 40 | 95 | 100 | |
유럽 | 인하우스 모델 | 22 | 200 | 200 | 200 |
OEM 모델 | - | 112 | 127 | 145 | |
소계 | 122 | 312 | 327 | 345 | |
한국 | 61 | 80 | 91 | 103 | |
합계 | 305 | 718 | 1,063 | 1,202 |
주1) | OEM 모델은 동사의 SMA 솔루션(소재, 장비 등)을 도입하고자 하는 거래 상대방(얼라이너 사업자, 대형기공소)을 대상으로 동사 소재, 장비를 공급하는 모델입니다. 거래 상대방은 동사로부터 형상기억소재나 장비를 공급받아 개별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동사에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
글로벌 치과시장, 그 중에서도 특히 교정시장의 경우 환자가 아닌 학회 또는 학계가 시장을 주도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가 환자를 직접 치료하고, 치료 결과에 대한 평판위험(Reputation Risk)을 교정장치 또는 교정장비 제조사가 아닌 교정전문의 당사자가 직접 감수하게 되는 사업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동사 제품의 최종수요자(End-User)인 교정전문의는 공신력 있는 학회 또는 학계에서 치료의 효과 및 임상 결과 등에 대하여 인정을 받은 치료 방식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동사는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투명교정 학계에서 KOL(Key Opinion Leader)로 권위를 인정받는 글로벌 핵심 연자에 대한 전통적인 마케팅을 중심으로 주요 학술그룹에서 활동하는 교정전문의에 대한 동사 고객유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동사는 해외시장에서 영향력이 강한 글로벌 핵심 연자들을 통해 기술력을 전파하고 인지도를 상승시켜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제품이 확산되도록 하는 전략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요 지역의 개별적인 추정방식의 경우 해당 지역의 동사 형상기억소재 취급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를 추정하고,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동사 형상기억소재 사용량과 소재 판매단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출액을 추정하였습니다.
(1) 형상기억소재 관련 일본 매출
[일본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Kg,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일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200 | 400 | 454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141 | 300 | 427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54 | 68 | 82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3,710 | 9,962 | 17,092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동사는 유통사 F사 및 C사와 2022년 최초 형상기억소재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일본 시장에 대한 제품 공급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사업 진출 이후 매년 형상기억소재 도입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 확대 및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말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소재를 치료에 도입한 교정전문의는 16명 수준에서 2024년말 기준 81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형상기억소재 매출액은 2022년 1.0억원 수준에서 2024년 19.5억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25년 4월 30일자 변경 공급계약(Exclusive Partnership & Distribution Agreement)체결 후에는 유통사 F사에 대하여만 동사의 형상기억소재를 독점적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일본 지역의 과거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단위: 명, Kg) |
지역 | 구분 | 2022년(A) | 2023년(A) | 2024년(A) |
---|---|---|---|---|
일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16 | 50 | 8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8 | 33 | 66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19 | 25 | 40 |
주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일본교정치과학회(Japanese Orthodontic Society, JOS)에 가입된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는 약 7,000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JOS에 가입되지 않은 치과 교정전문의 등 고려 시, 일본 내 전체 교정전문의 수는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사는 약 400명 회원규모의 일본투명교정학회(Japan Academy of Aligner Orthodontics, JAAO) 회원들을 1차 목표 고객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JAAO는 일본 내 투명교정과 관련하여 가장 권위있는 학회 중 하나로, 2014년 설립 이후 교정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임상증례 공유, 연구 및 토론 등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일본의 투명교정 시장을 선도하여 온 학회입니다. 특히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학술적 지식과 다양한 치료 적용방식들의 장점을 공유함으로써, 투명교정 기술의 향상과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일본 F사는 JAAO 회원을 중심으로 한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들을 대상으로 동사의 제품을 활용한 형상기억 투명교정 온라인 세미나 및 전국투어 등 다양한 활동(세미나/강연/교육과정/스터디그룹)을 주최 및 지원하여 동사 제품을 적극 홍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육과정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과정도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교정전문의들이 교정 소프트웨어 사용 등에 어려움을 겪지 않고, 솔루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동사의 글로벌 핵심 연자(Speaker)이자 일본 내 투명교정 대표 권위자로 알려진 Dr. Kenji Ojima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r. Kenji Ojima는 2007년부터 도쿄 혼고에 치과를 개원하고 현재까지 인비절라인 투명교정치료 5,000증례 이상의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투명교정 학계의 KOL(Key Opinion Leader) 중 한 명이며, 미국심미교정치과학회(American Academy of Cosmetic Orthodontics, AACO) 아시아 지부장, 독일투명교정치과학회(Germany Society for Aligner Orthodontics, DGAO) 아시아 지부장 등을 역임하였고, 미국치과교정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AAO), 유럽교정학회(European Orthodontic Society, EOS), 유럽투명교정학회(European Aligner Society, EAS), 아시아태평양교정학회학술대회(Aisa Pacific Orthodontic Congress, APOC) 등 글로벌 주요 학회의 연자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특히, 2014년에는 일본투명교정학회(Japan Academy of Aligner Orthodontics, JAAO)를 직접 설립함으로써 일본 투명교정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인물이며, JAAO 회원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Dr. Kenji Ojima의 YouTube 및 Instagram 총 팔로워 수는 단순 합산 약 6.4만명 수준으로 파악되며, 교정학계 내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 네트워크가 소수집단 위주의 폐쇄적 형태를 나타내는 특성을 보유한 것을 감안하면 Dr. Kenji Ojima가 교정학계 내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유한 것으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기한 활동 외에도 Dr. Kenji Ojima는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진행되는 주요 덴탈행사에 주요 연자로 참석하여 동사 제품과 기술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으며, 2025년 3월에는 "얼라이너 제너레이션(Aligner Generation) - Dr. 오지마 켄지의 테크닉 & 분석 포인트 131"이라는 투명교정 임상 증례집을 출판하여 투명교정 관련 치료 사례를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있습니다. 해당 서적에는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 방식에 대한 내용이 주요 항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는 동사의 기술을 통한 치료방식이 교정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교정 전문 서적에 임상 증례로 수록될 정도로 임상적 검증이 충분히 완료되었고, 기존의 투명교정 기술을 개선하여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에 해당함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또한 일본 치과 교정전문의 입장에서 새로운 교정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상기억 투명교정 방식에 대한 접근성을 상당 수준 확대시키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는 상기한 활동들이 실제로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확보에 기여한 것인지에 대하여, 과거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 확보에 대한 내부 계획 대비 실제 달성 추이를 통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향후에도 이러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입니다. 기간별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누적 추이 및 동일 기간 주요 글로벌 덴탈행사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별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누적 추이 및 동일 기간 주요 글로벌 덴탈행사 내역] |
(단위: 명) |
구분 | 2023년상반기 | 2023년하반기 | 2024년상반기 | 2024년하반기 | 2025년상반기 | 2025년하반기(E) | 2026년상반기(E) | 2026년하반기(E) | |
---|---|---|---|---|---|---|---|---|---|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누적 수(명) | 확보 계획 | 15 | 20 | 32 | 45 | 95 | 200 | 260 | 400 |
실제 성과 | 25 | 50 | 62 | 81 | 103 | - | - | - | |
해당기간 주요행사 (*) | AAO, EAS,SIDEX | KAO,SIDO | AAO,SEDO | KAO,SIDO, | IDS,SIDEX | SJCD 여름세미나, Global Dental Wing | AAO, SIDEX,SEDO | SJCD 여름세미나, Global Dental Wing, WIOC |
(*) | AAO -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cs, EAS - European Aligner Society, SIDEX - Seoul International Dental Exhibition & Scientific Congress, KAO -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tics, SIDO - Italian Society of Orthodontics, SEDO - Sociedad Espanola De Ortodoncia, IDS - International Dental Show, SJCD - Society of Japan Clinical Dentistry, WIOC - World Implant Orthodontic Association |
한편, 동사는 2025년 11월 F사가 주최하는 "Global Dental Wing 2025"에 맞춰 동사 제품을 대대적으로 홍보할 계획입니다."Global Dental Wing 2025"는 치과 보철 및 투명교정 관련 학회로,동사는 메인 스폰서로 참가할 예정이며(해외 10개 기업 참가 예정), 총 참가 예상 인원은 온라인 3,000명, 오프라인 500명 이상으로 예상되는 바, 동사는 본 행사를 통해 50명 이상의 교정전문의 고객을 신규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동사는 상기한 활동들을 통해 1차적으로 JAAO 회원의 동사 고객으로의 유입을 가속화하여, 2025년까지 200명, 2026년까지 400명의 치과 교정전문의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후 2027년부터는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시장성장률(세계 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치과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일본 지역의 과거 소재 사용량 실적 성장 추세를 고려하여 2028년까지 동사의 사업계획인 1인당 월평균 8kg(연평균 96kg) 사용 목표에 점진적 수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2028년 월평균 소재 사용량 8kg은 하루에 신규환자 1명 수준의 사용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래 가정을 근거하여 추정되었습니다.
[2028년 치과 교정전문의 1인당 월평균 소재 사용량 추정] |
구분 | 값 | 비고 | |
---|---|---|---|
치과 교정전문의 1인당 | 일 신규환자 수 | 1명 | 시장성장 고려 2028년 달성 가능 목표 |
월 근무일 | 24일 | 평일(22일) + 주말근무(0.5일 * 4주) | |
월 신규환자 수 | 24명 | - | |
월 소재사용량 | 8kg | 소재 1kg당 약 3명의 신규환자 치료 가정 |
일본지역의 과거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2023년 및 2024년에 각각 30% 및 64% 성장하였으며, 향후 추정기간인 2025년부터 2027년까지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각각 35%, 26% 및 20% 성장하는 수준이므로 과거 소재사용량 실적 성장추세 및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기술 경쟁력에 기반한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을 고려하였을 때 충분히 달성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가의 경우 최근 변경된 계약 상 단가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2) 형상기억소재 관련 남미 매출
[남미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Kg,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남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86 | 150 | 200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수(명) | 57 | 118 | 175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34 | 34 | 34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1,212 | 2,508 | 3,720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동사는 남미 지역의 투명교정 학계에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는 동사의 글로벌 핵심 연자(Speaker)를 통하여 현지 유통회사들의 다양한 활동, 예컨대 현지 강연이나 세미나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최근 동사 제품의 기술우위성 및 치료 효과성에 관한 남미지역에서의 인지도가 크게 상승하였고, 2024년부터 멕시코, 칠레, 엘살바도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미 시장에서의 사업적인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구체적으로 남미 시장의 주요 유통회사(Dealer)인 TD&S(멕시코), Commercial VAM(칠레), Rinnova(엘살바도르)와의 공급계약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사업을 전개 중으로, 2025년도에 대한 주문계획(Order Forecast), 입출고 및 재고 현황, 주요활동 계획 등을 전달받아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남미 지역 핵심 연자(Dr. Ignacio Cepeda 및 Dr. Juan Mejia 등)를 초대하여 멕시코, 칠레 및 엘살바도르 등의 주요 도시에서 주기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는 한편, 주요 학회 참여를 통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으며 남미 시장내 동사 제품 인지도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Dr. Ignacio Cepeda는 칠레 발파라이소 대학교에서 치의학 학사 학위를 취득 후, 멕시코 몬테레이 AME 대학교에서 교정 및 구개교정 전문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는 연세대학교와 경희대학교에서 단기 레지던시 과정을 이수하였으며, 디지털 장비 및 3D 프린팅 분야에서도 높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는 현재 페루, 칠레 등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그래피 인증 과정을 직접 진행하는 등 활발한 국제 교육 활동으로 디지털 교정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Dr. Juan Mejia는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 (UNAM) 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디지털 교정 분야의 전문의로 첨단 스캐닝과 디지털 플래닝 기술을 접목해 환자 맞춤형 교정 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한 혁신적 진료 외에도 최신 교정 트렌드를 다수의 채널을 통하여 널리 알리고 있으며, 현재 그래피 관련 얼라이너 3D 출력기술 관련 분야를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있습니다. 멕시코 지역의 TD&S사는 2010년 설립된 치과장비 전문 유통 기업으로 와이어 및 투명교정 관련 소재, 부품, 기기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편, TD&S사는 자체적으로 멕시코시티 폴랑코 지역에 직접 교정클리닉을 개업하여 운영할 예정(2025년 7월 완공 예정)입니다. TD&S사는 현재 약 60명의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반기 내 멕시코 시티 중심가에 동사 형상기억 투명교정 전문병원과 기공센터를 신설하여 신규 환자 유치에 더욱 힘쓸 계획입니다. 칠레 지역의 Commercial VAM사는 2019년부터 3D 프린터 유통 사업에 본격 진출한 칠레 현지 기업이며, 2024년부터는 "Graphy 3D Chile"라는 브랜드명으로 동사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였고, 치과용 3D 프린터 장비 및 고기능성 레진 소재를 현지에 공급 중입니다. 칠레는 FTA로 관세장벽이 없고, 다른 역내 주변국가들에 비해 국제통상 및 수입에 친화적인 성향을 보여 특히 시장진입 초기에 영업활동이 수월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유저간 네트워크가 강해, 유저 상호 협력하여 교육코스, 대학 초빙 강연 등 다양한 영업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Commercial VAM사는 현재 약 70명의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엘살바도르 지역의 Rinnova 사는 2015년에 설립된 엘살바도르 기반의 교정 및 치과 장비 및 소재 유통 전문 기업입니다. 중남미 교정 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유통 경험이 풍부하며, 동사의 소재 취급 이전까지는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A사) 제품의 중미 지역 유통을 담당했던 이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존 유통 경험, 시장 이해도, 의료 전문성 및 실행 역량 등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전략적 파트너사이며, 중미 내 동사 제품의 안정적 확대를 위한 핵심 허브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동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교육코스(Graphy Certification Course)를 자체 운영중(Dr. Juan Mejia 와 Dr. Ignacio Cepeda를 중심으로 진행)이며, Rinnova 사는 현재 약 20명의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남미 지역 사업초기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 |
(단위: 명) |
구분 | 잠재 고객수 |
---|---|
TD&S 사 | 60 |
Commercial VAM 사 | 70 |
Rinnova 사 | 20 |
합 계 | 150 |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남미 지역의 누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수는 2026년까지 각 지역별 주요 유통회사(TD&S(멕시코), Commercial VAM(칠레), Rinnova(엘살바도르))로부터 수령한 교정전문의 후보군 150명 기반의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2025년 86명, 2026년 150명으로 점진 증가)하였으며, 이후 2027년도까지는 약 2개 국가(브라질 및 아르헨티나 등)에 추가 진출하여 남미 지역 누적 250명의 교정전문의 확보를 목표하고 있으나, 미래의 사업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약 80% 수준인 20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 확보를보수적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해당지역 과거 실적이 향후 유지됨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남미 지역 과거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단위: 명, Kg) |
지역 | 구분 | 2023년(A) | 2024년(A) |
---|---|---|---|
남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4 | 28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2 | 16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143 | 34 |
주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3) 형상기억소재 관련 북미 매출
[북미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백만원, 명)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북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40 | 95 | 100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27 | 68 | 98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32 | 32 | 32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526 | 1,341 | 1,936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북미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투명교정 시장으로, 동사의 주요 경쟁사(A사)를 포함한 많은 투명교정 기업이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투명교정 기업은 주문생산방식(치과에서 투명교정장치 생산을 제조사에 의뢰하고 제조사는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하여 이를 치과에 배송하는 방식)의 사업모델을 지니고 있어, 해당 방식이 시장 전반의 주요 사업형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사는 다른 지역과 달리 주문생산모델과 원내생산모델을 병행하여 시장 공략할 계획입니다.한편, 동사는 2021년 부터 글로벌 최대 규모 교정학회인 AAO(미국치과교정학회,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cs) 행사에 매년 참가하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기술우위성 및 치료 효과성에 관한 사전 인지도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북미 지역 투명교정 학계의 핵심 연자로 인정되는 Dr. Ravindra Nanda 및 Dr. Ki Beom Kim를 통한 지속적인 강연/세미나 활동과 미국내 치과 교정전문의(Orthodontist) 네트워크를 활용한 적극적인 제품 홍보활동을 통하여 형상기억소재 기반의 투명교정 도입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Dr. Ravindra Nanda는 50년 이상 치과 교정계에서 수많은 연구와 교육활동을 이어온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교정전문의 중 한명으로, 300편 이상의 국제 논문과 10권 이상의 치아교정 전문 서적을 출간하며 교정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미국교정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AAO), 유럽교정학회(European Orthodontic Society, EOS) 등 글로벌 주요 학회는 Dr. Ravindra Nanda를 명예회원으로 추대하고 있으며, Dr. Ravindra Nanda는 매년 각 학회에서 다수의 강연 및 세미나를 진행함으로써 글로벌 교정학계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상기한 내용들을 이유로 현재 전세계 각지에 많은 교정전문의들이 Dr. Ravindra Nanda의 의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Dr. Ravindra Nanda의 연구 및 임상결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Dr. Ravindra Nanda는 산업 내 혁신과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안내하는 길잡이로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교정전문의들 또한 그 내용을 따르며 이를 실제 현장에 도입 및 접목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Dr. Ravidra Nanda를 따르는 교정전문의들을 본 문서에서는 팔로워(Follower)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Dr. Ravindra Nanda는 2021년 처음 동사의 제품(SMA) 및 기술을 접한 뒤, 이를 유수의 글로벌 학회에서 '게임체인저(Game Changer)' 및 '가장 혁신적인 신기술'라 소개해 왔습니다. Dr. Ravindra Nanda의 강연과 세미나는 현재 동사 제품 및 기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실제로 Dr. Ravindra Nanda를 통해 동사 제품에 대한 확신을 갖고 SMA 투명교정 솔루션을 도입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동사는 그동안 Dr. Ravindra Nanda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온 팔로워들 중 동사의 미국 현지법인 설립 즉시 SMA 투명교정 솔루션 도입이 기대되는 교정전문의 리스트를 Dr. Ravindra Nanda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동사는 이를 북미 사업 계획에 반영하여 향후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Dr. Ki Beom Kim 역시 북미 시장 등 글로벌 교정시장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인물로,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교(Saint Louis University) 치의학대학 교정과 학과장, 미국치열교정학회(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ABO) 인증전문의, 미국구강안면통증전문의(American Board of Orafacial Pain, ABOP) 인증전문의, 미국교정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AAO) 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Dr. Ki Beom Kim은 100편 이상의 국제 논문과 3권의 치아교정 전문 서적 출간 등을 통해 교정시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동사 제품 및 기술을 실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글로벌 주요 학회에 소개함으로써 동사 제품 및 기술의 혁신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동사는 상기한 북미지역 핵심 연자 외에도 현재까지 총 7명의 글로벌 핵심 연자를 확보한 상태로 2026년까지 북미 지역에서 명성이 높은 20명의 글로벌 핵심 연자 확보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 핵심 연자(Speaker) 확보 계획] |
(단위: 명) |
구분 | 2025년 상반기 | 2025년 하반기(E) | 2026년 상반기(E) | 2026년 하반기(E) |
---|---|---|---|---|
북미 지역 핵심 연자 확보 계획 | 7 | 10 | 15 | 20 |
한편, 동사는 북미 지역을 진출하기 위하여 국내기업 중 세계적으로 유명한 3D 구강스캐너 제품을 판매중인 메디트 사, 그리고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3D 프린팅 업체인 Formlabs 사와의 협업 파트너쉽 체결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파트너쉽의 주요 목적은 이미 북미 지역에서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메디트 및 Fromlabs 사의 제품과 영업망을 이용하되,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및 SMA 솔루션을 결합하여 CAD/CAM 기술기반의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하나의 자동화된 패키지 형태로 북미 지역을 공략함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메디트는 3D스캐너 및 S/W 분야를 담당하고, Formlabs사는 3D프린터 분야를 담당하며, 동사는 형상기억소재 및 질소경화기 분야를 담당할 예정입니다. 특히 메디트 사는 미국 지역에서만 3D 구강스캐너 누적 판매량 45,000대 이상을 달성한 회사로, 동사는 메디트 사의 넓은 미국 지역의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단기적으로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 약 1,000명을 목표로 제품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편, 파트너쉽 전략 외에도, 단기적으로 북미 지역 핵심 연자인 Dr. Ravindra Nanda의 미국 동부지역 위주 팔로워(Follower) 55명을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로 전환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공급계약을 체결한 북미 지역 유통회사(Dealer) Dentcore 및 US Dental 등의 업체와 활발하게 유통 전략을 협의중입니다.
[북미 지역 사업초기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 |
(단위: 명) |
구분 | 잠재 고객수 | 비고 |
---|---|---|
과거 거래이력이 있는 고객 | 17 | 동사와 과거 거래이력이 있는 고객으로, 동사 북미 시장 진출을 기점으로 SMA 사용 본격적 확대 기대되는 고객 |
주요 연자 네트워크 | 55 | Dr. Ravindra Nanda의 팔로워(Follower) |
그래피 네트워크 | 68 | 미국교정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AAO) 등 다수의 행사를 통하여 기 확보한 동사의 잠재적 영업대상 고객군으로, 이미 접촉 중이거나 접촉 예정 |
합 계 | 140 | - |
이러한 영업현황을 고려하여 형상기억소재 및 장비를 취급하는 솔루션 사업과 SMA 완제품을 취급하는 SMA 사업에 대한 최종소비자 모집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고 있습니다.단기적으로 2025년도에는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고려하여 원내생산모델 40명, 주문생산모델 5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6년도에는 핵심 연자의 네트워크 기반 잠재적 교정전문의 고객군과 북미 지역 유통회사 Dentcore 및 US Dental 등의 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원내생산모델 95명, 주문생산모델 10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후 2027년도까지는 서부지역 등의 타 지역 확장과 메디트사와의 파트너쉽 계약을 토대로 메디트 사의 영업망 기준의 잠재적 교정전문의 고객군 약 1,000명의 절반인 50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 확보를 계획하고 있으나,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약 50% 수준인 250명(원내생산모델 100명, 주문생산모델 15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사업계획상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매출 추정에 반영하였습니다.
미국 ADA(American Dental Association)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미전역의 치과교정의(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수를 10,904명으로 집계 및 발표하였습니다. 2024년 말 기준 데이터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최근 3개년 동안 그 변동폭이 크지 않았음을 감안하여, 현재 및 2027년까지 미국의 교정 전문의 수를 10,904명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가정을 기준으로 동사가 2025년 현지법인 설립 이후 3개년 동안 목표하고 있는 교정전문의 수의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 법인 설립 후 3개년 목표 교정전문의 수 및 비중] |
구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미국 전역 교정전문의 수 | 10,904명 | 10,904명 | 10,904명 | |
확보 목표 교정전문의 수 | 원내생산모델 (인하우스모델) | 40명 | 95명 | 100명 |
0.37% | 0.87% | 0.92% | ||
주문생산모델 | 50명 | 100명 | 150명 | |
0.46% | 0.92% | 1.38% | ||
전체 | 90명 | 195명 | 250명 | |
0.83% | 1.79% | 2.29% |
상기 표에 따르면, 2025년, 2026년, 2027년 기준 동사가 확보 목표하고 있는 교정전문의 수는 각각 미국 전역 교정전문의 수의 0.83%, 1.79%, 2.29%에 해당합니다. 한편, 형상기억소재를 취급하는 원내생산모델의 교정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유의미한 과거 실적이 존재하지 않아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동사의 Case 당 소재사용량을 적용하여 연간 32kg의 소재사용량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4) 형상기억소재 관련 유럽 매출
[유럽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Kg, 백만원) |
지역 | 사업모델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유럽 | 인하우스 모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200 | 200 | 200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161 | 200 | 200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19 | 19 | 19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1,914 | 2,377 | 2,377 | ||
OEM 모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112 | 127 | 145 |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교정전문의 수(명) | 56 | 120 | 136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32 | 32 | 32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733 | 1,827 | 2,076 | ||
매출액 합계 | 2,647 | 4,205 | 4,453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OEM 모델은 동사의 SMA 솔루션(소재, 장비 등)을 도입하고자 하는 거래 상대방(얼라이너 사업자, 대형기공소)을 대상으로 동사 소재, 장비를 공급하는 모델입니다. 거래 상대방은 동사로부터 형상기억소재나 장비를 공급받아 개별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동사에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
주3)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유럽 지역은 유통회사를 통해 소재, 장비 등 SMA 솔루션을 치과 교정전문의에게 공급하는 인하우스 모델 뿐만 아니라, 얼라이너 사업자, 대형기공소와 같이 투명교정사업을 영위하는 타 회사에 동사의 SMA 솔루션(소재, 장비 등)을 공급하는 OEM 모델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유럽 지역의 향후 형상기억소재 매출을 추정함에 있어, 사업모델을 인하우스 모델과 OEM 모델로 구분하여 추정하였습니다. OEM 모델의 경우, 현재 독일의 메덴티스 사와 거래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OEM 거래처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메덴티스 사는 독일 바트 노이엔아르-아르바일러 지역에서 2004년 설립된 회사로, 임플란트, 심미 보철 및 투명교정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메덴티스 사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중심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40개국 이상의 유통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메덴티스 사는 2024년 12월, 자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동사와 체결하였으며, 2025년 3월 동사와 SMA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및 2025년 4월 자체 투명교정 브랜드 "ICX-Aligner"를 론칭하였습니다. 메덴티스 사는 이에 따라 동사의 소재 및 장비 솔루션을 공급받아 자체 투명교정 브랜드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메덴티스 사는 "ICX-Aligner" 론칭 전 공급 관련 현지에서 112명의 교정전문의로부터 사전예약을 접수 받았으며, 관련 사항을 동사와 긴밀히 소통하여 투명교정 솔루션 공급 및 향후 공급계획에 대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동사는 상기한 메덴티스 사의 사전예약 현황 등을 토대로 2025년까지 OEM 모델 관련 형상기억소재 취급 치과교정의 수를 112명으로 추정하여 이를 매출 추정에 반영하였습니다. 다만, 2026년부터는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시장 평균수준을 고려한 시장성장률(세계 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동사의 Case 당 소재사용량을 적용하여 연간 32kg의 소재사용량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계약 상 단가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유럽 지역 인하우스 모델의 경우, 초기부터 유럽 지역 전반에 걸쳐 딜러십을 통해 지속적으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주로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및 프랑스 등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최근 독일에서 3D 프린팅 및 투명교정장치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Scheu Dental사와 전략적 협업 파트너쉽을 체결하면서, 동사 형상기억소재의 유럽 내 유통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Scheu Dental사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시장 내 판매 네트워크와 사용 고객 데이터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원내생산모델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에 관심이 높은 치과 등을 타겟으로 할 예정입니다. Scheu Dental사는 80여개의 유통회사(Dealer)와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기존 네트워크와 동사와의 시너지를 통하여 유럽 지역 내 잠재적 교정전문의 고객군을 확대할 예정입니다.한편, 현재 유럽 지역의 경우 동사의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 중 TA-28 모델의 인증(CE MDR, Medical Device Regulation)이 아직 완료되지 않음에 따라, 기존 인증(CE MDD) 받은 모델인 TC-85 위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타지역 대비 유럽시장의 매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2025년 하반기 TA-28 모델의 CE MDR 인증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럽향 매출은 현재보다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이에 따라, 인하우스 모델 관련 동사의 형상기억소재 소재 취급 누적 교정전문의 수는 유럽 지역 내 형상기억소재 추가 인증과, Scheu-Dental사와 전략적 협업 파트너쉽 체결, 그리고 과거 유럽 지역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 증가 추세를 고려하여 2025년까지 전년도 대비 78명 증가한 20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고, 이후 2026년부터는 OEM 사업모델 관련 교정전문의 수의 증가를 고려하여 인하우스 모델 관련 교정전문의 수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한편, 유럽지역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관련하여, 사업초기에는 일본지역처럼 주요 연자를 통한 교정전문의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대규모 유통회사(Dealer)인 Yenco사 및 Forestadent사 등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딜러십 중심의 사업을 전개하였습니다. 하지만, 시장 수요를 견인하는 최종 사용자(End-user)인 교정전문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딜러십 위주 사업전개는 시장에서의 소재 사용량 부진으로 이어졌고, 이는 유럽진출 초기(2022~2023년)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의 감소를 유발하였습니다. 더불어 의료기기 인증 이슈(CE MDD의 MDR 전환)가 해당기간에 겹치며,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의 감소폭을 더욱 키웠습니다. 그러나 동사는 일본의 성장사례를 통해 연자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이후 유럽에서도 연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펼치며 교정전문의를 지속 확보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신규사업모델(OEM 사업모델) 도입 등 사업모델 다각화를 통하여 제품의 확산 및 시장영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TA-28 모델의 CE MDR 인증 또한 연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과거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언급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과거 3개년 평균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약 20kg 수준을 가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마케팅 전략 변경과 소재 인증의 추가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보다 더 보수적으로 동사 취급 주요 지역 중 가장 낮은 실적인 국내시장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약 19kg 수준)을 달성함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유럽 지역의 과거 동사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단위: 명, Kg) |
지역 | 구분 | 2022년(A) | 2023년(A) | 2024년(A) |
---|---|---|---|---|
유럽 (인하우스 모델)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52 | 101 | 122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26 | 77 | 112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33 | 17 | 10 |
주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5) 형상기억소재 관련 한국 매출
[한국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Kg,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한국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80 | 91 | 103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71 | 85 | 97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20 | 21 | 23 |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860 | 1,102 | 1,319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 솔루션에 대한 인지도는 해외에서 먼저 높아졌고, 이는 다시 국내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수의 글로벌 논문과 임상을 통해 동사 제품의 기술우위성과 우수한 치료효과 및 치료효율이 검증됨에 따라, 국내 시장의 형상기억 투명교정 솔루션에 대한 실질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동사는 한국시장에서의 형상기억소재 관련 매출을 확대하기 위하여 한국 내 핵심 연자를 확보하여 커뮤니티 그룹 운영 및 세미나 그룹과 학회 활동을 통하여 동사 제품의 인지도를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A사) 제품의 핵심 연자를 동사 형상기억소재 투명교정장치 제품의 핵심 연자로 활발하게 전환시킴으로써, 형상기억 투명교정 솔루션의 시장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 유입이 많은 치과를 거점치과로 하는 전략적인 업무협약을 통하여 고객을 확보하고, 전국적인 다수 지점망을 활용할 수 있는 대형치과고객을 확보하는 전략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 지역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는 상기한 국내 시장에서의 동사 제품 인지도 확대 기조, 과거 성장 추세, 영업팀에서 확보한 잠재고객 리스트 등을 고려하여,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를 2025년까지 80명 확보한다는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매출 추정에 반영하였으며, 이후 2026년부터는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보수적인 평가 관점에서 시장 평균수준을 고려하여 시장성장률(세계 투명교정시장 2023-2030 CAGR 13.6%, Source: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은 국내 투명교정시장의 현 정착상황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약 10년 후인 2035년에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1인당 연간 취급 Case(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동사의 Case 당 소재사용량을 적용하여 산출된 연간 32kg의 소재사용량을 점진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한국 지역의 과거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 |
(단위: 명, Kg) |
지역 | 구분 | 2022년(A) | 2023년(A) | 2024년(A) |
---|---|---|---|---|
한국 | 연도말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7 | 31 | 6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명) | 4 | 19 | 46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소재 사용량(Kg) | 51 | 18 | 19 |
주1) | 연평균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6) 형상기억소재 관련 기타 지역 매출
[기타 지역의 형상기억소재 추정 매출액] |
(단위: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기타 지역 | 형상기억소재 매출액 | 1,051 | 1,051 | 1,051 |
기타 지역의 경우 주로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유통회사와 활발할 거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수적인 관점에서 기타 지역의 매출액은 별도의 교정전문의 수 및 소재 사용량을 집계하지 아니하고, 2024년도 현재의 매출이 향후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나) 기타 소재 관련 매출 추정 및 근거 기타 소재는 투명교정 관련 소재 외 보철, 덴처 및 임플란트 관련 다양한 소재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보철 및 덴처 관련 소재 제품이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소재의 우수한 물성과 3D 프린팅 방식이라는 차별성을 앞세워, 보철 시장으로의 사업 확장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치아와 유사한 색감 및 질감 표현이 가능한 다층형 보철(이하 Multi-Layer)과 다수의 보철을 나란히 이어 임플란트와 결합하는 신제품은 국내, 일본 등 유수 기관의 테스트에서 호평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보철사업 매출을 견인할 제품으로 동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철 사업은 시장 규모, 사업 환경, 지리적 이점(인접국) 등을 고려하여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확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주요 제품(기타 소재 중 R-191, TC-80 등)의 일본 의료기기인증(PMDA)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해당 의료기기 인증은 2025년 하반기 내 획득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5년 하반기부터 보철 소재(현재 기타 소재로 분류)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한편, 동사는 일본 보철의 대가(Yamazaki Masao)를 비롯하여 여러 치과의들과 함께 다양한 임상을 진행함으로써 실제 임상적 가치를 입증하고 있으며, 2025년 11월 일본에서 열리는 국제행사(Global Dental Wing)에서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여 보철사업을 적극 확대해 갈 예정입니다. 다만, 사업 초기단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여 상기 진행 중인 사항에도 불구하고, 보수적 관점에서 매출추정에 해당 사항은 반영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타 소재 관련 매출은 과거 2024년의 매출액이 향후 3년간 시장성장률(세계 치과수복재시장 2023-2025 CAGR 7.3%, Source: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2) 장비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장비매출은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사의 질소경화기 제품은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제작된 소재를 질소경화 기능으로 경화하여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한편, 동사의 잔여레진제거장치 제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제품으로, 고속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발생시켜 투명교정장치 제작 후 표면에 남아있는 레진을 완벽히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이 존재함에 따라, 질소경화기 및 잔여레진제거장치 매출은 과거 재구매 추세를 고려하여 재구매 교체주기를 2년으로 가정하고, 교체주기마다 교정의 1인당 1개 구매를 가정하되, 소재매출의 추정 시 추정한 동사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의 증가에 따라 연동되어 신규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매출규모를 추정하였으며, 기타 매출의 경우 보수적인 관점에서 기 발생한 매출 외에는 향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장비매출 추정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질소경화기 | 2,139 | 2,001 | 2,059 | 2,532 |
잔여레진제거장치 | 235 | 237 | 244 | 300 |
기타 | 44 | - | - | - |
합 계 | 2,419 | 2,238 | 2,303 | 2,832 |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의 증가를 기반으로 추정한 장비 수요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별 형상기억소재 취급 신규 교정전문의 수 및 장비수요 추정내역] |
(단위: 명) |
지역 | 2022년(A) | 2023년(A)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일본 | 16 | 34 | 31 | 119 | 200 | 54 | |
남미 | - | 4 | 24 | 58 | 64 | 50 | |
북미 | - | - | 13 | 27 | 55 | 5 | |
유럽 | 메덴티스 외 거래처 | 52 | 49 | 21 | 78 | - | - |
메덴티스 거래처 | - | - | - | 112 | 15 | 18 | |
소계 | 52 | 49 | 21 | 190 | 15 | 18 | |
한국 | 7 | 24 | 30 | 19 | 11 | 12 | |
합계 (연도별 신규 교정전문의 수) | 75 | 111 | 119 | 413 | 345 | 139 | |
재구매 교체주기 2년 고려 시 연도별 신규 수요 | 75 | 111 | 194 | 524 | 539 | 663 |
주1) | 연도별 신규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의 차이로 산출하였습니다. |
3) SMA(Shape Memory Aligner) 관련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SMA(Shape Memory Aligner) 관련 제품은 특정 온도에서 형상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입니다. SMA(Shape Memory Aligner) 관련 매출은 주요 신규 진출지역인 북미 및 한국으로 나누어 추정하였으며, 각 지역별로 사업계획에 따른 동사제품 취급 교정전문의 수를 추정하고, 해당 교정전문의 수에 따라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 수 및 Case 당 판매 납품단가를 고려하여 매출액을 추정하였습니다. (1) SMA 관련 북미 매출
[북미 지역의 SMA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건,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북미 | 연도말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명) | 50 | 100 | 150 |
연평균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명) | 25 | 75 | 125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 수(건) | 95 | 95 | 95 | |
SMA 매출액 | 2,375 | 7,125 | 11,875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평균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앞서 형상기억소재 제품의 북미 지역 매출 추정가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북미 지역의 SMA 매출의 경우 최종수요자(End-user)인 교정전문의의 도입 방식에 따라 형상기억소재 또는 SMA 제품의 매출이 동시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북미 지역 형상기억소재 제품 매출 시 기재한 바와 같은 전략으로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모집할 예정이며, 형상기억소재를 취급하는 원내생산모델의 교정전문의 모집과 SMA 제품을 취급하는 주문생산 모델의 교정전문의 모집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2025년도에는 잠재적 교정전문의(Orthodontist) 고객군을 고려하여 원내생산모델 40명, 주문생산모델 5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6년도에는 핵심 연자의 네트워크 기반 잠재적 교정전문의 고객군과 북미 지역 유통회사 Dentcore 및 US Dental 등의 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원내생산모델 95명, 주문생산모델 10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후 2027년도까지는 서부지역 등의 타 지역 확장과 메디트사와의 파트너쉽 계약을 토대로 메디트 사의 영업망 기준의 잠재적 교정전문의 고객군 약 1,000명의 절반인 500명의 누적 교정의 수 확보를 계획하고 있으나,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약 50% 수준인 250명(원내생산모델 100명, 주문생산모델 150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확보를 사업계획상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매출 추정에 반영하였습니다. 한편, SMA를 취급하는 주문생산모델의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 수는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연간 95 Case 수를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2) SMA 관련 한국 매출
[한국 지역의 SMA 추정 매출액] |
(단위: 명, 건, 백만원) |
지역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한국 | 연도말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명) | 43 | 63 | 83 |
연평균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명) | 32 | 53 | 73 | |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 수(건) | 25 | 32 | 39 | |
SMA 매출액 | 772 | 1,673 | 2,818 |
주1) | 매출액 산출을 위한 상세 산식을 기재할 경우 판매단가 노출 위험이 있어 결과값만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평균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는 전년도말과 당년도말의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한국시장에서는 형상기억소재 시장의 현황과 유사하게, 한국 내 핵심 연자를 확보하여 커뮤니티 그룹 운영 및 세미나 그룹과 학회 활동을 통하여 동사 제품의 인지도를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주문생산방식으로 SMA를 주문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그래피 팀즈"를 출시 후에 SMA 도입 교정전문의 수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말 현재, 동사의 SMA 주문을 위한 "그래피 팀즈" 가입 거래처 수는 243개이며, 24년말 대한민국 교정전문의 수는 약 1,600명으로 추정(대한치과교정학회)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는 한국의 약 15.6%의 교정전문의가 동사의 SMA를 도입한 것으로 추정(단독 또는 타교정장치와 병행 도입)됩니다.
이에 따라 한국 지역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는 2025년까지 과거 추세 및 국내 영업팀의 잠재고객리스트를 고려하여 2025년 43명의 누적 교정전문의 수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사업계획에 따라 증가함을 가정하고, 이후 2026년부터는 과거 모집추세를 고려하여 매년 20명의 신규 교정전문의가 증가하는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교정전문의 1인당 연간 취급 Case 수는 국내투명교정시장의 현 정착상황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약 10년 후인 2035년에 투명교정시장 주요업체인 경쟁사 1인당 연간 취급 Case수(Source: SEC EDGAR, Align Technology사 공시자료 10-K)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간 95 Case 수를 점진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가의 경우 공식 유통회사(Dealer) 가격 기준으로 추정하였습니다.
4) SMA 로봇 시스템 관련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SMA 로봇 시스템 관련 제품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생산 및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공정자동화로봇으로, 24시간 자동 생산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품질의 정교한 완성품을 균일하게 지속 생산한다는 특징을 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SMA 로봇 시스템 관련 매출은 교체주기에 따른 재구매를 가정하지 않고 동사의 과거 신규 교정전문의 당 구매대수(구매율)이 향후 3년간 유지됨을 가정하되, 앞서 장비매출 추정 가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의 증가에 따라 연동되어 신규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매출규모를 추정하였습니다.
[SMA 로봇 시스템 매출 추정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매출액 | 383 | 1,109 | 927 | 373 |
5) 상품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상품매출은 3D 프린터, 구강스캐너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사가 취급하는 3D 프린터 상품은 동사의 3D 프린팅 소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3D 프린팅 제품을 생산(출력)하는 기기입니다. 한편, 동사가 취급하는 구강스캐너 상품은 투명교정 등 치과진료를 목적으로 구강구조를 3D모델링하는 기기입니다. 3D 프린터 상품매출은 교체주기에 따른 재구매를 가정하지 않고 동사의 과거 신규 교정전문의 당 구매대수(구매율)이 향후 3년간 유지됨을 가정하되, 앞서 장비매출 추정 가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소재 취급 교정전문의 수의 증가에 따라 연동되어 신규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매출규모를 추정하였습니다. 구강스캐너 상품매출은 향후 3년간 시장성장률(세계 치과수복재시장 2023-2025 CAGR 7.3%, Source: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 기타 매출의 경우 보수적인 관점에서 기 발생한 매출 외에는 향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상품매출 추정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3D 프린터 | 3,256 | 4,274 | 3,572 | 1,439 |
구강스캐너 | 2,471 | 2,651 | 2,845 | 3,052 |
기타 | 149 | - | - | - |
합 계 | 5,876 | 6,925 | 6,416 | 4,492 |
6) 기타 매출 추정 및 근거 동사의 기타 매출은 치과진료 관련 교육매출 및 운송료매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타 매출은 향후 3년간 시장성장률(세계 치과수복재시장 2023-2025 CAGR 7.3%, Source: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참고] 매출액 추정에 반영된 가정의 실현 여부에 따른 시나리오별 추정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Best Case Best Case는 동사의 북미(신시장) 공략을 통한 매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동사가 계획중인 SMA 제품 취급 교정전문의 수가 100% 달성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추정하였습니다.
[Best Case 추정 손익계산서]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매출액 | 28,909 | 49,072 | 67,417 |
매출원가 | 12,403 | 15,389 | 17,054 |
매출총이익 | 16,506 | 33,684 | 50,362 |
판매비와관리비 | 16,847 | 18,319 | 19,676 |
영업이익 | (341) | 15,365 | 30,686 |
영업외비용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1,024) | 14,682 | 30,003 |
법인세비용 | - | - | 2,627 |
당기순손익 | (1,024) | 14,682 | 27,376 |
주1) | 비교가능성 제고를 위해, Best Case와 Worst Case의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추정시 매출액에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비용을 제외한 고정비, 감가상각비, 인력채용에 따른 인건비 등은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추정하였습니다. Best Case에 사용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세부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Best Case 매출원가 세부내역]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비고 |
---|---|---|---|---|
매출원가 | ||||
1. 제품 매출원가 | 6,769 | 9,963 | 12,695 | |
1) 소재 매출원가 | 2,403 | 3,947 | 5,22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원재료비 | 814 | 1,491 | 2,119 | |
인건비 | 839 | 1,203 | 1,591 | |
변동비 | 527 | 966 | 1,374 | |
고정비 | 44 | 45 | 46 | |
유무형상각비 | 179 | 242 | 94 | |
2) 장비 매출원가 | 2,422 | 2,523 | 2,888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원재료비 | 1,328 | 1,367 | 1,681 | |
인건비 | 423 | 438 | 454 | |
변동비 | 455 | 468 | 576 | |
고정비 | 125 | 127 | 130 | |
유무형상각비 | 90 | 122 | 47 | |
3) SMA 매출원가 | 1,068 | 2,761 | 4,289 | SMA 매출액에 연동 |
4)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 | 876 | 732 | 295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2. 상품 매출원가 | 4,868 | 4,603 | 3,477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3. 기타 매출원가 | 767 | 823 | 88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합계 | 12,403 | 15,389 | 17,054 |
[Best Case 판매비와관리비 세부내역]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비고 |
---|---|---|---|---|
인건비 | 5,908 | 6,157 | 6,57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경상연구개발비 | 4,127 | 4,221 | 4,32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변동비 | 767 | 1,242 | 1,707 | 매출액에 연동 |
고정비 | 4,823 | 5,895 | 5,98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유무형상각비 | 776 | 739 | 1,02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대손상각비 | 445 | 64 | 6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합계 | 16,847 | 18,319 | 19,676 |
2) Normal Case - 공모가 산정 반영안 Best Case는 동사의 북미(신시장) 동사 SMA 제품 취급 교정전문의 수가 Best Case 대비 50%만큼만 달성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상기 가정을 통한 수치는 동사의 공모가 산정시 반영된 수치입니다.
[Normal Case 추정 손익계산서]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F) | 2027년(E) |
매출액 | 26,534 | 41,947 | 55,542 |
매출원가 | 11,944 | 14,153 | 15,137 |
매출총이익 | 14,590 | 27,794 | 40,404 |
판매비와관리비 | 16,786 | 18,138 | 19,376 |
영업이익 | (2,196) | 9,656 | 21,029 |
영업외비용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2,879) | 8,973 | 20,346 |
법인세비용 | - | - | - |
당기순손익 | (2,879) | 8,973 | 20,346 |
주1) | 비교가능성 제고를 위해, Normal Case와 Worst Case의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추정시 매출액에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비용을 제외한 고정비, 감가상각비, 인력채용에 따른 인건비 등은 Best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추정하였습니다. Normal Case에 사용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세부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3) Worst Caseㄴ Worst Case는 동사의 북미(신시장) 동사 SMA 제품 취급 교정전문의 수가 Best Case 대비 25%만큼만 달성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추정하였습니다.
[Worst Case 추정 손익계산서]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F) | 2027년(E) |
매출액 | 25,346 | 38,385 | 49,604 |
매출원가 | 11,714 | 13,535 | 14,179 |
매출총이익 | 13,632 | 24,850 | 35,425 |
판매비와관리비 | 16,756 | 18,048 | 19,225 |
영업이익 | (3,124) | 6,801 | 16,200 |
영업외비용 | (683) | (683) | (68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3,807) | 6,119 | 15,517 |
법인세비용 | - | - | - |
당기순손익 | (3,807) | 6,119 | 15,517 |
주1) | 비교가능성 제고를 위해, Best Case와 Worst Case의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추정시 매출액에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비용을 제외한 고정비, 감가상각비, 인력채용에 따른 인건비 등은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추정하였습니다. Worst Case에 사용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세부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Worst Case 매출원가 세부내역]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비고 |
---|---|---|---|---|
매출원가 | - | |||
1. 제품 매출원가 | 6,080 | 8,110 | 9,819 | - |
1) 소재 매출원가 | 2,403 | 3,947 | 5,22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원재료비 | 814 | 1,491 | 2,119 | - |
인건비 | 839 | 1,203 | 1,591 | - |
변동비 | 527 | 966 | 1,374 | - |
고정비 | 44 | 45 | 46 | - |
유무형상각비 | 179 | 242 | 94 | - |
2) 장비 매출원가 | 2,422 | 2,523 | 2,888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원재료비 | 1,328 | 1,367 | 1,681 | - |
인건비 | 423 | 438 | 454 | - |
변동비 | 455 | 468 | 576 | - |
고정비 | 125 | 127 | 130 | - |
유무형상각비 | 90 | 122 | 47 | - |
3) SMA 매출원가 | 379 | 908 | 1,414 | SMA 매출액에 연동 |
4)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 | 876 | 732 | 295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2. 상품 매출원가 | 4,868 | 4,603 | 3,477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3. 기타 매출원가 | 767 | 823 | 88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합계 | 11,714 | 13,535 | 14,179 | - |
[Worst Case 판매비와관리비 세부내역]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비고 |
---|---|---|---|---|
인건비 | 5,908 | 6,157 | 6,57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경상연구개발비 | 4,127 | 4,221 | 4,32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변동비 | 677 | 972 | 1,256 | 매출액에 연동 |
고정비 | 4,823 | 5,895 | 5,983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유무형상각비 | 776 | 739 | 1,02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대손상각비 | 445 | 64 | 64 | Normal Case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
합계 | 16,756 | 18,048 | 19,225 | - |
(나) 매출원가 추정동사의 제품 매출원가는 소재 매출원가(원재료비, 인건비, 변동비, 고정비 및 유무형상각비로 구성), 장비 매출원가(원재료비, 인건비, 변동비, 고정비 및 유무형상각비로 구성), SMA 매출원가 및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과투명교정소재 특성상 제품크기가 작고, 기술집약적인 제품으로 제품 1개당 투입되는 재료는 매우 소량이며 제품당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입니다. 동사는 3D 프린팅에 최적화된 올리고머 자체 설계 및 합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사 대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상품 매출원가의 경우, 외주로 상품을 제조하고 있음에 따라, 상품 매입가격을 매출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 매출원가는 치과진료 관련 교육매출 및 운송료매출에 대한 원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출원가 추정]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매출원가 | ||||
1. 제품 매출원가 | 3,347 | 6,310 | 8,727 | 10,778 |
1) 소재 매출원가 | 1,096 | 2,403 | 3,947 | 5,223 |
원재료비 | 423 | 814 | 1,491 | 2,119 |
인건비 | 443 | 839 | 1,203 | 1,591 |
변동비 | 196 | 527 | 966 | 1,374 |
고정비 | 43 | 44 | 45 | 46 |
유무형상각비 | 129 | 179 | 242 | 94 |
재고차이 | (139) | - | - | - |
2) 장비 매출원가 | 2,251 | 2,422 | 2,523 | 2,888 |
원재료비 | 1,618 | 1,328 | 1,367 | 1,681 |
인건비 | 404 | 423 | 438 | 454 |
변동비 | 833 | 455 | 468 | 576 |
고정비 | 124 | 125 | 127 | 130 |
유무형상각비 | 52 | 90 | 122 | 47 |
재고차이 | (780) | - | - | - |
3) SMA 매출원가 | - | 609 | 1,526 | 2,372 |
4)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 | - | 876 | 732 | 295 |
2. 상품 매출원가 | 4,497 | 4,868 | 4,603 | 3,477 |
3. 기타 매출원가 | 715 | 767 | 823 | 883 |
합계 | 8,559 | 11,944 | 14,153 | 15,137 |
1. 제품 매출원가1) 원재료비 추정원재료비는 동사가 생산하는 형상기억소재와 질소경화기 및 잔여레진장치 모두 원가 비중에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3년부터 2024년까지의 매출액 대비 평균 재료 투입원가 비중이 향후 3개년간 동일하게 발생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제품 재료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소재 | 소재 매출액 | 12,421 | 22,760 | 32,353 |
재료비 비중 | 6.5% | 6.5% | 6.5% | |
소재 재료비 | 814 | 1,491 | 2,119 | |
장비 | 장비 매출액 | 2,238 | 2,303 | 2,832 |
재료비 비중 | 59.3% | 59.3% | 59.3% | |
장비 재료비 | 1,328 | 1,367 | 1,681 | |
원재료비 | 2,142 | 2,857 | 3,800 |
2) 인건비 추정
동사 제조원가 중 인건비는 소재 생산을 위한 원료배합, 재료 용융부터 열처리 공정까지 수행하는 소재 생산 및 품질 담당 인력과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장치 등 장비 생산을 담당하는 장비 생산 및 품질 담당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 동사는 본사 및 천안 공장까지 운영하여 약 15명의 생산 및 품질인력이 근무중에 있으며, 향후 소재 판매 증대에 따라 소재 관련 신규 인력 확충을 진행할 계획이며, 그에 따른 생산인력 및 인건비 관련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장기 인력계획 및 평균인건비] |
(단위: 명, 백만원, %) |
구분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인원수 | 평균인건비 | 인원수 | 평균인건비 | 인원수 | 평균인건비 | 인원수 | 평균인건비 | |
임금인상률 | - | 2.8% | 3.6% | 3.5% | ||||
소재 생산,품질(매출원가) | 7 | 63 | 13 | 65 | 18 | 67 | 23 | 69 |
장비 생산,품질(매출원가) | 7 | 58 | 7 | 60 | 7 | 63 | 7 | 65 |
사무,영업(판매비와관리비) | 58 | 91 | 62 | 95 | 65 | 95 | 68 | 97 |
연구개발(판매비와관리비) | 20 | 75 | 20 | 77 | 20 | 79 | 20 | 82 |
합계 | 92 | 82 | 102 | 85 | 110 | 85 | 118 | 87 |
[제품 매출원가 - 인건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소재 | 급여 | 678 | 972 | 1,286 |
퇴직급여 | 56 | 81 | 107 | |
복리후생비 | 105 | 150 | 198 | |
소재 인건비 | 839 | 1,203 | 1,591 | |
장비 | 급여 | 356 | 369 | 382 |
퇴직급여 | 30 | 31 | 32 | |
복리후생비 | 37 | 38 | 40 | |
장비 인건비 | 423 | 438 | 454 | |
인건비 | 1,262 | 1,641 | 2,045 |
[인건비 적용방법] |
적용률 근거 |
인건비는 동사의 중장기 인력계획을 산정하여 2024년 소재 및 장비 생산품질, 사무영업, 연구개발 인력의 평균인건비를 반영하였습니다. 2024년도 평균인건비를 기준으로 매년 1인당 평균인건비는 EIU 제시 국내 명목임금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
3) 변동비 추정외주가공비 및 소모품비는 재고성 매입품목이 존재함에 따라 2023년부터 2024년까지의 소재 및 장비 매출액 대비 각 계정별 비용 발생 비율을 산정한 후, 향후 3개년 동안 동일한 비율로 발생할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지급수수료 및 운반비는 2024년 소재 및 장비 매출액 대비 각 계정별 비용 발생 비율을 산정한 후 향후 3개년 동안 동일한 비율로 발생할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항목 | 매출액 대비 비중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
소재 | 외주가공비 | 1.8% | 229 | 420 | 597 |
지급수수료 | 0.7% | 85 | 156 | 221 | |
운반비 | 0.0% | 1 | 1 | 2 | |
소모품비 | 1.7% | 213 | 389 | 554 | |
소재 변동비 | 527 | 966 | 1,374 | ||
장비 | 외주가공비 | 13.4% | 300 | 309 | 380 |
지급수수료 | 0.4% | 9 | 9 | 11 | |
운반비 | 0.7% | 15 | 15 | 18 | |
소모품비 | 5.9% | 132 | 135 | 166 | |
장비 변동비 | 455 | 468 | 576 | ||
변동비 | 983 | 1,435 | 1,950 |
4) 고정비 추정고정비는 2024년의 평균 발생액에서 매년 EIU 제시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여비교통비 | 77 | 78 | 79 |
접대비 | 7 | 7 | 7 |
통신비 | 1 | 1 | 1 |
수도광열비 | 4 | 4 | 4 |
세금과공과금 | 2 | 2 | 2 |
지급임차료 | 29 | 29 | 30 |
수선비 | 3 | 4 | 4 |
보험료 | 11 | 11 | 11 |
차량유지비 | 6 | 6 | 7 |
도서인쇄비 | 1 | 1 | 1 |
사무용품비 | 9 | 9 | 9 |
건물관리비 | 21 | 21 | 21 |
고정비 | 170 | 172 | 175 |
5) 감가상각비 추정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감가상각비-기존 설비 | |||
건물 | 37 | 37 | 37 |
기계장치 | 44 | 17 | - |
차량운반구 | 8 | 4 | 4 |
공구와기구 | 46 | 46 | 46 |
비품 | 3 | 2 | 1 |
시설장치 | 1 | 1 | 1 |
소계 | 138 | 107 | 88 |
감가상각비-신규 투자 | |||
신규 투자 | 131 | 258 | 53 |
합계 | 269 | 364 | 141 |
동사는 2025년 중 신규 시장(북미) 진출을 위하여 약 20억원의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신규설비(기계장치) 외에는 과거 동사의 생산실적 및 현황을 고려하여, 현재 보유한 설비만으로도 동사가 계획하고 있는 소재 및 장비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계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자산의 2025년, 2026년, 2027년의 신규 투자계획은 감가상각비 수준의 재투자를 가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건물 | 190 | 192 | 197 |
기계장치 | 2,108 | 285 | 484 |
차량운반구 | 8 | 8 | 6 |
공구와기구 | 86 | 82 | 85 |
비품 | 28 | 24 | 17 |
시설장치 | 193 | 205 | 77 |
사용권자산 | - | 43 | 95 |
합계 | 2,613 | 839 | 962 |
주1) |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및 시설장치 투자의 경우 기존 유형자산 상각비의 제조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 배부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제조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에 반영하였으며, 사용권자산의 경우 판매비와관리비에 반영하였습니다. |
6) 재고차이 추정재고차이는 향후 발생하지 않을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7) SMA 매출원가 추정동사가 판매하는 SMA는 소재 매출원가와 동일한 원가율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SMA 매출액 | 3,147 | 8,798 | 14,693 |
원가율 | 19.3% | 17.3% | 16.1% |
SMA 매출원가 | 609 | 1,526 | 2,372 |
8)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
동사가 판매하는 SMA 로봇 시스템은 2024년의 매출액 대비 원가율이 향후 3개년동안 유지될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SMA 로봇 시스템 매출액 | 1,109 | 927 | 373 |
원가율 | 78.9% | 78.9% | 78.9% |
SMA 로봇 시스템 매출원가 | 876 | 732 | 295 |
2. 상품 매출원가동사가 판매하는 상품은 3D 프린터, 구강스캐너로 구성되며, 2024년의 각 상품별 원가율이 향후 3개년간 유지될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항목 | 매출액 대비 비중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3D 프린터 | 61.1% | 2,611 | 2,182 | 879 |
구강스캐너 | 85.1% | 2,256 | 2,421 | 2,598 |
상품 매출원가 | 4,868 | 4,603 | 3,477 |
3. 기타 매출원가기타 매출원가는 치과진료 관련 교육매출 및 운송료매출에 대한 원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송료매출에 대한 비용이 포함되어, 매출액보다 매출원가가 더 높습니다. 기타 매출원가는 2024년의 기타 매출 대비 원가율이 향후 3개년간 유지될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항목 | 매출액 대비 비중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기타 매출 | 110.6% | 767 | 823 | 883 |
(다) 판매비와관리비 추정동사 판매비와관리비 추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그래피 판매비와관리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인건비 | 5,908 | 6,157 | 6,574 |
경상연구개발비 | 4,127 | 4,221 | 4,324 |
변동비 | 707 | 1,062 | 1,406 |
고정비 | 4,823 | 5,895 | 5,983 |
유무형상각비 | 776 | 739 | 1,024 |
대손상각비 | 445 | 64 | 64 |
합계 | 16,786 | 18,138 | 19,376 |
1) 인건비 추정동사의 중장기 인력계획에 2024년 사무, 영업 인력의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주식보상비용 평균급여액을 적용하였으며, 평균급여액은 매년 EIU 제시 국내 명목임금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그래피 인건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급여 | 4,146 | 4,554 | 4,931 | 5,324 |
퇴직급여 | 272 | 410 | 443 | 477 |
복리후생비 | 603 | 662 | 717 | 774 |
주식보상비용 | 215 | 283 | 67 | - |
합계 | 5,236 | 5,908 | 6,157 | 6,574 |
주1) 인건비에 대한 추정 세부내역은 "나)매출원가 추정 - 2)인건비 추정"을 참조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2) 경상연구개발비 추정
동사의 중장기 인력계획에 2024년 연구개발 인력의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평균 급여액을 적용하였으며, 평균급여액은 매년 EIU 제시 국내 명목임금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연구용역비 및 행사 관련 비용은 EIU 제시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연구개발인력 및 연구용역비의 계획과 관련하여 동사는 형상기억소재(TA-28 및 TC-85 등) 주요 제품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과거 소재합성 기술에 관한 충분한 기술 등 개발시스템을 이미 구축함에 따라, 추가적인 신규 제품 개발에 필요한 인력 충원과 연구용역비용의 지출은 제한적이므로 물가상승률 수준의 비용 증가를 가정하였습니다. 한편, 행사 관련 경상연구개발비는 주로 동사의 주요 연자에게 지급하는 강의료, 연설료 및 컨설팅비용 등으로 행사 참여에 따라 지급하는 비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행사의 특성 상 물리적인 제약(행사 참여일정이 월 평균 2~3개로 행사당 5일 소요)과 과거 동사의 행사 참석 추이(2023년 50개 및 2024년 76개, 전세계적으로 고르게 주요 행사를 이미 거의 빠짐없이 참석)를 고려하였을 경우, 결론적으로 동사가 참석하는 해외박람회 등의 행사들은 정형화 되어있으며 추가적인 증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 수준의 비용 증가를 가정하였습니다.
[(주)그래피 경상연구개발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급여 | 1,388 | 1,415 | 1,466 | 1,517 |
퇴직급여 | 91 | 118 | 122 | 126 |
주식보상비용 | 26 | - | - | - |
연구용역비 | 1,298 | 1,317 | 1,337 | 1,361 |
행사 관련 | 1,258 | 1,277 | 1,296 | 1,320 |
합계 | 4,061 | 4,127 | 4,221 | 4,324 |
주1) | 인건비에 대한 추정 세부내역은 "나)매출원가 추정 - 2)인건비 추정"을 참조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주2) | 연구개발인력의 복리후생비는 같은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된 계정인 복리후생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3) 변동비 추정
변동비는 2024년의 매출액 대비 각 계정별 비율을 산정한 후, 향후 3개년 동안 동일한 비율로 발생할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판매수수료는 일본 내 거래처에 판매하는 매출과 관련된 수수료로, 판매단가 및 수수료율 계약 변경에 따라 향후 발생하지 않을 것을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그래피 변동비 추정] |
(단위: 백만원) |
항목 | 매출액 대비 비중 | 2024년(E) | 2025년(E) | 2026년(E) |
---|---|---|---|---|
운반비 | 1.4% | 377 | 596 | 789 |
견본비 | 1.1% | 295 | 466 | 617 |
판매수수료 | 40.7% (주1) | 35 | - | - |
합계 | 707 | 1,062 | 1,406 |
주1) | 기존 판매수수료는 일본에 판매하는 소재 매출액에 대해서만 발생하며, 판매수수료율은 일본 소재 매출액 대비 판매수수료율을 나타냅니다. |
4) 고정비 추정고정비는 2024년의 평균 발생액에서 매년 EIU 제시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광고선전비는 기존 지출내역 외에 신규 진출 지역인 북미 지역에 2026년부터 매년 10 억원의 광고선전비를 추가 지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접대비 | 222 | 225 | 229 |
통신비 | 5 | 5 | 5 |
수도광열비 | 3 | 3 | 3 |
세금과공과금 | 68 | 69 | 71 |
지급임차료 | 91 | 92 | 94 |
수선비 | 8 | 8 | 8 |
보험료 | 1 | 1 | 1 |
차량유지비 | 30 | 30 | 31 |
교육훈련비 | 4 | 4 | 4 |
도서인쇄비 | 5 | 5 | 5 |
사무용품비 | 78 | 79 | 80 |
소모품비 | 247 | 250 | 255 |
건물관리비 | 80 | 82 | 83 |
광고선전비 | 1,963 | 2,993 | 3,029 |
여비교통비 | 1,157 | 1,174 | 1,196 |
지급수수료 | 862 | 875 | 891 |
합계 | 4,823 | 5,895 | 5,983 |
5) 상각비(판매비와관리비) 추정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
감가상각비-기존 설비 | |||
건물 | 153 | 153 | 153 |
기계장치 | 31 | 17 | 2 |
공구와기구 | 27 | 14 | 3 |
비품 | 18 | 7 | 2 |
시설장치 | 185 | 18 | 11 |
소계 | 414 | 208 | 172 |
감가상각비-신규 투자 | |||
신규 투자 | 114 | 294 | 631 |
사용권자산상각비 | |||
사용권자산 | 117 | 119 | 121 |
무형자산상각비 | |||
무형자산 | 132 | 118 | 100 |
합계 | 776 | 739 | 1,024 |
주1) | 감가상각비 추정에 대한 세부내역은 "나)매출원가 추정 - 5)감가상각비 추정"을 참조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주2) | 사용권자산상각비의 경우 EIU 제시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 만큼 리스상각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
(라) 영업외손익 추정동사의 영업외손익은 차입금으로 인한 이자비용 비중이 매우 높으며, 24년 말 차입금 수준이 유지됨을 가정하여 약 6.9억 가량의 이자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영업외손익에 반영되는 외화환산에 대한 손익비용은 미래 손익 비중을 예측하기 어려움에 따라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마) 법인세비용 추정동사는 2026년부터 세전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지속적인 손실 발생으로 인해 추정기간 내 공제 가능한 이월결손금 누적액은 약 310억원입니다.
(단위: 백만원) |
회계연도 | 이월결손금 발생액 | 이월결손금 누적액 |
2019 | 937 | 937 |
2020 | 3,117 | 4,054 |
2021 | 5,004 | 9,057 |
2022 | 7,283 | 16,340 |
2023 | 6,979 | 23,319 |
2024 | 7,667 | 30,986 |
향후 실적 추정에 따라 이월결손금 공제 후 누적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당기순손실로 누적되는 이월결손금은 2025년, 2026년, 2027년 추정 법인세 차감전 손익을 초과하는 바, 이월결손금 공제에 따라 2025년, 2026년, 2027년 추정 법인세 차감전 손익 전액에 대한 이월결손금 공제로 추정 기간 동안 법인세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당기순이익(손실) | 이월결손금 누적액 |
2024년 누적액 | - | 30,986 |
2025(E) | (2,879) | 33,864 |
2026(E) | 8,973 | 24,891 |
2027(E) | 20,346 | 4,545 |
바. 기상장기업과의 비교참고 정보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주)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주)그래피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업종유사성, 사업유사성, 영업성과 시현, 비교가능성, 평가결과 유의성 검토 등을 통해 3개 기업(Align Technology Inc, Straumann Holding AG, Modern Dental Group Ltd)을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다만, 상기의 비교기업들은 일정수준의 사업구조, 시장점유율, 주력 제품, 성장성, 영업 환경, 인력수준, 재무안정성, 경영전략 등에서 (주)그래피와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비교 참고정보를 토대로 투자의사 결정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비교기업의 주요 재무현황
[(주)그래피 및 비교기업 2025년 1분기 요약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주)그래피 | Align Technology Inc |
---|---|---|
유동자산 | 7,363 | 3,541,167 |
비유동자산 | 10,658 | 5,455,854 |
자산총계 | 18,021 | 8,997,021 |
유동부채 | 17,593 | 2,935,135 |
비유동부채 | 305 | 468,261 |
부채총계 | 17,897 | 3,403,397 |
자본금 | 4,515 | 10 |
자본총계 | 124 | 5,593,625 |
매출액 | 2,274 | 1,422,395 |
영업이익(손실) | (3,636) | 190,425 |
당기순이익(손실) | (3,810) | 135,418 |
주1) | 자료: (주)그래피 2025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검토보고서, Bloomberg |
주2) | 연결재무제표 작성 법인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은 지배주주귀속 당기순이익입니다. |
주3)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5년 1분기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주)그래피 및 비교기업 2024년 요약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주)그래피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 | Modern Dental Group Ltd |
---|---|---|---|---|
유동자산 | 11,155 | 3,685,199 | 2,479,746 | 332,835 |
비유동자산 | 10,832 | 5,503,398 | 3,414,579 | 442,797 |
자산총계 | 21,987 | 9,188,597 | 5,894,325 | 775,632 |
유동부채 | 17,804 | 3,013,325 | 1,536,133 | 110,069 |
비유동부채 | 326 | 479,920 | 1,029,431 | 146,761 |
부채총계 | 18,130 | 3,493,244 | 2,565,564 | 256,830 |
자본금 | 4,514 | 10 | 2,598 | 13,927 |
자본총계 | 3,857 | 5,695,352 | 3,328,760 | 518,802 |
매출액 | 16,125 | 5,456,170 | 3,879,921 | 588,242 |
영업이익(손실) | (9,170) | 829,034 | 931,282 | 104,412 |
당기순이익(손실) | (32,664) | 574,898 | 601,715 | 71,344 |
주1) | 자료: 각사 공시자료, Bloomberg |
주2) | 연결재무제표 작성 법인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은 지배주주귀속 당기순이익입니다. |
주3)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2024년 말 시점 환율이 적용된 원화(KRW) 환산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2) 비교기업의 주요 재무비율
[(주)그래피 및 비교기업 2025년 1분기 기준 주요 재무비율] |
(단위: %, 회) |
구 분 | 비 율 | (주)그래피 | Align Technology Inc |
---|---|---|---|
성장성 | 매출액 증가율 | 83.4% | 7.2% |
영업이익 증가율 | 적자 시현 | -7.1%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적자 시현 | -3.1% | |
총자산 증가율 | -18.0% | -2.1% | |
활동성 | 총자산 회전율 | 0.9회 | 0.6회 |
재고자산 회전율 | 7.6회 | 14.7회 | |
매출채권 회전율 | 4.9회 | 4.0회 | |
수익성 | 매출액 영업이익률 | 적자 시현 | 13.4% |
매출액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9.5% | |
총자산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1.5% | |
자기자본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2.4% | |
안정성 | 부채비율 | 14,447.0% | 60.8% |
차입금의존도 | 75.4% | 3.1% | |
유동비율 | 41.9% | 120.6% |
주1) | (주)그래피의 당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음수인 바, '적자 시현'으로 표기하였습니다. |
주2) | 성장성 지표에서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경우 2025년 1분기 대비 수치에 해당합니다. 총자산의 경우 2024년 말 대비 수치에 해당합니다. |
주3) | 활동성 지표에서의 매출액은 2025년 1분기 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그래피 및 비교기업 2024년 기준 주요 재무비율] |
(단위: %, 회) |
구 분 | 비 율 | (주)그래피 | Align Technology Inc | Straumann Holding AG | Modern Dental Group Ltd |
---|---|---|---|---|---|
성장성 | 매출액 증가율 | 54.3% | 8.1% | 17.1% | 11.1% |
영업이익 증가율 | 적자 시현 | -1.4% | 7.0% | 13.3%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적자 시현 | -1.1% | 68.1% | 5.8% | |
총자산 증가율 | -1.0% | 16.5% | 14.9% | 18.3% | |
활동성 | 총자산 회전율 | 0.7회 | 0.6회 | 0.7회 | 0.8회 |
재고자산 회전율 | 9.3회 | 14.5회 | 6.1회 | 19.7회 | |
매출채권 회전율 | 4.5회 | 4.0회 | 5.4회 | 5.5회 | |
수익성 | 매출액 영업이익률 | 적자 시현 | 15.2% | 24.0% | 17.7% |
매출액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10.5% | 15.5% | 12.1% | |
총자산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6.7% | 10.9% | 10.0% | |
자기자본 순이익률 | 적자 시현 | 11.1% | 19.5% | 14.9% | |
안정성 | 부채비율 | 470.0% | 61.3% | 77.1% | 49.5% |
차입금의존도 | 62.1% | 3.1% | 23.0% | 33.9% | |
유동비율 | 62.7% | 122.3% | 161.4% | 302.4% |
주1) | (주)그래피의 당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음수인 바, '적자 시현'으로 표기하였습니다. |
[재무비율 산정방법] |
구 분 | 산 식 | 설 명 |
[안정성 비율] | ||
유동비율 | 당기말 유동자산 ──────── ×100당기말 유동부채 | 유동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 즉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여신취급시 수신자의 단기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은행가비율(Banker's ratio)이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부채비율 | 당기말 총부채 ──────── ×100당기말 자기자본 | 타인자본과 자기자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지표로서 일반적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은 여신자 측에서 채권회수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것이며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단기적 채무변제의 압박을 받지않는 한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존도 | 당기말 차입금 등 ──────── ×100당기말 총자본 | 총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
[수익성 비율] | ||
매출액 영업이익률 | 당기 영업이익 ─────── ×100당기 매출액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제조 및 판매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영업외손익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만을 매출액과 대비한것으로 영업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가 높을수록 매출액이 증가할 때의 영업이익의 증가폭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영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
매출액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 ×100당기 매출액 | 매출액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 또한 영업으로 인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출총이익률, 매출 경상이익률과 비교하여 기타 영업외 자금조달이나 부수활동을 통해 비효율적으로 누수될 수 있는 기업의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 ×100(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2 | 당기순이익의 총자산에 대한 비율로서 ROA(Return on Assets)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의 계획과 실적간 차이 분석을 통한 경영활동 평가나 경영전략 수립 등에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
자기자본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100(기초자기자본+기말자기자본)/2 | 자기자본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본 조달 특성에 따라 동일한 자산구성하에서도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자본구성과의 관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
[성장성 비율] | ||
매출액 증가율 | 당기매출액 ────── ×100 - 100전기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에 대한 당해연도 매출액의 증가율로서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경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 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가 됩니다. |
영업이익 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100 - 100전기영업이익 | 전년도 영업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영업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당기순이익 증가율 | 당기순이익 ─────── ×100 - 100전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당기순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 증가율 | 당기말총자산 ─────── ×100 - 100전기말총자산 | 기업에 투하 운용된 총자산이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성장척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활동성 비율] | ||
총자산 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2 | 총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에 투하한 총자산의 운용효율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재고자산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재고자산+기말재고자산)/2 | 재고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재고자산의 소진현황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매출채권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매출채권+기말매출채권)/2 | 매출채권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매출채권의 회수현황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2. 평가기관
구 분 | 증권회사(분석기관) | |
---|---|---|
회사명 | 고유번호 | |
대표주관회사 | KB증권㈜ | 00164876 |
공동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3. 평가의 개요 가.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사인 신한투자증권㈜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71조 및 동법 시행령 제68조에 의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수인을 상대로 한 모집ㆍ매출 등에 관여하는 인수회사로서, 발행인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등에 허위의 기재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사인 신한투자증권㈜은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적절한 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제정한 「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Due Diligence)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이라 한다)의 내용을 회사 내부 규정에 반영하여 2012년 02월 01일부터 제출되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증권신고서를 대상(자산유동화증권 등 제외)으로 기업실사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과 공동주관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기명식 보통주식 1,950,000주를 총액인수 및 모집하기 위하여 기업실사(Due-Diligence)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사의 지분증권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최근 3사업연도의 결산서와 감사보고서, 그리고 2025년 1분기의 검토보고서 등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동사가 속한 산업의 산업동향, 발행회사의 재무상태 및 사업성, 유사회사의 주가 등 주식가치에 미치는 중요한 사항을 분석하여 평가하였습니다.
나. 평가일정
구 분 | 일 시 |
공동주관계약 체결 | 2023년 10월 31일(대표주관사: KB증권㈜, 공동주관사: 신한투자증권㈜) |
기업실사 기간 | 2023년 10월 31일 ~ 2025년 07월 30일 |
상장예비심사 신청 | 2025년 01월 17일 |
상장예비심사 승인 | 2025년 06월 04일 |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6월 24일 |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7월 14일 |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7월 30일 |
다. 기업실사 이행상황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그래피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기업실사(Due-Diligence)를 실시하였으며, 동 기업실사의 참여자 및 일정, 실사내용 등 상세한 내용은 첨부서류인 「기업실사」에 기재하였으므로 해당 첨부서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기업실사결과 및 평가내용 가. 영업상황 (1)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치과 교정 시장
치과 교정 시장은 지난 130년 간 지속 성장해왔으며, 1997년 Align Technology社(브랜드명 'Invisalign')가 최초로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한지 약 27년이 지났습니다. 해당 제품의 출시 이후 투명교정장치는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 과정을 거쳤습니다. 전세계 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 규모 및 전망, 2015-2030(E)] |
(단위 : 십억 USD) |
|
자료: Angelalign, CIC Report,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치과 교정 시장의 성장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그중 핵심 요인은 '교정치료 환자수의 꾸준한 증가'입니다. 앞서 '주요 목표시장 및 특성'에서 기술하였듯 전세계 교정 시장 침투율을 보면 실제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인구는 2025년 기준 잠재교정환자 수의 약 4.5%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교정시장 침투율을 꾸준히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치아교정시장이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녔다는 것이며, 동시에 앞으로 교정치료 인구가 점차 증가할 것임을 뜻합니다. 전체 교정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교정 시장 내 '투명교정 시장' 역시 가파르게 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세계 교정 시장 침투율 현황] |
|
자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나) 투명 교정 시장
투명교정 시장은 '치과교정시장의 지속 성장'과 '치과교정시장 내 투명교정장치 사용비중 증가' 등 긍정적 시장환경에 힘입어 2030년까지 약 $45.8 Billion(약 60조 원)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는 '투명교정 시장'이 향후 수년 동안 연평균 13.6% 성장하여, 2030년에는 전체 교정 시장(약 150조 원)의 40%(약 60조 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임을 의미합니다.
[투명교정 시장 전망 및 전체 교정시장 내 비중] |
(단위 : 십억 달러, %) |
|
자료: Angelalign, CIC Report,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한편, Straumann Group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24년 투명교정시장 규모는 25조 원으로 추정되며, 당해 연도 투명교정 치료 환자수는 약 500만명으로 파악되는 바, 통상 교정 환자 1명이 지불하는 교정 치료 비용은 약 500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약 50%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Align Technology의 경우 치료비용이 약 500~600만 원 수준으로, '보다 저렴한 경쟁 제품이 많다는 점', '저렴하게 치료할 수 있는 교정 케이스도 많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1인당 교정치료 비용 500만 원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교정시장 규모 150조원에 예상 투명교정 점유율 40% 적용시 2030년 글로벌 예상 투명교정 환자수는 연간 약 1,200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를 바탕으로 동사가 추산한 2023년 및 2030년 전체 투명교정 시장 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투명교정 시장 현황 및 전망 요약] |
연도 | 항목 | 값 (근사값) | 비고 |
2023년 | 교정 시장규모 | 91조원 | (a) |
투명교정 시장비중 | 27.6% | (b) | |
투명교정 시장규모 | 25조원 | (c) = (a) * (b) | |
투명교정 환자수 | 500만명 | (d) | |
투명교정 치료비용 | 약 500만원 | (e) = (c) / (d) | |
2030년 | 교정 시장규모 | 150조원 | (f) |
투명교정 시장비중 | 40% | (g) | |
투명교정 시장규모 | 60조원 | (h) = (f) * (g) | |
투명교정 치료비용 | 약 500만원 | (i) = (e) | |
투명교정 환자수 | 1,200만명 | (j) = (h) / (i) |
자료: | 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글로벌 투명교정 최대 사업자인 Align Technology사의 지역별 판매 비중 추이와 지역별 투명교정기 출고 비중을 바탕으로 전체 투명교정시장의 지역별 특성을 추정하여 살펴보면, 현재 투명교정시장의 대부분의 매출은 북미(미국)에 집중되어 있고, 그 뒤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이 따르고 있으며, 투명교정장치의 출고비중 역시 북미 시장이 전체의 과반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Align Technology사 지역별 매출 추이 및 투명교정장치 출고 비중] |
|
자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주1) | '스위스'로 표기된 지역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 해당됨 (Align Technology의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담당 HQ가 스위스에 위치함) |
또한, 기타 지역(아시아, 남미 등)의 매출이 가파른 성장 추이를 보이는 것과 북미 외(유럽, 아시아, 중동, 남미 등) 출고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투명교정시장이 특정 시장(북미)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 높아진 소득 수준(구매력 증가) 등의 이유로 교정치료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결과이며, 실제로 투명교정 시장은 기존에 소외됐던 시장 또는 국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 치과용 수복재 시장
한편, 치과용 수복재 시장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이나 재료가 유통 · 공급되는 시장으로, 치아를 복원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재료들 예를 들어 치과용 3D프린팅 레진도 치과용 수복재 시장에 포함합니다. 치아를 채우는데 사용되는 복합 레진, 금속 재질의 보철물, 세라믹 재질의 보철물 등이 치과용 수복재에 속하며, 이는 치과에서 1)의치(Denture), 2)크라운&브릿지(Crown& Bridge), 3)임플란트(Implan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Dental Implants and Prosthetics Market'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치과용 수복재 시장은 CAD/CAM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실현하며 높은 성장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57.8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0.7% 성장하여 2027년 117.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의 경우 2020년 6,313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17.6% 성장하여 2027년에는 1조 9,638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영구치관용 레진(TC-80, BR-23)', '총의치 및 부분의치용 레진(THD, TFDH)' 등 다양한 치과용 수복재 제품들을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맞춤형 소재개발 역량은 동사의 치과용 수복재 레진들이 세계적으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지니게 해주었고, 이에 '다이렉트프린팅' 기술이 더해져 기존 금속, 세라믹, 티타늄 등으로 만들어지던 보철물과 달리 3D프린터로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갖게 하였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차별성과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치과용 수복재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준비중이며, 구체적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2) 시장 경쟁 현황
글로벌 투명 교정 시장은 현재 Align Technology의 Invisalign이 매년 200만 케이스 이상(2024년 기준 약 250만 케이스)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세계 투명교정환자수가 약 500만명(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발췌)으로 추정됨을 감안 하였을 때, Invisalign은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7년에는 Align Technology의 투명교정장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해당 시점을 전후로 다수의 후발주자들이 생겨났으며 현재의 투명교정시장은 Align Technology를 필두로 다수의 투명교정 기업들이 시장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중 기존의 치과기업이 투명교정장치를 자체 개발하거나 중소형 투명교정기업을 인수하여 투명교정 사업 역량을 키운 경우가 많았으며 2016년에는 Dentsply Sirona가 SureSmile이라는 자체 브랜드를 출시하였으며 2017년에는 Straumann Group이 ClearCorrect를 1억5천만 달러에 인수하여 투명교정시장에 진출, 2018년에는 Henry Schein과 3M이 각각 SLX Clear Aligner와 Clarity라는 자체 투명교정 브랜드를 출시, 같은 해에 Envista Holdings는 자회사 Ormco를 통해 Spark Clear Aligner라는 투명교정 브랜드를 출시하였습니다.국내 시장의 경우 치과용 임플란트 전문 기업인 ㈜덴티스가 지난 2021년 4월 자회사인 ㈜티에네스를 통해 투명교정장치인 Serafin Clear Aligner System을 출시한 바 있으며 임플란트 전문 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 또한 2022년 3월 매직얼라인이라는 브랜드의 투명교정장치를 출시한 바 있습니다. 그외 시스루테크㈜, ㈜오디에스 등 국내 기업이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투명 교정 시장은 현재 Align Technology의 Invisalign이 200만 케이스 이상(2024년 기준 약 250만 케이스, Align Technoloy Q4 and Fiscal 2024 Financial Results 발췌)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세계 투명교정환자수가 약 500만명(Straumann Group 2024 Annual Report 발췌)으로 추정됨을 감안 하였을 때, Align Technology는 글로벌 투명교정시장의 약 50%에 가까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많은 신규 기업 및 제품 출시에도 Align Technology가 20년에 걸쳐 투명교정 시장을 선도하고 구축했던 만큼 후발주자들의 투명교정장치는 기술적, 품질적 측면에서 Invisalign을 능가하지 못하여 낮은 시장점유율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주요 후발주자인 Straumann(ClearCorrect)은 2024 Annual Report에서 자체 시장점유율을 5% 미만으로 추정했으며, Angelalign Technology(Angel Aligner) 및 Envista(Ormco)의 Spark Clear Aligner 역시 시장점유율이 5%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국내 투명교정시장의 경우 성장기에 진입한 글로벌 시장과는 달리 아직 도입기 시장이며, 세계적인 인지도를 확보한 Invisalign을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는 아직 시장점유율을 크게 높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4년 Align Technology社의 국내법인인 인비절라인코리아(유)의 매출은 516억원으로 전년도인 2023년 매출액 363억원에 비해 약 42% 성장했습니다. Invisalign의 국내 투명교정시장 점유율이 90%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2024년 국내 투명교정시장은 매출액 기준 약 570억원 수준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Invisalign의 투명교정장치 제품 평균가격은 약 500~600만원으로, 2024년 한해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투명교정치료 케이스는 약 10,000건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아직 국내시장은 성장기에 진입하지 못한 시장으로 브랜드별 케이스 수 또는 시장점유율을 활용한 분석이 크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동사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경쟁력 (1) 제품 경쟁력 (가) 형상기억소재
동사는 자체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기업입니다. 동사는 설립 초기부터 3D프린팅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사는 3D프린팅 광경화성 소재의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D프린팅 제품에 가장 적합한 물성과 특성을 완벽히 충족하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는 노하우와 기술 특허를 축적하였습니다.동사 기술의 핵심은 올리고머에 대한 단순 '합성 기술'이 아닌 올리고머에 대한 '화학적 구조 설계 기술'에 있습니다. 즉, 반응기법 그 자체가 아닌 교정장치에 꼭 필요한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재료의 '설계도'를 그리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사의 구조설계 로직은 단순한 시행착오 기반의 노하우 축적이 아니라, '목표 물성 중심의 역설계 방식'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즉, 특정 용도에 필요한 기계적 특성(강도, 탄성, 투명도, 복원력 등)을 먼저 정의한 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올리고머 구조를 거꾸로 설계해 가는 방식입니다. 이처럼 수년간 수천 회의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조 설계 시스템은 단순히 한두 명의 인력이 반복해서 따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 물성을 목표로 하는 구조를 다시 예측·설계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후발주자가 단기간 내 모방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을 갖고 있습니다.동사는 이러한 소재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사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직접 3D프린팅이 가능하고 형상복원력이 뛰어난 형상기억 투명교정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단시간 내 높은 치료예측성과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고난도 치료 진행시에도 추가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높은 편의성과 심미성을 제공하여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기술경쟁력을 지니고 있습니다.이러한 기술경쟁력은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와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임상데이터를 분석한 각각의 논문상의 객관적 수치의 비교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발표한 임상 관찰 연구에서는 동사의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3D프린팅 방식으로 직접 제작하여, 치아이동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른 다기관 리뷰 논문에서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치아이동 효율성에 대한 생체역학적 관점의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두 연구는 각각의 목적은 상이하지만, 동일한 생체역학적 원리와 디지털 분석 구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두 연구 결과를 비교 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임상 연구 결과에 근거한 SMA얼라이너와 기존 열성형 얼라이너 비교 분석] |
항목 | 기존 열성형 얼라이너(주2) | 동사 SMA 얼라이너(주1) |
Torque 정밀도 | 낮음 (~50% 이하)(치아에 따라 변동 큼) | 67.6%(최대 100%, 평균 ±표준편차 포함) |
Tip 정밀도 | 불안정,root control 어려움 | 64.2% |
Rotation 정밀도 | 50~60% 수준(회전 각도 클수록 실패율 증가) | 72.0%(특정 소구치에서 98%) |
Transverse 정확도 | 56.18% (주3) | 99.6% |
재료적 안정성 및 Force 유지력 | Force Decay 심각 | 형상기억 응력 유지 |
Root Control (치아 뿌리) | 구조적 한계 존재 | 재현성 확보 가능성 |
주요 이동 유형 | Crown 중심 Tipping 위주 | Torque, Tip, Rotation 정밀 제어 가능 |
주1) | 자료: Migliorati, Marco, et al. "Accuracy of orthodontic movements with 3D printed aligner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54.3 (2024): 160-170. | |||||||||||||||||||||
주2) | 자료: Upadhyay, Madhur, and Sarah Abu Arqub. "Biomechanics of clear aligners: hidden truths & first principles." Journal of the World Federation of Orthodontists 11.1 (2022): 12-21. | |||||||||||||||||||||
주3) | 자료: Haouili, Nada, et al. "Has Invisalign improved?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on the efficacy of tooth movement with Invisalign."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58.3 (2020): 420-425.'Transverse 정확도'의 경우 주석2에 출처로 기재한 논문상 구체적인 수치의 확인이 불가하여 별도의 논문을 참고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
주4) |
각 비교 항목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상기 임상데이터의 비교에 따르면, 동사의 SMA는 기존 투명교정장치가 구조적으로 한계를 보여온 치료 정밀도 및 치료 예측 가능성(Torque 정밀도, Tip 정밀도, Rotation 정밀도, Transverse 정확도) 측면에서 우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형상기억 특성을 기반으로 환자의 치아에 지속적이고 균일한 힘(재료적 안정성 및 Force 유지력)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함은 적은 반면, 치아이동(교정)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Shape Memory Aligner)
동사는 세계 최초로 구강환경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형상기억'과 '다이렉트 프린팅'이라는 두가지 특성을 통해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여러 특장점 및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두가지 특성에 대한 설명] |
구분 | 특성 | 특장점 및 차별성 |
형상기억(Shape Memory) | - 특적 온도(구강온도) 이상에서 형상복원- 치아이동에 이상적인 힘 발현 | - 치아에 완벽히 적합하여 언더컷 부위에 대한 블록아웃 작업 불필요- 치아에 의도한 힘을 정확히 가할 수 있으며 추가 부착물 사용 불필요- 착용 내내 일정한 힘을 가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불편함이 적음- 초기의 교정력이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되며 신속한 치아교정 가능- 교정장치의 고온열탕 소독이 가능하여 청결한 관리 가능- 교정장치의 편안한 탈부착 가능 |
다이렉트프린팅(Direct Printing) | -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제작 | - 제작과정의 간소화 및 수작업 의존도를 낮춰 누적오차 감소- 디자인한 두께 그대로 재현하여 높은 접합력 시현, 교정 효과 제고- 부착물(어태치먼트) 없이 교정이 가능하여 높은 심미적 만족도 제공- 부착물(어태치먼트) 사용에 따른 유해물질 용충이 없어 생체적합성 우수 |
자료: 동사 |
또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형상기억소재를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제작합니다. 이는 진공열성형 방식으로 제작하던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제작 공정 및 소요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킵니다.
[투명교정장치 제작 방식별 제작 소요시간] |
기존 투명교정장치1 (열성형 방식(치아모델 석고 제작)) |
기존 투명교정장치2 (열성형 방식(치아모델 출력))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3D프린터 직접 출력 방식) |
|||
인상채득 | 80분 (8ea) | 3D스캐닝 | 10분 | 3D스캐닝 | 10분 |
석고모형 제작 | 240분 (8ea) | 3D셋업디자인 | 60분 | 3D셋업디자인 | 60분 |
석고모형 셋업 | 480분 (8ea) | 치아모델 3D프린팅 | 30분 (8ea) |
교정장치 3D프린팅 |
30분 (8ea) |
블록아웃 | 80분 (8ea) | 치아모델 IPA세척 | 5분 (8ea) | 잔여레진제거 | 5분 (8ea) |
교정장치 진공열성형 |
40분 (8ea) | 치아모델 경화 | 5분 (8ea) | 교정장치 경화 | 20분 (8ea) |
연마 | 40분 (8ea) | 블록아웃 | 40분 (8ea) | 연마 | 4분 (8ea) |
교정장치 진공열성형 |
24분 (8ea) | ||||
연마 | 16분 (8ea) | ||||
총 제작 시간 | 16시간 | 총 제작 시간 | 3시간 10분 | 총 제작 시간 | 2시간 9분 |
자료: 동사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8개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29분입니다.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각 14%, 68% 수준으로, 이는 신속한 생산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차이는 더욱 확대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제작 절차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을 위한 각종 리소스(시간, 인력 등) 투입이 적으며, 대부분 작업을 디지털화 함으로써 오차 없이 정교한 제작이 가능합니다.
[투명교정장치 제작 및 유통 구조 비교]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 후 원내 생산하여 지체 없이 치료를 시작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교정장치를 3~4주 지나서야 받아볼 수 있었던 기존 방식과 크게 대조되는 특징입니다.
[환자 내원 후 투명교정장치 착용까지 소요시간] |
구분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진료 ~ 투명교정장치 착용소요시간 | - 3 ~ 4주- 내원 후 착용까지 장기간 소요- 치료계획 변경 시 치료공백 기간 발생 | - 당일 - 약 1 ~ 1.5시간- 내원 당일 바로 착용 |
또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3D프린터로 출력하기 때문에 교정장치의 두께를 부위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투명교정장치는 불가능했던 특성으로, 치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치료계획에 맞춰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본 특성은 치료의 정확도를 대폭 증가시키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게 합니다.
[투명교정장치별 두께 조절 여부] |
구분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교정장치 두께 조절 |
두께 조절 불가능 PETG시트지 두께에 의해 결정 |
자유롭게 조절 가능교정장치 부위별 두께 조절 가능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달리 치아 이동에 적합한 크기의 힘을 발현하여, 편안한 교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투명교정장치별 치아에 가하는 힘의 크기] |
구분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치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 (치아 이동량 0.3mm 기준) |
15.04 N (너무 강한 힘 발현, 통증 유발) | 1.57 N (통증 없거나 경미) |
자료: | Hertan, Evan, et al. "Force profile assessment of direct-printed aligners versus thermoformed aligners and the effects of non-engaged surface patterns." Progress in Orthodontics 23.1 (2022): 49. |
기존 투명교정장치는 착용 직후부터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반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아 이동에 적합한 크기의 힘을 장기간 유지합니다.
[치아이동거리 0.50mm 설정 시 투명교정장치별 시간경과에 따른 힘의 크기] |
|
자료: | Remley, Mary Linda, et al. "Force Assessment of Thermoformed and Direct-printed Aligners in a Lingual Bodily Movement of a Central Incisor Over Time: A 14-day In Vitro Study."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16.1 (2023): 23-34.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달리 뜨거운 물에 의한 영구변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교정장치 착용 전 미리 온수에 담가 부드럽게 연화시킨 후 손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장치를 제거할 때도 미온수를 입에 머금는 방법을 통해 장치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치아에 더 '적합'(Fitting) 합니다.
[투명교정장치별 치아 적합 모습] |
구분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치아적합도 |
|
|
기존 투명교정장치는 치아표면과의 이격으로 치아에 정교한 힘을 가하지 못하여, 정교한 치아교정에 한계를 보입니다. 통상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게 되는데, 어태치먼트 부착은 심미성 저하, 유해물질 용출 같은 치명적인 단점을 수반하기 때문에 그 사용은 지양되어야 합니다. 반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아에 완벽히 밀착되어 정교한 교정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 덕분에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정교한교정 능력 덕분에 적응증(치료 가능 케이스)의 범위가 다양하며 시술 난이도가 높은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임상으로 증명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다양한 적응증] |
|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투명교정장치별 적합도, 어태치먼트 사용 여부 등 비교] |
구분 | 기존 투명교정장치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치아와의 적합 수준 | 잘 적합 되지 않음 | 완벽히 적함 됨 |
치아에 가해지는 힘 | 힘을 정교하게 구현하지 못함 | 힘을 정교하게 구현함 |
어태치먼트 사용 여부 | 사용 | 사용하지 않음 |
심미성 | 낮음 | 높음 |
유해물질 용출 | 유해물질 용출 우려 존재 | 유해물질 용출 우려 부존재비스페놀A 불검출(BPA Free) |
적응증 범위 |
적응증 범위가 제한적임 (어태치먼트 부착) |
적응증 범위가 다양함 |
결과적으로, 기존 투명교정장치는 50% 수준의 치료예측율을 보이는 반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99.6%라는 높은 치료예측율을 보입니다. 낮은 치료예측율은 치아 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치료 지연 및 장기화를 유발합니다. 이는 교정의 및 환자 모두의 만족도를 저하시킵니다. (치료예측율: 계획한 치아이동량과 실제 이동량을 비교한 데이터)
[투명교정장치별 치료예측율] |
|
자료: | Haouili, Nada, et al. "Has Invisalign improved?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on the efficacy of tooth movement with Invisalign."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58.3 (2020): 420-425; Migliorati, Marco, et al. "Accuracy of orthodontic movements with 3D printed aligner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54.3 (2024): 160. |
상기와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사용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사용자는 수요자(치과, 기공소 등)와 최종소비자(치료환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수요자 입장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했을 때 얻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비자 가치 (수요자인 교정의 기준)] |
구분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수익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치료 기간 | 상대적으로 짧음 (평균 8 ~ 10개월) |
진료 시간 | 상대적으로 짧음 (5분 이내, 상담 위주) |
자료: 동사 |
첫째, 교정치료를 진행했을 때 수요자가 얻게 되는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과에서 직접 3D프린팅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이는 수요자에게 더 높은 수익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둘째, 치료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정확하고 신속한 치아교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투명교정치료 대비 치료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이는 높은 만족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셋째, 진료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부착물을 사용하지 않고, 치료예측율 또한 높기 때문에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습니다. 이 역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며,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리하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의 투명교정장치 대비 ① 우수한 치아교정 효과 및 ② 더 많은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므로, 수요자를 대상으로 더 높은 시장경쟁력을 지닌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최종소비자(치료환자) 입장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했을 때 얻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비자 가치 (최종소비자인 교정환자 기준)] |
구분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치료 기간 | 상대적으로 짧음 (평균 8 ~ 10개월) |
사용의 편의성 | 편리함 |
심미성 | 높음 (어태치먼트 부착하지 않음) |
통증 | 없음 또는 경미함 |
고온 살균/세척 | 가능 |
치료 대기기간 | 없음 (내원 당일 치료 착수) |
자료: 동사 |
첫째,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정확한 치아이동, 신속한 치아이동, 높은 치료예측율 등의 결과로 기존 대비 치료기간을 단축시킵니다. 둘째, 사용이 편리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 및 불편감이 거의 없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심미성이 뛰어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교정장치가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즉, 교정장치가 티 나지 않아 높은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넷째, 통증이 없거나 경미합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치아 이동에 이상적인 소프트한 힘을 발현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거의 없습니다.이외 고온 살균 · 세척이 가능하다는 점, 내원 당일 지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최종소비자에게 치료 및 제품의 사용 전반에 걸쳐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장비 제품
동사는 3D프린팅을 위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통합솔루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생산(3D프린팅)하고자 하는 제품을 위한 맞춤형 소재부터 해당 소재로 출력물을 디자인하고 출력하고 제품화하는 전 과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저 플랫폼 그리고 생산 프로토콜까지 직접 개발·공급하고 있습니다.잔여레진제거와 질소경화기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필수 공정으로 동사는 잔여레진제거장치(Tera Harz Spinner)와 질소경화기(Tera Harz Cure)를 직접 개발, 생산 및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들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특성구현 및 고품질 제작을 위한 필수 설비입니다.
핵심 장비 제품의 비교우위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질소경화기 (Tera Harz Cure)
[질소경화기(Tera Harz Cure)] |
동사가 개발한 3D프린팅 소재는 다양한 기계적 물성을 구현하기 위해, 고분자 소재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렇게 개발된 소재들은 분자량이 높아 시중의 경화기로는 완전히 경화를 시킬 수 없어, 고광량 경화기의 개발이 요구되었습니다.
이에 동사는 풍부한 UV에너지밀도(1,000mW/cm²)를 지닌 경화기를 직접 개발하였으며, 산소(O₂)에 의해 중합과정이 간섭 받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경화기에 질소경화기를 탑재하여, 질소경화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시중 대부분의 경화기는 자체적으로 '질소경화' 기능이 없어 경화기에 질소탱크를 연결하여 질소경화를 진행하곤 하지만, 이는 질소탱크 관리 · 비치에 따른 공간적 제약 등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동사는 경화기에 자체적으로 질소발생기를 탑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질소경화 기능을 내재화 하였습니다. 그리고, 광균일도를 고려하여 56개의 UV광원들을 최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광량을 5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재별로 최상의 물성과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 냉각 시스템을 탑재함으로써 경화 후 높아진 경화기 온도를 빠르게 식혀주기 때문에, 경화를 위한 최적 환경(최적 온도)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그래피 질소경화기의 특징 및 장점] |
항목 | 내용 |
에너지 밀도 | 1,000mW/cm² |
광원 | 56개 UV LED |
광량 | 5단계로 조절 가능(경쟁제품 대비 10배 수준의 고광량 UV광원으로 표면전환율 약 100% 실현) |
광균일도 | 피경화물에 균일한 광에너지 조사 |
질소경화 |
질소발생기 탑재 (질소 탱크 사용하지 않음), 자체적으로 질소경화 기능 지원 |
냉각 시스템 | Safety Cooling 시스템 탑재 |
2) 잔여레진제거장치 (Tera Harz Spinner)
[잔여레진제거장치 (Tera Harz Spinner)] |
통상 3D프린팅 출력물 표면의 잔여레진은 IPA 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합니다. 하지만 유기용매 사용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 제작과정에 쓰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동사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잔여레진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 방식의 잔여레진제거장치(Tera Harz Spinner)를 개발하였습니다. 해당 장치는 잔여레진을 제거하기위해 내부 회전통이 고속(500rpm)으로 회전하며 강한 원심력을 만드는데, 이때 탑재된 열원은 내부온도를 높여 잔여레진의 흐름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잔여레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합니다. 본 방식은 잔여레진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유기용매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즉, 동사의 잔여레진제거장치는 유기용매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유기용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합니다.
잔여레진제거장치(Tera Harz Spinner)의 사용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투명도에도 영향을 주는데,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 투과도가 30% 수준으로 하락하는 반면, 잔여레진제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투과도 하락이 없기 때문에 더 맑고 투명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즉, 잔여레진제거장치를 사용할 때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심미성이 더 좋습니다.
[그래피 잔여레진제거장치의 특징 및 장점] |
항목 | 내용 |
잔여레진 제거 방식 | 원심분리 방식 (원심력 + 열원) |
효율성 및 실용성 |
작동시간(5분) 내 거의 모든 잔여레진 제거 (내부 열원에 의해 레진의 흐름성이 증가하기 때문임) |
생체 적합성 (의료기기 제작용 적합성) |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차단 (생체 적합성 높음) |
심미성 | 높음 (맑고 투명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 가능) |
3) SMA 로봇시스템 (Tera Harz Smart Robot)
동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 및 사용 전반에 대한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준공정을 수립하였고 각 공정에 필요한 생산설비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제작공정은 기존 공정 대비 혁신적인 생산성 향상을 불러왔습니다. 하지만 생산설비를 조작하고 각 공정을 수행하는 주체는 결국 사람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갖는 제품과 공정에 대한 지식 수준 및 이해도에 따라 생산되는 제품(출력물) 품질의 편차는 다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은 원내 생산(In-house 생산)이라는 기존과 차별화된 사업 모델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 각지의 치과, 병원, 치과기공소 등 현장에서 만들어질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품질이 언제나 일정한 품질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즉, 작업자의 지식수준과 이해도에 의해 결정되어서는 안됩니다. 동사는 이를 실현하고자 각 공정을 잇는 자동화설비(Tera Harz Smart Robot)를 개발함으로써, 전세계 각지에서 생산될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언제나 일정한 품질로 생산되도록 하였고 생산성 또한 크게 높였습니다.
[SMA 로봇 시스템] |
자료: 동사 제공앞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차별성을 기술하며, 기존 투명교정장치와의 생산 효율성(투입되는 리소스 및 소요시간)을 비교하였습니다. 해당 비교를 통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그 생산성의 차이가 더욱 확대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대량생산 모델에도 큰 경쟁력을 지니며, Tera Harz Smart Robot은 이러한 대량생산 모델에서 높은 활용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생산인력 투입을 혁신적으로 줄여주며, 각 공정간의 작업 공백을 줄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24시간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능력(Capacity)도 대폭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언제나 균일한 품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할 수 있게 합니다.
이처럼 동사의 SMA 로봇시스템(Tera Harz Smart Robot)은 In-house 생산, 대량생산 등 다양한 생산모델에서 높은 활용도를 지닌 제품이며, 전세계 어디에서나 균일한 품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제품입니다.
(2) 기술 경쟁력 (가) 기술 자립도
현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의 핵심 기술인 올리고머 구조의 자체 설계 및 합성기술은 특허 출원번호 10-2023-0074701로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제조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10-2244439, 10-2281789, 10-2486139 등 다양한 관점에서 특허 등록을 완료하여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합성된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소재에 대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특허 출원번호 10-2273407, 10-2034885 등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 자립도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현재 등록된 특허 20건과 출원 중인 특허 22건으로 총 42건의 특허권 및 출원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3D프린팅 소재와 직접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20건이며. 3D프린팅 공정 관련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18건입니다. 또한, 본 3D프린팅 제조 기반 장치의 사업과 관련된 특허권과 출원특허는 4건 입니다. 국내 및 해외에서 등록된 지식재산권은 37건, 출원된 지식 재산권은 31건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중 3D프린팅 소재, 공정, 제품과 관련하여 동사가 보유한 핵심 특허는 '투명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3D프린터용 광경화성 조성물'(10-2111789호) 입니다.동사의 증권 신고서 제출일 현재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외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
(단위: 건) |
구분 | 등록 | 출원 | 소계 | |
국내 | 특허/실용 | 20 | 22 | 42 |
디자인 | 1 | - | 1 | |
상표 | 5 | - | 5 | |
해외 | 특허/실용 | 7 | 9 | 16 |
상표 | 4 | - | 4 | |
합계 | 37 | 31 | 68 |
[국내외 지적재산권 현황(리스트)] |
순번 | 구분 | 내용 (명칭) | 국가 | 출원번호(출원일) | 등록번호(등록일) | 적용 제품 |
---|---|---|---|---|---|---|
1 | 특허 | 3D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깁스 프린팅 장치 및 프린팅 방법 | 한국 |
10-2017-0077739 (2017.06.20) |
10-1820674 (2018.01.16) |
공정 (디지털깁스) |
2 | 특허 | 광량제어 및 고밀도 UV 조사구조를 갖는 3D프린터용 UV 후경화 장치 | 한국 |
10-2017-0161866 (2017.11.29) |
10-2034885 (2019.10.15)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 한국 |
10-2018-0049363 (2018.04.27) |
10-2078159 (2020.02.11) |
공정 (유방보형물) |
4 | 특허 | 3D프린터용 광경화형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18-0099277 (2018.08.24) |
10-2067533 (2020.01.13) |
소재(모든 소재) |
5 | 미국 |
US 17/053,062 (2020.11.04) |
US 11,873,362 (2024.01.16) |
|||
6 | 유럽 |
EP 19851356.6 (2020.10.23) |
- | |||
7 | 중국 |
CN 201980029997.4 (2020.11.03) |
- | |||
8 | 일본 |
JP 2021-516349 (2020.11.19) |
JP 7180924 (2022.11.21) |
|||
9 | 특허 | 투명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18-0123132 (2018.10.16) |
10-2111789 (2020.05.11) |
소재(Tera Harz Clear) |
10 | 미국 |
US 17/259,026 (2021.01.08) |
US 11,427,721 (2022.08.30) |
|||
11 | 유럽 |
EP 19874336.1 (2020.12.29) |
- | |||
12 | 중국 |
CN 201980047760.9 (2021.01.14) |
- | |||
13 | 일본 |
JP 2021-509195 (2021.02.18) |
JP 7149024 (2022.09.28) |
|||
14 | 특허 | 환자 맞춤형 깁스의 제조를 위한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18-0146099 (2018.11.23) |
10-2115367 (2020.05.20) |
소재(디지털깁스) |
15 | 미국 |
US 17/053,311 (2020.10.23) |
US 11845827 (2024.10.23) |
|||
16 | 유럽 |
EP 19886523.0 (2020.11.03) |
EP 3777902 (2024.10.23) |
|||
17 | 중국 |
CN 201980029943.8 (2020.11.19) |
- | |||
18 | 일본 |
JP 2022-143558 (2022.09.09) |
JP 7376956 (2023.10.31) |
|||
19 | 특허 | 탑-다운 방식의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조 방법 | 한국 |
10-2019-0155525 (2019.11.28) |
10-2240959 (2021.04.11)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
20 | 특허 |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공정 및 이의 장치 | 한국 |
10-2019-0155528 (2019.11.28) |
10-2252465 (2021.05.10)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21 | 특허 | 3D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 한국 |
10-2020-0033430 (2020.03.18) |
10-2281789 (2021.07.20) |
소재 (Tera Harz Clear) |
22 | 특허 | 광경화형 치아 수복용 조성물 | 한국 |
10-2020-0033606 (2020.03.19) |
10-2374377 (2022.03.10) |
소재 (TC-80DP) |
23 | 특허 | 내수성이 우수한 3D프린터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 한국 |
10-2020-0107046 (2020.08.25) |
10-2386434 (2022.04.11) |
소재 (모든 소재) |
24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부분 틀니 | 한국 |
10-2020-0131557 (2020.10.13) |
10-2444341 (2022.09.13) |
소재(Tera Harz Denture), 소재(Tera Harz) |
25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틀니 | 한국 |
10-2020-0131558 (2020.10.13) |
10-2444338 (2022.09.13) |
소재(TFDH), 소재(TC-80) |
26 | 특허 |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0-0172326 (2020.12.10) |
10-2244439 (2021.04.20) |
소재 (Tera Harz Clear) |
27 | 특허 | 3D프린터용 과경화형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1-0015876 (2021.02.04) |
10-2607733 (2023.11.24) |
소재 (모든 소재) |
28 | 특허 |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1-0052197 (2021.04.22) |
10-2273407 (2021.06.30) |
소재(Tera Harz Clear)공정(SMA) |
29 | 미국 |
US 18/287,935 (2023.10.23) |
- | |||
30 | 유럽 |
EP 21938014.4 (2023.11.17) |
- | |||
31 | 중국 |
CN 202180099145.X (2023.12.07) |
- | |||
32 | 일본 |
JP 2023-565127 (2023.10.20) |
- | |||
33 | 특허 | 환자 맞춤형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1-0150874 (2021.11.04) |
10-2486139 (2023.01.04) |
소재 (Tera Harz Clear) |
34 | 특허 |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21-0180431 (2021.12.16) |
10-2658757 (2024.04.15) |
소재 (Tera Harz Clear) |
35 | 특허 | 3D프린터물의 후경화를 위한 장치 | 한국 |
10-2022-0084286 (2022.07.08) |
-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6 | 특허 | 3D프린터물의 후경화를 위한 장치 | 한국 |
10-2022-0084292 (2022.07.08) |
-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7 | 특허 | 3D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팅용 형상기억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22-0090501 (2022.07.21) |
- |
소재 (Tera Harz Clear) |
38 | 특허 | 광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한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2-0118195 (2022.09.19) |
- |
소재 (Tera Harz Clear) |
39 | 특허 |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22-0171236 (2022.12.09) |
- |
소재 (Tera Harz Clear) |
40 | 특허 | 임베디드 3D프린팅 시스템 | 한국 |
10-2022-0176677 (2022.12.16) |
- | |
41 | 특허 | 3D프린터물 잔여 레진 제거 장치 | 한국 |
10-2022-0176877 (2022.12.16) |
- |
하드웨어 (Tera Harz Spinner) |
42 | 특허 |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진 광경화성 3D프린팅용 탄성소재 조성물 | 한국 |
10-2022-0186348 (2022.12.27) |
소재 (산업용탄성소재) |
|
43 | 특허 | 악궁 확장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3-0021246 (2023.02.17) |
10-2578482 (2023.09.11) |
소재 (THD, TFDH) |
44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향균 틀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향균틀니 | 한국 |
10-2023-0050429 (2023.04.18) |
- |
소재 (THD, TFDH) |
45 | 특허 |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연속 생산 방법 및 이의 연속 생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교정장치 | 한국 |
10-2023-0069711 (2023.05.31) |
- |
소재 (Tera Harz Clear) 공정 (SMA) |
46 | 특허 | 3D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팅용 형상기억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23-0074701 (2023.06.12) |
- |
소재 (Tera Harz Clear) |
47 | 특허 |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075491 (2023.06.13) |
- |
소재 (Tera Harz Clear) |
48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120126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49 | 특허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120128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50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3-0120129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51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4-0009850 (2024.01.23) |
- |
소재 (Tera Harz Clear) |
52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4-0009851 (2024.01.23) |
- |
소재 (Tera Harz Clear) |
53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또는 치아 교정 장치의 연속 생산 공정 및 이의 연속 생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 또는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4-0088689 (2024.07.05) |
-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Tera Harz, Tera Harz Denture) |
54 | 특허 | 치아용 신규 보철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치아 보철 | 한국 | 10-2024-0161730 (2024.11.14) | - | 소재 (신규 소재) |
55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 보철물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4-0165799 (202411.20) | - |
소재 (신규 소재) |
56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 | 한국 |
10-2025-0002009 (2025.01.07) |
- | 소재(신규 소재) 및 제품(담도관 스텐트) |
57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 | 한국 |
10-2025-0002011 (2025.01.07) |
- | 소재(신규 소재) 및 제품(담도관 스텐트) |
58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 | 한국 |
10-2025-0002012 (2025.01.07) |
- | 소재(Tera Harz Clear) 및 제품(SMA) |
(나) 기술 진입장벽 및 보호전략 1) 기술 진입장벽 동사의 핵심 제품인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는 개발초기부터 제품의 기계적 물성과 유변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장기간 연구 개발하였으며, 공학 및 분광학 방식으로 형상기억소재의 원료, 배합률, 화학구조 등을 리버스 엔지니어링이 불가능 수준입니다. 이로 인해 다수 기업들(Real 3D Polymers, Align Technology)이 3D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개발 착수하였지만 실패하는 등 높은 기술 난이도로 인해 사업 진입장벽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소재의 고도화, 신소재 개발 그리고 3D프린팅 공정 전반에 대한 기술력 강화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사업화에 성공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재 라인업 확대를 위해 기계적 물성 및 생체적합성이 더욱 개선된 신규 소재를 2024년에 개발 완료하였으며, 형상기억소재 외에도 질소경화기, 잔여레진제거기 등 3D프린팅 작업을 위한 하드웨어 개발과 보철 치과 소재 및 기타 의료기기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3D프린팅 소재를 지속 개발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지속적인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 고도화 노력을 통해 경쟁업체와의 기술격차를 더욱 확대할 예정입니다. 동사의 내부 연구개발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래피 연구개발 실적] |
연구개발명 | 연구기간(연월) | 정부출연금 (백만원) | 관련 제품 | 비고 |
모델 소재 개발 | 2017.01 ~ 2017.12 | - | S-1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17.06 ~ 2019.02 | - | TC-85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ABS 유사 소재 개발 | 2017.06 ~ 2018.05 | - | S-100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디지털 깁스 제작을 위한 3D프린팅용 광경화수지 신소재 개발 | 2018.06 ~ 2019.03 | 55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완료 |
증강현실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올온엑스임플란트 식립 지원 및 치아보철 솔루션 개발 | 2019.06 ~ 2020.12 | 100 | SG-100, TH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120MPa 이상 개인 맞춤형 부목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 제품화 | 2020.05 ~ 2021.03 | 400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200 MPa 이상 개인 맞춤형 의치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개발 | 2020.12 ~ 2022.12 | 400 | TC-80, THD,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터용 고기능성 Smart Materials 기술 | 2020.11 ~ 2021.03 | 112 | 3D프린팅 탄성 소재 | 개발 완료 |
DLP 기반 자동차 지그 고정구용 고내열성, 고강도 광경화성 레진개발 | 2020.09 ~ 2021.06 | 100 | 3D프린팅 자동차 지그 소재 | 개발 완료 |
모델 소재 개발 | 2020.09 ~ 2021.06 | - | S-2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 기반 신체 맞춤형 자전거 안장 대량 제조기술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 2021.04 ~ 2022.12 | 166 | 3D프린팅 자전거 안장 소재 | 개발 완료 |
개인맞춤형 영구보철을 위한 3D프린팅 나노복합 신소재 개발 | 2021.04 ~ 2023.01 | 500 | BR-23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정전기 방지가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스마트 그리퍼용 이중강성 소재 개발 | 2021.04 ~ 2022.12 | 200 | 3D프린팅 그리퍼 소재 | 개발 완료 |
질소발생기를 포함한 고광량 경화기 개발 | 2021.04~2021.11 | - | THC(Tera Harz Cure)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용 플렉시블 덴처 광경화성 소재 개발 | 2021.09 ~ 2023.08 | 400 |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2 ~ 2024.05 | - | TR-07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원심분리형 탈레진기 개발 | 2022.03~2023.09 | - | THSP(Tera Harz Spinner)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6 ~ 2024.05 | - | TA-28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환자맞춤형 직접출력 담도 스텐트-치아교정장치용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소재 및 제품화 기술 개발 | 2023.04 ~ 2027.12 | 970 | SMA, 담도 스텐트 소재 | 개발중 |
aligner 초음파 세척기 | 2023.08~2023.10 | - | THCA(Tera Harz Care) | 외주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자동분할 AI솔루션 | 2024.05 ~ 2024.11 | 300 | DAD, DAS | 개발 완료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저함량) | 2024.01 ~ 현재 | - | R-191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개발 | 2024.01~ 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Phase 1 개발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중함량) | 2024.06 ~ 현재 | - | C-191 | 개발중 |
바이오단량체 적용 올리고머 개발 | 2024.06 ~ 현재 | - | 올리고머 반제품 | 개발중 |
DAS 개발 | 2024.01 ~ 현재 | - | DAS | 개발중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 자동분할 AI 솔루션 도입 및 응용 SW 개발 | 2024.01 ~ 2024.11 | - | DAD, DAS | 개발 완료 |
오토 트림라인 기능이 포함된 투명교정장치 쉘(shell) 자동 생성 소프트웨어 | 2024.10 ~ 현재 | - | DAC | 개발중 |
친환경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25.01 ~ 현재 | - | TA 시리즈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고도화 (Multi-cyle 적용) | 2025.01 ~ 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개방중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디자인 셋업 소프트웨어(DAD) 개발 | 2022.04 ~ 2024.02 | - | DA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자료: 동사 |
이러한 형상기억 투명 교정 장치 및 신소재 관련 기술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동사가 연구인력 등에 투자한 연구개발비용의 현황 및 향후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동사 연구개발비용 현황 및 전망]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현황 | 전망 | |||||
---|---|---|---|---|---|---|---|
2021년(제5기) | 2022년(제6기) | 2023년(제7기) | 2024년(제8기) | 2025년(제9기) | 2026년(제10기) | 2027년(제11기) | |
매출액 | 3,061 | 4,282 | 10,472 | 16,149 | 26,534 | 41,954 | 55,613 |
연구개발비(주2) | 1,409 | 1,372 | 2,496 | 3,970 | 4,009 | 4,099 | 4,198 |
(매출액 대비 비율) | 46.0% | 32.0% | 23.8% | 24.6% | 15.1% | 9.8% | 7.5% |
자료: 동사 | |
주1) | 자산처리되는 연구개발 비용은 없습니다 |
주2) | 국고보조금 등 차감 항목을 차감하지 않은 금액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3) |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별도기준 K-IFRS 재무제표, 2021년은 감사받지않은 별도기준 K-IFRS 재무제표 상의 수치입니다. |
한편, 동사는 상기한 핵심기술들을 특허로 철저히 보호함으로써, 후발주자들의 기술 모방 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특허출원 등으로 기술진입장벽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2) 기술 보호전략
동사는 소재, 장비, 공정과 관련하여 주요기술들을 특허로 철저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에 대한 후발주자들의 기술진입장벽을 높이는 동시에 3D프린팅 소재 및 통합솔루션에 대한 기술 격차도 확대시킵니다. 이는 곧 동사가 현재 주력 목표시장으로 삼고 있는 치과 교정시장은 물론이며 추후 확장하게 될 신규사업 전반에 대한 핵심기술 보호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동사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현재의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할 예정입니다. 또, 이를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하여 기술진입장벽을 크게 높이고자 합니다.
동사는 핵심기술 외부유출 방지를 위해 모든 원재료에 대한 입고 및 배포코드를 암호화 및 다중화하여 내부/외부 유출을 방지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거래처 매입 원재료를 내부 생산직원은 알 수 없도록 암호 처리하였으며 퇴사 및 기타 기술유출에 대한 강력한 보호관리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별도로 2023년, 2024년에 제정된 사내보안관리규정 및 전산 세부 규정 및 개인정보보호규정에 의거하여 사내 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임직원은 입사시 정보보안서약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퇴사시 보안 및 경업금지 서약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표준 비밀유지계약서 제정하여 외부 협력 시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게 함으로써 임직원의 보안의 중요성의 인식 개선과 의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 연구개발인력의 수준 동사는 기업 서울 본사와 울산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개발 역량을 가지고 있는 연구인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현재 고분자재료공학, 화학공학, 물리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치기공학, 치의학, 치과교정학 등의 관련 전공 자격을 보유한 기술인력 30명으로, 총 임직원의 약 32%가 기술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연구개발인력 현황] |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
대표 | 심운섭 |
최고경영자(CEO), 연구개발 총괄 |
숭실대학교 정보처리학과 전공(99 졸업) ㈜코리아스테파 (94.11~96.12) ㈜남양계전 (97.01~99.03) ㈜한국아카이브(99.06~11.06) ㈜디디에스(11.08~16.11) ㈜그래피 대표이사(17.01~현재) |
- 3D프린팅용 광경화성 소재 개발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개발 |
원장 | 김수진 |
최고임상책임자, 임상연구개발 총괄 책임자 |
서울대 치과대학 박사(03.02) 펜실베니아 대학 교정과 레지던트(04.07~06.06)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교정과 조교수(06.09~11.06) 한림대병원 치과 교정과 부교수(12.09~18.12) 서울유펜치과교정과치과 원장(07.04~18.12) 아주대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자문교수(18.03~현재)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치과교정과 임상조교수(18.12~21.02) ㈜그래피 원장(21.07~현재) |
- 신제품(NEP)인증 심사 대응 - 직접출력방식 의료기기 인증(미국 FDA) 프로젝트 참여 - Shape Memory Aligner 특성 및 임상적용 전세계 선구적 전파(대면/비대면) |
수석 | 김훈 |
국가과제 총괄 책임자 |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 박사(21 졸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21.01~현재)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과 연구원(16.03~21.02) ㈜그래피 수석연구원(21.01~현재) |
- 동사 특허 작성 및 출원(17건) - 동사 SCI 논문 작성(17건) - 국가과제 수주 및 총괄책임(산업통상자원부, 48.5억)(범부처임상과제, 5억) |
부장 | 장순호 | 소재개발 총괄 |
전북대학교 고분자 공학 석사(11.03~14.02) 한솔케미칼 선임(10.01~15.02) 바커케미칼코리아 과장(16.01~17.06) 디오임플란트 과장(17.07~19.07) ㈜그래피 부장(19.08~현재) |
- 올리고머 합성 설계 및 최적화 - 전체 덴탈 소재 개발(Teraharz Clear, C&B, Denture, 세라믹 보철소재) - 덴탈 모델 및 산업용 소재개발(S-200M외) - 국책과제 6건 수행(책임연구원) |
부장 | 정하림 | 소재개발 |
영남대학교 신소재이학 석사(08.03~10.02) 애경화학 대리(09.10~14.08) KCC중앙연구소 과장(14.09~19.05) ㈜그래피 부장(19.06~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Model 소재, casting 소재, 탄성 소재, 글래이징 소재 등)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색상 조색 - 3D 프린터용 소재 분석 및 불량 제품 분석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부장 | 승채린 | 기술지원 |
신구대학교 치과기공학 전공(93.03~95.02) 캐나다 Tritar Dental Lab 실습(99~00) 연세 치과기공소(00.02~01.12) TMJ 치과(02.04~12.07) ㈜리얼오쏘 (12.11~17.07) ㈜카이로덴탈(17.10~20.06) ㈜그래피 부장(20.06~현재) |
-TC85DAC 임상 케이스 적용 및 유효성 검증 -SMA 생산, 제작에 필요한 Workflow 정립 -SMA 디자인에 적합한 최적값 연구 (offet, 두께 등) -TC85DAC를 이용해 SMA 외 다양한 교정용 Appliance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연구, 고안 (Twin Block, Anterior Bite Plate, Mono Block 등) |
이사 | 김원경 | 연구개발 |
충남대 물리학과 석사(02) ㈜이오시스템 제품기술팀 주임(03.03~04.06) ㈜이오테크닉스 디스플레이사업부 과장(04.07~05.10) ㈜하드램 Laser광학팀차장(05.11~07.02) ㈜르호봇테크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07.03~09.10) ㈜엠쓰리모바일 연구기술본부 차장(09.11~12.09) ㈜미래컴퍼니 비전개발팀 책임(12.10~13.08) ㈜디디에스 기술연구소 책임(13.10~16.12) ㈜그래피 이사(18.04~현재) |
- 정부지원사업 38억원 수주 및 관리 - 신제품(NEP)인증 및 IR52장영실상 수상 외 13건 기여. - 국내외 특허 25건 및 상표권 7건 등록관리 |
이사 | 김인 | HW사업 |
경북대 기계공학과 석사(01) 한일루브텍 기술설계 주임(02.02~03.10) 위너베아링 재료연구소 대리(03.10~05.02) 리스템중앙연구소 주임연구원(0707~07.11) 오리엔트엠지 연구소 과장(07.11~08.07) 비피온 연구소 차장(08.09~10.02) 메가젠 전략기획 과장(10.09~10.12) 한진디디엑스 연구소 과장 (11.01~12.03) 디디에스 생산본부 부장 (12.04~21.03)㈜그래피 이사(21.03~현재) |
- 질소경화기(Tera Harz Cure) 개발 - 잔여레진제거장치(Tera Harz Spinner) 개발 - 로봇시스템(Tera Harz Smart Robot) 개발 |
소장 | 심미순 | 3D프린팅생산 |
대구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80.03~82.02) 치과 기공소 운영(84.04~05.05) 라인 치과기공소(09.08~11.06) EDS치과기공소(11.06~14.12) J&J 덴탈 랩 근무(15.04) 해성치과기공소(16.02) 덕천 화이트E치과(17.03) 리더스 덴탈(17.08~18.02) ㈜그래피 소장(19.10~현재) |
- New 소재 테스트 및 보철소재와 비교분석 - 신소재 보철 출력후 공정과정 연구 - New 글레징 테스트 |
실장 | 유동현 | 기술지원 |
대전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96.02 졸업) 로얄치과기공소(96.01~99.02) 럭키치과기공소(99.02~01.02) 필봉건설(01.05~04.08) 주연치과기공소(04.09~15.08) 디디에스(15.09~21.03) ㈜그래피 실장(21.04~현재) |
- TFDH 소재를 활용한 Flexible Dentured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 TE-151 소재를 활용한 Mouth Guard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 R-191 소재를 활용한 심미 보철(Internal stain technique)의 임상 적용 Validation 수립. |
팀장 | 백종훈 | 기술지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 전공(03.03~09.02) 보라정보통신 사원(07.12~09.02) ONC네트워크 주임(10.03~10.09) 이클리어인터내셔날 대리(10.10~11.12) 대승인터컴 대리(11.12~12.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책임(12.10~18.03) ㈜아이티티 차장(18.03~19.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책임(20.02~20.11) 씨앤아이테크 차장(21.04~22.05) ㈜그래피 기술지원1팀장(22.06~현재) |
- 고객 기술 지원을 통한 제품 개선 아이디어 등 상신 - 내부 직원 교육, 고객 교육을 통한 Graphy 제품의 저변 확대 - 그래피 제품관련 논문 작성 기술 지원 |
책임 | 구유란 | 기술지원 |
원광보건대 치과기공학 전공(09.03~12.02) (주)이클리어인터내셔날 과장(12.03~18.02) ㈜아이티티 과장(18.03~19.06) 이클리어인터내셔날 과장(20.09~20.11) 파이토웨이 과장(21.02~22.11) ㈜그래피 책임(22.12~현재) |
- 고객 기술 지원을 통한 제품 기능 개선 아이디어 제공 - DAD sw 기능 ideation - Graphy Teams 기능 변경 - DAC 기획 - 고객 교육을 통한 Graphy 제품의 저변 확대 - 그래피 제품 관련 논문 자료 기술지원 - 임상 케이스 Treatment Plan 체킹 및 planner 제작 - 딜러 맨파워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지원 |
책임 | Tanveer Khan | 기술지원 |
University Malaysia Pahang, PhD(15.10) 서울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 Postdoc(19.06) Maharashtra Institute of Technology(19.07~19.10) Modern Mill&Gigantic Bag Co.LLC(20.02~20.10) ㈜그래피 책임(22.11~현재) |
-치과교정학회 등에서 SMA레진, 후경화공정 등 발표 - 그래피 SMA 레진 관련 문제 해결 지원 - 그래피 SMA 레진소개, DAD sw교육 등 |
선임 | 전설희 | 소재개발 |
동국대학교 화학 전공(13.03~17.08) 안톤파코리아 주임(17.05~21.03) ㈜그래피 선임(21.03~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탄성 소재)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3D 프린터용 소재 분석 및 불량 제품 분석 |
선임 | 이정연 | 마케팅 |
선문대학교 치위생학 전공(09.02~13.02) ㈜디디에스 사원(15.08~18.06) 오스템임플란트 연구원(18.07~19.03) 레이 과장(19.04~21.02) 이보클라비바덴트(21.06~21.10) ㈜그래피 선임(21.10~현재) |
- 환자 임상케이스 진행 및 정리 - FEM(유한요소법) 파악 및 보고 - 3D프린팅 소재로 제작한 다기관 무작위 임상연구 등 |
과장 | 김영교 | 소재개발 |
동양미래대학교 생명화학 전공(11.03~13.02) 해동고분자사업 사원(13.10~15.12) 벽산페인트 대리(16.04~21.07) 한국무사시도료 대리(21.09~22.02) 벽산페인트 대리(22.03~22.06) ㈜그래피 과장(22.10~현재) |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개발(글래이징 소재) - 3D프린터용 광경화소재 색상 조색(A1, A2, Light gray 등) - 자사 소재 출력 조건 및 후처리 공정 평가 |
과장 | 조현준 | 소재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 전공(08.03~15.08)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연구원(15.07~17.05) 디오 대리(17.06~18.10) 3DP 대리(18.11~19.06) ㈜그래피 과장(19.07~현재) |
- 덴탈소재, 산업용 소재에 대한 개발지원 - 품질 분석 및 3D프린팅 파라미터 최적화 - 기술지원 (국/내외 고객 기술지원) - 국책과제 6건 수행(참여연구원) |
과장 | 채유승 | 소재개발 |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신소재공학과 석사(15.03~17.02) 서흥무역 대리(12.09~14.11) 울텍 주임연구원(17.02~17.05) ㈜이노바이오써지(20.10~21.06) ㈜그래피 과장(21.06~현재) |
- 세라믹 보철소재 개발(R-191, C-191) - Teraharz Clear 소재분석 및 개발첨여 - 개발조성 물성 분석 - 국책과제 4건 수행(참여연구원) |
과장 | 지현일 | 인증표준 |
신구대학교 치기공학과 전공(21.03~22.02) 한결치과기공소(18.02~18.09) ㈜유니덴탈 대리(19.09~22.05) ㈜그래피 과장(22.07~현재) |
- 의료기기 품질책임자, 유럽 PRRC(규제준수책임자) - 식약처인증, FDA 510(k) 등 의료기기 제품인증 획득 및 사후관리 - MDSAP, GMP 등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획득 및 사후관리 |
과장 | 박문수 | 인증표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통번역학과(15.02~22.03) 와이즈컴퍼니 사원(22.02~22.05) ㈜그래피 과장(22.07~현재) |
- 국내외 의료기기 기술문서 및 품질문서 관리 - 식약처인증, FDA 510(k) 등 의료기기 제품인증 획득 및 사후관리 - MDSAP, GMP 등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획득 및 사후관리 |
과장 | 이건호 | 클리닉디자인 |
대전보건대학교 치과기공학 전공(09.03~14.02) 투명치과 사원(14.02~16.12) 클리어테크놀로지 사원(17.06~18.02) 리얼라이너 대리(19.02~21.02) ㈜그래피 과장(21.03~현재) |
- 3D프틴팅용 플랙시블 덴처 광경화성 소재개발 - 다이렉트 3D 프린팅 신기술 이용한 투명교정장치 임상적 효능 평가 |
주임 | 이지호 | 연구기획 |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석사 3D 프린팅 전공(20.03~22.02) KAIST Academy 기계공학과 조교(21.09~22.02) ㈜그래피 주임연구원(22.04~현재) |
- DLP 3D프린팅 공정 조건에 따른 광경화형 고분자의 기계적 특성 변화 분석(Additive Manufacturing, 2022) SCI논문 출판 - 최신 연구동향 파악 DB관리 - 국가과제 계획서 작성 |
대리 | 민진홍 | 연구기획 |
상명대학원 화공신소재학(18.03~20.02) ㈜그래피 대리(20.02~현재) |
- 동사 보철용 BR-23 소재 개발 주도 - 국가과제 계획서 작성 - 국가과제 연구 실험 실무 수행 - 국가과제 성적서 인증 관리 - 과제 연구 관련 문헌조사 |
닥터 |
Mohamed Hassan Ibrahim Bayome |
임상기술지원 |
가톨릭대학교 치과학 박사(11)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과 조교수(11.10~16.10) 파라과이 Asuncion 개인진료소 교정의(16.12~18.03) ㈜그래피 닥터(23.12~현재) |
- 교정장치 최종 제품품질 보증 위한 품질관리 프로세스 구축 - 전 세계 의사들에게 그래피 제품에 대한 임상기술 지원 제공 - 부착물 없이 다양한 생체역학적 접근 테스트하는 전 임상 시험 수행 |
닥터 | Bai Jin | 임상기술지원 |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박사(22.03~24.02) ㈜그래피 닥터(24.02~현재) |
- 케이스 treatment plane 제작(경희대 요구) - 케이스 TP 수리 및 지속 소통(경희대) |
닥터 | 티나창 | 임상기술지원 |
연세대학교 치과교정과 박사(18.03~22.02) 연세대학교 치과교정과 조교(18.03~22.02) ㈜그래피 닥터(24.03~현재) |
- 연세대 법무처 임상실험과제 set up - 고객 불만(임상치료, tissue reaction) 해결 - 고객 교육, 임상 및 치료문제 상담 |
닥터 | Daniel Kaba Jaeger | 임상기술지원 |
Universidade Cidade de Sao Paulo (UNICID)(02) 브라질 공군 병원장 및 장교(02.03~11.03) Sao Paulo Dental Clinic(2012.02~2017.12)Macedo Clinic(2017.12~2024.09) ㈜그래피 닥터(24.09~현재) |
- 그래피 제품 및 기술을 포럼, 강의에 홍보 - 그래피의 3D 프린팅 소재 관련 환자 응용 분야에 조언 |
선임 | 김홍연 | SW개발 |
강원대 컴퓨터과학 전공(10.03~16.02) 매니지온 개발자(16.04~22.04) ㈜디케이테크인 개발자(22.06~23.07) ㈜그래피 선임연구원(23.08~현재) |
-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환경 구성 - 그래피 홈페이지 AWS 서비스로 이관 작업 - 그래피용 닥터 플랫폼 개발 진행 중 : DB설계, 화면 템플릿 기본 레이아웃 구성, 웹 서버 설계 및 구축 |
연구원 | 김나연 | SW개발 |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22.08)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22.03~24.08) ㈜그래피 연구원(24.04~현재) |
- DAS(자동 서포트 부착 기능) 개발 참여 : UI, 기능 개발, 유지 보수 - 닥터플랫폼(의사-기공소 플랫폼) 개발 참여 : UI |
다. 성장성 (1) 성장전략 (가) 글로벌 연자(speaker) 확보 전략
교정시장은 매우 전문적인 지식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장으로 의학적 지식, 객관적 데이터 그리고 실제 임상사례 등을 통해 기업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동사의 경우 교정치료환자가 아니라 병원, 치과, 기공소 등에 제품을 공급하므로 교정전문의를 중심으로 브랜드 파워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영향력 있는 연자(speaker) 확보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동사는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연자들을 앞세워 동사 제품을 적극 알리고 있으며, 실제 이들의 영향력은 기대 이상으로 막강하여 행사를 거듭할수록 동사 및 동사 제품의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동사는 국내를 포함하여 일본, 미국, 독일, 대만 뿐만 아니라 중동과 남미에 이르기 까지 세계 각국에 약 100여명의 연자들를 확보하고 있으며, 각 연자들은 1인당 평균 2,000여명의 SNS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팔로워의 대부분은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며 특히 교정전문의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핵심 연자들를 통한 마케팅은 현재 가장 효율적이고 핵심적인 영업 및 판매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핵심 연자들은 각종 국제행사에서 강연 및 세미나를 진행하며, 동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글로벌 인지도 향상 및 인식 제고를 위해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글로벌 행사에서 그래피 핵심 연자들의 강연 모습]
치과 교정계 주요 인사들은 교정 커뮤니티 내 영향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들이 진행하는 강연과 세미나의 메세지는 청중(치과의사, 교정전문의 등)들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됩니다. 특히 동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와 같이 이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제품(신제품)의 경우, 청중의 대부분은 제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지만 아직은 기술 · 제품 도입을 망설이고 있거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직접 확인한 후 도입하길 희망하는 잠재고객입니다. 즉, 동사 제품 구매 의사가 있는 잠재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연자들의 설명과 실험 데이터 제시는 동사 기술과 제품을 알리고 실구매를 유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연자들은 강연 및 세미나 외 다양한 방식으로 동사 기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제품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일본의 Dr. Kenji Ojima는 직접 JAAO(Japan Academic of Aligner Orthodontics)를 만들어, 매년 컨퍼런스 미팅을 개최하고 있으며, 그동안 여러 임상사례를 통해 축적된 본인의 지식과 노하우를 전하고 교육하는 등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우수성과 임상케이스별 적용방법 등을 널리 전파하고 있습니다. 현재 JAAO의 회원은 약 400여명으로 연자들이 시장 내 미치는 영향력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 Dr. Kenji Ojima 스터디 그룹 모습 】
이러한 지역별 커뮤니티 구성은 신제품(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도입을 직접적으로 장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제 일본 시장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연자 개개인이 지니는 시장 영향력이 막대하므로, 동사는 세계 각지에 동사에 우호적인 연자들을 확보하여 빠르게 시장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주)그래피 일본 매출 추이]
(자료: 동사 제공)한편 연자들은 본인의 저서에 동사 제품, 기술, 그리고 임상 사례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내용을 담아 이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주요 연자들의 스터디, 세미나, 학회 활동 및 저서 출간 등 다양한 활동이 치과 교정 시장을 중심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경험하였으며 그 효과를 깊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이들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동사 제품과 기술의 글로벌 확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자들이 이러한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그들이 운영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심화 교육 과정 제공, 국제 컨퍼런스 참석 기회 부여 및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등 동사의 성장과 동반하는 혜택을 통해 연자들이 동사 제품을 더욱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사의 기술과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자 합니다.
(나) 홍보 및 마케팅 전략
매년 치과, 교정치과 그리고 3D프린팅 관련 크고 작은 행사가 전 세계적으로 100여개 이상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행사는 유수의 교정 전문의를 비롯하여 글로벌 유통사, 제조사 등 산업내 다양한 잠재고객 및 사업파트너를 만날 수 있는 자리입니다. 전문적 지식 수준과 증거기반 데이터(객관적 데이터)를 중시하는 치과산업 특성상 최신 글로벌 트랜드를 확인하고, 신기술 및 신제품을 직접 확인 · 경험할 수 있는 국제행사는 참석자 모두에게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행사라 할 수 있습니다.
동사는 2024년 한 해 동안 44차례 진행된 국내외 교육과정(Certification Course 등)을 포함하여 총 115개의 국제행사에 참석하였으며, 각 행사마다 영향력 있는 Key Opinion Leader들의 강연 및 세미나를 마련하여 동사 기술과 제품을 알리기 위해 힘썼습니다.
[그래피 연자 및 교정학 Key Opinion Leader들의 국제행사 참석 사례1]
[그래피 연자 및 교정학 Key Opinion Leader들의 국제행사 참석 사례2]
실제로 동사와 동사의 연자들이 교정계의 Key Opinion Leader들이 많이 참석하는 국제행사의 참석이 거듭될수록 동사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장 반응, 현장구매 비율, 후속행사(Certification Course) 참석자 추이 등 다양한 지표의 개선을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동사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과장이라 할 수 있는 Graphy Certification Course 등에 대한 참석자 추이(누적) 및 교육 참석자의 현장구매 비율입니다. 전년 대비 국제행사 참석이 많았던 2024년에 교육 참석자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과 현장구매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피 국내·외 교육프로그램 참석자 수 및 현장구매 비율 추이]
(자료: 동사 제공)
동사는 세계 각지에서 진행되는 국제행사에 적극 참가함으로써, 시장영향력 및 매출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꾸준히 지속할 예정입니다. 2024년 동사가 참가한 주요 국제행사 일부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4년 그래피 참석 국제행사(일부) 】
No. | 국가 | 도시 | 행사명 |
1 | 대한민국 | 서울 | SIDEX 2024 |
2 | 대한민국 | 서울 | KAO 2024 |
3 | 대한민국 | 부산 | BDEX 2024 |
4 | 미국 | 시카고 | LMT LAB DAY 2024 |
5 | 미국 | 뉴올리언스 | AAO 2024 |
6 | 미국 | 세인터토머스섬 | GLAO & MASO Annual Meeting |
7 | 미국 | 매사추세츠 | IOF |
8 | 미국 | 뉴욕 | NYCOMS 2024 |
9 | 미국 | 시카고 | Midwestern Society of Orthodontists |
10 | 미국 | 플로리다 | SAO Souther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
11 | 중국 | 베이징 | Italy & Japan Congress |
12 | 일본 | 도쿄 | SMA Asian Summit |
13 | 홍콩 | - | Graphy Summit in HK |
14 | 홍콩 | - | HKIDAS |
15 | 베트남 | 하노이 | VAO |
16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Intenational Orthodontic Conference |
17 | 호주 | 시드니 | ASLO |
18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Formnext |
19 | 독일 | 쾰른 | DGAO |
20 | 독일 | 프라이부르크 | DGKFO |
21 | 이탈리아 | 피렌체 | SIDO |
22 | 이탈리아 | 베로나 | SIDO Spring Meeting |
23 | 그리스 | 아테네 | Greek Ortho Society |
24 | 프랑스 | 파리 | FFO 2024 |
25 | 프랑스 | 싸나히슈흐메흐 | DWMA |
26 | 스페인 | 발렌시아 | EAS 2024 |
27 | 스페인 | 그란카나리아 | SEDO 2024 |
28 | 스페인 | 마드리드 | EXPO DENTAL |
29 | 포르투갈 | 비아나 두카스텔루 | SPODF |
30 | 칠레 | 산티아고 | Chile IOC |
31 | 콜롬비아 | 카르타헤나 | Colombia IOC (CONGRESO INTERNACIONAL de ORTODONCIA) |
32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 | WIOC |
33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 AEEDC 2024 |
(2) 사업의 확장성 (가) 신규 사업
동사는 설립 이후 형상기억소재를 포함한 '3D프린팅 소재 개발'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3D프린팅용 광경화성 레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올리고머를 자체적으로 설계 및 합성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추게 되었으며 올리고머 자체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3D프린팅 광경화성 레진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동사는 구강내 일정 조건하 형상복원 능력을 지닌 3D 프린팅 소재(Tera Harz Clear)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 제작에 성공하였습니다.동사는 동사의 소재 기술을 통해 투명 교정장치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물성을 지닌 맞춤형 소재 개발이 가능합니다. 동사는 해당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닐 수 있는 우수한 물성의 3D프린팅 소재를 지속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된 소재들은 국내외 의료기기 인증 및 승인을 득하여 생체안정성을 인정받고 치료 목적 사용을 승인받음으로써, 현재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또한, 기존 기술이나 타사 3D프린팅 소재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동사의 메디컬 및 엔지니어링 소재를 바탕으로 치과산업 외 의료/메디컬 산업, 엔지니어링 산업 등으로의 사업영역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으로는 현재 정부과제로 진행 중인 담도관 스텐트 개발이 있습니다. 담도관 스텐트는 담도 폐쇄증(담즙의 통로인 담도가 막히는 질환)으로 인해 좁아진 담도을 넓히기 위해 환자의 담도에 삽입하는 의료기기로 동사는 동사의 3D프린팅 소재 및 기술로 담도관 스텐트를 개발하는 연구과제를 수행중에 있습니다. 이는 심바이오틱 표면처리 기술과 나노소재 이종재료 복합화 기술을 개발하고 해당기술이 적용된 스텐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하며 단순히 담도관 스텐트를 개발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향후 동사가 개발하게 될 모든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습니다. 이는 향후 동사의 의료산업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상기 표면처리 기술과 해당기술이 적용된 담도관 스텐트에 대한 특허를 2024년 12월에 출원 완료하였으며 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담도관 스텐트 관련 특허 출원 내역] |
No. | 발명의 명칭 | 출원일 | 출원번호 |
1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 | 2025.01.07 | 10-2025-0002009 |
2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 | 2025.01.07 | 10-2025-0002011 |
3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 | 2025.01.07 | 10-2025-0002012 |
자료: 동사 |
이와 같이 동사는 기존 기술이나 타사 3D프린팅 소재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동사의 메디컬 및 엔지니어링 소재를 바탕으로 치과산업 외 대학, 병원, 의료산업, 엔지니어링 등 핵심 소재 산업을 추진 예정입니다.
(나) 해외 진출 계획
국내 투명교정시장은 2023년 약 400억원 규모, 2024년 기업매출 기준 약 570억원 규모(2024년 인비절라인코리아(유) 516억원 및 국내 시장점유율 90%로 추정) 매출액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글로벌 투명교정시장 규모의 1%에 못미치는 수준으로 동사의 해외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동사는 최근사업연도 2024년 매출기준 해외매출 약 81%, 국내매출 약 19%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습니다.해외시장 진출은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므로 과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화 및 사업확대에 주력하던 상황에서 해외시장 진출까지 병행하는 것은 자금적 제약으로 수행되지 못했습니다. 다만 현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이 주요 국가를 중심 으로 메인 교정 장치로 성장하고 있어, 상장 후 공모자금을 활용한 본격적인 해외 진출 전략을 수립중입니다.동사는 현재 진출한 일본 외 대규모 시장인 미국, 중국을 해외진출 핵심 국가로 판단 하고 있습니다. 미국, 중국과 같이 시장규모가 충분히 크고 성숙된 시장은 자국의 검 증된 기업을 통해 공급되는 제품 · 서비스를 선호하는 성향이 높으므로, 직수출이나 유통회사(Dealer)를 통한 간접판매 보다 해당 시장에서 신뢰도가 높은 기업을 통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보다 유효한 전략이라 분석하고 있습니다. 해당 전략은 향후 대량거래를 진행함에 있어 물류비용 부담 및 배송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전략적 가치가 높아 동사가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전략입니다.동사는 해외사업의 전략적인 대응을 위하여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에 현지 법인 설립하여 운영할 계획 중에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투명교정 시장으로, 교정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타국가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기피하고 미국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현지법인을 통해서만 거래하려 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미국 현지법인 설립은 동사에게 매우 중요한 미국시장 진출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등 주요시장 현지법인 설립은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장을 통해 확보되는 공모자금 중 일부를 현지법인 설립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1) 미국 미국은 전세계 투명교정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입니다. 동사는 미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기업 또는 유명 교정 전문의들과 파트너 관계를 쌓아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동사는 법인설립을 통한 빠른 현지화 전략이 최선의 전략으로 판단하여 현재 이를 준비중입니다.미국은 이미 투명교정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동사는 인하우스 사업과 SMA 사업을 동시에 전개할 계획입니다. 이는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미국 시장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공격적인 사업 전개가 오히려 동사 제품과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현지 기공소를 인수하는 방식을 통해 미국 GMP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며, 미국 현지법인 설립 및 초기운영 관련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립시기 | 2025년 하반기 중 |
법인등록 소재 | 델라웨어(Delaware) |
영업장 소재 | 플로리다(Florida) |
초기 소요자금(예상) | 2,000,000 USD |
주요 운영계획 |
1. 미국수출거점: 경영관리 및 물류 인원 위주 2. 현지화: 영업, 기술 및 고객지원 인력 확충 3. 생산설비: 기공소 인수를 통한 SMA 현지생산 및 공급 |
2) 중국 중국시장은 소득증가, 고령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가로 치과산업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장입니다. 다만 중국 특유의 규제 및 사업 환경으로 외국기업이 의료장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시장이 기도 합니다. 중국국가의약제품관리국(NMPA)의 규정에 따라 동사 제품에 대한 인증 및 등록 과정이 필요하며 2~3년 이상 시간이 소요됩니다. 동사는 중국 현지의 대형 유통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2026년까지 의료기기 인증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동사는 중국시장에서 치과 제품 및 서비스를 장기간 유통한 경험이 있는 대형 유통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 및 실행중에 있습니다.
3) 일본
일본은 인하우스 사업이 가장 성공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시장입니다. 동사의 주요 연자인 Dr. Kenji Ojima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현지 프로그램을 계획 및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매년 4배 이상의 높은 매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Dr. Kenji Ojima가 회장으로 있는 일본얼라이너교정학회(JAAO)는 현재 4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사는 2026년까지 이들 전원을 동사의 고객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동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일본 사업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사업 확장을 가속화 하고자 일본 현지법인 설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지법인은 Dr. Kenji Ojima와의 협력을 통해 설립할 계획이며, 그 설립의 형태는 아직 협의중에 있습니다. 동사의 생산 역량과 Dr. Kenji Ojima의 투명교정 치료 노하우가 결합된 현지법인 설립으로 일본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동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준비로 Dr. Kenji Ojima는 동사 제품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 사례를 논문과 교정 임상 교재에 수록할 예정이며, 5000명 이상의 회원이 소속된 일본 SJCD에서 동사 제품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유럽
유럽 시장은 치과산업 내 유구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시장으로, 유럽내 각 지역에서 매년 유서 깊은 덴탈 관련 행사들이 열리고 있는 시장입니다. 동사는 2020년 유럽 C E인증을 획득하며, 사업 초기부터 유럽시장에 빠르게 진출하였습니다. 최근 동사는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딜러십을 재정비하고, 유럽의 저 명한 교정 전문의를 포섭하는 등 기존 유럽 시장 전략에 변화를 주어 사업 확장을 모 색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CE MDR 인증 전환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맞춰 독일 현지법인 설립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변화를 통해 유럽발 매출의 본격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라. 재무상황 (1) 재무적 성장성 동사의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요 성장성 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재무 성장성 지표]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2연도 (제6기) |
2023연도 (제7기) |
2024연도(제8기) |
2025연도 1분기(제9기 1분기) |
---|---|---|---|---|
매출액 (증감률 %) |
4,282 (39.9%) |
10,472 (144.6%) |
16,125(54.0%) | 2,274(83.4%) |
영업이익 (증감률 %) |
-7,459 (적자 시현) |
-6,978 (적자 시현) |
-9,170(적자 시현) | -3,636(적자 시현) |
경상이익률(%) | -412.9% | -52.0% | -202.6% | -167.6% |
주1) | 증감률은 전년도 대비 증감 비율을 나타냅니다 |
주2)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3) | 영업이익 증감률은 동사가 적자를 시현함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동사의 매출액은 매년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2년 4,258백만원에서 2024년 온기 16,125백만원으로 연평균 94.6%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전년대비 매출액 증가율이 144.6%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2023년말 신규 해외시장 매출 본격화에 따른 결과입니다. 또한, 동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임상케이스 확보 및 본격적인 국내외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따라 향후 지속으로 매출액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이미 성공적으로 진입한 일본과 유럽 시장에서는 기존 파트너들의 거래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고, 미국, 인도, 중국과 같은 거대시장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하여 해외 매출 증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전체적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한편 동사는 기존 제품의 고도화와 신제품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지출에 따라 매년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연결기준 9,170백만원의 영업손실, 32,664백만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손실폭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중 기술평가수수료, 지정감사수수료 등 기업공개를 위한 비경상적인 지출과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와 관련한 파생상품평가손실이 발생하였다는 점에 기인합니다. 동사는 동사 브랜드 인지도 확대 및 신규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감안할 시 2026년 온기에는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재무적 안정성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형상기억 투명교정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및 임상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이후에도 글로벌 교정 학회 및 박람회 참여와 주요 연자를 활용한 교육·홍보 마케팅 비용 등 사업초기 필요한지출금액이 큰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등 고부가 의료기기 제품의 상용화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설립 초기부터 연구개발(R&D)과 해외 마케팅 등 투자를 지속해왔습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지출은 매출 창출 이전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영업손실 누적을 초래하였으며, 연구개발 및 마케팅에 필요한 현금 조달을 위해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관련 금융상품을 부채로 인식하여 동사는 2023년까지 자본총계가 음수인 완전자본잠식 상태였습니다. 동사의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의 재무안전성 및 유동성 관련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재무 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 |
(단위 : %, 배, 회)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업종평균 (주2) |
부채비율(주3) | 14,447.0% | 470.0% | - | - | 98.0% |
차입금의존도 | 75.4% | 62.1% | 76.1% | 73.3% | 29.6% |
유동비율 | 41.9% | 62.7% | 21.3% | 12.2% | 162.4% |
이자보상배율(배)(주4) | -20.8배 | -2.4배 | -3.4배 | -6.0배 | 212.81배 |
재고자산회전율(회) | 7.6회 | 9.3회 | 8.6회 | 4.6회 | 7.4회 |
매출채권회전율(회) | 4.9회 | 4.5회 | 5.4회 | 6.7회 | 5.0회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업종평균 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C27.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중소기업)" 기준입니다. |
주3) | 동사는 2023년까지 완전자본잠식상태로 부채비율의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주4) | 동사는 2025년 1분기까지 영업손실이 지속 발생함에 따라 이자보상배율이 음(-)의 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주5) | 재고자산회전율(재고자산 순액 기준): 매출액÷평균 재고자산단, 2025년 1분기 재고자산회전율 산출 시 매출액은 최근 12개월(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6) | 매출채권회전율(매출채권 순액 기준): 매출액÷평균 매출채권단, 2025년 1분기 매출채권회전율 산출 시 매출액은 최근 12개월(LTM)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동사는 제품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여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나, 2025년 1분기말 현재까지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수익성 전환 이전 단계의 성장기업으로, 구조적 특성상 업종 평균 대비 재무 안정성은 다소 열위한 수준입니다.
2024년 중 동사가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 및 전환사채가 보통주로 전환됨에 따라 관련 금융상품이 자본으로 대체되었고 이로 인해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 또한 금융상품 관련 유동부채가 자본으로 전환됨에 따라 유동비율은 2024년말 기준 62.7%로 개선되었으며 차입금의존도 또한 62.1%로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동사는 2025년 1분기에도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을 시현함에 따라 2024년말 대비 2025년 1분기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악화되었으며 부분자본잠식 상태입니다.이자보상배율의 경우, 2025년 1분기까지 음(-)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동사는 주요 제품 상용화 이후에도 해외시장 확대에 따른 마케팅 및 인력 투자 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고정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익성 회복이 지연될 경우 재무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이 장기간 음(-)의 상태로 유지될 경우, 외부 자금조달 여건 악화나 금리변동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어, 동사는 매출 성장 및 고정비 비중 축소를 통해 점진적인 회복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은 2022년 4.6회에서 2024년 9.3회로 꾸준히 상승하다 2025년 1분기에는 7.6회로 다소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업종 평균(7.4회)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럽, 일본 등 고부가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수요 확대 및 제품 공급 안정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재고를 확대한 데 따른 일시적인 변동으로 판단되며, 동사는 국가별 발주 주기와 인증 일정, 고객사 협업 프로젝트의 조정 등에 따라 재고자산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월 단위 생산계획 승인, ERP 기반 실시간 재고관리, 반품 모니터링 등 내부통제 절차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시장 수요예측 정밀도를 높이고, 수요 연동형 생산체계를 지속 개선함으로써 재고 회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장기체화 및 손상차손 발생 리스크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매출채권회전율은 2022년 6.7회에서 2025년 1분기 4.9회로 점진적인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업종 평균(5.0회) 대비 소폭 낮은 수준으로 이는 고객에 대한 매출채권 회수 기간이 다소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동사는 연말에 집중되는 유통회사 주문에 따른 매출채권의 일시적 증가와 해외 신규 거래처에 대한 전략적 신용판매 확대 등에 기인하여 매출채권회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동사는 거래처별 회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장기 미회수 채권은 유통구조 조정을 통해 회수를 추진 중입니다. 또한 주요 거래처에 대해서는 무역보험가입, 선수금 유도 등 회수 안정화 장치를 병행하고 있어, 향후 매출채권회전율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회수가 지연될 경우 운전자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표입니다.
동사의 최근 3 사업연도 및 당분기 재무현황 및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사업연도 및 당분기 재무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3 | 3,038 | 3,272 | 2,092 |
단기금융자산 | 394 | 394 | 2,000 | 530 |
소 계_현금성자산 | 1,207 | 3,432 | 5,272 | 2,622 |
단기차입금 | 2,900 | 2,900 | 900 | 1,400 |
장기차입금 | - | - | 2,065 | 2,125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 | 10,520 | 8,575 | 8,653 |
전환상환우선주부채(유동) | 1 | 3 | 5,615 | 4,295 |
전환상환우선주부채(비유동) | - | - | 27 | 174 |
전환사채(비유동) | - | - | 5,210 | - |
리스부채 | 113 | 116 | 68 | 74 |
소 계_이자부부채 | 13,504 | 13,539 | 22,460 | 16,721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a) | (2,145) | (9,623) | (7,990) | (7,774)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b) | (27) | 1,361 | (1,906) | (236)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c) | (58) | 8,007 | 11,077 | 5,015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d=a+b+c) | (2,230) | (254) | 1,182 | (2,995) |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e) | 3,038 | 3,272 | 2,092 | 5,068 |
현금및현금성자산 환율변동효과 (f) | 5 | 21 | (2) | 19 |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g=d+e+f) | 813 | 3,038 | 3,272 | 2,092 |
주)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 온기는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동사의 2025년 1분기말 기준 현금성자산(단기금융자산 포함)은 약 12억원으로, 2024년 말 대비 약 22억원 감소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이자부부채는 약 135억원으로, 2024년 말 대비 유사한 수준(약 0.3억원 감소)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기 유동성에 대한 부담이 존재합니다.동사는 의료기기 산업 특성상 장기간의 연구개발, 임상시험, 인허가 절차를 선행적으로 수반해야 하며, 또한 글로벌 연자(speaker)를 활용한 교육 및 홍보 중심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고정비성 비용이 지속 지출되며 IPO 준비에 따른 회계감사비용, 법률 등 자문성 비용 지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음(-)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기준 약 21억원의 영업현금 유출이 발생하였습니다.한편, 동사의 차입금은 모두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이며, 2025년 1분기말 및 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차입금 현황 및 이와 관련하여 담보로 제공된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고서제출일 현재 차입금 현황] |
(단위: 백만원) |
용도 | 차입처 | 상환방법 | 만기일 | 연 이자율 | 신고서제출일현재 | 2025년1분기말 |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09-22 | CD연동대출기준금리 + 2.1900 | 2,035 | 2,05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11-10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5700 | 7,925 | 7,940 |
시설자금 | 하나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5-11-26 | 여신시장금리CD3개월물 + 3.4610 | 500 | 5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3-17 | 여신시장금리CD3개월물 + 2.8500 | 1,950 | 2,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5-29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8100 | 600 | 6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5-29 | 3개월KORIBOR연동기준금리 + 1.8100 | 300 | 300 |
합계 | 13,310 | 13,390 |
주1) | 2025년 1분기말은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신고서제출일 현재 기준은 동사 집계 기준입니다.. |
[담보 제공 자산 내역] |
(단위: 백만원) |
담보제공자산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담보권자 | 과목 | 차입금액 |
---|---|---|---|---|---|
토지 및건물 | 9,552 | 12,480 | 우리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9,990 |
600 | 하나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500 | ||
특허권 | 20 | 2,400 | 우리은행 | 단기차입금 | 2,000 |
주) | 2025년 1분기말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동사의 차입금은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으로 편중되어 있어 전반적인 만기구조가 단기화되어 있는 상황이나 운전자금 수요에 따라 유연한 자금 운용이 가능하도록 금융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 및 차입에 대한 담보 제공 등을 통해 차환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주요 금융기관과의 약정 갱신 및 신용도 유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동사는 2025년 05월 30일 만기 도래한 900백만원 규모의 단기차입금에 대해 차입처(우리은행)와 사전 협의를 거쳐 전액 2026년 05월 29일로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만기 연장을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부담은 완화된 상황이나, 향후 추가 차입금의 만기 도래 시점 및 자금소요 일정에 따라 단기 유동성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한편, 동사의 차입금 상환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입금 상환 계획] |
(단위: 천원) |
구분 | 기관 | 2025년 1분기말차입금 잔액 | 상환 예상 금액 | |
---|---|---|---|---|
2025년 | 2026년 | |||
원금분할상환 | 우리은행 | 9,990,000 | 9,990,000 | - |
소계 | 9,990,000 | 9,990,000 | - | |
만기일시상환 | 우리은행 | 2,900,000 | 900,000 | 2,000,000 |
하나은행 | 500,000 | 500,000 | - | |
소계 | 3,400,000 | 1,400,000 | - | |
총 합계 | 13,390,000 | 11,390,000 | 2,000,000 |
주1) | 2025년 1분기말 차입금 잔액은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만기일시상환액은 원금분할상환과 달리 상환 스케쥴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차입금으로서 만기시점 자금상황에 따라 차입금 갱신 또는 상환 예정인 금액이며, 2025년 상환 예상 금액은 공모자금유입을 통한 상환 금액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
동사는 본 건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차입금 상환을 통한 부채비율 개선과 이자부담 경감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일본,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제품 상용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생산 효율화, 고정비 통제를 통해 중장기적인 영업현금흐름의 안정화 및 재무구조 개선을 도모할 예정입니다. 특히, 고정비성 비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리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마케팅비 효율화]동사의 주력 제품은 이미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신규 시장 개척보다 기존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과거 진입기 단계에서 집행되던 대규모 초기 마케팅 비용은 제한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디지털 마케팅 등 비용 효율적인 채널을 활용함으로써 고정성 판관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인건비 관리]동사는 주요 제품이 상용화 단계를 마무리함에 따라 일본, 유럽, 미국, 인도 등 글로벌 사업 확장에 필요한 영업 등 주요 인력을 최대한 선제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향후 신규 채용 및 급격한 급여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TA-28 등 형상기억 투명교정 관련 주요 제품은 이미 상용화 단계로 개발 인력에 대한 충원 또한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사는 선제적으로 확보한 인력을 통해 사업 확장과 연구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인건비 증가는 과거 대비 일정 수준에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이러한 비용 구조의 효율화와 수익성 확보 전략을 병행하여, 동사는 재무안정성의 실질적인 개선을 도모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만, 이러한 계획의 성과 여부는 시장 상황, 사업 성과, 자금 조달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은 재무안정성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동사의 향후 1개년간 자금수지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향후 1년간 자금 수지 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영업 현금흐름 | ⒜수입 | 매출대금 | 4,583 | 7,744 | 10,750 | 10,489 |
기타 | 138 | - | - | - | ||
계 | 4,721 | 7,744 | 10,750 | 10,489 | ||
⒝지출 | 원재료비 | 1,151 | 4,122 | 6,330 | 6,176 | |
급여 | 1,344 | 1,526 | 1,899 | 1,842 | ||
판매관리비 | 1,802 | 1,370 | 1,570 | 1,532 | ||
경상연구비 | 954 | 1,294 | 1,887 | 1,851 | ||
기타 | - | - | - | - | ||
계 | 5,251 | 8,312 | 11,685 | 11,401 | ||
영업수지(= ⒜ - ⒝) | -530 | -568 | -935 | -913 | ||
투자 현금흐름 | ⒞수입 | 자산매각 | - | -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 | - | - | ||
⒟지출 | 설비추가/고도화 | - | - | 2,000 | - | |
해외법인 투자 | - | 1,900 |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1,900 | 2,000 | - | ||
투자수지(= ⒞ - ⒟) | - | -1,900 | -2,000 | - | ||
재무 현금흐름 | ⒠수입 | 유상증자 | - | 32,212 | - | - |
기타 | - | - | - | - | ||
계 | - | 32,212 | - | - | ||
⒡지출 | 차입금 상환 | 50 | - | 2,200 | - | |
이자비용 | 201 | 203 | 162 | 162 | ||
기타 | - | - | - | - | ||
계 | 251 | 203 | 2,362 | 162 | ||
재무수지(= ⒠ - ⒡) | -251 | 32,008 | -2,362 | -162 | ||
기초 자금 | 1,202 | 422 | 29,962 | 24,664 | ||
기말 자금 | 422 | 29,962 | 24,664 | 23,590 |
자료: 동사 |
동사는 상기 기재한 자금수지 계획에 따라 자금을 운용할 계획이며, 이를 통하여 재무안정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또한 공모자금의 유입, 미국 시장 본격 진출 및 이익률이 높은 소재 매출 비중 증가 등을 통해 자금수지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자금수지 계획 수립을 통하여 회사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현금 확보에 노력할 것입니다.향후 매출 성장에 따라 영업현금흐름 개선 및 공모자금의 적기 집행이 이루어질 경우 동사의 재무안전성 및 현금흐름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전체 차입금이 1년 이내 만기 도래 예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금시장 경색이나 금리 인상, 신용도 하락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차환 실패 또는 이자비용 급증 등의 재무 부담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리스크가 존재하며 향후 운영자금 확보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재무안정성 및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수요 둔화, 자금소요 확대, 연구개발 지연, 또는 자본조달 계획의 변동 등이 발생할 경우, 재무구조 개선 속도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3) 재무자료의 신뢰성 동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에 의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2024년 온기에 대한 지정감사인으로 삼정회계법인을 지정받았습니다.
사업연도 | 감사의견 | 감사인 | 채택회계기준 |
수정사항 및 그 영향 |
감사인 지정 | 특기사항 |
2025년 1분기 |
적정(검토) | 삼덕회계법인 | K-IFRS | 해당 없음 | - | - |
2024년 |
적정 | 삼정회계법인 | K-IFRS | 해당 없음 | 2024.02.15 | - |
2023년 |
적정 | 삼정회계법인 | K-IFRS | 해당 없음 | 2023.02.15 | - |
2022년 |
적정 | 삼정회계법인 | K-IFRS | 해당 없음 | 2022.11.11 | - |
주1) | 2025년 1분기는 검토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2024년은 감사받은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동사의 최근 3개년도 회계감사 의견은 계속하여 적정 의견이며, 외부감사인은 동사의 주식 등을 보유한 사실이 없습니다. 또한 해당 회계법인의 회계감사 관련 임직원은 주주 또는 친인척 등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감사인 및 감사 관련 인력은 동사의 상장예비심사 신청 관련 재무자료에 대하여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사 재무자료의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향후 외부감사인 선임시에도 독립성을 유지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할 예정입니다. 한편 동사는 경영지원실 및 경영지원팀에서 회계 및 결산업무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내부회계 관리규정' 및 '직무위임전결규정' 등의 내규를 제정하여 재무보고와 관련한 내부통제절차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그래피 자금/회계 업무 분장] |
소속 | 성명 | 직급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
경영 지원본부 - 경영 지원팀 |
서창백 | 재무담당이사(CFO) | 재무/회계 총괄 |
Utah State University Accounting 학사(04)연세대학교 기업경제전공 석사(17)㈜삼영테크놀로지 주임(05-08)㈜한글과컴퓨터 부장(08-19)㈜아큐플라이에이아이 CFO(19-22)㈜한컴라이프케어 CFO(21-24)(주)그래피 CFO (25-현재) |
양대호 | 팀장 |
경영지원팀 팀장 (자금, 회계, 인사총무) |
홍익대학교 회계학 학사(07)(주)스텍 경영기획팀장 (16-20)(주)그래피 경영지원팀장 (25-현재) | |
김보현 | 차장 | 회계담당자 |
한양대학교 석사 (15) ㈜진로발효 파트장 (15-23) ㈜그래피 경영지원팀 차장 (24-현재) |
|
김지안 | 과장 | 자금담당자 |
경인여자대학교 학사 (11) ㈜에스와이패널 대리 (20-22) ㈜그래피 경영지원팀 과장 (22-현재) |
|
지효은 | 대리 | 회계담당자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사 (17) ㈜대일산업 회계, 자금, 총무 (20-23) ㈜그래피 경영지원팀 대리 (23-현재) |
주1) | 동사는 2025년 06월 18일자로 동사의 재무담당이사로서 서창백 이사를 신규 채용하였으며 금번 공모를 위한 청약 개시일 이전에 서창백 이사의 취임에 대한 등기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
동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비상장법인이며 자산총액 1천억원 미만으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상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동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에 대비하여 2022년 회계법인 외부컨설팅을 통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였으며, 2023년 1월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고 내부회계관리자를 선임하는 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을 위한 조직을 정비하였습니다.
마. 경영환경 (1) CEO의 자질심운섭 대표이사는 1994년부터 ㈜코리아스테파에서 자동제어설계 담당업무를 거쳐 1998년 ㈜남양계전에서 Autodesk 지정 공식 엔지니어 등록을 하였습니다. 1999년 국내 최초 Dental CAD/CAM 시스템 솔루션 기술지원 업무를 통해 '디지털덴티스트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학습이 이루어졌고, 2007년에는 ㈜한국아카이브에서 3D프린터, 3D스캐너 그리고 3D밀링머신 등 전략아이템에 대한 사업을 총괄하며,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이후, '디지털 덴티스트리'와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경험을 바탕으로 2011년에 ㈜디디에스에 Digital Dentistry 시스템 사업 총괄임원으로 입사하였으며, 2013년 아시아 최초 3D구강스캐너 및 3D프린터 상용화에 성공하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심운섭 대표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및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2017년 3D프린팅 종합솔루션 기업인 (주)그래피를 설립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소재 합성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해당 소재를 사용하여 3D프린팅 출력물을 만들기까지 전 과정에 대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하며, 3D프린팅 종합솔루션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성명 | 심운섭 (沈 云 燮) (Sim, Un Seob) | 생년월일 | 1971년 4월 24일 | |||
학력 | 기간 | 학교명 | 전공분야 | 학위 | ||
1999.02 (졸업) | 숭실대학교 | 정보처리 | 학사 | |||
경력 | 기간 | 근무처 | 업종 | 담당업무 | 최종직위 | |
2017.01 ~ 현재 | ㈜그래피 | 제조업 |
고기능 3D 프린터 신소재 개발 3D Scanner,3D Printer, 3D SW 사업 고기능 3D 프린터 소재 제조 디지털깁스(SW 및 3D 프린터 개발착수) |
대표이사(창업자) | ||
2011.08 ~ 2016.11.30 | ㈜디디에스 | 제조업 |
Digital Dentistry System 사업총괄 . 기술운용 및 개발관리 . 대외 활동 및 마케팅 . 자금 유치활동 및 기관대응 총괄 |
전무이사/총괄임원 | ||
1999.06 ~ 2011.06 | ㈜한국아카이브 | 3D솔루션 |
전략 아이템 사업부 총괄운영 . 3D 스캐너 사업 . 3D Milling Machine 사업 . 3D Printer 사업 |
Director | ||
1997.01 ~ 1999.03 | ㈜남양계전 | 전기배선 공사업 |
전기 설계 Autodesk 지정 공식 엔지니어 등록 |
과장 | ||
1994.11 ~ 1996.12 | ㈜코리아스테파 | 컨트롤시스템 공급 | 자동제어설계 | 대리 |
동사는 3D 프린팅과 치과 산업 모두에 속하며 해당 산업은 3D 프린터 기반 기술, 신소재 기술, 의료 융합 기술에 관한 전문적 이해도와 경험이 필수적인 분야입니다. 결론적으로 심운섭 대표이사는 1999년부터 (주)한국아카이브에서 3D프린터, 3D스캐너 그리고 3D밀링머신 등 3D프린팅 사업을 총괄하였고 2011년부터 (주)디디에스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치과 분야에 접목하는 사업을 총괄한 경험으로 전문성을 지니고 있으며, 동사의 사업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전반적인 경영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인력 및 조직 경쟁력 동사의 총 임직원 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109명입니다. 동사는 경쟁력 있는 연구개발을 위해 관련 인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왔으며, 이는 세계 최초 형상기억 투명교정 소재 상용화라는 가시적인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문의 중심의 전문적이고 폐쇄적인 교정 시장 내에서 동사 제품의 인지도 제고 및 마케팅을 위하여 영업 인력을 운영 중입니다. 이외에도 경영지원본부, 생산물류총괄 등 동사의 사업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조직 구조를 갖추었습니다.
[그래피 조직도] |
|
동사의 각 부서별 업무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본부 | 부서 | 팀 | 담당업무 |
대표이사 | 경영총괄 | ||
경영지원본부 | - | 재무, 인사, 자재 등 지원업무 총괄 | |
경영지원팀 | 회계, 자금, 인사, 총무, 상품구매 등 지원업무 수행 | ||
자재관리팀 | 효율적인 자재관리, 원활한 생산지원 | ||
임원비서팀 | 임원 일정 관리, 업무 지원 등 | ||
임상케어협력팀 | 국내 병원 영업 관련 마케팅 및 기술 지원 | ||
대외협력팀 | - | 상장 준비 계획 및 전략 수립, 전사 영업전략기획 업무 수행 | |
천안지점 | 원자재 관리, 창고 운영 등 | ||
마케팅팀 | 제품 및 서비스 홍보 등 전략 수립 | ||
국내영업부 | 국내영업1팀 | 국내 시장에서 제품 판매, 영업전략 실행 | |
국내영업2팀 | |||
국내영업3팀 | |||
해외영업부 | 해외영업1팀 | 해외 시장에서 제품 판매, 영업전략 실행 | |
해외영업2팀 | |||
임상연구개발 | 국내 외 협력의사들과의 임상케이스 공유 및 발전적 피드백 회의, 사내 체계화 구축 | ||
임상기술지원 | 임상 사례 확보 및 관리 | ||
기술지원1팀 | 고객 기술 지원, 제품 개선 업무 수행 | ||
기술지원2팀 | 임상 케이스 적용 및 유효성 검증 등 | ||
연구소 | 개발1팀 | 신제품 개발, 업체 요청 TEST 진행 | |
개발2팀(울산) | 3D프린터용 광경화 소재 개발 올리고머 합성 및 치과용 신규 물질 개발 | ||
연구지원 | 정부과제 및 지원사업의 추진과 관리 | ||
연구기획 | 국가과제 및 산학연구의 연구 기획 및 수주 | ||
인증/표준 | 의료기기 규제/인허가 업무 및 의료기기 품질관리 | ||
SW개발부 | 얼라이너 디자인 소프트웨어 개발(DAS, DAM) | ||
3D프린팅부 | 3D프린팅생산팀 | 얼라이너 파일을 실제로 3D프린터를 이용하여 교정장치로 만드는 업무 | |
클리닉디자인팀 | SMA 생산에 필요한 얼라이너 파일을 스마트올소나 DAD를 활용하여 디자인 | ||
생산부 | 회사 제품 제조 및 생산 과정 전반 관리 | ||
HW사업부 | 생산자동화 장비 개발 및 상용화 |
(3) 경영의 투명성 및 안정성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이사회는 심운섭 대표이사, 조태연 사내이사, 박성현 사내이사, 서창백 사내이사, 임충식 사외이사, 김동현 사외이사, 장영렬 사외이사 총 7인의 이사와 유승우 감사 1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동사의 이사회는 경영활동과 관련한 주요한 경영 사항에 대하여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개진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상근이사인 심운섭 대표이사, 조태연, 박성현 사내이사, 서창백 사내이사는 동사의 사업 영위에 필요한 충분한 역량 및 전문성을 겸비하고 있으며 급여 및 복리후생 조건은 회사 내 직급, 기여도, 과거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적정한 수준인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래피 이사회 구성] |
직책명 |
성 명 (출생년) |
담당 업무 |
약 력 |
---|---|---|---|
대표이사 (상근,등기) |
심운섭 (1971) |
경영총괄 |
숭실대 정보처리학과 졸업(99.02) ㈜남양계전 과장(97.01~99.03) ㈜한국아카이브 Director(99.06~11.06) ㈜디디에스 전무이사(11.08~16.11) ㈜그래피 대표이사(17.01~현재) |
사내이사 (상근,등기) |
조태연 (1968) (주2) |
생산물류총괄 |
연세대 상경대 졸업(92.02) 롯데상사㈜ 기획실(96.07~97.03) 이수화학㈜ 경영기획실(98.01~00.03) 중앙종합금융㈜ 기획조사(00.03~00.08) 기라정보통신㈜(00.09~02.07) 메자닌파트너스㈜ 대표(02.08~05.07) 메가나인㈜ 대표(05.07~06.09) ㈜에스아이리소스 대표(07.09~08.11) ㈜쓰리텍 상무(11.04~12.09) 글루온인터내셔널 대표이사(13.01~17.03) 클리어라인 전무이사(17.04~18.07) (주)그래피 상무(18.08~현재) |
사내이사 (상근,등기) |
박성현 (1980) |
운영담당이사 |
서울대 언론정보경영 졸업(05.08) 신한투자증권 부지점장(08.12~22.12) ㈜그래피 경영지원본부 이사(23.01~현재) |
사내이사 (상근,등기) |
서창백(1975) | 재무담당이사 | 연세대학원 경제학 석사 졸업(14.08)삼영테크놀로러지(05.10~08.05)㈜한글과컴퓨터 재무팀 부장(08.05~19.05)㈜아큐플라이에이아이 경영관리실 이사(실장, CFO)(19.05~22.08)㈜한컴라이프케어 경영지원본부 이사(본부장, CFO)(21.12~24.07)㈜그래피 이사(CFO)(25.06~현재) |
사외이사 (비상근, 등기) |
임충식 (1956) |
사외이사 |
강원대 기계공학 석사(96.08) 한국폴리텍대학 디자인계열학과 교과편성 전문위원(06~19) 중소기업대상 3D기구설계와 3D프린팅 및 시제품제작 기술지원(00~현재) 춘천시 스마트토이 산업발전위원회 전문위원(19.03~21.12)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자문위원(19.03~22.03)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출제 및 검토위원(98.03~현재) 3D프린터개발 NCS개선위원(21.05~21.11) ㈜그래피 사외이사(22.03~현재) |
감사 (비상근, 등기) |
유승우 (1974) |
감사 |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00.08) 삼일회계법인Assurance본부(00.11~15.10) 도원회계법인2-3본부(15.11~현재) ㈜그래피 감사(22.03~현재) |
사외이사 (비상근, 등기) |
김동현 (1981) |
사외이사 |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졸업(07.08)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직무대리 / 형사조정위원(13.08~16.10) 법무법인 민후 변호사(14.01~15.03) 법률사무소 메리츠 대표변호사(15.08~현재) ㈜그래피 사외이사(24.3~현재) |
사외이사 (비상근, 등기) |
장영렬(1970) | 사외이사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학사(95)산동회계법인 부산지사(97.10~00.03)삼정회계법인(00.04~02.09)삼경회계법인(02.10~15.04)회계법인세진(15.04~21.03)한길회계법인(21.04~현재)㈜그래피 사외이사(25.07~현재) |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최대주주인 심운섭 대표이사가 3,128,769주(34.65%)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총 3,175,690주(35.1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7.8%의 공모를 반영한 상장 후 심운섭 대표이사의 지분율을 28.34%,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28.77%인 바, 상장 후에도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그래피 최대주주 등의 공모 전후 지분율 변동표] |
구분 | 성명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 공모전 지분율 | 공모후 지분율 |
최대주주등 | 심운섭 | 보통주 | 3,128,769 | 34.65% | 28.34% |
심미순 | 보통주 | 1,518 | 0.02% | 0.01% | |
박성현 | 보통주 | 22,500 | 0.25% | 0.20% |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 박성현 (주1) | 보통주 | 8,903 | 0.10% | 0.08% | |
조태연 | 보통주 | 14,000 | 0.16% | 0.13% | |
소 계 | - | 3,175,690 | 35.16% | 28.77% |
주1)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 중 특수관계인 박성현의 출자 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 8,903주를 별도로 기재하였습니다 |
한편 동사는 공개기업으로서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이사회 내 투명경영위원회 설치를 위해 정관을 개정하고, 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되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및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가 제정한 공정경쟁규약, 상법 등 제반법규 준수 여부 등에 대한 사전심의권을 보유합니다.
[투명경영위원회 구성안] |
구분 | 내용 |
---|---|
투명경영위원회구성안 | 투명경영위원회 위원장 : 사외이사 위원 : 장영렬(사외이사/회계사), 김동현(사외이사/변호사),서창백(사내이사/CFO) |
운영 방안 |
- 분기 1회 이상 정기회의를 개최하여 심의 및 의결을 진행-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전원 찬성으로 결의 - 주요 심의 사항 1. 공정거래법 및 규약 준수 여부의 사전 점검 및 사후 조치, 2. 특수관계인 거래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사후 모니터링 3. 국내외 주요 연자, 매출처, 관계사, 이해관계자 등과의 거래 관련 계약형태, 판매관리비 지급규모 및 회계처리의 적정성 4. 매출채권 관련 회수 현황 및 대손충당의 적정성 5. 재고자산 관련 소진 현황 및 평가충당의 적정성 |
관련 규정 | 투명경영위원회 운영규정 |
설치일 | 2025년 7월 25일 설치 완료 |
투명경영위원회는 2025년 8월 중 최초 회의를 개시하고, 연간 계획에 따라 정기 운영될 예정이며, 동사는 투명경영위원회의 운영 내역을 상장 후 3년간 분기, 반기, 온기 사업보고서에 상세히 공시할 예정입니다.
[투명경영위원회 심의·의결 대상] |
제7조(위원회의 심의·의결 사항)① 위원회의 심의 사항은 다음 각호로 한다.1. 공정거래법 및 규약 준수 여부의 사전 점검 및 사후 조치2. 특수관계인 거래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사후 모니터링3. 국내외 주요 연자, 매출처, 관계사, 이해관계자 등과의 거래에 대한 지급규모 및 회계처리의 적정성4. 매출채권 관련 회수 현황 및 대손 평가의 적정성5. 재고자산 관련 소진 현황 및 평가의 적정성6. 전사적 준법 교육 계획 수립 및 집행7. 내부 제보 및 감시제도 구축 및 감독8. 관련 규제기관의 감사 대응 및 개선조치 이행② 위원회의 의결 사항은 다음 각호로 한다.1. 전항의 심의 사항 중 이행을 위하여 이사회 결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2. 전항의 심의 사항 중 이사회 안건 부의 및 승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
(4) 경영의 독립성
동사는 최대주주의 독단 및 기타 외부조직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사회를 통한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어 경영 독립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사는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1,000억원 미만의 벤처기업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및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에도 상법에 따른 사외이사 선임 의무가 없으나, 내부통제 강화 및 경영 투명성 증대를 위하여 3인의 사외이사와 감사 1인을 선임하여 두고 있습니다.
구분 |
성 명 |
주 요 경 력 |
최대주주등과의 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
사외이사 |
임충식 (1956) |
- 2019~2022년: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자문위원 - 2021년: 3D프린터 개발 NCS 개선 위원 - 2000년~현재: 중소기업 대상 3D기구설계와 3D프린팅 및 시제품 제작 기술지원 - 1979년~2021년: 한국폴리텍대학 춘천캠퍼스 정교수 - 1996년: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기계공학과 CAD/CAM 전공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동현 (1981) |
- 2015~현재: 법무법인 메리츠 대표변호사 - 2014~2015년: 법무법인 민후 변호사 - 2009년: 사법시험 제51회 합격, 사법연수원 제43기 수료 - 2007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장영렬(1970) |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학사(95)- 산동회계법인 부산지사(97.10~00.03)- 삼정회계법인(00.04~02.09)- 삼경회계법인(02.10~15.04)- 회계법인세진(15.04~21.03)- 한길회계법인(21.04~현재)- ㈜그래피 사외이사(25.07~현재)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감사 |
유승우 (1974) |
- 한국 공인회계사, 세무사 - 2017년~현재: [한국벤처투자] 엔젤투자 매칭펀드 '적격판정회의 외부위원' - 2015년~현재: 도원회계법인 근무 (2-3본부) - 2015년: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계감사기준 재무보고체계연구’ 관련 감사실무 TF 연구위원 - 2007년: [한국회계기준원] ‘공정가치 기준서’관련 외부초빙연구위원 - 2000년~2015년: 삼일회계법인 근무 (Assurance 본부) - 1992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입학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동사의 사외이사는 상법 제382조제3항 각호 및 상법 제542조의8제2항 각호에 따른 결격요건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동사의 감사는 상법 제542조의10 제2항 각호에 따른 상근감사로서의 결격요건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동사는 상법 제393조(이사회의 권한) 및 정관을 근거로 2023년 1월 2일 이사회를 통해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모든 이사회를 동 규정에 의거하여 충실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의사 진행과정 및 그 결과를 이사회 의사록에 기재하여 출석한 이사의 기명날인을 받아 이를 본점에 비치하는 등 관련 의사록은 적절히 작성 및 관리되고 있습니다 . 바. 기타 투자자보호 동사에 대한 기업실사 결과 건전한 경영철학과 비전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바, 기타 투자자 보호 관련 제반 사항을 저해할 만한 요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 일반투자자와의 이해상충 가능성
발행회사의 상장주선인인 KB증권㈜ 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발행회사 보통주 185,185주 (총발행주식수의 2.0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위: 주, 원) |
주식의 종류 | 취득일 | 취득주식수(공모 후 지분율) | 주당취득가액 | 총 취득금액 | 공모가격과의괴리율 | 상장 후의무보유 |
보통주 | 2023.11.01 | 185,185주(1.68%) | 10,800원 | 1,999,998,000원 | 57.4% | 주4) |
주1) | 상장주선인 KB증권(주)은 2023.11.01 당시 권면총액 20억원의 전환사채를 취득하였습니다. 최초 취득 당시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 가격은 주당 26,300원이었습니다. 동사는 2023년 매출액 100억원 이상을 달성함에 따라 투자계약 상 전환가격 조정 조항(refixing)에 의거하여 2024.03.27 주당 32,400원으로 전환가격이 변경되었습니다. 동사는 2024.06.26 1주당 2주 무상증자를 진행함에 따라 주당 10,800원으로 전환가격이 변경되었습니다. 상장주선인 KB증권(주)은 2024.12.26 보유한 전환사채 전량을 보통주 185,185주로 전환함에 따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취득주식수는 185,185주입니다. |
주2) | 공모가격과의 괴리율은 (공모가격-취득가액)÷취득가액이며, 공모가격은 희망공모가액 17,000원~20,000원 중 하단인 17,0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공모 후 지분율은 공모후 발행주식수 기준입니다. |
주4) | 상장주선인은 자발적 의무보유 대상자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제7호에 따라 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주식의 70%는 1개월, 30%는 3개월씩 각각 상장일로부터 의무보유합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KB증권㈜의 지분율은 공모 전 2.05%, 공모 후 1.68%로 해당사항 없어 이로 인해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5조(불건전한 인수행위의 금지)(중략)④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7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이해관계가 있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자를 말한다. 다만, 한국거래소, 증권금융회사, 기업인수목적회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발행회사와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금융투자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2. 금융투자회사가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다만 , 발행회사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 제4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종은 제외한다)에는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10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중략) 3. 금융투자회사와 금융투자회사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발행회사의 주식 등을 100분의 10(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5)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4. 금융투자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주주와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5이상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동일인이거나 이해관계인인 경우. 다만, 그 동일인 또는 이해관계인이 정부 또는 기관투자자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이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100분의 1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6.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이 발행회사의 임원이거나 발행회사의 임원이 금융투자회사의 임원인 경우 7. 금융투자회사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이거나 발행회사와 제2조제9호라목의 계열회사 관계에 있는 경우 |
상기와 같이 상장주선인 및 인수회사의 동사 주식 보유는 관련 규정상 문제가 없으며,「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주식의 70%는 1개월, 30%는 3개월씩 각각 상장일로부터 의무보유합니다. 이 점을 고려시 상장주선인의 지분보유에 따른 일반투자자와의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5. 기업공개(IPO) 관련 평가 의견
동사의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시 중요 확약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그래피의 상장예비심사 시 중요 확약사항] |
순번 | 내용 | 조치 사항 | |||||||||||||||||
1 |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및 상장 후 3년간 위원회 운영내역 공시
|
- 2025년 6월 12일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이사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정관개정(위원회 설치근거 신설) 완료- 2025년 7월 25일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규정 제정 이사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신임 사내이사(서창백_前 한컴라이프케어 재무담당이사), 사외이사(장영렬_現 한길회계법인 회계사) 취임 완료- 2025년 7월 25일 서창백 사내이사, 장영렬 사외이사 취임 등기 신청 완료- 2025년 7월 25일 투명경영위원회 설치 완료- 상장 완료 후 분기, 반기, 온기 사업보고서에 위원회 운영내역 3년간 공시 예정
|
|||||||||||||||||
2 | 재무담당이사 변경 등- 증권신고서 제출 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에 해당하는 박성현 재무담당이사의 교체 및 신임 비특수관계인 재무담당이사 선임- 공모(청약) 이전 임시주총 개최 및 취임 등기 완료- 신임 비특수관계인 재무담당이사 선임 이후 시점에 공모자금 집행 | - 2025년 6월 18일 신임 재무담당이사(서창백_前 한컴라이프케어 재무담당이사) 입사 완료- 2025년 7월 25일 임시주주총회 개최 완료- 2025년 7월 25일 취임 등기 신청 완료- 신임 재무담당이사 선임등기 이후 공모자금 집행 예정 | |||||||||||||||||
3 |
자회사 합병 등- 2025년 12월 31일까지 (주)그래피(이하 '회사')와 (주)디지털그래피(이하 '자회사') 간 아래의 합병 절차를 완료
- 양수도 완료 이후 합병 완료시까지 회사와 자회사간 모든 거래 중단- 회사와 자회사간 합병 완료 전 자회사의 자본금 및 지분구조 변동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 2025년 7월 25일 자회사 주요자산(GMP 인증 및 의료기기 품목허가 등) 양수의 건 임시주주총회 개최 완료- 2025년 12월 내 회사와 자회사간 합병 이사회 개최 예정- 2025년 12월 내 합병 완료 및 등기 완료 예정 | |||||||||||||||||
4 |
추가 확약사항 - 원자재 등 구매, 재고관리 및 자금집행 승인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변경 및 이를 원복시키지 않을 것- 소재 원자재 입출고 등 재고관리 업무를 비특수관계인 중심으로 운영하고, 심사 과정에서 보직 변경되었거나 변경키로 한 최대주주의 친인척 등을 기존 업무로 재배치하지 않을 것 |
- 2025년 4월 21일 자재관리팀에서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전모 차장이 담당하던 구매업무를 생산팀으로 이관하였으며 비특수관계인 책임 소관으로 조치 완료. 또한 소재 구매 관련 자금집행에 대한 승인권한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박성현 前 CFO에서 서창백 現CFO로 변경- 2025년 4월 21일 과거 물류팀(천안) 관리자로 재직하던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권모 팀장을 경영지원본부 산하 자재관리팀으로 전보 조치 및 비특수관계인 물류팀장으로 교체 배치 완료 |
주) 상장예비심사 시 요구사항 및 상장위원회 요구사항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
상기 동사의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시 중요 확약사항과 관련하여 확약한 사항의 확약 배경, 확약 내용, 확약 이행 현황 및 계획, 확약사항이 증권의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서. 투자자보호 관련 확약사항 이행과 관련한 위험」에 기재하였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주관회사 내부위원회 논의 내용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내부위원회에서 동사의 공모를 위해 기업가치평가 및 주요 리스크에 대해 논의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대표주관회사 KB증권㈜
내부위원회 명칭 | 위원회 주요 구성원 | 일시 | 논의내용 | 비고 | 결과 |
---|---|---|---|---|---|
리스크심사실무협의회 | 리스크심사 본부장,리스크관리 부서장,기업금융 부서장,대체금융 부서장,재무기획부 부서장,준법지원부 부서장 등 | 2025.05.14 | 1. 회사의 개요(지배구조 및 경영진 현황 등)2. 사업의 내용(주요 제품 설명 및 매출 현황, 경쟁 현황, 비교우위 사항, 시장 현황 등)3. 공모에 관한 사항(공모 개요, 유사회사 선정 및 적용 Multiple 검토)4. 리스크 분석(인수에 따른 리스크 Exposure 분석,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부여에 관한 사항, 최근 수요예측 현황 검토 등) |
- 대상회사는 세계 최초로 형상기억 소재를 활용한 3D프린팅 방식의 투명교정장치를 개발하여, 기존 PETG 열성형 방식 대비 교정력, 편의성, 심미성, 청결성 등에서 기술적 차별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됨. 제품은 미국 FDA, 유럽 CE, 일본 PMDA 등 주요 국가의 인증을 다수 획득하였고, 글로벌 누적 90여 개국 약 150개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 수준의 시장 수용성도 입증된 것으로 판단됨. 국내의 경우, 초기 도입 사례는 일부 확인되나, 아직 본격적인 확산 단계는 아님. 다만 주요 연자(교정전문의) 확보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54.3% 증가한 161억 원으로 빠른 외형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수출 비중은 약 8%로 글로벌 판매 기반이 중심이 되고 있음. 다만, 현재는 본격적인 수익성 시현 전 단계로 영업손실 지속 중이나, 향후 고마진 제품 비중 확대 및 설비 자동화(로봇시스템 등)를 통한 제조 효율 개선이 수익성 전환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됨.- 공모자금은 차입금 상환, 해외법인 설립, 생산설비 고도화 등에 투입될 예정으로, 재무구조 안정화 및 생산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기술성장기업 특성을 반영한 밸류에이션이 적용되며,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기술·제품 차별성과 글로벌 Peer와의 유사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가치를 산정함. 시장 환경 및 실적 가시성을 고려할 때,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모가 및 공모 구조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됨.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 인수수수료 약 13.55억 원이 적용되는 점, 그리고 손익분기점 청약률 달성 여부에 따라 인수 리스크가 존재하나, 유통 가능 주식수가 제한적인 점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손실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판단됨. |
가결 |
(2) 공동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
내부위원회명칭 | 위원회 주요 구성원 | 일시 | 논의내용 | 비고 | 결과 |
투자심사소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기업금융심사부장, 대체투자상품부장, 리스크관리부장, 재무회계자금부장, 전략기획부장, 법무실장, 감리부장 | 2025.06.18 | 산업위험, 사업위험, 재무위험, 공모가 위험 및 인수위험 |
치과교정 시장은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증가', '부정 교합률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꾸준히 성장중. 현재 투명교정시장의 대부분의 매출은 북미(미국)에 집중되어 있고, 그 뒤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이 따르고 있으며 투명교정장치의 출고비중 역시 북미시장이 전체의 과반을 상회동사가 지난 2018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는 치과 분야에서는 혁신적인 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형상기억 교정장치는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특성을 갖고 있어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교정력을 유지하고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해외 신규 시장으로의 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23년과 `24년 매출액이 104억에서 161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단, 사업확장을 위한 지속적인 인원충원, 신제품 개발 및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비가 증가하면서 손실 지속되고 있으나 금번 공모를 통한 해외 진출 및 개발제품 고도화 등을 통한 사업성 제고로 재무건정성 개선 전망 공모가 밴드 상단기준 인수수수료 4.5억원 감안시 손익분기점 청약률에 대해 인수시 손실위험을 배제할 수 없으나 유통가능 주식수로 오버행 리스크가 낮은 점 감안시 실질적인 손실위험은 제한적이라고 판단 |
가결 |
다. 발행회사가 인수인의 추천에 의하여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사업모델기업 특례를 위하여 모집ㆍ매출하는 경우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과거 3년간 주식의 발행 내역과거 3개년간 동사의 주식 발행 내역에 대한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주) 및 공동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주)의 실사 결과 동사 주식 발행에 있어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이행하지 못한 IPO 관련 손해배상 등의 의무발생, 의무보유 조건 등의 계약 조건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됩니다.유상증자의 주당 발행가액은 모두 동사와 투자자 간 협의 및 독립된 외부평가기관에 의해 평가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또한 발행 당시의 동사 과거 실적, 영업 현황, 상장에 대한 가시성 및 상장 후 의무보유 사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발행 시의 기업가치에 대한 별도의 문제점 등을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동사의 과거 3개년간 주식 발행(우선주, 전환사채 포함)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그래피 최근 3년간 주식 발행 내역] |
(단위: 원, 주) |
주식발행일자 | 발행형태및 방식 | 주식종류 | 총발행수량 | 주당발행가액 | 발행후 총 유통주식수 | 발행 관련 중요 계약 조건 | 주요투자자 및 행사자 | 비고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2022-07-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706 | 33,235 | 1,460,312 | 901,677 | 2,361,989 | 해당 없음 | Simon Graf | - |
2022-10-07 | 유상증자 | 보통주 | 12,495 | 33,235 | 1,472,807 | 901,677 | 2,374,484 | 해당 없음 | Kenji Ojima | - |
2022-10-18 | 유상증자 | 보통주 | 8,623 | 33,235 | 1,481,430 | 901,677 | 2,383,107 | 해당 없음 | Chevangkul Narandr | - |
2022-12-01 | 유상증자 | RCPS | 55,000 | 33,235 | 1,481,430 | 956,677 | 2,438,107 | 해당 없음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 |
2023-03-11 | 유상증자 | 보통주 | 30,849 | 33,235 | 1,512,279 | 956,677 | 2,468,956 | 해당 없음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 - |
2023-07-20 | 유상증자 | 보통주 | 9,024 | 33,235 | 1,521,303 | 956,677 | 2,477,980 | 해당 없음 | 김종완, 오혜선, 김준수, 김현수 | - |
2023-09-02 | 유상증자 | 보통주 | 3,962 | 33,235 | 1,525,265 | 956,677 | 2,481,942 | 해당 없음 | Yue Weng Cheu | - |
2023-11-11 | 유상증자 | 보통주 | 5,335 | 33,235 | 1,530,600 | 956,677 | 2,487,277 | 해당 없음 | Ortodoncia Sant Cugat | - |
2023-11-25 | 유상증자 | 보통주 | 2,538 | 33,235 | 1,533,138 | 956,677 | 2,489,815 | 해당 없음 | Raul Diez Ortodoncia | - |
2023-11-30 | 유상증자 | RCPS | 11,406 | 26,300 | 1,533,138 | 968,083 | 2,501,221 | 해당 없음 | 진앤투자파트너스 | - |
2023-12-05 | 유상증자 | RCPS | 3,802 | 26,300 | 1,533,138 | 971,885 | 2,505,023 | 해당 없음 | 진승현 | - |
2024-03-01 | 유상증자 | 보통주 | 36,105 | 33,235 | 1,569,243 | 971,885 | 2,541,128 | 해당 없음 | 전영진, 조영삼 | - |
2024-06-26 | 무상증자 | 보통주 | 3,138,486 | - | 4,707,729 | 971,885 | 5,679,614 | 해당 없음 | 전체 주주 대상 | - |
2024-06-26 | 무상증자 | RCPS | 1,943,770 | - | 4,707,729 | 2,915,655 | 7,623,384 | 해당 없음 | 전체 주주 대상 | - |
2024-11-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8,594 | 16,274 | 4,826,323 | 2,915,655 | 7,741,978 | 해당 없음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 |
2024-11-28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보통주 | 46,000 | 2,967 | 4,872,323 | 2,915,655 | 7,787,978 | 해당 없음 | 신왕기, 김훈, 조태연 | - |
2024-12-13 | 유상증자 | 보통주 | 122,895 | 16,274 | 4,995,218 | 2,915,655 | 7,910,873 | 해당 없음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 |
2024-12-13 | 유상증자 | 보통주 | 30,724 | 16,274 | 5,025,942 | 2,915,655 | 7,941,597 | 해당 없음 | 한빛인베스트먼트 | - |
2024-12-13 | 유상증자 | 보통주 | 30,724 | 16,274 | 5,056,666 | 2,915,655 | 7,972,321 | 해당 없음 | 모비릭스파트너스 | - |
2024-12-19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257,401 | - | 5,314,067 | 2,915,655 | 8,229,722 | 해당 없음 | 기 발행 우선주 주주 및 전환사채권자의 보통주 전환 | - |
2024-12-19 | RCPS | -231,813 | - | 5,314,067 | 2,683,842 | 7,997,909 | 해당 없음 | - | ||
2024-12-19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691,407 | - | 6,005,474 | 2,683,842 | 8,689,316 | 해당 없음 | - | |
2024-12-19 | RCPS | -631,549 | - | 6,005,474 | 2,052,293 | 8,057,767 | 해당 없음 | - | ||
2024-12-23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176,836 | - | 6,182,310 | 2,052,293 | 8,234,603 | 해당 없음 | - | |
2024-12-23 | RCPS | -159,777 | - | 6,182,310 | 1,892,516 | 8,074,826 | 해당 없음 | - | ||
2024-12-24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271,445 | - | 6,453,755 | 1,892,516 | 8,346,271 | 해당 없음 | - | |
2024-12-24 | RCPS | -258,816 | - | 6,453,755 | 1,633,700 | 8,087,455 | 해당 없음 | - | ||
2024-12-26 | 전환권 행사 (전환사채) | 보통주 | 892,278 | - | 7,346,033 | 1,633,700 | 8,979,733 | 해당 없음 | - | |
2024-12-26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91,141 | - | 7,437,174 | 1,633,700 | 9,070,874 | 해당 없음 | - | |
2024-12-26 | RCPS | -82,628 | - | 7,437,174 | 1,551,072 | 8,988,246 | 해당 없음 | - | ||
2024-12-27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1,233,928 | - | 8,671,102 | 1,551,072 | 10,222,174 | 해당 없음 | - | |
2024-12-27 | RCPS | -1,182,736 | - | 8,671,102 | 368,336 | 9,039,438 | 해당 없음 | - | ||
2024-12-30 | 자사주 소각 | RCPS | -8,591 | - | 8,671,102 | 359,745 | 9,030,847 | 해당 없음 | - | |
2024-12-30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347,250 | - | 9,018,352 | 359,745 | 9,378,097 | 해당 없음 | - | |
2024-12-30 | RCPS | -347,250 | - | 9,018,352 | 12,495 | 9,030,847 | 해당 없음 | - | ||
2024-12-31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10,155 | - | 9,028,507 | 12,495 | 9,041,002 | 해당 없음 | - | |
2024-12-31 | RCPS | -10,155 | - | 9,028,507 | 2,340 | 9,030,847 | 해당 없음 | - | ||
2025-01-08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1,170 | - | 9,029,677 | 2,340 | 9,032,017 | 해당 없음 | - | |
2025-01-08 | RCPS | -1,170 | - | 9,029,677 | 1,170 | 9,030,847 | 해당 없음 | - | ||
2025-01-14 | 전환권 행사 (우선주) | 보통주 | 600 | - | 9,030,277 | 1,170 | 9,031,447 | 해당 없음 | - | |
2025-01-14 | RCPS | -600 | - | 9,030,277 | 570 | 9,030,847 | 해당 없음 | - |
주1) | 최근 3개년(2022년~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의 신주발행 내역이며, 주당 취득가액은 투자 당시 동사의 실적 및 영업 현황, 성장성 등 정성적인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투자자와의 협의를 통해 결정하였습니다. | ||||||||||||||||||||||||||||||||||||
주2)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크라우드펀드(제1회RCPS) 우선주 570주를 제외한 모든 우선주는 보통주로 전환 완료하였습니다. | ||||||||||||||||||||||||||||||||||||
주3) | 2022년 12월 발행한 RCPS는 최초 전환가는 1주당 33,235원(2024년 6월 26일 200% 무상증자 고려시 11,078원) 이였으나 [인수계약서 제10조(전환권에 관한 사항) 3항 7호 "본건 주식의 투자 이후 후행 투자자의 전환비율 조정이 본건 주식보다 유리한 경우 후행 투자자의 전환비율에 따라 전환비율을 조정한다"]에 따라서 주당 전환가는 1주당 32,400원(2024년 6월 26일 200% 무상증자 고려시 10,800원)을 기준으로 보통주로 전환 완료되었습니다. 최종 전환가는 후행 투자자인 2023년 11월 30일 진앤투자파트너스와 2023년 12월 5일 진승현의 전환조건과 동일하게 조정되었습니다. | ||||||||||||||||||||||||||||||||||||
주4) |
2023년 11월 발행한 RCPS는 최초 발행가는 1주당 26,300원이였으나, 동사가 2023년 매출액 104억원을 달성함에 따라 우선주인수계약시 계약서내 제15조(전환 관련 사항)의 10항내 리픽싱 조건(2023년 매출액 100억원 이상 달성시 1주당 32,400원)에 따라 보통주 1주당 전환가 32,400원(2024년 6월 26일 200% 무상증자 고려시 10,80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다만, 신청회사의 우선주를 전환 및 등기하는 과정에서 "[상업등기선례 제2-40호]에 따라 상환전환우선주의 경우 보통주로 전환시 자본감소의 효과가 발생하는 전환, 즉 전환주식과 전환권의 행사에 의하여 새로이 발행되는 주식의 비율이 1:1 미만이 되는 주식의 전환은 인정되지 아니함]"에 따라 절차상 하자가 없는 전환 및 등기를 위해 법무법인(유한)동인의 법률검토 의견에 따라, 전환시 보통주식수 한도(a)만큼만 리픽싱 전 전환가인 8,767원으로 보통주 전환 후, 잔여 우선주인 감소 주식수(b) 8,591주는 동사가 각 주주로부터 무상으로 취득하여 2024년 12월 30일 자기주식 소각 완료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전환가 10,800원으로 전환한 주식수와 동일한 주식수만큼만 보통주 발행 및 등기 완료 되었습니다.
|
||||||||||||||||||||||||||||||||||||
주5) |
전환사채의 발행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환사채 최초 발행시 주식수는 사채 발행시 전환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 주식수입니다. 동사는 2023년 매출액 104억원을 달성하여,[전환사채인수계약시 계약서내 13조(전환권 관련 사항)]에 따라 전환사채 발행 당시 최초 전환가는 보통주1주당 26,300원이였으나, [13조(전환권 관련 사항) 3항 8 리픽싱 조건(2023년 매출액 100억원 이상 달성시 1주당 32,400원)]에 따라 전환가는 사후적으로 32,40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
6. 주관회사의 인수 실적
(1) 대표주관회사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중 KB증권㈜이 (공동)대표주관회사 혹은 (공동)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 KB증권 과거 3개년 기업공개 참여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 ] |
(단위: 원) |
상장회사명 | 소속시장 | 상장일 | 공모희망가 | 공모가 | 수익률 | |||||||
하단 | 상단 | 구분 | 상장일 | 1개월 | 3개월 | 6개월 | 9개월 | 12개월 | ||||
LG에너지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2-01-27 | 257,000 | 300,000 | 300,000 | 공모주식(A) | 68.33% | 40.00% | 39.33% | 31.17% | 80.00% | 68.67% |
시장지수(B) | -3.50% | -1.20% | -2.59% | -10.84% | -15.52% | -8.31% | ||||||
시장지수 초과(A-B) | 71.83% | 41.20% | 41.92% | 42.01% | 95.52% | 76.98% | ||||||
스톤브릿지벤처스 | 코스닥시장 | 2022-02-25 | 9,000 | 10,500 | 8,000 | 공모주식(A) | -18.63% | -5.88% | -18.63% | -24.25% | -41.56% | -34.88% |
시장지수(B) | 2.92% | 10.20% | 2.89% | -4.81% | -13.52% | -8.17% | ||||||
시장지수 초과(A-B) | -21.55% | -16.07% | -21.51% | -19.44% | -28.05% | -26.70% | ||||||
지투파워 | 코스닥시장 | 2022-04-01 | 13,500 | 16,400 | 16,400 | 공모주식(A) | 114.94% | 35.98% | 96.04% | 85.37% | 150.30% | 264.94% |
시장지수(B) | -0.42% | -4.21% | -22.77% | -28.78% | -28.08% | -10.27% | ||||||
시장지수 초과(A-B) | 115.36% | 40.19% | 118.80% | 114.15% | 178.39% | 275.21% | ||||||
청담글로벌 | 코스닥시장 | 2022-06-03 | 8,400 | 9,600 | 6,000 | 공모주식(A) | 27.33% | 87.50% | 49.00% | 78.33% | 110.83% | 38.50% |
시장지수(B) | 0.04% | -18.14% | -11.81% | -17.75% | -9.96% | -2.59% | ||||||
시장지수 초과(A-B) | 27.29% | 105.64% | 60.81% | 96.08% | 120.79% | 41.09% | ||||||
성일하이텍 | 코스닥시장 | 2022-07-28 | 40,700 | 47,500 | 50,000 | 공모주식(A) | 76.40% | 130.00% | 158.60% | 106.40% | 172.80% | 177.00% |
시장지수(B) | 0.33% | 0.85% | -13.58% | -6.84% | 5.92% | 14.83% | ||||||
시장지수 초과(A-B) | 76.07% | 129.15% | 172.18% | 113.24% | 166.88% | 162.17% | ||||||
더블유씨피 | 코스닥시장 | 2022-09-30 | 80,000 | 100,000 | 60,000 | 공모주식(A) | -30.50% | -20.33% | -32.75% | -20.50% | 21.67% | -13.33% |
시장지수(B) | -0.36% | 1.86% | 0.63% | 25.98% | 28.61% | 24.58% | ||||||
시장지수 초과(A-B) | -30.14% | -22.19% | -33.38% | -46.48% | -6.95% | -37.92% | ||||||
모델솔루션 | 코스닥시장 | 2022-10-07 | 24,000 | 27,000 | 27,000 | 공모주식(A) | 14.44% | -13.89% | -33.70% | -10.19% | -34.26% | -44.41% |
시장지수(B) | -1.07% | -0.78% | -2.42% | 24.65% | 22.84% | 15.63% | ||||||
시장지수 초과(A-B) | 15.51% | -13.11% | -31.29% | -34.84% | -57.10% | -60.04% | ||||||
산돌 | 코스닥시장 | 2022-10-27 | 16,000 | 18,800 | 18,800 | 공모주식(A) | 10.90% | -21.54% | -24.79% | -30.43% | -50.21% | -62.66% |
시장지수(B) | 1.74% | 7.38% | 8.50% | 24.45% | 29.37% | 9.56% | ||||||
시장지수 초과(A-B) | 9.16% | -28.92% | -33.29% | -54.88% | -79.58% | -72.22% | ||||||
한싹 | 코스닥시장 | 2023-10-04 | 8,900 | 11,000 | 12,500 | 공모주식(A) | 72.00% | 55.52% | 34.00% | 22.40% | -48.40% | -51.68% |
시장지수(B) | -4.00% | -0.19% | 3.00% | 4.98% | -0.02% | -8.57% | ||||||
시장지수 초과(A-B) | 76.00% | 55.71% | 31.00% | 17.42% | -48.38% | -43.11% | ||||||
두산로보틱스 | 유가증권시장 | 2023-10-05 | 21,000 | 26,000 | 26,000 | 공모주식(A) | 97.69% | 72.31% | 291.54% | 187.31% | 193.08% | 142.31% |
시장지수(B) | -0.09% | -1.55% | 7.17% | 12.82% | 18.98% | 9.65% | ||||||
시장지수 초과(A-B) | 97.78% | 73.86% | 284.37% | 174.48% | 174.10% | 132.66% | ||||||
쏘닉스 | 코스닥시장 | 2023-11-07 | 5,000 | 7,000 | 7,500 | 공모주식(A) | 25.73% | -31.20% | -47.53% | -52.27% | -69.73% | -65.40% |
시장지수(B) | -1.80% | -3.13% | -3.28% | 3.79% | -10.83% | -12.62% | ||||||
시장지수 초과(A-B) | 27.53% | -28.07% | -44.25% | -56.06% | -58.90% | -52.78% | ||||||
에스와이스틸텍 | 코스닥시장 | 2023-11-13 | 1,200 | 1,500 | 1,800 | 공모주식(A) | 125.83% | 59.72% | 93.06% | 40.00% | 101.11% | 247.22% |
시장지수(B) | -1.89% | 5.07% | 7.07% | 8.25% | -3.10% | -12.63% | ||||||
시장지수 초과(A-B) | 127.72% | 54.65% | 85.98% | 31.75% | 104.21% | 259.85% | ||||||
에코아이 | 코스닥시장 | 2023-11-21 | 28,500 | 34,700 | 34,700 | 공모주식(A) | 79.54% | 52.45% | 6.34% | -17.87% | -42.07% | -55.97% |
시장지수(B) | 0.48% | 5.70% | 6.27% | 4.11% | -4.08% | -16.28% | ||||||
시장지수 초과(A-B) | 79.06% | 46.75% | 0.07% | -21.98% | -37.99% | -39.68% | ||||||
LS머트리얼즈 | 코스닥시장 | 2023-12-12 | 4,400 | 5,500 | 6,000 | 공모주식(A) | 300.00% | 644.17% | 325.00% | 369.17% | 187.00% | 79.67% |
시장지수(B) | 0.51% | 3.93% | 6.52% | 4.24% | -12.48% | -18.19% | ||||||
시장지수 초과(A-B) | 299.49% | 640.24% | 318.48% | 364.93% | 199.48% | 97.85% | ||||||
DS단석 | 유가증권시장 | 2023-12-22 | 79,000 | 89,000 | 100,000 | 공모주식(A) | 300.00% | 110.50% | 50.50% | 4.50% | -24.60% | -72.56% |
시장지수(B) | -0.02% | -5.22% | 5.71% | 7.09% | -0.26% | -6.06% | ||||||
시장지수 초과(A-B) | 300.02% | 115.72% | 44.79% | -2.59% | -24.34% | -66.50% | ||||||
우진엔텍 | 코스닥시장 | 2024-01-24 | 4,300 | 4,900 | 5,300 | 공모주식(A) | 300.00% | 416.98% | 415.09% | 420.75% | 316.04% | 306.60% |
시장지수(B) | -0.46% | 3.57% | 0.68% | -1.36% | -12.11% | -13.74% | ||||||
시장지수 초과(A-B) | 300.46% | 413.41% | 414.41% | 422.11% | 328.15% | 320.34% | ||||||
제일엠앤에스 | 코스닥시장 | 2024-04-30 | 15,000 | 18,000 | 22,000 | 공모주식(A) | 22.73% | -28.00% | -49.09% | -50.91% | -69.32% | - |
시장지수(B) | -0.09% | -4.34% | -8.30% | -14.43% | -16.21% | - | ||||||
시장지수 초과(A-B) | 22.82% | -23.66% | -43.15% | -38.92% | -53.11% | - | ||||||
민테크 | 코스닥시장 | 2024-05-03 | 6,500 | 8,500 | 10,500 | 공모주식(A) | 22.67% | -18.38% | -29.62% | -41.43% | -59.95% | -60.52% |
시장지수(B) | -0.22% | -2.62% | -7.34% | -14.34% | -18.87% | -16.15% | ||||||
시장지수 초과(A-B) | 22.88% | -15.76% | -22.28% | -27.09% | -41.08% | -44.37% | ||||||
HD현대마린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4-05-08 | 73,300 | 83,400 | 83,400 | 공모주식(A) | 96.52% | 71.22% | 64.63% | 62.59% | 103.00% | 83.45% |
시장지수(B) | 0.39% | -1.64% | 1.58% | -5.32% | -8.23% | -6.38% | ||||||
시장지수 초과(A-B) | 96.13% | 72.86% | 63.04% | 67.91% | 111.23% | 89.84% | ||||||
와이제이링크 | 코스닥시장 | 2024-10-18 | 8,600 | 9,800 | 12,000 | 공모주식(A) | 81.67% | 15.50% | 1.75% | -32.00% | - | - |
시장지수(B) | -1.55% | -10.91% | -6.15% | -6.95%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83.21% | 26.41% | 7.90% | -25.05% | - | - | ||||||
탑런토탈솔루션 | 코스닥시장 | 2024-11-01 | 12,000 | 14,000 | 9,000 | 공모주식(A) | -23.67% | -38.33% | -48.89% | -52.39% | - | |
시장지수(B) | -1.89% | -6.55% | -5.28% | -2.11%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1.78% | -31.78% | -43.61% | -50.28% | - | - | ||||||
엠앤씨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4-12-16 | 80,000 | 93,300 | 65,000 | 공모주식(A) | -20.31% | -17.85% | 31.08% | - | - | - |
시장지수(B) | -0.22% | 0.09% | 5.38%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0.09% | -17.94% | 25.70% | - | - | - | ||||||
삼양엔씨켐 | 코스닥시장 | 2025-02-03 | 16,000 | 18,000 | 18,000 | 공모주식(A) | -0.22% | 4.78% | -7.11% | - | - | - |
시장지수(B) | -3.36% | 2.15% | -1.22%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3.14% | 2.63% | -5.89% | - | - | - | ||||||
LG씨엔에스 | 유가증권시장 | 2025-02-05 | 53,700 | 61,900 | 61,900 | 공모주식(A) | -9.85% | -23.42% | -15.02% | - | - | - |
시장지수(B) | 1.11% | 3.08% | 3.02%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0.97% | -26.51% | -18.04% | - | - | - | ||||||
아이에스티이 | 코스닥시장 | 2025-02-12 | 9,700 | 11,400 | 11,400 | 공모주식(A) | 97.37% | 10.09% | -4.39% | - | - | - |
시장지수(B) | -0.59% | -2.68% | -3.23%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97.96% | 12.77% | -1.16% | - | - | - | ||||||
동국생명과학 | 코스닥시장 | 2025-02-17 | 12,600 | 14,300 | 9,000 | 공모주식(A) | 39.22% | 10.22% | 2.67% | - | - | - |
시장지수(B) | 1.61% | -1.69% | -3.05%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37.61% | 11.92% | 5.72% | - | - | - | ||||||
심플랫폼 | 코스닥시장 | 2025-03-21 | 13,000 | 15,000 | 15,000 | 공모주식(A) | -3.33% | 7.47% | - | - | - | - |
시장지수(B) | -0.79% | -1.85% | -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54% | 9.31% | - | - | - | - | ||||||
구분 | 상장회사의 수 | 평균 수익률 | ||||||||||
유가증권시장 | 6 | 시장지수 초과(A-B) | 69.14% | 59.47% | 51.81% | 51.23% | 52.41% | 52.61% | ||||
코스닥시장 | 21 | -0.49% | -0.85% | -1.25% | 0.33% | -2.50% | -3.65% | |||||
합계 | 27 | 69.63% | 60.31% | 52.97% | 50.78% | 54.91% | 56.26% |
주1) | 상기 내역은 KB증권㈜가 (공동)대표주관회사 혹은 (공동)주관회사로서 상장에 참여한 건들로, SPAC상장, 이전상장, REITs, 인프라펀드 및 SPAC합병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2) 공동주관회사
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중 신한투자증권㈜이 (공동)대표주관회사 혹은 (공동)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 신한투자증권 과거 3개년 기업공개 참여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 ] |
(단위: 원) |
상장회사명 | 소속시장 | 상장일 | 공모희망가 | 공모가 | 수익률 | |||||||
---|---|---|---|---|---|---|---|---|---|---|---|---|
하단 | 상단 | 구분 | 상장일 | 1개월 | 3개월 | 6개월 | 9개월 | 12개월 | ||||
키스트론 | 코스닥시장 | 2025.05.30 | 3,100 | 3,600 | 3,600 | 공모주식(A) | 168.33% | - | - | - | - | - |
시장지수(B) | 0.81% | - | -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67.52% | - | - | - | - | - | ||||||
신한제16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5.05.28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4.00% | - | - | - | - | - |
시장지수(B) | 1.03% | - | -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97% | - | - | - | - | - | ||||||
티엑스알로보틱스 | 코스닥시장 | 2025.03.19 | 11,500 | 13,500 | 13,500 | 공모주식(A) | 53.33% | 56.67% | - | - | - | - |
시장지수(B) | -1.79% | 2.17% | -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55.12% | 54.49% | - | - | - | - | ||||||
LG CNS | 유가증권시장 | 2025.02.05 | 53,700 | 61,900 | 61,900 | 공모주식(A) | -9.85% | -24.80% | -14.54% | - | - | - |
시장지수(B) | 2.25% | -16.58% | -5.20%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2.11% | -8.22% | -9.34% | - | - | - | ||||||
쓰리에이로직스 | 코스닥시장 | 2024.12.23 | 15,700 | 18,200 | 11,000 | 공모주식(A) | -17.00% | -44.45% | -4.73% | - | - | - |
시장지수(B) | 0.13% | -33.08% | 14.79%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7.13% | -11.38% | -19.51% | - | - | - | ||||||
신한제14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12.23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4.85% | -2.55% | -0.30% | - | - | - |
시장지수(B) | 1.64% | 2.42% | 4.78%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6.49% | -4.97% | -5.08% | - | - | - | ||||||
벡트 | 코스닥시장 | 2024.12.16 | 3,500 | 3,900 | 3,900 | 공모주식(A) | 98.21% | 0.26% | -0.77% | - | - | - |
시장지수(B) | 0.69% | -49.42% | -49.94%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97.51% | 49.67% | 49.17% | - | - | - | ||||||
위츠 | 코스닥시장 | 2024.11.20 | 5,300 | 6,400 | 6,400 | 공모주식(A) | 129.53% | 70.47% | 30.94% | -0.78% | - | - |
시장지수(B) | -0.47% | -25.73% | -42.95% | -56.77%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30.00% | 96.20% | 73.89% | 55.99% | - | - | ||||||
신한제15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11.15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0.00% | 0.00% | 0.25% | 2.75% | - | - |
시장지수(B) | 0.57% | 0.00% | 0.25% | 2.75%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0.57% | 0.00% | 0.00% | 0.00% | - | - | ||||||
에이치이엠파마 | 코스닥시장 | 2024.11.05 | 16,400 | 19,000 | 23,000 | 공모주식(A) | -28.70% | -43.83% | -21.00% | -8.04% | - | - |
시장지수(B) | -0.30% | -21.22% | 10.79% | 28.96%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8.39% | -22.61% | -31.79% | -37.01% | - | - | ||||||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 | 유가증권시장 | 2024.07.01 | 3,000 | 3,800 | 3,000 | 공모주식(A) | -8.00% | -6.17% | -14.17% | -31.33% | -48.80% | - |
시장지수(B) | 0.23% | 1.99% | -6.70% | -25.36% | -44.35% | - | ||||||
시장지수 초과(A-B) | -8.23% | -8.16% | -7.46% | -5.97% | -4.45% | - | ||||||
HD현대마린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4.05.08 | 73,300 | 83,400 | 83,400 | 공모주식(A) | 96.52% | 57.67% | 38.01% | 80.70% | 102.04% | 91.37% |
시장지수(B) | 0.39% | -19.77% | -29.77% | -8.05% | 2.81% | -2.62% | ||||||
시장지수 초과(A-B) | 96.13% | 77.44% | 67.78% | 88.75% | 99.23% | 93.99% | ||||||
신한제13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04.22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9.75% | 8.50% | 12.50% | 7.75% | 4.75% | 6.50% |
시장지수(B) | 0.46% | -1.14% | 2.51% | -1.82% | -4.56% | -2.96% | ||||||
시장지수 초과(A-B) | 9.29% | 9.64% | 9.99% | 9.57% | 9.31% | 9.46% | ||||||
신한제12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04.15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5.25% | 4.75% | 9.00% | 7.25% | 3.00% | 3.25% |
시장지수(B) | -0.94% | -0.48% | 3.56% | 1.90% | -2.14% | -1.90% | ||||||
시장지수 초과(A-B) | 6.19% | 5.23% | 5.44% | 5.35% | 5.14% | 5.15% | ||||||
에이피알 | 유가증권시장 | 2024.02.27 | 147,000 | 200,000 | 250,000 | 공모주식(A) | 27.00% | 5.80% | 40.80% | 2.00% | -79.40% | -78.36% |
시장지수(B) | -0.83% | -16.69% | 10.87% | -19.69% | 3.00% | 8.20% | ||||||
시장지수 초과(A-B) | 27.83% | 22.49% | 29.93% | 21.69% | -82.40% | -86.56% | ||||||
유투바이오 | 코스닥시장 | 2023.11.02 | 3,300 | 3,900 | 4,400 | 공모주식(A) | 94.32% | 32.50% | 6.02% | -12.27% | -11.25% | -25.80% |
시장지수(B) | 4.55% | -31.81% | -45.44% | -54.85% | -54.33% | -61.81% | ||||||
시장지수 초과(A-B) | 89.77% | 64.31% | 51.46% | 42.58% | 43.08% | 36.02% | ||||||
신한제11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3.10.04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5.00% | -6.70% | -6.75% | -1.55% | -1.35% | -2.55% |
시장지수(B) | -4.00% | -1.79% | -1.84% | 3.63% | 3.84% | 2.58% | ||||||
시장지수 초과(A-B) | -1.00% | -4.91% | -4.91% | -5.18% | -5.19% | -5.13% | ||||||
시큐센 | 코스닥시장 | 2023.06.29 | 2,000 | 2,400 | 3,000 | 공모주식(A) | 205.00% | 16.67% | 13.50% | 62.33% | 5.50% | -28.50% |
시장지수(B) | -0.60% | 5.39% | -6.87% | -0.05% | 4.97% | -3.06% | ||||||
시장지수 초과(A-B) | 205.60% | 11.27% | 20.37% | 62.38% | 0.53% | -25.44% | ||||||
씨유박스 | 코스닥시장 | 2023.05.19 | 17,200 | 23,200 | 15,000 | 공모주식(A) | -7.20% | -18.20% | -34.33% | -50.20% | -46.80% | -62.00% |
시장지수(B) | 0.70% | 6.31% | 4.96% | -2.73% | 2.70% | 1.34% | ||||||
시장지수 초과(A-B) | -7.90% | -24.51% | -39.29% | -47.47% | -49.50% | -63.34% | ||||||
미래반도체 | 코스닥시장 | 2023.01.27 | 5,300 | 6,000 | 6,000 | 공모주식(A) | 160.00% | 188.17% | 313.33% | 290.00% | 193.33% | 267.50% |
시장지수(B) | 0.31% | 5.60% | 12.38% | 21.88% | 0.66% | 13.30% | ||||||
시장지수 초과(A-B) | 159.69% | 182.57% | 300.95% | 268.12% | 192.67% | 254.20% | ||||||
더블유씨피 | 코스닥시장 | 2022.09.30 | 80,000 | 100,000 | 60,000 | 공모주식(A) | -30.50% | -16.92% | -32.75% | -23.83% | 18.83% | -18.92% |
시장지수(B) | -0.36% | 3.00% | 0.63% | 25.02% | 27.66% | 19.60% | ||||||
시장지수 초과(A-B) | -30.14% | -19.92% | -33.38% | -48.85% | -8.83% | -38.52% | ||||||
대성하이텍 | 코스닥시장 | 2022.08.22 | 7,400 | 9,000 | 9,000 | 공모주식(A) | 62.22% | 32.78% | -5.67% | 3.67% | 14.89% | -11.11% |
시장지수(B) | -2.25% | -7.28% | -11.74% | -2.55% | 4.65% | 9.16% | ||||||
시장지수 초과(A-B) | 64.47% | 40.06% | 6.08% | 6.22% | 10.24% | -20.27% | ||||||
신한제10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2.07.29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7.25% | 6.25% | 2.00% | 2.75% | 4.50% | 8.75% |
시장지수(B) | 0.66% | -2.31% | -13.87% | -7.48% | 5.58% | 14.46% | ||||||
시장지수 초과(A-B) | 6.59% | 8.56% | 15.87% | 10.23% | -1.08% | -5.71% | ||||||
위니아에이드 | 코스닥시장 | 2022.06.23 | 14,200 | 16,200 | 16,200 | 공모주식(A) | -32.10% | -39.14% | -53.02% | -58.89% | -61.23% | -65.43% |
시장지수(B) | -4.36% | 5.73% | 0.60% | -4.28% | 8.90% | 17.33% | ||||||
시장지수 초과(A-B) | -27.74% | -44.86% | -53.62% | -54.61% | -70.13% | -82.76% | ||||||
구분 | 상장회사의 수 | 평균 수익률 | ||||||||||
유가증권시장 | 4개사 | 시장지수 초과 | 25.91% | 20.89% | 20.23% | 34.82% | 4.13% | 3.72% | ||||
코스닥시장 | 20개사 | 43.77% | 21.60% | 20.33% | 19.09% | 11.48% | 5.79% | |||||
합계 | 24개사 | 40.79% | 21.47% | 20.31% | 21.87% | 9.90% | 5.47% |
주) 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 중 공모가 포함되지 않은 스팩합병, 인적분할, 이전상장 형태의 상장 건은 제외하였습니다.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29,25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877,500,000 |
발행제비용 (3) | 1,711,832,900 |
순수입금 [(1) + (2) - (3)] | 28,415,667,100 |
주1) | 총 공모금액은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에 근거하여 확정공모가액 15,000원 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 산 근 거 |
---|---|---|
인수수수료 | 1,355,737,500 | 총 공모금액의 4.5% |
사무주관수수료 | 301,275,000 | 총 공모금액의 1.0% |
상장심사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등록세 | 4,017,000 | 자본금 증가액의 0.4% |
교육세 | 803,400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50,000,000 | IR비용, 회계법인용역비, 인쇄비, 광고비 등 |
합 계 | 1,711,832,900 | -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확정공모가액 15,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이 포함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기준일 : |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으로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설비투자, 재무구조 개선, 해외법인 설립, 연구개발, 마케팅, 특허전략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목적별 배정 금액 및 집행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2,000 | 600 | 600 | 3,2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 (미국, 독일, 일본) | 500 | 3,000 | 3,600 | 7,100 |
연구개발 | 700 | 1,300 | 2,000 | 4,000 | |
특허전략 | 700 | 700 | 700 | 2,100 | |
마케팅 등 | 2,000 | 2,000 | 2,012 | 6,0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2,035 | 2,000 | 569 | 4,604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1,400 | - | - | 1,400 |
합계 | 9,335 | 9,600 | 9,481 | 28,416 |
한편,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시점에서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공모가 하단 기준 총 공모금액을 기준으로 예상 자금조달금액 총액을 산정하였으나, 증권신고서 제출 과정에서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 및 발행제비용을 반영한 순수입금액 기준으로 조정하였습니다.이 과정에서 전체 조달자금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금집행 우선순위 및 사업추진계획의 현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항목의 금액이 조정되었습니다. 특히, 설비투자(시설자금) 항목의 경우, 생산공간 확충 및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투자는 유지하되, 구체적 설비(스마트팩토리) 도입 범위 및 시기를 조정하면서 총 투자규모를 42억 원에서 32억 원으로 조정하였습니다. 해당 조정은 자금의 과다 계상 가능성을 보완하고, 공모자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사전 재조정 과정의 일환이며, 설비투자 계획 자체에는 본질적 변화가 없습니다.또한, 당초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에서 해외법인 설립 관련 자금 중 일부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를 위한 자금으로 활용될 계획이며, 해당 인수자금은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회계상 구분하여 계상함에 따라, 증권신고서 기준 해외법인 설립자금이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기재한 금액 대비 14억 원 감소하고, 타법인증권취득자금이 14억 원 증가하게 되었습니다.아울러, 당사는 2025년 1월 17일 상장예비심사 신청 당시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 미국, 유럽(독일), 일본 외에 중국 법인 설립 계획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후 조사 및 검토 과정에서 중국 진출 전략이 변경됨에 따라, 증권신고서 상 공모자금 사용계획의 해외법인 설립 전략에서는 이를 제외하였습니다.당초 당사는 중국 덴탈특구를 통한 직접 진출 방식으로, 패스트트랙 절차(약 6개월 소요)를 통해 의료기기 인증을 신속히 완료하고자 하였으나, 조사 과정에서 실제 인증 절차에 장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중국 진출 전략을 현지 대형 덴탈 유통회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편, 확정공모가가 15,000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기존 증권신고서 대비 약 38억 원의 순수입금 감소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연구개발, 특허전략, 재무구조 개선 등 일부 항목의 자금 사용계획을 조정하였습니다.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대비 자금의 사용목적 변경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역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 본 증권신고서 | 증감 (차이금액) | ||
---|---|---|---|---|---|---|
상세내역 | 금액 | 상세내역 | 금액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 생산시설 확대 - 시설 고도화 | 4,200 | - 생산시설 확대 - 시설 고도화 | 3,200 | (1,000)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운영 | - 미국(기공소 인수 포함), 중국, 유럽(독일), 일본 | 8,500 | - 미국, 유럽(독일), 일본 | 7,100 | (1,400) |
연구개발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 연구인력 확정 | 5,500 | - 고분자 연구소 강화 -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 연구인력 확정 | 4,000 | (1,500) | |
특허전략 | - 핵심특허 강화 및 - 신규 IP 창출 전략 | 3,000 | - 핵심특허 강화 및 - 신규 IP 창출 전략 | 2,100 | (900) | |
마케팅 | - 전시 이벤트 - 광고 커뮤니케이션 - CRM | 6,000 | - 전시 이벤트 - 광고 커뮤니케이션 - CRM | 6,012 | 12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 대출 상환 | 6,000 | - 대출 상환 | 4,604 | (1,396)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 인수 | - | - | - 미국 기공소 인수 | 1,400 | 1,400 |
합계 | 33,200 | 28,416 | (4,784) |
각 자금의 사용목적별 세부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설비투자
[설비투자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시설자금 | 설비투자 | 신제품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부지 매입 | 2,000 | - | - | 2,000 |
신제품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장비 구매 | - | 300 | - | 300 | ||
재고관리 설비 구축 | - | 300 | - | 300 | ||
품질관리 설비 구축 | - | - | 600 | 600 | ||
합계 | 2,000 | 600 | 600 | 3,200 |
당사는 신제품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부지 매입 및 장비 구매, 생산시설 고도화를 위한 재고관리 및 품질관리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기존 형상기억소재 이외의 새로운 소재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을 구축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부지와 장비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대량생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재고관리 및 품질관리 설비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입니다.해외법인 설립에 따른 설비투자로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후 기존 장비/설비를 최대한 활용하되, SMA 사업을 위해 필요한 생산시스템을 보완하여 구축할 예정이며, 신제품 개발 관련으로는 보다 다양한 물성과 특성을 갖춘 소재 개발을 위해 필요한 고성능 연구설비 및 생산설비를 구매할 예정이며, 연구 및 생산 부지의 추가 확보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생산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생산 효율성과 생산 품질을 개선할 예정으로, 해당 과정에서 생산설비 변경 또는 신규 구매가 수반될 수 있습니다. 생산 설비 효율 개선 및 고도화 작업과 연계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 또한 계획하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비투자가 예상됩니다. (2) 재무구조 개선
[재무구조 개선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채무상환자금 | 재무구조 개선 | 단기차입금 상환 | 2,035 | 2,000 | 569 | 4,604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평균금리 5%대 초반의 차입금 약 133억원을 보유하고 있어 기술특례기업으로서 아직까지 흑자전환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공모자금 중 사옥담보대출 80억을 제외한 운전성 자본대출 등의 단기차입금은 최대한 상환할 계획입니다. 다만,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의 계획은 사업계획의 진행에 차질을 주지 않도록 유연성 있게 진행할 예정입니다.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차입금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고서제출일 현재 차입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금융기관 | 이자율 (주2) | 차입금 잔액 | 만기일 |
---|---|---|---|
우리은행 | 5.03% | 2,035 | 2025.09.22 |
우리은행 | 4.27% | 7,925 | 2025.11.10 |
하나은행 | 6.13% | 500 | 2025.11.26 |
우리은행 | 5.00% | 1,950 | 2026.03.17 |
우리은행 | 4.44% | 600 | 2026.05.29 |
우리은행 | 4.44% | 300 | 2026.05.29 |
합계 | 13,310 | - |
주1) | 일부 차입금은 원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만기일까지 분할 상환이 이루어지며, 잔액은 상환 일정에 따라 감소합니다. |
주2) | 전액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 신고서제출일 현재 기준 이자율입니다.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13,310백만원의 차입금이 존재하며, 전액 1년 이내 만기도래 예정입니다. 당사는 이 중 2025년 05월 30일 만기 도래한 900백만원 규모의 단기차입금에 대해 차입처(우리은행)와 사전 협의를 거쳐 전액 2026년 05월 29일로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만기 연장을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부담은 완화된 상황이나, 향후 추가 차입금의 만기 도래 시점 및 자금소요 일정에 따라 단기 유동성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공모자금을 통해 금리 및 상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부 차입금을 우선적으로 상환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금 수요에 따라 유연한 자금 운용이 가능하도록 금융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입에 대한 담보 제공 등을 통해 차환 안정성을 확보하고, 주요 금융기관과의 약정 갱신 및 신용도 유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채무상환자금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종류 | 세부 상환계획 | |||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국내 | 우리은행 | 기업운전분할대출 | - | 2,035 | - | - |
우리은행 | 기업운전일반대출 | - | - | - | 1,500 | |
하나은행 | 신성장일자리 | - | - | 500 | - | |
합 계 | - | 2,035 | 500 | 1,500 |
자료: 당사 |
(3) 해외법인 설립 등
[해외법인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해외법인 설립 | 미국법인 설립 및 운영자금 | 500 | 1,000 | 1,600 | 3,100 |
독일법인 설립 및 운영자금 | - | 1,000 | 1,000 | 2,000 | ||
일본법인 설립 및 운영자금 | - | - | 2,000 | 2,000 | ||
소계 | 500 | 2,000 | 4,600 | 7,100 |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수직계열화 관련기업 지분인수 | 미국 현지 기공소 지분 100% 인수를 통한 생산 효율화 | 1,400 | - | - | 1,400 |
합계 | 1,900 | 2,000 | 4,600 | 8,500 |
국내시장은 전세계 투명교정시장의 1% 미만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입니다. 미국, 중국 등과 같이 시장규모가 충분히 크고 성숙된 시장에서는, 한국에서 직수출을 하거나 현지딜러를 통한 간접적인 판매가 유효하지 않으며, 자국에 인증된 등록기업을 통해서 즉시 공급, 기술 및 고객지원을 받을 수 있을 때, 본격적인 거래관계 형성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향후 2년간 우선적으로 해외법인을 설립하고 집중할 지역은 미국, 독일 및 일본입니다. 미국에서는 교정장치의 주문생산 모델과 원내생산(In-House) 모델을 동시에 전개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영업/기술지원/마케팅 중심의 인력으로 초기 구성을 계획중입니다. 또한, 기공소 인수를 통해 '의료기기 품질관리 심사(GMP)'를 취득하기 이전에도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직접 제조 및 판매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유럽에서는 덴탈산업내 가장 전통있는 독일에 법인을 세울 계획입니다. 현지 인력채용을 통해 각국의 파트너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영업 및 기술지원망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일본은 이미 기존 파트너가 원내생산 모델을 성공적으로 확장시키고 있으므로, 2025년에는 이의 가속화를 지원하고 2026년에는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직접 제조 및 판매할 계획입니다. 당사가 금번 공모자금으로 사용할 해외법인 설립 관련 운영자금은 총 7,100백만원으로,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글로벌 시장 내 현지법인 설립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이와 별도로 미국 법인 생산 효율화를 위해 현지 기공소 지분 인수자금으로 총 1,40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각 국가별 구체적인 추진 배경 및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미국법인 설립 및 운영계획
구분 | 내용 |
설립 시기 | - 2025년 하반기 예정 |
추진 배경 | - 미국은 글로벌 투명교정 시장의 중심지로, 국내시장 대비 현저히 큰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간접 수출 구조를 통해 대응 중이나,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직접 공급 및 기술 기반 거래관계 형성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
주요 진행상황 | - 현재 미국 진출 관련 수출 확대 중이며, 2025년 하반기 중 공모자금을 일부 활용해 법인 설립에 필요한 인허가, 현지 행정절차, 초기 인프라 비용(사무소, 인력 등) 준비를 위한 사전 지출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
향후 계획 | - 2025년 3분기: 법인설립 인허가 절차 개시 - 2025년 4분기: 설립 완료 및 소규모 조직 구성 - 2026년부터 본격 영업 개시 및 현지 인증제품 공급 |
위험 요소 | - 현지 규제 승인 지연 시 출시 일정 변경 가능 - 현지 법인 운영의 초기 고정비 부담 발생 우려 - 파트너 네트워크 형성 지연 시 초기 매출 저조 리스크 |
[미국법인 설립 관련 주요 타임라인] |
일정 | 시작일 | 종료(목표)일 |
- 사업계획 수립 - 자본금 및 자금 조달 계획 수립 - 법률 검토 등 | 2025-04-01 | 2025-12-31 |
- 법인 유형 및 법인명 결정 - 서류 준비 및 회사 등기 신청 - 금융 기관 계좌 개설 - 주요 임원/이사 임명 및 회의 개최 | 2025-07-01 | 2025-12-31 |
- 인력 채용 - 사업장 구축 및 시설/장비 구매 및 설치 | 2025-07-01 | 2026-12-31 |
- 현지 시장 조사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본격적인 생산 및 판매 개시 | 2025-07-01 | 2026-03-31 |
- 고객 서비스 및 지원 체계 구축 | 2026-01-01 | 2026-06-30 |
② 독일법인 설립 및 운영계획
구분 | 내용 |
설립 시기 | - 2026년 상반기 예정 |
추진 배경 | - 유럽 내 전통적인 덴탈 전문국가인 독일에 법인을 설립하여, 기술지원 체계를 현지에서 직접 운영하고, 유럽내 독일 영업 및 인허가 전략을 독립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
주요 진행상황 | - 독일 뒤셀도르프에 법인설립을 계획하고 있고, 현지에서 영업 및 기술지원 인력에 대한 채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뒤셀도르프에 거주 중인 당사 주요 연자가 중심이 되어 매월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현지에서 치과 교정의사 네트워크를 확장중입니다. - 유럽의 주요 덴탈유통사 및 얼라이너 사업자와의 MOU를 통해 사업방향을 논의중에 있고, 그에 따라 2026년에 구체적인 법인설립 및 운영방향이 정해질 것입니다. |
향후 계획 | - 2025년 하반기: 법인설립 준비 및 신소재 CE-MDR인증완료 - 2026년 상반기: 법인설립 및 현지인력 채용 - 2026년 하반기: 파트너사와의 협업모델에 따른 운영 확장 |
위험 요소 | - 현지 규제 승인 지연 시 출시 일정 변경 가능 - 현지 법인 운영의 초기 고정비 부담 발생 우려 - 파트너 네트워크 형성 지연 시 초기 매출 저조 리스크 |
③ 일본법인 설립 및 운영계획
구분 | 내용 |
설립 시기 | - 2026년 하반기 예정 |
추진 배경 | - 일본은 당사의 첫 주요 해외시장으로, 기존 파트너를 통한 원내생산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된 바 있습니다. 향후에는 독립 법인을 통해 유통망을 안정화하고 직접적인 판매 확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
주요 진행상황 | - 당사 핵심연자 기반 마케팅, 병원 중심 공급체계 구축이 진행 중이며, 일본 내 파트너십은 안정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향후 계획 | - 일본내 임상케이스들을 기반으로한 교정프로그램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위험 요소 | - 현지 인허가 또는 규제 대응 지연 시 출시 일정 변경 가능 - 기존 파트너와의 역할 조정 과정에서 독립 법인의 초기 운영 지연 우려 - 현지 고객 기반 직접 전환 과정에서 초기 매출 저조 리스크 |
각 국가별 법인 설립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판단에 기반한 실제 계획이며, 공모자금 사용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집행할 예정입니다.
(4) 연구개발
[연구개발 관련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연구개발 | [연구개발 인력채용] 전문연구원 채용 및 교육프로그램 | 200 | 300 | 500 | 1,000 |
[고분자 연구소 강화] 분석/합성 장비 매입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 | 500 | 1,000 | 500 | 2,000 | ||
[세포실험 연구소 설립] 세포배양 시설 및 클린룸 설치 | - | - | 1,000 | 1,000 | ||
합계 | 700 | 1,300 | 2,000 | 4,000 |
연구개발은 산업내에서 당사의 기술적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분야이며, 당사 연구개발의 주요 목적은 3D프린팅용 광경화 의료소재의 경쟁력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고, 신소재 개발 및 의료기기 인증 확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향후 2년간 고분자연구소 강화와 세포실험 연구실 구축에 중점을 둘 계획이고, 관련 장비 및 시스템 매입과 우수인력 확충에 투자 예정입니다,
(5) 마케팅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마케팅 | [전시 이벤트] 국내외 행사 참여 및 설치 비용 | 1,500 | 1,500 | 1,500 | 4,500 |
[광고 커뮤니케이션] 온라인포털/SNS/잡지/유튜브 | 300 | 300 | 400 | 1,000 | ||
[CRM] 컨텐츠 제작 및 판촉 | 100 | 200 | 212 | 512 | ||
합계 | 1,900 | 2,000 | 2,112 | 6,012 |
지금까지 당사 마케팅의 우선순위는 글로벌 덴탈관련 행사였으며, 혁신적 기술기업으로서의 시장입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향후 2년동안도 이러한 기조를 유지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연간 100개가 넘는 국내외 여러 학회와 전시회에 참여하고 그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온라인 포털, SNS,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광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당사는 국내외 행사 시기별 우선순위 및 중요도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6) 특허전략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역 | 세부내역 | 자금의 사용계획 | 합계 |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 2026년 하반기 | ||||
운영자금 | 특허전략 | [핵심특허 강화] 주요국가 특허 추가 및 보완 | 700 | 700 | 700 | 2,100 |
당사는 2025년, 미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투명교정장치 시장에는 이미 거대기업들이 자리잡고 있고,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에 신규로 진입하는 당사에 대해서 이들의 전방위적인 견제가 예상. 그 동안의 많은 해외진출 기업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특허와 관련된 이슈가 발생하면 아직까지 충분한 체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중소기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어, 당사는 핵심특허를 강화하기 위해서 관련된 추가특허들을 다양하게 등록하고, 미국에서는 PCT를 통한 특허출원에 그치지 않고 현지 로펌을 통해 재등록을 계획 중입니다.
다.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기반으로 해외 주요 시장(미국, 독일, 일본 등)에 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내 기공소 인수 등 얼라이너 현지 생산 및 공급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확대를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인증·물류·세금 관련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영업 전략을 통해 시장 침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 확충과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기존 소재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규 고기능성 소재 개발 및 사업모델 다변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마케팅 측면에서는 국내외 주요 교정학회 및 전시회 참여, 디지털 채널 중심의 광고·CRM 전략을 병행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주요 시장에서의 고객 접점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아울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이자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재무건전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본격적인 글로벌 매출 성장을 앞두고 핵심 특허 포트폴리오를 강화함으로써 장기적인 기술경쟁력 확보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과 내부 자금을 적절히 배분하여, 상술한 시설투자, 연구개발, 마케팅, 재무구조 개선 등 사업의 핵심 영역에 전략적으로 투입할 계획입니다. 이는 당사의 글로벌 확장 및 기술 중심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디지털 덴탈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라. 기타사항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상기에 명시한 목적 및 계획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이며, 실제로 자금이 집행되기 이전까지의 보유기간에는 제1금융권, 증권사 및 전문위탁운용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는 매월 자금수지계획을 수립하여 현금흐름을 관리하고 있으며, 자금의 집행과 운용은 위임 전결 규정에 따라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자금 또한 동일한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계획입니다.
3. 기타사항 상기 기재한 내용 외 기타사항은 없습니다.
1.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안정조작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 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1 | - | - | 1 | - |
합계 | 1 | - | - | 1 | - |
주1) 상세 현황은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XI. 상세표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해연도의 연결대상회사 변동내역이 없습니다.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그래피'이며 영문으로는 'Graphy Inc.' 라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당사는 2017년 1월 2일 '주식회사 그래피'라는 상호로 설립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 내용 |
---|---|
본점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에이스가산포휴 6층 |
전화번호 | 02-864-3056 |
홈페이지 | https://itgraphy.com |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5조에 따라 벤처기업에 해당됩니다.
바.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당사는 증권신고세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관한 간략한 설명 당사는 자체 올리고머 개발 및 합성 역량을 바탕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 소재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역량을 바탕으로 특정 온도(체온)에서 형상을 스스로 복원하는 형상기억 3D프린팅 소재(Tera Harz Clear)를 개발하였으며, 본 소재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구강 환경(구강 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약점 또는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투명교정장치로, 논문, 임상 등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을 거쳐 현재 전세계적으로 그 기술력과 임상적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시장점유율과 영향력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제품입니다.한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달리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생산하는 차별화된 생산 방식을 지님으로써, 기존 생산 방식(진공열성형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직접 생산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차별성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단순히 기능적 측면에서의 제품경쟁력을 넘어, 사용자 편의성과 유통 및 생산구조의 혁신을 통한 시장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하며, 당사는 이러한 특장점을 살려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단순히 판매 및 유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 장비, 소프트웨어, 소재 등을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구축하여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정리하면, 당사는 현재 올리고머 합성 기술을 근간으로 맞춤 소재(3D프린팅 소재)를 개발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세계 최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상용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제품을 단순히 개발 및 공급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 공정 전반에 대한 장비, 소프트웨어, 생산 프로토콜 등을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통해 치과교정 산업에서 전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받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빠르게 확대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다만,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추진하며 축적된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구축 역량은 향후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에서 당사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작용될 수 있는바, 당사는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구축 역량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기타 상세한 내용은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Ⅱ. 사업의 내용」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1) 최근 신용평가 내역
평가회사 | 결산기준일 | 평가일 | 신용평가등급 | 신용등급유효기간 |
---|---|---|---|---|
NICE 평가정보 | 2023년 12월 31일 | 2025년 2월 26일 | B- | 2025년 6월 30일 |
(2) 신용등급 정의
평가등급 | 등급의 정의 |
---|---|
AAA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최우량급이며, 환경변화에 충분한 대처가 가능한 기업 |
AA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우량하며, 환경변화에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기업 |
A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양호하며, 환경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제한적인 기업 |
BBB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양호하나,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거래안정성 저하가능성 있는 기업 |
BB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이며,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거래안정성 저하가 우려되는 기업 |
B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이며,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거래안정성 저하가능성이 높은 기업 |
CCC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 이하이며, 거래안정성 저하가 예상되어 주의를 요하는 기업 |
CC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매우 낮으며, 거래의 안정성이 낮은 기업 |
C |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최하위 수준이며, 거래위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업 |
D | 현재 신용위험이 실제 발생하였거나 신용위험에 준하는 상태에 처해있는 기업 |
R | 1년 미만의 결산재무제표를 보유하였거나, 경영상태 급변(합병, 영업양수도, 업종변경 등)으로 기업신용 평가등급 부여를 유보하는 기업 |
주1) | 'AA' 등급부터 'CCC' 등급까지는 등급 내 우열에 따라 +.0 .- 의 세부등급이 부여됩니다. |
자.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 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유형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가. 회사의 연혁
연 월 | 주요사항 |
---|---|
2017.01 | 주식회사 그래피 설립 |
2018.10 | 도전 K-스타트업 혁신창업리그 예선 대상 |
2018.10 | 형상기억소재(TC-85) 개발 완료 |
2019.02 | 본점 이전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71) |
2019.04 | JW(중외)홀딩스 헬스케어 신소재 공동 개발 협약 |
2019.05 | 시리즈A 48억원 모집완료 |
2019.06 | 현장 수요 반영 의료기기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최종 선정 |
2019.11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용 소재(TC-85) ISO 13485 인증 획득 |
2019.12 | 한국발명진흥회 UV경화기 우수발명품 선정 |
2019.12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정보통신진흥원 표창 수상 |
2019.12 | ISO 13485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
2020.02 | 형상기억소재(TC-85) MFDS 인증 획득(Class Ⅱ) |
2020.04 | 형상기억소재(TC-85) CE MDD 인증 획득(Class Ⅱ) |
2020.05 | 신용보증기금 퍼스트펭귄형 창업기업 선정 |
2020.07 | 해외 10여개국 자체 대리점 구축 |
2020.08 | 범부처 임상지원 과제 선정 |
2020.11 | 소부장 스타트업 100 선정 |
2020.12 | 본점 이전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
2021.03 | 천안지점 설치 |
2021.04 | 2020년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100 수행 '최우수' 성공판정 |
2021.05 | 2020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수행 '최우수' 성공판정 |
2021.06 | INNO-BIZ 및 수출유망 중소기업 지정사업 선정 |
2021.09 | 시리즈B 130억원 모집완료 |
2021.10 | 창업도약패키지 선정 |
2021.12 | 창업전략형 사업 선정 |
2022.03 |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바우처 사업 선정 |
2022.10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미국 FDA 510(k) 인증 |
2022.11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차세대 세계일류 상품 선정 |
2022.1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수상 |
2023.03 | Graphy Shape Memory Aligner Symposium 개최 |
2023.04 | 첨단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48.5억 원 규모 과제 선정 |
2023.04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5.5억 원 규모 과제 선정 |
2023.10 | 시리즈C 158.7억원 모집완료 |
2023.12 | 300만불 수출탑 수상 |
2023.12 | 산업기술진흥유공 신기술실용화진흥 부분 및 대한민국기술대상 유공기관(국무총리표장) |
2023.12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적층제조 산업발전 유공자 포상) |
2024.04 | IR52 장영실상 수상 |
2024.08 | 기술특례상장 기술평가 A등급 획득 |
2024.11 | MDSAP 인증 획득 |
2024.11 | Pre-IPO 50억원 모집완료 |
2024.12 | 기술보증기금 표창장 |
2024.12 | 500만불 수출탑 수상 |
2025.05 | 산업포장 수상 |
나.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당사의 본점은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에이스 가산포휴 6층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일자 | 변경사유 | 본점 소재지 |
---|---|---|
2007-01-02 | 최초 설립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68, 비동 504호(가산동, 우림라이온스밸리) |
2019-02-01 | 본점 이전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71, 1607호, 1608호 (가산동, 가산 에스케이 브이원센터) |
2020-12-28 | 본점 이전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6층 (가산동, 에이스 가산 포휴) |
다.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일자 | 변경 전 | 변경 후 | ||||||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및 사외이사 | 감사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및 사외이사 | 감사 | |
2017-01-02(설립) | - | - | - | - | - | 심운섭 | - | 변창환 |
2019-01-22 | - | 심운섭 | - | 변창환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 | 신왕기 |
2020-03-30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 | 신왕기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오승훈 | 신왕기 |
2021-03-19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오승훈 | 신왕기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김정현 | 신왕기 |
2022-03-30 | 심운섭 | 조태연변창환 | 김정현 | 신왕기 | 심운섭 | 조태연 | 김정현이상철임충식 | 유승우 |
2023-03-28 | 심운섭 | 조태연 | 김정현이상철임충식 | 유승우 | 심운섭 | 조태연 | 김정현임충식 | 유승우 |
2023-03-31 | 심운섭 | 조태연 | 김정현임충식 | 유승우 | 심운섭 | 조태연박성현 | 김정현임충식 | 유승우 |
2024-03-28 | 심운섭 | 조태연박성현 | 김정현임충식 | 유승우 | 심운섭 | 조태연박성현 | 김정현임충식최경환김동현 | 유승우 |
2025-07-25 | 심운섭 | 조태연박성현 | 김정현임충식최경환김동현 | 유승우 | 심운섭 | 조태연박성현서창백 | 임충식김동현장영렬 | 유승우 |
주1) | 2017년 1월 2일 최초 설립시 1인 기업이었으므로 대표이사 선임이 필요없었고, 사내이사와 감사는 상법상 필요기관이라 사내이사 및 감사로 최초 설립되었습니다. |
라.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2017년 01월 02일 대표이사 심운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은 없습니다. 마. 상호의 변경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주, 원) |
종류 | 구분 | 당 분기말(2025년 3월말) | 제8기(2024년말) | 제7기(2023년말) | 제6기(2022년말) | 제5기(2021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9,030,277 | 9,028,507 | 1,533,138 | 1,481,430 | 1,448,606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766,569,000 | 740,715,000 | 724,303,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570 | 2,340 | 971,885 | 956,677 | 901,677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285,000 | 1,170,000 | 485,942,500 | 478,338,500 | 450,838,500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4,515,423,500 | 4,515,423,500 | 1,252,511,500 | 1,219,053,500 | 1,175,141,5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50,000,000 | - | 5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9,030,277 | 3,124,203 | 12,154,480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3,123,633 | 3,123,633 | - | |
세부감소내역 | 1. 감자 | - | - | - | - |
2. 이익소각 | -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3,123,633 | 3,123,633 | 보통주 전환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 Ⅱ-Ⅲ) | 9,030,277 | 570 | 9,030,847 | - | |
Ⅴ. 자기주식수 | - | - | - | - | |
Ⅵ. 유통주식수 ( Ⅳ-Ⅴ) | 9,030,277 | 570 | 9,030,847 | -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 | - | - | - |
주1) | 2024년 12월 19일부터 2025년 1월 14일까지 상환전환우선주 주주의 전환청구에 따라 상환전환주 3,123,633주가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
주2) |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에는 당사에서 발생한 무상증자 및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으로 인한 증가 수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종류주식 발행 현황 당사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종류주식 발행현황은 하기와 같습니다.1) 종류주식(전환상환우선주 - 크라우드펀드) 발행
발행일자 | 2019년 4월 13일 | ||
주당 발행가액(액면가액) | 7,900원 (500원) | ||
발행총액(발행 주식수) | 301,780,000원 (38,200주) | ||
현재 잔액(현재 주식수) | 1,501,000원 (570주) | ||
주식의 내용 | 존속기간(우선주권리의 유효기간) | 2029년 4월 13일 |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누적적 참가적 우선주(액면가의 1%우선배당) | ||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사항 | 우선적 분배 | ||
상환에 관한 사항 | 상환권자 | 주주 | |
상환조건 | 주주 상환 요청 | ||
상환방법 | 상환요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현금상환 | ||
상환기간 | 납입기일의 다음날로부터 3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우선주의 존속기간 까지 | ||
주당 상환가액 | 주식인수가액에 연복리5%적용한 가액 합산 | ||
1년 이내 상환 예정인 경우 | -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권자 | 주주 | |
전환조건(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우선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교환 | ||
발행이후 전환권 행사내역 | Y | ||
전환청구기간 | 주식발행일로부터 1개월 경과후부터 우선주 존속기간까지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 | 보통주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 38,200주 | ||
의견권에 관한 사항 | 없음 | ||
기타 투자 판단에 참고할 사항(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 |
발행 이후 현재까지 전환된 종류 주식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행사일자 | 전환한 종류주식 수(주) | 전환한 보통주주식 수(주) |
---|---|---|
2024.12.19 | 257,401 | 257,401 |
2024.12.20 | 691,407 | 691,407 |
2024.12.23 | 176,836 | 176,836 |
2024.12.24 | 271,445 | 271,445 |
2024.12.26 | 91,141 | 91,141 |
2024.12.27 | 1,233,928 | 1,233,928 |
2024.12.30 | 347,250 | 347,250 |
2024.12.31 | 10,155 | 10,155 |
2025.1.8 | 1,170 | 1,170 |
주1) | 전환시점에 무상증자가 발생하여 전환 종류주식 수 및 전환 보통주주식수가 최초 발행주수보다 증가하였으나, 전환조건(우선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교환)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
주2) | 증권신고서 제출일 제출일 현재 전환상환우선주 미상환 잔액이 존재하는 전환상환 우선주는 크라우드펀드 건만이 존재하며, 과거 기타 투자자에게 발행한 전환상환 우선주는 전액 보통주 전환 완료 되었습니다. |
가. 최근 개정일 당사의 최근 정관 개정일은 제8기 정기주주총회일인 2024년 3월 31일 입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2017.08.21 | 임시주주총회 | 제2조(목적) | 사업의 목적 추가 |
제3조 (주된 사무소 및 지점의 소재지) | 문구 변경 | ||
제8조 (주식의 종류) | (삭제) | ||
제9조 (우선주식의 수와 내용) | (삭제) | ||
제10조 (주권의 종류) | 조문번호 수정 (8조로 수정) | ||
제11조 (신주인수권)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12조(시가발행) | (삭제) | ||
제11조(특정목적에 의한 자기주식의 취득) | 신설 | ||
제12조(자기주식 취득의 방법) | 신설 | ||
제13조(자기주식 취득의 처분) | 신설 | ||
제14조(준비금의 자본전입) | 신설 | ||
제15조(신주의 배당기산일) | 신설 | ||
제16조(주식의 소각) | 신설 | ||
제17조(주식의 양도) | 신설 | ||
제15조(명의개서)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16조(주주의 신고)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0조(질권의 등록 및 신탁재산의 표시) | 신설 | ||
제17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18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 (삭제) | ||
제 21 조의2 (주식매수선택권) | 신설 | ||
제13조 (전환사채의 발행)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14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19조(소집시기)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1조 (소집통지 및 공고)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2조(소집지) | (삭제) | ||
제23조(의장)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4조 (의장의 질서유지권)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5조 (주주의 의결권)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8조(의결권 행사의 제한)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7조(의결권의 불통일행사)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6조(의결권의 대리행사)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29조(주주총회의 결의방법)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0조(의사록의 작성 비치)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1조(이사의 수)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3조(이사의 임기)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6조(0|사의 직무) | 문구 수정 | ||
제37조(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감면) | 신설 | ||
제38조(대표이사의 선임) | 신설 | ||
제39조(대표이사의 직무 및 권리대행) | 신설 | ||
제40조(이사의 보수와 상여금, 퇴직금) | 문구 수정 | ||
제37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8조(0|사회의 의결방법)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39조(0|사회의 의사록)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4조(상담역 및 고문) | 신설 | ||
제40조(감사의 수)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2조(감사의 선임)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3조(감사의 임기)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8조(감사의 직무) | 신설 | ||
제45조 (감사의 감사록)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6조 (사업년도) | 조문번호 수정 | ||
제47조 (재무제표의 작성~비치)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52조(외부감사인의 선임) | 신설 | ||
제48조 (이익금의 처분)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49조 (이익배당) | 조문번호 및 문구 수정 | ||
제50조 (배당금 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 (삭제) | ||
제55조(중간배당) | 신설 | ||
제57조(내부 규정) | 신설 | ||
제58조(최초의 영업년도) | 신설 | ||
2019.01.18 | 임시주주총회 | 제1조 (상호) | 문구 수정 (영문상호 추가) |
제5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및 각종 주식의 내용과 수) | 문구 수정 | ||
2019.02.01 | 임시주주총회 | 제 8 조의 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 신설 |
2019.05.23 | 임시주주총회 | 제 8 조의 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 문구 수정 |
2022.03.15 | 제5기 정기주주총회 | 제2조(목적) | (삭제) - 중복문구 삭제 |
제3조(본점의 소재지) | 문구 수정 | ||
제7조의2 (주식등의 전자등록) | 신설 | ||
제8조 3항 (주식의 발행과 주권의 종류) | (삭제) | ||
제9조(신주인수권) | 문구 수정 및 개별조항(5항) 삭제 | ||
제10조 (자기주식의 취득) | (삭제) | ||
제11조(특정목적에 의한 자기주식의 취득) | (삭제) | ||
제12조(자기주식 취득의 방법) | (삭제) | ||
제13조(자기주식 취득의 처분) | (삭제) | ||
제14조(준비금의 자본전입) | (삭제) | ||
제15조(신주의 배당기산일) | 문구 수정 | ||
제11조(주주명부) | 신설 | ||
제17조(주식의 소각) | 조문번호 수정 | ||
제17조(주식의 양도) | (삭제) | ||
제18조(주권의 명의개서 등) | 조문번호 수정 | ||
제19조 (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 (삭제) | ||
제20조(질권의 등록 및 신탁재산의 표시) | (삭제) | ||
제21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 문구 수정 | ||
제21 조의2 (주식매수선택권) | 문구 수정 | ||
제15조의2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 | 신설 | ||
제22조(전환사채의 발행) | 조문번호 수정 | ||
제23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조문번호 수정 | ||
제18조(이익참가부사채의 발행) | 신설 | ||
제19조(교환사채의 발행) | 신설 | ||
제20조(사채 발행의 위임) | 신설 | ||
제21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 신설 | ||
제24조(소집시기)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23조(소집권자) | 신설 | ||
제25조(소집통지)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25조(소집지) | 신설 | ||
제28조(주주의 의결권) | 문구 수정 | ||
제29조(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 문구 수정 | ||
제30조(의결권의 불통일행사) | 문구 수정 | ||
제31조(의결권의 대리행사) | 문구 수정 | ||
제32조(주주총회의 결의방법) | 문구 수정 및 조항 삭제 | ||
제33조(총회의 의사록) | 문구 수정 | ||
제34조(이사의 원수 및 선임) | 문구 수정 | ||
제35조 (이사의 선임) | 신설 | ||
제35조(이사의 임기)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37조(이사의 직무) | 신설 | ||
제36조(이사의 의무) | 문구 추가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39조(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감면) | 신설 | ||
제40조(대표이사의 선임)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1조 (대표이사의 직무) | 신설 | ||
제39조(대표이사의 직무 및 권리대행) | (삭제) | ||
제40조(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1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2조(이사회의 결의방법)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3조(이사회의 의사록) | 조문번호 수정 | ||
제44조(상담역 및 고문) | 조문번호 수정 | ||
제45조(감사의 수)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6조(감사의 선임)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7조(감사의 임기)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8조(감사의 직무)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49조(감사의 감사록)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52조(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 신설 | ||
제50조(사업년도) | 조문번호 수정 | ||
제51조(재무제표, 영업보고서의 작성비치)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52조(외부감사인의 선임)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53조(이익금의 처분) | 조문번호 수정 | ||
제54조(이익배당) | 문구 및 조문번호 수정 | ||
제55조(중간배당) | 조문번호 수정 | ||
제56조(배당금지급청구권 소멸시효) | 조문번호 수정 | ||
제57조(내부 규정) | 조문번호 수정 | ||
제58조(최초의 영업년도) | 조문번호 수정 | ||
2023.03.31 | 제6기 정기주주총회 | 제8조(주식의 발행과 주권의 종류) | 조항 신설 |
2024.03.28 | 제7기 정기주주총회 | 제1조(상호) 영문 Graphy Inc.(약호 Graphy) 표기 변경 | 영문상호 등기 진행 |
제8조 3항 (주식의 발행과 주권의 종류) | 신설 | ||
제9조 2항 1호 (신주인수권) | 신설 | ||
제10조 2항 (신주의 동등배당) | (삭제) | ||
제11조 1,2항 (주주명부의 작성·비치) | 문구 추가 | ||
제12조 (주식의 소각) | 문구 수정 | ||
제13조 (주권의 명의개서 등) | (삭제) | ||
제13조의 2 (명의개서대리인) | 조항번호 수정 (13조로 수정) | ||
제14조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 문구 수정 | ||
제15조 1항 (주식매수선택권) | 문구 수정 | ||
제15조 3항 (주식매수선택권) | 관련 조문번호 수정 | ||
제15조의2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 | (삭제) | ||
제16조 5항 (전환사채의 발행) | 관련 조문번호 수정 | ||
제17조 5항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관련 조문번호 수정 | ||
제24조 2항 (소집통지 및 공고) | 문구 수정 | ||
제24조 4항 (소집통지 및 공고) | 문구 수정 | ||
제26조 (의장) | 문구 수정 | ||
제39조 1항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감면) | 문구 수정 | ||
제57조 3항 (이익배당) | 문구 수정 |
다.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1 | 1.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영위 |
2. 의료 정밀 및 과학기기 도매업 및 소매업 | ||
3. 컴퓨터 및 주변장치 소프트웨어 제품 도매업 및 소매업 | ||
4.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품 소프트웨어 제조업 | ||
5.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 제품 제조업 | ||
6. 의료기기 유지보수 및 서비스업 | ||
7. 치과용 기기 및 의료기기 제조업 | ||
8. 치과용 기기 및 의료기기 도매업 및 소매업 | ||
9. 교육 훈련 서비스업 | ||
10. 의료 관련 지원 및 알선업 | ||
12.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품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및 서비스업 | ||
13. 의료기기 수입유통 공급업 | ||
14.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품 소프트웨어 수입유통 공급업 | ||
15. 의료기기 무역업 및 무역대행업 | ||
16.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품 소프트웨어 무역업 및 무역대행업 | ||
17. 부동산 임대업 | ||
22. 쓰리디 프린터 재료 제조업 | ||
23.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 ||
2 | 11. 렌탈업 | 미영위 |
18. 기술 컨설팅업 | ||
19. 신기술 개발 및 연구용역업 | ||
20. 지적재산권 라이선스업 | ||
21. 신기술 관련 투자 및 창업지원 사업 |
라. 사업목적 변경 내용
변경일 | 변경 전 | 변경 후 | 변경 사유 |
---|---|---|---|
2017.08.21 | 23.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 23. 쓰리디 프린터 재료 제조업24.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 사업 내용 정비에 따른 목적 사항 추가 |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해 주요 용어 해설표를 아래와 같이 기재합니다.
[관련 용어 설명] |
용어 | 설명 |
부정교합 | 위, 아래 치아가 맞물리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함 |
치과(치아) 교정 | 부정교합, 치열 이상 등을 개선하여 정상적인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키는 치과 치료 분야임 |
투명교정 | 투명교정장치(얼라이너)를 사용하여 부정교합, 치열 이상 등을 개선(교정)하는 것을 의미함 |
얼라이너(Aligner) |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투명한 교정 장치. 투명교정장치라고도 함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Shape Memory Aligner) | 당사가 개발한 형상 복원 기능을 지닌 투명교정장치로, (착용 시)구강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형상을 복원하기 때문에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비교하여 치료(교정)의 정확도, 효율성 등에서 경쟁우위를 지님 |
브라켓(Bracket) | 전통적인 교정 치료에서 치아에 부착하여 와이어를 지지하는 금속 또는 세라믹 부속 장치를 의미함 |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 | 자외선(UV) 등에 노출될 시, 화학반응을 통해 단단하게 경화되는 고분자 물질로, 3D 프린팅 등에 주로 사용됨 |
형상기억소재(Tera Harz Clear) | 당사가 개발한 형상기억 특성을 지닌 3D프린팅 소재로, 체온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특성을 지니며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소재로 사용됨 |
적합 (또는 적합도) | 투명교정장치가 치아와 얼마나 정확하게 접촉하는지를 의미함 |
올리고머(Oligomer) | 단량체(Monomer) 몇 개가 결합된 저분자 화합물로, 고분자화 반응 전단계에서 자주 사용됨 |
레진(Resin) | 레진(Resin)은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로, 단단하거나 반고체 상태로 경화될 수 있는 성질을 지님 |
질소경화기 | 3D 프린팅 직후의 출력물을 질소환경(산소가 최대한 차단된 환경)에서 광경화시키는 장비 |
기공소 | 치과 보철물(크라운, 브릿지 등)이나 교정 장치 등을 제작하는 전문 기술 작업소를 의미함 |
GMP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우수 제조관리기준)는 의약품 및 기타 제품이 품질 기준에 따라 일관되게 제조되고 관리되도록 보장하는 절차와 지침의 체계를 의미함 |
치근 | 치아에서 백악질로 덮여 있는 부분으로 잇몸과 뼈 속에 있는 치아의 부분으로 상악과 하악의 치조골 내에 심어져 있어 치아를 고정,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 |
절치 | 앞니(incisor)를 의미하며, 음식을 자르는 기능을 수행함 |
크라운 (Crown) | 손상된 치아를 덮어 보호하고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인공 치아 보철물을 의미함 |
어태치먼트 (Attachment) | 투명교정 시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투명교정장치의 힘 전달을 돕는 부착물을 의미함 |
심바이오틱(Symbiotic) | 유해균과 유익균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함 |
최종소비자 | 당사의 사업 구조 및 유통망에서 최종적으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치아교정 목적 사용)하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로 문맥에 따라 치과 또는 치과의사를 의미함. 엔드유저(End-user)라고 부르기도 함 |
당사는 자체 올리고머 개발 및 합성 역량을 바탕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 소재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역량을 바탕으로 특정 온도(체온)에서 형상을 스스로 복원하는 형상기억 3D프린팅 소재(Tera Harz Clear)를 개발하였으며, 본 소재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구강 환경(구강 온도)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투명교정장치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의 약점 또는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투명교정장치로, 논문, 임상 등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을 거쳐 현재 전세계적으로 그 기술력과 임상적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시장점유율과 영향력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제품입니다.한편,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기존 투명교정장치와 달리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하여 생산하는 차별화된 생산 방식을 지님으로써, 기존 생산 방식(진공열성형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직접 생산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차별성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단순히 기능적 측면에서의 제품경쟁력을 넘어, 사용자 편의성과 유통 및 생산구조의 혁신을 통한 시장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하며, 당사는 이러한 특장점을 살려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단순히 판매 및 유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 장비, 소프트웨어, 소재 등을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구축하여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정리하면, 당사는 현재 올리고머 합성 기술을 근간으로 맞춤 소재(3D프린팅 소재)를 개발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세계 최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개발 및 상용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제품을 단순히 개발 및 공급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 공정 전반에 대한 장비, 소프트웨어, 생산 프로토콜 등을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통해 치과교정 산업에서 전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받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빠르게 확대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다만,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사업을 추진하며 축적된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구축 역량은 향후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에서 당사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작용될 수 있는바, 당사는 3D프린팅 통합솔루션 구축 역량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래피 3D프린팅 통합 솔루션] |
|
가. 주요제품 현황
(단위: 백만원) |
매출유형 | 제품명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제품 | 형상기억소재 | 747 | 34% | 4,282 | 27% | 2,410 | 23% | 694 | 16% |
기타소재 | 441 | 19% | 2,251 | 14% | 1,632 | 16% | 1,128 | 26% | |
질소경화기 | 256 | 11% | 2,139 | 13% | 3,099 | 30% | 1,456 | 34% | |
SMA | 62 | 3% | 291 | 2% | - | - | - | - | |
잔여레진제거장치 등 | 102 | 4% | 663 | 4% | 218 | 2% | - | - | |
제품 소계 | 1,608 | 71% | 9,626 | 60% | 7,359 | 71% | 3,278 | 76% | |
상품 | 3D 프린터 | 414 | 18% | 3,256 | 20% | 2,359 | 23% | 796 | 19% |
스캐너 | 107 | 5% | 2,471 | 15% | 303 | 3% | 80 | 2% | |
기타상품 | 52 | 2% | 149 | 1% | 143 | 1% | 62 | 1% | |
상품 소계 | 573 | 25% | 5,876 | 36% | 2,805 | 27% | 938 | 22% | |
기타 | 교육매출 등 | 99 | 4% | 646 | 4% | 307 | 2% | 65 | 2% |
합계 | 2,280 | 100% | 16,148 | 100% | 10,471 | 100% | 4,281 | 100% |
주1) 상기 재무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나. 주요제품 등에 대한 내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력제품 및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제품명 | 상세 설명 |
---|---|---|
3D 프린팅 소재 | Tera Harz Clear(형상기억 소재)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구강온도에서 형상 복원- 치아교정에 가장 이상적인 크기의 힘 발현- (인증) MFDS, FDA, CE 등 |
Tera Harz | - 내마모성이 우수한 영구보철용 소재- Inlay, Onlay, Veneer, Long Bridge 등 다양한 Treatment Validation을 지닌 소재- (인증) MFDS, FDA, CE 등 | |
Tera Harz Denture | - 의치상용 소재- Tera Harz와 결합력이 우수하여 장기적 사용 적합- 뛰어난 심미성으로 환자에게 높은 만족감 제공- (인증) MFDS, FDA, CE 등 | |
Tera Harz SG | - 임플란트 Surgical Guide 용 소재- 내열성이 높으며, 수술에 필수적인 높은 강도와 체적 안정성 확보- (인증) MFDS, FDA, CE, TFDA, TGA 등 | |
Tera Harz Guard | - 마우스가드, 코골이방지장치, 이갈이방지장치 소재- 자체 합성 기능성 올리고머를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우수함- (인증) MFDS, CE | |
S-Plastic | - 일반 산업용 소재- 치아모델 / 주조체 정밀 제작 가능한 3D 프린팅 소재- 기존 제작 방식을 3D 프린팅으로 혁신적으로 단축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 Shape MemoryAligner | - 구강온도에서 형상 복원되는 세계 최초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교정장치 착용하는 동안 지속적 형상 복원- 치아 표면 완벽한 피팅- 이상적 교정력 장기간 지속 |
질소경화기 | Tera Harz Cure | - 고광량 UV 에너지로 최상의 물성 및 적정 색상 구현- 질소 경화 (완전 경화 실현)- 최적화된 시스템 (세이프티 쿨링 시스템 등 탑재)- 경쟁제품 대비 10배 수준의 고광량 UV광원으로 표면전환율 약 100% 실현 |
잔여레진제거장치 | Tera Harz Spinner | - 고속회전으로 강한 원심력 생성- 효율적인 잔여레진 제거를 위한 내부 히팅 기능 탑재- 원심분리 방식으로 인채 유해성분 완벽 차단 |
SMA 로봇 시스템 | Tera Harz Smart Robot |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생산성을 극대화해주는 AI 기반 로봇 시스템- 생상성 향상, 고품질 균일 생산, 높은 경제성, 압도적 편의성 보유 |
다. 주요 제품 가격변동 현황
사업연도품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형상기억 소재 | 458,765 | 484,632 | 438,871 | 347,933 |
질소경화기 | 3,155,797 | 2,802,368 | 2,471,503 | 2,199,050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매출총액을 판매수량으로 나누어 계산한 금액입니다. 잔여레진제거 장치의 경우 매출 비중이 낮으며, SMA 로봇 시스템의 경우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단가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미기재하였습니다. |
주3) | 시장(국가)별 사업전략 및 사업모델이 서로 다르며, 각 시장별 유통회사와의 계약조건 및 판매전략에 따라 공급가격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특히 형상기억 소재의 경우, 2024년에 모델 라인업이 확대(TA-28 추가)되는 과정에서 각 국의 의료기기 인증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기간별 형상기억 소재 단가는 상기 표와 같이 다소의 편차를 보입니다. 질소경화기 역시 질소경화기 모델 변경,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제휴등 다양한 이유로 공급가에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이유로 단순히 매출과 공급량 만으로 산술계산하면 위와 같은 단가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상기 조건들을 세분화하여 조건별 단가를 모두 기재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해당 정보를 기재함으로써 투자자가 얻는 실익이 당사의 사업전략 노출 위험 대비 현저히 낮다고 판단하여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가. 원재료에 관한 사항
(1) 주요 원재료 매입 현황
(단위: 백만원, USD) |
매입유형 | 품목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원재료 | 3D 프린팅 소재 | 국내 | 64 | 531 | 282 | 160 |
수입 | - | - | - | - | ||
질소경화기 | 국내 | 12 | 1,308 | 1,299 | 858 | |
수입 | 12(USD 9천) | 269(USD 197천) | 372(USD 285천) | 187(USD 145천) | ||
소계 | 국내 | 76 | 1,839 | 1,581 | 1,018 | |
수입 | 12(USD 9천) | 269(USD 197천) | 372(USD 285천) | 187(USD 145천) | ||
소계 | 88 | 2,108 | 1,953 | 1,205 | ||
상품 | 3D 프린터 | 국내 | - | - | - | 13 |
수입 | 464(USD 319천) | 2,341(USD 1,716천) | 2,005(USD 1,536천) | 595(USD 460천) | ||
스캐너 | 국내 | 36 | 2,012 | 590 | 268 | |
수입 | - | - | - | - | ||
기타상품 | 국내 | 8 | 27 | 28 | 9 | |
수입 | 1(USD 1천) | 1(USD 1천) | - | 21(USD 17천) | ||
소계 | 국내 | 44 | 2,039 | 618 | 291 | |
수입 | 465(USD 320천) | 2,342(USD 1,717천) | 2,005(USD 1,536천) | 616(USD 477천) | ||
소계 | 509 | 4,381 | 2,623 | 907 | ||
총합계 | 국내 | 120 | 3,879 | 2,199 | 1,309 | |
수입 | 477(USD 329천) | 2,611(USD 1,914천) | 2,377(USD 1,821천) | 804(USD 622천) | ||
합계 | 597 | 6,490 | 4,576 | 2,113 |
주1) |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재무 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3) | 잔여레진제거장치 등은 OEM형태이므로 원재료항목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2)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
(단위: 원,USD/KG, EA) |
매입유형 | 품목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원재료 | 3D 프린팅 소재 | 국내 | 12,236 | 17,249 | 12,531 | 13,479 |
질소경화기 SUB모듈(기성품) | 국내 | 2,994 | 2,994 | 3,311 | 3,911 | |
수입 | 73,509(USD 50.60) | 73,509(USD 53.89) | 81,236(USD 62.23) | 94,977(USD 73.51) | ||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 국내 | 27,875 | 27,875 | 27,822 | 26,883 | |
질소경화기 SUB모듈(전장류) | 국내 | 2,219 | 2,219 | 2,161 | 2,563 | |
질소경화기 사급품 | 국내 | 2,282 | 2,282 | 3,472 | 4,950 | |
질소경화기 SUB모듈(공구류) | 국내 | 15,635 | 15,635 | 14,222 | 14,348 |
주1)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2024년 TA-28 신규시에 따라 원재료 가격이 증가하였으며 2025년 1분기의 경우 기간 내에 해당 원재료 매입 실적이 없었습니다. |
(3)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
(단위: 백만원, USD) |
품목 | 구입처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원재료 | 3D 프린팅 소재 가 | 국내 | E사 | - | 67 | 26 | 16 |
3D 프린팅 소재 나 | 국내 | B사 | 12 | 44 | 66 | 30 | |
3D 프린팅 소재 다 | 국내 | C사 | 15 | 44 | 31 | 16 | |
3D 프린팅 소재 라 | 국내 | C사 | 9 | 41 | 32 | 22 | |
3D 프린팅 소재 마 | 국내 | A사 | - | 133 | - | - | |
3D 프린팅 소재 바 | 국내 | D사 | - | 21 | 30 | - | |
3D 프린팅 소재 사 | 국내 | F사 | - | - | - | 19 | |
3D 프린팅 소재 아 | 국내 | G사 | - | - | - | - | |
기타소재 | 국내 | B사 | 5 | 6 | 75 | 5 | |
국내 | D사 | - | 14 | 34 | 1 | ||
국내 | E사 | 2 | 3 | 29 | 3 | ||
질소경화기 가공품(보드류) | 국내 | 건영산업 | 10 | 288 | 325 | 138 | |
국내 | 모든방열판 | - | 97 | 93 | 48 | ||
국내 | 세모에프에이 | - | 42 | 60 | 22 | ||
질소경화기 SUB모듈(기성품) | 국내 | (주)엘엠에이치코리아 | - | - | 135 | 141 | |
국내 | 조일교역 | - | 193 | - | - | ||
수입 | DFRobot | 12(USD 9천) | 76(USD 56천) | 51(USD 39천) | 26(USD 20천) | ||
수입 | Wuhan Wangling Intelligent Tec | - | 193(USD 141천) | 320(USD 245천) | 161(USD 125천) | ||
질소경화기 사급품 | 국내 | 아이씨에스 | - | 53 | 171 | 201 | |
국내 | 제이에스티 | - | 8 | 71 | - | ||
질소경화기 기타 | 국내 | 세모에프에이 | - | 23 | 35 | 11 | |
국내 | 파카솔루션 | - | 5 | 25 | 13 | ||
국내 | 맑은전자 | - | 23 | 23 | 10 | ||
국내 | 메리텍 | - | 87 | 19 | 3 | ||
국내 | 로봇마트 | - | 25 | 19 | 16 | ||
원재료소계 | 국내 | 52 | 1,219 | 1,296 | 716 | ||
수입 | 12(USD 9천) | 269(USD 197천) | 371(USD 284천) | 187(USD 145천) | |||
상품 | 3D 프린터 | 수입 | ZHEJIANG XUNSHI TECHNOLOGY CO | 8(USD 5천) | 18(USD 13천) | 9(USD 7천) | 53(USD 41천) |
수입 | GOLD ARRAY TECHNOLOGY BEIJING | 447(USD 308천) | 2,314(USD 1,696천) | 1,862(USD 1,426천) | 558(USD 432천) | ||
스캐너 | 국내 | ㈜도이프 | - | 670 | - | - | |
국내 | (주)레이덴트 | 36 | 607 | 590 | 219 | ||
국내 | 디맥스 | - | 330 | - | - | ||
국내 | 서현디앤씨 | - | 330 | - | - | ||
상품 소계 | 국내 | 36 | 1,937 | 590 | 219 | ||
수입 | 455(USD 313천) | 2,331(USD 1,709천) | 1,871(USD 1,433천) | 611(USD 473천) | |||
합계 | 국내 | 89 | 3,156 | 1,887 | 935 | ||
수입 | 467(USD 322천) | 2,600(USD 1,906천) | 2,242(USD 1,717천) | 798(USD 618천) |
주1)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주2) 주요 매입처 중 당사와 특수관계를 가지고 있는 매입처는 없습니다. |
주3) 소재의 경우 핵심기술 보호 등을 고려하여 원재료의 세부명칭 및 구입처 정보는 공개하지 않으며 매입실적에 대한 총괄 정보만을 공시하였습니다. |
나.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단위: KG, EA, 백만원) |
품목명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3D 프린팅 소재 | 생산능력 | 378,000 | - | 378,000 | - | 378,000 | - | 252,000 | - |
생산실적 | 6,288 | 284 | 25,592 | 1,230 | 18,545 | 925 | 13,663 | 870 | |
가동률 | 2% | 7% | 5% | 5% | |||||
기말재고 | 2,156 | 99 | 1,777 | 82 | 784 | 44 | 1,008 | 65 | |
장비 | 생산능력 | 4,536 | - | 4,536 | - | 4,536 | - | 1,210 | - |
생산실적 | 93 | 274 | 2,809 | 2,943 | 2,814 | 2,653 | 1,139 | 1,278 | |
가동률 | 2% | 49% | 62% | 94% | |||||
기말재고 | 972 | 1,123 | 1,438 | 1,069 | 632 | 116 | 85 | 78 |
주1) | 상기 수치는 당사의 생산수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당사 생산능력은 '생산능력=제품별 1인당 평균생산소요시간 x 일 가동시간 (8시간) x 표준가동일수 x 생산투입인력' 산식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습니다. 표준가동일수의 경우 연간 평균 영업일수 (252일)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3D프린팅 소재의 경우 형상기억소재와 기타소재로 분류되나 같은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조하므로 생산실적수량을 통합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2) 생산설비 현황(가) 2025년 1분기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6,821,235 | 111,178 | 18,715 | 206,832 | 32,471 | 232,670 | 10,201,158 |
취득 | - | - | - | - | 27,200 | - | - | 27,200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47,479) | (18,633) | (1,908) | (18,311) | (5,184) | (46,444) | (137,959) |
기말 | 2,778,057 | 6,773,756 | 92,545 | 16,807 | 215,721 | 27,287 | 186,226 | 10,090,399 |
(나) 2024년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7,011,152 | 219,095 | 26,694 | 282,956 | 60,626 | 375,571 | 10,754,151 |
취득 | - | - | - | - | 10,000 | - | 49,185 | 59,185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189,917) | (107,917) | (7,979) | (86,124) | (28,155) | (192,087) | (612,179) |
기말 | 2,778,057 | 6,821,235 | 111,178 | 18,715 | 206,832 | 32,471 | 232,669 | 10,201,157 |
(다) 2023년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7,201,069 | 369,293 | 18,252 | 130,241 | 95,311 | 564,888 | 11,157,111 |
취득 | - | - | - | 19,000 | 227,600 | - | - | 246,600 |
처분 | - | - | - | (4,814) | - | - | - | (4,814)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189,917) | (150,198) | (5,744) | (74,885) | (34,685) | (189,317) | (644,746) |
기말 | 2,778,057 | 7,011,152 | 219,095 | 26,694 | 282,956 | 60,626 | 375,571 | 10,754,151 |
(라) 2022년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건설중인자산 | 합 계 |
---|---|---|---|---|---|---|---|---|---|
기초 | 2,778,057 | 7,390,986 | 474,631 | 24,571 | 166,217 | 101,843 | 714,979 | 6,001 | 11,657,285 |
취득 | - | - | 42,383 | - | 9,046 | 27,069 | 37,358 | - | 115,856 |
처분 | -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6,001 | - | - | (6,001) | - |
감가상각비 | - | (189,917) | (147,721) | (6,319) | (51,023) | (33,601) | (187,449) | - | (616,030) |
기말 | 2,778,057 | 7,201,069 | 369,293 | 18,252 | 130,241 | 95,311 | 564,888 | - | 11,157,111 |
(3) 주요 설비 등 투자계획 당사는 해외 현지법인 설립에 따른 설비투자, 신제품 개발 목적의 부지 매입과 연구설비 및 생산설비 구매, 기존 생산 품질 및 생산 효율성의 고도화 작업,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을 위한 설비투자를 계획할 예정입니다.해외법인 설립에 따른 설비투자로는 미국 현지 기공소 인수 후 기존 장비/설비를 최대한 활용하되, SMA 사업을 위해 필요한 생산시스템을 보완하여 구축할 예정이며, 신제품 개발 관련으로는 보다 다양한 물성과 특성을 갖춘 소재 개발을 위해 필요한 고성능 연구설비 및 생산설비를 구매할 예정이며, 연구 및 생산 부지의 추가 확보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생산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생산 효율성과 생산 품질을 개선할 예정으로, 해당 과정에서 생산설비 변경 또는 신규 구매가 수반될 수 있습니다. 생산 설비 효율 개선 및 고도화 작업과 연계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 또한 계획하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비투자가 예상됩니다.
(단위 : 백만원) |
내용 | 금액 | 시기 |
신제품 개발 목적 부지 및 장비 매입 | 3,200 | 2025년 |
품질관리시스템 도입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 | 2026년 |
가.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USD) |
매출유형 | 제품명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금액 | 금액 | 금액 | 금액 | |||
제품 | 형상기억소재 | 수출 | 689(USD 474천) | 3,942(USD 2,890천) | 2,291(USD 1,755천) | 631(USD 488천) |
내수 | 59 | 340 | 119 | 63 | ||
기타소재 | 수출 | 312(USD 215천) | 1,621(USD 1,188천) | 769(USD 589천) | 646(USD 500천) | |
내수 | 128 | 631 | 864 | 483 | ||
SMA | 수출 | - | - | - | - | |
내수 | 62 | 291 | - | - | ||
질소경화기 | 수출 | 241(USD 166천) | 1,913(USD 1,402천) | 2,723(USD 2,086천) | 1,208(USD 935천) | |
내수 | 15 | 226 | 376 | 249 | ||
잔여레진제거장치 등 | 수출 | 52(USD 36천) | 263(USD 193천) | 215(USD 165천) | - | |
내수 | 1 | 16 | 3 | - | ||
스마트로봇시스템 | 수출 | 50(USD 34천) | 325(USD 238천) | - | - | |
내수 | - | 58 | - | - | ||
제품 소계 | 수출 | 1,343(USD 925천) | 8,064(USD 5,912천) | 5,998(USD 4,595천) | 2,485(USD 1,923천) | |
내수 | 265 | 1,563 | 1,362 | 794 | ||
소계 | 1,609 | 9,627 | 7,360 | 3,279 | ||
상품 | 스캐너 | 수출 | 107(USD 74천) | 1,267(USD 929천) | 263(USD 202천) | 28(USD 22천) |
내수 | - | 1,204 | 40 | 52 | ||
3D 프린터 | 수출 | 381(USD 262천) | 3,098(USD 2,272천) | 2,074(USD 1,589천) | 573(USD 443천) | |
내수 | 33 | 158 | 285 | 223 | ||
기타상품 | 수출 | 39(USD 27천) | 122(USD 90천) | 60(USD 46천) | 23(USD 17천) | |
내수 | 13 | 27 | 83 | 39 | ||
상품 소계 | 수출 | 526(USD 362천) | 4,487(USD 3,290천) | 2,398(USD 1,837천) | 624(USD 483천) | |
내수 | 46 | 1,388 | 408 | 314 | ||
소계 | 572 | 5,876 | 2,805 | 938 | ||
기타 | 교육매출 등 | 수출 | 84(USD 58천) | 528(USD 387천) | 249(USD 191천) | 23(USD 17천) |
내수 | 15 | 118 | 58 | 43 | ||
합계 | 수출 | 1,954(USD 1,345천) | 13,080(USD 9,590천) | 8,645(USD 6,622천) | 3,131(USD 2,423천) | |
내수 | 326 | 3,069 | 1,827 | 1,151 | ||
합계 | 2,280 | 16,149 | 10,472 | 4,282 |
주1) | 상기 재무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수출매출 표시를 함에 있어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나. 판매경로 및 전략(1) 판매조직 당사의 판매관리부서는 국내영업, 해외영업, 해외사업, 경영지원, 기술지원, 마케팅, 임상케어협력, 자재관리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판매경로 당사의 판매구조는 당사가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직접판매와 대리점을 통해 공급하는 간접판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외의 경우 대부분 간접판매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간접판매가 약 75%, 직접판매가 약 25%로, 간접판매의 매출비중이 월등히 높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해외사업을 간접판매 형태로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며, 당사는 현재 90여 개국 150여 개 유통회사(Dealer)와 거래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당사의 국가별 유통회사(Dealer)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개) |
지역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대한민국 | 27 | 24 | 23 | 18 |
아시아(주1) | 56 | 47 | 33 | 7 |
북미 | 12 | 10 | 5 | 4 |
유럽 등 기타(주2) | 55 | 48 | 37 | 14 |
합계 | 150 | 129 | 98 | 43 |
주1) | 아시아: 아시아 전역 및 중동으로 구성 |
주2) | 유럽 등 기타: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로 구성 |
(3) 판매전략 당사는 3D프린팅 제품 생산에 필요한 소재,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상업화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당사는 전 세계 90여 개국 150여개 유통회사를 확보하고,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가) 해외 현지법인 설립 당사는 해외에서 발생하는 매출 비중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당사의 실적은 해외 치과 교정 시장의 성장세 혹은 둔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 해외지역에서 발생되는 매출은 국가별로 예상치 못한 정치 및 지정학적 문제, 해외 주요 거래처의 사업정책 변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투명교정 시장으로, 교정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타국가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기피하고 미국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현지법인을 통해서만 거래하려 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미국 현지법인 설립은 당사에게 매우 중요한 미국시장 진출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등 주요시장 현지법인 설립은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장을 통해 확보되는 공모자금 중 일부를 현지법인 설립에 사용할 계획입니다.당사는 해외현지법인 설립을 통하여 해외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투명 교정 시장 주도 당사가 주요 시장으로 접근하고 있는 투명 교정 시장은 현재 Align Technology의 Invisalign이 매년 200만 케이스 이상(2023년 241만 케이스, 2024년 249만 케이스)을 기록하며, 약 50%라는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Align Technology는 1997년 세계 최초로 투명교정장치를 세상에 선보였고, 이후 오랫동안 시장을 선도해왔습니다. 이에 당사는 실절적인 경쟁기업을 Align Technology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가 기존 투명교정장치과 비교하여 정확하고 정교한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는 점, 신속한 치아이동이 가능하여 치료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 교정장치를 편리하게 착용 및 제거할 수 있다는 점, 환자가 느끼는 통증과 불편감이 거의 없다는 점, 고난도 임상케이스도 별도의 부착물 없이 치료할 수 있다는 점 등 다방면에서의 비교우위를 앞세워 공략한다면, 기존 투명교정장치과의 경쟁에서도 시장경쟁력을 지닐 수 있을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실제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1)3D프린터 직접출력방식, 2)구강 내 형상복원이라는 차별화된 특성을 지닌 투명교정장치로, 특히 구강 내에서 형상이 복원되는 세계 최초의 투명교정장치 입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를 사용하면 기존 투명교정장치로 치료할 수 없거나, 부착물(Attachment)을 사용해야만 치료 할 수 있었던 케이스도 손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투명교정장치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교정이 가능하며, 그 과정도 더 신속하고 효율적입니다. 뿐만 아니라, 실제 투명교정장치를 착용하는 환자에게는 더욱 편리하고 편안한 치료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여러 측면에서 기존 투명교정장치보다 진일보한 투명교정장치라 말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제품 경쟁력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입니다. 동사는 기술, 품질, 성능, 편의성 등 많은 면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기존 투명교정장치보다 경쟁우위에 있다고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당사는 당사의 소재 기술을 통해 투명 교정장치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물성을 지닌 맞춤형 소재 개발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해당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닐 수 있는 우수한 물성의 3D프린팅 소재를 지속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된 소재들은 국내외 의료기기 인증 및 승인을 득하여 생체안정성을 인정받고 치료 목적 사용을 승인받음으로써, 현재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기술이나 타사 3D프린팅 소재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동사의 메디컬 및 엔지니어링 소재를 바탕으로 치과산업 외 의료/메디컬 산업, 엔지니어링 산업 등으로의 사업영역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라)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한 고객 확보 및 세일즈 기회 확대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의 기술적 우수성과 실제 임상적 효용이 산업 내 널리 알려지며, 전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도입을 희망하는 (잠재)고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각 국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이들이 당사 제품을 직접 생산하고, 만지고, 사용해보며 형상기억 투명장치를 도입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 힘쓰고 있습니다.이러한 노력으로 국내외 교육프로그램 참석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참석자들의 교육 현장구매 비율 또한 2023년 43%에서 2024년 62%로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향후에도 국내외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고객 확보 및 세일즈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마) 주요 연자를 통한 제품 판매 촉진 당사는 글로벌 교정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연자들을 다수(국내 13명, 해외 91명) 확보하였고, 연자들은 세미나, 학회, 강연 등 을 통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하여 당사 기술 및 제품을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치과 산업은 동료 치과의사의 추천사 또는 임상데이터를 크게 신뢰하는 산업적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글로벌 연자들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함을 의미합니다. 이에 당사는 글로벌 연자를 통한 마케팅에 장기간 힘써왔으며, 이는 제품 안정성과 우수성을 검증받고 해당 검증결과를 산업 전반에 걸쳐 인정받는데 있어 크게 기여하였다고 당사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연자를 통한 마케팅 전략의 효용성을 직접 경험한 바, 향후에도 본 전략을 지속 시행하여 제품 신인도를 제고함으로써, 제품 판매를 촉진할 계획입니다. 다. 주요 매출처
(단위: 백만원, USD) |
매출유형 | 품목 | 매출처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제품 | 형상기억소재 | 국내 | 이루미치과 | 1 | 168 | 5 | - |
주식회사 스타로이 | 11 | 28 | 7 | - | |||
기타 (102개 업체) | 47 | 145 | 107 | 63 | |||
수출 | Corefront | 92(USD 68천) | 1,598(USD 1,184천) | 327(USD 250천) | 90(USD 69천) | ||
Frontier | 76(USD 56천) | 350(USD 259천) | 103(USD 79천) | 10(USD 7천) | |||
NABIGATE | - | 187(USD 138천) | 197(USD 151천) | - | |||
Wahaj Group LLC | - | 149(USD 110천) | - | - | |||
기타 (295개 업체) | 520(USD 386천) | 1,658(USD 1,229천) | 1,665(USD 1,275천) | 532(USD 412천) | |||
소계 | 국내 | 59 | 340 | 119 | 63 | ||
수출 | 689(USD 510천) | 3,942(USD 2,921천) | 2,291(USD 1,755천) | 631(USD 488천) | |||
기타소재 | 국내 | (주)하이덴탈코리아 | 35 | 146 | 134 | 128 | |
주식회사 벨츠 | 5 | 62 | 61 | 71 | |||
주식회사 스타로이 | 10 | 54 | 234 | 4 | |||
기타 (197개 업체) | 79 | 368 | 435 | 279 | |||
수출 | APEX | - | 451(USD 334천) | - | - | ||
YEN CO | - | 122(USD 91천) | 126(USD 96천) | 32(USD 25천) | |||
UNISHAPE | 51(USD 38천) | 100(USD 74천) | 14(USD 11천) | 4(USD 3천) | |||
기타 (202개 업체) | 262(USD 194천) | 948(USD 702천) | 629(USD 482천) | 609(USD 472천) | |||
소계 | 국내 | 128 | 631 | 864 | 483 | ||
수출 | 312(USD 232천) | 1,621(USD 1,201천) | 769(USD 589천) | 646(USD 500천) | |||
SMA | 국내 | 기타 (80개 업체) | 62 | 291 | - | - | |
수출 | - | - | - | - | - | ||
질소경화기 | 국내 | 기타(122개 업체) | 15 | 226 | 376 | 249 | |
수출 | FORMLABS | - | 320(USD 237천) | 525(USD 402천) | 53(USD 41천) | ||
Corefront | - | 128(USD 95천) | 147(USD 112천) | 67(USD 52천) | |||
TD&S | 61(USD 45천) | 116(USD 86천) | 59(USD 45천) | - | |||
Concern | - | 97(USD 72천) | - | - | |||
UNISHAPE | - | 90(USD 67천) | 49(USD 38천) | 4(USD 3천) | |||
기타 (256개 업체) | 179(USD 133천) | 1,161(USD 861천) | 1,943(USD 1,489천) | 1,084(USD 839천) | |||
소계 | 국내 | 15 | 226 | 376 | 249 | ||
수출 | 241(USD 178천) | 1,913(USD 1,418천) | 2,723(USD 2,086천) | 1,208(USD 935천) | |||
잔여레진제거장치 등 | 국내 | 기타(38개 업체) | 1 | 16 | 3 | ||
수출 | Corefront | - | 28(USD 21천) | 9(USD 7천) | - | ||
TD&S | 8(USD 6천) | 16(USD 12천) | 1(USD 1천) | - | |||
Concern | - | 12(USD 9천) | - | - | |||
Frontier | - | 10(USD 7천) | - | - | |||
기타 (206개 업체) | 45(USD 33천) | 198(USD 147천) | 205(USD 157천) | - | |||
소계 | 국내 | 1 | 16 | 3 | - | ||
수출 | 52(USD 39천) | 263(USD 195천) | 215(USD 165천) | - | |||
스마트 로봇시스템 | 국내 | 기타 (3개업체) | - | 58 | - | - | |
수출 | TD&S | 22(USD 16천) | 41(USD 30천) | - | - | ||
기타 (15개 업체) | 28(USD 21천) | 284(USD211천) | - | - | |||
소계 | 국내 | - | 58 | - | - | ||
수출 | 50(USD 37천) | 325(USD 241천) | - | - | |||
상품 | 3D프린터 등 | 국내 | 기타(53개 업체) | 33 | 158 | 285 | 223 |
수출 | Corefront | - | 513(USD 380천) | 387(USD 296천) | - | ||
Concern | - | 277(USD 205천) | - | - | |||
TD&S | 57(USD 42천) | 174(USD 129천) | - | - | |||
BERNHARD FORSTER GMBH | 170(USD 126천) | 91(USD 70천) | 411(USD 318천) | ||||
기타 (143개 업체) | 324(USD 240천) | 1,965(USD 1,456천) | 1,596(USD 1,223천) | 162(USD 125천) | |||
소계 | 국내 | 33 | 158 | 285 | 223 | ||
수출 | 381(USD 282천) | 3,098(USD 2,296천) | 2,074(USD 1,589천) | 573(USD 443천) | |||
스캐너 | 국내 | 기타(12개 업체) | - | 1,204 | 40 | 52 | |
수출 | TD&S | - | 243(USD 180천) | - | - | ||
기타 (54개 업체) | 107(USD 79천) | 1,024(USD 759천) | 263(USD 202천) | 28(USD 22천) | |||
소계 | 국내 | - | 1,204 | 40 | 52 | ||
수출 | 107(USD 79천) | 1,267(USD 939천) | 263(USD 202천) | 28(USD 22천) | |||
기타상품 | 국내 | 기타(110개 업체) | 13 | 27 | 83 | 39 | |
수출 | 기타 (134개 업체) | 39(USD 29천) | 122(USD 91천) | 60(USD 46천) | 23(USD 17천) | ||
기타 | 교육매출 등 | 국내 | 기타(86개 업체) | 15 | 118 | 58 | 43 |
수출 | 기타(292개 업체) | 84(USD 62천) | 528(USD 391천) | 249(USD 191천) | 23(USD 17천) | ||
전체 | 국내 | 326 | 3,069 | 1,827 | 1,151 | ||
수출 | 1,954(USD 1,448천) | 13,080(USD 9,692천) | 8,645(USD 6,622천) | 3,131(USD 2,423천) |
주1) | 상기 재무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수출매출 표시를 함에 있어 환율은 각 연도별 평균환율 1,452.66(25년 1분기), 1,363.98(24년), 1,305.41(23년), 1,352.85(22년)원/$을 적용하여 표시하였습니다. |
라. 수주상황
당사는 일반적인 수주산업에 해당하지 않으나, 판매가 확정 된 선적대기 항목 및 바우처 형태로 진행되는 SMA 사업에 대한 수주금액 및 잔고를 별도로 산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품목 | 수주시기 | 납기 | 수주금액 | 수주잔고 |
---|---|---|---|---|
소재 | 2025년 | 2025년 | 24 | 24 |
장비 | 2025년 | 2025년 | 28 | 28 |
SMA | 2024년 ~ 2025년 | 2025년 ~ 2026년 | 254 | 172 |
합계 | 306 | 224 |
가. 위험과 위험관리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과 자본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 외환위험, 가격위험과 이자율 위험으로 구분됨). 당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1) 외환 위험 당사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와 관련하여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2025년 3월말(당분기말)과 2024년말(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자 산 | 부 채 | ||
---|---|---|---|---|
당분기말 | 전기말 | 당분기말 | 전기말 | |
USD | 3,173,928 | 4,460,604 | 267,195 | 432,861 |
EUR | 625,483 | 1,187,589 | 132,068 | 115,315 |
JPY | - | 32,918 | - | 10,623 |
AED | - | - | 22,237 | - |
합 계 | 3,799,411 | 5,681,111 | 421,500 | 558,799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USD | 290,673 | (290,673) | 402,774 | (402,774) |
EUR | 49,342 | (49,342) | 107,227 | (107,227) |
JPY | - | - | 2,230 | (2,230) |
AED | (2,224) | 2,224 | - | - |
상기 민감도분석은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2)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변동금리부 차입금 및 예금을 보유하고 있어 이자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차입금 감축, 일간/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을통해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2025년 3월말(당분기말)과 2024년말(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 차입금 및 예금 등의 이자율이 100bp 변동 시 12개월 간의 이자비용과 이자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
이자비용 | 133,900 | (133,900) | 134,200 | (134,200) |
이자수익 | 2,978 | (2,978) | 15,385 | (15,385) |
(3)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실체에 재무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거래처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평가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금융기관예치금 등의 유동자금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금융기관들과 거래하기 때문에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일반거래처의 경우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고객신용위험은 연결실체의 정책, 절차 및 고객 신용위험관리 관련통제를 준수하여야 하는 경영진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2025년 3월말(당분기말)과 2024년말(전기말) 현재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 | 3,038,438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394,000 |
매출채권 | 2,902,243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4,652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39,993 |
합 계 | 4,244,432 | 7,719,475 |
당사는 상기 거래처 채권에 대해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개별적 또는 집합적으로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4) 유동성 위험 2025년 3월말(당분기말)과 2024년말(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잔존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으며, 금액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한 할인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07,921 | 107,921 | 107,921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3,012,655 | 933,305 | 2,079,350 | - |
장기차입금(*1) | 10,490,000 | 10,768,585 | 127,234 | 10,641,352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556 | 1,501 | 1,501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5,834 | 15,834 | 3,958 | 11,874 | - |
기타금융부채 | 1,487,645 | 1,487,645 | 1,269,941 | - | 217,704 |
리스부채 | 200,273 | 244,594 | 45,625 | 101,011 | 97,958 |
합계 | 15,236,021 | 15,638,735 | 2,489,485 | 12,833,587 | 315,662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99,003 | 199,003 | 199,003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2,933,734 | 2,029,721 | 904,013 | - |
장기차입금(*1) | 10,520,000 | 10,945,237 | 162,426 | 10,782,811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2,847 | 8,147 | 8,147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9,190 | 22,201 | 7,455 | 14,746 | - |
기타금융부채 | 1,779,403 | 1,779,403 | 1,564,467 | - | 214,936 |
리스부채 | 227,464 | 315,559 | 54,483 | 144,893 | 116,183 |
합 계 | 15,681,699 | 16,203,284 | 4,025,702 | 11,846,463 | 331,119 |
(*1) 유동성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 계약상 전환가능한 가장 이른 시점을 만기로 가정하여 현금흐름을 작성하였습니다. |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2025년 3월말(당분기말)과 2024년말(전기말) 현재 금리스왑 파생상품계약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거래목적 | 만기일 | 지급이자 | 수취이자 | 계정과목 | 당분기말 | 전기말 | ||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
단기매매 | 2025.09.22 | 6.49% | CD+2.19% | 파생금융부채 | 2,050,000 | 15,834 | 2,065,000 | 19,190 |
2025년 1분기(당분기)과 2024 1분기(전분기) 중 금리스왑 파생금융부채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19,190 | 33,967 |
평가손실 | (3,356) | - |
기말 | 15,834 | 33,967 |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조직 구성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신소재 개발 사업은 기술 수준이 높고, 변화의 정도가 빠르기 때문에 연구 인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는 것이 회사의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연구개발 조직의 조직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래피 연구개발 조직 조직도] |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총 30명의 연구개발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박사학위 소지자가 5명, 석사학위 소지자가 10명으로, 연구인력의 약 50.0%가 석박사급 연구인력에 해당합니다.
또한, 아래와 같이 동사 핵심 연구인력들은 동사가 영위하는 소재 개발 등 관련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사의 연구인력의 수준은 동종업계에서 경쟁사 대비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2) 연구개발비용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비용처리(주2) | 제조원가 | - | - | - | - |
판관비 | 895 | 3,970 | 2,496 | 1,278 | |
R&D | 국고보조금(차감계정) | (27) | (130) | (495) | (968) |
(매출액 대비 비율) | 39.3% | 24.6% | 23.8% | 32.0% |
주1) | 상기 재무 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주2) | 비용처리는 국고보조금이 차감 반영 된 비용입니다. |
(3) 연구개발실적
당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개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명 | 연구기간(연월) | 정부출연금 (백만원) | 관련 제품 | 비고 |
모델 소재 개발 | 2017.01~2017.12 | - | S-1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17.06~2019.02 | - | TC-85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ABS 유사 소재 개발 | 2017.06~2018.05 | - | S-100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디지털 깁스 제작을 위한 3D프린팅용 광경화수지 신소재 개발 | 2018.06~2019.03 | 55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완료 |
증강현실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올온엑스임플란트 식립 지원 및 치아보철 솔루션 개발 | 2019.06~2020.12 | 100 | SG-100, TH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120MPa 이상 개인 맞춤형 부목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 제품화 | 2020.05~2021.03 | 400 | Tera Harz Digital Gips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굴곡강도 200 MPa 이상 개인 맞춤형 의치 치료를 위한 3D프린팅 신소재개발 | 2020.12~2022.12 | 400 | TC-80, THD,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터용 고기능성 Smart Materials 기술 | 2020.11~2021.03 | 112 | 3D프린팅 탄성 소재 | 개발 완료 |
DLP 기반 자동차 지그 고정구용 고내열성, 고강도 광경화성 레진개발 | 2020.09~2021.06 | 100 | 3D프린팅 자동차 지그 소재 | 개발 완료 |
모델 소재 개발 | 2020.09~2021.06 | - | S-200M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 기반 신체 맞춤형 자전거 안장 대량 제조기술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 2021.04~2022.12 | 166 | 3D프린팅 자전거 안장 소재 | 개발 완료 |
개인맞춤형 영구보철을 위한 3D프린팅 나노복합 신소재 개발 | 2021.04~2023.01 | 500 | BR-23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정전기 방지가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스마트 그리퍼용 이중강성 소재 개발 | 2021.04~2022.12 | 200 | 3D프린팅 그리퍼 소재 | 개발 완료 |
질소발생기를 포함한 고광량 경화기 개발 | 2021.04~2021.11 | - | THC(Tera Harz Cure)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3D프린팅용 플렉시블 덴처 광경화성 소재 개발 | 2021.09~2023.08 | 400 | TFDH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2~2024.05 | - | TR-07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원심분리형 탈레진기 개발 | 2022.03~2023.09 | - | THSP(Tera Harz Spinner)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디자인 셋업 소프트웨어(DAD) 개발 | 2022.04~2024.02 | - | DAD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신소재) 개발 | 2022.06~2024.05 | - | TA-28 | 개발 및 상용화 완료 |
환자맞춤형 직접출력 담도 스텐트-치아교정장치용 심바이오틱 생체적합성 의료기기소재 및 제품화 기술 개발 | 2023.04~2027.12 | 970 | SMA, 담도 스텐트 소재 | 개발중 |
Aligner 초음파 세척기 | 2023.08~2023.10 | - | THCA(Tera Harz Care) | 외주개발 및 상용화 완료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자동분할 AI솔루션 | 2024.05~2024.11 | 300 | DAD, DAS | 개발 완료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저함량) | 2024.01~현재 | - | R-191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개발 | 2024.01~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Phase 1 개발 |
세라믹보철소재 개발 (중함량) | 2024.06~현재 | - | C-191 | 개발중 |
바이오단량체 적용 올리고머 개발 | 2024.06~현재 | - | 올리고머 반제품 | 개발중 |
DAS 개발 | 2024.01~현재 | - | DAS | 개발중 |
구강스캔 데이터의 치아 자동분할 AI 솔루션 도입 및 응용 SW 개발 | 2024.01~2024.11 | - | DAD, DAS | 개발 완료 |
오토 트림라인 기능이 포함된 투명교정장치 쉘(shell) 자동 생성 소프트웨어 | 2024.10~현재 | - | DAC | 개발중 |
친환경 투명교정장치용 소재 개발 | 2025.01~현재 | - | TA 시리즈 | 개발중 |
Aligner 생산을 위한 로봇시스템 고도화 (Multi-cyle 적용) | 2025.01~현재 | - | THSR(Tera Harz Smart Robot) | 개발중 |
가. 지적재산권 현황 당사의 증권 신고서 제출일 현재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건) |
구분 | 등록 | 출원 | 합계 | |
---|---|---|---|---|
국내 | 특허/실용 | 20 | 22 | 42 |
디자인 | 1 | - | 1 | |
상표 | 5 | - | 5 | |
해외 | 특허/실용 | 7 | 9 | 16 |
상표 | 4 | - | 4 | |
합계 | 37 | 31 | 68 |
(1) 특허 출원 및 등록
순번 | 구분 | 내용 (명칭) | 국가 | 출원번호(출원일) | 등록번호(등록일) | 적용 제품 |
---|---|---|---|---|---|---|
1 | 특허 | 3D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깁스 프린팅 장치 및 프린팅 방법 | 한국 |
10-2017-0077739 (2017.06.20) |
10-1820674 (2018.01.16) |
공정 (디지털깁스) |
2 | 특허 | 광량제어 및 고밀도 UV 조사구조를 갖는 3D프린터용 UV 후경화 장치 | 한국 |
10-2017-0161866 (2017.11.29) |
10-2034885 (2019.10.15)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 한국 |
10-2018-0049363 (2018.04.27) |
10-2078159 (2020.02.11) |
공정 (유방보형물) |
4 | 특허 | 3D프린터용 광경화형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18-0099277 (2018.08.24) |
10-2067533 (2020.01.13) |
소재(모든 소재) |
5 | 미국 |
US 17/053,062 (2020.11.04) |
US 11,873,362 (2024.01.16) |
|||
6 | 유럽 |
EP 19851356.6 (2020.10.23) |
- | |||
7 | 중국 |
CN 201980029997.4 (2020.11.03) |
- | |||
8 | 일본 |
JP 2021-516349 (2020.11.19) |
JP 7180924 (2022.11.21) |
|||
9 | 특허 | 투명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18-0123132 (2018.10.16) |
10-2111789 (2020.05.11) |
소재(Tera Harz Clear) |
10 | 미국 |
US 17/259,026 (2021.01.08) |
US 11,427,721 (2022.08.30) |
|||
11 | 유럽 |
EP 19874336.1 (2020.12.29) |
- | |||
12 | 중국 |
CN 201980047760.9 (2021.01.14) |
- | |||
13 | 일본 |
JP 2021-509195 (2021.02.18) |
JP 7149024 (2022.09.28) |
|||
14 | 특허 | 환자 맞춤형 깁스의 제조를 위한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18-0146099 (2018.11.23) |
10-2115367 (2020.05.20) |
소재(디지털깁스) |
15 | 미국 |
US 17/053,311 (2020.10.23) |
US 11845827 (2024.10.23) |
|||
16 | 유럽 |
EP 19886523.0 (2020.11.03) |
EP 3777902 (2024.10.23) |
|||
17 | 중국 |
CN 201980029943.8 (2020.11.19) |
- | |||
18 | 일본 |
JP 2022-143558 (2022.09.09) |
JP 7376956 (2023.10.31) |
|||
19 | 특허 | 탑-다운 방식의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조 방법 | 한국 |
10-2019-0155525 (2019.11.28) |
10-2240959 (2021.04.11)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
20 | 특허 |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공정 및 이의 장치 | 한국 |
10-2019-0155528 (2019.11.28) |
10-2252465 (2021.05.10)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21 | 특허 | 3D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 한국 |
10-2020-0033430 (2020.03.18) |
10-2281789 (2021.07.20) |
소재 (Tera Harz Clear) |
22 | 특허 | 광경화형 치아 수복용 조성물 | 한국 |
10-2020-0033606 (2020.03.19) |
10-2374377 (2022.03.10) |
소재 (TC-80DP) |
23 | 특허 | 내수성이 우수한 3D프린터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 한국 |
10-2020-0107046 (2020.08.25) |
10-2386434 (2022.04.11) |
소재 (모든 소재) |
24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부분 틀니 | 한국 |
10-2020-0131557 (2020.10.13) |
10-2444341 (2022.09.13) |
소재(Tera Harz Denture), 소재(Tera Harz) |
25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틀니 | 한국 |
10-2020-0131558 (2020.10.13) |
10-2444338 (2022.09.13) |
소재(TFDH), 소재(TC-80) |
26 | 특허 |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0-0172326 (2020.12.10) |
10-2244439 (2021.04.20) |
소재 (Tera Harz Clear) |
27 | 특허 | 3D프린터용 과경화형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1-0015876 (2021.02.04) |
10-2607733 (2023.11.24) |
소재 (모든 소재) |
28 | 특허 |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1-0052197 (2021.04.22) |
10-2273407 (2021.06.30) |
소재(Tera Harz Clear)공정(SMA) |
29 | 미국 |
US 18/287,935 (2023.10.23) |
- | |||
30 | 유럽 |
EP 21938014.4 (2023.11.17) |
- | |||
31 | 중국 |
CN 202180099145.X (2023.12.07) |
- | |||
32 | 일본 |
JP 2023-565127 (2023.10.20) |
- | |||
33 | 특허 | 환자 맞춤형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1-0150874 (2021.11.04) |
10-2486139 (2023.01.04) |
소재 (Tera Harz Clear) |
34 | 특허 |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21-0180431 (2021.12.16) |
10-2658757 (2024.04.15) |
소재 (Tera Harz Clear) |
35 | 특허 | 3D프린터물의 후경화를 위한 장치 | 한국 |
10-2022-0084286 (2022.07.08) |
-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6 | 특허 | 3D프린터물의 후경화를 위한 장치 | 한국 |
10-2022-0084292 (2022.07.08) |
- |
하드웨어 (Tera Harz Cure) |
37 | 특허 | 3D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팅용 형상기억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22-0090501 (2022.07.21) |
- |
소재 (Tera Harz Clear) |
38 | 특허 | 광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한 3D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2-0118195 (2022.09.19) |
- |
소재 (Tera Harz Clear) |
39 | 특허 |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 한국 |
10-2022-0171236 (2022.12.09) |
- |
소재 (Tera Harz Clear) |
40 | 특허 | 임베디드 3D프린팅 시스템 | 한국 |
10-2022-0176677 (2022.12.16) |
- | |
41 | 특허 | 3D프린터물 잔여 레진 제거 장치 | 한국 |
10-2022-0176877 (2022.12.16) |
- |
하드웨어 (Tera Harz Spinner) |
42 | 특허 |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진 광경화성 3D프린팅용 탄성소재 조성물 | 한국 |
10-2022-0186348 (2022.12.27) |
소재 (산업용탄성소재) |
|
43 | 특허 | 악궁 확장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3-0021246 (2023.02.17) |
10-2578482 (2023.09.11) |
소재 (THD, TFDH) |
44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향균 틀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향균틀니 | 한국 |
10-2023-0050429 (2023.04.18) |
- |
소재 (THD, TFDH) |
45 | 특허 |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연속 생산 방법 및 이의 연속 생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교정장치 | 한국 |
10-2023-0069711 (2023.05.31) |
- |
소재 (Tera Harz Clear) 공정 (SMA) |
46 | 특허 | 3D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팅용 형상기억 고분자 조성물 | 한국 |
10-2023-0074701 (2023.06.12) |
- |
소재 (Tera Harz Clear) |
47 | 특허 |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075491 (2023.06.13) |
- |
소재 (Tera Harz Clear) |
48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120126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49 | 특허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 한국 |
10-2023-0120128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50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3D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3-0120129 (2023.09.11) |
- |
소재 (Tera Harz Clear) |
51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4-0009850 (2024.01.23) |
- |
소재 (Tera Harz Clear) |
52 | 특허 | 양쪽성 이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 한국 |
10-2024-0009851 (2024.01.23) |
- |
소재 (Tera Harz Clear) |
53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또는 치아 교정 장치의 연속 생산 공정 및 이의 연속 생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치과용 보철물 또는 치아 교정 장치 | 한국 |
10-2024-0088689 (2024.07.05) |
- | 공정(SMA), 소재(Tera Harz Clear, Tera Harz, Tera Harz Denture) |
54 | 특허 | 치아용 신규 보철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치아 보철 | 한국 | 10-2024-0161730 (2024.11.14) | - | 소재 (신규 소재) |
55 | 특허 | 3D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 보철물의 제조 방법 | 한국 | 10-2024-0165799 (202411.20) | - |
소재 (신규 소재) |
56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담도관 스텐트 | 한국 |
10-2025-0002009 (2025.01.07) |
- | 소재(신규 소재) 및 제품(담도관 스텐트) |
57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담도관 스텐트 | 한국 |
10-2025-0002011 (2025.01.07) |
- | 소재(신규 소재) 및 제품(담도관 스텐트) |
58 | 특허 |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는 투명치아교정장치 | 한국 |
10-2025-0002012 (2025.01.07) |
- | 소재(Tera Harz Clear) 및 제품(SMA) |
(2) 상표권 및 디자인
순번 | 구분 | 내용 (명칭) | 국가 | 출원번호(출원일) | 등록번호(등록일) | 적용 제품 |
---|---|---|---|---|---|---|
1 | 디자인 | 치과용 본딩용재 주입기 | 한국 |
30-2021-0011327 (2021.03.09) |
30-1154988 (2022.03.10) |
- |
2 | 상표 | RPOlla | 한국 |
40-2019-0035493 (2019.03.08) |
40-1570839 (2020.02.03) |
- |
3 | 상표 | Direct Aligner | 한국 |
40-2021-0098356 (2021.05.12) |
40-1790335 (2021.10.21) |
- |
4 | 상표 | Hyaligner | 한국 |
40-2021-0118321 (2021.06.09) |
40-1956873 (2023.01.04) |
- |
5 | 상표 | Graphy | 한국 |
40-2021-0211002 (2021.10.18) |
40-1854121 (2022.04.07) |
- |
6 | 상표 | Shape Memory Aligners | 한국 |
40-2022-0236389 (2022.12.16) |
40-2230865 (2024.08.06) |
- |
7 | 미국 |
97/796,944 (2023.02.15) |
7672498(2025.01.28) | |||
8 | 유럽 |
EM 018821719 (2023.01.11) |
EM 018821719 (2023.08.22) |
|||
9 | 중국 |
69683583 (2024.10.22) |
81518671(2025.06.14) | |||
10 | 일본 |
2023-002471 (2023.01.13) |
6712421 (2023.06.28) |
나. 시장 현황 (1) 시장의 특성 (가) 주요 목표시장 및 특성 당사는 3D프린팅 통합 기술 기반의 회사이며, 현재 주력으로 사업화 중인 사업이 치과교정 사업이라 해당 시장 위주로 기술하였습니다.치아 교정시장은 130년 이상 지속 성장해 온 시장입니다. 특히 투명교정시장은 1997년에 최초 출시된 이래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의 과정을 거듭해왔습니다. 최초 개발된 투명교정장치를 1세대로 기준하여 현재 5세대 투명교정장치까지 등장하였으며,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5세대 투명교정장치입니다. 현재 거의 모든 투명교정장치들은 3세대에 머물러 있는 상황으로, 본 투명교정장치 세대 구분을 통해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얼마나 기술적으로 앞서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투명교정장치 세대별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세대 투명교정장치] |
|
1세대 투명교정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치과에서 치아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사용하여 치아와 치아 또는 치아와 치은을 분리(Segmentation)하고 치아를 재배열(Set-up)합니다. 이렇게 제작된 치아모델로 PETG시트지를 진공열성형하며, 후처리 작업(Post Processing)을 끝으로 투명교정장치 제작이 완료됩니다.
[2세대 투명교정장치] |
|
2세대 투명교정장치는 3D스캐닝, 3D프린팅 등 디지털 작업이 등장한 세대입니다. 치과에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PVS임프레션한 뒤 이를 기공소에 전달합니다. 기공소에서는 PVS임프레션을 이용하여 치아모델을 제작한 뒤, 이를 3D스캔하여 디지털 작업(Segmentation, Set-up 등)을 수행합니다. 치료계획에 맞춰 디지털 셋업, 디자인이 완료되면 이를 3D프린팅하여 치아모델을 다시 제작합니다. 이후 1세대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투명교정장치 제작을 완료합니다. 1세대 보다 절차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막대한 리소스(시간, 인력) 투입을 필요로하는 수작업을 줄여주기 때문에, 보다 진보한 세대라 할 수 있습니다.
[3세대 투명교정장치] |
|
3세대부터는 치아모델 제작 과정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치과에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3D스캔한 뒤 스캔파일을 투명교정장치 제조사로 송부합니다. 제조사는 디지털작업을 수행한 뒤 이를 활용 치아모델을 3D프린터로 출력합니다. 이후 PETG시트지를 진공열성형하고 후처리하는 등 동일한 과정을 거쳐 투명교정장치 제작을 완료하고, 제작된 투명교정장치를 치과로 배송합니다. Invisalign이 3세대 투명교정장치에 해당합니다.
[4세대 투명교정장치] |
|
4세대부터는 모든 과정을 원내(In-house)에서 진행합니다. 환자의 구강을 3D스캔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셋업, 디자인을 수행하고 치아모델을 3D프린팅합니다. 투명교정장치 제조사를 거치지 않고 치과에서 직접 투명교정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료의 신속성과 능동성을 대폭 증대합니다.
[5세대 투명교정장치] |
|
5세대 투명교정장치는 치아모델을 제작하지 않습니다. 대신 3D스캔 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가상 모델링하며, 이후 모든 작업을 디지털로 수행합니다. 그리고 최종 디자인된 투명교정장치를 3D프린터로 직접 출력합니다. 당사의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가 5세대 투명교정장치에 해당됩니다.
투명교정장치의 진화와 더불어 투명교정시장은 빠르게 성장해왔습니다. 투명교정시장의 성장요인은 크게 두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교정시장 전체의 성장이며, 두번째는 교정시장 내 투명교정 사용 비중의 확대입니다. 현재 투명교정시장은 이 두가지 요인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성장추이, 전망에 대해서는 '(2)시장 규모 및 전망'에서 다룹니다.)
[투명교정시장 성장 구조] |
|
교정시장의 성장과 투명교정장치 사용비중의 확대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그중 핵심 요인은 '지속적인 교정 환자수 증가'입니다. 아래 '전세계 교정 시장 침투율 조사 자료에 따르면 실제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인구는 2025년 기준 잠재교정환자 수의 약 4.5%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침투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앞으로 교정치료 인구가 점차 증가할 것임을 뜻하며, 교정시장 및 투명교정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전세계 교정시장 침투율] |
|
2023년 투명교정시장 규모는 교정환자가 지불하는 비용 기준 약 25조 원으로 추정되며, 당해 연도 투명교정 치료 환자수는 약 500만명입니다. 통상 교정 환자 1명이 지불하는 교정 치료 비용은 약 500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약 50%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Align Technology의 경우, 주력 상품(Standard: 30스텝)의 치료비용이 약 500~600만 원 수준입니다.
투명교정장치 공급가(도매가)는 대체로 일정 가격범위를 장기간 유지 중이며 이는 교정 치료 비용 역시 어느정도 안정된 시장가격을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상기 추세를 근거로 환자 1인당 지불하는 교정 치료 비용인 500만 원이 2030년 및 그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가정하여 투명교정 시장을 분석하였습니다.
[전세계 교정시장 침투율] |
|
자료: Angelalign,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아래 그림은 Align Technology의 지역별 판매 비중 추이와 지역별 투명교정기 출고 비중입니다. 본 자료에서 보이듯 현재 `투명교정시장은 대부분 북미(미국)에 집중되고 있으며 그 뒤를 따르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스위스'로 표기) 보다 북미의 매출이 많은 상황이며, 실제 투명교정장치의 출고비중의 경우 북미 시장이 과반을 상회합니다.
[Align Technology 지역별 매출 추이 및 투명교정장치 출고 비중] |
|
자료: Angelalign,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주1) | Align Technology의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HQ가 스위스에 위치하여 스위스로 합계 집계됨. |
다만 기타 지역(아시아, 남미 등)의 매출이 가파른 성장 추이를 보이는 것과 북미 외(유럽, 아시아, 중동, 남미 등) 출고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투명교정시장이 특정 시장(북미)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 높아진 소득 수준(구매력 증가) 등의 이유로 교정치료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결과이며, 실제로 투명교정 시장은 기존에 소외됐던 시장 또는 국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 ·성장하고 있습니다. (나) 수요 변동요인 지금까지 많은 치과들이 비용 등의 이유로 디지털전환의 첫 부분인 구강 스캐너 도입에 소극적이었으며,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상 체득을 수행해왔습니다. 그러나 기술 발전과 효율성 증대, 그리고 장기적인 비용 절감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구강 스캐너의 도입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구강 스캐너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실현을 위한 핵심 장비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구강 스캐너의 시장 보급률과 사용 비중의 변화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의 전망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강 스캐너의 시장 침투율(보급률)은 약 10% 수준으로, 향후 침투 가능한 잠재 시장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투명 교정 시장 내 디지털 스캔 비중은 빠르게 증가하여 현재 90%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 장비, 소프트웨어, 통합 플랫폼 등 디지털 덴티스트리 관련 장비와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그동안 소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플랫폼, 통합 솔루션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왔기 때문에,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의 성장과 함께 투명 교정 시장뿐만 아니라 치과 산업 전반에서 더 많은 기회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강스캐너 시장침투율 및 디지털 스캔 사용 빈도&추이] |
|
자료: Angelalign,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다) 관련법령 등 당사 사업(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관련 주요 법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법령 | 관련 내용 |
---|---|
의료기기법 | 의료기기의 제조, 품질 관리 및 허가·인증 규제 |
산업안전보건법 | 제조업체의 작업 환경 관리, 근로자 안전 및 보건 규정 |
폐기물관리법 | 의료 폐기물의 적정 분류, 처리 및 관리를 규정 |
화학물질관리법 | 3D프린팅 소재의 화학물질 관리 및 안전 사용 규제 |
이 외에도 당사가 따라야 할 다양한 법령이 존재하며, 당사는 각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제품은 의료기기이기 때문에 사업을 영위함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법령 및 제약사항은 의료기기 인증 및 인증 획득여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제품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결국 각 국가의 의료기기 인증 획득 여부는 해당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내는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의 의료기기인증이 있으며, 해외는 미국 FDA, 유럽 CE, 일본 PMDA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료기기 인증 획득 국가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주요 국가 인증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Tera Harz Clear)의 주요국가 의료기기 인증 획득 현황] |
국가 | 인증 | 비고 |
---|---|---|
한국 | MFDS | Class 2 |
미국 | FDA | Class 2 |
캐나다 | MDL | Class 2 |
유럽 | CE |
Class 2a (MDD → MDR 전환 진행중) |
일본 | PMDA | Class 2 |
호주 | TGA | Class 2 |
대만 | TFDA | Class 2 |
싱가포르 | HAS | Class A |
인도 | CDSCO | Class A |
사우디아라비아 | SFDA | Class 2 |
브라질 | ANVISA | Class 2 |
중국 | NMPA |
2025년 내 획득 계획 |
한편, 유럽 CE의 경우 의료기기 관련 규제 사항이 MDD(Medical Device Directive)에서 MDR(Medical Device Regulationi)로 변경됨에 따라, 주요 사항에 대한 인증 전환이 필요한 바 당사는 기존 MDD 인증 심사기관(Notice(NB 2746))과 계약을 체결하여, MDR 인증 전환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CE MDR 전환 관련 계약서 및 MDSAP 인증서] |
|
최근 설계 단계부터 사후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의료기기 전주기의 품질관리 시스템에 대한 심사 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의료기기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그래피는 여러 가지 품질시스템 심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자 인증 심사 기준이 높은 5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브라질) GMP 인증인 MDSAP(의료기기 단일심사 프로그램)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난항을 겪는 FDA 불시 감사를 면제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일본 등 그 외 회원국의 정기심사도 면제 · 간소화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현재 준회원국인 우리나라도 2026년까지 MDSAP 정회원국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어 국내 GMP 심사와 통합심사로 진행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최초의 3D프린팅 방식의 투명교정장치이기 때문에 일반 기술문서 뿐만 아니라 많은 3D프린팅 관련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가 요구됩니다. 종종 3D프린팅에 대한 심사원의 낮은 이해도로 발생하는 에로사항이 존재하지만, 다양한 국내외 인허가 실무 경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와 근거 자료를 통해 이를 헤쳐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자료들을 통해 실 승인을 얻어냄으로써, 향후 유사 제품에 대한 새로운 심사기준을 당사가 제시하고 수립하는데 일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례로 지난 11월 식약처에서 배포한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의료기기 허가·인증·심사 통합 가이드라인'의 치과재료 4개 품목의 전문가 협의체 위원으로 당사 품질책임자가 선정되는 등 당사 및 당사 제품은 3D프린팅 의료기기 허가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래피 임직원의 삭약처 가이드라인 위원내 품질책임자 선정 관련 공문] |
|
한편 생산 폐기물 관련하여 당사는 대한민국 '폐기물관리법'을 따르고 있습니다. 월 100kg, 연간 1,200kg 이상의 폐기물 발생시 관할 시 · 구청에 신고 후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지만 당사의 경우 해당 기준량 이하 생산량 대비 소량의 폐기물만 발생하고 있어, 이를 산업 폐기물 처리가 가능한 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발생이 적은 이유는 소재 생산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데, 소재 생산에 투입되는 원재료들이 상호간 반응을 통해 거의 모든 요소가 개발소재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2) 시장의 규모 및 전망 전세계 교정 시장은 2015년 약 46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8.3%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약 70조 원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7% 성장하여, 2030년 약 150조 원 이상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교정 치료를 받는 교정환자가 지불하는 비용(소매) 기준 산정된 것으로, 실제 기업 매출(도매) 기준 시장규모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도매시장의 규모는 소매시장의 약 1/4 수준입니다.)
[전세계 치과교정 시장 규모 및 전망, 2015-2030(E)] |
(단위 : 십억 USD) |
|
자료: Angelalign, CIC Report, 당사 정리 |
교정시장의 성장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그중 핵심 요인은 '교정치료 환자수의 꾸준한 증가'입니다. 앞서 '주요 목표시장 및 특성'에서 기술하였듯 전세계 교정 시장 침투율을 보면 실제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인구는 2025년 기준 잠재교정환자 수의 약 4.5%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련 기술의 발전', '1인당 의료지출의 개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수요 증가)', '부정교합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교정시장 침투율을 꾸준히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치아교정시장이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녔다는 것이며, 동시에 앞으로 교정치료 인구가 점차 증가할 것임을 뜻합니다. 전체 교정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교정 시장 내 '투명교정 시장' 역시 가파르게 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투명교정 시장 성장요인 및 전망] |
|
자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Straumann Group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23년 투명교정시장 규모는 25조 원(교정환자가 지불하는 비용 기준)으로 추정되며, 당해 연도 투명교정 치료 환자수는 약 500만명으로 파악되며 통상 교정 환자 1명이 지불하는 교정 치료 비용은 약 500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약 50%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Align Technology의 경우, 주력 상품(Standard: 30스텝)의 치료비용이 약 500~600만 원 수준으로, '보다 저렴한 경쟁 제품이 많다는 점', '저렴하게 치료할 수 있는 교정 케이스도 많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1인당 교정치료 비용 500만 원은 충분히 타당하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아래 그림에서 알 수 있듯, 투명교정장치 공급가(도매가)는 대체로 일정 가격범위를 장기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교정 치료 비용 역시 어느정도 안정된 시장가격을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상기 내용을 근거로 1인당 교정 치료 비용은 500만 원이며, 해당 가격이 지속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고 시장 분석하였습니다.
2030년 예상되는 글로벌 투명교정 환자수는 연간 약 1,200만명입니다. 이는 2030년 이후 투명교정치료를 받는 환자가 매년 1,200만명 이상 신규 발생함을 뜻합니다. 달리 말하면, 2023년과 비교하여 투명교정 치료를 받는 환자수가 2배 이상 발생함을 의미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30년의 교정시장침투율은 6.45%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를 달리 해석하면, 2030년 이후에도 투명교정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으로, 시장이 장기간 지속 성장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투명교정 시장 현황 및 전망 요약] |
연도 | 항목 | 값 (근사값) | 비고 |
---|---|---|---|
2023년 | 교정 시장규모 | 91조원 (*1) | (a) |
투명교정 시장비중 | 27.6% (*2) | (b) | |
투명교정 시장규모 | 25조원 | (c) = (a) * (b) | |
투명교정 환자수 | 500만명 (*3) | (d) | |
투명교정 치료비용 | 약 500만원 | (e) = (c) / (d) | |
2030년 | 교정 시장규모 | 150조원 (*1) | (f) |
투명교정 시장비중 | 40% (*2) | (g) | |
투명교정 시장규모 | 60조원 | (h) = (f) * (g) | |
투명교정 치료비용 | 약 500만원 | (i) = (e) | |
투명교정 환자수 | 1,200만명 (*4) | (j) = (h) / (i) |
(*1) | the CIC Report |
(*2) |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Equity Research ' 얼라인 테크놀로지 ' , 2024-10-25 |
(*3) | Straumann Group 2023 Annual Report |
(*4) | 당사 추정 |
한편, 치과용 수복재 시장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이나 재료가 유통 · 공급되는 시장으로, 치아를 복원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재료들 예를 들어 치과용 3D프린팅 레진도 치과용 수복재 시장에 포함합니다. 치아를 채우는데 사용되는 복합 레진, 금속 재질의 보철물, 세라믹 재질의 보철물 등이 치과용 수복재에 속하며, 이는 치과에서 1)의치(Denture), 2)크라운&브릿지(Crown& Bridge), 3)임플란트(Implan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Dental Implants and Prosthetics Market'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치과용 수복재 시장은 CAD/CAM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실현하며 높은 성장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57.8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0.7% 성장하여 2027년 117.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의 경우 2020년 6,313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17.6% 성장하여 2027년에는 1조9,638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영구치관용 레진(TC-80, BR-23)', '총의치 및 부분의치용 레진(THD, TFDH)' 등 다양한 치과용 수복재 제품들을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맞춤형 소재개발 역량은 당사의 치과용 수복재 레진들이 세계적으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지니게 해주었고, 이에 '다이렉트프린팅' 기술이 더해져 기존 금속, 세라믹, 티타늄 등으로 만들어지던 보철물과 달리 3D프린터로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갖게 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차별성과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치과용 수복재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준비중이며, 구체적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가. 요약 연결재무정보
(단위: 원) |
구분/사업연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삼덕회계법인 (검토수행)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유동자산 | 7,362,806,150 | 11,155,227,606 | 10,825,527,492 | 5,059,862,583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215 | 3,038,477,738 | 3,271,932,492 | 2,091,763,421 |
단기금융자산 | 394,000,000 | 394,000,000 | 2,000,000,000 | 530,000,000 |
매출채권 | 2,902,243,388 | 4,158,811,515 | 2,954,402,152 | 836,842,891 |
기타금융자산 | 94,651,970 | 88,231,567 | 10,178,630 | 13,847,178 |
기타유동자산 | 791,037,095 | 1,312,781,143 | 778,528,138 | 457,392,604 |
당기법인세자산 | 6,449,930 | 5,205,650 | 1,568,880 | 1,200,130 |
재고자산 | 2,361,500,552 | 2,157,719,993 | 1,309,029,476 | 1,128,816,359 |
파생금융자산 | - | - | 499,887,724 | - |
비유동자산 | 10,658,489,736 | 10,832,008,192 | 11,388,546,869 | 11,742,691,457 |
기타금융자산 | 40,640,865 | 39,993,197 | 99,596,349 | 100,574,541 |
기타비유동자산 | - | - | 20,056,000 | 18,333,333 |
유형자산 | 10,090,397,074 | 10,201,156,517 | 10,754,150,623 | 11,157,111,380 |
사용권자산 | 190,685,171 | 223,093,821 | 153,020,568 | 133,440,612 |
무형자산 | 336,766,626 | 367,764,657 | 361,723,329 | 333,231,591 |
자 산 총 계 | 18,021,295,886 | 21,987,235,798 | 22,214,074,361 | 16,802,554,040 |
유동부채 | 17,592,718,662 | 17,803,882,840 | 45,642,723,773 | 41,592,547,242 |
매입채무 | 107,921,236 | 199,002,920 | 693,526,964 | 218,411,175 |
단기차입금 | 2,900,000,000 | 2,900,000,000 | 900,000,000 | 1,4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000 | 10,520,000,000 | 8,575,000,000 | 8,652,500,06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5,592 | 2,847,220 | 5,615,269,594 | 4,294,779,578 |
파생금융부채 | 49,625,773 | 52,982,480 | 27,722,984,901 | 25,719,902,090 |
기타금융부채 | 1,233,978,676 | 1,564,467,352 | 380,562,990 | 334,314,632 |
리스부채 | 113,280,121 | 116,255,923 | 68,290,408 | 74,027,626 |
기타유동부채 | 2,697,357,264 | 2,448,326,945 | 1,687,088,916 | 898,612,081 |
비유동부채 | 304,696,922 | 326,144,054 | 7,583,427,632 | 2,509,022,102 |
장기차입금 | - | - | 2,065,000,000 | 2,125,00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 | - | 27,005,823 | 173,965,000 |
전환사채 | - | - | 5,210,041,174 | - |
기타금융부채 | 217,703,669 | 214,936,329 | 202,547,591 | 153,116,682 |
리스부채 | 86,993,253 | 111,207,725 | 78,833,044 | 56,940,420 |
부 채 총 계 | 17,897,415,584 | 18,130,026,894 | 53,226,151,405 | 44,101,569,344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123,880,302 | 3,857,208,904 | (31,012,077,044) | (27,299,015,304)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766,569,000 | 740,715,000 |
자본잉여금 | 70,440,996,924 | 70,434,616,126 | 6,850,326,941 | 5,157,665,561 |
자본조정 | 651,976,709 | 582,309,311 | 380,632,509 | 386,990,201 |
이익잉여금(결손금) | (75,484,231,831) | (71,673,970,033) | (39,009,605,494) | (33,584,386,066) |
비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 | - | - | - |
자 본 총 계 | 123,880,302 | 3,857,208,904 | (31,012,077,044) | (27,299,015,304) |
연결손익계산서 | 2025.01.01 ~ 2025.03.31(제9기 1분기) | 2024.01.01 ~ 2024.12.31(제8기) | 2023.01.01 ~ 2023.12.31(제7기) | 2022.01.01 ~ 2022.12.31(제6기) |
매출액 | 2,273,585,119 | 16,124,504,289 | 10,447,933,672 | 4,257,512,815 |
매출총이익 | 1,285,466,587 | 7,660,282,168 | 4,496,383,768 | 1,589,389,276 |
영업이익(손실) | (3,635,891,087) | (9,170,305,465) | (6,977,587,083) | (7,459,375,990) |
당기순이익(손실) | (3,810,261,798)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3,810,261,798)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비지배지분 | - | - | - | - |
기타포괄손익 | - | - | - | - |
총포괄이익(손실) | (3,810,261,798)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3,810,261,798)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비지배지분 | - | - | - | - |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이익(손실) | (422) | (6,799) | (3,587) | (12,111) |
희석주당이익(손실) | (422) | (6,799) | (3,587) | (12,111) |
나. 요약 별도재무정보
(단위: 원) |
구분/사업연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삼덕회계법인 (-)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삼정회계법인 (적정) |
유동자산 | 7,361,692,564 | 11,155,054,611 | 10,840,624,113 | 5,092,391,966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396 | 3,038,438,160 | 3,269,718,077 | 2,091,523,174 |
단기금융자산 | 394,000,000 | 394,000,000 | 2,000,000,000 | 530,000,000 |
매출채권 | 2,902,243,388 | 4,158,811,515 | 2,971,713,188 | 862,065,891 |
기타금융자산 | 94,651,970 | 88,231,567 | 10,178,630 | 22,309,988 |
기타유동자산 | 789,950,328 | 1,312,647,726 | 778,528,138 | 456,476,424 |
당기법인세자산 | 6,449,930 | 5,205,650 | 1,568,880 | 1,200,130 |
재고자산 | 2,361,500,552 | 2,157,719,993 | 1,309,029,476 | 1,128,816,359 |
파생금융자산 | - | - | 499,887,724 | - |
비유동자산 | 10,658,489,736 | 10,832,008,192 | 11,388,546,869 | 11,742,691,457 |
기타금융자산 | 40,640,865 | 39,993,197 | 99,596,349 | 100,574,541 |
기타비유동자산 | - | - | 20,056,000 | 18,333,333 |
유형자산 | 10,090,397,074 | 10,201,156,517 | 10,754,150,623 | 11,157,111,380 |
사용권자산 | 190,685,171 | 223,093,821 | 153,020,568 | 133,440,612 |
무형자산 | 336,766,626 | 367,764,657 | 361,723,329 | 333,231,591 |
자 산 총 계 | 18,020,182,300 | 21,987,062,803 | 22,229,170,982 | 16,835,083,423 |
유동부채 | 17,626,941,972 | 17,832,798,380 | 45,643,116,923 | 41,590,063,522 |
매입채무 | 107,921,236 | 199,002,920 | 697,413,214 | 217,388,175 |
단기차입금 | 2,900,000,000 | 2,900,000,000 | 900,000,000 | 1,4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000 | 10,520,000,000 | 8,575,000,000 | 8,652,500,06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5,592 | 2,847,220 | 5,615,269,594 | 4,294,779,578 |
파생금융부채 | 49,625,773 | 52,982,480 | 27,722,984,901 | 25,719,902,090 |
기타금융부채 | 1,269,941,386 | 1,593,382,892 | 378,385,770 | 332,853,912 |
리스부채 | 113,280,121 | 116,255,923 | 68,290,408 | 74,027,626 |
기타유동부채 | 2,695,617,864 | 2,448,326,945 | 1,685,773,036 | 898,612,081 |
비유동부채 | 304,696,922 | 326,144,054 | 7,603,427,632 | 2,529,022,102 |
장기차입금 | - | - | 2,065,000,000 | 2,125,00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 | - | 27,005,823 | 173,965,000 |
전환사채 | - | - | 5,210,041,174 | - |
기타금융부채 | 217,703,669 | 214,936,329 | 222,547,591 | 173,116,682 |
리스부채 | 86,993,253 | 111,207,725 | 78,833,044 | 56,940,420 |
부 채 총 계 | 17,931,638,894 | 18,158,942,434 | 53,246,544,555 | 44,119,085,624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766,569,000 | 740,715,000 |
자본잉여금 | 70,440,996,924 | 70,434,616,126 | 6,850,326,941 | 5,157,665,561 |
자본조정 | 651,976,709 | 582,309,311 | 380,632,509 | 386,990,201 |
이익잉여금(결손금) | (75,519,568,727) | (71,703,058,568) | (39,014,902,023) | (33,569,372,963) |
자 본 총 계 | 88,543,406 | 3,828,120,369 | (31,017,373,573) | (27,284,002,201) |
별도손익계산서 | 2025.01.01 ~ 2025.03.31(제9기 1분기) | 2024.01.01 ~ 2024.12.31(제8기) | 2023.01.01 ~ 2023.12.31(제7기) | 2022.01.01 ~ 2022.12.31(제6기) |
매출액 | 2,279,885,119 | 16,148,804,289 | 10,471,933,672 | 4,281,512,815 |
매출총이익 | 1,274,372,587 | 7,589,894,168 | 4,451,601,268 | 1,613,389,276 |
영업이익(손실) | (3,642,139,347) | (9,194,128,857) | (6,997,461,296) | (7,422,956,150) |
당기순이익(손실) | (3,816,510,159) | (32,688,156,545) | (5,445,529,060) | (17,676,658,072) |
기타포괄손익 | - | - | - | - |
총포괄이익(손실) | (3,816,510,159) | (32,688,156,545) | (5,445,529,060) | (17,676,658,072) |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이익(손실) | (423) | (6,804) | (3,600) | (12,120) |
희석주당이익(손실) | (423) | (6,804) | (3,600) | (12,120) |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9기 1분기말 2025년 03월 31일 현재 | |
제 8기 분1분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7기 분1분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6기 분1분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그래피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자 산 | ||||
I.유동자산 | 7,362,806,150 | 11,155,227,606 | 10,825,527,492 | 5,059,862,583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215 | 3,038,477,738 | 3,271,932,492 | 2,091,763,421 |
단기금융자산 | 394,000,000 | 394,000,000 | 2,000,000,000 | 530,000,000 |
매출채권 | 2,902,243,388 | 4,158,811,515 | 2,954,402,152 | 836,842,891 |
기타금융자산 | 94,651,970 | 88,231,567 | 10,178,630 | 13,847,178 |
기타유동자산 | 791,037,095 | 1,312,781,143 | 778,528,138 | 457,392,604 |
당기법인세자산 | 6,449,930 | 5,205,650 | 1,568,880 | 1,200,130 |
재고자산 | 2,361,500,552 | 2,157,719,993 | 1,309,029,476 | 1,128,816,359 |
파생금융자산 | - | - | 499,887,724 | - |
II.비유동자산 | 10,658,489,736 | 10,832,008,192 | 11,388,546,869 | 11,742,691,457 |
기타금융자산 | 40,640,865 | 39,993,197 | 99,596,349 | 100,574,541 |
기타비유동자산 | - | - | 20,056,000 | 18,333,333 |
유형자산 | 10,090,397,074 | 10,201,156,517 | 10,754,150,623 | 11,157,111,380 |
사용권자산 | 190,685,171 | 223,093,821 | 153,020,568 | 133,440,612 |
무형자산 | 336,766,626 | 367,764,657 | 361,723,329 | 333,231,591 |
자 산 총 계 | 18,021,295,886 | 21,987,235,798 | 22,214,074,361 | 16,802,554,040 |
부 채 | ||||
I.유동부채 | 17,592,718,662 | 17,803,882,840 | 45,642,723,773 | 41,592,547,242 |
매입채무 | 107,921,236 | 199,002,920 | 693,526,964 | 218,411,175 |
단기차입금 | 2,900,000,000 | 2,900,000,000 | 900,000,000 | 1,4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000 | 10,520,000,000 | 8,575,000,000 | 8,652,500,06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5,592 | 2,847,220 | 5,615,269,594 | 4,294,779,578 |
파생금융부채 | 49,625,773 | 52,982,480 | 27,722,984,901 | 25,719,902,090 |
기타금융부채 | 1,233,978,676 | 1,564,467,352 | 380,562,990 | 334,314,632 |
리스부채 | 113,280,121 | 116,255,923 | 68,290,408 | 74,027,626 |
기타유동부채 | 2,697,357,264 | 2,448,326,945 | 1,687,088,916 | 898,612,081 |
II.비유동부채 | 304,696,922 | 326,144,054 | 7,583,427,632 | 2,509,022,102 |
장기차입금 | - | - | 2,065,000,000 | 2,125,00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 | - | 27,005,823 | 173,965,000 |
전환사채 | - | - | 5,210,041,174 | - |
기타금융부채 | 217,703,669 | 214,936,329 | 202,547,591 | 153,116,682 |
리스부채 | 86,993,253 | 111,207,725 | 78,833,044 | 56,940,420 |
부 채 총 계 | 17,897,415,584 | 18,130,026,894 | 53,226,151,405 | 44,101,569,344 |
자 본 | ||||
I.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123,880,302 | 3,857,208,904 | (31,012,077,044) | (27,299,015,304)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766,569,000 | 740,715,000 |
자본잉여금 | 70,440,996,924 | 70,434,616,126 | 6,850,326,941 | 5,157,665,561 |
자본조정 | 651,976,709 | 582,309,311 | 380,632,509 | 386,990,201 |
이익잉여금(결손금) | (75,484,231,831) | (71,673,970,033) | (39,009,605,494) | (33,584,386,066) |
II.비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 | - | - | - |
자 본 총 계 | 123,880,302 | 3,857,208,904 | (31,012,077,044) | (27,299,015,304) |
부채와 자본 총계 | 18,021,295,886 | 21,987,235,798 | 22,214,074,361 | 16,802,554,040 |
별첨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 1분기(제8기)"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I.매출액 | 2,273,585,119 | 1,239,683,262 | 16,124,504,289 | 10,447,933,672 | 4,257,512,815 |
II.매출원가 | 988,118,532 | 619,371,318 | 8,464,222,121 | 5,951,549,904 | 2,668,123,539 |
III.매출총이익 | 1,285,466,587 | 620,311,944 | 7,660,282,168 | 4,496,383,768 | 1,589,389,276 |
판매비와관리비 | 4,921,357,674 | 4,416,154,262 | 16,830,587,633 | 11,473,970,851 | 9,048,765,266 |
IV.영업이익(손실) | (3,635,891,087) | (3,795,842,318) | (9,170,305,465) | (6,977,587,083) | (7,459,375,990) |
기타수익 | 4,479,622 | 276,066 | 67,692,957 | 28,493,962 | 34,561,687 |
기타비용 | 100,234 | 1,454 | 42,902 | 5,795,734 | 11,620,810 |
금융수익 | 262,866,633 | 54,141,014 | 1,213,085,281 | 4,270,176,858 | 54,710,821 |
금융비용 | 441,616,732 | 167,225,733 | 24,774,794,410 | 2,740,507,431 | 10,281,352,012 |
Ⅴ.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3,810,261,798) | (3,908,652,425)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법인세비용 | - | - | - | - | - |
Ⅵ.당기순이익(손실) | (3,810,261,798) | (3,908,652,425)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Ⅶ.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3,810,261,798) | (3,908,652,425)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비지배지분 | - | - | - | - | - |
Ⅷ.기타포괄손익 | |||||
IX.총포괄이익(손실) | - | - | - | - | - |
X. 총포괄손실의 귀속 |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3,810,261,798) | (3,908,652,425) | (32,664,364,539) | (5,425,219,428) | (17,663,076,304) |
비지배지분 | - | - | - | - | - |
XI.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이익(손실) | (422) | (2,529) | (6,799) | (3,587) | (12,111) |
희석주당이익(손실) | (422) | (2,529) | (6,799) | (3,587) | (12,111) |
별첨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비지배지분 | 합계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결손금) | 총 계 | |||
2022. 1. 1 기초(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724,303,000 | 4,083,171,921 | 177,948,230 | (15,921,309,762) | (10,935,886,611) | - | (10,935,886,611)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7,663,076,304) | (17,663,076,304) | - | (17,663,076,304)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6,412,000 | 1,074,493,640 | - | - | 1,090,905,640 | - | 1,090,905,640 |
주식보상비용 | - | - | 209,041,971 | - | 209,041,971 | - | 209,041,971 |
2022.12.31 기말 | 740,715,000 | 5,157,665,561 | 386,990,201 | (33,584,386,066) | (27,299,015,304) | - | (27,299,015,304) |
2023. 1. 1 기초 | 740,715,000 | 5,157,665,561 | 386,990,201 | (33,584,386,066) | (27,299,015,304) | - | (27,299,015,30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5,425,219,428) | (5,425,219,428) | - | (5,425,219,428)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25,854,000 | 1,692,661,380 | - | - | 1,718,515,380 | - | 1,718,515,380 |
주식보상비용 | - | - | (6,357,692) | - | (6,357,692) | - | (6,357,692) |
2023.12.31 기말 | 766,569,0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09,605,494) | (31,012,077,044) | - | (31,012,077,044) |
2024. 1. 1 기초 | 766,569,0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09,605,494) | (31,012,077,044) | - | (31,012,077,04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2,664,364,539) | (32,664,364,539) | - | (32,664,364,539)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69,521,000 | 5,956,704,643 | - | - | 6,126,225,643 | - | 6,126,225,643 |
무상증자 | 1,569,243,000 | (1,582,556,410) | - | - | (13,313,410) | - | (13,313,410) |
보통주 전환 | 1,985,920,500 | 59,089,764,041 | - | - | 61,075,684,541 | - | 61,075,684,541 |
주식보상비용 | - | - | 241,502,713 | - | 241,502,713 | - | 241,502,713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23,000,000 | 120,376,911 | (39,825,911) | - | 103,551,000 | - | 103,551,000 |
2024.12.31 기말 | 4,514,253,500 | 70,434,616,126 | 582,309,311 | (71,673,970,033) | 3,857,208,904 | - | 3,857,208,904 |
2024. 1. 1 기초 | 766,569,0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09,605,494) | (31,012,077,044) | - | (31,012,077,04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익 | - | - | - | (3,908,652,425) | (3,908,652,425) | - | (3,908,652,425)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8,052,500 | 1,181,897,175 | - | - | 1,199,949,675 | - | 1,199,949,675 |
2024. 3.31 전분기말"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784,621,500 | 8,032,224,116 | 380,632,509 | (42,918,257,919) | (33,720,779,794) | - | (33,720,779,794) |
2025. 1. 1 기초 | 4,514,253,500 | 70,434,616,126 | 582,309,311 | (71,673,970,033) | 3,857,208,904 | - | 3,857,208,90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810,261,798) | (3,810,261,798) | - | (3,810,261,798) |
소유주와의 거래: | |||||||
보통주 전환 | 885,000 | 6,380,798 | - | - | 7,265,798 | - | 7,265,798 |
주식보상비용 | - | - | 69,667,398 | - | 69,667,398 | - | 69,667,398 |
2025. 3. 31 분기말 | 4,515,138,500 | 70,440,996,924 | 651,976,709 | (75,484,231,831) | 123,880,302 | - | 123,880,302 |
별첨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 1분기(제8기)"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144,950,566) | (3,056,034,470) | (9,622,810,233) | (7,989,530,519) | (7,774,245,718)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1,978,173,016) | (2,924,001,884) | (9,021,006,041) | (7,338,036,215) | (7,422,960,399) |
이자의 수취 | 8,131,743 | 26,409,088 | 33,826,313 | 10,270,038 | 7,906,763 |
이자의 지급 | (173,665,013) | (154,347,584) | (631,993,735) | (661,395,592) | (359,715,022) |
법인세의 환급(납부) | (1,244,280) | (4,094,090) | (3,636,770) | (368,750) | 522,940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7,200,000) | 851,494,000 | 1,361,159,155 | (1,905,615,095) | (236,103,686) |
단기금융자산의 감소 | - | 3,930,000,000 | 6,480,001,452 | 530,000,000 | 530,000,000 |
임차보증금의 감소 | - | - | - | 2,314,905 | - |
차량운반구의 처분 | - | - | 1,210,000 | -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 | - | 7,760,000 | - | |
단기금융자산의 증가 | - | (3,074,000,000) | (4,874,001,452) | (2,000,000,000) | (530,000,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 - | - | (8,000,000) | - | (20,000,000) |
기타보증금의 증가 | - | (4,506,000) | (4,506,000) | (18,244,000) | - |
차량운반구의 취득 | - | - | - | (19,000,000) | - |
기계장치의 취득 | - | - | (10,000,000) | - | (42,383,057) |
공구와기구의 취득 | (27,200,000) | - | (49,184,845) | (227,600,000) | (9,046,012) |
비품의 취득 | - | - | - | - | (27,069,209) |
시설장치의 취득 | - | - | - | - | (37,357,000) |
특허권의 취득 | - | - | - | - | (1,100,014) |
상표권의 취득 | - | - | - | - | (646,120) |
소프트웨어의 취득 | - | - | (173,150,000) | (162,000,000) | (98,502,274) |
장기선급금의 증가 | - | - | - | (20,056,000) |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8,056,147) | 1,152,640,091 | 8,007,330,312 | 11,077,172,745 | 5,014,861,504 |
장기차입금의 차입 | - | - | - | - | 2,200,000,000 |
단기차입금의 차입 | - | - | 2,000,000,000 | 350,000,000 | - |
장기미지급금의 증가 | 2,767,340 | 497,750 | 12,388,738 | 49,430,909 | 96,472,362 |
유상증자 | (326,480) | 1,199,949,675 | 6,126,225,643 | 1,718,515,380 | 1,090,905,640 |
전환상환우선주의 발행 | - | - | - | 399,970,400 | 1,827,925,000 |
전환사채의 발행 | - | - | - | 9,636,618,584 | - |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 - | - | 103,551,000 | - | - |
리스부채의 상환 | (30,497,007) | (17,807,334) | (96,053,613) | (89,862,468) | (89,688,158)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 | - | (850,000,000) | - |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 (30,000,000) | (30,000,000) | (120,000,000) | (137,500,060) |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 | - | - | (110,753,340) |
신주발행비의 지급 | - | - | (18,781,456) | - | -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감소) | (2,230,206,713) | (1,051,900,379) | (254,320,766) | 1,182,027,131 | (2,995,487,900) |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4,652,190 | - | 20,866,012 | (1,858,060) | 19,064,952 |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038,477,738 | 3,271,932,492 | 3,271,932,492 | 2,091,763,421 | 5,068,186,369 |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215 | 2,220,032,113 | 3,038,477,738 | 3,271,932,492 | 2,091,763,421 |
별첨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제 9(당) 분기말 : 2025년 3월 31일 현재 |
제 8(전) 기말 :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그래피와 그 종속기업 |
1. 일반사항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의한 지배기업인 주식회사 그래피(이하 "지배기업")과 1개의 종속기업(이하 지배기업과 그 종속기업을 일괄하여 "연결실체")의 일반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지배기업은 2017년 1월에 3D프린터용 신소재 개발 및 판매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당기말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에이스가산포휴 6층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2,353,864,500원입니다.한편, 당분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
주 주 명 | 보통주 | 우선주(*) | 주식수 합계 | 지분율 |
---|---|---|---|---|
심운섭 | 3,128,769 | - | 3,128,769 | 34.65%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 벤처투자조합 | 716,963 | - | 716,963 | 7.94% |
액시스 넥스트덴탈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351,212 | - | 351,212 | 3.89%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296,536 | - | 296,536 | 3.28% |
흥국멀티플랫폼신기술투자조합4호 | 277,777 | - | 277,777 | 3.08% |
제이더블유홀딩스㈜ | 276,930 | - | 276,930 | 3.07%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 256,044 | - | 256,044 | 2.84% |
IBKC-인탑스뉴딜 소부장신기술사업투자조합 | 255,883 | - | 255,883 | 2.83% |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2호 | 255,883 | - | 255,883 | 2.83% |
KB증권㈜ | 185,185 | - | 185,185 | 2.05% |
스마트HIP제4호벤처투자조합 | 185,185 | - | 185,185 | 2.05% |
플로우-액시스 세컨더리1호 신기술투자조합 | 177,954 | - | 177,954 | 1.97% |
어니스트 스마트시티 첨단산업 투자조합 | 170,590 | - | 170,590 | 1.89% |
AFWP-YP 3D 머터리얼 신기술투자조합 | 170,590 | - | 170,590 | 1.89%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169,252 | - | 169,252 | 1.87% |
현대투자파트너스제2호벤처투자조합 | 168,861 | - | 168,861 | 1.87% |
㈜우리은행 | 166,222 | - | 166,222 | 1.84% |
아이엠엠 세컨더리 벤처펀드 제5호 | 164,081 | - | 164,081 | 1.82% |
킹고 세컨더리 투자조합 제1호 | 155,595 | - | 155,595 | 1.72%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118,594 | - | 118,594 | 1.31% |
스페셔투 그래피투자조합 | 92,547 | - | 92,547 | 1.02% |
전영진 | 90,264 | - | 90,264 | 1.00% |
기타 | 1,199,360 | 570 | 1,199,930 | 13.29% |
합 계 | 9,030,277 | 570 | 9,030,847 | 100.00% |
(*) 당분기말 현재 지배기업은 전환상환우선주를 발행하였으며, 동 우선주는 의결권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지분율은 우선주의 의결권을 고려한 지분율입니다.1.1 종속기업 현황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 | 소재지 | 당기말 지배지분율 | 전기말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디지털그래피 | 대한민국 | 100% | 100% | 12월 | 치과용 기기 제조 |
1.2 주요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당분기와 전기의 중요한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자본 | 매출 | 당기순손익 | 총포괄손익 |
---|---|---|---|---|---|---|
(주)디지털그래피 | 38,951 | 3,614 | 35,337 | 17,394 | 6,248 | 6,248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자본 | 매출 | 당기순손익 | 총포괄손익 |
---|---|---|---|---|---|---|
(주)디지털그래피 | 30,777 | 1,689 | 29,088 | 94,688 | 37,532 | 37,532 |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실체는 2025년 3월 31일로 종료하는 3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분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2.1.1 연결실체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연결실체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1.2 연결실체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2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연결실체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연결실체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연결실체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연결실체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주석 5 참조).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연결실체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연결실체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주석 8 참조).
(4) 리스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관련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료하기 위해(연장하지 않기 위해) 유의적인 벌과금을 부담해야 한다면 일반적으로 연결실체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리스개량에 유의적인 잔여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연결실체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위 이외의 경우 연결실체는 과거 리스 지속기간과 원가를 포함한 그 밖의 요소와 리스된 자산을 대체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업 중단을 고려합니다.
선택권이 실제로 행사되거나(행사되지 않거나) 연결실체가 선택권을 행사할(행사하지 않을)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에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리스이용자가 통제할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연결실체는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을 변경합니다.
4. 재무위험관리연결실체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과 자본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 외환위험, 가격위험과 이자율 위험으로 구분됨). 연결실체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연결실체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매입채무와 기타지급채무 및 차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본 주석은 상기 위험에 대한 연결실체의 노출정도 및 이와 관련하여 연결실체가 수행하고 있는 자본관리와 위험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와 위험 측정방법 등에 대한 질적 공시사항과 양적 공시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1.1 시장위험(1) 외환위험연결실체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와 관련하여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자 산 | 부 채 | ||
---|---|---|---|---|
당분기말 | 전기말 | 당분기말 | 전기말 | |
USD | 3,173,928 | 4,460,604 | 267,195 | 432,861 |
EUR | 625,483 | 1,187,589 | 132,068 | 115,315 |
JPY | - | 32,918 | - | 10,623 |
AED | - | - | 22,237 | - |
합 계 | 3,799,411 | 5,681,111 | 421,500 | 558,799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USD | 290,673 | (290,673) | 402,774 | (402,774) |
EUR | 49,342 | (49,342) | 107,227 | (107,227) |
JPY | - | - | 2,230 | (2,230) |
AED | (2,224) | 2,224 | - | - |
상기 민감도분석은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2) 가격 위험연결실체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지분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격위험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습니다.(3) 이자율 위험이자율위험은 미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연결실체는 보고기간말 현재 변동금리부 차입금 및 예금을 보유하고 있어 이자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차입금 감축, 일간/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을통해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 차입금 및 예금 등의 이자율이 100bp 변동 시 12개월 간의 이자비용과 이자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
이자비용 | 133,900 | (133,900) | 134,200 | (134,200) |
이자수익 | 2,978 | (2,978) | 15,385 | (15,385) |
4.1.2 신용위험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실체에 재무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연결실체는 거래처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평가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금융기관예치금 등의 유동자금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금융기관들과 거래하기 때문에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일반거래처의 경우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고객신용위험은 연결실체의 정책, 절차 및 고객 신용위험관리 관련통제를 준수하여야 하는 경영진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 | 3,038,478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394,000 |
매출채권 | 2,902,243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4,652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39,993 |
합 계 | 4,244,459 | 7,719,515 |
연결실체는 상기 거래처 채권에 대해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개별적 또는 집합적으로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4.1.3 유동성 위험연결실체는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고 예측현금흐름과 실제현금흐름을 계속하여 관찰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상기에서 언급된 예측에 따라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차입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의 금융상품에 잉여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잔존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으며, 금액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한 할인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07,921 | 107,921 | 107,921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3,012,655 | 933,305 | 2,079,350 | - |
장기차입금(*1) | 10,490,000 | 10,768,585 | 127,234 | 10,641,352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556 | 1,501 | 1,501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5,834 | 15,834 | 3,958 | 11,874 | - |
기타금융부채 | 1,487,645 | 1,487,645 | 1,269,941 | - | 217,704 |
리스부채 | 200,273 | 244,594 | 45,625 | 101,011 | 97,958 |
합계 | 15,236,021 | 15,638,735 | 2,489,485 | 12,833,587 | 315,662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99,003 | 199,003 | 199,003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2,933,734 | 2,029,721 | 904,013 | - |
장기차입금(*1) | 10,520,000 | 10,945,237 | 162,426 | 10,782,811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2,847 | 8,147 | 8,147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9,190 | 22,201 | 7,455 | 14,746 | - |
기타금융부채 | 1,779,403 | 1,779,403 | 1,564,467 | - | 214,936 |
리스부채 | 227,464 | 315,559 | 54,483 | 144,893 | 116,183 |
합 계 | 15,681,699 | 16,203,284 | 4,025,702 | 11,846,463 | 331,119 |
(*1) 유동성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 계약상 전환가능한 가장 이른 시점을 만기로 가정하여 현금흐름을 작성하였습니다.4.2 자본위험관리연결실체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구조의 유지 또는 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연결실체는배당을 조정하거나,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한편,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자본으로 관리하고 있는 항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A) | 17,897,416 | 18,130,027 |
자본(B) | 123,880 | 3,857,209 |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C) | 1,206,923 | 3,432,478 |
차입금(D) | 13,390,000 | 13,420,000 |
부채비율(A/B) (%) | 14,447.38% | 470.03% |
순차입금비율(D-C)/B (%) | 9,834.58% | 258.93% |
5.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 | (*1) | 3,038,478 | (*1)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1) | 394,000 | (*1) |
매출채권 | 2,902,243 | (*1) | 4,158,812 | (*1)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4,652 | (*1) | 88,232 | (*1)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1) | 39,993 | (*1) |
금융자산 합계 | 4,244,459 | 7,719,515 | ||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07,921 | (*1) | 199,003 | (*1) |
단기차입금 | 2,900,000 | (*1) | 2,900,000 | (*1) |
장기차입금(*2) | 10,490,000 | (*1) | 10,520,000 | (*1)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6 | (*1) | 2,847 | (*1) |
파생금융부채 | 49,626 | 49,626 | 52,982 | 52,982 |
기타금융부채 (유동) | 1,233,979 | (*1) | 1,564,467 | (*1) |
기타금융부채 (비유동) | 217,704 | (*1) | 214,936 | (*1) |
리스부채 | 200,273 | (*3) | 227,464 | (*3) |
금융부채 합계 | 15,200,059 | 15,681,699 |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등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2) 유동성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공정가치 측정연결실체는 평가기법에 따라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을 분석합니다.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 준 | 내용 |
---|---|
수준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 등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5,834 | 33,792 | 49,626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9,190 | 33,792 | 52,982 |
당분기 및 전기 중 서열체계 수준간의 대체는 없었습니다.(3)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됩니다. 거래소, 판매자, 중개인, 산업집단, 평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을 통해 공시가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그러한 가격이 독립된 당사자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 실제 시장거래를 나타낸다면, 이를 활성시장으로 간주합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가능한 한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해당 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하다면 해당 상품은 수준 2에 포함됩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됩니다.(4) 가치평가기법연결실체의 재무부서는 재무보고 목적의 공정가치 측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재무담당이사는 보고일정에 맞추어 공정가치평가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수준 2 및 수준 3으로 분류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의 도출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투입변수 범위 |
---|---|---|---|---|---|
파생금융부채 | |||||
금리스왑 | 15,834 | 2 | 현금흐름할인모형 | 이자율 | - |
내재파생상품부채 | 33,792 | 3 | 이항모형 | 기초자산의 주가 | 16,274원 |
주가변동성 | 39.20% | ||||
무위험수익률 | 2.80% |
6. 범주별 금융상품(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범주별 금융상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금융자산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923 | - | 812,923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 | 394,000 |
매출채권 | 2,902,243 | - | 2,902,243 |
기타금융자산-유동 | 94,652 | - | 94,652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40,641 | - | 40,641 |
합 계 | 4,244,459 | - | 4,244,459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038,478 | - | 3,038,478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 | 394,000 |
매출채권 | 4,158,812 | -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88,232 | -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39,993 | - | 39,993 |
합 계 | 7,719,515 | - | 7,719,515 |
② 금융부채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매입채무 | 107,921 | - | - | 107,921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2,900,000 |
장기차입금 | 10,490,000 | - | - | 10,49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6 | - | - | 556 |
전환사채 | - | - | - | - |
파생금융부채 | - | 49,626 | - | 49,626 |
기타금융부채(유동) | 1,233,979 | - | - | 1,233,979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217,704 | - | - | 217,704 |
리스부채 | - | - | 200,273 | 200,273 |
합 계 | 14,950,160 | 49,626 | 200,273 | 15,200,059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매입채무 | 199,003 | - | - | 199,003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2,900,000 |
장기차입금 | 10,520,000 | - | - | 10,52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2,847 | - | - | 2,847 |
파생금융부채 | - | 52,982 | - | 52,982 |
기타금융부채 (유동) | 1,564,467 | - | - | 1,564,467 |
기타금융부채 (비유동) | 214,936 | - | - | 214,936 |
리스부채 | - | - | 227,464 | 227,464 |
합 계 | 15,401,253 | 52,982 | 227,464 | 15,681,699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융상품 범주별 손익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계 |
---|---|---|---|---|---|
이자수익 | 14,119 | - | - | 1,167 | 15,286 |
외환차익 | 93,241 | - | - | - | 93,241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 | - | 150,982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 | 3,357 | - | 3,357 |
기타의대손상각비환입 | - | - | - | - | - |
이자비용 | - | (170,188) | - | (4,997) | (175,185) |
외환차손 | (251,366) | - | - | - | (251,366) |
대손상각비 | (266,469) | - | - | - | (266,469)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 | - | (80) |
외화환산손실 | (7,086) | - | - | (3,307) | (10,393)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 | - | - |
파생상품거래손실 | - | - | (4,672) | - | (4,672) |
순손익 합계 | (266,658) | (170,188) | (1,315) | (7,137) | (445,299)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계 |
---|---|---|---|---|---|
이자수익 | 16,230 | - | - | 1,407 | 17,637 |
외환차익 | 36,504 | - | - | - | 36,504 |
외화환산이익 | (15) | 15 | - | - | - |
이자비용 | - | (150,496) | - | (3,852) | (154,348) |
외환차손 | (10,400) | - | - | - | (10,400) |
대손상각비 | (616,511) | - | - | - | (616,511) |
외화환산손실 | - | - | - | - | |
파생상품거래손실 | - | - | (2,479) | - | (2,479) |
순손익 합계 | (574,192) | (150,481) | (2,479) | (2,445) | (729,597) |
7. 영업부문정보연결실체는 단일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고영업의사결정자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으며,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대표이사를 최고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당분기와 전분기 중 연결실체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객과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고객 1 | - | 146,431 |
8.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현금 | 15,106 | - |
보통예금 등 | 797,817 | 3,038,478 |
소 계 | 812,923 | 3,038,478 |
단기금융자산 | ||
정기예금(*) | 394,000 | 394,000 |
합 계 | 1,206,923 | 3,432,478 |
(*) 당분기말과 전기말 보유한 정기예금은 질권설정 및 차입금에 대한 담보 제공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어 있습니다(주석 34 참조).
9.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1)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은 대손충당금이 차감된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었는 바,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차감전 총액 기준에 의한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과 대손충당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순장부금액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순장부금액 | |
유동 | ||||||
매출채권 | 4,234,550 | (1,332,308) | 2,902,242 | 5,224,651 | (1,065,839)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 ||||||
미수금 | 2,867 | (80) | 2,787 | 2,874 | - | 2,874 |
미수수익 | 11,887 | - | 11,887 | 5,900 | - | 5,900 |
보증금 | 79,977 | - | 79,977 | 79,458 | - | 79,458 |
소 계 | 94,731 | (80) | 94,651 | 88,232 | - | 88,232 |
비유동 | ||||||
기타금융자산 | ||||||
보증금 | 40,641 | - | 40,641 | 39,993 | - | 39,993 |
합 계 | 4,369,922 | (1,332,388) | 3,037,534 | 5,352,876 | (1,065,839) | 4,287,037 |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의 연령 및 손상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연체되지 안은 채권 | 연체된 채권 | 손실충당금 | 합계 |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출채권 | 1,174,924 | 2,066,214 | 156,983 | 156,370 | - | 680,060 | (1,332,308) | 2,902,243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1,864 | 165 | 2,702 | - | - | - | (80) | 94,651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 | - | - | - | - | - | 40,641 |
합 계 | 1,307,429 | 2,066,379 | 159,685 | 156,370 | - | 680,060 | (1,332,388) | 3,037,535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연체되지 안은 채권 | 연체된 채권 | 손실충당금 | 합계 |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출채권 | 3,960,023 | 336,145 | 182,990 | - | 685,921 | 59,572 | (1,065,839)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88,232 | - | - | - | - | - | -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39,993 | - | - | - | - | - | - | 39,993 |
합 계 | 4,088,248 | 336,145 | 182,990 | - | 685,921 | 59,572 | (1,065,839) | 4,287,037 |
(3) 연결실체는 개별적인 손상사건이 파악된 채권에 대해 개별 분석을 통해 회수가능가액을 산정하고 산정된 회수가능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약정회수기일로부터 연체된 채권의 경우 채권 연체기간, 경험률 등을 고려한대손충당금 설정률을 적용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당분기와 전분기 중 대손충당금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대손상각비 | 회수/제각 | 기말 |
---|---|---|---|---|
매출채권 | 1,065,839 | 266,469 | - | 1,332,308 |
기타금융자산 (유동) | - | 80 | - | 80 |
합 계 | 1,065,839 | 266,549 | - | 1,332,388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대손상각비 | 회수/제각 | 기말 |
---|---|---|---|---|
매출채권 | 238,847 | 602,770 | - | 225,107 |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은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경우 제각됩니다.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은 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 및 기타의대손상각비로 순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0. 기타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선급금 | 569,979 | - | 931,238 | - |
선급비용 | 94,914 | - | 162,181 | - |
부가세대급금 | 126,144 | - | 219,362 | - |
합 계 | 791,037 | - | 1,312,781 | - |
11. 재고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기말잔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기말잔액 | |
원재료 | 565,908 | (59,272) | 506,636 | 599,898 | (65,255) | 534,643 |
재공품 | 182,603 | (5,299) | 177,304 | 132,070 | (5,343) | 126,727 |
제품 | 1,221,861 | (5,206) | 1,216,655 | 1,150,603 | (22,890) | 1,127,713 |
상품 | 483,349 | (22,444) | 460,905 | 391,141 | (22,504) | 368,637 |
합 계 | 2,453,721 | (92,221) | 2,361,500 | 2,273,712 | (115,992) | 2,157,720 |
(2) 당분기 중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매출원가로 인식한 평가이익은 23,771천원 (전분기 : 0원)입니다.(3) 당분기 중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의 원가는 1,005,513천원 (전분기 : 645,816천원)입니다.
12. 유형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유형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
토지 | 2,778,057 | - | 2,778,057 | 2,778,057 | - | 2,778,057 |
건물 | 7,596,686 | (822,931) | 6,773,755 | 7,596,687 | (775,452) | 6,821,235 |
기계장치 | 750,989 | (658,444) | 92,545 | 750,989 | (639,811) | 111,178 |
차량운반구 | 39,896 | (23,089) | 16,807 | 39,896 | (21,181) | 18,715 |
공구와기구(*) | 828,480 | (612,758) | 215,722 | 784,632 | (577,800) | 206,832 |
비품 | 206,032 | (178,745) | 27,287 | 206,031 | (173,560) | 32,471 |
시설장치 | 995,769 | (809,545) | 186,224 | 995,769 | (763,100) | 232,669 |
합 계 | 13,195,909 | (3,105,512) | 10,090,397 | 13,152,061 | (2,950,904) | 10,201,157 |
(*) 취득가액에 정부보조금이 차감표시되어 있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유형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6,821,235 | 111,178 | 18,715 | 206,832 | 32,471 | 232,670 | 10,201,158 |
취득 | - | - | - | - | 27,200 | - | 27,200 |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47,479) | (18,633) | (1,908) | (18,311) | (5,184) | (46,444) | (137,959) |
기말 | 2,778,057 | 6,773,756 | 92,545 | 16,807 | 215,721 | 27,287 | 186,226 | 10,090,399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7,011,152 | 219,095 | 26,694 | 282,956 | 60,626 | 375,571 | 10,754,151 |
취득 | - | - | - | - | - | - | - | -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47,479) | (19,204) | (1,995) | (18,182) | (5,212) | (47,329) | (139,401) |
기말 | 2,778,057 | 6,963,673 | 199,891 | 24,699 | 264,774 | 55,414 | 328,242 | 10,614,750 |
(3)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유형자산의 일부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석 34 참조)(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매출원가 | 34,570 | 35,482 |
판매비와관리비 | 103,389 | 103,918 |
합 계 | 137,959 | 139,400 |
13. 리스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리스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사용권자산 | ||
건물 | 95,958 | 116,290 |
차량운반구 | 94,727 | 106,804 |
사용권자산 합계 | 190,685 | 223,094 |
리스부채 | ||
유동리스부채 | 113,280 | 116,256 |
비유동리스부채 | 86,993 | 111,208 |
리스부채 합계 | 200,273 | 227,464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판매비와관리비, 경상연구개발비, 매출원가에 포함) | ||
부동산 | 20,332 | 9,700 |
차량운반구 | 12,077 | 10,599 |
사용권자산 합계 | 32,409 | 20,299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 4,997 | 3,852 |
단기리스료(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 | 6,650 | 10,439 |
소액자산 리스료(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 | 2,064 | 2,677 |
당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35,911천원(전분기:21,659천원)입니다.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사용권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223,094 | 153,021 |
취득 | - | 43,661 |
처분 | - | - |
상각 | (32,409) | (20,299) |
기말 | 190,685 | 176,383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리스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227,464 | 147,123 |
증가 | - | 40,586 |
이자비용 | 4,997 | 3,852 |
상환 | (32,187) | (21,659) |
처분 | - | - |
기말 | 200,274 | 169,902 |
14. 무형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무형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
특허권(*) | 444,623 | (424,466) | 20,157 | 444,622 | (419,258) | 25,364 |
상표권 | 4,960 | (3,499) | 1,461 | 4,960 | (3,251) | 1,709 |
소프트웨어 | 552,295 | (237,146) | 315,149 | 552,295 | (211,603) | 340,692 |
합 계 | 1,001,878 | (665,111) | 336,767 | 1,001,877 | (634,112) | 367,765 |
(*) 취득가액에 정부보조금이 차감표시되어 있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무형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합 계 |
---|---|---|---|---|
기초 | 25,363 | 1,709 | 340,693 | 367,765 |
취득 | - | - | - | - |
처분 등 | - | - | - | - |
상각비 | (5,206) | (248) | (25,544) | (30,998) |
기말 | 20,157 | 1,461 | 315,149 | 336,767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합 계 |
---|---|---|---|---|
기초 | 101,733 | 2,701 | 257,289 | 361,723 |
취득 | - | - | 187,700 | 187,700 |
처분 등 | - | - | - | - |
상각비 | (5,300) | (248) | (25,468) | (31,016) |
기말 | 96,433 | 2,453 | 419,521 | 518,407 |
(3)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무형자산의 일부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무형자산상각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판매비와관리비 | 30,998 | 31,016 |
15. 매입채무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매입채무 | 107,921 | 199,003 |
16. 차입금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차입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차입처 | 차입처 | 상환방법 | 만기일 | 연이자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단기차입금 | 운영자금 | 우리은행 (*2) | 만기일시상환 | 2025-05-30 | 4.57% | 600,000 | 600,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2) | 만기일시상환 | 2025-05-30 | 4.57% | 300,000 | 300,000 | |
운영자금 | 우리은행 | 만기일시상환 | 2026-03-17 | 5.29% | 2,000,000 | 2,000,000 | |
단기차입금 잔액 | 2,900,000 | 2,900,000 | |||||
장기차입금 | 시설자금 | 우리은행 (*2)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09-22 | 4.58% | 7,940,000 | 2,065,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2)(*3)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11-10 | 5.57% | 2,050,000 | 7,955,000 | |
시설자금 | 하나은행 (*2) | 만기일시상환 | 2025-11-26 | 6.31% | 500,000 | 500,000 | |
소계 | 10,490,000 | 10,520,000 | |||||
차감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 | (10,520,000) | |||||
장기차입금 잔액 | - | - |
(*1) 연결실체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타인으로부터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2) 연결실체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금융기관에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3) 연결실체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특수관계자로부터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36 참조).
17. 기타금융부채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부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미지급금 | 998,222 | 217,704 | 1,324,930 | 214,936 |
미지급비용 | 235,757 | - | 239,537 | - |
합 계 | 1,233,979 | 217,704 | 1,564,467 | 214,936 |
18. 기타부채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부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미지급비용 | 2,117,961 | - | 1,958,803 | - |
선수금 | 535,419 | - | 399,681 | - |
예수금 | 42,238 | - | 89,843 | - |
부가세예수금 | 1,739 | - | - | - |
합 계 | 2,697,357 | - | 2,448,327 | - |
19. 전환상환우선주와 전환사채 (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크라우드펀드 |
---|---|
투자금액 | 1,501,000원 |
발행일 | 2019.04.13 |
만기일 | 2029.04.13 |
발행주식의 종류 | 전환상환우선주 |
의결권 | 없음 |
배당에 관한 사항 | 누적적 참가적 우선주(액면가의 1%우선배당) |
상환청구권 개시일 | 납입기일의 다음날로부터 3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상환권가짐 |
상환금액 | 주식인수가액에 연복리 5%적용한 가액 합산 |
전환청구기간 | 주식발행일 1년후부터 존속기간까지 |
전환비율 | 우선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교환 |
전환비율의 조정(*1)(*2) |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가격으로 발행하는 경우 그 발행가격으로 조정-기타 무상증자나 합병,분할등에도 전환비율조정규정 있음 |
신주인수권 | 있음 |
(*1) 당사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권은 IPO Re-fixing 조항 등으로 인해 부채로 분류되었습니다.(*2) 전기 중 무상증자로 인해 전환비율이 조정되었습니다.(2) 당분기 중 연결실체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 4,661천원(최초 투자금액 기준)이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3)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으로 인해 부채로 분류된 각 금융부채의 장부금액 및 관련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금융부채의 장부금액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취득시 |
---|---|---|---|
복합내재파생상품으로 인식된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권 및 조기상환권 | 33,792 | 33,792 | 13,275,801 |
② 평가손익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익 | (3,810,262) | (3,908,652) |
평가손익 | - | - |
평가손익 제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익 | (3,810,262) | (3,908,652)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전환상환우선주 관련 주계약부채 및 내재파생상품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
기초 | 2,847 | 33,792 | 5,642,275 | 23,636,943 |
발행 | - | - | - | - |
평가 | - | - | - | - |
상각 | 5,301 | - | - | - |
전환 | (7,592) | - | - | - |
기말 | 556 | 33,792 | 5,642,275 | 23,636,943 |
(5)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전환사채 관련 주계약부채 및 파생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전환사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파생금융자산 | 전환사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파생금융자산 | |
기초 | - | - | - | 5,210,041 | 4,052,075 | 499,888 |
발행 | - | - | - | - | - | - |
평가 | - | - | - | - | - | - |
상각 | - | - | - | - | - | - |
전환 | - | - | - | - | - | - |
기말 | - | - | - | 5,210,041 | 4,052,075 | 499,888 |
(6) 당분기와 전기 중 전환상환우선주와 전환사채 미전환주식수의 변동에 대한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분 류 | 기초 미전환주식수 | 발행주식수 | 기타증감(무상증자) | 기말 미전환주식수 |
---|---|---|---|---|---|
전환상환우선주 | 크라우드펀드 | 2,340 | - | (1,770) | 570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분 류 | 기초 미전환주식수 | 발행주식수(*) | 기타증감(무상증자) | 기말 미전환주식수 |
---|---|---|---|---|---|
전환상환우선주 | 크라우드펀드 | 38,200 | 76,400 | (112,260) | 2,340 |
시리즈A | 351,709 | 703,418 | (1,055,127) | - | |
시리즈B | 511,768 | 1,194,123 | (1,705,891) | - | |
시리즈C | 55,000 | 114,252 | (169,252) | - | |
시리즈C-1 | 15,208 | 21,825 | (37,033) | - | |
전환사채 | 시리즈C-1 | 366,411 | 525,867 | (892,278) | - |
합 계 | 1,338,296 | 2,635,885 | (3,971,841) | 2,340 |
(*) 전기 중 무상증자로 인해 발행주식수가 변동하였습니다.
20. 금리스왑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리스왑 파생상품계약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거래목적 | 만기일 | 지급이자 | 수취이자 | 계정과목 | 당분기말 | 전기말 | ||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
단기매매 | 2025.09.22 | 6.49% | CD+2.19% | 파생금융부채 | 2,050,000 | 15,834 | 2,065,000 | 19,190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리스왑 파생금융부채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19,190 | 33,967 |
평가손실 | (3,356) | - |
기말 | 15,834 | 33,967 |
21. 종업원급여부채 연결실체가 당분기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하여 인식한 퇴직급여는 116,509천원 (전분기: 113,607천원) 입니다.
22. 정부보조금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정부보조금의 수령 내역과 회계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회계처리 |
---|---|---|---|
인건비 및 비용 | 24,902 | 4,480 | 인건비 및 비용 상계 |
기술료 | 2,767 | 498 | 장기미지급금 증가 |
합 계 | 27,669 | 4,978 |
23. 자본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발행할주식총수(단위: 주) | 50,000,000주 | 50,000,000주 |
발행주식수(단위: 주) | 9,030,277주 | 9,028,507주 |
1주당 액면금액 | 500 | 500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의 변동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주식수(단위 : 주)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기초 | 9,028,507 | 4,514,254 | 70,434,616 | 74,948,870 |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 | 1,770 | 885 | 6,381 | 7,266 |
기말 | 9,030,277 | 4,515,139 | 70,440,997 | 74,956,136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주식수(단위 : 주)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기초 | 1,533,138 | 766,569 | 6,850,327 | 7,616,896 |
유상증자 | 36,105 | 18,053 | 1,181,897 | 1,199,950 |
기말 | 1,569,243 | 784,622 | 8,032,224 | 8,816,846 |
24. 자본조정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조정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주식할인발행차금 | (415) | (415) |
주식매수선택권 | 652,392 | 582,724 |
합 계 | 651,977 | 582,309 |
25. 결손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미처리결손금 | 75,484,232 | 71,673,970 |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결손금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71,673,970 | 33,584,386 |
당기순손실(이익) | 3,810,262 | 3,908,652 |
기말 | 75,484,232 | 37,493,038 |
26.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및 관련 계약부채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 | ||
재화의 판매 | 2,189,273 | 1,184,327 |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 | ||
기타수익 | 84,312 | 55,356 |
합 계 | 2,273,585 | 1,239,683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인식 시점에 따른 구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수익인식 시점 : | ||
한 시점에 인식 | 2,189,273 | 1,184,327 |
기간에 걸쳐 수익인식 | 84,312 | 55,356 |
합 계 | 2,273,585 | 1,239,683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인식하고 있는 계약자산은 없으며, 계약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계약부채 : | ||
재화 선수대금 | 535,419 | 399,681 |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기업이 고객에게서 이미 받은 대가(또는 지급기일이 된 대가)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기업의의무에 해당하는 금액을 계약부채로 계상하였으며, 전기말 계약부채 전액이 당기에 수익으로 인식되었습니다.
27. 판매비와 관리비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판매비와관리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급여 | 1,129,625 | 898,252 |
퇴직급여 | 91,045 | 96,333 |
복리후생비 | 157,629 | 155,178 |
여비교통비 | 534,006 | 259,559 |
접대비 | 60,977 | 33,509 |
감가상각비 | 103,389 | 103,918 |
사용권자산상각비 | 27,600 | 10,599 |
운반비 | 219,348 | 261,181 |
소모품비 | 63,997 | 20,149 |
지급수수료 | 224,704 | 231,815 |
광고선전비 | 942,360 | 552,890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대손상각비 | 266,469 | 616,511 |
주식보상비용 | 69,667 | - |
경상연구개발비 | 894,992 | 1,020,795 |
기타비용 | 104,552 | 124,448 |
합 계 | 4,921,358 | 4,416,154 |
28.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생한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재고자산의 변동(원재료 제외) | (249,179) | (612,750) |
원재료 및 상품 매입 등 | 737,668 | 570,851 |
급여 | 1,652,717 | 1,390,685 |
퇴직급여 | 116,509 | 113,607 |
복리후생비 | 221,041 | 210,039 |
여비교통비 | 628,817 | 298,566 |
접대비 | 80,782 | 37,159 |
감가상각비 | 137,959 | 139,401 |
사용권자산상각비 | 32,409 | 20,299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지급임차료 | 21,844 | 19,336 |
운반비 | 223,034 | 266,463 |
소모품비 | 190,644 | 186,479 |
지급수수료 | 642,620 | 814,011 |
광고선전비 | 942,401 | 552,890 |
건물관리비 | 32,170 | 29,345 |
견본비 | 18,069 | 39,577 |
외주가공비 | 46,000 | 248,960 |
대손상각비 | 266,469 | 616,511 |
주식보상비용 | 69,667 | - |
기타비용 | 66,837 | 63,080 |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 합계 | 5,909,476 | 5,035,526 |
29.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기타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잡이익 | 4,480 | 276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기타비용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잡손실 | 20 | 1 |
합 계 | 100 | 1 |
30.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금융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수익 | 15,286 | 17,636 |
외환차익 | 93,241 | 36,504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3,357 | - |
합 계 | 262,866 | 54,140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금융비용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비용 | 175,185 | 154,348 |
외환차손 | 251,366 | 10,400 |
외화환산손실 | 10,393 | -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파생상품거래손실 | 4,672 | 2,479 |
합 계 | 441,616 | 167,227 |
31.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법인세에 대하여 당분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자산 및 부채의 증감 및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32. 주당손익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기본주당손익의 계산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순손익 | (3,810,261,798) | (3,908,652,425)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9,030,026 | 1,545,438 |
기본주당순손익 | (422) | (2,529)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행보통주식수를 유통기간으로 가중평균하여 산정한 유통보통주식수의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주) |
구 분 | 일자 | 주식수 | 가중치 | 적수 |
---|---|---|---|---|
기초 | 2025-01-01 | 9,028,507 | 90 일 | 812,565,630 |
보통주 전환 | 2025-01-08 | 1,170 | 83 일 | 97,110 |
보통주 전환 | 2025-01-25 | 600 | 66 일 | 39,600 |
기말 | 2025-03-31 | 9,030,277 | - | - |
합 계 | 812,702,340 | |||
유통일수 | 90 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유통보통주식수적수/유통일수) | 9,030,026 |
(전분기) | (단위 : 주) |
구 분 | 일자 | 주식수 | 가중치 | 적수 |
---|---|---|---|---|
기초 | 2024-01-01 | 1,533,138 | 91 일 | 139,515,558 |
유상증자 | 2024-03-01 | 36,105 | 31 일 | 1,119,255 |
기말 | 2024-03-31 | 1,569,243 | - | - |
합 계 | 140,634,813 | |||
유통일수 | 91 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유통보통주식수적수/유통일수) | 1,545,438 |
희석주당손실은 모든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보통주로 전환된다고 가정하여 조정한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희석성 잠재적보통주로는 주식매수선택권과 전환상환우선주 및 전환사채가 있으며, 당기에 희석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당기의 희석주당순손실은 기본주당순손실과 동일합니다.
33. 현금흐름표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순이익(손실) | (3,810,262) | (3,908,652) |
조정: | 529,765 | 943,938 |
대손상각비 | 266,469 | 616,511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감가상각비 | 137,959 | 139,401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사용권자산상각비 | 32,409 | 20,299 |
외화환산손실 | 10,393 | - |
이자비용 | 175,185 | 154,347 |
주식보상비용 | 69,667 | -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23,770) |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이자수익 | (15,286) | (17,637) |
파생상품평가이익 | (3,357) | - |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의변동: | 1,302,324 | 40,713 |
매출채권의 변동 | 1,131,650 | 570,366 |
미수금의 변동 | 172 | - |
선급금의 변동 | 361,259 | (801,802) |
선급비용의 변동 | 67,267 | 3,106 |
부가세대급금의 변동 | 93,218 | 63,934 |
재고자산의 변동 | (180,010) | (753,737) |
매입채무의 변동 | (91,081) | 539,443 |
미지급금의 변동 | (329,180) | 337,057 |
미지급비용의 변동 | 159,158 | 52,966 |
예수금의 변동 | (47,606) | (71,934) |
선수금의 변동 | 135,738 | 72,486 |
부가세예수금의 변동 | 1,739 | 28,828 |
합 계 | (1,978,173) | (2,924,001)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의 증가 | - | 40,587 |
장기차입금의 유동성대체 | 24,214 | 22,014 |
무상증자 | 7,592 |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공정가치 변동 | 기타 |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 | 2,900,000 |
리스부채 | 227,464 | (30,497) | - | 3,307 | 200,274 |
장기차입금 | 10,520,000 | (30,000) | - | - | 10,49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2,847 | - | - | (2,292) | 555 |
파생금융부채 | 52,982 | - | (3,357) | - | 49,625 |
전환사채 | - | - | - | - | - |
기타금융부채(장기미지급금) | 214,936 | 2,767 | - | - | 217,703 |
합 계 | 13,918,229 | (57,730) | (3,357) | 1,015 | 13,858,157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공정가치 변동 | 기타 | ||||
단기차입금 | 900,000 | - | - | - | 900,000 |
장기차입금 | 10,640,000 | (30,000) | - | - | 10,610,000 |
리스부채 | 147,123 | (17,807) | - | 40,586 | 169,902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642,275 | - | - | - | 5,642,275 |
전환사채 | 5,210,041 | - | - | - | 5,210,041 |
파생금융부채 | 27,722,985 | - | - | - | 27,722,985 |
기타금융부채 | 202,548 | 498 | - | - | 203,046 |
합 계 | 50,464,972 | (47,309) | - | 40,586 | 50,458,249 |
34.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사용이 제한된 예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예금종류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금융기관명 | 사용제한내용 |
---|---|---|---|---|---|
단기금융자산 | 정기예금 | 74,000 | 74,000 | 우리은행 | 카드한도증액 |
200,000 | 200,000 | 우리은행 | 카드한도증액 | ||
120,000 | 120,000 | 국민은행 | 카드한도증액 |
(2)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담보로 제공하는 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담보제공자산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담보권자 | 관련채무의 내용 | |
---|---|---|---|---|---|
과 목 | 차입금액 | ||||
토지 및 건물 | 9,551,812 | 12,480,000 | 우리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9,990,000 |
600,000 | 하나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500,000 | ||
특허권 | 20,157 | 2,400,000 | 우리은행 | 단기차입금 | 2,000,000 |
(3)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보증 제공자 | 제공받은 보증내용 | 보증금액 | 보증기간 | 보증처 |
---|---|---|---|---|
신용보증기금 | 차입금보증 | 900,000 | 2021.06.01~2025.05.30 | 우리은행 |
서울보증보험 | 지급보증 | 6,996 | 2025.02.17~2026.03.31 | 고객 및 거래처 |
(4)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없습니다.
35. 주식기준보상 (1) 연결실체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거해서 연결실체의 임직원 등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1 차 | 2 차 | 3 차 | 4 차 |
---|---|---|---|---|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부여방법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가득조건 및 행사가능시점 |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상 재임(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행사 시점에서 2년이상 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과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상 재임(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부여일로부터 2년간 용역 제공중이며 부여일로부터 2년 경과한 날로부터 2년 이내 행사 |
부여일 | 2019.01.22 | 2020.03.31 | 2022.03.30 | 2024.03.28 |
행사가격(*) | 1,807원 | 2,967원 | 6,667원 | 7,334원 |
부여수량(*) | 205,200 | 36,000 | 90,000 | 204,000 |
(*) 전기 중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행사가격 및 부여수량이 조정되었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주식선택권의 수량과 가중평균 행사가격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 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주식선택권 수량 | 가중평균 행사가격 | 주식선택권 수량 | 가중평균 행사가격 | |
기초 잔여주 | 498,200 | 5,049 | 331,200 | 3,254 |
당기 부여 | - | - | 204,000 | 7,334 |
당기 취소 | - | - | - | - |
무상증자 | - | - | - | - |
기말 잔여주 | 498,200 | 5,049 | 535,200 | 4,809 |
기말 행사가능한 주식수 | 285,200 | 3,414 | 241,200 | 5,939 |
(3) 연결실체는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했으며, 보상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제반 가정 및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1 차 | 2 차 | 3차 | 4차 |
---|---|---|---|---|
부여된 선택권의 가중평균 공정가치(*1) | 2,415원 | 2,756원 | 7,123원 | 8,310원 |
부여일의 가중평균 주가(*1) | 5,417원 | 6,968원 | 18,000원 | 21,048원 |
주가변동성(*2) | 37% | 40% | 46% | 48% |
배당수익률 | 0% | 0% | 0% | 0% |
기대만기 | 8년 | 8년 | 8년 | 4년 |
무위험수익률 | 1.80% | 1.07% | 2.62% | 3.34% |
(*1) 무상증자 전의 공정가치 및 주가입니다. (*2) 주가변동성은 국내 상장된 유사기업의 평균변동성을 적용하였으며, 평가기준일로부터 과거 180일의 일변동성에 거래일수를 반영한 연변동성을 적용하였습니다.
(4) 당분기 중 주식보상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69,667천원이고, 전분기 중 주식보상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0원이며, 전액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과 관련된 비용입니다.
36. 특수관계자 공시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덴탈그래피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2) 당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은 없으며,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자금거래 제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수관계자명 | 매출 | 기타비용 |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 | 6,950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 내역은 없습니다.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5)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특수관계자의 자금조달 등을 위해 제공하거나, 특수관계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지급보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특수관계자명 | 금융기관 | 차입금액 | 보증금액 | 비고 |
---|---|---|---|---|
대표이사 | 우리은행 | 7,955,000 | 1,200,000 | 지급보증 |
(6) 연결실체는 기업 활동의 계획ㆍ운영ㆍ통제에 대하여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임원 등을 주요 경영진으로 판단하였으며, 당분기와 전분기 중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지급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급여 및 기타단기종업원급여 | 165,000 | 157,500 |
퇴직급여 | 21,250 | 20,208 |
합 계 | 186,250 | 177,708 |
37. 계속기업가정 등 중요한 불확실성 연결실체는 당분기 중 3,635,891천원의 영업손실 및 2,144,951천원의 부의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하였으며, 당분기를 포함하여 3년 간 계속된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분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0,229,913천원 만큼 초과하는 이러한 상황은 연결실체의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인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계속기업 불확실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연결실체는 기존 및 신규 고객에 대한 제품주문 확보 및 마케팅 정책 등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신규 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는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입처로부터 차입금 상환청구에 대한 연기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1월 1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완료하였고, 2025년 중 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에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위의 사업계획 및 자금조달계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면 계속기업가정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데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의 최종 결과로 계속기업 가정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는 자산과 부채의 금액 및 분류표시와 관련 손익항목에 대한 수정사항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재 무 상 태 표 | |
제 9기 1분기말 2025년 03월 31일 현재 | |
제 8기 분1분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7기 분1분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6기 분1분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그래피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자 산 | ||||
I.유동자산 | 7,361,692,564 | 11,155,054,611 | 10,840,624,113 | 5,092,391,966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396 | 3,038,438,160 | 3,269,718,077 | 2,091,523,174 |
단기금융자산 | 394,000,000 | 394,000,000 | 2,000,000,000 | 530,000,000 |
매출채권 | 2,902,243,388 | 4,158,811,515 | 2,971,713,188 | 862,065,891 |
기타금융자산 | 94,651,970 | 88,231,567 | 10,178,630 | 22,309,988 |
기타유동자산 | 789,950,328 | 1,312,647,726 | 778,528,138 | 456,476,424 |
당기법인세자산 | 6,449,930 | 5,205,650 | 1,568,880 | 1,200,130 |
재고자산 | 2,361,500,552 | 2,157,719,993 | 1,309,029,476 | 1,128,816,359 |
파생금융자산 | - | - | 499,887,724 | - |
II.비유동자산 | 10,658,489,736 | 10,832,008,192 | 11,388,546,869 | 11,742,691,457 |
기타금융자산 | 40,640,865 | 39,993,197 | 99,596,349 | 100,574,541 |
기타비유동자산 | - | - | 20,056,000 | 18,333,333 |
유형자산 | 10,090,397,074 | 10,201,156,517 | 10,754,150,623 | 11,157,111,380 |
사용권자산 | 190,685,171 | 223,093,821 | 153,020,568 | 133,440,612 |
무형자산 | 336,766,626 | 367,764,657 | 361,723,329 | 333,231,591 |
자 산 총 계 | 18,020,182,300 | 21,987,062,803 | 22,229,170,982 | 16,835,083,423 |
부 채 | ||||
I.유동부채 | 17,626,941,972 | 17,832,798,380 | 45,643,116,923 | 41,590,063,522 |
매입채무 | 107,921,236 | 199,002,920 | 697,413,214 | 217,388,175 |
단기차입금 | 2,900,000,000 | 2,900,000,000 | 900,000,000 | 1,4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000 | 10,520,000,000 | 8,575,000,000 | 8,652,500,06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5,592 | 2,847,220 | 5,615,269,594 | 4,294,779,578 |
파생금융부채 | 49,625,773 | 52,982,480 | 27,722,984,901 | 25,719,902,090 |
기타금융부채 | 1,269,941,386 | 1,593,382,892 | 378,385,770 | 332,853,912 |
리스부채 | 113,280,121 | 116,255,923 | 68,290,408 | 74,027,626 |
기타유동부채 | 2,695,617,864 | 2,448,326,945 | 1,685,773,036 | 898,612,081 |
II.비유동부채 | 304,696,922 | 326,144,054 | 7,603,427,632 | 2,529,022,102 |
장기차입금 | - | - | 2,065,000,000 | 2,125,00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 | - | 27,005,823 | 173,965,000 |
전환사채 | - | - | 5,210,041,174 | - |
기타금융부채 | 217,703,669 | 214,936,329 | 222,547,591 | 173,116,682 |
리스부채 | 86,993,253 | 111,207,725 | 78,833,044 | 56,940,420 |
부 채 총 계 | 17,931,638,894 | 18,158,942,434 | 53,246,544,555 | 44,119,085,624 |
자 본 | ||||
I.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766,569,000 | 740,715,000 |
II.자본잉여금 | 70,440,996,924 | 70,434,616,126 | 6,850,326,941 | 5,157,665,561 |
III.자본조정 | 651,976,709 | 582,309,311 | 380,632,509 | 386,990,201 |
IV.이익잉여금(결손금) | (75,519,568,727) | (71,703,058,568) | (39,014,902,023) | (33,569,372,963) |
자 본 총 계 | 88,543,406 | 3,828,120,369 | (31,017,373,573) | (27,284,002,201) |
부채와 자본 총계 | 18,020,182,300 | 21,987,062,803 | 22,229,170,982 | 16,835,083,423 |
별첨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 1분기(제8기)"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I.매출액 | 2,279,885,119 | 1,239,683,262 | 16,148,804,289 | 10,471,933,672 | 4,281,512,815 |
II.매출원가 | 1,005,512,532 | 645,816,318 | 8,558,910,121 | 6,020,332,404 | 2,668,123,539 |
III.매출총이익 | 1,274,372,587 | 593,866,944 | 7,589,894,168 | 4,451,601,268 | 1,613,389,276 |
판매비와관리비 | 4,916,511,934 | 4,392,649,898 | 16,784,023,025 | 11,449,062,564 | 9,036,345,426 |
IV.영업이익(손실) | (3,642,139,347) | (3,798,782,954) | (9,194,128,857) | (6,997,461,296) | (7,422,956,150) |
기타수익 | 4,479,622 | 274,816 | 67,691,705 | 27,353,372 | 34,561,687 |
기타비용 | 100,234 | 1,454 | 9,132 | 5,089,344 | 61,620,792 |
금융수익 | 262,866,532 | 54,140,666 | 1,213,084,149 | 4,270,175,639 | 54,709,195 |
금융비용 | 441,616,732 | 167,225,733 | 24,774,794,410 | 2,740,507,431 | 10,281,352,012 |
Ⅴ.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3,816,510,159) | (3,911,594,659) | (32,688,156,545) | (5,445,529,060) | (17,676,658,072) |
법인세비용 | - | - | - | - | - |
Ⅵ.당기순이익(손실) | (3,816,510,159) | (3,911,594,659) | (32,688,156,545) | (5,445,529,060) | (17,676,658,072) |
기타포괄손익 | - | - | - | - | - |
Ⅶ.총포괄이익(손실) | (3,816,510,159) | (3,911,594,659) | (32,688,156,545) | (5,445,529,060) | (17,676,658,072) |
Ⅷ.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손익 | (423) | (2,531) | (6,804) | (3,600) | (12,120) |
희석주당손익 | (423) | (2,531) | (6,804) | (3,600) | (12,120) |
별첨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자 본 변 동 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결손금) | 합계 |
---|---|---|---|---|---|
2022. 1. 1 기초(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724,303,000 | 4,083,171,921 | 177,948,230 | (15,892,714,891) | (10,907,291,740)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7,676,658,072) | (17,676,658,072)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6,412,000 | 1,074,493,640 | - | - | 1,090,905,640 |
주식보상비용 | - | - | 209,041,971 | - | 209,041,971 |
2022.12.31 기말 | 740,715,000 | 5,157,665,561 | 386,990,201 | (33,569,372,963) | (27,284,002,201) |
2023. 1. 1 기초 | 740,715,000 | 5,157,665,561 | 386,990,201 | (33,569,372,963) | (27,284,002,201)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5,445,529,060) | (5,445,529,060)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25,854,000 | 1,692,661,380 | - | - | 1,718,515,380 |
주식보상비용(환입) | - | - | (6,357,692) | - | (6,357,692) |
2023.12.31 기말 | 766,569,0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14,902,023) | (31,017,373,573) |
2024. 1. 1 기초 | 4,514,253,5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14,902,023) | (31,017,373,573)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2,688,156,545) | (32,688,156,545)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69,521,000 | 5,956,704,643 | - | - | 6,126,225,643 |
무상증자 | 1,569,243,000 | (1,582,556,410) | - | - | (13,313,410) |
보통주 전환 | 1,985,920,500 | 59,089,764,041 | - | - | 61,075,684,541 |
주식보상비용 | - | - | 241,502,713 | - | 241,502,713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23,000,000 | 120,376,911 | (39,825,911) | - | 103,551,000 |
2024.12.31 기말 | 4,514,253,500 | 70,434,616,126 | 582,309,311 | (71,703,058,568) | 3,828,120,369 |
2024. 1. 1 기초 | 4,514,253,500 | 6,850,326,941 | 380,632,509 | (39,014,902,023) | (31,017,373,573)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911,594,659) | (3,911,594,659)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8,052,500 | 1,181,897,175 | - | - | 1,199,949,675 |
보통주 전환 | - | - | - | - | - |
주식매수선택권 | - | - | - | - | - |
2024. 3. 31. (전분기 말)"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784,621,500 | 8,032,224,116 | 380,632,509 | (42,926,496,682) | (33,729,018,557) |
2025. 1. 1 기초 | 4,514,253,500 | 70,434,616,126 | 582,309,311 | (71,703,058,568) | 3,828,120,369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816,510,159) | (3,816,510,159) |
소유주와의 거래: | |||||
보통주 전환 | 885,000 | 6,380,798 | - | - | 7,265,798 |
주식보상비용 | - | - | 69,667,398 | - | 69,667,398 |
2025. 3. 31 분기말 | 4,515,138,500 | 70,440,996,924 | 651,976,709 | (75,519,568,727) | 88,543,406 |
별첨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현 금 흐 름 표 | |
제 9기 1 분기 2025년 0 1월 0 1일부터 2025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0 3월 31일까지 | |
제 8기 1 분 기 2024년 0 1월 0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7기 1 분 기 2023년 0 1월 0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6기 1 분 기 2022년 0 1월 0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그래피 | (단위 : 원) |
과 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 1분기(제8기)"검토 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144,937,807) | (3,057,949,968) | (9,600,635,396) | (7,991,504,687) | (7,769,493,285)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1,978,160,156) | (2,925,944,724) | (8,998,830,072) | (7,340,009,164) | (7,418,205,120) |
이자의 수취 | 8,131,642 | 26,408,740 | 33,825,181 | 10,268,819 | 7,905,137 |
이자의 지급 | (173,665,013) | (154,347,584) | (631,993,735) | (661,395,592) | (359,715,022) |
법인세의 환급(납부) | (1,244,280) | (4,066,400) | (3,636,770) | (368,750) | 521,720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7,200,000) | 851,494,000 | 1,361,159,155 | (1,905,615,095) | (236,103,686) |
단기금융자산의 감소 | - | 3,930,000,000 | 6,480,001,452 | 530,000,000 | 530,000,000 |
임차보증금의 감소 | - | - | - | 2,314,905 | - |
차량운반구의 처분 | - | - | - | 1,210,000 |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 | - | - | 7,760,000 | - |
단기금융자산의 증가 | - | (3,074,000,000) | (4,874,001,452) | (2,000,000,000) | (530,000,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 - | - | (8,000,000) | - | (20,000,000) |
기타보증금의 증가 | - | (4,506,000) | (4,506,000) | (18,244,000) | - |
차량운반구의 취득 | - | - | - | (19,000,000) | - |
기계장치의 취득 | - | - | - | (42,383,057) | |
공구와기구의 취득 | (27,200,000) | - | (10,000,000) | (227,600,000) | (9,046,012) |
비품의 취득 | - | - | - | - | (27,069,209) |
시설장치의 취득 | - | - | (49,184,845) | - | (37,357,000) |
특허권의 취득 | - | - | - | - | (1,100,014) |
상표권의 취득 | - | - | - | - | (646,120) |
소프트웨어의 취득 | - | - | (173,150,000) | (162,000,000) | (98,502,274) |
장기선급금의 증가 | - | - | - | (20,056,000) |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8,056,147) | 1,152,640,091 | 7,987,330,312 | 11,077,172,745 | 5,014,861,504 |
장기차입금의 차입 | - | - | - | - | 2,200,000,000 |
단기차입금의 차입 | - | - | 2,000,000,000 | 350,000,000 | - |
장기미지급금의 증가 | 2,767,340 | 497,750 | 12,388,738 | 49,430,909 | 96,472,362 |
유상증자 | (326,480) | 1,199,949,675 | 6,126,225,643 | 1,718,515,380 | 1,090,905,640 |
전환상환우선주의 발행 | - | - | - | 399,970,400 | 1,827,925,000 |
전환사채의 발행 | - | - | - | 9,636,618,584 | - |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 - | - | 103,551,000 | - | - |
리스부채의 상환 | (30,497,007) | (17,807,334) | (96,053,613) | (89,862,468) | (89,688,158)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 | - | (850,000,000) | - |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 (30,000,000) | (30,000,000) | (120,000,000) | (137,500,060) |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 | - | - | (110,753,340) |
임대보증금의 감소 | - | (20,000,000) | - | - | |
신주발행비의 지급 | - | - | (18,781,456) | - | -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감소) | (2,230,193,954) | (1,053,815,877) | (252,145,929) | 1,180,052,963 | (2,990,735,467) |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4,652,190 | - | 20,866,012 | (1,858,060) | 19,064,952 |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038,438,160 | 3,269,718,077 | 3,269,718,077 | 2,091,523,174 | 5,063,193,689 |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396 | 2,215,902,200 | 3,038,438,160 | 3,269,718,077 | 2,091,523,174 |
별첨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참조 |
제 9(당) 분기말 : 2025년 3월 31일 현재 |
제 8(전) 기말 :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그래피 |
1. 일반사항
주식회사 그래피(이하 "당사"라 함)는 2017년 1월에 3D프린터용 신소재 개발 및 판매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당분기말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에이스가산포휴 6층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4,515,138,500 원입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
주 주 명 | 보통주 | 우선주(*) | 주식수 합계 | 지분율 |
---|---|---|---|---|
심운섭 | 3,128,769 | - | 3,128,769 | 34.65%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 벤처투자조합 | 716,963 | - | 716,963 | 7.94% |
액시스 넥스트덴탈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351,212 | - | 351,212 | 3.89% |
럭키인바이츠1호펀드 | 296,536 | - | 296,536 | 3.28% |
흥국멀티플랫폼신기술투자조합4호 | 277,777 | - | 277,777 | 3.08% |
제이더블유홀딩스㈜ | 276,930 | - | 276,930 | 3.07% |
스마트대한민국창업초기조합T | 256,044 | - | 256,044 | 2.84% |
IBKC-인탑스뉴딜 소부장신기술사업투자조합 | 255,883 | - | 255,883 | 2.83% |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2호 | 255,883 | - | 255,883 | 2.83% |
KB증권㈜ | 185,185 | - | 185,185 | 2.05% |
스마트HIP제4호벤처투자조합 | 185,185 | - | 185,185 | 2.05% |
플로우-액시스 세컨더리1호 신기술투자조합 | 177,954 | - | 177,954 | 1.97% |
어니스트 스마트시티 첨단산업 투자조합 | 170,590 | - | 170,590 | 1.89% |
AFWP-YP 3D 머터리얼 신기술투자조합 | 170,590 | - | 170,590 | 1.89% |
스페셜원 그래피투자조합 | 169,252 | - | 169,252 | 1.87% |
현대투자파트너스제2호벤처투자조합 | 168,861 | - | 168,861 | 1.87% |
㈜우리은행 | 166,222 | - | 166,222 | 1.84% |
아이엠엠 세컨더리 벤처펀드 제5호 | 164,081 | - | 164,081 | 1.82% |
킹고 세컨더리 투자조합 제1호 | 155,595 | - | 155,595 | 1.72% |
치과산업투자조합2호 | 118,594 | - | 118,594 | 1.31% |
스페셔투 그래피투자조합 | 92,547 | - | 92,547 | 1.02% |
전영진 | 90,264 | - | 90,264 | 1.00% |
기타 | 1,199,360 | 570 | 1,199,930 | 13.29% |
합 계 | 9,030,277 | 570 | 9,030,847 | 100.00% |
(*)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전환상환우선주를 발행하였으며, 동 우선주는 의결권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지분율은 우선주의 의결권을 고려한 지분율입니다.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의 2025년 3월 31일로 종료하는 3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분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2.1.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1.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2 종속기업투자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라 종속기업 투자주식은 직접적인 지분투자에 근거하여 원가법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에 대한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3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당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당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주석 5 참조).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당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주석 8 참조).
(4) 리스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관련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료하기 위해(연장하지 않기 위해) 유의적인 벌과금을 부담해야 한다면 일반적으로 당사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리스개량에 유의적인 잔여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당사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위 이외의 경우 당사는 과거 리스 지속기간과 원가를 포함한 그 밖의 요소와 리스된 자산을 대체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업 중단을 고려합니다.
선택권이 실제로 행사되거나(행사되지 않거나) 당사가 선택권을 행사할(행사하지 않을)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에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리스이용자가 통제할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당사는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을 변경합니다.
4. 재무위험관리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과 자본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 환율변동위험, 이자율변동위험과 신용위험으로 구분됨). 당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당사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매입채무와 기타금융부채, 복합금융상품 및 차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본 주석은 상기 위험에 대한 당사의 노출정도 및 이와 관련하여 당사가 수행하고 있는 자본관리와 위험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와 위험 측정방법 등에 대한 질적 공시사항과 양적 공시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1.1 시장위험(1) 외환위험당사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와 관련하여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자 산 | 부 채 | ||
---|---|---|---|---|
당분기말 | 전기말 | 당분기말 | 전기말 | |
USD | 3,173,928 | 4,460,604 | 267,195 | 432,861 |
EUR | 625,483 | 1,187,589 | 132,068 | 115,315 |
JPY | - | 32,918 | - | 10,623 |
AED | - | - | 22,237 | - |
합계 | 3,799,411 | 5,681,111 | 421,500 | 558,799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USD | 290,673 | (290,673) | 402,774 | (402,774) |
EUR | 49,342 | (49,342) | 107,227 | (107,227) |
JPY | - | - | 2,230 | (2,230) |
AED | (2,224) | 2,224 | - | - |
상기 민감도분석은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2) 가격 위험당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지분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격위험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습니다.(3) 이자율 위험이자율 위험은 미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변동금리부 차입금 및 예금을 보유하고 있어 이자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차입금 감축, 일간/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을 통해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 차입금 및 예금 등의 이자율이 100bp 변동 시 12개월 간의 이자비용과 이자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100bp 상승시 | 100bp 하락시 | |
이자비용 | 133,900 | (133,900) | 134,200 | (134,200) |
이자수익 | 2,978 | (2,978) | 15,384 | (15,384) |
4.1.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당사에 재무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거래처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평가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금융기관예치금 등의 유동자금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은 금융기관들과 거래하기 때문에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일반거래처의 경우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고객신용위험은 당사의 정책, 절차 및 고객 신용위험관리 관련 통제를 준수하여야 하는 경영진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 | 3,038,438 |
단기금융상품 | 394,000 | 394,000 |
매출채권 | 2,902,243 | 4,158,812 |
기타금융자산(유동) | 94,652 | 88,232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40,641 | 39,993 |
합 계 | 4,244,432 | 7,719,475 |
당사는 상기 거래처 채권에 대해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개별적 또는 집합적으로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4.1.3 유동성 위험
당사는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고 예측현금흐름과 실제현금흐름을 계속하여 관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기에서 언급된 예측에 따라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차입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의 금융상품에 잉여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잔존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으며, 금액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한 할인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07,921 | 107,921 | 107,921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3,012,655 | 933,305 | 2,079,350 | - |
장기차입금(*1) | 10,490,000 | 10,768,585 | 127,234 | 10,641,352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556 | 1,501 | 1,501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5,834 | 15,834 | 3,958 | 11,874 | - |
기타금융부채 | 1,487,645 | 1,487,645 | 1,269,941 | - | 217,704 |
리스부채 | 200,273 | 244,594 | 45,625 | 101,011 | 97,958 |
합계 | 15,236,021 | 15,638,735 | 2,489,485 | 12,833,587 | 315,662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3개월 미만 | 3개월~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입채무 | 199,003 | 199,003 | 199,003 | - | - |
단기차입금 | 2,900,000 | 2,933,734 | 2,029,721 | 904,013 | - |
장기차입금(*1) | 10,520,000 | 10,945,237 | 162,426 | 10,782,811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2) | 2,847 | 8,147 | 8,147 | - | - |
내재파생상품부채(*2) | 33,792 | ||||
금리스왑파생상품부채 | 19,190 | 22,201 | 7,455 | 14,746 | - |
기타금융부채 | 1,808,319 | 1,808,319 | 1,593,383 | - | 214,936 |
리스부채 | 227,464 | 315,559 | 54,483 | 144,893 | 116,183 |
합 계 | 15,710,615 | 16,232,200 | 4,054,618 | 11,846,463 | 331,119 |
(*1) 유동성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 계약상 전환가능한 가장 이른 시점을 만기로 가정하여 현금흐름을 작성하였습니다.
4.2 자본위험관리당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구조의 유지 또는 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당사는 배당을 조정하거나,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한편,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가 자본으로 관리하고 있는 항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A) | 17,931,639 | 18,158,942 |
자본(B) | 88,543 | 3,828,120 |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C) | 1,206,896 | 3,432,438 |
차입금(D) | 13,390,000 | 13,420,000 |
부채비율(A/B) (%) | 20,251.90% | 474.36% |
순차입금비율(D-C)/B (%) | 13,759.53% | 260.90% |
5.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 | (*1) | 3,038,438 | (*1)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1) | 394,000 | (*1) |
매출채권 | 2,902,243 | (*1) | 4,158,812 | (*1)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4,652 | (*1) | 88,232 | (*1)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1) | 39,993 | (*1) |
금융자산 합계 | 4,244,432 | 7,719,475 | ||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07,921 | (*1) | 199,003 | (*1) |
단기차입금 | 2,900,000 | (*1) | 2,900,000 | (*1) |
장기차입금(*2) | 10,490,000 | (*1) | 10,520,000 | (*1)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6 | (*1) | 2,847 | (*1) |
파생금융부채 | 49,626 | 49,626 | 52,982 | 52,982 |
기타금융부채 (유동) | 1,269,941 | (*1) | 1,593,383 | (*1) |
기타금융부채 (비유동) | 217,704 | (*1) | 214,936 | (*1) |
리스부채 | 200,273 | (*3) | 227,464 | (*3) |
금융부채 합계 | 15,236,021 | 15,710,615 |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등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2) 유동성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공정가치 측정당사는 평가기법에 따라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을 분석합니다.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준 | 내용 |
---|---|
수준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 등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5,834 | 33,792 | 49,626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9,190 | 33,792 | 52,982 |
당분기 및 전기 중 서열체계 수준간의 대체는 없었습니다.(3)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됩니다. 거래소, 판매자, 중개인, 산업집단, 평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을 통해 공시가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그러한 가격이 독립된 당사자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 실제 시장거래를 나타낸다면, 이를 활성시장으로 간주합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가능한 한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해당 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하다면 해당 상품은 수준 2에 포함됩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됩니다.
(4) 가치평가기법당사의 재무부서는 재무보고 목적의 공정가치 측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재무담당이사는 보고일정에 맞추어 공정가치평가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수준 2 및 수준 3으로 분류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의 도출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투입변수 범위 |
---|---|---|---|---|---|
파생금융부채 | |||||
금리스왑 | 15,834 | 2 | 현금흐름할인모형 | 이자율 | - |
내재파생상품부채 | 33,792 | 3 | 이항모형 | 기초자산의 주가 | 16,274원 |
주가변동성 | 39.20% | ||||
무위험수익률 | 2.80% |
6. 범주별 금융상품(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범주별 금융상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금융자산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합 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12,896 | - | 812,896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 | 394,000 |
매출채권 | 2,902,243 | - | 2,902,243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4,652 | - | 94,65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 | 40,641 |
합 계 | 4,244,432 | - | 4,244,432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합 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038,438 | - | 3,038,438 |
단기금융자산 | 394,000 | - | 394,000 |
매출채권 | 4,158,812 | -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88,232 | -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39,993 | - | 39,993 |
합 계 | 7,719,475 | - | 7,719,475 |
② 금융부채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매입채무 | 107,921 | - | - | 107,921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2,900,000 |
장기차입금 | 10,490,000 | - | - | 10,49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56 | - | - | 556 |
파생금융부채 | - | 49,626 | - | 49,626 |
기타금융부채(유동) | 1,269,941 | - | - | 1,269,941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217,704 | - | - | 217,704 |
리스부채 | - | - | 200,273 | 200,273 |
합 계 | 14,986,122 | 49,626 | 200,273 | 15,236,021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매입채무 | 199,003 | - | - | 199,003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2,900,000 |
장기차입금 | 10,520,000 | - | - | 10,52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2,847 | - | - | 2,847 |
파생금융부채 | - | 52,982 | - | 52,982 |
기타금융부채 (유동) | 1,593,383 | - | - | 1,593,383 |
기타금융부채 (비유동) | 214,936 | - | - | 214,936 |
리스부채 | - | - | 227,464 | 227,464 |
합 계 | 15,430,169 | 52,982 | 227,464 | 15,710,615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융상품 범주별 손익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이자수익 | 14,119 | - | - | 1,167 | 15,286 |
외환차익 | 93,241 | - | - | - | 93,241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 | - | 150,982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 | 3,357 | - | 3,357 |
이자비용 | - | (170,188) | - | (4,997) | (175,185) |
외환차손 | (251,366) | - | - | - | (251,366) |
대손상각비 | (266,469) | - | - | - | (266,469)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 | - | (80) |
외화환산손실 | (7,086) | - | - | (3,307) | (10,393) |
파생상품거래손실 | - | - | (4,672) | - | (4,672) |
순손익 합계 | (266,659) | (170,188) | (1,315) | (7,137) | (445,299)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기타 | 합 계 |
---|---|---|---|---|---|
이자수익 | 16,230 | - | - | 1,407 | 17,637 |
외환차익 | 36,504 | - | - | - | 36,504 |
이자비용 | - | (150,496) | - | (3,852) | (154,348) |
외환차손 | (10,400) | - | - | - | (10,400) |
대손상각비 | (602,770) | - | - | - | (602,770) |
파생상품거래손실 | - | - | (2,479) | - | (2,479) |
순손익 합계 | (560,436) | (150,496) | (2,479) | (2,445) | (715,856) |
7.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현금 | 15,106 | - |
보통예금 등 | 797,790 | 3,038,418 |
소 계 | 812,896 | 3,038,418 |
단기금융자산 | ||
정기예금(*) | 394,000 | 394,000 |
합 계 | 1,206,896 | 3,432,418 |
(*) 당분기말과 전기말 보유한 정기예금은 질권설정 및 차입금에 대한 담보 제공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어 있습니다(주석 34 참조).
8.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 (1)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은 대손충당금이 차감된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었는 바,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차감전 총액 기준에 의한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과 대손충당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순장부금액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순장부금액 | |
유동 | ||||||
매출채권 | 4,234,550 | (1,332,308) | 2,902,242 | 5,224,651 | (1,065,839)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 ||||||
미수금 | 2,867 | (80) | 2,787 | 2,874 | - | 2,874 |
미수수익 | 11,887 | - | 11,887 | 5,900 | - | 5,900 |
보증금 | 79,977 | 79,977 | 79,458 | - | 79,458 | |
소 계 | 94,731 | (80) | 94,651 | 88,232 | - | 88,232 |
비유동 | ||||||
기타금융자산 | ||||||
보증금 | 40,641 | - | 40,641 | 39,993 | - | 39,993 |
합 계 | 4,369,922 | (1,332,388) | 3,037,534 | 5,352,876 | (1,065,839) | 4,287,037 |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의 연령 및 손상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연체되지않은 채권 | 연체된 채권 | 대손충당금 | 합 계 |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출채권 | 1,174,924 | 2,066,214 | 156,983 | 156,370 | - | 680,060 | (1,332,308) | 2,902,243 |
기타금융자산 (유동) | 91,864 | 165 | 2,702 | - | - | - | (80) | 94,651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40,641 | - | - | - | - | - | - | 40,641 |
합 계 | 1,307,429 | 2,066,379 | 159,685 | 156,370 | - | 680,060 | (1,332,388) | 3,037,535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연체되지않은 채권 | 연체된 채권 | 대손충당금 | 합 계 | ||||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
매출채권 | 3,960,023 | 336,145 | 182,990 | - | 685,921 | 59,572 | (1,065,839) | 4,158,812 |
기타금융자산 (유동) | 88,232 | - | - | - | - | - | - | 88,232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39,993 | - | - | - | - | - | - | 39,993 |
합 계 | 4,088,248 | 336,145 | 182,990 | - | 685,921 | 59,572 | (1,065,839) | 4,287,037 |
(3) 당사는 개별적인 손상사건이 파악된 채권에 대해 개별 분석을 통해 회수가능가액을 산정하고 산정된 회수가능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약정회수기일로부터 연체된 채권의 경우 채권 연체기간, 경험률 등을 고려한 대손충당금 설정률을 적용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당분기와 전분기 중 대손충당금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대손상각비(환입) | 회수/제각 | 기말 |
---|---|---|---|---|
매출채권 | 1,065,839 | 266,469 | - | 1,332,308 |
기타금융자산 (유동) | - | 80 | - | 80 |
합 계 | 1,065,839 | 266,549 | - | 1,332,388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대손상각비 | 회수/제각 | 기말 |
---|---|---|---|---|
매출채권 | 238,847 | 602,770 | - | 841,617 |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은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경우 제각됩니다.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은 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 및 기타의대손상각비로 순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9. 기타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선급금 | 569,980 | - | 931,239 | - |
선급비용 | 94,914 | - | 162,181 | - |
부가세대급금 | 125,057 | - | 219,228 | - |
합 계 | 789,951 | - | 1,312,648 | - |
10. 재고자산(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기말잔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기말잔액 | |
원재료 | 565,908 | (59,272) | 506,636 | 599,898 | (65,255) | 534,643 |
재공품 | 182,603 | (5,299) | 177,304 | 132,070 | (5,343) | 126,727 |
제품 | 1,221,861 | (5,206) | 1,216,655 | 1,150,603 | (22,890) | 1,127,713 |
상품 | 483,349 | (22,444) | 460,905 | 391,141 | (22,504) | 368,637 |
합 계 | 2,453,721 | (92,221) | 2,361,500 | 2,273,712 | (115,992) | 2,157,720 |
(2) 당분기 중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매출원가로 인식한 평가이익은 23,771천원 (전분기 : 0원)입니다.(3) 당분기 중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의 원가는 1,005,513천원 (전분기 : 645,816천원)입니다.
11. 종속기업투자주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회사명 | 주요영업활동 | 소재지 | 지분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장부가액 | 취득원가 | 장부가액 | ||||
㈜디지털그래피 | 치과용 기기 제조 | 대한민국 | 100% | 50,000 | - | 50,000 | - |
12. 유형자산(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유형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
토지 | 2,778,057 | - | 2,778,057 | 2,778,057 | - | 2,778,057 |
건물 | 7,596,686 | (822,931) | 6,773,755 | 7,596,687 | (775,452) | 6,821,235 |
기계장치 | 750,989 | (658,444) | 92,545 | 750,989 | (639,811) | 111,178 |
차량운반구 | 39,896 | (23,089) | 16,807 | 39,896 | (21,181) | 18,715 |
공구와기구(*) | 828,480 | (612,758) | 215,722 | 784,632 | (577,800) | 206,832 |
비품 | 206,032 | (178,745) | 27,287 | 206,031 | (173,560) | 32,471 |
시설장치 | 995,769 | (809,545) | 186,224 | 995,769 | (763,100) | 232,669 |
합 계 | 13,195,909 | (3,105,512) | 10,090,397 | 13,152,061 | (2,950,904) | 10,201,157 |
(*) 취득가액에 정부보조금이 차감표시되어 있습니다.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유형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6,821,235 | 111,178 | 18,715 | 206,832 | 32,471 | 232,670 | 10,201,158 |
취득 | - | - | - | - | 27,200 | - | 27,200 |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47,479) | (18,633) | (1,908) | (18,311) | (5,184) | (46,444) | (137,959) |
기말 | 2,778,057 | 6,773,756 | 92,545 | 16,807 | 215,721 | 27,287 | 186,226 | 10,090,399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기구(*) | 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2,778,057 | 7,011,152 | 219,095 | 26,694 | 282,956 | 60,626 | 375,571 | 10,754,151 |
취득 | - | - | - | - | - | - | - | - |
처분 | - | - | - | - | - | - | - | - |
대체 | - | - |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47,479) | (19,204) | (1,995) | (18,182) | (5,212) | (47,329) | (139,401) |
기말 | 2,778,057 | 6,963,673 | 199,891 | 24,699 | 264,774 | 55,414 | 328,242 | 10,614,750 |
(3)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유형자산의 일부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석 34 참조)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매출원가 | 34,570 | 35,482 |
판매비와관리비 | 103,389 | 103,918 |
합 계 | 137,959 | 139,400 |
13. 리스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리스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사용권자산 | ||
건물 | 95,958 | 116,290 |
차량운반구 | 94,727 | 106,804 |
사용권자산 합계 | 190,685 | 223,094 |
리스부채 | ||
유동리스부채 | 113,280 | 116,256 |
비유동리스부채 | 86,993 | 111,208 |
리스부채 합계 | 200,273 | 227,464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판매비와관리비 및 매출원가에 포함) | ||
건물 | 20,332 | 9,700 |
차량운반구 | 12,077 | 10,599 |
사용권자산 합계 | 32,409 | 20,299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 4,997 | 3,852 |
단기리스료(판매비와관리비 및 매출원가에 포함) | 6,650 | 10,439 |
소액자산 리스료(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 | 2,064 | 2,677 |
당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35,911천원(전분기:21,659천원)입니다.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사용권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223,094 | 153,021 |
취득 | - | 43,661 |
처분 | - | - |
상각 | (32,409) | (20,299) |
기말 | 190,685 | 176,383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리스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227,464 | 147,123 |
증가 | - | 40,586 |
이자비용 | 4,997 | 3,852 |
상환 | (32,187) | (21,659) |
처분 | - | - |
기말 | 200,274 | 169,902 |
14. 무형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무형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취득가액 | 상각누계액 | 장부가액 | |
특허권(*) | 444,623 | (424,466) | 20,157 | 444,622 | (419,258) | 25,364 |
상표권 | 4,960 | (3,499) | 1,461 | 4,960 | (3,251) | 1,709 |
소프트웨어 | 552,295 | (237,146) | 315,149 | 552,295 | (211,603) | 340,692 |
합 계 | 1,001,878 | (665,111) | 336,767 | 1,001,877 | (634,112) | 367,765 |
(*) 취득가액에 정부보조금이 차감표시되어 있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무형자산 장부가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합 계 |
---|---|---|---|---|
기초 | 25,363 | 1,709 | 340,693 | 367,765 |
취득 | - | - | - | - |
처분 등 | - | - | - | - |
상각비 | (5,206) | (248) | (25,544) | (30,998) |
기말 | 20,157 | 1,461 | 315,149 | 336,767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합 계 |
---|---|---|---|---|
기초 | 101,733 | 2,701 | 257,289 | 361,723 |
취득 | - | - | 187,700 | 187,700 |
처분 등 | - | - | - | - |
상각비 | (5,300) | (248) | (25,468) | (31,016) |
기말 | 96,433 | 2,453 | 419,521 | 518,407 |
(3)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무형자산의 일부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무형자산상각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판매비와관리비 | 30,998 | 31,016 |
15. 매입채무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매입채무 | 107,921 | 199,003 |
16. 차입금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차입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차입처 | 차입처 | 상환방법 | 만기일 | 연이자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단기차입금 | 운영자금 | 우리은행 (*1) | 만기일시상환 | 2025-05-30 | 4.57% | 600,000 | 600,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1) | 만기일시상환 | 2025-05-30 | 4.57% | 300,000 | 300,000 | |
운영자금 | 우리은행 (*2) | 만기일시상환 | 2026-03-17 | 5.29% | 2,000,000 | 2,000,000 | |
단기차입금 잔액 | 2,900,000 | 2,900,000 | |||||
장기차입금 | 시설자금 | 우리은행 (*2)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09-22 | 4.58% | 7,940,000 | 2,065,000 |
운영자금 | 우리은행 (*2)(*3) | 원금균등분할상환 | 2025-11-10 | 5.57% | 2,050,000 | 7,955,000 | |
시설자금 | 하나은행 (*2) | 만기일시상환 | 2025-11-26 | 6.31% | 500,000 | 500,000 | |
소 계 | 10,490,000 | 10,520,000 | |||||
차감: 유동성장기차입금 | (10,490,000) | (10,520,000) | |||||
장기차입금 잔액 | - | - |
(*1) 당사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타인으로부터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2) 당사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금융기관에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4 참조).(*3) 당사는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특수관계자로부터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36 참조).
17. 기타금융부채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부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미지급금 | 1,034,185 | 217,704 | 1,353,845 | 214,936 |
미지급비용 | 235,757 | - | 239,538 | - |
합 계 | 1,269,942 | 217,704 | 1,593,383 | 214,936 |
18. 기타부채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부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미지급비용 | 2,117,961 | 1,958,803 |
선수금 | 535,419 | 399,681 |
예수금 | 42,238 | 89,843 |
합 계 | 2,695,618 | 2,448,327 |
19. 전환상환우선주와 전환사채 (1)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크라우드펀드 |
---|---|
투자금액 | 1,501,000원 |
발행일 | 2019.04.13 |
만기일 | 2029.04.13 |
발행주식의 종류 | 전환상환우선주 |
의결권 | 없음 |
배당에 관한 사항 | 누적적 참가적 우선주(액면가의 1%우선배당) |
상환청구권 개시일 | 납입기일의 다음날로부터 3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상환권가짐 |
상환금액 | 주식인수가액에 연복리 5%적용한 가액 합산 |
전환청구기간 | 주식발행일 1년후부터 존속기간까지 |
전환비율 | 우선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교환 |
전환비율의 조정(*1)(*2) |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가격으로 발행하는 경우 그 발행가격으로 조정-기타 무상증자나 합병,분할등에도 전환비율조정규정 있음 |
신주인수권 | 있음 |
(*1) 당사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권은 IPO Re-fixing 조항 등으로 인해 부채로 분류되었습니다.(*2) 전기 중 무상증자로 인해 전환비율이 조정되었습니다.
(2) 당분기 중 당사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 4,661천원(최초 투자금액 기준)이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3)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으로 인해 부채로 분류된 각 금융부채의 장부금액 및 관련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금융부채의 장부금액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취득시 |
---|---|---|---|
복합내재파생상품으로 인식된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권 및 조기상환권 | 33,792 | 33,792 | 13,275,801 |
② 평가손익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익 | (3,816,510) | (3,911,595) |
평가손익 | - | - |
평가손익 제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익 | (3,816,510) | (3,911,595)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전환상환우선주 관련 주계약부채 및 내재파생상품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
기초 | 2,847 | 33,792 | 5,642,275 | 23,636,943 |
발행 | - | - | - | - |
평가 | - | - | - | - |
상각 | 5,301 | - | - | - |
전환 | (7,592) | - | - | - |
기말 | 556 | 33,792 | 5,642,275 | 23,636,943 |
(5)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전환사채 관련 주계약부채 및 파생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전환사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파생금융자산 | 전환사채 | 내재파생상품부채 | 파생금융자산 | |
기초 | - | - | - | 5,210,041 | 4,052,075 | 499,888 |
발행 | - | - | - | - | - | - |
평가 | - | - | - | - | - | - |
상각 | - | - | - | - | - | - |
전환 | - | - | - | - | - | - |
기말 | - | - | - | 5,210,041 | 4,052,075 | 499,888 |
(6) 당분기와 전기 중 전환상환우선주와 전환사채 미전환주식수의 변동에 대한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분 류 | 기초미전환주식수 | 발행주식수 | 전환주식수 | 기말미전환주식수 |
---|---|---|---|---|---|
전환상환우선주 | 크라우드펀드 | 2,340 | - | (1,770) | 570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분 류 | 기초 미전환주식수 | 발행주식수(*) | 전환주식수 | 기말 미전환주식수 |
---|---|---|---|---|---|
전환상환우선주 | 크라우드펀드 | 38,200 | 76,400 | (112,260) | 2,340 |
시리즈A | 351,709 | 703,418 | (1,055,127) | - | |
시리즈B | 511,768 | 1,194,123 | (1,705,891) | - | |
시리즈C | 55,000 | 114,252 | (169,252) | - | |
시리즈C-1 | 15,208 | 21,825 | (37,033) | - | |
전환사채 | 시리즈C-1 | 366,411 | 525,867 | (892,278) | - |
합 계 | 1,338,296 | 2,635,885 | (3,971,841) | 2,340 |
(*) 전기 중 무상증자로 인해 발행주식수가 변동하였습니다.
20. 금리스왑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리스왑 파생상품계약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거래목적 | 만기일 | 지급이자 | 수취이자 | 계정과목 | 당분기말 | 전기말 | ||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계약금액 | 장부금액 | |||||
단기매매 | 2025.09.22 | 6.49% | CD+2.19% | 파생금융부채 | 2,050,000 | 15,834 | 2,065,000 | 19,190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리스왑 파생금융부채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19,190 | 33,967 |
평가손실 | (3,356) | - |
기말 | 15,834 | 33,967 |
21. 종업원급여부채 당사가 당분기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하여 인식한 퇴직급여는 116,509천원 (전분기: 113,607천원) 입니다.
22. 정부보조금 당분기와 전분기 중 정부보조금의 수령 내역과 회계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회계처리 |
---|---|---|---|
인건비및비용 | 24,902 | 4,480 | 인건비 및 비용 상계 |
기술료 | 2,767 | 498 | 장기미지급금 증가 |
합 계 | 27,669 | 4,978 |
23. 자본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발행할주식총수(단위: 주) | 50,000,000주 | 50,000,000주 |
발행주식수(단위: 주) | 9,030,277주 | 9,028,507주 |
1주당 액면금액 | 500 | 500 |
자본금 | 4,515,138,500 | 4,514,253,500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의 변동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주식수(단위 : 주)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기초 | 9,028,507 | 4,514,254 | 70,434,616 | 74,948,870 |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 | 1,770 | 885 | 6,381 | 7,266 |
기말 | 9,030,277 | 4,515,139 | 70,440,997 | 74,956,136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주식수(단위 : 주)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기초 | 1,533,138 | 766,569 | 6,850,327 | 7,616,896 |
유상증자 | 36,105 | 18,053 | 1,181,897 | 1,199,950 |
기말 | 1,569,243 | 784,622 | 8,032,224 | 8,816,846 |
24. 자본조정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조정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주식할인발행차금 | (415) | (415) |
주식매수선택권 | 652,392 | 582,724 |
합 계 | 651,977 | 582,309 |
25. 결손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미처리결손금 | 75,519,569 | 71,703,059 |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결손금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71,703,059 | 39,014,702 |
당기순손실(이익) | 3,816,510 | 3,911,595 |
기말 | 75,519,569 | 42,926,297 |
26.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및 관련 계약부채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 | ||
재화의 판매 | 2,189,273 | 1,184,328 |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 | ||
임대수익 | 6,300 | - |
기타수익 | 84,312 | 55,356 |
소 계 | 90,612 | 55,356 |
합 계 | 2,279,885 | 1,239,684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인식 시점에 따른 구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수익인식 시점 : | ||
한 시점에 인식 | 2,189,273 | 1,184,328 |
기간에 걸쳐 수익인식 | 90,612 | 55,356 |
합 계 | 2,279,885 | 1,239,684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가 인식하고 있는 계약자산은 없으며, 계약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계약부채 : | ||
재화 선수대금 | 535,419 | 399,681 |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기업이 고객에게서 이미 받은 대가(또는 지급기일이 된 대가)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기업의 의무에 해당하는 금액을 계약부채로 계상하였으며, 전기말 계약부채 전액이 당기에 수익으로 인식되었습니다.
27. 판매비와 관리비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판매비와관리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급여 | 1,129,625 | 894,085 |
퇴직급여 | 91,045 | 96,333 |
복리후생비 | 157,629 | 154,626 |
여비교통비 | 534,006 | 259,559 |
접대비 | 60,977 | 33,509 |
감가상각비 | 103,389 | 103,918 |
사용권자산상각비 | 27,600 | 10,599 |
운반비 | 219,348 | 261,181 |
소모품비 | 63,997 | 20,149 |
지급수수료 | 223,990 | 231,210 |
광고선전비 | 942,360 | 552,890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대손상각비 | 266,469 | 602,770 |
주식보상비용 | 69,667 | - |
경상연구개발비 | 894,992 | 1,020,795 |
기타비용 | 100,420 | 120,009 |
합 계 | 4,916,512 | 4,392,650 |
28.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생한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재고자산의 변동(원재료 제외) | (231,787) | (586,305) |
원재료 및 상품 매입 등 | 737,668 | 570,851 |
급여 | 1,652,717 | 1,386,518 |
퇴직급여 | 116,509 | 113,607 |
복리후생비 | 221,041 | 209,488 |
여비교통비 | 628,817 | 298,566 |
접대비 | 80,782 | 37,159 |
감가상각비 | 137,959 | 139,401 |
사용권자산상각비 | 32,409 | 20,299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운반비 | 223,034 | 266,463 |
소모품비 | 190,644 | 186,479 |
지급수수료 | 641,906 | 813,407 |
광고선전비 | 942,401 | 552,890 |
외주가공비 | 46,000 | 248,960 |
대손상각비 | 266,469 | 602,770 |
주식보상비용 | 69,667 | - |
기타비용 | 134,790 | 146,896 |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 합계 | 5,922,024 | 5,038,466 |
29.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기타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잡이익 | 4,480 | 275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기타비용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잡손실 | 20 | 1 |
합 계 | 100 | 1 |
30.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금융수익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수익 | 15,286 | 17,637 |
외환차익 | 93,241 | 36,504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3,357 | - |
합 계 | 262,866 | 54,141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한 금융비용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비용 | 175,185 | 154,348 |
외환차손 | 251,366 | 10,400 |
외화환산손실 | 10,393 | -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파생상품거래손실 | 4,672 | 2,479 |
합 계 | 441,616 | 167,227 |
31.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법인세에 대하여 당분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자산 및 부채의 증감 및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32. 주당손익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기본주당손익의 계산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순손익 | (3,816,510,159) | (3,911,594,659)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9,030,026 | 1,545,438 |
기본주당순손익 | (423) | (2,531)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행보통주식수를 유통기간으로 가중평균하여 산정한 유통보통주식수의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주) |
구 분 | 일자 | 주식수 | 가중치 | 적수 |
---|---|---|---|---|
기초 | 2025-01-01 | 9,028,507 | 90 일 | 812,565,630 |
보통주 전환 | 2025-01-08 | 1,170 | 83 일 | 97,110 |
보통주 전환 | 2025-01-25 | 600 | 66 일 | 39,600 |
기말 | 2025-03-31 | 9,030,277 | - | - |
합 계 | 812,702,340 | |||
유통일수 | 90 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유통보통주식수적수/유통일수) | 9,030,026 |
(전분기) | (단위 : 주) |
구 분 | 일자 | 주식수 | 가중치 | 적수 |
---|---|---|---|---|
기초 | 2024-01-01 | 1,533,138 | 91 일 | 139,515,558 |
유상증자 | 2024-03-01 | 36,105 | 31 일 | 1,119,255 |
기말 | 2024-03-31 | 1,569,243 | - | - |
합 계 | 140,634,813 | |||
유통일수 | 91 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유통보통주식수적수/유통일수) | 1,545,438 |
희석주당손실은 모든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보통주로 전환된다고 가정하여 조정한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희석성 잠재적보통주로는 주식매수선택권과 전환상환우선주가 있으며, 당분기에 희석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당분기의 희석주당순손실은 기본주당순손실과 동일합니다.
33. 현금흐름표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순이익(손실) | (3,816,510) | (3,911,595) |
조정: | 529,764 | 930,198 |
대손상각비 | 266,469 | 602,770 |
기타의대손상각비 | 80 | - |
감가상각비 | 137,959 | 139,401 |
무형자산상각비 | 30,998 | 31,017 |
사용권자산상각비 | 32,409 | 20,299 |
외화환산손실 | 10,393 | - |
이자비용 | 175,185 | 154,348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주식보상비용 | 69,666 | - |
재고자산평가손실 | (23,770) | - |
외화환산이익 | (150,982) | - |
이자수익 | (15,286) | (17,637) |
파생상품평가이익 | (3,357) | - |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의변동: | 1,308,582 | 55,453 |
매출채권의 변동 | 1,131,650 | 601,418 |
미수금의 변동 | 172 | - |
선급금의 변동 | 361,259 | (801,802) |
선급비용의 변동 | 67,267 | 3,106 |
부가세대급금의 변동 | 94,171 | 64,421 |
재고자산의 변동 | (180,010) | (753,737) |
매입채무의 변동 | (91,082) | 535,556 |
미지급금의 변동 | (322,135) | 325,473 |
미지급비용의 변동 | 159,158 | 52,966 |
예수금의 변동 | (47,606) | (44,434) |
선수금의 변동 | 135,738 | 72,486 |
합 계 | (1,978,164) | (2,925,945)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의 증가 | - | 40,587 |
리스부채의 유동성대체 | 24,214 | 22,014 |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7,592 |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공정가치 변동 | 기타 | ||||
단기차입금 | 2,900,000 | - | - | - | 2,900,000 |
리스부채 | 227,464 | (30,497) | - | 3,307 | 200,274 |
장기차입금 | 10,520,000 | (30,000) | - | - | 10,490,000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2,847 | - | - | (2,292) | 555 |
파생금융부채 | 52,982 | - | (3,357) | - | 49,625 |
전환사채 | - | - | - | - | - |
기타금융부채(장기미지급금) | 214,936 | 2,767 | - | - | 217,703 |
합 계 | 13,918,229 | (57,730) | (3,357) | 1,015 | 13,858,157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공정가치 변동 | 기타 | ||||
단기차입금 | 900,000 | - | - | - | 900,000 |
장기차입금 | 10,640,000 | (30,000) | - | - | 10,610,000 |
리스부채 | 147,123 | (17,807) | - | 40,586 | 169,902 |
전환상환우선주부채 | 5,642,275 | - | - | - | 5,642,275 |
전환사채 | 5,210,041 | - | - | - | 5,210,041 |
파생금융부채 | 27,722,985 | - | - | - | 27,722,985 |
기타금융부채 | 202,548 | 498 | - | - | 203,046 |
합 계 | 50,464,972 | (47,309) | - | 40,586 | 50,458,249 |
34.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사용이 제한된 예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예금종류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금융기관명 | 관련채무의 내용 | 사용제한내용 | |
---|---|---|---|---|---|---|---|
과 목 | 차입금액 | ||||||
단기금융자산 | 정기예금 | 74,000 | 74,000 | 우리은행 | 단기금융자산 | 74,000 | 카드한도증액 |
단기금융자산 | 정기예금 | 200,000 | 200,000 | 우리은행 | 단기금융자산 | 200,000 | 카드한도증액 |
단기금융자산 | 정기예금 | 120,000 | 120,000 | 국민은행 | 단기금융자산 | 120,000 | 카드한도증액 |
(2)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담보로 제공하는 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담보제공자산 | 장부금액 | 설정금액 | 담보권자 | 관련채무의 내용 | |
---|---|---|---|---|---|
과 목 | 차입금액 | ||||
토지 및 건물 | 9,551,812 | 12,480,000 | 우리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9,990,000 |
600,000 | 하나은행 | 유동성장기차입금 | 500,000 | ||
특허권 | 20,157 | 2,400,000 | 우리은행 | 단기차입금 | 2,000,000 |
(3)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보증 제공자 | 제공받은 보증내용 | 보증금액 | 보증기간 | 보증처 |
---|---|---|---|---|
신용보증기금 | 차입금보증 | 900,000 | 2021.06.01~2025.05.30 | 우리은행 |
서울보증보험 | 지급보증 | 6,996 | 2025.02.17~2026.03.31 | 고객 및 거래처 |
(4)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없습니다.
35. 주식기준보상 (1) 당사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거해서 당사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1 차 | 2 차 | 3 차 | 4 차 |
---|---|---|---|---|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기명식 보통주식 |
부여방법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보통주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 교부 |
가득조건 및 행사가능시점 |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상 재임(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행사 시점에서 2년이상 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과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상 재임(재직)중이며 부여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로부터 5년 이내 행사 | 부여일로부터 2년간 용역 제공중이며 부여일로부터 2년 경과한 날로부터 2년 이내 행사 |
부여일 | 2019.01.22 | 2020.03.31 | 2022.03.30 | 2024.03.28 |
행사가격(*) | 1,807원 | 2,967원 | 6,667원 | 7,334원 |
부여수량(*) | 205,200 | 36,000 | 90,000 | 204,000 |
(*) 전기 중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행사가격 및 부여수량이 조정되었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주식선택권의 수량과 가중평균 행사가격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 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주식선택권 수량 | 가중평균 행사가격 | 주식선택권 수량 | 가중평균 행사가격 | |
기초 잔여주 | 498,200 | 5,049 | 331,200 | 3,254 |
당기 부여 | - | - | 204,000 | 7,334 |
당기 취소 | - | - | - | - |
무상증자 | - | - | - | - |
기말 잔여주 | 498,200 | 5,049 | 535,200 | 4,809 |
기말 행사가능한 주식수 | 285,200 | 3,414 | 241,200 | 5,939 |
(3) 당사는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했으며, 보상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제반 가정 및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1 차 | 2 차 | 3차 | 4차 |
---|---|---|---|---|
부여된 선택권의 가중평균 공정가치(*1) | 2,415원 | 2,756원 | 7,123원 | 8,310원 |
부여일의 가중평균 주가(*1) | 5,417원 | 6,968원 | 18,000원 | 21,048원 |
주가변동성(*2) | 37% | 40% | 46% | 48% |
배당수익률 | 0% | 0% | 0% | 0% |
기대만기 | 8년 | 8년 | 8년 | 4년 |
무위험수익률 | 1.80% | 1.07% | 2.62% | 3.34% |
(*1) 무상증자 전의 공정가치 및 주가입니다. (*2) 주가변동성은 국내 상장된 유사기업의 평균변동성을 적용하였으며, 평가기준일로부터 과거 180일의 일변동성에 거래일수를 반영한 연변동성을 적용하였습니다.(4) 당분기 중 주식보상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69,667천원이고, 전분기 중 주식보상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0원이며, 전액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과 관련된 비용입니다.
36. 특수관계자 공시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종속기업 | ㈜디지털그래피 | ㈜디지털그래피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덴탈그래피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자금거래 제외)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수관계자명 | 매출 | 기타비용 |
---|---|---|---|
종속기업 | ㈜디지털그래피 | 6,300 | 17,394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 | - |
합 계 | 6,300 | 17,394 |
(전분기) | (단위 : 천원) |
구 분 | 특수관계자명 | 매출 | 기타비용 |
---|---|---|---|
종속기업 | ㈜디지털그래피 | - | 26,445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 | 6,950 |
합 계 | - | 33,395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특수관계자명 | 당분기말 | 전기말 | ||
---|---|---|---|---|---|
매출채권 | 기타채권 | 기타채무(*) | 기타채무(*) | ||
종속기업 | ㈜디지털그래피 | - | - | 37,837 | 30,604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 | - | - | - |
합 계 | - | - | 37,837 | 30,604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5) 당기말 현재 당사가 특수관계자의 자금조달 등을 위해 제공하거나, 특수관계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지급보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특수관계자명 | 금융기관 | 차입금액 | 보증금액 | 비고 |
---|---|---|---|---|
대표이사 | 우리은행 | 7,955,000 | 1,200,000 | 지급보증 |
(6) 당사는 기업 활동의 계획ㆍ운영ㆍ통제에 대하여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임원 등을 주요 경영진으로 판단하였으며, 당분기와 전분기 중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지급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급여 및 기타단기종업원급여 | 165,000 | 157,500 |
퇴직급여 | 21,250 | 20,208 |
합 계 | 186,250 | 177,708 |
37. 계속기업가정 등 중요한 불확실성
당분기 중 3,642,139천원의 영업손실 및 2,144,938천원의 부의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하였으며, 당분기를 포함하여 3년 간 계속된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분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0,265,249천원 만큼 초과하는 이러한 상황은 당사의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인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계속기업 불확실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당사는 기존 및 신규 고객에 대한 제품주문 확보 및 마케팅 정책 등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신규 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는 활동을수행하고 있으며 차입처로부터 차입금 상환청구에 대한 연기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1월 1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완료하였고, 2025년 중 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에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위의 사업계획 및 자금조달계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면 계속기업가정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데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의 최종 결과로 계속기업가정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는 자산과 부채의 금액 및 분류표시와 관련 손익항목에 대한 수정사항은 당사의 재무제표에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가.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최근 3년간 배당을 결의 및 지급한 이력은 없습니다. 다만, 정관에 의거한 이사회 및 주주총회의 승인을 통해 배당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정관상 배당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관 조문 | 내용 |
---|---|
제56조(이익의 처분) | 회사는 매사업년도의 처분 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1. 이익준비금2. 기타의 법정준비금3. 배당금4. 임의적립금5. 기타의 이익잉여금 처분액 |
제57조(이익배당) | ① 이익배당은 금전 또는 금전외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③ 회사는 제1항의 배당을 위하여 이사회결의로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여야 하며, 그 경우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
제58조(중간배당) | ① 본 회사는 영엽 년도 중 1회에 한하여 상법 제462조의 3의 규정에 의하여 주주에게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② 제1항의 중간배당은 이사회의 결의로 하며, 이사회가 없는 경우 주주총회의 결의로 한다.③ 중간배당은 직전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으로 배당하거나 지급하기로 정한 금액④ 회사는 당해 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이 상법 제462조 제1항 각 호의 금액의 합계액에 미치지 못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중간배당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배당을 한 경우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연대하여 그 차액(배당액이 그 차액보다 적을 경우 배당액)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 다만, 이사가 위와 같은 우려가 없다고 판단함에 있어 주의를 게을리 하지 않았음을 증명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⑤ 사업연도개시일 이후 제1항의 기준일 이전에 신주를 발행한 경우(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배당,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신주인수권 행사의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중간 배당에 관해서는 당해 신주는 직전 사업연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
나. 주요배당지표
구 분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
주당액면가액(원) | 500 | 500 | 5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32,664) | (5,425) | (17,663)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32,688) | (5,456) | (17,677) | |
(연결)주당순이익(원) | (6,799) | (3,587) | (12,111)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 | -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다. 과거 배당 이력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1) 증자(감자)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원)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 발행(감소)가액 | 비고 | ||
2017.01.02 | 설립 | 보통주 | 140,000 | 500 | 500 | - |
2017.02.22 | 유상증자 | 보통주 | 60,000 | 500 | 500 | - |
2019.01.17 | 유상증자 | 보통주 | 16,667 | 500 | 30,000 | - |
2019.01.18 | 무상증자 | 보통주 | 983,352 | 500 | - | - |
2019.04.12 | RCPS 발행 | 우선주 | 38,200 | 500 | 7,900 | - |
2019.06.01 | 유상증자 | 보통주 | 56,287 | 500 | 8,883 | - |
2019.06.01 | RCPS 발행 | 우선주 | 394,009 | 500 | 8,883 | - |
2020.10.17 | RCPS 발행 | 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 |
2020.10.23 | RCPS 발행 | 우선주 | 76,765 | 500 | 19,540 | - |
2020.10.29 | RCPS 발행 | 우선주 | 153,530 | 500 | 19,540 | - |
2020.10.31 | RCPS 발행 | 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 |
2020.12.23 | RCPS 발행 | 우선주 | 51,177 | 500 | 19,540 | - |
2020.12.25 | RCPS 발행 | 우선주 | 127,942 | 500 | 19,540 | - |
2021.08.07 | 유상증자 | 보통주 | 150,000 | 500 | 20,000 | - |
2021.11.23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42,300 | 500 | - | - |
2021.11.23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42,300) | 500 | - | - |
2022.07.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706 | 500 | 33,235 | - |
2022.10.07 | 유상증자 | 보통주 | 12,495 | 500 | 33,235 | - |
2022.10.18 | 유상증자 | 보통주 | 8,623 | 500 | 33,235 | - |
2022.12.01 | RCPS 발행 | 우선주 | 55,000 | 500 | 33,235 | - |
2023.03.11 | 유상증자 | 보통주 | 30,849 | 500 | 33,235 | - |
2023.07.20 | 유상증자 | 보통주 | 9,024 | 500 | 33,235 | - |
2023.09.02 | 유상증자 | 보통주 | 3,962 | 500 | 33,235 | - |
2023.11.11 | 유상증자 | 보통주 | 5,335 | 500 | 33,235 | - |
2023.11.25 | 유상증자 | 보통주 | 2,538 | 500 | 33,235 | - |
2023.11.30 | RCPS 발행 | 우선주 | 11,406 | 500 | 26,300 | - |
2023.12.05 | RCPS 발행 | 우선주 | 3,802 | 500 | 26,300 | - |
2024.03.01 | 유상증자 | 보통주 | 36,105 | 500 | 33,235 | - |
2024.06.26 | 무상증자 | 보통주 | 3,138,486 | 500 | - | - |
2024.06.26 | 무상증자 | 우선주 | 1,943,770 | 500 | - | - |
2024.11.26 | 유상증자 | 보통주 | 118,594 | 500 | 16,274 | - |
2024.11.28 | 스톡옵션 행사 | 보통주 | 46,000 | 500 | 2,261 | - |
2024.12.13 | 유상증자 | 보통주 | 184,343 | 500 | 16,274 | - |
2024.12.19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25,588 | 500 | - | - |
2024.12.19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231,813 | 500 | - | - |
2024.12.19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231,813) | 500 | - | - |
2024.12.20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59,858 | 500 | - | - |
2024.12.20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631,549 | 500 | - | - |
2024.12.20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631,549) | 500 | - | - |
2024.12.23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7,059 | 500 | - | - |
2024.12.23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59,777 | 500 | - | - |
2024.12.23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159,777) | 500 | - | - |
2024.12.24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2,629 | 500 | - | - |
2024.12.24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258,816 | 500 | - | - |
2024.12.24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258,816) | 500 | - | - |
2024.12.26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900,791 | 500 | - | - |
2024.12.26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82,628 | 500 | - | - |
2024.12.26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82,628) | 500 | - | - |
2024.12.27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42,601 | 500 | - | - |
2024.12.27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191,327 | 500 | - | - |
2024.12.27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1,191,327) | 500 | - | - |
2024.12.30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347,250 | 500 | - | - |
2024.12.30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347,250) | 500 | - | - |
2024.12.31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0,155 | 500 | - | - |
2024.12.31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10,155) | 500 | - | - |
2025.01.08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1,170 | 500 | - | - |
2025.01.08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1,170) | 500 | - | - |
2025.01.15 | 보통주 전환 | 보통주 | 600 | 500 | - | - |
2025.01.15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600) | 500 | - | - |
계 | 9,030,847 | - | - | - |
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 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채무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회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설립 | 2017.01.02 | 설립 자본금 | 70,000,000 | 설립 자본금 | 70,000,000 | - |
유상증자 | 2017.02.22 | 운영자금 | 30,000,000 | 운영자금 | 30,000,000 | - |
유상증자 | 2019.01.18 | 운영자금 | 500,010,000 | 운영자금 | 500,010,000 | - |
RCPS 발행 | 2019.04.12 | 운영자금 | 301,780,000 | 운영자금 | 301,780,000 | - |
유상증자 | 2019.06.01 | 운영자금 | 3,850,403,809 | 운영자금 | 3,850,403,809 | - |
RCPS 발행 | 2019.06.01 | 운영자금 | 149,575,559 | 운영자금 | 149,575,559 | - |
RCPS 발행 | 2020.10.17 | 운영자금 | 999,998,580 | 운영자금 | 999,998,580 | - |
RCPS 발행 | 2020.10.23 | 운영자금 | 1,499,988,100 | 운영자금 | 1,499,988,100 | - |
RCPS 발행 | 2020.10.29 | 운영자금 | 2,999,976,200 | 운영자금 | 2,999,976,200 | - |
RCPS 발행 | 2020.10.31 | 운영자금 | 999,998,580 | 운영자금 | 999,998,580 | - |
RCPS 발행 | 2020.12.23 | 운영자금 | 999,998,580 | 운영자금 | 999,998,580 | - |
RCPS 발행 | 2020.12.25 | 운영자금 | 2,499,986,680 | 운영자금 | 2,499,986,680 | - |
유상증자 | 2021.08.07 | 운영자금 | 300,000,000 | 운영자금 | 300,000,000 | - |
유상증자 | 2022.07.26 | 운영자금 | 389,048,910 | 운영자금 | 389,048,910 | - |
유상증자 | 2022.10.07 | 운영자금 | 415,271,325 | 운영자금 | 415,271,325 | - |
유상증자 | 2022.10.18 | 운영자금 | 286,585,405 | 운영자금 | 286,585,405 | - |
RCPS 발행 | 2022.12.01 | 운영자금 | 1,827,925,000 | 운영자금 | 1,827,925,000 | - |
유상증자 | 2023.03.11 | 운영자금 | 1,025,266,515 | 운영자금 | 1,025,266,515 | - |
유상증자 | 2023.07.20 | 운영자금 | 299,912,640 | 운영자금 | 299,912,640 | - |
유상증자 | 2023.09.02 | 운영자금 | 131,677,070 | 운영자금 | 131,677,070 | - |
CB발행 | 2023.10.13 | 운영자금 | 3,000,000,000 | 운영자금 | 3,000,000,000 | - |
CB발행 | 2023.10.30 | 운영자금 | 1,781,622,932 | 운영자금 | 1,781,622,932 | - |
CB발행 | 2023.11.01 | 운영자금 | 2,000,000,000 | 운영자금 | 2,000,000,000 | - |
유상증자 | 2023.11.11 | 운영자금 | 177,308,725 | 운영자금 | 177,308,725 | - |
CB발행 | 2023.11.13 | 운영자금 | 2,000,000,000 | 운영자금 | 2,000,000,000 | - |
CB발행 | 2023.11.13 | 운영자금 | 854,995,652 | 운영자금 | 854,995,652 | |
유상증자 | 2023.11.25 | 운영자금 | 84,350,430 | 운영자금 | 84,350,430 | - |
RCPS 발행 | 2023.11.30 | 운영자금 | 299,977,800 | 운영자금 | 299,977,800 | - |
RCPS 발행 | 2023.12.05 | 운영자금 | 99,992,600 | 운영자금 | 99,992,600 | - |
유상증자 | 2024.03.01 | 운영자금 | 1,199,949,675 | 운영자금 | 1,199,949,675 | - |
유상증자 | 2024.11.26 | 운영자금 | 1,929,998,756 | 운영자금 | 1,929,998,756 | - |
스톡옵션 행사 | 2024.11.28 | 운영자금 | 104,002,000 | 운영자금 | 104,002,000 | - |
유상증자 | 2024.12.13 | 운영자금 | 2,999,997,982 | 운영자금 | 2,999,997,982 | - |
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재무제표 관련 유의사항 (1) 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당사는 3년간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있고, 당사의 재무제표는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더 많음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은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인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당사는 계속기업 불확실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연결실체는 기존 및 신규 고객에 대한 제품주문 확보 및 마케팅 정책 등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신규 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는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입처로부터 차입금 상환청구에 대한 연기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위의 사업계획 및 자금조달계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면 계속기업가정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데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천원) |
구분 | 계정과목 | 채권총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설정률 |
2025년 1분기(제9기) | 매출채권 | 4,234,550 | 1,332,308 | 31.46% |
기타금융자산(유동) | 94,731 | 80 | 0.08% |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40,641 | - | 0.00% | |
합계 | 4,369,922 | 1,332,388 | 30.49% | |
2024년(제8기) | 매출채권 | 5,224,651 | 1,065,839 | 20.40% |
기타금융자산(유동) | 88,232 | - | 0.00% |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39,993 | - | 0.00% | |
합계 | 5,352,876 | 1,065,839 | ||
2023년(제7기) | 매출채권 | 3,179,509 | 225,107 | 7.08% |
기타금융자산(유동) | 10,179 | - | 0.00% |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99,596 | - | 0.00% | |
합계 | 3,289,284 | 225,107 | 6.84% | |
2022년(제6기) | 매출채권 | 916,310 | 79,467 | 8.67% |
기타금융자산(유동) | 41,211 | 27,364 | 66.40% |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100,575 | - | 0.00% | |
합계 | 1,058,096 | 106,831 | 10.10% |
(2) 대손충당금 변동 현황
(단위: 천원) |
구 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1,065,839 | 225,107 | 106,831 | 42,816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20,800) | (555)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 - | - |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20,800) | (555) |
③ 기타증감액 | -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266,549 | 840,732 | 139,076 | 64,570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1,332,388 | 1,065,839 | 225,107 | 106,831 |
(3)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개별적인 손상사건이 파악된 매출채권에 대해 개별 분석을 통해 회수가능가액을 산정하고 산정된 회수가능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약정회수기일로부터 연체된 매출채권의 경우 채권 연체기간, 경험률 등을 고려한대손충당금 설정률을 적용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4) 2025년 1분기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천원) |
구 분 | 정상채권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9개월 이하 | 1년 이하 | 1년 초과 | 합계 |
---|---|---|---|---|---|---|---|
금 액 | 1,174,924 | 2,066,214 | 156,983 | 156,370 | - | 680,060 | 4,234,551 |
구성비율 | 28% | 48% | 4% | 4% | - | 16% | 1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보유현황
(단위: 천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제8기) | 2023년(제7기) | 2022년(제6기) |
---|---|---|---|---|---|
전체 | 상품 | 460,905 | 368,637 | 603,266 | 269,177 |
제품 | 1,216,655 | 1,127,712 | 140,832 | 140,461 | |
원재료 | 506,636 | 534,643 | 459,671 | 545,649 | |
미착품 | - | - | - | 28,878 | |
재공품 | 177,304 | 126,727 | 105,261 | 144,651 | |
소 계 | 2,361,500 | 2,157,719 | 1,309,030 | 1,128,816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재고자산÷기말자산총계×100] | 13% | 10% | 6% | 7%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3.95 | 4.94 | 4.94 | 2.99 |
주1) | 재고자산 구성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은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2) | 1분기 재고자산회전율은 1분기 LTM 매출원가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당사는 202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025년 1월 6일에 외부감사인 입회하에 재고실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실사일이 보고기간 종료일이 다른 경우에는 그 사이 변동내역을 반영하여 보고 기간종료일의 재고자산을 파악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연말(12월말) 재고실사시 외부감사인의 입회하에 재고실사를 하고 있습니다. 라. 공정가치평가 내역당사는 평가기법에 따라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을 분석합니다.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 준 | 내용 |
---|---|
수준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가능한 한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해당 상품의 공정가치 츠적ㅇ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하다면 해당 상품은 수준2에 포함됩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됩니다.당분기말 (2025년 3월말)과 전기말(2024년말)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5,834 | 33,792 | 49,626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구 분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파생금융부채 | - | 19,190 | 33,792 | 52,982 |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강조사항 등 | 적용 회계기준 |
---|---|---|---|---|---|
2025년 (제9기) | 감사보고서 | 삼덕회계법인 | - | - | K-IFRS |
연결감사보고서 | 삼덕회계법인 | - | - | K-IFRS | |
2024년(제8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
2023년(제7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
2022년(제6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 | 계속기업 관련 | K-IFRS |
주1) | 2025년도에는 2025년 1분기 (2025년 3월말) 기준으로 별도 및 연결 재무에 대하여 감사인은 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아니하였다는 의견을 표명하였습니다.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2025년 (제9기) | 삼덕회계법인 | -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25 | - | - | - |
2024년(제8기) | 삼정회계법인 | -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124 | 1,005 | 124 | 1,017 |
2023년(제7기) | 삼정회계법인 | -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100 | 890 | 100 | 1,128 |
2022년(제6기) | 삼정회계법인 | -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108 | 980 | 108 | 1,138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 내용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1 | 2025.3.21.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4년 기말 감사 결과 보고 |
2 | 2024.12.27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4년 감사 계획 보고 |
3 | 2024.3.20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3년 기말 감사 결과 보고 |
4 | 2023.12.27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3년 감사 계획 보고 |
5 | 2023.3.22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2년 기말 감사 결과 보고 |
6 | 2022.12.19 | 이사회, 감사, 업무수행이사 | 서면회의 | 2022년 감사 계획 보고 |
마. 종속회사 중 공시대상기간중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적정의견 이외의 감사의견을 받은 회사가 있는 경우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회계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 중으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 11조 1항 및 2항, 동법 시행령 제17조 및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제10조 및 제15조 제1항에 의거하여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6기부터 제8기까지에 대한 외부감사인으로 삼정회계법인을 지정 통지받아 동 회계법인과 감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자유수임계약으로 당사의 제 9기에 대한 외부감사인으로 삼덕 회계법인을 선임하여 동 회계법인과 감사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가. 내부회계관리제도
당사는 2024년말 기준 자산총액 1천억원 미만 비상장법인으로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8조의 1항에 의거 2025년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의무가 없으므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관리 및 운영에 대해 별도의 평가 또는 검토는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자가 보고한 내용, 감사가 보고한 내용, 감사인이 감사보고서에 표명한 종합의견 등은 없습니다.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에 대비하여 삼일회계법인과 2022년 4월 30일에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관련 자문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025년 내에 내부회계시스템 업데이트를 완료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향후 주권상장법인으로서 기업의 투명성과 재무보고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선진 수준의 내부 통제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체계적인 공시 통제 절차를 수립 및 운영함으로써 사업보고서 등 의 중요한 사항에 대한 기재 및 표시 누락, 허위 기재 등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예정 입니다.또한,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내부회계관리자가 사업연도별로 이사회및 감사에게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보고하고, 감사는 외부감사인에게 이를 제시하여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검토의견을 표명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나. 내부회계관리조직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인적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조직 및 그에 따른 지정된 인력이 없으나, 2025년 내에 내부회계관리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입니다.
가. 이사회 구성 개요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4인, 사외이사 3인 총 7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규정에 따라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는 것과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하는 것을 그 권한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개최된 임시주주총회및 이사회에서 정관을 변경하고 투명경영위원회를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인적사항은 'V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이사회 의장은 심운섭 대표이사가 겸직하고 있습니다. 심운섭 대표이사는 회사 업무 전반에대한 이해도가 높아 원활한 이사회 진행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인정되어 의장에 선임되었습니다. 나.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7 | 3 | 3 | - | - |
다. 중요 의결 사항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내이사 | 사외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감사 | |||||||
심운섭 23.3.31 중임 | 조태연 25.3.31 중임 | 변창환 22.3.30 임기만료 | 박성현 23.3.31 취임 | 김정현 22.3.30 사임 | 임충식 25.3.31 중임 | 김동현 24.3.28 취임 | 김정현 25.3.31 중임 | 최경환 24.3.28 취임 | 신왕기 22.3.30 임기만료 | 유승우 25.3.31 중임 | ||||
22-1차 | 2022.03.15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 | - | - | 찬성 | - |
22-2차 | 2022.03.30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찬성 |
22-3차 | 2022.07.08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찬성 |
22-4차 | 2022.09.20 | 기업대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찬성 | - | - | - |
22-5차 | 2022.09.21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 |
22-6차 | 2022.09.30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2-7차 | 2022.10.26 | 자문용역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찬성 |
22-8차 | 2022.11.15 |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 |
23-1차 | 2023.01.02 | 사내 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찬성 |
23-2차 | 2023.02.23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 | - | - | - | - |
23-3차 | 2023.03.03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 | - | 찬성 | - | - | 찬성 |
23-4차 | 2023.03.31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5차 | 2023.07.05 |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6차 | 2023.07.31 |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7차 | 2023.08.11 | 신주발행의 납기일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8차 | 2023.09.20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9차 | 2023.09.20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0차 | 2023.10.05 | 전환사채(제1회)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1차 | 2023.10.23 | 전환사채(제2회)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2차 | 2023.10.24 | 전환사채(제3회)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3차 | 2023.11.03 | 전환사채(제4회)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4차 | 2023.11.03 | 전환사채(제5회)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5차 | 2023.11.09 | 신주발행의 건 (RCPS 3억원)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3-16차 | 2023.11.09 | 신주발행의 건 (RCPS 1억원)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4-1차 | 2024.01.02 | 사내 규정 추가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4-2차 | 2024.01.02 | 이해관계자와의 연간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4-3차 | 2024.02.01 | 사내 규정 추가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4-4차 | 2024.02.15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24-5차 | 2024.03.11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4-6차 | 2024.03.11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을 위한 정기예금 담보 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24-7차 | 2024.06.10 | 준비금의 자본전입(무상증자)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4-8차 | 2024.08.12 | 기업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9차 | 2024.08.12 | 무상증자에 따른 주식수 및 전환가격 등 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10차 | 2024.10.04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11차 | 2024.10.28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 | - | - | - |
24-12차 | 2024.11.12 | 기업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연장)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13차 | 2024.11.18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 | - | - | - |
24-14차 | 2024.12.23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15차 | 2024.12.27 | 자기주식 소각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 | 찬성 | - | - | - | - |
25-1차 | 2025.01.06 | 상장 동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5-2차 | 2025.01.21 | 이해관계자와의 연간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5-3차 | 2025.02.28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5-4차 | 2025.05.0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5-5차 | 2025.05.13 | 임시주주총회 소집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 | - | - |
25-6차 | 2025.06.1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5-7차 | 2025.06.23 |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라. 이사회 내 위원회 증권신고서일 현재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로 투명경영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있습니다. 당사의 투명경영위원회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원회명 | 구성 | 소속 이사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비고 |
---|---|---|---|---|
투명경영위원회 | 사내이사 1인사외이사 2인 | 서창백김동현, 장영렬 | 설립목적: 제반법규를 준수함으로써 윤리경영을 실현권한사항: 영업활동 및 이와 수반되는 활동을 함에 있어 발생하는 거래가 공정거래법 등 제반 법규를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 심의 및 의결 | 설치완료일: 2025.7.25 |
마. 이사의 독립성 (1) 이사의 선임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며,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이사 후보자는 이사회가 선정하며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으로 확정하고 있습니다. 이사의 선임 관련하여 관련법규에 의거한 주주제안이 있는 경우, 이사회는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를 주주총회에 의안으로 제출하고 있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구성 | 담당업무 | 최대주주 등과의 관계 | 임기 |
---|---|---|---|---|
사내이사(대표이사) | 심운섭 | 업무 총괄 | 본인 | 3년 |
사내이사 | 박성현 | 운영담당 이사 | 특수관계인 | 3년 |
사내이사 | 서창백 | 재무담당 이사 및 투명경영위원회 | 해당 없음 | 3년 |
사내이사 | 조태연 | 대외협력 이사 | 해당 없음 | 3년 |
사외이사 | 임충식 | 이사회 | 해당 없음 | 3년 |
사외이사 | 김동현 | 이사회 및 투명경영위원회 | 해당 없음 | 3년 |
사외이사 | 장영렬 | 이사회 및 투명경영위원회 | 해당 없음 | 3년 |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 2조원 미만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사회는 사외이사 추천시 직무 공정성과 윤리 책임성 등 사외이사로서 갖춰야 할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충분히 검토하여 추천하고 있으며, 코스닥인력뱅크를 통하여도 사외이사 후보자를 추천받고 있습니다. 바. 사외이사의 전문성 (1) 사외이사 현황
성명(출생년월) | 주요경력 | 최대주주등과의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
임충식(1956.04) | 전, 한국폴리텍대학 스마트제품디자인 교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김동현(1981.12) | 현, 법률사무소 메리츠 대표변호사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장영렬(1970.03) | 현, 한길회계법인 회계사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2) 사외이사 직무수행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사외이사가 이사회에서 전문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개최 전에 사외이사가 부의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시 별도 설명을 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의 주요 현안에 대하여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직명 | 지원 인력 | 주요 업무 |
대외협력팀 | 총 1명 | - 이사회 안건의 정리 및 부의 근거, 안건 관련 법령 분석- 이사에 대한 안건 사전설명 실시 및 문의 사항에 대한 대응- 이사회 진행 및 의사록 작성, 공시 사항 검토- 투명경영위원회 업무 지원 |
(3)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사외이사의 경력과 전문성을 고려한 바, 현재까지는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으나 업무수행 관련 교육이 필요할 경우 진행할 예정입니다. |
가. 감사의 구성 당사는 정관 제 45조(감사의 수)에서 1인 이상 3인 이내의 감사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주주총회 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비상근 감사 1인이 감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감사의 인적사항
성명(출생년월) | 주요경력 | 최대주주등과의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
유승우(1974.03) | 삼일회계법인 (2000. 11. ~ 2015. 09) 도원회계법인 (2015. 10. ~ 현재)㈜그래피 감사 (2022. 03. ~ 현재)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다. 감사의 독립성 당사의 정관은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하여 정관 제50조(감사의 직무 등)를 통해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감사업무 수행 시 필요에 따라 관련 자료 의 제출을 요구하고 경영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감사 결과 위법·위규 또는 부당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있을 경우 대표이사에게 시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라. 감사의 주요 활동 내용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감사 | |
신왕기 22.3.30 임기만료 | 유승우 25.3.31 중임 | ||||
22-1차 | 2022.03.15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 |
22-2차 | 2022.03.30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가결 | - | 찬성 |
22-3차 | 2022.07.08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 | 찬성 |
22-6차 | 2022.09.30 |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 | 찬성 |
22-7차 | 2022.10.26 | 자문용역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 | 찬성 |
23-1차 | 2023.01.02 | 사내 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 | 찬성 |
23-3차 | 2023.03.03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찬성 |
24-1차 | 2024.01.02 | 사내 규정 추가 제정의 건 | 가결 | - | 찬성 |
24-2차 | 2024.01.02 | 이해관계자와의 연간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찬성 |
24-3차 | 2024.02.01 | 사내 규정 추가 제정의 건 | 가결 | - | 찬성 |
24-5차 | 2024.03.11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찬성 |
24-6차 | 2024.03.11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을 위한 정기예금 담보 제공의 건 | 가결 | - | 찬성 |
24-8차 | 2024.08.12 | 기업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 | 가결 | - | 찬성 |
24-9차 | 2024.08.12 | 무상증자에 따른 주식수 및 전환가격 등 조정의 건 | 가결 | - | 찬성 |
24-10차 | 2024.10.04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의 건 | 가결 | - | 찬성 |
24-12차 | 2024.11.12 | 기업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연장) | 가결 | - | 찬성 |
24-14차 | 2024.12.23 | 기업카드 한도 증액의 건 | 가결 | - | 찬성 |
25-1차 | 2025.01.06 | 상장 동의의 건 | 가결 | - | 찬성 |
25-2차 | 2025.01.21 | 이해관계자와의 연간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찬성 |
25-3차 | 2025.02.28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찬성 |
25-4차 | 2025.05.0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찬성 |
25-6차 | 2025.06.1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찬성 |
25-7차 | 2025.06.18 |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 | 찬성 |
마. 감사 교육 실시 현황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미실시 | 당사는 이사회의 각 안건에 대한 내용과 경영 현황에 대하여 감사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감사의 산업 및 회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교육은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추후 전문성을 높이기위한 교육이 필요한 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감사로서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며, 필요시 관련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
바. 감사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감사가 이사회 및 주주총회에서 전문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및 주주총회 개최 전에 감사가 부의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시 별도 설명을 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의 주요 현안에 대하여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조직명 | 지원 인력 | 주요 업무 |
대외협력팀 | 총 1명 | - 이사회 및 주주총회 안건의 정리 및 부의 근거, 안건 관련 법령 분석- 감사에 대한 안건 사전설명 실시 및 문의 사항에 대한 대응- 이사회 및 주주총회 진행 및 의사록 작성, 공시 사항 검토 |
가. 투표제도 현황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배제 | 미도입 | 미도입 |
실시여부 | - | - | - |
나.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당사는 공시대상기간중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사실이 없습니다. 다. 경영권 경쟁 여부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회사의 경영지배권에 관하여 경쟁이 있었던 사실이 없습니다.
라. 의결권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9,030,277 | |
우선주 | 570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
우선주 | 570 | 전환상환우선주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우선주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보통주 | 9,030,277 | |
우선주 |
마. 주식사무
정관제9조(신주인수권) |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연구개발, 생산, 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상법 제542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4.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5.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개인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6.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7.근로자복지기본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8.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
결산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 결산일마다 |
주주명부 폐쇄 시기정관제17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 ①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정기주주총회에서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②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또는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정한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
공고방법 | 당사의 인터넷홈페이지(http://www.itgraphy.com)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
주식업무 대행기관 | 대리인의 명칭 | 한국예탁결제원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개최일자 | 구분 | 의안 내용 | 가결여부 | 비고 |
---|---|---|---|---|
2022.03.30 | 정기 | 제 1호 의안 :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 2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제 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제 4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 5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제 6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의 건제 7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 |
2023.03.31 | 정기 | 제 1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 2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제 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 4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 5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 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부결 | - |
2024.03.28 | 정기 | 제 1호 의안 : 제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 2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제 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 4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 5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 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 |
2025.03.31 | 정기 | 제 1호 의안 : 제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 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제 4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 5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 |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단위: 주) |
성 명 | 관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기말(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주식수 | 지분율 | ||||
심운섭 | 최대주주 본인 | 보통주 | 3,128,769 | 34.65% | - |
심미순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18 | 0.02% | |
박성현 | 등기임원 | 보통주 | 22,500 | 0.25% | - |
스페셜투그래피투자조합(박성현) | 등기임원 | 보통주 | 8,903 | 0.10% | (주1) |
조태연 | 등기임원 | 보통주 | 14,000 | 0.16% | - |
계 | 보통주 | 3,175,690 | 35.16% | - | |
우선주 | - | - | - |
주1) | 스페셜투 그래피투자조합 전체 주식수는 92,547주이며, 이 중 특수관계인 박성현의 출자 지분에 해당하는 주식수 8,903주를 기재하였습니다. |
나. 최대주주에 관한 사항(1) 최대주주의 주요 경력
성명 | 직위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비고 |
---|---|---|---|---|
심운섭 | 대표이사 | 경영총괄 | - 숭실대학교 정보처리학과 전공 (99 졸업)- ㈜코리아스테파 (94.11~96.12) - ㈜남양계전 (97.01~99.03)- ㈜한국아카이브 (99.06~11.06)- ㈜디디에스 (11.08~16.11)- ㈜그래피 대표이사 (17.01~현재) | - |
(2)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 거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최대주주 변동현황 당사는 설립 이후 최대주주의 변동이 없습니다.
라. 주식의 분포 현황 (1) 5% 이상 주주의 주식 소유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5% 이상 주주 | 심운섭 | 3,128,769 | 34.65% | - |
진앤-액시스 넥스트덴탈 벤처투자조합 | 716,963 | 7.94% | - |
(2) 소액주주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고 | ||||
소액 주주수 | 전체 주주수 | 비율 | 소액 주식수 | 총발행 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64 | 86 | 74.4% | 1,290,194 | 9,030,277 | 14.3% | - |
마.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임원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의결권있는주식 | 의결권없는주식 | |||||||||||
심운섭 | 남 | 1971.04 | 대표이사 | 등기 | 상근 | 대표이사 | - 숭실대학교 전산원 정보처리 학사 졸업 (99.02)- ㈜코리아스테파 (94.11~96.12) - ㈜남양계전 (97.01~99.03)- ㈜한국아카이브 (99.06~11.06)- ㈜디디에스 (11.08~16.11)- ㈜그래피 대표이사 (17.01~현재) | 보통주3,128,769 주 | - | 본인 | 8년 5월 | 2026-03-31 |
조태연 | 남 | 1968.06 | 상무이사 | 등기 | 상근 | 대외협력 | - 연세대 상경대 졸업 (92.02)- ㈜롯데상사 기획실 (96.07~97.03)- ㈜이수화학 경영기획실 (98.01~00.03)- ㈜중앙종합금융 기획조사 (00.03~00.08)- ㈜기라정보통신 (00.09~02.07)- ㈜메자닌파트너스 대표 (02.08~05.07)- ㈜메가나인 대표 (05.07~06.09)- ㈜에스아이리소스 대표 (07.09~08.11)- ㈜쓰리텍 상무 (11.04~12.09)- 글루온인터내셔널 대표이사 (13.01~17.03)- 클리어라인 전무이사 (17.04~18.07)- ㈜그래피 상무 (18.08~현재) | 보통주14,000주 | - | - | 7년 | 2028-03-31 |
박성현 | 남 | 1980.05 | 사내이사 | 등기 | 상근 | 경영관리총괄 | - 서울대 언론정보경영 학사 졸업 (05.08)- 신한투자증권 부지점장 (08.12~22.12)- ㈜그래피 경영지원본부 이사 (23.01~현재) | 보통주31,403주 | - | 특수관계인(4촌인척) | 2년 | 2026-03-31 |
임충식 | 남 | 1956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사외이사 | - 강원대 기계공학 석사 졸업 (96.08)- 한국폴리텍대학 디자인계열학과 교과편성 전문위원 (06~19)- 중소기업대상 3D기구설계와 3D프린팅 및 시제품제작 기술지원 (00~현재)- 춘천시 스마트토이 산업발전위원회 전문위원 (19.03~21.12)-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자문위원 (19.03~22.03)-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출제 및 검토위원 (98.03~현재)- 3D프린터개발 NCS개선위원 (21.05~21.11)- ㈜그래피 사외이사 (22.03~현재) | - | - | - | 중임 (3년) | 2028-03-31 |
유승우 | 남 | 1974 | 감사 | 등기 | 비상근 | 감사 | - 연세대 경영학과 학사 졸업 (00.08)- 삼일회계법인Assurance본부 (00.11~15.10)- 도원회계법인2-3본부 (15.11~현재)- ㈜그래피 감사 (22.03~현재) | - | - | - | 중임 (3년) | 2028-03-31 |
김동현 | 남 | 1981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사외이사 | -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학사 졸업 (07.08)-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직무대리 / 형사조정위원 (13.08~16.10)- 법무법인 민후 변호사 (14.01~15.03)- 법률사무소 메리츠 대표변호사 (15.08~현재)- ㈜그래피 사외이사 (24.3~현재) | - | - | - | 1년 | 2027-03-28 |
장영렬 | 남 | 1970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사외이사 |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졸업 (95)- 산동회계법인 부산지사 (97.10~00.03)- 삼정회계법인 (00.04~02.09)- 삼경회계법인 (02.10~15.04)- 회계법인세진 (15.04~21.03)- 한길회계법인 (21.04~현재)- ㈜그래피 사외이사 (25.07~현재) | - | - | - | 신임(1월) | 2028-07-24 |
서창백 | 남 | 1975.05 | 이사 | 등기 | 상근 | 회사 자금 운영,재무 전략 등 총괄 | - 연세대학원 경제학 석사 졸업 (14.08)- 삼영테크놀로러지 (05.10~08.05)- ㈜한글과컴퓨터 재무팀 부장 (08.05~19.05)- ㈜아큐플라이에이아이 경영관리실 이사(실장, CFO) (19.05~22.08)- ㈜한컴라이프케어 경영지원본부 이사(본부장, CFO) (21.12~24.07)- ㈜그래피 / 이사(CFO)(25.06~현재) | - | - | - | 신임(1월) | 2028-07-24 |
김수진 | 여 | 1971.12 | 원장 | 미등기 | 상근 | 최고임상책임자 임상연구개발 총괄책임자 |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졸업 (97.02)- 미국 UCLA 치의학석사 (98.12)- 서울대학교 치의학박사(03.02)-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교정과 레지던트 (04.07~06.06)- 서울유펜치과교정과치과 원장 (07.04~18.12)-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치과교정과 임상조교수 (18.12~21.02)- ㈜그래피 원장 (21.07~현재)-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강의교수 (23.09~현재) ** 외래교수직-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교정과 조교수 (06.09~11.06)- 한림대병원 치과 교정과 부교수 (12.09~18.12)-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자문교수 (18.03~23.08) | - | - | - | 4년 | - |
이권기 | 남 | 1973.08 | 이사 | 미등기 | 상근 | 3D프린팅부 총괄 |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과 학사 졸업 (98.0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00.02)- 수원대학교 금융공학대학원 중퇴 (01)- 동원증권 (01.02~03.04) - 교보증권 (03.04~06.05) - ㈜ 캠퍼스인베스트먼트어드바이저 이사 (06.12~11.02)- ㈜ 더컨설팅그룹 상무 (11.03~19.07)- ㈜ 서울벤처스 CFO (19.12~22.10)- ㈜ 시그넷벤처스 사외이사 (22.08~23.06)- 제이엠웨이브 (22.11~23.12)- ㈜ 그래피 이사 (24.01~현재) | - | - | - | 1년 | - |
윤석준 | 남 | 1970.06 | 이사 | 미등기 | 상근 | 국내영업1팀장 | -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 석사수료 (96.02)- ㈜K&C미디어테크놀로지 대표 (03.12~11.05)- 소나글로벌(주) 주식회사 대표 (11.06~19.08)- ㈜그래피 이사 (19.12~현재) | - | - | - | 6년 | - |
이재복 | 남 | 1970.06 | 이사 | 미등기 | 상근 | 국내영업2팀장 | - 신흥대학 치과기공학과 졸업 (96.02)- ㈜성원덴탈 부장 (95.10~11.10)- 산드레메토코리아 부장 (11.11~12.08)- 프로텍이노션 부장(15.10~21.11)- ㈜그래피 이사(22.01~현재) | - | - | - | 3년 | - |
Mohamed Hassan Ibrahim Bayome | 남 | 1977.11 | 원장 | 미등기 | 상근 | 임상기술지원 | - 가톨릭대학교 치과학 박사(11.08)-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과 조교수(11.10~16.10)- 파라과이 Asuncion 개인진료소 교정의 (16.12~18.03)- ㈜그래피 닥터 (23.12~현재) | - | - | - | 2년 | - |
김원경 | 남 | 1971.06 | 이사 | 미등기 | 상근 | 연구지원 | - 충남대 물리학과 석사 졸업 (02.08)- ㈜이오시스템 제품기술팀 주임 (03.03~04.06)- ㈜이오테크닉스 디스플레이사업부 과장 (04.07~05.10)- ㈜하드램 Laser광학팀 차장 (05.11~07.02)- ㈜르호봇테크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07.03~09.10)- ㈜엠쓰리모바일 연구기술본부 차장 (09.11~12.09)- ㈜미래컴퍼니 비전개발팀 책임 (12.10~13.08)- ㈜디디에스 기술연구소 책임 (13.10~16.12)- ㈜그래피 이사 (18.04~현재) | - | - | - | 7년 | - |
김인 | 남 | 1974.12 | 이사 | 미등기 | 상근 | HW사업부 | - 경북대 기계공학과 석사 졸업 (01.08)- 한일루브텍 기술설계 주임 (02.02~03.10)- 위너베아링 재료연구소 대리 (03.10~05.02)- 리스템중앙연구소 주임연구원 (07.07~07.11)- 오리엔트엠지 연구소 과장 (07.11~08.07)- 비피온 연구소 차장 (08.09~10.02)- 메가젠 전략기획 과장 (10.09~10.12)- 한진디디엑스 연구소 과장 (11.01~12.03)- 디디에스 생산본부 부장 (12.04~21.03)- ㈜그래피 이사 (21.03~현재) | - | - | - | 4년 | - |
이해정 | 남 | 1964.11 | 고문 | 미등기 | 상근 | 해외사업부 총괄 | - TSU 회계학 석사 졸업 (90.08)- KPMG 회계사(91~93)- Precise Dental 이사 (96~08)- Osstem Implant 미국법인장 (10~14)- Envista Holdings 한국지사장 (19~22)- EQT Partners 자문 (24-25)- ㈜그래피 고문 (25.02~현재) | - | - | - | 신임 (2월) | - |
김윤구 | 남 | 1969.07 | 이사 | 미등기 | 상근 | 국내영업3팀장 | - 경남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 학사 졸업 (94.02)- 대우건설 대리 (95.03~98.04)- 대우통신 (99.07~00.09)- 대우자동차판매주식회사 (00.10~09.01)- 디오임플란트 지점장 (09.01~18.04)- 그래피 이사(19.04~20.05)- 네오임플란트 이사(21.08~23.03)- 바나바스디앤씨(23.07~23.05)- 코리아덴탈솔루션(23.07~24.05)- ㈜그래피 이사(25.03~현재) | - | - | - | 신임 (3월) | - |
원유범 | 남 | 1972.12 | 이사 | 미등기 | 상근 | 해외영업부 총괄 | - 성균관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석사 졸업 (21.02)- 삼성캐피탈,삼성카드 대리 (96.01~04.11)- 삼성전자 부장 (04.12~22.06)- 네오바이오텍 상무 (22.07~24.03)- 오스템임플란트 전문위원 (24.12~25.02)- ㈜그래피 이사 (25.03~현재) | - | - | - | 신임 (3월) | - |
나. 타회사 임원 겸직 현황
성명 | 회사명 | 직책명 | 담당업무 | 재직기간 | 겸직회사와당사의 관계 |
---|---|---|---|---|---|
유승우 | 도원회계법인 | 회계사 | 회계감사 등 | 9년 | 관계없음 |
김동현 | 법률사무소 메리츠 | 대표변호사 | 기업자문 손해배상 등 | 9년 | 관계없음 |
김수진 |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 강의교수 | 대학원강의 및 전공의지도 | 1년 | 관계없음 |
장영렬 | 한길회계법인 | 회계사 | 회계감사 등 | 4년 | 관계없음 |
다. 직원 등의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명, 천원)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사업부문 | 성별 | 직원수 | 평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영업부 | 남 | 20 | - | - | - | 20 | 1.72 | 1,751,934 | 87,597 | - | - | - | - |
여 | 15 | - | 1 | - | 16 | 1.51 | 688,612 | 43,038 | - | - | - | - | |
전체 | 35 | - | 1 | - | 36 | 1.62 | 2,440,546 | 67,793 | - | - | - | - | |
개발부 | 남 | 14 | - | - | - | 14 | 1.80 | 1,056,995 | 75,500 | - | - | - | - |
여 | 6 | - | - | - | 6 | 2.20 | 393,800 | 65,633 | - | - | - | - | |
전체 | 20 | - | - | - | 20 | 2.00 | 1,450,795 | 72,540 | - | - | - | - | |
생산부 | 남 | 13 | - | - | - | 13 | 3.03 | 600,100 | 46,162 | - | - | - | - |
여 | 1 | - | - | - | 1 | 0.87 | 54,000 | 54,000 | - | - | - | - | |
전체 | 14 | - | - | - | 14 | 1.95 | 654,100 | 46,721 | - | - | - | - | |
관리부 | 남 | 20 | - | - | - | 20 | 2.20 | 1,008,000 | 50,400 | - | - | - | - |
여 | 14 | - | - | - | 14 | 1.14 | 696,000 | 49,714 | - | - | - | - | |
전체 | 34 | - | - | - | 34 | 1.67 | 1,704,000 | 50,118 | - | - | - | - | |
합계 | 남 | 67 | - | - | - | 67 | 2.19 | 4,417,029 | 65,926 | - | - | - | - |
여 | 36 | - | 1 | - | 37 | 1.43 | 1,832,412 | 49,525 | - | - | - | - | |
전체 | 103 | - | 1 | - | 104 | 1.81 | 6,249,441 | 60,091 | - | - | - | - |
라.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단위: 천원) |
구분 | 인원수 | 연간급여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미등기임원 | 10 | 1,064,000 | 106,40 | - |
가. 이사ㆍ감사의 보수 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명,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등기이사 | 7 | 1,000 | - |
감사 | 1 | 100 | - |
계 | 8 | 1,100 | - |
주1) 미등기이사의 경우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보수한도 금액은 없습니다. |
나. 보수지급금액
(1) 이사ㆍ감사 전체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 명, 천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14 | 1,485,621 | 106,116 | - |
(2) 유형별 보수지급금액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 명, 천원)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 제외) | 3 | 652,500 | 217,500 | - |
사외이사 | 2 | 10,500 | 5,250 | - |
감사 | 1 | 6,000 | 6,000 | - |
미등기이사 | 8 | 816,621 | 102,078 | - |
다. 이사·감사의 보수지급기준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금액 내에서 직급과 업무를 고려하여 연간 보수를 책정, 지급하고 있습니다.
라. 개인별 보수가 5억원 이상인 이사·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 및 감사의 개인별 보수 지급금액이 5억원이상에 해당 하는 자가 없습니다.
마.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1) 이사 및 감사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천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식매수선택권의공정가치 총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제외) | 4 | 50,440 | - |
사외이사 | 3 | - | - |
감사 | 1 | - | - |
계 | 8 | 50,440 | - |
(2) 미행사된 주식매수선택권 내역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원 ) |
부여받은자 | 관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최초부여수량 | 당기변동수량 | 총변동수량 | 기말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의무보유여부 | 의무보유기간 | |||||
---|---|---|---|---|---|---|---|---|---|---|---|---|---|---|---|---|---|
증가 | 감소 | 증가 | 감소 | ||||||||||||||
무상증자 | 행사 | 취소 | 액면분할 | 무상증자 | 행사 | 취소 | |||||||||||
조태연 | 등기임원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36,000 | - | - | - | - | 72,000 | (14,000) | - | 94,000 | 2022.01.23~2027.01.22 | 1,807 | 여 | 24개월 |
변창환 외 2인 | 기타 | 2019.01.22 | 신주교부 | 보통주 | 32,400 | - | - | - | - | 64,800 | (14,000) | - | 83,200 | 2022.01.23~2027.01.22 | 1,807 | 부 | - |
김훈 | 임직원 | 2020.03.31 | 신주교부 | 보통주 | 12,000 | - | - | - | - | 24,000 | (18,000) | - | 18,000 | 2023.04.01~2028.02.28 | 2,967 | 여 | 24개월 |
김수진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20,000 | - | -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여 | 24개월 |
정하림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20,000 | - | -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여 | 24개월 |
장순호 | 임직원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20,000 | - | - | 30,000 | 2025.03.31~2030.03.30 | 6,667 | 여 | 24개월 |
곽춘 외 1인 | 외부전문가 | 2022.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43,000 | - | - | - | - | - | - | (43,000) | - | - | - | - | - |
곽춘 외 2인 | 외부전문가 | 2024.03.28 | 신주교부 | 보통주 | 68,000 | - | - | - | - | 136,000 | - | - | 204,000 | 2026.03.29~2028.03.30 | 7,334 | 부 | - |
합 계 | - | - | 221,400 | - | - | - | - | 356,800 | (46,000) | (43,000) | 489,200 | - | - | - | - |
주1) | 2024년 6월 무상증자에 따른 부여 주식수 및 행사 가격의 조정을 반영하였습니다. |
주2) | 2022년 3월 30일 곽춘 외 1인에게 43,000주를 부여하였으나 부여 취소되었습니다. |
1. 계열회사 등의 현황
가. 기업집단의 명칭 및 소속회사의 명칭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 | - | 1 | 1 |
나. 계열회사간 계통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열회사를 100% 자회사로 지배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천원) |
종속기업 | 소재지 | 업종 | 결산월 | 자산총액 |
---|---|---|---|---|
㈜디지털그래피 | 대한민국 | 치과용 기기 제조 | 12월 | 38,951 |
다. 계열회사간의 업무조정이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기구 또는 조직이 있는 경우 그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계열회사 중 회사의 경영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회사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회사와 계열회사간 임원 겸직 현황
회사명 | 성명 | 직책명 | 담당업무 | 재직기간 |
---|---|---|---|---|
디지털그래피 | 심운섭 | 대표이사 | 경영총괄 | 5년 |
2. 타법인 출자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가. 가지급금 및 대여금에 대한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담보제공 및 채무보증 등 당사 대표이사 심운섭은 (주)그래피의 IP담보대출(총액 20억 원)과 관련하여,그 중 12억 원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제공하였음. 다. 그 밖의 보증의 성격을 가지는 이행약속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
가. 증권 등 매수 또는 매도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부동산 매매 또는 임대차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기타 무형자산의 매입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가. 특수관계자 현황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종속기업 | ㈜디지털그래피 | ㈜디지털그래피 |
기타특수관계자 | ㈜덴탈그래피 | ㈜덴탈그래피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주요경영진 및 기타특수관계자 |
나. 특수관계자 현황 당사는 상기 특수관계와 매출 매입 거래가 존재하며 거래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회사명 | 관계 | 구분 | 2025년 1분기(제9기) | 2024년 (제8기) | 2023년 (제7기) | 2022년 (제6기) |
---|---|---|---|---|---|---|
㈜디지털그래피 | 종속 | 매출 | 6,300 | 24,300 | 24,000 | 24,930 |
기타비용 | 17,394 | 94.688 | 68,783 | 800 | ||
매출채권 | - | - | 31,051 | 25,223 | ||
기타채권 | - | - | - | 9,289 | ||
기타채무 | 37,837 | 30,604 | 23,866 | 20,000 | ||
덴탈그래피 | 기타 | 매출 | - | 6,000 | 12,000 | 12,000 |
기타비용 | - | 11,600 | 34,945 | - | ||
매출채권 | - | - | - | 13,200 | ||
기타채권 | - | - | - | 9,003 | ||
기타채무 | - | - | 1,288 | -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 수표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중소기업 등 기준검토표] |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단위 : 천원)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디지털그래피 | 2021.02.09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601호 (가산동, 에이스 가산포휴) | 치과용 기기 제조 | 30,777 | 지분 100% 보유 | 해당 없음 |
2. 계열회사 현황(상세)
가. 종속기업 현황 당분기말 (2025년 3월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 | 소재지 |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디지털그래피 | 대한민국 | 100% | 12월 | 치과용 기기 제조 |
나. 종속기업 현황 당분기(2025년 3월말)와 전기(2024년 12월말)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 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자본 | 매출 | 당기순손익 | 총포괄손익 |
---|---|---|---|---|---|---|
(주)디지털그래피 | 38,951 | 3,614 | 35,337 | 17,394 | 6,248 | 6,248 |
(전기말) | (단위 : 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자본 | 매출 | 당기순손익 | 총포괄손익 |
---|---|---|---|---|---|---|
(주)디지털그래피 | 30,777 | 1,689 | 29,088 | 94,688 | 37,532 | 37,532 |
3. 타법인 출자현황(상세)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