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인스피언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4일
회 사 명 : 인스피언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최 정 규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78, 1309호, 1310호, 1311호(가산동, 에스제이테크노빌)
(전 화)02-857-8040
(홈페이지)http://www.inspien.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김 미 령
(전 화)02-6335-804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4조에 의거, 제1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31일(월) 오전 9시2. 장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65, 1508-1호 회의실(백상스타타워)

3. 회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2)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6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최정규 선임의 건(재선임)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전동일 선임의 건(재선임)

제2-3호 의안 : 사내이사 신동하 선임의 건(재선임) 제2-4호 의안 : 사내이사 이승현 선임의 건(재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지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정기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결권을 행사하실 실질주주께서는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본인 신분증

- 대리행사: 위임장(주주와의 관계,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1부), 대리인의 신분증

7. 담당자 : 인스피언(주) 인사총무팀 ☎) 02-857-8040

2025년 3월 14일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78, 1309호, 1310호, 1311호(가산동, 에스제이테크노빌)인스피언 주식회사대표이사 최 정 규(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현철(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24-01 2024.01.02 사규 제정(윤리규정)의 건 찬성
2024-02 2024.01.23 제3자배정 유상증자 실시의 건자기주식처분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024-03 2024.02.07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의 자본전입에 관한 건사규(우리사주운영규정) 제정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024-04 2024.03.04 2023년 재무제표, 영업보고 승인의 건제1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2024년 2월 퇴사자)

찬성찬성

찬성

2024-05 2024.04.03 코스닥시장 상장 동의의 건 찬성
2024-06 2024.05.08 사규 개정(우리사주운영규정)의 건 찬성
2024-07 2024.08.14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 찬성
2024-08 2024.12.30 2024년 영업 인센티브 미지급 승인의 건주식매수선택권 취소의 건(2024년 퇴사자)사규(복리후생비규정) 개정의 건 찬성찬성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000 13,500 13,500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원의 보수한도 총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당사의 사업은 1) EAI 구축 및 컨설팅, 2) SAP 보안 솔루션, 3) EDI SaaS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EAI는 조직 내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흐름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EAI 시장의 성장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확대가 이끌고 있으며, 전통적인 시스템과 현대적인 IT 환경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기업의 니즈를 EAI가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SAP 보안 솔루션은 SAP사 제품을 위한 보안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기업들이 영업 및 마케팅, 조달, 공급망 관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운영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ERP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ERP 시장 내 1위 사업자인 SAP 관련 솔루션 시장은 향후에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DI는 기업간에 비즈니스 문서 및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프로세스 단축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니즈가 확대됨에 따라 EDI를 도입하는 기업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당사의 최종 소비자는 대부분 사기업으로, 당사의 사업은 기업의 IT 예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전세계 IT 지출 중 IT 서비스의 지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기업들이 조직 효율성과 최적화를 위해 더욱 많은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IT 예산 지출은 당사의 EAI, EDI 솔루션 사업에 우호적인 환경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보보안 솔루션의 경우, 2023 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업체의 정보보호 제품 및 서비스 이용률은 99.5%로 전년 대비 18.8%p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보다 많은 기업이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다만, 최근 1년간 정보보호 관련 활동을 위해 예산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기업의 비중은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사업영역이 정보보호와 무관하다고 판단한 기업이 정보보호와 관련 예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률이 강화되는 추세임에 따라 영위하는 사업이 개인정보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높지 않더라도 정보보호 관련 활동을 위해 예산을 사용하는 기업의 비중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보 보호 관련 법률 강화, 기업 효율화에 대한 니즈 증가는 당사의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쟁요소당사가 영위하는 EAI, SAP 보안, EDI 솔루션 사업은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여 공고한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EAI 솔루션 영업을 대형 SI회사와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형 SI 회사는 ERP 구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다양한 기술 영역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나, 자체적으로 EAI 관련 역량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시장 인지도가 높은 당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대형 SI회사와의 협력 사례는 당사의 시장 내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AP 보안솔루션 사업의 경우에도 당사는 다수의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시장 내에서 신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여 고객사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당사만의 독자적인 접속기록/분리보관 및 파기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 유일 SaaS 기반 EDI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타사와는 차별화된 역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aaS 형태의 EDI를 지원함으로써 대기업 뿐만 아니라 그동안 EDI를 사용하지 않았던 비교적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신규 수요를 확보하였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타사가 제공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경쟁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신규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연구를 향후에도 이어갈 계획입니다.

(4)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당사항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가) 영업개황

1)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는 조직 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흐름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조직 내 다른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정보 접근성을 높이며, IT 인프라의 유연성을 증가시킵니다. EAI의 주요 목적은 정보 사일로를 방지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함으로써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2) 정보보안솔루션 정보보안솔루션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중요한 정보자산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유출 등의 사고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반의 기술적인 해결책입니다.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이 강화되어 정보보안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3)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는 기업간에 비즈니스 문서 및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종이 기반의 비즈니스문서(예: 주문서, 송장, 견적서 등)가 사용되었지만, EDI를 통해 이러한 문서들을 전자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단위 : 천원, %)
구분 제 16 기 제 15 기 제품설명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컨설팅 7,731,560 40.62 6,888,227 42.83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
솔루션 8,997,132 47.27 7,536,744 46.86 소프트웨어, 구축 서비스, 유지보수
서비스 2,016,343 10.59 1,371,792 8.53 소프트웨어, 구축 서비스, 유지보수
임대 등 290,158 1.52 286,694 1.78 부동산 임대
합계 19,035,193 100 16,083,457 100 -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사업부문에 대하여 경쟁업체가 부재하거나,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가 부재하여 객관적인 시장점유율 산출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가) ERP시장 규모와 전망

당사가 영위하는 EAI, 보안솔루션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전방시장인 ERP 시장의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시장조사기관 Research Nester에 따르면, ERP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3년부터 연평균 약 10% 성장하여 2035년 1,310억 달러가 넘는 시장 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적으로 기업들이 영업 및 마케팅, 조달, 공급망 관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화하고 운영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ERP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ERP를 도입하는 기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EAI솔루션 및 SAP 보안 제품의 전방시장으로 볼 수 있는 SAP 코리아의 최근 10년간 소프트웨어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SAP코리아는 `23년 소프트웨어 매출 4,098억원을 시현하며, 전년 3,418억원 대비 680억, 20%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SAP 코리아는 2014년 이후 10년간 CAGR 5.1%의 꾸준한 매출 성장률을 보여주며 국내 ERP 시장 1위 업체로 자리잡았습니다.또한, SAP의 기존 제품에 대한 서비스 종료는 SAP 암호화 솔루션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 ERP 시장 1위 사업자인 SAP가 2027년 이후 기존 ERP에서 대한 서비스 종료를 발표함에 따라, 기존 SAP 고객사는 버전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SAP 버전업 시, 기존에 암호화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던 기관들도 암호화 솔루션을 도입하게 되고 변화된 SAP에 맞는 암호화 솔루션을 적용해야 합니다.

(나) EAI시장 규모와 전망NICE디앤비에 따르면, 국내 EAI 솔루션 시장은 2018년 643.2억원에서 연평균 15.8% 성장하여 2028년 2,789.4억원 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EAI 시장의 성장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 확산 및 클라우드 연계에 대한 필요성 증가가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기업의 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전환은 SaaS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내 기업의 SaaS 전환 가속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SaaS 시장은 다양한 SaaS 전문 업체 출현과 해당 기업들의 고성장, 기존 업체들의 클라우드 전환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워크데이 등 SaaS 전문업체로 출범한 기업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SAP 등 전통적 SW 업체도 SaaS 서비스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SaaS로의 전환은 기업이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재구축으로 이어져 통합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보안솔루션 시장 규모와 전망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소프트웨어 시장은 2022년 19억 9천만 달러 규모를 달성하였습니다. 해당 시장은 2023년 27억 6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40.9% 성장하여 2030년 303억 1천만 달러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의 경우, 2023년 전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총 17조원으로 2022년 대비 4% 증가하였습니다. 그 중 당사의 제품이 속하는 ‘정보보안’ 영역은 2015년 ~ 2023년까지 연평균 14%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당사의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은 아래 분류에 따르면 ‘컨텐츠/데이터 보안 솔루션’에 포함되며, 2023년 국내 기준 5,639억 규모의 시장으로 추산됩니다.

2024.03.15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에 따르면 개인정보 보호법의 규제 대상과 과징금이 확대되면서 개인정보 접속기록 관리 솔루션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향후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개정된 법령에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및 국외이전 요건 다양화 근거 신설 △과징금·벌칙 규정 개정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 평가 근거 신설 △온·오프라인 규제 일원화 △개인정보 분쟁 심의 시 모든 개인정보 처리자 의무 참여 등의 핵심 내용들이 포함되어 개인정보 보호 솔루션에 대한 민간의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라) EDI 시장 규모와 전망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2023년 전세계 EDI 시장은 19억 8천만 달러로, 연평균 12.5% 성장하여 2030년 45억 2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EDI 시장의 성장은 프로세스 단축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니즈가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양한 회사와 거래할 때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 처리하게 될 경우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서로 다른 양식으로 인해 의사소통 하는 과정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부품 혹은 거래처가 많은 자동차 회사 및 유통/물류 회사의 경우 EDI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따라 이들과 거래하는 기업들 또한 EDI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EDI를 도입하는 기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타 IT 서비스와 유사하게 EDI 또한 SaaS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존 EDI 시스템이 데이터 처리에 있어 표준 규격을 제공하여 정보 교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는 하였지만 점차 프로토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 리소스가 등장하고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종류 역시 다양해지면서 보다 범용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EDI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매 없이 SaaS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EDI 표준과 통신 프로토콜 등을 보다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데이트 및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교체 비용,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유지비용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역시 기존 EDI 시스템 대비 클라우드 EDI 서비스가 갖는 우위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EAI 사업부 ① 자사 EAI솔루션 사업

사업 소개 세부 내용
사업 개요 클라우드 기반의 SaaS형 EAI솔루션 개발을 통해 EAI시장 내 사업 영역을 확대합니다.
추진 배경

현재 IT 환경이 클라우드 우선접근 방식으로 진화하고, 과거와 다른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및 대량의 이벤트 데이터 지원 등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중소규모의 기업의 IT 인프라 환경 특성 상 통합솔루션의 도입을 위해 빠른 시작/구축, 초기 배포/실행을 위한 비용절감, 유지관리 편의성의 요건을 갖춘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솔루션 Needs가 시장에서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진행 상황

1. 기존 Kafka 기반으로 EAI솔루션의 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어댑터 등과 같은 기능요소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자사의 커넥트서비스는 EAI와 근본적으로 시스템 간 통합이라는 유사한 기술과 서비스이며, 이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구축, 운영, 서비스 부분에 관한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 가능합니다.

3. 단기간 내에 클라우드 기반 EAI를 사업화하여 수행할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SAP PO to SAP IS 자동화 전환 시스템 구축사업

사업 소개 세부 내용
사업 개요 사용중인 설치형 EAI솔루션을 SaaS형 EAI솔루션(SAP Integration Suite)으로 전환합니다.
추진 배경

SAP 의 통합 전략 변화로 인하여 기존 SAP PO솔루션 도입 고객은 SAP IS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SAP 공식 계획 : SAP PO 7.5 의 Mainstream maintenance 2027년 말, Extended maintenance 옵션은 2030년 말 서비스 종료 예정 입니다.

현재 국내 SAP PO 도입 회사는 약 200여개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SAP IS로의 전환 대상 고객입니다.

진행 상황 SAP 에서 SAP PO를 SAP IS로 전환하기 위한 마이그레이션 툴을 2023년 3Q에 발표하였으며, 3rd Party로 해외 기업 중 Figaf, INT4 등이 관련하여 툴을 출시했습니다. 당사 사업부는 오랜기간 축적한 SAP EAI솔루션 커스터마이징 기술을 활용해 국내 실정에 맞는 자동화 전환 툴을 출시하고자 합니다.

( 나) 보안솔루션 사업부

① PerfecTwin ERP Edition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 (LGCNS)

사업 소개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SAP사 솔루션을 위한 주요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 개발을 진행 하고있는 LGCNS와 공동개발 협약을 맺고 인스피언의 주요 기술을 제공하여 사업화를 준비 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2023년 말 제품 개발 완료 후 2024년부터 LG그룹사를 선두로 해외 SAP 고객사를 위한 판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추진 배경

LGCNS의 PerfecTwin 제품은 세계 최초로 100% 실거래 데이터를 검증하는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은행과 같이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제한된 검증 시나리오와 테이터만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검증할 경우, 실제 시스템 오픈 시 예상하지 못한 오류에 의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PerfecTwin은 기존 운영 시스템의 실거래 데이터를 캡처한 후 차세대 시스템 자동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당사의 BizInsider xCon LC (Live Captue)는 SAP사 ERP를 위한 병행검증솔루션인 “PerfecTwin ERP Edition”을 위해 SAP ERP의 데이터를 실시간 캡쳐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PerfecTwin ERP Edition”에서는 전체 테스트 케이스를 관리하게 됩니다.

진행 상황 LGCNS 와 당사는 SAP사 ERP를 위한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을 23년 말 개발 완료하여 24년 05월 LG엔솔과 계약 후 12월 까지 국내 사용자 대상으로 구축 완료 하였고 25년 06월 까지 국외 사용자를 대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해외 SAP 고객사 판매을 위해 LGCNS 주관으로 SAP 최대 행사인 “사파이어”에 2024년 05월 참석하여 해외 고객사을 위한 영업을 시작 하였습니다.

② BizInsider SIEM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개발

사업 소개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통합로그관리 솔루션 (BizInsider PLUS) 에서 수집된 각종 보안로그를 기반으로 실시간을 이상행위를 탐지하기 위한 솔루션인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은 수집된 로그를 공격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전문기관의 위협정보를 받아 탐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대한 위협을 탐지 할 수 있습니다.
추진 배경

각종 보안 로그를 수집하는 통합로그관리 솔루션에서도 단순한 이상행위를 탐지 할 수 있지만, 지능화 되고 고도화된 위협을 탐지 하기 위해서는 전문기관의 위협정보 와 기계학습을 통한 실시간 시나리오 기반의 탐지 기능이 필요합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은 통합로그관리 솔루션 (BizInsider PLUS) 에서 수집된 로그를 전문기관의 위협정보 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시나리오 기반으로 이상행위를 탐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 에서 탐지된 이상행위는 AhnLab SOAR Essential 제품으로 전달되어 자동대응을 가능하도록 합니다. 당사는 로그수집 (BizInsider PLUS), 이상행위 탐지 (BizInsider SIEM), 자동대응 (AhnLab SOAR Essential)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이상행위 탐지 대응을 위한 전체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진행 상황 2025년 상반기 정식 제품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 진행과 동시에 필요한 GS인증, CC인증을 2025년 하반기에 진행하며 2025년 중으로 나라장터 종합쇼핑에 등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③ SAP CVA ( 소스코드취약점 분석 솔루션) 상품 판매 (SAP Korea)

사업 소개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SAP를 위한 개인정보 암호화/접속기록/분리보관및파기 와 같은 SAP에 특화된 보안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필요한 보안 솔루션들을 당사의 SAP 보안포트폴리오에 추가해서 사업영역을 확장 하고자 합니다.
추진 배경

SAP 에서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ABAP이라고 하는 SAP 회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BAP 개발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JAVA 및 C 와 같이 개발자가 업무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취약점이 존재할수있어 소스코드 취약점에 대한 조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미국은 2002년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제정해 시큐어 코딩을 의무화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비스타(Windows Vista) 개발 때 이를 도입했고, 우리나라는 2009~2011년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 시범사업을 했으며, 2012년 12월부터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의무제’가 시행되어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 지침’에 따라 평가·인증 받은 제품 (CC인증·보안기능 확인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진행 상황 당사는 SAP사에서 개발한 SAP 소스코드 취약점 분석도구인 SAP CVA (Code Vulnerability Analyzer) 솔루션 대해 당사를 신청기관으로 하여 보안기능확인서를 취득하였습니다. 보안기능확인서 발급 이전에는 공공기관이 SAP 소스코드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해 CVA를 도입하려 해도 보안기능확인서가 없어서 도입이 불가하였으나, 해당 인증을 통해 50여개의 SAP를 사용하는 공공기관에 적용 및 납품이 가능하게 되었고, 500여개 이상의 일반기업에도 도입을 확대해 갈 것으로 기대 합니다.

(다) EDI 사업부① 기업간 연계 방식 확장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API Gateway는 서비스를 기업 외부로 노출시켜, REST/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실시간 API 호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외부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내부 API를 보호하고, JWT/OAuth 등의 다양한 인증방식을 제공하며 기업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OpenAPI 명세를 지원하여 API 에 대한 사용설명서 및 테스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추진 배경 기업 간의 전자거래를 위한 EDI 기술은 기업간에 실행되는 업무를 대신하기 때문에 주로 FTP, AS2, OFTP, VAN 등을 통한 비동기 처리 기술이 적용되어 왔습니다. 회사 업무에 모바일이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지고 IT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최근에는 실시간 업무처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REST, HTTP, gRPC 등의 경량 프로토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REST, HTTP, gRPC 등의 경량 프로토콜은 사용하기는 쉬워 보이나, 보안, 인증, 포털(사용설명서, 테스트 기능) 등의 부가적으로 필요한 많은 기능들로 인해 기업들이 도입하기에 어려운 상황입니다.
진행 상황 24년 출시한 API 서비스는 3개 고객사에서 이용중이며, 25년에는 트랙킹 API 보급을 위해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또한, 25년 3분기 출시를 목표로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내용은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재무제표는 K-IFRS 기준에 따라 작성된 개별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개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 ㆍ현금흐름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16기 2024. 12. 31 현재
제15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자 산
I. 유동자산 37,742,660,808 8,486,267,067
현금및현금성자산 29,110,475,655 5,383,350,82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413,590,538 2,115,840,090
계약자산 977,212,322 879,445,300
재고자산 41,410,000 -
단기금융상품 3,000,000,000 -
기타유동금융자산 30,890,000 30,890,000
기타유동자산 169,082,293 76,740,857
II. 비유동자산 20,359,809,291 16,328,816,644
유형자산 2,842,133,112 2,900,454,507
무형자산 247,747,581 80,421,000
투자부동산 5,326,053,185 5,427,535,26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비유동) 11,324,142,948 7,709,958,267
기타비유동자산 206,112,555 200,321,7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13,619,910 10,125,910
자 산 총 계 58,102,470,099 24,815,083,711
부 채
I. 유동부채 5,328,272,097 5,582,015,444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797,928,532 1,343,084,341
단기차입금 2,000,000,000 2,500,000,000
계약부채 484,246,391 614,750,802
기타유동금융부채 229,000,000 147,000,000
기타유동부채 441,469,030 560,090,951
당기법인세부채 375,628,144 417,089,350
II. 비유동부채 115,450,309 308,132,38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35,000,000 117,000,000
이연법인세부채 80,450,309 191,132,383
부 채 총 계 5,443,722,406 5,890,147,827
자 본
I. 자본금 1,013,777,200 236,500,000
자본금 1,013,777,200 236,500,000
II. 자본조정 28,745,050,314 (1,737,600)
주식할인발행차금 - (1,437,600)
주식발행초과금 28,048,606,530 -
자기주식 - (300,000)
자기주식처분이익 59,965,710 -
주식매입선택권 636,478,074 -
III. 이익잉여금 22,899,920,179 18,690,173,484
미처분이익잉여금 22,899,920,179 18,690,173,484
자 본 총 계 52,658,747,693 18,924,935,884
부 채 및 자 본 총 계 58,102,470,099 24,815,083,711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6 기 (2024.01.01부터 2024.12.31까지)

제 15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I. 영업수익 19,035,192,738 16,083,457,507
II. 영업비용 15,250,907,055 12,050,872,684
III. 영업이익 3,784,285,683 4,032,584,823
IV. 영업외손익 912,804,212 1,683,966,747
기타수익 169,804,620 580,170,770
기타비용 281,200 964,865
금융수익 1,225,559,372 1,240,554,005
금융원가 482,278,580 135,793,163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697,089,895 5,716,551,570
VI. 법인세비용 487,343,200 660,637,383
VII. 당기순이익 4,209,746,695 5,055,914,187
VII. 총포괄이익 4,209,746,695 5,055,914,187
IX. 주당손익
기본주당손익 507 669
희석주당손익 506 669

<자 본 변 동 표>
제 16 기 (2024.01.01부터 2024.12.31까지)
제 15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단위: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총 계
2023.01.01(당기초)(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236,500,000 (1,437,600) 13,634,259,297 13,869,321,697
I. 총포괄이익
당기순이익 - - 5,055,914,187 5,055,914,187
II.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자기주식의 취득 - (300,000) - (300,000)
2023.12.31(당기말) 236,500,000 (1,737,600) 18,690,173,484 18,924,935,884
2024.01.01(당기초)(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236,500,000 (1,737,600) 18,690,173,484 18,924,935,884
I. 총포괄이익
당기순이익 - - 4,209,746,695 4,209,746,695
II.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239,633,500 28,587,687,830 - 28,827,321,330
무상증자 537,643,700 (537,643,700) -
자기주식의 취득 - 60,265,710 - 60,265,710
주식보상비용 - 636,478,074 - 636,478,074
2024.12.31(당기말) 1,013,777,200 28,745,050,314 22,899,920,179 52,658,747,693

<현 금 흐 름 표>
제 16 기 (2024.01.01부터 2024.12.31까지)
제 15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단위: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987,653,498 4,763,365,037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3,310,754,413 4,705,244,011
2. 이자의 수취 419,920,175 304,989,635
3. 이자의 지급 (87,690,320) (110,133,556)
4. 법인세의 납부 (655,330,770) (136,735,053)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260,675,993) (5,176,201,630)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1,276,965,993) (7,381,521,70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7,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증가 3,942,314,303 6,802,598,809
유형자산의 취득 125,316,805 347,711,193
무형자산의 취득 - -
기타비유동자산의 증가 208,834,885 200,321,700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500,000 30,890,0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4,016,290,000 2,205,320,072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4,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감소 - 2,185,697,130
유형자산의 처분 16,000,000 19,622,942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290,000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8,000,147,330 (300,000)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903,284,000) 300,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2,903,284,000 -
자기주식의 매입 - 300,0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0,903,431,330 -
단기차입금의 차입 2,000,000,000 -
유상증자 28,827,321,330 -
자기주식의 처분 76,110,000 -
IV. 현금의 증가(감소) 23,727,124,835 (413,136,593)
V. 기초의 현금 5,383,350,820 5,796,487,413
VI. 기말의 현금 29,110,475,655 5,383,350,820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재무제표 주석사항은 향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최정규 1971.02 - - 본인 이사회
전동일 1966.05 - - - 이사회
신동하 1970.12 - - - 이사회
이승현 1970.04 - - -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최정규 인스피언(주) 대표이사 - 아주대학교대학원 정보통신공학부 석사 -
01.10~10.04 라파앤컴퍼니 EAI컨설팅사업부 이사/본부장
10.04~현재 인스피언(주) 대표이사
전동일 인스피언(주) 전무 - 동국대학교 통계학 학사 -
03.04~10.04 라파앤컴퍼니 이사
10.07~현재 인스피언(주) 전무
신동하 인스피언(주) 전무 - 인하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
04.07~10.04 라파앤컴퍼니 이사
10.07~현재 인스피언(주) 전무
이승현 인스피언(주) 상무 - 아주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
04.10~10.04 라파앤컴퍼니 부장
10.07~현재 인스피언(주) 상무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최정규 없음 없음 없음
전동일 없음 없음 없음
신동하 없음 없음 없음
이승현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 최정규는 당사의 대표이사이자 사업전문가로 산업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보유하였으며, 회사의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성장을 이끌어온 뛰어난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왔으며 향후에도 대외 경쟁력 강화와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것으로 기대되어 이사회에서 추천함.후보자 전동일, 신동하 그리고 이승현은 당사의 컨설팅사업본부, 솔루션1사업본부 그리고 솔루션2사업본부의 총괄을 맡아 산업과 기술 분야에 대한 높은 전문성과 이해력을 가진 당사의 구성원으로서, 당사의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이사회에서 추천함

확인서

최정규.jpg 최정규

전동일.jpg 전동일

신동하.jpg 신동하

이승현.jpg 이승현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단위 : 명, 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 2025년 기준

(전기) (단위 : 명, 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89,704,706
최고한도액 2,000,000,000

※ 2024년 기준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단위 : 명, 원)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 2025년 기준

(전기) (단위 : 명, 원)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3,5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2024년 기준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1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 http://www.inspien.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당사는 주주들의 원활한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참여, 2025년 3월 31일 오전 9시에 주주총회 개최를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