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인스피언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9월 15일
회 사 명 : 인스피언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최 정 규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78,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호(가산동, 에스제이테크노빌)
(전 화)02-857-8040
(홈페이지)http://www.inspien.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김 미 령
(전 화)02-6335-8040

주주총회 소집공고
(2025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4조에 의거, 2025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6조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9월 30일(화) 오전 10시2. 장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78, 514호 인스피언 본사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지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임시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결권을 행사하실 실질주주께서는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본인 신분증

- 대리행사: 위임장(주주와의 관계,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1부), 대리인의 신분증

7. 담당자 : 인스피언(주) 인사총무팀 ☎) 02-857-8040

2025년 9월 15일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78,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호(가산동, 에스제이테크노빌)인스피언 주식회사대표이사 최 정 규(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현철(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24-01 2024.01.02 사규 제정(윤리규정)의 건 찬성
2024-02 2024.01.23 제3자배정 유상증자 실시의 건자기주식처분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024-03 2024.02.07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의 자본전입에 관한 건사규(우리사주운영규정) 제정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024-04 2024.03.04 2023년 재무제표, 영업보고 승인의 건제1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2024년 2월 퇴사자)

찬성찬성

찬성

2024-05 2024.04.03 코스닥시장 상장 동의의 건 찬성
2024-06 2024.05.08 사규 개정(우리사주운영규정)의 건 찬성
2024-07 2024.08.14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 찬성
2024-08 2024.12.30 2024년 영업 인센티브 미지급 승인의 건주식매수선택권 취소의 건(2024년 퇴사자)사규(복리후생비규정) 개정의 건 찬성찬성찬성
2025-01 2025.02.06 부동산 양수의 건 찬성
2025-02 2025.02.14 2024년 재무제표, 영업보고 승인의 건내부회계 운영실태 보고의 건내부회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찬성찬성찬성
2025-03 2025.02.28 제1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5-04 2025.03.31 대표이사(최정규) 선임의 건 찬성
2025-05 2025.06.12 사규개정의 건주식매수선택권 취소의 건 불참불참
2025-06 2025.06.20 본점이전의 건 불참
2025-07 2025.07.02 사규개정의 건 불참
2025-08 2025.07.21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찬성찬성
2025-09 2025.08.19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5-10 2025.08.22 부동산 담보 제공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000 12,000 12,000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원의 보수한도 총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당사의 사업은 1) EAI 구축 및 컨설팅, 2) SAP 보안 솔루션, 3) EDI SaaS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EAI는 조직 내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흐름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EAI 시장의 성장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확대가 이끌고 있으며, 전통적인 시스템과 현대적인 IT 환경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기업의 니즈를 EAI가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SAP 보안 솔루션은 SAP사 제품을 위한 보안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기업들이 영업 및 마케팅, 조달, 공급망 관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운영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ERP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ERP 시장 내 1위 사업자인 SAP 관련 솔루션 시장은 향후에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DI는 기업간에 비즈니스 문서 및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프로세스 단축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니즈가 확대됨에 따라 EDI를 도입하는 기업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2025년 현재 전 세계 IT 지출은 약 5.4조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8~9% 성장하였으며, 이 중 IT 서비스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가 크게 확대되고, 소프트웨어 지출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기업의 업무 효율화 및 최적화 수요를 뒷받침하며 당사의 EAI, EDI 솔루션 사업에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 정보보호 시장은 2025년 연평균 약 1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보안 및 관리형 보안 서비스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제 강화와 보안 위협 증가가 이러한 수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비록 일부 기업이 정보보호를 직접적인 사업영역과 연계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법규 강화와 사회적 인식 확산에 따라 정보보호 관련 예산 집행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글로벌 IT 지출 확대, 기업 효율화에 대한 니즈 증가, 개인정보 보호 법제 강화는 모두 당사의 사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당사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경쟁요소당사가 영위하는 EAI, SAP 보안, EDI 솔루션 사업은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여 공고한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EAI 솔루션 영업을 대형 SI회사와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형 SI 회사는 ERP 구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다양한 기술 영역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나, 자체적으로 EAI 관련 역량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시장 인지도가 높은 당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대형 SI회사와의 협력 사례는 당사의 시장 내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AP 보안솔루션 사업의 경우에도 당사는 다수의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시장 내에서 신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여 고객사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당사만의 독자적인 접속기록/분리보관 및 파기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 유일 SaaS 기반 EDI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타사와는 차별화된 역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aaS 형태의 EDI를 지원함으로써 대기업 뿐만 아니라 그동안 EDI를 사용하지 않았던 비교적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신규 수요를 확보하였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타사가 제공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경쟁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신규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연구를 향후에도 이어갈 계획입니다.

(4)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가) 영업개황

1)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는 조직 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흐름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조직 내 다른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정보 접근성을 높이며, IT 인프라의 유연성을 증가시킵니다. EAI의 주요 목적은 정보 사일로를 방지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함으로써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2) 정보보안솔루션정보보안솔루션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중요한 정보자산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유출 등의 사고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반의 기술적인 해결책입니다.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이 강화되어 정보보안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3)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는 기업간에 비즈니스 문서 및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종이 기반의 비즈니스문서(예: 주문서, 송장, 견적서 등)가 사용되었지만, EDI를 통해 이러한 문서들을 전자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단위 : 천원, %)
구분 제 17 기 반기 제 16기 제품설명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컨설팅 4,131,798 53.55 7,731,560 40.62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
솔루션 2,622,791 33.99 8,997,132 47.27 소프트웨어, 구축 서비스, 유지보수
서비스 820,594 10.64 2,016,343 10.59 소프트웨어, 구축 서비스, 유지보수
임대 등 140,455 1.82 290,158 1.52 부동산 임대
합계 7,715,638 100 19,035,193 100 -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사업부문에 대하여 경쟁업체가 부재하거나,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가 부재하여 객관적인 시장점유율 산출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가) ERP시장 규모와 전망

당사가 영위하는 EAI, 보안솔루션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전방시장인 ERP 시장의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시장조사기관 Research Nester에 따르면, ERP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3년부터 연평균 약 10% 성장하여 2035년 1,310억 달러가 넘는 시장 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적으로 기업들이 영업 및 마케팅, 조달, 공급망 관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화하고 운영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ERP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ERP를 도입하는 기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EAI솔루션 및 SAP 보안 제품의 전방시장으로 볼 수 있는 SAP 코리아의 최근 10년간 소프트웨어 매출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SAP코리아는 `24년 소프트웨어 매출 4,936억원을 시현하며, 전년 4,098억원 대비 838억, 20%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SAP 코리아는 2015년 이후 10년간 CAGR 5.98%의 꾸준한 매출 성장률을 보여주며 국내 ERP 시장 1위 업체로 자리잡았습니다. 또한, SAP의 기존 제품에 대한 서비스 종료는 SAP 암호화 솔루션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 ERP 시장 1위 사업자인 SAP가 2027년 이후 기존 ERP에서 대한 서비스 종료를 발표함에 따라, 기존 SAP 고객사는 버전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SAP 버전업 시, 기존에 암호화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던 기관들도 암호화 솔루션을 도입하게 되고 변화된 SAP에 맞는 암호화 솔루션을 적용해야 합니다.

(나) EAI시장 규모와 전망NICE디앤비에 따르면, 국내 EAI 솔루션 시장은 2018년 643.2억원에서 연평균 15.8% 성장하여 2028년 2,789.4억원 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EAI 시장의 성장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 확산 및 클라우드 연계에 대한 필요성 증가가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기업의 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전환은 SaaS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내 기업의 SaaS 전환 가속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SaaS 시장은 다양한 SaaS 전문 업체 출현과 해당 기업들의 고성장, 기존 업체들의 클라우드 전환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워크데이 등 SaaS 전문업체로 출범한 기업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SAP 등 전통적 SW 업체도 SaaS 서비스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SaaS로의 전환은 기업이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재구축으로 이어져 통합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보안솔루션 시장 규모와 전망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소프트웨어 시장은 2022년 19억 9천만 달러 규모를 달성하였습니다. 해당 시장은 2023년 27억 6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40.9% 성장하여 2030년 303억 1천만 달러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의 경우, 2023년 전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총 17조원으로 2022년 대비 4% 증가하였습니다. 그 중 당사의 제품이 속하는 ‘정보보안’ 영역은 2015년 ~ 2023년까지 연평균 14%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당사의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은 2024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의 정보보안산업 중분류 매출현황에 따르면 ‘컨텐츠/데이터 보안 솔루션’에 포함되며, 2023년 국내 기준 5,639억 규모의 시장으로 추산됩니다.

2024.03.15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에 따르면 개인정보 보호법의 규제 대상과 과징금이 확대되면서 개인정보 접속기록 관리 솔루션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향후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개정된 법령에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및 국외이전 요건 다양화 근거 신설 △과징금·벌칙 규정 개정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 평가 근거 신설 △온·오프라인 규제 일원화 △개인정보 분쟁 심의 시 모든 개인정보 처리자 의무 참여 등의 핵심 내용들이 포함되어 개인정보 보호 솔루션에 대한 민간의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라) EDI 시장 규모와 전망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2023년 전세계 EDI 시장은 19억 8천만 달러로, 연평균 12.5% 성장하여 2030년 45억 2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EDI 시장의 성장은 프로세스 단축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니즈가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양한 회사와 거래할 때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 처리하게 될 경우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서로 다른 양식으로 인해 의사소통 하는 과정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부품 혹은 거래처가 많은 자동차 회사 및 유통/물류 회사의 경우 EDI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따라 이들과 거래하는 기업들 또한 EDI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EDI를 도입하는 기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타 IT 서비스와 유사하게 EDI 또한 SaaS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존 EDI 시스템이 데이터 처리에 있어 표준 규격을 제공하여 정보 교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는 하였지만 점차 프로토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 리소스가 등장하고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종류 역시 다양해지면서 보다 범용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EDI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매 없이 SaaS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EDI 표준과 통신 프로토콜 등을 보다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데이트 및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교체 비용,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유지비용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역시 기존 EDI 시스템 대비 클라우드 EDI 서비스가 갖는 우위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EAI 사업부 ① 자사 EAI솔루션 사업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클라우드 기반의 SaaS형 EAI솔루션 개발을 통해 EAI시장 내 사업 영역을 확대합니다.
추진 배경

현재 IT 환경이 클라우드 우선접근 방식으로 진화하고, 과거와 다른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및 대량의 이벤트 데이터 지원 등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중소규모의 기업의 IT 인프라 환경 특성 상 통합솔루션의 도입을 위해 빠른 시작/구축, 초기 배포/실행을 위한 비용절감, 유지관리 편의성의 요건을 갖춘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솔루션 니즈가 시장에서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진행 상황

1. 기존 Kafka 기반으로 EAI솔루션의 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어댑터 등과 같은 기능요소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자사의 커넥트서비스는 EAI와 근본적으로 시스템 간 통합이라는 유사한 기술과 서비스이며, 이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구축, 운영, 서비스 부분에 관한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 가능합니다.

3. 단기간 내에 클라우드 기반 EAI를 사업화하여 수행할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SAP PO to SAP IS 자동화 전환 시스템 구축사업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사용중인 설치형 EAI솔루션을 SaaS형 EAI솔루션(SAP Integration Suite)으로 전환합니다.
추진 배경

SAP의 통합 전략 변화로 인하여 기존 SAP PO솔루션 도입 고객은 SAP IS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SAP 공식 계획 : SAP PO 7.5 의 Mainstream maintenance 2027년 말, Extended maintenance 옵션은 2030년 말 서비스 종료 예정입니다.

현재 국내 SAP PO 도입 회사는 약 200여개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SAP IS로의 전환 대상 고객입니다.

진행 상황 SAP에서 SAP PO를 SAP IS로 전환하기 위한 마이그레이션 툴을 2023년 3Q에 발표하였으며, 3rd Party로 해외 기업 중 Figaf, INT4 등이 관련하여 툴을 출시했습니다. 당사 사업부는 오랜기간 축적한 SAP EAI솔루션 커스터마이징 기술을 활용해 국내 실정에 맞는 자동화 전환 툴을 출시하고자 합니다.

(나) 보안솔루션 사업부

① PerfecTwin ERP Edition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 (LGCNS)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SAP사 솔루션을 위한 주요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 개발을 진행 하고있는 LGCNS와 공동개발 협약을 맺고 인스피언의 주요 기술을 제공하여 사업화를 준비 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2023년 말 제품 개발 완료 후 2024년부터 LG그룹사를 선두로 해외 SAP 고객사를 위한 판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추진 배경

LGCNS의 PerfecTwin 제품은 세계 최초로 100% 실거래 데이터를 검증하는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은행과 같이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제한된 검증 시나리오와 데이터만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검증할 경우, 실제 시스템 오픈 시 예상하지 못한 오류에 의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PerfecTwin은 기존 운영 시스템의 실거래 데이터를 캡처한 후 차세대 시스템 자동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당사의 BizInsider xCon LC (Live Capture)는 SAP사 ERP를 위한 병행검증솔루션인 “PerfecTwin ERP Edition”을 위해 SAP ERP의 데이터를 실시간 캡쳐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PerfecTwin ERP Edition”에서는 전체 테스트 케이스를 관리하게 됩니다.

진행 상황 LGCNS 와 당사는 SAP사 ERP를 위한 SAP 시험/검증 자동화 솔루션을 23년 말 개발 완료하여 24년 05월 LG엔솔과 계약 후 12월까지 국내 사용자 , 25년 12월 까지 국외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동시에 해외 SAP 고객사 판매를 위해 LGCNS 주관으로 SAP 최대 행사인 “사파이어”에 2024년 05월 참석하여 해외 고객사을 위한 영업을 시작 하였습니다.

② BizInsider SIEM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개발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통합로그관리 솔루션 (BizInsider PLUS) 에서 수집된 각종 보안로그를 기반으로 실시간을 이상행위를 탐지하기 위한 솔루션인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를 개발하였습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은 수집된 로그를 공격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전문기관의 위협정보를 받아 탐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대한 위협을 탐지 할 수 있습니다.
추진 배경

각종 보안 로그를 수집하는 통합로그관리 솔루션에서도 단순한 이상행위를 탐지 할 수 있지만, 지능화 되고 고도화된 위협을 탐지 하기 위해서는 전문기관의 위협정보와 기계학습을 통한 실시간 시나리오 기반의 탐지 기능이 필요합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은 통합로그관리 솔루션 (BizInsider PLUS) 에서 수집된 로그를 전문기관의 위협정보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시나리오 기반으로 이상행위를 탐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통합보안관리 솔루션 (BizInsider SIEM) 에서 탐지된 이상행위는 AhnLab SOAR Essential 제품으로 전달되어 자동대응을 가능하도록 합니다. 당사는 로그수집 (BizInsider PLUS), 이상행위 탐지 (BizInsider SIEM), 자동대응 (AhnLab SOAR Essential)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이상행위 탐지 대응을 위한 전체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진행 상황 2025년 1분기 BizInsider SIEM 제품을 정식 출시하였고, 4개의 고객사를 확보하여 프로젝트 수행중에 있습니다. 2분기에 GS 1등급 인증을 취득 하였고, 3분기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등록, 4분기 CC인증 취득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③ SAP CVA (소스코드취약점 분석 솔루션) 상품 판매 (SAP Korea)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당사는 SAP를 위한 개인정보 암호화/접속기록/분리보관및파기 와 같은 SAP에 특화된 보안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필요한 보안 솔루션들을 당사의 SAP 보안포트폴리오에 추가해서 사업영역을 확장 하고자 합니다.
추진 배경

SAP에서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ABAP이라고 하는 SAP 회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BAP 개발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JAVA 및 C 와 같이 개발자가 업무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취약점이 존재할수있어 소스코드 취약점에 대한 조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미국은 2002년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제정해 시큐어 코딩을 의무화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비스타(Windows Vista) 개발 때 이를 도입했고, 우리나라는 2009~2011년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 시범사업을 했으며, 2012년 12월부터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의무제’가 시행되어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 지침’에 따라 평가·인증 받은 제품 (CC인증·보안기능 확인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진행 상황 당사는 SAP사에서 개발한 SAP 소스코드 취약점 분석도구인 SAP CVA (Code Vulnerability Analyzer) 솔루션 대해 당사를 신청기관으로 하여 보안기능확인서를 취득하였습니다. 보안기능확인서 발급 이전에는 공공기관이 SAP 소스코드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해 CVA를 도입하려 해도 보안기능확인서가 없어서 도입이 불가하였으나, 해당 인증을 통해 50여개의 SAP를 사용하는 공공기관에 적용 및 납품이 가능하게 되었고, 500여개 이상의 일반기업에도 도입을 확대해 갈 것으로 기대 합니다.

(다) EDI 사업부① 기업간 연계 방식 확장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API Gateway는 서비스를 기업 외부로 노출시켜, REST/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실시간 API 호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외부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내부 API를 보호하고, JWT/OAuth 등의 다양한 인증방식을 제공하며 기업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OpenAPI 명세를 지원하여 API 에 대한 사용설명서 및 테스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추진 배경 기업 간의 전자거래를 위한 EDI 기술은 기업간에 실행되는 업무를 대신하기 때문에 주로 FTP, AS2, OFTP, VAN 등을 통한 비동기 처리 기술이 적용되어 왔습니다. 회사 업무에 모바일이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지고 IT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최근에는 실시간 업무처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REST, HTTP, gRPC 등의 경량 프로토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REST, HTTP, gRPC 등의 경량 프로토콜은 사용하기는 쉬워 보이나, 보안, 인증, 포털(사용설명서, 테스트 기능) 등의 부가적으로 필요한 많은 기능들로 인해 기업들이 도입하기에 어려운 상황입니다.
진행 상황 2024년 출시한 API 서비스는 3개 고객사에서 이용중이며, 2025년에는 트랙킹 API 보급을 위해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② 전자세금계산서 개발

구 분 세부 내용
사업 개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수신·보관·연동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본 서비스는 국세청 표준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규격(전자문서 XML 포맷, UBL 기반)과 연동하며, 홈택스 API·위수탁 발행 기능·자동화 연계 모듈을 포함합니다. 기업 ERP, 쇼핑몰, 회계프로그램 등과의 API 연동을 통해 자동 발행·실시간 수신 확인·정산 보고서 생성이 가능하며, 전자문서 보관법에 따른 10년간 보관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추가적으로 국내 B2B·B2C 환경 모두를 지원하며, 향후 Peppol·EU e-Invoicing 규격까지 확장 대응할 계획입니다.
추진 배경

「부가가치세법」 개정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전자 발행이 의무화되었으며, 전자문서 보관 의무와 발행 지연 가산세 규정 강화로 안정적·신속한 발행 시스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ERP·회계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확산으로 API 기반 전자세금계산서 연계 서비스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재택근무 및 분산형 조직 환경 확산에 따라 원격 발행·승인·보관 기능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글로벌 거래 기업의 e-Invoicing 규격(예: Peppol BIS, EU Directive 2014/55/EU) 의무화가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의 해외 수출·거래 시 국가별 표준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진행 상황

2025년 2분기까지 클라우드 기반 멀티테넌트 구조의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를 완료하였고, 국세청 연동 개발 환경 구축 및 API 연동 시험에 착수하여 세금계산서 발행·수신·조회·보관 기능의 개발을 1차로 완료하였습니다.3분기에는 전자세금계산서 표준인증서를 획득하고 4분기에는 정식 서비스를 런칭 할 계획입니다.

2026년에는 글로벌 확장을 위해 Peppol 연계 모듈을 개발하고 국제 규격에 대응하는 버전을 출시하는 한편, 유통·제조·플랫폼 등 대규모 고객사를 대상으로 영업을 적극 확대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신설>

제58조 (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주주가치제고 목적 신설

제58조 (배당금지급청구권 소멸시효)

① 배당금의 지급청구권은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② 제1항의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속한다.

제59조 (배당금지급청구권 소멸시효)

<좌동>

신설 조항 반영에 따른 조항 번호 변경

제59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사는 감사인선임위원회(또는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제60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좌동>

신설 조항 반영에 따른 조항 번호 변경
[부칙]제1조 (시행일) 본 정관은 2024년 02월 23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제1조 (시행일) 본 정관은 2025년 09월 30일부터 시행한다.

정관개정으로 인한 시행일 변경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임시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나. 의안의 요지

- 본 의안은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에 의거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는 배당재원을 확대하는 것으로 당사 주주환원정책 실행의 일환입니다.

- 자본준비금의 감액 규모는 약 200억원이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해당 재원은 향후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개인 주주의 경우, 비과세 배당은 원천징수(15.4%)를 하지 않기 때문에 주주는 배당금액의 100%를 수령하게 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최대 49.5%)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 세금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법인의 경우, 내국법인이 보유한 주식의 장부가액을 한도로 법인세법상 익금불산입이 적용됩니다.(*) 상법 제461조의2, 소득세법 시행령 제26조의3 제6항, 법인세법 제18조 제8호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사항이 없습니다.2)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 http://www.inspien.co.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 참고사항 ※ 소집통지서 발행에 관한 사항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정관 제26조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