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일자 | 2025-07-21 |
1. 정정관련 공시서류 | - | |
2. 정정관련 공시서류제출일 | 2025-07-21 | |
3. 정정사유 | 취득금액변경 | |
4. 정정사항 | ||
정정항목 | 정정전 | 정정후 |
취득금액 | 3,000,000,000 | 3,010,000,000 |
- |
1. 주권 관련 사채권의 종류 | 전환사채권 | ||||
회차 | 1 | 종류 | 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권 | ||
2. 사채권 발행회사 | 회사명(국적) | 에스티베타제일차 주식회사 | 대표이사 | 배지혜 | |
자본금(원) | 380,001,000 | 회사와 관계 | 자회사 | ||
발행주식총수(주) | 3,800,010 | 주요사업 | 소화용 가스제조 및 판매업 | ||
최근 6월 이내 제3자 배정에 의한 신주취득 여부 | 아니오 | ||||
3. 취득내역 |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원) | 3,000,000,000 | |||
취득금액(원) | 3,010,000,000 | ||||
자기자본(원) | 35,219,271,683 | ||||
자기자본대비(%) | 8.52 | ||||
대기업 여부 | 미해당 | ||||
4. 취득방법 | 현금취득 | ||||
5. 취득목적 | 종속회사에 대한 투자지분 확대 | ||||
6. 취득예정일자 | 2025-07-21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5-07-18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0 | |||
불참(명) | 1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9. 풋옵션계약 등의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1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
- 상기 2. 사채권 발행회사의 자본금(원), 발행주식총수(주)는 공시제출일 현재기준입니다. - 상기 3. 취득내역의 자기자본은 자산총액(최근사업연도말)- 부채총액(최근사업연도말) + 최근사업연도말 경과 후 신고 및 공시사유 발생일까지의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의 증가액입니다. - 계약체결예정일은 2025년 7월 21일이며, 계약내용 변경 시 정정공시 예정입니다. |
|||||
※ 관련공시 | - |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당해년도 | 7,500 | 0 | 7,500 | 150 | 0 | 0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전년도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전전년도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2.0 | |
만기이자율(%) | 7.5 | ||
사채만기일 | 2030-05-19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100 | |
전환가액(원/주) | 5,000 | ||
전환가액 결정방법 | 사채의 보통주식으로의 전환비율은 사채 권면금액의 100%으로 하고, 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되는 보통주식의 1주당 발행가액(이하 "전환가액")은 금오천원으로 한다. 1주 미만의 단주에 해당하는 금액은 전환권 행사로 인한 주식 교부시 현금으로 지급하며, 단주 대금에 대한 미지급 이자는 지급하지 아니한다. |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 기명식보통주식 | ||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5-05-19 | |
종료일 | 2030-05-19 | ||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가.대상회사(회사와 대상회사가 합병하여 존속회사가 상장하는 경우를 포함)의 IPO 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그 당시의 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는 그 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전환가격으로 조정한다. 본 호의 경우 조정일은 공모청약일로 하고, 회사는 조정이 발생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에 사채권자에게 통보한다. 나.대상회사가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된 기업과의 합병, 주식교환 등을 통해 상장을 위한 심사나 공모주청약 등의 절차를 밟지 않고 곧바로 상장되는 등의 이른바 '우회상장'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먼저 아래 제4호 내지 제8호의 규정에 따라 전환가격을 조정한 후 우회상장의 효과가 발생한 당시 시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위 조정된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당시 시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전환가격으로 조정한다. 그 때로부터 3년간 매 6개월마다 전환가격을 조정하되, 우회상장의 효과가 발생한 날을 기준으로 전환 시 발행될 주식과 동일한 종류의 구주의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최근 1개월 평균종가, 1주일 평균종가, 최근일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격과 직전 전환가격을 비교하여 둘 중 낮은 가격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다.사채의 전환 전에 회사가 발행한 신주의 발행가액, 전환사채의 전환가액,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가액이 그 당시 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사채의 전환가액은 그 하회하는 가액으로 조정한다. 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신주 발행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라.사채의 발행 이후 주식배당, 무상증자 등으로 인해 발행주식수가 증가하는 경우 사채의 전환가격은 아래의 수식에 따라 조정한다. 조정후 전환가격 = 조정전 전환가격 X [{A+(BXC/D)}/(A+B)] A : 기발행주식수 B : 신발행주식수 C : 1주당 발행가액 D : 시가 (위 산식에서 "기발행주식수"는 전환가격 조정사유 발생일의 직전일 현재 주식수로 하며, 조정 후 전환가격의 원단위 미만은 절사한다. "시가"는 "회사"의 주식이 상장되기 전까지는 본 항에 의한 "전환가격"으로 하되, 상장된 이후에는 당해 발행가액 산정의 기준이 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이론 권리락주가 (유상증자 시) 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를 말한다) 마.사채의 전환 전에 회사가 합병, 주식의 분할 또는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주식의 분할 또는 병합 직전에 전환사채가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전환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를 그 가치 또는 그 이상으로 보장하는 방법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바.조정 후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미만으로 되는 경우, 관련 법규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사는 주주총회결의 및 법원의 인가 등 액면가 미만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하여 신주를 발행할 수 있도록 모든 절차를 취하여야 하며, 액면가 미만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하는 것이 관련 법규를 위반하는 경우 조정 후 전환가액은 액면가격으로 한다. 단, 전환가격을 액면가격으로 하는 경우, 추후 관련법규의 변경으로 액면가격 미만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사.사채의 인수 이후 후행 투자자의 전환가격 조정이 사채 보다 유리한 경우 후행 투자자의 전환가격에 따라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① 사채의 전환청구기간 만료시까지 회사가 발행할 수권주식의 총수에 사채의 전환으로 발행 가능한 주식수를 유보한다. ② 회사는 전환청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주 이내에 상법에 의한 증자 등기를 행한다. ③ 전환사채의 발행, 전환의 청구, 기타 전환에 관한 사항은 상법 제513조 내지 제516조의 규정을 따른다. |
||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