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 무 증 권 ) |
| 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8월 28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 |
| 대 표 이 사 : | 진 옥 동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
| (전 화)02-6360-3000 | |
| (홈페이지) http://www.shinhangroup.com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무팀 부부장 (성 명) 김 재 민 |
| (전 화) 02-6360-3155 | |
|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및 수 : |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270,000,000,000원 |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 원 | |
|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열람장소 |
| 가. 증권신고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 나.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 서면문서 : (주)신한금융지주회사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길 20 한양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7 현대차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길 28 교보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케이알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7 신한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 1. 본 금융상품은 일반적인 무보증 회사채와는 다르며, 다음과 같은 투자위험이 존재하므로 충분히 숙지하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① 발행회사가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에 명시된 사유(부실금융기관 지정)에 해당되면 투자자는 원금 및 이자 전액을 영구적으로 상환받지 못합니다.② 발행회사가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에 명시된 사유(규정 제34조부터 제36조까지, 제38조)에 해당되면 동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배당(이자를 포함)의 지급이 정지됩니다. 또한 발행회사는 언제든지 배당 취소에 대한 완전한 재량권을 가지고 있습니다.③ 본 금융상품은 영구채이므로 유동성 위험이 높습니다.④ 중도상환에 대한 권리는 발행회사에게만 있으며, 중도상환 여부는 전적으로 발행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본 금융상품은 발행 후 일정기간(5년)이내에 중도상환 되지 않습니다.⑤ 투자자는 어떠한 경우(중도상환 조건이 있는 경우 포함)에도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⑥ 본 금융상품은 예금 및 일반채권, 조건부자본증권 후순위채보다 변제순위가 후순위입니다.2. 본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므로 투자자는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본 금융상품은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NICE신용평가(주) 로부터 AA- 등급을 부여받았습니다. 동 신용등급은 규제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투자자들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됩니다. 4. 투자판단시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발행회사는 국내외 법규 등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동 법규 등의 준수여부는 본 금융상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 투자자는 본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시 발행회사뿐만 아니라, 본 금융상품에 대한 위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 아래의 핵심투자위험은 증권신고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를 주요 항목 위주로 요약한 것이므로 투자위험 전부를 대표하지 않으며,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일부 항목이 기재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반드시 본문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Ⅲ. 투자위험요소를 주의 깊게 검토하신 후 투자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용어의 정의]본 신고서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1) NIM(순이자마진) : 은행의 모든 금리부자산의 운용결과로 발생한 은행의 운용자금 한 단위당 이자순수익(운용이익률)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은행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자자산순수익(이자수익자산 운용수익-이자비용부채 조달비용)을 이자수익자산의 평균잔액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2) 고정이하여신비율 : 은행의 총여신중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총여신은 은행계정, 신탁계정 및 종금계정의 여신합계액중 은행간 대여금 등을 제외한 여신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 12>의 무수익여신산정대상 여신을 말하며, 고정이하여신은 총여신을 자산건전성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5단계로 분류)한 결과 산정된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합계액을 말합니다.(3) 기본자본비율 : 은행이 보유한 위험가중자산 대비 기본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실질 자본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총자본(자기자본)에서 보완자본을 제외하고 산출한 지표를 말합니다. 기본자본이란 영구적 자본인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만을 의미하며 보통주자본과 기타기본자본의 합으로 이루어집니다.(4) 보완자본 : 기본자본과 함께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분자인 자기자본을 형성하며, 전형적인 자기자본은 아니지만 자기자본에 포함될 수 있는 정당하고 중요한 성격을 갖고 있다고 인정되는 항목으로 후순위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이 포함됩니다.(5) 보통주자본비율 : 은행의 보통주 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6) 위험가중자산 : 자기자본비율 산출시 분모에 해당하는 자산부분으로 대차대조표상의 자산계정의 단순합이 아니라 은행의 실질적인 리스크를 반영하기 위해 각 자산에 각 위험 노출정도를 반영한 위험가중치를 적용해 산출한 액수를 합산한 금액입니다.(7) 총자본비율 : 은행이 보유한 위험가중자산 대비 총자본(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자본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입니다. 국제은행결제(BIS)기준 자기자본비율 또는 BIS자본비율로도 칭하여집니다. 총자본은 기본자본과 보완자본을 합산하여 산출합니다.(8) D-SIB : 바젤위원회(BCBS)의 권고 사항으로 금융위원회는 은행업감독규정 및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에 따라 '16년부터 국내 시스템적 중요은행(은행지주회사)를 선정하고 추과자본을 부과 중입니다.(9) RBC비율(지급여력비율) : RBC비율은 보험회사에 내재된 각종 리스크량을 산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자본을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로 지급여력금액과 지급여력기준금액의 비율로 산출한 비율입니다.(지급여력금액/지급여력기준금액 X 100)(10) K-ICS(新지급여력비율) : 보험회사에 내재된 리스크를 측정(→요구자본)하여 이에 상응하는 자본(→가용자본)을 보유하도록 하는 지급여력제도입니다.(가용자본/요구자본 X 100) |
| 하단의 핵심투자위험은 증권신고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중요한 항목만을 투자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간단ㆍ명료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투자위험요소는 "본문-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구 분 | 내 용 |
| 사업위험 | 가. 금융지주회사로서의 위험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지주회사 로서 종속회사로부터의 배당금 및 이자수익이 당사의 주수익원입니다.따라서, 당사 종속회사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된다면 당사의 수익성 또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한편, 금융지주회사는 자회사들 간의 업무통합, 관리 및 시너지 창출 등의 경영관리 활동을 통해 자회사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주회사 전체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자회사간 효율적인 경영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여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자회사의 최근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다음과 같으며, 당사의 위험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자회사의 영업 현황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제반 규제제도의 변화에 따른 위험 금융업은 국가의 핵심 기간산업이자 규제산업으로 금융당국의 규제와 정부정책에 많은 영향 을 받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자회사들은 환경 변화 및 제도 변화로 인한 수익성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니, 개별 자회사들의 경쟁력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 및 정부의 규제환경 등 외부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다.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위험 글로벌 금융환경의 변화는 금융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 이로 인해 금융지주회사는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인수합병 및 경쟁심화 위험 금융회사들은 대형화, 다각화 및 영업시너지 창출을 위해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산업의 구조가 재편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경쟁심화는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마. 개인정보와 관련된 위험 최근 금융권에서의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당사를 비롯한 금융권 회사들에 대한 외부자들의고객 정보 유출 시도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짐에 따라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해 내부통제절차에 의한 내부보안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보유출 사고 발생시 당사 및 당사 자회사의 평판하락, 손해배상청구에 따른 비용, 고객 이탈에 따른 수익 감소 등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핀테크 산업의 도입 및 성장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혁신기술의 발달로, 기술과 금융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인 핀테크(Fintech:Financial+Technology)가 금융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5년 5월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핀테크 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이후 2018년 3월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 2019년 1월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2019년 12월 '핀테크 스케일업 추진전략' 등 관련 규제개혁 등 핀테크 기업의 제도적인 지원을 위한 방안들을 추가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2020년 8월 시행되었습니다. 데이터 3법 시행령에 따른 '마이데이터' 시대가 도래할 경우 개인정보를 고객 동의하에 핀테크 회사 등에 제공하게 되어 이에 따른 업계 대책 마련과 함께 사업 전략 방향 수립 등이 필요하게 됩니다.이러한 핀테크 산업의 등장으로 기존 은행들은 해당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반면, 비금융 기업도 핀테크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게 되어 금융지주회사들은 새로운 금융환경 속에서 지나친 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에 직면 할 수 있으므로 이 점 투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으로 인한 위험 금융위원회는 2015년 6월 인터넷전문은행 관련 규제 완화 방향을 발표하고 증권신고서제출일 전일까지 3개의 인터넷 전문은행을 인가하였으며, 최근 추가로 제4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됨으로써 인터넷은행의 비용절감 효과와 기존 금융기관들의 상품개발 촉진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반면, 경쟁의 심화로 기존 시중은행의 시장점유율, 가격경쟁력 및 수익성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자금세탁방지 의무 강화에 따른 위험 금융회사의 자금세탁방지 의무가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제기구와 미국 금융당국의 검사는 자금세탁방지체계의 형식적 준수가 아닌 실질적 운영 효과성을 중점 평가하는 추세입니다. 평가 결과는 금융업의 대외경쟁력과 직결되어 금융회사들 입장에서는 위협 요인이며, 주요국의 제재조치 강화로 자금세탁규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AML/CFT) 정책협의회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상호평가 대응방향'(2018.11.27)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FATF 강령(Mandate)에 따라 2019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자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조달금지 운영에 대하여 상호평가를 받았습니다. 해당 평가는 국제사회가 우리나라의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제도를 점검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우리나라 금융 및 사법 시스템 투명성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해당 평가 결과에 따라 후속점검을 받으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시 국가 대외신인도, 수출기업의 금융비용, 환거래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회사위험 |
가. 자회사 신한은행의 수익성 저하 가능성 자회사인 신한은행이 당사의 당기순이익에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반기말 기준 약 74.6%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3조 374억원 중 2조 2,668억원(지배기업 소유지분)이 신한은행에서 발생하였습니다. 당사의 총 배당수입(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025년 반기말 2조 5,74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중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배당수입은 2025년 반기말 1조 6,630억원을 차지하며, 신한은행의 배당수익은 당사 전체 배당 수익의 과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당사가 금융지주회사라는 점과 현금 유입의 주된 원천이 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인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당사의 수익성 위험은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회사위험에 크게 연동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따라 당사 기업가치가 변동될 수 있음을 미리 숙지하시고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1.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NIM하락시 수익성 저하 가능성 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중 2025년 3월말 원화예수금 기준 20.0%, 원화 대출금 기준 20.27%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내 상위권의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신인도, 광범위한 영업네트워크 및 견고한 수신기반을 바탕으로 우수한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펀드 및 방카 슈랑스 판매와 계열 신용카드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수료 순이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대비 비이자부문이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수익기반이 다양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신한은행의 NIM(순이자마진)은 2016년 1.49%, 2017년 1.58%, 2018년 1.61%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2018년 이후 2019년 1.54%, 2020년 1.37%로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2021년으로 접어들며 금리상승기로 인해 2021년말 1.40%, 2022년말 1.63%, 2023년말 1.62%로 증가하였으며 2024년 1.58%, 2025년 반기말 현재 시장금리 하락 영향 등으로 신한은행 NIM은 분기중 소폭 하락한 1.55%를 기록하였습니다. 국내은행의 높은 수익비중인 순이자마진(NIM)은 금리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가운데글로벌 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우려현상이 심화될 경우 금리 하락 및 순이자마진의 하락 효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바젤 Ⅲ 도입을 통한 자본규제 강화로 위험가중자산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규제 당국이 제시하는 자본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본확충 뿐만 아니라 위험가중자산도 함께 관리해야 함에 따라 은행의 자산운용이 정책이 예전에 비해 보수적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 역시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가-2.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자산건전성 저해 가능성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우량자산 위주의 포트폴리오 전략과 선제적 리스크관리 및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20년말 0.36%, 2021년말 0.27%, 2022년말 0.25%, 2023년 및 2024년말 0.24%로 꾸준히 하락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0.3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총 원화대출금 중 가계대출이 4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50.5%, 신용대출, 예금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일반자금이 49.5%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유지는 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금리 상승 및 대내외 경제 불확실 등에 따라 기업과 가계여신에서 금리 상승을 견디지 못하는 한계차주를 중심으로 연체 및 부실이 증가할 수있으며, 이 경우 보유 자산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3.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바젤 Ⅲ 제도 하에서 자본적정성 충족 가능성 당사의 BIS자본비율은 견조한 이익실현 및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감독당국의 규제수준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당사의 BIS자기자본비율은 16.20%, 기본자본비율은 15.36%,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 입니다.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경우 2025년 반기말 기준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18.58%, 기본자본비율은 16.60%, 보통주자본비율은 15.5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은행과 비교하여 볼 때 총자본비율은 국내은행의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한편, 금융위원회는 바젤위원회 권고에 따라 16년부터 D-SIB을 선정하여 추가 자본적립 의무를 부과중입니다. 현재 D-SIB으로 선정된 은행 및 은행지주 모두가 신고서 제출일 기준 최저적립기준인 보통주자본비율 9.0%, 기본자본비율 10.5% 총자본비율 12.5%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기업들의 재무안정성 약화로 기업여신의 건전성이 저하됨에 따라 대손비용 부담으로 인한 자기자본 감소 우려도 존재합니다.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본적정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가-4.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조달비용 상승 가능성 분석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금 조달 중 대부분은 예수금(원화+외화)이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그 비중은 68.75% 입니다. 그 중 원화자금 예수금의 전체 조달대비 비중은 63.24%로 전체 조달 비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외 시장금리는 국내외 경제 및 정치적 상황과 통제 불가능한 다양한 시장 변수들로 인해 그 방향성의 예측이 어려우며, 향후 금리변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는 자금 조달 비용과 연결되어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연결재무에도 영향을 미쳐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 이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5.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성장성 제한 가능성 기준금리 인상 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상환부담 증가 및 부실화 우려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정부는 '2017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8.2)'대책, '2017년 가계부채 종합대책(10.24)', '2018년 주택시장 안정대책(9.13)', '2019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 '2020년 투기수요 차단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 기조 강화(02.20)', '2020년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7.10)',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관리방안(11.13)' 등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월에는 신DTI 도입, 10월에는 DSR 시행 등 정부의 가계부채 완화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저금리 기조하에 부동산 시장 불안정과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급등하고 금융불균형이 심화되자, 2021년 가계부채 관리 방안(04.29),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10.26)을 발표하였습니다. '21년 하반기 이후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창구지도, 한은의 금리인상('21.8월, '21.11월, '22.01월, '22.04월, '22.05월, '22.07월)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급증세는 안정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22년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4~5%대의 안정화된 수준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단계적 정상화 계획하였으며, 이후 2023년에는 금리 인상의 영향을 감안해 대출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2024년부터 부동산 가격 안정화 및 금융 건전성 유지를 위해 LTV, DSR규제를 유지하는 한편, 서민층 및 취약차주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였습니다. 가계부채 관리 대책 정책 도입에 따라 향후 가계부채 성장둔화가 예상되며 이는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채 관련 정책 외에 시중은행 예대율 규제 등의 정부 정책과 대내외 경기 회복세 둔화에 따른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국내 은행의 리스크 관리가 강화는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신한은행의 성장성 둔화 위험이 존재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나. 자회사 신한카드의 재무상태 및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카드는 당사 순이익의 약 9.85%를 차지해 신한은행 다음으로 당사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4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0% 감소하였습니다. 연결 당기순이익 감소는 조달비용 상승,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확대, 회원 인프라 투자에 따른 판관비 부담 증가 등에 기인합니다. 2025년 6월말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1%p 하락한 1.50%를 기록하였습니다. 감독당국의 연체 이자율 규제 강화, 금융상품 최고이자율 20% 제한 등의 규제 변경 및 가맹점의 수수료 인하 요구, 글로벌 경제 저성장 기조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의 이벤트 는 신한카드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자회사 신한투자증권의 수익성 악화 및 법령위반 위험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 3,207억원, 2022년 4,1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고, 2023년 1,009억원, 2024년 1,792억원,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589억원으로 전년동기 2,072억원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증권업종의 특성상 대외경제를 포함한 금융시장변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실적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향후 실물경기 침체 및 금리변동성 등 금융시장변화가 발생할 경우 주식시황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인해 신한투자증권을 포함하여 증권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실적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증권산업의 수익성 둔화 가능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바, 투자자께서는 투자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라임사태 및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 판매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의 제재를 받았으며, 각종 법령 위반으로 제재 조치, 과태료 부과 등이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한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당사의 이미지 실추와 내부통제 강화와 제재조치로 인하여 영업활동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자회사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수익성 악화 위험 신한금융지주의 생명보험부문 계열사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2020년 12월 23일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함에 따라 2021년 7월 1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으로 통합 되었습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은 2025년 반기말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3,443억원으로 전년 동기(3,129억원) 대비 10.0% 증가하였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96.7% 입니다. 다만, 현재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지급여력비율이 규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나, 향후 국내 시장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지급여력비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업, 투자, 영업위험에 따른 부분을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마. 자회사인 신한리츠 운용 신규사업 진출 위험 국내리츠시장은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 제정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공시서류 제출 기준일 현재 기준 총 71개 자산관리회사(AMC)가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최근 대체투자 수요 증가 및 리츠 관련 정부 규제 완하 등에 힘입어 시장이 더욱 빠르게 확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환경 변화에 맞춰 신한금융그룹은 2017년 10월 18일 300억원의 자본금을 기반으로 한 신한리츠운용을 설립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초기 단계인 만큼 시장환경에 따라 사업영위에 대한 불안정성이 존재하며 초기 사업진출 비용의 투입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바. 계열사 인수·합병에 따른 위험 2019년 9월 2일 당사는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구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의 지분 59.15% (최대주주 지분)취득하며,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이 자회사로 편입 하였고, 2020년 01월 28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를 100% 인수하였습니다. 2018년 10월 31일 당사는 아시아신탁 주식회사의 지분 100% 취득 결정 공시를 하였고 2019년 05월 02일 아시아신탁 1차 지분 60%를 취득하며, 아시아신탁 주식회사를 자회사로 편입 하였으며, 2022년 5월 16일 아시아신탁의 잔여 지분 40% 인수를 밝히며 100% 완전자회사로 편입, 2022년 6월 1일 사명을 신한자산신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9월 29일 당사는 ㈜두산 보유 ㈜네오플럭스(현재 신한벤처투자) 보통주 24,413,230주(총발행주식의 96.77%)를 약 730억원에 취득 하였으며, 2020년 12월 30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주)네오플럭스를 100% 인수하였습니다.이 밖에도 당사는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s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고, 2021년 1월 15일 기존 자회사인 신한BNPP자산운용(현재 신한자산운용) 지분 35%를 인수 하였으며, 손해보험업에 신규 진출하기 위해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이하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의 지분 94.54% 인수 를 2021년 10월 26일 이사회에서 결의하고 10월 29일 관련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2022년 6월 9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파리바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았으며, 2022년 6월 30일 임시주주 총회 정관개정을 통해 신한EZ손해보험 주식회사로 사명을변경하고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을 완료하였습니다. 한편, 신한금융지주 주요 자회사인 신한생명(현재 신한라이프생명보험)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지난 2020년 12월 23일 양사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 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2021년 7월 1일 통합법인인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을 출범 하였습니다. 2021년 9월 15일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인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또한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양사 합병 후 통합법인인 신한자산운용이 출범하였습니다.신한금융그룹은 보험업, 부동산업 및 집합투자업에서 다년간의 업력을 보유하고 있어 대상 업체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 회사의 인수 시 발생하는 회사의 경영, 상세사업분야, 문화 등의 차이점으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은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유상증자 시행에 따른 재무관련 위험 2019년 02월, 신한금융지주는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를 통해 7,5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의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를 공시하였고 동년 5월 1일 발행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증권은 전환권 미행사에 따라 4년후 시점인 2023년 5월에 보통주로 자동 전환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지주는 자본비율 개선을 하게 되었으며, 보통주자본으로 전환이 예정되어 있는 우량자본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단, 보통주 전환전에는 연4%의 배당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보통주 배당외에 우선주 배당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배당규모가 확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한금융지주는 2020년 09월 1조 1,582억원 규모의 보통주 유상증자를 실시하였습니다. 신한금융지주의 자본여력 및 이익규모를 감안 시, 해당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을 통해 발생하는 추가 배당이 신한금융지주의 재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배당지급 확대에 따른 자본비율 영향 등에 대해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소송 및 우발부채 현황 당사가 속한 금융 업종 특성상, 영업활동 과정에서 소송 및 우발채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규모가 확대될 경우 자회사의 실적 뿐만 아니라 당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025년 6월말 기준 연결회사가 피고인 소송사건은 1,217건(소송가액 1조 3,930억원)입니다. 또한 2025년 6월말 기준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써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별도로 첨부된 제소건 및 응소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결실체는 당반기말 현재 1심에 서 패소가 결정된 소송건 등에 대한 소송가액상당액 126,222백만원 및 4,600백만원을 각각 충당부채 및 보험계약부채 중 발생 사고요소로 반영하였으며, 충당 부채 등으로 계상된 소송 이외의 잔여 소송결과는 연결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향후 소송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자.금융지주회사의 법적제재 사항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상 금융지주회사의 출자 및 투자 제한, 동일 차주 및 동일 기업, 주요출자자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제한, 자회사 등에 대한 행위제한에 대한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특히, 금융지주회사법 제48조 제1항 제3호에 의하면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등은 다른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로서 각 자회사당 자기자본의 100분의 10,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를 모두 합하여 자기자본의 100분의 20을 초과하는 신용공여를 하여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금융지주회사에 속하는 자회사 등 상호간에 신용공여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비율의 담보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또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지주회사 행위제한규정(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법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행위제한에 대하여 당사는 해당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및 자회사간의 해당거래는 존재하지 않으나 위와 같은 법적제재 사항이 있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기타 투자위험 | 가. 사채의 상각조건 본 사채는 당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금산법')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되었을 경우, 통지나 공시 또는 상각의 신청과 같은 특별한 행위나 조치가 없더라도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자동적으로 본 사채 투자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각의 효력이 발생하여 원리금 전액을 영구적으로 받지 못하게 되는 매우 위험한 상품에 해당 합니다.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후 해제가 된다 하더라도 원리금은 회복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본 사채의 위험과 관련하여 충분히 숙지하신 후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가-1. 상각 발동요건인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의의 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전에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기관'을 산정합니다. 즉각적인 부실금융기관을 지정하기보다는 경영정상화를 추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시정조치가 내려지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입니다. 다만, 이론적으로는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없이 곧 바로 경영개선명령이나 파산신청 등의 절차가 시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자산건전성 강화, 위험관리를 통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이나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이 지속될 경우를 고려하면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 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로서 자회사의 실적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바,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등이 부실금융기관 지정 또는 이와 유사한 절차 진행은 당사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이 점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2. '부실금융기관 지정' 기준 당사의 자본여력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되기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등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 가 있다고 금융감독원장이 판단하는 경우, 자본비율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총자본비율 100분의 4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2.3미만), 경영실태평가결과 평가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될 경우 가 있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재무구조는 자산 752.7조원, 부채 692.5조원, 자본 60.2조원으로,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60.2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최근 10년간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기록된 해가 없으며, 현재 당사의 자본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IMF외환위기를 능가하는 금융위기의 발발 혹은 급격한 신용경색상황이나 대규모 뱅크런 등) 위 결과는 달라질 수 있으니 ,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3. 상각 가능성 분석 : 당사의 스트레스테스트 및 여신현황 기준 2024년말에 내부적으로 시행한 위기상황 스트레스테스트에 의하면, "심각(Bad)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총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4.72%, 12.14%로 1년 내에 본 사채의 상각 발동요건 발생 가능성은 낮아보이며, 최악의 경우인 IMF 구제금융 당시와 같은 심각한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당사의 2024년 12월말 기준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 12.97%, 보통주자본비율은 10.39%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나 신고서 제출일 현재 규제 수준인 12.5%, 9.0%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당사 10년 평균 당기순이익이 3.6조원을 웃도는 점과 , 2025년 반기 기준 당사의 당기순이익이 3.04조원(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를 상회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각 위험은 낮은 것으로 분석 됩니다. 한편, 스트레스테스트는 방법론의 한계, 예상치 못했던 극단적 시나리오의 발생, 미평가 리스크(거래상대방 리스크, 평판리스크, 전략리스크 등)의 실현, 우연한 사건의 발생 등이 발생할 시에는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는 스트레스테스트 자체가 지니는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 결과를 향후 공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투자자들께서는 결산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셔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가-4. 상각사유 발생시 상각절차 금융위원회의 부실금융기관 지정 결정이 있으면, 통지나 공시 또는 상각의 신청과 같은 특별한 행위나 조치가 없더라도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자동적으로 본 사채 투자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었을 때에는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실 및 그 효력 발생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다만, 본 사채의 투자자들에게 개별적인 통지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공시를 통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의무는 개별 투자자들에게 있으며, 공시여부가 상각의 효력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자자들은 이점에 대한 각별한 유의가 요구됩니다. 가-5. 부실금융기관이라는 행정처분에 대한 쟁송가능성 본 사채의 투자자가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이라는 행정처분에 대하여 취소소송 등의 행정소송으로 그 유효성이나 적법성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취소소송 등이 제기된 경우 상각의 효력,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 취소 시 상각의 효력과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취소가능성 등에 관한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6. 상각사유 발생 후 효력 발생 전까지의 본 사채 양도가능성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등의 관련 법령은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의 상각사유가 발생한 후 효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해당 사채의 양도를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 기간 동안 본 사채를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이 법률상 제한되지는 아니합니다. 다만 상각이 예정되어 있는 본 사채가 실제로 양도될 가능성은 낮아 보이고 만약 본 사채가 상각이 예정될 경우 당사는 관련 사실을 당사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일간지 등에 게시함으로써 추가적인 투자자의 손실을 막기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나.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 조건 본 사채는 이자의 지급이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될 수 있습니다. 당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호 내지 제38호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거나 긴급조치 및 부실금융기관 지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경우 본 사채의 이자지급은 정지 됩니다 . 또, 바젤III 규제 하에서 금융지주회사가 충족해야 하는 일정 수준의 추가자본 요건을 당사가 충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이자의 지급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채의 특약 제6조 제3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본 사채의 이자지급을 당사의 재량으로 취소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상각과는 다르게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의 경우 해당 사유가 해소될 경우 다시 이자지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 사유 발생가능성에 대하여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나-1. 이자미지급 조건 - 적기시정조치 적기시정조치는 부실화의 소지가 있는 금융기관에 대해 부실화를 방지하고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금융당국이 필요한 조치를 권고, 요구 또는 명령하는 것을 말합니다. 본 사채에 대한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적기시정조치 중 경영개선권고나 경영개선요구 등은 자본비율이 단순히 일정 규제 수준 미만으로 하락하는 계속기업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BIS자본비율 기준, 당사가 적기시정조치(총자본비율이 100분의 8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6.0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를 받기 위해서는 2025년 반기말 연결 기준으로 당사 보유자산 중 약 27조 9,288억원의 손실이 발생해야 합니다. 적기시정조치에 의한 이자 미지급 발생가능성은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의한 신종자본증권 원금 상각 사유 발생 가능성보다 매우 높습니다. 투자자들은 이 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2. 이자미지급 조건 - 긴급조치 긴급조치는 휴업 등 긴급한 사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한 상황 하에서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의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리는 행정처분 을 말합니다. 예금자의 이익이 크게 저해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 금융당국은 그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① 채무변제행위의 금지, ②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 ③ 회사채발행 및 자금차입행위의 금지, ④ 자산의 처분 등과 같은 긴급조치를 통하여 그 위험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당국의 긴급조치는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요건에 해당합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에 대하여 이자 지급 정지 사유가 실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나-3. 이자지급제한 조건 - 자본보전완충자본 관련 미이행 시 금융지주회사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자본(이하"자본보전완충자본")수준을 당사가 일정 하회하여 유지하였을 경우,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규제수준 이상으로 자본 수준을 추가로 확보할 의무가 있으며, 미 이행시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상각사유 발생가능성을 분석한 기타위험 가-3에서 활용한 "통합위기상황 분석 스트레스테스트"의 연장선 상에서 보수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였을 경우 ('심각(Bad)' 시나리오)에 따라 당사의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이 14.72%, 보통주자본비율이 12.14%까지 하락, ('최악(Worst)' 시나리오)의 경우 총자본비율이 12.97%, 보통주자본비율 10.39%로 하락하나 배당한도 제한기준에 미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경제상황의 변동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예측을 넘어선 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이자 지급 제한의 상황은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사안 가운데 하나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점에 각별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4. 발행회사 재량에 따른 이자지급의 취소 본 사채의 특약 제7조 제3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고유의 재량에 따라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이사회 결의에 의해 본 사채의 이자지급을 취소하기로 결정하였을 경우, 당사는 이자지급취소 결의내역 및 효력발생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위 특약에 따라 취소의 사유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나-5. 이자지급 정지 및 제한, 취소 관련 공시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의 사유가 발생하였을 경우,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해당사실을 알 수 있도록 상세히 그리고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또한 이자미지급 이후에 이자미지급 사유가 해소되어 차후 이자의 지급이 가능해 질 경우에도 당사는 위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본 사채의 투자자들에게 개별적인 통지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공시를 통한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 사유 발생 여부와 사유 해지 여부를 확인할 의무는 개별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나-6.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관련 본 사채 투자자와의 소송 가능성 본 사채의 투자자가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에 대하여 민사소송 혹은 행정소송으로 그 유효성이나 적법성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 이에 관한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 후후순위 특약 본 사채는 특약에 의하여 후후순위조건이라는 불리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약 제1조 및 제2조에 의거하여, 본 사채는 파산/청산/회생/외국에서의 도산 등의 경우에 모든 후순위 채권자보다 변제가 후순위입니다. 투자자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 환금성 및 유동성 제약 본 사채는 상각조건이 포함되어있는 조건부자본증권이며 만기가 해당 발행은행지주회사가 청산 및 파산하는 때로 정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환금성 측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신용경색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황에서 본 사채의 매각은 지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마. 본 사채의 중도상환 본 사채는 당사의 선택에 의하여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 한하여 사채의 전부를 상환할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자께서는 당사는 중도상환 행사에 대한 어떠한 약정도 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중도상환권은 투자자가 아닌 발행회사에만 부여됐다는 점을 양지하시고 투자판단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바. 본 사채의 신용등급 본 사채는 상각조건이 포함되는 새로운 유형의 사채로서, 당사의 무보증 선순위 사채 신용등급 AAA 등급 대비하여 3 등급 아래인 AA- 등급을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 신용평가로부터 부여 받았습니다. '미래상환가능성'으로 압축되는 신용등급의 본래적 의미가 본 사채의 평가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신용등급 평가기준 자체가 최근 새로이 정립되었다는 점, 그리고 해당 평가방법론의 역사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아직 그에 대한 시장의 신뢰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더불어 외부적 규제변화 등에 의하여 신용등급이 추가적으로 변동할 가능성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됩니다. 사. 본 사채 발행후 자본비율 본 사채의 발행목적은 기본자본의 확충입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기준 BIS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13.59%, 기본자본비율 15.36%, 총자본비율 16.20%입니다. 본 사채의 발행 총액이 2,700억원이 된다는 가정하에, 본 사채 발행을 감안한 2025년 반기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 기본자본비율은 15.44%(약 0.08%p 상승), 총자본비율은 16.28%(약 0.08%p 상승)가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실제 본 사채 발행후 기준의 BIS 자본비율은 분기내 실적이 반영되어 산출되는 바, 위 수치와 상이할 것이오니 위 수치는 참고 용도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 추가적인 규정 및 세칙 도입 가능성 2015.6.4일 금융감독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은행권 가운데 시스템적 중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내놓았습니다. 바젤위원회는 국가별로 해당 국가 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을 선정하고 해당 은행에 추가자본 부과 등 D-SIB 규제원칙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국은 D-SIB로 선정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매년 0.25%의 추가 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하였고, 2019년 이후로는 1%의 추가자본(보통주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금융위원회는 기존의 "시스템적 중요 은행·은행지주회사"라는 용어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D-SIB)"로 변경하였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D-SIFI)" 으로도 선정하였습니다. D-SIB로 선정된 기관이 추가자본 규제에 미달할 경우 바젤Ⅲ의 자본보전완충자본 미달의 규제와 동일하게 미충족 정도에 따라 0%, 40%, 60%, 80%, 100%로 차등 적용해 배당, 자사주 매입 등 이익의 사외유출이 제한받게 됩니다. 당사는 D-SIB 선정 평가대상으로 속해 있는 만큼, 추후에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BIS 규제비율 뿐 아니라 규제도입을 반영한 자본비율을 준수하여 자본적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2017년 이후 도입될 규제에 관해서 충분히 숙지하신 이 후, 규제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자. 회계처리 관련 본 사채는 기본자본 확충을 목적으로 하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으로서 IFRS 회계기준 상 당사는 자본계정으로 인식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위 사실은 투자자가 본 사채를 지분으로 회계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투자자 입장의 회계처리 방법은 각 개별 투자자들께서 직접 검토해야 할 사항이오니, 이점에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에서 정하는 자기자본인정 관련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에 관한 감독당국의 자본인정요건 충족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에 동 증권의 회계처리방식 및 당사의 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변동가능성이 있습니다. 차. 본 사채의 공모일정 변경 가능성 및 증권신고서 본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의 심사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은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가 발생할 경우 변경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정정사유 발생에 따른 신고서 정정요구는 사채의 수요예측 기간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사오니, 투자자들은 이점에 특별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자본시장법' 제120조 제3항에 의거, 이 신고서 효력의 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카. 본 사채의 "등록" 관련사항 본 사채의 경우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합니다. 타. 당사 및 자회사 은행 BIS자본비율 현황 확인방법 본 사채는 조건부자본증권으로서 만기도래 이전에 상각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원리금에 대하여 영구히 전액에 대하여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 사유 발생시 등에도 이자 지급이 정지될 수 있는 등 일반 선순위 회사채와는 다른 특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본 사채의 만기도래일까지 상각 사유의 발생가능성과 이자지급의 정지 및 취소 가능성과 관련하여 자본 적정성과 보유자산의 건전성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기보고서 등 DART 공시자료는 http://www.dart.fss.or.kr]에서, '신한금융지주 바젤Ⅲ 자본적정성 공시'는 http://www.shinhangroup.com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한은행 http://www.shinhanbank.com의 각각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는 http://fisis.fss.or.kr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 회차 : |
| 채무증권 명칭 | 모집(매출)방법 |
| 권면(전자등록)총액 | 모집(매출)총액 |
| 발행가액 | 이자율 |
| 발행수익률 | 상환기일 |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사채)관리회사 |
| 비고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 구 분 | 금 액 |
| 발행제비용 | |
【국내발행 외화채권】
|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발행규모 | 사용지역 | 사용국가 | 원화 교환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보증을받은 경우 | 보증기관 | 지분증권과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보증금액 | 권리행사비율 | ||
| 담보 제공의경우 | 담보의 종류 | 권리행사가격 | |
| 담보금액 | 권리행사기간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주요사항보고서】 | |||
| 【파생결합사채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 【기 타】 |
| (주1)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총액은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3.00% ~ 3.50%로 합니다.(주3) 본 사채는 발행일로부터 매 5년째 되는 날 이자율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본 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I.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회 차 : | 18 ] | (단위 : 원) |
| 항 목 | 내 용 | |
|---|---|---|
| 사 채 종 목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
| 구 분 | 무기명식 무보증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
| 전자등록총액 | 270,000,000,000 | |
| 할 인 율(%) | - | |
| 발행수익율(%) |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0% |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270,000,000,000 |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발행일로부터 만기일 전일까지의 기간 동안 매 3개월마다 연 이율의 1/4씩 후급으로 지급한다. 다만 이자지급 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첫번째 영업일에 지급하되, 그 같이 늦추어 지급하더라도 늦추어진 일수에 대하여는 따로 이자를 계산하여 지급하지 아니한다. 단, 본 사채가 만기 이전 중도상환 되는 경우, 발행회사는 중도상환 이후에는 이자지급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
| 이자지급 기한 |
채권발행일로부터 만기일 전일까지 계산하여 매 3개월 후급 지급한다. |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기업평가 / 한국신용평가 / NICE신용평가 |
| 평가일자 | 2025년 08월 26일 / 2025년 08월 26일 / 2025년 08월 26일 | |
| 평가결과등급 | AA- / AA- / AA- | |
| 주관회사의분석 | 주관회사명 | 한양증권(주) |
| 분석일자 | 2025년 08월 28일 | |
| 상환방법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다음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사채의 만기일에 전액 일시 상환한다. 다만 만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영업일이 아닌 날을 말하며, 이하 같다)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1) 본 사채가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이면서 발행회사의 수익력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체되는 경우 2) 본 사채의 상환 후에도 발행회사의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1항 제1호 가목에서 지정하는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을 초과하는 충분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사채의 중도 상환] 1) 본 사채의 보유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행회사에 대하여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2) 발행회사는 그 선택에 의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3조 제11항에 규정된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다. 중도상환일이 은행의 휴업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중도상환일로 한다. 3)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 사전 통지 및 한국경제신문에 1회 공고한다. |
| 상 환 기 한 | 없음 | |
| 납 입 기 일 | 2025년 09월 09일 |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신한은행 대기업영업1부 |
| 회사고유번호 | 00149293 | |
| 【기 타】 | ▶ 본 사채 발행을 위해 2025년 08월 13일에 한양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아니함.▶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5년 09월 09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5년 09월 10일임.▶ 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으로서 발행회사에 대하여 파산절차, 회생절차, 청산절차 및 외국에서의 도산 절차가 개시되는 경우 본 사채에 관한 원리금 지급 청구권은 본 사채와 동일하거나 열후한 후순위특약이 부가된 채권 및 주주의 권리를 제외한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 무보증채권, 후순위채권 및 보완자본보다 후순위임. 단, 보통주보다는 선순위임.▶ 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 일반적인 회사채와는 다른 발행조건을 갖고 있으며, 세부 발행조건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사항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에 기재함. | |
| (주1)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총액은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3.00% ~ 3.50%로 합니다.(주3) 본 사채는 발행일로부터 매 5년째 되는 날 이자율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본 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I.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가. 증권의 모집방법 : 일반공모
| 회 차 : 18 | (단위 : 원) |
| 모집대상 | 모집금액 및 비율 | 비 고 | |
|---|---|---|---|
| 모집금액 | 모집비율(%) | ||
| 일반공모 | 270,000,000,000 | 100.0% | 총액인수 |
| 합계 | 270,000,000,000 | 100.0% | 총액인수 |
| 주1) 모집금액은 전자등록총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
나. 증권의 인수방법본건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이하 '본 사채'라 한다) 일반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한양증권(주)와 인수회사인 현대차증권(주), 교보증권(주), 케이알투자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이하 '인수단'이라 한다)는 본 사채를 모집함에 있어 모집 후 잔액이 발생한 경우에는 총액인수 물량의 범위 내에서 자기책임 하에 처리하기로 합니다.인수단은 잔여물량을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는 경우, 해당 인수물량을 기관투자자(증권 인수업무 등의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의한 기관투자자를 의미하며, 이하 같다) 또는 전문투자자(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5항에 의한 전문투자자를 의미하며, 이하 같다)에게만 매도할 수 있습니다.
가. 공모가격 결정방법 및 절차
| 구 분 | 내 용 |
|---|---|
| 공모가격 최종결정 | - 발행회사 : 대표이사, 재무부문장, 재무팀장 등- 대표주관회사 : 자본시장본부 본부장 등 |
| 공모가격 결정 협의절차 | 수요예측 결과 및 금융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발행수익률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수요예측결과 반영여부 | 수요예측 참여물량 중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를 집계하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합의를 통해 발행수익률을 결정합니다. |
| 수요예측 재실시 여부 | 수요예측 실시 이후 발행일정이 변경될 경우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수요예측을 재실시할 수 있습니다. |
나.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
| 구 분 | 주요내용 |
|---|---|
| 공모희망금리산정방식 | 대표주관회사인 한양증권(주)는 (주)신한금융지주회사의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에 있어 국고채 5년물 절대 금리 추이, 최근 3개월간 (주)신한금융지주회사의 개별민평금리, 최근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시장동향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 금리는 3.00% ~ 3.50%로 합니다.공모희망금리 산정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아래 (주1)을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당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제시하는 공모희망금리밴드는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음을 반드시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
| 수요예측참가신청관련사항 | 수요예측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 프로그램은 "금융투자협회"의 "K-Bond"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와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합니다. 수요예측기간은 2025년 09월 02일 09시부터 16시까지 입니다.수요예측 신청시 신청수량의 범위, 수량 및 가격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① 최저 신청수량: 10억원② 최고 신청수량: 본 사채 발행예정금액③ 수량단위: 10억원 (10억원 이상부터는 10억원 단위)④ 가격단위: 1bp⑤ 기관투자자(전문투자자 포함)만 수요예측 참여 가능하고, 개인투자자(특정금전신탁 포함)는 참여 불가 |
| 배정대상및 기준 | 수요예측결과를 반영하여 금리 결정 및 배정하는 과정에서 유효수요 결정, 금리 결정, 배정대상 및 기준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지침에 근거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필요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I.수요예측 업무절차 5. 배정에 관한 사항가. 배정기준 운영 - 대표주관회사는 무보증사채의 배정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합니다. 나. 배정시 준수 사항 -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종료 후 수요예측 참여자별로 청약예정 물량을 배정할 때에 다음 각 사항을 준수합니다. ① 과도하게 낮은 금리에 참여한 자를 부당하게 우대하여 배정하지 아니할 것 ② 금리를 제시하지 않은 수요예측 참여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정할 것 다. 배정시 가중치 적용 -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사항을 고려하여 수요예측 참여자별로 배정의 가중치를 달리 적용할 수 있습니다. ① 참여시간ㆍ참여금액 등 정량적 기준 ② 수요예측 참여자의 성향ㆍ과거 참여이력 및 행태ㆍ가격평가능력 등 해당 참여자와 관련한 정성적 요소 라. 납입예정 물량 배정 원칙 - 대표주관회사는 무보증사채의 청약이 종료된 이후 청약자별로 납입예정 물량을 배정할 때에 수요예측에 참여한 자를 그렇지 않은 자보다 우대하여 배정합니다.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의 '납입예정 물량 배정 원칙'에 따라 대표주관회사는 공모채권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를 우대하여 배정합니다.본 사채의 배정에 관한 세부사항은 본 증권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배정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유효수요 판단 기준 |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는 금융투자협회의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 내부지침"과 수요예측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됩니다. 이러한 "유효수요" 결정 이후 최종 발행금리 결정시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I. 수요예측 업무절차 5. 배정에 관한 사항 및 합리적인 내부기준에 따라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산정 근거 및 결과와 확정 금액 및 확정 이자율은 2025년 09월 02일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향후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 금리미제시분 및공모희망금리범위 밖 신청분의처리방안 |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정하거나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아 배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주1) 공모희망금리 산정 근거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인 한양증권(주)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사채의 공모희망금리를 결정하였습니다.
① 절대 금리 밴드 산정 근거(가) 조건부자본증권 민평금리 미산정 중 (개별 발행물 민평만 있음)
본 사채는 조건부자본증권으로, 일반 선순위채권과는 달리 민간채권평가회사(이하 "민평사")들이 별도의 평가금리(혹은 신용 스프레드 금리)를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단지 기발행된 특정만기의 개별 조건부자본증권에 대한 평가금리만 일별로 산정되고 있습니다. 만일 당사가 선순위채권을 발행한다면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서 언급하는 '시가로 여겨지는 금리(민평금리)'를 기준금리로 활용하겠지만 이와 달리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시에는 민평사들이 제시하는 '시가로 여겨지는 금리(민평금리)'가 없어 다른 기준금리를 선정해야하는 상황입니다.
|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1. 공모 희망금리 및 발행예정금액 제시 마. 공모 희망금리의 추정 근거 - 금융투자회사는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공모 희망금리를 추정한 구체적인 근거를 공개합니다. - 여기에서 구체적인 근거란 해당 기업의 2개 이상 민간 채권평가회사 평가금리, 동종업계 동일등급 회사채의 최근 발행금리 또는 유통금리 등을 말합니다. |
(나) 선순위채권 민평금리 활용의 어려움 당사의 선순위채권은 만기별 민평금리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본 사채는 바젤Ⅲ하에서 발행하는 조건부자본증권으로 주요 권리 및 내용(상각 조건 등) 등이 상이하여 선순위채 민평금리를 직접 활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다) 금리밴드를 절대금리 수익률로 선정바젤 Ⅲ 도입 후 동일한 조건의 조건부자본증권 대부분은 발행일로부터 최초 조기상환이 가능한 기간의 국고채 수익률을 기준금리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본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영구로 발행되며,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으로서 기타기본자본을 구성하여 후후순위성을 지니는 점 등이 기존의 선순위채권과 비교함에 있어서 그 구조와 의미 측면의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본 사채의 공모희망금리 밴드는 민간채권평가회사에서 제공하는 시가평가수익률 또는, 금융투자협회에서 제공하는 최종호가수익률을 기준금리로 하지 않고, 절대금리 수익률로 지정하였습니다.② 절대금리 산정 보조자료(가) 금리대역 선정방법 : '동종업계 동일등급 회사채의 최근 발행금리'"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은 공모희망금리 산정근거로 '해당기업의 2개 이상 민간 채권평가회사 평가금리', '동종업계 동일등급 회사채의 최근 발행금리' 또는 '유통금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해당기업의 2개 이상 민간 채권평가회사 평가금리'는 활용할 수 없으며, '유통금리' 역시 당사가 유동성이 낮아 활용하기 힘든상황입니다. 이에 공모 희망금리 산정을 위하여 당사는 '동종업계 동일등급 회사채의최근 발행금리'를 활용하기로 하였으며, 그외 참조할 수 있는 추가자료도 사용하였습니다.
| [최근 1년간 AAA등급 국내 금융지주회사 조건부 신종자본증권 발행내역(발행완료기준)] |
| 발행일 | 발행사 | 증권의 등급 | 발행금리 | 총 발행물량 | 공모희망금리 |
|---|---|---|---|---|---|
| 2025-05-13 | 우리금융지주 | AA- | 3.45% | 4,000억원 | 3.30% ~ 3.90% |
| 2025-03-14 | 하나금융지주 | AA- | 3.90% | 4,000억원 | 3.30% ~ 4.00% |
| 2025-02-28 | iM금융지주 | AA- | 4.15% | 1,000억원 | 3.50% ~ 4.15% |
| 2025-02-13 | 신한금융지주 | AA- | 3.90% | 4,000억원 | 3.30% ~ 4.00% |
| 2025-01-22 | KB금융지주 | AA- | 4.00% | 4,050억원 | 3.30% ~ 4.00% |
| 2024-10-25 | 하나금융지주 | AA- | 4.00% | 4,000억원 | 3.30% ~ 4.00% |
| 2024-10-16 | iM금융지주 | AA- | 4.20% | 1,000억원 | 3.50% ~ 4.20% |
| 2024-10-10 | 우리금융지주 | AA- | 4.00% | 4,000억원 | 3.30% ~ 4.00% |
| 2024-09-25 | 농협금융지주 | AA- | 3.95% | 2,000억원 | 3.30% ~ 4.00% |
| 2024-09-12 | 신한금융지주 | AA- | 4.00% | 4,000억원 | 3.30% ~ 4.00% |
| 주1) 발행 완료 기준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
동종업계 동일등급 회사채의 최근 발행금리 중 5년 Call 기준 최근 사례는 2025년 05월 13일 우리금융지주가 발행한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입니다. 우리금융지주는 수요예측희망 금리 3.30% ~ 3.90%에서 수요예측 후 발행금리가 3.45%로 결정되었습니다.
한편,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에서 은행들의 발행비중이 절대적으로 많으며 당사 역시 은행을 주력 자회사로 보유한 은행지주회사로서 은행의 조건부자본증권과 동일한 바젤III를 적용받고 있어 일반기업의 신종자본증권과는 다소 발행 조건에 차이가 있는 점, 일반 무보증사채 시장에서 유사 발행사들 및 은행의 발행 금리 수준, 민평금리 수준 및 회사의 지배구조 등을 고려해 공모희망금리를 산정하였습니다. 이에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18회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경우 상기 신종자본증권 발행 금리를 기반으로, AAA등급 금융지주회사와 당사의 선순위 무보증사채 금리 Spread를 고려하고 당사의 신종자본증권 간의 시장에서 지위와 성격, 최근 시장금리 상승추세 등을 최종적으로 반영, 대표주관회사와 협의하여 공모희망 절대 금리 밴드를 산정하였습니다. 아울러, 금번에 발행하고자 하는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과 비슷한 조건으로 발행되었던 신한금융지주의 직전 회차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의 수요예측 결과도 참고하였습니다.
③ 채권 금리 환경의 반영 2022년 6월 미국 FOMC에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며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0.75%~1.00%에서 1.50%~1.75%로 인상되었습니다. 2022년 7월, 9월 미국 FOMC에서는 6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였으며, 11월 재차 인상하여 3.75~4.00%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이후 12월 FOMC에서 추가적으로 0.5%p인상하였습니다.미국은 높은 물가 상승 압박과 함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2023년 2월 기준 FOMC는 금리 0.25%p 인상을 결정하였고 2023년 3월 23일, 물가안정과 SVB 등 은행 파산에 대응하는 금융안정 사이에서 또 다시 베이비스텝을 유지하며 0.25%p 추가 인상을 결정, 2023년 5월 4일 FOMC에서도 기준금리를 0.25%p 인상을 결정하였습니다. 2023년 6월 15일 FOMC는 15개월 만에 금리를 동결하였으나, 2023년 7월 26일 다시 0.25%p 추가 인상을 결정하여 22년만에 최고치의 금리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이후 2024년 6월 FOMC까지 연준은 7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하였으나, 점도표 상의 기준금리 전망치를 4.6%에서 5.1%로 상향 조정하며 연내 기준금리 1회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2024년 8월 진행된 FOMC에서 연준은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하였으며 금리인하를 위한 완화적 입장을 제시하였으나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는 더 큰 확신을 가질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하지 않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한편, 2024년 8월 진행된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은 현재 고용시장은 이전 과열 상태에서 상당히 냉각됐다며 정책 제약을 적절히 조정하면 경제가 강력한 고용시장을 유지하며 2% 물가상승률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9월 FOMC에서 연준은 통화정책의 전환을 결정하며 기준금리를 0.50%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였으며, 2024년 11월 및 12월 FOMC에서 각 0.25%p 금리 인하를 결정하였고, 12월 점도표를 통해 2025년 금리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3.9%로 상향 조정하면서 내년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 전망 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1월 FOMC를 통해 통화정책의 핵심 기준이 고용에서 다시 물가지표로 이동하였으며, 트럼프 신정부 정책(관세, 이민자 정책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통화정책 경로에 중요한 변수로 작동할 것임을 시사하였습니다. 2025년 3월 FOMC에서도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경제 활동은 견조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2025년 5월 FOMC에서도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증대되어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으며, 현재의 통화정책이 다소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2025년 6월 회의에서 FOMC는 최근 관세 인상이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며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었다고 진단하는 한편, 고용시장 둔화에 따른 실업률 상승 가능성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적하였습니다. 2025년 7월 FOMC에서는 최근 지표들은 올해 상반기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완만해졌음을 보여주었지만,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둔화의 위험을 강조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국내의 경우 2021년 6월부터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며, 2022년 11월까지 3.25%로 인상되었습니다. 2022년말 레고랜드 사태에 따른 크레딧 금리 급등에도 불구,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에 동반한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2023년도에도 지속되어 1월 금통일 역시 0.25%p 인상하였습니다. 2023년 2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4월 금통위에서는 3월 발생한 SVB, CS 파산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정성 확대를 지적하며 만장일치로 동결을 결정하였으나, 기자회견에서 총재는 5명의 위원은 추가 인상의 여지를 열어두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후 5월, 7월 및 8월 금통위에서도 동결을 결정하였으나,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우려하며 3.75%까지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10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의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얘기하며 기준금리 동결을 유지하였습니다. 11월 금통위에서도 한은은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 금융시장 불안도 여전해 금리를 올리기가 어렵고, 가계부채물가 잠재 위험과 미국과의 금리차 등 때문에 내리기도 쉽지 않다는 이유로 기준금리 동결을 유지하였습니다. 이같은 동결 기조는 2024년 1월, 2일, 4월, 5월, 7월 및 2024년 8월까지 유지되었으나, 2024년 10월 금통위에서는 38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고 언급하며 정책 긴축 정도를 소폭 축소하고 그 영향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11월 금통위에서는 시장 예상을 깨고 추가로 25%p를 낮춰 두 달 연속 금리 인하를 결정했습니다. 2025년 1월 금통위에서는 국내 정치 상황과 주요국 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라 경제전망 및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며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2025년 2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단행하였으며 4월 금통위에서는 동결을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5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발표하였습니다. 가장 최근에 진행한 7월 금통위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을 발표하여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한국의 기준금리는 2.50%를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 금리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글로벌 채권금리의 변동성은 주요 선진국들의 경기회복세에 따른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등 지정학적 리스크 및 미국, 유럽 은행권 불안 등에 따라 확대될 가능성은 높으나, 우량 크레딧 시장은 투자매력도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향후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선별적인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개별회사의 신용도 및 재무안정성을 바탕으로 최근 재무실적이 저조한 회사 또는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이 있는 회사에 대한 투자 심리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는 공모희망금리 결정 시 최근 동종업계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유사 발행사례와 현재 시장상황을 합리적으로 검토하여 본 사채 발행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수요예측 시 본 사채의 공모희망금리는 연 3.00% ~ 3.50%로 한다.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는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공모희망금리밴드를 제시하였으나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므로, 투자 결정을 위한 판단 및 수요예측 및청약 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습니다. 수요예측 후 유효수요 및 금리는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지침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필요시 발행회사와 협의합니다.
다. 유효수요 판단기준"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는 금융투자협회의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 내부지침" 과 수요예측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하며, 사분위수, 누적도수 및 기타 방식을 활용하여 유효수요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유효수요 결정 이후,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발행가액 및 발행금리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제5조 및 합리적인 내부기준에 따라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산정 근거 및 결과와 최종 발행가액 및 발행수익률을 2025년 09월 02일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향후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가. 수요예측
(1) 대표주관회사는 인수규정 제2조 제7항 및 제12조에 따라 수요예측을 실시하 여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발행금액 및 발행금리를 결정한다.
(2) 수요예측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 프로 그램은 한국금융투자협회의 K-Bond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 생할 경우 발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와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한다.
(3) 수요예측기간은 2025년 09월 02일 09시부터 16시까지로 한다.
(4)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 금리는 3.00% ~ 3.50%로 한다.
(5)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대표주관 회사가 결정한다.
(6)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 후, 대표주관회사는 배정결과를 FAX 또는 전자우편의 형태로 배정받을 투자자에게 송부한다.
(7)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결과를 발행회사에 한해서만 공유할 수 있다. 단, 법원, 금융위원회 등 정부기관(준정부기관 포함)으로부터 자료 등의 요구를 받는 경 우, 즉시 발행회사에 위 요구사실을 통지하고 법률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자료만을 제공한다.
(8)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의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 지정 여부를 확 인하여야 한다.
(9)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의 신청수량 및 가격 기재시 착오방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10)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가 원하는 경우 금리대별로 희망물량을 신 청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1) 대표주관회사는 집합투자업자의 경우 수요예측 참여시 펀드재산과 고유재산을 구분하여 접수하여야 한다.
(12)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기간 중 경쟁률을 공개하여서는 아니 된다.
(13) 대표주관회사는 공모금액 미달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수요예측 종 료 후 별도의 수요파악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14)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관련 사항을 기록하고 이와 관련된 자료를 발행일 로부터 3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15) 수요예측이 이미 실시된 상태에서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증권신고서 기 재내용에 대한 정정사유 발생으로 인하여 발행일정이 변경될 경우, "대표주관회사" 는 "발행회사" 와 협의하여 수요예측을 재실시 할 수 있다.
나. 청약방법(1) 청약자는 소정의 청약서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후 청약일 당일 16시까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청약취급처에 청약한다.
(2)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우선배정 받은 기관투자자(증권 인수업무 등의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의한 기관투자자를 의미하며, 이하 같다) 또는 전문투자자(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5항에 의한 전문투자자를 의미하며, 이하 같다)만 청약할 수 있다. 단,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된 금액의 총합계가 최종 발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은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도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3) 청약증거금: 청약사채 발행가액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며, 2025년 09월 09일에 본 사채의 납입금으로 대체 충당하고, 청약증거금에 대하여는 무이자로 한다.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납입기일인 2025년 09월 09일에 반환한다.(4) 청약단위: 청약금액은 일만원 단위로 하되, 최저청약금액은 10억 원으로 하며, 10억 원 이상은 10억원 단위로 한다. (5) 청약제한: 청약자는 1인 1건에 한하여 청약할 수 있으며,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실명확인이 된 계좌를 통하여 청약을 하거나 별도로 실명확인을 하여야 한다. 이중청약이 있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6) 청약취급처: 인수단의 본점다. 배정방법(1)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이하 “수요예측 참여자”라 한다)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배정된 금액을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 청약금액의 100%를 우선배정한다. 단, 우선배정금액은 수요예측 참여자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배정받은 금액과 청약금액 중 작은 금액으로 한다.(2) 수요예측 참여자의 총 청약금액이 모집총액에 미달된 경우에 한하여 모집총액에서 수요예측 참여자의 최종 배정금액을 공제한 잔액을 청약일 당일 16시까지 청약접수한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에게만 배정할 수 있으며, 청약금액에 비례하여 5사6입을 원칙으로 안분배정한다. 단, 청약자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그 배정받는자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 인수단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3) 상기 (1)에 따라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에게 배정하는 경우에는 아래 각 목의 방법으로 배정한다.가.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 : 본 사채의 수요예측 참여여부 및 청약 금액 등을 감안하여, 위 (1)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배정한다.
① 총 청약건수가 미달된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첨에 의하여 최저청약단위를 배정한다.
② 총 청약건수가 미달된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청약자의 청약금액에 관계없이 최저청약단위를 우선배정하고, 최저청약 단위를 초과하는 청약분에 대하여는 그 초과 청약금액에 비례하여 최저청약단위로 안분배정한다.
(4) 상기 (1) 내지 (3)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미달 금액이 발생할 경우, 그 잔액에 대하여는 인수단의 협의에 따라 청약금액 및 청약미달금액을 배정하며, 각 인수단 구성원은 배정된 청약미달금액에 대해서는 자기의 계산으로 인수한다. 단, 총 금액은 각 인수단구성원의 총액인수 물량범위를 초과할 수 없다.(5) 인수단은 위 (4)에 따른 각 인수단구성원별 인수금액을 본 사채의 납입일 당일에 본 사채의 납입을 맡을 은행에 납입한다.(6) 인수단은 대표주관회사가 납입일 당일 수요예측 및 청약의 결과를 반영하여 배정된 내역에 따라 배정할 것을 위임한다. 대표주관회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로 이를 수행한다.(7) 본 사채의 사채금 납입기일: 2025년 09월 09일(8) 본 사채의 발행일 : 2025년 09월 09일(9) 본 사채의 납입 및 지급을 맡을 은행 : (주)신한은행 대기업영업1부
(10) 본 사채의 전자등록기관: 본 사채의 전자등록기관은 한국예탁결제원으로 한다.(11) 전자등록신청① "발행회사"는 각 "인수단"이 총액인수한 채권에 대하여 사채금 납입기일에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의한 전자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② 각 "인수단"은 "발행회사"로 하여금 전자등록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전자등록 내역을 "발행회사"에 통보하여야 한다. 단, 전자등록 신청에 관련한 사항은 대표주관회사에게 위임한다. 라.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4조의 규정에 따른 투자설명서를 교부할 책임은 "발행회사"와 "인수단"에게 있으며, "본 사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5항에 규정된 전문투자자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 시행령 제132조에 따라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는 제외한다)는 청약전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한다.(1) 교부장소 : "인수단"의 본·지점 (2) 교부방법 : "본 사채"의 "투자설명서"는 상기의 교부장소에서 인쇄된 문서의 방법 또는 전자문서의 방법으로 교부합니다.(3) 교부일시 : 2025년 09월 09일(4) 기타사항 : ① 본 사채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은 후 교부확인서에 서명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한다.②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사채의 청약에 참여할 수 없다.
| ※ 관련법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9조 (그 밖의 용어의 정의)⑤ 이 법에서 "전문투자자"란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전문성 구비 여부, 소유자산규모 등에 비추어 투자에 따른 위험감수능력이 있는 투자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전문투자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일반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 금융투자업자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에 동의하여야 하며, 금융투자업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해당 투자자는 일반투자자로 본다. <개정 2009.2.3>1. 국가2. 한국은행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기관 4. 주권상장법인. 다만, 금융투자업자와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전문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에 한한다. 5.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제124조(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 ①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집합투자증권의 경우 투자자가 제123조에 따른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별도로 요청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를 말한다. 이하 이 항 및 제132조에서 같다)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3.5.28> 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 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 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 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1조(증권의 모집ㆍ매출) ① 법 제9조 제7항 및 제9항에 따라 50인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청약의 권유를 하는 날 이전 6개월 이내에 해당 증권과 같은 종류의 증권에 대하여 모집이나 매출에 의하지 아니하고 청약의 권유를 받은 자를 합산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합산 대상자에서 제외한다. <개정 2009.10.1, 2010.12.7, 2013.6.21>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가 가. 제10조 제1항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자 나. 제10조 제3항 제12호·제13호에 해당하는 자 중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다. 「공인회계사법」에 따른 회계법인 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용평가회사(이하 "신용평가회사"라 한다) 마. 발행인에게 회계, 자문 등의 용역을 제공하고 있는 공인회계사·감정인·변호사·변리사·세무사 등 공인된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자 바.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전문가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고자 가. 발행인의 최대주주(법 제9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최대주주를 말한다. 이하 같다)와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주주 나. 발행인의 임원(「상법」 제401조의2 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 및 「근로복지기본법」에 따른 우리사주조합원 다. 발행인의 계열회사와 그 임원 라. 발행인이 주권비상장법인(주권을 모집하거나 매출한 실적이 있는 법인은 제외한다)인 경우에는 그 주주 마. 외국 법령에 따라 설립된 외국 기업인 발행인이 종업원의 복지증진을 위한 주식매수제도 등에 따라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에게 해당 외국 기업의 주식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그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 바. 발행인이 설립 중인 회사인 경우에는 그 발기인 사.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연고자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제132조(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개정 2009.7.1, 2013.6.21> 1. 제11조 제1항 제1호 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의2. 제11조 제2항 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자 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전신·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 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만 해당한다. |
마. 청약기간
| 청약기간 | 시 작 일 | 2025년 09월 09일 |
| 종 료 일 | 2025년 09월 09일 |
바. 청약증거금청약사채 발행가액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 청약증거금은 2025년 09월 09일에 본사채의 납입금으로 대체 충당하며, 청약증거금에 대하여는 무이자로 한다.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납입기일인 2025년 09월 09일에 환불한다. 사. 청약취급장소"인수단"의 본점아. 납입장소신한은행 대기업영업1부자. 상장신청예정일(1) 상장신청예정일: 2025년 09월 09일(2) 상장예정일: 2025년 09월 10일차. 사채권교부예정일 및 교부장소본 사채에 대하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의하여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고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한다.카. 기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1) 본 사채에 대하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의하여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고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한다.(2) 사채청약금은 납입일에 사채납입금으로 대체충당하며 청약증거금에 대하여는 무이자로 한다.(3) 본 사채권의 원리금지급은 (주)신한금융지주회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
가. 사채의 인수
| [ 회 차 : 18 ] | (단위 : 원) |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 구 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 대표 | 한양증권(주) | 0016241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7 | 55,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 인수 | 현대차증권(주) | 00137997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길 28 | 55,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 인수 | 교보증권(주) | 00113359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 55,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 인수 | 케이알투자증권(주) | 00537559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7 | 55,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 인수 | 신한투자증권(주) | 0013832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5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 (주)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총액은 합계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결정 또는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나. 사채의 관리
| [ 회 차 : 18 ] | (단위 : 원) |
| 수탁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율(정액) |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270,000,000,000 | 9,000,000 | - |
| (주)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총액은 합계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결정 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특약사항 "인수계약서" 상의 특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이 특약은 ㈜신한금융지주회사(이하 "발행회사"라 한다)가 발행하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이하 "본 사채"라 한다)을 매입하고자 하는 거래상대방(이하 "사채권자"라 한다) 간에 적용되는 특약사항을 정한 것으로, 발행회사는 사채권자가 이 특약이 적용되는 것에 동의하여 기명날인 또는 서명한 경우에는 아래의 제 조항을 이해하고 확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1조 (후순위 특약) ① 파산절차의 경우 본 사채 상환기일 이전에 발행회사에 대해 파산 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 이하 같음)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파산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아가 본 사채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06조 제1항에 따른 부채에 포함되지 아니합니다. (정지조건) 본 사채 및 본조 제1항 내지 제3항과 동일한 조건이 부가된 증권을 제외한 다른 모든 채권[발행회사의 보완자본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 이하 "선순위채권"]이 그 채권 전액에 대하여 파산절차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② 회생절차의 경우 발행회사에 대해 회생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 이하 같음)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회생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지조건) 선순위채권이 회생계획에서 상환하기로 한 채권 전액에 대하여 회생절차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③ 청산절차 진행의 경우 본 사채 상환기일 이전에 발행회사에 대해 청산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하되, 제1항 및 제2항 제외)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청산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지조건) 선순위채권 중 채권신고기간 내에 신고한 채권 및 기타 법률에 의하여 청산에 포함되어야 할 채권 전액이 청산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④ 외국에서의 도산절차의 경우 외국에서 발행회사에 대해 대한민국법에 의하지 않는 파산절차, 회생절차 또는 이에 준하는 절차(이하 "해당 외국 절차" 라 한다)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해당 국가의 법령에서 정한 제한 범위 내에서 제1항 내지 제3항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해당 외국 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외국 절차상 당해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사채권자는 그 조건에도 불구하고 해당외국 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2조 (후순위자의 의무) ① 본 사채의 모든 조항은 선순위채권자가 사채권자보다 불리하도록 변경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한 변경이 행해진 경우, 그것은 어떤 경우, 어느 누구에게도 유효하지 않습니다. ② 사채권자가 본 특약 제1조 제1항 내지 제4항에 따라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 원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은 경우 그 수령한 금액을 즉시 발행회사에 반환하여야 합니다.
제3조(상계의 제한) 본 사채의 만기가 도래하고 금융감독원장으로부터 본 사채의 상환에 관한 승인을 얻었거나, 금융감독원장으로부터 승인을 얻어 중도상환권을 행사하기 전에는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원리금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발행회사의 사채권자에 대한 채권과 상계할 수 없습니다.
제4조 (중도상환)
①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② 발행회사의 선택에 의한 본 사채의 중도상환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전적으로 발행회사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하여 다음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습니다. 1.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이면서 발행회사의 수익력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체될 것(단, 대체발행은 상환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상환이후에 이루어져서는 안됨) 2. 본 사채의 상환 후에도 발행회사의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제1항제1호 가목에서 지정하는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을 초과하는 충분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③ 위 제2항에 의한 본 사채의 원금 중도상환 일자가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하는 경우 그 다음 첫번째 은행영업일에 상환하되, 그 같이 늦추어 지급하더라도 늦추어진 일수에 대하여는 따로 이자(배당)를 계산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④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에 사전 통지합니다.
제5조 (이율) ① 본 사채의 이율은 본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본 사채 총액인수계약서 제3조 제10항에서 정한 이율을 적용합니다. ②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는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3>(신용ㆍ운영리스크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산출기준(바젤III 기준)) - 6. 기타기본자본 - 나.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에 근거한 배당가능이익에서 지급됩니다.
제6조 (이자(배당)의 지급정지 및 취소)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이자(배당)의 지급은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의 이자(배당) 지급의무는 모두 소멸됩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경우 2.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위원장이 발행회사와 관련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따른 긴급조치를 취하는 경우 3.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②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따라 발행회사의 자본보전완충자본을 포함한 자본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2>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미달함으로 인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3>에서 정하는 이익배당 등의 한도를 준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발행회사는 위 한도의 준수를 위해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 사채의 이자(배당)를 지급하지 아니합니다. ③ 발행회사는 그 고유의 재량에 따라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을 취소할 수 있으며, 배당의 지급취소는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발행회사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도 작용하지 않습니다. ④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조건부자본증권 중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이자(배당)의 지급이 취소되는 경우,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은 그 다른 조건부자본증권에 관한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가 해소될 때까지 함께 취소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⑤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는 본 사채에 대한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고, 발행회사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이자(배당)의 지급을 취소한 경우 그와 같이 지급이 취소된 금원을 본 사채 이외에 만기가 도래한 발행회사의 다른 채무의 이행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7조 (무담보) 본 사채는 무담보로 발행되며 발행일 이후 어떠한 형태로도 본 사채의 상환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권 설정을 할 수 없습니다.
제8조 (상각)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본 사채는 전액 영구적으로 상각되고, 이에 따른 본 사채의 상각은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② 상각의 효력은 제1항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제3영업일이 되는 날에 발생합니다.
제9조 (교차채무불이행 조건의 배제) 본 사채에는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채권의 부도시 본 사채도 함께 부도 처리되어 채권회수 등의 절차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조건(cross default)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제10조 (기한의 이익 상실 적용 배제) 본 사채의 권리자는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없으며, 본 사채와 관련된 모든 계약서 중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조항 및 기한의 이익 상실을 전제로 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일체의 조항 역시 본 사채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발행회사가 파산 또는 청산을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제11조 (이해관계인에 대한 제한)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는 본 사채를 매입하거나 본 사채의 매입자에 대하여 담보제공, 지급보증 및 대출 등에 의하여 매입자금을 직ㆍ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없으며, 납입자금에 대하여 청구권의 변제순위를 법률적ㆍ경제적으로 강화할 수 없으며, 직접 또는 관계회사를 통하여 본 사채의 매입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하여서는 아니됩니다.
제12조 (제3자에 대한 적용)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3자에게 양도되는 경우에는 본 사채특약의 모든 조항은 당해 양수인에게 적용됩니다. |
| 주) 위 특약 제1조(후순위특약)에서 언급되는 각 '개시'는 특정절차가 시작됨을 뜻합니다. 구체적으로, 파산절차는 법원이 파산선고를 한 때에 개시되며, 회생절차는 법원이 회생개시결정을 한 때에 개시됩니다. 한편, 주식회사가 해산하면 합병 또는 파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청산을 하여야 하는데, 금융지주회사가 해산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금융지주회사의 청산절차는 '금융지주회사가 금융위원회의 사전승인을 받아 청산절차의 개시를 결의한 때'에 개시됩니다. '외국에서의 도산절차'는 해당 외국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개시됩니다. |
1. 주요 권리내용 가. 일반적 사항
| (단위 : 원, %) |
| 사채의 명칭 | 사채의 종류 | 발행가액 | 이자율 | 만기일 | 비고 |
|---|---|---|---|---|---|
| 신한금융지주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270,000,000,000 | (주3) | - | - |
| 합 계 | - | 270,000,000,000 | - | - | - |
| (주1) 본 사채는 영구채로서 원금은 본 사채가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으로 대체되거나, 상환 후에도 자본이 관련 규정에서 정하는 비율을 상회하는 경우로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 일시 상환한다. 다만, 원금상환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하는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합니다.(주2)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총액은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주3) 신한금융지주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경우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3.00%~3.50%로 합니다. |
[인수계약서]
나.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사항 (특약 제10조)
|
제10조(기한의 이익 상실 적용 배제) 본 사채의 권리자는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없으며, 본 사채와 관련된 모든 계약서 중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조항 및 기한의 이익 상실을 전제로 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일체의 조항 역시 본 사채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발행회사가 파산 또는 청산을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
다. 조기상환 및 중도상환에 관한 사항
[제18회 인수계약서 제3조_12. 사채의 중도 상환]
1) 본 사채의 보유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행회사에 대하여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2) 발행회사는 그 선택에 의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본 조 제11항에 규정된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다. 중도상환일이 은행의 휴업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중도상환일로 한다.
3)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 사전 통지 및 한국경제신문에 1회 공고한다.
라. 사채의 순위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서 발행회사에 대하여 파산절차, 회생절차, 청산절차 및 외국에서의 도산 절차가 개시되는 경우 본 사채에 관한 원리금 지급 청구권은 본 사채와 동일하거나 열후한 후순위특약이 부가된 채권 및 주주의 권리를 제외한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 무보증채권, 후순위채권 및 보완자본보다 후순위입니다. 다만, 보통주보다는 선순위 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 영업일인 2025년 08월 27일 기준 당사가 발행한 선순위 채권의 미상환 액면잔액은 10조 3,044억원입니다. 그리고 2017년 09월 15일 발행한 900억원의 제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18년 04월 13일 발행한 150억원의 제3-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0년 09월 17일 발행한 4,500억원의 제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1년 03월 16일 발행한 6,000억원의 제9-1회 및 제9-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1년 05월 12일 발행한 5억 달러의 제10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2년 1월 25일 발행한 6,000억원의 제11-1회 및 제11-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2년 8월 26일 발행한 4,000억원의 제12-1회 및 제1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3년 1월 30일 발행한 4,000억원의 제13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3년 7월 13일 발행한 5,000억원의 제14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4년 1월 31일 발행한 4,000억원의 제15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4년 9월 12일 발행한 4,000억원의 제16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2025년 02월 13일 발행한 4,000억원의 제17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이 있습니다.
가. 미상환 선순위채권 명세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액면금액 |
| 110-3회 | 2017-04-20 | 2027-04-20 | 공모 | 2.510% | 110,000 |
| 111-2회 | 2017-05-12 | 2027-05-12 | 공모 | 2.692% | 70,000 |
| 112-2회 | 2017-06-23 | 2027-06-23 | 공모 | 2.471% | 60,000 |
| 115-2회 | 2018-01-22 | 2028-01-22 | 공모 | 2.927% | 110,000 |
| 116-2회 | 2018-02-22 | 2028-02-22 | 공모 | 3.051% | 100,000 |
| 117-2회 | 2018-03-21 | 2028-03-21 | 공모 | 2.938% | 100,000 |
| 118-3회 | 2018-04-25 | 2028-04-25 | 공모 | 2.922% | 70,000 |
| 119-3회 | 2018-05-29 | 2028-05-29 | 공모 | 2.895% | 30,000 |
| 126-2회 | 2019-04-18 | 2026-04-18 | 공모 | 2.030% | 100,000 |
| 127-2회 | 2019-05-24 | 2026-05-24 | 공모 | 1.911% | 100,000 |
| 128-2회 | 2019-07-26 | 2026-07-26 | 공모 | 1.550% | 120,000 |
| 128-3회 | 2019-07-26 | 2029-07-26 | 공모 | 1.590% | 160,000 |
| 129-2회 | 2019-08-27 | 2029-08-27 | 공모 | 1.425% | 130,000 |
| 130-3회 | 2019-10-22 | 2026-10-22 | 공모 | 1.756% | 60,000 |
| 131-3회 | 2020-02-06 | 2030-02-06 | 공모 | 1.805% | 60,000 |
| - | 2020-07-10 | 2026-01-10 | 외화채권 | 1.350% | 691,450 |
| 136-2회 | 2020-10-29 | 2025-10-29 | 공모 | 1.401% | 150,000 |
| 137회 | 2020-12-23 | 2025-12-23 | 공모 | 1.513% | 180,000 |
| 138회 | 2021-02-18 | 2026-02-18 | 공모 | 1.488% | 210,000 |
| 139회 | 2021-02-24 | 2026-02-24 | 공모 | 1.559% | 200,000 |
| 140-2회 | 2021-04-22 | 2026-04-22 | 공모 | 1.790% | 50,000 |
| 140-3회 | 2021-04-22 | 2031-04-22 | 공모 | 2.115% | 50,000 |
| 141-2회 | 2021-05-28 | 2026-05-28 | 공모 | 1.914% | 50,000 |
| 142회 | 2021-07-28 | 2026-07-28 | 공모 | 1.886% | 150,000 |
| 143-2회 | 2021-09-06 | 2026-09-06 | 공모 | 1.956% | 70,000 |
| 144-2회 | 2021-11-11 | 2026-11-11 | 공모 | 2.450% | 10,000 |
| 145-2회 | 2022-02-22 | 2027-02-22 | 공모 | 2.851% | 20,000 |
| 146-2회 | 2022-03-23 | 2027-03-23 | 공모 | 2.940% | 70,000 |
| 147-2회 | 2022-04-20 | 2027-04-20 | 공모 | 3.712% | 50,000 |
| 148-2회 | 2022-05-23 | 2027-05-21 | 공모 | 3.805% | 60,000 |
| 149-2회 | 2022-07-18 | 2027-07-18 | 공모 | 4.152% | 100,000 |
| 149-3회 | 2022-07-18 | 2032-07-18 | 공모 | 4.135% | 60,000 |
| 150-2회 | 2022-08-11 | 2027-08-11 | 공모 | 4.122% | 150,000 |
| 151-2회 | 2022-10-18 | 2025-10-17 | 공모 | 5.559% | 80,000 |
| 151-3회 | 2022-10-18 | 2027-10-18 | 공모 | 5.615% | 70,000 |
| 152-1회 | 2022-11-10 | 2025-11-10 | 공모 | 6.102% | 160,000 |
| 152-2회 | 2022-11-10 | 2027-11-10 | 공모 | 6.169% | 110,000 |
| 152-3회 | 2022-11-10 | 2032-11-10 | 공모 | 6.115% | 30,000 |
| 153-1회 | 2023-01-31 | 2026-01-31 | 공모 | 3.663% | 100,000 |
| 153-2회 | 2023-01-31 | 2028-01-31 | 공모 | 3.785% | 100,000 |
| 154-1회 | 2023-02-24 | 2026-02-24 | 공모 | 3.963% | 50,000 |
| 154-2회 | 2023-02-24 | 2028-02-24 | 공모 | 4.136% | 150,000 |
| 155-1회 | 2023-03-22 | 2026-03-22 | 공모 | 3.751% | 30,000 |
| 155-2회 | 2023-03-22 | 2028-03-22 | 공모 | 3.924% | 170,000 |
| 156-1회 | 2023-04-21 | 2026-04-21 | 공모 | 3.962% | 20,000 |
| 156-2회 | 2023-04-21 | 2028-04-21 | 공모 | 4.114% | 250,000 |
| 157회 | 2023-05-23 | 2026-05-23 | 공모 | 3.943% | 100,000 |
| 158회 | 2023-06-19 | 2026-06-19 | 공모 | 4.186% | 100,000 |
| - | 2023-07-24 | 2028-07-24 | 외화채권 | 5.000% | 691,450 |
| 159-1회 | 2023-08-28 | 2026-08-28 | 공모 | 4.224% | 100,000 |
| 159-2회 | 2023-08-28 | 2028-08-28 | 공모 | 4.360% | 100,000 |
| 160-1회 | 2023-09-20 | 2026-09-20 | 공모 | 4.387% | 110,000 |
| 160-2회 | 2023-09-20 | 2028-09-20 | 공모 | 4.506% | 100,000 |
| 161-1회 | 2023-10-23 | 2026-10-23 | 공모 | 4.608% | 50,000 |
| 161-2회 | 2023-10-23 | 2028-10-23 | 공모 | 4.774% | 50,000 |
| 162-1회 | 2024-01-30 | 2027-01-30 | 공모 | 3.694% | 100,000 |
| 162-2회 | 2024-01-30 | 2029-01-30 | 공모 | 3.725% | 100,000 |
| 163-2회 | 2024-02-26 | 2027-02-26 | 공모 | 3.675% | 80,000 |
| 163-3회 | 2024-02-26 | 2029-02-26 | 공모 | 3.733% | 80,000 |
| 164-1회 | 2024-03-25 | 2027-03-25 | 공모 | 3.648% | 100,000 |
| 164-2회 | 2024-03-25 | 2029-03-25 | 공모 | 3.666% | 100,000 |
| 165-1회 | 2024-04-29 | 2027-04-29 | 공모 | 3.743% | 110,000 |
| 165-2회 | 2024-04-29 | 2029-04-29 | 공모 | 3.768% | 70,000 |
| 166-1회 | 2024-05-23 | 2027-05-23 | 공모 | 3.619% | 100,000 |
| 166-2회 | 2024-05-23 | 2029-05-23 | 공모 | 3.630% | 100,000 |
| 167-1회 | 2024-07-22 | 2027-07-22 | 공모 | 3.246% | 100,000 |
| 167-2회 | 2024-07-22 | 2029-07-22 | 공모 | 3.271% | 100,000 |
| 168-1회 | 2024-08-27 | 2027-08-27 | 공모 | 3.198% | 100,000 |
| 168-2회 | 2024-08-27 | 2029-08-27 | 공모 | 3.200% | 100,000 |
| 169-1회 | 2024-09-26 | 2027-09-26 | 공모 | 3.194% | 100,000 |
| 169-2회 | 2024-09-26 | 2029-09-26 | 공모 | 3.220% | 50,000 |
| 170-1회 | 2024-10-29 | 2027-10-29 | 공모 | 3.182% | 100,000 |
| 170-2회 | 2024-10-29 | 2029-10-29 | 공모 | 3.231% | 50,000 |
| 171-1회 | 2024-11-27 | 2027-11-27 | 공모 | 3.073% | 100,000 |
| 171-2회 | 2024-11-27 | 2029-11-27 | 공모 | 3.096% | 50,000 |
| 172-1회 | 2025-01-24 | 2027-01-24 | 공모 | 2.874% | 100,000 |
| 172-2회 | 2025-01-24 | 2029-01-24 | 공모 | 2.951% | 100,000 |
| 173-1회 | 2025-02-26 | 2026-02-26 | 공모 | 2.815% | 60,000 |
| 173-2회 | 2025-02-26 | 2028-02-26 | 공모 | 2.845% | 70,000 |
| 173-3회 | 2025-02-26 | 2030-02-26 | 공모 | 2.925% | 70,000 |
| 174-1회 | 2025-03-25 | 2028-03-25 | 공모 | 2.869% | 100,000 |
| 174-2회 | 2025-03-25 | 2030-03-25 | 공모 | 2.944% | 100,000 |
| 175-1회 | 2025-04-22 | 2028-04-22 | 공모 | 2.679% | 100,000 |
| 175-2회 | 2025-04-22 | 2030-04-22 | 공모 | 2.778% | 100,000 |
| 176-1회 | 2025-06-25 | 2028-06-25 | 공모 | 2.742% | 100,000 |
| 176-2회 | 2025-06-25 | 2030-06-25 | 공모 | 2.893% | 100,000 |
| - | 2025-07-14 | 2030-07-30 | 외화채권 | 4.500% | 691,450 |
| 177-1회 | 2025-07-18 | 2028-07-18 | 공모 | 2.633% | 100,000 |
| 177-2회 | 2025-07-18 | 2030-07-18 | 공모 | 2.842% | 100,000 |
| 178-1회 | 2025-08-26 | 2028-08-26 | 공모 | 2.670% | 100,000 |
| 178-2회 | 2025-08-26 | 2030-08-26 | 공모 | 2.839% | 100,000 |
| 합계 | - | - | - | - | 10,304,350 |
| 주1) 외화채권은 각 회차별 USD 5억원 발행으로 2025.07.31 기준 환율 1,382.90원 적용 |
나. 미상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명세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종류 | 액면금액 |
| 제2-2회 | 2017-09-15 | 영구 | 공모 | 4.25% | 신종자본증권 | 90,000 |
| 제3-2회 | 2018-04-13 | 영구 | 공모 | 4.56% | 신종자본증권 | 15,000 |
| 제8회 | 2020-09-17 | 영구 | 공모 | 3.12% | 신종자본증권 | 450,000 |
| 제9-1회 | 2021-03-16 | 영구 | 공모 | 2.94% | 신종자본증권 | 430,000 |
| 제9-2회 | 2021-03-16 | 영구 | 공모 | 3.30% | 신종자본증권 | 170,000 |
| 제10회 | 2021-05-12 | 영구 | 공모 | 2.88% | 신종자본증권 | 559,550 |
| 제11-1회 | 2022-01-25 | 영구 | 공모 | 3.90% | 신종자본증권 | 562,000 |
| 제11-2회 | 2022-01-25 | 영구 | 공모 | 4.00% | 신종자본증권 | 38,000 |
| 제12-1회 | 2022-08-26 | 영구 | 공모 | 4.93% | 신종자본증권 | 344,000 |
| 제12-2회 | 2022-08-26 | 영구 | 공모 | 5.15% | 신종자본증권 | 56,000 |
| 제13회 | 2023-01-30 | 영구 | 공모 | 5.14%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4회 | 2023-07-13 | 영구 | 공모 | 5.40% | 신종자본증권 | 500,000 |
| 제15회 | 2024-01-31 | 영구 | 공모 | 4.49%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6회 | 2024-09-12 | 영구 | 공모 | 4.00%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7회 | 2025-02-13 | 영구 | 공모 | 3.90%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합계 | - | - | - | - | - | 4,814,550 |
| 주1) 제10회차는 외화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USD 5억) 발행으로 발행시점 환율 1,119.10원 적용 |
마. 본 사채의 발행사유 (1) 발행사유 : 본 조건부 자본증권 (제18회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 목적은 글로벌 경기변동으로 인하여 예상되는 위험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당사의 자본비율 자본적정성을 제고하기 위함입니다.
바젤III 기준 자본비율은 BIS(국제결제은행)의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자기자본 측정과 기준에 관한 국제적 합의'에 의한 개념으로 금융회사의 리스크 증대에 대처하기 위한 자본비율 규제에 관한 국제적 통일기준을 의미하며, '(보통주자본(공제항목 차감 후) + 기타기본자본 + 보완자본)÷위험가중자산'으로 계산합니다.보통주자본은 금융지주회사의 손실을 가장 먼저 보전할 수 있으며, 금융지주회사 청산시 최후순위이고 청산시를 제외하고는 상환되지 않는 자본으로서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타기본자본은 영구적 성격의 자본으로서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으로 구성됩니다. 보완자본은 청산시 금융지주회사의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자본으로서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공제항목은 금융지주회사가 자산 또는 자본항목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손실흡수능력에 기여하지 않는 항목으로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보통주 자본에서 공제합니다.
(2) 본 사채 발행시 BIS비율 변동사항 예측 :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각 0.08%p., 0.08%p. 상승
| [바젤III 자본비율 예측치 상세내역(연결기준)] |
| (단위: 억원) |
|
관련지표 |
2025년 반기말 | 본 사채 발행효과 | 본 사채 반영후 |
|---|---|---|---|
|
총자본합계 |
551,800 | 2,700 | 554,500 |
|
기본자본계 |
523,114 | 2,700 | 525,814 |
|
보통주자본 |
462,986 | - | 462,986 |
|
위험가중자산 |
3,405,950 | - | 3,405,950 |
|
총자본비율 |
16.20% | 0.08% | 16.28% |
|
기본자본비율 |
15.36% | 0.08% | 15.44% |
|
보통주자본비율 |
13.59% | - | 13.59% |
| (주1) 당사 내부자료 및 당사 반기보고서(주2) 2025년 반기말 이후 자본변동 반영 시 수치는 2025년 반기말 기준으로 위험가중자산의 증감이나 당기순이익 변동은 감안하지 않고, 비교의 편의를 위하여 본건 발행분만 반영하여 산출한 결과이오니, 투자자들은 이 점에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주3) 인수단에 동사의 계열 증권사(신한투자증권)가 포함되어 있어 미매각 발생 시, 해당 증권사가 인수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기본자본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행효과에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인수 금액 전액 미매각 발생 시 BIS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기존 0.08%p., 0.08%p. 상승에서 0.06%p., 0.06%p. 상승으로 변경되며 사채 발행의 자본비율 상승 효과가 감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
본 사채는 당사에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식될 예정이며, 본 사채의 발행은 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이 각각 약 0.08%p., 0.08%p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 효과는 2025년 반기말 기준으로 산정한 수치이며, 본 사채 발행에 대한 효과를 비교의 편의 관점에서 산정되었습니다. 실제로 2025년 반기말 이후 당사 및 자회사의 영업행위에 따라 위험가중자산의 금액이 변동될 예정이며, 당기순익 발생에 따른 자본변동이 있을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바. 본 사채에 대한 세부사항(1) 사채의 명칭 : -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2) 사채의 전자등록총액 : - 금 이천칠백억원정(\270,000,000,000)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등록 총액은 등록 예정 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발행회사와 인수단이 협의하여 총 사천억원정(\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다.
(3) 사채의 이율 : - 본 사채의 최종이자율은 관련 법규 및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2025년 08월 13일 체결한 대표주관계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이자율을 결정한다.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금리는 다음과 같다.[(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본 사채의 이자율은 수요예측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 금리는 3.00% ~ 3.50%로 한다. (4) 사채의 상환방법과 기한 : 본 사채의 원금은 다음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사채의 만기일에 전액 일시 상환한다. 다만 만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영업일이 아닌 날을 말하며, 이하 같다)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① 본 사채가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이면서 발행회사의 수익력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체되는 경우
② 본 사채의 상환 후에도 발행회사의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1항 제1호 가목에서 지정하는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을 초과하는 충분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5) 사채의 중도상환 : 가) 본 사채의 보유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행회사에 대하여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그 선택에 의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3조 제11항에 규정된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다. 중도상환일이 은행의 휴업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중도상환일로 한다.
다)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 사전 통지 및 한국경제신문에 1회 공고한다.
라) 5년 중도상환 옵션의 경우 기준금리 조정ⓐ 기준금리 조정
본 사채의 기준금리(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매 5년째 되는 날'(이하 각 "기준금리조정일"이라고 하며,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을 "최초 기준금리 조정일"로 한다)에 각 조정된다. 이 경우 이자율은 i) 각 기준금리조정일 2영업일 전에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 [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에프앤자산평가(주)]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5년 만기 국고채권 개별 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 절사)에 ii) 아래 ⓑ에 따른 가산금리를 가산하는 방식으로 조정된다. 다만, 여하한 사유로 인하여 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 중 일부가 5년 만기 국고채권 개별 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 이외의 다른 민간채권평가회사 중 각 기준금리 조정일 직전연도 말일 기준의 매출액 순위가 높은 민간채권평가회사를 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에 순차로 포함시키며, 다른 모든 민간채권평가회사로부터 수익률을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민간채권평가회사 2사의 5년 만기 국고채권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을 기준으로 기준금리를 산정하되, 5년 만기 국고채권이 폐지되거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채권시가평가기준수익률이 금융투자협회에 의해 고시되지 않거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발행물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동 채권시가평가기준수익률이 기준금리 결정의 기준이 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발행회사가 판단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기준금리 산정의 객관성이 담보되고 시장의 관행에 부합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합리적인 수준에서의 기준금리를 적용할 수 있다.
ⓑ 가산금리 : 수요예측을 통해 결정된 본 사채의 이자율과 수요예측일 기준 5년 국고채권 개별 민평수익률(민간채권평가회사 4사 [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에프앤자산평가(주)]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5년 만기 국고채권 개별 민평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 절사))의 차.
ⓒ 특정 기준금리조정일에 재산정된 이자율은 해당 기준금리조정일(당일 포함)로부터 그 다음 기준금리조정일(해당일 불포함)까지의 기간 동안 적용된다. 다만,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만기일 직전의 기준금리 조정일(이하 "최종기준금리조정일")에 재산정된 이자율은 최종기준금리조정일(당일 포함)부터 만기일(해당일 불포함)까지 적용된다.
(6) 사채의 이자지급 방법과 기한 : 발행일로부터 만기일 전일까지의 기간 동안 매 3개월마다 연 이율의 1/4씩 후급으로 지급한다. 다만 이자지급 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첫번째 영업일에 지급하되, 그 같이 늦추어 지급하더라도 늦추어진 일수에 대하여는 따로 이자를 계산하여 지급하지 아니한다.
(7) [특약] 후순위 특약
① 파산절차의 경우
본 사채 상환기일 이전에 발행회사에 대해 파산 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 이하 같음)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파산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아가 본 사채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06조 제1항에 따른 부채에 포함되지 아니합니다.
(정지조건) 본 사채 및 본조 제1항 내지 제3항과 동일한 조건이 부가된 증권을 제외한 다른 모든 채권[발행회사의 보완자본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 이하 "선순위채권"]이 그 채권 전액에 대하여 파산절차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② 회생절차의 경우
발행회사에 대해 회생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 이하 같음)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회생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지조건) 선순위채권이 회생계획에서 상환하기로 한 채권 전액에 대하여 회생절차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③ 청산절차 진행의 경우
본 사채 상환기일 이전에 발행회사에 대해 청산절차(이에 준하는 절차 포함하되, 제1항 및 제2항 제외)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청산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지조건) 선순위채권 중 채권신고기간 내에 신고한 채권 및 기타 법률에 의하여 청산에 포함되어야 할 채권 전액이 청산절차에서 변제(공탁 포함)되거나 배당되었을 경우
④ 외국에서의 도산절차의 경우
외국에서 발행회사에 대해 대한민국법에 의하지 않는 파산절차, 회생절차 또는 이에 준하는 절차(이하 "해당 외국 절차" 라 한다)가 개시되는 경우, 사채권자는 해당 국가의 법령에서 정한 제한 범위 내에서 제1항 내지 제3항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해당 외국 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외국 절차상 당해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사채권자는 그 조건에도 불구하고 해당외국 절차에 따른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특약] 후순위자의 의무
① 본 사채의 모든 조항은 선순위채권자가 사채권자보다 불리하도록 변경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한 변경이 행해진 경우, 그것은 어떤 경우, 어느 누구에게도 유효하지 않습니다.
② 사채권자가 본 특약 제1조 제1항 내지 제4항에 따라 변제 또는 배당을 받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 원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은 경우 그 수령한 금액을 즉시 발행회사에 반환하여야 합니다.
(9) [특약] 상계의 제한
본 사채의 만기가 도래하고 금융감독원장으로부터 본 사채의 상환에 관한 승인을 얻었거나, 금융감독원장으로부터 승인을 얻어 중도상환권을 행사하기 전에는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원리금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발행회사의 사채권자에 대한 채권과 상계할 수 없습니다.
(10) [특약] 중도상환
①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② 발행회사의 선택에 의한 본 사채의 중도상환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전적으로 발행회사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하여 다음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습니다.
1.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이면서 발행회사의 수익력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체될 것(단, 대체발행은 상환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상환이후에 이루어져서는 안됨)
2. 본 사채의 상환 후에도 발행회사의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제1항제1호 가목에서 지정하는 자본적정성관련비율을 초과하는 충분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③ 위 제2항에 의한 본 사채의 원금 중도상환 일자가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하는 경우 그 다음 첫번째 은행영업일에 상환하되, 그 같이 늦추어 지급하더라도 늦추어진 일수에 대하여는 따로 이자(배당)를 계산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④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에 사전 통지합니다.
(11) [특약] 이율
① 본 사채의 이율은 본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본 사채 총액인수계약서 제3조 제10항에서 정한 이율을 적용합니다.
②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는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3>(신용ㆍ운영리스크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산출기준(바젤III 기준)) - 6. 기타기본자본 - 나.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에 근거한 배당가능이익에서 지급됩니다.
(12) [특약] 이자(배당)의 지급정지 및 취소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이자(배당)의 지급은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의 이자(배당) 지급의무는 모두 소멸됩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경우
2.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위원장이 발행회사와 관련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따른 긴급조치를 취하는 경우
3.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②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따라 발행회사의 자본보전완충자본을 포함한 자본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2>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미달함으로 인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3>에서 정하는 이익배당 등의 한도를 준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발행회사는 위 한도의 준수를 위해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 사채의 이자(배당)를 지급하지 아니합니다.
③ 발행회사는 그 고유의 재량에 따라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을 취소할 수 있으며, 배당의 지급취소는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발행회사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도 작용하지 않습니다.
④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조건부자본증권 중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이자(배당)의 지급이 취소되는 경우,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은 그 다른 조건부자본증권에 관한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가 해소될 때까지 함께 취소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⑤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는 본 사채에 대한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고, 발행회사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이자(배당)의 지급을 취소한 경우 그와 같이 지급이 취소된 금원을 본 사채 이외에 만기가 도래한 발행회사의 다른 채무의 이행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3) [특약] 무담보
본 사채는 무담보로 발행되며 발행일 이후 어떠한 형태로도 본 사채의 상환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권 설정을 할 수 없습니다.
(14) [특약] 상각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본 사채는 전액 영구적으로 상각되고, 이에 따른 본 사채의 상각은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② 상각의 효력은 제1항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제3영업일이 되는 날에 발생합니다.
(15) [특약] 교차채무불이행 조건의 배제
본 사채에는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채권의 부도시 본 사채도 함께 부도 처리되어 채권회수 등의 절차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조건(cross default)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16) [특약] 기한의 이익 상실 적용 배제
본 사채의 권리자는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없으며, 본 사채와 관련된 모든 계약서 중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조항 및 기한의 이익 상실을 전제로 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일체의 조항 역시 본 사채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발행회사가 파산 또는 청산을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17) [특약] 이해관계인에 대한 제한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는 본 사채를 매입하거나 본 사채의 매입자에 대하여 담보제공, 지급보증 및 대출 등에 의하여 매입자금을 직ㆍ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없으며, 납입자금에 대하여 청구권의 변제순위를 법률적ㆍ경제적으로 강화할 수 없으며, 직접 또는 관계회사를 통하여 본 사채의 매입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하여서는 아니됩니다.
(18) [특약] 제3자에 대한 적용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3자에게 양도되는 경우에는 본 사채특약의 모든 조항은 당해 양수인에게 적용됩니다.
사. 조건부자본증권이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경우
① 발행절차를 거쳐 납입이 완료된 상태이어야 하며, 영구적인 형태로서 금리상향조정 또는 다른상환유인이 없을 것.
② 후순위채 등의 보완자본보다 후순위특약(파산 등의 사태가 발생한 경우 선순위채권자가 전액을 지급받은 후에야 후순위채권자의 지급청구권의 효력이 발생함을 정한 특약을 말한다)조건이며,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파산 선고시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에 해당하지 않을 것
③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 제2조제2호에서 정하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또는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부터 제38조까지, 제40조에서 정하는 조치를 받은 경우 동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배당(이자를 포함한다)의 지급이 정지되는 조건일 것
④ 배당 지급기준은 자본증권 발행 당시에 확정되어 있어야 하고, 배당률이 회사의 신용상태에 따라 결정되지 않을 것
⑤ 배당 지급은 배당가능항목에서 지급될것
⑥ 회사는 언제든지 배당취소에 대한 완전한 재량권을 가질 것
⑦ 배당의 지급취소가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회사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
⑧ 발행 후 5년 이내에 상환되지 아니하며, 동 기간 경과 후 상환하는 경우에도 상환여부를 발행회사가 전적으로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상환될 것이라는 투자자의 기대를 유발하거나 발행회사에게 사실상 상환을 하도록 부담을 부과하는 이떠한 조건도 없을 것
⑨ 발행회사가 발행한 모든 조건부자본의 상각 또는 보통주 전환이 없거나 해당 금융지주회사가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에 자본증권이 상각되거나 보통주로 전환되는 조건일 것
⑩ 회사 및 회사가 실질적으로 영향력으로 행사하는 자는 자본증권을 매입하거나 증권의 매입자에 대하여 담보제공, 지급보증 및 대출 등에 의하여 매입자금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없고, 납입자금에 대하여 청구권의 변제순위를 법적, 경제적으로 강화할 수 없으며, 직접 또는 관계회사를 통하여 동 증권의 매입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하여서는 아니될 것
⑪ 자본증권은 향후 발행회사의 자본조달 및 자본확충을 저해하는 조건이 없을 것
아. 바젤III 기준 BIS비율 산출방법(금융지주회감독규정시행세칙 별표<1-2>) 1.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및 총자본비율은 은행지주회사 및 그 연결대상회사의 연결재무제표를 기초로 하여 산출한다.
2.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작성한다. 다만, 신탁계정(원금보전 약정이 없는 신탁 및 투자신탁분 제외) 및 자회사등에 해당하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의 공동기업은 연결대상에 포함하고, 금융지주회사법시행령 제2조제1항 및 제2항이외의 업종을 영위하는 회사와 보험회사는 연결대상에서 제외한다.
3.「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별표3>, <별표3-2> 및 2013.12.1. 시행 부칙 제3조 내지 제5조의 규정은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및 총자본비율의 산출에 준용한다. 다만,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별표3> 4,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별표3-2> 6에서 정하는 리스크평가조정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별표8>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산출한 값을 사용한다. <개정 2015.12.18>
4. 은행지주회사의 자회사가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별표3> 및 <별표3-2>의 규정 등에 따라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 위험가중자산 산출시 내부모형을 활용하는 경우 해당 은행지주회사는 당해 자회사의 위험가중자산 산출시 동 내부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은행지주회사는 2016년 12월 31일까지 그룹내 단일 내부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사전에 감독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BIS 비율 산출시 포함되는 각 리스크 유형별 위험가중자산은 다음과 같이 산출하고있습니다.가. 신용리스크는 차주의 채무불이행 또는 신용도 하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가능성으로, 신용위험가중자산은 Basel III 기준을 적용하여 은행 자회사의 경우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승인받은 내부모형을 활용하여 신용위험가중자산을 산 출하고 있으며, 비은행 자회사의 경우 표준방법에 따라 신용리스크 산출대상 자산 의 거래상대방 신용도, 채권의 만기, 담보 및 보증유무 등을 기준으로 위험도에 따 라 부여된 위험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고 있습니다.나. 시장리스크는 주식, 금리, 외환 등 시장가격 변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손 실 가능성으로,시장위험가중자산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시행세칙 상의 표준방 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금리, 주식, 외환, 상품 및 옵션리스크의 합계로 구성된 시 장리스크 소요 자기자본에 12.5를 곱하여 산출하고 있습니다.다. 운영리스크는 부적절한 내부인력, 업무절차, 시스템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적 손실가능성으로, 운영위험가중자산은 연결회사에 대해 은행업감독규정시행세 칙 별표 3을 적용하여 산출된 운영리스크 소요자기자본에 12.5를 곱하여 산출하 고 있습니다. BIS 비율의 산출과 관련된 규제자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보통주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대손준비금 제외), 기타포괄손익누 계액, 자본조정, 은행인 연결종속기업이 발행한 보통주에 대한 비지배주주지분, 보통주 공제항목나. 기타기본자본: 기타기본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 기타기본자본 발행과 관 련한 자본잉여금, 비적격자본증권 기타자본인정액, 연결종속기업이 발행한 자본 증권에 대한 비지배지분 중 기타기본자본 인정금액, 기타기본자본 공제항목다. 보완자본: 보완자본인정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 보완자본 발행과 관련한 자 본잉여금, 비적격 자본증권(기한부후순위채무, 후순위차입 포함) 보완자본 인정 액, 연결종속기업이 발행한 자본증권에 대한 비지배주주지분 중 보완자본 인정금 액, "정상" 또는 "요주의" 분류 자산에 대한 대손충당금 등, 예상손실총액을 초과 하는 적격대손충당금 등, 보완자본 공제항목
자. 바젤(Basel)에 대한 이해
|
1) 바젤위원은행감독위원회(BCBS)의 탄생과 바젤Ⅰ 바젤위원은행감독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는 1974년 1차 오일쇼크 당시 독일 헤르슈타트(Herstatt Bankhaus)은행이 파산하는 사건으로 인해 탄생한다. 1976년 6월 헤르슈타트(Herstatt Bankhaus)은행 파산에 따른 국제 통화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경험한 G-10국가의 중앙은행이 은행감독에 관한 국가간 협력 증대를 위해 위원회를 설립했다. 바젤위원은행감독위원회는 1974년 처음 위원회 설치를 제안한 영란은행(Bank of England)의 이사 쿠크(Cooke)의 이름을 따서 쿠크위원회로 불리었으나, 1999년 바젤은행감독위원회로 바뀌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선진 10개국(G10) 중앙은행 총재들은 스위스의 바젤시에 위치한 국제결제은행(BIS) 산하에 BCBS(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를 설립하고 은행감독의 국제적 공조에 합의한다. 이후, 1988년 7월 스위스 바젤 은행감독위원회는 최초의 은행 자본규제인 바젤Ⅰ을 발표한다. 바젤Ⅰ은 해외점포를 가진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기준이며,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누는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이라고도 한다)을 8% 이상 유지해야 한다는 기준이 있다. G10국가들은 1992년부터 바젤Ⅰ 규제를 시행했으며, 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BIS 비율 8% 준수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바젤Ⅰ은 은행의 위험을 계량화하고 측정하는 최초의 국제적인 수단이라는 의의가 있지만,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이 단순하다는 한계가 지적되어 이후 신 BIS협약을 추진하게 된다. 2) 바젤Ⅱ의 내용 1999년 6월 은행규제감독위원회는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을 정교하게 측정하기 위한 국제적 규약을 발표하였는데, 규약의 공식적인 명칭은 ‘The New Basel Capital Accocrd’이다. 이후, 2004년 6월 바젤Ⅱ 최종안이 발표되었고, 한국금융감독원에서도 2004년 10월 바젤Ⅱ의 적용안이 공표되었다. 바젤Ⅱ의 주요내용으로는 BIS비율 8% 외에 기본자본비율 4%의 기준 및 보통주 자본비율 2%가 추가되었고, 은행의 운영리스크를 산출해 위험가중자산에 포함시켜 자본비율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감독당국이 은행의 내부등급 산출절차를 점검하도록 하고, 은행이 자기자본의 세부내역과 리스크별 측정방법을 공시하도록 한 것이다. 바젤Ⅱ는 3개의 축으로 구성되는데, 첫번째 축에서는 최저 자기자본규모를 산출하는 방식을 정해주고, 이 규모 이상으로 자본을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두번째 축에서는 은행의 리스크관리와 자본적정성 평가 시스템에 대해 감독당국에서 적극적으로 점검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마지막 세번째 축은 공시 강화를 통해 시장 참여자의 감시를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3) 바젤Ⅲ의 내용2008년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으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이와 같은 금융위기의 재발을 막기 위해 국제공조가 시작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바젤Ⅲ이다. 바젤Ⅲ는 바젤Ⅱ에서 나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동성 규제와 은행의 자본을 강화할 목적으로 2010년 9월에 탄생하게 된다. 먼저, 유동성 규제 강화측면이다. 유동성 규제방안으로는 단기유동성 비율과 순안정자금 조달비율이 도입되었는데, 단기 유동성비율은 위기상황에서 은행이 30일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유동성 자산을 30일간의 순현금 유출로 나눈 것이다. 다음으로 순안정자금조달 비율은 위기상황에서 채권 등 1년이상 현금화되지 않는 자산외에 추가적으로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장기부채 및 자본 등 안정적 자본을 필요한 자금으로 나눈 비율이다.마지막으로 자본강화 측면이 있다. 바젤Ⅱ에 대비하여 보통주 자본은 4.5%로, 기본자본은 6.0%로, 자기자본은 8.0%로 허들이 세분화되고 높아졌으며, 여기에 경기변동에 대한 완충자본 2.5%를 요구하게 되면 금융기관에서 이러한 규제비율을 맞추기 위해 더 많은 적정자본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하지만 2013년 1월 바젤위원회는 은행들의 반발에 부딪혀 단기유동성비율(LCR)등 유동성규제 관련 기준을 완화하고 적용시점을 2019년으로 늦추기로 결정했다. |
2. 사채관리계약에 관한 사항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 [ 회차: 18 ] | (단위 : 원) |
| 사채관리회사 | 대표전화번호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기타조건 |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02-3770-8556, 8646, 8605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270,000,000,000 | 9,000,000 | - |
| (주) 2025년 09월 02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총액은 합계 금 사천억원(\4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결정 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나. 사채관리회사에 관한 사항 - 사채관리회사, 주관회사 및 발행기업 간 거래관계 여부
| 구 분 | 해당 여부 | |
|---|---|---|
| 주주 관계 | 사채관리회사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 여부 | 해당 없음 |
| 계열회사 관계 | 사채관리회사와 발행회사 간 계열회사 여부 | 해당 없음 |
| 임원겸임 관계 | 사채관리회사의 임원과발행회사 임원 간 겸직 여부 | 해당 없음 |
| 채권인수 관계 | 사채관리회사의주관회사 또는 발행회사 채권인수 여부 | 해당 없음 |
| 기타 이해관계 | 사채관리회사와 발행회사 간사채관리계약에 관한 기타 이해관계 여부 | 해당 없음 |
- 사채관리실적(2025.08.27 기준)
| 구분 | 실적 |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계약체결 건수 | 125건 | 131건 | 117건 | 119건 | 102건 | 111건 | 123건 | 93건 |
| 계약체결 위탁 금액 | 24조 2,580억원 | 30조 440억원 | 29조 4,840억원 | 28조 1,360억원 | 24조 5,310억원 | 27조 8,570억원 | 31조 8,810억원 | 25조 6,050억원 |
- 사채관리 담당 조직 및 연락처
| 사채관리회사 | 담당조직 | 연락처 |
|---|---|---|
| 한국증권금융(주) | 증권등록부 회사채관리팀 | 02-3770-8556, 8646, 8605 |
다. 사채관리회사의 권한 "갑"은 발행회사인 (주)신한금융지주회사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
사채관리계약서 제4-1조 (사채관리회사의 권한) ① "을"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단, 1)사채권자집회의 결의가 있거나 2)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2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로서 이에 근거한 사채권자의 서면에 의한 지시가 있는 경우 "을"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야 한다. 다만, 동 단서에 따른 지시에 의해 "을"이 해당행위를 하여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갑"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소송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을"이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을 통하여 혹은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할 수 있는 경우, "을"은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들에게, 다음 각 호의 행위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요청의 실현 시까지 "을"은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원금 및 이자의 지급의 청구, 이를 위한 소제기 및 강제집행의 신청 2. 원금 및 이자의 지급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압류·가처분 등의 신청 3.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강제집행절차에서의 배당요구 및 배당이의 4.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 5.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에 관한 재판에 대한 즉시항고 6. 파산, 회생절차에서의 채권의 신고, 채권확정의 소제기, 채권신고에 대한 이의, 회생계획안의 인가결정에 대한 이의 7. "갑"이 다른 사채권자에 대하여 한 변제, 화해 기타의 행위가 현저하게 불공정한 때에는 그 행위의 취소를 청구하는 소제기 및 기타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8. 사채권자집회의 소집 및 사채권자집회 결의사항의 집행(사채권자집회 결의로써 따로 집행자를 정한 경우는 제외) 9. 사채권자집회에서의 의견진술 10. 기타 사채권자집회 결의에 따라 위임된 사항 ② 제1항의 행위 외에도 “을”은 본 사채의 원리금을 지급받거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판상·재판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③ “을”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서는 사채권자 집회의 유효한 결의가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재판상, 재판외의 행위로서 이를 행할 수 있다. 1. 본 사채의 발행조건의 사채권자에게 불이익한 변경 : 본 사채 원리금지급채무액의 감액, 기한의 연장 등 2. 사채권자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가 있는 사항 : “갑”의 본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의 면제 등 ④ 본 조에 따른 행위를 함에 있어서 “을”이 지출하는 모든 비용은 이를 “갑”의 부담으로 한다. ⑤ 전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을”은 “갑”으로부터 본 사채의 원리금 변제로서 지급받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 받은 금원에서 자신이 지출한 전항의 비용을 최우선적으로 충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을”의 비용으로 충당된 한도에서 사채권자들은 “갑”으로부터 본 사채에 대해 유효한 원리금의 지급을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보며 해당 금액에 대하여 사채권자는 여전히 “갑”에 대한 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보유한다. 만일, 제1항 본문 후단에 따른 “을”의 비용 선급 등 요청에 따라 해당 비용을 선급하거나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된 금액의 범위에서 본 항에 의한 “을”의 비용 우선 충당 권리는 해당 금원을 선급 또는 대지급한 사채권자들에게 그 실제 지출한 금액의 비율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귀속한다. ⑥ “갑” 또는 사채권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을”은 본 조의 조치와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의 명세를 서면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⑦ 본 조에 의한 행위에 따라 “갑”으로부터 지급 받는 금원이 있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 받은 금원이 있는 경우, “을”은 이로부터 제5항에 따라 우선 충당할 권리가 있는 비용에 이를 충당하고(만일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증빙을 받아 해당 사채권자에게 그 대지급한 금원을 지급한다) 나머지 금원은 이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보관한다. ⑧ “을”은 제7항에 따라 보관하게 되는 금원(이하 이 조에서 “보관금원”)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사채권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사채에 기한 권리를 신고하도록 공고 하여야 한다. 이 경우 권리의 신고기간은 1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만일, “갑”이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이나 배당을 수령한 즉시 “을”은 이를 공고 하여야 한다. ⑨ 전항 기재 권리 신고기간 종료시 "을"은 신고된 각 사채권자에 대해, 제7항의 보관금원을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사채 권면이나 전자증권법 제39조에 따른 소유자증명서(이하 “소유자증명서”라 한다)와의 교환으로써 해당 금원을 지급한다. 만일, "갑"이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예정 되어 있거나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경우 "을"은 교부받은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에 지급하는 금액을 기재하거나 이 뜻을 기재한 별도 서면을 첨부하고 기명날인하여 이를 해당 사채권자에게 반환하며, 해당 사채를 보유하는 사채권자가 차회에 추가적인 지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이와 같이 "을"이 기재한 지급의 뜻이 기재되거나 그와 같은 뜻이 기재된 문서가 첨부된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를 다시 "을"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⑩ 사채 미상환 잔액을 산정함에 있어 "을"이 사채권자가 제공한 소유자증명서나 사채권을 신뢰하여 이를 기초로 보관금원을 분배한 경우 "을"은 이에 대해 과실이 있지 아니하다. ⑪ 신고기간 종료시까지 해당 사채권자가 권리를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권리신고를 하고도 이후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를 교부하고 지급을 신청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사채권자에게 지급될 금원은 이를 공탁할 수 있다. ⑫ 보관금원에 대해 보관기간 동안의 이자 발생하지 아니하며 “을”은 이를 지급할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 한다. |
라. 사채관리회사의 의무 및 책임"갑"은 발행회사인 (주)신한금융지주회사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
사채관리계약서 제4-2조 (사채관리회사의 조사권한 및 발행회사의 협력의무) ① "을"은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갑"의 업무 및 재산상황에 대하여 정보 및 자료의 제공요구, 실사 등 조사를 할 수 있고, "갑"은 이에 성실히 협력하여야 한다. 1. "갑"이 본 계약을 위반하였거나 위반하였다는 합리적 의심이 있는 경우 2. 기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②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과반수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가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를 소명하여 "을"에게 서면으로 요구하는 경우 "을"은 제1항의 조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을"이 "갑"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나 실사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거나 사채권자의 소명 내용이 합리적인 근거를 결하였음을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 결과,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하는 경우 "을"은 사채권자집회에서의 결의 또는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에게, 해당 조치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장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실현 시까지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사채권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을"이 조사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 여하에 불구하고, 사채권자집회의 결의, 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 2 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사채권자는 직접 또는 제3자를 지정하여 제1항의 조사를 할 수 있다. ④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을"의 자료제공요구 등에 따른 비용은 "갑"이 부담한다. 다만, 해당 조사나 자료요구 및 실사 등은 합리적인 범위에 의한 것이어야 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의 비용에 대하여는 "갑"이 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⑤ "갑"의 거절, 방해, 비협조 혹은 자료 미제공 등으로 인한 조사나 실사 미진행시 "을"은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⑥ 본 조의 자료제공요구나 조사, 실사 등과 관련하여 "갑"이 상기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빙하거나 자료 등을 공개하지 아니할 법규적인 의무가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료제공, 조사 혹은 실사에 대한 협조를 거절하거나, 이를 방해한 경우 이는 "갑"의 이 계약상의 의무위반을 구성한다. |
마. 사채관리회사의 사임"갑"은 발행회사인 (주)신한금융지주회사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
사채관리계약서 제4-6조 (사채관리회사의 사임) ① "을"은 본 계약의 체결 이후 상법시행령 제27조 각 호의 이익충돌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의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임하여야 한다. "을"이 사임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각 사채권자는 법원에 "을"의 해임과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사채관리회사가 선임되기까지 "을"의 사임은 효력을 갖지 못하고 "을"은 그 의무를 계속하여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을"은 자신의 책임으로 이익 상충 및 정보교류차단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그 위반 시 이에 따른 책임을 부담한다. 만일, 새로운 사채관리회사의 선임에 따라 추가 되는 비용이 있는 경우 이는 "을"의 부담으로 한다. ② 사채관리회사가 존재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갑"과 사채권자집회의 일치로써 그 사무의 승계자를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합리적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채관리회사의 보수 및 사무처리비용 기타 계약상의 의무에 있어서 발행회사가 부당하게 종전에 비하여 불리하게 되어서는 아니된다. ③ "을"이 사임 또는 해임된 때로부터 30일 이내에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10분의 1 이상을 보유하는 사채권자는 법원에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④ "을"은 "갑"과 사채권자집회의 동의를 얻어서 사임할 수 있으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법원의 허가를 얻어 사임할 수 있다. ⑤ "을"의 사임이나 해임은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어 취임할 때에 효력이 발생하고, 사무승계자는 본 계약상 규정된 모든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
바. 기타사항
|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사채관리계약상의 권한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동 증권신고서에 첨부된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상 '은행지주회사'로 분류됩니다. 국내 은행지주회사는 현재 8개사가 있으며 각 사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반기말 은행지주회사 요약재무정보] | (단위 : 백만원, %) |
| 구분 | 등급 | 자산 | 부채 | 자본 | 영업이익 | 순이익 | BIS총자본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
|---|---|---|---|---|---|---|---|---|
| 신한금융지주 | AAA | 752,691,462 | 692,495,598 | 60,195,864 | 3,958,471 | 3,094,280 | 16.20 | 0.84 |
| KB금융지주 | AAA | 780,622,664 | 719,668,715 | 60,953,949 | 4,425,999 | 3,446,702 | 16.36 | 1.09 |
| 하나금융지주 | AAA | 642,043,029 | 597,994,571 | 44,048,458 | 2,982,248 | 2,323,229 | 15.59 | 0.63 |
| 농협금융지주 | AAA | 591,978,578 | 553,969,920 | 38,008,658 | 2,809,205 | 1,879,100 | 15.75 | 0.60 |
| 우리금융지주 | AAA | 534,112,776 | 498,397,258 | 35,715,518 | 1,977,714 | 1,594,299 | 16.06 | 0.71 |
| BNK금융지주 | AAA | 155,534,603 | 144,475,964 | 11,058,640 | 461,697 | 486,315 | 13.96 | 1.62 |
| iM금융지주 | AAA | 100,159,736 | 93,859,389 | 6,300,347 | 407,645 | 317,943 | 14.76 | 1.64 |
| JB금융지주 | AA+ | 70,188,044 | 64,327,671 | 5,860,373 | 484,368 | 380,606 | 14.36 | 1.15 |
| 주1) 연결 기준 자산금액순(신한금융지주 제외)주2) BIS총자본비율은 Basel III기준(2025년 반기말 BIS자기자본비율 수치는 잠정치로 변동될 수 있음)(자료 : 각 사 2025년 반기보고서 및 경영공시자료) |
|
가. 금융지주회사로서의 위험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지주회사 로서 종속회사로부터의 배당금 및 이자수익이 당사의 주수익원입니다.따라서, 당사 종속회사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된다면 당사의 수익성 또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한편, 금융지주회사는 자회사들 간의 업무통합, 관리 및 시너지 창출 등의 경영관리 활동을 통해 자회사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주회사 전체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자회사간 효율적인 경영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여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자회사의 최근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다음과 같으며, 당사의 위험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자회사의 영업 현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01년 09월 금융지주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지주회사로서 주식 또는 지분의 소유를 통한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 또는 금융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의 지배 내지 경영관리, 자회사에 대한 출자 또는 자회사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위한 자금조달, 자회사 등(자회사, 손자회사 및 손자회사가 지배하는 회사를 포함한다)에 대한 출자지원을 위한 자금조달, 자회사 등과의 공동상품의 개발ㆍ판매 및 설비ㆍ전산시스템 등의 공동 활용 등을 위한 사무지원, 기타 인ㆍ허가를 요하지 아니하는 업무 등 자회사의 경영관리업무와 그에 부수하는 업무를 영위합니다. 금융지주회사법에 의하여 이를 제외하고는 당사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업무를 영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금융지주회사의 수익은 대부분 자회사들의 이익에 의존하며, 금융지주회사의 경쟁요소는 소유 자회사들의 해당 업종 내에서의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금융지주회사의 업무 관련 - 금융지주회사법]
| 제4장 금융지주회사의 업무 및 자회사의 편입 등제15조(업무) 금융지주회사는 자회사의 경영관리업무와 그에 부수하는 업무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무를 제외하고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업무를 영위할 수 없다. |
| 출처 : 법제처 |
[금융지주회사의 업무 관련 -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
제11조(금융지주회사의 업무 등) ①법 제15조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무"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말한다. <개정 2010.1.18, 2015.12.30> 1. 경영관리에 관한 업무 가. 자회사등에 대한 사업목표의 부여 및 사업계획의 승인 나. 자회사등의 경영성과의 평가 및 보상의 결정 다. 자회사등에 대한 경영지배구조의 결정 라. 자회사등의 업무와 재산상태에 대한 검사 마. 자회사등에 대한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업무 바. 가목부터 마목까지의 업무에 부수하는 업무 2. 경영관리에 부수하는 업무 가. 자회사등에 대한 자금지원(금전·증권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산의 대여, 채무이행의 보증, 그 밖에 거래상의 신용위험을 수반하는 직접적·간접적 거래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나. 자회사에 대한 출자 또는 자회사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위한 자금조달 다. 자회사등의 금융상품의 개발·판매를 위한 지원, 그 밖에 자회사등의 업무에 필요한 자원의 제공 라. 전산, 법무, 회계 등 자회사등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자회사등으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마. 그 밖에 법령에 의하여 인가·허가 또는 승인 등을 요하지 아니하는 업무 ② 제1항제2호다목 및 라목의 업무에 대한 세부 내용은 별표 3과 같다. <신설 2010.1.18> |
| 출처: 법제처 |
[계열회사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사) |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 상장 | 2 | ㈜신한금융지주회사(종목코드: 055550) 주2) | 104-81-64625 |
| ㈜제주은행(종목코드: 006220) | 616-81-00615 | ||
| 비상장 | 46 | ㈜신한은행 | 202-81-02637 |
| 신한카드㈜ | 202-81-48079 | ||
| 신한투자증권㈜ | 116-81-36684 |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104-81-28992 | ||
| 신한자산운용㈜ | 116-81-60452 | ||
| 신한캐피탈㈜ | 134-81-11323 | ||
| ㈜신한저축은행 | 120-87-90239 | ||
| 신한자산신탁 | 120-87-07104 | ||
| ㈜신한DS | 110-81-34825 | ||
| 신한펀드파트너스㈜ | 107-81-85143 | ||
| 신한리츠운용㈜ | 711-88-00923 | ||
| (주)신한벤처투자 | 201-81-55941 | ||
| 신한EZ손해보험 | 110111-2799299 | ||
| SHC매니지먼트 주3) | 104-81-72014 | ||
| 신한신용정보㈜ | 119-81-58580 | ||
| 신한 제2호 사모투자전문회사 | 101-86-40537 | ||
| 신한 프랙시스 케이그로쓰 글로벌 사모투자전문회사 | 611-88-00069 | ||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275-81-01086 | ||
| 신한위벤처뎁1호사모투자회사 | 110113-0034908 | ||
|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PEF | 442-88-01860 | ||
| 신한금융플러스 | 569-86-01934 | ||
| 신한라이프케어 | 124-87-59356 | ||
| 신한 큐이디 제1호 PEF | 110113-0030005 | ||
| 제이에스신한 PEF | 110113-0030013 | ||
| 신한리오그린 PEF | 110113-0036889 | ||
| 아메리카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SBJ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유럽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캄보디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카자흐스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 해외현지법인 | ||
| 캐나다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베트남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멕시코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인도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뉴욕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홍콩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DS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SBJ DNX | 해외현지법인 |
|
주1) |
2025년 6월 말 기준이며,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른 지주회사, 자회사 및 (증)손자회사임 |
| 주2) | 신한금융지주회사는 기업집단의 지주회사임 |
| 주3) | SHC Management는 구 신한카드 청산법인으로, 청산 종결 시까지 존속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당사는 2025년 반기말 현재 상장회사인 제주은행과 비상장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캐피탈, 신한자산운용, 신한저축은행, 신한자산신탁, 신한DS, 신한펀드파트너스, 신한리츠운용, 신한벤처투자, 신한EZ손해보험의 지배회사입니다. 당사는 상기 자회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사업부문 | 내 용 | 계열회사 | |
|---|---|---|---|
| 은행업 부문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은행,제주은행 | |
| 신용카드업 부문 |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카드,신한은행 | |
| 증권업 부문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투자증권 | |
| 보험업 부문 | 생명보험사업, 손해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EZ손해보험 | |
| 여신전문업 부문 |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캐피탈 | |
| 기타부문 | 자산운용업 부문 | 증권투자신탁운용, 투자자문, 콜거래 업무, 국내외 사모투자전문회사(Private Equity Fund)의 업무집행사원으로서의 업무 | 신한자산운용 |
| 저축은행업 부문 |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른 수신, 여신 및 부대업무 | 신한저축은행 | |
| 부동산신탁업 부문 | 부동산 유지 및 관리, 토지 개발 후 임대 및 분양 업무 | 신한자산신탁 | |
|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부문 | 금융IT서비스 업무 | 신한DS | |
|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 부문 | 펀드 일반사무관리 업무 및 부대업무 | 신한펀드파트너스 | |
| 부동산업 부문 |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 | 신한리츠운용 | |
| 신탁업 및 집합투자업 부문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 제공 업무 | 신한벤처투자 |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최근 주요 부문의 사업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업 부문 (시중은행 중심)1. NIM 변화에 따른 수익성 저하 가능성은행업은 경기변동에 민감하여 경기가 상승할 때 자산 증대와 수익 창출을 이룰 수 있는 반면, 경기가 하락할 때는 자산 성장이 둔화되면서 수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2009년 이후 시중의 유동성 확대 및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은행의 대출자산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국내 가계부채 누증 등에 의한 신용위험 변동성 상승에 대비하며 국내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가계 및 개인사업자 대출에 대한 규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산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자마진은 개선 추세이나, 우량자산 경쟁 심화 및 장기적인 저금리 국면 등으로 완만한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은퇴·자산관리 시장의 성장,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금융 서비스 확산,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등은 성장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와 더불어 새로운 비지니스모델 발굴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2022년 초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곡물 등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었습니다. 전쟁 발발 이후 2022년 3월경 국제유가는 배럴당 130달러 수준까지 상승하기도 하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이에 2022년 6월 미국의 CPI 상승률은 9.1%까지 오르며 1981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에 미 연준의 파월 의장은 미국의 기록적인 물가상승률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하였으며, 2023년에는 2월 0.25%p, 3월 0.25%p, 5월 0.25%p 연속인상하며 3차례 연속 베이비스텝을 단행하였습니다. 2023년 6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 2023년 7월 FOMC에서 0.25%p 추가 인상 하였고,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시사에도 불구하고, 고용.물가 둔화, 국채금리 급등으로 인한 추가 긴축 필요성이 약화됨에 따라 2023년 9월, 11월, 12월에 이어 2024년 2월, 3월, 5월, 6월, 8월 FOMC에서도 8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 9월 FOMC에서는 30개월만의 통화정책 전환을 결정하며, 빅컷(기준금리 0.5% 포인트 인하)를 단행하였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지난 2년간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를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는 반면, 노동 시장은 확연하게 냉각됨에 따라 고용 및 물가 안정 목표 달성을 위한 결정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2024년 11월, 12월 FOMC에서 각 0.25%p를 인하했지만 재정정책 불확실성 및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히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연준은 인플레이션 추이, 정부정책 변화 등을 지켜보며 2025년 1월 30일 FOMC에서 금리를 동결을 하였습니다. 2025년 3월 FOMC에서도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경제 활동은 견조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2025년 5월 FOMC에서도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증대되어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으며, 현재의 통화정책이 다소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2025년 6월 회의에서 FOMC는 최근 관세 인상이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며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었다고 진단하는 한편, 고용시장 둔화에 따른 실업률 상승 가능성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적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둔화의 위험을 강조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국내의 경우 2021년 6월 한국은행 총재의 기준금리 인상 발언이 시작되었으며, 2021년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0.25%p 인상을 결정하였습니다. 2021년 10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3.2%를 기록하며 점차 물가상승률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계속되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6.3%를 기록하는 등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2022년 7월, 10월 및 2023년 1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한 후 2023년 2월부터 2024년 8월까지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으나, 최근 국내 부동산과 가계대출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신중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분석하며 2024년 10월과 11월에 기준금리를 각 0.25%p씩 인하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2025년 2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단행하였으며 4월 금통위에서는 동결을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5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발표하였습니다. 가장 최근에 진행한 7월 금통위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을 발표하여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한국의 기준금리는 2.50%를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 금리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정부는 차주 상환능력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선진화된 여신심사 관행을 정착시키기 위해 2018년 1월부터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수도권 등을 대상으로 신 DTI(총부채상환비율, Debt to Income) 시행하였으며, 2018년 하반기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ebt to service ratio)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2024년 2월 1단계, 2024년 9월 2단계 스트레스 DSR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2025년 7월 1일 3단계 스트레스 DSR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한편 2025년 6월 27일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는 최근 수도권 지역 부동산 시장 상황 등과 맞물려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 규모 확대에 우려를 표하며,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였고, 금융 전체 가계대출(정책대출 제외) 총량 목표를 올해 하반기부터 계획 대비 50% 수준으로 감축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상세 내용으로 일반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조치(수도권, 규제 지역 6억 한도), 실거주 목적 외 추가 주택 구입 규제 강화, 신용대출 한도 제한 등이 포함되며 수도권, 규제지역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 LTV 80% → 70%로 강화, 전입 의무 부과(디딤돌, 보금자리론 동일 시행), 전세대출 비율 90% → 80% 로 축소하여 금융회사들의 여신심사 강화를 유도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DSR 도입,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전세대출 보증 축소 등으로 은행업의 대출 성장 위축 및 이자 수익 저하로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향후 규제 시행 및 파급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4.9조원으로 전년 동기(12.6조원) 대비 2.3조원 증가(+18.4%)하였습니다. 시중(8.4조원), 특수은행(5.4조원), 인터넷은행(0.4조원)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조원(+26.0%), 0.6조원(+12.7%), 0.1조원(+13.7%)증가한 반면, 지방은행(0.6조원) 당기순이익은 0.1조원(△11.8%) 감소하였습니다.
| [국내은행 당기순이익 현황] | |
| (단위 : 조원, %) | |
| 구 분 | '23년 | '24년 | 2024년 |
'25.상P (B) |
2025년 | 증 감(B-A) | 증감률 | |||||||
|---|---|---|---|---|---|---|---|---|---|---|---|---|---|---|
|
'24.상 (A) |
1Q | 2Q | 3Q | 4Q | 1Q | 2QP | ||||||||
| 국내은행 | 21.2 | 22.2 | 12.6 | 5.3 | 7.2 | 6.2 | 3.4 | 14.9 | 6.9 | 8.0 | 2.3 | 18.4 | ||
| 일반은행 | 13.6 | 14.8 | 7.8 | 3.4 | 4.3 | 4.9 | 2.2 | 9.4 | 4.2 | 5.3 | 1.6 | 21.9 | ||
| 시중은행 | 12.2 | 13.0 | 6.7 | 2.9 | 3.8 | 4.4 | 2.0 | 8.4 | 3.8 | 4.7 | 1.7 | 26.0 | ||
| 지방은행 | 1.1 | 1.2 | 0.7 | 0.4 | 0.4 | 0.4 | 0.1 | 0.6 | 0.3 | 0.4 | △0.1 | △11.8 | ||
| 인터넷은행 | 0.4 | 0.6 | 0.3 | 0.2 | 0.2 | 0.2 | 0.1 | 0.4 | 0.2 | 0.2 | 0.1 | 13.7 | ||
| 특수은행 | 7.7 | 7.4 | 4.8 | 1.9 | 2.9 | 1.3 | 1.2 | 5.4 | 2.7 | 2.7 | 0.6 | 12.7 | ||
| 주) 아이엠뱅크는 시중은행에 포함(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25.08.21 -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
한편,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의 총자산이익률(ROA)는 0.75%로 전년동기(0.67%) 대비 0.08%p 상승하였으며, 자기자본이익률(ROE)는 10.18%로 전년 동기(9.10%) 대비 1.08%p 상승하였습니다.
|
[국내은행의 ROA, ROE 현황] |
(단위 : %, %p) |
|
구 분 |
'23년 |
'24년 |
2024년 | '25.상P(B) | 2025년 |
증감 (B-A) |
|||||
| '24.상(A) |
1Q |
2Q |
3Q |
4Q |
1Q |
2QP |
|||||
|
ROA |
0.58 | 0.58 | 0.67 | 0.57 | 0.76 | 0.65 | 0.35 | 0.75 | 0.71 | 0.80 | 0.08 |
|
일반은행 |
0.57 | 0.60 | 0.64 | 0.57 | 0.70 | 0.78 | 0.34 | 0.74 | 0.66 | 0.82 | 0.10 |
|
특수은행 |
0.59 | 0.55 | 0.73 | 0.59 | 0.87 | 0.40 | 0.36 | 0.78 | 0.80 | 0.76 | 0.05 |
|
ROE |
7.88 | 7.76 | 9.10 | 7.80 | 10.38 | 8.57 | 4.61 | 10.18 | 9.57 | 10.72 | 1.08 |
|
일반은행 |
8.58 | 8.93 | 9.66 | 8.57 | 10.74 | 11.66 | 5.09 | 11.31 | 10.08 | 12.45 | 1.65 |
|
특수은행 |
6.89 | 6.14 | 8.33 | 6.73 | 9.90 | 4.37 | 3.96 | 8.67 | 8.89 | 8.42 | 0.34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25.08.21 -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의 대손비용은 3.2조원으로 전년 동기(2.6조원) 대비 0.6조원 증가(+23.3%)하였습니다. 이는 주로 경기둔화에 따른 원화대출 연체율 상승 추세 등의 영향에 기인합니다.
| [국내은행 대손비용 현황] | |
| (단위 : 조원, %) | |
| 구 분 | '23년 | '24년 | 2024년 | '25.상P(B) | 2025년 | |||||||||
|---|---|---|---|---|---|---|---|---|---|---|---|---|---|---|
| '24.상(A) | 1Q | 2Q | 3Q | 4Q | 1Q | 2QP | 증 감(B-A) | 증감률 | ||||||
| 국내은행 | 10.0 | 7.0 | 2.6 | 1.3 | 1.3 | 2.0 | 2.4 | 3.2 | 1.7 | 1.5 | 0.6 | 23.3 | ||
| - | 일반은행 | 6.2 | 4.3 | 1.9 | 0.9 | 1.0 | 1.2 | 1.2 | 2.6 | 1.3 | 1.3 | 0.8 | 39.7 | |
| - | 시중은행 | 4.2 | 2.4 | 1.0 | 0.5 | 0.5 | 0.8 | 0.5 | 1.7 | 0.8 | 0.9 | 0.7 | 65.6 | |
| 지방은행 | 1.0 | 0.9 | 0.4 | 0.2 | 0.2 | 0.2 | 0.3 | 0.5 | 0.3 | 0.2 | 0.1 | 20.8 | ||
| 인터넷은행 | 0.9 | 1.0 | 0.5 | 0.2 | 0.3 | 0.2 | 0.3 | 0.5 | 0.2 | 0.2 | △0.0 | △1.4 | ||
| 특수은행 | 3.9 | 2.6 | 0.7 | 0.4 | 0.3 | 0.7 | 1.2 | 0.6 | 0.4 | 0.2 | △0.1 | △19.4 | ||
| 주) 아이엠뱅크는 시중은행에 포함(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25.08.21 -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
2. 자산건전성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
2025년 1분기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59%로 전분기말(0.54%) 대비 0.05% 상승하였습니다. 2025년 3월말 대손충당금 잔액(28.4조원)은 전분기말(28.1조원) 대비 0.3조원 증가하였으나, 부실채권 증가로 대손충당금적립률(170.5%)은 전분기말(187.0%) 대비 16.5%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국내은행 부실채권 규모 및 비율 추이] | (단위 : 조원, %, %p) |
| 구 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증감 | ||||||||
|---|---|---|---|---|---|---|---|---|---|---|---|---|
| 3말 | 6말 | 9말 | 12말 | 3말 (A) | 6말 | 9말 | 12말 (B) | 3말 P (C) | 전년 동기(C-A) | 전분기(C-B) | ||
| 부실채권 계 | 10.4 | 10.5 | 11.5 | 12.5 | 13.4 | 14.4 | 14.5 | 15.0 | 16.6 | +3.2 | +1.6 | |
| 기 업 여 신1) | 8.2 | 8.2 | 9.0 | 10.0 | 10.7 | 11.6 | 11.7 | 12.0 | 13.2 | +2.5 | +1.2 | |
| 가 계 여 신 | 2.0 | 2.2 | 2.3 | 2.3 | 2.5 | 2.6 | 2.6 | 2.8 | 3.1 | +0.6 | +0.3 | |
| 신 용 카 드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3 | 0.3 | +0.1 | +0.0 | |
| 총여신 | 2,540.7 | 2,564.1 | 2,616.2 | 2,629.0 | 2,676.9 | 2,739.9 | 2,765.7 | 2,799.1 | 2,817.0 | +140.1 | +17.9 | |
| 대손충당금 잔액 | 24.0 | 23.8 | 24.7 | 26.7 | 27.2 | 27.1 | 27.2 | 28.1 | 28.4 | +1.2 | +0.3 | |
| 부실채권비율2) | 0.41 | 0.41 | 0.44 | 0.47 | 0.50 | 0.53 | 0.53 | 0.54 | 0.59 | +0.09 | +0.05 | |
| 대손충당금적립률3) | 229.9 | 226.4 | 215.3 | 214.0 | 203.1 | 188.0 | 187.4 | 187.0 | 170.5 | △32.6 | △16.5 | |
| 주1) 공공 및 기타부문 포함주2) 부실채권 비율=부실채권/총여신주3) 총대손충당금잔액/부실채권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_2025.05.30(금) |
2025년 1분기 중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6.0조원으로 전분기(6.1조원) 대비 0.1조원 감소하였습니다. 상세 증감 내역은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5조원으로 전분기(4.6조원) 대비 0.1조원 감소하였으며,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4조원으로 전분기(1.3조원) 대비 0.1조원 증가하였습니다.
| [국내은행 부실채권 신규발생] | (단위 : 조원) |
| 구 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증감 | |||
|---|---|---|---|---|---|---|---|
| 1Q |
1Q (A) |
4Q (B) |
1QP (C) |
전년동기 (C-A) |
전분기 (C-B) |
||
| 신규발생 | 3.0 | 4.5 | 6.1 | 6.0 | +1.5 | △0.1 | |
| - | 기업여신1) | 1.9 | 3.1 | 4.6 | 4.5 | +1.4 | △0.1 |
| (대기업)2) | 0.1 | 0.3 | 0.6 | 0.5 | +0.2 | △0.1 | |
| (중소기업) | 1.8 | 2.8 | 3.9 | 3.9 | +1.1 | △0.0 | |
| 가계여신 | 1.0 | 1.2 | 1.3 | 1.4 | +0.2 | +0.1 | |
| (주담대) | 0.3 | 0.5 | 0.6 | 0.6 | +0.1 | +0.0 | |
| (가계신용) | 0.7 | 0.7 | 0.7 | 0.8 | +0.1 | +0.1 | |
| 주1) 기업여신 : 공공 및 기타부문 포함주2) 기업여신 중 중소기업여신 제외분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_2025.05.30(금) |
2025년 1분기 중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4.4조원으로 전분기(5.5조원) 대비 1.1조원 감소하였습니다. 부실채권 정리 형태는 상·매각(대손상각 1.2조원, 매각 1.4조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1.3조원), 여신 정상화(0.4조원) 등이 주요한 정리 형태로 확인됩니다.
| [국내은행 부실채권 정리추이] | (단위 : 조원) |
| 구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증감 | |||
|---|---|---|---|---|---|---|---|
| 1Q | 1Q(A) | 4Q(B) | 1Q(C) | 전년동기(C-A) | 전분기(C-B) | ||
| 정리실적 | 2.7 | 3.5 | 5.5 | 4.4 | +0.9 | △1.1 | |
| 형태 | 상·매각 | 1.3 | 2.3 | 3.3 | 2.6 | +0.3 | △0.7 |
| 정상화 등 주1) | 1.4 | 1.2 | 2.3 | 1.9 | +0.7 | △0.4 | |
| 부문 | 기업여신 | 2.0 | 2.4 | 4.3 | 3.2 | +0.8 | △1.1 |
| (중소기업) | 1.3 | 2.2 | 3.7 | 2.9 | +0.7 | △0.8 | |
| 가계여신 | 0.6 | 1.0 | 1.1 | 1.1 | +0.1 | △0.0 | |
| (가계신용) | 0.4 | 0.6 | 0.7 | 0.7 | +0.1 | +0.0 | |
| 주1) 여신정상화·담보처분·출자전환 등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_2025.05.30(금) |
2025년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0.59%)은 정리규모 감소등 영향으로 전분기말(0.54%) 대비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부실채권 증가 등에 따라 대손충당금적립률(170.5%)도 전분기말(187.0%)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과거 대비 양호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 [부문별 부실채권비율] | (단위 : %, %p) |
| 구 분 | ’23년 | ‘24년 | ‘25년 | 증감 | ||||||||
|---|---|---|---|---|---|---|---|---|---|---|---|---|
| 3말 | 6말 | 9말 | 12말 | 3말 (A) | 6말 | 9말 | 12말 (B) | 3말P (C) | 전년 동기(C-A) | 전분기 (C-B) | ||
| 총여신 | 0.41 | 0.41 | 0.44 | 0.47 | 0.50 | 0.53 | 0.53 | 0.54 | 0.59 | +0.09 | +0.05 | |
| 기업여신1) | 0.50 | 0.49 | 0.53 | 0.59 | 0.61 | 0.65 | 0.65 | 0.66 | 0.72 | +0.11 | +0.06 | |
| - | 대기업2) | 0.38 | 0.35 | 0.39 | 0.50 | 0.48 | 0.44 | 0.43 | 0.42 | 0.45 | △0.03 | +0.03 |
| 중소기업 | 0.57 | 0.57 | 0.61 | 0.64 | 0.69 | 0.77 | 0.78 | 0.80 | 0.89 | +0.20 | +0.09 | |
| 중소법인 | 0.80 | 0.77 | 0.81 | 0.85 | 0.89 | 1.00 | 0.99 | 0.99 | 1.08 | +0.19 | +0.09 | |
| 개인사업자 | 0.27 | 0.30 | 0.33 | 0.34 | 0.41 | 0.44 | 0.48 | 0.52 | 0.60 | +0.19 | +0.08 | |
| 가계여신 | 0.23 | 0.24 | 0.25 | 0.25 | 0.27 | 0.27 | 0.27 | 0.29 | 0.32 | +0.05 | +0.03 | |
| - | 주택담보대출 | 0.14 | 0.16 | 0.17 | 0.16 | 0.18 | 0.18 | 0.18 | 0.20 | 0.22 | +0.04 | +0.02 |
| 신용대출등 | 0.45 | 0.47 | 0.48 | 0.47 | 0.53 | 0.54 | 0.53 | 0.56 | 0.62 | +0.09 | +0.06 | |
| 신용카드 | 1.20 | 1.27 | 1.36 | 1.36 | 1.61 | 1.60 | 1.55 | 1.81 | 2.01 | +0.40 | +0.20 | |
| 주1) 기업여신 : 공공 및 기타부문 포함주2) 기업여신 중 중소기업여신 제외분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_2025.05.30(금) |
▲ 신용카드업 부문
신용카드사는 소비자(신용카드 회원)가 각종 재화 및 용역의 제공자(신용카드 가맹점)로부터 재화 및 용역에 대한 대가를 지불(신용카드 이용)하거나 회원이 신용카드사로부터 현금을 융통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의 소비지출 증감 및 국내경기의 변동에 따라 수익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카드사별 분기별 카드수익] |
| (단위 : 백만원) |
| 회사명 | 2023년 3월 | 2023년 6월 | 2023년 9월 | 2023년 12월 | 2024년 3월 | 2024년 6월 | 2024년 9월 | 2024년 12월 | 2025년 3월 |
|---|---|---|---|---|---|---|---|---|---|
| 신한카드 | 742,129 | 797,490 | 809,909 | 824,073 | 810,915 | 811,500 | 827,067 | 828,022 | 800,661 |
| KB국민카드 | 813,807 | 808,916 | 799,022 | 885,486 | 868,093 | 842,425 | 865,123 | 878,224 | 850,668 |
| 롯데카드 | 425,089 | 468,635 | 477,731 | 509,885 | 500,456 | 535,531 | 536,479 | 574,941 | 521,826 |
| 삼성카드 | 837,464 | 837,317 | 846,709 | 883,927 | 856,257 | 850,415 | 857,970 | 886,008 | 872,609 |
| 우리카드 | 328,334 | 349,851 | 358,611 | 369,216 | 356,173 | 375,600 | 395,832 | 404,740 | 396,276 |
| 하나카드 | 352,596 | 374,457 | 387,758 | 406,853 | 406,786 | 403,731 | 399,902 | 414,391 | 420,487 |
| 현대카드 | 659,396 | 693,079 | 723,076 | 771,981 | 758,025 | 801,654 | 817,491 | 837,190 | 792,585 |
| 비씨카드 | 836,383 | 907,866 | 871,201 | 906,277 | 824,356 | 857,293 | 798,787 | 831,312 | 749,382 |
| 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국내 신용카드사들은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에서 2002년 기간 중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 확대와 금리 안정화, 정부의 신용카드 이용 장려 정책 등의 영향으로 큰 폭의 외형성장과 함께 대규모의 수익을 시현하였으나 2003년 이후 경기침체로 가계상환능력이 급속히 악화되고 부실채권이 크게 증가하면서 산업 전체적인 구조조정을 거친 바 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와 더불어 신용카드 이용금액은 매년 증가해 2016년 약 655조원으로 과겨 경기침체 이전 최고치인 2002년 631조원을 상회했습니다. 2020년 COVID-19 확산에 따른 소비 침체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역성장 하였으나, 2021년에는 소비심리가 크게 회복되면서 비대면업종을 중심으로 한 민간소비의 성장에 힘입어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전년 대비 9.8% 증가한 834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꾸준히 이용금액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3년말 기준 999.4조원, 2024년말 기준 1,040.1조원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시장 성장세는 완만한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경쟁구도 측면에서는 전업카드사 간 시장점유율 확보 경쟁과 더불어, 수수료수익기반 강화를 위해 신용카드 영업을 강화하는 추세인 겸영은행들의 적극적인 마케팅 전개와 본격적인 영업확대 및 효율화를 위한 분사 등으로 인해 전체 산업의 경쟁강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투자 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연도별 신용카드 이용금액] |
| (단위 : 억원) |
| 구 분 | 신용카드 이용금액 | 합 계 | ||
|---|---|---|---|---|
| 신용판매 | 카드대출 | |||
| 일시불 | 할부 | 현금서비스 | ||
| 2002 | 1,832,965 | 761,652 | 3,717,366 | 6,311,983 |
| 2003 | 1,702,979 | 437,863 | 2,110,836 | 4,251,678 |
| 2004 | 1,879,463 | 418,679 | 1,276,047 | 3,574,189 |
| 2005 | 2,093,258 | 440,629 | 1,030,587 | 3,564,474 |
| 2006 | 2,383,717 | 494,735 | 928,160 | 3,806,612 |
| 2007 | 2,749,339 | 606,249 | 914,305 | 4,269,893 |
| 2008 | 2,915,363 | 690,303 | 887,588 | 4,493,254 |
| 2009 | 3,046,909 | 716,722 | 814,517 | 4,578,148 |
| 2010 | 3,297,691 | 823,371 | 813,197 | 4,934,259 |
| 2011 | 3,539,925 | 878,206 | 801,699 | 5,219,830 |
| 2012 | 3,827,431 | 952,809 | 749,953 | 5,530,193 |
| 2013 | 4,008,392 | 878,833 | 683,063 | 5,570,288 |
| 2014 | 4,083,072 | 922,108 | 633,260 | 5,638,440 |
| 2015 | 4,356,127 | 993,188 | 595,030 | 5,944,345 |
| 2016 | 4,894,429 | 1,065,892 | 593,289 | 6,553,610 |
| 2017 | 5,120,812 | 1,152,606 | 592,662 | 6,866,080 |
| 2018 | 5,392,846 | 1,247,286 | 607,683 | 7,247,815 |
| 2019 | 5,721,839 | 1,287,681 | 591,239 | 7,600,759 |
| 2020 | 5,729,432 | 1,323,033 | 540,836 | 7,593,301 |
| 2021 | 6,343,151 | 1,447,195 | 551,383 | 8,341,729 |
| 2022 | 7,281,832 | 1,557,709 | 574,106 | 9,413,647 |
| 2023 | 7,798,052 | 1,620,693 | 574,982 | 9,993,727 |
| 2024 | 8,184,404 | 1,639,291 | 577,936 | 10,401,631 |
| 출처 :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 제81호(2025년 05월) |
국내 신용카드사들의 연체율은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가계의 가처분소득의 감소 이슈로 연체율이 더 이상 하락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가계부채 부담으로 인한 대손 관련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점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카드사별 연체율(1개월이상, 대환대출 포함) 추이] |
| (단위:%) |
|
구분 |
KB국민카드 |
우리카드 |
하나카드 |
신한카드 |
삼성카드 |
현대카드 |
롯데카드 |
|---|---|---|---|---|---|---|---|
|
2015. 12월 |
1.38 |
2.41 |
2.11 |
1.68 |
1.31 |
0.78 |
1.69 |
|
2016. 12월 |
1.47 |
2.15 |
1.88 |
1.68 |
1.18 |
0.84 |
1.62 |
|
2017. 12월 |
1.52 |
1.82 |
2.04 |
1.49 |
1.14 |
0.84 |
1.49 |
|
2018. 12월 |
1.57 |
1.78 |
2.20 |
1.53 |
1.38 |
1.07 |
1.37 |
|
2019. 12월 |
1.47 | 1.61 | 2.09 | 1.50 | 1.25 | 0.93 | 1.73 |
| 2020. 12월 | 1.25 | 1.18 | 1.50 | 1.35 | 1.10 | 1.56 | 1.16 |
| 2021. 12월 | 1.20 | 0.95 | 1.23 | 1.05 | 1.00 | 1.12 | 1.00 |
| 2022. 12월 | 1.34 | 1.65 | 1.30 | 1.23 | 0.95 | 1.07 | 1.15 |
| 2023. 12월 | 1.86 | 2.00 | 1.99 | 1.73 | 1.27 | 0.97 | 1.80 |
| 2024. 12월 | 1.85 | 2.15 | 2.18 | 1.73 | 1.08 | 1.08 | 1.77 |
| 2025.03월 | 2.02 | 2.62 | 2.44 | 1.80 | 1.12 | 1.21 | 1.94 |
| 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금융당국은 2012년 이후 3년마다 적격비용 재산정 작업을 통해 카드수수료 개편안을 마련하여 적용중이며, 2022년 1월 말부터 적격비용 재산정에 따른 새로운 가맹점 수수료 체계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수료율 하락 외 조달비용 상승, 카드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규제 강화 등을 감안할 때 카드사들의 단기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 [신용ㆍ체크카드 우대수수료 적용 대상] |
| 구분 | 연간 매출액 |
적용 수수료율 |
|||
|---|---|---|---|---|---|
|
신용카드 |
체크카드 | ||||
| 종전 | 변경 | 종전 | 변경 | ||
| 영세 | 3억원 이하 | 0.80% | 0.50% | 0.50% | 0.25% |
| 중소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1.30% | 1.10% | 1.00% | 0.85% |
|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 1.40% | 1.25% | 1.10% | 1.00% | |
|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 1.60% | 1.50% | 1.30% | 1.25%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카드산업은 시장의 규모와 전반적인 영업에 있어 정부의 정책 및 규제의 변화와 IT기술의 발달, 소비자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신용위험 수준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닙니다. 또한, 전형적인 내수산업으로 민간소비 및 전반적인 경제 상황의 변화 등 경기변동에 비교적 영향을 크게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민간소비 동향에 따라 신용카드 이용실적이 함께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발급수 및 가맹점수] |
| 구분 | 경제활동인구 1)(만 명) | 신용카드수(만 매) | 경제활동인구1인당 신용카드수(매) | 가맹점수(만점) |
|---|---|---|---|---|
| 2015 | 2,715 | 9,314 | 3.5 | 242 |
| 2016 | 2,742 | 9,564 | 3.5 | 250 |
| 2017 | 2,775 | 9,946 | 3.6 | 257 |
| 2018 | 2,790 | 10,506 | 3.8 | 269 |
| 2019 | 2,819 | 11,098 | 3.9 | 281 |
| 2020 | 2,801 | 11,373 | 4.1 | 290 |
| 2021 | 2,831 | 11,769 | 4.2 | 299 |
| 2022 | 2,892 | 12,417 | 4.4 | 310 |
| 2023 | 2,920 | 12,980 | 4.4 | 316 |
| 2024 | 2,940 | 13,341 | 4.5 | 319 |
| 주1) 만15세 이상의 생산가능 연령인구 중에서 구직활동이 가능한 취업자 및 실업자주2) 가맹점으로부터의 매출전표 매입건수 1건 이상(연간) 발생기준출처 :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 제81호(2025년 05월) |
연도별 신용카드 발급수는 2000년부터 경기가 회복되고, 정부의 카드활성화 정책이 탄력을 받으면서 전년 대비 48.4%, 2001년에도 54.3%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가파른 증가세가 2002년에는 약간 둔화하여 17.3% 증가하였지만, 2003년부터 경기 하강, 신용불량자문제, 신용카드사의 자산건전성문제가 야기되면서 카드발급수도 감소세로 돌아서, 2003년에 전년대비 약 8.9% 감소한 것을 비롯하여 2005년까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주요 카드사들이 흑자전환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2006년 이후에는 신용카드 발급수가 증가세로 전환하였고 금융감독당국이 전업계 카드사의 신용카드 미사용 약정충당금 적립 범위를 확대하고 대손충당금 적립요건을 강화한 것을 계기로 2007년에는 소폭 감소세를 보였으나 2008년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2011년을 기점으로 신용카드 발급수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다 2015년부터 소폭 반등 후 증가추세로 2024년말 기준으로는 13,341만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경제활동인구 1인당 신용카드 소지매수도 카드발급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 변화하였습니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는 경제활동인구 1인당 신용카드소지매수가4.6매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이후 2003년, 2004년에는 감소세로 돌아서 2005년 3.5매 수준까지 하락했으나, 2011년 4.9장까지 증가하여 2002년 카드위기 이전 상태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소액중심의 카드결제 보편화가 빠르게 진행된 것이 그 원인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라 민간최종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신용카드 이용금액의 비중이 지속 증가하여 2012년 말 63.8%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14년까지 경제활동인구 1인당 신용카드소지매수는 3.5매로 다시 감소하였고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2022년도부터 2023년말까지 4.4매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4년말 4.5매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2025년 글로벌 경제는 글로벌 통화긴축의 점진적인 종료에 따라 금융여건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미-중 갈등의 영향으로 거시적인 환경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대내적으로는 AI를 비롯한 글로벌 IT시장 성장으로 인하여 반도체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국내 경기 및 소비심리가 소폭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 정세 불안 등 민간소비의 뚜렷한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 금융투자업 부문1. 거래량 및 거래대금 감소에 기인한 수익성 악화금융투자업은 유가증권의 발행, 매매와 관련한 제반 업무 수행,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 등을 통하여 기업투자자금의 장기조달 원천 제공 및 국민경제 측면에서 자금의 효율적 배분과 투자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국내 금융투자회사는 고유업무인 자기매매업무(Dealing), 위탁매매업무(Brokerage) 및 인수업무(Underwriting)와 부수업무로 고객에 대한 신용공여, 증권저축,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 등의 증권관련 업무, 금고대여 업무 등의 일부 은행관련 업무, CD 및 거액 CP의 매매 및 중개 등의 일부 단기 금융업무와 화폐시장펀드(MMF) 등 일부투자 신탁업무를 취급하고 있습니다.「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6조에 의한 금융투자업자로서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 금융투자업자의 주요 업무 ] |
| 구 분 | 내 용 |
|---|---|
| 투자매매업 | 자기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매도ㆍ매수, 증권의 발행ㆍ인수 또는 그 청약의 권유, 청약, 청약의 승낙을 하는 업무 |
| 투자중개업 | 타인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매도ㆍ매수, 그 청약의 권유, 청약, 청약의 승낙 또는 증권의 발행ㆍ인수에 대한 청약의 권유ㆍ청약ㆍ청약의 승낙을 하는 업무 |
| 투자자문업 | 금융투자상품의 가치 또는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판단에 관하여 자문을 하는 업무 |
| 집합투자업 | 투자자로부터 일상적인 운용지시를 받지 아니하면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투자대상자산을 취득ㆍ처분, 그 밖의 방법으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배분하여 귀속시키는 업무 |
| 투자일임업 |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판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임받아 투자자별로 구분하여 금융투자상품을 취득ㆍ처분 그 밖의 방법으로 운용하는업무 |
| 신탁업 | 신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
금융투자업은 일반적으로 위탁매매, 자기매매, 인수주선 업무와 이에 부수된 업무를 말하며, 금융투자회사는 자본시장에서 증권 및 파생상품의 발행주체와 이를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를 연결하는 중간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수익구조는 수수료수익,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수익, 파생상품거래수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수료수익은 주식수탁수수료, IB부문 발행수수료, 펀드판매수수료 등 고객이나 기업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는 수수료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원인 동시에 순영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수익은 금융투자회사가 자기위험으로 보유하고 있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등의 자산의 가격이 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이며, 파생상품거래수익은 증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상품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주식수탁수수료가 전체 수수료 수익에서 가장 비중이 높으며, 2007년 71.35%에서 지속적으로 비중이 감소하여 2019년 기준 전체 수수료 수익의 34.76%를 차지하고 있으나, 2020년 이후 유동자금의 증권시장 유입에 따른 수탁수수료 증가로 2020년말 기준 수탁수수료는 전체 수수료 수익 중 51.59%를 차지하였으며, 2021년 전체 수수료 수익에서 47.54%(총 수수료 15조 4,366억원 중 7조 3,391억원)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2년 기준 수탁수수료는 4조 5,1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43% 감소하였고, 총 수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7.7%로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주식시장 유동성 감소에 기인합니다. 2023년 기준 수탁수수료는 5조 610억원으로 2022년 대비 12.07% 증가하였으며 이는 주식거래대금이 증가한 것에 기인합니다. 2024년 기준 수탁수수료는 5조 7,161억원이며, 총 수수료의 47.58%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025년 1분기말 수수료 비중은 46.46%로 직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상기와 같이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수익구조는 수탁수수료에 의존도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거래대금 규모가 감소할 경우, 주식 수탁수수료 수익의 감소로 인해 금융투자회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 위탁매매 수수료수익 및 비중 추이 ] |
| (단위 : 백만원) |
| 연 도 | 위탁매매부문 | 총수수료 | |
|---|---|---|---|
| 수수료 | 구성 비율 | ||
| 2015년 |
3,842,544 |
57.77% |
6,651,897 |
| 2016년 |
2,913,498 |
47.76% |
6,100,381 |
| 2017년 |
3,449,668 |
46.08% |
7,485,886 |
| 2018년 |
3,975,042 |
45.27% |
8,780,892 |
| 2019년 |
3,019,887 |
34.76% |
8,687,677 |
| 2020년 | 6,550,222 | 51.59% | 12,697,812 |
| 2021년 | 7,339,080 | 47.54% | 15,436,586 |
| 2022년 | 4,515,925 | 37.70% | 11,984,386 |
| 2023년 | 5,061,011 | 46.60% | 10,860,201 |
| 2024년 | 5,716,135 | 47.58% | 12,013,736 |
| 2025년 1분기 | 1,558,788 | 46.46% | 3,355,101 |
| (주1) 위탁매매부문 수수료 = 수탁수수료(주2) 증권사(국내법인)계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금융투자업은 증권시장의 주가변동에 따라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회사의 실적이 크게 변동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증권시장이 상승기일 때는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개선되어 거래량이 증가하고 거래수수료 수익이 증가하여 금융투자업이 호황을 누리며, 증시가 하락기일 때는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거래량 감소와 거래수수료 수익의 감소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그러나, 최근의 금융투자업계는 금융자문, 유동성 및 신용공여, 대체투자 등 IB부문 수익이 증권업 수익규모 성장을 견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과거와 같이 거래량이 금융투자업계의 절대적인 수익을 보장하지 않는 바, 정치, 경제, 국제관계, 환율, 경기변동 등 다양한 요인들이 금융투자업계의 수익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다.미국 FOMC와 금통위의 적극적 금리인하에 따라 2020년 1월 2,260까지 회복하며 상승세를 보이던 국내 증시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과 함께 하락세로 전환하였습니다. 2020년 3월 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과 함께 전세계 금융시장이 영향을 받게되자, 한국증시에 대한 외국인의 매도가 이어지며 2020년 03월 19일 종가 기준 코스피 1,457.64, 코스닥 428.35까지 급락하였습니다. 그러나 전세계적인 정부의 적극적 재정정책과 중앙은행의 통화완화정책,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보급 및 개인 매수세를 기반으로 주가지수는 빠르게 회복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1년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지수는 3,000을, 코스닥 지수는 1,000을 돌파하는 등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코스피 지수는 소폭 하락하여 2021년말 종가 기준 코스피지수는 2,977.65, 코스닥지수는 1,033.98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으로 접어들면서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으며, 더불어 미국 FOMC가 반복적인 큰 폭의 금리인상을 단행하였고, 한국 금통위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준 금리를 인상하면서 유동성이 대폭 감소하면서 국내 증시는 2022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인 약세를 보이다 하반기부터 KOSPI 기준으로 2,200pt에서 2,500pt 사이의 박스권을 형성하였습니다. 2023년 2분기를 2,564.28pt로 마감한 KOSPI시장은 3분기 들어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 완화, 채권금리 및 달러 급락으로 2,600pt를 상회하였으나 8월 미국 신용등급 강등, 중국 부동산 위기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하였고, 9월 들어 안정세를 보이던 증시는 FOMC 이후 고금리 장기화 우려 등으로 2,465.07pt로 마감하였습니다. 한편, 2023년에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 및 고용지표가 점차 하락하는 안정세를 보이며, 미 연준의 기준금리 상승이 최종 레벨에 다다랐다는 신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 증시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국내 증시도 다소 상승세로 전환하였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전세계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며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시기가 임박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과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이에 코스닥 지수는 3월말, 코스피 지수는 6월말 각각 종가기준 905.5pt, 2.797.82pt라는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하락세로 전환하여 연말까지 지속적인 하락세가 이어져 2024년 12월 코스피 지수는 2,399.5pt 수준, 코스닥 지수는 678.2pt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2025년 1월말의 경우 대내외적 정치적 경제적 불안정성은 여전히 존재하였으나, 연초효과 및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소폭 반등하여 코스피는 2,517.37pt, 코스닥지수는 728.29pt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2025년 6월 새 정부 출범으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대규모 추경안 발표 등 내수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됨에 따라 코스피 지수가 2021년 이후 3년 6개월만에 3,000pt를 넘기는 등 현재 코스피지수는 2,900~3,100pt.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습니다.
| [국내 증시 및 일평균거래대금 추이] |
| (단위 : pt, 조원, 천주) |
| 구 분 | 2025년반기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2020년말 | |
|---|---|---|---|---|---|---|---|
| 주가지수 | KOSPI | 3,071.7 | 2,399.5 | 2,655.3 | 2,236.4 | 2,977.7 | 2,873.5 |
| KOSDAQ | 781.5 | 678.2 | 866.6 | 679.3 | 1,034.0 | 968.4 | |
| 시가총액 | 금 액 | 2,917 | 2,303 | 2,558 | 2,083 | 2,650 | 2,366 |
| 증가율 | 8.33% | -9.97% | 22.83% | -21.40% | 12.00% | 37.78% | |
| 거래대금 | 금 액 | 2,094 | 4,669 | 4,809 | 3,914 | 6,767 | 5,708 |
| 증가율 | -18.28% | -2.91% | 22.87% | -42.16% | 18.55% | 149.51% | |
| 주1) 주가지수는 해당 기말 종가 기준주2) 시가총액과 거래대금은 KOSPI와 KOSDAQ의 합계주3) 시가총액은 각 기말 기준주4) 거래대금은 해당기간의 누적 금액을 기재주5) 2025년 반기말 시가총액 및 거래대금 증가율은 전년도 동기 대비 기준(자료 : 한국거래소 KRX Marketdata) |
금융투자업 내에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총 60개의 증권회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은행/보험 등 여타 금융기관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2009년 자본시장법 도입으로 금융투자업계 진입규제가 완화되면서 증권사 신규설립이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 [각 금융권역별 회사 수] |
| 구 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2020년말 |
|---|---|---|---|---|---|---|
| 증권사 | 60 | 60 | 60 | 59 | 58 | 57 |
| 국내은행 | 20 | 20 | 20 | 20 | 20 | 19 |
| 생명보험 | 22 | 22 | 22 | 23 | 23 | 24 |
| 손해보험 | 32 | 32 | 31 | 32 | 30 | 31 |
| 주) 증권사는 국내법인과 외국계 지점의 합계를 의미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제한된 국내시장에서 60개 증권사의 영업으로 수수료율 인하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수수료율이 낮은 온라인 위탁거래규모의 확대로 최근까지 증권사의 주식거래 수탁수수료율은 하락추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위탁거래시 발생하는 증권사의 거래비용 등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수수료율 인하는 역마진 우려가 있어 향후 큰 폭의 인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이나 온라인 주식거래의 증가세 및 증권사 수의 유지 가능성을 감안하면 단기적으로 수수료율의 인하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최근까지의 주식거래규모 및 수탁수수료율의 추세 등을 감안할 때 위탁매매부문의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경쟁구도가 단기간에 해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이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금융당국은 국내 금융투자업의 수익구조 다변화를 통한 활성화 및 국제적인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 순자본비율(신 NCR)제도, 증권사의 재무안정성 확보를 위한 레버리지 규제, 초대형IB 육성을 위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개선방안 등 각종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 및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내금융투자업은 상기 제도로 인한 위험과 기회에 노출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영향은 각 금융투자회사의 규모 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됩니다.한편 ELS로 대표되는 파생결합증권은 저금리 기조하에서 투자자들에게 중위험 중수익 금융투자상품으로 인식되면서 증권사와 은행 신탁계정 등을 통해 빠르게 판매규모가 증가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생결합증권의 발행에 따른 위험요소로 투자자 측면에서는 원금 및 이자 손실 가능성이 부각되어 왔으나, 발행 증권사 측면에서는 투자성과가 투자자에게 귀속되는 점과 자산과 부채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점 등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다만, 증권사는 파생결합증권의 발행 및 상환 과정에서 ① 평판위험(불완전판매 및 불공정거래 이슈가 발생할 경우), ② 환매위험(단기간에 조기상환 요청이 집중될 경우)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의 헤지운용 과정에서 ③ 신용위험(헤지자산이 부실화 될 경우), ④ 시장위험(기초자산 가격 변화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에 노출됩니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탈(SEIBro)에 따르면, 2024년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상환 규모는 각각 74조원, 87조원입니다. 2024년말 파생결합증권의 발행규모는 2023년 발행잔액 대비 6.6% 하락하였습니다.
| [파생결합증권(ELB, ELS, DLB, ELB 발행 및 상환 현황] |
| (단위: 억원) |
|
구분 |
ELB |
ELS |
DLB |
DLS |
합계 |
|||||||||
|---|---|---|---|---|---|---|---|---|---|---|---|---|---|---|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합계 |
전년대비 |
|||
| 2024년 | 발행 | 금액 | 389,380 | 2,582 | 149,286 | 11,457 | 120,819 | 22,640 | 39,314 | 898 | 698,799 | 37,577 | 736,376 | -6.6% |
| 구성비율 | 52.88% | 0.35% | 20.27% | 1.56% | 16.41% | 3.07% | 5.34% | 0.12% | 94.90% | 5.10% | 100.00% | - | ||
| 상환 | 조기 | 2,513 | 124 | 224,565 | 17,277 | 4,059 | 0 | 18,293 | 11 | 249,430 | 17,412 | 266,842 | -33.2% | |
| 만기 | 258,210 | 801 | 158,512 | 15,317 | 97,231 | 20,552 | 12,058 | 971 | 526,011 | 37,641 | 563,652 | 28.0% | ||
| 중도 | 26,544 | 9 | 5,848 | 461 | 1,884 | 293 | 3,089 | 0 | 37,365 | 763 | 38,128 | 35.5% | ||
| 합계 | 287,267 | 934 | 388,925 | 33,055 | 103,174 | 20,845 | 33,440 | 982 | 812,806 | 55,816 | 868,622 | 0.1% | ||
| 2023년 |
발행 |
금액 |
320,516 | 860 | 285,447 | 21,474 | 113,162 | 15,011 | 31,763 | 706 | 750,888 | 38,051 | 788,939 | 6.3% |
|
구성비율 |
40.63% | 0.11% | 36.18% | 2.72% | 14.34% | 1.90% | 4.03% | 0.09% | 95.18% | 4.82% | 100.00% | - | ||
| 상환 |
조기 |
2,843 | 79 | 345,823 | 25,380 | 2,136 | 0 | 23,233 | 13 | 374,035 | 25,472 | 399,507 | 84.1% | |
|
만기 |
266,013 | 760 | 2,698 | 86 | 138,810 | 17,850 | 12,978 | 1,116 | 420,499 | 19,812 | 440,311 | 44.9% | ||
|
중도 |
18,490 | 2 | 4,244 | 236 | 4,144 | 192 | 712 | 129 | 27,590 | 559 | 28,149 | -43.0% | ||
|
합계 |
287,346 | 841 | 352,765 | 25,702 | 145,090 | 18,042 | 36,923 | 1,258 | 822,124 | 45,843 | 867,967 | 52.2% | ||
|
2022년 |
발행 |
금액 |
294,944 | 772 | 262,560 | 18,938 | 111,543 | 20,579 | 32,680 | 233 | 701,727 | 40,522 | 742,249 | -16.8% |
|
구성비율 |
39.74% | 0.10% | 35.37% | 2.55% | 15.03% | 2.77% | 4.40% | 0.03% | 94.54% | 5.46% | 100.00% | - | ||
|
상환 |
조기 |
0 | 23 | 170,106 | 20,559 | 154 | 0 | 26,108 | 14 | 196,368 | 20,596 | 216,964 | -62.6% | |
|
만기 |
207,494 | 992 | 3058 | 159 | 54,410 | 19,343 | 17844 | 526 | 282,806 | 21,020 | 303,826 | -7.7% | ||
|
중도 |
43,400 | 7 | 1045 | 66 | 4522 | 269 | 32 | 0 | 48,999 | 342 | 49,341 | 92.6% | ||
|
합계 |
250,894 | 1022 | 174,209 | 20,784 | 59,086 | 19,612 | 43,984 | 540 | 528,173 | 41,958 | 570,131 | -39.0% | ||
|
2021년 |
발행 |
금액 |
228,823 | 648 | 447,625 | 44,680 | 64,023 | 50,860 | 54,373 | 1,242 | 794,844 | 97,430 | 892,274 | -1.4% |
|
구성비율 |
25.64% | 0.07% | 50.17% | 5.01% | 7.18% | 5.70% | 6.09% | 0.14% | 89.08% | 10.92% | 100.00% | - | ||
|
상환 |
조기 |
403 | 18 | 455,107 | 47,649 | 7,932 | 9,881 | 52,893 | 5,551 | 516,335 | 63,099 | 579,434 | -16.3% | |
|
만기 |
216,934 | 1,553 | 19,026 | 493 | 49,283 | 20,427 | 17,591 | 3,803 | 302,834 | 26,276 | 329,110 | -11.5% | ||
|
중도 |
19,330 | 13 | 1,155 | 34 | 1,442 | 565 | 2,325 | 749 | 24,252 | 1,361 | 25,613 | -25.8% | ||
|
합계 |
236,667 | 1,584 | 475,288 | 48,176 | 58,657 | 30,873 | 72,809 | 10,103 | 843,421 | 90,736 | 934,157 | -15.0% | ||
|
2020년 |
발행 |
금액 |
255,043 | 6,853 | 389,161 | 32,063 | 68,768 | 74,601 | 75,491 | 3,161 | 788,463 | 116,678 | 905,141 | -30.0% |
|
구성비율 |
28.2% | 0.8% | 43.0% | 3.5% | 7.6% | 8.2% | 8.3% | 0.3% | 87.1% | 12.9% | 100.0% | - | ||
|
상환 |
조기 |
2,160 | 253 | 478,293 | 32,254 | 23,380 | 69,885 | 75,491 | 10,401 | 579,324 | 112,793 | 692,117 | -28.5% | |
|
만기 |
216,906 | 8,356 | 14,224 | 153 | 52,830 | 31,230 | 45,570 | 2,566 | 329,530 | 42,305 | 371,835 | 10.9% | ||
|
중도 |
18,878 | 346 | 3,731 | 306 | 806 | 1,303 | 8,326 | 816 | 31,741 | 2,771 | 34,512 | 31.1% | ||
|
합계 |
237,944 | 8,955 | 496,248 | 32,713 | 77,016 | 102,418 | 129,387 | 13,783 | 940,595 | 157,869 | 1,098,464 | -17.4% | ||
| 주) 외화의 경우, 해당 종목의 발행일 또는 상환일 당시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한 상환금액을 합산 |
| 출처 :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 |
금융감독원은 2016년 5월부터 자체헤지 비중이 큰 증권사를 대상으로 ELS 중점 검사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ELS업무관련 의사결정 과정 및 적정성, 헤지운용한도 관리방안 마련 및 준수여부, ELS가격결정 변수 등의 변경절차 적정성들을 중점적으로 검사하며 향후 ELS에 대한 판매 및 관리, 운용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고 있습니다.증권사들은 2020년 3월경 코로나 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우려에 따른 대규모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 사태로 상당한 위기를 겪었지만 글로벌 증시 반등, 한미 통화스와프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금감원은 이러한 ELS마진콜 사태를 '시스템 리스크'로 진단함에 따라 ELS총량 규제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금융위원회와 논의하고 있으며 ELS등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이 회사의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 요인으로 짚은 바 있습니다.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외화유동성 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증권사의 마진콜 발생 현황 및 외화조달 비상계획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며 마진콜 발생 확대 등 잠재 리스크요인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예상치 못한 수준으로 확대되거나 대규모 환매 사태가 발생할 경우 또는 금융감독원의 규제 방향에 따라 금융투자회사의 자산건전성과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생명보험업 부문보험업은 사람의 생사에 관하여 약정한 급여의 제공을 약속하거나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의 보상을 약속하고 금전을 수수하는 것 등을 업으로 행하는 것으로 생명보험업ㆍ손해보험업 및 제3보험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명보험업은 사람의 생존 또는 사망에 관하여 약정한 급여의 제공을 약속하고 금전을 수수하는 것을 업으로 행하고 있습니다. 생명보험업은 사람의 생존 또는 사망에 관하여 약정한 급여의 제공을 약속하고 금전을 수수하는 것을 업으로 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생명보험업은 내수산업으로 경기변동과 금융시장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더불어, 공적보장을 보완·보충하는 사회 안전망 및 대규모 자산을 운용하는 대형 기관투자자로서의 공공재적 역할도 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 및 공공성으로 인해 국가 감독기구로부터 소비자보호와 경영건전성 확보 등에 대한 직·간접 관리감독을 받고 있습니다.생명보험업 시장은 2025년 1분기말 기준 총 22개의 회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경쟁은 심화되고 있는 반면, 국내 생명보험시장은 저성장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수요가 정체하고 있습니다. 보험사들은 수익성 제고를 위해 보장성 상품 판매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건강보험 신상품 출시 및 판매가 증가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 [생명보험업 회사수] |
| 구 분 | 2025년1분기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2020년말 |
|---|---|---|---|---|---|---|
| 생명보험 | 22 | 22 | 22 | 23 | 23 | 24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2020년 국내 보험시장은 코로나19 확산 후 정책효과에 힘입어 고성장하였으나, 향후 성장성이 지속될지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유동성 확대가 구조적 보험수요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고, 한시적인 경기부양책에 의한 자동차보험 성장은 지속성이 낮으며, 대면채널 영업환경 악화 및 소비여력 감소에 따른 보험수요 위축 등이 부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2023년부터는 신 회계(IFRS17)기준 적용으로 감독(K-ICS)제도에 기반한 새로운 지급여력제도를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시행해오던 지급여력제도(RBC)와 새로 도입된 신지급여력제도(K-ICS) 간 가장 큰 차이점은 (1) 가용자본의 완전 시가평가와 (2) 요구자본에 대하여 위험계수에 익스포져를 대응시키는 위험계수 방식이 아닌 시나리오방식이 적용 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보험사들의 위험관리를 더욱 정교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 [지급여력제도(RBC)와 新지급여력제도(K-ICS) 비교] |
| 구 분 | 지급여력제도(RBC) | 新지급여력제도(K-ICS) |
| 평가 | 일부 자산 및 부채 원가평가 | 모든 자산 · 부채 시가 평가 |
| 지급여력금액 | 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재무제표 상 자본 중심으로 열거 | 시가평가된 순자산(자산 - 부채)에서손실흡수성 정도에 따라 차감 또는 가산 |
| 지급여력기준금액 | 신뢰수준 99%,위험계수방식으로 요구자본 산정 | 신뢰수준 99.5%,충격 시나리오 방식으로 요구자본(충격 후순자산 감소분) 산정* 일부 리스크(일반손보.신용.운영)는 위험계수방식 적용 |
| ① 보험리스크② 금리리스크③ 시장리스크④ 신용리스크⑤ 운영리스크 | ① 생명, 장기손해보험리스크② 일반손해보험리스크③ 시장리스크(금리리스크 포함)④ 신용리스크⑤ 운영리스크 | |
| 5개 하위 위험 신설- 보험리스크 內 : 장수, 해지, 사업비, 대재해- 시장리스크 內 : 자산집중 | ||
| 건전성 기준 | 지급여력비율(=지급여력금액/지급여력기준금액) ≥ 100%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22.12.06) |
2025년 1분기말 기준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 6,95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083억원(10.9%) 감소하였습니다. 손실부담비용 증가 및 금융자산처분ㆍ평가손익 감소 등으로 보험손익, 투자손익 모두 악화된 요인입니다.
| [생명보험사(22개사) 주요 손익 현황] |
| (단위 : 억원, %) |
| 구 분 | ’24.1분기 (A) | ’25.1분기 (B) | 증 감 (C=B-A) | 증감률 (C/A) | ||
|---|---|---|---|---|---|---|
| 생명보험 회사 | 당기순이익 | 19,039 | 16,956 | △2,083 | △10.9 | |
| 보험손익 | 12,802 | 11,572 | △1,230 | △9.6 | ||
| 투자손익 | 11,729 | 10,130 | △1,598 | △13.6 | ||
| 영업외손익 | △592 | △664 | △71 | 손실확대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025년 1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_2025.05.27(화) |
2025년 1분기 기준 생명보험회사의 수입보험료는 62조 7,31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조 618억원(6.9%) 증가하였습니다. 보장성(+12.5%)ㆍ변액(+8.8%)ㆍ퇴직연금(+69.7%) 등의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저축성(△13.4%)의 수입보험료는 감소되었습니다.
| [생명보험사(22개사) 보험영업(수입보험료) 현황] |
| (단위 : 억원, %) |
| 구 분 | ’24.1분기 (A) | ’25.1분기 (B) | 증 감 (C=B-A) | 증감률 (C/A) | |
|---|---|---|---|---|---|
| 생명보험회사 | 280,393 | 311,121 | 30,728 | 11.0 | |
| 보장성보험 | 132,489 | 149,038 | 16,548 | 12.5 | |
| 저축성보험 | 84,426 | 73,103 | △11,323 | △13.4 | |
| 변액보험 | 30,793 | 33,507 | 2,714 | 8.8 | |
| 퇴직연금 등 | 32,685 | 55,473 | 22,788 | 69.7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025년 1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_2025.05.27(화) |
2025년 3월말 경과조치(19개 보험회사 (생보 12개사, 손보·재보 7개사) 가 경과조치 적용 중) 적용 후 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197.9%로 전분기말(206.7%) 대비 8.7%p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2025년 3월말 경과조치 後 K-ICS 가용자본은 249.3조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3조원 증가한 것에 기인합니다.
| [지급여력비율 변동 상세] |
| (단위 : 조원, %, %p) |
| 구 분 | 경과조치 前 | 경과조치 後 | ||||
|---|---|---|---|---|---|---|
| '24.12월말(A) | '25.3월말(B) | 증감(B-A) | '24.12월말(C) | '25.3월말(D) | 증감(D-C) | |
| 가용자본(조원) | 245.2 | 245.6 | +0.5 | 248.1 | 249.3 | +1.3 |
| 요구자본(조원) | 128.2 | 133.4 | +5.2 | 120.0 | 126.0 | +5.9 |
| 지급여력비율(%, %p) | 191.3 | 184.2 | △7.1 | 206.7 | 197.9 | △8.7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_2025.06.18(수) |
하지만 보험회사가 속한 보험업은 지속적으로 규제를 받는 산업으로 관련 법규 및 2023년부터 도입된 新지급여력비율(K-ICS) 등의 재무건전성 관리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 영업활동 및 재무현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여신전문업 부문
여신전문금융업은 카드, 리스, 할부금융 및 신기술금융의 4개 업종이 통합된 금융업종입니다. 여신전문금융업의 경우 수신기능이 없어 채권 또는 어음의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여신업무행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여신전문금융업종은 1998년 1월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으로 기존의 신용카드업, 할부금융업, 시설대여업, 신기술사업금융업 등 4개 업종이 통합된 금융업종으로, 수신기능이 없는 대신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여신행위를 주 업무로 영위하고있으며, 신용카드업종을 제외한 기타업종에 대한 진출입이 종래의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되어 대주주 및 자본금 요건만 구비하면 진출입이 자유로우며, 이에 따라 경쟁률이 높은 산업입니다.
여신전문금융시장은 감독기관의 감독정책 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총자산이 자기자본의 일정 배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여신전문금융업법 제48조 외형확대 위주의 경영제한(10배이상),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규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또한 2014년 7월에는 여전사의 자산 가계부채 비중을 총자산 20%(자산 2조원 이상 여전사는 10%)이내로 제한하는 업무비중 규제방식 개편과 대주주와의 거래 등을 제한하고 있습니다.여신전문금융업과 관련된 주요 법령 및 감독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법령 및 감독규정 | 주요 내용 |
|---|---|
| 여신전문금융업법,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동 시행세칙 등 | (가) 자기자본대비총자산한도 : 자기자본의 10배(나) 업무용 부동산 투자한도 : 자기자본의 100%이내(다) 자기계열사에 대한 여신한도 : 자기자본의 50% 이내(라)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융자한도 : 연간 투자액의 15배(마) 신용카드업자의 부대업무비중 : 카드결제대급금 이내(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업무 영위비중 : 총자산의 30% 이내(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액 제외)(사) 중금리대출 한도규제 대상 비율 : 대출금의 80%(아) 시설대여업자의 렌탈업무비중 : 물건별 시설대여액 이내(자) 조정총자산에 대한 조정자기자본비율 : 7% 이상(차) 원화유동성비율 : 100% 이상(카)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식소유한도 : 자기자본의 150% |
2018년 08월 22일 부터 시행된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책임대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행령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규제를 합리화하고 고금리 가계대출을 중금리ㆍ생산적 대출로 유도하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여신전문금융시장은 총자산이 자기자본의 일정 배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여신전문금융업법 제48조 외형확대 위주의 경영제한(10배이상),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규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또한 2014년 7월에는 여전사의 자산 가계부채 비중을 총자산 20%(자산 2조원 이상 여전사는 10%)이내로 제한하는 업무비중 규제방식 개편과 대주주와의 거래 등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 강화 가운데 타금융업권(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의 여전업 시장 침투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금융시장의 침체기가 지속되면서 소매금융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캐피탈사들이 늘어나면서 캐피탈사 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 및 경쟁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존 간접 영업방식에서 탈피, IT 인프라 구축을 통한 모바일 및 다이렉트 영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타업권 및 타캐피탈사와의 차별전략을 꾀하여 시장 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중에 있습니다.
| [취급 업무 및 상품ㆍ서비스 개요] |
| 시설대여업 | 이용자가 선정한 특정물건을 구입 후 임대(리스)하고 일정기간에 걸쳐 사용료를 받는 임대차형식의 물건을 매개로 한 물적금융 |
| 할부금융 | 재화 및 용역의 매매계약에 대하여 매도인 및 매수인과 각각 약정을 체결하여 매수인에게 융자한 재화 및 용역의 구매자금을 매도인에게 지급하고 매수인으로부터 그 원리금을 분할하여 상환받는 방식의 금융 |
| 신기술사업금융 | 신기술 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융자 |
| 팩토링 | 기업이 물품 및 용역의 공급에 의하여 취득한 매출채권을 양수하여관리, 회수하는 업무 |
| 일반대출 | 기업/ 개인을 상대로 운전자금, 주택자금, 가계자금 대출 및 부동산 PF |
| 지급보증 | 은행 이용 고객이 은행에게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지급을 회사에서 보증하고 대신 수수료를 지급받는 계약 |
2025년 3월말 기준 총 190개의 여신전문금융회사가 영업을 하고 있으며, 신용카드사 8개사, 리스사 25개사, 할부금융사 27개사, 신기술사업금융사 130개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여신전문금융사업자 개수 추이] |
| (단위 : 개) |
| 종류 | 2025년03월말 | 2024년12월말 | 2023년12월말 | 2022년12월말 | 2021년12월말 | 2020년12월말 |
|---|---|---|---|---|---|---|
| 신용카드사 | 8 | 8 | 8 | 8 | 8 | 8 |
| 리스사 | 25 | 25 | 26 | 26 | 26 | 26 |
| 할부금융사 | 27 | 27 | 25 | 25 | 23 | 23 |
| 신기술금융사 | 130 | 129 | 110 | 97 | 74 | 63 |
| 합 계 | 190 | 189 | 169 | 156 | 131 | 120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여신전문금융업 중 할부금융이란 소비자가 자동차, 가전제품, 내구소비재 등을 구입하고자 할 때, 할부금융회사가 그 구입자금을 판매자와의 계약에 의해 소비자에게 대여해 주고, 소비자는 할부금융회사에 원금 및 이자를 분할상환하는 금융제도입니다. 할부금융은 할부금융회사와 판매자와의 계약에 의해 구매를 조건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반 담보대출과 구분됩니다. 할부금융은 고객에게 여신 제공시 그 사용목적이 분명하고, 통상 대상물건에 대해 담보를 설정하기 때문에 신용대출 대비 자산건전성이 양호하나, 신용을 조건으로 하는 점이 동일하고, 생산판매자 금융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자금조달력과 채권회수가 중시되는 사업입니다. 현재 신용카드업을 제외하고, 할부금융업을 포함한 여신전문금융업은 자동차금융 위주로 활성화되어 있는 상황으로, 국내 할부금융업은 2024년 취급실적 기준으로 자동차 할부금융이 약 96.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여신금융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발 신용위기 직후인 2009년 기준 자동차 할부금융 실적은 6조 1,564억원으로서 2008년 실적에 비해 40% 가량 감소하여 경기 변동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 이에 할부금융업체들은 중고차 할부금융시장을 새롭게 공략하는 등 신시장 창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 2012년 이후로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20년 22조 0,891억원의 실적을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침체의 가능성이 가시화되며 전년대비 5.59% 감소한 20조 8,540억원을 기록하였으며 2022년말에는 약 10.1% 증가하여 22조 9,612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말 또한 소폭 증가한 23조 8,335억원을 기록, 2024년 기준에도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자동차 할부금융 실적은 24조 231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자동차 할부금융 실적은 시장 규모의 성장성에 따라업계 전반의 수익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연도별 할부금융 취급실적> |
| (단위 : 억원) |
| 구 분 | 내 구 재 | 주 택 | 기 계 | 기 타 | 총 계 | |||
| 자동차 | 가전 | 기타 | 합계 | |||||
| 2015년 | 136,197 | 512 | 4,212 | 140,921 | 704 | 4,502 | 2,517 | 148,644 |
| 2016년 | 158,862 | 410 | 4,337 | 163,609 | 1,005 | 4,225 | 4,208 | 173,046 |
| 2017년 | 185,361 | 250 | 4,682 | 190,293 | 3,086 | 2,823 | 4,824 | 201,026 |
| 2018년 | 195,768 | 248 | 3,441 | 199,457 | 2,844 | 3,136 | 5,394 | 210,830 |
| 2019년 | 210,951 | 248 | 3,397 | 214,596 | 1,866 | 2,530 | 4,265 | 223,257 |
| 2020년 | 220,891 | 258 | 3,135 | 224,284 | 961 | 2,351 | 4,329 | 231,925 |
| 2021년 | 208,540 | 235 | 2,456 | 211,230 | - | 3,079 | 3,521 | 217,830 |
| 2022년 | 229,612 | 223 | 2,077 | 231,911 | - | 3,798 | 3,795 | 239,504 |
| 2023년 | 238,335 | 210 | 2,165 | 240,710 | - | 3,976 | 3,026 | 247,712 |
| 2024년 | 240,231 | 159 | 2,160 | 242,550 | - | 4,454 | 3,025 | 250,029 |
| 출처 :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 제81호(2025년 05월) |
할부ㆍ리스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각종시장불안요인이 해결되지 않아 경기하강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이며, 경기침체로 사업의 주요취급물건인 자동차, 기계류의 수요가 감소하고 중소기업 및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로 일반대출의 확대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할부ㆍ리스시장의 성장세는 다소 제한될 수 있습니다. 수신기능이 없는 리스사, 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등 여신전문업체는 자금의 거의 전부를 외부에서 조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자금시장 경색 시 조달 금리 상승 등으로 인한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조달비용의 증가는 수익성저하로 이어질 개연성이 존재합니다.한편 2024년 4월 29일 금융위원회는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자금조달 수단 다변화 등을 위한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개정안을 예고하였습니다. 기존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은 할부, 리스 등 고유업무와 관련하여 보유한 채권을 근거로 한 유가증권의 발행만이 가능했지만 금번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및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으로 렌탈 자산에 대한 자산유동화 등이 허용됩니다. 자금조달 수단이 확대됨에 따라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자금조달이 수월해지고, 자금시장의 변동성 등에 대응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또한 지속적인 가계부채 증가세, 높은 변동금리 가계대출 비중, 서민금융 가계부채 증가, 다중채무관계 심화는 향후 가계부채문제를 확대시킬 수 있는 주요 리스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서민금융부분의 가계부채는 빠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주 구성상 신용도가 열위하여 부실화 가능성이 타금융권에 비하여 높고, 전체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한 바, 대출의 부실화가 할부ㆍ리스업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울 줄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 자산운용업 부문자산운용업은 투자자를 대신하여 재산이나 권리를 맡아 금융상품 등에 대신 투자해주고 일정한 수수료를 받는 산업으로, 운용자산(AUM, Asset Under Management) 규모에 따라 수익도 비례하여 영향을 받습니다. 운용자산은 크게 펀드(집합투자증권)와 일임재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2024년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 규모는 1,730.7조원(대략 펀드 1,095조원, 투자일임 615조원, PEF 4조원, 자문 17조원)으로 전년 대비 185조원(12.0%) 증가하였습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1,158조원으로 약 63조원 증가하였으며, 투자일임계약고의 경우 2024년말 기준 615조원에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624조원으로 약 9조원 증가하였습니다.
| [자산운용사 운용자산 추이] |
| (단위 : 억원) |
| 구분 | 펀드 | PEF | 일임 | 자문 | 소계 |
| 2025년 1분기 | 11,584,222 | 40,582 | 6,238,353 | 164,112 | 18,027,268 |
| 2024년 | 10,949,869 | 37,488 | 6,147,237 | 172,496 | 17,307,090 |
| 2023년 | 9,680,914 | 33,158 | 5,577,373 | 157,086 | 15,448,531 |
| 2022년 | 8,492,145 | 31,138 | 5,667,728 | 183,239 | 14,374,249 |
| 2021년 | 8,291,594 | 27,344 | 5,365,364 | 533,631 | 14,217,933 |
| 2020년 | 7,174,003 | 28,404 | 5,059,213 | 480,475 | 12,742,096 |
| 2019년 | 6,587,963 | 27,876 | 4,869,772 | 79,637 | 11,565,249 |
| 2018년 | 5,442,839 | 28,652 | 4,677,289 | 68,936 | 10,217,716 |
| 2017년 | 5,068,524 | 22,694 | 4,524,242 | 67,185 | 9,682,645 |
| 2016년 | 4,623,949 | 27,760 | 4,376,493 | 60,403 | 9,088,605 |
| 출처 :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서비스 |
금리인상, 주가하락 등 운용환경의 악화로 적자회사 비율이 대폭 상승하는 등 자산운용사의 수익성 지표가 악화됨에 따라 금융당국은 금리인상 및 국제정세 등에 따른 시장 불안정에 대비하여 운용사별 재무 및 손익현황을 점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만, 금융당국이 불완전판매, 상품선정의 엄격성 등 규제 강화 시, 펀드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수탁고 및 수익 측면에서 강한 자본력으로 무장한 대형 자산운용사로의 집중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신설회사를 중심으로 적자회사 비중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등 자산운용사간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펀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식형펀드는 2020년말 91조원에서 2021년말 기준 111조원으로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2년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전반에 걸친 유동성 축소의 영향을 받아 2022년말 91조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한편, 2023년, 2024년말 주식형펀드는 지속 증가하여 134조원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140조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채권형 펀드는 2011년 말 45조원에서 성장을 거듭하여 2019년말 기준 119조원, 2020년말 기준은 다소 감소한 118조원으로 그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2021년말 기준 130억원을 기록해 꾸준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22년 급격한 금리 인상과 이로 인한 채권 평가 손실 등의 영향으로 2022년말 기준 117조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한편, 2024년 채권형 펀드는 173조원으로 2023년말 대비하여 크게 증가한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193조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부동산 펀드와 특별자산 펀드의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부동산 펀드는 2014년말 30조원대였던 규모에서 2020년말 113조원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22년말 기준 157조원을 달성하였고, 2024년말 기준 181조원, 2025년 1분기말 기준 186조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별자산 펀드는 2014년말 31조원에서 2020년말 107조원으로 증가하였고, 2022년말 136조원, 2023년말 148조원, 2024년말 158조, 2025년 1분기말 158조로 집계되었습니다. 특별자산펀드는 증권과 부동산을 제외한(원자재·인프라 등 실물자산) 투자상품에 자산의 50% 이상을 운용하는 펀드로써, 수년째 이어진 대내외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해,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실물펀드에 관심이 확대되면서 대체투자 투자 수요가 점증하였습니다. 특별자산 펀드의 경우 전체 펀드 규모 중 차지하는 비중이 2009년 기준 4.1%였으나, 2020년에는 금,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자산규모가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고, 2025년 1분기말에는 전체 펀드 규모 중 13.6%를 차지하며, 주식형·혼합주식형 펀드 규모(12.9%)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펀드 구성 및 규모 추이] |
| (단위 : 조원) |
| 기준일자 | 구분 | 증권 | 단기금융 | 파생형 | 부동산 | 실물 | 특별자산 | 혼합자산 | 합계 | |||||
|---|---|---|---|---|---|---|---|---|---|---|---|---|---|---|
| 주식 | 혼합주식 | 혼합채권 | 채권 | 투자계약 | 재간접 | |||||||||
| 2025년1분기 | 공모 | 120 | 3 | 14 | 83 | - | 36 | 138 | 62 | 2 | - | 6 | 10 | 474 |
| 사모 | 20 | 6 | 7 | 110 | - | 63 | 54 | 20 | 184 | - | 152 | 67 | 685 | |
| 소계 | 140 | 10 | 21 | 193 | - | 100 | 192 | 82 | 186 | - | 158 | 76 | 1,159 | |
| 2024년 | 공모 | 114 | 3 | 14 | 70 | - | 34 | 123 | 63 | 2 | - | 5 | 9 | 436 |
| 사모 | 20 | 6 | 7 | 103 | - | 62 | 47 | 19 | 179 | - | 152 | 64 | 659 | |
| 소계 | 134 | 10 | 21 | 173 | - | 96 | 170 | 81 | 181 | - | 158 | 73 | 1,095 | |
| 2023년 | 공모 | 92 | 3 | 11 | 47 | - | 24 | 110 | 49 | 2 | - | 3 | 6 | 348 |
| 사모 | 19 | 6 | 5 | 91 | - | 55 | 62 | 17 | 167 | - | 144 | 52 | 620 | |
| 소계 | 111 | 10 | 16 | 138 | - | 79 | 173 | 67 | 170 | - | 148 | 59 | 968 | |
| 2022년 | 공모 | 75 | 3 | 12 | 32 | - | 21 | 95 | 33 | 3 | - | 3 | 6 | 283 |
| 사모 | 16 | 6 | 6 | 85 | - | 45 | 58 | 17 | 154 | - | 134 | 45 | 566 | |
| 소계 | 91 | 9 | 18 | 117 | - | 66 | 153 | 50 | 157 | - | 136 | 50 | 849 | |
| 2021년 | 공모 | 91 | 4 | 16 | 34 | - | 24 | 103 | 27 | 4 | - | 3 | 5 | 312 |
| 사모 | 20 | 6 | 8 | 96 | - | 41 | 33 | 23 | 130 | - | 116 | 44 | 517 | |
| 소계 | 111 | 11 | 24 | 130 | - | 65 | 136 | 51 | 134 | - | 119 | 49 | 829 | |
| 2020년 | 공모 | 72 | 5 | 11 | 33 | - | 17 | 102 | 25 | 3 | - | 3 | 3 | 275 |
| 사모 | 19 | 5 | 5 | 85 | - | 33 | 24 | 25 | 110 | - | 104 | 34 | 443 | |
| 소계 | 91 | 10 | 16 | 118 | - | 51 | 126 | 50 | 113 | - | 107 | 36 | 717 | |
| 2019년 | 공모 | 73 | 5 | 11 | 35 | - | 14 | 74 | 21 | 3 | - | 3 | 3 | 242 |
| 사모 | 15 | 5 | 5 | 84 | - | 22 | 31 | 30 | 98 | - | 90 | 36 | 416 | |
| 소계 | 88 | 10 | 16 | 119 | - | 36 | 105 | 51 | 101 | - | 93 | 39 | 658 | |
| 2018년 | 공모 | 65 | 6 | 12 | 27 | - | 10 | 70 | 19 | 2 | - | 3 | 1 | 214 |
| 사모 | 15 | 4 | 6 | 76 | - | 16 | 20 | 29 | 75 | - | 68 | 23 | 331 | |
| 소계 | 80 | 10 | 18 | 103 | - | 26 | 90 | 47 | 77 | - | 70 | 23 | 544 | |
| 2017년 | 공모 | 68 | 6 | 13 | 23 | - | 11 | 73 | 18 | 2 | - | 3 | 0 | 218 |
| 사모 | 14 | 4 | 7 | 73 | - | 14 | 25 | 27 | 59 | - | 54 | 12 | 289 | |
| 소계 | 83 | 10 | 20 | 96 | - | 25 | 98 | 46 | 61 | - | 57 | 12 | 507 | |
| 2016년 | 공모 | 56 | 4 | 17 | 24 | - | 5 | 87 | 14 | 1 | - | 4 | - | 212 |
| 사모 | 11 | 3 | 10 | 80 | - | 10 | 18 | 23 | 46 | - | 44 | 5 | 250 | |
| 소계 | 67 | 8 | 26 | 104 | - | 15 | 105 | 37 | 47 | - | 48 | 5 | 462 | |
| 2015년 | 공모 | 64 | 5 | 18 | 19 | - | 5 | 86 | 13 | 1 | - | 3 | - | 214 |
| 사모 | 12 | 3 | 12 | 67 | - | 6 | 8 | 18 | 35 | - | 36 | 2 | 200 | |
| 소계 | 75 | 8 | 30 | 86 | - | 12 | 94 | 31 | 36 | - | 40 | 2 | 414 | |
| 2014년 | 공모 | 64 | 6 | 11 | 15 | - | 5 | 79 | 14 | 1 | - | 3 | - | 198 |
| 사모 | 10 | 4 | 17 | 57 | - | 6 | 4 | 19 | 29 | - | 28 | - | 173 | |
| 소계 | 73 | 10 | 28 | 72 | - | 11 | 83 | 33 | 30 | - | 31 | - | 371 | |
| 2013년 | 공모 | 72 | 6 | 8 | 12 | - | 5 | 64 | 13 | 1 | - | 3 | - | 184 |
| 사모 | 8 | 4 | 15 | 44 | - | 4 | 3 | 19 | 23 | - | 23 | - | 144 | |
| 소계 | 80 | 10 | 23 | 56 | - | 10 | 67 | 32 | 24 | - | 26 | - | 328 | |
| 2012년 | 공모 | 80 | 5 | 6 | 13 | - | 5 | 62 | 11 | 1 | - | 3 | - | 186 |
| 사모 | 7 | 4 | 13 | 34 | - | 3 | 2 | 20 | 19 | - | 19 | - | 121 | |
| 소계 | 86 | 9 | 19 | 47 | - | 8 | 64 | 32 | 20 | - | 22 | - | 308 | |
| 2011년 | 공모 | 80 | 5 | 6 | 10 | - | 3 | 51 | 10 | 1 | - | 3 | - | 169 |
| 사모 | 8 | 5 | 12 | 36 | - | 3 | 2 | 11 | 16 | - | 15 | - | 108 | |
| 소계 | 87 | 11 | 18 | 45 | - | 6 | 54 | 21 | 16 | - | 18 | - | 277 | |
| 출처 : 금융투자협회 |
한편, 펀드의 평균운용보수율은 2017년 이후 업계의 경쟁심화 및 수익성이 높은 주식형펀드의 감소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금융위기, 저성장 기조 등으로 펀드수익률이 둔화되어 투자자들이 펀드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니즈가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20년 및 2021년 정부 정책에 기반한 유동성 확대에 따른 시장 활성화에 힘입어 주식형펀드의 운용보수를 중심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2022년에는 재차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평균 운용보수율은 0.302%를 기록하였습니다. 금리인상 등 시장 불확실성이 본격화 되었던 전년 대비 금융시장이 다소 호전되어 수익성 지표도 일부 개선되었지만, 금융시장의 호전이 운용사 영업실적의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에 기인합니다. 최근에는 운용보수 없는 성과보수형 공모펀드가 등장하면서 자산운용업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 [펀드 유형별 운용보수 추이] |
| (단위 : %) |
| 기준일자 | 운용보수 | ||||
|---|---|---|---|---|---|
| 주식형 | 혼합주식형 | 혼합채권형 | 채권형 | 평균 | |
| 2025년 1분기말 | 0.308 | 0.509 | 0.311 | 0.079 | 0.302 |
| 2024년말 | 0.326 | 0.525 | 0.316 | 0.079 | 0.312 |
| 2023년말 | 0.377 | 0.521 | 0.321 | 0.080 | 0.325 |
| 2022년말 | 0.397 | 0.541 | 0.329 | 0.093 | 0.340 |
| 2021년말 | 0.420 | 0.557 | 0.344 | 0.108 | 0.357 |
| 2020년말 | 0.435 | 0.556 | 0.322 | 0.121 | 0.358 |
| 2019년말 | 0.390 | 0.538 | 0.318 | 0.127 | 0.343 |
| 2018년말 | 0.439 | 0.546 | 0.325 | 0.123 | 0.359 |
| 2017년말 | 0.495 | 0.563 | 0.326 | 0.154 | 0.385 |
| 2016년말 | 0.539 | 0.581 | 0.332 | 0.149 | 0.400 |
| 2015년말 | 0.580 | 0.618 | 0.349 | 0.156 | 0.426 |
| 2014년말 | 0.585 | 0.649 | 0.336 | 0.184 | 0 |
| 출처 : 금융투자협회 |
자산운용회사의 펀드수탁고, 투자일임 등 영업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수익성이 높은 주식형펀드 감소 등으로 영업이익은 정체상태에 있는데, 인건비 감소에 의한 수익성 증대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에도 주식형펀드와 대체투자상품과 같은 고수익상품군으로의 자금유입이 수반되어야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정부 정책의 변화로 인해 집합투자업의 경쟁강도는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2015년 10월 금융당국의 자산운용사 인가정책 변경(자산운용업 1단계 금융개혁)으로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운용사 진입 방식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변경되었습니다. 등록제의 핵심은 자기자본 20억원, 전문인력 3명 이상 등 기본 요건만 갖출 경우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운용사의 시장진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2016년 05월 발표된 자산운용사 인가정책 개선방안(자산운용업 2단계 금융개혁)에서는 자산운용산업의 자산운용사 인가정책 전반을 재설계하려는 추진방향이 확인되었습니다. 동 개선방안에서는 2016년 6월부터 증권회사의 사모펀드운용업 겸영 신청접수, 사모운용사의 공모펀드운용사 전환요건 완화, 종합운용사 전환요건 완화, 1그룹 1자산운용사 원칙의 단계적 폐지 등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상기 개선방안의 단계적 시행으로 2016년 들어 자산운용업계의 국내 자산운용사수는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데, 2025년 1분기말 기준 국내 자산운용사는 499개로 2016년말 165개 대비 약 202% 증가했습니다. 전문사모운용사 진출 확대 등 신규진입 운용사의 증가로 운용사간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국내 자산운용사 수] |
| 구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
| 자산운용사 | 499개 | 492개 | 470개 | 437개 | 348개 | 326개 | 292개 | 243개 | 215개 | 165개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상기 인가정책 완화가 지속될 경우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자산운용사의 시장진출입, 업무확장 등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신인도 높은 그룹 내 다양한 자산운용사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자산운용사 간의 경쟁 뿐 아니라 타 업권과의 경쟁 및 해외 운용사의 국내 진출도 자산운용업계의 수익성 악화를 가속화 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유럽, 호주 등 선진국 국가들은 이미 포화상태에 진입한 자국시장으로부터 고령화에 따른 자산축적이 본격화 되는 국가들로 외형을 넓히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크며, 우리나라 자산운용시장은 주요 타겟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기존 및 신규 자산운용사들이 자산운용업 내 사업영역을 확장하거나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시장지위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제도적 시장위험에 직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저축은행업 부문저축은행은 1972년 사금융 양성화 조치에 따라 서민·중소기업 금융 지원을 위한 금융회사로 출범했습니다. 출범 당시 350개에서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2010년 06월 106개로 줄어들었고 경기 개선 지연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에 걸쳐 30여개의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가 취해지며 저축은행 수는 2010년 말 105개에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79개로 축소되었습니다.
저축은행업은 서민 및 중소 상공인들을 주 고객층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진행된 업계 전반의 구조조정은 일단락된 것으로 보이며, 업계전반의 경영실적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건전성이 낮은 저축은행 대출자산 특성 상 경기둔화와 가계부채 이슈 등을 고려할 때 보다 면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인터넷 은행의 등장과 시중 은행의 영업 영역 확대로 인한 중금리 대출시장 경쟁 격화,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 악화 및 대부업계의 소매금융강화 등 영업 환경에 많은 변화와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대내의 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금융을 통한 서민 및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최근 부동산시장 악화, 서민금융상품 공급 경쟁 과열, 가계부채 관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저축은행 업권은 자산 성장에 있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타 금융권의 조달상황이나 대출기조가 변경될 경우 외형이 재차 감소할 여지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저축은행 자산별 증가 추이]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 현금 및 예치금 | 13,782,361 | 15,065,393 | 14,828,624 | 17,236,033 | 13,003,318 | 11,693,696 | 10,154,060 | 8,489,040 | 6,422,377 |
| 유가증권 | 9,061,808 | 8,926,957 | 8,200,351 | 6,685,538 | 4,877,984 | 3,139,895 | 2,176,076 | 1,816,749 | 1,597,782 |
| 대출채권 | 90,789,237 | 92,029,644 | 98,175,681 | 110,238,477 | 96,659,679 | 74,343,901 | 62,362,756 | 56,729,118 | 49,119,586 |
| 유형자산 | 1,618,467 | 1,625,219 | 1,646,493 | 1,340,067 | 1,231,496 | 935,958 | 843,667 | 807,436 | 836,076 |
| 기타자산 | 3,334,436 | 3,255,626 | 3,717,648 | 3,087,713 | 2,491,075 | 1,886,311 | 1,622,958 | 1,672,091 | 1,720,410 |
| 합계 | 118,586,309 | 120,902,839 | 126,568,797 | 138,587,828 | 118,263,552 | 91,999,761 | 77,159,517 | 69,514,434 | 59,696,231 |
| 주) 항목별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 및 예치금: 현금, 예치금(보통예치금, 중앙회예치금, 지급준비예치금, 기타예치금 등)- 유가증권: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 등- 대출채권: 대출금(할인어음, 일반자금대출, 종합통장대출 등), 콜론(Call Loan) 등- 유형자산: 토지, 건물, 동산 등- 기타주요자산: 보증금, 미수금, 미수수익, 투자자산, 무형자산, 비업무용자산 등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저축은행 계, 최근 공표된 수치 기준 |
한편, 저축은행업계는 최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움직임에 따른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은 2017년 6월 제2금융권 건전성 관리 강화방안 시행을 위해 저축은행업 감독규정을 개정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금리가 20% 이상인 고위험대출에 한하여 추가충당금을 기존 20%에서 50%로 대폭 상향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은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보유한 고수익 상품의 규모를 축소시킬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저축은행의 수익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이밖에도 금융당국에서는 대출금리 합리화 노력과 법정최고금리 인하('16.3월 27.9% → '18.2월 24.0% → '21년.7월 20.0%) 등으로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에서는 2021년 4월 26일, 법정최고금리 인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중금리대출 제도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고금리대출(기존 20% 이상 대출)에 적용되던 충당금 추가적립 조치 등을 폐지하여 적극적인 저신용차주 흡수를 유도하는 한편, 중개수수수료 등 대출원가 분석을 통해 합리적 금리 산정을 유도하여 중·저 신용층의 대출금리 인하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축은행의 고금리대출에 대한 충당금 조치 부담은 완화되었습니다. 또한 신용 하위 50% 차주에게 실행되고, 저축은행업 기준 16.0% 금리상한 요건을 충족하는 비보증부 신용대출을 민간중금리 대출로 인정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한편, 금융위원회는 2025년 3월 코로나 여파, 부동산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취약차주 상환능력 저하, 부동산 PF 대출 부실 등으로 저축은행의 경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하는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한시적 인수합병 기준 완화, 부실PF 정상화펀드 조성, 중앙회 차입한도 상향조정이 있으며, 이후 저축은행 규제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 내용을 포함한「저축은행 발전방안」을 발표할 것을 시사하였습니다.그러나 향후 금융당국의 이러한 추가적인 제도 변경은 저축은행의 수익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부동산자산관리업
2017년 6월 28일 열린 제12차 금융위원회에서 [부동산투자회사법]상 자산관리회사(리츠AMC)를 금융지주회사가 자회사로 편입할 수 있는 금융업 밀접관련회사로 인정하는 안건을 의결하였습니다. 자산관리회사(AMC)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한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를 운영하는 회사로 리츠자산을 수탁하여 운용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투자 대상 부동산 발굴, 투자자 유치, 부동산 매입, 임차인 유치, 시설관리, 부동산 매각 등 일련의 과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리츠 AMC는 통계청 표준산업분류상 '부동산업'에 해당하며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과 감독규정에 열거되어 있지 않아서 금융업 밀접관련 회사로 인정받아야 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이 가능하였지만 금융위원회는 리츠 AMC의 업무가 부동산 집합투자업(금융업)과 경제적 실질이 동일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리츠 AMC를 [금융지주회사법]상의 금융업 밀접관련 회사로 인정하기로 하였습니다.국내 리츠시장은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 제정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최근 대체투자 수요 증가 및 리츠 관련 정부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시장이 더욱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들도 많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금융지주회사들의 시장진입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 증대되거나 수익률이 급감할 수 있습니다.또한, 최근 부동산경기 하강에 따른 지방 미분양 증가, 택지공급 감소,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인해 부동산개발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 변화 및 정책 대응에 따라 부동산신탁사의 시장경쟁력이 차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중소형 건설사 자금력 약화 등으로 부동산신탁사의 역할이 강화될 전망이며, 주택 재건축 재정비 사업을 비롯한 신규 수익원의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지속되는 금리인상 기조로 세계 경기가 전반적으로 성장이 둔화된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 정책 시행 및 국내 건설투자 부진 등이 맞물리면서 국내 건설 및 부동산 경기는 크게 위축되고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나. 제반 규제제도의 변화에 따른 위험 금융업은 국가의 핵심 기간산업이자 규제산업으로 금융당국의 규제와 정부정책에 많은 영향 을 받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자회사들은 환경 변화 및 제도 변화로 인한 수익성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니, 개별 자회사들의 경쟁력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 및 정부의 규제환경 등 외부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금융산업 발전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복합금융 서비스 Needs 충족과 타금융산업 진출을 통한 대형화-겸업화 본격화, 그룹 내 타업종 금융계열사와의 시너지 창출 극대화를 위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금융사들이 더욱 증가하고 있습니다.비은행권의 그룹들도 계열내 금융사를 모아 금융지주사를 설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규 금융지주회사의 출현과 대형화는 금융산업의 경쟁 심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국내에서 은행 및 보험권은 시장이 성숙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고, 증권 및 투자은행 분야는 국내시장이 규모의 경제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회사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 및 제도 변화로 인한 수익성 변동 위험에 노출 되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자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주요 금융 환경 변화와 제도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업 부문은행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 중개기관으로서 예금, 대출, 지급결제, 자산관리 등의 업무를 통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다른 산업의 생산활동 증대에 따라 발생하는 금융수요와 관련된 다양한 금융서비스 제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산업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일반은행은 전체 이익 중에서 국내 이익 비중이 95%이상을 차지하는 전통적인 내수산업으로, 은행업의 붕괴는 국가 경제의 위기로 직결됩니다. 과거 은행업의 위기 때마다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한 정부의 강도 높은 지원을 받아 온 핵심 국가 기간산업입니다.이러한 산업의 높은 중요도로 인하여 신규 진입시 은행법에 의하여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등 여느 산업보다 정부의 규제와 보호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기업과 달리 수익성뿐만 아니라 공공성도 강조되고 있으며, '상법' 및 '은행법' 이외에 '외국환거래법',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 '예금자보호법',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등의 여러 법령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적 환경요인에 의해 수익성과 성장성이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바젤III 등 전 세계적으로 은행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 은행에 대한 감독당국의 규제도 이에 맞춰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은행의 자본과 유동성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레버리지를 억제하기 위한 레버리지 비율규제, 예대율 규제 등도 도입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외환건전성부담금(자본유출입 변동성 완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비예금성(비예수성) 외화부채에 대해 만기 별로 차등화되어 부과되는 부담금)의 도입, 금융소비자 보호 등 각종 규제가 시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은행의 규제 준비 비용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정부의 주요정책 방향도 은행의 수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바젤 Ⅲ바젤Ⅲ에 따른 자본규제 및 각종 규제들이 2019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투자자분들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 구분 | 내용 | |||||||||||||||||||||||||||||||||||||||||||||||||||||||||||||||||||||||||||||||||||||||||||||||||||||||||||||||||||||||||||||||||||||||||||||||||||||||||
|---|---|---|---|---|---|---|---|---|---|---|---|---|---|---|---|---|---|---|---|---|---|---|---|---|---|---|---|---|---|---|---|---|---|---|---|---|---|---|---|---|---|---|---|---|---|---|---|---|---|---|---|---|---|---|---|---|---|---|---|---|---|---|---|---|---|---|---|---|---|---|---|---|---|---|---|---|---|---|---|---|---|---|---|---|---|---|---|---|---|---|---|---|---|---|---|---|---|---|---|---|---|---|---|---|---|---|---|---|---|---|---|---|---|---|---|---|---|---|---|---|---|---|---|---|---|---|---|---|---|---|---|---|---|---|---|---|---|---|---|---|---|---|---|---|---|---|---|---|---|---|---|---|---|---|
| 자본적정성 규제 |
현재 국내 금융당국은 바젤III 최저규제 자본비율과 자본보전 완충비율의 이행을 위한 제도의 정비를 완비한 상태이며, 또한 자본비율에 더하여 바젤III가 제시하는 "경기대응완충자본" 과 "D-SIB 추가자본"의 적립도 제도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 (도입완료) 필라1 : 보통주자본(4.5%), 기본자본(6%), 총자본비율(8%) - (도입완료) 필라2 : '자본보전완충자본' 도입 (2.5%)- (도입완료) 필라2 : D-SIB에 대한 추가 자본규제 (1.0%)* D-SIB : Domestic Systemically Important Bank ('시스템적 중요 은행')* 2016년 1월부터 적용(4년간 1/4만큼씩 단계적 추가적립)- (도입완료) 필라3 : 은행연합회의 「금융업경영통일공시기준」에 미흡한 국내 공시항목을 추가로 반영
|
|||||||||||||||||||||||||||||||||||||||||||||||||||||||||||||||||||||||||||||||||||||||||||||||||||||||||||||||||||||||||||||||||||||||||||||||||||||||||
| 레버리지비율 규제 |
레버리지비율 규제는 기존의 위험 기반 바젤 자본규제가 호황기에 리스크를 과소평가함으로써 과도한 신용팽창을 초래할 수 있는 약점을 노출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입니다. 많은 금융기관들이 경기호황기에 레버리지를 과도하게 확대하였다가 위기가 닥쳤을 때 이를 급격하게 디레버리징함으로써 위기를 증폭시켰습니다. 호황기에는 리스크가 저평가되고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차입을 늘려 수익률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여 레버리지를 확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황기에 거품이 꺼지면서 자산가격이 하락하여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호황기에 확대되었던 레버리지가 거꾸로 손실을 증폭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가 필요합니다. 레버리지비율의 하한선은 3%이며, 2018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레버리지비율 3% 규제를 적용할 경우 은행들은 총자산을 기본자본의 33.3배 이내로 보유해야 합니다. 그만큼 레버리지를 크게 일으키지 못한다는 의미로 은행의 수익성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
| 유동성 규제기준 도입 |
바젤III 도입에 따른 유동성 규제비율(유동성커버리지비율,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국공채 및 우량회사채에 대한 투자비중을 높여야 하고,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위한 가계수신 및 장기조달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어 단기적으로 수익성 하락의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LCR규제는 2015년부터 시행중이며 일반은행의 경우 2015년 80%에서 매년 5%p씩 단계적으로 상향되어 2019년 1월 1일 이후 100%가 적용되었으며, 특수은행의 경우 2015년 60%에서 매년 10%p씩 단계적으로 상향되어 2019년 1월 1일 이후 100%를 적용되었습니다. 은행의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단기 복원력을 제고하는 것으로, 금융 또는 실물 위기 발생 시 은행 부문의 충격흡수 능력을 제고함으로써 금융부문의 위기가 실물경제로 파급되는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은행은 30일간의 유동성 스트레스 시나리오 하에서 유동성 부족을 충당할 수 있도록, 민간시장에서 쉽고 빠르게 현금화가 가능하면서도 처분제한이 없는 고유동성자산을 적정 규모로 보유해야 합니다.
주1) 안정자금가용금액 : 부채 및 자본항목 중에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향후 1년 이내 이탈가능성이 낮아 안정적으로 조달한 자금 주2) 안정자금조달필요금액 : 자산항목 중에서 1년 이상의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요구되는 금액 NSFR은 1년 이상 장기간 필요한 자금에 대비해 조달면에서 장기간 안정적인 자금을 보유하도록 하는 중장기 유동성 비율로 2018년부터 100%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
|||||||||||||||||||||||||||||||||||||||||||||||||||||||||||||||||||||||||||||||||||||||||||||||||||||||||||||||||||||||||||||||||||||||||||||||||||||||||
| 대손준비금 등 관련 |
금융위원회는 은행업감독규정 개정을 통해 2016년 12월 20일부터 국내 은행의 대손준비금을 보통주자본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금융위원회는 바젤Ⅲ 기본서 상 대손준비금 등 이익잉여금은 원칙적으로 보통주자본이며, 이러한 국제기준에 맞추어 국내은행의 대손준비금을 보통주자본으로 인정하여 과도한 자본부담을 완화하고 외국은행과 동등한 경쟁환경을 조성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업감독규정에 대한 입법예고 이후 심사 및 금융위 상정을 거쳐 시행되었습니다.대손준비금이 전액 보통주자본금으로 인정되면서 국내 일반은행들의 보통주자본비율은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대손준비금이 보통주자본으로 인정됨에 따라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본자본비율을 개선시켜 이에 대한 부담을 크게 경감시켜 주었습니다. 하지만 IFRS 도입 이후 대손충당금과 함께 고정이하여신 등 부실여신에 대한 손실완충력을 제공해왔던 대손준비금의 완충 역할이 약화되었습니다. IFRS 도입으로 2011년 회계기준상 대손충당금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익잉여금 중 대손준비금을 부실여신에 대한 손실완충력으로 인식하여 IFRS 도입 전 대손충당금과 동일한 수준의 손실완충력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2016년 감독규정 개정으로 대손준비금이 보통주자본으로 인정되면 대손준비금이 선제적인 손실 인식에 기반한 충당금 개념에 부합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의 자산건전성 지표였던 고정이하여신 대비 충당금 비율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상황입니다.대손준비금이 충당금 개념의 손실완충력에서 자본완충력으로 전환된 것으로 최종적인 손실에 대한 완충능력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즉, 은행의 경제적 실질 변화가 아닌 대손준비금의 감독기준 변화에 따른 것으로 국내 은행의 자본비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충당금 Coverage 는 하락하게 되어 부실여신에 대한 은행의 최종적인 위험 완충력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자산건전성 부문의 손실완충력 하락을 고려할 때, 자본적정성 지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내 은행의 실질적인 신용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금융위원회는 2023년 1월 26일 경기상황에 대응해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할 수 있는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을 도입하고, 은행권 대손충당금 적립 모형 내실화를 위한 예상손실 전망모형 점검체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대손충당금 및 대손준비금 수준의 적정성에 대한 금감원의 평가 결과 등에 비추어 향후 은행의 예상되는 손실에 비해 대손충당금·대손준비금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은행에 대손준비금의 추가 적립을 요구할 것이라 밝혔으며, 이에 따라 은행업감독규정이 2023년 11월 21일부로 개정 및 시행되었습니다. |
|||||||||||||||||||||||||||||||||||||||||||||||||||||||||||||||||||||||||||||||||||||||||||||||||||||||||||||||||||||||||||||||||||||||||||||||||||||||||
| 거액익스포져 한도규제 |
거액익스포져 한도규제는 국내은행이 연계된 거래상대방별 익스포져를 BIS 기본자본의 25% 이내로 관리하는 규제입니다. 당초 바젤위원회는 19.1월부터 동 규제를 도입키로 했으나, 주요국에서 도입 일정이 지연되는 움직임이 있어 국내는 정식규제 도입을 연기하되, 행정지도를 통해 2019.3.31부터 외은지점, 인터넷전문은행, 산은, 수은을 제외한 국내은행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참여 아래 시범실시중이나 2020년 4월 17일 금융당국은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에 따라 관련 시스템 구축 등 은행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원활한기업자금 지원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거액익스포져 한도규제 시행 시기를 2021년 이후로 연기하였습니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위기 및 러시아-우크라니아 사태로 인한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2022년 3월 금융당국은 거액익스포져 한도규제 행정지도 기간을 2024년 3월말까지 연장하였습니다. 이후 금융당국은 은행 및 은행지주사의 규제체계 강화 및 리스크 관리 수준 강화 의지로 바젤기준 거액 익스포져 한도규제를 2024년 1월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위해 개정된 은행업감독규정이 2024년 2월 1일부터 시행중에 있습니다.거래상대방은 통제관계(의결권 50% 초과 보유, 이사임면권 보유 등 지배력을 행사하는 관계로서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개념과 유사), 경제적 의존관계(한 기업의 부실화 또는 부도위험이 다른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는 관계(단, 기본자본의 5% 초과 익스포져만 적용))로 연계되는 그룹을 의미합니다.익스포져는 대출 등 자금지원 성격의 신용공여와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및 보증제공자의 보증금액 등을포함하여 산출합니다.예시) 은행이 보증기관 A의 50% 보증서를 담보로 차주 B에게 100억원을 대출시, 보증기관 A와 차주 B에 대하여 각각 50억원의 익스포져 발생기준자본은 연결기준 BIS 기준자본(바젤III 기준)입니다.
|
|||||||||||||||||||||||||||||||||||||||||||||||||||||||||||||||||||||||||||||||||||||||||||||||||||||||||||||||||||||||||||||||||||||||||||||||||||||||||
2) 채권자손실분담(Bail-in) 도입 채권자 bail-in 제도는 부실금융회사의 회생·정리 과정에서 정상화 및 핵심 기능 유지에 필요한 손실흡수 및 자본재확충 비용을 납세자 부담이 수반되는 정부의 구제금융(bail-out) 이전에 주주 및 채권자가 손실부담 순위에 따라 우선적으로 부담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해당 제도 하에서 각국의 정리당국은 부실금융회사에 대한 공적자금 등의 지원 이전에 파산 시 채권자 변제순위, 동순위 채권자 평등 원칙, 파산시 배당금액 이상 보장원칙 등이 준수되는 범위에서 무담보·비보호 채권에 대한 상각 또는 자본전환 실행을 명령하는 권한을 보유하는 시스템입니다.최근 세계 각국별로 bail-in 대상 채권의 범위와 손실부담순위 등이 다소 상이하게 도입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의 경우 구체적으로 어떻게 도입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금융위원회 2017년 12월 보도자료(금융안정위원회 한국 동료평가 보고서 공개)는 FSB 정리체계 권고안(회생ㆍ정리계획(RRP),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등)을 적기에 도입하여 위기상황 대비 강화, 상호금융 감독관련 금융위 및 금감원의 역할 확대 및 중앙회 감독 강화,저축은행 및 상호금융 자본규제 개선 하겠다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에서도 회생ㆍ정리계획(RRP),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조기종결권 일시정지(Temporary Stay) 권한 등의 도입이 논의되어 왔습니다.이에 국내에서는 2020년 12월 29일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공포되었으며, 2021년 2월 19일 금융위원회는 "금융산업의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며,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의 자체정상화계획·부실정리계획 제도 등을 도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금융기관은 경영위기상황에 대비하여 건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자구계획을 작성하여 금융감독원에 제출(선정 후 3개월 이내)해야 합니다. 또한, 금융기관이 부실금융기관 등으로 결정되는 경우, 이미 그 금융기관과 파생금융거래 등의 계약을 맺은 거래상대방은 계약 기한 전에도 그 거래를 종료·정지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 부실금융기관 등으로 지정된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의 거래상대방이 거래를 종료·정지하는 것을 최대 2영업일 간 정지할 수 있습니다.
| [FSB 정리제도 권고안 주요 내용] |
| 구분 | 주요 내용 |
|---|---|
| RRP(Recovery and Resolution Plan) | SIFI별로 자체정상화계획ㆍ부실정리계힉(RRP)을 정기적으로 작성하여 시스템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에 사전적으로 대비(2021년 6월 30일 시행) |
| 일시정지권(Temporary Stay) | 정리절차의 개시로 인해 SIFI의 파생금융상품 계약 등이 연쇄 조기 청산됨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시장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SIFI의 적격금융거래가 계약 만료일 전에 종료ㆍ정산되는 것을 일정 기간 정지(2021년 6월 30일 시행) |
| 채권자 손실분담제도(Bail-in) | 채권자 손실분담제도(Bail-in)를 도입하여 공적자금 투입을 최소화(국내 도입시기 미정) |
| 출처 : 금융위원회, NICE신용평가 |
한편,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제도는 금산법 및 시행령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향후 FSB 권고안 또는 국제적 조류를 반영하여 선순위 채권자가 bail-in 대상에 포함된다면 이는 국내 은행의 신용등급에 반영된 정부지원가능성이 크게 약화되는 것을 의미하기에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 따라서 은행의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은행의 조달금리가 올라가는 등 재무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상기와 같이 정부 및 금융감독 당국의 정책, 규제에 따라 은행의 수익성,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정부 및 금융감독당국의 규제를 주의 깊게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신용카드업 부문
국내 신용카드업은 정부의 규제강도가 높은 산업으로 핵심 수익원인 가맹점수수료의경우 관계법령에 의해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고 있습니다. 여신전문금융업법 제18조의3의 1항에 따라 2012년 이후 3년 주기로 적격비용을 재산정하여 수수료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2025년 8월 14일부터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되는 영세/중소신용카드가맹점은 306.8만개(전체 320.5만개 중 95.7%)입니다. 가맹점수수료가 신용카드사의 영업수익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신용카드업계의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우대수수료율 및 적용대상] |
| 연매출 구간 | 우대수수료율(신용) | 우대수수료율(체크) | |||||
|---|---|---|---|---|---|---|---|
| 현행 | 변경 | 감소 | 현행 | 변경 | 감소 | ||
| 영세 | 3억원 이하 | 0.50% | 0.40% | 0.10% | 0.25% | 0.15% | 0.10% |
| 중소 | 3~5억원 | 1.10% | 1.00% | 0.10% | 0.85% | 0.75% | 0.10% |
| 5~10억 | 1.25% | 1.15% | 0.10% | 1.00% | 0.90% | 0.10% | |
| 10~30억원 | 1.50% | 1.45% | 0.05% | 1.25% | 1.15% | 0.10% |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_2025.08.13 |
또한 우리 경제의 막대한 부담인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감독당국은 카드산업에 대한 규제를 광범위하게 진행해 왔습니다. 감독당국은 2011년 3월 '신용카드 시장 건전성 강화 방안', 6월 '신용카드사의 과도한 외형 확대 경쟁 차단 특별대책', 12월 '신용카드시장 구조개선 종합대책' 등 가계부채를 억제하고, 신용카드사의 과도한 외형확대 경쟁 방지 및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한 일련의 규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동 대책에 따라, 신용카드사의 외형확대 제한을 위해 카드자산, 신규 발급카드, 마케팅 비용(률)에 대한 적정 증가율 설정과 레버리지 규제 등이 도입 되었고, 카드자산 위험관리 강화를 위해 카드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률의 상향 조정, 복수카드 이용자 정보공유 확대 및 체크카드 이용 촉진 등 카드업무 전반에 걸친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또한 대부업법 및 이자제한법 시행령이 개정, 공포됨에 따라 2018년 2월부터 법정최고이자율이 연 27.9%에서 24.0%로, 추가로 2021년 7월 이후 20.0%로 인하되어 이로 인해 카드대출이자수익,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리볼빙)이자수익, 연체이자수익 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일련의 규제는 신용 카드사에게 발생 가능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신용카드사의 위험이 확대되는 것을 제어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신용카드산업의 시스템적 중요성과 가계부채 제어 등 정책적 목적으로 인해 규제 강화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점은 신용카드사들의 성장성 정체와 수익성 저하로 연결 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투자업 부문2016년 도입된 NCR 개선 방안과 레버리지비율 규제에 따라 금융투자회사의 투자여력이 상대적으로 확대될 수도 있는 반면, 영업활동에 제약이 따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은 제도변화의 내용 그로 인해 파생되는 금융투자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숙지하고 투자에 임하시기를 바랍니다.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금융투자업자가 재무적 곤경에 처한 상황에서도 금융시스템 전반에 큰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자체 청산이 가능할 정도의 충분한 유동자산을보유할 것을 요구하는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의 원칙에 따라 증권사 보유자산의 잠재적손실에 대한 대응능력을 수치화 한 것입니다.금융투자업의 경우, 1997년 4월에 도입된 영업용순자본비율이 금융감독 당국의 적기시정조치, 거래소 회원자격, 국고채 전문 딜러 평가 등의 기준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금융투자업 업무 전반을 광범위하게 규율 하는 자기자본규제 기준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기존 NCR은 개별회사 기준으로 산출되며, 자회사의 위험수준에 관계없이 자회사 출자금을 영업용순자본에서 전액 차감함으로써 자회사의 위험에 대한 적절한 리스크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2013년 12월에 발표한 '자본시장의 역동성 제고를 위한 방안'의 세부계획의 일환으로 '증권회사 영업용순자본비율(NCR) 제도 개선방안(이하 'NCR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NCR개선방안은 자기자본 1조원 이상인 증권사를 대상으로 2015년 동안 시범 실시하였고, 2016년에 전면 실시되었으며, NCR개선방안의 주요 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NCR 개선방안 주요 내용] |
| 개선방안 | 주요내용 |
|---|---|
| NCR 산출방식 변경 | 필요 유지자본 대비(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 비율로 변경 |
| 연결 NCR 기준 도입 |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증권사에 연결 NCR 적용 |
| 영업용순자본 인정 범위 및 위험값 조정 | 1. 신용공여 등 1년 이내 대출, M&A/IPO 관련 대출은 신용위험으로 반영2. 잔존만기 1년 초과 예금 및 예치금은 영업용순자본으로 인정3. 장내 자기매매 관련 미수금도 위탁매매와 동일하게 위험값 '0' 적용 |
| 출처 :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보도자료(2014.04.08) |
새로운 NCR 산출방식은 영업용순자본 여유액 증가나 필요유지자본을 감소시켜 자본의 배분 효율성을 높여야 되는 구조로 영업규모와 자기자본 규모의 중요성이 높아졌으며, 영업용순자본여유액 규모가 적은 중소형사의 경우 비 주력 영업에 대한 자본유지 부담을 높여 라이센스를 반납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업무 전문화를 유도하는 것이 취지입니다.NCR개선방안에 따라 산출체계는 기존 '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 * 100' 에서 (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인가업무 단위별 법정 필요자기자본의 70%로 변경되었습니다. 새로운 산출체계에 따르면 대형 금융투자회사들은 투자여력이 확대되어 활발한 영업이 가능해지는 반면, 중소형 금융투자회사들은 영업에 제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일정규모 이상의 금융투자회사의 경우 분모인 법정 필요자기자본이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 [금융투자업 라이센스 법정 필요자본] |
| (단위 : 억원) |
| 항목 | 구분 | 법정 필요자본 | 필요자본 70% |
| 투자매매 | 증권 | 500 | 350 |
| 투자매매 | 채무증권 | 200 | 140 |
| 투자매매 | 국채, 지방채 및 특수채 | 75 | 53 |
| 투자매매 | 지분증권 | 250 | 175 |
| 투자매매 | 집합투자증권 | 50 | 35 |
| 투자매매 | 장내파생상품 | 100 | 70 |
| 투자매매 | 장외파생상품 | 900 | 630 |
| 투자중개 | 증권 | 30 | 21 |
| 투자중개 | 채무증권 | 10 | 7 |
| 투자중개 | 지분증권 | 10 | 7 |
| 투자중개 | 집합투자증권 | 10 | 7 |
| 투자중개 | 장내파생상품 | 20 | 14 |
| 투자중개 | 장외파생상품 | 100 | 70 |
| 신탁 | 신탁재산 | 250 | 175 |
| 출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인가업무 단위 및 최저자기자본 |
| [주요 증권사 순자본비율] |
| (단위 : 백만원, %) |
| 구분 | 영업용순자본(A) | 총위험액(B) | 잉여자본(C=A-B) | 필요유지자기자본(D) | 순자본비율(C/D×100) |
|---|---|---|---|---|---|
| 하나증권(주) | 4,970,585 | 3,137,701 | 1,832,883 | 134,225 | 1,366 |
| KB증권(주) | 5,321,107 | 2,983,859 | 2,337,248 | 134,225 | 1,741 |
| NH투자증권(주) | 6,639,969 | 4,491,550 | 2,148,419 | 130,025 | 1,652 |
| 미래에셋증권(주) | 9,856,858 | 6,022,119 | 3,834,739 | 134,225 | 2,857 |
| 삼성증권(주) | 5,146,668 | 2,904,136 | 2,242,531 | 130,025 | 1,725 |
| 신한투자증권(주) | 4,544,792 | 2,579,584 | 1,965,208 | 134,925 | 1,457 |
| 한국투자증권(주) | 9,646,379 | 5,778,826 | 3,867,554 | 134,925 | 2,866 |
| 주) 2025년 1분기말 연결기준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NCR 제도 변경에 따라 NCR 수준 혹은 영업용순자본여유액 규모의 변화가 예상되며 더 나아가, 증권사의 투자형태, 리스크 프로파일, 수익구조, 자금조달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므로, 투자자께서는 개정된 NCR 제도 개선이 금융투자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레버리지비율 관련 금융감독원의 적기시정조치] |
| 레버리지비율 | 적기시정조치 |
| 1) 직전 2 회계연도간 연속하여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레버리지 비율이 900%를 초과하는 경우2) 레버리지비율이 1,100%를 초과하는 경우 | 경영개선 권고 |
| 1) 직전 2회계연도간 연속하여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레버리지 비율이 1,100%를 초과하는 경우2) 레버리지비율이 1,300%를 초과하는 경우 | 경영개선 요구 |
| 출처 : 금융투자업규정주1) 직전 2회계연도간 발생한 당기순손실의 합계액이 직전 3회계연도말 자기자본(구체적인 산정방식은 금융감독원장이 정한다)의 5% 미만인 경우는 상기 레버리지 규제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적기시정조치 대상에서 제외함 |
저금리 기조 속에 금융투자회사가 발행하는 ELS와 RP에 투자자가 많이 몰린 것에 기인하여, 레버리지 비율은 2019년 말 680.4%, 2020년말까지 692.4%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 미국 및 한국 등 주요국가들이 통화 긴축기조로 전환하면서 기준금리를 인상한 영향으로 2022년말 기준 레버리지비율은 다소 감소하여 619.2%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2023년에 들어서 긴축기조가 완화됨에 따라 2023년말 레버리지비율은 646.4%를 기록. 2024년말 656.40%, 2025년 1분기말 667.43%를 기록하며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향후 레버리지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부채성 상품의 발행과 판매를 조절함에 따라 영업력과 수익성에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금융투자업의 레버리지비율 추이] |
| (단위: 백만원, %) |
| 항목 | 2025년 1분기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2020년말 |
| 총자산 | 611,162,473 | 594,875,105 | 544,668,373 | 491,674,126 | 487,105,822 | 463,693,580 |
| 자기자본 | 91,569,975 | 90,627,198 | 84,261,756 | 79,402,251 | 76,617,031 | 66,972,805 |
| 레버리지비율 | 667.43 | 656.40 | 646.40 | 619.22 | 635.77 | 692.36 |
| 주1) 레버리지비율 : 총자산/자기자본 X 100주2) 증권사 국내법인 및 외국계지점 합계 기준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위와 같이 NCR 개선방안과 레버리지비율 규제에 따라 향후 대형 금융투자회사는 상대적으로 투자여력이 확대돼 투자은행업무, PI, 해외사업 등에 대한 활발한 영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다만, NCR 산출방식 변경에 따라 투자 여력은 확대되나 투자처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수익확대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현재 대형사를 포함한 증권사 대부분이 업계 불황 타개 방안으로 비용절감 및 인력감축을 단행하면서 기업여신, 프라임브로커리지 등과 관련된 인력 증가와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지 않아 단기적으로 늘어난 투자여력이 실제로 활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개정된 NCR제도는 증권사의 투자형태, 리스크 프로파일,수익구조, 자금조달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므로, 투자자 분께서는 해당 NCR 제도가 증권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금융투자회사의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는 2015년말 약 24.2조원에서 2021년 9월말 약 40.7조원에 이르기까지 급증하며 자본완충력 대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1분기말 금융투자회사의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 규모는 약 43.6조원 수준입니다. 특히 2013년 이후 매입보장약정과 같은 유동성 보강 약정은 정체된 반면, 금융투자회사의 신용공여와 유동성 지원을 모두 부담하는 지급보증 등의 기타 채무보증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회사의 우발채무 규모가 빠르게 증가한 것은 신용공여주체의 다양화, 무보증 관련 NCR 규제 완화, 장기 CP 발행 규제 등 제도 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금융위기 이전 국내 부동산 PF 사업의 주된 신용공여 주체는 은행과 건설사였습니다. 본래 PF는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 및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수급하기 위한 금융기법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시행사의 신용이 낮기 때문에 주로 건설사(시공사)의 지급보증(연대보증)이나 채무인수 등의 신용공여를 관행적으로 요구하여 왔습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은행은 바젤Ⅲ 등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과 건설사는 우발부채 감축 노력의 일환으로 신용공여 제공을 축소함에 따라 증권사가 제공하는 신용공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유동화증권의 상환가능성이 건설사 대비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우량한 증권사에 연계됨으로써 유동화증권에 대한 투자자선호도는 높아졌으나, 유동화 지원만을 제공하던 과거에 비해 증권사 우발채무의 위험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2019년 12월 정부는 증권사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부동산 PF 채무보증 성장을 억제하고, 부동산 PF 대출에 대해 완화적이었던 규제를 타 업권 수준으로 정상화 하기 위해 새로운 규제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규제는 자본금 3조 이상 증권사에 허용되었던 특례를 일반 증권사 수준으로 회귀하여 대출한도, NCR, 레버리지 비율 측면에서 부담을 확대시켰으며, 부동산 PF 대출 중 지급보증 및 아파트관련 자산에 부여하였던 특례 조항을 폐지하였습니다. 2016년 이후 증권사 IB 수익은 M&A/자문/보증 수익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부동산 관련 채무보증이 있었기에 금번 규제로 인해 모든 증권사의 종합 IB 전반에서 PF 익스포저 축소가 불가피해 보이며 PF관련 신용 및 유동성 리스크는 상당 수준 통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익구조 상 부동산 PF 의존도가 높은 증권사의 경우, 해당 규제 도입이 영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과거에는 NCR 계산시 채무보증금액이 영업용 순자본차감항목으로 규정됐지만 지난 2012년부터 거래상대방의 신용도에 따라 차등해 신용위험액을 산정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19년 12월 발표된 규제 중 NCR에 관련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존 부동산 PF채무보증의 경우 신용위험액에 보증잔고의 위험액을 12%에서 18%로 상향하였고, 2) 자본금 3조원 이상 증권사의 경우 부동산 PF대출 잔고에 위험계수 18%를 적용한 위험값을 신용위험액에 반영하고 있었던 것을 전액 영업용순자본 차감(일반증권사는 기존과 동일)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장기 CP 발행관련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화에 따라 차환구조의 거래 증가도 우발부채 규모를 늘리는데 일조하였습니다. 2013년 5월부터 만기 1년 이상의 장기 CP에 대해 증권신고서 제출이 의무화되면서 장기 ABCP 발행이 어려워짐에 따라차환위험 통제를 위한 금융투자회사 유동성공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동산 거래량이나 가격지수가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가 하락할 경우 입주 지연 등이 발생하거나 분양계약 해제가 일어날 개연성이 높아져 금융투자회사의 신용공여의무가 현실화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우발채무가 현실화 될 경우 이는 금융투자회사의 큰 손실로 이어져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국내 증권사 우발채무 규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 구분 | 2025년1분기말 | 2024년말 | 2023년 말 | 2022년 말 | 2021년 말 | 2020년 말 | 2019년 말 | 2018년 말 | 2017년 말 |
|---|---|---|---|---|---|---|---|---|---|
| 우발채무 합계(A) | 43,555,162 | 42,727,627 | 39,131,551 | 39,638,235 | 42,600,231 | 39,929,093 | 46,231,254 | 38,196,916 | 27,952,158 |
| 지급보증 | 753,737 | 756,204 | 701,994 | 509,403 | 507,124 | 467,140 | 504,030 | 289,845 | 133,621 |
| 매입보장약정(ABCP등) | 3,010,232 | 2,478,235 | 2,765,077 | 2,376,485 | 3,788,641 | 5,061,197 | 6,551,488 | 6,888,291 | 7,688,249 |
| 채무인수약정 | 103,308 | 100,828 | - | - | - | - | - | - | - |
| 매입확약 | 37,690,941 | 37,587,439 | 34,114,289 | 35,288,747 | 36,547,483 | 33,035,709 | 37,091,927 | 29,123,111 | 19,951,711 |
| 기타 | 1,996,944 | 1,804,920 | 1,550,190 | 1,463,599 | 1,756,983 | 1,365,048 | 2,083,808 | 1,895,669 | 178,577 |
| 자기자본(B) | 90,305,545 | 89,137,956 | 82,437,188 | 77,308,686 | 74,601,826 | 65,178,766 | 59,228,950 | 53,952,072 | 49,645,669 |
|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규모(A/B) | 48.23% | 47.93% | 47.47% | 51.27% | 57.10% | 61.26% | 78.06% | 70.80% | 56.3 |
| 주1) 증권사 국내법인 합계 기준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2025년 1분기말 기준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우발채무는 약 43.6조원으로 자기자본의 48.23%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우발채무의 규모가 다소 감소하여 39.9조원 수준을 기록했으나, 2021년부터 늘어난 유동성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세를 회복함에 따라 2021년말 42.6조원을 기록했고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2년말 39.6조원, 2023년말 39.1조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말 우발채무 규모가 다시 증가하여 42.7조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유동화증권의 부실 발생 시 신용공여를 제공하는 매입확약은 2025년 1분기말 기준 약 37.7조원 수준으로 증권사 우발채무의 약 86.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PF대출 연체, 대출금 미회수 발생 시 증권사는 유동화증권을 매입하게 되면서 손실을 떠안게 되는데 최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경우 주택공급 집중에 따른 가격 하락도 나타나고 있어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이 과거 대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발채무 유형 중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은 신용공여 비중이 높게 유지되고 있어 우발채무 현실화 시 금융투자회사 자산건전성에 직접적인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점, 부동산PF에 대한 증권업의 위험 익스포저가 상승하는 추세에 있는 점, 저성장 기조로 인한 부동산시장의 침체 가능성은 우발채무 현실화의 잠재적인 위험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발채무가 현실화되는 경우, 대형 금융투자회사들은 풍부한 자금조달력과 잉여자본을 통해 위험관리가 일정부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대형사 대비 자본력이 약한 중소형 금융투자회사들의 경우 더욱 큰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고, 위험인수 능력이 제약되면서 영업 제약 및 사업 기반이 축소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투자자 분께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참고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생명보험업 부문
보험산업의 경우 보험의 사회 공익적 특성으로 인하여 정부의 규제강도가 매우 높은 산업입니다. 따라서 법규 및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당사 자회사인 (주)신한생명보험의 영업활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리스크 관리 수준 강화
RBC 제도는 예상하지 못한 손실발생시에도 보험계약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책임준비금 외에 추가로 순자산을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로 i) 가용자본과 ii) 요구자본의 산출을 통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는 구조 입니다. 여기서 가용자본(Available Capital)은 보험회사에 예상치 못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전해 지급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크 완충장치로서 현행 제도의 지급여력금액(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에 해당합니다. 요구자본(Required Capital)은 보험회사에 내재된 시장/신용/금리/보험/운영 리스크의 규모를 측정해 산출된 자기자본을 의미합니다.
| RBC비율 산출 원리 및 활용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이 중 요구자본은 일정기간 (통상 1년) 동안 일정 신뢰구간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손실예상액으로 측정 되며, 신뢰수준을 상향한다는 것은 동일한 위험에 대해 더 많은 자본량을 요구한다는 의미 입니다. 재무건전성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금융당국은 보험회사가 보유하는 금리리스크에 대한 신뢰수준을 상향조정(기존 95% → 99%)하였으며(2014년말), 요구자본이 증가함에 따라 보험회사의 RBC비율 하락(2014년 9월 대비 2014월 12월 보험업 305.7% → 292.3%, 생보사 325.2% → 310.4%, 손보사 268.5% → 256.3%) 원인이 되었습니다. 재무건전성 종합로드맵에 따라 보험회사의 신용리스크 신뢰수준 또한 기존 95%에서 99%로 상향조정이 2015년말에서 2016년말 단계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요구자본량이 증가하여 보험회사들의 RBC비율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자본확충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습니다.또한, 2017년 5월에는 부채듀레이션 확대, 변액보험 최저보증위험액 산출방식 변경 등의 RBC비율 제도 개선으로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을 개정하였습니다. 이는 현행 RBC제도가 금리리스크 산출시 보험계약의 만기를 20년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IFRS17에서는 만기에 제한이 없고, 주가하락 등 경제환경 변화시 변액보험 최저보증을 위해 보험회사가 부담하는 리스크를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② 연결 RBC 제도 시행
금융당국은 국제보험감독자협의회(IAIS)의 규정 및 해외사례 등을 참고하여 자회사의 리스크를 RBC비율에 반영하도록 하는 연결RBC 시행계획을 발표(2013.08) 하였습니다. 이에 따르면 보험회사의 RBC비율 산출 시 자회사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이 반영되어 보험회사 그룹 전체의 자본 및 리스크량을 반영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자회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거나, 자회사의 리스크량(요구자본)이 큰 보험회사의 경우 RBC비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연결 RBC제도는 2016년 10월부터 전면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4월 15일 금융위원회는 보험회사에 대한 新지급여력제도 도입초안 등 마련을 위하여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③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2023년부터 보험부채의 시가평가를 골자로 하는 IFRS17 도입에 따라 선제적으로 자본을 확충하는 등 재무건전성 개선 방안을 적시에 내놓지 않을 경우 기업가치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IFRS17은 국제회계기준원(IASB)에서 제정한 보험계약의 회계처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기준서로서, 국내에서는 2023년 1월부터 IFRS17을 도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IFRS4(변경전회계기준)에서는 각국의 보험회계 관행 준용을 허용하고 있는 반면에 IFRS17에서는 기존 보험회계 관행을 인정하지 않아 획일화된 기준서입니다. 금리 등 시장지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급여력비율 취약이 우려되는 경우, 선제적 자본확충 유도 등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오니 감독원 방침을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 [ IFRS4(변경 전)과 IFRS17(변경 후) 비교 ] |
| 구 분 | IFRS4 | IFRS17 | 비 고 |
|---|---|---|---|
| 보험부채 평가 | ㆍ역사적 원가 | ㆍ평가 시점의 시장가치(공정가치)로 평가 | ㆍ시가평가로 인한 부채 및 자본가치의 변동성 확대 |
| 사업비 인식 | ㆍ사업비를 보험계약비와 사후 유지비로 구분ㆍ신계약비 이연 후 일정기간 상각 | ㆍ사업비를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ㆍ간접비는 당기비용으로 처리하고 직접비만 이연 상각 | ㆍ기간별 손익 왜곡 해소ㆍ신계약 중심의 단기적 영업방식 축소ㆍ계약유지율 등 보유계약 관리 중요성 증대 |
| 보험수익 인식 | ㆍ현금주의 원칙ㆍ보험료 수취시점 수익인식ㆍ투자계약 요소도 보험사 수익으로 인식 | ㆍ발생주의 원칙ㆍ보험사고 발행시점 및 서비스 제공에 따라 수익 인식ㆍ투자계약 요소는 보험사 수익으로 인식하지 않음 | ㆍ보험회사 보험료 수익 감소ㆍ타금융기관과 비교가능성 증재ㆍ외형보다는 내실위주의 경영기조 강화 |
| (자료 : 한국회계기준원, 금융감독원, 나이스신용평가) |
i) 보험부채 시가평가 도입
보험계약부채를 역사적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게 됩니다. IFRS17에서는 보험부채를 보험회사가 계약상 의무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금액(FV:Fulfilment Value)과 장래 예상되는 이익(CSM:Contractual Service Margin)으로 구분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때 의무이행에 필요한 금액은 기대손실에 상응하는 최선추정치(BEL:Best Estimate of Liabilities)와 기대를 벗어난 손실에 대비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본의 기회비용을 반영한 위험조정(RA:Risk Adjustment)로 구분합니다. 보험부채의 최선추정치와 위험조정을 묶어 의무이행금액으로 보는 이유는 보험회사가 기대손실뿐만 아니라 기대를 벗어난 초과 손실까지 포함한 보험금을 보험계약자에게 언제라도 지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며, 위험조정(RA)은 보험회사가 기대를 벗어난 초과 손실에 상당하는 가용자본을 보유하는 데 따른 기회비용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 위험에서 벗어난 위험조정(RA)부분은 매기마다 이익으로 손익계산서에 반영하게 됩니다.
ii) 보험수익의 인식방법 변화현재 보험사들은 저축요소, 보장요소 및 사업비요소의 구분 없이 계약자로부터 보험료를 수취하는 시점에 보험료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IFRS17 도입 후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보험수익을 인식하게 되며, 저축과 관련된 부분은 보험수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현재 보험 기간 초기에 이익을 많이 인식하고 후기에 이익을 적게 인식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도입 이후에는 보험 전 기간에 고르게 이익이 인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iii) 이익의 표시방법 변화
IFRS17 도입 이전에는 수익과 비용의 원천별 정보를 알기 어려웠으나, 도입 이후에는 보험회사의 보험영업에 따른 수익을 보험이익으로, 자산 투자활동에 따른 수익을 투자이익으로 각각 구분하여 공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보이용자들이 공시 재무제표를 통해 보험회사의 이익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IFRS17 개정안이 확정됨에 따라 보험부채가 기존 원가가 아닌 시가평가로 시행되어 보험회사의 자본 부담을 가중, 재무건전성 및 손익구조의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어 손해보험회사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위의 RBC 및 재무건전성 기준 평가 강화에 이은 IFRS17의 도입은 장기적으로 손해보험회사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보험산업을 둘러싸고 있는 규제환경에 대해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IFRS17의 도입과 더불어 新지급여력제도(K-ICS)는 IFRS17하에서 적용가능하도록 보험회사의 자산, 부채를 완전 시가평가하여 리스크와 재무건전성을 정교하게 평가하는 자기자본제도입니다. IFRS17 시행시 현행 원가기준 RBC제도는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자본변동성과 다양한 리스크를 정교하게 측정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는 측면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금융당국 및 보험산업 전반에서 보험부채의 시가평가와 일관성 유지 및 국제자본규제와의 정합성 확보를 위해 시가평가 기반의 新지급여력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 경제적 실질에 부합하는 가용자본 및 요구자본의 산출을 통해 보험회사 자본의질적 개선과 리스크관리 강화, 시가 기반의 국제적 보험자본규제 등 국제기준과의 정합성 확보 및 국내 보험산업의 신뢰도 향상이 기대될 수 있습니다.기존에 시행해오던 지급여력제도(RBC)와 새로 도입된 신지급여력제도(K-ICS) 간 가장 큰 차이점은 (1) 가용자본의 완전 시가평가와 (2) 요구자본에 대하여 위험계수에 익스포져를 대응시키는 위험계수 방식이 아닌 시나리오방식이 적용 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생명보험사들의 위험관리를 더욱 정교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 [지급여력제도(RBC)와 新지급여력제도(K-ICS) 비교] |
| 구 분 | 지급여력제도(RBC) | 新지급여력제도(K-ICS) | |
|---|---|---|---|
| 가용자본 | 자산평가 | 시가평가 및 원가평가**대출채권, 만기보유채권 등 | 완전 시가평가 |
| 부채평가 | 원가평가 (적정성평가(LAT)로 보완) | ||
| 요구자본 | 리스크구분 | ① 보험리스크② 금리리스크③ 시장리스크④ 신용리스크⑤ 운영리스크 | ① 생명, 장기손해보험리스크② 일반손해보험리스크③ 시장리스크(금리리스크 포함)④ 신용리스크⑤ 운영리스크 |
| 리스크측정방식 | 위험계수방식(위험계수×위험 익스포져) | 충격시나리오 방식 중심(현금흐름 방식이 중요하지 않은②,④,⑤는 위험계수 방식 적용) | |
| 신뢰수준 | 99% | 99.5% | |
| 건전성 기준 | 지급여력비율(=가용자본/요구자본) ≥ 100%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 [보험회사의 新지급여력제도 주요 개선사항] |
| ① 지급여력비율 산출을 위한 건전성 감독기준 재무상태표 신설□ 新지급여력제도를 위한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상태표*를 별도로 정의하고,*자산과 부채를 모두 시가로 평가하여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상태표를 작성하고 동 재무 상태표를 기반으로 지급여력금액과 지급여력기준 금액을 산출- 보험회사의 리스크 실질 반영 및 국제적 정합성 제고 등 감독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자산,부채를 전면 시가평가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
| ② 지급여력금액 산출기준 개정□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제표 상 순자산(자산-부채) 항목에 대해 손실흡수능력에 따라 기본, 보완자본으로 분류하는 원칙중심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손실흡수능력에 일부 제한이 있는 보완자본의 경우 인정한도*를 지급여력기준금액의 50%로 설정*이전 RBC제도에서는 보완자본을(기본자본 - 차감항목)을 한도로 인정 | ||||||||||||||||||
| ③ 지급여력기준금액 산출기준 개정□ 국제적 정합성 제고를 위해 장수,해지,사업비,대재해,자산집중 위험 등을 신규 측정 리스크로 추가하고,- 정교한 리스크 측정을 위해 미래현금흐름에 충격을 부여했을 때 감소하는 순자산 규모를 리스크로 측정하는 충격시나리오법* 도입*다만, 미래현금흐름의 변동성이 중요하지 않은 리스크(일반손보, 신용, 운영리스크)에 대해서는 기존 RBC제도에서 사용하던 위험계수 법을 유지 | ||||||||||||||||||
|
④ 경과조치 도입□(주요 내용) 시가평가시 보험부채 증가로 인한 지급여력금액 감소 효과 및 새롭게 추가되거나 측정기준이 강화되는 위험액 증가 효과를 일시에 인식하지 않고 경과기간(최대 10년) 중 점진적으로 인식□ (적기시정조치 유예) 제도 도입 시 RBC 비율이 100%를 상회할 경우 경과조치 적용 후 지급여력비율(K-ICS)이 100% 미만이더라도 조치 유예(최대 5년)□ (경과조치 남용 방지) 경과조치 적용 보험회사에 대해 경과조치 사실에 대한 공시의무 부과, 경영실태평가 평가등급 상한제한* 등 방안 마련*자본적정성 부문의 평가등급을 1(최고) ~ 5(최저)등급 중 최고 3등급으로 제한
|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22.09.27)) |
K-ICS안 역시 IFRS17과 함께 동시 도입되며, K-ICS 제도 도입에따라 현재보다 보험사의 자본확충 부담이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여신전문금융업 부문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등을 통해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대부분의 금융업종과 동일하게 규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규제는 단기적으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손충당금 적립률 변경 등을 통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사업 및 재무구조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자산증가가 자동차금융과 가계부채를 중심으로 빠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총자산을 자기자본의 10배로 제한하는 레버리지 규제와 가계부채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향 조정 등 다양한 규제가 마련되거나 시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 7월에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가계부채 비중을 총자산의 20%(자산 2조원 이상 여전사는 10%) 이내로 제한 하였으며, 2016년 3월 9일 일부 개정되고 2016년 9월 30일부터 시행된 여신전문금융업법에서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주주 주식 소유한도를 자기자본의 150% 이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2018년 08월 22일 부터 시행된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책임대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행령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규제를 합리화하고 고금리 가계대출을 중금리ㆍ생산적 대출로 유도하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총자산 대비 가계대출 규모를 30% 이내로 유지해야합니다. 그동안 대부업자 등에 대한 대출은 기업대출로 분류되어 한도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개정된 시행령에 따라 여신전문금융회사가 대부업자 등에 취급한 대출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한도규제 대상 대출범위에 포함됩니다. 또한, 중금리대출은 한도규제 대상 산정시, 대출금의 80%만 한도규제 대상에 포함됩니다.여신전문금융회사는 감독기관의 감독정책 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여신전문금융업과 관련된 주요 법령 및 감독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법령 및 감독규정 | 주요 내용 |
|---|---|
| 여신전문금융업법,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동 시행세칙 등 | (가) 자기자본대비총자산한도 : 자기자본의 8배(나) 업무용 부동산 투자한도 : 자기자본의 100%이내(다) 자기계열사에 대한 여신한도 : 자기자본의 50% 이내(라)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융자한도 : 연간 투자액의 15배(마) 신용카드업자의 부대업무비중 : 카드결제대급금 이내(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업무 영위비중 : 총자산의 30% 이내(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액 제외)(사) 중금리대출 한도규제 대상 비율 : 대출금의 80%(아) 시설대여업자의 렌탈업무비중 : 물건별 시설대여액 이내(자) 조정총자산에 대한 조정자기자본비율 : 7% 이상(차) 원화유동성비율 : 100% 이상(카)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식소유한도 : 자기자본의 150% |
최근 개정된 여신전문금융업법 및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은 회계 처리의 보수성을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재무적 건전성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여전사의 재무적 외형과 손익을 과소계상하여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재투자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 고시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제19조에 의하면 다음의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명령을 받게 됩니다.
| ㉠ 조정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1미만인 경우,㉡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이 5등급으로 판정되는 경우,㉢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여신전문금융회사가 경영개선계획의 주요사항을 이행하지 않거나 이행이 곤란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
여신전문금융회사가 경영개선명령을 받았을 경우 이행해야할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의 소각 ㉡ 임원의 직무집행 정지 및 관리인의 선임 ㉢ 합병, 제3자 인수 또는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의 편입 ㉣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양도 ㉤ 6월 이내의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 ㉥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 이전 ㉦ 조직의 축소 및 신규영업의 제한 등 |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여신전문금융업은 여러 관련 규정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여신전문금융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및 리스크를 고려할 때 감독기관의 규제 강화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법 및 감독 기준의 변경 및 조정에 따라 여신전문금융업 전체의 영업성과 및 재무상태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산운용업 부문자산운용업은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위탁받은 장,단기자금으로 공동기금을 조성하고이를 유가증권 등 자산에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투자대행업입니다. 펀드와 투자일임을 포함한 시장 전체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저축이 각종 연금성 자산에 집중되면서 연기금 등 기관을 통한 펀드 매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산운용업은 고령화ㆍ저성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노후자금 마련과 재산증식을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주식, 채권 등 전통자산의 수익률 하락으로 인해 부동산, 특별자산 등 대체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중심이 개인투자자에서 기관투자자로 이동하면서 사모펀드 및 투자일임의 증가세가 공모펀드보다 빠를 것으로 전망되며 대체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2025년 3월말 기준 국내 자산운용사 수는 기준 499개사 입니다.
| [국내 자산운용사 수] |
| 구분 | 2025년 3월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
| 국내 자산운용사수 | 499 | 492 | 470개 | 437개 | 348개 | 326개 | 292개 | 243개 | 215개 | 165개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국내 자산운용업의 경우 주식형 펀드 활성화와 Money Move 현상 본격화로 2004년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시현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투자손실을 경험한 투자자들의 이탈과 불확실성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그리고 대체상품의 등장으로 펀드 수탁고는 추세적 상승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한편, 사모펀드와 투자일임 등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산운용은 2014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 규모는 1,730.7조원(대략 펀드 1,095조원, 투자일임 615조원, PEF 4조원, 자문 17조원)으로 전년 대비 185조원(12.0%) 증가하였습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펀드 운용자산은 1,158조원으로 약 63조원 증가하였으며, 투자일임계약고의 경우 2024년말 기준 615조원에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624조원으로 약 9조원 증가하였습니다.
| [자산운용사 운용자산 추이] |
| (단위 : 억원) |
| 구분 | 펀드 | PEF | 일임 | 자문 | 소계 |
| 2025년 1분기 | 11,584,222 | 40,582 | 6,238,353 | 164,112 | 18,027,268 |
| 2024년 | 10,949,869 | 37,488 | 6,147,237 | 172,496 | 17,307,090 |
| 2023년 | 9,680,914 | 33,158 | 5,577,373 | 157,086 | 15,448,531 |
| 2022년 | 8,492,145 | 31,138 | 5,667,728 | 183,239 | 14,374,249 |
| 2021년 | 8,291,594 | 27,344 | 5,365,364 | 533,631 | 14,217,933 |
| 2020년 | 7,174,003 | 28,404 | 5,059,213 | 480,475 | 12,742,096 |
| 2019년 | 6,587,963 | 27,876 | 4,869,772 | 79,637 | 11,565,249 |
| 2018년 | 5,442,839 | 28,652 | 4,677,289 | 68,936 | 10,217,716 |
| 2017년 | 5,068,524 | 22,694 | 4,524,242 | 67,185 | 9,682,645 |
| 2016년 | 4,623,949 | 27,760 | 4,376,493 | 60,403 | 9,088,605 |
| 출처 :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서비스 |
자산운용업은 세계적인 긴축기조 및 금리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둔화와 국내 경기침체 등 대내외적 리스크 요인이 잠재되어 있고, 타 금융산업과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자산운용시장의 리스크 요인에 대한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신설 자산운용사 등 수익기반 취약회사의 재무건전성 및 내부통제 적정성에 대한 상시 감시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금리인상, 주가하락 등 운용환경의 악화로 적자회사 비율이 대폭 상승하는 등 자산운용사의 수익성 지표가 악화됨에 따라 금융당국은 금리인상 및 국제정세 등에 따른 시장 불안정에 대비하여 운용사별 재무 및 손익현황을 점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만, 금융당국이 불완전판매, 상품선정의 엄격성 등 규제 강화 시, 펀드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수탁고 및 수익 측면에서 강한 자본력으로 무장한 대형 자산운용사로의 집중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신설회사를 중심으로 적자회사 비중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등 자산운용사간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펀드의 평균운용보수율은 2017년 이후 업계의 경쟁심화 및 수익성이 높은 주식형펀드의 감소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금융위기, 저성장 기조 등으로 펀드수익률이 둔화되어 투자자들이 펀드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니즈가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20년 및 2021년 정부 정책에 기반한 유동성 확대에 따른 시장 활성화에 힘입어 주식형펀드의 운용보수를 중심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2022년에는 재차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25년 1분기말 기준 평균 운용보수율은 0.302%를 기록하였습니다. 금리인상 등 시장 불확실성이 본격화 되었던 전년 대비 금융시장이 다소 호전되어 수익성 지표도 일부 개선되었지만, 금융시장의 호전이 운용사 영업실적의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에 기인합니다. 최근에는 운용보수 없는 성과보수형 공모펀드가 등장하면서 자산운용업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 [펀드 유형별 운용보수 추이] |
| (단위 : %) |
| 기준일자 | 운용보수 | ||||
|---|---|---|---|---|---|
| 주식형 | 혼합주식형 | 혼합채권형 | 채권형 | 평균 | |
| 2025년 1분기말 | 0.308 | 0.509 | 0.311 | 0.079 | 0.302 |
| 2024년말 | 0.326 | 0.525 | 0.316 | 0.079 | 0.312 |
| 2023년말 | 0.377 | 0.521 | 0.321 | 0.080 | 0.325 |
| 2022년말 | 0.397 | 0.541 | 0.329 | 0.093 | 0.340 |
| 2021년말 | 0.420 | 0.557 | 0.344 | 0.108 | 0.357 |
| 2020년말 | 0.435 | 0.556 | 0.322 | 0.121 | 0.358 |
| 2019년말 | 0.390 | 0.538 | 0.318 | 0.127 | 0.343 |
| 2018년말 | 0.439 | 0.546 | 0.325 | 0.123 | 0.359 |
| 2017년말 | 0.495 | 0.563 | 0.326 | 0.154 | 0.385 |
| 2016년말 | 0.539 | 0.581 | 0.332 | 0.149 | 0.400 |
| 2015년말 | 0.580 | 0.618 | 0.349 | 0.156 | 0.426 |
| 2014년말 | 0.585 | 0.649 | 0.336 | 0.184 | 0.439 |
| 출처 : 금융투자협회 |
기존에 자산운용회사의 펀드수탁고, 투자일임 등 영업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수익성이 높은 주식형펀드 감소 등으로 영업이익은 정체상태에 있었는데, 최근 2021년말에는 증시 호황으로 기관자금 유입과 상장지수펀드(ETF) 등 순자산 규모가 증가하면서 운용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운용보수가 감소하는 모습입니다. 향후에도 주식형펀드와 대체투자상품과 같은 고수익상품군으로의 자금유입이 수반되어야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저축은행업 부문저축은행업을 영위하고 있는 신한저축은행의 경우 자산건전성 유지를 목적으로 금융법령상 자본적정성 비율을 최소 규제비율(BIS기준 자기자본비율 8.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규제받고 있습니다. 신한저축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2025년 1분기말 기준 20.53%으로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양호한 자본적정성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신한저축은행 자본적정성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 구분 | 2025년1분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자기자본(A) | 360,996 | 351,736 | 331,386 | 321,925 | 218,348 | 189,245 |
| 위험가중자산(B) | 1,758,236 | 1,747,551 | 1,888,038 | 2,237,469 | 1,766,982 | 1,199,907 |
| BIS자기자본비율(A/B) | 20,53 | 20.13 | 17.55 | 14.39 | 12.36 | 15.77 |
| (주1)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 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 ×100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2019년 10월 15일 '저축은행업권 예대율 규제 도입' 등 상호저축은행법 시행령 개정안에서 상호저축은행이 준수해야 할 재무건전성에 관한 사항으로 예금등에 대한 대출금 비율 규제가 신설되었습니다. 저축은행 예대율은 2012년 구조조정 사태 이후 75.2%까지 하락 후 영업 회복과정에서 대출이 크게 증가하며 2017년말 100.1%에 이르렀습니다. 구조조정 사태 초기 가계대출의 증가가 주 원인이었으나, 최근 상대적으로 개인사업자대출의 증가폭이 커지는 추세로 전체 저축은행 79개 중 예대율 100% 초과 저축은행은 34개, 120%초과 저축은행은 3개로 약 47%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저축은행에 대하여 예대율을 100%이하로 규제하되, 2020년 110%, 2021년 100%로 단계적으로 도입이 결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저축은행 예대율 규제는 저축은행의 영업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2020년 9월 14일 관련 금융당국에서는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 개정안 규정 변경을 예고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부동산 PF대출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을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추가적립에 관한 기준을 사전에 마련하여 일관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를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밖에도 저축은행의 위기 대응능력제고를 위해 자체 위기상황 분석을 의무화하고, 부문검사시에도 필요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 가능토록 하는 등 저축은행 건전성 감독 시 경영실태평가 활용도 제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은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장기화 시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 제기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에서 저축은행의 선제적 손실흡수능력 확충과 자체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2021년 8월, 여신전문금융업 등에 제2금융권 한도성 여신·지급보증의 대손충당금 적립과 관련된 개정안 규정변경을 예고했습니다. 기존 규정 하에서는 한도성 여신 미사용 잔액의 대손충당금 적립에 관한 규정이 미비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위험관리체계 강화와 규제차이 개선 등을 목표로 제2금융권의 한도성 여신 미사용 잔액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근거를 포함한 개선안을 발표하였습니다. 해당 개정안은 2022년 7월부터 시행 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은 금리인상 및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외부 충격 발생에 대비해,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 개정을 추진하였고 지역/주택 가격별 LTV 완화, 초고가(시가 15억원 초과) 아파트 주담대 허용 및 서민/실수요자 우대혜택 확대 등의 내용을 포함한 개정안을 발표하였고, 해당 개정안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 되고 있습니다. 향후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 개정으로 인해 대손충당금 확대가 저축은행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오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제2금융권 한도성 여신 미사용 잔액 대손충당금 적립방안] |
| 구 분 | 현 행 | 개 선(안) |
|---|---|---|
| 상호저축은행 | X |
○ ('22) 20% → ('23) 40% |
| 상호금융 | X |
○ ('22) 20% → ('23) 30% → ('24) 40%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2022.03.02) |
2023년 9월 13일 개최된 제16차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일부개정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다중채무자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이 의무화되었습니다. 현재 저축은행은 충당금 적립시 자산건정성 분류에 따라 감독규정 상 최저적립수준 이상을 적립중이나, 차주가 다중채무자인지 여부는 충당금 적립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번 개정안을 통해 저축은행은 가계대출 차주의 금융회사 이용수에 따라 충당금을 추가 적립하여야 합니다. 5~6개의 금융회사 대출을 이용하는 다중채무자에 대해서는 충당금 요적립률의 130%를 적립하고, 7개 이상의 금융회사 대출을 이용하는 다중채무자에 대해서는 충당금 요적립률의 150% 적립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취약차주인 다중채무자 대출에 대한 저축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당 개정안은 시장 상황과 업계 부담 등을 고려하여 2024년 7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개정안을 통해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확대로 인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오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저축은행 대손충당금 적립기준 강화 일정] |
| 구분 | 기존 | 2018.01~ | 2019.01~ | 2020.01~ | |
|---|---|---|---|---|---|
| 가계대출(금리 20% ↓) | 정상 | 0.5% | 0.7% | 0.9% | 1.0% |
| 요주의 | 2.0% | 5.0% | 8.0% | 10.0% | |
| 고정 | 20.0% | ||||
| 회수의문 | 75.0% | 55.0% | |||
| 추정손실 | 100.0% | ||||
| 기업대출(금리 20% ↓) | 정상 | 0.5% | 0.6% | 0.7% | 0.85% |
| 요주의 | 0.5% | 4.0% | 5.0% | 7.0% | |
| 고정 | 20.0% | ||||
| 회수의문 | 0.5% | 50.0% | |||
| 추정손실 | 100.0% | ||||
| 출처: 상호저축은행업 감독규정 |
한편, 금융위원회는 2025년 3월 코로나 여파, 부동산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취약차주 상환능력 저하, 부동산 PF 대출 부실 등으로 저축은행의 경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하는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한시적 인수합병 기준 완화, 부실PF 정상화펀드 조성, 중앙회 차입한도 상향조정이 있으며, 이후 저축은행 규제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 내용을 포함한「저축은행 발전방안」을 발표할 것을 시사하였습니다.그러나 향후 금융당국의 이러한 추가적인 제도 변경은 저축은행의 수익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위험 글로벌 금융환경의 변화는 금융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금융지주회사는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 경제는 수출과 수입의 비중이 GDP의 100%가 넘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구조이며, 자본시장 역시 대외에 전면 개방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실물경제는 글로벌 경제 변동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실물경제의 영향을 받는 금융산업 역시 대외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은 높은 물가 상승 압박과 함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2023년 7월 26일 다시 0.25%p 추가 인상을 결정하여 22년만에 최고치의 금리 수준인 5.50%을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연준은 지속적으로 기준금리 동결하였으나, 2024년 9월 통화정책의 전환을 결정하며 기준금리를 0.50%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였으며, 2024년 11월 및 12월 FOMC에서 각각 0.25%p 금리 인하를 결정하였고, 12월 점도표를 통해 내년 금리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3.9%로 상향 조정하면서 내년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 전망 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1월 FOMC를 통해 통화정책의 핵심 기준이 고용에서 다시 물가지표로 이동하였으며, 트럼프 신정부 정책(관세, 이민자 정책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통화정책 경로에 중요한 변수로 작동할 것임을 시사하였습니다. 2025년 3월 FOMC에서도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경제 활동은 견조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2025년 5월 FOMC에서도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증대되어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으며, 현재의 통화정책이 다소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2025년 6월 FOMC는 최근 관세 인상이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며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었다고 진단하는 한편, 고용시장 둔화에 따른 실업률 상승 가능성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적하였습니다. 2025년 7월 FOMC에서는 최근 지표들은 올해 상반기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완만해졌음을 보여주었지만,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둔화의 위험을 강조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2022년에 접어들며 원유, 곡물,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의 높은 오름세와 공급망 차질 심화,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소비 회복세 강세로 인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인플레이션,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모두 높은 수준을 지속하였습니다. 국내외 경기 하방위험이 증대되었지만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광범위해졌으며 단기 기대인플레이션도 크게 높아지고 있어 고물가 상황 고착을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한국은행은 2022년 5월까지 총 4번의 0.25%p. 금리인상을 결정하였으며, 2022년 7월과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에 발맞춰 사상 첫 '빅스텝'(50bp) 인상과 25bp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높은 오름세의 물가 안정과 미 달러화 강세 기조로 인한 자본 유출입 안정화를 위해 기준금리 0.50%p. 인상을 단행하였습니다.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에 대응할 것임을 표명하였으나, 수출 감소,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단기금융시장 불안을 고려하여 기준금리 0.25%p. 인상을 단행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월 13일 금통위에서는 0.25%p.의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였으나 2023년 2월 이후 진행된 금통위에서는 연일 기준금리 동결을 이어가다 2024년 10월 및 11월 각 25bp 인하를 단행하며 통화정책 기조의 전환을 시작하였습니다. 2025년 1월 금통위에서는 정치 리스크 확대 등 대외 요인으로 인하여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2월, 5월 각 25bp 인하를 단행하며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한국의 기준금리는 2.5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025년 5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2025년 0.8%, 2026년 1.6%로 전망되며, 이는 지난 2월 전망 대비 각각 0.7%p, 0.2%p 하향된 수치입니다. 특히 민간소비는 고금리와 실질소득 둔화로 인해 회복세가 미약하고, 건설투자는 착공 지연 등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설비투자는 일부 IT 분야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인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각 부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민간소비는 고금리 부담과 실질소득 정체, 고용 불확실성 등으로 회복세가 다소 제약될 것으로 보이나, 하반기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및 실질금리 하락 등에 따라 점진적인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건설투자는 착공 지연, 부동산 시장 조정 등의 영향으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설비투자는 반도체, AI 등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대기업의 공정 고도화 및 스마트팩토리 투자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재화 수출은 글로벌 수요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디고, 미·중 간 무역갈등 심화 및 공급망 불안 요인이 지속됨에 따라 증가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며, 재화 수입은 내수 회복 흐름에 따라 소비재와 자본재를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 [한국은행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
| (단위: %) |
| 구분 | 2024 | 2025(E) | 2026(E) | ||||
|---|---|---|---|---|---|---|---|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
| GDP | 2.0 | 0.1 | 1.4 | 0.8 | 2.0 | 1.3 | 1.6 |
| 민간소비 | 1.1 | 0.8 | 1.4 | 1.1 | 1.8 | 1.3 | 1.6 |
| 건설투자 | -3.0 | -11.3 | -1.1 | -6.1 | 4.9 | 0.9 | 2.8 |
| 설비투자 | 1.6 | 4.9 | -1.0 | 1.8 | 1.0 | 0.9 | 1.0 |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0.7 | 1.4 | 4.8 | 3.2 | 3.7 | 1.4 | 2.5 |
| 재화수출 | 6.3 | -0.1 | 0.0 | -0.1 | 0.6 | 0.8 | 0.7 |
| 재화수입 | 1.2 | 0.8 | -0.3 | 0.2 | 1.8 | 1.3 | 1.5 |
| 출처: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_2025년 05월 |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2025년에도 세계경제의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주요국 기준금리 인하와 인플레이션율 하락이 진행될 경우 경기 둔화 흐름은 일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 지속,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최근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각국의 긴축적 통화·재정정책 유지 등으로 인해 소비 위축 및 투자 이연에 따른 경기 침체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특히, 2025년 6월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무력 충돌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과 에너지 시장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브렌트유 가격은 일시적으로 배럴당 70달러 선을 돌파하며 물가 압력을 높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국가의 통화 긴축 장기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경기의 회복 지연과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하여 금융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성, 수익성이 하락하고 자산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으며, 시장변동, 환율변동 등에 의한 유동성 위험이 커질 수 있으니, 이 점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7월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미국의 실효 관세율 하향, 고관세 우려에 따른 조기선적 증가, 달러 약세 등 금융여건 완화, 주요국 재정확대 등을 고려하여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4월 전망 대비 0.2%p 상향한 3.0%로, 2026년은 0.1%p 상향한 3.1%로 전망하였습니다. 선진국 그룹의 2025년 및 2026년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각각 0.1%p 상향된 1.5%, 1.6%로 수정하였습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성장률은 관세 인하, 금융여건 완화, OBBBA('트럼프1기 감세법안 확대 및 영구화,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삭감/종료, 복지지출 삭감/국방 지출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법안')세법 개편 효과 등으로 모두 소폭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유로존의 경우 아일랜등의 의약품 대미 수출 증가에 힘입어 2025년 성장은 소폭 상향하였으나, 2026년은 조기선적 효과 등이 소멸하면서 기존 전망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2025년 성장률을 4월 전망 대비 0.2%p하향한 0.8%로 전망하였으나, 2026년은 0.4%p 높은 1.8%로 대폭 상향하였습니다.
| [2025년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
| (단위: %, %p) |
| 구 분 | '24년 | 2025년(E) | 2026년(E) | ||||
|---|---|---|---|---|---|---|---|
| '25.4월 전망 | '25.7월 전망 | 조정폭 | '25.4월 전망 | '25.7월 전망 | 조정폭 | ||
| (A) | (B) | (B-A) | (C) | (D) | (D-C) | ||
| 세계 | 3.3 | 2.8 | 3.0 | 0.2 | 3.0 | 3.1 | 0.1 |
| 선진국 | 1.8 | 1.4 | 1.5 | 0.1 | 1.5 | 1.6 | 0.1 |
| 미국 | 2.8 | 1.8 | 1.9 | 0.1 | 1.7 | 2.0 | 0.3 |
| 유로존 | 0.9 | 0.8 | 1.0 | 0.2 | 1.2 | 1.2 | 0.0 |
| 독일 | △0.2 | 0.0 | 0.1 | 0.1 | 0.9 | 0.9 | 0.0 |
| 영국 | 1.1 | 1.1 | 1.2 | 0.1 | 1.4 | 1.4 | 0.0 |
| 일본 | 0.2 | 0.6 | 0.7 | 0.1 | 0.6 | 0.5 | △0.1 |
| 한국 | 2.0 | 1.0 | 0.8 | △0.2 | 1.4 | 1.8 | 0.4 |
| 신흥국 | 4.3 | 3.7 | 4.1 | 0.4 | 3.9 | 4.0 | 0.1 |
| 중국 | 5.0 | 4.0 | 4.8 | 0.8 | 4.0 | 4.2 | 0.2 |
| 인도 | 6.5 | 6.2 | 6.4 | 0.2 | 6.3 | 6.4 | 0.1 |
| 출처 : 국제통화기금(World Economic Outlook, 2025.07) |
국제통화기금은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고 진단하면서, 통상정책의 전개 양상이 리스크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라고 평가하였습니다. 하방 요인으로는 실효 관세율 상승, 관세협상 결렬 등 정책불확실성 확대가 기업 투자와 무역투자 흐름을 위축시키며 성장세를 약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정학적 긴장이 공급망과 물가에 추가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이러한 글로벌경기의 회복 지연과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하여 금융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성, 수익성이 하락하고 자산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으며, 시장변동, 환율변동 등에 의한 유동성 위험이 커질 수 있으니, 이 점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라. 인수합병 및 경쟁심화 위험금융회사들은 대형화, 다각화 및 영업시너지 창출을 위해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산업의 구조가 재편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경쟁심화는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국내 은행업계 및 금융산업은 2014년까지 우리금융그룹 및 산은금융그룹의 민영화 추진과 한국외환은행의 하나금융그룹 편입 등의 재편이 진행되었으며, 향후에도 구조 재편이 금융업계 경쟁구도 및 개별 은행의 시장지배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농협중앙회의 신용부문과 경제부문을 분리하는 농협법이 통과되면서 2012년 3월 2일 농협금융지주가 출범하였습니다. 또한 우리금융지주는 2013년 6월말 민영화 방안이 발표되어, 광주은행, 경남은행, NH투자증권(舊우리투자증권), DGB생명보험(舊우리아비바생명) 등이 분리 매각 되었습니다. 2015년 9월 1일 하나은행과 한국외환은행이 완전 합병하였고 2016년 12월 29일 미래에셋증권과 대우증권이 합병하였습니다. 우리금융지주는 2014년 11월 금융지주회사를 해체했지만 2019년 1월 11일에 우리금융지주를 재출범했으며 비은행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는 2021년 7월 1일 계열사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을 통합한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을 출범하였으며, 2021년 9월 15일 계열사인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의 합병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 11월 28일 BNP파리바 그룹과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였고, 2022년 6월 9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파리바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았습니다. 2022년 6월 30일 임시주주 총회 정관개정을 통해 신한EZ손해보험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2023년 2월 우리금융지주는 비은행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올인베스트먼트를 인수하기로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2024년 2월 비은행 부문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우리자산운용의 완전자회사 편입을 추진하기로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8월 비은행 사업포트폴리오 확충의 일환으로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의 합병해 우리투자증권을 출범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8월 동양생명보험 및 ABL생명보험의 주식을 취득하는 안건을 이사회에서 결의하였고, 2025년 5월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았습니다. 2025년 7월 1일 인수대금 잔금을 납부하여 자회사 편입을 완료하였고, 그에 따라 우리금융지주는 신규사업인 생명보험업에 진출하였습니다.한편, 금융위원회는 2024년 5월 16일 정례회의에서 대구은행(現 아이엠뱅크)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하였습니다. 정부가 2023년 7월 은행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첫 사례로써,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KB국민은행, SC제일은행과 함께 시중은행은 7개사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이러한 금융시장의 재편은 금융산업의 대형화, 다각화를 초래하여 금융상품의 다양성을 증대하여 고객의 선택의 기회를 높일 수 있으나 금융회사에게는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경쟁심화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객과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고객 이탈과 매출 감소, 수익성 저하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마. 개인정보와 관련된 위험최근 금융권에서의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당사를 비롯한 금융권 회사들에 대한 외부자들의고객 정보 유출 시도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짐에 따라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해 내부통제절차에 의한 내부보안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보유출 사고 발생시 당사 및 당사 자회사의 평판하락, 손해배상청구에 따른 비용, 고객 이탈에 따른 수익 감소 등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전통적인 해킹 시도 뿐 아니라 보안업체 직원 등을 통한 내부 유출 등 다양한 형태의 보안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은행권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사례도 발생하였습니다. 2013년 12월 11일 검찰은 씨티은행 및 SC은행에서 각각 3.4만건, 10.3만건의 고객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발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특별검사가 진행되었습니다.2014년 초에는 3개 카드사에서 동시에 약 1억 4백만건에 이르는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2014년 01월 08일 검찰은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및 NH농협카드에서 외부 용역직원을 통해 유출한 혐의로 해당 직원과 동 정보를 구매한 대출광고업자 및 대출모집인을 기소하였으며, 개인정보 유출 혐의자는 구속되었습니다. 또한 혐의자가 불법 반출한 개인정보는 판매나 유통되지 않은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나 2014년 2월 검찰 수사결과 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 등 신용카드 3사에서 유출된 1억여건의 고객정보 중 8,270만건이 2차 유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2014년 1월 22일 금융위원회가 관계기관 합동으로 발표한 「금융회사 고객정보 유출 방지 대책」에서, 사고 책임이 있는 3개 카드사에 대해서는 일정제재를 2014년 2월 중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4년 2월 17일부터 해당 카드사에 대하여 법상 최고한도인 석 달간의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또한 정부는 2014년 03월 10일 반복적인 정보유출, 해킹사고를 차단하고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중 하나로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여 추진중에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014년 12월 29일 유관 금융협회 등과 함께 2014년 3월 10일 발표한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의 후속조치 이행계획 점검을 위한 6차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2014.03.10)] |
|
1. 정보 처리 단계별 금융소비자의 권리 및 금융회사 책임 강화-「수집-보유·활용-파기」단계별 정보보호 강화- 금융거래시 주민번호 노출 최소화- 정보제공 동의서 양식 전면 개편- 문자 등을 통한 비대면 영업행위 제한- 금융소비자의 자기정보결정권을 확실히 보장2. 금융회사가 확실하게 책임지는 구조를 확립- CEO 등의 책임 강화- 모집인·제3자 정보제공시 금융회사 책임 강화- 사후적 제재 대폭 강화3. 해킹 등 전자적 침해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히 대응- 기존 전산보안 대책 대폭 보강- 정보보안 관련 점검·관리 강화- 신용카드 결제시 개인정보 보호 강화4. 기제공·유출된 정보로 인한 잠재적 피해 가능성 차단- 기존정보로 인한 피해 가능성 차단- 대응체계 구축 |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한편, 금융지주 내 계열사간 고객정보 제공에 대한 규율을 강화하는 「금융지주회사법」개정 법률안이 지난 2014년 5월 28일 공포되었습니다. (2014년 11월 29일 시행)고객정보 제공 관련 법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정보제공 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부 경영관리상 이용 목적으로 한정하고, 정보제공 절차와 방법은 금융위원회가 정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고객정보 제공내역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객에게 통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러한 법 개정내용을 반영하여 해당 시행령 및 감독규정을 정비하기 위하여 금융위원회는 2014년 7월 17일자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 및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규정 개정안을 예고하였으며, 개정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및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은 2014년 11월 29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추후 적용되는 금융회사 고객정보 유출 방지에 대한 엄격한 통제와 규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당사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금융지주회사법」개정내용] |
|
제48조의2(고객정보의 제공 및 관리) ① 금융지주회사등은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및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제33조에도 불구하고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금융거래의 내용에 관한 정보 또는 자료(이하 "금융거래정보"라 한다) 및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에 따른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개인신용정보(이하 "개인신용정보"라 한다)를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방법과 절차(이하 "고객정보제공절차"라 한다)에 따라 그가 속하는 금융지주회사등에게 신용위험관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부 경영관리상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개정 2009.7.31., 2014.5.28.> 1.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 2. 고객정보의 암호화 등 처리방법 3. 고객정보의 분리 보관 4. 고객정보의 이용기간 및 이용목적 5. 이용기간 경과 시 고객정보의 삭제 6. 그 밖에 고객정보의 엄격한 관리를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등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는 해당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를 통하여 증권을 매매하거나 매매하고자 하는 위탁자가 예탁한 금전 또는 증권에 관한 정보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이하 "증권총액정보등"이라 한다)를 고객정보제공절차에 따라 그가 속하는 금융지주회사등에게 신용위험관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부 경영관리상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개정 2009.7.31., 2014.5.28.> 1. 예탁한 금전의 총액 2. 예탁한 증권의 총액 3. 예탁한 증권의 종류별 총액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에 준하는 것으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정보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자회사등이 금융거래정보·개인신용정보 및 증권총액정보등(이하 "고객정보"라 한다)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제7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9.7.31.>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고객정보를 그가 속하는 금융지주회사등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제공내역을 고객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연락처 등 통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4.5.28.> ⑤ 제4항에 따라 통지하여야 하는 정보의 종류, 통지 주기 및 방법,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14.5.28.> ⑥ 금융지주회사등은 고객정보의 엄격한 관리를 위하여 그 임원 중에 1인 이상을 고객정보를 관리할 자(이하 "고객정보관리인"이라 한다)로 선임하여야 한다. <개정 2009.7.31., 2014.5.28.> ⑦고객정보관리인은 고객정보의 엄격한 관리를 위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지침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금융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09.7.31., 2014.5.28.> ⑧금융지주회사등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고객정보의 취급방침을 정하여야 하며, 이를 당해 금융지주회사등의 거래상대방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고 영업점에 게시하여야 한다. <개정 2009.7.31., 2014.5.28.> ⑨ 제1항부터 제8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적용을 받는 금융지주회사등 및 자회사등의 구체적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09.7.31., 2014.5.28.> |
| 출처 : 법제처 |
|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개정내용] |
|
제27조의2(고객정보의 제공 및 관리) ① 법 제48조의2제1항 및 제2항에서 "신용위험관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부 경영관리"란 각각 고객에게 상품 및 서비스를 소개하거나 구매를 권유하는 업무가 아닌 업무로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말한다 <신설 2014.11.24.> 1. 신용위험관리 등 위험관리와 내부통제 2. 업무 및 재산상태에 대한 검사 3. 고객분석과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 4. 성과관리 5. 위탁업무 수행 ② 법 제48조의2제1항제6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신설 2014.11.24.> 1. 고객정보의 요청 및 제공 시 법 제48조의2제6항에 따른 고객정보관리인의 승인에 관한 사항 2. 고객정보의 제공·이용에 대한 점검에 관한 사항 ③ 법 제48조의2제4항에 따라 고객에게 통지하여야 하는 정보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신설 2014.11.24.> 1.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자 2. 고객정보를 제공받는 자 3. 고객정보의 제공목적 4. 고객정보의 제공항목 ④ 법 제48조의2제4항에 따른 통지는 연 1회 이상 하여야 한다. <신설 2014.11.24.> ⑤ 법 제48조의2제8항에 따라 금융지주회사등이 정하는 고객정보 취급방침(이하 이 조에서 "정보취급방침"이라 한다)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정 2010.1.18., 2014.11.24.> 1. 제공되는 고객정보의 종류 2. 고객정보의 제공처 3. 고객정보의 보호에 관한 내부방침 4. 고객정보 제공의 법적근거 5. 그 밖에 고객정보의 엄격한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금융위원회가 고시하는 사항 ⑥금융지주회사등은 정보취급방침을 최초로 정하거나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기존의 거래상대방에게 통지하거나 일간신문 등에 공고하고 본점·지점 등 영업점과 컴퓨터통신에 게시하여야 한다. <개정 2014.11.24.> ⑦금융지주회사등은 금융거래를 개시한 경우에는 거래상대방에게 정보취급방침을 교부·설명(컴퓨터통신으로 거래를 개시한 경우에는 통지)하여야 하고, 연 1회 정기적으로 이를 통지 또는 일간신문 등에 공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4.11.24.> ⑧제6항 및 제7항의 정보취급방침의 통지와 법 제48조의2제4항에 따른 통지는 우편·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개정 2014.11.24.> ⑨금융위원회는 제5항의 정보취급방침에 포함되는 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4.11.24.> ⑩ 법 제48조의2제9항에 따라 같은 조 제1항부터 제8항까지의 규정을 적용받는 자회사등은 금융지주회사에 속하는 자회사등으로서 금융기관 또는 제2조제2항에 따른 금융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로 한정한다. <신설 2010.1.18., 2014.11.24.> |
| 출처 : 법제처 |
| [「금융지주회사법 감독규정」개정내용] |
|
제24조의2(고객정보의 제공 및 관리<개정 2014. 11. 29>) ① 법 제48조의2제1항의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방법과 절차"란 다음 각 호와 같다.(신설 2014. 11. 29) 1. 고객정보 원장을 제공하지 않을 것 2. 고객정보는 고객정보관리인의 승인을 받은 이용자 외에는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활용이 불가능하도록 암호화 등의 조치를 통해 제공할 것 3. 고객정보 가운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른 고유식별정보는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이 식별할 수 없도록 암호화하거나 별도의 관리번호 등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것 4. 제공받은 고객정보는 그 이외 정보와 분리하여 보관할 것. 다만, 제공받은 고객정보를 활용해서 새로운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되, 이 경우에도 제공받은 고객정보에 대해서는 고객정보관리인의 승인을 받은 이용기간 이내에서 이용되도록 할 것 5. 정보이용기간은 1개월 이내로 할 것. 다만,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경우에는 고객정보를 요청한 회사와 제공한 회사의 고객정보관리인의 승인을 받아 1개월을 초과하여 정보이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가. 법, 시행령 및 관련 규정 등의 준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법과 국제기준의 준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다. 그 밖의 신용위험관리 등 정보제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6. 이용기간이 경과하였거나 제공목적 달성 등으로 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할 것 7. 고객정보를 요청하거나 제공하는 경우 해당 회사의 고객정보관리인은 다음 각목의 사항을 심사하여 승인여부를 결정할 것 가. 요청·제공하는 고객정보의 이용목적이 법 제48조의2제1항의 내부 경영관리에 이용할 목적에 해당하고 구체적이고 타당한지 여부 나. 요청·제공하는 고객정보의 범위와 이용기간이 적정한지 여부 다. 고객정보 이용자 범위, 이용 후 처리방법 등이 적정한지 여부 8. 금융지주회사의 고객정보관리인은 계열회사의 고객정보 제공·이용에 관한 제반사항을 매분기 점검하고 종합점검 결과를 연 1회 금융감독원장에게 보고할 것 9. 고객정보를 요청한 회사의 고객정보관리인은 제5호다목에 따라 승인 받은 정보에 대해 이용기간의 적정성을 매월 점검할 것 ② 법 제48조의2제2항제4호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정보"란 다음 각 호와 같다.(신설 2010. 3. 8, 제1항에서 이동 2014. 11. 29) 1. 채무증권의 종류별 총액 2. 수익증권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29조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집합투자기구의 종류별 총액 3. 예탁한 증권의 총액을 기준으로 한 위탁자의 평균 증권보유기간 및 일정기간 동안의 평균 거래회수 ③ 법 제48조의2제5항에 따른 업무지침서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개정 2014. 11. 29, 제2항에서 이동 2014. 11. 29) 1. 고객정보의 제공목적 2. 특정고객에게 부당한 이익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정보의 이용제한 등에 관한 사항 3. 금융지주회사등간 제공가능한 고객정보의 종류 4. 고객정보를 제공·열람하는 금융지주회사등의 상호 5. 금융지주회사등간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업무처리절차 6.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대책 7. 고객정보관리인의 권한 및 임무 8. 업무지침서 위반자에 대한 제재기준 및 절차 9. 고객정보의 취급방침의 공고 또는 통지방법 10. 고객정보 제공내역의 통지방법 11. 영업양도·분할·합병시 고객정보의 처리방법 및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32조제6항에 따른 의무의 이행방법 ④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등은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금융지주회사의 지침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업무지침서를 작성·운영하여야 한다.(제3항에서 이동 2014. 11. 29) ⑤ 금융지주회사등은 업무지침서를 제·개정할 경우 당해 금융지주회사등의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금융지주회사는 이를 금융지주회사등의 이사회 승인일(금융지주회사등이 업무지침서를 동일한 내용으로 제·개정하여 동일한 시기에 시행하는 경우에는 가장 나중에 개최되는 이사회 승인일)로부터 2주이내에 금융위에 보고하여야 한다.(개정 2007. 12. 13, 제4항에서 이동 2014. 11. 29) ⑥ 영 제27조의2제1항에 따른 정보취급방침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개정 2014. 11. 29, 제5항에서 이동 2014. 11. 29) 1. 금융지주회사등의 상호 및 업종 2. 고객정보가 제공되는 금융지주회사등의 상호 및 업종 3. 고객정보의 제공목적 4.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대책 5. 금융지주회사등이 위법하게 고객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그 구제수단 |
| 출처 : 법제처 |
당사 및 당사의 자회사는 고객정보보호를 위해 내부통제절차에 의한 내부보안을 한층 더 강화하고 고객정보관리에 주기적인 점검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내부 직원에 의한 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고객정보접근에 대한 통제절차와 보안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 고객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를 비롯한 금융권 회사들에 대한 외부자들의 고객 정보 유출 시도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바, 향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평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며, 카드 재발급 등 고객정보유출로 인한 사후조치에 의한 비용과 피해를 입은 고객에 대한 손해배상 가능성, 감독당국에 의한 과징금 부과, 영업정지 등의 제재조치 등의 영향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점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바. 핀테크 산업의 도입 및 성장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혁신기술의 발달로, 기술과 금융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인 핀테크(Fintech:Financial+Technology)가 금융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5년 5월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핀테크 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이후 2018년 3월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 2019년 1월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2019년 12월 '핀테크 스케일업 추진전략' 등 관련 규제개혁 등 핀테크 기업의 제도적인 지원을 위한 방안들을 추가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2020년 8월 시행되었습니다. 데이터 3법 시행령에 따른 '마이데이터' 시대가 도래할 경우 개인정보를 고객 동의하에 핀테크 회사 등에 제공하게 되어 이에 따른 업계 대책 마련과 함께 사업 전략 방향 수립 등이 필요하게 됩니다.이러한 핀테크 산업의 등장으로 기존 은행들은 해당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반면, 비금융 기업도 핀테크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게 되어 금융지주회사들은 새로운 금융환경 속에서 지나친 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에 직면 할 수 있으므로 이 점 투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혁신기술의 발달로, 기술과 금융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인 핀테크(Fintech:Financial+Technology)가 금융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핀테크란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T)의 결합을 통해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산업을 말합니다.금융위원회는 2015년 5월 6일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핀테크 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핀테크 산업의 창업·성장 촉진, 국민 체감형 서비스 본격화, 핀테크 인프라 구축이라는 3대 추진목표와 11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 [국민편익 향상과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핀테크산업활성화 방안」(2015.05)] |
| 구분 | 세부 과제 내용 | ||||
|---|---|---|---|---|---|
| 핀테크 산업의 창업 및 성장 촉진 |
1. 핀테크 기업 진입규제 완화
2.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출자 활성화
3. 핀테크 기업의 자금조달 지원
4. 핀테크 기술 활용 제약요인 해소
|
||||
| 국민 체감형 서비스 본격화 |
1. 온라인 등을 통한 실명확인 허용
2. 크라우드 펀딩 제도 도입
3.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
4. 온라인 보험 판매채널 활성화
|
||||
| 핀테크 인프라 인프라 구축 |
1.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
2. 민간 중심의 확고한 자율보안체계 구축
3. 빅데이터를 활용한 IT·금융 융합 지원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또한, 11개 세부과제의 일환으로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출자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유권해석하여 출자를 허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현재 금융관련법상 금융기관은 금융업 또는 금융기관의 업무 수행과 관련 있는 회사 등에 대해서만 출자·지배만 가능하였으나, 금융위는 금융기관의 핀테크기업 출자 범위의 불명확성을 해소하기 위해 사전적, 적극적인 유권해석을 한다고 밝혔습니다. 유권해석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핀테크 업무 범위 |
|---|---|
| 전자금융거래법 | 전자금융업 : 급결제대행(PG)사와 직·선불 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 등전자금융보조업 : VAN과 정보시스템 운영 등 |
| 금융전산업 | ⅰ) 자료를 처리, 전송하는 프로그램 제공·관리ⅱ) 전산시스템을 판매 또는 임대ⅲ) 자료를 중계·처리하는 부가통신 업무 |
| 신산업 |
ⅰ) 금융데이터 분석 - 신용정보 분석·개발, Big Data 개발 ⅱ) 금융소프트웨어 개발 - 금융모바일앱, 인터넷 뱅킹, 금융보안 등 ⅲ) 금융플랫폼 운영 - 회원제 증권정보제공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특히 금융위원회는 금산분리를 고려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해 기준을 적용하여, 중소기업의 경우 주된 업종이(평균매출액 등의 비중) 핀테크 업무라면 사업 진출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대기업은 핀테크 사업 부분이 전체 매출·자산의 75% 이상이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금융위는 2015년 5월 중 정확한 유권해석을 금융회사에 전달하고 시행하였습니다.그러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금융회사들도 기술혁신을 통한 핀테크를 추진 중이나 금융회사 내부 운용(in-house)에는 한계가 있었고, 2015년 유권해석 및 법규개정 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출자에 대해 불명확성이 잔존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2018년 10월 19일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출자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하여「핀테크 등 금융혁신을 위한 규제 개혁 T/F」를 Kick-off하였고 1) 기존 유권해석 안내 및 핀테크 기업 대상범위 확대 추진, 2) 현행 법령 및 유권해석에 따른 핀테크 기업 투자 가능여부 확인 및 관련 승인 절차상 Fast-Track 마련 운용, 3) 금융법령상 핀테크 개념정의 명확화 및 관련법령 개정 추진, 4)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핀테크 전문 통계 분류체계 개발 검토를 결정했습니다.금융위원회는 2019년 1월 올해를 핀테크 활성화의 골든타임으로 인식하고 체계적인 집중지원을 위해 6대 추진전략(①금융규제 샌드박스 적극운영, ②낡은 규제 혁파, ③핀테크 투자확대, ④신산업분야 육성, ⑤글로벌 진출 지원, ⑥디지털 금융ㆍ보안 강화)을 수립했습니다. 또한, 금융혁신지원특별법이 2019년 4월 1일 시행되었으며, 새롭고 혁신적인 혁신금융서비스에 대해서는 금융법상 인허가 및 영업행위 등 규제를 최대 4년간 적용 유예 또는 면제해주는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본격운영 중에 있으며, 금융인프라 혁신을 위한 오픈뱅킹, 마이데이터 산업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
| 구분 | 내용 |
|---|---|
| 1. 금융규제 샌드박스 적극 운영 | -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금융규제 샌드박스' 운영- 금융회사 핵심업무 위탁 지정대리인 제도 운영 지속- 핀테크 지원예산(79억원)으로 테스트 비용 등 지원 |
| 2. 낡은 규제, 복합규제 과감한 혁신 | - '핀테크 현장 금요미팅' 통한 상시적 규제 발굴- 법령상 규제, 그림자 규제 등 전면 혁신(200여건)- 근본적으로 진입규제 개편 검토(Small License) |
| 3. 핀테크 분야 투자, 지원 확대 | -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 출자 규제, 절차 제약 해소- 혁신투자펀드 연계 확대, 핀테크랩 지원 내실화- 핀테크 인재양성 및 창업 청년 업무공간 지원 확대 |
| 4. 핀테크 신시장 개척 | - 금융결제망 혁신적 개방 등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지급지시서비스업(PISP) 등 전자금융업 개편 추진- 빅데이터, 마이데이터 등을 위한 신용정보업 개정- P2P대출 법제화 추진 |
| 5. 글로벌 핀테크 영토 확장 | - 금융분야 신남방정책, "핀테크 로드" 구축- Korea Fintech Week 2019 (5.23~5.25) 개최 |
| 6. 디지털 금융 보안, 보호 강화 | - 디지털 금융 리스크 확대에 대응하는 금융보안- 빅데이터, 오픈 API 등 활성화에 따른 정보보호- 디지털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 혁신]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금융위원회는 2019년 10월 핀테크 산업이 성장단계에 들어서고, 개별 기업도 샌드박스에 적극 참여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규제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혁신 추진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혁신 추진방안] |
| 구분 | 내용 |
|---|---|
| 1. 샌드박스 연계 동태적 규제혁신 | - 샌드박스를 시장과의 소통 계기로 삼아 규제의 정비 필요성을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 정부는 규제의 질과 수준을 향상하고, 시장은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금융규제의 동태적 개선체계 강화 |
| 2. 글로벌 핀테크 맞춤형 규제혁신 | - 선진화된 글로벌 핀테크 유니콘의 사업모델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규제 환경을 조성- 국내 수요발생 가능성이 예상되는 글로벌 핀테크 서비스의 국내외 규제환경을 집중 분석·비교- 분과별 집중 검토 방식 운영 : "핀테크 활성화 규제혁신 T/F"를 하위 4개 분과로 나누고, 13개 글로벌 핀테크 사업모델 집중 검토① 지급결제·플랫폼 : 핀테크 기업의 시장 진입, 단계적 성장 및 종합 금융플랫폼으로의 확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제체계 개선② 금융투자 : 지급결제와 금융투자를 융합한 금융투자관리 서비스의 활성화 및 고도화 지원③ 보험 : P2P 보험 등 새로운 보험서비스 출현 가능성과 보험가입·보험금 지급 절차 간소화 등을 통한 인슈테크 활성화④ 대출·데이터 : 비금융정보 등을 활용한 신용평가·대출심사를 통해 신용평가 정확성을 제고하고 공급망 금융 활성화 |
| 3. 현장 밀착형 규제혁신 | - 핀테크 현장 방문 : 핀테크 기업, 금융기관, 핀테크 랩 등 핀테크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지속하여 의견 수렴- 상반기 「핀테크 규제개혁 T/F」 수용 과제(150건)('19.06 발표)의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혁신 추진방안'(2019.10.15) |
한편 금융감독원은 2019년 12월 '핀테크 스케일업 추진전략발표'를 보도한 바 있습니다. 핀테크 분야 혁신의 힘을 키우기 위한 스케일업 지원을 통해 글로벌 수준으로 핀테크 시장과 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하기 위함으로 8개 분야 24개 핵심과제를 선별, 집중추진할 예정입니다.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핀테크 스케일업 추진전략 발표'(2019.12.04) |
국내에서도 카카오톡 내 신용카드 연계 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14.9), 카카오톡 기반 송금.결제서비스 '뱅크월렛카카오'(`14.11) 및 비바리퍼블리카의 모바일 송금 서비스 토스(`15.2), 네이버의 네이버페이(`15.6)등 IT업체가 금융업에 진출하여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습니다. 국내 은행들도 IT업체와의 제휴 및 자체 개발 플랫폼을 통해 핀테크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금융산업 전반에 걸친 트렌드 속에서 금융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증대 시키고 기존 은행들이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가 생긴 동시에, 비금융 기업도 핀테크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게 되어 금융지주회사들은 새로운 경쟁적 금융환경과 수익성 악화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국내 시중은행들의 핀테크 제휴 및 진출 사례] |
| 은행 | 제휴업체 | 제휴서비스 | 업종 및 내용 |
|---|---|---|---|
| KB국민 | 비바리퍼블리카 | Toss |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
| 모비틀 | - | 지역 밀착형 모바일 플랫폼: 아파트 관리비 절약, 앱 활용 MOU | |
| 코인플러그 | - | 신 외환비즈니스: 블록체인 활용 해외송금 거래 | |
| 신한 | 라인 | 라인페이ATM, 환전출금서비스 | 결제: 일본 라인페이 고객이 국내 신한은행에서 원화 출금 가능 |
| - | 써니뱅크 | 모바일뱅킹: 국내 및 베트남 출시 | |
| 비바리퍼블리카 | Toss |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 |
| 우리 | 위비뱅크 | - | 모바일 신용대출 |
| 위비톡 | - | 모바일 메신저 | |
| 위비클럽 | - | 위비톡 모임서비스 | |
| KEB하나 | - | 인테크 1QLab | 핀테크 인프라: 사무실 입주 등 비즈니스 모델 지원 |
| 위닝아이 | 비접촉지문인식기술 | 본인인증: 스마트폰 카메라 활용 지문인식 | |
| 센트비 | 블록체인 활용 해외송금 | 해외송금: 안전하고 간편한 송금시스템 | |
| 원투씨엠 | 전자스탬프솔루션 | 지급결제: 지급결제 및 각종 마케팅 플랫폼 | |
| 페이게이트 | 계좌기반 웹표준 | 금융서비스: 블록체인 활용 국내 송금/이체 가능 | |
| 비바리퍼블리카 | Toss |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 |
| NH농협 | 코빗 | 비트코인 | 비트코인: 비트코인 거래소 |
| 웹케시 | 현금결제 | ||
| 비바리퍼블리카 | Toss |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 |
| IBK기업 | 비바리퍼블리카 / 핑거 펀다 / 엘리펀트 | Toss / i-One직장인명함대출 / 펌뱅킹 | 간편결제/송금 신용대출: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스크래핑 기술 활용 신용대출, 대출원리금출금이체 서비스 |
| KTB솔루션 / 이리언스 / 코빗 | 스마트사인 / 생체기반 보안 / 블록체인 | 보안/인증: 실시간 벡터좌표 추출 비교방식 서명, 홍채 정보 기반 보안시스템, 블록체인 활용 금융서비스 개발 TFT |
| 출처 : FNTIMES(2016.5.23),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
이러한 핀테크 산업이 아직 국내 사례가 많지 않으나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기존 은행들의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창출을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기회가 생긴 반면, 비금융 기업도 핀테크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게된 사례가 많습니다.
| [해외 은행들의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
| 구분 | 해외 은행 사례 |
|---|---|
| 영국 | 인터넷 전문은행을 설립한 바클레이즈는 전자 지갑 결제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핑잇(Ping It)이라는 금융앱을 출시하였으며, HSBC와 First Direct, Nationwide 등의 은행들은 핀테크 기업인 Zapp과 제휴하여, 간편 모바일 결제 서비스 도입 |
| 독일 | 피도르 은행은 IT 기술과 온라인 매체를 접목하여, 고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커뮤니티은행’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도입 |
| 스페인 | 대형은행 BBVA는 핀테크 관련 기업들을 인수하고, 금융과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핀테크의 도입으로 다양한 변화 시도 |
| 미국 | 금융그룹 Capital One은 인터넷 전문은행 ING Direct를 인수하여, 핀테크를 활용한 온라인 은행 영업 중BNY멜론은행은 기술연구소에 약 20명을 고용해 빅데이터 관련 사업인 ‘디지털 펄스(Digital Pulse)’ 프로젝트 시행하는 등 기술개발 추진 중 |
|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
| [해외 기업들의 핀테크 진출 사례] |
| 업종 | 기업 | 주요 내용 |
|---|---|---|
| 플랫폼 | 구글 | 전자지갑 '구글월렛'(`11), 이메일 기반 송금 등 출시영국 내 전자화폐 발행허가, 소액대출업체 '렌딩클럽'투자 |
| 애플 | 전자지갑 '패스북' 출시 및 아이폰5 이후 모델 기본 탑재NFC방식 카드결제인 '애플페이' 미국내 서비스 개시 | |
| SNS | 페이스북 | 아일랜드 내 전자화폐 발행 승인 및 EU 내 효력 발생해외송금 기업인 '아지모(영)' 등과 제휴 추진 |
| 텐센트 | 지급결제서비스 '텐페이', MMF '리차이퉁' 출시중국 정부의 민영은행 시범사업자 선정(`14.3.) | |
| 통신서비스 | 버라이존 | AT&T와 T모바일 공동으로 모바일 지급결제 시스템 '아이시스' 출시 |
| 검색 | 바이두 | - 온라인 전용 MMF '바이파'출시(`13.10.)- 중국 정부의 민영은행 시범 사업자 선정(`14.3.) |
| 전자상거래 | 알리바바 | 지급결제 '알리페이', 소액대출 '알리파이낸스', MMF '위어바오' 출시- 중국 정부의 민영은행 시범 사업자 선정(`14.3.) |
| 이베이 | 자사 사이트 내 지급결제 서비스 '페이팔'출시자사 선불카드 'My Cash' 출시(`12) | |
| 아마존 | '아마존페이먼트', '아마존월렛' 출시모바일 신용카드 결제 '아마존로컬 레지스터 출시' |
| 출처 : 금융감독원 및 삼성경제연구소 |
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2020년 8월 시행되었습니다. 데이터 3법의 주요 개정사항은 안전한 데이터 결합 절차 마련, 가명정보 안정성 강화, 개인정보 관련 시행령 일원화,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산업 육성 등입니다. 데이터 3법 시행령에 따른 '마이데이터' 시대가 도래할 경우 개인정보를 고객 동의하에 핀테크 회사 등에 제공하게 되어 이에 따른 업계 대책 마련과 함께 사업 전략 방향 수립 등이 필요하게 됩니다.
| [데이터 3법 개정사항] |
|
|
| (출처: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데이터 3법 시행령 입법예고 주요사항'(2020.3.31)) |
이러한 새로운 금융산업 전반에 걸친 트렌드 속에서 금융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증대 시키고 기존 은행들이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가 생긴 동시에, 비금융 기업도 핀테크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게 되어 금융지주회사들은 새로운 경쟁적 금융환경과 수익성 악화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사.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으로 인한 위험금융위원회는 2015년 6월 인터넷전문은행 관련 규제 완화 방향을 발표하고 증권신고서제출일 전일까지 3개의 인터넷 전문은행을 인가하였으며, 최근 추가로 제4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됨으로써 인터넷은행의 비용절감 효과와 기존 금융기관들의 상품개발 촉진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반면, 경쟁의 심화로 기존 시중은행의 시장점유율, 가격경쟁력 및 수익성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인터넷전문은행(Internet Primary Bank)이란 소수의 영업점 또는 영업점 없이 업무의 대부분을 ATM, 인터넷 등 전자매체를 통해 영위하는 은행입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기존 일반은행과는 고객과의 거래형태, 영업행태, 수익구조, 위험관리, 자본력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2019년 1월 17일 혁신 ICT 기업 등이 34% 지분을 보유하는 인터넷전문은행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전문은행법을 시행했고, 2019년 3월 말 3개사(키움뱅크, 토스뱅크, 애니밴드스마트은행)로부터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19년 5월, 3개사는 신청반려와 부적합 판단으로 예비인가가 불허되었습니다. 애니밴드스마트은행은 기본적인 자료인 자본금 및 주주구성 관련 신뢰할 수 있는 신청서류가 미비하여 신청이 반려되었으며, 키움뱅크는 사업계획의 혁신성,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미흡하다는 점, 토스뱅크는 지배주주 적합성(출자능력 등) 및 자금조달능력 측면에서 미흡하다는 점을 사유로 예비인가가 불허되었습니다. 이후 2019년 12월 토스뱅크가 예비인가를 획득하였으며 2021년 2월 5일 본인가를 신청하였습니다. 이후, 2021년 6월 9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를 개최하고 토스뱅크의 은행업 본인가를 의결하였으며, 10월 5일부터 영업을 개시하였습니다.
|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추진] |
| ■ 금융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은행업의 경쟁도를 제고하기 위해 혁신 ICT기업이 주도하는 인터넷전문은행이 추가로 설립됩니다. 1. (인가 개수) 은행업 경쟁도 평가결과, 해외 주요국 동향 등을 감안하여 2개사 이하를 신규인가 2. (인가심사기준) 은행법령상 심사기준 外 인터넷전문은행법령을 고려 하여 주주구성·사업계획의 혁신성·포용성·안정성 등을 중점 평가3. (인가 일정) 인가설명회 개최, 평가항목·배점 발표('19.1월중) → 예비인가 신청 접수('19.3월중) → 예비인가 심사, 결과 발표('19.5월중)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2025년 1분기말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기준, 카카오뱅크는 수신 60조 4,050억원, 여신 44조 2,724억원, 케이뱅크 약 27조 7,969억원, 16조 9,447억원을 기록하는 등 출범 5년여간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 [인터넷 전문은행 영업규모] |
| (단위: 억원) |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
| 총여신 | 442,724 | 169,447 | 148,513 | 432,022 | 162,670 | 146,271 | 386,736 | 138,374 | 124,473 | 278,877 | 107,763 | 86,395 |
| 총수신 | 604,050 | 277,969 | 300,346 | 549,710 | 285,687 | 275,294 | 471,428 | 190,676 | 237,145 | 330,558 | 146,054 | 202,972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 [인터넷 전문은행 수익성] |
| (단위: 억원, %) |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
| 순이자마진(NIM) | 2.09 | 1.41 | 2.60 | 2.16 | 1.91 | 2.53 | 2.38 | 2.35 | 2.18 | 2.48 | 2.51 | 0.79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 [인터넷 전문은행 건전성] |
| (단위: %) |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
| 고정이하여신비율 | 0.51 | 0.61 | 0.98 | 0.47 | 0.82 | 0.94 | 0.43 | 0.86 | 1.21 | 0.36 | 0.95 | 0.53 |
| 대손충당금 적립비율(고정이하여신대비) | - | - | - | 245.34 | 251.67 | 281.87 | 236.77 | 250.07 | 213.77 | 259.13 | 185.05 | 405.03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 [인터넷 전문은행 자본적정성] |
| (단위: %) |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주)카카오뱅크 | (주)케이뱅크 | 토스뱅크(주) | |
| BIS총자본비율 | 26.08 | 14.39 | - | 27.24 | 14.67 | - | 30.29 | 13.18 | 12.80 | 36.95 | 13.94 | 11.35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한편, 금융위원회는 2023년 7월 5일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6가지 검토과제 중 '은행권 경쟁 촉진'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1) 은행권 신규 플레이어 진입 촉진, (2) 저축은행 등 여타 플레이어를 통한 시중은행과의 경쟁 촉진, (3) 금융권간·금융-IT간 협업 강화, (4) 기존 금융회사간 대출·예금 금리경쟁 촉진을 제시하였고,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을 포함한 시중은행 등의 신규인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KCD뱅크 등 4개의 컨소시엄이 현재 제4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위한 경쟁에 참여하고 있으며, 금융위는 새로운 인가 기준을 통해심사 예정입니다.향후에도 인터넷전문은행은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통해 추가적으로 출범할 수 있습니다. 신규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함으로서 비용절감 효과, 기존 금융기관들의 상품개발 촉진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반면, 기존 시중은행의 추가 진입에 따른 가격 경쟁, 수익성 저하 등 부정적 효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아. 자금세탁방지 의무 강화에 따른 위험금융회사의 자금세탁방지 의무가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제기구와 미국 금융당국의 검사는 자금세탁방지체계의 형식적 준수가 아닌 실질적 운영 효과성을 중점 평가하는 추세입니다. 평가 결과는 금융업의 대외경쟁력과 직결되어 금융회사들 입장에서는 위협 요인이며, 주요국의 제재조치 강화로 자금세탁규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AML/CFT) 정책협의회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상호평가 대응방향'(2018.11.27)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FATF 강령(Mandate)에 따라 2019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자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조달금지 운영에 대하여 상호평가를 받았습니다. 해당 평가는 국제사회가 우리나라의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제도를 점검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우리나라 금융 및 사법 시스템 투명성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해당 평가 결과에 따라 후속점검을 받으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시 국가 대외신인도, 수출기업의 금융비용, 환거래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는 UN 협약 및 안보리 결의와 관련된 금융조치(Financial Action)의 이행을 위한 행동기구(Task Force)로서 1989년에 설립되었으며, 마약 자금에서 중대 범죄의 자금 세탁, 테러 자금 조달, 대량 살상 무기 확산 금융 방지로 관할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정회원(36국+2기구), 준회원(9개 지역기구), 옵저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은 2009년 FATF 정회원에 가입하였습니다.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주요 기능- 국경을 초월하여 발생하는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에 공동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기준을 마련하고, 각 국가의 이행 현황을 평가- 비협조 국가 및 국제기준 미이행 국가에 대한 금융제재 결정 -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수법 등에 대한 연구, 대응 수단 개발 등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제30기 제2차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총회 참석 자료'(2019.02.26) |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회원국들의 자금세탁방지제도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해 후속점검 및 제재조치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월 아이슬란드가 정회원 국가 중 최초로 제재절차에 회부됐습니다. 향후 개선이 미흡하면 아이슬란드가 제재절차 진행 중임을 전 세계에 공표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외환 거래 시 가산금리가 붙거나 회원국과의 거래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회사의 자금세탁방지 의무가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제기구와 미국 금융당국의 검사 포커스는 자금세탁방지체계의 형식적 준수가 아닌 실질적 운영 효과성을 중점 평가하는 추세입니다. 평가결과는 금융업의 대외경쟁력과 직결되어 금융회사들 입장에서는 위협요인입니다.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가 제시하는 의무는 크게 다섯 가지로 ①고객 확인 ②기록보관 ③의심거래보고 ④의심거래보고 사실 누설금지 ⑤AML/CFT(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 감독·검사·제재 등입니다. 국내 금융권에선 『AML(Anti-Money Laundring)/CFT(Combating the Financing of Terrorism)(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 체계 구축이 주요 과제로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시스템 미흡으로 거액의 벌금을 맞는 사례가 늘면서 이는 심각한 경영리스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해외은행의 경우 이란 등 미국의 금융 제재를 받고 있는 소위 블랙리스트 국가와 금융 거래를 했다는 이유로, 프랑스 BNP파리바은행과 영국 SC은행은 수조원의 벌금을 부과 받는 등 미국 정부로부터 제재조치를 받았습니다. 한편,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AML/CFT) 정책협의회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상호평가 대응방향'(2018.11.27)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FATF 강령(Mandate)에 따라 2019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자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조달금지 운영에 대하여 상호평가를 받았습니다. 해당 평가는 국제사회가 우리나라의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제도를 점검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우리나라 금융 및 사법 시스템 투명성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해당 평가 결과에 따라 후속점검을 받으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시 국가 대외신인도, 수출기업의 금융비용, 환거래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제도의 국제기준 체계] |
| 목표 |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차단을 통한 금융투명성과 사회안전 강화 ※ '12년 "대량살상무기(WMD) 확산금융 차단 위한 정밀금융제재"를 추가 |
||||
| 평가항목 | 1. 예방조치 | 2. 사법제도 | 3. 테러자금조달금지 | 4. 국제협력 | 5. 투명성장치 |
| 세부내용 | - 금융기관, 특정비금융사업자의제도 이행과 이에 대한 감독 |
- 자금세탁 범죄화 - 금융정보 수집·제공 - 범죄수익 몰수 |
- 테러자금조달 범죄화 - 테러자금 즉시동결 - 자금조달 관련자 정밀금융제재 |
국제협력 통해 - 정보의 교환 - 범죄자산 몰수 - 범죄인 인도 |
- 법인·신탁 실소유자 정보 투명한 관리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상호평가 대응방향" 및 「국가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위험평가」 결과 발표(2018.11.27) |
금융권은 자금세탁방지업무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개선활동으로 상시 모니터링 인력확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정교화하였으며, 국외점포 자금세탁위험 관리를 위하여 위험기반 자금세탁 위험평가체계를 도입, 신규 상품 및 서비스 위험평가절차를 전면 개편하였습니다. 또한 가상통화 관련 AML(Anti-Money Laundring) 가이드라인에 따른 이행 체계를 마련하였고, 외부 감사업체를 활용한 자금세탁방지체계 적정성 및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상호평가 대비 법인고객 등 CDD(고객확인의무제도) 이행 취약부분에 대한 특별점검 및 모니터링을 통해 자금세탁위험을 상시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 감독당국(FRB) 및 뉴욕주 감독규정(PART504) 준수를 위한 점검 및 본점 인력 파견 등의 지원활동을 통해 현지 감독당국의 검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국내 금융회사들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내부통제체계를 확립하지 못한다면, 자금세탁 규제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뿐 아니라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경영 안정성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분들은 국내외 금융사들은 어떤 전략으로 자금세탁방지 규제환경 변화에 대처하는지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신한금융그룹의 금융지주회사로서 2025년 반기말 현재 상장회사인 제주은행과 비상장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캐피탈, 신한자산운용, 신한저축은행, 신한자산신탁, 신한DS, 신한펀드파트너스, 신한리츠운용, 신한벤처투자, 신한EZ손해보험의 지배회사입니다. [ 회사의 조직도 ]
| 출처 : 당사 반기보고서 (2025년 6월) |
당사는 순수금융지주회사로서 자체적인 영업활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자회사로부터의 배당금 등이 주수입원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 자체의 재무상태 외에도 자회사의재무상태가 매우 중요한 평가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연결 기준 중간지배회사 기준의 요약 연결재무상태표와 동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주요 재무사항 요약(연결기준)]
(1) 요약 연결재무상태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자 산 | |||
| Ⅰ.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39,846,236 | 40,525,712 | 34,629,251 |
| Ⅱ.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3,144,746 | 72,146,845 | 71,216,564 |
| Ⅲ. 파생상품자산 | 5,889,404 | 10,279,257 | 4,711,421 |
| Ⅳ.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97,267,259 | 93,805,369 | 90,311,979 |
| Ⅴ.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229,645 | 33,315,999 | 35,686,487 |
| Ⅵ.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448,542,280 | 449,295,238 | 411,739,562 |
| Ⅶ. 유형자산 | 3,998,968 | 4,157,592 | 3,972,304 |
| Ⅷ. 무형자산 | 5,961,483 | 6,120,133 | 6,217,946 |
| Ⅸ.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2,726,840 | 2,752,980 | 2,692,031 |
| Ⅹ. 당기법인세자산 | 35,887 | 54,658 | 30,590 |
| XI. 이연법인세자산 | 199,251 | 205,506 | 153,719 |
| XII. 투자부동산 | 339,169 | 327,696 | 257,806 |
| XIII. 순확정급여자산 | 298,544 | 155,697 | 114,378 |
| XIV. 보험계약자산 | 1,089 | 5,639 | 10,654 |
| XV. 재보험계약자산 | 756,060 | 184,754 | 88,353 |
| XVI. 기타자산 | 41,407,829 | 26,401,598 | 29,925,844 |
| XVII. 매각예정자산 | 46,772 | 29,583 | 36,444 |
| 자산 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691,795,333 |
| 부 채 | |||
| Ⅰ. 예수부채 | 420,570,728 | 422,781,045 | 381,512,664 |
| Ⅱ.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1,480,885 | 954,899 | 1,868,977 |
| Ⅲ.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7,417,650 | 8,220,475 | 7,796,727 |
| Ⅳ. 파생상품부채 | 5,272,227 | 10,058,532 | 5,038,416 |
| Ⅴ. 차입부채 | 54,294,358 | 49,920,373 | 56,901,352 |
| Ⅵ. 사채 | 89,157,111 | 93,765,854 | 81,561,725 |
| Ⅶ. 순확정급여부채 | 99,190 | 38,974 | 67,620 |
| Ⅷ. 충당부채 | 1,183,853 | 1,308,896 | 1,369,666 |
| Ⅸ. 당기법인세부채 | 329,025 | 203,131 | 92,253 |
| X. 이연법인세부채 | 646,414 | 423,821 | 542,595 |
| XI. 보험계약부채 | 52,545,867 | 51,124,629 | 48,333,208 |
| XII. 재보험계약부채 | 115,795 | 98,063 | 93,240 |
| XIII. 투자계약부채 | 826,844 | 1,165,022 | 1,572,685 |
| XIV. 기타부채 | 58,555,651 | 40,879,509 | 48,722,340 |
| 부채 총계 | 692,495,598 | 680,943,223 | 635,473,468 |
| 자본 | |||
|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57,189,893 | 56,053,756 | 53,720,537 |
| (1) 자본금 | 2,969,641 | 2,969,641 | 2,969,641 |
| (2) 신종자본증권 | 4,799,501 | 4,600,121 | 4,001,731 |
| (3) 자본잉여금 | 12,102,048 | 12,094,968 | 12,094,968 |
| (4) 자본조정 | -577,510 | -807,114 | -658,664 |
|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615,532 | -1,824,440 | -1,074,453 |
| (6) 이익잉여금 | 40,511,745 | 39,020,580 | 36,387,314 |
| Ⅱ. 비지배지분 | 3,005,971 | 2,767,277 | 2,601,328 |
| 자본 총계 | 60,195,864 | 58,821,033 | 56,321,865 |
| 부채와 자본 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691,795,333 |
| 연결에 포함된 회사 수 | 393개 | 411개 | 452개 |
(2)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반기 (2024.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Ⅰ.영업이익 | 3,958,471 | 3,920,779 | 6,458,670 | 6,100,850 |
| Ⅱ.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114,678 | -14,958 | -23,822 | 125,088 |
| Ⅲ.기타영업외손익 | 4,533 | -243,877 | -405,756 | -260,978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077,682 | 3,661,944 | 6,029,092 | 5,964,960 |
| Ⅴ.법인세비용 | 983,402 | 863,129 | 1,470,922 | 1,486,960 |
| Ⅵ.당기순이익 | 3,094,280 | 2,798,815 | 4,558,170 | 4,478,000 |
| Ⅶ.기타포괄손익 | -794,420 | -897,847 | -745,665 | 844,389 |
| Ⅷ.총포괄이익 | 2,299,860 | 1,900,968 | 3,812,505 | 5,322,389 |
| Ⅸ.당기순이익의 귀속 | 3,094,280 | 2,798,815 | 4,558,170 | 4,478,000 |
| (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3,037,399 | 2,747,011 | 4,450,177 | 4,368,035 |
| (2) 비지배지분 | 56,881 | 51,804 | 107,993 | 109,965 |
| Ⅹ.총포괄이익의 귀속 | 2,299,860 | 1,900,968 | 3,812,505 | 5,322,389 |
| (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246,396 | 1,848,764 | 3,702,863 | 5,208,629 |
| (2) 비지배지분 | 53,464 | 52,204 | 109,642 | 113,760 |
| XI.주당이익 | ||||
| (1) 기본주당순이익 | 5,978원 | 5,219원 | 8,441원 | 8,048원 |
| (2) 희석주당순이익 | 5,978원 | 5,219원 | 8,441원 | 8,048원 |
| 가. 자회사 신한은행의 수익성 저하 가능성 자회사인 신한은행이 당사의 당기순이익에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반기말 기준 약 74.6%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3조 374억원 중 2조 2,668억원(지배기업 소유지분)이 신한은행에서 발생하였습니다. 당사의 총 배당수입(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025년 반기말 2조 5,74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중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배당수입은 2025년 반기말 1조 6,630억원을 차지하며, 신한은행의 배당수익은 당사 전체 배당 수익의 과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당사가 금융지주회사라는 점과 현금 유입의 주된 원천이 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인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당사의 수익성 위험은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회사위험에 크게 연동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따라 당사 기업가치가 변동될 수 있음을 미리 숙지하시고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신한금융지주는 자회사의 경영관리, 자금지원 등을 주된 영업으로 하는 순수지주사로서 사업지주회사와는 달리 자체 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금융지주회사입니다. 이에 자회사로부터의 배당금 등이 주수입원이며 자회사들의 실적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입니다.
신한금융지주의 2025년 반기말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3조 374억원 중 2조 2,668억원(지배기업 소유지분)이 은행 부문에서 발생하였으며, 은행 부문이 당사의 당기순이익에 차지하는 비중은 약 74.6%에 해당하여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간 신한금융지주의 영업부문별 주요 재무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반기>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4,543.7 | 973.1 | 293.4 | -85.4 | 49.5 | 41.2 | -96.7 | 5,718.8 |
| 비율 | 79.45% | 17.02% | 5.13% | -1.49% | 0.87% | 0.72% | -1.70% | 10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514.7 | 424.4 | 298.9 | -3.0 | 10.8 | 178.5 | 15.8 | 1,440.1 |
| 비율 | 35.74% | 29.47% | 20.76% | -0.21% | 0.75% | 12.39% | 1.10% | 100.00% | |
| 기타손익 | 금액 | -2,194.9 | -1,013.7 | -273.8 | 539.8 | -15.9 | -167.0 | -74.9 | -3,200.4 |
| 비율 | 68.58% | 31.67% | 8.56% | -16.87% | 0.50% | 5.22% | 2.34% | 100.00% | |
| 영업이익 | 금액 | 2,863.5 | 383.8 | 318.5 | 451.4 | 44.4 | 52.7 | -155.8 | 3,958.5 |
| 비율 | 72.34% | 9.70% | 8.05% | 11.40% | 1.12% | 1.33% | -3.94% | 10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2,222.3 | 299.2 | 258.9 | 328.6 | 63.9 | 41.8 | -177.3 | 3,037.4 |
| 비율 | 73.16% | 9.85% | 8.52% | 10.82% | 2.10% | 1.38% | -5.83% | 100.00% | |
| <2024년>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8,988.5 | 1,931.2 | 573.4 | -135.4 | 143.7 | 92.6 | -191.7 | 11,402.3 |
| 비율 | 78.8% | 16.9% | 5.0% | -1.2% | 1.3% | 0.8% | -1.7% | 1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867.9 | 934.5 | 535.9 | -4.4 | 17.4 | 337.0 | 26.6 | 2,714.9 |
| 비율 | 32.0% | 34.4% | 19.7% | -0.2% | 0.6% | 12.4% | 1.0% | 100.0% | |
| 기타손익 | 금액 | -4,916.5 | -1,988.0 | -827.4 | 847.4 | -38.8 | -265.1 | -470.1 | -7,658.5 |
| 비율 | 64.2% | 26.0% | 10.8% | -11.1% | 0.5% | 3.5% | 6.1% | 100.0% | |
| 영업이익 | 금액 | 4,939.9 | 877.7 | 281.9 | 707.6 | 122.3 | 164.5 | -635.2 | 6,458.7 |
| 비율 | 76.5% | 13.6% | 4.4% | 11.0% | 1.9% | 2.5% | -9.8% | 1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3,609.6 | 668.4 | 179.2 | 511.0 | 116.9 | -124.8 | -510.1 | 4,450.2 |
| 비율 | 81.1% | 15.0% | 4.0% | 11.5% | 2.6% | -2.8% | -11.5% | 100.0% | |
| <2023년>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8,548.1 | 1,895.3 | 443.7 | -198.8 | 248.8 | 125.2 | -244.4 | 10,817.9 |
| 비율 | 79.0% | 17.5% | 4.1% | -1.8% | 2.3% | 1.2% | -2.3% | 1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748.0 | 968.7 | 500.4 | -3.2 | 17.5 | 391.1 | 24.7 | 2,647.2 |
| 비율 | 28.3% | 36.6% | 18.9% | -0.1% | 0.7% | 14.8% | 0.8% | 100.0% | |
| 기타손익 | 금액 | -5,286.6 | -1,930.5 | -691.0 | 852.9 | 77.2 | -175.0 | -211.2 | -7,364.2 |
| 비율 | 71.8% | 26.2% | 9.4% | -11.6% | -1.0% | 2.4% | 2.8% | 100.0% | |
| 영업이익 | 금액 | 4,009.5 | 933.5 | 253.1 | 650.9 | 343.5 | 341.3 | -430.9 | 6,100.9 |
| 비율 | 65.7% | 15.3% | 4.1% | 10.7% | 5.6% | 5.6% | -7.0% | 1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2,969.5 | 723.8 | 100.9 | 464.6 | 304.0 | 243.9 | -438.7 | 4,368.0 |
| 비율 | 68.0% | 16.6% | 2.3% | 10.6% | 7.0% | 5.6% | -10.1% | 100.0% | |
| 주1) | 당기순이익은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이며, 기타 부문에는 지배회사 별도재무제표 손익이 포함(자회사 배당수익은 제외)되어 있음 |
| 주2) | 항목별 합계는 그룹 연결기준 금액이며, 각 부문별 비율은 합계 금액에 대한 비중을 나타냄 |
| 주3) | 각 부문별 재무정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기재함- 은행 부문: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신용카드 부문: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증권 부문: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보험 부문: 생명보험사업, 손해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여신전문 부문: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기타 부문: 부동산신탁, 투자자문 및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등 상기 영업부문에 속하지 아니하는 부문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최근 3개년간의 당사의 영업부문별 당기순이익을 살펴 보았을 경우에도 은행 부문의 당기순이익은 지속적으로 당사 전체 당기순이익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신한은행의 이익 기여는 절대적인 수준이며, 당사의 연결기준 실적은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실적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은행업에 높게 편중된 사업구조는 은행 자회사의 수익 변동성에 크게 의존을 하는 편이며, 이는 대내외 경제불황 등으로 은행업황이 악화될 경우 신한금융지주의 수익성 등도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최근 3개년간 신한금융지주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요약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9,380.0 | 19,667.5 | 18,571.3 | |
| 예치금이자 | 109.6 | 225.6 | 172.4 | ||
| 유가증권이자 | 1,504.5 | 2,972.6 | 2,461.9 | ||
| 대출채권이자 | 7,516.4 | 15,853.6 | 15,363.0 | ||
| 기타이자수익 | 249.5 | 615.7 | 574.0 | ||
| 이자비용(△) | 5,488.9 | 12,017.0 | 11,193.2 | ||
| 예수부채이자 | 4,177.9 | 9,160.2 | 8,837.6 | ||
|
차입부채이자 |
391.0 | 900.3 | 903.5 | ||
| 사채이자 | 805.1 | 1,695.9 | 1,254.5 | ||
| 기타이자비용 | 114.8 | 260.6 | 197.5 | ||
| 소계 | 3,891.1 | 7,650.4 | 7,378.1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707.7 | 1,293.9 | 1,167.2 | |
| 수수료비용(△) | 133.9 | 293.7 | 301.4 | ||
| 소계 | 573.7 | 1,000.2 | 865.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13,812.3 | 23,912.4 | 15,524.1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459.6 | 644.8 | 451.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45.7 | 80.8 | 49.8 | ||
| 배당금수익 | 164.3 | 383.5 | 250.9 | ||
| 외환거래이익 | 3,593.2 | 5,832.0 | 1,727.7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9,529.4 | 16,865.0 | 12,923.5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6.1 | 24.3 | 4.9 | ||
| 기타 | 14.0 | 82.0 | 116.2 | ||
| 기타영업비용 | 14,083.7 | 24,906.0 | 16,862.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272.7 | 428.2 | 218.7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0.1 | 6.5 | 1.8 | ||
| 대손상각비 | 347.2 | 324.2 | 706.0 | ||
| 제충당금 전입액 | 2.4 | 6.5 | 38.0 | ||
| 외환거래손실 | 3,303.8 | 5,625.6 | 1,617.3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9,386.0 | 17,051.1 | 12,750.5 | ||
| 기타 | 771.7 | 1,463.8 | 1,530.1 | ||
| 소계 | -271.4 | -993.5 | -1,338.2 | ||
| 부문별 이익 합계 | 4,193.5 | 7,657.1 | 6,905.7 | ||
| 일반관리비(△) | 1,622.7 | 3,459.5 | 3,366.7 | ||
| 영업이익 | 2,570.8 | 4,197.6 | 3,539.1 | ||
| 영업외이익 | 20.1 | -300.6 | -81.7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20.1 | -300.6 | -81.7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2,590.9 | 3,896.9 | 3,457.4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616.7 | 864.5 | 845.3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1,974.2 | 3,032.4 | 2,612.1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
신한은행은 2017년 이후 2019년까지 이자손익 및 수수료손익 증가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20년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NIM(순이자마진)하락 및 코로나 19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 증가로 인하여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이 2019년 2조 712억원에서 2020년 1조 8,262억원으로 약 11.8% 하락하였습니다. 한편, 2021년에는 은행부문의 순이자마진(NIM) 개선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와 선별적 자산 성장 및 건전성 관리를 통한 이익 개선으로 2조 1,52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에도 금리상승이 지속되어 이자이익이 늘어나며 2021년의 연간 실적을 상회하는 2조 6,319억원의 당기순이익(업무보고서 기준)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말 기준 2조 6,121억원 및 2024년말 기준 3조 324억원(별도기준)의 당기순이익의 성장세를 이어가며, 2025년 반기말 기준 1조 9,742억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적인 영업 활동을 하지 않는 순수금융지주회사로 현금 유입의 주된 원천이 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수익입니다 . 2025년 반기 기준 당사의 배당수익은 약 2조 5,747억원이며, 신한은행으로부터의 배당금 수익은 약 1조 6,630억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64.59%)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5개년 배당수익을 살펴 보았을 경우에도 2021년을 제외하고 신한은행의 배당수익은 당사 전체 배당 수익의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신한금융지주 자회사별 배당수익 현황] | (단위: 백만원, %) |
| 회사명 | 2025년 반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 신한은행 | 1,662,952 | 64.59% | 1,196,396 | 59.05% | 1,157,105 | 64.79% | 900,000 | 61.19% | 770,000 | 48.73% | 890,000 | 64.14% |
| 신한카드 | 301,977 | 11.73% | 342,306 | 16.90% | 286,705 | 16.05% | 350,242 | 23.81% | 394,287 | 24.95% | 330,724 | 23.84% |
| 신한투자증권 | 95,182 | 3.70% | 51,144 | 2.52% | 110,306 | 6.18% | 110,161 | 7.49% | 12,452 | 0.79% | 7,391 | 0.53%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378,307 | 14.69% | 315,343 | 15.57% | 162,257 | 9.09% | - | 0.00% | 50,000 | 3.16% | 50,000 | 3.60% |
| 신한캐피탈 | 33,587 | 1.30% | 84,655 | 4.18% | 54,121 | 3.03% | 49,820 | 3.39% | 29,782 | 1.88% | 21,365 | 1.54% |
| 제주은행 | 2,420 | 0.09% | 2,420 | 0.12% | 2,420 | 0.14% | 2,420 | 0.16% | 2,420 | 0.15% | 2,420 | 0.17% |
| 신한자산운용 | 79,200 | 3.08% | 24,400 | 1.20% | 7,000 | 0.39% | 53,000 | 3.60% | 0 | 0.00% | 13,585 | 0.98% |
| 신한펀드파트너스(*2) | 7,669 | 0.30% | 6,083 | 0.30% | 6,054 | 0.34% | 5,251 | 0.36% | 4,682 | 0.30% | 3,994 | 0.29% |
| 신한저축은행 | 10,000 | 0.39% | - | - | - | - | - | 0.00% | 5,000 | 0.32% | 5,000 | 0.36% |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 - | - | - | - | - | - | - | 0.00% | 311,600 | 19.72% | 63,050 | 4.54% |
| 신한자산신탁 | 3,377 | 0.13% | 3,210 | 0.16% | - | - | - | - | - | - | - | - |
| 합 계 | 2,574,671 | 100.00% | 2,025,957 | 100.00% | 1,785,968 | 100.00% | 1,470,894 | 100.00% | 1,580,222 | 100.00% | 1,387,530 | 100.00% |
| 주1)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배당수익은 신한생명(신한라이프생명보험)과 합병 전 발생분입니다.주2) 2023년 4월 3일자로 사명을 신한아이타스에서 신한펀드파트너스로 변경하였습니다.출처 : 신한금융지주 각 사업연도 보고서 |
상기와 같이 당사가 금융지주회사라는 점과 현금 유입의 주된 원천이 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인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당사의 수익성 위험은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회사위험에 크게 연동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따라 당사 기업가치가 변동될 수 있음을 미리 숙지하시고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1.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NIM하락시 수익성 저하 가능성 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중 2025년 3월말 원화예수금 기준 20.0%, 원화 대출금 기준 20.27%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내 상위권의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신인도, 광범위한 영업네트워크 및 견고한 수신기반을 바탕으로 우수한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펀드 및 방카 슈랑스 판매와 계열 신용카드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수료 순이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대비 비이자부문이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수익기반이 다양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신한은행의 NIM(순이자마진)은 2016년 1.49%, 2017년 1.58%, 2018년 1.61%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2018년 이후 2019년 1.54%, 2020년 1.37%로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2021년으로 접어들며 금리상승기로 인해 2021년말 1.40%, 2022년말 1.63%, 2023년말 1.62%로 증가하였으며 2024년 1.58%, 2025년 반기말 현재 시장금리 하락 영향 등으로 신한은행 NIM은 분기중 소폭 하락한 1.55%를 기록하였습니다. 국내은행의 높은 수익비중인 순이자마진(NIM)은 금리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가운데글로벌 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우려현상이 심화될 경우 금리 하락 및 순이자마진의 하락 효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바젤 Ⅲ 도입을 통한 자본규제 강화로 위험가중자산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규제 당국이 제시하는 자본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본확충 뿐만 아니라 위험가중자산도 함께 관리해야 함에 따라 은행의 자산운용이 정책이 예전에 비해 보수적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 역시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중 2025년 3월말 원화예수금 기준 20.0%, 원화 대출금 기준 20.27%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내 상위권의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신인도, 광범위한 영업네트워크 및 견고한 수신기반을 바탕으로 우수한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펀드 및 방카 슈랑스 판매와 계열 신용카드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수료 순이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대비 비이자부문이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수익기반이 다양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원화 예수금 점유율]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5년 3월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
|---|---|---|---|---|---|---|---|---|---|---|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
| 신한은행 | 324,268,350 | 20.00% | 326,961,353 | 20.34% | 292,788,249 | 19.24% | 293,107,159 | 19.65% | 281,910,641 | 19.87% |
| 국민은행 | 370,312,043 | 22.83% | 367,762,831 | 22.87% | 342,275,520 | 22.49% | 335,980,486 | 22.53% | 324,263,348 | 22.85% |
| 우리은행 | 307,310,844 | 18.95% | 300,965,262 | 18.72% | 291,965,212 | 19.18% | 286,312,852 | 19.20% | 272,316,156 | 19.19% |
| 하나은행 | 302,317,744 | 18.64% | 304,841,157 | 18.96% | 293,823,472 | 19.31% | 280,428,696 | 18.80% | 261,910,173 | 18.46% |
| 농협은행 | 317,486,950 | 19.58% | 307,285,296 | 19.11% | 301,133,050 | 19.79% | 295,610,030 | 19.82% | 278,643,107 | 19.64% |
| 합 계 | 1,621,695,931 | 100.00% | 1,607,815,899 | 100.00% | 1,521,985,503 | 100.00% | 1,491,439,223 | 100.00% | 1,419,043,425 | 100.00% |
| 주1) 5대 시중은행간 점유율임주2) 금융통계정보시스템 말잔 기준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 [원화 대출금 점유율]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5년 3월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
|---|---|---|---|---|---|---|---|---|---|---|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잔액 | 점유율 | |
| 신한은행 | 321,525,112 | 20.27% | 320,223,321 | 20.31% | 290,336,308 | 19.60% | 281,380,596 | 19.83% | 271,148,434 | 19.92% |
| 국민은행 | 367,014,962 | 23.14% | 363,583,757 | 23.06% | 341,433,744 | 23.05% | 328,250,616 | 23.14% | 318,489,478 | 23.40% |
| 우리은행 | 297,088,832 | 18.73% | 299,968,928 | 19.02% | 282,174,936 | 19.05% | 266,893,882 | 18.81% | 260,405,186 | 19.13% |
| 하나은행 | 303,259,217 | 19.12% | 301,844,390 | 19.14% | 289,857,308 | 19.56% | 271,837,775 | 19.16% | 255,812,620 | 18.80% |
| 농협은행 | 297,092,858 | 18.73% | 291,306,771 | 18.47% | 277,710,989 | 18.75% | 270,308,542 | 19.05% | 255,079,720 | 18.74% |
| 합 계 | 1,585,980,981 | 100.00% | 1,576,927,167 | 100.00% | 1,481,513,285 | 100.00% | 1,418,671,411 | 100.00% | 1,360,935,438 | 100.00% |
| 주1) 5대 시중은행간 점유율임주2) 금융통계정보시스템 말잔 기준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은행의 핵심 수익 지표인 NIM은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하락세를 나타냈었으나, 2016년부터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2017년 및 2018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씩 총 2회 인상하며 상승하였습니다.2019년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씩 총 2회 인하하였고, 2020년 코로나19 대응책의 일환으로 2020년 3월 16일 임시회의를 개최하여 기준금리를 1.25%에서 연 0.75%로 인하하였으며, 5월 28일 0.75%에서 0.50%로 0.25%p. 추가 하향 조정함에 따라 신한은행의 NIM은 2019년(1.54%)부터 2020년(1.37%)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2021년도부터 시작된 글로벌 인플레이션발 기준금리 인상으로 신한은행의 2021년(1.41%), 2022년(1.63%), 2023년(1.62%), 2024년(1.58%) NIM은 2020년 대비 상승 반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5년 반기말 현재 시장금리 하락 영향 등으로 신한은행 NIM은 분기중 소폭 하락한 1.55%를 기록하였습니다.
| [ 그룹 및 은행 금리 및 NIM 추이 ] |
| 주) 명목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 - 은행(또는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하여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차감하여 운용자산 총액을 나눈 수치로, 은행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경영실적발표자료 |
시중금리 하락 영향은 수익성 악화, 대손우려 감소 2가지 측면에서의 상반된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국내 시장금리가 하락추세에 있어서 향후 기준금리 동결 혹은 인하 가능성이 존재해 신한은행의 NIM(순이자마진)과 ROA(총자산이익률)가 악화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중소기업 차주의 상환 능력 개선으로 당행의 대손비용 감소 가능성이 높아져 향후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 있습니다. 국내 고용지표의 부진, 국내 성장률의 둔화, 글로벌 무역분쟁 가능성으로 인해 향후 부진한 중소기업경기, 한계기업 구조조정, 자영업자 부실우려 등으로 가계부문의 부실우려가 높아진 상황을 고려하면 금리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대손우려 확대와 이로 인한 성장둔화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대손준비금이 자본으로 인정되면서 대손충당금을 통한 부실흡수능력 개선 요구가 높아졌으며, IFRS9 도입 등으로 인한 충당금적립규모 증가 가능성도 대손부담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더불어 바젤 Ⅲ 도입을 통한 자본규제 강화로 위험가중자산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규제 당국이 제시하는 자본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본확충 뿐만 아니라 위험가중자산도 함께 관리해야 함에 따라 은행의 자산운용이 정책이 예전에 비해 보수적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 역시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이처럼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이익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으며, 저성장, 저금리 추세가 지속될 위험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은행은 환경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모색하는 한편, 금융환경 변화가 수반하는 위험요인에 대비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의 영업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업무효율화와 품질경영을 통해 경영효율화에 역점을 두고, 고객기반 확대 및 우량자산 확보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충하는 한편, 서민금융지원을 통한 은행의 사회적 역할에 충실하여 금융권 재편에 따른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기반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당사 연결기준 수익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신한은행이 직면한 수익성 악화 위기 양상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 효과에 따라 향후 당사의 수익성이 변동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2.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자산건전성 저해 가능성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우량자산 위주의 포트폴리오 전략과 선제적 리스크관리 및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20년말 0.36%, 2021년말 0.27%, 2022년말 0.25%, 2023년 및 2024년말 0.24%로 꾸준히 하락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0.3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총 원화대출금 중 가계대출이 4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50.5%, 신용대출, 예금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일반자금이 49.5%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유지는 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금리 상승 및 대내외 경제 불확실 등에 따라 기업과 가계여신에서 금리 상승을 견디지 못하는 한계차주를 중심으로 연체 및 부실이 증가할 수있으며, 이 경우 보유 자산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신한은행 2025년 반기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약 322조 8,27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0.8%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가계대출은 전년말 대비 1.9% 상승, 기업대출은 0.4% 증가했으나, 대기업 대출이 1.4% 감소하며 전년 말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총 원화대출금 중 가계대출이 약 4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50.5%으로 주택시장 일부 회복 등에 따라 주담대 위주로 소폭 상승하였고, 신용대출, 예금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일반자금이 49.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계대출의 경우 자산건전성이 기업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최근 부동산 경기 급변동으로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향후 부동산 경기가 급락할 경우 가계대출 부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신한은행의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신한은행 원화대출 성장률]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경영실적자료 |
| [원화대출금 구성 및 증감추이]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2025년 6월 | 2024년 | YTD % | 2025년 3월 | QoQ% |
|---|---|---|---|---|---|
| 원화대출금계 | 322,827.0 | 320,233.30 | 0.8% | 321,525.1 | 0.4% |
| 가계 | 142,128.1 | 139,473.90 | 1.9% | 139,442.2 | 1.9% |
| 주택담보 | 71,778.2 | 71,503.00 | 0.4% | 70,909.6 | 1.2% |
| 일반자금 | 70,349.9 | 67,971.00 | 3.5% | 68,532.6 | 2.7% |
| 기업 | 180,698.9 | 180,749.40 | 0.0% | 182,082.9 | -0.8% |
| 중소기업 | 141,109.8 | 140,605.90 | 0.4% | 141,732.6 | -0.4% |
| SOHO | 69,807.3 | 69,391.90 | 0.6% | 697,467.0 | 0.1% |
| 대기업등 | 39,580.0 | 40,143.40 | -1.4% | 40,404.2 | -2.0% |
| 주) 일반자금 : 신용대출, 예금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경영실적자료 |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우량자산 위주의 포트폴리오 전략과 선제적 리스크관리 및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20년말 0.36%, 2021년말 0.27%, 2022년말 0.25%, 2023년 및 2024년말 0.24%로 꾸준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0.3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체율은 중소기업 대출 중심으로 하락하며 전기말(0.34%) 대비 0.02%p 하락한 0.32%를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신한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018년말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낸 후 2020년 다시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2022년말 기준 202%를 기록하였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152%이며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 은행의 양호한 리스크 관리 능력 및 양호한 수익성에 기반한 추가 손실흡수력 등을 감안하면 자산건전성은 우수하나, 대손준비금 자본규제 변경 효와 및 IFRS9 도입 등에 대비해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할 수 있으며, 시장환경 변화로 인해 각 수치들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신한은행 여신건전성 현황]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경영실적자료 |
신한은행은 자산건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이슈 발생 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과 부실채권 매각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고 있으나, 지속되는 글로벌 경제 불안 및 국내 부동산 경기에 대한 우려, 소득 대비 과도한 가계대출 부담, 조선·해운·건설 등 특정 고위험업종 부실화 가능성, 중소기업의 취약한 재무상태를 고려할 때 신한은행의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신한은행의 자산건전성 악화시 당사의 재무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3.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바젤 Ⅲ 제도 하에서 자본적정성 충족 가능성당사의 BIS자본비율은 견조한 이익실현 및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감독당국의 규제수준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당사의 BIS자기자본비율은 16.20%, 기본자본비율은 15.36%,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입니다.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경우 2025년 반기말 기준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18.58%, 기본자본비율은 16.60%, 보통주자본비율은 15.5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은행과 비교하여 볼 때 총자본비율은 국내은행의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한편, 금융위원회는 바젤위원회 권고에 따라 16년부터 D-SIB을 선정하여 추가 자본적립 의무를 부과중입니다. 현재 D-SIB으로 선정된 은행 및 은행지주 모두가 신고서 제출일 기준 최저적립기준인 보통주자본비율 9.0%, 기본자본비율 10.5% 총자본비율 12.5%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기업들의 재무안정성 약화로 기업여신의 건전성이 저하됨에 따라 대손비용 부담으로 인한 자기자본 감소 우려도 존재합니다.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본적정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글로벌 규제 동향을 살펴보면,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은행, 거시건전성 이슈, 위기관리·회생·정리절차 및 지배구조 등을 강화토록 하고 있으며, 선진국 은행에 대해서는 영업규모, 활동 및 이에 따른 리스크의 복잡성 등에 상응하여 은행감독 수준을 고도화 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이 같은 감독 수준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여신 및 자산 성장에 따른 위험가중자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이익실현 및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감독당국의 규제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위험가중치가 낮은 주택담보대출 위주의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위험가중자산 증가 폭이 크지 않은데다, 2016년 4분기부터 적용된 대손준비금의 보통주자본금 인정 영향 등으로 약 1.0%p의 보통주자본비율 상승효과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신한은행은 2016년 이후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및 조건부자본증권(후순위채) 발행을 통하여 자본비율을 강화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기업의 재무안정성 악화 및 대손준비금의 충당금 제외 효과로 대손비용 부담으로 인한 자기자본 감소 우려도 존재하고 있습니다.다만, 은행이 국내 은행업 수위권의 이익창출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익잉여금 증가 및 후순위채 발행 등이 이루어지고 있고, 은행의 영업기조가 리스크관리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어 최근 자본적정성 지표가 개선되는 등 매우 우수한 수준인 은행의 자본적정성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 신한은행 자본비율 및 BIS자본비율 내역 ] | (단위 : 억원) |
| 관련지표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총자본합계 | 404,535 | 389,542 | 359,005 |
| 기본자본계 | 361,463 | 338,560 | 310,181 |
| 보통주자본 | 338,978 | 317,674 | 290,295 |
| 위험가중자산 | 2,177,622 | 2,219,478 | 1,985,849 |
| 총자본비율 | 18.58% | 17.55% | 18.08% |
| 기본자본비율 | 16.60% | 15.25% | 15.62% |
| 보통주자본비율 | 15.57% | 14.31% | 14.62% |
| (주1) 자본비율은 2025년 2분기말 BIS 비율 기준 잠정치임 |
| (주2) 대출채권의 구성현황 및 손상정보는 'III.재무에 관한 사항 - 5.재무제표 주석 - 3.금융상품 위험관리' 참고 |
| 출처 : 신한은행 2025년 반기보고서 |
2025년 3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평균 자기자본비율은 15.68%, 기본자본비율은 14.53%, 보통주자본비율은 13.20%이며,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15.97%, 기본자본비율은 15.03%, 보통주자본비율은 13.27%로 규제비율을 상회하며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현황] |
(단위 : %, %p) |
| 항 목 | 2022년말 | 2023년말 |
2024년말 (a) |
2025.3월말p (b) |
변동 (b-a) |
|---|---|---|---|---|---|
| 보통주자본비율 | 12.61 | 13.05 | 13.07 | 13.20 | 0.13 |
| 기본자본비율 | 13.91 | 14.35 | 14.38 | 14.53 | 0.14 |
| 총자본비율 | 15.29 | 15.72 | 15.6 | 15.68 | 0.08 |
|
주1) 은행지주회사(신한, 하나, KB, 우리, 농협, DGB, BNK, JB) 8개사 및 비지주은행(SC, 씨티, 산업, 기업, 수출입, 수협, 케이, 카카오, 토스) 9개 기준(이하 "국내은행")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_25.3월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_2025.05.28 |
2016년 1월부터 자본보전완충자본, 경기대응완충자본 규제가 도입된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최근 은행업감독규정 및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개정을 통해 국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 선정 및 추가자본 부과 근거를 마련하고 시스템적 중요도 평가를 거쳐 D-SIB을 선정해 오고 있습니다. 2016년 12월 28일 제 23차 금융위원회에서는 신한금융지주를 포함한 4개 은행지주회사와 신한은행을 포함한 6개 은행을 2017년도 D-SIB으로 선정ㆍ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2016년부터 D-SIB 추가자본(보통주자본 1%를 2016년부터 4년간 매년 0.25%씩 단계적으로 적립하여 2019년부터는 1%를 적용)을 적립하여야 합니다. 금융위원회는 2021년 7월 13일 신한금융지주를 포함한 5개 은행지주회사와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을 포함한 5개 은행을 2022년도 D-SIB으로 선정ㆍ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7월 5일 발표한 2024년 D-SIB 금융기관 선정 결과 또한 기존 5개 은행(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및 5개 은행지주회사(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로 선정되었습니다. 2024년 7월 10일 발표한 2025년도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 및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 선정 결과 또한 2024년도와 동일하며, 2025년도 D-SIB에 선정된 10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5개 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및 5개 은행지주회사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와 동일하게 26년도 D-SIB 선정결과를 보도하였습니다. 2025년과 동일함에 따라 금번 D-SIB 선정으로 발생하는 실질적인 자본 적립 부담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BIS자기자본비율 규제] |
| (단위 : %) |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5월 1일 이전 | 2024년5월 1일 이후 |
| 최저규제 보통주자본비율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 +) 자본보전완충자본 | 0.625 | 1.25 | 1.875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 +) D-SIB 은행 | 0.25 | 0.5 | 0.75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 +) 경기대응완충자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0 |
| 최저규제 기본자본비율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 최저규제 총자본비율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 D-SIB 은행 최저규제비율 | ||||||||||
| 보통주자본비율 | 5.375 | 6.25 | 7.125 | 8.0 | 8.0 | 8.0 | 8.0 | 8.0 | 8.0 | 9.0 |
| 기본자본비율 | 6.875 | 7.75 | 8.625 | 9.5 | 9.5 | 9.5 | 9.5 | 9.5 | 9.5 | 10.5 |
| 총자본비율 | 8.875 | 9.75 | 10.625 | 11.5 | 11.5 | 11.5 | 11.5 | 11.5 | 11.5 | 12.5 |
| 주1) 자본보전완충자본 : 모든 은행에 상시적으로 2.5%의 완충자본 부과(은행업감독규정 제26조제4항)주2) 경기대응완충자본 : 2024.5.1부터 1% 부과주3) 추후에 경기대응완충자본, 자본보전완충자본에 관한 내용 및 D-SIB 재선정 관련 이슈 발생 시 이후 비율은 변동이 있을 수 있음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재구성 |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국내 은행업 내에서 가장 높은 이익창출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익잉여금 증가 및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등이 이루어지고 있고, 영업기조가 리스크 관리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수한 자본적정성 지표를 감안할 때 자본규제의 단계적 강화에 따른 실질적인 부담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기업의 재무안정성 약화로 기업여신의 건전성이 저하됨에 따라 대손비용 부담으로 인한 자본비율 훼손 우려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신한금융지주 및 신한은행의 자본적정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 가-4.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조달비용 상승 가능성 분석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금 조달 중 대부분은 예수금(원화+외화)이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그 비중은 68.75% 입니다. 그 중 원화자금 예수금의 전체 조달대비 비중은 63.24%로 전체 조달 비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외 시장금리는 국내외 경제 및 정치적 상황과 통제 불가능한 다양한 시장 변수들로 인해 그 방향성의 예측이 어려우며, 향후 금리변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는 자금 조달 비용과 연결되어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연결재무에도 영향을 미쳐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 이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2년 6월 미국 FOMC에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며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0.75%~1.00%에서 1.50%~1.75%로 인상되었습니다. 2022년 7월, 9월 미국 FOMC에서는 6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였으며, 11월 재차 인상하여 3.75~4.00%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이후 12월 FOMC에서 추가적으로 0.5%p인상하였습니다.미국은 높은 물가 상승 압박과 함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2023년 2월 기준 FOMC는 금리 0.25%p 인상을 결정하였고 2023년 3월 23일, 물가안정과 SVB 등 은행 파산에 대응하는 금융안정 사이에서 또 다시 베이비스텝을 유지하며 0.25%p 추가 인상을 결정, 2023년 5월 4일 FOMC에서도 기준금리를 0.25%p 인상을 결정하였습니다. 2023년 6월 15일 FOMC는 15개월 만에 금리를 동결하였으나, 2023년 7월 26일 다시 0.25%p 추가 인상을 결정하여 22년만에 최고치의 금리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이후 2024년 6월 FOMC까지 연준은 7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하였으나, 점도표 상의 기준금리 전망치를 4.6%에서 5.1%로 상향 조정하며 연내 기준금리 1회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2024년 8월 진행된 FOMC에서 연준은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하였으며 금리인하를 위한 완화적 입장을 제시하였으나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는 더 큰 확신을 가질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하지 않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한편, 2024년 8월 진행된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은 현재 고용시장은 이전 과열 상태에서 상당히 냉각됐다며 정책 제약을 적절히 조정하면 경제가 강력한 고용시장을 유지하며 2% 물가상승률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9월 FOMC에서 연준은 통화정책의 전환을 결정하며 기준금리를 0.50%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였으며, 2024년 11월 및 12월 FOMC에서 각 0.25%p 금리 인하를 결정하였고, 12월 점도표를 통해 2025년 금리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3.9%로 상향 조정하면서 내년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 전망 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1월 FOMC를 통해 통화정책의 핵심 기준이 고용에서 다시 물가지표로 이동하였으며, 트럼프 신정부 정책(관세, 이민자 정책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통화정책 경로에 중요한 변수로 작동할 것임을 시사하였습니다. 2025년 3월 FOMC에서도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경제 활동은 견조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2025년 5월 FOMC에서도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증대되어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으며, 현재의 통화정책이 다소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2025년 6월 회의에서 FOMC는 최근 관세 인상이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며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었다고 진단하는 한편, 고용시장 둔화에 따른 실업률 상승 가능성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적하였습니다. 2025년 7월 FOMC에서는 최근 지표들은 올해 상반기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완만해졌음을 보여주었지만,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후 2025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둔화의 위험을 강조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국내의 경우 2021년 6월부터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며, 2022년 11월까지 3.25%로 인상되었습니다. 2022년말 레고랜드 사태에 따른 크레딧 금리 급등에도 불구,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에 동반한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2023년도에도 지속되어 1월 금통일 역시 0.25%p 인상하였습니다. 2023년 2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4월 금통위에서는 3월 발생한 SVB, CS 파산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정성 확대를 지적하며 만장일치로 동결을 결정하였으나, 기자회견에서 총재는 5명의 위원은 추가 인상의 여지를 열어두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후 5월, 7월 및 8월 금통위에서도 동결을 결정하였으나,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우려하며 3.75%까지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10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의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얘기하며 기준금리 동결을 유지하였습니다. 11월 금통위에서도 한은은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 금융시장 불안도 여전해 금리를 올리기가 어렵고, 가계부채물가 잠재 위험과 미국과의 금리차 등 때문에 내리기도 쉽지 않다는 이유로 기준금리 동결을 유지하였습니다. 이같은 동결 기조는 2024년 1월, 2일, 4월, 5월, 7월 및 2024년 8월까지 유지되었으나, 2024년 10월 금통위에서는 38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고 언급하며 정책 긴축 정도를 소폭 축소하고 그 영향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11월 금통위에서는 시장 예상을 깨고 추가로 25%p를 낮춰 두 달 연속 금리 인하를 결정했습니다. 2025년 1월 금통위에서는 국내 정치 상황과 주요국 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라 경제전망 및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며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2025년 2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단행하였으며 4월 금통위에서는 동결을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진행한 5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발표하였습니다. 가장 최근에 진행한 7월 금통위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을 발표하여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영업일 기준 한국의 기준금리는 2.50%를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 금리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글로벌 채권금리의 변동성은 주요 선진국들의 경기회복세에 따른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등 지정학적 리스크 및 미국, 유럽 은행권 불안 등에 따라 확대될 가능성은 높으나, 우량 크레딧 시장은 투자매력도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향후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선별적인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개별회사의 신용도 및 재무안정성을 바탕으로 최근 재무실적이 저조한 회사 또는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이 있는 회사에 대한 투자 심리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반기말 신한은행의 평균 원화 조달비용은 2.53%로 2024년말 2.84%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원화 및 외화 예수금 평균 조달금리는 각각 2.28%로 2024년말 2.56%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금 조달 중 대부분은 예수금(원화+외화)이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그 비중은 68.75%입니다. 그 중 원화자금 예수금의 전체 조달대비 비중은 63.24%로 전체 조달 비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자금조달 중 원화와 외화 조달로 나누어 보면 원화 자금 조달이 차지하는 비중은 76.65%, 외화 자금 조달이 차지하는 비중은 9.61%로 원화 자금 조달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신한은행 자금조달 및 운용 현황] |
| (단위 : 억원, %) |
| 구 분 | 제194기 반기 | 제193기 | 제192기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 수 금 | 3,090,095 | 63.24 | 36,940 | 2.41 | 2,971,471 | 63.50 | 79,573 | 2.68 | 2,823,858 | 64.46 | 77,231 | 2.73 |
| C D | 85,322 | 1.75 | 1,510 | 3.57 | 96,463 | 2.06 | 3,999 | 4.15 | 110,435 | 2.52 | 4,538 | 4.11 | ||
| 차 입 금 | 140,108 | 2.87 | 1,554 | 2.24 | 122,690 | 2.62 | 3,238 | 2.64 | 125,297 | 2.86 | 3,083 | 2.46 | ||
| 원화콜머니 | 13,574 | 0.28 | 185 | 2.74 | 11,054 | 0.24 | 384 | 3.48 | 13,311 | 0.3 | 457 | 3.44 | ||
| 기 타 | 416,339 | 8.52 | 6,891 | 3.34 | 389,240 | 8.32 | 14,733 | 3.79 | 278,461 | 6.36 | 10,552 | 3.79 | ||
| 소 계 | 3,745,437 | 76.65 | 47,079 | 2.53 | 3,590,918 | 76.74 | 101,927 | 2.84 | 3,351,362 | 76.5 | 95,861 | 2.86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269,268 | 5.51 | 3,740 | 2.8 | 250,674 | 5.36 | 7,850 | 3.13 | 232,369 | 5.3 | 6,649 | 2.86 | |
| 외화차입금 | 88,987 | 1.82 | 1,537 | 3.48 | 85,996 | 1.84 | 3,739 | 4.35 | 92,477 | 2.11 | 3,810 | 4.12 | ||
| 외화콜머니 | 8,060 | 0.16 | 181 | 4.52 | 10,635 | 0.23 | 563 | 5.29 | 13,288 | 0.3 | 689 | 5.18 | ||
| 사 채 | 98,653 | 2.02 | 2,804 | 5.73 | 94,099 | 2.01 | 5,911 | 6.28 | 86,432 | 1.97 | 5,081 | 5.88 | ||
| 기 타 | 4,743 | 0.1 | 0 | 0 | 4,249 | 0.09 | - | - | 3,797 | 0.09 | - | - | ||
| 소 계 | 469,710 | 9.61 | 8,262 | 3.55 | 445,653 | 9.52 | 18,063 | 4.05 | 428,364 | 9.78 | 16,228 | 3.79 | ||
| 원가성 자금 계 | 4,215,147 | 86.26 | 55,341 | 2.65 | 4,036,572 | 86.26 | 119,990 | 2.97 | 3,779,726 | 86.28 | 112,089 | 2.97 | ||
| 기 타 | 자 본 총 계 | 340,479 | 6.97 | - | - | 323,832 | 6.92 | - | - | 303,494 | 6.93 | - | - | |
| 충 당 금 | 4,159 | 0.09 | - | - | 5,966 | 0.13 | - | - | 3,560 | 0.08 | - | - | ||
| 기 타 | 326,634 | 6.68 | - | - | 313,238 | 6.69 | - | - | 294,132 | 6.71 | - | - | ||
| 무원가성 자금 계 | 671,272 | 13.74 | - | - | 643,036 | 13.74 | - | - | 601,186 | 13.72 | - | - | ||
| 조 달 계 | 4,886,419 | 100 | 55,341 | 2.28 | 4,679,608 | 100.00 | 119,990 | 2.56 | 4,380,912 | 100 | 112,089 | 2.56 | ||
| 운용 | 원화자금 | 예 치 금 | 273 | 0.01 | 2 | 1.49 | 1,132 | 0.02 | 38 | 3.35 | 3,272 | 0.07 | 114 | 3.47 |
| 유 가 증 권 | 823,390 | 16.85 | 15,244 | 3.73 | 800,451 | 17.11 | 28,120 | 3.51 | 774,437 | 17.68 | 23,263 | 3 | ||
| 대 출 금 | 3,226,326 | 66.03 | 65,985 | 4.12 | 3,086,252 | 65.95 | 139,615 | 4.52 | 2,845,983 | 64.96 | 135,116 | 4.75 | ||
| (가계대출금) | 1,398,799 | 28.63 | 29,188 | 4.21 | 1,347,866 | 28.80 | 60,725 | 4.51 | 1,286,210 | 29.36 | 60,617 | 4.71 | ||
| (기업대출금) | 1,821,394 | 37.27 | 36,797 | 4.07 | 1,733,052 | 37.03 | 78,890 | 4.55 | 1,555,006 | 35.5 | 74,499 | 4.79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53 | 0 | 0 | 0.53 | 58 | 0.00 | 1 | 0.88 | 94 | 0 | 1 | 0.67 | ||
| 원 화 콜 론 | 2,226 | 0.05 | 31 | 2.8 | 3,475 | 0.07 | 116 | 3.33 | 1,814 | 0.04 | 65 | 3.59 | ||
| 사 모 사 채 | 15 | 0 | 0 | 2.55 | 76 | 0.00 | 12 | 15.69 | 420 | 0.01 | 46 | 10.9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카 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 타 | 7,056 | 0.14 | 550 | 15.72 | 7,107 | 0.15 | 1,153 | 16.22 | 6,842 | 0.16 | 1,170 | 17.1 | ||
| 원화대손충당금(△) | 20,256 | 0.41 | - | - | 20,219 | 0.43 | - | - | 18,568 | 0.42 | - | - | ||
| 소 계 | 4,039,085 | 82.66 | 81,812 | 4.08 | 3,878,331 | 82.88 | 169,053 | 4.36 | 3,614,295 | 82.5 | 159,774 | 4.42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67,215 | 1.38 | 1,094 | 3.28 | 57,879 | 1.24 | 2,218 | 3.83 | 47,641 | 1.09 | 1,611 | 3.38 | |
| 외 화 증 권 | 146,079 | 2.99 | 2,776 | 3.83 | 126,007 | 2.69 | 5,257 | 4.17 | 104,808 | 2.39 | 3,738 | 3.57 | ||
| 대 출 금 | 215,498 | 4.41 | 5,489 | 5.14 | 202,276 | 4.32 | 11,487 | 5.68 | 204,320 | 4.66 | 10,695 | 5.23 | ||
| 외 화 콜 론 | 30,496 | 0.62 | 676 | 4.47 | 26,400 | 0.56 | 1,415 | 5.36 | 46,342 | 1.06 | 2,446 | 5.28 | ||
| 매 입 외 환 | 59,319 | 1.21 | 1,322 | 4.49 | 66,453 | 1.42 | 3,511 | 5.28 | 59,574 | 1.36 | 3,138 | 5.27 | ||
| 기 타 | 362 | 0.01 | - | - | 368 | 0.01 | - | - | 360 | 0.01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1,285 | 0.03 | - | - | 1,682 | 0.04 | - | - | 1,819 | 0.04 | - | - | ||
| 소 계 | 517,685 | 10.59 | 11,357 | 4.42 | 477,702 | 10.21 | 23,889 | 5.00 | 461,225 | 10.53 | 21,628 | 4.69 | ||
| 수익성 자금 계 | 4,556,769 | 93.25 | 93,169 | 4.12 | 4,356,032 | 93.09 | 192,942 | 4.43 | 4,075,520 | 93.03 | 181,401 | 4.45 | ||
| 기타 | 현 금 | 11,990 | 0.25 | - | - | 11,844 | 0.25 | - | - | 11,815 | 0.27 | - | - | |
| 업무용 유형자산 | 29,374 | 0.6 | - | - | 29,954 | 0.64 | - | - | 29,617 | 0.68 | - | - | ||
| 기 타 | 288,286 | 5.9 | - | - | 281,779 | 6.02 | - | - | 263,961 | 6.03 | - | - | ||
| 무수익성 자금 계 | 329,650 | 6.75 | - | - | 323,576 | 6.91 | - | - | 305,393 | 6.97 | - | - | ||
| 운 용 계 | 4,886,419 | 100 | 93,169 | 3.84 | 4,679,608 | 100.00 | 192,942 | 4.12 | 4,380,912 | 100 | 181,401 | 4.14 | ||
| (주1) | K-IFRS 별도재무제표 기준 |
| (주2) | 가계대출금에는 재형저축자금대출금, 재형자금 급부금, 농어가사채대체자금 대출금 포함. |
| (주3) | 기업대출금에는 공공 및 기타자금대출금, 차관자금대출금, 국민주택기금대출금, 은행간대여금을 포함 |
| (주4) | 원화 및 외화 대손충당금은 운용부문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 |
| 출처: 신한은행 반기보고서 | |
하지만, 시장 금리는 국내외 경제 및 정치적 상황과 통제 불가능한 다양한 시장 변수들로 인해 그 방향성의 예측이 어려우며, 향후 시장 금리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자금 조달의 상당부분을 원화자금 예수금 비롯한 원화자금 차입이 차지하고 있는 바, 이는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점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5. 자회사 신한은행 회사 위험 : 성장성 제한 가능성 기준금리 인상 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상환부담 증가 및 부실화 우려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정부는 '2017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8.2)'대책, '2017년 가계부채 종합대책(10.24)', '2018년 주택시장 안정대책(9.13)', '2019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 '2020년 투기수요 차단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 기조 강화(02.20)', '2020년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7.10)',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관리방안(11.13)' 등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월에는 신DTI 도입, 10월에는 DSR 시행 등 정부의 가계부채 완화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저금리 기조하에 부동산 시장 불안정과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급등하고 금융불균형이 심화되자, 2021년 가계부채 관리 방안(04.29),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10.26)을 발표하였습니다. '21년 하반기 이후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창구지도, 한은의 금리인상('21.8월, '21.11월, '22.01월, '22.04월, '22.05월, '22.07월)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급증세는 안정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22년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4~5%대의 안정화된 수준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단계적 정상화 계획하였으며, 이후 2023년에는 금리 인상의 영향을 감안해 대출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2024년부터 부동산 가격 안정화 및 금융 건전성 유지를 위해 LTV, DSR규제를 유지하는 한편, 서민층 및 취약차주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였습니다. 가계부채 관리 대책 정책 도입에 따라 향후 가계부채 성장둔화가 예상되며 이는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채 관련 정책 외에 시중은행 예대율 규제 등의 정부 정책과 대내외 경기 회복세 둔화에 따른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국내 은행의 리스크 관리가 강화는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신한은행의 성장성 둔화 위험이 존재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부동산 업황 호조로 시중은행들의 대출채권 자산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신한은행이 보유중인 대출채권 자산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예대율 규제(100% 이하)가 유지되고 있고, 경영전략이 외형경쟁보다는 리스크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어 향후에는 시중은행들이 공격적인 대출영업은 자제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신한은행 자산구성 및 대출채권 증가 현황]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
총자산 |
567,584,934 | 556,691,161 | 508,497,276 | 491,981,392 | 467,435,213 | 427,675,103 | 392,723,044 |
|
현금 및 예치금 |
32,288,361 | 32,161,687 | 28,056,776 | 22,569,882 | 22,780,127 | 27,575,748 | 24,049,832 |
|
유가증권 |
111,287,435 | 107,010,531 | 104,991,639 | 98,352,474 | 93,800,059 | 81,357,389 | 79,623,940 |
| 유형자산 | 2,484,830 | 2,614,780 | 2,518,593 | 2,537,482 | 2,487,385 | 2,449,865 | 2,465,289 |
|
대출채권 |
386,079,147 | 388,613,175 | 349,178,953 | 345,271,492 | 326,827,656 | 298,749,201 | 269,041,255 |
|
기타자산 |
35,445,161 | 26,290,988 | 23,751,315 | 23,250,062 | 21,539,986 | 17,542,900 | 17,542,728 |
|
대출채권 증가율 |
-0.65% | 11.3% | 1.1% | 5.6% | 9.4% | 11.0% | 6.8% |
| 출처 : 신한은행 각 사업연도 보고서 |
| [신한은행 원화대출금 구조]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3월말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
| 기업자금 | 176,365,242 | 174,959,772 | 155,639,267 | 146,743,074 | 131,801,451 |
| 대기업 | 34,632,683 | 34,353,831 | 25,699,924 | 20,435,693 | 14,501,211 |
| 중소기업 | 141,732,559 | 140,605,940 | 129,939,343 | 126,307,381 | 117,300,240 |
| 개인사업자 | 69,739,340 | 69,391,857 | 65,732,267 | 64,482,622 | 61,298,359 |
| 가계자금 | 139,403,883 | 139,435,765 | 129,617,844 | 130,603,053 | 135,589,158 |
| 주택담보 | 109,190,138 | 108,410,981 | 95,730,372 | 92,573,918 | 90,724,774 |
| 신용대출 등 | 30,213,745 | 31,024,784 | 33,887,472 | 38,029,135 | 44,864,384 |
| 공공 및 기타자금 대출 | 4,972,443 | 5,079,001 | 4,247,080 | 3,680,404 | 3,387,079 |
| 원화대출금 | 320,741,568 | 319,474,538 | 289,504,191 | 281,026,531 | 270,777,688 |
| 주) 은행간 대여금 제외한 수치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기준금리 인상 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상환부담 증가 및 부실화 우려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내놓은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가계부채 종합대책 및 이의 후속 대책인 8.27 부동산 대책, 9.13 주거 안정화 대책,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7.10) 등은 신한은행의 운용자산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출자산 성장세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가계부채 관리 대책 정책 도입에 따라 향후 가계부채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이는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무역전쟁, 글로벌 경제 성장세의 둔화 등으로 인한 대내외 경기 둔화에 따라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국내 은행의 리스크 관리가 강화될 경우 국내 시중은행의 성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나. 자회사 신한카드의 재무상태 및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카드는 당사 순이익의 약 9.85%를 차지해 신한은행 다음으로 당사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4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0% 감소하였습니다. 연결 당기순이익 감소는 조달비용 상승,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확대, 회원 인프라 투자에 따른 판관비 부담 증가 등에 기인합니다. 2025년 6월말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1%p 하락한 1.50%를 기록하였습니다. 감독당국의 연체 이자율 규제 강화, 금융상품 최고이자율 20% 제한 등의 규제 변경 및 가맹점의 수수료 인하 요구, 글로벌 경제 저성장 기조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의 이벤트 는 신한카드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신용카드업은 지급결제 수단으로서의 공적 기능에 대한 인식 확대 및 향후 경제전망과 규제환경을 고려할 때 고객기반 확보와 철저한 리스크관리 및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유지가 중요한 산업입니다. 신한카드의 수익성 및 성장성은 각종 규제와 국내 소비 둔화 등에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또한 수익기반 확보를 위해 업계 공통적으로 장 ·단기 카드대출 중심의 현금대출 영업을 확대하고 있어, 향후 금리 상승 시 과다차입 가계와 저신용 고객에 대한 현금대출은 자산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신한카드는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신한금융지주 당기순이익의 약 9.85%를 차지해 신한은행 다음으로 신한금융지주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46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5.0% 감소하였습니다. 연결 당기순이익 감소는 조달비용 상승,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확대, 회원 인프라 투자에 따른 판관비 부담 증가 등에 기인합니다. 2025년 6월말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1%p 하락한 1.50%를 기록하였습니다. 신한카드의 주요 사업은 신용카드 사업이며 신한카드의 별도기준 영업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416.6 | 2,772.8 | 2,636.5 | |
| 예치금이자 | 1.8 | 4.3 | 3.9 | ||
| 유가증권이자 | 4.8 | 10.0 | 10.3 | ||
| 대출채권이자 | 170.1 | 350.2 | 315.4 | ||
| 기타이자수익 | 1,239.9 | 2,408.3 | 2,307.0 | ||
| 이자비용(△) | 512.8 | 988.6 | 883.8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139.1 | 288.8 | 286.9 | ||
| 사채이자 | 360.1 | 672.9 | 574.6 | ||
| 기타이자비용 | 13.7 | 26.8 | 22.2 | ||
| 소계 | 903.7 | 1,784.2 | 1,752.7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978.9 | 2,042.6 | 2,039.2 | |
| 수수료비용(△) | 659.7 | 1,307.6 | 1,275.4 | ||
| 소계 | 319.2 | 734.9 | 763.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526.2 | 884.7 | 438.6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4.6 | 49.6 | 47.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5.3 | 6.6 | 7.3 | ||
| 외환거래이익 | 244.2 | 87.1 | 54.3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6.3 | 328.0 | 33.3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255.9 | 413.4 | 296.3 | ||
| 기타영업비용 | 1,096.7 | 1,923.6 | 1,475.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6.8 | 1.8 | 2.2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481.3 | 872.0 | 816.7 | ||
| 제충당금 전입액 | 8.5 | -19.3 | -7.3 | ||
| 외환거래손실 | 25.6 | 366.1 | 44.4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201.5 | 7.3 | 1.9 | ||
| 기타 | 373.0 | 695.7 | 617.3 | ||
| 소계 | -570.4 | -1,038.9 | -1,036.7 | ||
| 부문별 이익 합계 | 652.5 | 1,480.2 | 1,479.8 | ||
| 일반관리비(△) | 357.6 | 752.8 | 685.6 | ||
| 영업이익 | 294.9 | 727.4 | 794.1 | ||
| 영업외이익 | 10.7 | 21.1 | 11.4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10.7 | 21.1 | 11.4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305.6 | 748.5 | 805.6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68.3 | 186.3 | 179.7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237.3 | 562.2 | 625.8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
신한카드는 2025년 6월말 기준 실질회원 2,044만명(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회원 기준), 가맹점수 197만점(가동 가맹점 기준)을 기반으로, 2025년 6월말 기준 연결누적순이익 2,466 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또한, 금융그룹 카드사로서 그룹사간 시너지를 활용한 상품 출시(SOL트래블/모임통장 등), 은행 영업점 등을 활용한 영업 네트워크 이점과 더불어, 그룹 차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안정적인 재무적 지원 등을 기반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3월말 기준 신한카드는 시장 1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이용실적 비중 2위인 현대카드와의 점유율 격차는 0.6%p에 불과한 상황이며, 격화되는 시장 경쟁 상황 및 시장 지위 1위 유지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을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카드사별 신용카드 이용실적] |
| (단위: 백만원, %) |
| 금융회사명 | 2025년 3월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
| 실적 | 비중 | 실적 | 비중 | 실적 | 비중 | 실적 | 비중 | 실적 | 비중 | |
| 신한카드 | 47,260,515 | 19.9% | 188,303,848 | 19.9% | 182,139,993 | 20.2% | 175,552,745 | 20.6% | 162,692,314 | 21.4% |
| 삼성카드 | 43,078,863 | 18.2% | 165,621,013 | 17.5% | 164,843,735 | 18.3% | 160,721,921 | 18.9% | 140,204,785 | 18.5% |
| 현대카드 | 45,749,116 | 19.3% | 179,853,940 | 19.0% | 160,122,007 | 17.7% | 142,771,591 | 16.8% | 125,082,452 | 16.5% |
| KB국민카드 | 36,527,206 | 15.4% | 148,354,285 | 15.7% | 144,833,926 | 16.0% | 144,704,819 | 17.0% | 127,869,589 | 16.8% |
| 롯데카드 | 27,052,629 | 11.4% | 109,729,332 | 11.6% | 100,078,192 | 11.1% | 89,973,172 | 10.6% | 78,714,673 | 10.4% |
| 하나카드 | 17,293,156 | 7.3% | 71,009,499 | 7.5% | 69,359,849 | 7.7% | 63,601,531 | 7.5% | 54,649,141 | 7.2% |
| 우리카드 | 18,599,829 | 7.8% | 78,981,485 | 8.3% | 78,722,511 | 8.7% | 72,733,864 | 8.5% | 69,700,353 | 9.2% |
| 비씨카드 | 1,526,154 | 0.6% | 4,886,504 | 0.5% | 2,892,507 | 0.3% | 1,414,536 | 0.2% | 826,792 | 0.1% |
| 합계 | 237,087,468 | 100.0% | 946,739,906 | 100.0% | 902,992,720 | 100.0% | 851,474,179 | 100.0% | 759,740,099 | 100.0% |
| 주1) 일시불, 할부,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의 신용카드 이용실적 누계임주2) 체크카드 및 해외회원 이용실적은 제외됨 |
| 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2016년 이후 카드시장 현황은 영세/중소 가맹점의 우대 가맹점수수료율 재인하로 인한 가맹점수수료 수익증가율 감소세 지속, 금융당국의 중금리대출 활성화 정책과 법정 최고금리 인하, 핀테크 활성화로 인한 카드사의 카드론 대출시장 경쟁 심화, 신규 수익원 확보를 위한 국세 및 지방세 납부,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 기존 현금사용 영역의 카드결제 확대 및 해외 진출 등 카드산업 확대의 움직임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2025년 2월 14일부터 영세, 중소신용카드가맹점은 새로운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되고 있으며, 가맹점수수료가 신용카드사의 영업수익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신용카드업계의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가맹점수수료율 인하는 신용카드사의 수익구조, 가맹점 구성 등에 따른 차등이 있으나 전반적인 수익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카드산업은 시장의 규모와 전반적인 영업에 있어 정부의 정책 및 규제의 변화와 IT기술의 발달, 소비자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신용위험 수준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닙니다. 더불어 감독당국의 연체 이자율 규제 강화, 금융상품 최고이자율 20% 제한 등의 규제 변경 및 가맹점의 수수료 인하 요구, 글로벌 경제 저성장 기조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의 이벤트는 신한카드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입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 자회사 신한투자증권의 수익성 악화 및 법령위반 위험당사의 자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 3,207억원, 2022년 4,1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고, 2023년 1,009억원, 2024년 1,792억원,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589억원으로 전년동기 2,072억원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증권업종의 특성상 대외경제를 포함한 금융시장변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실적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향후 실물경기 침체 및 금리변동성 등 금융시장변화가 발생할 경우 주식시황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인해 신한투자증권을 포함하여 증권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실적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증권산업의 수익성 둔화 가능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바, 투자자께서는 투자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라임사태 및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 판매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의 제재를 받았으며, 각종 법령 위반으로 제재 조치, 과태료 부과 등이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한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당사의 이미지 실추와 내부통제 강화와 제재조치로 인하여 영업활동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신한투자증권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589억원으로 전년동기 2,072억원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는 다음과 같은 사업라인을 통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신한투자증권 주요 사업부문] |
|
구분 |
서비스 제공 내용 |
|---|---|
| 자산관리총괄 | 증권중개, 투자자문, 재정계획, 자산관리, 신용공여, 금융상품 판매,디지털 자산관리 등의 서비스 제공 등 |
| CIB총괄 | IPO (기업공개), M&A 자문, 채권발행, 증자, ABS 발행, CB 및 BW 발행, 부동산 및 SOC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
| S&T그룹 | 주식운용, 파생상품운용, 채권운용,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 및판매, 자기자본투자, RP운용, 국내/외 법인 고객 대상으로 증권중개, 투자자문, 자산관리, 투자자금대출, 금융상품 판매, 증권 분석 등의 서비스 제공 등 |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6월말 기준 총자산 49.5조원, 자본총액 5.6조원의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60개 국내영업망(지점 34개, PWM센터 25개, 영업소1개)과 4개 해외영업망(현지법인 4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산관리총괄에서는 개인 및 기업 고객 대상으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IB총괄에서는 부동산투자와 대체투자, DCM, ECM 등 기업금융업무를 통해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각 사업그룹별로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과 고객기반 확대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S&T그룹에서는 자기자본 투자와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상품을 제조 및 공급하고,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증권 및 파생상품 중개, 금융상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산관리총괄에서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고객의 매매방식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오프라인 채널(지점)과 온라인 채널(MTS, HTS)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채널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우수한 상품공급을 위해 상품의 제조, 출시, 판매 全과정의 점검체계를 정비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평가체계의 핵심항목으로 선정하여,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금융시장 내 개인 및 법인고객의 투자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채널 全부문의 직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내부 제도를 정비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홀세일그룹에서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증권 및 파생상품 중개, 금융상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거래 기관과의 지속적 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대내외적 상품 공급 채널 확대 등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T(Sales&Trading)그룹은 운용 전략 및 투자 자산의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절대수익을 추구하고, 시장선도 상품을 공급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GIB(Group&Global Investment Banking)총괄에서는 부동산투자와 대체투자, DCM, ECM 등 기업금융업무를 통해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각 사업그룹별로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과 고객기반 확대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반기 누적 2,589억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였습니다.
| <2025년 반기>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자산관리총괄 | CIB총괄 | S&T그룹 | 기타 | 합 계 |
|---|---|---|---|---|---|
| 수수료손익 | 218,969 | 114,379 | 51,963 | -72,488 | 312,823 |
| 상품/이자손익 등 | 68,507 | -36,414 | 191,578 | 201,921 | 425,591 |
| 판매비와관리비 | 228,184 | 84,818 | 120,163 | -41,282 | 391,883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59,291 | -6,853 | 123,378 | 170,715 | 346,531 |
| 법인세비용(수익) | 15,653 | -1,809 | 32,572 | 41,243 | 87,658 |
| 당기순이익 | 43,638 | -5,044 | 90,806 | 129,472 | 258,873 |
| 비중(주1) | 34% | -4% | 70% | - | 100% |
| (주) 연결재무제표 기준(주1) 비중은 기타부문 제외한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산출출처 : 신한투자증권 2025년 반기보고서 |
| <2024년 반기>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자산관리총괄 | 홀세일그룹 | GIB1,2그룹 | S&T그룹 | 기타 | 합 계 |
|---|---|---|---|---|---|---|
| 수수료손익 | 223,586 | 70,638 | 106,261 | 15,955 | -120,666 | 295,774 |
| 상품/이자손익 등 | 49,882 | -12,019 | -66,370 | 213,595 | 181,535 | 366,623 |
| 판매비와관리비 | 216,720 | 31,065 | 84,418 | 88,373 | -23,333 | 397,243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56,748 | 27,554 | -44,527 | 141,177 | 84,202 | 265,154 |
| 법인세비용(수익) | 14,981 | 7,274 | -11,755 | 37,271 | 10,223 | 57,994 |
| 당기순이익 | 41,767 | 20,280 | -32,772 | 103,906 | 73,979 | 207,160 |
| 비중(주1) | 31% | 15% | -25% | 79% | - | 100% |
| (주) 연결재무제표 기준(주1) 비중은 기타부문 제외한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산출출처 : 신한투자증권 2025년 반기보고서 |
사업부문별 영업실적을 살펴보면 자산관리총괄은 2025년 반기 기준 60개의 국내 영업망과 4개의 해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누적 당기순이익 436억을 기록하였습니다.
디지털 비대면 중심 거래증가, 수수료율 하락 등 업황 변화에 민감한 자산관리총괄에서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위해, 온/오프라인 채널의 연계성 강화, 비대면 고객관리를 위한 전담 상담조직 신설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채널 전반적으로 PB전문성 및 역량강화를 지속하고, 포트폴리오 기반의 안정성 있는 자산관리 제공을 통해 채널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CIB총괄은 제27기 반기 누적 5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시현하였습니다. CIB1그룹은 그룹사 간 협업을 통해 사업영역 확장 및 차별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IB2그룹은 내/외부 시너지 강화를 통해 커버리지 확대 등 전통영역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S&T그룹은 제27기 반기 누적 90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였습니다. 안정적인 투자매매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강화된 리스크관리를 바탕으로 시장변동성확대에 대비한 시나리오별 운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5년도 경영방침을 '정상화를 위한 근본체계 재정비'라고 정하고,
조직문화와 업무프로세스, 사업라인을 재정비하기 위한 6가지 핵심과제를 수립하였습니다. 조직문화 부문에서는 '직업윤리와 책임의식 재정립을 통한 조직기강 확립',
업무프로세스 부문은 'Zero base에서 업무프로세스 전면 재구축'과'AI/Tech 기반 사전적 내부통제 구현'을 추진합니다. 사업라인 부문에서는 'Capital Light Biz 집중'과 'ROC 관점 자본활용 효율화', '핵심 Biz 외 영역에 대한 사업축소 및 중단'을 역량 집중할 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익비중이 주식중개에 집중되어 있어 시장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수익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거래대금 감소 등 시장환경 악화시 신한투자증권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분들께서는 투자시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본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신한투자증권은 라임사태 및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 판매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의 제재를 부과받았으며, 검찰 조사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1) 라임사태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Prime Brokerage Service 사업자로서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이하 "라임펀드")와 총수익스왑(주식, 채권, 펀드 등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손실을 교환하는 파생상품)계약(이하 "TRS(Total Return Swap)")을 체결하고 있습니다.라임펀드는 연결실체와의 TRS를 통해 2017년 5월부터 2017년 9월까지 IIG Global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FX Hedged (이하 "IIG 펀드")에 약 2억불을 투자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2019년 라임자산운용의 운용지시에 따라 IIG 펀드를 LAM Enhanced Finance Ⅲ L.P.(이하 "LAM Ⅲ 펀드")에 현물출자하고 LAM Ⅲ 펀드의 수익증권을 취득하였습니다.LAMⅢ 펀드 수익증권의 회수가능가액은 현물출자한 IIG 펀드의 회수가능가액에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IIG 펀드는 2019년 11월 미국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등록 취소 및 자산동결 처분을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020년 2월 라임자산운용에 대한 중간 검사결과에서 신한투자증권이 라임펀드와의 TRS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라임자산운용의 부실은폐 및 부정행위에 관여한 혐의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이후 이와 관련된 검찰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금융감독당국은 2021년 11월 12일 기관제재(사모펀드 6개월 신규판매금지 등)를 확정하였습니다. 검찰은 연결실체의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을 사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을 이유로 구속 기소하여 최종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검찰은 위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과 관련하여 양벌규정을 적용하여 2021년 1월 22일 연결실체도 기소하였으며, 2023년 3월 15일 연결실체는 주의 감독의무 소홀로 벌금 5천만원을 선고 받았습니다. 한편, 회사는 위 형사 판결과 관련하여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 하나은행, 신영증권과 민사소송을 계속 중이며, 25년 2월 14일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과의 1심 선고 결과 일부 패소하여 패소금 약 632억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연결실체가 1심 선고 결과를 고려하여 당반기말 기준 계상중인 소송충당부채는 약 384억입니다.
2)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 판매 관련신한투자증권은 2017년 5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약 3,907억원의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을 판매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20년 6월말 기준 3,799억원의 상환이 지연되었으며, 이에 따라 신탁상품의 불완전판매 여부에 대한 감독당국의 검사 및 분쟁조절절차가 진행되었습니다. 금융분쟁조정위원회는 2022년 11월 21일 헤리티지 펀드 관련 분쟁조정신청 6건에 대해 모두 착오에 의한 계약취소 결정을 내렸으며, 신한투자증권은 2022년 12월 27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신한투자증권이 판매한 독일 헤리티지 DLS 신탁상품에 대하여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여 2022년 중 343,835백만원을 충당부채로 계상하였고, 2023년 중 투자원금 반환 후 충당부채를 제거하였습니다. 또한, 환매 중단되어 상환이 지연되고 있는 Gen2 관련 신탁상품에 대하여 2021년 9월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투자원금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지급하기로 결정하여 당반기말까지 126,408백만원, USD17,536,234을 지급하였고, 2023년 8월 29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후정산 방식의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여 당반기말까지 97,319백만원을지급하였으며, 당반기말 124,606백만원을 충당부채로 계상하였습니다.
각종 법령 위반으로 제재 조치, 과태료 부과 등이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한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신한투자증권의 이미지 실추와 내부통제 강화와 제재조치로 인하여 영업활동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라. 자회사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수익성 악화 위험신한금융지주의 생명보험부문 계열사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2020년 12월 23일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함에 따라 2021년 7월 1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은 2025년 반기말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3,443억원으로 전년 동기(3,129억원) 대비 10.0% 증가하였으며, 2025년 반기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96.7%입니다. 다만, 현재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지급여력비율이 규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나, 향후 국내 시장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지급여력비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업, 투자, 영업위험에 따른 부분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신한금융지주의 생명보험부문 계열사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2020년 12월 23일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함에 따라 2021년 7월 1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으로 통합 되었습니다.
| [신한금융지주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 1. 제목 | 신한생명보험(주)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주) 합병 결정 |
| 2. 주요내용 |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생명보험(주)(이하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주)(이하 오렌지라이프)는 금일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양사간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하였습니다. |
| 3. 결정(확인)일자 | 2020-12-23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 공시제출일인 2020년 12월 23일 당사의 완전자회사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가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양사간의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하였습니다. - 양사간 합병 관련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합병 후 상호: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2) 합병 기일: 2021년 7월 1일 (단, 합병은 감독당국의 승인을 요하므로 일정은 변경 가능함) - 상기 기재된 내용 외 자세한 사항은 신한생명 및 오렌지라이프가 금일 제출한 주요사항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 관련공시 |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020.12.23) |
신한라이프의 2025년 반기말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3,443억원으로 전년 동기(3,129억원) 대비 10.0% 증가하였습니다. 신한라이프의 2025년 반기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96.7% 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신한라이프의 2025년 반기말 기준 보험계약마진(CSM)은 7.2조원이며, 2025년 반기말 연결 총자산(특별계정 자산 포함)은 60.4조입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이 제공하는 보험상품은 보험사고에 따라서 크게 생존보험, 사망보험, 생사혼합보험으로 구분하고 가입목적에 의해서는 저축성보험, 보장성보험으로 구분됩니다. 수익은 위험률차익(예정위험률 〉실제위험률), 이자율차익(실제수익률 〉예정이율), 사업비차익(예정사업비 〉실제사업비)의 3가지 이원을 통해 창출됩니다.
| [신한라이프 보험종목별 보유계약현황] | |
|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건, 억원, %) |
| 구 분 | 보장성보험 | 저축성보험 | 단체보험 | 특별계정 | 합계 | |
|---|---|---|---|---|---|---|
| 생명보험 | 건수 | 5,792,951 | 414,952 | 6,076 | 487,959 | 6,701,938 |
| 가입금액 | 1,500,303 | 121,124 | 1,504 | 157,652 | 1,780,583 | |
| 금액비중 | 84.2 | 6.8 | 0.1 | 8.9 | 100.0 | |
| (주1) |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른 업무보고서 및 K-IFRS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함 |
| (주2) | 특별계정은 원리금보장형(연금저축, 자산연계형, 퇴직보험, 원리금보장형 퇴직연금), 실적배당형(변액보험, 실적배당형 퇴직연금)으로 구성 |
| 출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2025년 반기보고서 |
신한라이프의 2025년 반기말 기준 보험종목별 보유계약현황을 살펴보면, 보장성 금액 기준 80.9%를 차지하며 보유계약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장성보험 다음으로 저축성보험이 약 10.2%를 점유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특별계정은 약 8.9%를 구성하고 있으며, 단체보험의 금액비중 점유율은 각각 0.0%으로 미미한 수준입니다.
| [보험종목별 수입보험료 내역] | (단위 : 백만원, %) |
| 구 분 | 제37기 반기(2025년 6월) | 제36기(2024년) | 제35기(2023년) | ||||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 생명보험 | 보장성보험 | 2,924,935 | 80.9 | 5,406,594 | 77.5 | 4,766,998 | 67.8 |
| 저축성보험 | 368,575 | 10.2 | 932,466 | 13.3 | 787,469 | 11.2 | |
| 단체보험 | 852 | 0.0 | 1,717 | 0.0 | 2,195 | 0.0 | |
| 특별계정 | 321,249 | 8.9 | 644,549 | 9.2 | 1,475,090 | 21.0 | |
| 합 계 | 3,615,611 | 100.0 | 6,985,326 | 100.0 | 7,031,752 | 100.0 | |
| (주1) |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른 업무보고서 및 K-IFRS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함 |
| (주2) | 특별계정은 원리금보장형(연금저축, 자산연계형, 퇴직보험, 원리금보장형 퇴직연금), 실적배당형(변액보험, 실적배당형 퇴직연금)으로 구성 |
| 출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2025년 반기보고서 |
보험연구원 생명보험 전망에 의하면 , 2025년 생명보험 전체 수입보험료는 118.3조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0.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건강보험 포트폴리오의 시장지배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저축성보험 및 변액보험의 역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보장성보험은 종신보험 신규수요 축소에도 질병, 건강 및 간병보험의 확대와 보험료갱신 등으로 인한 계속보험료 유입 증가로 3.3% 성장할 전망이며, IFRS17시행 이후 보험계약마진(CSM) 확보 경쟁 확대로 생명보험업계 내 보장성보험 확대 노력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반면, 일반저축성보험은 금리경쟁력의 축소, 보장성보험 중심 판매 전략 등으로 7.3% 감소할 전망입니다. 변액저축성보험의 경우 경기 둔화로 인한 투자심리 악화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 확대로 12.7% 감소할 전망입니다.
| 생명보험 수입보험료 전망 |
| (단위: 조 원, %) |
| 구분 | 2025년(F) | 2024년(E) | 2023년 | |||
| 보험료 | 증가율 | 보험료 | 증가율 | 보험료 | 증가율 | |
| 전체 생명보험 | 118.3 | 0.3 | 118.0 | 5.0 | 112.4 | -15.3 |
| 보장성보험 | 55.3 | 3.3 | 53.5 | 11.5 | 48.0 | 3.2 |
| 일반저축성 | 25.7 | -7.3 | 27.7 | -0.8 | 27.9 | -38.1 |
| 변액저축성 | 10.1 | -12.7 | 11.6 | -4.9 | 12.2 | -4.0 |
| 퇴직연금 | 26.5 | 8.4 | 24.4 | 3.9 | 23.5 | -14.7 |
| 기타 | 0.7 | -0.6 | 0.7 | -1.9 | 0.8 | -1.7 |
| (주1) | 자료출처 : 보험연구원 2025년 보험산업 수정 전망 (생명보험 수입보험료 전망) |
| (주2) | 2025년은 보험연구원 전망치(F)임 |
| (주3) | 보장성보험에는 종신보험, CI, 건강보험, 변액종신보험 등을 포함 |
| (주4) |
일반저축성보험에는 생존보험, 생사혼합보험 등을 포함 변액저축성보험에는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 등을 포함 |
| (주5) | 기타에는 일반단체보험을 포함 |
| 출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2025년 반기보고서 |
2009년 4월부터 기존 지급여력제도와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공시하던 위험기준지급여력비율(RBC : Risk Based Capital)은 2011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보험사들은 이를 의무적으로 공시했습니다. 보험업법상 보험사들은 RBC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며, 금융감독원은 150%를 넘기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RBC비율은 보험위험, 이자율 변동위험, 자산운용 상의 위험 등을 포괄하여 필요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을 측정하고, 필요자본 대비 실제 보유자본(지급여력금액)을 계산한 비율입니다. 또한, RBC비율은 보험료, 보험금, 책임준비금을 일정 비율로 단순화하여 보험위험만을 반영한 기존의 지급여력기준금액과 달리 금리리스크, 신용리스크, 시장리스크 등 다양한 위험에 대비한 손실흡수능력을 포함한 지표입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위험기준지급여력비율(RBC비율)은 2018년 238.7%에서, 2019년 227.9%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20년 8월 신종자본증권 3,000억원을 조달하며 2020년 지급여력비율은 249.5% 수준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는 보습을 보였으며, 2021년 7월 오렌지라이프와 합병에 따라 2021년 지급여력비율은 284.6%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말 기준 지급여력비율은 267.7%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말 기준지급여력비율은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신 회계(IFRS17)기준 적용으로 감독(K-ICS)제도에 기반한 새로운 지급여력제도를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시행해오던 지급여력제도(RBC)와 새로 도입된 신지급여력제도(K-ICS) 간 가장 큰 차이점은 (1) 가용자본의 완전 시가평가와 (2) 요구자본에 대하여 위험계수에 익스포져를 대응시키는 위험계수 방식이 아닌 시나리오방식이 적용 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보험사들의 위험관리를 더욱 정교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에 지급여력비율(K-ICS) 산출에 따르면 2025년 반기 기준 지급여력비율은 196.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신한라이프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억원, %) |
| 구분 | 제37기 반기(2025년 6월) | 제36기(2024년) | 제35기(2023년) |
|---|---|---|---|
| 지급여력금액(A) | 98,246 | 96,238 | 109,224 |
| 지급여력기준금액(B) | 49,959 | 46,776 | 43,542 |
| 지급여력비율(A/B) | 196.7 | 205.7 | 250.8 |
| (주1) | 지급여력비율 = 지급여력금액 / 지급여력기준금액 ×100 |
| (주2) | K-ICS기준 계산 식1. 지급여력금액 : 시가평가한 순자산가치에 손실흡수성 유무에 따라 일부항목 가감 (= 순자산가치 - 지급예정배당액 - 교차보유 자본성증권 + 후순위채무 등)2. 지급여력기준금액 : 분산효과를 반영하여 생명장기손해보험위험액, 신용위험액, 시장위험액, 운영위 험액을 합산한 금액에 법인세조정액 및 기타요구자본을 합산 |
| (주3) | 제37기 반기 지급여력비율은 잠정치이며, 확정치와 다를 경우 8월말 이내에 정정공시할 예정입니다. |
| 출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2025년 반기보고서 |
금융감독원은 지급여력비율과 관련하여 지급여력비율이 100% 미만일 경우에는 경영개선권고, 50% 미만일 경우에는 경영개선요구, 0% 미만일 경우에는 경영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받게 됩니다. 다만, 동 제도와 관련하여 금융감독원은 150%를 넘길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향후 금융당국이 건전성 규제를 추가로 강화하는 제도를 도입하거나 금리변동에 따른 자본(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감소, 운용수익 감소로 인한 자본(당기순이익 및 이익잉여금)의 감소 및 예상치 못한 위험액(보험, 금리, 신용, 시장, 운영)의 증가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자본적정성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지급여력비율이 100%를 하회하게 될 경우 보험업감독규정에 의해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권고를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마. 자회사인 신한리츠 운용 신규사업 진출 위험 국내리츠시장은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 제정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공시서류 제출 기준일 현재 기준 총 71개 자산관리회사(AMC)가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최근 대체투자 수요 증가 및 리츠 관련 정부 규제 완하 등에 힘입어 시장이 더욱 빠르게 확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환경 변화에 맞춰 신한금융그룹은 2017년 10월 18일 300억원의 자본금을 기반으로 한 신한리츠운용을 설립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초기 단계인 만큼 시장환경에 따라 사업영위에 대한 불안정성이 존재하며 초기 사업진출 비용의 투입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신한리츠운용은 2017년 10월 18일 설립된 금융지주회사 산하의 최초의 부동산 자산관리회사로서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25년 06월말 현재 4.9조원 규모의 리츠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신한리츠운용은 그룹의 우량자산 공급 역량과 정교한 협업체계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리츠 상품을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부동산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영업실적-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0.2 | 0.5 | 0.3 | |
| 예치금이자 | 0.2 | 0.4 | 0.2 | ||
| 유가증권이자 | - | - | 0.0 | ||
| 대출채권이자 | 0.1 | 0.1 | 0.1 | ||
| 기타이자수익 | 0.0 | 0.0 | 0.0 | ||
| 이자비용(△) | 0.1 | 0.1 | 0.0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 | -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1 | 0.1 | 0.0 | ||
| 소계 | 0.2 | 0.4 | 0.2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11.7 | 26.1 | 21.5 | |
| 수수료비용(△) | 0.4 | 1.2 | 0.8 | ||
| 소계 | 11.2 | 24.9 | 20.7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2.8 | 7.5 | 2.8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7 | 4.4 | 1.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1.1 | 3.1 | 1.7 | ||
| 외환거래이익 | - | - | -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0.1 | -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1.7 | 10.7 | 0.5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1.7 | 10.7 | 0.5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 | - | ||
| 제충당금 전입액 | 0.0 | 0.0 | 0.0 | ||
| 외환거래손실 | - | - | -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1.1 | -3.2 | 2.2 | ||
| 부문별 이익 합계 | 12.5 | 22.1 | 23.2 | ||
| 일반관리비(△) | 6.3 | 12.3 | 10.5 | ||
| 영업이익 | 6.2 | 9.8 | 12.8 | ||
| 영업외이익 | -0.1 | -0.2 | -0.3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1 | -0.2 | -0.3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6.1 | 9.6 | 12.5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5 | 2.0 | 3.0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4.7 | 7.7 | 9.5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신한리츠운용은 설립 초계단계로 일반관리비로 인하여 2017년말 7억원 정도의 손실을 보았으나, 2019년 말 74억원, 2020년 말 38억원, 2021년 말 85억원, 2022년 말 5억원, 2023년말 95억원, 2024년말 7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였고, 2025년 반기기준 4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자본총계 | 72.5 | 86.94 | - | - | 70.1 | 84.73 | - | - | 62.5 | 86.78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0.9 | 13.06 | - | - | 12.6 | 15.27 | - | - | 9.5 | 13.22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83.4 | 100.00 | - | - | 82.8 | 100.00 | - | - | 72.0 | 100.00 | - | - | ||
| 조달계 | 83.4 | 100.00 | - | - | 82.8 | 100.00 | - | - | 72.0 | 100.00 | - | -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29.0 | 34.77 | 0.3 | 0.49 | 28.6 | 34.59 | 0.6 | 2.07 | 16.4 | 22.84 | 0.4 | 2.46 |
| 유가증권 | 41.8 | 50.14 | 1.0 | 1.20 | 41.1 | 49.61 | 2.9 | 7.03 | 44.5 | 61.86 | 1.6 | 3.59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계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70.8 | 84.91 | 1.3 | 0.91 | 69.7 | 84.20 | 3.5 | 4.99 | 61.0 | 84.69 | 2.0 | 3.29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70.8 | 84.91 | 1.3 | 0.91 | 69.7 | 84.20 | 3.5 | 4.99 | 61.0 | 84.69 | 2.0 | 3.29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4.4 | 5.29 | - | - | 4.6 | 5.59 | - | - | 1.2 | 1.71 | - | - | ||
| 기타 | 8.2 | 9.81 | - | - | 8.5 | 10.21 | - | - | 9.8 | 13.60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12.6 | 15.09 | - | - | 13.1 | 15.80 | - | - | 11.0 | 15.31 | - | - | ||
| 운용계 | 83.4 | 100.00 | 1.3 | 0.77 | 82.8 | 100.00 | 3.5 | 4.20 | 72.0 | 100.00 | 2.0 | 2.78 | ||
| 주)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신한리츠운용이 조달한 금액은 약 834억원으로 그 중 자본으로 조달한 금액이 86.9%의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신한금융지주회사 자산의 약 0.01% 정도의 비중으로 신한금융지주회사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비용 및 손실확대로 인해 사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은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바. 계열사 인수·합병에 따른 위험2019년 9월 2일 당사는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구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의 지분 59.15% (최대주주 지분)취득하며,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이 자회사로 편입하였고, 2020년 01월 28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를 100% 인수하였습니다. 2018년 10월 31일 당사는 아시아신탁 주식회사의 지분 100% 취득 결정 공시를 하였고 2019년 05월 02일 아시아신탁 1차 지분 60%를 취득하며, 아시아신탁 주식회사를 자회사로 편입하였으며, 2022년 5월 16일 아시아신탁의 잔여 지분 40% 인수를 밝히며 100% 완전자회사로 편입, 2022년 6월 1일 사명을 신한자산신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9월 29일 당사는 ㈜두산 보유 ㈜네오플럭스(현재 신한벤처투자) 보통주 24,413,230주(총발행주식의 96.77%)를 약 730억원에 취득하였으며, 2020년 12월 30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주)네오플럭스를 100% 인수하였습니다.이 밖에도 당사는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s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고, 2021년 1월 15일 기존 자회사인 신한BNPP자산운용(현재 신한자산운용) 지분 35%를 인수하였으며, 손해보험업에 신규 진출하기 위해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이하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의 지분 94.54% 인수를 2021년 10월 26일 이사회에서 결의하고 10월 29일 관련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2022년 6월 9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파리바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았으며, 2022년 6월 30일 임시주주 총회 정관개정을 통해 신한EZ손해보험 주식회사로 사명을변경하고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을 완료하였습니다. 한편, 신한금융지주 주요 자회사인 신한생명(현재 신한라이프생명보험)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지난 2020년 12월 23일 양사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7월 1일 통합법인인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을 출범하였습니다. 2021년 9월 15일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인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또한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양사 합병 후 통합법인인 신한자산운용이 출범하였습니다.신한금융그룹은 보험업, 부동산업 및 집합투자업에서 다년간의 업력을 보유하고 있어 대상 업체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 회사의 인수 시 발생하는 회사의 경영, 상세사업분야, 문화 등의 차이점으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은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18년 9월 5일 다음과 같이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지분 취득 결정 공시를 하였습니다. 2019년 02월 01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이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2020년 01월 28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를 100% 인수하였습니다.
| [지주회사의 자회사 편입](2019.02.01) |
| 1. 발행회사 | 회사명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Orange Life Insurance, Ltd.) | ||
| 국적 | 대한민국 | 대표자 | 정문국 | |
| 자본금(원) | 82,000,000,000 | 회사와 관계 | - | |
| 발행주식총수(주) | 82,000,000 | 주요사업 | 생명보험업 |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48,500,000 | ||
| 취득금액(원) | 2,298,900,000,000 | |||
| 자기자본(원) | 33,702,536,345,347 | |||
| 자기자본대비(%) | 6.82 |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48,500,000 | ||
| 지분비율(%) | 59.15 | |||
| 4. 취득방법 | 현금취득 | |||
| 5. 취득목적 | 경영참여 목적 | |||
| 6. 취득예정일자 | - | |||
|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 426,305,656,243,986 | 취득가액/자산총액(%) | 0.54 | |
| 8.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 -향후 6월이내 제3자배정 증자 등 계획 | 해당사항없음 | |||
| 9. 발행회사(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사항없음 |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8-09-05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9 | ||
| 불참(명) | 1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 | |||
| 1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 13.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본 공시는 신한지주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구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의 지분 59.15%(최대주주 지분)를 취득하는 건입니다.- 상기 '2. 취득내역의 취득금액(원)'은 향후 변동될 수 있으며, 최종 취득금액은 본 계약의 거래종결시 확정될 예정입니다.- 상기 '2. 취득내역의 자기자본(원)'과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의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은 신한지주의 2017년 말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상기 '6. 취득예정일자'는 현재 미정이며, 추후 결정 예정입니다.- 본건 대상회사의 주식인수를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른 자회사 편입승인 등 관련 법령에 따른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필요로 합니다.- 하기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의 당해연도는 2017년 회계연도, 전년도는 2016년 회계연도, 전전년도는 2015년 회계연도입니다.- 상기 공시내용으로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2018.3.9)에 대한 답변을 갈음합니다. | |||
| ※관련공시 | 2018-04-11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2018-04-06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미확정)2018-03-09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미확정)2018-03-09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또한, 당사는 2018년 10월 31일 아시아신탁 주식회사 지분 취득 결정 공시를 하였으며, 2019년 4월 18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아시아신탁 주식회사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음에 따라 2019년 5월 2일 1차 취득지분 60%를 인수하며 아시아신탁 주식회사를 자회사로 편입하였으며, 2022년 5월 16일 아시아신탁의 잔여 지분 40% 인수를 밝히며 100% 완전자회사로 편입, 2022년 6월 1일 사명을 신한자산신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2018.10.31) |
| 1. 발행회사 | 회사명 | 아시아신탁 주식회사(ASIA TRUST.Co.Ltd.) | ||
| 국적 | 대한민국 | 대표자 | 배일규 | |
| 자본금(원) | 11,734,000,000 | 회사와 관계 | - | |
| 발행주식총수(주) | 23,468,000 | 주요사업 | 부동산신탁업 |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23,468,000 | ||
| 취득금액(원) | - | |||
| 자기자본(원) | 33,703,618,018,305 | |||
| 자기자본대비(%) | - |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23,468,000 | ||
| 지분비율(%) | 100.0 | |||
| 4. 취득방법 | 현금취득 | |||
| 5. 취득목적 | 경영참여목적 | |||
| 6. 취득예정일자 | - |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8-10-31 |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0 | ||
| 불참(명) | 0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 | |||
| 8.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 - 계약내용 | - | |||
| 9.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본 공시는 신한지주가 아시아신탁 주식회사의 지분 100.0%를 취득하는 건입니다.- 본 자율공시는 당사의 중기 전략인2020 SMART Project의 전략방향 중 '조화로운 성장' 의 진행 성과를 투자자께알리고자 작성되었습니다.- 상기 '2.취득내역의 취득금액(원)은 1단계 취득지분 60%에 대하여 193,400,000,00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2단계 취득지분 40%에 대한 취득금액, 취득시기 및 취득방법은 2022년 이후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상기 '2. 취득내역의 자기자본(원)'은 신한지주의 2017년 말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상기 '2.취득내역의 자기자본대비(%)는1단계 취득금액 193,400,000,000원으로 산출시0.57% 입니다.- 상기 '6. 취득예정일자'는 현재 미정이며, 추후 결정 예정입니다.- 본건 대상회사의 주식인수를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른 자회사 편입승인 등 관련 법령에 따른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필요로 합니다.- 하기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의 당해연도는 2017년 회계연도, 전년도는 2016년 회계연도, 전전년도는 2015년 회계연도입니다. | |||
| ※ 관련공시 | -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2020년 9월 29일 당사는 ㈜두산 보유 ㈜네오플럭스 보통주 24,413,230주(총발행주식의 96.77%)를 약 730억원에 취득하였으며, 2020년 12월 30일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주)네오플럭스를 100% 인수하였습니다.
| [지주회사의자회사편입](2020.09.29) |
| 1. 자회사내역 | 가. 회사명 | ㈜네오플럭스 (Neoplux Co.,Ltd.) | ||
| 나. 대표자 | 이동현 | |||
| 다. 주요사업 | 신탁업 및 집합투자업 | |||
| 라. 최근 사업연도 요약재무내용(백만원) | 자산총계 | 71,602 | ||
| 부채총계 | 11,202 | |||
| 자본총계 | 60,400 | |||
| 자본금 | 25,227 | |||
| 2. 자회사에 대한 지분비율 | 편입 전 | 소유주식(주) | - | |
| 소유비율(%) | - | |||
| 편입 후 | 소유주식(주) | 24,413,230 | ||
| 소유비율(%) | 96.8 | |||
| 3. 지분가액의 자산총액비중 | 편입 전 | 지분가액(백만원) | - | |
| 자산총액비중(%) | - | |||
| 편입 후 | 지분가액(백만원) | 71,128 | ||
| 자산총액비중(%) | 0.2 | |||
| 4. 자회사총수 | 편입 전(사) | 17 | ||
| 편입 후(사) | 18 | |||
| 5. 편입사유 | 지분투자(대주주 지분 인수) | |||
| 6. 편입일자 | 2020-09-29 |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0-08-13 |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0 | ||
| 불참(명) | 0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 8.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상기 '1.자회사내역 라.최근 사업연도 요약재무내용(백만원)'은 2019년 회계연도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상기 '3.지분가액의 자산총액비중(편입 후)-지분가액(백만원)'은 2020.8.20 주식매매계약 후 최종확정된 취득금액입니다. '자산총액비중(%)'은 당사의 2019년말 별도재무제표상의 자산총액 기준입니다. - 상기 '6.편입일자'는 주식매매계약에 따른 주권인수일 기준입니다. - 본 공시로 당사의 2020.8.20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의 정정공시를 갈음합니다. | |||
| ※ 관련공시 | 2020-08-20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이 밖에도 당사는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s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고, 2021년 1월 15일 기존 자회사인 신한BNPP자산운용(현재 신한자산운용) 지분 35%를 인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신한BNPP자산운용을 100% 완전자회사화 하였습니다.또한, 당사는 손해보험업에 신규 진출하기 위해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이하 BNP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의 지분 94.54% 인수를 2021년 10월 26일 이사회에서 결의하였으며 10월 29일 관련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2022년 6월 9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파리바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았으며, 2022년 6월 30일 임시주주 총회 정관개정을 통해 신한EZ손해보험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을 완료하였습니다.
| [신한지주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2022.06.09) |
| 1. 제목 | BNP 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 자회사 편입 승인 결정 |
| 2. 주요내용 | 당사는 2022.6.9.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 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받았습니다. |
| 3. 결정(확인)일자 | 2022-06-09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 당사는 금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BNP 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 받음에 따라 BNP 파리바 카디프 손해보험 주식회사의 94.54%(최대주주 지분)을 취득하는 계약 완료를 위한 후속 작업을 진행중입니다. - 당사는 금번 자회사 편입 승인 후 지분 취득 계약 완료시 '지주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 |
| ※ 관련공시 |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 [지주회사의자회사편입](2022.06.30) |
| 자회사내역 | 가. 회사명 | 신한EZ손해보험주식회사 (구,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주식회사) | ||
| 나. 대표자 | 강병관 | |||
| 다. 주요사업 | 손해보험업 | |||
| 라. 최근 사업연도 요약재무내용(백만원) | 자산총계 | 137,274 | ||
| 부채총계 | 76,461 | |||
| 자본총계 | 60,813 | |||
| 자본금 | 38,237 | |||
| 2. 자회사에 대한 지분비율 | 편입 전 | 소유주식(주) | - | |
| 소유비율(%) | - | |||
| 편입 후 | 소유주식(주) | 7,230,174 | ||
| 소유비율(%) | 94.54 | |||
| 3. 지분가액의 자산총액비중 | 편입 전 | 지분가액(백만원) | - | |
| 자산총액비중(%) | - | |||
| 편입 후 | 지분가액(백만원) | 41,000 | ||
| 자산총액비중(%) | 0.11 | |||
| 4. 자회사총수 | 편입 전(사) | 16 | ||
| 편입 후(사) | 17 | |||
| 5. 편입사유 | 지분투자(대주주 지분 인수) | |||
| 6. 편입일자 | 2022-06-30 |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10-26 |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2 | ||
| 불참(명) | 0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 8.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2022년 6월 30일 신한EZ손해보험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개정을 통해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주식회사'에서 '신한EZ손해보험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상기'1.자회사내역 라.최근 사업연도 요약재무내용(백만원)'은 2021년 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상기'3.지분가액의 자산총액비중(편입 후)'는 당사의 2021년말 별도재무제표상의 자산총액 기준이며 편입 후 지분가액은 주식매매계약 상 취득가액입니다. - 상기'6.편입일자'는 주식매매계약에 따른 주권인수일 기준입니다. -상기'7.이사회결의일(결정일)'은 신한지주 이사회에서 신한EZ손해보험주식회사(구,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주식회사)의 지분을 인수하기로 결정한 날입니다. | |||
| ※ 관련공시 | 2022-06-09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한편, 신한금융지주 주요 자회사인 신한생명(현재 신한라이프생명보험)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은 지난 2020년 12월 23일 양사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7월 1일 통합법인인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을 출범하였습니다.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2020.12.23) |
| 합병방법 |
신한생명보험 주식회사(이하 “신한생명”)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주식회사(이하 “오렌지라이프”)를 흡수합병(이하 “본건 합병”) - 존속법인 : 신한생명 - 소멸법인 : 오렌지라이프 ※ 본건 합병 후 존속법인의 상호(예정)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
| - 합병형태 | 해당사항없음 |
| 2. 합병목적 |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는 회계기준(IFRS17) 및 금융감독(K-ICS)기준의 개편 등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대비하여 경영안정화를 추구하고 주주와 고객의 이익을 극대화하며 보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본건 합병을 결정하였습니다. |
| 3. 합병의 중요영향 및 효과 |
(1) 회사 경영에 미치는 효과 - 본 주요사항보고서 제출일 현재 존속법인인 신한생명과 소멸법인인 오렌지라이프는 각각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이하 “신한금융지주”)의 100% 자회사입니다. 본건 합병으로 인하여 존속법인인 신한생명의 지분 100%를 신한금융지주가 소유하며, 오렌지라이프는 해산할 예정입니다.
(2) 회사의 재무에 미치는 영향 - 본건 합병을 통해 신한생명은 오렌지라이프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RBC비율이 개선되고, 리스크 증대가 우려되는 경영환경에서 운영효율성을 도모하며, 통합전략 수립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켜 개선된 수익성을 기반으로 회사의 재무건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한생명은 본건 합병에 따라 합병신주를 발행함으로써 약 3,783억원의 자본금 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회사의 영업에 미치는 영향 -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는 채널/고객/상품 부문에서 각각 차별화된 영업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상호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시장 선도 사업자로 성장하는 한편, 생명보험업권 시장의 실질경쟁을 촉진하여 시장 구조 변화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Life-Cycle에 맞는 최적의 상품포트폴리오를 제공함으로써, 금융소비자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4. 합병비율 | 오렌지라이프 기명식 보통주식 1주당 신한생명 기명식 보통주식을0.9226202 (소수점 이하 일곱째 자리까지만 표시함)의 비율로 배정하며, 오렌지라이프 주식 82,000,000주에 대하여 합병신주 75,654,859주를 발행하여 배정할 예정입니다. |
| 5. 합병비율 산출근거 |
(1) 존속법인인 신한생명과 소멸법인인 오렌지라이프는 모두 주권비상장법인으로서 비상장법인간 합병비율 산정을 위한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하고 있는 법률이나 규정은 없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생명 및 오렌지라이프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법”) 제63조 및 상증법 시행령(이하 “상증령”) 제54조의 비상장주식 평가규정에 의거하여 합병비율을 산출하였습니다. 양사의 주식가치 평가기준일은 2020년 9월 30일이며, 평가기준일의 재무상태표와 과거3개 사업연도의 재무제표 및 세무조정 자료를 근거로 평가하였습니다.
(2) 신한생명 1주당 평가액A. 1주당 순손익가치 : 1,320원B. 1주당 순자산가치 : 36,321원C. 1주당 가액 {(A×3+B×2)÷5} : 15,320원D. 1주당 순자산가치의 80% : 29,056원E. 할증 전 1주당 평가액 MAX(C, D) : 29,056원F. 할증률 : 20%G. 할증 후 1주당 평가액 {Max(C,D)×(1+F)} : 34,867원(3) 오렌지라이프 1주당 평가액A. 1주당 순손익가치 : 23,950원B. 1주당 순자산가치 : 31,096원C. 1주당 가액 {(A×3+B×2)÷5} : 26,808원D. 1주당 순자산가치의 80% : 24,877원E. 할증 전 1주당 평가액 MAX(C, D) : 26,808원F. 할증률 : 20%G. 할증 후 1주당 평가액 {Max(C,D)×(1+F)} : 32,169원 (4) 상증령 제54조 제1항에 따르면 부동산 과다보유법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비상장주식의 가치는 1주당 순손익가치와 1주당 순자산가치를 각각 3과 2의 비율로 가중평균한 가액으로 평가합니다. 다만,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를 가중평균한 1주당 가액이 1주당 순자산가치에 100분의 80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1주당 순자산가치에 100분의 80을 곱한 금액을 비상장주식등의 가액으로 평가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증법 제63조 제3항에서 최대주주 등의 발행주식총수의 50%를 초과하여 보유한 경우에는 최대주주 등의 주식에 대하여는 평가가액에 그 가액의 100분의 20을 가산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5) 위 산출방법에 근거, 존속법인인 신한생명과 소멸법인인 오렌지라이프의 주식가치 산정결과는 각각 34,867원, 32,169원으로 산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합병비율은 0.9226202 (오렌지라이프 보통주식 1주당 신한생명 보통주식 0.9226202주의 교환비율)로 결정되었습니다. <신한생명>A. 1주당 가치: 34,867원B. 발행주식수: 40,000,000주C. 총가치 (A×B): 1,394,680,000,000원<오렌지라이프>A. 1주당 가치: 32,169원B. 발행주식수: 82,000,000주C. 총가치 (A×B): 2,637,858,000,000원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2021년 9월 15일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인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또한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양사 합병 후 통합 신한자산운용으로 출범하였습니다.
|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2021.09.15) |
| 1. 제목 | 신한자산운용 주식회사와 신한대체투자운용 주식회사 합병 결정 |
| 2. 주요내용 |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자산운용 주식회사(이하 신한자산운용)와 신한대체투자운용 주식회사(이하 신한대체투자운용)는 금일 양사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 승인을 통하여 양사간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하였습니다. |
| 3. 결정(확인)일자 | 2021-09-15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 공시제출일인 2021년 9월 15일 당사의 완전자회사인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은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통해 양사간의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하였습니다. - 양사간 합병 관련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합병 후 존속 회사 : 신한자산운용 2) 합병 후 소멸 회사 : 신한대체투자운용 3) 합병 기일 : 2022년 1월 1일 - 상기 기재된 합병 기일 등 세부사항은 관계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당사자들의 협의 하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 관련공시 |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신한금융그룹은 보험업, 부동산업 및 집합투자업에서 다년간의 업력을 보유하고 있어 대상 업체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 회사의 인수 및 계열사간 합병 시 발생하는 회사의 경영, 상세사업분야, 문화 등의 차이점으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은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사. 유상증자 시행에 따른 재무관련 위험 2019년 02월, 신한금융지주는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를 통해 7,5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의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를 공시하였고 동년 5월 1일 발행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증권은 전환권 미행사에 따라 4년후 시점인 2023년 5월에 보통주로 자동 전환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지주는 자본비율 개선을 하게 되었으며, 보통주자본으로 전환이 예정되어 있는 우량자본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단, 보통주 전환전에는 연4%의 배당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보통주 배당외에 우선주 배당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배당규모가 확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한금융지주는 2020년 09월 1조 1,582억원 규모의 보통주 유상증자를 실시하였습니다. 신한금융지주의 자본여력 및 이익규모를 감안 시, 해당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을 통해 발생하는 추가 배당이 신한금융지주의 재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배당지급 확대에 따른 자본비율 영향 등에 대해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19년 02월, 신한금융지주는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를 통해 7,5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의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를 공시하였고 동년 5월 1일 발행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증권은 전환권 미행사에 따라 4년후 시점인 2023년 5월에 보통주로 자동 전환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지주는 자본비율 개선을 하게 되었으며, 보통주자본으로 전환이 예정되어 있는 우량자본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단, 보통주 전환전에는 연4%의 배당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보통주 배당외에 우선주 배당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배당규모가 확대 될 수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가 발행한 전환우선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 결정) 2019.02.12] |
| 1. 신주의 종류와 수 | 보통주식 (주) | - |
| 기타주식 (주) | 17,482,000 | |
| 2. 1주당 액면가액 (원) | 5,000 | |
| 3.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주) | 보통주식 (주) | 474,199,587 |
| 기타주식 (주) | - | |
| 4.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 |
| 운영자금 (원) | 749,977,800,000 | |
| 타법인 증권취득자금 (원) | - | |
| 기타자금 (원) | - | |
| 5. 증자방식 | 제3자배정증자 | |
※ 기타주식에 관한 사항
| 정관의 근거 |
당사 정관 제 11조 (전환주식) ① 이 회사는 보통주식 또는 우선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을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발행할 수 있다. |
| 주식의 내용 | 전환우선주식 |
| 기타 | -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조건(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투자자는 발행일로부터 1년 이후의 날로부터 4년이 되는 날의 전날까지 전환을 청구할 수 있고 4년까지 전환되지 않은 전환우선주식은 4년이 되는 날 보통주식으로 자동 전환. 전환우선주식1주당 보통주식 1주로 전환 |
| 전환청구기간 | 2020년 05월 01일 ~ 2023년 04월 30일 | |
| 전환으로 발행할주식의 종류 | 보통주식 | |
| 전환으로 발행할주식수 | 17,482,000 | |
| 의결권에 관한 사항 | 없음.다만 어느 사업연도 정기주주총회에서 전환우선주식에 대하여 우선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결의하는 경우, 그 결의가 있는 정기주주총회의 다음 주주총회부터 전환우선주식에 대한 우선배당을 지급하는 것으로 결의하는 주주총회의 종료시까지 전환우선주식1주당 1의결권 부여 | |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발행가액 기준 연 4.0% (비누적적, 참가적) |
|
| 기타 약정사항(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19.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참고 | |
| 6. 신주 발행가액 | 보통주식 (원) | - |
| 기타주식 (원) | 42,900 | |
| 7. 기준주가에 대한 할인율 또는 할증율 (%) | - | |
| 8. 제3자배정에 대한 정관의 근거 | 정관 제13조(신주인수권) | |
| 9. 납입일 | 2019년 04월 30일 | |
| 10. 신주의 배당기산일 | 2018년 12월 31일 | |
| 11. 신주권교부예정일 | 2019년 05월 10일 | |
| 12. 신주의 상장 예정일 | - | |
| 13. 현물출자로 인한 우회상장 해당여부 | 아니오 | |
| - 현물출자가 있는지 여부 | 아니오 | |
| - 현물출자 재산 중 주권비상장법인주식이 있는지 여부 | 해당없음 | |
| - 납입예정 주식의 현물출자 가액 | 현물출자가액(원) | - |
| 당사 최근사업연도 자산총액 대비(%) | - | |
| - 납입예정 주식수 | - | |
| 14.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 15.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9년 02월 12일 |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9 |
| 불참 (명) | 0 |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 16.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17.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전매제한조치 (한국예탁결제원1년간 보호예수) |
|
| 1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신한금융지주의 자본여력 및 이익규모를 감안 시, 해당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을 통해 발생하는 추가 배당이 신한금융지주의 재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배당지급 확대에 따른 자본비율 영향 등에 대해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신한금융지주는 2020년 09월 04일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을 통해 1조 1,58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공시한 바 있습니다. 증자방식은 제3자배정 증자이며 증자 관련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 결정) 2020.09.04] |
| 1. 신주의 종류와 수 | 보통주식 (주) | 39,130,000 |
| 기타주식 (주) | - | |
| 2. 1주당 액면가액 (원) | 5,000 | |
| 3.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주) | 보통주식 (주) | 477,396,835 |
| 기타주식 (주) | 17,482,000 | |
| 4.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 |
| 영업양수자금 (원) | - | |
| 운영자금 (원) | 1,158,248,000,000 | |
| 채무상환자금 (원) | - | |
| 타법인 증권취득자금 (원) | - | |
| 기타자금 (원) | - | |
| 5. 증자방식 | 제3자배정증자 | |
※ 기타주식에 관한 사항
| 정관의 근거 | - |
| 주식의 내용 | - |
| 기타 | - |
| 6. 신주 발행가액 | 보통주식 (원) | 29,600 |
| 기타주식 (원) | - | |
| 7. 기준주가에 대한 할인율 또는 할증율 (%) | -2.0 | |
| 8. 제3자배정에 대한 정관의 근거 | 정관 제13조(신주인수권) | |
| 9. 납입일 | 2020년 09월 28일 | |
| 10. 신주의 배당기산일 | 2020년 01월 01일 | |
| 11.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 12. 신주의 상장 예정일 | 2020년 10월 20일 | |
| 13. 현물출자로 인한 우회상장 해당여부 | 아니오 | |
| - 현물출자가 있는지 여부 | 아니오 | |
| - 현물출자 재산 중 주권비상장법인주식이 있는지 여부 | 해당없음 | |
| - 납입예정 주식의 현물출자 가액 | 현물출자가액(원) | - |
| 당사 최근사업연도 자산총액 대비(%) | - | |
| - 납입예정 주식수 | - | |
| 14.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 15.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0년 09월 04일 |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10 |
| 불참 (명) | 0 |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 16.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17.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전매제한조치 (한국예탁결제원 1년간 의무보호예수) |
|
| 1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 아. 소송 및 우발부채 현황 당사가 속한 금융 업종 특성상, 영업활동 과정에서 소송 및 우발채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규모가 확대될 경우 자회사의 실적 뿐만 아니라 당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025년 6월말 기준 연결회사가 피고인 소송사건은 1,217건(소송가액 1조 3,930억원)입니다. 또한 2025년 6월말 기준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써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별도로 첨부된 제소건 및 응소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결실체는 당반기말 현재 1심에 서 패소가 결정된 소송건 등에 대한 소송가액상당액 126,222백만원 및 4,600백만원을 각각 충당부채 및 보험계약부채 중 발생 사고요소로 반영하였으며, 충당 부채 등으로 계상된 소송 이외의 잔여 소송결과는 연결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향후 소송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
2025년 6월말 기준 연결회사가 피고인 소송사건은 1,217건(소송가액 1조 3,930억원)입니다. 또한 2025년 6월말 기준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써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별도로 첨부된 제소건 및 응소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한금융지주 및 종속회사는 2025년 반기말 현재 1심에서 패소가 결정된 소송건 등에 대한 소송가액상당액126,222백만원 및 4,600백만원을 각각 충당부채 및 보험계약부채 중 발생사고요소로 반영하였으며, 충당부채 등으로 계상된 소송 이외의 잔여 소송결과는 연결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향후 소송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자로서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이하 "라임펀드")와 총수익스왑(주식, 채권, 펀드 등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손실을 교환하는 파생상품)계약(이하 "TRS(Total Return Swap)")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라임펀드는 신한투자증권과의 TRS를 통해 2017년 5월부터 2017년 9월까지 IIG Global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FX Hedged(이하 "IIG 펀드")에 약 2억불을 투자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019년 라임자산운용의 운용지시에 따라 IIG 펀드를 LAM Enhanced Finance Ⅲ L.P.(이하 "LAM Ⅲ 펀드")에 현물출자하고 LAM Ⅲ 펀드의 수익증권을 취득하였습니다. LAM Ⅲ 펀드 수익증권의 회수가능가액은 현물출자한 IIG 펀드의 회수가능가액에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IIG 펀드는 2019년 11월 미국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등록 취소 및 자산동결 처분을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020년 2월 라임자산운용에 대한 중간 검사결과에서 신한투자증권이 라임펀드와의 TRS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라임자산운용의 부실은폐 및 부정행위에 관여한 혐의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이후 이와 관련된 검찰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금융감독당국은 2021년 11월 12일 신한투자증권에 대한 기관제재(사모펀드 6개월 신규 판매 금지)등을 확정하였습니다. 또한, 검찰은 신한투자증권의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을 사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을 이유로 구속 기소하여 최종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검찰은 위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관련으로 2021년 1월 22일 신한투자증권도 기소하였으며, 2023년 3월 15일 신한투자증권은 주의 감독의무 소홀로 벌금 5천만원을 선고받았습니다.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위 형사 판결과 관련하여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 하나은행, 신영증권과 민사소송을 계속 중이며, 2025년 2월 14일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과의 1심 선고 결과 일부 패소하여 패소금 약 632억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이 1심 선고 결과를 고려하여 당반기말 기준 계상중인 소송충당부채는 약 384억원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라임 무역금융펀드 등 일부 상품에 대해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결과 및 이사회 결의 등을 고려하여 민원보상과 유동성공급을 완료 또는 향후 진행 예정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014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Gen2 관련 신탁상품을 판매하였고, 당반기말 기준으로 약 4,200억원의 잔고 전액이 환매 중단되어 상환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 9월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환매 중단 고객 중 동의 고객을 대상으로 투자원금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지급하고 투자금 회수시점에 정산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23년 8월 29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후정산방식의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2월 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NH-영국피터버러발전소 신탁 등에 대하여 사후정산 방식의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였습니다.
신한자산신탁은 시공사의 책임준공 미이행시 책임준공의무를 부담하고, 신한자산신탁이 책임준공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대출기관에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는 의무를 부담하는 책임준공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신한자산신탁은경기 시흥시 신천동 오피스텔 신축사업 책준관리형토지신탁 등 총 25건(준공포함)을약정하고 있으며, PF대출약정한도는 1,591,707백만원, 대출잔액은 1,420,098백만원입니다. 또한, 당반기말 현재 11건(준공포함)의 사업장에 대하여 신한자산신탁의 책임준공기한이 도과되었습니다. 해당 사업장에 투입된 PF대출약정한도는 381,100백만원이며,대출잔액은 353,565백만원입니다. 신한자산신탁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은 약정사항에 대해서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신한자산신탁은 차입형토지신탁 계약 등과 관련해서 총사업비의 일부를 신탁계정대여 할 수 있으며, 추가 최대대여금액(미사용한도)은 341,462백만원입니다. 해당 사업 관련하여 신한자산신탁의 신탁계정대여 여부는 무조건적인 지급의무는 아니며, 고유계정 및 각 신탁사업의 자금수지 계획 등 제반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당반기말 현재 신한은행 및 신한투자증권은 금융기관의 부당공동행위 여부에 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진행중이며, 신한라이프는 2023년 중 실시한 금융감독원 정기검사 중 일부에 대한 검사결과 및 조치요구사항이 통보될 예정입니다. 현재로서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2025년 반기말 기준 동사 및 종속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동사 및 종속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서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1) 제소건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소송의 내용 | 사건명 | 소제기일 | 소송 당사자 | 소가 | 진행상황 | 향후 소송 일정, 회사의 영업, 재무, 경영 등에 미칠 영향 | |||
| 원고 | 피고 | 1심 | 2심 | 3심 | |||||
| 신디케이티드론 대리은행인 한*****이 담보권 설정과정 중 과실로 인하여 당행에 손실이 발생한 바 이에 손해배상을 청구함 | 손해배상(기) | 2015.05.17 | 신한은행 외 1명 | 한***** | 9,515 | 패소 | 일부승소 | 진행중 | 2013.09. 여신관리부 매매, 2013.12. 상각완료 하였으므로, 당행 패소시에도 추가적인 재무리스크는 없음 |
| 공동불법행위자의 내부부담비율에 따른 구상금 지급 청구 | 구상금 | 2023.06.13 | 신한투자증권 | ******자산운용 외 1 | 1,000 | 일부승소 | - | - | - |
| 불법행위 내지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 | 2023.08.08 | 신한투자증권 | **자산운용 | 2,600 | 진행중 | - | - | - |
| 펀드 관련 손해배상 등 청구 | 손해배상 등 청구의 소 | 2024.03.22 | 신한투자증권 | 캐*** 이** | 4,300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의 소 | 2024.05.10 | 신한투자증권 | ***증권 | 13,051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반환 청구의 소 | 2024.07.25 | 신한투자증권 | ****투자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 |
| DLS 발행사에 대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반환 등 청구의 소 | 2024.10.02 | 신한투자증권 | ****투자증권 | 4,601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2.05 | 신한투자증권 | **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 |
| 당사는 NPAS프로젝트를 위해 지출한 위탁비용이 세액공제대상인 연구개발비에 해당한다며 경정청구를 하였으나 세무서는 이를 거절함. 이에 당사는 경정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함. | 법인세경정거부처분취소 | 2018.9.28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세무서장 | 8,162 | 원고패 | 원고승 | 원고패 | 2024.12.24 : 대법원 판결선고 "파기환송"2025.03.31 : 파기환송심 소취하 |
| 법인대리점 수수료환수 반환 소송 | 수수료반환 | 2025.02.07 | 신한라이프 | ㈜**금융설계센터 | 1,912 | 원고승 | - | - | 2025.02.07 : 소장접수2025.02.12 : 지급명령2025.03.05 : 판결확정 |
| 신탁사 책임준공기한 도과로 인해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및 차주, 보증인에 대한 대여금 청구소송 | 대여금 등 청구의 소 | 2024.09.04 | 신한캐피탈 외 | **부동산신탁 외 | 10,416 | 진행중 | - | - | 2024년 9월 소장접수[서울중앙지법 2024가합***97]2025년 8월 중 변론기일 진행 예정 |
| 차주가 보유한 임대료 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제3자의 추심금청구소송에 당사 대출채권 청구권자로 소송참가 | 추심금 | 2024.11.22 | 신한캐피탈 | ㈜**엘 | 4,190 | 진행중 | - | - | 2024년 11월 당사 소송참가(변론재개신청)[여주지원 2024가합***32] 2024년 11월 본 소송[여주지원 2024가합***85]으로 병합 2025년 9월 본소 변론 기일 진행 예정 |
| 계약해지에 따른 이해관계인 약정금(주식매수)청구 소송 | 약정금 | 2024.04.03 | 신한캐피탈 | 하** | 1,135 | 진행중 | - | - | 2024년 4월 소송절차 회부[서울중앙지법 24가합***59]2025년 7월 판결선고 예정 |
| 신탁사 책임준공기한 도과로 인해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및 차주, 보증인에 대한 대여금 청구소송 | 손해배상 | 2025.02.03 | 신한캐피탈 외 | **부동산신탁 | 10,000 | 진행중 | - | - | 2025년 2월 소장접수[서울중앙지법 2025가합**99]2025년 7월 변론 기일 진행 예정 |
| 채권 및 우선수익권 압류에 기한 추심금 청구 | 추심금 | 2022.04.01 | 신한자산신탁 | 코**** | 1,875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없음 |
| 지체상금채권을 주장하며 회생채권확정재판에 대한 이의의 소를 제기, 1심에서 일부 승소하자 피고 시공사가 이에 불복하여 항소 제기 | 채권조사확정재판에대한이의의소 | 2025.03.31 | 신한자산신탁 | 대****㈜ | 1,127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주) 고유계정 영향 없는 소송 제외함
(2) 응소건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소송의 내용 | 사건명 | 소제기일 | 소송 당사자 | 소가 | 진행상황 | 향후 소송 일정, 회사의 영업, 재무, 경영 등에 미칠 영향 | |||
| 원고 | 피고 | 1심 | 2심 | 3심 | |||||
| 원고는, 당행등 대주단이 차주사의 핵심자산인 선박 등을 부당 매각함으로써 차주사의 여타 파산채권자들에게 손실을 끼쳤다며 손해배상소송 제기함 | 부당이득반환 | 2021-07-14 | A* R*** C**sul***ia | 신한은행 | 33,096 | 승소 | 진행중 | - | 담보 매각은 약정서 등을 근거로 진행된 대주단의 정당한 채권회수인바, 주요 대주들로부터 본건 소송위임을 받은 글로벌 로펌에 당행도 공동소송 위임하여 적극 대응하고자 함 |
| 원고들은 당사 퇴직근로자들로서 임금피크제 적용을 받으면서 정년퇴직한 직원들임- 원고들은 당사 임금피크제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무효인 임금피크제가 없었다면 지급되었을 임금차액 상당을 청구함 | 임금 | 2022-12-12 | 이** 외 11 | 신한카드 | 1,515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확정시 원고들에게 청구취지 기재의 임금 등 차액분을 지급하여야 함 |
| 지식산업센터를 분양받으며 당사로부터 중도금대출을 하였는바, 분양사업자로부터 기망당해 분양을 받은 것으로서 분양계약이 무효이고, 그에 따라 당사와의 중도금대출약정 또한 무효라고 주장하는 내용의 사건 | 계약금반환등 청구의 소 | 2025-02-11 | 권** | 신한카드 | 1,390 | 진행중 | - | - | 패소시 대출을 무효화하고, 대출금을 분양사업자로부터 회수하여야 함 |
| 임금피크제 도입당시, 도입절차의 위법,부당을 이유로 임금피크제로 인해 삭감된 임금과 퇴직금 지급 청구 | 임금 및 퇴직금 청구의 소 | 2023-06-19 | 김** 외 9명 | 신한신용정보 주식회사 | 1,053 | 진행중 | - | - | 1신 진행 중 (변론기일 미확정), 소송 결과에 따라 임금피크직군 임금 및 기존 퇴직자들에 대한 퇴직금 재산정 및 지급, 임금피크제 제도 검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특정금전신탁 계약 종료에 따른 반환 청구 | 신탁금전 등 반환청구 | 2021-03-30 | 안** | 신한투자증권 | 1,926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1-04-30 | ****증권 | 신한투자증권 외3 | 9,083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특정금전신탁 종료에 따른 신탁원본 및 신탁이익 지급청구 | 신탁금전 등 반환청구 | 2021-12-13 | 피* | 신한투자증권 | 10,997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2-01-07 | **은행 | 신한투자증권 외3 | 36,436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2-01-18 | **은행 | 신한투자증권 외1 | 64,748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자본시장법 제48조 및 64조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 | 2022-05-10 | **********연금재단 | 신한투자증권 외1 | 22,000 | 승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 | 부당이득금 | 2022-09-01 | 보***** | 신한투자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취소로 인한 부당이득반환 청구 | 부당이득금 | 2022-11-03 | N******AKH ********** | 신한투자증권 | 1,500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투자자보호의무 위반 등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 | 2023-12-18 | ******조합 | 신한투자증권 외 2 | 6,479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DLS 편입 특정금전신탁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금 | 2024-07-05 | 신** | 신한투자증권 외 1 | 13,01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취소로 인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 2024-08-13 | 보***** | 신한투자증권 | 1,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 취소로 인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0-17 | ****재단 | 신한투자증권 | 1,749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DLS 편입 특정금전신탁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2-11 | 비*** | 신한투자증권 | 1,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금소법상 설명의무 등 위반을 이유로 한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1-14 | 주식회사 비*** | 신한투자증권 외 1 | 1,351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환매권 침해 원인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3-04 | **증권 | 신한투자증권 | 15,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반환 | 2025-02-21 | 김** 외 1 | 신한투자증권 | 1,4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PF대주단협약 상 반대채권자의 채권매수청구권 행사에 따른 채권매매대금청구 | 채권매매대금청구소송 | 2024-12-16 | ****보험 | 신한캐피탈 외 11개사 | 28,912 | 진행중 | - | - | 변론 절차 진행중임 |
| 책임준공 약정 관련 손해배상 청구 소송 | 손해배상(기) | 2025-06-26 | ㈜** | 신한캐피탈 외 21개사 | 500 | 진행중 | - | - | - 기일 지정 예정임(원고가 주장하는 금전적 손해금액은 약3100백만원으로, 소송진행 경과에 따라 청구취지 확장 가능)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반환 | 2019-03-05 | 김**, 박** | 당사 | 2,400 | 원고패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관련 형사사건 수사 진행중)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3-06 | 임**, 황**, 김** | 당사 | 9,9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반환등 | 2019-03-07 | 김** | 당사 | 3,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3-22 | 이* | 당사 | 4,3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기타 | 2019-04-20 | 최**, 박** | 당사 | 5,0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청구 | 2019-05-15 | ㈜서****, ㈜베***** | 당사 | 10,013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예금 | 2019-05-27 | 홍** | 당사 | 10,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6-11 | 이**, 이**, ㈜수*** | 당사 외 1 | 5,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기망에 의해 지역주택조합에 가입하였음을 이유로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청구 | 2023-05-01 | 강** 외 95 | 당사 외 4 | 5,03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공동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 | 2023-09-15 | 운******* | 당사 | 2,615 | 승소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당사의 자금집행이 구체적 근거 없이 집행되어 원고에 손해를 가하였다는 이유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3-12-28 | 광********** | 당사 외 9 | 2,534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공동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1-18 | 광********** | 당사 외 4 | 1,231 | 원고패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책임준공의무를 미이행 하였다는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2-08 | 에******* 외 4 | 당사 외 3 | 57,5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를 미이행 하였다는 이유로 대출원리금 전액 상환 청구 | 약정금 | 2024-04-02 | 마*******㈜ | 당사 | 3,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전액 상환 청구 | 약정금 | 2024-04-02 | 마*******㈜ | 당사 | 6,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4-12 | 이******* 외 22 | 당사 | 25,600 | 원고승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4-12 | 이******* 외 22 | 당사 | 47,4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17 | 메****㈜ 외 8 | 당사 | 52,36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연체이자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31 | 성******** | 당사 | 1,4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연체이자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31 | 성******** | 당사 | 2,6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6-14 | 엔*******㈜ 외 1 | 당사 | 7,004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기간 도과를 이유로 약정금 지급 의무를 주장하며 대출원리금, 전환사채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지급 청구 | 약정금 | 2024-09-13 | 교***㈜ 외 13 | 당사 | 65,77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 이유로 대출원리금의 일부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2-18 | 메*****㈜ 외 1 | 당사 | 1,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공급계약해제에 따른 기납입 분양대금반환 및 위약금청구 | 기타(금전) | 2025-03-07 | 강** 외 115 | 당사 | 10,209 | 진행중 | - | - | 패소 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기한 내 준공하지 못한 것을 이유로 대출원금 및 지연손해금 지급을 구한 사건 | 손해배상(기) | 2025-04-08 | 서************ 외14 | 당사 | 28,1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오피스텔 수분양자들이 당사 및 위탁자를 상대로 입주지연에 따른 공급계약 해제 및 납입한 분양대금의 반환을 구함 | 부당이득금 반환 | 2025-04-16 | ㈜남*** 외 3 | 당사 외 1 | 3,364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당사의 책임준공의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주장 | 손해배상(기) | 2025-05-09 | 시*********㈜ | 당사 | 7,0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하도급대금직불합의 및 하도급법 제14조 제1항 제3호 및 건산법 제35조 제2항 제3호를 근거로 하도급대금직접지급을 청구 | 공사대금등청구 | 2025-05-13 | 건***㈜ 외5 | 당사 외 1 | 2,983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가능성 있음 |
| i) 주위적 청구로서 하도급대금 직접지금 합의를 근거로 하도급 공사비를 청구하거나, ii) 예비적 청구로서 도급계약 해제를 고지해주지 아니하여 공사를 계속함으로써 손해가 발생하여 손해배상 청구권이 있거나 공사에 따른 유익비반환청구권이 있다고 청구한 사건 | 공사대금 | 2025-06-12 | ㈜경** | 당사 | 2,047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주) 고유계정 영향 없는 소송 제외함출처 : 신한금융지주 반기보고서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제주은행>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매, 백만원) |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 한국은행 | 27 | 270,000 | 한은차입담보외 |
| 신한은행 | 4 | 40,000 | 신용공여설정 |
| 합계 | 31 | 310,000 | - |
다. 채무보증 현황[지배회사에 관한 사항]<신한금융지주회사(연결기준)>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5,534,490 | 15,315,381 | 12,503,445 |
| 미확정지급보증 | 4,422,088 | 5,068,782 | 4,337,751 |
| 합 계 | 19,956,578 | 20,384,163 | 16,841,196 |
| 주) | K-IFRS 연결기준이며, 별도기준으로는 해당사항 없음 |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은행>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5,505,469 | 15,267,065 | 12,471,728 |
| 미확정지급보증 | 4,421,392 | 5,068,760 | 4,336,610 |
| 합 계 | 19,926,861 | 20,335,825 | 16,808,338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LIG넥스원㈜ | 2024.02.23 | 2029.05.10 | 확정지급보증 | 406,920 |
| 삼성물산㈜ | 2025.04.15 | 2027.07.07 | 확정지급보증 | 331,423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286,154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238,292 |
| 롯데케미칼㈜ | 2025.01.22 | 2026.03.03 | 확정지급보증 | 183,313 |
| 쿠팡㈜ | 2023.09.19 | 2026.06.19 | 확정지급보증 | 170,000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64,047 |
| 한화솔루션㈜ | 2021.10.07 | 2026.10.07 | 확정지급보증 | 159,180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49,109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49,028 |
| (주)프리드라이프 | 2018.04.05 | 2026.04.03 | 확정지급보증 | 144,000 |
| 한화솔루션㈜ | 2022.10.11 | 2025.10.11 | 확정지급보증 | 135,640 |
| (주)엘에스 | 2024.02.02 | 2026.01.30 | 확정지급보증 | 135,640 |
| (주)교원라이프 | 2021.09.17 | 2025.09.12 | 확정지급보증 | 130,000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127,251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126,995 |
| LIG넥스원㈜ | 2023.10.17 | 2028.10.17 | 확정지급보증 | 124,911 |
| (주)셀트리온 | 2024.12.26 | 2025.12.26 | 확정지급보증 | 120,609 |
| 롯데케미칼㈜ | 2025.01.22 | 2025.08.29 | 확정지급보증 | 120,092 |
| 한국수력원자력㈜ | 2023.04.19 | 2028.04.19 | 확정지급보증 | 117,909 |
| 주) | 확정/미확정 지급보증 잔액 기준 상위 20건으로 작성함 |
<신한카드>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803,391 | 809,772 | 502,009 |
| 미확정지급보증 | - | - | - |
| 합 계 | 803,391 | 809,772 | 502,009 |
| 주) | 종속회사 채무보증 현황 포함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25 | 2026.01.05 | 확정지급보증 | 54,256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6 | 2026.12.16 | 확정지급보증 | 54,256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8.23 | 2025.08.22 | 확정지급보증 | 35,88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7 | 2026.12.17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2 | 2026.12.12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1.01 | 2025.11.01 | 확정지급보증 | 26,00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3.20 | 2026.03.20 | 확정지급보증 | 23,92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22 | 2025.12.22 | 확정지급보증 | 20,80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2.07 | 2026.02.09 | 확정지급보증 | 41,85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5.28 | 2026.05.29 | 확정지급보증 | 33,48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06 | 2025.12.05 | 확정지급보증 | 29,295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8.13 | 2025.08.13 | 확정지급보증 | 20,925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27 | 2029.12.30 | 확정지급보증 | 66,137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6.30 | 2029.12.30 | 확정지급보증 | 52,200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7.30 | 2026.08.31 | 확정지급보증 | 32,554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04 | 2026.11.04 | 확정지급보증 | 32,554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11 | 2026.11.09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3.09.27 | 2028.09.27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05 | 2027.01.05 | 확정지급보증 | 21,702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17 | 2026.11.18 | 확정지급보증 | 18,990 |
| 주) | 기말 환율 적용 ('25. 6월 말) |
<신한캐피탈>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 | 70,000 | - |
| 미확정지급보증 | - | - | - |
| 합 계 | - | 70,000 | -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제주은행>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8,032 | 18,258 | 18,064 |
| 미확정지급보증 | 696 | 22 | 1,140 |
| 합계 | 18,728 | 18,280 | 19,204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주)*주*원*품 | 2021.05.11 | 2026.05.11 | 확정지급보증 | 4,109 |
| (주)*주*오* | 2022.09.13 | 2025.08.02 | 확정지급보증 | 2,650 |
| (주)*주*오* | 2019.08.02 | 2025.08.02 | 확정지급보증 | 1,910 |
| (주)*약* | 2021.06.17 | 2025.10.24 | 확정지급보증 | 730 |
| 주*회*지*프 | 2022.08.29 | 2027.07.27 | 확정지급보증 | 713 |
| (주)*월* | 2022.07.28 | 2025.07.28 | 확정지급보증 | 686 |
| 백*약*(주) | 2021.06.28 | 2026.06.28 | 확정지급보증 | 680 |
| 제*키*영*조*법* | 2025.06.27 | 2025.11.30 | 미확정지급보증 | 677 |
| (주)*양*인 | 2021.05.18 | 2026.05.16 | 확정지급보증 | 670 |
| (주)*주*테* | 2025.05.02 | 2026.05.02 | 확정지급보증 | 500 |
| (주)*일*품 | 2021.10.18 | 2025.08.26 | 확정지급보증 | 485 |
| 김*수 동*기* | 2025.04.22 | 2026.02.04 | 확정지급보증 | 334 |
| 남*철*(주) | 2024.11.01 | 2025.11.01 | 확정지급보증 | 300 |
| 장*수 현*모*스 | 2025.03.21 | 2026.03.21 | 확정지급보증 | 260 |
| (주)*룡*산 | 2024.07.26 | 2025.07.25 | 확정지급보증 | 250 |
| 제*도*퍼*켓*동*합 | 2021.05.25 | 2026.05.25 | 확정지급보증 | 236 |
| 제*킹*토*(주) | 2021.09.17 | 2025.09.13 | 확정지급보증 | 205 |
| 강*필 산*모*스 | 2024.09.26 | 2025.09.26 | 확정지급보증 | 200 |
| 이*형 제*철* | 2025.04.11 | 2026.04.11 | 확정지급보증 | 200 |
| (주)*현*엔* | 2024.07.31 | 2025.07.31 | 확정지급보증 | 200 |
| 주) | 확정/미확정 지급보증 잔액 기준 상위 20건으로 작성함 |
라. 그 밖의 우발채무 등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투자증권>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자금보충 | 767,070 | 1,025,351 | 1,504,007 |
| 매입확약 | 842,200 | 240,200 | 484,500 |
| 매입약정 | 15,300 | 15,300 | 38,300 |
| 지급보증 | 0 | 0 | 13,000 |
| 합계 | 1,624,570 | 1,280,851 | 2,039,807 |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USD천불/VND백만) |
| 구 분 | 통화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외화자금보충 | USD | 24,710 | 51,710 | 85,458 |
| 외화지급보증 | USD | 60,000 | 50,000 | 50,000 |
| VND | - | - | - | |
| 외화매입확약 | VND | - | - | - |
| USD | - | - | 11,170 | |
| 합계 | USD | 84,710 | 101,710 | 146,628 |
| VND | - | - | - |
- 원화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회사명 | 기초자산 | 약정금액 | 체결일 | 약정 만기일 |
|---|---|---|---|---|---|
| 신용공여형(자금보충약정) | 엔젤레스제육,칠차(유) | 우선주 및 TRS계약 | 10,000 | 2024년 10월 11일 | 2026년 10월 11일 |
| 엔젤레스제십팔차(유) | 대출채권 | 11,400 | 2018년 05월 31일 | 2026년 06월 01일 | |
| 글로벌에디션제일차(유) | 수익증권 | 600 | 2018년 09월 28일 | 2025년 09월 28일 |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수익증권 | 40,640 | 2019년 04월 25일 | 2029년 10월 25일 | |
| 어스에스엔제일차㈜ | 수익증권 | 1,800 | 2019년 06월 25일 | 2025년 10월 20일 | |
| 랜드로드제이차(유) | 수익증권 | 100 | 2019년 07월 26일 | 2025년 07월 26일 | |
| 글로벌에디션제이차(유) | 수익증권 | 300 | 2019년 11월 06일 | 2026년 11월 09일 | |
| 신한바이오매스제일차㈜ | 수익증권 | 88,000 | 2019년 11월 15일 | 2027년 03월 31일 | |
| 신한유토피아제일차㈜ | 수익증권 | 100 | 2019년 11월 22일 | 2029년 11월 22일 | |
| 프리다칼로제일차㈜ | 수익증권 | 300 | 2019년 11월 06일 | 2029년 11월 05일 | |
| 밸류플러스미드스트림㈜ | 수익증권 | 155,000 | 2019년 12월 18일 | 2026년 12월 31일 | |
| 에스지엠에스제십사차㈜ | 수익증권 | 33,000 | 2019년 12월 26일 | 2026년 12월 23일 | |
| 에스지엠에스제십팔차㈜ | 회사채 | 20,500 | 2020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5일 | |
| 신한비스킷제일차㈜ | 대출채권 | 9,500 | 2021년 06월 22일 | 2026년 12월 24일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차㈜ | 대출채권 | 400 | 2022년 04월 18일 | 2027년 04월 19일 | |
| 토탈커버투게더제일차(유) | 신종자본증권 | 20,600 | 2022년 03월 25일 | 2027년 03월 28일 | |
| 글로벌에디션제5차(유) | 수익증권 | 780 | 2020년 10월 05일 | 2026년 01월 15일 |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사모사채 | 7,700 | 2023년 04월 24일 | 2026년 04월 28일 | |
| 신한에코머티리얼즈㈜ | 대출채권 | 10,700 | 2023년 05월 25일 | 2030년 03월 31일 | |
| 찬스공평유동화㈜ | 대출채권 | 25,000 | 2023년 06월 29일 | 2026년 09월 19일 | |
| 찬스가산유동화㈜ | 대출채권 | 10,000 | 2023년 07월 14일 | 2025년 10월 14일 | |
| 랜드로드제칠차㈜ | 수익증권 | 21,000 | 2023년 08월 08일 | 2028년 08월 11일 | |
| 랜드로드제팔차㈜ | 대출채권 | 5,600 | 2023년 10월 05일 | 2030년 10월 06일 |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대출채권 | 4,400 | 2023년 10월 04일 | 2026년 08월 06일 |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 | 사모사채 | 35,000 | 2023년 12월 05일 | 2026년 12월 09일 | |
| 에스지아이비에스피제삼차㈜ | 상환우선주 | 6,000 | 2023년 12월 12일 | 2026년 12월 14일 | |
| 베스트솔루션제이차㈜ | 전환우선주 | 15,950 | 2024년 02월 15일 | 2026년 02월 19일 | |
| 816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5,000 | 2024년 03월 15일 | 2025년 09월 15일 |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 대출채권 | 10,200 | 2024년 04월 19일 | 2029년 04월 25일 | |
| 신한밸류업제이차㈜ | 후순위BW | 19,200 | 2024년 04월 25일 | 2026년 11월 26일 | |
| 그레이트더블에스제일차㈜ | 회사채 | 30,900 | 2024년 06월 27일 | 2027년 06월 27일 | |
| 파이어웍스제이차㈜ | 회사채 | 30,900 | 2024년 08월 14일 | 2027년 08월 14일 |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 | 대출채권 | 41,000 | 2024년 09월 10일 | 2028년 03월 31일 |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회사채 | 10,900 | 2024년 09월 13일 | 2025년 10월 30일 | |
| 드림제일차㈜ | 대출채권 | 12,500 | 2024년 11월 28일 | 2027년 05월 28일 | |
| 파인솔루션제이십차㈜ | 대출채권 | 5,500 | 2025년 01월 03일 | 2027년 01월 04일 | |
| 신한밸런스제일차㈜ | 전환우선주 | 11,000 | 2025년 02월 18일 | 2027년 02월 18일 | |
| 디큐브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5,000 | 2025년 02월 17일 | 2026년 02월 19일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 | 대출채권 | 30,600 | 2025년 02월 26일 | 2030년 02월 26일 | |
| 소계 | 767,070 | - | - | ||
| 유동성공여형매입약정 | 제이발롱블루제이차 | 교환사채 | 15,300 | 2021년 11월 16일 | 2026년 11월 16일 |
| 소계 | 15,300 | - | - | ||
| 매입확약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대출채권 | 13,000 | 2021년 10월 21일 | 2026년 03월 31일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대출채권 | 38,000 | 2021년 12월 07일 | 2026년 02월 06일 | |
| 쥐피에스22제구차㈜ | 대출채권 | 23,000 | 2022년 04월 29일 | 2026년 07월 29일 | |
| 쥐피에스22제십차㈜ | 대출채권 | 10,000 | 2022년 04월 26일 | 2026년 07월 29일 | |
| 파코제일차㈜ | 대출채권 | 30,000 | 2022년 11월 22일 | 2028년 08월 22일 | |
| 쥐피에스23제사차㈜ | 대출채권 | 112,000 | 2023년 09월 25일 | 2025년 09월 25일 | |
| 성수공간제사차㈜ | 대출채권 | 10,000 | 2023년 10월 12일 | 2027년 04월 13일 | |
| 쥐피에스23제영차㈜ | 대출채권 | 4,200 | 2023년 11월 28일 | 2026년 05월 28일 |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사모사채 | 21,000 | 2025년 03월 12일 | 2027년 03월 12일 | |
| 판교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20,000 | 2025년 06월 27일 | 2028년 06월 30일 | |
| 판교공간제이차 | 대출채권 | 10,000 | 2025년 06월 27일 | 2028년 06월 30일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일차 | 대출채권 | 420,700 | 2025년 06월 25일 | 2030년 12월 30일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이차 | 대출채권 | 30,300 | 2025년 06월 25일 | 2030년 12월 30일 | |
| 소계 | 842,200 | - | - | ||
| 합 계 | 1,624,570 | - | - | ||
- 외화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USD천불) |
| 구분 | 회사명 | 기초자산 | 통화 | 약정금액 | 체결일 | 약정 만기일 |
|---|---|---|---|---|---|---|
| 신용공여형(자금보충약정)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 대출채권 | USD | 4,310 | 2020년 09월 15일 | 2025년 09월 22일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이차㈜ | 대출채권 | USD | 6,500 | 2021년 06월 24일 | 2029년 06월 29일 |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 | 대출채권 | USD | 10,500 | 2021년 12월 02일 | 2029년 12월 03일 | |
| 신한인더스트리얼즈제일차㈜ | 대출채권 | USD | 3,400 | 2023년 04월 26일 | 2029년 08월 02일 | |
| 소계 | USD | 24,710 | - | - | ||
| 신용공여형(지급보증약정)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6,000 | 2023년 06월 26일 | 2026년 06월 24일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5,000 | 2023년 06월 30일 | 2026년 06월 28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0,000 | 2025년 06월 28일 | 2026년 06월 07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9,000 | 2023년 07월 05일 | 2025년 07월 03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0,000 | 2023년 07월 18일 | 2025년 08월 27일 | |
| 소계 | USD | 60,000 | - | - | ||
| 합계 | USD | 84,710 | - | - | ||
| ※ 그 밖의 우발채무 등은 본 보고서 첨부서류인 연결감사보고서의 '주석29. 우발 및 약정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신한금융지주는 내부통제시스템 강화를 통하여 임직원의 법률 위반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으나, 신한금융지주 및 각 계열사의 제재사항에 대한 재발 방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신한금융지주 임원 등의 법령 위반 사항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 안정성 및 전반적인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자.금융지주회사의 법적제재 사항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상 금융지주회사의 출자 및 투자 제한, 동일 차주 및 동일 기업, 주요출자자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제한, 자회사 등에 대한 행위제한에 대한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특히, 금융지주회사법 제48조 제1항 제3호에 의하면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등은 다른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로서 각 자회사당 자기자본의 100분의 10,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를 모두 합하여 자기자본의 100분의 20을 초과하는 신용공여를 하여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금융지주회사에 속하는 자회사 등 상호간에 신용공여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비율의 담보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또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지주회사 행위제한규정(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법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행위제한에 대하여 당사는 해당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및 자회사간의 해당거래는 존재하지 않으나 위와 같은 법적제재 사항이 있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상 금융지주회사의 출자제한, 동일 차주 및 동일 기업, 주요출자자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제한, 자회사 등에 대한 행위제한에 대한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특히, 금융지주회사법 제48조 제1항 제3호에 의하면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등은 다른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로서 각 자회사당 자기자본의 100분의 10,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를 모두 합하여 자기자본의 100분의 20을 초과하는 신용공여를 하여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금융지주회사에 속하는 자회사 등 상호간에 신용공여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비율의 담보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또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지주회사 행위제한규정(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준수의무가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법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행위제한에 대하여 당사는 해당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및 자회사간의 해당거래는 존재하지 않으나, 항상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금융지주회사법상 행위제한] |
1. 금융지주회사의 출자 및 투자 제한
|
제한규정 |
내용 |
충족여부 |
|---|---|---|
|
계열회사 주식소유 제한(법 제6조의 3) |
금융지주회사는 자회사 외의 계열회사 주식을 소유하여서는 아니됨 |
해당사항 없음 |
|
자회사의 주식의 소유의무(법 제43조의 2) |
자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50% 이상 소유 (상장법인의 경우 30% 이상) |
충족 |
|
다른 회사 주식의 보유제한(법 제44조) |
자회사 등이 아닌 회사의 발행주식 총수의 5% 초과 금지 |
해당사항없음 |
| 주) 상기 자회사 주식 지분율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
2. 신용공여한도 제한
|
제한규정 |
내용 |
충족여부 |
|---|---|---|
|
동일차주에 대한 신용공여(법 제45조 1항) |
동일차주에 대한 금융지주회사등의 신용공여의 합계액은 금융지주회사등의 자기자본의 순합계액의 100분의 25 초과금지 |
충족 |
|
동일기업에 대한 신용공여(법 제45조 2항) |
동일한 개인이나 법인 각각에 대한 금융지주회사등의 신용공여의 합계액은 금융지주회사등의 자기자본의 순합계액의 100분의 20 초과금지 |
충족 |
|
주요출자자에 대한 신용공여(법 제45조 3항) |
은행지주회사 등이 은행지주회사의 주요출자자(특수관계인 포함)에게 할 수 있는 신용공여 합계액은 당해 은행지주회사 등의 자기자본 순합계액의 100분의 25에 해당하는 금액과 그 주요출자자의 당해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출자비율에 해당하는 금액 중 적은 금액 초과금지. 아울러, 은행지주회사의 모든 출자자에게 할 수 있는 신용공여 합계액은 당해 은행지주회사 등의 자기자본의 순합계액의 100분의 25 초과금지 |
해당사항없음 |
3. 자회사의 행위 제한
|
제한규정 |
내용 |
충족여부 |
|---|---|---|
|
당해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법 제48조 1항 1호) |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등은 당해 자회사 등이 속하는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 |
해당사항없음 |
|
다른 자회사등의 주식 보유 제한(법 제48조 1항 2호) |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등은 금융지주회사내의 다른 자회사등(당해 자회사등에 의하여 직접 지배받는 회사를 제외)의 주식 소유 금지 |
해당사항없음 |
|
다른 자회사등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제한 및 담보 확보(법 제48조 1항 3호 및제48조 2항) |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등은 다른 자회사등에 대한 신용공여로서 각 자회사 당 자기자본 100분의 10, 자회사등에 대한 신용공여를 모두 합하여 자기자본의 100분의 20을 초과하는 신용공여 금지 |
충족 |
|
동일한 금융지주회사에 속하는 자회사등 상호간에 신용공여를 하는 경우에는 담보종류별로 100% ~ 130%의 담보확보 의무 |
충족 |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행위제한] |
|
제한규정 |
내용 |
충족여부 |
|---|---|---|
|
지주회사 행위제한규정(법 제8조의2 2항 1호) |
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행위 |
충족 |
| 본 사채는 일반적인 무보증 공모사채와는 다른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서 아래와 같은 투자금 전액 손실 및 이자 미지급 가능성이 존재함을 인지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① 상각 : 본 사채의 원금이 전액 상각되어 채권자의 투자금이 전액 손실될 수 있습니다. ② 이자지급정지 :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미지급된 이자는 향후 이자지급이 재기되더라도 지급되지 않습니다.③ 이자지급취소 :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은 당사의 재량에 따라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채권자는 이자를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미지급된 이자에 대해서 추후 지급하지 않습니다.④ 이자지급재원 : 본 사채는 배당가능이익에서 이자가 지급됩니다.⑤ 중도상환(Call Option) :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이후(5년 포함) 중도상환될 수 있으나 당사는 중도상환 행사에 대한 어떠한 약정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투자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⑥ 환금성 및 유동성 : 본 사채는 만기가 영구적이며 발행회사의 파산, 해산, 청산의 경우만기가 도래합니다. 만기도래 이전까지 환금성을 보장받을 수 없어 유동성 위험이 높습니다. ⑦ 신용등급 적정성 여부 : 본 사채는 AA-등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각사유에 대한 분석자료가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인 AA-등급 회사채 부도율이 적용될 수 없습니다.⑧ 기한의 이익 상실 적용 배제 : 본 사채의 권리자는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없으며, 본 사채와 관련된 모든 계약서 중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조항 및 기한의 이익 상실을 전제로 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일체의 조항 역시 본 사채에 적용되지 않습니다.⑨ 후후순위 특약 : 본 사채는 특약에 의하여 후후순위조건이라는 불리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약 제1조 및 제2조에 의거하여, 본 사채는 파산/청산/회생/외국에서의 도산 등의 경우에 모든 후순위 채권자보다 변제가 후순위입니다. |
| 가. 사채의 상각조건 본 사채는 당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금산법')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되었을 경우, 통지나 공시 또는 상각의 신청과 같은 특별한 행위나 조치가 없더라도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자동적으로 본 사채 투자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각의 효력이 발생하여 원리금 전액을 영구적으로 받지 못하게 되는 매우 위험한 상품에 해당 합니다.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후 해제가 된다 하더라도 원리금은 회복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본 사채의 위험과 관련하여 충분히 숙지하신 후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1) 본 사채 상각사유 :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본 사채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른 조건부 자본증권으로서 금융지주회사법, 은행법에 따른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됩니다. 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금산법') 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라 발행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는 경우(조건부 자본의 요건) 본 증권의 투자자는 당사에 대한 원금 상환은 물론 이자의 지급도 구할 수 없으며 본 증권의 상각은 당사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또한 본 사채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는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합니다. (2)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의미(가) 부실금융기관의 의의 및 요건금융기관이 채무초과, 지급불능 등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연히 또는 금융위원회의 지정에 의하여 금산법에 따른 부실금융기관이 되는데, 구체적으로 부실금융기관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을 말합니다.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2조제2항 |
| "부실금융기관"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을 말한다.① 금융기관의 경영상태를 실제 조사한 결과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금융기관이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이 명백한 금융기관으로 금융위원회나 「예금자보호법」 제8조에 따른 예금보험위원회가 결정한 금융기관② 「예금자보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예금 등 채권의 지급이나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상환이 정지된 금융기관③ 외부로부터의 지원이나 별도의 차입이 없이는 예금 등 채권의 지급이나 차입금의 상환이 어렵다고 금융위원회나 「예금자보호법」 제8조에 따른 예금보험위원회가 인정한 금융기관 |
다만, 금융위원회나 예금보험위원회가 특정 금융기관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향후 행정절차법이 규정하고 있는 처분의 사전통지 의견청취 절차 등을 진행하기로 결정한 때에 보도자료 배포 등을 통하여 그 사실을 대중에 알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금융위원회나 예금보험위원회가 행정절차법에 따른 위 절차를 모두 완료한 이후에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한 때에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의 지정행위 이전에 부실우려가 있는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자산과 부채에 대한 실사를 할 수 있으며 금융위원회의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제43조 |
|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제2조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 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지주회사로 한다.1. 금융지주회사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금융지주회사 자산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되어 감독원장이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금융지주회사2.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50 미만인 금융지주회사(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 100분의 4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2.3 미만인 경우를 말함)3. 제35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평가결과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의 평가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된 금융지주회사[참고]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3조 제3호에서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이라 함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 제12조에서 정하는 재무상태 평가부문을 말하는 것으로, 아래 표의 경영실태평가 부문별 평가항목 중 재무상태 항목이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기준이 됩니다.주) 경영실태평가 부문별 평가항목(제35조 관련)
|
| 「은행업감독규정」제42조 |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은행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은행으로한다.①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자산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되어 감독원장이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은행② 총자본비율 100분의 4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0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2.3 미만인 은행 ③ 제33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 평가결과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자본적정성 또는 자산건전성)의 평가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된 은행[참고]은행업감독규정 제42조 제3호에서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이라 함은 은행업무감독업무시행세칙 제28조 제1항에서 정하는 자산건전성 또는 자본적정성 평가부문을 말하는 것으로, 아래 표의 경영실태평가 부문별 평가항목 중 자본적정성 또는 자산건전성 항목이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기준이 됩니다.주) 경영실태평가 부문평 평가항목(은행업감독규정 제33조 관련) * 은행 본점, 은행 국외현지법인에 대한 평가항목
|
(나) 부실금융기관 처리절차당사와 같이 금산법(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관이 부실금융기관으로 판정받게 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금융감독조치와 법 적용을 받게 되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금산법 제10조에 따른 적기시정조치입니다. 은행 및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적기시정조치는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으로 분류됩니다. 경영개선권고에는 인력 및 조직운영의 개선, 경비절감, 부실자산의 처분 등의 조치가 포함되어 있어 비교적 약한 강도의 조치이며, 경영개선요구에는 조직의 축소, 위험자산보유 제한 및 자산의 처분, 임원진 교체요구, 영업의 일부 정비 등의 조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경영개선명령으로서 관리인의 선임, 합병, 계약이전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다만 주의할 점은, 현행법상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금융기관도 그 재무상태가 일정한 기준에 미달하거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위 기준에 미달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적기시정조치를 받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적기시정조치는 퇴출의 의미보다는, 부실화에 대한 경고 또는 사전 예방적 조치의 성격을 갖습니다. 부실금융기관의 지정 없이 적기시정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는 주로 경영개선권고 또는 경영개선요구를 하고, 해당 금융기관이 금융위원회의 조치를 이행하지 않거나 이행이 곤란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가 해당 금융기관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면서 경영개선명령(관리인 선임, 계약이전결정 등)이나 파산신청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입니다. 즉,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있은 후에 계약 이전 결정 등의 경영개선명령이나 파산신청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론적으로는 부실금융기관의 지정 없이 바로 경영개선명령이나 파산 신청 등의 절차가 곧바로 시작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특정금융기관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해당 부실금융기관의 처리 방향은 금융위원회가 당해 부실금융기관을 계속기업으로 회생하게 할 것이냐 청산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각 경우에 실제 사례에 있어서의 진행 과정은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① 회생의 경우
금융위원회가 부실금융기관을 회생시키기로 하였다면, 정부 등에게 출자 또는 유가증권매입 등으로 부실금융기관을 지원할 것을 요청하는 한편, 부실금융기관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자본감소를 명령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부실금융기관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건전성을 회복하게 된 후에는, 독자 생존을 하거나 다른 금융기관과의 합병 또는 다른 금융기관에의 매각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② 청산의 경우
반면, 금융위원회가 부실금융기관을 청산시키기로 하였다면, 금융위원회는 부실금융기관에 대하여 영업정지 내지 영업인허가 취소를 명하고, 관리인 선임 내지 계약이전결정 등 처분을 하여 관리인으로 하여금 자산 및 부채 등을 관리·처분하게 하거나 예금계약 등을 타 금융기관으로 이전하도록 하고, 당해 금융기관은 해산 내지 청산절차를 밟게 됩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부실금융기관에 대하여 법원에 파산신청을 할수 있고, 청산인 또는 파산관재인을 추천할 수도 있습니다.
단, 위 회생 및 청산의 절차는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후의 절차를 가정한 것이며, 투자자의 권리와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있은 이후에는, 금융위원회가 회생 혹은 청산 중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본 사채의 원리금이 상각된다는 점에는 차이가 없으니 투자자들은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해제된다 하더라도, 본 사채에 대한 투자자들은 원리금이 회복되지 않습니다.(다)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효력 발생 시기금융위원회가 특정 금융기관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한 날부터 그 효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그런데 금융위원회가 특정 금융기관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향후 행정절차법이 규정하고 있는 처분의 사전통지·의견청취 절차 등을 진행하기로 결정한 때에 보도자료 배포 등을 통하여 그 사실을 대중에 알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금융위원회가 행정절차법에 따른 위 절차를 모두 완료한 이후에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한 때에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실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실 및 그 효력 발생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전국 일간지에 즉시 공고하겠습니다.
| 가-1. 상각 발동요건인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의의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전에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기관'을 산정합니다. 즉각적인 부실금융기관을 지정하기보다는 경영정상화를 추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시정조치가 내려지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입니다. 다만, 이론적으로는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없이 곧 바로 경영개선명령이나 파산신청 등의 절차가 시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자산건전성 강화, 위험관리를 통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이나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이 지속될 경우를 고려하면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 할 수는 없습니다.또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로서 자회사의 실적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바,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등이 부실금융기관 지정 또는 이와 유사한 절차 진행은 당사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이 점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개념과 절차과거 IMF 외환위기 당시 정부는 공적자금 투입을 통하여 국내 금융시스템을 안정화하였습니다. 2000년 「공적자금관리 특별법」이 제정되어, 금융기관에 대하여 공적자금이 투입되기 위해서는 금산법 혹은 예금자보호법에 근거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그 선결요건이 되었습니다.공적자금관리 특별법은 자금관리의 지원 원칙(최소 비용의 원칙, 공평한 손실 분담의 원칙 등)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이 중 최소 비용의 원칙은 국민 경제적 손실까지 고려한 총비용의 최소화이며, 이는 법 시행령으로 기술되고 있습니다. 즉, 정부는 지원 대상 금융회사의 거래대상과 동일 업종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감안할 때 해당 금융회사의 파산 등이 금융제도의 안정성을 저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손실까지도 포함하는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공적자금 지원 여부를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출처 : 2014년 공적자금관리백서) 이렇듯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논의는 공적자금 관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현재 금산법상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은 거액의 금융사고나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거나 정상적인 차입금 상환이 불가능한 경우 지정됩니다. 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 지정 이전에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기관'을 선정합니다. 이를 통해 자산건전성이 하락하고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경우에도 금융당국은 즉각적인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기보다는 우선 '경영개선권고'나 '요구'를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적기시정조치를 해제하거나 반대로 강화하고 때때로 해당기관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없이 곧 바로 경영개선명령이나 파산신청 등의 절차가 시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공적자금관리 특별법 및 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당사가 국내 금융제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였을 때, 유사시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통한 공적자금의 투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융감독기관은 금융기관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부실기관정리와 자산실사를 위해 해당 기관을 영업정지시키고 있습니다.
바젤III 규제에 대비하여 당사는 지속적인 자산건전성 강화와 자본적정성 확충 등을 통해 영업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위기관리 능력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당사의 부실금융지정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국내 금융기관들의 대규모 부실을 유발시켰던 과거의 금융위기 상황들이 향후에도 재발될 가능성을 무조건 배제할 수도 없습니다.
|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에 따른 경영실태 평가와 시정조치] |
|
구 분 |
경영개선권고 |
경영개선요구 |
경영개선명령 |
|---|---|---|---|
|
자본비율 |
총자본비율 8%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6%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4.5% 미만 |
총자본비율 6%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4.5%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3.5% 미만 |
총자본비율 2%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1.5%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1.2% 미만 |
|
경영실태평가 |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3 등급 이상으로서 재무상태부문이 4등급이하 |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4등급 이하 |
- |
|
시정조치 |
- |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금융지주회사가 경영개선계획을 성실히 이행하지아니하는 경우 |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금융지주회사가 주요사항을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
|
기타 |
금융지주회사등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위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금융지주회사등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위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부실금융기관 지정 |
|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른 은행경영실태 평가와 시정조치] |
|
구 분 |
경영개선권고 |
경영개선요구 |
경영개선명령 |
|---|---|---|---|
|
자본비율 |
총자본비율 8%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6%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4.5% 미만 |
총자본비율 6%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4.5%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3.5% 미만 |
총자본비율 2% 미만 or 기본자본비율 1.5% 미만 or 보통주자본비율 1.2% 미만 |
|
경영실태평가 |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1-3 등급으로서 자산건전성 또는 자본적정성이 4-5 등급 |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4-5 등급 |
- |
|
시정조치 |
- |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은행이 경영개선계획을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은행이 주요사항을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
|
기타 |
은행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위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은행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위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부실금융기관 지정 |
(2) 과거 사례분석금융기관의 부실금융기관 지정은 국내 공적자금관리와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특히, 2002년 12월 26일 예금자보호법이 개정되어 공적자금은 2002년말 이전에 보험사고가 발생하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 또는 인정된 경우에 한해서 지원토록 하였습니다. 현재도 공적자금 지원은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거친 후 진행되고 있습니다. (출처 : 공적자금백서) 이에 따라, 현재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은 금융위와 예보위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가) 과거 부실금융기관 결정 현황
| 번호 | 금융기관 | 부실금융기관지정일 | 부실금융기관결정 사유 | 관련근거(지정당시) | 결정주체 |
|---|---|---|---|---|---|
| 1 | 대한생명 | 1999.09.14 | 부채가 자산을 초과 | 舊)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 | 금감위 |
| 2 | 한투·대투증권 | 2000.06.09 | 금감위 | ||
| 3 | 한빛·서울·평화광주·제주·경남 | 2000.12.18 | 금감위 | ||
| 4 | 전주저축은행 | 2011.02.19 | 외부로부터의 지원이나 별도의 차입이 없이는 예금 등 채권의 지급이나 차입금의 상환이 어려운 경우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다목 | 금융위 |
| 5 | 보해저축은행 | 2011.02.19 | 금융위 | ||
| 6 | 중앙저축은행 | 2011.02.19 | 금융위 | ||
| 7 | 한울저축은행 | 2013.10.10 | 부채가 자산을 초과 | 예금자보호법 제2조 제5호 | 예보위 |
| 8 | 해솔저축은행 | 2013.10.10 | 예보위 |
| 출처 : 예금보험공사 |
(나) IMF 외환위기 시 금융회사 부실 정리 사례- IMF 외환위기 시 금융부실 정리 : IMF 외환위기 이후 2001년 4월말까지 총 572개 부실금융기관을 정리하였습니다. 이는 1997년말 대비 전체금융기관의 27.2%에 해당하는 대규모 구조조정 사례입니다.(은행(11), 종금(27), 증권(7), 투신(10), 보험(15), 리스(10) 신용금고(111), 신협(381))- 2차례에 걸쳐 공적자금 조성과 회수재원을 활용하여 137조원을 투입하여 한빛은행, 평화은행, 광주은행 및 경남은행 등 4개 은행과 하나로종금을 정상(Clean)화하여 금융지주회사로 통합한 사례가 있습니다.
| ※ (주)우리은행 사례 |
|
- 우리은행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내용 정부는 1997년말 기준 BIS자기자본 비율이 8%에 미달하는 12개 은행(제일, 서울은행은 제외)에 대해 경영정상화 계획을 제출 받아 그 평가결과를 토대로 1단계 은행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우리은행의 전신인 상업은행 및 한일은행은 경영정상화계획에 따라 자체적으로 자본확충 등을 추진하도록 하고, 정부가 자본 3조 2,642억 원을 출자하여 1999년 1월 4일 한빛은행으로 합병하게 됩니다.이후 금융감독위원회는 2단계 은행 구조조정을 추진방향에 따라, 2000년 6월말 기준으로 신자산건전성분류기준에 따라 잠재부실을 반영한 BIS자기자본비율이 8%에 미달하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된 8개 은행(조흥, 한빛, 외환, 평화, 광주, 제주, 서울, 경남은행)에 대해 경영개선계획을 제출 받아 평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은행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자본금이 완전잠식되어, 자체적인 경영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된 한빛은행을 포함한 6개 은행(한빛, 서울, 평화, 광주, 제주, 경남)에 대해서는 2000년 12월 16일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 제2조제3호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는 한편, 예금보험공사의 출자결정을 조건으로 기존 주식 전부를 소각하는 자본금 감소 명령을 하였고, 예금보험공사에 대하여 출자를 요청(2000년 12월 18일)하였습니다. 한편, 예금보험공사는 이들 은행에 대한 신속한 자금지원을 통한 경영정상화를 위해 동 은행들의 재무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예금자보호법」 제38조에 의거 동 은행들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출처 : 2003년 공적자금백서 |
- 은행권 공적자금 지원내용
예금보험공사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공적자금 지원규모를 산정하기 위해 6개 은행에 대하여 회계법인을 통한 실사를 하였습니다. 2000년 9월말 기준 재무제표상의 자산·부채를 미래상환능력기준(FLC)으로 평가하여 위험가중자산을 산출하되 실사종료일(2000.11말) 현재까지 현재화된 부실요인은 모두 감안하고, 대우계열·워크아웃·법정관리·화의여신 등 구조조정여신 등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엄격하게 평가하였습니다.
| [6개 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지원] | (단위 : 억원) |
| 구 분 |
출 자 |
부실채권매입 |
합 계 |
|---|---|---|---|
|
한빛은행 |
27,644 |
3,437 |
31,081 |
|
평화은행 |
2,730 |
24 |
2,754 |
|
광주은행 |
1,704 |
205 |
1,909 |
|
경남은행 |
2,590 |
35 |
2,625 |
|
서울은행 |
6,108 |
4,374 |
10,482 |
|
제주은행 |
531 |
53 |
584 |
|
합 계 |
41,307 |
8,128 |
49,435 |
| 주) 2000년 9월~2001년 6월 기준, 출연금은 제외출처 :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백서(2001년) |
(다) 저축은행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례- 개요 : 2011년 9월 18일 금융감독원의 경영진단 결과 및 경영평가위원회 심사결과 제일,제일2, 프라임, 대영, 에이스, 파랑새, 토마토 등 7개 상호저축은행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결정 및 경영개선명령(6개월간 영업정지 포함) 지정하였습니다.- 지정 사유 : 제일, 프라임, 대영, 에이스, 파랑새, 토마토 상호저축은행 등 6개사의 경우 금융감독원의 경영진단 결과 BIS자기자본비율이 기준(1% 미만)에 미달하고,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며 제일2상호저축은행의 경우 BIS자기자본비율이 기준(1% 미만)에 미달하고, 모회사인 제일상호저축은행의 영업정지에 따른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로 유동성 부족이 명백히 예상될 뿐만 아니라 회사가 영업정지를 신청해 옴에 따라 영업정지를 포함한 경영개선명령 조치 부과하였습니다.
| [부실금융기관 지정 저축은행 재무지표 추이(11년 6월말 기준)] | (단위:억원, %) |
| 구분 | 제일 | 제일2 | 프라임 | 대영 | 에이스 | 파랑새 | 토마토 |
|---|---|---|---|---|---|---|---|
| 총자산 | 33,137 | 10,610 | 12,566 | 6,176 | 9,918 | 4,182 | 38,835 |
| 총여신 | 30,470 | 7,590 | 9,061 | 4,013 | 13,275 | 3,778 | 33,614 |
| 총수신 | 30,553 | 9,853 | 11,328 | 5,909 | 12,796 | 4,142 | 39,776 |
| BIS비율 | △8.81 | △0.63 | △4.14 | △9.13 | △51.10 | △5.50 | △11.47 |
| 순자산 | △2.070 | △118 | △489 | △303 | △3.787 | △300 | △4.419 |
- 저축은행의 자본잠식 등 부실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2011년에 총 7개 상호저축은행의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이뤄졌습니다. 7개사 모두 자본잠식 상태와 금융감독원 가이드라인으로 지정된 경영개선명령 기준 1% 미만에 대한 구조조정 차원에서의 지정함. 일정 기간(45일)내에 경영정상화를 이뤄야 영업 재개가 가능한 사항으로 추후 매각 절차도 병행하는 조건으로 추진하였습니다.(라) 뱅크런 : 해외사례
| 영국 노던록(Northern Rock) 뱅크런 사례- 개요 : 영국의 노던록(Northern Rock)은 1965년에 설립된 영국 제5위의 모기지 은행으로서 2007년 6월말 총자산이 1,130억 파운드에 달하며, 저축예금(savings accounts), 대출(loans), 보험(insurance) 상품 등을 취급했던 은행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사태의 여파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던 노던록 은행에 긴급구제자금이 지원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2007년 9월 14일 대규모 예금인출사태(bankrun)가 발생함.- 발생원인 : 일차적 원인은 모기지 대출시장의 침체이며, 노던록 은행의 도매시장 중심의 자금조달체계도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 대출재원의 상당 부분을 국제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에서 조달하던 노던록 은행은 국제 금융시장의 유동성이 풍부한 시기에는 자금조달에 별 어려움이 없으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신용경색(credit crunch) 시기에는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처할 위험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평가됨.- 조치 : 노던록 은행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자 영란은행(Bank of England)은 재무부(Treasury) 및 금융감독청(Financial Services Authority)과 협의하여 긴급구제자금(emergency loans)을 지원하였음. 추후 매각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국 재무부는 2월 17일 노던록 은행의 일시적인 국유화를 결정함. |
| 미국 인디맥 은행 (IndyMac Bank) 뱅크런 사례- 개요 : Indy Mac Bank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소재한 저축대부조합으로, 2007년말 자산규모 (325억달러) 기준 미국 2위의 저축대부조합이었음. 고금리예금 비중이 높은 자금조달구조 하에서 부동산경기 악화로 총자산의 62%를 차지한 모기지 대출이 부실화 되면서 경영이 급속히 악화되었는데, 2008.06.26 상원의원 Schumer 가 감독당국에 동 은행에 대한 선제적 감독조치를 촉구함으로써 부실이 노출되어 6.27.~7.10. 10 영업일 간 뱅크런이 발생하였고, 보유예금의 6.8%에 달하는 13억 달러가 인출됨.- 조치 : 미국 저축기관감독청(OTS)은 7.11.동 은행에 유동성 부족을 사유로 영업정지조치를 내렸고, 연방예금보험공사는 7.14. 가교은행을 설립하여 동 은행의 자산을 이전한 후 영업을 재개하였음. 이후 연방예금보험공사는 금융시장안정을 위해 2008.10.3부터 예금보장한도를 10만 달러에서 25만 달러로 증액하는 조치를 취함. |
| Bank of East Asia 사례홍콩의 은행인 Bank of East Asia 는 2008.09.15 주식파생상품 가치 산정오류로 상반기 실적을 일부 수정하였는데, 이에 대한 동 은행이 리먼브라더스 및 AIG 관련 보유자산 과다로 부실화된다는 루머가 인터넷상에 확산되며 인출사태가 발생함. 동 은행은 예금자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2008.09.24 실적 수정 내용이 신용위기로 인한 손실이 아니라고 발표하였고, 홍콩금융관리국(HKMA)에서도 동 루머가 사실무근임을 발표하고 경찰이 루머 유포자를 신속히 체포함으로써 인출사태는 진정됨. |
| - 불가리아 기업은행(CCB, Corporate Commercial Bank )불가리아 4위 은행인 CCB는 2014년 7월 뱅크런에 의해 파산절차를 밟게 됨. 불가리아의 뱅크런 사태는 2014년 6월 27일 국영 기업 대출이 많은 CCB가 부당거래에 연루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시작됨. 예금자들은 CCB은행 및 불가리아 3위 은행인 '제일투자은행(FIB)'에서도 예금을 대거 인출하면서 시장의 불안은 확대됨. CCB는 1주일 만에 예금의 20%가 인출되었으며, FIB는 27일 하루 수시간만에 2억7천600만 달러가 인출됨. 불가리아 은행의 위기는 불가리아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중되며 나온 것임. 사태가 확산되자 불가리아 당국은 해당 은행의 거래를 중단하고 자산을 동결하는 등 긴급조치를 시행하였음. 결국 해당 은행은 파산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자산매각 작업이 진행중임. |
| - 기타 남유럽 은행그리스는 지난 2009년 말 재정위기가 처음으로 터져 나온 이후 총 예금고는 무려 약 30%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됨. 개인 기업 등 예금주들은 720억 유로를 은행들로부터 인출했고, 2012년 4월말 총예금 잔고는 1659억 유로로 집계됨. 최대 1천억 유로에 달하는 구제금융을 신청했던 스페인은 2011년에 예금이 6% 감소한데 이어 2012년 4월에만 31억 유로(전체의 약 1.8%)가 인출되어 총 예금고는 1조6240억 유로로 줄었음. 또한 2012년 5월 말 2위의 규모인 방키아가 자본확충을 위해 190억 달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추가적인 예금인출이 있었음. |
| - 미국 SVB(Silicon Valley Bank) 뱅크런 사례2021년 코로나19로 유동성이 풀리면서 스타트업투자에 대규모 자금 유입이 되었고, SVB의 자산은 86% 증가하였으며, 유입된 예금 자금을 미국채에 투자하였음. 급격한 자산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기보유증권 (미국채, MBS) 투자가 급증하였음. (전년 동기 대비 4.9배 증가, 총자산 대비 보유 비중 14.6% -> 46.5%). 2022년 이후 긴축적 통화정책에 따라 유동성이 축소되었으며, 변화된 대외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탈의 예금 인출이 증가하였음. 2023년으로 접어들며 예금 인출 급증으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였음.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은 SVB를 폐쇄하고 SVB의 모든 자산을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산하로 이관하였음. 조 바이든 행정부는 신속한 예금 보호 조치를 통해 은행권 리스크의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고, 2023년 3월말 퍼스트시티즌스 은행이 SVB의 잔여자산과 예금, 대출을 인수하였음. |
(마) 뱅크런 : 국내사례
|
- 부산저축은행: (기준일 : 2011년 02월 17일 영업정지 전)
부산저축은행은 경기가 호황일 때, 건설회사들에게 9,000억원에 가까운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을 해 주었고, 금융위기로 인해 건설회사들이 부도가 나면서 급격히 부실화 되기 시작하였음. 2011년, 삼화저축은행이 뱅크런으로 무너지고 부산저축은행이 불안하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예금주들이 부산은행으로부터 사전인출을 하기 시작하였고, 이와 함께 뱅크런 사태가 함께 발생하여 부산저축은행은 급격한 유동성위기에 직면함. 이에 따라, 부산저축은행은 2011년 02월 17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명령을 받음. |
위와 같이 뱅크런은 경영악화, 금융위기, 루머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 사례와 같은 상황이 당사에 발생하게 될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어 본 사채는 전액 상각되며 투자자의 원리금이 전액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로서 자회사의 실적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바, 주요 자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등이 부실금융기관 지정 또는 이와 유사한 절차 진행은 당사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이 점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연결재무상황]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지배기업 및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백만원) | ||||||
|---|---|---|---|---|---|---|
| 회사명(*1),(*2) | 제 25(당) 기 반기말 | 제 24(전) 기말 | ||||
| 자산 총계 | 부채 총계 | 자본 총계 | 자산 총계 | 부채 총계 | 자본 총계 | |
| 신한금융지주회사(별도) | 37,978,137 | 10,276,752 | 27,701,385 | 37,672,303 | 11,324,128 | 26,348,175 |
| 신한은행 | 567,584,934 | 530,257,838 | 37,327,096 | 556,691,161 | 519,926,426 | 36,764,735 |
| 신한카드 | 44,023,292 | 35,841,035 | 8,182,257 | 44,137,094 | 35,860,198 | 8,276,896 |
| 신한투자증권 | 49,500,285 | 43,874,444 | 5,625,841 | 49,026,790 | 43,532,326 | 5,494,464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60,378,944 | 53,981,145 | 6,397,799 | 59,843,268 | 52,802,301 | 7,040,967 |
| 신한캐피탈 | 12,360,822 | 10,087,128 | 2,273,694 | 12,512,659 | 10,259,146 | 2,253,513 |
| 제주은행 | 7,604,990 | 6,956,049 | 648,941 | 7,444,771 | 6,854,663 | 590,108 |
| 신한자산운용 | 379,531 | 119,616 | 259,915 | 503,319 | 186,991 | 316,328 |
| SHC매니지먼트 | 10,429 | - | 10,429 | 10,325 | - | 10,325 |
| 신한디에스 | 125,142 | 61,745 | 63,397 | 139,322 | 76,603 | 62,719 |
| 신한저축은행 | 2,825,398 | 2,456,477 | 368,921 | 2,879,145 | 2,512,348 | 366,797 |
| 신한자산신탁 | 812,201 | 499,552 | 312,649 | 775,844 | 471,890 | 303,954 |
| 신한펀드파트너스 | 118,968 | 19,456 | 99,512 | 122,507 | 22,580 | 99,927 |
| 신한리츠운용 | 83,929 | 9,130 | 74,799 | 82,781 | 12,640 | 70,141 |
| 신한벤처투자 | 182,469 | 98,295 | 84,174 | 176,165 | 90,967 | 85,198 |
| 신한EZ손해보험 | 376,018 | 180,919 | 195,099 | 289,867 | 178,573 | 111,294 |
| (*1)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정보는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 (*2) 신탁, 수익증권, 유동화전문유한회사, 조합 및 사모투자전문회사 등 실질적인 영업활동을 수행하지 않는 종속기업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지배기업 및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백만원) | ||||||
|---|---|---|---|---|---|---|
| 회사명(*1),(*2) | 제 25(당) 기 반기 | 제 24(전) 기 반기 | ||||
| 영업수익 | 반기순손익(*3) | 총포괄손익(*3) | 영업수익 | 반기순손익(*3) | 총포괄손익(*3) | |
| 신한금융지주회사(별도) | 2,803,077 | 2,451,570 | 2,449,502 | 1,978,106 | 1,736,881 | 1,735,344 |
| 신한은행 | 25,185,766 | 2,267,245 | 2,107,805 | 23,849,116 | 2,053,795 | 2,385,580 |
| 신한카드 | 3,221,746 | 249,266 | 205,751 | 3,069,040 | 380,797 | 369,925 |
| 신한투자증권 | 5,918,334 | 258,873 | 226,277 | 6,013,973 | 207,160 | 205,187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3,980,327 | 344,348 | (259,461) | 3,589,718 | 312,907 | (978,472) |
| 신한캐피탈 | 606,996 | 63,939 | 56,472 | 657,846 | 108,043 | 107,023 |
| 제주은행 | 183,370 | 8,054 | 8,098 | 188,112 | 6,189 | 7,176 |
| 신한자산운용 | 92,781 | 22,787 | 22,787 | 155,267 | 45,852 | 45,866 |
| SHC매니지먼트 | - | 104 | 104 | - | 131 | 131 |
| 신한디에스 | 155,622 | 3,523 | 670 | 151,645 | 3,354 | 5,008 |
| 신한저축은행 | 123,323 | 12,223 | 12,099 | 131,433 | 12,467 | 12,739 |
| 신한자산신탁 | 77,953 | 12,191 | 12,071 | 53,980 | (175,099) | (175,254) |
| 신한펀드파트너스 | 34,647 | 7,271 | 7,271 | 33,626 | 7,810 | 7,810 |
| 신한리츠운용 | 11,680 | 4,660 | 4,659 | 16,264 | 10,526 | 10,524 |
| 신한에이아이(*4) | - | - | - | - | (1,921) | (1,923) |
| 신한벤처투자 | 16,375 | (822) | (1,025) | 30,632 | 8,122 | 8,242 |
| 신한EZ손해보험 | 70,592 | (15,720) | (15,182) | 39,019 | (6,026) | (6,059) |
| (*1)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정보는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 (*2) 신탁, 수익증권, 유동화전문유한회사, 조합 및 사모투자전문회사 등 실질적인 영업활동을 수행하지 않는 종속기업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
| (*3) 비지배지분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
| (*4) 신한에이아이는 전기 중 청산하였으며, 전반기 금액은 청산 전 발생분입니다. |
| 가-2. '부실금융기관 지정' 기준 당사의 자본여력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되기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등이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금융감독원장이 판단하는 경우, 자본비율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총자본비율 100분의 4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2.3미만), 경영실태평가결과 평가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될 경우가 있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재무구조는 자산 752.7조원, 부채 692.5조원, 자본 60.2조원으로,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60.2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여야 합니다.당사는 최근 10년간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기록된 해가 없으며, 현재 당사의 자본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IMF외환위기를 능가하는 금융위기의 발발 혹은 급격한 신용경색상황이나 대규모 뱅크런 등) 위 결과는 달라질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가)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부실금융기관 지정될 가능성
당사의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재무구조는 자산 752.7조원, 부채 692.5조원, 자본 60.2조원으로,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60.2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여야 합니다.
| [ 손실흡수능력 산정 (자산-부채) : 2025년 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자 산 | 부 채 | 자 본 (손실흡수능력) |
|---|---|---|---|
| 연 결 | 752,691,462 | 692,495,598 | 60,195,864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당사는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2007년 이후 연평균 2조원 이상의 당기순이익 흑자를 실현하였고, 2018년 이후 연 3조원 이상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당기순이익 4.7조를 돌파하였습니다. 2024년말 지배기업소유주지분 기준 당기순이익은 약 4.5조이며, 2025년 반기말 기준 당기순이익은 약 3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사 경영지표 중 당기손익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단위: 백만원) |
| 과 목 | 2025년 반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 Ⅰ.영업이익 | 3,958,471 | 6,458,670 | 6,100,850 | 5,905,564 | 5,952,096 | 4,929,736 | 5,046,250 | 4,499,414 | 3,828,675 |
| Ⅱ.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114,678 | -23,822 | 125,088 | 121,697 | 158,600 | 159,533 | 53,287 | 17,488 | 20,393 |
| Ⅲ.기타영업외손익 | 4,533 | -405,756 | -260,978 | 339,365 | -527,032 | -335,398 | -188,029 | -50,292 | -52,811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077,682 | 6,029,092 | 5,964,960 | 6,366,626 | 5,583,664 | 4,753,871 | 4,911,508 | 4,466,610 | 3,796,257 |
| Ⅴ.법인세비용 | 983,402 | 1,470,922 | 1,486,960 | 1,611,112 | 1,471,036 | 1,255,795 | 1,269,124 | 1,268,345 | 848,133 |
| Ⅵ.당기순이익 | 3,037,399 | 4,450,177 | 4,368,035 | 4,665,643 | 4,019,254 | 3,414,595 | 3,403,497 | 3,156,722 | 2,918,816 |
| 주) 당기순이익은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각 사업연도 보고서 및 2025년 반기보고서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전 IMF 외환위기 보다 더욱 심각한 최악의 금융위기가 발발하거나, 급격한 신용경색 상황 및 대규모 뱅크런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위기를 감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금융위기에 대비하여 자본적정성 유지와 자산건정성 제고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나) BIS비율 측면당사는 2025년 반기말 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이 각각 16.20%, 15.36%, 13.59%이며, 위험가중자산금액은 340조 5,950억원입니다.
| [자본적정성 및 자산건정성 지표 추이] |
| (단위: 억원, %) |
|
관련지표 |
2025년 반기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2022년 말 | 2021년 말 | 2020년 말 | 2019년 말 |
|---|---|---|---|---|---|---|---|
|
자기자본 |
551,800 | 539,049 | 501,925 | 469,818 | 438,634 | 397,091 | 357,146 |
| 기본자본 | 523,114 | 503,925 | 465,069 | 432,674 | 404,355 | 362,672 | 316,998 |
| 보통주자본 | 462,986 | 445,704 | 413,881 | 372,878 | 354,696 | 324,619 | 285,616 |
| 위험가중자산 | 3,405,950 | 3,446,519 | 3,141,807 | 2,915,426 | 2,706,922 | 2,523,214 | 2,568,917 |
|
총자본비율 |
16.20 | 15.79 | 15.98 | 16.11 | 16.20 | 15.74 | 13.90 |
|
기본자본자본비율 |
15.36 | 14.76 | 14.80 | 14.84 | 14.94 | 14.37 | 12.34 |
| 보통주자본비율 | 13.59 | 13.06 | 13.17 | 12.79 | 13.10 | 12.87 | 11.12 |
|
고정이하여신비율 |
0.84 | 0.79 | 0.65 | 0.51 | 0.44 | 0.39 | 0.56 |
|
대손충당금적립률 |
124.04 | 132.48 | 165.61 | 176.99 | 182.50 | 162.95 | 148.29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각 사업연도 보고서 및 내부자료 |
|
※최근 5년간(2018~2025.06) 당사의 BIS 자본비율
|
당사 연결자산의 손실흡수규모에 대한 BIS자본비율 민감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 [BIS비율 하락시 손실흡수규모 변화]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BIS비율 1%p 하락 |
BIS비율 2%p 하락 |
BIS비율 3%p 하락 |
|---|---|---|---|
|
2023년 말 |
3,141.8 | 6,283.6 |
9,425.4 |
| 2024년 말 | 3,413.8 | 6,827.6 | 10,241.4 |
| 2025년 반기 말 | 3,406.0 | 6,811.9 | 10,217.9 |
| 주) 2025년 반기말 기준 잠정치임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및 내부자료 |
(다)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의 지정행위 이전에 부실우려가 있는 금융지주회사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자산과 부채에 대한 실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43조에 의하면, 금산법 제2조 제2항에 따른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지주회사입니다.
|
1.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자산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되어 감독원장이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금융지주회사 2. 총자본비율 100분의 4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0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2.3 미만인 금융지주회사 3. 제33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 평가결과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의 평가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된 금융지주회사 |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제 43조에 따른 자본여력 규제에 따라 당사는 총자본비율 4%, 기본자본비율 3%, 보통주자본비율 2.3%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에 대하여 당사는 총자본비율 12.20%p., 기본자본비율 12.36%p., 보통주자본비율 11.29%p.를 여유분으로 확보하고 있어 당사가 금융당국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기 까지 최소 약 38.5조원의 여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손실흡수능력 산정(기준비율, 금산법2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3조) ] |
|
구분 |
2025년 반기말(A) |
제 43조 기준(B) |
자본여력 비율(C=A-B) |
자본여력(D=C*위험가중자산) |
|---|---|---|---|---|
|
총자본비율 |
16.20% | 4.00% | 12.20% | 41조 5,526억원 |
|
기본자본비율 |
15.36% | 3.00% | 12.36% | 42조 975억원 |
|
보통주자본비율 |
13.59% | 2.30% | 11.29% | 38조 4,532억원 |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상각에 이르는 당사의 자본여력은 충분하다고 보여지지만,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위 분석의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 투자자들은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3. 상각 가능성 분석 : 당사의 스트레스테스트 및 여신현황 기준2024년말에 내부적으로 시행한 위기상황 스트레스테스트에 의하면, "심각(Bad)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총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4.72%, 12.14%로 1년 내에 본 사채의 상각 발동요건 발생 가능성은 낮아보이며, 최악의 경우인 IMF 구제금융 당시와 같은 심각한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당사의 2024년 12월말 기준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 12.97%, 보통주자본비율은 10.39%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나 신고서 제출일 현재 규제 수준인 12.5%, 9.0%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당사 10년 평균 당기순이익이 3.6조원을 웃도는 점과 , 2025년 반기 기준 당사의 당기순이익이 3.04조원(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를 상회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각 위험은 낮은 것으로 분석 됩니다. 한편, 스트레스테스트는 방법론의 한계, 예상치 못했던 극단적 시나리오의 발생, 미평가 리스크(거래상대방 리스크, 평판리스크, 전략리스크 등)의 실현, 우연한 사건의 발생 등이 발생할 시에는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는 스트레스테스트 자체가 지니는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 결과를 향후 공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투자자들께서는 결산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셔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증권신고서의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 분석은 ① 당사(연결)의 전반적인 자산현황을 반영하여 실시하는 '위기상황 스트레스테스트'와 ② 당사(연결)의 자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화대출금 자산의 부실화 가능성을 상각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습니다. 위기분석 스트레스테스트는 당사가 매 반기 시행하는 자체평가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또 당사의 연결 자산항목 중 원화대출금이 가장 큰 비중(47.1%)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사시 대출채권은 유가증권에 비교하여 처분이 어렵기 때문에, 대출채권 부실화 측면에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습니다.당사 연결기준 그룹 자금조달ㆍ운용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예수부채 | 421,849.9 | 56.53 | 4,731.4 | 2.26 | 403,986.6 | 55.89 | 10,220.8 | 2.53 | 383,064.0 | 56.34 | 9,790.8 | 2.56 |
| 차입금 | 51,626.9 | 6.92 | 790.2 | 3.09 | 54,754.3 | 7.57 | 1,862.4 | 3.40 | 53,259.8 | 7.83 | 1,895.9 | 3.56 | |
| 사채 | 91,164.9 | 12.22 | 1,679.4 | 3.71 | 87,474.4 | 12.10 | 3,422.0 | 3.91 | 76,797.0 | 11.30 | 2,735.4 | 3.56 | |
| 기타부채 | 122,129.5 | 16.36 | - | - | 119,008.3 | 16.46 | - | - | 111,158.7 | 16.35 | - | - | |
| 부채총계 | 686,771.2 | 92.03 | - | - | 665,223.6 | 92.02 | - | - | 624,279.5 | 91.82 | - | - | |
| 자본총계 | 59,454.8 | 7.97 | - | - | 57,655.6 | 7.98 | - | - | 55,597.4 | 8.18 | - | - | |
| 부채 및 자본 총계 | 746,226.0 | 100.00 | - | - | 722,879.2 | 100.00 | - | - | 679,876.9 | 100.00 | - | - | |
| 운용 | 현금및예치금 | 41,399.9 | 5.55 | 380.6 | 1.85 | 38,020.3 | 5.26 | 780.2 | 2.05 | 34,892.3 | 5.13 | 590.8 | 1.69 |
| 대출채권 | 450,454.9 | 60.36 | 10,782.7 | 4.83 | 434,102.2 | 60.05 | 22,542.6 | 5.19 | 410,463.6 | 60.37 | 21,823.8 | 5.32 | |
| 원화대출금 | 351,424.8 | 47.09 | 7,782.1 | 4.47 | 339,139.5 | 46.92 | 16,520.0 | 4.87 | 317,950.0 | 46.77 | 16,093.6 | 5.06 | |
| 외화대출금 | 48,702.3 | 6.53 | 1,218.4 | 5.04 | 44,188.9 | 6.11 | 2,402.3 | 5.44 | 40,341.7 | 5.93 | 2,160.6 | 5.36 | |
| 신용카드채권 | 28,574.8 | 3.83 | 1,160.0 | 8.19 | 27,982.2 | 3.87 | 2,256.0 | 8.06 | 27,965.4 | 4.11 | 2,162.1 | 7.73 | |
| 기타 | 21,753.0 | 2.91 | 622.3 | 5.77 | 22,791.6 | 3.15 | 1,364.3 | 5.99 | 24,206.5 | 3.56 | 1,407.5 | 5.81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44,594.9 | 5.98 | 764.0 | 3.45 | 44,711.6 | 6.19 | 1,693.1 | 3.79 | 38,184.2 | 5.62 | 1,396.4 | 3.66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92,946.5 | 12.46 | 1,409.8 | 3.06 | 88,378.8 | 12.23 | 2,744.1 | 3.10 | 84,680.8 | 12.46 | 2,357.1 | 2.78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892.5 | 4.41 | 531.6 | 3.26 | 35,015.5 | 4.84 | 1,101.7 | 3.15 | 34,708.0 | 5.11 | 1,062.1 | 3.06 | |
| 기타자산 | 83,937.3 | 11.24 | - | - | 82,650.8 | 11.43 | - | - | 76,948.0 | 11.31 | - | - | |
| 자산총계 | 746,226.0 | 100.00 | - | - | 722,879.2 | 100.00 | - | - | 679,876.9 | 100.00 | - | - | |
| 주1) | 평균잔액은 회계연도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1) '통합 위기상황 분석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 분석당사는 은행업감독업무 시행세칙 제29조의3(위기상황분석) 및 별표19 위기상황분석 실시 기준에 의거하여 자체적으로 정립한 방법론으로 스트레스테스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테스트는 위험 식별 및 제어, 리스크관리방법론을 보완, 자본적정성 관리, 유동성 리스크관리에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며, 신용, 시장, 운영, 유동성, 금리, 신용편중리스크 등 식별된 리스크 중 영향도가 높은 부문을 분석 대상으로 합니다. 스트레스테스트 시나리오는 역사적 시나리오와 가상의 시나리오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시나리오는 과거에 실제로 발했던 사건에 따른 리스크 요인의 변화를 반영하며, 가상의 시나리오는 실제 발생한 적은 없지만 발생가능한 사건을 가상으로 반영하여 설정합니다. 또한 가상의 시나리오는 시나리오 설계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충격으로 구성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또한 시나리오 설정원칙에 따라 포트폴리오 구성변화, 새로운 정보, 역사적 사건에 기반한 기존의 시나리오는 반영되지 않는 새로운 위험 가능성 등을 포함한 미래지향적인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당사는 거시경제변수를 그 특성에 따라 구분한 다음, 주요 변수를 선별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목표시나리오 설정을 위해 1. GDP성장률, 2. 금리(국고채 3년 수익률, 회사채(AA-,3년), CD수익률(91일)), 3. 주가(KOSPI), 4. 환율(KRW/USD), 5. 실업률 6. 아파트가격지수 7. 국가신용등급(S&P) 7가지 거시경제지표를 거시경제적 충격(shock)요인으로 가정하고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당사 위기단계 인식기준] |
|
위기단계 |
시나리오 설정 |
|---|---|
| 기본( Baseline) | (글로벌) 트럼프 출범 이후 하반기로 갈수록 정책 불확실성 완화, 미국 안정적 성장세 유지 (국내) 정치 불확실성 지속, 상반기 중 회복세 제한, 하반기 이후 경기가 다소 회복. 다만, 내수 / 수출 구조적인 부진은 지속 |
| 침체( Contraction) | (글로벌) 트럼프 정책 혼선 지속. 미국vs非미국 間 갈등이 확산, 미국 경기둔화 전환 (국내) 정치 불확실성, 적극적인 금리인하, 대규모 추경 편성에도, 성장률 1%로 둔화. 다만, 금융시스템 위기 확산 제한적 |
| 악화(Strict) | (글로벌) 강력한 관세정책 추진으로 미국/중국 등 글로벌 경기침체 진행.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및극단적 안전자산 선호 (국내) 국정 혼란, 관세인상으로 경기 급락, 외국인 자금이탈 증가 확대 등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세 전환 |
| 심각(Bad) | 글로벌 경제위기 충격으로 신흥국 외환위기 고조 등’ 08년 금융위기 수준의 충격 가정 |
| 최악(Worst) | 선진국 경기후퇴 심화 및 신흥국 중심 연쇄부도 등의 위기가 국내로 전이되는 등 IMF 외환위기 수준의 충격 가정 |
| 출처 : 당사 내부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
2024년말 기준으로 스트레스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심각(Bad)' 1년차 시나리오에서 당사의 2024년말 기준 BIS 총자본비율은 14.72%, 보통주자본비율 12.14% 로 예상되며 최저자기자본 규제요건 (최저 규제 BIS비율 12.5%, 보통주자본비율 9%)을 상회합니다. 따라서 본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상 상각 사유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 (단위 : 억원, %) |
| 구 분 | 정상 상황 | 시나리오 상황 | ||||
|---|---|---|---|---|---|---|
| 2024년 12월말 | 기본( Baseline) | 침체( Contraction | 악화(Strict) | 심각(Bad) | 최악(Worst) | |
| 1차 년도 | 1차 년도 | 1차 년도 | 1차 년도 | 1차 년도 | ||
| BIS 자기자본 | 539,049 | 563,384 | 557,505 | 562,927 | 563,385 | 507,774 |
| 보통주자본 | 445,704 | 466,759 | 460,868 | 464,856 | 464,577 | 406,767 |
| 위험가중자산 | 3,413,788 | 3,576,227 | 3,562,008 | 3,707,733 | 3,827,424 | 3,913,689 |
| BIS자기자본비율 | 15.79% | 15.75% | 15.65% | 15.18% | 14.72% | 12.97% |
| 보통주자본비율 | 13.06% | 13.05% | 12.94% | 12.54% | 12.14% | 10.39% |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
["심각(Bad)" 시나리오의 자본여력] |
|
구분 |
2024년 12월말 기준 | |||
|---|---|---|---|---|
|
자본비율 |
심각(Bad)수준자본비율(A) |
규제비율(B) |
심각(Bad) 1년차자본여력(A-B) |
|
| 총자본비율 | 15.79% | 14.72% |
12.50%(8.0%+α***) |
+2.22%p. |
| 보통주자본비율 | 13.06% | 12.14% |
9.00%(4.5%+α***) |
+3.14%p. |
| 주1) α는 2024년 12월말 기준 자본보전완충자본 2.5%, D-SIB 추가자본 1.0%, 경기대응완충자본 1.0%출처 : 당사 내부자료 |
해당 스트레스테스트가 본 사채 발행의 효과를 반영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해당 자본보강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안정적인 BIS 비율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됩니다.한편, 스트레스테스트는 방법론의 한계, 예상치 못했던 극단적 시나리오의 발생, 미평가 리스크(거래상대방 리스크, 평판리스크, 전략리스크 등)의 실현, 우연한 사건의 발생 등이 발생할 시에는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어, 당사는 스트레스테스트 자체가 지니는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 결과를 향후 공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투자자들께서는 결산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셔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본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예상 외 사건의 발생 시, 당사가 제시한 스트레스트 결과가 절대적인 하한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 점을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 당사 부실채권 발생으로 인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 분석
| [그룹 자금 운용 현황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운용 | 현금및예치금 | 41,399.9 | 5.55 | 380.6 | 1.85 | 38,020.3 | 5.26 | 780.2 | 2.05 | 34,892.3 | 5.13 | 590.8 | 1.69 |
| 대출채권 | 450,454.9 | 60.36 | 10782.7 | 4.83 | 434,102.2 | 60.05 | 22542.6 | 5.19 | 410,463.6 | 60.37 | 21,823.8 | 5.32 | |
| 원화대출금 | 351,424.8 | 47.09 | 7782.1 | 4.47 | 339,139.5 | 46.92 | 16520.0 | 4.87 | 317,950.0 | 46.77 | 16,093.6 | 5.06 | |
| 외화대출금 | 48,702.3 | 6.53 | 1218.4 | 5.04 | 44,188.9 | 6.11 | 2402.3 | 5.44 | 40,341.7 | 5.93 | 2,160.6 | 5.36 | |
| 신용카드채권 | 28,574.8 | 3.83 | 1160.0 | 8.19 | 27,982.2 | 3.87 | 2256.0 | 8.06 | 27,965.4 | 4.11 | 2,162.1 | 7.73 | |
| 기타 | 21,753.0 | 2.91 | 622.3 | 5.77 | 22,791.6 | 3.15 | 1364.3 | 5.99 | 24,206.5 | 3.56 | 1,407.5 | 5.81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44,594.9 | 5.98 | 764.0 | 3.45 | 44,711.6 | 6.19 | 1693.1 | 3.79 | 38,184.2 | 5.62 | 1,396.4 | 3.66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 92,946.5 | 12.46 | 1409.8 | 3.06 | 88,378.8 | 12.23 | 2744.1 | 3.10 | 84,680.8 | 12.46 | 2,357.1 | 2.78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892.5 | 4.41 | 531.6 | 3.26 | 35,015.5 | 4.84 | 1101.7 | 3.15 | 34,708.0 | 5.11 | 1,062.1 | 3.06 | |
| 기타자산 | 83,937.3 | 11.24 | - | - | 82,650.8 | 11.43 | - | - | 76,948.0 | 11.31 | - | - | |
| 자산총계 | 746,226.0 | 100 | - | - | 722,879.2 | 100 | - | - | 679,876.9 | 100.00 | - | - | |
| 주1) | 평균잔액은 회계연도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
당사의 연결 자산항목 중 원화대출금이 가장 큰 비중(47.1%)을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자산포트폴리오 내의 대출자산의 건전성이 회사의 자산건전성을 좌우합니다. 해당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여신기능은 은행의 핵심기능이며, 은행계정 자산항목 중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b) 유사시 선제적으로 자산매각이 비교적 쉬운 유가증권과는 달리, 대출채권은 환금성이 매우 낮으며, 실제 위기발생은 여신건전성 악화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상기와 같은 사유로 사유로 대출채권 부실화 측면에서 상각 사유 발생가능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될 가능성의 손실흡수능력을 60.2조원으로,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 기관 지정기준을 보통주자본비율 2.3% 기준 자본여력은 38.5조원으로 봅니다.
| [ 손실흡수능력 산정 (기준비율, 금산법2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3조) ] |
|
구분 |
2025년 반기말(A) |
제43조 기준(B) |
자본여력 비율(C=A-B) |
자본여력(D=C*위험가중자산) |
|---|---|---|---|---|
|
총자본비율 |
16.20% | 4.00% | 12.20% | 41조 5,526억원 |
|
기본자본비율 |
15.36% | 3.00% | 12.36% | 42조 975억원 |
|
보통주자본비율 |
13.59% | 2.30% | 11.29% | 38조 4,532억원 |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당사가 당반기말 현재 보유 금융상품의 산업별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백만원) | |||||||||
|---|---|---|---|---|---|---|---|---|---|
| 구 분(*) | 금융 및보험업 | 제조업 | 도매 및소매업 | 부동산임대 및사업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음식점업 | 기타 | 개인고객 | 합 계 |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은행 | 13,344,926 | - | - | - | - | - | 311,171 | - | 13,656,097 |
| 개인 | - | - | - | - | - | - | - | 202,349,049 | 202,349,049 |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26,759,876 | - | - | - | - | - | 117,044 | - | 26,876,920 |
| 기업 | 20,415,375 | 60,722,176 | 23,491,011 | 46,438,254 | 5,043,568 | 7,052,617 | 52,484,990 | - | 215,647,991 |
| 카드채권 | 64,896 | 336,602 | 276,660 | 71,709 | 175,672 | 25,826 | 1,226,525 | 25,160,204 | 27,338,094 |
| 소 계 | 60,585,073 | 61,058,778 | 23,767,671 | 46,509,963 | 5,219,240 | 7,078,443 | 54,139,730 | 227,509,253 | 485,868,151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은행 | 36,977 | - | - | - | 99,367 | - | 29,803 | - | 166,147 |
| 기업 | 800,649 | 96,577 | 102,967 | 211,386 | 20,000 | - | 60,408 | - | 1,291,987 |
| 소 계 | 837,626 | 96,577 | 102,967 | 211,386 | 119,367 | - | 90,211 | - | 1,458,134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30,199,913 | 3,520,004 | 1,286,043 | 2,441,980 | 263,962 | 129,166 | 29,909,799 | - | 67,750,867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
40,280,241 | 2,676,380 | 548,491 | 1,629,355 | 989,901 | 21,528 | 49,159,568 | - | 95,305,464 |
|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 | 8,153,004 | 9,994 | - | 656,175 | 280,757 | - | 23,129,715 | - | 32,229,645 |
| 합 계 | 140,055,857 | 67,361,733 | 25,705,172 | 51,448,859 | 6,873,227 | 7,229,137 | 156,429,023 | 227,509,253 | 682,612,261 |
| 난외항목 | |||||||||
| 지급보증 | 4,430,273 | 10,627,739 | 3,427,139 | 235,425 | 212,785 | 70,704 | 3,077,961 | 1,472 | 22,083,498 |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 부채 | 18,918,770 | 31,638,778 | 10,096,564 | 5,668,261 | 2,186,924 | 433,409 | 19,419,735 | 130,521,221 | 218,883,662 |
| 합 계 | 23,349,043 | 42,266,517 | 13,523,703 | 5,903,686 | 2,399,709 | 504,113 | 22,497,696 | 130,522,693 | 240,967,160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또한, 당사 상위 20대 개별기업 익스포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결 기준, 2025년 6월말 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원화대출 | 외화대출 | 유가증권 | 지급보증 | 기타 | 합계 |
|---|---|---|---|---|---|---|
| 한국전력공사 | 0.3 | 67.9 | 2,716.7 | 77.5 | 0.0 | 2,862.4 |
| (주)우리은행 | 1,567.8 | 16.8 | 962.2 | 0.0 | 0.0 | 2,546.9 |
| (주)하나은행 | 1,344.9 | 11.3 | 1,041.9 | 35.8 | 0.0 | 2,433.9 |
| 삼성전자(주) | 0.0 | 2,014.2 | 0.0 | 0.0 | 0.0 | 2,014.2 |
| 농협은행(주) | 435.6 | 3.9 | 1,399.2 | 46.7 | 0.0 | 1,885.4 |
| (주)국민은행 | 954.2 | 40.7 | 640.2 | 16.2 | 0.0 | 1,651.4 |
|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 908.1 | 596.9 | 49.9 | 0.0 | 0.0 | 1,554.9 |
| (주)호텔롯데 | 0.6 | 507.6 | 368.1 | 599.6 | 0.0 | 1,476.0 |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77.8 | 0.0 | 1,370.8 | 0.0 | 0.0 | 1,448.6 |
| 에쓰-오일(주) | 525.6 | 644.3 | 118.3 | 74.7 | 0.0 | 1,362.9 |
| 롯데케미칼(주) | 290.0 | 183.0 | 60.3 | 810.6 | 0.0 | 1,343.8 |
| (주)케이티 | 190.9 | 0.0 | 1,079.5 | 45.7 | 0.0 | 1,316.2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주) | 0.0 | 0.0 | 0.5 | 1,296.5 | 0.0 | 1,297.0 |
| 미래에셋증권(주) | 720.4 | 45.1 | 330.9 | 100.0 | 0.0 | 1,196.4 |
| 한국투자증권(주) | 955.8 | 38.2 | 147.5 | 27.1 | 0.0 | 1,168.6 |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 0.0 | 0.0 | 1,003.7 | 0.0 | 0.0 | 1,003.7 |
| 키움증권(주) | 760.0 | 0.0 | 217.0 | 0.0 | 0.0 | 977.0 |
| 에스케이하이닉스(주) | 311.7 | 0.0 | 613.4 | 33.5 | 0.0 | 958.5 |
| LIG넥스원(주) | 2.7 | 0.0 | 20.0 | 911.3 | 0.0 | 934.0 |
| (주)한화 | 500.8 | 173.2 | 193.1 | 60.6 | 0.0 | 927.8 |
| 합계 | 9,547.4 | 4,343.0 | 12,333.3 | 4,135.8 | 0.0 | 30,359.5 |
| 주1) | 대상자산 = BS 난내자산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예치금 - 종금계정 CMA자산 |
| 주2) | 기준 익스포져 = B/S 기준 운용잔액 (원본보전율 반영 후, 미사용한도 제외) |
| 출처 :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2) 상위 10대 주채무계열 익스포져
| 연결기준, 2025년 6월말 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원화대출 | 외화대출 | 유가증권 | 지급보증 | 기타 | 합계 |
|---|---|---|---|---|---|---|
| 삼성 | 299.9 | 3,378.3 | 1,541.6 | 1,654.3 | 0.0 | 6,874.0 |
| 롯데 | 2,094.2 | 1,121.8 | 1,253.4 | 1,767.8 | 0.0 | 6,237.2 |
| 에스케이 | 1,352.2 | 982.1 | 2,195.9 | 695.6 | 0.0 | 5,225.8 |
| 현대자동차 | 1,079.2 | 1,070.8 | 1,682.0 | 473.5 | 0.1 | 4,305.6 |
| 한화 | 1,271.2 | 565.7 | 1,262.6 | 678.1 | 0.0 | 3,777.6 |
| 현대중공업 | 487.8 | 34.3 | 238.4 | 2,435.2 | 0.0 | 3,195.7 |
| 엘지 | 1,150.0 | 681.5 | 842.7 | 214.5 | 0.0 | 2,888.6 |
| 엘에스 | 180.2 | 1,375.3 | 179.0 | 1,148.7 | 0.0 | 2,883.1 |
| 케이티 | 325.9 | 87.8 | 1,212.0 | 134.7 | 0.0 | 1,760.4 |
| 신세계 | 931.9 | 69.6 | 643.9 | 72.5 | 0.0 | 1,717.9 |
| 합 계 | 9,172.4 | 9,367.4 | 11,051.4 | 9,274.8 | 0.1 | 38,866.0 |
| 주1) | 대상자산 = BS 난내자산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예치금 - 종금계정 CMA자산 |
| 주2) | 기준 익스포져 = B/S 기준 운용잔액 (원본보전율 반영 후, 미사용한도 제외) |
| 출처 :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당반기말 현재 금융상품 신용위험에 따른 손상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백만원) | |||||||||
| 구 분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총액 | 대손충당금 | 순액 |
담보에 의한신용위험경감효과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손상 | |||||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은행 | 11,245,236 | 1,897,915 | 534,728 | 70 | - | 13,677,949 | (21,852) | 13,656,097 | 167 |
| 개인 | 181,956,793 | 6,948,827 | 8,842,683 | 4,401,298 | 1,263,779 | 203,413,380 | (1,064,331) | 202,349,049 | 155,725,771 |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24,596,846 | 2,041,288 | 244,188 | 90 | - | 26,882,412 | (5,492) | 26,876,920 | 2,500 |
| 기업 | 113,529,187 | 55,014,142 | 21,704,456 | 25,657,247 | 2,138,322 | 218,043,354 | (2,395,363) | 215,647,991 | 121,039,773 |
| 카드채권 | 21,215,132 | 3,020,277 | 1,132,607 | 2,452,705 | 608,109 | 28,428,830 | (1,090,736) | 27,338,094 | 17,701 |
| 소 계 | 352,543,194 | 68,922,449 | 32,458,662 | 32,511,410 | 4,010,210 | 490,445,925 | (4,577,774) | 485,868,151 | 276,785,912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 85,977,394 | 9,303,494 | - | 24,576 | - | 95,305,464 | - | 95,305,464 | - |
|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 | 30,205,244 | 2,034,052 | - | - | - | 32,239,296 | (9,651) | 32,229,645 | - |
| 합 계 | 468,725,832 | 80,259,995 | 32,458,662 | 32,535,986 | 4,010,210 | 617,990,685 | (4,587,425) | 613,403,260 | 276,785,912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
| [당사 업종별 기업대출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5년 반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기업대출금 계 | 215,647,991 | 218,713,457 | 202,763,657 | 193,664,558 | 172,527,573 | 152,895,324 |
| 금융 및 보험업 | 20,415,375 | 22,485,184 | 17,974,146 | 16,736,386 | 13,384,083 | 10,403,261 |
| 제조업 | 60,722,176 | 62,200,259 | 58,338,956 | 57,871,357 | 53,134,572 | 48,430,680 |
| 도매 및 소매업 | 23,491,011 | 23,447,863 | 23,517,815 | 22,984,739 | 21,167,564 | 18,679,397 |
|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 | 46,438,254 | 47,109,684 | 47,301,730 | 45,509,574 | 41,106,836 | 35,920,334 |
| 건설업 | 5,043,568 | 5,409,739 | 4,823,554 | 4,595,604 | 3,727,338 | 3,521,216 |
| 숙박 및 음식점업 | 7,052,617 | 6,735,852 | 6,730,886 | 6,619,476 | 6,544,166 | 6,479,253 |
| 기타 | 52,484,990 | 51,324,876 | 44,076,570 | 39,347,422 | 33,463,014 | 29,461,183 |
| 개인고객 | - | - | - | - | - | - |
|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출처 : 신한금융지주 각 사업연도 보고서 |
- 부실금융기관 지정 가능성 : 연결기준으로 계산시 당사의 제조업 대출 (약 60.7조원)의 99.13% 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또 경기민감업종인 건설업,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부문의 대출 중 (약 75.0조원) 의 80.29% 이상 부실이 발생 하였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보통주자본비율 2.30% 기준 : 연결기준으로 제조업 대출 (약 60.7조) 의 63.33% 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당사에 대한 자산/부채실사가 실시될 수 있습니다. 또 경기민감업종인 건설업,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부문 대출 (약 75.0조원) 의 51.29% 이상 부실이 발생 하였을 경우 당사에 대한 자산/부채실사가 실시될 수 있습니다.
② 고객별 집중도
| (단위: 억원, %)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 대기업 | 346,327 | 10.8% | 343,538 | 10.8% | 256,999 | 8.9% | 204,357 | 7.3% | 145,012 | 5.4% | 142,436 | 5.70% |
| 중소기업 | 1,417,326 | 44.2% | 1,406,059 | 44.0% | 1,299,393 | 44.9% | 1,263,074 | 44.9% | 1,173,002 | 43.3% | 1,039,738 | 41.90% |
| 가계자금 | 1,394,039 | 43.5% | 1,394,358 | 43.6% | 1,296,178 | 44.8% | 1,306,031 | 46.5% | 1,355,892 | 50.1% | 1,262,534 | 50.90% |
| 공공 및 기타 | 49,724 | 1.6% | 50,790 | 1.6% | 42,471 | 1.5% | 36,804 | 1.3% | 33,871 | 1.3% | 35,940 | 1.40% |
| 합계 | 3,207,416 | 100.0% | 3,194,745 | 100.0% | 2,895,042 | 100.0% | 2,810,265 | 100.0% | 2,707,777 | 100.0% | 2,480,648 | 100.00% |
| 주) 은행계정 원화 대출금 잔액 기준(은행간 대여금 제외)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 부실금융기관 지정 가능성 : 연결기준으로 가계자금(약 139.4조원)대출의 43.18%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약 141.7조원)대출의 42.47% 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 보통주자본비율 2.30% 기준 : 연결기준으로 가계자금(약 139.4조원)대출의 27.58%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당사에 대한 자산/부채실사가 실시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약 141.7조원) 대출의 27.13% 이상 부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③ 담보별 집중도
| [원화대출금 2025년 1분기말 기준 / 은행간대여금 제외] | (단위: 억원)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부동산 | 1,831,473 | 1,800,104 | 1,546,200 | 1,467,555 | 1,368,104 | 1,228,821 |
| 동 산 | 1,706 | 1,829 | 2,363 | 2,740 | 2,672 | 1,008 |
| 유가증권 | 5,193 | 4,790 | 5,558 | 2,400 | 3,067 | 1,402 |
| 예 금 | 19,208 | 19,347 | 19,195 | 18,744 | 17,579 | 15,763 |
| 기 타 | 106,689 | 104,742 | 73,611 | 63,707 | 46,527 | 40,240 |
| 보 증 | 573,653 | 578,208 | 585,395 | 615,489 | 605,729 | 526,827 |
| 신 용 | 736,066 | 751,627 | 726,620 | 699,422 | 722,883 | 726,658 |
| 합 계 | 3,273,989 | 3,260,647 | 2,958,942 | 2,870,057 | 2,766,561 | 2,540,719 |
| 주1) 은행계정 원화 대출금 잔액 기준주2) 신한은행과 제주은행 합출처 : 금융통계정보시스템(신고서 공시일 전일 현재 가장 최근 데이터 사용) |
- 부실금융기관 지정 가능성 : 연결기준으로 가장 비중이 높은 부동산 담보대출자금(약 183.1조원)의 32.87%가 부실화되었을 경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보통주자본비율 2.30% 기준 : 연결기준으로 가장 비중이 높은 부동산 담보대출자금(약 183.1조원)의 21.00%가 부실화 되었을 경우, 당사에 대한 자산/부채실사가 실시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규모로 대출채권 등에 대하여 부실이 발생될 경우 당사는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사유로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어 본 사채 권리가 소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가-4. 상각사유 발생시 상각절차 금융위원회의 부실금융기관 지정 결정이 있으면, 통지나 공시 또는 상각의 신청과 같은 특별한 행위나 조치가 없더라도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자동적으로 본 사채 투자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었을 때에는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실 및 그 효력 발생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다만, 본 사채의 투자자들에게 개별적인 통지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공시를 통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의무는 개별 투자자들에게 있으며, 공시여부가 상각의 효력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자자들은 이점에 대한 각별한 유의가 요구됩니다. |
(1) 상각사유 발생시 유의 사항 및 업무 처리 절차(가) 상각의 효력발생시기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의 상각은 발행금융기관의 투자자에 대한 원리금상환의무가 영구적으로 소멸하는 것을 미합니다. 그에 따라 투자자들은 상각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는 발행금융기관에 대하여 원금 및 이자의 상환을 요구할 수 없게 되며, 당사는 본 사채의 발행총액을 부채항목으로 계상하지 아니하고 자본잉여금이나 이와 유사한 자본 항목으로 회계 처리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기타위험 "차. 사채의 회계처리" 부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이와 같은 상각은 상각 사유의 발생 즉, 당사의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조건으로 하는데, 자본시장법은 부실금융기관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본 사채가 투자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각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금융위원회의 부실금융기관 지정 결정이 있으면, 통지나 공시 또는 상각의 신청과 같은 특별한 행위나 조치가 없더라도 지정일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자동적으로 상각의 효력이 발생하게 되오니, 이 점에 대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나) 공시 및 통지 방법본 사채의 특약 및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에서는 상각사유가 발생한 경우 본 사채의 투자자에게 어떠한 내용의 통지 또는 공고를 하여야 하는지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어 본 사채의 상각사유가 발생하는 때에는, 당사는 그 내용을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및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4조,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따라 공시할 예정이므로, 위 공시들을 통하여 그 상각사유의 내용 및 사유발생일 등 구체적 내용이 투자자들에게 알려질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실 및 그 효력 발생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전국 일간지에 즉시 공고하겠습니다.그러나 상각사유 발생시 개별 투자자에 대한 직접적인 통지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시 등을 통해 상각사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책임은 각 투자자에게 있고, 관련 법령 및 본 특약상 공시여부가 상각의 효력발생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은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점에 대한 투자자들의 각별한 유의를요합니다.
| 가-5. 부실금융기관이라는 행정처분에 대한 쟁송가능성본 사채의 투자자가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이라는 행정처분에 대하여 취소소송 등의 행정소송으로 그 유효성이나 적법성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취소소송 등이 제기된 경우 상각의 효력,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 취소 시 상각의 효력과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취소가능성 등에 관한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1)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법적 성격본 사채의 상각 사유인 부실금융기관의 지정은, 당해 부실금융기관이 향후 금산법 등 관련 법률의 적용을 받게 되는 법적 지위를 확인하여 주는 행정처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대하여는 취소소송 등의 행정쟁송으로 그 유효성이나 적법성을 다툴 수 있습니다. (2) 취소소송 등의 절차금산법 및 금융지주회사법 등 관련 법령은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에 대한 이의제기 절차를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따라서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대하여는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을 통하여 그 효력을 다투어야 합니다. 행정심판은 행정법상의 분쟁에 관하여 행정기관이 스스로 해결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종전에는 행정소송을 제기하기에 앞서 반드시 행정심판절차를 거치도록 하였으나, 1998. 3. 1.부터는 일부 사건을 제외하고는 행정소송법이 개정되어 행정심판을 거치지 않더라도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취소심판은 처분이 있음을 안 날부터 90일 이내 또는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8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없이 위의 기간 중 하나라도 경과하여 행정심판을 청구하면 부적법한 청구가 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행정소송은 법원이 행정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절차로서,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사람이 원고이고, 행정소송을 당하는 행정청이 피고가 됩니다. 취소소송은 처분이 있음을 안 날(행정심판을 제기한 경우 행정심판 재결서 정본을 송달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제기하여야 하며, 위 기간을 경과하면 행정소송을 제기하지 못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3) 본 사채의 투자자가 취소소송 등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본 사채의 특약상 상각사유인 부실금융기관 지정은 당사에 대한 행정행위이므로 행정행위의 당사자가 아닌 본 사채의 투자자가 금융위원회를 상대로 행정쟁송 등을 직접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상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부실금융기관의 지정과 같은 행정처분의 당사자인 당사는 그 취소를 구할 적격(소를 제기할 자격)이 있고, 그러한 행정처분에 있어서 제3자인 본 사채의 투자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대해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비로소 금융위원회 등을 상대로 그 취소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보험회사에 대하여 부실금융기관 결정에 더하여 예금보험공사가 신주를 인수하도록 하는 자본금의 증가 및 예금보험공사가 인수한 주식 이외의 기존 주식 전부를 무상소각하는 자본금의 감소를 명하는 처분이 이루어진 사안에서, 위 보험회사의 주주는 위 처분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주식이 소각되어 주주의 지위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하게 되었고, 달리 구제방법을 찾을 수도 없어 취소를 구할 적격을 인정받은 사례가 있으나(대법원 2004. 12. 23. 선고 2000두2648 판결 등), 아직까지 부실금융기관 지정 자체에 대하여 해당 금융기관의 주주나 임원 등이 취소를 구할 적격 있다고 인정한 선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당사가 수행한 법률검토에 의하면, 본 사채의 경우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으로 인하여 곧바로 본 사채가 상각되고 투자자들은 이를 다툴 다른 방법이 없음을 이유로 본 사채의 투자자들이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대하여 취소소송 등을 제기할 수 있다고 볼 여지도 있으나, 이에 대한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하므로, 본 사채의 투자자들이 상각사유 발생 여부에 대해서 금융위원회 등을 상대로 직접 행정쟁송 등을 할 수 있다고 단언하기 어렵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당사의 취소소송 등 제기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있는 경우, 당사는 일정한 쟁송절차에 따라 행정소송 등을 통해 처분의 적법성을 다툴 수 있습니다. 당사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적법 여부에 관하여 관련 법률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충분한 법적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5) 취소소송 등이 제기된 경우 상각의 효력취소소송을 제기한 것만으로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이나 본 사채 상각의 효력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아니합니다. 다만, 당사가 취소소송과 같은 쟁송절차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효력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행정소송법에 따른 집행정지 등도 함께 신청할 예정입니다. 이 경우 법원의 집행정지결정이 상각 효력발생일 이전에 이루어진다면 상각의 효력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겠으나, 집행정지결정이 상각 효력발생일 이후에 이루어진다면 집행정지결정에는 소급효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집행정지결정에도 불구하고 상각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취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는 명시적 선례가 없기 때문에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하므로, 이 부분에 대하여서도 투자자의 면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각효력발생일 이후에 집행정지결정이 발령되는 경우, 당사는 법령이 허용하는 한 한국예탁결제원 등록 말소와 같은 후속절차의 진행을 중지하고 취소소송의 결과를 기다림으로써 본 사채 투자자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할 예정입니다.
(6) 부실금융기관 지정처분이 취소되는 경우 상각의 효력 당사가 수행한 법률검토에 의하면, 종국적으로 부실금융기관 지정 등의 처분이 취소의 대상이 되거나 무효로 판단되면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효력은 소급적으로 소멸하게 되므로 본 사채의 상각의 효력도 소급적으로 소멸(즉, 본 사채상 권리의 부활)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이에 대한 명시적 선례가 없어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7) 부실금융기관 지정의 취소가능성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절차상 또는 내용상 하자가 있다면, 부실금융기관 지정은 그 하자로 인하여 취소 내지 무효인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생명보험 주식회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지정 처분이 사전통지, 의결제출기회 부여 등을 결여함 흠이 있어 위법하고 이는 행정처분의 취소사유에 해당한다는 하급심 판례가 존재합니다(서울행정법원 1999. 8. 31. 선고 99구23709 등). 다만, 이 경우에도 본 사채의 투자자들의 권리가 소급적으로 부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법률적인 불명확성이 존재한다는 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습니다. 한편, 행정처분이 절차상 또는 내용상 하자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도, 이를 취소하는 것이 현저히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행정처분을 취소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 사정판결이라고 하는데, 부실금융기관 지정과 관련하여서는 사정판결이 적합하지 않다는 취지의 판단을 한 하급심 판결이 존재하나(서울행정법원1999. 8. 31. 선고99구23709 등), 확립된 판례로 보기는 어려워 사정판결의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 가-6. 상각사유 발생 후 효력 발생 전까지의 본 사채 양도가능성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등의 관련 법령은 상각형 조건부 자본증권의 상각사유가 발생한 후 효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해당 사채의 양도를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 기간 동안 본 사채를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이 법률상 제한되지는 아니합니다. 다만 상각이 예정되어 있는 본 사채가 실제로 양도될 가능성은 낮아 보이고 만약 본 사채가 상각이 예정될 경우 당사는 관련 사실을 당사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일간지 등에 게시함으로써 추가적인 투자자의 손실을 막기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
| 나.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 조건본 사채는 이자의 지급이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될 수 있습니다. 당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호 내지 제38호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거나 긴급조치 및 부실금융기관 지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경우 본 사채의 이자지급은 정지 됩니다 . 또, 바젤III 규제 하에서 금융지주회사가 충족해야 하는 일정 수준의 추가자본 요건을 당사가 충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이자의 지급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채의 특약 제6조 제3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본 사채의 이자지급을 당사의 재량으로 취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각과는 다르게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의 경우 해당 사유가 해소될 경우 다시 이자지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 사유 발생가능성에 대하여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별표3> "신용·운영리스크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산출기준(바젤Ⅲ기준)"의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에 의하면, 발행회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또는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 긴급조치를 받는 경우 동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배당(이자를 포함)의 지급이 정지됩니다.본 사채와 같이 기타기본자본으로 분류되는 신종자본증권형 조건부자본증권의 경우 부실금융기관 지정 또는 경영개선 명령 이전에도 이자지급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은행업감독규정시행세칙 별표3. 제6호 나목(1) (다)는 “발행 은행이 금산법 제2조 제2호에서 정하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또는 규정 제34조부터 제36조까지, 제38조, 제97조에서 정하는 조치를 받은 경우 동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배당(이자를 포함한다)의 지급이 정지되는 조건일 것”을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즉, 위 규정에서 이자 지급의 정지 사유는 부실금융기관 지정, 적기시정조치(은행업감독규정 제34조 내지 제36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 긴급조치(은행업감독규정 제38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입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역시 적기시정조치에 관한 규정을 별도로 두고 있으므로, 본 사채의 경우에는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의 적기시정조치를 배당(이자) 지급 정지 요건으로 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본 사채의 특약 제8조에 의거 상각 조건인 부실금융기관 지정과 별도로, 이자지급의무가 정지되는 최소 요건인 경영개선 권고나 경영개선요구 등은 자본비율이 일정수준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계속기업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사채의 특약 제6조 제3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본 사채의 이자지급을 당사의 재량으로취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각과는 다르게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의 경우 정지사유를 해소할 경우 다시 이자지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본 사채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 사유 발생가능성에 대하여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가 바젤Ⅲ 시행 이전인 2011년, 2012년에 기 발행했던 신종자본증권의 이자지급의 정지가 본 사채의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및 취소를 유발하지는 않는다는 점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
[본 사채 특약] 제6조 (이자(배당)의 지급정지 및 취소)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이자(배당)의 지급은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의 이자(배당) 지급의무는 모두 소멸됩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경우 2.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위원장이 발행회사와 관련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따른 긴급조치를 취하는 경우 3.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②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따라 발행회사의 자본보전완충자본을 포함한 자본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2>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미달함으로 인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3-3>에서 정하는 이익배당 등의 한도를 준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발행회사는 위 한도의 준수를 위해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 사채의 이자(배당)를 지급하지 아니합니다. ③ 발행회사는 그 고유의 재량에 따라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을 취소할 수 있으며, 배당의 지급취소는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발행회사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도 작용하지 않습니다. ④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조건부자본증권 중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이자(배당)의 지급이 취소되는 경우,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은 그 다른 조건부자본증권에 관한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가 해소될 때까지 함께 취소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⑤제 3항또는제4항에따른이자(배당)의지급취소는본사채에대한채무불이행또는부도사유로간주되지않고, 발행회사는제3항또는제4항에따라이자(배당)의지급을취소한경우그와같이지급이취소된금원을본사채이외에만기가도래한발행회사의다른채무의이행에사용할수있습니다. |
바젤Ⅲ 하에서는 자본의 질적 요건뿐만 아니라 양적인 기준도 강화되었습니다. 세분화된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단계적으로 적립비율이 기준이 강화됩니다. 또한 손실보전완충자본 개념을 도입하여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2.5%를 확충해야 하며, 만약 충족하지 못할 경우 배당 등이 제한됩니다. 최종적으로 2019년 이후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필요자본비율이 각각 7.0%, 8.5%, 10.5%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현재 유동적으로 추가되는 경기대응완충자본과 D-SIB(Domestic Systemically Important Banks) 추가자본 적립까지 요구됩니다. 신고서 제출일 현재 경기대응완충자본 추가 적립률은 1.00%이며, 당사는 D-SIB 에 포함되어 D-SIB 추가적립(추가적립자본 1.00%) 의무가 발생합니다. 현재 및 2026년 기준 당사를 포함한 5개 은행지주, 5개 은행의 경우에는 보통주자본비율 9.00%, 기본자본비율 10.50%, 총자본비율 12.50% (경기대응완충자본 1.00% 및 D-SIB 추가자본 1.00% 포함)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 [BIS자기자본비율 규제] |
| (단위 : %) |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5월 1일 이전 | 2024년5월 1일 이후 |
| 최저규제 보통주자본비율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 +) 자본보전완충자본 | 0.625 | 1.25 | 1.875 | 2.5 | 2.5 | 2.5 | 2.5 | 2.5 | 2.5 | 2.5 |
| +) D-SIB 은행 | 0.25 | 0.5 | 0.75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 +) 경기대응완충자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0 |
| 최저규제 기본자본비율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6.0 |
| 최저규제 총자본비율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 D-SIB 은행 최저규제비율 | ||||||||||
| 보통주자본비율 | 5.375 | 6.25 | 7.125 | 8.0 | 8.0 | 8.0 | 8.0 | 8.0 | 8.0 | 9.0 |
| 기본자본비율 | 6.875 | 7.75 | 8.625 | 9.5 | 9.5 | 9.5 | 9.5 | 9.5 | 9.5 | 10.5 |
| 총자본비율 | 8.875 | 9.75 | 10.625 | 11.5 | 11.5 | 11.5 | 11.5 | 11.5 | 11.5 | 12.5 |
| 주1) 자본보전완충자본 : 모든 은행에 상시적으로 2.5%의 완충자본 부과(은행업감독규정 제26조제4항)주2) 경기대응완충자본 : 2024.5.1부터 1% 부과주3) 추후에 경기대응완충자본, 자본보전완충자본에 관한 내용 및 D-SIB 재선정 관련 이슈 발생 시 이후 비율은 변동이 있을 수 있음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재구성 |
| [적기시정조치 발동 요건 비교] |
| 구분 | 경영개선권고 | 경영개선요구 | 경영개선명령 |
|---|---|---|---|
| 2015.1.1 이전 | 총자본비율 8% 미만 | 총자본비율 6% 미만 | 총자본비율 2% 미만 |
| 현행 | 총자본비율 8% 미만 또는 | 총자본비율 6% 미만 또는 | 총자본비율 2% 미만 또는 |
| 기본자본비율 6% 미만 또는 | 기본자본비율 4.5% 미만 또는 | 기본자본비율 1.5% 미만 또는 | |
| 보통주자본비율 4.5% 미만 | 보통주자본비율 3.5% 미만 | 보통주자본비율 1.2% 미만 |
| 출처 : 금융감독원 |
그리고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하는 발행회사의 경우에도 자본비율이 일정수준 미만일 경우에는 이자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과 관련한 <별표3-3> ‘이익배당 등의 최대 한도’에 의하면 2016년 1월 1일 이후에는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의 수준에 따라 이익배당(이자지급)의 최대한도가 단계적으로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소멸한 이자에 대해서는 투자자의 그 어떤 청구권도 없으며, 사유 해소에 따른 이자 지급정지분이 사후에 누적적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또 위 사유는 당사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과 관련한 <별표3-3>
|
<별표 3-3> 이익 배당 등의 최대 한도 (제25조 제1항 관련)1. 2015년 이전 : 없음2. 2016년 1월 1일 이후
3. 2017년 1월 1일 이후
4. 2018년 1월 1일 이후
5. 2019년 1월 1일 이후
|
| 출처: 금융위원회 및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
| 나-1. 이자미지급 조건 - 적기시정조치적기시정조치는 부실화의 소지가 있는 금융기관에 대해 부실화를 방지하고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금융당국이 필요한 조치를 권고, 요구 또는 명령하는 것을 말합니다. 본 사채에 대한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적기시정조치 중 경영개선권고나 경영개선요구 등은 자본비율이 단순히 일정 규제 수준 미만으로 하락하는 계속기업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BIS자본비율 기준, 당사가 적기시정조치(총자본비율이 100분의 8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6.0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를 받기 위해서는 2025년 반기말 연결 기준으로 당사 보유자산 중 약 27조 9,288억원의 손실이 발생해야 합니다. 적기시정조치에 의한 이자 미지급 발생가능성은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의한 신종자본증권 원금 상각 사유 발생 가능성보다 매우 높습니다. 투자자들은 이 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정지사유 첫번째 : 적기시정조치금산법 제10조 제1항에 의하면, 금융위원회는 금융기관의 재무상태가 일정 기준에 미달하거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금융기관의 재무상태가 일정 기준에 미달하게 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면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예방하고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금융기관이나 그 임원에 대하여 일정한 사항을 권고·요구 또는 명령하거나 그 이행계획을 제출할 것을 명하여야 합니다. 이를 적기시정조치라고 합니다. 금융위원회는 적기시정조치를 하기 위하여 미리 그 기준 및 내용을 정하고 고시하여야 하는 바(금산법 제10조 제2항), 이에 따라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는 적기시정조치의 기준과 내용을 정하고 있습니다. 각 적기시정조치의 발동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적기시정조치] |
|
경영개선권고 |
1.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100 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이 100분의 8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6.0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인 경우를 말함) 2.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3등급 이상으로서 재무상태 부문의 평가등급을 4등급 이하로 판정받은 경우 3. 금융지주회사 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인해 위 기준에 해당됨이 명백할 경우 |
|
경영개선요구 |
1.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75 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이 100분의 6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3.5 미만인 경우를 말함) 2.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 4등급 이하로 판정받은 경우 3. 금융지주회사 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인해 위 기준에 해당됨이 명백할 경우 4. 경영개선권고 받은 후 경영개선계획 불성실 이행 |
|
경영개선명령 |
1. 부실금융기관 지정 2.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25 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이 100분의 2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1.5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1.2 미만인 경우를 말함) 3. 경영개선요구 받은 금융지주회사가 경영계획 불성실 이행 |
| 출처 :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
적기시정조치에 관한 권한은 금융위원회에 있으며, 다만 이행계획의 접수 및 그에 따른 이행실적의 접수와 이행 여부의 점검 권한은 금산법 제10조 제5항 및 금산법 시행령 제6조의2 제2호에 따라 금융감독원장에게 위탁되어 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적기시정조치를 할 때에는 해당 금융지주회사에게 그 근거와 이유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8조의2)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서 정하는 적기시정조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자본의 확충 또는 자산의 매각 등을 통하여 단기간 내에 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에 준하는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동안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될 수 있습니다.(금산법 제10조 제3항,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9조)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절 적기시정조치 제36조(경영개선권고) ① 금융위는 금융지주회사(전환대상자는 제외한다. 이하 제37조제1항, 제38조제1항 및 제43조에서 같다)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당해 금융지주회사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이행하도록 권고하여야 한다.(개정 2006. 8. 31, 2010. 3. 8)1.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100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이 100분의 8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6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인 경우를 말함)) (개정 2006. 11. 30, 개정 2013. 9.17)2. 제35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이 3등급 이상으로서 재무상태 부문의 평가등급을 4등급(취약)이하로 판정 받은 경우(개정 2007. 12. 13)3. 금융지주회사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금융지주회사가 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② 제1항에서 정하는 필요한 조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1. 인력 및 조직운영의 개선2. 경비절감3. 고정자산 매입, 신규업무영역에의 진출 제한4. 신규 자회사등에 대한 출자의 제한5. 부실자산의 처분6. 자본금의 증액 또는 감액7. 이익배당의 제한8. 특별대손충당금등의 설정(개정 2011. 3. 2)③ 감독원장은 제1항에 의한 권고를 하는 경우 당해 금융지주회사 또는 관련임원에 대하여 주의 또는 경고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37조(경영개선요구) ① 금융위는 금융지주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당해 금융지주회사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이행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개정 2010. 3. 8)1.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75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이 100분의 6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이 100분의 4.5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이 100분의 3.5 미만인 경우를 말함) (개정 2006. 11. 30, 2013. 9.17)2. 제35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을 4등급(취약)이하로 판정 받은 경우3. 금융지주회사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에 해당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4. 제3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해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금융지주회사가 경영개선계획을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② 제1항에서 정하는 필요한 조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1. 조직의 축소2. 위험자산보유 제한 및 자산의 처분3. 임원진 교체 요구4. 영업의 일부정지5. 자회사등의 정리6. 합병, 제3자 인수 또는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 양도계획의 수립7. 제36조제2항에서 정하는 사항 제38조(경영개선명령) ① 금융위는 금융지주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당해 금융지주회사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이행하도록 명령하여야 한다.(개정 2010. 3. 8)1.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 제2조제3호에서 정하는 부실금융기관2.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 100분의 25미만인 경우(단, 은행지주회사는 총자본비율 100분의 2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1.5 미만 또는 보통주자본비율 100분의 1.2 미만인 경우를 말함) (개정 2006. 11. 30, 2013. 9.17)3. 제37조제1항의 규정에 의해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금융지주회사가 경영개선계획의 주요사항을 이행하지 않아 제41조제6항의 규정에 의해 이행촉구를 받았음에도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이행이 곤란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② 제1항에서 정하는 필요한 조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 다만, 영업의 전부정지, 영업의 전부양도, 계약의 전부이전 또는 주식의 전부소각의 조치는 제1항 제1호에 의한 부실금융기관이거나 제1항 제2호의 기준에 미달하고 건전한 신용질서를 해할 우려가 현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한다.1.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 소각2. 임원의 직무집행 정지 및 관리인의 선임3. 합병4.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양도5. 제3자에 의한 당해 금융지주회사의 인수6. 6월 이내의 영업의 정지7.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의 이전8. 제37조제2항에서 정하는 사항③ 금융위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제36조제1항의 경영개선권고 또는 제37조제1항의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금융지주회사로서 외부로부터 자금지원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정부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출자하기로 한 금융지주회사에 대하여 자본증가 또는 자본감소를 명령할 수 있다. 제39조(적기시정조치의 유예) 제36조제1항, 제37조제1항 및 제38조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금융지주회사가 자본의 확충 또는 자산의 매각 등으로 단기간 내에 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에 준하는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당해 조치권자는 일정기간동안 조치를 유예할 수 있다. |
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 사채의 특약 제6조 제1항 제1호에 근거하여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경우(감독당국의 결정일을 기준으로 함), 당사의 이자 지급의무가 소멸합니다. 위 사유로 소멸한 이자에 대한 투자자의 그 어떤 청구권도 없으며, 사유 해소에 따른 이자 지급정지분이 사후에 누적적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또 위 사유는 당사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사채의 인수계약서 특약 : 제6조]
|
제6조(이자(배당)의 지급정지 및 취소)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이자(배당)의 지급은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의 이자(배당) 지급의무는 모두 소멸됩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경우 |
(2) 적기시정조치의 의미금산법에 의하면, 금융위원회는 금융기관의 자기자본비율이 일정 수준에 미달하는 등 재무상태가 일정 기준에 미달하거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금융기관의 재무상태가 일정 기준에 미달하게 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면 (적기시정조치의 발동조건)금융기관의 부실화를 예방하고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적기시정조치의 목적) 해당 금융기관이나 그 임원에 대하여 (적기시정조치의 대상)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권고·요구 또는 명령하거나 그 이행계획을 제출할 것 (적기시정조치 실현방법)을 명하여야 합니다.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10조
|
제10조(적기시정조치) ① 금융위원회는 금융기관의 자기자본비율이 일정 수준에 미달하는 등 재무상태가 제2항에 따른 기준에 미달하거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금융기관의 재무상태가 제2항에 따른 기준에 미달하게 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면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예방하고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금융기관이나 그 임원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권고·요구 또는 명령하거나 그 이행계획을 제출할 것을 명하여야 한다. 1. 금융기관 및 임직원에 대한 주의·경고·견책(譴責) 또는 감봉 2. 자본증가 또는 자본감소, 보유자산의 처분이나 점포·조직의 축소 3. 채무불이행 또는 가격변동 등의 위험이 높은 자산의 취득금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금리에 의한 수신(受信)의 제한 4. 임원의 직무정지나 임원의 직무를 대행하는 관리인의 선임 5. 주식의 소각 또는 병합 6.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 정지 7. 합병 또는 제3자에 의한 해당 금융기관의 인수(引受) 8. 영업의 양도나 예금·대출 등 금융거래와 관련된 계약의 이전(이하 "계약이전"이라 한다) 9. 그 밖에 제1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조치로서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조치② 금융위원회는 제1항에 따른 조치(이하 "적기시정조치"라 한다)를 하려면 미리 그 기준 및 내용을 정하여 고시(告示)하여야 한다.③ 금융위원회는 제2항에 따른 기준에 일시적으로 미달한 금융기관이 단기간에 그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이에 준하는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기간을 정하여 적기시정조치를 유예(猶豫)할 수 있다.④ 금융위원회는 제2항에 따른 기준을 정할 때 금융기관이나 금융기관의 주주에게 중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끼칠 우려가 있는 다음 각 호의 조치는 그 금융기관이 부실금융기관이거나 재무상태가 제2항에 따른 기준에 크게 미달하고 건전한 신용질서나 예금자의 권익을 해칠 우려가 뚜렷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하여야 한다. 1. 영업의 전부정지 2. 영업의 전부양도 3. 계약의 전부이전 4. 주식의 전부소각에 관한 명령 5. 그 밖에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조치⑤ 금융위원회는 적기시정조치에 관한 권한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금융감독원 원장(이하 "금융감독원장"이라 한다)에게 위탁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0.3.12.] |
당사에 적용되는 적기시정조치의 상세 내역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적기시정조치에 관한 권한은 금융위원회에 있으며, 다만 이행계획의 접수 및 그에 따른 이행실적의 접수와 이행 여부의 점검 권한은 금산법 제10조 제5항 및 금산법 시행령 제6조의2 제2호에 따라 금융감독원장에게 위탁되어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적기시정조치는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으로 분류됩니다. 경영개선권고는 인력 및 조직운영의 개선, 경비절감, 부실자산의 처분 등의 비교적 약한 강도의 조치이며, 경영개선요구에는 조직의 축소, 위험자산보유 제한 및 자산의 처분, 임원진 교체요구, 영업의 일부 정지 등의 조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경영개선명령으로서 관리인의 선임, 합병, 계약이전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이와 같이 적기시정조치는 퇴출의 의미보다는, 부실화에 대한 경고 또는 사전예방적 조치의 성격을 갖습니다. 부실금융기관의 지정 없이 적기시정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는 주로 경영개선권고 또는 경영개선요구를 하고, 해당 금융기관이 금융위원회의 조치를 이행하지 않거나 이행이 곤란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가 해당 금융기관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면서 경영개선명령(관리인 선임, 계약이전결정 등)이나 파산신청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입니다.한편,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서 정하는 적기시정조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자본의 확충 또는 자산의 매각 등을 통하여 단기간 내에 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에 준하는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동안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예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당사는 해당내용에 대하여 투자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지체없이 공고하도록 하겠습니다. (3) 적기시정조치에 따른 이자지급 정지의 시기금융위원회가 당사에 대하여 적기시정조치를 내리기로 결정한 날부터 이자지급 정지의 사유가 발생하게 됩니다 . 적기시정조치 해지시 이자지급정지 사유가 당연 해소되며, 이후 도래하는 이자지급일의 이자는 지급이 재개될 수 있습니다.당사에 대하여 적기시정조치가 실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4) 적기시정조치 발생 가능성 분석
|
[통합위기상황 분석 스트레스테스트 기준으로 적기시정조치 발생가능성 분석] 이자지급정지 사유는 상각 사유와 달리 적기시정조치인 경영개선권고 조치만으로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점을 보았을 때, 상각 사유보다 상대적으로 발생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현재 당사의 재무구조상 약 27.9조원의 부실이 발생할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받아 이자지급이 정지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자지급정지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미지급한 이자는 전액 소멸됩니다.
과거 사례를 볼 때, 구 서울은행의 경우 IMF 외환위기시 기업의 부도, 파산 등으로 약 5조 4,089억 원(1997년도 ~ 1999년도)의 손실 발생경험이 있었으며, 저축은행 부실 사례와 같이 부동산 PF 부실발생과 2007년부터 불거진 미국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른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로 파산한 리먼브라더스 사례처럼 국내 부동산시장의 급격한 가격하락 등으로 인하여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할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이자지급도 정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통합위기상황 분석 스트레스테스트 기준으로 적기시정조치 발생가능성 분석]
위와 같이 Worst 시나리오시에도 적기시정조치 여력이 4.97% 이상으로 여유가 있는 상황이나, 가정된 시나리오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어 대출채권 등에 대하여 부실이 발생될 경우 당사의 자본비율은 적기시정조치 중 경영개선권고의 자본비율 (보통주자본 4.5%, 기본자본 6.0%, 총자본 8.0%)이하로 하락하게 되어 본 사채 이자지급이 정지될 가능성이 있으며, 금융지주감독규정에 의한 경영실태평가 결과 종합평가등급이 3등급으로 재무상태(계량) 부문의 평가등급을 4등급 이하로 판정 받은 경우에도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받게 되어 본 사채 이자지급이 정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나-2. 이자미지급 조건 - 긴급조치 긴급조치는 휴업 등 긴급한 사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한 상황 하에서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의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리는 행정처분을 말합니다. 예금자의 이익이 크게 저해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 금융당국은 그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① 채무변제행위의 금지, ②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 ③ 회사채발행 및 자금차입행위의 금지, ④ 자산의 처분 등과 같은 긴급조치를 통하여 그 위험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당국의 긴급조치는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요건에 해당합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에 대하여 이자 지급 정지 사유가 실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
(1)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정지사유 두번째 : 긴급조치
금융위원회는 금융지주회사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예금자의 이익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호(긴급조치)1. 휴업, 영업의 중지 등으로 돌발사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2. 파산위험이 현저하거나 차입금 등의 지급불능상태에 이른 경우 |
또한 본 사채는 기타기본자본에 해당하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시행세칙 별표 1-2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의 기타기본자본 인정은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3을 준용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은행업감독규정 시행세칙은 은행의 기타기본자본 인정 요건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
[별표3] 신용·운영리스크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산출 기준(바젤Ⅲ 기준)6. (기타기본자본)나.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가) 발행절차를 거쳐 납입이 완료된 상태이어야 하며, 영구적인 형태로서 금리상향조정(step-up) 또는 다른 상환유인이 없을 것. (나) 예금자, 일반 채권자 및 후순위채권 보다 후순위특약[파산 등의 사태가 발생한 경우 선순위채권자(unsubordinated creditor)가 전액을 지급받은 후에야 후순위채권자의 지급청구권의 효력이 발생함을 정한 특약을 말한다. 이하 같다] 조건이며,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파산 선고시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에 해당하지 않을 것<개정 2015.12.18> (다) 발행 은행이 「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또는 「예금자보호법」에서 정하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이거나 규정 제34조부터 제36조까지, 제38조, 제97조에서 정하는 조치를 받은 경우 동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배당(이자를 포함한다. 이하 6.에서 같다.)의 지급이 정지되는 조건일 것<개정 2014.12.2> (라) 배당 및 이자지급이 은행의 신용등급에 연계되어(신용등급에 따라 배당 및 이자 지급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정기적으로 재조정) 결정되지 않을 것<개정 2015.12.18> (마) 배당 지급은 배당가능항목에서 지급될 것 (바) 은행은 언제든지 배당 취소에 대한 완전한 재량권을 가질 것 (사) 배당의 지급취소가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은행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 (아) 배당의 지급취소가 부도사건으로 간주되지 않고, 은행은 취소된 금액을 만기가 도래한 채무의 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완전한 권리를 가질 것 (자) 발행 후 5년 이내에 상환되지 아니하며, 동 기간 경과 후 상환하는 경우에도 상환여부를 발행은행이 전적으로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상환될 것이라는 투자자의 기대를 유발하거나 발행은행에게 사실상 상환을 하도록 부담을 부과하는 어떠한 조건도 없을 것 (차) 별표 3-5(조건부자본증권의 예정사유 등)를 충족할 것 <개정 2016.7.20.> (카) 은행 및 은행이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는 자본증권을 매입하거나 증권의 매입자에 대하여 담보제공, 지급보증 및 대출 등에 의하여 매입자금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없고, 납입자금에 대하여 청구권의 변제순위를 법적, 경제적으로 강화할 수 없으며, 직접 또는 관계회사를 통하여 동 증권의 매입자에게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하여서는 아니될 것 (타) 자본증권은 향후 발행은행의 자본조달 및 자본확충을 저해하는 조건이 없을 것 [참조1] 은행업감독규정 제38조(긴급조치) ① 금융위는 은행이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예금자의 이익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만, 금융위를 소집할 수 없는 긴급한 경우에는 금융위위원장은 우선 필요한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위위원장은 지체없이 금융위를 소집하여 그 조치를 보고하여야 한다. 1. 유동성의 급격한 악화로 예금지급준비금 및 예금지급준비자산의 부족, 대외차입금의 상환불능 등의 사태에 이른 경우 2. 휴업, 영업의 중지, 예금인출 쇄도 또는 노사분규 등 돌발사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영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 3. 파산위험이 현저하거나 예금지급불능상태에 이른 경우 ② 제1항에서 정하는 필요한 긴급조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 1. 예금의 수입 및 여신의 제한 2. 예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지급정지 3. 채무변제행위의 금지 4. 자산의 처분 <개정 2010.11.5> [참조2]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 3의5] 조건부자본증권의 예정사유 등 (제31조의2 관련)3. (기본 발행조건) 법 제33조제1항제2호부터 제4호까지에 따른 사채(이하 “조건부자본증권”이라 한다)는 다음 각목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개정 2016.7.20.>.나. 예정사유 발생시 조건부자본증권의 채무재조정(법 제33조제1항2호에 따라 사채의 상환과 이자지급 의무가 감면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주식 전환 또는 교환에 대하여 발행은행의 주주 및 투자자 등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의 사전승인을 요하지 않을 것 <개정 2016.7.20.>라. 조건부자본증권의 사채청약서 및 사채원부에 예정사유 발생시 해당 조건부자본증권 전부를 영구적으로 채무재조정, 주식 전환 또는 교환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을 것 <개정 2016.7.20.> 마. 조건부자본증권의 사채청약서 및 사채원부에 채무재조정, 주식 전환 또는 교환 자체가 발행은행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사항이 별도로 명시되어 있을 것 <개정 2016.7.20.> |
본 사채는 위의 규정들에 따라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사채의 특약 제6조 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당사에 대하여 긴급조치가 취해지는 경우, 당사의 이자 지급정지가 발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위 사유로 지급정지한 이자에 대한 투자자의 그 어떤 청구권도 없으며, 사유 해소에 따른 이자 지급 정지분이 사후에 누적적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또 위 사유는 당사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인수계약서 특약 제6조(이자(배당)의 지급정지 및 취소) ① 발행회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이자(배당)의 지급은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의 이자(배당) 지급의무는 모두 소멸됩니다. 1. 발행회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따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경우 2.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위원장이 발행회사와 관련하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따른 긴급조치를 취하는 경우 3.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제2조 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
긴급조치 상세내역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긴급조치는 채무변제행위의 금지,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 회사채발행 및 자금차입행위의 금지, 자산의 처분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기술하고 있습니다. 휴업, 영업의 중지, 차입금 등의 지급불능상태 등의 돌발사태는 쉽게 일어나지는 않지만 경제 전반적인 상황 악화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 점에 대하여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제40조(긴급조치) ① 금융위는 금융지주회사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되어 건전한 신용질서를 크게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만, 금융위를 소집할 수 없는 긴급한 경우에는 금융위 위원장("이하 위원장" 이라 한다)은 우선 필요한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원장은 지체없이 금융위를 소집하여 그 조치를 보고하여야 한다.1. 휴업, 영업의 중지 등으로 돌발사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2. 파산위험이 현저하거나 차입금 등의 지급불능상태에 이른 경우② 제1항에서 정하는 필요한 긴급조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조치를 말한다.1. 채무변제행위의 금지2. 자회사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3. 회사채발행 및 자금차입행위의 금지4. 자산의 처분 |
(2) 긴급조치의 의미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에 따른 긴급조치는 휴업 등 긴급한 사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한 상황 하에서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의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리는 행정처분을 말합니다. 재무상태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거나BIS 비율이 악화 추세를 보이는 경우에는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의 경영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적절한 적기시정조치를 취할 시간적 여유가 있으나, 휴업 등의 돌발사태 발생, 지급불능상태와 같이 경영의 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긴급하게 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긴급한 상황에서는 일정한 자본비율 미달 여부 등과 같은 적기시정조치의 요건 충족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오히려 금융지주회사 경영의 정상화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금융위원회가 강력한 긴급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은 긴급조치가 가지는 이러한 특수한 성격을 감안하여, 금융위원회에 긴급조치권한을 부여하면서도 금융위원회를 소집할 수 없는 긴급한 경우에는 금융위원장이 우선 필요한 긴급조치를 취한 후에 사후 보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40조 제1항 단서)금융위원회는 긴급조치로서, ① 채무변제행위의 금지, ② 자회사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 ③ 회사채발행 및 자금차입행위의 금지, ④ 자산의 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이 적용된 사례는 아니나) 금융위원회는 2008년 12월 12일 리먼브러더스인터내셔날 서울지점에 대하여 긴급조치를 내린바 있으며, 이 조치에 따라 채무변제행위, 본사와의 거래, 본사 및 해외에 대한 송금 및 자산이전, 기타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금융감독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행위를 금지한 바 있습니다.(3) 긴급조치에 따른 이자지급 정지의 시기금융위원회가 당사에 대하여 긴급조치를 내리기로 결정한 날부터 이자지급 정지의 사유가 발생하게 됩니다. 긴급조치 해지시 이자지급정지 사유가 당연 해소되며, 이후 도래하는 이자지급일의 이자는 지급이 재개될 수 있습니다.당사에 대하여 긴급조치가 실제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은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당사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 사실 및 그 효력 발생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당사의 홈페이지및 하나 이상의 전국 일간지에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긴급조치 발생가능성은 수치로 계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당사에 대하여 긴급조치를 취할 경우,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정지되오니 투자자들은 이점에 각별히 유념하여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나-3. 이자지급제한 조건 - 자본보전완충자본 관련 미이행 시금융지주회사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자본(이하"자본보전완충자본")수준을 당사가 일정 하회하여 유지하였을 경우,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규제수준 이상으로 자본 수준을 추가로 확보할 의무가 있으며, 미 이행시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상각사유 발생가능성을 분석한 기타위험 가-3에서 활용한 "통합위기상황 분석 스트레스테스트"의 연장선 상에서 보수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였을 경우 ('심각(Bad)' 시나리오)에 따라 당사의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이 14.72%, 보통주자본비율이 12.14%까지 하락, ('최악(Worst)' 시나리오)의 경우 총자본비율이 12.97%, 보통주자본비율 10.39%로 하락하나 배당한도 제한기준에 미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경제상황의 변동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예측을 넘어선 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이자 지급 제한의 상황은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사안 가운데 하나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점에 각별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제한사유 : 자본보전완충자본 관련 미 이행본 증권신고서 기타위험 나-1와 나-2에서 기술되어 있는 이자지급 정지의 요건들은 본 사채가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입니다.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은 아니지만,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은 별도의 조항인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근거하여 본 사채의 이자지급이 일정범위 하에서 제한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습니다.[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 25조]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제25조(경영지도비율) ① 금융지주회사는 법 제50조, 영 제28조의 규정에 따라 다음 각호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유지하여야 한다. 1. 자본적정성관련 비율(개정 2006. 11. 30, 2013.9.17) 가. 은행지주회사(개정 2013. 9.17, 2015.12.23) (1)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및 총자본비율에 관하여 <별표 3>에서 정하는 최소 준수비율 (2) 은행지주회사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자본(이하 "자본보전완충자본"이라 한다) 및 제25조의2에 따른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 추가자본, 제25조의3에 따른 경기대응완충자본을 포함한 자본비율로서 <별표 3-2>에서 정하는 자본비율 나. 은행지주회사가 아닌 금융지주회사[전환대상자(법 제22조에 따른 전환대상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는 제외한다. 이하 제2호 및 제3호에서 같다] : 필요자본 합계액에 대한 자기자본 순합계액의 비율(이하 "필요자본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이라 한다)이 100분의 100이상(개정 2010. 3. 8) 2. 금융지주회사의 원화유동성부채에 대한 원화유동성자산 비율(이하 "원화유동성비율"이라 한다) : 100분의 100이상 3. 금융지주회사의 외화유동성관련 비율(단, 총자산에 대한 외화부채의 비율이 100분의 1에 미달하는 금융지주회사는 적용하지 아니함)(단서신설 2006. 11. 30) 가. 금융지주회사의 외화유동성부채에 대한 외화유동성자산 비율(이하 "외화유동성비율"이라 한다) : 100분의 80이상 나. 금융지주회사의 외화자산 및 부채 만기 불일치비율 (1) 잔존만기 7일 이내의 경우에는 자산이 부채를 초과하는 비율 : 100분의 0이상 (2) 잔존만기 1개월 이내의 경우에는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비율 : 100분의 10이내 ② 제1항에서 정하는 비율의 구체적 산정기준은 감독원장이 정한다. 이 경우 제1항제1호의 비율은 국제결제은행 등 국제금융감독기구가 제시한 기준을 참작하여 정한다.(개정 2006. 11. 30) ③ 금융지주회사는 제1항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감독원장에게 분기별로 보고하여야 한다. ④ 감독원장은 제35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분석 및 평가 결과 제1항의 경영지도비율이 악화될 우려가 있거나 경영상 취약부문이 있다고 판단되는 금융지주회사에 대하여는 이의 개선을 위한 계획 또는 약정서를 제출토록 하거나 당해 금융지주회사와 경영개선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제36조 내지 제38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또는 경영개선명령을 받고 있는 금융지주회사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은행지주회사는 같은 항 제1호 가목 (2)에 따른 비율을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법 제50조제3항에 따른 조치로써 <별표 3-3>에 따른 비율로 이익의 배당(기본자본 중 임의적으로 이자를 지급 하지 않을 수 있는 자본증권의 당해 이자지급을 포함한다), 자사주매입 및 성과연동형 상여금(주식보상을 포함한다) 지급이 제한된다.(개정 2015.12.23) ⑥ 제5항에 따른 제한의 절차 등 필요한 사항은 감독원장이 정한다.(신설 2013.9.17.) [참고]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별표 3-2> 자본보전완충자본을 포함한 자본비율 (제25조 제1항 관련)
<별표 3-3> 이익 배당 등의 최대 한도 (제25조 제1항 관련) 1. 2015년 이전 : 없음 2. 2016년 1월 1일 이후
3. 2017년 1월 1일 이후
4. 2018년 1월 1일 이후
5. 2019년 1월 1일 이후
|
||||||||||||||||||||||||||||||||||||||||||||||||||||||||||||||||||||||||||||||||||||||||||||||||||||||||||||||||||||||||||||||
결국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1항에 의해 당사가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기위하여 규제수준 이상으로 적립해야 하는 자본보전완충자본 이행여부는 본 사채 이자지급과 관련된 제한요건으로 작용할 수 있사오니 투자자들은 이점에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제한사유 발생시 업무처리 절차배당 등이 제한되는 기간은 금융지주회사의 자본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에 미달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부터 이 비율 이상으로 금융지주회사의 자본비율 상승이 명확히 확인된 시점까지이며, 금융지주회사는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지체없이 금융감독원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규정 제25조 제1항에서 정하는 자본비율 충족을 위한 사내유보 계획, 자본확충 계획이 포함된 구체적인 자본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시행세칙 제6조 제3항).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
|
제6조(경영지도비율의 산정기준 등) ① 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의 산정기준은 <별표1> 및 <별표1-2>와 같다. (개정 2006. 11. 30) ② 금융지주회사는 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결산일(가결산일을 포함한다)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그 결과를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업무보고서에 의하여 감독원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02. 9. 13) ③ 규정 제25조제5항에 따라 은행지주회사가 상법에 따른 배당가능이익을 사내에 유보하는 경우 은행지주회사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른다. (개정 2013. 11. 22) 1. 사내유보를 해야하는 기간은 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부터 명확히 해소되는 시점까지 이다. 2. 은행지주회사는 경영지도비율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지체없이 감독원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규정 제25조제1항제1호가목(2)에 따른 자본보전완충자본 및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 추가자본, 경기대응완충자본 충족을 위한 사내유보 계획, 자본확충 계획이 포함된 구체적인 자본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정 2015. 12. 18) |
이자지급의 제한은 금융당국의 구체적인 행위가 있었느냐 여부와는 무관하게 그 효력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자지급 제한 요건이 충족되어 이자의 지급이 제한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이자지급 제한 사유의 발생 및 이로 인한 효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전국 일간지에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3) 본 사채 이자지급의 제한사유 발생 가능성2017년 06월 28일 금융위원회 보도자료에 따르면 당사는 금융위원회가 지정한 자국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omestic Systemically Important Banks, D-SIBs) 지주사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당사에 적용되는 자본보전완충자본 등을 포함한 자본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본보전완충자본 등을 포함한 자본비율(제25조제1항 관련)
| [당사 적용 이자지급이 제한되는 BIS자본비율기준] | (단위 : %) |
|
구 분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5항 별표 3-2 | ||
|---|---|---|---|
|
보통주자본비율 |
기본자본비율 |
총자본비율 |
|
|
2015년 이전 |
없음 |
||
|
2016년 1월 1일 이후 |
5.125% + K/4 |
6.625% + K/4 |
8.625% + K/4 |
|
2017년 1월 1일 이후 |
5.75% + K/2 |
7.25% + K/2 |
9.25% + K/2 |
|
2018년 1월 1일 이후 |
6.375% + K*3/4 |
7.875% + K*3/4 |
9.875% + K*3/4 |
|
2019년 1월 1일 이후 |
7.0% + K |
8.5% + K |
10.5% + K |
| 2024년 5월 1일 이후(D-SIB 적용 및 경기대응완충자본 1%부과 적용) |
9.0% |
10.5% |
12.5% |
| 주1) K : 제25조의2제3항에 따른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 추가자본과 제25조의3제1항 및 제3항에 따른 경기대응완충자본의 합 |
따라서 당사가 자본보전완충자본 및 경기대응완충자본을 감안한 경영지도비율이 미달되어 이자지급 제한 사유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현행 규제 기준으로 약 12.6조원(2025년 반기말 기준)의 손실이 발생하여야 합니다.한편 상각사유 발생가능성을 분석한 기타위험 가-3에서 활용한 "통합위기상황 분석스트레스테스트"의 연장선 상에서 보수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였을 경우 ('심각(Bad)' 시나리오)에도 당사의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이 14.72%, 보통주자본비율이 12.14%로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규제수준에서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2.22%의 버퍼가 존재하며, ('최악(Worst)' 시나리오)에는 당사의 BIS자본비율은 총자본비율이 12.97%, 보통주자본비율이 10.39%로 하락하여 현행 규제수준에서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배당한도 제한기준에 미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큰 위기가 도래할 경우 이자지급제한 및 이자지급정지 사유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신한금융지주 Stress-Test 결과 분석] | (단위 : %) |
|
구 분 |
총자본비율 |
보통주자본비율 |
|
|---|---|---|---|
|
심각(Bad)시나리오("2024년 12월말") |
결과(A) |
14.72% | 12.14% |
|
규제비율(B) |
12.50% | 9.00% | |
|
차이(A-B) |
2.22% | 3.14% | |
|
최악(Worst)시나리오("2024년 12월말") |
결과(A) |
12.97% | 10.39% |
|
규제비율(B) |
12.50% | 9.00% | |
|
차이(A-B) |
0.47% | 1.39% | |
| 주) 규제비율 : 자본보전완충자본 2.5%, D-SIB 추가자본 1.0%, 경기대응완충자본 1.0% 포함한 비율(2024년 5월 1일 이후 기준)출처 : 당사 내부 자료, 2024년 12월말 기준 Stress Test 기준 |
이자지급을 제한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는 상황은 아래 표와 같이 정리됩니다.
| [이자지급을 제한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는 BIS자본비율기준] | (단위 : %, 억원) |
| 구 분 | 적기시정조치(이자지급 정지) |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제5항(이자지급 제한) | |||
|---|---|---|---|---|---|
| 총자본비율 | 기본자본비율 | 보통주자본비율 | 총자본비율 | 보통주자본비율 | |
| 2015년 이전 | 8 미만 | 6 미만 | 4.5 미만 | - | |
| 2016년 |
8.625% + K/4 |
5.125% + K/4 |
|||
| 2017년 |
9.25% + K/2 |
5.75% + K/2 |
|||
| 2018년 |
9.875% + K*3/4 |
6.375% + K*3/4 |
|||
| 2019년 이후 |
10.5% + K |
7.0% + K |
|||
| 2019년 이후(D-SIB 적용) |
11.50% |
8.00% |
|||
| 2024년 5월 1일 이후(D-SIB 및 경기대응완충자본 적용)(B) | 12.50% | 9.00% | |||
| 비고 : 당사 Stress Test 의 "최악(Worst) Scenario (2024년 12월말 기준)(A) | 12.97% | 10.39% | |||
|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규제 대비 자본여력 버퍼 (2024년 12월말 기준)(A-B) | 0.47% | 1.39% | |||
| 주1) K :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D-SIB) 추가자본(1%)과 경기대응 완충자본('24.5.1부터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의 합주2) 스트레스테스트 결과(2024년 12월말) 자본여력 버퍼 산출 기준의 규제 비율은 신고서 제출일 기준 비율임출처 : 당사 내부자료 |
규제수준 미달로 인하여 이자지급을 제한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기 위해서는, 2024년 12월말 스트레스테스트 "최악(Worst) Scenario"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약 1.6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여야 합니다.당사는 2025년 반기말 기준 약 3.03조원을 웃도는 수준의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을 기록했고, 2024년말 기준 Stress-Test 결과 분석 최악의 시나리오에도 총자본비율 기준 0.47%p(규제비율 신고서 제출일 기준 규제비율)의 버퍼가 존재하여 이자지급에 제한이 발생하는 가능성은 낮지만, 예측을 넘어선 위기가 발생하여 이자지급에 제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투자자들 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배당가능이익 산정기준 1) 관련법률 ; 상법 제462조(이익의 배당) 회사는 대차대조표의 순자산액으로부터 다음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하여 이익배당을 할 수 있다.- 자본금의 액 - 그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 그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액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미실현이익* * 미실현이익 : 자산부채에 대한 평가로 인하여 증가한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으로서, 미실현손실과 상계하지 아니한 금액을 말한다.2) 산식
(주1) 향후 충당금 기준이 변동되어 대손준비금이 증가하게 된다면 배당가능이익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주2) 상법 개정 등으로 인해 미실현이익 산정 기준이 변동되어 미실현이익이 증가하게 된다면 배당가능이익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로서 당사의 자회사는 주력 자회사인 은행을 포함, 캐피탈, 자산운용 등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이로 인해 타업종과 달리 자산부채에 대한 평가로 인해 미실현이익의 금액이 크게 발생할 경우 순자산액에서 공제하는 금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당사 배당가능이익 산출내역
* 내부유보비율 : 최직근 회계연도 연결감사보고서상 연결당기순이익(지배주주 지분 해당액)에서 대손준비금(지배주주 지분 해당액) 차감 후 금액 대비 내부유보 비중(이하 동일) |
||||||||||||||||||||||||||||||||||||||||||||||||||||||||||||||||||||||||||||||||||
(4)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과의 관계(배당한도의 제한)은행지주회사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자본(이하 "자본보전완충자본"이라 한다)을 포함한 자본비율로서 <별표3-2>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은행지주회사의 자본비율이 미달되는 경우 금융지주회사법 제50조 제3항에 따른 조치로서 <별표3-3>에 따른 한도로 이익의 배당(기본자본 중 임의적으로 이자를 지급 하지 않을 수 있는 자본증권의 당해 이자지급을 포함한다), 자사주매입 및 성과연동형 상여금(주식보상을 포함한다) 지급이 제한됩니다. 본 사채 특약 제6조 제3항에 의하여 당사는 고유의 재량에 의하여 이자지급을 취소할 수 있으므로, 본 사채는 "기본자본 중 임의적으로 이자를 지급 하지 않을 수 있는 자본증권" 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본 사채에는 위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의 조항이 적용됩니다. 배당 등이 제한되는 기간은 금융지주회사의 자본비율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에 미달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부터 명확히 해소되는 시점까지이며, 금융지주회사는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에서 정하는 경영지도비율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지체없이 금융감독원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규정 제25조 제5항에서 정하는 자본비율 충족을 위한 사내유보 계획, 자본확충 계획이 포함된 구체적인 자본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 제6조 제3항)
한편,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은 위 한도 제한이 금융지주회사법 제50조 제3항(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경영개선조치 관련)에 따른 조치임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36조 내지 제38조에 정하고 있는 경영개선명령 등은 금산법 제10조에 따른 적기시정조치임과 동시에 위 금융지주회사법 규정에 따른 경영개선조치에도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이자 지급의 정지 사유와 배당한도 제한 사유가 일정 부분 중복되는 측면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배당한도의 제한은 일정한 자본비율 미달만을 그 요건으로 하고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의 조항에 의하여 곧바로 효력이 발생하며 적기시정조치와 같은 금융위원회의 구체적인 행위의 존부와 무관하게 그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이자 지급의 정지와 명백히 구분됩니다. 또한 이자 지급 정지 사유에는 적기시정조치 이외에 긴급조치, 부실금융기관 지정도 포함되어 있고, 적기시정조치의 사유에는 자본비율 미달 이외에 종합경영평가등급 기준 미달 등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자 지급이 정지됨에도 배당한도의 제한은 발생하지 아니하는 경우도 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자본보전완충자본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금융지주회사가 4등급의 종합경영평가등급을 받아 적기시정조치를 받거나 노사분규 등으로 긴급조치를 받는 경우에는, 이자의 지급은 정지되지만 배당한도의 제한은 작동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이자 지급의 정지와 배당한도의 제한은 별개의 요건에 따른 별개의 조치이므로, 당사는 이자 지급의 정지 요건 이외에 배당한도 제한의 요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약 배당한도 제한의 요건이 충족되어 이자의 지급이 제한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 나-4. 발행회사 재량에 따른 이자지급의 취소본 사채의 특약 제7조 제3항에 근거하여 당사는 고유의 재량에 따라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이사회 결의에 의해 본 사채의 이자지급을 취소하기로 결정하였을 경우, 당사는 이자지급취소 결의내역 및 효력발생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위 특약에 따라 취소의 사유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1) 이자지급의 취소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 3.은 기타기본자본의 자본인정요건으로 “은행은 언제든지 배당 취소에 대한 완전한 재량권을 가지고, 배당의 지급취소가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은행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을 요구합니다. 나아가 이러한 “배당의 지급취소가 부도사건으로 간주되지 않고, 은행은 취소된 금액을 만기가 도래한 채무의 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완전한 권리를 가져야 할 것”도 자본인정요건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본 사채의 이자는 배당가능이익이 있는 경우에만 지급되는 바, 여기에서 이자 지급의 취소라 함은 당사에 배당가능이익이 존재하여 이자의 지급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의사 결정에 따라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2) 이자지급 취소의 결정방법 : 이사회 결의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은 은행이 어떠한 내부 절차를 거쳐서 이자 지급의 취소를 결정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합니다. 이자 지급의 취소 여부를 주주총회에서 결정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은 점, 금융지주회사의 경영에 관한 결정권한은 원칙적으로 이사회가 가지는 점, 이자 지급의 취소는 본 사채의 투자자의 중대한 이해관계와 연관된 것으로서 대표이사가 단독으로 결정하기에는 사안이 중대한 점 등을 고려하여, 당사는 이자 지급의 취소 여부를 당사의 이사회에서 결정하도록 할 예정입니다.(3) 취소 사유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는 지 여부본 사채의 투자자의 이익을 고려하여 이자 지급 취소 사유를 일정한 범위로 제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은 은행이 이자 지급의 취소에 관하여 ‘완전한 재량’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당사는 이자 지급의 취소 사유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으며 당사의 전적인 재량에 따라 취소 여부를 결정할 것입니다. 나아가 당사는 본 증권 특약 제6조 제4항에서 "발행회사가 발행한 다른 조건부 자본증권 중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이자(배당)의 지급이 취소되는 경우,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의 지급은 그 다른 조건부 자본증권에 관한 이자(배당)의 지급 취소가 해소될 때까지 함께 취소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라고 규정하여, 일부 조건부 자본증권의 이자만 취소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4) 취소 결정의 효과당사의 이사회가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을 취소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취소의 대상이 된 이자분에 대한 당사의 지급의무는 취소 결정일에 소멸하며 본 사채의 투자자는 이에 대하여 어떠한 권리도 가지지 아니합니다. 향후에 당사가 본 사채의 이자를 다시 지급하는 경우에도 투자자는 이미 취소된 이자분의 지급을 구할 수 없습니다.(5) 취소 결정에 따른 업무처리당사가 당사의 재량에 따라 이자의 지급을 취소하는 경우,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자본시장법 또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그 사유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이자 지급 취소 사유의 내용 및 이로 인한 효과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하나 이상의 전국 일간지에 즉시 공고하겠습니다.(6) 기타기본자본 이자지급의 취소와 보통주 배당과의 관계당사가 이자 지급을 취소하는 경우에도 주주들에 대한 이익배당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명시적인 규정은 존재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유사업종인 은행업에 관한 규정인 은행업감독규정시행세칙은 "배당의 지급취소가 보통주 주주에 대한 배당 관련사항 이외에 은행에 어떠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본인정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이자 지급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주주에 대한 배당에 일정한 제약을 가할 수 있다는 취지로 이해됩니다.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을 취소하면서 주주에 대한 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형평에 반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주에 대한 배당의 지급과 본 사채의 이자 지급 사이에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나, 배당결의는 주주총회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당사가 배당 여부를 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당사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주주에 대한 배당과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이 공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투자자들은 이점에 유의하여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나-5. 이자지급 정지 및 제한, 취소 관련 공시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의 사유가 발생하였을 경우, 당사는 투자자를 비롯한 일반 대중이 해당사실을 알 수 있도록 상세히 그리고 지체없이 공고하겠습니다. 또한 이자미지급 이후에 이자미지급 사유가 해소되어 차후 이자의 지급이 가능해 질 경우에도 당사는 위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본 사채의 투자자들에게 개별적인 통지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공시를 통한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 사유 발생 여부와 사유 해지 여부를 확인할 의무는 개별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
| 나-6.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관련 본 사채 투자자와의 소송 가능성본 사채의 투자자가 이자지급의 정지, 제한 그리고 취소에 대하여 민사소송 혹은 행정소송으로 그 유효성이나 적법성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 이에 관한 투자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오니,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수행한 법률검토에 의하면, 당사가 이자지급을 정지 또는 취소하는 경우 및 이자의 지급이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25조 제5항에 따라 제한되는 경우, 본 사채의 투자자가 "당사의 이자 지급 정지 또는 취소가 적법하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본인의 당사에 대한 이자채권이 여전히 존재함"을 이유로 하여 당사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며, 이러한 민사소송이 특별히 금지되지는 않을 것으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사안에 따라서는 해당 민사소송이 각하될 가능성도 있으며 본 사채의 투자자가 해당 소송에서 승소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합니다. 한편, 당사가 수행한 법률검토에 의하면, 당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적기시정조치 또는 긴급조치를 받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어 이자지급이 정지되는 경우, 본 사채의 투자자가 해당 조치 또는 부실금융기관 지정과 관련하여 금융위원회를 상대로 직접 행정쟁송 등을 직접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는 관련 법령상 명확한 규정이 존재하지 아니합니다. 따라서 이에 관하여는 법률적 불명확성이 존재하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점을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다. 후후순위 특약본 사채는 특약에 의하여 후후순위조건이라는 불리한 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약 제1조 및 제2조에 의거하여, 본 사채는 파산/청산/회생/외국에서의 도산 등의 경우에 모든 후순위 채권자보다 변제가 후순위입니다. 투자자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사채는 파산, 청산, 회생, 외국도산의 경우 변제순위가 사채에 변제순위가 일반 선순위채권자, 예금자 및 후순위채권자에 대하여 후순위입니다. 실질적으로 금융기관의 파산, 청산 등의 절차에 도래하기 이전에 부실금융기관 지정이 우선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상각이 우선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에 후순위 조건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본 사채의 후순위성은 바젤III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해당요건은 필수불가결한 조건입니다. 이점 투자자들은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라. 환금성 및 유동성 제약 본 사채는 상각조건이 포함되어있는 조건부자본증권이며 만기가 해당 발행은행지주회사가 청산 및 파산하는 때로 정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환금성 측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신용경색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황에서 본 사채의 매각은 지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사채는 바젤 III 상 기타기본자본에 속하며 상각조건이 포함되어있는 조건부자본증권입니다. 그리고 해당 조건부자본증권의 만기는 발행은행지주회사가 청산 및 파산하는 때로 정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환금성 측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신용경색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황에서 본 사채의 매각은 지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사채는 공모상장 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유동성은 제한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본 사채의 주 투자자는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로서, 그 중에서도 만기보유를 목적으로 투자에 임하는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들이 많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기한이익의 상실이 배제된다는 점, 위기 시에도 타 선순위 및 후순위 채권보다 추가적으로 환금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투자자들은 각별하게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에 환금성 보장이 어렵더라도 자금운용에 문제가 없는 투자자가 아닐 경우 환금성 측면에서 투자가 적합하지 않음을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 마. 본 사채의 중도상환 본 사채는 당사의 선택에 의하여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 한하여 사채의 전부를 상환할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자께서는 당사는 중도상환 행사에 대한 어떠한 약정도 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중도상환권은 투자자가 아닌 발행회사에만 부여됐다는 점을 양지하시고 투자판단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은행 및 은행지주사의 경우 평판 리스크로 인하여 후순위사채 및 신종자본증권의 중도상환(Call Option)이 행사되고 있으나, 본 사채의 경우 중도상환(Call Option) 행사에 대한 어떠한 약정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발행일로부터 5년 후부터 매 이자지급 일에 중도상환(Call Option)이 부여되어 있으나, 중도상환(Call Option) 행사 여부는 금융감독원의 사전 승인 사항으로 승인을 득하지 못할 경우에는 중도상환(Call Option)을 행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참고로 본 사채의 중도상환(Call Option)에 관련된 인수계약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수계약서 제3조 12. 사채의 중도상환] |
|
[제18회] 12. 사채의 중도 상환 1) 본 사채의 보유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행회사에 대하여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2) 발행회사는 그 선택에 의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2030년 09월 09일 포함)한 이후 본 조 제11항에 규정된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본 사채의 원금을 이자(배당)지급기일인 3개월 단위로 전액 일시에 상환(이하 "중도상환")할 수 있다. 중도상환일이 은행의 휴업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중도상환일로 한다. 3) 발행회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 사전 통지 및 한국경제신문에 1회 공고한다. |
| * 상기 내용은 본 사채 상각형 자본증권의 경우에 해당함 |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 3> 신용·운영리스크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산출 기준(바젤Ⅲ 기준) 6. (기타기본자본) 나. 기타기본자본의 인정요건 (4) (1)(자)의 기준에 의한 상환(채권으로서 만기가 도래한 경우를 포함한다)은 다음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미리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은행은 감독원장의 사전승인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가정하거나 투자자로 하여금 상환될 것이라는 기대를 유발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양질 또는 동질의 자본이면서 은행 수익력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체될 것(단, 대체발행은 상환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상환 이후에 이루어져서는 안됨) (나) 상환 후에도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이 각각 10.5%, 8.5%를 상회하며 충분한 수준을 유지할 것 |
|
참고 : 신종자본증권 및 후순위채 중도상환옵션 미행사 사례 [국내 사례] 국민은행은 2003년 세 차례에 걸쳐 발행한 총 1조원 규모의 하이브리드채권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상환을 연기한 바 있습니다.(2008년 6월 27일 1051억 원, 8월 27일 5333억, 10월 27일 2651억) 당시 은행채 시장 여건이 좋지 않은데다 KB금융지주사 출범을 앞두고 우량한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콜을 행사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후 개인투자자에 대한 불완전판매 이슈 등이 제기되는 등 투자자에 대한 신뢰문제가 제기되면서 2008년 말부터 순차적으로 상환한 바 있습니다.[해외 사례] 2009년 우리은행은 2004년 발행한 10년 만기 해외 후순위채권 4억 달러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은 바 있습니다. 악화된 국내외 금융시장으로 인해 콜옵션 행사에 따른 외화 자금조달이 쉽지 않아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낫겠다는 판단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신뢰성 저해 지적과 투자자들의 불만을 고려하여, 2개월 후 중도상환권을 행사하지 않은 후순위채를 새로운 후순위채로 교환(익스체인지 오퍼)하여 신용평가사들의 기준에 맞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우리은행으로 인해 불거진 은행권의 평판 리스크로 신한은행 및 기업은행, 농협 등은 모두 콜옵션을 행사한 사례가 있습니다.흥국생명은 5억달러 규모의 외화 신종자본증권에 대해 2022년 11월 1일 싱가포르거래소 공시를 통해 조기상환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당시 불안정한 시장상황에 더해 흥국생명의 콜옵션 미행사 결정은 한국물 외화표시채권의 가격 급락 및 거래량 급감을 야기시켰습니다. 하지만 이후 콜옵션 미행사에 따른 시장 위축 및 파장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며, 흥국생명은 2022년 11월 7일 싱가포르거래소 공시를 통해 원래대로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
| 바. 본 사채의 신용등급본 사채는 상각조건이 포함되는 새로운 유형의 사채로서, 당사의 무보증 선순위 사채 신용등급 AAA 등급 대비하여 3 등급 아래인 AA- 등급을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 신용평가로부터 부여 받았습니다. '미래상환가능성'으로 압축되는 신용등급의 본래적 의미가 본 사채의 평가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신용등급 평가기준 자체가 최근 새로이 정립되었다는 점, 그리고 해당 평가방법론의 역사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아직 그에 대한 시장의 신뢰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더불어 외부적 규제변화 등에 의하여 신용등급이 추가적으로 변동할 가능성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됩니다. |
국내 신평사들은 2014년 7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평가방법론 및 등급부여체계에 대한 입장발표를 실시하였습니다. 각 사는 독립적인 평가논리를 제시하였습니다. 각 신용평가회사의 평가방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신용평가
|
해당증권 |
일반은행 (시중은행,지방은행,농협,수협) |
국책은행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수출입은행) |
비고 |
|---|---|---|---|
|
바젤 II 후순위채권 |
은행자생력등급과 동일 |
선순위채등급에서 1노치 하향 |
|
|
바젤 II 신종자본증권 |
은행자생력등급에서 1노치 하향 |
선순위채등급에서 2노치 하향 |
|
|
바젤 III T2 조건부자본 |
은행자생력등급에서 1노치 하향 |
선순위채등급에서 2노치 하향 |
|
|
바젤 III T1 조건부자본 |
은행자생력등급에서 2노치 하향 |
선순위채등급에서 2노치 하향 |
이자(배당)지급제한 비율을 고려하여 CET1 비율 모니터링 후 조정여부 판단 |
| * '은행자생력등급' - 은행의 재무안정성평가요소, 계열지원가능성 및 정부지원가능성 중 법적/제도적 지원수준을 고려한 등급으로 국책은행은 선순위등급과 동일** 본 체계는 금융지주회사도 동일하게 적용 |
- NICE신용평가
|
기업신용등급 (선순위채권) |
구분 |
바젤II |
바젤III |
|
|---|---|---|---|---|
|
정부손실보전은행 |
그 외 은행 |
|||
|
AAA |
후순위채권 |
AA+ |
AA+ |
AA |
|
신종자본증권 |
AA |
AA |
AA- |
|
|
AA+ |
후순위채권 |
AA |
- |
AA- |
|
신종자본증권 |
AA- |
- |
A+ |
|
| * 본 체계는 금융지주회사도 동일하게 적용 |
- 한국기업평가
|
대상채권 |
결손금 보전조항 있는 국책은행 |
기타 은행 |
||
|---|---|---|---|---|
|
바젤 II 요건 |
바젤III 요건 |
바젤 II 요건 |
바젤III 요건 |
|
|
후순위채권 |
선순위 대비1 노치 하향 |
선순위 대비 1노치 하향 |
선순위 대비 1노치 하향 |
정부지원 배제등급 대비 1노치 하향 |
|
채권형 신종자본증권 |
선순위 대비2 노치 하향 |
선순위 대비 2노치 하향 |
선순위 대비 2노치 하향 |
정부지원 배제등급* 대비 2노치 하향 |
| * 정부지원배제등급- 미래전망등을 반영한 독자신용등급으로 계열 및 정부지원 가능성을 반영하기 이전의 등급임** 본 체계는 금융지주회사도 동일하게 적용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에 대한 평가방법론은 신평사 마다 차이가 존재합니다.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신용평가회사 3사는 모두 AA- 등급을 부여하였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금융지주회사가 발행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절대적인 표본이 부족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에 대한 등급부여 체계에 대한 역사적 검증을 시행 할 수 없습니다. 이와 더불어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평가방법론을 새로이 정립되면서 기 발행된 조건부자본증권 일부(기타기본자본에 해당되었던 신종자본증권)의 등급이 하향 변동되기도 하였습니다.(2014.7.8일자로 한기평은 우리은행,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의 기 발행된 채권형 신종자본증권 중 발행기관 부실화 시 자본전환 또는 상각 조건이 명시된 증권에 대하여 신용등급을 기존 AA(안정적)등급에서 AA-(안정적)등급으로 조정) 위 사례를 볼 때, 본 사채의 신용등급 또한 변동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점에 각별히 유의하여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 본 사채 발행후 자본비율 본 사채의 발행목적은 기본자본의 확충입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말 기준 BIS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13.59%, 기본자본비율 15.36%, 총자본비율 16.20%입니다. 본 사채의 발행 총액이 2,700억원이 된다는 가정하에, 본 사채 발행을 감안한 2025년 반기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 기본자본비율은 15.44%(약 0.08%p 상승), 총자본비율은 16.28%(약 0.08%p 상승)가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또한 실제 본 사채 발행후 기준의 BIS 자본비율은 분기내 실적이 반영되어 산출되는 바, 위 수치와 상이할 것이오니 위 수치는 참고 용도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1) 바젤III 도입과 의의2013년 12월 1일부터 국내 은행, 금융지주회사를 대상으로 바젤III 규제가 시행되었습니다. 자본측면에 있어서 바젤III 규제의 핵심적인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먼저, 자본비율 체계가 3개(보통주자본, 기본자본, 총자본)로 개편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총자본 혹은 기본자본으로 인정되었던 형태의 채권(후순위채권, 신종자본증권)에 대하여 그 자본인정요건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자본인정요건에 자본전환요건(상각형/전환형)이 포함된 것 역시 이에 해당됩니다.(2) 바젤III 자본비율본 사채는 바젤III의 기타기본자본에 해당하며, 이는 보통주자본이 아닌 총자본, 기본자본을 구성하는 항목입니다. 바젤III 하에서는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이 보유하는 '위험가중자산' 대비한 각 자본의 비율은 일정수준 충족시켜야 합니다. 현재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및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가 준수해야하는 각 자본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표1] 바젤III하에서 요구되는 각 자본비율
|
구 분 |
최소규제비율 |
필요비율 |
구성항목 |
|---|---|---|---|
|
총자본비율 |
8.00% |
12.50% |
기본자본+ 보완자본, 일부 대손충당금 등 |
|
기본자본비율 |
6.00% |
10.50% |
보통주자본+ 기타기본자본 |
|
보통주자본비율 |
4.50% |
9.00% |
보통주, 이익잉여금 등 |
| * 필요자본비율 = 최소규제자본비율 + 자본보전완충(2.50%) + 경기대응완충자본(1.00%) (경기대응완충자본 : 상기 비율에 2024년 5월 1일부터 1% 추가 적립)* D-SIB의 경우 상기 비율에 1% 추가 부과 |
(3) 본 사채 발행에 따른 바젤III 자본비율 변동예측
|
| 아. 추가적인 규정 및 세칙 도입 가능성2015.6.4일 금융감독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은행권 가운데 시스템적 중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내놓았습니다. 바젤위원회는 국가별로 해당 국가 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을 선정하고 해당 은행에 추가자본 부과 등 D-SIB 규제원칙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국은 D-SIB로 선정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매년 0.25%의 추가 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하였고, 2019년 이후로는 1%의 추가자본(보통주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금융위원회는 기존의 "시스템적 중요 은행·은행지주회사"라는 용어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D-SIB)"로 변경하였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D-SIFI)" 으로도 선정하였습니다. D-SIB로 선정된 기관이 추가자본 규제에 미달할 경우 바젤Ⅲ의 자본보전완충자본 미달의 규제와 동일하게 미충족 정도에 따라 0%, 40%, 60%, 80%, 100%로 차등 적용해 배당, 자사주 매입 등 이익의 사외유출이 제한받게 됩니다. 당사는 D-SIB 선정 평가대상으로 속해 있는 만큼, 추후에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BIS 규제비율 뿐 아니라 규제도입을 반영한 자본비율을 준수하여 자본적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2017년 이후 도입될 규제에 관해서 충분히 숙지하신 이 후, 규제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2015.6.4일 금융감독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은행권 가운데 시스템적 중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규제 도입 예정안을 내놓았습니다. 이후 금융위원회는 2016년에 이어 2017년에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를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로, ㈜우리은행을 시스템적 중요은행으로 선정한바 있습니다. 또한 바젤위원회(BCBS)의 권고에 따라 16년부터 국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은행지주회사 포함)을 선정하여 2016년부터 매년 0.25%씩 증가한 자본비율을 추가자본 적립으로 부과하고 있습니다.(2016년 0.25%, 2017년 0.5%, 2018년 0.75%, 2019년 이후 1% 적용)국제감독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형 금융회사의 파산이 금융시스템 및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대형은행에 대한 감독강화 필요성을 제안하였습니다. 이에 바젤위원회 역시 국가별로 해당 국가 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을 선정하고 해당 은행에 추가자본 부과 등 D-SIB 규제원칙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금융위원회는 기존의 "시스템적 중요 은행·은행지주회사"라는 용어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D-SIB)"로 변경하였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를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D-SIFI)"으로도 선정하였습니다.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에는 금산법에 따라 자체정상화 및 부실정리계획 제도가 적용되며 금융기관은 D-SIFI 선정을 통보 받은지 3개월 이내에 자체정상화 계획을 작성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2021년 07월 13일 금융위원회는 2022년도 국내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 및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을 선정하였습니다. 2023년 7월 5일 발표한 2024년 D-SIB 금융기관 선정 결과 및 2024년 7월 10일 발표한 2025년도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 및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 선정 결과 또한 2024년도와 동일하며, 2025년도 D-SIB에 선정된 10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5개 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및 5개 은행지주회사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와 동일하게 아래와 같이 26년도 D-SIB 선정결과를 보도하였습니다. 2025년과 동일함에 따라 금번 D-SIB 선정으로 발생하는 실질적인 자본 적립 부담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D-SIB 및 D-SIFI 선정 결과] |
| 구분 | 선정 기관 |
|---|---|
|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지주 |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
|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 |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
|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 | D-SIB 선정 은행·은행지주와 동일 |
|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_2026년도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행지주회사 및 금융체계상 중요한 금융기관 선정 결과_2025.07.23(수) |
|
[D-SIB 선정방법]- 5개부문(규모, 상호연계성, 대체가능성, 복잡성, 국내 특수요인) 평가지표를 가중평균하여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별 시스템적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여 최저기준점수 이상인 은행 및 은행지주사를 D-SIB로 선정- 금융산업 변화 등을 감안하여 평가지표, 최저기준점수 등 D-SIB 선정방법은 3년을 주기로 재검토- 은행지주회사가 D-SIB로 선정될 경우 자회사인 은행도 동일한 자본지율로 추가자본 적립
|
D-SIB로 선정된 기관이 추가자본 규제에 미달할 경우 바젤Ⅲ의 자본보전완충자본 미달의 규제와 동일하게 미충족 정도에 따라 0%, 40%, 60%, 80%, 100%로 차등 적용해 배당, 자사주 매입 등 이익의 사외유출이 제한받게 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시스템적 중요 은행과 시스템적 중요 은행지주회사를 매년 선정할 계획입니다.당사가 D-SIB 선정 평가대상으로 속해 있는 만큼, 추후에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BIS 규제비율 뿐 아니라 규제도입 이후의 자본비율에 맞추어 자본적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시스템적중요 은행(은행지주포함)의 규제에 관해서 충분히 숙지하신 후, 규제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자. 회계처리 관련본 사채는 기본자본 확충을 목적으로 하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으로서 IFRS 회계기준 상 당사는 자본계정으로 인식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위 사실은 투자자가 본 사채를 지분으로 회계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투자자 입장의 회계처리 방법은 각 개별 투자자들께서 직접 검토해야 할 사항이오니, 이점에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에서 정하는 자기자본인정 관련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에 관한 감독당국의 자본인정요건 충족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에 동 증권의 회계처리방식 및 당사의 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변동가능성이 있습니다. |
| 차. 본 사채의 공모일정 변경 가능성 및 증권신고서본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의 심사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은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가 발생할 경우 변경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정정사유 발생에 따른 신고서 정정요구는 사채의 수요예측 기간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사오니, 투자자들은 이점에 특별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자본시장법' 제120조 제3항에 의거, 이 신고서 효력의 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카. 본 사채의 "등록" 관련사항본 사채의 경우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합니다. |
본 사채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으로,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에 의거 기타기본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특약에 상각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각 사유가 발생되었을 경우, 당사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채권의 상각사유가 발생함을 즉시 통지함과 동시에, 본 사채의 채권말소신청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한국예탁결제원은 상각사유가 발생한 채권의 거래를 원천적으로 무효화 혹은 거래 혹은 결제를 저지할 수 있는 법적인 권리를 가지지 못합니다. 투자자들은 이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사채는 중도상환이 가능합니다. 당사가 중도상환을 결정한 경우 중도상환 여부에 대한 의사를 중도상환일 기준 5영업일 전에 한국예탁결제원에 사전 통지할 예정입니다.
본 사채의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 사유 발생시 당사는 지체없이 한국예탁결제원에 이를 통지할 예정입니다.
| 타. 당사 및 자회사 은행 BIS자본비율 현황 확인방법 본 사채는 조건부자본증권으로서 만기도래 이전에 상각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원리금에 대하여 영구히 전액에 대하여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 사유 발생시 등에도 이자 지급이 정지될 수 있는 등 일반 선순위 회사채와는 다른 특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본 사채의 만기도래일까지 상각 사유의 발생가능성과 이자지급의 정지 및 취소 가능성과 관련하여 자본 적정성과 보유자산의 건전성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기보고서 등 DART 공시자료는 http://www.dart.fss.or.kr]에서, '신한금융지주 바젤Ⅲ 자본적정성 공시'는 http://www.shinhangroup.com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한은행 http://www.shinhanbank.com의 각각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는 http://fisis.fss.or.kr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본 사채는 조건부자본증권으로서 만기도래 이전에 상각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원리금에 대하여 영구히 전액에 대하여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이자지급 정지 및 취소 사유 발생시 등에도 이자 지급이 정지될 수 있는 등 일반 선순위 회사채와는 다른 특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본 사채의 만기도래일까지 상각 사유의 발생가능성과 관련하여 자본 적정성과 보유자산의 건전성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된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 분 | 위 치 | 확인 가능한 내역 |
|---|---|---|
| 정기보고서 등 DART공시자료 | http://dart.fss.or.kr | - 자산 건전성 및 자본 적정성 관련 자료- 그 외 투자자가 알아야 할 비계량 정보 |
| 신한금융그룹 바젤III 자본적정성 공시 | http://www.shinhangroup.com | - 그룹 및 은행 자산 건전성 및 자본 적정성 관련 자료- 그룹 및 은행 BIS 자본비율 및 자본현황 |
| 신한은행 바젤III 자본적정성 공시 | http://www.shinhanbank.com | - 각 BIS 자본비율 및 자본현황 기- 발행된 각 자본증권 발행 특징 |
|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 http://fisis.fss.or.kr | - DATA화된 정기보고서의 상세자료- 금융지주회사, 시중은행 평균 등 집계자료 |
가장 최근의 자료 업데이트는 통상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인 DART에서 이루어집니다.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의 각종 공시관련 의무로 인하여 기본적인 자산의 건전성과 자본 적정성 내역은 정기보고서를 통하여 매 분기 공시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경영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투자자들에게 적시에 공시하도록 되어 있어,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하여 당사 및 자회사들의 주요한 경영상의 변동을 적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금융지주업, 은행업 등 금융사간 비교 및 계량적 통계의 정리목적으로는 금융감독원의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이 추천됩니다. 비록 공시제도보다는 자료 업데이트가 2달 내외 가량 늦어지지만, 이는 집계업무 상 불가피한 사항입니다. (해당 시스템은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 뿐만 아니라 보험, 증권 등 모든 금융업자의 금융통계정보를 망라하고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 등의 주요한 계량수치를 쉽게 확인할수 있으며, 업종별 평균치 등 집계자료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자산의 건전성과 자본의 적정성 관련하여 주요 수치들 역시 확인가능합니다.바젤III 도입 이후, 은행들은 각 웹사이트를 통하여 "바젤III 자본적정성 공시" 를 별도로 작성하여 게재하여야 합니다. 당사 및 자회사 은행 홈페이지 (신한금융지주: http://www.shinhangroup.com / 신한은행: http://www.shinhanbank.com접속 시, 자본적정성 공시 관련된 자료를 접할 수 있습니다. 각 BIS 자본비율 현황 및 위험가중자산 금액 그리고 각 자본 구성현황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자본적정성 공시자료 역시 분기 단위로 적시에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그러나 위 정보들은 모두 신고서 제출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향후 당사 및 자회사 은행 현황 확인방법은 바뀔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대표주관회사인 한양증권(주)(이하 "대표주관회사"라 함)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 제119조 제1항 및 제125조에 따라 본 공모에 따른 평가의견을 기재합니다.본 장에 기재된 분석의견은 "대표주관회사"가 기업실사과정을 통해 발행회사인 (주)신한금융지주회사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한 합리적, 주관적 판단일 뿐이므로, 이로 인해 대표주관회사가 투자자에게 본건 공모에의 투자 여부에 관한 경영 또는 재무상의 조언 또는 자문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대표주관회사"는 이러한 분석의견의 제시로 인하여 예비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또는 증권신고서 기재 내용의 진실성, 정확성에 관하여 원칙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책임을 부담하는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다만, "대표주관회사"가 상당한 주의 의무를 하지 아니하여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대표주관회사"의 분석의견의 기재사항 중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증권의 취득자가 손해를 입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5조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도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기업실사 참여기관, 기타 전문가 등이 상당한 주의 의무를 하지 아니하여 본인의 평가의견 기재 등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일정한 경우 첨부서류 포함)의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증권의 취득자가 손해를 입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5조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또한, 본 평가의견에 기재된 "대표주관회사"의 분석의견 중에는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최초에 예측했던 것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평가기관
| 구 분 | 증 권 회 사 | |
|---|---|---|
| 회 사 명 | 고 유 번 호 | |
| 대표주관회사 | 한양증권(주) | 00162416 |
2. 평가의 개요"대표주관회사"는『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제71조 및 동법시행령 제68조에 의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수인을 상대로 한 모집ㆍ매출 등에 관여하는 인수회사로서, 발행인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등에 허위의 기재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적절한 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제정한『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Due Diligence)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이라 한다)의 내용을 회사 내부 규정에 반영하여 2012년 2월 1일부터 제출되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증권신고서를 대상(자산유동화증권 등 제외)으로 기업실사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범규준' 제3조 제5항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의 이사회나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의사결정을 거쳐 '모범규준'의 내용(실사수준)을 생략하거나 강화 또는 완화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는 바, "대표주관회사"는 채무증권의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채권의 특성 및 발행회사의 일정요건 충족여부 등에 따라 회사 내부의 의사결정을 거쳐 기업실사 수준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신용등급은 AA-등급으로 "대표주관회사"의 '인수 업무를 위한 내부 통제 지침' 상의 기업실사 수준 완화대상기업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이에 발행회사의 우량한 재무구조 및 실적 등을 고려하여 내부적으로 마련한 기업실사 방법 및 절차에 따라 기업실사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3. 평가 일정
| 구분 | 일자 |
|---|---|
| 기업실사 기간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8일 |
| 인수계약 체결일자 | 2025년 08월 28일 |
| 실사보고서 작성 완료 | 2025년 08월 28일 |
| 증권신고서 제출일자 | 2025년 08월 28일 |
4. 기업실사 참여자가. 대표주관회사
| 소속기관 | 부서 | 성명 | 직책 | 실사업무분장 | 참여기간 | 주요경력 |
|---|---|---|---|---|---|---|
| 한양증권(주) | 자본시장본부 | 이준규 | 본부장 | 기업실사 총괄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8일 | 기업금융업무 19년 |
| 한양증권(주) | 자본시장본부 | 오수민 | 부장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8일 | 기업금융업무 11년 |
| 한양증권(주) | 자본시장본부 | 조문희 | 차장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8일 | 기업금융업무 9년 |
나. 발행회사
| 성 명 | 부 서 | 직 책 | 담당업무 |
|---|---|---|---|
| 김재민 | 재무팀 | 부부장 | 자금/재무 |
| 김연준 | 재무팀 | 차장 | 자금/재무 |
| 유민제 | 재무팀 | 과장 | 자금/재무 |
5. 기업실사 항목
| 항 목 | 세부 확인사항 |
|---|---|
| 1. 모집 또는 매출증권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 |
| 2. 증권의 주요 권리 내용 | 기업실사 보고서 (주2) |
| 3. 투자위험요소 | 기업실사 보고서 (주3) |
| 4. 자금의 사용목적 | 기업실사 보고서 (주4) |
| 5. 경영능력 및 투명성 | 기업실사 보고서 (주5) |
| 6. 회사의 개요 | 기업실사 보고서 (주6) |
| 7. 사업의 내용 | 기업실사 보고서 (주7) |
| 8. 재무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8) |
| 9.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 기업실사 보고서 (주9) |
| 10. 회사의 기관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0) |
| 11. 주주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1) |
| 12.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2) |
| 13.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등 | 기업실사 보고서 (주13) |
| 14. 기타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4) |
상기 기업실사항목의 상세내역은 증권신고서에 첨부된 [기업실사]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기업실사 이행내역
| 일 자 | 장 소 | 기업 실사 내용 |
|---|---|---|
| 2025.08.14 | ㈜신한금융지주회사 본사 | * 발행 절차 관련사항 확인- 이사회 등 상법 절차 및 정관 등 검토- 무보증 회사채 발행 일정 협의- 실사 사전요청자료 제공- 공시 및 뉴스 내용 등을 통한 발행회사 및 소속산업 - 실사 방식 및 일정 안내 |
| 2025.08.18~2025.08.22 | ㈜신한금융지주회사 본사 | * 발행회사 방문* Due-diligence Check-List에 따라 투자위험요소 실사 * 회사의 사업내용 이해 (IR 및 기획 부서)- 사업의 내용, 영업현황, 인터뷰 및 실사- 경쟁 현황 인터뷰 및 실사* 재무관련 사항, 영업실적에 대한 실사 및 인터뷰 (재무 부서)* 이사회의사록, 주주총회의사록, 내부규정, 정관 및 법인등기부등본 검토* 사업계획 검토 및 인터뷰* 개인정보 보호관련 통제절차, 보안실사 |
| 2025.08.18~2025.08.28 | ㈜신한금융지주회사 본사 | * 증권신고서 작성 및 조언, 증권신고서 내용의 검증- 모집매출 증권 관련 적정성 검토- 투자위험요소 세부사항 체크 |
7. 종합의견
가. 동사는 2001년 9월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설립된 국내 최초의 민간주도 금융지주회사로서, 신한금융그룹 내 자회사 경영관리 및 그룹차원의 전략수립 등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룹 내에서 신한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소 높은 수준이나 전 금융권역에 걸쳐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 국민연금공단과 미국계 투자자문사 BlackRock Fund Advisors가 지분율 5%이상 주주입니다.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은 보통주 45,150,026주(보통주 지분율 9.30%)를 보유하고 있고 BlackRock Fund Advisors는 29,063,012주(보통주 지분율 5.9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분율은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485,494,934주 대비 기준임)
나. 동 그룹은 2006년 조흥은행과의 통합을 완료하였고, 2007년에는 구 엘지카드를 인수한 후, 구 신한카드와 통합작업을 완료함으로써, 신한금융그룹의 이익창출능력, 고객기반은 대폭적으로 확대되었으며, 단일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계열사의 상품 교차판매 강화 등을 통해 비이자부문 영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은행 자회사의 이익기여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바, 동사는 국내 금융그룹 중 수익원의 다각화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핵심 자회사인 신한은행은 국내 최상위권 시중은행으로 다각화된 네트워크를 토대로 높은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 신한캐피탈 등 주요 자회사들은 업권 내 상위권의 시장지위와 우수한 재무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로 자회사로부터의 배당 수익 기반이 분산되는 등 동사의 이익안정성과 재무적 유연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다. 신한금융지주회사는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대손충당금 적립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의 견조한 성장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로 2025년 2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분기 대비 4.1% 증가한 1조 5,49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룹의 반기 당기순이익은 3조 374억원으로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고른 성장과 전년도 발생했던 홍콩 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등 일회성 비용의 소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은 자본 수익성 중심의 적정 성장을 바탕으로 전분기 대비 0.3% 증가하여 2025년 2분기에는 2조 8,640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그룹의 반기 이자이익은 5조 7,1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비이자이익은 증권수탁 및 IB 등 자본시장 관련 수수료이익 증가와 금리 인하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익 개선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하여 2025년 2분기에는 1조 2,650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그룹의 반기 비이자이익은 2조 2,0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였습니다.
그룹 반기 판매비와 관리비는 2조 9,0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가운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6.6%로 안정적으로 관리 중입니다. 그룹 누적 대손비용률은 전반적인 경기 부진에 따른 보수적 충당금 적립 등으로 50bp를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효율적 비용 관리와 보수적 충당금 적립을 통한 선제적 리스크 대응을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동사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그룹 글로벌 부문 손익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펀더멘탈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우량 자산 중심의 전략적 외형 성장과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한 대손비용 감소 등으로 반기 그룹 글로벌 손익은 4,3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대손비용률 또한 선제적으로 인식한 대손비용 기저 효과와 적극적인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며, 상반기 대비 4bp 하락한 44bp를 기록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정부 주도의 부동산 PF 정상화 방안을 착실히 이행함과 동시에 부동산 PF 및 자선건전성 모니터링을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라. 동사는 지주회사 체제하의 효율적인 위험관리시스템을 바탕으로 양호한 자산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충당금적립액과 자기자본 규모 감안 시 리스크에 대한 우수한 완충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회사들의 지주회사 편입 이후 연결기준으로 개별 자산들이 관리되고 있으며, 금융그룹 차원에서의 리스크 관리시스템 도입으로 위험관리 측면에서도 지주회사 체제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지주회사인 동사가 자회사들에 대한 강력한 경영통제력을 바탕으로 자회사들의리스크에 대해 사전 모니터링을 하는 등, 동사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위험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마. 동사는 2017년 10월 신한리츠운용, 2019년 02월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2019년 05월 아시아신탁, 2020년 09월 네오플럭스, 2022년 06월 (구)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현,신한EZ손해보험)을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지주회사의 특성상 자회사 지원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신한은행 및 신한카드 신한은행 및 신한카드 등 자회사들의 양호한 이익 누적을 바탕으로 재무 건전성은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동사의 BIS자본비율은 16.20%이며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를 보이고 있어 자본건전성도 양호합니다. 향후에도 다변화 정도가 우수하여 경기 변동에 대응력이 높은 사업 포트폴리오, 자회사들의 우수한 경영실적 시현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할때 금융그룹 전반의 자본적정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바. 최근 개인정보유출과 관련하여 금융산업의 보안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 등 정보보안사고 발생 시, 고객 이탈 및 평판저하, 감독당국의 제제 및 민형사상 법적 책임 등 장기적인 영업력이 약화되어 금융산업에 중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의 특성상 금융 자회사가 다수이고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동사 이외의 자회사의 금융보안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사. 동사의 금번 제1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핵심 사항인 원리금의 상각 사유 및 이자 미지급 사유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2025년 2분기 기준 자본여력이 양호하며, 동사 자체적으로 실시한 2024년말 기준 스트레스 테스트상의 심각(Bad)의 경우에도 현재의 규제 수준을 상회하여 원리금 상각 및 이자미지급 사유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보여지나 향후 규제수준의 지속적 상향 및 과거 경험하지 못한 급격한 금융 위기 도래시 본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훼손될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채권자손실분담제도(Bail-in) 도입 추진에 따라 금융회사의 부실 발생시 자본성 증권의 손실흡수가 강화될 예정으로 이러한 경우 본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원리금 상환 가능성 훼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 이후에도 동사의 자본건전성 유지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 2025년 08월 28일 |
| 대표주관회사 한양증권 주식회사대표이사 김 병 철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 [제18회] | (단위: 원) |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270,000,000,000 |
| 발 행 제 비 용(2) | 679,320,000 |
| 순 수 입 금 (1)-(2) | 269,320,680,000 |
| (주1) 상기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 [제18회] | (단위: 원) |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 발행분담금 | 189,000,000 | 발행금액 × 0.07% | |
| 인수수수료 | 405,000,000 | 발행금액 × 0.15% | |
| 사채관리수수료 | 9,000,000 | 정 액 | |
| 법무법인수수료 | 7,700,000 | 정 액 | |
| 신용평가수수료 | 66,000,000 | 한기평, 한신평, NICE신평 (VAT 포함) | |
| 기타 비용 | 상장수수료 | 1,600,000 | 2,000억원이상 ~ 5,000억원미만 |
| 상장연부과금 | 500,000 | 만기 1년당 10만원 (50만원 한도) | |
| 등록비용 | 500,000 | 발행금액의 100,000분의 1 (최대 50만원) | |
| 표준코드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
| 합 계 | 679,320,000 | - | |
| (주1) 상기 발행제비용은 자체 자금으로 조달 예정입니다.(주2) 상기 인수수수료와 별도로 발행회사는 발행회사의 판단에 따라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00분의 5이내에 해당하는 금액을 본 사채 발행과 관련한 인수수수료로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단에게 추가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 회차 : | (기준일 : | )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주1)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자금의 세부사용계획>본 조건부 자본증권의 발행목적은 2013년 12월부터 국내에 적용된 바젤III 기준에 부합하는 당사의 BIS자기자본비율의 향상과 자본적정성에 제고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있습니다. 당사는 모집된 자금을 지주사 자체 운영자금(인건비, 사채 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1) 채무상환자금 세부 사용 내역
| (단위 : 원) |
| 구분 | 발행일 | 만기일 | 이자율(%) | 금액 |
|---|---|---|---|---|
| 신한금융지주136-2 | 2020-10-29 | 2025-10-29 | 1.401 | 70,000,000,000 |
| 신한금융지주152-1 | 2022-11-10 | 2025-11-10 | 6.102 | 160,000,000,000 |
| 합계 | - | 230,000,000,000 | ||
| * 당사는 금번 사채 발행으로 조달되는 자금을 실제 자금 사용일까지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2) 운영자금 세부 사용 내역
| (단위 : 원) |
| 내용 | 자금사용 세부목적 | 금액 |
|---|---|---|
| 운영자금 | 지주사 자체 운영자금 (인건비, 사채 이자 등) | 40,000,000,000 |
| 합계 | - | 40,000,000,000 |
| * 당사는 금번 사채 발행으로 조달되는 자금을 실제 자금 사용일까지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
본 사채의 발행사유 (1) 발행사유 : 본 사채(제18회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의 발행 목적은 동사의 자본비율의 향상을 통하여 자본적정성 제고에 있습니다. 경기변동성에 대비하는 거시적 차원에서, 자본증권 발행을 통한 자본적정성 강화는 금융지주사의 건전경영 행보입니다. (2) 본 사채 발행시 BIS비율 변동사항 예측 :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 각 0.08%p., 0.08%p. 상승
|
1.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습니다.2. 이자보상비율 등본 사채의 경우 조건부자본증권으로 이자의 지급은 상법상 배당가능이익 한도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채의 이자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을 제시하는 것은 지급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적절한 지표가 아니므로 당사의 배당가능이익을 제시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른 당사의 배당가능이익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5년 반기말 기준] | (단위: 십억원) |
| 구 분 | 배당가능이익 | |
|---|---|---|
| A. 순자산액 | 27,701.4 | |
| B. 공제액 | 자본금 | 2,969.6 |
| 자본잉여금 | 11,350.7 | |
| 이익준비금 | 2,969.6 | |
| 이익준비금 적립예정액 | 0.0 | |
| 신종자본증권 | 4,799.5 | |
| 대손준비금 등 | 18.4 | |
| 계 | 22,107.8 | |
| C. 미실현이익 | 기타포괄손익 | 0.1 |
| 이익잉여금 | 171.6 | |
| 계 | 171.7 | |
| C. 배당가능이익(A-B-C) | 5,421.9 | |
| * 상법 제462조에 의한 2025년 반기말 기준 배당가능이익임.출처 : 당사 내부자료 |
3. 미상환 사채 현황 가. 미상환 선순위채권 명세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액면금액 |
| 110-3회 | 2017-04-20 | 2027-04-20 | 공모 | 2.510% | 110,000 |
| 111-2회 | 2017-05-12 | 2027-05-12 | 공모 | 2.692% | 70,000 |
| 112-2회 | 2017-06-23 | 2027-06-23 | 공모 | 2.471% | 60,000 |
| 115-2회 | 2018-01-22 | 2028-01-22 | 공모 | 2.927% | 110,000 |
| 116-2회 | 2018-02-22 | 2028-02-22 | 공모 | 3.051% | 100,000 |
| 117-2회 | 2018-03-21 | 2028-03-21 | 공모 | 2.938% | 100,000 |
| 118-3회 | 2018-04-25 | 2028-04-25 | 공모 | 2.922% | 70,000 |
| 119-3회 | 2018-05-29 | 2028-05-29 | 공모 | 2.895% | 30,000 |
| 126-2회 | 2019-04-18 | 2026-04-18 | 공모 | 2.030% | 100,000 |
| 127-2회 | 2019-05-24 | 2026-05-24 | 공모 | 1.911% | 100,000 |
| 128-2회 | 2019-07-26 | 2026-07-26 | 공모 | 1.550% | 120,000 |
| 128-3회 | 2019-07-26 | 2029-07-26 | 공모 | 1.590% | 160,000 |
| 129-2회 | 2019-08-27 | 2029-08-27 | 공모 | 1.425% | 130,000 |
| 130-3회 | 2019-10-22 | 2026-10-22 | 공모 | 1.756% | 60,000 |
| 131-3회 | 2020-02-06 | 2030-02-06 | 공모 | 1.805% | 60,000 |
| - | 2020-07-10 | 2026-01-10 | 외화채권 | 1.350% | 691,450 |
| 136-2회 | 2020-10-29 | 2025-10-29 | 공모 | 1.401% | 150,000 |
| 137회 | 2020-12-23 | 2025-12-23 | 공모 | 1.513% | 180,000 |
| 138회 | 2021-02-18 | 2026-02-18 | 공모 | 1.488% | 210,000 |
| 139회 | 2021-02-24 | 2026-02-24 | 공모 | 1.559% | 200,000 |
| 140-2회 | 2021-04-22 | 2026-04-22 | 공모 | 1.790% | 50,000 |
| 140-3회 | 2021-04-22 | 2031-04-22 | 공모 | 2.115% | 50,000 |
| 141-2회 | 2021-05-28 | 2026-05-28 | 공모 | 1.914% | 50,000 |
| 142회 | 2021-07-28 | 2026-07-28 | 공모 | 1.886% | 150,000 |
| 143-2회 | 2021-09-06 | 2026-09-06 | 공모 | 1.956% | 70,000 |
| 144-2회 | 2021-11-11 | 2026-11-11 | 공모 | 2.450% | 10,000 |
| 145-2회 | 2022-02-22 | 2027-02-22 | 공모 | 2.851% | 20,000 |
| 146-2회 | 2022-03-23 | 2027-03-23 | 공모 | 2.940% | 70,000 |
| 147-2회 | 2022-04-20 | 2027-04-20 | 공모 | 3.712% | 50,000 |
| 148-2회 | 2022-05-23 | 2027-05-21 | 공모 | 3.805% | 60,000 |
| 149-2회 | 2022-07-18 | 2027-07-18 | 공모 | 4.152% | 100,000 |
| 149-3회 | 2022-07-18 | 2032-07-18 | 공모 | 4.135% | 60,000 |
| 150-2회 | 2022-08-11 | 2027-08-11 | 공모 | 4.122% | 150,000 |
| 151-2회 | 2022-10-18 | 2025-10-17 | 공모 | 5.559% | 80,000 |
| 151-3회 | 2022-10-18 | 2027-10-18 | 공모 | 5.615% | 70,000 |
| 152-1회 | 2022-11-10 | 2025-11-10 | 공모 | 6.102% | 160,000 |
| 152-2회 | 2022-11-10 | 2027-11-10 | 공모 | 6.169% | 110,000 |
| 152-3회 | 2022-11-10 | 2032-11-10 | 공모 | 6.115% | 30,000 |
| 153-1회 | 2023-01-31 | 2026-01-31 | 공모 | 3.663% | 100,000 |
| 153-2회 | 2023-01-31 | 2028-01-31 | 공모 | 3.785% | 100,000 |
| 154-1회 | 2023-02-24 | 2026-02-24 | 공모 | 3.963% | 50,000 |
| 154-2회 | 2023-02-24 | 2028-02-24 | 공모 | 4.136% | 150,000 |
| 155-1회 | 2023-03-22 | 2026-03-22 | 공모 | 3.751% | 30,000 |
| 155-2회 | 2023-03-22 | 2028-03-22 | 공모 | 3.924% | 170,000 |
| 156-1회 | 2023-04-21 | 2026-04-21 | 공모 | 3.962% | 20,000 |
| 156-2회 | 2023-04-21 | 2028-04-21 | 공모 | 4.114% | 250,000 |
| 157회 | 2023-05-23 | 2026-05-23 | 공모 | 3.943% | 100,000 |
| 158회 | 2023-06-19 | 2026-06-19 | 공모 | 4.186% | 100,000 |
| - | 2023-07-24 | 2028-07-24 | 외화채권 | 5.000% | 691,450 |
| 159-1회 | 2023-08-28 | 2026-08-28 | 공모 | 4.224% | 100,000 |
| 159-2회 | 2023-08-28 | 2028-08-28 | 공모 | 4.360% | 100,000 |
| 160-1회 | 2023-09-20 | 2026-09-20 | 공모 | 4.387% | 110,000 |
| 160-2회 | 2023-09-20 | 2028-09-20 | 공모 | 4.506% | 100,000 |
| 161-1회 | 2023-10-23 | 2026-10-23 | 공모 | 4.608% | 50,000 |
| 161-2회 | 2023-10-23 | 2028-10-23 | 공모 | 4.774% | 50,000 |
| 162-1회 | 2024-01-30 | 2027-01-30 | 공모 | 3.694% | 100,000 |
| 162-2회 | 2024-01-30 | 2029-01-30 | 공모 | 3.725% | 100,000 |
| 163-2회 | 2024-02-26 | 2027-02-26 | 공모 | 3.675% | 80,000 |
| 163-3회 | 2024-02-26 | 2029-02-26 | 공모 | 3.733% | 80,000 |
| 164-1회 | 2024-03-25 | 2027-03-25 | 공모 | 3.648% | 100,000 |
| 164-2회 | 2024-03-25 | 2029-03-25 | 공모 | 3.666% | 100,000 |
| 165-1회 | 2024-04-29 | 2027-04-29 | 공모 | 3.743% | 110,000 |
| 165-2회 | 2024-04-29 | 2029-04-29 | 공모 | 3.768% | 70,000 |
| 166-1회 | 2024-05-23 | 2027-05-23 | 공모 | 3.619% | 100,000 |
| 166-2회 | 2024-05-23 | 2029-05-23 | 공모 | 3.630% | 100,000 |
| 167-1회 | 2024-07-22 | 2027-07-22 | 공모 | 3.246% | 100,000 |
| 167-2회 | 2024-07-22 | 2029-07-22 | 공모 | 3.271% | 100,000 |
| 168-1회 | 2024-08-27 | 2027-08-27 | 공모 | 3.198% | 100,000 |
| 168-2회 | 2024-08-27 | 2029-08-27 | 공모 | 3.200% | 100,000 |
| 169-1회 | 2024-09-26 | 2027-09-26 | 공모 | 3.194% | 100,000 |
| 169-2회 | 2024-09-26 | 2029-09-26 | 공모 | 3.220% | 50,000 |
| 170-1회 | 2024-10-29 | 2027-10-29 | 공모 | 3.182% | 100,000 |
| 170-2회 | 2024-10-29 | 2029-10-29 | 공모 | 3.231% | 50,000 |
| 171-1회 | 2024-11-27 | 2027-11-27 | 공모 | 3.073% | 100,000 |
| 171-2회 | 2024-11-27 | 2029-11-27 | 공모 | 3.096% | 50,000 |
| 172-1회 | 2025-01-24 | 2027-01-24 | 공모 | 2.874% | 100,000 |
| 172-2회 | 2025-01-24 | 2029-01-24 | 공모 | 2.951% | 100,000 |
| 173-1회 | 2025-02-26 | 2026-02-26 | 공모 | 2.815% | 60,000 |
| 173-2회 | 2025-02-26 | 2028-02-26 | 공모 | 2.845% | 70,000 |
| 173-3회 | 2025-02-26 | 2030-02-26 | 공모 | 2.925% | 70,000 |
| 174-1회 | 2025-03-25 | 2028-03-25 | 공모 | 2.869% | 100,000 |
| 174-2회 | 2025-03-25 | 2030-03-25 | 공모 | 2.944% | 100,000 |
| 175-1회 | 2025-04-22 | 2028-04-22 | 공모 | 2.679% | 100,000 |
| 175-2회 | 2025-04-22 | 2030-04-22 | 공모 | 2.778% | 100,000 |
| 176-1회 | 2025-06-25 | 2028-06-25 | 공모 | 2.742% | 100,000 |
| 176-2회 | 2025-06-25 | 2030-06-25 | 공모 | 2.893% | 100,000 |
| - | 2025-07-14 | 2030-07-30 | 외화채권 | 4.500% | 691,450 |
| 177-1회 | 2025-07-18 | 2028-07-18 | 공모 | 2.633% | 100,000 |
| 177-2회 | 2025-07-18 | 2030-07-18 | 공모 | 2.842% | 100,000 |
| 178-1회 | 2025-08-26 | 2028-08-26 | 공모 | 2.670% | 100,000 |
| 178-2회 | 2025-08-26 | 2030-08-26 | 공모 | 2.839% | 100,000 |
| 합계 | - | - | - | - | 10,304,350 |
| 주1) 외화채권은 각 회차별 USD 5억원 발행으로 2025.07.31 기준 환율 1,382.90원 적용 |
나. 미상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명세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종류 | 액면금액 |
| 제2-2회 | 2017-09-15 | 영구 | 공모 | 4.25% | 신종자본증권 | 90,000 |
| 제3-2회 | 2018-04-13 | 영구 | 공모 | 4.56% | 신종자본증권 | 15,000 |
| 제8회 | 2020-09-17 | 영구 | 공모 | 3.12% | 신종자본증권 | 450,000 |
| 제9-1회 | 2021-03-16 | 영구 | 공모 | 2.94% | 신종자본증권 | 430,000 |
| 제9-2회 | 2021-03-16 | 영구 | 공모 | 3.30% | 신종자본증권 | 170,000 |
| 제10회 | 2021-05-12 | 영구 | 공모 | 2.88% | 신종자본증권 | 559,550 |
| 제11-1회 | 2022-01-25 | 영구 | 공모 | 3.90% | 신종자본증권 | 562,000 |
| 제11-2회 | 2022-01-25 | 영구 | 공모 | 4.00% | 신종자본증권 | 38,000 |
| 제12-1회 | 2022-08-26 | 영구 | 공모 | 4.93% | 신종자본증권 | 344,000 |
| 제12-2회 | 2022-08-26 | 영구 | 공모 | 5.15% | 신종자본증권 | 56,000 |
| 제13회 | 2023-01-30 | 영구 | 공모 | 5.14%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4회 | 2023-07-13 | 영구 | 공모 | 5.40% | 신종자본증권 | 500,000 |
| 제15회 | 2024-01-31 | 영구 | 공모 | 4.49%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6회 | 2024-09-12 | 영구 | 공모 | 4.00%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제17회 | 2025-02-13 | 영구 | 공모 | 3.90% | 신종자본증권 | 400,000 |
| 합계 | - | - | - | - | - | 4,814,550 |
| 주1) 제10회차는 외화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USD 5억) 발행으로 발행시점 환율 1,119.10원 적용 |
다. 미상환어음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액면금액 | 비고 |
| - | 2025-01-31 | 2026-01-30 | 사모 | 3.01% | 10,000 | - |
| 합계 | - | - | - | - | 10,000 | - |
라. 미상환 단기사채
| (2025년 08월 27일 기준) | ( 단위 : 백만원) |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유형 | 표면이율 | 액면금액 | 비고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0 | - |
4. 신용평가회사에 관한 현황 가. 신용평가회사
| 신용평가회사명 | 고유번호 | 평 가 일 | 회 차 | 등 급 |
|---|---|---|---|---|
| 한국신용평가(주) | 00299631 | 2025년 08월 26일 | 제18회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AA- 안정적 |
| NICE신용평가(주) | 00648466 | 2025년 08월 26일 | 제18회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AA- 안정적 |
| 한국기업평가(주) | 00156956 | 2025년 08월 26일 | 제18회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 AA- 안정적 |
나. 평가의 개요(1) 당사는 "증권 인수업무등에 관한 규정" 제11조의2에 의거, 당사가 발행할 제18회 (주)신한금융지주회사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평가회사에서 평가받은 신용등급을 사용하였습니다.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3개 신용평가회사의 회사채등급평정은 회사채원리금이 약정대로 상환될 확실성의 정도를 전문성과 공정성을 갖춘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으로 평정, 공시함으로써 일반투자자에게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업무입니다.(2) 또한 이 업무는 회사채의 발행 및 유통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정 회사채에 대한 투자를 추천하거나 회사채의 원리금 상환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며, 해당 회사채의 만기전이라도 발행기업의 사업여건 변화에 따라 회사채 원리금의 적기상환 확실성에 영향이 있을 경우, 일반투자자 보호와 회사채의 원활한 유통을 위하여 즉시 신용평가등급을 변경 공시하고 있습니다.다. 평가의 결과
| 평정사 | 평정등급 | 등급의 정의 | Rating Outlook |
|---|---|---|---|
| 한국신용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 안정적(Stable) |
| NICE신용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안정적(Stable) |
| 한국기업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등급에 비하여 다소 낮은 요소가 있음. | 안정적(Stable) |
5. 정기평가 공시에 관한 사항가. 평가시기
- (주)신한금융지주회사는 한국신용평가(주),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로 하여금 만기상환일(중도상환시 중도상환일)까지 발행회사의 매사업년도 정기주주총회 종료후 정기평가를 실시하게하고 동평가등급 및 의견을 공시하게 한다. 나. 공시방법
- 상기 정기평가에 대한 내용을 각 신용평가회사의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공시한다.한국신용평가(주) : www.kisrating.comNICE신용평가(주) : www.nicerating.com한국기업평가(주) : www.korearatings.com6.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본 사채의 경우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습니다.나.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이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이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다. 본 사채는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은 (주)신한금융지주회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라. 현재까지의 재무상황 중 자본잠식 등의 수익성 악화사실이나, 재고자산 급증 등의 안정성 악화사실, 부도/연체/대지급 등 신용상태 악화사실이 없으며, 기타 투자자가 투자의사를 결정함에 있어 유의하여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서 신고서에 기재되어 있지 아니한 것이 없습니다.마. 본 신고서 제출 이후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신고서의 내용이 수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발행상의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3분기보고서,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가-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 (단위 : 사) |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 상장 | 3 | - | 2 | 1 | 1 |
| 비상장 | 408 | 40 | 56 | 392 | 99 |
| 합계 | 411 | 40 | 58 | 393 | 100 |
가-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 신규연결 | 에스드래곤엔엑스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지아이비에이엘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리치게이트배곧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타이거에너빌㈜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그린바이오제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9호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디큐브공간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럭키양주제일차 주식회사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Global Green Way 일본ESS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제1호(H)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에스프로젝트라이언㈜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이슬㈜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코어씨비디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멀티㈜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지아이비서리풀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프로젝트올영㈜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스타이거핑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원신한인슈어테크신기술투자조합제1호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제3호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멀티솔루션에이치에스 주식회사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판교공간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판교공간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일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이차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이알솔루션제이차 유한회사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에이알솔루션제삼차 유한회사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파인스트리트BDC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38호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파인스트리트IG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39호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신한 BDC OCIC 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JPMorgan미국대표주(H)[주식-재간접형](종류C-s)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JPMorgan미국대표주(UH)[주식-재간접형](종류C-s) | 구조화기업의 성과에 대한 변동이익에 유의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실상의 힘을 통해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
| 신한SLAMS인프라 Co-investment 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1호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하버베스트인프라세컨더리일반사모투자신탁제3호(KRW)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레포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제2호[채권]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신한TheCredit3일반사모투자신탁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
| 연결제외 | 신한에스러셀㈜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마에스트로디큐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마곡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두월㈜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에이엘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리치게이트배곧㈜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마에스트로디에스제2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솔루션비오제이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카드이천이십일의일유동화전문유한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다이닝제일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찬스리테일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지엠에스제십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스톤헷지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쥐피에스22제육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쥐피에스22제십사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와이유동화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오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무교공간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SOLCD금리&머니마켓액티브[채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SOL머니마켓액티브ETF[채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달러단기자금증권투자신탁제1호(USD)[채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타이거케미칼㈜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브라이트홍대㈜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목포(주)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브라이트익산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경주㈜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타이거진로㈜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오에스에이치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타이거오일㈜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강남랜드마크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타이거로엑스제이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솔루션비오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아이비서리풀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리치게이트앙사나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지엠에스제팔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피에이투홀딩스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KTB항공기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30-4호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메인스트림제십일차 유한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앤디워홀제일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클래스신천제일차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프더블에스제이십이차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제1호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파이어웍스제일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6호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와이클라스제구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특정금전신탁_신한투자증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모터텀론비제이차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사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럭키양주제일차 주식회사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지속가능경영ESG중장기채권증권자투자신탁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글로벌스노우볼알파[주식혼합](종C-s)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지속가능경영ESG단기채권증권자투자신탁제1호[채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특정금전신탁_리츠운용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목포신항만전문사모특별자산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
| 신한달러인컴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제8호(USD)[채권] | 청산/채무의 변제/약정의 해지 또는 종료/매각/환매 등에 따른 지배력 상실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 당사의 명칭은 ㈜신한금융지주회사 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Shinhan Financial Group Co., Ltd.라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 설립일자: 2001년 9월 1일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 본사의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전화번호: 02-6360-3000- 홈페이지 주소: http://www.shinhangroup.com 마.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 상법, 금융지주회사법
바.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 중소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사. 주요 사업의 내용 및 신규사업 진출[지배회사에 관한 사항] 지배회사인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이하 '신한금융지주')는 2001년 9월 1일에 주식회사 신한은행, 신한증권 주식회사, 신한캐피탈 주식회사 및 신한투자신탁운용 주식회사의 주주로부터 주식이전의 방법으로 설립된 금융지주회사입니다. 신한금융지주는 주식의 소유를 통해 금융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 또는 금융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종속기업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신한금융지주는 2001년 9월 10일에는 주식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는 한편, 2003년 9월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등록하였으며, 동 일자로 당사의 미국주식예탁증서(ADS:American Depositary Shares)를 뉴욕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습니다.그룹의 사업부문 및 주요 종속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
<은행업>주식회사 신한은행(이하 '신한은행'이라 함)은 1897년 2월 19일 설립된 한성은행과 1906년 8월 8일 설립된 동일은행의 신설합병(1943년 10월 1일)으로 설립되었으며, 설립 시 상호는 주식회사 조흥은행입니다. 한편 주식회사 조흥은행은 2006년 4월 1일 주식회사 신한은행을 흡수합병하였으며 존속법인의 상호를 주식회사 신한은행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구)주식회사 조흥은행의 카드사업부문을 분할하여 (구)신한카드주식회사와 2006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 합병하였습니다.주식회사 제주은행(이하 '제주은행'이라 함)은 1969년 3월 20일에 설립되어 1972년 12월 28일에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상장회사로서 은행, 신탁, 외국환업무 등을 주요 영업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용카드업>신한카드주식회사(이하 '신한카드'라 함)는 1985년 12월 17일에 신용카드업 등을 목적으로 익스프레스크레디트카드주식회사로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1988년 6월 1일 금성팩토링주식회사를, 1998년 1월 1일 LG할부금융주식회사를 각각 흡수합병하였으며2007년 10월 1일자로 (구)신한카드주식회사의 모든 사업부문을 양수하고 상호를 신한카드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카드는 신용판매,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과 기타 부대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한카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할부금융, 신용대출), 신한인도파이낸스(할부금융, 리스, 신용카드),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신용대출), 신한베트남파이낸스(신용대출, 오토론, 내구재, 신용카드)는 현지국가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일지배하의 사업결합을 통해 신한신용정보주식회사를 인수하여 채권추심 및 신용조사(채권추심업, 신용조사 및 민원용역대행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업>신한투자증권주식회사(이하 '신한투자증권'이라 함)는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및 인수 등을 목적으로 1973년 4월 2일에 설립되었으며, 설립 시 상호는 효성증권주식회사입니다. 1983년 12월 16일 쌍용그룹에 의해 인수되면서 상호를 쌍용투자증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1999년 5월 10일 H&Q Asia Pacific에 의해 인수되면서 상호를 굿모닝증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굿모닝증권은 2002년 8월 5일 신한증권과 합병하여 상호를 굿모닝신한증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2009년 8월 24일 신한금융투자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22년 10월 1일 현재 상호인 신한투자증권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생명보험업>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이하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이라 함)는 2021년 7월 1일
기준으로 신한생명보험주식회사(이하 '신한생명보험'이라 함)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주식회사(이하 '오렌지라이프생명'이라 함)가 합병한 생명보험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신한생명보험은 생명보험사업과 이에 관련된 부대사업 영위를 목적으로 1990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2005년 12월에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오렌지라이프생명은 1991년 9월 네덜란드생명보험 주식회사 한국 현지법인으로 설립된 이후 2018년 9월 오렌지라이프생명으로 사명을 변경 후, 2019년 2월에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 2021년 7월 1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으로 합병되었습니다. 또한, 2020년 8월 판매전문 자회사인 신한금융플러스의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2024년 1월 신한라이프케어의 공식 출범을 통해 시니어 사업의 본격적인 진출을 추진하였습니다.
<여신전문업>신한캐피탈주식회사(이하 '신한캐피탈'이라 함)는 시설대여 및 렌탈업무를 주요 영업목적으로 하여 1991년 4월 19일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 9월에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신한캐피탈의 주요 상품 및 서비스는 IB업무, 시설대여, 할부금융, 신기술사업금융, 일반 대출 등입니다. <자산운용업>신한자산운용주식회사(이하 '신한자산운용'이라 함)는 1996년 8월 1일 증권투자신탁업법에 의한 인가를 받아 투자신탁운용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10월 24일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Group과의 합작으로 신한비엔피파리바투자신탁운용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2009년 1월 1일 신한금융지주회사의 계열사인 SH자산운용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고 상호를 신한BNPP자산운용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BNPP자산운용은 2021년 1월 15일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완전자회사로서 사명을 신한자산운용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자산운용은 2022년 1월 1일 신한대체투자운용과 합병하였으며 합병후 사명은 신한자산운용입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손해보험업>신한EZ손해보험(이하 '신한EZ손해보험'이라 함)은 2003년 다음다이렉트자동차보험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6월 30일자로 신한금융지주에 편입되며 상호를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에서 신한EZ손해보험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현재 EZ손해보험은 신용보험(CPI) 및 운전자보험, SMART repair, GAP, Extend Warranty 등의 기업성보험상품을 다양한 판매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디지털 채널을 기반으로 한가계성보험의 사업 모델에 맞는 질병 및 상해, 레저보험 뿐 아니라 스타트업 기업과의 협업 모델에 적합한 다양한 보험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이 외에도 당사는 저축은행업, 부동산신탁업,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일부 계열사들은 유동화전문유한회사, 투자조합ㆍPE 및 사모펀드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및 'II.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또한, 당사 및 주요종속회사의 신규시장 진출에 대한 사항은 'II. 사업의 내용 - 5. 재무건전성 등 기타 참고사항 - 사. 신규 사업 진출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1) 신용평가 현황<해 외>
1) 해외 신용평가사의 평가
| 구분 | Moody's | S&P | ||
|---|---|---|---|---|
| 장기 | 단기 | 장기 | 단기 | |
| 2023년말 | A1 | P-1 | A | A-1 |
| 2024년말 | A1 | P-1 | A | A-1 |
| 2025년 반기말 | A1 | P-1 | A | A-1 |
2) 해외 신용평가사의 유가증권별 평가 현황 (2025년 6월 30일 기준)
|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 |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
|
2023.07.19 |
무보증사채 |
A |
Standard & Poors (AAA~D) |
본평정 |
|
2023.07.19 |
무보증사채 |
A1 |
Moody's (Aaa~C) |
본평정 |
| 주) | 해외 신용평가사의 유가증권별 평가 현황은 2023년 이후 발행 분 기재함 |
<국 내> 1) 국내 신용평가사의 평가
| 구분 | 한국신용정보 (NICE) | 한국신용평가 (KIS) | 한국기업평가 | |||
|---|---|---|---|---|---|---|
| 장기 | 단기 | 장기 | 단기 | 장기 | 단기 | |
| 2023년말 | AAA | A1 | AAA | A1 | AAA | A1 |
| 2024년말 | AAA | A1 | AAA | A1 | AAA | A1 |
| 2025년 반기말 | AAA | A1 | AAA | A1 | AAA | A1 |
2) 국내 신용평가사의 유가증권별 평가 현황 (2025년 6월 30일 기준)
|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 |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
|
2023.01.16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1.30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2.23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3.21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4.20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5.22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6.30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6.30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 (A1~D) / 한국신용평가 (A1~D) / NICE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3.06.30 |
전자단기사채 |
A1 |
한국기업평가 (A1~D) / 한국신용평가 (A1~D) / NICE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3.08.25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09.19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3.10.19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 (AAA~D) |
본평정 |
| 2024.01.19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1.29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3.22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4.25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5.21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5.21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 (A1~D) | 본평정 |
| 2024.05.21 | 전자단기사채 | A1 | 한국기업평가 (A1~D) | 본평정 |
| 2024.06.24 | 기업어음 | A1 | 한국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4.06.24 | 전자단기사채 | A1 | 한국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4.06.28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4.06.28 | 전자단기사채 | A1 | NICE신용평가 (A1~D) | 본평정 |
| 2024.07.18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8.23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8.30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09.24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10.24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4.11.25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1.22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1.31 |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2.25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3.21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4.18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2025.06.23 | 무보증사채 | AAA | 한국기업평가 (AAA~D) / 한국신용평가 (AAA~D) / NICE신용평가(AAA~D) | 본평정 |
| 주1) | 기업어음 및 전자단기사채 관련 신용등급은 정기평정 등급임 |
| 주2) | 국내 신용평가사의 유가증권별 평가 현황은 2023년 이후 발행 분 기재함 |
(2) 해외 신용평가등급 체계 요약 1) 장기 신용등급
| 구분 | Moody's | S&P | 등급별 내용 |
|---|---|---|---|
| 투자적격등급 | Aaa | AAA | 원리금지급의 안정성이 제일 높음(Best) |
| Aa1Aa2Aa3 | AA+AAAA- | 최상위등급 보다는 낮으나 높은 등급으로 평가됨(High Quality) | |
| A1A2A3 | A+AA- | 현재 안정성은 적당하나 향후 악화될 가능성이 있음(Upper-Medium Grade) | |
| Baa1Baa2Baa3 | BBB+BBBBBB- | 현재 원리금지급은 가능하나 향후 안정성은 부족함(Medium Grade) | |
| 투기등급 | Ba1Ba2Ba3 | BB+BBBB- | 원리금지급의 안정성은 중간이며, 투기적 요소가 있음(Partially Speculative) |
| B1B2B3 | B+BB- | 원리금지급의 안정성이 낮음(Speculative) | |
| Caa1Caa2Caa3 | CCC+CCCCCC- | 지급불능의 가능성이 있음(Maybe in Default) | |
| Ca | CC | 지급불능의 가능성이 큼(Often in Default) | |
| C | C | 최저등급(Extremely Poor) | |
| - | SD/D | 부도등급 혹은 부도가능성(Bankruptcy) |
2) 단기 신용등급
| 구분 | Moody's | S&P | 등급별 내용 |
|---|---|---|---|
| 투자적격등급 | P-1(Prime-1) | A-1+A-1 | 단기상환능력이 매우 우수 |
| P-2(Prime-2) | A-2 | Prime-1 보다는 낮으나 높은 등급으로 평가됨. 단, 경제상황 및영업여건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 |
| P-3(Prime-3) | A-3 | 현재의 단기 상환능력은 적당하나 향후 악화될 가능성이매우 높음 | |
| 투기등급 | NP(Not Prime) | BB-1B-2B-3 | 단기 지급능력이 의심되는 투기 등급, 부도가능성 有 |
| C | 단기 채무 지급 불능 가능성 | ||
| SD/D | 부도등급 혹은 부도가능성 |
(3) 국내 회사채 신용평가등급 체계 요약
1) 한국기업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최고수준이며, 예측 가능한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안정적이다. |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으며, 예측 가능한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 |
| 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높지만,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상위 등급에 비해서는 높다. |
| B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은 있으나, 장래의 환경변화에 따라 지급확실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
| BB | 최소한의 원리금 지급확실성은 인정되나, 장래의 안정성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
| 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부족하며, 그 안정성이 가변적이어서 매우 투기적이다. |
| C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 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 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높고, 합리적인 예측 범위내에서 채무불이행 발생이 불가피하다. |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다. |
| 주) | AA부터 B까지는 동일 등급내에서 상대적 우열을 나타내기 위하여 + 또는 - 기호를 부여할 수 있음 |
2) 한국신용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AA |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최고 수준이다. |
| AA |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상위 등급(AAA)에 비해 다소 열위한 면이 있다. |
| A |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높지만, 상위등급(AA)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다. |
| BBB |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일정수준 인정되지만, 상위등급(A)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
| BB | 원리금 상환가능성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어 투기적 요소를 갖고 있다. |
| B | 원리금 상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하여 상위등급(BB)에 비해 투기적 요소가 크다. |
| CCC |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높고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의문시 된다. |
| CC |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매우 높고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희박하다. |
| C |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극히 높고 원리금 상환가능성이 없다. |
| D | 상환불능상태이다. |
| 주) | 상기등급 중 AA부터 B등급까지는 +, -부호를 부가하여 동일등급 내에서의 우열을 나타내고 있음 |
3) NICE신용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최고수준이며, 현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안정적임 |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 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높지만 장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 B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은 인정되지만 장래 환경변화로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
| 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에 당면 문제는 없지만 장래의 안정성 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 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부족하여 투기적이며, 장래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현단계에서 단언할 수 없음 |
| C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
| 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위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많음 |
| 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높고 현단계에서는 장래 회복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
| D | 원금 또는 이자가 지급불능상태에 있음 |
| 주) | AA등급에서 CCC등급까지는 그 상대적 우열 정도에 따라 +, -기호를 첨부할 수 있음 |
(4) 국내 기업어음, 단기사채 신용평가등급 체계 요약 1) 한국기업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1 | 단기적인 채무상환능력이 매우 우수하며, 예측 가능한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 |
| A2 | 단기적인 채무상환능력이 우수하지만, 장래의 환경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상위 등급에 비해서는 높다. |
| A3 | 단기적인 채무상환능력은 있으나, 장래의 환경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
| B | 최소한의 단기적인 채무상환능력은 인정되나, 그 안정성은 가변적이어서 투기적이다. |
| C | 단기적인 채무상환능력이 의문시되며,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다. |
| 주) | A2부터 B까지는 동일 등급내에서 상대적인 우열을 나타내기 위하여 + 또는 - 기호를 부가할 수 있음 |
2) 한국신용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1 | 적기상환가능성이 최상급이다. |
| A2 | 적기상환가능성이 우수하지만, 상위등급(A1)에 비해 다소 열위한 면이 있다. |
| A3 | 적기상환가능성은 일정수준 인정되지만, 단기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 B | 적기상환가능성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어 투기적인 요소가 크다. |
| C | 적기상환가능성이 의문시 되고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매우 높다. |
| D | 상환불능상태이다. |
| 주) | 상기등급 중 A2부터 B까지는 +, -부호를 부가하여 동일등급 내에서의 우열을 나타내고 있음 |
3) NICE신용평가
| 등급기호 | 등급의 정의 |
|---|---|
| A1 | 적기상환능력이 최고수준이며, 현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만큼 안정적임 |
| A2 | 적기상환능력이 우수하지만 A1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 A3 | 적기상환능력이 양호하지만 장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 B | 적기상환능력은 인정되지만 투기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음 |
| C | 적기상환능력이 의문시됨 |
| D | 지급불능상태에 있음 |
| 주) | A2등급에서 B등급까지는 그 상대적 우열 정도에 따라 +, -기호를 첨부할 수 있음 |
자.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01년 09월 10일 | 해당사항 없음 |
가. 회사의 본점 소재지 및 그 변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변경사항 없음)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 신규 | 재선임 | |||
| 2021년 03월 25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배훈사외이사 이용국사외이사 최재붕사외이사 곽수근 | 기타비상무이사 진옥동사외이사 박안순사외이사 변양호사외이사 성재호사외이사 이윤재사외이사 최경록사외이사 허용학 | 기타비상무이사 필립 에이브릴사외이사 박철사외이사 히라카와 유키 |
| 2022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김조설 | 사외이사 박안순사외이사 변양호사외이사 성재호사외이사 윤재원사외이사 이윤재사외이사 진현덕사외이사 허용학 | 사외이사 최경록 |
| 2023년 03월 23일 | 정기주총 | 대표이사 진옥동기타비상무이사 정상혁 | 사외이사 곽수근사외이사 배훈사외이사 성재호사외이사 윤재원사외이사 이용국사외이사 이윤재사외이사 진현덕사외이사 최재붕 | 사외이사 박안순사외이사 허용학사외이사 변양호 주) |
| 2024년 03월 26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송성주 사외이사 최영권 | 사외이사 곽수근사외이사 김조설사외이사 배훈사외이사 윤재원사외이사 이용국사외이사 진현덕사외이사 최재붕 | 사외이사 성재호사외이사 이윤재 |
| 2025년 03월 26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양인집사외이사 전묘상 | 기타비상무이사 정상혁사외이사 곽수근사외이사 김조설사외이사 배훈사외이사 윤재원사외이사 이용국 | 사외이사 진현덕사외이사 최재붕 |
주) 2023년 1월 12일 변양호 사외이사의 일신상의 사유로 중도 퇴임
다. 최대주주의 변동
| 변동일자 | 내 용 |
|---|---|
| 2001년 12월 07일 | ㈜대교 외 2인 (소유주식수: 4,754,679주, 지분율: 1.63%)에서 BNP파리바 (소유주식수: 11,693,767주, 지분율: 4%)로 변경 |
| 2002년 02월 07일 | BNP파리바에서 BNP파리바의 관계회사인 BNP파리바 룩셈부르크로 변경 (소유주식수: 11,693,767주, 지분율: 4%) |
| 2005년 03월 22일 | BNP파리바룩셈부르크에서 국민연금기금으로 변경 (소유주식수: 16,498,516주, 지분율: 5.17%) * 변동일자는 변경 확인일임. |
| 2005년 11월 28일 | 국민연금기금에서 예금보험공사로 변경 (소유주식수: 22,360,302주, 지분율: 6.22%,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 2006년 04월 11일 | 예금보험공사에서 BNP파리바 그룹으로 변경 (소유주식수: 33,682,104주, 지분율: 9.38%)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주식매매일 기준 |
| 2011년 09월 30일 | BNP파리바 그룹에서 국민연금공단으로 변경 (소유주식수: 33,612,522주, 지분율: 7.09%)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국민연금공단이 2011년 10월 7일 공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의 내용에 따른 것임. * 2025년 8월 1일 주주명부 기준 국민연금공단 보통주 지분율은 9.30%(45,150,026주)임. |
라. 상호의 변경[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은행>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06.04.01 | ㈜조흥은행 | ㈜신한은행 | 합병 |
<신한카드>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1988.03.09 | 익스프레스크레디트카드㈜ | LG신용카드㈜ | 상호 변경 |
| 1999.01.01 | LG신용카드㈜ | LG캐피탈㈜ | 상호 변경 |
| 2001.09.01 | LG캐피탈㈜ | LG카드㈜ | 상호 변경 |
| 2007.10.01 | LG카드㈜ | 신한카드㈜ | 상호 변경 |
<신한투자증권>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1983.12.16 | 효성증권㈜ | 쌍용투자증권㈜ | 쌍용그룹인수 |
| 1999.05.10 | 쌍용투자증권㈜ | 굿모닝증권㈜ | H&Q Asia Pacific 인수 |
| 2002.08.05 | 굿모닝증권㈜ | 굿모닝신한증권㈜ | 신한금융지주회사 계열 편입 후 신한증권㈜와 합병 |
| 2009.08.24 | 굿모닝신한증권㈜ | 신한금융투자㈜ | 상호 변경 |
| 2022.10.01 | 신한금융투자㈜ | 신한투자증권㈜ | 상호 변경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21.07.01 | 신한생명보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 합병에 따른 변경 |
<신한자산운용>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02.10.24 | 신한투자신탁운용㈜ | 신한BNP파리바투자신탁운용㈜ |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Group 지분 50% 참여 |
| 2009.01.01 | 신한BNP파리바투자신탁운용㈜ | 신한BNPP자산운용㈜ | SH자산운용㈜ 흡수합병 |
| 2021.01.15 | 신한BNPP자산운용㈜ | 신한자산운용㈜ |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 지분 35% 취득(완전자회사화) |
<신한캐피탈>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1999.05.27 | 신한리스주식회사 | 신한캐피탈주식회사 | 상호 변경 |
<신한저축은행>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13.04.01 | ㈜예한별저축은행 | ㈜신한저축은행 | 합병 |
<신한자산신탁>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22.06.01 | 아시아신탁 주식회사 | 신한자산신탁 주식회사 | 신한금융그룹 100% 자회사 편입 |
<신한DS>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03.10.10 | ㈜신한은시스템 | ㈜신한데이타시스템 | 상호 변경 |
| 2018.05.13 | ㈜신한데이타시스템 | ㈜신한DS | 상호 변경 |
<신한펀드파트너스>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08.07.30 | 아이타스주식회사 | 신한아이타스주식회사 | 상호 변경 |
| 2023.04.03 | 신한아이타스주식회사 | 신한펀드파트너스 | 상호 변경 |
<신한벤처투자>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21.01.11 | 주식회사 네오플럭스 | 주식회사 신한벤처투자 | 상호 변경 |
<신한EZ손해보험>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22.06.30 |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 | 신한EZ손해보험 주식회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계열사 편입 |
<신한라이프케어>
|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사유 |
|---|---|---|---|
| 2023.12.29 | 신한큐브온 | 신한라이프케어 | 상호변경 |
마.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지배회사에 관한 사항] 2001년 9월 1일 신한은행, 신한증권, 신한투신, 신한캐피탈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하여 신한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였으며, 설립 당시 주식수는 292,344,192주입니다. 설립 후 신한금융지주회사는 여러 차례의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해 주식수가 증가하였으며, 소규모 주식교환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 자 | 내용 | 수량 (주) | 비고 |
|---|---|---|---|
| 2002년 06월 06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5,891 | 신한은행의 BW 전환으로 발행된 보통주와당사 보통주간 주식교환 |
| 2002년 10월 01일 | 소규모 주식교환 | 786 | |
| 2002년 12월 31일 | 소규모 주식교환 | 256 | |
| 2003년 10월 01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1,626 | |
| 2003년 12월 31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64,484 | |
| 2004년 06월 22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4,682,590 | 조흥은행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 주식교환 |
| 2004년 12월 23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0,235,121 | 굿모닝신한증권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 주식교환 |
| 2005년 12월 13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7,528,000 | 신한생명보험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 주식교환 |
| 2007년 09월 21일 | 소규모 주식교환 | 14,631,973 | LG카드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주식교환 |
| 2020년 01월 28일 | 소규모 주식교환 | 22,114,968 | 오렌지라이프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주식교환 |
| 2020년 12월 30일 | 소규모 주식교환 | 72,719 | 네오플럭스 완전자회사를 위한 소규모주식교환 |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은행> 2008년 9월 29일 신한은행의 일반사무관리 부문을 자회사인 신한펀드파트너스(구 신한아이타스)에 영업양도하였으며, 합병 전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의 합병 등에 관한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신한은행
| 일 자 | 내 용 |
|---|---|
| 1998년 06월 29일 | ㈜동화은행 자산 부채 계약이전 방식 인수 |
| 2001년 09월 01일 | ㈜신한금융지주회사에 주식 이전 |
| 2002년 06월 04일 | 신용카드사업부문 인적분할 방식 분사 후 신한카드㈜ 설립 |
(구)조흥은행
| 일 자 | 내 용 |
|---|---|
| 1999년 05월 03일 | 충북은행과 합병 |
| 1999년 09월 13일 | 강원은행과 합병 |
| 2004년 06월 22일 | 조흥은행 주식과 신한금융지주회사 주식교환, 신한금융지주회사 완전자회사 전환 |
| 2006년 04월 01일 | 조흥은행 카드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신한카드와 분할합병신한은행 조흥은행 합병(합병 후 상호: 신한은행) |
<신한카드> (1) 주식교환을 통한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완전자회사로 편입
신한금융지주회사는 신한카드(구 LG카드주식회사)에 대한 보유지분(78.6%)을 2007년 3월 19일에 공개매수를 통하여 인수하였습니다. 이후 신한금융지주회사는 채권단및 기타 소액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신한카드의 잔여지분 21.4%(신한은행 보유분 7.1% 포함)를 대상으로 공개매수 및 주식교환을 실시하여 2007년 9월 21일 신한카드는 ㈜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완전자회사가 되었습니다.(2) 에스에이치씨매니지먼트(구 신한카드) 영업양수
신한카드는 2007년 5월 28일에 체결된 영업양수도계약에 따라 2007년 10월 1일자로 에스에이치씨매니지먼트주식회사(구 신한카드주식회사)의 자산 및 부채를 포함한 모든 사업부문을 양수하였습니다.(3) 기업금융 리스사업부문 신한캐피탈로 영업양도
신한카드는 2007년 12월 12일에 체결된 영업양수도계약에 따라 2008년 1월 1일 기업리스사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를 신한캐피탈주식회사에 양도하였습니다.(4) 신한신용정보 지분 100% 인수신한카드는 2020년 12월 23일에 신한금융지주회사와 체결한 주식매수계약에 따라 2022년 7월 28일 신한신용정보(주)의 지분 100%를 매수하였습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
(1) 합병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은 2020년 12월 23일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와 2021년 7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합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로부터 2021년 5월 12일 합병 인가를 득하였으며, 7월 1일 통합 법인(신한라이프생명보험주식회사)이 출범하였습니다. 합병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2020년 12월 23일 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존속법인 : 신한생명보험
- 소멸법인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 합병 후 존속법인의 상호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2) 자산양수도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종속기업인 신한라이프케어는 시니어 특화 전문 자회사로서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2023년 8월 25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이사회 결의 및 2023년 12월 7일 신한라이프케어의 이사회 결의에 따라 신한금융플러스와 시니어 특화 사업의 유ㆍ무형자산을 양수도하였습니다.
(3) 사업양수도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종속기업인 신한라이프케어는 시니어 특화 전문 자회사로서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2023년 8월 25일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이사회 결의 및 2023년 12월 7일 신한라이프케어의 이사회 결의에 따라 신한금융플러스와 시니어 특화 사업을 양수도하였습니다. 신한라이프생명보험의 종속기업인 신한금융플러스는 보험 판매 전문 자회사로서, 2025년 2월 27일 신한금융플러스의 이사회 결의에 따라 어센틱금융그룹(양수인)으로 일부 영업 조직을 양도하는 영업양수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신한자산운용> 2009년 1월 1일 신한비엔피파리바투자신탁운용은 에스에이치자산운용 ㈜ 를 흡수합병하였으며, 납입자본금 75,373,735,000원으로 증자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 신한금융지주회사 50%,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Group 50%의 지분율에서 ㈜ 신한금융지주회사 65%, BNP Paribas Investment Partners S.A 35%로의 대주주 지분변동이있었습니다.2021년 1월 15일 ㈜ 신한금융지주회사는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 지분 35%를 인수하여 신한BNPP자산운용의 100%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사명을신한자산운용으로 변경하였습니다.신한자산운용은 2021년 9월 15일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신한대체투자운용합병계약 체결(합병기일 2022년 1월 1일)을 승인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 존속법인 : 신한자산운용
- 소멸법인 : 신한대체투자운용
※ 합병 후 존속법인의 상호 : 신한자산운용 <신한저축은행> 신한저축은행은 2013년 1월 31일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된 예한별저축은행과 2013년 4월 1일자로 합병하였습니다. 합병 후 존속법인은 예한별저축은행이며, 상호는 주식회사 신한저축은행입니다. <신한자산신탁> 신한금융지주회사는 2019년 5월 2일 아시아신탁 지분(60%)를 인수하며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이후 2022년 5월 16일 잔여지분 40%를 인수완료하여 완전자회사화 하였으며 2022년 6월 1일 사명을 신한자산신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신용정보> 2020년 12월 17일 당사 이사회에서 신한신용정보 지분을 그룹사인 신한카드로 매각 승인 후, 2022년 7월 28일 신한신용정보의 100% 지분 매각이 완료되어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에서 탈퇴하고, 신한카드의 자회사 및 신한금융지주의 손자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신한EZ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회사는 2022년 6월 30일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에 대한 대주주 지분(94.54%)을 인수하며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하였으며, 신한EZ손해보험으로 사명을변경하였습니다.
바.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지배회사에 관한 사항]
| 일 자 | 내 용 |
|---|---|
| 2006년 04월 01일 | 통합 신한은행 출범 |
| 2006년 08월 16일 | LG카드 지분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 2006년 12월 20일 | LG카드 인수를 위한 합의서 체결 |
| 2007년 03월 23일 | LG카드 자회사 편입 (당 그룹 지분 85.7%) |
| 2007년 07월 19일 | 굿모닝신한증권 아시아 유한공사 손자회사 편입 |
| 2007년 08월 30일 | 신한크메르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07년 09월 21일 |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한 LG카드 100% 인수 |
| 2007년 10월 01일 | 통합 신한카드 출범 |
| 2008년 03월 21일 | 신한카자흐스탄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08년 04월 08일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로부터 미국금융지주회사(Financial Holding Company) 자격취득 |
| 2008년 04월 30일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손자회사 편입 |
| 2008년 05월 29일 | 신한아이타스 손자회사 편입 |
| 2008년 09월 23일 | 캐나다 신한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09년 01월 01일 |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통합 출범 |
| 2009년 06월 26일 | SH&C생명보험 자회사 탈퇴 |
| 2009년 09월 10일 | SBJ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09년 09월 24일 | 에스에이치씨매니지먼트 청산 결정 |
| 2009년 10월 13일 | 신한베트남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09년 11월 17일 | 신한금융유한공사 손자회사 청산 |
| 2010년 01월 04일 | 신한데이타시스템 자회사 편입 |
| 2010년 08월 20일 | 신한맥쿼리금융자문 자회사 탈퇴 |
| 2011년 02월 24일 | Shinhan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ng Kong) Limited 손자회사 편입 |
| 2011년 12월 28일 | 신한저축은행 자회사 편입 주1) |
| 2012년 11월 30일 | 신한아이타스 자회사 편입 |
| 2013년 01월 31일 | 예한별저축은행 자회사 편입 |
| 2013년 04월 01일 | 신한저축은행 자회사 탈퇴 주2) |
| 2014년 11월 21일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신한카드 카자흐스탄 현지법인) 손자회사 편입 |
| 2015년 07월 16일 | Nam An Securities Co. Ltd.(신한금융투자 베트남 현지법인) 손자회사 편입 |
| 2015년 10월 12일 | 멕시코신한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15년 11월 30일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손자회사 편입 |
| 2015년 12월 01일 | 신한인도파이낸스(신한카드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손자회사 편입 |
| 2015년 12월 18일 | PT Centratama Nasional Bank 손자회사 편입 |
| 2016년 03월 30일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신한카드 미얀마 현지법인) 손자회사 편입 |
| 2016년 07월 21일 | PT Shinhan Sekuritas Indonesia(신한금투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손자회사 편입 |
| 2016년 12월 06일 | 신한인도네시아, PT Centratama Nasional Bank 합병 |
| 2017년 10월 18일 | 신한리츠운용 자회사 편입 |
| 2017년 12월 18일 | 신한케이리츠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손자회사 편입 |
| 2018년 02월 05일 | <사명 변경>변경전 : 주식회사 신한케이리츠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변경후 : 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2018년 04월 26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손자회사 제외 - 사유 : 최대주주 변경 |
| 2018년 05월 10일 | 신한디에스 베트남 손자회사 편입 |
| 2018년 05월 11일 | 지엑스신한인터베스트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 손자회사 편입 |
| 2018년 05월 13일 | <사명 변경>변경전 : (주)신한데이타시스템변경후 : (주)신한DS |
| 2018년 09월 05일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 (구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의 지분 59.15%(최대주주 지분)취득 결정 공시 |
| 2018년 09월 11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용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손자회사 편입 |
| 2018년 09월 12일 | PT Shinhan Asset Management Indonesia 인수 |
| 2018년 10월 20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용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손자회사 제외 - 사유 : 최대주주 변경 |
| 2018년 10월 31일 | 아시아신탁 주식회사의 지분 100% 취득 결정 공시 |
| 2019년 02월 01일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자회사 편입 |
| 2019년 05월 02일 | 아시아신탁 자회사 편입 |
| 2019년 08월 21일 | 신한에이아이 자회사 편입 |
| 2020년 01월 28일 |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한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100% 인수 |
| 2020년 12월 23일 | 신한카드와 신한신용정보 지분 100% 매도 계약 체결(2022.7.28 거래 종결) |
| 2020년 12월 30일 | 소규모 주식교환을 통한 네오플럭스 100% 인수 * 2021년 1월 11일 신한벤처투자로 사명 변경 |
| 2021년 01월 15일 | 신한BNPP자산운용 지분 35% 추가 취득, 완전자회사화 * 2021년 1월 15일 신한자산운용으로 사명 변경 |
| 2021년 05월 27일 | 신한 노틱 제1호 사모투자합자회사 손자회사 편입 |
| 2021년 05월 28일 | 제이에스 신한 사모투자합자회사 손자회사 편입 |
| 2021년 07월 01일 | 통합 신한라이프 출범 (오렌지라이프 자회사 탈퇴) 주3) |
| 2022년 01월 01일 |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합병 (신한대체투자운용 자회사 탈퇴) 주4) |
| 2022년 05월 16일 | 아시아신탁 지분 40% 추가 취득으로 완전자회사화 *2022년 6월 1일 신한자산신탁으로 사명 변경 |
| 2022년 06월 30일 |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 주식회사의 지분 100% 취득 및 자회사 편입 *2022년 6월 30일 신한EZ손해보험으로 사명 변경 |
| 2022년 07월 28일 | 신한신용정보 지분 100%를 신한카드로 매각 및 자회사 탈퇴 주5) |
| 2022년 10월 01일 | <사명 변경>변경전 : 신한금융투자(주)변경후 : 신한투자증권(주) |
| 2023년 04월 03일 | <사명 변경>변경전 : 신한아이타스변경후 : 신한펀드파트너스 |
| 2024년 07월 15일 | 신한에이아이 자회사 탈퇴 주6) |
| 주1) | 당사가 100% 출자(40억)한 '㈜신한희망'이 2011년 12월 28일 상호저축은행업 영위 인가 취득에 따라 ㈜신한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자회사로 편입하였으며, 2012년 1월 2일 1,160억원을 추가 출자하였음 |
| 주2) | 2013년 2월 21일 당사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신한저축은행과 예한별저축은행의 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13년 4월 1일 합병 완료함(합병 후 존속법인은 예한별저축은행이며, 상호는 주식회사 신한저축은행임) |
| 주3) | 2020년 12월 23일 신한생명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와 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21년 7월 1일을합병완료함(합병후 존속법인은 신한생명이며, 상호는 주식회사 신한라이프생명보험임) |
| 주4) | 2021년 9월 15일 신한자산운용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신한대체투자운용합병계약 체결(합병기일 2022년 1월 1일)을 승인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합병을 완료함(합병후 존속법인은 신한자산운용이며, 상호는 주식회사 신한자산운용임) |
| 주5) | 2020년 12월 17일 당사 이사회에서 신한신용정보 지분을 그룹사인 신한카드로 매각 승인 후, 2022년 7월 28일 매각이 완료됨에 따라 신한지주의 자회사에서 탈퇴 및 손자회사로 편입 |
| 주6) | 2024년 5월 9일 당사 이사회에서 신한에이아이의 해산 및 청산절차를 사유로 신한금융지주 자회사에서 제외를 결의하였고, 청산 등기일인 2024년 7월 15일 기준으로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에서 탈퇴함 |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은행>
| 일 자 | 내 용 |
|---|---|
| 2006년 04월 01일 | 통합 신한은행 출범 |
| 2008년 05월 29일 | 아이타스㈜(현 신한아이타스㈜) 인수 |
| 2008년 09월 29일 | 일반사무관리부문 신한아이타스㈜에 영업양도 |
| 2009년 09월 14일 | 일본현지법인 SBJ은행, 도쿄 개점 |
| 2011년 11월 28일 | 신한비나은행의 지분 100%를 인수 후 신한베트남은행과 합병 |
| 2012년 11월 30일 | 신한금융지주회사에 신한아이타스㈜ 주식양도 |
| 2016년 12월 06일 | 신한인도네시아, PT Centratama Nasional Bank 합병 |
| 2018년 01월 11일 | 멕시코신한은행 출범 |
| 2020년 04월 01일 | 일본현지법인 SBJ DNX 손자회사 편입 |
<제주은행>
| 일 자 | 내 용 |
|---|---|
| 2009년 01월 31일 |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납입자본금 1,106억원) |
| 2018년 11월 14일 |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납입자본금 1,606억원) |
| 2025년 04월 26일 | 유상증자 실시 (증자후 납입자본금 1,890억원) |
<신한카드>
| 일 자 | 내 용 |
|---|---|
| 2007년 03월 23일 | LG카드의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
| 2007년 10월 01일 | 舊신한카드의 모든 사업부문 영업양수를 통한 통합 신한카드 출범 |
| 2008년 01월 01일 | 기업금융 리스사업부문을 신한캐피탈에 영업양도 |
| 2012년 10월 02일 | 차세대 전산시스템 오픈 |
| 2014년 11월 21일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신한카드 카자흐스탄 현지법인) 설립 |
| 2015년 12월 01일 | 신한인도파이낸스(신한카드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설립 |
| 2016년 03월 30일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신한카드 미얀마 현지법인) 설립 |
| 2019년 01월 22일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신한카드 베트남 현지법인) 지분취득 |
| 2020년 03월 30일 | HD캐피탈 렌터카 영업자산 양수 |
| 2020년 10월 30일 | 신한캐피탈 부동산 및 자동차 대출 영업자산 양수 |
| 2022년 07월 28일 | 신한금융지주로부터 신한신용정보 지분 100% 인수 |
| 2024년 02월 22일 | 전략적 협업 일환으로 롯데렌탈에 장기렌터카 자산 일부 매각 |
| 2024년 03월 28일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신한카드 카자흐스탄 현지법인), 아스터 오토(Dealer社)와 JV출범 |
<신한투자증권>
| 일 자 | 내 용 |
|---|---|
| 2006년 09월 18일 | 기업 신용등급 상향 (기업어음 A1, 기업신용평가 AA-) |
| 2007년 05월 25일 | 홍콩현지법인 설립. 신한금융지주 손자회사 편입(편입일자 2007.07.19) |
| 2009년 08월 24일 | '신한금융투자'로 상호 변경 |
| 2009년 11월 18일 | 선물업 인가 |
| 2016년 02월 24일 | 신한금융투자베트남 출범 |
| 2016년 07월 21일 | PT Shinhan Sekuritas Indonesia 인수, 신한금융지주 손자회사 편입 |
| 2016년 09월 07일 | 유상증자(증자규모 5천억원) |
| 2017년 03월 08일 |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선정 |
| 2017년 12월 14일 |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등록 |
| 2018년 05월 11일 | 지엑스신한인터베스트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 설립, 신한금융지주 손자회사 편입 |
| 2018년 05월 15일 | 무디스(Moody's) 'A3', 에스앤피(S&P) 'A-' 국제신용등급 획득 |
| 2018년 09월 12일 | PT Shinhan Asset Management Indonesia 인수 |
| 2019년 07월 26일 | 유상증자(증자규모 6,600억원) |
| 2020년 07월 29일 | 빅데이터 및 AI(인공지능) 기반 정보제공 서비스 인가 획득 |
| 2021년 04월 06일 | ESG채권 1,000억원 규모 발행 |
| 2021년 06월 14일 | 신종자본증권 2.7억불(USD)규모발행 |
| 2022년 08월 26일 |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사업) 본허가 획득 |
| 2022년 10월 01일 | 신한투자증권으로 상호 변경 |
| 2024년 07월 01일 | 본점 소재지 변경(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일 자 | 내 용 |
|---|---|
| 2005년 12월 13일 | 신한생명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19년 02월 01일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의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20년 01월 28일 |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주식교환 완료(100% 완전자회사) |
| 2020년 02월 14일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 |
| 2020년 06월 23일 | 자회사 설립(신한금융플러스) |
| 2021년 02월 08일 | 자회사 설립(신한생명보험베트남) 주1) |
| 2021년 05월 12일 | 신한생명 존속법인으로 하는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흡수합병 금융위 인가(합병기일 2021.7.1) |
| 2021년 07월 01일 | 통합 신한라이프 출범 1) 합병후 존속회사 : 신한생명보험 2) 합병후 소멸회사 :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3) 합병후 상호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 2021년 12월 23일 | 자회사 설립(신한큐브온) |
| 2022년 01월 25일 | 자회사(신한라이프생명보험베트남) 영업개시 |
| 2023년 12월 29일 | 자회사(신한라이프케어 주식회사) 사명변경 주2) |
주1) 합병으로 인해 자회사인 '신한생명보험베트남'의 사명을 '신한라이프생명보험베트남'으로 변경함주2) 요양사업 이관(신한금융플러스 LC부문을 신한큐브온으로 사업이관)으로 자회사 '신한큐브온' 사명을 '신한라이프케어'로 사명 변경함
<신한캐피탈>
| 일 자 | 내 용 |
|---|---|
| 2011년 09월 01일 | ISO27001(정보보호체계) 및 BS10012(개인정보보호체계)국제인증 취득 |
| 2012년 11월 25일 | 정보화 전략계획(ISP)컨설팅 진행 완료 |
| 2013년 02월 27일 | 여의도금융센터 개점 |
| 2013년 03월 01일 | 차세대 IT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TF 발족 |
| 2014년 05월 12일 | 차세대 IT 시스템 WINK 오픈 |
| 2018년 06월 18일 | 비대면 모바일 시스템 오픈 |
| 2019년 06월 17일 | 환경경영체계 ISO14001 인증 획득 |
| 2020년 05월 27일 | 여의도금융2센터 개점 |
| 2020년 10월 31일 | 리테일 금융자산 신한카드 양도 |
| 2021년 06월 30일 | 유상증자(증자 규모 1,500억원) |
| 2021년 06월 30일 | 무디스 국제신용등급 A3획득 |
| 2021년 12월 10일 | 가족친화기업 인증 획득 |
| 2022년 09월 22일 | ESG위원회 신설 |
| 2023년 01월 27일 |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 업무집행사원 등록 |
| 2024년 12월 19일 | 내부통제위원회 신설 |
<신한자산운용>
| 일 자 | 내 용 |
|---|---|
| 1996년 08월 01일 | 신한투자신탁운용주식회사 설립 (납입자본금 300억원) |
| 1996년 08월 08일 | 영업본허가 및 상품인가 취득 |
| 2001년 09월 01일 |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02년 10월 24일 |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Group 자본 50% 참여 신한비엔피파리바투자신탁운용으로 상호 변경 |
| 2009년 01월 01일 |
에스에이치자산운용㈜를 흡수합병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납입자본금 75,373,735,000원으로 증자 주주변경:<변경전> ㈜신한금융지주회사 50%,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Group 50%<변경후> ㈜신한금융지주회사 65%, BNP Paribas Investment Partners S.A 35% |
| 2009년 02월 04일 | 금융투자업 인가 및 등록 |
| 2010년 08월 24일 | 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 홍콩 주식회사 설립 |
| 2014년 10월 13일 | 중국 위안화 해외적격기관투자자(RQFⅡ)자격 취득 |
| 2015년 10월 26일 |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등록 |
| 2017년 05월 03일 | 주주 변경: <변경전> BNP Paribas Investment Partners S.A<변경후>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 |
| 2018년 08월 20일 | 투자자문업(5-3-1) 및 투자일임업(6-3-1) 감독원 등록 |
| 2021년 01월 15일 | 주주 변경:<변경전>㈜신한금융지주회사 65%, BNP Paribas Asset Management Holding 35% <변경후>㈜신한금융지주회사 100%신한자산운용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 2021년 12월 22일 |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의 합병 인가(금융위원회) |
| 2022년 01월 01일 |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합병완료 1) 합병후 존속회사: 신한자산운용 2) 합병후 소멸회사: 신한대체투자운용 3) 합병후 상호: 신한자산운용 4) 합병후 납입자본금 88,666,570,000원 |
| 2024년 12월 09일 | 신한자산운용 홍콩 주식회사 청산 |
<신한저축은행>
| 일 자 | 내 용 |
|---|---|
| 2011년 12월 12일 | ㈜신한희망 설립 |
| 2011년 12월 28일 | 상호저축은행업 영위 인가취득 |
| 2011년 12월 29일 | ㈜신한저축은행으로 상호 변경 |
| 2012년 01월 02일 | 토마토저축은행으로부터 일부 자산 및 부채 이전 |
| 2012년 01월 03일 | 1,160억원 유상증자 |
| 2012년 01월 10일 | 영업 개시 |
| 2013년 01월 31일 | ㈜예한별저축은행의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13년 04월 01일 | ㈜예한별저축은행과 합병 - 합병 후 존속법인: 예한별저축은행, 합병 후 상호: 신한저축은행 |
| 2013년 04월 01일 | 본점 이전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
| 2016년 07월 04일 | 본점 이전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
| 2022년 06월 17일 | 500억원 유상증자 |
<신한자산신탁>
| 일 자 | 내 용 |
|---|---|
| 2007년 08월 24일 | 아시아자산신탁 신탁업 인가 |
| 2009년 01월 15일 | 아시아신탁으로 상호 변경 |
| 2010년 03월 17일 | 차입형 토지신탁 인가 |
| 2016년 12월 08일 | 유상증자 실시(증자규모 26억원) |
| 2019년 05월 02일 |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22년 05월 16일 |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아시아신탁 잔여지분 취득 완료(100% 완전자회사) |
| 2022년 06월 01일 | 신한자산신탁(주)로 상호 변경 |
| 2024년 10월 30일 | 유상증자 실시(증자규모 1천억원) |
<신한DS>
| 일 자 | 내 용 |
|---|---|
| 1991년 05월 13일 | ㈜신한은시스템 설립 |
| 2003년 10월 10일 | ㈜신한은시스템에서 ㈜신한데이타시스템으로 상호 변경 |
| 2005년 09월 01일 | 그룹사 전산실 업무 운영 |
| 2010월 01월 01일 | 그룹 자회사 편입 |
| 2018년 05월 10일 | 신한DS 베트남 설립 |
| 2018년 05월 13일 | (주)신한데이타시스템에서 (주)신한DS로 상호 변경 |
| 2018년 10월 18일 | 유상증자(증자규모 30억원) |
| 2019년 09월 06일 | 신한DS 인도네시아 대표사무소 설립 |
| 2021년 06월 28일 | 유상증자(증자규모 100억원) |
| 2021년 10월 18일 | 보안관제 전문기업 인증 획득 |
| 2021년 11월 02일 | 국가생산성대상 대통령 표창 수상 |
| 2022년 08월 23일 | 신한DS 베트남 대표사무소 설립 |
| 2022년 09월 21일 | 사업주 훈련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상 수상 |
| 2022년 11월 09일 | 신한글로벌개발센터(SGDC) 출범 |
| 2022년 12월 09일 | 그룹 클라우드 통합운영센터 개소 |
| 2023년 09월 01일 | 신한투자증권 차세대 시스템 MSP서비스 사업 수주 |
| 2024년 03월 07일 | 그룹 통합보안관제센터 확장 이전 |
| 2024년 10월 29일 |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
| 2025년 03월 24일 | 그룹 AISP(AI Shared Platform) 구축 |
<신한펀드파트너스>
| 일 자 | 내 용 |
|---|---|
| 2000년 06월 15일 | 법인설립 |
| 2008년 05월 29일 | 신한은행 자회사로 편입 |
| 2011년 01월 03일 | 국민연금 사무관리 서비스 개시 |
| 2012년 11월 30일 |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 2018년 05월 18일 | 사학연금 사무수탁사 선정 및 서비스 시작 |
| 2019년 10월 17일 | 업계최초 1호 특허권 취득 |
| 2020년 03월 31일 | 대체투자시스템(AITAS-AIS)서비스 개시 |
| 2020년 09월 08일 | ETF 일반사무관리업무 개시 |
| 2021년 03월 31일 | 우정사업본부 일반사무관리 업무 개시 |
| 2022년 12월 12일 | 삼성자산운용 ETF 사무관리 서비스 개시 |
| 2023년 04월 03일 | 신한아이타스에서 신한펀드파트너스로 사명 변경 |
| 2023년 11월 17일 | 사무관리 수탁고 700조 달성 |
<신한리츠운용>
| 일 자 | 내 용 |
|---|---|
| 2017년 10월 18일 | 법인 설립 |
| 2017년 12월 18일 | 자회사 설립(주식회사 신한케이리츠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2018년 02월 05일 | 주식회사 신한케이리츠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사명 변경(現)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2018년 03월 21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18년 04월 26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자회사 제외- 사유 : 최대주주 변경 |
| 2018년 07월 27일 | 신한알파리츠 공모 |
| 2018년 08월 08일 | 신한알파리츠 유가증권 시장 상장 |
| 2018년 09월 11일 | 자회사 설립(주식회사 신한알파용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2018년 10월 20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용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자회사 제외- 사유 : 최대주주 변경 |
| 2019년 01월 25일 | 신한알파리츠 유상증자 |
| 2019년 05월 08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강남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19년 08월 21일 | 주식회사 신한천안호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19년 12월 16일 | 신한리츠운용㈜ 앵커리츠 MOU체결, 회사명㈜서부티엔디 |
| 2020년 02월 19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광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0년 05월 13일 | 주식회사 신한서부티엔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0년 07월 30일 | 주식회사 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0년 08월 07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남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0년 09월 23일 | 주식회사 신한로지스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1년 02월 26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역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1년 08월 31일 | 주식회사 신한케이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1년 10월 19일 | 주식회사 신한서부티엔디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1년 12월 13일 | 신한서부티덴디리츠 유가증권 시장 상장 |
| 2022년 03월 17일 | 자회사설립(사명:주식회사 신한 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2022년 03월 30일 | 주식회사 신한로지스제2호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2년 04월 11일 | 신한알파리츠 유상증자 |
| 2022년 06월 28일 | 주식회사 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2년 07월 08일 | 주식회사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2년 07월 08일 | 주식회사 신한글로벌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3년 04월 27일 | 주식회사 신한중소형오피스밸류애드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3년 04월 27일 | 주식회사 신한신용산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3년 07월 25일 | 주식회사 신한서부티엔디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4년 02월 22일 | 주식회사 신한광화문지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4년 06월 19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서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4년 07월 12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서소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5년 05월 01일 | 주식회사 신한호텔마포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 2025년 06월 18일 | 주식회사 신한알파강남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국토교통부 인가 |
<신한벤처투자>
| 일 자 | 내 용 |
|---|---|
| 2000년 04월 01일 | 법인설립 |
| 2004년 12월 01일 | 주식회사 노보스 흡수합병 및 (주)네오플럭스로 사명 변경 |
| 2017년 06월 30일 | 네오홀딩스 주식회사 흡수합병 |
| 2020년 09월 29일 |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로 편입 |
| 2020년 12월 30일 | 신한금융지주회사와 주식교환 완료(100% 완전자회사) |
| 2021년 01월 11일 | 신한벤처투자로 사명 변경 |
<신한EZ손해보험>
| 일 자 | 내 용 |
|---|---|
| 2022년 06월 09일 | BNP파리바카디프 손해보험의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금융위 승인 |
| 2022년 06월 30일 |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로 편입 및 신한EZ손해보험으로 사명 변경 |
| 2022년 11월 03일 | 케이티(주), 더존비즈온(주) 신한EZ손해보험 지분 각각 9.9%와 5% 취득 |
<이외의 특수목적기업 등> 상기 주요 종속회사 이외에 특수목적기업(SPE: Special Purpose Entities)으로서 한정된 특수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업이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있으며, 특수목적기업의 정해진 법적 형태는 없으나 흔히 조합, 신탁, 합명ㆍ합자ㆍ유한회사 등과 같은 파트너쉽회사 또는 비법인 실체의 형태를 가집니다. 특수목적기업은 운영에 관한 지배기구, 수탁자 또는 경영진의 의사결정권에 엄격한, 때로는 영구적인 제한을 가하는 법적 계약과 함께 설립되며 설립자 또는 스폰서를 제외하고는 실체의 영업 활동을 지배하는 정책을 변경할 수 없는 규정과 함께 설립됩니다. 특수목적기업의종류로는 자산유동화전문회사, 프로젝트 파이낸싱 회사, 사모단독펀드, 조합 등이 있으며, 자산유동화, 신용공여, 대출, 지분투자, 자산관리 등의 거래를 목적으로 설립됩니다.
가. 자본금 변동추이
| (단위 : 백만원, 주) |
| 종류 | 구분 | 25기(2025년 반기말) | 24기(2024년말) | 23기 (2023년말) | 22기(2022년말) | 21기(2021년말) |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485,494,934 | 503,445,325 | 512,759,471 | 508,784,869 | 516,599,554 |
| 액면금액 | 5,000원 | 5,000원 | 5,000원 | 5,000원 | 5,000원 | |
| 자본금 | 2,695,586 | 2,695,586 | 2,695,586 | 2,608,176 | 2,608,176 |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17,482,000 | 17,482,000 |
| 액면금액 | 5,000원 | 5,000원 | 5,000원 | 5,000원 | 5,000원 | |
| 자본금 | 274,055 | 274,055 | 274,055 | 361,465 | 361,465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2,969,641 | 2,969,641 | 2,969,641 | 2,969,641 | 2,969,641 |
주1) 상기 자본금 금액은 당사 재무제표 및 주석에 기재된 자본금 금액임
주2) 2022년 4월 25일 당사 보통주식 3,665,423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하였으며, 2022년 11월 23일 당사 보통주식 4,149,262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 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주3) 2023년 3월 28일 당사 보통주식 3,676,470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하였으며, 2023년 6월 16일 당사 보통주식 4,243,281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 2023년 8월 31일 당사 보통주식 2,842,929주, 2023년 12월 27일 2,744,718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 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주4) 2024년 3월 22일 당사 보통주식 3,366,257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하였으며 2024년 10월 28일 5,947,889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 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주5) 2025년 4월 29일 당사 보통주식 7,603,260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하였으며 2025년 6월 26일 10,347,131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 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주6) 2019년 5월 중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발행한 제13종 전환우선주 17,482,000주가 2023년 5월 1일 보통주식 17,482,000주로 전환됨
가. 주식의 총수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 의결권 있는보통주 | 의결권 없는우선주 | 합계 |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1,000,000,000 | - | 1,000,000,000 | 주1)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539,117,212 | 169,597,564 | 708,714,776 | 주7)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53,622,278 | 169,597,564 | 223,219,842 | - | |
| 1. 감자 | - | - | - | - | |
| 2. 이익소각 | 53,622,278 | - | 53,622,278 | 주2)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92,673,961 | 92,673,961 | 주3) | |
| 4. 기타 | - | 76,923,603 | 76,923,603 | 주4),주5)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485,494,934 | - | 485,494,934 | - | |
| Ⅴ. 자기주식수 | 1 | - | 1 | 주6)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485,494,933 | - | 485,494,933 | - |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0.00 | - | 0.00 | - | |
| 주1) | 정관상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억주이며, 당사가 발행할 주식의 종류는 기명식 보통주식과 기명식 우선주식임 |
| 주2) | 자기주식 소각 내역 - 2020년 6월 1일 자기주식 보통주 5,035,658주 소각 - 2022년 4월 25일 자기주식 보통주 3,665,423주 소각- 2022년 11월 23일 자기주식 보통주 4,149,262주 소각- 2023년 3월 28일 자기주식 보통주 3,676,470주 소각- 2023년 6월 16일 자기주식 보통주 4,243,281주 소각- 2023년 8월 31일 자기주식 보통주 2,842,929주 소각- 2023년 12월 27일 자기주식 보통주 2,744,718주 소각- 2024년 3월 22일 자기주식 보통주 3,366,257주 소각- 2024년 10월 28일 자기주식 보통주 5,947,889주 소각- 2025년 4월 29일 자기주식 보통주 7,603,260주 소각- 2025년 6월 26일 자기주식 보통주 10,347,131주 소각*배당가능이익 범위 내 취득 주식의 소각으로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3) | 상환우선주 상환 내역- 2006년 8월 21일 제1종(9,316,792주) 및 제6종(3,500,000주) 상환- 2007년 8월 20일 제2종(9,316,792주) 상환- 2008년 8월 19일 제3종(9,316,792주) 및 제7종(2,433,334주) 상환- 2009년 8월 19일 제4종(9,316,792주) 상환- 2010년 8월 19일 제5종(9,316,793주) 및 제8종(66,666주) 상환- 2012년 1월 25일 제10종(28,990,000주) 상환- 2016년 4월 21일 제12종(11,100,000주) 상환 |
| 주4) |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및 상환 내역- 제9종 전환상환우선주는 2005년 11월 28일(22,360,302주) 및 2006년 8월 21일(22,360,301주) 두차례에 걸쳐 모두 보통주로 전환되었음- 제11종 전환상환우선주는 2012년 1월 25일(14,721,000주) 상환하였음 |
| 주5) | 전환우선주 보통주 전환내역- 제13종 전환우선주(17,482,000주)의 전환청구기간 종료로 2023년 5월 1일 보통주(17,482,000주)로 자동 전환됨 |
| 주6) | 자기주식수는 과거 주식교환 결과 등으로 발생한 단주 취득분임. |
| 주7) | 1) 오렌지라이프생명과의 주식교환(2020년 1월 28일)을 위한 신주 8,232,906주 발행(2020년 2월 14일 상장)2)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39,130,000주 발행(2020년 10월 20일 상장)3) 네오플럭스(현재 신한벤처투자)와의 주식교환(2020년 12월 30일)을 위한 신주 72,719주 발행(2021년 1월 21일 상장)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취득방법 | 주식의 종류 | 기초수량 | 변동 수량 | 기말수량 | 비고 | ||||
|---|---|---|---|---|---|---|---|---|---|
| 취득(+) | 처분(-) | 소각(-) | |||||||
| 배당가능이익범위이내취득 | 직접취득 | 장내 직접 취득 | 보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외직접 취득 | 보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개매수 | 보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a) | 보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탁계약에 의한취득 | 수탁자 보유물량 | 보통주 | 4,585,560 | 13,364,831 | - | 17,950,391 | 0 | 주1),주2),주3),주4) | |
| - | - | - | - | - | - | - | |||
| 현물보유물량 | 보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b) | 보통주 | 4,585,560 | 13,364,831 | - | 17,950,391 | 0 | - | ||
| - | - | - | - | - | - | - | |||
| 기타 취득(c) | 보통주 | 1 | - | - | - | 1 | 주5) | ||
| - | - | - | - | - | - | - | |||
| 총 계(a+b+c) | 보통주 | 4,585,561 | 13,364,831 | - | 17,950,391 | 1 | - | ||
| - | - | - | - | - | - | - | |||
주1) 상기 기초수량은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2025.01.01) 기준 보유수량이며, 기말수량은 공시서식 작성 기준일(2025.06.30) 현재 보유수량임.주2) 상기 신탁계약에 의한 취득 물량은 2024년 10월 25일 이사회에서 결정한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2024.10.28~2025.04.27)으로 취득한 7,603,260주와 20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결정한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2025.02.07~2025.06.23)으로 취득한 자기주식 10,347,131주를 합산한 수량임.주3) 2024년 10월 25일 이사회에서 자기주식 취득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여 2024년 10월 29일부터 2025년 1월 24일까지 취득한 자기주식 7,603,260주를 2025년 4월 29일 소각완료함. 자세한 사항은 2025년 4월 28일에 공시한 '신탁계약해지결과보고서' 및 '주식소각결정(정정)' 참조주4) 20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자기주식 취득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여 2025년 2월 25일부터 2025년 6월 2일까지 취득한 자기주식 10,347,131주를 2025년 6월 26일 소각완료함. 자세한 사항은 2025년 6월 24일에 공시한 ' 신탁계약해지결과보고서' 및 2025년 6월 23일 공시한 '주식소각결정(정정)' 참조
주5) 2020년 1월 28일 오렌지라이프의 완전자회사화를 위한 주식교환과 2020년 12월 30일 네오플럭스(현재 신한벤처투자)의 완전자회사화를 위한 주식교환 결과 등으로 발생한 단주 취득분임.
다. 자기주식 직접 취득ㆍ처분 이행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 구 분 | 취득(처분)예상기간 | 예정수량(A) | 이행수량(B) | 이행률(B/A) | 결과보고일 | |
|---|---|---|---|---|---|---|
| 시작일 | 종료일 | |||||
| 직접 취득 | 2023년 02월 09일 | 2023년 03월 24일 | 3,676,470 | 3,676,470 | 100 | 2023년 03월 28일 |
| 직접 취득 | 2023년 04월 28일 | 2023년 06월 14일 | 4,243,281 | 4,243,281 | 100 | 2023년 06월 16일 |
| 직접 취득 | 2023년 07월 28일 | 2023년 08월 29일 | 2,994,011 | 2,842,929 | 95 | 2023년 08월 31일 |
| 직접 취득 | 2023년 10월 30일 | 2023년 12월 22일 | 2,857,142 | 2,744,718 | 96 | 2023년 12월 27일 |
| 직접 취득 | 2024년 02월 13일 | 2024년 03월 20일 | 3,516,258 | 3,366,257 | 96 | 2024년 03월 22일 |
라.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ㆍ해지 이행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회) |
| 구 분 | 계약기간 | 계약금액(A) | 취득금액(B) | 이행률(B/A) | 매매방향 변경 | 결과보고일 | ||
|---|---|---|---|---|---|---|---|---|
| 시작일 | 종료일 | 횟수 | 일자 | |||||
| 신탁 체결 | 2024년 04월 29일 | 2024년 10월 28일 | 300,000 | 300,000 | 100 | - | - | 2024년 10월 28일 |
| 신탁 해지 | 2024년 10월 28일 | 2025년 04월 27일 | 400,000 | 400,000 | 100 | - | - | 2025년 04월 28일 |
| 신탁 해지 | 2025년 02월 07일 | 2025년 08월 06일 | 500,000 | 500,000 | 100 | - | - | 2025년 06월 24일 |
주1) 2024년 4월 26일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위한 이사회 결의가 있었으며, NH투자증권과 3천억원 규모의 신탁계약을 체결(2024.4.29~2024.10.28)하여 자기주식 취득후 2024년 10월 28일 계약을 해지하였으며, 취득한 자기주식은 2024년 11월 1일 소각 완료함. 자세한 내용은 2024년 10월 28일에 공시한 ' 신탁계약해지결과보고서 ' 를 참고주2) 2024년 10월 25일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위한 이사회 결의가 있었고, NH투자증권과 4천억원 규모의 신탁계약을 체결(2024.10.28~2025.04.27)하여 자기주식 7,603,260주를 취득하여 2025년 4월 29일 소각 완료함. 자세한 내용은 2025년 4월 28일 공시한 ' 신탁계약해지결과보고서 ' 를 참고주3) 2025년 2월 6일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위한 이사회 결의가 있었으며, NH투자증권과 5천억원 규모의 신탁계약을 체결(2025.2.7~2025.06.23)하여 자기주식 취득이 완료된 후 이사회 결의를 통해 2025년 6월 23일 계약을 중도해지하였으며, 취득한 자기주식은 2025년 6월 26일 소각 완료함. 자세한 내용은 2025년 6월 24일에 공시한 ' 신탁계약해지결과보고서 ' 를 참고
마. 자기주식 보유현황 -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일을 기준으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의 자기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당사의 자기주식 보유현황은 I. 회사의 개요 / 4. 주식의 총수 등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 다양한 종류의 주식 - 해당사항 없음
가. 정관의 최근 개정일 - 2025년 3월 26일
나. 정관 변경 이력
|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 2023년 03월 23일 | 제22기 정기주주총회 | 1) 이사회 운영 관련 규정 반영 및 이사회 내 위원회 명칭 개정 반영2)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을 이사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변경3) 배당기준일을 결산기말(12월말)에서 배당금액 확정일(주주총회일) 이후로 정할 수 있도록 변경 | 1) 기 개정된 사항 반영2) 금융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해 이사회가 적시 유연하게 대응하고, 이사회 운영 효율성을 제고3) 금융당국의 정책에 따라 배당금액을 보고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배당절차를 개선 <한국상장사협의회 표준정관 개정 반영> |
| 2025년 03월 26일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1) 이사회 심의ㆍ결의 사항(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정책의 수립 및 감독에 관한 사항) 신설 및 이사회내 내부통제위원회 설치2) 주주의 배당 예측 가능성 제고 및 배당 목적의 중ㆍ장기 투자 활성화를 위하여, 분기배당 금액을 보고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배당 절차를 개선 | 1) '24.7.3 시행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15조 제1항 제5호2 및 제16조 제1항 제5호를 반영2) '25.1.21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 12 반영하여 분기배당 기준일을 분기말에서 배당 결정일(분기말로부터 45일 이내) 이후로 이사회가 정할 수 있도록 변경<한국상장사협의회 표준정관 개정 반영> |
주) 상기 정관 변경의 자세한 사항은 2023년 2월 28일/ 2023년 3월 2일(기재정정)/ 2025년 3월 26일에 공시한 주주총회소집공고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사업목적 현황
|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 1 |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 또는 금융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의 지배 내지 경영관리 | 영위 |
| 2 | 자회사 등(자회사, 손자회사 및 손자회사가 지배하는 회사를 포함 (이하 동일))에 대한 자금지원 | 영위 |
| 3 | 자회사에 대한 출자 또는 자회사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위한 자금조달 | 영위 |
| 4 | 자회사등의 공동상품의 개발ㆍ판매를 위한 사무지원 등 자회사등의 업무에 필요한 자원의 제공 | 영위 |
| 5 | 전산, 법무, 회계 등 자회사등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자회사등으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 영위 |
주) 상기 정관 변경의 자세한 사항은 2023년 2월 28일/ 2023년 3월 2일(기재정정)/ 2025년 3월 26일에 공시한 주주총회소집공고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라. 사업목적 변경 현황 해당사항 없음
당사는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 등에 대한 지배ㆍ경영관리, 종속회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2001년 9월 1일에 주식회사 신한은행, 신한증권 주식회사, 신한캐피탈 주식회사 및 신한투자신탁운용 주식회사의 주주로부터 주식이전의 방법으로 설립된 금융지주회사입니다. 또한 당사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과뉴욕증권거래소에 각각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당사는 2025년 6월말 현재 상장회사인 제주은행과 비상장회사인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캐피탈, 신한자산운용, 신한저축은행, 신한자산신탁, 신한DS, 신한펀드파트너스, 신한리츠운용, 신한벤처투자, 신한EZ손해보험의 지배회사입니다. 당사는 상기 자회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사업부문 | 내 용 | 계열회사 | |
|---|---|---|---|
| 은행업 부문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은행,제주은행 | |
| 신용카드업 부문 |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카드,신한은행 | |
| 증권업 부문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투자증권 | |
| 보험업 부문 | 생명보험사업, 손해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EZ손해보험 | |
| 여신전문업 부문 |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캐피탈 | |
| 기타부문 | 자산운용업 부문 | 증권투자신탁운용, 투자자문, 콜거래 업무, 국내외 사모투자전문회사(Private Equity Fund)의 업무집행사원으로서의 업무 | 신한자산운용 |
| 저축은행업 부문 |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른 수신, 여신 및 부대업무 | 신한저축은행 | |
| 부동산신탁업 부문 | 부동산 유지 및 관리, 토지 개발 후 임대 및 분양 업무 | 신한자산신탁 | |
|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부문 | 금융IT서비스 업무 | 신한DS | |
|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 부문 | 펀드 일반사무관리 업무 및 부대업무 | 신한펀드파트너스 | |
| 부동산업 부문 |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 | 신한리츠운용 | |
| 신탁업 및 집합투자업 부문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 제공 업무 | 신한벤처투자 | |
신한금융지주회사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조 374억원(지배구조소유주지분 기준)으로 2024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 2조 7,470억 대비 10.6 % 증가하였습니다. 2025년 반기 그룹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핵심 이자이익은 자본 수익성 중심의 적정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하였으며, 그룹의 비이자이익은 우호적 시장 환경에 따른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관련 손익 확대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였습니다.
사업 부문별 2025년 반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반기>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은행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당기순이익 | 금액 | 2,222.3 | 299.2 | 258.9 | 328.6 | 63.9 | 41.8 | -177.3 | 3,037.4 |
| 비율 | 73.16% | 9.85% | 8.52% | 10.82% | 2.10% | 1.38% | -5.83% | 100.00% | |
당사는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 을 회사의 미션으로 삼아 금융의 본업을 통해'고객', '기업', '사회'의 가치가 함께 커지는 상생의 발전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다변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차별적인 위험관리능력을 통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무실적을 시현해 왔으며, 상장기업으로서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앞으로도 환경과 경쟁, 과거의 틀을 『바르게, 빠르게, 다르게』벗어나,『一流신한』을 달성하고,『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으로 고객과 주주에게 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겠습니다.
가. 영업개황 신한금융지주회사는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대손충당금 적립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의 견조한 성장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로 2025년 2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분기 대비 4.1% 증가한 1조 5,49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룹의 반기 당기순이익은 3조 374억원으로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고른 성장과 전년도 발생했던 홍콩 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등 일회성 비용의 소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은 자본 수익성 중심의 적정 성장을 바탕으로 전분기 대비 0.3% 증가하여 2025년 2분기에는 2조 8,640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그룹의 반기 이자이익은 5조 7,1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였습니다. 그룹의 비이자이익은 증권수탁 및 IB 등 자본시장 관련 수수료이익 증가와 금리 인하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익 개선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하여 2025년 2분기에는 1조 2,650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그룹의 반기 비이자이익은 2조 2,0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였습니다.
그룹 반기 판매비와 관리비는 2조 9,0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가운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6.6%로 안정적으로 관리 중입니다. 그룹 누적 대손비용률은 전반적인 경기 부진에 따른 보수적 충당금 적립 등으로 50bp를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효율적 비용 관리와 보수적 충당금 적립을 통한 선제적 리스크 대응을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당사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그룹 글로벌 부문 손익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펀더멘탈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우량 자산 중심의 전략적 외형 성장과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한 대손비용 감소 등으로 반기 그룹 글로벌 손익은 4,3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였습니다.
2025년 반기 말 연평균 그룹 주요 디지털 플랫폼 MAU(Monthly Active User, 월수)는 2,750만명으로 고객 편의 제고를 위한 플랫폼 고도화 및 서비스 채널 다양화를 통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 플랫폼의 질적 성장을 통한 고객 기반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디지털을 활용한 차별화된 고객 경험 및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신한금융지주회사 이사회를 통해 2분기 주당 배당금 570원 및 총 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결의했습니다. 8,000억원 중 6,000억원은 2025년 하반기 중, 2,000억원은 2026년 1월 취득함으로써 연간 '쉼없는' 자기주식 취득 정책을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안정적인 자본비율 관리 등 견고한 펀더멘털에 기반한 일관되고 차별화된 자본정책을 통해 꾸준한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이행할 계획입니다. 2025년 6월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CET1)은 시장 불확실성 확대와 주주환원 규모 증가에도 13.59%로 자본 효율성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튼튼한 재무안정성 기반 위 안정적인 자본비율 관리를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당사는 그룹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을 위한 그룹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지속 전개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을 위한 상생협력기금 100억원 출연, 그룹 ESG 활동을 통해 상반기 중 총 1.49조원의 사회적 가치 창출 등 사회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한 포용적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그룹사의 2025년 반기 재무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한은행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2조 2,668억원입니다. IB 수수료 등 수수료이익 개선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발생했던 일회성 비용 소멸에 따른 영업외이익 증가 등으로 견조한 실적 유지중입니다.
2025년 6월말 원화대출금은 전년 말 대비 0.8% 증가하였습니다. 가계대출은 전년 말 대비 1.9% 증가하였으며, 기업대출은 전년 말 대비 중소기업 대출이 0.4% 증가했으나, 대기업 대출이 1.4% 감소하며 전년 말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2025년 6월말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5%p 상승한 0.32%,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전년 말 대비 0.09%p 상승한 0.33%를 기록하였습니다.
신한카드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46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5.0% 감소하였습니다. 연결 당기순이익 감소는 조달비용 상승,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확대, 회원 인프라 투자에 따른 판관비 부담 증가 등에 기인합니다. 2025년 6월말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1%p 하락한 1.50%를 기록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은 2,5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 2,072억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상품매매손익이 686억, 인수주선수수료는 229억, 위탁수수료 80억 및 금융상품판매수익 1억 증가하였습니다.
신한라이프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4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하였습니다. 신계약 감소 영향으로 보험손익이 감소했으나, 유가증권 관련 손익 증가 등 금융손익이 증가하였습니다. 2025년 6월 말 보험계약마진(CSM)은 7.3조원이며, K-ICS비율의 잠정치는 197%로 금융감독원의 권고 기준인 150%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신한캐피탈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639억원입니다. PF/브릿지론 중심의 대손충당금 전입 기조 지속, 투자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한 투자손익 감소 등으로 당해연도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누적 1,080억 대비 441억원 감소하였습니다. 신한캐피탈은 국내외 경제 및 금융시장 불확실성 하 발생 가능한 손실에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체계 및 보수적 관점에서의 대손충당금 관리 기조를 지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대손충당금 및 대손준비금 설정액 합계는 2,576억원입니다. 설정액 합계는 전년 동기 대비 자산건전성 개선 등으로 인해 1,811억 감소하였음에도 불구, 기준 이상의 손실흡수능력을 지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발생 가능한 손실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고자 합니다.
※ 상기 영업개황은 당사의 '2025년 2분기 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발표 (2025.07.25)' 를 참조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나. 그룹 영업실적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4,035.1 | 29,209.3 | 27,579.2 | |
| 예치금이자 | 380.7 | 780.2 | 590.8 | ||
| 유가증권이자 | 2,649.8 | 5,429.5 | 4,694.6 | ||
| 대출채권이자 | 9,341.3 | 19,652.7 | 19,104.6 | ||
| 기타이자수익 | 1,663.3 | 3,346.9 | 3,189.2 | ||
| 이자비용(△) | 8,316.3 | 17,807.0 | 16,761.3 | ||
| 예수부채이자 | 4,731.4 | 10,220.8 | 9,790.8 | ||
|
차입부채이자 |
790.2 | 1,862.4 | 1,895.9 | ||
| 사채이자 | 1,679.4 | 3,422.0 | 2,745.2 | ||
| 기타이자비용 | 1,115.3 | 2,301.9 | 2,329.4 | ||
| 소계 | 5,718.8 | 11,402.3 | 10,817.9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2,200.5 | 4,295.4 | 4,175.2 | |
| 수수료비용(△) | 760.4 | 1,580.5 | 1,528.0 | ||
| 소계 | 1,440.1 | 2,714.9 | 2,647.2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23,104.6 | 40,559.6 | 29,578.2 | |
| 보험수익 | 1,763.3 | 3,392.5 | 3,087.6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2,019.0 | 3,417.7 | 3,447.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관련 이익 | 255.2 | 388.5 | 569.1 | ||
| 배당금수익 | 423.7 | 1,042.7 | 805.8 | ||
| 외환거래이익 | 5,092.6 | 8,084.6 | 3,201.0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13,031.2 | 23,151.0 | 17,630.9 |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액 | - | - | - | ||
| 제충당금 환입액 | 34.4 | 16.5 | 6.4 | ||
| 기타 | 485.2 | 1,066.1 | 830.3 | ||
| 기타영업비용 | 23,404.9 | 42,101.8 | 31,047.1 | ||
| 보험비용 | 1,660.7 | 2,508.8 | 2,490.1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1,024.6 | 2,238.3 | 1,704.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관련 손실 | 509.7 | 646.2 | 972.7 | ||
|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 1,086.6 | 1,975.7 | 2,205.2 | ||
| 제충당금 전입액 | 12.5 | 145.2 | 52.5 | ||
| 외환거래손실 | 4,698.3 | 7,573.6 | 2,944.3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12,823.6 | 23,588.0 | 17,548.2 | ||
| 기타 | 1,588.9 | 3,426.2 | 3,130.0 | ||
| 소계 | -300.3 | -1,542.3 | -1,468.9 | ||
| 부문별 이익 합계 | 6,858.6 | 12,574.9 | 11,996.2 | ||
| 일반관리비(△) | 2,900.1 | 6,116.2 | 5,895.3 | ||
| 영업이익 | 3,958.5 | 6,458.7 | 6,100.9 | ||
| 영업외손익 | 119.2 | -429.6 | -135.9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114.7 | -23.8 | 125.1 | ||
| 영업외손익 | 4.5 | -405.8 | -261.0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4,077.7 | 6,029.1 | 5,965.0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983.4 | 1,470.9 | 1,487.0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3,094.3 | 4,558.2 | 4,478.0 | ||
|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 3,037.4 | 4,450.2 | 4,368.0 | ||
|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 56.9 | 108.0 | 110.0 | ||
| 주1)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다. 그룹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예수부채 | 421,849.9 | 56.53 | 4,731.4 | 2.26 | 403,986.6 | 55.89 | 10,220.8 | 2.53 | 383,064.0 | 56.34 | 9,790.8 | 2.56 |
| 차입금 | 51,626.9 | 6.92 | 790.2 | 3.09 | 54,754.3 | 7.57 | 1,862.4 | 3.40 | 53,259.8 | 7.83 | 1,895.9 | 3.56 | |
| 사채 | 91,164.9 | 12.22 | 1,679.4 | 3.71 | 87,474.4 | 12.10 | 3,422.0 | 3.91 | 76,797.0 | 11.30 | 2,735.4 | 3.56 | |
| 기타부채 | 122,129.5 | 16.36 | - | - | 119,008.3 | 16.46 | - | - | 111,158.7 | 16.35 | - | - | |
| 부채총계 | 686,771.2 | 92.03 | - | - | 665,223.6 | 92.02 | - | - | 624,279.5 | 91.82 | - | - | |
| 자본총계 | 59,454.8 | 7.97 | - | - | 57,655.6 | 7.98 | - | - | 55,597.4 | 8.18 | - | - | |
| 부채 및 자본 총계 | 746,226.0 | 100.00 | - | - | 722,879.2 | 100.00 | - | - | 679,876.9 | 100.00 | - | - | |
| 운용 | 현금및예치금 | 41,399.9 | 5.55 | 380.6 | 1.85 | 38,020.3 | 5.26 | 780.2 | 2.05 | 34,892.3 | 5.13 | 590.8 | 1.69 |
| 대출채권 | 450,454.9 | 60.36 | 10,782.7 | 4.83 | 434,102.2 | 60.05 | 22,542.6 | 5.19 | 410,463.6 | 60.37 | 21,823.8 | 5.32 | |
| 원화대출금 | 351,424.8 | 47.09 | 7,782.1 | 4.47 | 339,139.5 | 46.92 | 16,520.0 | 4.87 | 317,950.0 | 46.77 | 16,093.6 | 5.06 | |
| 외화대출금 | 48,702.3 | 6.53 | 1,218.4 | 5.04 | 44,188.9 | 6.11 | 2,402.3 | 5.44 | 40,341.7 | 5.93 | 2,160.6 | 5.36 | |
| 신용카드채권 | 28,574.8 | 3.83 | 1,160.0 | 8.19 | 27,982.2 | 3.87 | 2,256.0 | 8.06 | 27,965.4 | 4.11 | 2,162.1 | 7.73 | |
| 기타 | 21,753.0 | 2.91 | 622.3 | 5.77 | 22,791.6 | 3.15 | 1,364.3 | 5.99 | 24,206.5 | 3.56 | 1,407.5 | 5.81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44,594.9 | 5.98 | 764.0 | 3.45 | 44,711.6 | 6.19 | 1,693.1 | 3.79 | 38,184.2 | 5.62 | 1,396.4 | 3.66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92,946.5 | 12.46 | 1,409.8 | 3.06 | 88,378.8 | 12.23 | 2,744.1 | 3.10 | 84,680.8 | 12.46 | 2,357.1 | 2.78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892.5 | 4.41 | 531.6 | 3.26 | 35,015.5 | 4.84 | 1,101.7 | 3.15 | 34,708.0 | 5.11 | 1,062.1 | 3.06 | |
| 기타자산 | 83,937.3 | 11.24 | - | - | 82,650.8 | 11.43 | - | - | 76,948.0 | 11.31 | - | - | |
| 자산총계 | 746,226.0 | 100.00 | - | - | 722,879.2 | 100.00 | - | - | 679,876.9 | 100.00 | - | - | |
| 주1) | 평균잔액은 회계연도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차입금 | 18.1 | 0.05 | 0.3 | 3.34 | 77.8 | 0.20 | 3.4 | 4.41 | 68.9 | 0.18 | 2.9 | 4.25 |
| 원화사채 | 8,466.7 | 22.03 | 137.2 | 3.27 | 8,546.6 | 22.35 | 263.2 | 3.07 | 8,683.0 | 22.74 | 237.3 | 2.73 | |
| 외화사채 | 1,559.6 | 4.06 | 25.9 | 3.35 | 2,038.4 | 5.33 | 68.1 | 3.33 | 1,959.1 | 5.13 | 46.3 | 2.36 | |
| 기타부채 | 815.2 | 2.12 | - | - | 716.1 | 1.88 | - | - | 455.1 | 1.20 | - | - | |
| 부채총계 | 10,859.6 | 28.26 | - | - | 11,378.9 | 29.76 | - | - | 11,166.1 | 29.25 | - | - | |
| 자본총계 | 27,569.7 | 71.74 | - | - | 26,853.8 | 70.24 | - | - | 27,013.7 | 70.75 | - | - | |
| 부채 및 자본총계 | 38,429.3 | 100.00 | - | - | 38,232.7 | 100.00 | - | - | 38,179.8 | 100.00 | - | - | |
| 운용 | 예치금 및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428.4 | 8.92 | 32.1 | 1.89 | 2,854.3 | 7.47 | 57.7 | 2.02 | 2,719.4 | 7.12 | 49.2 | 1.81 |
| 대출채권 | 3,263.2 | 8.49 | 38.1 | 2.35 | 3,956.8 | 10.35 | 94.8 | 2.39 | 4,044.3 | 10.59 | 92.8 | 2.29 | |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30,690.4 | 79.86 | - | - | 30,677.0 | 80.24 | - | - | 30,730.4 | 80.49 | - | - | |
| 기타자산 | 1,047.3 | 2.73 | - | - | 744.6 | 1.94 | - | - | 685.7 | 1.80 | - | - | |
| 자산총계 | 38,429.3 | 100.00 | - | - | 38,232.7 | 100.00 | - | - | 38,179.8 | 100.00 | - | - | |
| 주) | 차입금, 원화사채, 외화사채, 예치금 및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대출채권은 일일평균잔액이며, 나머지는 회계연도 기초금액과 각 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라. 영업의 종류 (주요 계열사)
| 사업부문 | 내 용 | 계열회사 | |
|---|---|---|---|
| 은행업 부문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은행, 제주은행 | |
| 신용카드업 부문 |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카드, 신한은행 | |
| 증권업 부문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투자증권 | |
| 보험업 부문 | 생명보험사업, 손해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신한EZ손해보험 | |
| 여신전문 부문 |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캐피탈 | |
| 기타부문 | 자산운용업 부문 | 증권투자신탁운용, 투자자문, 콜거래 업무, 국내외 사모투자전문회사(Private Equity Fund)의 업무집행사원으로서의 업무 | 신한자산운용 |
| 저축은행업 부문 |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른 수신, 여신 및 부대업무 | 신한저축은행 | |
| 부동산신탁업 부문 | 부동산 유지 및 관리, 토지 개발 후 임대 및 분양 업무 | 신한자산신탁 | |
|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부문 | 금융IT서비스 업무 | 신한DS | |
|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 부문 | 펀드 일반사무관리 업무 및 부대업무 | 신한펀드파트너스 | |
| 부동산업 부문 |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 | 신한리츠운용 | |
| 신탁업 및 집합투자업 부문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 제공 업무 | 신한벤처투자 | |
마. 영업부문별 재무정보
| <2025년 반기>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4,543.7 | 973.1 | 293.4 | -85.4 | 49.5 | 41.2 | -96.7 | 5,718.8 |
| 비율 | 79.45% | 17.02% | 5.13% | -1.49% | 0.87% | 0.72% | -1.70% | 10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514.7 | 424.4 | 298.9 | -3.0 | 10.8 | 178.5 | 15.8 | 1,440.1 |
| 비율 | 35.74% | 29.47% | 20.76% | -0.21% | 0.75% | 12.39% | 1.10% | 100.00% | |
| 기타손익 | 금액 | -2,194.9 | -1,013.7 | -273.8 | 539.8 | -15.9 | -167.0 | -74.9 | -3,200.4 |
| 비율 | 68.58% | 31.67% | 8.56% | -16.87% | 0.50% | 5.22% | 2.34% | 100.00% | |
| 영업이익 | 금액 | 2,863.5 | 383.8 | 318.5 | 451.4 | 44.4 | 52.7 | -155.8 | 3,958.5 |
| 비율 | 72.34% | 9.70% | 8.05% | 11.40% | 1.12% | 1.33% | -3.94% | 10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2,222.3 | 299.2 | 258.9 | 328.6 | 63.9 | 41.8 | -177.3 | 3,037.4 |
| 비율 | 73.16% | 9.85% | 8.52% | 10.82% | 2.10% | 1.38% | -5.83% | 100.00% | |
| <2024년>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8,988.5 | 1,931.2 | 573.4 | -135.4 | 143.7 | 92.6 | -191.7 | 11,402.3 |
| 비율 | 78.8% | 16.9% | 5.0% | -1.2% | 1.3% | 0.8% | -1.7% | 1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867.9 | 934.5 | 535.9 | -4.4 | 17.4 | 337.0 | 26.6 | 2,714.9 |
| 비율 | 32.0% | 34.4% | 19.7% | -0.2% | 0.6% | 12.4% | 1.0% | 100.0% | |
| 기타손익 | 금액 | -4,916.5 | -1,988.0 | -827.4 | 847.4 | -38.8 | -265.1 | -470.1 | -7,658.5 |
| 비율 | 64.2% | 26.0% | 10.8% | -11.1% | 0.5% | 3.5% | 6.1% | 100.0% | |
| 영업이익 | 금액 | 4,939.9 | 877.7 | 281.9 | 707.6 | 122.3 | 164.5 | -635.2 | 6,458.7 |
| 비율 | 76.5% | 13.6% | 4.4% | 11.0% | 1.9% | 2.5% | -9.8% | 1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3,609.6 | 668.4 | 179.2 | 511.0 | 116.9 | -124.8 | -510.1 | 4,450.2 |
| 비율 | 81.1% | 15.0% | 4.0% | 11.5% | 2.6% | -2.8% | -11.5% | 100.0% | |
| <2023년>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보험 |
여신전문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
| 순이자손익 | 금액 | 8,548.1 | 1,895.3 | 443.7 | -198.8 | 248.8 | 125.2 | -244.4 | 10,817.9 |
| 비율 | 79.0% | 17.5% | 4.1% | -1.8% | 2.3% | 1.2% | -2.3% | 100.0% |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748.0 | 968.7 | 500.4 | -3.2 | 17.5 | 391.1 | 24.7 | 2,647.2 |
| 비율 | 28.3% | 36.6% | 18.9% | -0.1% | 0.7% | 14.8% | 0.8% | 100.0% | |
| 기타손익 | 금액 | -5,286.6 | -1,930.5 | -691.0 | 852.9 | 77.2 | -175.0 | -211.2 | -7,364.2 |
| 비율 | 71.8% | 26.2% | 9.4% | -11.6% | -1.0% | 2.4% | 2.8% | 100.0% | |
| 영업이익 | 금액 | 4,009.5 | 933.5 | 253.1 | 650.9 | 343.5 | 341.3 | -430.9 | 6,100.9 |
| 비율 | 65.7% | 15.3% | 4.1% | 10.7% | 5.6% | 5.6% | -7.0% | 100.0% | |
| 당기순이익 | 금액 | 2,969.5 | 723.8 | 100.9 | 464.6 | 304.0 | 243.9 | -438.7 | 4,368.0 |
| 비율 | 68.0% | 16.6% | 2.3% | 10.6% | 7.0% | 5.6% | -10.1% | 100.0% | |
| 주1) | 당기순이익은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이며, 기타 부문에는 지배회사 별도재무제표 손익이 포함(자회사 배당수익은 제외)되어 있음 |
| 주2) | 항목별 합계는 그룹 연결기준 금액이며, 각 부문별 비율은 합계 금액에 대한 비중을 나타냄 |
| 주3) | 각 부문별 재무정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기재함- 은행 부문: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신용카드 부문: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증권 부문: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보험 부문: 생명보험사업, 손해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여신전문 부문: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기타 부문: 부동산신탁, 투자자문 및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등 상기 영업부문에 속하지 아니하는 부문 |
3. 영업 종류별 현황1) 은행업 부문<신한은행>(1) 영업개황
주식회사 신한은행은 1897년 2월 19일 설립된 한성은행과 1906년 8월8일 설립된 동일은행의 신설합병(1943년 10월 1일)으로 설립되었으며, 설립시 상호는 주식회사 조흥은행입니다. 한편 주식회사 조흥은행은 2006년 4월 1일 주식회사 신한은행을 흡수합병 하였으며 존속법인의 상호를 주식회사 신한은행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구)주식회사 조흥은행의 카드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신한카드주식회사와 2006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합병 하였습니다.
디지털 기술과 사용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Tech-Fin 기업에 의해 금융산업 '빅블러(Big Blur)'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금리인하와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인해 대내외 경제환경이 악화되는 등 급변하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또한 내부통제, 금융소비자 보호 등 은행의 신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및 전통적 은행의 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로 금융산업의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신한은행은 「Value-up together! 본업의 혁신으로 미래를 향해 성장하는 견고한은행!」 을 전략목표로 하여 고객과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본업을 혁신하고 미래를 향한 도전을 계속하여 견고한 은행을 완성하고자 합니다. 2025년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유동성 중심 조달원천 다변화 등을 통한 효율적 성장, 시니어/외국인/뉴리치 등 핵심고객 시장지위 강화, AI브랜치 확대, AI기반 업무효율화 등을 통한 혁신기술 내재화 및 금융연계 가치 창출, BaaS/떙겨요/헤이영 등 플랫폼 질적 확장을 통한 미래기반 확대, 책무구조도 기반 내부통체체계 고도화 등을 통한 내부통제/소비자보호 품질 혁신, ROC관점 자산 효울성 제고를 통한 전략적 자원 활용, 녹색금융 시장 선도 및 실효성 있는 상생금융 지원 등을 통한 동반성장을 주요 전략 방향으로 수립하였습니다.
신한금융그룹 내 그룹사와의 One Shinhan 협업을 지속 강화하고, 신한은행의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의 하나인 글로벌 사업 영역에서의 리더십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입니다. 신한은행은 2017년 ANZ은행 베트남 리테일 부문을 인수하여 명실공히 베트남 내 외국계은행 1위의 입지를 다지는 등 지속적인 해외 채널 최적화 및 진출 다양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2025년 6월말 현재 해외 네트워크는 20개국 166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신한은행은 견실한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객 중심적인 경영을 통해 고객가치 제고에 기여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대외기관 및 금융당국으로부터 성과를 아래와 같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5년 주요 대외수상 현황]
-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7년 연속 수상
-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1위 8년 연속 수상
- 프리미엄브랜드지수(KS-PBI) 12년 연속 1위 수상
[2024년 주요 대외수상 현황]
-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6년 연속 수상
- 한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 21년 연속 수상
- 글로벌 고객만족도(GCSI) 20년 연속 선정
-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11년 연속 1위 수상
- 프리미엄브랜드지수(KS-PBI) 11년 연속 1위 수상
-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은행 부문8년 연속 1위 수상
- 서비스품질지수(KSQI) 한국의 우수 콜센터 21년 연속 1위 선정
-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11년 연속 1위 수상
-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지수 (KSI) 13년 연속 1위 수상
-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1위 7년 연속 수상
- 고객이 가장 추천하는 기업(KNPS) 은행 부문 11년 연속 1위 수상
[2023년 주요 대외수상 현황] -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 8년 연속 선정
-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5년 연속 수상
- 한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 20년 연속 수상 -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1위 6년 연속 수상 - 글로벌 고객만족도(GCSI) 19년 연속 선정
-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10년 연속 1위 수상
- 프리미엄브랜드지수(KS-PBI) 10년 연속 1위 수상
-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은행 부문 7년 연속 1위 수상
- 서비스품질지수(KSQI) 한국의 우수 콜센터 20년 연속 1위 선정
-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10년 연속 1위 수상 -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지수(KSI) 12년 연속 1위 수상 - 고객이 가장 추천하는 기업(KNPS) 은행 부문 10년 연속 1위 수상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9,380.0 | 19,667.5 | 18,571.3 | |
| 예치금이자 | 109.6 | 225.6 | 172.4 | ||
| 유가증권이자 | 1,504.5 | 2,972.6 | 2,461.9 | ||
| 대출채권이자 | 7,516.4 | 15,853.6 | 15,363.0 | ||
| 기타이자수익 | 249.5 | 615.7 | 574.0 | ||
| 이자비용(△) | 5,488.9 | 12,017.0 | 11,193.2 | ||
| 예수부채이자 | 4,177.9 | 9,160.2 | 8,837.6 | ||
|
차입부채이자 |
391.0 | 900.3 | 903.5 | ||
| 사채이자 | 805.1 | 1,695.9 | 1,254.5 | ||
| 기타이자비용 | 114.8 | 260.6 | 197.5 | ||
| 소계 | 3,891.1 | 7,650.4 | 7,378.1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707.7 | 1,293.9 | 1,167.2 | |
| 수수료비용(△) | 133.9 | 293.7 | 301.4 | ||
| 소계 | 573.7 | 1,000.2 | 865.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13,812.3 | 23,912.4 | 15,524.1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459.6 | 644.8 | 451.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45.7 | 80.8 | 49.8 | ||
| 배당금수익 | 164.3 | 383.5 | 250.9 | ||
| 외환거래이익 | 3,593.2 | 5,832.0 | 1,727.7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9,529.4 | 16,865.0 | 12,923.5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6.1 | 24.3 | 4.9 | ||
| 기타 | 14.0 | 82.0 | 116.2 | ||
| 기타영업비용 | 14,083.7 | 24,906.0 | 16,862.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272.7 | 428.2 | 218.7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0.1 | 6.5 | 1.8 | ||
| 대손상각비 | 347.2 | 324.2 | 706.0 | ||
| 제충당금 전입액 | 2.4 | 6.5 | 38.0 | ||
| 외환거래손실 | 3,303.8 | 5,625.6 | 1,617.3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9,386.0 | 17,051.1 | 12,750.5 | ||
| 기타 | 771.7 | 1,463.8 | 1,530.1 | ||
| 소계 | -271.4 | -993.5 | -1,338.2 | ||
| 부문별 이익 합계 | 4,193.5 | 7,657.1 | 6,905.7 | ||
| 일반관리비(△) | 1,622.7 | 3,459.5 | 3,366.7 | ||
| 영업이익 | 2,570.8 | 4,197.6 | 3,539.1 | ||
| 영업외이익 | 20.1 | -300.6 | -81.7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20.1 | -300.6 | -81.7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2,590.9 | 3,896.9 | 3,457.4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616.7 | 864.5 | 845.3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1,974.2 | 3,032.4 | 2,612.1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309,009.5 | 63.24 | 3,694.0 | 2.41 | 297,147.1 | 63.50 | 7,957.3 | 2.68 | 282,385.8 | 64.46 | 7,723.1 | 2.73 |
| CD | 8,532.2 | 1.75 | 151.0 | 3.57 | 9,646.3 | 2.06 | 399.9 | 4.15 | 11,043.5 | 2.52 | 453.8 | 4.11 | ||
| 차입금 | 14,010.8 | 2.87 | 155.4 | 2.24 | 12,269.0 | 2.62 | 323.8 | 2.64 | 12,529.7 | 2.86 | 308.3 | 2.46 | ||
| 원화콜머니 | 1,357.4 | 0.28 | 18.5 | 2.74 | 1,105.4 | 0.24 | 38.4 | 3.48 | 1,331.1 | 0.30 | 45.7 | 3.44 | ||
| 기타 | 41,633.9 | 8.52 | 689.1 | 3.34 | 38,924.0 | 8.32 | 1,473.3 | 3.79 | 27,846.1 | 6.36 | 1,055.2 | 3.79 | ||
| 소계 | 374,543.7 | 76.65 | 4,707.9 | 2.53 | 359,091.8 | 76.74 | 10,192.7 | 2.84 | 335,136.2 | 76.50 | 9,586.1 | 2.86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26,926.8 | 5.51 | 374.0 | 2.80 | 25,067.4 | 5.36 | 785.0 | 3.13 | 23,236.9 | 5.30 | 664.9 | 2.86 | |
| 외화차입금 | 8,898.7 | 1.82 | 153.7 | 3.48 | 8,599.6 | 1.84 | 373.9 | 4.35 | 9,247.7 | 2.11 | 381.0 | 4.12 | ||
| 외화콜머니 | 806.0 | 0.16 | 18.1 | 4.52 | 1,063.5 | 0.23 | 56.3 | 5.29 | 1,328.8 | 0.30 | 68.9 | 5.18 | ||
| 사채 | 9,865.3 | 2.02 | 280.4 | 5.73 | 9,409.9 | 2.01 | 591.1 | 6.28 | 8,643.2 | 1.97 | 508.1 | 5.88 | ||
| 기타 | 474.3 | 0.10 | 0.0 | 0.00 | 424.9 | 0.09 | 0.0 | 0.00 | 379.7 | 0.09 | - | - | ||
| 소계 | 46,971.0 | 9.61 | 826.2 | 3.55 | 44,565.3 | 9.52 | 1,806.3 | 4.05 | 42,836.4 | 9.78 | 1,622.8 | 3.79 | ||
| 원가성 자금계 | 421,514.7 | 86.26 | 5,534.1 | 2.65 | 403,657.2 | 86.26 | 11,999.0 | 2.97 | 377,972.6 | 86.28 | 11,208.9 | 2.97 | ||
| 기타 | 자본총계 | 34,047.9 | 6.97 | - | - | 32,383.2 | 6.92 | - | - | 30,349.4 | 6.93 | - | - | |
| 충당금 | 415.9 | 0.09 | - | - | 596.6 | 0.13 | - | - | 356.0 | 0.08 | - | - | ||
| 기타 | 32,663.4 | 6.68 | - | - | 31,323.8 | 6.69 | - | - | 29,413.2 | 6.71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67,127.2 | 13.74 | - | - | 64,303.6 | 13.74 | - | - | 60,118.6 | 13.72 | - | - | ||
| 조달계 | 488,641.9 | 100.00 | 5,534.1 | 2.28 | 467,960.8 | 100.00 | 11,999.0 | 2.56 | 438,091.2 | 100.00 | 11,208.9 | 2.56 | ||
| 운용 | 원 화 자 금 | 예치금 | 27.3 | 0.01 | 0.2 | 1.49 | 113.2 | 0.02 | 3.8 | 3.35 | 327.2 | 0.07 | 11.4 | 3.47 |
| 유가증권 | 82,339.0 | 16.85 | 1,524.4 | 3.73 | 80,045.1 | 17.11 | 2,812.0 | 3.51 | 77,443.7 | 17.68 | 2,326.3 | 3.00 | ||
| 대출금 | 322,632.6 | 66.03 | 6,598.5 | 4.12 | 308,625.2 | 65.95 | 13,961.5 | 4.52 | 284,598.3 | 64.96 | 13,511.6 | 4.75 | ||
| (가계대출금) | 139,879.9 | 28.63 | 2,918.8 | 4.21 | 134,786.6 | 28.80 | 6,072.5 | 4.51 | 128,621.0 | 29.36 | 6,061.7 | 4.71 | ||
| (기업대출금) | 182,139.4 | 37.27 | 3,679.7 | 4.07 | 173,305.2 | 37.03 | 7,889.0 | 4.55 | 155,500.6 | 35.50 | 7,449.9 | 4.79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5.3 | 0.00 | 0.0 | 0.53 | 5.8 | 0.00 | 0.1 | 0.88 | 9.4 | 0.00 | 0.1 | 0.67 | ||
| 원화콜론 | 222.6 | 0.05 | 3.1 | 2.80 | 347.5 | 0.07 | 11.6 | 3.33 | 181.4 | 0.04 | 6.5 | 3.59 | ||
| 사모사채 | 1.5 | 0.00 | 0.0 | 2.55 | 7.6 | 0.00 | 1.2 | 15.69 | 42.0 | 0.01 | 4.6 | 10.85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705.6 | 0.14 | 55.0 | 15.72 | 710.7 | 0.15 | 115.3 | 16.22 | 684.2 | 0.16 | 117.0 | 17.10 | ||
| 원화대손충당금(△) | 2,025.6 | 0.41 | - | - | 2,021.9 | 0.43 | - | - | 1,856.8 | 0.42 | - | - | ||
| 소계 | 403,908.5 | 82.66 | 8,181.2 | 4.08 | 387,833.1 | 82.88 | 16,905.3 | 4.36 | 361,429.5 | 82.50 | 15,977.4 | 4.42 | ||
| 외 화 자 금 | 외화예치금 | 6,721.5 | 1.38 | 109.4 | 3.28 | 5,787.9 | 1.24 | 221.8 | 3.83 | 4,764.1 | 1.09 | 161.1 | 3.38 | |
| 외화증권 | 14,607.9 | 2.99 | 277.6 | 3.83 | 12,600.7 | 2.69 | 525.7 | 4.17 | 10,480.8 | 2.39 | 373.8 | 3.57 | ||
| 대출금 | 21,549.8 | 4.41 | 548.9 | 5.14 | 20,227.6 | 4.32 | 1,148.7 | 5.68 | 20,432.0 | 4.66 | 1,069.5 | 5.23 | ||
| 외화콜론 | 3,049.6 | 0.62 | 67.6 | 4.47 | 2,640.0 | 0.56 | 141.5 | 5.36 | 4,634.2 | 1.06 | 244.6 | 5.28 | ||
| 매입외환 | 5,931.9 | 1.21 | 132.2 | 4.49 | 6,645.3 | 1.42 | 351.1 | 5.28 | 5,957.4 | 1.36 | 313.8 | 5.27 | ||
| 기타 | 36.2 | 0.01 | - | - | 36.8 | 0.01 | - | - | 36.0 | 0.01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128.5 | 0.03 | - | - | 168.2 | 0.04 | - | - | 181.9 | 0.04 | - | - | ||
| 소계 | 51,768.5 | 10.59 | 1,135.7 | 4.42 | 47,770.2 | 10.21 | 2,388.9 | 5.00 | 46,122.5 | 10.53 | 2,162.8 | 4.69 | ||
| 수익성 자금계 | 455,676.9 | 93.25 | 9,316.9 | 4.12 | 435,603.2 | 93.09 | 19,294.2 | 4.43 | 407,552.0 | 93.03 | 18,140.1 | 4.45 | ||
| 기타 | 현금 | 1,199.0 | 0.25 | - | - | 1,184.4 | 0.25 | - | - | 1,181.5 | 0.27 | - | - | |
| 업무용유형자산 | 2,937.4 | 0.60 | - | - | 2,995.4 | 0.64 | - | - | 2,961.7 | 0.68 | - | - | ||
| 기타 | 28,828.6 | 5.90 | - | - | 28,177.9 | 6.02 | - | - | 26,396.1 | 6.03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32,965.0 | 6.75 | - | - | 32,357.6 | 6.91 | - | - | 30,539.3 | 6.97 | - | - | ||
| 운용계 | 488,641.9 | 100.00 | 9,316.9 | 3.84 | 467,960.8 | 100.00 | 19,294.2 | 4.12 | 438,091.2 | 100.00 | 18,140.1 | 4.14 | ||
| 주) | 평균잔액은 기중 평균잔액임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은행은 예금 수납업무를 기본으로 한 조달을 통하여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서비스 부문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금 수납 업무>
①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예금잔고 범위 내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며, 정기예금 및 적금 대비 이율은 낮은 예금② 거치식 예금: 일정기간 동안 예치하고 고정 또는 변동 금리를 받는 예금③ 적립식 예금: 일정기간 후에 지급받을 것을 약정하고 매월 일정금액을 적립하는 예금④ 단기금융상품: - 양도성예금증서(CD): 30일 이상의 일수로 만기를 지정하여 양도, 양수를 자유롭 게 할 수 있는 무기명 예금증서 - 환매조건부매도증권(RP): 일정기간 경과 후 원매도가액에 이자 등을 합한 가액으 로 환매수할 것을 조건으로 고객에게 매도
⑤ 주택청약예금: 주택법에 따라 주택을 청약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상품⑥ 비과세저축: 조세특례제한법 제 88조의 2에서 열거한 대상자에 대하여 전 금융기관 합산하여 1인당 5천만원까지 비과세 한도를 부여하는 상품
<여신업무>
① 여신의 범위
여신은 고객에게 은행이 직접 자금을 부담하는 금전에 의한 신용공여 즉, 대출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자금부담이 없는 신용공여를 포함합니다. 자금부담이 없는 신용공여는 지급보증, 지급보증대지급금, 유가증권대여, 여신성 유가증권(CP, 사모사채 인수 등), 파생금융상품, 외환관련여신, 국외영업점여신, 국제금융여신, 종합금융관련 여신 등을 포함합니다.
② 여신의 분류
②-1. 담보의 유무에 따른 분류
담보의 유무에 따라 담보여신, 보증여신, 신용여신으로 구분합니다. 담보여신은 유효담보가액 범위 내에서 취급하는 여신을 말하며, 보증여신은 담보가 없거나 유효 담보가액을 초과하는 여신으로서 보증인을 세워 취급하는 여신을 말합니다. 신용여신은 담보가 없거나 유효담보가액을 초과하는 여신으로서 보증인을 세우지 않고 채무자 자신의 신용에 의해 취급하는 여신을 말합니다.
②-2. 거래방식에 따른 분류
거래방식에 따라 건별거래와 한도거래로 구분하며, 건별거래는 여신 약정금액 범위 내에서 대출이 발생하되 상환한 금액을 재사용 할 수 없는 방식의 거래를 말합니다. 취급방식에 따라 일시취급 및 분할취급 방식으로 분류하며, 상환 방식에 따라 일시상환,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방식으로 분류합니다. 한도거래란 한도 약정금액 범위 내에서 동일과목의 여신을 인출 및 상환을 반복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②-3. 차주에 따른 분류차주에 따라 기업자금대출, 가계자금대출, 공공 및 기타자금대출로 구분합니다. 기업자금대출이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법인(정부출자기업체와 정부투자기관을 포함)과 기업자금 용도의 개인기업(사업자등록증을 소지한 자) 등에 대한 대출을 말합니다. 가계자금대출이란 개인에 대한 주택자금, 소비자금 등 비영리 목적을 위한 대출 및 사업자로 등록되지 아니한 개인의 부업자금대출 등을 말하며, 공공 및 기타자금대출이란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 공공기관과 학교법인 등 비영리법인 및 단체에 대한대출을 말합니다.
②-4. 자금용도에 따른 분류
자금용도에 따라 운전자금대출과 시설자금대출로 구분합니다. 운전자금대출이란 기업의 생산과 판매활동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대출을 말하며, 시설자금대출은 기업설비의 취득ㆍ신설ㆍ증설ㆍ복구 등 일체의 시설에 소요되는 자금 등으로 자본적 지출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대출을 말합니다. ②-5. 보증 상대처에 따른 분류지급보증은 보증 상대처에 따라 대내지급보증과 대외지급보증으로 분류되며, 보증 표시통화에 따라 원화지급보증과 외화지급보증으로 분류됩니다.
<개인금융 서비스>
신한은행의 개인 금융 전략은 서비스의 자동화, 대고객 서비스 향상, 통합된 지점망을 통하여 개인 고객들에게 신속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① 가계 대출 서비스
가계 대출은 크게 주택담보대출과 그 외 기타 가계 대출로 구분됩니다.
② 이자율 결정
가계대출의 대출금리는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로 나뉩니다. 변동금리는 내부금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3개월, 6개월, 12개월 기준 금리가 결정되고 여기에 적정 스프레드가 가산되어 결정됩니다. 2010년 2월 전국은행연합회는 은행들의 자금조달 비용을 반영하는 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공시하고 있습니다.신용대출에서는 주로 차주의 신용점수를 고려하여 금리가 결정되며, 담보대출에서는대출 한도를 결정하기 위해 담보 종류, 담보우선순위 등을 고려합니다. ③ PWM 서비스
신한은행은 전통적으로 고액자산고객을 위한 WM영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 세금 컨설팅, 부동산 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금융 서비스>
신한은행의 기업고객은 크게 중소기업, 대기업, 공공기관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서비스
중소기업 대출은 전통적으로 신한은행의 핵심 사업이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은행 경쟁이 강화되면서, 대부분의 국내 은행이 중소기업 대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나, 신한은행은 튼튼한 고객 기반, 높은 브랜드 이미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대기업에 대한 금융 서비스
대기업 고객은 주로 대기업 및 금융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기업뱅킹서비스신한은행은 기업고객을 위한 기업뱅킹 시스템을 도입하여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거래내역 조회 및 자금 이체와 같은 간단한 서비스는 물론 전자결제, 외환, 신용장 개설, 무역금융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④ 기업 대출
기업대출 상품은 크게 운전자금대출(운전대)과 시설자금대출(시설대)로 나뉩니다. 운전대출은 기업의 일반적인 운영자금 대출이 목적이며, 시설대출은 설비 구입이나 공장건설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자금에 대한 대출입니다. ⑤ 이자율 결정
기업고객 대출에 대한 이자율은 각 대출건의 조달비용 및 차주의 신용리스크에 따른 기대 손실률에 근거하여 계산됩니다.
<투자금융업무>
신한은행의 투자금융 업무는 자금업무, 투자업무, 파생거래, 국제 업무 등으로 구성됩니다. ① 자금업무(Treasury)
신한은행의 자금부는 고정 및 변동 금리부 채권, 무담보 채권, 구조화 채권 등 다양한조달 수단을 통하여 영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② 투자업무
신한은행은 지속적인 유동성 조달 및 이자/배당 수익, 자본 수익 창출을 위하여 자기 계정을 활용하여 유가증권 투자 및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는 주로 국고채 및 정부기관 등이 발행한 채권, 금융채 등으로 구성됩니다.
③ 파생 거래
신한은행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파생상품을 거래하고 판매합니다.
- 이자율 스왑, 옵션, 선물
- 통화 스왑
- 자본 증권 연계 옵션
- 외화 선도, 스왑, 옵션
- 상품 선도, 옵션, 스왑
- 신용 파생상품 및 코스피 200 인덱스 연계 옵션 등
④ 국제업무
신한은행은 국제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 및 외화표시 증권 거래, 외환거래 서비스, 무역 금융, 국제 팩토링 서비스 등 다양한 국제 금융 서비스 업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탁업무> ① 상품안내신탁은 크게 금전신탁과 재산신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금전신탁은 신탁의 인수(신규)시에 금전으로 수탁하며, 신탁의 종료시 금전 또는 운용현상 대로 수익자에게 교부하는 것이며, 재산신탁은 금전외의 재산으로 신탁을 설정하며 유가증권, 부동산, 동산, 금전채권, 무체재산권 등의 재산권을 수탁받아 위탁자의 지시 또는 신탁계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관리,운용,처분한 후 신탁 종료시 금전 또는 운용현상 그대로 수익자에게 교부하는 신탁입니다.금전신탁은 위탁자가 자산운용 대상 및 방법을 지시하지 않고, 수탁자에게 일임하는불특정 금전신탁과 위탁자가 자산 운용 대상과 방법을 지정하는 특정 금전신탁으로 나뉩니다. 재산신탁은 설정자산에 따라 유가증권신탁, 금전채권의 신탁, 동산의 신탁, 부동산의 신탁, 지상권의 신탁, 전세권의 신탁 등으로 구분됩니다. 신탁 상품은 은행 예금에 비해 관련 규제가 적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은행 이율보다는다소 높은 수익률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신탁계정의 자산은 주로 유가증권에 투자되거나 대출 재원으로 활용됩니다. 국내의 관련 법에서는 신탁계정 자산을 은행계정 자산과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외환상품 및 서비스> 신한은행은 다양한 외환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외환 관련 상품 및 서비스로 환전 상품 및 환전관련 부대서비스, 외화송금 상품 및 외화송금관련 부대서비스, 기타 무역외 서비스, 외화자금의 운용 및 예치를 위한 상품, 무역거래서비스, 수출업무 상품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주은행>(1) 영업개황
제주은행은 1969년 지역경제의 균형발전과 활성화라는 제주도민들의 여망 실현을 위해 설립되어, 지금까지 제주지역 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는 지방은행입니다. 설립 이래 언제나 지역과 함께 호흡하면서 축적해온 정성적인 관계형 정보와Know-how 및 지속적인 지역사회 기여 활동으로 지역민들과 신뢰를 쌓아오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신한금융그룹의 일원이라는 강점을 지역금융과 결합시킴으로써, 제주지역 고객들께 수준 높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제주지역 경제성장ㆍ발전에 공헌한다는 사명을 실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는 다음 사항을 전략과제로 선정하여 전행적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첫째,「Digital Drive 2.0」을 추진하겠습니다.
디지털 금융은 도전과 혁신의 영역으로 디지털 경쟁력 차별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외형성장의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디지털 고객 Lock-in/Bring-up을 통해 디지털 부문의 양적/질적 성장을 추진하고, 제주 가치 특화 콘텐츠 등 디지털 솔루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둘째,「금융 경쟁력 기본 확립」에 집중하겠습니다.
전통 금융은 기본과 강화의 영역으로, 본업 경쟁력 견고화를 통해 안정적 성장의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균형감 있는 조달 및 운용 몰입을 추진하고, 선제적인 고객관리 기반의 건전성 관리 체계를 재정립하여 핵심고객군 침투율 제고 및 외환 사업확장 등 금융 솔루션 커버리지를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셋째,「조직 혁신 Deep Change 」를 추진하겠습니다.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직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공정과 자발성을 높이는 HR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미래지향적인 조직문화 구현 및 일하는 방식과 비즈니스 혁신을 추진하며, 영업 효율성 및 효과성 극대화 관점의 지역본부 등 영업 구동체계를 재정비해 나가겠습니다.
넷째,「SCANDAL ZERO」를 달성하겠습니다.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금융의 기본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내부통제, 소비자보호, 운영리스크, ICT/정보보호 측면에서 강력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선제적인 리스크 예방과 고객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조금의 소홀함 없이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제반 사업과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서 임직원 모두가 과정의 정당성을 유념해서 이행할 수 있도록 조직 전반을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제주은행은 2025년은 다양한 위기가 상호작용하는 '복합위기' 시대를 예고하고 있지만, 이러한 전략방향을 기반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기민한 대응력을 갖추고 기본에 충실한 흔들림 없는 은행을 구현해 나갈 계획입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65.5 | 346.0 | 339.5 | |
| 예치금이자 | - | 0.0 | 0.0 | ||
| 유가증권이자 | 15.9 | 34.0 | 23.8 | ||
| 대출채권이자 | 145.7 | 303.9 | 309.8 | ||
| 기타이자수익 | 3.9 | 8.1 | 5.9 | ||
| 이자비용(△) | 87.1 | 194.6 | 194.1 | ||
| 예수부채이자 | 78.7 | 181.3 | 182.4 | ||
| 차입부채이자 | 1.5 | 4.6 | 4.6 | ||
| 사채이자 | 6.3 | 7.5 | 6.0 | ||
| 기타이자비용 | 0.6 | 1.2 | 1.1 | ||
| 소계 | 78.4 | 151.4 | 145.4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12.3 | 21.9 | 22.0 | |
| 수수료비용(△) | 5.3 | 10.8 | 11.5 | ||
| 소계 | 7.0 | 11.2 | 10.6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8.0 | 19.6 | 14.2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5.0 | 8.5 | 1.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0.0 | 0.0 | 0.0 | ||
| 외환거래이익 | 1.8 | 4.5 | 3.6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0.2 | - | - | ||
| 충당금 환입액 | 0.0 | 0.2 | 0.0 | ||
| 기타 | 0.9 | 6.4 | 9.6 | ||
| 기타영업비용 | 36.9 | 65.3 | 71.8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3 | 0.3 | 0.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24.1 | 39.7 | 48.6 | ||
| 제충당금 전입액 | 0.0 | 0.0 | 1.1 | ||
| 외환거래손실 | 0.9 | 2.9 | 2.1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11.5 | 22.4 | 19.7 | ||
| 소계 | -28.9 | -45.7 | -57.6 | ||
| 부문별 이익 합계 | 56.5 | 116.8 | 98.4 | ||
| 일반관리비(△) | 53.1 | 105.4 | 95.7 | ||
| 영업이익 | 3.4 | 11.4 | 2.6 | ||
| 영업외이익 | 6.0 | 0.4 | 2.9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6.0 | 0.4 | 2.9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9.4 | 11.8 | 5.5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4 | 1.4 | 0.4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8.1 | 10.4 | 5.1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5,587.6 | 75.59 | 76.8 | 2.77 | 5,412.9 | 75.46 | 170.5 | 3.15 | 5,371.1 | 77.02 | 181.2 | 3.37 |
| CD | 313.9 | 4.25 | 5.2 | 3.33 | 439.4 | 6.13 | 17.1 | 3.89 | 384.6 | 5.52 | 6.5 | 1.69 | ||
| 차입금 | 196.8 | 2.66 | 1.4 | 1.39 | 183.4 | 2.56 | 3.4 | 1.83 | 158.7 | 2.28 | 2.9 | 1.82 | ||
| 원화콜머니 | 9.1 | 0.12 | 0.1 | 2.87 | 15.6 | 0.22 | 0.5 | 3.49 | - | - | 1.0 | - | ||
| 기타 | 374.3 | 5.06 | 6.9 | 3.69 | 241.7 | 3.37 | 8.8 | 3.63 | 259.8 | 3.72 | 7.1 | 2.74 | ||
| 소계 | 6,481.8 | 87.69 | 90.3 | 2.81 | 6,292.9 | 87.73 | 200.3 | 3.18 | 6,174.1 | 88.53 | 198.7 | 3.22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14.4 | 0.19 | 0.1 | 1.20 | 15.2 | 0.21 | 0.2 | 1.29 | 14.3 | 0.20 | 0.1 | 0.99 | |
| 외화차입금 | 0.0 | 0.00 | - | - | 12.3 | 0.17 | 0.7 | 5.59 | 14.8 | 0.21 | 0.7 | 4.85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0.2 | 0.00 | - | - | 0.1 | 0.00 | - | - | 0.0 | 0.00 | - | - | ||
| 소계 | 14.6 | 0.20 | 0.1 | 1.18 | 27.6 | 0.38 | 0.9 | 3.20 | 29.0 | 0.42 | 0.9 | 2.95 | ||
| 원가성 자금계 | 6,496.4 | 87.89 | 90.4 | 2.81 | 6,320.5 | 88.11 | 201.2 | 3.18 | 6,203.2 | 88.95 | 199.5 | 3.22 | ||
| 기타 | 자본총계 | 708.6 | 9.59 | - | - | 685.3 | 9.55 | - | - | 535.9 | 7.68 | - | - | |
| 충당금 | 3.1 | 0.04 | - | - | 4.9 | 0.07 | - | - | 6.0 | 0.09 | - | - | ||
| 기타 | 183.6 | 2.48 | - | - | 162.5 | 2.27 | - | - | 228.9 | 3.28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895.4 | 12.11 | - | - | 852.8 | 11.89 | - | - | 770.7 | 11.05 | - | - | ||
| 조달계 | 7,391.8 | 100.00 | 90.4 | 2.47 | 7,173.3 | 100.00 | 201.2 | 2.80 | 6,973.8 | 100.00 | 199.5 | 2.86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0.3 | 0.00 | 0.0 | 0.05 | 0.2 | 0.00 | 0.0 | 0.11 | 0.0 | 0.00 | 0.0 | 79.63 |
| 유가증권 | 1,182.0 | 15.99 | 15.9 | 2.71 | 1,185.1 | 16.52 | 34.0 | 2.87 | 1,155.3 | 16.57 | 23.8 | 2.06 | ||
| 대출금 | 5,885.3 | 79.62 | 139.1 | 4.76 | 5,635.1 | 78.56 | 290.8 | 5.16 | 5,557.9 | 79.70 | 297.0 | 5.34 | ||
| (가계대출금) | 1,767.7 | 23.91 | 41.5 | 4.74 | 1,672.5 | 23.32 | 85.4 | 5.10 | 1,659.1 | 23.79 | 99.0 | 5.97 | ||
| (기업대출금) | 3,980.5 | 53.85 | 94.3 | 4.78 | 3,786.7 | 52.79 | 196.4 | 5.19 | 3,718.5 | 53.32 | 189.6 | 5.10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0.0 | 0.00 | - | - | 0.0 | 0.00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27.2 | 0.37 | 0.4 | 2.73 | 19.2 | 0.27 | 0.7 | 3.41 | - | - | 1.1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66.7 | 0.90 | 7.2 | 21.86 | 71.9 | 1.00 | 16.1 | 22.33 | 66.6 | 0.95 | 15.7 | 23.58 | ||
| (장기카드대출) | 0.2 | 0.00 | 0.0 | 4.12 | 0.1 | 0.00 | 0.0 | 12.68 | 0.0 | 0.00 | 0.0 | 26.47 | ||
| 기타 | - | - | - | - | 0.3 | 0.00 | 0.0 | 3.49 | - | - | 3.1 | - | ||
| 원화대손충당금(△) | 86.2 | 1.17 | - | - | 60.4 | 0.84 | - | - | 66.9 | 0.96 | - | - | ||
| 소계 | 7,075.3 | 95.72 | 162.6 | 4.63 | 6,851.4 | 95.51 | 341.5 | 4.98 | 6,712.9 | 96.26 | 340.7 | 5.08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7.6 | 0.10 | - | - | 11.6 | 0.16 | - | - | 9.8 | 0.14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0.0 | 0.00 | - | - | 9.0 | 0.13 | 0.5 | 5.48 | 12.4 | 0.18 | 0.7 | 5.74 | ||
| 외화콜론 | - | - | - | - | 0.6 | 0.01 | 0.0 | 4.95 | - | - | - | - | ||
| 매입외환 | 0.0 | 0.00 | 0.0 | 5.81 | 0.0 | 0.00 | 0.0 | 3.98 | 0.0 | 0.00 | 0.0 | 3.48 | ||
| 기타 | - | - | 0.0 | - | - | - | 0.0 | - | - | - | 0.0 | - | ||
| 외화대손충당금(△) | 0.0 | 0.00 | - | - | 0.1 | 0.00 | - | - | 0.1 | 0.00 | - | - | ||
| 소계 | 7.7 | 0.10 | 0.0 | 0.04 | 21.1 | 0.29 | 0.5 | 2.50 | 22.0 | 0.32 | 0.7 | 3.24 | ||
| 수익성 자금계 | 7,083.0 | 95.82 | 162.6 | 4.63 | 6,872.5 | 95.81 | 342.0 | 4.98 | 6,734.9 | 96.57 | 341.4 | 5.07 | ||
| 기타 | 현금 | 32.2 | 0.44 | - | - | 35.3 | 0.49 | - | - | 31.3 | 0.45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57.9 | 0.78 | - | - | 55.4 | 0.77 | - | - | 56.3 | 0.81 | - | - | ||
| 기타 | 218.7 | 2.96 | - | - | 210.1 | 2.93 | - | - | 151.4 | 2.17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308.8 | 4.18 | - | - | 300.8 | 4.19 | - | - | 239.0 | 3.43 | - | - | ||
| 운용계 | 7,391.8 | 100.00 | 162.6 | 4.44 | 7,173.3 | 100.00 | 342.0 | 4.77 | 6,973.8 | 100.00 | 341.4 | 4.90 | ||
| 주) | 평균잔액은 기중 평균잔액임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제주은행은 예금 수납업무를 기본으로 한 조달을 통하여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제공하는 주요상품 및 서비스 내용은 앞에서 기술한 신한은행의 내용과 대부분동일합니다.
2) 신용카드업 부문<신한카드>(1) 영업개황
신용카드업은 지급결제 수단으로서의 공적 기능에 대한 인식 확대 및 향후 경제전망과 규제환경을 고려할 때 고객기반 확보와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유지가 중요한 산업이며, 국내 신용카드 시장은 금융그룹 소속 카드사와 대기업 계열 전업 카드사로 양분되어 시장지위 확보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는 2025년 6월말 기준 실질회원 2,044만명(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회원 기준), 가맹점수 197만점(가동 가맹점 기준)을 기반으로, 2025년 6월말 기준 연결누적순이익 2,466 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신한카드는 본업 경쟁력 및 수익성 제고를 위해 모집채널 혁신, 미래고객(청년/시니어/외국인) 특화 상품 및 서비스 출시, PLCC 상품 확대(토스/카카오뱅크 등), 차별화된 영업력을 통한 법인카드시장 지위 강화, 금융/오토상품 포트폴리오 최적화 등 다양한 사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편 신한카드 플랫폼 '신한SOL페이' 총 회원수는 1,871만명으로 AI챗봇, 오픈뱅킹, MyData 등을 오픈하며 시장 혁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 카드업계 최초 10대 전용 플랫폼인 'SOL페이 처음'을 오픈하였으며, 직관적 UX와 Gamification 기반 금융 서비스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영업채널로의 경쟁력 확보와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해 신한SOL페이의 UX/UI 개선, 내부 ICT프로세스 및 인프라 고도화 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그룹 카드사로서 그룹사간 시너지를 활용한 상품 출시(SOL트래블/모임통장 등), 은행 영업점 등을 활용한 영업 네트워크 이점과 더불어, 그룹 차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안정적인 재무적 지원 등을 기반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는 국내 경기침체, 수출 부진, 초고령화 등 사회ㆍ경제적 변화와 동시에, 빅테크/유통/통신 등 다양한 산업의 비금융업자들이 지불결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거시경제 및 경쟁 상황의 불확실성이 예상됩니다. 신한카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전략적 구조 개선이 중요하다고 판단했으며, "불필요한 것을 비워야 새로운 것을 담을 수 있다" 는 철학 下 2025년 전략방향을 <비움과 채움>으로 수립하였습니다. 이를 위한 6대 중점 추진 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내부통제 강화
② 본업(Payment) 기반 연결과 확장
③ 사업 포트폴리오 최적화
④ 高효율 사업영역 확장
⑤ 고객 편의성 극대화
⑥ 구동체계 혁신
또한 신한카드의 비전인 'Connect More, Create the Most' 를 실현하기 위해 차별적인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더 많은 연결을 통해 최고의 가치를 고객과 함께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416.6 | 2,772.8 | 2,636.5 | |
| 예치금이자 | 1.8 | 4.3 | 3.9 | ||
| 유가증권이자 | 4.8 | 10.0 | 10.3 | ||
| 대출채권이자 | 170.1 | 350.2 | 315.4 | ||
| 기타이자수익 | 1,239.9 | 2,408.3 | 2,307.0 | ||
| 이자비용(△) | 512.8 | 988.6 | 883.8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139.1 | 288.8 | 286.9 | ||
| 사채이자 | 360.1 | 672.9 | 574.6 | ||
| 기타이자비용 | 13.7 | 26.8 | 22.2 | ||
| 소계 | 903.7 | 1,784.2 | 1,752.7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978.9 | 2,042.6 | 2,039.2 | |
| 수수료비용(△) | 659.7 | 1,307.6 | 1,275.4 | ||
| 소계 | 319.2 | 734.9 | 763.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526.2 | 884.7 | 438.6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4.6 | 49.6 | 47.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5.3 | 6.6 | 7.3 | ||
| 외환거래이익 | 244.2 | 87.1 | 54.3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6.3 | 328.0 | 33.3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255.9 | 413.4 | 296.3 | ||
| 기타영업비용 | 1,096.7 | 1,923.6 | 1,475.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6.8 | 1.8 | 2.2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481.3 | 872.0 | 816.7 | ||
| 제충당금 전입액 | 8.5 | -19.3 | -7.3 | ||
| 외환거래손실 | 25.6 | 366.1 | 44.4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201.5 | 7.3 | 1.9 | ||
| 기타 | 373.0 | 695.7 | 617.3 | ||
| 소계 | -570.4 | -1,038.9 | -1,036.7 | ||
| 부문별 이익 합계 | 652.5 | 1,480.2 | 1,479.8 | ||
| 일반관리비(△) | 357.6 | 752.8 | 685.6 | ||
| 영업이익 | 294.9 | 727.4 | 794.1 | ||
| 영업외이익 | 10.7 | 21.1 | 11.4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10.7 | 21.1 | 11.4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305.6 | 748.5 | 805.6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68.3 | 186.3 | 179.7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237.3 | 562.2 | 625.8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CP | 3,984.4 | 9.04 | 57.2 | 2.90 | 4,723.4 | 10.89 | 128.6 | 2.72 | 5,575.3 | 13.02 | 148.5 | 2.66 |
| 차입금 | 1,456.2 | 3.31 | 26.5 | 3.67 | 1,462.1 | 3.37 | 48.0 | 3.29 | 1,739.2 | 4.06 | 58.5 | 3.36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18,162.8 | 41.23 | 327.8 | 3.64 | 17,817.7 | 41.06 | 615.9 | 3.46 | 17,968.7 | 41.97 | 545.9 | 3.04 | ||
| ABS | 800.0 | 1.82 | 10.5 | 2.65 | 1,013.7 | 2.34 | 24.1 | 2.37 | 1,218.4 | 2.85 | 26.7 | 2.19 | ||
| 기타 | - | - | 14.1 | - | - | - | 27.4 | - | - | - | 22.6 | - | ||
| 소계 | 24,403.3 | 55.40 | 436.2 | 3.60 | 25,017.0 | 57.66 | 844.0 | 3.37 | 26,501.6 | 61.89 | 802.1 | 3.03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1,008.3 | 2.29 | 36.2 | 7.23 | 1,142.2 | 2.63 | 69.9 | 6.12 | 1,077.5 | 2.52 | 66.1 | 6.13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2,547.8 | 5.78 | 32.6 | 2.58 | 2,049.5 | 4.72 | 60.8 | 2.96 | 1,493.9 | 3.49 | 31.6 | 2.12 | ||
| ABS | 2,518.3 | 5.72 | 48.3 | 3.87 | 1,970.3 | 4.54 | 78.4 | 3.98 | 1,159.8 | 2.71 | 44.3 | 3.82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6,074.4 | 13.79 | 117.0 | 3.88 | 5,162.1 | 11.90 | 209.0 | 4.05 | 3,731.2 | 8.71 | 142.0 | 3.81 | ||
| 원가성 자금계 | 30,477.7 | 69.19 | 553.1 | 3.66 | 30,179.0 | 69.55 | 1,053.1 | 3.49 | 30,232.8 | 70.61 | 944.1 | 3.12 | ||
| 기타 | 자본총계 | 8,179.9 | 18.57 | - | - | 8,131.3 | 18.74 | - | - | 7,722.2 | 18.03 | - | - | |
| 충당금 | 207.3 | 0.47 | - | - | 203.5 | 0.47 | - | - | 207.0 | 0.48 | - | - | ||
| 기타 | 5,186.3 | 11.77 | - | - | 4,875.4 | 11.24 | - | - | 4,656.2 | 10.87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13,573.5 | 30.81 | - | - | 13,210.2 | 30.45 | - | - | 12,585.4 | 29.39 | - | - | ||
| 조달계 | 44,051.2 | 100.00 | 553.1 | 2.53 | 43,389.2 | 100.00 | 1,053.1 | 2.43 | 42,818.2 | 100.00 | 944.1 | 2.20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737 | 1.67 | 6.4 | 1.76 | 434.5 | 1.00 | 4.6 | 1.05 | 790.1 | 1.85 | 4.2 | 0.53 |
| 유가증권 | 692 | 1.57 | 4.8 | 1.40 | 1,085.9 | 2.50 | 10.0 | 0.92 | 1,562.2 | 3.65 | 9.7 | 0.62 | ||
| 대출금 | 11,312 | 25.68 | 270.1 | 4.82 | 11,392.2 | 26.26 | 554.2 | 4.86 | 9,981.1 | 23.31 | 511.9 | 5.13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29,089.6 | 66.04 | 1,152.0 | 7.99 | 28,293.7 | 65.21 | 2,236.7 | 7.91 | 28,283.7 | 66.06 | 2,141.3 | 7.57 | ||
| 기타 | - | - | 1.6 | - | - | - | 3.5 | - | - | - | 4.1 | - | ||
| 원화대손충당금(△) | 1,317.4 | 2.99 | - | - | 1,291.5 | 2.98 | - | - | 1,219.3 | 2.85 | - | - | ||
| 소계 | 40,513.1 | 91.97 | 1,435.0 | 7.14 | 39,914.8 | 91.99 | 2,809.0 | 7.04 | 39,397.8 | 92.01 | 2,671.1 | 6.78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37.6 | 0.09 | 0.6 | 3.36 | 67.9 | 0.16 | 7.6 | 11.20 | 24.6 | 0.06 | 5.3 | 21.59 | |
| 외화증권 | 33.7 | 0.08 | - | - | 53.2 | 0.12 | - | - | 37.0 | 0.09 | - | - | ||
| 대출금 | 1,046.8 | 2.38 | 90.6 | 17.45 | 935.3 | 2.16 | 167.7 | 17.93 | 919.5 | 2.15 | 164.2 | 17.86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40.3 | 0.09 | - | - | 44.6 | 0.10 | - | - | 49.7 | 0.12 | - | - | ||
| 소계 | 1,077.8 | 2.45 | 91.2 | 17.07 | 1,011.8 | 2.33 | 175.3 | 17.32 | 931.3 | 2.18 | 169.6 | 18.21 | ||
| 수익성 자금계 | 41,590.9 | 94.41 | 1,526.2 | 7.40 | 40,926.6 | 94.32 | 2,984.2 | 7.29 | 40,329.1 | 94.19 | 2,840.7 | 7.04 | ||
| 기타 | 현금 | 0.1 | 0.00 | - | - | 0.2 | 0.00 | - | - | 0.0 | 0.00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638.9 | 1.45 | - | - | 631.0 | 1.45 | - | - | 619.7 | 1.45 | - | - | ||
| 기타 | 1,821.3 | 4.13 | - | - | 1,831.4 | 4.22 | - | - | 1,869.4 | 4.37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2,460.3 | 5.59 | - | - | 2,462.6 | 5.68 | - | - | 2,489.0 | 5.81 | - | - | ||
| 운용계 | 44,051.2 | 100.00 | 1,526.2 | 6.99 | 43,389.2 | 100.00 | 2,984.2 | 6.88 | 42,818.2 | 100.00 | 2,840.7 | 6.63 | ||
| 주) | 평균잔액은 기중 평균잔액임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카드는 신용카드 등을 매개로 개인 및 법인회원 또는 공공기관이 일정 신용한도내에서 물품 및 용역 구입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신용공여를 제공하고 약정 결제일에일시불로 회수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회수하는 신용판매를 취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할부로 회수되는 경우에는 약정 미회수 이용대금에 대해 할부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으며, 가맹점으로부터는 이용대금을 정산하는 시점에 일정 수수료를 차감하고 있습니다. 신용판매 업무 이외에도 신용카드회원에게 자금을 대여해 주는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와 장기카드대출(카드론)등의 현금대출 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원이 보유한 제휴 금융기관의 계좌잔고 내에서 일시불로 사용 가능한 체크카드, 회원이 일정한 금액을 미리 지불하여 사용하는 선불카드 등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상품]
|
상품 구분 |
상품 내용 |
|---|---|
|
신용카드 |
회원의 신용도에 따라 이용한도를 부여하고, 회원이 가맹점에서 이용한 물품 및 용역 대금을 사전에 선택한 결제일에 일시불 또는 할부로 납부할 수 있는 신용공여를 제공하는 상품 |
|
단기카드대출 (현금서비스) |
회원의 일시적인 자금수요를 위해 사전에 부여된 한도 내에서 자금을 대여하고 도래하는 결제일에 상환하는 금융상품 |
|
일부결제금액 이월약정자산 (리볼빙) |
회원의 신청에 따라 결제대금 중 일부만 결제하면 나머지 대금은 다음번 결제대상으로 연장되며, 카드는 잔여 한도 내 계속 사용하는 결제서비스 |
|
장기카드대출 (카드론) |
신용상태에 따라 부여된 한도 내에서 회원이 대출기간 및 상환방식을 선택 신청한 후, 사전 약정 스케줄에 따라 상환하는 금융상품 |
|
체크카드 |
회원이 보유한 제휴 금융회사 계좌잔고 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카드로 승인시점에 회원의 계좌에서 결제금액이 자동으로 출금되는 상품 |
|
선불카드 |
일정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해당 금액이 기록된 카드를 발급받아, 카드잔고 범위 내에서 수시로 물품이나 용역을 구입할 수 있는 상품 |
<할부금융 및 리스ㆍ렌터카>
신한카드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라 고객이 자동차 구매에 필요한 자금을 대여해 주는 할부금융 상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자동차를 직접 구입하여 고객에게 대여하고 정기적으로 분할하여 대금을 지급받는 오토리스 및 렌터카 사업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상품]
|
상품 구분 |
상품 내용 |
|---|---|
|
할부금융 |
목돈부담으로 인해 일시불로 구입하기 곤란한 신차, 중고차, 상용차 구입자금을 지원하고, 고객이 일정기간 동안 매월 분할 상환하는 상품 |
|
오토리스/렌터카 |
기업 또는 개인이 필요로 하는 자동차를 직접 구입하여 고객에게 대여하고 리스료/렌탈료를 정기적으로 분할 상환하는 상품 |
<기타 업무>
신한카드는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험대리판매, 온라인 쇼핑몰, 여행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기반 공공기관 컨설팅 사업 및 투자 자문업, 개인사업자 신용평가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3) 금융투자업 부문<신한투자증권> (1) 영업개황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6월말 기준 총자산 49.5조원, 자본총액 5.6조원의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60개 국내영업망(지점 34개, PWM센터 25개, 영업소1개)과 4개 해외영업망(현지법인 4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산관리총괄에서는 개인 및 기업 고객 대상으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IB총괄에서는 부동산투자와 대체투자, DCM, ECM 등 기업금융업무를 통해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각 사업그룹별로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과 고객기반 확대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S&T그룹에서는 자기자본 투자와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상품을 제조 및 공급하고,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증권 및 파생상품 중개, 금융상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5년도 경영방침을 '정상화를 위한 근본체계 재정비' 라고 정하고,
조직문화와 업무프로세스, 사업라인을 재정비하기 위한 6가지 핵심과제를 수립하였습니다. 조직문화 부문에서는 '직업윤리와 책임의식 재정립을 통한 조직기강 확립',
업무프로세스 부문은 'Zero base에서 업무프로세스 전면 재구축'과 'AI/Tech 기반 사전적 내부통제 구현'을 추진합니다. 사업라인 부문에서는 'Capital Light Biz 집중'과 'ROC 관점 자본활용 효율화', '핵심 Biz 외 영역에 대한 사업축소 및 중단'을 역량 집중할 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6가지 핵심과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직업윤리와 책임의식 재정립을 통한 조직기강 확립입니다.
높은 윤리준법 의식 下, 이윤보다 윤리를 우선시하는 문화를 확립하기 위하여 조직체계, 평가/제도, 인력 운용 등 전반을 쇄신하겠습니다.
당사는 2025년 1월 조직개편을 통해 전사 운영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전담팀과 사업부문별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준법지원팀을 신설하였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전담 준법감시담당자도 대폭 확대하였습니다.
성과 중심의 평가제도는 내부통제 중심의 평가체계로 전환하고, 내부통제 위반 시 엄정한 제재가 이뤄지도록 관련 기준을 재정립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회사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성과급 일괄 차감 대상을 전 임원으로 확대 적용하고, 금융감독원 징계 외에 자체 내부 징계 시 차감 기준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또한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직원 및 부서 성과급 조정 기준을 수립할 것입니다.
내부통제 경력을 보유한 임원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신규/경력 채용 시에도 책임/윤리의식 검증을 강화하겠습니다.
2. Zero base에서 업무프로세스 전면 재구축입니다.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조적 혁신과 실질적 구동을 위하여 全 조직의 업무와 절차, 관행을 점검하여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재설계할 계획입니다. 전사 직무 분석을 통해 단위 조직별 적정 인력을 도출하고 업무의 적정한 분산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고위험 직무분리를 통한 내부통제 강화를 위하여 직무분리 프로세스/시스템을 구축하고, 임원의 내부통제 관련 책무를 명확히 하는 책무구조도를 차질 없이 실행하겠습니다. 또한 영업 부서를 지원하고 영업 활동의 결과물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는 미들/백 조직의 기능과 인력을 강화함으로써 조직 내 건강한 상호견제가 구현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계약검증강화 및 회사 내 전반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감사정보분석팀, 계약검증팀을 신설하였습니다. 또한 '25년 초 조직개편을 통해 S&T그룹 내 부서별 미들 인력을 통합하여 미들 전담 조직인 파생관리부, 크레딧지원팀 신설 및 내부통제를 강화하였습니다. 준법지원팀 신설 및 준법감시관리자(舊 전담준법감시담당자) 파견 인력을 5명에서 14명으로 증원하여 준법감시 대상 커버리지를 확대하였습니다. 미들/백(재무, 리스크, 결제 등) 지원부서 인적 역량강화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 인적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가 과정, 현업 파견제도 운영 및 교육지원 확대 등 미들/백에 특화된 육성과정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3. AI/Tech 기반 사전적 내부통제 구현입니다.
먼저, 수기업무의 전산화를 폭넓게 추진하여 Human Risk를 최소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자 합니다.
인공지능(AI)으로 IB 분야 공시서류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기업금융 특화 AI를 도입하고, 전사 비즈니스 영역에 AI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도를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와 더불어 IT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에 AI를 활용하는 AIOps(AI for IT Operations) 체계를 구축하고,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겠습니다.
업무효율성 저하, 오류 발생 가능성 증가, 내부통제 미흡 등 수기업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화 및 표준화를 추진하여 Risk Tolerance(조직이 허용 가능한 리스크 수준 범위)를 안정적으로 통제하고자 합니다.
4. Capital Light Biz 집중입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자본 투입 증가를 억제하면서 수익력을 제고하는 효율적 성장 전략 방향 아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기업금융과 같은 비즈니스를 집중 강화할 계획입니다. 우선 자산관리는 HNW 고객 맞춤형 특화 상품/서비스를 통하여 차별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그룹사 협업과 IB, S&T 상품 공급을 기반으로 특화상품 제공을 확대할 것입니다.
또한 신한은행과 신한투자증권의 투자, 세무, 상속/증여, 부동산, IB 등 분야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를 통하여 All-in-One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AI/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가속화하겠습니다. 고객 행동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고객의 금융여정 단계별로 고객경험관리를 고도화하고, MTS에 생성형 AI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빅테크, 핀테크 기업과의 제휴, 협업을 확장해 고객이 당사의 서비스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업금융 분야에서는 대기업 대상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지속 추진하는 동시에 성장산업/중견기업에 대한 선제적 영업을 강화하겠습니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에 대해서는 커버리지 조정을 통해 침투율이 낮은 기업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솔루션 기반 취급 상품 다양화로 고객 기업의 사업계획수행에 있어 동반자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중견ㆍ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자체RM 배정과 '자주 찾아가는 영업'을 통해 마케팅 강화에 주력하고, 은행-증권 동반영업 협업체계 추진을 통해 체계적인 영업을 실행하고자 합니다.
5. ROC 관점 자본활용 효율화입니다.
부동산/대체자산, S&T 등 자본 투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즈니스는 자본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입니다. 부동산/대체자산 비즈니스는 투자자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보유자산을 신속하게 매각하고 세일즈 영역을 확대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중견ㆍ중소 PE까지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해외 현지 셀다운 채널 활성화 및 외부 FI 자금을 활용한 Book 최소화 영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평가체계 측면에서는 '주선 금액 대비 Book 보유 비율'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북 효율화 개선 작업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또한 부실 우려 자산에 대해서는 리밸런싱 및 관리 집중화로 신속한 정상화를 추진할것입니다.
S&T는 향후 수익성 개선 기대가 적은 비즈니스를 축소, 중단하여 사업 포트폴리오를효율화 하겠습니다. 아울러 S&T의 상품 공급 기능 강화를 통해 다양한 기초자산의 상품으로 고객선택권을 확대하고 원금보장형, 비고난도 상품 공급을 늘려 나가고자 합니다.
6. 핵심 Biz 외 영역에 대한 사업축소 및 중단입니다.
사업부문별 핵심영역에 집중하고 내부통제 위협요인은 제거하는 방향으로 사업라인을 재정비하겠습니다. 低수익 한계사업은 과감하게 철수하여 핵심 비즈니스에 역량을 집중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사업부문별로 운영리스크, 법적 이슈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내부통제 관점에서 위험 요인이 크다고 판단되는 사업은 축소 및 중단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25년 신한투자증권은 조직문화와 업무프로세스, 사업라인을 재정비하여 새롭고 건강한 회사, 고객이 신뢰하고 주주와 시장의 기대에 보답하는 회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612.8 | 1,401.5 | 1,232.6 | |
| 예치금이자 | 59.7 | 113.0 | 133.4 | ||
| 유가증권이자 | 412.6 | 949.2 | 725.0 | ||
| 대출채권이자 | 128.8 | 313.4 | 350.7 | ||
| 기타이자수익 | 11.8 | 25.9 | 23.6 | ||
| 이자비용(△) | 360.2 | 895.1 | 775.1 | ||
| 예수부채이자 | 14.9 | 30.6 | 32.0 | ||
| 차입부채이자 | 273.9 | 713.8 | 606.6 | ||
| 사채이자 | 52.3 | 101.1 | 87.8 | ||
| 기타이자비용 | 19.1 | 49.6 | 48.7 | ||
| 소계 | 252.6 | 506.5 | 457.6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411.5 | 756.1 | 720.5 | |
| 수수료비용(△) | 69.6 | 154.5 | 164.4 | ||
| 소계 | 342.0 | 601.6 | 556.1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4,815.0 | 9,094.2 | 7,776.5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447.5 | 1,406.0 | 1,346.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179.6 | 263.2 | 467.9 | ||
| 배당금수익 | 107.1 | 236.8 | 183.9 | ||
| 외환거래이익 | 858.5 | 1,041.5 | 985.5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3,200.5 | 5,998.9 | 4,670.1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2.7 | - | - | ||
| 충당금 환입액 | 0.5 | 7.7 | 2.1 | ||
| 기타 | 18.6 | 140.2 | 121.0 | ||
| 기타영업비용 | 4,675.0 | 9,111.8 | 7,698.8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323.5 | 606.4 | 730.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409.5 | 592.2 | 900.0 | ||
| 대손상각비 | 105.5 | 204.7 | 120.8 | ||
| 제충당금 전입액 | 10.9 | 99.3 | 15.7 | ||
| 외환거래손실 | 693.9 | 1,175.2 | 995.5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3,078.8 | 6,052.7 | 4,635.3 | ||
| 기타 | 52.9 | 381.3 | 301.5 | ||
| 소계 | 140.0 | -17.5 | 77.7 | ||
| 부문별 이익 합계 | 734.6 | 1,090.6 | 1,091.3 | ||
| 일반관리비(△) | 369.4 | 768.8 | 705.4 | ||
| 영업이익 | 365.3 | 321.8 | 385.9 | ||
| 영업외이익 | -52.7 | -38.9 | -234.1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52.7 | -38.9 | -234.1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312.6 | 282.9 | 151.8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79.7 | 67.5 | 43.5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232.9 | 215.3 | 108.3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원화증권고객예수금 | 2,723.5 | 5.53 | 14.9 | 1.10 | 2,465.0 | 4.86 | 30.6 | 1.24 | 2,453.1 | 5.09 | 31.9 | 1.30 |
| 차입부채 | 20,826.6 | 42.28 | 314.5 | 3.05 | 23,396.8 | 46.09 | 818.7 | 3.50 | 22,053.8 | 45.79 | 816.4 | 3.70 | ||
| 당기손익인식지정금융부채 | 7,542.9 | 15.31 | - | - | 7,754.4 | 15.28 | - | - | 7,931.0 | 16.47 | - | - | ||
| 원화파생상품부채 | 793.9 | 1.61 | - | - | 994.6 | 1.96 | - | - | 1,045.9 | 2.17 | - | - | ||
| 기타 | 1,601.1 | 3.25 | 19.4 | 2.44 | 1,458.2 | 2.87 | 49.8 | 3.42 | 1,387.7 | 2.88 | 48.8 | 3.51 | ||
| 소계 | 33,488.0 | 67.98 | 348.8 | 2.10 | 36,069.0 | 71.05 | 899.2 | 2.49 | 34,871.4 | 72.41 | 897.1 | 2.57 | ||
| 외화자금 | 외화증권고객예수금 | 1,291.8 | 2.62 | - | - | 1,199.5 | 2.36 | - | - | 881.2 | 1.83 | - | - | |
| 외화파생상품부채 | 930.1 | 1.89 | - | - | 811.2 | 1.60 | - | - | 514.8 | 1.07 | - | - | ||
| 기타 | 1,615.0 | 3.28 | 38.8 | 4.84 | 1,444.4 | 2.85 | 66.9 | 4.63 | 1,232.4 | 2.56 | 58.5 | 4.75 | ||
| 소계 | 3,836.8 | 7.79 | 38.8 | 2.04 | 3,455.0 | 6.81 | 66.9 | 1.94 | 2,628.3 | 5.46 | 58.5 | 2.23 | ||
| 원가성 자금계 | 37,324.8 | 75.77 | 387.6 | 2.09 | 39,524.0 | 77.86 | 966.0 | 2.44 | 37,499.7 | 77.87 | 955.6 | 2.55 | ||
| 기타 | 자본총계 | 5,560.2 | 11.29 | - | - | 5,430.4 | 10.70 | - | - | 5,354.4 | 11.12 | - | - | |
| 충당금 | 374.3 | 0.76 | - | - | 358.3 | 0.71 | - | - | 416.6 | 0.87 | - | - | ||
| 기타 | 6,004.3 | 12.19 | - | - | 5,449.4 | 10.74 | - | - | 4,888.8 | 10.15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11,938.7 | 24.23 | - | - | 11,238.1 | 22.14 | - | 0.00 | 10,659.8 | 22.13 | - | 0.00 | ||
| 조달계 | 49,263.5 | 100.00 | 387.6 | 1.59 | 50,762.1 | 100.00 | 966.0 | 1.90 | 48,159.5 | 100.00 | 955.6 | 1.98 | ||
| 운용 | 원화자금 | 원화유가증권 | 27,580.7 | 55.99 | 365.4 | 2.67 | 29,198.4 | 57.52 | 866.2 | 2.97 | 27,334.8 | 56.76 | 677.5 | 2.48 |
| 원화대출채권 | 4,971.3 | 10.09 | 172.5 | 7.00 | 5,587.9 | 11.01 | 387.3 | 6.93 | 6,426.2 | 13.34 | 457.9 | 7.13 | ||
| 원화대손충당금(△) | 372.9 | 0.76 | - | - | 344.8 | 0.68 | - | - | 256.7 | 0.53 | - | - | ||
| 원화이연대출부대수익(비용) | -12.9 | -0.03 | - | - | -14.6 | -0.03 | - | - | -16.8 | -0.03 | - | - | ||
| 원화파생상품자산 | 699.3 | 1.42 | - | - | 618.6 | 1.22 | - | - | 490.9 | 1.02 | - | - | ||
| 예치금 | 427.9 | 0.87 | 60.4 | 28.45 | 427.4 | 0.84 | 115.3 | 26.99 | 488.4 | 1.01 | 137.8 | 28.22 | ||
| 기타 | 121.0 | 0.25 | 11.8 | 19.60 | 102.9 | 0.20 | 25.9 | 25.13 | 79.6 | 0.17 | 23.6 | 29.66 | ||
| 소계 | 33,414.4 | 67.83 | 610.0 | 3.68 | 35,575.7 | 70.08 | 1,394.7 | 3.92 | 34,546.4 | 71.73 | 1,296.8 | 3.75 | ||
| 외화자금 | 외화유가증권 | 2,765.2 | 5.61 | 57.2 | 4.17 | 2,699.9 | 5.32 | 105.2 | 3.90 | 2,385.6 | 4.95 | 70.8 | 2.97 | |
| 외화대출채권 | 354.8 | 0.72 | 13.8 | 7.83 | 392.3 | 0.77 | 39.5 | 10.06 | 399.0 | 0.83 | 31.7 | 7.94 | ||
| 외화대손충당금(△) | 24.2 | 0.05 | - | - | 17.5 | 0.03 | - | - | 1.6 | 0.00 | - | - | ||
| 외화이연대출부대수익(비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파생상품자산 | 1,348.3 | 2.74 | - | - | 1,261.9 | 2.49 | - | - | 861.9 | 1.79 | - | - | ||
| 예치금 | 2,508.3 | 5.09 | - | - | 2,460.9 | 4.85 | - | - | 2,196.2 | 4.56 | - | - | ||
| 기타 | 38.3 | 0.08 | - | - | 36.0 | 0.07 | - | - | 37.2 | 0.08 | - | - | ||
| 소계 | 6,990.6 | 14.19 | 71.0 | 2.05 | 6,833.3 | 13.46 | 144.6 | 2.12 | 5,878.4 | 12.21 | 102.5 | 1.74 | ||
| 수익성 자금계 | 40,405.0 | 82.02 | 681.0 | 3.40 | 42,409.1 | 83.54 | 1,539.4 | 3.63 | 40,424.8 | 83.94 | 1,399.3 | 3.46 | ||
| 기타 | 현금 | 1,744.5 | 3.54 | - | - | 1,741.4 | 3.43 | - | - | 1,715.3 | 3.56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271.7 | 0.55 | - | - | 231.5 | 0.46 | - | - | 186.4 | 0.39 | - | - | ||
| 기타 | 6,842.3 | 13.89 | - | - | 6,380.1 | 12.57 | - | - | 5,833.0 | 12.11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8,858.5 | 17.98 | - | - | 8,353.1 | 16.46 | - | 0.00 | 7,734.8 | 16.06 | - | 0.00 | ||
| 운용계 | 49,263.5 | 100.00 | 681.0 | 2.79 | 50,762.1 | 100.00 | 1,539.4 | 3.03 | 48,159.5 | 100.00 | 1,399.3 | 2.91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투자증권은 개인 및 기업고객을 위한 종합적인 증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개의 총괄과 1개의 사업그룹을 통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구분 |
서비스 제공 내용 |
|---|---|
| 자산관리총괄 | 증권중개, 투자자문, 재정계획, 자산관리, 신용공여, 금융상품 판매,디지털 자산관리 등의 서비스 제공 등 |
| CIB총괄 | IPO (기업공개), M&A 자문, 채권발행, 증자, ABS 발행, CB 및 BW 발행, 부동산 및 SOC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
| S&T그룹 | 주식운용, 파생상품운용, 채권운용,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 및판매, 자기자본투자, RP운용, 국내/외 법인 고객 대상으로 증권중개, 투자자문, 자산관리, 투자자금대출, 금융상품 판매, 증권 분석 등의 서비스 제공 등 |
4) 보험업 부문<신한라이프생명보험>(1) 영업개황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이하 '신한라이프'라 함)는 1990년 1월, 대한민국의 경제발전 도모와 선진 보험문화 창달이라는 창업취지를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설립 시 상호는 신한생명보험 주식회사입니다. 한편 신한생명보험 주식회사는 2021년 7월오렌지라이프를 흡수합병 하였으며 존속 법인의 상호를 신한라이프생명보험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라이프는 기업의 존재 이유인 미션을 '금융으로 세상을 이롭게 하다'로 정하고, 'NewLife, Life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다' 라는 신한라이프의 비전을 수립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신뢰받는 대한민국 최고의 보험사로 거듭나기 위해『TOP2를 향한 疾走(질주), Value-up Together!』라는 2025년 전략 방향성을 수립하였으며, 고객 편의성 제고를 최우선 가치로 하여 영업과 투자 부분의 성과를 확대하기 위한 핵심 전략을 도출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첫째, 고객 편의성 제고
둘째, 영업 경쟁력 혁신
셋째, 투자 성과 확대
넷째, Top2 운영 체계 구축
이를 통해 신한라이프는 고객이 먼저 찾는 우량 보험 회사, 임직원과 설계사들의 꿈과 행복이 실현되는 일터, 사회로부터 존경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838.1 | 1,731.7 | 1,779.0 | |
| 예치금이자 | 29.1 | 53.9 | 60.8 | ||
| 유가증권이자 | 644.1 | 1,309.6 | 1,311.6 | ||
| 대출채권이자 | 58.2 | 145.3 | 163.4 | ||
| 기타이자수익 | 106.9 | 222.8 | 243.2 | ||
| 이자비용(△) | 942.3 | 1,904.7 | 2,009.0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 | - | 0.3 | ||
| 사채이자 | 9.0 | 15.8 | 33.9 | ||
| 기타이자비용 | 933.3 | 1,888.9 | 1,974.7 | ||
| 소계 | -104.2 | -173.0 | -230.0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4.4 | 12.6 | 12.5 | |
| 수수료비용(△) | 6.3 | 14.0 | 13.5 | ||
| 소계 | -1.8 | -1.5 | -1.0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2,948.8 | 4,980.4 | 4,421.8 | |
| 보험수익 | 1,602.5 | 3,102.7 | 2,812.6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781.4 | 857.7 | 1,010.9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4.9 | - | 4.0 | ||
| 배당금수익 | 130.3 | 294.2 | 262.6 | ||
| 외환거래이익 | 78.2 | 645.2 | 172.7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345.8 | 65.3 | 147.5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4.9 | 6.2 | 2.0 | ||
| 충당금 환입액 | 0.2 | 2.1 | 0.1 | ||
| 기타 | 0.6 | 7.0 | 9.4 | ||
| 기타영업비용 | 2,294.2 | 3,877.9 | 3,328.9 | ||
| 보험비용 | 1,602.7 | 2,427.5 | 2,540.7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178.1 | 725.8 | 410.2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0.7 | - | ||
| 대손상각비 | 11.0 | 15.8 | 21.9 | ||
| 제충당금 전입액 | 0.7 | 0.0 | 2.0 | ||
| 외환거래손실 | 380.3 | 12.2 | 41.4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119.5 | 687.8 | 301.3 | ||
| 기타 | 2.0 | 8.1 | 11.3 | ||
| 소계 | 654.5 | 1,102.5 | 1,092.9 | ||
| 부문별 이익 합계 | 548.5 | 928.1 | 861.9 | ||
| 일반관리비(△) | 82.7 | 190.4 | 196.9 | ||
| 영업이익 | 465.8 | 737.6 | 665.0 | ||
| 영업외이익 | -9.8 | -2.0 | -22.6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9.8 | -2.0 | -22.6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456.0 | 735.6 | 642.4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10.7 | 201.9 | 160.5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345.3 | 533.7 | 481.9 | ||
| 주1)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25.7 | 0.04 | - | - | 19.9 | 0.03 | - | - | 14.8 | 0.03 | 0.3 | 2.00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48,063.8 | 79.76 | 9.0 | 0.04 | 45,193.7 | 76.66 | 15.8 | 0.03 | 41,375.2 | 72.19 | 12.5 | 0.03 | ||
| 소계 | 48,089.5 | 79.80 | 9.0 | 0.04 | 45,213.6 | 76.70 | 15.8 | 0.03 | 41,390.0 | 72.21 | 12.8 | 0.03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0.2 | 0.00 | - | - | 0.3 | 0.00 | - | - | 0.3 | 0.00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401.6 | 0.70 | 21.4 | 5.3 | ||
| 기타 | 242.7 | 0.40 | - | - | 245.7 | 0.42 | - | - | 263.4 | 0.46 | - | - | ||
| 소계 | 243.0 | 0.40 | - | - | 246.0 | 0.42 | - | - | 665.3 | 1.16 | 21.4 | 3.2 | ||
| 원가성 자금계 | 48,332.5 | 80.20 | 9.0 | 0.04 | 45,459.6 | 77.11 | 15.8 | 0.03 | 42,055.3 | 73.37 | 34.2 | 0.08 | ||
| 기타 | 자본총계 | 6,426.8 | 10.66 | - | - | 7,470.1 | 12.67 | - | - | 8,437.0 | 14.72 | - | - | |
| 충당금 | 60.0 | 0.10 | - | - | 60.0 | 0.10 | - | - | 64.6 | 0.11 | - | - | ||
| 기타 | 5,443.7 | 9.03 | 1.3 | 0.05 | 5,961.9 | 10.11 | 3.0 | 0.05 | 6,760.8 | 11.80 | 3.1 | 0.05 | ||
| 무원가성 자금계 | 11,930.4 | 19.80 | 1.3 | 0.02 | 13,492.1 | 22.89 | 3.0 | 0.02 | 15,262.4 | 26.63 | 3.1 | 0.02 | ||
| 조달계 | 60,262.9 | 100.00 | 10.4 | 0.03 | 58,951.6 | 100.00 | 18.7 | 0.03 | 57,317.6 | 100.00 | 37.3 | 0.07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1,604.2 | 2.66 | 29.1 | 3.67 | 1,411.3 | 2.39 | 54.3 | 3.85 | 1,381.9 | 2.41 | 52.4 | 3.80 |
| 유가증권 | 47,413.3 | 78.68 | 563.9 | 2.41 | 46,566.7 | 78.99 | 1,168.0 | 2.51 | 45,134.2 | 78.74 | 1,183.6 | 2.62 | ||
| 대출금 | 2,636.6 | 4.38 | 57.8 | 4.43 | 3,221.8 | 5.47 | 144.3 | 4.48 | 3,921.1 | 6.84 | 161.2 | 4.11 | ||
| (가계대출금) | 679.2 | 1.13 | 18.8 | 5.59 | 775.9 | 1.32 | 42.6 | 5.48 | 574.7 | 1.00 | 40.2 | 7.00 | ||
| (기업대출금) | 1,957.4 | 3.25 | 39.0 | 4.03 | 2,445.8 | 4.15 | 101.7 | 4.16 | 3,346.4 | 5.84 | 121.0 | 3.62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0.0 | - | 0.0 | 0.00 | 0.0 | - | ||
| 사모사채 | 20.0 | 0.03 | 0.4 | 4.06 | 31.2 | 0.05 | 1.1 | 3.38 | 68.6 | 0.12 | 2.4 | 3.45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1.9 | 0.00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36.4 | 0.06 | - | - | 37.2 | 0.06 | - | - | 31.5 | 0.05 | - | - | ||
| 소계 | 51,637.7 | 85.69 | 651.2 | 2.55 | 51,193.8 | 86.84 | 1,367.6 | 2.67 | 50,476.1 | 88.06 | 1,399.6 | 2.77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251.2 | 0.42 | 4.0 | 3.22 | 212.4 | 0.36 | 8.7 | 4.11 | 364.5 | 0.64 | 19.3 | 5.30 | |
| 외화증권 | 6,068.4 | 10.07 | 93.8 | 3.13 | 5,494.5 | 9.32 | 166.9 | 3.04 | 4,558.2 | 7.95 | 142.9 | 3.13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1.8 | 0.00 | - | - | 2.3 | 0.00 | - | - | 2.1 | 0.00 | - | - | ||
| 소계 | 6,317.8 | 10.48 | 97.8 | 3.13 | 5,704.7 | 9.68 | 175.7 | 3.08 | 4,920.6 | 8.58 | 162.2 | 3.30 | ||
| 수익성 자금계 | 57,955.5 | 96.17 | 749.0 | 2.61 | 56,898.4 | 96.52 | 1,543.3 | 2.71 | 55,396.8 | 96.65 | 1,561.8 | 2.82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212.2 | 0.35 | - | - | 213.8 | 0.36 | - | - | 225.9 | 0.39 | - | - | ||
| 기타 | 2,095.3 | 3.48 | 1.9 | 0.18 | 1,839.4 | 3.12 | 3.7 | 0.20 | 1,694.9 | 2.96 | 2.7 | 0.16 | ||
| 무수익성 자금계 | 2,307.4 | 3.83 | 1.9 | 0.17 | 2,053.2 | 3.48 | 3.7 | 0.18 | 1,920.9 | 3.35 | 2.7 | 0.14 | ||
| 운용계 | 60,262.9 | 100.00 | 750.9 | 2.52 | 58,951.6 | 100.00 | 1,547.0 | 2.62 | 57,317.6 | 100.00 | 1,564.5 | 2.73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라이프는 신한금융그룹의 Total 금융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보장성보험, 저축성보험, 투자형보험, 연금보험 및 퇴직연금 등 보험상품과 대출상품 등 고객 니즈에 최적화된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한EZ손해보험>(1) 영업개황
신한EZ손해보험은 2003년 다음다이렉트자동차보험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6월 30일자로 신한금융지주에 편입되며 법인의 상호를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에서 신한EZ손해보험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신한EZ손해보험은 기존의 신용보험(CPI) 및 운전자보험, SMART repair, Extend Warranty 등의 상품 외에도 특색 있는 디지털 보험 출시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손해보험사로 사업모델을 전환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신한EZ손해보험은 시스템, 상품,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디지털 손보 사업 기반을 강화함과 동시에 신한금융그룹의 관계사 및 스타트업 등과의 다양한 협업을 추진하면서 디지털 신시장 개척 및 신상품 출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2.4 | 5.9 | 7.1 | |
| 예치금이자 | 0.2 | 0.8 | 3.1 | ||
| 유가증권이자 | 1.9 | 4.6 | 3.9 | ||
| 대출채권이자 | - | - | - | ||
| 기타이자수익 | 0.3 | 0.6 | 0.1 | ||
| 이자비용(△) | 1.2 | 2.4 | 1.6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 | -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1.2 | 2.4 | 1.6 | ||
| 소계 | 1.2 | 3.6 | 5.5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0.0 | 0.0 | - | |
| 수수료비용(△) | 0.0 | 0.0 | - | ||
| 소계 | - | - | -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68.2 | 88.0 | 36.7 | |
| 보험수익 | 66.9 | 86.1 | 34.7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3 | 1.8 | 1.9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 | - | - | ||
| 외환거래이익 | 0.0 | 0.0 | 0.0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0.0 | 0.1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77.6 | 99.7 | 46.1 | ||
| 보험비용 | 77.5 | 99.6 | 46.0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0 | 0.0 | 0.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0.0 | 0.0 | ||
| 제충당금 전입액 | - | - | - | ||
| 외환거래손실 | 0.1 | 0.0 | 0.0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9.4 | -11.7 | -9.4 | ||
| 부문별 이익 합계 | -8.2 | -8.1 | -3.9 | ||
| 일반관리비(△) | 7.5 | 9.2 | 3.6 | ||
| 영업이익 | -15.7 | -17.4 | -7.5 | ||
| 영업외이익 | -0.1 | -0.0 | -0.0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1 | -0.0 | -0.0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15.7 | -17.4 | -7.5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 | - | 0.3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15.7 | -17.4 | -7.8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0.3 | 0.09 | - | - | 0.3 | 0.12 | - | - | 0.4 | 0.16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53.5 | 47.79 | 1.1 | 1.49 | 130.8 | 47.52 | 1.7 | 1.30 | 88.2 | 37.24 | 1.5 | 1.70 | ||
| 소계 | 153.8 | 47.89 | 1.1 | 1.48 | 131.1 | 47.63 | 1.7 | 1.30 | 88.5 | 37.40 | 1.5 | 1.69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153.8 | 47.89 | 1.1 | 1.48 | 131.1 | 47.63 | 1.7 | 1.30 | 88.5 | 37.40 | 1.5 | 1.69 | ||
| 기타 | 자본총계 | 150.2 | 46.78 | - | - | 124.2 | 45.12 | - | - | 133.8 | 56.50 | - | - | |
| 충당금 | 4.2 | 1.30 | - | - | 3.8 | 1.38 | - | - | 2.8 | 1.20 | - | - | ||
| 기타 | 12.9 | 4.03 | 0.0 | 0.69 | 16.1 | 5.86 | 0.1 | 0.35 | 11.6 | 4.90 | 0.1 | 0.71 | ||
| 무원가성 자금계 | 167.3 | 52.11 | 0.0 | 0.05 | 144.2 | 52.37 | 0.1 | 0.04 | 148.2 | 62.60 | 0.1 | 0.06 | ||
| 조달계 | 321.1 | 100.00 | 1.2 | 0.74 | 275.3 | 100.00 | 1.8 | 0.64 | 236.8 | 100.00 | 1.6 | 0.67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35.7 | 11.12 | 0.2 | 1.34 | 28.1 | 10.30 | 0.6 | 2.27 | 84.2 | 35.54 | 3.1 | 3.68 |
| 유가증권 | 133.1 | 41.46 | 1.9 | 2.83 | 122.9 | 45.09 | 3.6 | 2.91 | 100.2 | 42.34 | 3.9 | 3.90 | ||
| 대출금 | 0.0 | 0.00 | 0.0 | 3.88 | 0.0 | 0.01 | 0.0 | 2.99 | 0.0 | 0.01 | 0.0 | 3.97 | ||
| (가계대출금) | 0.0 | 0.00 | 0.0 | 3.88 | 0.0 | 0.01 | 0.0 | 2.99 | 0.0 | 0.01 | 0.0 | 3.97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10.0 | 3.11 | 0.3 | 5.30 | 10.0 | 3.67 | 0.4 | 3.96 | 2.0 | 0.84 | 0.0 | 1.67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0.0 | 0.01 | - | - | 0.0 | 0.02 | - | - | 0.1 | 0.03 | - | - | ||
| 소계 | 178.8 | 55.68 | 2.4 | 2.67 | 160.9 | 59.04 | 4.6 | 2.87 | 186.3 | 78.70 | 7.0 | 3.78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178.8 | 55.68 | 2.4 | 2.67 | 160.9 | 59.04 | 4.6 | 2.87 | 186.3 | 78.70 | 7.0 | 3.78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5.0 | 1.55 | - | - | 5.8 | 2.12 | - | - | 4.6 | 1.94 | - | - | ||
| 기타 | 137.3 | 42.76 | 0.0 | 0.02 | 105.8 | 38.83 | 0.0 | 0.03 | 45.8 | 19.36 | 0.0 | 0.05 | ||
| 무수익성 자금계 | 142.3 | 44.32 | 0.0 | 0.02 | 111.6 | 40.96 | 0.0 | 0.03 | 50.4 | 21.30 | 0.0 | 0.05 | ||
| 운용계 | 321.1 | 100.00 | 2.4 | 1.50 | 272.5 | 100.00 | 4.6 | 1.70 | 236.8 | 100.00 | 7.1 | 2.99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EZ손해보험은 현재 신용보험(CPI) 및 운전자보험, SMART repair, GAP, Extend Warranty 등의 기업성보험상품을 다양한 판매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디지털 채널을 기반으로 한 가계성보험의 사업 모델에 맞는 질병 및 상해, 레저 보험 뿐 아니라 스타트업 기업과의 협업 모델에 적합한 다양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5) 여신전문업 부문<신한캐피탈>(1) 영업개황
신한캐피탈의 2025년 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639억원입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PF/브릿지론 등 부동산대출 중심의 높은 대손충당금 전입 기조 지속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78억 증가하였습니다. 투자손익은 2분기 국내 증시 회복 추세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대내/외 환경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06억 감소한 1,342억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상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1,080억 대비 441억 감소하였습니다.
신한캐피탈은 비우호적 외부 환경에 대한 유연한 대응과 함께, 수익력 및 자산건전성 회복을 통한 정상화 노력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구조조정 Agile 조직 확대 운영, 중점관리자산 집중 모니터링 등을 통해 부동산 관련 자산의 신속한 정상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보수적 관점에서의 충당금 및 준비금 적립 기조를 유지하여 발생 가능 손실에 대한 충분한 흡수능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에 더해, 경쟁력 있는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영업자산 재편성/재구조화 추진, 영업 전문성 강화를 위한 상품 중심의 전면적 영업조직 개편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미국발 관세 부과 및 국내 금리 변동 측면의 불확실성은 연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 영업 활동 또한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신한캐피탈은 'STEP-UP 2025 : 本業擴張’이라는 전략목표 아래, 자산의 질적 성장을 위한 위험가중치를 감안한 투자자산 재구성, 금융주선 등의 영업전략을 수행하여 경기 변동성에 내성을 가진 수익 창출 모델로 전환하고자 합니다. 동시에, 전문 역량 확보 노력을 통한 시장 內 확고한 입지 구축을 통해 IB역량 강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234.6 | 542.5 | 590.7 | |
| 예치금이자 | 3.0 | 5.7 | 5.8 | ||
| 유가증권이자 | 1.8 | 6.9 | 3.7 | ||
| 대출채권이자 | 229.5 | 529.3 | 580.5 | ||
| 기타이자수익 | 0.3 | 0.6 | 0.8 | ||
| 이자비용(△) | 185.2 | 398.9 | 342.1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30.2 | 105.4 | 88.6 | ||
| 사채이자 | 154.8 | 292.9 | 252.5 | ||
| 기타이자비용 | 0.2 | 0.6 | 1.0 | ||
| 소계 | 49.4 | 143.6 | 248.7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14.9 | 24.0 | 23.9 | |
| 수수료비용(△) | 2.7 | 5.4 | 4.7 | ||
| 소계 | 12.2 | 18.6 | 19.2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314.5 | 605.6 | 549.8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42.1 | 269.5 | 287.6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7.9 | 12.5 | 6.8 | ||
| 배당금수익 | 111.1 | 258.7 | 238.6 | ||
| 외환거래이익 | 48.0 | 21.0 | 2.9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0.4 | 31.3 | 9.7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0.1 | 0.2 | - | ||
| 기타 | 5.0 | 12.5 | 4.3 | ||
| 기타영업비용 | 284.4 | 531.5 | 333.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138.9 | 295.3 | 143.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2.4 | 3.7 | 3.4 | ||
| 대손상각비 | 86.3 | 151.5 | 177.6 | ||
| 제충당금 전입액 | 0.7 | 0.0 | 0.3 | ||
| 외환거래손실 | 4.6 | 61.7 | 4.7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39.4 | 2.5 | 3.3 | ||
| 기타 | 12.1 | 16.7 | 0.6 | ||
| 소계 | 30.2 | 74.1 | 216.5 | ||
| 부문별 이익 합계 | 91.7 | 236.3 | 484.4 | ||
| 일반관리비(△) | 31.5 | 65.3 | 80.1 | ||
| 영업이익 | 60.1 | 171.0 | 404.3 | ||
| 영업외이익 | -1.3 | -18.1 | -18.8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1.3 | -18.1 | -18.8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58.9 | 152.9 | 385.6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0.6 | 29.4 | 87.7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48.3 | 123.5 | 297.9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1,833.4 | 14.74 | 28.2 | 3.10 | 2,482.5 | 19.45 | 101.2 | 4.08 | 2,765.0 | 21.22 | 84.6 | 3.06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7,518.1 | 60.45 | 146.5 | 3.93 | 7,409.0 | 58.04 | 284.3 | 3.84 | 7,721.0 | 59.27 | 252.5 | 3.27 | ||
| 소계 | 9,351.5 | 75.19 | 174.7 | 3.77 | 9,891.5 | 77.48 | 385.4 | 3.90 | 10,486.0 | 80.49 | 337.1 | 3.21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282.6 | 2.27 | 2.1 | 1.47 | 275.9 | 2.16 | 4.2 | 1.53 | 255.7 | 1.96 | 4.0 | 1.57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420.9 | 3.38 | 8.2 | 3.94 | 218.8 | 1.71 | 8.6 | 3.94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703.6 | 5.66 | 10.3 | 2.95 | 494.7 | 3.88 | 12.8 | 2.59 | 255.7 | 1.96 | 4.0 | 1.57 | ||
| 원가성 자금계 | 10,055.0 | 80.85 | 185.0 | 3.71 | 10,386.2 | 81.36 | 398.3 | 3.83 | 10,741.7 | 82.45 | 341.1 | 3.18 | ||
| 기타 | 자본총계 | 2,263.6 | 18.20 | - | - | 2,240.6 | 17.55 | - | - | 2,107.2 | 16.18 | - | - | |
| 충당금 | 2.2 | 0.02 | - | - | 0.2 | 0.00 | - | - | 0.3 | 0.00 | - | - | ||
| 기타 | 115.9 | 0.93 | 0.2 | 0.40 | 138.9 | 1.09 | 0.6 | 0.46 | 178.2 | 1.37 | 1.0 | 0.55 | ||
| 무원가성 자금계 | 2,381.7 | 19.15 | 0.2 | 0.02 | 2,379.6 | 18.64 | 0.6 | 0.03 | 2,285.7 | 17.55 | 1.0 | 0.04 | ||
| 조달계 | 12,436.7 | 100.00 | 185.2 | 3.00 | 12,765.8 | 100.00 | 398.9 | 3.12 | 13,027.4 | 100.00 | 342.1 | 2.63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522.3 | 4.20 | 0.8 | 0.33 | 476.7 | 3.73 | 3.0 | 0.62 | 588.8 | 4.52 | 4.7 | 0.79 |
| 유가증권 | 4,780.8 | 38.44 | 1.8 | 0.07 | 4,726.9 | 37.03 | 6.9 | 0.15 | 4,452.4 | 34.18 | 3.7 | 0.08 | ||
| 대출금 | 6,711.2 | 53.96 | 228.4 | 6.86 | 6,932.4 | 54.30 | 519.1 | 7.49 | 7,469.0 | 57.33 | 565.3 | 7.57 | ||
| (가계대출금) | 1.5 | 0.01 | 0.0 | 6.76 | 3.1 | 0.02 | 0.2 | 7.69 | 7.6 | 0.06 | 0.7 | 9.15 | ||
| (기업대출금) | 6,709.7 | 53.95 | 228.4 | 6.86 | 6,929.3 | 54.28 | 518.9 | 7.49 | 7,461.5 | 57.28 | 564.6 | 7.57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21.1 | 0.17 | 0.3 | 3.21 | 39.0 | 0.31 | 1.4 | 3.66 | 98.5 | 0.76 | 4.1 | 4.14 | ||
| 원화대손충당금(△) | 194.0 | 1.56 | - | - | 222.7 | 1.74 | - | - | 178.2 | 1.37 | - | - | ||
| 소계 | 11,841.4 | 95.21 | 231.4 | 3.94 | 11,952.2 | 93.63 | 530.4 | 4.44 | 12,430.6 | 95.42 | 577.7 | 4.65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104.1 | 0.84 | 2.5 | 4.80 | 77.3 | 0.61 | 3.3 | 4.29 | 50.8 | 0.39 | 1.7 | 3.35 | |
| 외화증권 | 78.1 | 0.63 | - | - | 83.5 | 0.65 | - | - | 72.2 | 0.55 | - | - | ||
| 대출금 | 51.6 | 0.41 | 0.8 | 3.27 | 72.1 | 0.56 | 8.8 | 12.22 | 95.2 | 0.73 | 11.4 | 12.01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0.3 | 0.00 | - | - | 2.9 | 0.02 | - | - | 6.9 | 0.05 | - | - | ||
| 소계 | 233.5 | 1.88 | 3.3 | 2.86 | 230.0 | 1.80 | 12.1 | 5.27 | 211.3 | 1.62 | 13.1 | 6.22 | ||
| 수익성 자금계 | 12,074.9 | 97.09 | 234.7 | 3.92 | 12,182.2 | 95.43 | 542.6 | 4.45 | 12,641.9 | 97.04 | 590.9 | 4.67 | ||
| 기타 | 현금 | 0.0 | 0.00 | - | - | 0.0 | 0.00 | - | - | 0.0 | 0.00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11.4 | 0.09 | - | - | 11.2 | 0.09 | - | - | 10.5 | 0.08 | - | - | ||
| 기타 | 350.4 | 2.82 | - | - | 572.4 | 4.48 | - | - | 375.1 | 2.88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361.8 | 2.91 | - | - | 583.6 | 4.57 | - | - | 385.5 | 2.96 | - | - | ||
| 운용계 | 12,436.7 | 100.00 | 234.7 | 3.81 | 12,765.8 | 100.00 | 542.6 | 4.25 | 13,027.4 | 100.00 | 590.9 | 4.54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캐피탈의 사업부문은 현재 시설대여, 할부금융, 신기술사업금융, 기업구조조정 및 기업인수합병 관련 업무 및 부수업무(팩토링, 일반대출)로 자산(충당금 반영 후) 기준으로 일반대출 등 대출자산의 비중이 58.8%이며 유가증권 및 신기술사업금융 관련 자산 비중이 41.0%, 시설대여(리스) 및 할부금융자산이 0.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 상품 및 서비스 | 내용 |
|---|---|
|
IB업무 |
조합, 사모투자전문회사 및 기타 간접투자기구에 대한 출자 및 인수금융, 주식연계채권 매입, 프로젝트 금융, 국내외 대체투자 등 |
|
시설대여(리스) |
이용자가 선정한 특정 물건을 구입한 후 임대(리스)하고 일정 기간에 걸쳐 사용료를 받는 임대차 형식의 물건을 매개로 한 물적금융 |
|
할부금융 |
기업이 물건매매를 통해 취득한 할부채권을 매입하여 매수인으로부터 원리금을 분할 상환 받는 방식의 금융 |
|
신기술사업금융 |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융자 |
|
일반대출 |
기업/개인을 상대로 운전자금 등 지원 |
6) 자산운용업 부문<신한자산운용>(1) 영업개황
2025년 6월말 순자산은 2024년 12월말 대비 7.4조원(+5.6%) 증가한 140.1조원, 수탁고는 2024년 12월말 대비 4.4조원(+3.7%) 증가한 125.4조원입니다.
수탁고 기준으로 유형별로 살펴보면, 2024년 12월말 대비 주식형은 1.5조원(+25.1%) 증가한 7.7조원, 채권형 -0.1조원(-0.1%) 감소한 63.9조원, 재간접은 0.8조원(+9.7%) 증가한 9.0조원, MMF는 2.2조원(+27.8%) 증가한 10.1조원, 부동산은 전 분기와 비슷한 7.8조원, 특별자산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인 15.9억원을 시현했습니다.
(자료 출처: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_회사별 설정규모)
|
<운용자산>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6월말 |
2024년 12월말 |
2023년 12월말 |
|---|---|---|---|
|
순자산(투자일임포함) |
140,132 | 132,726 |
116,877 |
|
수탁고(투자일임포함) |
125,435 | 120,998 |
108,668 |
|
주식형 |
7,666 | 6,129 |
5,277 |
|
채권형 |
63,930 | 63,990 |
59,435 |
|
혼합형 |
7,091 | 6,923 |
6,049 |
|
재간접 |
9,006 | 8,210 |
5,255 |
|
MMF |
10,095 | 7,898 |
7,595 |
|
파생형 |
3,784 | 4,029 |
3,525 |
|
부동산 |
7,841 | 7,849 |
6,415 |
|
특별자산 |
15,866 | 15,819 |
15,019 |
|
투자일임기타 외 |
157 | 152 |
98 |
출처: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회사별 설정 규모/ 합병 신한자산운용 기준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0.8 | 1.4 | 1.6 | |
| 예치금이자 | 0.5 | 0.8 | 1.0 | ||
| 유가증권이자 | 0.2 | 0.5 | 0.5 | ||
| 대출채권이자 | - | - | - | ||
| 기타이자수익 | 0.0 | 0.1 | 0.0 | ||
| 이자비용(△) | 0.8 | 1.1 | 1.0 | ||
| 예수부채이자 | 0.2 | 0.4 | 0.9 | ||
| 차입부채이자 | - | -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7 | 0.7 | 0.1 | ||
| 소계 | -0.1 | 0.2 | 0.6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74.1 | 137.4 | 124.2 | |
| 수수료비용(△) | 2.6 | 5.4 | 6.4 | ||
| 소계 | 71.5 | 131.9 | 117.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7.0 | 102.3 | 6.0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4.7 | 7.6 | 4.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2.3 | 94.7 | 2.0 | ||
| 외환거래이익 | - | 0.0 | 0.0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0.8 | 2.9 | 1.9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8 | 1.1 | 1.9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0.0 | 1.8 | 0.0 | ||
| 제충당금 전입액 | - | - | - | ||
| 외환거래손실 | - | 0.0 | 0.0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6.2 | 99.4 | 4.1 | ||
| 부문별 이익 합계 | 77.6 | 231.6 | 122.5 | ||
| 일반관리비(△) | 50.9 | 94.4 | 86.4 | ||
| 영업이익 | 26.7 | 137.2 | 36.1 | ||
| 영업외이익 | 0.7 | 2.0 | -0.8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7 | 2.0 | -0.8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27.4 | 139.2 | 35.3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6.8 | 31.4 | 8.3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20.6 | 107.8 | 27.0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자본총계 | 274.1 | 71.82 | - | - | 291.8 | 68.67 | - | - | 243.2 | 76.51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07.6 | 28.18 | - | - | 133.2 | 31.33 | - | - | 74.7 | 23.49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381.7 | 100.00 | - | - | 425.0 | 100.00 | - | - | 317.9 | 100.00 | - | - | ||
| 조달계 | 381.7 | 100.00 | - | - | 425.0 | 100.00 | - | - | 317.9 | 100.00 | - | -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34.3 | 8.99 | 0.6 | 3.44 | 34.7 | 8.17 | 0.7 | 2.77 | 23.9 | 7.52 | 1.1 | 4.73 |
| 유가증권 | 288.0 | 75.45 | 0.2 | 0.17 | 349.6 | 82.25 | 0.5 | 0.19 | 267.9 | 84.28 | 0.5 | 0.20 | ||
| 대출금 | 5.6 | 1.46 | 0.0 | 0.89 | 5.1 | 1.21 | 0.1 | 1.33 | 4.4 | 1.37 | 0.0 | 0.92 | ||
| (가계대출금) | 5.6 | 1.46 | 0.0 | 0.89 | 5.1 | 1.21 | 0.1 | 1.33 | 4.4 | 1.37 | 0.0 | 0.92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0.1 | 0.03 | - | - | 0.4 | 0.08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0.1 | 0.03 | - | - | 0.0 | 0.01 | - | - | - | - | - | - | ||
| 소계 | 327.9 | 85.90 | 0.9 | 0.53 | 389.8 | 91.70 | 1.3 | 0.43 | 296.2 | 93.17 | 1.7 | 0.58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0.9 | 0.23 | 0.0 | 0.27 | 0.5 | 0.11 | 0.0 | 3.07 | 0.6 | 0.18 | 0.0 | 0.09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0.9 | 0.23 | 0.0 | 0.27 | 0.5 | 0.11 | 0.0 | 3.07 | 0.6 | 0.18 | 0.0 | 0.09 | ||
| 수익성 자금계 | 328.7 | 86.13 | 0.9 | 0.53 | 390.2 | 91.81 | 1.3 | 0.44 | 296.7 | 93.35 | 1.7 | 0.58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39.9 | 10.46 | - | - | 19.6 | 4.60 | - | - | 5.7 | 1.79 | - | - | ||
| 기타 | 13.0 | 3.41 | - | - | 15.3 | 3.59 | - | - | 15.4 | 4.86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52.9 | 13.87 | - | - | 34.8 | 8.19 | - | - | 21.1 | 6.65 | - | - | ||
| 운용계 | 381.7 | 100.00 | 0.9 | 0.45 | 425.1 | 100.00 | 1.3 | 0.40 | 317.9 | 100.00 | 1.7 | 0.54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주요사업분야는 투자신탁의 위탁운용, 뮤추얼펀드의 자산운용, 투자자문 및 투자일임 등이며, 주요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한 마음편한TDF 2025/2030/2035/2040/2045/2050/2055/2060 [주식혼합-재간접]>
① 펀드특징
- 투자자가 설정한 은퇴시점에 맞춰 투자자산과 안전자산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알아서 조절하여 운용하는 자산배분형 펀드
- 전세계 주식 (ETF포함) /채권/유동성자산에 적극적인 분산투자로 수익추구
- 유연한 환율전략으로 변동성 관리
- 투자성향별, 은퇴시점별 주식투자 비중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펀드 구비로 고객
니즈에 맞는 펀드선택 가능
- 벤치마크: 없음
② 펀드개요
- 투자대상: 국내외펀드 50%이상, 주식80%이하(일정기간 경과후 40%이하) 등
- 유형: 투자신탁, 증권형(주식혼합-재간접형), 개방형, 추가형, 종류형
- 설정일: 2017년 6월 (최초펀드 설정일)
- 주요판매사: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 기업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등 다수
- 수탁고: 1조,141억, 2025년6월말기준, 전체 펀드 종펀드 기준
< 신한달러단기자금증권투자신탁제1호(USD)[채권]>
① 펀드특징
- 안정성 및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달러 투자 전략
- 환매수수료 없이 수시 입출이 가능하여 달러 단기자금 운용에 적합
- 펀드 듀레이션 0.5년 내외 및 고유동성 자산중심으로 안정적인 운용 추구
- 외화 MMF/ 외화RP/ 외화예금 대비 경쟁력 있는 수익 추구
- 벤치마크: 없음
② 펀드개요
- 투자대상: 채권 60%이상, 기타자산 40%이하
- 유형: 증권형(채권), 개방형, 종류형, 추가형
- 설정일: 2023년 9월
- 주요판매사: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 하나은행, 기업은행, 삼성증권, 우리은행등 다수
- 수탁고: 6,819억, 2025년 3월말기준, (종펀드 기준)
<신한베스트크레딧단기 증권자투자신탁[채권] >
① 펀드특징
- 기업의 펀더멘털을 면밀히 분석하여 저평가된 신용채권에 투자
- 예금금리를 상회하는 수익달성 추구
- 1년내외의 짧은 듀레이션으로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 관리
- 검증된 신용채권 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최적의 포트폴리오 유지
- 벤치마크: 매경BP1년지수*100%
② 펀드개요
- 투자대상: 국내 채권등 60%이상
- 유형: 증권형(채권형), 추가형, 개방형, 종류형, 모자형
- 설정일: 2001년 12월 18일
- 주요판매사: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등 다수
- 수탁고: 1조285억, 2025년 3월말기준, (종펀드 기준)
<신한 중소형주알파증권자투자신탁[주식]>
① 펀드특징
- 20년 이상 중소형주 투자경험의 전문적인 운용
- 산업내 다양한 패러다임 변화를 포착하여 액티브한 운용 추구
- 현장 탐방 중심의 bottom-up 리서치를 통한 종목 선정
- 펀더멘탈 분석을 통한 저평가 기업에 선별 투자
- 벤치마크: KOSPI중형주*95% + 콜금리*5%
② 펀드개요
- 투자대상: 국내주식 60%이상
- 유형: 증권형(주식형), 개방형, 종류형, 추가형, 모자형
- 설정일: 2013년 5월 8일
- 주요판매사: 신한은행, SC은행, 하나은행, 한투증권등 다수
- 수탁고: 67억, 2025년 3월말기준, 종펀드 기준
7) 저축은행업 부문<신한저축은행>(1) 영업개황
주식회사 신한저축은행(이하 '신한저축은행'이라 한다)은 2011년 12월 12일에 '주식회사 신한희망'으로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1년 12월 28일 금융위원회의 상호저축은행업에 대한 영업 인가 후 2011년 12월 29일 '주식회사 신한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2011년 12월 28일 예금보험공사와 체결한 P&A 형식의 자산 및 부채 이전 계약에 따라 토마토저축은행의 자산 및 부채를 이전 받고 2012년 1월 10일부터 영업을 개시하였습니다. 2013년 1월 31일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된 ㈜예한별저축은행과 2013년 4월 1일 기준으로 합병하였으며, 2025년 6월 말 현재 본점을 포함한 총 5개 지점(3개 영업점)을 운영 중입니다.
신한저축은행은 서민전문은행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정교한 리스크관리를 바탕으로 도전적이고 다양한 영업전략을 내세워 9년 연속 당기순이익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저축은행을 표방하여 100% 비대면 대출상품인 온라인 햇살론과 신용대출상품을 출시하여 저축은행 업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2023년 8월 청포도 청년적금을 출시하여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2024년 9월 Bring-Up & Value-Up 프로젝트를 통해 신용관리서비스 제공 및 보다 낮은 금리의 은행 대환대출 연계체계를 가동하여 고객의 금융비용 절감과 신용도 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신한금융그룹 內 그룹사와의 연계 대출상품을 통해 신한의 고객이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금융생활을 하실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그룹의 시너지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부동산시장 악화, 서민금융상품 공급 경쟁 과열, 가계부채 관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저축은행 업권은 자산 성장에 있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있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햇살론, 사잇돌2대출 등 지속적인 서민금융상품 공급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과 AI를 활용한 고객 분석,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통해 서민금융기관의 역할을 계속해서 다 할 계획입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16.3 | 243.1 | 263.0 | |
| 예치금이자 | 3.3 | 7.8 | 7.9 | ||
| 유가증권이자 | 0.1 | 0.6 | 0.9 | ||
| 대출채권이자 | 111.4 | 231.8 | 253.0 | ||
| 기타이자수익 | 1.5 | 2.9 | 1.3 | ||
| 이자비용(△) | 37.1 | 89.6 | 108.4 | ||
| 예수부채이자 | 35.5 | 86.2 | 105.1 | ||
| 차입부채이자 | 1.3 | 2.7 | 2.7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3 | 0.7 | 0.6 | ||
| 소계 | 79.2 | 153.5 | 154.6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0.5 | 1.0 | 1.9 | |
| 수수료비용(△) | 2.1 | 4.6 | 3.6 | ||
| 소계 | -1.6 | -3.6 | -1.8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6.5 | 11.6 | 8.8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0.4 | 1.3 | 0.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1.3 | 1.2 | 0.0 | ||
| 외환거래이익 | - | - | -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0.1 | - | 0.2 | ||
| 기타 | 4.8 | 9.1 | 8.5 | ||
| 기타영업비용 | 42.1 | 86.1 | 77.1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3 | 0.1 | -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31.3 | 67.6 | 62.3 | ||
| 제충당금 전입액 | 0.0 | 0.1 | 0.1 | ||
| 외환거래손실 | - | - | -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10.5 | 18.3 | 14.7 | ||
| 소계 | -35.5 | -74.5 | -68.3 | ||
| 부문별 이익 합계 | 42.1 | 75.4 | 84.6 | ||
| 일반관리비(△) | 26.8 | 52.7 | 45.1 | ||
| 영업이익 | 15.2 | 22.8 | 39.4 | ||
| 영업외이익 | 0.4 | 0.4 | 0.5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4 | 0.4 | 0.5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15.6 | 23.1 | 39.9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3.4 | 5.3 | 10.0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12.2 | 17.9 | 29.9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2,211.5 | 79.49 | 35.5 | 3.24 | 2,312.1 | 79.88 | 86.2 | 3.73 | 2,538.8 | 81.96 | 105.1 | 4.14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140.6 | 5.05 | 1.3 | 1.82 | 150.0 | 5.18 | 2.7 | 1.79 | 150.0 | 4.84 | 2.7 | 1.79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2.4 | 0.45 | 0.3 | 4.07 | 11.5 | 0.40 | 0.6 | 4.89 | 10.7 | 0.35 | 0.4 | 4.14 | ||
| 소계 | 2,364.5 | 84.99 | 37.0 | 3.16 | 2,473.6 | 85.46 | 89.4 | 3.62 | 2,699.5 | 87.15 | 108.2 | 4.01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2,364.5 | 84.99 | 37.0 | 3.16 | 2,473.6 | 85.46 | 89.4 | 3.62 | 2,699.5 | 87.15 | 108.2 | 4.01 | ||
| 기타 | 자본총계 | 335.8 | 12.07 | - | - | 310.4 | 10.72 | - | - | 295.4 | 9.54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81.7 | 2.94 | - | - | 110.5 | 3.82 | - | - | 102.8 | 3.32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417.5 | 15.01 | - | - | 420.9 | 14.54 | - | - | 398.2 | 12.85 | - | - | ||
| 조달계 | 2,782.0 | 100.00 | 37.0 | 2.68 | 2,894.5 | 100.00 | 89.4 | 3.09 | 3,097.7 | 100.00 | 108.2 | 3.49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217.7 | 7.83 | 3.3 | 3.08 | 217.9 | 7.53 | 7.8 | 3.59 | 203.6 | 6.57 | 7.9 | 3.89 |
| 유가증권 | 54.4 | 1.96 | 0.6 | 2.14 | 56.8 | 1.96 | 1.2 | 2.14 | 20.9 | 0.67 | 0.9 | 4.16 | ||
| 대출금 | 2,563.6 | 92.15 | 112.2 | 8.83 | 2,645.7 | 91.40 | 233.4 | 8.82 | 2,894.3 | 93.43 | 253.3 | 8.75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9.2 | 0.69 | 0.4 | 4.20 | 17.3 | 0.60 | 0.9 | 5.30 | 12.9 | 0.42 | 0.7 | 5.17 | ||
| 원화대손충당금(△) | 151.2 | 5.43 | - | - | 128.9 | 4.45 | - | - | 92.6 | 2.99 | - | - | ||
| 소계 | 2,703.7 | 97.19 | 116.5 | 8.69 | 2,808.8 | 97.04 | 243.3 | 8.66 | 3,039.1 | 98.11 | 262.7 | 8.64 | ||
| 외화 자 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2,703.7 | 97.19 | 116.5 | 8.69 | 2,808.8 | 97.04 | 243.3 | 8.66 | 3,039.1 | 98.11 | 262.7 | 8.64 | ||
| 기타 | 현금 | 0.2 | 0.01 | - | - | 0.1 | 0.00 | - | - | 0.4 | 0.01 | - | - | |
| 업무용유형자산 | 1.1 | 0.04 | - | - | 1.3 | 0.04 | - | - | 1.3 | 0.04 | - | - | ||
| 기타 | 77.0 | 2.77 | - | - | 84.3 | 2.91 | - | - | 56.9 | 1.84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78.3 | 2.81 | - | - | 85.7 | 2.96 | - | - | 58.6 | 1.89 | - | - | ||
| 운용계 | 2,782.0 | 100.00 | 116.5 | 8.45 | 2,894.5 | 100.00 | 243.3 | 8.41 | 3,097.7 | 100.00 | 262.7 | 8.48 | ||
| 주) 평균잔액은 K-GAAP 기준의 기중평잔임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저축은행은 예금 수납업무를 기본으로 한 조달을 통하여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금수납업무>① 거치식 예금- 정기예금: 목돈을 일정기간 동안 약정금리로 예치하고, 매월 이자를 받는 단리식과 원금과 이자를 만기에 함께 받는 복리식으로 구분되는 목돈 굴리기 상품
- 더드림정기예금: 회전주기(매1년)마다 영업점 방문 없이 변동금리로 자동 회전되며, 매 회전주기(1년) 경과 후 중도해지 시 회전주기 완료 기간은 약정이율이 적용되는 중도해지 손실을 최소화한 장기 목돈 굴리기 상품 - ISA정기예금: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편입되는 금융상품을 운영하기 위한 ISA전용 정기예금
- 퇴직연금 정기예금: 퇴직연금 가입기업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확정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상품② 적립식 예금- 정기적금: 매월 일정금액을 정기적으로 적립하고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는 목돈 만들기 상품- 청포도 청년적금: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청년 우대형 적립식 상품
- 자유적립적금: 가입기간내 금액 및 횟수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불입하는 목돈 만들기 상품
③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보통예금: 가입대상, 예치금액, 예치기간, 입출금 횟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입출금식 예금- e-저축예금: 예치금액, 예치기간 등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비대면전용 입출금식 예금상품
- 참신한사장님 저축예금: 신용카드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예금 가입 시 카드매출대금 수입계좌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입출금식 예금상품- 기업자유예금: 금융거래가 많은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를 위한 자유 입출금식 예금상품- Smart-저축예금: 비대면계좌개설 상품으로 예치금액, 예치기간 등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비대면 전용 입출금식 상품- 참신한 파킹통장: 하루만 맡겨도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모바일 가입 전용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
<여신업무>① 신용대출
- 참신한대출: 재직중인 직장인을 위한 신용대출
- 허그론: 신한저축은행 제휴기관 거래고객 대상의 직장인 신용대출
- 참신한500: 신용정보사 추정소득이 산출된 고객 대상 신용대출
- 참신한사업자론: 신용정보사 추정소득이 산출된 개인사업자 대상 신용대출
- 사잇돌2대출: 중저신용자를 위한 서울보증보험 신용대출
- 햇살론/온라인햇살론: 저신용, 저소득 서민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 저축은행과 정부가 재원을 마련하여 생활안정자금 등을 지원하는 대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대출: 연체경험 등의 사유로 정책서민금융상품 이용이 어려운 최저신용자를 지원하는 서민금융진흥원 보증부 대출상품- 사업자신용대출: 사업소득 증빙이 가능한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대상 기업자금대출② 담보대출
- 신한OK스탁론: 고객 증권계좌의 평가금액에 대해 최대 300%까지 가능한 온라인 대출상품
- 주택담보대출: 주택담보 제공 고객을 대상으로 한 가계자금대출
- 부동산담보대출: 상가, 오피스, 부동산, 나대지 등을 담보로 제공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가계자금대출
- 사업자담보대출: 정규담보 취득 대상을 담보로 제공하는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
- 예적금담보대출: 예적금을 가입한 고객이 이를 담보로 받을 수 있는 대출상품- 사업자 아파트담보대출 : 본인 명의 아파트를 보유한 고객을 위한 사업운용자금 대출- 아파트담보대출 : 본인 명의 아파트를 보유한 고객을 위한 생활안정자금 대출
8) 부동산신탁업 부문<신한자산신탁>(1) 영업개황
신한자산신탁 주식회사는 2007년 8월 24일에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신탁업 본인가를 받고 영업을 시작하였고, 2019년 5월 2일 신한금융그룹에 편입되었습니다.
2025년 부동산신탁 시장은 고물가ㆍ고금리로 인한 부동산 PF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어려운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시장 상황과 더불어 감독기관에서 부동산신탁 관련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있어, 신한자산신탁의 주력 상품이었던 책임준공 관리형토지신탁의 신규 시장 물건 및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신한자산신탁은 차입형 토지신탁, 도시정비사업 상품 등 신규 수익 창출 방안을모색하는 한편, 일반 관리형토지신탁, 담보신탁 등 전통적인 신탁상품에 대한 수주 노력을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2.3 | 22.7 | 9.1 | |
| 예치금이자 | 1.3 | 3.6 | 2.7 | ||
| 유가증권이자 | - | - | - | ||
| 대출채권이자 | - | - | - | ||
| 기타이자수익 | 11.0 | 19.1 | 6.4 | ||
| 이자비용(△) | 7.1 | 7.6 | 0.8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7.0 | 7.2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1 | 0.4 | 0.8 | ||
| 소계 | 5.2 | 15.1 | 8.3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33.1 | 73.7 | 128.8 | |
| 수수료비용(△) | 0.1 | 0.1 | 0.6 | ||
| 소계 | 33.1 | 73.6 | 128.1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32.6 | 3.3 | 11.1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6 | 3.1 | 6.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0.8 | 0.2 | 1.2 | ||
| 외환거래이익 | - | - | -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3.0 | ||
| 충당금 환입액 | 30.1 | - | 0.6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43.2 | 308.5 | 37.3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9 | 2.4 | 0.7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34.3 | 222.2 | 18.2 | ||
| 제충당금 전입액 | 8.1 | 73.5 | 18.4 | ||
| 외환거래손실 | - | - | -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10.4 | - | ||
| 소계 | -10.7 | -305.2 | -26.2 | ||
| 부문별 이익 합계 | 27.6 | -216.5 | 110.2 | ||
| 일반관리비(△) | 15.3 | 33.9 | 40.6 | ||
| 영업이익 | 12.2 | -250.4 | 69.6 | ||
| 영업외이익 | 0.0 | -60.7 | 0.1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0 | -60.7 | 0.1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12.2 | -311.2 | 69.7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0.0 | 9.4 | 16.3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12.2 | -320.6 | 53.4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264.0 | 36.18 | 7.0 | 5.34 | 161.9 | 26.46 | 7.2 | 4.47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264.0 | 36.18 | 7.0 | 5.34 | 161.9 | 26.46 | 7.2 | 4.47 | - | - | - | -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264.0 | 36.18 | 7.0 | 5.34 | 161.9 | 26.46 | 7.2 | 4.47 | - | - | - | - | ||
| 기타 | 자본총계 | 304.8 | 41.76 | - | - | 327.4 | 53.49 | - | - | 357.9 | 83.96 | - | - | |
| 충당금 | 142.1 | 19.47 | - | - | 94.7 | 15.47 | - | - | 13.5 | 3.16 | - | - | ||
| 기타 | 18.9 | 2.59 | - | - | 28.1 | 4.58 | - | - | 54.9 | 12.88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465.8 | 63.82 | - | - | 450.2 | 73.54 | - | - | 426.2 | 100.00 | - | - | ||
| 조달계 | 729.8 | 100.00 | 7.0 | 1.93 | 612.1 | 100.00 | 7.2 | 1.18 | 426.2 | 100.00 | - | -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221.6 | 30.36 | 2.9 | 2.66 | 222.1 | 36.28 | 6.7 | 3.00 | 267.1 | 62.66 | 8.9 | 3.35 |
| 유가증권 | 20.2 | 2.77 | 22.7 | 3.71 | - | - | 25.1 | 5.89 | - | - | ||||
| 대출금 | 654.1 | 89.62 | 10.9 | 3.36 | 444.8 | 72.68 | 18.9 | 4.26 | 114.6 | 26.90 | 6.3 | 5.48 | ||
| (가계대출금) | 2.9 | 0.40 | 0.0 | 1.02 | 2.7 | 0.44 | 0.0 | 1.00 | 2.1 | 0.49 | 0.0 | 1.10 | ||
| (기업대출금) | 651.1 | 89.22 | 10.9 | 3.37 | 442.2 | 72.24 | 18.9 | 4.28 | 112.6 | 26.41 | 6.3 | 5.56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214.9 | 29.44 | 127.4 | 20.81 | - | - | 13.9 | 3.26 | - | - | ||||
| 소계 | 681.0 | 93.31 | 13.8 | 4.09 | 562.2 | 91.85 | 25.6 | 4.55 | 393.0 | 92.20 | 15.2 | 3.87 | ||
| 외화 자 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681.0 | 93.31 | 13.8 | 4.09 | 562.2 | 91.85 | 25.6 | 4.55 | 393.0 | 92.20 | 15.2 | 3.87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유형자산 | 6.7 | 0.92 | - | - | 8.2 | 1.34 | - | - | 13.6 | 3.20 | - | - | ||
| 기타 | 42.1 | 5.77 | - | - | 41.7 | 6.81 | - | - | 19.6 | 4.61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48.8 | 6.69 | - | - | 49.9 | 8.15 | - | - | 33.3 | 7.80 | - | - | ||
| 운용계 | 729.8 | 100.00 | 13.8 | 3.82 | 612.1 | 100.00 | 25.6 | 4.18 | 426.2 | 100.00 | 15.2 | 3.57 | ||
| 주) 평균잔액은 기초 및 매 분기말 잔액의 평균값임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① 차입형토지신탁
차입형토지신탁이란 신탁사가 부동산 개발 시행능력이나 건설자금이 부족한 토지소유자(또는 시행자)로부터 사업 부지를 수탁 받아 개발 계획의 수립, 건설자금의 조달,공사 관리, 건축물의 분양 및 임대 등 개발사업의 전 과정을 수행하고, 이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토지소유자(위탁자)나 지정 수익자에게 돌려주는 사업방식입니다.
② 관리형토지신탁
부동산개발사업의 안정적 진행을 위하여 토지소유자(위탁자)가 신탁회사(수탁자)에토지를 신탁하고 신탁회사는 인ㆍ허가 및 분양계약 등의 주체로서 분양계약 체결 및 자금 입ㆍ출금 등의 관리업무를 수행하되 위탁자 또는 시공사가 자기 책임으로 사업비 조달, 인ㆍ허가, 분양 등의 제반 업무를 수행하는 신탁방식입니다.
③ 책임준공확약조건부 관리형토지신탁
기본적으로 관리형토지신탁과 유사한 구조이나, 신탁사가 시공사와 함께 대출금융기관에 책임준공을 확약해주는 상품입니다.
④ 분양관리신탁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일정 규모이상의 건축물의 선분양시 분양사업자(위탁자)가 신탁회사와 신탁 및 대리사무계약을 체결하고 신탁회사가 사업부지 소유권 및 분양 대금을 보관 및 집행 하도록 하여 수분양자를 보호하는 상품입니다.
⑤ 처분신탁
대형ㆍ고가의 부동산, 권리관계가 복잡하여 처분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부동산을 신탁회사의 전문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분해주는 제도로서 신탁을 통하여 소유권을 신탁회사에 이전한 후 처분한다는 점에서 일반 부동산 중개와는 다릅니다.
⑥ 담보신탁
소유자가 대출을 받는 경우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여 담보를 제공하는 대신 부동산을 신탁회사에 신탁하고 수익권증서를 교부 받아 금융기관에 이를 제시하여 대출을 받는 제도입니다. 담보신탁 제도는 저당제도에 비해 제반 비용이 저렴하며 절차도간편합니다.
⑦ 관리신탁
신탁회사가 고객이 맡기신 부동산을 개량, 보존, 임대 등의 관리업무를 수행하여 그 수익을 신탁계약에서 정한 수익자에게 교부하거나, 부동산의 소유권만을 관리하여 주는 상품입니다.
⑧ 대리사무
신탁회사가 고객을 대신하여 사업계획 수립, 토지매입과 자금조달, 사업 인ㆍ허가 절차의 진행, 분양 및 자금관리 등 부동산 관련 사업의 전 부문에 대해 대리업무를 수행하는 제도입니다.
⑨ 컨설팅
고객이 의뢰하신 부동산의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개발 또는 이용 가능한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방안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금융자문, 사업시행 방법기획, 시공자문 등 부동산과 관련된 모든 사안들에 대해 신탁회사가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⑩ PFV(Project Financing Vehicle) 설립 및 운영
PFV는 법인세법에 의한 부동산개발업을 수행하는 명목상 회사로서, 신한자산신탁은PFV설립요건 충족과 PFV의 자금관리회사로서 PFV의 자금을 보관ㆍ관리하는 업무(FMC)를 수행하거나, PFV의 자산관리회사로서 PFV의 자산을 관리하는 업무(AMC)를수행합니다.
⑪ 도시정비사업재건축,재개발,가로주택,소규모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에서 자금조달이 원활치 않거나 사업이 지연되는 등 사업추진의 노하우가 부족한 경우에 조합원(토지등소유자)이신탁사에 토지를 위탁하면 조합 대신 사업을 시행ㆍ대행하여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공사, 설계, 행정 용역 등 발주/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9) 시스템개발 및 공급업 부문<신한DS>
(1) 영업개황
주식회사 신한DS('이하 신한DS')는 1991년 설립된 이래 그룹사 SM업무의 안정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과 차세대 시스템 구축 등 신규 SI프로젝트 수행 등을 바탕으로 신한금융그룹과 함께 성장해 왔습니다. 또한 금융ICT 역량을 바탕으로 대외 금융기업 및 관련 산업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외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ICT 환경에 발맞추어 2018년 5월 13일 신한DS로 상호를 변경하고 디지털 및 정보보안 분야를 성장의 기반으로 삼아, 클라우드 및 글로벌 분야에 지속적 투자를 통해 디지털 전문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과 투자를 확대하는 등 신기술 역량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한DS는 그룹 ICT Shared Service를 통한 효율성 제고와 함께 그 동안 축적해온 IT 전문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한금융그룹 Digital Transformation을 적극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0.6 | 1.4 | 1.2 | |
| 예치금이자 | 0.0 | 0.0 | 0.1 | ||
| 유가증권이자 | 0.1 | 0.2 | 0.2 | ||
| 대출채권이자 | 0.2 | 0.6 | 0.6 | ||
| 기타이자수익 | 0.3 | 0.5 | 0.2 | ||
| 이자비용(△) | 0.2 | 0.5 | 0.7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0.2 | 0.4 | 0.6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1 | 0.1 | 0.1 | ||
| 소계 | 0.4 | 0.8 | 0.5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 | - | - | |
| 수수료비용(△) | 0.3 | 0.3 | 0.2 | ||
| 소계 | -0.3 | -0.3 | -0.2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151.5 | 323.5 | 315.3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0.1 | 0.0 | 0.3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0.0 | - | - | ||
| 외환거래이익 | 0.1 | 0.2 | 0.1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0.4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0.0 | - | ||
| 기타 | 151.1 | 323.3 | 315.0 | ||
| 기타영업비용 | 142.4 | 303.4 | 294.8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0.1 | 0.4 | 0.1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0.5 | 0.1 | ||
| 제충당금 전입액 | 0.0 | 0.0 | 0.1 | ||
| 외환거래손실 | 0.1 | 0.1 | 0.0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142.2 | 302.4 | 294.5 | ||
| 소계 | 9.2 | 20.1 | 20.5 | ||
| 부문별 이익 합계 | 9.2 | 20.6 | 20.8 | ||
| 일반관리비(△) | 4.5 | 9.0 | 8.6 | ||
| 영업이익 | 4.7 | 11.6 | 12.2 | ||
| 영업외이익 | -0.1 | -0.0 | -0.2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1 | -0.0 | -0.2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4.6 | 11.6 | 12.0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3 | 2.9 | 3.6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3.3 | 8.7 | 8.3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10.0 | 7.96 | 0.2 | 3.18 | 11.0 | 8.77 | 0.4 | 3.61 | 16.0 | 13.94 | 0.6 | 3.55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10.0 | 7.96 | 0.2 | 3.18 | 11.0 | 8.77 | 0.4 | 3.61 | 16.0 | 13.94 | 0.6 | 3.55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10.0 | 7.96 | 0.2 | 3.18 | 11.0 | 8.77 | 0.4 | 3.61 | 16.0 | 13.94 | 0.6 | 3.55 | ||
| 기타 | 자본총계 | 63.0 | 50.15 | - | - | 56.0 | 44.62 | - | - | 50.0 | 43.55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52.6 | 41.89 | - | - | 58.5 | 46.61 | - | - | 48.8 | 42.51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115.6 | 92.04 | - | - | 114.5 | 91.23 | - | - | 98.8 | 86.06 | - | - | ||
| 조달계 | 125.6 | 100.00 | 0.2 | 0.25 | 125.5 | 100.00 | 0.4 | 0.32 | 114.8 | 100.00 | 0.6 | 0.50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18.0 | 14.33 | 0.3 | 3.87 | 22.0 | 17.53 | 0.8 | 3.78 | 23.0 | 20.03 | 1.0 | 4.17 |
| 유가증권 | 8.0 | 6.37 | - | - | 7.0 | 5.58 | 0.0 | 0.01 | 9.0 | 7.84 | 0.0 | 0.15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계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26.0 | 20.70 | 0.3 | 2.68 | 29.0 | 23.11 | 0.8 | 2.87 | 32.0 | 27.87 | 1.0 | 3.04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26.0 | 20.70 | 0.3 | 2.68 | 29.0 | 23.11 | 0.8 | 2.87 | 32.0 | 27.87 | 1.0 | 3.04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12.0 | 9.55 | - | - | 11.0 | 8.77 | - | - | 10.0 | 8.71 | - | - | ||
| 기타 | 87.6 | 69.75 | - | - | 85.5 | 68.13 | - | - | 72.8 | 63.42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99.6 | 79.30 | - | - | 96.5 | 76.89 | - | - | 82.8 | 72.13 | - | - | ||
| 운용계 | 125.6 | 100.00 | 0.3 | 0.55 | 125.5 | 100.00 | 0.8 | 0.66 | 114.8 | 100.00 | 1.0 | 0.85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① 디지털
대 고객용 앱 서비스 개발 및 운영으로 고객 중심의 차별화 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간 제약 없는 실시간 업무환경을 통한 시간/비용 절감 및 기업의 업무 생산성과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워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② 정보보안
고객사의 보안업무를 전담하는 정보보안 전문가 서비스와 해킹 흔적 분석, 현장 침투테스트, 해킹사고 대응 등의 해킹전담 서비스를 비롯해 정보보안 컨설팅/관제 등의 통합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③ System Integration(시스템 통합)
시장변화에 유연한 IT환경 구축과 데이터관리/실시간 정보분석을 통한 금융시스템, 외국계은행 시스템, 금융 공동망 솔루션 구축, 시스템 구축 컨설팅 등의 종합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④ ITO(IT Outsourcing)
IT 아웃소싱을 통해 고객사의 IT 부문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강화하는 시스템으로 고객사 환경에 최적화된 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 서비스와 정보시스템 및 자원에대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IT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⑤ 솔루션
금융ICT분야에 특화된 사업경험과 디지털 신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다양한니즈에 부합하는 최적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⑥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고객사가 고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IT 솔루션을 직접 구입하지 않고,사용료를 지불하고 일정 기간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⑦ 통신서비스
유무선 전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통합메시징 서비스 등 기업 전용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0)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 부문<신한펀드파트너스> (1) 영업개황 신한펀드파트너스는 투자신탁과 투자회사, REITs, PEF등 대체투자 부분 등의 일반사무관리 업무처리 및 Fund Accounting, Trading, Compliance, Aseet Management, Report Systems 등 자산운용 종합시스템의 제공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는 국내 최고의 Fund Infra기업입니다. 신한펀드파트너스는 각 분야의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4본부 13부 2단 1센터1(독립)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투자신탁 및 투자회사, 대체투자등의 일반사무관리 업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본부 / REITs, PEF, ETP등의 사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성장본부 / 부가서비스 제공 및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수립등을 담당하는 솔루션본부 / 시스템솔루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DT본부 / 신한금융그룹내 협업 및 경영관리와 현업을 지원하는 경영기획부 및 준법지원부가 협력하여 고객사에 차별화된 최상의 Fund Infra Service를 제공합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1.0 | 2.2 | 2.4 | |
| 예치금이자 | 0.9 | 2.0 | 2.1 | ||
| 유가증권이자 | - | - | - | ||
| 대출채권이자 | - | - | - | ||
| 기타이자수익 | 0.1 | 0.2 | 0.2 | ||
| 이자비용(△) | 0.2 | 0.4 | 0.3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 | -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2 | 0.4 | 0.3 | ||
| 소계 | 0.8 | 1.8 | 2.0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34.5 | 67.0 | 62.3 | |
| 수수료비용(△) | 0.1 | 0.1 | 0.1 | ||
| 소계 | 34.4 | 66.9 | 62.2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0.3 | 0.6 | 0.2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0.3 | 0.5 | 0.2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 | - | - | ||
| 외환거래이익 | 0.0 | 0.1 | 0.0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0.1 | 0.1 | 0.1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0.1 | 0.1 | ||
| 제충당금 전입액 | - | - | - | ||
| 외환거래손실 | 0.1 | 0.0 | 0.0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0.2 | 0.5 | 0.1 | ||
| 부문별 이익 합계 | 35.5 | 69.3 | 64.3 | ||
| 일반관리비(△) | 25.9 | 49.4 | 49.5 | ||
| 영업이익 | 9.5 | 19.9 | 14.8 | ||
| 영업외이익 | -0.0 | 0.2 | -0.1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0 | 0.2 | -0.1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9.5 | 20.1 | 14.7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2.3 | 4.7 | 2.5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7.3 | 15.4 | 12.2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자본총계 | 98.5 | 82.05 | - | - | 93.5 | 81.91 | - | - | 85.4 | 83.47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21.5 | 17.95 | - | - | 20.6 | 18.09 | - | - | 16.9 | 16.53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120.0 | 100.00 | - | - | 114.1 | 100.00 | - | - | 102.3 | 100.00 | - | - | ||
| 조달계 | 120.0 | 100.00 | - | - | 114.1 | 100.00 | - | - | 102.3 | 100.00 | - | -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72.9 | 60.76 | 1.1 | 2.95 | 64.2 | 56.29 | 2.2 | 3.44 | 49.4 | 48.30 | 1.6 | 3.28 |
| 유가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3.5 | 2.88 | 0.0 | 2.77 | 3.1 | 2.75 | 0.1 | 2.74 | 3.4 | 3.33 | 0.1 | 1.93 | ||
| (가계대출금) | 3.5 | 2.88 | 0.0 | 2.77 | 3.1 | 2.75 | 0.1 | 2.74 | 3.4 | 3.33 | 0.1 | 1.93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76.4 | 63.64 | 1.1 | 2.94 | 67.4 | 59.05 | 2.3 | 3.41 | 52.8 | 51.63 | 1.7 | 3.19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1.7 | 1.39 | - | - | 0.9 | 0.75 | - | - | 0.5 | 0.50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1.7 | 1.39 | - | - | 0.9 | 0.75 | - | - | 0.5 | 0.50 | - | - | ||
| 수익성 자금계 | 78.0 | 65.03 | 1.1 | 2.88 | 68.2 | 59.80 | 2.3 | 3.37 | 53.3 | 52.13 | 1.7 | 3.16 | ||
| 기타 | 현금 | 0.0 | 0.00 | - | - | 0.0 | 0.00 | - | - | 0.0 | 0.00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7.9 | 6.58 | - | - | 8.5 | 7.46 | - | - | 8.6 | 8.43 | - | - | ||
| 기타 | 34.1 | 28.39 | - | - | 37.4 | 32.74 | - | - | 40.3 | 39.43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42.0 | 34.97 | - | - | 45.9 | 40.20 | - | - | 49.0 | 47.87 | - | - | ||
| 운용계 | 120.0 | 100.00 | 1.1 | 1.87 | 114.1 | 100.00 | 2.3 | 2.01 | 102.3 | 100.00 | 1.7 | 1.65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① 기준가격 산출자산운용회사가 운용하는 펀드의 회계처리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평가업무를 통해펀드 및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을 산출하고 이를 은행이나 증권사 및 자산운용협회 등 관련 기관에 통지하여 판매사들이 창구에서 고객과의 펀드가입 또는 환매거래를 지원하는 업무 ② 트레이딩 시스템자산운용회사가 다수 펀드의 거래를 실시간으로 거래하고 체결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제공 ③ 운용전략 및 리스크관리 시스템외부의 각종 벤치마크 지수 및 가격정보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자산의 운용전략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정보와 Tool을 제공하여 보유자산의 개별위험도 및 펀드의 전체리스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종합자산관리 시스템 제공 ④ 직접판매시스템자산운용회사를 대상으로 수익증권 직접판매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
11) 부동산자산관리업 부문 <신한리츠운용>
(1) 영업개황
신한리츠운용은 2017년 10월 18일 설립된 금융지주회사 산하의 최초의 부동산 자산관리회사로서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25년 06월말 현재 4.9조원 규모의 리츠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신한리츠운용은 그룹의 우량자산 공급 역량과 정교한 협업체계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리츠 상품을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부동산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0.2 | 0.5 | 0.3 | |
| 예치금이자 | 0.2 | 0.4 | 0.2 | ||
| 유가증권이자 | - | - | 0.0 | ||
| 대출채권이자 | 0.1 | 0.1 | 0.1 | ||
| 기타이자수익 | 0.0 | 0.0 | 0.0 | ||
| 이자비용(△) | 0.1 | 0.1 | 0.0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 | - | -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1 | 0.1 | 0.0 | ||
| 소계 | 0.2 | 0.4 | 0.2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11.7 | 26.1 | 21.5 | |
| 수수료비용(△) | 0.4 | 1.2 | 0.8 | ||
| 소계 | 11.2 | 24.9 | 20.7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2.8 | 7.5 | 2.8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1.7 | 4.4 | 1.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1.1 | 3.1 | 1.7 | ||
| 외환거래이익 | - | - | -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 | - | ||
| 충당금 환입액 | - | 0.1 | - | ||
| 기타 | - | - | - | ||
| 기타영업비용 | 1.7 | 10.7 | 0.5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1.7 | 10.7 | 0.5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 | - | ||
| 제충당금 전입액 | 0.0 | 0.0 | 0.0 | ||
| 외환거래손실 | - | - | -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1.1 | -3.2 | 2.2 | ||
| 부문별 이익 합계 | 12.5 | 22.1 | 23.2 | ||
| 일반관리비(△) | 6.3 | 12.3 | 10.5 | ||
| 영업이익 | 6.2 | 9.8 | 12.8 | ||
| 영업외이익 | -0.1 | -0.2 | -0.3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 | - | - | ||
| 영업외이익 | -0.1 | -0.2 | -0.3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6.1 | 9.6 | 12.5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1.5 | 2.0 | 3.0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4.7 | 7.7 | 9.5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자본총계 | 72.5 | 86.94 | - | - | 70.1 | 84.73 | - | - | 62.5 | 86.78 | - | - | |
| 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0.9 | 13.06 | - | - | 12.6 | 15.27 | - | - | 9.5 | 13.22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83.4 | 100.00 | - | - | 82.8 | 100.00 | - | - | 72.0 | 100.00 | - | - | ||
| 조달계 | 83.4 | 100.00 | - | - | 82.8 | 100.00 | - | - | 72.0 | 100.00 | - | -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29.0 | 34.77 | 0.3 | 0.49 | 28.6 | 34.59 | 0.6 | 2.07 | 16.4 | 22.84 | 0.4 | 2.46 |
| 유가증권 | 41.8 | 50.14 | 1.0 | 1.20 | 41.1 | 49.61 | 2.9 | 7.03 | 44.5 | 61.86 | 1.6 | 3.59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계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70.8 | 84.91 | 1.3 | 0.91 | 69.7 | 84.20 | 3.5 | 4.99 | 61.0 | 84.69 | 2.0 | 3.29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익성 자금계 | 70.8 | 84.91 | 1.3 | 0.91 | 69.7 | 84.20 | 3.5 | 4.99 | 61.0 | 84.69 | 2.0 | 3.29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4.4 | 5.29 | - | - | 4.6 | 5.59 | - | - | 1.2 | 1.71 | - | - | ||
| 기타 | 8.2 | 9.81 | - | - | 8.5 | 10.21 | - | - | 9.8 | 13.60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12.6 | 15.09 | - | - | 13.1 | 15.80 | - | - | 11.0 | 15.31 | - | - | ||
| 운용계 | 83.4 | 100.00 | 1.3 | 0.77 | 82.8 | 100.00 | 3.5 | 4.20 | 72.0 | 100.00 | 2.0 | 2.78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신한리츠운용이 현재 운용 중인 부동산투자회사(REITs)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17년 12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3조 1천억원 수준으로 그레이츠 판교, 그레이츠 청계, 트윈시티 남산, 신한L타워, 삼성화재 역삼빌딩, 캠브리지 빌딩, 와이즈타워, GS건설 서초타워, 씨티스퀘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2025년 6월말 기준 시가총액 6천 8백억원이고, 우량 기초자산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② 신한호텔천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호텔천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19년 8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8백억원 수준으로 천안에 위치한 비즈니스 호텔 신라스테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③ 신한로지스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로지스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0년 9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6백억원 수준으로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물류센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④ 신한서부티엔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서부티엔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0년 11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7천 7백억원 수준으로 인천 스퀘어원,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용산 호텔, 나인트리 호텔 동대문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신한서부티엔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2025년 6월말 기준 시가총액 1천 9백억원이고, 우량 기초자산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⑤ 신한로지스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로지스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2년 3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1천3백억원 수준으로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물류센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⑥ 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2년 6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8백억원 수준으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물류센터 두 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⑦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2년 7월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1천 5백억원 수준으로 우량한 해외펀드 수익증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2025년 6월말 기준 시가총액 6백억원 입니다. ⑧ 신한중소형밸류애드모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신한중소형밸류애드모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3년 4월에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8백억원 수준으로 용산에 위치한 중소형 오피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⑨ 신한광화문지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신한광화문지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4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3천 1백억원 수준으로 호텔부는 신라스테이 광화문에 입점하고 오피스부는 우량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복합시설 입니다. ⑩ 신한중소형밸류애드위탁관리자부동산투자회사
신한중소형밸류애드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2024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1천 4백억원 수준으로 을지로에 위치한 중소형 오피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12) 벤처캐피탈<신한벤처투자>(1) 영업개황
신한벤처투자는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된 중소기업벤처투자회사이며, 벤처투자조합 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 투자 및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결성 및 운영을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공시작성기준일 현재 18개의 벤처투자조합(운용규모 14,706억원) 및 2개의 기관전용PEF(운용규모 2,868억원)의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조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영업실적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이자부문 | 이자수익 | 0.2 | 0.9 | 0.6 | |
| 예치금이자 | 0.2 | 0.8 | 0.4 | ||
| 유가증권이자 | - | - | - | ||
| 대출채권이자 | - | - | - | ||
| 기타이자수익 | 0.1 | 0.1 | 0.1 | ||
| 이자비용(△) | 1.1 | 2.4 | 2.0 | ||
| 예수부채이자 | - | - | - | ||
| 차입부채이자 | 1.0 | 2.4 | 1.9 | ||
| 사채이자 | - | - | - | ||
| 기타이자비용 | 0.1 | 0.0 | 0.1 | ||
| 소계 | -0.9 | -1.5 | -1.4 | ||
| 수수료부문 | 수수료수익 | 9.8 | 29.2 | 19.4 | |
| 수수료비용(△) | 0.5 | 1.3 | 1.1 | ||
| 소계 | 9.4 | 27.9 | 18.4 | ||
| 기타영업부문 | 기타영업수익 | 0.4 | 0.9 | 0.0 | |
| 보험수익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 | - | 0.0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이익 | - | - | - | ||
| 배당금수익 | - | - | - | ||
| 외환거래이익 | - | - | - | ||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 | - | - | ||
| 대손충당금 환입액 | - | 0.0 | 0.0 | ||
| 충당금 환입액 | - | - | - | ||
| 기타 | 0.4 | 0.9 | - | ||
| 기타영업비용 | 1.6 | 1.6 | - | ||
| 보험비용 | - | - | - | ||
|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손실 | - | 0.0 | - | ||
| 기타 금융자산(부채) 평가 및 처분손실 | - | - | - | ||
| 대손상각비 | - | - | - | ||
| 제충당금 전입액 | 1.6 | 1.6 | - | ||
| 외환거래손실 | - | - | - | ||
| 파생상품 관련손실 | - | - | - | ||
| 기타 | - | - | - | ||
| 소계 | -1.2 | -0.6 | 0.0 | ||
| 부문별 이익 합계 | 7.3 | 25.8 | 17.0 | ||
| 일반관리비(△) | 8.1 | 20.3 | 11.8 | ||
| 영업이익 | -0.8 | 5.5 | 5.2 | ||
| 영업외이익 | -0.3 | -2.6 | 0.6 | ||
| 관계기업 이익 관련 손익 | -0.3 | -3.3 | 0.6 | ||
| 영업외이익 | -0.1 | 0.8 | 0.1 | ||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익 | -1.1 | 2.9 | 5.8 | ||
|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 -0.3 | -0.9 | 1.4 | ||
| 중단사업손익 | - | - | - | ||
| 총당기순이익 | -0.8 | 3.8 | 4.4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3) 자금조달ㆍ운용현황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평균잔액 | 구성비 | 이자금액 | 이자율 | |||
| 조달 | 원화자금 | 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입금 | 62.6 | 38.10 | 1.0 | 3.26 | 59.9 | 37.46 | 2.4 | 3.95 | 47.7 | 35.12 | 1.9 | 4.00 | ||
| 원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62.6 | 38.10 | 1.0 | 3.26 | 59.9 | 37.46 | 2.4 | 3.95 | 47.7 | 35.12 | 1.9 | 4.00 | ||
| 외화자금 | 외화예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차입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머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가성 자금계 | 62.6 | 38.10 | 1.0 | 3.26 | 59.9 | 37.46 | 2.4 | 3.95 | 47.7 | 35.12 | 1.9 | 4.00 | ||
| 기타 | 자본총계 | 84.7 | 51.52 | - | - | 86.6 | 54.19 | - | - | 79.2 | 58.27 | - | - | |
| 충당금 | 0.6 | 0.34 | - | - | 0.3 | 0.19 | - | - | 0.3 | 0.21 | - | - | ||
| 기타 | 16.5 | 10.04 | - | - | 13.0 | 8.16 | - | - | 8.7 | 6.40 | - | - | ||
| 무원가성 자금계 | 101.8 | 61.90 | - | - | 99.9 | 62.54 | - | - | 88.2 | 64.88 | - | - | ||
| 조달계 | 164.4 | 100.00 | 1.0 | 1.24 | 159.8 | 100.00 | 2.4 | 1.48 | 136.0 | 100.00 | 1.9 | 4.00 | ||
| 운용 | 원화자금 | 예치금 | 15.8 | 9.63 | 0.2 | 2.19 | 23.5 | 14.68 | 0.8 | 3.43 | 15.5 | 11.37 | 0.4 | 2.79 |
| 유가증권 | - | - | - | - | 0.1 | 0.08 | - | - | 0.2 | 0.12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계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업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급보증대지급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모사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카드채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기카드대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136.9 | 83.25 | - | - | 130.1 | 81.39 | - | - | 115.3 | 84.79 | - | - | ||
| 원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152.7 | 92.89 | 0.2 | 0.23 | 153.7 | 96.15 | 0.8 | 0.52 | 130.9 | 96.28 | 0.4 | 2.79 | ||
| 외화자금 | 외화예치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증권 | 0.3 | 0.20 | - | - | 0.3 | 0.21 | - | - | 0.3 | 0.22 | - | - | ||
| 대출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화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입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0.3 | 0.16 | - | - | 0.2 | 0.10 | - | - | - | - | - | - | ||
| 외화대손충당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0.6 | 0.36 | - | - | 0.5 | 0.31 | - | - | 0.3 | 0.22 | - | - | ||
| 수익성 자금계 | 153.3 | 93.25 | 0.2 | 0.23 | 154.1 | 96.46 | 0.8 | 0.52 | 131.2 | 96.50 | 0.4 | 2.79 | ||
| 기타 | 현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업무용고정자산 | 4.4 | 2.70 | - | - | 2.6 | 1.65 | - | - | 2.7 | 1.96 | - | - | ||
| 기타 | 6.7 | 4.05 | - | - | 3.0 | 1.89 | - | - | 2.1 | 1.54 | - | - | ||
| 무수익성 자금계 | 11.1 | 6.75 | - | - | 5.7 | 3.54 | - | - | 4.8 | 3.50 | - | - | ||
| 운용계 | 164.4 | 100.00 | 0.2 | 0.21 | 159.8 | 100.00 | 0.8 | 0.50 | 136.0 | 100.00 | 0.4 | 2.79 | ||
|
주) |
평균잔액은 기초금액과 매분기말 금액을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
(4) 주요 상품ㆍ서비스 내용
① 벤처투자 : 성장가능성이 높은 초기기업에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의 형태로 투자하여 경영컨설팅, 마케팅 지원 등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한 후 기업공개(IPO), M&A 등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② 기업투자 :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M&A 지원을 위하여 지분의 상당부분을 단독 또는 타기업과 함께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인수한 후 재무구조 개선 및 경영혁신 활동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한 후 지분을 매각하여 수익을 얻는 사업입니다.
③ 조합 및 PEF운용 : 벤처투자와 기업투자를 위한 투자재원은 연기금 및 국내외 금융기관이 주요 출자자로 참여하는 벤처투자조합 또는 사모투자전문회사를 통해 조달되며 이를 결성하고 GP(업무집행조합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관리보수수익과 운영성과수익에 대한 성공보수수익 및 지분평가수익을 얻는 사업입니다.
가. 파생상품거래 현황
당사 보유 중인 파생상품 미결제약정 계약금액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연결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계약금액 | ||
|---|---|---|---|
| 외환 파생상품 | 장외파생상품 | 통화선도 | 157,782,114 |
| 통화스왑 | 59,161,247 | ||
| 통화옵션 | 2,305,457 | ||
| 소 계 | 219,248,818 | ||
| 장내파생상품 | 통화선물 | 2,325,415 | |
| 합 계 | 221,574,233 | ||
| 이자율파생상품 | 장외파생상품 | 이자율선도 및 스왑 | 57,014,616 |
| 이자율옵션 | 820,000 | ||
| 소 계 | 57,834,616 | ||
| 장내파생상품 | 이자율선물 | 6,354,105 | |
| 이자율스왑 주1) | 158,819,664 | ||
| 소 계 | 165,173,769 | ||
| 합 계 | 223,008,385 | ||
| 신용 파생상품 | 장외파생상품 | 신용스왑 | 5,267,883 |
| 주식관련파생상품 | 장외파생상품 | 주식스왑 및 선도 | 5,123,053 |
| 주식옵션 | 1,209,757 | ||
| 소 계 | 6,332,810 | ||
| 장내파생상품 | 주식선물 | 1,186,990 | |
| 주식옵션 | 974,018 | ||
| 소 계 | 2,161,008 | ||
| 합 계 | 8,493,818 | ||
| 상품관련파생상품 | 장외파생상품 | 상품스왑 및 선도 | 2,793,327 |
| 장내파생상품 | 상품선물 및 옵션 | 135,730 | |
| 합 계 | 2,929,057 | ||
| 위험회피 파생상품 | 통화선도 | 4,363,673 | |
| 통화스왑 | 7,851,714 | ||
| 이자율선도 및 스왑 | 12,766,416 | ||
| 주식옵션 | 16,750 | ||
| 합 계 | 24,998,553 | ||
| 미결제약정의 총계 | 486,271,929 | ||
| 주1) 중앙청산거래소에서 결제되는 파생상품 미결제약정 금액입니다. |
| 주2) 개별종목의 내재파생 내역은 제외하였습니다. |
※ 그 외 본 보고서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 9. 파생상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신용파생상품 현황 공시작성기준일 현재 체결하고 있는 신용파생상품의 약정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연결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신용매도 | 신용매입 | ||||
|---|---|---|---|---|---|---|
| 해외물 | 국내물 | 계 | 해외물 | 국내물 | 계 | |
| Credit Default Swap | 1,695,229 | 1,119,125 | 2,814,354 | - | 1,675,809 | 1,675,809 |
| Credit Linked Notes | 113,938 | - | 113,938 | - | - | - |
| Total Return Swap | 27,128 | 1,000 | 28,128 | - | 749,593 | 749,593 |
| 기 타 | - | - | - | - | - | - |
| 계 | 1,836,295 | 1,120,125 | 2,956,420 | - | 2,425,402 | 2,425,402 |
신용매도계약은 준거자산(Reference Entity)의 도산, 지급불능 또는 채무불이행 등의신용사건 발생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 지점 등 설치현황 공시작성기준일 현재 신한금융그룹의 지점 등 설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개) |
| 구분 | 회사명 | 국내 | 해외 | 계 |
|---|---|---|---|---|
| 지주회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 1 | - | 1 |
| 자회사 | 신한은행 | 652 | 17 | 669 |
| 자회사 | 신한카드 | 42 | 1 | 43 |
| 자회사 | SHC매니지먼트 | 1 | - | 1 |
| 자회사 | 신한투자증권 | 60 | - | 60 |
| 자회사 | 신한라이프 | 225 | - | 225 |
| 자회사 | 신한캐피탈 | 2 | - | 2 |
| 자회사 | 제주은행 | 31 | - | 31 |
| 자회사 | 신한자산운용 | 1 | - | 1 |
| 자회사 | 신한디에스 | 1 | - | 1 |
| 자회사 | 신한저축은행 | 5 | - | 5 |
| 자회사 | 신한펀드파트너스 | 1 | - | 1 |
| 자회사 | 신한리츠운용 | 1 | - | 1 |
| 자회사 | 신한자산신탁 | 1 | - | 1 |
| 자회사 | 신한벤처투자 | 1 | - | 1 |
| 자회사 | 신한EZ손해보험 | 1 | - | 1 |
| 손자회사 | 아메리카신한은행 | - | 13 | 13 |
| 손자회사 | SBJ은행 | - | 10 | 10 |
| 증손회사 | SBJ DNX | - | 1 | 1 |
| 손자회사 | 유럽신한은행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캄보디아은행 | - | 15 | 15 |
| 손자회사 | 신한카자흐스탄은행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 - | 18 | 18 |
| 손자회사 | 캐나다신한은행 | - | 3 | 3 |
| 손자회사 | 신한베트남은행 | - | 54 | 54 |
| 손자회사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30 | 30 |
| 손자회사 | 멕시코신한은행 | - | 2 | 2 |
| 손자회사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 | 4 | 4 |
| 손자회사 | 신한인도파이낸스 | - | 5 | 5 |
| 손자회사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 | - | 20 | 20 |
| 손자회사 | 신한신용정보 | 17 | - | 17 |
| 손자회사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투자증권 미국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투자증권 홍콩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라이프생명보험베트남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디에스베트남 | - | 1 | 1 |
| 손자회사 | 신한베트남파이낸스 | - | 40 | 40 |
| 손자회사 | 신한금융플러스 | 293 | - | 293 |
| 손자회사 | 신한라이프케어 | 2 | - | 2 |
| 합 계 | 1,338 | 241 | 1,579 | |
| 주1) | 본점은 1개의 지점으로 반영 |
| 주2)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 |
| 주3) | SHC매니지먼트는 구 신한카드 청산법인이며 청산 절차 진행 중임 |
당사의 자회사인 신한은행, 제주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신한자산운용, 신한캐피탈, 신한저축은행, 신한자산신탁, 신한DS, 신한펀드파트너스, 신한리츠운용, 신한벤처투자, 신한EZ손해보험의 지역별 지점 등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개) |
|
지 역 |
지 점 |
출 장 소 |
사 무 소 |
합 계 |
|---|---|---|---|---|
| 서울 | 414 | 32 | - | 446 |
| 부산 | 146 | 19 | - | 165 |
| 대구 | 54 | 10 | - | 64 |
| 인천 | 31 | 5 | - | 36 |
| 광주 | 30 | 1 | - | 31 |
| 대전 | 25 | 2 | - | 27 |
| 울산 | 13 | 2 | - | 15 |
| 경기 | 51 | 2 | - | 53 |
| 강원 | 9 | 3 | - | 12 |
| 충북 | 24 | 10 | - | 34 |
| 충남 | 16 | 2 | 1 | 19 |
| 전북 | 27 | 8 | - | 35 |
| 전남 | 14 | 4 | - | 18 |
| 경북 | 17 | 10 | - | 27 |
| 경남 | 13 | 1 | 1 | 15 |
| 제주 | 37 | 4 | - | 41 |
| 세종 | 3 | 1 | - | 4 |
| 소 계 | 924 | 116 | 2 | 1,042 |
| 해외 | 36 | 41 | 10 | 87 |
| 합 계 | 960 | 157 | 12 | 1,129 |
| 주) | 해외현지법인은 제외 |
나. 영업설비 등 현황
당사의 연결기준 영업설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가액 |
|---|---|---|---|---|
| 토지 | 1,981,961 | - | - | 1,981,961 |
| 건물 | 1,320,863 | -584,755 | -10,706 | 725,402 |
| 기타의유형자산 | 2,499,165 | -2,027,209 | - | 471,956 |
| 사용권자산 | 1,743,842 | -924,193 | - | 819,649 |
| 합계 | 7,545,831 | -3,536,157 | -10,706 | 3,998,968 |
<신한은행>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토지(장부가액) | 건물(장부가액) | 합계 | 비고 |
|---|---|---|---|---|
| 본점 | 627,970 | 242,946 | 870,916 | - |
| 지점합계 | 616,707 | 237,819 | 854,526 | - |
| 합계 | 1,244,677 | 480,765 | 1,725,442 | - |
주) IFRS 연결 기준
<신한카드>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토지(장부가액) | 건물(장부가액) | 합계 | 비고 |
|---|---|---|---|---|
| 본점 | 414,768 | 70,650 | 485,418 | - |
| 지점합계 | 18,002 | 2,958 | 20,960 | - |
| 합계 | 432,770 | 73,608 | 506,378 | - |
주) IFRS 연결 기준
<신한투자증권>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토지(장부가액) | 건물(장부가액) | 합계 | 비고 |
|---|---|---|---|---|
| 지점합계 | 6,067 | 2,907 | 8,974 | - |
| 기타(사옥) | 2,399 | 1,259 | 3,658 | - |
| 합계 | 8,466 | 4,166 | 12,632 | - |
<신한라이프>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토지(장부가액) | 건물(장부가액) | 합계 | 비고 |
|---|---|---|---|---|
| 본점 | - | - | - | - |
| 지점합계 | 43,333 | 17,829 | 61,162 | - |
| 합계 | 43,333 | 17,829 | 61,162 | - |
<제주은행>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토지(장부가액) | 건물(장부가액) | 합계 | 비고 |
|---|---|---|---|---|
| 본점 | 13,597 | 5,468 | 19,065 | - |
| 지점합계 | 11,553 | 6,824 | 18,377 | - |
| 합계 | 25,150 | 12,292 | 37,442 | - |
다. 지점의 신설 및 중요시설의 확충계획(향후 1년) <신한은행>
| (단위 : 개) |
| 구분 | 리테일 주1) | 기업 | 기타 주2) | 합계 |
|---|---|---|---|---|
| 신설 | - | - | 2 | 2 |
주1) 리테일은 PWM포함 개수임주2) 기타는 연결대상 해외현지법인의 자지점 포함 개수임주3) 금융시간 여건 및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점포 계획은 변경 가능함 라. 자동화기기 설치 현황 <신한은행>
| (단위 : 대) |
| 구분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CD | 3 | 3 | 3 |
| ATM | 4,239 | 4,372 | 4,558 |
| 통장정리기 | - | - | - |
| 기타(공과금) | 606 | 616 | 702 |
<제주은행>
| (단위 : 대) |
| 구분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CD | - | - | - |
| ATM | 125 | 128 | 129 |
| 통장정리기 | - | - | - |
주) 자체 기기 기준
가. 자본적정성 현황(1) 그룹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자기자본(A) | 55,180.0 | 53,904.9 | 50,192.5 |
| 위험가중자산(B) | 340,595.0 | 341,378.8 | 314,180.7 |
| BIS기준 자기자본비율(A/B) | 16.20% | 15.79% | 15.98% |
| 주1) | Basel Ⅲ 기준임 |
| 주2) | 2025년 6월 말 현황은 잠정치임 |
(2) 자회사 자본적정성 현황
| (단위 : %) |
| 구 분 | 지표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신한은행 |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 18.6 | 17.6 | 18.1 |
| 신한카드 | 조정자기자본비율 | 19.9 | 20.0 | 19.7 |
| 신한투자증권 | 순자기자본비율 | 1,467.6 | 1,345.0 | 926.6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지급여력비율 | 196.7 | 205.7 | 250.8 |
| 신한캐피탈 | 조정자기자본비율 | 20.0 | 19.3 | 19.0 |
| 신한자산운용 | 자기자본(십억원) | 258.0 | 316.6 | 233.2 |
| 최소영업순자본액(십억원) | 51.7 | 50.1 | 49.1 | |
| 제주은행 |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 17.7 | 17.6 | 17.5 |
| 신한저축은행 |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 21.0 | 20.1 | 17.6 |
| 신한자산신탁 | 영업용순자기자본비율 | 1,032.5 | 519.1 | 926.8 |
| 신한EZ손해보험 | 지급여력비율 | 309.9 | 159.2 | 469.4 |
| 주1) | 신한은행, 제주은행: Basel Ⅲ 기준, 신한저축은행: Basel I 기준 |
| 주2) | 2025년 6월 말 현황은 잠정치임 |
| 주3) | 신한라이프와 신한EZ손해보험은 2023년부터 K-ICS(新지급여력제도) 로 지급여력비율을 산출하고 있음. 다만, 2025년 반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상기 지급여력비율은 잠정적으로 산출된 비율이며, 최종적으로 확정된 비율은 신한라이프 2025년 반기보고서(금감원 DART) 및 신한EZ손해보험 상반기 경영공시(신한EZ손해보험 홈페이지) 에서 정정 또는 최종 공시될 예정임 |
나. 유동성 현황(1) 원화유동성비율
| (단위 : 십억원, %) |
| 구분 | 회사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 원화유동성자산 | 원화유동성부채 | 원화유동성비율 | 원화유동성자산 | 원화유동성부채 | 원화유동성비율 | 원화유동성자산 | 원화유동성부채 | 원화유동성비율 | ||
| 금융지주회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 2,263.5 | 316.7 | 714.8 | 1,051.7 | 56.4 | 1,865.9 | 721.2 | 235.9 | 305.8 |
| 자회사 | 신한카드 | 22,062.4 | 6,740.6 | 327.3 | 21,546.6 | 6,077.3 | 354.5 | 21,732.0 | 5,970.0 | 364.0 |
| 신한투자증권 | 22,617.8 | 17,803.3 | 127.0 | 23,664.4 | 18,128.1 | 130.5 | 25,804.2 | 21,888.6 | 117.9 | |
| 신한라이프생명 | 5,805.2 | 1,337.7 | 434.0 | 5,635.7 | 1,359.9 | 414.4 | 21,863.8 | 1,479.1 | 1,478.2 | |
| 신한캐피탈 | 2,095.9 | 928.9 | 225.6 | 2,143.6 | 1,084.1 | 197.7 | 2,760.2 | 1,064.9 | 259.2 | |
| 신한저축은행 | 487.2 | 447.8 | 108.8 | 608.4 | 480.2 | 126.7 | 721.7 | 602.2 | 119.8 | |
| 신한자산신탁 | 179.8 | 127.4 | 141.2 | 186.3 | 11.0 | 1,686.2 | 185.2 | 21.2 | 872.0 | |
| 신한EZ손해보험 | 139.9 | 13.6 | 1,030.0 | 73.1 | 9.9 | 736.3 | 125.3 | 2.0 | 6,286.4 | |
| 주1) | 신한금융지주회사 : 1개월 이하 |
| 주2) | 신한라이프, 신한EZ손해보험 : (3개월이하 유동자산 ÷ 3개월평균 지급보험금) × 100 |
| 주3) |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캐피탈, 신한저축은행, 신한자산신탁: 3개월 이하 |
| 주4)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에 따라 신한은행, 제주은행의 유동성비율은 2015년 3월 말 이후 유동성커버리지비율로 대체됨 |
| 주5) | 신한라이프생명은 2024년 12월 31일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으로 유동성 자산 인정 범위가 축소됨에 따라(3개월 초과 국고채 등 30% 유동성 자산 분류) 유동성 비율 감소 |
| 주6)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2) 유동성커버리지비율
| (단위 : 십억원, %) |
| 회사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 총 고유동성자산 | 순현금유출액 | 유동성커버리지비율 | 총 고유동성자산 | 순현금유출액 | 유동성커버리지비율 | 총 고유동성자산 | 순현금유출액 | 유동성커버리지비율 | |
| 신한은행 | 91,559.6 | 87,409.2 | 104.8 | 90,658.4 | 87,753.4 | 103.3 | 85,172.4 | 85,155.4 | 100.0 |
| 제주은행 | 1,018.5 | 653.0 | 157.2 | 939.4 | 770.1 | 122.7 | 1,020.7 | 813.0 | 125.6 |
| 주1)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에 따라 신한은행, 제주은행의 유동성비율은 2015년 3월말 이후 유동성커버리지비율로 대체됨. |
| 주2) | 2017년 이전 현황은 3개월간 매월말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을 평균하여 산출하였으며, 2017년 이후 현황은 3개월간의 일별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을 평균하여 산출(은행 경영공시 기준) |
| 주3) | 금융위원회는 은행권의 코로나19 피해 기업 자금 지원 여력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6월말까지 통합 LCR 규제기준을 기존 100%에서 85%로 인하하였으며, 이후 단계적 정상화 시행함.2023년말 규제 기준은 95%, 2024년말 규제 수준은 97.5%, 2025년 이후 규제 수준은 정상화 완료되어 100% 적용 |
(3) 외화유동성비율
| (단위 : 백만미불, %) |
| 구분 | 회사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 외화유동성자산 | 외화유동성부채 | 외화유동성비율 | 외화유동성자산 | 외화유동성부채 | 외화유동성비율 | 외화유동성자산 | 외화유동성부채 | 외화유동성비율 | ||
| 금융지주회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 532.7 | 14.0 | 3,796.8 | 531.4 | 519.2 | 102.4 | 33.3 | 20.8 | 160.2 |
| 자회사 | 신한은행 | 71,512.7 | 63,867.4 | 112.0 | 63,127.9 | 56,347.0 | 112.0 | 67,956.7 | 63,159.8 | 107.6 |
| 신한라이프 | 2,452.1 | 321.7 | 762.3 | 2,074.0 | 163.0 | 1,272.3 | 2,598.7 | 174.4 | 1,490.1 | |
| 신한투자증권 | 9,887.1 | 8,650.0 | 114.3 | 11,083.7 | 9,616.5 | 115.3 | 10,318.0 | 9,117.0 | 113.2 | |
| 신한캐피탈 | 78.2 | 0.6 | 13,949.8 | 79.7 | 0.6 | 13,743.7 | 55.6 | 0.4 | 13,556.1 | |
| 제주은행 | 11.2 | 4.6 | 241.0 | 10.1 | 0.8 | 1,295.2 | 13.4 | 2.2 | 605.7 | |
| 주1) | 외화유동성비율은 3개월 이하 외화자산과 외화부채를 기준으로 함 |
| 주2) | 제주은행 외화유동성비율은 유동화가중치 적용 후 기준임 |
(4)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
| (단위 : %) |
| 구분 | 회사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자회사 | 신한은행 | 164.6 | 148.8 | 157.8 |
| 주1) | 외화유동성커버리지 비율은 2017년 1월부터 시행되었고, 분기 평균 기준으로 작성함 |
| 주2) | 금융위원회는 은행권의 코로나19 피해 기업 자금 지원 여력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6월말까지 외화LCR비율 규제기준을 기존 80%에서 70%로 인하하였으며, 2022년 9월부터 80% 규제 적용함 |
다. 건전성(1) 연결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 총여신 | 454,349.6 | 452,826.9 | 413,664.8 | |
| 고정이하여신 | 3,812.0 | 3,562.4 | 2,668.4 | |
| 고정이하여신비율 | 0.84% | 0.79% | 0.65% | |
| 무수익여신 | 3,151.0 | 2,974.7 | 2,176.6 | |
| 무수익여신비율 | 0.69% | 0.66% | 0.53% | |
| 대손충당금적립률(A/B) | 124.04% | 132.48% | 165.61% | |
| 대손충당금잔액(A) | 4,728.4 | 4,719.3 | 4,419.1 | |
| 고정이하여신(B) | 3,812.0 | 3,562.4 | 2,668.4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2) 지주회사 및 자회사 등
| (단위 : %) |
| 구분 | 회사명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 고정이하여신비율 | 무수익여신비율 | 대손충당금적립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 무수익여신비율 | 대손충당금적립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 무수익여신비율 | 대손충당금적립비율 | ||
| 금융지주회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 - | - | - | - | - | - | - | - | - |
| 자회사 | 신한은행 | 0.33 | 0.25 | 152 | 0.24 | 0.18 | 202 | 0.24 | 0.19 | 233 |
| 신한카드 | 1.36 | 0.83 | 232 | 1.32 | 0.80 | 243 | 1.31 | 0.70 | 248 | |
| 신한투자증권 | 14.87 | 14.87 | 81 | 18.30 | 18.30 | 70 | 12.86 | 12.86 | 62 | |
| 신한라이프생명 | 0.56 | 0.41 | 263 | 0.32 | 0.32 | 393 | 0.21 | 0.21 | 510 | |
| 신한캐피탈 | 2.80 | 2.26 | 97 | 3.98 | 2.35 | 75 | 1.74 | 0.74 | 193 | |
| 제주은행 | 1.84 | 1.69 | 78 | 1.32 | 1.22 | 114 | 0.98 | 0.87 | 120 | |
| 신한저축은행 | 7.60 | 12.53 | 74 | 7.90 | 13.16 | 72 | 4.38 | 9.10 | 93 | |
| 신한자산신탁 | 77.17 | 51.28 | 42 | 75.15 | 52.31 | 43 | 64.66 | 9.04 | 15 | |
| 주) |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금융지주회사 업무보고서 기준임 |
라. 부채비율 <신한금융지주회사>
| 별도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 분 | 2025년 6월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부채(A) | 10,276.8 | 11,324.1 | 11,190.4 |
| 자기자본(B) | 27,701.4 | 26,348.2 | 26,099.1 |
| 부채비율(A/B) | 37.10% | 42.98% | 42.88% |
마. 기타 참고사항(1) 상위 20대 개별기업 익스포져
| 연결 기준, 2025년 6월말 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원화대출 | 외화대출 | 유가증권 | 지급보증 | 기타 | 합계 |
|---|---|---|---|---|---|---|
| 한국전력공사 | 0.3 | 67.9 | 2,716.7 | 77.5 | 0.0 | 2,862.4 |
| (주)우리은행 | 1,567.8 | 16.8 | 962.2 | 0.0 | 0.0 | 2,546.9 |
| (주)하나은행 | 1,344.9 | 11.3 | 1,041.9 | 35.8 | 0.0 | 2,433.9 |
| 삼성전자(주) | 0.0 | 2,014.2 | 0.0 | 0.0 | 0.0 | 2,014.2 |
| 농협은행(주) | 435.6 | 3.9 | 1,399.2 | 46.7 | 0.0 | 1,885.4 |
| (주)국민은행 | 954.2 | 40.7 | 640.2 | 16.2 | 0.0 | 1,651.4 |
|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 908.1 | 596.9 | 49.9 | 0.0 | 0.0 | 1,554.9 |
| (주)호텔롯데 | 0.6 | 507.6 | 368.1 | 599.6 | 0.0 | 1,476.0 |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77.8 | 0.0 | 1,370.8 | 0.0 | 0.0 | 1,448.6 |
| 에쓰-오일(주) | 525.6 | 644.3 | 118.3 | 74.7 | 0.0 | 1,362.9 |
| 롯데케미칼(주) | 290.0 | 183.0 | 60.3 | 810.6 | 0.0 | 1,343.8 |
| (주)케이티 | 190.9 | 0.0 | 1,079.5 | 45.7 | 0.0 | 1,316.2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주) | 0.0 | 0.0 | 0.5 | 1,296.5 | 0.0 | 1,297.0 |
| 미래에셋증권(주) | 720.4 | 45.1 | 330.9 | 100.0 | 0.0 | 1,196.4 |
| 한국투자증권(주) | 955.8 | 38.2 | 147.5 | 27.1 | 0.0 | 1,168.6 |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 0.0 | 0.0 | 1,003.7 | 0.0 | 0.0 | 1,003.7 |
| 키움증권(주) | 760.0 | 0.0 | 217.0 | 0.0 | 0.0 | 977.0 |
| 에스케이하이닉스(주) | 311.7 | 0.0 | 613.4 | 33.5 | 0.0 | 958.5 |
| LIG넥스원(주) | 2.7 | 0.0 | 20.0 | 911.3 | 0.0 | 934.0 |
| (주)한화 | 500.8 | 173.2 | 193.1 | 60.6 | 0.0 | 927.8 |
| 합계 | 9,547.4 | 4,343.0 | 12,333.3 | 4,135.8 | 0.0 | 30,359.5 |
| 주1) | 대상자산 = BS 난내자산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예치금 - 종금계정 CMA자산 |
| 주2) | 기준 익스포져 = B/S 기준 운용잔액 (원본보전율 반영 후, 미사용한도 제외) |
(2) 상위 10대 주채무계열 익스포져
| 연결기준, 2025년 6월말 기준 | (단위 : 십억원) |
| 구분 | 원화대출 | 외화대출 | 유가증권 | 지급보증 | 기타 | 합계 |
|---|---|---|---|---|---|---|
| 삼성 | 299.9 | 3,378.3 | 1,541.6 | 1,654.3 | 0.0 | 6,874.0 |
| 롯데 | 2,094.2 | 1,121.8 | 1,253.4 | 1,767.8 | 0.0 | 6,237.2 |
| 에스케이 | 1,352.2 | 982.1 | 2,195.9 | 695.6 | 0.0 | 5,225.8 |
| 현대자동차 | 1,079.2 | 1,070.8 | 1,682.0 | 473.5 | 0.1 | 4,305.6 |
| 한화 | 1,271.2 | 565.7 | 1,262.6 | 678.1 | 0.0 | 3,777.6 |
| 현대중공업 | 487.8 | 34.3 | 238.4 | 2,435.2 | 0.0 | 3,195.7 |
| 엘지 | 1,150.0 | 681.5 | 842.7 | 214.5 | 0.0 | 2,888.6 |
| 엘에스 | 180.2 | 1,375.3 | 179.0 | 1,148.7 | 0.0 | 2,883.1 |
| 케이티 | 325.9 | 87.8 | 1,212.0 | 134.7 | 0.0 | 1,760.4 |
| 신세계 | 931.9 | 69.6 | 643.9 | 72.5 | 0.0 | 1,717.9 |
| 합 계 | 9,172.4 | 9,367.4 | 11,051.4 | 9,274.8 | 0.1 | 38,866.0 |
| 주1) | 대상자산 = BS 난내자산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예치금 - 종금계정 CMA자산 |
| 주2) | 기준 익스포져 = B/S 기준 운용잔액 (원본보전율 반영 후, 미사용한도 제외) |
(3) 상위 20대 부실채권
| 연결기준, 2025년 6월말 기준 | (단위 : 십억원) |
| 차주 | 업종 | 총여신 | 고정이하여신 | 충당금 |
|---|---|---|---|---|
| A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151.8 | 151.8 | 46.4 |
| B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125.5 | 125.5 | 125.5 |
| C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64.9 | 64.9 | 65.2 |
| D |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 56.5 | 56.5 | 56.5 |
| E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49.4 | 47.4 | 37.0 |
| F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47.1 | 47.1 | 47.1 |
| G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30.3 | 30.3 | 1.6 |
| H | 기타 대형 종합 소매업 | 30.0 | 30.0 | 0.0 |
| I | 기타 금융 투자업 | 21.8 | 21.8 | 21.8 |
| J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20.3 | 20.3 | 20.3 |
| K | 기타 금융 투자업 | 49.0 | 20.0 | 34.6 |
| L |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20.0 | 20.0 | 0.0 |
| M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19.0 | 19.0 | 19.0 |
| N | 영화관 운영업 | 17.2 | 17.2 | 4.4 |
| O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15.0 | 15.0 | 1.3 |
| P |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15.0 | 15.0 | 15.0 |
| Q |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14.0 | 14.0 | 13.6 |
| R | 기타 부동산 임대업 | 13.8 | 13.8 | 13.8 |
| S |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 13.3 | 13.3 | 4.0 |
| T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융업 | 13.0 | 13.0 | 11.5 |
| 합계 | 786.8 | 755.8 | 538.6 | |
바. 업계의 현황
(1) 경제환경 변화
(가) 글로벌 경제 전망
미국의 상반기 GDP는 1분기 전기대비 연율화 기준으로 0.5% 감소하였다가, 2분기에는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3.0%의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상반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이 GDP를 좌우하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했는데, 관세정책 시행 전 선수요에 따른 수입 급증이 1분기 마이너스 GDP 성장률에 기여했다면, 2분기에는 선제적 수입수요 정상화에 따른 높은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 (1분기: -4.6%p → 2분기: +5.0%p)가 GDP의 플러스(+)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또한 연초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으로 악화되었던 소비심리가 2분기 개선됨에 따라 개인소비지출도 1.4% 증가했습니다. 하반기에는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가 상존하지만, 제조업과 소비가 급격히 하강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올해 하반기 미국 경제의 연착륙을 예상합니다. 한편 트럼프 관세정책 영향으로 인플레의 하방 경직성이 강화되는 가운데, FOMC는 관세 영향을 파악하기 시기상조라는 판단 하에 상반기 내내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동결했고, 하반기에는 경기 둔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1~2회 수준의 금리 인하를 전망합니다.
유로존의 상반기 GDP는 1분기 전기대비 0.6%에서 2분기 0.1% (전년대비 1.5% → 1.4%)로 둔화되며 성장이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요국 중 독일과 이탈리아의 GDP 성장률이 2분기 역성장 하였으며, 프랑스의 성장률은 재고 증가에 힘입어 +0.3%의 서프라이즈를 보였습니다. 유로존은 물가의 하방 압력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상반기 중 25bp씩 네 번의 금리 인하가 단행되어 현재 기준금리가 2.00% (예금금리 기준)에 도달하였고, 유로존의 금리 인하 사이클은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반기 경기는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2분기 GDP가 예상치를 웃도는 전년대비 5.2%의 성장률을 보이며 상반기 전체 기준으로 5.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하반기 성장률이 크게 꺾이지 않는다면 연간 5% 성장 목표는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둔 상반기 수출 증가의 영향으로 산업생산이 강세를 보인 데 반해, 소비는 이구환신 정책의 영향이 점차 소멸됨에 따라 예상치를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생산자물가가 33개월 연속 하락세이고 부동산투자의 낙폭이 확대되는 등 디플레와 부동산 침체는 여전히 중국 경기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미국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 내수와 수출 모멘텀이 상반기 대비 약화될 수 있겠으나, 연간 성장 목표 달성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추가 경기 부양책의 강도는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 한국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한국의 상반기 GDP는 1분기 역성장 이후 2분기 들어 개선되었습니다. 2분기의 경우 민간소비와 순수출이 높은 성장 기여도를 보이며 전기대비 0.6%, 전년대비 0.5% 성장하였는데, 이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 완화로 소비심리가 크게 개선되고, 미국發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은 가운데 선수출이 이어지며 수출이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인 데 기인합니다. 반면 투자는 상반기 내내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습니다. 하반기에는 추경, 금리 인하 효과, 2분기 주가 상승에 따른 자산 효과 등이 점차 소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나, 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수출 모멘텀 약화 및 건설투자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2025년 전체로는 수출 부진 및 내수 개선 제한으로 GDP 성장률이 1% 수준에 머물 전망입니다. 한편 한국의 상반기 소비자물가는 물가 목표치인 2% 내외에 대체로 부합하였으며, 6월에는 기저효과 및 석유류ㆍ농산물 가격 안정세 속에서 물가가 전년대비 2.2% 상승하였습니다. 하반기에도 경기 둔화 및 공급측 요인 안정으로 물가는 2% 내외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상반기 중 2월과 5월에 정책금리를 각각 25bp씩 인하하여 현재 기준금리가 2.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고채 금리는 4월 美 관세정책 이후 경기 우려로 하락하다가 5월 이후 관세 협상 진전 및 美 국채금리 상승세 속에서 반등하였으며, 향후 금리 인하 기대 선반영 및 추경에 따른 국채 발행 물량 확대 감안 시 국내 시장금리 하락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4월 초 미국 상호관세 발표로 1,480원대까지 급등하였으나, 이후 상호관세 유예와 글로벌 약달러 기조, 對美 환율협상 가능성에 따른 아시아 통화 강세 압력 속에서 하락 전환한 뒤 1,300원대 중반에서 횡보하였습니다. 하반기에는 추가적인 약달러가 제한되는 가운데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수출 둔화 우려와 해외투자 확대에 따른 달러 실수요 증가 지속이 원화의 추가 강세를 제한할 전망입니다.
(2) 금융산업 동향1) 은행업 ① 산업의 특성 등 - 산업의 특성
신한은행은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획득한 자금을 대출하는 은행업무와 이에 부수하는 부수업무, 인가권자의 별도인가를 얻어 운영하는 겸영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은행업무라 함은 자금의 중개라는 은행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업무로서 예금ㆍ적금의 수입 또는 유가증권 및 기타 채무증서의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수신업무와 자금의 대출 또는 어음의 할인을 통해 자금을 운영하는 여신업무, 그리고 환업무를 말합니다. 부수업무라 함은 은행이 고유업무를 영위함에 있어 부수적으로 필요하거나, 은행의 사회경제적 기능을 발휘함에 필요한 업무를 말하는 것으로, 채무의보증 또는 어음의 인수, 상호부금, 팩토링, 보호예수, 수납 및 지급대행, 지방자치단체의 금고대행, 은행업과 관련된 전산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판매 및 대여, 금융 관련 연수, 도서 및 간행물 출판업무, 금융 관련 조사 및 연구업무 등의 업무가 해당됩니다.아울러 은행은 은행법에 의한 업무 이외에 은행업무와 유사하거나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업무를 인가권자의 인가를 받아 취급할 수 있는데, 이를 겸영업무라고 합니다. 겸영업무에는 파생상품 및 파생결합증권 매매 업무, 국채, 지방채, 특수채 매출 및 매매업무, 신탁업,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투자자문업, 투자증권의 투자매매, 상업어음 매출, 환매조건부 유가증권매매, 보험대리점 업무, 퇴직연금사업, 신용카드업, 신탁업, 직불카드업, 종합금융업, 유동화전문회사 및 주택저당채권유동화회사의 유동화자산 관리의 수탁업무 및 채권추심의 수탁업무, 기업의 인수 및 합병의 중개ㆍ주선, 기업의 경영, 구조조정 및 금융관련 상담ㆍ조력 업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은행의 업무들은 사회적 자원을 재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공성이 강조되는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장기 저성장 국면, 각종 글로벌 경제 불안요소, 가계부채 누증 등에 따른 신용위험 상승 등에 대비하면서 국내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가계대출 규제 등 금융규제 수준도 높아지면서 자산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지속 동결 및 우량자산 유치 경쟁 심화 등으로 이자마진 개선도는 제한적입니다. 이에 은행들은 건전성관리와 더불어 연금시장, 스마트금융 서비스, 글로벌시장 진출 확대 등을 통하여 새로운 수익모델 발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은행업은 경기가 상승할 때는 자산증대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반면, 경기가 하락할 때는 자산 성장이 둔화되면서 수익이 감소하는 등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 계절성은행업은 계절적인 변화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시장의 안정성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본과 유동성 규제 및 은행권 리스크 관리 강화로 시장의 급격한 변동은 없을 것이나 글로벌 금리인하, 미중 무역갈등, 가계부채 리스크 등의 영향으로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등 시장의 변동성은 상존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물가 불안 등 경기침체로 성장의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쟁환경 가계부채 리스크 등으로 국내은행의 위험관리는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기업대출도 우량기업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정책 강화와 시장의 변동성 확대등으로 인한 경기침체 등 불안정한 국면이 지속될 경우 여신 관련 리스크 확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은행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본 규제가 강화되고, 금융의 공공성이 강조되면서 서민ㆍ중소기업 지원, 금융소비자 보호 및 사회공헌 확대 요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고객 계층은 진화하고 금융상품은 다각화되고 있으며, 디지털 관련 비즈니스의 급격한 발달로 이에 상응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수립의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은행간 경계를 허무는 오픈뱅킹의 도입에 따라 플랫폼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어 차별화된 서비스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으며, 비대면 채널을 포함한 은행의 영업방식 전반에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글로벌 부문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은행업의 특성상 리스크 관리에 기반한 수익성 창출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입니다. 신한은행은 체계적인 건전성 관리와 정교한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다만, 고금리 장기화, 경기 변동 등으로 인한 가계 대출 부실 위험과 기업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대손충당금 증가의 위험 및 은행간 경쟁 심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④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주요 수단신한은행은 우량자산 위주의 건실한 성장을 지속하고 신상품/서비스 및 신사업모델 개발, 디지털 혁신, AI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해 갈 계획입니다. 비효율의 근본 원인을 개선하고, 미래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전략적 비용 절감과, Smart Working환경 구축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또한, 고객을 상생의 동반자로 여기고 고객 가치 창조와 고객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미래를 함께 하는 따뜻한 금융'을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계획입니다.
⑤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일반은행의 경우 은행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 인허가 등 은행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규제 사항을 정하고 있으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외국환관리법 등에 의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2) 신용카드업
① 산업의 특성 등
신용카드업은 카드사가 일정한 요건을 갖춘 회원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하고, 상품 및 용역을 판매/제공하는 가맹점과 계약을 체결한 후, 회원에 대한 신용공여 대가로 수수료 등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입니다.
이외에도 카드사는 회원에게 단기카드대출ㆍ 장기카드대출 등의 신용대출을 제공함과 동시에 통신판매ㆍ 보험대리ㆍ 여행알선 등의 부수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카드산업은 수요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내수산업으로 민간 소비지출 및 소비자물가 등 거시경제지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휴가철에는 여행ㆍ레저업종, 명절ㆍ연말연시에는 백화점ㆍ할인점 등 유통업종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른 고객의 소비행태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카드결제 보편화 등의 영향으로 금융산업 시스템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면서, 영업 행위 전반에 대한 정부 규제 및 가계의 신용위험 수준도 업계의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2025년 하반기 이후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發 불확실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존재하나, 금리 인하, 내수 활성화를 위한 新정부의 2차 추경 등에 따라 소비심리 개선이 전망됩니다.
카드시장은 카드회원 규모 증가, 현금시장 공략 등에 따라 지속 성장해왔으나, 국내 민간소비의 80%가 넘는 카드 결제 비율은 양적 성장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종산업의 지불결제 시장 진출, 간편결제(Pay) 플랫폼 성장, BNPL서비스 확산 등 소비자들의 대체수단 증가는 카드업의 지속 성장에 불리한 여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 시장은 경기둔화 및 신용Risk 증가로 불확실성이 확대되었으며, 최근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신용대출 內 카드론 포함 등 규제 강화에 따라 성장세 둔화가 전망됩니다. 또한, 인터넷전문은행의 중금리 대출 공급 확대로 경쟁 심화가 예상됩니다.
한편, AI/클라우드/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고도화와 함께 새로운 디지털 자산 도입이 가시화되는 금융시장 속에서, 카드업계는 기회 확대 및 경쟁 심화 2개 측면을 모두 고려한 적극적인 체질 혁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③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신용카드업은 상법, 여신전문금융업법 등에 따라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3) 금융투자업
① 산업의 특성
금융투자업은 자금의 수요자(기업, 정부)가 자금의 공급자(투자자)에게 증권을 발행하여 제공하고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는 직접금융 방식의 금융산업입니다. 주요 사업으로 증권의 인수(Underwriting), 투자자의 증권 매매를 수행하는 위탁매매(Brokerage), 고유자금으로 증권을 사고 파는 자기매매(Dealing), 기타 부수/겸영 업무(투자자문, 일임, 신탁 등)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
국내 주가지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2025년 1분기 말 2,481.1포인트에서 2025년 2분기 말 3,071.7포인트로 23.8% 상승하였습니다.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 일평균 거래대금은 2025년 1분기 18.6조원에서 2025년 2분기 23.6조원으로 27.0% 상승하였습니다. 2025년 2분기 증시 거래대금 주체별 비중은 외국인 25.7%, 기관 12.0% 개인 61.2%, 기타법인 1.0%입니다(Nextrade 포함). 개인 투자자의 참여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기에 이들의 참여가 위탁매매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고객예탁금 잔액은 2025년 2분기 말 기준 69.0조원으로 2025년 1분기 말 대비 18.0% 증가했습니다.
금융투자업계는 '자본 중개자'로서 BK(브로커리지) 부문을 중심으로 수수료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자본 공급자'로서 IB(투자은행) 부문 수익을 다변화해 증시 거래대금에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증권사 기업금융의 경우, 현재 전통적인 기업금융 부문 외에 인수금융과 해외 부동산 등을 활용한 구조화금융 영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기업금융 활성화 정책과 풍부한 유동성에 힘입어 증권사 기업금융 수익성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경쟁요소금융
금융투자업은 비슷한 수익구조, 정형화된 업무형태 등으로 인해 차별화 가능 요소가 제한적이고 진입장벽이 높지 않기 때문에 경쟁 강도가 높은 업종입니다. 최근에는 카카오페이, 토스 등 ICT 업체들이 증권업에 진출함에 따라 온라인 브로커리지 및 자산관리 시장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말 기준 60개 업체가 동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자료 출처: 금융감독원).
자본 건전성을 보여주는 영업용 순자본비율(NCR)은 2024년 4분기 말 1,020.8%에서 2025년 1분기 말 1,072.3%로 상승했습니다(당기 기준 자기자본 3조원 이상 증권사 개별 기준). 하지만 여전히 과거 영업용 순자본비율에 의해 신용등급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조달 비용이 연동되기 때문에, 구NCR 비율 관리 또한 필요한 상황입니다. 전술한 증권사들의 구NCR비율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 145% 수준입니다.
초대형 IB로 지정된 증권사들 중 일부가 발행어음 사업 인가를 획득했습니다.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인 증권사들은 IMA 사업을 추가적으로 영위할 수 있습니다. 신사업에서의 경쟁 우위를 선점한 증권사들은 중장기적으로 확고한 경쟁력을 보유할 전망입니다.
④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금융투자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등에 따라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4) 생명보험업
① 산업의 특성
생명보험은 보험자(보험회사)가 피보험자의 생사에 관하여 보험사고 발생 시 일정한금액(보험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보험계약자가 보험자에게 보험료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하는 인보험계약을 말합니다. 보험상품은 보험사고에 따라서 크게 생존보험, 사망보험, 생사혼합보험으로 구분하고 가입 목적에 의해서는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으로 구분됩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보험연구원 생명보험 전망에 의하면, 2025년 생명보험 전체 수입보험료는 118조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0.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건강보험 포트폴리오의 시장 지배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저축성보험 및 변액보험의 역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보장성 보험은 IFRS17 시행 이후 보험계약마진(CSM) 확보 경쟁 확대 및 계속보험료 유입 증가로3.3% 성장할 전망입니다. 일반저축성보험은 금리경쟁력의 축소로 인해 7.3%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변액저축성보험은 경기 둔화로 인한 투자심리 악화로 12.7% 감소할 전망입니다.
③ 경쟁 요소 최근 금리 인하 기조 및 저성장 고착화로 수익성 확보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新제도 下 자본관리 고도화, 전략적 비용절감을 통한 사업비 효율화, 손해율 개선을 위한 리스크 관리 및 언더라이팅(위험인수) 역량은 중요한 경쟁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빅테크기업의 금융업진출 등 이종기업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생명보험시장이 성숙시장에 진입함에 따라 연령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상품개발 및 디지털 기반의 대고객 서비스 확대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④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보험업은 보험업법 및 동 시행령, 시행규칙, 보험업감독규정,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보험 계약법 등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5) 여신전문금융업
여신전문금융업은 시설대여, 할부금융, 신기술사업금융, 신용카드 등 4개 업종이 통합된 금융 업종으로 수신 기능이 없는 대신 채권 또는 어음의 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여신 업무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여신전문금융회사는 과거 신용카드업법, 할부금융업법, 시설대여업(리스)법, 신기술금융업법의 4개 개별법이 통합된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하여 설립ㆍ운영되고 있으며, 신용카드업을 제외한 기타업종에 대한 진출입이 종래의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되어 대주주 및 자본금 요건만 구비하면 진출입이 자유로운 상태입니다.
할부/리스 시장은 취급 품목이 다양하고 대상 고객 범위가 넓어 틈새시장 발굴 및 고객 확보가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업권 내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입니다. 또한, 최근 시중은행의 오토론 및 중금리 대출상품 취급이 확대되고 P2P업체 및 대부업체들의 개인신용대출 시장 영역이 커지는 등 타 금융업권과의 사업영역 상충에 따른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자동차금융(할부, 리스, 오토론) 취급액 증가와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신규 투, 융자 증가로 전체 업권의 외형 및 수익은 증가하였으나 경쟁심화에 따른 운용수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저하되고 있습니다.
-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여신전문금융업은 여신전문금융업법 및 동 시행령, 시행규칙,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등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6) 자산운용업
① 산업의 특성
자산운용업은 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및 대체자산(부동산, 특별자산 등)을 투자자(보험사, 연기금, 회사, 개인투자자 등)의 이익을 위해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주된 업으로 하는 산업입니다. 자산운용사의 총 순자산(NAV)은 2025년 3월말 기준 1,883조원에서 2025년 6월말 기준 1,988조원으로 약5.6% 증가하였습니다. (자료 출처: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_회사별 설정규모)
② 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
자산운용업계 전체 순자산은 국내외 시장상황 개선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증시가 상승하면서 주식형 자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글로벌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정체되면서 부동산, 특별자산 등의 대체자산은 자금 유입이 둔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반기 미국의 관세정책 해소 및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투자 대기 자금 유입이 활발해져 자산운용업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6월말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17,894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자료 출처: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2025년 6월말 기준, 펀드 순자산(NAV)은 1,229조원으로 2025년 3월말 1,157조원 대비 72조원(6.2%) 증가했습니다. 공모 펀드는 약 10.5%의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사모시장이 공모시장보다 우세한 가운데, 공모펀드는 주식, 단기금융, 채권 유형 등으로 자금이 증가하며 524조원을 기록하고, 사모펀드는 채권, 단기금융, 부동산 유형 등의 투자가 증가하며 705조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자료 출처: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_회사별 설정규모)
기관투자자 중심의 성장으로 개인투자자 비중은 2025년 5월말 펀드판매 잔액(973조원) 중 10.0%(92조원)로 '25년 3월 말 대비 증가했고, 기관투자자 비중은 90.2%(878조원)로 증가했습니다. 2025년 6월말 펀드 기준 주식형 펀드 순자산은 '25년 3월말 대비 23조원(+16.4%) 증가한 163조원을 기록했으며, 채권형 펀드는 전 분기 대비 20조원(+10.6%) 증가한 208조원, 재간접은 5조원(+5.0%)증가한 105조원, MMF는 12조원(+6.3%)증가한 204조원, 부동산 펀드는 '25년 3월말 대비 1조원(+0.5%)이 증가하여 187조원의 순자산을 기록했습니다. (자료 출처: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_회사별 설정규모)
미국 관세정책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 규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분간 이어지겠으나, 현재 상황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서는 국내외 주식시장의 자금 유입 추세는 상승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또한 투자 대기 자금으로 있는 MMF의 경우 하반기 시장상황을 주시하면서 주식형 또는 채권형으로의 이동이 예상되기에 자산운용 업계 전체 수탁고는 단기적으로 상승 또는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③ 경쟁요소
자산운용업은 경기 변동 및 금융시장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지 않은 산업입니다. 또한 자산운용업은 진입장벽이 높지 않고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차별화가 쉽지 않아 산업 내 경쟁 강도가 높은 편입니다.
④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자산운용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7) 저축은행업 저축은행은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기 위하여 1972년제정된 상호저축은행법에 의하여 설립된 제2금융기관으로서 예금과 대출을 주 업무로 하고 있으며, 부동산, 금리 등 경기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전문은행과 시중은행의 중금리 대출 출시 등 영업 영역 확대로 업권의 구분 없이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은 철저한 준비와 선제적 대응으로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저축은행업은 상호저축은행업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 상호저축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등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8) 부동산신탁업 ① 산업의 특성
신탁은 신탁 설정자(위탁자)와 신탁을 인수하는 자(수탁자)의 특별한 신임관계를 바탕으로 위탁자가 특정한 재산권을 수탁자에게 이전하거나 기타의 처분을 하고 수탁자로 하여금 일정한 자(수익자)의 이익을 위하여 또는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그 재산권을 관리ㆍ운용ㆍ처분하게 하는 법률관계를 의미합니다.
부동산전업신탁사의 경우 부동산 소유자인 위탁자로부터 부동산의 유지 및 관리 또는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대상 부동산을 수탁받아, 그 부동산을 유지ㆍ관리 또는 토지개발 후 임대ㆍ분양을 통해 수익을 올려 수익자에게 교부하고 그 대가로 신탁보수를 수취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고 있으며, 신탁의 부수업무로서 대리사무 업무와 컨설팅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부동산관련 신탁상품들은 신탁법 제22조(강제집행 등의 금지) 등에 근거하여 개발사업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신탁재산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이용하여야 하는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부동산신탁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가를 통해서만 해당 사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가에 요구되는 조건인 자본금 규모(100억원 이상) 외에도 전문인력 및 시스템의 보유 등으로 사업 수행에 대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인가시 심사가 진행됩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건전성, 수익성
2022년 상반기까지는 호황이었던 부동산 경기 및 부동산신탁사들의 축적된 자본력과 전문화된 개발사업 추진ㆍ관리 능력으로 인해 부동산신탁업계는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지속과 금리 인상, 원자재 공급 부족 및 미분양 증가 등으로 인해 국내 건설 및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어, 최근 부동산신탁업계도 부침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부동산신탁업계는 신규 수주 감소와 미분양ㆍ준공 지연 리스크 상승에 따른 수익성, 건전성 지표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신탁을 통한 개발사업의 Risk를 관리ㆍ분담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침체된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면, 부동산신탁업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경쟁요소
부동산신탁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득한 회사만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신탁사간 영업 경쟁으로 인해 단가 경쟁이 치열하고, 기존의 업무 관행이나 사업 전략만으로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현재 신탁사들은 사업다각화와 수익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각 회사별로 특징적인 사업들을 영위하며 경쟁을 지속 중에 있습니다. 2019년 하반기 이후 기존 11개 신탁사 외에 3개사가 추가로 시장에 진입하여 신탁사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부동산신탁업은 기본적으로 수주산업이기 때문에 영업력 및 영업망, 수수료율 등이 경쟁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수탁받은 부동산 및 부수업무의 관리에 대한 용역을 제공하기 때문에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 또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 준수 능력ㆍ의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탁자, 수익자 외에도 수분양자나 하도급업체 등 이해관계자가 많은 신탁사업의 특성상 신속한 의사결정과 자금관리 능력이 대단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개발사업과 관련한 신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전반적인 업무수행 능력도 주요한 경쟁요인입니다. 반면, 차입형토지신탁이나 PFV 출자사업과 같은 자금조달이 수반되는 사업의 경우에는 자금조달능력 및 재무안정성이 요구되며, 책임준공확약조건부 관리형토지신탁의 경우에는 신탁사의 높은 신용도와 재무안정성이 요구됩니다.
④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부동산신탁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위원회로부터 인가를 받은 후 금융투자업(신탁업)을 영위하고 있는 금융기관이며, 이로 인하여 자본시장법과 동법 시행령, 금융투자업규정, 기타 금융 관련 관계법규 등에 의해 신탁의 인수 및 신탁재산의 관리, 운용, 처분 등 업무절차와 방법상 제한을 받고 있습니다.
9)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산업 전반으로 대고객 채널 비중이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지속 전환됨에 따라,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DT 전환 및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금융산업 역시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IT기술과 결합된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금융IT 산업의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또한, 고객정보보호 강화 등 금융산업의 IT인프라에 대한 안정성과 정보보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어 이와 관련된 IT부문의 투자는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0)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업은 운용사, 자문사, 기관투자가들을 고객으로 펀드의 기준가 산출, 펀드 성과 측정, 트레이딩 시스템 제공, 법정보고서 제출 등 자산운용과 관련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말 현재 총 10개사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사무관리 총자산 규모는 일반펀드(공모/사모펀드) 기준 1,231조원입니다. 사무관리 자산 규모는 자산운용시장의 성장 흐름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자산시장의 규모는 전년대비 약 136조원 증가하였습니다.
사무관리업계의 수익성은 펀드 시장 전반의 보수율 인하 요구와 상대적으로 보수율이 높은 주식형 펀드 순자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정체하는 추세이나, ETF 및 ETN 시장의 순자산의 지속적인 상승과 사모펀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자산시장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1) 부동산자산관리업 자산관리회사(AMC)는 부통산투자회사법에 의한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를 운영하는 회사로 리츠자산을 수탁하여 운용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투자대상 부동산 발굴, 투자자유치, 부동산 매입, 임차인 유지, 시설관리, 부동산 매각 등 일련의 과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 리츠시장은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 제정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최근 대체투자수요증가 및 리츠 관련 정부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시장이 더욱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들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12)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벤처캐피탈은 잠재적으로 기술력이 높지만 자본과 경영여건이 취약한 연구개발, 기업설립 초기단계에 있는 벤처기업에게 자금과 경영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나중에 인수합병(M&A), 상장(IPO)등을 통해서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금융자본이며 동시에 금융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벤처캐피탈은 은행과 같은 자금 대출이 아닌 벤처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방식의 대표적인 투자자로서 벤처기업의 혁신을 이끄는 중요한기능을 수행합니다. 벤처캐피탈은 벤처생태계 내 핵심 구성요인의 하나로 벤처기업에 대한 자원 공급자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성장잠재력이 있는 신생벤처기업을 투자대상으로 선정하여 벤처기업의 성장 및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고용창출을 유발함으로써 국민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13) 손해보험업
① 산업의 특성
손해보험업은 우연한 사건으로 발생하는 손해로 인한 위험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보험의 인수, 보험료 수수 및 보험금 지급 등을 영업으로 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손해보험업은 가계성 상품 구성비가 높아 주로 국내시장에 의존하는 내수산업의 성격과, 불특정다수의 보험가입자가 각출한 보험료를 기초로 하여 경제적 위험 분산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공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손해보험업은 실손 보상 중심의 장기상품 및 자동차 의무가입 등으로 다른 산업보다는 경기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반적으로는 경기흐름을 뒤따라가는 후행적 성격이 강한 산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
2025년 보험산업은 보험계약마진 확보가 용이한 보장성 보험 확대 전략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국내 경기성장율 둔화와 이에 따른 금리 인하 예상, 환율 변동성 확대 등 비우호적인 경제ㆍ금융 환경은 보험산업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습니다. 경기침체에 따른 가처분 소득 감소로 신규 보험매출 축소가 예상되며, 금리인하는 보험계약마진 성장 둔화와 보험 부채의 증가를 야기하여 수익성 및 건전성 위축으로 이어질 것 입니다.
보험업계는 보험 본업의 핵심 경쟁력 및 리스크 관리 역량의 강화를 통해 대외적 환경요인을 극복하고 벨류체인의 전반적 디지털화를 통해 산업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것입니다.
③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보험업은 보험업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과 보험업감독규정,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관련 법령 등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3) 신한금융지주 사업비전 및 경영방침 신한금융그룹은 고객과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고객중심 一流신한" 을 장기적 지향점으로 삼고, 이의 이행 방향성으로서 ① Scandal Zero, ② 고객 편의성 제고, ③지속가능한 수익 창출 등 3대 一流 아젠다를 선행적으로 수립하였습니다.
더불어, 2024년 7월 신한금융지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함으로써, 2027년까지 ROE 10%, 50% 주주환원, 50백만주 자사주 감축 추진 등을 통해 단단한 기초체력(ROE) 제고 노력과 더불어 속도감 있는 주주 환원을 시장과 약속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과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一流 신한으로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기업가치제고 계획 달성이라는 주주 및 시장과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함에 중점을 두고 2025년신한금융그룹의 경영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1.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확립
신한은 금융회사의 기본인 내부통제 역량을 향후 신한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업그레이드하는데 방향성을 두고,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신뢰받는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지주 및 자회사의 책무구조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내부통제 Infra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자회사 내부통제 개선 촉진을 위한 평가제도의 개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내부통제 모니터링 강화, 임직원 윤리의식 내재화를 위한 교육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추진하고자 합니다.
2. 차별화된 고객가치 창출 2025년 신한은 차별화된 고객가치 창출을 위해, ① 고객 편의성 제고, ② AI/디지털 혁신기술 내재화, ③ 시니어 및 자산관리 비즈니스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우선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해 고객 입장에서의 상품ㆍ서비스 거래 속도를 개선하고, 복잡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면서도 보다 이해하기는 쉽도록 고객경험 혁신 전반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고객접점 전반에 AI 서비스를 탑재함으로써 금융서비스 제공의 완결성을 높이고,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금융의 핵심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시니어 및 자산관리 시장에 더욱 집중하고자 합니다.
3. 기업시민으로서의 역량 강화 신한은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녹색ㆍ전환금융 공급 확대, 내부 온실가스배출량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금융으로서의 역할을 보다 책임감 있게 수행하고, 국가적 이슈사항인저출산 문제와 위기가정 재기 등에 대한 지원사업도 질적, 양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더불어, 조직의 공정성 제고 및 직원 Self-Leadership 강화 등 HR혁신을 통해 인재밀도 전반을 향상시킴으로써 그룹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자 합니다.
4. 기업가치 제고 2025년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본격적 실행을 위한 해로서, ROE 개선, CET1비율 전년 수준 유지, 자사주 소각 중심의 주주환원율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장의 신뢰를 견고하게 쌓으면서도, ROE 개선을 통한 단단한 B/S 구축 등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2025년은 거시경제를 비롯한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생존과 균형성장, 미래 관점에서의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사. 신규사업 진출 등 1) 신한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는 2019년 2월 1일 (구)오렌지라이프(현, 신한라이프)를 자회사로 편입한 이후 2020년 1월 28일 주식교환을 통해 잔여지분을 취득함으로써 (구)오렌지라이프를 완전자회사로 전환하였으며, 2021년 7월 1일 (구)신한생명과 (구)오렌지라이프 합병을 통해 그룹내 생명보험업 강화는 물론 은행과 비은행 부문간 균형 잡힌 사업포트폴리오를 견고히 하였습니다. 또한, 그룹사간 협업을 통한 시너지 강화를 위하여 2020년 9월 29일 (구)네오플럭스(현, 신한벤처투자)를 자회사로 편입한 이후 2020년 12월 30일 주식교환을 통해 (구)네오플럭스를 완전자회사화 하였고, 2019년 5월 2일 (구)아시아신탁(현,신한자산신탁)을 자회사로 편입한 이후, 2022년 5월 16일 잔여지분인수를 완료하여 완전자회사화 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 6월 30일 (구)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현,신한EZ손해보험)을 인수하며 향후 디지털 기반 손해보험사로 스타트업 등 새로운 영역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새로운 보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한금융지주는 은행 및 비은행 부문의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경영 체계를 확립하고 그룹내 시너지를 강화하여 주주가치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할 예정입니다. 2) 신한은행 Digital Transformation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신기술을 토대로 산업간 경계를 무너뜨리고 이종 기업 간 융합이 활성화되는 초연결사회를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신한은행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KT, 넥슨, GS 등과의 메가 에코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본업을 재해석하는 것은 물론, 금융을 뛰어넘는 미래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시도를 지속 중입니다. 홈(Home)가전 기반 뱅킹서비스(KT제휴),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땡겨요), BaaS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확대, 마이데이터 서비스, 헤이영 캠퍼스 등 디지털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 나가겠습니다.
3) 신한카드 [데이터사업]
신한카드는 차별화된 Data 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Data 업계 1위를 공고히 하며 부가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3년 하반기 민간기업 최초 <데이터전문기관>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데이터 선도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였으며, '24년 8월 Data Marketplace 플랫폼
최근에는 Data 사업 경쟁력 확보 CB 사업 확장을 위해 기업정보조회업 진출을 준비 중이며, 향후 법인고객 Data 상품화를 통해 추가 수익원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PaaS(Pay as a Service)]
결제와 정산 등 Payment 솔루션 대행 사업으로 '트래블월렛' 법인선불('24년 4월), 'PAYCO' 법인선불('24년 5월), '로드시스템' 외국인 선불카드 결제('25년 3월) 등 다양한 고객사 결제 프로세싱 대행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업]
'24년 3월 신한파이낸스(카자흐스탄 현지법인)은 자동차 판매업을 영위하는 Aster Auto로부터 36.77억 텡게(109.57억원)을 투자받아 JV로 전환했으며, '25년 6월 Aster Auto의 추가 자본금 전환을 통해 신한카드의 카자흐스탄 법인 지분은 현재 72.09%로 지분 비율에 따라 이익이 배분되고 있습니다.
4) 신한투자증권
[디지털 자산]
신한투자증권은 디지털 자산 사업을 선제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조각투자사업 제휴, 토큰증권 사업 추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조각투자사업 제휴는 향후 토큰증권 및 디지털자산 사업의 초기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파트너십을 안정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의 항공기 엔진 신탁수익증권 거래유통 서비스" 로 혁신금융서비스를 '24년 4월 공동지정 받아 사업을 준비하고 있고, 복수 조각투자사업자와 제휴하여 고객 실명계좌를 통해 예치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산 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25년부터 조각투자에 실제 활용될 예정입니다.
토큰증권 사업의 경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와 제휴하여 운영 경험을 확보하는 "프로젝트 펄스" 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 관련 법 개정 및 세부사항이 정해지면 이러한 선제적인 경험을 통해 경쟁력 있게 사업을 추진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AI 서비스]신한투자증권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다양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며 정보 탐색 효율성을 확보하여 MTS(Mobile Trading System) 전반에 AI가 결합된 AI 기반 MTS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24년 12월 "신한투자증권 증권 거래 시스템(MTS, HTS, WTS 등) 고객 이용 목적의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금융 정보 탐색 및 분석 서비스" 로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 받아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AI서비스들을 개발을 통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혁신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5) 신한라이프 신한라이프는 차별적 성장과 신시장 개척의 일환으로 2020년 8월 보험 판매 전문 자회사인 신한금융플러스의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2021년 12월에는 자회사인 신한큐브온을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현지법인인 신한라이프 베트남법인은 2021년 2월 라이선스인가 획득 후 사업 개시를 위한 1년여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2022년 1월 영업을 개시하였습니다.
더불어 요양 사업 진출을 위해, 2022년 8월 이사회 결의 및 2023년 1월 금융위원회에 요양업 영위 업무 인허가 신고 수리 후 2023년 3월 신한금융플러스 내 요양 사업 부문을 신설하였습니다.
이후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2023년 8월 신한금융플러스의 요양 사업 부문을 신한큐브온으로 이관하는 이사회 결의를 하였습니다. 2023년 12월 금융위원회 업무변경 신고 수리 이후, 신한큐브온 사명도 신한라이프케어로 새롭게 변경하였습니다. 향후 핵심 신성장 동력으로서 시니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한금융그룹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일환으로, 통합 법인 출범 이후 첫 중간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신한라이프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더불어 미래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신시장 개척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6) 신한BNPP자산운용 지분(35%)인수 및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합병 신한금융그룹은 2021년 1월 15일 BNP파리바로부터 신한BNPP자산운용지분 35%인수(2020년 12월30일 주식매매계약(SPA) 체결)함으로써 100% 완전자회사가 되었습니다. 자산운용부문 개편을 통해 국내 시장 변화에 보다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갖추게 됨으로써 향후 다변화된 국내 투자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상품소싱 역량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BNP파리바그룹과의 전략적 제휴관계를 지속함으로써 글로벌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공급 체계 역시 강화할 예정입니다. [2021년 1월 신한자산운용으로 사명변경]또한,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의 이사회 및 주주총회은 2021년 9월 15일 양사의 합병계약 체결을 승인하였으며, 2022년 1월 1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양사의 전문역량 상호 활용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규모, 시너지 창출 등 자산운용업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예상됩니다. [합병 후 존속법인 및 존속법인의 상호 : 신한자산운용] ※ 참고사항 당사는 해외거래소인 美 NYSE에 동시 상장되어 있어 관련규정에 따라 美 연차보고서인 Form 20-F 공시서류를 매년 美 SEC에 제출하고 있습니다.2024년 회계연도에 대한 Form 20-F는 2025년 4월 23일에 제출하였으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에 해당 Form 20-F 원문보고서와 한글요약 번역본을 2025년 4월 24일 공시하였습니다.
가. 연결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1) 요약 연결재무상태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자 산 | |||
| Ⅰ.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39,846,236 | 40,525,712 | 34,629,251 |
| Ⅱ.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3,144,746 | 72,146,845 | 71,216,564 |
| Ⅲ. 파생상품자산 | 5,889,404 | 10,279,257 | 4,711,421 |
| Ⅳ.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97,267,259 | 93,805,369 | 90,311,979 |
| Ⅴ.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229,645 | 33,315,999 | 35,686,487 |
| Ⅵ.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448,542,280 | 449,295,238 | 411,739,562 |
| Ⅶ. 유형자산 | 3,998,968 | 4,157,592 | 3,972,304 |
| Ⅷ. 무형자산 | 5,961,483 | 6,120,133 | 6,217,946 |
| Ⅸ.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2,726,840 | 2,752,980 | 2,692,031 |
| Ⅹ. 당기법인세자산 | 35,887 | 54,658 | 30,590 |
| XI. 이연법인세자산 | 199,251 | 205,506 | 153,719 |
| XII. 투자부동산 | 339,169 | 327,696 | 257,806 |
| XIII. 순확정급여자산 | 298,544 | 155,697 | 114,378 |
| XIV. 보험계약자산 | 1,089 | 5,639 | 10,654 |
| XV. 재보험계약자산 | 756,060 | 184,754 | 88,353 |
| XVI. 기타자산 | 41,407,829 | 26,401,598 | 29,925,844 |
| XVII. 매각예정자산 | 46,772 | 29,583 | 36,444 |
| 자산 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691,795,333 |
| 부 채 | |||
| Ⅰ. 예수부채 | 420,570,728 | 422,781,045 | 381,512,664 |
| Ⅱ.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1,480,885 | 954,899 | 1,868,977 |
| Ⅲ.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7,417,650 | 8,220,475 | 7,796,727 |
| Ⅳ. 파생상품부채 | 5,272,227 | 10,058,532 | 5,038,416 |
| Ⅴ. 차입부채 | 54,294,358 | 49,920,373 | 56,901,352 |
| Ⅵ. 사채 | 89,157,111 | 93,765,854 | 81,561,725 |
| Ⅶ. 순확정급여부채 | 99,190 | 38,974 | 67,620 |
| Ⅷ. 충당부채 | 1,183,853 | 1,308,896 | 1,369,666 |
| Ⅸ. 당기법인세부채 | 329,025 | 203,131 | 92,253 |
| X. 이연법인세부채 | 646,414 | 423,821 | 542,595 |
| XI. 보험계약부채 | 52,545,867 | 51,124,629 | 48,333,208 |
| XII. 재보험계약부채 | 115,795 | 98,063 | 93,240 |
| XIII. 투자계약부채 | 826,844 | 1,165,022 | 1,572,685 |
| XIV. 기타부채 | 58,555,651 | 40,879,509 | 48,722,340 |
| 부채 총계 | 692,495,598 | 680,943,223 | 635,473,468 |
| 자본 | |||
|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57,189,893 | 56,053,756 | 53,720,537 |
| (1) 자본금 | 2,969,641 | 2,969,641 | 2,969,641 |
| (2) 신종자본증권 | 4,799,501 | 4,600,121 | 4,001,731 |
| (3) 자본잉여금 | 12,102,048 | 12,094,968 | 12,094,968 |
| (4) 자본조정 | -577,510 | -807,114 | -658,664 |
|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615,532 | -1,824,440 | -1,074,453 |
| (6) 이익잉여금 | 40,511,745 | 39,020,580 | 36,387,314 |
| Ⅱ. 비지배지분 | 3,005,971 | 2,767,277 | 2,601,328 |
| 자본 총계 | 60,195,864 | 58,821,033 | 56,321,865 |
| 부채와 자본 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691,795,333 |
| 연결에 포함된 회사 수 | 393개 | 411개 | 452개 |
(2)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반기 (2024.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Ⅰ.영업이익 | 3,958,471 | 3,920,779 | 6,458,670 | 6,100,850 |
| Ⅱ.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114,678 | -14,958 | -23,822 | 125,088 |
| Ⅲ.기타영업외손익 | 4,533 | -243,877 | -405,756 | -260,978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077,682 | 3,661,944 | 6,029,092 | 5,964,960 |
| Ⅴ.법인세비용 | 983,402 | 863,129 | 1,470,922 | 1,486,960 |
| Ⅵ.당기순이익 | 3,094,280 | 2,798,815 | 4,558,170 | 4,478,000 |
| Ⅶ.기타포괄손익 | -794,420 | -897,847 | -745,665 | 844,389 |
| Ⅷ.총포괄이익 | 2,299,860 | 1,900,968 | 3,812,505 | 5,322,389 |
| Ⅸ.당기순이익의 귀속 | 3,094,280 | 2,798,815 | 4,558,170 | 4,478,000 |
| (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3,037,399 | 2,747,011 | 4,450,177 | 4,368,035 |
| (2) 비지배지분 | 56,881 | 51,804 | 107,993 | 109,965 |
| Ⅹ.총포괄이익의 귀속 | 2,299,860 | 1,900,968 | 3,812,505 | 5,322,389 |
| (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246,396 | 1,848,764 | 3,702,863 | 5,208,629 |
| (2) 비지배지분 | 53,464 | 52,204 | 109,642 | 113,760 |
| XI.주당이익 | ||||
| (1) 기본주당순이익 | 5,978원 | 5,219원 | 8,441원 | 8,048원 |
| (2) 희석주당순이익 | 5,978원 | 5,219원 | 8,441원 | 8,048원 |
나.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1) 요약 재무상태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자 산 | |||
| Ⅰ. 현금및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16 | 151,143 | 22 |
| Ⅱ.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632,919 | 2,552,750 | 1,985,760 |
| Ⅲ.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2,984,674 | 3,837,298 | 4,051,004 |
| Ⅳ. 유형자산 | 6,242 | 6,509 | 7,586 |
| Ⅴ. 무형자산 | 6,844 | 6,488 | 7,745 |
| Ⅵ.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30,723,705 | 30,623,651 | 30,723,087 |
| Ⅶ. 순확정급여자산 | - | 5,622 | 7,077 |
| Ⅷ. 기타자산 | 623,737 | 488,842 | 507,274 |
| 자산 총계 | 37,978,137 | 37,672,303 | 37,289,555 |
| 부 채 | |||
| Ⅰ. 차입부채 | 9,823 | 19,914 | 223,722 |
| Ⅱ. 사채 | 9,576,232 | 10,731,336 | 10,389,276 |
| Ⅲ. 순확정급여부채 | 2,523 | - | - |
| Ⅳ. 이연법인세부채 | 18,852 | 20,518 | 9,589 |
| Ⅴ. 기타부채 | 669,322 | 552,360 | 567,827 |
| 부채 총계 | 10,276,752 | 11,324,128 | 11,190,414 |
| 자 본 | |||
| Ⅰ. 자본금 | 2,969,641 | 2,969,641 | 2,969,641 |
| Ⅱ. 신종자본증권 | 4,799,501 | 4,600,121 | 4,001,731 |
| Ⅲ. 자본잉여금 | 11,350,744 | 11,350,744 | 11,350,744 |
| Ⅳ. 자본조정 | -46,045 | -296,024 | -148,464 |
| Ⅴ.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375 | -9,307 | -6,642 |
| Ⅵ. 이익잉여금 | 8,638,919 | 7,733,000 | 7,932,131 |
| 자본 총계 | 27,701,385 | 26,348,175 | 26,099,141 |
| 부채와 자본 총계 | 37,978,137 | 37,672,303 | 37,289,555 |
|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 요약 포괄손익계산서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 |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25기 반기 (2025.06.30) |
제24기 반기 (2024.06.30) |
제24기 (2024.12.31) |
제23기 (2023.12.31) |
|---|---|---|---|---|
| Ⅰ.영업이익 | 2,455,055 | 1,742,931 | 1,800,863 | 1,706,640 |
| Ⅱ.영업외손익 | -3,473 | -3,271 | -169,111 | -7,223 |
| Ⅲ.법인세차감전순이익 | 2,451,582 | 1,739,660 | 1,631,752 | 1,699,417 |
| Ⅳ.법인세비용 | 12 | 2,779 | 11,885 | 28,406 |
| Ⅴ.당기순이익 | 2,451,570 | 1,736,881 | 1,619,867 | 1,671,011 |
| Ⅵ.기타포괄손익 | -2,068 | -1,537 | -2,665 | -1,432 |
| Ⅶ.총포괄이익 | 2,449,502 | 1,735,344 | 1,617,202 | 1,669,579 |
| Ⅷ.주당이익 | ||||
| (1) 기본주당이익 | 4,786원 | 3,238원 | 2,850원 | 2,853원 |
| (2) 희석주당이익 | 4,786원 | 3,238원 | 2,850원 | 2,853원 |
2-1. 연결 재무상태표
|
연결 재무상태표 |
|
제 25 기 반기말 2025.06.30 현재 |
|
제 24 기말 2024.12.31 현재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말 |
제 24 기말 |
|
|---|---|---|
|
자산 |
||
|
Ⅰ.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39,846,236 |
40,525,712 |
|
Ⅱ.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3,144,746 |
72,146,845 |
|
Ⅲ.파생상품자산 |
5,889,404 |
10,279,257 |
|
Ⅳ.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97,267,259 |
93,805,369 |
|
Ⅴ.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32,229,645 |
33,315,999 |
|
Ⅵ.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448,542,280 |
449,295,238 |
|
Ⅶ.유형자산 |
3,998,968 |
4,157,592 |
|
Ⅷ.무형자산 |
5,961,483 |
6,120,133 |
|
Ⅸ.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2,726,840 |
2,752,980 |
|
X.당기법인세자산 |
35,887 |
54,658 |
|
XI.이연법인세자산 |
199,251 |
205,506 |
|
XII.투자부동산 |
339,169 |
327,696 |
|
XIII.순확정급여자산 |
298,544 |
155,697 |
|
XIV.보험계약자산 |
1,089 |
5,639 |
|
XV.재보험계약자산 |
756,060 |
184,754 |
|
XVI.기타자산 |
41,407,829 |
26,401,598 |
|
XVII.매각예정자산 |
46,772 |
29,583 |
|
자산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
자본과 부채 |
||
|
부채 |
||
|
Ⅰ.예수부채 |
420,570,728 |
422,781,045 |
|
Ⅱ.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1,480,885 |
954,899 |
|
Ⅲ.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7,417,650 |
8,220,475 |
|
Ⅳ.파생상품부채 |
5,272,227 |
10,058,532 |
|
Ⅴ.차입부채 |
54,294,358 |
49,920,373 |
|
Ⅵ.사채 |
89,157,111 |
93,765,854 |
|
Ⅶ.순확정급여부채 |
99,190 |
38,974 |
|
Ⅷ.충당부채 |
1,183,853 |
1,308,896 |
|
Ⅸ.당기법인세부채 |
329,025 |
203,131 |
|
Ⅹ.이연법인세부채 |
646,414 |
423,821 |
|
XI.보험계약부채 |
52,545,867 |
51,124,629 |
|
XII.재보험계약부채 |
115,795 |
98,063 |
|
XIII.투자계약부채 |
826,844 |
1,165,022 |
|
XIV.기타부채 |
58,555,651 |
40,879,509 |
|
부채총계 |
692,495,598 |
680,943,223 |
|
자본 |
||
|
Ⅰ.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57,189,893 |
56,053,756 |
|
(1)자본금 |
2,969,641 |
2,969,641 |
|
(2)신종자본증권 |
4,799,501 |
4,600,121 |
|
(3)자본잉여금 |
12,102,048 |
12,094,968 |
|
(4)자본조정 |
(577,510) |
(807,114) |
|
(5)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615,532) |
(1,824,440) |
|
(6)이익잉여금 |
40,511,745 |
39,020,580 |
|
Ⅱ.비지배지분 |
3,005,971 |
2,767,277 |
|
자본총계 |
60,195,864 |
58,821,033 |
|
자본과부채총계 |
752,691,462 |
739,764,256 |
2-2.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 |
제 24 기 반기 |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Ⅰ.영업이익 |
2,014,257 |
3,958,471 |
1,852,543 |
3,920,779 |
|
(1)순이자손익 |
2,863,952 |
5,718,840 |
2,821,843 |
5,637,713 |
|
1.이자수익 |
6,967,186 |
14,035,110 |
7,244,965 |
14,435,457 |
|
2.이자비용 |
(4,103,234) |
(8,316,270) |
(4,423,122) |
(8,797,744) |
|
(2)순수수료손익 |
761,975 |
1,440,121 |
715,908 |
1,419,309 |
|
1.수수료수익 |
1,147,111 |
2,200,543 |
1,121,853 |
2,186,078 |
|
2.수수료비용 |
(385,136) |
(760,422) |
(405,945) |
(766,769) |
|
(3)순보험손익 |
265,625 |
519,931 |
273,306 |
560,715 |
|
1.보험수익 |
823,606 |
1,639,674 |
778,581 |
1,543,924 |
|
2.재보험수익 |
55,865 |
82,366 |
8,148 |
22,959 |
|
3.보험서비스비용 |
(556,237) |
(1,110,742) |
(491,515) |
(967,462) |
|
4.재보험서비스비용 |
(57,609) |
(91,367) |
(21,908) |
(38,706) |
|
(4)보험금융손익 |
(362,821) |
(417,377) |
(133,744) |
(259,791) |
|
1.보험금융수익 |
20,511 |
41,229 |
4,933 |
16,750 |
|
2.보험금융비용 |
(383,332) |
(458,606) |
(138,677) |
(276,541) |
|
(5)배당수익 |
62,132 |
133,543 |
74,465 |
153,554 |
|
(6)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 관련손익 |
856,327 |
1,366,562 |
648,935 |
1,034,083 |
|
(7)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상품 관련손익 |
(64,131) |
(220,976) |
(199,011) |
(231,253) |
|
(8)외환거래손익 |
258,837 |
394,175 |
207,415 |
341,746 |
|
(9)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처분손익 |
71,463 |
146,006 |
5,162 |
27,280 |
|
(10)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처분손익 |
(11) |
(38) |
(2) |
(4) |
|
(11)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
(617,853) |
(1,057,204) |
(605,501) |
(977,480) |
|
(12)일반관리비 |
(1,486,100) |
(2,900,058) |
(1,471,614) |
(2,843,851) |
|
(13)기타영업손익 |
(595,138) |
(1,165,054) |
(484,619) |
(941,242) |
|
Ⅱ.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75,231 |
114,678 |
(7,359) |
(14,958) |
|
Ⅲ.기타영업외손익 |
(17,364) |
4,533 |
26,255 |
(243,877)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072,124 |
4,077,682 |
1,871,439 |
3,661,944 |
|
Ⅴ.법인세비용 |
494,890 |
983,402 |
420,453 |
863,129 |
|
Ⅵ.반기순이익 |
1,577,234 |
3,094,280 |
1,450,986 |
2,798,815 |
|
Ⅶ.반기기타포괄손익 |
(259,761) |
(794,420) |
(313,990) |
(897,847)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
|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278,025) |
(872,285) |
(388,299) |
(1,006,657) |
|
1.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평가손익 |
(369,148) |
407,888 |
518,833 |
(85,638) |
|
2.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580) |
(5,007) |
(27) |
(37) |
|
3.해외사업환산손익 |
(439,564) |
(434,557) |
16,287 |
113,243 |
|
4.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손익 |
(69,952) |
(22,150) |
20,739 |
(21,513) |
|
5.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620,467 |
(792,837) |
(944,731) |
(1,012,217) |
|
6.재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19,248) |
(25,622) |
600 |
(495)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
(2)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18,264 |
77,865 |
74,309 |
108,810 |
|
1.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55,806) |
(55,606) |
62,182 |
61,063 |
|
2.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평가손익 |
72,459 |
132,874 |
12,914 |
53,554 |
|
3.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처분손익 |
2,607 |
2,140 |
478 |
(2,508) |
|
4.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의 자기신용위험조정 |
(996) |
(1,543) |
(1,265) |
(3,299) |
|
Ⅷ.반기총포괄이익 |
1,317,473 |
2,299,860 |
1,136,996 |
1,900,968 |
|
Ⅸ.반기순이익의 귀속 |
||||
|
(1)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549,053 |
3,037,399 |
1,425,479 |
2,747,011 |
|
(2)비지배지분 |
28,181 |
56,881 |
25,507 |
51,804 |
|
Ⅹ.반기총포괄이익의 귀속 |
||||
|
(1)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292,768 |
2,246,396 |
1,110,843 |
1,848,764 |
|
(2)비지배지분 |
24,705 |
53,464 |
26,153 |
52,204 |
|
XI.주당이익 |
||||
|
기본주당이익 (단위 : 원) |
3,062 |
5,978 |
2,706 |
5,219 |
|
희석주당이익 (단위 : 원) |
3,062 |
5,978 |
2,706 |
5,219 |
2-3. 연결 자본변동표
|
연결 자본변동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
자본금 |
신종자본증권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
|||
|
2024.01.01 (기초자본) |
2,969,641 |
4,001,731 |
12,094,968 |
(658,664) |
(1,074,453) |
36,387,314 |
53,720,537 |
2,601,328 |
56,321,865 |
|
자본의 변동 |
|||||||||
|
포괄손익 |
|||||||||
|
반기총포괄이익 |
0 |
0 |
0 |
0 |
(898,247) |
2,747,011 |
1,848,764 |
52,204 |
1,900,968 |
|
반기순이익 |
0 |
0 |
0 |
0 |
0 |
2,747,011 |
2,747,011 |
51,804 |
2,798,815 |
|
반기기타포괄손익 |
|||||||||
|
반기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898,247) |
0 |
(898,247) |
400 |
(897,847)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평가 및 처분손익 |
0 |
0 |
0 |
0 |
(34,643) |
0 |
(34,643) |
51 |
(34,592) |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0 |
0 |
0 |
0 |
(37) |
0 |
(37) |
0 |
(37) |
|
해외사업환산손익 |
0 |
0 |
0 |
0 |
113,077 |
0 |
113,077 |
166 |
113,243 |
|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손익 |
0 |
0 |
0 |
0 |
(21,513) |
0 |
(21,513) |
0 |
(21,513) |
|
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0 |
0 |
0 |
0 |
(1,012,217) |
0 |
(1,012,217) |
0 |
(1,012,217) |
|
재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0 |
0 |
0 |
0 |
(495) |
0 |
(495) |
0 |
(495)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0 |
0 |
0 |
0 |
60,880 |
0 |
60,880 |
183 |
61,06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부채의 자기신용위험 조정 |
0 |
0 |
0 |
0 |
(3,299) |
0 |
(3,299) |
0 |
(3,299) |
|
소유주와의 거래 |
|||||||||
|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
0 |
199,357 |
0 |
(48,215) |
0 |
(883,180) |
(732,038) |
111,485 |
(620,553) |
|
연차배당 |
0 |
0 |
0 |
0 |
0 |
(268,697) |
(268,697) |
0 |
(268,697) |
|
분기배당 |
0 |
0 |
0 |
0 |
0 |
(275,069) |
(275,069) |
0 |
(275,069) |
|
신종자본증권배당 |
0 |
0 |
0 |
0 |
0 |
(85,806) |
(85,806) |
0 |
(85,806) |
|
신종자본증권발행 |
0 |
398,833 |
0 |
0 |
0 |
0 |
398,833 |
0 |
398,833 |
|
신종자본증권상환 |
0 |
(199,476) |
0 |
(524) |
0 |
0 |
(200,000) |
0 |
(200,000)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0 |
0 |
0 |
102,667 |
0 |
(102,667) |
0 |
0 |
0 |
|
자기주식 취득 |
0 |
0 |
0 |
(300,050) |
0 |
0 |
(300,050) |
0 |
(300,050) |
|
자기주식 처분 |
0 |
0 |
296 |
0 |
0 |
296 |
0 |
296 |
|
|
자기주식 소각 |
0 |
0 |
0 |
150,000 |
0 |
(150,056) |
(56) |
0 |
(56) |
|
기타연결자본조정의 변동 |
0 |
0 |
0 |
(604) |
0 |
(885) |
(1,489) |
0 |
(1,489) |
|
기타 비지배지분의 변동 |
0 |
0 |
0 |
0 |
0 |
0 |
0 |
111,485 |
111,485 |
|
기타포괄손익 이익잉여금 재분류 |
0 |
0 |
0 |
0 |
5,638 |
(5,638) |
0 |
0 |
0 |
|
2024.06.30 (기말자본) |
2,969,641 |
4,201,088 |
12,094,968 |
(706,879) |
(1,967,062) |
38,245,507 |
54,837,263 |
2,765,017 |
57,602,280 |
|
2025.01.01 (기초자본) |
2,969,641 |
4,600,121 |
12,094,968 |
(807,114) |
(1,824,440) |
39,020,580 |
56,053,756 |
2,767,277 |
58,821,033 |
|
자본의 변동 |
|||||||||
|
포괄손익 |
|||||||||
|
반기총포괄이익 |
0 |
0 |
0 |
0 |
(791,003) |
3,037,399 |
2,246,396 |
53,464 |
2,299,860 |
|
반기순이익 |
0 |
0 |
0 |
0 |
0 |
3,037,399 |
3,037,399 |
56,881 |
3,094,280 |
|
반기기타포괄손익 |
|||||||||
|
반기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791,003) |
0 |
(791,003) |
(3,417) |
(794,42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평가 및 처분손익 |
0 |
0 |
0 |
0 |
542,675 |
0 |
542,675 |
227 |
542,902 |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0 |
0 |
0 |
0 |
(5,007) |
0 |
(5,007) |
0 |
(5,007) |
|
해외사업환산손익 |
0 |
0 |
0 |
0 |
(431,201) |
0 |
(431,201) |
(3,356) |
(434,557) |
|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손익 |
0 |
0 |
0 |
0 |
(22,150) |
0 |
(22,150) |
0 |
(22,150) |
|
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0 |
0 |
0 |
0 |
(792,837) |
0 |
(792,837) |
0 |
(792,837) |
|
재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0 |
0 |
0 |
0 |
(25,622) |
0 |
(25,622) |
0 |
(25,622)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0 |
0 |
0 |
0 |
(55,318) |
0 |
(55,318) |
(288) |
(55,606)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부채의 자기신용위험 조정 |
0 |
0 |
0 |
0 |
(1,543) |
0 |
(1,543) |
0 |
(1,543) |
|
소유주와의 거래 |
|||||||||
|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
0 |
199,380 |
7,080 |
229,604 |
0 |
(1,546,323) |
(1,110,259) |
185,230 |
(925,029) |
|
연차배당 |
0 |
0 |
0 |
0 |
0 |
(267,755) |
(267,755) |
0 |
(267,755) |
|
분기배당 |
0 |
0 |
0 |
0 |
0 |
(278,127) |
(278,127) |
0 |
(278,127) |
|
신종자본증권배당 |
0 |
0 |
0 |
0 |
0 |
(99,134) |
(99,134) |
0 |
(99,134) |
|
신종자본증권발행 |
0 |
398,835 |
0 |
0 |
0 |
0 |
398,835 |
0 |
398,835 |
|
신종자본증권상환 |
0 |
(199,455) |
0 |
(545) |
0 |
0 |
(200,000) |
0 |
(200,000)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0 |
0 |
0 |
524 |
0 |
(524) |
0 |
0 |
0 |
|
자기주식 취득 |
0 |
0 |
0 |
(650,000) |
0 |
0 |
(650,000) |
0 |
(650,000) |
|
자기주식 처분 |
0 |
0 |
0 |
0 |
0 |
0 |
0 |
0 |
|
|
자기주식 소각 |
0 |
0 |
0 |
900,000 |
0 |
(900,112) |
(112) |
0 |
(112) |
|
기타연결자본조정의 변동 |
0 |
0 |
7,080 |
(20,375) |
0 |
(671) |
(13,966) |
0 |
(13,966) |
|
기타 비지배지분의 변동 |
0 |
0 |
0 |
0 |
0 |
0 |
0 |
185,230 |
185,230 |
|
기타포괄손익 이익잉여금 재분류 |
0 |
0 |
0 |
0 |
(89) |
89 |
0 |
0 |
0 |
|
2025.06.30 (기말자본) |
2,969,641 |
4,799,501 |
12,102,048 |
(577,510) |
(2,615,532) |
40,511,745 |
57,189,893 |
3,005,971 |
60,195,864 |
2-4. 연결 현금흐름표
|
연결 현금흐름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 |
제 24 기 반기 |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영업활동순현금흐름 |
2,257,634 |
(2,662,892) |
|
가.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3,743,631) |
(9,092,415) |
|
(1)반기순이익 |
3,094,280 |
2,798,815 |
|
(2)반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4,032,144) |
(3,785,840) |
|
1.이자수익 |
(14,035,110) |
(14,435,457) |
|
2.이자비용 |
8,316,270 |
8,797,744 |
|
3.배당수익 |
(133,543) |
(153,554) |
|
4.법인세비용 |
983,402 |
863,129 |
|
5.수수료손익 |
175,188 |
147,925 |
|
6.보험손익 |
(519,931) |
(560,715) |
|
7.보험금융손익 |
417,377 |
259,791 |
|
8.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 관련 손익 |
(626,933) |
(683,255) |
|
9.파생상품관련손익 |
(584,349) |
(169,142) |
|
10.외환거래손익 |
(151,726) |
(189,553) |
|
11.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상품관련손익 |
74,816 |
101,742 |
|
12.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처분손익 |
(146,006) |
(27,280) |
|
13.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처분손익 |
38 |
4 |
|
14.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
1,057,204 |
977,480 |
|
15.종업원급여 |
111,086 |
91,689 |
|
16.감가상각비 및 기타상각비 |
658,657 |
615,151 |
|
17.기타영업손익 |
464,976 |
358,781 |
|
18.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114,678) |
14,958 |
|
19.기타영업외손익 |
21,118 |
204,722 |
|
(3)자산ㆍ부채의 증감 |
(2,805,767) |
(8,105,390) |
|
1.상각후원가 측정 예치금 |
81,938 |
(1,456) |
|
2.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1,736,044) |
(2,719,145) |
|
3.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3,408 |
0 |
|
4.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435,749 |
333,352 |
|
5.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상품 |
(929,866) |
(264,933) |
|
6.파생상품 |
149,133 |
(244,535) |
|
7.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367,422) |
(21,426,996) |
|
8.보험계약자산 |
4,550 |
9,788 |
|
9.재보험계약자산 |
(571,306) |
(25,085) |
|
10.기타자산 |
(15,583,358) |
(9,468,937) |
|
11.예수부채 |
(1,658,373) |
21,002,712 |
|
12.순확정급여부채 |
(244,542) |
(27,942) |
|
13.충당부채 |
(120,705) |
(286,763) |
|
14.보험계약부채 |
(259,234) |
(437,651) |
|
15.재보험계약부채 |
(22,039) |
6,436 |
|
16.투자계약부채 |
(359,991) |
(235,094) |
|
17.기타부채 |
18,372,335 |
5,680,859 |
|
나.법인세의 납부 |
(489,113) |
(387,800) |
|
다.이자의 수취 |
13,668,283 |
14,050,319 |
|
라.이자의 지급 |
(7,309,821) |
(7,385,202) |
|
마.배당금의 수취 |
131,916 |
152,206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투자활동순현금흐름 |
(2,323,511) |
1,076,004 |
|
1.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의 감소 |
2,209,958 |
2,156,164 |
|
2.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의 취득 |
(2,452,851) |
(2,693,066) |
|
3.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의 감소 |
26,201,238 |
22,556,397 |
|
4.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의 취득 |
(29,355,911) |
(20,063,332) |
|
5.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감소 |
4,180,528 |
3,415,016 |
|
6.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취득 |
(2,997,828) |
(3,616,448) |
|
7.유형자산의 처분 |
5,659 |
5,215 |
|
8.유형자산의 취득 |
(96,061) |
(95,939) |
|
9.무형자산의 처분 |
6,316 |
4,752 |
|
10.무형자산의 취득 |
(235,793) |
(302,855) |
|
11.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처분 |
291,054 |
194,453 |
|
12.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
(162,894) |
(444,474) |
|
13.지배력상실로 인한 순현금유입 |
96,331 |
0 |
|
14.지배력획득으로 인한 순현금유출 |
(57,933) |
0 |
|
15.투자부동산의 처분 |
0 |
5,281 |
|
16.투자부동산의 취득 |
(1,320) |
(1,394) |
|
17.매각예정자산의 처분 |
23,100 |
0 |
|
18.기타자산의 증감 |
(2,420) |
(8,791) |
|
19.기타부채의 증감 |
(68) |
0 |
|
20.위험회피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
34,620 |
29,102 |
|
21.위험회피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
(9,236) |
(64,077)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재무활동순현금흐름 |
238,909 |
1,660,348 |
|
1.신종자본증권의 발행 |
398,835 |
398,833 |
|
2.신종자본증권의 상환 |
(200,000) |
(200,000) |
|
3.차입부채의 증감 |
4,857,929 |
(339,276) |
|
4.사채의 발행 |
19,515,834 |
21,087,248 |
|
5.사채의 상환 |
(23,048,289) |
(17,873,570) |
|
6.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의 증가 |
99,985 |
0 |
|
7.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의 감소 |
(50,000) |
0 |
|
8.기타부채의 감소 |
(28,425) |
(61,336) |
|
9.배당금의 지급 |
(644,704) |
(629,266) |
|
10.위험회피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
1,322,748 |
1,423,450 |
|
11.위험회피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
(1,307,956) |
(1,427,307) |
|
12.자기주식의 취득 |
(650,000) |
(300,050) |
|
13.자기주식의 처분 |
0 |
296 |
|
14.자기주식의 소각 비용 |
(47) |
(56) |
|
15.비지배지분의 증감 |
106,504 |
(289,382) |
|
16.리스부채의 상환 |
(133,505) |
(129,236) |
|
Ⅳ.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
|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85,855) |
104,611 |
|
Ⅴ.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증가 |
87,177 |
178,071 |
|
Ⅵ.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35,247,543 |
30,416,884 |
|
Ⅶ.반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
35,334,720 |
30,594,955 |
1. 회사의 개요 (연결)
|
지배기업인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와 그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배기업의 개요 지배기업인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이하 "지배기업")는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 등에 대한 지배ㆍ경영관리, 종속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2001년 9월 1일에 주식회사 신한은행, 신한증권주식회사, 신한캐피탈주식회사 및 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주식회사의 주주로부터 주식이전의 방법으로 설립되었으며, 설립시 자본금은 1,461,721백만원입니다. 또한, 동년 9월 10일에 지배기업의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고, 지배기업은 2003년 9월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등록되었으며, 동 일자로 지배기업 미국주식예탁증서(ADS: American Depositary Shares)를 뉴욕증권거래소(NYSE: New York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습니다. (2) 종속기업의 개요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지배기업과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간의 지분보유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연결대상구조화기업 연결대상 구조화기업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4)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지배기업 및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지배기업 및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2.3.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연결)
|
2. 재무제표 작성기준(1) 회계기준의 적용 연결실체의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연결실체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치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기대총연간이익에 적용될 수 있는 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이 적용되어 측정됩니다.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정책 (1) 연결실체는 2025년 1월 1일부터 최초로 적용되는 다음의 개정사항에서 설명하는사항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동 개정사항은 회계목적상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다고 보는 상황에 대해 정의하고,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 평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경우 사용할 현물환율 추정 및 공시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측정일에 현물환율을 추정해야 하며, 관측 가능한 환율을 조정 없이 사용하거나 다른 추정기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2025년 6월 30일 현재 제정ㆍ공표 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개정) - 금융상품 분류와 측정동 개정사항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금융부채를 결제할 때의 금융부채의 결제일 전 이행과 관련된 조건, 계약상 현금흐름이 기본대여계약과 일관되는지 평가할 때고려해야 할 이자 및 우발사건 특성, 비소구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성을 명확히 합니다. 그리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와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할 수 있는 계약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포함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의 개시일 이후 소급적으로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사항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의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 및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 제거 손익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
4-1. 금융상품 위험 관리 (연결)
|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위험의 성격과 정도에 대한 공시 |
|
위험 |
위험 합계 |
|||||
|---|---|---|---|---|---|---|
|
신용위험 |
시장위험 |
유동성위험 |
||||
|
트레이딩 포지션의 시장리스크 관리 |
비트레이딩 포지션 금리위험 관리 |
환위험 |
||||
|
위험에 대한 노출정도에 대한 기술 |
신용위험은 차주 또는 거래상대방의 부도, 계약불이행 등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발 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제적 손실 위험을 의미하며, 연결실체가 부담하는 가장 큰 위험입니다. 신용위험 관리 대상은 난내계정은 물론, 보증, 대출약정, 파생상품 거래 등 난외계정을 포함하여 신용위험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포함하고 있습니다. |
시장위험은 금리, 환율, 주가 등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기관의 트레이딩 계 정 포지션의 손실위험으로 정의되며, 일반시장위험과 개별위험으로 구분됩니다. 일 반시장위험은 금리, 주가, 환율 등 시장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과 연관되어 발생 하는 가격변동성으로부터의 손실을 뜻하며, 개별 위험은 채권 및 주식 등 유가증권 발행자의 개별적인 사건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가격변동성으로부터의 손실을 의미합 니다. 구조적 외환포지션은 국외점포의 출자금, 갑기금 등 외화로 투자한 금액에 대해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아 시장리스크 규제자본 산출대상에서 제외하는 외환포지션을 의미합니다. |
금리위험은 금리가 그룹의 재무상태에 불리하게 변동할 때 발생하는 순이자이익의 감소 또는 순자산가치의 하락 가능성을 말합니다. 금리위험 관리를 통하여 그룹의 순이자이익 및 순자산가치와 관련한 금리위험 변동요인을 조기에 예측함으로써 금리 변동에 따라 발생하게 될 순이자이익 또는 순자산가치의 변동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외환위험 익스포져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의 차이(순포지션)로 이해될 수 있으며, 환율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금융상품도 해당됩니다. 앞서 설명한 트레이딩 포지 션에 대한 시장위험 발생 요인의 한 부분으로써 시장리스크관리체제 내에서 관리되 고 있습니다. |
유동성위험은 자산ㆍ부채간 자금 기일의 불일치 또는 급격한 자금유출 등으로 인하 여, 예상치 못한 손실(비정상적 가격으로 자산 처분, 고금리 조달 등)이 발생하거나 지급불능 상태가 될 위험을 말합니다. |
|
|
위험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기술 |
신한은행의 신용리스크 관리에 대한 기본 정책은 리스크정책위원회에서 결정됩니다.리스크정책위원회는 CRO(Chief Risk Officer)를 위원장으로, CCO(Chief Credit Officer)와 사업그룹 담당 그룹장 및 리스크총괄부장으로 구성되어, 은행 전반의 신용위험관리 방안과 여신 정책 방향을 의사결정하고 있습니다. 리스크정책위원회와 별도로 여신심의위원회를 설치하여 거액여신 및 한도승인 등의 여신 심사를 분리하고 있으며, CCO를 위원장으로, CRO와 여신관련 사업그룹 담당 부행장, 여신기획부장 및선임심사역으로 구성되어 여신의 건전성 및 운용 수익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여신 심사를 하고 있습니다.신한은행의 신용리스크 관리는 거래상대방에 대한 신용평가, 여신심사, 여신감리 등의 프로세스가 있으며, 포트폴리오에 대한 신용리스크 측정 및 한도관리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모든 여신고객은 신용등급이 부여되어 관리되는데, 개인은 신상 정보, 은행내부실적정보, 외부신용정보를 합산하여 산출되고, 기업은 재무항목과 산업위험, 영업위험, 경영위험 등의 비재무항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산출된 신용등급은 여신승인, 한도관리, 가격결정, 대손충당금적립 등에 활용되어 신용리스크관리의 기본이 됩니다. 신용평가시스템은 개인평가시스템, SOHO평가시스템, 기업평가시스템으로 구분되며, 바젤III 요건을 반영하여 각 모형별로 세분화하고 정교화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업여신에 대한 심사는 집단 의사결정체제를 취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신중한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여신의 경우 영업점의 RM(Relationship Manager)과 각 사업부문 본부 심사역의 협의를 바탕으로 여신 승인이 이루어지며, 규모가 크거나 중요한 여신의 경우는 심사협의체 등에서 여신 승인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거액 여신 등 중요 여신에 대하여는 여신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여신심의위원회에서 심사를 하고 있습니다. 개인여신은 객관적인 통계방법과 은행의 신용정책에 기초한 자동화된 개인여신평가시스템(CSS)에 의하여 심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개별 여신에 대한 상시 관리를 위하여 상시모니터링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기업여신 거래처 중 부실예상기업을 자동 검색하여 심사역과 RM으로 하여금 Loan Review 결과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기업의 신용 등급 조정을 요청합니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부실예상기업을 조기경보기업, 관찰기업 및 정상기업으로 분류한 뒤 위험단계별 관리지침에 따라 차별 관리함으로써 여신의 부실화를 조기에 차단하고 있습니다. 전문 신용평가기관과 제휴한 재무분석지원시스템은 여신심사 및 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여신기획부에서 산업등급을 산출ㆍ관리하고, 산업동향 및 기업정보를 분석ㆍ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용포트폴리오에 대한 신용리스크를 적정 수준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전행 및 사업부문별 신용VaR한도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특정부문에 익스포져가 편중되어 발생하는 신용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하여 동일인별, 산업별, 국가별 등 부문별로 익스포져한도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신한카드의 신용리스크에 관한 기본 정책은 리스크관리협의회에서 결정됩니다. 리스크관리협의회는 리스크관리본부장(CRO)을 의장으로 하고 그룹장 전원과 주요 본부장으로 구성됩니다. 리스크관리협의회와는 별도로 일정금액 이상의 법인여신 및 기타 중요여신의 심사를 담당하는 여신심사위원회를 설치하여 여신정책 결정과 여신심사를 분리하고 있습니다.신한카드의 신용평점시스템은 ASS(Application Scoring System)와 BSS(BehaviourScoring System)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AS 적용업무는 신청자의 신용평점이 일정점수 이상이고 타 카드사 연체 등과 같은 정책거절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승인되며, 그룹 장기거래 고객이며 우량 신용이력을 가지고 있는 카드신청자에 대해서별도의 심사기준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용평점의 요소들을 카드발급시 한도 설정의 기반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매월 재계산되는 BS는 카드회원의 연체확률 을 예측해주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회원을 모니터링 하고 포트폴리오 위험을 모니터링하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
트레이딩부문 시장위험 관리의 기본적인 원칙은 시장위험으로 인한 최대 손실가능액을 일정 수준 이내로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포트폴리오에서부 터 개별 데스크에 이르기까지 VaR 한도, 투자 한도, 포지션 한도, 민감도 한도, 손실 한도 등을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도는 운용부서와는 독립적인 리스 크 관리 담당부서에서 일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트레이딩 포지션은 단기재판매, 단기가격변동을 통한 차익추구, 무위험차익거래, 리 스크헤지거래 등의 보유목적 해당하는 모든 거래를 의미합니다. 유가증권, 외환포지 션, 파생금융상품 등이 트레이딩포지션에 주로 해당하며. 시장위험 측정방법으로는 VaR(Value at Risk)가 대표적입니다. VaR는 시장상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 는 잠재적인 최대손실액에 대한 통계적인 측정치를 말합니다. VaR는 그룹 시장리스 크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준방법 시장리스크량을 산출하고 있으며, 신한은행은 자체적인 시장리스크 산출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방법 시장리스크량을 산출하고 있습 니다. 그룹과 신한은행은 표준방법 시장리스크 산출시 감독원장의 승인을 받은 구조적 외환포지션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자체적인 시장리스크산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역사적 시뮬레이션 VaR를, 그룹 시장리스크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방법 시장리스크량을 산출하고 있습니다.통계적 방법에 의한 위험 측정을 보완하고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부터 발생할 수있는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를 실시하고 있습니다.신한은행은 시장리스크 표준방법을 적용하여 트레이딩계정 상품의 위험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트레이딩계정은 단기재판매, 단기가격변동을 통한 차익추구, 무위험차익 거래, 리스크헤지거래 등의 보유목적 해당하는 경우 시장리스크를 산출하게 됩니다. 표준방법은 국제결제은행(BIS)의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에서 제안한 리스크산출방식으로 한국은 2023년 부터 시장리스크부문에 대해 바젤III기준을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에 반영하였고 동 규제를 따르고 있습니다. 바젤III기준의 표준방법은 민감도리스크, 부도리스크, 잔여리스크를 계산하여 합산하는 방식입니다. 민감도리스크는 일반금리, 신용스프레드, 주식, 일반상품, 외환의 델타와 베가, 커버쳐를 측정합니다. 델타는 기초자산가격 변동에 따른 상품의 가치변동을 의미하고 베가는 기초자산의 변동성 변화에 따른 상품가치변동을 의미합니다. 커버쳐는 기초자산의 상·하방 충격시 델타위험을 초과하는 손실로 정의됩니다. 민감도리스크는 상품의 특성과 관계없이 가치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선형 및 비선형적인 위험을 모두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부도리스크는 민감도리스크에서 포착할 수 없는 기초자산의불연속부도위험을 측정합니다. 동일차주의 매입·매도 익스포져간 완전한 상계가 가능합니다. 잔여리스크는 손익구조의 특수성이 있거나 기초자산이 특수한 경우 민감도리스크, 부도리스크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리스크를 산출하는 개념입니다.트레이딩 포지션 데이터가 시장리스크관리시스템으로 자동 인터페이스되어 일별로 VaR 측정 및 한도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트레이딩 부서 및 데스크에 대한 손실 한도, 민감도 한도, 투자 한도, 스트레스 한도 등을 설정하고 일별 모니터링하고있습니다.신한투자증권은 99.9% 신뢰수준의 역사적 시뮬레이션 VaR 방법론을 적용하여 일별시장위험을 측정합니다. 또한 그룹차원의 일관된 시장리스크관리를 위해 시장리스크표준방법도 측정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시뮬레이션 VaR 방법론은 역사적 시장 데이 터로부터 직접 시나리오를 도출하기 때문에 특정 분포를 가정할 필요가 없으며, 옵션등 비선형적인 상품의 시장위험을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VaR 한도 이외에도발행 및 거래 한도, 부서별 Stop Loss 한도 등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그룹의 주요 금융 자회사는 리스크전담 조직과 자금관리부서를 이원화하여 금리위험을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금리위험의 관리전략, 절차, 조직, 측정, 핵심가정에관한 내규를 갖추고 있습니다.금리위험의 관리 대표적인 지표는 이익적 관점에서 금리EaR(Earnings at Risk)을 들수 있으며, 경제가치적 관점에서는 금리VaR(Value at Risk)가 있습니다. 금리EaR은 금리의 불리한 변동으로 인해 향후 1년간 발생할 수 있는 순이자이익의 최대변동예 상액을 나타내며, 금리VaR는 금리의 불리한 변동으로 인한 향후 순자산가치의 최대 변동예상액을 나타냅니다.각 자회사의 금리위험 측정방법은 업권별 규제에 따라 상이하지만 내부방법론 또는 IRRBB(Interest Rate Risk In The Banking Book: 은행계정금리리스크) 등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금리VaR 및 금리EaR을 측정하고 있으며, 금리VaR를 기준으로 금리위 험 한도를 설정하여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그룹은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시행세칙개정에 따라 바젤III기준 IRRBB 표준방법으로 금리위험을 측정하며, 기존 BIS표준Framework에 비해 금리 만기구간의 세분화, 고객행동모형 반영 및 금리충 격 시나리오 다양화로 금리위험을 보다 정교하게 측정합니다. IRRBB 방식의 금리VaR 시나리오는 ① 평행 상승 충격, ② 평행 하락 충격, ③ 단기금리 하락, 장기금리 상승 충격(스티프너(steepener) 충격), ④ 단기금리 상승, 장기금리 하락 충격(플래트너(flattener) 충격), ⑤ 단기금리 상승 충격, ⑥ 단기금리 하락 충격 등 총 6가지를 사용 하며, 금리EaR 시나리오는 ① 평행 상승 충격, ② 평행 하락 충격 등 총 2가지를 사용하여 손실금액이 가장 큰 시나리오 값을 금리위험으로 측정합니다. 기존 BIS표준Framework 하에서는 모든 통화에 대하여 ± 200bp 평행 충격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나, IRRBB 방식 하에서는 통화별, 기간별로 충격폭을 달리 설정(예: 원화(KRW) 평행± 300bp, 단기 ± 400bp, 장기 ± 200bp, 달러화(USD) 평행 ± 200bp, 단기 ± 300bp, 장기 ± 150bp 등)함에 따라 금리위험이 기존 대비 크게 측정됩니다. IRRBB 방식에 서는 기존의 금리VaR, 금리 EaR 은 각각 △EVE(Economic Value of Equity), △NII( Net Interest Income)로 표현됩니다.금리의 상승 및 하락에 대한 각 자회사별 영향이 포트폴리오별로 상이하므로 선제적 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금융시장 및 규제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금리위험 헤지 또는 경감에 대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각 자회사는 시장금리 변동에 따른 위기상황분석을 실시하여 경영진 및 그룹에 보고하고 있습니다.특히 신한은행은 ALM(Asset Liability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하여 금리갭, 듀레 이션 갭, NPV(Net Present Value), NII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금리위험을 측정 및 관리하고 있으며, 금리VaR, 금리EaR, 기간별금리 갭비율에 대 한 한도를 설정하여 월별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
신한은행은 S&T센터에서 전행의 외환포지션을 집중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동 부 서의 데스크 및 딜러들은 설정된 시장리스크 및 외환포지션 한도 내에서 현물환과 통화파생상품 거래를 통하여 종합포지션을 관리합니다. 주로 미국 달러(USD), 일본 엔화(JPY), 유로화(EUR), 중국 위안화(CNY) 위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기타 외환은 제 한적으로 운용합니다. |
각 종속기업에서는 자금의 조달 및 운용과 관련한 유동성 변동요인을 조기에 예측하 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적정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자금부족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자금 경색을 유발할 수 있는 고유 위기/ 대외 시장 위기 / 대내외 총체적 위기에 대한 그룹 공통 기준의 3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매월 스트레스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평상시 위기상황에 대비하여 유동성 측면의 이상여부 를 점검하고 있습니다.특히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이후, 은행 및 저축은행 종속기업에 대해 뱅크런 시나리오를 적용한 위기상황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비상조달계획을 수립ㆍ점검함으로써 유동성 위기대응력을 강화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또한 선제적ㆍ종합적인 유동성위험 관리를 위해 다양한 유동성위험 관리지표를 '한도관리지표', '위기인식판단지표', '모니터링지표'로 각각 구분하여 측정ㆍ관리하고 있습니다.신한은행은 다음의 기본 원칙에 따라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ㆍ 충분한 양의 자금을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수준의 조달비용으로 조달ㆍ 허용한도 및 위기인식판단지표 관리를 통하여 위험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관련 위험 요인을 사전에 관리ㆍ 자금의 조달원천과 만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자금조달전략을 수립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수익확보ㆍ 정상적인 상황 및 위기상황 하에서 적시에 지급결제 채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매일 일중 유동성 포지션 및 위험 관리ㆍ 유동성위기 발생에 대비하여 위기상황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위기발생시 조치할 수 있는 비상조달계획을 수립ㆍ 유동성 관련 비용, 편익 및 위험은 상품가격결정, 성과평가 및 신상품 승인절차에 반영신한카드는 월말 유동성에 대해 3개월 신용경색을 견딜 수 있는 수준을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위험 관련 주요 지표인 자산ㆍ부채의 만기구 조에 대한 실질유동성갭 비율과 유동성버퍼비율, 차입금 대비 ABS 비중 등에 대해 주의, 경계, 위기징후, 위기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종합하여 유동성 위기수준을 정의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위기상황 발생을 대비한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이 수립되어 있습니다. |
신한금융그룹(이하 "그룹")은 각 사업분야별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관리하며, 주요 대상은 신용위험, 시장위험, 금리위험, 유동성위험 등 입니다. 이러한 위험은 지배기업 및 각 종속기업에서 정한 위험관리 기본방침에 따라 인식, 측정, 통제 및보고됩니다.1) 그룹 위험관리 원칙그룹의 위험관리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ㆍ 모든 영업활동은 사전 설정된 위험성향 내에서 위험과 수익의 균형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한다.ㆍ 지배기업은 그룹리스크관리모범규준을 제시하고 이의 준수 여부를 감독하며, 그룹차원의 모니터링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보유한다.ㆍ 경영진의 관여를 제고하는 위험 관련 의사결정 체계를 운영한다.ㆍ 영업부문과 독립적인 위험관리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한다.ㆍ 비즈니스 의사결정 시 위험을 명확히 고려하게 하는 성과관리체계를 운영한다.ㆍ 선제적이고 실용적인 위험 관리 기능을 지향한다.ㆍ 평상시에도 상황 악화 가능성에 대비하는 신중한 시각을 공유한다.2) 그룹 위험관리 조직그룹의 위험관리에 대한 기본정책은 지배기업 이사회에서 수립하고 있으며, 위험관리 기본방침 및 전략은 지배기업 이사회 내의 위험관리위원회( 이하 "그룹위험관리위원회")에서 수립됩니다. 그룹의 위험관리책임자(CRO)는 그룹 위험관리위원회를 보좌하고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책임자를 구성원으로 하는 그룹 리스크협의회를 통하여 그룹 및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정책 및 전략을 협의합니다. 종속기업은 각 사별 위험관리위원회 및 위험 관련 실무위원회, 위험관리전담조직을 통하여 그룹의 위험관리정책 및 전략을 이행하고, 이와 일관되게 종속기업 세부 위험관리정책 및 전략을수립하고 시행합니다. 지배기업의 리스크관리팀은 그룹 위험관리책임자를 보좌하여 위험관리 및 감독업무를 수행합니다.그룹은 그룹의 위험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계층적인 한도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룹위험관리위원회는 그룹 및 종속기업별로 부담 가능한 위험 한도를 설정하고,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위원회 및 경영진차원의 리스크회의체에서는 위험 유형별, 부서별, 데스크별 및 상품별 등 세부 위험 한도를 설정하여 관리합니다.① 그룹위험관리위원회(Group Risk Management Committee)지배기업 및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그룹의 위험관리 기본방침 및 전략 수립, 한도승인 등 그룹 위험 관련 사항을 종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위원회는 지배기업의 이사로 구성됩니다.위원회의 결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ㆍ경영전략에 부합하는 위험관리 기본방침 수립ㆍ그룹 및 각 종속기업별 부담가능한 위험 수준의 결정ㆍ적정투자한도 또는 손실허용한도 승인ㆍ그룹리스크관리규정과 그룹리스크협의회규정의 제정 및 개정ㆍ리스크관리조직 구조 및 업무분장에 관한 사항ㆍ리스크관리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사항ㆍ각종 한도의 설정 및 한도초과의 승인에 관한 사항ㆍ금융감독원의 비소매 및 소매 신용평가시스템에 대한 그룹 내부등급법 승인 관련의사결정 사항ㆍ리스크 공시정책에 관한 사항ㆍ위기상황분석 결과 및 이와 관련된 자본관리 계획, 자금조달 계획ㆍ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ㆍ금융위원회 등 외규에서 요구하는 사항 및 타 규정, 지침 등에서 정한 사항ㆍ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그룹위험관리위원회 결의사항은 이사회에 보고합니다.② 그룹리스크협의회(Group Risk Management Council)그룹의 리스크관리정책 및 전략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룹의 제반 리스크 관련 사항을 협의하고 그룹위험관리위원회에서 정한 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결의합니다. 구성원은 그룹의 위험관리책임자가 위원장이 되고, 주요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책임자로 구성됩니다.3) 그룹 위험 관리 체제① 위험자본(Risk Capital) 관리위험자본은 잠재적인 손실(리스크)이 실제로 실현되었을 경우 이를 보전하는데 필요 한 자본을 의미하며, 위험자본관리는 가용자본 대비 리스크 부담 수준에 대한 의사결정인 위험성향(Risk Appetite)을 고려하여 위험자본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위험자산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배기업 및 종속기업은 위험자본 관리를 위하여 재무ㆍ사업계획 수립시에 사전적으로 위험계획이 반영되도록 위험계획 프로 세스를 수립 및 운용하고 있으며, 적정 수준으로 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리스크한도관리체계를 수립 및 운용하고 있습니다.② 리스크 모니터링그룹의 경영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선제적인 위험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차원 리스크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각 종속기업은 그룹차원의 위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사항에 대하여 의무적으로 지배기업에 보고하여야 하며, 지배기업은 주별ㆍ월별ㆍ수시 모니터링보고서를 작성하 여 CRO를 포함한 그룹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또한, 리스크종합상황판(Risk Dash Board)을 운영하여 종속기업별로 운용자산에 대한 주요 포트폴리오의 외형증가, 리스크 증가, 대외 환경변화(뉴스) 등의 3차원 모니 터링을 통해 이상징후 영역을 도출하여 원인분석 및 필요시 대응방안을 수립ㆍ이행 하는 선제적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③ 리스크 리뷰신상품ㆍ신사업 추진 및 주요정책 변경시에는 사전에 정의된 체크리스트에 의해 위 험 요인을 검토하여, 위험 판단이 용이하지 않은 비즈니스의 무분별한 추진을 차단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리스크관리 담당부서는 사업부 문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상품ㆍ서비스ㆍ사업 등에 대하여 사전 리뷰하고 사후 모니 터링하는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으며, 타 종속기업과 연계 또는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항인 경우 지배기업 리스크관리팀과 사전 협의를 거친 후 리스크 리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④ 위기관리위기상황 발생가능성을 조기에 감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위기상황 발생시 적 시적, 효율적, 유기적 대응으로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룹차원의 위기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종속기업은 '주 의', '경계', '위기징후', '위기'의 4단계로 위기상황단계를 정의하고 있으며,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영향분석을 통해 위기상황단계를 결정하고 위기상황 발생시 사전에 정의된 위기대응 조치를 실행합니다. 지배기업은 그룹차원 의 일관된 위기상황인식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2개 이상의 종속기업이 '주의' 이상 단계에 진입하는 등 그룹 차원의 위기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지배기업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위기관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
|
위험측정방법 |
1) 손상 측정에 사용된 변수, 가정 및 기법가.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연결실체는 최초 인식 후에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평가하며,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평가할 때 기대신용손실액의 변동이 아니라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걸친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의 변동을 사 용합니다. 이러한 평가를 하기 위해, 보고기간말의 금융상품에 대한 채무불이행 발 생 위험을 최초 인식일의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과 비교하고 최초 인식 후에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 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연결실체가 보유한 채무불이행 경험 데이터와 내부 신용 평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포함합니다.① 채무불이행 위험의 측정연결실체는 채무불이행 위험과 합리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관측 자료 와 과거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근거로 개별 익스포져에 대하여 내부 신용등급을 부여합니다. 내부 신용등급은 채무불이행 위험을 나타내는 질적ㆍ양적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요소는 익스포져의 특성과 차주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② 부도율 기간구조의 측정내부 신용등급은 부도율 기간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주요 투입변수입니다. 연결실체 는 신용위험에 노출된 익스포져의 양태와 채무불이행 정보를 상품과 차주의 유형, 그리고 내부 신용평가 결과별로 분석하여 축적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의 수행시 일부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활용합니다. 연결실체 는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익스포져의 잔여 만기에 대한 부도율을 추정하고 추정된 부 도율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합니다.③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연결실체는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별로 정의된 지표를 활용하며, 이러한 지표는 일반적으로 내부 신용등급의 변동으로부터 추정된 채무불이행 위험의 변동과 질적 판단 요소, 그리고 연체일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연결실체는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다음의 관점에서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채무불이행의 발생 이전에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가 식별될 것-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고자 수립한 기준이 연체일수 기준보다 선제적인 예측력을 나타낼 것- 판단기준을 적용한 결과 12개월 기대신용손실 적립대상과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적립대상 간의 과도하게 빈번한 이동이 없을 것나. 변경된 금융자산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이 재협상 등을 통하여 변경되었으나 제거되지 아니하는경우, 연결실체는 해당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시점에 변경 전 계약 조건에 따라 측정 된 채무불이행 위험과 변경된 조건에 따라 보고기간말 현재 측정된 채무불이행 위험 을 비교하여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합니다.연결실체는 채무불이행 위험을 관리하고 회수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재무적 곤경에 처한 고객에게 실행된 대출상품 등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조정(이하 '채권채무재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일반적으로 만기의 연장, 이자 지급 주기의 변경 및 계약상 기타 조건의 변경 등으로 이루어집니다.채권채무재조정은 일반적으로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질적 지표이며,연결실체는 이러한 조정 대상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익스포져에 대하여 전체기 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차주가 채권채무재조정에 따라 변경된 계약 상 현금흐름의 지급을 충실히 이행하거나 또는 해당 차주의 내부 신용등급이 전체기 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기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된 경우 해당 익스포져에 대하여 다시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합니다.다. 채무불이행 위험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이 아래의 상황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때 해당 자산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차주가 계약상 지급일로부터 90일 이상 연체한 경우- 기타 연결실체가 담보권 등을 행사하지 않고 원리금을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차주의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할 때 연결실체는 아래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질적 요소(예: 계약 조건의 위반)- 양적 요소(예: 동일 차주가 연결실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각 지급의무별 연체일수. 단,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개별 금융상품 단위별로 연체일수 등을 활용)- 내부 관측자료 및 외부로부터 입수한 정보연결실체가 적용하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정의는 규제자본관리 목적에서 정의하고 있는 부도의 정의와 대체로 일치하며,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와 각 정보의 활용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라.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연결실체는 기대신용손실의 측정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내부 전문가그룹이 제시 한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 이러한 미래전망정보의 예측을 위하여 연결실체는 국내ㆍ외 연구기관 또는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서 공개한 경제전망 등을 활용합니다.연결실체는 편의가 배제된 중립적인 관점에서 예상되는 미래 거시경제적 상황을 기 대예상손실의 측정에 반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기대예상손실은 가장 발생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을 반영하며, 연결실체가 사업 계획과 경영 전략의 수립 시 근거한 예측과 동일한 가정에 기초합니다.연결실체는 과거에 경험한 데이터 및 시나리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포트폴리오별 로 신용위험과 신용손실의 예측에 필요한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신용위험 간 상관관 계를 도출한 후, 회귀식추정을 통해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반영을 위해 Upside, Central, Downside의 3가지 시나리오에 Worst 시나리오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하였습니다.연결실체가 사용한 거시경제변수와 채무불이행 위험 간의 예측된 상관관계는 과거 10년 이상의 장기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되었습니다. 마. 기대신용손실의 측정기대신용손실의 측정에 투입된 주요 변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별 부도율(PD)- 부도시 손실률(LGD)- 부도시 익스포져(EAD)이러한 신용위험측정요소는 연결실체가 내부적으로 개발한 통계적 기법과 과거 경험데이터로부터 추정되었으며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을 통하여 조정되었습니다.기간별 부도율 추정치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통계적 모형에 기반하여 거래상대방 과 익스포져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추정에 활용된 통계적 신용평가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연결실체의 자체적으로 보유한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일부 포트폴리오(예: 대기업군 등)의 경우 시장에서 관측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거래상대방 또는 익스포져가 특정 등급 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우,해당 등급별 부도율의 측정 방식을 조정하며, 등급별 부도율은 익스포져의 계약 만기를 고려하여 추정되었습니다.부도시 손실률은 부도 발생시 예상되는 손실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연결실체는 과거 부도 익스포져로부터 측정된 경험 회수율에 기반하여 부도시 손실률을 산출하였습니다. 부도시 손실률의 측정 모형은 담보의 유형, 담보에 대한 선순위, 차주의 유형 및 회수에 소요된 비용을 반영하도록 개발되었으며, 특히 소매 대출상품의 부도시 손실 률 모형은 담보의 대출비율(LTV: Loan to Value)을 주요 변수로 사용합니다. 부도시손실률 산출에 반영된 회수율은 유효이자율로 할인된 회수금액의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부도시 익스포져는 부도 발생 시점의 예상되는 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연결실체는 현재 실행된 익스포져가 계약 상 한도 내에서 부도 시점까지 추가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율을 반영하여 부도시 익스포져를 도출합니다. 금융자산의 부도시 익 스포져는 해당 자산의 총 장부금액과 동일하며, 대출 약정과 금융 보증 계약의 부도 시 익스포져는 기인출 사용 금액과 향후 추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합계 로 산정됩니다.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기대신용손실 측정시 계약 상 만기를 기준으로 기대신용손실측정 대상 기간을 반영합니다. 계약 상 만기는 차주가 보유한 연장권을 고려하여 산 정됩니다.부도율, 부도시 손실률 및 부도시 익스포져의 위험측정요소는 아래와 같은 구분 기준에 따라 집합적으로 추정됩니다.- 상품의 유형- 내부 신용등급- 담보의 유형- 담보대출비율(LTV)- 차주가 속한 산업군- 차주 또는 담보의 소재지- 연체일수집합을 구분하는 기준은 집합의 동질성을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검토되며 필요한 경우 조정됩니다.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충분한 수준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자료를 보유하지 못한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 벤치마크 정보를 활용하여 내부 정보를 보완하였습니다. |
|||||
|
기업의 제각 정책에 관한 정보 |
연결실체는 현실적으로 원리금의 회수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된 대출상품 또는 채무증권의 부분 또는 전체를 제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차주가 원리금 상환에 충당할 수 있 는 충분한 재원 또는 소득이 없다고 판단될 때 제각을 실행하며, 이러한 제각 여부의 판단은 연결실체의 내부 규정에 따르며 필요한 경우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승인을 득 하여 실행됩니다. 제각과는 별개로 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제각 이후에도 자체 회수 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회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
|
최초 인식 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 하기 위하여 적용한 방법에 대한 공시 |
|
|
위험 |
위험 합계 |
|||
|---|---|---|---|---|
|
신용위험 |
||||
|
기업익스포져 |
소매익스포져 |
카드익스포져 |
||
|
위험에 대한 노출정도의 변동에 대한 기술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계속연체일수 30일 초과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조기경보모형 모니터링 등급완전자본잠식감사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또는 2년 연속 부의 영업현금흐름기타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식별된 여신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계속연체일수 30일 초과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조기경보모형 모니터링 등급특정 Pool Segment집단대출 부실 시공사 연관 여신기타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식별된 여신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연체일수 7일 초과(개인카드)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특정연체 Pool Segment |
연결실체는 특정 익스포져의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단, 특정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7일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이 최초 인식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연결실체는 연결실체가 차주로부터 수취할 계약상 지급액을 완전히 수취하지 못한 가장 빠른 일자로부터 연체일수를 산정하며 차주에 게 부여한 유예기간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
|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에 대한 공시 |
|
|
GDP성장률 |
민간소비증감률 |
설비투자증감률 |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
경상수지 |
|
|---|---|---|---|---|---|
|
신용위험 간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양(+)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
신용위험의 최대노출정도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13,656,097 |
202,349,049 |
26,876,920 |
215,647,991 |
27,338,094 |
485,868,151 |
166,147 |
1,291,987 |
1,458,134 |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 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 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신BIS협약(바젤 Ⅲ)의 자기자본비율(BIS 비율) 산출상 유사한 신용위험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 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 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신BIS협약(바젤 Ⅲ)의 자기자본비율(BIS 비율) 산출상 유사한 신용위험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14,058,051 |
199,809,576 |
27,228,308 |
218,713,457 |
27,714,596 |
487,523,988 |
134,609 |
1,780,787 |
1,915,396 |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 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 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신BIS협약(바젤 Ⅲ)의 자기자본비율(BIS 비율) 산출상 유사한 신용위험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 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 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신BIS협약(바젤 Ⅲ)의 자기자본비율(BIS 비율) 산출상 유사한 신용위험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
|
신용위험의 최대노출정도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외 금융상품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난내 및 난외계정 합계 |
|||||||||
|---|---|---|---|---|---|---|---|---|---|---|
|
난내계정 |
난외계정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파생상품자산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67,750,867 |
1,458,134 |
95,305,464 |
32,229,645 |
38,062,713 |
485,868,151 |
5,889,404 |
22,083,498 |
218,883,662 |
967,531,538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미수금, 미수수익, 보증금, 미회수내국환채권, 가지급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난내 및 난외계정 합계 |
|||||||||
|---|---|---|---|---|---|---|---|---|---|---|
|
난내계정 |
난외계정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파생상품자산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67,134,121 |
1,915,396 |
92,016,210 |
33,315,999 |
23,116,960 |
487,523,988 |
10,279,257 |
22,509,195 |
218,980,794 |
956,791,920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유가증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미수금, 미수수익, 보증금, 미회수내국환채권, 가지급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신용위험 노출액이라 함은 주로 예치금과 대출채권과 관련된 대출 과정,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 활동, 파생금융상품 계약 거래, 대출 약정 등의 난외 계정 거래와 관련되는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예치금 및 대출채권은 바젤Ⅲ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치에 따른 익스포져 분류기준과 같이 정부, 은행, 기업, 소매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충당금 등의 차감항목을 제외한 순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 최대 금액으로 표시합니다. |
||||||||
|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에 따른 손상정보에 대한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금융자산 |
11,245,236 |
1,897,915 |
534,728 |
70 |
0 |
13,677,949 |
(21,852) |
13,656,097 |
181,956,793 |
6,948,827 |
8,842,683 |
4,401,298 |
1,263,779 |
203,413,380 |
(1,064,331) |
202,349,049 |
24,596,846 |
2,041,288 |
244,188 |
90 |
0 |
26,882,412 |
(5,492) |
26,876,920 |
113,529,187 |
55,014,142 |
21,704,456 |
25,657,247 |
2,138,322 |
218,043,354 |
(2,395,363) |
215,647,991 |
21,215,132 |
3,020,277 |
1,132,607 |
2,452,705 |
608,109 |
28,428,830 |
(1,090,736) |
27,338,094 |
|||||||||||||||||||||||||||||||||||||||||||||||||||||||||||||||||||||||||||||||||||||||||||||||
|
신용위험 경감효과 |
167 |
155,725,771 |
2,500 |
121,039,773 |
17,701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금융자산 |
11,740,875 |
2,027,427 |
254,625 |
60,114 |
0 |
14,083,041 |
(24,990) |
14,058,051 |
177,166,099 |
6,397,386 |
11,714,193 |
4,387,929 |
1,198,594 |
200,864,201 |
(1,054,625) |
199,809,576 |
25,118,226 |
2,030,126 |
83,783 |
49 |
0 |
27,232,184 |
(3,876) |
27,228,308 |
117,893,181 |
55,345,067 |
20,324,015 |
25,633,821 |
1,880,868 |
221,076,952 |
(2,363,495) |
218,713,457 |
21,631,071 |
2,974,287 |
1,170,078 |
2,436,456 |
642,991 |
28,854,883 |
(1,140,287) |
27,714,596 |
|||||||||||||||||||||||||||||||||||||||||||||||||||||||||||||||||||||||||||||||||||||||||||||||
|
신용위험 경감효과 |
27,874 |
151,610,129 |
2,500 |
117,575,757 |
18,881 |
||||||||||||||||||||||||||||||||||||||||||||||||||||||||||||||||||||||||||||||||||||||||||||||||||||||||||||||||||||||||||||||||||
|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에 따른 손상정보에 대한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외 금융상품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금융자산 |
85,977,394 |
9,303,494 |
0 |
24,576 |
0 |
95,305,464 |
0 |
95,305,464 |
30,205,244 |
2,034,052 |
0 |
0 |
0 |
32,239,296 |
(9,651) |
32,229,645 |
||||||||||||||||||||||||||||||||||||||
|
신용위험 경감효과 |
0 |
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합계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금융자산 |
83,218,889 |
8,736,563 |
10,034 |
50,724 |
0 |
92,016,210 |
0 |
92,016,210 |
31,103,200 |
2,219,343 |
0 |
3,644 |
0 |
33,326,187 |
(10,188) |
33,315,999 |
||||||||||||||||||||||||||||||||||||||
|
신용위험 경감효과 |
0 |
0 |
||||||||||||||||||||||||||||||||||||||||||||||||||||
|
신용위험 등급별 신용위험 익스포져에 대한 공시, 난외계정보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난내 및 난외계정 합계 |
||||||||||||||||||||||
|---|---|---|---|---|---|---|---|---|---|---|---|---|---|---|---|---|---|---|---|---|---|---|---|
|
난외계정 |
|||||||||||||||||||||||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합계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합계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대출약정과 금융보증계약의 신용위험 익스포저 |
17,898,014 |
2,795,384 |
1,156,441 |
222,434 |
22,072,273 |
11,225 |
22,083,498 |
188,107,007 |
20,037,703 |
7,755,353 |
2,887,698 |
218,787,761 |
95,901 |
218,883,662 |
240,967,16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난내 및 난외계정 합계 |
||||||||||||||||||||||
|---|---|---|---|---|---|---|---|---|---|---|---|---|---|---|---|---|---|---|---|---|---|---|---|
|
난외계정 |
|||||||||||||||||||||||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합계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합계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우량 |
보통 |
||||||||
|
대출약정과 금융보증계약의 신용위험 익스포저 |
19,212,434 |
2,786,804 |
361,440 |
127,153 |
22,487,831 |
21,364 |
22,509,195 |
183,928,715 |
21,687,932 |
10,370,570 |
2,988,286 |
218,975,503 |
5,291 |
218,980,794 |
241,489,989 |
||||||||
|
신용등급의 구분에 대한 공시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
|
차주의 유형 |
||||||||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및 은행(카드채권 포함) |
카드채권(개인)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및 은행(카드채권 포함) |
카드채권(개인) |
|
|
내부 신용등급의 평가과정 |
Pool별 부도율2.25% 미만 |
OECD 국가신용등급6 이상 |
내부신용등급BBB+ 이상 |
Behavior Scoring System 상7등급 이상 |
Pool별 부도율2.25% 이상 |
OECD 국가신용등급6 미만 |
내부신용등급BBB+ 미만 |
Behavior Scoring System 상7등급 미만 |
|
신용위험의 집중도(산업별),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
|
금융자산 |
13,344,926 |
0 |
0 |
0 |
0 |
0 |
311,171 |
0 |
13,656,097 |
0 |
0 |
0 |
0 |
0 |
0 |
0 |
202,349,049 |
202,349,049 |
26,759,876 |
0 |
0 |
0 |
0 |
0 |
117,044 |
0 |
26,876,920 |
20,415,375 |
60,722,176 |
23,491,011 |
46,438,254 |
5,043,568 |
7,052,617 |
52,484,990 |
0 |
215,647,991 |
64,896 |
336,602 |
276,660 |
71,709 |
175,672 |
25,826 |
1,226,525 |
25,160,204 |
27,338,094 |
36,977 |
0 |
0 |
0 |
99,367 |
0 |
29,803 |
0 |
166,147 |
800,649 |
96,577 |
102,967 |
211,386 |
20,000 |
0 |
60,408 |
0 |
1,291,987 |
|||||||||||||||||||||||||||
|
위험의 집중에 대한 기술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은행 |
개인 |
정부/공공기관/중앙은행 |
기업 |
카드채권 |
|||||||||||||||||||||||||||||||||||||||||||||||||||||||||||||||||||||||||||||||||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
|
금융자산 |
13,495,577 |
0 |
0 |
0 |
0 |
0 |
562,474 |
0 |
14,058,051 |
0 |
0 |
0 |
0 |
0 |
0 |
0 |
199,809,576 |
199,809,576 |
27,042,097 |
0 |
0 |
0 |
0 |
0 |
186,211 |
0 |
27,228,308 |
22,485,184 |
62,200,259 |
23,447,863 |
47,109,684 |
5,409,739 |
6,735,852 |
51,324,876 |
0 |
218,713,457 |
81,613 |
323,992 |
288,452 |
65,256 |
51,107 |
20,277 |
1,189,255 |
25,694,644 |
27,714,596 |
35,450 |
0 |
0 |
0 |
99,159 |
0 |
0 |
0 |
134,609 |
859,295 |
391,667 |
301,658 |
149,652 |
10,000 |
0 |
68,515 |
0 |
1,780,787 |
|||||||||||||||||||||||||||
|
위험의 집중에 대한 기술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
|
신용위험의 집중도(산업별), 예치금 및 대출채권 외 금융상품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난외계정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
|
금융자산 |
30,199,913 |
3,520,004 |
1,286,043 |
2,441,980 |
263,962 |
129,166 |
29,909,799 |
0 |
67,750,867 |
40,280,241 |
2,676,380 |
548,491 |
1,629,355 |
989,901 |
21,528 |
49,159,568 |
0 |
95,305,464 |
8,153,004 |
9,994 |
0 |
656,175 |
280,757 |
0 |
23,129,715 |
0 |
32,229,645 |
4,430,273 |
10,627,739 |
3,427,139 |
235,425 |
212,785 |
70,704 |
3,077,961 |
1,472 |
22,083,498 |
18,918,770 |
31,638,778 |
10,096,564 |
5,668,261 |
2,186,924 |
433,409 |
19,419,735 |
130,521,221 |
218,883,662 |
|
위험의 집중에 대한 기술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난외계정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지급보증 |
대출약정 및 기타신용관련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산업 |
산업 합계 |
||||||||||||||||||||||||||||||||||||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금융 및 보험업 |
제조업 |
도소매업 |
부동산 및 서비스업 |
건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
기타 산업 |
개인고객 |
||||||
|
금융자산 |
34,194,979 |
3,634,273 |
1,286,997 |
2,149,229 |
304,020 |
136,364 |
25,428,259 |
0 |
67,134,121 |
35,854,914 |
2,636,678 |
712,936 |
1,790,042 |
1,056,603 |
12,160 |
49,952,877 |
0 |
92,016,210 |
9,761,249 |
19,984 |
0 |
539,416 |
260,379 |
0 |
22,734,971 |
0 |
33,315,999 |
3,733,957 |
11,712,348 |
3,548,909 |
92,172 |
179,255 |
115,827 |
3,113,748 |
12,979 |
22,509,195 |
18,218,204 |
34,199,306 |
10,324,128 |
4,325,044 |
2,408,759 |
531,832 |
20,644,317 |
128,329,204 |
218,980,794 |
|
위험의 집중에 대한 기술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산업별 구성내역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
|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분석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즉시 지급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161,795,759 |
121,831,121 |
65,021,968 |
83,918,613 |
91,649,970 |
99,954,441 |
16,530,114 |
640,701,986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예수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161,795,759 |
54,521,901 |
49,396,795 |
64,761,814 |
64,622,924 |
32,507,779 |
82,941 |
427,689,913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1,480,885 |
0 |
0 |
0 |
0 |
0 |
1,480,885 |
||
|
차입금(사채 제외), 미할인현금흐름 |
16,579,096 |
7,021,788 |
6,052,302 |
9,214,544 |
11,869,945 |
4,453,537 |
55,191,212 |
||
|
사채, 미할인현금흐름 |
4,744,301 |
7,450,883 |
9,994,312 |
16,441,861 |
52,969,415 |
3,771,400 |
95,372,172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정 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601,007 |
951,678 |
2,642,940 |
640,788 |
1,088,868 |
1,518,741 |
7,444,022 |
||
|
투자계약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53,631 |
48,353 |
284,684 |
246,169 |
194,007 |
0 |
826,844 |
||
|
기타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43,850,300 |
152,471 |
182,561 |
483,684 |
1,324,427 |
6,703,495 |
52,696,938 |
||
|
난외계정,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240,967,160 |
0 |
0 |
0 |
0 |
0 |
240,967,160 |
||
|
난외계정,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지급보증, 미할인현금흐름 |
22,083,498 |
0 |
0 |
0 |
0 |
0 |
22,083,498 |
|
|
대출약정 및 기타 신용관련 부채 |
218,883,662 |
0 |
0 |
0 |
0 |
0 |
218,883,662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에 대한 기술 |
예수부채의 요구불예금을 최단기로 분류하였습니다. |
표시된 금액은 금융부채의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제공한 지급보증, 대출약정 및 기타 신용공여의 경우 약정만기가 존재하나, 거래상대방이 지급을 요청하는 경우 즉시 지급을 이행하여야 하므로, 실행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구간으로 구분합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즉시 지급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160,031,760 |
108,675,775 |
64,135,280 |
74,063,016 |
107,418,098 |
102,269,329 |
11,858,733 |
628,451,991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예수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160,031,760 |
57,138,690 |
49,309,656 |
56,540,309 |
77,227,315 |
30,221,968 |
1,261,816 |
431,731,514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954,899 |
0 |
0 |
0 |
0 |
0 |
954,899 |
||
|
차입금(사채 제외), 미할인현금흐름 |
12,862,532 |
4,757,090 |
6,901,957 |
9,990,468 |
11,464,431 |
4,896,426 |
50,872,904 |
||
|
사채, 미할인현금흐름 |
4,859,511 |
8,927,081 |
9,122,810 |
17,273,392 |
56,429,636 |
4,046,575 |
100,659,005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정 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439,367 |
861,277 |
991,871 |
1,963,789 |
2,473,275 |
1,513,662 |
8,243,241 |
||
|
투자계약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106,106 |
105,788 |
248,954 |
375,300 |
328,874 |
0 |
1,165,022 |
||
|
기타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32,314,670 |
174,388 |
257,115 |
587,834 |
1,351,145 |
140,254 |
34,825,406 |
||
|
난외계정,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241,489,989 |
0 |
0 |
0 |
0 |
0 |
241,489,989 |
||
|
난외계정,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지급보증, 미할인현금흐름 |
22,509,195 |
0 |
0 |
0 |
0 |
0 |
22,509,195 |
|
|
대출약정 및 기타 신용관련 부채 |
218,980,794 |
0 |
0 |
0 |
0 |
0 |
218,980,794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에 대한 기술 |
예수부채의 요구불예금을 최단기로 분류하였습니다. |
표시된 금액은 금융부채의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제공한 지급보증, 대출약정 및 기타 신용공여의 경우 약정만기가 존재하나, 거래상대방이 지급을 요청하는 경우 즉시 지급을 이행하여야 하므로, 실행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구간으로 구분합니다. |
|||||||
|
파생금융부채의 만기분석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860,072 |
(47,306) |
55,612 |
(875,399) |
(1,594,641) |
(73,338) |
(1,675,000)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453,751 |
(12,670) |
(68,634) |
6,511 |
(1,847,862) |
(165,170) |
(1,634,074) |
|
자기자본비율에 대한 공시 |
|
|
자본위험 |
|
|---|---|
|
자본으로 관리하고 있는 항목에 대한 계량적 자료의 요약 |
연결실체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연결기준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총자본비율(이하 "바젤III 기준 자본비율")을 100분의 8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2016년부터 강화된 바젤III 기준의 자본규제를 시행함에 따라 손실흡수능력 등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BIS자본비율은 최대 14%로 상향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최소 준수 비율에 자본보전완충자본(2.5%p),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D-SIB: Domestic-Systemically Important Banks) 자본(1.0%p), 경기대응완충자본(2.5%p)을 추가로 적립한 기준입니다. 경기대응완충자본은 신용팽창기에 최대 2.5%p를 부과 가능하며, 국내의 경우 2024년 5월 1일부터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 수준이 0%p에서 1%p로 상향 되었습니다. 이에 당반기말 현재 손실흡수능력등을 높이기위하여 추가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BIS자본비율은 12.5%이며, 이는 자본보전완충자본(2.5%p), D-SIB자본(1.0%p), 경기대응완충자본(1.0%p)을 적용한 기준입니다.바젤III 기준 자본비율은 BIS(국제결제은행)의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자기자본 측정과 기준에 관한 국제적 합의'에 의한 개념으로 금융회사의 위험 증대에 대처하기 위한 자본비율 규제에 관한 국제적 통일기준을 의미하며, '(보통주자본(공제항목 차감 후) + 기타기본자본 + 보완자본)÷위험가중자산'으로 계산합니다.보통주자본은 금융지주회사의 손실을 가장 먼저 보전할 수 있으며, 금융지주회사 청산시 최후순위이고 청산시를 제외하고는 상환되지 않는 자본으로서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타기본자본은 영구적 성격의 자본으로서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으로 구성됩니다. 보완자본은 청산시 금융지주회사의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자본으로서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공제항목은 금융지주회사가 자산 또는 자본항목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손실흡수능력에 기여하지 않는 항목으로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보통주 자본에서 공제합니다.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BIS자기자본규제 제도에 따라 적정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4-2. 금융상품 위험 관리 - 공정가치 (연결)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의 정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
공정가치측정 분류내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에 대한 기술 |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의 경우,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1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한 정보에 기초한다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2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불가능한 정보에 기초한다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3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됩니다.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시되는 시장가격은 매매중개기관의 공시가격에 기초합니다.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예: 장외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거나, 독립적인 외부전문평가기관의 평가결과를 이용합니다. 연결실체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종료일에 현재 시장상황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최근 거래를 사용하는 방법,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금융상품의 현행공정가치를 이용할 수 있다면 이를 참조하는 방법, 추정현금흐름할인방법, 옵션가격결정모형과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산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자율 스왑의 공정가치는 미래예상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 계산되며 외환선도계약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종료일의 고시선도환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 |
|
자산의 공정가치측정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금/은예치금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
0 |
36,977 |
0 |
36,977 |
0 |
437,753 |
983,404 |
1,421,157 |
13,801,382 |
37,458,935 |
16,358,091 |
67,618,408 |
2,166,316 |
301,740 |
1,467,689 |
3,935,745 |
132,459 |
0 |
0 |
132,459 |
86,998 |
4,681,754 |
682,624 |
5,451,376 |
0 |
438,028 |
0 |
438,028 |
34,701,596 |
60,587,701 |
16,167 |
95,305,464 |
1,049,614 |
0 |
912,181 |
1,961,795 |
176,301,40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금/은예치금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
0 |
35,450 |
0 |
35,450 |
0 |
745,412 |
1,134,534 |
1,879,946 |
11,870,768 |
39,052,189 |
16,082,867 |
67,005,824 |
1,618,125 |
64,277 |
1,414,926 |
3,097,328 |
128,297 |
0 |
0 |
128,297 |
85,439 |
8,772,280 |
719,177 |
9,576,896 |
0 |
702,361 |
0 |
702,361 |
35,984,894 |
56,031,316 |
92,016,210 |
866,968 |
0 |
922,191 |
1,789,159 |
176,231,471 |
|
|
부채의 공정가치측정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채무증권 |
금/은예수부채 |
매도파생결합증권 |
사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
689,695 |
0 |
0 |
689,695 |
791,190 |
0 |
0 |
791,190 |
0 |
624,034 |
6,489,803 |
7,113,837 |
0 |
303,813 |
0 |
303,813 |
27,244 |
4,256,842 |
275,213 |
4,559,299 |
0 |
572,743 |
140,185 |
712,928 |
14,170,762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채무증권 |
금/은예수부채 |
매도파생결합증권 |
사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
357,841 |
0 |
0 |
357,841 |
597,058 |
0 |
0 |
597,058 |
0 |
819,919 |
7,139,257 |
7,959,176 |
0 |
261,299 |
0 |
261,299 |
22,721 |
8,476,885 |
536,855 |
9,036,461 |
0 |
814,374 |
207,697 |
1,022,071 |
19,233,906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에 대한 조정,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
|
기초 자산 |
18,632,327 |
922,191 |
719,177 |
0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211,518) |
0 |
77,272 |
0 |
|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1,132) |
(4,632) |
0 |
0 |
|
|
매입, 공정가치측정, 자산 |
2,478,684 |
(3,495) |
79,593 |
0 |
|
|
발행, 공정가치측정, 자산 |
0 |
0 |
0 |
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자산 |
(2,104,053) |
(1,883) |
(193,443)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의 이동, 자산 |
65,211 |
16,167 |
25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부터의 이동, 자산 |
(50,335) |
0 |
0 |
0 |
|
|
기말 자산 |
18,809,184 |
928,348 |
682,624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의 이동에 대한 기술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
|
기초 자산 |
17,327,888 |
949,183 |
632,213 |
0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355,895 |
0 |
64,091 |
0 |
|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3,287 |
(77,241) |
0 |
0 |
|
|
매입, 공정가치측정, 자산 |
7,120,860 |
55,431 |
1,318,715 |
0 |
|
|
발행, 공정가치측정, 자산 |
0 |
0 |
0 |
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자산 |
(5,798,938) |
(5,153) |
(1,299,773)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의 이동, 자산 |
17,407 |
0 |
3,931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부터의 이동, 자산 |
(394,072) |
(29) |
0 |
0 |
|
|
기말 자산 |
18,632,327 |
922,191 |
719,177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의 이동에 대한 기술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관측가능한 시장 자료의 이용가능여부가 변경됨에 따라 수준 간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수준 간 이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의 변동이 일어난 보고기간말에 수준의 변동을 인식합니다.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에 대한 조정,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부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기초 부채 |
7,139,257 |
536,855 |
207,697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부채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부채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105,543 |
(166,144) |
(67,512) |
|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2,103 |
0 |
0 |
|
|
매입, 공정가치측정, 부채 |
0 |
14,161 |
0 |
|
|
발행, 공정가치측정, 부채 |
2,588,843 |
0 |
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부채 |
(3,345,943) |
(109,659)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의 이동, 부채 |
0 |
0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부터의 이동, 부채 |
0 |
0 |
0 |
|
|
기말 부채 |
6,489,803 |
275,213 |
140,185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부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기초 부채 |
6,725,252 |
783,587 |
224,195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부채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부채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74,680 |
307,946 |
(16,498) |
|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8,614 |
0 |
0 |
|
|
매입, 공정가치측정, 부채 |
0 |
11,529 |
0 |
|
|
발행, 공정가치측정, 부채 |
7,993,276 |
0 |
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부채 |
(7,662,565) |
(566,207)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의 이동, 부채 |
0 |
0 |
0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부터의 이동, 부채 |
0 |
0 |
0 |
|
|
기말 부채 |
7,139,257 |
536,855 |
207,697 |
|
|
보고기간 말 보유하고 있는 수준 3으로 측정된 자산, 부채와 관련된 당기손익과 인식된 계정과목, 자산(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과 부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위험회피 목적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31,898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105,543)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파생상품 |
67,512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104,737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부채와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41,015)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와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67,51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과 부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위험회피 목적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112,040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부채 |
(74,680)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총 손익(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파생상품 |
16,498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443,935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부채와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102,961 |
||
|
보고기간말에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와 관련된 미실현손익의 변동으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된 손익금액, 공정가치측정 |
16,497 |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2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예치금 및 대출채권 포함)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 순자산가치평가법,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순자산가치평가,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할인율, 금리, 주가 등 |
주식, 채권 등 기초자산 가격 |
할인율, 환율, 변동성, 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환율, 변동성, 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금리 등 |
|
금융자산 |
37,933,665 |
301,740 |
4,681,754 |
438,028 |
60,587,701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예치금 및 대출채권 포함)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 순자산가치평가법,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순자산가치평가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할인율, 금리, 주가 등 |
주식, 채권 등 기초자산 가격 |
할인율, 환율, 변동성, 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환율, 변동성, 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금리 등 |
|
금융자산 |
39,833,051 |
64,277 |
8,772,280 |
702,361 |
56,031,316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2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부채,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사채 |
복합금융상품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순자산가치평가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순자산가치평가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할인율, 변동성 |
기초자산 가격 |
할인율, 환율, 변동성,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환율, 변동성,주가 및 상품지수 등 |
|
금융부채 |
303,813 |
624,034 |
4,256,842 |
572,743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부채,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사채 |
복합금융상품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순자산가치평가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순자산가치평가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재선도금리산출법, 현금흐름할인모형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할인율, 변동성 |
기초자산 가격 |
할인율, 환율, 변동성,주가 및 상품지수 등 |
할인율, 환율, 변동성,주가 및 상품지수 등 |
|
금융부채 |
261,299 |
819,919 |
8,476,885 |
814,374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3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예치금 및 대출채권 포함)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이익접근법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유사기업비교법,매매사례가격,배당할인모형,원가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유사기업비교법 |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보아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공시한 항목과 관련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공시하지 않습니다. |
|
금융자산 |
17,341,495 |
1,467,689 |
96,023 |
81,617 |
504,984 |
16,167 |
912,181 |
20,420,156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예치금 및 대출채권 포함)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이익접근법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유사기업비교법,매매사례가격,배당할인모형,원가법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현금흐름할인모형,순자산가치평가법,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유사기업비교법 |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보아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공시한 항목과 관련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공시하지 않습니다. |
|
|
금융자산 |
17,217,401 |
1,414,926 |
125,445 |
85,141 |
508,591 |
922,191 |
20,273,695 |
|
|
자산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자산 |
0.0055 |
0.7268 |
0.0260 |
0.1029 |
0.4941 |
0.7033 |
0.0000 |
0.0049 |
0.0064 |
0.0000 |
0.2593 |
0.4818 |
0.0252 |
0.2304 |
(0.0100) |
0.0000 |
0.0049 |
0.0064 |
0.0000 |
0.1309 |
0.3230 |
0.4610 |
0.7324 |
0.0047 |
0.0161 |
(0.7000) |
0.7019 |
0.3170 |
0.3228 |
0.9947 |
0.9977 |
0.0005 |
0.0976 |
0.0455 |
0.0635 |
0.0796 |
0.1212 |
0.2373 |
0.0436 |
0.1524 |
(0.0100) |
0.0100 |
0.0052 |
0.5366 |
0.000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할인율,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성장률 |
금리변동성 |
청산가치 |
Hazard Rate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자산 |
0.0056 |
0.8172 |
0.0274 |
0.1107 |
0.0474 |
0.8257 |
0.0000 |
0.0000 |
0.2558 |
0.5367 |
0.0360 |
0.1544 |
0.0000 |
0.0046 |
0.0073 |
0.1035 |
0.4128 |
0.4160 |
0.7324 |
0.0046 |
0.0066 |
(0.3828) |
0.6959 |
0.3092 |
0.3136 |
0.9988 |
0.9996 |
0.0016 |
0.0890 |
0.2295 |
0.0475 |
0.1403 |
(0.0100) |
0.0100 |
0.0041 |
0.6791 |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3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
|
주식 관련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보아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공시한 항목과 관련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공시하지 않습니다. |
|
금융부채 |
6,489,803 |
42,927 |
289,847 |
82,624 |
6,905,201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
|
주식 관련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옵션모형(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옵션모형은 Black-Scholes 모델, Hull-White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품 유형에 따라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보아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공시한 항목과 관련된 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공시하지 않습니다. |
|
금융부채 |
7,139,257 |
181,858 |
428,049 |
134,645 |
7,883,809 |
|
부채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
|
주식 관련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부채 |
0.0047 |
0.6162 |
(0.7000) |
0.8206 |
0.0820 |
0.6162 |
0.1707 |
0.8206 |
0.0047 |
0.0161 |
(0.7000) |
0.9034 |
0.0029 |
0.0182 |
0.0051 |
0.0772 |
(0.7000) |
0.7019 |
0.0009 |
0.0763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주식 및 환율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및 상품관련 |
|||||||||||||||||||||||||||||||||||||||||||||
|
주식 관련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기초자산의 변동성, 측정 투입변수 |
상관계수 |
회귀계수, 측정 투입변수 |
Hazard Rate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부채 |
0.0046 |
0.5768 |
(0.4656) |
0.8310 |
0.0786 |
0.5768 |
(0.4656) |
0.8310 |
0.0046 |
0.0109 |
(0.3828) |
0.9034 |
0.0000 |
0.0232 |
0.0698 |
0.0000 |
0.0029 |
0.0605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측정의 민감도분석 공시,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기초자산의 변동성 또는 상관계수 |
0.1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기초자산의 변동성 또는 상관계수 |
0.1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성장율 및 할인율 |
0.01 |
0.01 |
0.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성장율 및 할인율 |
0.01 |
0.01 |
0.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38,715 |
18,725 |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33,880) |
(18,565) |
||
|
기타포괄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64,641 |
|||
|
기타포괄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45,189)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기초자산의 변동성 또는 상관계수 |
0.1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기초자산의 변동성 또는 상관계수 |
0.1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성장율 및 할인율 |
0.01 |
0.01 |
0.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성장율 및 할인율 |
0.01 |
0.01 |
0.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38,489 |
14,813 |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33,351) |
(14,777) |
||
|
기타포괄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74,482 |
|||
|
기타포괄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49,29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측정의 민감도분석 공시,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부채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부채 |
0.1 |
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부채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부채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부채 |
12,709 |
13,060 |
25,769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부채 |
(12,798) |
(14,004) |
(26,80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부채 |
0.1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부채 |
0.1 |
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부채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부채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부채 |
19,782 |
25,420 |
45,202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부채 |
(20,339) |
(21,955) |
(42,294)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산출 방법에 대한 공시 |
|
|
금융상품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은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동일하며 예치금은 변동이자율 예치금과 초단기성인 익일 예치금이 대부분이므로 공정가치의 대용치로 장부금액을 사용하였습니다. |
대출채권의 공정가치는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과 차주의 신용위험등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외부전문평가기관이 시장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평가금액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외부전문평가기관은 활성시장 가격을 기초로 공정가치를 산출하며, 공시가격이 없는 경우 DCF모형을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
현물환 및 미회수, 미지급 내국환 등 단기성 및 경과성 계정의 경우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였으며, 나머지 기타금융상품의 경우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요구불예수부채, 어음관리계좌수탁금, 콜머니는 초단기성 부채로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였으며, 나머지 예수부채와 차입부채는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요구불예수부채, 어음관리계좌수탁금, 콜머니는 초단기성 부채로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였으며, 나머지 예수부채와 차입부채는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활성시장 가격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활성시장 가격이 유효하지 않는 경우,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신뢰성 있는 기대현금흐름의 산출이 어려우므로 보험업법 및 보험업감독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른 퇴직연금계약 적립금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의 대용치로 사용하였습니다. |
현물환 및 미회수, 미지급 내국환 등 단기성 및 경과성 계정의 경우 장부금액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였으며, 나머지 기타금융상품의 경우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37,325,870 |
448,542,280 |
22,151,438 |
2,698,399 |
7,379,808 |
38,062,713 |
556,160,508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38,228,750 |
449,295,238 |
21,808,057 |
3,787,661 |
7,720,281 |
23,116,960 |
543,956,947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236,197 |
37,036,692 |
0 |
37,272,889 |
0 |
1,377,343 |
451,426,249 |
452,803,592 |
10,964,345 |
11,171,157 |
0 |
22,135,502 |
151,133 |
2,580,412 |
0 |
2,731,545 |
0 |
7,418,469 |
0 |
7,418,469 |
0 |
25,561,463 |
12,855,144 |
38,416,607 |
560,778,604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537,760 |
37,621,375 |
0 |
38,159,135 |
0 |
965,455 |
451,759,297 |
452,724,752 |
11,292,066 |
10,333,600 |
0 |
21,625,666 |
331,421 |
3,497,178 |
0 |
3,828,599 |
0 |
7,694,086 |
0 |
7,694,086 |
0 |
13,474,763 |
9,994,559 |
23,469,322 |
547,501,560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의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요구불예수부채 |
기한부예수부채 |
양도성예금증서 |
발행어음예수부채 |
어음관리계좌수탁금 |
그 밖의 예수부채 |
콜머니 |
매출어음 |
환매조건부채권매도 |
그 밖의 차입금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161,795,759 |
229,644,970 |
11,609,060 |
8,476,754 |
4,726,069 |
4,318,116 |
1,286,903 |
6,364 |
14,671,027 |
38,330,064 |
89,157,111 |
826,844 |
57,380,758 |
622,229,79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요구불예수부채 |
기한부예수부채 |
양도성예금증서 |
발행어음예수부채 |
어음관리계좌수탁금 |
그 밖의 예수부채 |
콜머니 |
매출어음 |
환매조건부채권매도 |
그 밖의 차입금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160,031,759 |
236,527,490 |
10,409,701 |
7,624,787 |
4,451,561 |
3,735,747 |
1,197,823 |
8,872 |
11,542,956 |
37,170,722 |
93,765,854 |
1,165,022 |
39,472,400 |
607,104,694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의 내역, 통화별 사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사채 |
||
|
통화별 금융상품 |
||
|
원화 |
외화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72,531,797 |
16,625,314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사채 |
||
|
통화별 금융상품 |
||
|
원화 |
외화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75,106,885 |
18,658,969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요구불예수부채 |
기한부예수부채 |
양도성예금증서 |
발행어음예수부채 |
어음관리계좌수탁금 |
그 밖의 예수부채 |
콜머니 |
매출어음 |
환매조건부채권매도 |
그 밖의 차입금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161,795,759 |
0 |
161,795,759 |
0 |
0 |
230,187,555 |
230,187,555 |
0 |
0 |
11,617,941 |
11,617,941 |
0 |
0 |
8,476,249 |
8,476,249 |
0 |
4,726,069 |
0 |
4,726,069 |
0 |
4,277,194 |
40,981 |
4,318,175 |
0 |
1,286,903 |
0 |
1,286,903 |
0 |
0 |
6,341 |
6,341 |
0 |
0 |
14,671,027 |
14,671,027 |
0 |
9,849 |
38,421,153 |
38,431,002 |
0 |
51,112,626 |
38,982,471 |
90,095,097 |
0 |
0 |
826,844 |
826,844 |
0 |
24,300,149 |
33,044,015 |
57,344,164 |
623,783,126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요구불예수부채 |
기한부예수부채 |
양도성예금증서 |
발행어음예수부채 |
어음관리계좌수탁금 |
그 밖의 예수부채 |
콜머니 |
매출어음 |
환매조건부채권매도 |
그 밖의 차입금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160,031,759 |
0 |
160,031,759 |
0 |
0 |
236,878,216 |
236,878,216 |
0 |
0 |
10,481,318 |
10,481,318 |
0 |
0 |
7,624,245 |
7,624,245 |
0 |
4,451,561 |
0 |
4,451,561 |
0 |
3,694,921 |
40,805 |
3,735,726 |
0 |
1,197,823 |
0 |
1,197,823 |
0 |
0 |
8,831 |
8,831 |
0 |
0 |
11,542,956 |
11,542,956 |
0 |
19,922 |
37,216,182 |
37,236,104 |
0 |
56,359,813 |
38,010,591 |
94,370,404 |
0 |
0 |
1,165,022 |
1,165,022 |
0 |
10,428,026 |
29,001,549 |
39,429,575 |
608,153,540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통화별 사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사채 |
||||||||
|
통화별 금융상품 |
||||||||
|
원화 |
외화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39,858,204 |
33,483,084 |
73,341,288 |
0 |
11,254,422 |
5,499,387 |
16,753,80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사채 |
||||||||
|
통화별 금융상품 |
||||||||
|
원화 |
외화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43,460,315 |
32,150,656 |
75,610,971 |
0 |
12,899,498 |
5,859,935 |
18,759,433 |
4-3. 금융상품 위험 관리 - 범주별 금융상품 (연결)
|
금융자산의 범주별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금융자산 |
36,977 |
71,686,612 |
5,451,376 |
1,421,157 |
97,267,259 |
39,846,236 |
448,542,280 |
32,229,645 |
38,062,713 |
438,028 |
734,982,283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자산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금융자산 |
35,450 |
70,231,449 |
9,576,896 |
1,879,946 |
93,805,369 |
40,525,712 |
449,295,238 |
33,315,999 |
23,116,960 |
702,361 |
722,485,380 |
|
금융부채의 범주별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
|
금융부채 |
1,480,885 |
4,559,299 |
7,417,650 |
420,570,728 |
54,294,358 |
89,157,111 |
826,844 |
57,380,758 |
712,928 |
636,400,561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예수부채 |
차입금 |
사채 |
투자계약부채 |
기타금융부채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단기매매목적파생상품부채 |
|||||||||
|
금융부채 |
954,899 |
9,036,461 |
8,220,475 |
422,781,045 |
49,920,373 |
93,765,854 |
1,165,022 |
39,472,400 |
1,022,071 |
626,338,600 |
5. 종속기업의 변동내역 (연결)
|
(1) 당반기 중 연결재무제표에 포함 및 제외된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2) 전기 중 연결재무제표에 제외된 주요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6. 영업부문 정보 (연결)
|
영업부문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업 전체 총계 |
기업 전체 총계 합계 |
|||||||||||||||||||||
|---|---|---|---|---|---|---|---|---|---|---|---|---|---|---|---|---|---|---|---|---|---|---|
|
영업부문 |
중요한 조정사항 |
|||||||||||||||||||||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부문 |
증권 부문 |
보험부문 |
여신전문 부문 |
기타부문 |
부문간 제거한 금액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
|
각 보고부문이 수익을 창출하는 제품과 용역의 유형에 대한 기술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생명보험업, 손해보험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부동산신탁, 투자자문 및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등 상기 영업부문에 속하지 아니하는 부문 |
||||||||||||||||
|
순이자손익 |
4,543,060 |
602 |
4,543,662 |
999,084 |
(26,030) |
973,054 |
299,679 |
(6,312) |
293,367 |
(82,917) |
(2,482) |
(85,399) |
58,311 |
(8,854) |
49,457 |
5,995 |
35,235 |
41,230 |
(104,372) |
7,841 |
(96,531) |
5,718,840 |
|
순수수료손익 |
536,419 |
(21,758) |
514,661 |
451,525 |
(27,114) |
424,411 |
301,957 |
(3,074) |
298,883 |
1,762 |
(4,751) |
(2,989) |
10,272 |
530 |
10,802 |
138,186 |
40,349 |
178,535 |
0 |
15,818 |
15,818 |
1,440,121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374,005) |
(509,579) |
(46,399) |
(5,573) |
(86,848) |
(33,760) |
(1,040) |
(1,057,204) |
||||||||||||||
|
일반관리비 |
(1,895,743) |
(412,084) |
(377,942) |
(92,064) |
(31,535) |
(206,955) |
116,265 |
(2,900,058) |
||||||||||||||
|
기타영업손익 |
74,911 |
(91,970) |
150,597 |
637,375 |
102,480 |
73,639 |
(190,260) |
756,772 |
||||||||||||||
|
영업이익 |
2,863,486 |
383,832 |
318,506 |
451,350 |
44,356 |
52,689 |
(155,748) |
3,958,471 |
||||||||||||||
|
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965) |
(3,120) |
39,407 |
(830) |
36,952 |
621 |
42,613 |
114,678 |
||||||||||||||
|
법인세비용(수익) |
673,210 |
90,077 |
87,658 |
111,010 |
16,202 |
14,178 |
(8,933) |
983,402 |
||||||||||||||
|
당기순이익(손실) |
2,222,724 |
301,840 |
258,873 |
328,628 |
63,939 |
41,837 |
(123,561) |
3,094,280 |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222,294 |
299,215 |
258,880 |
328,628 |
63,939 |
41,837 |
(177,394) |
3,037,399 |
||||||||||||||
|
비지배지분 |
430 |
2,625 |
(7) |
0 |
0 |
0 |
53,833 |
56,881 |
||||||||||||||
|
보고부문 사이의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한 기술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이자손익에 대한 연결조정금액은 사업결합 회계처리 시 유가증권 등의 공정가치평가 결과 발생한 금액입니다.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업 전체 총계 |
기업 전체 총계 합계 |
|||||||||||||||||||||
|---|---|---|---|---|---|---|---|---|---|---|---|---|---|---|---|---|---|---|---|---|---|---|
|
영업부문 |
중요한 조정사항 |
|||||||||||||||||||||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부문 |
증권 부문 |
보험부문 |
여신전문 부문 |
기타부문 |
부문간 제거한 금액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외부고객 |
내부고객 |
|||||||||
|
각 보고부문이 수익을 창출하는 제품과 용역의 유형에 대한 기술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용카드, 장단기 카드대출, 할부금융, 리스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생명보험업, 손해보험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시설대여, 신기술사업금융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부동산신탁, 투자자문 및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등 상기 영업부문에 속하지 아니하는 부문 |
||||||||||||||||
|
순이자손익 |
4,455,703 |
(55) |
4,455,648 |
992,184 |
(32,433) |
959,751 |
285,014 |
(8,106) |
276,908 |
(76,154) |
563 |
(75,591) |
97,713 |
(13,330) |
84,383 |
(1,947) |
46,828 |
44,881 |
(114,800) |
6,533 |
(108,267) |
5,637,713 |
|
순수수료손익 |
464,496 |
(20,621) |
443,875 |
537,133 |
(25,742) |
511,391 |
282,511 |
(2,841) |
279,670 |
608 |
(3,164) |
(2,556) |
6,318 |
841 |
7,159 |
128,243 |
39,849 |
168,092 |
0 |
11,678 |
11,678 |
1,419,309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170,113) |
(435,924) |
(22,036) |
(1,821) |
(78,693) |
(269,399) |
506 |
(977,480) |
||||||||||||||
|
일반관리비 |
(1,820,712) |
(393,328) |
(381,140) |
(91,716) |
(33,120) |
(223,044) |
99,209 |
(2,843,851) |
||||||||||||||
|
기타영업손익 |
(119,741) |
(95,872) |
120,233 |
601,163 |
131,248 |
339,041 |
(290,984) |
685,088 |
||||||||||||||
|
영업이익 |
2,788,957 |
546,018 |
273,635 |
429,479 |
110,977 |
59,571 |
(287,858) |
3,920,779 |
||||||||||||||
|
관계기업 이익에 대한 지분 |
14,448 |
(4,803) |
(4,073) |
(128) |
27,166 |
4,266 |
(51,834) |
(14,958) |
||||||||||||||
|
법인세비용(수익) |
565,815 |
126,129 |
57,994 |
117,822 |
28,507 |
1,450 |
(34,588) |
863,129 |
||||||||||||||
|
당기순이익(손실) |
2,010,839 |
429,941 |
207,160 |
306,881 |
108,043 |
57,425 |
(321,474) |
2,798,815 |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010,504 |
428,478 |
207,171 |
306,881 |
108,043 |
57,425 |
(371,491) |
2,747,011 |
||||||||||||||
|
비지배지분 |
335 |
1,463 |
(11) |
0 |
0 |
0 |
50,017 |
51,804 |
||||||||||||||
|
보고부문 사이의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한 기술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이자손익에 대한 연결조정금액은 사업결합 회계처리 시 유가증권 등의 공정가치평가 결과 발생한 금액입니다. |
|||||||||||||||||||||
7.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연결)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합계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합계 |
||||
|
사용제한 예치금 |
사용제한 예치금 |
||||||
|
지준예치금 |
기타 예치금 |
지준예치금 |
기타 예치금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14,820,944 |
1,830,987 |
16,651,931 |
3,112,012 |
19,763,943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
근거 법령 등: 한국은행법 제55조 |
근거 법령 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4조 등 |
근거 법령 등: 한국은행법, 뉴욕주은행법, 파생상품 관련 등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합계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합계 |
||||
|
사용제한 예치금 |
사용제한 예치금 |
||||||
|
지준예치금 |
기타 예치금 |
지준예치금 |
기타 예치금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11,594,266 |
1,978,415 |
13,572,681 |
11,046,189 |
24,618,870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
근거 법령 등: 한국은행법 제55조 |
근거 법령 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4조 등 |
근거 법령 등: 한국은행법, 뉴욕주은행법, 파생상품 관련 등 |
||||
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연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
|
채무증권 |
지분증권 |
금/은예치금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풋가능주식 |
풋가능출자금 |
수익증권 |
매입어음 |
CMA자산 |
기타채무상품 |
주식, 지분증권 |
출자금 |
기타지분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0,673,083 |
8,725,123 |
12,671,767 |
630,708 |
5,568,476 |
14,928,511 |
7,243,905 |
4,235,126 |
2,941,709 |
3,536,451 |
5,179 |
394,115 |
132,459 |
1,421,157 |
36,977 |
73,144,746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예치금 |
||||||||||||||
|
채무증권 |
지분증권 |
금/은예치금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풋가능주식 |
풋가능출자금 |
수익증권 |
매입어음 |
CMA자산 |
기타채무상품 |
주식, 지분증권 |
출자금 |
기타지분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8,983,699 |
11,127,785 |
12,579,941 |
691,684 |
5,483,075 |
14,414,681 |
9,270,928 |
1,613,961 |
2,840,070 |
2,954,653 |
6,680 |
135,995 |
128,297 |
1,879,946 |
35,450 |
72,146,845 |
|
사용이 제한된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투자자예탁금별도예치금(신탁)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2,305,582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투자자예탁금별도예치금(신탁)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1,731,224 |
9. 파생상품 (연결)
|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 |
157,782,114 |
59,161,247 |
2,305,457 |
219,248,818 |
2,325,415 |
2,325,415 |
221,574,233 |
820,000 |
57,014,616 |
57,834,616 |
158,819,664 |
6,354,105 |
165,173,769 |
223,008,385 |
5,267,883 |
5,267,883 |
5,267,883 |
1,209,757 |
5,123,053 |
6,332,810 |
974,018 |
1,186,990 |
2,161,008 |
8,493,818 |
2,793,327 |
2,793,327 |
135,730 |
135,730 |
2,929,057 |
461,273,376 |
4,363,673 |
7,851,714 |
12,215,387 |
12,215,387 |
12,766,416 |
12,766,416 |
12,766,416 |
16,750 |
16,750 |
16,750 |
24,998,553 |
486,271,929 |
|||||||||||||||||||||||||||||||||||||||||||||||||||||||||||||||||||||||||||||||||||||||||||||||||||||||||||||||
|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에 대한 기술 |
중앙청산거래소에서 결제되는 파생상품 미결제약정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 |
167,805,176 |
59,641,567 |
2,182,530 |
229,629,273 |
1,534,764 |
1,534,764 |
231,164,037 |
825,057 |
57,169,341 |
57,994,398 |
142,194,805 |
4,875,687 |
147,070,492 |
205,064,890 |
5,041,093 |
5,041,093 |
5,041,093 |
2,923,962 |
5,975,657 |
8,899,619 |
452,322 |
1,600,342 |
2,052,664 |
10,952,283 |
2,121,686 |
2,121,686 |
172,899 |
172,899 |
2,294,585 |
454,516,888 |
4,345,149 |
7,993,851 |
12,339,000 |
12,339,000 |
13,219,417 |
13,219,417 |
13,219,417 |
18,750 |
18,750 |
18,750 |
25,577,167 |
480,094,055 |
|||||||||||||||||||||||||||||||||||||||||||||||||||||||||||||||||||||||||||||||||||||||||||||||||||||||||||||||
|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에 대한 기술 |
중앙청산거래소에서 결제되는 파생상품 미결제약정 금액입니다. |
||||||||||||||||||||||||||||||||||||||||||||||||||||||||||||||||||||||||||||||||||||||||||||||||||||||||||||||||||||||||||||||||||||||||||||||||||||||||
|
파생상품 공정가치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파생상품 금융자산 |
2,540,741 |
1,448,331 |
11,282 |
4,000,354 |
4,004 |
4,004 |
4,004,358 |
110 |
653,163 |
653,273 |
5,611 |
5,611 |
658,884 |
502,749 |
502,749 |
502,749 |
3,624 |
202,144 |
205,768 |
67,762 |
9,242 |
77,004 |
282,772 |
2,234 |
2,234 |
379 |
379 |
2,613 |
5,451,376 |
33,360 |
247,696 |
281,056 |
281,056 |
156,972 |
156,972 |
156,972 |
0 |
0 |
0 |
438,028 |
5,889,404 |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2,289,683 |
1,247,895 |
15,486 |
3,553,064 |
348 |
348 |
3,553,412 |
31,755 |
740,986 |
772,741 |
5,347 |
5,347 |
778,088 |
12,493 |
12,493 |
12,493 |
13,472 |
88,316 |
101,788 |
10,317 |
6,258 |
16,575 |
118,363 |
91,970 |
91,970 |
4,973 |
4,973 |
96,943 |
4,559,299 |
53,102 |
215,713 |
268,815 |
268,815 |
437,334 |
437,334 |
437,334 |
6,779 |
6,779 |
6,779 |
712,928 |
5,272,227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파생상품 금융자산 |
5,731,971 |
2,299,084 |
24,230 |
8,055,285 |
1,527 |
1,527 |
8,056,812 |
1,157 |
734,284 |
735,441 |
2,929 |
2,929 |
738,370 |
507,677 |
507,677 |
507,677 |
95,173 |
96,841 |
192,014 |
66,177 |
1,228 |
67,405 |
259,419 |
914 |
914 |
13,704 |
13,704 |
14,618 |
9,576,896 |
12,100 |
539,015 |
551,115 |
551,115 |
151,246 |
151,246 |
151,246 |
0 |
0 |
0 |
702,361 |
10,279,257 |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3,887,398 |
3,823,249 |
25,700 |
7,736,347 |
828 |
828 |
7,737,175 |
28,907 |
859,402 |
888,309 |
675 |
675 |
888,984 |
9,764 |
9,764 |
9,764 |
112,088 |
137,399 |
249,487 |
4,274 |
13,302 |
17,576 |
267,063 |
129,833 |
129,833 |
3,642 |
3,642 |
133,475 |
9,036,461 |
213,015 |
181,413 |
394,428 |
394,428 |
623,702 |
623,702 |
623,702 |
3,941 |
3,941 |
3,941 |
1,022,071 |
10,058,532 |
||||||||||||||||||||||||||||||||||||||||||||||||||||||||||||||||||||||||||||||||||||||||||||||||||||||||||||||||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
매매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파생상품평가순이익(손실) |
(1,237,866) |
(1,040,992) |
1,340,705 |
1,345,858 |
(2,577) |
(1,703) |
100,262 |
303,163 |
6,868 |
4,468 |
6,868 |
4,468 |
107,130 |
307,631 |
(2,152) |
(2,848) |
163,953 |
53,811 |
161,801 |
50,963 |
3,325 |
(246) |
3,325 |
(246) |
165,126 |
50,717 |
(7,216) |
8,555 |
(7,216) |
8,555 |
(7,216) |
8,555 |
860 |
470 |
97,304 |
181,870 |
98,164 |
182,340 |
1,058 |
2,526 |
11,912 |
3,048 |
12,970 |
5,574 |
111,134 |
187,914 |
(12,620) |
34,126 |
(12,620) |
34,126 |
1,648 |
(4,594) |
1,648 |
(4,594) |
(10,972) |
29,532 |
365,202 |
584,349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
매매 목적 |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파생상품 계약 유형 합계 |
|||||||||||||||||||||||||||||||||||||||||||||||||||||||||||||||||||||||||||||||||||||||||||||||||||||||||||||||||||||||||||||||||||||||||||||||||||||||
|
통화 관련 |
이자율 관련 |
신용 관련 |
주식 관련 |
상품 관련 |
||||||||||||||||||||||||||||||||||||||||||||||||||||||||||||||||||||||||||||||||||||||||||||||||||||||||||||||||||||||||||||||||||||||||||||||||||||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파생상품 거래유형 |
파생상품 거래유형 합계 |
|||||||||||||||||||||||||||||||||||||||||||||||||||||||||||||||||||||||||||||||||||||||||||||||||||||||||||||||||||||||||||||||||||||||||||||||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장외 |
장내 |
|||||||||||||||||||||||||||||||||||||||||||||||||||||||||||||||||||||||||||||||||||||||||||||||||||||||||||||||||||||||||||||||||||||||||||||||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파생상품 유형 |
파생상품 유형 합계 |
|||||||||||||||||||||||||||||||||||||||||||||||||||||||||||||||||||||||||||||||||||||||||||||||||||||||||||||||||||||||||||||||||||||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선도계약 |
스왑계약 |
옵션계약 |
선물계약 |
선도 및 스왑계약 |
선물 및 옵션계약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파생상품평가순이익(손실) |
284,393 |
841,345 |
(308,183) |
(807,385) |
1,290 |
2,414 |
(22,500) |
36,374 |
(33) |
53 |
(33) |
53 |
(22,533) |
36,427 |
(431) |
37 |
41,100 |
83,795 |
40,669 |
83,832 |
(3,271) |
(2,573) |
(3,271) |
(2,573) |
37,398 |
81,259 |
750 |
10,541 |
750 |
10,541 |
750 |
10,541 |
73,022 |
36,438 |
(32,447) |
42,416 |
40,575 |
78,854 |
10,314 |
3,530 |
(52,500) |
(22,400) |
(42,186) |
(18,870) |
(1,611) |
59,984 |
(2,599) |
(9,564) |
(2,599) |
(9,564) |
(9,069) |
(9,505) |
(9,069) |
(9,505) |
(11,668) |
(19,069) |
2,336 |
169,142 |
||||||||||||||||||||||||||||||||||||||||||||||||||||||||||||||||||||||||||||||||||||||||||||||
|
파생상품평가손익 합계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파생상품평가순이익(손실) |
365,202 |
584,349 |
(106,510) |
1,302 |
258,692 |
585,651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합계 |
|||||
|---|---|---|---|---|---|---|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파생상품평가순이익(손실) |
2,336 |
169,142 |
46,812 |
(90,915) |
49,148 |
78,227 |
|
위험회피수단의 조건에 대한 정보와 어떻게 미래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정보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위험 |
|||||||||||||||||||||
|---|---|---|---|---|---|---|---|---|---|---|---|---|---|---|---|---|---|---|---|---|---|
|
이자율위험 |
환위험 |
기타 가격위험 |
|||||||||||||||||||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
|
위험회피수단의 명목금액 |
1,716,245 |
2,241,599 |
2,428,498 |
1,477,712 |
664,750 |
4,237,611 |
12,766,415 |
4,719,617 |
3,434,526 |
1,680,108 |
2,960,545 |
738,541 |
499,057 |
14,032,394 |
0 |
16,750 |
0 |
0 |
0 |
0 |
16,750 |
|
위험회피수단의 평균 가격조건 |
0.0303 |
0.0378 |
0.0452 |
0.0458 |
0.0350 |
0.0336 |
0.0376 |
||||||||||||||
|
평균 헤지비율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
존속하는 주식선택권의 행사가격 |
324,027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위험 |
|||||||||||||||||||||
|---|---|---|---|---|---|---|---|---|---|---|---|---|---|---|---|---|---|---|---|---|---|
|
이자율위험 |
환위험 |
기타 가격위험 |
|||||||||||||||||||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합계 구간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
|
위험회피수단의 명목금액 |
910,440 |
2,621,365 |
1,943,818 |
2,350,027 |
1,161,927 |
4,231,840 |
13,219,417 |
4,319,632 |
2,421,806 |
3,072,483 |
2,870,442 |
1,059,147 |
447,703 |
14,191,213 |
0 |
0 |
18,750 |
0 |
0 |
0 |
18,750 |
|
위험회피수단의 평균 가격조건 |
0.0343 |
0.0307 |
0.0408 |
0.0482 |
0.0417 |
0.0360 |
0.0382 |
||||||||||||||
|
평균 헤지비율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
존속하는 주식선택권의 행사가격 |
324,027 |
||||||||||||||||||||
|
위험회피수단의 시기별 명목금액 및 평균 헤지비율_주기 |
|
|
당반기말 |
|
|
위험회피수단 |
|||||||||
|---|---|---|---|---|---|---|---|---|---|
|
파생상품 |
|||||||||
|
기능통화 또는 표시통화 |
|||||||||
|
원화 |
USD |
JPY |
EUR |
GBP |
AUD |
CAD |
CNY |
SEK |
|
|
이자율스왑의 기초금리 |
CD 3월물 |
USD SOFR, USD Libor 3월물 |
JPY TONAR 3월물 |
Euribor 3월물 |
AUD Bond 3월물 |
||||
|
위험회피수단의 평균 환율 조건 |
1,303.75 |
9.28 |
1,428.69 |
1,561.57 |
893.06 |
999.37 |
189.93 |
128.60 |
|
|
전기말 |
|
위험회피수단 |
|||||||||
|---|---|---|---|---|---|---|---|---|---|
|
파생상품 |
|||||||||
|
기능통화 또는 표시통화 |
|||||||||
|
원화 |
USD |
JPY |
EUR |
GBP |
AUD |
CAD |
CNY |
SEK |
|
|
이자율스왑의 기초금리 |
CD 3월물 |
USD SOFR |
Euribor 3월물 |
AUD Bond 3월물 |
|||||
|
위험회피수단의 평균 환율 조건 |
1,280.52 |
9.25 |
1,402.37 |
1,561.57 |
892.94 |
991.06 |
189.50 |
127.54 |
|
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과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연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구성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채무증권 |
지분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및 기타 |
주식, 지분증권 |
출자금 |
기타지분증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42,087,967 |
30,023,882 |
23,193,615 |
1,776,255 |
748 |
184,792 |
97,267,25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에 대한 기술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채무증권 |
지분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및 기타 |
주식, 지분증권 |
출자금 |
기타지분증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42,463,118 |
25,983,405 |
23,569,687 |
1,594,019 |
4,367 |
190,773 |
93,805,36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에 대한 기술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상기 내역의 지분증권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으로, 정책상 필요에 따른 보유등의 이유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선택권을 행사하였습니다.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22,151,438 |
2,698,399 |
7,379,808 |
32,229,64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채무증권 |
||||
|
국공채 및 지방채 |
금융채 |
회사채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21,808,057 |
3,787,661 |
7,720,281 |
33,315,99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변동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금융자산 |
91,955,452 |
60,758 |
92,016,210 |
(38,250) |
(96) |
(38,346)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5,276 |
(5,276) |
0 |
(17) |
17 |
0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순증감, 금융자산 |
3,320,160 |
(30,906) |
3,289,254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3,893) |
(76) |
(3,969)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2,325 |
2 |
2,327 |
|||
|
기말금융자산 |
95,280,888 |
24,576 |
95,305,464 |
(39,835) |
(153) |
(39,988)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은 취득, 매각, 상환, 환율변동, 사업결합으로 인한 공정가치 조정액에 대한 상각금액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금융자산 |
88,545,051 |
91,949 |
88,637,000 |
(41,568) |
(909) |
(42,477)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3,798 |
(3,798) |
0 |
(14) |
14 |
0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순증감, 금융자산 |
3,406,603 |
(27,393) |
3,379,210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2,279 |
420 |
2,699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1,053 |
379 |
1,432 |
|||
|
기말금융자산 |
91,955,452 |
60,758 |
92,016,210 |
(38,250) |
(96) |
(38,346)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은 취득, 매각, 상환, 환율변동, 사업결합으로 인한 공정가치 조정액에 대한 상각금액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상각후원가측정채무증권에 대한 변동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채무증권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금융자산 |
33,322,543 |
3,644 |
33,326,187 |
(10,137) |
(51) |
(10,188)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순증감, 금융자산 |
(1,083,247) |
(3,644) |
(1,086,891)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13 |
46 |
59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475 |
3 |
478 |
|||
|
기말금융자산 |
32,239,296 |
0 |
32,239,296 |
(9,649) |
(2) |
(9,651)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은 취득, 매각, 상환, 환율변동, 사업결합으로 인한 공정가치 조정액에 대한 상각금액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채무증권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금융자산 |
35,690,387 |
7,523 |
35,697,910 |
(11,283) |
(140) |
(11,423)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
순증감, 금융자산 |
(2,367,844) |
(3,879) |
(2,371,723)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1,515 |
97 |
1,612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369) |
(8) |
(377) |
|||
|
기말금융자산 |
33,322,543 |
3,644 |
33,326,187 |
(10,137) |
(51) |
(10,188)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은 취득, 매각, 상환, 환율변동, 사업결합으로 인한 공정가치 조정액에 대한 상각금액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유가증권 및 상각후원가 측정 유가증권에 대하여 인식한 처분손익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처분이익, 금융상품 |
85,537 |
187,294 |
0 |
1 |
|
처분손실, 금융상품 |
14,074 |
41,288 |
11 |
39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제거 이유에 대한 기술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처분사유는 발행자의 조기상환권 행사 등입니다.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처분사유는 발행자의 조기상환권 행사 등입니다.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처분이익, 금융상품 |
38,040 |
72,618 |
0 |
0 |
|
처분손실, 금융상품 |
32,878 |
45,338 |
2 |
4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제거 이유에 대한 기술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처분사유는 발행자의 조기상환권 행사 등입니다.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의 처분사유는 발행자의 조기상환권 행사 등입니다.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관련 손익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지분증권 |
||||
|
주식, 지분증권 |
기타지분증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상품으로 인해 인식한 배당금수익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상품으로 인해 인식한 배당금수익 |
보고기간 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로 부터 인식된 배당금 |
43,673 |
||
|
제거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중 지분상품의 내역 |
||||
|
제거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중 지분상품의 내역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처분 이유에 대한 기술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의 처분 사유는 출자전환 취득주식의 처분 등 입니다. |
||
|
제거일 현재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
63,911 |
1,687 |
65,598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처분시점의 누적 이익(손실) |
2,811 |
11 |
2,82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
지분증권 |
||||
|
주식, 지분증권 |
기타지분증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상품으로 인해 인식한 배당금수익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 항목으로 지정한 지분상품으로 인해 인식한 배당금수익 |
보고기간 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로 부터 인식된 배당금 |
60,912 |
||
|
제거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중 지분상품의 내역 |
||||
|
제거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중 지분상품의 내역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처분 이유에 대한 기술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의 처분 사유는 출자전환 취득주식의 처분 등 입니다. |
||
|
제거일 현재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
54,167 |
0 |
54,167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처분시점의 누적 이익(손실) |
(3,392) |
0 |
(3,392) |
|
11. 상각후원가 측정 대출채권 등 (연결)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의 고객별 구성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이연부대손익 |
손실충당금 |
||||||||||||||||||||||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168,560,585 |
248,167,740 |
4,678,098 |
2,588,461 |
28,467,053 |
452,461,937 |
(28,955) |
665,603 |
(4,556,305) |
448,542,280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에 대한 기술 |
개인사업자대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이연부대손익 |
손실충당금 |
||||||||||||||||||||||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고객 |
고객 합계 |
||||||||||||||||||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가계대출 |
기업대출 |
공공자금대출 |
은행간자금대출 |
신용카드채권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166,140,123 |
251,011,516 |
5,253,071 |
1,946,442 |
28,894,371 |
453,245,523 |
(29,923) |
645,569 |
(4,565,931) |
449,295,238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에 대한 기술 |
개인사업자대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에 대한 변동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초금융자산 |
384,078,752 |
66,060,111 |
3,722,306 |
(1,270,300) |
(1,531,751) |
(1,763,880) |
61,488,945 |
235,252 |
217,158 |
(394,484) |
(14,752) |
(186,410)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15,345,942 |
(15,299,583) |
(46,359) |
(192,236) |
188,308 |
3,928 |
30,747 |
(29,838) |
(909) |
(619) |
569 |
50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18,351,079) |
18,476,849 |
(125,770) |
90,546 |
(117,913) |
27,367 |
(47,611) |
48,553 |
(942) |
1,766 |
(1,798) |
32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853,379) |
(1,158,818) |
2,012,197 |
22,517 |
122,243 |
(144,760) |
(3,605) |
(12,548) |
16,153 |
258 |
4,020 |
(4,278) |
||||
|
순증감, 금융자산 |
4,229,432 |
(3,433,021) |
76,874 |
14,074,093 |
(23,629) |
13,081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95,404 |
(148,930) |
(994,292) |
(6,885) |
(121) |
(31,813) |
||||||||||
|
제각을 통한 감소, 금융자산 |
0 |
0 |
(891,123) |
0 |
0 |
891,123 |
0 |
0 |
(47,611) |
0 |
0 |
47,611 |
||||
|
할인차금 상각, 금융자산 |
0 |
0 |
19,814 |
0 |
0 |
0 |
||||||||||
|
양도에 따른 감소, 금융자산 |
0 |
(6,758) |
(737,988) |
0 |
355 |
257,981 |
0 |
(216) |
(3,567) |
0 |
1 |
3,352 |
||||
|
회수에 따른 총 장부금액의 감소, 금융자산 |
0 |
0 |
(154,853) |
0 |
0 |
(1,156)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19,158 |
12,543 |
11,323 |
5,828 |
3 |
13,903 |
||||||||||
|
기말금융자산 |
384,449,668 |
64,638,780 |
4,010,137 |
(1,234,911) |
(1,475,145) |
(1,846,249) |
75,542,569 |
217,574 |
193,363 |
(394,136) |
(12,078) |
(158,709) |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초금융자산 |
356,983,353 |
56,073,735 |
3,012,944 |
(1,275,974) |
(1,672,926) |
(1,381,570) |
59,409,121 |
245,916 |
167,788 |
(332,951) |
(15,650) |
(137,968)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11,871,293 |
(11,791,179) |
(80,114) |
(206,803) |
201,876 |
4,927 |
34,752 |
(34,626) |
(126) |
(1,262) |
1,229 |
33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21,881,980) |
21,982,522 |
(100,542) |
124,779 |
(158,247) |
33,468 |
(62,021) |
62,091 |
(70) |
5,414 |
(5,441) |
27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922,912) |
(915,624) |
1,838,536 |
24,287 |
110,430 |
(134,717) |
(8,949) |
(21,143) |
30,092 |
178 |
5,715 |
(5,893) |
||||
|
순증감, 금융자산 |
38,062,146 |
903,773 |
1,925,720 |
2,116,517 |
(10,556) |
205,387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70,604 |
(22,354) |
(1,910,263) |
(175) |
(629) |
(112,858) |
||||||||||
|
제각을 통한 감소, 금융자산 |
0 |
0 |
(1,536,101) |
0 |
0 |
1,536,101 |
0 |
0 |
(61,157) |
0 |
0 |
61,157 |
||||
|
할인차금 상각, 금융자산 |
0 |
0 |
35,031 |
0 |
0 |
0 |
||||||||||
|
양도에 따른 감소, 금융자산 |
(33,148) |
(193,116) |
(1,338,137) |
2,946 |
19,609 |
402,283 |
(475) |
(6,430) |
(124,756) |
1 |
38 |
15,028 |
||||
|
회수에 따른 총 장부금액의 감소, 금융자산 |
0 |
0 |
(361,038) |
0 |
0 |
(3,292)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10,139) |
(10,139) |
11,898 |
(65,689) |
(14) |
(2,644) |
||||||||||
|
기말금융자산 |
384,078,752 |
66,060,111 |
3,722,306 |
(1,270,300) |
(1,531,751) |
(1,763,880) |
61,488,945 |
235,252 |
217,158 |
(394,484) |
(14,752) |
(186,410) |
||||
|
순증감에 대한 기술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순증감액은 실행, 회수 및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보고기간 중 제각되고 여전히 회수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금융자산 대한 공시 |
|
보고기간 중 제각되고 여전히 회수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금융자산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
보고기간 중 제각되고 여전히 회수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금융자산, 계약상 미회수금액 |
10,612,86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
보고기간 중 제각되고 여전히 회수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금융자산, 계약상 미회수금액 |
10,268,898 |
12.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연결)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주요 관계기업투자주식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와 전기 중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증감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 25(당) 기 반기
2) 제 24(전) 기
|
|||||||||||||||||||||||||||||||||||||||||||||||||||||||||||||||||||||||||||||||||||||||||||||||||||||||||||||||||||||||||||||||||||||||||||||||||||||||||||||||||||||||||||||||||||||||||||||||||||||||||||||||||||||||||||||||||||||||||||||||||||||||||||||||||||||||||||||||||||||||||||||||||||||||||||||||||||||||||||||||||||||||||||||||||||||||||||||||||||||||||||||||||||||||||||||||||||||||||||||||||||||||||||||||||||||||||||||||||||||||||||||||||||||||||||||||||||||||||||||||||||||||||||||||||||||||||||||||||||||||||||||||||||||||||||||||||||||||||||||||||||||||||||||||||||||||||||||||||||||||||||||||||||||||||||||||||||||||||||||||||||||||||||||||||||||||||||||||||||||||||||||||||||||||||||||||||||||||||||||||||||||||||||||||||||||||||||||||||||||||||||||||||||||||||||||||||||||||||||||||||||||||||||||||||||||||||||||||||||||||||||||||||||||||||||||||||||||||||||||||||||||||||||||||||||||||||||||||||||||||||||||||||||||||||||||||||||||||||||||||||||||||||||||||||||||||||||||||||||||||
13.1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및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연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매도유가증권 |
금/은예수부채 |
||||
|
지분상품으로 분류되는 매도유가증권 |
채무상품으로 분류되는 매도유가증권 |
기타 매도유가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9,576 |
680,119 |
0 |
791,190 |
1,480,88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매도유가증권 |
금/은예수부채 |
||||
|
지분상품으로 분류되는 매도유가증권 |
채무상품으로 분류되는 매도유가증권 |
기타 매도유가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640 |
354,084 |
3,117 |
597,058 |
954,899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
|
매도파생결합증권 |
매도파생결합사채 |
|||
|
주가연계증권 |
기타파생결합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4,439,263 |
2,674,574 |
303,813 |
7,417,650 |
|
지정사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복합금융상품 |
복합금융상품 |
공정가치 평가 및 관리 |
연결실체는 해당 금융부채를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문단 6.7.1에 따라 최초 인식시점(이나 후속적으로)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항목으로 지정하였습니다.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
|
매도파생결합증권 |
매도파생결합사채 |
|||
|
주가연계증권 |
기타파생결합증권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5,449,026 |
2,510,150 |
261,299 |
8,220,475 |
|
지정사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부채 |
복합금융상품 |
복합금융상품 |
공정가치 평가 및 관리 |
연결실체는 해당 금융부채를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문단 6.7.1에 따라 최초 인식시점(이나 후속적으로)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항목으로 지정하였습니다. |
|
당기손익인식항목으로 지정된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변동효과 |
|
|
(단위 : 백만원) |
|
|
금융부채, 범주 |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범주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7,417,650 |
|
신용위험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증가(감소) |
(2,100) |
|
신용위험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누적증가(감소) |
(6,877) |
|
계약조건에 따른 만기상환금액과 장부금액 차이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계약조건에 따라 채권자에게 만기에 상환하여야 할 금액 |
7,178,115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7,417,650 |
|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계약조건에 따라 채권자에게 만기에 상환하여야 할 금액의 차이 |
(239,53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계약조건에 따라 채권자에게 만기에 상환하여야 할 금액 |
8,001,931 |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8,220,475 |
|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계약조건에 따라 채권자에게 만기에 상환하여야 할 금액의 차이 |
(218,544) |
15. 사채 (연결)
|
사채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
원화 |
외화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이자율 |
0.0100 |
0.0950 |
0.0220 |
0.0520 |
0.0098 |
0.0575 |
0.0375 |
0.0575 |
|||||||
|
사채, 명목금액 |
69,751,166 |
3,020,105 |
72,771,271 |
12,842,936 |
3,949,104 |
16,792,040 |
89,563,311 |
||||||||
|
공정가액위험회피손익 |
(144,520) |
(112,863) |
(257,383) |
||||||||||||
|
사채할인발행차금 |
(94,954) |
(53,863) |
(148,817) |
||||||||||||
|
사채 |
72,531,797 |
16,625,314 |
89,157,111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
원화 |
외화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이자율 |
0.0100 |
0.0950 |
0.0220 |
0.0520 |
0.0098 |
0.0660 |
0.0334 |
0.0575 |
|||||||
|
사채, 명목금액 |
72,561,043 |
2,820,105 |
75,381,148 |
13,979,805 |
4,995,972 |
18,975,777 |
94,356,925 |
||||||||
|
공정가액위험회피손익 |
(188,774) |
(250,628) |
(439,402) |
||||||||||||
|
사채할인발행차금 |
(85,489) |
(66,180) |
(151,669) |
||||||||||||
|
사채 |
75,106,885 |
18,658,969 |
93,765,854 |
||||||||||||
16. 확정급여제도 자산 및 부채 (연결)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합계 |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2,376,515 |
(2,575,869) |
(199,354) |
|
순확정급여자산 |
298,544 |
||
|
순확정급여부채 |
99,190 |
||
|
순확정급여원가의 부담에 관한 계약상 합의나 명시적 정책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확정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종업원의 연금보상급여와 용역제공기간을 기초로 확정급여채무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합계 |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2,345,148 |
(2,461,871) |
(116,723) |
|
순확정급여자산 |
155,697 |
||
|
순확정급여부채 |
38,974 |
||
|
순확정급여원가의 부담에 관한 계약상 합의나 명시적 정책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확정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종업원의 연금보상급여와 용역제공기간을 기초로 확정급여채무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
|
확정급여제도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41,311 |
82,831 |
|
순이자비용(수익), 확정급여제도 |
(4,403) |
(8,936) |
|
과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8,624 |
8,624 |
|
정산 손익, 확정급여제도 |
(55) |
4 |
|
퇴직급여비용 합계, 확정급여제도 |
45,477 |
82,523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40,620 |
82,169 |
|
순이자비용(수익), 확정급여제도 |
(6,932) |
(7,482) |
|
과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265 |
265 |
|
정산 손익, 확정급여제도 |
(118) |
(1,987) |
|
퇴직급여비용 합계, 확정급여제도 |
33,835 |
72,965 |
17. 충당부채 (연결)
|
기타충당부채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사후처리, 복구, 정화 비용을 위한 충당부채 |
법적소송충당부채 |
미사용한도 |
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비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그 밖의 기타충당부채 |
기타충당부채 합계 |
|
|---|---|---|---|---|---|---|---|
|
기타충당부채 |
104,663 |
126,222 |
373,570 |
84,806 |
15,658 |
478,934 |
1,183,853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사후처리, 복구, 정화 비용을 위한 충당부채 |
법적소송충당부채 |
미사용한도 |
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비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그 밖의 기타충당부채 |
기타충당부채 합계 |
|
|---|---|---|---|---|---|---|---|
|
기타충당부채 |
99,306 |
114,750 |
411,275 |
87,088 |
17,363 |
579,114 |
1,308,896 |
|
기타충당부채에 대한 추가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충당부채 |
|||
|---|---|---|---|
|
그 밖의 기타충당부채 |
|||
|
라임CI펀드 등 |
취약계층과 취약계층 지원기관 등 |
홍콩H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상품 |
|
|
기타충당부채 |
313,631 |
3,805 |
11,634 |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라임CI펀드 등의 환매지연 등으로 예상되는 고객손실에 대하여 지급할 가능성이 높은 손해배상 추정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에 따른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과 취약계층 지원기관 등에 대한지원 관련 금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홍콩H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상품 관련 고객배상추정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충당부채 |
|||
|---|---|---|---|
|
그 밖의 기타충당부채 |
|||
|
라임CI펀드 등 |
취약계층과 취약계층 지원기관 등 |
홍콩H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상품 |
|
|
기타충당부채 |
317,857 |
25,856 |
19,086 |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라임CI펀드 등의 환매지연 등으로 예상되는 고객손실에 대하여 지급할 가능성이 높은 손해배상 추정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에 따른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과 취약계층 지원기관 등에 대한지원 관련 금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홍콩H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상품 관련 고객배상추정액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
미사용한도 및 금융지급보증충당부채 변동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충당부채 |
||||||||
|---|---|---|---|---|---|---|---|---|
|
미사용한도 |
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229,415 |
88,843 |
93,017 |
80,780 |
6,296 |
12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34,524 |
(34,414) |
(110) |
3,886 |
(3,886) |
0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13,579) |
13,596 |
(17) |
(1,944) |
1,944 |
0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753) |
(958) |
1,711 |
0 |
(1) |
1 |
||
|
당기에 추가된 충당부채, 기타충당부채 |
20,920 |
5 |
||||||
|
환입된 충당부채, 기타충당부채 |
(23,438) |
(28,700) |
(1,298) |
(832) |
||||
|
순외환차이에 의한 증가(감소), 기타충당부채 |
(5,225) |
(967) |
0 |
(1,760) |
(283) |
0 |
||
|
기타(최초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금융보증계약의 신규 발생과 만기 도래에 따른 변동 및 할인율 변동에 따른 효과 등) |
(295) |
0 |
0 |
(11,037) |
12,932 |
(9) |
||
|
기말 기타충당부채 |
220,649 |
87,020 |
65,901 |
68,627 |
16,170 |
9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충당부채 |
||||||||
|---|---|---|---|---|---|---|---|---|
|
미사용한도 |
금융지급보증 충당부채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206,687 |
129,182 |
19,722 |
32,002 |
7,590 |
406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68,071 |
(67,931) |
(140) |
4,968 |
(4,968) |
0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11,698) |
11,723 |
(25) |
(366) |
366 |
0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기타충당부채 |
(806) |
(1,561) |
2,367 |
0 |
0 |
0 |
||
|
당기에 추가된 충당부채, 기타충당부채 |
16,043 |
71,093 |
2 |
|||||
|
환입된 충당부채, 기타충당부채 |
(40,306) |
(3,783) |
(1,139) |
|||||
|
순외환차이에 의한 증가(감소), 기타충당부채 |
5,340 |
1,347 |
0 |
2,316 |
791 |
1 |
||
|
기타(최초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금융보증계약의 신규 발생과 만기 도래에 따른 변동 및 할인율 변동에 따른 효과 등) |
2,127 |
40 |
0 |
45,643 |
3,656 |
(397) |
||
|
기말 기타충당부채 |
229,415 |
88,843 |
93,017 |
80,780 |
6,296 |
12 |
||
18-1. 보험계약부채 등 - 보험손익 (연결)
|
보험계약부채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발행한 보험계약 |
보유 재보험계약 |
|
|---|---|---|
|
보험계약자산 |
(1,089) |
|
|
보험계약부채 |
52,545,867 |
|
|
재보험계약자산 |
756,060 |
|
|
재보험계약부채 |
(115,795) |
|
|
보험계약부채(자산) |
52,544,778 |
(640,26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발행한 보험계약 |
보유 재보험계약 |
|
|---|---|---|
|
보험계약자산 |
(5,639) |
|
|
보험계약부채 |
51,124,991 |
|
|
재보험계약자산 |
184,754 |
|
|
재보험계약부채 |
(98,063) |
|
|
보험계약부채(자산) |
51,119,352 |
(86,691) |
|
발행보험의 보험수익 분석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수익, 예상보험금 및 기타 예상 보험서비스비용 |
188,630 |
378,455 |
163,316 |
329,101 |
79,472 |
148,964 |
431,418 |
856,520 |
431,418 |
856,520 |
||||||||
|
보험수익, 비금융위험에 대한 위험조정의 변동분 |
14,713 |
29,907 |
10,610 |
21,533 |
19,174 |
37,056 |
44,497 |
88,496 |
44,497 |
88,496 |
||||||||
|
보험수익, 서비스의 이전으로 당기손익에 인식한 보험계약마진 |
89,307 |
182,447 |
62,601 |
127,846 |
73,382 |
143,854 |
225,290 |
454,147 |
225,290 |
454,147 |
||||||||
|
보험수익, 보험취득 현금흐름의 회수와 관련되는 보험료 부분의 배분액 |
23,230 |
47,685 |
85 |
170 |
77,617 |
152,106 |
100,932 |
199,961 |
100,932 |
199,961 |
||||||||
|
보험수익,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2,850) |
(5,823) |
1 |
30 |
(1,555) |
(3,649) |
(4,404) |
(9,442) |
(4,404) |
(9,442) |
||||||||
|
보험수익 |
313,030 |
632,671 |
236,613 |
478,680 |
248,090 |
478,331 |
797,733 |
1,589,682 |
25,624 |
49,685 |
0 |
0 |
249 |
307 |
25,873 |
49,992 |
823,606 |
1,639,674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수익, 예상보험금 및 기타 예상 보험서비스비용 |
192,515 |
386,105 |
173,672 |
348,702 |
45,562 |
84,123 |
411,749 |
818,930 |
411,749 |
818,930 |
||||||||
|
보험수익, 비금융위험에 대한 위험조정의 변동분 |
12,117 |
24,824 |
8,875 |
18,070 |
10,640 |
21,402 |
31,632 |
64,296 |
31,632 |
64,296 |
||||||||
|
보험수익, 서비스의 이전으로 당기손익에 인식한 보험계약마진 |
114,046 |
233,918 |
60,342 |
125,624 |
60,371 |
113,206 |
234,759 |
472,748 |
234,759 |
472,748 |
||||||||
|
보험수익, 보험취득 현금흐름의 회수와 관련되는 보험료 부분의 배분액 |
31,462 |
61,541 |
108 |
208 |
56,858 |
104,626 |
88,428 |
166,375 |
88,428 |
166,375 |
||||||||
|
보험수익,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3,277) |
(7,722) |
(14) |
39 |
2,346 |
3,098 |
(945) |
(4,585) |
(945) |
(4,585) |
||||||||
|
보험수익 |
346,863 |
698,666 |
242,983 |
492,643 |
175,777 |
326,455 |
765,623 |
1,517,764 |
12,888 |
26,039 |
0 |
0 |
70 |
121 |
12,958 |
26,160 |
778,581 |
1,543,924 |
|
발행보험의 보험서비스비용 분석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서비스비용, 발생한 보험금 및 그 밖의 발생한 보험서비스비용 |
188,803 |
373,066 |
162,505 |
249,598 |
93,054 |
157,549 |
444,362 |
780,213 |
444,362 |
780,213 |
||||||||
|
보험서비스비용, 발생사고이행현금흐름 변동 |
(3,750) |
6,156 |
(15,392) |
52,821 |
1,881 |
23,065 |
(17,261) |
82,042 |
(17,261) |
82,042 |
||||||||
|
보험서비스비용, 손실부담계약관련비용 |
(8,809) |
(4,826) |
(16,246) |
(24,060) |
20,472 |
31,656 |
(4,583) |
2,770 |
(4,583) |
2,770 |
||||||||
|
보험서비스비용, 보험취득 현금흐름의 상각에 따른 금액 |
23,310 |
47,836 |
85 |
170 |
77,537 |
151,955 |
100,932 |
199,961 |
100,932 |
199,961 |
||||||||
|
보험서비스비용,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2,439) |
(5,191) |
391 |
645 |
1,496 |
(5,649) |
(552) |
(10,195) |
(552) |
(10,195) |
||||||||
|
발행한 보험계약에서 생기는 보험서비스비용 |
197,115 |
417,041 |
131,343 |
279,174 |
194,440 |
358,576 |
522,898 |
1,054,791 |
31,470 |
54,969 |
0 |
0 |
1,869 |
982 |
33,339 |
55,951 |
556,237 |
1,110,742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서비스비용, 발생한 보험금 및 그 밖의 발생한 보험서비스비용 |
187,958 |
371,820 |
161,809 |
253,566 |
43,336 |
72,942 |
393,103 |
698,328 |
393,103 |
698,328 |
||||||||
|
보험서비스비용, 발생사고이행현금흐름 변동 |
(2,453) |
10,565 |
(6,292) |
83,739 |
679 |
10,126 |
(8,066) |
104,430 |
(8,066) |
104,430 |
||||||||
|
보험서비스비용, 손실부담계약관련비용 |
7,010 |
385 |
8,262 |
4,902 |
(12,962) |
(1,115) |
2,310 |
4,172 |
2,310 |
4,172 |
||||||||
|
보험서비스비용, 보험취득 현금흐름의 상각에 따른 금액 |
31,503 |
61,618 |
108 |
208 |
56,816 |
104,548 |
88,427 |
166,374 |
88,427 |
166,374 |
||||||||
|
보험서비스비용,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2,772) |
(6,614) |
214 |
426 |
(625) |
(33,324) |
(3,183) |
(39,512) |
(3,183) |
(39,512) |
||||||||
|
발행한 보험계약에서 생기는 보험서비스비용 |
221,246 |
437,774 |
164,101 |
342,841 |
87,244 |
153,177 |
472,591 |
933,792 |
19,527 |
34,236 |
0 |
0 |
(603) |
(566) |
18,924 |
33,670 |
491,515 |
967,462 |
18-2. 보험계약부채 등 - 재보험손익 (연결)
|
보유 재보험계약의 보험수익 분석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재보험수익, 발생한 보험금 |
42 |
76 |
50,416 |
65,089 |
3,998 |
14,968 |
54,456 |
80,133 |
54,456 |
80,133 |
||||||||
|
재보험수익, 발생사고이행현금흐름 변동 |
28 |
49 |
(8,046) |
(13,839) |
33 |
937 |
(7,985) |
(12,853) |
(7,985) |
(12,853) |
||||||||
|
재보험수익,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4 |
(6) |
(57) |
48 |
(62) |
(234) |
(115) |
(192) |
(115) |
(192) |
||||||||
|
재보험수익 |
74 |
119 |
42,313 |
51,298 |
3,969 |
15,671 |
46,356 |
67,088 |
9,509 |
15,278 |
0 |
0 |
0 |
0 |
9,509 |
15,278 |
55,865 |
82,366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재보험수익, 발생한 보험금 |
11 |
14 |
16,337 |
30,250 |
2,190 |
3,892 |
18,538 |
34,156 |
18,538 |
34,156 |
||||||||
|
재보험수익, 발생사고이행현금흐름 변동 |
13 |
45 |
(7,102) |
(11,060) |
(298) |
(327) |
(7,387) |
(11,342) |
(7,387) |
(11,342) |
||||||||
|
재보험수익,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6 |
7 |
(4,600) |
(5,043) |
(3,165) |
(3,173) |
(7,759) |
(8,209) |
(7,759) |
(8,209) |
||||||||
|
재보험수익 |
30 |
66 |
4,635 |
14,147 |
(1,273) |
392 |
3,392 |
14,605 |
4,756 |
8,354 |
0 |
0 |
0 |
0 |
4,756 |
8,354 |
8,148 |
22,959 |
|
재보험비용 분석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재보험비용, 예상재보험금 |
0 |
0 |
9,379 |
18,646 |
8,871 |
17,376 |
18,250 |
36,022 |
18,250 |
36,022 |
||||||||
|
재보험비용, 비금융위험에 대한 위험조정의 변동분 |
0 |
0 |
903 |
1,851 |
686 |
1,338 |
1,589 |
3,189 |
1,589 |
3,189 |
||||||||
|
재보험비용, 서비스의 이전으로 당기손익에 인식한 보험계약마진 |
0 |
0 |
2,946 |
5,641 |
4,621 |
8,430 |
7,567 |
14,071 |
7,567 |
14,071 |
||||||||
|
재보험비용,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0 |
0 |
14,801 |
14,856 |
5,645 |
5,460 |
20,446 |
20,316 |
20,446 |
20,316 |
||||||||
|
재보험자에게 지급된 보험료 배분액에서 생기는 비용 |
0 |
0 |
28,029 |
40,994 |
19,823 |
32,604 |
47,852 |
73,598 |
9,757 |
17,769 |
0 |
0 |
0 |
0 |
9,757 |
17,769 |
57,609 |
91,367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
|---|---|---|---|---|---|---|---|---|---|---|---|---|---|---|---|---|---|---|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계약 |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외의 보험계약 |
보험료배분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
|||||||||||||||||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
구성요소별 보험계약 합계 |
|||||||||||||||
|
보험계약마진 |
보험계약마진 |
|||||||||||||||||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에 존재했던 계약 중 공정가치법을 적용한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전환일 이후의 보험계약 및 기타 계약의 보험계약마진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재보험비용, 예상재보험금 |
0 |
0 |
9,907 |
19,959 |
2,910 |
5,644 |
12,817 |
25,603 |
12,817 |
25,603 |
||||||||
|
재보험비용, 비금융위험에 대한 위험조정의 변동분 |
0 |
0 |
705 |
1,428 |
211 |
416 |
916 |
1,844 |
916 |
1,844 |
||||||||
|
재보험비용, 서비스의 이전으로 당기손익에 인식한 보험계약마진 |
0 |
0 |
1,929 |
2,742 |
2,896 |
4,916 |
4,825 |
7,658 |
4,825 |
7,658 |
||||||||
|
재보험비용, 기타(손실요소배분액 등 포함) |
0 |
0 |
(71) |
(2,779) |
266 |
(369) |
195 |
(3,148) |
195 |
(3,148) |
||||||||
|
재보험자에게 지급된 보험료 배분액에서 생기는 비용 |
0 |
0 |
12,470 |
21,350 |
6,283 |
10,607 |
18,753 |
31,957 |
3,155 |
6,749 |
0 |
0 |
0 |
0 |
3,155 |
6,749 |
21,908 |
38,706 |
19. 보험금융손익 (연결)
|
보험금융수익(비용) 분석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보험계약의 세분 합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합계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합계 |
|||||||||||||||
|
환율변동효과 |
재보험자 불이행위험 변동액 |
기타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 효과 |
환율변동효과 |
재보험자 불이행위험 변동액 |
기타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 효과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금융수익 |
19,337 |
20,013 |
1,085 |
20,995 |
20,422 |
41,008 |
0 |
(7) |
89 |
228 |
89 |
221 |
20,511 |
41,229 |
||||
|
보험금융비용 |
(341) |
(304) |
383,673 |
458,910 |
383,332 |
458,606 |
383,332 |
458,606 |
||||||||||
|
보험금융수익(비용) |
19,678 |
20,317 |
(382,588) |
(437,915) |
(362,910) |
(417,598) |
0 |
(7) |
89 |
228 |
89 |
221 |
(362,821) |
(417,377)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보험계약의 세분 |
보험계약의 세분 합계 |
|||||||||||||||||
|---|---|---|---|---|---|---|---|---|---|---|---|---|---|---|---|---|---|---|
|
발행한 보험계약 |
보유 재보험계약 |
|||||||||||||||||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합계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
보험금융수익(비용)의 분류 합계 |
|||||||||||||||
|
환율변동효과 |
재보험자 불이행위험 변동액 |
기타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 효과 |
환율변동효과 |
재보험자 불이행위험 변동액 |
기타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 효과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보험금융수익 |
112 |
312 |
4,844 |
16,464 |
4,956 |
16,776 |
(23) |
(26) |
0 |
0 |
(23) |
(26) |
4,933 |
16,750 |
||||
|
보험금융비용 |
8,517 |
20,307 |
130,160 |
256,234 |
138,677 |
276,541 |
138,677 |
276,541 |
||||||||||
|
보험금융수익(비용) |
(8,405) |
(19,995) |
(125,316) |
(239,770) |
(133,721) |
(259,765) |
(23) |
(26) |
0 |
0 |
(23) |
(26) |
(133,744) |
(259,791) |
||||
20-1. 자본 (연결)
|
자본의 내역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자본금 |
2,969,641 |
|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
2,695,586 |
|
우선주자본금 |
274,055 |
|
|
신종자본증권 |
4,799,501 |
|
|
자본잉여금 |
12,102,048 |
|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
11,352,744 |
|
기타자본잉여금 |
749,304 |
|
|
자본조정 |
(577,510)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615,532)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평가손익 |
(1,773,983) |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694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134,712) |
|
|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손익 |
(18,744)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409,405)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 금융부채의 자기신용위험 조정 |
(5,061) |
|
|
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260,449) |
|
|
재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13,872) |
|
|
이익잉여금 |
40,511,745 |
|
|
비지배지분 |
3,005,971 |
|
|
자본 |
60,195,864 |
|
|
자본금에 대한 기술 |
이익 소각으로 인하여 자본금은 발행주식의 액면총액과 상이합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자본금 |
2,969,641 |
|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
2,695,586 |
|
우선주자본금 |
274,055 |
|
|
신종자본증권 |
4,600,121 |
|
|
자본잉여금 |
12,094,968 |
|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
11,352,744 |
|
기타자본잉여금 |
742,224 |
|
|
자본조정 |
(807,114)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824,440)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평가손익 |
(2,314,518) |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5,701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296,489 |
|
|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손익 |
3,406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354,087)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정 금융부채의 자기신용위험 조정 |
(5,569) |
|
|
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532,388 |
|
|
재보험계약자산(부채)순금융손익 |
11,750 |
|
|
이익잉여금 |
39,020,580 |
|
|
비지배지분 |
2,767,277 |
|
|
자본 |
58,821,033 |
|
|
자본금에 대한 기술 |
이익 소각으로 인하여 자본금은 발행주식의 액면총액과 상이합니다.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원화신종자본증권1 |
원화신종자본증권2 |
원화신종자본증권3 |
원화신종자본증권4 |
원화신종자본증권5 |
원화신종자본증권6 |
원화신종자본증권7 |
원화신종자본증권8 |
원화신종자본증권9 |
원화신종자본증권10 |
원화신종자본증권11 |
원화신종자본증권12 |
원화신종자본증권13 |
원화신종자본증권14 |
원화신종자본증권15 |
외화신종자본증권1 |
||
|
발행일, 신종자본증권 |
2015-06-25 |
2017-09-15 |
2018-04-13 |
2020-09-17 |
2021-03-16 |
2021-03-16 |
2022-01-25 |
2022-01-25 |
2022-08-26 |
2022-08-26 |
2023-01-30 |
2023-07-13 |
2024-01-31 |
2024-09-12 |
2025-02-13 |
2021-05-12 |
|
|
만기일, 신종자본증권 |
2045-06-25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
|
이자율, 신종자본증권 |
0.0438 |
0.0425 |
0.0456 |
0.0312 |
0.0294 |
0.0330 |
0.0390 |
0.0400 |
0.0493 |
0.0515 |
0.0514 |
0.0540 |
0.0449 |
0.0400 |
0.0390 |
0.0288 |
|
|
신종자본증권 |
0 |
89,783 |
14,955 |
448,699 |
429,009 |
169,581 |
560,438 |
37,853 |
343,026 |
55,803 |
398,831 |
498,815 |
398,833 |
399,033 |
398,835 |
556,007 |
4,799,501 |
|
신종자본증권 관련 자본에서 차감된 비용 |
1,165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기술 |
상기 신종자본증권은 발행일 이후 5년 또는 10년이 지난 후 연결실체가 조기상환 할 수 있으며, 영구채이거나 만기일에 동일한 조건으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원화신종자본증권1 |
원화신종자본증권2 |
원화신종자본증권3 |
원화신종자본증권4 |
원화신종자본증권5 |
원화신종자본증권6 |
원화신종자본증권7 |
원화신종자본증권8 |
원화신종자본증권9 |
원화신종자본증권10 |
원화신종자본증권11 |
원화신종자본증권12 |
원화신종자본증권13 |
원화신종자본증권14 |
원화신종자본증권15 |
외화신종자본증권1 |
||
|
발행일, 신종자본증권 |
|||||||||||||||||
|
만기일, 신종자본증권 |
|||||||||||||||||
|
이자율, 신종자본증권 |
|||||||||||||||||
|
신종자본증권 |
199,455 |
89,783 |
14,955 |
448,699 |
429,009 |
169,581 |
560,438 |
37,853 |
343,026 |
55,803 |
398,831 |
498,815 |
398,833 |
399,033 |
0 |
556,007 |
4,600,121 |
|
신종자본증권 관련 자본에서 차감된 비용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기술 |
상기 신종자본증권은 발행일 이후 5년 또는 10년이 지난 후 연결실체가 조기상환 할 수 있으며, 영구채이거나 만기일에 동일한 조건으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
|
자기주식의 증감내역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식 수, 자기주식 |
||
|
주식 수,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수 |
4,585,561 |
|
취득, 자기주식수 |
13,364,831 |
|
|
처분, 자기주식수 |
0 |
|
|
소각, 자기주식수 |
(17,950,391) |
|
|
기말 자기주식수 |
1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 |
250,000 |
|
자기주식의 취득 |
650,000 |
|
|
자기주식의 처분 |
0 |
|
|
자기주식 소각 |
(900,000) |
|
|
기말 자기주식 |
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식 수, 자기주식 |
||
|
주식 수,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수 |
6,352 |
|
취득, 자기주식수 |
13,899,708 |
|
|
처분, 자기주식수 |
(6,353) |
|
|
소각, 자기주식수 |
(9,314,146) |
|
|
기말 자기주식수 |
4,585,561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 |
227 |
|
자기주식의 취득 |
700,000 |
|
|
자기주식의 처분 |
(227) |
|
|
자기주식 소각 |
(450,000) |
|
|
기말 자기주식 |
250,000 |
|
|
자기주식 소각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자기주식 |
||
|
자기주식1 |
자기주식2 |
|
|
소각일, 자기주식수 |
2025년 04월 29일 |
2025년 06월 26일 |
|
소각, 자기주식수 |
7,603,260 |
10,347,131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자기주식 |
||
|
자기주식1 |
자기주식2 |
|
|
소각일, 자기주식수 |
2024년 03월 22일 |
2024년 11월 01일 |
|
소각, 자기주식수 |
3,366,257 |
5,947,889 |
|
자본을 구성하는 적립금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적립금 |
기타적립금 합계 |
|||||||||||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않는 기타포괄손익 구성요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지분법자본변동 - 후속적으로 재분류 되는 항목 |
환산 관련 외환차이 적립금 |
현금흐름위험회피 적립금 |
당기손익에서 제외되나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발행한 보험계약의 보험금융수익(비용) 적립금 |
당기손익에서 제외되는 보유 재보험계약의 금융수익(비용) 적립금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 적립금 |
지분법자본변동 - 후속적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자산으로 인한 손익 적립금 |
신용위험 변동으로 인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변동 적립금 |
|||
|
기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482,668) |
5,692 |
296,489 |
3,406 |
532,388 |
11,750 |
(354,087) |
9 |
168,150 |
(5,569) |
(1,824,440) |
|
|
공정가치평가 등으로 인한 증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14,799 |
(21,040) |
0 |
0 |
(1,077,204) |
(34,808) |
0 |
0 |
190,430 |
(2,100) |
(329,923) |
|
|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당기손익에 포함된 차익의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3,666) |
662 |
0 |
0 |
0 |
0 |
0 |
0 |
0 |
0 |
(33,004) |
|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최초 장부금액으로 대체된 조정 |
0 |
0 |
0 |
311,254 |
0 |
0 |
0 |
0 |
0 |
0 |
311,254 |
|
|
위험회피회계적용효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4,571) |
0 |
126,120 |
(341,185) |
0 |
0 |
0 |
0 |
0 |
0 |
(239,636) |
|
|
환율차이로 인한 효과 |
0 |
13,302 |
(556,476) |
0 |
0 |
0 |
0 |
0 |
(6,977) |
0 |
(550,151)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전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0 |
0 |
(75,404) |
0 |
0 |
0 |
(75,404) |
|
|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법인세 합계 |
(148,674) |
2,069 |
(4,201) |
7,781 |
284,367 |
9,186 |
19,798 |
0 |
(48,439) |
557 |
122,444 |
|
|
타계정대체,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0 |
0 |
0 |
0 |
0 |
0 |
0 |
0 |
(2,140) |
2,051 |
(89) |
|
|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기타포괄손익 |
(227) |
0 |
3,356 |
0 |
0 |
0 |
288 |
0 |
0 |
0 |
3,417 |
|
|
기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075,007) |
685 |
(134,712) |
(18,744) |
(260,449) |
(13,872) |
(409,405) |
9 |
301,024 |
(5,061) |
(2,615,53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적립금 |
기타적립금 합계 |
|||||||||||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않는 기타포괄손익 구성요소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지분법자본변동 - 후속적으로 재분류 되는 항목 |
환산 관련 외환차이 적립금 |
현금흐름위험회피 적립금 |
당기손익에서 제외되나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발행한 보험계약의 보험금융수익(비용) 적립금 |
당기손익에서 제외되는 보유 재보험계약의 금융수익(비용) 적립금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 적립금 |
지분법자본변동 - 후속적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자산으로 인한 손익 적립금 |
신용위험 변동으로 인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변동 적립금 |
|||
|
기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628,434) |
(979) |
(118,517) |
(35,108) |
2,866,623 |
13,273 |
(292,328) |
9 |
124,892 |
(3,884) |
(1,074,453) |
|
|
공정가치평가 등으로 인한 증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65,249 |
16,732 |
0 |
0 |
(3,171,476) |
(2,077) |
0 |
0 |
55,179 |
(8,616) |
(1,645,009) |
|
|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당기손익에 포함된 차익의 재분류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9,594 |
0 |
(593) |
0 |
0 |
0 |
0 |
0 |
0 |
0 |
119,001 |
|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최초 장부금액으로 대체된 조정 |
0 |
0 |
0 |
(582,424) |
0 |
0 |
0 |
0 |
0 |
0 |
(582,424) |
|
|
위험회피회계적용효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0,371) |
0 |
(221,221) |
634,645 |
0 |
0 |
0 |
0 |
0 |
0 |
383,053 |
|
|
환율차이로 인한 효과 |
0 |
(7,668) |
624,565 |
0 |
0 |
0 |
0 |
0 |
13,017 |
0 |
629,914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전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0 |
0 |
(83,937) |
0 |
0 |
0 |
(83,937) |
|
|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법인세 합계 |
(407,849) |
(2,393) |
13,431 |
(13,707) |
837,241 |
554 |
21,794 |
0 |
(17,609) |
2,275 |
433,737 |
|
|
타계정대체,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0 |
0 |
0 |
0 |
0 |
0 |
0 |
0 |
(7,329) |
4,656 |
(2,673) |
|
|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기타포괄손익 |
(857) |
0 |
(1,176) |
0 |
0 |
0 |
384 |
0 |
0 |
0 |
(1,649) |
|
|
기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482,668) |
5,692 |
296,489 |
3,406 |
532,388 |
11,750 |
(354,087) |
9 |
168,150 |
(5,569) |
(1,824,440) |
|
20-2. 자본 - 대손준비금 (연결)
|
대손준비금 잔액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대손준비금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독규정상 대손충당금 최저적립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을 매 결산 시 대손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
|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
3,969,339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
57,873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반영 후 대손준비금 잔액 |
4,027,212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대손준비금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독규정상 대손충당금 최저적립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을 매 결산 시 대손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
|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
3,456,487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
512,852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반영 후 대손준비금 잔액 |
3,969,339 |
|
대손준비금 적립 필요액 및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 등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3개월 |
누적 |
|
|
당기순이익(손실) |
1,549,053 |
3,037,399 |
|
대손준비금 조정 |
14,156 |
(50,677)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손실) |
1,563,209 |
2,986,722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 |
3,205 |
6,077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에 대한 기술 |
신종자본증권 배당은 차감되어 있습니다. |
신종자본증권 배당은 차감되어 있습니다.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3개월 |
누적 |
|
|
당기순이익(손실) |
1,425,479 |
2,747,011 |
|
대손준비금 조정 |
(220,983) |
(517,107)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손실) |
1,204,496 |
2,229,904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 |
2,270 |
4,205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에 대한 기술 |
신종자본증권 배당은 차감되어 있습니다. |
신종자본증권 배당은 차감되어 있습니다. |
20-3. 자본 - 배당금 (연결)
|
배당금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중간배당 |
연차배당 |
|
|---|---|---|
|
보통주에 지급된 주당배당금 |
570 |
540 |
|
소유주에 대한 배분으로 인식된 배당금 |
278,127 |
267,755 |
21. 영업수익 (연결)
|
영업수익에 대한 공시 |
|
영업수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범주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 |
6,967,186 |
14,035,110 |
||||||||
|
수수료수익 |
1,147,111 |
2,200,543 |
||||||||
|
보험수익 |
823,606 |
1,639,674 |
||||||||
|
재보험수익 |
55,865 |
82,366 |
||||||||
|
보험금융수익 |
20,511 |
41,229 |
||||||||
|
배당수익 |
62,132 |
133,543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1,125,667 |
2,203,266 |
122,844 |
185,555 |
1,248,511 |
2,388,821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7,942,407 |
12,419,311 |
416,355 |
611,599 |
8,358,762 |
13,030,910 |
||||
|
외화거래이익 |
4,227,986 |
5,092,454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85,537 |
187,294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
0 |
1 |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21,967 |
33,402 |
||||||||
|
그밖의 기타영업이익 |
204,843 |
474,709 |
||||||||
|
영업수익 |
23,224,017 |
39,340,056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파생상품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최초인식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지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범주 |
매매 목적 |
위험회피 목적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 |
7,244,965 |
14,435,457 |
||||||||
|
수수료수익 |
1,121,853 |
2,186,078 |
||||||||
|
보험수익 |
778,581 |
1,543,924 |
||||||||
|
재보험수익 |
8,148 |
22,959 |
||||||||
|
보험금융수익 |
4,933 |
16,750 |
||||||||
|
배당수익 |
74,465 |
153,554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1,118,250 |
2,553,942 |
(11,553) |
115,509 |
1,106,697 |
2,669,451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4,931,421 |
11,516,265 |
138,337 |
406,765 |
5,069,758 |
11,923,030 |
||||
|
외화거래이익 |
2,236,417 |
4,576,806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38,040 |
72,618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
0 |
0 |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7,130 |
11,420 |
||||||||
|
그밖의 기타영업이익 |
280,926 |
482,079 |
||||||||
|
영업수익 |
17,971,913 |
38,094,126 |
||||||||
22. 순이자손익 (연결)
|
순이자손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비용) |
2,863,952 |
5,718,840 |
||||||||||||||
|
이자수익(비용) |
이자수익 |
6,967,186 |
14,035,110 |
|||||||||||||
|
이자수익 |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191,070 |
380,130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383 |
518 |
372,630 |
764,035 |
31,791 |
59,397 |
404,804 |
823,950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유가증권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708,600 |
1,409,833 |
708,600 |
1,409,833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 |
267,173 |
531,586 |
5,303,613 |
10,712,858 |
5,570,786 |
11,244,444 |
||||||||||
|
보험금융이자수익 |
55,722 |
105,064 |
||||||||||||||
|
기타 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36,204 |
71,689 |
||||||||||||||
|
이자비용 |
4,103,234 |
8,316,270 |
||||||||||||||
|
이자비용 |
고객으로부터의 예치금 이자비용 |
2,322,709 |
4,731,389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의 이자비용 |
3,506 |
6,834 |
||||||||||||||
|
차입금 이자비용 |
391,112 |
790,233 |
||||||||||||||
|
사채 이자비용 |
822,108 |
1,672,538 |
||||||||||||||
|
보험금융이자비용 |
481,597 |
946,277 |
||||||||||||||
|
기타 금융부채 이자비용 |
82,202 |
168,999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예치금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대출채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비용) |
2,821,843 |
5,637,713 |
||||||||||||||
|
이자수익(비용) |
이자수익 |
7,244,965 |
14,435,457 |
|||||||||||||
|
이자수익 |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203,349 |
382,095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0 |
0 |
401,152 |
812,658 |
24,303 |
47,497 |
425,455 |
860,155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유가증권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682,802 |
1,342,785 |
682,802 |
1,342,785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 |
280,802 |
551,746 |
5,563,199 |
11,105,504 |
5,844,001 |
11,657,250 |
||||||||||
|
보험금융이자수익 |
51,139 |
113,370 |
||||||||||||||
|
기타 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38,219 |
79,802 |
||||||||||||||
|
이자비용 |
4,423,122 |
8,797,744 |
||||||||||||||
|
이자비용 |
고객으로부터의 예치금 이자비용 |
2,530,706 |
5,009,564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의 이자비용 |
3,293 |
6,590 |
||||||||||||||
|
차입금 이자비용 |
477,793 |
984,200 |
||||||||||||||
|
사채 이자비용 |
836,065 |
1,637,936 |
||||||||||||||
|
보험금융이자비용 |
475,498 |
958,618 |
||||||||||||||
|
기타 금융부채 이자비용 |
99,767 |
200,836 |
||||||||||||||
23. 순수수료손익 (연결)
|
순수수료손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순수수료손익 |
761,975 |
1,440,121 |
|||
|
순수수료손익 |
수수료수익 |
||||
|
수수료수익 |
총수수료수익 |
1,147,111 |
2,200,543 |
||
|
총수수료수익 |
여신취급수수료 |
17,228 |
32,669 |
||
|
전자금융수수료 |
36,906 |
74,257 |
|||
|
중개수수료 |
114,253 |
205,771 |
|||
|
업무대행수수료 |
46,175 |
90,464 |
|||
|
투자금융수수료 |
82,065 |
145,398 |
|||
|
외환수입수수료 |
107,023 |
201,575 |
|||
|
신탁보수수수료 |
62,396 |
120,998 |
|||
|
신용카드 수입수수료 |
325,422 |
602,481 |
|||
|
운용리스수수료 |
162,652 |
332,894 |
|||
|
기타 수수료 수익 |
192,991 |
394,036 |
|||
|
수수료비용 |
|||||
|
수수료비용 |
총수수료비용 |
385,136 |
760,422 |
||
|
총수수료비용 |
여신관련수수료 |
11,082 |
21,914 |
||
|
신용카드 지급수수료 |
245,847 |
486,813 |
|||
|
기타수수료비용 |
128,207 |
251,695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순수수료손익 |
715,908 |
1,419,309 |
|||
|
순수수료손익 |
수수료수익 |
||||
|
수수료수익 |
총수수료수익 |
1,121,853 |
2,186,078 |
||
|
총수수료수익 |
여신취급수수료 |
18,784 |
40,431 |
||
|
전자금융수수료 |
36,991 |
74,153 |
|||
|
중개수수료 |
103,462 |
212,693 |
|||
|
업무대행수수료 |
38,950 |
78,833 |
|||
|
투자금융수수료 |
51,996 |
92,995 |
|||
|
외환수입수수료 |
89,373 |
173,840 |
|||
|
신탁보수수수료 |
61,436 |
126,338 |
|||
|
신용카드 수입수수료 |
364,976 |
685,568 |
|||
|
운용리스수수료 |
159,924 |
325,312 |
|||
|
기타 수수료 수익 |
195,961 |
375,915 |
|||
|
수수료비용 |
|||||
|
수수료비용 |
총수수료비용 |
405,945 |
766,769 |
||
|
총수수료비용 |
여신관련수수료 |
12,442 |
24,670 |
||
|
신용카드 지급수수료 |
240,798 |
467,114 |
|||
|
기타수수료비용 |
152,705 |
274,985 |
|||
24. 신용손실충당금전입 및 환입액 (연결)
|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및 환입액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미사용한도 및 금융보증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3,078) |
(3,969) |
(629,280) |
(1,047,818) |
(7,462) |
(38,819) |
(13) |
59 |
21,980 |
33,343 |
(617,853) |
(1,057,204) |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
(3,078) |
(3,969) |
(629,280) |
(1,047,818) |
(7,462) |
(38,819) |
0 |
0 |
0 |
0 |
(639,820) |
(1,090,606)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0 |
0 |
(13) |
59 |
21,980 |
33,343 |
21,967 |
33,402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미사용한도 및 금융보증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6,442 |
9,973 |
(490,550) |
(844,457) |
(23,456) |
(35,712) |
688 |
1,447 |
(98,625) |
(108,731) |
(605,501) |
(977,480) |
|
|
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
0 |
0 |
(490,550) |
(844,457) |
(23,456) |
(35,712) |
0 |
0 |
(98,625) |
(108,731) |
(612,631) |
(988,900)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6,442 |
9,973 |
688 |
1,447 |
0 |
0 |
7,130 |
11,420 |
|||||
25. 일반관리비 (연결)
|
성격별 비용의 기능별 배분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일반관리비 |
1,486,100 |
2,900,058 |
|||
|
일반관리비 |
종업원 급여 |
885,815 |
1,753,014 |
||
|
종업원 급여 |
급여 및 상여 |
832,939 |
1,654,271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50,638 |
94,561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퇴직급여비용, 확정기여제도 |
8,885 |
20,454 |
||
|
퇴직급여비용, 확정급여제도 |
41,753 |
74,107 |
|||
|
해고급여비용 |
2,238 |
4,182 |
|||
|
접대비 |
9,772 |
19,589 |
|||
|
감가상각비 |
137,375 |
274,272 |
|||
|
무형자산상각비 |
76,822 |
152,784 |
|||
|
세금과공과 |
81,504 |
137,916 |
|||
|
광고선전비 |
66,088 |
116,945 |
|||
|
연구와 개발 비용 |
7,013 |
13,776 |
|||
|
기타의 관리비 |
221,711 |
431,762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일반관리비 |
1,471,614 |
2,843,851 |
|||
|
일반관리비 |
종업원 급여 |
853,940 |
1,706,915 |
||
|
종업원 급여 |
급여 및 상여 |
814,108 |
1,615,626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38,954 |
85,265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퇴직급여비용, 확정기여제도 |
8,475 |
19,044 |
||
|
퇴직급여비용, 확정급여제도 |
30,479 |
66,221 |
|||
|
해고급여비용 |
878 |
6,024 |
|||
|
접대비 |
10,787 |
20,343 |
|||
|
감가상각비 |
130,452 |
260,071 |
|||
|
무형자산상각비 |
63,391 |
123,995 |
|||
|
세금과공과 |
91,347 |
150,726 |
|||
|
광고선전비 |
71,664 |
115,835 |
|||
|
연구와 개발 비용 |
5,837 |
11,564 |
|||
|
기타의 관리비 |
244,196 |
454,402 |
|||
26. 주식기준보상 (연결)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조건에 대한 공시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운영기간 |
||
|
운영기간 종료 |
운영기간 미종료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결제방식에 대한 기술 |
현금결제형 |
현금결제형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가득조건에 대한 기술 |
상대주가연동(20.0%) 및 경영지표연동(80.0%) |
상대주가연동(20.0%) 및 경영지표연동(80.0%) |
|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따라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최장만기에 대한 기술 |
부여일이 속한 연도의 개시일로부터 4년까지로 함 |
부여일이 속한 연도의 개시일로부터 4년까지로 함 |
|
주식기준보상약정 중 존속하는 주식선택권의 수량 |
193,735 |
2,396,581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조건에 대한 공시, 공정가치 |
|
|
(단위 : 원)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운영기간 |
||||||
|
운영기간 종료 |
운영기간 미종료 |
|||||
|
2020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1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2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3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4년말 운영기간 종료 |
||
|
측정기준일 현재 공정가치의 가중평균, 부여한 주식선택권 |
33,122 |
37,387 |
37,081 |
38,156 |
50,444 |
61,400 |
|
주식기준보상으로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 또는 부여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의 결정에 대한 설명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주식보상비용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종업원 주식기준보상거래로부터의 비용 |
4,475 |
36,262 |
40,737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종업원 주식기준보상거래로부터의 비용 |
3,229 |
25,753 |
28,982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미지급비용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부채 |
16,034 |
138,616 |
154,650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부채 |
16,396 |
135,356 |
151,752 |
27. 법인세 (연결)
|
법인세비용(수익)의 주요 구성요소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 법인세 부담액 |
336,565 |
634,575 |
|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
240,592 |
224,488 |
|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 |
(82,267) |
124,339 |
|
법인세비용(수익) |
494,890 |
983,402 |
|
유효세율 |
0.2388 |
0.2412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 법인세 부담액 |
367,716 |
568,449 |
|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
(54,380) |
(55,266) |
|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 |
107,117 |
349,946 |
|
법인세비용(수익) |
420,453 |
863,129 |
|
유효세율 |
0.2247 |
0.2357 |
|
글로벌최저한세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공시금액 |
|
|---|---|
|
글로벌최저한세에 대한 기술 |
글로벌 최저한세 적용에 따라 당반기에 인식한 당반기법인세비용은 936백만원입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의 이연법인세에 대한 일시적인 예외규정을 적용하여, 글로벌 최저한세 법률과 관련된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를 인식하지 않고 있습니다. |
|
글로벌최저한세에 의해 인식한 당기법인세비용 |
936 |
28. 주당이익 (연결)
|
주당이익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 |
||
|---|---|---|
|
보통주 |
||
|
3개월 |
누적 |
|
|
반기순이익(손실) |
1,549,053 |
3,037,399 |
|
신종자본증권배당 |
(56,543) |
(99,133) |
|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
1,492,510 |
2,938,266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487,414,572 |
491,479,027 |
|
기본주당이익(손실) |
3,062 |
5,978 |
|
희석주당이익(손실) |
3,062 |
5,978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 |
||
|---|---|---|
|
보통주 |
||
|
3개월 |
누적 |
|
|
반기순이익(손실) |
1,425,479 |
2,747,011 |
|
신종자본증권배당 |
(50,070) |
(85,806) |
|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
1,375,409 |
2,661,205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08,306,029 |
509,942,342 |
|
기본주당이익(손실) |
2,706 |
5,219 |
|
희석주당이익(손실) |
2,706 |
5,219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을 위한 분모의 조정에 대한 공시 |
|
|
보통주 |
|
|---|---|
|
총 발행주식수 |
485,494,934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을 위한 분모의 조정에 대한 기술 |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발행한 보통주식수는 485,494,934주이며, 상기 가중평균유통주식수는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취득후소각한 자기주식 변동 등을 반영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29. 우발 및 약정사항 (연결)
|
약정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약정의 유형 |
|||||||||
|---|---|---|---|---|---|---|---|---|---|
|
제공한 지급보증 |
ABS 및 ABCP 매입약정 |
대출약정 |
신용카드미사용한도 |
기타 약정 |
배서어음 |
||||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원화대출약정 |
외화대출약정 |
담보배서어음 |
무담보배서어음 |
||||
|
지급보증 및 매입약정 |
15,534,490 |
4,422,088 |
2,126,285 |
||||||
|
총 대출약정금액 |
94,152,110 |
25,283,050 |
|||||||
|
약정 잔액 |
92,996,016 |
6,452,486 |
635 |
13,862,871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약정의 유형 |
|||||||||
|---|---|---|---|---|---|---|---|---|---|
|
제공한 지급보증 |
ABS 및 ABCP 매입약정 |
대출약정 |
신용카드미사용한도 |
기타 약정 |
배서어음 |
||||
|
확정지급보증 |
미확정지급보증 |
원화대출약정 |
외화대출약정 |
담보배서어음 |
무담보배서어음 |
||||
|
지급보증 및 매입약정 |
15,315,381 |
5,068,782 |
2,123,665 |
||||||
|
총 대출약정금액 |
93,064,772 |
28,613,692 |
|||||||
|
약정 잔액 |
90,700,766 |
6,601,564 |
1,367 |
11,937,894 |
|||||
|
법적소송우발부채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우발부채 |
||
|---|---|---|
|
법적소송우발부채 |
||
|
법적소송우발부채의 분류 |
법적소송우발부채의 분류 합계 |
|
|
피소(피고) |
||
|
소송 건수 |
1,217 |
|
|
소송 금액 |
1,393,094 |
|
|
의무의 성격에 대한 기술, 우발부채 |
연결실체는 당반기말 현재 1심에서 패소가 결정된 소송건 등에 대한 소송가액상당액126,222백만원 및 4,600백만원을 각각 충당부채 및 보험계약부채 중 발생사고요소로 반영하였으며, 충당부채 등으로 계상된 소송 이외의 잔여 소송결과는 연결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향후 소송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
|
기타충당부채 |
126,222 |
|
|
IFRS 17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계약에서 생기는 발생사고부채 |
4,600 |
|
|
우발부채에 대한 공시 |
|
|
우발부채 |
|||
|---|---|---|---|
|
기타우발부채 |
|||
|
라임펀드 및 TRS(Total Return Swap) |
Gen2 관련 신탁상품 판매 |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
|
|
의무의 성격에 대한 기술, 우발부채 |
신한투자증권은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자로서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이하 "라임펀드")와 총수익스왑(주식, 채권, 펀드 등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손실을 교환하는 파생상품)계약(이하 "TRS(Total Return Swap)")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라임펀드는 신한투자증권과의 TRS를 통해 2017년 5월부터 2017년 9월까지 IIG Global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 IIG Trade Finance Fund-FX Hedged(이하 "IIG 펀드")에 약 2억불을 투자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019년 라임자산운용의 운용지시에 따라 IIG 펀드를 LAM Enhanced Finance Ⅲ L.P.(이하 "LAM Ⅲ 펀드")에 현물출자하고 LAM Ⅲ 펀드의 수익증권을 취득하였습니다. LAM Ⅲ 펀드 수익증권의 회수가능가액은 현물출자한 IIG 펀드의 회수가능가액에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IIG 펀드는 2019년 11월 미국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등록 취소 및 자산동결 처분을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020년 2월 라임자산운용에 대한 중간 검사결과에서 신한투자증권이 라임펀드와의 TRS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라임자산운용의 부실은폐 및 부정행위에 관여한 혐의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이후 이와 관련된 검찰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금융감독당국은 2021년 11월 12일 신한투자증권에 대한 기관제재(사모펀드 6개월 신규 판매 금지)등을 확정하였습니다.또한, 검찰은 신한투자증권의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을 사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을 이유로 구속 기소하여 최종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
신한투자증권은 2014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Gen2 관련 신탁상품을 판매하였고, 당반기말 기준으로 약 4,200억원의 잔고 전액이 환매 중단되어 상환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
당반기말 현재 신한은행 및 신한투자증권은 금융기관의 부당공동행위 여부에 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진행중이며, 신한라이프는 2023년 중 실시한 금융감독원 정기검사 중 일부에 대한 검사결과 및 조치요구사항이 통보될 예정입니다. |
|
변제의 가능성에 대한 설명, 우발부채 |
신한투자증권은 라임 무역금융펀드 등 일부 상품에 대해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결과 및 이사회 결의 등을 고려하여 민원보상과 유동성공급을 완료 또는 향후 진행 예정입니다. |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 9월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환매 중단 고객 중 동의 고객을 대상으로 투자원금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지급하고 투자금 회수시점에 정산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23년 8월 29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후정산방식의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2월 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NH-영국피터버러발전소 신탁 등에 대하여 사후정산 방식의 사적화해 진행을 결정하였습니다. |
|
|
유출될 경제적효익의 금액과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 우발부채 |
검찰은 위 전(前) Prime Brokerage Service사업본부장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관련으로 2021년 1월 22일 신한투자증권도 기소하였으며, 2023년 3월 15일 신한투자증권은 주의 감독의무 소홀로 벌금 5천만원을 선고받았습니다.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위 형사 판결과 관련하여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 하나은행, 신영증권과 민사소송을 계속 중이며, 2025년 2월 14일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과의 1심 선고 결과 일부 패소하여 패소금 약 632억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이 1심 선고 결과를 고려하여 당반기말 기준 계상중인 소송충당부채는 약 384억원입니다. |
현재로서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
|
|
보증 관련 우발부채, 부동산 PF 약정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부동산 PF 약정의 구분 |
||
|---|---|---|
|
책임준공 |
||
|
진행중인 책임준공사업 |
책임준공기한 도과 |
|
|
공사 및 사업 건수 |
25.00 |
11.00 |
|
PF대출약정한도 |
1,591,707 |
381,100 |
|
대출잔액 |
1,420,098 |
353,565 |
|
약정에 대한 설명 |
신한자산신탁은 시공사의 책임준공 미이행시 책임준공의무를 부담하고, 신한자산신탁이 책임준공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대출기관에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는 의무를 부담하는 책임준공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신한자산신탁은경기 시흥시 신천동 오피스텔 신축사업 책준관리형토지신탁 등 총 25건(준공포함)을약정하고 있으며, PF대출약정한도는 1,591,707백만원, 대출잔액은 1,420,098백만원입니다. |
당반기말 현재 11건(준공포함)의 사업장에 대하여 신한자산신탁의 책임준공기한이 도과되었습니다. 해당 사업장에 투입된 PF대출약정한도는 381,100백만원이며,대출잔액은 353,565백만원입니다. |
|
유출될 경제적효익의 금액과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 우발부채 |
신한자산신탁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은 약정사항에 대해서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신한자산신탁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은 약정사항에 대해서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
기타충당부채 |
620 |
|
|
신탁계정대여 관련 약정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신탁계정대여 약정 |
|
|---|---|
|
약정에 대한 설명 |
신한자산신탁은 차입형토지신탁 계약 등과 관련해서 총사업비의 일부를 신탁계정대여 할 수 있으며, 추가 최대대여금액(미사용한도)은 341,462백만원입니다. 해당 사업 관련하여 신한자산신탁의 신탁계정대여 여부는 무조건적인 지급의무는 아니며, 고유계정 및 각 신탁사업의 자금수지 계획 등 제반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
|
약정 잔액 |
341,462 |
30. 현금흐름표에 대한 주석 (연결)
|
현금흐름표상 현금 및 현금성자산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현금및예치금 |
39,867,705 |
|
|
조정내역 |
(4,532,985) |
|
|
조정내역 |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을 초과하는 사용가능예치금 |
(1,117,659) |
|
사용이 제한된 현금 및 현금성자산 |
(3,415,326)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5,334,72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현금및예치금 |
40,547,054 |
|
|
조정내역 |
(5,299,511) |
|
|
조정내역 |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을 초과하는 사용가능예치금 |
(1,655,932) |
|
사용이 제한된 현금 및 현금성자산 |
(3,643,579)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5,247,543 |
|
31. 특수관계자 거래 (연결)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 잔액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 |
사단법인 금융저축정보센터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신한MAIN전문투자형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제3호 |
한국금융안전 |
코리아크레딧뷰로 |
고덕강일1피에프브이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신한글로벌헬스케어투자조합2호 |
미래창조 네오플럭스 투자조합 |
경기-네오플럭스 슈퍼맨투자조합 |
신한-네오플럭스에너지신산업투자조합 |
신한-네오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웨이브테크놀로지 |
신한-네오 Market-Frontier 투자조합 2호 |
아이픽셀(주) |
뉴웨이브 제6호 투자조합 |
(주)디디아이엘브이씨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알바트로스 기술투자펀드 |
신한벤처 투모로우 투자조합 1호 |
신한-타임 제1호 신기술투자조합 |
엔에이치-제이앤-아이비케이씨레이블신기술조합 |
K리츠인프라부동산 |
신한-씨제이 기술혁신펀드 제1호 |
미국자사주&고배당증권자(H)(종C-s) |
프레스티지고배당자1호[주식](종C-i) |
신한부동산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신한중소형오피스밸류애드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Shinhan-GB FutureFlow Fund L.P. |
LB스코틀랜드일반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29호 |
신한AIM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A호 |
파인스트리트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13-2호(NC XI) |
(주)케스케이드테크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스틱에이엘티글로벌제2호사모투자합자회사 |
테크핀레이팅스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신한-DS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스퀘어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주)케이알서초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신한데브헬스케어투자조합1호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리오그린사모투자 합자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718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9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1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213주식회사 |
넥스트레이드 |
디투유 제12호 투자조합 |
핀플로우 |
|||
|
신용카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61 |
1 |
1 |
538 |
7 |
23 |
731 |
||||||||||||||||||||||||||||||||||||||||||||||||||||
|
대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1,400 |
485,000 |
20,650 |
33,000 |
20,000 |
44,848 |
14,000 |
14,000 |
11,871 |
2,000 |
23,408 |
3,669 |
683,846 |
||||||||||||||||||||||||||||||||||||||||||||||
|
미수금, 특수관계자거래 |
3,600 |
0 |
0 |
0 |
0 |
0 |
0 |
0 |
0 |
3,600 |
|||||||||||||||||||||||||||||||||||||||||||||||||
|
미수수익, 특수관계자거래 |
17 |
59 |
46 |
27 |
75 |
5 |
12 |
17 |
45 |
88 |
144 |
43 |
150 |
1,127 |
36 |
1,891 |
|||||||||||||||||||||||||||||||||||||||||||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 잔액에 대하여 설정된 대손충당금 |
(1) |
(81) |
0 |
(3,455) |
(124) |
0 |
(30) |
(21) |
(238) |
0 |
(40) |
(75) |
(222) |
(4) |
(93) |
(4,384) |
|||||||||||||||||||||||||||||||||||||||||||
|
파생상품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626 |
0 |
233 |
859 |
|||||||||||||||||||||||||||||||||||||||||||||||||||||||
|
예수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4,483 |
11 |
117 |
60 |
0 |
3 |
351 |
1,170 |
0 |
304 |
76 |
820 |
2,731 |
1,594 |
0 |
4 |
3,000 |
10 |
195 |
942 |
19,192 |
2,381 |
1,600 |
1 |
1 |
1 |
1 |
1 |
500 |
167 |
39,716 |
||||||||||||||||||||||||||||
|
선수수익, 특수관계자거래 |
315 |
221 |
39 |
45 |
620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 |
799 |
0 |
48 |
1 |
849 |
|||||||||||||||||||||||||||||||||||||||||||||||||||||
|
충당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79 |
179 |
|||||||||||||||||||||||||||||||||||||||||||||||||||||||||
|
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686,543 |
||||||||||||||||||||||||||||||||||||||||||||||||||||||||||
|
채무, 특수관계자거래 |
41,364 |
||||||||||||||||||||||||||||||||||||||||||||||||||||||||||
|
특수관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 내 기업 간 특수관계자거래 및 채권ㆍ채무 잔액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모두 제거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관계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 연결실체 및 특수관계자에 해당하는 기업의 퇴직급여제도를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연결실체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손익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내역은 '주석12'를 참조바랍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 |
사단법인 금융저축정보센터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신한MAIN전문투자형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제3호 |
한국금융안전 |
코리아크레딧뷰로 |
고덕강일1피에프브이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신한글로벌헬스케어투자조합2호 |
미래창조 네오플럭스 투자조합 |
경기-네오플럭스 슈퍼맨투자조합 |
신한-네오플럭스에너지신산업투자조합 |
신한-네오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웨이브테크놀로지 |
신한-네오 Market-Frontier 투자조합 2호 |
아이픽셀(주) |
뉴웨이브 제6호 투자조합 |
(주)디디아이엘브이씨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알바트로스 기술투자펀드 |
신한벤처 투모로우 투자조합 1호 |
신한-타임 제1호 신기술투자조합 |
엔에이치-제이앤-아이비케이씨레이블신기술조합 |
K리츠인프라부동산 |
신한-씨제이 기술혁신펀드 제1호 |
미국자사주&고배당증권자(H)(종C-s) |
프레스티지고배당자1호[주식](종C-i) |
신한부동산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신한중소형오피스밸류애드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Shinhan-GB FutureFlow Fund L.P. |
LB스코틀랜드일반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29호 |
신한AIM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A호 |
파인스트리트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13-2호(NC XI) |
(주)케스케이드테크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스틱에이엘티글로벌제2호사모투자합자회사 |
테크핀레이팅스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신한-DS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스퀘어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주)케이알서초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신한데브헬스케어투자조합1호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리오그린사모투자 합자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718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9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1주식회사 |
퍼시픽금토피에프브이1213주식회사 |
넥스트레이드 |
디투유 제12호 투자조합 |
핀플로우 |
|||
|
신용카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54 |
2 |
6 |
616 |
14 |
13 |
805 |
||||||||||||||||||||||||||||||||||||||||||||||||||||
|
대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1,700 |
984,600 |
25,400 |
33,000 |
20,000 |
22,424 |
14,000 |
14,000 |
11,871 |
2,000 |
0 |
3,402 |
1,142,397 |
||||||||||||||||||||||||||||||||||||||||||||||
|
미수금, 특수관계자거래 |
3,600 |
1,696 |
721 |
399 |
7,532 |
1,402 |
877 |
2,474 |
41 |
18,742 |
|||||||||||||||||||||||||||||||||||||||||||||||||
|
미수수익, 특수관계자거래 |
23 |
71 |
89 |
64 |
75 |
5 |
12 |
14 |
44 |
90 |
145 |
26 |
124 |
573 |
17 |
1,372 |
|||||||||||||||||||||||||||||||||||||||||||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 잔액에 대하여 설정된 대손충당금 |
(1) |
(247) |
(1) |
(1,345) |
(74) |
(1) |
(30) |
(21) |
(119) |
(2) |
(27) |
(75) |
(213) |
(4) |
0 |
(2,160) |
|||||||||||||||||||||||||||||||||||||||||||
|
파생상품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503 |
3,511 |
104 |
4,118 |
|||||||||||||||||||||||||||||||||||||||||||||||||||||||
|
예수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5,559 |
3 |
131 |
24 |
4 |
105 |
11,899 |
1,170 |
1 |
115 |
717 |
852 |
1,340 |
4,339 |
64 |
59 |
3,100 |
35 |
0 |
2,207 |
21,61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3,335 |
||||||||||||||||||||||||||||
|
선수수익, 특수관계자거래 |
0 |
93 |
19 |
0 |
112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 |
0 |
1 |
95 |
7 |
104 |
|||||||||||||||||||||||||||||||||||||||||||||||||||||
|
충당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56 |
156 |
|||||||||||||||||||||||||||||||||||||||||||||||||||||||||
|
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165,274 |
||||||||||||||||||||||||||||||||||||||||||||||||||||||||||
|
채무, 특수관계자거래 |
53,707 |
||||||||||||||||||||||||||||||||||||||||||||||||||||||||||
|
특수관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 내 기업 간 특수관계자거래 및 채권ㆍ채무 잔액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모두 제거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관계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 연결실체 및 특수관계자에 해당하는 기업의 퇴직급여제도를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연결실체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손익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내역은 '주석12'를 참조바랍니다. |
||||||||||||||||||||||||||||||||||||||||||||||||||||||||||
|
특수관계자거래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 |
신한-알바트로스 기술투자펀드 |
신한-엔베스터 유동화전문펀드 |
신한피에스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신한MAIN전문투자형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제3호 |
한국금융안전 |
신한-수인베스트먼트 청년창업투자조합 |
키움-신한 이노베이션 제1호 투자조합 |
퓨처플레이-신한 테크이노베이션 제1호 |
코리아크레딧뷰로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코리아오메가-신한 초기기업성장지원 투자조합 제1호 |
스파크랩-신한 오퍼튜니티 제1호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카카오-신한 제1호 트나이트 투자조합 |
미래창조 네오플럭스 투자조합 |
경기-네오플럭스 슈퍼맨투자조합 |
신한-네오플럭스에너지신산업투자조합 |
뉴웨이브 제6호 투자조합 |
신한-네오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신한-네오 Market-Frontier 투자조합 2호 |
아이픽셀(주) |
에스더블유케이-신한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얼머스 신한 소부장 혁신기업 투자조합 |
씨제이엘제1호사모투자 합자회사 |
레버런트-신한비스타신기술투자조합 |
키움-신한 이노베이션 제2호 투자조합 |
에트리홀딩스-신한유니콘투자조합제1호 |
신한타임메자닌블라인드신기술투자조합 |
신한벤처 투모로우 투자조합 1호 |
제이에스신한 사모투자합자회사 |
스톤브릿지신한유니콘세컨더리 투자조합 |
신한케이유니콘제1호신기술투자조합 |
신한-퀀텀 창업초기펀드 |
신한-시몬느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휘트린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데브헬스케어투자조합1호 |
신한-코그니티브 청년창업 투자조합 |
글로벌커머스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HGI 사회적기업 투자조합 |
신한더블유더블유지에너지펀드 신기술사업 투자조합 |
신한-지앤텍스마트혁신펀드 |
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H) |
1.5년만기투자형제2호 |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타임 제1호 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에스지씨 ESG 투자조합 제1호 |
신한-아이스퀘어 벤처투자조합 제1호 |
신한-진앤뉴노멀퍼스트무버벤처투자조합제1호 |
디에스-신한-제이비우리 뉴미디어 신기술투자조합 1호 |
엔에이치-제이앤-아이비케이씨레이블신기술조합 |
보난자-신한GIB 혁신반도체투자조합 |
2023 신한-JB우리-대신 상장사 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M&A-ESG 투자조합 |
신한-JW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MAN글로벌전략채권(H) |
미국자사주&고배당증권자(H)(종C-s) |
프레스티지고배당자1호[주식](종C-i) |
신한타임세컨더리블라인드신기술투자조합 |
신한-오픈워터 Pre-IPO 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제이 기술혁신펀드 제1호 |
신한-에코 벤처투자조합 제2호 |
흥국-신한 더퍼스트 Visionary 신기술투자조합 1호 |
한투신한레이크케이뷰티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 에이치비 웰니스 1호 투자조합 |
신한제이앤웨이브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부동산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
신한-디에스 Secondary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포트리스-신한 항공화물 제1호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얼머스 소부장 혁신기업 투자조합 7호 |
신한중소형오피스밸류애드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Shinhan-GB FutureFlow Fund L.P. |
LB스코틀랜드일반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29호 |
신한AIM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A호 |
파인스트리트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13-2호(NC XI) |
신한리젠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신한-수 세컨더리 투자조합 |
이앤신한뉴그로쓰업펀드 |
(주)케스케이드테크 |
테크핀레이스팅스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스틱에이엘티글로벌제2호사모투자합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신한-DS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스퀘어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타임비엠 소부장 신기술조합 |
(주)케이알서초 |
신한 Market-Frontier 투자조합 3호 |
K리츠인프라부동산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웨이브테크놀로지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리오그린사모투자 합자회사 |
스타트업 코리아 비전 2024 펀드 |
신한-수인베스트먼트 그린 위즈 투자조합 |
신한-타임프리미어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 |
핀플로우 |
디투유 제12호 투자조합 |
|||
|
수수료수익 |
397 |
274 |
174 |
8 |
116 |
2 |
77 |
28 |
179 |
1,614 |
28,745 |
70 |
1 |
18 |
141 |
240 |
338 |
403 |
150 |
973 |
768 |
30 |
33 |
40 |
96 |
39 |
0 |
1,404 |
297 |
14 |
261 |
63 |
10 |
38 |
38 |
30 |
120 |
15 |
31 |
34 |
130 |
0 |
0 |
0 |
26 |
57 |
50 |
207 |
216 |
55 |
105 |
536 |
0 |
0 |
36 |
38 |
49 |
100 |
99 |
50 |
200 |
47 |
39 |
7 |
99 |
150 |
3 |
47 |
21 |
148 |
84 |
113 |
80 |
2 |
137 |
20 |
27 |
780 |
33 |
9 |
372 |
287 |
120 |
41,888 |
||||||||||||||||||||||
|
이자수익 |
290 |
28,479 |
0 |
475 |
39 |
844 |
0 |
1,017 |
382 |
378 |
683 |
41 |
496 |
1,061 |
142 |
34,327 |
||||||||||||||||||||||||||||||||||||||||||||||||||||||||||||||||||||||||||||||||||||||||||
|
파생상품관련수익 |
0 |
123 |
0 |
129 |
252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충당금환입 |
167 |
1 |
0 |
1 |
0 |
2 |
171 |
|||||||||||||||||||||||||||||||||||||||||||||||||||||||||||||||||||||||||||||||||||||||||||||||||||
|
기타수익 |
0 |
0 |
||||||||||||||||||||||||||||||||||||||||||||||||||||||||||||||||||||||||||||||||||||||||||||||||||||||||
|
기타영업외수익 |
2,652 |
2,652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환입액 |
1 |
6 |
47 |
54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상각비 |
(2,459) |
(41) |
0 |
(119) |
(12) |
(9) |
0 |
0 |
(93) |
(2,733) |
||||||||||||||||||||||||||||||||||||||||||||||||||||||||||||||||||||||||||||||||||||||||||||||||
|
이자비용 |
(6) |
(4) |
0 |
(78) |
(14) |
0 |
(1) |
0 |
0 |
(29) |
(304) |
0 |
(1) |
(10) |
(16) |
(1) |
(464) |
|||||||||||||||||||||||||||||||||||||||||||||||||||||||||||||||||||||||||||||||||||||||||
|
수수료비용 |
(2,282) |
(1) |
(300) |
(2,583) |
||||||||||||||||||||||||||||||||||||||||||||||||||||||||||||||||||||||||||||||||||||||||||||||||||||||
|
기타관리비 |
(72) |
(96) |
(168) |
|||||||||||||||||||||||||||||||||||||||||||||||||||||||||||||||||||||||||||||||||||||||||||||||||||||||
|
파생상품관련비용 |
0 |
0 |
||||||||||||||||||||||||||||||||||||||||||||||||||||||||||||||||||||||||||||||||||||||||||||||||||||||||
|
기타비용 |
0 |
0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전입액 |
(799) |
(33) |
(832) |
|||||||||||||||||||||||||||||||||||||||||||||||||||||||||||||||||||||||||||||||||||||||||||||||||||||||
|
특수관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당반기 중 매각 및 청산 등으로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전기 중 매각 및 청산 등으로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전기 중 매각 및 청산 등으로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전기 중 매각 및 청산 등으로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었습니다.전기 중 관계기업의 종속회사와의 거래내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전기 중 매각 및 청산 등으로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당반기 중 현물출자를 통해 핀플로우의 주식을 취득하였으며, 현물출자 관련된 처분이익 2,652백만원은 기타영업외수익에 포함되어있습니다. |
당반기 중 현물출자를 통해 핀플로우의 주식을 취득하였으며, 현물출자 관련된 처분이익 2,652백만원은 기타영업외수익에 포함되어있습니다. |
연결실체 내 기업 간 특수관계자거래 및 채권ㆍ채무 잔액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모두 제거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관계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 연결실체 및 특수관계자에 해당하는 기업의 퇴직급여제도를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연결실체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손익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내역은 '주석12'를 참조바랍니다.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 |
신한-알바트로스 기술투자펀드 |
신한-엔베스터 유동화전문펀드 |
신한피에스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신한MAIN전문투자형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제3호 |
한국금융안전 |
신한-수인베스트먼트 청년창업투자조합 |
키움-신한 이노베이션 제1호 투자조합 |
퓨처플레이-신한 테크이노베이션 제1호 |
코리아크레딧뷰로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코리아오메가-신한 초기기업성장지원 투자조합 제1호 |
스파크랩-신한 오퍼튜니티 제1호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카카오-신한 제1호 트나이트 투자조합 |
미래창조 네오플럭스 투자조합 |
경기-네오플럭스 슈퍼맨투자조합 |
신한-네오플럭스에너지신산업투자조합 |
뉴웨이브 제6호 투자조합 |
신한-네오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신한-네오 Market-Frontier 투자조합 2호 |
아이픽셀(주) |
에스더블유케이-신한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얼머스 신한 소부장 혁신기업 투자조합 |
씨제이엘제1호사모투자 합자회사 |
레버런트-신한비스타신기술투자조합 |
키움-신한 이노베이션 제2호 투자조합 |
에트리홀딩스-신한유니콘투자조합제1호 |
신한타임메자닌블라인드신기술투자조합 |
신한벤처 투모로우 투자조합 1호 |
제이에스신한 사모투자합자회사 |
스톤브릿지신한유니콘세컨더리 투자조합 |
신한케이유니콘제1호신기술투자조합 |
신한-퀀텀 창업초기펀드 |
신한-시몬느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휘트린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데브헬스케어투자조합1호 |
신한-코그니티브 청년창업 투자조합 |
글로벌커머스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HGI 사회적기업 투자조합 |
신한더블유더블유지에너지펀드 신기술사업 투자조합 |
신한-지앤텍스마트혁신펀드 |
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H) |
1.5년만기투자형제2호 |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신한-타임 제1호 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에스지씨 ESG 투자조합 제1호 |
신한-아이스퀘어 벤처투자조합 제1호 |
신한-진앤뉴노멀퍼스트무버벤처투자조합제1호 |
디에스-신한-제이비우리 뉴미디어 신기술투자조합 1호 |
엔에이치-제이앤-아이비케이씨레이블신기술조합 |
보난자-신한GIB 혁신반도체투자조합 |
2023 신한-JB우리-대신 상장사 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M&A-ESG 투자조합 |
신한-JW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MAN글로벌전략채권(H) |
미국자사주&고배당증권자(H)(종C-s) |
프레스티지고배당자1호[주식](종C-i) |
신한타임세컨더리블라인드신기술투자조합 |
신한-오픈워터 Pre-IPO 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제이 기술혁신펀드 제1호 |
신한-에코 벤처투자조합 제2호 |
흥국-신한 더퍼스트 Visionary 신기술투자조합 1호 |
한투신한레이크케이뷰티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 에이치비 웰니스 1호 투자조합 |
신한제이앤웨이브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한부동산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
신한-디에스 Secondary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포트리스-신한 항공화물 제1호신기술투자조합 |
신한 얼머스 소부장 혁신기업 투자조합 7호 |
신한중소형오피스밸류애드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 |
Shinhan-GB FutureFlow Fund L.P. |
LB스코틀랜드일반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29호 |
신한AIM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A호 |
파인스트리트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13-2호(NC XI) |
신한리젠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신한-수 세컨더리 투자조합 |
이앤신한뉴그로쓰업펀드 |
(주)케스케이드테크 |
테크핀레이스팅스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스틱에이엘티글로벌제2호사모투자합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신한-DS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씨스퀘어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신한타임비엠 소부장 신기술조합 |
(주)케이알서초 |
신한 Market-Frontier 투자조합 3호 |
K리츠인프라부동산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웨이브테크놀로지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리오그린사모투자 합자회사 |
스타트업 코리아 비전 2024 펀드 |
신한-수인베스트먼트 그린 위즈 투자조합 |
신한-타임프리미어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 |
핀플로우 |
디투유 제12호 투자조합 |
|||
|
수수료수익 |
531 |
247 |
192 |
5 |
555 |
2 |
122 |
148 |
0 |
19 |
7,590 |
75 |
12 |
0 |
193 |
268 |
355 |
471 |
232 |
1,296 |
754 |
30 |
35 |
40 |
120 |
50 |
149 |
1,147 |
298 |
296 |
261 |
76 |
78 |
41 |
56 |
177 |
193 |
15 |
31 |
23 |
65 |
17 |
4 |
1,657 |
26 |
57 |
50 |
207 |
216 |
55 |
106 |
570 |
7 |
4 |
0 |
0 |
99 |
100 |
99 |
50 |
200 |
94 |
39 |
11 |
44 |
151 |
50 |
47 |
41 |
116 |
23 |
134 |
96 |
1 |
39 |
0 |
110 |
251 |
17 |
0 |
0 |
0 |
0 |
21,036 |
||||||||||||||||||||||
|
이자수익 |
297 |
6,027 |
30 |
0 |
19 |
847 |
3,344 |
0 |
425 |
473 |
723 |
51 |
85 |
0 |
67 |
12,388 |
||||||||||||||||||||||||||||||||||||||||||||||||||||||||||||||||||||||||||||||||||||||||||
|
파생상품관련수익 |
8,016 |
196 |
1,792 |
20 |
10,024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충당금환입 |
195 |
5 |
6 |
206 |
||||||||||||||||||||||||||||||||||||||||||||||||||||||||||||||||||||||||||||||||||||||||||||||||||||||
|
기타수익 |
22 |
22 |
||||||||||||||||||||||||||||||||||||||||||||||||||||||||||||||||||||||||||||||||||||||||||||||||||||||||
|
기타영업외수익 |
0 |
0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환입액 |
0 |
0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상각비 |
(1,419) |
0 |
(219) |
0 |
(47) |
0 |
(5) |
(22) |
0 |
(1,712) |
||||||||||||||||||||||||||||||||||||||||||||||||||||||||||||||||||||||||||||||||||||||||||||||||
|
이자비용 |
(6) |
(5) |
(12) |
(176) |
0 |
(2) |
(1) |
(2) |
(4) |
0 |
(310) |
(1) |
(1) |
0 |
0 |
0 |
(520) |
|||||||||||||||||||||||||||||||||||||||||||||||||||||||||||||||||||||||||||||||||||||||||
|
수수료비용 |
0 |
0 |
0 |
0 |
||||||||||||||||||||||||||||||||||||||||||||||||||||||||||||||||||||||||||||||||||||||||||||||||||||||
|
기타관리비 |
0 |
0 |
0 |
|||||||||||||||||||||||||||||||||||||||||||||||||||||||||||||||||||||||||||||||||||||||||||||||||||||||
|
파생상품관련비용 |
(232) |
(232) |
||||||||||||||||||||||||||||||||||||||||||||||||||||||||||||||||||||||||||||||||||||||||||||||||||||||||
|
기타비용 |
(2) |
(2) |
||||||||||||||||||||||||||||||||||||||||||||||||||||||||||||||||||||||||||||||||||||||||||||||||||||||||
|
미사용한도충당부채전입액 |
0 |
0 |
0 |
|||||||||||||||||||||||||||||||||||||||||||||||||||||||||||||||||||||||||||||||||||||||||||||||||||||||
|
특수관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연결실체 내 기업 간 특수관계자거래 및 채권ㆍ채무 잔액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모두 제거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관계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 연결실체 및 특수관계자에 해당하는 기업의 퇴직급여제도를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연결실체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손익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내역은 '주석12'를 참조바랍니다.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의 내역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기종업원급여 |
5,651 |
11,429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퇴직급여 |
192 |
375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식기준보상 |
8,107 |
9,627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
13,950 |
21,431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기술, 주식기준보상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기종업원급여 |
5,251 |
11,527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퇴직급여 |
189 |
426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식기준보상 |
3,606 |
7,492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
9,046 |
19,445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기술, 주식기준보상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
특수관계자 간의 지급보증 및 매입약정 내역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주요경영진 |
에스비씨피에프브이2 |
에스비씨피에프브이3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주) |
구조화기업_매입약정 |
구조화기업_파생상품약정 |
||
|
제공자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라이프 |
신한캐피탈 |
신한캐피탈 |
신한캐피탈 |
신한카드 |
연결실체 |
연결실체 |
|
|
기업의 보증이나 담보의 제공, 특수관계자거래 |
1,253,900 |
823 |
175,500 |
62,700 |
22,424 |
11,760 |
839 |
143,210 |
8,995 |
1,680,151 |
|
보증종류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신용카드한도 |
매입약정 |
파생상품약정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주요경영진 |
에스비씨피에프브이2 |
에스비씨피에프브이3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비엔피파리바카디프생명보험(주) |
구조화기업_매입약정 |
구조화기업_파생상품약정 |
||
|
제공자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연결실체 |
연결실체 |
|||||
|
기업의 보증이나 담보의 제공, 특수관계자거래 |
65,400 |
2,801 |
846 |
204,035 |
31,440 |
304,522 |
||||
|
보증종류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대출한도 |
미사용신용카드한도 |
매입약정 |
파생상품약정 |
|||||
|
특수관계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담보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에스비씨피에프브이2 |
주요경영진1 |
주요경영진2 |
주요경영진3 |
||
|
제공받은자, 특수관계자거래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
|
담보제공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담보신탁 |
담보신탁 |
담보신탁 |
주식 |
부동산 |
예금 등 |
보증서 |
|
|
기업으로의 보증이나 담보의 제공, 특수관계자거래 |
39,600 |
16,800 |
1,440,000 |
7,529 |
8,745 |
1,170 |
717 |
1,514,561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에스비씨피에프브이2 |
주요경영진1 |
주요경영진2 |
주요경영진3 |
||
|
제공받은자, 특수관계자거래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
|
담보제공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담보신탁 |
담보신탁 |
담보신탁 |
부동산 |
예금 등 |
보증서 |
||
|
기업으로의 보증이나 담보의 제공, 특수관계자거래 |
39,600 |
16,800 |
960,000 |
6,799 |
1,466 |
2,132 |
1,026,797 |
|
|
특수관계자 자금거래에 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주)케이알서초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주)케스케이드테크 |
|||
|
기초 대여거래 |
11,700 |
984,600 |
33,000 |
14,000 |
14,000 |
11,871 |
22,424 |
2,000 |
20,000 |
25,400 |
0 |
0 |
0 |
3,403 |
1,142,398 |
|
|
대여거래, 대여 |
0 |
1,235,500 |
0 |
0 |
0 |
0 |
22,424 |
0 |
0 |
7,550 |
26,567 |
2,458 |
1,294,499 |
|||
|
대여거래, 회수 |
(300) |
(1,735,100) |
0 |
0 |
0 |
0 |
0 |
0 |
0 |
0 |
(3,159) |
(2,191) |
(1,740,750) |
|||
|
대여거래, 기타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2,300) |
0 |
0 |
(12,300) |
|||
|
기말 대여거래 |
11,400 |
485,000 |
33,000 |
14,000 |
14,000 |
11,871 |
44,848 |
2,000 |
20,000 |
20,650 |
23,408 |
3,670 |
683,847 |
|||
|
기타 변동에 대한 기술, 특수관계자 |
당반기 중 연결범위 변동으로 인해 제외된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
노무라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에스비씨피에프브이 |
(주)로지스밸리신한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이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31호 |
퍼시픽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0호 |
(주)케이알서초 |
(주)송파비즈클러스터피에프브이 |
KB물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1호 |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26호 |
이든센트럴주식회사 |
Credila Financial Services |
신한글로벌액티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고덕강일10피에프브이 |
(주)케스케이드테크 |
|||
|
기초 대여거래 |
11,529 |
0 |
33,000 |
0 |
0 |
0 |
0 |
0 |
0 |
0 |
0 |
1,100 |
0 |
5,005 |
50,634 |
|
|
대여거래, 대여 |
0 |
1,169,700 |
34,175 |
28,000 |
14,000 |
11,871 |
22,424 |
2,000 |
20,000 |
25,400 |
165,400 |
0 |
66 |
1,493 |
1,494,529 |
|
|
대여거래, 회수 |
(300) |
(185,100) |
(34,175) |
(14,000) |
0 |
(7,000) |
0 |
0 |
0 |
0 |
(125,700) |
(1,100) |
(66) |
(3,095) |
(370,536) |
|
|
대여거래, 기타 |
471 |
0 |
0 |
0 |
0 |
7,000 |
0 |
0 |
0 |
0 |
(39,700) |
0 |
0 |
0 |
(32,229) |
|
|
기말 대여거래 |
11,700 |
984,600 |
33,000 |
14,000 |
14,000 |
11,871 |
22,424 |
2,000 |
20,000 |
25,400 |
0 |
0 |
0 |
3,403 |
1,142,398 |
|
|
기타 변동에 대한 기술, 특수관계자 |
유의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관계기업에서 제외되어 잔액을 기타에 표시하였습니다. |
신용손실충당금 변경효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32. 보고기간 후 사건 (연결)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 |
||
|---|---|---|
|
주요한 보통주 거래 |
||
|
분기배당의 결의 |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 |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의 성격에 대한 기술 |
지배기업은 2025년 7월 25일 이사회결의에서 보통주에 대해 주당 570원의 분기배당을 지급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배당금 총액은 276,732백만원이며, 배당기준일은 2025년 8월 1일입니다. |
주주가치제고를 위해 연결실체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에서 8,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결의하였습니다. 8,000억원 중 약 6,000억원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취득 예정이며, 나머지 약 2,000억원은 2026년 1분기 내 취득 예정입니다. |
|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제안 또는 선언되었으나 당해 기간 동안에 소유주에 대한 분배금으로 인식되지 아니한 주당배당금 |
570 |
|
|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제안 또는 선언되었으나 당해 기간 동안에 소유주에 대한 분배금으로 인식되지 아니한 배당금 |
276,732 |
|
4-1.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표 |
|
제 25 기 반기말 2025.06.30 현재 |
|
제 24 기말 2024.12.31 현재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말 |
제 24 기말 |
|
|---|---|---|
|
자산 |
||
|
Ⅰ.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16 |
151,143 |
|
Ⅱ.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632,919 |
2,552,750 |
|
Ⅲ.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2,984,674 |
3,837,298 |
|
Ⅳ.유형자산 |
6,242 |
6,509 |
|
Ⅴ.무형자산 |
6,844 |
6,488 |
|
Ⅵ.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30,723,705 |
30,623,651 |
|
Ⅶ.순확정급여자산 |
0 |
5,622 |
|
Ⅷ.기타자산 |
623,737 |
488,842 |
|
자산총계 |
37,978,137 |
37,672,303 |
|
자본과 부채 |
||
|
부채 |
||
|
Ⅰ.차입부채 |
9,823 |
19,914 |
|
Ⅱ.사채 |
9,576,232 |
10,731,336 |
|
Ⅲ.순확정급여부채 |
2,523 |
0 |
|
Ⅳ.이연법인세부채 |
18,852 |
20,518 |
|
Ⅴ.기타부채 |
669,322 |
552,360 |
|
부채총계 |
10,276,752 |
11,324,128 |
|
자본 |
||
|
Ⅰ.자본금 |
2,969,641 |
2,969,641 |
|
Ⅱ.신종자본증권 |
4,799,501 |
4,600,121 |
|
Ⅲ.자본잉여금 |
11,350,744 |
11,350,744 |
|
Ⅳ.자본조정 |
(46,045) |
(296,024) |
|
Ⅴ.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375) |
(9,307) |
|
Ⅵ.이익잉여금 |
8,638,919 |
7,733,000 |
|
자본총계 |
27,701,385 |
26,348,175 |
|
부채와 자본 총계 |
37,978,137 |
37,672,303 |
4-2. 포괄손익계산서
|
포괄손익계산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 |
제 24 기 반기 |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
Ⅰ.영업이익 |
(48,920) |
2,455,055 |
(32,119) |
1,742,931 |
|
(1)순이자손익 |
(60,391) |
(122,128) |
(57,947) |
(114,007) |
|
1.이자수익 |
19,645 |
41,226 |
25,572 |
50,822 |
|
2.이자비용 |
(80,036) |
(163,354) |
(83,519) |
(164,829) |
|
(2)순수수료손익 |
17,327 |
34,939 |
17,987 |
35,335 |
|
1.수수료수익 |
17,760 |
35,519 |
18,147 |
35,528 |
|
2.수수료비용 |
(433) |
(580) |
(160) |
(193) |
|
(3)배당수익 |
14,620 |
2,574,671 |
13,273 |
1,847,442 |
|
(4)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관련손익 |
18,543 |
35,840 |
30,436 |
43,606 |
|
(5)외환거래손실 |
(949) |
(583) |
(266) |
(1,077) |
|
(6)신용손실충당금환입(전입) |
295 |
368 |
39 |
(35) |
|
(7)일반관리비 |
(38,365) |
(68,052) |
(35,641) |
(68,333) |
|
Ⅱ.영업외손익 |
(371) |
(3,473) |
(2,912) |
(3,271) |
|
Ⅲ.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49,291) |
2,451,582 |
(35,031) |
1,739,660 |
|
Ⅳ.법인세비용 |
(1,580) |
12 |
1,259 |
2,779 |
|
Ⅴ.반기순이익(손실) |
(47,711) |
2,451,570 |
(36,290) |
1,736,881 |
|
Ⅵ.반기기타포괄손익 |
(2,068) |
(2,068) |
(1,537) |
(1,537) |
|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
1.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2,068) |
(2,068) |
(1,537) |
(1,537) |
|
Ⅶ.반기총포괄이익(손실) |
(49,779) |
2,449,502 |
(37,827) |
1,735,344 |
|
Ⅷ.주당이익(손실) |
||||
|
기본주당이익 (단위 : 원) |
(214) |
4,786 |
(170) |
3,238 |
|
희석주당이익 (단위 : 원) |
(214) |
4,786 |
(170) |
3,238 |
4-3. 자본변동표
|
자본변동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자본금 |
신종자본증권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
2024.01.01 (기초자본) |
2,969,641 |
4,001,731 |
11,350,744 |
(148,464) |
(6,642) |
7,932,131 |
26,099,141 |
|
자본의 변동 |
|||||||
|
포괄손익 |
|||||||
|
반기총포괄이익(손실) |
0 |
0 |
0 |
0 |
(1,537) |
1,736,881 |
1,735,344 |
|
반기순이익 |
0 |
0 |
0 |
0 |
0 |
1,736,881 |
1,736,881 |
|
반기기타포괄손익 |
|||||||
|
반기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1,537) |
0 |
(1,537)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0 |
0 |
0 |
0 |
(1,537) |
0 |
(1,537) |
|
소유주와의 거래 |
|||||||
|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
0 |
199,357 |
0 |
(47,611) |
0 |
(882,595) |
(730,849) |
|
연차배당 |
0 |
0 |
0 |
0 |
0 |
(268,697) |
(268,697) |
|
분기배당 |
0 |
0 |
0 |
0 |
0 |
(275,069) |
(275,069) |
|
신종자본증권배당 |
0 |
0 |
0 |
0 |
0 |
(85,806) |
(85,806) |
|
신종자본증권상환 |
0 |
(199,476) |
0 |
(524) |
0 |
0 |
(200,000)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0 |
0 |
0 |
102,667 |
0 |
(102,667) |
0 |
|
신종자본증권발행 |
0 |
398,833 |
0 |
0 |
0 |
0 |
398,833 |
|
자기주식의 취득 |
0 |
0 |
0 |
(300,350) |
0 |
0 |
(300,350) |
|
자기주식의 처분 |
0 |
0 |
0 |
296 |
0 |
0 |
296 |
|
자기주식의 소각 |
0 |
0 |
0 |
150,300 |
0 |
(150,356) |
(56) |
|
2024.06.30 (기말자본) |
2,969,641 |
4,201,088 |
11,350,744 |
(196,075) |
(8,179) |
8,786,417 |
27,103,636 |
|
2025.01.01 (기초자본) |
2,969,641 |
4,600,121 |
11,350,744 |
(296,024) |
(9,307) |
7,733,000 |
26,348,175 |
|
자본의 변동 |
|||||||
|
포괄손익 |
|||||||
|
반기총포괄이익(손실) |
0 |
0 |
0 |
0 |
(2,068) |
2,451,570 |
2,449,502 |
|
반기순이익 |
0 |
0 |
0 |
0 |
0 |
2,451,570 |
2,451,570 |
|
반기기타포괄손익 |
|||||||
|
반기기타포괄손익 |
0 |
0 |
0 |
0 |
(2,068) |
0 |
(2,068)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
0 |
0 |
0 |
0 |
(2,068) |
0 |
(2,068) |
|
소유주와의 거래 |
|||||||
|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
0 |
199,380 |
0 |
249,979 |
0 |
(1,545,651) |
(1,096,292) |
|
연차배당 |
0 |
0 |
0 |
0 |
0 |
(267,755) |
(267,755) |
|
분기배당 |
0 |
0 |
0 |
0 |
0 |
(278,127) |
(278,127) |
|
신종자본증권배당 |
0 |
0 |
0 |
0 |
0 |
(99,133) |
(99,133) |
|
신종자본증권상환 |
0 |
(199,455) |
0 |
(545) |
0 |
0 |
(200,000)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0 |
0 |
0 |
524 |
0 |
(524) |
0 |
|
신종자본증권발행 |
0 |
398,835 |
0 |
0 |
0 |
0 |
398,835 |
|
자기주식의 취득 |
0 |
0 |
0 |
(650,000) |
0 |
0 |
(650,000) |
|
자기주식의 처분 |
0 |
0 |
0 |
0 |
0 |
0 |
0 |
|
자기주식의 소각 |
0 |
0 |
0 |
900,000 |
0 |
(900,112) |
(112) |
|
2025.06.30 (기말자본) |
2,969,641 |
4,799,501 |
11,350,744 |
(46,045) |
(11,375) |
8,638,919 |
27,701,385 |
4-4.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 |
|
제 25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
|
제 24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
|
(단위 : 백만원) |
|
제 25 기 반기 |
제 24 기 반기 |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영업활동순현금흐름 |
1,340,613 |
856,187 |
|
가.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1,111,547) |
(879,772) |
|
(1)반기순이익 |
2,451,570 |
1,736,881 |
|
(2)반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2,453,135) |
(1,736,765) |
|
1.이자수익 |
(41,226) |
(50,822) |
|
2.이자비용 |
163,354 |
164,829 |
|
3.배당수익 |
(2,574,671) |
(1,847,442) |
|
4.법인세비용 |
12 |
2,779 |
|
5.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관련손익 |
(10,987) |
(16,500) |
|
6-1.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
0 |
35 |
|
6-2.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368) |
0 |
|
7.종업원급여 |
5,398 |
3,936 |
|
8.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
2,110 |
2,523 |
|
9.외화환산손익 |
978 |
1,831 |
|
10.영업외손익 |
2,265 |
2,066 |
|
(3)자산ㆍ부채의 증감 |
(1,109,982) |
(879,888) |
|
1.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101,058) |
(900,773) |
|
2.기타자산 |
165 |
3,533 |
|
3.순확정급여자산 |
1,645 |
(1,864) |
|
4.기타부채 |
(10,734) |
19,216 |
|
나.법인세의 납부 |
(136) |
(1,187) |
|
다.이자의 수취 |
49,593 |
49,695 |
|
라.이자의 지급 |
(171,786) |
(159,643) |
|
마.배당금의 수취 |
2,574,489 |
1,847,094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투자활동순현금흐름 |
661,400 |
124,717 |
|
1.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100,000) |
(100,000) |
|
2.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100,000 |
0 |
|
3.상각후원가측정 대출채권의 증가 |
(369,693) |
(169,440) |
|
4.상각후원가측정 대출채권의 감소 |
1,140,300 |
395,000 |
|
5.유형자산의 취득 |
(102) |
(2,036) |
|
6.유형자산의 처분 |
0 |
(10) |
|
7.무형자산의 취득 |
(826) |
(549) |
|
8.무형자산의 처분 |
0 |
2,300 |
|
9.기타자산의 증가 |
(8,225) |
(620) |
|
10.기타자산의 감소 |
0 |
72 |
|
11.종속기업 투자자산의 취득 |
(100,054) |
0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재무활동순현금흐름 |
(2,153,203) |
(828,548) |
|
1.신종자본증권의 발행 |
398,835 |
398,833 |
|
2.신종자본증권의 상환 |
(200,000) |
(200,000) |
|
3.사채의 발행 |
998,364 |
988,339 |
|
4.사채의 상환 |
(2,045,000) |
(880,000) |
|
5.차입부채의 증가 |
9,700 |
19,450 |
|
6.차입부채의 감소 |
(20,000) |
(225,000) |
|
7.배당금 지급 |
(644,704) |
(629,266) |
|
8.자기주식 취득 |
(650,000) |
(300,351) |
|
9.자기주식의 처분 |
0 |
296 |
|
10.자기주식 소각 비용 |
(47) |
(56) |
|
11.리스부채의 상환 |
(351) |
(793) |
|
Ⅳ.외화표시 현금성자산 환율변동효과 |
||
|
외화표시 현금성자산 환율변동효과 |
0 |
1 |
|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151,190) |
152,357 |
|
Ⅵ.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151,203 |
19 |
|
Ⅶ.반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
13 |
152,376 |
1. 일반사항
|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이하 "당사")는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 등에 대한 지배ㆍ경영관리, 종속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2001년 9월 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동년 9월 10일에 당사의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고, 당사는 2003년 9월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등록되었으며, 동 일자로 당사의 미국주식예탁증서(ADS : American Depositary Shares)를뉴욕증권거래소(NYSE: New York Stock Exchange)에 상장하였습니다. |
2.3.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
2. 재무제표 작성기준(1) 회계기준의 적용당사의 반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당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 또는 공동지배기업의 참여자가 투자자산을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 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2) 추정과 판단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기대총연간이익에 적용될 수 있는 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이 적용되어 측정됩니다. 반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당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 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정책(1) 당사는 2025년 1월 1일부터 최초로 적용되는 다음의 개정사항 및 주석 2. (2)에서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를 작성할 때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동 개정사항은 회계목적상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다고 보는 상황에 대해 정의하고,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 평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경우 사용할 현물환율 추정 및 공시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측정일에 현물환율을 추정해야 하며, 관측 가능한 환율을 조정 없이 사용하거나 다른 추정기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2025년 6월 30일 현재 제정ㆍ공표 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개정) - 금융상품 분류와 측정동 개정사항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금융부채를 결제할 때의 금융부채의 결제일 전 이행과 관련된 조건, 계약상 현금흐름이 기본대여계약과 일관되는지 평가할 때고려해야 할 이자 및 우발사건 특성, 비소구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성을 명확히 합니다. 그리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지정된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와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할 수 있는 계약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포함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의 개시일 이후 소급적으로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중요한 영향은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 및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 제거 손익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
4-1. 금융상품 위험 관리
|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위험의 성격과 정도에 대한 공시 |
|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위험 합계 |
|
|---|---|---|---|
|
위험에 대한 노출정도에 대한 기술 |
신용위험은 차주 또는 거래상대방의 부도, 계약불이행 등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발 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제적 손실 위험을 의미하며, 당사가 부담하는 가장 큰 위험입니다. |
유동성위험은 자산ㆍ부채간 자금 기일의 불일치 또는 급격한 자금유출 등으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손실(비정상적인 자산의 처분, 고금리 조달 등)이 발생하거나 지급불능 상태가 될 위험을 말합니다. |
|
|
위험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기술 |
신용위험 관리 대상은 난내계정은 물론, 보증, 대출약정, 파생상품 거래 등 난외계정을 포함하여 신용위험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원칙적으로 매월말 기준 재무상태표상 잔존만기 1개월 이하 자산 총액이 잔존만기 1개월 이하 부채 총액을 초과하도록 유동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신한금융그룹(이하 "그룹") 각 사업분야별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관리하며, 주요 대상은 신용위험, 시장위험, 금리위험, 유동성위험 등 입니다. 이러한 위험은 지배기업 및 각 종속기업에서 정한 위험관리 기본방침에 따라 인식,측정,통제및 보고됩니다.1) 그룹 위험관리 원칙그룹의 위험관리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ㆍ모든 영업활동은 사전 설정된 위험성향 내에서 위험과 수익의 균형을 고려하여 수 행해야 한다.ㆍ지배기업은 그룹리스크관리모범규준을 제시하고 이의 준수 여부를 감독하며, 그 룹차원의 모니터링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보유한다.ㆍ경영진의 관여를 제고하는 위험관련 의사결정 체계를 운영한다.ㆍ영업부문과 독립적인 위험관리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한다.ㆍ비즈니스 의사결정시 위험을 명확히 고려하게 하는 성과관리체계를 운영한다.ㆍ선제적이고 실용적인 위험 관리 기능을 지향한다.ㆍ평상시에도 상황 악화 가능성에 대비하는 신중한 시각을 공유한다.2) 그룹 위험 관리 조직그룹의 위험관리에 대한 기본정책 및 전략은 지배기업 이사회 내의 위험관리위원회( 이하 "그룹위험관리위원회")에서 수립됩니다. 그룹의 위험관리책임자(CRO)는 그룹 위험관리위원회를 보좌하고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책임자를 구성원으로 하는 그룹 리스크협의회를 통하여 그룹 및 각 종속기업의 위험 정책 및 전략을 협의합니다. 종 속기업은 각 사별 위험관리위원회 및 위험 관련 실무위원회, 위험관리전담조직을 통 하여 그룹의 위험정책 및 전략을 이행하고, 이와 일관되게 종속기업 세부 위험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합니다. 지배기업의 리스크관리팀은 그룹 위험관리책임자를보좌하여 위험관리 및 감독업무를 수행합니다.당사는 그룹의 위험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계층적인 한도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룹위험관리위원회는 그룹 및 종속기업별로 부담 가능한 위험 한도를 설정하고,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위원회 및 경영진차원의 리스크회의체에서는 위험 유형별, 부서별, 데스크별 및 상품별 등 세부 위험 한도를 설정하여 관리합니다.① 그룹위험관리위원회(Group Risk Management Committee)지배기업 및 각 종속기업의 위험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그룹의 위험 정책 및 한도 수 립, 승인 등 그룹 위험 관련 사항을 종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위원회는 지배기업의 이사로 구성됩니다.위원회의 결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ㆍ경영전략에 부합하는 위험관리 기본방침 수립ㆍ그룹 및 각 종속기업별 부담가능한 위험 수준의 결정ㆍ적정투자한도 또는 손실허용한도 승인ㆍ그룹리스크관리규정과 그룹리스크협의회규정의 제정 및 개정ㆍ리스크관리조직 구조 및 업무분장에 관한 사항ㆍ리스크관리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사항ㆍ각종 한도의 설정 및 한도초과의 승인에 관한 사항ㆍ금융감독원의 비소매 및 소매 신용평가시스템에 대한 그룹 내부등급법 승인 관련 의사결정 사항ㆍ리스크 공시정책에 관한 사항ㆍ위기상황분석 결과 및 이와 관련된 자본관리 계획, 자금조달 계획ㆍ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ㆍ금융위원회 등 외규에서 요구하는 사항 및 타 규정, 지침 등에서 정한 사항ㆍ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② 그룹리스크협의회(Group Risk Management Council)그룹의 리스크정책 및 전략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룹의 제반 리스크 관련 사항을 협의하고 그룹위험관리위원회에서 정한 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결의합니다. 구성원은 그룹의 위험관리책임자가 위원장이 되고, 주요 종속기업의 위험관리책임자로 구성됩니다.3) 그룹 위험관리 체제① 위험자본(Risk Capital) 관리위험자본은 잠재적인 손실(리스크)이 실제로 실현되었을 경우 이를 보전하는데 필요 한 자본을 의미하며, 위험자본관리는 가용자본 대비 리스크 부담 수준에 대한 의사결정인 위험성향(Risk Appetite)을 고려하여 위험자본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위험자산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배기업 및 종속기업은 위험자본 관리를 위하여 재무ㆍ사업계획 수립시에 사전적으로 위험계획이 반영되도록 위험계획 프로 세스를 수립 및 운용하고 있으며, 적정 수준으로 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리스크한도관리체계를 수립 및 운용하고 있습니다.② 리스크 모니터링그룹의 경영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선제적인 위험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차원 리스크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각 종속기업은 그룹차원의 위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사항에 대하여 의무적으로 당사에 보고하여야 하며, 당사는 주별ㆍ월별ㆍ수시 모니터링보고서를 작성하여 CRO를 포함한 그룹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또한 리스크종합상황판(Risk Dash Board)을 운영하여 종속기업별로 운용자산에 대 한 주요 포트폴리오의 외형증가, 리스크 증가, 대외 환경변화(뉴스) 등의 3차원 모니 터링을 통해 이상징후 영역을 도출하여 원인분석 및 필요시 대응방안을 수립ㆍ이행 하는 선제적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③ 리스크 리뷰신상품ㆍ신사업 추진 및 주요정책 변경시에는 사전에 정의된 체크리스트에 의해 위 험 요인을 검토하여, 위험 판단이 용이하지 않은 비즈니스의 무분별한 추진을 차단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리스크관리 담당부서는 사업부 문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상품ㆍ서비스ㆍ사업 등에 대하여 사전 리뷰하고 사후 모니 터링하는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으며, 타 종속기업과 연계 또는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항인 경우 지배기업 리스크관리팀과 사전 협의를 거친 후 리스크 리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④ 위기관리위기상황 발생가능성을 조기에 감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위기상황 발생시 적 시적, 효율적, 유기적 대응으로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룹차원의 위기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종속기업은 '주 의', '경계', '위기징후', '위기'의 4단계로 위기상황단계를 정의하고 있으며,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영향분석을 통해 위기상황단계를 결정하고 위기상황 발생시 사전에 정의된 위기대응 조치를 실행합니다. 당사는 그룹차원의 일관된 위기상황인식 및 대응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2개 이상의 종속기업이 '주의' 이상 단계에 진입하는 등 그룹 차원의 위기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당사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위기관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
|
위험측정방법 |
1) 손상 측정에 사용된 변수, 가정 및 기법가.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당사는 최초 인식 후에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평가하며,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평가할 때 기대신용손실액의 변동이 아니라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걸친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의 변동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평가를 하기 위해, 보고기간 말의 금융상품에 대한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을 최초 인식일의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과 비교하고 최초 인식 후에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당사가 보유한 채무불이행 경험 데이터와 내부 신용 평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포함합니다.① 채무불이행 위험의 측정당사는 채무불이행 위험과 합리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관측 자료와 과거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근거로 개별 익스포져에 대하여 내부 신용등급을 부여 합니다. 내부 신용등급은 채무불이행 위험을 나타내는 질적ㆍ양적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요소는 익스포져의 특성과 차주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② 부도율 기간구조의 측정내부 신용등급은 부도율 기간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주요 투입변수입니다. 당사는 신용위험에 노출된 익스포져의 양태와 채무불이행 정보를 상품과 차주의 유형, 그리고 내부 신용평가 결과별로 분석하여 축적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의 수행시 일부 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활용합니다. 당사는 축적된데이터로부터 익스포져의 잔여 만기에 대한 부도율을 추정하고 추정된 부도율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합니다.③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당사는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별로 정의된 지표를활용하며, 이러한 지표는 일반적으로 내부 신용등급의 변동으로부터 추정된 채무불이행 위험의 변동과 질적 판단 요소, 그리고 연체일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 채무불이행 위험당사는 금융자산이 아래의 상황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때 해당 자산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 차주가 계약상 지급일로부터 90일 이상 연체한 경우 - 기타 당사가 담보권 등을 행사하지 않고 원리금을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차주의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할 때 당사는 아래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 질적 요소(예: 계약 조건의 위반) - 양적 요소(예: 동일 차주가 당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각 지급의무별 연체일수. 단,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개별 금융상품 단위별로 연체일수 등을 활용) - 내부 관측자료 및 외부로부터 입수한 정보당사가 적용하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정의는 규제자본관리 목적에서 정의하고 있는 부도의 정의와 대체로 일치하며,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와 각 정보의 활용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다. 미래전망정보의 반영당사는 기대신용손실의 측정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내부 전문가그룹이 제시한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 이러한 미래전망정보의 예측을 위하여 당사는 국내ㆍ외 연구기관 또는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서 공개한 경제전망 등을 활용합니다.당사는 과거에 경험한 데이터 및 시나리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포트폴리오별로 신용위험과 신용손실의 예측에 필요한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신용위험 간 상관관계를 도출한 후, 회귀식추정을 통해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당사가 사용한 거시경제변수와 채무불이행 위험 간의 예측된 상관관계는 과거 10년 이상의 장기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되었습니다.라. 기대신용손실의 측정기대신용손실의 측정에 투입된 주요 변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 기간별 부도율(PD) - 부도시 손실률(LGD) - 부도시 익스포져(EAD)이러한 신용위험측정요소는 당사가 내부적으로 개발한 통계적 기법과 과거 경험 데이터로부터 추정되었으며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을 통하여 조정되었습니다.기간별 부도율 추정치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통계적 모형에 기반하여 거래상대방 과 익스포져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되었습니다. 당사는 추정에 활용된 통계적 신용평가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당사의 자체적으로 보유한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일부 포트폴리오(예: 대기업군 등)의 경우 시장에서 관측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거래상대방 또는 익스포져가 특정 등급 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우, 해당 등급별 부도율의 측정 방식을 조정하며, 등급별 부도율은 익스포져의 계약 만기를 고려하여 추정되었습니다.부도시 손실률은 부도 발생시 예상되는 손실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당사는 과거 부도익스포져로부터 측정된 경험 회수율에 기반하여 부도시 손실률을 산출하였습니다. 부도시 손실률의 측정 모형은 담보의 유형, 담보에 대한 선순위, 차주의 유형 및 회수에 소요된 비용을 반영하도록 개발되었으며, 특히 소매 대출상품의 부도시 손실률 모형은 담보의 대출비율(LTV: Loan to Value)을 주요 변수로 사용합니다. 부도시 손실률 산출에 반영된 회수율은 유효이자율로 할인된 회수금액의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부도시 익스포져는 부도 발생 시점의 예상되는 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당사는 현재 실행된 익스포져가 계약상 한도 내에서 부도 시점까지 추가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율을 반영하여 부도시 익스포져를 도출합니다. 금융자산의 부도시 익스포져는 해당 자산의 총 장부금액과 동일하며, 대출 약정과 금융 보증 계약의 부도시 익스포져는 기인출 사용 금액과 향후 추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합계로 산정됩니다.당사는 금융자산의 기대신용손실 측정시 계약상 만기를 기준으로 기대신용손실 측정대상 기간을 반영합니다. 계약상 만기는 차주가 보유한 연장권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부도율, 부도시 손실률 및 부도시 익스포져의 위험측정요소는 아래와 같은 구분 기준에 따라 집합적으로 추정됩니다. - 상품의 유형 - 내부 신용등급 - 담보의 유형 - 담보대출비율(LTV) - 차주가 속한 산업군 - 차주 또는 담보의 소재지 - 연체일수 집합을 구분하는 기준은 집합의 동질성을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검토되며 필요한 경우 조정됩니다. 당사는 내부적으로 충분한 수준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자료를 보유하지 못한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 벤치마크 정보를 활용하여 내부 정보를 보완하였습니다. |
||
|
기업의 제각 정책에 관한 정보 |
당사는 현실적으로 원리금의 회수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된 대출상품 또는 채무증권의부분 또는 전체를 제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차주가 원리금 상환에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 또는 소득이 없다고 판단될 때 제각을 실행하며, 이러한 제각 여부의 판단은 당사의 내부 규정에 따르며 필요한 경우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승인을 득하여 실행됩니다. 제각과는 별개로 당사는 금융자산의 제각 이후에도 자체 회수 정책에 따라지속적으로 회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에 대한 공시 |
|
|
GDP성장률 |
민간소비증감률 |
설비투자증감률 |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
경상수지 |
|
|---|---|---|---|---|---|
|
신용위험 간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양(+)의 상관관계 |
음(-)의 상관관계 |
|
신용위험의 최대노출정도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은행 |
기업 |
은행 |
기업 |
은행 |
기업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16 |
2,984,674 |
2,984,690 |
623,535 |
2,168,070 |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미수금, 미수수익, 보증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고객의 유형 |
고객의 유형 합계 |
||||
|
은행 |
기업 |
은행 |
기업 |
은행 |
기업 |
||||
|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 |
151,143 |
3,837,298 |
3,988,441 |
488,756 |
1,069,628 |
||||
|
위험에 대한 기업의 노출에 관한 추가정보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 |
상각후원가측정 예치금 및 대출채권, 기타금융자산의 최대 노출액은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장부금액입니다.미수금, 미수수익, 보증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에 따른 손상정보에 대한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기업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우량 |
우량 |
우량 |
|||||||||||
|
금융자산 |
16 |
0 |
16 |
0 |
16 |
2,985,922 |
0 |
2,985,922 |
(1,248) |
2,984,674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및 대출채권 |
||||||||||||||
|
고객의 유형 |
||||||||||||||
|
은행 |
기업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우량 |
우량 |
우량 |
|||||||||||
|
금융자산 |
151,206 |
0 |
151,206 |
(63) |
151,143 |
3,838,903 |
0 |
3,838,903 |
(1,605) |
3,837,298 |
||||
|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에 따른 손상정보에 대한 공시, 예치금 및 대출채권 외 금융상품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우량 |
||||||
|
금융자산 |
623,785 |
0 |
623,785 |
(250) |
623,535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난내 및 난외계정 |
|||||||
|---|---|---|---|---|---|---|---|
|
난내계정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합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내부 신용등급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우량 |
||||||
|
금융자산 |
488,954 |
0 |
488,954 |
(198) |
488,756 |
||
|
신용등급의 구분에 대한 공시 |
|
|
내부 신용등급 전체 |
||
|---|---|---|
|
내부 신용등급 |
||
|
우량 |
보통 |
|
|
차주의 유형 |
||
|
기업 및 은행 |
||
|
내부 신용등급의 평가과정 |
내부신용등급 BBB+ 이상 |
내부신용등급 BBB+ 미만 |
|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분석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329,391 |
269,152 |
704,599 |
2,045,084 |
7,209,225 |
151,226 |
10,708,677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차입금(사채 제외), 미할인현금흐름 |
0 |
0 |
0 |
10,000 |
0 |
0 |
10,000 |
|
사채, 미할인현금흐름 |
295,185 |
193,135 |
632,710 |
1,981,965 |
7,095,583 |
151,226 |
10,349,804 |
|
|
기타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34,206 |
76,017 |
71,889 |
53,119 |
113,642 |
0 |
348,873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에 대한 기술 |
표시된 금액은 금융부채의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83,663 |
1,358,294 |
1,022,632 |
1,124,732 |
8,152,221 |
214,183 |
11,955,725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 |
차입금(사채 제외), 미할인현금흐름 |
10,000 |
10,000 |
0 |
0 |
0 |
0 |
20,000 |
|
사채, 미할인현금흐름 |
47,194 |
1,341,073 |
824,623 |
1,108,604 |
8,046,442 |
214,183 |
11,582,119 |
|
|
기타금융부채, 미할인현금흐름 |
26,469 |
7,221 |
198,009 |
16,128 |
105,779 |
0 |
353,606 |
|
|
비파생금융부채,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에 대한 기술 |
표시된 금액은 금융부채의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
4-2. 금융상품 위험 관리 - 공정가치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의 정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
공정가치측정 분류내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에 대한 기술 |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의 경우,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1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한 정보에 기초한다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2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불가능한 정보에 기초한다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3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됩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시되는 시장가격은 매매중개기관의 공시가격에 기초합니다.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예: 장외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거나, 독립적인 외부전문평가기관의 평가결과를 이용합니다. 당사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상황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최근 거래를 사용하는 방법,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금융상품의 현행공정가치를 이용할 수 있다면 이를 참조하는 방법, 추정현금흐름할인방법, 옵션가격결정모형과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
|
자산의 공정가치측정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
0 |
2,168,070 |
1,464,849 |
3,632,91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
0 |
1,069,628 |
1,483,122 |
2,552,750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에 대한 조정, 자산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에 대한 조정,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기초 자산 |
1,483,122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18,273) |
|
매입, 공정가치측정, 자산 |
100,00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자산 |
(100,000) |
|
|
기말 자산 |
1,464,849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자산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기초 자산 |
1,250,605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
|
공정가치측정의 변경, 자산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이익(손실)(외환차이 포함), 공정가치 측정, 자산 |
82,517 |
|
매입, 공정가치측정, 자산 |
150,000 |
|
|
결제, 공정가치측정, 자산 |
0 |
|
|
기말 자산 |
1,483,122 |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2 자산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2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수익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순자산가치평가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채권 등 기초자산의 가격, 환율 |
|
금융자산 |
2,168,070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의무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수익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순자산가치평가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채권 등 기초자산의 가격, 환율 |
|
금융자산 |
1,069,628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3 자산 |
|
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수준3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신종자본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옵션모형(Hull-White 모델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
금융자산 |
1,464,84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신종자본증권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옵션모형(Hull-White 모델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
금융자산 |
1,483,122 |
|
자산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에 대한 공시 |
|
자산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신종자본증권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금리변동성 |
||
|
범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자산 |
0.0049 |
0.0106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공정가치 |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신종자본증권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
금리변동성 |
||
|
범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유의적이지만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자산 |
0.0047 |
0.0113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측정의 민감도분석 공시, 자산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측정의 민감도분석 공시,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
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372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43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증가율, 자산 |
0.1 |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감소율, 자산 |
0.1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
|
하나 이상의 투입변수가 동시에 변동되는 경우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감소), 자산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증가, 자산 |
493 |
|
당기손익(세후)으로 인식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고 대체할 수 있는 가정을 반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변동으로 인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감소, 자산 |
(524)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산출 방법에 대한 공시 |
|
|
금융상품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차입금 |
사채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은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동일하며 예치금은 변동이자율 예치금과초단기성인 익일 예치금이 대부분이므로 공정가치의 대용치로 장부금액을 사용하였습니다. |
대출채권의 공정가치는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과 차주의 신용위험 등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활성시장 가격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활성시장 가격이 유효하지 않은경우,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활성시장 가격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활성시장 가격이 유효하지 않은경우, 계약상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잔여위험을 고려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공정가치로 산출하였습니다.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16 |
2,984,674 |
623,535 |
3,608,22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151,143 |
3,837,298 |
488,756 |
4,477,197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자산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자산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13 |
3 |
0 |
16 |
0 |
0 |
2,986,764 |
2,986,764 |
0 |
0 |
623,535 |
623,535 |
3,610,315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할인율 |
할인율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151,140 |
3 |
0 |
151,143 |
0 |
0 |
3,814,558 |
3,814,558 |
0 |
0 |
488,756 |
488,756 |
4,454,457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할인율 |
할인율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의 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9,823 |
9,576,232 |
401,427 |
9,987,482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19,914 |
10,731,336 |
418,727 |
11,169,977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부채 |
|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부채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부채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9,849 |
0 |
9,849 |
0 |
9,689,012 |
0 |
9,689,012 |
0 |
0 |
401,427 |
401,427 |
10,100,288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할인율 |
할인율 |
할인율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측정 전체 |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부채, 공정가치 |
0 |
19,922 |
0 |
19,922 |
0 |
10,761,924 |
0 |
10,761,924 |
0 |
0 |
418,727 |
418,727 |
11,200,573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부채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현금흐름할인모형 |
||||||||||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할인율 |
할인율 |
할인율 |
||||||||||
4-3. 금융상품 위험 관리 - 범주별 금융상품
|
금융자산의 범주별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금융자산 |
3,632,919 |
16 |
2,984,674 |
623,53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금융자산 |
2,552,750 |
151,143 |
3,837,298 |
488,756 |
|
금융부채의 범주별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금융부채 |
9,823 |
9,576,232 |
401,427 |
9,987,482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
차입금 |
사채 |
기타금융부채 |
||
|
금융부채 |
19,914 |
10,731,336 |
418,727 |
11,169,977 |
5. 사용이 제한된 예치금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당좌개설보증금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3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
은행법 및 기타 관계법령 등에 따라 사용이 제한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당좌개설보증금 |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
3 |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
은행법 및 기타 관계법령 등에 따라 사용이 제한 |
6.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수익증권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125,504 |
42,566 |
2,168,070 |
1,123,711 |
341,138 |
1,464,849 |
3,632,919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
수익증권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원화 |
외화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023,281 |
46,347 |
1,069,628 |
1,114,676 |
368,446 |
1,483,122 |
2,552,750 |
7. 상각후원가 측정 대출채권 등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의 고객별 구성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고객 |
|||
|
기업대출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2,985,922 |
(1,248) |
2,984,674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에 대한 기술 |
운전자금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고객 |
|||
|
기업대출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3,838,903 |
(1,605) |
3,837,298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에 대한 기술 |
운전자금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에 대한 변동내역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초금융자산 |
3,838,903 |
0 |
0 |
(1,605) |
0 |
0 |
640,160 |
0 |
0 |
(261) |
0 |
0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357 |
0 |
0 |
11 |
0 |
0 |
||||||||||
|
발행 또는 매입에 따른 증가, 금융자산 |
370,000 |
0 |
0 |
0 |
0 |
0 |
||||||||||
|
회수에 따른 총 장부금액의 감소, 금융자산 |
(1,140,300) |
0 |
0 |
0 |
0 |
0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82,681) |
0 |
0 |
(16,359) |
0 |
0 |
||||||||||
|
기말금융자산 |
2,985,922 |
0 |
0 |
(1,248) |
0 |
0 |
623,801 |
0 |
0 |
(250) |
0 |
0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자회사 배당금 미수금 변동, 연결납세 미수금 변동, 미수수익 증가,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자회사 배당금 미수금 변동, 연결납세 미수금 변동, 미수수익 증가,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금융자산, 범주 |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총장부금액 |
손실충당금 |
|||||||||||||
|
기대신용손실 측정의 유형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
|
금융상품의 신용손상 |
||||||||||||||||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되지 않은 금융상품 |
신용이 손상된 금융상품 |
|
|
기초금융자산 |
4,052,900 |
0 |
0 |
(1,896) |
0 |
0 |
507,378 |
0 |
0 |
(185) |
0 |
0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측정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기대신용손실환(전)입, 금융자산 |
291 |
0 |
0 |
(76) |
0 |
0 |
||||||||||
|
발행 또는 매입에 따른 증가, 금융자산 |
180,000 |
0 |
0 |
0 |
0 |
0 |
||||||||||
|
회수에 따른 총 장부금액의 감소, 금융자산 |
(615,000) |
0 |
0 |
0 |
0 |
0 |
||||||||||
|
외화환산과 그 밖의 변동에 따른 증가(감소) 합계, 금융자산 |
221,003 |
0 |
0 |
132,782 |
0 |
0 |
||||||||||
|
기말금융자산 |
3,838,903 |
0 |
0 |
(1,605) |
0 |
0 |
640,160 |
0 |
0 |
(261) |
0 |
0 |
||||
|
기타 변동액에 대한 기술 |
기타 변동액은 자회사 배당금 미수금 변동, 연결납세 미수금 변동, 미수수익 증가,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기타 변동액은 자회사 배당금 미수금 변동, 연결납세 미수금 변동, 미수수익 증가,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8.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9.10. 차입부채 및 사채
|
차입금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차입금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
|---|---|---|---|---|---|---|---|
|
원화 |
|||||||
|
거래상대방 |
거래상대방 합계 |
||||||
|
DB금융투자 |
교보증권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만기 |
2025-01-31 |
2026-01-30 |
|||||
|
차입금, 이자율 |
0.0301 |
||||||
|
금융기관 차입금(사채 제외) |
9,823 |
9,823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
|---|---|---|---|---|---|---|---|
|
원화 |
|||||||
|
거래상대방 |
거래상대방 합계 |
||||||
|
DB금융투자 |
교보증권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만기 |
2024-02-01 |
2025-01-30 |
2024-10-11 |
2025-02-26 |
|||
|
차입금, 이자율 |
0.0371 |
0.0354 |
|||||
|
금융기관 차입금(사채 제외) |
9,969 |
9,945 |
19,914 |
||||
|
사채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
원화 |
외화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이자율 |
0.0140 |
0.0617 |
0.0137 |
0.0506 |
|||||||||||
|
사채, 명목금액 |
8,230,000 |
8,230,000 |
1,356,400 |
1,356,400 |
9,586,400 |
||||||||||
|
사채할인발행차금 |
(6,557) |
(3,611) |
(10,168) |
||||||||||||
|
사채 |
8,223,443 |
1,352,789 |
9,576,232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
원화 |
외화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일반사채 |
후순위사채 |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
차입금, 이자율 |
0.0140 |
0.0617 |
0.0137 |
0.0506 |
0.0334 |
||||||||||
|
사채, 명목금액 |
8,540,000 |
8,540,000 |
1,470,000 |
735,000 |
2,205,000 |
10,745,000 |
|||||||||
|
사채할인발행차금 |
(6,551) |
(7,113) |
(13,664) |
||||||||||||
|
사채 |
8,533,449 |
2,197,887 |
10,731,336 |
||||||||||||
11. 확정급여제도 자산 및 부채
|
순확정급여부채(자산)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합계 |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30,753 |
(28,230) |
2,523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합계 |
|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23,895 |
(29,517) |
(5,622) |
|
확정급여제도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당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602 |
1,044 |
|
순이자비용(수익), 확정급여제도 |
(32) |
(121) |
|
퇴직급여비용 합계, 확정급여제도 |
570 |
923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당기근무원가, 확정급여제도 |
387 |
884 |
|
순이자비용(수익), 확정급여제도 |
(152) |
(177) |
|
퇴직급여비용 합계, 확정급여제도 |
235 |
707 |
12-1. 자본
|
자본의 내역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자본금 |
2,969,641 |
|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
2,695,586 |
|
우선주자본금 |
274,055 |
|
|
신종자본증권 |
4,799,501 |
|
|
자본잉여금 |
11,350,744 |
|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
11,350,744 |
|
자본조정 |
(46,045)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375) |
|
|
이익잉여금 |
8,638,919 |
|
|
이익잉여금 |
이익준비금 |
2,969,641 |
|
대손준비금 |
20,462 |
|
|
손해배상책임준비금 |
2,000 |
|
|
미처분이익잉여금 |
5,646,816 |
|
|
자본 |
27,701,385 |
|
|
자본금에 대한 기술 |
이익 소각으로 인하여 자본금은 발행주식의 액면총액과 상이합니다. |
|
|
이익준비금에 대한 기술 |
이익준비금은 법령 등에 의하여 이익배당이 제한되어 있는 사용이 제한된 이익잉여금으로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제53조의 규정에 따라 이익준비금이 자본금의 총액에 달할 때까지 결산순이익금을 배당할 때마다 그 순이익금의 100분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으며, 동 적립금은 결손보전과 자본전입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자본금 |
2,969,641 |
|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
2,695,586 |
|
우선주자본금 |
274,055 |
|
|
신종자본증권 |
4,600,121 |
|
|
자본잉여금 |
11,350,744 |
|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
11,350,744 |
|
자본조정 |
(296,024)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9,307) |
|
|
이익잉여금 |
7,733,000 |
|
|
이익잉여금 |
이익준비금 |
2,865,461 |
|
대손준비금 |
20,656 |
|
|
손해배상책임준비금 |
2,000 |
|
|
미처분이익잉여금 |
4,844,883 |
|
|
자본 |
26,348,175 |
|
|
자본금에 대한 기술 |
이익 소각으로 인하여 자본금은 발행주식의 액면총액과 상이합니다. |
|
|
이익준비금에 대한 기술 |
이익준비금은 법령 등에 의하여 이익배당이 제한되어 있는 사용이 제한된 이익잉여금으로서,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법 제53조의 규정에 따라 이익준비금이 자본금의 총액에 달할 때까지 결산순이익금을 배당할 때마다 그 순이익금의 100분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으며, 동 적립금은 결손보전과 자본전입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원화신종자본증권1 |
원화신종자본증권2 |
원화신종자본증권3 |
원화신종자본증권4 |
원화신종자본증권5 |
원화신종자본증권6 |
원화신종자본증권7 |
원화신종자본증권8 |
원화신종자본증권9 |
원화신종자본증권10 |
원화신종자본증권11 |
원화신종자본증권12 |
원화신종자본증권13 |
원화신종자본증권14 |
원화신종자본증권15 |
외화신종자본증권1 |
||
|
발행일, 신종자본증권 |
2015-06-25 |
2017-09-15 |
2018-04-13 |
2020-09-17 |
2021-03-16 |
2021-03-16 |
2022-01-25 |
2022-01-25 |
2022-08-26 |
2022-08-26 |
2023-01-30 |
2023-07-13 |
2024-01-31 |
2024-09-12 |
2025-02-13 |
2021-05-12 |
|
|
만기일, 신종자본증권 |
2045-06-25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영구채 |
|
|
이자율, 신종자본증권 |
0.0438 |
0.0425 |
0.0456 |
0.0312 |
0.0294 |
0.0330 |
0.0390 |
0.0400 |
0.0493 |
0.0515 |
0.0514 |
0.0540 |
0.0449 |
0.0400 |
0.0390 |
0.0288 |
|
|
신종자본증권 |
0 |
89,783 |
14,955 |
448,699 |
429,009 |
169,581 |
560,438 |
37,853 |
343,026 |
55,803 |
398,831 |
498,815 |
398,833 |
399,033 |
398,835 |
556,007 |
4,799,501 |
|
신종자본증권 관련 자본에서 차감된 비용 |
1,165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기술 |
상기 신종자본증권은 발행일 이후 5년 또는 10년이 지난 후 당사가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영구채이거나 만기일에 동일한 조건으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 |
|||||||||||||||||
|---|---|---|---|---|---|---|---|---|---|---|---|---|---|---|---|---|---|
|
신종자본증권 |
|||||||||||||||||
|
통화별 금융상품 |
통화별 금융상품 합계 |
||||||||||||||||
|
원화 |
외화 |
||||||||||||||||
|
원화신종자본증권1 |
원화신종자본증권2 |
원화신종자본증권3 |
원화신종자본증권4 |
원화신종자본증권5 |
원화신종자본증권6 |
원화신종자본증권7 |
원화신종자본증권8 |
원화신종자본증권9 |
원화신종자본증권10 |
원화신종자본증권11 |
원화신종자본증권12 |
원화신종자본증권13 |
원화신종자본증권14 |
원화신종자본증권15 |
외화신종자본증권1 |
||
|
발행일, 신종자본증권 |
|||||||||||||||||
|
만기일, 신종자본증권 |
|||||||||||||||||
|
이자율, 신종자본증권 |
|||||||||||||||||
|
신종자본증권 |
199,455 |
89,783 |
14,955 |
448,699 |
429,009 |
169,581 |
560,438 |
37,853 |
343,026 |
55,803 |
398,831 |
498,815 |
398,833 |
399,033 |
0 |
556,007 |
4,600,121 |
|
신종자본증권 관련 자본에서 차감된 비용 |
|||||||||||||||||
|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기술 |
상기 신종자본증권은 발행일 이후 5년 또는 10년이 지난 후 당사가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영구채이거나 만기일에 동일한 조건으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
|
자본조정의 변동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조정 |
|
|---|---|
|
기초 자본조정 |
(296,024)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524 |
|
신종자본증권상환 |
(545) |
|
자기주식의 취득 |
(650,000) |
|
자기주식의 처분 |
0 |
|
자기주식 소각 |
900,000 |
|
기말 자본조정 |
(46,04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자본조정 |
|
|---|---|
|
기초 자본조정 |
(148,464) |
|
신종자본증권 상환손실 이익잉여금 대체 |
102,667 |
|
신종자본증권상환 |
(524) |
|
자기주식의 취득 |
(700,300) |
|
자기주식의 처분 |
297 |
|
자기주식 소각 |
450,300 |
|
기말 자본조정 |
(296,024) |
|
자기주식의 증감내역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식 수, 자기주식 |
||
|
주식 수,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수 |
4,585,561 |
|
취득, 자기주식수 |
13,364,831 |
|
|
처분, 자기주식수 |
0 |
|
|
소각, 자기주식수 |
(17,950,391) |
|
|
기말 자기주식수 |
1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 |
250,000 |
|
자기주식의 취득 |
650,000 |
|
|
자기주식의 처분 |
0 |
|
|
자기주식 소각 |
(900,000) |
|
|
기말 자기주식 |
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식 수, 자기주식 |
||
|
주식 수,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수 |
6,352 |
|
취득, 자기주식수 |
13,899,708 |
|
|
처분, 자기주식수 |
(6,353) |
|
|
소각, 자기주식수 |
(9,314,146) |
|
|
기말 자기주식수 |
4,585,561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
|
장부금액, 자기주식 |
기초 자기주식 |
227 |
|
자기주식의 취득 |
700,300 |
|
|
자기주식의 처분 |
(227) |
|
|
자기주식 소각 |
(450,300) |
|
|
기말 자기주식 |
250,000 |
|
|
자기주식 소각에 대한 세부 정보 공시 |
|
|
당반기말 |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자기주식 |
||
|
자기주식1 |
자기주식2 |
|
|
소각일, 자기주식수 |
2025년 04월 29일 |
2025년 06월 26일 |
|
소각, 자기주식수 |
7,603,260 |
10,347,131 |
|
전기말 |
|
자본 |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
|
자기주식 |
||
|
자기주식1 |
자기주식2 |
|
|
소각일, 자기주식수 |
2024년 03월 22일 |
2024년 11월 01일 |
|
소각, 자기주식수 |
3,366,257 |
5,947,889 |
|
자본을 구성하는 적립금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
|
기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9,307)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전기타포괄손익) |
(2,810) |
|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법인세 합계 |
742 |
|
기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375)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
|
기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642)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전기타포괄손익) |
(3,621) |
|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법인세 합계 |
956 |
|
기말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9,307) |
12-2. 자본 - 대손준비금
|
대손준비금 잔액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대손준비금에 대한 기술 |
당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독규정상 대손충당금 최저적립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을 매 결산 시 대손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
|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
20,462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
(4,018)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반영 후 대손준비금 잔액 |
16,444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대손준비금에 대한 기술 |
당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독규정상 대손충당금 최저적립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을 매 결산 시 대손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
|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
20,656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
(194) |
|
대손준비금 적립(환입)예정액 반영 후 대손준비금 잔액 |
20,462 |
|
대손준비금 적립 필요액 및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 등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반기순이익(손실) |
2,451,570 |
|
대손준비금 조정 |
4,018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손실) |
2,455,588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 |
4,795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에 대한 기술 |
신종자본증권배당 금액이 차감되어 있습니다.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반기순이익(손실) |
1,736,881 |
|
대손준비금 조정 |
2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손실) |
1,736,883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 |
3,238 |
|
대손준비금 반영후 주당 조정이익(손실)에 대한 기술 |
신종자본증권배당 금액이 차감되어 있습니다. |
13. 순이자손익
|
순이자손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비용) |
(60,391) |
(122,128) |
||
|
이자수익(비용) |
이자수익 |
19,645 |
41,226 |
|
|
이자수익 |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999 |
2,869 |
|
|
상각후원가 측정 대출채권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18,492 |
38,056 |
||
|
기타 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154 |
301 |
||
|
이자비용 |
(80,036) |
(163,354) |
||
|
이자비용 |
차입금 이자비용 |
(166) |
(300) |
|
|
사채 이자비용 |
(79,861) |
(163,037) |
||
|
기타 금융부채 이자비용 |
(9) |
(17)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이자수익(비용) |
(57,947) |
(114,007) |
||
|
이자수익(비용) |
이자수익 |
25,572 |
50,822 |
|
|
이자수익 |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1,409 |
1,531 |
|
|
상각후원가 측정 대출채권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24,053 |
48,633 |
||
|
기타 금융자산으로부터의 이자수익 |
110 |
658 |
||
|
이자비용 |
(83,519) |
(164,829) |
||
|
이자비용 |
차입금 이자비용 |
(761) |
(3,076) |
|
|
사채 이자비용 |
(82,739) |
(161,714) |
||
|
기타 금융부채 이자비용 |
(19) |
(39) |
||
14. 순수수료손익
|
순수수료손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순수수료손익 |
17,327 |
34,939 |
|||
|
순수수료손익 |
수수료수익 |
||||
|
수수료수익 |
총수수료수익 |
17,760 |
35,519 |
||
|
총수수료수익 |
브랜드수수료 |
17,760 |
35,519 |
||
|
기타 수수료 수익 |
0 |
0 |
|||
|
수수료비용 |
|||||
|
수수료비용 |
총수수료비용 |
(433) |
(580) |
||
|
총수수료비용 |
기타수수료비용 |
(433) |
(580)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순수수료손익 |
17,987 |
35,335 |
|||
|
순수수료손익 |
수수료수익 |
||||
|
수수료수익 |
총수수료수익 |
18,147 |
35,528 |
||
|
총수수료수익 |
브랜드수수료 |
18,144 |
35,519 |
||
|
기타 수수료 수익 |
3 |
9 |
|||
|
수수료비용 |
|||||
|
수수료비용 |
총수수료비용 |
(160) |
(193) |
||
|
총수수료비용 |
기타수수료비용 |
(160) |
(193) |
||
15. 배당수익
|
배당수익에 대한 공시 |
|
배당수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종속기업 배당수익 |
0 |
2,545,456 |
|
신종자본증권 배당수익 |
14,620 |
29,215 |
|
배당금수익 |
14,620 |
2,574,671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종속기업 배당수익 |
0 |
1,821,424 |
|
신종자본증권 배당수익 |
13,273 |
26,018 |
|
배당금수익 |
13,273 |
1,847,442 |
16. 신용손실충당금 전입(환입)액
|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및 환입액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신용손실충당금 전입(환입)액 |
(295) |
(368)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신용손실충당금 전입(환입)액 |
(39) |
35 |
17. 일반관리비
|
성격별 비용의 기능별 배분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일반관리비 |
38,365 |
68,052 |
||
|
일반관리비 |
종업원 급여 |
15,794 |
26,978 |
|
|
종업원 급여 |
급여 및 상여 |
15,224 |
26,055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570 |
923 |
||
|
임차료 |
605 |
1,106 |
||
|
리스료 |
26 |
63 |
||
|
접대비 |
452 |
840 |
||
|
감가상각비 |
834 |
1,666 |
||
|
무형자산상각비 |
233 |
444 |
||
|
세금과공과 |
198 |
537 |
||
|
광고선전비 |
12,410 |
21,943 |
||
|
기타의 관리비 |
7,813 |
14,475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기능별 항목 |
||||
|---|---|---|---|---|
|
일반관리비 |
||||
|
3개월 |
누적 |
|||
|
일반관리비 |
35,641 |
68,333 |
||
|
일반관리비 |
종업원 급여 |
10,975 |
23,129 |
|
|
종업원 급여 |
급여 및 상여 |
10,740 |
22,422 |
|
|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퇴직급여비용 합계 |
235 |
707 |
||
|
임차료 |
478 |
934 |
||
|
리스료 |
58 |
124 |
||
|
접대비 |
463 |
906 |
||
|
감가상각비 |
1,147 |
2,247 |
||
|
무형자산상각비 |
141 |
276 |
||
|
세금과공과 |
193 |
476 |
||
|
광고선전비 |
13,824 |
27,195 |
||
|
기타의 관리비 |
8,362 |
13,046 |
||
18. 주식기준보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조건에 대한 공시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운영기간 |
||
|
운영기간 종료 |
운영기간 미종료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결제방식에 대한 기술 |
현금결제형 |
현금결제형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가득조건에 대한 기술 |
상대주가연동(20.0%) 및 경영지표연동(80.0%) |
상대주가연동(20.0%) 및 경영지표연동(80.0%) |
|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따라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최장만기에 대한 기술 |
부여일이 속한 연도의 개시일로부터 4년까지로 함 |
부여일이 속한 연도의 개시일로부터 4년까지로 함 |
|
주식기준보상약정 중 존속하는 주식선택권의 수량 |
193,735 |
2,396,581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조건에 대한 공시, 공정가치 |
|
|
(단위 : 원)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운영기간 |
||||||
|
운영기간 종료 |
운영기간 미종료 |
|||||
|
2020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1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2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3년말 운영기간 종료 |
2024년말 운영기간 종료 |
||
|
측정기준일 현재 공정가치의 가중평균, 부여한 주식선택권 |
33,122 |
37,387 |
37,081 |
38,156 |
50,444 |
61,400 |
|
주식기준보상으로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 또는 부여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의 결정에 대한 설명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에 따라 부여연도 개시일 기준 4년 후의 기준주가(기준일 전일로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과거 1주간 거래량 가중평균주가의 산술평균)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바, 향후 지급할 기준주가의 공정가치를 매결산시점 종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주식보상비용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종업원 주식기준보상거래로부터의 비용 |
4,475 |
36,262 |
40,737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종업원 주식기준보상거래로부터의 비용 |
3,229 |
25,753 |
28,982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미지급비용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부채 |
16,034 |
138,616 |
154,650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자산에 대한 기술 |
당사가 종속기업 임직원에게 지급할 금액으로서 종속기업으로부터 보전 받을 금액 138,616백만원을 미수금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
성과연동형 주식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
주식기준보상약정의 부여대상 합계 |
||
|
지배기업 임직원 |
종속기업 임직원 |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부채 |
16,396 |
135,356 |
151,752 |
|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하여 인식한 자산에 대한 기술 |
당사가 종속기업 임직원에게 지급할 금액으로서 종속기업으로부터 보전 받을 금액 135,356백만원을 미수금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
19. 법인세
|
법인세비용(수익)의 주요 구성요소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 법인세 부담액 |
0 |
936 |
|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
(2,322) |
(1,666) |
|
자본에 직접 가감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 |
742 |
742 |
|
법인세비용(수익) |
(1,580) |
12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당기 법인세 부담액 |
(3) |
(3) |
|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
711 |
2,231 |
|
자본에 직접 가감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 |
551 |
551 |
|
법인세비용(수익) |
1,259 |
2,779 |
|
글로벌최저한세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공시금액 |
|
|---|---|
|
글로벌최저한세에 대한 기술 |
글로벌 최저한세 적용에 따라 당반기에 인식한 당반기 법인세비용은 936백만원입니다.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의 이연법인세에 대한 일시적인 예외규정을 적용하여, 글로벌 최저한세 법률과 관련된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를 인식하지 않고 있습니다. |
|
글로벌최저한세에 의해 인식한 당기법인세비용 |
936 |
20. 주당이익
|
주당이익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 |
||
|---|---|---|
|
보통주 |
||
|
3개월 |
누적 |
|
|
반기순이익(손실) |
(47,711) |
2,451,570 |
|
신종자본증권배당 |
(56,543) |
(99,133) |
|
보통주에 귀속되는 반기순이익(손실) |
(104,254) |
2,352,437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487,414,572 |
491,479,027 |
|
기본주당이익(손실) |
(214) |
4,786 |
|
희석주당이익(손실) |
(214) |
4,786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주식 |
||
|---|---|---|
|
보통주 |
||
|
3개월 |
누적 |
|
|
반기순이익(손실) |
(36,290) |
1,736,881 |
|
신종자본증권배당 |
(50,070) |
(85,806) |
|
보통주에 귀속되는 반기순이익(손실) |
(86,360) |
1,651,075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08,306,029 |
509,942,342 |
|
기본주당이익(손실) |
(170) |
3,238 |
|
희석주당이익(손실) |
(170) |
3,238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을 위한 분모의 조정에 대한 공시 |
|
|
보통주 |
우선주 |
|
|---|---|---|
|
총 발행주식수 |
485,494,934 |
0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을 위한 분모의 조정에 대한 기술 |
당사가 발행한 보통주식수는 당반기말 현재 485,494,934주이며, 가중평균유통주식수는 당반기 및 전기 중 취득 후 소각한 자기주식 변동 등을 반영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당사가 발행하였던 전환상환우선주 등은 전기 중 모두 이익으로 상환하여 우선주자본금은 존재하나 우선주 주식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21. 영업수익
|
영업수익에 대한 공시 |
|
영업수익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배당수익 |
14,620 |
2,574,671 |
|
수수료수익 |
17,760 |
35,519 |
|
이자수익 |
19,645 |
41,226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18,925 |
36,222 |
|
외화거래이익 |
110,496 |
115,071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295 |
368 |
|
영업수익 |
181,741 |
2,803,077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장부금액 |
||
|---|---|---|
|
공시금액 |
||
|
3개월 |
누적 |
|
|
배당수익 |
13,273 |
1,847,442 |
|
수수료수익 |
18,147 |
35,528 |
|
이자수익 |
25,572 |
50,82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이익 |
28,807 |
44,183 |
|
외화거래이익 |
63,685 |
149,615 |
|
신용손실충당금 환입액 |
0 |
0 |
|
영업수익 |
149,484 |
2,127,590 |
22. 우발 및 약정사항
|
약정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약정의 유형 |
약정의 유형 합계 |
|||
|---|---|---|---|---|
|
대출약정 |
||||
|
KDB산업은행 |
KB국민은행 |
하나은행 |
||
|
총 대출약정금액 |
100,000 |
200,000 |
200,000 |
500,000 |
|
실행잔액 |
0 |
0 |
0 |
0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약정의 유형 |
약정의 유형 합계 |
|||
|---|---|---|---|---|
|
대출약정 |
||||
|
KDB산업은행 |
KB국민은행 |
하나은행 |
||
|
총 대출약정금액 |
100,000 |
200,000 |
200,000 |
500,000 |
|
실행잔액 |
0 |
0 |
0 |
0 |
23.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상 현금 및 현금성자산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현금성자산으로 분류된 단기예금 |
1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3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현금성자산으로 분류된 단기예금 |
151,20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51,203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조정에 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차입금 |
사채 |
리스 부채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합계 |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19,914 |
10,731,336 |
843 |
10,752,093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10,300) |
(1,046,636) |
(351) |
(1,057,287) |
|
이자비용,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209 |
3,546 |
17 |
3,772 |
|
|
환율변동효과,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0 |
(114,287) |
0 |
(114,287) |
|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0 |
2,273 |
660 |
2,933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9,823 |
9,576,232 |
1,169 |
9,587,224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차입금 |
사채 |
리스 부채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합계 |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223,722 |
10,389,276 |
1,933 |
10,614,931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205,550) |
108,339 |
(793) |
(98,004) |
|
이자비용,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1,509 |
2,624 |
39 |
4,172 |
|
|
환율변동효과,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0 |
149,044 |
0 |
149,044 |
|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0 |
0 |
473 |
473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19,681 |
10,649,283 |
1,652 |
10,670,616 |
|
24. 특수관계자 거래
|
특수관계자거래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신한캐피탈 |
제주은행 |
신한자산운용 |
신한디에스 |
신한펀드파트너스 |
신한저축은행 |
신한리츠운용 |
신한자산신탁 |
신한벤처투자 |
||
|
이자수익 |
301 |
18,153 |
9,658 |
6,282 |
157 |
1,268 |
1,869 |
979 |
38,667 |
|||||
|
수수료수익 |
23,221 |
6,670 |
1,762 |
2,440 |
997 |
20 |
82 |
8 |
52 |
161 |
38 |
48 |
20 |
35,519 |
|
배당수익 |
1,662,952 |
301,977 |
95,182 |
378,307 |
33,587 |
2,420 |
79,200 |
7,669 |
10,000 |
3,377 |
2,574,671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충당금환입 |
205 |
81 |
1 |
49 |
2 |
1 |
22 |
361 |
||||||
|
이자비용 |
0 |
1 |
82 |
110 |
193 |
|||||||||
|
기타일반관리비 |
657 |
28 |
3 |
1,068 |
1,756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상각비 |
57 |
0 |
0 |
0 |
0 |
0 |
0 |
57 |
||||||
|
수수료비용 |
150 |
150 |
||||||||||||
|
특수관계자거래에 대한 기술 |
수수료비용은 당사가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인수수수료이며, 자본에서 직접 차감된 자본거래비용입니다. |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종속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을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당사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거래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의 내역은 '주석 8'을 참조바랍니다. |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신한캐피탈 |
제주은행 |
신한자산운용 |
신한디에스 |
신한펀드파트너스 |
신한저축은행 |
신한리츠운용 |
신한자산신탁 |
신한벤처투자 |
||
|
이자수익 |
200 |
27,973 |
10,503 |
6,665 |
206 |
1,338 |
1,002 |
1,220 |
49,107 |
|||||
|
수수료수익 |
23,221 |
6,670 |
1,762 |
2,440 |
997 |
20 |
82 |
11 |
52 |
167 |
38 |
48 |
20 |
35,528 |
|
배당수익 |
1,196,396 |
326,306 |
45,666 |
165,338 |
80,334 |
2,420 |
24,400 |
6,083 |
0 |
499 |
1,847,442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충당금환입 |
88 |
0 |
0 |
27 |
4 |
119 |
||||||||
|
이자비용 |
18 |
2 |
83 |
435 |
538 |
|||||||||
|
기타일반관리비 |
1,206 |
33 |
3 |
914 |
2,156 |
|||||||||
|
특수관계자 채권에 대하여 당해 기간 중 인식된 대손상각비 |
1 |
27 |
1 |
9 |
1 |
43 |
1 |
83 |
||||||
|
수수료비용 |
470 |
470 |
||||||||||||
|
특수관계자거래에 대한 기술 |
수수료비용은 당사가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인수수수료이며, 자본에서 직접 차감된 자본거래비용입니다. |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에 따라 종속기업, 주요 경영진 및 그 가족을 특수관계자의 범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당사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거래금액 및 채권ㆍ채무잔액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의 내역은 '주석 8'을 참조바랍니다. |
||||||||||||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 잔액에 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신한캐피탈 |
신한자산운용 |
제주은행 |
신한디에스 |
신한펀드파트너스 |
신한저축은행 |
신한자산신탁 |
신한리츠운용 |
신한벤처투자 |
신한EZ손해보험 |
||
|
현금및예치금, 특수관계자거래 |
16 |
16 |
|||||||||||||
|
유형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306 |
72 |
150 |
528 |
|||||||||||
|
무형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106 |
106 |
|||||||||||||
|
기타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415,871 |
105,444 |
21,409 |
13,896 |
26,641 |
11,313 |
2,603 |
1,644 |
3,822 |
9,197 |
3,288 |
1,968 |
1,258 |
238 |
618,59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신종자본증권 매입 장부금액), 특수관계자거래 |
723,130 |
341,138 |
247,956 |
152,625 |
1,464,849 |
||||||||||
|
대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360,692 |
674,131 |
681,280 |
9,820 |
100,000 |
100,000 |
60,000 |
2,985,923 |
|||||||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 잔액에 대하여 설정된 대손충당금 |
(569) |
(282) |
(285) |
(4) |
(42) |
(42) |
(25) |
(1,249) |
|||||||
|
기타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679 |
408 |
57,926 |
115,606 |
25 |
3 |
21 |
2 |
1 |
175,671 |
|||||
|
원화사채, 특수관계자거래 |
0 |
0 |
0 |
||||||||||||
|
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5,068,765 |
||||||||||||||
|
채무, 특수관계자거래 |
175,671 |
||||||||||||||
|
신종자본증권에서 발생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4,639 |
1,165 |
2,120 |
1,900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신한캐피탈 |
신한자산운용 |
제주은행 |
신한디에스 |
신한펀드파트너스 |
신한저축은행 |
신한자산신탁 |
신한리츠운용 |
신한벤처투자 |
신한EZ손해보험 |
||
|
현금및예치금, 특수관계자거래 |
12 |
12 |
|||||||||||||
|
유형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0 |
101 |
235 |
336 |
|||||||||||
|
무형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112 |
112 |
|||||||||||||
|
기타자산, 특수관계자거래 |
270,791 |
105,040 |
27,406 |
16,704 |
20,470 |
15,400 |
3,421 |
3,296 |
4,293 |
11,826 |
3,160 |
2,531 |
2,410 |
167 |
486,915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신종자본증권 매입 장부금액), 특수관계자거래 |
718,491 |
368,446 |
245,460 |
150,725 |
1,483,122 |
||||||||||
|
대출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1,852,100 |
862,890 |
804,000 |
9,969 |
150,000 |
100,000 |
59,944 |
3,838,903 |
|||||||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 잔액에 대하여 설정된 대손충당금 |
(774) |
(361) |
(336) |
(4) |
(63) |
(42) |
(25) |
(1,605) |
|||||||
|
기타부채, 특수관계자거래 |
1,103 |
643 |
91,463 |
82,649 |
14 |
0 |
43 |
0 |
0 |
175,915 |
|||||
|
원화사채, 특수관계자거래 |
0 |
30,000 |
30,000 |
||||||||||||
|
채권, 특수관계자거래 |
5,807,795 |
||||||||||||||
|
채무, 특수관계자거래 |
205,915 |
||||||||||||||
|
신종자본증권에서 발생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18,704 |
8,541 |
10,330 |
725 |
|||||||||||
|
특수관계자 리스거래에 관한 공시 |
|
특수관계자 리스거래에 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
|
사용권자산 |
306 |
72 |
|
리스부채 |
79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은행 |
신한카드 |
|
|
사용권자산 |
0 |
101 |
|
리스부채 |
109 |
|
|
특수관계자 자금거래에 관한 공시 |
|
|
당반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캐피탈 |
신한자산신탁 |
신한저축은행 |
신한디에스 |
신한벤처투자 |
||
|
기초 대여거래 |
2,570,590 |
1,231,335 |
1,049,461 |
250,725 |
150,000 |
9,970 |
59,944 |
5,322,025 |
|
대여거래, 대여 |
200,000 |
0 |
100,000 |
0 |
0 |
10,000 |
60,000 |
370,000 |
|
종속기업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매입 |
0 |
0 |
100,000 |
0 |
0 |
0 |
0 |
100,000 |
|
대여거래, 회수 |
(688,000) |
(132,300) |
(300,000) |
0 |
(50,000) |
(10,000) |
(60,000) |
(1,240,300) |
|
대여거래, 기타 |
1,231 |
(83,767) |
(20,224) |
1,900 |
0 |
(148) |
56 |
(100,952) |
|
기말 대여거래 |
2,083,821 |
1,015,268 |
929,237 |
252,625 |
100,000 |
9,822 |
60,000 |
4,450,773 |
|
기타 변동에 대한 기술, 특수관계자 |
기타 자금거래는 금융자산 평가 및 외화환산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전기말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신한캐피탈 |
신한자산신탁 |
신한저축은행 |
신한디에스 |
신한벤처투자 |
||
|
기초 대여거래 |
2,933,452 |
1,072,565 |
1,073,011 |
0 |
150,000 |
14,949 |
59,528 |
5,303,505 |
|
대여거래, 대여 |
0 |
0 |
0 |
100,000 |
0 |
10,000 |
70,000 |
180,000 |
|
종속기업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매입 |
0 |
0 |
0 |
150,000 |
0 |
0 |
0 |
150,000 |
|
대여거래, 회수 |
(460,000) |
0 |
(70,000) |
0 |
0 |
(15,000) |
(70,000) |
(615,000) |
|
대여거래, 기타 |
97,138 |
158,770 |
46,450 |
725 |
0 |
21 |
416 |
303,520 |
|
기말 대여거래 |
2,570,590 |
1,231,335 |
1,049,461 |
250,725 |
150,000 |
9,970 |
59,944 |
5,322,025 |
|
기타 변동에 대한 기술, 특수관계자 |
기타 자금거래는 금융자산 평가 및 외화환산 등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의 내역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기종업원급여 |
2,219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퇴직급여 |
63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식기준보상 |
2,313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
4,595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기술, 주식기준보상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공시금액 |
|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기종업원급여 |
2,332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퇴직급여 |
64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식기준보상 |
1,800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
4,196 |
|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기술, 주식기준보상 |
상기 주식기준보상비용은 가득기간 중인 주식기준보상약정에 대한 비용입니다. |
|
특수관계자 약정 등에 관한 공시 |
|
특수관계자 약정 등에 관한 공시 |
|
|
당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
|
발행한 사채 및 신종자본증권의 인수 |
155,000 |
|
|
약정 잔액 |
15,000 |
|
|
약정에 대한 설명 |
당반기말 현재 종속기업인 신한카드에게 제공받은 신용카드 사용한도약정금액은 15,000백만원 입니다. |
당사가 발행한 사채 및 신종자본증권을 당사의 종속기업인 신한투자증권이 인수한 금액은 1,550억원 입니다. |
|
전반기 |
(단위 : 백만원) |
|
전체 특수관계자 |
||
|---|---|---|
|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
신한카드 |
신한투자증권 |
|
|
발행한 사채 및 신종자본증권의 인수 |
135,000 |
|
|
약정 잔액 |
||
|
약정에 대한 설명 |
당사가 발행한 사채 및 신종자본증권을 당사의 종속기업인 신한투자증권이 인수한 금액은 1,350억원 입니다. |
|
25. 보고기간 후 사건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에 대한 공시 |
|
|
(단위 : 백만원) |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 |
||
|---|---|---|
|
주요한 보통주 거래 |
||
|
분기배당의 결의 |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 |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후사건의 성격에 대한 기술 |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결의에서 보통주에 대해 주당 570원의 분기배당을 지급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배당금 총액은 276,732백만원이며, 배당기준일은 2025년 8월 1일 입니다. |
주주가치제고를 위해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에서 8,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결의하였습니다. 8,000억원 중 약 6,000억원은 2025년 12월31일까지 취득 예정이며, 나머지 약 2,000억원은 2026년 1분기 내 취득 예정입니다. |
|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제안 또는 선언되었으나 당해 기간 동안에 소유주에 대한 분배금으로 인식되지 아니한 주당배당금 |
570 |
|
|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제안 또는 선언되었으나 당해 기간 동안에 소유주에 대한 분배금으로 인식되지 아니한 배당금 |
276,732 |
|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가. 주주환원 및 자본정책
당사는 2024년 7월 26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하여 2027년을 달성 기한으로 아래의 핵심 목표를 설정한 바 있습니다.① CET1비율 13% 이상을 기반으로 ROE 10%, ROTCE 11.5% 달성② 주주환원율 50% 수준으로 확대③ 주식수를 2024년말 5억주 미만으로, 2027년말 450백만주까지 감축함으로써 주당가치 (TBPS, 유형자본에 대한 주당가치) 제고
2024년 이행 평가 및 진단 결과, 비은행업 손익 감소로 ROEㆍROTCE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시장 변동성에도 CET1비율은 13%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일관된 주주환원 정책 추진으로 주주환원율을 40.2%로 확대하였고, 주식수를 5억주 미만으로 감축하였습니다.- 2024년 재무실적 : ROE 8.4%, ROTCE 9.6%, CET1비율 13.06%, 주주환원율 40.2%, 주식수 499백만주, TBPS 100,096원이행 점검을 통해 당사의 목표 수준을 점검한 결과, 기존에 설정한 2027년 목표를 유지하되 2025년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본격 이행을 위하여 2025년 4월 25일 당사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아래의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2025년 계획 : ROE +50bp 개선, CET1비율 13.1% 이상, 주주환원율 42% 이상또한, 당사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기존 실행 방법론을 유지하며, 아래의 핵심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① 비은행 구조적 개선과 은행의 견고한 성장 통한 ROE 제고② 자산의 효율적 관리 통한 자본여력 확보③ 자사주 소각 중심의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 추진 향후 이행 평가 점검 및 변경등에 대해서 이사회 논의 및 보고/결의를 거쳐 커뮤니케이션할 예정이며, 당사의 기업가치제고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5년 4월 25일 공시한 기업가치제고계획(자율공시)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당사의 2025년 분기별 배당기준일 및 현금배당 지급(예정)일자는 다음과 같습니다.2025년 1분기 배당기준일/지급예정일 - 2025년 5월2일/2025년 5월 30일2025년 2분기 배당기준일/지급예정일 - 2025년 8월1일/2025년 8월 29일2025년 3분기 배당기준일/지급예정일 - 2025년 11월4일/2025년 11월 28일 (2025년 3분기 배당금은 3분기 배당 기준일 이전에 개최되는 별도 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며, 2025년 분기별 배당지급예정일은 관련기관과의 협의 중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주환원 정책 및 방향성은 공시 및 실적발표자료 등을 통해 안내되고 있습니다. 나. 2024년 및 2025년 배당지급 현황 등 2024년 연간 배당금은 2,160원(분기배당 포함)으로 연중 취득/소각 완료한 자사주 7천억원을 포함한 총주주환원율은 전년 대비 4.2%p 증가한 40.2%를 달성하였습니다.당사는 20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투자자들의 배당 예측 가능성 제고를 위해 2025년1분기/2분기/3분기 배당 기준일을 미리 결정하였으며, 2025년 4월 25일 이사회와 7월 25일 이사회에서 2025년 1분기와 2분기 배당을 주당 570원으로 각각 결정하였습니다.당사는 분기 균등 현금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중심으로 일관되고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자본비율 관리 등 견고한 펀더멘털을 기반으로한 일관되고 차별화된 자본정책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꾸준히 이행할 계획입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 구분 | 현황 및 계획 |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결산배당의 경우 이사회 결의후 주총 승인을 통해 배당액을 결정하며 - 분기배당의 경우 이사회 결의를 통해 배당액을 결정하고 있음. 향후에도 동일한 절차를 통해 운영할 계획임.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결산배당의 경우 `23년 정관개정을 통해 배당액 결정이후 배당기준일을설정하고 있음. - 분기배당의 경우, `25.1월 자본시장법 개정에 따라 정관상 분기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이후로 정할수 있도록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당사 정관을 개정하였음.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 결산배당: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완료 - 분기배당: 제24기 정기주총에서 분기배당기준일을 이사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정관 개정하였으며, `25.2.6 이사회에서 `25년 분기별 배당액을 결정하는 분기 결산 이사회 예정일 이후로 `25년 1/2/3분기 배당기준일을 결의함.앞으로도 당사는 투자자가 배당액을 보고 투자할 수 있도록 배당액을 먼저 결정한 후 배당기준일을 설정 운용할 계획임.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 결산배당 | 2024.12 | O | 2025.02.06 | 2025.02.21 | O | '25년 2월 6일 결산배당 이사회 결의 (배당기준일 '25.02.21) 및 '25년 3월 26일 주주총회 승인이후 최종 확정됨 |
| 결산배당 | 2023.12 | O | 2024.02.08 | 2024.02.23 | O | '24년 2월 8일 결산배당 이사회 결의 (배당기준일 '24.02.23) 및 '25년 3월 26일 주주총회 승인이후 최종 확정됨 |
| 결산배당 | 2022.12 | O | 2023.02.08 | 2022.12.31 | X | 주) |
주)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배당절차 개선방안('23.01.31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 합동)에 따라 당사는 2023년 3월 23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개정을 통해 FY2023 (결산월: 2023.12) 부터 시행함 다. 분기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 분기배당 | 2025.09 | O | 주) | 2025.11.04 | O | '25년 2월 6일 이사회 결의 (배당기준일 '25.11.04) 및 배당기준일 이전에 개최되는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 예정 |
| 분기배당 | 2025.06 | O | 2025.07.25 | 2025.08.01 | O | `25년 7월 25일 분기배당 이사회 결의 완료하였으며(배당기준일 8.1일) 8.29일 지급 예정 |
| 분기배당 | 2025.03 | O | 2025.04.25 | 2025.05.02 | O | `25년 4월 25일 분기배당 이사회 결의 완료하였으며(배당기준일 5.2일) 5.30일 지급 |
주) 당사는 제24기 정기주총에서 분기배당기준일을 이사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정관 개정하였으며, `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25년 분기별 배당액을 결정하는 분기 결산 이사회 예정일 이후로 `25년 1/2/3분기 배당기준일을 결의함. 배당액은 각각의 분기 배당 기준일 이전에 개최되는 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임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가. 주요배당지표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 제25기 반기 | 제24기 | 제23기 | ||
| 주당액면가액(원) | 5,000 | 5,000 | 5,000 |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3,037,399 | 4,450,177 | 4,368,035 |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2,451,570 | 1,619,867 | 1,671,011 | |
| (연결)주당순이익(원) | 5,978 | 8,441 | 8,048 |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554,859 | 1,088,042 | 1,085,819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18.27 | 24.45 | 24.87 |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1.66 | 4.26 | 4.87 |
| 우선주 |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 우선주 |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1,140 | 2,160 | 2,100 |
| 우선주 | - | - | 525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 |
| 우선주 | - | - | - | |
| 주1) | (연결)당기순이익은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임 |
| 주2) | 기본주당이익 산출근거는 제25기 반기 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28. 주당이익 참조 |
| 주3) | 현금배당금총액에는 회계상 자본에 해당하는 신종자본증권 배당은 제외함 |
| 주4) | 제23기 분기배당금은 1분기 274,357백만원(주당 525원), 2분기 272,129백만원(주당 525원), 3분기 270,636백만원(주당 525원)이며, 제23기 결산(4분기) 배당금은 268,697백만원(주당 525원, 배당기준일 2024년 2월 23일)임제24기 분기배당금은 1분기 275,069백만원(주당 540원), 2분기 273,358백만원(주당 540원), 3분기 271,860백만원(주당 540원)이며, 제24기 결산 (4분기) 배당금은 267,755백만원(주당 540원, 배당기준일 2025년 2월 21일)임제25기 분기배당금은 1분기 278,127백만원(주당 570원), 2분기 276,732백만원(주당 570원)임. |
| 주5) | 현금배당수익률은 배당기준일 2매매거래일 전일로부터 과거 1주일간 한국거래소에서 형성된 최종 시세가격의 산술평균가격에 대한 1주당 현금 배당금 비율임 |
| 주6) | 제23기 1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05,102,047주임(보통주식수 외 전환우선주 17,482,000주)제23기 2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18,340,766주임제23기 3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15,497,837주임 제23기 결산(4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12,753,119주임 제24기 1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09,386,862주임제24기 2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06,218,060주임제24기 3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503,445,324주임제24기 결산(4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495,842,064주임 제25기 1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487,942,065주임제25기 2분기 배당관련 대상 보통주식수는 485,494,933주임 |
| 주7) | 당사 발행 (전환)우선주는 비상장주식이므로 현금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을 산정하지 않음 |
나. 현금배당금총액의 내역
| (단위: 백만원) |
| 구분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 제25기 반기 | 554,859 | - | 554,859 |
| 제24기 | 1,088,042 | - | 1,088,042 |
| 제23기 | 1,076,641 | 9,178 | 1,085,819 |
다. 우선주 종류별 세부 배당내역 -전환우선주
| 구분 | 주식수(주) | 주당 배당금(원) | 배당금총액(백만원) | 주당 발행가액(원) | 발행가 대비 배당률 |
|---|---|---|---|---|---|
| 제25기 반기 | - | - | - | - | - |
| 제24기 | - | - | - | - | - |
| 제23기 | 17,482,000 | 525 | 9,178 | 42,900 | 1.2% |
주) 2023년 5월 1일 전환우선주 17,482,000주가 보통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 23기에 지급된 배당금 총액은 2023년 1분기에 지급된 배당금임
라. 과거 배당 이력
| (단위: 회, %)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13 | 16 | 4.9 | 4.9 |
주1) 상기 배당은 보통주 배당 기준임
주2) 상기 과거 배당 이력의 가장 최근 분기 배당은 제25기 2분기 현금배당, 결산 배당은 제24기 결산 현금배당임주3) 상기 평균 배당수익률은 단순 평균법으로 계산함. 평균 배당수익률의 최근 3년간은 2022년(제22기)부터 2024년(제24기)까지의 기간이고, 최근 5년간은 2020년(제20기)부터 2024년(제24기)까지의 기간으로 2025년(제25기) 1분기와 2분기 배당이 제외되어 있음
마. 이익참가부 사채 잔액 - 해당사항 없음
① 공시대상기간중 지분증권의 발행(감소)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원, 주) |
| 주식발행 (감소)일자 | 발행(감소) 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 종류 | 수량 | 주당 액면가액 | 주당발행 (감소)가액 | 비고 | ||
| 2019년 05월 01일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7,482,000 | 5,000 | 42,900 | 주1) |
| 2020년 01월 28일 | - | 보통주 | 8,232,906 | 5,000 | 43,336 | 주식교환 주2) |
| 2020년 06월 01일 | - | 보통주 | 5,035,658 | 5,000 | - | 주식소각 주3) |
| 2020년 09월 29일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39,130,000 | 5,000 | 29,600 | 주4) |
| 2020년 12월 30일 | - | 보통주 | 72,719 | 5,000 | 32,261 | 주5) |
| 2022년 04월 25일 | - | 보통주 | 3,665,423 | 5,000 | - | 주식소각 주6) |
| 2022년 11월 23일 | - | 보통주 | 4,149,262 | 5,000 | - | 주식소각 주7) |
| 2023년 03월 28일 | - | 보통주 | 3,676,470 | 5,000 | - | 주식소각 주8) |
| 2023년 05월 01일 | - | 우선주 | 17,482,000 | 5,000 | -42,900 | 주1) |
| 2023년 05월 01일 | - | 보통주 | 17,482,000 | 5,000 | 42,900 | 주1) |
| 2023년 06월 16일 | - | 보통주 | 4,243,381 | 5,000 | - | 주식소각 주9) |
| 2023년 08월 31일 | - | 보통주 | 2,842,929 | 5,000 | - | 주식소각 주10) |
| 2023년 12월 27일 | - | 보통주 | 2,744,718 | 5,000 | - | 주식소각 주11) |
| 2024년 03월 22일 | - | 보통주 | 3,366,257 | 5,000 | - | 주식소각 주12) |
| 2024년 11월 01일 | - | 보통주 | 5,947,889 | 5,000 | - | 주식소각 주13) |
| 2025년 04월 29일 | - | 보통주 | 7,603,260 | 5,000 | - | 주식소각 주14) |
| 2025년 06월 26일 | - | 보통주 | 10,347,131 | 5,000 | - | 주식소각 주15) |
| 주1) | 2019년 5월중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제13종 전환우선주 17,482,000주를 주당 발행가액 42,900원으로 발행하여 2019년 5월 1일자로 당사 자본금은 총 87,410백만원 증가함. 본 전환우선주의 전환청구기간(2020년 5월 1일 ~ 2023년 4월 30일)이 종료됨에 따라 전환우선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로 자동 전환됨 |
| 주2) | 2020년 1월 28일 오렌지라이프생명과의 주식교환에 따라 당사 보통주식 8,232,906주 증가됨(교환비율 0.6601483) - 오렌지라이프의 주주(단, 신한금융지주는 제외)에게 배정할 신한금융지주 기명식 보통주식은 총 22,114,968주로, 이 중 13,882,062주는 신한금융지주가 본건 주식교환결정 이전 취득하여 소유 중인 자기주식(기명식 보통주식)이며, 나머지 8,232,906주는 신한금융지주의 신주(기명식 보통 주식)를 발행 |
| 주3) | 2020년 6월 1일 당사 보통주식 5,035,658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4) | 2020년 9월중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보통주식 39,130,000주를 주당 발행가액 29,600원으로 발행하여 2020년 9월 29일자로 당사 자본금은 총 195,650백만원 증가함 |
| 주5) | 2020년 12월 30일 네오플럭스(현재 신한벤처투자)와의 주식교환에 따라 당사 보통주식 72,719주 증가됨(교환비율 0.0893119) |
| 주6) | 2022년 4월 25일 당사 보통주식 3,665,423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7) | 2022년 11월 23일 당사 보통주식 4,149,262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8) | 2023년 3월 28일 당사 보통주식 3,676,470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9) | 2023년 6월 16일 당사 보통주식 4,243,381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0) | 2023년 8월 31일 당사 보통주식 2,842,929 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1) | 2023년 12월 27일 당사 보통주식 2,744,718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2) | 2024년 3월 22일 당사 보통주식 3,366,257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3) | 2024년 11월 1일 당사 보통주식 5,947,889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 완료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4) | 2025년 4월 29일 당사 보통주식 7,603,260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 완료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주15) | 2025년 6월 26일 당사 보통주식 10,347,131주를 자기주식 취득 후 소각 완료함. 해당 주식 소각은 '상법제343조 제1항' 단서규정에 따른 주식 소각임.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의 소각이므로 발행주식 총수(보통주식)는 감소하나, 자본금은 감소하지 않음 |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① 공시대상기간중 채무증권 발행실적 -별도 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회사 |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1.24 | 100,000 | 2.8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1.24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1.24 | 100,000 | 2.9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4.24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31 | 10,000 | 3.01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30 | 미상환 | DB금융투자 |
| 신한금융지주 | 조건부자본증권 | 공모 | 2025.02.13 | 400,000 | 3.90 | AA-(한신평,한기평,NICE) | - | 미상환 | SK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60,000 | 2.8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70,000 | 2.8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70,000 | 2.93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3.25 | 100,000 | 2.8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3.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3.25 | 100,000 | 2.9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3.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4.22 | 100,000 | 2.68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4.22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4.22 | 100,000 | 2.78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4.22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100,000 | 2.7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6.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100,000 | 2.89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6.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합 계 | - | - | - | 1,410,000 | - | - | - | - | - |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 발행회사 | 증권 종류 | 발행 방법 | 발행일자 | 권면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회사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1.24 | 100,000 | 2.8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1.24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1.24 | 100,000 | 2.9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4.24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기업어음 | 사모 | 2025.01.31 | 10,000 | 3.01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30 | 미상환 | DB금융투자 |
| 신한금융지주 | 조건부자본증권 | 공모 | 2025.02.13 | 400,000 | 3.90 | AA-(한신평,한기평,NICE) | 영구 | 미상환 | SK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60,000 | 2.8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70,000 | 2.8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2.26 | 70,000 | 2.93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2.26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3.25 | 100,000 | 2.8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3.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3.25 | 100,000 | 2.9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3.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4.22 | 100,000 | 2.68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4.22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4.22 | 100,000 | 2.78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4.22 | 미상환 | 교보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100,000 | 2.7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6.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금융지주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100,000 | 2.89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6.25 | 미상환 | 한양증권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12 | 40,692 | 4.37 | A-1(S&P) | 2025.10.14 | 미상환 | Citi Bank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09 | 13,564 | 4.41 | A-2(S&P) | 2025.10.07 | 미상환 | Citi Bank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4 | 67,820 | 4.47 | A-3(S&P) | 2025.11.26 | 미상환 | Citi Bank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4 | 67,820 | 4.46 | A-4(S&P) | 2025.12.10 | 미상환 | Citi Bank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외화표시 회사채 | 사모 | 2025.01.24 | 64,442 | 3.30 | Aa3(Moody's) | 2026.01.25 | 미상환 | BofA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외화표시 회사채 | 공모 | 2025.05.13 | 678,200 | 4.63 | Aa3(Moody's), A+(S&P), A(Fitch) | 2030.05.13 | 미상환 | Citi, CA-CIB, JPM, Mizuho, MUFG, SC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1.16 | 300,000 | 2.8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16 | 미상환 | 하나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2.13 | 250,000 | 2.7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2.13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3.17 | 150,000 | 2.81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3.17 | 미상환 | 하나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17 | 350,000 | 2.5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4.17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08 | 50,000 | 2.6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08 | 미상환 | 한양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6.23 | 300,000 | 2.51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5.12.23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1.21 | 220,000 | 2.83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21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2.25 | 250,000 | 2.81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8.25 | 미상환 | 하나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3.18 | 330,000 | 2.8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3.18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2 | 100,000 | 2.56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4.22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13 | 190,000 | 2.5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5.13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430,000 | 2.57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6.2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1.24 | 220,000 | 2.8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5.11.24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3 | 250,000 | 2.59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4.23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13 | 110,000 | 2.53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2.13 | 미상환 | (주)아이엠증권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6.25 | 200,000 | 2.6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12.2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3 | 100,000 | 2.5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10.23 | 미상환 | (주)아이엠증권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15 | 160,000 | 2.55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5.15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6.26 | 450,000 | 2.59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12.26 | 미상환 | 하나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4 | 200,000 | 2.60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1.24 | 미상환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22 | 150,000 | 2.5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5.22 | 미상환 | 하나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6.27 | 100,000 | 2.50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5.27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5 | 200,000 | 2.59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4.2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22 | 170,000 | 2.52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8.22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30 | 400,000 | 3.45 | AA-(한신평,한기평,NICE) | 영구채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주)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5.29 | 100,000 | 4.60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52.05.29 | 미상환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29 | 400,000 | 2.53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4.29 | 미상환 | 한화투자증권주식회사 |
| 주식회사 신한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4.30 | 260,000 | 2.54 | AAA(한신평,한기평,NICE) | 2026.03.30 | 미상환 | (주)아이엠증권 |
| 마에스트로이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17,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마에스트로이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15,500 | 3.6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마에스트로이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17,00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9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마에스트로이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15,500 | 3.2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익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4,440 | 3.3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642 | 3.1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2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683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24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1,775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24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35,396 | 3.1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92,031 | 3.1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33,273 | 3.1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3 | 21 | 2.9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3 | 57 | 3.0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3 | 22 | 3.2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642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683 | 2.9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1,775 | 2.9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36,211 | 2.7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3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94,150 | 2.8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3 | 미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원당(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34,039 | 2.8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3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5 | 10,000 | 3.3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0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5 | 60,000 | 3.6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0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1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60,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8 | 24,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8 | 26,000 | 3.5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3,9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9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6,1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20,000 | 3.1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9,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1,000 | 4.1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6 | 19,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6 | 1,000 | 4.0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5 | 28,5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5 | 1,500 | 4.0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3 | 19,00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엔에이치투자증권주식회사 |
| 그린바이오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3 | 1,000 | 3.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2.11 | 미결제 | 엔에이치투자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72,000 | 3.5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7 | 15,200 | 3.1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7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7 | 52,000 | 3.6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68,000 | 2.9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8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7 | 5,800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2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지에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7 | 42,000 | 3.4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2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4 | 20,000 | 3.3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4 | 40,000 | 3.4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7 | 결제 | 삼성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4 | 40,000 | 4.3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20,000 | 2.9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4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40,000 | 2.9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4 | 미결제 | 삼성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40,000 | 4.0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4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클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5,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클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40,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클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5 | 5,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클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5 | 40,0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소사(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2,100 | 3.0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1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소사(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0,000 | 3.5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1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솔루션비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7,100 | 3.4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8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솔루션비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4,300 | 3.1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31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솔루션비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2,900 | 3.1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30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솔루션비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300 | 2.9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2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0,000 | 3.4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20,000 | 3.5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10,000 | 3.1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20,000 | 3.5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1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20,000 | 3.4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10,000 | 2.9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20,000 | 3.2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10,000 | 2.8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20,00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5 | 190,000 | 3.3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5 | 30,000 | 3.6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5 | 50,000 | 4.3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5 | 30,000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5 | 120,000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5 | 70,000 | 3.3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5 | 50,000 | 4.0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이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125,000 | 2.9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5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125,000 | 2.9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16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12,500 | 2.7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112,500 | 3.2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6 | 12,000 | 2.7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1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6 | 113,000 | 3.2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1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올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7 | 186,3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5 | 미결제 | 디비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99,520 | 3.4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60,000 | 3.4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부국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89,279 | 3.4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331,201 | 3.5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99,520 | 3.0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60,000 | 3.0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부국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89,279 | 3.0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부전마산비티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331,201 | 3.0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엠피씨율촌2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3,6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2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27,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2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2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2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26,0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1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2,900 | 3.1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1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8,000 | 3.49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1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100 | 2.81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엠피씨율촌1호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7,000 | 3.2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23,500 | 3.4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23,5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31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85,0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31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14,0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35,0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55,000 | 3.5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14,000 | 2.9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30 | 14,000 | 2.8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9,500 | 2.7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35,000 | 2.7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55,000 | 3.2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써니솔루션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4,799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0.27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써니솔루션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10,000 | 3.4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0.2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써니솔루션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4,78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1.26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써니솔루션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10,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11.26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대명(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6 | 10,000 | 3.4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4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대명(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6 | 30,000 | 3.9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0,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9 | 결제 | 부국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7,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9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43,00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5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부국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57,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21,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센터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22,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제십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25,000 | 3.4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제십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50,000 | 3.6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제십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9 | 10,000 | 2.9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제십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9 | 40,000 | 3.3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5,000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45,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4,500 | 2.8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2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33,00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2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8,000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0,000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주식회사 우리투자증권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1,000 | 3.4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4,000 | 3.6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18,000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10,000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주식회사 우리투자증권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31,000 | 2.9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엘이피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14,000 | 3.3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케미칼(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0,000 | 3.5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브라이트운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1 | 27,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2 | 결제 | 한양증권(주) |
| 브라이트운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1 | 10,000 | 3.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4,490 | 3.8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5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5 | 33,680 | 3.2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33,680 | 3.1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7 | 32,500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5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31,290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6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6 | 30,050 | 2.9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6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황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6 | 26,52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5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목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7 | 20,000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판교주식회사 | 회사채 | 사모 | 2025.01.02 | 5,000 | 3.7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1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판교주식회사 | 회사채 | 사모 | 2025.01.02 | 32,000 | 4.0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1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판교주식회사 | 회사채 | 사모 | 2025.04.01 | 5,0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판교주식회사 | 회사채 | 사모 | 2025.04.01 | 32,000 | 3.4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신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7 | 3,900 | 3.4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신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7 | 8,000 | 3.8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7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신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7 | 3,900 | 3.0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0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신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7 | 8,000 | 3.4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0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퍼스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000 | 3.4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퍼스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30,000 | 2.9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에너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5 | 50,000 | 3.3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7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에너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30,000 | 2.9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에너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20,000 | 3.3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무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7 | 10,625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1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무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7 | 55,000 | 3.4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1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무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7 | 10,625 | 2.8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1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무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7 | 55,000 | 3.2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1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마곡(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80,000 | 4.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07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마곡(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90,000 | 4.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마곡(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40,000 | 4.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07 | 결제 | 부국증권(주) |
| 지아이비마곡(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000 | 4.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07 | 결제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8,000 | 3.44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3.31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4 | 8,000 | 3.1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9,000 | 3.1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5.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10,944 | 2.90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30 | 10,000 | 2.8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알비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10,000 | 2.77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초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20,000 | 3.4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1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초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8 | 20,000 | 0.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5 | 결제 | (주)신한은행 |
| 지아이비초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5 | 20,000 | 0.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5 | 결제 | (주)신한은행 |
| 지아이비초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20,000 | 0.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5 | 결제 | (주)신한은행 |
| 지아이비초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20,000 | 0.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9 | 결제 | (주)신한은행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286 | 3.4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414 | 3.4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8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25,249 | 3.1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9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36,551 | 3.2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9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286 | 2.9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9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414 | 3.0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9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9 | 37,084 | 2.8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29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십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9 | 25,616 | 2.8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29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브라이트엘디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7 | 10,000 | 3.3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17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엘디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7 | 40,000 | 3.7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1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엘디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9 | 10,000 | 2.8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18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브라이트엘디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9 | 40,000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1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0 | 21,147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0 | 37,353 | 3.4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0 | 5,000 | 3.6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0 | 576 | 3.2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0 | 824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0 | 2,265 | 3.1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0 | 3,235 | 3.1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1 | 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1 | 24,482 | 2.9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1 | 42,118 | 3.0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1 | 5,000 | 3.3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0 | 1,529 | 3.0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부국증권(주) |
| 리치게이트여상(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0 | 1,071 | 2.9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두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4 | 20,000 | 3.4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1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두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20,000 | 3.2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두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4 | 2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경주(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0 | 14,012 | 3.3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1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경주(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0 | 14,012 | 3.3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경주(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0 | 14,012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해운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30,492 | 3.1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해운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0,492 | 2.8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알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15,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알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35,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알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5,0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알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5,0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13,9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3,9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자석(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14,00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3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자석(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14,0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3 | 968 | 3.3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7,505 | 3.1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8,626 | 3.1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3 | 8,626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10,0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3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신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3 | 1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3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8 | 10,000 | 3.4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1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10,000 | 3.2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10,000 | 3.0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10,000 | 2.9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0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8 | 1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9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지아이비미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10,000 | 2.7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유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4 | 20,520 | 3.4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유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6 | 460 | 3.2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유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4 | 900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유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21,880 | 3.0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유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4 | 1,480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7 | 55,015 | 3.3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1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7 | 55,223 | 3.3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7 | 55,223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7 | 55,223 | 2.9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9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9 | 53,349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7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7 | 50,493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풍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2,331 | 2.8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7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29,136 | 3.41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29,350 | 3.12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3.3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29,350 | 3.11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29,350 | 2.97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29,350 | 2.86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신한지아이비화성(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29,350 | 2.83 | 나이스신용평가(주) | 2025.07.30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두정(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5 | 5,524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두정(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5 | 5,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두정(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5 | 3,056 | 2.7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두정(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5 | 5,00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진로(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8 | 20,000 | 3.4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용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8,000 | 3.5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5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용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0,000 | 3.7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5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용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18,000 | 2.9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5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지아이비용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10,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5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4 | 354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21,419 | 3.8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7 | 21,871 | 3.1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7 | 21,871 | 3.1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5 | 21,914 | 2.9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7 | 22,310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세교(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7 | 22,338 | 2.8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2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신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5 | 14,700 | 3.2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6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신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5 | 10,000 | 3.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6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신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6 | 10,900 | 2.9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신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6 | 10,000 | 3.3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2 | 20,768 | 3.7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3 | 345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4 | 163 | 3.1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1 | 22,011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2 | 609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신반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169 | 2.8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강남랜드마크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202,100 | 3.5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강남랜드마크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70,000 | 3.7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강남랜드마크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202,100 | 2.9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한양증권(주) |
| 강남랜드마크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70,000 | 3.3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오일(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10,000 | 3.0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6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오일(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90,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6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길동(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1,215 | 3.0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길동(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10,000 | 3.4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3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길동(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3 | 1,215 | 2.7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3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길동(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3 | 10,000 | 3.2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3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5,000 | 3.4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95,000 | 3.5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15,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31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95,000 | 3.5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31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3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80,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3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80,000 | 3.2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30 | 30,00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30 | 80,0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20,0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제이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10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사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4,903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사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20,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사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5,677 | 2.8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사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6,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신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8 | 14,000 | 3.5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신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8 | 15,000 | 3.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신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8 | 14,000 | 3.0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신정(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8 | 15,000 | 3.4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수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37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수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31,090 | 3.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수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200 | 2.8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홈플러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5 | 4,000 | 3.4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5 | 결제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홈플러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5 | 40,000 | 3.7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0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홈플러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19,000 | 3.4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홈플러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25,000 | 3.8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0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강서(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5,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0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강서(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35,000 | 3.7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0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강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2 | 40,000 | 0.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0 | 결제 | (주)신한은행 |
| 리치게이트강서(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9 | 40,000 | 3.4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20,000 | 3.2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4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에이치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30,000 | 3.6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4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6 | 20,000 | 2.8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에이치디(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6 | 30,000 | 3.3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경안(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20,430 | 3.2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3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경안(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3 | 18,330 | 2.8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15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남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10 | 3.3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2.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남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22,000 | 3.1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남사(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8 | 22,000 | 2.9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2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이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10,000 | 3.1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30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이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20,000 | 3.6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이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10,000 | 2.8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이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30 | 20,000 | 3.2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하나마이크론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1,96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6 | 결제 | 키움증권(주) |
| 하나마이크론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4 | 9,000 | 3.5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6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하나마이크론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6 | 1,4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하나마이크론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6 | 8,000 | 3.3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모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50,0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모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8 | 5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8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은평(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4 | 800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3.2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은평(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4 | 5,600 | 3.1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은평(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6,000 | 3.0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은평(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400 | 2.8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스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7 | 10,000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16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스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7 | 40,000 | 3.6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5.16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스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6 | 10,000 | 2.9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18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스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6 | 40,000 | 3.3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8.1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30,000 | 3.3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40,000 | 3.4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한양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3 | 30,000 | 4.3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30,000 | 2.9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40,000 | 2.9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4 | 30,000 | 4.0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4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15,000 | 3.3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7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5,000 | 3.6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30,000 | 4.2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7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7 | 15,000 | 2.9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7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7 | 5,000 | 3.3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7 | 30,000 | 4.0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로엑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5,000 | 3.5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로엑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000 | 3.7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에이치로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00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에이치로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15,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에이치로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15,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에이치로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5,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이엠티(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50,000 | 3.12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5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이엠티(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100,000 | 3.6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이엠티(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50,000 | 2.76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5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이엠티(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100,000 | 3.23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20,000 | 3.1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40,0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40,000 | 3.6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50,000 | 4.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20,000 | 2.7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40,000 | 2.8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40,000 | 3.2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엘피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50,000 | 3.8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4 | 10,000 | 3.10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4 | 30,000 | 3.6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4 | 30,000 | 4.1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0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10,000 | 3.1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10,000 | 2.78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20,000 | 3.24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30,000 | 3.8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0,000 | 3.1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0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포터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30,000 | 3.07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6.25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포터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5 | 30,000 | 2.7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솔루션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95,00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솔루션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5,000 | 3.6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솔루션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95,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0 | 미결제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에스솔루션와이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55,000 | 3.3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0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솔루션피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0 | 6,000 | 3.3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2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솔루션피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0 | 10,000 | 3.6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2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솔루션피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2 | 5,0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솔루션피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2 | 10,000 | 3.3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드래곤엔엑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07 | 30,000 | 3.3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드래곤엔엑스(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7 | 30,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0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5 | 273 | 3.3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7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17 | 228 | 3.3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17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7 | 20,231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6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5 | 241 | 2.9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6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15 | 467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6 | 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방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6 | 21,662 | 2.8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1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와이에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45,000 | 3.0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1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와이에스(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45,000 | 2.7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11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8 | 115,000 | 3.1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8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퍼스트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18 | 85,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18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퍼스트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8 | 115,000 | 2.8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18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퍼스트에이치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18 | 85,000 | 3.2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1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오시리아파크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32,8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9 | 결제 | 한양증권(주) |
| 오시리아파크제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9 | 32,800 | 2.8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2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24,842 | 3.8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7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7 | 24,99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7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7 | 25,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7 | 651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27,920 | 2.9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7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7 | 28,595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삼성증권(주) |
| 리치게이트남서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7 | 29,071 | 2.8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8 | 미결제 | 삼성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6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5 | 20,000 | 3.4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5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5 | 6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5 | 20,0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5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000 | 3.4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8 | 결제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3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3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3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09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9 | 30,000 | 2.8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16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앙사나(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36,000 | 2.7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9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모리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6 | 60,000 | 3.5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모리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7 | 30,000 | 3.0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모리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7 | 30,000 | 3.4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7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자리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6 | 34,437 | 3.5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07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자리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7 | 34,437 | 3.0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7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남천제일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64,7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3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지아이비남천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3 | 67,600 | 2.8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5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엘이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0 | 20,000 | 3.4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1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엘이씨(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8 | 2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18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50,0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리치게이트에이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8 | 50,000 | 2.9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8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마에스트로디에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0,000 | 3.8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2.27 | 결제 | 삼성증권(주) |
| 마에스트로디에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7 | 300,000 | 3.1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5 | 결제 | 삼성증권(주) |
| 지아이비소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10 | 45,000 | 3.35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10 | 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소노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10 | 42,500 | 2.9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7.10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드래곤엔엑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20 | 30,000 | 3.3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드래곤엔엑스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1 | 30,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1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삼차 | 회사채 | 사모 | 2025.01.24 | 200,000 | 3.4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4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삼차 | 회사채 | 사모 | 2025.04.24 | 200,000 | 2.98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4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지아이비에이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30,00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30 | 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에이엘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30 | 30,000 | 2.9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가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7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3.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가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8 | 50,000 | 3.1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27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가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8 | 20,000 | 4.00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6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가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7 | 5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6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리치게이트배곧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2.28 | 15,000 | 3.15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5.28 | 결제 | 키움증권(주) |
| 리치게이트배곧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28 | 15,000 | 2.9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2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6 | 7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9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케이<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9 | 70,00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07 | 3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09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1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8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9 | 30,000 | 2.8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08 | 미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코어씨비디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8 | 30,000 | 2.9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코어씨비디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8 | 200,000 | 2.99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스피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31 | 3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에스피엘(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0,0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30 | 미결제 | 신한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너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3.28 | 50,000 | 3.1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너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4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리딩투자증권(주) |
| 에스타이거에너빌(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10,000 | 3.2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라이언(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1 | 50,000 | 3.12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프로젝트이슬(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30,000 | 2.9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8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3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6.30 | 결제 | 유안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9 | 17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유안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제이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30,000 | 2.77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9 | 미결제 | 유안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멀티(주) | 회사채 | 사모 | 2025.05.09 | 20,000 | 2.9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8.11 | 미결제 | 한양증권(주) |
| 지아이비서리풀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30 | 49,200 | 2.8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31 | 미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양지(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02 | 40,500 | 2.8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01 | 결제 | 현대차증권주식회사 |
| 에스타이거핑제일차(주) | 회사채 | 사모 | 2025.06.27 | 200,000 | 2.8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9.29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87,000 | 3.43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삼성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디(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66,000 | 2.96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8 | 미결제 | 삼성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더블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31 | 50,000 | 3.44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4.28 | 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더블유(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28 | 50,000 | 2.91 | 한국신용평가(주) | 2025.07.28 | 미결제 | 다올투자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3 | 30,000 | 3.5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3 | 결제 | 한양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1.03 | 20,000 | 4.01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03 | 결제 | 키움증권(주)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주) | 회사채 | 사모 | 2025.04.03 | 50,000 | 3.09 | 한국기업평가(주) | 2025.04.29 | 결제 | 한양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50,000 | 3.09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1.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50,000 | 3.10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1.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20 | 40,000 | 3.08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1.1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20 | 10,000 | 3.14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1.1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20 | 20,000 | 3.14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1.17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1.20 | 40,000 | 3.14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1.18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2.07 | 30,000 | 3.0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2.07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2.07 | 110,000 | 3.0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2.07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2.21 | 70,000 | 3.0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2.21 | 미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2.21 | 40,000 | 3.1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2.21 | 미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20,000 | 2.9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03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50,000 | 2.9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0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20,000 | 2.9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3.0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10,000 | 3.0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3.0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12 | 40,000 | 2.99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10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12 | 30,000 | 3.10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3.12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17 | 30,000 | 2.9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17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17 | 20,000 | 3.0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3.15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17 | 50,000 | 3.1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9.17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20,000 | 3.0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23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90,000 | 3.0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3.24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20,000 | 3.06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3.2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40,000 | 3.1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3.2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20,000 | 3.1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6.20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10,000 | 3.16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9.26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1 | 130,000 | 3.0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6.01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1 | 20,000 | 3.0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3.30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1 | 30,000 | 3.14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3.2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1 | 130,000 | 3.14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4.01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4 | 40,000 | 3.01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4.03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4 | 50,000 | 3.01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4.04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4 | 30,000 | 3.0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4.03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04 | 80,000 | 3.0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4.04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23 | 70,000 | 2.80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4.23 | 미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4.23 | 30,000 | 2.8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4.23 | 미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08 | 20,000 | 2.75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5.04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08 | 80,000 | 2.75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05.08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08 | 60,000 | 2.85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5.08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08 | 40,000 | 2.8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11.08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14 | 50,000 | 2.81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1.12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14 | 30,000 | 2.82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5.14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14 | 80,000 | 2.90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5.14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22 | 60,000 | 2.8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5.22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22 | 20,000 | 2.9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5.21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22 | 120,000 | 2.93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5.22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5.26 | 50,000 | 2.81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5.25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6.12 | 50,000 | 2.86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9.06.12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6.12 | 100,000 | 2.96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6.12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6.26 | 70,000 | 2.85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28.12.26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회사채 | 공모 | 2025.06.26 | 50,000 | 2.97 | AA+ (한기평/한신평/NICE) | 2030.06.26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2 | 100,000 | 3.13 | A1 (NICE/한신평) | 2025.01.24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2 | 50,000 | 3.12 | A1 (NICE/한신평) | 2025.01.20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2 | 5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2 | 5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1.03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3 | 50,000 | 3.06 | A1 (NICE/한신평) | 2025.01.15 | 상환 | 아이엠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3 | 27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6 | 50,000 | 3.06 | A1 (NICE/한신평) | 2025.01.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6 | 100,000 | 4.01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8 | 100,000 | 3.91 | A1 (NICE/한신평) | 2025.02.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14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145,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5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6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50,000 | 3.86 | A1 (NICE/한신평) | 2025.02.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2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5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1.1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100,000 | 3.20 | A1 (NICE/한신평) | 2025.01.20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4 | 60,000 | 3.06 | A1 (NICE/한신평) | 2025.01.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19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8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270,000 | 3.15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2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케이알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2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10,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유안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5,000 | 3.21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100,000 | 3.74 | A1 (NICE/한신평) | 2025.02.2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1 | 20,000 | 3.35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1 | 10,000 | 3.35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1 | 100,000 | 3.35 | A1 (NICE/한신평) | 2025.02.07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1 | 50,000 | 3.14 | A1 (NICE/한신평) | 2025.02.10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3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유안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10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19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10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2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10,000 | 3.51 | A1 (NICE/한신평) | 2025.02.03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100,000 | 3.52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3 | 5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2.2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4 | 16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아이엠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4 | 10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5 | 50,000 | 3.00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5 | 100,000 | 3.00 | A1 (NICE/한신평) | 2025.02.0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6 | 100,000 | 3.87 | A1 (NICE/한신평) | 2025.03.06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7 | 275,000 | 3.05 | A1 (NICE/한신평) | 2025.02.28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15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15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50,000 | 3.85 | A1 (NICE/한신평) | 2025.03.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100,000 | 3.85 | A1 (NICE/한신평) | 2025.03.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4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7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20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2.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5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14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6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5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14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7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70,000 | 3.12 | A1 (NICE/한신평) | 2025.02.19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50,000 | 3.07 | A1 (NICE/한신평) | 2025.02.13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50,000 | 3.12 | A1 (NICE/한신평) | 2025.02.19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120,000 | 3.12 | A1 (NICE/한신평) | 2025.02.19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10,000 | 3.12 | A1 (NICE/한신평) | 2025.02.19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3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5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2.18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6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7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2.25 | 상환 | 유안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4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5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2.25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4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5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2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50,000 | 3.09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8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2.25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2.25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9 | 200,000 | 3.06 | A1 (NICE/한신평) | 2025.02.21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9 | 50,000 | 3.07 | A1 (NICE/한신평) | 2025.02.24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9 | 5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2.2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9 | 50,000 | 3.07 | A1 (NICE/한신평) | 2025.02.24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0 | 100,000 | 3.70 | A1 (NICE/한신평) | 2025.03.2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0 | 30,000 | 3.04 | A1 (NICE/한신평) | 2025.02.21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160,000 | 3.11 | A1 (NICE/한신평) | 2025.02.2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6 | 100,000 | 3.34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6 | 150,000 | 2.91 | A1 (NICE/한신평) | 2025.02.28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7 | 1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5.05.08 | 상환 | 한국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7 | 5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5.05.08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7 | 4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5.05.08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4 | 5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3.21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110,000 | 2.77 | A1 (NICE/한신평) | 2025.03.0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110,000 | 2.77 | A1 (NICE/한신평) | 2025.03.0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50,000 | 2.77 | A1 (NICE/한신평) | 2025.03.0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6 | 100,000 | 3.70 | A1 (NICE/한신평) | 2025.04.07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6 | 4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07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50,000 | 3.70 | A1 (NICE/한신평) | 2025.04.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100,000 | 3.70 | A1 (NICE/한신평) | 2025.04.08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0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1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2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5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5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8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4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8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5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8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0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200,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277,000 | 2.83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30,000 | 2.81 | A1 (NICE/한신평) | 2025.03.14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4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5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1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5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21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5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케이프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10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5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5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3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3.17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4 | 20,000 | 2.80 | A1 (NICE/한신평) | 2025.03.21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3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2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5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3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4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70,000 | 2.77 | A1 (NICE/한신평) | 2025.03.21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145,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14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4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5,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15,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3.2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9 | 200,000 | 2.77 | A1 (NICE/한신평) | 2025.03.21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3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2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2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메리츠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2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디에스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100,000 | 3.59 | A1 (NICE/한신평) | 2025.04.21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5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2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8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70,000 | 2.84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5,000 | 2.84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20,000 | 2.84 | A1 (NICE/한신평) | 2025.03.26 | 상환 | 유안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6 | 100,000 | 3.34 | A1 (NICE/한신평) | 2025.04.25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95,000 | 2.76 | A1 (NICE/한신평) | 2025.03.28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45,000 | 2.76 | A1 (NICE/한신평) | 2025.03.28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1 | 100,000 | 2.76 | A1 (NICE/한신평) | 2025.04.02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1 | 50,000 | 2.81 | A1 (NICE/한신평) | 2025.04.25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2 | 278,000 | 2.75 | A1 (NICE/한신평) | 2025.04.17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7 | 100,000 | 3.64 | A1 (NICE/한신평) | 2025.05.07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100,000 | 3.62 | A1 (NICE/한신평) | 2025.05.08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5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15 | 상환 | 케이프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10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1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9 | 50,000 | 2.84 | A1 (NICE/한신평) | 2025.04.10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9 | 40,000 | 2.87 | A1 (NICE/한신평) | 2025.04.15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50,000 | 3.60 | A1 (NICE/한신평) | 2025.05.12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4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4.14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2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4.15 | 상환 | 리딩투자증권주식회사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10,000 | 2.89 | A1 (NICE/한신평) | 2025.04.1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4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0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1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5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2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5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40,000 | 2.92 | A1 (NICE/한신평) | 2025.04.22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100,000 | 3.46 | A1 (NICE/한신평) | 2025.05.2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282,000 | 2.80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0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1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2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5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4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4.28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20,000 | 2.81 | A1 (NICE/한신평) | 2025.04.23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3 | 100,000 | 3.23 | A1 (NICE/한신평) | 2025.05.23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5 | 100,000 | 3.22 | A1 (NICE/한신평) | 2025.05.26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2 | 5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5.21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2 | 50,000 | 3.22 | A1 (NICE/한신평) | 2025.06.02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2 | 283,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5.26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2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100,000 | 3.57 | A1 (NICE/한신평) | 2025.06.09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8 | 100,000 | 2.81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8 | 30,000 | 2.81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8 | 100,000 | 3.57 | A1 (NICE/한신평) | 2025.06.09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9 | 10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9 | 100,000 | 2.82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아이엠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2 | 50,000 | 3.54 | A1 (NICE/한신평) | 2025.06.1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2 | 10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2 | 100,000 | 2.86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4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4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4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7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4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4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5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4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5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2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5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1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50,000 | 2.96 | A1 (NICE/한신평) | 2025.05.16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100,000 | 2.80 | A1 (NICE/한신평) | 2025.05.23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10,000 | 2.80 | A1 (NICE/한신평) | 2025.05.23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100,000 | 3.46 | A1 (NICE/한신평) | 2025.06.20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50,000 | 2.79 | A1 (NICE/한신평) | 2025.05.21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100,000 | 2.80 | A1 (NICE/한신평) | 2025.05.23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3 | 100,000 | 2.85 | A1 (NICE/한신평) | 2025.05.2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3 | 100,000 | 3.19 | A1 (NICE/한신평) | 2025.06.23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6 | 100,000 | 3.16 | A1 (NICE/한신평) | 2025.06.26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2 | 50,000 | 2.64 | A1 (NICE/한신평) | 2025.06.30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2 | 50,000 | 3.10 | A1 (NICE/한신평) | 2025.07.02 | 미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100,000 | 2.5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100,000 | 2.5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100,000 | 2.5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5,000 | 2.5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100,000 | 3.44 | A1 (NICE/한신평) | 2025.07.08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100,000 | 3.44 | A1 (NICE/한신평) | 2025.07.07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0 | 50,000 | 3.43 | A1 (NICE/한신평) | 2025.07.10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0 | 281,000 | 2.55 | A1 (NICE/한신평) | 2025.06.30 | 상환 | 한국자금중개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200,000 | 2.72 | A1 (NICE/한신평) | 2025.06.23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15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15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12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4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14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5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145,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11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5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20,000 | 2.68 | A1 (NICE/한신평) | 2025.06.18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50,000 | 2.6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40,000 | 2.6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10,000 | 2.6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100,000 | 2.6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신영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50,000 | 2.67 | A1 (NICE/한신평) | 2025.06.1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10,000 | 2.61 | A1 (NICE/한신평) | 2025.06.23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40,000 | 2.59 | A1 (NICE/한신평) | 2025.06.19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20,000 | 2.59 | A1 (NICE/한신평) | 2025.06.19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40,000 | 2.61 | A1 (NICE/한신평) | 2025.06.23 | 상환 | 신영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11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5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14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주)비엔케이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145,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2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5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7 | 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0 | 100,000 | 3.31 | A1 (NICE/한신평) | 2025.07.21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3 | 100,000 | 3.08 | A1 (NICE/한신평) | 2025.07.23 | 미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4 | 40,000 | 2.63 | A1 (NICE/한신평) | 2025.06.26 | 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6 | 100,000 | 3.06 | A1 (NICE/한신평) | 2025.07.25 | 미상환 | 키움증권(주)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5 | 10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6.03.24 | 미상환 | 부국증권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5 | 9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6.03.24 | 미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5 | 10,000 | 2.90 | A1 (NICE/한신평) | 2026.03.24 | 미상환 | SK증권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8 | 60,000 | 2.88 | A1 (NICE/한신평) | 2026.03.27 | 미상환 |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8 | 40,000 | 2.88 | A1 (NICE/한신평) | 2026.03.27 | 미상환 | 현대차증권(주)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공모 | 2025.06.27 | 60,000 | 2.70 | A1 (NICE/한신평) | 2028.09.27 | 미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카드 | 기업어음증권 | 공모 | 2025.06.27 | 90,000 | 2.76 | A1 (NICE/한신평) | 2030.06.27 | 미상환 | 유진투자증권 |
| 신한투자증권 | 회사채 | 공모 | 2025.02.21 | 140,000 | 3.05 | AA(한기평,한신평) | 2027.02.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회사채 | 공모 | 2025.02.21 | 360,000 | 3.13 | AA(한기평,한신평) | 2028.02.21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2 | 100,000 | 3.13 | A1(한신평,NICE) | 2025.01.0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3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1.0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6 | 100,000 | 3.10 | A1(한신평,NICE) | 2025.01.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7 | 100,000 | 3.13 | A1(한신평,NICE) | 2025.01.0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8 | 100,000 | 3.13 | A1(한신평,NICE) | 2025.01.0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9 | 100,000 | 3.16 | A1(한신평,NICE) | 2025.01.1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100,000 | 3.16 | A1(한신평,NICE) | 2025.01.1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100,000 | 3.16 | A1(한신평,NICE) | 2025.01.1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4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1.1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5 | 100,000 | 3.11 | A1(한신평,NICE) | 2025.01.1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6 | 100,000 | 3.18 | A1(한신평,NICE) | 2025.01.1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100,000 | 3.16 | A1(한신평,NICE) | 2025.01.2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100,000 | 3.19 | A1(한신평,NICE) | 2025.01.2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1 | 100,000 | 3.21 | A1(한신평,NICE) | 2025.01.2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100,000 | 3.17 | A1(한신평,NICE) | 2025.01.2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3 | 100,000 | 3.16 | A1(한신평,NICE) | 2025.01.2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100,000 | 3.23 | A1(한신평,NICE) | 2025.01.3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00,000 | 3.21 | A1(한신평,NICE) | 2025.02.0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3 | 100,000 | 3.13 | A1(한신평,NICE) | 2025.02.0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4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0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5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0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6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6 | 200,000 | 3.05 | A1(한신평,NICE) | 2025.02.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7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1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0 | 100,000 | 3.11 | A1(한신평,NICE) | 2025.02.1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1 | 100,000 | 3.10 | A1(한신평,NICE) | 2025.02.1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100,000 | 3.12 | A1(한신평,NICE) | 2025.02.1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3 | 100,000 | 3.14 | A1(한신평,NICE) | 2025.02.1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100,000 | 3.14 | A1(한신평,NICE) | 2025.02.1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7 | 100,000 | 3.14 | A1(한신평,NICE) | 2025.02.1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8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1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9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2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0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2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1 | 100,000 | 3.09 | A1(한신평,NICE) | 2025.02.2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100,000 | 3.13 | A1(한신평,NICE) | 2025.02.2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5 | 100,000 | 2.96 | A1(한신평,NICE) | 2025.02.2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6 | 100,000 | 2.93 | A1(한신평,NICE) | 2025.02.2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7 | 100,000 | 2.90 | A1(한신평,NICE) | 2025.02.2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100,000 | 2.90 | A1(한신평,NICE) | 2025.03.0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4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0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0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6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3.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7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3.1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3.1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4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8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1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9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5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6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2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3.3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4.0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1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4.0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2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4.0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3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4.0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4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4.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7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4.0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8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4.0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9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4.1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1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1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4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1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5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4.1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6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4.1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7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4.1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8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4.2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2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2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2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3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2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4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2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5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4.2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4.2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9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4.3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5.0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2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5.0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100,000 | 2.87 | A1(한신평,NICE) | 2025.05.0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8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0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9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5.1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2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5.1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5.1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4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5.1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5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5.1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6 | 100,000 | 2.85 | A1(한신평,NICE) | 2025.05.1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9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2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0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2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1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2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2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2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3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5.2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6 | 100,000 | 2.88 | A1(한신평,NICE) | 2025.05.2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7 | 100,000 | 2.86 | A1(한신평,NICE) | 2025.05.2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100,000 | 2.84 | A1(한신평,NICE) | 2025.05.2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9 | 100,000 | 2.63 | A1(한신평,NICE) | 2025.05.3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30 | 100,000 | 2.66 | A1(한신평,NICE) | 2025.06.0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2 | 100,000 | 2.63 | A1(한신평,NICE) | 2025.06.0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100,000 | 2.59 | A1(한신평,NICE) | 2025.06.0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100,000 | 2.59 | A1(한신평,NICE) | 2025.06.0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100,000 | 2.63 | A1(한신평,NICE) | 2025.06.1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0 | 100,000 | 2.61 | A1(한신평,NICE) | 2025.06.11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100,000 | 2.61 | A1(한신평,NICE) | 2025.06.12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100,000 | 2.61 | A1(한신평,NICE) | 2025.06.1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100,000 | 2.63 | A1(한신평,NICE) | 2025.06.1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6 | 100,000 | 2.63 | A1(한신평,NICE) | 2025.06.1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100,000 | 2.61 | A1(한신평,NICE) | 2025.06.18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8 | 100,000 | 2.62 | A1(한신평,NICE) | 2025.06.19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9 | 100,000 | 2.59 | A1(한신평,NICE) | 2025.06.2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0 | 100,000 | 2.62 | A1(한신평,NICE) | 2025.06.23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3 | 100,000 | 2.61 | A1(한신평,NICE) | 2025.06.24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4 | 100,000 | 2.60 | A1(한신평,NICE) | 2025.06.25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5 | 100,000 | 2.60 | A1(한신평,NICE) | 2025.06.26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6 | 100,000 | 2.62 | A1(한신평,NICE) | 2025.06.27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100,000 | 2.60 | A1(한신평,NICE) | 2025.06.30 | 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10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5.07.01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07 | 60,000 | 3.12 | A1(한신평,NICE) | 2026.01.05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09 | 40,000 | 3.12 | A1(한신평,NICE) | 2026.01.05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10 | 50,000 | 3.10 | A1(한신평,NICE) | 2026.01.0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13 | 50,000 | 3.06 | A1(한신평,NICE) | 2026.01.12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14 | 50,000 | 3.03 | A1(한신평,NICE) | 2026.01.1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14 | 30,000 | 3.03 | A1(한신평,NICE) | 2026.01.1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14 | 100,000 | 2.81 | A1(한신평,NICE) | 2026.04.1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22 | 20,000 | 2.73 | A1(한신평,NICE) | 2026.04.21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22 | 10,000 | 2.73 | A1(한신평,NICE) | 2026.04.21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22 | 50,000 | 2.73 | A1(한신평,NICE) | 2026.04.21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6 | 3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5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6 | 1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5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6 | 3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5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9 | 6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8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0 | 3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0 | 5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5.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0 | 100,000 | 2.68 | A1(한신평,NICE) | 2026.03.27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3 | 20,000 | 2.67 | A1(한신평,NICE) | 2026.03.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3 | 45,000 | 2.67 | A1(한신평,NICE) | 2026.03.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3 | 30,000 | 2.67 | A1(한신평,NICE) | 2026.03.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3 | 15,000 | 2.67 | A1(한신평,NICE) | 2026.03.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7 | 3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5.26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27 | 2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5.26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19 | 2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8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19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8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19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8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19 | 5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8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0 | 3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0 | 25,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0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0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19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4 | 3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4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4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4 | 1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23 | 미상환 | - |
| 신한투자증권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26 | 30,000 | 2.65 | A1(한신평,NICE) | 2026.06.25 | 미상환 | - |
| 816공간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15,0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6.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816공간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6 | 15,000 | 2.9 | A1(한신평,NICE) | 2025.09.1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그레이트더블에스제일차 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30,500 | 3.15 | A1(한신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그레이트더블에스제일차 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30,500 | 2.91 | A1(한신평,NICE) | 2025.09.27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15 | 36,800 | 3.75 | A1(한기평,NICE) | 2025.04.1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4.15 | 35,700 | 3.3 | A1(한기평,NICE) | 2025.05.0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09 | 35,7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5.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2 | 2,7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5.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6 | 39,6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7.1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77,100 | 3.55 | A1(한신평,NICE) | 2025.02.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77,100 | 3.5 | A1(한신평,NICE) | 2025.02.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76,7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3.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4 | 76,2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3.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46,2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4.0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3 | 14,3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4.1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4,300 | 3.2 | A1(한신평,NICE) | 2025.04.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5 | 11,300 | 3.2 | A1(한신평,NICE) | 2025.05.0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9 | 11,300 | 3.15 | A1(한신평,NICE) | 2025.05.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6 | 10,300 | 3.1 | A1(한신평,NICE) | 2025.05.2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드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9 | 10,100 | 3.1 | A1(한신평,NICE) | 2025.08.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7 | 121,180 | 3.45 | A1(한신평,NICE) | 2025.02.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114,990 | 3.1 | A1(한신평,NICE) | 2025.03.0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7 | 94,990 | 3.1 | A1(한신평,NICE) | 2025.03.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94,990 | 3.1 | A1(한신평,NICE) | 2025.03.2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0 | 77,340 | 3.1 | A1(한신평,NICE) | 2025.03.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62,340 | 3.15 | A1(한신평,NICE) | 2025.04.1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62,340 | 3.1 | A1(한신평,NICE) | 2025.04.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37,630 | 3.05 | A1(한신평,NICE) | 2025.04.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34,000 | 3.05 | A1(한신평,NICE) | 2025.05.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4 | 15,000 | 3 | A1(한신평,NICE) | 2025.05.1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디큐브공간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9 | 15,000 | 3 | A1(한신평,NICE) | 2025.08.18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2 | 20,600 | 3.55 | A1(한기평,NICE) | 2025.02.12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2 | 20,600 | 3.5 | A1(한기평,NICE) | 2025.03.3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20,6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20,6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5.2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3 | 20,6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20,6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8.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5,500 | 3.65 | A1(한기평,NICE) | 2025.01.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5,400 | 3.65 | A1(한기평,NICE) | 2025.04.1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5,4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5.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6 | 5,4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랜드로드제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5,4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8.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럭키양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6 | 13,300 | 3.4 | A1(한기평,NICE) | 2025.03.12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럭키양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13,3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3.2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럭키양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13,3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3.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럭키양주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13,3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0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일차(유)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1.31 | 40,000 | 3.45 | A1(한기평,NICE) | 2025.02.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일차(유)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2.28 | 40,0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3.3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일차(유)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31 | 40,0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4.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10,200 | 3.6 | A1(한기평,NICE) | 2025.01.3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0,200 | 3.6 | A1(한기평,NICE) | 2025.04.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5 | 10,2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7.2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5,366 | 6 | A1(한기평,NICE) | 2025.03.0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5 | 5,459 | 5.5 | A1(한기평,NICE) | 2025.06.0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5 | 5,097 | 5.1 | A1(한기평,NICE) | 2025.07.30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밸류플러스미드스트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0 | 148,200 | 3.75 | A1(한신평,NICE) | 2025.04.2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밸류플러스미드스트림㈜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149,400 | 3.3 | A1(한신평,NICE) | 2025.07.2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30,100 | 2.9 | A1(한신평,한기평)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69,000 | 2.9 | A1(한신평,한기평)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성수공간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10,000 | 3.6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3.1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성수공간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10,000 | 3.2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4.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성수공간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4 | 10,000 | 3.2 | A1(한신평,한기평)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6 | 3,930 | 3.8 | A1(한신평,한기평) | 2025.02.0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6 | 3,910 | 3.6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4.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30 | 3,980 | 3.2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7.30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바이오매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4 | 82,400 | 3.45 | A1(한기평,NICE) | 2025.06.0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바이오매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82,4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9.0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밸류업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7,300 | 3.6 | A1(한기평,NICE) | 2025.04.1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밸류업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5 | 17,6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7.1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8,650 | 3.7 | A1(한기평,NICE) | 2025.02.2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8,750 | 3.6 | A1(한기평,NICE) | 2025.03.2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4 | 8,87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4.2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4 | 8,75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5.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7 | 8,550 | 3.2 | A1(한기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8,500 | 3 | A1(한기평,NICE) | 2025.07.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3 | 10,400 | 3.35 | A1(한기평,한신평) | 2025.03.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10,500 | 3.1 | A1(한기평,한신평) | 2025.04.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4 | 10,600 | 3.1 | A1(한기평,한신평) | 2025.05.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10,700 | 3 | A1(한기평,한신평) | 2025.06.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3 | 10,700 | 2.8 | A1(한기평,한신평)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에코머티리얼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07 | 9,100 | 3.65 | A1(한기평,NICE) | 2025.05.0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에코머티리얼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7 | 9,1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8.07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인더스트리얼즈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0 | 4,185 | 6 | A1(한기평,NICE) | 2025.04.0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인더스트리얼즈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4 | 4,181 | 5.4 | A1(한기평,NICE) | 2025.07.0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3 | 37,000 | 3.6 | A1(한기평,NICE) | 2025.05.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3 | 35,7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6.2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3 | 32,200 | 3 | A1(한기평,NICE) | 2025.09.23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2 | 19,30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6.12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2 | 18,3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8.12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32,300 | 3.75 | A1(한기평,NICE) | 2025.03.1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1 | 32,80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6.1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1 | 31,850 | 3.1 | A1(한기평,NICE) | 2025.09.1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이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3 | 8,076 | 6 | A1(한기평,NICE) | 2025.04.0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이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3 | 8,220 | 5.4 | A1(한기평,NICE) | 2025.07.03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14,607 | 6 | A1(한기평,NICE) | 2025.02.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3 | 14,526 | 6 | A1(한기평,NICE) | 2025.03.13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3 | 14,520 | 5.5 | A1(한기평,NICE) | 2025.04.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4 | 14,508 | 5.4 | A1(한기평,NICE) | 2025.05.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4 | 14,137 | 5.3 | A1(한기평,NICE) | 2025.06.1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6 | 13,668 | 5 | A1(한기평,NICE)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앤디워홀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4 | 31,50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5.2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십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29,900 | 3.3 | A1(한기평,NICE) | 2025.05.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십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29,3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8.26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십팔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0 | 20,0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5.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십팔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19,9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8.2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19,7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4.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6 | 30,200 | 3.3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3.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30,400 | 3.2 | A1(한신평,한기평) | 2025.06.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17 | 30,300 | 2.95 | A1(한신평,한기평) | 2025.08.26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엔젤레스제십팔차(유)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2.28 | 11,4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5.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엔젤레스제십팔차(유)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30 | 11,4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9.0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와이클라스제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31 | 10,300 | 3.25 | A1(한신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13,000 | 3.65 | A1(한기평,NICE) | 2025.03.1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17 | 13,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2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13,0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5.22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2 | 13,0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7.2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07 | 38,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0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07 | 38,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6.0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9 | 38,000 | 3 | A1(한기평,NICE) | 2025.09.08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23,000 | 3.55 | A1(한기평,NICE) | 2025.02.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23,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2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9 | 23,0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7.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십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24 | 10,000 | 3.55 | A1(한기평,NICE) | 2025.02.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십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10,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29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2제십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9 | 10,0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7.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112,000 | 4 | A1(한기평,NICE) | 2025.02.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5 | 112,000 | 3.4 | A1(한기평,NICE) | 2025.03.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5 | 112,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4.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5 | 112,0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5.26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6 | 112,0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6.25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사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5 | 112,0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7.25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영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8 | 4,2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5.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쥐피에스23제영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4,2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8.28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찬스가산유동화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4 | 10,000 | 3.7 | A1(한기평,NICE) | 2025.04.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찬스가산유동화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4 | 10,000 | 3.2 | A1(한기평,NICE) | 2025.07.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찬스공평유동화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7 | 15,000 | 3.25 | A1(한기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찬스공평유동화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27 | 15,0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7.28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토탈커버투게더제일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3.28 | 20,200 | 3.15 | A1(한기평,NICE) | 2025.06.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토탈커버투게더제일차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6.30 | 20,200 | 2.85 | A1(한기평,NICE) | 2025.09.29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이어웍스제이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4 | 30,50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5.1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이어웍스제이차주식회사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4 | 30,500 | 3 | A1(한기평,NICE) | 2025.08.14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이어웍스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8 | 20,400 | 3.23 | A1(한신평,NICE) | 2025.06.27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03 | 5,100 | 3.8 | A1(한기평,NICE) | 2025.01.2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7 | 6,300 | 3.5 | A1(한기평,NICE) | 2025.01.3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31 | 6,200 | 3.45 | A1(한기평,NICE) | 2025.02.2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1 | 6,200 | 3.35 | A1(한기평,NICE) | 2025.03.21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3.21 | 6,200 | 3.1 | A1(한기평,NICE) | 2025.04.04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8 | 6,900 | 3.05 | A1(한기평,NICE) | 2025.05.28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8 | 7,000 | 3 | A1(한기평,NICE) | 2025.06.30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7,000 | 2.8 | A1(한기평,NICE) | 2025.07.28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코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24 | 29,490 | 3.4 | A1(한신평,한기평) | 2025.05.22 | 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파코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22 | 29,490 | 3.1 | A1(한신평,한기평) | 2025.08.22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판교공간제이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10,0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7.3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판교공간제일차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30 | 22,000 | 2.9 | A1(한기평,NICE) | 2025.07.31 | 미상환 | 신한투자증권 |
| 신한라이프 | 회사채 | 공모 | 2025.06.05 | 500,000 | 3.40 | AA+(한신평, 한기평) | 2035.06.05 | 미상환 | 한국투자증권, 케이비증권,교보증권,한양증권,SK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100,000 | 3.16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1.07 | 미상환 | 키움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40,000 | 3.16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7.09 | 미상환 | 키움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10,000 | 3.16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7.08 | 미상환 | 키움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50,000 | 3.12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4.09 | 미상환 | 키움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1.09 | 50,000 | 3.08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1.08 | 미상환 | 키움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50,000 | 2.83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3.06 | 미상환 | (주)상상인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60,000 | 3.02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9.06 | 미상환 | (주)상상인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80,000 | 2.97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3.03 | 미상환 | (주)상상인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06 | 50,000 | 2.91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8.06 | 미상환 | (주)상상인증권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20,000 | 3.14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9.2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30,000 | 3.10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3.24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3.26 | 60,000 | 3.03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4.2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2.10 | 50,000 | 3.84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5.16 | 상환 | KEB하나은행(구외환은행)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1.13 | 100,000 | 3.95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4.11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2.17 | 100,000 | 3.93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5.16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08 | 20,000 | 3.12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4.08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08 | 70,000 | 2.89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08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08 | 50,000 | 2.88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1.07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08 | 40,000 | 2.84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10.08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25 | 20,000 | 2.88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7.25 | 미상환 | 우리종합금융(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25 | 70,000 | 2.86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4.25 | 미상환 | 우리종합금융(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4.25 | 60,000 | 2.84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25 | 미상환 | 우리종합금융(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40,000 | 2.98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30.05.08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50,000 | 2.82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8.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90,000 | 2.80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5.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60,000 | 2.76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60,000 | 2.73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8.09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40,000 | 2.73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5.07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09 | 10,000 | 2.73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5.06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27 | 70,000 | 2.85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8.25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5.27 | 80,000 | 2.77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2.25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09 | 60,000 | 2.69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6.09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09 | 50,000 | 2.75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12.09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09 | 20,000 | 2.85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6.08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09 | 120,000 | 2.85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6.09 | 미상환 | 케이비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27 | 60,000 | 2.88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8.06.27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회사채 | 공모 | 2025.06.27 | 40,000 | 2.72 | AA.(한신평,한기평,NICE) | 2027.06.25 | 미상환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기업어음증권 | 사모 | 2025.05.16 | 50,000 | 3.44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8.14 | 미상환 | KEB하나은행(구외환은행)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0 | 70,000 | 2.89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4.23 | 상환 | IM증권㈜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11 | 100,000 | 3.67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7.11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4.21 | 40,000 | 2.84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4.24 | 상환 | 유안타증권㈜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02 | 150,000 | 2.90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5.09 | 상환 | SK증권㈜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6 | 100,000 | 3.93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5.19 | 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5.19 | 100,000 | 3.65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8.18 | 미상환 | 다올투자증권(주) |
| 신한캐피탈 | 전자단기사채 | 사모 | 2025.06.04 | 30,000 | 2.62 | A1(한신평,한기평,NICE) | 2025.06.09 | 상환 | BNK투자증권㈜ |
| 제주은행 | 회사채 | 공모 | 2025.03.14 | 100,000 | 2.96 | AA+(한신평, 한기평) | 2028.03.14 | 미상환 | 한양증권 |
| 신한자산신탁 | 신종자본증권 | 사모 | 2024.05.23 | 100,000 | 4.71 | - | 2054.05.23 | 미상환 | 한양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4.07.15 | 65,000 | 4.90 | A2(한기평,NICE) | 2025.07.14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4.07.30 | 35,000 | 4.90 | A2(한기평,NICE) | 2025.07.29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신종자본증권 | 사모 | 2024.10.29 | 50,000 | 4.10 | - | 2034.10.29 | 미상환 | 한양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5.04.25 | 60,000 | 4.93 | A2-(한기평,NICE) | 2026.04.24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5.04.29 | 9,000 | 4.93 | A2-(한기평,NICE) | 2026.04.28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5.04.30 | 12,000 | 4.93 | A2-(한기평,NICE) | 2026.04.29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 신한자산신탁 | 기업어음 | 사모 | 2025.05.28 | 19,000 | 4.93 | A2-(한기평,NICE) | 2026.05.27 | 미상환 | 흥국증권 주식회사 |
②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신한금융지주회사>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10-3회 무보증사채 | 2017-04-20 | 2027-04-20 | 110,000 | 2017-04-18 | 한국증권금융 |
| 111-2회 무보증사채 | 2017-05-12 | 2027-05-12 | 70,000 | 2017-05-10 | 한국증권금융 |
| 112-2회 무보증사채 | 2017-06-23 | 2027-06-23 | 60,000 | 2017-06-21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17-09-15 | - | 90,000 | 2017-09-08 | IBK투자증권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15-2회 무보증사채 | 2018-01-22 | 2028-01-22 | 110,000 | 2018-01-18 | 한국예탁결제원 |
| 116-2회 무보증사채 | 2018-02-22 | 2028-02-22 | 100,000 | 2018-02-21 | 한국예탁결제원 |
| 117-2회 무보증사채 | 2018-03-21 | 2028-03-21 | 100,000 | 2018-03-20 | 한국예탁결제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3-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18-04-13 | - | 15,000 | 2018-04-06 | DB금융투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18-3회 무보증사채 | 2018-04-25 | 2028-04-25 | 70,000 | 2018-04-24 | 한국예탁결제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19-3회 무보증사채 | 2018-05-29 | 2028-05-29 | 30,000 | 2018-04-24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26-2회 무보증사채 | 2019-04-18 | 2026-04-18 | 100,000 | 2019-04-17 | 한국증권금융 |
| 127-2회 무보증사채 | 2019-05-24 | 2026-05-24 | 100,000 | 2019-05-23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28-2회 무보증사채 | 2019-07-26 | 2026-07-26 | 120,000 | 2019-07-25 | 한국증권금융 |
| 128-3회 무보증사채 | 2019-07-26 | 2029-07-26 | 160,000 | 2019-07-25 | 한국증권금융 |
| 129-2회 무보증사채 | 2019-08-27 | 2029-08-27 | 130,000 | 2019-08-2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30-3회 무보증사채 | 2019-10-22 | 2026-10-22 | 60,000 | 2019-10-21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31-3회 무보증사채 | 2020-02-06 | 2030-02-06 | 60,000 | 2020-02-05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0-09-17 | - | 450,000 | 2020-09-07 | DB금융투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36-2회 무보증사채 | 2020-10-29 | 2025-10-29 | 150,000 | 2020-10-28 | 한국증권금융 |
| 137회 무보증사채 | 2020-12-23 | 2025-12-23 | 180,000 | 2020-12-22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38회 무보증사채 | 2021-02-18 | 2026-02-18 | 210,000 | 2021-02-17 | 한국증권금융 |
| 139회 무보증사채 | 2021-02-24 | 2026-02-24 | 200,000 | 2021-02-23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9-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1-03-16 | - | 430,000 | 2021-03-04 | DB금융투자 |
| 9-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1-03-16 | - | 170,000 | 2021-03-04 | DB금융투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0-2회 무보증사채 | 2021-04-22 | 2026-04-24 | 50,000 | 2021-04-21 | 한국증권금융 |
| 140-3회 무보증사채 | 2021-04-22 | 2031-04-24 | 50,000 | 2021-04-21 | 한국증권금융 |
| 141-2회 무보증사채 | 2021-05-28 | 2026-05-28 | 50,000 | 2021-05-27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2회 무보증사채 | 2021-07-28 | 2026-07-28 | 150,000 | 2021-07-27 | 한국증권금융 |
| 143-2회 무보증사채 | 2021-09-06 | 2026-09-06 | 70,000 | 2021-09-03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4-2회 무보증사채 | 2021-11-11 | 2026-11-11 | 10,000 | 2021-11-10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1-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2-01-25 | - | 562,000 | 2022-01-13 | DB금융투자 |
| 11-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2-01-25 | - | 38,000 | 2022-01-13 | DB금융투자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5-2회 무보증사채 | 2022-02-22 | 2027-02-22 | 20,000 | 2022-02-21 | 한국증권금융 |
| 146-2회 무보증사채 | 2022-03-23 | 2027-03-23 | 70,000 | 2022-03-22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7-2회 무보증사채 | 2022-04-20 | 2027-04-20 | 50,000 | 2022-04-19 | 한국증권금융 |
| 148-2회 무보증사채 | 2022-05-23 | 2027-05-21 | 60,000 | 2022-05-20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9-1회 무보증사채 | 2022-07-18 | 2025-07-18 | 250,000 | 2022-07-15 | 한국증권금융 |
| 149-2회 무보증사채 | 2022-07-18 | 2027-07-18 | 100,000 | 2022-07-15 | 한국증권금융 |
| 149-3회 무보증사채 | 2022-07-18 | 2032-07-18 | 60,000 | 2022-07-15 | 한국증권금융 |
| 150-1회 무보증사채 | 2022-08-11 | 2025-08-11 | 150,000 | 2022-08-10 | 한국증권금융 |
| 150-2회 무보증사채 | 2022-08-11 | 2027-08-11 | 150,000 | 2022-08-10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2-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2-08-26 | - | 344,000 | 2022-08-16 | 한국증권금융 |
| 1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2-08-26 | - | 56,000 | 2022-08-1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51-2회 무보증사채 | 2022-10-18 | 2025-10-17 | 80,000 | 2022-10-17 | 한국증권금융 |
| 151-3회 무보증사채 | 2022-10-18 | 2027-10-18 | 70,000 | 2022-10-17 | 한국증권금융 |
| 152-1회 무보증사채 | 2022-11-10 | 2025-11-10 | 160,000 | 2022-11-09 | 한국증권금융 |
| 152-2회 무보증사채 | 2022-11-10 | 2027-11-10 | 110,000 | 2022-11-09 | 한국증권금융 |
| 152-3회 무보증사채 | 2022-11-10 | 2032-11-10 | 30,000 | 2022-11-09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3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3-01-30 | - | 400,000 | 2023-01-1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53-1회 무보증사채 | 2023-01-31 | 2026-01-31 | 100,000 | 2023-01-30 | 한국증권금융 |
| 153-2회 무보증사채 | 2023-01-31 | 2028-01-31 | 100,000 | 2023-01-30 | 한국증권금융 |
| 154-1회 무보증사채 | 2023-02-24 | 2026-02-24 | 50,000 | 2023-02-23 | 한국증권금융 |
| 154-2회 무보증사채 | 2023-02-24 | 2028-02-24 | 150,000 | 2023-02-23 | 한국증권금융 |
| 155-1회 무보증사채 | 2023-03-22 | 2026-03-22 | 30,000 | 2023-03-21 | 한국증권금융 |
| 155-2회 무보증사채 | 2023-03-22 | 2028-03-22 | 170,000 | 2023-03-21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56-1회 무보증사채 | 2023-04-21 | 2026-04-21 | 20,000 | 2023-04-20 | 한국증권금융 |
| 156-2회 무보증사채 | 2023-04-21 | 2028-04-21 | 250,000 | 2023-04-20 | 한국증권금융 |
| 157회 무보증사채 | 2023-05-23 | 2026-05-23 | 100,000 | 2023-05-22 | 한국증권금융 |
| 158회 무보증사채 | 2023-06-19 | 2026-06-19 | 100,000 | 2023-06-1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4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3-07-13 | - | 500,000 | 2023-07-03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59-1회 무보증사채 | 2023-08-28 | 2026-08-28 | 100,000 | 2023-08-25 | 한국증권금융 |
| 159-2회 무보증사채 | 2023-08-28 | 2028-08-28 | 100,000 | 2023-08-25 | 한국증권금융 |
| 160-1회 무보증사채 | 2023-09-20 | 2026-09-20 | 110,000 | 2023-09-19 | 한국증권금융 |
| 160-2회 무보증사채 | 2023-09-20 | 2028-09-20 | 100,000 | 2023-09-19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1-1회 무보증사채 | 2023-10-23 | 2026-10-23 | 50,000 | 2023-10-20 | 한국증권금융 |
| 161-2회 무보증사채 | 2023-10-23 | 2028-10-23 | 50,000 | 2023-10-20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2-1회 무보증사채 | 2024-01-30 | 2027-01-30 | 100,000 | 2024-01-29 | 한국증권금융 |
| 162-2회 무보증사채 | 2024-01-30 | 2029-01-30 | 100,000 | 2024-01-29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5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4-01-31 | - | 400,000 | 2024-01-19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3-2회 무보증사채 | 2024-02-26 | 2027-02-26 | 80,000 | 2024-02-23 | 한국증권금융 |
| 163-3회 무보증사채 | 2024-02-26 | 2029-02-26 | 80,000 | 2024-02-23 | 한국증권금융 |
| 164-1회 무보증사채 | 2024-03-25 | 2027-03-25 | 100,000 | 2024-03-22 | 한국증권금융 |
| 164-2회 무보증사채 | 2024-03-25 | 2029-03-25 | 100,000 | 2024-03-22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5-1회 무보증사채 | 2024-04-29 | 2027-04-29 | 110,000 | 2024-04-26 | 한국증권금융 |
| 165-2회 무보증사채 | 2024-04-29 | 2029-04-29 | 70,000 | 2024-04-26 | 한국증권금융 |
| 166-1회 무보증사채 | 2024-05-23 | 2027-05-23 | 100,000 | 2024-05-22 | 한국증권금융 |
| 166-2회 무보증사채 | 2024-05-23 | 2029-05-23 | 100,000 | 2024-05-22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7-1회 무보증사채 | 2024-07-22 | 2027-07-22 | 100,000 | 2024-07-19 | 한국증권금융 |
| 167-2회 무보증사채 | 2024-07-22 | 2029-07-22 | 100,000 | 2024-07-19 | 한국증권금융 |
| 168-1회 무보증사채 | 2024-08-27 | 2027-08-27 | 100,000 | 2024-08-26 | 한국증권금융 |
| 168-2회 무보증사채 | 2024-08-27 | 2029-08-27 | 100,000 | 2024-08-2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4-09-12 | - | 400,000 | 2024-09-02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69-1회 무보증사채 | 2024-09-26 | 2027-09-26 | 100,000 | 2024-09-25 | 한국증권금융 |
| 169-2회 무보증사채 | 2024-09-26 | 2029-09-26 | 50,000 | 2024-09-25 | 한국증권금융 |
| 170-1회 무보증사채 | 2024-10-29 | 2027-10-29 | 100,000 | 2024-10-28 | 한국증권금융 |
| 170-2회 무보증사채 | 2024-10-29 | 2029-10-29 | 50,000 | 2024-10-28 | 한국증권금융 |
| 171-1회 무보증사채 | 2024-11-27 | 2027-11-27 | 100,000 | 2024-11-26 | 한국증권금융 |
| 171-2회 무보증사채 | 2024-11-27 | 2029-11-27 | 50,000 | 2024-11-26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2025-04-16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7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5-02-13 | - | 400,000 | 2025-02-03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원리금 지급의무 | 계약내용 | 원금과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이행현황 | 이자 지급기일 준수 | |
| 조달자금의 사용 | 계약내용 | 운영 및 차환자금으로 사용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해당사항 없음 |
| 이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72-1회 무보증사채 | 2025-01-24 | 2028-01-24 | 100,000 | 2025-01-23 | 한국증권금융 |
| 172-2회 무보증사채 | 2025-01-24 | 2030-04-24 | 100,000 | 2025-01-23 | 한국증권금융 |
| 173-1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2026-02-26 | 60,000 | 2025-02-25 | 한국증권금융 |
| 173-2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2028-02-26 | 70,000 | 2025-02-25 | 한국증권금융 |
| 173-3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2030-02-26 | 70,000 | 2025-02-25 | 한국증권금융 |
| 174-1회 무보증사채 | 2025-03-25 | 2028-03-25 | 100,000 | 2025-03-24 | 한국증권금융 |
| 174-2회 무보증사채 | 2025-03-25 | 2030-03-25 | 100,000 | 2025-03-24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 |
| (작성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 175-1회 무보증사채 | 2025-04-22 | 2028-04-22 | 100,000 | 2025-04-21 | 한국증권금융 |
| 175-2회 무보증사채 | 2025-04-22 | 2030-04-22 | 100,000 | 2025-04-21 | 한국증권금융 |
| 176-1회 무보증사채 | 2025-06-25 | 2028-06-25 | 100,000 | 2025-06-24 | 한국증권금융 |
| 176-2회 무보증사채 | 2025-06-25 | 2030-06-25 | 100,000 | 2025-06-24 | 한국증권금융 |
| (이행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부채비율 37.10% |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기자본의 200% 이내 유지 |
| 이행현황 | 이행 |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자산총계의 60% 미만 |
| 이행현황 | 이행 |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원리금지금의무 이행 완료시까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제한 |
| 이행현황 | 이행 |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 |
③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③-1 별도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10,000 | - | - | - | 10,000 | |
| 합계 | - | - | - | - | 10,000 | - | - | - | 10,000 | |
③-2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50,000 | 270,000 | 360,000 | 1,060,000 | 720,000 | 1,240,000 | 30,000 | 150,000 | 3,980,000 |
| 사모 | 250,000 | 369,600 | 794,220 | 1,055,096 | 1,595,000 | - | - | - | 4,063,916 | |
| 합계 | 400,000 | 639,600 | 1,154,220 | 2,115,096 | 2,315,000 | 1,240,000 | 30,000 | 150,000 | 8,043,916 | |
③-2-1 신한은행(연결기준, 원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③-2-2 신한은행(연결기준, 외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67,820 | 189,896 | - | - | - | - | 257,716 | |
| 합계 | - | - | 67,820 | 189,896 | - | - | - | - | 257,716 | |
③-2-3 신한카드(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50,000 | 270,000 | 360,000 | 1,060,000 | 660,000 | 920,000 | 30,000 | 150,000 | 3,600,000 |
| 사모 | - | - | - | - | 300,000 | - | - | - | 300,000 | |
| 합계 | 150,000 | 270,000 | 360,000 | 1,060,000 | 960,000 | 920,000 | 30,000 | 150,000 | 3,900,000 | |
③-2-4 신한투자증권(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250,000 | 269,600 | 676,400 | 865,200 | 1,185,000 | - | - | - | 3,246,200 | |
| 합계 | 250,000 | 269,600 | 676,400 | 865,200 | 1,185,000 | - | - | - | 3,246,200 | |
③-2-5 신한캐피탈(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60,000 | 320,000 | - | - | 380,000 |
| 사모 | - | - | 50,000 | - | - | - | - | - | 50,000 | |
| 합계 | - | - | 50,000 | - | 60,000 | 320,000 | - | - | 430,000 | |
③-2-6 제주은행(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③-2-7 신한라이프(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③-2-8 신한자산신탁(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100,000 | - | - | - | - | 100,000 | |
| 합계 | - | - | - | 100,000 | - | - | - | - | 100,000 | |
④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④-1 별도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400,000 | 400,000 | |
| 합계 | - | - | - | - | - | - | 400,000 | 400,000 | |
④-2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412,401 | 918,245 | 584,140 | - | - | 1,914,786 | 8,514,786 | 6,600,000 | |
| 합계 | 412,401 | 918,245 | 584,140 | - | - | 1,914,786 | 8,514,786 | 6,600,000 | |
④-2-1 신한은행(연결기준, 원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④-2-2 신한은행(연결기준, 외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④-2-3 신한카드(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300,000 | 300,000 | - | - | - | 600,000 | 3,500,000 | 2,900,000 | |
| 합계 | 300,000 | 300,000 | - | - | - | 600,000 | 3,500,000 | 2,900,000 | |
④-2-4 신한투자증권(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112,401 | 518,245 | 484,140 | - | - | 1,114,786 | 4,014,786 | 2,900,000 | |
| 합계 | 112,401 | 518,245 | 484,140 | - | - | 1,114,786 | 4,014,786 | 2,900,000 | |
④-2-5 신한캐피탈(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100,000 | 100,000 | - | - | 200,000 | 600,000 | 400,000 | |
| 합계 | - | 100,000 | 100,000 | - | - | 200,000 | 600,000 | 400,000 | |
④-2-6 제주은행(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④-2-7 신한라이프(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④-2-8 신한자산신탁(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⑤ 회사채 미상환 잔액 ⑤-1 별도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2,818,200 | 1,600,000 | 2,480,000 | 1,378,200 | 1,170,000 | 140,000 | - | 9,586,4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2,818,200 | 1,600,000 | 2,480,000 | 1,378,200 | 1,170,000 | 140,000 | - | 9,586,400 | |
⑤-2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27,825,946 | 16,703,580 | 13,226,497 | 7,713,320 | 5,785,404 | 2,910,000 | 1,060,000 | 75,224,747 |
| 사모 | 4,517,528 | 680,009 | 1,121,358 | 636,421 | - | - | - | 6,955,315 | |
| 합계 | 32,343,474 | 17,383,589 | 14,347,855 | 8,349,741 | 5,785,404 | 2,910,000 | 1,060,000 | 82,180,062 | |
⑤-2-1 신한은행(연결기준, 원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6,950,995 | 6,410,000 | 2,170,000 | 420,000 | 640,000 | 1,050,000 | 1,060,000 | 28,700,995 |
| 사모 | 2,821,156 | - | - | - | - | - | - | 2,821,156 | |
| 합계 | 19,772,151 | 6,410,000 | 2,170,000 | 420,000 | 640,000 | 1,050,000 | 1,060,000 | 31,522,151 | |
⑤-2-2 신한은행(연결기준, 외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817,271 | 1,474,100 | 739,234 | 678,200 | 1,575,404 | - | - | 5,284,209 |
| 사모 | 421,632 | 273,089 | - | - | - | - | - | 694,721 | |
| 합계 | 1,238,903 | 1,747,189 | 739,234 | 678,200 | 1,575,404 | - | - | 5,978,930 | |
⑤-2-3 신한카드(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4,379,480 | 4,262,560 | 4,617,263 | 4,356,920 | 2,170,000 | 360,000 | - | 20,146,223 |
| 사모 | 1,274,740 | 406,920 | 1,121,358 | 636,421 | - | - | - | 3,439,438 | |
| 합계 | 5,654,220 | 4,669,480 | 5,738,621 | 4,993,341 | 2,170,000 | 360,000 | - | 23,585,661 | |
⑤-2-4 신한투자증권(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790,000 | 710,000 | 580,000 | - | - | 460,000 | - | 2,54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790,000 | 710,000 | 580,000 | - | - | 460,000 | - | 2,540,000 | |
⑤-2-5 신한캐피탈(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970,000 | 2,246,920 | 2,490,000 | 880,000 | 180,000 | 100,000 | - | 7,866,92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1,970,000 | 2,246,920 | 2,490,000 | 880,000 | 180,000 | 100,000 | - | 7,866,920 | |
⑤-2-6 제주은행(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00,000 | - | 150,000 | - | 50,000 | - | - | 30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100,000 | - | 150,000 | - | 50,000 | - | - | 300,000 | |
⑤-2-7 신한라이프(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800,000 | - | 80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800,000 | - | 800,000 | |
⑤-2-8 신한자산신탁(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⑥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⑥-1 별도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⑥-2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300,000 | 100,000 | 400,000 |
| 사모 | - | - | - | - | - | 1,200,000 | 300,024 | 1,500,024 | |
| 합계 | - | - | - | - | - | 1,500,000 | 400,024 | 1,900,024 | |
⑥-2-1 신한은행(연결기준, 원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⑥-2-2 신한은행(연결기준, 외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⑥-2-3 신한카드(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700,000 | - | 700,000 | |
| 합계 | - | - | - | - | - | 700,000 | - | 700,000 | |
⑥-2-4 신한투자증권(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300,024 | 300,024 | |
| 합계 | - | - | - | - | - | - | 300,024 | 300,024 | |
⑥-2-5 신한캐피탈(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350,000 | - | 350,000 | |
| 합계 | - | - | - | - | - | 350,000 | - | 350,000 | |
⑥-2-6 제주은행(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100,000 | 10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100,000 | 100,000 | |
⑥-2-7 신한라이프(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300,000 | - | 30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300,000 | - | 300,000 | |
⑥-2-8 신한자산신탁(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150,000 | 150,000 | ||
| 합계 | - | - | - | - | - | 150,000 | - | 150,000 | |
⑦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⑦-1 별도기준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4,814,550 | 4,814,55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4,814,550 | 4,814,550 | |
⑦-2 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348,200 | 190,000 | 1,167,300 | 897,204 | - | 2,106,400 | - | - | 7,067,550 | 12,776,654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1,348,200 | 190,000 | 1,167,300 | 897,204 | - | 2,106,400 | - | - | 7,067,550 | 12,776,654 | |
⑦-2-1 신한은행(연결기준, 원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600,000 | 160,000 | 150,000 | - | - | 750,000 | - | - | 2,253,000 | 3,913,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600,000 | 160,000 | 150,000 | - | - | 750,000 | - | - | 2,253,000 | 3,913,000 | |
⑦-2-2 신한은행(연결기준, 외화부문)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678,200 | - | 1,017,300 | 897,204 | - | 1,356,400 | - | - | - | 3,949,104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678,200 | - | 1,017,300 | 897,204 | - | 1,356,400 | - | - | - | 3,949,104 | |
⑦-2-3 신한카드(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⑦-2-4 신한투자증권(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⑦-2-5 신한캐피탈(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⑦-2-6 제주은행(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70,000 | 30,000 | - | - | - | - | - | - | - | 100,000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70,000 | 30,000 | - | - | - | - | - | - | - | 100,000 | |
⑦-2-7 신한라이프(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⑦-2-8 신한자산신탁(연결기준)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⑧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지배회사에 관한 사항]
| 구분 | 제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3-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17-09-15 | 2018-04-13 | |
| 발행금액(억원) | 900 | 150 | |
| 발행목적 | 차환자금 | 운영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900 | 15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10년이 경과된 2027년 9월 15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10년이 경과된 2028년 4월 13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4.25% | 4.56%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7.55%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1.27%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7.17%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0.97%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8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9-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0-09-17 | 2021-03-16 | |
| 발행금액(억원) | 4,500 | 4,300 | |
| 발행목적 | 차환자금 | 운영/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4,500 | 4,3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5년 9월 17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6년 3월 16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3.12% | 2.94%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36%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74%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26%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66%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9-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10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1-03-16 | 2021-05-12 | |
| 발행금액(억원) | 1,700 | 5억 USD | |
| 발행목적 | 차환자금 | 운영/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1,700 | 5억 USD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10년이 경과된 2031년 3월 16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6년 5월 12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3.30% | 2.875%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7.94%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1.60%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92%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3.20%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11-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11-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2-01-25 | 2022-01-25 | |
| 발행금액(억원) | 5,620 | 380 | |
| 발행목적 | 운영/차환자금 | 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5,620 | 38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7년 1월 25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10년이 경과된 2032년 1월 25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3.90% | 4.00%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94%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3.21%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7.29%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1.06%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12-1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12-2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2-08-26 | 2022-08-26 | |
| 발행금액(억원) | 3,440 | 560 | |
| 발행목적 | 차환자금 | 운영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3,440 | 56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7년 8월 26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7년이 경과된 2029년 8월 26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4.93% | 5.15%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8.82%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30%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7.38%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1.14%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13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14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3-01-30 | 2023-07-13 | |
| 발행금액(억원) | 4,000 | 5,000 | |
| 발행목적 | 운영/차환자금 | 운영/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4,000 | 5,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8년 1월 30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8년 7월 13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5.14% | 5.40%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11%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54%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62%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95%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15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제16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4-01-31 | 2024-09-12 | |
| 발행금액(억원) | 4,000 | 4,000 | |
| 발행목적 | 운영/차환자금 | 운영/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4,000 | 4,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9년 1월 31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29년 9월 12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4.49% | 4.00%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11%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54%로 상승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11%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54%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구분 | 제17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5-02-13 | |
| 발행금액(억원) | 4,000 | |
| 발행목적 | 운영/차환자금 | |
| 발행방법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4,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영구성 - 후순위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
| 만기 | 없음(영구채)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부터 5년이 경과된 2030년 2월 13일 또는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3.90% | |
| Step up 포함 여부 | 없음 | |
| 우선순위 |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6월말 기준 부채비율 37.10% 에서 39.11%로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이중레버리지 비율 110.91%에서 112.54%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발행 - 발행인이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권고, 요구,명령을 받은 경우나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이자지급을 정지(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발행인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원리금 전액 상각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증권신고서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특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주)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
<신한은행>
| 구 분 | 제21회-06-이-영구-10-갑(신종) | 제24회-02-이-영구-10-갑(신종) | 제24회-11-이-영구-5-갑(신종) | 제26회-05-이-영구-5-갑(신종) | |
|---|---|---|---|---|---|
| 발행일 | 2017-06-29 | 2020-02-25 | 2020-11-05 | 2022-05-03 | |
| 발행금액(억원) | 700 | 500 | 3,000 | 3,230 | |
| 발행목적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700 | 500 | 3,000 | 3,23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만기가 영구적임 - 발행자가 원금 및 이자에 대해 현금 등 금융자산을 상환할 계약상 의무를 부담하지 않음 |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1) | - | -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
| 만기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
| 조기상환 가능일 | 2027.06.29 | 2030.02.25 | 2025.11.05 | 2027.05.03 | |
| 발행금리 | 3.81% | 3.08% | 2.87% | 4.50% | |
| Step up 포함 여부 | 미포함 | 미포함 | 미포함 | 미포함 | |
| 우선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43.98%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43.07%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4.51%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5.58% 로 상승) | |
| 기타 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이자 지급의 제한 주2) - 만기일 주3) - 채무재조정 주4) | ||||
| 구 분 | 제26회-10-이-영구-5-갑(신종) | 제27회-03-이-영구-5-갑(신종) | 제28회-04-이-영구-5-갑(신종) | 제29회-04-이-영구-5-갑(신종) | |
|---|---|---|---|---|---|
| 발행일 | 2022-10-17 | 2023-03-07 | 2024-04-02 | 2025-04-30 | |
| 발행금액(억원) | 3,100 | 4,000 | 4,000 | 4,000 | |
| 발행목적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3,100 | 4,000 | 4,000 | 4,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만기가 영구적임 - 발행자가 원금 및 이자에 대해 현금 등 금융자산을 상환할 계약상 의무를 부담하지 않음 |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1) | - | -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
| 만기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만기없음 | |
| 조기상환 가능일 | 2027.10.17 | 2028.03.07 | 2029-04-02 | 2030-04-30 | |
| 발행금리 | 5.70% | 4.63% | 4.19% | 3.45% | |
| Step up 포함 여부 | 미포함 | 미포함 | 미포함 | 미포함 | |
| 우선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 (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4.98%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9.14%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9.15% 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말 기준 1440.80%에서 1459.15% 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이자 지급의 제한 주2)- 만기일 주3)- 채무재조정 주4) | ||||
| 주1)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에 따라 기재가 불가능함 |
| 주2) | 은행업감독규정 제26조 제4항, 제26조의2 제6항, 제26조의3 제5항에 따라 자본보전완충자본 등을 포함한 자본비율이 은행업감독규정 별표 2-10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미달함으로 인하여 은행업감독규정 별표 2-11에서 정하는 이익배당 등의 한도를 준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관련 법령이 제개정되는 경우 그에 따름), 위 한도의 준수를 위해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 사채의 이자(배당)를 지급하지 아니함 |
| 주3) | 본 사채는 만기일을 특정하고 있지 아니하고, 다음의 일자 중 먼저 도래하는 날에 만기일이 도달한 것으로 함 ①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또는 이를 대체하는 법령에 의하여 발행은행에 대해 파산이 선고되어 파산절차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절차가 개시되는 날 ② 발행은행에 대해 파산이나 회생절차에 의하지 않는 청산절차가 개시되는 날 |
| 주4) | 신한은행이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사채의 상환과 이자지급 의무가 감면됨(채무재조정) 본 사채의 채무재조정은 발행은행의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로 간주되지 아니함 채무재조정은 채무재조정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영업일이 되는 날에 그 효력이 발생함 조건부자본증권은 예정사유 발생시 해당 조건부자본증권 전부를 영구적으로 채무재조정함 |
<제주은행>
| 구 분 | 제주은행 조건부(상)5 (신종-영구-5콜)(사) | 제주은행 조건부(상)6 (신종-영구-5콜)(사) | |
|---|---|---|---|
| 발행일 | 2022-09-19 | 2024-02-28 | |
| 발행금액(억원) | 500 | 500 | |
| 발행목적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500 | 5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 만기가 영구적임. - 발행자가 원금 및 이자에 대해 현금 등 금융자산을 상환할 계약상의 의무를 부담하지 않음 |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주1)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만기 없음 | 만기 없음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된 2027년 9월 19일과 그 이후 매 3개월마다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된 2029년 2월 28일과 그 이후 매 3개월마다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5.95% | 5.65% | |
| Step up 포함 여부 | 미포함 | 미포함 | |
| 우선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 말 기준 1,071.91%에서 1,169.39%로 상승) | 부채비율 상승 (2025년 6월 말 기준 1,071.91%에서 1,169.43%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이자지급의 제한 주2)- 만기일 주3)- 상각 주4) | ||
| 주1)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방침으로 기재가 불가능함 |
| 주2) | 은행업 감독규정 제26조 제4항, 제26조의 2 제6항, 제26조의 3 제5항에 따라 자본보전완충자본 등을 포함한 자본비율이 은행업 감독규정 별표 2-10 에서 정하는 자본비율에 미달함으로 인하여 은행업감독규정 별표 2-11에서 정하는 이익 배당 등의 한도 내에서만 본 사채의 이자(배당)를 지급함 |
| 주3) | 본 사채는 만기일을 특정하고 있지 아니하고, 다음의 일자 중 먼저 도래하는 날에 만기일이 도달한 것으로 함 ①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또는 이를 대체하는 법령에 의하여 발행은행에 대해 파산이 선고되어 파산절차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절차가 개시되는 날 ② 발행은행에 대해 파산이나 회생절차에 의하지 않는 청산절차가 개시되는 날 |
| 주4) | 제주은행이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본 사채는 전액 영구적으로 상각됨 본 사채의 상각은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사유로 간주되지 아니함. 상각의 효력은 상각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제3영업일이 되는 날에 발생함 상각의 효력은 영구적이며, 추후에 상각 사유가 소멸하거나 무효가 되더라도 이미 상각된 본건 채권에 관한 채무는 회복되지 아니함 |
<신한카드>
| 구 분 | 신한카드 제1회 사모 신종자본증권 | 신한카드 제2회 사모 신종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2-03-17 | 2023-02-14 | |
| 발행금액(억원) | 4,000 | 3,000 | |
| 발행목적 | 운영자금 사용 | 운영자금 사용 | |
| 발행방법 | 사모 | 사모 | |
| 상장여부 | 비상장 | 비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4,000 | 3,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만기시점 발행사의 의사결정에 따라 만기연장이 가능, 일정 요건(보통주에 대한 배당금 미지급 등) 충족 시 이자 지급 연기 가능 등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 - 선택적 연기, 필요적 연기 가능, 지급의무의 부존재, 누적적 연기, 연기에 따른 제약, 미지급이자의 완제 규정 | 만기시점 발행사의 의사결정에 따라 만기연장이 가능, 일정 요건(보통주에 대한 배당금 미지급 등) 충족 시 이자 지급 연기 가능 등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 - 선택적 연기, 필요적 연기 가능, 지급의무의 부존재, 누적적 연기, 연기에 따른 제약, 미지급이자의 완제 규정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으로 기재가 불가능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으로 기재가 불가능 | |
| 미지급누적이자 | 없음 | 없음 | |
| 만기 | 2052년 3월 17일 | 2053년 02월 14일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된 2027년 3월 17일과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된 2028년 2월 14일과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발행시점 : 4.014% (발행일 2영업일전 4사평균 종가기준으로 가산금리 확정) - 5년 국고채 민평수익률 + 가산금리 1.484% - 5년 단위 변동 / 발행 후 5년 경과시점에 Step-up조항에 따라 2.00% 가산금리 적용(1회限) | 발행시점 : 5.276% (발행일 2영업일전 4사평균 종가기준으로 가산금리 확정) - 5년 국고채 민평수익률 + 가산금리 1.894% - 5년 단위 변동 / 발행 후 5년 경과시점에 Step-up조항에 따라 2.00% 가산금리 적용(1회限) | |
| Step up 포함 여부 | 포함 | 포함 | |
| 우선순위 |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보다 선순위이며, 기타 본건 신종자본증권과 동순위임이 명시된 채무를 제외한 나머지 채무들에 대하여는 후순위임 |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보다 선순위이며, 기타 본건 신종자본증권과 동순위임이 명시된 채무를 제외한 나머지 채무들에 대하여는 후순위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2025년 2분기말 기준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9.88%에서 18.91%로 하락, 레버리지배율은 5.31%에서 5.58%로 상승 | 2025년 2분기말 기준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9.88%에서 19.16%로 하락, 레버리지배율은 5.31%에서 5.51%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 | - | |
<신한투자증권>
| 발행회차 | 신한금융투자 제1회 사모 채권형 외화 신종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1-06-14 | |
| 발행금액 | 미화 이억칠천만불(USD 270,000,000) | |
| 발행목적 | 자본확충 | |
| 발행방법 | 사모 | |
| 상장여부 | 비상장 | |
| 미상환잔액 | 미화 이억칠천만불(USD 270,000,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 1032호에 따라 자본으로의 분류요건을 충족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 - | |
| 미지급 누적이자 | 없음 | |
| 만기일 | 영구 | |
| 조기상환가능일 |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 이후부터 | |
| 발행금리 | 2.925% | |
| Step up 포함여부 | 미포함 | |
| 우선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보통주보다 선순위, 최후순위 우선주와 동순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 등 | |
| 기타 중요한 발행조건 등 | - 발행회사에 의한 조기상환권(Call Option) :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 이후부터 | |
| - 금리 Reset 조건 :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날의 다음날 기준금리 재조정 ※기준금리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the Board of Governor of the U.S. Federal Reserve System)가 매주 공시하는 가장 최신의 'H.15(519)' 통계자료 또는(그 대체) 공시자료[해당 자료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홈페이지인 http://www.federalreserve.gov/releases/h15/current/default.htm또는(그 대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함]에 공시되는 것으로서, 해당 금리조정일 전5 뉴욕 영업일에 해당하는 날(이하'계산일')의 직전에 만료되는 주의 평균수익률을 표시하는 열 중, 해당 금리조정일부터 기산하는 재설정이자기간(이하 정의됨)에 상응하는 만기를 갖는 미국 국채(U.S. Treasury Securities)에 대하여 'U.S. government securities-Treasury constant maturities-Nominal' 표제 하에 표시되는 수익률에 해당하는 연 퍼센티지 비율을 의미한다. | ||
<신한라이프>
| 구 분 | 제1회 신종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0-08-11 | |
| 발행금액(억원) | 3,000 | |
| 발행목적 | 新회계(IFRS17) 및 건전성제도(K-ICS) 도입 예정에 따른 선제적 자본 확충 | |
| 발행방법 | 공모 | |
| 상장여부 | 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3,000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만기시점 발행사의 재량으로 만기연장 가능하고, 일정요건(필요적 또는 선택적 지급정지) 충족시 이자지급이 정지되며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자본으로 인정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 현재 각 신용평가기관의 비공개 방침으로 기재가 불가능 | |
| 미지급 누적이자 | 해당사항 없음 | |
| 만기 | 2050년 8월 11일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로부터 5년 경과한 날(2025.8.11) 익일부터 행사 가능 | |
| 발행금리 | 발행시점 : 3.60% | |
| 우선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 등 | |
| 기타 중요한 발행조건 등 |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에 1회에 한하여 기준금리 조정되고, 발행일로부터 10년째 되는 날의 직후 영업일에 1회에 한하여 가산금리 조정됨 - 발행후 5년 이후부터 1년까지 적용금리 : ①+② ①기준금리: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 전 1영업일 종가 기준 국고채(5년물) 금리 ②가산금리: 최초 가산금리(2.563%) -발행 후 10년 이후 부터 적용 금리: ①+② ①기준금리: 발행일로부터 5년째 되는 날 전 1영업일 종가 기준 국고채(5년물) 금리 ②가산금리: 최초 가산금리(2.563%) + min[1.00%, 최초가산금리(2.563%의 50%] | |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또는 '보험업가독규정'에 따라 금융위로부터 긴급조치나 경영개선 권고/요구/명령을 받은 경우, 해당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동 사유가 해소될때까지 이자지급을 정지함(정지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자에 대한 지급의무는 소멸) | ||
<신한캐피탈>
| 구분 | 신한캐피탈 제 444회 신종자본증권 | 신한캐피탈 제 499회 신종자본증권 | 신한캐피탈 제 511회 신종자본증권 | |
|---|---|---|---|---|
| 발행일 | 2021-07-28 | 2024-08-12 | 2025-04-22 | |
| 발행금액(억원) | 1,500 | 1,000 | 1,000 | |
| 발행목적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자본확충 | |
| 발행방법 | 사모 | 사모 | 사모 | |
| 상장여부 | 비상장 | 비상장 | 비상장 | |
| 미상환잔액(억원) | 1,500 | 1,000 | 1,000억원 | |
| 자본인정에 관한 사항 | 회계처리 근거 | -만기시점 발행사의 의사결정에 따라 만기연장이 가능, 일정 요건(보통주에 대한 배당금 미지급 등) 충족 시 이자 지급 연기 가능 등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 | -만기시점 발행사의 의사결정에 따라 만기연장이 가능, 일정 요건(보통주에 대한 배당금 미지급 등) 충족 시 이자 지급 연기 가능 등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 | -만기시점 발행사의 의사결정에 따라 만기연장이 가능, 일정 요건(보통주에 대한 배당금 미지급 등) 충족 시 이자 지급 연기 가능 등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회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 |
| 신용평가기관의 자본인정비율 등 | - | - | - | |
| 미지급누적이자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 만기 | 2051년 7월 28일 | 2054년 8월 12일 | 2055년 4월 22일 | |
| 조기상환 가능일 | 발행일로부터 5년 경과된 2026년 7월 28일과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로부터 5년 경과된 2029년 8월 12일과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발행일로부터 5년 경과된 2030년 4월 22일과 그 이후 각 이자지급일에 조기상환 가능 | |
| 발행금리 | 발행시점 : 3.38%, (발행 후 5년 경과시점부터 Step-up조항에 따라 5년 이후 연 2.00%, 1회가산) | 발행시점 : 5.35%, (발행 후 5년 경과시점부터 Step-up조항에 따라 5년 이후 연 2.00%, 1회가산) | 발행시점 : 3.78%, (발행 후 5년 경과시점부터 Step-up조항에 따라 5년 이후 연 2.00%, 1회 가산) | |
| Step up 포함 여부 | - | - | - | |
| 우선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후순위(일반채권,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 |
|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 | 부채비율 상승(2025년 2분기 말 기준 443.3%에서 542.0%로 상승) | |||
| 기타투자자에게 중요한 발행조건 | Step-Up조건: 5년 경과 후 발행금리 + 가산금리 (2.00%) | |||
(1)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 | 제13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3.01.3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대여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대여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3-1회 무보증사채 | 2023.01.31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3-2회 무보증사채 | 2023.01.31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4-1회 무보증사채 | 2023.02.24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4-2회 무보증사채 | 2023.02.24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5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5-1회 무보증사채 | 2023.03.22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3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3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5-2회 무보증사채 | 2023.03.22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7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7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6-1회 무보증사채 | 2023.04.21 | 채무상환자금 | 20,000 | 채무상환자금 | 2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6-2회 무보증사채 | 2023.04.21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및 채무상환자금 | 25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및 채무상환자금 | 2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7회 무보증사채 | 2023.05.23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8회 무보증사채 | 2023.06.19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4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3.07.13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5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5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9-1회 무보증사채 | 2023.08.28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9-2회 무보증사채 | 2023.08.28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0-1회 무보증사채 | 2023.09.20 | 채무상환자금 | 11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0-2회 무보증사채 | 2023.09.2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1-1회 무보증사채 | 2023.10.23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5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1-2회 무보증사채 | 2023.10.23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2-1회 무보증사채 | 2024.01.3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2-2회 무보증사채 | 2024.01.3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5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4.01.31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3-1회 무보증사채 | 2024.02.26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5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3-2회 무보증사채 | 2024.02.26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8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8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3-3회 무보증사채 | 2024.02.26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8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8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4-1회 무보증사채 | 2024.03.25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4-2회 무보증사채 | 2024.03.25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5-1회 무보증사채 | 2024.04.29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1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1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5-2회 무보증사채 | 2024.04.29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7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7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6-1회 무보증사채 | 2024.05.23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6-2회 무보증사채 | 2024.05.23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7-1회 무보증사채 | 2024.07.22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7-2회 무보증사채 | 2024.07.22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8-1회 무보증사채 | 2024.08.27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8-2회 무보증사채 | 2024.08.27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4.09.12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9-1회 무보증사채 | 2024.09.26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69-2회 무보증사채 | 2024.09.26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0-1회 무보증사채 | 2024.10.29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0-2회 무보증사채 | 2024.10.29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5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1-1회 무보증사채 | 2024.11.27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1-2회 무보증사채 | 2024.11.27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5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 5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2-1회 무보증사채 | 2025.01.24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2-2회 무보증사채 | 2025.01.24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회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 2025.02.13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4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3-1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6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6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3-2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채무상환자금 | 70,000 | 채무상환자금 | 7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3-3회 무보증사채 | 2025.02.26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70,000 | 운영자금(인건비, 사채이자 등) 및 채무상환자금 | 7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4-1회 무보증사채 | 2025.03.25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4-2회 무보증사채 | 2025.03.25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5-1회 무보증사채 | 2025.04.22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5-2회 무보증사채 | 2025.04.22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운영자금(자회사 자금지원)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6-1회 무보증사채 | 2025.06.25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 회사채 | 제176-2회 무보증사채 | 2025.06.25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채무상환자금 | 100,000 | 해당사항 없음 |
[주요 그룹사]
-신한은행(원화)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3.10.23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12,0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12,000,000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4.03.19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15,0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15,000,000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4.11.15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16,0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9,470,000 | 주) |
| 회사채(신종) | 2703-01 | 2023.03.07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 |
| 회사채(신종) | 2804-01 | 2024.04.02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 |
| 회사채(신종) | 2904-01 | 2025.04.3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운영자금(대출금 및 유가증권 운용) | 400,000 | - |
| 주) 2024.11.15 일괄신고서 제출 후 실제 발행 금액 |
| *신한은행 홈페이지: www.shinhan.com |
-신한은행(외화)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사회적채권) | - | 2023-04-12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 |
| 회사채(사회적채권) | - | 2023-10-26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 |
| 회사채(녹색채권) | - | 2024-01-29 | 채무상환자금(친환경 대상 사업분야 지원) | 795,900 | 채무상환자금(친환경 대상 사업분야 지원) | 795,900 | - |
| 회사채(사회적채권) | - | 2024-04-15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 |
| 회사채(녹색채권) | - | 2024-10-22 | 채무상환자금(친환경 대상 사업분야 지원) | 542,560 | 채무상환자금(친환경 대상 사업분야 지원) | 542,560 | - |
| 회사채(사회적채권) | - | 2024-11-26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354,644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354,644 | - |
| 회사채(사회적채권) | - | 2025-05-13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채무상환자금(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 678,200 | - |
| 주1) 2023.04.12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2023.2H Report를 참고 바람 |
| 주2) 2023.10.26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2024 Report.2H(1)를 참고 바람 |
| 주3) 2024.01.29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친환경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자산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2024 Report.2H(2)를 참고 바람 |
| 주4) 2024.04.15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2025년 중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 |
| 주5) 2024.10.22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친환경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자산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2025년 중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 |
| 주6) 2024.11.26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국내 의료 소외지역 지원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2025년 중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 |
| 주7) 2025.05.13 발행된 회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적 금융약자 지원 목적으로 발행 및 사용.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 내역은 2026년 중 당사의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 |
| *신한은행 홈페이지: www.shinhan.com |
-신한카드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사유 등 | |||
| 기업어음증권 | 34-1회 | 2025.06.27 | 운영자금 | 60,000 | 가맹점대금, 카드대출 등 | 54,733 | 할인대금 |
| 기업어음증권 | 34-2회 | 2025.06.27 | 운영자금 | 90,000 | 가맹점대금, 카드대출 등 | 77,591 | 할인대금 |
| 회사채 | 2023년 | - | 운영자금 | 6,450,000 | 가맹점대금, 카드대출 등 | 6,450,000 | - |
| 회사채 | 2024년 | - | 운영자금 | 6,743,914 | 가맹점대금, 카드대출 등 | 6,743,914 | - |
| 무보증사채 (녹색채권) (주2) | 2024년 | - | 친환경차 전용 할부대출 및 금융상품 운영자금으로 사용 | 150,000 | 친환경차 전용 할부대출 및 금융상품 운영자금으로 사용 | 150,000 | - |
| 회사채 | 2025년 | - | 운영자금 | 2,420,000 | 가맹점대금, 카드대출 등 | 930,000 | |
| 주1) 2023년 납입일:23년 1월~12월, 2024년 납입일:24년 1월~12월, 25년 납입일:25년1월~3월 |
| 주2) 2024.8.8 발행된 제2154-1, -2회 회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전기차 /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대상 저금리 적용을 통한 구매지원을 목적으로 발행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 친환경 차량 대상 오토 금융상품 운영자금(할부금융, 오토리스, 렌터카 등)에 사용 중에 있습니다.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내역은 발행일 이후 1년이내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의 사회책임투자전용 세그먼트에 게시될 예정이며, 게시시 ESG채권 사후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한국거래소 ESG채권 정보플랫폼 사이트:sribond.krx.co.kr*신한카드 홈페이지: www.shinhancard.com |
-신한투자증권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 | 제2301-1회 | 2023년 01월 09일 | 운영자금 | 100,000 | 운영자금 | 100,000 | - |
| 회사채 | 제2302-1회 | 2023년 02월 13일 | 운영자금 | 40,000 | 운영자금 | 40,000 | - |
| 회사채 | 제2302-2회 | 2023년 02월 13일 | 운영자금 | 60,000 | 운영자금 | 60,000 | - |
| 회사채 | 제2304-1회 | 2023년 05월 02일 | 운영자금 | 20,000 | 운영자금 | 20,000 | - |
| 회사채 | 제2304-2회 | 2023년 05월 02일 | 운영자금 | 180,000 | 운영자금 | 180,000 | - |
| 회사채 | 제2306-1회 | 2023년 06월 19일 | 채무상환자금 | 40,000 | 채무상환자금 | 40,000 | - |
| 회사채 | 제2306-2회 | 2023년 06월 19일 | 채무상환자금 | 60,000 | 채무상환자금 | 60,000 | - |
| 회사채 | 제2311-1회 | 2023년 11월 21일 | 운영자금 | 100,000 | 운영자금 | 100,000 | - |
| 회사채 | 제2401-1회 | 2024년 01월 24일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 |
| 회사채 | 제2401-2회 | 2024년 01월 24일 | 채무상환자금 | 200,000 | 채무상환자금 | 200,000 | - |
| 회사채 | 제2402-1회 | 2024년 02월 19일 | 채무상환자금 | 40,000 | 채무상환자금 | 40,000 | - |
| 회사채 | 제2402-2회 | 2024년 02월 19일 | 채무상환자금 | 110,000 | 채무상환자금 | 110,000 | - |
| 회사채 | 제2403-1회 | 2024년 03월 18일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 |
| 회사채 | 제2403-2회 | 2024년 03월 18일 | 채무상환자금 | 50,000 | 채무상환자금 | 50,000 | - |
| 회사채(후) | 제3회 | 2024년 05월 31일 | 채무상환자금 | 300,000 | 채무상환자금 | 300,000 | - |
| 회사채(후) | 제4회 | 2024년 06월 14일 | 채무상환자금 | 160,000 | 채무상환자금 | 160,000 | - |
| 회사채 | 제2407-1회 | 2024년 07월 24일 | 채무상환자금 | 110,000 | 채무상환자금 | 110,000 | - |
| 회사채 | 제2407-2회 | 2024년 07월 24일 | 채무상환자금 | 190,000 | 채무상환자금 | 190,000 | - |
| 회사채 | 제2502-1회 | 2025년 02월 21일 | 채무상환자금 | 140,000 | 채무상환자금 | 140,000 | - |
| 회사채 | 제2502-2회 | 2025년 02월 21일 | 채무상환자금 | 360,000 | 채무상환자금 | 360,000 | - |
| *한국거래소 ESG채권 정보플랫폼 사이트:sribond.krx.co.kr*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www.shinhansec.com |
-신한라이프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 | 3회차 | 2023.06.09 | 채무상환자금 | 200,000 | 채무상환자금 | 200,000 | - |
| 회사채 | 3회차 | 2023.06.09 | 운영자금 | 100,000 | 운영자금 | 100,000 | - |
| 회사채 | 4회차 | 2025.06.05 | 채무상환자금 | 300,000 | 채무상환자금 | 300,000 | - |
| 회사채 | 4회차 | 2025.06.05 | 운영자금 | 200,000 | 운영자금 | 200,000 | - |
-신한캐피탈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2.06.10~2023.05.30 | 운영자금 | 1,173,000 | 운영자금 | 1,173,000 | - |
| 차환자금 | 810,000 | 차환자금 | 810,000 |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3.06.08~2023.12.19 | 운영자금 | 1,120,000 | 운영자금 | 1,120,000 | - |
| 차환자금 | 760,000 | 차환자금 | 760,000 |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3.12.28~2024.11.21 | 운영자금 | 1,610,000 | 운영자금 | 1,610,000 | - |
| 차환자금 | 690,000 | 차환자금 | 690,000 |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4.12.06~2025.06.09 | 운영자금 | 1,625,750 | 운영자금 | 1,625,750 | - |
| 차환자금 | 560,000 | 차환자금 | 560,000 | - | |||
| 회사채 | 일괄신고서 | 2025.06.20~2026.06.19 | 운영자금 | 100,000 | 운영자금 | 100,000 | - |
| 차환자금 | - | 차환자금 | - | - | |||
| 회사채(주3) (지속가능채권) | 489 | 2023.10.17 | 청년주택공급 | 10,000 | 청년주택공급 | 10,000 | - |
| 회사채(주3) (지속가능채권) | 490 | 2023.10.30 | 장기전세주택공급 | 10,000 | 장기전세주택공급 | 10,000 | - |
| 주1) '20.1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변경으로 주식 및 주식 연계채권에서 주식, 주식연계채권, 회사채 및 기업어음증권(공시된 경우 한함)으로 작성대상 확대 |
| 주2) 회사채는 일괄신고서를 통해 발행하여 회차 기재 생략 |
| 주3) 최근 3년 발행한 회사채중 ESG채권(지속가능채권)으로 발행된 금액은 200억원 (489회, 490회)입니다. 이 ESG채권은 서민ㆍ청년주택 공급 및 폐기물처리 설비등에 대한 대출 및 투자를 위하여 발행되었으며, 발행당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내역은 신한캐피탈의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의 ESG채권 정보플랫폼에 게시된 ESG채권 사후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신한캐피탈 홈페이지: www.shcap.co.kr |
-제주은행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조건부자본증권(사회적채권) 주1) | 6 | 2024.02.28 | 사회가치창출 사업분야지원 | 50,000 | 사회가치창출 사업분야지원 | 50,000 | - |
| 무보증사채(사회적채권) 주2) | 24-04이2갑-18 | 2024.04.18 | 사회가치창출 사업분야지원 | 100,000 | 사회가치창출 사업분야지원 | 100,000 | - |
| 무보증사채 | 24-12이3갑-13 | 2024.10.22 | 운영자금 등 | 50,000 | 운영자금 등 | 50,000 | - |
| 무보증사채 | 24-10이5갑-22 | 2024.12.13 | 운영자금 등 | 50,000 | 운영자금 등 | 50,000 | - |
| 무보증사채 | 25-03이3갑-14 | 2025.03.14 | 운영자금 등 | 100,000 | 운영자금 등 | 100,000 | - |
| 주1) 2024년 2월 28일 발행된 조건부자본증권은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가치 창출 사업분야 지원을 위하여 발행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 사회가치 창출 사업 분야 지원에 사용되었습니다. |
| 주2) 2024년 4월 18일 발행된 무보증사채는 ESG채권(사회적채권)으로, 사회가치 창출 사업분야 지원을 위하여 발행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 사회가치 창출 사업 분야 지원에 사용되었습니다. |
| *제주은행 홈페이지: www.e-jejubank.com |
(2) 사모자금의 사용내역<신한캐피탈>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신종자본증권 | 499 | 2024.08.12 | 운영자금 | 100,000 | 운영자금 | 100,000 | - |
| 신종자본증권 | 511 | 2025.04.22 | 차환자금 | 100,000 | 차환자금 | 100,000 | - |
※ 상기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신한그룹사의 사모 자금 사용 내역 등은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신한캐피탈, 제주은행, 신한자산신탁에서 금융감독원(DART)에 공시한 각사의 사업보고서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 재작성사유, 내용 및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해당사항없음
나.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사항(1)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연결실체는 금융자산 유동화를 자금조달 및 위험이전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동화거래는 일반적으로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발행된 채무증권 보유자에게 계약상 현금흐름이 이전되는 결과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연결실체는 자산유동화시 개별약정에 따라 자산을 제거하지 않고 발행된 채무증권을 인식하거나, 자산에대한 연결실체의 지속적 관여 정도까지 자산을 부분적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자산을 제거하고 양도에서 발생한 권리와 의무를 별도의 자산 및 부채로 인식합니다. 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를 이전하거나 그 계약상 권리를 보유하지만 중요한 지연이나 재투자 없이 그 현금흐름을 상대방에게 지급해야 하는 계약상 의무를 부담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예: 신용위험, 이자율위험, 조기상환위험 등)과 효익의 대부분을 이전하는 경우에만 전체 유동화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2)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상기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의 '29. 우발 및 약정사항'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1) 기타 중요한 회계정책 및 재무제표 작성기준에 관한 사항 기타 중요한 회계정책 및 재무제표 작성기준 등에 관한 사항은 상기 3. 연결재무제표주석의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3. 중요한 회계정책 '와 상기 5. 재무제표 주석의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3. 중요한 회계정책'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라. 대손충당금 설정현황(연결기준)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 내용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설정률 |
|---|---|---|---|---|
| 제25기 반기 말 | 상각후원가측정 대출채권 | |||
| 원화대출금 | 352,896,398 | 2,475,822 | 0.70% | |
| 외화대출금 | 47,714,186 | 468,026 | 0.98% | |
| 신용카드채권 | 28,467,053 | 1,083,451 | 3.81% | |
| 기타 | 23,384,300 | 529,006 | 2.26% | |
| 소계 | 452,461,937 | 4,556,305 | 1.01% | |
| 기타자산(주2) | 76,010,076 | 564,923 | 0.74% | |
| 합계 | 528,472,013 | 5,121,228 | 0.97% | |
| 제24기 말 | 상각후원가측정 대출채권 | |||
| 원화대출금 | 350,284,300 | 2,429,685 | 0.69% | |
| 외화대출금 | 48,407,956 | 542,107 | 1.12% | |
| 신용카드채권 | 28,894,371 | 1,130,307 | 3.91% | |
| 기타 | 25,658,896 | 463,832 | 1.81% | |
| 소계 | 453,245,523 | 4,565,931 | 1.01% | |
| 기타자산(주2) | 61,998,981 | 595,646 | 0.96% | |
| 합계 | 515,244,504 | 5,161,577 | 1.00% | |
| 제23기 말 | 상각후원가측정 대출채권 | |||
| 원화대출금 | 323,332,647 | 2,401,205 | 0.74% | |
| 외화대출금 | 40,519,122 | 549,468 | 1.36% | |
| 신용카드채권 | 28,090,168 | 1,139,430 | 4.06% | |
| 기타 | 23,645,172 | 240,367 | 1.02% | |
| 소계 | 415,587,109 | 4,330,470 | 1.04% | |
| 기타자산(주2) | 59,875,485 | 486,569 | 0.81% | |
| 합계 | 475,462,594 | 4,817,039 | 1.01% |
| 주1) 회사 계정과목체계에 따른 분류 |
| 주2) 기타자산은 대손충당금 산정대상이 아닌 자산계정은 제외하고 산정함 |
(2) 대손충당금 변동 내역 <제25기 반기 말>
| (단위: 백만원) | |||||||
|---|---|---|---|---|---|---|---|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 측정 예치금 및 기타금융자산 | 합 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
| 기초 대손충당금 | 1,270,300 | 1,531,751 | 1,763,880 | 394,484 | 14,752 | 186,410 | 5,161,577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192,236 | -188,308 | -3,928 | 619 | -569 | -50 |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90,546 | 117,913 | -27,367 | -1,766 | 1,798 | -32 |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22,517 | -122,243 | 144,760 | -258 | -4,020 | 4,278 | - |
| 전입(환입)액 | -95,404 | 148,930 | 994,292 | 6,885 | 121 | 31,813 | 1,086,637 |
| 상각액 | - | - | -891,123 | - | - | -47,611 | -938,734 |
| 할인차금 상각 | - | - | -19,814 | - | - | - | -19,814 |
| 매각 | - | -355 | -257,981 | - | -1 | -3,352 | -261,689 |
| 상각채권 회수 | - | - | 154,853 | - | - | 1,156 | 156,009 |
| 기타 주1) | -19,158 | -12,543 | -11,323 | -5,828 | -3 | -13,903 | -62,758 |
| 반기말 대손충당금 | 1,234,911 | 1,475,145 | 1,846,249 | 394,136 | 12,078 | 158,709 | 5,121,228 |
<제24기 말>
| (단위: 백만원) | |||||||
|---|---|---|---|---|---|---|---|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 측정 예치금 및 기타금융자산 | 합 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
| 기초 대손충당금 | 1,275,974 | 1,672,926 | 1,381,570 | 332,951 | 15,650 | 137,968 | 4,817,039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206,803 | -201,876 | -4,927 | 1,262 | -1,229 | -33 |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124,779 | 158,247 | -33,468 | -5,414 | 5,441 | -27 |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24,287 | -110,430 | 134,717 | -178 | -5,715 | 5,893 | - |
| 전입(환입)액 | -70,604 | 22,354 | 1,910,263 | 175 | 629 | 112,858 | 1,975,675 |
| 상각액 | - | - | -1,536,101 | - | - | -61,157 | -1,597,258 |
| 할인차금 상각 | - | - | -35,031 | - | - | - | -35,031 |
| 매각 | -2,946 | -19,609 | -402,283 | -1 | -38 | -15,028 | -439,905 |
| 상각채권 회수 | - | - | 361,038 | - | - | 3,292 | 364,330 |
| 기타 주1) | 10,139 | 10,139 | -11,898 | 65,689 | 14 | 2,644 | 76,727 |
| 기말 대손충당금 | 1,270,300 | 1,531,751 | 1,763,880 | 394,484 | 14,752 | 186,410 | 5,161,577 |
<제23기 말>
| (단위: 백만원) | |||||||
|---|---|---|---|---|---|---|---|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 상각후원가 측정 예치금 및 기타금융자산 | 합 계 |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12개월 기대신용손실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 신용이 손상된금융자산 | ||
| 기초 대손충당금 | 1,050,037 | 1,486,338 | 1,114,438 | 296,346 | 10,440 | 74,621 | 4,032,220 |
|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142,018 | -140,871 | -1,147 | 364 | -299 | -65 | - |
|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대체 | -116,457 | 137,751 | -21,294 | -40,026 | 40,041 | -15 | - |
|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으로 대체 | -23,309 | -82,713 | 106,022 | -228 | -37,000 | 37,228 | - |
| 전입(환입)액 | 236,867 | 276,805 | 1,600,770 | 44,035 | 2,326 | 44,409 | 2,205,212 |
| 상각액 | - | - | -1,649,416 | - | - | -28,665 | -1,678,081 |
| 할인차금 상각 | - | - | -30,912 | - | - | - | -30,912 |
| 매각 | -36 | -426 | -96,685 | - | - | -178 | -97,325 |
| 상각채권 회수 | - | - | 358,493 | - | - | 2,198 | 360,691 |
| 기타 주1) | -13,146 | -3,958 | 1,301 | 32,460 | 142 | 8,435 | 25,234 |
| 기말 대손충당금 | 1,275,974 | 1,672,926 | 1,381,570 | 332,951 | 15,650 | 137,968 | 4,817,039 |
| 주) 기타 변동액은 채권조정, 출자전환,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금액임 |
마. 대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 방침
신용위험은 차주 또는 거래상대방의 부도, 계약불이행 등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제적 손실 위험을 의미하며, 연결실체가 부담하는 가장 큰 위험입니다. 신용위험 관리 대상은 난내계정은 물론, 보증, 대출약정, 파생상품 거래 등 난외계정을 포함하여 신용위험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포함하고 있습니다.
(1) 손상 측정에 사용된 변수, 가정 및 기법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연결실체는 최초 인식 후에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매 보고기간 말에 평가하며,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평가할 때 기대신용손실액의 변동이 아니라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걸친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의 변동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평가를 하기 위해, 보고기간 말의 금융상품에 대한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을 최초 인식일의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과 비교하고 최초 인식 후에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연결실체가 보유한 채무불이행 경험 데이터와 내부 신용 평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포함합니다. ① 채무불이행 위험의 측정연결실체는 채무불이행 위험과 합리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관측 자료와 과거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근거로 개별 익스포져에 대하여 내부 신용등급을 부여합니다. 내부 신용등급은 채무불이행 위험을 나타내는 질적ㆍ양적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요소는 익스포져의 특성과 차주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② 부도율 기간구조의 측정내부 신용등급은 부도율 기간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주요 투입변수입니다. 연결실체는 신용위험에 노출된 익스포져의 양태와 채무불이행 정보를 상품과 차주의 유형, 그리고 내부 신용 평가 결과 별로 분석하여 축적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의 수행 시 일부 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 신용 평가 기관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활용합니다.연결실체는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익스포져의 잔여 만기에 대한 부도율을 추정하고 추정된 부도율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합니다.③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연결실체는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 별로 정의된 지표를 활용하며, 이러한 지표는 일반적으로 내부 신용등급의 변동으로부터 추정된 채무불이행 위험의 변동과 질적 판단 요소, 그리고 연체일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최초 인식 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적용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업익스포져 | 소매익스포져 | 카드익스포져 |
|---|---|---|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 | 신용등급의 유의적인 변동 |
| 계속연체일수 30일 초과 | 계속연체일수 30일 초과 | 연체일수 7일 초과(개인카드) |
| 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 | 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 | 자산건전성등급 '요주의' 이하 |
| 조기경보모형 모니터링 등급 | 조기경보모형 모니터링 등급 | 특정연체 Pool Segment |
| 완전자본잠식 | 특정 Pool Segment | - |
| 감사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 | 집단대출 부실 시공사 연관 여신 | - |
|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또는 2년 연속 부의 영업현금흐름 | 기타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식별된 여신 | - |
| 기타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식별된 여신 | - | - |
연결실체는 특정 익스포져의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단, 특정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7일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이 최초 인식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연결실체는 연결실체가 차주로부터 수취할 계약상 지급액을 완전히 수취하지 못한 가장 빠른 일자로부터 연체일수를 산정하며 차주에 게 부여한 유예기간은 고려하지 않습니다.연결실체는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다음의 관점에서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채무불이행의 발생 이전에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가 식별될 것-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를 판단하고자 수립한 기준이 연체일수 기준보다 선제적인 예측력을 나타낼 것- 판단기준을 적용한 결과 12개월 기대신용손실 적립대상과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적립대상 간의 과도하게 빈번한 이동이 없을 것2) 변경된 금융자산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이 재협상 등을 통하여 변경되었으나 제거되지 아니하는경우, 연결실체는 해당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시점에 변경 전 계약 조건에 따라 측정된 채무불이행 위험과 변경된 조건에 따라 보고기간말 현재 측정된 채무불이행 위험을 비교하여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합니다. 연결실체는 채무불이행 위험을 관리하고 회수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재무적 곤경에 처한 고객에게 실행된 대출상품 등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조정(이하 '채권채무재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일반적으로 만기의 연장, 이자 지급 주기의 변경 및 계약상 기타 조건의 변경 등으로 이루어집니다.채권채무재조정은 일반적으로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질적 지표이며,연결실체는 이러한 조정 대상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익스포져에 대하여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차주가 채권채무재조정에 따라 변경된 계약상 현금흐름의 지급을 충실히 이행하거나 또는 해당 차주의 내부 신용등급이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기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된 경우 해당 익스포져에 대하여 다시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합니다.3) 채무불이행 위험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이 아래의 상황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때 해당 자산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차주가 계약상 지급일로부터 90일 이상 연체한 경우- 기타 연결실체가 담보권 등을 행사하지 않고 원리금을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차주의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할 때 연결실체는 아래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질적 요소(예: 계약 조건의 위반)- 양적 요소(예: 동일 차주가 연결실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각 지급의무별 연체일수 단,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개별 금융상품 단위 별로 연체일수 등을 활용)- 내부 관측자료 및 외부로부터 입수한 정보연결실체가 적용하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정의는 규제자본관리 목적에서 정의하고 있는 부도의 정의와 대체로 일치하며, 채무불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와 각 정보의 활용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4)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연결실체는 기대신용손실의 측정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내부 전문가그룹이 제시 한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 이러한 미래전망정보의 예측을 위하여 연결실체는 국내ㆍ외 연구기관 또는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서 공개한 경제전망 등을 활용합니다.연결실체는 편의가 배제된 중립적인 관점에서 예상되는 미래 거시경제적 상황을 기 대예상손실의 측정에 반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기대예상손실은 가장 발생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을 반영하며, 연결실체가 사업 계획과 경영 전략의 수립 시 근거한 예측과 동일한 가정에 기초합니다.연결실체는 과거에 경험한 데이터 및 시나리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포트폴리오별로 신용위험과 신용손실의 예측에 필요한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신용위험 간 상관관계를 도출한 후, 회귀식 추정을 통해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합니다.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반영을 위해 upside, central, downside의 3가지 시나리오에 worst 시나리오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여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하였습니다.
| 주요 거시경제변수 | 신용위험 간 상관관계 |
|---|---|
| GDP성장률 | 음(-)의 상관관계 |
| 민간소비증감률 | 음(-)의 상관관계 |
| 설비투자증감률 | 음(-)의 상관관계 |
|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 양(+)의 상관관계 |
| 경상수지 | 음(-)의 상관관계 |
연결실체가 사용한 거시경제변수와 채무불이행 위험 간의 예측된 상관관계는 과거 10년 이상의 장기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되었습니다.
5) 기대신용손실의 측정기대신용손실의 측정에 투입된 주요 변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별 부도율(PD)- 부도 시 손실률(LGD)- 부도 시 익스포져(EAD)
이러한 신용위험측정요소는 연결실체가 내부적으로 개발한 통계적 기법과 과거 경험데이터로부터 추정되었으며 미래전망정보의 반영을 통하여 조정되었습니다.기간별 부도율 추정치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통계적 모형에 기반하여 거래상대방 과 익스포져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되었습니다. 연결실체는 추정에 활용된 통계적 신용평가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연결실체의 자체적으로 보유한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일부 포트폴리오(예: 대기업군 등)의 경우 시장에서 관측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거래상대방 또는 익스포져가 특정 등급 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우,해당 등급별 부도율의 측정 방식을 조정하며, 등급별 부도율은 익스포져의 계약 만기를 고려하여 추정되었습니다.부도시 손실률은 부도 발생시 예상되는 손실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연결실체는 과거 부도 익스포져로부터 측정된 경험 회수율에 기반하여 부도시 손실률을 산출하였습니다. 부도시 손실률의 측정 모형은 담보의 유형, 담보에 대한 선순위, 차주의 유형 및 회수에 소요된 비용을 반영하도록 개발되었으며, 특히 소매 대출상품의 부도시 손실 률 모형은 담보의 대출비율(LTV: Loan to Value)을 주요 변수로 사용합니다. 부도시손실률 산출에 반영된 회수율은 유효이자율로 할인된 회수금액의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부도시 익스포져는 부도 발생 시점의 예상되는 익스포져를 의미합니다. 연결실체는 현재 실행된 익스포져가 계약 상 한도 내에서 부도 시점까지 추가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율을 반영하여 부도시 익스포져를 도출합니다. 금융자산의 부도시 익 스포져는 해당 자산의 총 장부금액과 동일하며, 대출 약정과 금융 보증 계약의 부도 시 익스포져는 기인출 사용 금액과 향후 추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합계 로 산정됩니다.
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기대신용손실 측정시 계약 상 만기를 기준으로 기대신용손실측정 대상 기간을 반영합니다. 계약 상 만기는 차주가 보유한 연장권을 고려하여 산 정됩니다. 부도율, 부도시 손실률 및 부도시 익스포져의 위험측정요소는 아래와 같은 구분 기준에 따라 집합적으로 추정됩니다.- 상품의 유형- 내부 신용등급- 담보의 유형- 담보대출비율(LTV)- 차주가 속한 산업군- 차주 또는 담보의 소재지- 연체일수집합을 구분하는 기준은 집합의 동질성을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검토되며 필요한 경우 조정됩니다.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충분한 수준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자료를 보유하지 못한 특정 포트폴리오의 경우 외부 벤치마크 정보를 활용하여 내부 정보를 보완하였습니다.
6) 금융자산의 제각연결실체는 현실적으로 원리금의 회수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된 대출상품 또는 채무증권의 부분 또는 전체를 제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차주가 원리금 상환에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 또는 소득이 없다고 판단될 때 제각을 실행하며, 이러한 제각 여부의 판단은 연결실체의 내부 규정에 따르며 필요한 경우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승인을 득하여 실행됩니다. 제각과는 별개로 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제각 이후에도 자체 회수 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회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측정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와 그 평가방법 - 상기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의 '4. 금융상품 위험 관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유형자산 재평가를 시행한 경우, 공정가치와 그 평가방법
- 해당사항 없습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가.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공인회계사)의 감사의견 등
|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 제25기(당기) 반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
| 제24기(전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의견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의견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대출채권에 대한 신용손실충당금의 측정, 수준 3으로 분류되는 파생상품 및 파생결합증권 관련 공정가치 자체평가 | |
| 제23기(전전기) | 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의견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 연결감사보고서 | 삼정회계법인 | 적정의견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대출채권에 대한 신용손실충당금의 측정, 수준3으로 분류되는 파생상품 및 파생결합증권 관련 공정가치 자체평가, 보험계약부채의 현행이행가치 측정 |
주) 제25기 반기 외부감사인 검토 결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아니함. 나. 종속회사의 감사의견 공시대상 기간 중 회계감사를 받은 종속회사 중 적정의견 이외의 감사의견을 받은 회사는 없습니다.
2. 감사용역 계약 체결 현황가. 분ㆍ반기 재무제표 검토 및 연간 재무제표 감사용역 계약 체결 현황
| (단위 : 백만원, 시간) |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 제25기(당기) 반기 | 삼정회계법인 | 분ㆍ반기, 연간 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 | 1,025(연간, 부가세별도) | 9,100시간 | 615(부가세별도) | 3,372시간 |
| 제24기(전기) | 삼정회계법인 | 분ㆍ반기, 연간 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 | 1,025(연간, 부가세별도) | 9,100시간 | 1,025(연간, 부가세별도) | 9,071시간 |
| 제23기(전전기) | 삼정회계법인 | 분ㆍ반기, 연간 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 | 1,187(연간, 부가세별도) | 10,972시간 | 1,187(연간, 부가세별도) | 11,311시간 |
나. 그 밖의 감사용역 계약 체결 현황
| (단위: 백만원, 시간) |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 제25기(당기) 반기 | 삼정회계법인 | 신한저축은행 연결목적 국제회계기준 감사 | 135(연간, 부가세별도) | 1,120시간 | 68(부가세별도) | 312시간 |
| 제24기(전기) | 삼정회계법인 | 신한저축은행 연결목적 국제회계기준 감사 | 135(연간, 부가세별도) | 1,120시간 | 135(연간, 부가세별도) | 1,144시간 |
| 제23기(전전기) | 삼정회계법인 | 신한저축은행 연결목적 국제회계기준 감사 | 133(연간, 부가세별도) | 1,120시간 | 133(연간, 부가세별도) | 1,207시간 |
다. 외부감사인과의 미국 상장 관련 감사용역 계약 체결 현황
| (단위: 백만원) |
|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내 용 | 용역수행기간 | 보수 |
|---|---|---|---|---|
| 제25기(당기) 반기 | 2023.02.20 | 미국 상장 관련 국제회계기준 감사 및 SOX감사계약 | 2025.05.01 ~ 2026.04.30 | 2,401(부가세별도) |
| 제24기(전기) | 2023.02.20 | 미국 상장 관련 국제회계기준 감사 및 SOX감사계약 | 2024.05.01 ~ 2025.04.30 | 2,351(부가세별도) |
| 제23기(전전기) | 2023.02.20 | 미국 상장 관련 국제회계기준 감사 및 SOX감사계약 | 2023.05.01 ~ 2024.04.30 | 2,323(부가세별도)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 (단위: 백만원) |
|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 제25기(당기) 반기 | 2025.05.30 | Comfort Letter 발행계약 | 2025.05.30 ~ 2025.07.14 | 100(부가세별도) | - |
| 제24기(전기) | - | 해당사항없음 | - | - | - |
| 제23기(전전기) | 2023.06.12 | Comfort Letter 발행계약 | 2023.06.12 ~ 2023.07.24 | 100(부가세별도) | - |
4.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 1 | 2025.02.26 | <회사측 총 5명> 곽수근 감사위원장 배훈 감사위원 윤재원 감사위원 김지온 내부감사책임자 등 <외부감사인측 총 13명> 삼정회계법인 복정수 전무 등 | 대면 및 화상회의 |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핵심감사사항 보고,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기말감사 중간 보고 |
| 2 | 2025.03.04 | <회사측 총 5명> 곽수근 감사위원장 배훈 감사위원 윤재원 감사위원 김지온 내부감사책임자 등 <외부감사인측 총 3명> 삼정회계법인 복정수 전무 등 | 대면회의 |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감사 결과 최종 보고, 2024년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결과 최종 보고 |
| 3 | 2025.04.23 | <회사측 총 6명> 곽수근 감사위원장 배훈 감사위원 이용국 감사위원 윤재원 감사위원 김지온 내부감사책임자 등 <외부감사인측 총 3명> 삼정회계법인 복정수 전무 등 | 화상회의 | 2023년도 외부감사인의 PCAOB 기준 감사 결과 보고 |
| 4 | 2025.04.24 | <회사측 총 6명> 곽수근 감사위원장 배훈 감사위원 이용국 감사위원 윤재원 감사위원 김지온 내부감사책임자 등 <외부감사인측 총 2명> 삼정회계법인 복정수 전무 등 | 대면회의 | 2025년 외부감사인의 감사 업무 계획 |
| 5 | 2025.05.15 | <회사측 총 6명>곽수근 감사위원장배훈 감사위원이용국 감사위원윤재원 감사위원김지온 내부감사책임자 등<외부감사인측 총 3명>삼정회계법인 복정수 전무 등 | 대면회의 | 2025년 1분기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검토 결과 |
5. 회계감사인의 변경
- 공시대상 기간 중 회계감사인을 변경하거나 신규로 선임한 경우 그 사유
| 사업연도 | 변경회사 | 변경전 감사인 | 변경후 감사인 | 내용 |
|---|---|---|---|---|
| 제23기(전전기) | 신한금융지주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주)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의거한 제20~22기 신한금융지주 외부감사인 '삼일회계법인'의 지정 감사계약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제23기 사업연도의 신한금융지주 및 종속회사의 외부감사인이 '삼일회계법인'에서 '삼정회계법인'으로 변경됨 |
- 종속회사가 회계감사인을 변경하거나 신규로 선임한 경우 그 사유
| 사업연도 | 변경회사 | 변경전 감사인 | 변경후 감사인 | 내용 |
|---|---|---|---|---|
| 2025년 | 신한자산운용 | 삼덕회계법인 | 삼일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5년 | 신한자산신탁 | 대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5년 | 신한EZ손해보험 | 신한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4년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Centeraudit-Kazakhstan | KPMG | 모회사와 감사인 일치를 위한 변경 |
| 2024년 | 신한인도파이낸스 | PKF Hadiwinata and Partners | KPMG | 모회사와 감사인 일치를 위한 변경 |
| 2024년 | 신한자산운용 | 삼정회계법인 | 삼덕회계법인 | 피합병법인(구.신한대체투자운용)의 2020사업연도 감사전 재무제표 미제출로 인한 감독원 지정 감사로 인한 변경 |
| 2024년 | 신한DS베트남 | EJUNG AUDITING COMPANY LIMITED | KPMG Vietnam | 계약기간만료 |
| 2024년 | 신한라이프케어 | - | 삼정회계법인 | 신규선임 |
| 2024년 | 신한금융플러스 | 신한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4년 | 신한DS | 대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은행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카드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투자증권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라이프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캐피탈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자산운용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제주은행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저축은행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펀드파트너스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신용정보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리츠운용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벤처투자 | 삼일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주) |
| 2023년 | 신한베트남은행 | PWC Vietnam | KPMG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아메리카신한은행 | BDO USA LLP | MARCUM LLP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 PWC 중천회계법인 | KPMG 화진회계법인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캄보디아은행 | PWC Cambodia | KPMG Cambodia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멕시코신한은행 | Deloitte | KPMG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라이프생명보험베트남 | PwC vietnam | KPMG Vietnam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BDO Kazakhstan | Centeraudit-Kazakhstan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베트남파이낸스 | PWC | KPMG Vietnam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신한인도파이낸스 | Johan Malonda Mustika & Rekan | PKF Hadiwinata and Partners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SHINHAN SECURITIES ASIA LTD | PWC | KPMG | 계약기간만료 |
| 2023년 | SHINHAN SECURITIES VIETNAM CO., LTD | PWC | KPMG | 계약기간만료 |
| 주)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및 동법 시행령에 의거한 신한금융지주 외부감사인 '삼일회계법인'의 지정 감사계약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2023 사업연도의 신한금융지주 및 종속회사의 외부감사인이 '삼일회계법인'에서 '삼정회계법인'으로 변경됨 |
1. 내부통제- 해당사항 없음 2. 내부회계관리제도 가. 내부회계관리자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문제점 또는 개선방안 등을 제시한 경우 그 내용 및 후속 대책- 해당사항 없음나. 공시대상기간 중 회계감사인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하여 의견표명을 한 경우 그 의견, 중대한 취약점이 있다고 지적한 경우 그 내용 및 개선대책- 해당사항 없음
(1) 경영진의 내부회계 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 제25기(당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 제24기(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5.03.04(감사위원회)2025.03.04(이사회) 2025.03.26(주주총회 예정)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025.03.04(감사위원회)2025.03.04(이사회) 2025.03.26(주주총회 예정)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 제23기(전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4.03.04(감사위원회)2024.03.04(이사회) 2024.03.26(주주총회)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024.03.04(감사위원회)2024.03.04(이사회) 2024.03.26(주주총회)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주)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8조 제4항에 따라, 매 사업연도 종료일을 기준으로 평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므로 당반기에는 기재를 생략함.
(2)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 제25기(당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 제24기(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5.03.04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025.03.04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 제23기(전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4.03.04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024.03.04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주)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8조 제5항에 따라, 매 사업연도 종료일을 기준으로 평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므로 당반기에는 기재를 생략함.
(3)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검토결론)
|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 제25기(당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 | - | - | -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 | - | - | - | |
| 제24기(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감사 | 적정의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감사 | 적정의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 제23기(전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감사 | 적정의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삼정회계법인 | 감사 | 적정의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주)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8조 제6항에 따라, 매 사업연도 종료일을 기준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보고내용을 감사하고 있으므로 당반기에는 기재를 생략함.
(4)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2024년말 기준) 가.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 인력 및 공인회계사 보유현황
| 소속기관또는 부서 | 총 원 | 내부회계담당인력의 공인회계사 자격증보유비율 | 내부회계담당인력의평균경력월수 | ||
|---|---|---|---|---|---|
| 내부회계담당인력수(A) | 공인회계사자격증소지자수(B) | 비율(B/A*100) | |||
| 감사위원회 주2) | 3 | 3 | 2 | 67 | 49 |
| 이사회 주1,2) | 11 | 11 | 2 | 18 | 42 |
| 내부회계관리자 | 1 | 1 | - | - | 12 |
| 회계파트 | 1 | 1 | 1 | 100 | 237 |
| 회계처리부서 | 12 | 12 | 11 | 92 | 90 |
| 내부회계관리담당부서 | 4 | 4 | 2 | 50 | 156 |
| 자금운영부서 | 11 | 3 | - | - | 99 |
| 전산운영부서 | 9 | 2 | - | - | 21 |
| 주1) 감사위원회 3인 포함 |
| 주2) 미국공인회계사 1명, 일본공인회계사보 1명 |
| 주3) 내부회계담당인력의 평균경력월수는 당사 선임일 및 입사일 기준으로 작성함(그룹사 경력 포함) |
| 주4)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은 기공시된 2024년도 사업보고서 상 첨부서류인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보고서'와 동일하게 기재함 |
나.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2024년말 기준)
| 직책(직위) | 성명 | 회계담당자등록여부 | 경력(단위:년, 개월) | 교육실적(단위:시간) | ||
|---|---|---|---|---|---|---|
| 근무연수 | 회계관련경력 | 당기 | 누적 | |||
| 내부회계관리자 및회계담당임원 | 천상영 | 여 | 30년 | 1년 | 1 | 3 |
| 회계파트장 | 황경업 | 여 | 22년 | 19년 | 14 | 53 |
| 회계팀장 | 이상종 | 여 | 16년 | 16년 | 5 | 57 |
| 내부회계관리팀장 주4) | 배주환 | 부 | 18년 | 18년 | 14 | 66 |
| 주1) 근무연수는 당사에 임직원으로 근무한 전체 기간을 기재함(그룹사 근무기간 포함/연미만은 절사하였음) |
| 주2) 회계관련 경력은 당사 입사일 기준으로 작성함(그룹사 경력 포함/연미만은 절사하였음) |
| 주3) 교육실적 누적시간은 '18년부터의 누적시간을 기재함(내부회계 및 회계관련 교육 등) |
| 주4)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회계담당자는 3인만 입력 가능하여, 등록여부 표시에서 제외함 |
| 주5)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은 기공시된 2024년도 사업보고서 상 첨부서류인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보고서'와 동일하게 기재함 |
3.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회 구성 개요
2025년 6월말 현재 당사 이사회는 1명의 사내이사, 1명의 기타비상무이사, 9명의 사외이사 등 총 11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내에는 감사위원회, 내부통제위원회,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보수위원회, 위험관리위원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 ESG전략위원회,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등 8개의 이사회내위원회가 있습니다. 2025년 3월 26일 당사는 제3회 임시이사회를 개최하여 윤재원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재선임하였습니다. 금융지주회사의 이사회 의장은 해당 직책이 주는 책임과 역할의 무게가 상당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한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조율하고 종합하여 경영진과 소통해야 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윤재원 사외이사는 당사 이사회 구성원 중 가장 오랜기간 동안 사외이사의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전년도 의장으로서 이사회의 논의를 잘 이끌고 이사들 간의 소통을 원활히 조율해왔습니다.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되고,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 내부통제 강화, 주주가치 제고 등 많은 과제가 우리 앞에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많은 경험과 전문성, 깊은 열정, 그리고 조화로운 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올 한 해에도 신한금융지주회사 이사회를 위하여 노력해주기를 바라는 이사 전원의 의견에 따라 작년에 이어 윤재원 이사를 이사회의장으로 선임하였고, 회사의 대표이사와는 분리ㆍ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이사의 담당업무 및 주요경력은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 (단위 : 명) |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 11 | 9 | 2 | 0 | 0 |
주) 2025년도 제24회 정기주주총회 결과 양인집, 전묘상 사외이사가 신규 선임되었고, 곽수근, 김조설, 배훈, 윤재원, 이용국 사외이사가 재선임 되었습니다. 진현덕, 최재붕 이사는 임기만료로 퇴임하였습니다.
나. 주요 의결사항 등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윤재원(출석률: 100%) | 진현덕(출석률: 100%) | 곽수근(출석률: 100%) | 배훈(출석률: 100%) | 이용국(출석률: 100%) | 최재붕(출석률: 100%) | 김조설(출석률: 100%) | 송성주(출석률: 100%) | 최영권(출석률: 100%) | 양인집(출석률: 100%) | 전묘상(출석률: 100%) | 진옥동(출석률: 100%) | 정상혁(출석률: 71%) | ||||
| 1(임시) | 2025.01.23 | 1.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불참 |
| <보고사항>1. 내부통제위원회 운영 방향2. 신한투자증권 개선과제 추진 현황3. 위험관리위원회 운영실적4.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선임전 | 출석 | 불참 | ||
| 2(정기) | 2025.02.06 | 1. 제24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2. 제24기 결산배당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3.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4. 2025년 분기배당 기준일 설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5. 이사회사무국 2024년도 업무성과 평가 및 2025년도 목표 설정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의결권 제한 | 의결권 제한 | ||
| <보고사항>1. 2024년 그룹 사업계획 추진실적2. 2024년 그룹 재무실적3. 2024년 하반기 자회사 등 편입 및 제외4. 원화채권 분기 발행 결과 및 자회사 지원 현황5. 2024년도 내부통제 활동 결과 및 2025년 추진 방향6. 그룹 고객 편의성 제고 추진 현황7.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선임전 | 출석 | 출석 | ||
| 3(임시) | 2025.03.04 | 1. 중요 규정 제ㆍ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3. 내부통제 및 리스크관리 정책 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4.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5. 사외이사 보수체계 개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6. 2025년도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7. 이사 후보 적정성 심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1) 사외이사 후보 곽수근 | 가결 | 찬성 | 찬성 | 의결권 제한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1) 사외이사 후보 김조설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 제한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3) 사외이사 후보 배 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 제한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4) 사외이사 후보 윤재원 | 가결 | 의결권 제한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5) 사외이사 후보 이용국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 제한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6) 사외이사 후보 양인집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7) 사외이사 후보 전묘상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8. 비상임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의결권 제한 | ||
| 9.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찬성 | 찬성 | ||
| <보고사항>1. 2024년도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2. 2024년도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3. 2024년도 자금세탁방지업무 감사 결과4. 2024년도 감사업무 추진 실적5. 원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 발행 결과6. 2024년 신용정보관리ㆍ보호인 업무수행 실적7. 감사위원회 운영실적8. 위험관리위원회 운영실적 (그룹고객자산/IT 리스크 포함)9. 보수위원회 운영실적10. 회장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1.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2.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3. 2024년 4/4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14.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선임전 | 출석 | 출석 | ||
| 4(임시) | 2025.03.26 | 1. 이사회 의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이사회내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3. 이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4. 신한금융지주회사 책무구조도 변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보고사항>1. 2025년 상반기 회사 조직개편 방안2. 사외이사 연수 및 교육 계획(안)3. 사외이사 소속 비영리법인 대상 기부금 제공 내역4. 신한EZ손해보험㈜ 출자에 관한 사항5. 감사위원회 운영실적6. 보수위원회 운영실적7.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5(정기) | 2025.04.25 | 1. 2025년 기업가치 제고 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2. 분기배당 실시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3. 사외이사 평가제도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4. 신한금융지주회사 책무구조도 변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5.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보고사항>1. 2025년 1분기 그룹 재무실적2. 2025년 1분기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 점검3. 제주은행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관한 사항4. 2024 사업연도 그룹사 배당 보고5. 원화채권 분기 발행결과 및 자회사 지원 현황6. 신한투자증권 개선과제 추진 현황7. 감사위원회 운영실적8. 위험관리위원회 운영실적9. 회장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0.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1.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12.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불참 | ||
| 6(임시) | 2025.05.15 | <보고사항>1. 그룹 자체정상화계획 승인 결과 및 개선 방향 보고2. 신종자본증권 중도 상환에 관한 사항3. 주기주식 취득 및 소각 결과 보고4. 그룹 고객 편의성 제고 추진 현황5. 감사위원회 운영실적6. 위험관리위언회 운영실적(고객자산/IT리스크 정기보고 포함)7. 내부통제위원회 운영실적8. ESG전략위원회 운영실적9. 2025년 1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10.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7(임시) | 2025.06.23 | 1.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중도 해지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책무구조도운영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보고사항>1.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2. 그룹 인도네시아 지배구조 변경에 관한 사항3. 위험관리위원회 운영실적4. 내부통제위원회 운영실적5.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운영실적6. 이사회 운영실적 | 보고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주) 본인과 관련된 안건은 의결권이 제한됨.
다. 이사회내의 위원회(1) 위원회의 구성,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위원회명 | 구성 및 소속이사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비 고 |
|---|---|---|---|
| 위험관리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송성주(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이용국, 최영권 | - 리스크관리 기본방침 및 전략 수립- 회사 및 자회사별 부담가능한 리스크수준의 결정- 적정투자한도 또는 손실허용한도 승인- 그룹리스크관리규정과 그룹리스크협의회규정의 제정 및 개정- 리스크관리조직 구조 및 업무분장- 리스크관리시스템의 운영- 각종 한도의 설정 및 한도초과의 승인- 금융감독원의 비소매 및 소매 신용평가시스템에 대한 그룹 내부등급별 승인 관련 의사결정- 기타 이사회 및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송성주(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양인집, 최영권 | |||
| 보수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최영권(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곽수근, 김조설 | - 회사/자회사의 경영진 등에 대한 평가/보상체계 결정 및 관리- 보상체계 연차보고서 작성 및 공시- 회사/자회사의 경영진 등에 대한 보수체계 설계 및 운영의 적정성 평가- 회사의 보수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절차와 관련된 사항- 그 밖에 보수 체계와 관련된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최영권(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이용국, 전묘상 | |||
| 감사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곽수근(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배훈, 윤재원 | - 감사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해임에 대한 승인- 연간 감사계획의 수립- 감사업무규정의 제정 및 개폐-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 및 서류의 적법성 여부에 대한 진술의견- 법령과 정관에서 위원회의 직무로 정하는 사항- 기타 이사회 및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곽수근(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배훈, 윤재원, 이용국 | |||
| 내부통제위원회주) | - | - 내부통제의 기본방침 및 전략 수립- 임직원의 직업윤리와 준법정신을 중시하는 조직문화의 정착방안 마련-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 - 그 밖에 이사회 또는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최영권(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곽수근, 배훈, 송성주 | |||
| 사외이사 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최재붕(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김조설, 송성주, 진현덕 | - 사외이사 선임 원칙의 수립, 점검, 보완- 주주총회가 선임할 사외이사 후보 추천- 상시적인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및 후보 검증- 회사의 감사위원후보의 추천에 관한 사항- 기타 회사의 감사위원후보의 추천과 관련있는 사항으로서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양인집(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김조설, 송성주, 전묘상 | |||
| 회장후보추천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윤재원(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배훈, 진현덕, 최영권, 최재붕 | - 그룹 최고경영자 경영승계계획 수립 및 검토- 대표이사 회장 후보인 이사 추천에 관한 사항- 대표이사 회장 자격기준에 관한 사항- 대표이사 회장 후보군 선정에 관한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곽수근(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김조설, 배훈, 윤재원, 최영권 | |||
| ESG전략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이용국(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김조설, 최재붕* 사내이사위원 : 진옥동*기타비상무이사위원:정상혁 | -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 지속가능경영 관련 대외평가 대응 결과 보고- 기타 지속가능경영과 관련 있는 사항으로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친환경경영, 사회책임경영 등 지속가능경영 관련 규범/정책의 제정 및 개폐에 관한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이용국(사외이사)* 사외이사위원 : 김조설, 전묘상* 사내이사위원 : 진옥동*기타비상무이사위원:정상혁 | |||
|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 (2024년 3월~2025년 3월)* 위원장 : 진옥동* 사내이사위원 : 진옥동* 사외이사위원 : 곽수근, 배훈, 윤재원, 이용국 | - 자회사 경영승계 계획 수립 및 운영- 자회사 대표이사 자질 등 자격요건의 설정에 관한 사항-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군 관리에 관한 사항-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자 추천에 관한 사항- 자회사 경영진 리더십 평가에 관한 사항 | - |
| (2025년 3월~)* 위원장 : 진옥동* 사내이사위원 : 진옥동* 사외이사위원 : 곽수근, 배훈, 윤재원, 양인집 |
주) 2025년 3월 내부통제위원회 신설
(2) 이사회내의 위원회 활동내역(가) 위험관리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이용국(출석률:100%) | 송성주(출석률:100%) | 최영권(출석률:100%) | 양인집(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1.23 | <심의사항> 1)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2025.02.06 | <보고사항> 1) 2024년 12월말 기준 그룹 통합위기상황분석 실시 계획 보고 2) 2025년도 위험조정 성과평가지표 운영(안) 보고 3) 2025년도 그룹 중점관리영역 선정 및 익스포저 한도 설정 보고 4) 2024년 4분기 정기 보고 사항 5) 그룹 위기관리위원회 및 위기관리협의회 개최 결과 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2025.02.19 | <결의사항> 1) 그룹 구조적 외환포지션 승인 신청(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025.03.04 | <심의사항> 1) 그룹리스크관리정책규정 제정(안) 2) 위험관리위원회규정 개정(안) 3)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결의사항> 1) 그룹리스크관리규정 개정(안) 2) 그룹리스크협의회규정 개정(안) 3) 2025년도 국가별 익스포저 한도 설정(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보고사항> 1) 그룹 구조적외환포지션 승인 결과 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2025.03.26 | <결의사항> 1) 위험관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4.24 | <심의사항> 1)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심의완료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 2025.05.15 | <결의사항> 1) 그룹 통합위기상황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자본관리계획 및 비상조달계획 2) 그룹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변경 승인 신청에 관한 사항 | 가결 | 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사항> 1) 그룹 자체정상화계획 승인 결과 및 개선방향 보고 2) 그룹 고객자산 리스크관리 시스템 구축 완료 보고 3) 그룹 Risk Map 시스템 구축 추진 보고 4) 2025년 1분기 정기 보고 사항 5) 그룹 위기관리협의회 개최 결과 보고 | 보고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
| 2025.06.23 | <보고사항> 1) 신한금융그룹 자회사 등에 관한 사항 | 보고 | 퇴임 | 출석 | 출석 | 출석 |
(나) 보수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최영권(출석률:100%) | 곽수근(출석률:100%) | 김조설(출석률:100%) | 이용국(출석률:100%) | 전묘상(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3.04 | 1. 2024년도 그룹 CEO 성과평가 확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2. 2025년도 회사 경영진 등 성과평가체계 수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3. 2024년도 자회사 성과평가 확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4. 2025년도 자회사 성과평가체계 수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5. 2025년도 회사 경영진 등 보수체계 수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6. 2024년도 보수체계 설계 및 운영의 적정성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7. 2024년도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의 작성 및 공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2025.03.18 | 1. 2024년도 회사 경영진 성과평가 및 보수 확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2. 2021년 부여 회사 경영진 등 장기성과급(PS) 확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2025.03.26 | 1. 보수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퇴임 | 퇴임 | 찬성 | 찬성 |
(다) 감사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이사의 성명 | |||
|---|---|---|---|---|---|---|
| 곽수근 | 배훈 | 윤재원 | 이용국 | |||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
| 찬반여부 | ||||||
| 2025.02.06 | 1. 자회사 등의 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 2025년 내부감사책임자 업무성과 목표 설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심의사항> 1. 그룹 준법감시인 2024년도 활동 내용 및 2025년도 업무 계획 2. 2025년 자회사 상근감사위원 성과평가 기준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보고사항> 1. 2024년도 4분기 감사활동 2. 감사업무 관련 보고 3. 자회사 감사위원회 개최 현황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2025.02.26 | <보고사항> 1.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핵심감사사항 보고 2. 2024년도 기말 결산 중간보고 및 외부감사인과의 커뮤니케이션 3. 2024년도 내부감사부서의 회계감사 중간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2025.03.04 | 1. 2024년도 결산감사 결과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 2024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3.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에 대한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4. 2025년도 자회사 상근감사위원 성과평가 기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5. 회사 및 자회사 등의 감사 및 비감사 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심의사항> 1. 감사위원회 규정 개정의 건 2. 자금세탁방지업무 감사 결과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보고사항> 1. 2024년도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감사 결과 3.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결과 4. 감사업무 추진실적 5. 감사위원회 활동평가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2025.03.04 | 1. 제24기 정기주주총회 부의안에 대한 의견진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025.03.26 |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및 권한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4.23 | 1.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PCAOB 기준 감사 결과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2025.04.24 | 1. 회사의 비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심의사항> 1. 차기 외부감사인 선정 계획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보고사항> 1. 2025년 1분기 감사활동 2. 감사업무 관련 보고 3. 자회사 감사위원회 개최 현황 4. 2025년 외부감사인의 감사 업무 계획 5. 20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계획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2025.05.15 | 1. 자회사 등의 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차기 외부감사인 선정 기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심의사항> 1. 2024년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 2. 내부통제시스템 운영의 적정성 검토 결과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보고사항> 1. 2025년 1분기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검토 결과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라) 내부통제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최영권 | 곽수근 | 배훈 | 송성주 | |||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
| 찬반여부 | ||||||
| 2025.03.26 | <결의사항>내부통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5.15 | <결의사항>1. 내부통제 기본방침 및 전략 승인2. 그룹 윤리준법경영 체계 및 2025년 추진 과제 승인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사항>1. 임원ㆍ대표이사 내부통제등 관리의무 점검ㆍ평가 방안 보고2. 그룹 주요 금융사고 보고3. 2025년도 그룹 운영리스크 관리 방향 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2025.06.23 | <심의사항>책무구조도운영규정 개정의 건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바)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윤재원(출석률:100%) | 진현덕(출석률:100%) | 곽수근(출석률:100%) | 배훈(출석률:100%) | 이용국(출석률:100%) | 최재붕(출석률:100%) | 김조설(출석률:100%) | 송성주(출석률:100%) | 최영권(출석률:100%) | 양인집(출석률:100%) | 전묘상(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2.06 | 1.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미대상 | 찬성 | 미대상 | 미대상 | 미대상 | 찬성 | 찬성 | 찬성 | 미대상 | 선임전 | 선임전 |
| <보고사항>1. 2025년도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운영 프로세스 보고2. 2024년도 사외이사 평가 결과 보고3. 2025년 감사위원 후보 자격요건 및 추천 프로세스 | 보고 | 미대상 | 출석 | 미대상 | 미대상 | 미대상 | 출석 | 출석 | 출석 | 미대상 | 선임전 | 선임전 | |
| 2025.03.04 (전체 사외이사)주) | 1.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2.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3. 감사위원 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2025.03.26 | 1.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미대상 | 퇴임 | 미대상 | 미대상 | 미대상 | 퇴임 | 찬성 | 찬성 | 미대상 | 찬성 | 찬성 |
| 2025.04.24 | 1.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기준 수립의 건 | 가결 | 미대상 | 퇴임 | 미대상 | 미대상 | 미대상 | 퇴임 | 찬성 | 찬성 | 미대상 | 찬성 | 찬성 |
| 2.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의 건 | 가결 | 미대상 | 퇴임 | 미대상 | 미대상 | 미대상 | 퇴임 | 찬성 | 찬성 | 미대상 | 찬성 | 찬성 | |
주)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 최종 선정시에는 사외이사 전원이 참석하여 원안 가결함.(본인추천 의결권 제한)
(사) 회장후보추천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윤재원(출석률:100%) | 배훈(출석률:100%) | 진현덕(출석률:100%) | 최영권(출석률:100%) | 최재붕(출석률:100%) | 곽수근(출석률:100%) | 김조설(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3.04 | 1. 2024년 그룹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평가 심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2. 2025년 그룹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선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선임전 | |
| 2025.03.26 | 1. 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퇴임 | 찬성 | 찬성 |
| 2025.04.25 | <보고사항>1. 2025년 그룹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개발활동 계획 | 보고 | 출석 | 출석 | 퇴임 | 출석 | 퇴임 | 출석 | 출석 |
(아) ESG전략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이용국(출석률:100%) | 김조설(출석률:100%) | 전묘상(출석률:100%) | 진옥동(출석률:100%) | 정상혁(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3.26 | 1. ESG전략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5.15 | <보고사항> 1. 2025년 1분기 ESG 추진 대시보드2. SDGs 전략 프레임워크 리뉴얼 (案)3. 2025년 상반기 친환경(E) 중점 추진 사업 현황4. 2025년 상반기 사회공헌(S) 중점 추진 사업 현황5. 이중 중대성 평가 결과 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자)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 진옥동(출석률:100%) | 곽수근(출석률:100%) | 배훈(출석률:100%) | 윤재원(출석률:100%) | 이용국(출석률:100%) | 양인집(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 2025.03.04 | 1. 2025년 자회사 대표이사 리더십 평가체계 수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 2025년 자회사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선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2025.04.25 | 1. 2025년 자회사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평가 심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 2025.06.23 | 1. 2025년 자회사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선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퇴임 | 찬성 |
라. 이사의 독립성 당사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른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에 의거하여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으며, 최근일 현재 당사의 모든 사외이사는 독립성 기준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17조 제1항에 의거하여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그 구성 및 운영은별도의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다.
| <이사회 규정>제17조(이사회내위원회) ①이사회는 이사회내위원회로서 다음 각호의 위원회를 상시적으로 운영한다.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하여는 별도로 정하는 위원회규정에 의한다. 1.회장후보추천위원회 2.감사위원회 3.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4.위험관리위원회 5.보수위원회 6.ESG전략위원회 7.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8.내부통제위원회<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규정>제3조(구성) ① 위원회는 3인 이상 5인 이내의 이사로 구성한다. 이 경우 총 위원의 과반수는 사외이사로 한다. ② ①항에도 불구하고 사외이사 후보 최종 추천 및 감사위원 후보 추천 절차가 개시되면 사외이사 전원이 위원회에 참여하며, 이 경우 사외이사 전원을 재적위원으로 한다. |
(1)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구성 현황
| 구 분 | 성 명 | 사외이사 여부 | 비 고 |
|---|---|---|---|
| 위원장 | 양인집 | ○ | 법상 요건충족함 |
| 위 원 | 김조설 | ○ | |
| 송성주 | ○ | ||
| 전묘상 | ○ |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활동내역은 '다. 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부분을 참조
(2) 사외이사 현황
| 성명 | 선임 배경 | 임기 | 연임여부 및연임횟수 | 추천인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또는주요주주와의 관계 |
|---|---|---|---|---|---|---|
| 윤재원 (이사회 의장) | 후보자는 회계학을 전공하고 현재 홍익대학교에서 회계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회계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회, 한국회계기준원 등 여러 세무ㆍ회계 관련 학회와 위원회의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는 등 뛰어난 경력과 학식을 갖추고 있어 사외이사로서 회사 경영의 견제와 감시에 적합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후보자는 이사회의 여성 의장으로서 부드러운 리더십과 투철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이사회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안건에 대한 뛰어난 균형 감각을 통해 회사의 경영 현안이 면밀히 검토되고 충실히 추진되는데 크게 기여하였기에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재선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연임 4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곽수근 | 후보자는 오랜 기간 회계학 교수로 재직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학회, 공공기관 자문 활동을 통해 축적된 충분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계를 비롯한 금융과 경영 전반에 걸쳐 조력자이자 감시자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 왔습니다. 지난 4년간 당사 사외이사를 역임하는 동안 그룹의 재무 및 감사 관련 업무는 물론, 다양한 이사회 안건에 대해 심도 깊은 조언을 제공하였음은 물론, 해외투자자 미팅, 감독당국과의 미팅 등에도 적극 참여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며 회사의 건전 경영과 발전에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이사회 및 아사회내위원회 핵심 사안에 대한 사전 검토를 위해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경영진을 감시하고 감독하는 감사위원으로서의 역량이 충분히 입증되었으며, 회사와 투자자 간의 가교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는 등 회사가 건전한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하여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로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연임 3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김조설 | 후보자는 일본의 대학에서 경제학을 지도하고 있는 재일 한국인 교수이자 동북아시아 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여성 경제학자로, 평소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권 신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 다양한 인권 및 사회 복지와 관련한 연구와 학회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논리 정연하고 청렴하다는 평판과 함께, 다문화ㆍ공생을 중시하는 등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학계와 다양한 사회 실무 경험을 조화롭게 발휘하여 그룹의 ESG 전략 수립에 있어 효과적인 경영 자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향후에도 금융소비자보호에 이바지하고 그룹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판단에 따라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 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재선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연임 2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배훈 | 후보자는 재일 한국인 변호사로 기업 법무 자문을 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일본 공인회계사 자격을 바탕으로 기업의 채권회수, 회생 등 다방면에 걸친 법률 자문을 수행하는 법률 전문가입니다. 후보자는 변호사로서 체득한 합리적인 판단력을 바탕으로 그룹의 주요 경영 현안에 대한 법적 쟁점과 세부 사항에 대한 검토 의견을 개진하고, 다양한 해외 기업의 지배구조 및 금융 정책 사례를 이사회와 이사회내위원회에 공유하는 등 그룹의 건전하고 발전적인 경영에 기여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에서도 그룹 컴플라이언스 이슈에 대하여 심도 깊은 제언을 제공함은 물론, 사외이사로서 일방의 이익에 치우치지 않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하였다고 판단되었기에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재선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연임 3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송성주 | 후보자는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통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퍼듀대학교 통계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는 고려대학교에서 통계학 교수로서 연구와 후학 양성에 매진 중인 통계학자입니다. 주된 연구 분야는 금융 공학, 금융 통계이며 금융시장의 문제를 수학과 통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분석하는 금융 통계 전문가입니다. 한편 후보자는 한국리스크학회, 리스크관리연구회, 한국통계학회 등의 다양한 학회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의 자문위원 등으로 참여하며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습니다. 금융공학과 통계학을 바탕으로 금융회사의 위험관리에 정통한 바, 나날이 리스크가 확대되고 복잡 다단한 금융 환경 속에서 당사의 위험관리 역량을 한 층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는 사유로 사외이사및감사위원 후보추천위원회 총의를 모아 신규 선임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양인집 | 후보자는 1998년 IT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인 어니컴㈜을 설립한 선도적인 IT 전문가입니다. 어니컴㈜의 경우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통한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ICT 시스템 품질 검증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로써, 후보자는 디지털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에 대한 통찰력은 물론 ICT기술에 관한 전문적 이해도를 겸비하였습니다. 또한 후보자는 어니컴㈜을 통해 노사발전 재단이 주도하는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직접 고용에도 참여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경영자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한편 후보자는 손해보험 회사의 대표이사와 국내 대기업의 해외법인 대표이사를 오랜 기간 역임한 경험이 있는 전문 경영인입니다. 특히 일본에서 재직할 당시에는 제19대 주일한국기업연합회 회장을 맡아 한ㆍ일 관계의 문제점에 대한 고민과 재일 한국 기업들의 영업력 제고 방안에 대한 전략적 자문을 수행하는 등 금융과 경영 분야에 있어서도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었습니다. 경기 침체, 환율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업종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지며 경쟁이 심화되는 등 기업 경영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후보자가 보유한 다양한 경험과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한 조언은 어려운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당사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들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판단되었기에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추천하였습니다. | 2027.3월 정기주주총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이용국 | 후보자는 오랜 기간 글로벌 대형 로펌의 변호사로 재직하며 M&A, 채권발행, 주식시장 상장 등 금융 업무와 관련한 다양한 법무 자문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관련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사회에서 합리적이고 정확한 판단에 기반한 의견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주요 쟁점에 대하여 공정성과 객관성을 견지하는 등 회사의 건전한 경영을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국내외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회사들과의 비교를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였으며, 특히 자체정상화계획 수립, ESG 리스크 관리, 자금세탁방지 등과 관련한 글로벌 규제 동향 및 사례 등에 대해 등 그룹 위험관리 및 건전 경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발전적인 논의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사회와 관련한 모든 일정에 참석할 뿐만 아니라 의안에 대한 사전 검토를 충실히 수행하는 등 사외이사로서 책임감 있게 활동한 것으로 판단되었기에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재선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연임 3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전묘상 | 후보자는 일본의 공인회계사 자격을 보유한 회계 전문가입니다. 회계 법인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는 동안 은행과 증권 등 금융회사에 대한 감사업무를 담당하여 회계 및 내부통제 관련 업력을 쌓아왔으며, 특히 KPMG FAS(금융자문서비스)에서는 회계 자문을 통해 주로 구조조정, M&A 등 업무에 있어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후보자는 미국에서 MBA를 수료한 후 일본에서 인공지능 기반 글로벌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Smart News라는 유니콘 기업에 합류하여 전문 분야인 재무ㆍ회계 뿐만 아니라 전략기획, 경영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후보자는 KPMG에 재직하던 중 일본정책투자은행의 회계자문역으로 일정 기간 파견되어 업무를 수행할 만큼 업력과 전문성을 인정 받은 바 있습니다. 내부통제가 나날이 중요해지는 최근 금융회사의 상황을 감안할 때, 후보자의 다양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한 자문 및 회계감사 경력, 그리고 전략 기획과 경영 관리 업무 경험은 당사의 경영 현안과 전략 방향에 대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조언으로 나타날 것이라 기대되며, 아울러 내부통제 활동에 대한 탄탄하고 면밀한 자문을 통해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어 사외이사 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추천하였습니다. | 2027.3월 정기주주총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최영권 | 후보자는 오랜 기간 펀드매니저로 일해 온 주식 운용 전문가입니다.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자금운용단장과 하이자산운용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대체투자 분야에도 정통할 뿐 아니라, ESG가 산업구조 전환의 촉매라고 언급할 만큼 국내의 사회책임투자에도 관심이 많은 전문가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금융기관에 몸담으면서 금융인의 윤리를 제1의 덕목으로 강조해 올 만큼 올곧은 성품을 지니고 있으며, 하이자산운용과 우리자산운용의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금융 경영인으로서의 역량 또한 입증한 자본시장ㆍ자산운용 전문가입니다. 후보자는 ESG와 자본시장ㆍ자산운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역량, 그리고 경영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전략 방향과 ESG 경영에 큰 힘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되어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총의를 모아 신규 선임을 추천하였습니다. | 2026.3월 정기주주총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주1) 사외이사의 이력에 대해서는 'VIII.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주2) 사외이사 후보 추천/선임과정 및 후보 선정 관련 내부 지침은 신한금융지주회사 홈페이지에 공시된 '사외이사 후보 추천내역 공시' 및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주3) 사외이사의 업무지원 조직: 이사회 사무국 (담당자: 노진영 국장 ☎02-6360-3088) |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는 이사회 및 이사회 내의 위원회의 원활한 활동을 보좌하고, 이사(사외이사 포함)에 대한 제반 업무 지원을 목적으로 사무국장과 2명의 책임자급 직원으로 구성된 '이사회사무국'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이사회사무국은 다음 각호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시대상기간 중 사외이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이사회 등의 회의 소집 및 진행 등을 위한 실무 지원
2) 이사회 등의 회의내용 기록 유지
3) 이사회 등의 연간운영계획 수립 지원
4) 사외이사에 대한 회사관련 정보 제공
5)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요청 사항에 대한 지원
6) 이사 연수프로그램의 개발/소개 및 실무 지원
7) 신임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연수 실시
8) 이사회 및 이사의 각종 법규준수를 위한 지원
9) 기타 이사회 등의 지시사항 처리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사외이사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 2023.03.23 | 신임이사 공시교육 | 김조설 | - | 임원 지분공시 및 공정공시 안내 |
| 2023.04.27 | 이사회 간담회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이사회 운영 개선, 2023년 이사회 워크숍에 대한 의견 수렴 |
| 2023.05.11 | 준법 교육연수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내부통제 교육 (법무법인 김시목 변호사) |
| 2023.05.11 | 이사회 워크샵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그룹 신사업부문 추진현황, 그룹 CEO 경영 방향성 |
| 2023.08.09 | 감사위원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프로세스 및 핵심감사대상 운영현황 |
| 2023.08.10 | 이사회 워크샵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그룹 DT Journey, 그룹 내부통제 강화 방안, 신한의 경쟁력 현황 및 중장기 과제, 그룹CEO 경영방향성 Follow-up |
| 2023.09.07 | 외부 교육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개인일정으로곽수근 이사 불참 | 신한베트남(은행,카드, 라이프, 투자증권, DS) 업무보고 |
| 2023.09.07 | 이사회 간담회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개인일정으로곽수근 이사 불참 | 차기 이사회, 이사회 워크숍 등의 논의 과제 점검 |
| 2023.10.06 | 위험관리위원회 교육 | 성재호, 이용국, 최재붕 | - | 기후리스크 시나리오 분석 및 활용 |
| 2023.10.06 | 이사회 워크숍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2024년도 그룹 경영계획 |
| 2023.11.09 | 위험관리위원회 교육 | 성재호, 이용국, 최재붕 | - | 자본비율 규제 변화에 대한 이해 |
| 2023.11.09 | 이사회 간담회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지배구조 Best Practice 마련 TF 경과보고 |
| 2023.11.09 | 준법 교육연수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자금세탁방지제도 개요, 국내 AML/CFT 규제동향, 국내외 금융회사 등 제재 사항 등 (에이블컨설팅 최대진 이사) |
| 2023.12.19 | 이사회 간담회 | 이윤재, 성재호,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 - | 향후 이사회 구성에 대한 논의 |
| 2024.03.26 | 신임이사 공시 교육 | 송성주, 최영권 | - | 임원 지분공시 및 공정공시 안내 |
| 2024.04.08 | 신임 의장 오리엔테이션 | 윤재원 | - | 제23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결과 보고, 위원회 오리엔테이션 |
| 2024.04.11 | 신임 사외이사 오리엔테이션 | 송성주, 최영권 | - | 2024년 전략방향 및 재무 지향점, 위원회 오리엔테이션, 사외이사 관련 주요 사항 안내 |
| 2024.04.11 | 이사회 간담회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홍콩 H지수 ELT 관련 현황(내부통제) |
| 2024.04.11 | 사외이사 대상 선택 연수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2024년 금융ㆍ경제 환경 및 주요이슈, 그룹 사회공헌 활동 현황 및 방향(지속가능금융) |
| 2024.04.30 | 금융연수원 교육 | 최영권 | - | 금융연수원 2024년도 금융회사 사외이사 프로그램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내부통제와 준법경영 등) |
| 2024.05.09 | 사외이사 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건전하고 바람직한 지배구조를 위한 사외이사의 역할(지속가능금융, 조명현 고려대학교 교수) |
| 2024.05.09 | 사외이사 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내부통제체계 및 책무구조도(딜로이트컨설팅 전종무 파트너) |
| 2024.05.09 | 이사회워크숍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그룹경영승계 계획 개선 |
| 2024.05.09 | 이사회워크숍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신한의 AI 도입 전략 및 향후 추진 방향, 신한의 고유자산 운영 경쟁력 강화 방안, 그룹 중기 재무 지향점 Gap 분석 및 지향점 재설정 |
| 2024.05.23 | 외부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ESG관점에서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이해와 이사회 대응방안, 한국 기업 이사회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등 |
| 2024.07.04 | 외부교육 | 윤재원 | - | 사이버 보안, IT 통제 및 디지털 감사, 이사와 감사의 준법감독 등_삼정KPMG (내부통제) |
| 2024.08.08 | 이사회 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ESG공시 의무화 대응 방안_법무법인 화우 김정남 그룹장 (지속가능금융) |
| 2024.08.08 | 감사위원회/위험관리위원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송성주, 최영권 | - | 금융 IT Compliance and AI Risk _안진회계법인 조민연 전무 (내부통제) |
| 2024.08.08 | 감사위원회/위험관리위원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송성주, 최영권 | - | 그룹 고객자산 리스크 관리 체계 (금융, 리스크관리) |
| 2024.09.10 | 외부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일본의 금융산업 현황과 SBJ 전략 방향 (금융, 전략) |
| 2024.09.11 | 외부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기업가치 Value-Up 전략 방향 (전략) |
| 2024.09.11 | 외부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시니어 시장 전략 방향 (금융, 전략) |
| 2024.10.10 | 감사위원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 - | 1) 재무보고 내부통제 시스템 교육_서본회계법인 배성원 상무, 삼일회계법인 진선근 전무, 2) 내부회계 해외 Benchmark 교육 _PwC US Matt Thayer (재무, 회계, 내부통제) |
| 2024.10.10 | 이사회 교육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신한금융그룹의 미국 영업조직에 적용되는 美 감독당국 규제와 기대수준_PwC상무 Elsie Pan(내부통제, 리스크관리) |
| 2024.10.10 | 이사회 워크숍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2025년 금융환경 전망, 그룹 경영계획/재무계획/리스크관리 방향성 (금융, 전략, 재무, 회계, 리스크관리) |
| 2024.11.07 | 감사위원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 - | 운영리스크 관리 체계 교육_안진회계법인 최경식 상무 (리스크관리) |
| 2024.11.07 | 위험관리위원회 교육 | 이용국, 송성주, 최영권 | - | ESG 생물 다양성 리스크의 이해 (지속가능금융, 리스크관리) |
| 2024.11.07 | 제2회 이사회 간담회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최재붕,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 | 2025년도 이사회 구성 방향, 내부통제위원회 운영 방안 |
| 2024.11.22 | 이사회 워크숍 | 진현덕,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 개인일정으로최재붕 이사 불참 | 2025년 그룹 사업계획, 2025년 그룹 재무계획 방향성 및 ROE 10% 달성 방안 (전략, 재무) |
| 2025.03.26 | 신임이사 오리엔테이션 | 양인집, 전묘상 | - | 그룹 전략방향 및 재무현황, 이사회내위원회 업무보고, 지분공시 및 공정공시 안내 |
| 2025.04.24 | 신임이사 교육 |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 | - | 자금세탁방지의 이해(내부통제) |
| 2025.04.24 | 신임이사 교육 |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 | - | 금융회사 책무구조도의 이해(내부통제) |
| 2025.04.24 | 이사회 교육 |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 | - | 미국 AML/CFT 감독 및 법령체계(법률사무소 김앤장 이종구 美 변호사) |
| 2025.04.24 | 제1회 이사회 간담회 |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 | - | 제1회 워크숍 Agenda 논의 및 사외이사 소통 강화 |
| 2025.04.29 | 외부교육 | 양인집 | - |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금융회사 회계 및 재무지표, 내부통제와 준법경영, 리스크관리 및 ESG 등 _ 금융연수원 |
| 2025.05.15 | 이사회 워크숍 | 윤재원, 곽수근, 배훈, 이용국, 김조설, 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 | - | 2030년 시점에서 바라본 미래 금융환경 변화와 SFG 시사점 등(전략,재무,지속가능금융) |
| 2025.06.19 | 외부교육 | 최영권 | - | 제6회 내부통제 미래전략 세미나_AI가 이끄는 내부통제 혁신_삼일회계법인(위험관리) |
가. 감사위원회에 관한 사항(1) 감사위원의 인적사항 및 사외이사 여부
|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 곽수근 | 예 | ㆍ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경영학 박사(1987)ㆍ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1998~2018.08)ㆍ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2018.09~현재)ㆍ금감위 증권선물위원회 비상임위원(2004.04~2007.04)ㆍ한국경영학회 회장(2011.03~2012.02)ㆍ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위원장(2012.02~2014.02)ㆍ상장회사협의회 지배구조자문위 위원장(2019.4~현재) | 예 | 회계/재무분야 학위 보유자 |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경영학 박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등 교수 20년이상 재임- 금감위 증권선물위원회 비상임위원-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위원장 등 |
| 배훈 | 예 | ㆍ일본 교토대학 경제학부ㆍ일본 고베대학대학원 경영학연구과전문직대학원 MBAㆍ일본 교토대학대학원 법과연구과 박사과정ㆍ일본 공인회계사보(1979), 일본 변호사(1985)ㆍ재일한국인변호사협회(LAZAK) 공동대표(2002~2006)ㆍ변호사법인 오르비스(2003~현재) | - | - | - |
| 이용국 | 예 | ㆍ프린스턴대 국제관계학ㆍ하버드로스쿨 석사ㆍCleary Gottlieb Steen & Hamilton LLP (1992-現) 뉴욕/홍콩 파트너변호사, 서울사무소 대표, 선임고문변호사ㆍ대한변호사협회 국제위원회 위원(2015-2017) ㆍ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 겸임교수(2024-現) ㆍ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2024-現) | - | - | - |
| 윤재원 | 예 | ㆍ미국공인회계사(1999)ㆍ고려대학교대학원 경영학(회계) 석/박사ㆍ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004~현재)ㆍ조세심판원 비상임심판관(2013~2019)ㆍ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 (2018~2023)ㆍ기획재정부 국유재산심의위원(증권분과)(2020~2024)ㆍ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자본시장분과)(2023~2024)ㆍ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2017~현재)ㆍ한국세무학회 부회장 (2017~현재)ㆍ한국회계학회 부회장 / 다양성(D&I) 위원장 등(2018~현재)ㆍ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비상임위원(2023~현재) | 예 | 회계사, 회계/재무분야 학위 보유자 | - 미국공인회계사- 고려대학교대학원 경영학(회계학 전공) 석/박사-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0년이상 재임 - 한국회계학회 다양성(D&I) 위원장/부회장 - 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비상임위원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 등 |
(2) 감사위원회 위원의 독립성
| 구 분 | 내 용 | 비 고 |
|---|---|---|
| 감사위원회 설치 여부 | 2001.9.1 감사위원회 설치 | - |
| 구 성 방 법 | 3인 이상 5인 이내의 이사로 구성 | - |
1) 회사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감사위원회를 둔다.2) 감사위원회의 위원후보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한다. 이 경우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3) 감사위원회는 3인 이상 5인 이내의 이사로 구성하고, 총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로 한다. 위원 중 1인 이상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에서 정하는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로 한다.4) 감사위원회는 그 결의로 사외이사인 위원 중 1인을 위원장으로 선임한다.
| 선출기준의 주요내용 | 선출기준의 충족여부 | 관련법령 등 |
|---|---|---|
| - 3명 이상의 이사로 구성 | 충족 (4명) | 상법 제415조의2 제2항 등 |
| -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2 이상 | 충족 (전원 사외이사) | |
| - 위원 중 1명 이상은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 충족 (곽수근 이사, 윤재원 이사 2인) |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등 |
| - 감사위원회의 대표는 사외이사 | 충족 (곽수근 이사) | |
| - 사외이사 1명 이상에 대해서 분리 선임 | 충족 (곽수근 이사)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법 제19조 제5항 |
(3) 감사위원회의 활동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이사의 성명 | |||
|---|---|---|---|---|---|---|
| 곽수근 | 배훈 | 윤재원 | 이용국 | |||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출석률:100%) | |||
| 찬반여부 | ||||||
| 2025.02.06 | 1. 자회사 등의 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 2025년 내부감사책임자 업무성과 목표 설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심의사항> 1. 그룹 준법감시인 2024년도 활동 내용 및 2025년도 업무 계획 2. 2025년 자회사 상근감사위원 성과평가 기준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보고사항> 1. 2024년도 4분기 감사활동 2. 감사업무 관련 보고 3. 자회사 감사위원회 개최 현황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2025.02.26 | <보고사항>1.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핵심감사사항 보고2.2024년도 기말 결산 중간보고 및 외부감사인과의 커뮤니케이션3 2024년도 내부감사부서의 회계감사 중간보고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2025.03.04 | 1. 2024년도 결산감사 결과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 2024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3.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에 대한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4. 2025년도 자회사 상근감사위원 성과평가 기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5. 회사 및 자회사 등의 감사 및 비감사 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 <심의사항> 1. 감사위원회 규정 개정의 건 2. 자금세탁방지업무 감사 결과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보고사항> 1. 2024년도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감사 결과 3.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결과 4. 감사업무 추진실적 5. 감사위원회 활동평가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선임전 | |
| 2025.03.04 | 1. 제24기 정기주주총회 부의안에 대한 의견진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 2025.03.26 |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및 권한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4.23 | 1. 2024년도 외부감사인의 PCAOB 기준 감사 결과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2025.04.24 | 1. 회사의 비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심의사항>1. 차기 외부감사인 선정 계획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보고사항>1. 2025년 1분기 감사활동2. 감사업무 관련 보고 3. 자회사 감사위원회 개최 현황4. 2025년 외부감사인의 감사 업무 계획 5. 20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계획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2025.05.15 | 1. 자회사 등의 감사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차기 외부감사인 선정 기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심의사항>1. 2024년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2. 내부통제시스템 운영의 적정성 검토 결과 | 심의완료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 <보고사항>1. 2025년 1분기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 검토 결과 | 보고 | 출석 | 출석 | 출석 | 출석 | |
(4) 교육실시 계획
감사위원회 위원을 대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법령 및 동 규정에서 정하는 사항 등의 이해에 필요한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한, 감사위원의 업무 이해 증진을 위해 필요한 외부교육 등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5)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감사위원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 2023.08.09 | 서본회계법인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외부교육) | 윤재원, 배훈, 곽수근 |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프로세스 및 핵심감사대상 운영현황 등 |
| 2024.07.04 | 삼정KPMG Audit Committee(외부교육) | 윤재원 | 개인일정 등으로 곽수근 이사, 배훈 이사 불참 | 사이버 보안, IT통제 및 디지털 감사, 이사와 감사의 준법감독 등 |
| 2024.08.08 | 안진회계법인(외부교육) | 곽수근, 배훈, 윤재원 | - | 금융 IT Compliance and AI Risk |
| 2024.08.08 | 리스크관리팀(내부교육) | 곽수근, 배훈, 윤재원 | - | 그룹 고객자산 리스크 관리 체계 |
| 2024.10.10 | 한영회계법인, 삼일회계법인(외부교육) | 곽수근, 배훈, 윤재원 | - |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 재무보고내부통제시스템(FRICS) 교육 - 내부회계관리제도 해외 Benchmark |
| 2024.11.07 | 안진회계법인(외부교육) | 곽수근, 배훈, 윤재원 | - | 운영리스크 관리체계 |
| 2025.04.24 | 한영회계법인(외부교육) | 곽수근, 배훈, 이용국, 윤재원 | - | 2025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
(6)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 감사팀 | 13 | 임원 1명 (1.5년)팀장 2명 (14.3년)부부장 6명 (평균 6.7년)차장 4명 (평균 5.3년) | 1. 지주회사 및 자회사 감사2. 외부감사인 관리3. 결산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4. 내부통제시스템 평가5. 자금세탁방지업무 감사6. 공시정책 점검 등 |
|
주) |
공인회계사 2명 포함, 근속연수는 그룹사 등 해당 직무 경력 포함 기준임 |
나. 준법감시인에 관한 사항(1) 준법감시인 인적사항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주요경력 | 재직기간 | 임기 만료일 |
|---|---|---|---|---|---|---|---|---|
| 이영호 | 남 | 70.10.17 | 파트장(상무) | 미등기 | 상근 | ㆍ서강대 법학과 졸ㆍ신한은행 준법감시부 팀장 (2017.01~2020.12)ㆍ신한은행 준법감시부장 (2021.01~2022.12)ㆍ신한은행 준법감시인 (2023.01~2024.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준법감시인(2024.01~현재) | 2025.01.01~ 현재 | 2026.12.31 |
(2) 준법감시인 등의 주요 활동내역 및 그 처리결과
| 점검일시 | 주요 활동 내용 | 점검 결과 |
| 수시 | 일상업무에 대한 법규준수측면 사전검토 | 적정함 |
| 매월 | 월별 그룹사 및 부서별 법규준수이행 여부 점검 | 적정함 |
| 분기 | 그룹사간 내부거래 점검 | 적정함 |
| 분기 | 그룹 준법감시인협의회 | 적정함 |
| 반기 | 내부통제위원회/내부통제운영위원회/그룹 자금세탁방지 협의체 | 적정함 |
(3) 준법감시인 등 지원조직 현황
|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 준법지원팀 | 11 | 팀장(변호사): 1명 (17년)부부장(변호사 1명 포함): 4명(평균 6.3년)차장: 4명 (평균 3.2년)과장: 1명 (6.5년)변호사: 1명 (3.8년) | - 법규준수 측면 내부통제 모니터링- 법무업무 지원- 임직원 윤리준법 의식 강화활동(법규준수 교육 등)- 내부통제위원회, 내부통제운영위원회 운영 등 |
|
주) |
근속연수는 그룹사 해당 직무 경력 포함 기준임 |
가. 투표제도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 도입여부 | 채택 | 미도입 | 도입 |
| 실시여부 | - | 미실시 | 실시 |
주1)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의결권대리행사권유제도를 도입하고 있음주2) 의결권 위임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하는 방법, 우편 또는 모사전송에 의한 방법,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전자우편에 의한 방법(피권유자가 전자우편을 수령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경우) 나. 전자투표제도 절차 및 요건 제18기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도를 채택하여 활용하였습니다.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여,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전자투표 기간 중 주주는 공인인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 다. 소수주주권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경우가 없습니다. 라. 경영권 경쟁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회사의 경영지배권에 관하여 경쟁이 있었던 경우가 없습니다.
마. 의결권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485,494,934 | - |
| 우선주 | - | - |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1 | 주) |
| 우선주 | - | - |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보통주 | 485,494,933 | - |
| 우선주 | - | - |
주) 상기 의결권 없는 주식수(B)는 합병회사의 완전 자회사화를 위한 주식교환 결과 발생한 단주 취득한 1주로 자기주식수임
바. 주식사무
|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 주1) | ||
| 결 산 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결산일 이후 3개월 이내 |
| 주주명부폐쇄시기 | 주2) | ||
| 주권의 종류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가 의무적으로 전자등록됨에 따라 '주권의 종류' 를 기재하지 않음 | ||
| 명의개서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TEL : 02-3774-3000) | ||
| 주주의 특전 | 없음 | 공고방법 | 당사의 인터넷홈페이지 게재(http://www.shinhangroup.com)단, 전산장애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터넷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한국경제신문, 매일경제신문에 한다. |
|
주1) 정관 제13조(신주인수권)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있다. 1.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증자 방식에 의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7의 규정에 의하여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우선배정하는 경우 3.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증권예탁증권(DR) 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상법 제340조의2 및 제542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투자회사ㆍ사모투자전문회사 또는 투자목적회사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진금융기술의 도입, 이 회사 또는 자회사 등의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조달, 전략적 업무제휴 등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자, 국내외 금융기관, 제휴회사 등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에 따라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④ 제2항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써 정한다.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주2) 정관 제18조(기준일) ① (삭제) (2021.3.25 개정) ② 이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최종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③ 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사는 이를 2주간 전에 공고하여야 한다.(2021.3.25 개정) ④ 제3항 후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금융지주회사법 및 기타 관계법령에서 달리 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를 수 있다. |
사.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 주총일자 | 안 건 | 결 의 내 용 | 주요논의내용 |
|---|---|---|---|
| 제22기정기주주총회(2023.3.23) | 제1호 의안 : 제22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FY2022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원안대로 승인 |
| 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가결 | 이사회 운영관련 규정 및 명칭, 배당절차 개선에 대한 일부 정관 변경 원안대로 승인 | |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7명 선임) - 제3-1호 의안 : 이사후보(사내이사) 진옥동 - 제3-2호 의안 : 이사후보(기타비상무이사) 정상혁 - 제3-3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곽수근 - 제3-4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배 훈 - 제3-5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성재호 - 제3-6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이용국 - 제3-7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이윤재 - 제3-8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진현덕 - 제3-9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최재붕 | 가결 | 사내이사 신규 선임 1명, 기타비상무이사 신규 선임 1명, 사외이사 재선임 7명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 제4-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 윤재원 | 가결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1명 별도 안건으로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5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감사위원 2명 선임) - 제5-1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곽수근 - 제5-2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배 훈 | 가결 | 2명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6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FY2023 이사보수한도 원안대로 승인 | |
| 제23기정기주주총회(2024.3.26) | 제1호 의안 : 제23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FY2023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원안대로 승인 |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8명 선임) - 제2-1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김조설 - 제2-2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배 훈 - 제2-3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윤재원 - 제2-4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이용국 - 제2-5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진현덕 - 제2-6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최재붕 - 제2-7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송성주 - 제2-8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최영권 | 가결 | 사외이사 신규 선임 2명, 사외이사 재선임 6명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 곽수근 | 가결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1명 별도 안건으로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감사위원 2명 선임) - 제4-1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배 훈 - 제4-2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윤재원 | 가결 | 2명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5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FY2024 이사보수한도 원안대로 승인 | |
| 제24기정기주주총회(2025.3.26) | 제1호 의안 : 제24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FY2024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원안대로 승인 |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1호 의안 : 내부통제위원회 신설의 건 -제2-2호 의안 : 분기배당 기준일 변경의 건 | 가결 | 내부통제위원회 신설 및 분기배당 기준일 관련 정관 변경 원안대로 승인 | |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6명 선임) - 제2-1호 의안 : 이사후보(기타비상무이사) 정상혁 - 제2-2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김조설 - 제2-3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배 훈 - 제2-4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윤재원 - 제2-5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이용국 - 제2-6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양인집 - 제2-7호 의안 : 이사후보(사외이사) 전묘상 | 가결 | 사외이사 신규 선임 2명, 기타비상무이사 재선임 1명, 사외이사 재선임 4명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 곽수근 | 가결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1명 별도 안건으로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5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감사위원 3명 선임) - 제5-1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배 훈 - 제5-2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윤재원 - 제5-3호 의안 : 감사위원후보 이용국 | 가결 | 3명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에 대하여 원안대로 선임 승인 | |
| 제6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FY2025 이사보수한도 원안대로 승인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 2025년 8월 27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의 주식소유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일 : | 2025년 08월 27일 | ) | (단위 : 주,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국민연금공단 | 본인및특별관계자 | 보통주 | 44,217,945 | 9.11 | 45,150,026 | 9.30 | - |
| 계 | 의결권 있는 보통주 | 44,217,945 | 9.11 | 45,150,026 | 9.30 | - | |
| 의결권 없는우선주 | - | - | - | - | - | ||
| 주1) | 지분율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
| 주2) | 기초 및 기말 국민연금공단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각각 2025년 6월말과 2025년 08월 27일 기준 주주명부 내용에 따른 것임 |
| 주3) | 2025년 2분기 배당기준일(2025.8.1) 주주명부 기준 국민연금공단 소유주식수와 지분율이 각각 45,150,026주, 9.30%로 변경됨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및 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 |
동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일 : | 2025년 08월 27일 | ) | (단위 : 주)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 5% 이상 주주 | 국민연금공단 | 45,150,026 | 9.30 | 주3) |
| BlackRock Fund Advisors | 29,063,012 | 5.99 | 주4) | |
| 우리사주조합 | 24,602,654 | 5.07 | 주5) | |
| 주1) | 지분율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출함 |
| 주2) | 지분율은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485,494,934주 대비 기준임 |
| 주3) | 2025년 8월 1일 주주명부 기준 주주의 주식소유현황을 기초로 하여 2025년 08월 27일까지 확인가능한(공시된) 소유주식 변동분을 반영함. |
| 주4) | BlackRock Fund Advisors 소유주식수는 2018년 09월 27일 공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참고 |
| 주5) | 우리사주조합의 소유주식수는 조합원계정 소유주식수 24,531,089주와 조합계정 71,565주를 합산한 수량임 |
| 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및 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 |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 국민연금공단 | - | 김태현 (이사장) | - | - | - | - | - |
| - | - | - | - | - | -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국민연금공단 |
| 자산총계 | 228,993 |
| 부채총계 | 584,915 |
| 자본총계 | -355,922 |
| 매출액 | 44,544,620 |
| 영업이익 | 3,288 |
| 당기순이익 | -17,155 |
주) 2024 사업연도 고유사업 기준
<국민연금공단 개요>
-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법에 의거하여 1987년 9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국민연금을 운영, 관리하는 준정부기관으로 주요업무로는 국민연금 가입자의 이력 관리, 연금보험료 징수, 연금급여 지급, 기금운용, 가입자와 연금 수급권자를 위한 복지사업 실시 등 입니다.<국민연금공단 주요연혁>1987년 09월 국민연금관리공단 설립1988년 01월 국민연금제도 실시(10인 이상 사업장)1999년 11월 기금운용본부 설치2007년 07월 '국민연금공단'으로 명칭 변경2014년 07월 기초연금 사업 수행2015년 12월 전 국민 대상 노후준비서비스 시행2016년 08월 실업크레딧 제도 시행2022년 07월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제도 시행 <국민연금공단 경영진 현황>- 김태현 이사(이사장) : 공단 업무 총괄- 류지영 감사 : 업무전반, 재무회계 및 기금운용 내역 감사 총괄- 장재혁 이사 : 기획조정, 인사혁신, 경영지원 및 국민소통 업무 총괄- 정태규 이사 : 고객지원, 가입지원, 연금급여,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 업무 및 국제협력 업무 총괄- 이여규 이사 : 노후준비지원, 장애인지원, 기초연금 및 복지사업 업무 총괄- 서원주 이사 : 기금운용본부 업무 총괄- 한정림 연구원장 : 연금제도, 재청추계, 기금운용 평가관련 연구업무 수행 총괄- 조영훈 본부장 : 디지털혁신본부 업무 총괄(2025년 5월 23일 기준)<국민연금공단 사업현황>- 가입자에 대한 기록의 관리 및 유지- 연금보험료의 부과- 급여의 결정 및 지급- 노후설계 상담, 소득활동 지원 및 자금의 대여- 복지시설의 설치ㆍ운영 등 복지증진 사업- 기금증식을 위한 자금의 대여사업- 국민연금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위탁받은 사항- 그 밖의 국민연금사업에 관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하는 사항- 국민연금기금의 관리 및 운영
※ 국민연금공단에 관한 상기 내용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http://www.nps.or.kr) 및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http://www.alio.go.kr)을 참고
다.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 해당사항 없음
3.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 해당사항 없음
4. 최대주주 변동현황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최대주주(국민연금공단)가 변동된 사항이 없습니다. - 국민연금공단의 당사 지분 보유현황에 대한 변동내역은 국민연금공단에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한 공시서류(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와 당사에서 분기별로 주주명부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공시한 서류(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현황(1) 5% 이상 주주 등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 5% 이상 주주 | 국민연금공단 | 44,217,945 | 9.11 | 주3) |
| BlackRock Fund Advisors | 29,063,012 | 5.99 | 주4) | |
| 우리사주조합 | 24,602,654 | 5.07 | 주5) | |
| 주1) | 지분율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출함 |
| 주2) | 지분율은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485,494,934주 대비 기준임 |
| 주3) | 2025년 6월말 주주명부 기준임 |
| 주4) | BlackRock Fund Advisors 소유주식수는 2018년 09월 27일 공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참고 |
| 주5) | 우리사주조합의 소유주식수는 조합원계정 소유주식수 24,531,089주와 조합계정 71,565주를 합산한 수량임 |
나. 우리사주조합 주식소유현황(1) 우리사주조합 주식보유내역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주) |
| 주식의 종류 | 기초잔고(2025.01.01) | 증가 | 감소 | 기말잔고(2025.6.30) |
|---|---|---|---|---|
| 조합원계정(보통주) | 24,775,149 | 2,034,118 | 2,278,178 | 24,531,089 |
| 조합계정(보통주) | 86,013 | 14,837 | 29,285 | 71,565 |
| 합계 | 24,861,162 | 2,048,955 | 2,307,463 | 24,602,654 |
(2) 회사별 보유내역(조합원계정)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주) |
| 회사 | 주식수 |
|---|---|
| 신한금융지주회사 | 341,745 |
| 신한은행 | 17,145,363 |
| 신한카드 | 4,093,212 |
| 신한투자증권 | 1,213,857 |
| 신한라이프 | 875,381 |
| 신한캐피탈 | 345,107 |
| 신한자산운용 | 135,665 |
| 신한저축은행 | 35,914 |
| 신한자산신탁 | 23,558 |
| 신한DS | 54,030 |
| 신한펀드파트너스 | 211,446 |
| 신한리츠운용 | 11,400 |
| 신한EZ손해보험 | 9,640 |
| 신한신용정보 | 8,665 |
| 신한금융플러스 | 12,658 |
| 기타 주) | 13,448 |
| 합계 | 24,531,089 |
| 주) | 카디프생명 등 우리사주조합 자격 유지 보유 건임 |
6.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가. 국내증권시장
| (단위 : 원, 주) |
| 종 류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2025년 5월 | 2025년 6월 | |
|---|---|---|---|---|---|---|---|
| 보통주 | 최고 | 51,100 | 51,000 | 48,800 | 51,400 | 57,700 | 61,700 |
| 최저 | 47,750 | 45,850 | 44,650 | 43,850 | 50,700 | 55,900 | |
| 평균 | 49,611 | 48,490 | 46,718 | 47,627 | 53,526 | 59,795 | |
| 월간거래량 | 18,406,665 | 32,307,493 | 26,032,775 | 28,871,849 | 21,795,808 | 50,070,262 | |
| 월간최고 일거래량 | 1,577,800 | 3,083,547 | 1,969,675 | 1,985,055 | 2,376,490 | 13,052,393 | |
| 월간최저 일거래량 | 594,123 | 812,888 | 968,529 | 709,724 | 589,456 | 1,108,435 | |
| 주) | 주가는 종가 기준임. |
나. 해외증권시장
| [증권거래소명 : 뉴욕증권거래소] | (단위 : 달러, 원, 주) |
| 종 류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2025년 5월 | 2025년 6월 | |
|---|---|---|---|---|---|---|---|
| ADR | 최고(USD) | 35.51 | 35.32 | 33.46 | 35.98 | 41.54 | 45.18 |
| 최고(원화환산) | 51,684 | 51,892 | 49,082 | 51,757 | 57,273 | 61,356 | |
| 최저(USD) | 32.71 | 31.95 | 31.04 | 29.04 | 35.46 | 40.52 | |
| 최저(원화환산) | 48,084 | 45,995 | 45,055 | 42,570 | 50,215 | 55,743 | |
| 평균(USD) | 34.60 | 33.89 | 32.17 | 33.04 | 38.02 | 43.45 | |
| 평균(원화환산) | 50,232 | 49,006 | 46,846 | 47,741 | 53,210 | 59,404 | |
| 월간거래량 | 3,762,130 | 6,469,761 | 6,239,653 | 4,969,318 | 3,653,062 | 3,657,509 | |
| 월간최고 일거래량 | 313,506 | 771,054 | 586,620 | 417,564 | 266,793 | 325,648 | |
| 월간최저 일거래량 | 107,031 | 101,554 | 155,758 | 135,694 | 95,455 | 92,719 | |
| 주1) | 주가는 종가 기준이며, ADR 1주는 보통주 1주 기준임. |
| 주2) | 최고/최저 원화환산 주가는 서울외국환중개에서 고시하는 해당일의 매매기준환율로 환산한 보통주 1주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함. |
| 주3) | 평균 원화환산 주가는 서울외국환중개에서 고시하는 해당일의 매매기준환율로 환산한 보통주 1주의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함. |
가. 임원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 진옥동 | 남 | 1961.02 | 대표이사회장 | 사내이사 | 상근 | 총괄,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ESG전략위원회 위원 | ㆍ중앙대학교 경영학 석사ㆍSBJ은행 법인장(2015.06~2016.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2017.03~2018.12)ㆍ신한은행 은행장(2019.03~2022.12.31)ㆍ신한금융지주회사 대표이사(2023~현재) | 18,937 | - | 해당사항없음 | 2023.03.23~현재 | 2026.03.26 |
| 윤재원 | 여 | 1970.08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이사회 의장,감사위원회 위원,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고려대학교 경영학과 박사ㆍ미국공인회계사(1999)ㆍ홍익대 경영대학 교수(2004~현재)ㆍ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 (2023~2024)ㆍ한국회계기준원 회계기준위원회 비상임위원(2023~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0.03.26~현재 | 2026.03.26 |
| 곽수근 | 남 | 1953.08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감사위원회 위원장,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내부통제위원회 위원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경영학 박사ㆍ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2018.09~현재)ㆍ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위원장(2012.02~2014.02)ㆍ상장사협의회 지배구조자문위원회 위원장(2019.04~현재)ㆍ재단법인 한국기업가정신재단 이사장(2015~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1.03.25~현재 | 2026.03.26 |
| 배훈 | 남 | 1953.03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감사위원회 위원,내부통제위원회 위원,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일본 교토대학 경제학부ㆍ일본 고베대학대학원 경영학연구과전문직대학원 MBAㆍ일본 공인회계사보(1979), 일본 변호사(1988)ㆍ재일한국인변호사협회(LAZAK) 공동대표(2002~2006)ㆍ변호사법인 오르비스(2003~현재) | 14,773 | - | 해당사항없음 | 2021.03.25~현재 | 2026.03.26 |
| 이용국 | 남 | 1964.05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ESG전략위원회 위원장,감사위원회 위원,보수위원회 위원 | ㆍ미국 하버드 로스쿨 법학전문 석사ㆍCleary Gottlieb Steen & Hamilton LLP/ 뉴욕ㆍ홍콩사무소 파트너변호사, 서울사무소 대표, 선임고문변호사(1992.2~현재)ㆍ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2024.3~현재)ㆍ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 겸임교수(2024.3~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1.03.25~현재 | 2026.03.26 |
| 김조설 | 여 | 1957.12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ESG전략위원회 위원,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일본 오사카시립대학교 경제학 박사ㆍ일본 신슈대학 경제학부 교수(2001.04~2020.03)ㆍ일본 오사카상업대학 경제학부 교수(2020.04~현재)ㆍ동북아시아학회 상임이사 겸 회장(2023.10~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2.03.24~현재 | 2026.03.26 |
| 송성주 | 여 | 1971.03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위험관리위원회 위원장,내부통제위원회 위원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University of Chicago 통계학 박사ㆍ고려대학교 통계학과 교수(2008~현재)ㆍ한국거래소 CCP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2021.11~현재)ㆍ한국리스크관리학회 이사(2022.04~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4.03.26~현재 | 2026.03.26 |
| 최영권 | 남 | 1964.07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내부통제위원회 위원장,보수위원회 위원장,위험관리위원회 위원,회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숭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재무관리 경영학 박사ㆍ공무원연금공단 자금운용단장(2014.07~2017.03)ㆍ우리자산운용 대표이사(2019.08~2023.03)ㆍ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2022.09~현재) | 2,000 | - | 해당사항없음 | 2024.03.26~현재 | 2026.03.26 |
| 양인집 | 남 | 1957.07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학과ㆍ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BAㆍ쌍용화재보험㈜ 대표이사 사장(2003-2006)ㆍ하이트진로㈜ 해외사업총괄사장(2012-2017)ㆍ어니컴㈜ 대표이사 회장(2019~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5.03.26 ~ 현재 | 2027.03.26 |
| 전묘상 | 여 | 1980.05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보수위원회 위원, ESG전략위원회 위원, 사외이사및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ㆍ일본 교토대학교 경제학부ㆍ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BAㆍKPMG FAS 매니저(2010-2020)ㆍ㈜일본정책투자은행 조사역 겸 회계자문역(2014-2016)ㆍSmartNews㈜ Head of Planning&Administration(2021~현재) | - | - | 해당사항없음 | 2025.03.26 ~ 현재 | 2027.03.26 |
| 정상혁 | 남 | 1964.11 | 기타비상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ESG전략위원회 위원 | ㆍ서울대 국제경제학과ㆍ신한은행 비서실장 (2019.03~2019.12)ㆍ신한은행 부행장 (경영기획그룹, 자금시장그룹) (2021.01~2023.02)ㆍ신한은행 은행장 (현) | 15,551 | - | 해당사항없음 | 2023.03.23~현재 | 2027.03.26 |
| 고석헌 | 남 | 1968.09 | 부문장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그룹 전략부문(CSO) | ㆍ서울대 경제학과 졸ㆍ신한금융지주회사 전략기획팀장 (2019.01~2019.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관리팀 본부장 (2020.01~2020.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관리3팀 본부장 (2021.01~2021.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2022.01~2022.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 (2023.01~현재) | 6,000 | - | 해당사항없음 | 2022.01.01~현재 | 2025.12.31 |
| 천상영 | 남 | 1969.07 | 부문장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그룹재무부문(CFO) | ㆍ연세대 경영학과 졸ㆍ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관리2팀장 (2021.01~2021.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관리팀 본부장 (2022.01~2022.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원신한지원팀 본부장 (2023.01~2023.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 (2024.01~현재) | 3,600 | - | 해당사항없음 | 2024.01.01~현재 | 2025.12.31 |
| 이인균 | 남 | 1967.04 | 부문장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그룹 운영부문 (COO) | ㆍ한양대 영문과 졸ㆍ신한은행 비서실장 (2015.07~2017.03)ㆍ신한금융지주회사 경영지원팀 부장 (2017.03~2018.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2019.01~2020.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 (2021.01~현재) | 8,000 | - | 해당사항없음 | 2019.01.01~현재 | 2025.12.31 |
| 박현주 | 여 | 1965.04 | 부문장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그룹소비자보호부문(CCPO) | ㆍ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졸ㆍ신한은행 소비자보호본부장 (2019.01~2019.12)ㆍ신한은행 서부본부장 (2020,01~2021.12)ㆍ신한은행 부행장 (2022.01~현재)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 (신한은행 부행장 겸직, 2023.07~현재) | 700 | - | 해당사항없음 | 2023.07.01~현재 | 2025.12.31 |
| 방동권 | 남 | 1966.02 | 파트장(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그룹 리스크관리파트 (CRO) | ㆍ성균관대 영문과 졸ㆍ신한은행 양재동기업금융1센터장 (2019.01~2019.04)ㆍ신한은행 리스크총괄부장 (2019.05~2019.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2020.01~2021.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부사장 (2022.01~현재) | 2,564 | - | 해당사항없음 | 2020.01.01~현재 | 2025.12.31 |
| 이영호 | 남 | 1970.10 | 파트장 (상무) | 미등기 | 상근 | 준법지원파트(준법감시인, CCO) | ㆍ서강대 법학과 졸ㆍ신한은행 준법감시부 팀장(부서장대우) (2017.01~2020.12)ㆍ신한은행 준법감시부장 (2021.01~2022.12)ㆍ신한은행 준법감시인 상무 (2023.01~2023.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2025.01~현재) | 1,637 | - | 해당사항없음 | 2025.01.01~현재 | 2026.12.31 |
| 김지온 | 여 | 1968.05 | 파트장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감사파트 (CAO) | ㆍ연세대 경제학과 졸ㆍ신한은행 외환사업부 본부장 (2020.01~2020.12)ㆍ신한은행 기업여신심사부 본부장겸 부장심사역 (2021.01~2021.12)ㆍ신한은행 PRM마케팅부 본부장 (2022.01~2023.12)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2024.01~현재) | 6,574 | - | 해당사항없음 | 2024.01.01~현재 | 2025.12.31 |
| 김준환 | 남 | 1972.06 | 파트장 (상무) | 미등기 | 상근 | 디지털파트(CDO) | ㆍKAIST 정밀공학 졸, KAIST 컴퓨터응용설계학 석/박사ㆍ삼성전자, SK C&C 등ㆍ신한은행 Data Unit 상무 (2020.12)ㆍ신한은행 디지털혁신단장 상무 (2021.01~현재)ㆍ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신한은행 상무 겸직, 2024.01~현재) | 700 | - | 해당사항없음 | 2024.01.01~현재 | 2025.12.31 |
| 주1) | 상기 등기임원의 임기 만료일은 해당년도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자까지임 |
| 주2) | 임원소유주식수는 금융위원회 법령 해석으로 우리사주조합을 통한 보유분 제외후 기재함. 우리사주조합보유분 포함시 다음과 같음<정상혁 18,940주, 고석헌 8,003주, 천상영 7,093주, 이인균 11,576주, 박현주 3,805주, 방동권 6,133주, 이영호 5,098주, 김지온 9,997주> |
| 주3) | 공시대상기간 이후인 2025.7.30 윤재원 이사 1,000주 매수 |
- 계열회사간 임원 겸직현황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 성명 | 대상회사 | 직위명 | 선임일 | 비고 |
|---|---|---|---|---|
| 정상혁 | 신한은행 | 은행장 | 2023.02.15 | 상근 |
| 고석헌 | 신한카드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저축은행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펀드파트너스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천상영 | 신한라이프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자산신탁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신한리츠운용 | 비상임이사 | 2023.01.01 | 비상근 | |
| 이인균 | 신한은행 | 비상임이사 | 2023.01.01 | 비상근 |
| 신한캐피탈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리츠운용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박현주 | 신한은행 | 부행장 | 2022.01.01 | 상근 |
| 김지온 | 신한DS | 비상근감사 | 2024.03.28 | 비상근 |
| 신한리츠운용 | 비상근감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벤처투자 | 비상근감사 | 2024.01.01 | 비상근 | |
| 김준환 | 신한DS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벤처투자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황경업 | 신한펀드파트너스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고유선 | 신한자산운용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이원태 | 신한투자증권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신한DS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신한벤처투자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김원길 | 신한EZ손해보험 | 비상임이사 | 2025.03.21 | 비상근 |
나. 직원 등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 - | 남 | 135 | - | 9 | - | 144 | 2년 10개월 (16년 1개월) | 13,930 | 97 | - | - | - | - |
| - | 여 | 48 | - | 2 | 1 | 50 | 4년 1개월 (13년 1개월) | 3,853 | 77 | - | |||
| 합 계 | 183 | - | 11 | 1 | 194 | 3년 2개월 (15년 4개월) | 17,783 | 92 | - | ||||
| 주1) | 연간급여 총액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지급한 금액임 |
| 주2) | 평균근속연수 괄호안 기간은 그룹사 근무를 포함한 평균 근속연수임 |
| 주3) | 미등기임원은 기간제근로자에 포함 |
| 주4) | 직원 수는 월별 평균 근무인원의 6개월 평균임 |
| 주5) | 1인 평균 급여액은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 작성 기준일까지 월별 평균 급여액의 합으로 기재함(월별 평균 급여액 : 해당 월의 급여총액을 해당 월의 평균 근무인원 수로 나눈 값) |
다.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 (단위 : 명,%)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 | - | - |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 | 1 | - |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 | 1 | - |
| 육아휴직 사용률(남) | 0.0% | 0.0% | 0.0% |
| 육아휴직 사용률(여) | 0.0% | 0.0% | 0.0% |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0.0% | 0.0% | 0.0% |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남) | - | - | - |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여) | - | - | - |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전체) | - | - | - |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1 | - | - |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 3 | 2 | 3 |
주1) 육아휴직 사용자 수: 당해 연도 육아휴직 사용 이력이 있는 직원수 주2) 육아휴직 사용률 계산법 : 당해 연말 재/휴직 중이며, 당해 출산 자녀를 가진 직원 중 당해 출생 자녀생일 1년 이내 육아휴직 사용 이력이 있는 직원수 비율. 따라서 육아휴직 사용률에는 출산 1년 이후 육아휴직 사용자는 포함되지 않음주3)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 당해 연도 복직한 직원 중 12개월 이상 근속한 직원수주4)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당해 연도 육아기 단축 근무제 사용 이력이 있는 직원 수주5)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당해 연도 배우자 출산 휴가 사용 이력이 있는 직원수 라.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
| (단위 : 명) |
|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주1) | 여 | 여 | 여 |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 수 | 57 | 98 | 79 |
| 선택근무제 사용자 수 주2) | 32 | 48 | 50 |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사용자 수 | 38 | 78 | 130 |
주1)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원격근무(재택근무 포함) 중 1개 이상 제도의 도입ㆍ활용 여부주2) 1개월(신상품ㆍ신기술의 연구개발 업무는 3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무의 시작ㆍ종료시각 및 1일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마.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 미등기임원 | 7 | 2,692 | 385 | - |
| 주) | 겸직 경영진의 경우,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근로소득 신고하는 원 소속사에서 공시 |
|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 이사(사외이사) | 11(9) | 3,000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등을 구분하지 않음. |
주1) 주총승인금액: 등기이사(사외이사 포함) 총한도 기준,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상은 수량기준으로 별도 승인 완료주2) 이사보수지급기준은 주총승인금액 범위 내에서 이사회에서 결정함.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 (단위 : 백만원) |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 11 | 1,270 | 115 | - |
주) 보수지급기간: 2025년 1월 1일 ~ 2025년 6월 30일
2-2. 유형별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 | 871 | 436 | -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5 | 232 | 42 | - |
| 감사위원회 위원 | 4 | 167 | 47 | - |
| 감사 | - | - | - | - |
주) 인원수: 2025년 6월 말 기준, 1인당 평균보수액: 보수총액 / 기중 환산인원수
3.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 이사보수한도는 주주총회에서 정하며, 세부 운영 기준은 이사회 및 보수위원회에서 정한바에 따름.
3.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 이사보수한도는 주주총회에서 정하며, 세부 운영 기준은 이사회 및 보수위원회에서 정한바에 따름.
| 구 분 | 보수체계 | 보수결정시 평가항목 |
|---|---|---|
| 등기이사 | 기본급, 직무수당, 연간성과급, 장기성과급,퇴직위로금 | ○ 권한 및 책임, 직무 범위, 업권 보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이사회 및 보수위원회 결의로 총 보수 및 항목별 보수 수준을 결정함○ 연간성과급 - 그룹 KPI: 총주주수익률, 그룹고객기반, ROE, 실질고정이하여신비율, ROTCE, RAROC, 총이익경비율 등 계량지표로 평가함 - 전략과제: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고객편의성 혁신, 고객 기반 확대, 플랫폼 AI성과 창출, SDGs 추진 등 과제에 대하여 계량지표와 비계량지표를 각 50% 비중으로 평가함. ○ 장기성과급 - 경쟁사 대비 주가상승률, ROE 및 ROTCE 목표달성률, 상매각전 고정이하 여신비율 목표달성률 등 계량지표로 평가함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기본급, 수당 | ○ 이사에 대한 보수는 이사직의 책임 수준에 부합하는 한편, 경영진과 유인체계를 분리하여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함○ 이사회 내 리더십에 대한 보상으로 업무 책임 및 강도에 따라 의장, 위원장 활동에 대한 직책수당을 운영하며, 이사회(소위원회 포함) 참가 횟수에 따라 회의 수당을 지급함 |
| 감사위원회 위원 |
| 주) | 기타비상무이사의 경우, 사외이사 보수체계를 동일 적용하되 자회사 경영진 직무를 겸직하는 경우 별도 보수 지급 없음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 (단위 : 백만원) |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진옥동 | 대표이사 | 871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S)가 8,847주 있으며, 2025년~2028년의 회사 장기성과 및 주가에 따라 지급여부 및 지급금액이 추후 확정됨 |
2. 산정기준 및 방법
| (단위 : 백만원 ) |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진옥동대표이사 | 근로소득 | 급여 | 425 | 급여는 주주총회에서 결의한 이사보수한도 내에서 직위, 직무,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사회 및 보수위원회의 결의로 정해진 연간 기본급 및 직무수당 총액을 1/12로 분할하여 매월 지급함 |
| 상여 | 446 | 상여는 2024년 연간성과급으로, 2024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회사의 연간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446백만원을 지급하였음대표이사의 연간성과급은 그룹 KPI와 전략과제 점수에 따라 정해지는 성과평가 등급을 반영하여 결정되며, 회사의 리스크 관리 평가 점수에 따른 차감 여부를 확인한 뒤 최종 지급함그룹 KPI 평가 시에는 총주주수익률, 그룹고객기반, ROE, 실질고정이하여신비율, ROTCE, RAROC, 총이익경비율 등의 계량지표 달성률을 고려함전략과제 평가 시에는 SOL트레블 체크, 헤이영캠퍼스, 증권 IPO 등을 통한 고객 기반 확대, 견조한 글로벌 사업 성장 및 녹색금융ㆍ금융배출량 등 ESG 목표의 양호한 달성, 금융권 최초의 책무구조도 제출 및 이행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그룹 내부통제 체계 강화 등이 반영되었음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 (단위 : 백만원) |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진옥동 | 대표이사 | 871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S)가 8,847주 있으며, 2025년~2028년의 회사 장기성과 및 주가에 따라 지급여부 및 지급금액이 추후 확정됨 |
| 이인균 | 부문장(부사장) | 687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S)가 2,335주 있으며, 2025년~2028년의 회사 장기성과 및 주가에 따라 지급여부 및 지급금액이 추후 확정됨 |
| 고석헌 | 부문장(부사장) | 563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S)가 2,335주 있으며, 2025년~2028년의 회사 장기성과 및 주가에 따라 지급여부 및 지급금액이 추후 확정됨 |
| 방동권 | 파트장(부사장) | 552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S)가 2,335주 있으며, 2025년~2028년의 회사 장기성과 및 주가에 따라 지급여부 및 지급금액이 추후 확정됨 |
2. 산정기준 및 방법
| (단위 : 백만원 ) |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진옥동대표이사 | 근로소득 | 급여 | 425 | 급여는 주주총회에서 결의한 이사보수한도 내에서 직위, 직무,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사회 및 보수위원회의 결의로 정해진 연간 기본급 및 직무수당 총액을 1/12로 분할하여 매월 지급함 |
| 상여 | 446 | 상여는 2024년 연간성과급으로, 2024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회사의 연간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446백만원을 지급하였음대표이사의 연간성과급은 그룹 KPI와 전략과제 점수에 따라 정해지는 성과평가 등급을 반영하여 결정되며, 회사의 리스크 관리 평가 점수에 따른 차감 여부를 확인한 뒤 최종 지급함그룹 KPI 평가 시에는 총주주수익률, 그룹고객기반, ROE, 실질고정이하여신비율, ROTCE, RAROC, 총이익경비율 등의 계량지표 달성률을 고려함전략과제 평가 시에는 SOL트레블 체크, 헤이영캠퍼스, 증권 IPO 등을 통한 고객 기반 확대, 견조한 글로벌 사업 성장 및 녹색금융ㆍ금융배출량 등 ESG 목표의 양호한 달성, 금융권 최초의 책무구조도 제출 및 이행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그룹 내부통제 체계 강화 등이 반영되었음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이인균부문장(부사장) | 근로소득 | 급여 | 158 | 급여는 직위, 직무,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위원회의 결의로 정해진 연간 기본급 및 직무수당 총액을 1/12로 분할하여 매월 지급함 |
| 상여 | 529 | 상여는 2024년 연간성과급 187백만원과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 342백만원으로, 2024년 연간성과급은 2024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회사 및 개인의 연간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고,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2021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이후 4년간의 회사 성과 및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음2024년 연간성과급은 주주가치(총주주수익률), 수익성(ROE, ROTCE), 건전성(고정이하여신비율), 리스크(RAROC), 효율성(총이익경비율)으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그룹사별 특성을 반영한 역량모델 구촉, 혁신과 도전을 위한 New HR 추진, 미래고객 기반 확대를 위한 고객경험 차별화 등의 전략과제로 구성된 비계량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산출된 성과평가 등급과 회사 성과평가 목표 달성률, 과거 대비 그룹 절대 손익 규모를 반영하여 금액을 산정하고, 회사 리스크 관리 과제 평가 점수에 따라 최종 금액을 확정함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부여 이후 4년간 주주가치, 수익성, 건전성 지표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과거 대비 그룹 절대 손익 규모에 따라 산출된 PS 수량에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최종 금액을 산정함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고석헌부문장(부사장) | 근로소득 | 급여 | 158 | 급여는 직위, 직무,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위원회의 결의로 정해진 연간 기본급 및 직무수당 총액을 1/12로 분할하여 매월 지급함 |
| 상여 | 404 | 상여는 2024년 연간성과급 187백만원과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 217백만원으로, 2024년 연간성과급은 2024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회사 및 개인의 연간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고,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2021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이후 4년간의 회사 성과 및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음2024년 연간성과급은 주주가치(총주주수익률), 수익성(ROE, ROTCE), 건전성(고정이하여신비율), 리스크(RAROC), 효율성(총이익경비율)으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그룹 차원의 변화와 혁신 추진, Digital to Value를 통한 성과창출 확장 등의 전략과제로 구성된 비계량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산출된 성과평가 등급과 회사 성과평가 목표 달성률, 과거 대비 그룹 절대 손익 규모를 반영하여 금액을 산정하고, 회사 리스크 관리 과제 평가 점수에 따라 최종 금액을 확정함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부여 이후 4년간 주주가치, 수익성, 건전성 지표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과거 대비 그룹 절대 손익 규모에 따라 산출된 PS 수량에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최종 금액을 산정함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방동권파트장(부사장) | 근로소득 | 급여 | 134 | 급여는 직위, 직무,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위원회의 결의로 정해진 연간 기본급 및 직무수당 총액을 1/12로 분할하여 매월 지급함 |
| 상여 | 418 | 상여는 2024년 연간성과급 189백만원과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 229백만원으로, 2024년 연간성과급은 2024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회사 및 개인의 연간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고, 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2021년 제1회 보수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이후 4년간의 회사 성과 및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2025년 1분기에 지급하였음2024년 연간성과급은 경기 민감 고위험 Segment 관리 및 손실 흡수 능력 확보, 제3자/ICT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 및 체계 수립, 고객자산 리스크관리 체계 수립 등 목표를 평가하여 산출된 성과평가 등급을 반영하여 최종 금액을 산정함2021년 부여 장기성과급(PS)은 부여 이후 4년간 개인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산출된 PS 수량에 2025년 초 신한지주 기준주가를 반영하여 최종 금액을 산정함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주식기준보상제도 운영현황1. 주식기준보상 제도의 명칭 :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Performance Share, 이하'PS')
2. 부여근거 및 절차 : 당사 PS운영규정에 따라 보수위원회 결의로 부여 3. 주요내용 : 당사 보통주 기준으로 PS를 부여하고, 부여 후 4년의 운영기간 중 경쟁사 대비 주가 상승률과 자기자본이익률(ROE), 유형자본이익률(ROTCE) 및 상ㆍ매각전 고정이하여신비율 목표 달성률에 따라 최종 PS 획득수량을 산정하여 운영기간 종료시점의 주가에 따라 현금 지급 ※ 단, 업무의 독립성이 요구되는 리스크관리, 준법감시, 감사 업무를 담당하는 경영진 등은 회사의 재무적 성과에 연동되지 않는 개인 성과지표를 적용하여 PS획득수량 산정
| (단위 : 주) |
| 부여 연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부여 인원 수 | 14명 | 9명 | 9명 | |
| 부여 PS 수 | 102,683 | 73,375 | 27,278 | |
| 당기중 지급한 PS 수 | 50,818 | 126,581 | 96,962 | |
| 평가조정 | -3,756 | -8,331 | -10,444 | |
| 누적 지급 PS 수 | 77,182 | 203,763 | 274,361 | |
| 당기중 취소한 PS 수 | - | - | - | |
| 미지급 PS 수 | 전기말 | 395,907 | 444,016 | 382,479 |
| 당기말 | 444,016 | 382,479 | 302,351 | |
| 주1) 부여 PS 수 및 미지급 PS 수는 부여 연도 재직기간 등에 따라 산정한 PS 조정수량 기준주2) 지급 PS 수는 부여 후 4년의 운영기간 중 평가 결과에 따라 조정된 최종 PS 획득수량 기준 |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사) |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 상장 | 비상장 | 계 | |
| ㈜신한금융지주회사 | 2 | 46 | 48 |
2. 회사의 조직도 (2025년 반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3. 회사와 계열회사간 임원 겸직현황
| (기준일 : | 2025년 6월 30일 | ) |
| 성명 | 대상회사 | 직위명 | 선임일 | 비고 |
|---|---|---|---|---|
| 정상혁 | 신한은행 | 은행장 | 2023.02.15 | 상근 |
| 고석헌 | 신한카드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저축은행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펀드파트너스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천상영 | 신한라이프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자산신탁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신한리츠운용 | 비상임이사 | 2023.01.01 | 비상근 | |
| 이인균 | 신한은행 | 비상임이사 | 2023.01.01 | 비상근 |
| 신한캐피탈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리츠운용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박현주 | 신한은행 | 부행장 | 2022.01.01 | 상근 |
| 김지온 | 신한DS | 비상근감사 | 2024.03.28 | 비상근 |
| 신한리츠운용 | 비상근감사 | 2024.01.01 | 비상근 | |
| 신한벤처투자 | 비상근감사 | 2024.01.01 | 비상근 | |
| 김준환 | 신한DS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신한벤처투자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 황경업 | 신한펀드파트너스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고유선 | 신한자산운용 | 비상임이사 | 2024.01.01 | 비상근 |
| 이원태 | 신한투자증권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신한DS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신한벤처투자 | 비상임이사 | 2025.01.01 | 비상근 | |
| 김원길 | 신한EZ손해보험 | 비상임이사 | 2025.03.21 | 비상근 |
4. 타법인출자 현황 (요약)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 경영참여 | 1 | 14 | 15 | 30,623,651 | 100,054 | - | 30,723,705 |
| 일반투자 | - | - | - | - | - | - | - |
| 단순투자 | - | - | - | - | - | - | - |
| 계 | 1 | 14 | 15 | 30,623,651 | 100,054 | - | 30,723,705 |
1. 대주주에 대한 신용공여현황<신한은행> 신한지주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의 특수관계회사인 Bluebutton(5Broadgate) UK Limited에 GBP 56,000,000의 신용공여(신디케이티드론)가 제공되었습니다. 본 신용공여는 2022년 3월 23일 신한은행 이사회에서 결의되었습니다.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천외화) |
| 거래회사(그룹사명) | 대주주명 | 신용공여 대상회사 | 계정과목 | 자금용도 | 신용공여금액 | 금분기말 현재 B/S 계상금액 (난내/난외포함) | 거래조건 | 담보 | 주요 특별약정 | 비고 | |||||||
|---|---|---|---|---|---|---|---|---|---|---|---|---|---|---|---|---|---|
| 최초제공일 | 기준일현재 | 증감액 | 한도 | 잔액 | 미사용한도 | 취급일 | 만기일 | 금리 | 종류 | 평가액 | |||||||
| 신한은행 | 국민연금공단 | BLUEBUTTON (5 BROADGATE) UK LIMITED 주) | 신디케이티드론 | 시설자금 | GBP40,426 | GBP40,426 | GBP0 | GBP40,426 | GBP40,426 | - | 2022.04.29 | 2027.06.10 | SONIA+1.3% | 부동산 | GBP887,500 | - | - |
주) 국민연금공단이 간접적으로 지분 100% 소유한 법인
2. 대주주 등과의 자산 양수도 - 해당사항 없음. 3. 대주주 등과의 영업거래 - 해당사항 없음. 4. 대주주에 대한 주식기준보상 거래 - 해당사항 없음.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당사는 금융지주회사로서 '자회사 및 손자회사에 대한 자금지원'은 정관상의 주요 목적 사업 중 하나입니다. 자회사에 대한 신용공여한도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서 결정됩니다. 가. 자회사에 대한 신용공여 현황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십억원) |
| 법인명 | 계정과목 | 발생일 | 약정기간 | 대여이율 | 기초(2025.01.01) | 감소 | 증가 | 기타(주1) | 반기말(2025.06.30) |
|---|---|---|---|---|---|---|---|---|---|
| 신한카드 | 대출채권 | 2019-04-18 | 2026-04-18 | 2.09% | 100 | - | - | - | 100 |
| 대출채권 | 2019-10-22 | 2026-10-22 | 1.81% | 60 | - | - | - | 60 | |
| 대출채권 | 2020-09-17 | 2025-09-17 | 1.48% | 200 | - | - | - | 200 | |
| 대출채권 | 2020-10-29 | 2025-10-29 | 1.46% | 150 | - | - | - | 150 | |
| 대출채권 | 2021-02-18 | 2026-02-18 | 1.54% | 150 | - | - | - | 150 | |
| 대출채권 | 2021-02-24 | 2026-02-24 | 1.62% | 150 | - | - | - | 150 | |
| 대출채권 | 2021-11-11 | 2026-11-11 | 2.55% | 10 | - | - | - | 10 | |
| 대출채권 | 2022-04-20 | 2025-06-20 | 3.71% | 100 | 100 | - | - | - | |
| 대출채권 | 2022-07-18 | 2025-07-18 | 4.21% | 100 | - | - | - | 100 | |
| 대출채권 | 2022-07-18 | 2027-07-18 | 4.25% | 100 | - | - | - | 100 | |
| 대출채권 | 2023-04-21 | 2028-04-21 | 4.21% | 100 | - | - | - | 100 | |
| 대출채권 | 2025-03-25 | 2028-03-25 | 2.97% | - | - | 100 | - | 100 | |
| 대출채권 | 2025-03-25 | 2030-03-25 | 3.02% | - | - | 100 | - | 100 | |
| 대출채권 | 2019-11-19 | 2025-02-04 | 2.79% | 588 | 588 | - | - | - | |
| 대출채권 | 2021-05-26 | 2026-05-12 | 1.53% | 44 | - | - | -3 | 41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2-03-17 | 2052-03-17 | 4.01% | 404 | - | - | 3 | 407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3-02-14 | 2053-02-14 | 5.28% | 314 | - | - | 1 | 315 | |
| 신한투자증권 | 대출채권 | 2019-11-19 | 2025-02-04 | 2.79% | 132 | 132 | - | - | - |
| 대출채권 | 2020-08-20 | 2025-08-20 | 2.55% | 731 | - | - | -56 | 675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1-06-14 | 영구채 | 2.93% | 368 | - | - | -27 | 341 | |
| 신한캐피탈 | 대출채권 | 2020-04-10 | 2025-04-10 | 1.75% | 200 | 200 | - | - | - |
| 대출채권 | 2020-12-23 | 2025-12-23 | 1.57% | 160 | - | - | - | 160 | |
| 대출채권 | 2021-03-16 | 2026-03-16 | 1.83% | 150 | - | - | - | 150 | |
| 대출채권 | 2025-04-22 | 2028-04-22 | 2.77% | - | - | 100 | - | 100 | |
| 대출채권 | 2021-05-13 | 2026-05-12 | 1.53% | 294 | - | - | -23 | 271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0-04-22 | 2050-04-22 | 3.56% | 99 | 99 | - | - | -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1-07-28 | 2051-07-28 | 3.38% | 147 | - | - | 2 | 149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5-04-22 | 2055-04-22 | 3.78% | - | - | 100 | - | 100 | |
| 신한저축은행 | 대출채권 | 2020-05-28 | 2025-05-28 | 1.52% | 50 | 50 | - | - | - |
| 대출채권 | 2021-04-26 | 2026-04-26 | 1.85% | 50 | - | - | - | 50 | |
| 대출채권 | 2021-05-28 | 2026-05-28 | 1.99% | 50 | - | - | - | 50 | |
| 신한DS | 대출채권 | 2024-02-01 | 2025-01-30 | 3.78% | 10 | 10 | - | - | - |
| 대출채권 | 2025-01-31 | 2026-01-30 | 3.08% | - | - | 10 | - | 10 | |
| 신한벤처투자 | 대출채권 | 2024-02-26 | 2025-02-26 | 3.84% | 50 | 50 | - | - | - |
| 대출채권 | 2024-10-11 | 2025-02-26 | 3.60% | 10 | 10 | - | - | - | |
| 대출채권 | 2025-02-26 | 2026-02-26 | 3.02% | - | - | 60 | - | 60 | |
| 신한자산신탁 | 대출채권 | 2024-03-25 | 2027-03-25 | 3.76% | 100 | - | - | - | 100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4-05-23 | 2054-05-23 | 4.71% | 100 | - | - | 1 | 101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주2) | 2024-10-29 | 2054-10-29 | 4.10% | 51 | - | - | - | 51 | |
| 합계 | - | - | - | - | 5,322 | 1,239 | 470 | -102 | 4,451 |
| (주1) 금융자산 평가 및 외화환산으로 인한 금액입니다. |
| (주2) 종속기업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을 매입한 거래입니다. |
※ 그 외 본 보고서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5. 재무제표 주석 / 24. 특수관계자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 결정
| 신고일자 | 제목 | 신고내용 | 신고사항의 진행사항 |
| 2025.07.25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2025.07.25 이사회)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5년 7월 25일 이사회에서 8,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2026년 1월 이내에 자기주식 취득 및 주식소각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2025.07.25) |
| 주식 소각 결정 | 주식 소각 결정(2025.07.25 이사회)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5년 7월 25일 이사회에서 8,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2025년 8월 이내에 자기주식 취득 및 주식소각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식소각결정 (2025.07.25) | |
| 2025.06.23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5,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자기주식 취득이 완료됨에 이사회에서 신탁계약 중도 해지(2025.6.23)를 결정하고 주식소각을 완료(2025.6.26)하였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해지결정) (2025.06.23)- 신탁계약해지 결과보고서 (2025.06.24) |
| 주식 소각 결정 | 주식 소각 결정(2025.02.06 이사회)에 대한 정정 공시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5년 2월 6일 이사회에서 5,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자기주식 취득이 완료됨에 이사회에서 신탁계약 중도 해지(2025.6.23)를 결정하고 주식소각을 완료(2025.6.26)하였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정)주식소각결정 (2025.06.23) | |
| 2025.04.28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 |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4년 10월 25일 이사회에서 4,000억 규모의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2025년 1월 24일 자사주 취득을 모두 완료하였습니다. 2025년 4월 27일 신탁계약만기에 따라 계약이 해지(2025.04.28) 및 주식소각 완료(2025.04.29) 했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해지결정) (2025.04.28)- 신탁계약해지 결과보고서 (2025.04.28) |
| (정정)주식 소각 결정 | 주식 소각 결정(2024.10.25 이사회)에 대한 정정 공시 |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2024년 10월 25일 이사회에서 4,000억 규모의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으며, 2025년 1월 24일 자사주 취득을 모두 완료하였습니다. 2025년 4월 27일 신탁계약만기에 따라 계약이 해지(2025.04.28) 및 주식소각 완료(2025.04.29) 했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정)주식소각결정 (2025.04.28) |
나. 그 외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 공시일자 | 제목 | 공시내용 | 공시사항의 진행상황 |
|---|---|---|---|
| 2025.7.25 | 주요사항보고서(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발행결정) | 신종자본증권 발행 결정 | 2,700억원 원화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 공시*향후 수요예측결과에 따라 이사회 결의 한도4,000억원 이내에서 발행금액 변경될 수 있음.(발행금액 등 발행조건 변경시 정정공시 예정) |
가. 중요한 소송사건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당사 및 종속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서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다음과 같으며, 기타 자세한 소송 내용은 각 사 감사보고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제소건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소송의 내용 | 사건명 | 소제기일 | 소송 당사자 | 소가 | 진행상황 | 향후 소송 일정, 회사의 영업, 재무, 경영 등에 미칠 영향 | |||
| 원고 | 피고 | 1심 | 2심 | 3심 | |||||
| 신디케이티드론 대리은행인 한*****이 담보권 설정과정 중 과실로 인하여 당행에 손실이 발생한 바 이에 손해배상을 청구함 | 손해배상(기) | 2015.05.17 | 신한은행 외 1명 | 한***** | 9,515 | 패소 | 일부승소 | 진행중 | 2013.09. 여신관리부 매매, 2013.12. 상각완료 하였으므로, 당행 패소시에도 추가적인 재무리스크는 없음 |
| 공동불법행위자의 내부부담비율에 따른 구상금 지급 청구 | 구상금 | 2023.06.13 | 신한투자증권 | ******자산운용 외 1 | 1,000 | 일부승소 | - | - | - |
| 불법행위 내지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 | 2023.08.08 | 신한투자증권 | **자산운용 | 2,600 | 진행중 | - | - | - |
| 펀드 관련 손해배상 등 청구 | 손해배상 등 청구의 소 | 2024.03.22 | 신한투자증권 | 캐*** 이** | 4,300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의 소 | 2024.05.10 | 신한투자증권 | ***증권 | 13,051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반환 청구의 소 | 2024.07.25 | 신한투자증권 | ****투자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 |
| DLS 발행사에 대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반환 등 청구의 소 | 2024.10.02 | 신한투자증권 | ****투자증권 | 4,601 | 진행중 | - | - | - |
| DLS인수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2.05 | 신한투자증권 | **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 |
| 당사는 NPAS프로젝트를 위해 지출한 위탁비용이 세액공제대상인 연구개발비에 해당한다며 경정청구를 하였으나 세무서는 이를 거절함. 이에 당사는 경정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함. | 법인세경정거부처분취소 | 2018.9.28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세무서장 | 8,162 | 원고패 | 원고승 | 원고패 | 2024.12.24 : 대법원 판결선고 "파기환송"2025.03.31 : 파기환송심 소취하 |
| 법인대리점 수수료환수 반환 소송 | 수수료반환 | 2025.02.07 | 신한라이프 | ㈜**금융설계센터 | 1,912 | 원고승 | - | - | 2025.02.07 : 소장접수2025.02.12 : 지급명령2025.03.05 : 판결확정 |
| 신탁사 책임준공기한 도과로 인해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및 차주, 보증인에 대한 대여금 청구소송 | 대여금 등 청구의 소 | 2024.09.04 | 신한캐피탈 외 | **부동산신탁 외 | 10,416 | 진행중 | - | - | 2024년 9월 소장접수[서울중앙지법 2024가합***97]2025년 8월 중 변론기일 진행 예정 |
| 차주가 보유한 임대료 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제3자의 추심금청구소송에 당사 대출채권 청구권자로 소송참가 | 추심금 | 2024.11.22 | 신한캐피탈 | ㈜**엘 | 4,190 | 진행중 | - | - | 2024년 11월 당사 소송참가(변론재개신청)[여주지원 2024가합***32] 2024년 11월 본 소송[여주지원 2024가합***85]으로 병합 2025년 9월 본소 변론 기일 진행 예정 |
| 계약해지에 따른 이해관계인 약정금(주식매수)청구 소송 | 약정금 | 2024.04.03 | 신한캐피탈 | 하** | 1,135 | 진행중 | - | - | 2024년 4월 소송절차 회부[서울중앙지법 24가합***59]2025년 7월 판결선고 예정 |
| 신탁사 책임준공기한 도과로 인해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및 차주, 보증인에 대한 대여금 청구소송 | 손해배상 | 2025.02.03 | 신한캐피탈 외 | **부동산신탁 | 10,000 | 진행중 | - | - | 2025년 2월 소장접수[서울중앙지법 2025가합**99]2025년 7월 변론 기일 진행 예정 |
| 채권 및 우선수익권 압류에 기한 추심금 청구 | 추심금 | 2022.04.01 | 신한자산신탁 | 코**** | 1,875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없음 |
| 지체상금채권을 주장하며 회생채권확정재판에 대한 이의의 소를 제기, 1심에서 일부 승소하자 피고 시공사가 이에 불복하여 항소 제기 | 채권조사확정재판에대한이의의소 | 2025.03.31 | 신한자산신탁 | 대****㈜ | 1,127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주) 고유계정 영향 없는 소송 제외함
(2) 응소건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 소송의 내용 | 사건명 | 소제기일 | 소송 당사자 | 소가 | 진행상황 | 향후 소송 일정, 회사의 영업, 재무, 경영 등에 미칠 영향 | |||
| 원고 | 피고 | 1심 | 2심 | 3심 | |||||
| 원고는, 당행등 대주단이 차주사의 핵심자산인 선박 등을 부당 매각함으로써 차주사의 여타 파산채권자들에게 손실을 끼쳤다며 손해배상소송 제기함 | 부당이득반환 | 2021-07-14 | A* R*** C**sul***ia | 신한은행 | 33,096 | 승소 | 진행중 | - | 담보 매각은 약정서 등을 근거로 진행된 대주단의 정당한 채권회수인바, 주요 대주들로부터 본건 소송위임을 받은 글로벌 로펌에 당행도 공동소송 위임하여 적극 대응하고자 함 |
| 원고들은 당사 퇴직근로자들로서 임금피크제 적용을 받으면서 정년퇴직한 직원들임- 원고들은 당사 임금피크제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무효인 임금피크제가 없었다면 지급되었을 임금차액 상당을 청구함 | 임금 | 2022-12-12 | 이** 외 11 | 신한카드 | 1,515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확정시 원고들에게 청구취지 기재의 임금 등 차액분을 지급하여야 함 |
| 지식산업센터를 분양받으며 당사로부터 중도금대출을 하였는바, 분양사업자로부터 기망당해 분양을 받은 것으로서 분양계약이 무효이고, 그에 따라 당사와의 중도금대출약정 또한 무효라고 주장하는 내용의 사건 | 계약금반환등 청구의 소 | 2025-02-11 | 권** | 신한카드 | 1,390 | 진행중 | - | - | 패소시 대출을 무효화하고, 대출금을 분양사업자로부터 회수하여야 함 |
| 임금피크제 도입당시, 도입절차의 위법,부당을 이유로 임금피크제로 인해 삭감된 임금과 퇴직금 지급 청구 | 임금 및 퇴직금 청구의 소 | 2023-06-19 | 김** 외 9명 | 신한신용정보 주식회사 | 1,053 | 진행중 | - | - | 1신 진행 중 (변론기일 미확정), 소송 결과에 따라 임금피크직군 임금 및 기존 퇴직자들에 대한 퇴직금 재산정 및 지급, 임금피크제 제도 검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특정금전신탁 계약 종료에 따른 반환 청구 | 신탁금전 등 반환청구 | 2021-03-30 | 안** | 신한투자증권 | 1,926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1-04-30 | ****증권 | 신한투자증권 외3 | 9,083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특정금전신탁 종료에 따른 신탁원본 및 신탁이익 지급청구 | 신탁금전 등 반환청구 | 2021-12-13 | 피* | 신한투자증권 | 10,997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2-01-07 | **은행 | 신한투자증권 외3 | 36,436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공동불법행위책임 및 사용자책임 | 손해배상 | 2022-01-18 | **은행 | 신한투자증권 외1 | 64,748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자본시장법 제48조 및 64조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 | 2022-05-10 | **********연금재단 | 신한투자증권 외1 | 22,000 | 승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부당이득반환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 | 부당이득금 | 2022-09-01 | 보***** | 신한투자증권 | 10,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취소로 인한 부당이득반환 청구 | 부당이득금 | 2022-11-03 | N******AKH ********** | 신한투자증권 | 1,500 | 일부패소 | 진행중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투자자보호의무 위반 등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 | 2023-12-18 | ******조합 | 신한투자증권 외 2 | 6,479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DLS 편입 특정금전신탁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금 | 2024-07-05 | 신** | 신한투자증권 외 1 | 13,01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취소로 인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 2024-08-13 | 보***** | 신한투자증권 | 1,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 취소로 인한 부당이득금 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0-17 | ****재단 | 신한투자증권 | 1,749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DLS 편입 특정금전신탁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금 | 2024-12-11 | 비*** | 신한투자증권 | 1,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금소법상 설명의무 등 위반을 이유로 한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1-14 | 주식회사 비*** | 신한투자증권 외 1 | 1,351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환매권 침해 원인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3-04 | **증권 | 신한투자증권 | 15,0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펀드 계약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 | 부당이득반환 | 2025-02-21 | 김** 외 1 | 신한투자증권 | 1,400 | 진행중 | - | - | 패소 시 소가 상당의 금전 손실 예상 |
| PF대주단협약 상 반대채권자의 채권매수청구권 행사에 따른 채권매매대금청구 | 채권매매대금청구소송 | 2024-12-16 | ****보험 | 신한캐피탈 외 11개사 | 28,912 | 진행중 | - | - | 변론 절차 진행중임 |
| 책임준공 약정 관련 손해배상 청구 소송 | 손해배상(기) | 2025-06-26 | ㈜** | 신한캐피탈 외 21개사 | 500 | 진행중 | - | - | - 기일 지정 예정임(원고가 주장하는 금전적 손해금액은 약3100백만원으로, 소송진행 경과에 따라 청구취지 확장 가능)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반환 | 2019-03-05 | 김**, 박** | 당사 | 2,400 | 원고패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관련 형사사건 수사 진행중)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3-06 | 임**, 황**, 김** | 당사 | 9,9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반환등 | 2019-03-07 | 김** | 당사 | 3,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3-22 | 이* | 당사 | 4,3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기타 | 2019-04-20 | 최**, 박** | 당사 | 5,000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보관금청구 | 2019-05-15 | ㈜서****, ㈜베***** | 당사 | 10,013 | 일부승소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예금 | 2019-05-27 | 홍** | 당사 | 10,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원고는 위탁자 및 당사와 체결한 3자간 자금관리약정에 따라 예치하였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청구함 | 약정금 | 2019-06-11 | 이**, 이**, ㈜수*** | 당사 외 1 | 5,000 | 원고승 | 진행중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기망에 의해 지역주택조합에 가입하였음을 이유로 손해배상청구 | 손해배상청구 | 2023-05-01 | 강** 외 95 | 당사 외 4 | 5,03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공동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부당이득금 | 2023-09-15 | 운******* | 당사 | 2,615 | 승소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당사의 자금집행이 구체적 근거 없이 집행되어 원고에 손해를 가하였다는 이유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3-12-28 | 광********** | 당사 외 9 | 2,534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공동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1-18 | 광********** | 당사 외 4 | 1,231 | 원고패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으나, 패소 가능성 낮음 |
| 책임준공의무를 미이행 하였다는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2-08 | 에******* 외 4 | 당사 외 3 | 57,5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를 미이행 하였다는 이유로 대출원리금 전액 상환 청구 | 약정금 | 2024-04-02 | 마*******㈜ | 당사 | 3,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전액 상환 청구 | 약정금 | 2024-04-02 | 마*******㈜ | 당사 | 6,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4-12 | 이******* 외 22 | 당사 | 25,600 | 원고승 | 진행중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4-12 | 이******* 외 22 | 당사 | 47,4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손해배상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17 | 메****㈜ 외 8 | 당사 | 52,36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연체이자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31 | 성******** | 당사 | 1,4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연체이자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5-31 | 성******** | 당사 | 2,6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을 이유로 대출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상당액 청구 | 손해배상(기) | 2024-06-14 | 엔*******㈜ 외 1 | 당사 | 7,004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기간 도과를 이유로 약정금 지급 의무를 주장하며 대출원리금, 전환사채원리금 및 지연손해금 지급 청구 | 약정금 | 2024-09-13 | 교***㈜ 외 13 | 당사 | 65,77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의무 미이행 이유로 대출원리금의 일부청구 | 손해배상(기) | 2025-02-18 | 메*****㈜ 외 1 | 당사 | 1,000 | 진행중 | - | - | 패소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공급계약해제에 따른 기납입 분양대금반환 및 위약금청구 | 기타(금전) | 2025-03-07 | 강** 외 115 | 당사 | 10,209 | 진행중 | - | - | 패소 시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책임준공기한 내 준공하지 못한 것을 이유로 대출원금 및 지연손해금 지급을 구한 사건 | 손해배상(기) | 2025-04-08 | 서************ 외14 | 당사 | 28,1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오피스텔 수분양자들이 당사 및 위탁자를 상대로 입주지연에 따른 공급계약 해제 및 납입한 분양대금의 반환을 구함 | 부당이득금 반환 | 2025-04-16 | ㈜남*** 외 3 | 당사 외 1 | 3,364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당사의 책임준공의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주장 | 손해배상(기) | 2025-05-09 | 시*********㈜ | 당사 | 7,000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 하도급대금직불합의 및 하도급법 제14조 제1항 제3호 및 건산법 제35조 제2항 제3호를 근거로 하도급대금직접지급을 청구 | 공사대금등청구 | 2025-05-13 | 건***㈜ 외5 | 당사 외 1 | 2,983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가능성 있음 |
| i) 주위적 청구로서 하도급대금 직접지금 합의를 근거로 하도급 공사비를 청구하거나, ii) 예비적 청구로서 도급계약 해제를 고지해주지 아니하여 공사를 계속함으로써 손해가 발생하여 손해배상 청구권이 있거나 공사에 따른 유익비반환청구권이 있다고 청구한 사건 | 공사대금 | 2025-06-12 | ㈜경** | 당사 | 2,047 | 진행중 | - | - | 고유계정 영향 있음 |
주) 고유계정 영향 없는 소송 제외함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종속회사에 관한 사항] <제주은행>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매, 백만원) |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 한국은행 | 27 | 270,000 | 한은차입담보외 |
| 신한은행 | 4 | 40,000 | 신용공여설정 |
| 합계 | 31 | 310,000 | - |
다. 채무보증 현황[지배회사에 관한 사항]<신한금융지주회사(연결기준)>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5,534,490 | 15,315,381 | 12,503,445 |
| 미확정지급보증 | 4,422,088 | 5,068,782 | 4,337,751 |
| 합 계 | 19,956,578 | 20,384,163 | 16,841,196 |
| 주) | K-IFRS 연결기준이며, 별도기준으로는 해당사항 없음 |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은행>
|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5,505,469 | 15,267,065 | 12,471,728 |
| 미확정지급보증 | 4,421,392 | 5,068,760 | 4,336,610 |
| 합 계 | 19,926,861 | 20,335,825 | 16,808,338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LIG넥스원㈜ | 2024.02.23 | 2029.05.10 | 확정지급보증 | 406,920 |
| 삼성물산㈜ | 2025.04.15 | 2027.07.07 | 확정지급보증 | 331,423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286,154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238,292 |
| 롯데케미칼㈜ | 2025.01.22 | 2026.03.03 | 확정지급보증 | 183,313 |
| 쿠팡㈜ | 2023.09.19 | 2026.06.19 | 확정지급보증 | 170,000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64,047 |
| 한화솔루션㈜ | 2021.10.07 | 2026.10.07 | 확정지급보증 | 159,180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49,109 |
| 삼성중공업㈜ | 2018.04.26 | 2026.04.26 | 확정지급보증 | 149,028 |
| (주)프리드라이프 | 2018.04.05 | 2026.04.03 | 확정지급보증 | 144,000 |
| 한화솔루션㈜ | 2022.10.11 | 2025.10.11 | 확정지급보증 | 135,640 |
| (주)엘에스 | 2024.02.02 | 2026.01.30 | 확정지급보증 | 135,640 |
| (주)교원라이프 | 2021.09.17 | 2025.09.12 | 확정지급보증 | 130,000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127,251 |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2024.07.23 | 2025.07.23 | 확정지급보증 | 126,995 |
| LIG넥스원㈜ | 2023.10.17 | 2028.10.17 | 확정지급보증 | 124,911 |
| (주)셀트리온 | 2024.12.26 | 2025.12.26 | 확정지급보증 | 120,609 |
| 롯데케미칼㈜ | 2025.01.22 | 2025.08.29 | 확정지급보증 | 120,092 |
| 한국수력원자력㈜ | 2023.04.19 | 2028.04.19 | 확정지급보증 | 117,909 |
| 주) | 확정/미확정 지급보증 잔액 기준 상위 20건으로 작성함 |
<신한카드>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803,391 | 809,772 | 502,009 |
| 미확정지급보증 | - | - | - |
| 합 계 | 803,391 | 809,772 | 502,009 |
| 주) | 종속회사 채무보증 현황 포함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25 | 2026.01.05 | 확정지급보증 | 54,256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6 | 2026.12.16 | 확정지급보증 | 54,256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8.23 | 2025.08.22 | 확정지급보증 | 35,88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7 | 2026.12.17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12 | 2026.12.12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1.01 | 2025.11.01 | 확정지급보증 | 26,00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3.20 | 2026.03.20 | 확정지급보증 | 23,920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22 | 2025.12.22 | 확정지급보증 | 20,80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2.07 | 2026.02.09 | 확정지급보증 | 41,85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5.28 | 2026.05.29 | 확정지급보증 | 33,480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06 | 2025.12.05 | 확정지급보증 | 29,295 |
| 신한인도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8.13 | 2025.08.13 | 확정지급보증 | 20,925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27 | 2029.12.30 | 확정지급보증 | 66,137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5.06.30 | 2029.12.30 | 확정지급보증 | 52,200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07.30 | 2026.08.31 | 확정지급보증 | 32,554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04 | 2026.11.04 | 확정지급보증 | 32,554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11 | 2026.11.09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3.09.27 | 2028.09.27 | 확정지급보증 | 27,128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2.05 | 2027.01.05 | 확정지급보증 | 21,702 |
| 신한파이낸스(주요종속회사) | 2024.10.17 | 2026.11.18 | 확정지급보증 | 18,990 |
| 주) | 기말 환율 적용 ('25. 6월 말) |
<신한캐피탈>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 | 70,000 | - |
| 미확정지급보증 | - | - | - |
| 합 계 | - | 70,000 | -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제주은행>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확정지급보증 | 18,032 | 18,258 | 18,064 |
| 미확정지급보증 | 696 | 22 | 1,140 |
| 합계 | 18,728 | 18,280 | 19,204 |
| 주) | K-IFRS 연결기준임 |
- 채무보증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채무자 | 보증시작일 | 보증만료일 | 구분 | 지급보증금액 |
|---|---|---|---|---|
| (주)*주*원*품 | 2021.05.11 | 2026.05.11 | 확정지급보증 | 4,109 |
| (주)*주*오* | 2022.09.13 | 2025.08.02 | 확정지급보증 | 2,650 |
| (주)*주*오* | 2019.08.02 | 2025.08.02 | 확정지급보증 | 1,910 |
| (주)*약* | 2021.06.17 | 2025.10.24 | 확정지급보증 | 730 |
| 주*회*지*프 | 2022.08.29 | 2027.07.27 | 확정지급보증 | 713 |
| (주)*월* | 2022.07.28 | 2025.07.28 | 확정지급보증 | 686 |
| 백*약*(주) | 2021.06.28 | 2026.06.28 | 확정지급보증 | 680 |
| 제*키*영*조*법* | 2025.06.27 | 2025.11.30 | 미확정지급보증 | 677 |
| (주)*양*인 | 2021.05.18 | 2026.05.16 | 확정지급보증 | 670 |
| (주)*주*테* | 2025.05.02 | 2026.05.02 | 확정지급보증 | 500 |
| (주)*일*품 | 2021.10.18 | 2025.08.26 | 확정지급보증 | 485 |
| 김*수 동*기* | 2025.04.22 | 2026.02.04 | 확정지급보증 | 334 |
| 남*철*(주) | 2024.11.01 | 2025.11.01 | 확정지급보증 | 300 |
| 장*수 현*모*스 | 2025.03.21 | 2026.03.21 | 확정지급보증 | 260 |
| (주)*룡*산 | 2024.07.26 | 2025.07.25 | 확정지급보증 | 250 |
| 제*도*퍼*켓*동*합 | 2021.05.25 | 2026.05.25 | 확정지급보증 | 236 |
| 제*킹*토*(주) | 2021.09.17 | 2025.09.13 | 확정지급보증 | 205 |
| 강*필 산*모*스 | 2024.09.26 | 2025.09.26 | 확정지급보증 | 200 |
| 이*형 제*철* | 2025.04.11 | 2026.04.11 | 확정지급보증 | 200 |
| (주)*현*엔* | 2024.07.31 | 2025.07.31 | 확정지급보증 | 200 |
| 주) | 확정/미확정 지급보증 잔액 기준 상위 20건으로 작성함 |
라. 그 밖의 우발채무 등
[주요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신한투자증권>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자금보충 | 767,070 | 1,025,351 | 1,504,007 |
| 매입확약 | 842,200 | 240,200 | 484,500 |
| 매입약정 | 15,300 | 15,300 | 38,300 |
| 지급보증 | 0 | 0 | 13,000 |
| 합계 | 1,624,570 | 1,280,851 | 2,039,807 |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USD천불/VND백만) |
| 구 분 | 통화 | 2025년 반기 말 | 2024년 말 | 2023년 말 |
|---|---|---|---|---|
| 외화자금보충 | USD | 24,710 | 51,710 | 85,458 |
| 외화지급보증 | USD | 60,000 | 50,000 | 50,000 |
| VND | - | - | - | |
| 외화매입확약 | VND | - | - | - |
| USD | - | - | 11,170 | |
| 합계 | USD | 84,710 | 101,710 | 146,628 |
| VND | - | - | - |
- 원화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회사명 | 기초자산 | 약정금액 | 체결일 | 약정 만기일 |
|---|---|---|---|---|---|
| 신용공여형(자금보충약정) | 엔젤레스제육,칠차(유) | 우선주 및 TRS계약 | 10,000 | 2024년 10월 11일 | 2026년 10월 11일 |
| 엔젤레스제십팔차(유) | 대출채권 | 11,400 | 2018년 05월 31일 | 2026년 06월 01일 | |
| 글로벌에디션제일차(유) | 수익증권 | 600 | 2018년 09월 28일 | 2025년 09월 28일 |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 수익증권 | 40,640 | 2019년 04월 25일 | 2029년 10월 25일 | |
| 어스에스엔제일차㈜ | 수익증권 | 1,800 | 2019년 06월 25일 | 2025년 10월 20일 | |
| 랜드로드제이차(유) | 수익증권 | 100 | 2019년 07월 26일 | 2025년 07월 26일 | |
| 글로벌에디션제이차(유) | 수익증권 | 300 | 2019년 11월 06일 | 2026년 11월 09일 | |
| 신한바이오매스제일차㈜ | 수익증권 | 88,000 | 2019년 11월 15일 | 2027년 03월 31일 | |
| 신한유토피아제일차㈜ | 수익증권 | 100 | 2019년 11월 22일 | 2029년 11월 22일 | |
| 프리다칼로제일차㈜ | 수익증권 | 300 | 2019년 11월 06일 | 2029년 11월 05일 | |
| 밸류플러스미드스트림㈜ | 수익증권 | 155,000 | 2019년 12월 18일 | 2026년 12월 31일 | |
| 에스지엠에스제십사차㈜ | 수익증권 | 33,000 | 2019년 12월 26일 | 2026년 12월 23일 | |
| 에스지엠에스제십팔차㈜ | 회사채 | 20,500 | 2020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5일 | |
| 신한비스킷제일차㈜ | 대출채권 | 9,500 | 2021년 06월 22일 | 2026년 12월 24일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차㈜ | 대출채권 | 400 | 2022년 04월 18일 | 2027년 04월 19일 | |
| 토탈커버투게더제일차(유) | 신종자본증권 | 20,600 | 2022년 03월 25일 | 2027년 03월 28일 | |
| 글로벌에디션제5차(유) | 수익증권 | 780 | 2020년 10월 05일 | 2026년 01월 15일 |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사모사채 | 7,700 | 2023년 04월 24일 | 2026년 04월 28일 | |
| 신한에코머티리얼즈㈜ | 대출채권 | 10,700 | 2023년 05월 25일 | 2030년 03월 31일 | |
| 찬스공평유동화㈜ | 대출채권 | 25,000 | 2023년 06월 29일 | 2026년 09월 19일 | |
| 찬스가산유동화㈜ | 대출채권 | 10,000 | 2023년 07월 14일 | 2025년 10월 14일 | |
| 랜드로드제칠차㈜ | 수익증권 | 21,000 | 2023년 08월 08일 | 2028년 08월 11일 | |
| 랜드로드제팔차㈜ | 대출채권 | 5,600 | 2023년 10월 05일 | 2030년 10월 06일 |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대출채권 | 4,400 | 2023년 10월 04일 | 2026년 08월 06일 |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 | 사모사채 | 35,000 | 2023년 12월 05일 | 2026년 12월 09일 | |
| 에스지아이비에스피제삼차㈜ | 상환우선주 | 6,000 | 2023년 12월 12일 | 2026년 12월 14일 | |
| 베스트솔루션제이차㈜ | 전환우선주 | 15,950 | 2024년 02월 15일 | 2026년 02월 19일 | |
| 816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5,000 | 2024년 03월 15일 | 2025년 09월 15일 |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 대출채권 | 10,200 | 2024년 04월 19일 | 2029년 04월 25일 | |
| 신한밸류업제이차㈜ | 후순위BW | 19,200 | 2024년 04월 25일 | 2026년 11월 26일 | |
| 그레이트더블에스제일차㈜ | 회사채 | 30,900 | 2024년 06월 27일 | 2027년 06월 27일 | |
| 파이어웍스제이차㈜ | 회사채 | 30,900 | 2024년 08월 14일 | 2027년 08월 14일 |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 | 대출채권 | 41,000 | 2024년 09월 10일 | 2028년 03월 31일 |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회사채 | 10,900 | 2024년 09월 13일 | 2025년 10월 30일 | |
| 드림제일차㈜ | 대출채권 | 12,500 | 2024년 11월 28일 | 2027년 05월 28일 | |
| 파인솔루션제이십차㈜ | 대출채권 | 5,500 | 2025년 01월 03일 | 2027년 01월 04일 | |
| 신한밸런스제일차㈜ | 전환우선주 | 11,000 | 2025년 02월 18일 | 2027년 02월 18일 | |
| 디큐브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5,000 | 2025년 02월 17일 | 2026년 02월 19일 |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 | 대출채권 | 30,600 | 2025년 02월 26일 | 2030년 02월 26일 | |
| 소계 | 767,070 | - | - | ||
| 유동성공여형매입약정 | 제이발롱블루제이차 | 교환사채 | 15,300 | 2021년 11월 16일 | 2026년 11월 16일 |
| 소계 | 15,300 | - | - | ||
| 매입확약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대출채권 | 13,000 | 2021년 10월 21일 | 2026년 03월 31일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대출채권 | 38,000 | 2021년 12월 07일 | 2026년 02월 06일 | |
| 쥐피에스22제구차㈜ | 대출채권 | 23,000 | 2022년 04월 29일 | 2026년 07월 29일 | |
| 쥐피에스22제십차㈜ | 대출채권 | 10,000 | 2022년 04월 26일 | 2026년 07월 29일 | |
| 파코제일차㈜ | 대출채권 | 30,000 | 2022년 11월 22일 | 2028년 08월 22일 | |
| 쥐피에스23제사차㈜ | 대출채권 | 112,000 | 2023년 09월 25일 | 2025년 09월 25일 | |
| 성수공간제사차㈜ | 대출채권 | 10,000 | 2023년 10월 12일 | 2027년 04월 13일 | |
| 쥐피에스23제영차㈜ | 대출채권 | 4,200 | 2023년 11월 28일 | 2026년 05월 28일 |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사모사채 | 21,000 | 2025년 03월 12일 | 2027년 03월 12일 | |
| 판교공간제일차 | 대출채권 | 120,000 | 2025년 06월 27일 | 2028년 06월 30일 | |
| 판교공간제이차 | 대출채권 | 10,000 | 2025년 06월 27일 | 2028년 06월 30일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일차 | 대출채권 | 420,700 | 2025년 06월 25일 | 2030년 12월 30일 |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이차 | 대출채권 | 30,300 | 2025년 06월 25일 | 2030년 12월 30일 | |
| 소계 | 842,200 | - | - | ||
| 합 계 | 1,624,570 | - | - | ||
- 외화 세부 현황
| (2025년 6월 30일 기준) | (단위 : USD천불) |
| 구분 | 회사명 | 기초자산 | 통화 | 약정금액 | 체결일 | 약정 만기일 |
|---|---|---|---|---|---|---|
| 신용공여형(자금보충약정)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 대출채권 | USD | 4,310 | 2020년 09월 15일 | 2025년 09월 22일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이차㈜ | 대출채권 | USD | 6,500 | 2021년 06월 24일 | 2029년 06월 29일 |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사차㈜ | 대출채권 | USD | 10,500 | 2021년 12월 02일 | 2029년 12월 03일 | |
| 신한인더스트리얼즈제일차㈜ | 대출채권 | USD | 3,400 | 2023년 04월 26일 | 2029년 08월 02일 | |
| 소계 | USD | 24,710 | - | - | ||
| 신용공여형(지급보증약정)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6,000 | 2023년 06월 26일 | 2026년 06월 24일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5,000 | 2023년 06월 30일 | 2026년 06월 28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0,000 | 2025년 06월 28일 | 2026년 06월 07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9,000 | 2023년 07월 05일 | 2025년 07월 03일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현지법인 | 사모사채 | USD | 10,000 | 2023년 07월 18일 | 2025년 08월 27일 | |
| 소계 | USD | 60,000 | - | - | ||
| 합계 | USD | 84,710 | - | - | ||
| ※ 그 밖의 우발채무 등은 본 보고서 첨부서류인 연결감사보고서의 '주석29. 우발 및 약정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가. 수사, 사법기관의 제재현황
| 회사 | 일자 | 제재기관 | 처벌 또는 조치대상자 | 근속연수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 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 회사의 이행현황 |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의 대책 |
| 신한은행 | 2022.06.30 | 법원 | 부행장(前) | 4년 | 징역 4월/집행유예 1년 | - | - | 업무방해 (형법 제314조 업무방해) | 3심 판결 | - |
| 신한은행 | 2022.06.30 | 법원 | 상무(前) | 2년 | 징역 6월/집행유예 1년 /벌금 200만원 | 200만원 | - | 업무방해 (형법 제314조 업무방해)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4조의4 모집,채용 등에서의 연령차별금지 위반 | 3심 판결 | - |
| 신한투자증권 | 2021.11.25 선고 | 대법원 | 본부장(前) | 7.9년 | 징역 8년 및 벌금 3억원 | 벌금 3억원 | 1.65억원(수재) | 1. 리드 CB(전환사채) 인수 대가로 본인이 출자하고 있는 PPIG를 통해 금품 수수 - 근거법령: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 제4항 제1호, 제5항, 형법 제30조 [수재등] 2. 1) IIG 펀드의 부실을 은폐하기 IIG에 투자한 펀드와 IIG에 투자하지 않은 펀드(기타 펀드)를 통합하여 기타 펀드 투자자의 이익을 해하고, 2) 허위의 펀드제안서를 사용하여 투자자들을 기망하여 금융투자상품을 판매함 - 1) 근거법령: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48조, 제444조 제8호, 제85조 제4호, 형법 제30조 [자본시장법위반] - 2) 근거법령: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2호, 형법 제347조 제1항, 제30조 [사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43조 제1항 제8호, 제178조 제1항 제2호, 제447조 제1항, 형법 제30조 [자본시장법위반] | 판결 확정 | 사고 예방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정비 등 회사의 내부통제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 3.15 선고 | 서울남부지방법원 | 신한투자증권 | - | - | 벌금 5천만원 | - | 전 PBS 본부장의 IIG펀드 제안서 허위기재 등에 따른 자본시장법 위반과 관련하여 회사의 주의감독의무 위반 인정[양벌규정] 근거법령: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48조, 제443조 제1항 제8호, 제178조 제1항 제2호 | 판결 확정 | 사고 예방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정비 등 회사의 내부통제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2.02.07 | 서울중앙지방법원 | 신한리츠운용 | - | 벌금 선고유예 | 100만원 | - |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종류주총 지연공시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53조,제52조,제8의2호,제37조3항 | 선고유예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나. 행정기관의 제재현황 1) 금융감독당국의 제재현황
| 회사 | 일자 | 제재기관 | 처벌 또는 조치대상자 | 근속연수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 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 회사의 이행현황 |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의 대책 |
| 신한금융지주 | 2021.07.26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지주 | - | 경영공시 의무위반에 따른 문책사항(과태료) | 7,400만원 (기한내 납부로 20% 감경된 5,920만원 납부) | - |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제72조 제1항 | 과태료 납부 (21.9.30)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1.07.26 | 금융감독원 | 부사장(前) | 퇴직 | 경영공시 의무위반에 따른 문책사항(주의 상당) | - | - |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제72조 제1항 | 주의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1.07.26 | 금융감독원 | 부사장(前) | 퇴직 | 경영공시 의무위반에 따른 문책사항(주의 상당) | - | - |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제72조 제1항 | 주의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1.07.26 | 금융감독원 | 부사장(前) | 퇴직 | 경영공시 의무위반에 따른 문책사항(주의 상당) | - | - |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제72조 제1항 | 주의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1.07.26 | 금융감독원 | 부사장(前) | 퇴직 | 경영공시 의무위반에 따른 문책사항(주의) | - | - | 금융지주회사법 제56조, 제72조 제1항 | 주의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3.12.22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지주 | - | WM사업부문 운영 내부통제기준 미마련 등 문책사항 (기관주의 및 과태료) | 5,000만원 (기한내 납부로 20% 감경된 4,000만원 납부) | - | 금융회사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및 제3항 | 과태료 납부 (23.12.15)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4.02.15 | 금융감독원 | 대표이사(前) | 퇴직 | WM사업부문 운영 내부통제기준 미마련 등 문책사항 (주의 상당) | - | - | 금융회사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및 제3항 | 주의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4.02.15 | 금융감독원 | 부사장보(前) | 퇴직 | WM사업부문 운영 내부통제기준 미마련 등 문책사항 (견책 상당) | - | - | 금융회사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및 제3항 | 견책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금융지주 | 2024.02.15 | 금융감독원 | 부사장보(前) | 퇴직 | WM사업부문 운영 내부통제기준 미마련 등 문책사항 (견책 상당) | - | - | 금융회사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및 제3항 | 견책 상당 조치 | 재발방지를 위한 관리 강화 |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2021.02.01 | 중국 인민은행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 | 과태료 | CNY 570,000.00 | - | 무수권 개인신용정보 조회 관리 미흡 근거법령 : 쩡신업(신용정보)관리조례 제40조 제3조항 | 과태료 납부 | 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신한은행 | - | 기관경고 | - | - | 지방자치단체 금고입찰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등 - 은행법 제34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2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 - 지배구조법 제18조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5조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행위에 개인신용정보 부당 이용 등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신용정보법 제20조, 제33조, 제4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신용정보법 시행령 제34조의3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임직원 등의 신용정보 부당 이용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신용정보법 제17조, 제20조, 제32조, 제33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8조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장외파생상품 거래시 위험회피 목적 확인 불철저 등 - 자본시장법 제46조, 제46조의2, 제47조, 제71조, 제166조의2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52조, 제52조의2, 제53조, 제68조, 제186조의2 - 금융투자업규정 제4-20조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출업무 부적정 - 은행법 제34조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 - 은행업감독규정 제26조 - 은행업감독규정시행세칙 제17조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 확보의무 미준수 등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제40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5조, 제17조, 제21조, 제27조, 제32조, 제60 조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신한은행 | - | 과태료 부과 | 21억3,110만원 | - | 지방자치단체 금고입찰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등 - 은행법 제34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2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 - 지배구조법 제18조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5조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행위에 개인신용정보 부당 이용 등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신용정보법 제20조, 제33조, 제4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신용정보법 시행령 제34조의3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임직원 등의 신용정보 부당 이용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신용정보법 제17조, 제20조, 제32조, 제33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8조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개인신용정보 부당 제공 등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신용정보법 제32조 - 舊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8조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1조 장외파생상품 거래시 위험회피 목적 확인 불철저 등 - 자본시장법 제46조, 제46조의2, 제47조, 제71조, 제166조의2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52조, 제52조의2, 제53조, 제68조, 제186조의2 - 금융투자업규정 제4-20조 대주주 신용공여시 보고 및 공시 의무 위반 - 은행법 제35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7 - 은행업감독규정 제16조의4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제46조의2 부동산 담보신탁 관련 수수료 등 부대비용 허위공시 - 은행법 제52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4조의5 - 은행업감독규정 제89조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제70조의2 주가연계증권(ELS) 신탁계약 체결과정 녹취의무 위반 - 자본시장법 제108조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09조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구제절차 누락 -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제5조, 제7조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 확보의무 미준수 등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제40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5조, 제17조, 제21조, 제27조, 제32조, 제60조 전자금융기반시설의 취약점 분석ㆍ평가 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의3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7조의2 - 전자금융감독규정시행세칙 제7조의2 전자금융거래기록의 보존 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2조 -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제12조 | 과태료 납부 및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은행장(前) | 약2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 (주의적경고 상당) | - | - | 지방자치단체 금고입찰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등 - 은행법 제34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2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 - 지배구조법 제18조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5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부행장(前) | 약2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 (주의 상당) | - | - | 지방자치단체 금고입찰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등 - 은행법 제34조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2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 - 지배구조법 제18조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5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부행장(前) | 약3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행위 통지 (견책 상당) | - | - | 신용정보전산시스템에 대한 관리적 보안대책 수립ㆍ시행의무 위반 -신용정보법 제19조, 舊 신용정보법 제2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34조의3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신용정보관리ㆍ보호인의 신용정보 보호대책 수립ㆍ운용 소홀 등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 신용정보법 제17조, 제2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8조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정보처리시스템의 가동기록 보존 불철저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상무(前) | 약2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 (견책 상당) | - | - | 신용정보전산시스템에 대한 관리적 보안대책 수립ㆍ시행의무 위반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 신용정보법 제2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34조의3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신용정보관리ㆍ보호인의 신용정보 보호대책 수립ㆍ운용 소홀 등 - 신용정보법 제19조, 舊 신용정보법 제17조, 제20조 -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16조, 舊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8조 - 신용정보업 감독규정 제20조 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망분리 불철저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5조 전자금융기반시설의 취약점 분석ㆍ평가 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의3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7조의2 - 전자금융감독규정시행세칙 제7조의2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부행장(現) | 약1년2개월 | 주의 | - | - | IT추진사업 계약관리 불철저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21조 전자금융거래기록의 보존 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2조 -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제12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2.23 | 금융감독원 | 상무(現) | 약1년2개월 | 주의 | - | - | 전산원장 변경 관리 불철저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제40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27조, 제60조 IT추진사업 계약관리 불철저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21조 전자금융거래기록의 보존 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2조 -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제12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2021.02.26 | 필리핀 중앙은행 (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 | 과태료 | PHP 1,380,058.69 | - | 농업부문(AGRI-AGRA) 대출비율 미준수 근거법령 : 필리핀 은행감독규정(MORB, Section 331) | 과태료 납부 | 대출 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3.29 | 금융감독원 | 신한은행 | - | 기관주의 과태료 부과 | 3,120만원 | - | 모바일뱅킹 외화예금 프로그램 운영ㆍ관리 관련 안전성 확보의무 위반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조, 제23조 및 제29조 전자금융거래 오류정정사항 고객통지 의무 위반 -전자금융거래법 제8조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조의 2 | 과태료 납부 및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1.03.29 | 금융감독원 | 부행장(現) | 약1년3개월 | 주의 | - | - | 모바일뱅킹 외화예금 프로그램 운영ㆍ관리 관련 안전성 확보의무 위반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조, 제23조 및 제29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캄보디아은행 | 2021.06.11 | 캄보디아 중앙은행 (NBC, National Bank of Cambodia) | 신한캄보디아은행 | - | 과태료 | KHR 10,000,000.00 | - | 법인고객 수신 거래내역 정보제공 미흡 근거법령 : 은행 및 금융기관에 대한 법 (Article 5, Chapter 18 of Law on Banking and Financial Institutions, 1999) | 과태료 납부 | 직원 교육 실시 및 사전 예방 프로세스 개발 |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2021.08.20 | 천진 은보감국 | 신한중국 천진분행 | - | 과태료 | CNY 500,000.00 | - | 대출 사전 심사 및 사후관리 미흡근거법령 : 중국은감회령 2010년 제2호 제35조, 중화인민공화국은행업감독관리법 제21조 제3항 | 과태료 납부 | 대출 관계사 모니터링 및 심사/사후관리 강화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1.11.04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 (OJK)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IDR 20,000,000.00 | - | 여신 관련 차주 정보보고서 오류 근거법령 : 인도네시아금융감독청 규정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Regulation (POJK) Number 18/POJK.03/2017 | 과태료 납부 | 직원 교육 실시 및 보고서 원장 시스템 개선 |
| 멕시코신한은행 | 2021.11.08 | 멕시코 소비자보호원 (CONDUSEF)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37,736.00 | - | 분기별 소비자민원 발생 보고 지연 (16.4분기, 17.1분기) 근거법령 : 금융 서비스 사용자 보호 규정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User of Financial Services Act | 과태료 납부 | 보고사항 모니터링 및 기일관리 강화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1.11.12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Bank Indonesia)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USD 1,271.11 | - | 해외 송금 업무처리 미흡 근거법령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규정 Bank Indonesia Regulation No.22/14/PBI/2020 | 과태료 납부 | 해외송금 프로세스 개선 및 사후 점검 절차 마련 |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2021.11.29 | 필리핀 중앙은행 (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 | 과태료 | PHP 10,614,554.92 | - | 농업부문(AGRI-AGRA) 대출비율 미준수 근거법령 : 필리핀 은행감독규정(MORB, Section 331) | 과태료 납부 | 대출 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2021.12.09 | 북경 은보감국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 | 과태료 | CNY 2,700,000.00 | - | 예금 모집인 제도관련 업무보고서 오류 등 근거법령 : 상업은행법 제47조, 중화인민공화국 은행업 감독관리법 제33조, 제47조, 제48조, 상업은행 합규리스크 관리지침 제13조, 제14조, 제18조, 중화인민공화국 은행업 감독관리법 제21조, 제46조, 제48조, 개인경영대출관리 잠행방법 제13조, 제31조, 중화인민공화국 은행업 감독관리법 제21조, 제46조 | 과태료 납부 직원 행정처벌(직원 과태료) | 업무 담당 직원 배치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2022.02.08 | 청도시 시장감독관리국 | 신한은행(중국) 유한공사 | - | 과태료 | CNY 29,426.40 | - | 담보물 감정평가비용 업무처리 미흡 근거법령 : 중화인민공화국 행정처벌법 제44조, 제45조 중화인민공화국 가격법 제14조 | 과태료 납부 | 감정평가비용 관련 내규 개정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2.02.17 | 멕시코 소비자보호원 (CONDUSEF)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32,240.00 | - | 분기별 소비자 민원 발생 보고 지연 근거법령 : 금융 서비스 사용자 보호 규정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User of Financial Services Act | 과태료 납부 | 보고사항 모니터링 및 기일관리 강화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2.04.08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Bank Indonesia)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IDR 200,000.00 | -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일일보고서 오류 근거법령: Bank Indonesia Regulation No.21/9/PBI/2019 | 과태료 납부 | 일일보고 프로세스 전산화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2022.05.18 | 필리핀 중앙은행 (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 | 과태료 | PHP 8,952,343.51 | - | 농업부문(AGRI-AGRA) 대출비율 미준수 근거법령 : 필리핀 은행감독규정(MORB, Section 331) | 과태료 납부 | 대출 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2.05.30 | 멕시코 금융감독원 (CNBV)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886,600.00 | - | 감독기관 규제항목 모니터링 미흡 근거법령 : Credit Institution Law, General Provision Applicable to Credit Institution | 과태료 납부 | 규제 항목별 모니터링 강화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 2022.06.10.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징금 | 285.3백만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429조 - 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 제25조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2.06.15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422,450.00 | - | 감독기관 규제비율 미충족 근거법령: PROVISIONS APPLICABLE TO THE OPERATIONS OF CREDIT INSTITUTIONS | 과태료 납부 | 규제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Investment Regime 모니터링 강화 |
| 신한은행 | 2022.07.07.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5,710백만원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사모펀드 투자광고 규정 위반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57조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49조의5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2.07.07.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업무의 일부정지 3개월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7조, 제49조, 제71조, 제420조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3조, 제68조 -舊 금융투자업규정 제4-20조 | 조치사항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2.07.11. | 금융감독원 | 은행장(前) | 약3년5개월 | 주의적 경고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9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2.07.11. | 금융감독원 | 부행장보(前) | 약2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행위 통지 (감봉3월 상당)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舊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7조, 제49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2022.08.17 (2023.01.05.보고) | 필리핀 중앙은행 (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 | 과태료 | PHP 5,543,672.82 | - | 농업부문(AGRI-AGRA) 대출비율 미준수 근거법령 : 필리핀 은행감독규정(MORB, Section 331) | 과태료 납부 | 대출 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2.11.10 | 멕시코 금융감독원 (CNBV)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537,720.00 | - | 감독기관 규제보고서 제출 지연 근거법령 : Credit Institution Law (금융기관법) ㆍ Article 107 Bis, First Paragrap, Fraction I | 과태료 납부 | 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3.01.02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 (OJK)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IDR 132,650,000.00 | - | 감독기관 보고서 제출 오류 근거법령 : POJK NO. 64/POJK.03/2020 , POJK NO 9/POJK.03/2016, PBI NO.21/9/PBI/2019 | 과태료 납부 | 보고서 제출 프로세스 개선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2023.03.17 | 필리핀 중앙은행 (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신한은행 마닐라지점 | - | 과태료 | PHP 2,768,478.17 | - | 농업부문(AGRI-AGRA) 대출비율 미준수 근거법령 : 필리핀 은행감독규정(MORB, Section 331) | 과태료 납부 | 대출 비율 준수 방안 마련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중국 심양분행 | 2023.04.26 | 요녕 은보감국 | 신한중국 심양분행 | - | 과태료 | CNY 300,000 | - | 개인주택담보대출 사전조사 및 심사 미흡 근거법령 : 《중화인민공화국 은행업 감독 관리법》 제46조, 제48조 | 과태료 납부 | 주택담보대출 전수 조사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 2023.07.20.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업무의 일부정지 3개월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7조, 제420조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3조 | 조치사항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3.07.25. | 금융감독원 | 부행장보(前) | 2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 (주의 상당)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6조, 제47조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2조, 제53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3.07.25. | 금융감독원 | 부행장보(前) | 3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 (주의 상당) | - | - | 사모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6조, 제47조 - 舊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2조, 제53조 | 대상자 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3.08.11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166,506.53 | - | 감독기관 자료 제출 오류 근거법령 : SPID Operation Manual(중앙은행법 하위 규정 중 SPID 운영에 관한 규정) | 과태료 납부 | 감독기관 제출 자료 검증 절차 강화 및 프로세스 개선 |
| 멕시코신한은행 | 2023.08.18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1,037,890.71 | - | 감독기관 자료 제출 오류 근거법령 : SPID Operation Manual 및 SPEI Operation Manual(중앙은행법 하위 규정 중 자금이체서비스인 SPID 및 SPEI 운영에 관한 규정 | 과태료 납부 | 감독기관 제출 자료 검증 절차 강화 및 프로세스 개선 |
| 멕시코신한은행 | 2023.09.19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166,506.53 | - | 감독기관 자료 제출 오류 근거법령 : SPEI Operation Manual(중앙은행법 하위 규정 중 SPEI 운영에 관한 규정) | 과태료 납부 | 감독기관 제출 자료 검증 절차 강화 및 프로세스 개선 |
| 아메리카신한은행(SHBA) | 2023.09.29 | FDIC FinCEN NYSDFS | 아메리카신한은행(SHBA) | - | Consent Order 및 과태료 | USD 25,000,000 FDIC : 5,000,000 FinCEN : 10,000,000 NYSDFS : 10,000,000 | - | 자금세탁방지 업무 미흡 근거법령 : 미국 감독규정 12 U.S.C ∮ 1818.(i) 등 | Consent Order 체결 및 과태료 납부 | 감독당국 지적 사항에 대한 체계적인 이행절차 관리 등 |
| 신한은행 | 2023.11.22.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징금 | 724.3백만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429조 - 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 제25조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3.11.30.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50백만원 | - | 사모펀드 선정ㆍ출시ㆍ판매 관련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24조, 제43조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 제34조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3.11.30.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업무의 일부정지 2.6개월 과태료 과징금 | 12백만원 (과태료) 174.6백만원 (과징금) | - | 외국환거래법 위반, 은행법 위반 - 「외국환거래법」 제8조(외국환업무의 등록 등) 제6항 - 「외국환거래법」 제10조(업무상의 의무) 제1항 - 「외국환거래법」 제12조(인가의 취소 등) 제1항 제5호의2, 제7호, 제5항 - 「외국환거래법」 제12조의2(과징금) 제1항, 제2항 - 「외국환거래법시행령」 제17조(업무 수행에 관한 기준) 제4호 - 「외국환거래법시행령」 제22조(인가의 취소 등), <별표2> - 「외국환거래법시행령」 제23조(과징금의 부과기준 등), <별표3> - 「외국환거래규정」 제2-1조의2(지급 및 수령) 제1항, 제2항, 제4항 - 「외국환거래규정」 제4-2조(지급등의 절차) 제1항 - 「은행법」 제34조의2(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항 제4호, 제2항 - 「은행법」 제69조(과태료) 제1항 제5호의2 - 「은행법시행령」 제20조의2(불건전 영업행위의 구체적인 유형 등) 제5호 - 「은행법시행령」 제31조(과태료의 부과기준), <별표4>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2항 제2호 | 조치사항 이행 과태료 납부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3.12.11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 (OJK)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IDR 100,300,000.00 | - | 감독기관 보고서 제출 오류 근거법령 : POJK NO 13/ POJK.03/2021, POJK NO. 64/POJK.03/2020 | 과태료 납부 | 오류 지적사항에 대한 담당부서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 2024.02.02.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69.6백만원 | - | 재산상 이익제공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금지 의무 위반 - 은행법 제34조의2 제1항 제3호, 제69조 제1항 제5호의2 -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2 제3호, 제31조, [별표4]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 제1항 제1호 -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 제20조, [별표3]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4.03.19.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징금 | 200.2백만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429조 - 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 제25조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4.04.09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142,719.88 | - | 자금세탁방지 업무 미흡 근거법령 : Bank of Mexico Law | 과태료 납부 | 업무프로세스 개선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24.07.22.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 (OJK)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 | 과태료 | IDR 50,000,000 | - | 감독기관 보고서 제출 오류 근거법령 : POJK NO 36/POJK.02/2020, POJK NO. 4/POJK.04/2014 | 과태료 납부 | 오류사항 관련 시스템 개선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 2024.10.21. | 금융감독원 | 신한은행 | - | 기관주의 | - | - | 해외자회사의 자금세탁방지 의무 이행 관리ㆍ감독 소홇 -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 자금세탁방지 및 공중협박자금조달 금지에 관한 업무규정 제27조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4.11.01.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180백만원 | - | 은행법 위반 - 은행법」 제34조의2(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항 제4호 - 은행법시행령」 제20조의2(불건전 영업행위의 구체적인 유형 등) 제5호 -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3(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2항 제2호 등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4.11.19. | 멕시코 은행증권위원회 (CNBV)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260,640 | - | 멕시코 은행증권위원회 규제보고서 모니터링 미흡 근거법령 : Circular Unico Bancaria(CUB, CNBV 감독규정) Article 207 및 213 | 과태료 납부 | 담당 부서 재정비 및 규제보고서 기일관리 시스템 전산 개발 |
| 멕시코신한은행 | 2024.11.20. | 멕시코 중앙은행 (BANXICO)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95,140.65 | - | SPID(멕시코 국내 USD 이체) 데이터 관리 미흡 근거법령 : Bank of Mexico Law (중앙은행법), Circular 4/2016 SPID Manual | 과태료 납부 | 이체 전산 시스템 수정 및 거래 유형별 데이터 축적 프로세스 개선 |
| 멕시코신한은행 | 2025.02.20. | 멕시코 은행증권위원회 (CNBV)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253,470.00 | - | 2019년 결산시 충당금 계정처리 오류 및 감독당국 사전보고 누락으로 현지 법령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 근거법령 : National Banking and Securities Commission(CNBV) Law Article2,4(Section XIX) and 12(IV) | 과태료 납부 | 감독당국 지적사항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은행 | 2025.03.06.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96백만원(과태료) | - | 자회사 신용공여 경영공시 의무 위반 - 은행법 제43조의3 - 은행법 시행령 제24조 제1항, 제2항 - 은행업 감독규정 제41조 제1항, 제2항 -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 제31조 제1항 <별표23>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은행 | 2025.03.07. | 금융위원회 | 신한은행 | - | 과태료 | 100백만원(과태료) | - | 퇴직연금 계약내용 준수의무 위반 - 퇴직급여법 제33조 및 제48조 - 퇴직급여법 시행령 제42조 및 <별표3> 과태료 부과기준 - 금융기관검사및제재에관한규정 제20조, <발표3> 과태료 부과기준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멕시코신한은행 | 2025.03.20. | 멕시코 은행증권위원회 (CNBV) | 멕시코신한은행 | - | 과태료 | MXN 3,802,050.00 | - | 여신 프로세스상 미비사항 및 충당금 산출 자료 입력 오류로 충당금 산출시 오차 발생 근거법령 : Credit Institutions Law (금융기관법) Article 108, Paragraph 1, Section IV (Article 65) 및 Section V (Article 76) | 과태료 부과에 대한 소송 진행중 | 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직원 교육 실시 |
| 신한카드 | 2021.01.08 | 금융위원회 | 신한카드 | - | 과태료부과 | 2,880만원 | -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 20조 위반 | 과태료 납부 | 상거래 종료고객 정보삭제 프로세스 개선 |
| 신한카드 | 2021.05.12 | 금융위원회 | 신한카드 | - | 시정명령 | - | -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 20조 위반 | 내부통제 강화 | 법정최고이자율 초과 방지를 위한 Process개선 |
| 신한카드 | 2023.12.21 | 금융위원회 | 신한카드 | - | 과태료부과 | 5,000만원 | - | 전자금융거래법 제 21조 2항 및 전자금융감독규정 제 7조, 제 37조 위반 | 과태료 납부 | 카드 부정사용 예방을 위한 인증 및 FDS 관리 강화 |
| 신한카드 | 2023.12.21 | 금융감독원 | 신한카드 | - | 기관주의 | - | - | 전자금융거래법 제 21조 2항 및 전자금융감독규정 제 7조, 제 37조 위반 | 내부통제 강화 | 카드 부정사용 예방을 위한 인증 및 FDS 관리 강화 |
| 신한카드 | 2023.12.21 | 금융감독원 | 상무 (前) (CISO) | 4년 | 견책 상당 | - | - | 전자금융거래법 제 21조 2항 및 전자금융감독규정 제 7조, 제 37조 위반 | 관련자 징계 조치 | 카드 부정사용 예방을 위한 인증 및 FDS 관리 강화 |
| 신한카드 | 2024.02.21 | 금융위원회 | 신한카드 | - | 과태료부과 | 8,000만원 | -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18조,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 위반 | 과태료 납부 | 신용정보 정확성 및 최신성 유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1.07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4,800만원 | - | 성과보수형 투자일임계약 필수 기재사항 누락 - 자본시장법 제98조의2 제2항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99조의2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6.24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2,000만원 | - | 계열회사 발행증권의 투자일임재산 편입한도 초과 - 자본시장법 제 98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2항 제10호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99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4항 제7호 - 금융투자업규정 제4-77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5호 가목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6.24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100,000만원 | - | 투자광고 절차 위반 - (구)자본시장법 제57조(투자광고) 제6항 - (구)자본시장법 제60조(투자광고) 제3항 제3호 - (구)금융투자업규정 제4-12조 제1항 제3호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6.24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116,000만원 | - | 특정금전신탁 홍보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108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9호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09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3항 제10호 - 금융투자업규정 제4-93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0호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6.24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2,000만원 | - | 설명서 교부의무 위반 - 자본시장법 제71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7호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8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5항 제14호 - 금융투자업규정 제4-20조(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항 제9호 나목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6.24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4,000만원 | - | 프로그램 변경통제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안전성의 확보의무) 제2항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조(전자금융거래 종류별 안전성 기준)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29조(프로그램 통제) 제3호, 제6호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9.13 | 금융감독원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350만원 | - | 외국환거래법 위반 (역외금융회사 등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관련 변경보고서 기한내 보고 누락) 외국환거래법 제20조 금융기관의 해외진출에 관한 규정 제7조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금융위 의결 2021.11.12) | 신한금융투자 | - | - 업무의 일부정지 6월 1.장외파생상품투자매매업 중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가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와의 신규 TRS 계약 체결 2.사모집합투자증권 투자중개업 신규업무(사모펀드 신규판매) 3.외국 집합투자증권 및 외국 집합투자증권을 기초자산으로하는 파생결합증권을 편입하는 특정금전신탁의 신규계약체결 - 과태료 부과 | 180,000만원 | - | 1. 라임 무역금융펀드 관련 이해상충 관리의무 위반 및 불건전영업행위 - 자본시장법 제44조, 제71조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8조 2. 금융투자상품(라임 무역금융펀드 / 독일 헤리티지 DLS) 부당권유 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49조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금융위 의결 2021.11.12) | 대표이사(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직무정지 3월 상당) | - | - | 1. 라임 무역금융펀드 관련 이해상충 관리의무 위반 및 불건전영업행위 - 자본시장법 제44조, 제71조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8조 2. 금융투자상품(라임 무역금융펀드) 부당권유 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49조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 대표이사(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주의적경고 상당) | - | - | 라임 무역금융펀드 관련 이해상충 관리의무 위반 및 불건전영업행위 - 자본시장법 제44조, 제71조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8조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금융위 의결 2021.11.12) | 본부장(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면직상당) | - | - | 1. 라임 무역금융펀드 관련 이해상충 관리의무 위반 및 불건전영업행위 - 자본시장법 제44조, 제71조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8조 2. 금융투자상품(라임 무역금융 펀드) 부당권유 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49조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 본부장(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감봉 3월 상당) | - | - | 금융투자상품(독일 헤리티지 DLS) 부당권유 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49조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1.12.02 | 금융감독원 | 본부장(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감봉 3월 상당) | - | - | 금융투자상품(독일 헤리티지 DLS) 부당권유 금지 위반 - 자본시장법 제49조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2.02.23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7,200만원 | - | 공매도 제한 위반 - 자본시장법 제180조 제1항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4.06 | 금융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징금 부과 | 495,1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법 제119조 제1항, 제125조 제1항 제5호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6.14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국(OJK) | PT. SHINHAN SECURITAS INDONESIA | - | 과태료 부과 | IDR 4,794,000 (한화 38만원) | - | 보고서 제출기한 미준수 ['POJK Nomor 9/POJK.04/2019, Sukuk Article 19] | 과태료 납부○ |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10.24 | 인도네시아 금융감독국(OJK) | PT. SHINHAN SECURITAS INDONESIA | - | 과태료 부과 | IDR 23,200,000 (한화 200만원) | - | 보고서 제출기한 미준수 ['POJK Nomor 18/POJK.07/2018 Article 43 paragraph 2] | 과태료 납부 |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11.15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33,8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12.27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주의 | - | - | 차입주식 관련 자산ㆍ부채 및 수익ㆍ비용 과대계상 -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3조 -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환한 규정 제55조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볍률 제5조, 제6조, 제29조 -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 27조, 부칙 제 2조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164조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5조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 1109호(금융상품) 문단 3.26 , B3.2.5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2.15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669,1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3.15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919,0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5.31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36,000,000원 | - | 공매도 순보유잔고 보고 및 공시 위반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9.06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115,5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10.23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473,1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19조 제1항,제8항 제125조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11.29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50,000,000원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제43조 제1항 제16호, 제4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제34조, <별표2>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11.29 | 금융위원회 | 대표이사(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직무정지 1.5월 상당추가) | -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제3항, 제35조 제1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4.01.04 | 금융감독원 | 상무(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감봉 3월 상당) | -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4.01.04 | 금융감독원 | 상무(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감봉 3월 상당) | -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4.01.04 | 금융감독원 | 본부장(前) | -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감봉 3월 상당) | -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징계조치 | - |
| 신한투자증권 | 2024.01.04 | 금융감독원 | 영업고문(現) | - | 감봉 3월 | - | - |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 지배구조법 제24조 제1항, 제3항 - 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제4항 -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 제1항, 제2항, <별표2> | 징계조치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3.13 | 금융감독원 | 신한투자증권 | - | 경고 | - | - | 외국환거래법규 위반 - 외국환거래법」제19조 - 외국환거래법시행령 제33조 - 외국환거래당사자에 대한 제재규정 제10조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3.13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435,1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3.25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42,000,000원 | - | 금융투자상품 판매시 설명내용 확인의무 위반 - 자본시장법 제47조 제2항, 제449조 제1항 베21호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52조, 제53조, 제390조<별표22> -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 제20조 제1항, 제3항, <별표3,6>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3.27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193,4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4.18 | 인도증권거래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행정적경고 | - | - | 중요정보 변경 통보 지연 | -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4.24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91,2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5.08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징금 부과 | 88,700,000원 | - |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위반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과징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5.22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경고 | - | - | 감사前 재무제표 작성ㆍ제출 의무 위반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9조 제1항 -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26조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5.29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80,000,000원 | - | 전자금융거래 안전성 확보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제2항, 제51조 제1항 제1호 -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제33조 및 <별표3>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6.07 | 금융감독원 | 신한투자증권 | - | 기관주의 | - | - | 전자금융거래 안전성 확보의무 위반 -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제2항 -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조, 제29조 제6호 | 내부통제 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9.27 | 금융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100,000,000원 | - | 퇴직연금사업자의 책무 위반(가입자 교육 미실시) - 퇴직급여법 제33조 및 제48조 - 퇴직급여법 시행령」제42조 및 <별표3> 과태료 부과기준 - 금융기관검사및제재에관한규정」 제20조, <별표3>과태료 부과기준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01.05 |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 신한라이프 | - | 과태료 부과 | 80,000,000 | - | 보험요율 산출의 원칙 및 기초서류 관리기준 등 위반 (보험업법 제128조의2 ,제129조, 제184조) | 검사결과 조치요구 이행 및 과태료납부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01.05 | 금융감독원 | CPC전략그룹 부사장 (前) | 3년 6개월 | 퇴직자 위법 ㆍ부당사항 (주의 상당) | - | - | 암입원적용률 산출 오류 및 기초서류관리기준 미준수 (보험업법 제128조의2 ,제129조) | 퇴직자 위법 ㆍ부당사항 통지 및 인사기록부 등재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05.08 | 금융위원회 | 신한라이프 | - | 과태료 | 25,200,000 | - | 설명의무등 위반(보험업법 제95조의 2) | 검사결과 조치요구 이행 및 과태료 납부 완료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05.08 | 금융위원회 | 신한라이프 | - | 과징금 | 25,000,000 | - | 설명의무등 위반(보험업법 제95조의 2) | 검사결과 조치요구 이행 및 과징금 납부 완료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05.08 | 금융감독원 | 고객경험본부 상무(現) | 6개월 | 주의 | - | - | 설명의무등 위반(보험업법 제95조의 2) | 관련자 문책처리 및 인사기록부 등재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11.25 | 금융위원회 | 신한라이프 | - | 과징금 | 192,000,000 | - | 기존보험계약의 부당 소멸(보험업법 제97조) | 검사결과 조치요구 이행 및 과징금 납부 완료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4.11.25 | 금융감독원 | 방카슈랑스 팀장(3명) | (평균) 6년 8개월 | 퇴직자 위법 ㆍ부당사항 (주의 상당) | - | - | 기존보험계약의 부당 소멸(보험업법 제97조) | 관련자 문책처리 및 인사기록부 등재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5.06.10 | 금융정보분석원 | 신한라이프 | - | 과태료 | 900,000 | - | 고액 현금거래 보고의무 위반(특정금융정보법 제4조의2) | 검사결과 조치요구 이행 및 과태료납부 | 재발방지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자산운용 | 2023.1.16 |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 신한자산운용 | - | 2024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증권선물위원회 지정 감사인 외부감사 실시 | - | - | 2020회계연도 감사前 재무제표 미제출 건 (외부감사법 제6조 및 제29조제1항, 외부감사법 시행령 제8조,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26조) | - 인사위원회 징계 조치(2023.3.24) - 2024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증권선물위원회 감사인 지정 (삼덕회계법인) | 결산 관련 체크리스트 점검 등 내부통제시스템 강화 |
| 신한자산운용 | 2023.7.18 |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 신한자산운용 | - | 과태료 부과 | 70.5백만원 | - | 공매도 순보유잔고 보고 위반 (자본시장법 제180조의2 및 제180조의3,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280조의2 및 제280조의3) | - 과태료 납부 완료(2023.8.7) - 인사위원회 징계 조치(2023.8.22) | 업무 프로세스 정비 및 교육 강화 등 |
| 제주은행 | 2024.01.05 |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 | 제주은행 | - | 고액 현금거래 보고의무 위반 (과태료 부과) | 부과금액 : 116,550,000 원 납부금액 : 93,240,000 원 (기한내 납부시 20% 경감) | - | 1.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의 2 (금융회사등의 고액현금거래 보고), 제20조 (과태료) 2.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조의 2 (고액현금거래보고의기준금액), 제17조 (과태료 부과기준) 3.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제7조 (고의 또는 과실), 제18조 (자진납부자에 대한 과태료 감경), 제19조 (과태료 부과의 제척기간) 4.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시행령」 제5조 (자진납부자에 대한 과태료 감경) 5. 「특정 금융거래정보 보고 등에 관한 검사 및 제재규정」 [별표] 과태료 부과기준 | 기한내 과태료 납부 | - |
| 제주은행 | 2024.02.02 | 금융감독원 | 제주은행 | - | 재산상 이익제공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금지 위반 (과태료 부과) | 부과금액 : 12,000,000 원 납부금액 : 9,600,000 원 (기한내 납부시 20% 경감) | - | 1. 「은행법」 제34조의 2 (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항 제3호, 제69조 (과태료) 제1항 제5호의22. 「은행법 시행령」 제20조의 2 (불건전 영업행위의 구체적인 유형 등) 제3호, 제31조 (과태료의 부과기준), [별표4] (과태료의 부과기준) 3. 「은행업감독규정」 제29조의 3 (불건전 영업행위의 금지) 제1항 제1호 4.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 제20조 (과징금 및 과태료의 부과),[별표3] (과태료 부과기준) | 기한내 과태료 납부 | - |
| 제주은행 | 2024.11.07 | 금융감독원 | 제주은행 | - | 기관경고 | - | - | 투자권유자문인력이 아닌 자에 의한 투자권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제5호 | 내부통제 강화 | 내부시스템 정비완료 및 관리감독 강화 |
| 제주은행 | 2024.11.07 | 금융감독원 | 부행장(前) | 약 29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견책 상당) | - | - | 투자권유자문인력이 아닌 자에 의한 투자권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제5호 | 대상자 조치 | 내부시스템 정비완료 및 관리감독 강화 |
| 제주은행 | 2024.11.07 | 금융감독원 | 부행장(前) | 약 30년 | 퇴직자 위법ㆍ부당사항 통지(견책 상당) | - | - | 투자권유자문인력이 아닌 자에 의한 투자권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제5호 | 대상자 조치 | 내부시스템 정비완료 및 관리감독 강화 |
| 제주은행 | 2024.11.07 | 금융감독원 | 부장(前) | 약 31년 | 견책 | - | - | 투자권유자문인력이 아닌 자에 의한 투자권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제5호 | 대상자 조치 | 내부시스템 정비완료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자산신탁 | 2022.01.26 | 금융감독원 | 신한자산신탁 | - | 기관경고 | - | - | 금융기관검사규정 제17조 등 | 이사회, 주주총회 보고완료 | 관련 내부통제 개선완료 및 지속 이행중 |
| 신한자산신탁 | 2022.01.26 | 금융감독원 | 상무(前) | 11 | 감봉1월상당 (旣퇴직자) | - | - | 금융기관검사규정 제19조 등 | 감봉1월상당 조치완료 | 관련 내부통제 개선완료 및 지속 이행중 |
| 신한자산신탁 | 2025.04.16 | 금융감독원 | 상무(現) | 17 | 주의 | - | - | 자본시장법 제63조제1항 등 | 주의 조치완료 | 관련 내부통제 개선완료 및 지속 이행중 |
| 신한자산신탁 | 2025.04.16 | 금융감독원 | 상무(前) | 11 | 주의상당 (旣퇴직자) | - | - | 자본시장법 제41조제1항 등 | 주의상당 조치완료 | 관련 내부통제 개선완료 및 지속 이행중 |
| 신한벤처투자 | 2023.09.12 | 금융감독원 | 신한벤처투자 | - | 경고 | 대량보유 보고의무 지연 공시 (자본시장법 제147조) | 경고 | 대량보유 보고의무 지연 공시 (자본시장법 제147조) | 경고 | 법규 준수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벤처투자 | 2025.05.15 | 금융감독원 | 신한벤처투자 | - | 과징금 부과 | 대량보유 보고의무 지연 공시 (자본시장법 제147조) | 과징금 88,430원 25.06.10납부완료 | 대량보유 보고의무 지연 공시 (자본시장법 제147조) | 과징금 88,430원 25.06.10납부완료 | 법규 준수 및 관리감독 강화 |
2)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현황
| 회사 | 일자 | 제재기관 | 처벌 또는 조치대상자 | 근속연수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 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 회사의 이행현황 |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의 대책 |
| 신한투자증권 | 2023.11.28 | 공정거래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20,000,000원 | - | 기업결합 신고의무 규정 위반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2조 제1항 및 제6항, 제69조의2 | 과태료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3) 과세당국(국세청, 관세청 등)의 제재현황
| 회사 | 일자 | 제재기관 | 처벌 또는 조치대상자 | 근속연수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 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 회사의 이행현황 |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의 대책 |
| 신한투자증권 | 2022.02.10 | 인도네시아 국세청 | PT. SHINHAN SECURITAS INDONESIA | - | 과태료 부과 | 4만원 | - | 2021년 재산세(사택) 체납 [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12 Tahun 1994b] | 과태료 납부 |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7.22 | HO CHI MINH CITY TAX DEPARTMENT | SHINHAN SECURITIES VIETNAM CO., LTD | - | 과태료 부과 | VND 7,700,000 (한화40만원) | - | 개인소득세 및 부가세 신고 지연 [베트남 세무청 2142/QD-CT 결의] | 과태료 납부 |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2.09 | HO CHI MINH CITY TAX DEPARTMENT | SHINHAN SECURITIES VIETNAM CO., LTD | - | 과태료 부과 | VND 59,494,016 (한화 300만원) | - | VAT 신고금액 누락(2018년) 및 비용인정 신고항목에 대한 일부 불인정(2018년) - 베트남 세무당국 정기 세무조사(2013~2018) | 과태료 납부 |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1.04.26 | 남대문세무서 | 신한라이프 | - | 과태료 부과 | 8,000,000 | - | 법인세법 | 과태료 납부 | 1) 해외현지기업고유번호 부여현황 점검 2) 해외영업소 설치 현황자료 요청 공문 발송(글로벌사업팀등 해외사무소 관리부서) |
| 신한라이프 | 2022.07.01 | 베트남국세청 | 신한라이프 | - | 과태료 부과 | 60,809,139 | - | 개인소득세법(베트남) 및 세무당국 규정 | 과태료납부완료 | 양국 조세 제도 지속 모니터링 및 관리 강화 |
| 주) 2021년 7월 1일 신한생명(존속법인)과 오렌지라이프(소멸법인)가 신한라이프로 합병됨에 따라, 2021년 6월 30일까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의 제재현황을 포함하여 작성함 |
4) 기타 행정, 공공기관의 제재현황
| 회사 | 일자 | 제재기관 | 처벌 또는 조치대상자 | 근속연수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 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 회사의 이행현황 |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의 대책 |
| 신한투자증권 | 2021.07.29 | 방송통신위원회 | 신한금융투자 | - | 과태료 부과 | 1,200만원 | - |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 제한 법률 위반 - 수신자의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에 반한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0조제2항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6조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4조 및 별표9 | 과태료 납부 | 시스템 개선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08.10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제재금 부과 | 200만원 | - | 미결제약정수량 보유한도 위반 -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 제154조제1항 -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시행세칙 제162조의2제1항 - 시장감시규정 제28조제1항 및 시행세칙 제23조제1항제4호의2호,2항 | 제재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12.10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제재금 부과 | 20만원 | - | 자기주식매매호가 미제출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39조 제1항 - 시장감시규정 제28조 및 시행세칙 제29조 | 제재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1.12.28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제재금 부과 | 50만원 | - | 프로그램매매 관련규정(호가표시의무)위반 회원감리 결과에 따른 조치통보 -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제2조, 제9조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2조, 제7조 - 시장감시규정 제28조 및 시행세칙 제23조 | 제재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4.22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회원경고 및 개선요구 | - | - | 2020년도 시장조성자 특별감리 결과에 따른 회원조치 -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 18조 1항 및 시장감시규정 제4조 1항 12호 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1조,제23조 및 동규정 시행세칙 제19조 제1항 | 내부통제강화, 관련직원 내부 징계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5.26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제재금 부과 | 150만원 | - | 프로그램매매 관련규정(호가표시의무)위반 회원감리 결과에 따는 조치통보 -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제2조, 제9조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2조, 제7조 - 시장감시규정 제28조 및 시행세칙 제29조 | 제재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06.20 | 한국거래소 | 신한금융투자 | - | 주의촉구 | - | - | 신규상장일 호가입력 제한규정 관련 수시감리 결과에 따른 회원조치 통보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 제14조 - 시장감시규정 제22조 제4항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18조 제1항 제3호 | 내부통제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2.10.17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제재금 납부 | 50만원 | - | 프로그램매매 관련규정(호가표시의무)위반 회원감리 결과에 따는 조치통보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2조, 제11조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6조의5, 제12조 - 시장감시규정 제28조제1항 및 시행세칙 제29조 | 제재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5.16 | 방송통신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과태료 부과 | 1,200만원 | - |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 제한 법률 위반 - 수신자의 명시적인 사전 동의 없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 전송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0조제1항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6조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4조 및 별표9 | 과태료 납부 | 시스템 개선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6.23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회원주의 | - | - | 달러선물 과다주문 발생 관련 규정 준수 여부 수시감리 결과에 따는 회원조치 및 회원처리사항 통보 -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 제 156조의 3을 위반. (알고리즘 로직변경 통제미비 및 계좌신고절차 미준수등) - 시장감시규정 제 4조 제 12호 위반 (비 정상호가 대량제출을 통한 시장 혼란 및 공신력 실추) | 내부통제강화, 관련 직원 내부징계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09.20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시정요구 | - | - | 모니터링 및 수탁거부 조치 등 관련 점검 감리 결과에 따른 통보 - 시장감시규정 제6조 제1항 및 제4조 1항 제12호 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2조 제4항 및 동 시행세칙 제18조 제1항에 따른 "시정요구" | 시정조치 후 거래소 회신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11.21 | 중부지방고용노동청 | 신한투자증권 | - | 시정지시 | - | - | 노동관계법 위반사항에 대한 시정조치 - 근로기준법 제96조 제2항 위반에 따른 변경 신고 및 증빙자료 제출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 따른 시정 요구 | 시정조치 후 노동청 회신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3.12.12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주의촉구 | - | - | 공매도 호가의 제한 위반행위에 대한 주의 촉구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17조(공매도 호가의 제한) 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2조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18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따라 「주의촉구 」조치 | 내부통제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3.18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제재금 납부 | 2백만원 | - | 호가의 수량제한 관련(누적호가수량한도) 업무규정 위반에 대한 회원감리 결과에 따른 조치통보 -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업무규정 제 71조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 61조의 규정 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8조 제1항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29조 제1항에따라 「약식제재금 부과 」조치 | 내부통제강화 및 전산 요건 수정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06.20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주의촉구 | - | - | 투자자분류코드 오입력 관련 업무규정 위반행위에 대한 주의촉구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11조(호가의 입력내용) 및 동규정 시행세칙 제 12조, 코스닥 업무규정 제 9조 및 동규정 시행세칙 제 7조 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2조 4항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제18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따라 「주의촉구 」 조치 | 내부통제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11.25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주의촉구 | - | - | 모니터링 및 수탁거부 조치 등 관련 점검감리 결과에 따른 통보 - 시장감시규정 제6조 제1항 및 제4조 1항 제12호 및 3항위반 - 시장감시규정 제22조 제4항 및 동 시행세칙 제18조 제1항 제 3호에 따른 "주의촉구" | 내부통제강화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4.11.26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회원주의 및 개선요구 | - | - | 「회원시스템 접속 등에 관한 지침 관련 」 수시감리 결과에 따른 회원조치 및 회원처리사항 통보 -시장감시규정 제21조, 제22조 제1항, 제4항 및 제5항, 같은 규정 시행세칙 제14조 제1항 및 제18조 제1항에 따라『회원주의』및 『개선요구*』병과 조치 | 내부통제강화, 관련 직원 내부징계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5.01.20 | 한국거래소 | 신한투자증권 | - | 회원 경고 | - | - | 「공정거래질서 저해행위(종가집중관여)관련 감리 결과에 따른 회원조치 및 회원처리사항 통보」 - 시장감시규정 제 21조, 제 22조 제1항, 제5항 및 같은 규정 시행세칙 제14조 제1항에 따라, 『회원경고』 조치 | 관련직원 내부징계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투자증권 | 2025.05.19 | 서울지방노동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 - | 이행강제금 부과 | 14,625,000원 | - |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이행강제금 부과 (근거법령: 근로기준법 제33조) | 이행강제금 납부 | 업무지도 및 관리 감독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2.09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1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4.19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9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6.12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2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5.23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1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6.12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25,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6.28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3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3.07.25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715,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5.03.26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305,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5.03.26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30,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라이프 | 2025.03.26 | 한국신용정보원 | 신한라이프 | - | 제재금 부과 | 36,000 | - | 신용정보원의 일반신용정보 제재금 부과규악 제 5조 | 제재금 납부 | 신용정보원 정보집중 데이터 점검활동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1.03.26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알파리츠 임원 변경사항 지연공시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37조제3항, 시행령제40조의2제6항, 감독규정제6조제5항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1.03.26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특별관계자 거래 지연보고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41조제1항제3호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1.03.26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주총 특별결의 지연보고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41조제1항제4호, 시행령제43조제2항제7조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1.03.26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로지스제1호리츠 이사회 결의 지연공시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37조제3항, 시행령 제40조의2제6항, 감독규정 제6조제5항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1.09.24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리츠운용 임원변경 사항 업데이트 미이행 - 부동산투자회사 정보시스템 운영규정 제12조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6.28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자산관리회사의 행위준칙 위반 - 자산운용전문인력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6.28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준법감시인 면직 시 절차위반 및 국토교통부 미통보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6.28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투자설명서의 변경사항 미공시 - 신한알파리츠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6.28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투자설명서의 변경사항 미공시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신한알파남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업무위탁계약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업무위탁계약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업무위탁계약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알파남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실사보고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실사보고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실사보고서를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이사회의사록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임원의 변경을 회사의 인터넷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알파남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재무제표 및 감사보고서을 회사의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재무제표 및 감사보고서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정관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정관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식회사 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주주총회의사록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알파남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투자설명서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 신한리츠운용 | 2023.09.15 | 국토교통부 | 신한리츠운용 | - | 시정명령 | - | - | (주)신한케이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투자설명서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않았음 | 시정명령 이행 | 업무지도 및 관리감독 강화 |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신한금융지주>(1) 현금배당 결정 (분기배당)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주당 570원의 분기배당을 결정하였습니다. 2025년 8월 1일 기준 당사 주주를 대상으로 2025년 8월 29일에 배당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현금ㆍ현물배당 결정 (2025.07.25) (2)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및 주식소각 결정 당사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체결 및 주식소각을 결정하였습니다. - 자기주식취득신탁 계약금액 : 800,000,000,000원 * 8,000억원 중 약 6,000억원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취득 예정이며, 나머지 약 2,000억원은 2026년 1월 내 취득 예정 - 자기주식취득신탁 계약기간 : 2025.07.31 ~ 2026.01.30- 주식 소각(예정) 주식수 : 11,544,011 주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예정) 주식수는 2025년 7월 25일 이사회에서 결의한 자기주식신탁계약금액을 이사회 결의일 전일(2025년 7월 24일) 신한지주 종가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향후 주가 변동에 따라 실제 취득주식금액과 소각 수량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공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체결 결정 (2025.07.25) 2. 주식소각결정 (2025.07.25)
나.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1) 신한은행1) 예금자보호제도 개요
- 예금자보호제도란 금융회사의 파산이나 영업 정지 등의 사유로 고객의 예금 등을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하여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예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대신 돌려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 이 제도는 금융회사에 대한 사전적 리스크 관리를 통하여 부실 발생을 예방하고 금융회사 부실 발생 시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금융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입니다. 또한 예금보험공사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보험료를 받아 예금보험기금을 마련한 뒤 지급불능상태가 된 금융회사를 대신하여 예금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 입니다.
- 예금보호제도는 전액보호가 아닌 부분보호제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금융회사별로 예금자 1인당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최고 5천만원까지 보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DC),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및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 편입 금융상품 중 예금보호 대상으로 운용되는 금융상품은 합산하여 5천만원까지 별도 보호하며, 사고보험금과 연금저축(신탁ㆍ보험)은 각각 5천만원 한도로 별도 보호됩니다.
2) 보호금융상품
|
보호금융상품 |
보통예금, 기업자유예금, 별단예금, 당좌예금 등 요구불예금 정기예금, 저축예금, 주택청약예금, 표지어음 등 저축성예금 정기적금, 주택청약부금, 상호부금 등 적립식 예금 외화예금 예금보호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DC),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의 적립금 및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에 편입된 금융상품 중 예금보호 대상으로 운용되는 금융상품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 편입된 금융상품 중 예금보호 대상으로 운영되는 금융상품 원본이 보전되는 금전신탁 등 |
|
비보호금융상품 |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금융투자상품(수익증권, 뮤추얼펀드, MMF 등) 특정금전신탁 등 실적배당형 신탁, 개발신탁 은행 발행채권 주택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DB)의 적립금 |
* 신한은행에서 판매 중인 보호금융상품은 신한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보호금융상품 등록부』를 통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보호금융상품등록부' 는 변경되는 내용을 반영하여 매분기 초일에 게시됩니다.
(2) 제주은행 정부가 부보금융회사로부터 보험료를 받아 기금을 조성한 후 부보금융회사의 경영이부실하거나 영업정지 등으로 고객의 예금을 지급할 수 없을 때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보험금을 지급해 주는 제도- 보호한도 :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예금자 1인당 최고 5천만원까지 보호- 보호 금융상품 현황
| 보호금융상품 | 비보호금융상품 |
|---|---|
| - 보통예금, 저축예금, 기업자유예금,별단예금, 당좌예금 등 요구불예금 - 정기예금, 표지어음 등 저축성 예금 - 정기적금, 상호부금 등 적립식예금 - 연금신탁 등 원금보전형신탁, 외화예금 등 | -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은행발행채권 - 금융투자상품 (수익증권 등) - 특정금전신탁 등 실적배당형 신탁 |
(3) 신한라이프 금융기관이 영업정지나 파산 등으로 고객의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경우 예금자는 물론 금융제도의 안정성에도 큰 타격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예금자보호법을 제정하여 고객들의 예금을 보호하는 제도인 '예금자보호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신한라이프도 고객들의 보험금 보호를 위해서 예금보험공사에 예금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으며, 보험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경우 1인당 최고한도 내에서 예금보험공사에서 보험금을 대신 지급합니다. 단, 보험계약자 및 보험료납부자가 법인이거나 보증보험 및 재보험 계약은 보호되지 않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를 참조바랍니다.) (4) 신한투자증권
(1) 고객예탁재산 현황 1) 고객예수금
| 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 위탁자예수금 | 2,491,189 | 1,897,094 | 1,929,464 |
| 장내파생상품거래예수금 | 627,452 | 363,219 | 677,761 |
| 청약자예수금 | 21 | 21 | 21 |
| 저축자예수금 | 5,936 | 5,623 | 5,209 |
| 외화증권고객예수금 | 1,153,509 | 1,430,001 | 969,009 |
| 합 계 | 4,278,107 | 3,695,958 | 3,581,464 |
2) 기타 고객예탁자산
| 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평가기준 |
|---|---|---|---|---|
| 위탁자유가증권 | 132,189,434 | 112,650,993 | 121,229,974 | 공정가액 |
| 저축자유가증권 | 395,061 | 286,323 | 174,455 | 공정가액 |
| 수익자유가증권 | 74,097,610 | 70,732,941 | 67,980,831 | 매도기준가격 |
| 기타예수유가증권 | 674 | 599 | 820 | 공정가액 |
| 소 계 | 206,682,779 | 183,670,856 | 189,386,080 | - |
(2) 예탁재산의 보호현황
1-1) 고객예탁금 등 별도예치제도(원화)
| 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별도예치대상금액 | 별도예치금액 | 예치비율 주) | ||
|---|---|---|---|---|---|
| 증권금융 | 은 행 | 기 타 | |||
| 위탁자예수금 | 1,877,947 | 1,878,063 | - | - | 100% |
| 장내파생상품거래예수금 | 525,824 | 525,900 | - | - | 100% |
| 집합투자증권투자자예수금 | 214,360 | 214,400 | - | - | 100% |
| 저축자예수금 | 5,936 | 5,936 | - | - | 100% |
| 기타 | - | - | - | - | - |
| 합 계 | 2,624,067 | 2,624,299 | - | - | 100% |
주) 예치비율은 전체(한국증권금융, 외국환은행, 해외기타) 대외기관 기준으로 작성함
1-2) 고객예탁금 등 별도예치제도(외화-달러화)
| 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별도예치대상금액 | 별도예치금액 | 예치비율 주) | ||
|---|---|---|---|---|---|
| 증권금융 | 은 행 | 기 타 | |||
| 위탁자예수금 | 698,895 | 436,607 | 67,411 | 282,470 | 113% |
| 장내파생상품거래예수금 | 113,043 | 64,357 | 9,755 | 59,290 | 118% |
| 집합투자증권투자자예수금 | - | - | - | - | - |
| 저축자예수금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합 계 | 811,938 | 500,964 | 77,166 | 341,760 | 113% |
주1) 예치비율은 전체(한국증권금융, 외국환은행, 해외기타) 대외기관 기준으로 작성함주2) 달러화, 기타통화의 경우 작성시점별 외국환매매기준환율로 원화 환산하여 작성함
1-3) 고객예탁금 등 별도예치제도(외화-기타통화)
| 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별도예치대상금액 | 별도예치금액 | 예치비율 주) | ||
|---|---|---|---|---|---|
| 증권금융 | 은 행 | 기 타 | |||
| 위탁자예수금 | 97,119 | 35,101 | 33,736 | 36,801 | 109% |
| 장내파생상품거래예수금 | 288,764 | 279,387 | 915 | 9,069 | 100% |
| 집합투자증권투자자예수금 | - | - | - | - | - |
| 저축자예수금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합 계 | 385,883 | 314,488 | 34,651 | 45,870 | 102% |
주1) 예치비율은 전체(한국증권금융, 외국환은행, 해외기타) 대외기관 기준으로 작성함주2) 달러화, 기타통화의 경우 작성시점별 외국환매매기준환율로 원화 환산하여 작성함
2) 예금자 보호제도신한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의거 부보대상 예수금에 대하여 예금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다. 고객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 (1)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고객과의 금융거래를 위해 대면 및 비대면 채널을 통해 고객정보를 적법하게 수집ㆍ처리하며, 정보보호 컴플라이언스 및 법규준수 점검, 물리ㆍ기술적 보안 강화, 개인정보 처리 수탁사 관리 및 임직원 대상 보안교육 등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 하에 보안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 개인정보는 수집 목적 달성 시 즉시 파기하며, 오남용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점검을 수행합니다. 위탁ㆍ제휴업체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을 실시하고, 정보보호포털, 위탁제휴관리시스템, 개인정보관리시스템(PIMS), 문서반출시스템 등 시스템을 통해 개인정보의 안전성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외부 해킹 공격과 대규모 트래픽을 이용한 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고도화된 보안 기술을 적용하고, 비상상황에 대비한 대피소 전환 훈련 및 해킹방어 대응 훈련 등을 포함한 정기적인 보안훈련을 금융보안원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등 실전 대응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대면 금융서비스 및 디지털 채널에서 발생 가능한 보이스피싱, 휴대폰 위ㆍ변조, 악성앱 등 다양한 위협 요소를 선제적으로 탐지ㆍ차단하고, 고객별ㆍ거래유형별 리스크 분석을 기반으로 이상징후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AI 기반 하이브리드 FDS(이상금융거래 탐지 시스템)를 강화ㆍ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금융위원회 주관 「개인신용정보 관리 및 보호 실태 점검」에서 5년 연속 S등급(100점)을 획득하였으며, ISMS/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ISO27001(정보보호) 등 국내외 인증을 통해 대외적으로 정보보호 신뢰성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 사이버 해킹 대응 전문 조직을 운영하며, 국내외 유수의 해킹대회(예: Locked Shields 등)에 참여하여 최신 공격 기술에 대한 실전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민간 은행으로는 유일하게 국가 사이버보안 정보공유망에 가입되어 있으며, 국내 금융권 최초로 NATO 사이버방위센터 주관 「Locked Shields」 훈련에 참가하여 금융 인프라 방어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끝으로, 개인정보 유출 및 전자금융사고에 대비한 배상책임보험을 가입 유지하며, 사고 발생 시 신속한 피해보상과 재무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2) 신한카드 가. 고객정보 유출 관련 위험요인
신한카드는 고객정보를 기반으로 업(業)을 영위하는 카드社로서 해킹 등 금융회사에대한 정보유출 및 침해위협으로부터 중요 자산인 고객정보와 전산시스템을 보호하기위해 법률(전자금융거래법, 개인정보 보호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 기반한 보안정책 수립, 실태 점검, 이상징후 탐지/모니터링,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ㆍ운영, 보안관제 및 비상대응 훈련, 대외 정보보호 인증[ISMS-P, PCI-DSS, ISO27001], 임직원 정보보호 교육 등 내부통제ㆍ침해예방 활동을 상시 수행 중입니다. 또한 신한금융지주에서 추진하는 정보보호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통해 정보보호 및 ICT 의 보안수준을 매년 진단하여 개선사항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의 중점사업인 디지털ㆍ플랫폼/데이터 중심 비즈니스에 대한 Zero Trust 관점의 보안관리체계 강화 및 임직원 스스로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할수 있도록 현장점검 및 경영진특강등으로 정보보호 인식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나. 기타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금융업은 물론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영업을 수행하는 모든 산업에서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IT 기술이 급속히 발전한 최근에들어 여러 산업분야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 금융기관 및 관련 업체의 허술한 보안체계를 뚫고 고객정보를 탈취하던 과거와는 달리 금융기관의 강력한 보안체계로 정보탈취가 어려워진 최근에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들에게 허위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문자발송을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개인정보 유출사고(피싱, 스미싱)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는 업계 최고의 보안시스템을 운영하여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제재를 받은 사실이 없으나, 신한카드 역시 금융기관으로서 고객의 개인정보를 취급하고 있으므로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 및 이로 인한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신한카드는 개인정보유출 가능성 발생 Zero화를 목표로 개인정보파일 격리 보관, 해킹 위험성이 있는 인터넷사이트에 대한 접속 차단, 외부저장매체를 이용한 저장복사 금지, 문서 출력시 개인정보 마스킹 처리, 외부전산기기 반입금지 및 협력업체 보안 ㆍ교육점검을 통하여 개인정보 유출 차단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싱, 스미싱을 통한 신한카드 거래 회원들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홈페이지, app,청구서, 문자 등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예방을 적극 홍보하고 있으며, 피싱/스미싱 탐지 앱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회원에게는 유선 접촉을 통해 카드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을 적극 안내하고 있습니다.
(3) 신한라이프 신한라이프는 관련 법규(보험업법, 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와 사내 규정(내부통제규정, 개인정보관리보호규정, 정보보안규정 등)을 준수하여 소비자의 재산 및 신용정보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4) 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은 고객정보의 수집ㆍ보관ㆍ이용 등 처리 절차 전반에 대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보호활동을 통해 고객이 안심하고 신한투자증권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5년 1월 고객정보 보호 업무를 전담하는 정보보호본부를 신설하고 본부장을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로 지정하여 정보보호 관리 체계의 수립 및 운영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규정에서 권고하는 규모 이상으로 정보보호 사업예산을 매년 편성하여 정보보호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산업진흥법에 따른 정보보호 투자ㆍ인력ㆍ인증 등의 현황을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www.isds.kisa.or.kr)에 자율적으로 공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고객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대책을 수립하여 고객정보가 유출되거나 오남용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대책으로 개인정보 처리 현황 및 수탁사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전직원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정보보호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대책으로 본사 및 각 영업점에 CCTV 등 출입통제시스템의 설치, 보안업체를 이용한 경비시스템의 운영, 고객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장소(전산실 및 문서고)를 통제구역으로 지정하여 강화된 보호조치를 적용하는 등 정보유출 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기술적 대책으로 파일 및 전송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있으며, 중요한 데이터는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관하고, 정보유출방지솔루션(DLP)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룹 통합 보안관제센터를 통해 대외 정보보호 침해위협을 24시간 365일 탐지ㆍ분석ㆍ대응하는 등 침해사고 방지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신용정보법에 따른 금융분야 정보보호 상시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및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인증하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인증(ISMS-P, ISO27001, ISO27701)을 취득하여 국내외적으로 공인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객정보의 처리 현황 및 정보주체의 권리, 의무와 그 행사방법 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에 따라「개인정보 처리방침」, 「신용정보활용체제」를 수립하여 회사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 내부방침 또는 보안 기술변경에 따라 내용 변경이 있을 시에는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내용을 별도로 공지하고있습니다.
ICT 기술 발달에 따른 해킹 기술의 고도화, 보안 위협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금융회사의 고객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신한투자증권은 앞으로도 고객정보의 안전한 관리와 보호를 위해 정보보호 역량 강화, 임직원의 보안 인식제고, 침해행위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점검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5) 신한캐피탈 클라우드, AI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기업과 사회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보안 위협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신한캐피탈은 지속적인 보안투자, 리스크관리, 윤리적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자 하며 다음과 같이 기술적ㆍ관리적ㆍ물리적 보안운영을 동해 보유한 고객정보의 안정성과 적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신용)정보 유출 및 훼손을 막기 위해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에 대한 주기적인 갱신과 취약점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침입차단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의심스러운 활동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시 및 차단을 하고 있습니다. 고객정보접근 권한과 조회기록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취급자의 접속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 임직원과 개인정보 처리 위탁업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점검 및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중요한 정보는 암호화 하여 보관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파기 모니터링을 통해 보유 정보의 적정성을 확보하는 등 보안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현재까지 고객 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없습니다. 신한캐피탈은 앞으로도 고객정보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라.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ㆍ채무재조정 사유 등의 변동현황1. 전환ㆍ채무재조정 사유의 변동 현황 (1)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상각 사유당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전액 영구적으로 상각되며, 이에 따른 본 조건부자본증권의 상각은 채무불이행 또는 부도 사유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2) 부실금융기관의 정의 및 요건금융기관이 채무초과, 지급불능 등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며, 부실금융기관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을 말합니다.
|
전환,채무 재조정 사유 |
발행 시(2015.06.25) |
제15기 3분기 |
제15기 4분기 |
제16기 1분기 | 제16기 2분기 | 제16기 3분기 | 제16기 4분기 | 제17기 1분기 | 제17기 2분기 | 제17기 3분기 |
제17기 4분기 |
제18기 1분기 |
제18기 2분기 |
제18기 3분기 |
제18기 4분기 |
제19기 1분기 |
제19기 2분기 |
제19기 3분기 |
제19기 4분기 |
비 고 |
|---|---|---|---|---|---|---|---|---|---|---|---|---|---|---|---|---|---|---|---|---|
|
부실금융기관 지정 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 (신종자본증권) |
|
전환,채무 재조정 사유 |
제20기 1분기 |
제20기 2분기 |
제20기 3분기 |
제20기 4분기 |
제21기 1분기 |
제21기 2분기 |
제21기 3분기 | 제21기 4분기 |
제22기 1분기 |
제22기 2분기 |
제22기 3분기 | 제22기 4분기 | 제23기 1분기 |
제23기 2분기 |
제23기 3분기 | 제23기 4분기 | 제24기 1분기 | 제24기 2분기 | 제24기3분기 |
제24기 4분기 |
비 고 |
|---|---|---|---|---|---|---|---|---|---|---|---|---|---|---|---|---|---|---|---|---|---|
|
부실금융기관 지정 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 (신종자본증권) |
|
전환,채무 재조정 사유 |
제25기 1분기 |
제25기 2분기 |
|---|---|---|
|
부실금융기관 지정 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부실금융기관"이란 다음 각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을 말한다.1. 금융기관의 경영상태를 실제 조사한 결과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금융기관이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부실채권의 발생으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이 명백한 금융기관으로 금융위원회나 「예금자보호법」 제8조에 따른 예금보호위원회가 결정한 금융기관2.「예금자보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예금 등 채권의 지급이나 다른 금융기관으로 부터의 차입금 상환이 정지된 금융기관3. 외부로부터의 지원이나 별도의 차입이 없이는 예금 등 채권의 지급이나 차입금의 상환이 어렵다고 금융위원회나「예금자보호법」제8조에 따른 예금보험위원회가 인정한 금융기관 |
금융당국은 부실금융기관의 지정 행위 이전에 부실 우려가 있는 금융기관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자산과 부채에 대한 실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43조에 의하면,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에 따른 부실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 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합니다.
|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제43조 (평가대상 금융지주회사)」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 제2조제2호의 규정에 따른 부실 금융기관 결정을 위한 자산과 부채의 평가 및 산정대상이 되는 금융지주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지주회사로 한다.1. 금융지주회사등의 거액의 금융사고 또는 거액여신의 부실화 등으로 금융지주 회사 자산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되어 감독원장이 부채가 자산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금융지주회사 2. 총자본비율 100분의 4 미만 또는 기본자본비율 100분의 3 미만 또는 보통주 자본 비율 100분의 2.3 미만인 경우3. 제35조의 규정에 의한 경영실태 평가 결과 감독원장이 정하는 평가부문의 평가 등급이 5등급(위험)으로 판정된 금융지주회사 |
2. 관련 지표의 변동현황(1) 자본적정성 및 자산건전성 지표 추이
| (단위: 십억원) |
|
관련지표 |
21년 3월말 | 21년 6월말 |
21년 9월말 |
21년 말 | 22년 3월말 | 22년 6월말 | 22년 9월말 | 22년 말 | 23년 3월말 | 23년 6월말 | 23년 9월말 | 23년 말 |
|---|---|---|---|---|---|---|---|---|---|---|---|---|
|
총자본합계 |
41,114.0 |
42,887.3 | 43,992.0 | 43,824.2 | 45,007.8 | 45,909.4 | 47,961.7 | 46,981.8 | 48,861.1 |
49,460.2 |
49,605.4 |
50,192.5 |
|
기본자본계 |
37,914.3 |
39,631.5 | 40,701.7 | 40,396.3 | 41,737.9 | 42,235.0 | 44,030.5 | 43,267.4 | 45,321.3 |
45,923.4 |
46,188.7 |
46,506.9 |
|
보통주자본 |
33,551.0 |
34,740.7 | 35,806.9 | 35,469.6 | 36,318.0 | 36,694.4 | 38,204.4 | 37,287.8 | 38,761.1 |
40,244.5 |
40,970.3 |
41,388.1 |
|
위험가중자산 |
257,125.4 |
259,007.0 | 267,080.5 | 270,692.2 | 279,008.1 | 288,283.0 | 302,342.2 | 291,542.6 | 309,106.9 |
310,660.4 |
316,990.7 |
314,180.7 |
|
총자본비율 |
15.99% |
16.56% | 16.47% | 16.19% | 16.13% | 15.93% | 15.86% | 16.11% | 15.81% |
15.92% |
15.65% |
15.98% |
|
기본자본비율 |
14.75% |
15.30% | 15.24% | 14.92% | 14.96% | 14.65% | 14.56% | 14.84% | 14.66% |
14.78% |
14.57% |
14.80% |
|
보통주자본비율 |
13.05% |
13.41% | 13.41% | 13.10% | 13.02% | 12.73% | 12.64% | 12.79% | 12.54% |
12.95% |
12.92% |
13.17% |
|
고정이하여신비율 |
0.53% | 0.50% | 0.48% | 0.44% | 0.42% | 0.44% | 0.43% | 0.51% | 0.58% | 0.62% | 0.63% | 0.65% |
|
대손충당금적립률 |
157.09% | 159.68% | 163.21% | 182.50% | 194.58% | 194.41% | 198.46% | 176.99% | 170.18% | 162.71% | 159.70% | 165.61% |
|
관련지표 |
24년 3월말 | 24년 6월말 | 24년 9월말 | 24년 말 | 25년 3월말 | 25년 6월말 |
|---|---|---|---|---|---|---|
|
총자본합계 |
51,419.6 | 52,562.4 | 53,506.4 | 53,904.9 | 55,008.9 | 55,180.0 |
|
기본자본계 |
47,920.2 | 48,931.6 | 50,128.7 | 50,392.5 | 51,780.4 | 52,311.4 |
|
보통주자본 |
42,529.6 | 43,530.9 | 44,357.0 | 44,570.4 | 45,725.6 | 46,298.6 |
|
위험가중자산 |
324,420.3 | 333,310.4 | 336,845.7 | 341,378.8 | 344,651.9 | 340,595.0 |
|
총자본비율 |
15.85% | 15.77% | 15.88% | 15.79% | 15.96% | 16.20% |
|
기본자본비율 |
14.77% | 14.68% | 14.88% | 14.76% | 15.02% | 15.36% |
|
보통주자본비율 |
13.11% | 13.06% | 13.17% | 13.06% | 13.27% | 13.59% |
|
고정이하여신비율 |
0.71% | 0.78% | 0.80% | 0.79% | 0.84% | 0.84% |
|
대손충당금적립률 |
145.86% | 133.68% | 128.50% | 132.48% | 124.17% | 124.04% |
| 주1) | 발행 시 현황은 2015년 9월말 기준임 |
| 주2) | 대출채권 구성 현황 및 상각 등에 관한 정보는 Ⅱ. 사업의 내용 6.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Ⅲ. 연결재무제표 주석 4. 금융상품 위험 관리 참조 |
| 주3) | 2025년 6월 말 자본비율은 잠정치임 |
(2) 부실금융기관 평가대상 가능성 분석 (가) 자산 및 부채 현황
| (단위: 십억원) |
|
구분 |
21년 3월말 | 21년 6월말 | 21년 9월말 | 21년 말 | 22년 3월말 | 22년 6월말 | 22년 9월말 | 22년 말 | 23년 3월말 | 23년 6월말 | 23년 9월말 | 23년 말 |
|---|---|---|---|---|---|---|---|---|---|---|---|---|
|
자산 |
618,737.0 |
626,043.0 |
638,655.2 |
648,152.2 |
666,725.8 | 683,226.3 |
696,218.8 |
675,884.3 |
676,189.5 |
676,966.9 |
676,966.9 |
691,795.3 |
|
부채 |
571,994.4 |
577,576.7 |
589,239.4 |
598,613.8 |
617,192.3 | 633,528.0 |
645,367.4 |
624,753.9 |
620,382.2 |
620,937.3 |
620,937.3 |
635,473.5 |
|
자본 |
46,742.6 |
48,466.4 |
49,415.7 |
49,538.4 |
49,533.5 | 49,698.3 |
50,851.3 |
51,130.4 |
55,807.3 |
56,029.7 |
56,029.7 |
56,321.9 |
|
구분 |
24년 3월말 | 24년 6월말 | 24년 9월말 | 24년 말 | 25년 3월말 | 25년 6월말 |
|---|---|---|---|---|---|---|
|
자산 |
709,754.9 | 727,731.3 | 744,870.0 | 739,764.3 | 746,222.3 | 752,691.5 |
|
부채 |
652,990.5 | 670,126.7 | 686,161.4 | 680,943.2 | 686,874.7 | 692,495.6 |
|
자본 |
56,764.5 | 57,604.5 | 58,708.6 | 58,821.0 | 59,347.6 | 60,195.9 |
(나) 자본비율- 손실규모에 대한 BIS 비율 민감도
| (단위: 십억원) |
|
구분 |
BIS비율 1%p 하락 |
BIS비율 2%p 하락 |
BIS비율 3%p 하락 |
|---|---|---|---|
|
2023년 말 |
3,141.8 | 6,283.6 |
9,425.4 |
| 2024년 말 | 3,413.8 | 6,827.6 | 10,241.4 |
| 2025년 반기 말 | 3,406.0 | 6,811.9 | 10,217.9 |
| 주1) 2025년 반기말 기준 잠정치임주2) 위험가중자산 : 340조 5,950억원(잠정)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및 내부자료 |
-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제 43조에 따른 자본여력
| (단위: 십억원) |
|
구분 |
2025년 반기 말(A) |
제 43조 기준(B) |
자본여력 비율(C=A-B) |
자본여력(D=C*위험가중자산) |
|---|---|---|---|---|
|
총자본비율 |
16.20% | 4.00% | 12.20% | 41,552.6 |
|
기본자본비율 |
15.36% | 3.00% | 12.36% | 42,097.5 |
|
보통주자본비율 |
13.59% | 2.30% | 11.29% | 38,453.2 |
| 주1) 2025년 반기말 기준 잠정치임주2) 위험가중자산 : 340조 5,950억원(잠정)출처 : 신한금융지주 2025년 반기보고서 및 내부자료 |
(다) 경영실태평가 등급당사는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 제35조에 의한 경영실태평가에서 현재까지 각 부문별및 종합평가 등급으로 5등급(위험)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마. 녹색경영에 관한 사항
- 신한금융그룹은 2050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Zero Carbon Drive'를 선언하고, 기후대응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한금융그룹이 추진한 ESG활동 및 데이터를 상세히 수록한 ESG보고서를 매년 발간하여 당사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 및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공시하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등관련사항(자율공시)(2025.6.30) 바. 보호예수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 (단위 : 백만원) |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신한은행 | 1897.02.19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 은행업 | 511,759,16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 | 1985.12.17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00 | 여신전문금융업 | 43,015,325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투자증권 | 1973.04.02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여의도동, TP Tower) | 금융투자업 | 47,273,12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1990.01.04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58 | 생명보험업 | 59,617,79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캐피탈 | 1991.04.1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곡로 17 | 여신전문금융업 | 12,465,034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자산운용 | 1996.08.0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여의도동, TP Tower 23층) | 금융투자업 | 394,193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디에스 | 1991.05.13 | 서울 중구 남대문로 10길 29 | 전산 서비스 | 134,104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HC매니지먼트 | 2002.06.04 |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 기타 | 10,325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제주은행 | 1969.03.20 | 제주시 1100로 3351(노형동) | 은행업 | 7,436,492 | 지분율 64.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저축은행 | 2012.11.06 | 서울 중구 청계천로 54 | 저축은행업 | 2,879,145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자산신탁 | 2006.10.18 |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416 | 부동산신탁업 | 775,844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펀드파트너스 | 2000.06.15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28 | 금융사무수탁 | 122,507 | 지분율 99.7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리츠운용 | 2017.10.18 | 서울 종로구 종로33 18층 | 부동산업 | 82,78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벤처투자 | 2000.04.01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34 (대치동, 글라스타워빌딩) | 창업투자,사모투자집합기구(PEF)투자 | 163,010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EZ손해보험 | 2003.06.13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3 DB다동빌딩 5층 | 손해보험업 | 289,867 | 지분율 91.7%(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특정금전신탁_신한지주 | - | (주1) | 수익증권 | 1,023,28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아메리카신한은행 | 1990.10.18 | 330 5th Avenue 4th Floor New York, NY 10001, USA | 은행업 | 2,562,682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캐나다신한은행 | 2009.03.09 | 5140 Yonge St. Suite 2300 Toronto, Ontario, Canada M2N6L7 | 은행업 | 1,143,90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유럽신한은행 | 1994.10.10 | Neue Mainzer Strasse 75, 60311 Frankfrut am Main, Germany | 은행업 | 1,007,977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 2008.05.12 | 12nd FL. Zhongyu Plaza No6. Worker’s stadium Road N.,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027, China | 은행업 | 6,283,645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자흐스탄은행 | 2008.12.26 | 123/7 Dostyk Ave.Medeu District, Almaty, Republic of Kazakhstan | 은행업 | 1,888,04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캄보디아은행 | 2007.10.15 | No.79 Kampuchea Krom, Sangkat Mororom, Khan 7 Makara, Phnom Penh, Cambodia | 은행업 | 1,358,166 | 지분율 97.5%(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BJ은행 | 2009.09.14 | 5th Fl., The Mita Bellju Bldg, 108-0014 5-36-7 Shiba, Minato-ku, Tokyo, Japan | 은행업 | 15,422,780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베트남은행 | 2009.11.16 | Ground Floor, Mezzanine, 2nd and 3rd floor, Empress Tower, 138 ㆍ 142 Hai Ba Trung, Dakao Ward, District 1, Ho Chi Minh City, Vietnam | 은행업 | 11,358,734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멕시코신한은행 | 2015.10.12 | Av. Paseo de la Reforma 250, Reforma Capital Torre B Cuauhtemoc, Juarez, 06600, Mexico D.F. , Mexico | 은행업 | 460,006 | 지분율 99.9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2015.11.30 | Jl. Hayam Wuruk No. 19 ㆍ 20 Jakarta (10120), Indonesia | 은행업 | 2,272,610 | 지분율 9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BJDNX | 2020.04.01 | 7th Fl., The Mita Bellju Bldg, 108-0014 5-36-7 | 전산서비스 | 19,97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엠피씨율촌2호기㈜ | 2011.10.31 | (주1) | 자산유동화 | 33,54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엠피씨율촌1호기(주) | 2013.12.20 | (주1) | 자산유동화 | 16,27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타이거아이즈제삼차(주) | 2017.06.30 | (주1) | 자산유동화 | 110,92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써니솔루션제사차㈜ | 2018.04.30 | (주1) | 자산유동화 | 29,60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마에스트로이알 ㈜ | 2019.05.24 | (주1) | 자산유동화 | 32,9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제십차㈜ | 2020.10.29 | (주1) | 자산유동화 | 101,2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지아이비제이디티㈜ | 2020.11.30 | (주1) | 자산유동화 | 29,03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와이비 | 2020.12.15 | (주1) | 자산유동화 | 9,0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브라이트제일차㈜ | 2021.03.22 | (주1) | 자산유동화 | 63,30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황금㈜ | 2021.05.25 | (주1) | 자산유동화 | 34,8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브라이트운정 | 2021.05.11 | (주1) | 자산유동화 | 37,35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브라이트판교㈜ | 2021.06.30 | (주1) | 자산유동화 | 37,59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신설 | 2021.07.07 | (주1) | 자산유동화 | 12,05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브라이트에너지(주) | 2021.08.05 | (주1) | 자산유동화 | 50,29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퍼스트 | 2021.10.29 | (주1) | 자산유동화 | 30,30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박스㈜ | 2021.11.30 | (주1) | 자산유동화 | 11,7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브라이트엘디씨㈜ | 2021.11.17 | (주1) | 자산유동화 | 50,91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초월㈜ | 2021.11.18 | (주1) | 자산유동화 | 19,98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해운대㈜ | 2021.12.29 | (주1) | 자산유동화 | 30,82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알파㈜ | 2022.01.21 | (주1) | 자산유동화 | 51,10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신촌㈜ | 2022.02.23 | (주1) | 자산유동화 | 6,57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자석㈜ | 2022.02.23 | (주1) | 자산유동화 | 14,12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지아이비미래㈜ | 2022.03.08 | (주1) | 자산유동화 | 10,17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두정㈜ | 2022.03.25 | (주1) | 자산유동화 | 10,96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풍무㈜ | 2022.03.17 | (주1) | 자산유동화 | 56,0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지아이비화성㈜ | 2022.03.30 | (주1) | 자산유동화 | 28,77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엔㈜ | 2022.03.30 | (주1) | 자산유동화 | 14,04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유천㈜ | 2022.04.14 | (주1) | 자산유동화 | 20,43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용문㈜ | 2022.04.27 | (주1) | 자산유동화 | 28,3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신사주식회사 | 2022.05.25 | (주1) | 자산유동화 | 24,98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세교 | 2022.05.27 | (주1) | 자산유동화 | 21,84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길동㈜ | 2022.06.23 | (주1) | 자산유동화 | 12,28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제이디㈜ | 2022.06.28 | (주1) | 자산유동화 | 110,54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지아이비사화㈜ | 2022.06.30 | (주1) | 자산유동화 | 32,84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수표(주) | 2022.07.29 | (주1) | 자산유동화 | 30,71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신정㈜ | 2022.07.08 | (주1) | 자산유동화 | 29,68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홈플러스㈜ | 2022.08.05 | (주1) | 자산유동화 | 44,57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와이디㈜ | 2022.08.05 | (주1) | 자산유동화 | 70,51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강서(주) | 2022.08.10 | (주1) | 자산유동화 | 40,33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에이치디㈜ | 2022.08.24 | (주1) | 자산유동화 | 50,50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경안 | 2022.09.13 | (주1) | 자산유동화 | 20,34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남사 | 2022.09.29 | (주1) | 자산유동화 | 21,54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엘이씨 | 2022.09.30 | (주1) | 자산유동화 | 30,16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하나마이크론제삼차 | 2022.11.24 | (주1) | 자산유동화 | 12,7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에이치 | 2022.11.30 | (주1) | 자산유동화 | 50,36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모빌 | 2022.11.28 | (주1) | 자산유동화 | 50,22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은평 | 2023.03.23 | (주1) | 자산유동화 | 4,84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지에스 | 2023.04.27 | (주1) | 자산유동화 | 146,06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디스플레이제사차㈜ | 2023.04.13 | (주1) | 자산유동화 | 100,09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프로젝트디 | 2023.04.28 | (주1) | 자산유동화 | 107,10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타이거에이치㈜ | 2023.04.17 | (주1) | 자산유동화 | 50,16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에이치엘㈜ | 2023.05.04 | (주1) | 자산유동화 | 100,58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드래곤엔엑스제이차㈜ | 2025.01.20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삼차㈜ | 2025.01.24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에이엘제이차㈜ | 2025.01.31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배곧제이차 | 2025.02.28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에너빌㈜ | 2025.03.28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그린바이오제삼차㈜ | 2025.03.24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씨 | 2025.03.07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개발신탁_신한은행 | 1984.02.01 | (주1) | 신탁 | 1,03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불특정금전신탁_신한은행 | 1984.02.01 | (주1) | 신탁 | 1,86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노후연금신탁_신한은행 | 1987.01.05 | (주1) | 신탁 | 2,41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개인연금신탁_신한은행 | 2000.07.01 | (주1) | 신탁 | 75,99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개인연금신탁_신한은행 | 1994.06.20 | (주1) | 신탁 | 1,306,69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퇴직신탁_신한은행 | 2000.03.27 | (주1) | 신탁 | 14,27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노후연금신탁_신한은행 | 2000.07.01 | (주1) | 신탁 | 93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연금신탁_신한은행 | 2001.02.05 | (주1) | 신탁 | 1,973,83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가계금전신탁(구신한) | 1985.03.25 | (주1) | 신탁 | 8,50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기업금전신탁(구신한) | 1987.09.01 | (주1) | 신탁 | 13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에스지레일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2호 | 2021.04.16 | (주1) | 수익증권 | 414,77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부동산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31호 | 2021.06.11 | (주1) | 수익증권 | 10,36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은행-대성 문화콘텐츠 투자조합 | 2016.12.28 | (주1) | 투자,운용 | 3,054 | 지분율 71.43%(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에스퍼스트에이치디 | 2023.09.01 | (주1) | 자산유동화 | 70,64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이엠티 | 2023.09.05 | (주1) | 자산유동화 | 151,59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지아이비포터제이차 | 2023.09.25 | (주1) | 자산유동화 | 30,42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클린 | 2023.09.25 | (주1) | 자산유동화 | 45,60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엘피디㈜ | 2023.08.31 | (주1) | 자산유동화 | 151,48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에이치로드제2차 | 2023.07.31 | (주1) | 자산유동화 | 19,99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솔루션와이디 | 2023.10.30 | (주1) | 자산유동화 | 151,96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솔루션피엠㈜ | 2023.11.10 | (주1) | 자산유동화 | 17,09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SOYANG 68 PTE. LTD. | 2023.08.11 | (주1) | 자산유동화 | 79,00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OYANG 101 PTE. LTD. | 2023.08.11 | (주1) | 자산유동화 | 296,53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드래곤엔엑스㈜ | 2024.02.07 | (주1) | 자산유동화 | 30,10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퍼스트에이치엘 | 2024.03.18 | (주1) | 자산유동화 | 202,38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프로젝트더블유(주) | 2024.03.28 | (주1) | 자산유동화 | 98,43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리치게이트와이에스 | 2024.03.11 | (주1) | 자산유동화 | 45,65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에이치제이차 | 2024.06.25 | (주1) | 자산유동화 | 81,03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에스프로젝트모리츠 | 2024.07.05 | (주1) | 자산유동화 | 60,47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자리츠 | 2024.07.05 | (주1) | 자산유동화 | 35,28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엘이씨 | 2024.07.18 | (주1) | 자산유동화 | 19,98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게임즈제이차 | 2024.08.23 | (주1) | 자산유동화 | 30,02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리치게이트에이치제이차 | 2024.08.28 | (주1) | 자산유동화 | 50,25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남천제일차 | 2024.08.23 | (주1) | 자산유동화 | 62,82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라이언㈜ | 2025.04.01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뉴월드제이차㈜ | 2025.04.29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이슬㈜ | 2025.04.08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코어씨비디제일차㈜ | 2025.04.08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에이치스틸㈜ | 2025.04.25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멀티㈜ | 2025.05.09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지아이비서리풀제일차㈜ | 2025.06.30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프로젝트올영㈜ | 2025.06.27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타이거핑제일차㈜ | 2025.06.27 | (주1) | 자산유동화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한국리얼에셋호치민오피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 | 2023.08.21 | (주1) | 수익증권 | 368,4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그린에너지성장동력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 | 2023.08.30 | (주1) | 수익증권 | 5,00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카드이천이십일의이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1.07.2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400,12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이의일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2.04.28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400,29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이의이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2.07.04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587,55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이의삼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2.12.22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365,59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삼의일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3.06.2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342,56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사의일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4.03.28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847,96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카드이천이십사의이유동화전문유한회사 | 2024.08.27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7, 9층 (삼성동, 삼화빌딩) | 자산유동화(카드채권) | 584,5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신용정보 | 2002.07.08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북로 122 | 채권추심,신용조사, 민원용역대행 | 35,67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2014.11.21 | Office 2/3, 2nd Floor, 48 Auezov St., Almaty district, Almaty, Republic of Kazakhstan | 할부금융, 리스, 신용대출 | 287,009 | 지분율 72.1%(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인도파이낸스 | 2015.12.01 | Wisma Indomobil 1, 10th Floor, Jl. Letjen M.T. Haryono Kav. 8, Jakarta 13330, Indonesia | 할부금융, 리스, 신용카드 | 238,562 | 지분율 76.33%(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 | 2016.02.29 | Myanmar(Room 4, No.24, 1st floor, Yaw Min Gyi st., Dagon Township, Yangon) | 신용대출 | 15,73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 | 2007.04.18 | 19th Floor, Tower B, Commercial and Service Area combined with High-rise Residential at Lot 1-13, Functional Area No. 1, 15 Tran Bach Dang Street, Thu Thiem Ward, Thu Duc Ho Chi Minh, Ho Chi Minh City, Viet Nam | 신용대출, 할부금융, 신용카드 | 629,44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특정금전신탁_신한카드 | - | (주1) | 수익증권 | 490,000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hinhan Securities America Inc. | 1993.06.15 | 1325 Avenue of the Americas #702 New York, N.Y. 10019 U.S.A | 금융투자업 | 6,588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Shinhan Securities Asia Ltd. | 2007.05.25 | Unit 7705A, Level 77, International Commerce Centre, HK | 금융투자업 | 178,586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SHINHAN SECURITIES VIETNAM CO., LTD | 2007.12.18 | Room 2201, Floor 22, Centec Tower, 72-74 Nguyen Thi Minh Khai Street, District 3, Ho Chi Minh City. | 금융투자업 | 447,63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PT Shinhan Sekuritas Indonesia | 1988.12.28 |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 2, 30th floor, JI.Jend,Sudirman Kav.2, Jakarta, Indonesia | 금융투자업 | 35,416 | 지분율 9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멀티에셋항공기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 | 2016.12.29 | (주1) | 수익증권 | 29,39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엔젤레스제십팔차 유한회사 | 2018.04.30 | (주1) | 자산유동화SPC | 11,78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글로벌에디션제일차 유한회사 | 2018.09.07 | (주1) | 자산유동화SPC | 37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글로벌에스에이치제일차 주식회사 | 2018.06.2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5,80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교보악사 체코프라하 전문투자형 사모부동산신탁 2호 | 2018.12.14 | (주1) | 수익증권 | 19,85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글로벌솔루션제구차 주식회사 | 2019.04.08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8,03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어스에스앤제일차 | 2019.05.2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6,85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어스에스앤제이차 주식회사 | 2019.05.2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9,42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멀티에셋 해외부동산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5-1호 | 2019.01.29 | (주1) | 수익증권 | 10,70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헬스케어신기술투자조합제4호 | 2019.06.28 | (주1) | 사모투자조합 | 1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한화 글로벌인프라 전문투자형 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20호(재간접형) | 2019.07.18 | (주1) | 수익증권 | 26,04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컨슈머신기술투자조합제2호 | 2019.09.03 | (주1) | 사모투자조합 | 7,66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랜드로드제이차 유한회사 | 2019.07.1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03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골드엔제일차 주식회사 | 2019.11.2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3,33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글로벌에디션제2차 유한회사 | 2019.10.2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44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밸류플러스미드스트림 주식회사 | 2019.12.0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40,28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바이오매스제일차 주식회사 | 2019.10.2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93,77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유토피아제일차 주식회사 | 2019.10.2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43,40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지엠에스제십사차 주식회사 | 2019.10.1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2,6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프리다칼로제일차 주식회사 | 2019.09.2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45,73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이아이피인베스트먼트인프라2호사모투자 합자회사 | 2019.10.17 | (주1) | 수익증권 | 66,99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스프랏글로벌신재생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2019.09.27 | (주1) | 수익증권 | 120,29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스프랏글로벌신재생제3호 유한회사 | 2019.09.18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28,79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LAM Enhanced Trade Finance Fund II L.P. | 2019.03.21 | (주1) | 수익증권 | 40,84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LAM Enhanced Trade Finance Fund III L.P. | 2019.03.21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CBIM Global Private Opportunities Fund SPC Ltd.(SP3) | 2018.02.28 | (주1) | 수익증권 | 9,82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Pegasus Japan Capital Income, L.P. | 2019.07.02 | (주1) | 수익증권 | 15,82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CBIM Global Alternative Opportunity Fund Ltd. | 2018.02.28 | (주1) | 수익증권 | 7,90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CBIM Global Debt Opportunity Fund Ltd. | 2018.04.01 | (주1) | 수익증권 | 18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키움마일스톤US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2호 | 2020.03.02 | (주1) | 수익증권 | 36,37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지엠에스제십팔차 주식회사 | 2020.07.0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9,80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밸류플러스로지스제이차 주식회사 | 2018.09.1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5,60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라임NEW무역금융12M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호 | 2018.11.27 | (주1) | 수익증권 | 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라임NEW무역금융12M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2호 | 2018.12.18 | (주1) | 수익증권 | 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글로벌에디션제오차유한회사 | 2020.09.16 | (주1) | 자산유동화 SPC | 40,16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파피루스제이차주식회사 | 2020.10.08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7,43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키움마일스톤US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2-A호 | 2020.10.05 | (주1) | 수익증권 | 46,6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0제이차주식회사 | 2020.09.0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1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비스킷제일차주식회사 | 2021.05.1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8,9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프라이머리메자닌제이차주식회사 | 2021.06.16 | (주1) | 자산유동화 SPC | 7,56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2호 | 2021.09.30 | (주1) | 수익증권 | 15,34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1제십삼차 | 2021.08.30 | (주1) | 자산유동화SPC | 12,99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1제십칠차 | 2021.11.11 | (주1) | 자산유동화SPC | 38,50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자이언트트레발리제일차 | 2020.10.21 | (주1) | 자산유동화SPC | 11,59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프라이머리텀론비제4차 | 2021.09.29 | (주1) | 자산유동화SPC | 13,9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이차 | 2022.01.12 | (주1) | 자산유동화SPC | 18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삼차 | 2022.01.13 | (주1) | 자산유동화SPC | 50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럭키해비치제이차 | 2022.03.15 | (주1) | 자산유동화SPC | 10,15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팔차 | 2022.03.14 | (주1) | 자산유동화SPC | 3,95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일차 | 2022.01.11 | (주1) | 자산유동화SPC | 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칠차 | 2022.03.11 | (주1) | 자산유동화SPC | 58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3호 | 2022.04.15 | (주1) | 투자조합 | 14,70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 글로벌 신기술투자조합 제4호 | 2022.06.21 | (주1) | 투자조합 | 11,37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디엠퍼스트에이제일차 | 2022.03.1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7,38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차 | 2022.03.2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0,29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구차 | 2022.03.24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9,36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2제십차 | 2022.03.2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6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토탈커버투게더제일차 | 2022.03.1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0,4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글로벌모빌리티신기술사업투자조합1호 | 2022.07.20 | (주1) | 사모투자조합 | 5,98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동반성장솔루션신기술투자조합제1호 | 2022.10.20 | (주1) | 사모투자조합 | 10,47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5호 | 2022.11.04 | (주1) | 사모투자조합 | 8,17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파코제일차주식회사 | 2022.09.2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1,40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3제이차 | 2023.01.19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3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 글로벌 신기술투자조합 제7호 | 2023.04.19 | (주1) | 사모투자조합 | 14,05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 메자닌 제1호 | 2023.06.20 | (주1) | 사모투자조합 | 42,19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인더스트리얼즈제일차 | 2023.03.1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4,36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파인솔루션제십칠차 | 2023.03.0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7,13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에코머티리얼즈 | 2023.04.06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0,00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메자닌 제2호 | 2023.06.29 | (주1) | 사모투자조합 | 20,47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찬스공평유동화주식회사 | 2023.06.1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4,77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Shinhan Asia Mid-Market Growth Fund I Feeder | 2023.07.07 | (주1) | 수익증권 | 12,3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Shinhan Asia Mid-Market Growth Fund I Master | 2023.07.07 | (주1) | 수익증권 | 10,00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찬스가산유동화㈜ | 2023.06.3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9,96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랜드로드제칠차 | 2023.07.1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0,70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3제사차주식회사 | 2023.09.1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16,05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글로벌텀론제일차 | 2023.07.0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4,14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랜드로드제팔차 | 2023.09.0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5,40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성수공간제사차 | 2023.09.2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9,31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쥐피에스23제영차 | 2023.07.24 | (주1) | 자산유동화 SPC | 4,44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포스코 그린수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2024.01.16 | (주1) | 사모투자조합 | 22,40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816공간제일차 | 2024.03.1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25,03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8호 | 2024.05.23 | (주1) | 사모투자조합 | 5,5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메인스트림제십팔차 주식회사 | 2022.04.2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0,06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밸류업제이차 | 2024.04.0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1,05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그레이트더블에스제일차 주식회사 | 2024.06.1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0,8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파이어웍스제이차 주식회사 | 2024.07.29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0,8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파피루스제오차 | 2024.08.27 | (주1) | 자산유동화 SPC | 37,96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아이리스제일차 | 2024.08.29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0,45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드림제일차 | 2024.11.2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115,01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원신한글로벌신기술투자조합제9호 | 2024.12.04 | (주1) | 사모투자조합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디큐브공간제일차 | 2025.02.06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지엠에스제이십육차 | 2025.02.05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파피루스제육차 | 2025.02.04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인슈어테크신기술투자조합제1호 | 2025.05.16 | (주1) | 사모투자조합 | -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신한-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제3호 | 2025.06.11 | (주1) | 사모투자조합 | - | 집합투자업자, 업무집행사원 등으로서 기타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멀티솔루션에이치에스 주식회사 | 2025.05.3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판교공간제일차 | 2025.05.2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판교공간제이차 | 2025.05.20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일차 | 2025.06.1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서리풀인베스트먼트제이차 | 2025.06.11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에이알솔루션제이차 유한회사 | 2025.06.12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에이알솔루션제삼차 유한회사 | 2025.06.13 | (주1) | 자산유동화 SPC | - | 신용공여 제공이나 후순위사채 매입 등으로 인해 유의적인 변동이익에 실질적으로 노출 | X |
| 신한금융플러스 주식회사 | 2020.06.23 | 서울 중구 삼일대로 358 | 보험대리점업 | 273,230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베트남 | 2021.02.08 | Unit EBC014, Empress Business Center, 17th floor, Empress Tower, 138-142 Hai Ba Trung, Da Kao Ward, District 1, Ho Chi Minh City, Vietnam | 생명보험업 | 142,109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라이프케어 주식회사 | 2021.12.23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19, 13층(수하동, 페럼타어) | 노인 요양 복지시설 운영업 | 50,411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미래에셋맵스글로벌인프라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2호(재간접-파생형) | 2014.07.18 | (주1) | 수익증권 | 4,934 | 지분율 95.8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크레딧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3호 | 2019.06.18 | (주1) | 수익증권 | 177,990 | 지분율 99.9%(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7-A호 | 2020.12.16 | (주1) | 수익증권 | 23,867 | 지분율 99.58%(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6-B호 | 2020.02.03 | (주1) | 수익증권 | 67,852 | 지분율 99.8%(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5호 | 2020.10.29 | (주1) | 수익증권 | 63,687 | 지분율 99.88%(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KB해외투자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3호(BRIDGE,재간접) | 2022.06.24 | (주1) | 수익증권 | 73,778 | 지분율 99.4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KB해외투자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1호(NUVEEN,블라인드) | 2022.07.26 | (주1) | 수익증권 | 48,924 | 지분율 99.53%(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KKR글로벌프로그램REC일반사모투자신탁 | 2023.04.25 | (주1) | 수익증권 | 89,148 | 지분율 93.02%(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KKR글로벌프로그램PEF일반사모투자신탁 | 2023.05.19 | (주1) | 수익증권 | 75,519 | 지분율 93.02%(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KKR글로벌프로그램PDF일반사모투자신탁 | 2023.09.18 | (주1) | 수익증권 | 186,185 | 지분율 93.02%(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 LCP X 일반사모제4호 | 2023.10.25 | (주1) | 수익증권 | 33,207 | 지분율 99.75%(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파인스트리트BDC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38호 | 2025.05.22 | (주1) | 수익증권 | - | 지분율 99.83%(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파인스트리트IG글로벌일반사모투자신탁39호 | 2025.05.22 | (주1) | 수익증권 | - | 지분율 99.9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 BDC OCIC 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2025.06.13 | (주1) | 수익증권 | - | 지분율 99.92%(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케이티브이에프-신한 기술사업화 제1호 | 2019.12.24 | (주1) | 조합 | 69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시너지-신한 메자닌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2호 | 2020.11.30 | (주1) | 조합 | 1,60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이앤신한그로쓰펀드1호 | 2020.12.03 | (주1) | 조합 | 3,00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케이클라비스 퍼스트무버 제1호 | 2021.02.16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 조합 | 7,59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에스더블유 아이디 신기술조합 | 2021.05.06 |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21 | 조합 | 4,49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CCVC 스타트업 세컨더리 펀드 | 2021.06.11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6 | 조합 | 11,61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퓨처플레이-신한 테크이노베이션 제2호 | 2021.11.10 |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83-21 | 조합 | 17,40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티그리스투자조합50호 | 2022.03.10 | (주1) | 사모투자조합 | 2,4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하나대체투자중진공PCBO일반사모투자신탁2호 | 2024.10.24 | (주1) | 수익증권 | 3,00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TRF안정형OCIO솔루션(종C-s) | 2022.05.09 | (주1) | 수익증권 | 6,23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K컬쳐자(종C-s) | 2022.04.04 | (주1) | 수익증권 | 2,70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밸런스프로적극형 | 2022.12.16 | (주1) | 수익증권 | 11,1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제2호사모투자전문회사 | 2008.06.26 | (주1) | 사모투자전문회사 | 9,92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그린웨이기업투자일반사모혼합자산제2호 | 2024.06.27 | (주1) | 수익증권 | 4,77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인도NIFTY50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UH)[주식-파생형](종류C-s) | 2024.09.20 | (주1) | 수익증권 | 4,8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베스트중단기증권자투자신탁[채권](종류C-s) | 2024.09.19 | (주1) | 수익증권 | 1,02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미국장기채플러스증권자투자신탁(H)[채권-재간접형](종류C-s) | 2024.08.30 | (주1) | 수익증권 | 6,8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코리아액티브증권투자신탁[주식](종류C-s) | 2024.09.13 | (주1) | 수익증권 | 14,85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미국고수익인컴월배당혼합자산자투자신탁(H)(종류C-s) | 2024.09.30 | (주1) | 수익증권 | 3,15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미국고수익인컴월배당혼합자산자투자신탁(UH)(종류C-s) | 2024.09.30 | (주1) | 수익증권 | 2,22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마음편한TDF2060[주식혼합-재간접형](종C-s) | 2024.10.18 | (주1) | 수익증권 | 5,25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JPMorgan미국대표주(H)[주식-재간접형](종류C-s) | 2025.04.30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JPMorgan미국대표주(UH)[주식-재간접형](종류C-s) | 2025.04.30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불특정금전신탁_제주은행 | 1985.04.24 | (주1) | 신탁 | 1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연금신탁_제주은행 | 2001.04.21 | (주1) | 신탁 | 5,79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개인연금신탁_제주은행 | 2000.07.07 | (주1) | 신탁 | 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개인연금신탁_제주은행 | 1994.06.20 | (주1) | 신탁 | 6,33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적립식목적신탁_제주은행 | 1993.04.20 | (주1) | 신탁 | 3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기업금전신탁_제주은행 | 1987.09.01 | (주1) | 신탁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가계금전신탁_제주은행 | 1985.03.25 | (주1) | 신탁 | 29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노후생활연금신탁_제주은행 | 1987.01.05 | (주1) | 신탁 | 1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SHINHAN DS VIETNAM CO.,LTD | 2018.05.10 | 11th Floor, Tower B, Commercial and service area combined with high-rise housing at lot 1-13, Functional Area No.1 - No.15, Tran Bach Dang Street, Thu Thiem Ward, Thu Duc City, Ho Chi Minh, Vietnam |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서비스업 | 6,057 | 지분율 100%(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 B6) | X |
| 신한벤처 투모로우 투자조합 2호 | 2022.05.23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34 | 수익증권 | 23,33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그린에너지사모특별자산[대출채권] | 2013.05.14 | (주1) | 수익증권 | 45,29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행복울타리비티엘사모특별자산[인프라사업] | 2015.05.15 | (주1) | 수익증권 | 99,36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영남LNG복합화력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인프라사업] | 2012.10.31 | (주1) | 수익증권 | 81,59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그린에너지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대출채권] | 2016.02.22 | (주1) | 수익증권 | 40,16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좋은아침비티엘전문사모혼합자산1호 | 2016.03.24 | (주1) | 수익증권 | 19,90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글로벌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4호 | 2016.06.29 | (주1) | 수익증권 | 124,92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글로벌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5호 | 2016.08.04 | (주1) | 수익증권 | 224,50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미국네바다태양광전문사모특별자산[태양광발전사업] | 2017.05.29 | (주1) | 수익증권 | 110,4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글로벌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9호 | 2017.11.20 | (주1) | 수익증권 | 5,12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키움마일스톤US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6-A호 | 2018.09.21 | (주1) | 수익증권 | 87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부동산론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 2018.12.11 | (주1) | 수익증권 | 7,29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 | 2018.10.31 | (주1) | 수익증권 | 77,55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사회적기업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 | 2018.10.22 | (주1) | 수익증권 | 14,93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인프라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 | 2018.06.20 | (주1) | 수익증권 | 183,58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국민연금신재생에너지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 | 2019.02.20 | (주1) | 수익증권 | 113,32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원신한퓨처스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2019.06.19 | (주1) | 수익증권 | 4,80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헬스케어신기술투자조합3호 | 2019.06.10 | (주1) | 수익증권 | 4,92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호 | 2019.07.18 | (주1) | 수익증권 | 130,37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케이에스티-신한실험실창업제1호투자조합 | 2019.09.27 | (주1) | 수익증권 | 6,45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글로벌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2호(H)[재간접형] | 2018.06.18 | (주1) | 수익증권 | 94,4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평생소득TIF혼합자산투자신탁[재간접형] | 2019.12.06 | (주1) | 수익증권 | 6,55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부동산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5호 | 2019.10.16 | (주1) | 수익증권 | 31,99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3-A호 | 2019.06.21 | (주1) | 수익증권 | 32,50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4호 | 2019.05.16 | (주1) | 수익증권 | 71,15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사회적기업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호 | 2019.12.23 | (주1) | 수익증권 | 8,09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트러스톤글로벌인프라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3호 | 2018.07.31 | (주1) | 수익증권 | 66,75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유럽기업대출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4호(H) | 2019.12.03 | (주1) | 수익증권 | 63,14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WTE(Waste To Energy)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 | 2020.02.11 | (주1) | 수익증권 | 80,54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부동산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3호 | 2019.06.21 | (주1) | 수익증권 | 3,47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6호 | 2020.03.11 | (주1) | 수익증권 | 184,9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6-A호 | 2020.03.11 | (주1) | 수익증권 | 123,19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이탈리아Veneta도로인프라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H)[도로사업] | 2019.04.01 | (주1) | 수익증권 | 63,83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3호 | 2020.06.18 | (주1) | 수익증권 | 126,19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안심지속형TDF2035증권투자신탁(H)[주식혼합-재간접형] | 2020.05.29 | (주1) | 수익증권 | 10,74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퓨처스 신기술투자조합 제2호 | 2020.06.19 | (주1) | 사모투자조합 | 8,83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알파전문사모혼합자산1호 | 2020.09.28 | (주1) | 수익증권 | 11,38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네오플럭스 기술가치평가 투자조합 | 2015.09.24 | (주1) | 사모투자조합 | 10,19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그린뉴딜에너지전문투자형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 | 2020.11.04 | (주1) | 수익증권 | 42,23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인수금융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1호 | 2020.09.29 | (주1) | 수익증권 | 98,30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키움마일스톤US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16-C호 | 2020.11.24 | (주1) | 수익증권 | 5,57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지속가능경영ESG채권전문투자형사모증권투자신탁1호 | 2021.02.08 | (주1) | 수익증권 | 116,79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사회적기업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3호 | 2021.03.22 | (주1) | 수익증권 | 16,90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창업벤처전문사모4호 | 2021.06.14 | (주1) | 수익증권 | 133,46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그린뉴딜에너지전문사모특별자산3호 | 2021.04.16 | (주1) | 수익증권 | 202,19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부동산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제22-A호 | 2021.03.29 | (주1) | 수익증권 | 170,07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원신한 커넥트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2021.05.21 | (주1) | 수익증권 | 244,82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사모투자합자회사 | 2021.01.07 | (주1) | 수익증권 | 75,258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큐이디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2021.05.24 | (주1) | 수익증권 | 16,26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글로벌그린에너지파트너쉽전문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 | 2021.08.12 | (주1) | 수익증권 | 27,68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창업벤처알파일반사모혼합자산2호 | 2021.12.16 | (주1) | 수익증권 | 10,69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디지털뉴딜비티엘일반사모혼합자산 | 2021.11.18 | (주1) | 수익증권 | 51,31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Mezzanine일반사모제3호 | 2021.11.11 | (주1) | 수익증권 | 8,38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퓨처스신기술투자조합제3호 | 2022.03.08 | (주1) | 사모투자조합 | 77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지하철9호선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 2022.02.03 | (주1) | 수익증권 | 304,08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재간접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9-C호 | 2021.05.20 | (주1) | 수익증권 | 47,41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5호 | 2022.06.09 | (주1) | 수익증권 | 108,96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그린웨이기업투자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2022.06.28 | (주1) | 수익증권 | 43,32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원신한 커넥트 신기술투자조합 제2호 | 2022.04.29 | (주1) | 사모투자조합 | 15,98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스퀘어브릿지 ESG 투자조합 1호 | 2022.09.06 | (주1) | 사모투자조합 | 24,6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글로벌 플래그십 투자조합 1호 | 2022.06.30 | (주1) | 사모투자조합 | 114,14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Brookfield Global Transition인프라지분투자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USD)[재간접형] | 2021.11.09 | (주1) | 수익증권 | 37,50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KT 물류 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 제1호 | 2022.11.24 | (주1) | 수익증권 | 29,11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AIM크레딧4-B호_Clover2 | 2022.01.28 | (주1) | 수익증권 | 154,80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인프라개발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2.11.18 | (주1) | 수익증권 | 10,62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디지털콘텐츠일반사모제1호 | 2023.01.20 | (주1) | 수익증권 | 6,76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6호 | 2023.06.08 | (주1) | 수익증권 | 55,10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SOF V 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H) | 2023.05.24 | (주1) | 수익증권 | 22,44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LS Global Green Way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 2023.04.11 | (주1) | 수익증권 | 60,41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One플래그쉽부동산개발1호 | 2023.05.27 | (주1) | 수익증권 | 69,121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KKR글로벌프로그램일반사모투자신탁(USD) | 2022.07.19 | (주1) | 수익증권 | 57,21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하이퍼커넥트투자조합1호 | 2023.06.28 | (주1) | 수익증권 | 95,76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Brookfield Infrastructure Fund V인프라투자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A호(USD)[재간접형] | 2023.07.04 | (주1) | 수익증권 | 16,06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하이퍼퓨처스투자조합1호 | 2023.08.25 | (주1) | 수익증권 | 6,55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PF정상화일반사모부동산자투자신탁제1호 | 2023.09.25 | (주1) | 수익증권 | 145,84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글로벌Tea제조사인수금융일반사모투자신탁 | 2022.12.06 | (주1) | 수익증권 | 49,89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기업오퍼튜니티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3.05.17 | (주1) | 수익증권 | 97,119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그린인프라혁신성장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제1호 | 2023.11.30 | (주1) | 수익증권 | 54,2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TheCredit1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3.10.31 | (주1) | 수익증권 | 38,32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CIS III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 | 2023.09.25 | (주1) | 수익증권 | 40,065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 Global Green Way 유럽 인프라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 | 2023.12.29 | (주1) | 수익증권 | 15,097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인프라개발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제2호 | 2024.02.16 | (주1) | 수익증권 | 9,08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벤처세컨더리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2024.04.12 | (주1) | 수익증권 | 11,312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데이터센터개발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4.05.13 | (주1) | 수익증권 | 60,220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TheCredit2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4.06.19 | (주1) | 수익증권 | 23,956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일본태양광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4호 | 2023.12.29 | (주1) | 수익증권 | 94,05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 (최근 사업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 |
| 신한위벤처뎁1호사모투자 합자회사 | 2023.07.28 | (주1) | 수익증권 | 3,97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창업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7호 | 2024.07.23 | (주1) | 수익증권 | 13,973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TheCreditProject1일반사모혼합자산투자신탁 | 2024.09.02 | (주1) | 수익증권 | 26,744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Global Green Way 일본ESS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제1호(H) | 2024.12.31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SLAMS인프라 Co-investment 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1호 | 2025.05.29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하버베스트인프라세컨더리일반사모투자신탁제3호(KRW) | 2025.05.22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레포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제2호[채권] | 2025.06.09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 신한TheCredit3일반사모투자신탁 | 2025.04.29 | (주1) | 수익증권 | - | 힘과 변동이익 노출(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문단7) | X |
주1) 수익증권, 유동화전문유한회사 등 실질적인 영업활동을 수행하지 않는 종속회사에 대해서는 주소를 기재하지 않았음
2. 계열회사 현황(상세)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사) |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 상장 | 2 | ㈜신한금융지주회사(종목코드: 055550) 주2) | 104-81-64625 |
| ㈜제주은행(종목코드: 006220) | 616-81-00615 | ||
| 비상장 | 46 | ㈜신한은행 | 202-81-02637 |
| 신한카드㈜ | 202-81-48079 | ||
| 신한투자증권㈜ | 116-81-36684 |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104-81-28992 | ||
| 신한자산운용㈜ | 116-81-60452 | ||
| 신한캐피탈㈜ | 134-81-11323 | ||
| ㈜신한저축은행 | 120-87-90239 | ||
| 신한자산신탁 | 120-87-07104 | ||
| ㈜신한DS | 110-81-34825 | ||
| 신한펀드파트너스㈜ | 107-81-85143 | ||
| 신한리츠운용㈜ | 711-88-00923 | ||
| (주)신한벤처투자 | 201-81-55941 | ||
| 신한EZ손해보험 | 110111-2799299 | ||
| SHC매니지먼트 주3) | 104-81-72014 | ||
| 신한신용정보㈜ | 119-81-58580 | ||
| 신한 제2호 사모투자전문회사 | 101-86-40537 | ||
| 신한 프랙시스 케이그로쓰 글로벌 사모투자전문회사 | 611-88-00069 | ||
| 네오플럭스 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275-81-01086 | ||
| 신한위벤처뎁1호사모투자회사 | 110113-0034908 | ||
|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PEF | 442-88-01860 | ||
| 신한금융플러스 | 569-86-01934 | ||
| 신한라이프케어 | 124-87-59356 | ||
| 신한 큐이디 제1호 PEF | 110113-0030005 | ||
| 제이에스신한 PEF | 110113-0030013 | ||
| 신한리오그린 PEF | 110113-0036889 | ||
| 아메리카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SBJ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유럽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캄보디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카자흐스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 해외현지법인 | ||
| 캐나다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베트남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멕시코신한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 해외현지법인 | ||
|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인도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뉴욕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홍콩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DS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베트남파이낸스 | 해외현지법인 |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베트남 | 해외현지법인 | ||
| SBJ DNX | 해외현지법인 |
|
주1) |
2025년 6월 말 기준이며,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른 지주회사, 자회사 및 (증)손자회사임 |
| 주2) | 신한금융지주회사는 기업집단의 지주회사임 |
| 주3) | SHC Management는 구 신한카드 청산법인으로, 청산 종결 시까지 존속 |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천주,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 수량 | 금액 | ||||||||||||||
| 신한은행 | 비상장 | 2001년 09월 01일 | 경영권 | 6,230,532 | 1,585,616 | 100 | 13,617,579 | - | - | - | 1,585,616 | 100 | 13,617,579 | 511,759,161 | 3,032,372 |
| 신한카드 | 비상장 | 2007년 03월 23일 | 경영권 | 7,726,100 | 125,369 | 100 | 7,919,672 | - | - | - | 125,369 | 100 | 7,919,672 | 43,015,325 | 562,182 |
| 신한투자증권 | 비상장 | 2001년 09월 01일 | 경영권 | 1,303,482 | 357,400 | 100 | 3,001,420 | - | - | - | 357,400 | 100 | 3,001,420 | 47,273,121 | 215,349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비상장 | 2005년 12월 13일 | 경영권 | 730,432 | 115,655 | 100 | 4,204,533 | - | -7 | - | 115,655 | 100 | 4,204,526 | 59,617,796 | 533,681 |
| 신한캐피탈 | 비상장 | 2001년 09월 01일 | 경영권 | 154,091 | 62,250 | 100 | 558,921 | - | - | - | 62,250 | 100 | 558,921 | 12,465,034 | 123,515 |
| 제주은행 | 상장 | 2002년 04월 29일 | 경영권 | 70,680 | 24,196 | 75.3 | 179,643 | - | - | - | 24,196 | 64.0 | 179,643 | 7,436,492 | 10,416 |
| 신한자산운용 | 비상장 | 2001년 09월 01일 | 경영권 | 158,490 | 17,733 | 100 | 326,206 | - | - | - | 17,733 | 100 | 326,206 | 394,193 | 107,813 |
| 신한자산신탁 | 비상장 | 2019년 05월 02일 | 경영권 | 193,400 | 27,468 | 100 | 364,789 | - | - | - | 27,468 | 100 | 364,789 | 775,844 | -320,601 |
| SHC매니지먼트 | 비상장 | 2002년 06월 01일 | 경영권 | 554 | 100 | 100 | 8,655 | - | - | - | 100 | 100 | 8,655 | 10,325 | 274 |
| 신한DS | 비상장 | 2010년 01월 04일 | 경영권 | 10,026 | 2,800 | 100 | 23,026 | - | - | - | 2,800 | 100 | 23,026 | 134,104 | 8,699 |
| 신한펀드파트너스 | 비상장 | 2012년 11월 30일 | 경영권 | 50,092 | 469 | 99.8 | 50,092 | - | - | - | 469 | 99.8 | 50,092 | 122,507 | 15,371 |
| 신한저축은행 | 비상장 | 2013년 01월 31일 | 경영권 | 165,815 | 17,174 | 100 | 157,065 | - | - | - | 17,174 | 100 | 157,065 | 2,879,145 | 17,855 |
| 신한리츠운용 | 비상장 | 2017년 10월 18일 | 경영권 | 30,000 | 6,000 | 100 | 30,000 | - | - | - | 6,000 | 100 | 30,000 | 82,781 | 7,688 |
| 신한벤처투자 | 비상장 | 2020년 09월 29일 | 경영권 | 71,128 | 25,227 | 100 | 75,840 | - | - | - | 25,227 | 100 | 75,840 | 163,010 | 3,776 |
| 신한EZ손해보험 | 비상장 | 2022년 06월 30일 | 경영권 | 41,000 | 18,076 | 85.1 | 106,210 | 16,984 | 100,061 | - | 35,060 | 91.7 | 206,271 | 289,867 | -17,403 |
| 합 계 | 2,385,533 | - | 30,623,651 | 16,984 | 100,054 | - | 2,402,517 | - | 30,723,705 | 686,418,705 | 4,300,987 | ||||
|
주1)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별도재무제표)에 따라 별도재무제표작성시 종속기업, 공동지배기업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에 대해 원가법을 적용하였으며, 전환일의 한국기업회계기준에 따른 장부금액을 원가로 간주함 |
| 주2) | 제주은행을 제외한 법인은 모두 비상장회사임 |
| 주3) | 최근 사업연도 재무현황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별도재무제표 기준임(총자산: 2024년 말 기준, 당기순이익: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기준) |
| 주4) | 지분율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
4. 예금상품별개요
| 구 분 | 종 류 | 특 징 |
|---|---|---|
| 초단기 일정금액 이상 여유자금 운용을 위한 예금 | 수퍼저축예금 (개인, 개인사업자) | 금액에 따라 차등금리를 적용하므로 일정금액 이상의 일시 여유자금 운용에 적합한 상품임 |
|
수퍼기업자유예금 (개인사업자, 법인) 거액기업자유예금(개인사업자, 법인) 신한 수퍼드림 기업자유예금(법인)일일수퍼기업자유예금(법인) |
||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 보통예금, 저축예금, 가계당좌예금, 당좌예금, 기업자유예금 | 가계 및 기업자금 등의 수시입출금을 위한 통장임. 가계당좌예금이나 당좌예금은 개인 또는 기업명의로 수표 및 어음을 발행하여 각종 지급수단으로 이용 가능함 |
| 신한 주거래 우대통장, 신한 주거래미래설계 통장, 신한 주거래 SOHO사업자통장, 유치원 보육&복지시설 우대통장, 신한 G1금거래계좌, 신한 공무원연금 평생안심통장, 국민연금 安心통장, 신한 행복지킴이 통장, 신한 연구&사업비 우대통장, 신한 My World 송금통장, 신한 스크랩거래계좌, 신한 하도급지킴이 기업통장, 신한 호국보훈지킴이 통장, 신한 보증서담보대출 입금전용 계좌, 신한 청년 DREAM 통장, 신한 창업진흥원 전용통장 II, 신한 MY 주니어 통장, 신한 창업진흥원 스타트업통장, Hey Young 머니박스, 신한 주택연금 지킴이 통장, 신한 청년 DREAM통장(인천시), 신한 슈퍼SOL통장, 신한 군인행복 통장 , 신한 이로운 연금 통장 |
고객세분화를 통하여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직장인, 사업자, 주부, 아동, 연금 수급권자, 금사업자, 시니어, 유학생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
|
| 신한 S-MORE포인트통장 | 신한카드 포인트 등 포인트가 입금되는 통장 | |
| 서비스 |
신한 베이직팩, 신한 베이직팩 플러스 |
입출금통장과 함께 인터넷뱅킹, 체크카드, 카드결제계좌 지정 등 요건 충족시 수수료 면제 등의 서비스 제공 |
| 입출금이 자유롭고 주식매매도 가능한 예금 |
신한금융투자 증권거래예금사이버증권거래예금 |
증권거래계좌를 자동연결하여 주식거래가능 |
| 목돈마련을 위한 예금 | 신한S드림(DREAM)적금, 신한S드림(DREAM)기업적금, 디딤씨앗 적립예금, 신한 새희망 적금, 신한 미소드림 적금, 신한 군인행복 적금, 정기적금, 신한 더드림 적금(외국인), 신한 사업자 성공기원적금, 신한 장병내일준비적금, 신한 가맹점 SWING 적금, 신한 마이홈 적금, 꿈나래 통장,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한 MY 주니어 적금, 신한 알.쏠 적금, 신한 안녕,반가워 적금, 아름다운 용기 적금, 신한 쏠만해 적금, 한 달부터 적금, 신한 연금 저축왕 적금, 신한 청년도약계좌, 서울시 중증장애인 이룸통장, 청년 처음적금, 신한 플랫폼 적금(병역명문가), 신한 청년 드림(DREAM) 적금(인천시), 신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한 다둥이 상생 적금, 모두의 적금, 1982 전설의 적금 | 일정기간동안 일정금액을 정기적립하거나 자유적립하여 만기에 목돈을 수령할 수 있음 |
| 목돈예치를 위한 예금 | 신한S드림(DREAM)정기예금, 양도성예금증서, 양도성예금증서 은행등록발행, 표지어음, Tops회전정기예금, Tops CD연동정기예금, 미래설계 크레바스 연금예금, 정기예금, Tops보증정기예금, 신한 프리미어 토지보상 정기예금, 신한 MY플러스 정기예금 | 목돈을 1개월 이상의 정해진 기간동안 거치하는 상품. 만기에 목돈 수령 또는 이자지급식으로 선택 가능. |
| 개인종합자산관리 계좌의 운용 위한 예금 | 신한 ISA 정기예금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한 과세특례시행에 따라 가입자 적립금을 원리금보장 상품으로 운용하기 위한 정기예금 |
| 퇴직급여 및 연금제도 전용상품 | Tops 퇴직플랜 정기예금, 퇴직플랜 프리미어 정기예금, 신한 퇴직플랜 연금예금, Tops 퇴직플랜 금리연동형정기예금 |
퇴직연금제도에 의해 기업 및 근로자의 퇴직금을 특정금전신탁 퇴직연금계약으로 적립받아 원리금보장형 연금자산으로 운영하거나 연금 지급하는 정기예금 |
| 주택마련예ㆍ부금 | 마이홈플랜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 주택청약이 가능한 목적부 상품으로 세금우대로 가입시 세금감면 혜택 있음 |
|
주가지수 연동형상품 |
세이프지수연동예금 | 정기예금의 만기시 원금은 100% 보장하고 장래에 지급할 이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각종 시장지수 움직임에 연동한 옵션 등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상품 |
|
온라인 전용상품 |
신한 스마트 적금, 한달애 저금통, 신한 B2B협력기업 우대통장, 쏠편한 입출금 통장, 쏠편한 선물하는 적금, 쏠편한 정기예금, 쏠편한 제휴정기예금, 신한 땡겨요 적금, 신한 땡겨요페이 통장, 신한 Tax Box, SOL모임통장, SOL모임저금통, SOL모임적금 | 인터넷뱅킹 또는 스마트뱅킹으로만 가입하는 상품으로 영업점 가입상품 대비 우대된 이율및 온라인 특화 기능(ex. 전용 App, 스마트이체 등)이 적용됨 |
| 지방특화상품 | 없음 | 특정지방에 특화하여 해당지역을 사랑하는 고객 전용상품으로, 해당지역 연계 부가서비스 제공 |
5. 신탁상품별 개요
| 구 분 | 종 류 | 특 징 |
|---|---|---|
| 불특정금전신탁 | 연금저축신탁 |
적립기간 동안 자유롭게 납입하고 연금으로 수령하여 노후 생활자금을 준비할 수 있는 상품(납입원금 보전) 연간 한도 범위 내 입금 가능하고, 소득세법에서 정한 세액공제 가능 |
| 특정금전신탁 | 특정금전신탁 | 위탁자가 자산운용 대상과 방법을 직접 지정하여 위탁자별로 단독운용, 관리하는 상품 |
| 퇴직연금신탁 | 퇴직연금신탁 | 근로자의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기업이 사전에 퇴직금재원을 은행에 적립하고, 근로자 퇴직시 연금 또는 일시금 형태로 지급하는 제도 |
| 재산신탁 | 유가증권신탁 | 위탁자가 유가증권을 신탁하면 수탁자는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재산을 관리, 운용, 처분하고, 신탁종료시에 수익자에게 운용현상 그대로 교부하는 재산신탁 |
| 금전채권신탁 | 위탁자가 보유하는 금전채권을 신탁하면 수탁자는 신탁계약에 따라 금전채권을 추심, 운용한 후 수익자에게 지급하는 재산신탁 | |
| 부동산신탁 |
위탁자가 보유하는 토지 및 그 정착물을 신탁하면 수탁자는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부동산을 관리, 운용, 처분하고 신탁계약 종료시 운용현상 그대로 교부하는 재산신탁 종류는 관리, 처분, 담보신탁이 있음 |
|
| 동산신탁 |
위탁자가 보유하는 기계, 기구 등 동산을 신탁하면 수탁자는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동산을 관리, 운용, 처분하고 신탁계약 종료시 운용현상 그대로 교부하는 재산신탁 |
|
| 기타 서비스 |
유언대용신탁 |
위탁자가 생전에 은행에 재산을 신탁하면서 본인을 수익자로 정하고, 위탁자 사후에는 생전에 정한 수익자에게 신탁재산을 안정적으로 승계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신탁 |
6. 외환상품 및 서비스 개요
① 환전상품
| 구 분 | 특 징 |
|---|---|
| 외국통화 매입 | 고객으로부터 외국통화를 매입하는 업무 |
| 외국통화 매도 | 고객에게 외국통화를 매도하는 업무 |
| 외화수표 매입 | 고객으로부터 외화수표(여행자수표 포함)를 매입하는 업무 |
| 외화수표 매도 | 고객에게 외화수표를 매도하는 업무 |
② 환전관련 부대서비스
| 구 분 | 특 징 |
|---|---|
| 인터넷 환전 |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환전을 신청하여 매매가 이루어지고, 주요 영업점에서 환전 신청한 외화를 찾아가는 서비스 |
| 신한 OK넷 환전서비스 | 고객이 인근 영업점에서 환전을 신청하여 거래하고, 주요 영업점에서 환전 신청한 외화를 찾아가는 서비스 |
| 쏠(SOL)편한 환전 | 고객이 모바일 채널을 통해 환전을 신청하여 거래하고, 영업점에서 외화 실물을 수령하는 서비스 |
| 환전마일리지 우대 서비스 | 미화 5백불 상당액 이상 영업점 방문환전 및 미화 3백불 상당액 이상 인터넷뱅킹 외환 거래 시 고객이 요청하는 경우 아시아나 항공 또는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무료로 적립하는 서비스 |
| OK Cashbag 포인트적립서비스 | 미화 5백불 상당액 이상 영업점 방문환전 및 미화 3백불 상당액 이상 인터넷뱅킹 외환 거래시 고객이 요청하는 경우 OK Cashbag을 무료로 적립하는 서비스 |
| 환전 모바일 금고 | 고객이 모바일 채널을 통해 환전을 실행하고, 수령 정보를 미등록한 상태로 환전 금액을 보관하여 필요한 시점에 영업점에서 외화 실물을 수령하거나 원화로 재환전하여 계좌에 입금하는 서비스 |
| 환전 선물하기/받기 | 고객이 모바일 채널을 통해 환전을 실행하여 수령인(제3자)에게 선물하고, 수령인은 수령 정보를 등록하여 외화 실물을 수령하는 서비스 |
③ 외화송금 상품
| 구 분 | 특 징 |
|---|---|
| 당발송금 | 국내에서 해외로 외화를 송금하는 서비스 |
| 타발송금 | 해외에서 국내로 도착한 송금을 지급하는 서비스 |
④ 외화송금관련 부대서비스
| 구 분 | 특 징 |
|---|---|
| 해외송금 자동이체 서비스 | 유학생 경비 및 해외체재비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해외로 송금할 고객에 대해 본인과의 사전 약정을 통해 별도의 송금신청서 없이 송금 지정일에 자동으로 지급하는 서비스 |
| 해외송금 폰뱅킹 서비스 | 당행을 거래외국환은행으로 지정 신청하고 해외송금 정보를 사전 등록한 신한 온라인서비스 가입고객이 무인안내를 통해 해외로 전신송금 하거나, 고객이 전화로 콜센터를 통하여 입력한 내용(폰뱅킹 비밀번호, 인출계좌 비밀번호, OTP카드 비밀번호)이 사전에 은행에 등록한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 신청인의 지시사항으로 간주하여 그 지시내용에 따라 해외로 전신송금하는 서비스 |
| 해외송금 자동화기기 서비스 | 당행을 거래외국환은행으로 지정 신청하고 해외송금 정보를 사전 등록한 신한은행 카드 소지 고객이 자동화기기를 통해 해외로 전신송금하는 서비스 |
|
MoneyGram(머니그램) 특급송금 서비스 |
은행계좌 개설 없이도 머니그램사의 송금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개인 및 개인사업자)이 자금을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는 특급송금시스템 |
| 환전마일리지 우대 서비스 | 미화 1백불 상당액 이상 인터넷뱅킹 외환 거래 시 지급증빙미제출 송금 또는 유학생/해외체재비 항목으로 송금 시 고객이 요청하는 경우 아시아나 항공 또는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무료로 적립하는 서비스 |
|
OK Cashbag 포인트적립 서비스 |
미화 1백불 상당액 이상 인터넷뱅킹 외환 거래시 지급증빙미제출 송금 또는 유학생/해외체재비 항목으로 송금 시 고객이 요청하는 경우 OK Cashbag을 무료로 적립하는 서비스 |
| 신한 Wise 해외송금서비스 |
외화계좌에서 USD통화로 송금을 보내는 모바일뱅킹 전용 해외송금 서비스로Wise(구.TransferWise)와 API제휴로 27개국 국가로 빠르고 저렴하게 해외송금 가능한 서비스. |
|
태국 100바트 해외송금 서비스 |
국내에서 태국으로 THB로 송금하는 비대면 전용 해외송금 서비스로 기존 SWIFT방식과 달리 빠르고 고객부담비용이 저렴한 서비스 |
| MoMo ID해외송금서비스 |
베트남 전자지갑 사업자 MoMo와 제휴를 통해 수취인 휴대폰 번호(MoMo ID)와 영문명 입력만을 통해 수취인 전자지급 포인트로 충전해주는 해외 송금서비스 |
| 신한 쏠빠른 해외송금 | 계좌번호 없이 전세계 각지의 웨스턴유니온 송금 취급점에서 송금을 받고 보낼 수 있는 빠른 해외송금 서비스 |
⑤ 기타 무역외 서비스
| 구 분 | 특 징 |
|---|---|
| 신한 글로벌현금카드 | 해외 ATM카드 및 직불카드를 이용하는 당행 외환고객을 대상으로한 국내ATM인출, 해외ATM인출 및 해외직불카드(Maestro) 기능이 있는 현금카드 |
| 신한UniTravel카드 | 해외에서 일어나는 외화현금 인출 또는 물품 구매에 사용되는 금액을 고객이 미리 사놓은 외화를 이용해 인출 또는 결제할 수 있으며, 외화예금 잔액 부족 시에도 원화예금에서 인터넷 등으로 환전하여 결제 가능한 해외전용 현금카드 |
| 신한 글로벌멀티카드 |
하나의 카드에 최대 10개 통화를 동시에 충전 가능한 외화선불 카드 마스터로고가 부착된 온/오프라인 해외가맹점에서 물품 구매 가능하며 해외소재 마스터카드 제휴 ATM에서 외화현찰 인출 가능 |
⑥ 외화자금의 운용 및 예치를 위한 상품
| 구 분 | 특 징 |
|---|---|
| 외화당좌ㆍ보통예금 | 입출금이 자유로운 외화예금으로, 입출금은 제한 없이 수시로 가능 |
| 외화체인지업예금 | 외화유동성 예금으로 예치 통화간 자유로운 전환 및 기일 이체 가능 |
| 외화MMDA |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외화예금에, 미화10만불 상당액 이상의 일시적 예치 시에 금액 구간별 차등 이율을 적용 |
| 신한Value-up외화 MMDA | 기업고객의 수시 입출금 가능한 외화예금을 기본으로 하며, 미화 10만불 상당액 이상의 일시적 예치 시에 금액 구간별 차등 이율을 적용 |
| 외화정기예금 | 잦은 입출금이 필요 없는 외화자금운용을 위한 예금으로 입출금 제한 |
| Multiple 외화정기예금 | 하나의 계좌에 여러 건(최대999건)의 정기예금이 가능하며 입금 건별로 고객이 만기일을 자유롭게 지정가능 |
|
신한 Value-up 수출입 외화예금 |
수출입 거래고객의 Needs에 맞는 서비스 제공 및 신규 수출입 거래고객의 기반확대를 위한 입출금이 자유로운 외화예금 |
| 신한Value-up외화적립예금 | 자유적립식 외화예금으로, 적립금 단위 별로 예치 기간별 고시금리 적용 |
| 신한 실속환전통장 | 고객에게 수시 환전을 통해 환율 변동성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환전에 필요한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외화예금 |
| 신한Value-up글로벌 주식 외화예금(FNA) | 해외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국민인 개인이 신한금융투자 해외주식 투자 계좌를 동시에 개설하여 해외주식 매매를 위한 외화자금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외화예금 |
| 외화양도성예금증서 |
시장실세 금리를 반영하는 기명 통장식 외화양도성 예금증서 (무기명 및 증서식 발행 불가) |
|
달러 More 환테크 적립예금 |
안정적으로 외화(USD)를 적립하고자 하는 고객이 다양한 자동이체기능, 자유로운 입금, 분할인출 기능 및 우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미국 달러(USD)화 전용 자유적립식 예금 |
|
신한Value-up외화 회전정기예금 |
1, 3, 6개월 회전기간에 따라 시장 실세금리로 복리 운용, 회전기간 단위 약정이자율을 제공하는 외화 정기예금 |
| Someday(썸데이)외화 적금 | 해외여행에 필요한 외화현찰을 미화1불부터 적립할 수 있는 USD전용 자유적립식 외화적금 |
| SOL트래블 외화예금 | 해외여행 및 해외체류 시 사용 특화상품인 'SOL트래블 체크카드' 결제 전용외화예금 |
⑦ 무역거래 서비스
| 구 분 | 특 징 |
|---|---|
| 수출업무 | 신용장 통지(신용장방식, 무신용장방식), 수출환어음 매입(추심), 신용장 양도 |
| 수입업무 | 수입신용장 개설, 수입화물선취보증 및 수입화물대도, 무신용장 방식 운송서류 인도 |
| 무역금융업무 | 무역금융지원, 내국신용장 개설 및 매입 |
| 기타 무역업무 |
구매확인서 및 수출실적확인 증명서 발급, 무역자동화(EDI)서비스, 수출네고자금 해외입금 통지 서비스, 수출입적하보험증권 출력 서비스 |
⑧ 수출업무 상품
| 구 분 | 특 징 |
|---|---|
| 무역보험공사 단기수출(EFF)부보 매입외환 |
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EFF)적격대상 수출업체'가 우량 수입업체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수출채권을 당행 취급 영업점이 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EFF)'에 보험계약자로 가입하고, 동 보험을 담보로 취득함으로써 해당 수출업체의 수출채권을 '비소구조건'으로 매입하는 상품 |
| D/A포페이팅 | D/A방식 수출환어음 매입 시 수출상에 대해서는 매입시점에 '소구조건'으로 처리하고 이후에 해외인수가 확정되면 '비소구조건'으로 전환하는 매입상품 |
| N/D수출팩토링 |
수출입은행과 제휴하여 수출입은행이 설정한 수입자별 한도 범위 내에서 사후송금방식(O/A방식) 및 D/A방식 수출거래 시 발생하는 수출채권을 1차로 당행에서 비소구 조건으로 매입하고, 당행은 2차로 비소구조건으로 수출입은행에 재매입 의뢰하는 상품 |
| L/C포페이팅 |
기한부신용장을 근거로 수출자가 발행한 수출환어음의 매입업무 시 수출상에 대하여 매입시점에는 '소구조건'으로 매입(추심)하고, 이후 개설은행의 인수가 확정되면 '비소구조건'으로 전환되는 상품 |
|
한국은행 위안화 수출화환어음 매입 |
한국은행의 한-중 통화스왑자금을 활용하여 국내 수출기업의 한-중 무역 시 위안화 수출화환어음 매입을 지원하는 상품 |
| 동행수출매입외환 |
본지사간 거래를 제외한 무신용장방식(D/P, D/A, O/A)수출거래를 대상으로 취급하는 매입외환상품 |
|
K-SURE 제휴 수출신용보증부 매입외환 |
일정 자격기준을 충족하는 수출기업이 무역보험공사로부터 사전심사를 받은 수입자에게 무신용장방식으로 물품을 수출하고 보유하게 되는 수출채권을 무역보험공사의 '수출신용보증서 협약보증'을 신용보강수단으로 활용하여 '소구조건'으로 할인/매입하는 수출금융상품 |
⑨ 수입업무 상품
| 구 분 | 특 징 |
|---|---|
|
수입인수보증 (T/T Usance) |
국내 수입상과 해외 수출상의 물품 거래계약에 기반한 송금 방식 수입거래에 대해 수입상의 신청으로 해외 인수은행의 저렴한 조달금리를 통해 수출상 앞 대금 결제하는 방식인 지급보증 상품 |
7. 신용파생상품명세
| 2025년 6월 30일 현재 연결기준 | (단위 : 백만원) |
| 상품종류 | 보장매도자 | 보장매수자 | 취득일 | 만기일 | 액면금액(원화) | 기초자산(준거자산) |
|---|---|---|---|---|---|---|
| CDS | 뉴스텔라제삼차 | 신한투자증권 | 20190325 | 20260622 | 127,502 | 중국 신용 |
| CDS | 하이도미네이션제구차 | 신한투자증권 | 20200203 | 20270622 | 160,055 | 중국 신용 |
| CDS | 하이도미네이션제구차 | 신한투자증권 | 20220114 | 20270621 | 103,086 | 중국 신용 |
| CDS | 하나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409 | 20260622 | 16,000 | 중국 신용 |
| CDS | 하나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240130 | 20281220 | 40,000 | SK HYNIX 신용 |
| CDS | 하이수프리머씨제육차 주식회사 | 신한투자증권 | 20210120 | 20250730 | 60,000 | 대한민국 신용 |
| CDS | 하이스톰메이커제십일차 | 신한투자증권 | 20220324 | 20270318 | 60,000 | 한국전력 신용 |
| CDS | 하이스톰메이커제십일차 | 신한투자증권 | 20220211 | 20270210 | 70,000 | 한국전력 신용 |
| CDS | 뉴에스에프제이차 | 신한투자증권 | 20220902 | 20271220 | 67,82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네오드림투어 주식회사 | 신한투자증권 | 20220429 | 20301112 | 81,384 | 한국석유공사 |
| CDS | 미르원제구차 | 신한투자증권 | 20230608 | 20280620 | 50,000 | SK HYNIX 신용 |
| CDS | 에이치와이프로젝트제십차 | 신한투자증권 | 20210903 | 20261221 | 70,533 | POSCO신용 |
| CDS | 디에이치블랙 | 신한투자증권 | 20230810 | 20270621 | 54,256 | SK HYNIX 신용 |
| CDS | 코너스톤제이십이차 | 신한투자증권 | 20210610 | 20281220 | 183,114 | 중국 신용 |
| CDS | 니드원제십팔차 | 신한투자증권 | 20230228 | 20280620 | 60,00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메타인피니티제오차 | 신한투자증권 | 20240902 | 20291220 | 122,076 | 대한민국 신용 |
| CDS | 더퍼스트레드 | 신한투자증권 | 20240801 | 20290702 | 60,000 | LG에너지솔루션 신용 |
| CDS | 에이치와이뉴스타트제삼차 | 신한투자증권 | 20240726 | 20291220 | 100,000 | 대한민국 신용 |
| CDS | 에이치와이뉴스타트제팔차 | 신한투자증권 | 20250203 | 20300108 | 98,019 | 현대캐피탈아메리카 신용 |
| CDS | 더퍼스트러브 | 신한투자증권 | 20250206 | 20260928 | 32,554 | LG에너지솔루션 신용 |
| CDS | 블루스네이크제이차 주식회사 | 신한투자증권 | 20250522 | 20300620 | 59,41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삼성증권 | 20240321 | 20301220 | 27,12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417 | 20291220 | 20,346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327 | 202906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513 | 202912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Goldman Sachs International | 20250612 | 20330620 | 94,94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Goldman Sachs International | 20250612 | 20330620 | 94,94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Goldman Sachs International | 20250612 | 20330620 | 94,94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KB증권 | 20240419 | 20321220 | 67,820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KB증권 | 20240621 | 20321220 | 33,910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Nomura Singapore Limited | 20250514 | 20341220 | 47,47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JPMorgan Chase Bank N.A. | 20231005 | 203012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JPMorgan Chase Bank N.A. | 20240503 | 203106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Nomura Singapore Limited | 20241204 | 20310620 | 40,692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50401 | 20330620 | 27,12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Natixis Paris | 20220804 | 20280620 | 54,256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삼성증권 | 20240126 | 20261221 | 36,623 | POSCO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삼성증권 | 20230214 | 20260622 | 24,415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20211 | 20270210 | 20,000 | 한국전력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KB증권 | 20231219 | 20260116 | 20,000 | 현대커머셜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20230508 | 20270621 | 40,692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삼성증권 | 20220429 | 20301112 | 81,384 | 한국석유공사 |
| CDS | 신한투자증권 | Deutsche Bank | 20230608 | 20280620 | 59,682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Goldman Sachs International | 20230512 | 20270621 | 13,564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메리츠증권 | 20210120 | 20250730 | 60,000 | 대한민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COMMERZ BANK AG | 20250206 | 20260928 | 54,256 | LG에너지솔루션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ING BANK. N.V. | 20210610 | 20281220 | 183,114 | 중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ING BANK. N.V. | 20220114 | 20270621 | 103,086 | 중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ING BANK. N.V. | 20240902 | 20291220 | 122,076 | 대한민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ING BANK. N.V. | 20240726 | 20291220 | 99,017 | 대한민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HSBC Limited | 20210903 | 20261221 | 70,533 | POSCO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HSBC Limited | 20200203 | 20270621 | 160,055 | 중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HSBC Limited | 20190325 | 20260622 | 127,502 | 중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한국투자증권 | 20230228 | 20280620 | 60,00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Natixis Paris | 20250522 | 20300620 | 10,58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Natixis Paris | 20230608 | 20280620 | 27,128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190409 | 20260622 | 18,996 | 중국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20324 | 20270318 | 60,000 | 한국전력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20211 | 20270210 | 70,000 | 한국전력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20902 | 20271220 | 67,82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50522 | 20300620 | 48,830 | POSCO HOLDINGS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40130 | 20281220 | 67,820 | SK HYNIX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50203 | 20300108 | 98,019 | 현대캐피탈아메리카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하나증권 | 20240801 | 20290702 | 59,682 | LG에너지솔루션 신용 |
| CDS | 신한투자증권 | JPMorgan Chase Bank N.A. | 20231005 | 203012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JPMorgan Chase Bank N.A. | 20240503 | 203106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삼성증권 | 20240321 | 20301220 | 27,128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327 | 20290620 | 13,56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Nomura Singapore Limited | 20250514 | 20341220 | 47,474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417 | 20291220 | 20,346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KB증권 | 20240419 | 20321220 | 67,820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KB증권 | 20240621 | 20321220 | 33,910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Nomura Singapore Limited | 20241204 | 20310620 | 40,692 | SKEW-CDS |
| CDS | 신한투자증권 | UBS AG | 20240513 | 20291220 | 13,564 | SKEW-CDS |
| TRS | 신한투자증권 | NH투자증권 | 20190612 | 20261214 | 1,000 | 교보악사체코프라하전문투자형사모2호 |
| TRS | 하나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327 | 20260429 | 14,083 | CBIM HEP 1904 |
| TRS | 한국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327 | 20260429 | 11,584 | CBIM HEP 1904 |
| TRS | 우리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430 | 20260529 | 12,349 | CBIM HEP 1905 |
| TRS | 하나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430 | 20260529 | 11,600 | CBIM HEP 1905 |
| TRS | 한국증권금융 | 신한투자증권 | 20190430 | 20260918 | 8,735 | KIWOOM JPCN 1904 |
| TRS | NH농협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430 | 20260918 | 9,317 | KIWOOM JPCN 1904 |
| TRS | 국민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520 | 20261214 | 13,124 | KYOBOAXA PRA02 1905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531 | 20260918 | 7,826 | KIWOOM JPCN 1905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531 | 20260130 | 11,685 | MULTIASSET BELG 1905 |
| TRS | NH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603 | 20260605 | 1,000 | 제이알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3호 |
| TRS | 중소기업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611 | 20260626 | 14,796 | CBIM HDP 1906 |
| TRS | 우리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611 | 20260626 | 14,316 | CBIM HDP 1906 |
| TRS | 국민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709 | 20250728 | 14,950 | CBIM HDP 1907 |
| TRS | 한국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709 | 20250728 | 8,821 | CBIM GAO 1907 |
| TRS | NH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722 | 20290102 | 19,612 | Milestone Paris 1907 |
| TRS | 국민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725 | 20260126 | 10,500 | CBIM GDO 1908 |
| TRS | 하나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726 | 20260520 | 9,796 | Marriott Drew 1907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806 | 20270618 | 15,198 | OPL ALT 1908 |
| TRS | 우리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830 | 20260126 | 2,784 | CBIM GDO 1909 |
| TRS | 하나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830 | 20280110 | 7,184 | Mastern Hilton PS 1908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903 | 20270618 | 12,792 | OPL ALT 1909 |
| TRS | 국민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910 | 20280110 | 3,789 | Mastern Hilton PS 1908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0924 | 20270618 | 15,685 | OPL ALT 1909 (Series 19) |
| TRS | 국민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925 | 20251030 | 14,300 | CBIM HDP 2301 |
| TRS | 하나은행 | 신한투자증권 | 20190926 | 20280110 | 2,095 | Mastern Hilton PS 1908 |
| TRS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1008 | 20270618 | 4,876 | OPL ALT 1910 (Series 20) |
| TRS | KB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191022 | 20270618 | 14,934 | OPL ALT 1910 (Series 21) |
| TRS | NH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20200413 | 20260605 | 25 | 엠에이디더블유슬로언대출채권 |
| TRS | 신한투자증권 | Natixis Paris | 20240423 | 20270128 | 13,564 | 미래에셋증권 신용 |
| TRS | 신한투자증권 | Natixis Paris | 20240426 | 20270128 | 13,564 | 미래에셋증권 신용 |
| TRS | 웰브릿지새턴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2호 | 신한투자증권 | 20170612 | 20300612 | 316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테티스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2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829 | 20300829 | 1,266 | OAKC 2016-13X SUB Mtge |
| TRS | 웰브릿지 새턴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6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412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새턴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8호[혼합채권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275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새턴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8호[혼합채권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1,344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FI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2호[혼합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4,859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FI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2호[혼합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1,593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새턴 VIM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3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393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새턴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7호[혼합채권-파생형]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635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새턴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9호[혼합채권- | 신한투자증권 | 20180803 | 20300803 | 412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테티스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9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917 | 20300917 | 825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TRS | 웰브릿지 테티스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9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917 | 20300917 | 2,383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FI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3호[혼 | 신한투자증권 | 20180917 | 20300917 | 7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FI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3호[혼 | 신한투자증권 | 20180917 | 20300917 | 4,125 | 라임플루토-FI사모D-1호(C-f)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F1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D-1호 | 신한투자증권 | 20190805 | 20300805 | 1,266 | OAKC 2016-13X SUB Mtge |
| TRS | 웰브릿지 M360 FH 레버리지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1호 [DLS파생형]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607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FH 레버리지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3호 | 신한투자증권 | 20170517 | 20301231 | 1,079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FH 레버리지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호[파생형]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538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FH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758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FH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1호[파생형]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194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HH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105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M360 HH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 | 신한투자증권 | 20180126 | 20301231 | 47 | M360 CRE Income Fund (UnHedged) |
| TRS | 웰브릿지 NEW 미국 선순위 부동산 담보 대출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2호 | 신한투자증권 | 20190130 | 20301231 | 9,779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웰브릿지 NEW 미국 선순위 부동산 담보 대출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2호 | 신한투자증권 | 20190130 | 20301231 | 5,050 | M360 CRE Income Fund (UnHedged) |
| TRS | 웰브릿지 글로벌아이 ALP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1호 | 신한투자증권 | 20170918 | 20301231 | 433 | BAF Latam Credit Fund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TF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1호 | 신한투자증권 | 20171117 | 20301231 | 134,616 | LAM Enhanced Trade Finance Fund 2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TF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1호 | 신한투자증권 | 20171117 | 20301231 | 211,454 | LAM Enhanced Trade Finance Fund 3 |
| TRS | 웰브릿지 플루토-TF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1호 | 신한투자증권 | 20171117 | 20301231 | 1,483 | M360 CRE Income Fund (Hedg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24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7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4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7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6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8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2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4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8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1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3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8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65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7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5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00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2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6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0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3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5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4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NETFLIX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3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RALPH LAUREN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RALPH LAUREN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6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9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5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4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5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0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8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1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0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6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7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9 | SOFTBANK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FORD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FORD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GEELY AUTOMOBIL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GEELY AUTOMOBIL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4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91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7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QUALCOM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QUALCOM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2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46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3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0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8 | ANTA SPORTS PRO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8 | MICRON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01 | ADVANCED MICRO DEVIC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ANHEUSER-BUSCH INBEV-SPN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8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CITI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PAYPAL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PAYPAL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3 | TAIYO YUDEN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TAIYO YUDEN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6 | 6920 JP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8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19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5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8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6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 | BAIDU INC-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BAIDU INC-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9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5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2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0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3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5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4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5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0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4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6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9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ARM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 | HOWMET AEROSPAC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8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9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10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1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7 | POWL US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0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4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8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3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5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3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6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6 | TOKYO ELECTRO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0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5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1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9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21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9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01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64 | COINBASE GLOBAL INC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64 | COINBASE GLOBAL INC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1 | DELL TECHNOLOGIES -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 | DELL TECHNOLOGIES -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GENERAL MOTORS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2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0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2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6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8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4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1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9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43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65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4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6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9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1 | VERTIV HOLDINGS CO-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9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1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1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0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9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8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3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1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3 | NITTOB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8 | NITTOB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8 | CORE SCIENTIFIC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CORE SCIENTIFIC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 | SUBARU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SUBARU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5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3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6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7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1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3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2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3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5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9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4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4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6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SALESFORC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9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4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7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HERMES INTERNATION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PROGRESSIV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1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 | AMER SPORT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7 | HIMS & HERS HEALTH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4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OKL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8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4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CELES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DECKERS OUTDO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DECKERS OUTDO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CREDO TECHNOLOGY GROUP HOLDI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ROYAL CARIBBEAN CRUISE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4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3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1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0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0 | CENTRUS ENERGY CORP-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SPDR DJIA TRUS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SPDR DJIA TRUS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 | MAZD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MAZD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1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6 | TALEN ENERGY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7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0 | LOCKHEED MARTIN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6 | REALTEK SEMI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3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5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4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2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6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6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2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4 | 3661 TT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9 | BIGBEAR.AI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2 | BIGBEAR.AI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69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9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29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7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8 | PAGAYA TECHNOLOGIES LTD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4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8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XPENG INC - 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5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1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4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0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5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9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0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FINCANTIERI SP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4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9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5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9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PROSHARES VIX SHORT-TERM FU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WUXI BIOLOGICS CAYMAN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SPDR EURO STOXX 5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SPDR EURO STOXX 5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 | COREWEAVE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2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6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6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13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9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3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06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2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6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6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5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6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4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2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7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8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0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6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6 | NANYA TECHNOLOGY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5 | SEVEN & I HOLDINGS CO.,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3 | SEVEN & I HOLDINGS CO.,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6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1 | TOT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TOT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ANA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WENDY'S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WENDY'S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SEMTECH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4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7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ANALOG DE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ANALOG DE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4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8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28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3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903 | CIRCLE INTERNET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71 | CIRCLE INTERNET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6 | WEBTOON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 | WEBTOON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7 | THREDUP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THREDUP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8 | 2359 HK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 | 2359 HK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5 | QUANTA SER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ROLLS-ROYCE HOLDINGS PL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30 | ASUSTEK COMPUTER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86 | NVIDIA COR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17 | NVIDIA COR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5 | TESLA MOTOR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835 | TESLA MOTOR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31 | NETFLIX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41 | NETFLIX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12 | MICRON TECHNOLOGY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09 | MICRON TECHNOLOGY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17 | EVOLU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12 | ROBLOX CORP -CLASS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13 | ROBLOX CORP -CLASS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48 | ROBLOX CORP -CLASS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51 | ELI LILLY & CO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81 | ELI LILLY & CO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68 | ELI LILLY & CO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46 | ELI LILLY & CO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67 | ELI LILLY & CO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48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70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86 | COINBASE GLOBAL INC -CLASS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02 | ROCKET LAB USA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577 | ROCKET LAB USA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9 | TRANSMEDICS GROUP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43 | TRANSMEDICS GROUP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65 | REDDIT INC-CL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23 | REDDIT INC-CL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81 | REDDIT INC-CL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09 | REDDIT INC-CL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52 | REDDIT INC-CL 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0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0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7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8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48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6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16 | SPOTIFY TECHNOLOGY S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36 | SPOTIFY TECHNOLOGY SA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127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72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25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64 | NUSCALE POWER CORP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207 | SEAGATE TECHNOLOGY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98 | 4443 JP Equity |
| TRS | 디에스 Giant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207 | 20300207 | 33 | 4443 JP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42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2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6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1 | MICROSOF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2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2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6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5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7 | BYD CO LTD-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9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ISHARES PHLX SEMICONDUCTOR 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6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0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2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1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SHISEI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1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96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80 | NVIDIA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9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7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DOBE SYSTE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6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8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5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7 | AMAZON.CO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3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2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2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ESTEE LAUDER COMPANIES-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NETFLIX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NIK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RALPH LAUREN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6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3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1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1 | LVMH MOET HEN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9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8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2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2 | TOYOT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3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ALIBABA GROUP HOLDING-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7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DON QUIJOTE HOL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9 | SOFTBANK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FORD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FORD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GEELY AUTOMOBIL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GEELY AUTOMOBIL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ENCENT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27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NXP SEMICONDUCTORS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4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BOEING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QUALCOM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QUALCOM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QUALCOMM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2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96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8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3 | New NINTEND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8 | ANTA SPORTS PRO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ANTA SPORTS PRO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7 | MICRON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8 | ADVANCED MICRO DEVIC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ANHEUSER-BUSCH INBEV-SPN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7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WESTERN DIGIT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CITI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PAYPAL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PAYPAL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3 | TAIYO YUDEN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TAIYO YUDEN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ISHARES RUSSELL 200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TRADE DESK INC/THE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2 | 6920 JP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TAIWAN SEMICONDUCTOR-SP 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3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4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3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4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4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2 | ALPHABE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8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MicroStrategy Incorporate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ROBLOX CORP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BAIDU INC-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BAIDU INC-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9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ALIBABA GROUP HOLDING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8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2 | NISSAN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4 | HONDA MOTOR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6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LULULEMON ATHLE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8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FERRARI N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6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MASTERCARD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4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VISA INC-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RM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ARM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5 | HOWMET AEROSPAC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7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2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6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3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7 | Meta Platform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2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PALANTIR TECHNOLOGIES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4 | POWL US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8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9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3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4 | NOMURA ETF - NIKKEI 225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3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2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ISETAN MITSUKOSHI HOLDINGS 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TOKYO ELECTRO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4 | TOKYO ELECTRO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2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6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AMERICAN AIRLINES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5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55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5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22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1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1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8 | APPL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1 | COINBASE GLOBAL INC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73 | COINBASE GLOBAL INC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6 | DELL TECHNOLOGIES -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DELL TECHNOLOGIES -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ELF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GENERAL MOTORS C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8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8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4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5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5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6 | KERIN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3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PINDUODUO INC-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4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78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2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76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9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2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POWERSH-QQQ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7 | VERTIV HOLDINGS CO-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0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1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4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7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7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MARVELL TECH G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3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ULTA BEAUT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3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9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ZIM INTEGRATED SHIPPING SERV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COTY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6 | NITTOB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5 | NITTOBO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5 | CORE SCIENTIFIC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CORE SCIENTIFIC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REDDIT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SUBARU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SUBARU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RH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6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9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TSMC T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2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9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4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2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0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5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9 | GE VERNOV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1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1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ASML HOLDING-N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SALESFORCE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5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7 | SANRIO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51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HERMES INTERNATIONAL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PROGRESSIV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5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ON SEMICONDUC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6 | AMER SPORT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4 | HIMS & HERS HEALTH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4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TRANSOCEA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OKL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8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7 | NUSCALE POWE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CELESTIC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DECKERS OUTDO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DECKERS OUTDO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REDO TECHNOLOGY GROUP HOLDI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OYAL CARIBBEAN CRUISE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2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4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7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 | COSTCO WHOLESALE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1 | CENTRUS ENERGY CORP-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SPDR DJIA TRUS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SPDR DJIA TRUS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SPDR DJIA TRUS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MAZD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AZDA MOTOR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5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HEWLETT PACKARD ENTERPRI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3 | TALEN ENERGY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ALEN ENERGY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1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0 | LOCKHEED MARTIN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6 | REALTEK SEMI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9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YAMAHA MOTOR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TAPESTR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0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T ROWE PRICE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9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3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Cameco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6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4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8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6 | BIGBEAR.AI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0 | BIGBEAR.AI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18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2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8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3 | PEPSICO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5 | PAGAYA TECHNOLOGIES LTD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5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HIPOTLE MEXICAN GRIL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XPENG INC - CLASS A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MICROCHIP TECHNOLOGY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5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9 | EXPEDIA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6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3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0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8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0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1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6 | MEITUAN DIANPING-CLASS B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FINCANTIERI SP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7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6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5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5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6 | HUNTINGTON INGALLS INDUSTRI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PROSHARES VIX SHORT-TERM FU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PROSHARES VIX SHORT-TERM FUT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WUXI BIOLOGICS CAYMAN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SPDR EURO STOXX 5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SPDR EURO STOXX 50 ETF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 | COREWEAVE INC-CL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7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AEROVIRO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1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0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4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91 | SPDR GOLD SHARE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BRINKER INTERNATIONAL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5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2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4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JAPAN STEEL WORK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3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CHAGEE HOLDINGS LTD-ADR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9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8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0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TARGET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5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4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RHEINMETALL AG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27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92 | IREN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GN MINING C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RESTAURANT BRANDS INTER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56 | NANYA TECHNOLOGY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7 | SEVEN & I HOLDINGS CO.,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SEVEN & I HOLDINGS CO.,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1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NOF CORPORATION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7 | TOTO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ANA HOLDING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CHEESECAKE FACTORY INC/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 | WENDY'S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WENDY'S CO/THE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 | SEMTECH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SEMTECH CORP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73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1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7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3 | SBI HOLDINGS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ANALOG DE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ANALOG DE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0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5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22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1 | SRM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70 | CIRCLE INTERNET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13 | CIRCLE INTERNET GROUP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5 | WEBTOON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WEBTOON ENTERTAINMENT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 | THREDUP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THREDUP INC - CLASS A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6 | 2359 HK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 | 2359 HK Equity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3 | QUANTA SERVICES IN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4 | ROLLS-ROYCE HOLDINGS PLC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30 | ASUSTEK COMPUTER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589 | TESLA MOTOR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5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24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2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25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86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05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7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1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4 | FLUENCE ENERG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0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7 | ON HOLDING AG-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01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80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8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2 | WAL-MART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3 | NITTOBO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9 | NITTOBO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 | NITTOBO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8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92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0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71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66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6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6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93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08 | REDDIT INC-CL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9 | HOME DEPOT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9 | HOME DEPOT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4 | HOME DEPOT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9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40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03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75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24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4 | POP MART INTERNATIONAL GROU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8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60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6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17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0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7 | RIVIAN AUTOMOTIVE INC-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00 | TJX COMPAN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3 | TJX COMPAN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3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7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2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9 | UBER TECHNOLOG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8 | COVER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1 | COVER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3 | PINTEREST INC- 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8 | PINTEREST INC- 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8 | APPLOVIN CORP-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2 | APPLOVIN CORP-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4 | APPLOVIN CORP-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1 | APPLOVIN CORP-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0 | APPLOVIN CORP-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99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72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8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0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0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28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5 | ROBINHOOD MARKETS INC -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13 | TAPESTR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0 | TAPESTR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5 | TAPESTR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6 | TAPESTR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6 | TAPESTRY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2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62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1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54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56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94 | FRONTLINE PL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3 | ARCHROCK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0 | ARCHROCK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0 | ARCHROCK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8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1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5 | SHAKE SHACK INC - CLASS 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0 | ASIC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93 | ASIC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6 | ASIC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21 | WILLIAMS-SONOMA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08 | WILLIAMS-SONOMA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07 | WILLIAMS-SONOMA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85 | WILLIAMS-SONOMA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1 | WILLIAMS-SONOMA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21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29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9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94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74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01 | OKEANIS ECO TANKERS CORP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2 | CHART INDUSTR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73 | CHART INDUSTRI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95 | DIREXION DLY 20+Y T BULL 3X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65 | DIREXION DLY 20+Y T BULL 3X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3 | DIREXION DLY 20+Y T BULL 3X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43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33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93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62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33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29 | ZETA GLOBAL HOLDINGS CORP-A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3 | HILTON WORLDWIDE HOLDINGS IN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9 | HILTON WORLDWIDE HOLDINGS IN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0 | HILTON WORLDWIDE HOLDINGS IN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6 | ROSS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4 | ROSS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1 | ROSS STORES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5 | PUMA SE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62 | PUMA SE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2 | PUMA SE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87 | WINGSTOP INC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32 | 361 DEGREES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58 | 361 DEGREES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9 | 361 DEGREES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2 | CAPRI HOLDINGS LTD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130 | CAPRI HOLDINGS LTD |
| TRS | 타이거 매직 50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523 | 20300522 | 28 | CAPRI HOLDINGS LTD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4 | 셀트리온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5 | 셀트리온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0 | 셀트리온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SOL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40731 | 20290731 | 117 | POSCO홀딩스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0 | 셀트리온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18 | POSCO홀딩스 |
| TRS | 타임폴리오 The Time-Blue 일반사모투자신탁 | 신한투자증권 | 20250317 | 20300317 | 55 | POSCO홀딩스 |
| TRS | 웰브릿지새턴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 | 신한투자증권 | 20161220 | 20301220 | 3,848 | 라임테티스전문사모2(C-f) |
| CLN | 신한라이프 | HSBC | 20170801 | 20270621 | 2,713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HSBC | 20180209 | 20271220 | 5,426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HSBC | 20180314 | 20271220 | 9,495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BNP PARIBAS | 20180515 | 20280323 | 27,128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NOMURA INTERNATIONAL | 20180604 | 20280320 | 9,495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JPMORGAN CHASE BANK | 20180703 | 20280620 | 13,564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HSBC | 20180816 | 20280620 | 13,564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JPMORGAN CHASE BANK | 20180913 | 20280620 | 5,426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JPMORGAN CHASE BANK | 20181012 | 20280920 | 13,564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 CLN | 신한라이프 | NOMURA INTERNATIONAL | 20180626 | 20280620 | 13,564 | People’s Republic of China, Senior Unsecured |
주) CLN(신용연계채권)은 신용파생(CDS)이 내재된 증권으로 보장매수자에는 발행자를 기재하였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