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일성신약(주)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06일
회 사 명 : 일 성 아 이 에 스 주 식 회 사(구, 일성신약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윤 석 근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84길 9
(전 화) 02-3271-8800
(홈페이지) https://www.ilsungi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 무 (성 명) 김 영 민
(전 화) 02-3271-88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5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5조에 의하여 제6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5년 03월 21일 (금) 오전 9시2. 장 소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 7길 20 스마트케이 업무시설 A동 9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65기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자 : 윤석근)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자 : 김영민)

제2-3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자 : 엄대식)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자 : 이성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결정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 금기 총회시 참석주주님을 위한 주총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성열(출석률 100%) 윤성원(출석률 75%) 손창완(출석률 75%)
찬 반 여 부
1 2024.02.28 제64기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제64기 이익잉여금 처분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제6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 2024.03.22 정기주주총회 결의사항 찬성 불참 불참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이성열(위원장)손창완윤성원 2024.02.28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 승인 가결
제64기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승인의 건 가결
제64기 이익잉여금 처분 승인의 건 가결
제6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2024.03.22 정기주주총회 결의사항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명 2,500 120 3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이란 각종 질병의 진단, 치료, 경감, 처치, 예방 또는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여 의약품을 연구개발하고 제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제약산업은 지식기반의 기술집약형, 연구개발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2020년 포춘 선정 세계 500대 기업 중 11개를 제약기업이 차지할 정도로 유망한 산업이다. 또한 인간의 생명과 보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공익성 및 외부 경제효과 또한 매우 크다. 의약품은 제품의 개발, 생산, 관리에 대한 규제가 심하여 원료의 선택, 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유통 및 사후 품질 및 안전성 관리에 이르기까지 엄격히 관리되고 있어 일반 제조 품목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신약 개발의 경우 연구개발에서 제품화 단계까지 평균 10년 동안 1조원의 예산이 들어가며 최종 제품으로 개발되기까지의 성공률이 5%가량으로 희박하지만 개발 성공 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고위험, 고수익의 벤처형 산업으로 인식된다.

(2) 국내외 시장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파마(EvaluatePharma)’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처방의약품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1,193조 원(1조 310억 달러)로 추산되며, 인구 고령화 등 의약품 수요 증가로 2005년 이후 연평균 6%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도 연평균 6.4%의 성장속도를 보이며 2026년에는 약 1,629조 원(1조 4,0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약 개발에 투자되는 비용의 증가 등으로 점차 세계적으로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공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또한 글로벌 신약들의 연이은 특허만료와 각국의 약품비 통제강화 등에 따른 제네릭의약품(특허만료의약품) 비중 강화 등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제약산업이 높은 신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요인 중 하나로 바이오의약품의 활약을 꼽을 수 있으며,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으로 의약품 시장의 중심이 합성의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듯 2020년에는 전체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였으나 2026년에는 37%로 증가할 전망이다. 실제로 글로벌 매출 상위 100대 제품에서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은 2012년 39%에서 2020년에는 52%로 크게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 바이든 정부의 헬스케어 정책을 필두로 각국의 약제비 억제정책 강화에 따른 제네릭의약품 사용 권장과 글로벌 신약의 특허만료 등으로 제네릭의약품 및 바이오시밀러의약품의 매출 비중이 앞으로도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오리지널 대비 효능과 안전성 등은 동일하고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23조 1,722억 원으로, 약 1,558조 원에 달하는 전세계 의약품 시장의 1.5%를 차지하며, 국내 의약품 생산액은 24.6조원, 수출액은 10조 원, 수입액은 8.6조 원에 달한다. 23조 원에 달하는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국내총생산의 1.5%, 제조업 국내총생산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실제 생산된 전문의약품은 1만 5,946품목, 일반의약품은 5,280품목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보험(2021년 1월 1일 기준)에 등재되어 있는 의약품은 모두 2만 5,798품목이고, 이 중 전문약은 2만 4,019품목(93.1%), 일반약은 1,779품목(6.9%)이다. 약효군별로는 동맥경화용제가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혈압강하제, 소화성궤양용제,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순이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액은 약 3조 9,000억 원으로, 국내 의약품 총 생산 금액 중 1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산업의 성장성

2020년도 기준 상장 제약기업(160개사)의 매출액은 총 22조 원(전년대비8.4% 상승), 상위 10대 제약기업의 매출액은 총 10.2조원(6.1% 성장)이었다.

2014년 국내 제약기업 최초 연매출액 1조원 돌파 사례(유한양행) 이후 꾸준히 1조원을 돌파하는 업체들이 유지되는 중이며, 코로나19 영향 속에서 2조원대 매출이 기대되는 기업들도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20년도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3.3조원으로 전체 제약시장의 14.2%를 차지하고, 이는 아직까지 글로벌 수준에 비하여 낮은 비중에 속한다. 다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지난 2016년부터 2020년도까지 생산액과 수출액이 모두 연평균 약 18%로 크게 증가하는 등 향후 성장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수출 실적 호조에 힘입어 바이오의약품 무역수지가 2020년도에는 지난 5개년 중 가장 크게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2021년 기준 국내 기업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누적 유럽 허가건수가 총 12건, 미국 FDA 허가건수는 총 9건으로 집계되는 등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GMP 선진화 프로젝트에 따라 미국 등이 요구하는 cGMP 수준의 생산기반 구축을 위하여 3조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었으며, 2014년 식약처의 PIC/S(의약품 실사상호협력기구) 가입, 2016년 ICH 정회원 가입으로 미국, EU, 일본 등 제약 선진국들과 의약품 규제가 동등한 수준임을 입증함과 동시에, 국제 의약품 규제 정책 주도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여 선진국 수준의 생산관리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일반적으로 국내제약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내수의존도가 매우 높고 경기 변동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 비탄력적인 성향을 보였다. 즉,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는 계절적 요인과 경기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이나 전문의약품의 경우 질환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투여되는 약물인 만큼 안정적인 수요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악화된 경제 상황이 제약산업에도 영향을 끼쳐 일반 및 전문의약품까지도 매출액이 감소되고 있어 이러한 난관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간 전략적 제휴, 합병, 해외 진출 등의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향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제약사들이 매출 하락 및 임상시험의 보류, 국가간의 이동 제한으로 인한 사업 협상의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다만 이런 경우에도 장기적인 처방의약품 또는 신약의 경우 오히려 매출 증대를 보였기에 앞으로도 제약산업에서 R&D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5) 경쟁요소

현재 제약업계는 특허권 강화 및 Life cycle management로 인한 오리지널사의 독점적 배타권 유지, 제네릭 약가 산정기준의 개정 등으로 제네릭 제품의 개발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단순 염의 변경은 개량신약으로 인정받기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적극적으로 특허를 회피하거나 용법?용량이 크게 개선되는 등의 임상적 유용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허가 및 보험 약가의 취득에서 우대를 받지 못하는 등 신제품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건강보험 재정의 만성 적자를 만회하기 위한 약제비 인하 관련 정책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리베이트 차단을 위한 장치, 실거래가에 따른 약가 인하, 약가 산정 기준의 개정, 약가 재평가, 기등재의약품 목록 정비사업 등이 현재 적극 시행되고 있으며 신약의 경우 공급자 등과의 협상을 통해 약가를 합의하는 등 보험약가를 적절하게 책정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양상이다.

제품의 생산에 관해서는 그 동안 관리가 다소 소홀했던 원료의약품을 식약처의 관리감독 영역 내로 편입시켜 BGMP를 강화하는 등 완제의약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대단위 제형별 KGMP를 품목별 사전cGMP로 변경하여 국제적 수준의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하고 밸리데이션을 공정에서 설비, 용수, 기타 공조, 컴퓨터 등으로 확대 하며 의약품 제조업자가 원료공급자를 평가하는 자료인 밴더오디트 자료의 관리를 의무화하고 의약품 제조업자의 원료공급자에 대한 실사도 의무화하도록 하고 있는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생산 관리 기준 강화로 이를 제때 갖추지 못하는 영세 업체는 퇴출될 수 밖에 없는,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렇듯 국내 제약사들은 지속적인 보험약가 인하, 저질불량 제품의 퇴출, 신규허가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품질강화 등 다방면의 압박으로 경영의 어려움은 계속될 전망이며 외자사의 직접적인 국내시장 진출 정책으로 인하여 신약 개발보다는 라이센스를 들여오거나 제네릭 의약품을 주로 생산해 온 국내 제약 기업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경쟁 요소들이 크게 증가한 실정이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제약산업의 특성 상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므로 제품의 허가 및 생산, 품질관리, 사후 관리, 유통/판매 등 전 과정에 있어 타 산업에 비해 규제 내지 제약이 상당히 뒤따를 수 밖에 없다. 복합제 생동시험 필수화, 임상시험 강화, 품목별 사전 cGMP, DMF 시행, 밴더오디트 자료제출 등 허가과정에서부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심사가 강화되었으며 출시 이후의 안전성을 위해 시판후조사 감시 및 부작용의 신속보고, 후속조치 전파의 과정도 정비되었으며 제품 원료의 품질에 대한 관리감독 역시 식약처의 업무로 편입되면서 제품의 생산 전 단계부터 시판 후까지 전 과정이 빠짐없이 관리되고 있다.

가격 면 에서도 제품의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하여 적절한 약가를 책정하고, 약가의 거품 제거를 위해 리베이트 근절을 목표로 하여 적극적이고 범정부적 시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규제개선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약가제도 개선방안도 곧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2019년 초 식약처에서 공동생동규제 강화 로드맵을 공개하고 생동성시험 1건 당 허가 받을 수 있는 제네릭 품목 개수를 제한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공동생동 품목수를 원개발사 1곳과 위탁제조사 3곳 이내로 제한하고, 제도 시행 3년 후에는 공동생동이 폐지될 예정이다. 이 규정은 2021년 7월 20일 공포와 동시에 즉시 시행되어 공동생동 또는 임상시험 자료를 수탁사 1곳당 위탁사 3곳으로 제한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자체 생동성 시험 여부에 따라 제네릭 약가를 달리하는 계단식 제도가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허가와 약가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생물학적동등성시험과 원료의약품 사용 기준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제네릭의 약가 산정을 현재와 같이 오리지널 의약품 가격의 53.55%로 산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준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수준에 따라 약가가 15%씩 깎이게 된다. 이와 별도로 건강보험 등재순서가 21번째인 치료제부터는 기준 요건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최저가의 85% 수준으로 약가가 산정된다. 이는 20개 이상의 제네릭 난립을 막아보자는 취지이다. 이로 인해 제네릭 개발을 위해서 대형 제약사가 20개의 공동개발사를 모집해 동시에 허가 신청을 진행할 경우 단독으로 개발을 진행하던 중소제약사가 20번째 이후 약가 등재되는 상황이 생기는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제네릭 발매를 지양하는 현재 정책의 방향이 빠른 시일 내에 바뀌기는 힘들것으로 보이므로 중소제약사의 제네릭 개발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매출액 : 69,018백만원 65기 당해 매출은 전년 동기(78,053백만원) 대비 -11.58% 감소하였음. 2) 매출총이익 : 27,049백만원 65기 당해 매출총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25.04% 감소하였으며,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39.19%임. 3) 영업이익 : -9,649백만원 65기 당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20.72%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13.98%임 4)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1,163백만원 65기 당해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52.30% 증가하였음. 5) 당기순이익 : 12,961백만원 65기 당해 순이익은 전년 동기(20,941백만원) 대비 161.89% 증가하였음.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해당사항 없음

(2) 시장점유율

(단위 : 백만원)
구분 매출액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일성아이에스 (구, 일성신약) 78,053 61,248 42,090 40,601
종 근 당 1,649,641 1,472,344 1,333,989 1,300,544
녹 십 자 1,209,836 1,244,929 1,170,305 1,227,761
유한양행 1,809,082 1,726,365 1,624,133 1,567,941
한미약품 1,096,946 982,049 917,018 872,405
JW중외제약 741,063 676,887 601,815 542,635

※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

(3) 시장의 특성

당뇨병 및 순환기계 질환 등 생활습관형 성인병과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 노인인구의 증가로 이와 관련된 의약품의 수요는 점차 확대될 것이나 국내 시장의 규모에 비해 많은 수(500여 개)의 제약사가 난립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적 제품력과 연구개발력이 뛰어나다 할 수 있는 외자사의 시장 잠식으로 적극적인 노력이 크게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대형 제약사의 점유율 편중으로 중소 제약사는 기업간 M&A를 통해 지배력을 높이려 하나 이마저도 재산권 보장 및 합병 시너지즘의 불확실성으로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대내외적으로 한미 FTA에 의해 특허 및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제도 개선 등 국내 의약사업 전반에 대한 개정을 요구함에 따라 국내 제약사의 제네릭에 대한 보호막이 제거되고 의료시장 개방 및 외자 도입에 따라 외자사와 국내사 간의 생존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정부는 지속적인 약가 인하 정책을 추진하여 제약사의 이익구조는 날로 악화될 것이다.

세계적으로 외자사들의 자사의 이익 구조 개선을 위해 우량의 중소업체를 공격적으로 흡수, 합병하여 중소업체는 점차 몰락하는 황이 예견되며 시장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제네릭 시장의 위축으로 국내 제약사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연구개발 중심의 선진국형 구조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일성아이에스 (구, 일성신약) 는 항생제 분야를 특화하기 위하여 국내 제약사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cGMP 수준의 페니실린 생산시설을 완비하였다. 이에 오리지널 제품의 품질 보증은 물론 경쟁사의 제네릭 제품과는 차별화된, 우수한 생산시설과 원료를 바탕으로 항생제 분야의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한층 더 굳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개발을 활발하게 전개할 예정이다.

항생제 외에도 일성아이에스 (구, 일성신약) 의 적극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 라이센스 품목 도입과 제네릭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기존에 중점 품목이 아니었던 순환기용제와 당뇨병용제 에서도 공동개발 참여를 통한 제품 라인업 강화를 통해 단기적인 매출 향상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일성아이에스 (구, 일성신약) 의 주 영업 영역으로 확립하고자 한다.

전반적인 제품 라인업 강화를 위해 타사의 기허가 품목 양도양수 및 공동개발로 제품발매를 진행 중이다. 24년 11월에는 펜믹스페라미비르수화물주 품목을 상품으로 신규 발매하였다.

국내 시장뿐 아니라 국제 전시에 참가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에도 집중하고 있다.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는 일본 후생성에 해외제조업체 인증을 받았으며, 본격적인 해외 CMO사업의 일환으로 일본 진출을 시작한 2015년 이후 매년 우수한 실적 성장을 보이고 있다.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하여 전 부서에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협업을 통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어려운 현 제약업계에서 헤쳐 나아갈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급변하는 제약 시장에서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만이 갖고 있는 특장점 및 노하우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의 도입을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65 기 2024. 12. 31 현재
제 64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천원)
과 목 제 65 기 제 64 기
[유동자산] 270,411,559 293,943,117
ㆍ현금및현금성자산 110,238,399 160,085,707
ㆍ단기금융상품 104,946,928 74,469,432
ㆍ금융자산 7,101,974 865,056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15,905,410 24,057,656
ㆍ재고자산 28,239,421 31,240,779
ㆍ기타유동자산 3,979,427 3,224,487
[비유동자산] 126,406,431 125,348,241
ㆍ장기금융상품 7,500 7,500
ㆍ금융자산 37,264,584 44,050,120
ㆍ유형자산 77,650,501 69,516,428
ㆍ투자부동산 7,262,917 7,153,729
ㆍ무형자산 2,738,046 2,378,136
ㆍ보증금 402,857 482,657
ㆍ사용권자산 156,272 233,873
ㆍ퇴직연금운용자산 723,754 1,219,278
ㆍ장기대여금 200,000 200,000
ㆍ이연법인세자산 - 106,520
자산총계 396,817,990 419,291,357
[유동부채] 10,373,524 34,892,112
[비유동부채] 1,443,426 1,645,566
부채총계 11,816,950 36,537,677
[자본금] 13,300,000 13,300,000
[자본잉여금] 16,039,057 16,039,057
[기타자본구성요소] (105,622,300) (105,622,30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70,789) (127,140)
[이익잉여금] 461,755,073 459,164,063
자본총계 385,001,041 382,753,680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65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6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천원)
과 목 제 64 기
매 출 액 69,018,341 78,053,232
매 출 원 가 41,969,650 41,966,787
매 출 총 이 익 27,048,691 36,086,445
판매비와 관리비 36,697,274 44,079,087
영 업 이 익 (9,648,583) (7,992,642)
금 융 수 익 16,178,062 12,177,329
금 융 비 용 2,374,705 8,508,397
기 타 수 익 7,867,035 933,680
기 타 비 용 859,157 17,954,90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1,162,652 (21,344,936)
법 인 세 비 용 (1,797,899) (404,043)
당 기 순 이 익 12,960,553 (20,940,893)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65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6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천원)
과 목 제 65 기 제 64기
I.미처분이익잉여금 461,755,073 459,164,063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448,940,553 479,918,049
2. 당기순이익 12,960,553 (20,940,893)
3.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 요소 (146,033) 186,907
II.이익잉여금처분액 6,815,673 10,223,510
1. 이익준비금 - -
2. 임의적립금 - -
3. 배당금 - -
현금배당금(률)보통주: 당기 1,000원(100%) 전기 1,500원(150%) 6,815,673 10,223,510
III. 차기이월이익잉여금 454,939,400 448,940,55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 65 기(안) 제 64 기
현금배당금 총액(원) 6,815,673,000 10,223,509,500
주당 현금배당금(원) 1,000 1,500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윤석근 1956.01.12

미해당

- 본인

이사회

김영민 1977.09.13

미해당

-

없음

이사회

엄대식 1961.09.28 미해당 -

없음

이사회

이성열 1961.05.28 해당 - 없음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윤석근

현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대표이사

1986.02 ~ 현재 일성아이에스 대표이사 없음
김영민 현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기획재무본부장 2002.12 ~ 현재 일성아이에스 기획재무본부장 없음
엄대식 현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제약사업부문장 2024.06 ~ 현재 일성아이에스 제약사업부문장 없음
이성열 현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감사위원장 1981.03 ~ 1986.08 연세대학교경영학과 졸업 없음
2002.07 ~ 2011.03 SK C&C 재무팀장 / 자금팀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윤석근 - - -
김영민 - - -
엄대식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이성열]

본 후보자(사외이사 이성열)는 현 일성아이에스 감사위원회 위원장으로 SK계열사의 재무담당 및 재무팀장 등 그리고 일성아이에스 CFO를 역임하였습니다. 이에 풍부한 실무 경험과 경영 전반에 관한 지식을 기반으로 사외이사로서의 직무수행을 계획하고 기업 및주주,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기준과 투명한 의사개진을 통해 직무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본 후보자는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회사의 경영이 적법, 건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사내이사 후보자 윤석근]

윤석근 사내이사 후보는 다년간 당사의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탁월한 경영능력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과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였고, 경영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경륜으로 회사를 안정적으로 이끌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함.

[사내이사 후보자 김영민]

김영민 사내이사 후보는 일성아이에스에서 오랜 기간 재무, 회계, 세무, 관리업무에 대한풍부한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재경 총괄책임자로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함.

[사내이사 후보자 엄대식]

엄대식 사내이사 후보는 동아ST 및 한국오츠카제약 회장을 역임하며 풍부한 실무 경험과 제약사업부문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함

[사외이사 후보자 이성열]

이성열 사외이사 후보는 경영전반에 대한 전문성과 폭넓은 경험을 갖추고 있어 합리적인시각으로 회사경영을 감독하고 이사회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함.

확인서 이사후보자확인_윤석근.jpg 이사후보자확인_윤석근

이사후보자확인_김영민.jpg 이사후보자확인_김영민

이사후보자확인_엄대식.jpg 이사후보자확인_엄대식

이사후보자확인_이성열.jpg 이사후보자확인_이성열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성열 1961.05.28 해당 미해당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성열 현 일성아이에스(구, 일성신약) 감사위원장 1981.03 ~ 1986.08 연세대학교경영학과 졸업 없음
2002.07 ~ 2011.03 SK C&C 재무팀장 / 자금팀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성열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이성열은 당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으며, 여러 회사의 CFO경험 및 회사 경영 현안에 풍부한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감사위원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 ( 4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500 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9 ( 4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430 백만원
최고한도액 2,500 백만원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3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www.ilsungis.com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 주주총회 개최를 주주총회집중일을 피하여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결산,회계감사 일정,감사보고서 수령 일정 및 주주총회 준비기간 등을 고려하였을때 불가피하게 주주총회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