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000001]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 |
[000002] I. 기업개요
오씨아이 주식회사 |
2024-01-01 |
2024-12-31 |
2024-12-31 |
2-1. 당기~전전기 회계연도 기간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회계기간 시작일 | 2024-01-01 | 2023-05-01 | 2022-01-01 |
회계기간 종료일 | 2024-12-31 | 2023-12-31 | 2022-12-31 |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담당자
공시 책임자 | 실무자 | ||
---|---|---|---|
성명 : | 성명 : | ||
직급 : | 직급 : | ||
부서 : | 부서 : | ||
전화번호 : | 전화번호 : | ||
이메일 : | 이메일 : |
4. 표 1-0-0 : 기업개요
최대주주 등 | OCI 홀딩스㈜ |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 47.03 |
---|---|---|---|
소액주주 지분율(%) | 42.27 | ||
업종 | 비금융(Non-financial) | 주요 제품 |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과산화수소, TDI, 카본블랙 등 |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해당 여부 | O | 공공기관운영법 적용대상 여부 | X |
기업집단명 | 오씨아이 | ||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연결) 매출액 | 2,215,286 | 1,288,826 | 0 |
(연결) 영업이익 | 110,493 | 57,451 | 0 |
(연결) 당기순이익 | 89,669 | 52,204 | 0 |
(연결) 자산총액 | 2,283,045 | 1,990,471 | 0 |
별도 자산총액 | 2,088,280 | 1,899,041 | 0 |
당사는 2023년 5월 1일을 분할기일로 존속회사인 오씨아이홀딩스 주식회사(이하 'OCI 홀딩스')로부터 베이직케미컬 사업부문 및 카본케미컬 사업부문 등을 단순물적 분할하여 2023년 5월 2일 설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상기 요약 재무현황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과 관련하여, 전기(2023년)은 2023년 5월부터 12개월까지 8개월간의 개별 실적이며, 전전기(2022년)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한편, 2024년 1월 25일 OCI 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던 종속회사 3개사(OCI China Co., Ltd., OCI Japan Co., Ltd., 오씨아이드림(주))와 관계기업 2개사((주)피앤오케미칼, Philko Peroxide Corporation)의 각 지분 및 주식을 당사에 현물출자하고 그 대가로 당사가 OCI 홀딩스에 신주를 발행함에 따라, OCI 홀딩스가 당사의 최대주주가 되고 당사는 OCI 홀딩스의 종속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이에 2024년부터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
[000003]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80 |
5.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핵심지표 |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직전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비고 |
---|---|---|---|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 X | X | 주주총회 2주전 소집공고 실시 (소집공고 : 2025.03.07/주주총회일 : 2025.03.25) |
전자투표 실시 | O | O | 제2기 정기주주총회 실시 |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 O | O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 |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 X | X | 주주의 배당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1기 정기주주총회를 통하여 주주총회 권리행사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분리하는 정관개정을 완료하였으나, 공시대상기간 및 직전 공시대상기간 중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배당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지 않음 |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 O | O | 홈페이지 상시 게시 및 거래소 국문(영문)배당 공시 |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마련 및 운영 | O | O | ‘최고경영자(대표이사) 승계 규정’을 제정하여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으며, 후보군을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 |
위험관리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 O | O | ① 리스크관리규정, ② 내부회계관리규정 및 내부회계관리업무 운영규칙, ③ 공시정보관리 및 주식 등의 내부자 거래에 관한 규정, ④준법통제기준 등을 제정·운영하며 지속적으로 보완함 |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 | O | O | 문태곤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 (2024.03.26) |
집중투표제 채택 | X | X | 정관상 집중투표제 배제 (정관 제39조) |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 O | O | 이사 후보 선정 시 최근 5년 이내 횡령, 배임으로 인한 확정판결의 유무,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에 대한 책임 유무를 확인함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규정 제9조의2) |
이사회 구성원 모두 단일성(性)이 아님 | O | O |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이사 총 6인 중 여성 1인(정원선 사외이사 (2023.03.22 선임)) |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 O | O | 감사위원회 업무 지원 및 내부감사를 수행하는 감사팀 설치·운영 |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 O | O | 감사위원 4인 중 1인이 상법 시행령 상 회계·재무 전문가(문태곤 사외이사 (2023.03.22 선임)) |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 O | X | 2024년 감사위원회 외부감사인 간 대면 회의 및 서면 보고 총 7회 진행 (1분기 2회, 2분기 1회, 3분기 1회, 4분기 3회) |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 마련 여부 | O | O | 영업에 관한 보고 요구권,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 조사권 (감사위원회 규정 제3조), 관계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 출석 요청권 (감사위원회 규정 제11조) |
당사는 주주총회 2주전 소집공고를 실시하여 상법상 기준은 충족하고 있으나, 내부 결산 일정 등으로 인해 주주총회 4주 전 통지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추후 업무프로세스를 정비하여 주주총회 4주 전 소집통지 및 공고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현금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2024년 제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총회 권리행사 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분리하는 정관 개정을 완료하였으나, 공시대상기간 및 직전 공시대상기간의 주주총회에서 배당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배당 예측가능성 제공 및 배당 절차 개선을 위해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000004] II. 기업지배구조 현황
[100000] 1. 기업지배구조 일반정책
당사는 주주 가치 제고 및 권익 보호를 위하여 투명성, 건전성,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당사의 성장 경로와 조직문화가 반영된 지배구조를 갖추고자 노력해왔습니다. 당사는 투명한 지배구조 구현 및 이해관계자에 대한 정보 제공 측면에서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 구성 현황, 구성원의 약력,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운영현황 등을 https://www.oci.co.kr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사회가 특정한 공통의 배경을 갖거나 특정 이해관계를 대변하지 않고 다양성과 독립성을 지닐 수 있도록 운영 중이며, 이사회의 전문성을 위하여 특정 배경과 직업군에 편중되지 않고, 화학공학, 법률, 회계·재무, 경영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인 문태곤 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여 이사회의 경영진에 대한 견제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한편, 의사 결정의 독립성과 효율성을 위해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실무 추진력을 요하는 ESG위원회 외의 모든 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만으로 구성하여 이사 후보 선정, 보수한도 설정, 계열사간 내부거래 등과 관련하여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심의 및 결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1)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이사회는 총 6명 중 4명이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사외이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적격성 및 독립성을 검증한 후 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습니다. 사외이사인 문태곤 이사는 의장으로서, 이사회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경영진에 대한 견제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편, 업무 집행에 관한 내부통제 및 감사를 수행하는 감사위원회는 구성원 전원이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내부 견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모든 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를 추천하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역시 사외이사로만 구성되어 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 과정에서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율적으로 설치한 이사회 내 위원회인 보상위원회 및 내부거래위원회도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이사의 보수 및 내부거래 승인 여부에 대해 투명한 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2) 이사회 내 위원회 중심의 운영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는 총 5개로,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감사위원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법령에 따라 설치하였고,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는 이사회의 전문성, 독립성, 효율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이사회가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정관에 근거를 마련하여 설치하였습니다.
(3) 이사회 내 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당사는 다양한 안건에 관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화학공학, 법률, 회계·재무, 경영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사외이사로 구성하였으며, 사외이사는 이사회 내 여러 위원회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사외이사들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해 신임 사외이사 입문 교육 및 각 사업장 현장 교육, 필요시에는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4)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현황
|
[201000] (핵심원칙1) 주주는 권리행사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받고,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201100] (세부원칙 1-1) - 기업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의안을 소집결의 즉시 공시하며, 최소 2주전까지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을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상법 및 정관에 따라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하는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신문에 2회 이상 공고하거나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갈음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 전반에 관한 사항을 주주총회 2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여 주주들이 의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 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자원 절약 및 폐기물 감축 등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등에 의하여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하는 주주총회 소집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였으며, 발행주식 총수의 1%를 초과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 대해서는 주주총회 2주전까지 주주총회 소집통지서를 발송하였습니다. 또한, 개정된 상법 시행령에 따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고 홈페이지에도 게시하였습니다. |
표 1-1-1: 주주총회 개최 정보
제2기 정기주주총회 | 제1기 정기주주총회 | ||
정기 주총 여부 | O | O | |
소집결의일 | 2025-03-05 | 2024-03-04 | |
소집공고일 | 2025-03-07 | 2024-03-06 | |
주주총회개최일 | 2025-03-25 | 2024-03-26 | |
공고일과 주주총회일 사이 기간 | 18 | 20 | |
개최장소 | 본사(서울) | 본사(서울) | |
주주총회 관련사항 주주통보 방법 | - 소집통지서 발송(1% 초과 주주) - 홈페이지 공고 - 전자공시시스템 소집공고 |
- 소집통지서 발송 - 홈페이지 공고 - 전자공시시스템 소집공고 |
|
외국인 주주가 이해가능한 소집통지 | 실시 여부 | O | O |
통지방법 | 영문 전자공시 | 영문 전자공시 | |
세부사항 | 이사회 구성원 출석 현황 | 참석 : 4인 불참 : 1인 |
전원 참석 |
감사 또는 감사위원 출석 현황 | 참석 : 2인 불참 : 1인 |
전원 참석 | |
주주발언 주요 내용 | 1) 발언주주 : 5인(개인주주) 2) 발언요지 : 안건에 대한 찬성 발언 |
1) 발언주주 : 7인(개인주주) 2) 발언요지 : 안건에 대한 찬성 발언 및 질의, 적극적인 IR활동 요청 |
주주들에 대한 당사의 주주총회 소집통지 시기는 상법상 기준은 충족하고 있으나, 당사의 결산 일정 등으로 인해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에서 제시하는 주주총회 4주 전 통지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총회 4주 전 통지 권고의 취지에 공감하여 법적 기준보다 가능한 한 빠른 결의 및 통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제2기 정기주주총회의 경우 18일 전, 제1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20일 전 주주들에 대한 소집 통지를 실시하였습니다. 추후 업무 프로세스를 정비하여 주주총회 4주 전 소집통지 및 공고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200] (세부원칙 1-2) -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주주의 의결권 행사 편의를 위해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하며, 전자투표제 및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1) 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당사는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적극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제2기 정기주주총회 및 제1기 정기주주총회 모두 주주총회 집중 예상일이 아닌 날 개최되었습니다. 2) 주주총회 서면투표 상법 제368조의3은 정관이 정한 바에 따라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당사는 정관에 서면투표 관련 근거 조항을 마련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당사는 주주가 의결권을 용이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하고 있으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권유 시작일 2일 전까지 위임장 양식 및 참고서류를 전자공시시스템 DART(http://dart.fss.or.kr, 이하 동일) 및 회사 홈페이지(OCI>투자정보>공시정보>전자공고)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4) 전자투표 도입 매년 이사회에서 주주총회 소집 결의 시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 도입을 의결하고 있으며, 제2기 정기주주총회 및 제1기 정기주주총회 모두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
표 1-2-1: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접근성
구분 | 제2기 정기주주총회 | 제1기 정기주주총회 | -- |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 2025-03-21, 2025-03-27, 2025-03-28 | 2024-03-22, 2024-03-27, 2024-03-29 | -- |
정기주주총회일 | 2025-03-25 | 2024-03-26 | 2022-01-01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여부 | O | O | 미해당(N/A) |
서면투표 실시 여부 | X | X | X |
전자투표 실시 여부 | O | O | X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 O | O | X |
당사 정기주주총회에는 주주의 직접 참여, 의결권 대리행사, 전자투표를 통한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며, 당사는 주주총회 직후 홈페이지를 통해 안건별 찬반현황을 공개함으로써 의결권 행사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연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전일까지 개최된 당사 주주총회의 안건별 찬반 현황은 다음 표를 참고해주십시오. |
표 1-2-2: 주주총회 의결 내용
결의 구분 | 회의 목적사항 | 가결 여부 |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 찬성주식수 | 찬성 주식 비율 (%)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 ||
---|---|---|---|---|---|---|---|---|---|---|
제2기 정기주주총회 | 제1-1호 | 보통(Ordinary) | 제2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747,947 | 99.4 | 34,717 | 0.6 |
제1-2호 | 보통(Ordinary) | 제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743,401 | 99.3 | 39,263 | 0.7 | |
제1-3호 | 보통(Ordinary) | 제2기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743,401 | 99.3 | 39,263 | 0.7 | |
제2호 | 보통(Ordinary)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745,178 | 99.4 | 37,486 | 0.7 | |
제3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김원현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713,242 | 98.8 | 69,422 | 1.2 | |
제4호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유기풍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905,672 | 1,735,841 | 1,664,093 | 95.9 | 71,748 | 4.1 | |
제5호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8,952,495 | 5,782,664 | 5,153,431 | 89.1 | 629,233 | 10.9 | |
제1기 정기주주총회 | 제1-1호 | 보통(Ordinary) | 제1기(2023.5.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4,258,038 | 98.6 | 60,530 | 1.4 |
제1-2호 | 보통(Ordinary) | 제1기(2023.5.1~2023.12.31)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4,264,654 | 98.8 | 53,914 | 1.2 | |
제2호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4,248,925 | 98.4 | 69,643 | 1.6 | |
제3호 | 특별(Extraordinary) | 자기주식 소각을 위한 자본금 감소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4,278,927 | 99.1 | 39,641 | 0.9 | |
제4호 | 보통(Ordinary) |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일부 변경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4,224,421 | 97.8 | 94,147 | 2.2 | |
제5호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7,398,689 | 4,318,568 | 3,793,306 | 87.8 | 525,262 | 12.2 |
당사는 제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시 선임 예정 임원을 포함한 이사회 구성(안) 및 이사회 역량 구성표(Board Skill Matrix)를 포함하여, 주주들이 이사 선임 안건과 관련하여 각 이사 후보들의 전문 분야 및 역량과 기존 이사진과의 구성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비교적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이사 보수 한도의 건'에 대하여, 당사가 해당 금액을 상정한 사유 및 이사들의 보수 구성(기본급, 성과급 및 기타)에 대한 설명을 참고로 기재하여 유권자들의 안건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당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기관 투자자가 의안에 반대한 경우 반대 사유를 파악하여, 이후 의안 상정 시 투자자들의 기준에 부합하는 안건을 상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집중 예상일이 아닌 날에 주주총회 개최를 하고 있으며, 전자투표 및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를 실시하여 주주들이 편리하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주주의 참여와 의결권 행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주주의 의견이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300] (세부원칙 1-3) - 기업은 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의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주주제안 절차를 홈페이지에 안내하고 이에 관한 내부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명백한 의사진행 방해의 목적이 아니라면 주주총회 시 주주 발언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
당사는 주주의 임시주주총회의 소집권, 주주제안 절차 등을 회사 https://www.oci.co.kr/ir/management?tab=regularStockholdersGeneralMeeting(OCI>투자정보>경영정보>주주총회)를 통해 안내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가 제안한 의안을 처리하는 내부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여 이를 https://www.oci.co.kr/ir/management?tab=regularStockholdersGeneralMeeting(OCI>투자정보>경영정보>주주총회)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주주제안이 있는 경우, (i) 주주제안권자의 지분보유비율 충족 여부(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 이상에 해당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 및 6개월 전부터 계속하여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0.5% 이상에 해당하는 주식을 보유한 주주), (ii) 주주제안 의사표시의 상법상 제안기간 준수 여부(직전 연도 정기주주총회일에 해당하는 그 해의 해당일 6주 전까지), (iii) 제안내용의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 여부 및 상법상 주주제안 거부사유 해당여부를 검토하여 처리합니다.
이사회는 주주제안의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을 위반하거나 상법 시행령 제12조에서 정하는 주주제안 거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상정하며 주주제안자에게 주주총회에서 설명할 기회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
2025년 1월 주주로부터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 대한 주주제안서를 수취하고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였으나, 안건 상정을 위한 준비 과정 중 제안주주가 자발적으로 주주제안을 철회하였습니다. |
표 1-3-1: 주주 제안 현황
제안 일자 | 제안주체 | 구분 | 주요 내용 | 처리 및 이행 상황 | 가결 여부 | 찬성률 (%) | 반대율 (%) | |
---|---|---|---|---|---|---|---|---|
N(X)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표 1-3-2: 공개서한 현황
발송일자 | 주체 | 주요 내용 | 회신 일자 | 수용 여부 | 회신 주요 내용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홈페이지에 주주제안 절차 등을 안내하고 주주가 제안한 의안을 처리하는 내부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여 주주들이 주주제안권을 용이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주주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400] (세부원칙 1-4) - 기업은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을 마련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배당 성향 30% 이상 지향 및 필요시 자사주 매입 시행'을 골자로 하는 주주환원정책을 마련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환원정책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별도기준 배당성향(주1) 30% 이상의 배당 지급을 지향하며, 사업 실적, 투자 계획, Cash Flow, 재무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주환원 규모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주1) 배당성향(%) = (배당금 총액 ÷ 별도 당기순이익) × 100 또한 주가 안정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자사주를 매입 또는 소각을 할 수 있습니다. 제1기 정기주주총회에 '자기주식 소각을 위한 자본금 감소 승인의 건'을 상정하여 2023년 인적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자기주식 38,040주를 임의·무상 소각하였으며,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을 상정하여, 향후 배당 및 자사주 소각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기업가치 상승 및 지속적인 주주가치 증대를 위해 핵심사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하여, 회사의 재무구조 개선과 주주의 배당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배당 수준을 유지해 나가고자 합니다. |
Y(O)
|
Y(O)
|
당사는 주주환원정책을 마련하여 홈페이지(OCI>투자정보>경영정보>배당금) 게시, 정기보고서(사업보고서, 분/반기보고서) 공시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주주의 편의를 위해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영문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영문 https://www.oci.co.kr/en/ir/management?tab=dividends를 통해 배당정책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상장회사협의회의 표준정관에 따라 제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배당 및 중간배당 기준일을 정기주주총회 권리행사 기준일과 분리하는 개정 내용을 포함하는 정관 변경 안을 특별결의로 승인받았습니다. 이로써 배당기준일 이전에 배당결정을 하여 주주들의 배당관련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배당과 관련하여 현재 당사의 정관은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제59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제9조에도 불구하고,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회사는 이사회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정관 제60조(중간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상법 제 462조의3에 의한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표 1-4-1: 배당기준일과 배당액 확정일
결산월 | 결산배당 여부 | 배당기준일 | 배당액 확정일 |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 |
---|---|---|---|---|---|
1차(제1기) | 12월(Dec) | O | 2023-12-31 | 2024-03-26 | X |
2차(제2기) | 12월(Dec) | O | 2024-12-31 | 2025-03-25 | X |
당사는 정관 개정을 통해 주주들로 하여금 배당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아직 배당기준일 이전에 배당 결정을 시행한 바는 없습니다. |
배당 예측가능성 제고와 관련한 법령 개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향후 주주의 배당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주주의 배당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 및 시행하겠습니다.
|
[201500] (세부원칙 1-5) -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준의 배당 등을 받을 주주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당사는 배당정책 , 영업실적, 투자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2024년 실적 및 투자계획, 재무 상황, 현금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2기 사업연도에 대해 보통주 1주당 2,2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시가배당률 3.57% 및 별도기준 배당성향 약 22% 수준입니다. 제1기 사업연도에는 보통주 1주당 2,000원의 현금배당을 시행하였으며, 이는 시가배당률 1.84% 및 배당성향(주1) 28% 수준이었습니다.
(주1) 자회사 편입을 통해 2024년부터 연결재무제표 작성 대상이 되었으므로, 제1기 사업연도 배당에 대한 현금배당 성향은 개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표 1-5-1-1: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주환원 현황
일반현황 | 주식배당 | 현금배당(단위 : 원) | ||||||
---|---|---|---|---|---|---|---|---|
연도 | 결산월 | 배당가능 이익 | 총 배당금 | 주당 배당금 | 시가 배당률 (%) | |||
당기 | 보통주 | 2024년 | 12월(Dec) | - | 73,013,704,156 | 19,695,489,000 | 2,200 | 3.57 |
전기 | 보통주 | 2023년 | 12월(Dec) | - | 14,733,215,482 | 14,797,378,000 | 2,000 | 1.84 |
전전기 | 보통주 |
표 1-5-1-2: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연결기준 (%) | 21.98 | ||
개별기준 (%) | 22.25 | 28.23 |
당사는 2024년 4월 27일을 감자기준일로 하여, 2023년 분할 과정에서 자기주식으로 취득한 1주 미만의 단수주 총 38,040주를 소각하였습니다. 상법 제438조 제1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쳐 결정하였으며, 안건이 승인됨에 따라 자기주식 전체를 소각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에 의거하여, 2025년 3월 25일 제2기 정기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자본준비금 1천억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였습니다. 이익잉여금 전입액은 향후 자기주식 취득, 이익배당 등 주주가치 제고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
당사는 제2기 사업연도에 대해 주당 2,200원의 현금 배당을 하였습니다. 이는 배당성향 약 22%로, 당사가 공개한 배당정책(배당성향 30% 이상 지향)에 다소 미치지 못하였으나, 동종업계의 실적 부진 및 국내외 경기 불안정에도 불구하고 당사에 투자한 주주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고자 제1기 사업연도의 배당액 약 148억 원(1주당 2,000원)보다 33% 증가한 약 197억 원의 배당(1주당 2,200원)을 실시하였으며, 시가배당율은 1.84%에서 3.57%로 1.73%증가하였습니다. |
당사는 배당정책에 부합하는 규모의 배당을 시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향후 차별화된 기술력 및 전략적 투자를 통한 사업성과 개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구축을 추구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적절한 주주환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2000] (핵심원칙 2) 주주는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받아야 하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02100] (세부원칙 2-1) - 기업은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가 발행한 주식은 모두 보통주이며 의결권은 1주당 1개 입니다. 매 분기 실적발표회(IR)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IR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보통주 및 종류주를 포함하여 100,000,000주 (1주당 액면가액 5,000원) 이며, 정관에 따라 전체 기명식 종류주식의 발행총수는 발행주식총수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며, 각 종류주식의 발행주식 최대한도는 발행주식총수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합니다. 당사는 2023년 5월 분할신설 시 보통주 7,436,729주를 발행하였으며, 2024년 1월 26일 제3자 배정 방식의 현물출자를 통한 유상증자로 보통주 1,553,806주를 추가로 발행함으로써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는 8,990,535주가 되었습니다. 한편, 2024년 4월 27일을 감자기준일로 하여 기 보유 중인 자기주식 38,040주를 전부 임의·무상 소각함에 따라, 보고서 작성일 현재 '발행주식의 총수'는 8,952,495주입니다. 당사 발행 주식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주)
현재 회사는 자기주식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종류주식도 발행하지 않아, 당사의 모든 주식은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또한 자기주식 취득 관련 신탁 계약을 맺고 있지 않습니다. |
표 2-1-1-1: 발행가능 주식총수(주)
보통주 | 종류주 | 발행가능 주식전체 |
---|---|---|
100,000,000 |
표 2-1-1-2: 주식발행 현황 세부내용
발행주식수(주) | 발행비율 (%) | 비고 | |
---|---|---|---|
보통주 | 8,952,495 | 8.95 | 보고서 제출일 기준 |
당사의 발행 주식은 모두 기명식 보통주식으로 종류주식은 발행되어 있지 않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현재 당사의 모든 주식에 대한 의결권은 1주당 1개입니다. 향후 자기주식을 취득하거나 종류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법에서 정한 사항을 준수하여 보유주식의 종류, 수량 등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이 부여되도록 하겠습니다. |
당사는 매분기 실적발표회(IR)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기관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방문 미팅, 컨퍼런스콜 등 수시 IR 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기 IR 및 수시 투자자 미팅 등은 필요시 최고경영진이 투자자와 직접 만나는 등 적극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정기 IR 일정은 당사 홈페이지(OCI>투자정보>IR 활동) 및 전자공시시스템 KIND와 DART에 제출되는 안내공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관련 자료는 당사 홈페이지(OCI>투자정보>IR 자료실)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 탐방 및 컨퍼런스콜을 상시 진행하고 있으며,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현재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와의 기업 탐방 및 컨퍼런스콜 주최 횟수는 118건입니다. 공시대상기간 연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주요 IR, 컨퍼런스콜, 주주와의 대화 개최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당사는 매분기 실적발표시 소액 주주들도 참여할 수 있는 컨퍼런스콜을 진행하고 있으며, 실적발표 자료 등 IR관련 자료들을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소액 주주에게 경영현황, 주요 경영사항 및 기업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적발표회 약 2주 전에는 전자공시시스템에 안내공시를 진행하여 일반주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일시, 접속 방법, IR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 위치 등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화, 이메일 등 IR 전용 창구를 통해 개인 주주 문의에 적극적으로 응대 중이며, 정기주주총회 시 임원을 포함하여 개인 주주들과 대면 소통을 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J.P. Morgan, UBS 등 주요 투자자를 포함하여 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상시 기업탐방 및 컨퍼런스 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경영진 미팅 참석 요청이 있을 경우,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극적으로 참석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경영기획부 내 Corporate Communication팀에서 IR을 담당하고 있으며, IR 전용 이메일 및 대표전화 내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서류 제출 시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공시담당자 연락처를 기재하여 주주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
92.9 |
당사의 홈페이지는 외국인 주주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영문으로도 제공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당사가 발간한 감사보고서 및 IR 자료를 국문·영문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 ESG 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합보고서(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국·영문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한편, 공시대상기간 연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영문공시 내역(전자공시시스템)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Y(O)
|
당사는 2023년 6월 합작투자(JV) 설립과 관련된 투자 계획을 공시하였으나, 공시 시점 대비 시황 변동 등으로 인한 투자 효익의 감소로 인해 계약 주체를 당사에서 지주회사(OCI 홀딩스)의 자회사인 OCI TerraSus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상 '공시번복'에 해당하여, 2025년 3월 10일자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향후 불성실공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공시 대상 규모 이상의 투자 검토 시 시황 변동을 염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도록 하고, 공시 담당 부서와 투자 담당 부서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여 투자 의사결정에 대한 번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는 공시번복 혹은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2025년 4월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가 한국거래소를 방문하여 불성실공시 관련 교육을 이수하였으며, 2025년 5월에는 한국거래소 불공정거래 신고센터를 통해 전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공시 의무 사항 및 미공개 정보이용 금지 등을 교육하였습니다. |
표 2-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내역
불성실 공시유형 | 지정일 | 지정사유 | 부과벌점 | 제재금(단위 : 원) | 지정 후 개선노력 등 | |
---|---|---|---|---|---|---|
1 | 공시번복(Reversal) | 2025-03-10 | 투자 계획 번복 | 0 | 12,000,000 | 투자 결정 시 사업성 분석 강화, 담당자 및 전사 대상 교육 |
당사는 2023년 6월 합작투자(JV) 설립 계획을 결정하고 이 사실을 한국거래소를 통하여 공시하였으나, 시황 변동을 반영하여 투자 효율성을 재검토한 결과 당사는 본 건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고 계약 주체를 지주회사(OCI 홀딩스)의 자회사인 OCI TerraSus로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공시번복'에 해당하여 2025년 3월 10일 한국거래소로부터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습니다. |
당사는 주주에게 공시, IR 자료, 홈페이지 등을 통해 회사와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주로부터 이메일 등을 통한 문의를 접수한 경우 적시에 충분히 답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향후 투자 계획 수립 시 투자 효익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 공시담당자 및 전사 임직원에 대해 공시 관련 교육을 제공하여, 공시번복, 불이행, 변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202200] (세부원칙 2-2) - 기업은 지배주주 등 다른 주주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및 내부거래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를 철저히 감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지배주주 및 경영진·임원이 사적인 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를 행하지 않도록 다양한 내부통제장치를 두고 있습니다.
당사는 오씨아이 기업집단 소속 회사로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제26조(대규모내부거래의 이사회 의결 및 공시)에 따라, 계열회사 등과의 단일 거래금액 또는 분기 거래금액의 합계액이 100억 원 이상인 대규모내부거래에 대해 사전 이사회 의결 및 공시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사회의 사전 승인을 받은 후 혹은 거래실적이 승인 금액 대비 20% 이상 변동된 경우 전자공시시스템 DART를 통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거래 자율준수 체제 구축을 통해 회사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자 계열회사 간의 내부거래 점검을 전담하는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내부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상 대규모 내부거래 중 상품·용역의 제공 또는 거래에 대한 의결권을 이사회로부터 위임 받아 승인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내부거래 감독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법률에서 요구하는 위원회 구성의 최소 요건보다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4명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였습니다.
한편, 상법 제542조의9(주요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제3항에 따라, 최대주주 및 그의 특수관계인과의 단일 거래규모가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또는 매출액의 1% 이상이거나 연간 누적 거래규모가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또는 매출액의 5% 이상인 경우, 사전에 이사회 승인을 받고 주주총회에 보고하도록 이사회 규정에 명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법 제398조(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의결은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도록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 명기하고 있으며, 본 조항의 취지에 적극 공감하여 엄격한 자기거래 감독을 위해 법률을 보수적으로 해석하여 의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이사 김유신이 Director로 겸임하고 있는 OCIKUMHO Sdn. Bhd.와 당사 간의 거래는 상법 제398조를 적용하여, 양사의 거래 승인 시 대표이사 김유신의 의결권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다수의 산발적인 계약으로 이뤄지는 거래 건에 대해서는 매년 이사회 및 내부거래위원회를 통해 연간으로 사전에 포괄적 승인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사회 및 내부거래위원회에서 계열사 등과의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와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승인한 결의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1) 이사회
(주1) 상법 제368조 제3항 및 상법 제391조 제3항에 따라 해당 안건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의 의결권은 제한됩니다. 2)내부거래위원회
|
공시대상기간동안 당사 및 지배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차입금
2025년 5월 21일, 당사는 종속기업 (주)피앤오케미칼에 250억원 한도로 자금 대여를 결정하였으며, 법인세법상 당좌대출이자율(2025년 기준, 연 4.6%)를 조건으로 하고 계약기간은 2025월 6월 1일부터 2027년 5월 31일까지입니다. 3) 지급보증
당사가 종속회사인 Shandong OCI Co., Ltd.의 한도대출에 제공하는 지급보증 한도액으로, 보고서 제출일 현재 Shandong OCI Co., Ltd.의 SC Bank China로부터의 채무잔액(한도대출)은 없습니다.
그 외 가지급, 담보제공, 보증, 배서 및 이행약속 등에 해당하는 신용공여를 제공한 바 없습니다.
5)자산양수도
6) 연간 매출액 5/100 이상 거래
공시대상기간동안의 이해관계자와의 전체 거래 내역은 당사의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4001304의 재무제표 주석 27. 특수관계자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내부통제장치를 통해 계열사간 내부거래 및 지배주주·경영진의 자기거래를 감시·감독하여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련 법규 및 내부 규정에 의거한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이행을 방지하겠습니다. |
[202300] (세부원칙 2-3) - 기업은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정책에 있어 주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당사는 기업 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하거나 주주간 이해를 달리할 수 있는 사항이 발생할 경우, 소액주주 및 반대주주의 권리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제정하여 주주 및 이해관계자 권익 보호에 대한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기업지배구조 헌장에는 기업 경영권 변동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7조(기업 경영권 변동사항) ① 회사의 인수, 합병, 분할,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 회사 경영권의 변동을 초래하는 행위는 적법하고 투명하게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회사의 경영권 방어 행위는 특정한 주주 또는 경영진의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회사와 소액주주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져서는 아니된다. ③ 회사는 합병,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 주요한 구조변경에 반대한 주주가 관련 법규에 정해진 바에 따라 그 지분의 실질 가치를 반영하는 공정한 가액에 의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주총회 운영과 관련하여 당사는 매년 정기주주총회에 전자투표제를 도입·실시 함으로써 소액주주를 포함한 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상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주주권리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소유구조 또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은 진행한 바 없습니다. 다만, 2024년 4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자사주 38,040주를 전량 소각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상법 및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이 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결의, 주주총회 특별결의, 채권자 보호절차 등 정해진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건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해 이사회가 안건 상정을 결의한 날 주요사항보고서(감자결정)을 통해 이 사실을 공시하였으며, 이후 주주총회 소집공고 등을 통하여 안건 상정 이유, 방법, 기준일 등을 자세히 밝혔습니다. |
N(X)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향후 지배구조 및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주주간 이해를 달리할 수 있는 사항이 발생할 경우, 관련 법이 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혹은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치고, 채권자 보호절차 등 정해진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건을 진행할 것입니다. 또한 적극적인 공시, 공고, IR 활동, 외국인 주주를 위한 영문공시 등을 진행하여 적시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IR 담당 부서를 통해 주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겠습니다. |
[300000] 3. 이사회
[303000] (핵심원칙 3)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이익을 위하여 기업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여야 한다.
[303100] (세부원칙 3-1) -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규정' 등에 근거한 주요 경영사항의 이사회(위원회) 의결 의무화, 주요 업무집행에 대한 보고 의무화를 통해 이사회의 경영감독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
당사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이 규정하고 있는 사항, 주주총회를 통해 위임 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경영에 관한 중요사항에 대한 심의 및 의결을 통해 경영진의 업무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사회 규정' 제10조 제1항 제3호(출자 및 투자에 관한 사항) 및 제10조 제1항 제9호(일정액 이상의 자금차입 및 보증행위)의 경우, 법상 의무화된 사항은 아니지만 이사회의 의결을 요하는 출자 및 투자의 규모와 자금차입 및 보증의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추가하여, 기업 및 주주이익과 직결되는 출자 및 투자, 자금차입 및 보증에 대하여 경영 의사결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부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사회 규정 제10조(부의사항) ①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의 소집,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 행사 허용, 영업보고서의 승인, 재무제표의 승인 나. 정관의 변경 다. 자본의 감소 라. 회사의 포괄적 주식교환·이전, 해산, 합병(피합병 포함), 분할·분할합병, 회사의 계속 등 마.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및 양수 바. 영업 전부의 임대 또는 경영위임, 타인과 영업의 손익 전부를 같이하는 계약, 기타 이에 준할 계약의 체결이나 변경 또는 해약 사. 이사의 보수, 선임 및 해임 아. 주식의 액면미달 발행 자.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감면 차. 주식배당 결정,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주식의 소각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카. 회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의 승인 및 주주총회에의 보고 - 단일 거래규모가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00분의 1 이상인 경우 - 해당 사업연도 중 거래총액이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이 되는 경우 타.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폐지, 위임사항 등 파.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사항
2. 경영에 관한 사항 가. 회사경영의 기본방침의 결정 및 변경 나.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다. 공동대표의 결정 라. 신규사업 또는 신제품의 개발 마. 중요한 사규의 제정 및 개폐 바. 공장 및 해외 현지법인(회사가 직접 출자한 회계상 연결 대상인 법인)의 설치, 이전 또는 폐지, 지점, 사무소, 출장소의 설치, 이전 또는 폐지 사. 간이주식교환,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주식교환, 소규모합병 및 소규모분할합병 등의 결정 아.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자. 준법지원인 임면 및 준법통제기준 제·개정 차. 내부회계관리규정 제·개정
3. 출자 및 투자에 관한 사항 가. 건당 자기자본의 1000분의 15 이상의 출자(타법인이 발행한 주식 또는 출자증권의 취득을 말함. 이하 같음) 나. 건당 자기자본의 1000분의 15 이상 또는 당해법인의 지분이 30% 미만이 되게 하는 출자지분의 처분 다. 건당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의 신규시설 투자, 시설증설, 별도 공장의 신설 라. 사업계획 심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출자 및 투자 등 이사회가 정하는 중요한 사항
4. 회사의 경영, 재산 등에 중요한 신물질 또는 신기술에 관한 특허권의 양수도, 기술도입 및 이전, 기술제휴에 관한 사항 5. 신주의 발행 및 신주인수권의 부여 6. 사채의 발행. 다만, 이사회 결의로 사채의 종류 및 금액을 정하여, 대표이사에게 1년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내에 사채를 발행할 것을 위임할 수 있다. 7. 준비금의 자본전입 8. 결손의 처분 9. 일정액 이상의 자금차입 및 보증행위. 다만, 그 기간연장 및 금융기관 변경은 대표이사가 결정한다. 가. 건당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의 차입 및 여신한도 약정 체결 나. 건당 자기자본의 1000분의 15 이상의 담보제공 및 채무보증 다. 기타 이사회가 정하는 중요한 자금차입 및 보증행위 10. 중요한 재산에 대한 저당권 및 질권의 설정. 다만, 차입조건에 따라 이행하는 것은 제외한다. 11. 회사의 특수관계인 등과의 거래 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대규모 내부거래로서 단일 거래금액이 100억원 이상인 자금·유가증권·자산의 제공 또는 거래(결의 후 주요내용의 변경이 있는 경우를 포함하나, 거래금액 등이 당초에 결의한 것보다 20%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 경우는 제외한다. 아래 나목의 경우에도 같다) 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대규모 내부거래로서 분기 거래금액의 합계액이 100억원 이상인 상품·용역의 제공 또는 거래 다. 상법상 주요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로서 단일 거래규모가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 이상인 거래 라. 상법상 주요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로서 해당사업연도 중에 특정인과의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5% 이상이 되는 경우의 해당 거래 12. 이사 등에 관한 사항 가. 이사 등과 회사간 거래의 승인 나. 타회사(회사와 동종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로서 계열회사가 아닌 회사)의 임원 겸임 13. 기타 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취소 나. 전무 이상 재직 후 퇴임한 전 임원의 고문 선임 다. 전무 이상 미등기임원의 (재)선임, 해임 라. 기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및 대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마.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연간 계획 승인 14. 단 3호 및 9호의 이사회가 기승인한 건을 해당 호 승인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20%미만을 증액하고자 하는 경우 승인권한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한다. 한편, 당사는 이사회규정에 의거한 심의·의결 사항 외에도, 일부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이사회의 경영감독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당사 '이사회 규정'이 의무화하고 있는 보고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사회 규정 제10조 (부의사항) ② 다음 각 호의 사항은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1. 사업계획 대 실적 현황 2. 자회사 및 관계회사의 사업계획 대 실적 현황(실질적으로 경영에 관여하지않는 자회사 및 관계회사는 제외) 3. 출자 및 투자 현황 4. 차입금 및 보증 현황 5. 주요 신제품의 개발 및 출시에 관한 사항 6. 직원의 연간 채용계획 7. 급여체계, 상여, 복리후생제도 및 인센티브 제도 주요 변경 사항 8. 노조정책에 관한 중요 사항 9. 투자회사의 경영, 재산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유에 관한 사항 10.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11. 손해배상 청구 등 중요한 소송의 제기, 확정 12. 벌금, 과태료 또는 추징금 등의 부과 13. 특별손실 또는 특별이익의 발생 14. 기타 경영상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1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에 관한 사항 |
이사회는 법령으로 달리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 따라,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을 제외하고 이사회의 권한 중 일부를 이사회 내 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 각 위원회(감사위원회 제외)는 결의한 사항을 결의일로부터 3일 이내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며, 각 이사는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이사회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을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 단, 감사위원회의 경우 재결의 대상에서 제외하여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위원회가 이사회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승인·심의하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편, 정관에 따라 이사회는 대표이사에게 사채의 금액 및 종류를 정하여 1년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내에 사채를 발행할 것을 위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에 근거하여 자금차입·보증행위에 대한 기간 연장, 금융기관 변경, 20% 미만의 증액을 대표이사에게 위임할 수 있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출자 및 투자에 대한 20% 미만의 증액도 대표이사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정관 및 '이사회 규정' 내 심의 및 의결사항을 명확히 문서화하고, 일부 사항에 대해서는 법률에서 의결을 요하는 조건보다 엄격한 금액 기준을 운영하여, 이사회의 의사결정 기능 및 책임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이사회의 독립성 향상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303200] (세부원칙 3-2) - 이사회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당사는 법인 신설과 동시에 '최고경영자 승계규정'을 제정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후보집단을 선정하고 후보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정관 제42조 및 '이사회 규정' 제10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대표이사의 선임을 이사회의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당사 신설과 동시에 경영공백 등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최고경영자 승계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경영승계에 관련된 실무는 인사부서가 주관하고 있으며, 인사 담당 임원 및 인사담당자는 최고경영자 후보군에 대한 관리, 육성, 검증 및 평가 등 승계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경험이 많으며 리더십을 보유한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이들 후보군에게 적합한 내·외부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자격요건과 보유역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교육, 코칭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최고경영자 후보군에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임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Talent Review Session을 운영하여 승계계획을 위한 차기 후보자그룹 확보 및 개발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며, 후보자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영승계 절차는 대표이사의 퇴임 또는 유고시에 개시되며, 회사는 상시 관리하는 후보군 혹은 필요시 외부추천자 중에 적합한 자를 이사회에 추천하고, 추천한 자에 대한 대표이사 선임은 정관과 '이사회 규정'에 따라 진행됩니다. 대표이사의 유고로 인한 비상시에는 정관 제43조에 제2항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합니다.
|
Y(O)
|
매년 시행되는 Talent Review Session에서는 기업가 정신, 비즈니스 역량과 자질, 기업윤리와 조직관리 역량,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한 역량 확보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군의 역량을 검증합니다. 이와 함께 리더십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최고경영자 후보군인 C-level(총 6명)을 선발하여, 이들이 경영자로서의 역량을 조기에 배양할 수 있도록 일대일 코칭 및 맞춤형 내외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의 지식을 논의하는 '세계지식포럼'과 경영 전략 및 신사업 구상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KOTIA 하계포럼'에 후보군 중 각각 1명이 참석하였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한국경영자총협회' 월례 포럼에 참여하여 기업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통찰력을 습득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국내 주요 기업 CTO가 참석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관 'CTO 클럽' 및 '차세대 CTO 교육과정'을 후보군에게 제공하여 신기술과 신산업 정보를 습득하고, 기술 협력을 통한 기술혁신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ESG 경영의 배경에 대한 이해와 실행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환경재단' 주최 'ESG 리더십 과정'에 후보군이 수강을 완료했습니다. 최고경영자 후보군에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차기 후보자 그룹에게는 공통 교육, 전문성 향상, 글로벌 역량 강화 등으로 나누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통 교육으로는 신임 임원을 대상으로 회사의 경영 현황과 전략, 윤리, 임원의 리더십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내외 교육과정을 지원합니다. 특히 2024년에는 글로벌 마켓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략적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Wharton Executive Education' 프로그램, 일대일 어학과정 등을 포함한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였으며, 앞으로도 명사 특강 등을 제공하여 역량 향상을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후보군의 자격요건, 승계절차의 개시, 승계절차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정책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상시 후보군 관리 및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투명한 대표이사 승계 및 경영공백의 최소화를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
[303300] (세부원칙 3-3) -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당사는 전사 리스크, 준법 리스크, 내부회계관리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Y(O)
|
1) 이사회 및 위원회의 리스크 관리
당사는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를 통해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회계·내부회계 및 업무감사 관련 리스크를 중점적으로 감독하며, 내부거래위원회는 계열사 간의 대규모 내부거래가 공정거래법을 준수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부적합한 후보가 당사의 이사 후보로 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각 위원회는 주어진 역할에 따라 전사적인 리스크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2) 전사 리스크 관리 정책
당사는 사업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 규정'을 사규로 제정하여 전사 리스크 관리 방법 및 업무 진행 절차 등의 세부 방침을 정립하였습니다. 각 조직은 리스크 관리 실태 점검표를 활용하여 연초 리스크 관리 계획을 수립하며, 연 2회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세부 내용은 보고서 형태로 제출합니다. 전사 주관 부서는 리스크 관리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경영진 및 이사회에 보고하며, 이에 대한 이사진의 의견을 수렴하여 차년 리스크 관리 계획 수립 시 반영합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리스크 관리를 위한 IT 시스템(RMS 시스템)을 구축하여 주관 부서와 리스크 발생 부서 간 신속한 피드백이 가능해졌으며, 유형별 리스크 현황, 사업장별 순위 등 다양한 통계를 쉽게 도출·비교함으로써 경영 관련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실질적인 리스크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Y(O)
|
이사회는 상법 제542조의13 및 '이사회 규정' 제10조 제1항 2호에 따라 준법통제기준을 제정하고, 준법지원인을 선임하고 있습니다. 준법지원인은 회사가 사업운영상 준수해야 하는 제반 법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임직원의 법규준수 여부를 자체적으로 점검하여 위법행위를 사전적으로 예방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법적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체의 정책수립 및 통제활동 과정에 대한 기준인 준법통제기준을 사규로 제정하여 그 준수여부를 점검하고, 결과를 연 1회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기준 당사가 선임한 준법지원인의 경력 등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1) 준법지원인 현황
2) 준법지원인 등의 주요 활동 내역 및 그 처리 결과
3)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 근속연수는 지원업무 수행기간이며, 분할 전 OCI㈜(現 OCI 홀딩스㈜)에서의 근속연수를 포함하였습니다. |
Y(O)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6조가 정하는 바에 따라, 내부회계관리규정 및 내부회계관리업무 운영규칙을 제정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운영·평가·보고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 절차에 관하여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운영함으로써 재무제표 신뢰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는 2024년 12월 31일 현재 동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실태를 평가한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내용의 운영실태보고서를 2025년 2월 7일자로 발행한 바 있습니다.
또한, 이에 대한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위와 같은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등을 참고하는 한편, 당사 내부회계관리 담당 임직원 등에 대한 면담 및 자료검토 등의 과정을 거쳐 독립적인 평가를 수행한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2024년 12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한편, 당사의 외부감사인 역시 감사 결과,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4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Y(O)
|
당사는 ‘공시정보관리 및 주식 등의 내부자 거래에 관한 규정’을 두어 모든 공시정보가 관련법규에 따라 정확하고 완전하며 공정하고 시의 적절하게 공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임직원의 불공정거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시 관련 업무 절차 및 공시정보의 관리에 필요한 사항 등을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담당부서가 이사회 지원 업무를 함께 수행하여, 일정 금액 이상의 시설 투자, 차입 거래, 출자 및 출자지분의 처분 등 주요 경영 사항이 담당 부서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고, 이사회 안건이 아니더라도 대규모 내부거래나 장기공급계약이 발생하는 부서들과는 매달 혹은 매 분기 주기로 자료를 취합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외부 강사를 초청하여 임직원 대상으로 공시 제도 및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교육하고, 그룹웨어 게시판에 관련 정보 및 내부 프로세스 등을 상시 게시하는 등 체계적인 공시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안전보건, 환경, 윤리·준법, 인권, 정보보안과 같이, 회사, 임직원, 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가치를 지키고 개선해 나가기 위해 다양한 내부통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CSEO(Chief Safety&Emvironment Officer)을 선임하여 환경·안전·보건 관련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하고, 산하에 안전보건 담당부서와 환경 담당부서를 설치하여 안전보건·환경 리스크 관리의 전문성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중대재해예방위원회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위험성평가 진행, TBM(Tool Box Meeting) 의무화, 위험예지 능력 강화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환경영향평가,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 및 관리 강화, 법적 기준보다 엄격한 내부 오염물질 배출 기준 도입 등 환경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윤리·준법 및 인권 관련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 '임직원 윤리행동 준칙', '인권정책' 등을 사규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2024년에는 윤리·준법을 담당하는 '컴플라이언스 책임자'를 임명하고 '컴플라이언스 경영방침'과 산하 매뉴얼, '인권경영규정'을 제정하여 윤리·준법 및 인권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천명하고 관련된 책임 및 프로세스를 명문화하였습니다. 또한, 감사팀을 운영하여 정기적, 비정기적 감사를 실시하고, 인권영향평가를 진행하여 리스크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보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HR/총무 담당 임원을 CISO(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로 지정하고 총무팀을 주관부서로 지정하여 정보보호 및 정보보안 관련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주관부서는 '정보보호 관리규정', '개인정보보호 관리규정' 등 사규에 의거하여 서버 및 PC, 네트워크, 시스템, 정보자료에 대해 연 1회 이상의 정기점검과 필요 시 수시점검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매뉴얼 및 사고 대응 체계를 정립하고 정기적으로 취약성 점검 및 모의 해킹 훈련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사 차원의 리스크 관리부터 준법경영, 내부회계, 공시정보 관리, 환경·안전 등 각 분야와 관련한 리스크에 이르기까지, 위험 요소 방지 및 기회 요소 극대화를 통한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리스크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앞으로도 정기적·비정기적으로 리스크를 점검하고 예방, 완화하는 활동을 진행하겠습니다. |
[304000] (핵심원칙 4) 이사회는 효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통하여 선임되어야 한다.
[304100] (세부원칙 4-1) - 이사회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야 한다.
당사 이사회는 독립적인 사외이사가 과반수(총 이사 6명 중 4명)를 차지하며, 산하 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하여 이사회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 |
당사의 이사회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대표이사(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4명으로 총 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결의에 따라 문태곤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한편, 의사 결정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위해,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실무적 추진능력을 요하는 ESG위원회 외에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독립성을 강화하였습니다. 당사는 이사회 및 위원회의 직무수행을 보조하기 위해 담당 지원조직을 두고 있습니다. 경영기획팀은 이사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를, 인사관리팀은 보상위원회를 지원하며, 양 부서는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시 사전에 이사와 위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의안 및 보고 사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사외이사는 각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의안 및 보고사항에 대한 자문과 제언을 수행하고, 필요시 회사 비용으로 전문가에게 자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사회 구성, 이사회 구성원의 연령, 성비 현황 등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
구분 | 성별 | 나이(滿) | 직책 | 이사 총 재직기간(월) | 임기만료예정일 | 전문 분야 | 주요 경력 | |
---|---|---|---|---|---|---|---|---|
문태곤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7 | 이사회의장, 감사위원회 위원장 |
24 | 2026-05-01 | 회계·재무 |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 -감사원 기획관리실장 및 제2사무차장 -삼성생명 상근감사위원 -법무법인 화우 고문 -강원랜드 대표이사 |
유기풍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73 | 보상위원회 위원장 | 2 | 2028-03-24 | 화학공학 | -서강대학교 총장 -OCI 홀딩스㈜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석좌교수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제4대 총장 -(現)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명예교수 |
김진일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72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 24 | 2026-05-01 | 산업, 경영 | -포스코 포항제철소장 -포스코 철강생산부문장(부사장)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 -포스코 철강생산본부장(대표이사 사장) |
정원선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47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 24 | 2026-05-01 | 법률 | -SIMPSON THACHER&BARTLETT LLP Senior Associate -WHITE&CASE LLP Local Partner -(現)SHEPPARD, MULLIN,RICHTER&HAMPTON Office Managing Partner |
김유신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59 | 부회장, 대표이사, ESG위원회 위원장 | 24 | 2026-05-01 | 화학, 경영 | -OCI㈜ CMO(부사장) -(現)한국클로르알카리협회 감사 -(現)한국석유화학협회 이사 -(現)한국경영자총협회 비상근부회장 -(現)OCIKUMHO Sdn. Bhd. Director -(現)OCI Japan Co., Ltd. 부회장 -(現)디씨알이 기타비상무이사 -(現)OCI SE 기타비상무이사 -(現)OCI 홀딩스㈜ 사장 |
김원현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58 | 사장, 대표이사 | 2 | 2028-03-24 | 회계·재무, 경영 | -OCI㈜ CFO(부사장) -(現)에이치디현대오씨아이 감사 |
당사의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 의장 및 위원장, 위원회의 주요 역할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
이사회내 위원회 주요 역할 | 위원회 총원(명) | 위원회 코드 | 비고 | |
---|---|---|---|---|
이사회 |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등 결의 및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 | 6 | A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사내이사 김유신, 김원현 *의장 : 문태곤 |
감사위원회 | 회계와 업무 감사, 영업에 관한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재산상태 조사, 내부감사부서 책임자 임면에 대한 동의 |
4 | B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위원장 : 문태곤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의 천추 |
4 | C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위원장 : 김진일 |
보상위원회 | 이사의 보수 및 퇴직금에 관한 사항, 성과목표 이행실적에 대한 보상기준 및 지급방법 |
4 | D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위원장 : 유기풍 |
내부거래위원회 |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대규모 내부거래 중 상품ㆍ용역 거래에 대한 승인 |
4 | E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위원장 : 정원선 |
ESG위원회 | ESG와 관련된 전략 및 주요사항을 심의 | 5 | F | 사외이사 문태곤, 유기풍, 김진일 정원선 사내이사 김유신 *위원장 : 김유신 |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직책 | 구분 | 성별 | 겸임 | ||
---|---|---|---|---|---|
이사회 | 문태곤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유기풍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김진일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정원선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
김유신 | 위원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A,F | |
김원현 | 위원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A | |
감사위원회 | 문태곤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유기풍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김진일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정원선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김진일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문태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유기풍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정원선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
보상위원회 | 유기풍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문태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김진일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정원선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
내부거래위원회 | 정원선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문태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유기풍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김진일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ESG위원회 | 김유신 | 위원장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A,F |
문태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유기풍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김진일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B,C,D,E,F | |
정원선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A,B,C,D,E,F |
Y(O)
|
당사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립하여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의지를 공식화하였습니다. ESG위원회는 ESG 관련 회사의 최고 기관으로서 환경, 안전·보건, 사회공헌, 지배구조 등과 관련된 사항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부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9조 (부의사항) 위원회는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심의한다. ① 온실가스, 유해물질 저감 등 친환경 정책활동 검토 및 정책목표 심의 ② 개인정보보호, 작업장내 안전관리 및 성평등 보장 등 근로환경 개선활동 검토 및 사내 인권보호 정책 심의 ③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보호 및 증진에 대한 개선활동 검토 및 정책 심의 ④ 공정경쟁, 상생협력 등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정책활동 검토 및 정책목표 심의 ⑤ 주주가치제고를 위한 주주의견 수렴결과 검토 및 주주환원정책 심의 ⑥ ESG 관련 평가 결과 검토 및 개선 사항 ⑦ 그 밖에 위원회 또는 이사회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결정한 사항 |
Y(O)
|
당사는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2024년 3월 26일 이사회에서 문태곤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였습니다. 문태곤 사외이사는 상법 시행령이 규정하고 있는 회계·재무 전문가로서, 회계·재무 분야 전문성 및 20여 년간 감사원에 재직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이사회를 이끌고 있습니다. |
N(X)
|
N(X)
|
당사는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고, 감사위원회를 사외이사로만 구성하는 등 경영 감독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바, 선임사외이사 제도 및 집행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 후보에 대하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주주총회에 후보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사의 독립성(회사와의 거래관계, 최대주주 등과의 관계), 이사회의 전문성 및 다양성(전문분야, 성별),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사외이사 구성비), 기업가치 또는 주주권익 침해 가능성(최근 5년 이내 횡령·배임으로 인한 확정판결 유무,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에 대한 책임 유무 등), 기타 법령 상 결격 사유 등을 점검하며, 전문 분야, 연령, 성별, 경험, 기존 이사진과의 조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한편, 당사는 사외이사가 사전에 안건 자료를 검토하여 독립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사회 및 각 위원회를 보조하는 담당 지원조직을 두고 있습니다. 이사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는 경영기획부가, 보상위원회는 HR/GA부가 지원하며, 양 부서는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시 사전에 이사와 위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의안 및 보고사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사외이사가 의안 및 보고사항에 대해 충분히 숙고할 수 있도록 최소 3 영업일 전 자료를 배포하고 있으며, 필요 시 안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304200] (세부원칙 4-2) -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는 전문성, 배경, 성별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따라 이사후보 추천 시 이사회의 전문성, 다양성(전문분야, 성별)을 고려하도록 명시하였습니다. 현재 회계·재무, 화학공학, 경영, 법률 분야의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사외이사 4인 중 1인이 여성 이사(정원선 사외이사)입니다.
문태곤 사외이사는 20여년간 감사원에 근무하며 기획관리실장 및 제2사무차장을 역임하였으며 상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회계ㆍ재무 전문가에 해당합니다. 유기풍 사외이사는 30년 가까이 화학공학 분야 학계에 몸 담아온 전문가로서 화학 분야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김진일 사외이사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장 및 철강생산본부장(대표이사 사장),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 등을 역임하는 등 국내 산업 환경 및 경영 분야에 전문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정원선 사외이사는 미국 변호사로서, 현재 미국계 다국적 로펌인 SHEPPARD, MULLIN, RICHTER&HAMPTON에서 Office Managing Partner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1인(김원현) 및 사외이사 1인(유기풍)을 선임하였습니다. 유기풍 사외이사의 경우, 정부공직자 윤리위원회 취업 심사 대상이었으므로, 선임 결의의 효력은 심사 승인일의 익일인 2025년 3월 29부터 발생하였습니다. 한편, 김택중 사내이사는 2025년 3월 26일자로 사내이사(대표이사) 직을 사임하여, 보고서 제출 시점 현재 당사의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
표 4-2-1: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구분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변동일 | 변동사유 | 현재 재직 여부 | |
---|---|---|---|---|---|---|
김유신 | 사내이사(Inside) | 2023-03-22 | 2026-05-01 | 2023-05-02 | 선임(Appoint) | 재직 |
김원현 | 사내이사(Inside) | 2025-03-25 | 2028-03-24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문태곤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22 | 2026-05-01 | 2023-05-02 | 선임(Appoint) | 재직 |
유기풍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5-03-25 | 2028-03-25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김진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22 | 2026-05-01 | 2023-05-02 | 선임(Appoint) | 재직 |
정원선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22 | 2026-05-01 | 2023-05-02 | 선임(Appoint) | 재직 |
김택중 | 사내이사(Inside) | 2023-03-22 | 2026-05-01 | 2025-03-26 | 사임(Resign) | 재직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이사들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앞으로도 전문성과 책임성을 지닌 이사들로 이사회를 구성하여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당사는 이사회의 독립적이고 투명한 구성을 위해, 법에서 요구하는 사외이사의 추천 뿐 아니라 모든 이사의 추천을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304300] (세부원칙 4-3) -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후보를 선임하고 있으며,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이사 후보와 관련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Y(O)
|
100 |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이사후보 추천 시 이사회의 전문성과 다양성(전문분야, 성별 등)을 고려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제9조의2(이사 후보의 선정)
위원회는 이사 후보 선정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① 이사회의 전문성 및 다양성(전문분야, 성별)
②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사외이사 구성비)
③ 기업가치 또는 주주권익 침해 가능성(최근 5년 이내 횡령, 배임으로 인한 확정판결 유무,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에 대한 책임 유무 등)
④ 상법 제382조, 제542조의8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하는 자격요건 충족 여부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함으로써, 상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 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최근 5년 이내 횡령, 배임으로 인한 확정판결 유무 등)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면밀히 검토하여 주주총회에 후보자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동 위원회는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전원이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 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등기임원의 경우 당사는 '이사회 규정 에 의거하여 전무 이상의 미등기임원을 선임할 시에는 이사회에 안건을 부의하고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어,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선임을 방지하고, 능력 및 자격에 대한 이사회의 검증을 거치고 있습니다.
|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 사내이사 1인 및 사외이사(감사위원) 1인 선임의 건이 상정됨에 따라, 2025년 3월 7일 주주총회 소집공고를 통하여 각 후보들의 세부경력, 당사와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등을 공개하고, 직무수행 계획과 이사회의 추천 사유를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제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시 이사회 역량 구성표(Board Skills Matrix)를 공개하여, 이사 후보들의 역량을 기존 이사진과 비교하였을 때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이사 후보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한편, 제1기 정기주주총회에는 이사 선임 및 재선임 안건이 없었습니다. |
표 4-3-1: 이사 후보 관련 정보제공 내역
정보제공일(1) | 주주총회일(2) | 사전 정보제공기간(일)((2)-(1)) | 이사 후보 구분 | 정보제공 내역 | 비고 | ||
---|---|---|---|---|---|---|---|
제2기 정기주주총회 | 김원현 | 2025-03-07 | 2025-03-25 | 18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자의 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2. 후보자의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 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3.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4.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5. 1~4에 대한 사실 확인서 6. 선임시 이사회 역량 구성 및 이사회·위원회 구성(안) |
|
유기풍 | 2025-03-07 | 2025-03-25 | 18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자의 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2. 후보자의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 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3.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4.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 5.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6. 1~5에 대한 사실 확인서 7. 선임시 이사회 역량 구성 및 이사회·위원회 구성(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로 분리선출 |
Y(O)
|
당사는 2023년 5월 분할신설된 법인으로, 아직 재선임된 이사는 없습니다. 이사들의 이사회 참석현황, 안건 찬·반 투표 내역 등 활동 내역은 당사 홈페이지(OCI>투자정보>경영정보>이사회 및 위원회 활동내역)에 공개되어 있으며, 정기보고서(사업, 분·반기보고서), 주주총회 소집공고 공시에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
N(X)
|
정관 제39조에 따라 이사 선임 시 집중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당사는 이사의 선임에 있어 소액주주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제도 및 전자투표 등을 적극 활용 중이며, 상법에서 정한 요건을 만족하는 주주라면 누구나 이사 선임과 관련하여 주주 제안을 할 수 있도록 주주권리를 보장하겠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8에 의거하여 사외이사가 위원장인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주주에게 이사 후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주주총회일로부터 적정한 기간 전에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사후보 추천 및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 및 독립성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사 후보에 관한 정보제공 기간의 경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따라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모든 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추천을 주주총회일 6주 전까지, 후보 선정은 주주총회일 4주 전까지 하는 것을 원칙으로 규정함으로써 후보 선정 기한을 두었습니다. 당사는 향후 한국ESG기준원의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에서 권장하는 정보제공기간(4주 전)을 충족하여 주주총회에 대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304400] (세부원칙 4-4) -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당사는 등기 및 미등기임원에 대하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심의, 이사회 의결 등을 거쳐 결격사유가 있는 자가 선임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
표 4-4-1: 등기 임원현황
성별 | 직위 | 상근 여부 | 담당업무 | |
---|---|---|---|---|
김유신 | 남(Male) | 부회장 | O | 대표이사 부회장, 이사회, ESG위원회(위원장) |
김원현 | 남(Male) | 사장 | O | 대표이사 사장, 이사회 |
문태곤 | 남(Male) | 이사 | X | 이사회(의장), 감사위원회(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
유기풍 | 남(Male) | 이사 | X | 이사회,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
김진일 | 남(Male) | 이사 | X | 이사회,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위원장), ESG위원회 |
정원선 | 여(Female) | 이사 | X | 이사회,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위원장),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
당사의 보고서 제출 시점 현재 기준 미등기임원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따라 등기임원 후보 추천에 대한 고려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등기임원 후보 선정 시 최근 5년 이내 횡령, 배임으로 인한 확정판결의 유무,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에 대한 책임 유무를 고려하여 후보를 추천하여야 합니다. 미등기임원의 경우, 당사 이사회규정에 전무 이상의 미등기임원을 선임할 시에는 이사회에 안건을 부의하고 승인을 받도록 명시하고 있어,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선임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임직원 윤리 행동 준칙'을 제정·공개하여, 임직원으로 하여금 투명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통해 주주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경영권 유지 등을 위해 소액주주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윤리·준법 교육을 통해 윤리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임직원의 비윤리행위에 대한 제보가 들어온 경우, '컴플라이언스 경영방침' 및 하위 매뉴얼, '임직원 윤리 행동 준칙', '취업규칙' 등 사규에 의거하여 임원·직원 구분 없이 엄격하고 공정한 사실 확인 절차를 거쳐 필요 시 합당한 징계 절차를 진행합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규정에 의거하여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의 여지가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관련 규정을 엄격히 준수하여 적절하지 못한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는 일이 없도록 하겠으며, 윤리·준법 경영 문화를 확산시켜 임직원으로 하여금 건전하고 성실한 업무 수행을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미등기임원의 경우 인사평가 및 내부 임직원의 평판 등을 다면적으로 고려하여 기업가치를 훼손했거나 할 가능성이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주의하겠습니다. |
[305000] (핵심원칙 5) 사외이사는 독립적으로 중요한 기업경영정책의 결정에 참여하고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을 감독ㆍ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305100] (세부원칙 5-1) - 사외이사는 해당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기업은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당사의 사외이사는 당사와의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으며, 독립적이고 투명하게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사외이사는 4명이며, 제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신규선임된 유기풍 사외이사는 분할 전 OCI(現 OCI 홀딩스)에서 2017년 3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4년 3개월간 사외이사를 역임하였습니다. 관련 법규 상 계열회사를 포함하여 총 9년을 사외이사로 재직할 수 있습니다. 유기풍 사외이사는 화학공학 분야에서 연구와 사업에 매진해 온 인물로서, 당사 사업에 대한 지식이 매우 깊어 회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법적 검토를 진행하고 역량 경험을 고려하여 주주총회에 후보를 추천하였습니다. |
표 5-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재직기간
당사 재직기간(월) | 계열회사 포함 시 재직기간(월) | |
---|---|---|
문태곤 | 24 | 24 |
유기풍 | 2 | 53 |
김진일 | 24 | 24 |
정원선 | 24 | 24 |
사외이사 또는 사외이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와 당사간 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한편, 정원선 사외이사의 배우자 및 배우자의 직계존비속이 (주)넥센의 주식을 50% 이상 보유하고, 다시 이들이 합하여 넥센타이어(주)의 주식을 50%이상 소유하고 있으며, 당사는 현재 (주)넥센 및 넥센타이어(주)와 거래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법에 의거하여 이사회에서 매년 (주)넥센 및 넥센타이어(주)와의 거래 한도를 승인받고 있으며,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정원선 이사의 의결권은 상법 제391조 및 당사 정관에 따라 행사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제9조의2 제4항에서 위원회가 이사 후보를 선정할 때 상법 제382조, 제542조의8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하는 자격요건 충족 여부를 고려하여야 함을 명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 규정 제10조에 따라 위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관계 임직원 또는 외부 인사를 출석시켜 의견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외이사와의 이해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한편, 정원선 이사와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주)넥센과 넥센타이어(주)와의 거래에 대해 매달 추정 및 실적 거래금액을 점검 중이며, 사전 승인 받지 않은 거래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공정하고 투명한 사외이사 선임을 위하여 상법에서 요구하는 사외이사 자격요건을 통한 결격사유 검증은 물론, 독립성, 전문성, 직무공정성, 윤리책임성, 충실성 등의 자격요건을 점검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인물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임자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앞서 이사의 자격요건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재임 중인 당사의 사외이사는 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자격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외이사 선임 시 법적 자격 요건 이외 평가항목 등을 도입하여 기업과의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더욱 고도화 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305200] (세부원칙 5-2) -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한다.
당사 사외이사 중 과도한 겸임을 하고 있는 자는 없으며, 모두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상법 시행령 제34조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제9조의3에 근거하여 당사 외의 2개 이상 타사의 이사·집행임원·감사로 재직 중인 자를 사외이사후보로 선정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으로 이사가 타회사(회사와 동종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로서 계열회사가 아닌 회사)의 임원을 겸임하고자 할 경우 이사회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사외이사들에게 주기적으로 상법 시행령 및 내부 규정을 안내하고 겸직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보고서 제출일 현재, 정원선 사외이사는 당사 외 1개 회사에 재직 중이며, 문태곤 사외이사, 유기풍 사외이사, 김진일 사외이사는 타기업 겸직 해당사항 없습니다. |
표 5-2-1: 사외이사 겸직 현황
감사위원 여부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현직 | 겸직 현황 | ||||
---|---|---|---|---|---|---|---|---|
겸직기관 | 겸직업무 | 겸직기관 근무시작월 | 겸직기관 상장 여부 | |||||
정원선 | O | 2023-03-22 | 2026-05-01 | SHEPPARD, MULLIN,RICHTER&HAMPTON Office Managing Partner | SHEPPARD, MULLIN,RICHTER&HAMPTON LLP | Office Managing Partner | 23.04 | 비상장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 사외이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과도한 겸직을 하고 있는 자가 없으며, 2024년에는 사외이사 출석률이 100%를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사전 송부한 이사회 안건 자료에 대해 활발한 의견을 개진하는 등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도 사외이사들이 직무수행을 함에 있어서 의사결정 사안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검토할 수 있도록 회의일 3일 전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업 및 직무 관련 교육과 자료를 충실히 제공하는 등 사외이사 활동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305300] (세부원칙 5-3) - 기업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사외이사의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 충분한 정보 및 자료, 교육 등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가 사전에 안건 자료를 검토하여 독립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사회 및 각 위원회를 보조하는 담당 지원조직을 두고 있습니다. 이사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는 경영기획팀이, 보상위원회는 인사관리팀이 지원하며, 양 부서는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시 사전에 이사와 위원들에게 이사회 및 위원회의 자료를 제공하여 사전에 충분히 숙고한 후 이사회·위원회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이사회규정'에 의거하여, 이사는 업무집행에 있어 필요시 관계임직원 또는 외부인사를 출석시켜 의견을 청취할 수 있고, 회사 비용으로 전문가에게 자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의 효율적 업무수행을 위해 전담부서를 두어 지원하고 있으며, 이사회 안건에 대하여 충분한 사전 검토를 할 수 있도록 이사회 3일 전 안건을 공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및 각 위원회 전담부서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 근속연수는 분할전 OCI㈜(現 OCI 홀딩스㈜)에서의 근속연수를 포함하였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가 그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회의 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임 사외이사가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경영현황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주요 경영 사항 발생 시 수시로 사외이사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 시 국내외 주요 사업장의 방문·시찰을 통하여 회사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동안 당사의 사외이사에 대한 교육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4명 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분기 감사위원회에 감사(검토) 결과 및 계획을 보고받은 직후 사외이사(감사위원)들만 참여하여 강평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영진 및 실무진은 사외이사들이 강평을 진행하는 공간에 참석하지 않으며, 사외이사들은 이 시간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합니다. |
표 5-3-1: 사외이사만으로 이루어진 회의 내역
정기/임시 | 개최일자 | 출석 사외이사(명) | 전체 사외이사(명) | 회의 사항 | 비고 | |
---|---|---|---|---|---|---|
1 | 정기(AGM) | 2024-07-24 | 3 | 3 | 2024년도 감사계획 및 반기 검토결과에 대한 강평 | 정기 감사위원회 |
2 | 정기(AGM) | 2024-10-30 | 3 | 3 | 2024년도 3분기 검토 진행사항에 대한 강평 | 정기 감사위원회 |
3 | 정기(AGM) | 2025-03-05 | 3 | 3 | 2024년도 감사결과에 대한 강평 | 정기 감사위원회 |
4 | 정기(AGM) | 2025-04-23 | 4 | 4 | 2025년도 1분기 검토 진행사항에 대한 강평 | 정기 감사위원회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의 경영현황 및 주요 현안 파악을 돕기 위하여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에 외부감사인을 분기마다 참석하게 하여 경영진의 배석 없이 직접 감사 계획과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도록 하며, 직후에는 사외이사들만 참석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
[306000] (핵심원칙 6) 사외이사의 적극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의 활동내용은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지급 및 재선임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306100] (세부원칙 6-1) -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당사는 사외이사의 개인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재선임 여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18조에 의거하여 이사회 및 위원회 활동에 대한 평가를 진행합니다. 한국ESG기준원의 이사회평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2024년도 이사회·위원회 활동에 대한 설문평가를 2025년 2월에 진행하였으며, 해당 평가에는 사외이사 개별실적에 대한 자기평가도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2월에 진행한 평가는 단순 활동 평가에서 나아가, 이사회·위원회 운영 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을 찾기 위해 일부 문항을 추가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낮은 점수가 나온 사항들에 대해 개선점을 도출하여 2025년 3월 이사회에 보고하였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당사의 사외이사 개별평가의 주요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들이 편안한 환경에서 심사숙고하여 평가문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인터넷 설문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무기명 방식으로 하여 솔직한 답변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한국ESG기준원의 이사회평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이사회 활동, 감사위원회 활동, 위원회 활동 및 사외이사로서의 자기 평가 등 다면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확보 여부, 구성원들의 기여 수준, 발표·토론 시간의 적절한 배분 등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더욱 효과적인 이사회·위원회 운영에 대한 개선점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의 개별실적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뿐만 아니라, 회의 참석률, 이사회 각 안건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하여 실효성 높은 제언을 하였는지 여부, 해당 분야 전문가로서 주요한 경영 의사 결정에 적절한 의견을 제공하였는지 여부, 감사위원으로서 내부통제 및 감시 장치 운영에 대한 기여도 등 전반적인 활동 내용에 근거하여 사외이사를 평가하고 있으며, 평가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선임 후보 추천 시 반영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향후 더욱 공정하고 다면적인 사외이사 평가를 위해 지속적으로 평가 문항의 개선·개정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이사회 및 위원회가 더욱 효과적이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제3자 기관을 통한 평가, 상호 평가 등 공정성과 투명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하여도 적극 고려하겠습니다. |
[306200] (세부원칙 6-2) - 사외이사의 보수는 평가 결과,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당사는 보상위원회를 설치하고 사외이사 보수에 관한 내부 규정을 마련하여, 적절한 보상 계획이 주주총회에 상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이사회 산하의 보상위원회는 주주총회에 부의할 이사보수한도를 사전에 심의하여 적정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사 보수 한도를 정하고 있습니다. '보상위원회 규정'은 이사의 보수 산정 시에는 역할 및 시장임금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쟁력 있는 보수를 책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규정 제9조는 회의 참석률이 현격히 저조(70% 미만)한 사외이사의 경우에는 미참석 사유를 감안하여 보수를 감할 수 있는 근거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 평가와 보수를 연동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외이사의 개인별 평가가 자기평가로 진행되므로 이 결과가 보수에 반영될 시 공정하게 자기평가를 진행할 수 없으며, 이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훼손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다만, 역할에 따른 보수에 차등을 두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4년 사외이사에 대한 보수 지급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명, 백만원)
|
N(X)
|
N(X)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보상위원회는 사외이사의 보수는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동종업계 이사 보수 한도 현황, 직전 연도의 실제 지급액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이사 보수 한도금액을 책정하여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회사는 주주총회에서 결의한 금액 내에서 적절히 집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적정한 금액을 책정하여 적법하게 사외이사 보수를 집행하도록 하겠으며, 향후 이사회 및 위원회 활동 평가 내용 및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그 결과를 보수 결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겠습니다. |
[307000] (핵심원칙 7)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경영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07100] (세부원칙 7-1) - 이사회는 원칙적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당사 이사회는 매월 1회 개최를 원칙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이사회의 권한, 책임 등을 규정한 사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6조에 따라 매월 1회 정기이사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수시로 임시이사회를 개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사회는 의장이 소집하고(규정 제7조), 회의 3일 전까지 각 이사에게 통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관 제47조 및 '이사회 규정' 제9조에 따라 이사회 결의는 관련 법령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하며, 직접 출석이 곤란한 이사를 위해서는 화상회의 혹은 컨퍼런스콜을 제공하여 이사회 참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말 차년도 정기 이사회 일정을 미리 협의하고 조율하여 이사회 참여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고 있습니다. |
2024년에는 총 14회의 이사회(정기 13회, 임시 1회)가 개최되었으며, 2025년에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6회의 이사회(정기 6회)가 개최되었습니다.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연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의 이사회 개최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상법 제368조 제3항 및 상법 제391조 제3항에 따라 해당 안건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의 의결권은 제한됩니다 |
표 7-1-1: 이사회 개최 내역
개최횟수 | 평균 안건통지-개최간 기간(일) | 이사 평균 출석률 (%) | |
---|---|---|---|
정기 | 13 | 2 | 96.9 |
임시 | 1 | 2 | 80.0 |
Y(O)
|
Y(O)
|
당사는 상법 제388조 및 정관에 의거하여 등기임원의 보수한도를 보상위원회에서 주주총회에 상정합니다. 보상위원회는 '보상위원회 규정'에 따라 이사의 보수 산정 시에는 역할 및 시장임금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쟁력 있는 보수를 책정합니다. 회사는 주주총회 결의로 결정된 보수한도 내에서 담당 직무,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연간 기본급을 산정합니다. 등기임원을 포함하여 임원의 퇴직금은 상법 제388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해 지급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별도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 상 영업이익이 발생하면 영업이익의 5%를 회사 전체 재원으로 설정, 각종 평가지표 등을 반영한 개인별 금액을 산출하여 경영성과급을 지급합니다. 기타의 보수는 지급사유 발생 시 관련 규정 및 내부 기준에 따라 지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임원 보수와 관련해 '보상위원회 규정'은 당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되어 있으며, 별도재무제표 상 영업이익 5%를 경영성과급으로 지급하는 정책은 정기보고서(사업, 분·반기 보고서) 등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임원의 경영상 부당행위로 인해 임원을 상대로 제기되는 제3자의 손해배상청구로 발생하는 손해배상금 및 방어비용을 담보하는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본 보험을 통해 담보되는 주요위험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주대표소송 - 인수합병행위에 기인한 손해배상청구, 자산매각 등 급속한 구조조정과정에서 회사의 손실가능성 및 이를 이유로 한 관련자들의 소송 - 집단소송 - 부당해고, 성희롱/성차별 등에 기인한 손해배상청구, 고용계약분쟁 등에 기인한 소송 - 회사법인 자체에만 클레임을 제기할 경우 회사에 대하여 담보 |
Y(O)
|
당사는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제정하여 주주, 고객, 구성원, 협력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보호할 것임을 선언하였습니다. '기업지배구조 헌장'은 이해관계자와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나누고, 공정한 시장 질서를 준수하며, 사회규범을 지키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화합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 역시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준수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보호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매년 ESG위원회에 '지속가능성 중대성평가'를 보고하여 지속가능경영 현황과 이해관계자가 당사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소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ESG위원회는 환경, 인권, 공정거래 및 공정경쟁, 주주가치 제고 등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 활동 들을 감시·감독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 정기이사회 및 임시이사회 개최, 이사회 소집 방법, 이사회 소집 통지, 이사회 결의 방법 등 이사회 운영과 관련된 규정을 명문화하여 준수하고 있으며, 본 규정에 따라 정기 이사회는 매월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합니다. 2024년에는 총 13회의 정기 이사회와 1회의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사들이 일정 수립에 참고할 수 있도록 이사회 연간 일정을 전년도에 미리 확정한 후 보고하고 있으며, 이사회 개최 전 5일 이상의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시간, 회의 방식(대면 및 화상회의), 부의사항 및 보고사항에 대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안건 설명 자료를 회의일 3일 전 통지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평균 2.4일 전에 안건 설명 자료와 함께 소집 통지를 실시하였습니다. |
당사는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의 근거가 되는 규정을 제정하여 회의의 빈도와 운영절차 등을 규정하였습니다. 2024년의 경우 총 14회의 이사회가 개최되었으며, 이사회 및 위원회의 사외이사 출석률이 100%를 기록하는 등 이사회 및 위원회가 적절한 빈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의 보수 책정,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 등을 통하여 이사들이 최선의 결정을 내려 의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향후, 회의일 3일전 이사회·위원회 통지 원칙을 최대한 준수하여, 이사들이 안건을 충분히 이해하고 숙고한 후 이사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307200] (세부원칙 7-2) - 이사회는 매 회의마다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규정'에 근거하여 의사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별 이사의 활동내역을 홈페이지, 공시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정관 제48조 및 '이사회 규정' 제15조에서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 제15조에서 이사회 의사록을 본사에 비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사회 녹취록은 작성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Y(O)
|
당사 이사회 의사록에는 주요 토의 및 결의 사항의 발언자가 개별 이사별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
당사 이사의 이사회 참석률 및 찬성률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표 7-2-1: 최근 3년간 이사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구분 | 이사회 재직기간 | 출석률 (%) | 찬성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김택중 | 사내이사(Inside) | 2023.05.02 ~ 2025.03.26 | 95 | 93 | 100 | 100 | 100 | 100 | ||
김유신 | 사내이사(Inside) | 2023.05.02 ~ 현재 | 91 | 86 | 100 | 100 | 100 | 100 | ||
문태곤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5.02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김진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5.02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정원선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5.02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Y(O)
|
당사 개별이사별 이사회 참석현황, 찬·반 투표 현황을 포함한 이사회 활동내역은 회사 https://www.oci.co.kr/ir/management(OCI>투자정보>경영정보>이사회)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 근거하여 개별 이사의 발언 및 결의 사항을 의사록으로 작성해 관리하고 있으며, 각 이사들의 이사회 활동 현황을 정기공시 및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상세한 의사록 작성과 투명한 이사회 활동 내역을 공개하여, 이사들의 충실한 이사회 참여를 독려하고 주주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
[308000] (핵심원칙 8)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내부에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한다.
[308100] (세부원칙 8-1) - 이사회 내 위원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되 감사위원회와 보상(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산하의 모든 위원회를 사외이사 전원 혹은 과반으로 구성하고,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하여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Y(O)
|
당사는 의사결정의 독립성과 효율성을 위해,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를 두고 있습니다. 각 이사는 이사회 및 이사회 내의 위원회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를 제외한 모든 위원회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하여, 위원회 활동에 대한 경영진으로부터의 독립성을 강화하였습니다. 당사의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와 보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감사위원회와 보상위원회를 포함하여, 내부거래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도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각 위원회가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각 위원회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각 위원회의 의무·역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
[308200] (세부원칙 8-2) - 모든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대하여는 명문으로 규정하여야 하며,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및 산하 5개 위원회의 규정을 사규로 제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결의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정관에 이사회 산하 위원회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설치 목적, 권한과 책임, 구성 및 자격 임면 등에 대해 각각의 규정('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감사위원회 규정', '보상위원회 규정', '내부거래위원회 규정', 'ESG위원회 규정')을 통해 명문화하였습니다. 이사회를 포함한 위원회의 활동 및 성과에 대한 평가는 '이사회 규정' 제18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이사회 규정' 제11조는 위원회가 결의일로부터 3일 이내에 결의된 사항을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야 하며, 이사회는 감사위원회를 제외한 위원회의 결의 사항에 대해 다시 의결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각 위원회 지원부서는 위원회에서 결의된 사항뿐만 아니라 보고사항 및 개별 이사의 주요 발언 등을 포함하여 의사록을 작성한 후 3일 이내에 이사 전원에게 통지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위원회 개최 현황 및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 8-2-1: 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24-1차 | 2024-03-26 | 4 | 4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O |
25-1차 | 2025-02-21 | 4 | 4 | 결의(Resolution) | 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추천의 건 | 가결(Approved) | O |
표 8-2-2: 리스크관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내부거래위원회 | 24-1차 | 2024-01-25 | 3 | 3 | 보고(Report) |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2023년 4분기 실적 | O | |
24-2차 | 2024-03-26 | 3 | 3 | 결의(Resolution)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O | |
24-3차 | 2024-04-24 | 3 | 3 | 보고(Report) |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2024년 1분기 실적 | O | ||
24-4차 | 2024-07-24 | 3 | 3 | 보고(Report) |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2024년 2분기 실적 | O | ||
24-5차 | 2024-10-30 | 3 | 3 | 보고(Report) |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2024년 3분기 실적 | O | ||
24-6차 | 2024-12-11 | 3 | 3 | 결의(Resolution) | 2025년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
25-1차 | 2025-02-07 | 3 | 3 | 보고(Report) | 대규모 내부거래(상품, 용역) 2024년 4분기 실적 | O |
1) 보상위원회
2) ESG위원회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ESG위원회를 제외한 이사회 산하 위원회(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함으로써, 회사 경영 감시, 계열사간 거래 승인, 이사 후보 선발, 이사 보수 한도 설정 등에 있어 각 위원회의 소속 위원들이 독립적으로 결의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ESG위원회는 실무적 추진력 발휘가 중요하여 사내이사(대표이사)가 위원장을 맡고 있지만, 사외이사가 과반수를 차지하여 독립적으로 회사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현황에 대해 심의하고 있습니다.
|
[400000] 4. 감사기구
[409000] (핵심원칙 9)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성실하게 감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내부감사기구의 주요 활동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409100] (세부원칙 9-1)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당사 감사위원회는 회계·재무 전문가를 포함하여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사위원회 규정'으로 그 운영 목표, 권한, 지원 등을 명문화하였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상법 제415조의2, 정관 제52조 및 '감사위원회 규정'에 따라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되, 총 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로 하고, 위원 중 1인 이상은 상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법적 의무에서 나아가, 감사위원회가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경영 감시를 할 수 있도록 위원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였으며, 분기 1회 감사위원(사외이사 전원)들이 경영진이나 실무진이 없는 자리에서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강평 시간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문태곤 사외이사로, 상법 시행령 제37조의 제2항 4조에서 규정하는 회계·재무 전문가에 해당합니다. |
표 9-1-1: 내부감사 기구의 구성
구성 | 감사업무 관련 경력 및 자격 | 비고 | ||
---|---|---|---|---|
직책 | 구분 | |||
문태곤 | 감사위원(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 감사원 기획관리실장 및 제2사무차장 삼성생명 상근감사위원 법무법인 화우 고문 강원랜드 대표이사 |
회계 및 재무 전문가 |
유기풍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서강대학교 총장 OCI 홀딩스㈜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석좌교수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제4대 총장 (現)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명예교수 |
화학공학 전문가 |
김진일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포스코 포항제철소장 포스코 철강생산부문장(부사장)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 포스코 철강생산본부장(대표이사 사장) |
산업 및 경영 전문가 |
정원선 | 감사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SIMPSON THACHER&BARTLETT LLP Senior Associate WHITE&CASE LLP Local Partner (現)SHEPPARD, MULLIN,RICHTER &HAMPTON Office Managing Partner |
법률가(변호사) |
Y(O)
|
감사위원회 위원장 문태곤 사외이사는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 제4호에 해당하는 회계·재무 전문가입니다.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 제4호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의 기관에서 5년 이상 재무 및 회계, 혹은 이에 대한 감독 업무를 수행한 경우 회계·재무 전문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문태곤 사외이사는 감사원에서 20여 년간 근무하여 충분한 재무 및 회계에 대한 감독 경험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감사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경영 감독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규정'에 의거하여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고,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한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에 대하여 심의·의결하며, 경영진의 합리적 경영판단에 대하여 독립적인 의견을 제시하여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합니다. 감사위원회는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 상태를 조사할 수 있으며,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련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을 회의에 출석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상 감사위원회의 부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제10조(부의사항) ①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 2.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진술 ② 이사 및 이사회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대한 보고의무 2. 감사보고서의 작성 · 제출 3.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4. 이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5. 이사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③ 감사에 관한 사항 1. 업무재산 조사 2. 자회사의 조사 3. 이사의 보고 수령 4. 이사와 회사간의 소에 관한 대표 5. 소수주주의 이사에 대한 제소 요청 시 소 제기 결정 여부 6. 감사계획 및 결과 7. 중요한 회계처리기준의 적정성 및 회계추정 변경의 타당성 검토 8. 내부통제시스템(내부회계관리제도 포함)의 평가 9. 감사결과 시정사항에 대한 조치 확인 10. 감사위원회 지원 부서 책임자 및 구성원의 임면에 대한 동의 11. 외부감사인(이하 “감사인”이라 한다) 선정 및 해임 12. 감사인의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의 제 · 개정 13. 감사인의 선정에 필요한 기준 및 절차의 제 · 개정 14. 선정된 감사인에 대한 사후 평가 15. 감사인으로부터 회사가 회계처리 등에 관한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한 사실의 보고 수령 및 해당 위반사실 조사 및 대표이사에 대한 시정조치 요구 16. 회사가 감사인 지정을 증권선물위원회에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승인 17. 회사가 지정감사인을 다시 지정하여 줄 것을 증권선물위원회에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승인 18. 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의 보고 수령 19. 준법통제기준 준수여부 평가 20. 내부회계관리규정의 제 · 개정
한편, 당사 감사위원회는 회사와의 관계에 관련된 주요사항을 비롯하여 외부감사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매분기 외부감사인이 직접 회의에 참석하여 감사위원들에게 감사(검토) 현황 및 계획 등을 직접 보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후 감사위원들만이 참석하는 강평 시간을 운영하여 자유롭게 회사의 내부통제제도 및 회사 재무제표의 정확성 등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내부회계관리업무 운영규칙에 따라 감사위원의 전문성 확보 등을 위해 외부전문가 및 당사 연수 시스템을 통해 내부통제 변화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등에 대하여 별도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시작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 규정' 제11조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에게 자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감사위원회가 외부 전문가에게 자문을 의뢰한 바는 없습니다. |
Y(O)
|
경영진 및 기타 당사 임직원의 부정행위에 대하여는 당사의 '감사규정'에 따라 1차적으로 당사의 감사팀이 감사를 진행하며, 그 결과는 '감사규정' 제19조에 따라 감사 종료 후 가장 이른 시일에 도래하는 감사위원회 개최 시 보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감사위원회 규정' 제11조에 따라 감사와 관련된 관계 임직원 또는 외부감사인을 감사위원회에 출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감사 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당사 정관 제53조에 의거하여 자회사에 영업 보고를 요구할 수 있으며, 자회사가 지체 없이 보고를 하지 않는 경우 및 보고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시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Y(O)
|
감사위원회는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3조에 따라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 정관 제53조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는 직무 수행을 위해서 필요할 경우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으며, 자회사가 지체 없이 보고하지 않거나 보고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20조에 전담 부서 설치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내부감사부서인 감사팀을 운영하여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당사 감사팀은 팀장 1인(감사업무 수행 경력 1년 5개월)을 책임자로 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감사팀은 '감사규정'에 따라 연간 감사 계획을 수립하여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득하고, 연간 감사 계획에 의거하여 업무 전반 및 계열사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감사를 실시하며, 그 결과를 감사위원회에 분기별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고센터를 운영하여 이를 통해 제보를 접수한 경우엔 '감사규정', '임직원 윤리행동준칙', '컴플라이언스 경영시스템 매뉴얼' 등에 의거하여 공정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독립적으로 감사위원회를 지원하는 감사팀을 부회장 직속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감사팀에는 임원이 소속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규정' 제10조에 의거하여, 감사팀 팀장 및 팀원의 임면에 대한 동의권은 감사위원회에 부여되어 있습니다. |
N(X)
|
당사의 감사위원 전원은 사외이사이며, 사외이사의 보수를 적용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사위원에 대한 별도의 보수정책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
1 |
당사의 감사위원은 전원 사외이사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독립적 기구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성원들은 재무·회계 전문가를 포함해 화학공학, 경영·기술,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정관, 사규 등에 의거하여, 감사위원이 충분한 정보와 자문을 얻어 효과적으로 경영 감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전담 지원 부서를 설치하여 감사 업무를 수행하고 이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외부전문가 및 당사 연수 시스템을 통해 내부통제 변화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등에 대하한 교육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내부감사기구인 감사위원회가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산업에서 전문성을 함양한 사외이사들을 선임하고 업무 수행을 위한 지원 및 교육을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409200] (세부원칙 9-2)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규정'에 근거하여 연간 6회 이상 개최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의사록 및 감사 기록 등을 작성·보존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 규정'에서는 감사위원회를 정기위원회와 임시위원회로 구분하며, 정기위원회는 2월, 3월, 4월, 7월, 10월, 12월에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임시위원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위원장이 소집하고, 회의일 3일 전까지 각 위원에게 통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참석이 곤란한 위원을 위해서는 원격통신수단을 제공하여 참여기회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매분기 외부감사인의 감사(검토) 활동에 대해 외부감사인에게 직접 보고 받고 적정성을 검토하며, 감사팀으로부터 내부감사 및 제보감사에 대한 사항도 정기적으로 보고 받고 있습니다. 감사위원들은 각 전문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내부감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 있으며, 내용을 검토한 후 필요 시 추가 조사 및 보고를 지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1회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로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보고를 받고 이에 대해 평가보고서를 작성·제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규정'을 사규로 제정하여, 외부감사인 선정 프로세스 및 후보들에 대한 평가 기준을 명문화하고, 이 기준에 따른 최고득점자를 외부감사인으로 선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이후 3개 회계연도(2025년 ~ 2027년)에 대한 외부감사인을 선정하기 위해 감사위원과 감사 업무 관련 실무자들이 참석하여 제안서를 제출한 회계법인들로부터 대면 설명회를 진행하였으며, 금액, 투입 시간·인력, 업력 등 제안서 내용 등을 다면적으로 평가하여 2024년 12월 11일 제7차 감사위원회에 '외부감사인 선정의 건'을 상정하였습니다. 감사위원은 안건을 숙고한 후 만장일치로 최고 점수를 득점한 회계법인을 선정하였으며, 이후 회사가 계약을 진행하고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 사실을 공고 하였습니다.
|
당사의 내부감사기구 지원조직은 '감사위원회 규정'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법 제413조 및 제415조의2와 당사의 '감사위원회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주주총회 제출 의안 및 서류를 조사하여,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하게 부당한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감사위원회 위원장이 위원회를 대표하여 주주총회에 그 의견을 진술함으로써 주주들의 의결권에 행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현재까지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내역, 개별이사 출석내역 활동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표 9-2-1: 최근 3개년 개별이사 감사위원회 출석률
구분 | 출석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문태곤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
김진일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
정원선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내부감사기구인 감사위원회는 매년 6회 이상 개최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및 지원조직은 '감사위원회 규정' 및 제반 법규를 준수하며 감사 관련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앞으로도 내부감사기구의 감사 관련 업무가 성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정기적 회의 개최, 회의록 작성, 관련 교육 등을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
[410000] (핵심원칙 10)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주 등 그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감사인은 감사대상기업과 그 경영진 및 지배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10100] (세부원칙 10-1)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 경험 등 다면적으로 평가해 선임하며, 감사위원회의 사전승인을 통해 비감사용역을 체결합니다. |
Y(O)
|
N(X)
|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규정'을 사규로 제정하여, 외부감사인 선임 시 회사나 회사의 감사 대상 업무 관련자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회계법인을 선정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후보들에 대한 평가 기준 및 평가 프로세스를 명문화하고 이 기준에 따른 최고득점자를 선정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감사인 선정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외부감사인 후보들과 대면회의를 개최하도록 하며, 대면회의의 참석자, 주요 발언 등을 의사록으로 작성하여 관리하게 하는 등 외부감사인 선임 과정의 공정성을 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인회계사법에 의거하여 감사 업무와 상충할 수 있는 용역 계약을 체결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법적 기준에 따라 허용된 비감사 용역이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이해상충 소지가 없는지 사전에 감사위원회와 협의하고 승인을 거친 후 계약을 진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감사위원회 지원부서인 감사팀은 매달 전사를 대상으로 현재 외부감사인과 용역 계약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반드시 감사팀에 사전 보고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개 회계연도에 대한 외부감사인 선정 시 아래와 같이 회의를 개최하고 외부감사인 후보들을 평가하였습니다. 모든 회의는 대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당사 감사위원회는 매년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 결과를 보고 받고 있으며, 계약에서 정한 사항을 준수하였는지를 포함하여 감사 방법론의 적정성, 내부감사부서와의 협력 정도, 담당 파트너의 교체 필요성 여부 등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에, 2025년 제3차 감사위원회에서 2024년 회계연도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 활동을 평가하였으며, 감사보수, 시간, 투입 인력이 문서로 정한 사항을 준수하였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당사는 외부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체결 시, 법적으로 허용된 비감사용역이라도 반드시 사전에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외부감사인인 삼일회계법인과 체결하였거나 체결하기 위해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비감사용역 내역은 아래와 같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당시 외부감사인이었던 삼정회계법인과는 비감사용역 계약을 체결한 바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사규에 근거한 절차와 기준에 의거하여 회사로부터 독립적인 회계법인을 외부감사인으로 선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독립성, 회사에 대한 이해도, 감사 참여인원, 전문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겠습니다. 또한, 법적 기준에 따라 허용된 비감사 용역이라 하더라도 사전에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거친 후 계약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410200] (세부원칙 10-2)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적시에 정보를 제공받고 주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Y(O)
|
2024년 당사 내부감사기구인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은 대면 및 서면으로 총 7회 주요 사항을 논의하여 분기별 1회 이상 커뮤니케이션을 하였으며, 2025년에는 3월과 4월에 총 3건의 보고를 진행하였습니다. 2025년에도 분기별 1회 이상 감사 관련 주요 사항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
표 10-2-1: 외부감사인과 소통내역
개최일자 | 분기 | 내용 | |
---|---|---|---|
24-1회차(서면) | 2024-02-26 | 1분기(1Q) | 2023년 재무제표 감사 업무 수행 경과보고 |
24-2회차(대면/서면) | 2024-03-04 | 1분기(1Q) | 2023년 재무제표 감사 업무 수행 경과보고 |
24-3회차(대면) | 2024-04-24 | 2분기(2Q) | 연간감사계획 2024년 재무제표 1분기 검토 업무 수행 경과보고 |
24-4회차(대면) | 2024-07-24 | 3분기(3Q) | 검토일정 및 주요수행절차 2024년 재무제표 반기 검토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결과보고 업무 수행 경과보고 |
24-5회차(대면) | 2024-10-30 | 4분기(4Q) | 검토일정 및 주요수행절차 2024년 재무제표 3분기 검토 내부회계관리제도 1차 운영평가 결과보고 |
24-6회차(서면) | 2024-11-22 | 4분기(4Q) | 감사계획단계의 지배기구 협의 유의적 위험 및 핵심감사사항 감사팀 구성, 재무제표 감사의 목적, 책임구분, 감사계획, 독립성 등 |
24-7회차(대면) | 2024-12-11 | 4분기(4Q) | 2024년 외부감사 계획보고 유의적 위험 및 핵심감사사항 유의적 비경상적거래 |
25-1회차(서면) | 2025-03-02 | 1분기(1Q) | 2024년 재무제표 감사 업무 수행 경과보고 |
25-2회차(대면) | 2025-03-05 | 1분기(1Q) | 2024년 재무제표 감사 최종보고 |
25-3회차(대면) | 2025-04-23 | 2분기(2Q) | 2025년 1분기 검토 업무 수행 경과 보고, 2025년 감사 및 지배기구 커뮤니케이션 계획, 감사인의 독립성 등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매분기 감사위원회 개최 시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연간 감사계획 및 감사 진행 상황과 회사의 재무제표 또는 경영 전반에 핵심적으로 유의해야 할 사항을 직접 보고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분반기에는 재무제표 검토 결과를, 연말에는 재무제표 감사 결과를 직접 보고받고 주요사항 등에 대하여 질의 및 응답을 진행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감사인에게 회계장부와 관련 서류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보고받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간의 협의 내역은 위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외부감사인은 개정 외부감사법에 따라 회계처리 등에 관하여 회계처리기준 위반 사실을 발견하면 감사위원회에 통보해야 합니다. 회사의 회계처리기준 위반 사실을 통보받은 감사위원회는 회사의비용으로 외부전문가를 선임하여 위반 사실 등을 조사하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회사의 대표이사에게 시정 등을 요구해야 합니다. 감사위원회는 조사 결과 및 회사의 시정조치 결과 등을 즉시 증권선물위원회와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하여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대한 사실을 발견하면 외부감사인에게 통보하여야 합니다(동법 제22조).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부정행위 등의 보고 과정에서 법령상 요구된 시정 등 요구조치, 시정조치 결과 제출, 통보의무 등을 적시에 이행하고 외부감사인과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감사인이 감사시행 중에 중대한 부정행위, 위법, 또는 부당한 사항을 발견하여 긴급하게 필요한 조치가 요구되는 사항일 경우, 감사 도중 또는 감사보고서 작성 전이라도 전결권자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규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에게는 감사 종료 후 가장 빠른 감사위원회 개최 시 보고하도록 규정하여 내부감사기구에 통보하는 절차를 마련하였습니다. 감사규정 제19조 (감사결과 보고) 감사책임자는 감사종료 후에는 즉시 그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회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감사위원에게는 감사 종료 후 가장 빠른 감사위원회 개최 시 보고하여야 한다. 감사규정 제20조 (긴급보고) 감사인은 감사시행 중에 중대한 부정행위, 위법, 또는 부당한 사항을 발견하여 긴급하게 필요한 조치가 요구되는 사항일 경우, 감사 도중 또는 감사보고서 작성 전이라도 회장에게 즉시 보고하고 지시를 받을 수 있다 |
외부감사인은 개정 외부감사법에 따라 회사가 회계처리 등에 관하여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한 사실을 발견하면 감사위원회에 통보해야 하고, 회사의 회계처리기준 위반사실을 통보 받은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를 선임하여 위반사실 등을 조사하도록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회사의 대표이사에게 시정 등을 요구해야 합니다. 감사위원회는 조사결과 및 회사의 시정조치 결과 등을 즉시 증권선물위원회와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하여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대한 사실을 발견하면 외부감사인에게 통보하여야 합니다(동법 제22조).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부정행위 등의 보고 과정에서 법령상 요구된 시정 등 요구조치, 시정조치 결과 제출, 통보의무 등을 적시에 이행하고, 외부감사인과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제2기 감사전 재무제표는 2025년 1월 23일, 감사전 연결재무제표는 2025년 2월 7일에 제출하여, 제2기 정기주주총회(2025년 3월 25일) 6주 전에 별도와 연결재무제표 모두 외부감사인에 제출을 완료하였습니다. 제1기의 경우, 감사전 재무제표는 2024년 1월 18일에 외부감사인에 제출하여 정기주주총회(2024년 3월 26일) 6주 전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였으며, 당시 연결재무제표는 작성 대상에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
표 10-2-2: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제공 내역
정기주총일 | 재무제표 제공일자 | 연결재무제표 제공일자 | 제공대상 | |
---|---|---|---|---|
제2기 | 2025-03-25 | 2025-01-23 | 2025-02-07 | 삼정회계법인 |
제1기 | 2024-03-26 | 2024-01-18 | 삼정회계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분기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외부감사인과 내부감사기구 간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기주주총회 6주간 전 외부감사인에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외부감사인이 감사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내부감사기구에 적시에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소통을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
[500000] 5. 기타사항
N(X)
|
당사는 현재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대해 내부 검토를 진행 중이나, 아직 구체적인 공시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구체적인 계획 수립 시 적시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대한 내부 검토 단계에 있습니다. 다만 향후 구체적인 계획 수립 및 공시 시에는 이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입니다. |
표 11-1 :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이사회 참여 여부
공시일자 | 이사회 참여 여부 | 관련 이사회 일자 | 주요 논의 내용 | |
---|---|---|---|---|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대한 내부 검토 단계에 있어, 해당 계획을 활용한 소통은 아직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분기 실적발표 시 경영현황과 장·단기 사업 확장 계획을 적극적으로 투자자들에게 소통하고 있으며, 분기 NDR, 애널리스트 간담회, IR 전용 창구 운영, 정기주주총회 등을 통해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 지속적이고 활발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표 11-2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소통 현황
일자 | 소통 대상 | 소통 채널 | 임원 참여 여부 | 주요 소통 내용 | |
---|---|---|---|---|---|
당사는 2024년, '세상에 가치를 더하는 핵심소재 기업'이라는 비전에 부합하는 지배구조 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2024년 11월 대표이사 명의의 '컴플라이언스 방침'을 제정·공개함으로써 OCI의 윤리·준법 경영 강화 의지를 천명하고, 사내 '컴플라이언스 책임자'를 선임하여 그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또한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준법 리스크 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이와 관련된 사규를 제·개정하는 등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2024년 12월 세계적인 컴플라이언스·반부패 경영시스템 인증 제도인 ISO37301와 ISO 37001을 취득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선진 지배구조를 수립하여, 투명하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의 존경을 받는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1. 정관 2. 이사회 규정 3. 감사위원회 규정 4.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5. 보상위원회 규정 6. 내부거래위원회 규정 7. ESG위원회 규정 8. 최고경영자(대표이사) 승계규정 9. 기업지배구조 헌장 10. 임직원 윤리행동 준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