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2025 년 6월 11일 | ||
회 사 명 : | (주)에치에프알 | |
대 표 이 사 : | 정 종 민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43번길 10(구미동, 하나EZ타워 5층) | |
(전 화) 031-712-7768 | ||
(홈페이지)http://www.hfrne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FA센터장 | (성 명) 김 은 철 |
(전 화) 070-7837-2211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 363조 및 당사 정관 제18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2025년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개최일시: 2025년 6월 26일(목) 오전 9시
2. 개최장소: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판교로 289번길 20 스타트업캠퍼스 1동 2층 세미나실 1
3. 회의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4.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4)와 전자위임장권유제도(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을 통해 귀중한 의결권을 행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 관리업무는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나.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 2025. 6. 16. 09:00~ 2025. 6. 25. 17:00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5. 의결권 대리행사 관련
의결권 대리행사를 원하시는 경우 당사 홈페이지(http://www.hfrnet.com)의 IR-Investor Information에 게시된 위임장을 작성하신 후 회사로 우편 송부하거나 대리인을 통해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위임장 보내실 곳: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43번길 10 하나EZ타워5층
㈜에치에프알 주주총회 담당자 앞 (우편번호 13636)
5. 참석자 지참물 안내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날인), 대리인 신분증
※ 당사 정관 제18조(소집통지) 제2항에 따라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님에 대한 개별통지를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갈음하고자 합니다.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2025년 6월 11일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대표이사 정 종 민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정승(출석률: 17.86%) | 박 재민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2.20 | 단기 대여 승인 | 불참 | |
2 | 2025.02.24 | 단기차입 실행 | 찬성 | |
3 | 2025.02.24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
4 | 2025.02.25 | 단기차입 실행 | 불참 | |
5 | 2025.03.12 |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 찬성 | |
6 | 2025.03.13 | 에치에프알 단기차입 실행 | 불참 | |
7 | 2025.05.09 |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000 | 48 | 24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등기이사를 모두 포함한 보수한도의 총액입니다.※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지급액은 2024년 지급기준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산업의 특성 통신장비 산업은 Mobile Access(무선통신장비산업)과 Broadband Access(유선통신장비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Network 구성에 따라 크게 액세스(Access) 망 장비와 코어(Core) 망 장비로 구분됩니다.
[Mobile Access 부문]
모바일 네트워크는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대형 네트워크인 코어(Core) 망, 개별 도시 내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메트로(Metro) 망, 사용자 단말과 통신 사업자 메트로, 코어망과 연결하는 기지국에 해당하는 가입자 (Access) 망으로 구분됩니다. 당사 및 종속회사는 국내외 통신서비스 사업자 및 자가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규모는 기간통신사업자의 5G 투자 및 특화망(자가망 등)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의 IT 투자 규모에 의해 결정됩니다. 특히 기지국 장비시장은 글로벌 5대 벤더의 과점적 시장이었으나 투자비 절감과 멀티벤더 간 연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Open RAN에 대한 시장의 요구사항이 커지고 있습니다.
[Broadband Access부문] 가정,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Broadband 서비스 시장은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매개로 Data를 전달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가 정한 기술표준에 의해 PON, Switch, WiFi AP 등의 제품으로 구성되며, 제품 규격과 함께 멀티벤더 장비 간의 상호 운용성이 국제표준규격으로 제정되고 있어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현재 기간통신사업자의 주력 가입자망은 10G Broadband입니다.
[이음5G = Private 5G]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특성을 통해 개인을 위한 통신뿐만 아니라 산업환경 전체를 혁신하고 공공서비스의 차원을 높일 수 있는 핵심적인 경제 인프라입니다. 이음5G는 3GPP에서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기술에 기반하여 기존 이동통신 상용망이 아닌 전용 주파수를 통해 특정 공간(건물, 시설, 장소 등), 기업 및 기관(예를 들어, 공장, 공항, 항구, 병원, 사무실, 대학, 물류센터, 지자체, 정부 기관, 발전소, 방위산업체 등)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접속 및 연결을 허용하고 이들만을 위해 특화된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기존 5G 이동통신망은 소수(3개)의 사업자가 할당받은 주파수를 통해 전국 단위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비해 이음5G는 수요기업 또는 사업자가 건물, 시설 및 토지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5G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해 기업 맞춤형으로 무선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5G 이동통신망과 차이가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Mobile Access 부문]
5G는 과거 세대와 달리 NSA (Non Stand Alone, LTE와 5G 겸용), SA (Stand Alone, 5G 독립망)로 2단계로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2019년부터 기간통신사업자 투자는 최소 5년에 걸쳐 단계별 구축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며, 제조, 의료, 학교 등에서 5G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Vertical Market이 새로운 성장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5G 투자에 따른 Fronthaul 시장과 특화망 기지국 장비 시장의 성장세도 뚜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리서치기관인 iHS에 따르면 기존 통신사업자의 Mobile Access 시장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누적 약 1,000억 달러 시장으로 전망됩니다. 뿐만 아니라 기업용 특화망 시장은 2025년 약 4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Omida, 2020)
[Broadband Access부문] 정부에서는 모든 사람이 기가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간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고품질 디지털 정보(3D 콘텐츠, 8K급 실감미디어, 홀로그램 등)를 자유롭게 유통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가코리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개인 단말당 최대 1Gbps급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Broadband 장비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 복잡한 서비스 등 무선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속도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제품들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 같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WiFi 6 (IEEE 802.11ax)에 대한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음5G] 이음5G는 3GPP에서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기술에 기반하여 특정 기업 및 기관(예를 들어, 공장, 공항, 항구, 병원, 사무실, 대학, 물류센터, 지자체, 정부 기관, 발전소, 방위산업체 등)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접속 및 연결을 허용하고 이들만을 위해 특화된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Private LTE/5G 시장규모는 2026년 약 83억$ (약 11조 원)으로 성장할 것(2021~2026 CAGR 35.7%)으로 전망되고, 국내의 경우 정부의 ICT 정책, 기업의 기술개발ㆍ비즈니스 모델 확산 등의 노력을 통해 글로벌 5G 시장에서 국내 인프라 장비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ICT산업은 새로운 통신기술이 등장하면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다가 차세대 통신기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투자가 대폭 축소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통신업은 국가 인프라에 해당하면서도 기술적 진보와 발전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업고객의 확보, AI, Blockchain 기술을 반영한 통신서비스 매니지드 서비스 (managed service) 수요의 확대, 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솔루션 등 새로운 분야에 진입하고 매출처를 다변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라. 경쟁요소 통신장비 시장의 경우 전국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장비를 판매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과 품질경쟁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통신사업자마다 고유한 통신인프라와 기술수요를 가지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신속한 맞춤형 개발역량도 필요합니다. 더불어 통신서비스의 경우 새로운 기술과 수요가 끊임없이 등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역량을 학습하고 축적할 수 있는 기술 캐치업 역량 또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제 경쟁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역량 외에 다양한 통신사업자에 대한 납품 경험과 관련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통신장비의 경우 2~3개 업체가 관련 사업을 수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과점적 경쟁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고객에 기존에 제품을 납품한 경험이 있는 경우, 그 기술력과 고객서비스 등을 총체적으로 이미 평가를 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해외시장의 경우 국내 통신사업자에 대한 다년간의 납품 경험은 매우 기본적인 경쟁 요소로 작용합니다. 한국의 고객들을 상대로 수년간의 필드 상용 경험을 선행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분은 해외 사업에 있어 상대적으로 경쟁 우위적 요인입니다. 최근에는 유/무선망의 복합화 및 차세대 IoT 및 Private Networks 서비스를 위한 기술 역량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과거 유선과 무선 인프라가 확실하게 구분되던 시대에서 벗어나 향후에는 네트워크의 서비스화 및 사설 네트워크 시대가 도래할 전망이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프라나 소프트웨어 플랫폼 그리고 관련 보안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제품 확보력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당사는 Mobile Access부문과 Broadband Access부문의 기존 사업역량을 기반으로 이음5G에 대한 사업을 강화/확장해 가고 있습니다.가. Mobile Access부문 당사는 통신 트래픽을 광선로로 다중화하여 전달하는 광전송 장비 및 Fronthaul 관련 장비, 인빌딩광분산장치(DAS)를 한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의 통신사업자에 납품하고 있으며, 5G 무선통신 서비스의 국내 인프라 구축을 위해 5G용 Fronthaul 장비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상화된 기지국 장비 일체를 개발하여 통신사업자뿐만 아니라 특화망 도입을 희망하는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나. Broadband Access부문 당사의 주요 제품은 FTTH 서비스 관련 제품, LAN 서비스에 주로 쓰이는 스위치, 그리고 xDSL 관련 제품, WiFi AP 등이 있습니다. 국내 브로드밴드 인프라의 10기가 인터넷 투자 증가에 따른 당사의 장비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최근 국내 사업 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였으며, 이음5G에서 필요한 초저지연 스위치(Time Sensitive Switch)는 이음5G 구축을 계획하는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다. 이음5G 부문 한국 정부는 5G+ 주파수 정책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2021년 1월에 이음5G정책을 발표하면서 Sub-6Ghz 주파수와 mmWave 주파수 모두를 할당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6월에는 28GHz 대역과 함께 4.7GHz(6GHz이하) 대역 주파수를 동시에 공급하기로 확정, 발표하였습니다. 10월 28일에는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용 주파수 할당 공고(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1-0895호)를 하였으며, 주파수 할당 신청 절차도 간소화하여 쉽고 빠르게 수요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음5G의 가이드라인 등을 배포하면서 특화망 사업의 수요기관과 공급기업 등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 유도, 산업의 활성화 및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 등을 마련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음5G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5G CPE, 5G vRAN, 5G vCore, Biz Platform, 서비스 Platform을 포함하는 전체 Private 5G Networking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유럽 시장의 사업자 및 법인 고객을 대상으로 활발한 영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최근 당사는 NEC(日本電氣) 그룹의 ICT전문 시스템 통합업체인 NESIC (NEC Networks & System Integration Corporation)과 로컬 5G솔루션 총판 계약과 전략적 사업제휴 협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제 1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안정원 | 1958-07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안정원 | 상근감사 | '18~현재 |
現 ㈜에치에프알 상근감사 77~'13 쌍용양회 상무 '13~'17 쌍용머티리얼 전무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안정원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현재 (주)에치에프알의 상근감사로서, 전문성과 성실함을 갖추고 기업성장에 크게 공헌해왔음으로 중임을 추천함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