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 발행결정) 6.1 (주)신테카바이오 주요사항보고서 / 거래소 신고의무 사항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9 월 03일
회 사 명 : (주)신테카바이오
대 표 이 사 : 정 종 선
본 점 소 재 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제과학17로 18
(전 화) 070-7663-0959
(홈페이지) http://www.syntekabi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사 장 (성 명) 용 민 제
(전 화) 070-7663-0959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4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10,000,000,000155,000,000,000--------10,000,000,000--2.06.02028년 09월 12일본 사채의 표면이율은 연 2.0%이며,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매 3개월 단위로 이자를 지급한다.만기일까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는 만기일에 전자등록금액의 113.0412%에 해당되는 금액(단, 원 단위 미만 금액은 절사함)을 일시 상환한다. 단, 만기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되, 만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사모1005,660

본 사채의 전환가격은 본 사채 발행을 위한 발행회사의 이사회결의일(2025년 09월 03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 다음 각 목의 가액 중 가장 높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기준주가의 100%에 해당하는 가액을 전환가격으로 하되, 원 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단, 전환가격이 발행회사의 보통주의 액면가액 미만일 경우에는 발행회사의 보통주의 액면가액을 전환가격으로 한다.

(1) 발행회사의 보통주의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그 기간동안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된 해당 종목의 총 거래금액을 총 거래량으로 나눈 가격을 말한다. 이하 같다),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

(2) 발행회사의 보통주의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주식회사 신테카바이오 기명식 보통주1,766,78410.382026년 09월 12일2028년 08월 12일

가.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권 행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단, 유·무상증자를 병행 실시하는 경우, 유상증자의 1주당 발행가액이 조정 전 전환가격을 상회하는 때에는 유상증자에 의한 신규 발행주식수는 전환가격 조정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무상증자에 의한 신규 발행주식수만 적용한다.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A+(B×C/D)} / (A+B)]A: 기발행주식수B: 신발행주식수C: 1주당 발행가격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규 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는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또는 이론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전환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발행회사가 이러한 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전환사채권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발행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회사는 전환사채권자의 권리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방식으로 합병, 분할 및 영업양수도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계속상장을 유지할 의무를 부담한다.다.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격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격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격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라. 위 가.목 내지 다.목과는 별도로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매 5개월이 경과한 날(2026년 02월 12일, 2026년 07월 12일, 2026년 12월 12일, 2027년 05월 12일, 2027년 10월 12일, 2028년 03월 12일, 2028년 08월 12일)을 전환가격 조정일로 하고, 각 전환가격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격보다 낮은 경우 그 낮은 가액을 새로운 전환가격으로 한다. 단, 전환가격을 하향조정하는 경우 그 최저 조정한도는 최초 전환가격의 70%까지로 한다.(단, 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격을 이미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다). 마. 위 라.목과는 별개로 시가가 하락하여 전환사채 전환가격의 하향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타의 사유로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매 5개월이 경과한 날(2026년 02월 12일, 2026년 07월 12일, 2026년 12월 12일, 2027년 05월 12일, 2027년 10월 12일, 2028년 03월 12일, 2028년 08월 12일)을 전환가격 조정일로 하고, 각 전환가격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격보다 높을 경우에는 그 높은 가액을 새로운 전환가격으로 한다. 단, 전환가격을 상향조정하는 경우 조정 후 전환가격은 발행당시의 전환가격(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격을 이미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 가격)이내로 한다.바.위 가.목 내지 라.목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전환사채에 부여된 전환청구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사. 본 호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3,962「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23조(전환가액의 하향조정) 2항시가하락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시 조정 후 전환가액은 다음 각 목의 가액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발행당시의 전환가액(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을 이미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 가액)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가액-

1.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년이 되는 2026년 09월 12일 및 그 이후 매 1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기일” 이라 하며, 만기일은 제외한다)에 조기상환청구기간에 따라 조기상환을 청구한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수익율(연 복리 6%, 3개월 단위)을 가산한 금액의 전부(단, 원 단위 미만 금액은 절사함)에 대하여 만기 전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기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은행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않는다.2. 중도상환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중도상환청구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 및 그 이후 4개월 이내에 매 1개월마다 행사가능하다.가. 제 3자의 성명: 미정나. 제 3자와 회사와의 관계: 미정다. 취득 규모: 최대 3,000,000,000원(Call Option 30%)라. 취득목적: 확정되지 않음마. 제 3자가 될 수 있는 자: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바. 제 3자가 얻게 될 경제적 이익:

① 지분율: 매수인이 될 수 있는 자가 콜옵션을 통하여 취득한 전환사채로 전환권 행사 시 최초 전환가액 기준 당사 보통주 530,035주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며, 리픽싱 70.0% 조정 후에는 최대 757,193주까지 취득 가능함.② 금전적 이익: 전환으로 인한 이익은 행사시점의 주가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외 Put Option 및 Call Option에 관한 세부내용은 "22.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09월 03일2025년 09월 12일현금--

본 사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금, (지연)이자, 조기상환수수료, 비용’, 기타 본 계약 및 그 부속계약에 의하여 또는 그와 관련하여{발행회사의 중도상환청구권(Call Option) 행사로 인한 매매대금, 중도상환청구권 취득대가, 지연이자, 비용 등 포함} 발행회사가 인수인에게 부담하는 일체의 채무(이하 “피담보채무”라 한다)를 담보하기 위하여, 발행회사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인수인에게 담보(그 등가물을 포함하며, 이하 같다)를 제공하기로 한다. 다만, 본 항의 담보는 최초 인수인에 한하여 제공되나, 본 사채 발행금액의 90% 이상이 상환 또는 전환되는 시점에 모든 담보가 해지되며, 인수인은 아래의 담보해지를 위하여 필요한 서류 일체를 즉시 제공하기로 한다. 단, 본 사채의 기한이익 상실로 인하여 피담보채무가 일부라도 상환된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발행회사 소유의『주식회사 신테카바이오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이하 “담보사채”라 한다)』 전자등록금액 합계 금 사십억 원(₩4,000,000,000)에 관한 공동 제1순위 근질권(채권최고액: 인수인이 각 인수하는 본 사채의 원금 기준 130%)

2) 발행회사 소유의『대전광역시 유성구 구룡동 817-1 및 그 지상건물(이하 “담보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한 공동 제1순위 근저당권(채권최고액: 인수인이 각 인수하는 본 사채의 원금 기준 130%)

3) 담보부동산을 보험목적물로 하는 (화재)보험금청구권에 관한 공동 제1순위 근질권(채권최고액: 인수인이 각 인수하는 본 사채의 원금 기준 130% 또는 별도로 합의한 금액)

4) 담보부동산의 내부에 소재하는 기계기구 등에 관한 최선순위 공동양도담보권

2025년 09월 03일1-참석아니오사모 발행(발행일로부터 1년간 전환 및 거래단위의 분할 및 병합이 금지)-미해당
1. 사채의 종류 회차 종류
2.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 (원)
2-1. 정관상 잔여 발행한도 (원)
2-2. (해외발행) 권면(전자등록)총액(통화단위)
기준환율등
발행지역
해외상장시 시장의 명칭
3. 자금조달의 목적 시설자금 (원)
영업양수자금 (원)
운영자금 (원)
채무상환자금 (원)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원)
기타자금 (원)
4. 사채의 이율 표면이자율 (%)
만기이자율 (%)
5. 사채만기일
6. 이자지급방법
7. 원금상환방법
8. 사채발행방법
9. 전환에 관한 사항 전환비율 (%)
전환가액 (원/주)
전환가액 결정방법
전환에 따라발행할 주식 종류
주식수
주식총수 대비비율(%)
전환청구기간 시작일
종료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시가하락에따른전환가액조정 최저 조정가액 (원)
최저 조정가액 근거
발행당시 전환가액의70% 미만으로조정가능한 잔여발행한도 (원)
9-1. 옵션에 관한 사항
10. 합병 관련 사항
11. 청약일
12. 납입일
13. 납입방법
14. 대표주관회사
15. 보증기관
16. 담보제공에 관한 사항
1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사외이사 참석여부 참석 (명)
불참 (명)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18.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19.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20. 당해 사채의 해외발행과 연계된 대차거래 내역 - 목적, 주식수, 대여자 및 차입자 인적사항,예정처분시기, 대차조건(기간, 상환조건, 이율),상환방식, 당해 전환사채 발행과의 연계성, 수수료 등
2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22.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가) 옵션에 관한 사항

가.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1)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년이 되는 2026년 09월 12일 및 그 이후 매 1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기일” 이라 하며, 만기일은 제외한다)에 조기상환청구기간에 따라 조기상환을 청구한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수익율(연 복리 6%, 3개월 단위)을 가산한 금액의 전부(단, 원 단위 미만 금액은 절사함)에 대하여 만기 전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기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은행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않는다. 2) 조기상환율 및 조기상환 청구기간 : 사채권자는 조기상환기일로부터 아래 표 기재 조기상환청구기간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구분 조기상환청구기간

조기상환기일

조기상환율(%)
From To
1차 2026-08-24 2026-09-07 2026-09-12 104.0909%
2차 2026-09-15 2026-10-01 2026-10-12 104.4407%
3차 2026-10-22 2026-11-05 2026-11-12 104.8022%
4차 2026-11-23 2026-12-07 2026-12-12 105.1522%
5차 2026-12-18 2027-01-05 2027-01-12 105.5232%
6차 2027-01-20 2027-02-03 2027-02-12 105.8942%
7차 2027-02-18 2027-03-05 2027-03-12 106.2295%
8차 2027-03-22 2027-04-05 2027-04-12 106.5978%
9차 2027-04-20 2027-05-04 2027-05-12 106.9543%
10차 2027-05-24 2027-06-07 2027-06-12 107.3229%
11차 2027-06-21 2027-07-05 2027-07-12 107.6847%
12차 2027-07-22 2027-08-05 2027-08-12 108.0586%
13차 2027-08-23 2027-09-06 2027-09-12 108.4328%
14차 2027-09-17 2027-10-01 2027-10-12 108.8040%
15차 2027-10-22 2027-11-05 2027-11-12 109.1877%
16차 2027-11-22 2027-12-06 2027-12-12 109.5593%
17차 2027-12-21 2028-01-05 2028-01-12 109.9485%
18차 2028-01-19 2028-02-07 2028-02-12 110.3381%
19차 2028-02-18 2028-03-06 2028-03-12 110.7027%
20차 2028-03-22 2028-04-05 2028-04-12 111.0935%
21차 2028-04-18 2028-05-04 2028-05-12 111.4719%
22차 2028-05-19 2028-06-02 2028-06-12 111.8632%
23차 2028-06-21 2028-07-05 2028-07-12 112.2470%
24차 2028-07-24 2028-08-07 2028-08-12 112.6439%

3) 조기상환 청구장소 : 발행회사의 본점

4) 조기상환 지급장소 : 우리은행 엑스포금융센터지점

5) 조기상환 청구절차 : 사채권자는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을 행사하고자 하는 경우 조기상환기일의 15영업일 전부터 5영업일 전까지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해야 한다.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시기 또는 종기가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시기 또는 종기로 한다. 단, 조기상환 청구일이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1년 이내인 경우, 각 거래단위의 전자등록 금액 전액에 대해서만 조기상환이 가능한다.

나. 중도상환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1) 발행회사는 본 계약의 체결로써 인수인이 인수한 본 사채의 원금인 금 일백억 원(₩10,000,000,000) 기준 3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이내의 사채(이하 “매매목적물”이라 한다)를 매수하고, 인수인은 매매목적물을 매도할 것을 예약한다.(2) 발행회사는 제3조 제2항 기재 매매완결일에 매수대금 전액을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가 지정하는 계좌로 현금으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 단, 해당 매매완결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로 하되, 매수대금은 위 매매완결일까지의 기간에 대해서만 산정한다.(3)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는 전항 기재 매수대금 전액을 지급받은 후 즉시 매매목적물을 계좌관리기관에 개설된 발행회사 명의의 고객계좌로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을 완료하는 방법으로 교부하기로 한다. 단, 본 사채의 표면이자 지급일 당일에는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이 실무상 불가능하므로 본 사채의 표면이자 지급일과 해당 매매완결일이 중복되는 경우,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는 해당 표면이자 지급일의 그 다음 영업일에 매매목적물을 계좌관리기관에 개설된 발행회사 명의의 고객계좌로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을 완료하기로 한다.(4)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일시에 또는 수 차례 중도상환청구권을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별로 별개로 행사하여 매매계약을 각 완결할 권리를 가지며, 위 중도상환청구권행사의 통지에 따라 발행회사와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 사이에는 별도의 매매계약 체결 없이도 본 계약 제2조에서 정한 내용대로의 매매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5) 발행회사의 중도상환청구권 행사기간, 중도상환청구권 행사에 따른 매매완결일(단, 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을 의미함, 이하 같다), 매수대금(단, 본 조 제3항 기재 중도상환청구권 취득대가와 매매완결일까지 발생하여 미지급된 표면이자는 포함하지 아니하며, 중도상환청구권 취득대가와 매매완결일까지 발생하여 미지급된 표면이자는 매수대금과 별도로 지급하여야 한다. 미지급된 표면이자는 1년을 365일로 하여 일할계산한다)은 아래와 같으며, 발행회사는 각 중도상환청구권 행사기간 내에 중도상환청구권 행사의 상대방인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에게 중도상환청구권 행사금액을 특정하여 서면통지의 방법으로 중도상환청구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다만, 위 중도상환청구권 행사 당시에 인수인이 매매목적물의 전부나 일부를 양도한 경우에는 인수인은 위 행사사실을 해당 사채권자에게 즉시 통지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회사와 인수인 또는 해당 사채권자 사이의 합의가 있을 경우 아래의 중도상환청구권 1차 매매완결일 이전에도 별도의 매매완결일을 지정하여 발행회사는 중도상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매수대금은 중도상환청구권보장수익률(YTC) 연 복리 7%(3개월 단위)를 보장하는 금액으로 한다.

구분

중도상환청구권 행사기간

(통지 도달시점 기준)

매매완결일 매수대금(원금 기준, %)
From To
1차

2026-08-24

2026-09-07

2026-09-12

105.1327%

2차

2026-09-15

2026-10-01

2026-10-12

105.5743%

3차

2026-10-22

2026-11-05

2026-11-12

106.0307%

4차

2026-11-23

2026-12-07

2026-12-12

106.4726%

5차

2026-12-18

2027-01-05

2027-01-12

106.9419%

(6) 인수인은 발행회사의 중도상환청구권 행사기간의 마지막 종기가 도래하기 전까지는 매매목적물에 대해서는 본 인수계약에 따른 전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다만, 매매목적물에 대한 인수인의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행사는 발행회사가 이에 대한 중도상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한 경우에 가능하고, 표면이자 미지급 등 본 인수계약 등에서 정한 기한이익 상실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즉시 매매목적물에 대한 원리금 등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7) 발행회사의 중도상환청구권은 전항 단서에 따라 매매목적물에 대한 조기상환청구권 행사나 원리금 등 청구가 있는 경우 또는 발행회사의 중도상환청구권 전부 포기나 그 행사기간의 마지막 종기가 도래하는 즉시 별도의 의사표시 없이 당연히 소멸한다.

(8) 사채 양도시 중도상환청구권행사 보장 및 면책: 본 계약에 따른 중도상환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매매목적물인 전환사채를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또는 그의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에게 해당 최대주주등이 위 전환사채 발행 당시 각자의 발행회사 주식 보유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도록 하는 조건으로만 매도할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하여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을 부담한다.

다.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 상실

1) 다음 각 목의 사유는 기한이익상실사유에 해당한다.

(1) 발행회사에게 존립기간의 만료 등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법원의 해산명령 또는 해산판결, 주주총회의 해산결의가 있는 경우나 청산절차가 개시되는 경우

(2) 발행회사(발행회사의 청산인이나 이사 및 주주를 포함) 또는 발행회사의 채권자 등이 발행회사에 대하여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한 경우

(3) 발행회사가 발행, 배서, 보증, 인수한 어음 또는 수표가 부도처리 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은행거래 또는 당좌거래가 정지된 경우, 발행회사에게 금융결제원(기타 어음교환소의 역할을 하는 기관을 포함)의 거래정지처분이 있는 경우, 채무불이행자명부등재 신청 등 발행회사가 지급불능 또는 지급정지의 상태에 이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또는 조세공과에 대한 연체통지나 납부기한 전 납부고지서를 받는 경우

(4) 발행회사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부실징후기업으로 인정되거나 금융기관에 의한 공동관리, 채무조정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절차가 발행회사에 대하여 개시된 경우(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하여 이와 유사한 절차가 개시된 경우를 포함)

(5) 감독관청이 발행회사의 최근 분기말 별도재무제표상 매출액의 50%를 초과하는 중요한 영업에 대해 정지 또는 취소처분을 내리거나 발행회사가 자체적으로 위 영업을 양도하거나 중단(휴업, 폐업 포함)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6) 발행회사가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증권선물위원회, 국세청(세무서) 등의 관계당국으로부터 최근 분기말 별도재무제표상 자본총계의 5% 이상인 과태료나 과징금 등의 제재를 받는 경우 또는 경영권 분쟁 기타 경영에 영향을 미칠 법적 분쟁발생(본 사채 발행 이전에 공시된 사항을 포함함) 등으로 발행회사의 현저한 신용악화가 우려되어 본 사채 원리금 등의 채권회수가 필요하다고 사채권자가 판단하는 경우

(7) 발행회사의 최근 분기말 별도재무제표상 자본총계의 10% 이상인 중요한 자산 또는 본 사채 원리금의 담보에 대하여 양도, 처분, 멸실(소각) 등이 있는 경우(단, 사채권자의 사전 서면동의가 있는 경우는 제외함)

(8) 발행회사가 본 사채의 원금 또는 이자의 각 지급기일에 지급의무를 불이행하는 경우

(9) 발행회사가 본 사채 외의 사채 또는 기타 발행회사가 인수인이나 제3자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는 채무에 관하여,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여 당해 채무에 관한 담보권이 실행되거나 지급기일이 도래한 해당 채무 원리금의 지급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10) 발행회사의 최근 분기말 별도재무제표상 자본총계 10% 이상인 중요한 자산 또는 본 사채 원리금의 담보(권)에 대하여(또는 이와 관련하여), (가)압류, 가처분, (처분)통지 등이 있거나 소의 제기 또는 체납처분이나 강제집행절차가 개시되는 경우

(11) 발행회사에 대하여 한국거래소의 상장규정에 정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거나 상장폐지 결정(확정여부를 불문함)이 있는 경우

(12) 발행회사에 대하여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공시가 있거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가 개시되는 경우

(13) 발행회사에 대하여 공시위반으로 인하여 본 계약 체결 이후 벌점이 부과되어 해당 벌점을 포함한 최근 1년 이내에 누계벌점이 10점을 초과하는 경우

(14) 발행회사의 보통주에 대한 관리종목(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사유가 발생하거나 관리종목(투자주의환기종목)으로 지정되는 경우(단, 본 사채 발행 당시 해당 종목으로 이미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각 지정사유가 추가되는 경우)

(15) 발행회사의 보통주가 3연속 거래일 동안 거래가 정지되는 경우(단, 주권의 병합, 분할, 자본의 감소 등 발행회사의 일정한 회사법적 행위로 인해 법규 및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라 의무적, 일시적으로 거래정지 되는 경우는 제외함)

(16) 발행회사의 반기보고서(검토 및 감사 포함) 또는 감사보고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의견이 적정이 아니거나 위 각 보고서가 법정제출기한까지 제출되지 아니하는 경우

(17) 발행회사가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단 1회라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의견을 받는 경우(단,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본 계약 체결일 이전 기존 공시된 사항과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는 경우는 제외함)

(18) 발행회사의 최대주주가 변경되거나 변경될 예정인 경우(단,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본 계약 체결일 이전 기존 공시된 사항 및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는 제외함)

(19) 발행회사의 경영권이 변동되거나 변동될 예정인 경우(단,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본 계약 체결일 이전 기존 공시된 사항 및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는 제외함)

(20) 발행회사가 제3조 제16항에서 정한 자금사용용도를 위반하거나 인수인 또는 사채권자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위 사용용도에 대한 증빙을 즉시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

(21) 발행회사의 제4조 제1항의 진술 및 보장이 중대한 부분에서 허위이거나 발행회사가 제4조 제2항에서 정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22) 발행회사가 제9조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23) 발행회사가 제10조 각 항에 정한 사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채권자에게 통지하지 아니하거나 사채권자의 동의를 받지 못하여 본 사채 원리금 등의 채권회수가 필요하다고 사채권자가 판단하는 경우

(24) 본 사채 발행 이후, 본 사채의 최초 조기상환기일 보다 최초 조기상환기일(조기상환기일이 없는 경우 만기일)이 선행하는 사채 발행을 내용으로 하는 발행회사 이사회결의 등 내부결의가 있는 경우

(25) 발행회사가 최근 분기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가액의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사채권자의 사전 동의없이 신규 시설, 타법인(펀드, 투자조합, 종속기업 등 포함)에 투자(주식, 출자지분, 주식의 교부·발행·교환 등을 요구할 수 있는 사채 등의 취득 포함)하는 경우

(26) 발행회사가 최근 분기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가액의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사채권자의 사전 동의없이 타법인(종속기업 포함) 등에 대여하거나 금전소비대차와 유사한 계약 등을 통한 거래를 하는 경우

(27) 발행회사가 본 사채 발행과 관련하여 인수인과 사이에 체결한 본 계약서, 그 부속계약서나 담보권설정계약서 등 그 어떠한 계약이나 합의를 위반한 경우

(28) 발행회사가 본 계약에 따라 담보로 제공한 담보사채의 기한이익 상실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2) 제1호 각 목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사채권자는 발행회사에게 피담보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이행기가 도래하였음을 선언하는 기한이익 상실통지를 할 수 있으며, 발행회사가 위 통지를 받은 날에 해당 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한 것으로 본다. 이 때 발행회사는 즉시 사채권자에게 기한이익이 상실된 채무 및 기한이익상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모든 비용과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특정인에 대한 대상자별 사채발행내역】
(주)상상인저축은행-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9,000,000,000-세종산업(주)-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1,000,000,000-
발행 대상자명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관계 선정경위 발행결정 전후6월이내거래내역 및계획 발행권면(전자등록)총액(원) 비고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1) 법인 또는 단체에 관한 기본정보
세종산업(주)4홍상재7--홍승효31----홍수민31----홍주성31
명 칭 출자자수(명) 대표이사(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단위 : 백만원)
202412월11,18336,0315,9393,3975,243-150-
회계연도 결산기
자산총계 매출액
부채총계 당기순손익
자본총계 외부감사인
자본금 감사의견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채무상환자금의 경우】
(단위 : 백만원, %)
단기차입금(주)상상인저축은행10,0002025.01.242025.10.249------
종목* 차입처 차입금액 차입일 만기일 이자율

【미상환 주권 관련 사채권에 관한 사항】
제1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7,500,000,0009,422796,0092022년 11월 30일 ~ 2026년 10월 30일-제2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1,000,000,0007,345136,1472024년 07월 28일 ~ 2028년 06월 28일-제3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10,000,000,0008,0741,238,5432025년 04월 26일 ~ 2027년 03월 26일-18,500,000,000-2,170,699-10,000,000,0005,6601,766,7842026년 09월 12일 ~ 2028년 08월 12일-28,500,000,000-3,937,483-15,258,47525.81
전환(행사)가능주식 기발행미상환사채권 종류 잔액(원) 전환(행사)가액(원) 전환(행사)가능주식수(주) 전환(행사)가능기간 비고
소계 (A) -
신규 발행 사채권 (B)
합계 -
기발행주식 총수(주) (C)
기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 (D=(A+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