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8 월 29 일 | ||
회 사 명 : | ㈜티웨이항공 | |
대 표 이 사 : | 이 상 윤 | |
본 점 소 재 지 :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67, 10층 (동인동2가, KT대구타워 신관) | |
(전 화) 1688-8686 | ||
(홈페이지) http://www.twayair.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 총괄 | (성 명) 서 동 빈 |
(전 화) 1688-8686 | ||
(2025년 제2차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우리 회사는 정관 제18조에 의하여 2025년 제2차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18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5년 9월 15일 월요일 오전 10시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210 김포국제공항 화물청사 당사 서울지점 학과장3. 회의목적사항가. 부의안건제1호 의안 : 액 면가 감액 무상감자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5.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가.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나. 대리행사 :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구성원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 내용 | 가결 여부 | 사내이사 성명 | 사외이사 성명 | |||||
정홍근(출석률 : 100%) | 김형이(출석률 : 100%) | 정창희(출석률 : 86%) | 나성훈(출석률 : 0%) | 김성훈(출석률 : 100%) | 최성용(출석률 : 86%) | 최승환(출석률 : 71%) | |||||
찬반여부 | |||||||||||
정홍근김형이정창희나성훈김성훈최성용최승환 | 2025-01 | 2025.02.06 | 1. 안전보건관리계획서 보고 및 승인의 건2. 우리사주취득자금 대출 관련 당사 부담보예금 예치 및 재연장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불참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2 | 2025.02.28 | 보고1. 제22기 재무제표 보고 | - | - | - | - | - | - | - | - | |
1. 제2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제22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3 | 2025.03.14 | 1.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불참 | |
2025-04 | 2025.03.20 | 보고1.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 | - | - | - | - | - | - | - | - | |
1. 제22기 재무제표 변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5 | 2025.03.31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불참 | 찬성 | |
2025-06 | 2025.05.08 | 1. '25년 1분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찬성 | 찬성 | |
2025-07 | 2025.05.20 | 1. 임시주주총회 소집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찬성 | 불참 |
구성원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 내용 | 가결 여부 | 사내이사 성명 | 기타비상무이사 성명 | 사외이사 성명 | ||||||
이상윤(출석률 : 100%) | 안우진(출석률 : 100%) | 서동빈(출석률 : 100%) | 서준혁(출석률 : 33%) | 이광수(출석률 : 100%) | 이병천(출석률 : 100%) | 김종득(출석률 : 100%) | 김하연(출석률 : 100%) | 염용표(출석률 : 66%) | |||||
찬반여부 | |||||||||||||
이상윤안우진서동빈서준혁이광수이병천김종득김하연염용표 | 2025-08 | 2025.06.27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2. 사규 개정의 건3.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9 | 2025.07.17 | 1. (신한은행) 우리사주대출 담보금액 재설정의 건2. (티웨이홀딩스) 지급보증위탁 계약 연장의 건3. 내부회계관리자 지정의 건4. 사규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10 | 2025.08.07 | 1.'25년 상반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제3회 및 제4회 신종자본증권 발행의 건3. 유상증자 결의의 건4. 액면가 감액 무상감자의 건5. 정관 일부 변경의 건6. 임시 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성명 | ||
김성훈(출석률 : 100%) | 최승환(출석률 : 100%) | 최성용(출석률 : 100%) | |||||
찬반여부 | |||||||
감사위원회 | 최승환김성훈최성용 | 2025.02.06 |
보고1.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3차 운영평가 진행보고 보고2.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2차 운영평가 결과보고 |
- | - | - | - |
2025.02.28 | 보고1. 제22기 재무제표 보고 | - | - | - | - | ||
2025.03.20 |
보고1. 제22기 재무제표 변경 보고 보고2. '25년 연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보고 |
- | - | - | - | ||
1.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5.05.08 |
보고1. '25년 1분기 결산 재무제표 보고 보고2. '25년 상반기 변화관리 결과보고보고3. '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계획보고보고4. '25년 연간 감사 계획보고 |
- | - | - | - | ||
내부거래위원회 | 최성용김성훈최승환 | 2025.02.28 | 1. '24년 4분기 내부거래 내역 사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보상위원회 | 김성훈최승환최성용 | 2025.02.28 | 1. 임원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성명 | ||
김종득(출석률 : 100%) | 김하연(출석률 : 100%) | 염용표(출석률 : 66%) | |||||
찬반여부 | |||||||
감사위원회 | 김종득김하연염용표 | 2025.06.27 |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7.17 | 1. 내부감사부서 책임자 임면 동의의 건2. 사규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1. 내부회계관리자 지정 보고보고2.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결과보고보고3. 내부회계관리제도 1차 운영평가 계획보고 | - | - | - | - | |||
2025.08.07 | 보고1. '25년 상반기 재무제표 보고 | - | - | - | - | ||
내부거래위원회 | 김종득김하연염용표 | 2025.06.27 | 1.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7.17 | 1. 25년 1분기 내부거래 내역 사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상위원회 | 김종득김하연염용표 | 2025.06.27 | 1. 보상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ESG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위원 성명 | |||
김형이(출석률 : 100%) | 김성훈(출석률 : 100%) | 최성용(출석률 : 100%) | 최승환(출석률 : 100%) | |||||
찬반여부 | ||||||||
ESG위원회 | 김형이김성훈최승환최성용 | 2025.02.06 | 보고1. 2024년 ESG 운영 결과보고 | - | - | - | - | - |
2025.05.08 | 보고1. '25년 ESG 평가 계획 보고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위원 성명 | |||
서동빈(출석률 : 100%) | 김종득(출석률 : 100%) | 김하연(출석률 : 100%) | 염용표(출석률 : 100%) | |||||
찬반여부 | ||||||||
ESG위원회 | 서동빈김종득김하연염용표 | 2025.06.27 | 1. ESG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4,000 | 52 | 9 | 2025년 1월~6월 |
주1) 지급총액은 2025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사외이사 3인에게 지급된 보수 총액입니다. 해당 사외이사 3인은 2025년 6월 24일부로 사임하였으며, 동일 일자에 신규 사외이사 3인이 선임되었습니다.주2) 지급총액은 2025년 6월 30일 지급 완료된 보수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산업의 특성 (가) 항공운송업의 개요
항공운송업은 타인의 수요에 의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으로 정의되며, 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주체를 항공운송사업자(항공사)라고 합니다.항공운송과 연관된 서비스 상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 공간적 이동을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당사가 참여하고 있는 시장 영역은 정기항공운송산업입니다. 이 중 기존의 항공사의특징인 높은 수준의 서비스, 고비용과 차별화되는 실용적 비즈니스 모델인 저비용항공사 (Low Cost Carrier)에 해당합니다. LCC는 낮은 비용부담을 강점으로 하며, 기내 서비스 및 가격의 거품을 뺀 실용적인 수요에 부응하는 항공여객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항공시장의 틈새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나) 항공운송사업자의 구분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는 운항유형, 서비스 종류, 마케팅·경제적 고려 사항, 항공사 규모, 항공사 소유 및 지배구조, 사업모델 등 7가지분류 기준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중 당사가 포함되어 있는 '사업모델'에 따른 분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모델 기준에 따른 항공운송사업자 분류] |
구 분 | |
Full Service Carrier (FSC) |
- 전형적인 국적항공사 또는 대형항공사 - 광범위한 노선망 운영(Network Carrier) - 여러 기종을 보유하여 광범위한 노선망을 운영, 다양한 좌석등급, 기내 오락/편의시설, 기내식, 프리미엄 등급 승객회원을 위한 공항 라운지, 마일리지 제공 등 항공사에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 |
No-Frills Carrier (NFC) |
- 간단하고 제한적인 기내서비스 제공 - 저비용항공 운송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춘 항공사 |
Low Cost Carrier (LCC) |
- 저비용 구조의 항공사로 낮은 운임으로 여객을 운송하는 항공사 - 기내 서비스를 줄이거나 보유 항공기의 기종을 통일하여 유지 관리비를 줄이는 등의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낮은 운임으로 운항 |
주) 우리나라의 저비용항공사는 상기 분류의 NFC와 LCC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형태 |
(다) 항공운송업의 특성
교통수단은 어느 분야든 안전성, 신속성, 정시성 등이 가장 우선시됩니다. 그러나 항공 운송은 타 교통수단과 달리 출발지에서 3차원의 공간을 비행하여 타국의 공역을 쉽게 비행하는 특이성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국제성, 독과점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1) 안전성
안전성은 모든 운송수단에 있어서 요구되는 필수조건으로서, 항공운송업에서도 가장 중요시되는 특성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항공기 사고는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운송업의 특성상 안전성은 절대적으로 지켜져야 할 과제입니다. 사고의 발생은 여객수요 감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바, 안전성의 확보가 항공운송사업을 영위하는데 지켜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신속성 및 정시성
항공운송업이 타 운송수단 대비 가장 큰 경쟁 우위를 갖는 특성은 바로 신속성입니다. 항공기의 속도향상을 살펴보면 1930년대 시속 280Km, 1950년대 500Km, 1960년대 800Km, 1970년대 1,000Km로 증가되었으며, 1970년 후반에 개발된 초음속항공기의 등장으로 속도는 시속 2,000Km까지 향상되었습니다. 국내 육로 운송수단 중 가장 빠른 KTX가 시속 최대300Km임을 감안할 때, 항공기의 신속성은 타 운송수단 대비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신속성과 더불어 항공운송업은 정시성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정시성은 공표된 시간표(Time Table)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운항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항공사의 경우 공표된 시간표 상의 출발 및 도착 시각대로 운항이 실시되고 있는지의 여부가정시성을 결정합니다. 물론 타 교통기관과 비교할 때 기상조건 및 항공기 상태, 현지공항 상황 등에 따라 운항 환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시성을 유지하기가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사들은 항법개선, 정교한 기상상황 예측 등을통해 고객의 편의와 쾌적한 여행에 노력을 기울이고있습니다.
3) 국제성
항공기는 속도가 빠르고 항속거리가 길기 때문에 국가의 영역을 넘어 비행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그래서 자국의 항공기가 타국의 영역에서 비행하는 일이 발생할 경우, 이는 항공기의 항행이나 항공운송사업에 관하여 복잡한 국제적인 법률관계를 발생케 합니다. 이러한 법률관계에 있어 국제적인 항공교통의 발달을 장려하는 한편, 자국의 경제적, 정치적인권익 등을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항공 관련 국제법의 체계화는 물론, 국내법 역시 국제법의 근간인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부속서에 의하여 각국이 통일되게 적용하도록 의무화됩니다. 국제간의 항공운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자국정부와 상대국 정부가 항공협정을 체결하고, 양국의 항공사는 세부 항공협정을 맺어야 그 세부 항공협정에 따라 양국간에 지정된 노선에서 항공운송업무를 영위할 수 있습니다. 즉 국제항공운송사업은 관계국 정부간 협정에 의해서 가능하며 취항도시의 수, 운항횟수, 총 공급좌석등에 대해 상대국가 및 비행시 공역을 통과하거나 착륙하는 국가와 체결된 협정상의관계 등에 의거하여 결정됩니다.
4) 정부의 규제산업 및 이로 인한 진입장벽
항공운송산업은 정부의 면허를 받은 자만이 영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의 신규 입성을 법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독과점 또는 독점화의 경향이 타 어느 산업보다 강하게 나타납니다. 정부는 항공산업 신규 진입에 대해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규제하고 있습니다. 그 첫째가 기술적인 규제로,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노선면허, 운항 개시 전 검사, 운항 및 정비 규정의 인가, 사업계획의 인가 및 기장노선자격의 심사 등에 대하여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경제적인 규제로, 영공통과 등 항공운수권에 관한 사항, 항공여객의 운임 및 화물 수송에 따른 수수료 등에 관한 사항, 항공기의 수송량(운항횟수 및 공급좌석) 등 수송력에 대해 규제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항공운송산업은 코로나 엔데믹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국제 항공여객수는 전년 대비 30% 증가한 약 9천만명을 기록하였으며, 국내 여객을 포함한 총 여객수는 1억 2천만명을 돌파하였습니다. 이는 당사와 같은 LCC업계의 성장으로 인한 공급 증가와 소득 수준 향상, 베이비 부머의 여행 수요 확대, YOLO족의 등장, 2~30대의 여행 패턴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린 결과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항공운송업은 국가 간 무역화물 및 여객을 수송하는 국제간 거래를 본질로 함으로서 사업 활동 영역의 대외개방이 불가피한 산업입니다. 전 세계적인 경기변동 및 수급상황 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항공운송업은 GDP 성장률, 항공유 가격(Jet fuel price), 환율 같은 외적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기타 교통 수단에 비해 고가의 운임을 지불해야 하는 특성상 소득증가여부도 항공운송업의 경기변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항공운송업은 원화 강세시 영업이익 증가, 외화 환산이익 계상효과, 해외여행 수요증가 효과 등이 있어 항공운송산업 전반적인 업황 개선이 이루어지며, 원화 약세인 경우 업계의 전반적으로 실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당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B737-800 기종 항공기 26대, B737-8 기종 항공기 4대, B777-300ER 기종 항공기 2대, A330-200 기종 항공기 6대 및 A330-300 기종 항공기 5대를 포함한 총 43대와 국내 노선 5개 및 국제 노선 60개 포함 총 65개의 노선을 운항 중에 있습니다.회사는 불모지에 가까웠던 지방공항 중에 하나인 대구공항에 적극 진출하여 타사와 차별화된 노선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대구-제주 노선의 경우 운항하는 항공사 중 당사의 운항 스케쥴 점유율이 가장 높으며, 대구에서 운항하는 국제선 노선 수 역시 13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당사는 최근 대구공항에서 가장 높은 국내선 및 국제선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국제선의 경우 2024년 72%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통해 대구공항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구축하고 있습니다.이 밖에도 당사는 2017년 6월 국내 LCC 중 최대 규모의 케이터링 센터를 인천에 구축하였으며, 2024년 7월에는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장된 규모로 센터를 이전하였습니다. 이러한 탄탄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LCC 중 유일하게 자체 기내 판매 채널을 구축하여 기내 판매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결제 시한 연장 서비스, 옆 좌석 구매, t'pet, 원클릭 여행자보험 등 당사만의 차별화된 다양한 부가서비스와의 시너지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과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아울러 2027년 말 준공을 목표로 인천국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내 신규 격납고 건설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정비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업부문 | 품목 | 제품명 | 비고 |
항공운송 | 노선사업 | 여객 | - |
화물 | - | ||
기타 | 기내판매 외 |
(2) 시장점유율
최근 3년간 당사가 취항한 노선을 중심으로한 국내선 및 국제선의 시장 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국내선 시장점유율]
(단위 : 명)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탑승객 | M/S | 탑승객 | M/S | 탑승객 | M/S | |
당사 | 3,918,174 | 12.5% | 4,518,069 | 13.9% | 5,186,978 | 14.2% |
기타 LCC | 16,440,659 | 52.3% | 16,665,680 | 51.3% | 19,905,223 | 54.4% |
FSC | 11,052,292 | 35.2% | 11,299,194 | 34.8% | 11,523,553 | 31.5% |
합계 | 31,411,125 | 100.0% | 32,482,943 | 100.0% | 36,615,754 | 100.0% |
※ 출처 : 에어포탈
[국제선 시장점유율]
(단위 : 명)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탑승객 | M/S | 탑승객 | M/S | 탑승객 | M/S | |
당사 | 6,605,870 | 7.4% | 5,455,640 | 8.0% | 482,977 | 4.9% |
기타 LCC | 25,069,819 | 28.1% | 18,843,531 | 27.5% | 1,808,963 | 18.4% |
FSC | 29,822,381 | 33.4% | 23,113,069 | 33.7% | 3,985,064 | 40.6% |
외항사 | 27,810,798 | 31.1% | 21,209,913 | 30.9% | 3,538,389 | 36.0% |
합계 | 89,308,868 | 100.0% | 68,622,153 | 100.0% | 9,815,393 | 100.0% |
※ 출처 : 에어포탈
(3) 시장의 특성
항공운송산업은 성수기 및 비수기에 따라 수요와 운임 증감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계절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명절, 연휴, 방학 등으로 인한 국민 여가 수요가 증가하는 1, 3분기는 항공운송업의 성수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1∼2월, 7∼8월 휴가철이 집중된 기간은 항공운송업의 최대 성수기입니다.
반면, 2분기는 항공운송업의 전통적인 비수기입니다. 다만 저비용항공사 출연으로 새로운여객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최근 당사를 비롯한 저비용항공사들이 합리적인 운임의 단거리 노선 공급을 확대하면서 비수기에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여행을 즐기고자 하는 합리적 소비자들의 여행수요가 발생하는 등 해외여행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허물고 있습니다. 이에 방학이나 휴가시즌에만 해외여행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저렴하고 덜 혼잡한 비수기를 선호하는 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절간 여객수 변동성 축소로 인해 향후 비수기와 성수기 간의 격차가 점점 좁혀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가 추진하고 있는 별도의 신규사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항공기 신규 도입을 통한 노선 확장,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한 다양한 부가서비스 개발 등 항공업 본연에서의 역량 집중을 통해 외형 성장 및 수익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5) 조직도
가. 자본의 감소를 하는 사유
- 재무구조 개선
나. 자본감소의 방법
- 액면가 500원의 보통주를 액면가 100원으로 감액(액면가 감액 무상감자)
다. 자본감소의 목적인 주식의 종류와 수, 감소비율 및 기준일
감자주식의종류 | 감자주식수 | 감자비율 | 감자기준일 | 감자전자본금(발행주식수) | 감자후자본금(발행주식수) |
---|---|---|---|---|---|
보통주 | 272,167,825 | 80% | 2025.10.16 | 136,083,912,500(272,167,825) | 27,216,782,500(272,167,825) |
※ 기타 참고사항1) 감자일정
감자일정 | 주주총회 예정일 | 2025년 09월 15일 | |
명의개서정지기간 | -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매매거래정지예정기간 | 시작일 | 2025년 10월 15일 | |
종료일 | 2025년 11월 04일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신주상장예정일 | 2025년 11월 05일 | ||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 시작일 | 2025년 09월 16일 | |
종료일 | 2025년 10월 16일 |
2) 기타사항 (1) 본 무상감자는 액면가 500원의 보통주를 액면가 100원으로 감액하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액면가 감액 방식의 무상감자로, 감소한 금액만큼 감자차익이 발생하여 자본총계는 변동이 없습니다.(2) 2019년 9월 16일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시행으로 상기 '9. 감자일정'의 명의개서정지기간, 구주권 제출기간, 신주권교부예정일 및 '11. 구주권 제출 및 신주권 교부장소'는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3) 본 자본금의 감소는 상법 제438조 제1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특별결의로 결정하며, 동법 제439조 제2항에 의거하여 1개월간의 채권자 보호절차를 시행합니다.(4) 당사는 8월 7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무상감자 및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함께 결의하였으며, 유상증자의 납입 예정일은 8월 28일입니다. 이에 따라 상기 '1. 감자 주식의 종류와 수', '3. 감자전후 자본금', '4. 감자전후 발행주식수'에는 유상증자로 인한 신주 발행내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5) 상기 '9. 감자일정'의 신주상장예정일은 변경상장 예정일입니다.(6) 상기 일정은 주주총회 결의 결과 및 관계기관 협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기타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합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5조(일주의 금액)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일주의 금액은 오백원으로 한다. | 제5조(일주의 금액)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일주의 금액은 일백원으로 한다. | 무상감자를 위한 액면가 감액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1)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2)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