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6월 18일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 |
대 표 이 사 : | 강희철, 표형배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 823, 17층(영천동, 에이팩시티) |
(전 화) 031-5183-5555 | |
(홈페이지) http://www.gfco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성 명) 황성호 |
(전 화) 031-5183-5555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5월 02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784,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11,995,200,0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공통 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 12,300원 ~ 15,300원- 모집(매출)총액(예정) : 9,643,200,000원 ~ 11,995,200,000원-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196,000주 ~ 235,2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548,800주 ~ 588,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 75.0% | - 모집(매출)가액(예정) : 15,3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11,995,200,0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196,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588,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5.0% |
요약정보 |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 주1) |
2. 공모방법 | 주2) | 주2)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3) | 주3)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4) | 주4)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5) | 주5) |
III. 투자위험요소 | ||
2. 회사위험 - 아.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위험 | 주6) | 주6) |
2. 회사위험 - 러. 지속적인 연구비 소요에 따른 위험 | 주7) | 주7) |
3. 기타위험 - 차.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 주8) | 주8) |
3. 기타위험 - 카.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 주9) | 주9) |
IV. 인수인의 의견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주10) | 주10) |
V. 자금의 사용목적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11) | 주11) |
2. 자금의 사용목적 | 주12) | 주12)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단위: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784,000 | 500 | 12,300 | 9,643,2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주관회사 | 대신증권 | 보통주 | 784,000 | 9,643,200,000 | 405,014,4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6월 19일 ~ 2025년 06월 20일 | 2025년 06월 24일 | 2025년 06월 19일 | 2025년 06월 24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입니다. 참고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액인 15,3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11,995,200,000원입 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대신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2월 23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5년 04월 04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으로 산정한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을 합한 금액의 4.0% 에 해당합니다. 이외 발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에게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및 기여도, 수요예측 결과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향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인수대가는 변경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단위: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784,000 | 500 | 15,300 | 11,995,2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주관회사 | 대신증권 | 보통주 | 784,000 | 11,995,200,000 | 755,697,6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6월 19일 ~ 2025년 06월 20일 | 2025년 06월 24일 | 2025년 06월 19일 | 2025년 06월 24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 인 15,300 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대신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최종 결정 한 1주당 확정공모가액 15,300원 기준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6월 19일 ~ 20일 (2일간)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2월 23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5년 04월 04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 한 확정공모가액 15,3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으로 산정한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을 합한 금액의 4.0%, 대표 주관회사에 부여하는 성과수수료 2.0% 에 해당합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784,000주(공모 주식의 1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구분 | 주식수 | 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784,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784,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196,000주~ 235,200주 | 25.0%~ 30.0% | 12,300원 | 2,410,800,000원~ 2,892,960,000원 | - |
기관투자자 | 548,800주~ 588,000주 | 70.0%~ 75.0% | 6,750,240,000원~ 7,232,4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784,000주 | 100.0% | 9,643,2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공모희망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추가적으로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 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5)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784,000주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784,000주 (100.0%) | - |
[모집 세부내역] |
모집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모집가액 | 모집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196,000주~ 235,200주 | 25.0%~ 30.0% | 12,300원 | 2,410,800,000원~ 2,892,960,000원 | - |
기관투자자 | 548,800주~ 588,000주 | 70.0%~ 75.0% | 6,750,240,000원~ 7,232,4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784,000주 | 100.0% | 9,643,200,000원 | - |
주1)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상기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 아.「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 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다음 각 호의 요 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 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투자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 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 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 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 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 한 규정」제2조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 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 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 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 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 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 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2)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에 관한 사항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 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제4항에 따라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물량(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에 한한다)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④, ⑤ 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 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3) | 주당 모집(매출)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 12,300원을 기준으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4)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5)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 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대신증권㈜ | 39,200주 | 12,300원 | 482,16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12,300원 ~ 15,3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바랍니다. |
주3)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취득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784,000주(공모 주식의 1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구분 | 주식수 | 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784,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784,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196,000주 | 25.0% | 15,300원 | 2,998,800,000원 | - |
기관투자자 | 588,000주 | 75.0% | 8,996,4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784,000주 | 100.0% | 11,995,2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공모희망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추가적으로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 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5)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784,000주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784,000주 (100.0%) | - |
[모집 세부내역] |
모집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모집가액 | 모집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196,000주 | 25.0% | 15,300원 | 2,998,800,000원 | - |
기관투자자 | 588,000주 | 75.0% | 8,996,4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784,000주 | 100.0% | 11,995,200,000원 | - |
주1)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상기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 아.「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 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다음 각 호의 요 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 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투자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 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 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 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 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 한 규정」제2조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 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 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 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 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 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 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2)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에 관한 사항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 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제4항에 따라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물량(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에 한한다)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④, ⑤ 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 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3) | 주당 모집(매출)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을 기준으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
주4)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 입니다. | ||||||||
주5)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 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대신증권㈜ | 39,200주 | 15,300원 | 599,76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 한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바랍니다. |
주3)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취득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3) 정정 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중략)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당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분 | 내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2,300원 ~ 15,3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는 상기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바랍니다. |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548,800주~ 588,000주 | 70.0%~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784,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196,000주 ~ 235,200주(25.0% ~ 30.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후략)
주3) 정정 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중략)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당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분 | 내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2,300원 ~ 15,3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3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주당 확정공모가액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는 상기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5,300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바랍니다. |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588,000주 |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784,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196,000주(2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후략)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 주, 건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ㆍ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은행, 보험 | 주1) | ||||||
건수 | 388 | 263 | 311 | 1,348 | 132 | - | 2,442 |
수량 | 207,538,000 | 43,656,000 | 96,604,000 | 455,568,000 | 45,524,000 | - | 848,890,000 |
경쟁률 | 352.96 | 74.24 | 164.29 | 774.78 | 77.42 | - | 1,443.69 |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단위 : 주, 건, %)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주1)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 초과 | 26 | 13,927,000 | 12 | 1,890,000 | 27 | 8,512,000 | 71 | 27,497,000 | 55 | 18,934,000 | - | - | 191 | 70,760,000 |
밴드 상위 75%초과~100%이하 | 358 | 191,259,000 | 251 | 41,766,000 | 282 | 87,679,000 | 1,265 | 422,592,000 | 77 | 26,590,000 | - | - | 2,233 | 769,886,000 |
밴드 상위 50%초과~75%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초과~50%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1 | 588,000 | - | - | - | - | 1 | 588,000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 하위 25% 이상 | - | - | - | - | 2 | 413,000 | 1 | 3,000 | - | - | - | - | 3 | 416,000 |
밴드 하위 25%미만 ~5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밴드 하위 50%미만 ~7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미만 ~10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밴드하단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미제시 | 4 | 2,352,000 | - | - | - | - | 10 | 4,888,000 | - | - | - | - | 14 | 7,240,000 |
합계 | 388 | 207,538,000 | 263 | 43,656,000 | 311 | 96,604,000 | 1,348 | 455,568,000 | 132 | 45,524,000 | - | - | 2,442 | 848,890,000 |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건, %) |
구분 | 참여건수 기준 | 신청수량 기준 | ||
참여건수(건) | 비율 | 신청수량(주) | 비율 | |
미제시 | 14 | 0.57% | 7,240,000 | 0.85% |
15,300원 초과 | 191 | 7.82% | 70,760,000 | 8.34% |
15,300원(상단) | 2,231 | 91.36% | 769,630,000 | 90.66% |
12,300원 초과 ~ 15,300 원 미만 | 6 | 0.25% | 1,260,000 | 0.15% |
12,300원(하단) | 0 | 0.00% | 0 | 0.00% |
12,300원 미만 | 0 | 0.00% | 0 | 0.00% |
합계 | 2,442 | 100.00% | 848,890,000 | 100.00% |
(다)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단위: 건, 주)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 계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유) | 거래실적(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6개월 확약 | 2 | 1,176,000 | 27 | 3,020,000 | 1 | 27,000 | 63 | 17,167,000 | 3 | 1,764,000 | - | - | 96 | 23,154,000 |
3개월 확약 | 26 | 15,001,000 | 11 | 1,144,000 | 8 | 2,487,000 | 74 | 27,641,000 | 12 | 6,960,000 | - | - | 131 | 53,233,000 |
1개월 확약 | 9 | 4,604,000 | 3 | 403,000 | 7 | 1,116,000 | 26 | 12,048,000 | 1 | 588,000 | - | - | 46 | 18,759,000 |
2주일 확약 | 13 | 6,350,000 | 3 | 679,000 | 10 | 2,979,000 | 32 | 12,632,000 | - | - | - | - | 58 | 22,640,000 |
미확약 | 338 | 180,407,000 | 219 | 38,410,000 | 285 | 89,995,000 | 1,153 | 386,080,000 | 116 | 36,212,000 | - | - | 2,111 | 731,104,000 |
합 계 | 388 | 207,538,000 | 263 | 43,656,000 | 311 | 96,604,000 | 1,348 | 455,568,000 | 132 | 45,524,000 | - | - | 2,442 | 848,890,000 |
(라) 주당 확정공모가액의 결정상기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주)지에프씨생명과학과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주)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3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 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확정공모가액의 -10% 이내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 중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희망하는 자,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4)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784,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2,300원, 주1)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9,643,200,000원 | |
확정가액 | - | ||
청약 단위 | 주2) | ||
청약기일주3)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개시일 | 2025년 06월 19일(목) |
종료일 | 2025년 06월 20일(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6월 19일(목) | |
종료일 | 2025년 06월 20일(금) | ||
청약증거금주4)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0%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6월 24일(화) |
주1) | 주당 모집 및 매출가액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중 최저가액입니다.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2) |
청약단위 :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5)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10)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 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에 관한 사항」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3) | 청약기일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청약증거금 : ①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2025년 06월 24일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2025년 06월 24일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⑤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6월 24일 08:00 ~ 13:00(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 금액은 주금납입기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인수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대신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대신증권㈜ 본ㆍ지점③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되지 않으며,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①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② 대신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대신증권㈜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신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대신증권㈜ | 196,000주 ~ 235,200주 | 19,500주 ~ 22,500주 | 50% |
주1) | 대신증권(주)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9,500주 ~ 22,500주(300%) 13,000주 ~ 15,000주(200%)□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6,500주 ~ 7,500주(100%) |
주2) | 대신증권(주)의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률은 50%입니다.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에 관한 사항 - (4)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신증권㈜의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5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① 우리사주조합: 금번 공모는 우리사주조합에 배정하지 않습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 ~ 75.0% (548,800주 ~ 588,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0% ~ 30.00% (196,000주 ~ 235,2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특히,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 25%인 196,000주에 우리사주조합 청약 결과에 따른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공모주식의 5% : 39,200주)를 합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을 대상으로 청약을 실시하지 않습니다.⑦「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합니다.⑨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③ 따라서 금번 IPO는 일반청약자에게 196,000주 이상 235,200주 이하를 배정할 예정이며, 균등방식 배정 예정물량은 98,000주 이상 117,600주 이하입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⑤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나머지 물량을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나머지를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추첨의 경우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 배정 등으로 균등방식 배정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가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하므로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⑥ 균등방식 배정 이후 일반청약자 비례방식 배정 수량은, 균등방식 배정 후 잔여 청약증거금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5사6입, 6사7입 등의 원칙에 따라 잔여주를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비례방식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청약을 받은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소수점이 높은 청약단위 순으로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⑦ 일반투자자(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미청약주식은 주식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타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자기의 계산으로 대표주관회사가 인수합니다.⑧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 후 배정받은 물량 범위 내에서 우선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주4)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784,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2,300원, 주1) | |
확정가액 | 15,300원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9,643,200,000원 | |
확정가액 | 11,995,200,000원 | ||
청약 단위 | 주2) | ||
청약기일주3)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개시일 | 2025년 06월 19일(목) |
종료일 | 2025년 06월 20일(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6월 19일(목) | |
종료일 | 2025년 06월 20일(금) | ||
청약증거금주4)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0%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6월 24일(화) |
주1) | 주당 모집 및 매출가액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중 최저가액입니다.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 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5,3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
주2) |
청약단위 :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5)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10)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 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에 관한 사항」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3) | 청약기일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청약증거금 : ①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2025년 06월 24일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2025년 06월 24일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⑤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6월 24일 08:00 ~ 13:00(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 금액은 주금납입기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인수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대신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대신증권㈜ 본ㆍ지점③ 일반청약자는 각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금융회사는 중복청약의 적격청약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나머지 청약을 부적격한 청약으로 판단하여, 대표주관사에 청약 마감일 다음날까지 통보하여야 하며 대표주관사는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부적격한 청약으로 통보받은 청약에 대해서 공모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또한 해당 청약증거금의 반환은 증권금융회사의 통보 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되지 않으며,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①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② 대신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대신증권㈜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신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대신증권㈜ | 196,000주 | 19,500주 | 50% |
주1) | 대신증권(주)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9,500주 (300%) 13,000주 (200%)□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6,500주 (100%) |
주2) | 대신증권(주)의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률은 50%입니다.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에 관한 사항 - (4)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신증권㈜의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5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① 우리사주조합: 금번 공모는 우리사주조합에 배정하지 않습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5.0% (588,000주) 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0%(196,0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특히,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 25%인 196,000주에 우리사주조합 청약 결과에 따른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공모주식의 5% : 39,200주)를 합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을 대상으로 청약을 실시하지 않습니다.⑦「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합니다.⑨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와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③ 따라서 금번 IPO는 일반청약자에게 196,000주를 배정할 예정이며, 균등방식 배정 예정물량은 98,000주입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⑤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나머지 물량을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나머지를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추첨의 경우 우리사주조합 미청약 잔여주식 배정 등으로 균등방식 배정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가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배정하므로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⑥ 균등방식 배정 이후 일반청약자 비례방식 배정 수량은, 균등방식 배정 후 잔여 청약증거금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5사6입, 6사7입 등의 원칙에 따라 잔여주를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비례방식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청약을 받은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소수점이 높은 청약단위 순으로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⑦ 일반투자자(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미청약주식은 주식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타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자기의 계산으로 대표주관회사가 인수합니다.⑧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 후 배정받은 물량 범위 내에서 우선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주5)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대신증권㈜ |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43(저동1가, 대신파이낸스센터) | 기명식 보통주784,000주 (100%) | 9,643,2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12,300원 ~ 15,300원)의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타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 관련계약내용 | 대가 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 관련 계약내용 변경사유 | 비고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료 제외) | 대신증권(주) | 405,014,400원 | 인수금액의 4.0% | 납입일의 익일(영업일 기준) | 주1) | - | - | 주3)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대신증권(주) | 미정 | - | 납입일의 익일(영업일 기준) | 주1)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2025년 05월 02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제15조 (수수료) ① 발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에게 본 인수업무에 대한 수수료 명목으로 공모주식 총 발행금액(공모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인수수수료(이하 "기본수수료"라 한다)로 지급한다. 이와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발행금액의 2.0%이하 에서 대표주관회사에게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및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의 판단에 따른 별도 기준에 따라 성과수수료(이하 "성과 수수료"라 한다)를 지급할 수 있다. ② 주금납입 완납 이후 1영업일 이내 본 조 제1항의 인수수수료는 제2조의 인수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대표주관회사에게, 본 조 제1항의 성과수수료는 대표주관회사에게 현금으로 각 지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납입은행에게 해당 금액을 주금납입금에서 대표주관회사에게 직접 지급하도록 지시한다. ③ 대표주관회사는 본 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수료 외의 수익 및 비용을 납입일로부터 7영업일 이내에 정산한다. |
주2) | 2020년 10월 15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제7조 (인수수수료) ① "갑"은 "을"과 합의한 인수수수료를 별도의 '증권(주식)총액인수 및 모집 계약서'의 내용에 따라 "을"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인수수수료 총액은 '증권(주식)총액인수 및 모집 계약' 시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② 본 계약에 의한 신규상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신문공고비, 인쇄비, 인지대, IR비용, 외부 전문가의 자문비용 등 제비용은 "갑"이 부담한다. |
주3) |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에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2)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따른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 ")를 대표주관회사에게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하는 주식의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대신증권㈜ | 기명식보통주 | 39,200주 | 482,16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
주2) |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과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최저가액인 12,300원 기준입니다. |
주3)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39,2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100분의 5(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 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 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 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
한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금번 공모는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또한 동 규정 제15조제4항에서는 발행회사와 이해관계가 있는 금융투자회사를 명시하고 있으나, 대신증권㈜는 해당사항이 없음을 증빙하는 "발행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특수관계여부 검토서"를 상장예비심사신청 시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후략)
주5)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대신증권㈜ |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43(저동1가, 대신파이낸스센터) | 기명식 보통주784,000주 (100%) | 11,995,2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12,300원 ~ 15,300원)의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타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 관련계약내용 | 대가 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 관련 계약내용 변경사유 | 비고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료 제외) | 대신증권(주) | 405,014,400원 | 인수금액의 4.0% | 납입일의 익일(영업일 기준) | 주1) | - | - | 주3)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대신증권(주) | 251,899,200원 | 인수금액의 2.0% | 납입일의 익일(영업일 기준) | 주1)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2025년 05월 02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제15조 (수수료) ① 발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에게 본 인수업무에 대한 수수료 명목으로 공모주식 총 발행금액(공모주식 및 추가 주식 포함)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인수수수료(이하 "기본수수료"라 한다)로 지급한다. 이와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발행금액의 2.0%이하 에서 대표주관회사에게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및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의 판단에 따른 별도 기준에 따라 성과수수료(이하 "성과 수수료"라 한다)를 지급할 수 있다. ② 주금납입 완납 이후 1영업일 이내 본 조 제1항의 인수수수료는 제2조의 인수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대표주관회사에게, 본 조 제1항의 성과수수료는 대표주관회사에게 현금으로 각 지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납입은행에게 해당 금액을 주금납입금에서 대표주관회사에게 직접 지급하도록 지시한다. ③ 대표주관회사는 본 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수료 외의 수익 및 비용을 납입일로부터 7영업일 이내에 정산한다. |
주2) | 2020년 10월 15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제7조 (인수수수료) ① "갑"은 "을"과 합의한 인수수수료를 별도의 '증권(주식)총액인수 및 모집 계약서'의 내용에 따라 "을"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인수수수료 총액은 '증권(주식)총액인수 및 모집 계약' 시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② 본 계약에 의한 신규상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신문공고비, 인쇄비, 인지대, IR비용, 외부 전문가의 자문비용 등 제비용은 "갑"이 부담한다. |
주3) |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 입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에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2)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따른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 ")를 대표주관회사에게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하는 주식의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대신증권㈜ | 기명식보통주 | 39,200주 | 599,76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
주2) |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에프씨생명과학과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입니다. |
주3)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39,2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100분의 5(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 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 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 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
한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금번 공모는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또한 동 규정 제15조제4항에서는 발행회사와 이해관계가 있는 금융투자회사를 명시하고 있으나, 대신증권㈜는 해당사항이 없음을 증빙하는 "발행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특수관계여부 검토서"를 상장예비심사신청 시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후략)
주6) 정정 전
아.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위험
당사는 제품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여 신규 설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통한 공모자금 중 일부를 연구 및 생산 시설 투자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전체 공모자금 중 약 76억원의 공모자금이 2027년까지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 업체에 해당하여 신규사업에 관한 정상적인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GMP,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등 인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획과 같이 신규로 생산설비를 증설할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비용의 추가적인 발생, 설비 증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당사의 생산성 및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 증설 이후 예기치 못한 수요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감가상각비 등의 고정비용 및 이자비용 등의 금융지출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제품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여 신규 설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시설자금 사용계획에는 연구시설과 생산시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사의 제품개발 및 판매계획에 따라 2027년에 공모자금이 주로 소요될 예정이며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설자금
당사는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연구용 발효기 및 단일세포 분석기에 13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생산시설로는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관련하여 2027년까지 17.5억원을 투자하여 주력제품의 생산과 품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 향후에는 의료기기 4등급(필러) 제품에 관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2027년에는 해당 설비에 45억원을 사용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 고 |
연구시설 | Pilot 발효기 | 300 | 2027년 | |
단일세포 분석 set | 1,000 | 2027년 | 주1) | |
생산시설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1차 | 950 | 2026년 |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2차 | 800 | 2027년 | ||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 4,500 | 2027년 | 주2) | |
합계 | 7,550 | - | - |
주1) | 단일 세포(single cell) 수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세대 의약품 연구를 위한 시설입니다. |
주2) | 의료기기 4등급 제품(필러)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시설 투자입니다. |
① 시설자금 세부 사용 내역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할 예정인 약 9,668백만원 중 7,550백만원을 시설자금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에 1,300백만원, 생산시설에 6,25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가. 연구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Pilot 발효기 | 스킨마이크로바이옴 |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을 위한 배양 시스템 | 2027년 | 300 |
단일세포 분석 set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를 위한 세포분석 장비 셋팅 | 1,000 |
Pilot 발효기(20L pilot 장비)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 과정에서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장비는 소규모 실험실 연구와 대량 생산 공정 사이의 기술적 격차를 해소하며,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공정 검증의 기반이 됩니다. 당사의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은 화장품 소재 측면에서는 현재 양산 단계에 있으나, 의료기기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유효성분 규명 및 양산기술 개발 등 기술력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제품 개발에 필요한 핵심 연구장비입니다.
해당 장비는 미생물의 배양 시, 무균 환경에서 배양 조건 조절 및 이차대사산물 조절, 대량 생성 공정 확립을 위한 연구를 하는 장비로 장비로서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과정에서 표준화된 배양법 확립과 대량 양산 사이에 중간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연구장비로 5L pilot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L급 연구장비 도입 시 대량 양산 공정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성 조건 확립 등 확장성을 갖게 됩니다. 당사는 제품 개발을 통해 2027년 의료기기분야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제품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단일세포 분석 set은 당사의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장비 set 입니다. 당사는 국내대학교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RNA기반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치료제의 기초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심화 연구를 심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를 위해 단일세포 수준의 유전자 발현 분석이 가능한 Single-Cell RNA Sequencing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Cell Sorting 기능을 갖춘 고성능 유세포 분석기(FACS) 및 유효 성분 정량 분석을 위한 LC-MS/MS 장비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현재 공초점 현미경 및 고성능 LC-MS/MS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들은 단일세포 분석 및 치료제 후보물질의 세포 내 작용 기전 분석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확보된 장비 및 분석 시스템은 RNA 기반 피부질환 치료제의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며, 향후 당사의 의약품 분야 진출 (목표 연도: 2027년)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나. 생산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스킨부스터생산설비_ 1차 투자 | GFCCELL EXO series | 동결건조기(50리터)부지확보 및 제조소 구축용 공조시설 | 2026년 | 950 |
스킨부스터생산설비 _2차 투자 | 모유두세포배양액 기반 스킨부스터 | 모유두세포배양을 위한 세포배양기, 멸균기, 자동 충진 및 캡핑기 추가 구매 | 2027년 | 800 |
의료기기 4등급(필러)생산 설비 | 유착방지제(3등급), 필러(4등급) | 부지확보, 제조소 구축 및 제조장비구매 | 2027년 | 4,500 |
1)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당사의 스킨부스터를 생산하는 동탄공장의 생산능력과 1분기 가동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EA, %) |
구분 | 내용 | 2025년 1분기 |
스킨부스터 (CFCCELL) |
생산능력 | 190,800 |
생산실적 | 18,752 | |
가동율 | 10% | |
스킨부스터 (Bulk/ODM) |
생산능력 | 445,200 |
생산실적 | 55,736 | |
가동율 | 13% |
2025년 1분기 스킨부스터 판매실적은 757백만원으로 스킨부스터의 가동율을 고려할 때 현재 연간 6,500백만원의 생산이 가능하며, 당기(2025년) 매출계획금액 5,610백만원 대비 충분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6년 이후 스킨부스터의 판매계획에 따른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6부터 순차적으로 생산시설에 공모자금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스킨부스터 판매계획] |
(단위 : 백만원) |
시기 | 품목 | 금액 |
2025 | 스킨부스터(국내) | 2,809 |
스킨부스터(해외) | 2,802 | |
소계 | 5,610 | |
2026 | 스킨부스터(국내) | 4,207 |
스킨부스터(해외) | 6,027 | |
소계 | 10,234 | |
2027 | 스킨부스터(국내) | 7,673 |
스킨부스터(해외) | 10,993 | |
소계 | 18,666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자금 사용 상세내역] |
(단위 : 백만원) |
설비명 | 금액 | 내용 | 집행시기 |
동결건조기(50리터) | 400 | 스킨부스터 파우더 제형을 위한 동결건조기 | 2026년 |
설비 구축 공간확보 | 300 | 동결건조기 설비 구축을 위한 장소 확보 및 추후 배양 설비 구축을 위한 공간 확보 (30평) | 2026년 |
공조시설 | 200 | 무균 공정을 위한 클린룸 구축 | 2026년 |
무균작업대(2대) | 50 | 무균 작업을 위한 클린벤치 | 2026년 |
소계 | 950 | ||
CO2인큐베이터(5대) | 200 |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소재화를 위한 세포 배양기 | 2027년 |
Deepfreezer | 100 | 동결 건조기 호완용 -80도 Deepfreezer | 2027년 |
자동 충진 및 캡핑기 | 100 |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충진 및 캡핑기 | 2027년 |
멸균기 | 100 | 스킨부스터 생산 증대에 따른 추가 멸균기 도입 | 2027년 |
TFF (접선흐름 여과장치) 및 관련 액세서리 |
2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및 정제용 장비 | 2027년 |
초원심분리기 | 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장비 | 2027년 |
소계 | 800 | ||
합계 | 1,750 |
당사의 스킨부스터 생산능력에서 메인공정은 동결건조기의 능력이 중요하며 2026년부터 스킨부스터 생산시설에 투자(동결건조기 및 부속 설비)할 계획입니다. 동결건조기 구매를 통해 스킨부스터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며, 더불어 해당 설비 설치를 위한 설비 구축공간 확보 및 공조 시스템 도입을 진행할 것입니다. 현재 당사는 모유두세포배양액 소재화를 필수 과정인 GLP기관을 통해 독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7년도에는 모유두세포배양액의 독성 실험이 완료되어 제품화 될 수 있는 시기로 본격적인 탈모 개선용 두피 전용 스킨부스터의 차세대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생산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 투자와 엑소좀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을 통해 스킨부스터의 성장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2)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당사는 의료기기사업을 신사업으로 계획하고 1등급인 비멸균의료용 겔, 2등급 창상피복재, 4등급 필러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1등급 의료기기는 신고서제출일 현재 생산시설 구축 및 허가를 취득하였으며 2027년까지 4등급 의료기기 제조소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2027년 4등급 의료기기제조소 구축 및 인증계획에 따라 공모자금 중 4,500백만원(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은 2027년 사용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시설 투자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시설및설비명) | 금액 | 집행시기 |
건물 | 생산시설 구축 장소 | 2,000 | 2027년 |
시설장치 | 제조소 구축 | 500 | 2027년 |
공기조화기 | 50 | 2027년 | |
무균시험실 구축 | 150 | 2027년 | |
기계장치 | 주사용수 제조장치 | 300 | 2027년 |
믹서 | 60 | 2027년 | |
용해탱크 | 110 | 2027년 | |
가교탱크 | 120 | 2027년 | |
세척탱크 | 90 | 2027년 | |
분쇄탱크 | 110 | 2027년 |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400 | 2027년 | |
멸균기 | 200 | 2027년 | |
반자동 포장기 | 350 | 2027년 | |
incubator | 30 | 2027년 | |
BSC | 30 | 2027년 | |
합계 | 4,500 |
[투자예정내역 설명] |
투자예정내역 |
건물 : 필러를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 390m2의 의 공간이 필요하며 동탄 본사가 위치한 지식산업센터 건물의 공간을 매입하는 것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제조소 구축 : 의료기기 3·4등급(사후멸균) 제품 생산을 위한 의료기기 제조소 |
공기조화기 : 의료기기 GMP에서 요구하는 환경 구축을 위한 공기조화기 |
무균시험실 : 사후멸균 제품이 제대로 멸균되었는지 (제품에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무균시험실 역시 GMP 기준에 따라 환경 구축이 필요함 |
주사용수 제조장치 :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 용해 및 제품의 구성품으로 인체 주입을 위한 물 제조장치 |
믹서 : 유착방지제 원료 혼합 및 용해를 위한 기계장치 |
용해탱크 : 필러 원료 용해 및 가교제 혼합, 내용물 분주(gel 제조용)를 위한 탱크 |
가교탱크 : 내용물 가교를 위한 온도 유지 탱크 |
세척탱크 : 남은 가교제, 염기성 성분을 제거하고 pH, 삼투압을 맞추기 위한 탱크 |
분쇄탱크 : 가교젤을 분쇙하기 위한 탱크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내용물을 주사기에 충진하기 위한탱크 |
멸균기 : 제품을 멸균하기 위한 장치 |
반자동 포장기 : 이물을 확인하고 블리스터 포장기에 주사기 및 주사침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
Incubator : 미생물 및 무균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균 배양기 |
BSC : 무균 및 미생물 한도 시험 작업을 위한 장치 |
2027년 자금 사용을 통한 당사의 의료기기 4등급 생산 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예상 생산능력] |
(단위 : EA) |
생산시설명 | 생산능력 |
의료기기 4등급 | 90,000 |
※ 생산능력 산출기준
설비명 | 가동능력 | 일최대사용량 | 주사용공정 |
용해탱크 | 10L | 1회 | 내용물 용해 |
가교탱크 | 10L | 1회 | 내용물 가교 |
분쇄탱크 | 10L | 1회 | 내용물 분쇄 |
프리필드 시린지 충진기 | 2,700ea/h | 5hrs | 내용물 충진 |
멸균기 | 5,000ea/cycle | 2회 | 제품 멸균 |
반자동 충진기 | 2,000ea/h | 5hrs | 제품 포장 |
1일 최대 생산가능한 내용물의 양이 10L(용해탱크-가교탱크-분쇄탱크 이어 제조)이며, 이를 주사기에 충진하였을 때 손실율 10%를 반영하면 일 9,000개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필러의 경우 가교와 세척이 하루 이상 소요되므로 1개 batch 생산에 2일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분쇄탱크 10L 기준 | 분쇄탱크 | 손실율 | 일일 생산율 |
일일 생산율 | 10,000 | 10 | 9,000 |
- | 일일 생산율 | working day(일/월) | 연간 생산율 |
연간생산율 | 9,000 | 10 | 90,000 |
당사는 2027년 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하고 인허가를 득한 후 4등급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생산능력은 연간 90,000개이며 신청서 제출일 현재 이미 의료기기개발 연구조직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당사의 계획에 따라 인증 및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 업체에 해당하여 신규사업에 관한 정상적인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GMP,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등 인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획과 같이 신규로 생산설비를 증설할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비용의 추가적인 발생, 설비 증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당사의 생산성 및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 증설 이후 예기치 못한 수요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감가상각비 등의 고정비용 및 이자비용 등의 금융지출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 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주6) 정정 후
아.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위험
당사는 제품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여 신규 설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통한 공모자금 중 일부를 연구 및 생산 시설 투자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전체 공모자금 중 약 88 억원의 공모자금이 2027년까지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 업체에 해당하여 신규사업에 관한 정상적인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GMP,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등 인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획과 같이 신규로 생산설비를 증설할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비용의 추가적인 발생, 설비 증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당사의 생산성 및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 증설 이후 예기치 못한 수요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감가상각비 등의 고정비용 및 이자비용 등의 금융지출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시설자금 사용계획에는 연구시설과 생산시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사의 제품개발 및 판매계획에 따라 2025년 ~ 2027년에 공모자금이 주로 소요될 예정이며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설자금
당사는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12.4억원을 RNA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에 사용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는 연구용 발효기 및 단일세포 분석기에 13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생산시설로는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관련하여 2027년까지 17.5억원을 투자하여 주력제품의 생산과 품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 향후에는 의료기기 4등급(필러) 제품에 관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2027년에는 해당 설비에 45억원을 사용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 고 |
연구시설 | RNA 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 | 1,240 | 2025년 | 주1) |
Pilot 발효기 | 300 | 2027년 | ||
단일세포 분석 set | 1,000 | 2027년 | 주2) | |
생산시설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1차 | 950 | 2026년 |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2차 | 800 | 2027년 | ||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 4,500 | 2027년 | 주3) | |
합계 | 8,790 | - | - |
주1) | RN A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을 위한 공간 및 연구개발용장비 투자입니다. |
주2) | 단일 세포(single cell) 수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세대 의약품 연구를 위한 시설입니다. |
주3) | 의료기기 4등급 제품(필러)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시설 투자입니다. |
① 시설자금 세부 사용 내역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할 예정인 약 11,787 백만원 중 8,790 백만원을 시설자금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에 2,540 백만원, 생산시설에 6,25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가. 연구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RNA기반 세포치료 실험실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RNA기반 세포 치료 실험실 구축을 위한 공간 및 연구장비 | 2025년 | 1,240 |
Pilot 발효기 | 스킨마이크로바이옴 |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을 위한 배양 시스템 | 2027년 | 300 |
단일세포 분석 set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를 위한 세포분석 장비 셋팅 | 1,000 |
Pilot 발효기(20L pilot 장비)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 과정에서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장비는 소규모 실험실 연구와 대량 생산 공정 사이의 기술적 격차를 해소하며,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공정 검증의 기반이 됩니다. 당사의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은 화장품 소재 측면에서는 현재 양산 단계에 있으나, 의료기기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유효성분 규명 및 양산기술 개발 등 기술력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제품 개발에 필요한 핵심 연구장비입니다.
해당 장비는 미생물의 배양 시, 무균 환경에서 배양 조건 조절 및 이차대사산물 조절, 대량 생성 공정 확립을 위한 연구를 하는 장비로 장비로서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과정에서 표준화된 배양법 확립과 대량 양산 사이에 중간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연구장비로 5L pilot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L급 연구장비 도입 시 대량 양산 공정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성 조건 확립 등 확장성을 갖게 됩니다. 당사는 제품 개발을 통해 2027년 의료기기분야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및 인프라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제품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초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심화 연구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본격적인 전개를 위해 기존의 GBC 연구소 및 HMC 연구소 외에,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신규 연구소를 설립하고자 합니다. 신규 연구소는 세포 치료제 개발에 전문성을 갖춘 우수한 인력으로 구성되며, 현재 본사(동탄) 건물 내 약 40평 규모의 연구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고자 합니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주요 연구 기술로는 극소량의 유전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고감도 디지털 PCR 장비, 실시간 유전체 증폭 및 정량 분석을 위한 real-time PCR 시스템, 세포 배양 및 활성 실험 수행을 위한 세포 배양기 및 무균 작업대, 세포 상태 관찰 및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장비 가 필요하며, 그 외 세포주의 장기적 안정적 보존 및 샘플 저장을 위한 액체질소 탱크 및 초저온 냉동고 등 전반적인 실험실의 주요 장비도 필요합니다.
당사는 현재 공초점 현미경 및 고성능 LC-MS/MS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들은 단일세포 분석 및 치료제 후보물질의 세포 내 작용 기전 규명 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확보된 장비 및 분석 시스템은 RNA 기반 피부질환 치료제의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며, 향후 당사의 의약품 분야 진출 (목표 연도: 2027년)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실험실 구축 상세 내역] |
(단위: 백만원) |
장비명 | 단가 | 수량 | 금액 | 비고 |
QX200 Auto DG Droplet Digital PCR System | 192 | 1 | 192 |
유전자 증폭 장치 (극소량 유전체 변화 확인 가능) |
CFX Duet Real-Time PCR System | 20 | 1 | 20 | 유전자 증폭 장치 |
ChemiDoc Imaging System | 33.5 | 1 | 33.5 | 이미지 장비 |
Multi purpose centrifuge set 1580R | 10.5 | 1 | 10.5 | 원심분리기 |
CO2 인큐베이터 (51026333) | 13 | 1 | 13 | 세포배양기 |
Biohazard safety Cabinet 1800 JSCB-1800SB with Bio-suction pump | 4.84 | 2 | 9.68 | 클린벤치 |
정밀 전자 저울 (~0.1mg), PX224KR | 1.85 | 1 | 1.85 | 전자저울 |
BioTek Synergy LX Multimode Microplate Reader | 35 | 1 | 35 | 멀티모드 리더기 |
NanoDrop 2000c | 9.9 | 1 | 9.9 | 정량 측정 장치 |
형광현미경(ECLIPSE Ts2 FL) | 22 | 1 | 22 | 형광현미경 |
초저온냉동고 TDE -86℃ Upright Freezers (682L) | 14.1 | 1 | 14.1 | 초저온 냉공고 |
Sliding Drawer Rack 2inch boxes | 0.14 | 10 | 1.4 | 선반 |
LN2 tank, CryoSystem2000 | 5.9 | 1 | 5.9 | 액체질소탱크 |
Water Bath, JSWB-22T | 0.68 | 1 | 0.68 | 항온수조 |
초원심분리기(HITACHI), CP100NX with swing rotor | 71 | 1 | 71 | 초원심분리기 |
연구소 부지 확보 | 200 | 4 | 800 | 10평(1칸)X4 |
합계 | 1,240 |
나. 생산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스킨부스터생산설비_ 1차 투자 | GFCCELL EXO series |
동결건조기(50리터)부지확보 및 제조소 구축용 공조시설 |
2026년 | 950 |
스킨부스터생산설비 _2차 투자 | 모유두세포배양액 기반 스킨부스터 | 모유두세포배양을 위한 세포배양기, 멸균기, 자동 충진 및 캡핑기 추가 구매 | 2027년 | 800 |
의료기기 4등급(필러)생산 설비 | 유착방지제(3등급), 필러(4등급) | 부지확보, 제조소 구축 및 제조장비구매 | 2027년 | 4,500 |
1)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당사의 스킨부스터를 생산하는 동탄공장의 생산능력과 1분기 가동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EA, %) |
구분 | 내용 | 2025년 1분기 |
스킨부스터 (CFCCELL) |
생산능력 | 190,800 |
생산실적 | 18,752 | |
가동율 | 10% | |
스킨부스터 (Bulk/ODM) |
생산능력 | 445,200 |
생산실적 | 55,736 | |
가동율 | 13% |
2025년 1분기 스킨부스터 판매실적은 757백만원으로 스킨부스터의 가동율을 고려할 때 현재 연간 6,500백만원의 생산이 가능하며, 당기(2025년) 매출계획금액 5,610백만원 대비 충분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6년 이후 스킨부스터의 판매계획에 따른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6부터 순차적으로 생산시설에 공모자금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스킨부스터 판매계획] |
(단위 : 백만원) |
시기 | 품목 | 금액 |
2025 | 스킨부스터(국내) | 2,809 |
스킨부스터(해외) | 2,802 | |
소계 | 5,610 | |
2026 | 스킨부스터(국내) | 4,207 |
스킨부스터(해외) | 6,027 | |
소계 | 10,234 | |
2027 | 스킨부스터(국내) | 7,673 |
스킨부스터(해외) | 10,993 | |
소계 | 18,666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자금 사용 상세내역] |
(단위 : 백만원) |
설비명 | 금액 | 내용 | 집행시기 |
동결건조기(50리터) | 400 | 스킨부스터 파우더 제형을 위한 동결건조기 | 2026년 |
설비 구축 공간확보 | 300 | 동결건조기 설비 구축을 위한 장소 확보 및 추후 배양 설비 구축을 위한 공간 확보 (30평) | 2026년 |
공조시설 | 200 | 무균 공정을 위한 클린룸 구축 | 2026년 |
무균작업대(2대) | 50 | 무균 작업을 위한 클린벤치 | 2026년 |
소계 | 950 | ||
CO2인큐베이터(5대) | 200 |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소재화를 위한 세포 배양기 | 2027년 |
Deepfreezer | 100 | 동결 건조기 호완용 -80도 Deepfreezer | 2027년 |
자동 충진 및 캡핑기 | 100 |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충진 및 캡핑기 | 2027년 |
멸균기 | 100 | 스킨부스터 생산 증대에 따른 추가 멸균기 도입 | 2027년 |
TFF (접선흐름 여과장치) 및 관련 액세서리 |
2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및 정제용 장비 | 2027년 |
초원심분리기 | 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장비 | 2027년 |
소계 | 800 | ||
합계 | 1,750 |
당사의 스킨부스터 생산능력에서 메인공정은 동결건조기의 능력이 중요하며 2026년부터 스킨부스터 생산시설에 투자(동결건조기 및 부속 설비)할 계획입니다. 동결건조기 구매를 통해 스킨부스터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며, 더불어 해당 설비 설치를 위한 설비 구축공간 확보 및 공조 시스템 도입을 진행할 것입니다. 현재 당사는 모유두세포배양액 소재화를 필수 과정인 GLP기관을 통해 독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7년도에는 모유두세포배양액의 독성 실험이 완료되어 제품화 될 수 있는 시기로 본격적인 탈모 개선용 두피 전용 스킨부스터의 차세대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생산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 투자와 엑소좀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을 통해 스킨부스터의 성장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2)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당사는 의료기기사업을 신사업으로 계획하고 1등급인 비멸균의료용 겔, 2등급 창상피복재, 4등급 필러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1등급 의료기기는 신고서제출일 현재 생산시설 구축 및 허가를 취득하였으며 2027년까지 4등급 의료기기 제조소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2027년 4등급 의료기기제조소 구축 및 인증계획에 따라 공모자금 중 4,500백만원(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은 2027년 사용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시설 투자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시설및설비명) | 금액 | 집행시기 |
건물 | 생산시설 구축 장소 | 2,000 | 2027년 |
시설장치 | 제조소 구축 | 500 | 2027년 |
공기조화기 | 50 | 2027년 | |
무균시험실 구축 | 150 | 2027년 | |
기계장치 | 주사용수 제조장치 | 300 | 2027년 |
믹서 | 60 | 2027년 | |
용해탱크 | 110 | 2027년 | |
가교탱크 | 120 | 2027년 | |
세척탱크 | 90 | 2027년 | |
분쇄탱크 | 110 | 2027년 |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400 | 2027년 | |
멸균기 | 200 | 2027년 | |
반자동 포장기 | 350 | 2027년 | |
incubator | 30 | 2027년 | |
BSC | 30 | 2027년 | |
합계 | 4,500 |
[투자예정내역 설명] |
투자예정내역 |
건물 : 필러를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 390m2의 의 공간이 필요하며 동탄 본사가 위치한 지식산업센터 건물의 공간을 매입하는 것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제조소 구축 : 의료기기 3·4등급(사후멸균) 제품 생산을 위한 의료기기 제조소 |
공기조화기 : 의료기기 GMP에서 요구하는 환경 구축을 위한 공기조화기 |
무균시험실 : 사후멸균 제품이 제대로 멸균되었는지 (제품에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무균시험실 역시 GMP 기준에 따라 환경 구축이 필요함 |
주사용수 제조장치 :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 용해 및 제품의 구성품으로 인체 주입을 위한 물 제조장치 |
믹서 : 유착방지제 원료 혼합 및 용해를 위한 기계장치 |
용해탱크 : 필러 원료 용해 및 가교제 혼합, 내용물 분주(gel 제조용)를 위한 탱크 |
가교탱크 : 내용물 가교를 위한 온도 유지 탱크 |
세척탱크 : 남은 가교제, 염기성 성분을 제거하고 pH, 삼투압을 맞추기 위한 탱크 |
분쇄탱크 : 가교젤을 분쇙하기 위한 탱크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내용물을 주사기에 충진하기 위한탱크 |
멸균기 : 제품을 멸균하기 위한 장치 |
반자동 포장기 : 이물을 확인하고 블리스터 포장기에 주사기 및 주사침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
Incubator : 미생물 및 무균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균 배양기 |
BSC : 무균 및 미생물 한도 시험 작업을 위한 장치 |
2027년 자금 사용을 통한 당사의 의료기기 4등급 생산 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예상 생산능력] |
(단위 : EA) |
생산시설명 | 생산능력 |
의료기기 4등급 | 90,000 |
※ 생산능력 산출기준
설비명 | 가동능력 | 일최대사용량 | 주사용공정 |
용해탱크 | 10L | 1회 | 내용물 용해 |
가교탱크 | 10L | 1회 | 내용물 가교 |
분쇄탱크 | 10L | 1회 | 내용물 분쇄 |
프리필드 시린지 충진기 | 2,700ea/h | 5hrs | 내용물 충진 |
멸균기 | 5,000ea/cycle | 2회 | 제품 멸균 |
반자동 충진기 | 2,000ea/h | 5hrs | 제품 포장 |
1일 최대 생산가능한 내용물의 양이 10L(용해탱크-가교탱크-분쇄탱크 이어 제조)이며, 이를 주사기에 충진하였을 때 손실율 10%를 반영하면 일 9,000개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필러의 경우 가교와 세척이 하루 이상 소요되므로 1개 batch 생산에 2일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분쇄탱크 10L 기준 | 분쇄탱크 | 손실율 | 일일 생산율 |
일일 생산율 | 10,000 | 10 | 9,000 |
- | 일일 생산율 | working day(일/월) | 연간 생산율 |
연간생산율 | 9,000 | 10 | 90,000 |
당사는 2027년 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하고 인허가를 득한 후 4등급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생산능력은 연간 90,000개이며 신고서 제출일 현재 이미 의료기기개발 연구조직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당사의 계획에 따라 인증 및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 업체에 해당하여 신규사업에 관한 정상적인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GMP,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등 인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획과 같이 신규로 생산설비를 증설할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비용의 추가적인 발생, 설비 증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당사의 생산성 및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 증설 이후 예기치 못한 수요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감가상각비 등의 고정비용 및 이자비용 등의 금융지출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 자께서는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러. 지속적인 연구비 소요에 따른 위험 2023년 및 2024년 기준 당사의 연구개발 지출 총액은 약 11.7억원, 15.5억원 규모이며, 매출액 대비 7.59%, 9.24%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및 엑소좀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판매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창상피복재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자금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당사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2024년, 2023년, 2022년말 기준 약 15.3억원, 14.8억원, 6.25억원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번 공모로 인해 유입될 추가 자금 은 약 97억원이며 채무상환자금으로 약 21억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채무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 를 고려할 시 당사의 사업계획에 따른 영업현금으로 연구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이 실패하거나, 연구개발비의 지출이 제품화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신규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비용의 지속적인 소요는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개발단계를 진척함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당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정부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표이사가 법률을 위반하여(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 뇌물공여 등 2017.11.24 판결)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해당사항이 당사의 연구개발비용 부담을 추가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매출액 | 4,490 | 16,805 | 15,434 | 13,706 |
판매비와 관리비 | 1,876(41.77%) | 6,173 (36.73%) | 6,105(39.55%) | 5,839(42.60%) |
연구개발비 | 471(10.48%) | 1,552(9.24%) | 1,171(7.59%) | 1,077(7.86%) |
주1) | 비율은 매출액대비 판관비 및 연구개발비 비율입니다. |
주2) | 판매비와 관리비 중 연구개발비의 비율은 2025년 1분기말 25.10%, 2024년 25.14%, 2023년19.18%입니다. |
2023년 및 2024년 기준 당사의 연구개발 지출 총액은 약 11.7억원, 15.5억원 규모이며, 매출액 대비 7.59%, 9.24%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및 엑소좀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판매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창상피복재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자금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당사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2024년, 2023년, 2022년말 기준 약 15.3억원, 14.8억원, 6.25억원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번 공모로 인해 유입될 추가 자금 은 약 97억원이며 채무상환자금으로 약 21억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채무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 를 고려할 시 당사의 사업계획에 따른 영업현금으로 연구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채무상환자금을 통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 1억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이 실패하거나, 연구개발비의 지출이 제품화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신규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비용의 지속적인 소요는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개발단계를 진척함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당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정부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표이사가 법률을 위반하여(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 뇌물공여 등 2017.11.24 판결)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당사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총 4,916백만원의 정부과제를 통한 지원금을 수령하였으며 이를 각 과제 수행기간으로 나누어 연 사용 평균값을 산출하면 약 56백만원입니다. 56백만원의 연 사용 정부지원금으로인해 절감되었을것으로 예상되는 2017년 이후 영업이익 수치를 산출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지속적으로 정부지원금을 수령했을 경우 평균적으로 약 0.48%의 영업이익률 개선이 가능하며, 현재는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0.48%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당사로부터 창출된 영업현금흐름으로 충당해야합니다 .
[지에프씨생명과학 수령 정부지원금 일체] |
(단위 : 원) |
사업명 | 연도 | 과제명 | 정부지원금 |
05년 기술혁신 | 05.07.01~06.06.30 | 화장품 미백소재인 알파-알부틴의 효율적인 제조방법 개발 | 69,000,000 |
06년 기술혁신 | 06.04.01~07.03.31 | 유전자재조합 인간조직인자(Human Tissue Factor)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60,000,000 |
06년 이전기술 | 06.11.01~07.10.31 | 화장품, 식품에서의 왁스상 조성물 가공용 제조장치 | 70,100,000 |
07년 기술혁신 | 07.05.01~08.04.30 | 홍조류(Hodophyta)인 해태(Laver:Porphyra Tenera Kjellman)을 이용한 다용도 하이드로젤 마스크의 개발 | 129,000,000 |
08년 서비스연구 | 08.07.01~09.06.30 | 고객 감성 접근 브랜드 개발을 통한 가정용 화장품 소재 서비스 신사업 개발 | 76,000,000 |
08년 기업협동형 | 08.08.01~10.07.31 | Silicone Polymer Complex를 이용한 Hair Protecting 기능을 가진 Hair Color Product 개발 | 135,000,000 |
디자인소재·표면처리개발사업 | 09.04.01~10.03.31 | 전통 소재에 표면처리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웰빙(Well-being) 화장품 용기 및 Case 소재 개발. | 120,000,000 |
09선도과제1차 | 09.05.01~10.04.30 | 국내 자생식물 유래의 용매별 추출물을이용한 아토피성 피부 개선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195,000,000 |
09선도과제2차 | 10.05.01~11.04.30 | 국내 자생식물 유래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 개선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200,000,000 |
09산학연 기업부설1차 | 09.06.01~10.05.31 | 녹나무과 자생식물의 활성과 지표물질 분석을 통한 AD개선용 신소재 및 제품 개발 | 84,000,000 |
09산학연 기업부설2차 | 10.06.01~11.05.31 | 녹나무과 자생식물의 활성과 지표물질 분석을 통한 AD개선용 신소재 및 제품 개발 | 178,000,000 |
10창업보육과제 | 10.06.01~11.05.31 | 해양 무척추동물인 굴 유래 Peptide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및 제품개발 | 27,500,000 |
10지역산업과제1차 | 10.11.01~11.10.31 | 식물성펙틴 올리고머의 효능 연구 및 화장품 개발 | 35,000,000 |
10지역산업과제2차 | 11.11.01~12.10.31 | 식물성펙틴 올리고머의 효능 연구 및 화장품 개발 | 35,000,000 |
11바이오그린21 1차 | 11.05.01~11.12.31 | 수도 지상부 신규 Flavonolignan 활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 40,000,000 |
11바이오그린21 2차 | 12.01.01~12.12.31 | 수도 지상부 신규 Flavonolignan 활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 40,000,000 |
11산학연공동기술 | 11.06.01~12.05.31 | Rosaceae 식물에서 분리동정한 pentacyclic triterpenoid aglycone의 활성연구와 화장품소재로의 적용 | 13,575,000 |
11 창업성장 | 11.06.01~12.05.31 | 새로운 발효균주 분리동정을 이용한 식품가공 폐자원으로부터의 기능성 화장품 | 180,701,000 |
11농공상융합형 1차 | 11.10.01~12.09.30 | 옥수수 지상부 유래의 미백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76,070,000 |
11농공상융합형 2차 | 12.10.01~13.09.30 | 옥수수 지상부 유래의 미백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75,120,000 |
11글로벌코스메틱 1차 | 11.11.01~12.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1글로벌코스메틱 2차 | 12.11.01~13.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3글로벌코스메틱 1차 | 13.11.01~14.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3글로벌코스메틱 2차 | 14.11.01~15.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2선도과제 1차 | 12.03.01~13.02.28 | Active coordinated media를 적용한 식물 줄기세포 미백 기능성 화장품 개발 | 180,000,000 |
12선도과제 2차 | 13.03.01~14.02.28 | Active coordinated media를 적용한 식물 줄기세포 미백 기능성 화장품 개발 | 240,000,000 |
신뢰성기반기술확산1차 | 12.07.01~13.06.30 | 식물성장세포 신뢰성 인증을 통한 기능성 화장품 생산 | 160,000,000 |
신뢰성기반기술확산2차 | 13.07.01~14.06.30 | 식물성장세포 신뢰성 인증을 통한 기능성 화장품 생산 | 120,000,000 |
13바이오그린21 1차 | 13.02.01~13.12.31 | 벼 발효물을 이요한 기능성 강화 화장품 소재 개발, 제조공정확립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 등록 | 40,000,000 |
13바이오그린21 2차 | 14.01.01~14.12.31 | 벼 발효물을 이요한 기능성 강화 화장품 소재 개발, 제조공정확립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 등록 | 40,000,000 |
13 창업성장-선마린 | 13.03.01~14.02.28 | Microalgae 유래의 두피 개선, 탈모 예방 헤어케어 제품 개발 | 20,000,000 |
글로벌강소1차-서울 | 13.06.01~14.05.31 | 산가요록 전통발효물의 Microbial Meta-bolomics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개발 | 29,060,000 |
글로벌강소2차-서울 | 14.06.01~15.05.31 | 산가요록 전통발효물의 Microbial Meta-bolomics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개발 | 29,060,000 |
13 투자연계과제 1차 | 13.07.01~14.06.30 | 농생명 소재를 이용한 천연방부제 및 이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 | 250,000,000 |
13 투자연계과제 2차 | 14.07.01~15.06.30 | 농생명 소재를 이용한 천연방부제 및 이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 | 250,000,000 |
13 농생명산업과제3차 | 15.11.20~16.11.19 | 한국형 신규 유산균 발굴을 통한 고부가가치 발효 진세노사이드 소재 개발 | 45,000,000 |
14 수출전략과제 1차 | 14.07.29~15.07.28 | 태극삼, 흑삼, 인삼지상부를 이용한 수출국 맞춤형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190,000,000 |
14 수출전략과제 2차 | 15.07.29~16.07.28 | 태극삼, 흑삼, 인삼지상부를 이용한 수출국 맞춤형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190,000,000 |
경제협력권-비즈니스협력형 1차 | 15.05.01~16.04.30 | 제주유래 및 테크노파크 지식재산 천연물을 활용한 수출주도형 화장품 개발 및 사업화 | 140,000,000 |
15구매조건부 | 15.07.01~16.06.30 | 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흡수를 촉진시키는 이미지 하이드로겔 마스크시트의 개발 | 75,000,000 |
15 글로벌경쟁과제 1차 | 15.07.23~16.07.22 | 미생물학적 오믹스 기법을 적용한 고기능성 안티에이징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60,000,000 |
15 지역주력산업육성 1차 | 15.08.01~16.07.31 | GPN,PGN을 함유한 굴펩타이드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원료 및 제품개발 | 15,000,000 |
15 고성장기업과제 1차 | 15.09.17~16.09.16 | 생물대사공학기술을 적용한 복합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 200,000,000 |
15 혁신형기업과제 1차 | 15.10.12~16.10.11 | 신규 유산균을 이용한 한국형 요거트의 화장품 소재화 및 이를 적용한 제품 개발 | 93,600,000 |
15글로벌코스메틱 1차 | 15.11.01~16.10.31 | 신규미생물의 생물전환 및 형질전환을 통하여 상재균 변화 유발과 이를 활용한 항노화 화장품 소재 개발 | 150,000,000 |
합계 | 4,915,786,000 |
출처 : 회사 제공 |
[지에프씨생명과학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시나리오] |
(단위 : 백만원, %) |
연도 | 매출액 | 경상연구개발비 | 영업이익 |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 기존 영업이익률 |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영업이익률 |
2005 | 252 | 64 | -141 | - | -56.19% | -56.19% |
2006 | 404 | 103 | -138 | - | -34.29% | -34.29% |
2007 | 795 | 215 | 3 | - | 0.35% | 0.35% |
2008 | 1,105 | 255 | 10 | - | 0.93% | 0.93% |
2009 | 1,560 | 399 | -122 | - | -7.81% | -7.81% |
2010 | 1,849 | 452 | -373 | - | -20.18% | -20.18% |
2011 | 2,224 | 423 | -239 | - | -10.74% | -10.74% |
2012 | 2,563 | 199 | 106 | - | 4.13% | 4.13% |
2013 | 2,670 | 287 | 109 | - | 4.08% | 4.08% |
2014 | 3,175 | 326 | 123 | - | 3.88% | 3.88% |
2015 | 5,024 | 702 | 297 | - | 5.91% | 5.91% |
2016 | 7,006 | 1,422 | 1,301 | - | 18.57% | 18.57% |
2017 | 7,161 | 1,648 | -1,045 | -989 | -14.59% | -13.81% |
2018 | 8,679 | 1,200 | -978 | -922 | -11.27% | -10.63% |
2019 | 11,908 | 434 | -749 | -693 | -6.29% | -5.82% |
2020 | 13,324 | 968 | 166 | 222 | 1.25% | 1.67% |
2021 | 13,737 | 841 | 1,379 | 1,435 | 10.04% | 10.44% |
2022 | 13,706 | 1,077 | -38 | 18 | -0.28% | 0.13% |
2023 | 15,434 | 1,171 | 704 | 760 | 4.56% | 4.92% |
2024 | 16,805 | 1,552 | 1,705 | 1,761 | 10.15% | 10.48% |
평균 영업이익률 개선치 | 0.48% |
출처 : 회사 제공 |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해당 사항이 당사의 연구개발비용 부담을 추가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후
러. 지속적인 연구비 소요에 따른 위험 2023년 및 2024년 기준 당사의 연구개발 지출 총액은 약 11.7억원, 15.5억원 규모이며, 매출액 대비 7.59%, 9.24%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및 엑소좀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판매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창상피복재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자금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당사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2024년, 2023년, 2022년말 기준 약 15.3억원, 14.8억원, 6.25억원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번 공모로 인해 유입될 추가 자금 은 약 118 억원이며 채무상환자금으로 약 29.9 억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채무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 를 고려할 시 당사의 사업계획에 따른 영업현금으로 연구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이 실패하거나, 연구개발비의 지출이 제품화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신규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비용의 지속적인 소요는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개발단계를 진척함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당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정부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표이사가 법률을 위반하여(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 뇌물공여 등 2017.11.24 판결)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해당사항이 당사의 연구개발비용 부담을 추가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말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매출액 | 4,490 | 16,805 | 15,434 | 13,706 |
판매비와 관리비 | 1,876(41.77%) | 6,173 (36.73%) | 6,105(39.55%) | 5,839(42.60%) |
연구개발비 | 471(10.48%) | 1,552(9.24%) | 1,171(7.59%) | 1,077(7.86%) |
주1) | 비율은 매출액대비 판관비 및 연구개발비 비율입니다. |
주2) | 판매비와 관리비 중 연구개발비의 비율은 2025년 1분기말 25.10%, 2024년 25.14%, 2023년19.18%입니다. |
2023년 및 2024년 기준 당사의 연구개발 지출 총액은 약 11.7억원, 15.5억원 규모이며, 매출액 대비 7.59%, 9.24%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및 엑소좀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판매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창상피복재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자금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당사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2024년, 2023년, 2022년말 기준 약 15.3억원, 14.8억원, 6.25억원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번 공모로 인해 유입될 추가 자금 은 약 118 억원이며 채무상환자금으로 약 29.9 억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채무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 를 고려할 시 당사의 사업계획에 따른 영업현금으로 연구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채무상환자금을 통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 1.1 억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이 실패하거나, 연구개발비의 지출이 제품화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신규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비용의 지속적인 소요는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개발단계를 진척함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당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내 정부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표이사가 법률을 위반하여(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 뇌물공여 등 2017.11.24 판결)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당사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총 4,916백만원의 정부과제를 통한 지원금을 수령하였으며 이를 각 과제 수행기간으로 나누어 연 사용 평균값을 산출하면 약 56백만원입니다. 56백만원의 연 사용 정부지원금으로인해 절감되었을것으로 예상되는 2017년 이후 영업이익 수치를 산출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지속적으로 정부지원금을 수령했을 경우 평균적으로 약 0.48%의 영업이익률 개선이 가능하며, 현재는 2051년 2월 25일까지 정부과제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0.48%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당사로부터 창출된 영업현금흐름으로 충당해야합니다.
[지에프씨생명과학 수령 정부지원금 일체] |
(단위 : 원) |
사업명 | 연도 | 과제명 | 정부지원금 |
05년 기술혁신 | 05.07.01~06.06.30 | 화장품 미백소재인 알파-알부틴의 효율적인 제조방법 개발 | 69,000,000 |
06년 기술혁신 | 06.04.01~07.03.31 | 유전자재조합 인간조직인자(Human Tissue Factor)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60,000,000 |
06년 이전기술 | 06.11.01~07.10.31 | 화장품, 식품에서의 왁스상 조성물 가공용 제조장치 | 70,100,000 |
07년 기술혁신 | 07.05.01~08.04.30 | 홍조류(Hodophyta)인 해태(Laver:Porphyra Tenera Kjellman)을 이용한 다용도 하이드로젤 마스크의 개발 | 129,000,000 |
08년 서비스연구 | 08.07.01~09.06.30 | 고객 감성 접근 브랜드 개발을 통한 가정용 화장품 소재 서비스 신사업 개발 | 76,000,000 |
08년 기업협동형 | 08.08.01~10.07.31 | Silicone Polymer Complex를 이용한 Hair Protecting 기능을 가진 Hair Color Product 개발 | 135,000,000 |
디자인소재·표면처리개발사업 | 09.04.01~10.03.31 | 전통 소재에 표면처리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웰빙(Well-being) 화장품 용기 및 Case 소재 개발. | 120,000,000 |
09선도과제1차 | 09.05.01~10.04.30 | 국내 자생식물 유래의 용매별 추출물을이용한 아토피성 피부 개선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195,000,000 |
09선도과제2차 | 10.05.01~11.04.30 | 국내 자생식물 유래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 개선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200,000,000 |
09산학연 기업부설1차 | 09.06.01~10.05.31 | 녹나무과 자생식물의 활성과 지표물질 분석을 통한 AD개선용 신소재 및 제품 개발 | 84,000,000 |
09산학연 기업부설2차 | 10.06.01~11.05.31 | 녹나무과 자생식물의 활성과 지표물질 분석을 통한 AD개선용 신소재 및 제품 개발 | 178,000,000 |
10창업보육과제 | 10.06.01~11.05.31 | 해양 무척추동물인 굴 유래 Peptide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및 제품개발 | 27,500,000 |
10지역산업과제1차 | 10.11.01~11.10.31 | 식물성펙틴 올리고머의 효능 연구 및 화장품 개발 | 35,000,000 |
10지역산업과제2차 | 11.11.01~12.10.31 | 식물성펙틴 올리고머의 효능 연구 및 화장품 개발 | 35,000,000 |
11바이오그린21 1차 | 11.05.01~11.12.31 | 수도 지상부 신규 Flavonolignan 활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 40,000,000 |
11바이오그린21 2차 | 12.01.01~12.12.31 | 수도 지상부 신규 Flavonolignan 활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 40,000,000 |
11산학연공동기술 | 11.06.01~12.05.31 | Rosaceae 식물에서 분리동정한 pentacyclic triterpenoid aglycone의 활성연구와 화장품소재로의 적용 | 13,575,000 |
11 창업성장 | 11.06.01~12.05.31 | 새로운 발효균주 분리동정을 이용한 식품가공 폐자원으로부터의 기능성 화장품 | 180,701,000 |
11농공상융합형 1차 | 11.10.01~12.09.30 | 옥수수 지상부 유래의 미백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76,070,000 |
11농공상융합형 2차 | 12.10.01~13.09.30 | 옥수수 지상부 유래의 미백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화장품 개발 | 75,120,000 |
11글로벌코스메틱 1차 | 11.11.01~12.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1글로벌코스메틱 2차 | 12.11.01~13.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3글로벌코스메틱 1차 | 13.11.01~14.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3글로벌코스메틱 2차 | 14.11.01~15.10.31 | Metagenomic, Gene recombination을 이용한 various melanin 개발 | 140,000,000 |
12선도과제 1차 | 12.03.01~13.02.28 | Active coordinated media를 적용한 식물 줄기세포 미백 기능성 화장품 개발 | 180,000,000 |
12선도과제 2차 | 13.03.01~14.02.28 | Active coordinated media를 적용한 식물 줄기세포 미백 기능성 화장품 개발 | 240,000,000 |
신뢰성기반기술확산1차 | 12.07.01~13.06.30 | 식물성장세포 신뢰성 인증을 통한 기능성 화장품 생산 | 160,000,000 |
신뢰성기반기술확산2차 | 13.07.01~14.06.30 | 식물성장세포 신뢰성 인증을 통한 기능성 화장품 생산 | 120,000,000 |
13바이오그린21 1차 | 13.02.01~13.12.31 | 벼 발효물을 이요한 기능성 강화 화장품 소재 개발, 제조공정확립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 등록 | 40,000,000 |
13바이오그린21 2차 | 14.01.01~14.12.31 | 벼 발효물을 이요한 기능성 강화 화장품 소재 개발, 제조공정확립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 등록 | 40,000,000 |
13 창업성장-선마린 | 13.03.01~14.02.28 | Microalgae 유래의 두피 개선, 탈모 예방 헤어케어 제품 개발 | 20,000,000 |
글로벌강소1차-서울 | 13.06.01~14.05.31 | 산가요록 전통발효물의 Microbial Meta-bolomics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개발 | 29,060,000 |
글로벌강소2차-서울 | 14.06.01~15.05.31 | 산가요록 전통발효물의 Microbial Meta-bolomics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 개발 | 29,060,000 |
13 투자연계과제 1차 | 13.07.01~14.06.30 | 농생명 소재를 이용한 천연방부제 및 이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 | 250,000,000 |
13 투자연계과제 2차 | 14.07.01~15.06.30 | 농생명 소재를 이용한 천연방부제 및 이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 | 250,000,000 |
13 농생명산업과제3차 | 15.11.20~16.11.19 | 한국형 신규 유산균 발굴을 통한 고부가가치 발효 진세노사이드 소재 개발 | 45,000,000 |
14 수출전략과제 1차 | 14.07.29~15.07.28 | 태극삼, 흑삼, 인삼지상부를 이용한 수출국 맞춤형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190,000,000 |
14 수출전략과제 2차 | 15.07.29~16.07.28 | 태극삼, 흑삼, 인삼지상부를 이용한 수출국 맞춤형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190,000,000 |
경제협력권-비즈니스협력형 1차 | 15.05.01~16.04.30 | 제주유래 및 테크노파크 지식재산 천연물을 활용한 수출주도형 화장품 개발 및 사업화 | 140,000,000 |
15구매조건부 | 15.07.01~16.06.30 | 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흡수를 촉진시키는 이미지 하이드로겔 마스크시트의 개발 | 75,000,000 |
15 글로벌경쟁과제 1차 | 15.07.23~16.07.22 | 미생물학적 오믹스 기법을 적용한 고기능성 안티에이징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 | 60,000,000 |
15 지역주력산업육성 1차 | 15.08.01~16.07.31 | GPN,PGN을 함유한 굴펩타이드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원료 및 제품개발 | 15,000,000 |
15 고성장기업과제 1차 | 15.09.17~16.09.16 | 생물대사공학기술을 적용한 복합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 200,000,000 |
15 혁신형기업과제 1차 | 15.10.12~16.10.11 | 신규 유산균을 이용한 한국형 요거트의 화장품 소재화 및 이를 적용한 제품 개발 | 93,600,000 |
15글로벌코스메틱 1차 | 15.11.01~16.10.31 | 신규미생물의 생물전환 및 형질전환을 통하여 상재균 변화 유발과 이를 활용한 항노화 화장품 소재 개발 | 150,000,000 |
합계 | 4,915,786,000 |
출처 : 회사 제공 |
[지에프씨생명과학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시나리오] |
(단위 : 백만원, %) |
연도 | 매출액 | 경상연구개발비 | 영업이익 |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 기존 영업이익률 | 정부지원금 수령 가정시 영업이익률 |
2005 | 252 | 64 | -141 | - | -56.19% | -56.19% |
2006 | 404 | 103 | -138 | - | -34.29% | -34.29% |
2007 | 795 | 215 | 3 | - | 0.35% | 0.35% |
2008 | 1,105 | 255 | 10 | - | 0.93% | 0.93% |
2009 | 1,560 | 399 | -122 | - | -7.81% | -7.81% |
2010 | 1,849 | 452 | -373 | - | -20.18% | -20.18% |
2011 | 2,224 | 423 | -239 | - | -10.74% | -10.74% |
2012 | 2,563 | 199 | 106 | - | 4.13% | 4.13% |
2013 | 2,670 | 287 | 109 | - | 4.08% | 4.08% |
2014 | 3,175 | 326 | 123 | - | 3.88% | 3.88% |
2015 | 5,024 | 702 | 297 | - | 5.91% | 5.91% |
2016 | 7,006 | 1,422 | 1,301 | - | 18.57% | 18.57% |
2017 | 7,161 | 1,648 | -1,045 | -989 | -14.59% | -13.81% |
2018 | 8,679 | 1,200 | -978 | -922 | -11.27% | -10.63% |
2019 | 11,908 | 434 | -749 | -693 | -6.29% | -5.82% |
2020 | 13,324 | 968 | 166 | 222 | 1.25% | 1.67% |
2021 | 13,737 | 841 | 1,379 | 1,435 | 10.04% | 10.44% |
2022 | 13,706 | 1,077 | -38 | 18 | -0.28% | 0.13% |
2023 | 15,434 | 1,171 | 704 | 760 | 4.56% | 4.92% |
2024 | 16,805 | 1,552 | 1,705 | 1,761 | 10.15% | 10.48% |
평균 영업이익률 개선치 | 0.48% |
출처 : 회사 제공 |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해당 사항이 당사의 연구개발비용 부담을 추가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주8) 정정 전
차.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5월 30일(금)~06월 09일(월)입니다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6월 12일(목)~13(금)에 일반투자자(일반청약자)와 함께 실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5월 30일(금)~06월 09일(월) 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6월 12일(목)~13(금)에 일반투자자(일반청약자)와 함께 실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
차.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6월 10일(화)~06월 16일(월) 입니다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6월 19일(목)~20(금)에 일반투자자(일반청약자)와 함께 실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6월 10일(화)~06월 16일(월) 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6월 19일(목)~20(금)에 일반투자자(일반청약자)와 함께 실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카 .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본건 공모를 통해 조달한 신주 모집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로 유입될 공모자금(인수수수료 및 발행사의 재량으로 지급하는 추가 성과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은 약 9,668백만원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당사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용도 등으로 사용할 계획이나,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 자금 사용 계획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 경영진은 본건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주9) 정정 후
카 .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본건 공모를 통해 조달한 신주 모집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로 유입될 공모자금(인수수수료 및 발행사의 재량으로 지급하는 추가 성과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은 약 11,787 백만원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당사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용도 등으로 사용할 계획이나, 당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 자금 사용 계획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 경영진은 본건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주10) 정정 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구분 | 내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2,300원 ~ 15,3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 공모가액의 범위는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 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1) PER 평가방법을 통한 상대가치 산출' 참조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 유사기업 PER(②) ÷ 주식수(③)× {1-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분 | 수치 | 참고사항 | |
① |
'26년 추정 당기 순이익의 현재가치(할인율 20%, 1.75개 기간) |
5,230(백만원)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② | 유사기업 PER | 22.42배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가) 적용 PER 배수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③ | 주식수 | 5,438,311주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주당 평가가액 | 21,569원 | ① × ② ÷ ③ | ||
④ |
주당 평가 가액에 대한 할인율* |
42.70%~28.90%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다) 희망 공모가액 결정'산정 내역; 참조 | |
공모가 산정결과 | 12,300원 ~ 15,300원 | - |
주1) | 공모가를 산정함에 있어 발생하는 단수차이는 감액하였습니다. |
주2) | 5,438,311주는 상장주식수 5,225,709주에 주식매수선택권 희석주식수 212,602주를 합한 수치입니다. |
(중략)
(다) 희망 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지에프씨생명과학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에프씨생명과학 PER에 의한 평가가치] |
(단위: 원, 주, 배) |
구분 | 내용 | 비고 |
주당 평가가액 | 21,569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42.70% ~ 28.90 %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2,300 원 ~ 15,300 원 | -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미정 | (주2) |
주1) 2022년 이후 기술평가 트랙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2) 확정 주당 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중략)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추정실적의 할인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2.70% ~ 28.90 % 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12,300원 ~ 15,3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가격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상기에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합의한 후 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주10) 정정 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확정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구분 | 내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2,300원 ~ 15,3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15,3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주당 확정공모가액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지에프씨생명과학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 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에프씨생명과학이 협의하여 최종 주당 15,3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1) PER 평가방법을 통한 상대가치 산출' 참조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 유사기업 PER(②) ÷ 주식수(③)× {1-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분 | 수치 | 참고사항 | |
① |
'26년 추정 당기 순이익의 현재가치(할인율 20%, 1.75개 기간) |
5,230(백만원)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② | 유사기업 PER | 22.42배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가) 적용 PER 배수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③ | 주식수 | 5,438,311주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나) 주당 평가가액 산출'산정 내역; 참조 | |
주당 평가가액 | 21,569원 | ① × ② ÷ ③ | ||
④ |
주당 평가 가액에 대한 할인율* |
42.70%~28.90% | '1.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2) 비교기업 PER 산출- (다) 희망 공모가액 결정'산정 내역; 참조 | |
공모가 산정결과 | 15,3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하였습니다. |
주1) | 공모가를 산정함에 있어 발생하는 단수차이는 감액하였습니다. |
주2) | 5,438,311주는 상장주식수 5,225,709주에 주식매수선택권 희석주식수 212,602주를 합한 수치입니다. |
(중략)
(다) 희망 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지에프씨생명과학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에프씨생명과학 PER에 의한 평가가치] |
(단위: 원, 주, 배) |
구분 | 내용 | 비고 |
주당 평가가액 | 21,569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42.70% ~ 28.90 %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2,300 원 ~ 15,300 원 | -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15,300원 | (주2) |
주1) 2022년 이후 기술평가 트랙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2) 확정 주당 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 하였습니다. |
(중략)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지에프씨생명과학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추정실적의 할인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2.70% ~ 28.90 % 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12,300원 ~ 15,3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가격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대신증권㈜은 상기에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합의한 후 주당 15,300원으로 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주11) 정정 전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9,643,2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482,160,000 |
발행제비용 (3) | 456,990,080 |
순수입금 [(1) + (2) - (3)] | 9,668,369,920 |
주1)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하단인 12,300원 기준이며, 추후 확정 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근거하여 공모희망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12,3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5%와 25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405,014,400 | 주1) |
등록세 | 1,646,400 | 증자자본금의 4/1000 |
교육세 | 329,280 | 등록세의 20% |
상장심사수수료 | - |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8조 제1항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상동 |
기타비용 | 50,000,000 | IR 비용, 공고비, 인쇄비 등 기타비용 |
합 계 | 456,990,080 | IR비용, 회계법인 용역수수료, 공고비, 인쇄비 등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12,300~15,300원 중 하단인 12,300원 기준입니다.이와는 별도로 발 행회사는 대표주관회사에게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및 기여도, 수요예측 결과 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1) 정정 후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11,995,2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599,760,000 |
발행제비용 (3) | 807,673,280 |
순수입금 [(1) + (2) - (3)] | 11,787,286,720 |
주1)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이며, 추후 확정 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근거하여 공모희망가액 12,300원 ~ 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5%와 25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755,697,600 | 주1) |
등록세 | 1,646,400 | 증자자본금의 4/1000 |
교육세 | 329,280 | 등록세의 20% |
상장심사수수료 | - |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8조 제1항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상동 |
기타비용 | 50,000,000 | IR 비용, 공고비, 인쇄비 등 기타비용 |
합 계 | 807,673,280 | IR비용, 회계법인 용역수수료, 공고비, 인쇄비 등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4.0% 와 성과수수료 2.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12,300~15,300원 중 확정공모가액인 15,300원 기준입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12) 정정 전
2. 자금의 사용목적
(기준일 : | 2025년 05월 20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7,550 | - | - | 2,118 | - | - | 9,668 |
가. 자금의 사용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아래 사용계획은 현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자금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단기금융상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2025년 05 월20일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채무상환 자금 | 운영자금 | 합계 |
7,550 | 2,118 | - | 9,668 |
나. 자금의 연도별 사용계획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9,668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 | 2026 | 2027 | 합계 |
시설자금 | 950 | 6,600 | 7,550 | |
채무상환자금 | 2,118 | 2,118 | ||
합계 | 2,118 | 950 | 6,600 | 9,668 |
주1) | 최저 희망공모가액 (12,300원)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 금액이며,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이 포함되었습니다. |
당사의 시설자금 사용계획에는 연구시설과 생산시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사의 제품개발 및 판매계획에 따라 2027년에 공모자금이 주로 소요될 예정이며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설자금
당사는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연구용 발효기 및 단일세포 분석기에 13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생산시설로는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관련하여 2027년까지 17.5억원을 투자하여 주력제품의 생산과 품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 향후에는 의료기기 4등급(필러) 제품에 관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2027년에는 해당 설비에 45억원을 사용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 고 |
연구시설 | Pilot 발효기 | 300 | 2027년 | |
단일세포 분석 set | 1,000 | 2027년 | 주1) | |
생산시설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1차 | 950 | 2026년 |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2차 | 800 | 2027년 | ||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 4,500 | 2027년 | 주2) | |
합계 | 7,550 | - | - |
주1) | 단일 세포(single cell) 수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세대 의약품 연구를 위한 시설입니다. |
주2) | 의료기기 4등급 제품(필러)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시설 투자입니다. |
① 시설자금 세부 사용 내역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할 예정인 약 9,668백만원 중 7,550백만원을 시설자금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에 1,300백만원, 생산시설에 6,25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가. 연구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Pilot 발효기 | 스킨마이크로바이옴 |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을 위한 배양 시스템 | 2027년 | 300 |
단일세포 분석 set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를 위한 세포분석 장비 셋팅 | 1,000 |
Pilot 발효기(20L pilot 장비)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 과정에서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장비는 소규모 실험실 연구와 대량 생산 공정 사이의 기술적 격차를 해소하며,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공정 검증의 기반이 됩니다. 당사의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은 화장품 소재 측면에서는 현재 양산 단계에 있으나, 의료기기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유효성분 규명 및 양산기술 개발 등 기술력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제품 개발에 필요한 핵심 연구장비입니다.
해당 장비는 미생물의 배양 시, 무균 환경에서 배양 조건 조절 및 이차대사산물 조절, 대량 생성 공정 확립을 위한 연구를 하는 장비로 장비로서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과정에서 표준화된 배양법 확립과 대량 양산 사이에 중간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연구장비로 5L pilot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L급 연구장비 도입 시 대량 양산 공정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성 조건 확립 등 확장성을 갖게 됩니다. 당사는 제품 개발을 통해 2027년 의료기기분야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제품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단일세포 분석 set은 당사의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장비 set 입니다. 당사는 국내대학교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RNA기반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치료제의 기초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심화 연구를 심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를 위해 단일세포 수준의 유전자 발현 분석이 가능한 Single-Cell RNA Sequencing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Cell Sorting 기능을 갖춘 고성능 유세포 분석기(FACS) 및 유효 성분 정량 분석을 위한 LC-MS/MS 장비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현재 공초점 현미경 및 고성능 LC-MS/MS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들은 단일세포 분석 및 치료제 후보물질의 세포 내 작용 기전 분석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확보된 장비 및 분석 시스템은 RNA 기반 피부질환 치료제의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며, 향후 당사의 의약품 분야 진출 (목표 연도: 2027년)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나. 생산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스킨부스터생산설비_ 1차 투자 | GFCCELL EXO series |
동결건조기(50리터)부지확보 및 제조소 구축용 공조시설 |
2026년 | 950 |
스킨부스터생산설비 _2차 투자 | 모유두세포배양액 기반 스킨부스터 | 모유두세포배양을 위한 세포배양기, 멸균기, 자동 충진 및 캡핑기 추가 구매 | 2027년 | 800 |
의료기기 4등급(필러)생산 설비 | 유착방지제(3등급), 필러(4등급) | 부지확보, 제조소 구축 및 제조장비구매 | 2027년 | 4,500 |
1)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당사의 스킨부스터를 생산하는 동탄공장의 생산능력과 1분기 가동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EA, %) |
구분 | 내용 | 2025년 1분기 |
스킨부스터 (CFCCELL) |
생산능력 | 190,800 |
생산실적 | 18,752 | |
가동율 | 10% | |
스킨부스터 (Bulk/ODM) |
생산능력 | 445,200 |
생산실적 | 55,736 | |
가동율 | 13% |
2025년 1분기 스킨부스터 판매실적은 757백만원으로 스킨부스터의 가동율을 고려할 때 현재 연간 6,500백만원의 생산이 가능하며, 당기(2025년) 매출계획금액 5,610백만원 대비 충분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6년 이후 스킨부스터의 판매계획에 따른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6부터 순차적으로 생산시설에 공모자금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스킨부스터 판매계획] |
(단위 : 백만원) |
시기 | 품목 | 금액 |
2025 | 스킨부스터(국내) | 2,809 |
스킨부스터(해외) | 2,802 | |
소계 | 5,610 | |
2026 | 스킨부스터(국내) | 4,207 |
스킨부스터(해외) | 6,027 | |
소계 | 10,234 | |
2027 | 스킨부스터(국내) | 7,673 |
스킨부스터(해외) | 10,993 | |
소계 | 18,666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자금 사용 상세내역] |
(단위 : 백만원) |
설비명 | 금액 | 내용 | 집행시기 |
동결건조기(50리터) | 400 | 스킨부스터 파우더 제형을 위한 동결건조기 | 2026년 |
설비 구축 공간확보 | 300 | 동결건조기 설비 구축을 위한 장소 확보 및 추후 배양 설비 구축을 위한 공간 확보 (30평) | 2026년 |
공조시설 | 200 | 무균 공정을 위한 클린룸 구축 | 2026년 |
무균작업대(2대) | 50 | 무균 작업을 위한 클린벤치 | 2026년 |
소계 | 950 | ||
CO2인큐베이터(5대) | 200 |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소재화를 위한 세포 배양기 | 2027년 |
Deepfreezer | 100 | 동결 건조기 호완용 -80도 Deepfreezer | 2027년 |
자동 충진 및 캡핑기 | 100 |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충진 및 캡핑기 | 2027년 |
멸균기 | 100 | 스킨부스터 생산 증대에 따른 추가 멸균기 도입 | 2027년 |
TFF (접선흐름 여과장치) 및 관련 액세서리 |
2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및 정제용 장비 | 2027년 |
초원심분리기 | 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장비 | 2027년 |
소계 | 800 | ||
합계 | 1,750 |
당사의 스킨부스터 생산능력에서 메인공정은 동결건조기의 능력이 중요하며 2026년부터 스킨부스터 생산시설에 투자(동결건조기 및 부속 설비)할 계획입니다. 동결건조기 구매를 통해 스킨부스터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며, 더불어 해당 설비 설치를 위한 설비 구축공간 확보 및 공조 시스템 도입을 진행할 것입니다. 현재 당사는 모유두세포배양액 소재화를 필수 과정인 GLP기관을 통해 독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7년도에는 모유두세포배양액의 독성 실험이 완료되어 제품화 될 수 있는 시기로 본격적인 탈모 개선용 두피 전용 스킨부스터의 차세대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생산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 투자와 엑소좀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을 통해 스킨부스터의 성장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2)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당사는 의료기기사업을 신사업으로 계획하고 1등급인 비멸균의료용 겔, 2등급 창상피복재, 4등급 필러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1등급 의료기기는 신고서제출일 현재 생산시설 구축 및 허가를 취득하였으며 2027년까지 4등급 의료기기 제조소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2027년 4등급 의료기기제조소 구축 및 인증계획에 따라 공모자금 중 4,500백만원(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은 2027년 사용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시설 투자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시설및설비명) | 금액 | 집행시기 |
건물 | 생산시설 구축 장소 | 2,000 | 2027년 |
시설장치 | 제조소 구축 | 500 | 2027년 |
공기조화기 | 50 | 2027년 | |
무균시험실 구축 | 150 | 2027년 | |
기계장치 | 주사용수 제조장치 | 300 | 2027년 |
믹서 | 60 | 2027년 | |
용해탱크 | 110 | 2027년 | |
가교탱크 | 120 | 2027년 | |
세척탱크 | 90 | 2027년 | |
분쇄탱크 | 110 | 2027년 |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400 | 2027년 | |
멸균기 | 200 | 2027년 | |
반자동 포장기 | 350 | 2027년 | |
incubator | 30 | 2027년 | |
BSC | 30 | 2027년 | |
합계 | 4,500 |
[투자예정내역 설명] |
투자예정내역 |
건물 : 필러를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 390m2의 의 공간이 필요하며 동탄 본사가 위치한 지식산업센터 건물의 공간을 매입하는 것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제조소 구축 : 의료기기 3·4등급(사후멸균) 제품 생산을 위한 의료기기 제조소 |
공기조화기 : 의료기기 GMP에서 요구하는 환경 구축을 위한 공기조화기 |
무균시험실 : 사후멸균 제품이 제대로 멸균되었는지 (제품에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무균시험실 역시 GMP 기준에 따라 환경 구축이 필요함 |
주사용수 제조장치 :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 용해 및 제품의 구성품으로 인체 주입을 위한 물 제조장치 |
믹서 : 유착방지제 원료 혼합 및 용해를 위한 기계장치 |
용해탱크 : 필러 원료 용해 및 가교제 혼합, 내용물 분주(gel 제조용)를 위한 탱크 |
가교탱크 : 내용물 가교를 위한 온도 유지 탱크 |
세척탱크 : 남은 가교제, 염기성 성분을 제거하고 pH, 삼투압을 맞추기 위한 탱크 |
분쇄탱크 : 가교젤을 분쇙하기 위한 탱크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내용물을 주사기에 충진하기 위한탱크 |
멸균기 : 제품을 멸균하기 위한 장치 |
반자동 포장기 : 이물을 확인하고 블리스터 포장기에 주사기 및 주사침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
Incubator : 미생물 및 무균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균 배양기 |
BSC : 무균 및 미생물 한도 시험 작업을 위한 장치 |
2027년 자금 사용을 통한 당사의 의료기기 4등급 생산 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예상 생산능력] |
(단위 : EA) |
생산시설명 | 생산능력 |
의료기기 4등급 | 90,000 |
※ 생산능력 산출기준
설비명 | 가동능력 | 일최대사용량 | 주사용공정 |
용해탱크 | 10L | 1회 | 내용물 용해 |
가교탱크 | 10L | 1회 | 내용물 가교 |
분쇄탱크 | 10L | 1회 | 내용물 분쇄 |
프리필드 시린지 충진기 | 2,700ea/h | 5hrs | 내용물 충진 |
멸균기 | 5,000ea/cycle | 2회 | 제품 멸균 |
반자동 충진기 | 2,000ea/h | 5hrs | 제품 포장 |
1일 최대 생산가능한 내용물의 양이 10L(용해탱크-가교탱크-분쇄탱크 이어 제조)이며, 이를 주사기에 충진하였을 때 손실율 10%를 반영하면 일 9,000개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필러의 경우 가교와 세척이 하루 이상 소요되므로 1개 batch 생산에 2일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분쇄탱크 10L 기준 | 분쇄탱크 | 손실율 | 일일 생산율 |
일일 생산율 | 10,000 | 10 | 9,000 |
- | 일일 생산율 | working day(일/월) | 연간 생산율 |
연간생산율 | 9,000 | 10 | 90,000 |
당사는 2027년 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하고 인허가를 득한 후 4등급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생산능력은 연간 90,000개이며 신청서 제출일 현재 이미 의료기기개발 연구조직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당사의 계획에 따라 인증 및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가 운영중인 차입금 중 일부를 상환하여 이자부담을 감소시킬 계획에 있습니다. 상환예정액은 21억원이며, 차입금 감소로 인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 1억원 수준입니다. 차입금 규모를 감소시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으로 지출되는 현금유출을 줄여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고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상환 | 2,118 | 2025년 | 기업은행 |
합계 | 2,118 | - |
[지에프씨생명과학 차입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금융기관 | 금리 | 금액 | 만기일 |
기업은행 | 3.035% | 4,000 | 2025-07-25 |
5.250% | 1,000 | 2026-04-28 | |
4.549% | 900 | 2028-02-20 | |
3.661% | 715 | 2027-07-30 | |
3.485% | 650 | 2027-07-15 | |
합계 | 7,265 | -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7,265백만원의 차입금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통해 금리가 높은 순으로 우선 상환할 계획입니다.
다.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당사는 공모 자금을 활용한 연구개발시설을 확보하고 스킨부스터 생산시설 투자, 필러제품 생산시설 투자로 향후 스킨부스터 수요 증가에 안정적으로 대응 하고 신제품 출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 차입금 상환을 통해 이자부담을 경감시키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상반기 공모를 목표로 하고 있는 바, 예정된 공모를 통한 공모자금과 당사의 내부 자체 현금을 활용하여 "다. 자금의 사용목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설자금, 연구개발비, 운영경비등에 자금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공모자금을 기반으로 한 투자는 신제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마중물이 될 것이며, 향후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스킨부스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따라서 주주들에게는 이익창출을, 회사는 성장기반을 마련하게 되며 경제적,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모범적인 회사로 발전하겠습니다.
주12) 정정 후
2. 자금의 사용목적
(기준일 : | 2025년 06월 18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8,790 | - | - | 2,997 | - | - | 11,787 |
가. 자금의 사용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아래 사용계획은 현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자금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단기금융상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2025년 06 월 18 일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채무상환 자금 | 운영자금 | 합계 |
8,790 | 2,997 | - | 11,787 |
나. 자금의 연도별 사용계획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11,787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 | 2026 | 2027 | 합계 |
시설자금 | 1,240 | 950 | 6,600 | 8,790 |
채무상환자금 | 2,997 | 2,997 | ||
합계 | 4,237 | 950 | 6,600 | 11,787 |
주1) | 확정공모가액 15,300원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 금액이며,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이 포함되었습니다. |
당사의 시설자금 사용계획에는 연구시설과 생산시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사의 제품개발 및 판매계획에 따라 2025년 ~ 2027년에 공모자금이 주로 소요될 예정이며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설자금
당사는 연구 및 생산 시설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12.4억원을 RNA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에 사용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는 연구용 발효기 및 단일세포 분석기에 13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생산시설로는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관련하여 2027년까지 17.5억원을 투자하여 주력제품의 생산과 품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 향후에는 의료기기 4등급(필러) 제품에 관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2027년에는 해당 설비에 45억원을 사용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 고 |
연구시설 | RNA 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 | 1,240 | 2025년 | 주1) |
Pilot 발효기 | 300 | 2027년 | ||
단일세포 분석 set | 1,000 | 2027년 | 주2) | |
생산시설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1차 | 950 | 2026년 |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2차 | 800 | 2027년 | ||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 4,500 | 2027년 | 주3) | |
합계 | 8,790 | - | - |
주1) | RN A기반 세포 치료제 실험실 구축을 위한 공간 및 연구개발용장비 투자입니다. |
주2) | 단일 세포(single cell) 수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세대 의약품 연구를 위한 시설입니다. |
주3) | 의료기기 4등급 제품(필러)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시설 투자입니다. |
① 시설자금 세부 사용 내역
당사는 금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할 예정인 약 11,787 백만원 중 8,790 백만원을 시설자금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에 2,541 백만원, 생산시설에 6,25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가. 연구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RNA기반 세포치료 실험실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RNA기반 세포 치료 실험실 구축을 위한 공간 및 연구장비 | 2025년 | 1,240 |
Pilot 발효기 | 스킨마이크로바이옴 |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을 위한 배양 시스템 | 2027년 | 300 |
단일세포 분석 set |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를 위한 세포분석 장비 셋팅 | 1,000 |
Pilot 발효기(20L pilot 장비)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 과정에서 미생물 배양 조건 표준화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 조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장비는 소규모 실험실 연구와 대량 생산 공정 사이의 기술적 격차를 해소하며,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공정 검증의 기반이 됩니다. 당사의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은 화장품 소재 측면에서는 현재 양산 단계에 있으나, 의료기기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유효성분 규명 및 양산기술 개발 등 기술력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제품 개발에 필요한 핵심 연구장비입니다.
해당 장비는 미생물의 배양 시, 무균 환경에서 배양 조건 조절 및 이차대사산물 조절, 대량 생성 공정 확립을 위한 연구를 하는 장비로 장비로서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개발과정에서 표준화된 배양법 확립과 대량 양산 사이에 중간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당사는 스킨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연구장비로 5L pilot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L급 연구장비 도입 시 대량 양산 공정 확립 및 이차대사산물 생성 조건 확립 등 확장성을 갖게 됩니다. 당사는 제품 개발을 통해 2027년 의료기기분야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및 인프라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제품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초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심화 연구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본격적인 전개를 위해 기존의 GBC 연구소 및 HMC 연구소 외에,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신규 연구소를 설립하고자 합니다. 신규 연구소는 세포 치료제 개발에 전문성을 갖춘 우수한 인력으로 구성되며, 현재 본사(동탄) 건물 내 약 40평 규모의 연구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고자 합니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주요 연구 기술로는 극소량의 유전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고감도 디지털 PCR 장비, 실시간 유전체 증폭 및 정량 분석을 위한 real-time PCR 시스템, 세포 배양 및 활성 실험 수행을 위한 세포 배양기 및 무균 작업대, 세포 상태 관찰 및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장비 가 필요하며, 그 외 세포주의 장기적 안정적 보존 및 샘플 저장을 위한 액체질소 탱크 및 초저온 냉동고 등 전반적인 실험실의 주요 장비도 필요합니다.
당사는 현재 공초점 현미경 및 고성능 LC-MS/MS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들은 단일세포 분석 및 치료제 후보물질의 세포 내 작용 기전 규명 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확보된 장비 및 분석 시스템은 RNA 기반 피부질환 치료제의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며, 향후 당사의 의약품 분야 진출 (목표 연도: 2027년)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RNA기반 피부질환 치료제 실험실 구축 상세 내역] |
(단위: 백만원) |
장비명 | 단가 | 수량 | 금액 | 비고 |
QX200 Auto DG Droplet Digital PCR System | 192 | 1 | 192 |
유전자 증폭 장치 (극소량 유전체 변화 확인 가능) |
CFX Duet Real-Time PCR System | 20 | 1 | 20 | 유전자 증폭 장치 |
ChemiDoc Imaging System | 33.5 | 1 | 33.5 | 이미지 장비 |
Multi purpose centrifuge set 1580R | 10.5 | 1 | 10.5 | 원심분리기 |
CO2 인큐베이터 (51026333) | 13 | 1 | 13 | 세포배양기 |
Biohazard safety Cabinet 1800 JSCB-1800SB with Bio-suction pump | 4.84 | 2 | 9.68 | 클린벤치 |
정밀 전자 저울 (~0.1mg), PX224KR | 1.85 | 1 | 1.85 | 전자저울 |
BioTek Synergy LX Multimode Microplate Reader | 35 | 1 | 35 | 멀티모드 리더기 |
NanoDrop 2000c | 9.9 | 1 | 9.9 | 정량 측정 장치 |
형광현미경(ECLIPSE Ts2 FL) | 22 | 1 | 22 | 형광현미경 |
초저온냉동고 TDE -86℃ Upright Freezers (682L) | 14.1 | 1 | 14.1 | 초저온 냉공고 |
Sliding Drawer Rack 2inch boxes | 0.14 | 10 | 1.4 | 선반 |
LN2 tank, CryoSystem2000 | 5.9 | 1 | 5.9 | 액체질소탱크 |
Water Bath, JSWB-22T | 0.68 | 1 | 0.68 | 항온수조 |
초원심분리기(HITACHI), CP100NX with swing rotor | 71 | 1 | 71 | 초원심분리기 |
연구소 부지 확보 | 200 | 4 | 800 | 10평(1칸)X4 |
합계 | 1,240 |
나. 생산시설 자금 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설비명 | 적용제품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금액 |
스킨부스터생산설비_ 1차 투자 | GFCCELL EXO series |
동결건조기(50리터)부지확보 및 제조소 구축용 공조시설 |
2026년 | 950 |
스킨부스터생산설비 _2차 투자 | 모유두세포배양액 기반 스킨부스터 | 모유두세포배양을 위한 세포배양기, 멸균기, 자동 충진 및 캡핑기 추가 구매 | 2027년 | 800 |
의료기기 4등급(필러)생산 설비 | 유착방지제(3등급), 필러(4등급) | 부지확보, 제조소 구축 및 제조장비구매 | 2027년 | 4,500 |
1)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당사의 스킨부스터를 생산하는 동탄공장의 생산능력과 1분기 가동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EA, %) |
구분 | 내용 | 2025년 1분기 |
스킨부스터 (CFCCELL) |
생산능력 | 190,800 |
생산실적 | 18,752 | |
가동율 | 10% | |
스킨부스터 (Bulk/ODM) |
생산능력 | 445,200 |
생산실적 | 55,736 | |
가동율 | 13% |
2025년 1분기 스킨부스터 판매실적은 757백만원으로 스킨부스터의 가동율을 고려할 때 현재 연간 6,500백만원의 생산이 가능하며, 당기(2025년) 매출계획금액 5,610백만원 대비 충분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6년 이후 스킨부스터의 판매계획에 따른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6부터 순차적으로 생산시설에 공모자금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스킨부스터 판매계획] |
(단위 : 백만원) |
시기 | 품목 | 금액 |
2025 | 스킨부스터(국내) | 2,809 |
스킨부스터(해외) | 2,802 | |
소계 | 5,610 | |
2026 | 스킨부스터(국내) | 4,207 |
스킨부스터(해외) | 6,027 | |
소계 | 10,234 | |
2027 | 스킨부스터(국내) | 7,673 |
스킨부스터(해외) | 10,993 | |
소계 | 18,666 |
[스킨부스터 생산설비 자금 사용 상세내역] |
(단위 : 백만원) |
설비명 | 금액 | 내용 | 집행시기 |
동결건조기(50리터) | 400 | 스킨부스터 파우더 제형을 위한 동결건조기 | 2026년 |
설비 구축 공간확보 | 300 | 동결건조기 설비 구축을 위한 장소 확보 및 추후 배양 설비 구축을 위한 공간 확보 (30평) | 2026년 |
공조시설 | 200 | 무균 공정을 위한 클린룸 구축 | 2026년 |
무균작업대(2대) | 50 | 무균 작업을 위한 클린벤치 | 2026년 |
소계 | 950 | ||
CO2인큐베이터(5대) | 200 |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소재화를 위한 세포 배양기 | 2027년 |
Deepfreezer | 100 | 동결 건조기 호완용 -80도 Deepfreezer | 2027년 |
자동 충진 및 캡핑기 | 100 |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충진 및 캡핑기 | 2027년 |
멸균기 | 100 | 스킨부스터 생산 증대에 따른 추가 멸균기 도입 | 2027년 |
TFF (접선흐름 여과장치) 및 관련 액세서리 |
2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및 정제용 장비 | 2027년 |
초원심분리기 | 50 | 미생물 및 식물유래 엑소좀 분리 장비 | 2027년 |
소계 | 800 | ||
합계 | 1,750 |
당사의 스킨부스터 생산능력에서 메인공정은 동결건조기의 능력이 중요하며 2026년부터 스킨부스터 생산시설에 투자(동결건조기 및 부속 설비)할 계획입니다. 동결건조기 구매를 통해 스킨부스터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며, 더불어 해당 설비 설치를 위한 설비 구축공간 확보 및 공조 시스템 도입을 진행할 것입니다. 현재 당사는 모유두세포배양액 소재화를 필수 과정인 GLP기관을 통해 독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7년도에는 모유두세포배양액의 독성 실험이 완료되어 제품화 될 수 있는 시기로 본격적인 탈모 개선용 두피 전용 스킨부스터의 차세대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모유두세포 배양액의 생산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 투자와 엑소좀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을 통해 스킨부스터의 성장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2)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설비
당사는 의료기기사업을 신사업으로 계획하고 1등급인 비멸균의료용 겔, 2등급 창상피복재, 4등급 필러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1등급 의료기기는 신고서제출일 현재 생산시설 구축 및 허가를 취득하였으며 2027년까지 4등급 의료기기 제조소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2027년 4등급 의료기기제조소 구축 및 인증계획에 따라 공모자금 중 4,500백만원(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은 2027년 사용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생산시설 투자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시설및설비명) | 금액 | 집행시기 |
건물 | 생산시설 구축 장소 | 2,000 | 2027년 |
시설장치 | 제조소 구축 | 500 | 2027년 |
공기조화기 | 50 | 2027년 | |
무균시험실 구축 | 150 | 2027년 | |
기계장치 | 주사용수 제조장치 | 300 | 2027년 |
믹서 | 60 | 2027년 | |
용해탱크 | 110 | 2027년 | |
가교탱크 | 120 | 2027년 | |
세척탱크 | 90 | 2027년 | |
분쇄탱크 | 110 | 2027년 |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400 | 2027년 | |
멸균기 | 200 | 2027년 | |
반자동 포장기 | 350 | 2027년 | |
incubator | 30 | 2027년 | |
BSC | 30 | 2027년 | |
합계 | 4,500 |
[투자예정내역 설명] |
투자예정내역 |
건물 : 필러를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 390m2의 의 공간이 필요하며 동탄 본사가 위치한 지식산업센터 건물의 공간을 매입하는 것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제조소 구축 : 의료기기 3·4등급(사후멸균) 제품 생산을 위한 의료기기 제조소 |
공기조화기 : 의료기기 GMP에서 요구하는 환경 구축을 위한 공기조화기 |
무균시험실 : 사후멸균 제품이 제대로 멸균되었는지 (제품에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무균시험실 역시 GMP 기준에 따라 환경 구축이 필요함 |
주사용수 제조장치 :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 용해 및 제품의 구성품으로 인체 주입을 위한 물 제조장치 |
믹서 : 유착방지제 원료 혼합 및 용해를 위한 기계장치 |
용해탱크 : 필러 원료 용해 및 가교제 혼합, 내용물 분주(gel 제조용)를 위한 탱크 |
가교탱크 : 내용물 가교를 위한 온도 유지 탱크 |
세척탱크 : 남은 가교제, 염기성 성분을 제거하고 pH, 삼투압을 맞추기 위한 탱크 |
분쇄탱크 : 가교젤을 분쇙하기 위한 탱크 |
프리필드시린지 충진기 : 내용물을 주사기에 충진하기 위한탱크 |
멸균기 : 제품을 멸균하기 위한 장치 |
반자동 포장기 : 이물을 확인하고 블리스터 포장기에 주사기 및 주사침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
Incubator : 미생물 및 무균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균 배양기 |
BSC : 무균 및 미생물 한도 시험 작업을 위한 장치 |
2027년 자금 사용을 통한 당사의 의료기기 4등급 생산 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료기기 4등급(필러) 예상 생산능력] |
(단위 : EA) |
생산시설명 | 생산능력 |
의료기기 4등급 | 90,000 |
※ 생산능력 산출기준
설비명 | 가동능력 | 일최대사용량 | 주사용공정 |
용해탱크 | 10L | 1회 | 내용물 용해 |
가교탱크 | 10L | 1회 | 내용물 가교 |
분쇄탱크 | 10L | 1회 | 내용물 분쇄 |
프리필드 시린지 충진기 | 2,700ea/h | 5hrs | 내용물 충진 |
멸균기 | 5,000ea/cycle | 2회 | 제품 멸균 |
반자동 충진기 | 2,000ea/h | 5hrs | 제품 포장 |
1일 최대 생산가능한 내용물의 양이 10L(용해탱크-가교탱크-분쇄탱크 이어 제조)이며, 이를 주사기에 충진하였을 때 손실율 10%를 반영하면 일 9,000개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필러의 경우 가교와 세척이 하루 이상 소요되므로 1개 batch 생산에 2일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분쇄탱크 10L 기준 | 분쇄탱크 | 손실율 | 일일 생산율 |
일일 생산율 | 10,000 | 10 | 9,000 |
- | 일일 생산율 | working day(일/월) | 연간 생산율 |
연간생산율 | 9,000 | 10 | 90,000 |
당사는 2027년 의료기기 4등급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하고 인허가를 득한 후 4등급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생산능력은 연간 90,000개이며 신청서 제출일 현재 이미 의료기기개발 연구조직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당사의 계획에 따라 인증 및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가 운영중인 차입금 중 일부를 상환하여 이자부담을 감소시킬 계획에 있습니다. 상환예정액은 29.9억원이며, 차입금 감소로 인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 1.1억원 수준입니다. 차입금 규모를 감소시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으로 지출되는 현금유출을 줄여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 역 | 금 액 | 시 기 | 비고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상환 | 2,997 | 2025년 | 기업은행 |
합계 | 2,997 | - |
[지에프씨생명과학 차입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금융기관 | 금리 | 금액 | 만기일 |
기업은행 | 3.035% | 4,000 | 2025-07-25 |
5.250% | 1,000 | 2026-04-28 | |
4.549% | 900 | 2028-02-20 | |
3.661% | 715 | 2027-07-30 | |
3.485% | 650 | 2027-07-15 | |
합계 | 7,265 | -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7,265백만원의 차입금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통해 금리가 높은 순으로 우선 상환할 계획입니다.
다.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당사는 공모 자금을 활용한 연구개발시설을 확보하고 스킨부스터 생산시설 투자, 필러제품 생산시설 투자로 향후 스킨부스터 수요 증가에 안정적으로 대응 하고 신제품 출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 차입금 상환을 통해 이자부담을 경감시키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상반기 공모를 목표로 하고 있는 바, 예정된 공모를 통한 공모자금과 당사의 내부 자체 현금을 활용하여 "다. 자금의 사용목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설자금, 연구개발비, 운영경비등에 자금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공모자금을 기반으로 한 투자는 신제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마중물이 될 것이며, 향후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스킨부스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따라서 주주들에게는 이익창출을, 회사는 성장기반을 마련하게 되며 경제적,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모범적인 회사로 발전하겠습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5월 28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