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5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 |
대 표 이 사 : | 이 해 연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산재길 36 | |
(전 화) 031-421-9903 | ||
(홈페이지) https://hlscienc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CFO | (성 명) 김 지 훈 |
(전 화) 031-421-9903 | ||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7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상법 제542조4의 제1항 및 정관 제17조에 따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주주님들에게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7월 30일(수)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의왕시 안양판교로 89, 에이치엘사이언스빌딩 3층 대강당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안건 제1호 보고안건 : 감사보고
나. 결의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5년 7월 20일 9시 ~ 2025년 7월 29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최동우(출석률: 100%) | 권오훈(출석률: 100%) | 김현주(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2.11 | 제25기(2024.01.01~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보고사항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5.03.07 |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3 | 2025.03.07 | 자기주식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5.04.08 | 자회사에 대한 담보제공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5 | 2025.04.18 | 자회사 이사 겸직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5.04.18 |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7 | 2025.06.19 | 1.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 건2. 권리주주 확정 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8 | 2025.07.14 | 임시주주총회 의안 내용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최동우권오훈김현주 | 2025.02.11 | 2025사업연도 연간 내부회계 검토계획업무 수립의 건 | 가결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2,000,000 | 19,500 | 6,500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사항입니다.주2)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지급한 금액 기준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스타썬 | 매입 | 2025.01.01~2025.03.31 | 635 | 12.5 |
주1) 광고대행업을 주사업으로 하며, 당사 대주주(특수관계자 포함)가 9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2) 거래금액은 상기 거래기간 중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상대방의 매출액이며, 비율은 2025년 3월말 연결기준 매출액 대비 비율입니다.
(1) 산업의 특성
전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소득수준의향상, 고령화사회 진입과 인구구조의 변화, COVID-19로 예방중심의 인식 강화, 세계 보건산업 정책 변화(정부규제완화), 유통채널 다각화로 접근성 확대 등이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사료됩니다. 국내에서도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삶의 질 향상, 인구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와 질병예방 개념의 도입 등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사회적 필요성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고, 건강 선택권 확대에 따라 건강과 균형 잡힌 식문화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수명 연장에 따른 건강한 삶이 요구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이어지면서 미래식품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산업은 국가의 전략기술분야이며,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주력산업이며, 농식품산업을 이끌어갈 국가주력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산업은 바이오기술(BT)과 유관산업의 공동연구 개발 및 기술의 융합을 전제로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이를 통해 단시간 내에 보건의료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국가전략 기술 분야이므로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건강기능식품법은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향상과 건전한 유통판매를 도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2002년 8월 26일에 법률 제6727호로 제정되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법은 무분별하게 판매되고 있던 건강보조식품을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기능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에 대해 식약처에서 정한 섭취량 및 규격에 따라 기능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입니다.
이에 식약처는 국내외에서 판매되고 있는 소재에 대한 안전성 및 기능성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여 고시형원료를 고시하였으며, 이외의 소재에 대해서는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원료'로 구분하여, 신청한 기업에 의해 기능성과 안전성을 입증하여 식약처의 인정을 득한 원료에 대해서만 기능성을 표시하고 제조판매가 가능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2) 건강기능식품 산업 규모 2024년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적인 폭발적 성장 이후 2023년도의 성장률은 전년대비 약 4.7%로 전망되며, 전년도 성장률 대비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동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6년에는 약 2,140억 달러의 시장 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2023 NBJ Global Supplement Business Report]
2024년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강기능식품의 생산 비중은 0.18%로 꾸준한 상승을 보이나, 제조업 GDP 대비 건강기능식품의 생산 비중 역시 0.75%로 전년도에 비하여 감소하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의 전년대비 성장률은 -1.9%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5%로 국내총생산(GDP) 및 제조업 GDP의 연평균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2019~2023)] | |
(출처 : 식약처) | (단위: 십억원) |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연평균성장률(%) | |
---|---|---|---|---|---|---|---|
국내총생산(GDP) (주1) |
1,913,964 | 1,924,019 | 2,057,448 | 2,150,576 | 2,326,329 | 4.0 | |
전년대비 성장률(%) | 7.4 | 0.5 | 6.9 | 4.5 | 4.0 | ||
제조업 GDP (주1) | 485,842 | 480,080 | 522,331 | 551,154 | 546,664 | 3.0 | |
전년대비 성장률(%) | 0.1 | △1.2 | 8.8 | 5.5 | △0.8 | ||
식품산업 (주2) | 98,559 | 100,896 | 114,834 | 126,165 | 129,229 | 7.0 | |
전년대비 성장률(%) | 3.9 | 2.4 | 13.8 | 9.9 | 2.4 | ||
건강기능식품 | 2,951 | 3,325 | 4,032 | 4,170 | 4,092 | 8.5 | |
전년대비 성장률(%) | 17.0 | 12.7 | 21.3 | 3.4 | △1.9 | ||
국내 GDP 대비 점유율(%) | 0.15 | 0.17 | 0.20 | 0.19 | 0.18 | ||
제조업 GDP 대비 점유율(%) | 0.61 | 0.69 | 0.77 | 0.76 | 0.75 | ||
식품산업 대비 점유율(%) | 2.99 | 3.30 | 3.51 | 3.31 | 3.15 |
주1) 국내총생산 및 제조업 GDP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주2) 식품산업 : 식품·축산·건강기능식품을 합한 매출 통계
(3) 건강기능식품의 수요변동 원인과 변화
① 건강기능식품의 수요변동 원인
건강기능식품 수요의 변동원인을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수 있습니다.
첫째, 인간의 기대수명 증가와 함께 인구의 고령화입니다. 국민들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제고되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둘째,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입니다.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구매력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셋째, 정부의 정책입니다. 과거에는 각국 정부들이 질병의 치료에 중점을 두는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최근에는 급증하는 의료비 증가를 낮추기 위해 질병의 사전예방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넷째,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입니다. 과거에는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오인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변화로 목적에 맞는 소비를 함으로써 소비자의 관심과 구매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의 구매계층이 젊은층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②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변화
건강기능식품의 수요변화를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홍보와 이해로 인하여 의약품처럼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의 목적입니다. 혈행 개선, 비타민, 미네랄류와 같은 영양보충, 면역 및 장 건강과 같은 신포스트 프로바이오틱스 등 일상생활에서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COVID-19 이후 셀프메디케이션이 강조되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둘째, 지속적인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에 대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소재로써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피부건강처럼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능성과 일상에서의 피로 및 스트레스 해소 기능성의 밀크씨슬 및 홍경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시장의 성장은 소비자의 경제능력 향상에 따른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퇴화된 인체기관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눈건강, 관절건강, 잇몸건강, 노화로 인한 인지력 개선 시장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계절적 요인 및 시대적 환경변화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연중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제품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즉,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노화로 인해 잃어가는 건강과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해 찾는 제품군이 꾸준히 매출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제품들은 계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간 건강, 피로개선, 항산화, 피부 건강, 갱년기 건강, 눈 건강, 관절건강, 다이어트 제품들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은 특정 계절이나 시기와 상관없이 일년 내내 소비자들이 찾는 품목군입니다. 과거에는 건강기능식품 중 일부 기능에 있어서는 계절성을 나타내는 품목들이 일부 존재했지만 최근 시대적 환경변화인 펜데믹은 면역기능개선제품군의 성장을 이끌었고, 외부활동 제한 등으로 다이어트 기능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결론적으로 과거에는 계절에 따른 상대적인 매출 품목의 Mix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범위가 광범위하여 전체 시장으로 보면 계절적 요인보다 시대적 환경변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가) 영업개황
당사는 바이오 헬스케어 신소재·신기술 연구 중심의 기술플랫폼 기업으로,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DMO 사업, 자사 원천기술의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및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이너뷰티 및 파마슈티컬 코스메틱스 연구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건강지향식품 등의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목적을 추가한 DTC 유전자 분석 서비스 및 홈 뷰티 디바이스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당사는 국내 최초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DMO 사업에 진출하여 CDO, CRO, CMO One Stop Service 제공,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 시키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식약처 개별인정형원료 11건을 개발하여 식약처에 등록하였으며, 현재 원천기술을 확보한 2건의 천연물 신약과 9건의 신규 개별인정원료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45건 특허등록과 18건 특허출원 중입니다.
당사는 연구개발(R&D), 상품기획 및 개발, 제조, 유통, DTC 유전자 분석서비스의 Value Chain 통합시스템을 구축, 기술력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는 제품의 개발, 제조, 유통 및 전문화된 서비스를 통해서 당사만의 경쟁력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카테고리별 전문화된 자사 브랜드 제품을 구축하고, B2C 유통채널을 확대하고 있으며, 당사만의 원천기술을 확보한 B2B ODM 영업을 통해 유통 채널 편중에서 오는 리스크를 줄여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분 |
사업 |
내용 |
---|---|---|
개별인정원료CDMO | 서비스 | CDO(위탁연구개발) + CRO(임상시험수탁) + CMO(위탁생산)+ Funding Service(금융서비스) One Stop Service 제공= 개별인정원료 CDMO(위탁개발,위탁생산) 사업 |
DTC(Direct To Consumer) | 서비스 | HL HEALTH CARE 서비스 - 유전자 검사 (DNA Test-healthy)- 유전자 검사 (DNA Test-beauty)- 비타민, 미네랄, 특정 영양소 검사 |
천연물 신소재 신기술 연구개발 |
연구개발 |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준에 따라 천연물 등을 소재로 하여 식약처개별인정원료 및 천연물 신약을 연구, 개발 |
유통, 판매 |
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에 공급 (B2B) |
|
이너뷰티 및파마슈티컬코스메틱스 | 연구개발 |
Cosmetics(화장) + Pharmaceutical(의약) = Pharmaceutical Cosmetics 진출 |
마이크로바이옴사업 | 연구개발 | 특허균주를 개발하여 유전자은행 균주등록 및 식약처 개별인정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HLOSB22-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HLOSB22-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HLP22- Enterococcus gilvus HLM23- Leuconostoc holzapfelii HLM23 |
건강기능식품 |
전문제조 |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준에 의거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 |
유통, 판매 |
유통 채널을 통한 유통, 판매 (B2B&B2C) |
|
의약외품 | 제조 | "약사법" 기준에 의거하여 의약외품을 제조 |
유통, 판매 | 유통 채널을 통한 유통, 판매 (B2C) | |
건강지향식품 |
제조 |
"일반식품”기준에 의거하여 건강지향식품을 제조 |
유통, 판매 |
유통 채널을 통한 유통, 판매 (B2B&B2C) |
|
홈 뷰티 디바이스 및 의료기기 | 연구개발,유통, 판매 | 홈 뷰티 디바이스(피부 미용기기) 및 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유통, 판매 |
(2) 시장점유율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각 회사에 고유한 사업구성, 시장점유율 추이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업종 소속회사의 비율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3) 시장의 전망
세계적으로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고령화시대의 가속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고령화는 세계 모든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으로 정부 의료비 지출액의 급속한 증가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선진국 뿐만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많은 이머징 국가들까지 의료비 절감을 위해 치료의학이 아닌 예방의학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많은 정책과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세계 소비자들의 건강 및 식생활의 관심 증가 등으로 글로벌 건강기능식품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경제발전 및 소득수준 증가, 인구의 고령화 및 기대수명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향후에도 글로벌 건강기능식품시장 활성화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글로벌 건강기능식품시장 추세는 국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경향은 20~30대 젊은층도 건강문제에 관심을 크게 보이고 있는 바, 건강기능식품 소비층의 확대를 통해 시장은 향후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1) 국내 최초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MO 스마트팩토리 구축
당사는 2022년 4월, 충북 충주기업도시에 국내 최초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DMO 사업을 지원할 CMO 스마트팩토리 "HL INNOVATION PARK" 완공하여 8월에 가동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사는 지난 25년간 축적해온 R&D역량, 제조역량, 마케팅역량을 집약하여 국내최초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DMO사업에 진출, CDO, CRO, CMO, 펀딩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최적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맞춤형 One-Stop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식약처개별인정원료 CDMO 사업을 시작하여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다수의 회사와 수탁계약을 완료하고 인지기능 개선 등 각 기능별로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CDMO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충주 "HL INNOVATION PARK"의 CMO시설은 국내 최초로 제조공정 표준화를 위한 Lab scale, 식약처 품질기준에 적합한 GMP 기준의 임상시료 생산을 위한 Pilot scale, 상업생산규모(Large scale)의 원료 전공정 시설을 구축하였으며, 글로벌 건강기능식품회사 및 국내 기업·대학연구소 등의 개별인정원료 위탁생산 및 자사 개별인정원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충주 CMO공장의 연간생산 CAPA는 식약처 개별인정원료 약 950톤 이상 생산 가능하며, 여기에 액상, 분말, 정제, 젤리를 생산할 수 있는 완제 GMP시설을 갖추고, 원료에서 완제까지 One-Stop Shop model을 제공합니다.
2) 식약처 개별인정 기능성 신소재(원료) 개발의 다각화
당사는 매년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성장잠재력이 큰 시장을 타깃팅하여 차별화된 원천기술의 신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상기 일정은 연구개발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내 치은염 및 치주질환 치료제 시장에는 대부분 의약품의 유효성을 검증 받지 못해 치료제가 아닌 치과치료 보조제로 강등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당사가 개발한 HL PD28(구. HL-DENTI 100)의 경우 전임상결과, 항염 및 항산화(치주조직 내 염증인자 억제), 항균(구강 내 세균수 억제), 치주근 보호(치은조직 내 콜라겐 섬유량 증가), 조직 재생을 통한 치은염 및 치조골 소실 억제(치조골 소실 억제 및 치조골량 증가) 효능을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치조골 뼈 강화와 손상된 잇몸 조직의 재생효능과 관련하는 작용기전을 확인하였습니다.HL PD28(구. HL-DENTI 100)은 한국,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유럽 특허등록을 각각 완료하였으며, 현재 식약처 개별인정원료를 목표로 국내대학병원 임상센터를 통해 진행된 인체적용시험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현재 식약처 개별인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HL PD28(구. HL-DENTI 100)은 2018년 7월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금상과 특허청장 특별상을 각각 수상하였습니다.IB COMPLEX는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인한 대사증후군 환자증가와 이로 인한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합성의약품의 부작용 문제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소재의 개발 필요에 따라 연구 개발되었습니다.
비만 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소재인 IB COMPLEX는 췌장 리파아제의 효소활성을 억제시켜 섭취한 지방의 소화·흡수를 저해할 뿐 아니라 지방 합성 억제, 지방 분해 촉진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며 혈당 흡수 조절 및 당 대사를 촉진하는 등 다양한 작용 기전으로 항비만,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IB COMPLEX는 한국과 대만, 중국, 일본, 유럽 특허등록을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원료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IB COMPLEX는 2020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UN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특별상과 금상을 각각 수상하였습니다.IBB COMPLEX는 국내기관에서 한국인 대상 인체적용시험결과 주름 개선 및 탄력 개선, 피부보습 등 뛰어난 효과를 입증한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로서,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고 현재 식약처 개별인정 심사중에 있습니다.당사는 지속성장하는 다이어트 시장을 겨냥하여 ASC COMPLEX를 개발 중이며 대만 특허등록과 함께 한국 및 해외에는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ASC COMPLEX는 복합기전에 의한 항비만 및 근력개선 효과와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로서 현재 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인체적용시험 진행 예정입니다.ASC COMPLEX는 2024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세미그랑프리를 수상하였습니다.인구고령화로 인지개선시장은 지속성장하고 있으나, 완벽한 치료제가 없는 현 시장에 당사는 다중 복합 기전에 의한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및 개선목적의 신소재(HL-Neuropion)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특허출원을 마치고 현재 전임상시험 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복합기전을 통한 혈당 강하 효과와 안전성이 확보된 항당뇨 및 항비만 신소재인HL GLP-1의 국내 특허출원을 마치고 원료표준화 진행 중입니다.
또한, 당사는 추가로 3건의 신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수면건강에 대한 뛰어난 효능을 갖는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 개발을 통해 국내외 시장 선점 및 관련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ASC Ⅱ Complex를 개발하여, 전임상시험 진행 중입니다.당사는 신장조직 내 염증활성 억제, 산화스트레스 감소 및 요독 물질 배출, 손상된 신장조직의 재생 등 다양한 작용 기전이 확인된 만성 신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목적의 신소재인 NEPROBIN을 개발하였습니다.NEPROBIN은 신장 세포시험 및 만성신장질환 유도 동물모델의 전임상시험결과 혈중 크레아틴, 혈액요소질소(BUN) 및 뇨중 베타2-마이크로글로블린 등의 신장기능 지표에서 현저한 개선효과가 있으며 산화스트레스 완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및 신장섬유화 바이오마커인 α-SMA 등 단백질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어 손상된 신장조직의 재생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국내 대학병원과 인체적용시험 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항산화, 항염, 모유두세포 증식 및 모발 성장자극인자 활성화 등 모발건강 관련 복합기전에 대한 효능을 갖는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인 ALOS를 개발하여 국내 특허출원을 마치고, 모발염색 화장품, 탈모샴푸 개발에 적용하여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그리고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천연물을 이용한 파이토슈티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사업에 진출 5건의 특허균주를 개발하여 유전자은행에 등록하였으며, 다이어트 개별인정형 프로바이오틱스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3)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부문
당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2건의 천연물 신약 소재는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통해 연구개발되고 있습니다.
① HL-JOINT 100K
당사는 HL-JOINT 100K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질환으로 관절 연골의 세포와 구성 조직의 파괴를 초래하여 관절의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발생하여 염증과 통증을 수반하는 만성 퇴행성 질환입니다. 현재 시장상황은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인위적인 주입이 아닌 간편한 경구투여로 초기 환자들도 직접적인 원인 치료가 가능한 제품이 현재까지 없습니다.
초기 퇴행성 골관절염 치료방법으로는 진통소염제 또는 스테로이드를 투약하거나, 히알루론산을 주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시적인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원인치료가 불가능하며, 의도치 않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실정입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진통제, Hyaluronan, Glucosamine 및 Chondroitin이 골관절염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근본적인 치료보다는 증상완화효과만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NSAIDs의 경우 관절 연골의 proteoglaycan 합성을 억제하여 오히려 골관절염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골관절염이 어느 정도 진행된 환자에게는 자가세포치료제, 줄기세포치료제, 유전자세포치료제 등 세포치료제를 주입하거나 수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손상부위에 주입 또는 수술이 필요하며 초기 환자에게 적용이 불가능하고 높은 비용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당사에서 개발한 HL-JOINT 100K는 전임상결과, COX-2, PGE2 등 염증유발억제에 의한 항염효과, MMP-2, -9 등 연골분해억제를 통한 연골보호효과, TypeⅡCollagen, Chondroitin 합성증가를 통한 연골재생효과를 확인한 기술로, 경구투여만으로도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골관절염의 원인 치료가 가능한 혁신기술입니다.
특히 HL-JOINT 100K는 골관절염유도동물모델(in vivo)에서 연골조직 손상억제와 연골재생을 확인하였습니다. 전방십자인대 및 내측 반월판 부분 절제로 골관절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HL-JOINT 100K을 투여한 결과, 염증활성 억제, 연골세포수 증가, 연골두께 증가를 확인하였습니다.HL-JOINT 100K 는 천연물 신약 개발을 목표로 2021년 6월, 골관절염 치료용 의약 조성물(HL-JOINT100K)의 국내 특허를 취득하였습니다.
② HL-DENTI 100K HL-DENTI 100K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능성 개별인정원료(HL PD28)가 국내대학병원 인체적용시험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현재 식약처 기능성평가 심의중에 있습니다. 최종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치은염 및 치주염 치료목적의 천연물 신약 HL-DENTI 100K의 추가 연구와 함께 글로벌 제약사에 라이센싱아웃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4) 파마슈티컬 코스메틱스 사업 다각화
당사는 파마슈티컬 코스메틱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적 추이에 맞춰 피부세포 생존률 증가, 항산화효과, 히알루론산 생성효과를 갖는 Phyto Estrogen Biome의 원료 개발을 완료하여 특허등록과 함께 기능성화장품인 "CELL4LAB" 완제품 개발에 적용을 완료하였습니다.기능성 화장품 "CELL4LAB"은 2024년 6월 TV홈쇼핑을 통해 론칭한 뷰티 디바이스 "테라셀 부스터 샷"과 함께한 국내 임상시험에서 피부 미백과 주름개선 등 피부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자회사 HL GLOBAL을 통해 판매를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또한 식물성 페놀성분(Phytophenol black complex™)이 모발의 케라틴에 부착되어 공기 중에 산소(O2)와 반응하는 산화작용을 통해 흰색모발을 흑갈색으로 변화시키는 기술로 국내 특허등록이 완료되었으며 두피케어, 탈모케어, 모발케어, 새치케어까지 인체에 매우 안전한 기능성 샴푸 "모나케어 블랙" 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모나케어 블랙"은 2022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UN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특별상과 금상을 각각 수상하였습니다.
5) DTC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분석 서비스
당사는 2024년 7월 4일 보건복지부로부터 DTC(Direct To Consumer) 유전자검사기관 공식인증을 받았습니다. 소비자가 의료기관을 통하지 않고 직접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체질량지수, 피부노화, 색소침착, 탈모, 원형탈모, 퇴행성관절염증 감수성,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비타민, 미네랄, 특정 영양소 등 관련 유전자를 분석하고, 제공하기 위한 자료확보 및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DTC 유전자 검사 서비스 상품인 'HL GEN CHECK'을 2024년 8월 출시하여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현재는 골질량, 루테인&지아잔틴, 불면증, 비만, 알코올대사, 체지방률 등을 추가하여 총 42가지 검사항목에 대한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 한계치에 도달한 헬스케어시장은 단순 제품 설명 또는 바이럴에 의존한 구매가 아닌 과학적 검사방식에 대한 기술 발전으로 불필요한 영양소의 과다 오남용에서 발생되는 부작용은 최소화 시키고 적시에 필요한 관리 솔루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ICT기술과 접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유전자 검사 / 비타민, 미네랄 검사 / 라이프로그 관리시스템기반(영양, 체질, 컨디션)분석 등 자체 역량강화를 이룬 HL health care는 혁신적인 Holistic Wellness 솔루션의 내재화로 사업의 경쟁력을 갖춰 Professional Brand로 신뢰를 쌓고, B2C 및 B2B 사업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6) 홈 뷰티 디바이스 당사는 홈 뷰티 테크 신사업 확장과 함께 헬스케어 이너뷰티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기존사업과의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홈 뷰티 디바이스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당사는 현재 10가지 기능을 한 번에 탑재한 고기능의 홈 뷰티 디바이스 '테라셀(THERACELL)' 개발 및 생산을 완료하여 지난해 6월부터 판매하고 있으며 같은 달에 열린 2024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테라셀 부스터 샷'이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진행하는 홈 뷰티 디바이스 사업에 자체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전문성 있는 제품들을 추가 개발하고 있으며, 자회사인 HL GLOBAL을 통해 판매를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7) 조직도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3조 (본점의 소재지) ① 당 회사의 본점은 경기도 화성시내에 둔다. ② 당 회사는 필요에 따라 이사회의 결의로 국내외에 지점, 출장소, 사무소 및 현지법인을 둘 수 있다. |
제3조 (본점의 소재지) ① 당 회사의 본점은 경기도 의왕시내에 둔다. ② (현행과 동일) |
- 본점소재지 변경 |
부칙 <신설> |
부칙 이 정관은 2025년 07월 30일부터 시행한다. |
- 부칙 신설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