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프로티아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3 월 11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프로티아
대 표 이 사 : 임국진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01, 강서한강자이타워 A동 702호
(전 화) (02)6968-5277
(홈페이지) https://www.protia.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손순진
(전 화) (02)6968-527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제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소액주주(발행주식총수의 1%미만 보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개최일시 : 2025년 03월 26일(수) 오전 9시

2. 개최장소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401, 강서한강자이타워 A동 5층 대회의실(문의전화 : 02-6968-5277)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5기(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재무제표(개별)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임국진 재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서면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①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 인감도장 날인)

② 위임인(주주)의 개인인감증명서③ 대리인의 신분증

6.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공고사항 및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본점,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공고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 안내 사항- 본 주주총회에 관한 보고사항, 의안 및 결산내용 등의 세부사항은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 주주총회에서는 기념품 등을 배부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11일 주식회사 프로티아 대표이사 임국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 등의 성명
임국진대표이사(출석률: 100%) 최연식사내이사(출석률: 100%) 윤종복기타비상무이사(출석률: 100%) 이종태사외이사(출석률: 33%) 이영구사외이사(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1.05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방법 결의의 건퇴직자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 결의의 건 가결(반대의견 없음) 찬성 찬성 찬성 불참 -
2 2024.01.26 제24기(2023년) 내부결산 승인 및 감사전 재무제표 제출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가결(반대의견 없음)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3 2024.03.06 이사후보자 추천의 건감사후보자 추천의 건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제24기 정기주주총회 전자투표 제도 채택의 건 가결(반대의견 없음) 찬성 찬성 찬성 불참 -
4 2024.05.09 유형자산(부동산) 취득의 건퇴직자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 결의의 건 가결(반대의견 없음)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주1) 상기 이사 중 이종태 사외이사가 2024년 3월 26일자로 사임하였으며, 동 일자로 이영구 사외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주) 본 공고(통지)서류 제출일 현재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를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3,193,548 13,193,548 -
기타비상무이사 1 13,000,000 13,000,000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제24기 정기주주총회 승인)'은 사내이사 2명을 포함한 전체 이사5명에 대한 이사보수 총 한도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면역진단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품목군의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력 제품인 '인체용ㆍ동물용 알레르기 진단제품'을 비롯한 각종 면역화학 체외 진단키트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당사가 속한 체외진단의료기기는 바이오, 헬스 및 의료 분야의 '예방-검사-치료-관리'로 이루어지는 네가지 프로세스 중 두 번째인 '검사' 프로세스에 해당합니다. 체외진단 방식은 환자의 혈액이나, 침, 뇨, 땀 등의 분비물, 구강, 기관지 등의 채취물 또는 채집된 세포 등에서 질환 특이 물질(바이오마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식으로, 환자에게 부담이 적고 해당 질병에 특화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를 주축으로 매년 다수의 국책과제 수행을 통해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세계 최다 알레르기 진단기술, 국내 최초 반려견 알레르기 진단기술, 대한민국 최초 음식 과민성 진단기술, 세계 최초 전기용량 측정방식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타겟 질환 시장마다 각기 다른 미충족 수요를 파악하여 당사가 가진 핵심적인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이들 미충족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해 왔습니다. 이러한 각각의 제품들은 기술적인 혁신성과 장점으로 정부에서 주관하는 장영실상을 3회 수상하였고, 4건의 NET 신기술 인증을 받았습니다.

1234.jpg 특허와 제품

당사는 모든 제품을 자체적으로 총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대부분 국내 대리점 및 해외 파트너사를 통하여 판매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각 진단제품별로 식약처의 제품허가를 득한 후 대리점을 통해 국내 대형 의료재단(수탁기관) 및 대형 종합병원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고, 해외에서는 각국 Agent (Distributor)를 통해 현지 제품등록 과정을 거쳐 매출(수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 제품인 알레르기 진단제품은 2014년 시장에 첫 진입 후 꾸준히 매출이 성장하여 국내시장 점유율을 45% 이상까지 끌어올려 왔으며, 해외의 경우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개척을 진행하여 본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해외 68개국 이상에 다수의 거래처(Distributor)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해외시장에서의 매출 성장이 비약적으로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당사가 영위 중인 사업은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에 해당되며, 세부적으로는 체외진단 의료기기시장 내 '알레르기 진단시장', '항생제 감수성 진단시장', '현장진단(POCT) 시장'입니다. ①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특성

'체외진단 의료기기' 분야는 의료기기 시장의 한 카테고리로서, 생명과학, 화학, 물리학과 같은 자연과학 기술과 재료공학, 화학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등 공학계열의 기술이 융복합된 기술기반 제조산업입니다.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크게 '진단검사실용(Diagnostics Lab) 제품'과 '현장진단(POCT, Point-Of-Care Test)용 제품'으로 나뉩니다. 진단검사실용 제품은 대규모 자동화 장비와 전문적인 시약을 사용하여 질병의 진단검사만을 대용량으로 처리가 가능하므로 이를 전문으로 하는 검사실을 목표고객으로 하며, 사용자는 보통 진단검사에 숙련된 진단검사 전문의, 기술자, 분석가, 연구원으로 한정됩니다. 현장진단검사(POCT) 제품의 경우 바이오 센서와 소형 측정기기 등으로 구성되며 매뉴얼을 통한 간단한 작동만으로도 신속한 진단검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체외진단 산업은 질병의 조기발견, 치료 및 예후 모니터링에 관련되어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을 크게 높여 주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큰 공익성을 가진 사업이며, 의료시장의 패러다임이 '발병 후 진단, 수술, 치료'에서 '발병 전 진단, 예방, 관리'로 변화함에 따라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은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은 21세기 스마트/정보화/인공지능 기술과 융복합이 용이한 산업으로서, 기존 수십억 원의 도입 비용이 필요하고 환자에게 육체적, 금전적 부담이 큰 대형 의료검사 장비와 달리 일상적/정기적으로 적은 부담으로도 검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스마트기기와 접목하여 대규모 의료정보를 수집하고 환자와 의사에게 제공이 가능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쉽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한 분석, 정보제공, 진단, 처방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람의 건강과 관련된 체외진단기기 제조업의 특성상, 동 산업은 질병의 유병률이나 만성률, 감염성 질환의 유행 등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시장이 포함된 지역/국가의 질병에 대한 이해도와 질병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의 유무 등이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공산품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 비해 계절이나 경기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산업입니다.

체외진단 기기에 속하는 주요 진단 카테고리에는 면역화학 진단, 혈당진단, 임상 화학, 분자진단, 미생물 및 감염병 진단 등이 포함되며, 프로티아가 진입하고 있는 시장은 이 중 시장의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면역화학 진단시장'과 '현장진단(POCT)시장' 입니다.

4.jpg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분류와 프로티아의 진입시장

② 알레르기 진단시장의 특성

알레르기 질환은 산업화, 환경오염, 실내생활 확대 등 사회적, 문화적 환경변화로 발병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알레르기 진단과 치료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요 알레르기 질환(알레르기비염, 천식, 아토피, 아나필락시스)은 당해 지역의 경제수준, 특히 위생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는 면역계가 형성되는 유소년기에 다양한 항원에 노출되어 해당 항원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져야 발병률이 낮아지는데, 사회가 문명화 될수록, 위생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러한 항원에 대한 노출이 적어지게 되고 결국 질병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경제와 위생수준이 높은 선진국일수록 알레르기 발병률이 높고, 경제수준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신흥국의 경우 발병률 또한 동반 증가하게 됩니다.

알레르기 진단은 기존에는 피부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직접 주사하여 피부가 붓는 정도에 따라 알레르기의 반응 정도를 진단하는 '피부반응검사'가 주로 진행되었던 반면, 기술이 발전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한 '혈액검사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즉, 알레르기 질환 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소 위험한 피부반응검사보다 안전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수치로 알레르기 질환 정도를 파악해 주는 혈액검사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반인의 알레르기 검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진단검사 수탁기관의 알레르기 검사 수요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정된 검체로 여러 종류의 검사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적은 검체로도 여러 항목의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한정된 시간에 많은 수의 환자를 진단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있습니다.

당사의 알레르기 검사제품은 대학병원과 진단검사 수탁기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수탁검사기관인 씨젠의료재단, 녹십자, 이원의료재단 등이 대표적인 수요처입니다.

해외에서도 당사의 알레르기 제품에 대한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사업에 필요한 국제 규격인 ISO13485 및 CE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해외진출의 기본 전략으로 현지시장을 잘 파악하고 유통구조를 구축하고 있는 현지 Distributor 및 실수요처와 협력하여 현지 인허가 획득 및 완제품을 공급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도,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멕시코, 브라질 등 인구가 많고 소득수준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개도국과 중진국, 사우디아라비아나 카타르 등 산유국 시장에서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수요가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지역별, 연령별로 알레르기 발병률의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지역에 맞는 맞춤형 시장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③ 항생제 감수성 진단시장의 특성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신체에 감염되는 균들에 대해 항생제 처방을 하기 전에 진행되는 매우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꾸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2000년대 이후로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면서 무분별한 항생제의 처방보다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검사 후 적절한 항생제를 처방하는 방식으로 항생제 처방 패턴이 변화되고 있습니다. 신체에 감염되는 균들의 특성상 항생제를 사용할수록 지속적으로 항생제 내성이 축적되므로 신형항생제 등이 개발될 경우 새로운 모델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키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항생제 감수성 검사기술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 수요가 발생합니다.

OECD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항생제 오남용의 비율이 심각한 편으로 주요 OECD국가 중 터키에 이어 2위를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합한 항생제를 정확한 양으로 투여하도록 체계화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oecd 주요국가별 항생제 사용량.jpg OECD 주요국가별 항생제 사용량

중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에서는 무분별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최후의 보루 항생제(Last resort antibiotics)로 쓰이던 최신 항생제(카바페넴, 리네졸리드 등) 또는 효능은 우수하나 부작용이 심한 항생제(콜리스틴)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균이 동정되었으며, 특히 인구가 많고 밀집된 중국, 인도 등의 국가로부터 항생제 감수성 검사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성장, 인구의 증가, 교통수단의 발달로 국제적으로 다제 내성균의 전파가 활발해지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고가의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처방되면서 각종 감염증에 대한 진단 및 의료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만 매년 2.66억 개의 항생제 처방전이 발행되고 있는데 그 중 약 33%가 오남용으로 낭비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은 항생제 비용 4조 원, 처방전 비용 1.3조 원으로 2016년 기준 미국에서만 5.3조 원의 의료비용이 낭비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정확한 항생제 처방을 위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이며, 당사의 항생제 감수성 신속검사제품은 이러한 오남용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을 크게 줄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항생제 감수성 진단방식에 있어 현재 소규모 검사실의 경우 disk diffusion 기계를 주로 사용하고, 대형 장비인 광학방식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자동화 기계의 경우 종합/대학병원이나 전문 진단검사실에서 사용합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개발된 지 30년 이상 지났기 때문에 이후 개발된 새로운 항생제를 탑재할 용량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개발한 '전기용량 측정방식'의 장비는 앞서 설명한 두 종류의 장비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장비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시장에서는 항생제 다제 내성균의 비율이 높고 다른 국가에 비해 항생제 평균 사용량이 높은 만큼 항생제 처방을 위한 감수성 검사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④ 현장진단(POCT) 시장의 특성

체외진단 분석이 행해지는 장소로 구분 시 크게 중앙검사실(Central Lab) 검사와 현장진단(POCT; Point of Care Test)검사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장진단(POCT) 검사란 소형 병/의원이나 보건소 등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받는 현장에서 바로 검사를 받고 진단 결과를 알 수 있는 방식의 진단을 뜻합니다. 기존 대형병원의 임상진단의학과 중앙검사실이나 검진센터에서만 이루어지던 진단방식에 비해, 현장진단은 혈액, 소변, 타액 등 인체 검사 물질을 채취할 수 있는 어느 장소에서든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검체 채취로부터 진단/결과보고에 이르기까지의 진단시간을 최소화하여 현장에서 바로 진단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신속 현장진단기기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향후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가정 혹은 인근 소규모 의원에서의 간단하고 신속한 질환검사에 대한 수요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노령 인구층이 두터워짐에 따라 갖가지 퇴행성 질환에 대한 신규 진단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대한 수요 또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인의 경우 대규모 종합병원에서 빈번한 접수 및 진단검사가 쉽지 않으므로, 향후 가정에서 손쉽게 지병을 관리하는 검사시스템이나 가까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현장진단검사시스템이 보편화될 전망입니다.

또한 주기적인 급성전염병의 출현 등으로 대규모 잠재 감염 환자군에 대해 신속한 스크리닝으로 환자 선별이 필요합니다. 2020년 Covid-19의 대유행으로 알 수 있듯이 순식간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전염성 질환이 주기적으로 출현함에 따라 상황 발생 시 신속히 감염자 및 환자를 선별하는 진단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 필요성에 대응하는 시스템으로는 현장검사시스템(POCT)이 가장 효과적인 진단시스템입니다.

자가진단과 U-Health에 대응하는 현장진단시스템, 비침습적 바이오진단을 통한 자가진단 및 원격진단시스템 등 미래 지향형 의료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임신, 배란, 자가혈당 측정이 대다수인 자가진단(Self-Testing)의 범위가 전 세계적으로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며, 향후에는 대부분의 대사성 질환 및 암진단까지 자가진단으로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당사 제품군이 속한 시장은 POCT 시장을 제외하여도 2023년 기준 약 20조 원에 달하며, 각 시장의 예측 성장률을 반영할 경우 2028년에는 약 30조 원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당사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 중인 시장은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시장, 자가면역 진단시장, 동물용 알레르기 진단시장이며, 항생제 감수성 진단시장은 제품 허가를 받은 상태로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 당사 제품군이 속한 시장의 규모 및 전망.jpg 당사 제품군이 속한 시장의 규모 및 전망

* 출처: Gii Global information, MarketsandMarkets

① 체외진단기기 시장

세계의 체외진단(IVD)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1,104억 500만 달러에서 2028년 1,409억 7600만 달러까지 연간 5.01%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 세계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Gii Global information(2023)

국내 체외진단 검사기기 시장의 경우 전세계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며, 2023년 1조 2,538억원에서 2037년 1조 7,000억원수준으로 연평균 4.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 포함) 시장은 전체시장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②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63억 4,100만 달러에서 2028년까지 104억 9,9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세계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Global In Vitro Diagnostic Market, BIS Research, 2022 국내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1,403억 원에서 2024년 1,544억 원으로 성장이 예상되며, 동 성장율을 적용할 경우 2028년 기준 약 2,27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4 국내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국내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건강심사평가원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 세계 동물용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22억 9,205만 달러에서 2030년 59억 6,943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동물용 진단제품 시장 중 면역진단제품 시장이 40%의 비중을 차지하므로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을 세계 동물 의료기기 시장의 40%로 추정할 경우 2023년 367백만 달러에서 2028년 724백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9 세계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성장률 7% 반영,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항생제 감수성 검사시장

당사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을 개발 및 식약처 허가를 득하였고 머지않은 기간 내에 제품의 판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세계 항생제 감수성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39억 달러이며 2028년까지 약 5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세계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market report, 2023 국내 항생제 감수성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711억 원에서 2028년 기준 961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매년 6.2%의 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국내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국내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Market-global forecast to 2025-MarketsandaMartkets, 2020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 시장 세계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29억 8,800백만 달러에서 2028년 47억 2,300백만 달러까지 연간 9.59%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7 세계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Gil global information, 2023 국내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의 시장이 세계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의 시장 규모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2023년 기준 253억 원에서 2028년 398억 원으로 연간 9.50%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8 국내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국내 자가면역질환 진단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 Autoimmune Disease Diagnosis Market, MarketsandMarkets, 2018

⑥ 현장진단(POCT) 검사기기 시장

세계 현장진단(POCT) 검사기기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340억 7,000만 달러에서 연간 7.2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8년에는 477억 8,500백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 세계 현장진단(poct) 검사기기 시장의 현황 및 전망.jpg 세계 현장진단(POCT) 검사기기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출처: Gil global information, 2023

(3) 경기변동의 특성 ① 경기변동과의 관계

의료기기는 인간의 생명 및 건강과 직접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품의 가격이 높더라도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격 비탄력적 특성을 가지며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산업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은 정보 공유가 적은 최종 소비자인 환자의 선택의 폭이 좁고 의사의 선택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의료기기 시장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알레르기, 아토피 등 질환은 해당 지역의 경제수준과 위생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항생제 감수성 진단 및 현장진단 제품은 의료기기 특성상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므로 경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편입니다.

② 계절적 요인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수요는 계절적인 요인에 의한 소폭의 변동이 있습니다. 꽃가루가 많이 발생하는 봄철에는 비염, 천식 등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하여 이 시기에 호흡기 알레르기 진단제품의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합니다. 겨울철에는 야외활동이 줄어들면서 집먼지 진드기나 반려동물의 털로 인한 알레르기 진단 수요가 증가하며, 건강검진이 집중되는 4분기 또한 매출이 크게 증가합니다. 그러나 음식물 알레르기(밀가루, 갑각류, 견과류, 유제품 등)와 아토피 질환은 계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항생제 감수성 진단제품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은 계절에 따라 감염 미생물의 종류가 변화할 수 있지만, 내성균 감염은 주로 병원 내 전파로 발생하므로 계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4) 경쟁요소 당사의 핵심제품은 '알레르기 다중진단제품'입니다.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밝히는 알러젠 검사방법은 환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피부 반응검사(Skin Prick Test)'에서 '혈액을 이용한 체외진단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혈액을 이용한 체외진단 시 한번에 다양한 알러젠을 동시 분석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 항원검사 방법(ImmunoCAP)' 보다 '다중진단 방법(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으로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① 테스트당 알러젠 검사수

당사의 '병렬식 라인형 다중진단기술(PLA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하나의 반응 panel에 두 개 이상의 strip 배열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당사가 개발한 제품으로는 단 한 번의 test(반응 panel)에 최대 176종의 알러젠 항원을 검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집적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즉 경쟁업체가 2~3회 검사해야할 알러젠 항원의 수를 당사의 제품은 단 1회만으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② 기술제품 확장 가능성 병렬식 라인형 다중진단기술(PLA 기술)은 당사의 주력 제품인 '인체용 알레르기 진단제품' 외에도 아래와 같이 다중진단이 필요한 다른 질환의 진단 제품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검사법

제품명

사용처

허가번호

병렬식 라인형

다중진단 기술

(PLA기술)

프로티아 Food IgG a

음식 과민성 진단키트

체외 제인 19-4723호

프로티아 Food IgG b

프로티아 Food IgG 96 체외 제인 24-441호

프로티아 Specific IgG4

알레르기 면역치료시 모니터링제품

체외 제인 19-5034호

ANITIA Canine IgE I

반려견 알레르기 진단키트 64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04호

ANITIA Canine IgE II

반려견 알레르기 진단키트 61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06호

ANITIA Feline IgE I

반려묘 알레르기 진단키트 64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07호

ANITIA Feline IgE II

반려묘 알레르기 진단키트 61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08호

ANITIA Equine IgE I 말 알레르기 진단키트 60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11호
ANITIA Equine IgE Ii 말 알레르기 진단키트 60종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10호

프로티아는 다음과 같이 신규 항원이 추가된 제품, 고객 맞춤형 제품, 신속진단이 가능한 제품 등의 방향으로 개발 추진 예정입니다.

123_1.jpg 제품 파이프라인

(5) 자금조달의 특성현재 당사의 주요 자금조달원은 국내에 한정되어 있으며, 유상증자 등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의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회사의 경영실적 및 주가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금조달 방식에 따라 재무적 투자자 발굴이 자본조달의 성패를 좌우합니다.2023년 6월 16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됨에 따라 IPO 공모자금 유입이 있었고, 향후 필요시 공모 또는 사모형태의 자금조달 방식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예정입니다.동 서류 제출일 현재 당사는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이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향후 필요하다면 금융권을 통한 자금조달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회사의 경영실적과 신용평가 등급, 담보여력이 중요한 자금조달의 요소이자 동 기준으로 차입여부, 차입규모, 이자율이 결정될 것입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의료기기의 일종으로서 관련 법률에 의해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제품의 안정성 및 유효성, 기준 및 시험방법, 임상시험 결과 자료 등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제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이 필요합니다.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에도 해당 국가의 규정과 절차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 국가별 규제는 법률로 통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통제는 시장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당사는 해당 국가별로 규정과 절차에 맞은 인증을 받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였습니다.

당사는 해외시장에서 국가별 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 국가별로 현지 파트너를 독점 또는 비독점적으로 지정하여 해당 국가의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먼저 임상시험을 요구하지 않는 국가부터 제품 수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 현지 파트너(해외 판매대리점)를 지정하여 국가별로 진행하는 인증절차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동시에 여러 국가의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 본격적인 해외진출 5년 만에 러시아와 베트남을 비롯하여 총 68여개 국의 해외진출에 성공하였습니다.

국내 및 유럽연합, 미국 등 당사가 주로 활동하거나 활동 계획중인 주요 지역의 관련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외진단 관련 주요 법령]

관련 법령명

주요 내용

의료기기법

의료기기의 제조/수입 및 판매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

의료기기법 시행령

의료기기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대통령령)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총리령)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의료기기를 제조 또는 수입함에 있어 준수하여야 하는 세부사항과 품질관리심사기관 및 품질책임자 교육실시기관에 대한 지정절차 및 관리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른 의료기기의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른 제조·수입 의료기기의 허가·인증·신고 등에 관한 세부사항 및 의료기기 기술문서 등의 심사에 필요한 세부사항, 검사필증 발행 절차 등에 관한 사항, 사전검토의 방법 및 절차 등의 세부사항, 판매업 신고 등이 면제되는 의료기기, 전시할 목적의 의료기기를 승인받고자 하는 자의 신청방법과 절차, 의료기기의 성능 개선 허용 범위, 희소의료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기준과 절차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의료연구개발기관의 제조 허가·인증 신청과 수입 승인 신청에 대한 수수료 감면 등을 정함으로써 의료기기 허가 등 관리의 적정을 기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의 안정성시험 기준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제출하는 의료기기 기술문서 심사자료와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따른 의료기기의 안정성시험에 관한 기준을 정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 표시기재 등에 관한 규정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의료기기의 용기나 외장, 외부의 용기나 포장 및 첨부문서에 기재하는 사항의 글자 크기, 줄 간격 및 그 밖의 기재방법을 정함으로써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의료기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관리에 관한 규정

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의료기기의 취급·사용 시 인지되는 안전성 관련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집·분석·평가하여 적절한 안전대책을 강구함으로써 국민 보건의 위해를 방지하고자 함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DIRECTIVE 98/79/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체외진단용 제품의 EU 판매를 위한 지침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기법에 해당

FD&C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의 Section 510(k)

의료기기의 미국 판매를 위한 미국 연방법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기법에 해당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은 질병의 조기발견, 치료 및 예후 모니터링에 관련되어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크게 높여 주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공익성이 큰 사업이며, '발병 후 진단/수술/치료'에서 '발병 전 진단/예방/관리'로 의료시장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이와 같이 확대되는 시장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국내에 한정되어 있던 영업전략을 해외시장으로 확대해 왔습니다. 관련 분야의 업력과 시장 지배력, 그리고 우수한 연구실적을 바탕으로 한 기술의 우수성, 기술적용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강점으로 국내외 체외진단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그 결과 국내뿐만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2017년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매년 연속적으로 사상 최고 매출실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은 크게 제품매출, 용역매출, 그리고 기타매출로 구분되며, 제품매출은 다시 '알레르기 진단시약(진단키트)' 매출, '알레르기 진단장비' 매출, 그리고 현장진단(POCT) 제품군 매출로 구분됩니다. 최근 사업연도 기준 제품매출액이 약 95%, 용역매출이 약 2%, 그 외 기타매출이 약 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기준 총매출액은 약 105.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7.8% 증가하였습니다. 진단시약 매출액은 약 8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0.5% 증가하였고, 해외 매출의 경우 약 52.2억 원을 달성하여 약 43.0%의 성장을 이루어 내며 사상 최고 실적을 매년 갱신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기준 총매출액 대비 해외 매출액은 약 49.7%로 전기에 이어 당기에도 총매출액 대비 해외매출액 비중을 4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123.jpg (주)프로티아 매출 추세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증진 등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제품수요가 발생하므로, 타산업에 비해 계절적인 특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제품 수요적인 특성은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사항이고, 수출이 용이한 소형제품이라는 특성 때문에 해외시장 진출이 용이합니다.특히 당사의 대표 품목인 '알레르기 진단제품' 시장은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환경오염, 소득증대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사계절 내내 발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 존재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으며, 실제 국내 및 해외시장 모두 매년 성장을 하고 있는 시장입니다.당사 매출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천원, %)
품목 사용용도 제25기(2024년) 제24기(2023년) 제23기(2022년)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제품매출 진단시약 ㆍ인체용 알레르기 진단ㆍ동물용 알레르기 진단ㆍ음식과민성 진단ㆍ알레르기 면역 모니터링ㆍ자가면역질환 검사 8,582,600 81.63 6,110,462 74.27 5,711,749 74.72
진단장비 체외진단시약(키트)의 자동화 장비분석측정기 1,415,065 13.46 1,681,869 20.44 1,377,528 18.02
현장진단(POCT)제품군 ㆍ면역항체/면역과민성 신속측정ㆍ임신진단측정(의료용, 일반용)ㆍ초유 IgG 신속측정 37,841 0.36 42,665 0.52 74,142 0.97
제품 계 - 10,035,506 95.45 7,834,996 95.23 7,163,419 93.71
용역매출 단백질 분석용역 238,795 2.27 194,393 2.36 296,795 3.88
기타매출 알레르기 진단장비 부속품 등 240,246 2.28 198,458 2.41 183,786 2.40
총 계 - 10,514,547 100.00 8,227,847 100.00 7,644,000 100.00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의료용기기 제조업'으로,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제조, 판매업' 단일 사업부문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력제품인 '알레르기 진단키트'를 필두로 신개념 기술을 도입한 '각종 면역화학 진단 키트', '임신 진단키트'를 개발하여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 확장을 위한 신성장 사업으로 '항생제 감수성 신속진단', '암조기진단'과 관련한 체외 진단기기를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주력 제품시장인 '체외 진단용 알레르기 진단키트'의 경우, 국내시장은 당사와 (주)인비트로스(구, LG화학)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지만, 세계시장에서의 매출은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 그러나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동 시장은 2023년 약 63억 4,100만 달러의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2028년까지 연평균 10%씩 성장하여 2028년에는 약 104억 9,9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장입니다.당사는 현재 국내 '체외진단용 알레르기 진단키트'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대리점 체제를 구축하고 기술력, 경제성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 높은 알레르기 진단키트를 시장에 제공함으로써 의료계의 보수적 성향을 극복한 결과, 현재 외국산 수입 제품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독특한 특허기술인 '병렬식 라인형 다중진단기술(PLA 기술)'을 적용하여 타사 제품 대비 검사의 편의성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통해 높은 고객만족을 얻게 되었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괄목할 만한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세계시장에서 후발주자로서의 약점 및 각 국가별 의료기기 규제장벽을 극복하기 위하여 당사는 각 국가별 해외 파트너(Agent)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시장이 큰 국가의 경우에는 현지 생산기지 설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알레르기 진단키트 제조에 관한 원천기술과 경쟁력 있는 생산기술의 확보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허가(제조업 허가 및 제조품목허가)를 받았으며, EU의 CE인증 또한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경제성 있는 다중 알레르기 진단키트를 제조할 수 있는 '병렬식 라인형 바이오칩(PLA: parallel lines array)'에 대한 원천기술(특허등록 10-1570327, PCT/KR2014/000438)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생산기술 및 안정적인 생산체제 구축, 그리고 전국망을 갖춘 대리점 체제를 구축하여, 선발주자인 대기업의 영업장벽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제품 출하 3년 만에 높은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과거 10여 년 전 우리나라의 알레르기 검사는 피부자극검사가 50% 이상, 다중항원 혈청검사가 30%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피부자극검사가 10%로 감소하고 다중항원 혈청검사가 80%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다중항원 혈청검사가 피부자극검사보다 더 많은 알레르기 종류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안전하다는 장점에서 기인하였습니다. 아직 세계시장에서는 피부자극검사의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다중 알레르기 혈청검사의 장점이 부각하면 세계시장에서도 다중 혈청검사 방법의 비중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력 제품인 '알레르기 진단키트'는 소득수준이 높거나 소득수준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해외지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4개국, 미국, 캐나다 등의 북미, 유렵연합 등이 있으며,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인구가 많고 지속적으로 소득 및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지역을 타겟으로 합니다. 즉 소득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위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질수록 알레르기 유병률 또한 높아지는 특징을 나타내므로 향후 대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알레르기 진단제품이 경쟁하고 있는 유럽과 미국에 비해 인구가 많고 소득수준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들(중국, 인도, 브라질 등)은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당사에서 집중 공략하고 있는 시장 중 하나입니다.당사의 '알레르기 다중진단키트'에 대해 인도, 러시아, 베트남 등 인구가 많은 국가의 허가등록이 추가로 완료됨에 따라 향후 해외매출의 증가세가 예상되며, '동물용 알레르기 진단키트', '자가면역 다중진단키트', '항생제 감수성 신속진단키트' 등 지속적인 품목 추가를 통하여 해외시장 확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알레르기 진단제품', '자가면역 검사제품', '항생제 감수성 검사제품'과 같은 당사의 전문 검사실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품군과 '이뮨첵 IgG'와 같은 현장검사용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경우 B2B 시장을 목표로 합니다.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업 특성상 B2B 시장의 경우 병원, 요양병원, 전문 진단검사실, 보건소, 검역소, 동물병원 등이 잠재적 고객이며, 전문적인 진단검사 키트와 진단장비 등이 수요 제품입니다.

당사의 차세대 임신진단키트 '트리첵'은 B2C 시장영역에 속하며, 현장검사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품군의 일부가 병원에서도 사용되지만 약국, 또는 온라인 마켓등을 통한 일반 소비자를 타겟으로 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자가면역 질환 진단제품 개발

- 질환의 개요 및 제품특성자가면역 질환은 면역세포가 자신의 세포를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면역세포는 도태되어 면역보조세포로 분화하나, 자가면역질환자는 이러한 세포가 도태되지 못하고 면역세포로 분화되어 자기 자신의세포를 공격하게 됩니다. 이러한 결과 정상 조직세포가 사멸하고 해당 조직의 기능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자가면역 질환의 무서운 점은 병의 진행정도를 알기 힘들다는 것으로, 증세 초기에는 피로, 무력감, 근육통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벼운 증상만을 나타내므로 질병이 만성화되어 악화될 때까지 병원방문 등을 통한 진단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크론병, 1형 당뇨병, 갑상선기능 항진증 등이 있으며, 이들 병증은 대부분 근본적인 원인제거를 통한 치료가 어렵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하지만 조기에 이러한 질병을 발견할수록 증상치료 및 대증요법 등을 통한 병변의 진행을 늦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요 자가면역 질환의 종류와 특성】

발병위치

주요 자가면역 질환

특징

다발성 경화증, 자폐증, 길랑바레 증후군

병증이 만성화 되어 오랜 치료가 필요 또는 평생 관리가 필요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킴

질병의 원인 특정이 어려움

80여 종의 자가면역 질환이 알려짐

혈액

백혈병, 루푸스, 용혈성 이상지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근육성 류마티스

근육

근육성 이영양증, 섬유근육통

신경

말초신경병증,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피부

건선, 백반증, 습진, 피부경화증

갑상선

갑상선염, 하시모토 병, 그레이브스 병

위장관

1형 당뇨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실리악병

천식, 베게너육아종증

당사는 다년간의 면역진단 제품을 개발, 생산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각종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항원 바이오마커들을 개발, 생산하기 위해 당사의 주요제품인 알레르기 진단키트와 같은 라인 블롯(Line Blot)방식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라인 블롯방식은 다수의 항원을 단 하나의 키트에 탑재함으로써 한 번의 검사로도 여러 질병의 발병유무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비용이 저렴하고 한 번에 수십 종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진단을 통해 조기진단이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들의 조기진단은 대부분의 자가면역 질환들이 만성화하여 많은 금전적 비용을 야기하고 오랜기간 동안 삶에 큰 고통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기에 적절한 조치로 인체조직이 사멸하여 붕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자 자신 및 가족에 대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시장전망

자가면역질환의 유병률은 최대 약 8%에 이르며 특히 여성질환자의 비율이 남성질환자보다 세 배 정도 많습니다. 특히 과거에 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위장관 질환 등 조직, 장기의 이상으로 발병했다고 알려진 질병들이 자가면역질환에 의해 발병되고 있음이 속속들이 밝혀지면서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가면역질환 진단시장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기준 자가면역질환 진단시장은 2023년 29억 8,800만 달러로 2028년까지 매년 9.6%의 고속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Gil global information, 2023)

2023년 6월부터 해외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기존 알레르기 다중진단키트에 사용하고 있는 진단기기(Q-STATION ELITE)와 호환되는 제품형태로 개발함으로써, 기존 국내외 알레르기 진단키트 판매망을 활용하여 국내외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기존 알레르기 진단키트 판매망을 활용할 경우 거래선을 신규로 개척하는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고 최종 고객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짐에 따라 좀 더 빠른 매출확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② 신규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암 조기진단법 개발 당사는 현재 혈액에서 간암 및 유방암 조기진단을 위한 진단키트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과 협력연구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암 발생에 동반하여 혈액 내 양적 증가를 보이는 암 관련 단백질들에 의해 유도된 새로운 오토항체(Auto-Antibody) 바이오마커들(바이오마커 : 질환의 예방, 진단, 예후, 치료 모니터링 등에 활용가능한 생체 지표 인자)을 검출하여 암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 오토항체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암 진단기술 항체는 외부의 단백질을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면역단백질로, 정상인의 경우 자기자신 유래의 단백질을 인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기자신 세포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인식할 경우 이를 오토항체(자가면역항체)라 하며, 면역체계가 특정 세포를 공격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류머티스 관절염(관절세포), 백반증(피부세포), 습진(피부세포), 자폐증(신경세포)등이 대표적인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암세포의 경우 암세포 특이적인 단백질을 많이 생산합니다. 정상인의 경우 이러한 비정상적인 세포에 대한 면역체계를 가동하는 오토항체를 통해 암세포를 사멸시키고 자가면역 항체가 감소하게 되나, 암환자의 경우 암세포가 이러한 면역체계에 대한 회피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오토항체를 통한 암세포의 사멸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토항체는 결국 혈중을 떠돌게 됩니다.

이러한 오토항체를 이용한 암진단기술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ㆍ 암의 초기 Stage(1,2)에서도 높게 발현하므로 조기진단이 가능

ㆍ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함

ㆍ 체외진단으로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이 적음

ㆍ 진단검사 비용이 저렴함

ㆍ 바이오 마커의 수를 증가시키면 다종의 암을 동시 검사 가능

【진단방식 비교 요약】

진단방식

광학적 진단

기존 혈액 바이오 마커

조직검사

오토항체 진단기술

검사방법

체외: 초음파, CT, MRI

체내: 내시경

혈액 추출

(혈장 또는 전혈)

조직 추출

(내시경, 또는 수술)

혈액 추출

(혈장 또는 전혈)

장점

병변을 눈으로 확인하므로 진단 특이도가 매우 높음(90%이상)

비용이 비교적 저렴

검사결과가 매우 정확

암의 1기, 2기에 높은 민감도로 조기검사 가능, 환자의 부담이 적음

단점

비용이 비쌈

방사성 조영제 등을 사용

검사비용이 비쌈

영상기사나 의사의 판단이 중요

비교적 낮은 민감도와 특이도

해당 바이오 마커를 공유하는 다른 질병에 의한 위양성 결과

의심/기저증상 발견후 진행하므로 조기진단 어려움

내시경, 수술 등 환자의 부담이 매우 큼

바이오 마커 개발의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음

이러한 매커니즘과 장점을 바탕으로 당사는 혈중 오토항체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특정 암에 대한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③ 동물용 알레르기 진단제품 개발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 변화와 반려동물 질병 치료에 대한 관심 증가에 발 맞춰, 당사는 사람의 알레르기 진단기술을 활용한 반려동물 전용 알레르기 진단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반려견 알레르기 진단제품 'ANITIA Canine IgE'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허가 받은 제품입니다(ANITIA Canine IgE : 농림축산검역본부 제240-004호).

당사의 독자기술인 'PLA 기술'을 활용해 64종과 61종의 알러젠을 검사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여 '라인 블럿형 다중진단제품' 기준으로는 세계 최다인 125종의 알레르기 검사가 가능한 제품군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반려묘 대상 제품 'ANITIA Feline IgE I, II', 말 대상 제품 'ANITIA Equine IgE I, II',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 출시 전, 국내 동물병원에서는 국내 반려동물 알레르기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해외에 혈청시료를 보내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고가의 비용(30~40만 원대) 및 긴 검사기간(최소 2~3주 이상)이 필요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제품은 국내에서 생산 및 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소비자의 가격 부담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검사시간을 4시간 내외로 단축할 수 있어 1일 이내에 검사결과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반려견의 경우 혈액량이 적어 많은 양의 피를 뽑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검사당 필요한 혈청량을 최소화(50ul/test)하였습니다. 또한, 다중항원 검사법(MAST)을 활용하여 높은 정확성을 가진 검사결과를 제공하고, 기존의 Dot array 방식과 ELISA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

글로벌 반려동물 알레르기 검사 시장은 2023년 약 367백만 달러에서 2028년 약 724백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인체용 알레르기 시장에 비교해 초기시장으로서 당사의 선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합니다.최근 말 알레르기 진단제품(ANITIA Equine IgE)의 수출 허가를 득하였습니다. 말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고가의 경마용, 승마용 및 기타 말 농장의 말을 대상으로 수요가 있습니다. 해외 거래처의 많은 요청으로 개발을 추진하게 되어 당사 매출에 높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동물용 진단제품 영역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제품은 사료 등 음식 부작용으로 인한 원인을 정확하게 종합 분석할 수 있는 반려동물 대상 음식불내성 검사 제품과 반려동물 백신 접종 전·후 항체역가 검사 제품 및 반려동물 항생제 감수성 검사 제품입니다.

(5) 조직도

1414.jpg 조직도(2024.12.31 기준)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 나.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본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개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 전 재무제표로서, 외부감사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https://www.protia.co.kr_IR 게시판)에 게재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5(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4(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프로티아 (단위: 원)
과 목 주석 제 25(당) 기 제 24(전) 기
자 산
Ⅰ.유동자산 18,729,903,323 17,113,664,932
현금및현금성자산 4,5,6,7 2,829,501,996 1,722,175,479
매출채권 4,5,6,8 811,007,500 937,535,467
기타금융자산-유동 5,6,9 10,989,956,498 11,577,209,908
기타유동자산 10 499,806,683 182,322,465
재고자산 11 3,528,440,786 2,666,457,783
당기법인세자산 71,189,860 27,963,830
Ⅱ.비유동자산 9,128,566,533 8,022,106,826
기타금융자산-비유동 5,6,9 265,769,581 298,857,257
유형자산 12 8,256,581,438 7,301,610,736
사용권자산 13 227,171,056 160,426,525
무형자산 14 122,222,754 129,706,106
기타비유동자산 10 110,130,053 131,506,202
이연법인세자산 146,691,651 -

자 산 총 계

27,858,469,856 25,135,771,758
부 채
Ⅰ.유동부채 1,237,482,744 1,298,995,239
기타금융부채-유동 4,5,6,15 786,336,886 774,504,863
기타유동부채 4,17 301,468,655 340,405,314
미지급법인세 18 34,088,821 24,511,703
리스부채-유동 4,6,13,31 102,534,065 128,178,731
충당부채 19 13,054,317 31,394,628
Ⅱ.비유동부채 413,785,968 309,529,447
리스부채-비유동 4,6,13,31 118,933,287 30,682,385
순확정급여부채 16 294,852,681 278,847,062

부 채 총 계

1,651,268,712 1,608,524,686
자 본
Ⅰ.자본금 21 6,438,607,500 6,437,357,500
Ⅱ.주식발행초과금 21 36,706,632,372 36,700,900,372
Ⅲ.기타자본항목 22,23 999,930,116 783,749,640
Ⅳ.결손금 24 (17,937,968,844) (20,394,760,440)

자 본 총 계

26,207,201,144 23,527,247,072

자본과 부채 총계

27,858,469,856 25,135,771,758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프로티아 (단위: 원)

과 목

주석

제 25(당) 기 제 24(전) 기
Ⅰ.매출액 25 10,514,547,438 8,227,847,326
Ⅱ.매출원가 25,27 4,239,907,673 4,148,452,122
Ⅲ.매출총이익 6,274,639,765 4,079,395,204
Ⅳ.판매비와 관리비 26,27 4,772,773,441 3,915,302,501
Ⅴ.영업이익(손실) 1,501,866,324 164,092,703
Ⅵ.영업외손익 834,773,328 326,155,633
1.기타수익 6,28 498,508,551 100,918,099
2.기타비용 6,28 138,284,991 121,657,498
3.금융수익 6,29 481,256,678 357,713,940
4.금융비용 6,29 6,706,910 10,818,908
Ⅶ.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336,639,652 490,248,336
Ⅷ.법인세비용(효익) 18 (105,484,230) 27,307,893
Ⅸ.당기순이익(손실) 2,442,123,882 462,940,443
Ⅹ.기타포괄손익 14,667,714 (785,201)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6 14,667,714 (785,201)
ⅩI.총포괄이익(손실) 2,456,791,596 462,155,242
ⅩII.주당이익(손실) 30  
기본주당이익 190 38
희석주당이익 190 38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프로티아 (단위 : 원)

구 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항목

결손금

합계

2023.01.01 (전기초) 5,613,357,500 30,524,143,972 708,763,546 (20,856,915,682) 15,989,349,336
I.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462,940,443 462,940,44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785,201) (785,201)
II. 소유주와의거래:
주식보상비용 - - 74,986,094 - 74,986,094
유상증자 824,000,000 6,176,756,400 - - 7,000,756,400
2023.12.31 (전기말) 6,437,357,500 36,700,900,372 783,749,640 (20,394,760,440) 23,527,247,072
2024.01.01 (당기초) 6,437,357,500 36,700,900,372 783,749,640 (20,394,760,440) 23,527,247,072
I.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2,442,123,882 2,442,123,88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4,667,714 14,667,714
II. 소유주와의거래:
주식보상비용 - - 221,702,976 - 221,702,976
주식선택권의 행사 1,250,000 5,732,000 (5,522,500) - 1,459,500
2024.12.31 (당기말) 6,438,607,500 36,706,632,372 999,930,116 (17,937,968,844) 26,207,201,144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프로티아 (단위 : 원)

구 분

주석 제 25(당) 기 제 24(전) 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435,782,580 381,424,526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31 1,113,291,791 242,485,963
2. 이자의 수취 366,952,993 155,323,161
3. 이자의 지급 (6,706,910) (10,818,908)
4. 법인세 환급 (37,755,294) (5,565,690)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44,805,873) (7,721,020,757)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2,990,595,446 10,079,504,448
기타금융자산-유동의 감소 12,990,595,446 9,650,288,225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감소 - 75,101,500
유형자산 취득시 정부보조금 수령 - 57,893,450
무형자산 취득시 정부보조금 수령 - 295,494,000
유형자산의 처분 - 727,273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3,135,401,319) (17,800,525,205)
기타금융자산-유동의 증가 (11,886,816,902) (15,784,367,600)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증가 (51,515,720) (231,013,220)
유형자산의 취득 (1,174,460,931) (1,376,488,151)
무형자산의 취득 - (348,560,000)
기타비유동자산의 증가 (22,607,766) (60,096,234)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22,682,779) 6,924,645,277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2,860,251 7,488,069,969
정부보조금 수령 10,777,751 72,069,969
유상증자 - 7,416,000,000
주식선택권의 행사 2,082,5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35,543,030) (563,424,692)
정부보조금 상환 - (6,000,000)
주식발행비용 (623,000) (415,243,600)
리스부채의 원금 지급 (134,920,034) (142,181,092)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60,967,411) 33,644,719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1,107,326,517 (381,306,235)
Ⅵ.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722,175,479 2,103,481,714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2,829,501,996 1,722,175,479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5(당) 기 제 24(전) 기

미처리결손금

  (20,394,760,440)   (20,394,760,440)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20,394,760,440)   (20,856,915,68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4,667,714   (785,201)  

당기순이익(손실)

2,442,123,882   462,940,443  

결손금 처리액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17,937,968,844)   (20,394,760,440)
주) 전기 결손금처리계산서 처리확정일은 2024년 3월 26일, 당기 결손금처리계산서 처리예정일은 2025년 3월 26일(제25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입니다.

- 주석

제 25(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4(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프로티아

1. 일반 사항

주식회사 프로티아(이하 "회사"라 함)는 2000년 3월 22일에 설립되어 자연과학연구개발업, 진단키트제조 및 진단장비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401에 본점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2018년 12월 19일 코넥스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2023년 06월 16일 코스닥시장에 이전상장하였습니다. 한편, 회사는 2023년 11월 3일자로 회사명을 주식회사 프로테옴텍에서 주식회사 프로티아로 변경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보유주식수(주)

지분율(%)

비고
보통주 합계
임국진 3,233,112 3,233,112 25.11 대표이사
정명숙 839,760 839,760 6.52 특수관계인
포트원케이프 제일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333,333 333,333 2.59
기타 8,471,010 8,471,010 65.78
합계 12,877,215 12,877,215 100.00

2. 재무제표 작성 기준

2.1 회계기준의 적용

회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5조 1항 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주석3에 기술되어 있으며, 당기 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준서의 도입과 관련된 영향을 제외하고는 전기재무제표 작성 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1) 회사가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주요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으며,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개정):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의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개정): 가상자산 공시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개정): 공급자금융약정 정보 공시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개정):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았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및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개정): 교환가능성 결여

개정사항은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고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개정): 금융상품 분류와 측정특정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이 신설되었으며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을 평가할 때,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흐름 관련 규정이 명확화 되었습니다. 또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투자 종류별 공정가치 변동 및 실현손익 정보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이 추가되었습니다.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불명확한 표현 및 기준서간 상이한 용어 개정-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용어 및 내용이 기준서간 일관되도록 개정-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 제거 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 대리인 여부는 판단의 대상임을 명확히 함

-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을 삭제하고 '원가'로 대체하여 기준서간 용어일치

2.2 측정기준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파생상품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2.3 기능통화와 표시통화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2.4 추정과 판단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1) 법인세

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회사는 퇴직급여 및 이월세액공제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 의 발생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지 않았습니다.(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회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4) 리스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사무실 등 부동산 리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 관련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종료하기 위해(연장하지 않기 위해) 유의적인 벌과금을 부담해야 한다면 일반적으로 회사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 리스개량에 유의적인 잔여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회사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확실합니다.
- 위 이외의 경우 회사는 과거 리스 지속기간과 원가를 포함한 그 밖의 요소와 리스된 자산을 대체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업 중단을 고려합니다.

선택권이 실제로 행사되거나(행사되지 않거나) 회사가 선택권을 행사할(행사하지 않을)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에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리스이용자가 통제할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회사는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을 변경합니다.(5) 순확정급여부채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별도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별도재무제표 및 주석 등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최근 3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임국진 재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임기
임국진 1961.11.17 - 본인 이사회 3년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임국진 (주)프로티아대표이사

2004

1987~2009

1989~1992

2002~2003

2005~2016

2010~2010

2010~현재

연세대학교 생화학 박사

㈜LG생명과학 백신연구/개발팀장, 진단의약연구/생산/사업팀장

Lucky Biotech Corp.(Emeryville, CA, 미국) 파견연구원

Ludwig Cancer Research(Melbourne, Vic. 호주) 교환연구원

연세대학교 나노메디칼 국가핵심연구센터 겸임교수

㈜바이넥스 사업개발 본부장(상무이사)

㈜프로티아 대표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임국진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임국진 사내이사 후보자

- 현, (주)프로티아 대표이사, 업계 전문가

확인서 임국진 사내이사 후보자 확인서_2025.02.24_1.jpg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96,279,548
최고한도액 1,000,000,000

※ 상기 (전기) '이사의 수(사외이사 수)'는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이사보수 승인 당시 이사의 수(사외이사 수) 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4호 의안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5,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인 2025년 3월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후, 당사 홈페이지(https://www.protia.co.kr,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입니다.2025년 3월 18일에 공시 예정인 사업보고서는 공시 이후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된 사항 등을 반영하여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정정공시)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