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신고서(지분증권) 6.0 주식회사 이뮨온시아 증권발행조건확정
금융위원회 귀중 2025년 04월 30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이뮨온시아
대 표 이 사 : 김흥태
본 점 소 재 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35번길 25
(전 화) 02-6283-5069
(홈페이지) http:// www.immuneoncia.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 (성 명) 윤동현
(전 화) 02-6283-5078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3월 14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9,140,482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32,905,735,2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금번 정정에 따른 변동사항은 투자자의 편의를 위해 ' 굵은 보라색 '으 로 표시하였습니다.

5. 정정사항

항 목 정 정 전 정 정 후
공통 정정사항 - 모집(매출)가액(예정) : 3,000원 ~ 3,6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27,421,446,000원 ~ 32,905,735,2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2,285,121주 ~ 2,742,145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6,398,337주 ~ 6,855,361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 75.0% - 모집(매출)가액(예정) : 3,6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32,905,735,2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2,285,121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6,855,361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5.0%
요약정보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1. 공모개요 (주1) 정정 전 (주1) 정정 후
2. 공모방법 (주2) 정정 전 (주2) 정정 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주3) 정정 전 (주3)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주4) 정정 전 (주4)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주5) 정정 전 (주5) 정정 후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사. 공모자금 사용에 관한 위험 (주6) 정정 전 (주6) 정정 후
3. 기타위험 - 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주7) 정정 전 (주7) 정정 후
3. 기타위험 - 바.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주8) 정정 전 (주8) 정정 후
IV. 인수인의 의견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주9) 정정 전 (주9) 정정 후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주10) 정정 전 (주10) 정정 후
2. 자금의 사용목적 (주11) 정정 전 (주11) 정정 후

(주1) 정정 전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방법
보통주 9,140,482 500 3,000 27,421,446,000 일반공모
인수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주관회사 한국투자증권 보통주 9,140,482 27,421,446,000 1,977,086,370 총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25.05.07 ~ 2025.05.08 2025.05.12 2025.05.07 2025.05.12 -
주1) 모집(매출) 예정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2)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이뮨온시아의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입니다.
주3)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한 후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의 확정 시 정정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주4)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가능합니다.
주5)

[청약일]- ①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07일(수) ~ 05월 08일(목) (2일간, 08:00~16:00) - ② 일반투자자 청약일: 2 025년 05월 07일(수) ~ 05월 08일(목) (2일간, 08:00~16:00)

※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6) 기관투자자와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주7)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4년 10월 11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3월 0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8) 총 인수대가는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으로 산정한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을 합한 금액의 7.0%에 해당합니다. 또한, 향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인수대가는 변경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9)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기명식보통주 274,215주 822,645,000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10)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주1) 정정 후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방법
보통주 9,140,482 500 3,600 32,905,735,200 일반공모
인수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주관회사 한국투자증권 보통주 9,140,482 32,905,735,200 2,372,503,644 총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25.05.07 ~ 2025.05.08 2025.05.12 2025.05.07 2025.05.12 -
주1) 모집(매출)가액(이하 "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2)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 니다.
주3)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한 후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3,6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주4)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가능합니다.
주5)

[청약일]- ①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07일(수) ~ 05월 08일(목) (2일간, 08:00~16:00) - ② 일반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07일(수) ~ 05월 08일(목) (2일간, 08:00~16:00)

※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6) 기관투자자와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주7)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4년 10월 11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3월 0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8) 총 인수대가는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으로 산정한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을 합한 금액의 7.0%(인수수수료 7.0%)에 해당합니다. 다만,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9)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기명식보통주 274,215주 987,174,000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주10)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주2) 정정 전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구주매출 9,140,482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다만, 구주매출 주식 전량은 ㈜이뮨온시아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대상으로 한 구주매출에 해당하므로 해당 금액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로 유입되어 신주모집과 동일한 효과입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일반공모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비고
일반공모 9,140,482주 100.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 -
주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3)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주4)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주당 공모가액 일반공모총액 비고
일반청약자 2,285,121주~ 2,742,145주 25.0%~ 30.0% 3,000원 6,855,363,000원~ 8,226,435,000원 주2), 주3)
기관투자자 6,398,337주~ 6,855,361주 70.0%~ 75.0% 19,195,011,000원~ 20,566,083,000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주4), 주5), 주6)
합계 9,140,482주 100.00% 27,421,446,000원 -
주1)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 3,000원~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입니다.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3) 2020년 11월 30일 개정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주4)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5)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6)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7호에 따라 주2)~주5)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주7)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나. 모집의 방법 등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100% 구주매출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 매출방법: 일반공모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비고
일반공모 9,140,482주 100.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 -

【 매출 세부내역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주당 모집가액 모집총액 비고
일반청약자 2,285,121주~ 2,742,145주 25.0%~ 30.0% 3,000원 6,855,363,000원~ 8,226,435,000원 -
기관투자자 6,398,337주~ 6,855,361주 70.0%~ 75.0% 19,195,011,000원~ 20,566,083,000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0% 27.421.446.000원 -
주1)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관리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주1)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주2)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1)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3-2)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4-1)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4-2)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5)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2)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일반청약자와 기관투자자의 배정주식수(비율)는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에 관한 사항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④, ⑤ 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주3)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으로서 청약일 전에 한국투자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투자증권㈜와 ㈜이뮨온시아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주4)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5)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6)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주7)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위탁의 내용 및 조건 매출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이뮨온시아경기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35번길 25 매출주주 ㈜이뮨온시아(9,140,482주)의 보유 주식을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함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증권의 종류 매출전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주1) 매출후보유증권수
㈜이뮨온시아 본인(자기주식) 기명식 보통주 9,140,482주 9,140,482주 -
합 계 9,140,482주 9,140,482주 -
주1)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 분 취득주식수 주당 취득가액 취득총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274,215주 3,000원 822,645,000 -
주1)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입니다.
주2)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3)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주4)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연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승인 하에 연장 가능)

(주2) 정정 후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구주매출 9,140,482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다만, 구주매출 주식 전량은 ㈜이뮨온시아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대상으로 한 구주매출에 해당하므로 해당 금액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로 유입되어 신주모집과 동일한 효과입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일반공모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비고
일반공모 9,140,482주 100.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 -
주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3)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주4)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주당 공모가액 일반공모총액 비고
일반청약자 2,285,121주 25.0% 3,600원 8,226,435,600원 주2), 주3)
기관투자자 6,855,361주 75.0% 24,679,299,600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주4), 주5), 주6)
합계 9,140,482주 100.00% 32,905,735,200원 -
주1)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입니다.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3) 2020년 11월 30일 개정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주4)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5)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주6)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7호에 따라 주2)~주5)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주7)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나. 모집의 방법 등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100% 구주매출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 매출방법: 일반공모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비고
일반공모 9,140,482주 100.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 -

【 매출 세부내역 】
공모대상 주식수 배정비율 주당 모집가액 모집총액 비고
일반청약자 2,285,121주 25.0% 3,600원 8,226,435,600원 -
기관투자자 6,855,361주 75.0% 24,679,299,600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합계 9,140,482주 100.00% 32,905,735,200원 -
주1)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관리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주1)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주2)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1)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3-2)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4-1)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4-2)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5)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2)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일반청약자와 기관투자자의 배정주식수(비율)는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에 관한 사항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④, ⑤ 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주3)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주4)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입니다.
주5)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6)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주7)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위탁의 내용 및 조건 매출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이뮨온시아경기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35번길 25 매출주주 ㈜이뮨온시아(9,140,482주)의 보유 주식을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함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증권의 종류 매출전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주1) 매출후보유증권수
㈜이뮨온시아 본인(자기주식) 기명식 보통주 9,140,482주 9,140,482주 -
합 계 9,140,482주 9,140,482주 -
주1)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 분 취득주식수 주당 취득가액 취득총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274,215주 3,600원 987,174,000원 -
주1)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입니다.
주2)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3)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주4)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연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승인 하에 연장 가능)

(주3) 정정 전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② IR 실시 ③ 수요예측 접수
수요예측 안내 공고 기관투자자 IR 실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단, 가격 미제시 수요예측참여는 불가능함)
④ 공모가격 결정 ⑤ 물량 배정 ⑥ 배정물량 통보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와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공모가격 결정 확정공모가액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를통하여 개별 통보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내 용
주당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

(1)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이뮨온시아의 절대적 평가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2)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3)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주식수 비 율 비 고
기관투자자 6,398,337주~ 6,855,361주 70.0%~ 75.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주1)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주2)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9,140,482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주3) 일반청약자 배정분 2,285,121주 ~2,742,145주(25.0% ~ 30.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후략) (주3) 정정 후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② IR 실시 ③ 수요예측 접수
수요예측 안내 공고 기관투자자 IR 실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단, 가격 미제시 수요예측참여는 불가능함)
④ 공모가격 결정 ⑤ 물량 배정 ⑥ 배정물량 통보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와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공모가격 결정 확정공모가액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를통하여 개별 통보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내 용
주당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확정공모가액 3,600원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1) 상기 표에서 제시한 확정공모가액은 ㈜이뮨온시아의 절대적 평가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2)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와 협의하여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3)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주식수 비 율 비 고
기관투자자 6,855,361주 75.0%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주1)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주2)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9,140,482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주3) 일반청약자 배정분 2,285,121주(2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중략)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구 분 국내 기관투자자 해외 기관투자자 합 계
운용사(집합) 운용사(고유) 투자매매· 중개업자 연기금, 은행, 보험 투자일임사 기타 거래실적 유 주) 거래실적 무
공모 사모
건수 25 342 283 46 36 607 719 63 84 2,205
수량 148,605,000 1,624,301,000 513,880,000 268,257,000 239,704,000 1,156,910,000 1,786,154,000 124,372,000 290,140,000 6,152,323,000
경쟁률 21.68 236.94 74.96 39.13 34.97 168.76 260.55 18.14 42.32 897.45
주)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구분 국내기관투자자 해외기관투자자 합계
운용사(집합) 운용사(고유)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연기금, 은행, 보험 투자일임사 기타
공모 사모 거래실적 유 주1) 거래실적 무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건수 수량
밴드 상단 초과 0 0 23 98,249,000 29 50,912,000 1 4,500,000 8 54,830,000 24 62,237,000 43 105,517,000 16 27,082,000 0 0 144 403,327,000
밴드 상단 25 148,605,000 309 1,484,739,000 249 459,737,000 45 263,757,000 28 184,874,000 571 1,054,314,000 654 1,637,491,000 47 97,290,000 84 290,140,000 2,012 5,620,947,000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미만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0 0 1 438,00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438,000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중간값 0 0 0 0 0 0 0 0 0 0 0 0 1 1,097,000 0 0 0 0 1 1,097,000
밴드 하위 25% 이상 ~ 중간값 미만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하위 50% 이상 ~ 25% 미만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하위 75% 이상 ~ 50% 미만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하위 100% 초과 ~ 75% 미만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밴드 하단 0 0 1 6,855,000 2 2,157,000 0 0 0 0 6 18,549,000 5 22,326,000 0 0 0 0 14 49,887,000
밴드 하단 미만 0 0 3 9,516,000 3 1,074,000 0 0 0 0 4 8,100,000 12 13,127,000 0 0 0 0 22 31,817,000
미제시 0 0 5 24,504,000 0 0 0 0 0 0 2 13,710,000 4 6,596,000 0 0 0 0 11 44,810,000
합계 25 148,605,000 342 1,624,301,000 283 513,880,000 46 268,257,000 36 239,704,000 607 1,156,910,000 719 1,786,154,000 63 124,372,000 84 290,140,000 2,205 6,152,323,000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기관투자자입니다.
주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건, 주)
구분 참여건수 기준 신청수량 기준
참여건수(건) 비율 신청수량(주) 비율
가격 미제시 11 0.50% 44,810,000 0.73%
3,600원(상단) 초과 144 6.53% 403,327,000 6.56%
3,600원(상단) 2,012 91.25% 5,620,947,000 91.36%
3,000원(하단) 초과 ~ 3,600원(상단) 미만 2 0.09% 1,535,000 0.02%
3,000원(하단) 14 0.63% 49,887,000 0.81%
3,000원(하단) 미만 22 1.00% 31,817,000 0.52%
합계 2,205 100.00% 6,152,323,000 100.00%

(다) 의무보유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내역

구분 운용사(집합) 공모 운용사(집합) 사모 운용사(고유) 투자매매·중개업자 연기금, 은행, 보험 투자일임사 기타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6개월 확약 0 0 - 0 0 - 0 0 - 1 6,855,000 - 0 0 - 27 33,247,000 - 8 13,307,000 -
3개월 확약 0 0 - 17 69,914,000 - 3 2,402,000 - 0 0 - 2 13,700,000 - 46 33,020,000 - 47 104,450,000 -
1개월 확약 0 0 - 4 18,103,000 - 5 7,232,000 - 0 0 - 3 20,565,000 - 8 11,693,000 - 9 28,165,000 -
15일 확약 0 0 - 7 29,791,000 - 3 2,710,000 - 0 0 - 1 6,855,000 - 1 129,000 - 7 14,381,000 -
미확약 25 148,605,000 - 314 1,506,493,000 - 272 501,536,000 - 45 261,402,000 - 30 198,584,000 - 525 1,078,821,000 - 648 1,625,851,000 -
합 계 25 148,605,000 3,600 342 1,624,301,000 3,582 283 513,880,000 3,648 46 268,257,000 3,612 36 239,704,000 3,691 607 1,156,910,000 3,558 719 1,786,154,000 3,616

구분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유) 주)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무) 합계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건수 수량 신청가격
6개월 확약 0 0 - 0 0 - 36 53,409,000 -
3개월 확약 0 0 - 13 89,115,000 - 128 312,601,000 -
1개월 확약 0 0 - 0 0 - 29 85,758,000 -
15일 확약 0 0 - 0 0 - 19 53,866,000 -
미확약 63 124,372,000 - 71 201,025,000 - 1,993 5,646,689,000 -
합 계 63 124,372,000 3,771 84 290,140,000 3,600 2,205 6,152,323,000 3,604
주)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라) 주당 확정 공모가액의 결정

상기와 같은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이뮨온시아와 대표주관회사가 합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1주당 확정공모가액 3,6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4) 정정 전 (전략)

(5) 청약주식 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한국투자증권㈜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일반청약자배정물량 준우대 등급최고청약한도 청약증거금률
한국투자증권㈜ 2,285,121주 ~ 2,742,145주 76,000주 ~ 80,000주 50%
주) 한국투자증권㈜의 준우대 등급 고객 최고청약한도는 76,000주~90,000주(100%)이며, 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152,000주~180,000주(200%), 최고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228,000주~270,000주(300%)까지 청약이 가능하고, 준우대ㆍ우대ㆍ최고우대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38,000주~45,000주(50%)까지 청약 가능합니다.

【 한국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청약단위
50주 이상 ~ 100주 이하 10주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50주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100주
1,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500주
10,000주 초과 1,000주

④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미달을 고려하여 추가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 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범위 내에서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6)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 대표주관회사의 일반청약자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대표주관회사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투자증권㈜ 청약 자격 】
구 분 내 용
청약자격 1) 청약일 초일 전일 현재 당사 청약가능계좌(위탁계좌, 증권저축계좌) 또는 BanKIS Direct 위탁계좌 보유고객2) 청약일 현재 제휴은행 개설 BanKIS 위탁계좌 또는 온라인개설 위탁계좌, 스마트폰 개설 위탁계좌 보유고객
청약 수수료 및청약방법

- 청약수수료

구 분 VIP 골드 프라임 패밀리
On-Line 무료 무료 무료 2,000원
Off-Line 무료 무료 3,000원 5,000원
주1) 청약증거금 환불 시 징수함
주2) 기타 당사가 정하는 특정상품 가입고객의 경우 청약수수료가 면제됨.

< 고객등급별 점수 기준 >
고객등급 점수 기준
VIP 1만점 이상
골드 1천점 이상
프라임 3백점 이상
패밀리 3백점 미만
주) 당사 거래를 통한 자산 및 수익기여도와 기타 거래 가산점 합계로 산출된 고객별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의 4등급으로 구분

- 청약방법On-Line 청약 : HTS, ARS, WTS, 한국투자 스마트폰 App을 이용한 청약Off-Line 청약 : 영업점 내점, 영업점 유선, 고객센터 상담원 연결

청약한도 및우대기준

일반청약자의 경우 준우대ㆍ우대ㆍ최고우대 등급 고객이 아닌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50%인 38,000주~45,000주, 준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100%인 76,000주~90,000주, 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200%인 152,000주~180,000주, 최고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300%인 228,000주~270,000주를 청약한도로 합니다.

◆ 청약한도우대기준◆
등급 구분 내용 청약한도 청약채널 비고
일반 - 준우대, 우대 및 최고우대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 50% 온라인 -
준우대 - 청약 초일 기준 직전월 3개월 평잔 3천만원 이상 또는 청약 초일 기준 직전월 3개월 약정 3천만원 이상 100% 온라인 /오프라인 -
우대(*)

- 청약일 현재 또는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기준 VIP, 골드 등급의 고객- 청약일 기준 당사 퇴직연금(DB형, DC형, IRP계좌)가입 고객단, IRP 계좌는 청약일까지 1천만원 이상 입금 실적이 있는 고객(단, 해지계좌, 입금대기계좌 제외)- 청약 초일 직전 3개월 자산 평잔 5천만원 이상인 고객- 청약 초일 직전 3개월 주식약정 1억원 이상인 고객-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 기준 연금상품 펀드 매입금액이 1천만원 이상인 고객(1) 개인연금펀드, 신연금펀드, 연금저축계좌를 포함하여 실명번호단위로 합산 (퇴직연금, IRP 제외)

(2) MMF, ETF 매입금액은 제외- 청약일 기준 당해년도 ISA중개형계좌 납입금액 순증 1천만원 이상 고객

200% 온라인/오프라인 -
최고우대

- 청약 초일의 전월 기준 아래 2가지 요건을 모두 갖춘 고객(1) 청약 초일 기준 직전 3개월 자산 평잔 1억원 이상(2)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 잔고 5억원 이상

300% 온라인/오프라인 -

* 1가지 이상의 요건 충족 시 우대 한도 적용- 평잔 산정시 제외 항목

구분 내용
예수금 - 청약자예수금(공모주, 실권주, ELS/DLS 등)
유가증권 - 장외주식, 비상장주식- 선물옵션, 해외선물, FX마진

배정 및 잔여주식처리방법 1) 일반청약자가 희망수량을 청약하면 균등배정 물량(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의 50% 이상)을 모든 청약자에게 균등배정하고 나머지를 비례배정하는 일괄청약방식으로 배정합니다.2) 배정 가능한 주식수 한도 내에서 청약경쟁률에 따라 5사 6입을 원칙으로 안분배정합니다.3) 잔여주식이 발생한 경우 추첨을 통해 재배정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 CMA급여계좌 : 급여계좌로 등록하고 급여이체 또는 생활자금을 매월 정기적으로 입금하여 주거래 금융계좌로 사용하는 계좌- 고객등급 조회 방법1) 홈페이지(http://securities.koreainvestment.com) → [고객센터] → [고객등급 조회하기] → [나의 등급 조회하기]2) HTS(e-Friend) → [7802] 화면 (고객등급 조회)
주1) 일반청약자의 청약시 "추가납입"에 대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주2) 균등배정물량에 한하여 청약시 납부한 청약증거금보다 더 많은 수량을 배정받은 경우, 초과수량에 대한 납입대금은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에 일괄 출금되므로 공모주 청약 시 '증거금 초과출금 여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괄 출금시점 :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 오후 4시- 증거금 초과출금에 동의한 고객만 일괄 출금 진행됩니다.- 추가납입금이 부족한 경우 일부만 출금되지 않습니다.- 출금가능금액 부족 시 청약증거금 수량보다 초과되는 균등배정수량은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입금을 하지 않을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됩니다.

(7) 청약사무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한국투자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한국투자증권㈜ 본ㆍ지점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기관투자자 : 공모주식의 70.0%~75.0% (6,398,337주~6,855,361주)를 배정합니다.② 일반청약자 : 공모주식의 25.0%~30.0% (2,285,121주~2,742,145주)를 배정합니다.③ 상기 ①, ②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④ 단,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⑤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와 ㈜이뮨온시아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나. 청약에 관한 사항 - (4) 기관투자자의 청약」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 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따라서 금번 일반청약자 균등방식 예정물량은 1,142,561주 ~ 1,371,073주 이상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나머지 물량을 추첨으로 배정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추첨의 경우 균등방식 배정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가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⑤ 균등방식 배정 이후 일반청약자 배정수량은 일반청약자의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안분배정하고, 배정 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배정 가능한 주식수 한도 내에서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 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대표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⑥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단, 균등배정물량에 한하여 청약시 납부한 청약증거금보다 더 많은 수량을 배정받은 경우, 초과수량에 대한 납입대금은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에 일괄 출금되므로 공모주 청약 시 '증거금 초과출금 여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괄 출금시점 :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 오후 4시- 증거금 초과출금에 동의한 고객만 일괄 출금 진행됩니다.- 추가납입금이 부족한 경우 일부만 출금되지 않습니다.- 출금가능금액 부족 시 청약증거금 수량보다 초과되는 균등배정수량은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입금을 하지 않을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됩니다.

(후략) (주4) 정정 후

(전략)

(5) 청약주식 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한국투자증권㈜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일반청약자배정물량 준우대 등급최고청약한도 청약증거금률
한국투자증권㈜ 2,285,121주 76,000주 50%
주) 한국투자증권㈜의 준우대 등급 고객 최고청약한도는 76,000주(100%)이며, 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152,000주(200%), 최고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228,000주(300%)까지 청약이 가능하고, 준우대ㆍ우대ㆍ최고우대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38,000주(50%)까지 청약 가능합니다.

【 한국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청약단위
50주 이상 ~ 100주 이하 10주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50주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100주
1,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500주
10,000주 초과 1,000주

④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미달을 고려하여 추가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 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범위 내에서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6)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 대표주관회사의 일반청약자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대표주관회사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투자증권㈜ 청약 자격 】
구 분 내 용
청약자격 1) 청약일 초일 전일 현재 당사 청약가능계좌(위탁계좌, 증권저축계좌) 또는 BanKIS Direct 위탁계좌 보유고객2) 청약일 현재 제휴은행 개설 BanKIS 위탁계좌 또는 온라인개설 위탁계좌, 스마트폰 개설 위탁계좌 보유고객
청약 수수료 및청약방법

- 청약수수료

구 분 VIP 골드 프라임 패밀리
On-Line 무료 무료 무료 2,000원
Off-Line 무료 무료 3,000원 5,000원
주1) 청약증거금 환불 시 징수함
주2) 기타 당사가 정하는 특정상품 가입고객의 경우 청약수수료가 면제됨.

< 고객등급별 점수 기준 >
고객등급 점수 기준
VIP 1만점 이상
골드 1천점 이상
프라임 3백점 이상
패밀리 3백점 미만
주) 당사 거래를 통한 자산 및 수익기여도와 기타 거래 가산점 합계로 산출된 고객별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의 4등급으로 구분

- 청약방법On-Line 청약 : HTS, ARS, WTS, 한국투자 스마트폰 App을 이용한 청약Off-Line 청약 : 영업점 내점, 영업점 유선, 고객센터 상담원 연결

청약한도 및우대기준

일반청약자의 경우 준우대ㆍ우대ㆍ최고우대 등급 고객이 아닌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50%인 38,000주, 준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100%인 76,000주, 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200%인 152,000주, 최고우대 등급 고객의 경우 청약한도의 300%인 228,000주를 청약한도로 합니다.

◆ 청약한도우대기준◆
등급 구분 내용 청약한도 청약채널 비고
일반 - 준우대, 우대 및 최고우대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 50% 온라인 -
준우대 - 청약 초일 기준 직전월 3개월 평잔 3천만원 이상 또는 청약 초일 기준 직전월 3개월 약정 3천만원 이상 100% 온라인 /오프라인 -
우대(*)

- 청약일 현재 또는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기준 VIP, 골드 등급의 고객- 청약일 기준 당사 퇴직연금(DB형, DC형, IRP계좌)가입 고객단, IRP 계좌는 청약일까지 1천만원 이상 입금 실적이 있는 고객(단, 해지계좌, 입금대기계좌 제외)- 청약 초일 직전 3개월 자산 평잔 5천만원 이상인 고객- 청약 초일 직전 3개월 주식약정 1억원 이상인 고객-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 기준 연금상품 펀드 매입금액이 1천만원 이상인 고객(1) 개인연금펀드, 신연금펀드, 연금저축계좌를 포함하여 실명번호단위로 합산 (퇴직연금, IRP 제외)

(2) MMF, ETF 매입금액은 제외- 청약일 기준 당해년도 ISA중개형계좌 납입금액 순증 1천만원 이상 고객

200% 온라인/오프라인 -
최고우대

- 청약 초일의 전월 기준 아래 2가지 요건을 모두 갖춘 고객(1) 청약 초일 기준 직전 3개월 자산 평잔 1억원 이상(2) 청약 초일의 전월 말일 잔고 5억원 이상

300% 온라인/오프라인 -

* 1가지 이상의 요건 충족 시 우대 한도 적용- 평잔 산정시 제외 항목

구분 내용
예수금 - 청약자예수금(공모주, 실권주, ELS/DLS 등)
유가증권 - 장외주식, 비상장주식- 선물옵션, 해외선물, FX마진

배정 및 잔여주식처리방법 1) 일반청약자가 희망수량을 청약하면 균등배정 물량(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의 50% 이상)을 모든 청약자에게 균등배정하고 나머지를 비례배정하는 일괄청약방식으로 배정합니다.2) 배정 가능한 주식수 한도 내에서 청약경쟁률에 따라 5사 6입을 원칙으로 안분배정합니다.3) 잔여주식이 발생한 경우 추첨을 통해 재배정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 CMA급여계좌 : 급여계좌로 등록하고 급여이체 또는 생활자금을 매월 정기적으로 입금하여 주거래 금융계좌로 사용하는 계좌- 고객등급 조회 방법1) 홈페이지(http://securities.koreainvestment.com) → [고객센터] → [고객등급 조회하기] → [나의 등급 조회하기]2) HTS(e-Friend) → [7802] 화면 (고객등급 조회)
주1) 일반청약자의 청약시 "추가납입"에 대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주2) 균등배정물량에 한하여 청약시 납부한 청약증거금보다 더 많은 수량을 배정받은 경우, 초과수량에 대한 납입대금은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에 일괄 출금되므로 공모주 청약 시 '증거금 초과출금 여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괄 출금시점 :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 오후 4시- 증거금 초과출금에 동의한 고객만 일괄 출금 진행됩니다.- 추가납입금이 부족한 경우 일부만 출금되지 않습니다.- 출금가능금액 부족 시 청약증거금 수량보다 초과되는 균등배정수량은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입금을 하지 않을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됩니다.

(7) 청약사무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한국투자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한국투자증권㈜ 본ㆍ지점

다.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기관투자자 : 공모주식의 75.0% (6,855,361주) 를 배정합니다.② 일반청약자 : 공모주식의 25.0% (2,285,121주) 를 배정합니다.③ 상기 ①, ②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④ 단,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⑤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와 ㈜이뮨온시아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나. 청약에 관한 사항 - (4) 기관투자자의 청약」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 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따라서 금번 일반청약자 균등방식 예정물량은 1,142,561주 이상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나머지 물량을 추첨으로 배정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추첨의 경우 균등방식 배정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가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⑤ 균등방식 배정 이후 일반청약자 배정수량은 일반청약자의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안분배정하고, 배정 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배정 가능한 주식수 한도 내에서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 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대표주관회사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⑥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단, 균등배정물량에 한하여 청약시 납부한 청약증거금보다 더 많은 수량을 배정받은 경우, 초과수량에 대한 납입대금은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에 일괄 출금되므로 공모주 청약 시 '증거금 초과출금 여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괄 출금시점 :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 오후 4시- 증거금 초과출금에 동의한 고객만 일괄 출금 진행됩니다.- 추가납입금이 부족한 경우 일부만 출금되지 않습니다.- 출금가능금액 부족 시 청약증거금 수량보다 초과되는 균등배정수량은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입금을 하지 않을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됩니다.

(후략) (주5) 정정 전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 인수방법 : 총액인수 】
인 수 인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인수금액주1) 인수조건
명 칭 고유번호 주 소
한국투자증권㈜ 0016014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기명식 보통주9,140,482주 27,421,446,000원 (주2)
주1)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3,000원 ~ 3,600원)의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금번 공모주식의 100.0%(9,140,482주)를 인수합니다.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단위 : 백만원)
구분 대가수령자 금액 금액산정내역 대가수령시기 대가관련 계약 내용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이력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비고
인수수수료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1,977 인수금액 7.0% 납입일 익 영업일 인수계약서 참조 - - 주1)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주2)
성과수수료 - - - - - - - -
기타 - - - - - - - -
주1) 인수수수료는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향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인수수수료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따른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환매청구권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환매청구권)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이하 "의무인수"라 한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기명식보통주 274,215주 822,645,000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주1)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으로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 수량 및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후략) (주5) 정정 후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 인수방법 : 총액인수 】
인 수 인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인수금액주1) 인수조건
명 칭 고유번호 주 소
한국투자증권㈜ 0016014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기명식 보통주9,140,482주 32,905,735,200원 (주2)
주1)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주2)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금번 공모주식의 100.0%(9,140,482주)를 인수합니다.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단위 : 백만원)
구분 대가수령자 금액 금액산정내역 대가수령시기 대가관련 계약 내용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이력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비고
인수수수료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2,373 인수금액 7.0% 납입일 익 영업일 인수계약서 참조 - - 주1)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주2)
성과수수료 - - - - - - - -
기타 - - - - - - - -
주1) 인수수수료는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에 해당합니다.
주2)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따른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환매청구권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환매청구권)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이하 "의무인수"라 한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비 고
한국투자증권㈜ 기명식보통주 274,215주 987,174,000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주1)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주2)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후략) (주6) 정정 전

사. 공모자금 사용에 관한 위험

당사는 신약연구개발회사로서 현재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 신규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IMC-001의 상용화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모자금의 사용은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 나아가 당사의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공모자금의 주된 사용은 당사가 진행하고 있는 임상시험, 관련 임상시약제조, 전임상단계 파이프라인 개발 및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에 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당사는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진행하는 임상시험으로 NKTCL 임상2상 및 TMB-H 임상2상 , 그리고 IMC-002의 임상1상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임상시험에 필요한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전임상 및 신규파이프라인을 개발 및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투입에도 연구개발 실패 또는 시장 경쟁의 강화 등의 요인으로 예상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에게 재무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262억원(발행 제비용 제외) 입니다. 해당 공모자금은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향후 연구개발자금(임상개발운영, 임상시약제조, R&D 비용 등 포함)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임상개발운영 3,322 3,239 6,561
임상시약제조 12,100 1,500 13,600
연구개발 1,150 1,450 2,600
기타연구개발 1,887 1,518 3,405
합 계 18,459 7,707 26,166
주1) 상기 금액은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공모자금은 상기 계획에 따라 연구개발 및 운영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는 각 활동의 총 비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신약연구개발회사로서 현재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 신규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IMC-001의 상용화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모자금의 사용은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 나아가 당사의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임상개발운영자금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을 비롯하여 향후 품목허가신청, 그리고 약가 승인과정에 필수적인 다양한 비용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상전략/운영 위탁연구비는 주로 임상시험의 실행과 관리, 신약의 시장 승인을 위한 규제 요건 충족, 그리고 최종 제품의 가격 결정과 약가 등록을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 비용에 할당됩니다.

임상시험 비용은 신약 후보물질의 안전성 및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필수적이며,국내외 규제 기관의 품목허가승인을 받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품목허가신청과 관련된 비용은 신약의 상업적 제조 및 판매의 허가승인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규제 문서 작성 및 제출 과정에 지출됩니다. 또한, 약가 승인 과정에서는 신약의 가격 책정 및 건강 보험등재를 위한 전략적 접근과 데이터 제공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비용발생이 포함됩니다.- 임상시약제조당사는 IMC-001의 국내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추정 기간 동안 IMC-001 파이프라인에 대한 중요한 CMC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출 항목으로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상업공정개발,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외주 분석 비용, 그리고 표준품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이 밖에도 기타 파이프라인에 대한 시약 생산, 품질관리 등에 일정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연구개발자금

현재 다양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연구개발 활동의 일부를 외부 전문 연구기관에 위탁함으로써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R&D 위탁연구비는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면역원성연구, 독성연구, 영장류시험 등 외부기관이 수행하는 연구의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및 분석의 복잡하고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포괄합니다. 특히, 항체 신약의 경우,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 평가와동물 실험을통한 용량 반응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는 신약의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따라서, 연구개발자금은 회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약개발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투자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투입에도 연구개발 실패 또는 시장 경쟁의 강화 등의 요인으로 예상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에게 재무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사. 공모자금 사용에 관한 위험

당사는 신약연구개발회사로서 현재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 신규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IMC-001의 상용화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모자금의 사용은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 나아가 당사의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공모자금의 주된 사용은 당사가 진행하고 있는 임상시험, 관련 임상시약제조, 전임상단계 파이프라인 개발 및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에 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당사는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진행하는 임상시험으로 NKTCL 임상2상 및 TMB-H 임상2상 , 그리고 IMC-002의 임상1상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임상시험에 필요한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전임상 및 신규파이프라인을 개발 및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투입에도 연구개발 실패 또는 시장 경쟁의 강화 등의 요인으로 예상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에게 재무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314억원(발행 제비용 제외) 입니다. 해당 공모자금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향후 연구개발자금(임상개발운영, 임상시약제조, R&D 비용 등 포함)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임상개발운영 3,322 3,239 2,616 9,177
임상시약제조 12,100 1,500   866 14,466
연구개발 1,150 1,450 650 3,250
기타연구개발 2,197 2,329 - 4,526
합 계 18,769 8,518 4,132 31,419
주1)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공모자금은 상기 계획에 따라 연구개발 및 운영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는 각 활동의 총 비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신약연구개발회사로서 현재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 신규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IMC-001의 상용화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모자금의 사용은 당사의 수익성과 성장성, 나아가 당사의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임상개발운영자금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을 비롯하여 향후 품목허가신청, 그리고 약가 승인과정에 필수적인 다양한 비용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상전략/운영 위탁연구비는 주로 임상시험의 실행과 관리, 신약의 시장 승인을 위한 규제 요건 충족, 그리고 최종 제품의 가격 결정과 약가 등록을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 비용에 할당됩니다.

임상시험 비용은 신약 후보물질의 안전성 및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필수적이며,국내외 규제 기관의 품목허가승인을 받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품목허가신청과 관련된 비용은 신약의 상업적 제조 및 판매의 허가승인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규제 문서 작성 및 제출 과정에 지출됩니다. 또한, 약가 승인 과정에서는 신약의 가격 책정 및 건강 보험등재를 위한 전략적 접근과 데이터 제공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비용발생이 포함됩니다.- 임상시약제조당사는 IMC-001의 국내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추정 기간 동안 IMC-001 파이프라인에 대한 중요한 CMC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출 항목으로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상업공정개발,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외주 분석 비용, 그리고 표준품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이 밖에도 기타 파이프라인에 대한 시약 생산, 품질관리 등에 일정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연구개발자금

현재 다양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연구개발 활동의 일부를 외부 전문 연구기관에 위탁함으로써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R&D 위탁연구비는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면역원성연구, 독성연구, 영장류시험 등 외부기관이 수행하는 연구의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및 분석의 복잡하고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포괄합니다. 특히, 항체 신약의 경우,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 평가와동물 실험을통한 용량 반응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는 신약의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따라서, 연구개발자금은 회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약개발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투자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투입에도 연구개발 실패 또는 시장 경쟁의 강화 등의 요인으로 예상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에게 재무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연구개발 비용기타연구개발비는 연구원의 급여와 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 구매비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원의 급여는 인건비와 마찬가지로 물가상승율 전망치를 적용하여 연도별 급여인상을 산출하였으며, 중장기 연구개발계획을 바탕으로신규연구인력의 증가분을 반영하였습니다.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은 2024년 실제 발생한 연구자재 비용과 25년 연구개발계획 및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여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당사는 예상되는 (1) 임상/허가관련 비용, (2) 연구개발비용, (3) CMC비용, (4) 기타연구개발비용을 공모자금으로 충당하며, 추가로 필요한 자금에 대해서는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등의 유동자산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용투입에도 연구개발 실패 또는 시장 경쟁의 강화 등의 요인으로 예상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당사에게 재무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한국투자증권(주)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274,215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 한국투자증권(주)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내역]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취득후 의무보유기간
한국투자증권㈜ 보통주 274,215 주 822,645,000원 상장 후 3개월
주1) 상기 취득금액은 공모희망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입니다.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274,215주 는 상장일로 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7) 정정 후

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한국투자증권(주)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274,215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 한국투자증권(주)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내역]
취득자 증권의 종류 취득수량 취득금액 취득후 의무보유기간
한국투자증권㈜ 보통주 274,215 주 987,174,000원 상장 후 3개월
주1) 상기 취득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입니다.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274,215주 는 상장일로 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8) 정정 전

바.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자금은 26,166백만원(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000원 기준이며 인수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 기준)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당사 주주에게 유리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연구개발자금 및 운영자금 등의 용도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세 내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

바.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자금은 31,419백만원(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이며 인수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 기준)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당사 주주에게 유리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연구개발자금 및 운영자금 등의 용도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세 내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상대가치법
평가모형 PER
적용 재무수치 추정치
적용산식 추정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 비교대상회사 PER(②) ÷ 주식수(③) × {1-할인율(④)}
적용근거 구분 수치 참고사항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21,163백만원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비교대상회사 PER 19.18 배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주식수 76,571,829 주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주당 평가가액 5,301 원 ① × ② ÷ ③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32.09% ~ 43.40%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공모가 산정결과 3,000원~3,600원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 공모가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내 용
주당 희망 공모가격 3,000원 ~ 3,600원
확정 공모가격결정방법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와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확정 공모가격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 공모가격 범위는 ㈜이뮨온시아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과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중략)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이뮨온시아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같습니다.

【 ㈜이뮨온시아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 분 내 용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5,301원
평가액 대비 할인율 32.09% ~ 43.40%
공모희망가액 밴드 3,000원 ~ 3,600원
확정 공모가액 주2) -
주1) 주당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 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주2)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2022년 이후 기술성장기업 신규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기업명 상장일 할인율(하단) 할인율(상단)
애드바이오텍 2022-01-24 43.90% 35.90%
이지트로닉스 2022-02-04 43.10% 34.10%
스코넥엔터테인먼트 2022-02-04 45.80% 27.80%
바이오에프디엔씨 2022-02-21 36.80% 20.40%
퓨런티어 2022-02-23 37.00% 24.30%
풍원정밀 2022-02-28 32.90% 22.80%
노을 2022-03-03 36.20% 16.50%
모아데이타 2022-03-10 27.90% 15.90%
비플라이소프트 2022-06-20 42.90% 34.20%
보로노이 2022-06-24 44.80% 36.50%
레이저쎌 2022-06-24 27.70% 15.60%
넥스트칩 2022-07-01 42.40% 32.50%
코난테크놀로지 2022-07-07 37.60% 25.70%
영창케미칼 2022-07-14 40.30% 26.00%
루닛 2022-07-21 44.40% 38.10%
에이프릴바이오 2022-07-28 48.10% 40.30%
아이씨에이치 2022-07-29 30.20% 9.70%
에스비비테크 2022-10-17 45.30% 32.90%
샤페론 2022-10-19 48.00% 35.30%
핀텔 2022-10-20 33.40% 21.00%
플라즈맵 2022-10-21 43.90% 31.50%
뉴로메카 2022-11-04 42.10% 30.10%
엔젯 2022-11-18 37.00% 20.20%
인벤티지랩 2022-11-22 33.20% 8.60%
티이엠씨 2023-01-19 32.40% 19.70%
오브젠 2023-01-30 41.60% 22.20%
샌즈랩 2023-02-15 30.50% 14.10%
제이오 2023-02-16 52.70% 38.60%
자람테크놀로지 2023-03-07 40.90% 26.20%
지아이이노베이션 2023-03-30 55.20% 41.20%
마이크로투나노 2023-04-26 31.40% 21.20%
에스바이오메딕스 2023-05-04 57.30% 52.00%
씨유박스 2023-05-19 50.90% 33.80%
모니터랩 2023-05-19 46.90% 30.60%
큐라티스 2023-06-15 53.10% 42.30%
프로테옴텍 2023-06-16 30.70% 15.40%
이노시뮬레이션 2023-07-06 39.20% 29.90%
센서뷰 2023-07-19 49.00% 36.70%
버넥트 2023-07-26 33.90% 21.90%
파로스아이바이오 2023-07-27 56.70% 44.40%
시지트로닉스 2023-08-03 46.50% 40.60%
파두 2023-08-07 36.40% 24.20%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2023-08-10 44.80% 32.00%
스마트레이더시스템 2023-08-22 50.70% 42.20%
시큐레터 2023-08-24 35.70% 25.90%
아이엠티 2023-10-10 47.53% 40.04%
퀄리타스반도체 2023-10-27 34.25% 24.13%
쏘닉스 2023-11-07 46.10% 24.55%
비아이매트릭스 2023-11-09 30.12% 15.53%
큐로셀 2023-11-09 29.88% 21.18%
그린리소스 2023-11-24 37.30% 20.20%
에이텀 2023-12-01 42.56% 25.08%
와이바이오로직스 2023-12-05 47.48% 35.81%
블루엠텍 2023-12-13 36.81% 19.96%
케이웨더 2024-02-22 28.89% 14.08%
이에이트 2024-02-23 40.65% 24.28%
코셈 2024-02-23 28.56% 16.65%
케이엔알시스템 2024-03-07 43.85% 31.37%
삼현 2024-03-21 30.28% 12.93%
엔젤로보틱스 2024-03-26 38.99% 16.81%
아이엠비디엑스 2024-04-03 41.49% 24.77%
디앤디파마텍 2024-05-02 49.49% 40.31%
민테크 2024-05-03 33.77% 13.39%
아이씨티케이 2024-05-17 30.95% 15.02%
라메디텍 2024-06-17 26.75% 10.54%
엑셀세라퓨틱스 2024-07-15 40.19% 25.84%
넥스트바이오메디컬 2024-08-20 42.56% 30.60%
케이쓰리아이 2024-08-20 40.19% 25.84%
이엔셀 2024-08-23 31.96% 23.45%
아이언디바이스 2024-09-23 35.91% 25.45%
셀비온 2024-10-16 51.10% 41.32%
루미르 2024-10-21 36.70% 21.36%
씨메스 2024-10-24 29.76% 15.71%
웨이비스 2024-10-25 27.81% 17.97%
클로봇 2024-10-28 35.51% 25.22%
에이치이엠파마 2024-11-05 35.02% 24.72%
토모큐브 2024-11-07 30.46% 14.51%
에어레인 2024-11-08 40.15% 30.80%
쓰리빌리언 2024-11-14 38.49% 11.15%
에이치이엠파마 2024-11-05 35.02% 24.72%
토모큐브 2024-11-07 30.46% 14.51%
에어레인 2024-11-08 40.15% 30.80%
쓰리빌리언 2024-11-14 38.49% 11.15%
온코크로스 2024-12-18 30.35% 15.18%
온코닉테라퓨틱스 2024-12-19 32.83% 24.44%
쓰리에이로직스 2024-12-24 52.90% 45.40%
파인메딕스 2024-12-26 39.53% 32.81%
와이즈넛 2025-01-24 34.53% 29.08%
아이지넷 2025-02-04 37.39% 26.96%
아이에스티이 2025-02-12 47.50% 38.00%
오름테라퓨틱 2025-02-14 65.27% 72.22%
평균 39.64% 26.77%
주)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은 ㈜이뮨온시아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32.09% ~ 43.40% 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3,000원 ~ 3,6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략) (주9) 정정 후

【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상대가치법
평가모형 PER
적용 재무수치 추정치
적용산식 추정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 비교대상회사 PER(②) ÷ 주식수(③) × {1-할인율(④)}
적용근거 구분 수치 참고사항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21,163백만원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비교대상회사 PER 19.18 배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주식수 76,571,829 주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주당 평가가액 5,301 원 ① × ② ÷ ③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32.09% ~ 43.40%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3)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참고
공모가 산정결과 3,000원~3,600원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이뮨온시아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 공모가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내 용
주당 희망공모가액 3,000원 ~ 3,600원
확정공모가액 3,600원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상기 표에서 제시한 확정 공모가격은 ㈜이뮨온시아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이뮨온시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 공모가격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이뮨온시아가 협의하여 1주당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중략)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이뮨온시아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같습니다.

【 ㈜이뮨온시아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 분 내 용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5,301원
평가액 대비 할인율 32.09% ~ 43.40%
공모희망가액 밴드 3,000원 ~ 3,600원
확정 공모가액 주2) 3,600원
주1) 주당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 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주2)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3,6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2022년 이후 기술성장기업 신규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기업명 상장일 할인율(하단) 할인율(상단)
애드바이오텍 2022-01-24 43.90% 35.90%
이지트로닉스 2022-02-04 43.10% 34.10%
스코넥엔터테인먼트 2022-02-04 45.80% 27.80%
바이오에프디엔씨 2022-02-21 36.80% 20.40%
퓨런티어 2022-02-23 37.00% 24.30%
풍원정밀 2022-02-28 32.90% 22.80%
노을 2022-03-03 36.20% 16.50%
모아데이타 2022-03-10 27.90% 15.90%
비플라이소프트 2022-06-20 42.90% 34.20%
보로노이 2022-06-24 44.80% 36.50%
레이저쎌 2022-06-24 27.70% 15.60%
넥스트칩 2022-07-01 42.40% 32.50%
코난테크놀로지 2022-07-07 37.60% 25.70%
영창케미칼 2022-07-14 40.30% 26.00%
루닛 2022-07-21 44.40% 38.10%
에이프릴바이오 2022-07-28 48.10% 40.30%
아이씨에이치 2022-07-29 30.20% 9.70%
에스비비테크 2022-10-17 45.30% 32.90%
샤페론 2022-10-19 48.00% 35.30%
핀텔 2022-10-20 33.40% 21.00%
플라즈맵 2022-10-21 43.90% 31.50%
뉴로메카 2022-11-04 42.10% 30.10%
엔젯 2022-11-18 37.00% 20.20%
인벤티지랩 2022-11-22 33.20% 8.60%
티이엠씨 2023-01-19 32.40% 19.70%
오브젠 2023-01-30 41.60% 22.20%
샌즈랩 2023-02-15 30.50% 14.10%
제이오 2023-02-16 52.70% 38.60%
자람테크놀로지 2023-03-07 40.90% 26.20%
지아이이노베이션 2023-03-30 55.20% 41.20%
마이크로투나노 2023-04-26 31.40% 21.20%
에스바이오메딕스 2023-05-04 57.30% 52.00%
씨유박스 2023-05-19 50.90% 33.80%
모니터랩 2023-05-19 46.90% 30.60%
큐라티스 2023-06-15 53.10% 42.30%
프로테옴텍 2023-06-16 30.70% 15.40%
이노시뮬레이션 2023-07-06 39.20% 29.90%
센서뷰 2023-07-19 49.00% 36.70%
버넥트 2023-07-26 33.90% 21.90%
파로스아이바이오 2023-07-27 56.70% 44.40%
시지트로닉스 2023-08-03 46.50% 40.60%
파두 2023-08-07 36.40% 24.20%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2023-08-10 44.80% 32.00%
스마트레이더시스템 2023-08-22 50.70% 42.20%
시큐레터 2023-08-24 35.70% 25.90%
아이엠티 2023-10-10 47.53% 40.04%
퀄리타스반도체 2023-10-27 34.25% 24.13%
쏘닉스 2023-11-07 46.10% 24.55%
비아이매트릭스 2023-11-09 30.12% 15.53%
큐로셀 2023-11-09 29.88% 21.18%
그린리소스 2023-11-24 37.30% 20.20%
에이텀 2023-12-01 42.56% 25.08%
와이바이오로직스 2023-12-05 47.48% 35.81%
블루엠텍 2023-12-13 36.81% 19.96%
케이웨더 2024-02-22 28.89% 14.08%
이에이트 2024-02-23 40.65% 24.28%
코셈 2024-02-23 28.56% 16.65%
케이엔알시스템 2024-03-07 43.85% 31.37%
삼현 2024-03-21 30.28% 12.93%
엔젤로보틱스 2024-03-26 38.99% 16.81%
아이엠비디엑스 2024-04-03 41.49% 24.77%
디앤디파마텍 2024-05-02 49.49% 40.31%
민테크 2024-05-03 33.77% 13.39%
아이씨티케이 2024-05-17 30.95% 15.02%
라메디텍 2024-06-17 26.75% 10.54%
엑셀세라퓨틱스 2024-07-15 40.19% 25.84%
넥스트바이오메디컬 2024-08-20 42.56% 30.60%
케이쓰리아이 2024-08-20 40.19% 25.84%
이엔셀 2024-08-23 31.96% 23.45%
아이언디바이스 2024-09-23 35.91% 25.45%
셀비온 2024-10-16 51.10% 41.32%
루미르 2024-10-21 36.70% 21.36%
씨메스 2024-10-24 29.76% 15.71%
웨이비스 2024-10-25 27.81% 17.97%
클로봇 2024-10-28 35.51% 25.22%
에이치이엠파마 2024-11-05 35.02% 24.72%
토모큐브 2024-11-07 30.46% 14.51%
에어레인 2024-11-08 40.15% 30.80%
쓰리빌리언 2024-11-14 38.49% 11.15%
에이치이엠파마 2024-11-05 35.02% 24.72%
토모큐브 2024-11-07 30.46% 14.51%
에어레인 2024-11-08 40.15% 30.80%
쓰리빌리언 2024-11-14 38.49% 11.15%
온코크로스 2024-12-18 30.35% 15.18%
온코닉테라퓨틱스 2024-12-19 32.83% 24.44%
쓰리에이로직스 2024-12-24 52.90% 45.40%
파인메딕스 2024-12-26 39.53% 32.81%
와이즈넛 2025-01-24 34.53% 29.08%
아이지넷 2025-02-04 37.39% 26.96%
아이에스티이 2025-02-12 47.50% 38.00%
오름테라퓨틱 2025-02-14 65.27% 72.22%
평균 39.64% 26.77%
주)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은 ㈜이뮨온시아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32.09% ~ 43.40% 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3,000원 ~ 3,6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후략) (주10) 정정 전

가. 자금조달내역

(단위 : 천원)
구분 금액
총 공 모 금 액 (1) 27,421,446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822,645
발 행 제 비 용 (3) 2,077,744
순 수 입 금 [ (1)+(2)-(3) ] 26,166,347
(주1)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공모가 공모가하단인 3,000원 기준이며, 추후 확정 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근거하여 공모희망가액 3,000원 ~ 3,600원 중 공모가 공모가하단인 3,0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3)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금액 계산근거
인수수수료 1,977,086 공모금액(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7.0%
등록세 548 증자자본금의 0.4%
교육세 110 등록세의 20%
상장심사수수료 - 기술성장기업 면제
상장수수료 - 기술성장기업 면제
기타비용 100,000 IR, 청약공고, 회계법인 확인서한, 전산용역비, 등기 비용 등
합 계 2,077,744 -
주1) 상기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000원 ~ 3,600원 중 공모가 공모가하단인 3,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주2)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3)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제1항제39호 가목에 해당하는 기술성장기업으로서 상장심사수수료 및 상장수수료 면제 대상에 해당합니다.
주4)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10) 정정 후

가. 자금조달내역

(단위 : 천원)
구분 금액
총 공 모 금 액 (1) 32,905,735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987,174
발 행 제 비 용 (3) 2,473,462
순 수 입 금 [ (1)+(2)-(3) ] 31,419,447
(주1)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3,6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근거하여 확정공모가액 3,6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단,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3)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금액 계산근거
인수수수료 2,372,504 공모금액(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7.0%
등록세 548 증자자본금의 0.4%
교육세 110 등록세의 20%
상장심사수수료  - 기술성장기업 면제
상장수수료  - 기술성장기업 면제
기타비용 100,300 IR, 청약공고, 회계법인 확인서한, 전산용역비, 등기 비용 등
합 계 2,473,462 -
주1) 상기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주2)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3)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제1항제39호 가목에 해당하는 기술성장기업으로서 상장심사수수료 및 상장수수료 면제 대상에 해당합니다.
주4)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11) 정정 전

가. 자금의 사용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262억원(발행 제비용 제외)입니다. 해당 공모자금은 2025년 이후의 연구개발비(임상개발비용 및 연구인력 인건비 등 포함) 등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기준일 : 2025년 03월 14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자금 타법인증권취득자금 기타
- - - - - 26,166 26,166
주) 기타는 임상개발운영, 임상시약제조 및 연구개발비용 목적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을 납입 이후 자금사용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자금의 실제 사용시까지 공모자금은 보수적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는 금액에 대해서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의 안정성성이 높은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1금융권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당사의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 ~ 3,600원 중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262억원이며, 향후 2년간 아래와 같은 예상 연구개발비를 충당하기 위해 사용할 계획입니다.당사의 2025년부터 2026년까지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우선순위
임상개발운영 3,322 3,239 6,561 1순위
임상시약제조 12,100 1,500 13,600 2순위
연구개발 1,150 1,450 2,600 3순위
기타연구개발 1,887 1,518 3,405 4순위
합 계 18,459 7,707 26,166 -
주1) 상기 금액은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3,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공모자금은 상기 계획에 따라 연구개발 및 운영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는 각 활동의 총 비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허가 관련비용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IMC-001 NKTCL 임상2상 812 849 1,661
TMB-H 임상2상 1,129 1,225 2,354
소계 1,941 2,074 4,015
IMC-002 고형암임상1상 1,381 1,165 2,546
소계 1,381 1,165 2,546
합계 3,322 3,239 6,561

- IMC-001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의뢰자주도 임상시험으로 진행하고 있는 NKTCL 임상2상 및 TMB-H 임상2상에 대한 비용이 발생됩니다. 그리고 식도암을 대상으로 하는 수술전선행요법의 임상 2상에 대한 비용이 발생될 예정입니다.

NKTCL 임상2상은 대상자 등록이 완료되었으며 등록된 대상자의 치료가 지속중이므로 2027년도까지 비용이 발생됩니다. TMB-H 임상 2상에서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대상자 등록 중에 있으며, 2029년도까지 대상자 등록 및 연구 분석, 각종 위탁 비용이 발생됩니다.

세부적인 항목으로는 중앙 임상 실험실 검사비, 중앙 종양 평가를 위한 영상 분석 비용, 연구자의 인건비 및 대상자 교통비/기관 임상 실험실 검사비, 보험 체결 비용 등의 비용으로 구성되며 또한 특허 및 임상성공률 증가 전략인 생체표지자 발굴 등을 위한 중앙실험실 비용이 있습니다. 이는 각각 생체표지자 전문분석기관의 데이터 도출, 분석, 검체 이동 비용, 검체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임상시험 수탁기관(CRO)에서 진행하는 모니터링 업무, 데이터 관리 업무, 안전성 모니터링(Pharmacovigilance) 업무 등으로 CRO 비용이 아래 테이블 내용과 같이 발생될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임상시험 비용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임상 2상

(NKTCL)

임상시험연구비 276 313 589
CRO 340 340 680
임상시험용 의약품 관리 36 36 72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80 80 160
Central Image Review(중앙 이미지 판독 관리) 80 80 160
소계 812 849 1,661

임상 2상

(TMB-H)

임상시험연구비 363 363 726
CRO 367 367 734
임상시험용 의약품 관리 76 76 152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234 234 468
Central Image Review(중앙 이미지 판독 관리) 90 90 180
통계 분석 - 94 94
소계 1,129 1,225 2,354
합 계 1,941 2,074 4,015

- IMC-002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의뢰자주도 임상시험으로 진행하고 있는 1상 임상시험에 대한비용이 발생됩니다. 1상 임상에서 가장 최적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고형암종을 찾기 위해 2가지의 코호트를 임상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진행중인 고형암에서 보이는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고형암종 코호트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1상의 임상시험연구비의 경우 임상 실험실 검사비, 교통비, 연구자의 인건비인 직접비용과 직접비의 20%가 간접비로 책정되어 구성되게 됩니다. 본 임상시험은 시험대상자 등재를 위한 스크리닝 비용도 포함된 임상시험연구비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CRO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임상 기관 방문 및 모니터링, 문서 작성, 데이터 관리, 안전성 평가 확인, 프로텍트 관리 등의 절차를 수행하는 대가로 책정되었습니다.

또한 특허 및 임상성공률 증가 전략인 생체표지자 발굴 등을 위한 중앙실험실 비용이있습니다. 이는 각각 생체표지자 전문분석기관의 데이터 도출, 분석, 검체 이동 비용,검체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기타 비용으로는 국내외 학회 발표를 위한 분석, 검토, 통계서비스, 의학 문서 작성 등의 절차를 수행하는 대가로 책정되었습니다.

(단위: 백만원)
임상시험 비용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IMC-002 임상시험연구비 781 565 1,346
CRO 400 400 800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150 150 300
기타 50 50 100
소계 1,381 1,165 2,546

(2) 연구개발비용

현재 다양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연구개발 활동의 일부를 외부 전문 연구기관에 위탁함으로써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확보하고 있습니다. R&D 위탁연구비는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면역원성연구, 독성연구, 영장류시험 등 외부기관이 수행하는 연구의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및 분석의 복잡하고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포괄합니다. 특히, 항체 신약의 경우,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 평가와 동물 실험을통한 용량 반응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는 신약의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따라서, R&D 위탁연구비는 회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약개발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투자로 간주됩니다. 다음은 동사 파이프라인별 R&D 위탁연구비 추정액입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IMC-201 면역원성 시험 80 - 80
기전연구 50 - 50
생물학적 표지연구 - 100 100
독성연구 50 - 50
영장류시험 70 200 270
특허출원 - 100 100
소계 250 400 650
IMC-202 영장류시험 250 - 250
소계 250 - 250
IOH-005 설치류시험 10 - 10
영장류시험 70 100 170
독성연구 20 200 220
면역원성 시험 50 - 50
특허출원 50 - 50
기전연구 - 50 50
약동학시험 - 50 50
소계 200 400 600
IOH-006 기전연구 60 - 60
면역원성 시험 20 30 50
영장류시험 60 120 180
독성연구 30 200 230
특허출원 30 - 30
약동학시험 - 50 50
소계 200 400 600
신규파이프라인 발굴 250 250 500
합계 1,150 1,450 2,600

(3) CMC 비용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의 개념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약품 개발 과정에서 품질, 안전성 및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 및 기준을 설명하는 제약 산업 용어 의약품 개발과 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약품의 품질, 안전성,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모든 과학적 정보와 절차를 포함합니다. 제약 산업 내에서 CMC는 다음과 같은 주요 영역을 포괄합니다.

- Chemistry (화학적 구성): 약품의 화학적 특성 및 구성 요소를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에는 원료의 품질과 순도,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테스트, 그리고 약품의 제형(예: 정제, 캡슐, 액체 등)이 포함됩니다.

- Manufacturing (제조 과정): 의약품의 생산 방법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다룹니다. 여기에는 제조 공정의 설계, 장비 사용, 규모 확장, 그리고 생산 공정의 표준화 및 일관성 유지가 포함됩니다.

- Controls (품질 관리): 의약품이 특정 기준을 충족하도록 품질 보증 및 관리 절차를 마련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에는 테스트 프로토콜, 분석 방법, 품질 보증 시스템, 생산 중 샘플링 및 결과 기록이 포함됩니다.

CMC는 FDA 및 국제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입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CMC 문서는 약품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하며, 생산 과정의 일관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특히 신약이 시판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품질 유지 및 규정 준수를 위한 CMC 활동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IMC-001의 국내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추정 기간 동안 IMC-001 파이프라인에 대한 중요한 CMC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출 항목으로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상업공정개발,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외주 분석 비용, 그리고 표준품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며 각 비용 지출 항목의 주요 성격은 다음과같습니다.

-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A사): IMC-001의 주요 원료 및 중간체는 A사에서 생산될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고품질 원료의 확보와 생산 기술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며, 제품의 일관된 효능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출될 예정입니다.- 상업공정개발: 품목허가신청은 IMC-001의 상업적 생산 승인을 받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품목허가신청을 위해서 발생하는 비용은 규제 문서의 준비 및 제출, 데이터의 정리 및 분석, 그리고 규제 기관 관련 비용 등으로 구성됩니다.

-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완제품의 배송 및 보관, 그리고 장기 보관을 위한 시설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도 포함됩니다. 이는 제품의 시장 출시 준비와 품질 유지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외주분석 및 표준품 보관 비용: 의약품의 품질확인을 위한 분석 및 표준품 보관에 필요한 비용으로 제품 안정성 및 유효성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비용을 포함합니다.

이 밖에도 기타 파이프라인에 대한 시약 생산, 품질관리 등에 일정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IMC-001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4,300 - 4,300
보관 및 운반비 270 320 590
외주 분석비용 100 150 250
표준품 보관비용 30 30 60
소계 4,700 500 5,200
IMC-002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5,600 - 5,600
보관 및 운반비 200 300 500
외주 분석비용 400 - 400
안정성 시험 200 200 400
소계 6,400 500 6,900
IMC-201 세포주제작 600 - 600
품질관리 - 250 250
소계 600 250 850
IMC-202 세포주제작 400 - 400
품질관리 - 250 250
소계 400 250 650
합계 12,100 1,500 13,600

당사는 IMC-001과 IMC-002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2025년도에 생산을 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생산된 임상시험용 의약품은 당사의 임상계획에 따라서 2026년까지 임상시험에 투입될 계획이어서 2026년도에는 추가 생산 계획이 없습니다.

(4) 기타연구개발 비용기타연구개발비는 연구원의 급여와 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 구매비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원의 급여는 인건비와 마찬가지로 물가상승율 전망치를 적용하여 연도별 급여인상을 산출하였으며, 중장기 연구개발계획을 바탕으로신규연구인력의 증가분을 반영하였습니다.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은 2024년 실제 발생한 연구자재 비용과 25년 연구개발계획 및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여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연구원급여 903 475 1,378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 984 1,043 2,027
합계 1,887 1,518 3,405

당사는 예상되는 (1) 임상/허가관련 비용, (2) 연구개발비용, (3) CMC비용, (4) 기타연구개발비용을 공모자금으로 충당하며, 추가로 필요한 자금에 대해서는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등의 유동자산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주11) 정정 후

가. 자금의 사용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314 억원(발행 제비용 제외)입니다. 해당 공모자금은 2025년 이후의 연구개발비(임상개발비용 및 연구인력 인건비 등 포함) 등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기준일 : 2025년 04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자금 타법인증권취득자금 기타
- - - - - 31,419 31,419
주) 기타는 임상개발운영, 임상시약제조 및 연구개발비용 목적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을 납입 이후 자금사용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자금의 실제 사용시까지 공모자금은 보수적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는 금액에 대해서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의 안정성성이 높은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1금융권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당사의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으로 계산한 공모로 인한 순수입금은 약 314 억원이며, 향후 3년 간 아래와 같은 예상 연구개발비를 충당하기 위해 사용할 계획입니다.당사의 2025년부터 2027년 까지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우선순위
임상개발운영 3,322 3,239 2,616 9,177 1순위
임상시약제조 12,100 1,500   866 14,466 2순위
연구개발 1,150 1,450 650 3,250 3순위
기타연구개발 2,197 2,329 - 4,526 4순위
합 계 18,769 8,518 4,132 31,419 -
주1)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2) 공모자금은 상기 계획에 따라 연구개발 및 운영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는 각 활동의 총 비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허가 관련비용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IMC-001 NKTCL 임상2상 812 849 500 2,161
TMB-H 임상2상 1,129 1,225 1,296 3,650
소계 1,941 2,074 1,796 5,811
IMC-002 고형암임상1상 1,381 1,165 820 3,366
소계 1,381 1,165 820 3,366
합계 3,322 3,239 2,616 9,177

- IMC-001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의뢰자주도 임상시험으로 진행하고 있는 NKTCL 임상2상 및 TMB-H 임상2상에 대한 비용이 발생됩니다. 그리고 식도암을 대상으로 하는 수술전선행요법의 임상 2상에 대한 비용이 발생될 예정입니다.

NKTCL 임상2상은 대상자 등록이 완료되었으며 등록된 대상자의 치료가 지속중이므로 2027년도까지 비용이 발생됩니다. TMB-H 임상 2상에서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대상자 등록 중에 있으며, 2029년도까지 대상자 등록 및 연구 분석, 각종 위탁 비용이 발생됩니다.

세부적인 항목으로는 중앙 임상 실험실 검사비, 중앙 종양 평가를 위한 영상 분석 비용, 연구자의 인건비 및 대상자 교통비/기관 임상 실험실 검사비, 보험 체결 비용 등의 비용으로 구성되며 또한 특허 및 임상성공률 증가 전략인 생체표지자 발굴 등을 위한 중앙실험실 비용이 있습니다. 이는 각각 생체표지자 전문분석기관의 데이터 도출, 분석, 검체 이동 비용, 검체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임상시험 수탁기관(CRO)에서 진행하는 모니터링 업무, 데이터 관리 업무, 안전성 모니터링(Pharmacovigilance) 업무 등으로 CRO 비용이 아래 테이블 내용과 같이 발생될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임상시험 비용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임상 2상

(NKTCL)

임상시험연구비 276 313 150 739
CRO 340 340 240 920
임상시험용 의약품 관리 36 36 18 90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80 80 - 160
Central Image Review(중앙 이미지 판독 관리) 80 80 - 160
통계분석 92 92
소계 812 849 500 2,161

임상 2상

(TMB-H)

임상시험연구비 363 363 363 1,089
CRO 367 367 367 1,101
임상시험용 의약품 관리 76 76 76 228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234 234 298 766
Central Image Review(중앙 이미지 판독 관리) 90 90 90 270
통계 분석 - 94 94 188
보험 - - 8 8
소계 1,129 1,225 1,296 3,650
합 계 1,941 2,074 1,796 5,811

- IMC-002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의뢰자주도 임상시험으로 진행하고 있는 1상 임상시험에 대한비용이 발생됩니다. 1상 임상에서 가장 최적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고형암종을 찾기 위해 2가지의 코호트를 임상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진행중인 고형암에서 보이는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고형암종 코호트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1상의 임상시험연구비의 경우 임상 실험실 검사비, 교통비, 연구자의 인건비인 직접비용과 직접비의 20%가 간접비로 책정되어 구성되게 됩니다. 본 임상시험은 시험대상자 등재를 위한 스크리닝 비용도 포함된 임상시험연구비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CRO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임상 기관 방문 및 모니터링, 문서 작성, 데이터 관리, 안전성 평가 확인, 프로텍트 관리 등의 절차를 수행하는 대가로 책정되었습니다.

또한 특허 및 임상성공률 증가 전략인 생체표지자 발굴 등을 위한 중앙실험실 비용이있습니다. 이는 각각 생체표지자 전문분석기관의 데이터 도출, 분석, 검체 이동 비용,검체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기타 비용으로는 국내외 학회 발표를 위한 분석, 검토, 통계서비스, 의학 문서 작성 등의 절차를 수행하는 대가로 책정되었습니다.

(단위: 백만원)
임상시험 비용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IMC-002 임상시험연구비 781 565 420 1,766
CRO 400 400 200 1,000
Central Laboratory 관리(중앙 실험실 관리) 150 150 150 450
기타 50 50 50 150
소계 1,381 1,165 820 3,366

(2) 연구개발비용

현재 다양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연구개발 활동의 일부를 외부 전문 연구기관에 위탁함으로써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확보하고 있습니다. R&D 위탁연구비는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면역원성연구, 독성연구, 영장류시험 등 외부기관이 수행하는 연구의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및 분석의 복잡하고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포괄합니다. 특히, 항체 신약의 경우,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 평가와 동물 실험을통한 용량 반응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는 신약의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따라서, R&D 위탁연구비는 회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약개발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투자로 간주됩니다. 다음은 동사 파이프라인별 R&D 위탁연구비 추정액입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IMC-201 면역원성 시험 80 - - 80
기전연구 50 - - 50
생물학적 표지연구 - 100 - 100
독성연구 50 - - 50
영장류시험 70 200 - 270
특허출원 - 100 - 100
소계 250 400 - 650
IMC-202 영장류시험 250 - - 250
소계 250 - - 250
IOH-005 설치류시험 10 - - 10
영장류시험 70 100 - 170
독성연구 20 200 - 220
면역원성 시험 50 - - 50
특허출원 50 - - 50
기전연구 - 50 - 50
약동학시험 - 50 - 50
특허등록 - - 100 100
바이오마커스터디 - - 100 100
소계 200 400 200 800
IOH-006 기전연구 60 - - 60
면역원성 시험 20 30 - 50
영장류시험 60 120 - 180
독성연구 30 200 - 230
특허출원 30 - - 30
약동학시험 - 50 - 50
특허등록 - - 100 100
바이오마커스터디 - - 100 100
소계 200 400 200 800
신규파이프라인 발굴 250 250 250 750
합계 1,150 1,450 650 3,250

(3) CMC 비용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의 개념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약품 개발 과정에서 품질, 안전성 및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 및 기준을 설명하는 제약 산업 용어 의약품 개발과 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약품의 품질, 안전성,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모든 과학적 정보와 절차를 포함합니다. 제약 산업 내에서 CMC는 다음과 같은 주요 영역을 포괄합니다.

- Chemistry (화학적 구성): 약품의 화학적 특성 및 구성 요소를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에는 원료의 품질과 순도,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테스트, 그리고 약품의 제형(예: 정제, 캡슐, 액체 등)이 포함됩니다.

- Manufacturing (제조 과정): 의약품의 생산 방법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다룹니다. 여기에는 제조 공정의 설계, 장비 사용, 규모 확장, 그리고 생산 공정의 표준화 및 일관성 유지가 포함됩니다.

- Controls (품질 관리): 의약품이 특정 기준을 충족하도록 품질 보증 및 관리 절차를 마련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에는 테스트 프로토콜, 분석 방법, 품질 보증 시스템, 생산 중 샘플링 및 결과 기록이 포함됩니다.

CMC는 FDA 및 국제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입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CMC 문서는 약품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하며, 생산 과정의 일관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특히 신약이 시판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품질 유지 및 규정 준수를 위한 CMC 활동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IMC-001의 국내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추정 기간 동안 IMC-001 파이프라인에 대한 중요한 CMC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출 항목으로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상업공정개발,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외주 분석 비용, 그리고 표준품 보관 비용 등이 포함되며 각 비용 지출 항목의 주요 성격은 다음과같습니다.

-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A사): IMC-001의 주요 원료 및 중간체는 A사에서 생산될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고품질 원료의 확보와 생산 기술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며, 제품의 일관된 효능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출될 예정입니다.- 상업공정개발: 품목허가신청은 IMC-001의 상업적 생산 승인을 받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품목허가신청을 위해서 발생하는 비용은 규제 문서의 준비 및 제출, 데이터의 정리 및 분석, 그리고 규제 기관 관련 비용 등으로 구성됩니다.

- 제품의 물류 및 보관: 완제품의 배송 및 보관, 그리고 장기 보관을 위한 시설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도 포함됩니다. 이는 제품의 시장 출시 준비와 품질 유지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외주분석 및 표준품 보관 비용: 의약품의 품질확인을 위한 분석 및 표준품 보관에 필요한 비용으로 제품 안정성 및 유효성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비용을 포함합니다.

이 밖에도 기타 파이프라인에 대한 시약 생산, 품질관리 등에 일정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합계
IMC-001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4,300 -  - 4,300
보관 및 운반비 270 320 186 776
외주 분석비용 100 150 150 400
표준품 보관비용 30 30 30 90
소계 4,700 500 366 5,566
IMC-002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5,600 -  - 5,600
보관 및 운반비 200 300  - 500
외주 분석비용 400 -  - 400
안정성 시험 200 200  - 400
소계 6,400 500  - 6,900
IMC-201 세포주제작 600 -  - 600
품질관리 - 250 250 500
소계 600 250 250 1,100
IMC-202 세포주제작 400 -  - 400
품질관리 - 250 250 500
소계 400 250 250 900
합계 12,100 1,500 866 14,466

당사는 IMC-001과 IMC-002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2025년도에 생산을 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생산된 임상시험용 의약품은 당사의 임상계획에 따라서 2026년까지 임상시험에 투입될 계획이어서 2026년도에는 추가 생산 계획이 없습니다.

(4) 기타연구개발 비용기타연구개발비는 연구원의 급여와 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 구매비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원의 급여는 인건비와 마찬가지로 물가상승율 전망치를 적용하여 연도별 급여인상을 산출하였으며, 중장기 연구개발계획을 바탕으로신규연구인력의 증가분을 반영하였습니다.연구목적의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은 2024년 실제 발생한 연구자재 비용과 25년 연구개발계획 및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여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5년 2026년 합계
연구원급여 903 924 1,827
연구자재(소모품, 세포, 시약등) 1,294 1,405 2,699
합계 2,197 2,329 4,526

당사는 예상되는 (1) 임상/허가관련 비용, (2) 연구개발비용, (3) CMC비용, (4) 기타연구개발비용을 공모자금으로 충당하며, 추가로 필요한 자금에 대해서는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등의 유동자산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4월 18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