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28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 발행결정)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4년 08월 23일 |
3. 정정사항 |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9-1 옵션에 관한 사항 | 콜옵션 변경계약에 따른 정정 | 나.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권리자")는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인 2025년 08월 27일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6년 08월27일까지, 매 3개월 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일")마다,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로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상사채 중 대상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권리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 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 나.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권리자")는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인 2025년 08월 27일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6년 08월27일까지, 매 1개월 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일")마다,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로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상사채 중 대상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권리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 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 ||||||||||||||||||||||||||||||||||||||||||||||||||||||||||||||||||||||||||||||||||||||||||||||||||||||||
(2)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 상동 | 1.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권리자")는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인 2025년 08월 27일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6년 08월27일까지, 매 3개월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일")마다,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로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상사채 중 대상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권리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 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이 대상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대상사채를 최대주주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등은 대상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 1.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권리자")는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인 2025년 08월 27일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6년 08월27일까지, 매 1개월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일")마다,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로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상사채 중 대상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권리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 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이 대상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대상사채를 최대주주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등은 대상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 ||||||||||||||||||||||||||||||||||||||||||||||||||||||||||||||||||||||||||||||||||||||||||||||||||||||||
2. 권리자는 각 매매일의 60일전부터 30일전까지(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사이에 사채권자에게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 및 매매일을 기재한 서면통지의 방법으로 매도청구권(Call Option)을 행사하여야 한다. 단,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하며,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종료일은 조기상환청구 행사기간 등을 고려하여 2026년 07월 24일까지로 특정한다.[표1] | 2. 권리자는 각 매매일의 20일전부터 10일전까지(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사이에 사채권자에게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 및 매매일을 기재한 서면통지의 방법으로 매도청구권(Call Option)을 행사하여야 한다. 단,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세부적인 행사기간과 매매일은 아래 표에 의한다 | ||||||||||||||||||||||||||||||||||||||||||||||||||||||||||||||||||||||||||||||||||||||||||||||||||||||||||
|
|
||||||||||||||||||||||||||||||||||||||||||||||||||||||||||||||||||||||||||||||||||||||||||||||||||||||||||
4. 권리자의 매도청구권 행사에 따른 대상사채의 매매대금은,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전자등록금액 및 이에 대해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매매일까지 3개월 단위연 복리 2.5%를 적용한 금액으로 한다. | 4. 권리자의 매도청구권 행사에 따른 대상사채의 매매대금은,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전자등록금액 및 이에 대해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매매일까지 1개월 단위 연 복리 3%를 적용한 금액으로 한다. | ||||||||||||||||||||||||||||||||||||||||||||||||||||||||||||||||||||||||||||||||||||||||||||||||||||||||||
주) 펀드별 상세내역 | 투자사의 투자자산 이관으로 정정 |
|
|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 2024년 08월 23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누보 | |
대 표 이 사 : | 김창균, 이경원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89 | |
(전 화) 031-295-6189 | ||
(홈페이지)http://www.nousb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문장 | (성 명)조창우 |
(전 화)031-295-6189 | ||
1. 사채의 종류 | 회차 | 종류 | |||
2.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 (원) | |||||
2-1. 정관상 잔여 발행한도 (원) | |||||
2-2. (해외발행) | 권면(전자등록)총액(통화단위) | ||||
기준환율등 | |||||
발행지역 | |||||
해외상장시 시장의 명칭 | |||||
3.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
영업양수자금 (원) | |||||
운영자금 (원) | |||||
채무상환자금 (원) |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원) | |||||
기타자금 (원) | |||||
4.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 ||||
만기이자율 (%) | |||||
5. 사채만기일 | |||||
6. 이자지급방법 | |||||
7. 원금상환방법 | |||||
8. 사채발행방법 | |||||
9.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 ||||
전환가액 (원/주) | |||||
전환가액 결정방법 | |||||
전환에 따라발행할 주식 | 종류 | ||||
주식수 | |||||
주식총수 대비비율(%) | |||||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
종료일 | |||||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
시가하락에따른전환가액조정 | 최저 조정가액 (원) | ||||
최저 조정가액 근거 | |||||
발행당시 전환가액의70% 미만으로조정가능한 잔여발행한도 (원) | |||||
9-1. 옵션에 관한 사항 | |||||
10. 합병 관련 사항 | |||||
11. 청약일 | |||||
12. 납입일 | |||||
13. 납입방법 | |||||
14. 대표주관회사 | |||||
15. 보증기관 | |||||
16. 담보제공에 관한 사항 | |||||
1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
불참 (명)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
18.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
19.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
20. 당해 사채의 해외발행과 연계된 대차거래 내역 - 목적, 주식수, 대여자 및 차입자 인적사항,예정처분시기, 대차조건(기간, 상환조건, 이율),상환방식, 당해 전환사채 발행과의 연계성, 수수료 등 | |||||
2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22.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1)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가. 조기상환율 및 조기상환청구기간: 사채권자는 조기상환기일 60일전부터 30일전까지(이하 "조기상환청구기간") 사이에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 청구를 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구분 | 조기상환청구기간 | 조기상환기일 | 조기상환율 | |
FROM | TO | |||
1차 | 2026-06-28 | 2026-07-28 | 2026-08-27 | 104.0707% |
2차 | 2026-09-28 | 2026-10-28 | 2026-11-27 | 104.5910% |
3차 | 2026-12-29 | 2027-01-28 | 2027-02-27 | 105.1140% |
4차 | 2027-03-28 | 2027-04-27 | 2027-05-27 | 105.6395% |
5차 | 2027-06-28 | 2027-07-28 | 2027-08-27 | 106.1677% |
6차 | 2027-09-28 | 2027-10-28 | 2027-11-27 | 106.6986% |
7차 | 2027-12-29 | 2028-01-28 | 2028-02-27 | 107.2321% |
8차 | 2028-03-28 | 2028-04-27 | 2028-05-27 | 107.7682% |
9차 | 2028-06-28 | 2028-07-28 | 2028-08-27 | 108.3071% |
10차 | 2028-09-28 | 2028-10-28 | 2028-11-27 | 108.8486% |
11차 | 2028-12-29 | 2029-01-28 | 2029-02-27 | 109.3928% |
12차 | 2029-03-28 | 2029-04-27 | 2029-05-27 | 109.9398% |
나. 조기상환 청구장소: 발행회사의 본점
다. 조기상환 지급장소: 하나은행 수원금융센터지점
라. 조기상환 청구절차: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사채권자는 본 사채가 주식·사채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 제22조 제2항에 따라 작성되는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청구하고, 전자증권법 제23조 제2항에 따라 작성되는 자기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청구하며, 한국예탁결제원이 이를 취합하여 청구장소에 청구한다.
(2)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권리자")는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인 2025년 08월 27일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6년 08월27일까지, 매 1개월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일")마다,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로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상사채 중 대상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권리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 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이 대상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대상사채를 최대주주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등은 대상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2. 권리자는 각 매매일의 20일전부터 10일전까지(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사이에 사채권자에게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 및 매매일을 기재한 서면통지의 방법으로 매도청구권(Call Option)을 행사하여야 한다. 단,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세부적인 행사기간과 매매일은 아래 표에 의한다
구분 |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 매매일 | 행사금액 | 비고 | |
---|---|---|---|---|---|
FROM | TO | ||||
1 | 2025-08-07 | 2025-08-17 | 2025년 8월 27일 수 | 103.0416% | 연리3% 복리적용 |
2 | 2025-09-06 | 2025-09-16 | 2025년 9월 26일 금 | 103.2992% | |
3 | 2025-10-04 | 2025-10-14 | 2025년 10월 24일 금 | 103.5574% | |
4 | 2025-11-06 | 2025-11-16 | 2025년 11월 26일 수 | 103.8163% | |
5 | 2025-12-06 | 2025-12-16 | 2025년 12월 26일 금 | 104.0759% | |
6 | 2026-01-06 | 2026-01-16 | 2026년 1월 26일 월 | 104.3361% | |
7 | 2026-02-06 | 2026-02-16 | 2026년 2월 26일 목 | 104.5969% | |
8 | 2026-03-06 | 2026-03-16 | 2026년 3월 26일 목 | 104.8584% | |
9 | 2026-04-04 | 2026-04-14 | 2026년 4월 24일 금 | 105.1206% | |
10 | 2026-05-06 | 2026-05-16 | 2026년 5월 26일 화 | 105.3834% | |
11 | 2026-06-06 | 2026-06-16 | 2026년 6월 26일 금 | 105.6468% | |
12 | 2026-07-04 | 2026-07-14 | 2026년 7월 24일 금 | 105.9109% | |
13 | 2026-08-06 | 2026-08-16 | 2026년 8월 26일 수 | 106.1757% |
3. 권리자가 제2항에 따라 서면으로 매도청구권 행사를 통지하는 경우, 당해 서면이 사채권자에게 도달한 시점에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에 관한 사채매매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보며, 그에 따른 매매대금의 지급 및 사채의 이전은 매매일에 이루어져야 한다. 매도청구권을 행사한 권리자가 매매일까지 매매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할 경우, 해당 권리자는 지급하지 아니한 금액에 대하여 매매일의 다음날부터 실제 매매대금을 지급하는 날까지 연복리 12%를 적용하여 계산한 연체이자를 지급하여야 한다.
4. 권리자의 매도청구권 행사에 따른 대상사채의 매매대금은, 매도청구권 행사대상 사채의 전자등록금액 및 이에 대해 대상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매매일까지 1개월 단위 연 복리 3%를 적용한 금액으로 한다.
5. 사채권자는 발행일로부터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종료일까지 전자등록총액을 기준으로 전자등록총액의 30%를 사채의 형태로 보유하여야 하며, 제3자에게 대상사채를 양도하는 경우에도 제3자가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종료일까지 양수한 전자등록총액의 30%를 사채의 형태로 보유할 의무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권리자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여야 한다. 권리자는 사채권자가 보유한 대상사채의 전자등록금액 합계의 30% 이내에서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6. 권리자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채권자는 대상사채를 제3자에게 양도할 경우 발행회사에 사채의 양도에 관한 사항을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하여야 한다.
7. 매도청구권 행사기간에 매도청구권 및 본건 전환사채 인수계약 제2조 12항에 명시된 조기상환청구권이 동시에 행사되는 경우 조기상환청구권이 우선한다. (3)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 상실 가. 발행회사의 기한이익 상실사유 : 발행회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유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한 경우 본 사채의 미상환 총액에 관하여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고, 사채권자는 해당 사채의 미상환 원금(전자등록금액) 및 이에 대하여 사채 발행일로부터 기한이익 상실 사유가 발생한 날까지의 기간에 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1항 제9호에 따른 만기보장수익률을 적용하여 산출한 이자 전액을 합산한 금액을 기한의 이익이 상실된 날의 익영업일부터 5영업일 이내에 사채권자에게 지급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회사는 기한의 이익상실 사유가 발생한 사실을 공고하고 사채권자에게 이를 지체없이 통지하여야 한다. 단, 사채권자의 전원 동의가 있는 경우 기한이익의 상실의 기한을 정하여 유예할 수 있다.1) 발행회사가 발행한 어음, 수표의 지급정지 또는 어음교환소의 거래정지처분을 받거나 채무불이행명부등재 신청이 있는 등 발행회사가 지급불능 또는 지급정지의 상태에 이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2) 발행회사가 휴업 또는 폐업하거나 발행회사에게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법원의 해산명령 또는 해산판결이 있거나 발행회사의 주주총회에서 해산, 청산의 결의를 한 경우, 감독관청으로부터 중요한 영업에 대한 영업정지 또는 취소가 있는 경우(다만, 감독기관의 행정처분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영업정지의 경우는 제외한다)
3) 발행회사의 파산 또는 회생 절차의 개시 신청이 있거나,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른 부실징후기업 통보를 받거나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관리 신청이 있는 경우
4) 발행회사의 최근 사업년도말 연결기준 자산총액의 20% 이상에 대한 압류, 강제집행, 가압류, 가처분이 선고되고, 90일 이내에 취소되지 않은 경우
5) 발행회사가 사업장부의 내용을 중대하게 허위 기재하거나 은폐시킨 경우
6) 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5조의 진술 및 보장 사항에 중대한 허위, 부정확 또는 누락이 있거나,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8조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권 및 협의권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7) 발행회사의 임직원이 발행회사와 관련한 (업무상)횡령죄, (업무상)배임죄, 배임수증재죄, 뇌물공여죄 등으로 발행회사에 중대한 손실을 초래하였거나 형사 처벌을 받은 경우
8) 발행회사의 외부감사인이 발행회사에 대한 감사보고서 또는 반기검토보고서상(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또는 검토 의견 포함) '적정' 의견 이외의 의견을 부여하는 경우
9) 발행회사의 본 사채 이외의 채무 중 지급기일이 도래한 원리금의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채무불이행 등으로 인하여 기한의 이익 상실사유가 발생하거나 당해 채무에 관한 담보권이 실행된 경우
10) 발행회사가 본 사채 인수계약서상 사채원리금의 상환 의무, 확약사항 기타 의무(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8조에 따른 의무를 포함)를 중대하게 위반하고, 그 위반에 대하여 사채권자가 그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15영업일 이내로 시정하지 않는 경우 또는 발행회사 및/또는 발행회사의 특수관계인(계열회사, 관계회사, 임직원 등을 포함함, 이하 본 항에서 같음)이 본 계약과 관련하여 사채권자과 체결한 어떠한 계약이나 합의(이하 "부속계약")상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본 계약에서 정한 본 사채 금액 납입 전 의무를 위반하였던 것이 사후적으로 발견된 경우 포함)
11) 발행회사가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발행회사의 주식이 상장 폐지되거나 또는 상장폐지를 위한 실질심사가 진행될 경우 또는 발행회사의 주식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서 20거래일 연속으로 거래가 정지되는 경우. 단, 발행회사의 일정한 회사법적 행위로 인해, 법규 및 한국거래소규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일시적 거래정지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12) 발행회사가 사채권자에게 제공한 자료 등에 그 중요 부분에 있어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거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이 있을 경우(단, 추정재무제표 등 미래사항의 추정에 대한 자료는 제외)
나. 발행회사가 가목에 따라 지급하여야 할 원금 및 이자를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가목의 기한이익 상실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실제 지급하는 날 까지 본 사채 인수계약서 제13호의 이율을 적용한 지연배상금을 지급한다.
【특정인에 대한 대상자별 사채발행내역】 |
발행 대상자명 |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관계 | 선정경위 | 발행결정 전후6월이내거래내역 및계획 | 발행권면(전자등록)총액(원) | 비고 |
---|---|---|---|---|---|
주) 펀드별 상세내역
구분 | 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업자 |
본건 펀드 1 |
DB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4호 | DB자산운용㈜ |
본건 펀드 2 |
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9호 | 라이프자산운용㈜ |
본건 펀드 3 |
라이프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0호 | 라이프자산운용㈜ |
본건 펀드 4 |
슬기 코스닥벤처 하모니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제4호[혼합주식] | 슬기자산운용㈜ |
본건 펀드 5 |
슬기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제6호 | 슬기자산운용㈜ |
본건 펀드 6 |
오라이언 명품 메자닌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00호 | 오라이언자산운용㈜ |
본건 펀드 7 |
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01호 | 오라이언자산운용㈜ |
본건 펀드 8 | 아름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4호 | 아름자산운용㈜ |
본건 펀드 9 |
제이씨에셋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5호 | 제이씨에셋자산운용㈜ |
본건 펀드 10 |
제이씨에셋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12호 | 제이씨에셋자산운용㈜ |
본건 펀드 11 |
GVA 코벤-26 일반 사모투자신탁 | 지브이에이자산운용㈜ |
본건 펀드 12 |
칸서스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칸서스자산운용㈜ |
본건 펀드 13 |
칸서스AI코스닥벤처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 | 칸서스자산운용㈜ |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
(1) 법인 또는 단체에 관한 기본정보 |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 결산기 |
자산총계 | 매출액 |
부채총계 | 당기순손익 |
자본총계 | 외부감사인 |
자본금 | 감사의견 |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채무상환자금의 경우】 |
종목* | 차입처 | 차입금액 | 차입일 | 만기일 | 이자율 |
---|---|---|---|---|---|
【미상환 주권 관련 사채권에 관한 사항】 |
전환(행사)가능주식 | 기발행미상환사채권 | 종류 | 잔액(원) | 전환(행사)가액(원) | 전환(행사)가능주식수(주) | 전환(행사)가능기간 | 비고 | |
소계 | (A) | - | ||||||
신규 발행 사채권 | (B) | |||||||
합계 | - | |||||||
기발행주식 총수(주) (C) | ||||||||
기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 (D=(A+B)/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