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5 월 22 일 | |
( 발 행 회 사 명 )주식회사 지씨지놈 | |
( 증권의 종목과 발행증권수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 | |
( 모 집 또는 매 출 총 액 ) 36,000,000,000원 ~ 42,000,000,000원 | |
1.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일 : | 2025년 5월 22일 |
2. 모집가액 : | 9,000원 ~ 10,500원 |
3. 청약기간 : | 2025년 05월 29일 ~ 2025년 05월 30일 |
4. 납입기일 : | 2025년 06월 04일 |
5.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의 열람장소 | |
가. 증권신고서 : | 전자문서: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나. 일괄신고 추가서류 : | 해당사항 없음 |
다.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서면문서 : 1) 한국거래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6 2) (주)지씨지놈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30번길 107(보정동) 3) 삼성증권(주) - 본점 :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삼성전자빌딩) - 지점 : 별첨 참조 |
6. 안정조작 또는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 |
해당사항 없음 |
이 투자설명서에 대한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이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대 표 주 관 회 사 명 )삼성증권 주식회사 |
[ 투자자 유의사항 ] |
---|
투자자의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결정에 있어 당사는 오직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 상의 책임을 부담합니다.당사는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 내용과 다른 내용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할 권한을 누구에게도 부여한 사실이 없으며,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이외의 내용에 대하여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공모주식과 당사에 관한 내용 및 본건 공모의 조건과 관련한 위험 등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조사하고, 자기 책임 하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를 작성ㆍ교부하였다고 해서 당사가 투자자에게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자의 투자에 따른 결과에 대해 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닙니다.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스스로 별도의 독립된 자문을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투자의 결과에 대하여는 투자자가 책임을 부담합니다.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되어 있는 산업 또는 시장에 관한 정보 중 제3자의 간행물 또는 일반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인용한 부분의 경우, 그 정확성과 완전함의 여부에 대하여는 당사가 독립적으로 조사ㆍ확인하지는 않았습니다.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가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날 또는 투자자가 당사의 공모주식을 취득하는 날에 상관 없이 표지에 기재된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한 것입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당사의 영업성과, 재무상황 등은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 이후에 기재 내용과는 다르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건 공모주식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 및 그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구체적인 공모 절차에 관해서는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 |
---|
자본시장법에 의하면 증권신고서에는 매출규모, 이익규모 등 발행인의 영업실적 기타 경영성과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자본금 규모, 자금흐름 등 발행인의 재무상태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특정한 사실의 발생 또는 특정한 계획의 수립으로 인한 발행인의 경영성과 또는 재무상태의 변동 및 일정 시점에서의 목표수준에 관한 사항, 기타 위와 같은 예측정보에 관한 평가사항 등의 예측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본 증권신고서에서 "전망", "전망입니다", "예상", "예상입니다", "추정", "추정됩니다", "E(estimate)", "기대", "기대됩니다", "계획", "계획입니다", "목표", "예정", "예정입니다"와 같은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되거나, 기타 발행인의 미래의 재무상태나 영업실적 등에 관한 내용을 기재한 부분이 예측정보에 관한 부분입니다.예측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 당사의 미래의 재무상태 또는 영업실적에 관한 당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합리적 가정 및 예상에 기초한 것일 뿐이므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본 증권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에 열거된 사항 및 기타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애초에 예측했던 것과는 중요한 점에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관한 내용은 오직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하므로,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 제출 이후 예측정보의 기초가 된 정보의 변경에 대해 이를 다시 투자자에게 알려줄 의무를 부담하지 않습니다.따라서, 투자자는 예측정보가 오직 현재를 기준으로 당사의 전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기재된 것일 뿐이므로,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서 예측정보에만 의존하여 판단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 기타 공지 사항 ] |
---|
"당사", "동사, "회사", "지씨지놈", "㈜지씨지놈", " 주식회사 지씨지놈", 또는 "발행회사"라 함은 본건 공모에 있어서의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씨지놈을 말합니다. "대표주관회사"라 함은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 업무를 맡고 있는 삼성증권 주식회사를 말하며 "삼성증권㈜" 또는 "삼성증권"은 삼성증권 주식회사를 말합니다. "코스닥", "코스닥시장"이라 함은 한국거래소 내 코스닥시장을 말합니다. |
▣ 삼성증권㈜ 본ㆍ지점망
본 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서초동) |
고객지원센터 | 1588-2323 (전국단일) |
홈 페 이 지 | https://www.samsungpop.com |
지점명 | 주소(도로명) |
---|---|
□ 금융센터 | |
삼성타운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4 삼성생명서초타워 6층 |
센트럴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36 서울파이낸스센터 25층 |
파르나스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1 파르나스타워 26층 |
부산금융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면로 74 아이온시티빌딩 5층 |
판교금융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145 알파리움타워2단지 1,2층 |
□ 거점지점 | |
광주WM지점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30 삼성화재빌딩 2층 |
대구WM지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24 제이앤더블유빌딩 2층 |
대전WM지점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43 광신빌딩 4층 |
도곡WM지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6 군인공제회관 20층 |
수원WM지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 205 삼성화재빌딩 5층 |
압구정WM지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878 중산빌딩 3층 |
여의도WM지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Two IFC 3층 |
인천WM지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하로 501 슈페리어 3층 |
잠실WM지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558 월드타워빌딩 2층 |
□ WM지점 | |
목동WM지점 |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 325 대학빌딩 5층 |
반포WM지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91 원베일리스퀘어 2층 |
울산WM지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81 정앤정크리빌빌딩 2층 |
원주WM지점 | 강원도 원주시 능라동길 61 정한타워 4층 |
전주WM지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50 우리들빌딩 2층 |
제주WM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로 407 노형타워 1층 |
창원WM지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82 삼성빌딩 1층 |
천안아산WM지점 | 충청남도 아산시 고속철대로 147 우성메디피아빌딩 2층 |
청주WM지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대농로 47 흥복드림몰 2층 |
평촌WM지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120 2층(호계동,올림픽스포츠센터) |
포항WM지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46 KT빌딩 3층 |
해운대센텀WM지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25(우동, 대우월드마크센텀아파트) 2층 208~209호 |
□ SNI지점 | |
SNI호텔신라 |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49 호텔신라 6층 |
SNI패밀리오피스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 강남파이낸스센터 25층 |
주1) | 투자자께서는 삼성증권㈜ 지점의 명칭 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SNI호텔신라, SNI패밀리오피스센터는 객장이 없어 워크인 고객 청약이 어려우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1. 핵심투자위험
하단의 핵심투자위험은 투자설명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중요한 항목만을 투자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간단ㆍ명료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투자위험요소는 "본문-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구 분 | 내 용 |
사업위험 |
가. 글로벌 경기 변동에 따른 위험 2025년 3월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경제전망 중간 보고서(Economic Outlook Interim Report)'에 따르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25년 3.1%, 2026년 3.0%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OECD는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부 주요 20개국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와 가계 지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OECD는 유럽 국가들 내에서 국방비 지출 증대를 꾀하는 것과 관련해, 국방에 대한 지출 증가는 단기적으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압박을 가중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이 2025년 2월 발간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2024년 2.0% 수준에서 2025년 1.5%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성장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6년의 경우 통상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있으나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되면서 2025년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행은 향후 미국의 관세정책 운용, 글로벌 통상환경 및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국내 경기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언급하였습니다. 당사는 산과, 암, 유전희귀, 검진 등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일반 제조업 및 서비스업과 달리 경기 국내외 소비 심리, 경기 변동과 경제성장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으나,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 기조 완화 등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향후 경제 전망, 국내외 정세, 각국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 주식시장의 변동성 또한 확대될 시, 당사의 주가 역시 높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나. 유전체 검사 시장 성장 둔화 위험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10억 3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20%를 기록하여 약 992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밀의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유전체 검사 시장도 연평균 성장률(CAGR) 10.81%를 기록하며, 2024년 약 196억 6천만 달러에서 2028년 296억 4천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정밀의료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 중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분야에서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을 통해 각 세부 목표 시장을 선정하여 공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력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300가지 이상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장전망에도 불구하고 불확실한 대외 변수 등에 의하여 유전체 검사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해당 시장은 개화한 지 10여 년 밖에 되지 않은 시장이라는 점에서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사의 목표 시장규모가 축소되거나 시장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국내외 인허가 제도 및 의료정책 변동에 따른 위험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 기반 액체생검 유전체 검사 사업은 일반적으로 실험실 자체 개발 진단검사(Laboratory Developed Test, LDT) 서비스를 통해 상업화를 진행합니다. 당사는 2013년 질병청에 신고를 완료하여 국내 유전체 검사기관으로의 요건을 갖추었으며, 미국 수준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국내 최초로 CAP 인증을 받은 후, 동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정보 반출입에 대한 규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을 제외하고 검체 이동에 제한을 하고 있는 국가는 없으며, 당사가 거래하고 있는 지역에서 검체 이동에 문제가 된 경우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타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규제 변경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당사는 거래처 사전조사 시 국가정책 조사 등을 통해 각 국의 규제 여부 등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암 또는 희귀질환 진단이 필요한 환자의 의료보험 급여 제도와 관련하여, 현재 국내에서 NGS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는 선별급여 형태로 지정되어 있으며, 본인 부담률은 암 및 희귀질환의 경우 80%이고, 비소세포암의 경우만 50%입니다. 예를 들어, 진행성·전이성·재발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경우 총검사비(150만원 기준)의 50%인 75만원을 본인이 부담하게 되고, 이외의 경우에는 본인 부담률이 80%로 적용되어 약 120만원을 환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한편,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검사 항목과 관련된 정부 지원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임신 및 출산 관련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여 출산을 장려하고자 2008년부터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이러한 정책 강화로 당사의 NIPT 검사에 대한 접근성과 수요는 한층 제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질병관리청은 2023년부터 미진단된 유전희귀질환자들이 조기선별을 통해 적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전체 검사와 해석을 지원하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강화는 희귀질환 진단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당사 검사 서비스의 수요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으나, 희귀질환 진단에 대한 접근성과 수요는 한층 제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23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요양기관수는 101,762개소로 전년대비 1,366개소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상급종합병원은 45개소, 종합병원은 331개소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당사는 국내 상급종합병원 45개소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종합병원급에서도 30% 이상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는 등 높은 영업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어 의료기관 수의 증가에 따라 당사 매출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각국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 요건을 총족하고 있으며, 정부의 의료 지원책 확대와 전국 단위의 매출처 확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의료 정책 및 제도가 급변할 경우 당사의 매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 규제가 당사에 불리한 방향으로 개정될 경우, 영업환경의 악화로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새로운 진단 트렌드 등장에 따른 경쟁 심화 위험 현재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NGS 기술을 바탕으로 DNA, RNA 등 유전체의 분자적 기전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진단합니다. NGS 분석기술의 고도화로 세포유리 DNA(cfDNA)를 활용한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기법은 혈액과 같은 체액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유전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어, 현재는 태아의 이상 질환 검출, 암 정밀진단 및 조기 선별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암 재발 모니터링, 장기이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관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주요한 진단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현재 액체생검 기반 진단에 있어 유전체학 및 후성유전체학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다만 유전자 또는 후성유전자 조절의 변화가 반드시 단백질 발현 이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단백질 이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고 일부 대사성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은 단백질체 수준의 분석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질체학 및 다중오믹스 기술은 질병의 최종 발현 단계인 단백질 및 대사체 수준의 정보를 통합 분석함으로써, 기능적 이상을 직접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성능 측면에서 유전체 기반 진단보다 높은 정밀도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다만, 현재까지는 기존의 유전체학 기반 기술 수준에 상응하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백질체학의 경우 SNV(Single Nucleotide Variant)로 인한 단백질 변이 확인에 기술적 제약이 존재하여, 단기간 내 상용화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됩니다.
현재까지의 기술 발전 속도와 제도적 한계를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NGS기반 액체생검 기술을 대체할 진단 기법이 나타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으로 당사의 사업 및 기술적 경쟁력 약화로 당사의 영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의정갈등 장기화 관련 위험 지난 2024년 2월,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반발한 전국 대학병원 수천 명의 레지던트와 인턴이 사직을 하면서 전공의 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대학병원은 주요 NGS 패널 검사 실시기관으로 전체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으로 암 및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에 필수적인 NGS 패널 검사의 접근성이 제한되었으며,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도 차질이 발생하였습니다. 의정 갈등이 발생하기 이전 당사는 꾸준히 외형적 성장을 이루고 있었으 나, 국내 NGS 패널 검사 시장 비중이 높은 당사는 매출이 2023년의 273억원에서 2024년 259억원으로 감소하는 등 외형 역성장을 시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의정 갈등이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히 파업이 처음 시작한 2024년 2월 및 3월, 처방이 필요한 암과 유전희귀질환 검사 건수가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2025년 1분기 기준 검사 건수는 33,234회로 전년 동기 대비 확연한 개선세를 보였으며, 매출액도 68억원으로 검사 건수 증가와 함께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및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경쟁 기업의 기술 고도화에 따른 기술 경쟁력 관련 위험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통해 300여 종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입니다.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4개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 기반의 기술제품 G-NIPT와 아이캔서치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서비스 시장에 임상 유전체 검사를 공급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의 고도화 및 신제품 출시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당사의 기술 경쟁력 및 시장 점유율이 향후 약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의 영업환경 및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및 사업화 실패 관련 위험 당사는 유전체 분석을 핵심 사업으로 설립되어,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건강검진 등의 분야로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으며, 신규 사업으로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을 활용하여 국내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여 판매 중입니다. 당사는 산과검사의 G-NIPT에 적용되는 G-PrEMIA 기술을 향후 200종 이상의 염색체 질환으로 확장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진행 중이며,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에 적용되는 G-SeNTInEL 기술을 현재의 6종암에서 2025년까지 10종, 2028년까지는 20종으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단일 암종을 대상으로 한 정밀 조기선별 서비스 개발 및 미국 시장내 서비스 출시를 계획하고 있으며, 순환종양 DNA를 활용한 암의 조기선별 및 예후예측 기술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신규 사업계획에도 불구하고,해당 신규 사업의 추진에는 상당한 인력, 자금, 시간이 소요되며, 단기간 내 당사의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규제환경, 인허가 과정, 고객사 확대에 따른 영업 변동성, 발주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기대한 수준의 수익이 창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아. 기술이전 파트너사 관련 위험 당사는 목표시장별 특성을 고려하여 북미 시장에 진출하고자 미국 Genece Health에 기술이전(Licensing out, L/O)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당사는 Genece Health와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당사의 액체생검 기술 및 노하우를 북미 시장에 이전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당사는 계약금을 수령하였으며, 향후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 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를 수령 할 예정입니다. 현재 Genece Health는 미국에서의 아이캔서치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시장 수요를 고려하여 단일암종 조기선별 제품을 런칭할 예정이며, 2025년 4분기에 폐암 조기선별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기술이전에 성공하더라도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던 기업이 해당 기술이전 계약에서 목표하는 기간 내에 개발 혹은 사업화를 실패하는 경우, 계약에서 규정한 조건에 따른 마일스톤, 로열티 수령 가능성과 시기, 규모 등에 변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전 모델의 한계로 인하여 당사가 통제할 수 없는 기술이전 파트너사의 개발 능력, 네트워크, 자금력 등의 역량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분석기기 및 원재료 공급업체 의존도에 따른 위험 당사는 유전자 진단 시 필요한 관련 원재료와 장비는 DNA 전처리/타겟 캡쳐를 공급하는 업체 및 DNA 시퀀싱용 NGS 기기를 판매하는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공급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타 유전자진단 경쟁사들과 동일하게 Illumina의 NovaSeq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LCWGS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된 독자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시퀀서 장비 1회 운용으로 타사 대비 10배 적은 데이터양으로도 높은 품질의 생산성과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즉, 당사는 시퀀서 장비 가동 시 높은 생산능력으로 가격경쟁력과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타사 대비 원재료 공급에 대한 압박이 적은 편입니다.
당사는 향후 공급업체 다변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2025년부터는 Illumina 이외의 Ultima Genomics 등 차세대 시퀀싱 플랫폼 도입을 계획하고 있고 이중 UG10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는 NGS에 대표적인 플랫폼인 일루미나사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gNDA , cfDNA, cDNA, amplicon등 다양한 물질들이 처리 가능하고 저농도 cfDNA 기반의 액체생검 연구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표준 NGS 라이브러리 구조와 FASTQ 포맷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과 호환 가능합니다. 이에 당사는 보유중인 일루미나 플랫폼과 장비간 비교 검증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는 특정 장비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함과 동시에, 분석 원가 절감, 데이터 생산 시간 단축, 연구개발 효율화 등의 효과를 통해 당사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사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협력업체의 상황에 따라 특정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향후 NGS 장비업체 또는 원재료 공급업체의 변동이 발생하여 원가 절감에 차질이 생기거나 원재료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의 원가절감이 어려워져 추가적인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고객 확보에 차질이 생기는 등 영업환경이 악화되어 수익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매출처 편중 위험
당사의 국내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판매 방식에 따라 두 가지 모델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의료기관에 간접적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 서비스 모델과, 의료기관이 당사에 직접 검사를 의뢰하는 단독서비스 모델입니다.
협력 서비스 모델은 녹십자의료재단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거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유전체 검사에 대해 당사에 유전체 분석 서비스 용역을 의뢰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녹십자의료재단을 플랫폼으로 재단과 계약 관계를 맺고 전산시스템이 연동되어 있는 의료기관에 당사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도 포함됩니다. 협력 서비스 모델에 대해 당사는 검사 건당 보험수가 또는 계약 가격의 일정 비율을 용역 수수료로 수취함으로써 매출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연단위 계약을 통해 항목 및 단가를 정하고, 재단은 해당 계약에 따라 당사와 공동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을 기반으로 녹십자의료재단은 당사의 독보적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경쟁력을 활용하여 의료기관 입찰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고, 당사는 녹십자의료재단과 의료기관 간 기구축된 전산시스템을 공유함으로써 의료기관의 거래처 관리 리소스를 줄이는 동시에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독서비스 모델은 당사가 의료기관과 자체 계약을 맺고 직접 검사 의뢰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본 모델은 주로 녹십자의료재단과 계약되어 있지 않은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센터를 대상으로 하며, 당사가 독자적으로 고객 기반을 구축하고, 전산시스템 연동과 검체 수거 등 서비스 제공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운영 초기에는 인프라 구축 및 자원 관리 역량이 요구되나, 의료기관과 직접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중간 플랫폼 비용 없이 직접 매출 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각 모델에 해당하는 국내외 병의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거래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직접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단독서비스 모델을 통한 매출은 전체의 약 18% 수준이나, 당사는 거래처 다각화 및 시장 확대 전략을 통해 해당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특정유통 경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당사의 시장 대응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신규 매출처 확보에 실패하거나 녹십자의료재단의 지급능력이 대내외 요인에 따라 급격히 저하될 경우 당사의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지적재산권 관련 위험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 산업은 기술집약적 성격이 강한 분야로, 각 기업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화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산업 특성상 특허권의 중요도는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기술 보호와 권리 확보는 기업 가치와 직결되는 전략적 요소로 간주됩니다. 현재 글로벌 임상 유전체 검사 시장은 개화기 단계에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상업화 및 기술이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자사의 독자적인 기술을 보호하고 시장 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특허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기술 노하우 및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사업의 핵심 사안으로 고려하여 핵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진행하여 지식재산의 권리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국내 및 해외에 49개의 특허권과 73개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미국, 유럽, 아시아 시장 내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전략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특허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관리와 지속적 확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당사가 보유한 핵심 기술 및 특허권과 관련하여 소송이나 분쟁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향후 예측 불가능한 제3자에 의한 특허 침해 주장, 소송, 무효심판 등의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기술 신뢰도, 사업 개발 속도, 제품의 상업화 및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특허의 경우 출원 전략이 부적절하거나, 출원 대상 국가의 법령 해석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해 심사 과정에서 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종 등록에 실패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더불어, 이미 등록된 특허라고 하더라도 사후 관리가 미흡하거나, 제3자의 무효심판 청구에 의해 무효 되거나 소멸되는 등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는 핵심 기술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상실하게 되어,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업성과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타. 오진으로 인한 신뢰성 하락 위험 당사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사적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담 조직 중심의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검사 전 공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품질관리팀은 분석 공정 및 설비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절차, 정량적 지표 기반의 품질 모니터링, 장비 유지보수, 데이터 정합성 검증, 교육 체계, 외부 인증 등 다양한 품질관리 활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품질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만일 당사의 유전자 진단 서비스에서 오진 사례가 발생할 경우, 검사 정확도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어 회사의 영업환경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검진 서비스를 의뢰한 병원에도 법적·신뢰적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거래 안정성 및 브랜드 이미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진률의 상승은 매출 감소, 고객 이탈, 계약 해지 등 실질적인 재무적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브랜드 평판 하락 위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는 ㈜녹십자이며, 당사는 녹십자그룹에 소속된 계열회사입니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인 ㈜녹십자를 비롯한 녹십자그룹 계열사의 경영환경 변화는 당사의 사업 및 경영환경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녹십자그룹 소속 계열회사로서, 국내 시장에서 병의원, 연구기관, 수탁기관, 기업 등 다양한 의료기관 및 파트너와의 협력에 있어 녹십자의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에 기반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상표권자인 ㈜녹십자홀딩스와의 상표 사용 계약을 통해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2021년 체결된 계약 기준에 따라 녹십자 상표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출에 대해 일정 비율의 브랜드 로열티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최대주주인 ㈜녹십자 또는 녹십자그룹 내 계열사의 사업 악화, 경영권 분쟁, 브랜드 이미지 실추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대외 신뢰도 및 고객과의 협력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며 ,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핵심 인력 이탈 및 인력 수급에 관한 위험 당사는 2013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이후, 정밀의료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연구조직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현재 연구조직은 연구소 산하의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AI개발팀, 제품개발팀, 의학본부 산하의 Medical Office, Bio-Informatics(BI)팀, 분석본부 산하의 검사개발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으로 전체 임직원 중 36명은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도와 기술 전문성을 겸비한 연구개발 인력입니다. 현재 당사의 R&D 전문인력은 박사 9명, 석사 23명 등 총 3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박사 인력이 전체 연구 인력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연구기획, 분석 알고리즘 개발, 제품화, AI 기반 플랫폼 개발 등 전 단계를 내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연구개발 역량의 핵심 자산화를 위해 직무발명보상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임직원이 직무범위 내에서 발명한 기술을 회사에 양도하는 경우, 발명자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 활동의 동기 부여와 기술 보호를 동시에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인력의 유출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중장기 사업계획, 연구개발 일정 및 기술 경쟁력에 실질적인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회사위험 |
가. 성장성 및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1년~2023년 매출액은 각각 185억원, 241억원, 273억원을 시현함과 동시에 동기간 매출총이익률 또한 38.82%, 44.60%, 50.20%로 원가절감 또한 동시에 이루어내는 모습을 보이며 매출규모 및 매출원가개선 추이를 시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개발을 위한 2022년부터의 대규모 연구개발비투입 및 2024년부터 시작된 의료 파업으로 인해 2024년 온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규모 및 총이익률이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 매출액 68.1억원, 매출총이익률은 44.75%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 매출액 57.5억원, 매출총이익 25.8억원 대비 각각 18.45%, 18.4% 성장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의료파업 사태 제외 시 당사의 외형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의료시장 정상화 및 당사 제품/서비스 매출 확대에 따라 원가구조가 업종 평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당사 제품 및 서비스를 도입하는 병원 및 검진센터 확대가 지연되거나, 경쟁 제품/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경우, 의료파업 장기화 및 업황 악화로 인한 운전자금 고갈 시 당사의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나.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3년 지점신설 공사대금 지급 및 전환사채의 유동부채로의 계정전환으로 인해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이 각각 112.12%, 103.24%로 업종평균인 128.74%와 124.34%를 하회하여 재무 안정성이 약화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공사 잔금 지급 완료 및 전환사채 전량 보통주 전환을 통해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각각 427.05%, 388.95%로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318.90%, 290.64%입니다. 부채비율 또한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과 더불어 2024년 기준 22.80%, 2025년 1분기 기준 27.63% 로 동업종평균인 62.91%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2024년 기준 무차입 경영을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의료 파업에 따른 업황 악화로 실적이 악화되었으며, 신제품 연구개발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어 음의 이자보상배율을 시현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고려했을 때,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 영역 확장, 신제품 매출 본격화 등 실적의 지속적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재무안정성 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다만, 국내외 경기 침체 및 해당 시장 악화 등 예기치 못한 영업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동사의 전망과는 달리 기술수출 및 판매가 지연될 경우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다. 매출채권 회수 관련 위험 당사의 매출채권은 대부분 의료재단, 의료원, 병원들로 구성된 주요 고객사에서 발생합니다. 2024년 온기 기준 매출채권 규모는 손실충당금 차감한 순액기준 약 54억 원, 2025년 1분기 51억 원이며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4년 5.31회, 2025년 1분기 5.17회 로 업종 평균인 6.22회를 소폭 하회합니다. 그러나 당사 매출채권은 3개월 미만 회수기간인 경우가 약 99%로, 이는 2024년도 매출채권 회전율 하락은 의료 파업에 따른 실적 둔화로 인한 것으로 매출채권 회수에 차질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나 고객사의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매출채권 회수가 지연되거나 일부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매출채권에 대해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개별평가 및 대상 금융자산의 경제적 성격을 고려한 집합평가를 매 보고기간 말에 수행하며, 미회수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을 고려하여 손실충당금을 설정하는 등 매출채권을 효율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외부 환경 변화나 거래처의 재정 상태 악화로 인해 채권 회수가 지연될 경우, 회사의 현금흐름과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재고자산 관련 위험 당사는 재고 및 발주계획을 수립하고 발주를 의뢰하는 자체적인 재고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적인 재고 운영이 가능합니다. 당사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14.85회, 2023년 11.56회, 2024년 11.96회, 2025년 1분기 11.41회 를 기록하며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기간 재고자산 규모가 유지되는 점, 2022년 전년대비 재고자산의 급격한 증가로 회전율이 높아진 점, 2024년 의료파업으로 인한 실적이 악화된 점을 감안할 때, 당사 재고자산회전율 추이가 당사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실제로 2023년, 2024년 당사 재고자산 연령분석 시 충당금 설정률은 각각 3.75%, 5.87%에 불과하며 대부분 3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예상과는 달리 재고자산 증가분을 상회하는 매출액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후에도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업종 평균을 하회하는 추세가 지속될 수 있으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이 계획대로 판매되지 않는경우 당사의 손익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 거래처의 재무악화 또는 고객사 발주 감소 등의 요인들로 인해 당사의 영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면,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진부화된 재고로 인한 손실은 당사의 재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마.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당사는 의료파업으로 인한 업황 악화, 신규 투자 및 신제품 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 몇 년간 영업활동 현금흐름 변동성을 경험했습니다. 당사는 2022년 (-)1,610,456천원, 2023년 3,340,488천원, 2024년 377,992천원, 2025년 1분기 2,767,400천원 의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내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나, 의료파업 진정세 업황 개선과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2025년 온기 기준으로는 양수(+) 전환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산업 특성상 연구개발 투자와 설비 확충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투자활동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고객사의 주문량 변동이나 글로벌 경기 침체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당사는 공모 자금과 영업현금흐름을 활용해 차입금을 상환하고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에 집중하며 현금흐름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영업환경 변화나 대규모 투자 실패 등이 발생할 경우 회사의 유동성과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연구개발비 증가에 따른 위험 당사는 연구개발비용으로 2022년 8,121백만원, 2023년 7,355백만원, 2024년 6,053백만원, 2025년 1분기 1,548백만원 을 지출하였으며, 당사의 연구개발비는 모두 비용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기술 고도화 및 핵심기술 기반의 신제품 출시 및 질환 확대 등 제품 라인업 다변화를 위한 연구개발비 (인건비, 시약재료비 등)를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당사 연구개발비는 향후에도 매출액의 2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해나갈 계획이며, 이는 연구개발비의 대부분의 비중을 우수인력들의 인건비성 항목이기에 회사의 인력운영 계획에 따라 조정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당사의 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 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사.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따른 위험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의한 녹십자 기업집단에 속하여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회사 및 비상장회사를 포함하여 당사 외 43개사의 계열회사가 당사와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하여 있고, 계열회사와 다양한 매출 및 매입거래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2024년 7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규정을 제정하고 동년 8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준비 및 심사 과정에서 이해관계자거래로 인한 부의이전이나 부당거래로 주관사 및 한국거래소의 지적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당사는 내부거래에 대한 회사의 내부통제를 강화하여 거래의 공정성과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내부거래위원회 설치를 준비 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 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식회사 녹십자로 공모 후에도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의 지분 매각이나 경영권 분쟁 등이 발생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로 인해 최대주주의 지분율 감소 시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자.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기업집단 녹십자는 당사를 포함한 전계열회사 차원의 윤리강령 및 윤리기준 실전지침을 제정하고 이를 회사 인트라넷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입사원에 대하여 윤리강령 교육자료를 징구하여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매년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실천서약서 징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항상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위법행위 방지를 위한 예방 조치들은 항상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여 당사 평판 및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차. 분쟁에 따른 우발채무 등에 관한 위험 현재 당사는 중대한 소송이나 분쟁 사항이 없으나, 향후 영업활동 확대와 해외 진출로 인해 다양한 법적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특허권 분쟁, 임직원 위법 행위, 계약 위반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상당한 소송 비용과 시간 소모가 예상됩니다. 당사는 법률 자문과 내부 통제를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으나, 우발채무 발생 시 회사의 재무 상태와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환율변동 위험 당사의 2024년 온기 기준 외화표시금융자산은 123,169 USD이며, 주요 거래 통화는 미국 달러(USD)입니다. 환율이 10%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 이익에 12,317USD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 위험, 특히 주로 USD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그 러나 향후 해외 매출 증가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 노출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회사의 재무 안정성과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타. 내부 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2024년 8월 공시정보관리규정을 제정 및 시행 바 있습니다. 상장 후에는 공시 책임자 및 담당자의 공시전문교육 이수을 이수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당사가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재무에 관한 사항"은 2024년 온기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결산일 이후 발생한 손익 변동 사항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투자자를 위하여 당사는 2025년 1분기말(2024년 3월 31일)을 작성 기준일로 하여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검토보고서 상의 내용을 본 증권신고서에 추가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4월 가결산 재무수치를 기재하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제약이 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예컨대, 고객사의 주문량 변화나 원재료 가격 변동 등 결산일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이 회사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경우 투자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결산 이후 발생하는 주요 경영 사항을 공시 규정을 준수하여 신속히 공개할 예정이지만, 예상치 못한 실적 악화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투자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23,666,666주 중 42.47%에 해당하는 10,051,128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12,895,572주(54.49%), 상장 3개월 후 13,006,683주(54.96%), 상장 12개월 후 23,666,666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확약 관련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시점 한국거래소와 확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사업 특성상 녹십자의료재단, 지씨셀 등 녹십자그룹 계열사와의 거래가 잦으므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시 거래가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의 추가 제정을 확약하였습니다. 또한,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1인을 추가 선임하여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으로 선임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만약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상기 확약사항이 이행되지 않을 시, 공모일정이 순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다. 주주의 지분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 행사 관련 위험 당사 주주인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은 2020년 12월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투자하였으나 2022년 11월과 2024년 11월 2차례에 거쳐 각각 투자금액의 60%와 나머지 40%에 대한 보통주 전환을 완료하였습니다.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따라 대부분의 발행조건이 소멸하였으나, 전환사채의 보통주로 전환된 보통주식에 대한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 관련 조항은 유효한 상태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는 기존 인수계약서에 의해 인수인이 가지고 있던 사전동의, 사전협의사항, 임원의 지명, 보고 및 제출 의무 등 특수권리는 상장일로부터 모든 효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확약하였으며, 풋옵션은 기존 인수계약서 상에 상장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바, 상장이 완료될 경우 풋옵션의 권리는 없고 추가적으로 인수인은 상장전이라고 하더라도 상장예비심사 기간동안에는 풋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내용을 확약하였습니다. 따라서,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의 풋옵션 권리는 계약상 상장이 완료되면 소멸하는 조건이므로 공모자금의 유출가능성은 없습니다. 당사의 전환사채 발행 및 보통주 전환에 대하여 위법한 내용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투자계약서상 투자자와 형평성에 위배되는 조항에 대하여 모두 일몰하는 것으로 확약한 바, 상장 이후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에 투자자와의 계약, 합의, 확약 등의 부차적 사항은 없으므로 해당 주식매수청구권으로 인해 공모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상장 이전까지 해당 주식매수청구권은 유효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금융위원회가 기재사항의 진실성이나 정확성을 보증하거나 승인한 것이 아닙니다. 또한 공모 일정 및 기재된 내용은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심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감안하여 신중히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특히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작성 기준일 이후 변당사항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 관련 사항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에 참여하는 일반 투자자는 청약 전에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합니다. 다만,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서면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투자설명서를 통해 당사의 사업 현황 및 투자위험요소를 충분히 검토한 후 청약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이를 간과할 경우 예상치 못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바. 상장 후 주가의 공모가액 하회에 따른 투자손실 위험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될 공모가격은 기업공개 이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매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모가격은 시장 상황과 당사의 재무 실적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사. 공모가 산정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해 비교기업 주가수익비율(PER)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상대가치 평가방법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 오류 등에 의해 기업가치 평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교기업과 당사의 사업 구조 및 성장성 차이로 인해 산출된 공모가격이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아.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 가능성에 따른 위험 공모가 산정을 위해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사업 구조 및 성장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기업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비교기업 선정 과정에서 정량적 기준 외에도 정성적 판단이 개입되어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자. 기술성장기업 특례 적용에 따른 이익 미실현 관련 위험 기술성장기업'은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 심사가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요건 등에 있어 제한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코스닥시장 기술성장특례 요건을 기반으로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8월 기술평가를 신청하였으며, 2024년 11월 15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개 전문평가 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각각 A 등급, A 등급을 통보받았습니다. 당사는 외부 전문평가 기관으로부터 사전 기술평가를 진행 후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평가특례 기준에 부합하여 코스닥시장 상장을 진행 중이며, 당사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마케팅 및 연구개발을 진행 중임에 따라 영업손익은 흑자와 적자를 반복하며 강한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을 도입한 병원 및 검진센터를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당기순손실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와 같이 기술성장특례의 적용을 받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은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지는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의 경우에도 상기 사업위험 및 회사위험에 기술한 요인들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차.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기반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최근 3개년 당기순손실은 2022년 -3,763백만원, 2023년 -550백만원, 2024년 -1,257백만원으로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계속적인 연구 개발로 인한 개발비 외에도 국내 판매처 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을 위한 마케팅 및 영업비용 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엽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지만, 상장 후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도 유전체 검사 특화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판매 확대 부진 및 해외 시장 추가 진입 지연에 따른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의 경우,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한편, '자본잠식/자기자본'요건은 기술성장특례기업에 대해 별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2024년 이후 2028년까지 매출성장을 달성하고, 2025년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번 공모로 인한 자기자본의 증가로 인해 '자본잠식/자기자본'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럼에도 불가하고 향후 관리종목 지정 요건에 대한 유예기간이 종료된 이후(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적용)에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 또는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분들은 상장 이후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또한 존재하므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 부여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아 환매청구권을 부여할 의무가 없으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투자자 보호를 고려하여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환매청구권을 부여합니다. 금번 공모 시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은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행사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공모주식을 매도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권리 행사 가능 주식에서 제외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가격은 공모가격의 90%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즉, 일반청약자에게 부여된 환매청구권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지수의 변동에 따라서 주가 하락 시 공모가액의 90%를 하회하는 가격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타.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공모 물량에 대한 초과수요가 존재 시 인수회사는 공모 물량의 15%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주식을 차입하여 기관투자자 등에게 초과 배정을 하는 초과배정옵션(over-allotment option)을 금번 공모에서는 부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파.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당사의 공모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신중히 검토한 후 독자적으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당사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내용 외에도 현재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시장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미래 예측 정보는 다양한 불확실성에 따라 실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하. 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른 주가 희석화 위험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한 신주인수권 40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행사 가능하며, 이는 추가적인 주식 발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량 출회는 시장에서의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주선인은 공모물량의 3% 또는 10억 원 중 적은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사모 방식으로 인수해야 하며, 이 물량은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금번 공모에서 상장주선인이 인수하는 의무 물량은 약 111,111주로 예상되며, 청약 미달 시 추가로 취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의무인수 물량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시장에 출회될 경우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너. 상장요건 미충족으로 인한 상장재심사 가능성 당사는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해 한국거래소의 예비심사를 통과했으나, 공모 일정 연기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신규상장 신청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재심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상장이 연기되거나 취소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감안하여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더. 공모주식수 변동 가능성에 따른 위험 공모 과정에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 시 기재된 모집 증권수 대비 80~120%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약 경쟁률 및 배정 비율이 변동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러. 미래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는 당사의 사업 전망과 관련된 미래 예측 진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재 가용한 정보와 합리적인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시장 상황 및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측 정보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당사는 이를 갱신하거나 수정할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머. 공모가격 결정 방식 위험 본 공모에서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표주관회사와 협의를 통해 공모가격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비교기업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며, 이는 기업가치 평가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시장 상황 변화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최종 공모가격이 실제 기업가치를 완벽히 반영하지 않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버. 수요예측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 관련 위험 당사의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진행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참여 대상은 동 규정 제2조 제8호에서 정의하는 기관투자자로 한정됩니다. 이는 창업투자회사 등 일부 투자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해당 규정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특정 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수요예측 참여 가능 기관투자자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서.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련 위험 당사의 수요예측은 2025년 5월 19일부터 5월 23일 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공모가격이 확정됩니다. 그러나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은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질적인 투자 의사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단순히 참여 의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청약일 이전 발표되는 경쟁률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지 말고, 공모가격 확정 이후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년 4월 개정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금액으로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과거와 비교해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쟁률 및 배정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기준 변경 사항을 고려하여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저.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의 배정 물량 중 절반 이상을 균등 방식으로 배정합니다. 균등배정 방식은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일한 주식을 우선 배정하며, 잔여 물량은 비례 방식으로 배분됩니다. 이로 인해 청약 경쟁률과 실제 배정 주식수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는 이를 유념하시기 바랍니다.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커. 재무제표 작성 기준일 이후 변동 미반영에 따른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2024년 온기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으며, 삼도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상태입니다. 또한 투자자를 위하여 당사는 2025년 1분기말(2025년 3월 31일)을 작성 기준일로 하여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검토보고서 상의 내용을 본 증권신고서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본 재무제표는 작성 기준일 이후 발생한 변동 사항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자들은 해당 기간 동안의 영업환경 변화와 재무적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사의 주문량 변화, 원재료 가격 변동 등은 2025년 1분기 이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결산일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이나 손익 변동 사항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의 제한은 투자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터.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 위험 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에 따라 소수주주는 일정 지분율 이상을 보유할 경우 주주총회 소집 청구, 회계장부 열람 청구, 이사 해임 청구 등 다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행주식총수의 0.5% 이상을 보유한 주주는 이사나 감사의 해임을 요구할 수 있으며, 0.01% 이상을 보유한 주주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수주주의 권리 행사는 회사 경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경우 회사의 경영 자원이 분산되고 사업 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러한 소송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퍼. 집단 소송으로 인한 소송 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법」에 따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투자자 집단은 당사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허위 기재, 시세조종 행위 등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제도입니다. 만약 당사가 집단소송의 피고로 지목될 경우 상당한 법적 비용과 시간 소모가 발생하며, 이는 당사의 평판과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집단소송 리스크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허.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녹십자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은 약 44.80%로 예상됩니다. 최대주주는 주주총회에서 주요 의사결정을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보유하며, 이는 회사의 전략적 방향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른 주주의 이해와 상충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의 의사결정이 단기적인 이익 추구 또는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치우칠 경우 일반 투자자들의 이익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회사 경영 안정성과 투자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고.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 확대 위험 2023년 6월부터 신규상장종목의 상장일 가격제한폭이 발행가 대비 ±60~400%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상장 첫날 주가 변동성이 기존 사례보다 클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가격 급등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점을 사전에 인지하고 신중히 접근하시기 바랍니다.노.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연구개발비와 시설 확충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경영진은 공모 자금 사용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며,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기대했던 결과를 얻지 못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사용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공모 자금 사용 계획이 변경되거나 예상 성과가 달성되지 않을 경우 이는 회사의 재무 상태와 사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는 이를 유념하시기 바랍니다.도. 국내 증권시장의 변동성에 따른 위험 당사의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며, 코스닥시장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코스닥시장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경우 당사의 주가도 큰 폭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 증시는 시세조종이나 내부자 거래 등의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로. 공모일정 변동가능성 및 상장예비심사결과 효력 종료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공모 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심사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5년 3월 2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으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예비심사 승인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규상장을 완료해야 합니다. 만약 공모 일정 연기 등으로 인해 상장 신청이 지연될 경우, 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이 상실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상장이 취소되거나 연기될 위험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모. 상장기업의 관리감독기준 강화에 따른 위험 최근 금융감독기관은 관리감독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을 위반할 경우 주권매매정지, 관리종목 지정, 상장폐지 실질심사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관리종목)와 제3장(상장폐지)에 따라 재무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공시 의무를 위반할 경우 당사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이 폐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재는 회사의 평판과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관련 법규를 충분히 검토한 후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보. 추정 실적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는 당사의 향후 사업 전망과 관련된 추정 실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재 가용한 정보와 합리적인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시장 상황 및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진단 기술의 개발, 인허가 규제 및 정책의 변동 등 예상치 못한 변수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추정 실적 정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말고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소. 향후 사업 전망 위험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는 작성 기준일 현재의 시장 전망과 당사의 영업환경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향후 사업 전망에 대한 수치는 시장 추세와 당사의 내부 데이터에 따라 추정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예상치 못한 경제적, 정치적, 기술적 변화 등 불확실한 요인들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시장 규모와 당사의 실적은 전망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경쟁 심화 등의 외부 요인은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전망 수치가 구체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오. 투자위험요소 기재내용 이외 위험요소 존재 위험당사는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글로벌 경제 상황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제는 안정세를 보였지만, 지정학적 갈등(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등), 자연재해 또는 인공재해 등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무역 분쟁, 외교 정책 변화 등이 한국 경제와 당사의 사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과 재무 상태 및 운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4,000,000 | 500 | 9,000 | 36,0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예 | 코스닥시장 | 신규상장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삼성증권 | 보통주 | 4,000,000 | 36,000,000,000 | 1,479,999,96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05.29 ~ 2025.05.30 | 2025.06.04 | 2025.05.29 | 2025.06.04 | -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시설자금 | 18,665,000,000 |
운영자금 | 16,645,132,374 |
발행제비용 | 1,689,866,626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기명식 보통주 | 9,000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일반청약자 | 1,000,000 | 상장일로부터 3개월까지 | 8,100 |
【주요사항보고서】 | - |
【기 타】 | - |
주1) | 모집(매출) 예정가액(이하 "공모희망가액",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의견)」의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모집가액, 모집총액, 신주인수권 행사가격,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씨지놈과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가능합니다. |
주5)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9,000원 ~ 10,500원)의 최저가액 기준입니다.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총 공모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금액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재량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은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6)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부여수량은 일반청약자에 대한 최소 배정비율인 공모주식의 25% 기준입니다. |
주7)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은 공모가격의 90%인 8,100원(희망공모가액 하단 9,000원 기준)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주8) |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은 상장일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이며 상장일로부터 3개월이 되는 날이 영업일이 아닐 경우 이후 최초로 도래하는 영업일을 행사기간의 개시일로 하고, 상장일로부터 18개월이 되는 날이 영업일이 아닐 경우 그 직전 영업일을 행사기간의 종료일로 합니다. |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기명식보통주 | 4,000,000주 | 500원 | 9,000 | 36,0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대표주관회사 | 삼성증권 | 기명식 보통주 | 4,000,000 | 36,000,000,000 | 1,479,999,96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05.29 ~ 2025.05.30 | 2025.06.04 | 2025.05.29 | 2025.06.04 | - |
주1) | 모집(매출) 예정가액(이하 "공모희망가액",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의견)」의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가액, 모집총액, 인수금액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과 발행회사인 ㈜지씨지놈과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 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2일간)※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청약자 청약은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이틀간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가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중청약 금지와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나, 대표주관회사는 동 주식에 대한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합니다.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 『5. 인수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4년 11월 29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3월 2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9,000원 ~ 10,500원)의 최저가액 기준입니다.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의 재량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은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삼성증권㈜는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매출)하는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씨지놈이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
||||||||||
주11)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공모희망가액 하단 9,000원 기준 111,1111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금번 주식회사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4,000,000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일반공모]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일반공모 | 4,000,000주 | 10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4,000,000주 | 10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근거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근거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공모총액 | 비고 |
일반청약자 | 1,000,000주~ 1,200,000주 | 25.00%~ 30.00% | 9,000원 | 9,000,000,000원~ 10,80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2,800,000주 ~ 3,000,000주 |
70.00%~ 75.00% | 25,200,000,000원~ 27,00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4,000,000주 | 100.00% | 36,00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공모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근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근거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근거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7호에 따라 주2) ~ 주5)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1) 모집의 방법
[공모방법: 일반공모]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일반공모 | 4,000,000주 | 10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4,000,000주 | 100.00% | - |
[모집 세부 내역]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공모총액 | 비고 |
일반청약자 | 1,000,000주~ 1,200,000주 | 25.00%~ 30.00% | 9,000원 | 9,000,000,000원~ 10,80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2,800,000주 ~ 3,000,000주 |
70.00%~ 75.00% | 25,200,000,000원~ 27,00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4,000,000주 | 100.00% | 36,00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기관투자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상기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요청 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번 공모 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 제1항 및「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조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위탁재산명세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2 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 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
주4)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주식수(비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하며, 잔여주식 인수주식과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주식 수량과의 관계는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4항에 따라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물량(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에 한한다)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④, ⑤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이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6)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나, 대표주관회사는 동 주식에 대한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합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 『5. 인수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주식회사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 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삼성증권㈜ | 111,111주 | 9,000원 | 999,999,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9,000원 ~ 10,5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또는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합니다. 동 의무 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시장에 출회될 수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 취득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본 장은 공모가격 결정방법의 개요 및 절차를 안내하는 장으로, 구체적인 (희망)공모가 산정 방식에 대한 정보는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개별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당사의 현황, 국내외 시장상황 및 산업전망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9,000원 ~ 10,5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1) | 상기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지씨지놈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상기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1) 수요예측 공고 및 수요예측 일시
구 분 | 내 용 | 비 고 |
공고 일시 | 2025년 5월 19일 | 주1) |
기업 IR 일시 | 2025년 4월 28 일 ~ 2025년 5월 23일 | 주2) |
수요예측 일시 | 2025년 5월 19일 ~ 2025년 5월 23일 | 주3) |
공모가액 확정공고 | 2025년 5월 27일 | -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5월 19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본 공모와 관련하여 기업 IR은 국내 및 해외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주3)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2025년 5월 23일 17:00 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마감시각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4)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 참가자격
(가) 기관투자자
"기관투자자"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금융투자업규정」제4-19조제8호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에 따르면,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의 청약자의 주금 납입능력 확인절차가 필요하며, 이는 확약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본 공모의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삼성증권의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 |
기관투자자 구분 | 확인방법 | ||||||||
국내기관투자자,해외기관투자자(표준방법) |
삼성증권은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을 수행함에 있어「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제1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
||||||||
삼성증권 Equity본부를 통해수요예측에 참여하는해외 기관투자자(대체방법) |
삼성증권 Equity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삼성증권은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제정한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미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 (이하 "QIB")의 지위에 있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주금납입능력은 USD 1억불로 간주하고, Equity 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2.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직접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제1호의 QIB에 준하여 주금납입능력을 USD 1억불로 간주하고, Equity 본부는 국부펀드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3.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지 않는 기관투자자이거나,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중 USD 1억불 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 기관투자자의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하고, Equity 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4. Equity본부가 제1호, 제2호, 제3호의 방법으로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는 대체확약서에 적법한 서명권한을 가진 의사결정자가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 제출하여야 하며, Equity본부는 동 대체확약서를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집합투자회사등(「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를 말한다)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것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①「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중략)⑦ 제3항제1호를 적용할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만기일 전 3개월 및 설정일ㆍ설립일 후 3개월은 같은 호 전단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본다. |
주1) |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 |
주2) |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대통령령 제28636호「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16조(벤처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의 100분의 10(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의 경우에는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 중 3천만원 이하분은 100분의 100, 3천만원 초과분부터 5천만원 이하분까지는 100분의 70, 5천만원 초과분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의 100분의 50을 한도로 한다)을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제3항의 경우에는 제1항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따른 기업에 해당하게 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를 말한다)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거주자가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1과세연도를 선택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시기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한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다만, 타인의 출자지분이나 투자지분 또는 수익증권을 양수하는 방법으로 출자하거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벤처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또는 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의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3.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금액을 벤처기업 또는 이에 준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이하 이 조 및 제16조의5에서 "벤처기업등"이라 한다)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하는 경우 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등에 투자하는 경우 5.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에 따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의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14조(벤처투자조합 등에의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2.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3.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추가)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4.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신탁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요건 충족여부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자산총액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청약금액의 1%)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 수요예측 참여 제외대상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다만 ⑤항과 ⑦항 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⑦ 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① |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
② |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하며,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함) |
③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
④ |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
⑤ | 대표주관회사가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⑥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3항에 의거 금번 공모 이전에 실시한 공모에서 수요예측일 현재 한국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분류되어 제재기간 중에 있는 기관투자자 |
⑦ | 금번 공모 시에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에서 정의하는 창업투자회사등은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제10조의3(환매청구권)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는 경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요예측의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제한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 |
▣ |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관리)① 기업공개 또는 무보증사채 공모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로 본다.1.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주식 또는 무보증사채를 배정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주금 또는 무보증사채의 납입금을 납입하지 아니한 경우2. 기업공개시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의무보유를 확약하고 주식을 배정받은 후 의무보유기간 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의무보유기간 확약의 준수여부는 해당기간 중 일별 잔고를 기준으로 확인하며, 의무보유 확약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주관회사의 자료 제출 요구에 허위자료를 제출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불응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기간 확약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가. 해당 주식을 매도 등 처분하는 행위나. 해당 주식을 대여하거나, 담보로 제공 또는 대용증권으로 지정하는 행위다. 해당 주식의 종목에 대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0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매도를 하는 행위. 이 경우 일별 잔고는 공매도 수량을 차감하여 산정한다.(이하 이 항 및 <별표 1>에서 같다)라. 그 밖에 경제적 실질이 가목부터 다목에 준하는 일체의 행위3. 수요예측에 참여하면서 관련 정보를 허위로 작성ㆍ제출하는 경우4.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을 투자자에게 매도함으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1조를 위반한 경우5.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1항부터 제11항까지를 위반하여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경우6.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신탁계약이 설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탁계약이 해지(신탁계약기간이 3년 이상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계약기간 종료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7. 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이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후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환매되는 경우8.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지(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만기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9. 기업공개시 수요예측등참여금액이 제5조의3제1항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10.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9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5조의2에 따라 투자자 재산 운용업무가 이관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1항제2호에서 정하는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의무보유기간 준수를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하였음을 증명한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1. 이관회사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5조의2제2항을 위반하고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이관회사2. 이관회사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5조의2제2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관회사가 제15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수관회사 | |
▣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 내역 제출 「증권 인수업무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에 의거 삼성증권㈜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한국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 협회는 협회 정관 제41조에 따라 설치된 자율규제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하고,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단을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다만, 한국금융투자협회는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에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해당 사유 발생일 직전 1년 이내에 해당 집합투자회사 또는 해당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에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적이 없는 경우에 한한다) 해당 집합투자회사에게 협회 정관 제45조제1항제4호의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금번 공모를 통해 발생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정보를 삼성증권㈜ 인터넷 홈페이지(www.samsungpop.com)에 다음의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에 대한 내용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외국인투자등록번호)-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칭- 해당 사유가 발생한 종목- 해당 사유- 해당 사유의 발생일- 기타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
▣ |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참여제재 사항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 행위의 동기 및 그 결과를 고려하여 일정기간 수요예측등 참여 제재(미청약ㆍ미납입과 의무보유 확약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기준을 분리ㆍ적용) |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 제재사항] |
적용 대상 | 위반금액 | 수요예측 참여제한기간 | |
정의 | 규모 | ||
미청약ㆍ미납입 | 미청약ㆍ미납입주식수 × 공모가격 | 1억원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5천만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의무보유 확약위반 | 의무보유 확약위반주식수 × 공모가격 | 1억원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초과 | 배정받은 주식수 x공모가격 | 1억원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정보허위 작성ㆍ제출 | 배정받은 주식수 ×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법 제11조 위반대리청약 | 대리청약 처분이익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투자일임회사등수요예측등참여조건 위반 | 배정받은 주식수 ×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
벤처기업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금지 위반 | 12개월 × 환매비율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기타 인수질서 문란행위 | 6개월 이내 금지 | ||
비고 : 동일 종목에 적용 대상이 두 건 이상인 경우,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이 가장 긴 건을 적용 |
주1) | 의무보유확약위반 주식수: 의무보유확약 주식수와 의무보유확약 기간 중 보유주식가 가장 적은 날의 주식수와의 차이 | ||||||||||||
주2)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비율: 환매금액 누계/(설정액 누계 - 환매외 출금액 누계) | ||||||||||||
주3) | 가중1) 해당 사유발생일 직전 2년 이내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된 사실이 있는 자에 대하여는 100분의 200 범위 내 가중할 수 있으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횟수(종목수 기준이며, 해당 지정심의건을 포함)가 2회인 경우 100분의 50, 3회 및 4회인 경우 100분의 100, 5회 이상인 경우 100분의 200을 가중할 수 있음. 다만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은 미청약·미납입 및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의 경우 36개월, 기타의 경우 24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2) 상장일에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1항제2호의 위반행위를 하는 경우 100분의 50(1개월 미만이면 1개월)을 가중할 수 있음 | ||||||||||||
주4) | 감면:1) 해당 사유 발생일 직전 1년 이내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 여부, 고의·중과실 여부, 사후 수습 노력의 정도, 위반금액 및 비중을 고려하여 그 결과가 경미한 경우 감경할 수 있으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의 원인이 단순 착오나 오류에 기인하거나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면제(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하되 수요예측등 참여를 제한하지 않는 것. 이하 같음) 하거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3. 제재 규모 산정 방법에 따라 산정)이 3개월 이하인 경우에 한해 제재금 또는 금전을 부과할 수 있음 1의2)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의 경우 해당 사유 발생일 직전 1년 이내 사유 발생횟수(종목수 기준이며, 해당 지정심의건을 포함)가 1회인 경우 제재를 면제 할 수 있음. 다만, 사유의 발생 원인이 고의 또는 중과실에 기인하거나 허위자료 제출 등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제재를 면제하지 아니함. 2) 의무보유 확약위반 후 사후 수습을 위하여 확약기간 내 해당 주식을 재매수하거나 위반비중이 경미하여 확약준수율*이 80% 이상인 경우로서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확약준수율 이내에서 경제적 이익을 감안하여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을 감면하거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3. 제재 규모 산정 방법에 따라 산정)이 3개월 이하인 경우에 한해 제재금 또는 금전을 부과할 수 있음* 확약준수율 : 의무보유 확약위반이 발생한 수요예측등 참여계좌의 의무보유확약 주식에 대해 [해당 주식의 확약기간 내 일별 잔고 누계액 / (배정받은 주식수 × 확약기간 일수) ] × 100(%). 단, 일별 잔고는 확약한 수량 이내로 함 | ||||||||||||
주5) |
제재 규모 산정 방법1)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경제적 이익이 없는 경우) ① 가중과 감면이 모두 없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 1.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기간 ② 가중만 있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1.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의 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기간을 동 별표 내'2. 가중', 'Ⅲ. 기타사항(기업공개 및 무보증사채 공통적용)'에 따라 가중 ③ 감면만 있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 1.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을 동 별표 내 '2. 감면', 'Ⅲ. 기타사항(기업공개 및 무보증사채 공통적용)'에 따라 감면하되, 의무보유 확약준수율에 따라 감면하는 기간은 감면 전 참여제한 기간에 확약준수율을 곱한 만큼으로 함 ④ 가중과 감면이 모두 있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별표1>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1.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을 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기간을 ②,③에 따라 가중ㆍ감면 2)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경제적 이익이 있는 경우) ① 가중과 감면이 모두 없는 경우 : 1)①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 ② 가중만 있는 경우 : 1)②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 ③ 감면만 있는 경우 : 1)①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을 1)③의 방식으로 감면하되, 경제적 이익을 500만원으로 나눈 몫 만큼을 감면에서 제외 ④ 가중과 감면이 모두 있는 경우 : 1)①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을1)④의 방식으로 가중·감면하되, 경제적 이익을 500만원으로 나눈 몫 만큼을 감면에서 제외 3) 제재금 또는 금전[1) 또는 2)에 따른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이 3개월 이하인 경우에 부과] - Max [1),2)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개월수) × 500만원, 경제적 이익*] * 100만원 미만의 경제적 이익은 절사 - 해당 사유 발생일 직전 1년 이내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 여부, 고의·중과실 여부, 사후 수습 노력의 정도, 위반금액 및 비중을 고려하여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감경할 수 있음 4) 불성실 수요예측등 적용 대상별 경제적 이익 - 경제적 이익 산정표준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손익을 조정할 수 있으며,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달리 정할 수 있음
** 위원회 의결일 전 5 영업일까지 의무보유 확약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위원회 의결일 5 영업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3영업일간의 종가평균을 확약종료일 종가로 적용하여 산정 |
||||||||||||
주6) | 가중ㆍ감경 사유가 경합된 때에는 가중 적용 후 감경을 적용(다만, 기업공개 수요예측등 감면 2)에 따른 감경은 다른 가중·감경 보다 우선 적용)하고 감경적용 후 월 단위 미만의 참여제한기간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
주7)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를 같은 날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경우 참여제한기간이 가장 긴 기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기준으로 가중을 적용하고 해당 사유 발생일은 최근일을 기준으로 함 | ||||||||||||
주8)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 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에 대하여 일부 건에 대한 제재를 위원회에서 의결하고, 해당 의결일 이전에 발생한 나머지 건에 대한 제재를 이후에 의결하는 경우 제재의 합은 2.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 제재와 동일하여야 함 |
(다) 주관회사의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금융투자업규정」제4-19조제8호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에 따르면,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의 청약자의 주금 납입능력 확인절차가 필요하며, 이는 확약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본 공모의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삼성증권의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 |
기관투자자 구분 | 확인방법 | ||||||||
국내기관투자자,해외기관투자자(표준방법) |
삼성증권은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을 수행함에 있어「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제1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
||||||||
삼성증권Equity본부를 통해수요예측에 참여하는해외 기관투자자(대체방법) |
삼성증권 Equity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삼성증권은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제정한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미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 (이하 "QIB")의 지위에 있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주금납입능력은 USD 1억불로 간주하고, Equity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2.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직접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제1호의 QIB에 준하여 주금납입능력을 USD 1억불로 간주하고, Equity본부는 국부펀드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3.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지 않는 기관투자자이거나,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중 USD 1억불 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 기관투자자의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하고, Equity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4. Equity본부가 제1호, 제2호, 제3호의 방법으로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는 대체확약서에 적법한 서명권한을 가진 의사결정자가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 제출하여야 하며, Equity본부는 동 대체확약서를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분 | 주식수 | 비율 | 비고 |
기관투자자 | 2,800,000주 ~ 3,000,000주 | 70.00% ~ 75.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비율은 총 공모주식수( 4,0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1,000,000주 ~ 1,200,000주(25.00%~30.00%)는 수요예측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4) 수요예측 참가 신청수량 최고 및 최저한도
구분 | 최고한도 | 최저한도 |
기관투자자 | 각 기관별로 법령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 또는 3,000,000주(기관 배정 물량) 중 적은 수량 | 1,000주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는 물량 배정 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의무보유확약기간, 참여시점, 참여가격 제시여부, 공모 참여실적, 가격 분석능력,투자ㆍ매매성향,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량 배정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해서는 최대 수요예측 참여수량 전체에 해당하는 물량이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 참여 시 이러한 사항을 각별히 유의하여 반드시 각 수요예측 참여자가 소화할 수 있는 실수요량범위 내에서 수요예측에 참여하시기 바라며, 최고한도는 수요예측 대상수량 3,000,000주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주2)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3)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최고한도는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이 75.00%인 경우를 가정한 주식수입니다. |
(5) 수요예측 참가 수량단위 및 가격단위
구 분 | 내 용 |
수량단위 | 1,000주 |
가격단위 | 100원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
(6) 수요예측 참여방법(가) 국내 기관투자자국내 기관투자자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접수를 받으며, 서면으로는 접수받지 않습니다. 다만, 삼성증권㈜의 홈페이지 문제 등으로 인해 인터넷 접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보완적으로 인편, 우편, 유선, Fax, E-Mail 등의 방법에 의해 접수를 받습니다. 인터넷 접수와 관련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요예측 참여 관련 인터넷 접수방법] ① 홈페이지 접속- www.samsungpop.com → 전체메뉴 펼침 → 수요예측/기관청약② 로그인-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후 로그인③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종목명을 선택하고 삼성증권㈜ 종합(위탁) 계좌번호, 계좌 비밀번호, 참여기관 기본정보 입력(또는 확인) 후 수요예측 참여할 수 있습니다.수요예측 참여 내역은 마감시간 이전까지 정정 또는 취소가 가능하며, 최종 접수된 참여내역 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④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의 경우에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 한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⑤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고유재산, 집합투자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각각 개별 계좌로 신청해야 합니다. 또한, 그 외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분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고유재산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각각 개별 계좌로 신청해야 합니다. 또한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합니다.⑥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가 정하는 '펀드명, 계좌번호, 자산총액, 자산구성내역, 신청금액, 신청가격, 신청수량,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해당됨을 확인하는 내용' 등을 기재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확약서 및 위탁재산 명세서를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⑦ 투자일임업자가 투자일임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가 정하는 ‘종목명, 계약일, 만기일, 계좌번호, 자산총액, 신청가격, 신청금액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2제1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됨을 확인하는 내용' 등을 기재한 투자일임업회사 확약서 및 위탁재산 명세서를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⑧ 벤처기업투자신탁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수요예측 참여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20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입증할 수 있는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벤처기업투자신탁 확약서 및 위탁재산 명세서를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⑨ 동일한 집합투자업자의 경우 각 펀드별 수요를 취합하여 1건으로 통합신청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 펀드별 참여내역을 기관투자자 명의 1건으로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한편, 각 펀드의 경우 수요예측일 현재 약관승인 및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하며, 해당 펀드의 종목별 편입한도, 만기일 등은 사전에 자체적으로 확인한 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⑩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⑪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수요예측 후 물량배정 시에 당해 집합투자업자에 대해 전체 물량 (뮤추얼 펀드, 신탁형 펀드 등에 배정되는 물량을 합산한 물량)을 배정하며, 또한, 기관투자자의 (코넥스)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해서는 1건으로 통합 배정합니다. 펀드별 물량배정은 각각의 집합투자업자 및 그 외 기관투자자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자율적으로 배정합니다. 단, 해당 펀드에 배정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관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와 발행회사는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⑫ 투자일임업자, 일반사모집합 투자업자로서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자는 삼성증권㈜가 정하는 ‘투자일임업/일반사모집합투자업등록일’, ‘전체투자일임재산/집합투자재산’ 등을 기재한 확약서를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⑬ 부동산신탁회사는 인수업무규정 제5조의2제4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예측 참가 화면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및 날인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
※ 본인명의의 위탁계좌가 없는 국내기관투자자는 삼성증권㈜ 지점을 방문하여 위탁계좌를 개설하여야 합니다. 계좌개설 관련 문의는 삼성증권 고객센터(1588-2323) 또는 가까운 삼성증권 지점 및 본점 Equity본부(02-2020-6685)로 연락 바랍니다. 계좌개설 외 일반적인 문의는 02-2020-8213, 8215, 6661 (IPO각 담당자)로 연락바랍니다.
(나) 해외 기관투자자 금번 수요예측 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삼성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www.samsungpop.com) 및 삼성증권㈜ 채널영업부문 Equity본부를 통한 접수를 받습니다. Equity본부 접수방법은 직접방문, 우편, E-mail, Fax 등으로 가능하며 우편은 수요예측 마감시간(2025년 5월 23일 오후 5시(한국시간 기준))까지 도착분에 대하여 접수 가능합니다.
구분 | 내용 |
접수기간 | 2025년 5월 19일 ~ 2025년 5월 23일 17:00 |
접수장소 | 삼성증권㈜ 9층 Equity본부, 인터넷(방법은 국내 기관투자자 참조) |
접수방법 | 인편접수 혹은 우편접수, E-mail, Fax 등 (인터넷 접수 가능)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삼성전자빌딩 9층 Equity본부 |
FAX | 02) 2020-7426 |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기관투자자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서류를 미제출하거나 내부 수요예측 운영기준 등에 따라 상기 인수업무규정 제2조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배정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본 수요예측 절차간「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이며, 표준방법(인터넷을 통한 접수)과 대체방법(삼성증권㈜ 채널영업부문 Equity본부를 통한 접수)의 주금납입능력 확인방법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7) 수요예측 접수일시 및 방법
구분 | 내용 |
접수기간(한국시간 기준) | 2025년 5월 19일 ~ 2025년 5월 23일 17:00 |
접수방법 | - 국내 기관투자자: 삼성증권㈜ 홈페이지(www.samsungpop.com)- 해외 기관투자자:삼성증권㈜ 홈페이지(www.samsungpop.com), Equity본부 |
문의처 | 주2) |
주1) | 수요예측 마감시간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삼성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 및 삼성증권㈜ Equity본부를 통해 접수 가능합니다. 세부내용은 '(6) 수요예측 참여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본인명의의 위탁계좌가 없는 국내기관투자자는 삼성증권(주) 지점을 방문하여 위탁계좌를 개설하여야 합니다.계좌개설 및 일반사항 관련 문의는 삼성증권 지점 및 고객센터(1588-2323) 또는 본점 Equity본부(02-2020-6685)로, 공모사항 관련 문의는 ECM2팀( 02-2020-8213, 8215, 6661)으로 연락 바랍니다. |
(8) 기타 수요예측 참여와 관련한 유의사항① 수요예측 마감시간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정정/취소가 불가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② 수요예측 참여자 중 삼성증권㈜를 통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참여 이전까지 삼성증권㈜에 본인 명의의 위탁 계좌가 개설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집합투자재산,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을 각각 구분하여 접수해야 하며 접수 시 각각의 개별 계좌로 참여하여야 합니다. 계좌개설 관련 문의는 삼성증권 지점 및 고객센터(1588-2323) 또는 본점 Equity본부(02-2020-6685)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③ 참가신청금액이 각 수요예측참여자별 최고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최고 한도로 참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④ 수요예측 참여 시 입력(또는 확인)된 참여기관의 기본 정보에 허위 내용이 있을 경우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하며,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관리합니다. 다만, 집합투자기구의 경우 일반 펀드가입자의 피해 방지를 위하여 펀드에서 미청약이나 주금 미납입이 발생한 경우에도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하지 아니하고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단, 해당 사유발생일 직전 1년 이내에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가 있었던 경우에는 제재금 부과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지정합니다.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투자신탁이「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투자신탁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위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⑤ 집합투자회사가 통합신청하는 각 펀드의 경우 수요예측일 현재 약관승인 및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합니다. 또한, 동일한 집합투자업자의 경우 각 펀드별 수요를 취합하여 1건으로 통합신청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한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펀드별 참여내역을 기관투자자 명의 1건으로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해당 펀드의 종목별 편입한도, 만기일 등은 사전에 자체적으로 확인한 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해당 투자신탁의 가입자가 인수회사 또는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투자신탁등이 공모주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합니다.⑦ 수요예측 인터넷 접수를 위한 "사업자(투자)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의 책임은 전적으로 기관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사업자(투자)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당해 기관투자자에게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⑧ 기타 수요예측 참여와 관련한 유의사항은 삼성증권㈜ 「www.samsungpop.com → 전체메뉴 펼침 → 수요예측/기관청약」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⑨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해외 기관투자자에 대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는 내용의 확약서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요건 충족여부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자산총액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⑩ 기관투자자 또는 일반청약자 대상 배정물량 중 미청약된 배정물량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받기 희망하는 기관투자자가 있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 중 추가청약할 수 있습니다.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⑪ 수요예측 참가 시 의무보유 확약기간을 미확약, 15일,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로 제시가 가능합니다.⑫ 수요예측 참가 시 의무보유 확약을 한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경우 기준일로부터 "의무보유 확약 +2일(결제일)"의 기간까지의 일별잔고증명서 및 매매내역서를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 후 1주일 이내에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IB1부문 Capital Market본부(ssipo@samsung.com)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한편, 상기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기관투자자는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펀드 만기가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 이전에 도래하여 매도를 하는 경우에도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으니 기관투자자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전 해당 펀드의 만기를 확인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바랍니다.의무보유 확약기간은 결제일 기준이 아니므로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일 익일부터 매매가 가능하며, 잔고증명서 및 매매내역서는 동 기준에 근거하여 제출하시길 바랍니다.
⑬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청약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수요예측을 접수한 삼성증권㈜ 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⑭ 대표주관회사는 주식시장 상황, 수요예측 참여현황, 수요예측 참여방법 및 절차 준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부 수요예측 운영기준에 따라 배정기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상세 내용은 수요예측참가 안내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⑮ 금번 공모 시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수요예측 시 동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9)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인 ㈜지씨지놈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결정하며, 대표주관회사는 최종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을 삼성증권 홈페이지(www.samsungpop.com)에 게시합니다.
구분 | 주요내용 |
수요예측 결과반영 여부 | 수요예측 참여기관의 참여가격 및 신청수량, 참여기관의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 |
공모가격 결정협의절차 |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에 수요예측 결과를 제시하고,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공모가격에 대해 협의함 |
공모가격최종결정 | 발행회사의 대표이사, 재무담당 임원과 대표주관회사의 담당 사업부문 대표 등이 협의하여 최종 결정함 |
주1)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와 발행회사인 ㈜지씨지놈은 수요예측 참여자의 성향 및 가격평가능력 등을 감안하여 공모가격 결정 시 가중치를 달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참여가격은 공모가격 결정 시 배제하거나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가격을 제시하지 않은 수요예측 참여자는 공모가격 결정 시 제외됩니다. |
(10) 수량배정방법확정공모가액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자기자본 규모, 가격분석능력, 투자 성향, 의무보유 확약 여부 및 그 기간, 공모 참여실적 등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배정물량을 결정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집합투자회사에 대하여 물량 배정 시 집합투자재산,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신탁재산을 구분하여 배정하며, 집합투자재산의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집합투자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자율적으로 배정하여야 합니다.특히, 금번 수요예측 시「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하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7항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공모주식을 배정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⑦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제4호 및 제2항제3호ㆍ제6호가목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별 배정 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20(공모의 방법으로 설정·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은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한다.1. 수요예측에 참여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순자산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2. 제1호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수량에 공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은 110%의 가중치를, 사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투자일임재산 및 신탁재산을 포함한다)은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수량을 산출한 후, 해당 조정수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
또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하여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하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8항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공모주식을 배정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⑧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제5호, 제2항4호ㆍ제6호나목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벤처기업투자신탁별 배정 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한다.1. 수요예측에 참여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순자산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2. 제1호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수량에 공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은 110%의 가중치를, 사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은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수량을 산출한 후, 해당 조정수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9항에 의거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제5조의3제4항에 따라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물량(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에 한한다)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한편, 대표주관회사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른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2항에 의거하여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 |
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11) 수요예측 대상 주식의 배정결과 통보①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최종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을 삼성증권㈜ 홈페이지 (www.samsungpop.com)에 게시하며, 기관별 배정물량은 수요예측 참여기관이 개별적으로 삼성증권㈜ 『www.samsungpop.com → 전체메뉴펼침 → 수요예측/기관청약』에 접속한 후 배정물량을 직접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개별 통보에 갈음합니다.② 수요예측 참여에 의해 배정된 물량을 미청약한 경우에는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금융투자협회 회원 홈페이지(http://work.kofia.or.kr/) 에 게시 등록됩니다.(12) 기타 수요예측 실시에 관한 유의사항
① 수요예측 참가 시 참가신청서를 허위로 작성 또는 제출된 참가신청서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수요예측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합니다.②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③ 상기와 같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추가 청약 후 잔여물량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④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비고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 | - | ||
주당 모집가액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9,000원 | 주1) | |
확정가액 | - |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36,000,000,000 원 | - | |
확정가액 | - | - | ||
청약 단위 | 주석2 참조 | 주2)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5월 29일 | |
종료일 | 2025년 5월 30일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5월 29일 | ||
종료일 | 2025년 5월 30일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 0% | 주4)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6월 4일 | - |
주1) | 주당 모집(매출)가액주당 공모가액은 공모희망가액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청약일 전 삼성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인 ㈜지씨지놈과 합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이며,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합니다.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를 한도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단위는 아래『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 (5)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주3) | 청약기일①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②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4) | 청약증거금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0%). ②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③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주금납입기일 당일(2025년 6월 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2025년 6월 4일) 08:00 ~ 13:00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삼성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한편, 기관투자자가 삼성증권㈜에 납입하지 않거나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인수인이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 ①기관투자자 : 삼성증권㈜ 본ㆍ지점 ②일반청약자 : 삼성증권㈜ 본ㆍ지점 ③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를 통해 개설된 계좌에 동시에 청약하는 중복청약 및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일반청약자가 중복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수량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접수된 청약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6) | 본인명의의 위탁계좌가 없는 국내 기관투자자는 삼성증권㈜ 지점을 방문하여 위탁계좌를 개설하여야 합니다. 계좌개설 관련 문의는 삼성증권 고객센터(1588-2323), 가까운 삼성증권 지점 및 본점 Equity본부(02-2020-6685)로 연락 바랍니다. 계좌개설 외 일반적인 문의는 02-2020-8213, 8215, 6661(IPO각 담당자)로 연락바랍니다. |
주7) | 청약증거금이 납입금액을 초과하였음에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가 발생할 경우,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필요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가 발생할 경우,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주식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이 불가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합니다.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 가능성이 존재함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8)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6월 4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경우 미달한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6월 2일 17: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 합니다. 참고로 상기 배정일(2025년 6월 4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납입일이며,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당 수량분을 배정받을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 모집 또는 매출의 절차
구 분 | 일 자 | 매 체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2025년 5월 19일 | 인터넷 공고 (주2) |
모집 또는 매출가액 확정의 공고 | 2025년 5월 27일 | 인터넷 공고 (주3) |
청 약 공 고 | 2025년 5월 29일 | 인터넷 공고 (주4) |
배 정 공 고 | 2025년 6월 4일 | 인터넷 공고 (주5) |
주1) | - 기관투자자 청약일 :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일반청약자 이중청약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5월 19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3) | 모집 또는 매출가액 확정공고는 2025년 5월 27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4) | 청약공고는 2025년 5월 29일 ㈜지씨지놈 홈페이지(http://www.gcgenome.com),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5) |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공고는 2025년 6월 4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6)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2025년 6월 4일)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경우 미달한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6월 2일 17: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 합니다. 참고로 상기 배정일 (2025년 6월 4일) 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납입일이며,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당 수량분을 배정받을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7) | 상기 일정은 공모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 청약방법 (1) 일반 사항 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2) 일반청약자의 청약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 및 복수 청약처에서의 중복청약은 불가합니다.※ 청약사무취급처: 삼성증권㈜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삼성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 분 | 내용 | 청약한도 | |||||||||||||||||
일반청약자격 | 자산평가 | - 청약접수일 전월부터 과거 3개월간 자산평가 합계 평잔 2천만원 이상인 고객 | 1배 | ||||||||||||||||
우대청약자격 | 신규고객 | - 청약초일 직전 1년 內 주민번호 기준 신규고객 中 전월 평잔 2천만원 이상인 고객(직전 1년간 청약이력 없을 경우 1회 限) | 2배 | ||||||||||||||||
우수고객 | - 청약초일 직전월 자산 평잔 금액 1억원 이상인 고객 | ||||||||||||||||||
연금상품 |
- 퇴직연금 DC 유효계좌 보유고객 전원- 연금펀드/연금저축계좌/IRP 고객은 아래 기준 해당고객
|
||||||||||||||||||
급여이체 | - 청약초일 전월 기준으로 CMA를 통하여 3개월 이상 급여(50만원 이상)를 이체한 고객※ 4대 공적연금이 CMA를 통해 3개월 이상 입금 시 포함 | ||||||||||||||||||
중개형 ISA | - 청약초일 전영업일까지 중개형 ISA계좌 잔고 평가금액 100만원 이상 고객 | ||||||||||||||||||
온라인 전용 청약자격 |
- 청약초일 전일까지 청약 가능한 주식계좌 개설 고객- 단, 다음의 계좌는 청약 당일 계좌 개설 後 공모주 청약이 가능합니다.1) 비대면 계좌 2) 근거계좌를 통한 온라인 추가계좌3) 은행연계 계좌※ 은행연계계좌 중 은행에서 예수금을 보유하는 계좌(-02)의 경우 현금청약만 가능하며 지점청약만 가능합니다. (온라인 자격인 경우 지점청약 불가하여 추가 개설 후 온라인청약 필요) | 0.5배 | |||||||||||||||||
청약방법 | - On-Line 청약 : POP HTS, mPOP, ARS를 이용한 청약- Off-Line 청약 : 영업점 내점, 영업점 유선, 고객센터 상담원 연결 | - | |||||||||||||||||
청약수수료 |
|
- | |||||||||||||||||
특이사항 | ※ 우대가능여부 표기는 청약코드를 선택하여 조회해야 하며, 청약종목정보상의 청약우대여부 항목에 "Y" 인 경우에 한해 우대가능여부를 파악하여 제공해 드립니다.※ 자산 평잔 기준: 全상품 (선물/옵션 제외, 비상장주식은 일부 종목만 인정)※ 공휴일에 입금된 자산은 평잔일수에 미반영 됩니다. | - |
주1) | 삼성증권㈜에 정보통신거래서비스 이용을 신청하신 고객님의 경우에도 당사에서 정한 청약자격의 조건을 충족하셔야만 청약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주2) | 삼성증권㈜에 청약하는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2025년 6월 4일)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경우 미달한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6월 2일 17: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 합니다. 참고로 상기 배정일 (2025년 6월 4일) 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납입일이며,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당 수량분을 배정받을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②일반청약자의 1인당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 청약 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삼성증권㈜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삼성증권㈜ | 1,000,000주 ~ 1,200,000주 | 주1) | 50% |
주1) |
삼성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청약자격 상세는 상기 "(3)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삼성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20주 이상 ~ 100주 이하 | 20주 |
1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200주 |
1,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1,000주 |
10,000주 초과 ~ 40,000주 이하 | 2,000주 |
40,000주 초과 | 4,000주 |
(5) 기관투자자의 청약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이며,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합니다. ②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에 대하여 청약일인 2025년 5월 29일 ~ 2025년 5월 30일 08:00 ~ 16: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삼성증권㈜가 정하는 소정의 주식청약서(청약증거금율 0%)를 작성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 본ㆍ지점에서 청약하거나, 삼성증권㈜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를 통해 청약하여야 합니다. 또한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2025년 6월 4일) 08:00 ~ 13: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③ 수요예측에 참가한 기관투자자 중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수요예측 결과 배정받은 물량을 초과하여 청약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내에서 1주 단위로 추가 청약이 가능합니다. 이때,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주금납입능력을 고려한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를 한도로 하여야 합니다.또한,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 등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또한, 기관투자자는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납입일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④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 미입금의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청약증거금
구 분 | 청약증거금율 | 비 고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 0% | 주1) |
일반청약자 | 50% |
주1) | 청약증거금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0%).②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인수인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주금납입기일 당일(2025년 6월 4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2025년 6월 4일) 08:00 ~ 13:00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삼성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한편, 기관투자자가 삼성증권㈜에 납입하지 않거나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인수인이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7) 청약사무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삼성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삼성증권㈜ 본ㆍ지점
(8) 청약이 제한되는 자아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 2023. 4. 27>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9) 기타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청약결과 배정에 관한 사항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기관투자자 : 총 공모주식의 70.00% ~ 75.00%( 2,800,000주 ~ 3,000,000주 )를 배정합니다. (기관투자자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 ②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0%~30.00% ( 1,000,000주 ~ 1,200,000주 )를 배정합니다. ③ 상기 ①, ②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ㄹ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④ 단,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대상에서 제외됩니다. ⑤ 배정 근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또한,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하며,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와 ㈜지씨지놈과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③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1,000,000주 ~ 1,200,000주 를 배정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균등방식 배정의 최소 배정 예정물량은 500,000주 ~ 600,000주 입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일괄 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되며, 일괄청약자에 대하여 '균등방식 배정' 후 '비례방식 배정'을 진행합니다.
⑤ '균등방식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 물량(전체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50% 이상)을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동일한 주식수(몫)를 배정하고, 잔여 균등방식 배정 물량에 대하여 일반청약자 전원을 대상으로 추첨 배정하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지만 나머지(잔여 균등방식 배정 물량)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몫이 0이 되며, 균등방식 배정 물량 전체가 잔여분이 됩니다. 이 경우 전체 청약고객을 대상으로 전체 균등방식 배정주식을 무작위 추첨 배정합니다. 따라서 균등방식 배정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0주 배정)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별 청약자가 청약한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만 배정됩니다.따라서, '균등방식 배정'이 일반청약자 전원이 '동일 주식수'를 배정받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⑥ '비례방식 배정'은 전체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에서 균등방식 배정 물량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 비례 배정하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⑦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원칙적으로 5사 6입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⑧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경우 미달한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으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6월 2일 17: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 합니다. 참고로 배정일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납입일이며,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당 수량분을 배정받을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⑨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 후 배정받은 물량 범위 내에서 우선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⑩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 2023. 4. 27>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3) 배정결과의 통지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각 청약자에 대한 배정내용 및 초과청약금의 환불 또는 미달청약금에 대한 추가납입 등에 관한 배정공고는 2025년 6월 4일 대표 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경우에는 수요예측을 통한 배정내역과 청약 시 배정내역이 다른 경우에 한하여 개별통지합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
(1) 투자설명서의 교부2009년 2월 4일부로 시행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하면 누구든지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밖에 아래에서 언급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함)에게 동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본 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합니다. 다만, (i) 동법 제9조제5항의 전문투자자 / (ii)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규정된, 회계법인, 신용평가업자 등 / (iii)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 전신, 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밖에 금융위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는 투자설명서의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2) 투자설명서의 교부 방법투자설명서 교부 의무가 있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32조에 의하여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같은 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청약 전 교부할 예정입니다. 투자설명서 교부 후 투자자는 투자설명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청약기간에 각각의 청약취급처에서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 | 본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은 후 교부확인서에 서명하여야 합니다. |
- |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
- |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청약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가)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는 경우
[삼성증권㈜ 투자설명서 교부방법] |
구 분 | 투자설명서 교부방법 |
영업점 내방 | 삼성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하실 경우에는 투자설명서 인쇄물을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영업점 유선 | 삼성증권㈜의 본ㆍ지점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청약하실 경우에는 투자설명서를 E-Mail/Fax로 수령한 후 수신내역을 확인 후 청약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HTS, 홈페이지) | 삼성증권㈜의 HTS인 POP HTS를 통해 청약할 경우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교부에 동의하여야 하고, 전자매체를 지정하여야 하며, 수신 사실이 확인되어야지만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자문서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은 인쇄물(책자)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
ARS | 사전에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를 통해 ARS 관련 약정을 체결하신 분에 한해서 이용이 가능하며, 청약 전 ARS 상으로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자에 한해서 ARS로 청약하실 수 있습니다. |
(나)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제132조 및「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제2-5조제2항에 의거 투자설명서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대표주관회사에 서면, 전화, 전신, 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3)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의 주체「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금번 청약에 대한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는 발행회사에 있습니다. 다만, 투자설명서 교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실제 투자설명서 교부는 청약취급처인 삼성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합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 (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①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32조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1. 제11조제1항제1호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1의2. 제11조제2항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자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에만 해당한다.□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제2-5조(설명의무 등)1. (생략)2. 금융투자회사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제19조제2항에 따라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권유를 하는 경우에는 설명서(제안서, 설명서 등 명칭을 불문한다. 이하 같다)를 일반투자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다만, 법 제123조제1항에 따른 투자설명서, 법 제124조제2항제3호에 따른 공모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의 간이투자설명서 및 법 제249조의4제2항에 따른 일반 사모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의 핵심상품설명서(이하 "핵심상품설명서"라 한다)에 대해서는 일반투자자가 영 제132조제2호에 따라 수령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하생략) |
바. 청약증거금의 대체, 반환 및 납입에 관한 사항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일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 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일(2025년 6월 4일)에 환불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기관투자자는 청약증거금은 금번 공모에 있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6월 4일 08:00~13: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 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6월 4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는 각 청약자의 주금납입금을 납입기일에 납입합니다. 신주모집분에 대한 납입금은 기업은행 이수역 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사. 주권교부에 관한 사항 (1) 주권교부예정일 : 청약결과 주식배정 확정 시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samsungpop.com)에 게시를 통해 공고합니다. (2)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이 2019년 9월 16일 시행되었으며, 전자증권법 시행 이후에는 상장법인의 상장 주식에 대한 실물 주권 발행이 금지됩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공모로 발행하는 주식의 실물 주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에 주식의 권리를 전자등록하는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주금을 납입한 청약자 또는 인수인은 계좌관리기관 또는 전자등록기관에 전자등록계좌를 개설하여야 하며, 해당 계좌에 주식이 전자등록되는 방법으로 주식이 발행될 예정입니다. 전자증권법 제35조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자는 해당 주식에 대하여 전자등록된 권리를 적법하게 가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 기타의 사항 (1) 전자등록된 주식양도의 효력에 관한 사항「전자증권법」제35조제2항에 따라 전자등록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30조에 따른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을 하여야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2) 신주인수권증서에 관한 사항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한 신주모집이므로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지 않습니다.(3) 인수인의 정보이용제한 및 비밀유지대표주관회사는 주식총액인수계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입수한 정보 등을 제3자에게 누설하거나 발행회사의 경영개선 이외의 목적에 이용하여서는 아니됩니다. (4)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 신청 승인에 관한 사항당사는 2024년 11월 29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였으며, 2025년 3월 26 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주식의 분산요건 충족 등 사후 이행사항을 제외하고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따라서, 금번 공모를 통해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이 충족되어야 상장을 승인받을 수 있으며, 주식의 분산요건을 포함하여 일부 요건이라도 사후 이행사항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주권의 매매개시일 주권의 신규상장 및 매매개시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한국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통하여 안내할 예정입니다 (6) 환매청구권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나, 대표주관회사는 동 주식에 대한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합니다.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의 『5. 인수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효력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당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 중 일부가 청약일 전까지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에 따라,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요구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인수인 |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 | 인수금액주1) | 인수비율 | 인수조건주2) | |
명칭 | 주소 | ||||
삼성증권㈜ |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 | 36,000,000,000원 | 100.00%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9,000원 ~ 10,5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9,000 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이 전체 공모주식의 100.00%(4,000,000주)를 총액인수하며,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1) 인수수수료
(단위 : 원) |
구분 | 인수인 | 금액 | 비고 |
인수수수료 | 삼성증권㈜ | 1,479,999,960원 | 주1)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9,000원 ~ 10,500원)의 최저가액 기준입니다.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의 재량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은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신주인수권당사는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2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도록 해당 신주인수권 400,000 주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2(신주인수권)① 대표주관회사가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발행회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이라 한다)에 관한 계약을 발행회사와 체결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취득할 수 있는 주식의 수량은 공모주식 수량의 10% 이내일 것2.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은 상장일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일 것3. 신주인수권의 행사가격은 공모가격 이상일 것② 대표주관회사는 제1항에서 정하는 신주인수권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사실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하며, 해당 권리를 행사하여 신주를 취득한 경우 자신의 홈페이지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체없이 게시하여야 한다.1. 발행회사명2. 신주인수권 계약 체결일 및 행사일3. 신주인수권 행사로 취득한 주식의 종류 및 수량4. 주당 취득가격 |
상기 규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금번 공모시 취득하는 신주인수권의 행사가능주식수는 공모주식 수량의 약 10.0%인 400,000주로, 행사가격은 확정공모가액이며,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에 행사 가능합니다.
[신주인수권 계약 주요내용] |
구분 | 내용 |
---|---|
행사가능주식수 | 400,000주 |
행사가능기간 |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 |
행사가격 | 확정공모가액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이하 "의무인수"라 한다)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지씨지놈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삼성증권㈜ | 기명식 보통주 | 111,111주 | 999,999,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인 ㈜지씨지놈과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따라서 향후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따라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 신청일부터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
주3)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대상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인수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
라. 기타의 사항 (1) 회사와 인수인간 특약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와 체결한 총액인수계약일로부터 코스닥시장 상장 후 6개월까지 대표주관회사의 사전 서면동의 없이는, 공모 대상 주식을 대표주관회사에게 매각하는 것을 제외하고,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 주식과 연결된 증권을 발행하거나 직ㆍ간접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단, 본 계약체결일 이전에 발행한 전환사채 또는 기타 주식의 발행의무가 있는 증권(주식매수선택권 포함)에 대한 주식발행 및 주식배당에 의한 주식발행, 대표주관회사와 체결한 초과배정옵션계약에 따른 주식발행과 매도는 제외합니다.또한, 당사의 최대주주등과 의무보유 대상자는 기제출한 의무보유확약서에 의거하여 그 소유 주식을 의무보유를 확약한 기간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할 것을 약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인수, 합병 등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주식을 인출하거나 매각할 수 없으며, 보관 인출 또는 매각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는 위 확약서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2) 회사와 주관회사 간 중요한 이해관계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6조(공동주관회사) 제1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6조(공동주관회사)①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의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기업인수목적회사2. 외국 기업(한국거래소의「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8호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23호에 따른 외국기업과 주식등의 보유를 통하여 해당 외국 기업의 사업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관하여는 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을 준용한다.③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따라 취득하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 및 「코넥스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지정자문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코넥스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은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있어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④ 제2항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또는 집합투자기구(이하 이항에서 "조합등"이라 한다)의 경우 출자자 또는 수익자가 해당 조합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비율만큼 조합등에서 보유한 주식등을 보유한 것으로 본다.1. 「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제5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2. 「여신전문금융업법」제41조제3항에 따른 신기술사업투자조합3.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4조의3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4.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사모집합투자기구 중 환매가 금지된 집합투자기구 |
당사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최대주주 등의 지분에 대하여 의무보유등록 의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시 의무보유확약서를 제출하였으며, 상장예비심사 승인 후 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의무보유증명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 각 주주의 보호예수 기간에 대한 세부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 상의『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당사 최대주주의 지분은 의무보유기간 동안 그 소유주식을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며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인수, 합병 등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주식을 인출하거나 매각할 수 없으며, 보관 인출 또는 매각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는 위 확약서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4) 초과배정옵션당사는 금번 공모에서 "초과배정옵션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5)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인수회사는 일반청약자에게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여야 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 각 호에 해당하지 않으나, 대표주관회사는 동 주식에 대한 일반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금번 공모시 배정받은 주식을 당해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환매청구권)를 다음과 같이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동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 각 인수회사는 각자의 책임 하에 이를 매수하여야 합니다. 동 규정상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은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행사 가능합니다.
[환매청구권 세부사항] |
구분 | 일반청약자의 권리 및 대표주관회사의 의무 |
매수방법 | 인수회사는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합니다. |
행사가능기간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
행사대상주식 | 인수회사로부터 일반청약자가 배정받은 공모주식(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제외)※ 배정받은 계좌에서 해당 주식을 출고 후, 출고취소하는 경우에도 권리가 소멸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일반청약자의권리행사가격 | 공모가격의 90%를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을 제5조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39호나목에 따른 사업모델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41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이하 "이익미실현 기업"이라 한다)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② 인수회사가 일반청약자에게 제1항의 환매청구권을 부여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환매청구권 행사가능기간가. 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 상장일부터 1개월까지나. 제1항제4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6개월까지다. 제1항제5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2. 인수회사의 매수가격 : 공모가격의 90%이상. 다만,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 이상. 이 경우, 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또는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별주가지수 중 대표주관회사가 정한 주가지수를 말한다.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③ 제1항제5호에도 불구하고 이익미실현 기업(외국 기업을 제외한다)의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을 주관하는 주관회사가 해당 이익미실현 기업의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3년 이내에 다른 이익미실현 기업의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을 주관한 실적이 있고, 자신이 상장을 주관한 이익미실현 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일부터 3개월간 종가가 제2항제2호에서 정하는 가격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해당 주관회사는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④ 제1항제5호에도 불구하고 상장예비심사신청일 이전 6개월간 코넥스시장에서의 일평균 거래량이 1,000주 이상이고,「코넥스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제22조제2항제2호나목에서 정하는 거래형성률이 80% 이상인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외국 기업을 제외한다)의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인수회사는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⑤ 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30조제1항에 따른 혁신기술기업(이하 "혁신기술기업"이라 한다)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주관회사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최근 3년 이내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주관한 기술성장기업(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39호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을 말한다. 이하 이항에서 같다)이 상장일부터 2년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제1항의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 경우 환매청구권의 행사가능기간은 상장일부터 6개월까지이며, 주관회사의 매수가격은 제2항제2호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1. 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2조에 따라 투자주의 환기종목으로 지정되는 경우2. 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경우3. 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에 따라 형식적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4. 한국거래소의「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6조에 따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에 따른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
[대표주관회사의 권리행사 관련 사항] |
구분 | 권리행사 관련 사항 | |
권리행사관련사항 | 행사가능시간 및취소 가능시간 | 08:00~16:00에 권리행사 가능하며, 신청 당일 08:00~16:00에 한하여 취소 신청이 가능합니다. |
권리행사신청방법 | 모든 권리행사 신청자는 인수회사로부터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일반청약자이어야 하며,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해당 증권회사에서만 신청 가능합니다.(영업점 창구, 유선에서 신청 가능) | |
행사수량결정방법 |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일반청약자가 해당 종목에 대하여 매매를 하였을 경우 권리행사 신청가능 수량의 산출은 계속기록에 의한 후입선출법으로 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일반청약자의 보호를 위하여 장외시장 등의 매매를 통해 기보유 주식이 존재하는 경우, 배정받은 공모주식이 기보유수량에 선입하는 것으로 전제합니다. | |
매수대금지급시기 | 1. 일반청약자가 권리행사를 하면 신청을 받은 인수회사는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며, 매수 당일 행사시간 종료 후 16:30 이후에 일괄결제 됩니다.2. 결제대금은 권리행사 당일 즉시 또는 일괄적으로 해당 위탁계좌에 영업시간 마감 전까지 입금 처리됩니다.3. 다만, 전산시스템 미비 등으로 당일(T일)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권리행사일로부터 3영업일째 되는 날(T+2일)까지 지급 처리됩니다. | |
위탁수수료 | 0%. (단, 증권거래세 0.35%가 부과됩니다.) | |
행사가격조정방법 | 원 미만에서 절상합니다. | |
기타 유의사항 | 1.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기간에 주가가 공모가격의 90% 이하로 하락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2.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행사가능주식에서 제외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1) | 권리행사 신청가능 수량의 산출에 있어 계속기록에 의한 후입선출법은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계좌에서 해당 공모주식을 추가 매수한 후에 매도가 발생한 경우 배정받은 주식이 아닌 추가 매수된 주식이 먼저 매도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권리행사 대상주식 산정예시] |
구분 | 상세 |
※ 일반청약자가 공모주식 100주를 1월 3일 배정받아 보유중인 경우 | |
(사례1)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30주를 매도하는 경우에는 1월 3일 30주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상실시킴 |
(사례2)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30주를 매도한 후, 당일에 30주를 매수하고, 1월 5일 30주를 매도한 경우, 환매청구권 보유 주식은 70주 |
(사례3) | 1월 3일 30주를 매수하고 당일 30주를 매도한 경우에는 공모주식 100주에 대한 환매청구권 계속 보유 |
주) | 공모가액의 90%를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만,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권리행사가격은 공모가액의 90%를 하회할 수 있습니다. |
[권리행사가격 산정예시] |
구분 | 상세 |
※ 주요 가정 | |
- 공모가액 : 1,000원 | |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1,000.00p | |
(사례1)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1,000.00p(하락율 0%) | 권리행사가격 =공모가액 x 90% = 1,000원 x 90%= 900원 |
(사례2)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900.00p(하락율 1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1 + (900.00p - 1,000.00p) ÷ 1,000.00p] = 900원 |
(사례3)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800.00p(하락율 2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1 + (800.00p - 1,000.00p) ÷ 1,000.00p]= 810원 |
(6) 기타 공모 관련 서비스 내역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기타 인수인이 아닌 자로부터 인수회사 탐색 중개, 모집 또는 매출의 주선, 공모가격 또는 공모조건에 대한 컨설팅, 증권신고서 작성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실이 없습니다.(7) 투자권유대행인을 통한 투자권유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투자권유대행인을 통해 투자권유를 대행하지 않습니다.(8) 인수인의 투자 내역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인수인 또는 인수인의 이해관계인이 당사에 투자한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금번 당사 공모주식은 「상법」에서 정하는 액면가액 500원의 기명식 보통주로서 특이사항은 없으며, 당사 정관 상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에 관한 사항 제5조 [발행예정주식 총수]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한다. 2. 액면금액 제6조(1주의 금액)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500원으로 한다. 3. 주식의 종류 및 전자등록에 관한 사항 제8조의1(주식의 종류 및 주식등의 전자등록) 1.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으로 한다.2. <삭제>3. 당 회사는「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등을 전자등록한다. 다만, 회사가 법령에 따른 등록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주식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8조의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1. 당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 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2. 당 회사가 발행할 종류주식의 총수는 20,000,000주 내로 한다.3. 종류주식에 대한 최저배당률은 연 액면금액의 0% 이상으로 하여 발행 시 이사회에서 결정한다.4. 종류주식은 제3항의 배당률에 의한 배당을 받지 못한 영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는 미배당분을 누적하여 다음 영업년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받는다.5. 보통주식의 배당률이 종류주식의 배당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6. 당 회사의 청산 시 종류주주는 잔여재산 분배에 있어 종류주식 발행 시 이사회에서 정한 금액을 한도로 보통주를 보유한 주주에 우선하여 잔여재산의 분배를 받을 권리를 가지며, 보통주식에 대한 잔여재산 분배율이 종류주식에 대한 잔여재산 분배율을 초과하는 경우 보통주와 동일한 비율로 잔여재산을 분배 받을 권리를 가진다.7. 종류주식의 주주는 종류주식 1 주당 의결권 1 표를 가지며, 종류주식 발행 시 이사회의 결정으로 의결권 없는 종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8. 종류주식의 존속기간은 이사회의 결정으로 발행일로부터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정하고 이 기간 만료와 동시에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위 기간 중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을 완료할 때까지 그 기간을연장한다.9. 당 회사가 유상증자 또는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 우선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의 경우에는 당 회사가 발행하기로 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종류주식으로 한다.10. 당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아래의 조건에 따라 보통주식으로 전환되거나 회사의 이익으로 상환할 수 있는 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1) 당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주주의 청구에 따라 회사의 이익으로 상환되는 상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가) 상환주식의 상환가액은 발행가와 발행가에 대하여 발행일로부터 상환일까지 연 10%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한 이율을 복리로 계산한 이자를 합한 가액으로 한다. 단, 상환시 상환주식에 대하여 이미 지급된 배당금은 상환가액에서 공제하기로 한다.나) 상환주식의 상환청구권 행사기간은 발행일로부터 상환주식이 보통 주식으로 전환되는 시점까지로 하되 이사회에서 별도로 상환조건을 정하는 경우 이를 적용한다.다) 당 회사가 주주로부터 상환청구를 받은 경우 그 청구일로부터 1 개월이내에 주주로부터 주권을 제출받고 상환가액을 주주에게 지급한다.라) 상환주식의 상환은 배당가능이익으로만 가능하며, 상환청구가 있었음에도 상환 되지아니하거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환기간은 배당금 지급 및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연장된다.(2) 당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주주의 청구에 따라 보통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가) 전환주식의 전환비율은 전환주식 1 주당 보통주 1 주를 발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별도의 전환조건을 약정한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동 약정 계약에 따른다.나) 전환청구 기간은 발행일의 익일로부터 존속기간 만료일까지의 범위내에서 이사회에서 정한다.다) 전환주식의 전환조건은 전환주식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하는 바에 따라 전환주식 발행 후 전환청구기간 만료 전까지 변경될 수 있다.라) <삭제> 4. 배당에 관한 사항 제48조 (이익금의 처분)당 회사는 매사업년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1. 이익준비금2. 기타의 법정준비금3. 배당금4. 임의적립금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제49조 (이익배당)1.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2.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3. 제1항의 배당은 이사회결의로 정하는 배당기준일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5. 의결권에 관한 사항 제24조 (주주의 의결권)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한다. 제25조 (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회사, 회사와 회사의 자회사 또는 회사의 자회사가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가 가지고 있는 이 회사의 주식은 의결권이 없다. 제26조 (의결권의 불통일행사)1. 2 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일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2. 회사는 주주의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주주가 주식의 신탁을 인수하였거나 기타 타인을 위하여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27조 (의결권의 대리행사)1. 주주는 대리인으로 하여금 의결권을 행사 할 수 있다.2. 제1항의 대리인은 주주총회 개시전에 그 대리권을 증명하는 서면(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6. 신주발행에 관한 사항 제9조 (신주인수권)1. 당 회사의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주식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2.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2) 상법 등 관련 법령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재무구조개선을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6) 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당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국내·외 법인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8)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신주인수권)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3.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주식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결의로 정한다. 7.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사항 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1. 당 회사는 임직원(상법시행령 제30조에서 규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들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의 범위 내에서 상법 제340조의 2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을 주주총회 특별결의에 의하여 부여할 수 있다.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 받을 임직원은 회사의 설립과 경영,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였거나 기여할 능력을 갖춘 임직원으로 하되 다음 각호의 1에 해당 하는자는 제외한다.(1)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상법 제542조의8 제2항 5호의 규정에 의한 특수관계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2) 주요주주(상법 제542조의8 제2항 6호의 규정에 의한 주요주주를 말한다.이하 같다.) 및 그 특수관계인(3)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주요주주가 되는 자3.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주식의 1주당 행사가격은 다음 각호의 가액 이상이어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후 그 행사가격을 조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1) 신주를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가격 중 높은 금액①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 주식의 실질가액② 당해주식의 권면액(2) 자기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주식의 실질가액4. 주식매수선택권은 이를 부여하는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날로부터 5년 내에 행사할 수 있다.5. 임원 또는 직원 1인에 대하여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을 초과할 수 없다.6. 다음 각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1) 당해 임직원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 받은 후 임의로 퇴사하거나 퇴직한 경우(2) 당해 임직원이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초래하는 경우(3) 기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7. <삭제> |
전문용어와 축약어가 많은 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한 용어해설표를 아래와 같이 기재합니다.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 |
용어 | 설명 |
조기암 선별 기술 (Early Cancer Screening) |
조기선별을 목적으로 무증상 수검자를 위한 암 선별 검진 기술 |
미국병리학회 인증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
CAP는 미국병리학회로써 병리 학자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를 지원하는 미국 표준국의 승인을 받은 인증기관임. CAP 인증은 병원 실험실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CAP가 만든 인증 |
CLIA 인증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
미국 CMS(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에서 주관하는 미국내의 환자샘플을 대상으로 한 모든 임상진단, 또는 임상진단에 도움이 되는 테스트를 위한 인증 |
DNA (Deoxyribonucleic acid) |
핵산의 일종으로 주로 세포의 핵 안에서 생물의 유전 정보를 보관.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4 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중합된 이중 나선 구조 형태를 갖고 있음 |
LO / 기술수출 (Licensing- Out) |
자사의 기술, 제품 또는 지적 재산을 제3자에게 라이선스하여 사용 권리를 부여하는 행위 |
TSO (Test Send Out) |
해외 검체를 받아, 분석 후 임상 Report 제공하는 서비스 |
검사실 정보 관리시스템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 |
실험실에서 샘플, 데이터,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샘플 추적, 데이터 기록, 실험 절차 자동화 등 업무 효율을 높이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 줌. |
기관생명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
연구가 인간을 대상으로 할 때, 그 연구가 윤리적이고 안전하게 진행되는지 검토하고 승인하는 기구로써, 연구 참여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며, 연구 설계가 윤리적 기준에 맞는지 감시함. 모든 인간 대상 연구는 IRB의 승인이 필요함. |
다중암 조기선별 (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
한 번의 검사로 여러 종류의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기술임. 주로 혈액 속의 바이오마커 또는 순환 종양 DNA(ctDNA)를 분석해 암을 진단하며, 조기 발견을 통해 치료 성과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음. |
단편 말단 모티프 (Fragment End Motif) |
DNA 단편의 양 끝 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염기서열 패턴을 의미함. 이 모티프는 DNA가 어떻게 잘렸는지 또는 분해되었는지를 보여주며, 특히 암 진단이나 유전자 분석에서 세포 유리 DNA(cfDNA) 조각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로 사용됨 |
동반진단 | 암 환자를 대상으로 어떤 치료제(항암제)를 사용할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술조직 등을 이용하여 하는 진단 |
라이브러리 (Library) |
NGS 장비에서 인식하여 염기서열 분석할 수 있도록, DNA, RNA를 가공하는 과정 |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
인체나 특정 환경에서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군집이 형성하는 생태계로, 이들의 유전자 및 생리적 기능을 포함한 생물체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 수행 |
마이크로어레이 (Microarray) |
DNA 칩 또는 바이오칩으로 알려져 있는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매우 작은 DNA 조각들이 고체표면에 집적된 것을 말함. 많은 양의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동시에 측정하거나 게놈의 다양한 부분의 유전자 정보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함 |
메틸화 (Methylation) |
DNA 염기서열 변화 없이 CpG 부위의 시토신 5번 탄소에 메틸기가 결합하는 화학적 변화. 유전자 발현 조절 부위에 메틸화가 발생하면 유전자 발현이 차단되며, 주로 암 억제 유전자에 영향을 미쳐 암 발생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
미세결실 증후군 (Microdeletion Syndrome) |
염색체의 작은 부분이 결실되어 발생하는 유전질환으로, 다양한 신체적 또는 발달적 이상을 유발함 |
미세잔존질환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
암 치료 후에 환자의 체내에 남아 있는 극소량의 암세포를 의미. 이 암세포들은 기존의 진단 방법으로는 발견되지 않을 만큼 적은 양으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라나 암이 재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
미세중복 증후군 (Microduplication Syndrome) |
염색체의 작은 부분이 중복되어 발생하는 유전질환으로, 발달 장애나 신체적 이상을 일으킬 수 있음 |
민감도 (Sensitivity) |
실제 양성인 사람이 검사를 통해 양성으로 판정되는 비율 |
바이오 마커 (Biomarker) |
DNA, RNA, 대사물질 및 단백질에서 유래된 분자적 정보로 질병의 발생 등으로 유발된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함 |
복제수변이 (Copy Number Variance) |
유전체 내 특정 DNA 구간이 정상보다 더 많이 복제되거나(증가) 적게 복제된(감소) 구조적 변이를 의미. 유전자 수의 변화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나 기능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질환(암, 발달 장애 등)과 관련될 수 있음. |
분자 유전학 (Molecular genetics) |
유전물질인 DNA 분자수준에서 유전학을 연구하여 생명현상을 밝히는 학문 |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 (NIPT) |
산모의 혈액에 태아의 DNA가 세포 유리 DNA(cell-free fetal DNA) 형태로 존재함이 밝혀지면서 태아의 유전 이상을 산모의 혈액을 통해 검사 |
비침습적 진단 (Non-invasive diagnosis) |
사람의 몸속으로 침투하지 않고 몸 밖으로 흘러나오는 또는 몸 밖에서 채취 가능한 혈액, 객담, 대변 및 소변 등의 체액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행위 |
상동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 |
DNA 이중가닥 손상을 복구하는 고정밀 기전으로, 유사한 DNA 서열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손상된 서열을 복구한다. |
상동 재조합 결핍 (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HRD) |
손상 복구 과정 중 상동재조합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DNA 손상을 복구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로 암의 발생과 특정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 있음. |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
유전체 사업의 결과로 얻어진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는 학문. IT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함 |
세포유리 DNA (Cell-free DNA, cfDNA) |
혈액 내에 떠돌아다니는 조각난 DNA로, 세포 사멸이나 괴사 과정에서 조직 세포나 암 조직 세포가 혈액으로 유출되어 발생함. cfDNA 분석은 암 진단, 모니터링, 동반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음 |
세포유리 태아 DNA (Cell-free fetal DNA, cffDNA) |
산부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태반 기반의 태아 유래의 세포유리 DNA로 비침습적 산전 선별 검사(NIPT)를 통해 태아의 유전적 이상을 진단하는 데 사용됨 |
순환종양 DNA (Circulating Tumor DNA, ctDNA) |
혈액 내 cfDNA 중 암세포에서 유래된 DNA |
스크리닝(선별) 검사 (Screening) |
주로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수행되는 의학적 검사. 특정 질병이나 상태에 대한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조기선별 및 치료를 통해 질병 발생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됨. 증상이 나타난 사람이나 의심되는 질병 확인을 위한 진단 검사와는 구별됨 |
시퀀싱 (유전체/염기서열/염기서열 분석, Sequencing) |
생물의 유전정보를 구성하는 DNA의 염기 서열(A, T, G, C)을 읽어내는 과정. DNA 서열의 결합 순서를 분석하여 해당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해독하며, 암호화된 유전정보를 해독하는 기술로,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 기법이 적용됨 |
실험실 개발 검사 (Laboratory Developed Test, LDT) |
검사실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사법을 사용하여 검체를 분석하는 체외진단 검사의 한 형태 |
암 모니터링 | 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이후나 항암치료 후에 재발이 일어났는지, 치료효과가 있는지를 추적하는 진단 |
암 조기선별 | 암으로 확인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암에 걸렸는지 또는 위험성이 있는 지를 미리 진단하여 어떤 검사 또는 치료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진단 |
암 프로파일링 | 암세포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해 맞춤형 치료법 찾는 과정 |
양성예측도 (Positive Predict Value) |
검사 결과가 양성일 때, 실제로 질병이 있을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 |
액체생검 (Liquid biopsy) |
암 세포가 깨지면서 생기는 미량의 DNA 조각을 사람의 체액(혈액, 소변, 분변, 객담 등) 속에서 찾아내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의미함 |
염색체 (Chromosome) |
세포의 핵 안에서 DNA를 담고 있는 구조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마치 가느다란 실타래처럼 보이며, DNA는 이 안에 기다란 이중 나선 모양으로 꼬여 있으며, 사람의 염색체는 23쌍으로 구성 |
예후 예측 (Prognosis Predict) | 암 환자의 수술조직 등을 이용하여 재발이 일어날 것인지 생존기간이 어느 정도인지 알기 위한 진단을 의미함 |
유전자 (Gene) |
생물체의 개개의 유전 형질을 발현시키는 원인이 되는 인자를 뜻함 |
유전체 (Genome) |
한 생물종을 구성하는 유전정보의 총합으로 개체 내의 유전자 및 비유 전자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염기서열을 의미함 |
유전체학 (Genomics) |
개별 유전자가 아닌 유전체 수준에서 유전 정보를 알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분야 |
저밀도 전장유전체 시퀀싱 (low-coverage Whole Genome Sequencing, lcWGS) |
유전체 전체를 낮은 깊이로 시퀀싱하는 방법으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전체 유전체의 큰 변이나 구조적 변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 |
전장 엑솜시퀀싱 (Whole Exome Sequencing WES) |
WES는 전체 Exon에 포함된 약 22,000여개의 유전자를 분석. 유전체 중에서 단백질 발현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Exon 전체 영역(Exome)을 capture 함으로써 Exome 부분에 대한 염기서열 정보를 분석하는 유전체 분석 방법 |
전장 유전체 시퀀싱 (Whole Genome Sequencing, WGS) |
사람의 염기서열 전체를 분석하는 방법임. 이는 모든 유전자와 비부호화 영역을 포함한 전체 DNA를 시퀀싱하여, 유전적 변이, 돌연변이, 구조적 변화를 포괄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 |
차세대 시퀀싱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
Next generation sequencing, 유전체의 염기서열의 고속 분석 방법이며 High-throughput sequencing, Massive parallel sequencing 또는 Second-generation sequencing이라고도 불림. 기존 생어 염기서열 분석(Sanger sequencing)과 달리 많은 수의 DNA 조각을 병렬로 처리하는 데 특징이 있음.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의 등장으로 유전체 분석에 필요한 비용이 급격히 낮아져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
태아분획 (Fetal Fraction, FF) |
임산부의 혈액 속에 있는 태아의 DNA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함 |
특이도 (Specificity) |
실제 음성인 사람이 검사를 통해 음성으로 판정되는 비율 |
정밀의료 (Precision Medicine) | 개인의 환경, 유전, 생물학적 특성 등을 고려한 질병의 세분화를 통해 개인의 상황에 따른 질병예측 및 예방, 맞춤진료 및 치료를 위한 포괄적 개념의 연구와 의료행위 |
임상유전체 | 환자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 예후 예측, 치료 반응 등을 평가하고 개인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는 학문 및 기술 |
ACMG/AMP 가이드라인 | 미국 의학유전학회(ACMG,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와 분자병리학회(AMP, 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가 공동으로 제정한 가이드라인으로, 유전 변이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됨 |
EMR 시스템 (Electronic Medical Record) |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의 진료 기록, 검사 결과, 처방 정보 등을 디지털 형태로 관리하는 시스템. 의료 정보의 저장, 공유,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진료 지원과 데이터 기반 의료 서비스를 제공. |
NGS 패널 (NGS Panel)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Generation Sequencing, NGS)을 이용해 특정 유전자나 유전자 세트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검사 패널로, 질병 진단, 치료제 선택, 예후 평가 등에 활용됨 |
가. 글로벌 경기 변동에 따른 위험 2025년 3월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경제전망 중간 보고서(Economic Outlook Interim Report)'에 따르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25년 3.1%, 2026년 3.0%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OECD는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부 주요 20개국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와 가계 지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OECD는 유럽 국가들 내에서 국방비 지출 증대를 꾀하는 것과 관련해, 국방에 대한 지출 증가는 단기적으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압박을 가중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이 2025년 2월 발간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2024년 2.0% 수준에서 2025년 1.5%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성장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6년의 경우 통상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있으나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되면서 2025년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행은 향후 미국의 관세정책 운용, 글로벌 통상환경 및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국내 경기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언급하였습니다. 당사는 산과, 암, 유전희귀, 검진 등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일반 제조업 및 서비스업과 달리 경기 국내외 소비 심리, 경기 변동과 경제성장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으나,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 기조 완화 등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향후 경제 전망, 국내외 정세, 각국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 주식시장의 변동성 또한 확대될 시, 당사의 주가 역시 높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1) 글로벌 경기 동향
2025년 3월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제전망 중간 보고서(Economic Outlook Interim Report)'에 따르면 세계경제는 2025년 3.1%, 2026년 3.0%의 경제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년 12월에 발표한 전망치인 2025년 3.3%, 2026년 3.3%와 비교 시 2025년 전망치는 0.2%p, 2026년 전망치는 0.3%p 하향조정 되었습니다.
[OECD 세계 경제성장 전망] |
(단위 : %, %p) |
구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
24.12월(A) | 25.03월(B) | 조정폭(B-A) | 24.12월(C) | 25.03월(D) | 조정폭(D-C) | ||
전세계 | 3.2 | 3.3 | 3.1 | -0.2 | 3.3 | 3.0 | -0.3 |
G20 | 3.3 | 3.3 | 3.1 | -0.2 | 3.2 | 2.9 | -0.3 |
유로존 | 0.7 | 1.3 | 1.0 | -0.3 | 1.5 | 1.2 | -0.3 |
호주 | 1.1 | 1.9 | 1.9 | 0.0 | 2.5 | 1.8 | -0.7 |
캐나다 | 1.5 | 2.0 | 0.7 | -1.3 | 2.0 | 0.7 | -1.3 |
독일 | -0.2 | 0.7 | 0.4 | -0.3 | 1.2 | 1.1 | -0.1 |
프랑스 | 1.1 | 0.9 | 0.8 | -0.1 | 1.0 | 1.0 | 0.0 |
이태리 | 0.7 | 0.9 | 0.7 | -0.2 | 1.2 | 0.9 | -0.3 |
스페인 | 3.2 | 2.3 | 2.6 | 0.3 | 2.0 | 2.1 | 0.1 |
일본 | 0.1 | 1.5 | 1.1 | -0.4 | 0.6 | 0.2 | -0.4 |
한국 | 2.1 | 2.1 | 1.5 | -0.6 | 2.1 | 2.2 | 0.1 |
멕시코 | 1.5 | 1.2 | -1.3 | -2.5 | 1.6 | -0.6 | -2.2 |
튀르키예 | 3.2 | 2.6 | 3.1 | 0.5 | 4.0 | 3.9 | -0.1 |
영국 | 0.9 | 1.7 | 1.4 | -0.3 | 1.3 | 1.2 | -0.1 |
미국 | 2.8 | 2.4 | 2.2 | -0.2 | 2.1 | 1.6 | -0.5 |
아르헨티나 | -1.8 | 3.6 | 5.7 | 2.1 | 3.8 | 4.8 | 1.0 |
브라질 | 3.4 | 2.3 | 2.1 | -0.2 | 1.9 | 1.4 | -0.5 |
중국 | 5.0 | 4.7 | 4.8 | 0.1 | 4.4 | 4.4 | 0.0 |
인도 | 6.3 | 6.9 | 6.4 | -0.5 | 6.8 | 6.6 | -0.2 |
인도네시아 | 5.0 | 5.2 | 4.9 | -0.3 | 5.1 | 5.0 | -0.1 |
남아공 | 0.6 | 1.5 | 1.6 | 0.1 | 1.7 | 1.7 | 0.0 |
출처: OECD, OECD Economic Outlook Interim Report, 2025.03 |
OECD는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부 주요 20개국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와 가계 지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OECD는 유럽 국가들 내에서 국방비 지출 증대를 꾀하는 것과 관련해, 국방에 대한 지출 증가는 단기적으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압박을 가중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한편, 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에 관계없이 전세계 수입품을 대상으로 10~20%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Universal Baseline Tariff), 보복관세 관련 상호무역법(Reciprocal Trade ACT) 등의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언급하였습니다. 이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2월 1일 중국, 캐나다, 멕시코를 대상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의 구체적인 시행 여부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또한, 지난 2월 10일 포고를 통해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제232조 관세 조치 강화를 선포하여 3월 12일부터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모든 국가로부터의 철강, 알루미늄 및 파생제품 수입에 25% 관세가 부과하였으며,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였습니다. 미국은 교역 상대국의 관세, 비관세 무역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였으며, 한국에 부과되는 상호관세율은 25%로 결정되었습니다. 상호관세는 4월 9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90일이 유예되어 현재는 보류상태입니다. 미국 관세 부과는 해당 산업의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으며,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하여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계획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 연준은 2024년 11월, 12월 FOMC에서 각각 기준 금리를 25bp 인하 하였으나, 2025년 1월 및 3월 FOMC에서는 관세가 경제 및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의 불확실성 등을 언급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미국의 고관세 정책은 대미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미국 경제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 지연으로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이는 대외 수출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단기적인 시장 위축 가능성은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미국 시장 진출을 라이센스 아웃 비즈니스모델을 통하여 기술을 이전받은 법인의 매출을 인식하는 바, 매출에 대한 관세영향은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되고 이외 미국으로의 수출 품목은 없으므로 관세정책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태국등에 수출하고 있는 검사 수출의 경우,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용역거래에 해당하여 향후 국가별 관세 정책의 변경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국내 경기 동향
한국은행은 매 3개월 마다 발표하는 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에서는 국내 경제성장률을 2025년 1.5%, 2026년 1.8%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4년 경제성장률은 직전(2024년 11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성장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6년의 경우 통상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있으나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되면서 2025년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국내 경제성장률 추이] |
(단위: %) |
구 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
GDP | 1.4 | 2.0 | 1.5 | 1.8 |
출처: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25.02 |
한국은행은 각 부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민간소비는 심리위축 등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하반기 정치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금융여건 완화 영향도 나타나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건설투자는 그간의 수주·착공 위축 영향으로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부진할 전망입니다. 설비투자는 2025년 중 반도체장비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전망입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기업의 연구개발 지속과 정부, 연구개발 예산 확대에 힘입어 증가율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재화수출은 예상보다 빠른 美통상압력 움직임 등을 감안하면 증가세가 지난 전망보다 둔화될 전망이며, 통관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IT부문은 증가세를 지속하겠으나 비IT부문은 감소하는 등 품목별 차별화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한국은행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
(단위: %) |
구분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연간 | |
GDP | 2.0 | 0.8 | 2.2 | 1.5 | 1.8 |
민간소비 | 1.1 | 1.0 | 1.7 | 1.4 | 1.8 |
건설투자 | (-)2.7 | (-)6.7 | 1.1 | (-)2.8 | 2.5 |
설비투자 | 1.8 | 5.7 | (-)0.2 | 2.6 | 2.0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0.7 | 2.5 | 4.9 | 3.7 | 3.1 |
재화수출 | 6.3 | 0.7 | 1.2 | 0.9 | 0.8 |
재화수입 | 1.2 | 2.0 | 0.2 | 1.1 | 1.9 |
출처: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25.02 |
이처럼 2025년 민간소비 회복, 설비투자 확대 등을 통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긴축기조 장기화 등의 불확실성이 존재함에 따라 국내 경기 회복의 속도가 더딜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산과, 암, 유전희귀, 검진 등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일반 제조업 및 서비스업과 달리 경기 국내외 소비 심리, 경기 변동과 경제성장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으나,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 기조 완화 등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향후 경제 전망, 국내외 정세, 각국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 주식시장의 변동성 또한 확대될 시, 당사의 주가 역시 높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나. 유전체 검사 시장 성장 둔화 위험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10억 3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20%를 기록하여 약 992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밀의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유전체 검사 시장도 연평균 성장률(CAGR) 10.81%를 기록하며, 2024년 약 196억 6천만 달러에서 2028년 296억 4천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정밀의료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 중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분야에서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을 통해 각 세부 목표 시장을 선정하여 공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력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300가지 이상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장전망에도 불구하고 불확실한 대외 변수 등에 의하여 유전체 검사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해당 시장은 개화한 지 10여 년 밖에 되지 않은 시장이라는 점에서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사의 목표 시장규모가 축소되거나 시장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유전체 검사 산업은 기술 발전과 정밀의료의 확산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질병 중심 의료(Disease-Centered Care)에서 환자 개인의 유전 정보, 환경, 생활 양식 등을 고려하는 환자 중심 의료(Patient-Centered Care)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질병 예측 및 치료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 의료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중요한 접근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10억 3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20%를 기록하여 약 992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밀의료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으로는 유전체와 질환 간의 특성 분석 연구 강화, 온라인 포럼 증가, 암 생물학의 발전 등이 꼽힙니다. 최근 몇 년간 암 및 희귀질환과 같은 중증 질환의 발생률 증가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치료제, 진단법, 그리고 의약품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암 발생률의 증가는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의 필요성을 높이며, 이는 정밀의료 시장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밀의료와 유전체 검사 시장의 규모 및 전망] |
출처: Mordor Intelligence
정밀의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유전체 검사 시장도 연평균 성장률(CAGR) 10.81%를 기록하며, 2024년 약 196억 6천만 달러에서 2028년 296억 4천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전체 검사 시장은 정밀의료의 확산과 유전체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전체 검사 비용 감소에 따른 소비자 접근성 확대 및 개인 맞춤형 의료에 대한 관심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산업의 발전] |
출처: 당사 내부자료유전체 분석 대중화 가속화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개인 유전체 분석 비용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유전체 검사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2000년대 초반 휴먼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성과와 2000년대 중반 등장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기존 PCR 기반 분석 방법에 비해 NGS 기술은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대규모 유전자 연구와 임상 진단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유전체 분석기술의 발전] |
출처: Human Genome Project (미국국립보건원),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정밀의료 확대에 따른 유전체 검사 수요 증가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각 개인의 유전체 정보, 환경, 생활양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이에 따라 대용량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NGS 검사의 건강보험 적용과 개인 유전체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 최대 의료 시장을 보유한 미국에서는 의료 비용 증가와 정밀의료 인프라 확충이 맞물리며, 정부 주도의 정밀의료 연구 및 정책적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15년 오바마 정부의 정밀의료 이니셔티브 시행 이후, 미국 정부는 환자 개인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질병 예측 및 맞춤형 치료를 국가적 과제로 삼고 있으며, 규제 완화를 통해 유전체 검사와 치료 기술 연구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전체 분석 시장의 확장 미국 정부는 2015년 정밀의료 이니셔티브 정책 시행과 함께 유전체 관련 규제 완화를 추진하였으며, 2021년 바이든 정부는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를 통해 유전체분석 산업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향후 25년간 암 환자 사망률을 5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약 8억 달러(한화 약 2조 3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특히, 이 프로젝트에서는 AI 기반 다중암 조기선별 액체생검 기술의 고도화가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2024년 주요 신기술 리스트(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List)에도 'Cell-free systems and technologies'가 포함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National Cancer Institute)는 2024년부터 4년간 2만 4천 명을 대상으로 '다중 암 조기 발견(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기술을 활용한 혈액 검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트럼프 행정부 출범 당시 캔서 문샷 프로젝트’(Cancer Moonshot)의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암 연구 및 치료 혁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필요성으로 인해 근본적인 방향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를 들어, 캔서 문샷 프로젝트에서 계획한 Vanguard Study(미국 정부 주도 대규모 액체생검 조기암진단 임상)가 예정대로 진행될 것임을 2025년 1월 발표하였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포지티브 규제로 인해 유전체 산업 성장에 다소 제한이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최신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액체생검 검사 시장 역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는 유전체 분석과 정밀의료의 발전을 촉진하며, 암 조기선별과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유전체 검사 시장은 유전자, 염색체 또는 단백질 변화를 식별하는 의료 검사로, 유전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특정 유전적 상태를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분야로는 질병 진단, 발병 전 검사와 산과 검사가 포함됩니다.
특히 암 분야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의 강력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 및 정밀 의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암 발생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 접근 방식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암 조기 선별 및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전체 기반 암 치료 및 진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품목별 유전체 분석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Mordor Intelligence
품목별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의 목표 시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품목 | 대표제품 | 서비스 유형 | 목표 시장 |
산과 | G-NIPT | 산전 선별검사 |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IPT) |
암 |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검사 | 암 진단검사 | 암 프로파일링 |
유전희귀 | 희귀NGS 패널검사 | 희귀 진단검사 |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
검진 | 아이캔서치 | 검진 예측검사 |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MCED) |
(1) 산과: NIPT 시장의 규모 및 전망
당사의 G-NIPT 검사는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on-invasive Prenatal Test, NIPT) 시장을 대상으로 합니다. NIPT 시장은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NIPT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64억 1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1.6%를 기록하며 2028년에는 101억 2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고위험 산모 증가, 유전질환 발생률 상승, 검사 권장 연령 가이드라인 변경 및 임신 지원 정책 확대 등이 있습니다.
NIPT는 기존 모체 혈청 선별검사(Maternal Serum Screening)를 대체하는 기술로, 1980년대 중반부터 사용되던 기존 기술이 2014년부터 NIPT로 대체된 점을 고려할 때, 기술의 수명주기가 약 30년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10년 내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2) 암: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고형암 NGS패널검사은 암 환자의 조직이나 혈액(액체생검)으로 유전학적 진단을 위한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 시장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360Research 및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글로벌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27억 7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성장률 18.7%를 기록하여 2028년 약 254억 1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및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암 진단 및 표적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맞춤형 치료의 확산과 함께 시장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 세계 암 발생률 증가에 따라 정밀 진단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조직 생검에서 액체 생검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 모니터링과 예후 예측 검사 분야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3) 유전희귀: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유전희귀 NGS 패널 검사는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글로벌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은 2024년 10억 6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 14.23%를 기록하며 2029년 약 20억 6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기술 발전과 희귀질환 환자 레지스트리 확대, 정부 지원 정책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 FDA를 비롯한 글로벌 보건 당국도 유전희귀질환 치료 및 진단 기술 발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16년 희귀질환 관리법 시행 이후, 2017년 NGS 패널 검사 보험 적용 및 2019년 염색체 질환 진단 검사 보험 적용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시장이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4) 검진: MCED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아이캔서치는 다중암 조기 선별(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ZionMarket에 따르면 MCED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0억 6,600만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 16.6%를 기록하며 2028년 약 22억 9,5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AI 분석 기술 및 액체 생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암 조기선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다중암 조기 선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캔서 문샷 프로젝트 등 정부 주도의 투자도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와 같은 시장전망에도 불구하고 불확실한 대외 변수 등에 의하여 유전체 검사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해당 시장은 개화한 지 10여 년 밖에 되지 않은 시장이라는 점에서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사의 목표 시장규모가 축소되거나 시장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국내외 인허가 제도 및 의료정책 변동에 따른 위험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 기반 액체생검 유전체 검사 사업은 일반적으로 실험실 자체 개발 진단검사(Laboratory Developed Test, LDT) 서비스를 통해 상업화를 진행합니다. 당사는 2013년 질병청에 신고를 완료하여 국내 유전체 검사기관으로의 요건을 갖추었으며, 미국 수준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국내 최초로 CAP 인증을 받은 후, 동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정보 반출입에 대한 규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을 제외하고 검체 이동에 제한을 하고 있는 국가는 없으며, 당사가 거래하고 있는 지역에서 검체 이동에 문제가 된 경우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타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규제 변경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당사는 거래처 사전조사 시 국가정책 조사 등을 통해 각 국의 규제 여부 등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암 또는 희귀질환 진단이 필요한 환자의 의료보험 급여 제도와 관련하여, 현재 국내에서 NGS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는 선별급여 형태로 지정되어 있으며, 본인 부담률은 암 및 희귀질환의 경우 80%이고, 비소세포암의 경우만 50%입니다. 예를 들어, 진행성·전이성·재발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경우 총검사비(150만원 기준)의 50%인 75만원을 본인이 부담하게 되고, 이외의 경우에는 본인 부담률이 80%로 적용되어 약 120만원을 환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한편,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검사 항목과 관련된 정부 지원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임신 및 출산 관련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여 출산을 장려하고자 2008년부터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이러한 정책 강화로 당사의 NIPT 검사에 대한 접근성과 수요는 한층 제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질병관리청은 2023년부터 미진단된 유전희귀질환자들이 조기선별을 통해 적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전체 검사와 해석을 지원하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강화는 희귀질환 진단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당사 검사 서비스의 수요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으나, 희귀질환 진단에 대한 접근성과 수요는 한층 제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23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요양기관수는 101,762개소로 전년대비 1,366개소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상급종합병원은 45개소, 종합병원은 331개소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당사는 국내 상급종합병원 45개소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종합병원급에서도 30% 이상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는 등 높은 영업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어 의료기관 수의 증가에 따라 당사 매출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각국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 요건을 총족하고 있으며, 정부의 의료 지원책 확대와 전국 단위의 매출처 확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의료 정책 및 제도가 급변할 경우 당사의 매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 규제가 당사에 불리한 방향으로 개정될 경우, 영업환경의 악화로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액체생검 유전체 검사 사업은 일반적으로 실험실 자체 개발 진단검사(Laboratory Developed Test, 이하 LDT) 서비스를 통해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에 따라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관은 검사 목적에 부합하는 시설 및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질병관리청에 해당 내용을 신고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2013년 질병관리청에 신고를 완료함으로써 유전체 검사기관으로서의 법적 요건을 충족하였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는 LD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병리학회(CAP,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로부터 임상검사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받아야 하며,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인증을 보유한 실험실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분석법을 기반으로 검사를 수행합니다. 당사는 미국 수준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국내 최초로 CAP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이후 동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정보 반출입에 대한 규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인간 유전자원 관리조례'를 통해 자국 유전체 반출 금지)을 제외하고 검체 이동에 제한을 하고 있는 국가는 없으며, 당사가 거래하고 있는 지역에서 검체 이동에 문제가 된 경우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기타 국가에서도 유전자정보 반출입에대한 규제 변경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당사는 거래처 사전조사 시 국가정책 조사를 통해 혈액을 포함한 인체유래물의 반출입 가능여부, 유전자정보 이동에 대한 각 국의규제여부 등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해외사업팀은 신규 계약 체결 전 거래처가 속한 시장 상황, 서비스 제공 가능여부 및 위와 같은 의료정책 및 규제 등에 대하여 리서치를 수행하여 프로세스 상 정책적 이슈가 없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지 전문의를 포함한 pilot test 수행을 통해 시장성 및 해외 검체 이동 등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점검함으로써 당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해외 진출 시 현지 Compliance 사전 점검을 통해 이러한 규제 변동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암 또는 희귀질환 진단이 필요한 환자의 의료보험 급여 제도와 관련하여, 현재 국내에서 NGS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는 선별급여 형태로 지정되어 있으며, 본인 부담률은 암 및 희귀질환의 경우 80%이고, 비소세포암의 경우만 50%입니다. 예를 들어, 진행성·전이성·재발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경우 총검사비(150만원 기준)의 50%인 75만원을 본인이 부담하게 되고, 이외의 경우에는 본인 부담률이 80%로 적용되어 약 120만원을 환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다만, 향후 급여 제도에는 변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일례로 보건복지부는 2023년 11월 28일 「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225호)을 개정하여, 폐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진행암에 대해 선별급여 지원 비율을 종전의 50%에서 20%로 축소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선별급여 축소에 따른 직접적인 사업 영향을 확인하기 어려우나, 해당 검사는 치료에 필수적인 검사임을 고려할 때 해당 정책의 변화가 당사의 검사 건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 |
한편,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검사 항목과 관련된 정부 지원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임신 및 출산 관련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여 출산을 장려하고자 2008년부터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제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022년부터 출산 산모에 대한 기본급을 임신 1회당 일태아 60만원/다태아 100만원에서 일태아 100만원/다태아 140만원으로 확대하고, 분만 취약지에 위치한 의료기관에서 출산 시 20만원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1월부터는 의료비 실지출이 많은 다태아 지원액을 태아당 100만원으로 확대하였습니다. 평균 50~60만원에 달하는 NIPT 검사 비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정책 강화는 산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당사의 NIPT 검사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1987년 도입 후 37년간 유지되었던 출산 전 '태아 성별 고지 금지 조항'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으로 판단되면서 관련 검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보건복지부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사업] |
출처: 보건복지부
반면, 질병관리청은 2023년부터 미진단된 희귀질환자들이 조기선별을 통해 적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전체 검사와 해석을 지원하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시행해왔습니다. 해당 사업은 지역 내 지정 의료기관에서 환자 및 환자 가족의 검체를 채취하면 전문 검사기관이 검체를 수거 및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는 원거리 이동 없이 거주지에서도 진단을 받을 수 있어 진단의 접근성이 제고되었으며, 검사 대상이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 가족까지 확대되어 잠재적 환자와 보인자 선별을 통해 선제적 예방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지난 2024년 한해동안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운영한 결과, 검사 대상 총 410명 중 129명이 양성으로(양성률 31.5%) 확인되었고, 양성으로 확인된 환자 대부분은 소아·청소년(80.6%)으로 해당 연령군에서 조기선별을 통한 적기 치료 연계 성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증상 발현일로부터 희귀질환 진단까지 소요된 기간이 1년 미만이 19.6%(21명), 10년 이상은 25.2%(27명)로 확인되며 의심 환자에 대한 조기선별은 물론, 10년 이상 장기간 미진단된 환자의 진단 방랑 해소에도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양성자 129명 중 101명(78.2%)은 산정특례 적용 대상으로 본인부담금 경감 혜택을 받았으며, 소득('25년 기준 중위소득 140% 미만) 및 재산 기준에 따라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까지 받게 되었습니다. '24년 진단지원 사업의 만족도 조사 결과 환자와 가족뿐만 아니라, 의료진 역시 95%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성과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지원 강화를 위해 2025년 3월부터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2025년 진단 지원 대상 질환을 기존 1,248개에서 1,314개로 확대하고, 진단 실수요 및 희귀질환의 증가 추세 등을 고려하여 진단지원 규모를 800여명까지 전년대비 두 배로 확대하여 지원할 예정입니다. 진단 검사의뢰 지역 및 기관도 확대하여 기존의 비수도권 23개 의료기관 중심에서 비수도권 25개 기관 및 수도권 일부 지역의 9개 의료기관을 추가하여 총 34개 의료기관을 통해 거주지 중심의 진단 접근성을 한층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수검자 중 유전성 희귀질환이 확인된 경우, 부모와 형제 총 3인 내외의 가족 검사를 추가 지원하여 보인자 등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치료비 지원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조기선별이 필수적인 척수성근위축증(SMA*)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선별검사 및 확진 검사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정책 강화는 희귀질환 진단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당사 검사 서비스의 수요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으나, 희귀질환 진단에 대한 접근성과 수요는 한층 제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출처: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24년 11월 발간한 「2023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요양기관수는 101,762개소로 전년대비 1,366개소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상급종합병원은 45개소, 종합병원은 331개소로 꾸준히 증가하고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소재 요양기관수는 24,364개, 상급종합병원 수는 역시 14개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사는 현재 전국 900여 개의 병ㆍ의원(의료기관, 건강검진센터)와 협력하여 산과, 검진, 암, 유전희귀질환 진단 등 다양한 분야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상급종합병원 45개소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종합병원급에서도 30% 이상에 검사서비스를 공급하는 등 높은 영업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어 의료기관 수의 증가에 따라 당사 매출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도별 전국 요양기관 수 및 소재지별 기관수 현황] |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11
또한, 건강보험공단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암환자 수는 300만 2,842명, 2023년 신규 암 발생자 수는 37만 1,28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신규 발생 암환자 중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 신규 등록된 암환자 수는 17만 7,948명이나, 해당 인구 중 10만 9,811명이 서울 외 주민으로, 지방 환자의 서울 소재 상급 및 종합병원으로의 쏠림 현상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당사의 검사 서비스 수요도 증가할 전망입니다.
당사는 각국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 요건을 총족하고 있으며, 정부의 의료 지원책 확대와 전국 단위의 매출처 확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의료 정책 및 제도가 급변할 경우 당사의 매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 규제가 당사에 불리한 방향으로 개정될 경우, 영업환경의 악화로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새로운 진단 트렌드 등장에 따른 경쟁 심화 위험 현재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NGS 기술을 바탕으로 DNA, RNA 등 유전체의 분자적 기전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진단합니다. NGS 분석기술의 고도화로 세포유리 DNA(cfDNA)를 활용한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기법은 혈액과 같은 체액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유전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어, 현재는 태아의 이상 질환 검출, 암 정밀진단 및 조기 선별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암 재발 모니터링, 장기이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관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주요한 진단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현재 액체생검 기반 진단에 있어 유전체학 및 후성유전체학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다만 유전자 또는 후성유전자 조절의 변화가 반드시 단백질 발현 이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단백질 이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고 일부 대사성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은 단백질체 수준의 분석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질체학 및 다중오믹스 기술은 질병의 최종 발현 단계인 단백질 및 대사체 수준의 정보를 통합 분석함으로써, 기능적 이상을 직접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성능 측면에서 유전체 기반 진단보다 높은 정밀도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현재까지는 기존의 유전체학 기반 기술 수준에 상응하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백질체학의 경우 SNV(Single Nucleotide Variant)로 인한 단백질 변이 확인에 기술적 제약이 존재하여, 단기간 내 상용화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됩니다. 현재까지의 기술 발전 속도와 제도적 한계를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NGS기반 액체생검 기술을 대체할 진단 기법이 나타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으로 당사의 사업 및 기술적 경쟁력 약화로 당사의 영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을 기반으로 DNA 및 RNA 등 유전체의 분자적 기전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NGS 분석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세포유리 DNA(cfDNA)를 활용한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기법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혈액 등 체액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유전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해당 기술은 주로 태아의 이상 질환 검출, 암 정밀 진단 및 조기 선별에 적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암 재발 모니터링, 장기 이식 등 보다 다양한 의료 목적에도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처럼 관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주요한 진단 수단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체의 혈액 또는 조직에서 획득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방식은 분석 대상 및 방법에 따라 유전체학(Genomics), 후성유전체학(Epigenomics), 전사체학(Transcript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 미생물체학(Microbiomics) 등으로 구분되며, 다중오믹스(Multiomics)는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법을 의미합니다.
[오믹스 데이터 분석 기법] |
출처: Genome Biology
당사는 현재 액체생검 기반 진단에 있어 유전체학 및 후성유전체학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까지는 기존의 유전체학 기반 기술 수준에 상응하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백질체학의 경우 SNV(Single Nucleotide Variant)로 인한 단백질 변이 확인에 기술적 제약이 존재하여, 단기간 내 상용화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단백질체학을 포함한 다양한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됩니다.
유전체학과 후성유전체학은 분자진단 시장과 임상현장에서 가장 높은 기술 성숙도와 신뢰성을 갖춘 플랫폼입니다. 유전체학 및 후성유전체학은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임상적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며 FDA 및 CE 등 글로벌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은 진단제품 사례가 풍부하여 규제 대응 및 임상설계가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유전체학은 DNA의 변이 및 구조적 이상을 정밀하게 포착하며 후성유전체학은 환경적 요인에 따른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진행 예측에 효과적인 통합적 분석 체계를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cfDNA 기반 액체생검 기술과 결합되어, 비침습적 혈액 검체를 활용한 진단이 가능하며 표준화된 시퀀싱 분석 기반으로 높은 정확도와 재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전자 또는 후성유전자 조절의 변화가 반드시 단백질 발현 이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단백질 이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고 일부 대사성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은 단백질체 수준의 분석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질체학 및 다중오믹스 기술은 질병의 최종 발현 단계인 단백질 및 대사체 수준의 정보를 통합 분석함으로써, 기능적 이상을 직접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성능 측면에서 유전체 기반 진단보다 높은 정밀도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러나, 다중오믹스 기반 진단 기술은 여전히 시료의 복잡성, 표준화의 어려움, 정량성 및 재현성 확보의 한계, 분석 비용 등으로 인해 상용화에 높은 장벽이 존재합니다. 현재까지 글로벌 규제기관의 정식 승인을 받은 다중 오믹스 기반 진단 제품은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현재 국내외 주요 경쟁사들 또한 대부분 유전체학과 후성유전체학을 기반으로 기술 개발 및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다중오믹스 기반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기술적·상업적 제약으로 인해 유전체 기반 진단기술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기술 발전 속도 및 제도적 한계를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NGS 기반 액체생검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진단기법이 등장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당사의 사업 경쟁력 및 기술적 우위가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는 당사의 영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의정갈등 장기화 관련 위험 지난 2024년 2월,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반발한 전국 대학병원 수천 명의 레지던트와 인턴이 사직을 하면서 전공의 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대학병원은 주요 NGS 패널 검사 실시기관으로 전체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으로 암 및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에 필수적인 NGS 패널 검사의 접근성이 제한되었으며,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도 차질이 발생하였습니다. 의정 갈등이 발생하기 이전 당사는 꾸준히 외형적 성장을 이루고 있었으나, 국내 NGS 패널 검사 시장 비중이 높은 당사는 매출이 2023년의 273억원에서 2024년 259억원으로 감소하는 등 외형 역성장을 시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의정 갈등이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히 파업이 처음 시작한 2024년 2월 및 3월, 처방이 필요한 암과 유전희귀질환 검사 건수가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2025년 1분기 기준 검사 건수는 33,234회로 전년 동기 대비 확연한 개선세를 보였으며, 매출액도 68억원으로 검사 건수 증가와 함께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및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지난 2024년 2월, 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2천명 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정책 발 표에 반발한 전국 대학병원 수천 명의 레지던트와 인턴이 사직을 하면서 전공의 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비응급 환자들은 더이상 3차 진료 시설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대학병원은 주요 NGS 패널 검사 실시기관으로 전체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으로 암 및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에 필수적인 NGS 패널 검사의 접근성이 제한되었으며,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도 차질이 발생하였습니다.
의정 갈등이 발생하기 이전, 당사는 꾸준히 외형 성장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당사의 2021년~2023년 매출액은 각각 185억원, 241억원, 273억원으로 16.0%의 연평균성장률을 시현하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 시작된 의료 파업으로 국내 NGS 패널 검사 시장 비중이 높은 당사는 매출이 2023년의 273억원에서 2024년 259억원으로 감소하는 등 외형 역성장을 시현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4개년 및 최근 분기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액 | 6,814 | 25,888 | 27,292 | 24,114 | 18,498 |
매출원가 | 3,765 | 14,181 | 13,595 | 13,349 | 11,318 |
매출총이익 | 3,049 | 11,707 | 13,697 | 10,765 | 7,180 |
매출총이익률 | 44.75% | 45.20% | 50.20% | 44.60% | 38.82% |
영업이익 | (25) | (1,234) | 160 | (3,236) | (2,109) |
영업이익률 | (0.37%) | (4.80%) | 0.60% | (13.40%) | (11.04%) |
당기순이익 | 297 | (1,257) | (550) | (3,763) | 293 |
당기순이익률 | 4.36% | (4.90%) | (2.00%) | (15.60%) | 1.58% |
그러나 의정 갈등이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히 파업이 처음 시작한 2024년 2월 및 3월 처방이 필요한 암과 유전희귀질환 검사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025년 1분기 기준 검사 건수는 33,234회 로 전년 동기의 30,700건 대비 확연한 개선세를 보 였으며, 매출액도 전년 동기 대비 18.5% 성장하여 68억원에 이르는 등 검사 건수 증가와 함께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2025년 3월 매출액은 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및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경쟁 기업의 기술 고도화에 따른 기술 경쟁력 관련 위험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통해 300여 종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입니다.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4개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 기반의 기술제품 G-NIPT와 아이캔서치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서비스 시장에 임상 유전체 검사를 공급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의 고도화 및 신제품 출시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당사의 기술 경쟁력 및 시장 점유율이 향후 약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의 영업환경 및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통해 300여 종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 다양한 유전체 검사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혁신적인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비침습적 유전자 분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수요에 맞추어 신뢰도 있는 검사를 빠르게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력을 기반으로 당사는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4개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 기반의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서비스 시장에 임상 유전체 검사를 공급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 및 관련 제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핵심 기술 및 특징] |
핵심 기술 | 요소 기술 | 특징 | 핵심 기술 제품 |
---|---|---|---|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 (G-PrEMIA) |
FD(Fragment Distance): 각 정렬된 시퀀싱 리드(aligned reads) 간의 거리를 측정 | 데이터의 분포를 반영해 안정적이며 강한 신호 활용 및 앙상블 기법으로 검사 정확도 향상 |
G-NIPT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 |
GAViDL(Genomic Aneuploidy Visualization for Deep Learning): 복잡한 유전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간소화하는 기술 | 염색체의 전반적인 패턴 학습 및 타깃 염색체 중복 배치로 신호 증폭. 시각화를 통해 AI 학습 최적화 및 분석 정확도 제고 | ||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선별 기술 (G-SeNTInEL) |
FEMS(Fragment End Motif by Size): 핵산단편 말단 서열 및 사이즈 이용 기술 |
cfDNA의 단편 크기(FS)와 단편 말단 모티프(FEM) 정보를 결합한 패턴을 분석하여 다양한 암 유형을 동시에 탐지 |
아이캔서치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 |
RMD(Regional Mutation Density): 돌연변이 밀도 및 시그니처 이용 기술 |
특정 유전자의 변이를 보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변이의 밀도를 패턴화하여 분석 |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 G-PrEMIA는 총 17,678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성능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G-SeNTInEL은 4,923명의 임상 검체를 기반으로 검증되어 최종 제품에 적용되었습니다. 이 두 기술을 기반으로, 당사는 비침습적 산전 염색체 이수성 이상 선별 검사(G-NIPT)와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아이캔서치)를 출시하였습니다.
G-PrEMIA 기술의 차별성은 거리(Distance) 기반 데이터 처리 및 AI 기반 시각화 기법을 통해 이수성 신호의 민감도(실제로 양성 (다운증후군 혹은 암) 이 있는 샘플 중에서 양성으로 올바르게 판단한 비율)와 특이도(실제로 음성 (정상태아 혹은 건강인) 인 샘플 중 검사에서 음성으로 올바르게 판단한 비율) 를 향상시키는 데 있으며, 이는 기존의 통계 기반 기법(Z-score, NCV score 등)을 사용하는 경쟁사 대비 구조적 데이터 특성 반영 및 노이즈 억제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본 기술로 제품화된 G-NIPT는 국내외 경쟁 제품 대비 빠른 검사 소요일(3일), 높은 민감도(99.79%) 및 특이도(99.98%), 광범위한 부수 질환 검출 범위(140종 이상), 식약처 인증 획득 등 다양한 경쟁 우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확진 검사 옵션을 포괄한 일원화된 서비스 체계를 통해 국내 87개 대학병원 중 60%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대학병원 내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G-SeNTInEL 기술은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DNA 절편화(FEMS), 돌연변이(RMD), 복제수변이(CNV) 등 다양한 유전 정보 분석을 통해 암 존재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데이터 생산 효율성과 원가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 공정은 높은 상업적 확장성과 특허 독립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향후 판캔서 진단 플랫폼으로의 확장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제품화된 아이캔서치는 민감도 82.2%, 특이도 96.2%의 임상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적은 검체량(10ml), 짧은 검사 소요일(7~14일), 낮은 병원 공급가 등 다각적인 경쟁력을 기반으로 시장 확대 중입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술 제품의 경쟁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NIPT 검사의 비교 우위
산과 분야의 대표 제품인 G-NIPT는 국내외 경쟁 제품 대비 다양한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우선, 검사 소요일 측면에서 당사는 공정 설계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 7일에서 3일로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국내 최단 수준의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검사 정확도 측면에서도 G-NIPT는 다운증후군 검출 민감도 99.79%, 특이도 99.98%라는 높은 임상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임상 성능 검증 논문이 발표되어 의료 현장에서의 신뢰도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부수적인 염색체 이상에 대해서도 140종 이상의 질환을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범위 면에서 경쟁사 대비 폭넓은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G-NIPT는 국내 NIPT 제품 중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한 제품으로, 검사 성능과 임상적 유효성이 국가기관에 의해 공인되었기 때문에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타사와 달리 양성 결과에 대한 후속 확진 검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의 활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의료진과 산모는 양수 핵형검사, 산전 CMA 등 다양한 정밀 진단 옵션을 통해 보다 정밀하고 맞춤화된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경쟁사에서는 쉽게 제공하지 못하는 고부가가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경쟁 기관들도 확진 검사를 당사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G-NIPT는 소아 희귀질환 진단에 활용되던 CMA 장비를 산전 선별 검사로 확장 활용함으로써 진단의 연속성을 강화하였고, 이로 인해 대학병원 내 의뢰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일원화는 전국 87개 대학병원 중 62% 이상인 54개 병원에서 당사 서비스를 채택되어 국내 대학병원 커버리지율 1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급여 진료비용 정보 공개 사이트 기준)
[당사 G-NIPT 검사의 비교 우위] |
(2) 아이캔서치 검사의 비교우위
검진 영역의 대표 제품인 아이캔서치는 다양한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조기암 선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이캔서치는 최적화된 샘플 처리 공정, 검사법 및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검사에 필요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보하였으며,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병의원에 합리적인 공급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생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암종으로의 기술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분석 알고리즘(FEMS 및 RMD)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경쟁사 대비 저비용, 짧은 소요일로 암 조기 선별이 가능합니다.
검체 요구량은 10ml로, 경쟁사의 20ml 대비 적고, 샘플당 데이터 생산량도 10Gb 수준으로 최적화하여 대형 검진센터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확보하였습니다.
검사 소요일은 평균 7~14일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며, 검사의 민감도는 82.2%, 특이도는 96.2%로 임상적으로 우수한 정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4,923건의 임상 검체 기반의 성능 검증이 완료되어, 신뢰성과 상용화 가능성 또한 충분히 입증되었습니다.
[당사 아이캔서치 검사의 비교 우위] |
당사는 이와 같은 핵심기술 적용 제품에서 고유 기술력과 임상적 성능, 공정 효율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외형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의 고도화 및 신제품 출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당사의 기술 경쟁력 및 외형 확장이 향후 약화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의 영업환경 및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및 사업화 실패 관련 위험 당사는 유전체 분석을 핵심 사업으로 설립되어,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건강검진 등의 분야로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으며, 신규 사업으로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을 활용하여 국내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여 판매 중입니다. 당사는 산과검사의 G-NIPT에 적용되는 G-PrEMIA 기술을 향후 200종 이상의 염색체 질환으로 확장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진행 중이며,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에 적용되는 G-SeNTInEL 기술을 현재의 6종암에서 2025년까지 10종, 2028년까지는 20종으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단일 암종을 대상으로 한 정밀 조기선별 서비스 개발 및 미국 시장내 서비스 출시를 계획하고 있으며, 순환종양 DNA를 활용한 암의 조기선별 및 예후예측 기술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신규 사업계획에도 불구하고,해당 신규 사업의 추진에는 상당한 인력, 자금, 시간이 소요되며, 단기간 내 당사의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규제환경, 인허가 과정, 고객사 확대에 따른 영업 변동성, 발주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기대한 수준의 수익이 창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유전체 분석을 핵심 사업으로 설립되어,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검진 등의 분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으며, AI 기반의 비침습적 유전자 분석 기술을 토대로 신규 사업 영역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로는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고 판매 중입니다.
당사는 G-PrEMIA와 G-SeNTInEL 두 가지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총 네 가지 방향으로의 기술 확장 및 고도화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1) 차세대 NIPT
당사의 G-NIPT는 현재 다운증후군, 에드워드증후군, 파타우증후군 등 주요 염색체 이수성 질환 외에도 총 140종의 부수적인 염색체 질환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를 200종 이상의 염색체 질환으로 확장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진행 중이며, 해당 기술은 특허청으로부터 다양한 염색체 질환 탐지에 대한 기술 적정성 평가를 이미 획득하였습니다. 특히, G-PrEMIA는 2040년까지 특허가 존속되며 독점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 기술적 및 사업적 확장성 측면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다중암 조기선별
현재 당사의 G-SeNTInEL 기술은 6종의 암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를 2025년까지 10종, 2028년까지는 20종으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국내 주요 상급종합병원과 협력하여 대규모 임상 검체 모집 및 분석법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신규 시퀀싱 플랫폼 도입 및 AI 알고리즘의 Feature 다양화를 통해 임상적 유용성과 시장성을 동시에 강화할 방침입니다.
(3) 단일암 조기선별
당사는 단일 암종을 대상으로 한 정밀 조기선별 서비스 개발도 병행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은 한국인뿐 아니라 백인 검체에서도 호환성이 입증된 바 있습니다. 현재 Genece Health를 통해 미국 내 최대 암센터인 MSK(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및 AHN(Allegheny Health Network)와 협력하여 폐암 관련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향후 미국 시장에 단일암 조기선별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인종 간 기술 확장성을 확보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4) 예후예측검사
정밀의료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순환종양 DNA(circulating tumor DNA; ctDNA)를 활용한 암의 조기 진단 및 예후예측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은 암의 조기 선별 외에도 치료 반응 모니터링, 동반진단, 미세잔존암 검출 등 전 주기 진단에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제로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임상 데이터를 축적해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는 치료 예후예측 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21-0172562호) 및 논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세잔존암 검출 관련 특허(출원번호 제10-2021-0038719호)도 추가 확보한 상태입니다.
이와 같은 중장기 사업계획에도 불구하고, 해당 신규 사업의 추진에는 상당한 인력, 자금, 시간이 소요되며, 단기간 내 당사의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규제환경, 인허가 과정, 고객사 확대에 따른 영업 변동성, 발주 지연 등의 요인으로 인해 기대한 수준의 수익이 창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기술이전 파트너사 관련 위험 당사는 목표시장별 특성을 고려하여 북미 시장에 진출하고자 미국 Genece Health에 기술이전(Licensing out, L/O)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당사는 Genece Health와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당사의 액체생검 기술 및 노하우를 북미 시장에 이전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당사는 계약금을 수령하였으며, 향후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 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를 수령할 예정입니다. 현재 Genece Health는 미국에서의 아이캔서치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시장 수요를 고려하여 단일암종 조기선별 제품을 런칭할 예정이며, 2025년 4분기에 폐암 조기선별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기술이전에 성공하더라도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던 기업이 해당 기술이전 계약에서 목표하는 기간 내에 개발 혹은 사업화를 실패하는 경우, 계약에서 규정한 조건에 따른 마일스톤, 로열티 수령 가능성과 시기, 규모 등에 변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전 모델의 한계로 인하여 당사가 통제할 수 없는 기술이전 파트너사의 개발 능력, 네트워크, 자금력 등의 역량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4월, 당사는 Genece Health와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당사의 액체생검 기술 및 노하우를 북미 시장에 이전하였습니다. 본 계약에 따라 Genece Health는 핵심기술인 종양 액체생검 기술 특허의 북미(미국, 캐나다)에 대한 독점적 전용실시권 및 상업화 권리를 취득하였으며, 당사는 Genece Health로부터 계약금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을 수취하였고, 향후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 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를 수령할 예정입니다.
[기술이전 계약 세부내역] |
계약상대방 | Genece Health, Inc. |
계약의 내용 | Genece Health가 당사의 종양 액체생검 기술 특허의 북미(미국, 캐나다)에 대한 독점적 전용실시권 및 상업화 권리를 취득하는 대가로 당사는 계약금과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 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 수령 |
계약체결일 | 2023년 4월 11일 |
계약기간 | 2023년 4월 11일 ~ |
계약금주1) | - 선급금 : $ 500,000(약 6.7억원, 2024년 기수령완료)- 마일스톤 a. 개발 마일스톤 (1) 첫 상업화 $500,000 (2) 미국 특허 등록 $1,000,000 이외 세부 마일스톤 비공개 b. 세일즈 마일스톤 세부 세일즈 마일스톤 비공개- 로열티 세부 로열티율 비공개 |
기타 | - |
주1) 마일스톤 및 로열티 구간, 금액 등 세부 지급 조건 등에 대해서는 파트너사와의 비밀유지 합의에 따라 기재하지 않음 |
Genece Health는 현재 미국에서의 아이캔서치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시장 수요를 고려하여 단일암종 조기선별 제품을 런칭할 예정이며, 2025년 4분기에 폐암 조기선별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Genece Health의 사업 성과를 레퍼런스로 활용하여 타 국가에서도 기술이전 및 액체생검 사업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Genece Health를 전략적 교두보로 활용하여, 향후 당사의 다양한 유전체 분석 기술을 미국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하는 데 있어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기술이전에 성공하더라도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던 기업이 해당 기술이전 계약에서 목표하는 기간 내에 개발 혹은 사업화를 실패하는 경우, 계약에서 규정한 조건에 따른 마일스톤, 로열티 수령 가능성과 시기, 규모 등에 변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Genece Health의 최근 3개년 및 최근 사업연도 1분기 재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Genece Health, Inc. 재무상황] |
(단위: 천원) |
매출처명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자산총계 | 1,101,695 | 1,507,389 | 10,933,052 | 6,016,755 |
부채총계 | 29,946,222 | 27,943,037 | 20,775,493 | 6,515,042 |
매출액 | - | - | - | - |
당기순이익 | (2,448,494) | (14,018,290) | (9,459,846) | (519,671) |
총포괄손익 | (2,448,494) | (14,018,290) | (9,459,846) | (519,671) |
Genece Health는 2022년 9월 미국에 설립된 녹십자그룹 산하의 암진단 검사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2024년 말 기준 당사가 2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설립 시기가 길지 않으므로 아직 시현된 매출액이 없습니다. 또한, 동사의 부채총계는 자산 대비 높은 수준이나, 이는 지난 2022년 및 2023년 두 차례에 거쳐 1,500만 달러 규모의 전환사채가 발행된 것에 의하며, 해당 투자 유치로 인해 동사는 충분한 자금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Genece Health는 당사의 종양 액체생검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미국 내 암 검진 서비스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며, 향후 매출액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향후 마일스톤 전개에 따라 당사에 지급될 단계별 기술료 및 판매 수수료에 대한 지급불이행 위험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이전 모델의 한계로 인하여 당사가 통제할 수 없는 기술이전 파트너사의 개발 능력, 네트워크, 자금력 등의 역량에 따라 북미 시장 진출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당사가 기존 예상하는 수익을 실현하지 못하여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분석기기 및 원재료 공급업체 의존도에 따른 위험 당사는 유전자 진단 시 필요한 관련 원재료와 장비는 DNA 전처리/타겟 캡쳐를 공급하는 업체 및 DNA 시퀀싱용 NGS 기기를 판매하는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공급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타 유전자진단 경쟁사들과 동일하게 Illumina의 NovaSeq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LCWGS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된 독자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시퀀서 장비 1회 운용으로 타사 대비 10배 적은 데이터양으로도 높은 품질의 생산성과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즉, 당사는 시퀀서 장비 가동 시 높은 생산능력으로 가격경쟁력과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타사 대비 원재료 공급에 대한 압박이 적은 편입니다.
당사는 향후 공급업체 다변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2025년부터는 Illumina 이외의 Ultima Genomics 등 차세대 시퀀싱 플랫폼 도입을 계획하고 있고 이중 UG10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는 NGS에 대표적인 플랫폼인 일루미나사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gNDA , cfDNA, cDNA, amplicon등 다양한 물질들이 처리 가능하고 저농도 cfDNA 기반의 액체생검 연구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표준 NGS 라이브러리 구조와 FASTQ 포맷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과 호환 가능합니다. 이에 당사는 보유중인 일루미나 플랫폼과 장비간 비교 검증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는 특정 장비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함과 동시에, 분석 원가 절감, 데이터 생산 시간 단축, 연구개발 효율화 등의 효과를 통해 당사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사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협력업체의 상황에 따라 특정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향후 NGS 장비업체 또는 원재료 공급업체의 변동이 발생하여 원가 절감에 차질이 생기거나 원재료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의 원가절감이 어려워져 추가적인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고객 확보에 차질이 생기는 등 영업환경이 악화되어 수익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유전자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관련 유전자 분석 사업의 가치사슬은 DNA 전처리 및 타겟 캡처, DNA 시퀀싱,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 제공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계별로 전문화된 공급업체들이 필수적인 원재료 및 장비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사는 이들 업체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전자 진단에 필요한 원재료 및 장비를 DNA 전처리 및 타겟 캡처 제품 공급업체, 그리고 시퀀싱 장비 제조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조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가 주요하게 사용하는 시퀀싱 장비는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인 Illumina의 NextSeq 및 NovaSeq 시리즈로, 이는 국내외 유전자진단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성능 장비입니다.
특히 당사는,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경쟁사와 달리,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Low Coverage Whole Genome Sequencing, lcWGS) 기반의 독자적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타사 대비 약 10분의 1 수준의 데이터 양으로도 고품질의 분석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퀀서 장비 1회 가동 시 높은 샘플 처리량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상대적으로 원재료 조달에 대한 부담도 낮은 편입니다.
더불어, 당사는 향후 공급업체 다변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2025년부터는 Illumina 이외의 Ultima Genomics 등 차세대 시퀀싱 플랫폼 도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Ultima Genomics사는 2016년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뉴어크에 본사를 둔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개발하여 유전체 분석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UG100 시퀀싱 플랫폼, ppmpSeq 기술 , Solaris workflow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중 UG10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는 NGS에 대표적인 플랫폼인 일루미나사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gNDA , cfDNA, cDNA, amplicon등 다양한 물질들이 처리 가능하고 저농도 cfDNA 기반의 액체생검 연구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표준 NGS 라이브러리 구조와 FASTQ 포맷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과 호환 가능합니다. 이에 당사는 보유중인 일루미나 플랫폼과 장비간 비교 검증 진행 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UG100장비를 도입한 기업으로는 마크로젠, 소마젠, 이노크라스 등이 있습니다. 이는 특정 장비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함과 동시에, 분석 원가 절감, 데이터 생산 시간 단축, 연구개발 효율화 등의 효과를 통해 당사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협력업체의 경영상황 및 시장 변동성에 따라 특정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NGS 기반 유전자 분석 시장은 아직 성장 단계에 있으며, 산업 내 관련 기업의 수가 제한적이고 일부 공급업체의 재무적 안정성 또한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장비 제조사 또는 원재료 공급업체의 거래 조건 변경, 사업 중단, 공급 지연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원가 절감 전략에 차질이 생기거나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시퀀서 장비 제조사의 시장점유율 변동은 당사의 제품 경쟁력과 직결될 수 있으며, 이는 고객 확보 및 시장 내 입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가 발생할 경우, 당사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 감소, 수익성 저하 등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매출처 편중 위험
당사의 국내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판매 방식에 따라 두 가지 모델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의료기관에 간접적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 서비스 모델과, 의료기관이 당사에 직접 검사를 의뢰하는 단독서비스 모델입니다.
협력 서비스 모델은 녹십자의료재단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거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유전체 검사에 대해 당사에 유전체 분석 서비스 용역을 의뢰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녹십자의료재단을 플랫폼으로 재단과 계약 관계를 맺고 전산시스템이 연동되어 있는 의료기관에 당사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도 포함됩니다. 협력 서비스 모델에 대해 당사는 검사 건당 보험수가 또는 계약 가격의 일정 비율을 용역 수수료로 수취함으로써 매출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연단위 계약을 통해 항목 및 단가를 정하고, 재단은 해당 계약에 따라 당사와 공동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을 기반으로 녹십자의료재단은 당사의 독보적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경쟁력을 활용하여 의료기관 입찰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고, 당사는 녹십자의료재단과 의료기관 간 기구축된 전산시스템을 공유함으로써 의료기관의 거래처 관리 리소스를 줄이는 동시에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독서비스 모델은 당사가 의료기관과 자체 계약을 맺고 직접 검사 의뢰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본 모델은 주로 녹십자의료재단과 계약되어 있지 않은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센터를 대상으로 하며, 당사가 독자적으로 고객 기반을 구축하고, 전산시스템 연동과 검체 수거 등 서비스 제공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운영 초기에는 인프라 구축 및 자원 관리 역량이 요구되나, 의료기관과 직접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중간 플랫폼 비용 없이 직접 매출 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각 모델에 해당하는 국내외 병의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거래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직접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단독서비스 모델을 통한 매출은 전체의 약 18% 수준이나, 당사는 거래처 다각화 및 시장 확대 전략을 통해 해당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특정유통 경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당사의 시장 대응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신규 매출처 확보에 실패하거나 녹십자의료재단의 지급능력이 대내외 요인에 따라 급격히 저하될 경우 당사의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에서는 전국 900여 개 이상의 병의원 유통망을 통해 의료기관, 기업, 공공기관 등에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의료법상 검체 검사는 의료기관에서만 수행 가능하므로, 국내에서는 반드시 의료기관을 통한 간접 판매 구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국내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판매 방식에 따라 두 가지 모델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나는 국내외 병원들이 녹십자의료재단을 통해 당사에 간접적으로 의뢰하는 협력 서비스 모델이며, 다른 하나는 일부 거래처가 당사에 직접 검사 의뢰를 하는 단독 서비스 모델입니다. 현재 전체 매출 중 약 82%는 협력 서비스 모델, 나머지 18%는 단독 서비스 모델를 통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유전체 검사 판매 방식] |
협력 서비스 모델은 당사의 유전체 분석 기술력과 녹십자의료재단이 보유한 의료기관 네트워크 및 전산 시스템이 결합된 구조로, 당사가 사업 초기 의료기관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 등 인프라가 부족했던 시점부터 전략적으로 운영되어온 협력 모델입니다.
본 모델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수검자가 대학병원, 산부인과, 건강검진센터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과 상담 후 검사 의뢰
② 의료기관은 채혈된 검체를 EMR 시스템을 통해 녹십자의료재단에 의뢰
③ 검체 채취 용기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유전자 검사 동의서와 함께 재단에 전달
④ 녹십자의료재단이 당사에 검체를 전달하고, 당사는 맞춤형 NGS 패널 시약 및 장비를 이용해 검사를 수행하여 Raw Data 생성
⑤ 해당 데이터는 LIMS 시스템을 통해 당사의 생명정보학 분석팀(BI)에 전달
⑥ BI 분석 결과는 재단 전문의 해석 및 당사 전문의 자문을 거쳐 최종 검사 결과 생성
⑦ EMR 시스템을 통해 의료기관에 결과 보고
단독 서비스 모델은 당사의 사업 확대에 따라 일부 거래처의 니즈에 대응하거나, Guardant360과 같은 특수검사의 도입을 위해 마련된 직접 판매 구조입니다.
본 모델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① 의료기관을 방문한 수검자가 의료진과 상담 후 검사 서비스 의뢰
② 의료기관은 채혈된 검체를 EMR 시스템 또는 당사의 웹 기반 검사 의뢰 시스템을 통해 직접 당사에 의뢰
③ 검체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동의서와 함께 당사로 전달
④ 당사는 맞춤형 시약과 장비로 검사를 수행하고, LIMS를 통해 BI팀에 데이터를 전송
⑤ 당사 전문의가 분석된 결과 해석
⑥ 당사 시스템과 연동된 의료기관 EMR 혹은 웹 포털을 통해 결과 보고
녹십자의료재단은 타 유전자검사기관 대비 특수검사 수행 비중이 높아 유전체 검사를 의뢰하는 국내 상급종합병원의 녹십자의료재단에 대한 의뢰가 높은 편입니다. 재단은 자체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특수검체에 대해 당사에 용역을 의뢰하며, 당사는 검사 건당 보험수가 또는 과거 계약 가격의 일정 비율을 검사수수료로 수취함으로써 매출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연단위 계약을 통해 항목 및 단가를 정하고, 재단은 해당 계약에 따라 당사에 검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비록 녹십자의료재단이 당사에 독점권을 부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해당 기관이 요구하는 수준의 유전체 검사 포트폴리오와 분석 역량을 보유한 국내 기업은 사실상 당사가 유일하므로, 경쟁사가 이를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와 재단 간에는 결과보고를 위한 전산 시스템이 이미 구축되어 있으며, 신규 업체가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므로 실질적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재단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재단 역시 당사 서비스를 통해 특수검사 영역에서 별도의 마케팅 없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양사 간 협력 관계는 상호 이익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판매 구조의 특성상 당사 매출액의 80% 이 상은 협력의료기관인 녹십자의료재단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 최근 3개년 주요 매출처의 매출액 및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매출처 현황] |
(단위: 백만원, %) |
구분 | 매출처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4년 매출액 대비 비중 | 2023년 | 2022년 |
---|---|---|---|---|---|---|
국내 | 녹십자의료재단 | 5,599 | 21,145 | 81.68 | 21,568 | 17,650 |
연세의료원 | 169 | 883 | 3.41 | 834 | 1,305 | |
건강관리협회 | 81 | 970 | 3.75 | 974 | 1,276 | |
서울아산병원 | 56 | 643 | 2.48 | 574 | 881 | |
기타 100개 업체 | 697 | 1,480 | 5.71 | 1,159 | 1,269 | |
해외 | Touchpoint Group | 43 | 270 | 1.04 | 333 | 356 |
Genece Health, Inc | - | - | - | 670 | - | |
Fortress Diagnostics | - | 74 | 0.29 | 144 | 149 | |
기타 36개 업체 | 170 | 423 | 1.64 | 123 | 368 | |
합계 | 6,814 | 25,888 | 100.00 | 27,292 | 24,114 |
당사의 협력의료기관인 녹십자의료재단의 재무상황 및 당사와의 매출채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 재무상황] |
(단위: 천원) |
매출처명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액 | 341,726,758, | 358,673,472 | 578,231,906 |
영업이익 | (31,829,693) | (4,413,874) | 108,932,132 |
당기순이익 | (26,019,574) | (942,671) | 41,958,403 |
현금및현금성자산 | 4,433,006 | 6,261,379 | 63,445,218 |
자산총계 | 286,966,915 | 275,251,314 | 303,516,143 |
부채총계 | 196,884,808 | 159,843,659 | 187,142,689 |
자본총계 | 90,082,107 | 115,407,655 | 116,373,454 |
대형종합병원의 수탁검사 비중이 높은 녹십자의료재단은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및 의정갈등 장기화로 인해 최근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수탁검사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의정갈등 또한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녹십자의료재단은 부가가치가 높은 검사중심으로 검사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등 수익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어, 향후 재무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 최근 7개년 매출액 추이] |
(단위: 천원)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매출액 | 341,726,758, | 358,673,472 | 578,231,906 | 489,059,990 | 260,203,847 | 191,174,264 | 164,984,431 |
당사는 상기와 같은 녹십자의료재단의 실적추이가 코로나19 팬데믹 효과로 인한 일시적인 실적상승의 감소이며, 녹십자의료재단의 구조적인 실적 약세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녹십자의료재단의 양호한 영업상황, 안정적인 재무구조 등과 녹십자의료재단의 매출채권이 모두 3개월 이내에 회수되고 있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매출채권의 미회수로 인한 대손충당 등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녹십자의료재단 매출채권 현황] |
(단위: 천원) |
매출처명 | 2025년 1분기 | 2024년 | ||
---|---|---|---|---|
매출액 | 매출채권잔액 | 매출액 | 매출채권잔액 | |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 5,599,377 | 4,237,348 | 21,146,056 | 4,580,326 |
기타 | 1,214,531 | 897,210 | 4,741,743 | 884,826 |
합 계 | 6,813,908 | 5,134,558 | 25,887,799 | 5,465,152 |
[2024년말 기준 거래처별 매출채권 연령분석 및 회수 현황] |
(단위: 천원) |
매출처명 | 매출채권(A) | 연령분석(최근사업연도말) | 대손충당금 | |||
---|---|---|---|---|---|---|
(2024년말) | 3월미만 | 3~6월 | 6~12월 | 1년이상 | (2024년말) | |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 4,580,326 | 4,580,326 | - | - | - | - |
기타 | 884,826 | 866,385 | 13,671 | 3,212 | 1,558 | 26,297 |
합계 | 5,465,152 | 5,446,711 | 13,671 | 3,212 | 1,558 | 26,297 |
[2025년 1분기 기준 거래처별 매출채권 연령분석 및 회수 현황] |
(단위: 천원) |
매출처명 | 매출채권(A) | 연령분석(최근사업연도말) | 대손충당금 | |||
---|---|---|---|---|---|---|
(2025년 1분기) | 3월미만 | 3~6월 | 6~12월 | 1년이상 | (2025년 1분기) | |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 4,237,348 | 4,237,348 | - | - | - | - |
기타 | 897,210 | 877,748 | 1,065 | 16,843 | 1,554 | 33,956 |
합계 | 5,134,558 | 5,115,096 | 1,065 | 16,843 | 1,554 | 33,956 |
당사의 판매 구조는 검사 의뢰 및 결과 보고의 주체에 따라 크게 협력 서비스(간접 의뢰) 모델 및 단독 서비스 모델(직접 의뢰)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단독 서비스 모델을 통해 당사에 직접 의뢰하는 의료기관뿐 아니라, 협력 서비스 모델을 통해 녹십자의료재단을 거쳐 당사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는 의료기관들 또한 동일하게 당사의 유전자 분석 기술력과 서비스 품질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실질적인 수요처는 전국의 다양한 의료기관으로 폭넓게 분산되어 있으며, 해당 의료기관들은 모두 당사의 유전체 분석 노하우 및 전문성을 기반으로 검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당사의 기술력을 시장 전반에 안정적으로 확산시키는 동시에 고객 기반의 다양성과 시장 내 신뢰도를 강화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녹십자의료재단과의 협업 관계를 공고히 하고 고객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검사 의뢰서 및 결과지에 당사와 재단의 로고를 병기하거나, 필요에 따라 당사의 로고를 단독으로 표기하는 전략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영업본부 소속 TS(Technical Specialist)팀의 직접 영업 활동과 재단과의 공동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있으며, 고객과의 신뢰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협력 서비스 모델 및 단독 서비스 모델을 아우르는 다양한 고객군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직접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유통 경로를 넘어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은 간접 또는 직접 의뢰 여부와 관계없이 당사의 고유한 분석 역량을 고려하여 검사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현재 단독 서비스 모델를 통한 직접 의뢰 매출은 전체의 약 18% 수준이나, 당사는 거래처 다각화 및 시장 확대 전략을 통해 해당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특정 유통 경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당사의 시장 대응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의 매출처 다변화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등 해외 진출을 통하여 전체적인 매출처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녹십자의료재단을 통한 매출에 대하여 전산시스템 이용 등에 대해 타 기관과 유사한 수준의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어 단기간 수수료율이 변동될 것으로는 판단되지 않습니다. 또한 당사가 부담하는 수수료 수준은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통해 적정성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신규 매출처 확보에 실패하거나 녹십자의료재단의 지급능력이 대내외 요인에 따라 급격히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지적재산권 관련 위험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 산업은 기술집약적 성격이 강한 분야로, 각 기업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화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산업 특성상 특허권의 중요도는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기술 보호와 권리 확보는 기업 가치와 직결되는 전략적 요소로 간주됩니다. 현재 글로벌 임상 유전체 검사 시장은 개화기 단계에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상업화 및 기술이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자사의 독자적인 기술을 보호하고 시장 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특허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기술 노하우 및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사업의 핵심 사안으로 고려하여 핵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진행하여 지식재산의 권리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국내 및 해외에 49개의 특허권과 73개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미국, 유럽, 아시아 시장 내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전략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특허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관리와 지속적 확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당사가 보유한 핵심 기술 및 특허권과 관련하여 소송이나 분쟁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향후 예측 불가능한 제3자에 의한 특허 침해 주장, 소송, 무효심판 등의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기술 신뢰도, 사업 개발 속도, 제품의 상업화 및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특허의 경우 출원 전략이 부적절하거나, 출원 대상 국가의 법령 해석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해 심사 과정에서 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종 등록에 실패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더불어, 이미 등록된 특허라고 하더라도 사후 관리가 미흡하거나, 제3자의 무효심판 청구에 의해 무효 되거나 소멸되는 등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는 핵심 기술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상실하게 되어,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업성과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특허는 산업상 이용 가능한 발명을 한 자가 그 기술 내용을 공개하는 대가로 일정 기간 동안 독점적·배타적인 권리를 부여받는 공적 계약의 일종입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NGS 기반 액체생검 진단 산업은 기술집약적 성격이 강한 분야로, 각 기업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화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산업 특성상 특허권의 중요도는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기술 보호와 권리 확보는 기업 가치와 직결되는 전략적 요소로 간주됩니다.
현재 글로벌 임상 유전체 검사 시장은 개화기 단계에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상업화 및 기술이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자사의 독자적인 기술을 보호하고 시장 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특허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권리를 체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적극적인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일 특허에 의존하지 않고 원천 특허뿐만 아니라 개량 기술에 대한 다층적 특허망을 확장함으로써, 경쟁사들의 회피 설계를 통한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최대 2042년까지 유효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며, 기술 기반의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총 49개의 특허권과 73개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중 당사가 보유한 특허권 상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허권 상세 현황] |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출원국 |
1 | 특허권 | 핵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샘플에서 복제수 변이를 결정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15.12.04 | 2016.12.07 | 한국 |
2015.12.04 | - | PCT | ||||
2 | 특허권 | 핵산 단편간 거리 정보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08.18 | 2022.10.04 | 한국 |
2020.08.19 | - | PCT | ||||
2022.02.07 | - | 싱가포르 | ||||
2022.02.10 | - | 캐나다 | ||||
2022.02.14 | - | 미국 | ||||
2022.02.16 | - | 유럽 | ||||
2022.02.18 | - | 일본 | ||||
2023.11.27 | - | 일본 | ||||
2022.02.22 | 2024.03.07 | 호주 | ||||
2022.02.22 | 2024.06.25 | 뉴질랜드 | ||||
2022.07.25 | - | 홍콩 | ||||
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2023.10.04 | 한국 |
2020.11.27 | - | PCT | ||||
2022.05.27 | - | 미국 | ||||
2022.05.27 | 2024.08.16 | 일본 | ||||
2022.05.27 | - | 캐나다 | ||||
2022.06.07 | - | 뉴질랜드 | ||||
2022.06.07 | 2024.04.18 | 호주 | ||||
2022.06.07 | - | 유럽 | ||||
2022.05.25 | - | 싱가포르 | ||||
2022.11.10 | - | 홍콩 | ||||
4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02.19 | - | 미국 | ||||
2023.11.21 | - | 태국 | ||||
2023.11.23 | - | 브라질 | ||||
2023.11.24 | - | 캐나다 | ||||
2023.11.26 | - | 카타르 | ||||
2023.11.27 | - | 사우디아라비아 | ||||
2023.11.26 | - | 아랍에미리트 | ||||
2023.11.27 | - | 베트남 | ||||
2023.11.28 | - | 일본 | ||||
2023.11.27 | - | 싱가포르 | ||||
2023.11.28 | - | 유럽 | ||||
2023.11.28 | - | 호주 | ||||
2023.11.28 | - | 뉴질랜드 | ||||
2023.11.27 | - | 중국 | ||||
2023. 12.08 | - | 인도네시아 | ||||
2024.05.16 | - | 홍콩 | ||||
5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6 | 특허권 | 무세포 핵산의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6.15 | - | 한국 |
2023.06.15 | - | PCT | ||||
2023.02.15 | - | 미국 | ||||
2024.12.10 | - | 유럽 | ||||
7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세포유리 핵산의 특징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023.02.03 | - | 미국 | ||||
8 | 특허권 | 무세포 DNA를 포함하는 샘플에서 순환 종양 DNA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1.11 | 2019.09.30 | 한국 |
2019.01.10 | - | PCT | ||||
9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간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재)아산사회복지재단울산대산학협력단 | 2019.02.19 | 2022.03.28 | 한국 |
2020.02.19 | - | PCT | ||||
2021.08.08 | - | US | ||||
10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위치별 서열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03 | - | 한국 |
2022.11.01 | - | PCT | ||||
2024.05.02 | - | 미국 | ||||
2024.05.01 | - | 유럽 | ||||
2024.05.02 | - | 일본 | ||||
11 | 특허권 | 유전자 복제수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췌장암 환자의 생존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 2020.11.04 | 2024.12.27 | 한국 |
2021.01.28 | - | PCT | ||||
12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모체 시료 중 태아 분획 결정 방법 | (주) 지씨지놈 DoAI | 2020.11.09 | - | 한국 |
1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 | 한국 |
2021.11.15 | - | PCT | ||||
2022.12.27 | 2024.12.10 | 미국 | ||||
2024.09.01 | - | 미국 | ||||
2023.05.25 | - | 뉴질랜드 | ||||
2023.05.26 | - | 일본 | ||||
2023.05.25 | - | 호주 | ||||
2023.07.07 | - | 중국 | ||||
2023.05.31 | - | 유럽 | ||||
2023.05.24 | - | 싱가포르 | ||||
2023.05.26 | - | 캐나다 | ||||
2024.01.10 | - | 홍콩 | ||||
14 | 특허권 | DNA 데이터의 분류 및 판독을 위한 학습모델 생성방법 및 컴퓨팅 장치 | (주) 지씨지놈 DoAI | 2021.01.28 | - | 한국 |
15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무세포 DNA의 종양 유래 변이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 조기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3.25 | - | 한국 |
2022.03.25 | - | PCT | ||||
2023.09.15 | - | 유럽 | ||||
2023.09.20 | - | 미국 | ||||
2023.09.21 | - | 일본 | ||||
16 | 특허권 | 조직 특이적 조절지역의 무세포 DNA 분포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암 조기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05 | - | 미국 | ||||
2023.11.09 | - | 유럽 | ||||
2023.11.28 | - | 일본 | ||||
17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과 이미지 분석기술 기반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27 | - | 미국 | ||||
18 | 특허권 | 막 단백질 정보를 이용한 치료 타깃 유전자 발굴 방법 및 분석장치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09.14 | 2024.08.07 | 한국 |
2022.08.29 | - | PCT | ||||
19 | 특허권 | 메틸화된 무세포 핵산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0.26 | - | 한국 |
2022.10.26 | - | PCT | ||||
2024.04.26 | - | 미국 | ||||
2024.04.24 | - | 유럽 | ||||
2024.04.24 | - | 일본 | ||||
20 | 특허권 | 핵산 길이 비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11.22 | - | 한국 |
2021.11.22 | - | PCT | ||||
21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유방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2.06 | - | 한국 |
2022.12.05 | - | PCT | ||||
2024.06.03 | - | 미국 | ||||
2024.05.29 | - | 유럽 | ||||
2024.06.06 | - | 일본 | ||||
22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3 | 특허권 | 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4 | 특허권 | 폐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5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4.11.28 | - | PCT | ||||
26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 환자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2.17 | - | 한국 |
2025.02.17 | PCT | |||||
27 | 특허권 | 전사체 기반 면역학적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4.22 | - | 한국 |
2024.04.22 | - | PCT | ||||
28 | 특허권 |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1.24 | - | 한국 |
2025.01.24 | - | PCT | ||||
29 | 특허권 | 대장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5.07 | - | 한국 |
30 | 특허권 | 제 1 형 근긴장성 이영양증의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삼성생명공익재단 | 2013.04.18 | 2015.03.25 | 한국 |
31 | 특허권 | 고혈압과 관련된 장내 미생물 마커의 선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혈압 위험도 측정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1.28 | - | 한국 |
32 | 특허권 | 혈우병 치료제의 효능 예측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혈우재단 | 2016.06.23 | 2017.08.30 | 한국 |
2017.06.16 | - | PCT | ||||
33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6.24 | 2017.05.29 | 한국 |
2017.06.16 | - | PCT | ||||
34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4.03 | 2018.01.03 | 한국 |
35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5.24 | 2022.01.24 | 한국 |
2017.06.16 | - | PCT | ||||
36 | 특허권 | 유전성 대사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20 | 한국 |
2017.07.20 | - | PCT | ||||
37 | 특허권 | 유전성 발달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09 | 한국 |
38 | 특허권 | 유전성 혈액응고 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3.20 | 한국 |
39 | 특허권 | 전장유전체 시퀀싱 기반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7.27 | 2022.05.30 | 한국 |
2019.07.23 | - | PCT | ||||
40 | 특허권 | 혈중 스타틴 약물농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18.09.21 | 2021.01.15 | 한국 |
2019.09.19 | - | PCT | ||||
41 | 특허권 | LATS1 유전자 변이 마커 기반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진단방법 | (주) 지씨지놈 | 2019.11.29 | 2021.08.23 | 한국 |
2020.11.27 | - | PCT | ||||
42 | 특허권 | 스타틴 약물 부작용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20.06.12 | - | 한국 |
43 | 특허권 | 구절초 추출물의 골관절 질환 치료효과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녹십자웰빙 | 2020.11.10 | - | 한국 |
2021.11.08 | - | PCT | ||||
44 | 특허권 | 스타틴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19 | - | 한국 |
2022.11.18 | - | PCT | ||||
45 | 특허권 | NUDT15 유전자 변이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1.05 | - | 한국 |
2025.01.03 | - | PCT | ||||
46 | 특허권 | 비기능성 전사체를 이용한 PARP 저해제 또는 DNA 손상 약물 감수성 판정방법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11.03 | 2025.03.07 | 한국 |
2021.11.03 | - | PCT | ||||
2023.05.04 | - | 유럽 | ||||
2023.05.02 | 2024.12.26 | 일본 | ||||
2023.04.28 | - | 미국 | ||||
47 | 특허권 | 동일 클래스의 특징 벡터에 대해 발산 패널티를 부여하는손실 기반의 완화된 대조 학습을 이용한 연합 학습 방법 및장치 | (주) 지씨지놈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10.11 | - | 한국 |
2025.01.07 | - | PCT | ||||
48 | 특허권 | 음성 대조군 및 지식기반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NGS 데이터 내 오염 데이터의 제거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10.22 | - | 한국 |
49 | 특허권 | 핵산 단편 말단 서열 패턴을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1.23 | - | 한국 |
당사는 향후 미국, 유럽, 아시아 시장 내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전략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특허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관리와 지속적 확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당사가 보유한 핵심 기술 및 특허권과 관련하여 소송이나 분쟁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향후 예측 불가능한 제3자에 의한 특허 침해 주장, 소송, 무효심판 등의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기술 신뢰도, 사업 개발 속도, 제품의 상업화 및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또한, 일부 특허의 경우 출원 전략이 부적절하거나, 출원 대상 국가의 법령 해석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해 심사 과정에서 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종 등록에 실패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경우, 당사는 해당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 기반의 보호 장치가 미비해짐에 따라 진입장벽 구축에 실패하고, 시장 내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이미 등록된 특허라고 하더라도 사후 관리가 미흡하거나, 제3자의 무효심판 청구에 의해 무효 되거나 소멸되는 등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 당사는 핵심 기술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상실하게 되어,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업성과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타. 오진으로 인한 신뢰성 하락 위험 당사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사적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담 조직 중심의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검사 전 공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품질관리팀은 분석 공정 및 설비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절차, 정량적 지표 기반의 품질 모니터링, 장비 유지보수, 데이터 정합성 검증, 교육 체계, 외부 인증 등 다양한 품질관리 활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품질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만일 당사의 유전자 진단 서비스에서 오진 사례가 발생할 경우, 검사 정확도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어 회사의 영업환경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검진 서비스를 의뢰한 병원에도 법적·신뢰적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거래 안정성 및 브랜드 이미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진률의 상승은 매출 감소, 고객 이탈, 계약 해지 등 실질적인 재무적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사적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담 조직 중심의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검사 전 공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품질관리팀은 분석 공정 및 설비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절차, 정량적 지표 기반의 품질 모니터링, 장비 유지보수, 데이터 정합성 검증, 교육 체계, 외부 인증 등 다양한 품질관리 활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품질관리 시스템은 다음의 여섯 가지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표준 운영 절차(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구축
검사 공정 전 단계에 걸쳐 표준화된 절차를 문서화함으로써, 운영상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샘플 준비, 라이브러리 제작, 시퀀싱, 데이터 분석 등 각 단계별로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모든 검사자는 동일한 절차를 준수함으로써 검사 오류 발생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억제하고 있습니다.
[표준운영절차서목록] |
구분 | 문서명 | 문서번호 |
---|---|---|
운영절차서 | 검사실 운영 | GAC-PO-001 |
안전 및 시설 관리 | GAC-PO-002 | |
감염 관리 | GAC-PO-003 | |
조직과 인력운영 | GAC-PO-004 | |
문서 관리 및 자료의 보관 | GAC-PO-005 | |
신뢰성보증업무의 운영 및 활동 | GAC-PO-006 | |
분석(검사)의뢰서 확인과 분석결과서의 작성 | GAC-PO-007 | |
품질관리 개요 | GAC-PO-009 | |
외부정도관리 | GAC-PO-010 | |
내부정도관리 | GAC-PO-011 | |
검사법 평가 및 검증 | GAC-PO-012 | |
검체 관리(부록포함) | GAC-PO-013 | |
시약 관리 | GAC-PO-015 | |
Controls | GAC-PO-016 | |
장비 및 기구 | GAC-PO-018 | |
결과 보고 | GAC-PO-019 | |
통계 관리 | GAC-PO-020 | |
분석계획서 작성 및 관리 | GAC-PO-024 | |
시정조치 | GAC-PO-025 | |
검사실 위험 관리 | GAC-PO-026 | |
검사지침서 주1) | 각 검사별 지침서 | GAC-MT-001~999 |
장비지침서 주2) | 각 장비별 지침서 | GAC-ME-501~999 |
주1) 검사지침서 46개 보유, 검사 분류에 따라 특정번호로 지정하는 형태 |
주2) 장비지침서 36개 보유, 장비 용도에 따라 특정번호로 지정하는 형태 |
(2) 품질 관리 지표 설정 및 모니터링
각 공정 단계별로 설정된 핵심 품질지표(Quality Metrics)를 기준으로 검사 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핵산 추출 단계에서는 농도와 순도, 라이브러리 제작 단계에서는 라이브러리의 크기 및 농도, 시퀀싱 단계에서는 Read 수, Q30, 클러스터 밀도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즉각적인 원인 분석 및 수정 조치를 실시하며, 전 공정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검사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NIPT QC 지표 (예시)] |
Wet bench | Dry bench | |||||
---|---|---|---|---|---|---|
Yield |
Cluster Density |
Q30 | %PF | Q-score | Sequencing reads counts | Fetal Fraction |
25~55 Gb | 140~250 K/mm2 | ≥ 80% | ≥ 50% | < 2.0 | ≥ 7 million | > 3~4% |
(3) 검사 장비의 유지보수 및 교정 관리
시퀀싱 장비, 파이펫, 냉동고 등 모든 검사 장비에 대해 정기적 유지보수와 교정을 시행하여, 장비 성능을 최적화하고 예기치 못한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있습니다. 일일 점검, 주간 점검, 제조사 기준의 정기 점검 주기를 바탕으로 소모품 교체 및 주요 부품 상태를 점검하고 있으며, 검사 신뢰도의 기반이 되는 장비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4)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의 정확성 확보
NGS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은 표준화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최신 버전으로 검증 및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원시 데이터의 품질 검증은 FASTQC 등 분석 툴을 활용하며, 필터링 및 정제, 정렬, 분석 단계까지 전 과정에서 오류 최소화를 위한 이중 검토 및 교차 검증이 시행됩니다. 분석 자동화를 위해 LIMS(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와 연동하여 데이터 추적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의 무결성 및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보보안 정책도 병행 운영 중입니다.
(5) 검사자 교육 및 역량 강화
전 직원 대상으로 정기적인 품질관리 및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월 2회의 전사 세미나, 주 1회의 팀별 교육을 통해 검사자들의 표준 절차 숙지 및 최신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 2회 이상 검사자 대상 업무 숙련도 평가를 시행하여 교육 효과를 정량화하고, 검사 오류 예방 및 숙련도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6) 내부·외부 평가를 통한 질 관리 강화
검사실 내부에서 정기적으로 품질관리 체계를 자체 점검하고 있으며, 전 단계별 품질지표를 분석하여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 및 개선 조치를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외부 인증 측면에서는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인증 및 한국유전자평가원의 숙련도 평가에 지속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기준에 부합하는 품질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내/외부정도관리] |
구분 | 내용 | 비고 | |
---|---|---|---|
내부정도관리 | 검사자간 비교평가 | 검사자간 비교시험은 국내·외 비교 가능한 시험기관이 없거나, 시료의 기준 값 설정이 불가능 한 경우 검사자간 동일한 시험 능력이 있는지 평가를 실시 | 연2회 |
장비간 비교 평가 | 같은 항목을 측정하는 장비 간의 검사결과 일치도를 점검 | 연2회 | |
검사법간 비교평가 | 서로 다른 검사방법으로 동일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검사결과 일치도를 점검 | 연2회 | |
외부정도관리 | 국내 |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숙련도 평가 | 10개 항목 참여/연2회 |
국외 | CAP Proficiency Test | 10개 프로그램 참여 /연2회 |
이와 같은 체계적인 품질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만일 당사의 유전자 진단 서비스에서 오진 사례가 발생할 경우, 검사 정확도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어 회사의 영업환경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검진 서비스를 의뢰한 병원에도 법적·신뢰적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거래 안정성 및 브랜드 이미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정확도 및 신뢰도는 당사 사업의 핵심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며, 오진률의 상승은 매출 감소, 고객 이탈, 계약 해지 등 실질적인 재무적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브랜드 평판 하락 위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는 ㈜녹십자이며, 당사는 녹십자그룹에 소속된 계열회사입니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인 ㈜녹십자를 비롯한 녹십자그룹 계열사의 경영환경 변화는 당사의 사업 및 경영환경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녹십자그룹 소속 계열회사로서, 국내 시장에서 병의원, 연구기관, 수탁기관, 기업 등 다양한 의료기관 및 파트너와의 협력에 있어 녹십자의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에 기반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상표권자인 ㈜녹십자홀딩스와의 상표 사용 계약을 통해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2021년 체결된 계약 기준에 따라 녹십자 상표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출에 대해 일정 비율의 브랜드 로열티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최대주주인 ㈜녹십자 또는 녹십자그룹 내 계열사의 사업 악화, 경영권 분쟁, 브랜드 이미지 실추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대외 신뢰도 및 고객과의 협력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며 , 이는 당사의 영업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대주주는 ㈜녹십자이며, 당사는 녹십자그룹에 소속된 계열회사입니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인 ㈜녹십자를 비롯한 녹십자그룹 계열사의 경영환경 변화는 당사의 사업 및 경영환경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13년 녹십자그룹 산하의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질병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수집된 개인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질병의 조기 선별과 예측, 그리고 맞춤형 치료에 활용되는 정밀의료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애 전주기에 걸쳐 질병 예방, 진단, 치료 및 예후 관리를 아우르는 개인 맞춤형 분자진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밀의학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녹십자그룹 소속 계열회사로서, 국내 시장에서 병의원, 연구기관, 수탁기관, 기업 등 다양한 의료기관 및 파트너와의 협력에 있어 녹십자의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에 기반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상표권자인 ㈜녹십자홀딩스와의 상표 사용 계약을 통해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2021년 체결된 계약 기준에 따라 녹십자 상표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출에 대해 일정 비율의 브랜드 로열티(순매출액의 0.42%)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최대주주인 ㈜녹십자 또는 녹십자 그룹 내 계열사의 사업 악화, 경영권 분쟁, 브랜드 이미지 실추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대외 신뢰도 및 고객과의 협력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경우 당사의 영업활동, 고객 유치, 신규 계약 체결 등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매출 및 수익성 등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핵심 인력 이탈 및 인력 수급에 관한 위험 당사는 2013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이후, 정밀의료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연구조직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현재 연구조직은 연구소 산하의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AI개발팀, 제품개발팀, 의학본부 산하의 Medical Office, Bio-Informatics(BI)팀, 분석본부 산하의 검사개발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으로 전체 임직원 중 36명은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도와 기술 전문성을 겸비한 연구개발 인력입니다. 현재 당사의 R&D 전문인력은 박사 7명, 석사 25명, 학사 4명 등 총 3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박사 인력이 전체 연구 인력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연구기획, 분석 알고리즘 개발, 제품화, AI 기반 플랫폼 개발 등 전 단계를 내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연구개발 역량의 핵심 자산화를 위해 직무발명보상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임직원이 직무범위 내에서 발명한 기술을 회사에 양도하는 경우, 발명자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 활동의 동기 부여와 기술 보호를 동시에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인력의 유출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중장기 사업계획, 연구개발 일정 및 기술 경쟁력에 실질적인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2013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이후, 정밀의료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연구조직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현재 연구조직은 연구소 산하의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AI개발팀, 제품개발팀, 의학본부 산하의 Medical Office, Bio-Informatics(BI)팀, 분석본부 산하의 검사개발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으로 전체 임직원 중 36명은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도와 기술 전문성을 겸비한 연구개발 인력입니다.
[당사 연구개발 조직도] |
연구기획팀은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지원하며,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연구개발팀은 NGS 기반 액체생검 관련 다양한 검사법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며, 연구개발 성과를 통해 제품화를 하고 있습니다. 설계, 개발 및 제조, 출시에 이르는 전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품개발팀은 액체생검 관련 단일암 검사 제품의 설계, 개발 및 제조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AI개발팀은 당사의 핵심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부서 중 하나로, 주로 Bioinformatics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액체생검 기반의 암 검사 서비스와 제품에 대한 분석 부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Medical Office Unit은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검사결과를 판독하며 수많은 판독 경험을 바탕으로 유전성 질환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개발 부서의 검사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도 기술적 조언 및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과제, 특허 및 논문에 참여하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BI팀은 NGS 서비스의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Bioinformatics를 고도화하여 더욱 정확한 판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개발팀은 분석본부에서 운영하는 검사 서비스의 성능 개선 작업 및 신규 검사 항목을 설계, 개발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각 팀은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체계적인 업무 분장을 통해 혁신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검사 서비스의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 연구개발 팀별 주요 업무] |
구분 | 부서명 | 주요업무 |
연구소 | 연구기획팀 | 연구 기획 및 관리 |
연구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AI개발팀 | Bioinformatic, AI 개발 | |
제품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개발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유전체 검사 판독, 검사법 개발 |
BI팀 | 유전체 정보 분석, Bioinformatic 파이프라인 운용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GCLP, 검사 서비스 개발 |
각 연구조직은 국내외 제약사, 종합병원, 바이오헬스 대기업 등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보유한 박사급 인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밀진단 및 유전체 분석 분야에 특화된 전문 연구인력 기반의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는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등 생애 전주기를 아우르는 맞춤형 분자진단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유전체 기반 진단 서비스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전주기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3인을 포함한 고도화된 판독 인력, 생명공학 및 임상병리 전공 기반의 전문 검사 인력, 유전체 검사 시스템 개발을 전담하는 IT 개발자, 그리고 유전상담 전담 인력을 갖추고 있어, 고객 응대 및 검사 정보 제공 또한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R&D 전문인력은 박사 7명, 석사 25명 등 총 36명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박사 인력이 전체 연구 인력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연구기획, 분석 알고리즘 개발, 제품화, AI 기반 플랫폼 개발 등 전 단계를 내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간으로 연구개발조직 팀간 혹은 조직간 변경이 있어 인력의 차이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2022년 연구운영팀과 연구개발팀이 통합되고 일부 인원이 관리조직으로 이전되어 2023년 실질적인 인력의 감소보다는 구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2022년-2023년 관리조직으로 이전된 인원을 제외할 시 당사의 연구개발인력 2022년 35명, 2023년 33명, 2024년 31명, 2025년 현재 36명으로 30명 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 | 4 | 2 | 6 | |
연구기획팀 | - | 3 | - | 3 | |
제품개발팀 | 1 | 3 | - | 4 | |
AI개발팀 | 1 | 7 | - | 8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3 | - | - | 3 |
BI팀 | 1 | 5 | 2 | 8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3 | - | 3 |
계 | 7 | 25 | 4 | 36 |
[2024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 | 3 | 2 | 5 | |
연구기획팀 | - | 1 | - | 1 | |
AI개발팀 | 1 | 5 | - | 6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3 | - | - | 3 |
BI팀 | 4 | 2 | 6 | ||
GS팀 | 1 | - | - | 1 | |
개발본부 | 개발본부장 | 1 | - | - | 1 |
제품개발팀 | 1 | 2 | - | 3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4 | - | 4 |
계 | 8 | 19 | 4 | 31 |
[2023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2 | 4 | 2 | 8 | |
AI개발팀 | 1 | 7 | - | 8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2 | 1 | - | 3 |
BI팀 | - | 5 | 2 | 7 | |
GS팀 | 1 | - | - | 1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5 | - | 5 |
계 | 7 | 22 | 4 | 33 |
[2022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유전체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5 | 2 | 7 | ||
연구운영팀 | 2 | 2 | 1 | 5 | |
AI개발팀 | - | 7 | - | 7 | |
Medical Office | 2 | 2 | - | 4 | |
정밀의학본부 | BI팀 | 1 | 5 | 2 | 8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4 | - | 4 |
계 | 6 | 25 | 5 | 36 |
[핵심 연구인력 현황] |
성명 | 담당업무/부서 | 직책 | 주요 경력 |
---|---|---|---|
기창석 | 경영총괄 | 대표이사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 - 現. GC지놈 대표이사 - 現. (재)한국유전체 검사평가원 이사(바이오벤처 대표) - 現. 대한진단유전학회 특임이사 - 前. 성균관의대/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 前.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특임이사 - 前. 대한의학유전학회 대외협력이사 - 업력: 총 29년 |
조은해 | 연구소 총괄 | CSO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 - 現. GC지놈 CSO/연구소장 - 前. 녹십자의료재단 유전체연구소 이사 - 前. 삼성서울병원 전임의 - 업력: 총 24년 |
이 OO | 검사실 운영 총괄 | 본부장 |
- 연세대학교 임상병리학 석사 - 임상병리사 - 現. GC지놈 분석본부 본부장 - 前.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파트장 - 업력: 총 29년 |
이OO | AI개발팀 | 팀장 |
-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박사 - 現. GC지놈 AI개발팀 팀장 G-PrEMIA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 (10-2086651,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G-PrEMIA 기술 기반 논문 Front Genet 저널 게재 G-SeNTInEL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 (10-2022-0072680, 무세포 핵산의 단일 염기 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G-SeNTInEL 기술 (RMD) 관련 논문 게재 (Nature Communications) Bioinformatics 및 딥러닝 기술 활용한 액체생검 기반 제품 기술 분석 및 개발 - 업력: 총 10년 |
정 OO | 제품개발팀 | 팀장 |
- 명지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박사 - 現. GC지놈 제품개발팀 팀장 액체생검 단일암 조기선별 개발 (10-2024-0013134, 무세포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10-2024-0059797 대장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진단 기술 설계 및 개발 - 前. 진스랩 R&D본부 다중진단팀 팀장 - 前. 싱가포르국립대 합성생물학연구실 Research Fellow - 前. 서울대학교 종자생명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업력: 총 19년 |
김 OO | 연구개발/기획팀 | 팀장 |
- 을지대학교 임상병리학 학사 - 現. GC지놈 연구개발팀 팀장 (연구기획팀 팀장 겸직) NGS 연구개발 프로젝트 기획 및 지원 G-NIPT 기술 개발 및 검사 서비스 수행 G-SeNTInEL 기술 실험법 개발 및 검사 서비스 수행 G-SeNTInEL 기술 (RMD) 관련 논문 게재 (Nature Communications) - 前. 녹십자의료재단 인간유전체팀 소속 - 업력: 총 12년 |
이 OO | BI팀 | 팀장 |
-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 박사 - 現. GC지놈 BI팀 팀장 NGS 패널 특허 5종 및 약물(혈우병 치료제, 스타틴) 효과 및 부작용 관련 특허 3종 개발 NGS 기반 검사 Bioinformatics 개발 및 판독 효율화 - 前.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업력: 총 10년 |
또한, 당사는 연구개발 역량의 핵심 자산화를 위해 직무발명보상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임직원이 직무범위 내에서 발명한 기술을 회사에 양도하는 경우, 발명자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 활동의 동기 부여와 기술 보호를 동시에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직무발명 관리 규정 및 지급 기준] |
직무발명 관리 규정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발명진흥법 제10조 내지 제19조 규정에 따라, 회사의 임원, 직원(이하 “종업원”)에 대한 발명창안을 보호, 장려하여 직무에 관한 연구개발 및 창작의욕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각종 산업재산권과 기술비결(Know-How) 또는 이에 관한 산업정보를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함으로써 회사의 미래지향적 발전은 물론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구분 | 출원 | 등록 | |||||
---|---|---|---|---|---|---|---|
1등급 | 2등급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특허 | 30만원 | 20만원 | 200만원 | 100만원 | 70만원 | 50만원 | 30만원 |
실용신안 | 5만원 | 60만원 | 30만원 | 20만원 | 10만원 | 5만원 | |
디자인 | 3만원 | 20만원 | 15만원 | 10만원 | 5만원 | 2만원 |
이와 같은 체계적인 연구조직 운영과 인재 확보 전략에도 불구하고, 핵심 연구인력의 외부 유출 가능성은 상존합니다. 특히, 연구개발 인력의 유출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중장기 사업계획, 연구개발 일정 및 기술 경쟁력에 실질적인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성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성장성 및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1년~2023년 매출액은 각각 185억원, 241억원, 273억원을 시현함과 동시에 동기간 매출총이익률 또한 38.82%, 44.60%, 50.20%로 원가절감 또한 동시에 이루어내는 모습을 보이며 매출규모 및 매출원가개선 추이를 시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개발을 위한 2022년부터의 대규모 연구개발비투입 및 2024년부터 시작된 의료 파업으로 인해 2024년 온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규모 및 총이익률이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 매출액 68.1억원, 매출총이익률은 44.75%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 매출액 57.5억원, 매출총이익 25.8억원 대비 각각 18.45%, 18.4% 성장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의료파업 사태 제외 시 당사의 외형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의료시장 정상화 및 당사 제품/서비스 매출 확대에 따라 원가구조가 업종 평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당사 제품 및 서비스를 도입하는 병원 및 검진센터 확대가 지연되거나, 경쟁 제품/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경우, 의료파업 장기화 및 업황 악화로 인한 운전자금 고갈 시 당사의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4개년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동업종 평균주1) (2023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액 | 6,814 | 25,888 | N/A | 27,292 | 24,114 | 18,498 |
매출원가 | 3,765 | 14,181 | N/A | 13,595 | 13,349 | 11,318 |
매출총이익 | 3,049 | 11,707 | N/A | 13,697 | 10,765 | 7,180 |
매출총이익률 | 44.75% | 45.20% | 43.60% | 50.20% | 44.60% | 38.82% |
판매비와 관리비 | 3,074 | 12,940 | N/A | 13,537 | 14,000 | 9,289 |
영업이익 | (25) | (1,234) | N/A | 160 | (3,236) | (2,109) |
영업이익률 | (0.37%) | (4.80%) | 7.30% | 0.60% | (13.40%) | (11.0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0 | (1,127) | N/A | (815) | (3,874) | 407 |
당기순이익 | 297 | (1,257) | N/A | (550) | (3,763) | 293 |
당기순이익률 | 4.36% | (4.90%) | 10.40% | (2.00%) | (15.60%) | 1.58%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767 | 378 | N/A | 3,340 | (1,610) | (67)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1-M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주2)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통해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입니다. 현재 산과검사, 건강검진, 암 및 희귀질환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며 핵심기술인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과 AI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기반의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1년~2023년 매출액은 각각 185억원, 241억원, 273억원을 시현함과 동시에 동기간 매출총이익률 또한 38.82%, 44.60%, 50.20%로 원가절감 또한 동시에 이루어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외형성장과 동시에 시장 내 기술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고자 차세대 핵심기술인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출시를 위한 연구개발비를 2022년도부터 본격적으로 투입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021년 (-)21억 대비 2022년 (-)32억을 시현하며 역성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판관비 대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외형성장 및 매출원가율 개선을 통해서 2023년 BEP 달성 및 신제품인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출시를 완료하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2월,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따른 의정대치가 심화되면서, 주요 NGS 실시기관이 참여하는 대학병원에서 의료 파업이 발생하여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이번 의료파업은 암 및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에 필수적인 NGS 패널 검사의 접근성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매출 중 국내 NGS 패널 검사 시장 비중이 높은 당사는 2024년 외형 역성장 및 영업손실 (-)12억원을 시현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당사는 2025년 1분기 매출액 68.1억원, 매출총이익률은 44.75%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 매출액 57.5억원, 매출총이익 25.8억원 대비 각각 18.45%, 18.4% 성장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비경상적 상황이었던 의료 파업 효과를 제외한다면 당사의 외형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의료시장 정상화 및 당사 제품/서비스 매출 확대에 따라 원가구조가 업종 평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당사 제품 및 서비스를 도입하는 병원 및 검진센터 확대가 지연되거나, 경쟁 제품/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경우, 의료파업이 장기화되는 경우 당사 이익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 및 해외에서의 제품 및 서비스 매출 확대를 위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핵심기술 보완 및 관련 제품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금 투입이 필요하나 만일 당사의 제품/서비스의 매출 부진으로 인해 손실이 지속되는 등 영업현금흐름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금이 고갈될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금 차입 등 부채가 증가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재무적 위험이 발생할 경우 수익성과 성장성을 포함한 각종 재무지표에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구 분 | 내 용 | |
내부요인 | 제품매출 |
- 당사 연구개발 일정 변경으로 인한 계획 대비 매출 인식 시기 변경 - 당사 신규 개발 제품 상업화 일정 변경 |
사업운영 |
- 예상치 대비 개발 비용의 감소/급증 - 핵심 개발 인력 유출/유입 |
|
외부요인 | 경쟁사 |
- 경쟁 업체의 신기술 또는 개선된 성능의 제품 출시로 당사 시장 점유율 하락 - 경쟁업체의 기술 도태 또는 시장 퇴출로 인한 당사 시장점유율 상승 |
고객사 |
- 고객사 주력 영위 사업 변경, 신제품 출시 일정 변경, 벤더등록 지연 등 사업계획의 변경 - 당사와 전략적 협력 관계에 있는 거래선의 신규 제품 개발 중단 결정 |
|
회계/법규 |
- 신규 회계 규칙 발표에 따른 매출 인식 기준 변동 - 국책과제 및 세제 혜택에 대한 법규 변동, 기타 회계 정책 변경 및 조정 |
|
시장/표준 |
- 외화 환율의 급격한 하락 또는 상승 - 각국의 관세, 수출통제, 글로벌 무역 전쟁 등 규제조치 - 의료파업 장기화 |
한편, 당사의 매출원가 및 판관비 추이와 증감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매출원가
당사는 2022년~2023년 매출액을 각각 241억원, 273억원을 시현함과 동시에 동기간 매출원가율 55.36%, 49.81%로 매출규모 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효과 및 검사공정 개선 등으로 매출원가 개선 추이를 시현하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부터 시작된 의정갈등으로 인한 2024년 전년 대비 매출규모 감소로 인해 매출원가율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매출원가율이 2024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이는 1분기가 일반적으로 근무일수가 적어 검사서비스 사업의 비수기에 해당하므로 매출액 및 검사건수가 타분기 대비 소폭 낮은 것에 기인합니다.
[최근 3개년 및 최근사업연도 1분기 매출액 및 매출원가 추이]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연도1분기 | 2024연도 | 2023연도 | 2022연도 | |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
산과검사 | 매출액 | 1,900 | 6,525 | 5,269 | 5,159 |
암검사 | 매출액 | 2,640 | 10,197 | 10,461 | 9,524 |
유전희귀검사 | 매출액 | 1,405 | 4,885 | 6,031 | 5,550 |
검진검사 | 매출액 | 845 | 4,256 | 4,643 | 3,833 |
기타 | 매출액 | 24 | 24 | 888 | 48 |
합계 | 매출액 | 6,814 | 25,888 | 27,292 | 24,114 |
매출원가 | 3,765 | 14,181 | 13,595 | 13,349 | |
원가율 | 55.25% | 54.78% | 49.81% | 55.36% |
(2) 판매비 및 관리비
당사의 2022년~2024년 판매비 및 관리비는 각각 140억원, 135억원, 129억원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항목별 주요 증감 원인으로는 1) 인건비성 경비: 2023년 R&D인력 중 일부가 관리인원으로 전환되어 증가하였으나 이에 반대급부로 경상연구개발비의 감소가 있었습니다. 2) 기타 경비: 용인 지점 설치 등 자산 취득으로 인하여 감가상각비가 증가하였습니다. 3) 경상연구개발비: 2022년 아이캔서치 등 주요 신규 검사 개발 완료로 인한 시약재료비 감소 등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최근 3개년 판매비 및 관리비]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연도1분기 | 2024연도 | 2023연도 | 2022연도 |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
판매비 및 관리비 | 3,074 | 12,940 | 13,537 | 14,000 |
인건비성 경비 | 974 | 4,312 | 4,178 | 3,492 |
기타경비 | 552 | 2,575 | 2,004 | 2,387 |
통신비 | 7 | 29 | 30 | 10 |
수도광열비 | 9 | 34 | 41 | 38 |
보험료 | 2 | 8 | 12 | 33 |
교육훈련비 | 2 | 14 | 15 | 13 |
임차료 | 47 | 172 | 158 | 168 |
감가상각비 | 47 | 184 | 175 | 78 |
무형자산상각비 | 10 | 38 | 35 | 36 |
사용권자산상각비 | 35 | 140 | 139 | 160 |
소모품비 | 7 | 71 | 60 | 69 |
세금과공과 | 33 | - | - | - |
차량유지비 | 0 | 3 | 3 | 7 |
접대비 | 33 | 146 | 162 | 181 |
운반비 | 21 | 90 | 70 | 58 |
도서인쇄비 | 4 | 18 | 6 | 5 |
지급수수료 | 237 | 1,305 | 715 | 986 |
위탁용역료 | 30 | 226 | 244 | 402 |
광고선전비 | 22 | 90 | 143 | 149 |
잡역비 | - | - | - | - |
회의비 | - | 0 | 1 | 0 |
대손상각비 | 8 | 7 | (4) | (6) |
경상연구개발비 | 1,548 | 6,053 | 7,355 | 8,121 |
(3) 영업외수익 및 영업외비용
당사의 2022년~2024년 영업외수익은 각각 13억원, 6억원, 23억원입니다. 주요 증감 원인으로는 1) 이자수익 및 금융외화환산이익: Genece Health convertible note 대한 미수이자 인식 및 외환평가로 증가하였습니다. 2) 파생상품평가이익: 전환사채 평가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2024년 영업외 비용은 각각 20억원, 16억원, 22억원이며, 주요 증감 원인으로는 1) 유형자산손상차손: 일부 유휴설비에 대한 손상차손처리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 2) 이자비용 및 파생상품평가손실: 2022년 기중에 전환사채 200억 중 60% 자본전환으로 인해 2023년 이후부터 전환사채 이자비용 등이 감소하였고 파생상품평가손실은 전환사채 평가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
[최근 3개년 영업외수익 및 비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연도1분기 | 2024연도 | 2023연도 | 2022연도 |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
영업외수익 | 194 | 2,268 | 621 | 1,313 |
외환차익 | 1 | 15 | 13 | 33 |
외화환산이익 | 5 | 7 | 0 | 0 |
리스자산처분이익 | - | 1 | 2 | 0 |
잡이익 | 0 | 59 | 106 | 396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245 | - | 361 |
이자수익 | 185 | 1,059 | 482 | 509 |
금융외환차익 | 3 | 14 | 18 | 13 |
금융외화환산이익 | 0 | 868 | - | 0 |
영업외비용 | 79 | 2,161 | 1,596 | 1,951 |
외환차손 | 11 | 21 | 43 | 54 |
외화환산손실 | 0 | - | 2 | 6 |
유형자산처분손실 | 0 | 0 | 0 | 45 |
유형자산손상차손 | - | 1,125 | - | - |
잡손실 | - | 55 | 1 | 1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560 | - |
이자비용 | 51 | 960 | 921 | 1,695 |
금융외화환산손실 | 16 | - | 69 | 147 |
관계기업투자손실 | - | - | - | 3 |
나.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3년 지점신설 공사대금 지급 및 전환사채의 유동부채로의 계정전환으로 인해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이 각각 112.12%, 103.24%로 업종평균인 128.74%와 124.34%를 하회하여 재무 안정성이 약화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공사 잔금 지급 완료 및 전환사채 전량 보통주 전환을 통해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각각 427.05%, 388.95%로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318.90%, 290.64%입니다. 부채비율 또한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과 더불어 2024년 기준 22.80%, 2025년 1분기 기준 27.63% 로 동업종평균인 62.91%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2024년 기준 무차입 경영을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의료 파업에 따른 업황 악화로 실적이 악화되었으며, 신제품 연구개발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어 음의 이자보상배율을 시현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고려했을 때,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 영역 확장, 신제품 매출 본격화 등 실적의 지속적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재무안정성 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다만, 국내외 경기 침체 및 해당 시장 악화 등 예기치 못한 영업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동사의 전망과는 달리 기술수출 및 판매가 지연될 경우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는 하기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 |
(단위: %, 배)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
유동비율 | 318.90% | 427.05% | 112.12% | 232.08% | 128.74% |
당좌비율 | 290.64% | 388.95% | 103.24% | 220.54% | 124.34% |
부채비율 | 27.63% | 22.80% | 70.95% | 83.92% | 62.91% |
차입금의존도 | 0.00% | 0.00% | 15.31% | 11.90% | 20.49% |
이자보상배율(배) | (0.49) | (1.29) | 0.17 | (1.91) | 3.13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3. 기타 전문, 과학 및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주2) 재무 안정성 지표 산출내역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비율] | 유동자산 | 16,027 | 13,663 | 14,550 | 24,120 |
유동부채 | 5,026 | 3,199 | 12,978 | 10,393 | |
유동비율 | 318.90% | 427.05% | 112.12% | 232.08% | |
당좌비율 [당좌자산/유동부채] | 당좌자산 | 14,607 | 12,444 | 13,398 | 22,921 |
유동부채 | 5,026 | 3,199 | 12,978 | 10,393 | |
당좌비율 | 290.64% | 388.95% | 103.24% | 220.54% | |
부채비율 [총부채/총자본] | 총부채 | 9,223 | 7,543 | 17,772 | 22,311 |
총자본 | 33,377 | 33,080 | 25,048 | 26,585 | |
부채비율 | 27.63% | 22.80% | 70.95% | 83.92% | |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총자산] | 차입금 | - | - | 6,556 | 5,819 |
총자산 | 42,600 | 40,622 | 42,819 | 48,896 | |
차입금의존도 | 0.00% | 0.00% | 15.31% | 11.90% | |
이자보상배율(배) [영업이익/이자비용] | 영업이익 | (25) | (1,234) | 160 | (3,236) |
이자비용 | 51 | 960 | 921 | 1,695 | |
이자보상배율(배) | (0.49) | (1.29) | 0.17 | (1.91) |
당사의 2022년, 2023년 및 2024년, 2025년 1분기 유동비율은 각 232.08%, 112.12%, 427.05%, 318.9% 로 2023년을 제외하고는 동업종평균인 128.74%를 상회하고 있으며 당좌비율 또한 2022년부터 2024년, 2025년 1분기까지 각 220.54%, 103.24%, 389.95%, 290.64%로 2023년 제외하고는 동업종평균인 124.34%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은 2023년 지점신설로 인한 설비투자 및 공사대금(73억원), Genece Health convertible note 350만달러 투자 등에 따른 현금 감소, 전환사채(80억) 계정 재분류로 유동부채가 증가하여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 일시적으로 악화되었으나, 지점 신설 및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 완료가 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당사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은 2024년 개선되었으며 추가적인 악화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2022년 및 2023년 부채비율은 각 83.9%, 71.0%로 동업종 평균인 62.91%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4년 22.8%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당사가 2020년 12월 발행한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가 2022년 및 2024년 2차례에 거쳐 전량 보통주로 전환된 것에 기인합니다. 또한 차입금의존도는 전환사채 전량 보통주 전환되며 2024년 0.00%를 달성했습니다.
당사의 이자보상비율은 2023년부터 당사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따라 개선하였습니다. 향후 본격적인 당사 핵심기술의 수출 및 제품화가 이루어지면서 당사의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하며 비율이 개선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고려했을 때,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 영역 확장(기술이전 본격화에 따른 Royalty 수입 등), 신제품 매출 본격화 등 실적의 지속적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재무안정성 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국내외 경기 침체 및 해당 시장 악화 등 예기치 못한 영업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당사의 전망과는 달리 기술수출의 지연 혹은 해외진출 사업모델의 변경 등으로 인해 관련 투자비용이 증가하게 될 경우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매출채권 회수 관련 위험 당사의 매출채권은 대부분 의료재단, 의료원, 병원들로 구성된 주요 고객사에서 발생합니다. 2024년 온기 기준 매출채권 규모는 손실충당금 차감한 순액기준 약 54억 원, 2025년 1분기 51억 원이며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4년 5.31회, 2025년 1분기 5.17회 로 업종 평균인 6.22회를 소폭 하회합니다. 그러나 당사 매출채권은 3개월 미만 회수기간인 경우가 약 99%로, 이는 2024년도 매출채권 회전율 하락은 의료 파업에 따른 실적 둔화로 인한 것으로 매출채권 회수에 차질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나 고객사의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매출채권 회수가 지연되거나 일부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매출채권에 대해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개별평가 및 대상 금융자산의 경제적 성격을 고려한 집합평가를 매 보고기간 말에 수행하며, 미회수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을 고려하여 손실충당금을 설정하는 등 매출채권을 효율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외부 환경 변화나 거래처의 재정 상태 악화로 인해 채권 회수가 지연될 경우, 회사의 현금흐름과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매출채권의 규모는 향후 신규 제품의 지속적인 출시/적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매출채권 현황 및 연령분석은 하기와 같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2022년 |
---|---|---|---|---|---|
매출채권(순액) | 5,101 | 5,439 | 4,307 | N/A | 4,221 |
매출채권회전율 | 5.17 | 5.31 | 6.40 | 6.22 | 6.09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1-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주2)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당사의 매출채권은 손실충당금을 차감한 순액 기준으로 2022년 4,221백만원, 2023년 4,307백만원, 2024년 5,439백만원, 2025년 1분기 5,101백만원 입니다. 당사의 매출채권은 대부분 3개월 미만 매출채권의 비중으로 1년 이상 매출채권 비중은 0.1% 미만으로 매우 적습니다. 당사의 매출채권이 대부분 3개월 내에 회수됨에 따라 대손충당금 역시 1% 이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안정적인 매출채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은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원활하게 회수되어 현금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반대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져 현금 유동성 악화 및 대손 발생의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당사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6.09회, 2023년 6.40회, 2024년 5.31회, 2025년 1분기 5.17회 로 동업종평균(6.22회) 수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의료 파업 이후 업황이 악화되며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향후 점진적인 업황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매출채권 회전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는 회계관리규정에 의거하여 매출채권 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채권 관련 계약상의 불리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 입금 시 통장 등을 통한 확인이 가능하며, 주요 거래처의 경우 Invoice 발행일로부터 30일 ~ 90일 이내 입금되고 있고 미회수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을 고려하여 손실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개별평가 및 대상 금융자산의 경제적 성격을 고려한 집합평가를 매 보고기간 말에 수행하고있습니다. 최근3개년 매출채권연령분석표는 아래와 같으며, 2024년말 기준 9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 1,558천원이 존재하나, 재무건정성을 해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내용들을 고려 시 당사는 매출채권 관련 체계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매출채권 연령 분석 및 대손충당금 내역] |
(단위: 천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채권 총액 | 5,134,558 | 5,465,151 | 4,325,837 | 4,253,868 |
3개월 이하 | 5,115,096 | 5,446,710 | 4,321,951 | 4,224,918 |
3~6개월 이하 | 1,065 | 13,671 | 1,425 | 26,751 |
6~9월 이하 | 13,638 | 3,212 | 622 | 1,800 |
9개월 초과 | 4,759 | 1,558 | 1,839 | 399 |
3개월 미만 매출채권 비중 |
99.62% | 99.66% | 99.91% | 99.32% |
9개월 초과 매출채권 비중 |
0.09% | 0.03% | 0.04% | 0.01% |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 33,956 | 26,297 | 19,071 | 32,920 |
대손충당금 설정 비중 | 0.66% | 0.48% | 0.44% | 0.77% |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당사의 매출채권 진부화 위험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타 거래처에서의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될 경우, 신규 거래처에서 발생한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될 경우,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현황은 악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당사의 영업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재고자산 관련 위험 당사는 재고 및 발주계획을 수립하고 발주를 의뢰하는 자체적인 재고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적인 재고 운영이 가능합니다. 당사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14.85회, 2023년 11.56회, 2024년 11.96회, 2025년 1분기 11.41회 를 기록하며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기간 재고자산 규모가 유지되는 점, 2022년 전년대비 재고자산의 급격한 증가로 회전율이 높아진 점, 2024년 의료파업으로 인한 실적이 악화된 점을 감안할 때, 당사 재고자산회전율 추이가 당사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실제로 2023년, 2024년 당사 재고자산 연령분석 시 충당금 설정률은 각각 3.75%, 5.87%에 불과하며 대부분 3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예상과는 달리 재고자산 증가분을 상회하는 매출액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후에도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업종 평균을 하회하는 추세가 지속될 수 있으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이 계획대로 판매되지 않는경우 당사의 손익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 거래처의 재무악화 또는 고객사 발주 감소 등의 요인들로 인해 당사의 영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면,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진부화된 재고로 인한 손실은 당사의 재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 재고자산은 원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주)지씨지놈 재고자산 및 재고자산 회전율] |
(단위: 백만원, 회)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2022년 | 2021년 |
---|---|---|---|---|---|---|
재고자산 | 1,420 | 1,219 | 1,152 | N/A | 1,200 | 598 |
재고자산 회전율 | 11.41 | 11.96 | 11.56 | 48.63 | 14.85 | 37.84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1-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
주2) 2020년 당사 재고자산이 없어 2021년 재고자산 회전율이 과대계상되었습니다. |
주3)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
당사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14.85회, 2023년 11.56회, 2024년 11.96회, 2025년 1분기 11.41회 를 기록하며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기간 재고자산의 규모는 약 12억원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점, 2022년 전년동기대비 100%가 넘는 재고자산 증가된 점, 2024년 2월부터 시작된 의료파업으로 인한 실적 감소한 점 감안시 재고자산 회전율 감소가 당사 재고관리 능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재고 및 발주계획을 수립하고 발주를 의뢰하는 당사 내부 시약재료비 재고관리 프로세스 상 매출 감소분 이외 다량의 재고가 진부화될 위험은 낮습니다.
당사의 재고자산은 원재료 100%(시약)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고자산추이 및 현황상 유의미한 재고변동은 당사 주요제품인 검사 포트폴리오의 주요 원재료 시약(TSO500 solid-tumor library kit_24T, NovaSeq 6000 SP Rgt Kit v1.5_100cyc) 등의 매입이 있었으나 특별히 증가하거나 감소한 내용은 없었으며, 그 외 재고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매입을 과다하게 하거나 매입, 매출 수량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등의 특이사항은 없습니다. 또한, 동사의 원재료 시약의 유통기한은 약 2년으로 파악되며 대부분 3개월 내에 소진하고 있습니다. 당사 최근 2개년도 재고자산 연령분석표는 하기와 같습니다.
[(주)지씨지놈 2023년 기준 재고자산 연령분석] |
(단위: 천원, 개) |
품 목 |
재고자산 (2023년도말) |
연령분석 |
평가충당금 (2023년도말)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
NovaSeq 6000 SP Rgt Kit v1.5_100cyc | 224,325 | 224,325 | - | - | - | - |
CYTOSCAN DX ASSAY KIT | 170,848 | 170,848 | - | - | - | - |
xGEN EZ kit_96rxn | 95,680 | 95,680 | -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300cycle) | 74,617 | 74,617 | -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75cycle) | 70,257 | - | 70,257 | - | - | - |
기타 | 561,396 | 403,461 | 57,314 | 55,871 | 44,751 | 44,932 |
계 | 1,197,124 | 968,931 | 127,572 | 55,871 | 44,751 | 44,932 |
주1) 당사의 원재료시약의 사용기간은 2년정도이며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으나, 일부 1년 이상 출고가 없는 품목은 평가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주)지씨지놈 2024년 기준 재고자산 연령분석] |
(단위: 천원, 개) |
품 목 |
재고자산 (2024년도말) |
연령분석 |
평가충당금 (2024년도말)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
NovaSeq 6000 SP Rgt Kit v1.5_100cyc | 130,999 | 130,999 | - | - | - | - |
TSO500 solid-tumor library kit_24T | 141,324 | 113,059 | 28,265 | - | - | - |
xGEN EZ kit_96rxn | 147,200 | 145,360 | 1,840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300cycle) | 45,983 | 45,983 | -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75cycle) | 51,192 | 51,192 | - | - | - | - |
기타 | 778,135 | 545,247 | 17,631 | 139,268 | 75,989 | 75,997 |
계 | 1,294,833 | 1,031,840 | 47,736 | 139,268 | 75,989 | 75,997 |
주1) 당사의 원재료시약의 사용기간은 2년정도이며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으나, 일부 1년 이상 출고가 없는 품목은 평가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주)지씨지놈 2025년 1분기 기준 재고자산 연령분석] |
(단위: 천원, 개) |
품 목 |
재고자산 (2025년 1분기) |
연령분석 |
평가충당금 (2025년 1분기)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
NovaSeq 6000 SP Rgt Kit v1.5_100cyc | 104,755 | 98,000 | 6,755 | - | - | - |
TSO500 solid-tumor library kit_24T | 94,216 | 94,216 | - | - | - | - |
xGEN EZ kit_96rxn | 117,935 | 55,500 | 62,435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300cycle) | 88,190 | 88,190 | -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75cycle) | 43,690 | 43,690 | - | - | - | - |
기타 | 1,047,216 | 793,713 | 59,867 | 129,475 | 64,162 | 75,997 |
계 | 1,496,003 | 1,173,309 | 129,056 | 129,475 | 64,162 | 75,997 |
주1) 당사의 원재료시약의 사용기간은 2년정도이며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으나, 일부 1년 이상 출고가 없는 품목은 평가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회계팀에서는 재고자산관리시스템(박스히어로)을 통해 재고자산 현황에 대해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회계책임자 및 회계담당자 입회하에 매년말 재고자산 실사를 진행하여 장부금액과 실제 재고자산과의 일치 여부 등을 확인하는 등 일련의 재고관리 프로세스가 잘 구축되어 있다고 판단됩니다.
당사의 예상과는 달리 재고자산 증가분을 상회하는 매출액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후에도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업종 평균을 하회하는 추세가 지속될 수 있으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이 계획대로 판매되지 않는 경우 당사의 손익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 거래처의 재무악화 또는 고객사 발주 감소 등의 요인들로 인해 당사의 영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면, 당사 재고자산회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진부화된 재고로 인한 손실은 당사의 재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당사는 의료파업으로 인한 업황 악화, 신규 투자 및 신제품 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 몇 년간 영업활동 현금흐름 변동성을 경험했습니다. 당사는 2022년 (-)1,610,456천원, 2023년 3,340,488천원, 2024년 377,992천원, 2025년 1분기 2,767,400천원 의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내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나, 의료파업 진정세 업황 개선과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2025년 온기 기준으로는 양수(+) 전환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산업 특성상 연구개발 투자와 설비 확충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투자활동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고객사의 주문량 변동이나 글로벌 경기 침체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당사는 공모 자금과 영업현금흐름을 활용해 차입금을 상환하고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에 집중하며 현금흐름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영업환경 변화나 대규모 투자 실패 등이 발생할 경우 회사의 유동성과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근 3년 기준 현금흐름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현금흐름 요약표] |
(단위 : 천원) |
과 목 | 2025년1분기 | 2024년(제12기) | 2023년(제11기) | 2022년(제10기) |
---|---|---|---|---|
매출액 | 6,813,908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영업활동현금흐름 | 2,767,400 | 377,992 | 3,340,488 | (1,610,456) |
투자활동현금흐름 | (51,167) | 3,128,233 | (12,475,907) | 5,177,326 |
재무활동현금흐름 | (160,967) | (615,545) | (859,186) | (671,842) |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2,555,266 | 2,890,680 | (9,994,605) | 2,895,029 |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6,527,500 | 3,636,815 | 13,636,829 | 10,742,793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9 | 6 | (5,409) | (994)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5 | 6,527,500 | 3,636,815 | 13,636,829 |
출처 : 당사 최근 3개년 감사보고서 및 2025년 1분기 검토보고서
당사는 2022년 (-)1,610,456천원, 2023년 3,340,488천원, 2024년 377,992천원, 2025년 1분기 2,767,400천원 의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2년 전년대비 약 35%가량 매출이 성장하며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가 다량 발생하며 음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을 기록하였으며, 2023년까지 매출이 성장하며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양전했으나, 2024년 의료파업 이후 매출 성장세가 둔화되며 영업활동현금흐름 또한 감소했습니다.
당사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2022년 5,177,326천원, 2023년(-)12,475,907천원, 2024년 3,128,233천원, 2025년 1분기 (-)51,167천원 으로 나타납니다. 당사의 2023년 현금흐름 중 예년대비 추가적으로 지출되어 음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준 주요 내용은 1) Genece Health Convertible Note 300만달러 투자(약 39.7억원), 2) 신규지점 리모델링 공사잔금 약 54.6억원입니다.
당사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리스부채상환으로 인해 발생하며,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4년 연말 기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은 약 65억원, 2025년 1분기기준 약 91억원 입니다. 향후 당 사는 예상되는 공모자금을 시설자금(검사설비 증설, 검사실 확장, 서버구축 등) 및 운영자금(연구개발 인력 인건비, 연구 기자재, 및 일반 경상연구개발비 등)으로 투입할 예정이며, 2025년부터는 G-NIPT와 아이캔서치의 국내외 시장침투율 확대를 통한 현금흐름 개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상장 이후 현금흐름은 안정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향후 추가적인 대규모 시설투자가 발생하거나 관련 사업에서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추가적인 자금조달을 통한 현금 확충이 필요할 수 있어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연구개발비 증가에 따른 위험 당사는 연구개발비용으로 2022년 8,121백만원, 2023년 7,355백만원, 2024년 6,053백만원, 2025년 1분기 1,548백만원 을 지출하였으며, 당사의 연구개발비는 모두 비용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기술 고도화 및 핵심기술 기반의 신제품 출시 및 질환 확대 등 제품 라인업 다변화를 위한 연구개발비 (인건비, 시약재료비 등)를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당사 연구개발비는 향후에도 매출액의 2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해나갈 계획이며, 이는 연구개발비의 대부분의 비중을 우수인력들의 인건비성 항목이기에 회사의 인력운영 계획에 따라 조정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당사의 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 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등 분야의 맞춤형 분자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유전체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시장을 선도하고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기술과 조기암 선별기술에 대해 연구개발과 임상 및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산과검진제품 G-NIPT, 다중암조기선별제품 아이캔서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개발 노력과 관련한 당사의 최근 3개년도 연구개발비용 현황은 다음와 같습니다
[연구개발비 현황] |
(단위: 천원,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연구개발비 | 1,547,524 | 6,052,989 | 7,355,432 | 8,121,031 |
매출액 | 6,813,908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
22.70% | 23.38% | 26.95% | 33.68% |
인건비성비용 | 687,859 | 2,988,649 | 3,437,854 | 3,177,146 |
연구개발비 | 1,547,524 | 6,052,989 | 7,355,432 | 8,121,031 |
연구개발비 대비 인건비성 비용 비율 | 44.45% | 49.37% | 46.74% | 39.12% |
주1) 연구개발비 상세현황
(단위: 천원, %)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비용의 성격별 분류 | (시약)재료비 | 246,859 | 523,055 | 1,203,317 | 3,230,006 |
인건비 | 595,967 | 2,569,898 | 2,870,611 | 2,779,463 | |
감가상각비 | 296,239 | 1,288,988 | 1,294,880 | 762,491 | |
위탁용역비 | 12,461 | 185,385 | 436,700 | 440,000 | |
기타 | 395,998 | 1,485,664 | 1,549,924 | 909,070 | |
연구개발비용 합계 | 1,547,524 | 6,052,989 | 7,355,432 | 8,121,031 | |
회계처리 내역 | 판매비와 관리비 | 1,547,524 | 6,052,989 | 7,355,432 | 8,121,031 |
회계처리금액 계 | 1,547,524 | 6,052,989 | 7,355,432 | 8,121,031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합계÷당기매출액×100] | 22.7% | 23.4% | 27.0% | 33.7% |
당사의 2022년~2024년 연구개발비는 각각 81억, 74억, 61억, 2025년 1분기 15억원입니다. 연구개발비는 2022년 이후 아이캔서치 등 주요 신규 검사 개발의 완료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각각 33.7%, 27.0%, 23.4%, 22.7%입니다. 항목별 주요 증감 원인으로는 1) (시약)재료비: 2022년 아이캔서치 등 주요 검사 항목 개발 완료 등으로 감소하였습니다. 2) 인건비: 검사 전산 시스템 개발에 참여해왔던 경상연구 인력이 2023년 시스템 완료로 인하여 관리조직 재배치로 인한 비용 조정으로 인한여 2024년 감소하였습니다. 3) 감가상각비는 2023년 신규지점 설립에 따른 연구시설 확장으로 인해 증가하였습니다.
당사가 속한 유전체 검사 시장에 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 개발은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수입니다. 이에 당사는 핵심기술 고도화 및 핵심기술 기반의 신제품 출시 및 질환 확대 등 제품 라인업 다변화를 위한 연구개발비 (인건비, 시약재료비 등)를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당사 연구개발비는 향후에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추후 당사의 매출액 증가에 따라 연구개발비 비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연구개발비 중 약 40%가량은 인건비성 항목으로, 연구개발 능력을 갖춘 고급인력이 연구개발의 핵심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당사의 향후 연구개발 인력 계획은 개발 파이프라인에 따라 관리될 예정이며, 현재 주요 개발이 완료된 상황이므로 급격한 인원의 증가는 계획되어 있지 않아 인건비성 항목의 증가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증가 가능성도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당사가 기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수익 발생이 지연되거나 당사가 향후 출시할 신제품의 판매가 부진하는 등 당사의 수익성이 감소할 경우, 연구개발비 지출이 당사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당사 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따른 위험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의한 녹십자 기업집단에 속하여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회사 및 비상장회사를 포함하여 당사 외 43개사의 계열회사가 당사와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하여 있고, 계열회사와 다양한 매출 및 매입거래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2024년 7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규정을 제정하고 동년 8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준비 및 심사 과정에서 이해관계자거래로 인한 부의이전이나 부당거래로 주관사 및 한국거래소의 지적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당사는 내부거래에 대한 회사의 내부통제를 강화하여 거래의 공정성과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내부거래위원회 설치를 준비 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 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와 관계회사와의 거래 검토 시, 거래내역, 거래조건, 손익규모 등이 명확한 거래 근거에 의거 타당한 금액으로 거래되어 당사의 부가 관계회사에게 이전된 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상장 전 종속회사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과 거래 시 내부통제를 구축하고 적절한 통제 절차를 준수하고자 2024년 7월 26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이해관계자 거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내부 투명성 강화를 위해 제정한 규정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제정 이후 해당 규정에 따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이해관계자 등과의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 거래 규정] |
구 분 | 내 용 |
---|---|
제4조 (이해관계자에 대한 신용공여의 제한) |
회사는 이해관계자를 상대방으로 하거나 그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금전, 증권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산의 대여 2. 채무이행의 보증 3. 자금 지원적 성격의 증권 매입 4. 담보를 제공하는 거래 5. 어음을 배서(「어음법」제15조 제1항에 따른 담보적 효력이 없는 배서는 제외한다)하는거래 6. 출자의 이행을 약정하는 거래 7. 이해관계자에 대한 신용공여의 제한(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거래의 제한을 말한다)을 회피할 목적으로 하는 거래로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38조 제1항 제4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거래 8.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38조 제1항 제5호에 따른 거래 |
제5조 (일반원칙의 예외) |
회사는 제4조의 조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해관계자에 대한 신용공여를 할 수 있다 1. 복리후생을 위한 이사, 집행임원 또는 감사에 대한 금전대여 등으로서 학자금, 주택자금 또는 의료비 등 복리후생을 위하여 회사가 정하는 바에 따라 3억원의 범위에서 금전을 대여하는 행위 2. 기타 법령에서 허용하는 신용공여 3. 그 밖에 경영건전성을 해칠 우려가 없는 금전대여 등으로서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자를 상대로 하거나 그를 위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행하는 신용공여 가. 법인인 주요주주 나. 법인인 주요주주의 특수관계인 중 회사(자회사를 포함한다)의 출자지분과 해당 법인인 주요주주의 출자지분을 합한 것이 개인인 주요주주의 출자지분과 그의 특수관계인(해당 회사 및 자회사는 제외한다)의 출자지분을 합한 것보다 큰 법인 다. 개인인 주요주주의 특수관계인 중 회사(자회사를 포함한다)의 출자지분과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법인의 출자지분을 합한 것이 개인인 주요주주의 출자지분과 그의 특수관계인(해당 회사 및 자회사는 제외한다)의 출자지분을 합한 것보다 큰 법인 |
제6조 (이사회 승인) |
회사는 이해관계자 및 특수관계인과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거래(기타 법령에 의하여 금지되는 거래를 제외한다)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단일의 거래 규모가 당해 법인의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00분의 1 이상인 거래 2. 해당 사업연도 중에 특정인과의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당해 법인의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인 거래 |
최근 3년 및 당해연도 중 발생한 관계회사와의 거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3년 중 관계회사와의 매출거래] |
(단위: 천원) |
성명 | 관계 | 구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비고 |
---|---|---|---|---|---|---|---|
(주)녹십자 |
기타이해 관계자 |
매출 거래 |
- | - | - | - |
전산 용역료 |
채권 잔액 |
- | - | - | 2,927 | |||
Genece Health, Inc. |
관계 기업 |
매출 거래 |
112,830 | 705,103 | 669,950 | - | 로열티 |
채권 잔액 |
872,004 | 759,909 | - | - | |||
의료법인 녹십자 의료재단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출 거래 |
5,538,486 | 21,426,739 | 21,615,570 | 17,649,601 | 검사위탁 |
채권 잔액 |
4,237,348 | 4,580,326 | 3,875,291 | 3,622,798 | |||
(주)지씨셀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출 거래 |
- | 60 | 60 | 360 |
검사위탁 및 자산폐기 미수잔액 |
채권 잔액 |
- | - | - | 104,689 | |||
(주)GC케어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출 거래 |
- | - | - | - |
사내복지 포인트 |
채권 잔액 |
- | 566 | 460 | - | |||
(주)지씨씨엘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출 거래 |
18,804 | 20,132 | 39,900 | 13,700 | 검사위탁 |
채권 잔액 |
- | - | 495 | 15,070 |
[최근 3년 및 당해연도 중 관계회사와의 매입거래] |
(단위: 천원) |
성명 | 관계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비고 |
---|---|---|---|---|---|---|---|
(주)녹십자 홀딩스 |
최대 주주등 |
매입 거래 |
177,389 | 718,429 | 685,752 | 744,213 |
업무위탁 및 셀센터 임대 |
채무 잔액 |
113,072 | - | 92,679 | 170,247 | |||
(주)녹십자 |
기타 이해 관계자 |
매입 거래 |
42,515 | 92,086 | 67,809 | 72,099 |
전산용역 업무위탁 |
채무 잔액 |
29,846 | 9,220 | 26,359 | 14,686 | |||
의료법인 녹십자 의료재단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17,826 | 55,091 | 44,007 | 38,483 |
환경 배양검사 |
채무 잔액 |
6,563 | 4,681 | 3,582 | 3,357 | |||
(주)지씨셀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36,440 | 256,875 | 274,897 | 417,880 |
위탁 용역료 등 |
채무 잔액 |
56,403 | 24,697 | 21,659 | 54,947 | |||
(주)녹십자 엠에스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48,764 | 317,914 | 328,774 | 327,188 |
연구시약 소모품 |
채무 잔액 |
25,486 | - | 42,181 | 119,084 | |||
(주)GC케어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 | 5,109 | 6,761 | 6,025 |
직원 건강검진 등 |
채무 잔액 |
- | - | 200 | 34 | |||
(주)녹십자 이엠 |
기타 이해 관계자 |
매입 거래 |
67,314 | 198,267 | 1,466,600 | 5,378,400 |
리모델링 공사 등 |
채무 잔액 |
24,682 | 20,525 | - | 4,089,140 | |||
(주)녹십자 웰빙 |
관계 기업 |
매입 거래 |
- | 287 | 364 | 650 |
직원 창립기념일 선물 |
채무 잔액 |
- | - | - | - | |||
(주)지씨 웰페어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5,427 | 21,539 | 22,940 | 1,750 |
공용시설 운용관리비 |
채무 잔액 |
1,653 | 1,653 | 1,816 | - | |||
진스랩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 | - | 1,288 | 232 | 소모품 |
채무 잔액 |
- | - | - | - | |||
(주)에이블 애널리틱스 |
기타 특수 관계자 |
매입 거래 |
- | - | 150,000 | - |
기술 용역 |
채무 잔액 |
- | - | - | - |
[최근 3년 및 당해연도 중 관계회사와의 증권 매매 내역] |
(단위: 백만원) |
관계 | 성 명 | 종류 | 발행인 |
액면 금액(원)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매수 | 매도 | 매수 | 매도 | 매수 | 매도 | 매수 | 매도 | |||||
관계기업 | Genece Health, Inc | 주식 | Genece Health Inc | 0.001 USD | - | - | - | - | - | 3 | ||
채권 | - | - | - | - | 3,965 | - | 2,047 | - | ||||
특수관계자 | ㈜지씨셀 | 주식 | GC Lymphotec | - | - | - | 1,181 | - | - | - | - | - |
특수관계자 |
㈜녹십자이엠 |
주식 | - | - | - | 6 | - | - | - | - | - |
[최근 3년 및 당해연도 중 관계회사와의 부동산 임대차 내역] |
(단위: 백만원) |
관계 |
성 명 (법인명) |
소재지 |
수량 (면적)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
최대주주등 | (주)녹십자홀딩스 |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 30번길 107(보정동303) 셀센터 |
1,708.21 m² (516.73평) |
1,050 | 77 | 1,050 | 263 | 1,050 | 263 | 1,500 | 383 |
(1) 지분투자 및 자산취득
당사는 최대주주인 ㈜녹십자와 2022년 글로벌 시장으로의 주도적 확장을 위하여 미국법인인 Genece Health Inc. 설립하였습니다. 당사는 설립 최초 USD 2,250(한화 약 2.93백만원)을 지분투자하였고 Genece Health 225,000주를 취득, 지분율 25.86%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Genece Health는 미국 암 진단기업으로써 당사의 미국시장 액체생검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 당사는 Genece Health의 빠른 확장 및 시장 정착을 목적으로 초기 자본금 투자 외 Convertible Note 2022년 USD 1,500,000(한화 약 20.5억원), 2023년 USD 3,000,000(한화 약 39.7억원)를 취득하였습니다.
(2) 매출/매입 거래
주요 관계법인에 대한 매출/매입 거래에 대한 대략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녹십자홀딩스
당사는 기업집단 ‘녹십자’에 소속된 계열회사로 GC(녹십자) 상표 사용에 대해 상표소유자인 녹십자홀딩스에게 2021년 체결된 상표권 사용 계약에 따라 녹십자 상표와 무관하게 판매되는 매출액 외 순매출액에 대하여 브랜드 로열티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외 녹십자홀딩스의 매출/매입거래는 녹십자홀딩스가 소유하고 있는 GC목암타운의 셀센터 일부(당사의 본사) 및 공용시설, 부속의원등의 임대료, 관리비 등의 지급과 기업집단 내 공용인력 활용(법무업무, 홍보업무, 브랜딩업무, 구매업무, 안전환경업무 등)을 위한 수수료지급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상기 거래는 당사의 사업영위를 위한 경상적인 거래로 판단되며, 매년 임대차변경계약서와 Staff기능대행위수탁계약서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나) (주)녹십자
당사는 최대주주인 녹십자에게 그룹 전산프로그램(ERP), 보안시스템, 채용 Portal등 기타 전산사용료를 지불하고 있고 이외 녹십자소유의 목암타운 공용시설(주차장 식당), 그룹내 행낭, 셔틀버스 등 부대시설에 대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다)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녹십자의료재단은 당사의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고객입니다. 당사는 검체 검사 사업에 있어 특수 검체 검사용역을 녹십자의료재단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녹십자의료재단은 당사에 검체 검사 용역으로부터 발생한 매출액(보험수가 또는 과거 판매가)의 일정 비율을 검사수수료로 산정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녹십자의료재단이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특수 검체 검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녹십자의료재단이 재위탁한 검체 검사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녹십자의료재단은 특수 검체 검사 사업에 대한 별도의 유의미한 영업 및 마케팅 활동 없이 지씨지놈의 용역 제공으로 인해 추가적인 수입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라) (주)지씨셀
지씨셀은 당사의 특수 검체 검사 사업에 필요한 물류 및 영업 용역을 제공하며, 당사는 이에 대한 대가로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산정하여 지씨셀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씨셀이 보유한 전국적인 영업소 및 물류센터와 같은 유형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관련 조직 및 인력도 보유하고 있지 않아 물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지씨셀에게 해당 용역을 제공받음에 따라, 자체적으로 해당 기능을 구축하는 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운송을 담당하는 지씨셀의 영업직원 단에서 발생하는 영업활동을 통한 효익도 누릴 수 있습니다. 지씨셀 또한 별도의 유의미한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이 없고 시장위험을 부담하지 않는 추가 수수료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마) (주)녹십자이엠
녹십자이엠은 제약ㆍ의료ㆍ화학기계 제조설비, 연구소시설 시공 및 유지보수에 관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당사의 검사실 확장을 위해 2021년 1월 건설공사 도급계약을 맺었으며, 당사는 이후 리모델링 등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바) Genece Health, Inc.
당사는 미국 액체생검 시장 진출을 위해 2023년 Genece health와 G-SeNTInEL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해당 기술이전계약에 따라 2023년 up-front 50만달러(약 6억 7천만원)을 수취하였으며, 향후 Genece Health에서 매출 발생 시 일정 수수료를 수취할 예정입니다.
[당사-Genece Health의 기술수출 계약조건] |
구분 | 세부 내용 | 수령액 |
---|---|---|
선급금 |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 수령완료) | |
개발 마일스톤 | 첫 상업화 | 0.5백만달러 |
미국 특허 등록 | 1백만달러 | |
FDA 허가 | 비공개 | |
진입 지역 확장 | 비공개 | |
판매 마일스톤 |
누적 순매출액 1억달러 달성 시 |
비공개 |
판매 로열티 | 연 순매출액의 6~7% 로열티(매출액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주2) | 기재내용 외 비공개 금액에 대해서는 파트너사와의 비밀유지 합의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상기와 같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가 합리적인 금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해관계자 거래규정 하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추가로, 당사는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 한국거래소에 이사회 내 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관련 확약내용은 하기와 같습니다.
[이사회 내 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확약서] |
한국거래소 귀중 2025 년 3 월 20 일
주식회사 지씨지놈(이하 “지씨지놈”)은,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이하“상장”)과 관련하여, 아래 내용을 확약합니다. 1. 지씨지놈은 상장 이후 투명한 경영구조 구축 및 주주가치 보호를 위하여,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이사회 내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2. 지씨지놈은 이를 위하여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사외이사 1인 선임, 정관상 내부거래위원회(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 실시한다. 3. 지씨지놈은 상장 이후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내부거래위원회 결의를 통하여 계열사(내부거래위원회규정에서 정하는 계열회사 및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등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사안에 대한 사전 심의 절차를 거치며, 이를 통하여 주주가치 제고 및 투명한 지배구조 유지를 위해 노력한다. |
다만,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가 발생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내부통제 절차를 취하지 않아 종속회사로의 부의 이전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당사는 매년 연초 이사회에서 일정기간을 정하여 과거 실적 및 차년도 사업계획을 근거로 관계사 간 매출입거래 한도를 설정하고 그 금액 내에서 거래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최선을 다하여 이해관계자 거래에 공정성을 기하고 부의 이전 등 주주의 이해를 해하는 거래에 대하여 경계를 하고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거래의 특성 상 이해상충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이 모든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이해관계자 거래로 인해 회사의 재무 상태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위험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식회사 녹십자로 공모 후에도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의 지분 매각이나 경영권 분쟁 등이 발생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로 인해 최대주주의 지분율 감소 시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녹십자를 포함한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54.2%이며, 최대주주등을 제외할 경우 2대주주는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조합이며 보유 지분율은 18.2%으로 최대주주 경영권 변동 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상장 시16.9%를 공모(신주 100%)할 예정이며, 이를 고려하더라도 상장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이44.8% 수준을 유지할 예정임에 따라 향후 급격한 경영권 변동 위험은 제한적으로 판단됩니다. 아래는 상장 후 예상되는 지분구조 변화에 대한 상세 내용입니다
[공모에 따른 지분구조 변화] |
(단위: 주, %) |
구 분 | 성 명 | 주식종류 | 소유주식수 | 공모전지분율 | 공모후지분율 |
---|---|---|---|---|---|
최대주주등 | (주)녹십자 | 보통주 | 4,636,500 | 23.71 | 19.59 |
(주)녹십자홀딩스 | 보통주 | 2,256,656 | 11.54 | 9.54 | |
주식회사 지씨셀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주)녹십자엠에스 | 보통주 | 16,928 | 0.09 | 0.07 | |
허용준 | 보통주 | 846,428 | 4.33 | 3.58 | |
허은철 | 보통주 | 784,357 | 4.01 | 3.31 | |
허일섭 | 보통주 | 507,857 | 2.60 | 2.15 | |
허진성 | 보통주 | 282,142 | 1.44 | 1.19 | |
허진훈 | 보통주 | 112,857 | 0.58 | 0.48 | |
최승희 | 보통주 | 50,785 | 0.26 | 0.21 | |
기창석 | 보통주 | 169,285 | 0.87 | 0.72 | |
조은해 | 보통주 | 138,250 | 0.71 | 0.58 | |
양송현 | 보통주 | 152,357 | 0.78 | 0.64 | |
박용태 | 보통주 | 101,571 | 0.52 | 0.43 | |
박대우 | 보통주 | 57,714 | 0.30 | 0.24 | |
박순영 | 보통주 | 56,428 | 0.29 | 0.24 | |
장평주 | 보통주 | 50,785 | 0.26 | 0.21 | |
김창섭 | 보통주 | 50,785 | 0.26 | 0.21 | |
이은희 | 보통주 | 41,571 | 0.21 | 0.18 | |
이상곤 | 보통주 | 38,089 | 0.19 | 0.16 | |
김상만 | 보통주 | 33,857 | 0.17 | 0.14 | |
강우봉 | 보통주 | 30,089 | 0.15 | 0.13 | |
김연근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한준희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JEONG JAEUK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이득주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강정훈 | 보통주 | 21,160 | 0.11 | 0.09 | |
박두홍 | 보통주 | 25,392 | 0.13 | 0.11 | |
방영주 | 보통주 | 28,857 | 0.15 | 0.12 | |
소 계 | 보통주 | 10,603,555 | 54.22 | 44.80 | |
5% 이상 소유주주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보통주 | 3,555,555 | 18.18 | 15.02 |
소 계 | 보통주 | 3,555,555 | 18.18 | 15.02 | |
소액주주 | 기타 433명 | 보통주 | 5,396,445 | 27.6 | 22.80 |
소 계 | 보통주 | 5,396,445 | 27.6 | 22.80 | |
총 계 | 보통주 | 19,555,555 | 100.0 | 82.63 |
주) 2024년 12월말 기준 주주명부입니다.
자.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기업집단 녹십자는 당사를 포함한 전계열회사 차원의 윤리강령 및 윤리기준 실전지침을 제정하고 이를 회사 인트라넷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입사원에 대하여 윤리강령 교육자료를 징구하여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매년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실천서약서 징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항상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위법행위 방지를 위한 예방 조치들은 항상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여 당사 평판 및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3개년 및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임직원 관련 위법행위 발생 및 관련 진행중인 소송은 존재하지 않으며, 기업집단 녹십자는 당사를 포함한 전계열회사 차원의 윤리강령 및 윤리기준 실전지침을 제정하고 이를 회사 인트라넷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입사원에 대하여 윤리강령 교육자료를 징구하여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매년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실천서약서 징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는 당사의 법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당사에 대한 제재 및 소송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평판 훼손 혹은 재무적 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위법행위는 고객 영업 중 거짓된 정보의 제공 또는 사기 행위, 비인가 또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은폐, 고지되지 않거나 관리되지 않는 위험 또는 당사의 평판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 또는 법령, 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항상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위법행위 방지를 위한 예방 조치들은 항상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 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 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여 당사 평판 및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분쟁에 따른 우발채무 등에 관한 위험 현재 당사는 중대한 소송이나 분쟁 사항이 없으나, 향후 영업활동 확대와 해외 진출로 인해 다양한 법적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특허권 분쟁, 임직원 위법 행위, 계약 위반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상당한 소송 비용과 시간 소모가 예상됩니다. 당사는 법률 자문과 내부 통제를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으나, 우발채무 발생 시 회사의 재무 상태와 영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송 등의 분쟁 사항은 없습니다. 하지만 향후 당사의 AI기반 비침습적 선별검사 기술 및 제품의 확대, 시장 내 경쟁 심화, 주요 고객사와의 판매 계약 등이 본격적으로 협의될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권리 분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당사 기술과 관련된 특허권 및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 핵심인력 변동, 임직원 및 관련자가 당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히는 경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분쟁 또는 소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법률 분쟁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사안에 따라 매우 큰 규모의 분쟁이 될 경우 큰 규모의 소송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법률위반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지속적으로 회사의 영업활동에 관련된 법률검토 및 법률자문을 받고 있으며 담당 임직원에 대한 법률적 내부통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환율변동 위험 당사의 2024년 온기 기준 외화표시금융자산은 123,169 USD이며, 주요 거래 통화는 미국 달러(USD)입니다. 환율이 10%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 이익에 12,317USD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 위험, 특히 주로 USD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그 러나 향후 해외 매출 증가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 노출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회사의 재무 안정성과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해외에 위치한 고객사들과의 거래 시 달러화를 통해 거래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에 일정부분 노출되어 있습니다. 2024년말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외화금융자산은 123,169 USD입니다. 환율이 10% 증가할 경우 12,317USD의 세전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나, 반대로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 12,317USD의 세전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능통화 환율 10% 변동 시 당사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 |
(단위: USD) |
구분 | 10% 상승 시 | 10% 하락 시 |
---|---|---|
USD | 12,317 | 12,317 |
출처: 2024년 개별감사보고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당사 재무제표에 기재된 외화손익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외환관련 손익 현황]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외환차익 | 3,980 | 29,131 | 30,986 | 46,041 |
외화환산이익 | 4,711 | 61,698 | 56 | 513 |
외환차손 | 11,045 | 21,135 | 43,043 | 54,106 |
외화환산손실 | 16,515 | - | 7,313 | 152,805 |
출처: 2022년, 2023년 및 2024년 개별감사보고서 , 2025년 1분기 검토보고서
당사의 이러한 환율 변동이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에 미치는 불확실성에 대응하고자 외화리스크 관리를 위해 파생상품을 통한 헷지(Hedge)를 검토하고 있으나 유의적이지 않은 수준입니다. 그럼에도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환율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환율 변동성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환율 대응에도 불구하고 당사 해외 매출 증가에 따른 환율 변동 리스크 노출도 상승과 동시에 예상하지 못한 급격한 환율변동이 발생하고 이에 대해 당사의 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이는 당사의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타. 내부 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2024년 8월 공시정보관리규정을 제정 및 시행 바 있습니다. 상장 후에는 공시 책임자 및 담당자의 공시전문교육 이수을 이수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장 이후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주요한 사항들을 적시에 공시 가능하도록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는 상장 이후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및 동규정 시행세칙에서 정하는 공시전문 교육을 이수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공시책임자와 공시담당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시조직도] |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비고 |
---|---|---|---|---|
경영관리실장 | 정상훈 | 경영관리실장 |
'24.06~현재 지씨지놈 경영관리실장 '23.01~'24.05 녹십자홀딩스 금융지원센터장 '15.01~'16.12 GS글로벌 홍콩법인장 '95.03~'02.02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공시책임자 |
경영관리팀과장 | 이상준 | 경영관리/공시/IR |
'22.08~현재 지씨지놈 경영관리팀 '18.12~'22.06 세레스에프엔디 경영관리 담당 '09.03~'17.02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공시담당자 (정) |
경영관리팀장 | 박민규 | 경영관리/공시/IR |
'13.08~현재 지씨지놈 경영관리팀장 '01.12~'13.07 녹십자 기획관리 담당 '98.09~'01.08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석사 졸 |
공시담당자 (부) |
또한, 당사는 주요 정보의 공시 및 임직원의 내부자 거래 방지를 위하여 코스닥 협회가 요하는 '코스닥상장법인 표준 내부정보관리규정'을 참조하여 2024년 8월 '공시정보관리규정'을 제정하였습니다. 당사는 위 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직원에 대하여 중요정보관리에 대한 지도 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중요정보관리의 중요성 및 내부자거래 규제에 관한 관계법령의 제정 취지를 계속적으로 주지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공시정보관리규정] |
구분 | 내용 |
제1조 (목적) | 이 규정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이하 “법”이라한다)」 및 제반 법규에 따른 신속·정확한 공시 및 임직원의 내부자거래방지를 위하여 회사 내부정보의 종합관리 및 적절한 공개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4조 (내부정보의 관리) |
① 임직원은 업무상 알게 된 회사의 내부정보를 엄중히 관리하여야 하고, 업무상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부정보를 사내 또는 사외에 유출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대표이사는 내부정보 및 그와 관련된 문서 등의 보관, 전달, 파기 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는 등 내부정보관리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
제8조 (내부정보의사외제공) |
① 임직원이 업무상의 이유로 회사의 거래상대방·외부감사인·대리인, 회사와 법률자문 · 경영자문 등의 자문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자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게 내부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공시책임자에게 이에 관한 사항을 보고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경우 공시책임자는 관련 내부정보의 비밀유지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라 내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공정공시의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공시하여야 한다(공시규정 제15조의 적용예외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제16조 (미공개중요정보의 이용행위 금지) | 임직원은 법 제174조제1항이 정하는 미공개중요정보(계열회사의 미공개중요정보를 포함한다)를 특정증권등의 매매, 그 밖의 거래에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이용하게 해서는 아니 된다. |
당사는 회사의 주요 정보가 공시담당조직에도 공유되어 공시의무사항인지 여부를 적시에 판단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하였습니다. 그 이외에 지분변동 공시 및 신고의무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관련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임원 및 대주주의 지분변동 관련 공시의무 준수 확약서를 징구할 계획입니다. 또한, 전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보 관리의 중요성, 공시의무사항 및 위반시 제재 등에 대한 공시 교육과 불공정거래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 준수 확약서를 징구하여 불공정거래에 대한 사전 방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시 위반이나 불공정거래, 내부정보유출 등의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에 대해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당사가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재무에 관한 사항"은 2024년 온기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결산일 이후 발생한 손익 변동 사항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투자자를 위하여 당사는 2025년 1분기말(2024년 3월 31일)을 작성 기준일로 하여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검토보고서 상의 내용을 본 증권신고서에 추가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4월 가결산 재무수치를 기재하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제약이 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예컨대, 고객사의 주문량 변화나 원재료 가격 변동 등 결산일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이 회사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경우 투자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당사는 결산 이후 발생하는 주요 경영 사항을 공시 규정을 준수하여 신속히 공개할 예정이지만, 예상치 못한 실적 악화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발행회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으로 판단되나, 발행회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증권신고서 작성 지침] |
I.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및 공시대상기간 1. 증권신고서의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로 한다. 다만, 「발행인에 관한 사항」중 '재무에 관한 사항',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부속명세서' 등 회사의 회계처리 또는 감사와 관련된 사항과 사업의 내용 중 사업연도별로 비교표시하는 사항 등(이하 "재무에 관한 사항 등")은 제출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최근 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말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한다. 2. 증권신고서에 적용되는 공시대상기간은 최근 3사업연도로 한다. 최근 3사업연도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3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를 말하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가 제출되었거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에 기재될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2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로 한다. 3. 위 1, 2에서 정한 사항에도 불구하고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및 서식에서 별도로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또는 공시대상기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며, 공시대상기간의 적용은 위 2의 방식을 준용한다. 투자자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등으로서 회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시대상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서 공시대상기간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게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정하는 경우, 직전 사업연도의 사업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은 때에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의 내용을 기재한다 . |
출처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작성 시 기재상의 주의 |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하여는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 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안내서 개정 주요내용] |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24.01.22이에 당사의 2024년 온기 감사 이후 2025년 4월까지의 가결산 재무수치와 검토받은 1분기 재무수치를 아래와 같이 공시합니다. 아래 기재한 잠정실적은 당사의 가결산 기준의 재무수치로서 향후 감사(검토)받은 확정실적과의 차이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당사의 실적 악화에 의한 주가하락 등 투자위험이 존재함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온기 감사 이후 잠정 영업손익]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감사의견 적정) |
2025년 1월 (가결산) (감사받지 않음) |
2025년 2월 (가결산) (감사받지 않음) |
2025년 3월 (가결산) (감사받지 않음) |
2025년 1분기 |
2025년 4월 (가결산)(감사받지 않음) |
---|---|---|---|---|---|---|
매출액 | 25,888 | 2,273 | 2,118 | 2,422 | 6,814 | 2,741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5.1%) | 3.4% | 17.7% | 38.2% | 18.5% | 36.3% |
매출총이익 | 11,707 | 1,086 | 856 | 1,106 | 3,049 | 1,280 |
판매비 및 관리비 | 12,940 | 973 | 1,014 | 1,087 | 3,074 | 1,050 |
영업이익 | (1,234) | 113 | (158) | 19 | (25) | 230 |
영업외손익 | 106 | (0) | 2 | 113 | 115 | 5 |
당기순이익 | (1,257) | 112 | (156) | 340 | 297 | 235 |
출처 : 감사보고서, 검토보고서, 당사 내부 자료 |
주1) 상기 2024년 온기 이후 가결산 매출 및 손익 현황은 잠정 실적으로 외부감사인의 회계 검토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이며, 실제 실적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잠정 영업 실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계정과목만 기재합니다. |
주2) 2025년 1분기는 재무제표는 삼정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수치입니다. |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 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23,666,666주 중 42.47%에 해당하는 10,051,128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의무보유 대상자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보통주가 대규모로 매각되거나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경우 당사의 보통주 가격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동 유통가능물량은 상장 1개월 후 12,895,572주(54.49%), 상장 3개월 후 13,006,683주(54.96%), 상장 12개월 후 23,666,666주(100.00%)로 증가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23,666,666주 중 최대주주인 (주)녹십자가 보유한 4,636,500주(공모 후 19.59%)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5,967,055주(공모 후 25.21%)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합니다.
한편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가 소유한 2,844,444주 (공모 후 12.02%)는 주가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1항제7호에 의거하여 1개월간 자발적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개인주주 채진은 상장 이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장일로부터 1년간 기간동안 자발적으로 보호예수할 예정입니다.
또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삼성증권㈜는 공모물량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111,111주를 추가로 인수하게 됩니다. 상장주선인의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예탁 됩니다. 다만, 모집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111,111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시장에 출현될 예정입니다. 동 취득분의 매각 시기, 매각 가격 등 구체적인 방법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정해진 바가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26조(신규상장 의무보유) ① 보통주식 신규상장의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상장신청인의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1.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상장신청인의 임원에는 「상법」 제401조의2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특수관계인의 경우 주식보유의 목적, 최대주주와의 관계 및 경영권 변동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할 수 있다. 2.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소유하는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3.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4.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2년 미만인 주식등(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취득한 주식등 중에서 상장신청일 현재 상장신청인의 자본금을 기준으로 각각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한도까지의 주식등으로 한정한다): 상장일부터 1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5. 상장주선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른 공동주관회사를 포함한다)이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6개월 미만인 주식등: 상장일부터 6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산정한 취득가격과 공모가격의 괴리율이 100분의 50 미만인 경우는 상장일부터 1개월로 한다. 6.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상장일 이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취득하는 주식: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7. 그 밖에 거래소가 공익 실현과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의무보유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주주등(제2조제1항제10호 각 목의 증권을 소유한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상장일부터 거래소와 협의하여 정한 2년 이내의 기간 ② 보통주식 신규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가 세칙으로 정하는 명목회사인 경우 그 명목회사의 최대주주등은 명목회사의 주식등을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본문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신규상장신청인이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이거나 해외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인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
따라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으로 13,615,538주(공모 후 57.53%)는 매각이 제한되는
반면 유통가능주식인 10,051,128주(공모 후 42.47%)는 시장에 바로 출회 가능하며 이 경우 주가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및 매각제한 물량]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회사와의 관계 | 주식의 종류 | 공모 전 보유 주식 | 공모 후 | 매각제한 기간 | 매각제한 사유 | ||||||
보유주식 | 매각제한 물량 | 유통가능 물량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등 | (주)녹십자 | 최대주주 | 보통주 | 4,636,500 | 23.71% | 4,636,500 | 19.59% | 4,636,500 | 19.59% | - | - | 상장일로부터 1년 | 주1) |
(주)녹십자홀딩스 | 계열사 | 2,256,656 | 11.54% | 2,256,656 | 9.54% | 2,256,656 | 9.54% | - | - | ||||
주식회사 지씨셀 | 계열사 | 22,571 | 0.12% | 22,571 | 0.10% | 22,571 | 0.10% | - | - | ||||
(주)녹십자엠에스 | 계열사 | 16,928 | 0.09% | 16,928 | 0.07% | 16,928 | 0.07% | - | - | ||||
허용준 | 계열회사임원 | 846,428 | 4.33% | 846,428 | 3.58% | 846,428 | 3.58% | - | - | ||||
허은철 | 계열회사임원 | 784,357 | 4.01% | 784,357 | 3.31% | 784,357 | 3.31% | - | - | ||||
허일섭 | 계열회사임원 | 507,857 | 2.60% | 507,857 | 2.15% | 507,857 | 2.15% | - | - | ||||
허진성 | 계열회사임원 | 282,142 | 1.44% | 282,142 | 1.19% | 282,142 | 1.19% | - | - | ||||
허진훈 | 특수관계인 | 112,857 | 0.58% | 112,857 | 0.48% | 112,857 | 0.48% | - | - | ||||
최승희 | 특수관계인 | 50,785 | 0.26% | 50,785 | 0.21% | 50,785 | 0.21% | - | - | ||||
기창석 | 임원 | 169,285 | 0.87% | 169,285 | 0.72% | 169,285 | 0.72% | - | - | ||||
조은해 | 임원 | 138,250 | 0.71% | 138,250 | 0.58% | 138,250 | 0.58% | - | - | ||||
양송현 | 계열회사임원 | 152,357 | 0.78% | 152,357 | 0.64% | 152,357 | 0.64% | - | - | ||||
박용태 | 계열회사임원 | 101,571 | 0.52% | 101,571 | 0.43% | 101,571 | 0.43% | - | - | ||||
박대우 | 계열회사임원 | 57,714 | 0.30% | 57,714 | 0.24% | 57,714 | 0.24% | - | - | ||||
박순영 | 계열회사임원 | 56,428 | 0.29% | 56,428 | 0.24% | 56,428 | 0.24% | - | - | ||||
장평주 | 계열회사임원 | 50,785 | 0.26% | 50,785 | 0.21% | 50,785 | 0.21% | - | - | ||||
김창섭 | 계열회사임원 | 50,785 | 0.26% | 50,785 | 0.21% | 50,785 | 0.21% | - | - | ||||
이은희 | 계열회사임원 | 41,571 | 0.21% | 41,571 | 0.18% | 41,571 | 0.18% | - | - | ||||
이상곤 | 계열회사임원 | 38,089 | 0.19% | 38,089 | 0.16% | 38,089 | 0.16% | - | - | ||||
김상만 | 계열회사임원 | 33,857 | 0.17% | 33,857 | 0.14% | 33,857 | 0.14% | - | - | ||||
강우봉 | 계열회사임원 | 30,089 | 0.15% | 30,089 | 0.13% | 30,089 | 0.13% | - | - | ||||
김연근 | 계열회사임원 | 22,571 | 0.12% | 22,571 | 0.10% | 22,571 | 0.10% | - | - | ||||
한준희 | 계열회사임원 | 22,571 | 0.12% | 22,571 | 0.10% | 22,571 | 0.10% | - | - | ||||
JEONGJAEUK | 계열회사임원 | 22,571 | 0.12% | 22,571 | 0.10% | 22,571 | 0.10% | - | - | ||||
이득주 | 계열회사임원 | 22,571 | 0.12% | 22,571 | 0.10% | 22,571 | 0.10% | - | - | ||||
강정훈 | 계열회사임원 | 21,160 | 0.11% | 21,160 | 0.09% | 21,160 | 0.09% | - | - | ||||
박두홍 | 계열회사임원 | 25,392 | 0.13% | 25,392 | 0.11% | 25,392 | 0.11% | - | - | ||||
방영주 | 계열회사임원 | 28,857 | 0.15% | 28,857 | 0.12% | 28,857 | 0.12% | - | - | ||||
소 계 | 10,603,555 | 54.22% | 10,603,555 | 44.80% | 10,603,555 | 44.80% | - | - | - | - | |||
기존주주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벤처금융 | 보통주 | 3,555,555 | 18.18% | 3,555,555 | 15.02% | 2,844,444 | 12.02% | 711,111 | 3.00% | 상장일로부터1개월 | 주2) |
채진 | 개인 | 보통주 | 56,428 | 0.29% | 56,428 | 0.24% | 56,428 | 0.24% | - | - | 상장일로부터 1년 | 주3) | |
기타 432명 | 기타 소액주주 | 보통주 | 5,340,017 | 27.31% | 5,340,017 | 22.56% | - | - | 5,340,017 | 22.56% | - | - | |
공모주주 | 공모주주 | - | 보통주 | - | - | 4,000,000 | 16.90% | - | - | 4,000,000 | 16.90% | - | - |
상장주선인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 - | 보통주 | - | - | 111,111 | 0.47% | 111,111 | 0.47% | - | - | 상장일로부터3개월 | 주4) |
합 계 | - | 19,555,555 | 100.0% | 23,666,666 | 100.00% | 13,615,538 | 57.53% | 10,051,128 | 42.47% | - | - |
주1) | ㈜녹십자를 포함한 최대주주등 29인이 보유한 10,603,555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간(기술성장기업)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예정입니다. |
주2) | 벤처금융 보유주식 중 2,844,444주는 투자자 보호 및 주가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상장일로부터 1개월 의무보유합니다. |
주3) | 개인주주 채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 상장 이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장일로부터 1년간 기간동안 자발적으로 보호예수할 예정입니다. |
주4) | 상장주선인 삼성증권㈜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 공모주식의 3%에 해당하는 의무인수분 111,111주(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물량)를 인수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상장후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단위: 주, %) |
구분 | 주식수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10,051,128 | 42.47% |
상장후 1개월뒤 유통가능 | 12,895,572 | 54.49% |
상장후 2개월뒤 유통가능 | 12,895,572 | 54.49% |
상장후 3개월뒤 유통가능 | 13,006,683 | 54.96% |
상장후 6개월뒤 유통가능 | 13,006,683 | 54.96% |
상장후 12개월뒤 유통가능 | 23,666,666 | 100.00%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로 등록된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6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거래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라 주식등을 취득하거나 교부받은 자는 잔여 의무보유 기간 동안 해당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1. 법령상 의무의 이행 등을 위한 경우 2. 경쟁력 향상 또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인수·합병 등으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3. 그 밖에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제17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규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인수·합병 등을 말한다. 1. 기술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및 능률 증진을 위한 경우 2.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금액이 과다하거나 위험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전문 경영인의 영입 등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우 4. 거래 조건의 합리화를 위한 경우 5. 그 밖에 기업의 인수나 합병 등으로 인한 기대효과가 최대주주등의 지분 매각을 금지하는 효과보다 크다고 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 |
상기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의 단기간 내 급격한 출회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주요 주주 등의 소유주식 매각은 당사의 사업성, 성장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확약 관련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시점 한국거래소와 확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사업 특성상 녹십자의료재단, 지씨셀 등 녹십자그룹 계열사와의 거래가 잦으므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시 거래가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의 추가 제정을 확약하였습니다. 또한,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시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1인을 추가 선임하여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으로 선임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만약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상기 확약사항이 이행되지 않을 시, 공모일정이 순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사업 특성상 녹십자의료재단, 지씨셀 등 녹십자그룹 계열사와의 거래가 잦으므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시 거래가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의 추가 제정을 확약하였습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사외이사 1인 선임, 정관상 내부거래위원회(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 실시할 예정입니다.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은 정상훈 CFO와 김상욱 현 사외이사와 함께 신규 선임 예정인 사외이사 1인을 포함한 3인으로 구성하고,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할 것입니다. 해당 사외이사 추가 선임 건과 관련하여서도 한국거래소와 확약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내부거래위원회 규정 제정 시, 계열회사 및 특수관계자의 범위를 상법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는 특수관계자 뿐만 아니라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에 따른 ‘대주주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관계에 있는 자’를 모두 포함하여 기준을 제고하였습니다. 당사의 내부거래위원회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부거래위원회 규정] |
구분 | 내용 |
---|---|
제1조(목적) | 이 규정은 주식회사 지씨지놈(이하 “회사”라 한다)의 준법경영을 제고하기 위하여 계열회사간 내부거래 및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이하 계열회사 간 내부거래 및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를 총칭하여 “내부거래”라 한다. 또한, 계열회사 및 특수관계자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한 특수관계인을 의미하며,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주주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관계에 있는 자’를 포함하고 이하 “계열사”라 한다. ), 회사의 투자거래 및 보증거래 (이하 내부거래, 회사의 투자거래 및 보증거래를 총칭하여 “내부관리 대상거래”라 한다), 기타 회사의 주요 경영사항을 점검하는 내부거래위원회(이하 “위원회”라고 한다)를 설치하고 그 운영 및 권한, 책임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11조(부의사항) |
① 위원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계열사를 상대로 하거나, 계열사를 위하여 자금, 유가증권, 자산, 상품, 용역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중 아래의 각 목에서 해당하는 거래 가. 가지급금 또는 대여금 등의 자금을 직접 제공 또는 거래하거나 계열사가 아닌 제3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자금을 제공, 거래하는 행위. 여기에서 자금은 회계처리상 계정과목을 가지급금 또는 대여금으로 분류하는 경우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나. 주식 또는 회사채 등 유가증권을 제공 또는 거래하거나, 계열사가 아닌 제3자의 중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가증권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유가증권을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다. 부동산 또는 무체재산권 등의 자산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여기에서 자산은 가목 및 나목에 포함되지 않은 유동자산 및 고정자산을 말하며, 담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행위와 부동산의 임대차거래를 포함한다. 라. 계열사와의 상품 및 용역 거래 2. 제1호 외에 계열사와의 중요한 거래로서 위원회의 결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이 경우 라이선스 아웃 거래를 포함한다) 3.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의 [10]% 이상의 투자, 자금대여, 담보제공 및 지급보증 4. 기타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전항 제1호 라목에도 불구하고 계열사와의 경상적인 상품 및 용역 거래의 경우 위원회에서 거래금액을 사전에 포괄적으로 결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거래조건의 공정성을 위원회에서 심의하여야 한다. |
[이사회 내 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확약서] |
한국거래소 귀중 2025 년 3 월 20 일
주식회사 지씨지놈(이하 “지씨지놈”)은,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이하“상장”)과 관련하여, 아래 내용을 확약합니다. 1. 지씨지놈은 상장 이후 투명한 경영구조 구축 및 주주가치 보호를 위하여,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이사회 내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2. 지씨지놈은 이를 위하여 신규상장 신청일 전까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사외이사 1인 선임, 정관상 내부거래위원회(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 실시한다. 3. 지씨지놈은 상장 이후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내부거래위원회 결의를 통하여 계열사(내부거래위원회규정에서 정하는 계열회사 및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등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사안에 대한 사전 심의 절차를 거치며, 이를 통하여 주주가치 제고 및 투명한 지배구조 유지를 위해 노력한다. |
만약 신규상장일까지 상기 확약사항이 이행되지 않을 시, 공모일정이 순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다. 주주의 지분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 행사 관련 위험
당사 주주인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은 2020년 12월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투자하였으나 2022년 11월과 2024년 11월 2차례에 거쳐 각각 투자금액의 60%와 나머지 40%에 대한 보통주 전환을 완료하였습니다.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따라 대부분의 발행조건이 소멸하였으나, 전환사채의 보통주로 전환된 보통주식에 대한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 관련 조항은 유효한 상태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는 기존 인수계약서에 의해 인수인이 가지고 있던 사전동의, 사전협의사항, 임원의 지명, 보고 및 제출 의무 등 특수권리는 상장일로부터 모든 효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확약하였으며, 풋옵션은 기존 인수계약서 상에 상장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바, 상장이 완료될 경우 풋옵션의 권리는 없고 추가적으로 인수인은 상장전이라고 하더라도 상장예비심사 기간동안에는 풋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내용을 확약하였습니다. 따라서,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의 풋옵션 권리는 계약상 상장이 완료되면 소멸하는 조건이므로 공모자금의 유출가능성은 없습니다. 당사의 전환사채 발행 및 보통주 전환에 대하여 위법한 내용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투자계약서상 투자자와 형평성에 위배되는 조항에 대하여 모두 일몰하는 것으로 확약한 바, 상장 이후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에 투자자와의 계약, 합의, 확약 등의 부차적 사항은 없으므로 해당 주식매수청구권으로 인해 공모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상장 이전까지 해당 주식매수청구권은 유효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지난 2020년 액체생검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400억원 규모의 설비 투자를 위해 투자유치를 진행하였으며, 자금조달의 일환으로 2020년 12월 10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2020년 12월 22일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전환사채 발행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환사채 발행 내역] |
구분 | 기명식 사모전환사채 |
발행일자 | 2020.12.22 |
권면총액 및 권종 | 20,000,000,000원 (일십억원 20매, 1년 이내 분할 합병 금지) |
만기 및 만기보장수익율 | 7년, 연복리 4%, (액면 이자율 0%) |
전환사채 배정방법 | 사모(전매제한조치 有)주1) |
전환청구기간 | 사채의 발행일 후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
만기일(2027년 12월 22일) 1개월 전일까지 | |
전환비율 및 가액 | 사채권면 금액의 100% , 5,625원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 |
전환주식수 | 전량 전환시 3,555,555주 (전환시 지분율 18.18%) |
인수자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주1) 젤코바인베스트먼트는 '법무법인 이후'로부터 "해당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의무 등에 대한 위반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법률검토 의견을 수령하였습니다. |
벤처투자조합인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은 상기 조건으로 2020년 12월 전환사채로 투자하였으나 2022년 11월 1일 투자금액의 60%인 120억 원에 대한 보통주 2,133,333주를 전환하였으며, 2024년 11월 22일 나머지 40%에 대한 보통주 전환을 완료하였습니다.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따라 대부분의 발행조건이 소멸하였으나, 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전환사채의 보통주로 전환된 보통주식의 60%에 대한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 관련 조항은 유효한 상태였습니다. 투자자인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는 전환사채의 나머지 40%에 대한 보통주로의 전환권을 행사하는 조건으로, 주식매수청구권 대상 주식을 60%에서 100%로 확대하는 전환사채 인수계약서에 대한 합의서를 체결하였습니다. 해당 계약 내용에 따르면,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는 투자한 전환사채의 전환권을 행사하여 취득한 보통주에 대해 2024년부터 연복리 4%로 회사(지씨지놈) 및 이해관계인(녹십자홀딩스)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 인수계약서 관련 합의서 및 확약서 체결 내용] |
일자 | 종류 | 내용 |
2024.11.26 | 전환사채 인수계약서에대한 합의서 | - 주식매수청구권(Put option)의 권리 주식 확대합의서 기재내용: "회사"의 상장 추진 등 여하한 이유로 인하여 "투자자"가 "본건 전환사채"를 전환권을 행사하여 보유하는 보통주식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및 이에 대한 연복리 4%의 이자를 가산한 금액에 대하여 "회사" 및/또는 "이해관계인"에게 주식매수를 청구할 권리가 있다. |
2024.11.28 | 전환사채 인수계약서 관련 확약서 | - 계약서 상 공모주 투자자와 형평성 위배조항에 대한 일몰확약 확약서 기재내용 요약: 1) 사채발행조건-기타 전환에 관한사항(Put option), 사전동의사항 및 사전협의사항, 임원의 지명, 보고 및 제출 의무, 통지의무, 공동매도청구권 등 공모주 투자자와의 형평성에 위배되는 계약상 조항은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는 경우 상장일로부터 그 효력을 상실한다. 2) 사채발행조건-기타 전환에 관한사항(Put option)의 권리는 상장예비심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 중에는 행사하지 아니한다. |
다만, 투자자는 전환사채 인수계약서 관련 확약서 체결을 통해 공모주 투자자와의 형평성에 위배되는 조건을 제거하였습니다. 확약서 내용에 따르면, 인수인은 기존 인수계약서에 의해 인수인이 가지고 있던 사전동의, 사전협의사항, 임원의 지명, 보고 및 제출 의무 등 특수권리는 상장일로부터 모든 효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확약하였으며, 풋옵션은 기존 인수계약서 상에 상장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바, 상장이 완료될 경우 풋옵션의 권리는 없고 추가적으로 인수인은 상장전이라고 하더라도 상장예비심사 기간동안에는 풋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내용을 확약하였습니다. 따라서,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의 풋옵션 권리는 계약상 상장이 완료되면 소멸하는 조건이므로 공모자금의 유출가능성은 없습니다.
당사의 전환사채 발행 및 보통주 전환에 대하여 위법한 내용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투자계약서상 투자자와 형평성에 위배되는 조항에 대하여 모두 일몰하는 것으로 확약한 바, 상장 이후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에 투자자와의 계약, 합의, 확약 등의 부차적 사항은 없으므로 해당 풋옵션으로 인해 공모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상장 이전까지 해당 풋옵션은 유효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금융위원회가 기재사항의 진실성이나 정확성을 보증하거나 승인한 것이 아닙니다. 또한 공모 일정 및 기재된 내용은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심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감안하여 신중히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특히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작성 기준일 이후 변당사항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심사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혹은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상 기재사항 및 발행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증권신고서 수리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 관련 사항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에 참여하는 일반 투자자는 청약 전에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합니다. 다만,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서면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투자설명서를 통해 당사의 사업 현황 및 투자위험요소를 충분히 검토한 후 청약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이를 간과할 경우 예상치 못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09년 2월 4일 부로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거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 (전문투자자,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함) 에게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안됩니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32조에 의거하여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으로 표시한 자는 투자설명서의 교부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이에, 금번 공모주 청약시 일반투자자들은 사전에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아 회사현황및 투자위험요소 등을 검토하신 후 청약 여부를 결정하시길 바라며, 투자설명서 교부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마.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바. 상장 후 주가의 공모가액 하회에 따른 투자손실 위험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될 공모가격은 기업공개 이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매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모가격은 시장 상황과 당사의 재무 실적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될 동 주식의 공모가격은 기업공개 이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당사의 재무실적, 당사 및 당사가 경쟁하는 업종의 과거 및 미래 전망, 당사의 경영진, 당사의 과거 및 현재 영업, 당사의 미래수익 및 원가구조에 대한 전망, 당사의 발전 현황, 당사와 유사한 사업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공개기업의 가치평가, 한국증권시장의 변동성 여부와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매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공모가 산정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해 비교기업 주가수익비율(PER)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상대가치 평가방법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 오류 등에 의해 기업가치 평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교기업과 당사의 사업 구조 및 성장성 차이로 인해 산출된 공모가격이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위해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주)는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상대가치평가법 중 하나인 비교기업의 주가수익비율(PER)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다만, 산출된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PER 평가방식과 같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적용에 필요한 비교기업의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 등에 기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발생 가능성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최종 선정된 당사의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사업구조 및 전략, 주요 제품 및 판매비중, 영업환경, 성장성 등에서 차이가 존재하므로, 투자자께서는 비교기업의 현황, 참고 정보 등을 기반으로 투자의사 결정을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사항 및 PER 평가방식의 한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PER 방식의 희망공모가액 선정방법의 한계] |
구분 | 한계 |
---|---|
PER가치평가 | PER는 기업의 수익성에 기반한 수치로 비교대상회사에서 적자(-)가 발생한 경우 적용할 수 없습니다. |
PER 결정요인은 일정 시점의 주가와 주당 경상이익뿐만 아니라 배당성향및 할인율, 성장율 등 다양합니다. 따라서 경상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유보율, 자본금 등 여러요인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동업종 회사가 아닌 이상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비교대상회사가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각 회사에 고유한 사업구성, 시장점유율 추이, 인력수준, 재무위험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업종 소속회사의 비율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일정 시점의 주가 수준은 과거 실적보다는 미래 예상이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비교평가회사의 과거 재무제표에 의거한 비교분석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당기순이익은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창출 외에 영업외손익 등이 반영된 최종 결과물이므로 PER를 적용한 비교가치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의 질을 파악할 수 없으며, 회계처리 등에 의해 순이익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
또한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 시 활용된 변수들은 별도 외부전문기관의 평가등을 받지 아니한 당사의 자체적인 추정이며, 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아니합니다. 추가적으로, 향후 국내외 경기 변동, 주식시장 현황, 당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영업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예측, 평가정보가 변동될 수 있으며, 유사회사 선정 및 비교가치 평가방식의 한계가 있음을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에 기재된 평가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와 관련된 한계점을 확인하여 투자의사결정에 착오가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아.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 가능성에 따른 위험 공모가 산정을 위해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사업 구조 및 성장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기업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비교기업 선정 과정에서 정량적 기준 외에도 정성적 판단이 개입되어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 시 당사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비재무적 기준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준에 따른 비교기업의 선정은 비교기업의 사업 내용이 일정 부분 당사의 사업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기업가치 평가요소의 공통점이 있고, 일정 수준의 질적요건을 충족하는 비교기업을 선정함으로써 본 지분증권 평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비교기업 선정 시 선정(제외)기준, 반영 방법 등을 합리적인 근거에 따라 적용하였으나, 정량적인 기준 외에 평가과정에서 평가자의 정성적인 판단 및 자의성이 반영됨에따라 산정결과로 도출된 희망 공모가액 역시 그 완결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비교기업 선정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방법』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공모 시 당사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회사는 바디텍메드,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4개 회사로 , 동 회사들의 자산총계, 매출액 등이 당사와 비교하였을 때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상기 최종 유사기업 4개사 는 주력 제품 및 관련 시장, 영업 환경, 기술력, 성장성, 사업구조, 인력수준, 재무안정성, 기업지배구조, 경영진, 경영전략 등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비교기업과 당사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덧붙여 유사회사 최고경영자의 경영능력 및 주가관리 의지, 매출의 안정성 및 기타 거래 계약, 결제 조건 등 기타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유사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기술성장기업 특례 적용에 따른 이익 미실현 관련 위험 기술성장기업'은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 심사가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요건 등에 있어 제한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코스닥시장 기술성장특례 요건을 기반으로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8월 기술평가를 신청하였으며, 2024년 11월 15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개 전문평가 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각각 A 등급, A 등급을 통보받았습니다. 당사는 외부 전문평가 기관으로부터 사전 기술평가를 진행 후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평가특례 기준에 부합하여 코스닥시장 상장을 진행 중이며, 당사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마케팅 및 연구개발을 진행 중임에 따라 영업손익은 흑자와 적자를 반복하며 강한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을 도입한 병원 및 검진센터를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당기순손실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와 같이 기술성장특례의 적용을 받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은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지는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의 경우에도 상기 사업위험 및 회사위험에 기술한 요인들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요건 중 전문평가 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로부터 당사의 기술 등에 대한 평가를 받아 A등급 및 A등급을 취득하여 기술력과 성장성이 인정되는 기업인 기술성장기업(기술특례상장)으로서, 2025년 3월 26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기술성장기업 중 기술 특례를 통해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기 위해서는 전문평가기관 2개 기관으로부터 기술평가를 받아야 하며, 당사는 핵심기술인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검사 기술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진단 기술에 대한 평가를 의뢰했으며, 2024년 11월 15일 2개기관으로부터 모두 A등급을 취득하여 기술성장기업(기술특례상장)으로서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전문평가기관의 종합의견] |
평가기관 | 평가등급 | 종합의견 |
---|---|---|
평가기관1 | A |
1. 기술성 동사는 핵심기술로 (1)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와 (2)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G-SeNTInEL)을 보유하고, 유전체 검사 서비스로 (1)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 지니프트(G-NIPT)와 (2) 다중암 조기선별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 서비스를 판매하여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동사는 국내 비의료기관 유전체 검사기관 중 최초로 미국 병리학회 CAP 인증을 획득하여 국제적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한국유전체 검사평가원의 숙련도 평가 인증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NGS 임상검사실 체외진단 검사 인증을 통해 주기적으로 품질관리 체계를 검증받고 있음 또한, 2022년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정 요건 및 평가자료의 적합성을 충족하여 임상시험 검체 분석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실태조사를 통해 기관 인증을 유지하고 있음. 동사는 연구를 통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에 대해 특허를 확보하여 보호하고 있음. 특히 핵심기술인 G-PrEMIA와 G-SeNTInEL에 대한 49개의 특허를 포함하여 총 143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미국, 유럽, 일본,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등 최대 16개의 국가에 특허를 진입시켜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기술임을 확인함. 동사는 독자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과 AI 기반의 시각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경쟁사에 비해 저비용으로도 양성 신호의 증폭과 노이즈의 영향력을 최소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함. 혈액 내 미량 존재하는 검체의 추출과 분석 과정을 자동화하였으며, 10년 이상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한 업력을 바탕으로 검체의 오염/뒤바뀜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밀한 시스템을 구축함. 정밀한 AI 모델 개발을 위한 선행 조건인 양질의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R&D 투자와 국가연구비 수주로 경쟁사인 IMBdx사보다 3배 이상 많은 4,923명의 임상 검체를 활용하여 검사. 모델을 만들었음. 실제 현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AI 모델을 개발하기 3배 이상의 건강인이 섞여 있는 검체를 활용하였고, 민감도, 특이도 모두 글로벌 경쟁사인 Delfi에 비해 높은 검사성능을 보유함. 동사의 주요 기술력은 경쟁사들에 비해 NGS 데이터에서 정밀한 방식으로 더 많은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 있음. NGS 데이터 분포를 반영한 거리기반 방법론(FD)를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특허 이슈 없는 산전 선별 기술을 개발하였음. 또한 기-존재하던 방법론(FS)을 고도화하고, cfDNA의 다른 특성으로 활용되던 FEM을 창의적으로 결합한 핵심 기술인 FEMS를 통해 정확도를 높였으며, 자체 개발한 RMD를 창의적으로 통합하여 우수한 성능의 조기암 선별 기술을 개발함. 동사는 평가기술의 개발 및 검증의 자체 수행 여부와 관련하여, 회사 내부에 그것을 이행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 시설 면에서 충분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해당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 에서 국내 BIG5 대형병원을 포함하는 다수의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KAIST, POSTECH 등 유수의 연구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기술을 성공리에 완성한 것으로 판단됨. 동사의 기술은 암 조기 검출 및 산전 선별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의료 진단 및 의료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음.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조직 기반 디지털 병리 기술과 동사의 액체 생검 기술을 융합하여 진단 능력을 높이고 치료 예후를 예측하는 방향으로 기술의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2. 시장성 동사의 산전 선별 기술은 고령출산 증가에 따라 선천성 기형 및 유전적 질병 유무 검사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동남아시아 및 중동 등의 경우에도 의료서비스 확대 등으로 인한 산전 선별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관련 시장의 꾸준한 상승과 더불어 우수한 기술성에 기반한 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됨. 또한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로 인해 국가별로 암 조기검진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의료보험 고갈,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다중암조기발견(MCED) 검진이 확대되고 있어, 국가별 우량 파트너사 활용, 해외 거점 확보, 기술수출 등을 통한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동사의 가장 큰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유전체 검사서비스는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한 국내 911개 병원과 해외 33개 파트너사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제공되고 있음. 특히,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인 G-PrEMIA 기술이 적용된 G-NIPT 제품에서는 최근 3년간 평균 약 30억원의 매출을 발생시켰고,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인 G-SenTINEL 기술이 적용된 MCED(아이캔서치) 제품은 작년 9월 출시되어 올해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핵심기술의 해외 파트너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수출 사업화 모델의 경우, 매출의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2023년도에 미국의 Genece Health사에 평가 대상기술인 G-SenTINEL을 기술이전 수출하면서 선급금으로만 50만불을 수령한 바 있고, 향후 단계적 개발성과 마일스톤 로열티로써 450만불의 수령이 예정됨에 따라 기술수출 사업모델의 실질적 매출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은 기존 선별검사 대비 높은 민감도, 확진검사 대비 낮은 위험성, 높은 비용 대비 효용성 및 신속한 검사 결과 보고로 기술적 우위을 점하고, 동종·유사 기술제품 대비 검사성능, 검출질환 수, 검사소요일 등에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병원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음. AI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은 기존 선별기술 대비 한 번의 채혈로 여러 암종을 동시 선별하여, 암검진 수검자들의 편의성을 높여 동종유사 기술제품 대비 우수한 선별 성능, 신뢰성 및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함. |
평가기관2 | A |
(주)지씨지놈(이하'동사')의 평가대상 기술은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기술(G-PrEMIA) 및 조기암 진단기술(G-SeNTInEL)”로, G-PrEMIA기술은G-NIPTⓡ제품에, G-SeNTInEL 기술은 ai-CANCERCHⓡ에 각각 적용되어 서비스되고 있음. 동사의 핵심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현재 병원과 해외파트너사를 통해 서비스 되어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G-NIPTⓡ의 경우 국내 상급병원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음. 또한, ai-CANCERCHⓡ의 경우도 경쟁제품과 비교했을 때 민감도나 특이도 등에서 양호한 성능을 보이고, 가격경쟁력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됨. 뿐만 아니라, 동사는 핵심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실험적 노하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원천기술 보호전략을 적절하게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술의 신뢰성 확보와 시장확장을 위한 임상시험, 논문, 지식재산권 확보 및 활발한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경영진의 역량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적절히 구축하고 제품별 시장확대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있으며, 특히, GC계열사로서 누릴 수 있는 검체 확보의 상대적용이성, 관계사의 영업망이나 물류시스템, 모회사의 시장지위에 기반한 유무형의 인프라 등은 동사만의 특별한 메리트라고 할 수 있을 것임. 다만, G-PrEMIA 기술이 전세계적으로 활용되는 NIPT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다인종 유전체 확보 전략 및 AI모델 개발에 대한 향후 전략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G-SeNTInEL 기술의 경우, genome coverage가 낮은 lcWGS를 사용했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보완했다 하더라도 추가적인 예측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점, 현재 동사의 기술 및 검증데이터는 다중암의 ‘조기진단’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기때문에, 진정한 조기진단을 가능케하는 새로운 기술로드맵 수립 및 코호트 수집 전략 구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점, 핵심요소기술 관련 특허들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 사업화 지역에서 권리를 확보하고 있지 못한 점 등은 목표달성을 위해 동사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판단됨. 동사 제품/서비스의 기술적 차별성과 경쟁력 그리고 NIPT/차세대암진단 분야의 양호한 시장현황을 감안할 때, 동사의기술을 A등급(기술력이 동종기업 대비 높고 기술환경 변화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받을수 있는 수준이며 미래성장 가능성이 높음)으로 평가함. |
또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30조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의 기술성 평가 등급에 대한 주요 내용은 하기의 표와 같습니다.
[전문평가의 평가등급 체계 및 등급별 정의] |
평가등급 | 등급별 정의 |
AAA |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음) |
AA |
매우 높은 기술력을 가진 기업 (장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준임) |
A |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 (장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준임) |
BBB |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BB |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B |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많음) |
CCC |
보통 수준의 기술력 (장래 환경변화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CC |
보통 수준의 기술력 (장래 환경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C |
보통 수준의 기술력 (장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많음) |
D | 보통 수준 이하의 기술력 |
출처: 한국거래소 전문평가제도 운영지침 |
한편,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의 유형별 외형요건은 아래와 같이 일부 차이가 존재합니다.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신청기업 유형별 주요 외형요건 비교] |
구 분 | 일반기업(벤처기업 포함) | 기술성장기업 | ||
수익성ㆍ매출액 기준 | 시장평가ㆍ성장성기준 |
전문평가 (기술/사업모델) |
성장성 추천 | |
주식 분산 (택일, 신규상장신청일기준) |
① 소액주주 500명 이상 & ⒜ 또는 ⒝ ⒜ 소액주주 25% 미만 소유 시(청구일 기준) : 공모 10% 이상 & 소액주주 지분 25% 이상 ⒝ 소액주주 25% 이상 소유 시(청구일 기준) : 공모 5% 이상(10억원 이상) ② 소액주주 500명 이상 & 공모 10% 이상 & 공모주식수가 일정주식수 이상 주1) ③ 소액주주 500명 & 공모 25% 이상 ④ 소액주주 500명 & 국내외 동시공모 20% 이상 & 국내 공모주식수 30만주 이상 ⑤ 청구일 기준 소액주주 500명 & 모집에 의한 소액주주 지분 25% (또는 10% 이상 & 공모주식수가 일정주식수 이상 주 2)) |
|||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 등 (택일) | ①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20억 원[벤처: 10억원] & 시가총액 90억원 | ① 시가총액 500억원 & 매출 30억원 &최근 2사업연도 평균 매출증가율 20% 이상 |
① 자기자본 10억원 ② 시가총액 90억원 |
|
②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20억원[벤처: 10억원] & 자기자본 30억 원[벤처: 15억원] | ② 시가총액 300억원 &매출액 100억 원 이상[벤처: 50억원] | 전문평가기관의 기술 등에 대한 평가를 받고 평가결과가 A등급 이상일 것 | 상장주선인이 성장성을평가하여 추천한중소기업일 것 | |
③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있을 것 & 시가총액 200억원 & 매출액 100억 원[벤처: 50억원] | ③ 시가총액 500억원 & PBR 200% 이상 | |||
④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50억 원 | ④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 |||
⑤ 자기자본 250억원 이상 | ||||
감사 의견 | 최근 사업연도 적정 | |||
경영투명성 (지배구조) | 사외이사, 상근감사 충족 | |||
기타 요건 | 주식양도 제한이 없을 것 등 |
주1) 일정 공모주식수: 100만주(자기자본 500~1,000억원), 200만주(자기자본 1,000~2,500억원), 500만주(자기자본2,500억원 이상) |
상기와 같이 기술성장기업으로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는 경우 일반기업 및 벤처기업에 비해 주요 외형요건이 완화되어 있으며, 특히 경영성과 및 시장평가 요건 등에 있어 제한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술성장기업은 일반적으로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이므로 안정적인 재무구조 및 수익성을 보이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 또한 기술성장기업(기술 특례상장)으로서 일반(벤처)기업에 비해 완화된 외형요건을 적용 받았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일반 신규상장기업 대비 낮은 수준의 영업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씨지놈 요약 손익계산서] |
(단위: 천원)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제12기) | 2023년 (제11기) | 2022년 (제10기) |
회계처리 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의견 | 검토 | 적정 | 적정 | 적정 |
매출액 | 6,813,908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영업비용 | 3,073,890 | (12,940,265) | (13,536,993) | (14,000,151) |
영업이익(손실) | (25,092) | (1,233,501) | 160,077 | (3,235,575) |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89,706 | (1,127,078) | (814,597) | (3,873,624) |
당기순이익(손실) | 296,763 | (1,256,914) | (550,095) | (3,763,106) |
당사는 현재 상업화된 제품이 존재하나, 추가 임상 검증, 연구개발 등에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고 사업의 성과가 본격화되지는 않은 상황으로, 손익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주요 기술 제품인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 G-NIPT 및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 아이캔서치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하여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사업이 정상궤도에 진입하여 안정적인 수익이 창출되기 전까지 당기순손실이 예상됩니다. 이는 당사의 재무구조 및 수익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내외부 경영환경의 악화, 진출 국가의 경기 침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와 같은 기술평가특례 상장기업의 특성들로 인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당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기반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최근 3개년 당기순손실은 2022년 -3,763백만원, 2023년 -550백만원, 2024년 -1,257백만원으로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계속적인 연구 개발로 인한 개발비 외에도 국내 판매처 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을 위한 마케팅 및 영업비용 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엽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지만, 상장 후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도 유전체 검사 특화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 의 판매 확대 부진 및 해외 시장 추가 진입 지연에 따른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의 경우,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한편, '자본잠식/자기자본'요건은 기술성장특례기업에 대해 별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2024년 이후 2028년까지 매출성장을 달성하고, 2025년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번 공모로 인한 자기자본의 증가로 인해 '자본잠식/자기자본'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럼에도 불가하고 향후 관리종목 지정 요건에 대한 유예기간이 종료된 이후(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적용)에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 또는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분들은 상장 이후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또한 존재하므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3조(관리종목)에서는 매출액,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장기 영업손실, 자본잠식 등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에 미달하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관리종목 지정사유] |
구 분 | 지 정 사 유 | 최근 사업연도(2024연도)경영성과 및 재무상태 |
매출액 |
- 최근 사업연도 30억원 미만 (지주회사는 연결기준) - 기술성장기업은 상장후 5년간 미적용 - 시장평가 또는 성장성 등의 일정요건 충족 기업은 5년간 미적용 |
매출액: 25,888백만원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 자기자본 50%이상(&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최근연도 계속사업손실) - 기술성장기업은 상장후 3년간 미적용 - 시장평가 또는 성장성 등의 일정요건 충족 기업은 5년간 미적용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127백만원 |
영업손실 |
- 최근 4사업연도 영업손실(지주회사는 연결기준) - 기술성장기업(기술성장기업부)은 미적용 |
영업손실: -1,234백만원 |
자본잠식 및 자기자본 |
- 사업연도(반기)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 사업연도(반기)말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 반기보고서 제출기한 경과후 10일내 반기검토(감사)보고서 미제출 or 검토(감사)의견 부적정/의견거절/범위제한/한정 - 기술성장기업 미적용 요건 없음 |
- 자본잠식률: 해당사항 없음 - 자기자본: 33,080백만원 - 감사의견: 적정 |
주1) 상기 관리종목 지정사유는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와 관련된 지정사유만 기재한 것입니다. 주2)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기자본) ÷ 자본금 × 100(%) |
당사는 기술성장특례 적용 기업으로서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 세전이익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엽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에 대해서는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지만, 상장 후 해당 유예기간 이후에도 생애전주기 맞춤형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판매 확대 부진 및 해외 시장 추가 진입 지연에 따른 가시적인 재무성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의 경우, 2025년 상장할 경우 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최근 3개년 매출 및 손익 현황]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제12기) |
2023년 (제11기) |
2022년 (제10기) |
---|---|---|---|---|
매출액 | 6,813,908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영업이익 | (25,092) | (1,233,501) | 160,077 | (3,235,575) |
당기순이익(손실) | 296,763 | (1,256,914) | (550,095) | (3,763,106) |
주1) 위 재무수치는 K-IFRS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당사는 설립 이후 지속적인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나,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등 생애전주기 맞춤형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매출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당기순이익을 기록하였지만 지속적인 국내외 매출 증대를 통해 손익분기점을 초과하여 2025년부터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번 공모로 인한 자기자본의 증가로 인해 '자본잠식/자기자본'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전방산업의 악화, 예기치 않은 비경상손실 발생, 신규사업 실패, 고정 및 변동비의 증가 등으로 인한 누적적자의 지속 등으로 인해 해당 요건에 유예 기간 이후에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험 또한 상존합니다. 당사의 향후 사업계획에 따른 2028년까지의 추정 요약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2028년 추정 (요약)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A) (제12기) |
2025연도(E) (제13기) |
2026연도(E) (제14기) |
2027연도(E) (제15기) |
2028연도(E) (제16기) |
매출액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매출원가 | 14,181 | 15,910 | 19,125 | 22,029 | 25,087 |
매출총이익 | 11,707 | 19,708 | 25,492 | 34,328 | 45,026 |
판매비와관리비 | 12,940 | 14,538 | 14,683 | 16,091 | 17,654 |
영업이익(손실) | (1,234) | 5,170 | 10,809 | 18,237 | 27,372 |
영업외수익 | 2,268 | 283 | 367 | 563 | 785 |
영업외비용 | 2,161 | 232 | 243 | 255 | 268 |
법인세비용 | 130 | 529 | 1,323 | 2,799 | 5,822 |
당기순이익(손실) | (1,257) | 4,692 | 9,610 | 15,746 | 22,067 |
해당 추정치는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 합리적 가정 및 예상에 기초한 것일 뿐이므로, 대외적인 요인에 따른 경기 침체, 내외부 경영 환경의 변화, 잠재적 매출 관련 계약 파트너와의 협상 중단, 시장 내 경쟁회사의 진단 검사 제품 개발 사업화 성공, 전방산업의 침체 등으로 실제 결과와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당사의 미래 추정 손익에 대한 상세 내역은 「제1부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당사의 추정 손익계산서 상 매출액은 2024년 대비 2028년 27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동기간 매출원가는 177%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고 판매비와 관리비는 136% 증가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1) 매출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2) 신규 검사설비 등의 도입으로 인한 원가 절감효과로 기인합니다.
당사의 검사서비스를 위해서는 검사 수와 관계없이 검사장비 및 인력이 투입되어야하므로 검사 수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 이점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당사는 과거 매출액 증가에 따라 꾸준한 매출액 대비 재료비율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후 추정연도 간에도 매출액 증가에 따라 재료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액 대비 재료비율 추이]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로열티 수입 제외매출 | 12,156 | 13,556 | 18,498 | 24,114 | 26,473 |
재료비 | 3,993 | 3,761 | 5,844 | 6,697 | 6,997 |
매출액 대비 재료비 | 32.85% | 27.74% | 31.59% | 27.77% | 26.43% |
[당사 추정연도 간 매출액 대비 재료비율 추정]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
핵심기술검사 | G-NIPT | 1,455 | 1,316 | 1,929 | 2,179 | 2,421 |
아이캔서치 | 106 | 925 | 1,893 | 2,789 | 3,606 | |
기존검사 | 산과검사 | 785 | 844 | 904 | 940 | 955 |
암검사 | 2,180 | 3,041 | 3,792 | 4,623 | 5,534 | |
유전희귀검사 | 1,326 | 1,551 | 1,635 | 1,719 | 1,802 | |
검진검사 | 1,757 | 1,554 | 1,536 | 1,517 | 1,499 | |
합계 | 합계 | 7,610 | 9,231 | 11,690 | 13,767 | 15,817 |
매출액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
로열티 수입 제외 매출액 | 25,888 | 33,514 | 43,961 | 54,906 | 67,079 | |
매출액 대비 재료비 | 29.40% | 27.54% | 26.59% | 25.07% | 23.58% |
또한, 당사는 현재 하기와 같이 검사설비를 도입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주로 사용중인 NGS 시퀀싱 장비는 일루미나(illumina) 사의 Novaseq 6000 장비로, 샘플 당 단가는 약 11만원이며, 시퀀싱시 데이터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36시간입니다. 그러나 현재 시퀀싱 장비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 생산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중 미국의 울티마 지노믹스(Ultima Genomics) 사의 UG100 장비는 샘플 당 데이터 생산 단가가 약 1.8만원이고 데이터 생산 소요시간은 12시간이라고 알려져있어 도입시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적으로 울티마 지노믹스사는 2016년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뉴어크에 본사를 둔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개발하여 유전체 분석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UG100 시퀀싱 플랫폼, ppmpSeq 기술 , Solaris workflow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중 UG10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는 NGS에 대표적인 플랫폼인 일루미나사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gNDA, cfDNA, cDNA, amplicon등 다양한 물질들이 처리 가능하고 저농도 cfDNA 기반의 액체생검 연구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표준 NGS 라이브러리 구조와 FASTQ 포맷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과 호환 가능합니다. 이에 당사는 보유중인 일루미나 플랫폼과 장비간 비교 검증 진행 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UG100장비를 도입한 기업으로는 마크로젠, 소마젠, 이노크라스 등이 있으며 동사 Pilot test로 확인해 본 결과, Feature level 에서 기존 Illumina 장비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 호환성이 높을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재료비를 추정 시 상기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료비율은 감소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현재 UG100의 경우 기존 Novaseq 6000 수준의 성능을 보이면서 재료비는 1/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 두 장비의 병행 사용을 통해 시약재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동사 검사설비 현황] |
(단위: 백만원) |
장비명 | 적용 검사항목 | 설비대수 |
---|---|---|
NovaSeq 6000 | NIPT, 지놈헬스, I-screen, 아이캔서치 | 2 |
NextSeq 500/550D | 암패널검사, 유전희귀패널검사 | 2 |
MiSeq | MRD | 1 |
MiSeqDx | 16S, 그린바이옴 | 2 |
IonS5 system | 고형암, 액체생검 | 2 |
GCS 3000D | CMA | 2 |
ABI 3500xL | 취약X증후군 선별검사 | 1 |
PCR machine | 난천 선별검사, 월슨병 선별검사 | 1 |
EP1 | 리스크스크린 | 1 |
[시퀀싱 장비 비교] |
장비명 |
Novaseq 6000 시퀀싱 장비 |
UG 100 Sequence 시퀀싱 장비 |
---|---|---|
제조사 | iIlumina | Ultima Genomics |
1 run 생산 데이터양(Gb) | 2,000 | 1,800 |
Running time(시간) | 36 | 12 |
시간당 데이터 생산량(Gb) | 55 | 150 |
1 run 단가 (달러) | 12,000 | 1,800 |
1Gb 당 단가 (달러) | 6 | 1 |
샘플 당 시퀀싱 단가 (원) | 110,000 | 18,000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당사는 2025년 중 UG100장비를 도입할 예정으로 장비도입시 기대되는 절감효과는 데이터 생산단가 6배 감소, 데이터 생산시간 3배 감소 등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도입된 장비를 이용한 검사법이 기존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법과 동일한 성능을 내는지, 여러장비를 동시에 사용함에 있어 검사성능의 차이는 없는지 등 여러 검토비용과 시간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장비의 전환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Capex 투자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합계 | |
---|---|---|---|---|---|---|
기계장치 | UG100 (Ultima Genomics) | 2,000 | - | - | 2,000 | 4,000 |
NextSeq 500/550D | - | 900 | 400 | 400 | 1,700 | |
MiSeq | - | 200 | - | - | 200 | |
MiSeqDx | - | - | - | 300 | 300 | |
IonS5 system | 250 | 250 | 950 | 500 | 1,950 | |
GCS 3000D | - | - | 300 | 300 | 600 | |
Sequencer(ABI 3500xL) | - | - | 200 | - | 200 | |
PCR machine | - | - | 100 | 200 | 300 | |
EP1 | - | 220 | 200 | - | 420 | |
Sequencer(Novaseq6000 외) | - | 500 | 1,000 | - | 1,500 | |
기타 검사장비 | 290 | 300 | 350 | 775 | 1,715 | |
구 축 물 | 검사실 | - | - | - | 1,700 | 1,700 |
기 타 | 검사 공구 | 100 | 300 | 300 | 400 | 1,100 |
분석서버 | 250 | 1,095 | 595 | 795 | 2,735 | |
기타 비품 | 40 | 50 | 65 | 90 | 245 | |
합계 | 2,930 | 3,815 | 4,460 | 7,460 | 18,665 |
추가적으로, 당사의 향후 인원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현재 제품 개발이 완료되어 판매되고 있는 바, 많은 인원 채용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계획을 수립하였으며며, 임금상승률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조사의 최근 3개년(2022년~2024년) 물가상승률 평균 3.7%를 고려하여 4.0%를 일괄가정하였습니다. 각 부문별 충원예정 인력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용의 구분 | 내용 |
분석 및 검사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검사 건수를 현재 분석 및 검사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검사건수를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검사건수를 인당 검사건수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
영업 및 관리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매출을 현재 영업 및 관리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매출액을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매출액을 인당 인당매출액으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단, 추정연도의 인당 매출액은 병원 및 검진센터 등 거래처 확대에 따라 영업인력 등의 인당 매출액 상승을 감안하여 연간 20%의 인당매출액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연구개발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매출을 현재 연구개발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매출액을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매출액을 인당 인당매출액으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단, 추정연도의 인당 매출액은 포트폴리오 확대 및 거래처 확대 등에 따라 연구개발인력 등의 인당 매출액 상승을 감안하여 연간 20~35%의 인당매출액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1) |
분석 및 검사인력 산정내역
|
|||||||||||||||||||||||||||||||||||||||||||||||||||||||||
주2) |
검사인원 건당 검사가능 건수 산정내역
당사는 매출 규모 성장을 고려하여, 설비투자를 통해 2022년~2024년 평균 가동율 각각 65.55%, 51.38%, 50.50% 감소 추이를 시현하고 있으며 목표 가동률은 65% 입니다. 2024년 인당 평균 검사량은 5,203건 (검사실적 171,688건 / 검사인원 33명) 이며, 현재 설비 기준 목표 가동률 65% 설비 가동 시 검사 가능량은 220,985건 (검사실적 171,688건 X 목표가동율 65.00% / 현 가동율 50.50%) 이며, 인당 가능 검사량은 6,696건 (검사 가능량 220,985건 / 현 검사인원 33명) 입니다. |
위에 따른 동사의 인력계획 및 인건비 추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전체 인력계획 | 122 | 125 | 130 | 136 | 142 |
인원성장률 | - | 2.5% | 4.0% | 4.6% | 4.4% |
인건비 및 퇴직급여 | 7,976 | 8,386 | 8,934 | 9,567 | 10,214 |
분석 및 검사인력 | 38 | 38 | 40 | 43 | 46 |
급여 | 1,759 | 1,841 | 1,981 | 2,177 | 2,393 |
인당급여 | 46 | 48 | 50 | 51 | 52 |
상여 | 11 | - | - | - | - |
인당상여 | 0 | - | - | - | - |
퇴직급여 | 153 | 166 | 178 | 196 | 215 |
인당퇴직급여 | 4 | 4 | 4 | 5 | 5 |
영업 및 관리인력 | 53 | 55 | 57 | 60 | 62 |
급여 | 3,167 | 3,379 | 3,612 | 3,877 | 4,089 |
인당급여 | 60 | 61 | 63 | 65 | 66 |
퇴직급여 | 316 | 299 | 320 | 344 | 362 |
인당퇴직급여 | 6 | 5 | 6 | 6 | 6 |
연구개발인력 | 31 | 32 | 33 | 33 | 34 |
급여 | 2,352 | 2,471 | 2,601 | 2,721 | 2,886 |
인당급여 | 76 | 77 | 79 | 82 | 85 |
퇴직급여 | 218 | 230 | 242 | 253 | 268 |
인당퇴직급여 | 7 | 7 | 7 | 8 | 8 |
이외 매출원가, 판매비 및 관리비, 기타 경비 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 - (4) 매출원가 추정,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54조(형식적 상장폐지)① 거래소는 보통주식 상장법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보통주식을 상장폐지한다. 4.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발생하여 제53조제1항제2호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최근 사업연도에도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제3조제7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에도 불구하고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자기자본을 산정하는 경우 비지배지분을 제외하지 않는다)의 100분의 50을 초과하고 10억원 이상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발생한 경우 |
당사는 국내와 해외 매출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2025년 온기부터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내ㆍ외부 경영 환경의 변화, 계획 중인 매출추정치 미달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당사의 성장성 및 수익성은 악화될 수 있으며, 당사는 기술성장기업으로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관리종목)에 의한 관리종목 지정 요건에 대한 유예기간이 종료된 이후(매출액 요건은 2030년부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2028년부터 적용)에 영업실적이 급격히 악화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 또는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분들은 상장 이후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위험 또한 존재하므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 부여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아 환매청구권을 부여할 의무가 없으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투자자 보호를 고려하여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환매청구권을 부여합니다. 금번 공모 시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은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행사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공모주식을 매도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권리 행사 가능 주식에서 제외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가격은 공모가격의 90%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즉, 일반청약자에게 부여된 환매청구권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지수의 변동에 따라서 주가 하락 시 공모가액의 90%를 하회하는 가격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
금번 공모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아 환매 청구권을 부여할 의무가 없으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투자자 보호를 고려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금번 공모 시 배정받은 주식을 대표주관회사에게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를 다음과 같이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동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의 책임 하에 이를 매수하여야 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을 제5조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 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39호나목에 따른 사업모델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41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이하 "이익미실현 기업"이라 한다)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후략) |
금번 공모 시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은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행사 가능합니다. 단,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은 대표주관회사로부터 일반청약자가 배정받은 공모주식에 한하여 행사가 가능합니다. 일반청약자가 해당 공모주식을 매도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권리 행사 가능 주식에서 제외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가격은 공모가격의 90%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즉, 일반청약자에게 부여된 환매청구권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지수의 변동에 따라서 주가 하락 시 공모가액의 90%를 하회하는 가격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한편,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과 관련한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매청구권 세부사항] |
구 분 | 일반청약자의 권리 및 인수회사의 의무 |
매수방법 | 인수회사는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합니다. |
행사가능기간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단, 3개월이 되는 날이 비영업일인 경우에는 다음영업일까지) |
행사대상주식 | 인수회사로부터 일반청약자가 배정받은 공모주식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제외)※ 배정받은 계좌에서 해당 주식을 출고 후, 출고취소하는 경우에도 권리가 소멸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일반청약자의권리행사가격 | 공모가격의 90%를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 환매청구권 권리행사 관련사항 ] |
권리행사관련사항 | 행사가능시간및 취소 가능시간 | 08:00~16:00에 권리행사 가능하며, 신청 당일 08:00~16:00에 한하여 취소 신청이 가능합니다. |
권리행사신청방법 | 모든 권리행사 신청자는 인수회사로부터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일반청약자이어야 하며,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해당 증권회사에서만 신청 가능합니다. | |
행사수량결정방법 |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일반청약자가 해당 종목에 대하여 매매를 하였을 경우 권리행사 신청가능 수량의 산출은 계속기록에 의한 후입선출법으로 합니다. | |
매수대금지급시기 | 1. 일반청약자가 권리 행사를 하면 신청을 받은 인수회사는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며, 매수 당일 행사시간 종료 후 16:00 이후에 일괄결제됩니다. 2. 결제대금은 권리행사 당일 즉시 또는 일괄적으로 해당 위탁계좌에 16:00 이후 입금 처리됩니다. 3. 다만, 전산시스템 미비 등으로 당일(T일)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권리행사일로부터 3영업일째 되는 날(T+2일)까지 지급 처리됩니다. | |
위탁수수료 | 0%. (단, 증권거래세 0.43%가 부과됩니다.) | |
행사가격조정방법 | 원 미만에서 절상합니다. | |
기타유의사항 | 1.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기간에 주가가 공모가격의 90% 이하로 하락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행사가능주식에서 제외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1) | 권리행사 신청 가능수량의 산출에 있어 계속기록에 의한 후입선출법은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계좌에서 해당 공모주식을 추가 매수한 후에 매도가 발생한 경우 배정받은 주식이 아닌 추가 매수된 주식이 먼저 매도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 권리행사 대상주식 산정예시 ] | |
※ 일반청약자가 공모주식 100주를 1월 3일 배정받아 보유중인 경우 | |
(사례1)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30주를 매도하는 경우에는 1월 3일 30주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상실시킴 |
(사례2)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30주를 매도한 후, 당일에 30주를 매수하고, 1월 5일 30주를 매도한 경우, 환매청구권 보유 주식은 70주 |
(사례3) | 1월 3일 30주를 매수하고 당일 30주를 매도한 경우에는 공모주식 100주에 대한 환매청구권 계속 보유 |
주2) | 공모가액의 90%를 권리행사가격으로 합니다만, 일반청약자의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권리행사가격은 공모가액의 90%를 하회할 수 있습니다. |
[권리행사가격 산정예시] | |
※ 주요 가정 - 공모가액 : 1,000원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1,000p | |
(사례1)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1,000.00p (하락율 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 1,000원 x 90% = 900원 |
(사례2)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900.00p (하락율 1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1 + (900p - 1,000p) ÷ 1,000p] = 900원 |
(사례3)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800.00p (하락율 2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1 + (800p - 1,000p) ÷ 1,000p] = 810원 |
주3) | 본 건 환매청구권 부여일 이후 환매청구권 행사 전에 당사의 자본 또는 주식발행사항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청약자의 권리행사가격 및 행사 대상 주식수를 아래와 같이 조정할 수 있습니다. |
① 준비금을 자본전입(무상증자)하는 경우의 행사가격 및 교부할 주식의 수
[ 무상증자 시 권리행사가격 산정예시] | |
조정 후 매수가격 = (조정 전 매수가격 X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발행주식수) | |
※ 주요 가정 - 공모가액 : 1,000원 - 무상증자 : 1주당 1주의 비율로 신주 배정(무상증자 직전 발행 주식수 100주)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코스닥지수 : 650.00p | |
(사례1) 무상증자 후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650.00p (하락율 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후 전체 발행주식수) = 1,000원 x 90% x 100 / ( 100 + 100 ) = 450원 |
(사례2) 무상증자 후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585.00p (하락율 1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후 전체 발행주식수)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00 / ( 100 + 100 ) x [1.1 + (585.00p - 650.00p) ÷ 650.00p] = 450원 |
(사례3) 환매청구권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520.00p (하락율 20%) | 권리행사가격 = 공모가액 x 90% x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후 전체 발행주식수) x [1.1 + (행사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 코스닥지수] = 1,000원 x 90% x 100 / ( 100 + 100 ) x [1.1 + (520.00p - 650.00p) ÷ 650.00p] = 405원 |
[무상증자 시 권리행사 대상주식 산정예시] | |
조정 후 부여수량 = 조정 전 부여수량 X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무상증자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
※ 일반청약자가 공모주식 100주를 1월 3일 배정받아 보유중1주당 1주의 비율로 무상증자 가정 (1월 30일 권리락 실시) | |
(사례1)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100주를 1월 31일까지 보유하는 경우, 환매청구권 보유 주식은 200주 |
(사례2)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중 30주를 1월 3일 매도하는 경우, 1월 31일 환매청구권 보유 주식은 140주 |
(사례3) | 1월 3일 배정받은 공모주식 30주를 매도한 후, 당일에 30주를 매수하고, 1월 31일 70주를 매도한 경우, 환매청구권 보유 주식은 130주 |
② 주식 분할을 하는 경우 행사가격은 액면가의 분할 비율과 동등한 비율로 감소하고 인수할 주식의 수는 액면가의 분할비율의 역수로 증가합니다.
③ 주식 병합을 하는 경우 행사가격은 액면가의 병합비율과 동등한 비율로 증가하고 인수할 주식의 수는 액면가의 병합비율의 역수로 감소합니다.
④ 자본감소, 이익소각 등으로 발행주식총수가 감소하는 경우 인수할 주식의 수는 발행주식총소의 감소비율과 같은 비율로 감소하고 행사 가격은 다음 산식으로 조정됩니다.
조정후 행사가액 = 조정전 행사가액 x (기발행주식수 - 감소주식수 x (1주당 주주환급가액 / 시가 ) / (기발행주식수 - 감소주식수) |
타.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공모 물량에 대한 초과수요가 존재 시 인수회사는 공모 물량의 15%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의 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주식을 차입하여 기관투자자 등에게 초과 배정을 하는 초과배정옵션(over-allotment option)을 금번 공모에서는 부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공모물량에 대한 초과수요가 존재시 인수회사는 공모물량의 15% 범위내에서 발행회사의 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주식을 차입하여 기관투자자 등에게 초과배정을 하는 초과배정옵션(over-allotment option)을 금번 공모에서는 부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당사의 공모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신중히 검토한 후 독자적으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당사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내용 외에도 현재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시장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증권신고서에 포함된 미래 예측 정보는 다양한 불확실성에 따라 실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건 공모주식을 청약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투자 결정을 하기 전 본 증권신고서의 투자위험요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다만, 당사가 현재 인지하고 있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당사의 사업 영위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투자자께서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 판단을 하여서는 안 되며, 투자자 본인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야 합니다.
만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금번 공모 과정에서 취득하게 되는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이 하락하여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본건 공모를 위한 분석 중에는 일부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당초 예측했던 것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역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른 주가 희석화 위험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한 신주인수권 40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행사 가능하며, 이는 추가적인 주식 발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량 출회는 시장에서의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2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도록 해당 신주인수권 400,000주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일로부터 3개월 이후 18개월 이내에 신주인수권 400,000주가 보통주로 행사 가능하며, 동 물량이 출회될 경우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주선인은 공모물량의 3% 또는 10억 원 중 적은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사모 방식으로 인수해야 하며, 이 물량은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금번 공모에서 상장주선인이 인수하는 의무 물량은 약 111,111주로 예상되며, 청약 미달 시 추가로 취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의무인수 물량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시장에 출회될 경우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사모의 방법으로 인수하고 3개월 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이하 "의무인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 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 1.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 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상장신청인이 혁신기술기업이고 상장주선인이 세칙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내역]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 후 의무보유기간 |
---|---|---|---|---|
삼성증권㈜ | 보통주 | 111,111주 | 999,999,000원 | 상장 후 3개월 |
주1) | 위 취득금액은 공모희망가액인 9,000원 ~ 10,500원 중 최저가액인 9,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해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 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111,111주 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이 공모 이외의 주식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너. 상장요건 미충족으로 인한 상장재심사 가능성 당사는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해 한국거래소의 예비심사를 통과했으나, 공모 일정 연기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신규상장 신청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재심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 경우 상장이 연기되거나 취소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감안하여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 11월 29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3월 2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지 받았습니다. 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에 필요한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집을 통해 공모하는 것입니다.「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분산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분산요건] (다음 중 택 1) |
가. 신청일 기준 소액주주 지분 25% 이상일 경우 : - 신청 후 5%(최소 10억원) 이상 공모나. 신청일 기준 소액주주 지분 25% 미만일 경우 - 신청 후 10% 이상 공모 & 상장신청일 기준 소액주주 지분 25% 이상다. 신청일 기준 자기자본 1,000억원 또는 시가총액 2,000억원 이상 - 신청 후 10% 이상 & 기업 규모 따라 200만주 이상 공모라. 신청 후 25% 이상 공모 (*) 단, 상장신청일 기준 소액주주 500인 이상 충족 필요 |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결과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완료일)까지 주식의 분산(「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 제1호)요건을 구비하여야 하며, 당사가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 제1항에서 정하는 각호의 사유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하며, 이 경우 재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결과] |
1. 상장예비심사결과
□ ㈜지씨지놈이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제출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및 동 첨부서류를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이하 “상장규정”이라한다) 제6조(상장예비심사등)에 의거하여 심사('25. 03. 26)한 결과, 사후 이행사항을 제외하고 신규상장 심사요건을 구비하였기에 다음의 조건으로 승인함
- 다 음 -
□ 사후 이행사항
- 신청법인은 상장규정 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 또는 매출의 주금납입기일)까지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주식의 분산)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함
2. 상장예비심사결과의 효력 불인정
□ 신청법인이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제1항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라 한다)가 판단하는 경우, 시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1) 상장규정 제5조제2호에서 정하는 경영상 중대한 사실(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이 발생한 경우 2)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또는 첨부서류를 거짓으로 기재하거나 중요한 사항을 빠뜨린 사실이 확인된 경우 3) 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증권 발행제한, 검찰 고발, 검찰통보 또는 과징금 부과 조치(금융위원회의 과징금 부과조치를 포함)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2조에 따른 정정신고서의 정정내용이 중요한 경우 5)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상장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다만, 해당 법인이 코스닥시장의 상황 급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상장신청서 제출기한 연장을 신청하여 거래소가 승인하는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서 제출기한을 연장할 수 있음 6) 상장을 신청할 때 제출한 재무내용 등이 상장예비심사신청 시에 제출한 내용 등과 현저하게 다르거나 중대한 변경이 발견된 경우 7) 그 밖에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상장규정시행세칙 제13조에서 정하는 경우 □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최근 사업연도의 개별·연결재무제표 및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 등)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상장신청인에 대하여 임원(상법 제408조의2에 따른 집행임원을 포함)의 해임·면직 권고, 임원의 직무정지 또는 감사인 지정조치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거래소는 상장 심사요건에 따라 심사하여 심사의 효력이 불인정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시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3. 기타 신규상장에 필요한 사항
□ 상장신청인은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5조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함
1) 증권에 관한 사항에 대한 이사회나 주주총회의 결의 2) 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상법 제522조, 제527조의2, 제527조의3에 따른 합병을 말함),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 경영상 중대한 사실 3) 모집 또는 매출의 신고. 이 경우 투자설명서(예비투자설명서 포함)와 그 기재내용의 정정사항을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함 4)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이고, 당해 사업연도 반기종료 후 45일이 경과한 경우, 반기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검토보고서 5) 최근 사업연도의 결산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개최(상법 제449조의2제1항에 따라 이사회결의로 재무제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개최). 이 경우 최근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를 같이 제출하여야 함 |
따라서 본건 공모 후 신규상장신청 제출일까지 상기 요건을 충족하면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거래할 수 있게 되지만,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공모주식수 변동 가능성에 따른 위험 공모 과정에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 시 기재된 모집 증권수 대비 80~120%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약 경쟁률 및 배정 비율이 변동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지분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하는 경우로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 수를 당초에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하는 경우 정정신고서를 제출 시, 당초의 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금번 공모의 경우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주식수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러. 미래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는 당사의 사업 전망과 관련된 미래 예측 진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재 가용한 정보와 합리적인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시장 상황 및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측 정보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당사는 이를 갱신하거나 수정할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당사의 실제 실적은 본 공시서류에 포함된 여러 미래 예측적 서술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투자계획 및 금번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등과 관련한 미래 예측적 서술도 해당됩니다. 한편,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당사 사업과 관련하여 앞서 서술한 위험요소와 다음과 같은 기타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며, 아래 사항에 반드시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일반적인 경제, 사업 및 정치 상황
- 당사가 발표한 사업계획 지연 또는 취소
- 당사 제품ㆍ서비스 관련 시장 상황 및 사업 전망
- COVID-19의 장기화 또는 광범위하게 전파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감염병
- 원자재 가격 변동
- 규제, 입법 및 사업 관련 상황의 부정적 동향
- 금리 및 환율 변동
- 당사의 차입 및 채무 상환력
-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앞서 언급하였던 위험요소 및 다른 위험요소와 관련한 일부 기업정보 공시는 추정에 기반할 뿐이며, 하나 이상의 불확실성 또는 리스크가 발현하는 경우, 실제 결과는 추정, 예상 또는 추산했던 것뿐만이 아니라 과거 경험치와도 크게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 감소, 비용 증가, 자본비용 증가, 자본투자 지연, 실적 개선 예상치 달성 실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예상 자료들은 본 공시서류 기준일자 현 시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법률이 요구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정보 취득, 미래 사건 발생 등과 관계없이 미래 예측 자료를 갱신 또는 수정할 어떠한 의무도 없으며, 이와 같은 의무를 명시적으로 부인하는 바입니다. 향후 당사 또는 당사 대리인이 제공하는 모든 추정재무자료는 본 공시서류에 기재된 유의사항이 적용되는 바, 투자자께서는 본 공시서류의 공개일자 기준으로 작성된 미래예측진술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결정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머. 공모가격 결정 방식 위험 본 공모에서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표주관회사와 협의를 통해 공모가격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비교기업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며, 이는 기업가치 평가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시장 상황 변화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최종 공모가격이 실제 기업가치를 완벽히 반영하지 않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2016년 12월 13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5조 제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3.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일정가격(이하"최저공모가격"이라 한다) 이상의 입찰에 대해 해당 입찰자가 제출한 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4.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산정한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버. 수요예측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 관련 위험 당사의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진행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참여 대상은 동 규정 제2조 제8호에서 정의하는 기관투자자로 한정됩니다. 이는 창업투자회사 등 일부 투자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해당 규정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특정 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수요예측 참여 가능 기관투자자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16년 12월 13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2조 제8호에도 불구하고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에 따라 창업투자회사 등도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건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 조항에 따른 창업투자회사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동 규정 제2조 제8호에서 규정하는 기관투자자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서.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련 위험 당사의 수요예측은 2025년 5월 19일부터 5월 23일 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공모가격이 확정됩니다. 그러나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은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질적인 투자 의사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단순히 참여 의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청약일 이전 발표되는 경쟁률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지 말고, 공모가격 확정 이후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
당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5월 19일(월) ~ 2025년 5월 23일(금)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은 2025년 5월 29일(목) ~ 2025년 5월 30일(금)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실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실제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 년 4월 개정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금액으로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과거와 비교해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쟁률 및 배정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기준 변경 사항을 고려하여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4월 27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 능력 초과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 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저.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의 배정 물량 중 절반 이상을 균등 방식으로 배정합니다. 균등배정 방식은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일한 주식을 우선 배정하며, 잔여 물량은 비례 방식으로 배분됩니다. 이로 인해 청약 경쟁률과 실제 배정 주식수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는 이를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 방안에 의거해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
---|
1. 일괄청약방식 (청약) 현황과 마찬가지로 각자 원하는 수량을 청약 (배정)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의 절반을 모든 청약자에 대해 균등배정*한 후 남은 절반을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수요가 일정물량에 미달하는 청약자에 대해서는 해당 수요만큼 배정 |
2. 분리청약방식 (청약)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을 절반씩 A군과 B군으로 나누고 청약자는 A군과 B군을 선택하여 청약 (배정) A군에 대해서는 추첨, 균등배정(1/n)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당첨자간 동일한 물량*을 배정하고 B군에 대해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증거금 부담을 감안하여 청약자별 최대 배정가능 수량을 설정 및 안내할 필요 |
3. 다중청약방식 (청약) 분리청약방식의 A군에서 청약자의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A군 청약접수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수요량을 청약자가 선택 B군 청약자는 A군 수요량을 초과하는 첨위에서 원하는 수량을 청약 *(예시) A군(10주, 20주, 30주), B군(30주이상(직접입력)) 중 하나를 선택 (배정) A군의 각 그룹내에서 추첨, 균등배정(1/n) 등으로 물량배정 B군에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
일반청약자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이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청약 배정 방법은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 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이에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청약경쟁률을 토대로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거나 적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분들께서는 주금납입액 또는 환불액이 청약경쟁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점에 대해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①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는 공모주식을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여야 한다. 1.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1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한다. 다만, 외국법인등의 기업공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코스닥시장 또는 코넥스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2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할 수 있다. 3.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한다. 4.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상법」제469조제2항제3호에 따른 사채로서 법 제4조제7항제1호에 해당하는 증권(이하 이 조에서 "파생결합사채"라 한다)을 제외한 고위험고수익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인 경우에 한하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파생결합사채를 제외한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산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공모주식의 5% 이상을 배정한다. 5.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30% 이상을 배정한다. 6. 제1호 또는 제2호에도 불구하고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 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이하 "우리사주 잔여주식"이라 한다)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한 사유 등을 감안하여 발행인과 협의하여야 한다. 7. 제1호부터 제6호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은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한다. |
커. 재무제표 작성 기준일 이후 변동 미반영에 따른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2024년 온기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으며, 삼도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상태입니다. 또한 투자자를 위하여 당사는 2025년 1분기말(2025년 3월 31일)을 작성 기준일로 하여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검토보고서 상의 내용을 본 증권신고서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본 재무제표는 작성 기준일 이후 발생한 변동 사항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자들은 해당 기간 동안의 영업환경 변화와 재무적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사의 주문량 변화, 원재료 가격 변동 등은 2025년 1분기 이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결산일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이나 손익 변동 사항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의 제한은 투자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으며, 2024년 재무제표에 대해 삼도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받은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본 신고서에 기재하였습니다. 또한 투자자를 위하여 당사는 2025년 1분기말(2025년 3월 31일)을 작성 기준일로 하여 K-IFRS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받은 검토보고서 상의 내용을 본 증권신고서에 추가하였습니다. 본 신고서 상의 재무제표는 2025년 1분기말(2025년 3월 31일) 재무제표 작성 기준일 이후의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수익성 및 영업상황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당사의 2024년 말 기준 감사 받은 실적 및 2025년 1분기 검토 받은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매출 및 손익 현황]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제12기) |
2023년 (제11기) |
2022년 (제10기) |
---|---|---|---|---|
매출액 | 6,813,908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영업이익 | (25,092) | (1,233,501) | 160,077 | (3,235,575) |
당기순이익(손실) | 296,763 | (1,256,914) | (550,095) | (3,763,106) |
주1) 위 재무수치는 K-IFRS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다만,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재무제표의 작성기준일 이후 본 증권신고서 제출일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에 자산, 부채, 현금흐름, 또는 손익사항에 중대한 변동을 가져오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없습니다.
터.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 위험 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에 따라 소수주주는 일정 지분율 이상을 보유할 경우 주주총회 소집 청구, 회계장부 열람 청구, 이사 해임 청구 등 다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행주식총수의 0.5% 이상을 보유한 주주는 이사나 감사의 해임을 요구할 수 있으며, 0.01% 이상을 보유한 주주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수주주의 권리 행사는 회사 경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경우 회사의 경영 자원이 분산되고 사업 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러한 소송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본건 공모 이후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될 예정입니다. 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인 제542조의6(소수주주권)에 따라 상장회사 발행주식총수의 1.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소집청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주주총회일 6주 전에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또한 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 감사 등의 해임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고, 0.1%(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의 회계장부를 열람청구할 수 있습니다. 0.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여 회사에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 회사를 위하여 이사에 대하여 그 행위를 유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고, 0.01%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를 대신하여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소액주주들과 이사회 및 주요주주들과의 이해관계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법적 행동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를 상대로 상기와 같은 소송 또는 법원명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전략 시행이 방해받을 수 있으며 사업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영 자원이 핵심 사업에 집중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퍼. 집단 소송으로 인한 소송 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법」에 따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투자자 집단은 당사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허위 기재, 시세조종 행위 등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제도입니다. 만약 당사가 집단소송의 피고로 지목될 경우 상당한 법적 비용과 시간 소모가 발생하며, 이는 당사의 평판과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집단소송 리스크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증권 관련 집단소송법」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 주식을 집단적으로 0.01%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이 발행한 증권과 관련하여 자본시장 거래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 집단(50명 이상)을 대표하여 1인 이상의 대표성 있는 원고가 집단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집단소송 관련 조항에 따르면 증권신고서 혹은 투자설명서의 허위기재, 오해의 소지가 있는 사업보고서의 제출,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 혹은 시세 조정 행위에 따른 손해, 그리고 회계감사인에게 회계 부정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당사는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신의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충실히 작성하며 공시하고 기타 제반 공시사항에 대해 적시성과 완전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향후 집단 소송이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를 완벽히 통제하고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만약 집단소송이 당사를 상대로 제기되어 집단소송의 피고로 지목되게 되면 상당한 비용의 지출이 수반될 수 있으며 사업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허.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녹십자 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은 약 44.80%로 예상됩니다. 최대주주는 주주총회에서 주요 의사결정을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보유하며, 이는 회사의 전략적 방향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른 주주의 이해와 상충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의 의사결정이 단기적인 이익 추구 또는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치우칠 경우 일반 투자자들의 이익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회사 경영 안정성과 투자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본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녹십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보통주 4,636,500주(상장 전 지분율 23.71%, 상장 후 지분율 19.59%)를 포함하여, 최대주주등은 금번 공모 후 10,603,555주(상장 전 지분율 54.22%, 상장 후 지분율 44.80%)를 보유하게 됩니다.이에 따라 지배주주는 당사의 이사를 선임할 수 있고, 투표를 통해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 사안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고.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 확대 위험 2023 년 6월부터 신규상장종목의 상장일 가격제한폭이 발행가 대비 ±60~400%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상장 첫날 주가 변동성이 기존 사례보다 클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가격 급등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점을 사전에 인지하고 신중히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6월부터 신규상장종목의 상장일 가격제한폭이 발행가 대비 ±60~400%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상장 첫날 주가 변동성이 기존 사례보다 클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가격 급등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점을 사전에 인지하고 신중히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노.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연구개발비와 시설 확충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경영진은 공모 자금 사용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며,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기대했던 결과를 얻지 못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사용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공모 자금 사용 계획이 변경되거나 예상 성과가 달성되지 않을 경우 이는 회사의 재무 상태와 사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는 이를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자금(인수수수료,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한순수입금)은 희망공모가 밴드 하 단 기준 약 353억원으로 예 상됩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당사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향후 연구개발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상세 내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상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도. 국내 증권시장의 변동성에 따른 위험 당사의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며, 코스닥시장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코스닥시장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경우 당사의 주가도 큰 폭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 증시는 시세조종이나 내부자 거래 등의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 보통주는 미국 및 대다수 유럽 국가 소재 증권시장 대비 시가총액이 작고 변동성이 큰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됩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은 상장주권의 가격과 거래량에 있어서 상당한 폭의 변동을 기록해 왔고, 주가의 일일 상하 등락 범위를 제한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여타 증시와 마찬가지로 국내 증시 또한 시세조종, 내부자 거래, 결제 불이행과 같은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 또는 이와 유사한 문제가 재발하는 경우, 당사 보통주를 포함하여 국내 기업주식들의 시장가치와 유동성에 실질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민간사업의 여러 측면에 다양한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실제로 과거에 그러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의 과잉설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합병을 유도하거나 비상장 기업들의 기업공개를 권장하기도 합니다. 정부가 향후 유사한 조치를 시행하게 되면 의도여부에 관계없이 국내 증시의 침체 또는 부양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 조치의 시행 또는 중단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경우, 국내 기업의 주가가 급격히 변동할 수 있으며 당사 보통주의 시가 및 유동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로. 공모일정 변동가능성 및 상장예비심사결과 효력 종료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공모 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심사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5년 3 월 26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으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예비심사 승인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규상장을 완료해야 합니다. 만약 공모 일정 연기 등으로 인해 상장 신청이 지연될 경우, 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이 상실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상장이 취소되거나 연기될 위험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본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일정 및 기재사항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증권신고서 수리과정에서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2024년 11월 29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3월 26일자로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를 승인 받았습니다.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은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규상장 신청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당사가 금번 공모 일정 연기, 공모 철회, 그 외 사유 등으로 인하여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 받은 날인 2025년 3월 26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한국거래소에 신규상장 신청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제1항에 의거, 한국거래소는 시장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사의 상장예비심사결과에 대하여 그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
모. 상장기업의 관리감독기준 강화에 따른 위험 최근 금융감독기관은 관리감독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을 위반할 경우 주권매매정지, 관리종목 지정, 상장폐지 실질심사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관리종목)와 제3장(상장폐지)에 따라 재무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공시 의무를 위반할 경우 당사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이 폐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재는 회사의 평판과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관련 법규를 충분히 검토한 후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금융감독기관 등의 관리감독기준이 엄격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 규정을 위반할 경우 주권매매정지, 관리종목지정, 상장폐지실질심사, 상장폐지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향후 감독기관으로부터 당사가 현재 파악하지 못한 제재가 부과될 경우 주가하락 및 유동성(환금성) 제약 등으로 인해 투자금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관련 규정을 충분히 검토하신 후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특히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관리종목),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3장(상장폐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금융관련 법규는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 "금융감독원 금융법규서비스(https://fss.or.kr)", "KRX법규서비스(http://law.krx.co.kr)"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 추정 실적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에는 당사의 향후 사업 전망과 관련된 추정 실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재 가용한 정보와 합리적인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시장 상황 및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진단 기술의 개발, 인허가 규제 및 정책의 변동 등 예상치 못한 변수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추정 실적 정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말고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추정한 향후 당사의 손익계산서는 하기와 같습니다.
[2024년~2028년 추정 (요약)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A) | 2025년(E) | 2026년(E) | 2027년(E) | 2028년(E) |
매출액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매출원가 | 14,181 | 15,910 | 19,125 | 22,029 | 25,087 |
매출총이익 | 11,707 | 19,708 | 25,492 | 34,328 | 45,026 |
판매비와관리비 | 12,940 | 14,538 | 14,683 | 16,091 | 17,654 |
영업이익(손실) | (1,234) | 5,170 | 10,809 | 18,237 | 27,372 |
영업외수익 | 2,268 | 283 | 367 | 563 | 785 |
영업외비용 | 2,161 | 232 | 243 | 255 | 26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127) | 5,221 | 10,933 | 18,545 | 27,889 |
법인세비용 | 130 | 529 | 1,323 | 2,799 | 5,822 |
당기순이익(손실) | (1,257) | 4,692 | 9,610 | 15,746 | 22,067 |
주1) | 추정 손익계산서는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2) | 동사는 상대가치법 (유사기업 PER)에 따라 2028년 추정 손익을 기반으로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
동사의 임상유전체 분석 검사 서비스는 적용 대상환자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4개(산과검사, 암검사, 유전희귀검사, 검진검사)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추정매출은 진단 카테고리별 검진 대상자수, 수검률 및 검진 서비스의 시장침투율을 추정하였습니다. 다만, 산과검사 항목에서의 G-NIPT 제품과 검진검사의 아이캔서치 제품은 동사의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을 활용한 동사의 핵심제품으로 동사의 4개 카테고리에서 따로 떼어내어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주요 카테고리 및 핵심제품의 추정매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카테고리 및 핵심제품의 추정매출 금액] |
(단위: 백만원) |
구분 | 국내외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
핵심기술제품 | G-NIPT | 국내 | 4,168 | 4,408 | 4,866 | 5,285 | 5,665 |
해외 | 617 | 1,017 | 2,270 | 2,886 | 3,570 | ||
아이캔서치 | 국내 | 129 | 1,975 | 3,375 | 4,984 | 6,819 | |
해외 | 5 | 2,248 | 3,264 | 6,765 | 11,383 | ||
기존제품 | 산과검사 | 국내 | 1,741 | 2,012 | 2,308 | 2,561 | 2,774 |
암검사 | 국내 | 10,197 | 13,278 | 16,648 | 20,665 | 25,238 | |
유전희귀검사 | 국내 | 4,885 | 6,197 | 7,225 | 8,364 | 9,622 | |
검진검사 | 국내 | 4,122 | 4,482 | 4,662 | 4,848 | 5,042 | |
기타 | 국내 | 24 | - | - | - | - | |
합계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주1) | 산과검사 카테고리의 매출에는 G-NIPT의 매출이 제외된 금액이며, 검진검사에는 아이캔서치의 매출이 제외된 금액입니다. |
주2) | 2024연도의 기타매출은 대학교 및 병원 연구용역 서비스매출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향후 매출추정 시 제외하였습니다.. |
위 내용을 포함한 상세 추정 내역은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5) 희망공모가액 산출 - (라).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단, 당사의 사업 계획 달성 과정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의 둔화, 인허가 규제 및 정책의 변동, 새로운 진단 기술의 개발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당사의 향후 매출이 감소하거나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당사가 산정한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이 변동 될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소. 향후 사업 전망 위험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는 작성 기준일 현재의 시장 전망과 당사의 영업환경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향후 사업 전망에 대한 수치는 시장 추세와 당사의 내부 데이터에 따라 추정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예상치 못한 경제적, 정치적, 기술적 변화 등 불확실한 요인들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시장 규모와 당사의 실적은 전망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경쟁 심화 등의 외부 요인은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전망 수치가 구체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이를 충분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본 증권신고서(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 (이하 "투자설명서"))는 향후 사업 전망에 대한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 작성기준일 현재 시점의 전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망 수치들은 시장의 추세 및 당사의 영업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기타 불확실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따라서 향후 실제 시장의 규모나 회사의 실적 등은 전망 수치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에 기재된 전망의 내용은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 작성기준일 현재 추정 및 업계 내 자료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향후 전망에 대해 구체적인 수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오. 투자위험요소 기재내용 이외 위험요소 존재 위험당사는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글로벌 경제 상황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제는 안정세를 보였지만, 지정학적 갈등(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등), 자연재해 또는 인공재해 등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무역 분쟁, 외교 정책 변화 등이 한국 경제와 당사의 사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당사의 사업과 재무 상태 및 운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제 상황이 일반적으로 안정화되고 개선되었지만, 글로벌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세계 각 국의 영토, 무역 분쟁, 외교 정책 등으로 인해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의 악화는 당사의 사업, 재정 상태 및 운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등을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자연 재해 또는 인공재해 등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많은 요소들이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등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장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125조제1항제2호 마목에 의거, 금번 공모주식의 인수인이 공모주식에 대한 의견을 기재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본 장의 작성 주체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이며 문장의 주어를 "당사" 또는 "주관사"로 기재하였습니다. 또한 발행회사인 주식회사 지씨지놈의 경우에는 "동사", "회사" 또는 "㈜지씨지놈"으로 기재하였습니다.■ 본 장에 기재된 평가의견은 금번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가 금번 공모주식의 발행회사인 ㈜지씨지놈 에 대한 기업실사 과정을 통하여 발행회사인 ㈜지씨지놈로부터 제공받거나 취득한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조건 충족여부 및 상장과정에서의 희망공모가액 제시범위(공모가 밴드) 산정논리와 적정성에 대한 판단범위로 한정됩니다.■ 즉, 본 장의 평가의견은 금번 공모주식의 발행회사인 ㈜지씨지놈에 대한 기업 실사과정 중에 있어서 동사의 코스닥시장 상장 및 공모주식의 가치평가를 검토 및 산정하기 위해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인수인이 합리적 추정 및 판단의 가정하에 제시하는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그러므로 본 증권신고서의 당해 기재내용이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가 투자자에게 투자의사결정 여부, 이와 관련한 동사의 영업, 생산, 경영관리 , 재무, 기술 등 전반적인 사업개황을 평가한 후의 조언 및 자문, 이에 상응하는 청약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인수인의 분석의견 제시가 본 증권신고서, 예비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기재내용의 고의적인 허위기재사실 이외 진실성, 정확성과 관련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모든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장에 기재된 인수인의 분석의견 중에는 투자자에게 회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된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결과는 여러가지 내/ 외부 요인들의 변화에 의해 기재된 예측정보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투자자는 유의하셔야 합니다. 예측정보와 관련하여 투자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본 신고서의 서두부분에 기재된 "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추정치 | |||
적용산식 | 추정 당기순이익 현재가치(①) x 비교기업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현재가치 | 13,066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② | 비교대상회사 PER | 26.04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4)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 - (나) 비교대상회사 PER 산출 | |
③ | 주식수 | 24,066,666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 가액 | 14,140원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6.35%~25.74%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라. 희망공모가액의 결정 | |
공모가 산정 결과 | 9,000원 ~10,5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본 기업은 상대가치법(비교대상회사 PER)에 따라 장래 4년간(2025년~2028년)의 손익을 추정하여 공모가를 산정하였으며, 산정시 직접 활용된 당기순이익은 위 표에 제시하는 바와 같습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합니다.
구분 | 내용 |
---|---|
희망공모가액 | 9,000원 ~ 10,5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지씨지놈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지씨지놈 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이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나. 희망 공모가액 산출방법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지씨지놈 의 사업 특성, 경영성과, 재무제표 및 비율 현황 등과 산업 특성, 유사회사의 경영성과 및 주가 수준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산출하였습니다. (1) 희망공모가액 산출 개요 (가) 평가방법 선정 개요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절대가치 평가방법과 상대가치 평가방법이 있습니다.절대가치 평가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할인모형(DCF: Discounted Cash Flow Method)과 본질가치 평가방법이 있습니다.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할인모형(DCF)은 미래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연도별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에 적정한 할인율(가중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기업의 자본조달원천별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한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의 합)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를 산정하는 평가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의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추정하여야 하며, 유사회사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유사회사의 미래현금흐름 및 할인율을 추정하여야만 상호비교가 가능한 모형으로 이러한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산정함에 있어 객관적인 기준이 명확하지가 않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경우 평가 지표로서 유의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습니다.본질가치 평가방법은 2002년 8월 "유가증권인수업무에 관한 규칙" 개정 이전에 공모주식의 평가를 위해 사용하던 규정상의 평가방법으로 최근 사업연도의 자산가치와 향후 2개년 추정실적을 기준으로 한 수익가치를 1과 1.5의 가중치를 두어 산출하는 절대가치 평가방법의 한 기법입니다. 그러나 본질가치를 구성하는 자산가치는 역사적 가치로서 기업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과거 실적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 있어 한계가존재합니다. 또한 이를 보완하는 향후 2개년간 추정손익에 의해 산정되는 수익가치는 손익 추정시 평가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추정기간의 불충분성 및 자본환원율로 인한 기업가치의 고평가 가능성 등은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등)은 주식시장에 분석대상기업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을 주요제품으로 하는 비교가능성이 높은 유사 기업들이 존재하고, 주식시장은 이런 기업들의 가치를 평균적으로 올바르고 적정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분석대상기업과 비교기업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그 평가방법이 간단하고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유용한 기업가치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교기업의 선정 시 평가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로 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 발생가능성은 여전히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교대상 회사들이 우선적으로 일정한 재무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또한, 사업적, 기술적, 관련 시장의 성장성, 주력 제품군 등의 질적 측면에서 일정 부분 평가대상회사와 유사성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나) 평가방법 산정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금번 공모를 위한 ㈜지씨지놈의 주당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상기 평가방법 중 국내외 증권시장에 기상장된 비교기업의 실적을 기준으로 PER을 산정하여 가치평가에 활용하였습니다.
[비교가치 산정 시 PER 적용 사유] |
적용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적합성 |
---|---|
PER | PER(Price/Earning Ratio) 는 해당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EPS)의 관계를 규명하는 비율로서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력에 대한 시장의 평가, 성장성, 영업활동의 위험성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된 지표입니다. 또한 개념이 명확하고 계산의 용이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자지표이기도 합니다. PER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가치평가를 산정하므로 개별 기업의 수익성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 대한 향후 미래의 성장성이 반영되어 개별 기업의 PER가 형성되므로, PER를 적용할 경우 특정산업에 속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산업 고유위험에 대한 Risk 요인도 주가를 통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발행회사인 ㈜ 지씨지놈의 금번 공모주식에 대한 평가에 있어 상대가치 평가방법 중 가장 보편적이고 소속업종 및 해당기업의 성장, 수익, 위험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인 PER를 활용하였습니다. |
[비교가치 산정시 EV/EBITDA, PBR, PSR 제외사유] |
제외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부적합성 |
---|---|
EV/EBITDA | EV/EBITDA는 기업가치(EV)와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EBITDA)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BITDA는 유형자산이나 기계장비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이 많은 산업에 유용한 지표로써, 동사 가치를 나타내는 데에는 적정한 지표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가치산정시 제외하였습니다. |
PBR | PBR(주가순자산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BPS(주당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엄격한 회계기준이 적용되고 자산건전성을 중요시하는 금융기관의 평가나 고정자산의 비중이 큰 장치산업의 경우 주로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동사의 경우 금융기관이 아니며, 고정자산 비중이 크지 않아 순자산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평가의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어 가치산정시 제외하였습니다. |
PSR | PSR(주가매출액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SPS(주당매출액)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비교대상회사의 이익이 적자(-)일 경우 사용하는 보조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PSR이 적합한 투자지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비교대상회사 간에 매출액 대비 수익률이 유사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업마다 매출액 대비 수익율(ROS)은 상이하며, 단순히 매출액과 관련하여 주가 비교시에 수익성을 배제한 외형적 크기만을 비교하여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치산정시 제외하였습니다. |
(2) 비교평가모형의 한계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동사의 2028년 추정 주당순이익의 현가에 PER 배수를 적용하여 산출한 상대적 성격의 비교가치로서, 동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 상황의 변동 및 동사가 속한 산업의 성장성 및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등이 계량화되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또한, 동사의 2028년 주당순이익 추정을 위한 여러 가정 및 추정 주당순이익을 사업위험을 감안한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한 할인율에 대해 불확실성과 평가자의 자의성 개입 가능성이 있으며, 비교대상회사의 기준주가를 특정시점에서 산정하였으므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비교대상회사의 주가변동에 의하여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금번 평가의 결과로 산출된 동사의 평가가치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이 그 가치를 보증하거나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비교회사의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의 업종, 재무, 사업 및 일반 유사성을 고려하여 총 4개사를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유사회사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상세 선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최종 선정된 비교기업은 동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주요 사업 및 매출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또한 사업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등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비교참고 정보를 토대로 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비교기업 선정 요약
[국내외 비교기업 선정 기준표] |
구분 | 선정기준 | 세부검토기준 | 회사수 |
---|---|---|---|
1단계 | 산업분류 유사성 | ① 한국산업표준분류상 다음 중 하나에 속하는 상장회사-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M70111)-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13) - 의료용품 및 기타 의학관련 제품 제조업(C21300)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73909) ② Bloomberg BICS 분류코드 상 다음 중 하나에 속하며 적격해외증권시장에 상장한 해외회사 - 생 명 과학 & 진단(Life science & Diagnostics) | -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M70111) : 4개사-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33) : 51개사 - 의료용품 및 기타 의학관련 제품 제조업(C21300) : 29개사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73909) : 11개사- 생명 과학 & 진단(Life science & Diagnostics) 89개사184개사 |
2단계 | 재무 유사성 | ①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지배주주) 당기순이익 시현회사 | 53개사 |
3단계 | 사업 유사성 | 주요 사업내용이 다음 중 하나에 속하는 회사 ① 임상목적 체외진단 검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② 산전검사, 암검사, 유전희귀검사 등 다양한 분야의 검사 포트폴리오 보유 | 5개사 |
4단계 | 일반 요건 |
①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 후 1년 이상 경과하였을 것② 분석기준일로부터 6개월 이내 투자유의종목, 관리종목, 기업회계기준 위배로 조치를 받은 내역이 존재하지 않을 것③ 최근 6개월 이내 합병, 분할 또는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이 없었을 것 ④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순이익 기준 비경상적 PER(50배 이상) 제외 |
4개사 |
(나) 비교기업 선정 세부 1) 1차 비교기업(모집단) 선정: 산업분류 유사성 동사는 NGS 기반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기업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M70111)'에 속해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동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상장사의 수가 적어 적절한 유사회사 선정이 불가능하여 동사와 비교할 수 있는 모집단을 국내 상장사의 경우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13)',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제품 제조업(C21300)',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73909)'에 속한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 기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습니다.
해외 상장사의 경우 블룸버그(Bloomberg)의 BICS(Bloomberg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분류코드 상 ' 생명 과학 & 진단(Life science & Diagnostics) '에 속한 해외 상장 기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습니다. 해당 분류 중 한국표준산업분류로 선정된 모집단 기업 중복 방지를 위하여, 국내기업은 제외하였습니다. 또한, 비교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5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적격 해외시장 내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였습니다.
국가(지역) | 증시명 |
미국 | NYSE, NASDAQ |
유럽 | 유로넥스트(Euronext) |
일본 | 동경증권거래소(Tokyo Stock Exchange) |
영국 | 런던증권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 |
독일 | 독일거래소(Deutche Borerse AG) |
홍콩 | 홍콩거래소(Hongkong Exchanges and clearing) |
싱가폴 | 싱가폴거래소(Singapore Exchange) |
호주 | 호주증권거래소(Australian Securities Exhange) |
캐나다 | 토론토증권거래소(Toronto Stock Exchange) |
상기 기준으로 분류된 1차 유사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상장회사 모집단 선정 기준] |
한국표준산업분류 | 기업수 | 선정기업 |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M70111) | 4 | 내츄럴엔도텍, 압타머사이언스, 에이치엘비바이오스텝 등 4개사 |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33) | 51 | 에스케이바이오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헬릭스미스, 에이치엘비제약 등 51개 |
의료용품 및 기타 의학관련 제품 제조업(C21300) | 29 | 바이오노트, 메타바이오메드, 한스바이오메드, 파마리서치 등 29개사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73909) | 11 | 마크로젠, 에스엘에스바이오, 지씨셀, 엔젠바이오 등 11개사 |
합계 | 95 | - |
출처: | Kisline |
[해외 상장회사 모집단 선정 기준] |
Bloomberg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 기업수 | 선정기업 |
생명 과학 & 진단(Life science & Diagnostics) | 89 | Thermo Fisher Scientific, Danaher Corporation, Agilent Technologies, Inc 등 89개 |
합계 | 89 | - |
출처: | Bloomberg |
2) 2차 비교기업 선정: 재무 유사성 1차 유사기업(모집단) 184개사 중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지배주주)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회사로 재분류하여 아래와 같이 총 53개사를 2차 유사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선정 근거 및 선정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재무 유사성을 충족하는 상장사를 선정①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지배주주) 당기순이익 시현 기업 |
[2차 비교기업 선정] |
회사명 | (지배주주) 당기순이익(백만) | 여부 |
알테오젠 | 62,252 | O |
SK바이오팜 | 240,738 | O |
HLB | (91,980) | X |
리가켐바이오 | 7,800 | O |
파마리서치 | 92,043 | O |
씨젠 | (20,337) | X |
오스코텍 | 877 | O |
메지온 | (19,477) | X |
HLB생명과학 | 6,138 | O |
지아이이노베이션 | (58,784) | X |
올릭스 | (40,659) | X |
HLB제약 | 2,020 | O |
티앤엘 | 46,408 | O |
디앤디파마텍 | (28,623) | X |
바이오노트 | 55,261 | O |
코스메카코리아 | 42,800 | O |
지노믹트리 | (10,242) | X |
큐로셀 | (38,239) | X |
바디텍메드 | 27,260 | O |
지씨셀 | (73,900) | X |
에이프릴바이오 | 20,005 | O |
신라젠 | (26,526) | X |
툴젠 | 6,232 | O |
큐리언트 | (23,567) | X |
제테마 | (188) | X |
오상헬스케어 | (11,364) | X |
박셀바이오 | (10,624) | X |
휴마시스 | (30,442) | X |
제넥신 | (63,706) | X |
온코닉테라퓨틱스 | (8,093) | X |
압타바이오 | (29,378) | X |
이수앱지스 | 14,718 | O |
마크로젠 | (7,603) | X |
에이비온 | (43,381) | X |
CG인바이츠 | (51,544) | X |
디엔에이링크 | (10,802) | X |
랩지노믹스 | (23,796) | X |
에이치이엠파마 | (7,646) | X |
HLB바이오스텝 | (8,564) | X |
우진엔텍 | 5,409 | O |
나이벡 | (9,327) | X |
큐알티 | 2,857 | O |
인벤티지랩 | (16,997) | X |
아이엠비디엑스 | (9,577) | X |
CJ 바이오사이언스 | (32,838) | X |
네패스아크 | (28,685) | X |
앱클론 | (16,302) | X |
레이 | (60,427) | X |
온코크로스 | (6,483) | X |
그리드위즈 | (3,014) | X |
헬릭스미스 | (15,471) | X |
메드팩토 | (20,140) | X |
메타바이오메드 | 22,402 | O |
세운메디칼 | 12,163 | O |
한스바이오메드 | (7,223) | X |
와이바이오로직스 | (6,442) | X |
HLB파나진 | (1,944) | X |
큐라클 | (14,886) | X |
수젠텍 | (15,193) | X |
싸이토젠 | (17,117) | X |
고바이오랩 | (5,298) | X |
티움바이오 | (20,644) | X |
파로스아이바이오 | (10,560) | X |
녹십자엠에스 | 3,581 | O |
옵티팜 | (2,357) | X |
셀리드 | (12,259) | X |
차백신연구소 | (10,138) | X |
디티앤씨알오 | (1,999) | X |
현대ADM | (20,096) | X |
아스타 | (3,864) | X |
아이진 | (12,128) | X |
드림씨아이에스 | 5,280 | O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5,816 | O |
하스 | 1,791 | O |
씨엔알리서치 | 3,839 | O |
SCL사이언스 | (3,730) | X |
EDGC | (45,603) | X |
피플바이오 | (10,913) | X |
바이젠셀 | (14,056) | X |
모아라이프플러스 | (6,994) | X |
바이오톡스텍 | (6,427) | X |
진매트릭스 | (3,748) | X |
내츄럴엔도텍 | (3,886) | X |
지니너스 | (12,273) | X |
원바이오젠 | 5,690 | O |
카이노스메드 | (12,190) | X |
큐라티스 | (26,267) | X |
엔젠바이오 | (12,628) | X |
바이오인프라 | (3,976) | X |
압타머사이언스 | (8,702) | X |
젠큐릭스 | (4,148) | X |
우정바이오 | 225 | O |
에스엘에스바이오 | 336 | O |
피씨엘 | (52,339) | X |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 6,335 | O |
Danaher Corporation | 3,899 | O |
Agilent Technologies, Inc. | 1,289 | O |
IDEXX Laboratories, Inc. | 888 | O |
Mettler-Toledo International Inc. | 863 | O |
Hologic, Inc. | 744 | O |
Avantor, Inc. | 712 | O |
Waters Corporation | 638 | O |
Sysmex Corporation | 57,790 | O |
Revvity, Inc. | 283 | O |
DiaSorin S.p.A. | 188 | O |
Bio-Techne Corporation | 158 | O |
JEOL Ltd. | 31,494 | O |
Haemonetics Corporation | 130 | O |
Bruker Corporation | 113 | O |
Sartorius AG | 84 | O |
QIAGEN NV | 84 | O |
Mizuho Medy Co., Ltd. | 3,773 | O |
Veracyte, Inc. | 24 | O |
Eiken Chemical Co., Ltd. | 2,179 | O |
STRATEC SE | 10 | O |
Vericel Corporation | 10 | O |
Techno Medica Co., Ltd. | 1,129 | O |
EKF Diagnostics Holdings plc | 6 | O |
Kainos Laboratories, Inc. | 551 | O |
Gentian Diagnostics ASA | 45 | O |
Immuno-Biological Laboratories Co., Ltd. | 299 | O |
Dentas Co., Ltd. | (10) | X |
Cambridge Nutritional Sciences PLC | N/A | X |
Abingdon Health PLC | (3) | X |
Biosino Bio-Technology & Science, Inc. Class H | N/A | X |
Atect Corporation | (305) | X |
Clever Culture Systems Limited | (1) | X |
CLEO Diagnostics Ltd | (3) | X |
Memphasys Ltd | (5) | X |
Proteome Sciences plc | N/A | X |
Lixte Biotechnology Holdings, Inc. | (4) | X |
Cambridge Cognition Holdings Plc | N/A | X |
Epigenomics AG | N/A | X |
Aditxt, Inc. | (40) | X |
Lumos Diagnostics Holdings Ltd. | (8) | X |
AnteoTech Ltd | (9) | X |
Biomerica, Inc. | (6) | X |
Verici Dx Plc | N/A | X |
Cardio Diagnostics Holdings Inc. | (8) | X |
Neogen Corp | (476) | X |
Universal Biosensors, Inc. | (14) | X |
StageZero Life Sciences Ltd | (2) | X |
Spectral Medical Inc | (15) | X |
Genetic Signatures Ltd. | (23) | X |
Harvard Bioscience, Inc. | (12) | X |
Aspira Women's Health Inc. | (13) | X |
OraSure Technologies, Inc. | (20) | X |
BATM Advanced Communications Ltd. | N/A | X |
Trinity Biotech Plc Sponsored ADR Class A | (20) | X |
ANGLE plc | N/A | X |
FOXO Technologies Inc. Class A | (9) | X |
Repligen Corporation | (26) | X |
Avacta Group PLC | N/A | X |
Sera Prognostics, Inc. Class A | (33) | X |
Co-Diagnostics, Inc. | (38) | X |
Quanterix Corporation | (39) | X |
MaxCyte, Inc. | (32) | X |
Lucid Diagnostics Inc. | (46) | X |
Accelerate Diagnostics, Inc. | (50) | X |
Akoya Biosciences Inc | (55) | X |
OmniAb, Inc. | (62) | X |
Biocartis Group NV | N/A | X |
Nautilus Biotechnolgy, Inc. | (71) | X |
908 Devices Inc. | (72) | X |
Quantum-Si Incorporated Class A | (101) | X |
Inotiv, Inc. | (121) | X |
Myriad Genetics, Inc. | (127) | X |
Standard BioTools Inc. | (139) | X |
Adaptive Biotechnologies Corp. | (159) | X |
Azenta, Inc. | (158) | X |
10x Genomics Inc Class A | (183) | X |
Natera, Inc. | (190) | X |
Twist Bioscience Corp. | (197) | X |
Bionano Genomics, Inc. | (136) | X |
Pacific Biosciences of California, Inc. | (309) | X |
Exact Sciences Corporation | (1,029) | X |
Illumina, Inc. | (1,222) | X |
Bio-Rad Laboratories, Inc. Class A | (1,844) | X |
QuidelOrtho Corporation | (2,027) | X |
Dentas Co., Ltd. | (10) | X |
Guardant Health, Inc. | (436) | X |
출처: | DataGuide, Bloomberg |
주1) | 단위는 각 기업에서 공시하는 통화 기준 백만입니다. |
주2) | 연결재무제표 작성법인의 경우, 지배주주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주3) | 분석기준일 현재 재무실적이 공시되어 있지 않아 순이익을 확인할 수 없는 건은 "N/A"로 기재 및 선정 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3) 3차 비교기업 선정: 사업 유사성 2차 유사기업(재무 유사성) 53개사 중 임상목적 체외진단 검사를 주요 사업으로영위하고 암검사, 유전희귀검사 등 다양한 분야의 검사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기업 5개사를 3차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아래 사업 유사성을 모두 충족하는 상장사를 선정 ① 임상목적의 체외진단 검사 관련 Valuechain이 전체 사업 비중의 40% 이상일 것 - 9개 사② 산전검사, 암검사, 유전희귀검사, 검진검사 4개의 검사 카테고리 중 3개 이상을 보유하고 직접 검사서비스를 수행할 것 - 5개 사 |
[3차 비교기업 선정] |
회사명 | 매출비중 | 사업유사성① 충족여부 | 사업유사성 ② 충족여부 |
---|---|---|---|
알테오젠 |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이전 수익(73.6%), ALT-B4 제품매출 (14.3%) | X | X |
SK바이오팜 | 세노바메이트(97.0%)- 뇌전증 치료신약 | X | X |
리가켐바이오 | ADC분야 후보물질 기술이전 수익(83.7%), 의료소모품(9.3%)-수술, 진료용 일회성 소모품 | X | X |
파마리서치 | 리쥬란, 콘쥬란, HA필러 등(55.3%) | X | X |
오스코텍 | 표적항암제 폐암 치료물질 기술이전 수익(81.2%) | X | X |
HLB생명과학 | 의약품 유통(67.9%) | X | X |
HLB제약 |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판매(89.0%) | X | X |
티앤엘 |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폼 등 창상피복재(90.9%) | X | X |
바이오노트 | 인체 체외진단(29.7%), 동물 체외진단(64.6%) | X | X |
코스메카코리아 | 기초, 색조화장품 (98.5%) | X | X |
바디텍메드 | 면역진단, 생화학진단(98.0%) | O | O 주1) |
에이프릴바이오 | 신약 플랫폼 및 후보물질 기술이전 수익(100%) | X | X |
툴젠 | 유전자교정(가위) 기술이전수익(89.7%) | X | X |
이수앱지스 | 의약품 판매(86.3%) | X | X |
우진엔텍 | 원자력 화력 정비서비스(99.3%) | X | X |
큐알티 | 반도체 신뢰성평가(62.3%) | X | X |
메타바이오메드 | 덴탈재료 및 덴탈기기(47.5%), 봉합사(45.2%) | X | X |
세운메디칼 | 의료용품 판매(100%) - 의료용흡인기, 카테타류, 스텐츠 등 | X | X |
녹십자엠에스 | 면역 및 분자진단검사 시약(55.6%), 혈액투석 의약품(27.8%) | X | X |
드림씨아이에스 | 연구대행용역(67.8%) | X | X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서비스(91.0%) | X | X |
하스 | 치과용 수복소재(99.0%) | X | X |
씨엔알리서치 | 임상서비스 용역의 제공(100%) | X | X |
원바이오젠 |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폼 등 창상피복재(71.5%) | X | X |
우정바이오 | 실험동물 공급, 사육장비 및 감염관리 장비 외 기타 서비스(78.5%) | X | X |
에스엘에스바이오 | 의약품 품질관리 서비스 (83.5%) | X | X |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 Laboratory Products & Biopharma Services 51.7%, Life Sciences Solutions 21.5%, Analytical Instruments 16.7%, Speciality Diagnostics 10.1% | X | X |
Danaher Corporation | Diagnostics 41.0%, Life Sciences 30.7%, Biotechnology 28.3%, Others 27.0% | O | X 주1) |
Agilent Technologies, Inc. | Life Sciences & Applied Markets 49.4%, Agilent CrossLab 25.3%, Diagnostics & Genomics Solutions 25.4% | O | X 주1) |
IDEXX Laboratories, Inc. | Companion Animal Group ( CAG ) 91.7%, Water 4.8%, Livestock & Poultry Diagnostics (LPD) 3.1% | X | X |
Mettler-Toledo International Inc. | Laboratory 56.5%, Industrial 38.5%, Retail 5.1% | X | X |
Hologic, Inc. | Diagnostics 44.2%, Breast Health 37.8%, GYN Surgical 15.9%, Skeletal Health 2.1% | O | O 주1) |
Avantor, Inc. | Bioscience Production 32.0%, Laboratory Solutions 68.0% | X | X |
Waters Corporation | Waters Instrument Systems 39.1%, Chemistry Consumables 18.0%, TA Instrument Systems 8.6%, Waters Service 31.1%, TA Service 3.3% | X | X |
Sysmex Corporation | Diagnostics Business 99.1%, Medical Robot Business 0.9% | O | X 주1) |
Revvity, Inc. | Diagnostics 49.3%, Life Sciences 50.8% | O | O 주1) |
DiaSorin S.p.A. | Ex-Covid Immunodiagnostics 66.3%, Ex-Covid Molecular Diagnostics 17.2%, Licensed Technologies 14.4%, COVID 2.2% | O | O 주1) |
Bio-Techne Corporation | Protein Sciences 70.8%, Diagnostics & Genomics 28.5% | X | X |
JEOL Ltd. | Scientific Instrument 61.9%, Industrial Equipment 30.6%, Medical Equipment 7.6% | X | X |
Haemonetics Corporation | Hospital 40.4%, Plasma 39.7%, Blood Center 19.9% | X | X |
Bruker Corporation | BSI ( Bruker Scientific Instrument ) NANO 32.6%, BSI Life Science 59.4% BEST ( Bruker Energy & Supercon Technologies) 9.3% | X | X |
Sartorius AG | Bioprocess Solutions 79.6%, Lab Products & Services 20.4% | X | X |
QIAGEN NV | Diagnostic Solutions 37.8%, Sample Technologies 32.5%, PCR/Nucleic Acid Amplification 15.1%, Genomics/NGS 11.8% | X | X |
Mizuho Medy Co., Ltd. | Extracorporeal Diagnostic Agent Business 100.0% | X | X |
Veracyte, Inc. | Testing 94.0%, Biopharmaceutical 3.0%, Product 3.1% | O | O 주1) |
Eiken Chemical Co., Ltd. | Diagnostic Reagents 100.0% | O | O 주1) |
STRATEC SE | Analyzer Systems 43.5%, Service Parts & Consumables 36.7% | X | X |
Vericel Corporation | Product 98.6% NexoBrid 1.4% | X | X |
Techno Medica Co., Ltd. | Consumables 52.4%,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41.8%, IVD Analyzer 5.8% | X | X |
EKF Diagnostics Holdings plc | Point of care - Product 62.6%, Life Sciences 33.3% | X | X |
Kainos Laboratories, Inc. | Biochemical Reagents 45.7%, Immunoserological Reagents 48.7%, Others 5.6% | X | X |
Gentian Diagnostics ASA | Inflammation Dianostic product 46.0%, Renal Diagnostic products 32.3%, Other Diagnostic products 18.8% | X | X |
Immuno-Biological Laboratories Co., Ltd. | Antibody 99.5%, Cosmetics 0.5% | X | X |
출처: | Dart 전자공시 시스템, Bloomberg | ||||||||||||||||||||||||||||||||||||||||||||||||||||||||||||||||||||||||||||||||
주1) |
사업유사성 ① 충족기업 중 사업유사성 ② 충족여부
|
4) 4차 비교기업 선정: 일반요건
3차 유사기업(사업 유사성) 5개사 중 일반 유사성을 기준으로 최종 유사기업 4개사를선정하였습니다. 선정 근거 및 선정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사업 유사성을 모두 충족하는 상장사를 선정①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 후 1년 이상 경과하였을 것② 분석기준일로부터 6개월 이내 투자유의종목, 관리종목, 기업회계기준 위배로 조치를 받은 내역이 존재하지 않을 것③ 최근 6개월 이내 합병, 분할 또는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이 없었을 것 ④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순이익 기준 비경상적 PER(50배 이상) 제외 |
회사명 |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 후 1년 이상 경과하였을 것 | 분석기준일로부터 6개월 이내 투자유의종목, 관리종목, 기업회계기준 위배로 조치를 받은 내역이 존재하지 않을 것 | 최근 6개월 이내 합병, 분할 또는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이 없었을 것 |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순이익기준 비경상적 PER(50배 이상) 제외 | 선정여부 |
---|---|---|---|---|---|
바디텍메드 | O(2015/09/11) | O | O | O(12.89배) | O |
Revvity, Inc. | O(1965/07/60) | O | O | O(44.83 배) | O |
Hologic Inc | O(1990/03/09) | O | O | O(18.49 배) | O |
DiaSorin S.p.A. | O(2007/07/19) | O | O | O(27.95 배) | O |
Veracyte, Inc | O(2013/10/30) | O | O | X(97.26 배) | X |
출처: | Dart 전자공시 시스템, Bloomberg |
주1) | PER산정시 유사회사의 기준주가는 평가기준일(2025년 3월 28일)기준 최근 1개월 종가의 산술평균, 1주일 종가의 산술평균, 평가기준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PER산정시 유사회사의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4분기 실적을 적용한 PER을 적용하였습니다. |
상기와 같이 최종 유사기업은 바디텍메드, Revvity Inc. Hologic Inc, DiaSorin S.p.A.총 4개사가 선정되었습니다.
(다) 비교기업 선정 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상기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바디텍메드, Revvity Inc. Hologic Inc, DiaSorin S.p.A. 총 4개사를 최종 유사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동사와 선정된 유사회사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 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및 과정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차이점이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동사의 희망공모가액은 선정 유사회사의 기준 주가를 특정 시점에서 적용하였기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사회사의 주가 변동에 따라서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유사회사의 기준 주가가 향후 예상 경영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동사와 유사회사의 과거 경영실적을 활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평가방법으로서 완전성을 보장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비교기업들의 2024년 4분기 기준 누적 (지배주주) 당기순이익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한 상대적 성격의 비교가치로서 동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비교대상회사의 기준주가를 특정시점에서 산정하였으므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비교대상회사의 주가변동에 의하여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사기업의 기준주가가 미래 예상 손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비교평가방법은 평가모형으로서 완전성을 보장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라) 비교대상회사 기준 주가
기준주가는 시장의 일시적인 급변 등 단기변동성 반영을 배제하기 위해 2025년 3월 28일 (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6 영업일 전일)을 분석기준일로 하여 1개월 간(2025년 2월 26일 ~ 2025년 3월 28일, 20 영업일) 종가의 산술평균, 1주일(2025년 3월 24일 ~ 2025년 3월 28일, 5 영업일) 종가의 산술평균과 분석기준일(2025년 3월 28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적용하였습니다.
[비교대상회사 기준주가 산정 내역] |
구분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단위 | 원 | 달러 | 달러 | 유로 |
기준주가 (Min[(A),(B),(C)] | 14,964 | 105.6 | 61.3 | 93.7 |
분석기준일 종가 (A) | 15,960 | 105.6 | 61.3 | 93.7 |
1주일 평균 종가 (B) | 15,372 | 107.3 | 61.6 | 94.6 |
1개월 평균 종가 (C) | 14,964 | 110.8 | 62.1 | 96.6 |
2025-03-28 | 15,960 | 105.6 | 61.3 | 93.7 |
2025-03-27 | 16,000 | 107.3 | 62.3 | 94.4 |
2025-03-26 | 15,620 | 107.4 | 61.5 | 94.5 |
2025-03-25 | 14,780 | 107.4 | 60.8 | 94.9 |
2025-03-24 | 14,500 | 108.6 | 61.9 | 95.6 |
2025-03-21 | 14,720 | 107.3 | 61.5 | 95.0 |
2025-03-20 | 14,720 | 107.0 | 61.0 | 94.1 |
2025-03-19 | 14,940 | 109.9 | 61.5 | 95.5 |
2025-03-18 | 15,050 | 112.7 | 62.0 | 95.9 |
2025-03-17 | 14,820 | 113.2 | 61.8 | 95.2 |
2025-03-14 | 14,750 | 111.9 | 60.7 | 95.4 |
2025-03-13 | 14,450 | 110.3 | 60.7 | 98.1 |
2025-03-12 | 14,670 | 111.5 | 61.1 | 98.9 |
2025-03-11 | 14,810 | 112.9 | 62.6 | 99.3 |
2025-03-10 | 15,060 | 118.2 | 65.6 | 100.9 |
2025-03-07 | 14,320 | 117.6 | 64.5 | 96.4 |
2025-03-06 | 15,140 | 113.2 | 62.5 | 95.4 |
2025-03-05 | 14,940 | 111.7 | 62.1 | 98.7 |
2025-03-04 | 14,840 | 109.3 | 62.3 | 99.4 |
2025-02-28 | 15,190 | 112.2 | 63.4 | 101.5 |
(마) 상장예비심사시 경쟁기업 제외 사유
한편,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시 동사가 경쟁기업으로 기재하여 제출하였던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동사 | 랩지노믹스(연결) | 아이엠비디엑스 | 쓰리빌리언 | ||||||||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설립년도 | 2013 년 | 2002 년 | 2018 년 | 2016년 | ||||||||
매출액(매출원가율) | 24,114 | 27,292 | 25,888 | 144,773 | 71,076 | 85,898 | 2,625 | 4,027 | 3,407 | 828 | 2,730 | 5,772 |
55.0% | 49.8% | 54.8% | 33.2% | 57.3% | 63.4% | 86.0% | 65.0% | 73.9% | N/A | N/A | N/A | |
영업이익 | (3,236) | 160 | (1,234) | 66,206 | (6,923) | (18,491) | (8,668) | (7,769) | (10,612) | (8,224) | (8,352) | (7,419) |
(이익율) | -13.4% | 0.6% | -4.8% | 45.7% | -9.7% | -21.5% | -330.2% | -192.9% | -311.5% | -992.7% | -305.9% | -128.5% |
당기순이익 | (3,763) | (550) | (1,257) | 47,926 | (5,246) | (23,904) | (10,436) | (10,416) | (9,577) | (3,145) | (5,092) | (6,572) |
(이익률) | -16.0% | -2.0% | -4.9% | 33.1% | -7.4% | -27.8% | -397.6% | -258.7% | -281.1% | -379.6% | -186.5% | -113.9% |
총자산 | 48,896 | 42,819 | 40,622 | 250,653 | 313,457 | 295,662 | 17,350 | 9,821 | 34,047 | 27,661 | 22,859 | 30,216 |
총부채 | 22,311 | 17,772 | 7,543 | 40,142 | 85,314 | 79,348 | 48,483 | 1,498 | 1,593 | 11,348 | 11,073 | 1,945 |
자기자본 | 26,585 | 25,048 | 33,080 | 210,510 | 228,143 | 216,314 | (31,132) | 8,323 | 32,454 | 16,313 | 11,786 | 28,271 |
상장여부 | 비상장 | 코스닥 상장 | 코스닥 상장 | 코스닥 상장 | ||||||||
(상장일) | (2014.12.16) | (2024.04.03) | (2024.11.14) | |||||||||
주요제품(매출비중) | G-NIPT(18.5%), 암검진(39.4%), 유전희귀검진(18.9%) 등 | 분자진단/유전체 검사 서비스 (71.8%), 일반진단 검체분석 등 용역(21.5%) | 암 프로파일링 (71.9%), 암재발모니터링(3.7%), 암스크리닝(14.2%) 등 | 유전희귀 진단 Full Service 87.0%, 특정질환 진단 검사 9.7% 등 |
랩지노믹스는 2002년 설립된 유전체 분자 진단 기업으로, 약 240명 이상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NGS 검사 서비스와 체외진단제품(IVD)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 산전 검사, 암 검사, 건강검진 검사 및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인도 등과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양한 유전체 분자 진단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산전 NIPT 검사 부문에서, 랩지노믹스의 경쟁 제품은 2015년 동사와 동일한 시기에 출시되어 현재까지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랩지노믹스는 PCR 기반 감염병 진단, 소비자 직접의뢰(DTC) 검사, 그리고 LDT 진단키트를 통한 미국 진단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 방향은 동사의 핵심 사업과 직접적인 경쟁 관계보다는 사업 영역의 차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랩지노믹스는 지속적으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때, 유사기업으로서 선정하기에 한계가 존재하여 제외하였습니다.
아이엠비디엑스는 2018년에 설립된 액체생검 전문 기업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과 액체생검 기술을 활용하여 암 검진 및 정밀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31개 이상의 의료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2024년 코스닥 상장 기업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검진 부문의 다중암 조기 검진 스크리닝 제품과, 암 정밀 진단 부문의 진행성 암 환자를 위한 프로파일링 제품이 있습니다. 아이엠비디엑스는 동사의 검진 아이캔서치(다중암 조기선별 검사) 시장에서 주요 경쟁자로 평가되지만 지속적으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때, 유사기업으로서 선정하기에 한계가 존재하여 제외하였습니다.
쓰리빌리언은 2016년에 설립된 희귀유전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인공지능 인간 유전자(gene)의 총합인 유전체(genome)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유전변이(genetic variant)의 병원성(pathogenicity,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을 자동으로 판독하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활용하여 희귀 유전질환 진단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쓰리빌리언은는 희귀 유전질환 환자 진단 검사 과정에서 축적되는 환자 유전체 데이터와 유전변이 정보를 활용해 희귀 유전질환에 적용 가능한 신약 물질을 발굴하는 신사업을 추진하며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때, 유사기업으로서 선정하기에 한계가 존재하여 제외하였습니다.
(4)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
(가) PER 평가방법을 통한 상대가치 산출
[미래 추정 주당순이익을 바탕으로 한 PER 적용 비교가치 산출의 한계] |
① 의의PER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수익성을 중시하는 대표적 지표입니다.PER은 대부분의 기업에 적용하여 계산이 간단하고 자료 수집이 용이하며 산업 및 기업 특성에 따른 위험, 성장율을 반영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② 산출 방법PER 평가방법을 적용한 상대가치는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12개월 실적을 기준으로 산출한 비교대상회사들의 산술평균 PER 배수를 동사의 2028년 추정 순이익을 현가화 및 가중평균하여 계산된 주당 순이익에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비교회사 PER = 비교회사의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12개월 (지배주주)당기순이익 기준 PER※ 동사의 2028년 추정 순이익의 2025년 1분기말 현가 =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 / (1 + 현가할인율 15%)^3.75}※ PER를 이용한 비교가치 = 비교대상회사 PER 배수 X 추정 주당순이익의 현가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비교가치 산정시 비교대상회사들의 주식수는 상장주식수를 반영하였으며, 발행사의 발행주식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주식총수에 신주모집주식수, 희석화가능주식수를 포함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적용주식수:비교대상회사 :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주식수발행회사 : 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수 + 신주모집 주식수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수※ 비교대상회사의 재무자료는 Factset, 각 사의 공개자료 등을 참조하였습니다.③ 한계점- 향후 수년간의 미래 주당순이익을 추정해야 하며 추정과정에서의 여러 단계의 가정이 필요하므로 평가자의 자의성 개입가능성이 있습니다.- 동사의 2028년 추정 주당순이익을 사업의 리스크를 감안한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산정하기 때문에 동사 미래 실적에 추정, 현재가치 할인을 위한 할인율 및 가중평균 비율에 대한 불확실성 및 평가자의 자의성 개입가능성이 있습니다.- 동사가 속한 업종은 매출의 시현 여부도 중요하지만, 연구개발인력의 유출 및 영입 여부, 제품의 경쟁 현황, 정부 정책 변화, 잠재적 특허소송, 경쟁 제품의 출현 등 실적 외의 요소들이 미래 실적 및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정 실적만을 고려한 기업가치평가는 실적 외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계점이 있습니다.- 순손실 시현 기업의 경우 PER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현재의 주가수준은 과거의 실적보다 미래의 예상이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과거 재무제표에 의거한 비교분석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비교대상회사가 동일 업종, 사업분야를 영위하여도 각 회사의 고유한 사업 구조, 매출 구성,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경영진, 경영 전략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 기업을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 배수 결정 요인에는 주당순이익 이외에도 배당 성향 및 할인율, 기업 성장율 등이 있으므로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순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내부유보율, 자본금 규모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할 경우 비교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비교대상회사 간의 적용회계기준 및 연결 대상 기준 차이점 등으로 비교대상회사 간 PER의 비교에 제약사항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은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창출 외에 영업외손익 등이 반영된 최종 결과물이므로 PER을 적용한 비교가치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의 질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
(나) 비교대상회사 PER 산출
상기에서 산출한 기준주가 및 비교대상회사의 2024년 4분기 기준 직전 12개월 당기순이익 수치를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적용 PER을 산출하였습니다.
[2024년 4분기 (지배주주)당기순이익 기준 비교회사 PER 산정] |
(단위: 현지통화, 주) |
구분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2024년 4분기 직전 12개월(지배주주)순이익 (A) | 27,260백만원 | 283백만달러 | 744백만달러 | 188백만유로 |
적용 주식수 (B) | 23,486,560 | 120,147,285 | 224,389,620 | 55,948,257 |
EPS (C=A/B) | 1,160.7원 | 2.4달러 | 3.3달러 | 3.4달러 |
기준주가 (D) | 14,964원 | 105.6달러 | 61.3달러 | 93.7달러 |
PER(배) (E=D/C) | 12.89배 | 44.83배 | 18.49배 | 27.95배 |
4개사 평균 PER(배) | 26.04배 |
출처: | 각사 공시자료 및 Factset |
주1) | 적용순이익은 2024년 4분기 기준 최근4개분기 (지배지분) 순이익의 합계 |
주2) | 적용 주식수는 Factset 를 참조한 상장주식총수입니다. |
주3) | 기준주가는 평가기준일(2024년 3월 28일)로 하여 분석기준일(2025년 3월 28일)의 종가, 5영업일(2025년 3월 24일 ~ 2025년 3월 28일)의 종가, 20영업일(2025년 2월 26일 ~ 2025년 3월 28일) 각 종가 산술 평균 중 낮은 가액을 적용하였습니다.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PER에 의한 지씨지놈 주식회사의 평가가치] |
구 분 | 산출 내역 | 비 고 |
---|---|---|
2028년 추정 순이익 | 22,067백만원 | A (주1) , (주2) |
연할인율 | 15.0% | C (주2), (주3) |
2025년 1분기 기준순이익의 현재가치 | 13,066백만원 | C=A/[(1+B)^3.75] |
적용 당기 순이익 | 13,066백만원 | C |
적용 PER | 26.04배 | D |
기업가치 평가액 | 340,255 백만원 | E=C*D |
적용주식수 | 24,066,666 주 | F (주4) |
주당 평가가액 | 14,140 원 | G = E / F |
주1) |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산정내역은 하단의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평가가액 산출을 위하여 동사의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적용한 이유는 동사가 수립한 사업계획에 따라NGS 기반 액체생검 암 조기선별 제품의 대규모 매출이 가시화 되는 시점의 추정 당기순이익에 PER을 적용하는 것이 동사와 같이 기술에 기반하여 제품을 상업화 완료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에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한편, 이번 기업가치 산정에서 회계기준일 및 공모시점 등을 고려하여 2028년 추정당기순이익에 현가 연할인율은 15%로 산정하였습니다. 다만, 동 현재가치 할인율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주)의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평가기업 적용 실적 및 할인기간 및 유사기업의 2024년말 기준 가중평균 자본비용(WACC)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주3) |
2028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2025년 1분기 말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할인율 15.0%는 2022년 이후 코스닥 기술평가기업의 연할인율 평균인 21.6%와 비교대상회사인 바디텍메드, Revvity, Inc., Hologic, Inc., Diasorin S.p.A.4개 기업의 평균값인 8.65%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산정하였습니다. 비교대상회사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감안한 이유는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사업위험을 고려한 자기자본 조달 비용 및 추가 차입 시 타인자본 조달비용이 동사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동사 적용 연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추정실적 연할인율 평균값인 21.6% 보다 6.6%p 할인된 수치이고 비교대상회사의 자본평균비용 8.65% 대비 6.35%p할증된 수치입니다. 동사는 2024년 말 기준 당좌비율이 388.95%, 유동비율은 427.05%, 부채비율은 22.80%이며, 이는 동업종 평균(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3. 기타 전문, 과학 및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 유동비율 128.7%, 당좌비율 124.3%, 부채비율 62.9%) 대비 양호한 재무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타인자본 조달비용이 업종평균대비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비교대상회사의 경우 상장사로써 비상장사인 자본조달이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당기순이익을 시현하고 있는 바, 사업위험등이 다소 적어 낮은 가중평균자본비용을 보이고 있습니다. 동사의 적용 연할인율은 상기와 같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다만, 동 현재가치 할인율은 인수인의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4) |
적용주식수는 다음의 주식수를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비교대상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 및 변수의 선정 및 적용방법, 비교대상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라. 희망공모가액의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주)지씨지놈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주당 평가가액 | 14,140원 | PER에 의한 평가가치 산출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6.35% ~ 25.74%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9,000원 ~ 10,500원 | - |
확정 주당공모가액 | - | 주2) |
주1) |
주당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 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 대비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 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평균 할인율 대비 하단 기준 3.1%p, 상단기준 1.1%p 낮은 수준입니다. 다만, 신규상장한 기업들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은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별로 달리 책정되었으며, 동사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은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36.35% ~ 25.74%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9,000원 ~ 10,5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2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었으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비교대상회사의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비교대상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 내역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지씨지놈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해 동사가 제시한 아래 추정 손익계산서 항목별 추정 근거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였으며,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3. 기업실사결과 및 평가내용』에 기재한 동사의 시장성(시장의 규모, 시장경쟁 상황), 기술성(기술의 완성도, 기술의 경쟁우위, 기술의 상용화 경쟁력, 연구인력의 수준), 성장성(기업 성장 전략, 향후 사업 계획) 재무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동사가 제시한 추정 손익계산서 및 항목별 추정 근 거가 적정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러나 동사의 사업에는 전방 산업 분야의 지속적 수요 예상 및 매출의 안정적인 증가 여부 등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 위험이 반영되어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시장추정 및 매출추정에 적용된 예상 수주 금액 및 매출액 증가율 예측치 등의 수치는 회사의 사업계획상 목표치 이므로 회사의 입장에서 판단한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향후 실제 매출 및 이익 달성 수준은 현재의 추정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향후에 신규로 발생하는 매출 또는 일부 사업 분야의 급격한 매출 증가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매출구조와 상이할 수 있으며, 동사가 제시한 추정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은 동사의 과거 영업실적과 연속성 및 연관성이 높지 않다는 점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
(1) 추정 손익계산서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매출액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매출원가 | (14,181) | 15,910 | 19,125 | 22,029 | 25,087 |
매출총이익 | 11,707 | 19,708 | 25,492 | 34,328 | 45,026 |
판매비와 관리비 | (12,940) | 14,538 | 14,683 | 16,091 | 17,654 |
영업이익(손실) | (1,234) | 5,170 | 10,809 | 18,237 | 27,372 |
영업외수익 | 2,268 | 283 | 367 | 563 | 785 |
영업외비용 | (2,161) | 232 | 243 | 255 | 26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수익) | (1,127) | 5,221 | 10,933 | 18,545 | 27,889 |
법인세 | 130 | 529 | 1,323 | 2,799 | 5,822 |
당기순이익 | (1,257) | 4,692 | 9,610 | 15,746 | 22,067 |
주1) | 추정 손익계산서는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2) | 동사는 상대가치법 (유사기업 PER)에 따라 2028년 추정 손익을 기반으로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
상기의 추정 손익계산서는 중립적인 매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동사의 낙관적, 중립적, 보수적 시나리오별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나리오별 연도별 추정매출 금액]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낙관적 시나리오 | 25,888 | 38,397 | 51,597 | 68,144 | 87,675 |
중립적 시나리오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보수적 시나리오 | 25,888 | 31,907 | 33,636 | 37,002 | 40,385 |
주1) | 중립적 시나리오의 매출은 동사의 과거 매출정보, 국내 및 해외 매출 성장을 고려한 추정매출입니다. 상기 가정은 동사의 공모가 산정에 반영된 추정실적입니다. |
주2) | 동사의 예상매출 추정은 제품 및 국가별 추정검사검수x예상 판매단가로 추정하였습니다. 보수적 시나리오의 예상매출의 경우 각 제품 추정시에 국가별로 최초 침투 이후 침투율이 성장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낙관적 시나리오의 경우 중립적 시나리오 대비 제품별 침투율이 가파른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다만, 각 제품별 최초 침투율 및 시장침투속도는 제품 별로 추정이 다르므로 자세한 사항은 하기 주요 항목별 추정매출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2) 주요 항목별 추정매출
동사의 임상유전체 분석 검사 서비스는 적용 대상환자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4개(산과검사, 암검사, 유전희귀검사, 검진검사)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산과검사 :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산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산부인과 및 소아과 의료진들에게 병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검사로는 G-NIPT, 산전 CMA, i-Screen조기선별 등이 있습니다.
- 암 검사: 암환자들의 유전적 발생 원인 파악 및 프로파일링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혈액종양내과 및 외과 등 암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나 예후, 위험 평가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Greenplan HRD, Greenplan TBx, Greenplan Hema 등이 있습니다.
- 유전희귀 검사: 약 7,000여종 이상의 유전성 희귀질환 환자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오가와 및 신경과 등 희귀질환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올바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NGS 희귀패널검사, CMA 검사 등이 있습니다.
- 검진 검사: 건강한 성인의 질병 조기 발견 및 예방, 위험성 평가, 가족력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유전체 검사로, 건강검진기관에서 개인별 맞춤형 건강 계획이 가능하도록 유전자 분석 결과와 상대적인 위험도를 평가하여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아이캔서치, 지놈헬스, 지놈스크린 등이 있습니다.
다만, 산과검사 항목에서의 G-NIPT 제품과 검진검사의 아이캔서치 제품은 동사의 핵심기술인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선별 기술(G-PrEMIA)과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을 활용한 동사의 핵심제품으로 동사의 4개 카테고리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주요 카테고리 및 핵심제품의 추정매출 금액] |
(단위: 백만원) |
구분 | 국내외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
핵심기술제품 | G-NIPT | 국내 | 4,168 | 4,408 | 4,866 | 5,285 | 5,665 |
해외 | 617 | 1,017 | 2,270 | 2,886 | 3,570 | ||
아이캔서치 | 국내 | 129 | 1,975 | 3,375 | 4,984 | 6,819 | |
해외 | 5 | 2,248 | 3,264 | 6,765 | 11,383 | ||
기존제품 | 산과검사 | 국내 | 1,741 | 2,012 | 2,308 | 2,561 | 2,774 |
암검사 | 국내 | 10,197 | 13,278 | 16,648 | 20,665 | 25,238 | |
유전희귀검사 | 국내 | 4,885 | 6,197 | 7,225 | 8,364 | 9,622 | |
검진검사 | 국내 | 4,122 | 4,482 | 4,662 | 4,848 | 5,042 | |
기타 | 국내 | 24 | - | - | - | - | |
합계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주1) | 산과검사 카테고리의 매출에는 G-NIPT의 매출이 제외된 금액이며, 검진검사에는 아이캔서치의 매출이 제외된 금액입니다. |
주2) | 2024연도의 기타매출은 대학교 및 병원 연구용역 서비스매출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향후 매출추정 시 제외하였습니다.. |
(3) 항목별 매출액 세부 추정 및 근거(가) G-NIPT 동사의 G-NIP T제품은 산모의 혈액내에 존재하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태아의 세포유리 DNA를 분석하여 다운증후군, 에드워드증후군, 파타우증후군 등 다양한 염색체 결실 및 중복 증후군 질환을 검출하는 비침습적 산전 태아 염색체 이상 선별검사입니다. 고위험 임산부란 임신으로 인해 산모와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일반 산모에 비해 높은 산모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산모의 나이가 19세 이하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본인이나 직계가족의 유전적 질환이나 선천성 기형 병력이 있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2013년 미국산부인과협회(ACOG)에서 고위험 임산부의 산전검사로 NIPT 검사를 권장하면서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후 2020년 미국산부인과협회는 전연령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NIPT 검사를 권장하면서 동사의 국내와 해외 매출은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산모의 고령화는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있고 국내 보건복지부 산하의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에서도 NIPT검사를 포함한 산전검사의 중요성을 기재하고 있는 바, 산모들의 NIPT 채택률은 올라갈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한국을 포함한 해외국가들의 신생아 수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를 고려하여 매출을 산정하였습니다.
[동사 G-NIPT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한국 | 4,168 | 4,408 | 4,866 | 5,285 | 5,665 |
그리스 | 117 | 4 | 5 | 5 | 6 |
튀르키에 | 2 | 35 | 42 | 50 | 59 |
바레인 | - | 2 | 3 | 3 | 4 |
카타르 | 1 | 4 | 5 | 6 | 8 |
사우디 | - | 91 | 120 | 154 | 191 |
UAE | 168 | 14 | 19 | 24 | 31 |
캄보디아 | 34 | 61 | 78 | 97 | 117 |
인도네시아 | 263 | 544 | 720 | 919 | 1,140 |
태국 | - | 87 | 113 | 142 | 173 |
베트남 | - | 176 | 1,165 | 1,485 | 1,841 |
합계 | 4,785 | 5,426 | 7,136 | 8,171 | 9,235 |
동사의 G-NIPT 추정은 1) 국가별 추정연도 신생아 수, 2) 산모의 NIPT 검사선택률, 3) 검사수출 비중, 4) 동사의 추정침투율을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국가별 동사의 G-NIPT 예상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금액을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가별 추정연도 신생아 수 한국의 경우 KOSIS 국가통계포털의 신생아 통계를 이용하여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신생아의 연평균 성장률 -7.0%를 추산하였으며 이를 2024년을 포함한 추정연도의 신생아 수에 적용하여 신생아 수를 가정하였습니다. 해외 국가들의 경우 국내와 동일한 신생아 수의 통계를 공통적으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어 UN의 World Data를 참고하여 산모 1명당 신생아 1명의 비율을 적용하였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각 국가별 CAGR을 통해 신상아 수를 추산하였습니다.
[국가별 추정 신생아 수] |
(단위: 명) |
지역별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국가별 신생아수 적용 CAGR |
---|---|---|---|---|---|---|---|
국내 | 한국 | 215,621 | 200,574 | 186,577 | 173,557 | 161,445 | -7.0% |
유럽 | 그리스 | 74,308 | 72,785 | 71,294 | 69,833 | 68,403 | -2.0% |
튀르키에 | 1,123,038 | 1,085,162 | 1,048,563 | 1,013,199 | 979,027 | -3.4% | |
중동 | 바레인 | 15,309 | 14,641 | 14,003 | 13,392 | 12,808 | -4.4% |
카타르 | 25,830 | 25,601 | 25,373 | 25,148 | 24,925 | -0.9% | |
사우디 | 618,741 | 615,249 | 611,776 | 608,323 | 604,890 | -0.6% | |
UAE | 96,665 | 96,708 | 96,751 | 96,795 | 96,838 | 0.0% | |
동남아 | 캄보디아 | 308,415 | 304,351 | 300,342 | 296,385 | 292,480 | -1.3% |
인도네시아 | 4,396,123 | 4,363,204 | 4,330,531 | 4,298,102 | 4,265,917 | -0.7% | |
태국 | 600,827 | 586,992 | 573,474 | 560,268 | 547,366 | -2.3% | |
베트남 | 1,425,373 | 1,413,168 | 1,401,067 | 1,389,071 | 1,377,177 | -0.9% |
출처: | 통계청-인구동향조사(2024.08),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07) |
2) 산모의 NIPT 검사선택률 가정 및 유효시장 Wiley Online Library, Sage Journals 등의 학술지에 따르면 유럽국가들의 NIPT 채택률은 25%~40% 중동 및 동남아시아의의 채택률은 10%~2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추산된 신생아 수에 NIPT 검사 선택 추세에 대한 문헌 조사를 근거로 NIPT 검사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효 신생아 수를 도출하였습니다.
[국가별 NIPT 수검 신생아 수 추정] |
(단위: 명) |
지역별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2024연도의NIPT 채택률 가정 | 이후 추정연도의NIPT 채택률 연상승률 |
---|---|---|---|---|---|---|---|---|
국내 | 한국 | 30,187 | 32,493 | 34,330 | 35,753 | 36,810 | 14% | 2.2% |
유럽 | 그리스 | 18,577 | 20,380 | 22,101 | 23,743 | 25,309 | 25% | 3.0% |
튀르키에 | 280,759 | 303,845 | 325,055 | 344,488 | 362,240 | 25% | 3.0% | |
중동 | 바레인 | 1,531 | 1,757 | 1,960 | 2,143 | 2,305 | 10% | 2.0% |
카타르 | 2,583 | 3,072 | 3,552 | 4,024 | 4,486 | 10% | 2.0% | |
사우디 | 61,874 | 73,830 | 85,649 | 97,332 | 108,880 | 10% | 2.0% | |
UAE | 9,667 | 11,605 | 13,545 | 15,487 | 17,431 | 10% | 2.0% | |
동남아 | 캄보디아 | 30,841 | 36,522 | 42,048 | 47,422 | 52,646 | 10% | 2.0% |
인도네시아 | 439,612 | 523,584 | 606,274 | 687,696 | 767,865 | 10% | 2.0% | |
태국 | 60,083 | 70,439 | 80,286 | 89,643 | 98,526 | 10% | 2.0% | |
베트남 | 142,537 | 169,580 | 196,149 | 222,251 | 247,892 | 10% | 2.0% |
출처: | Current use of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in Europe, Australia and the USA: A graphical presentation (Wiley Online Library, 2020.05.13),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Women Toward Prenatal Genetic Testing ( Sage Journals, 2018.12.04) |
주1) | 2024연도의 NIPT 채택률은 Wiley Online Library, Sage Journals의 학술지에 기재된 각 지역별 최소 NIPT 채택률을 가정하였으며 이후 추정연도의 NIPT채택률의 연상승률은 지역별 NIPT 채택률의 최대 채택률까지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
3) 검사수출 비중 적용 검사수출은 임상유전체 검사 분석 서비스를 해외기업에 위탁하는 것을 의미하고 국가별 Key Opinion Leader(KOL, bioHellenika사 George Koliakos CEO(그리스), Grovo A.S.사 Tolga Tapcalap(CEO)(튀르키예), Onelab Corp.사 Hoan Thi Thah Huyen(CEO)(베트남), Whiteroom Med Company Lmited사 Peetat Sutthinoon (CEO)(태국), CITO사 Ermawan Fetrianto (Sales Manager)(인도네시아) 등 주요거래국 CEO 및 의사)의 의견을 참고하여, 약 20%의 검사가 해외로 수출되는 것으로 일괄 가정하였습니다. NIPT 채택률을 적용하여 도출한 신생아수가 동사 G-NIPT제품의 유효시장으로 판단되나, 보수적인 추정을 위하여 검사수출 비중을 적용하여 유효시장의 범위를 더욱 한정하였습니다. 한편, 베트남의 경우 계열회사인 녹십자홀딩스가 2026년부터 베트남 Phennika사와의 합작투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해당 현지법인을 통하여 유전체 검사 센터를 설립하여 제품을 판매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베트남시장에서는 2026년부터 검사수출의 비중을 100%로 가정하였습니다.
[국가별 동사의 NIPT 수검 유효 건수 추정] |
(단위: 건) |
지역별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검사수출 비중 가정 |
---|---|---|---|---|---|---|---|
국내 | 한국 | 30,187 | 32,493 | 34,330 | 35,753 | 36,810 | 해당없음 |
유럽 | 그리스 | 3,715 | 4,076 | 4,420 | 4,749 | 5,062 | 20% |
튀르키에 | 56,152 | 60,769 | 65,011 | 68,898 | 72,448 | 20% | |
중동 | 바레인 | 306 | 351 | 392 | 429 | 461 | 20% |
카타르 | 517 | 614 | 710 | 805 | 897 | 20% | |
사우디 | 12,375 | 14,766 | 17,130 | 19,466 | 21,776 | 20% | |
UAE | 1,933 | 2,321 | 2,709 | 3,097 | 3,486 | 20% | |
동남아 | 캄보디아 | 6,168 | 7,304 | 8,410 | 9,484 | 10,529 | 20% |
인도네시아 | 87,922 | 104,717 | 121,255 | 137,539 | 153,573 | 20% | |
태국 | 12,017 | 14,088 | 16,057 | 17,929 | 19,705 | 20% | |
베트남 | 28,507 | 33,916 | 196,149 | 222,251 | 247,892 | 20%/해당없음 |
4) 추정 침투율 적용국내 시장은 2024년 G-NIPT 검사의 시장 점유율 회사 추산치인 32%를 산정하였으며, 동사의 국내 G-NIPT 시장 성장세를 감안하여 2028년 38% 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한편 해외시장의 경우 국가별 경쟁환경과 해외 진출 시 초기침투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별로 0.5%~5.0% 범위내에서 침투율을 가정하였으며 이후 성장률은 국내 성장률 대비 다소 느린 0.1%~0.5%를 가정하여 검사건수를 추산하였습니다.
[동사 G-NIPT 검사건수 추정] |
(단위: 건) |
국가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최초 시장침투율 가정 |
이후 추정연도NIPT 시장침투율상승률 가정 |
---|---|---|---|---|---|---|---|---|
국내 | 한국 | 9,660 | 10,885 | 12,016 | 13,050 | 13,988 | 32.0% | 1.5% |
유럽 | 그리스 | 19 | 23 | 28 | 33 | 38 | 0.5% | 0.1% |
튀르키에 | 168 | 213 | 260 | 310 | 362 | 0.3% | 0.1% | |
중동 | 바레인 | 9 | 12 | 16 | 19 | 23 | 3.0% | 0.5% |
카타르 | 15 | 22 | 28 | 36 | 45 | 3.0% | 0.5% | |
사우디 | 371 | 517 | 685 | 876 | 1,089 | 3.0% | 0.5% | |
UAE | 58 | 81 | 108 | 139 | 174 | 3.0% | 0.5% | |
동남아 | 캄보디아 | 308 | 411 | 526 | 652 | 790 | 5.0% | 0.6% |
인도네시아 | 2,638 | 3,665 | 4,850 | 6,189 | 7,679 | 3.0% | 0.5% | |
태국 | 360 | 493 | 642 | 807 | 985 | 3.0% | 0.5% | |
베트남 | 855 | 1,187 | 7,846 | 10,001 | 12,395 | 3.0% | 0.5% |
주1) | 2024년 초기침투율은 파트너사의 관계 및 국가별 경쟁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별로 0.5%~5.0% 범위내에서 최초침투율을 가정하고 이후 추정연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예상 판매단가는 동사의 내부 사업계획 및 기진출 국가의 판매단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추정연도간 가격변동은 없는 것으로 추산하였고 상기 추정 검사건수에 예상 판매단가를 적용한 동사의 G-NIPT 국가별 추정 매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G-NIPT 국가별 판매단가 및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국가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G-NIPT판매단가 가정 |
---|---|---|---|---|---|---|---|
국내 | 한국 | 3,912 | 4,408 | 4,866 | 5,285 | 5,665 | 300달러 |
유럽 | 그리스 | 3 | 4 | 5 | 5 | 6 | 120 달러 |
튀르키에 | 27 | 35 | 42 | 50 | 59 | 120 달러 | |
중동 | 바레인 | 2 | 2 | 3 | 3 | 4 | 130 달러 |
카타르 | 3 | 4 | 5 | 6 | 8 | 130 달러 | |
사우디 | 65 | 91 | 120 | 154 | 191 | 130 달러 | |
UAE | 10 | 14 | 19 | 24 | 31 | 130 달러 | |
동남아 | 캄보디아 | 46 | 61 | 78 | 97 | 117 | 110 달러 |
인도네시아 | 392 | 544 | 720 | 919 | 1,140 | 110 달러 | |
태국 | 63 | 87 | 113 | 142 | 173 | 130 달러 | |
베트남 | 127 | 176 | 1,165 | 1,485 | 1,841 | 110 달러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동사는 해외진출에 있어 하기와 같은 진출국별 주요 파트너사와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으며 이를통해 해외진출 주요 판로를 개척 및 확장하고자 합니다.
구분 | 그리스 | 튀르키예 | 바레인 | 카타르 | 사우디 |
---|---|---|---|---|---|
Biohellenika S.A. | Grovo A.S. | Bio Lab | KMC | Advanced Cell Laboratory | |
사업영역 | -업태: 진단 및 분석병리 커머셜랩 -업력 및 직원 수: 2005년, 100명 내외 -사업지역: 그리스,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남유럽 인근 주변국가) 및 필리핀 (지사운영) | -업태: 진단 및 분석병리 커머셜랩 -업력 및 직원 수: 2012년, 30-40 명 -사업지역: 튀르키예 전 지역 (앙카라, 이스탄불 집중) | -업태: 진단 및 분석병리 커머셜랩, 유전상담센터 -업력 및 직원 수: n/a, 30-40 명 -사업지역: 바레인 전 지역 | -업태: 종합 건강검진센터 -업력 및 직원 수: 2024년 7월, 약 103명 -사업지역: 카타르 도하 | -업태: 진단 및 분석병리 커머셜랩 (ISO-15189 및 CAP, CBAHI 인증 보유) -업력 및 직원 수: 2004년 약 135명 -사업지역: 사우디아라비아 전역 (리야드, 담맘, 알-아사 등 주요 4개 도시) |
협업계기 | -2024년 콜드메일로 협력 제안하며 연결되었으며 이후 대표자 (Dr. Koliakos)의 한국 출장 및 목암 캠퍼스 방문하여 검사 세미나 후 계약 체결 | -2024년 콜드메일로 협력 제안하며 연결 (기존 일루미나 社의 Verify NIPT 검사를 운영하던 업체였으며, 가격 경쟁력이 있는 대체 검사를 수배하던 중 컨텍되어, 신속한 계약체결) | -2021년 콜드메일 통해 연결되었으며 유전희귀질환에 대한 수요로 동사 컨택 (NIPT, WES, 유전성암패널 등 주요 운영) | - KMC 파트너사 중 1처였던 국내 클리닉에서 유전자 검사 현지 도입을 목적으로 동사를 소개/ 이후 2023년 한-카타르 경제협력포럼 (산업통상부 및 대통령 초청행사) 을 통해 정식으로 MOU 를 체결하며 본격적인 협업 시작 | -2023년 MEDLAB 전시회에서 연결 (부스 방문 및 상담 후 계약 체결) |
협업방식 | -그리스 및 남유럽 일대의 인근국가에서 수배한 검체를 그리스 소피아 (현지 허브) 로 1차 집배송 뒤, TNT 해외특송 서비스를 통해 한국으로 2차 발송하여 수탁검사 진행 | -튀르키예 앙카라, 이스탄불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부인과 네트워크 채널 (300처 이상의 산부인과 거래처 보유) 을 통해 산전검사 위수탁 운영 | -바레인 소재의 유일한 거래처로 해당 기관을 통해 바레인 정부 병원을 포함한 전역의 검체가 수거, 동사로 발송됨 - 현지 병원 문의 사항 발생시 동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피드백 제공 | - 검진센터 내 검진팩키지 (노인 건강 프로그램, 여성질환 검진 프로그램 등)에 속한 동사의 검사 서비스 상담 후 적합검체 발송하여 수탁검사 진행 | - 동사 콘텐츠의 현지화 마케팅 (동영상, 브로슈어)을 통해 end user 및 병의원 접근 |
주요특징 및 기대점 | -대표거래품목: G-NIPT 등 - TNT 특송 서비스를 활용한 검체 운송 최적화 및 비용 절감 서유럽 경쟁사 대비 30%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G-NIPT 제공 가능 -암 및 희귀질환 검사 확대 가능성 협의 중 | -대표거래품목: G-NIPT 등 -기존 이스탄불 앙카라 중심 영업에서 전국 단위 확장 진행중으로 시장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음 -글로벌 NIPT 기업의 검사에서 QC Fail 문제 발생으로 의료기관의 대체 솔루션 요구 증가하고 있는 추세 -희귀질환 검사까지 점진적으로 공급을 늘려 매출을 확장할 예정 | -대표거래품목: G-NIPT, WES, 유전성암패널 등 -bio LAB 기관 내에서 검사 전 환자 상담부터 결과에 대한 상담까지 전문 유전 상담사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어 현지에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음 -정부병원 (Salmaniya Medical Complex)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성장 동력 확보 | -대표거래품목: 아이캔서치, 그린바이옴 등 -중동 소재 글로벌 대기업 Elegancia Health care Group 이 100% 지분출자하고 한국 서울아산병원 컨설팅을 통해 설립된 고급 건강검진 센터로, 10인 이상의 한국 전문의와 첨단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음. -최근 산부인과 및 난임센터를 추가로 개소하며, G-NIPT 와 여성암 패널검사를 의뢰가 예상됨 | -대표거래품목: G-NIPT, 지놈헬스 등 - NUPCO 입찰 Sole Partnership을 체결하고, 2024년에 고형암 패널검사 및 WES 희귀질환 검사 및 22개 검사 항목으로 입찰 지원 (입찰 규모 : 최대 40억원) -지속적으로 공공 입찰 프로젝트 수요 모색 |
구분 | UAE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 태국 | 베트남 |
---|---|---|---|---|---|
Life Diagnostics | BIO TRUST | CITO | White Room Medical, WRM | K-Labtech | |
사업영역 | -업태 : 분석 연구소 -업력 및 직원수: 1998년, 약 15명 -사업지역 : 아랍에미리트 전역 | -업태: 분석 연구소 (ISO9001-2015) -업력 및 직원 수: 2021년, 약 20여 명 -사업지역 및 규모: 캄보디아 내 150처 이상의 병의원과 협력중 | -업태: 진단 및 분석병리 커머셜랩 -업력 및 직원 수: 1967년, 약 300명 -사업지역: 인도네시아 전역에 19개 지사 운영 (Branch Lab 또는 영업사무소) | -업태: 일반 수탁기관 (Distributor) -업력 및 직원 수: 2022년, 약 30명 -사업지역 및 규모: 방콕 등지에서 102개 이상 병의원과 협력중 | -업태 : 일반 수탁기관 (Distributor) -업력 및 직원수 : 2017년, 직원 수 12명 -사업지역 : 호치민, 하노이 |
협업계기 | -2021년 MEDLAB 전시회 연결 | -2021년 NIPT 인바운드를 계기로 계약 체결 | -2018년 인바운드로 최초 연결이 되었으며 CITO 측 동사 내방을 계기로 협업 본격화 | -Bio Asia Pacific 전시회 통해 연결되었으며 타기관 NIPT 이용중이었으나 한국에서의 GC 인지도를 활용하여 G-NIPT로 성공적 수탁 전환 이루어짐 | -녹십자의료재단과 거래 중 유전체검사에 대한 관심으로 동사로 검사를 의뢰하게 됨, 동사의 첫번째 해외사업 파트너사이기도 함 |
협업방식 | - 주요 거래 품목이 특정되어 있지 않으며 Life Diagnostics 사 기존 병의원 네트워크 유전사 검사 문의 발생시 품목과 관계 없이 동사 수행 가능 여부 확인이 이루어짐 - UAE내 모든 영업/마케팅 활동 직접 담당 | -본 기관을 통해 프놈펜 지역의 검체 수거가 이루어짐 - VIP 병원 대상 영업 활동 수행 | -자카르타의 중앙 클리닉, 실험실을 거쳐 인도네시아 전역의 검체가 한국으로 운송되는 시스템 | - 소비자직접유전자검사(DTC) 비즈니스 모델 위주로 영업중이나 일부 소규모 병의원 대상으로도 영업 활동 수행 - G-NIPT 현지화 마케팅 강화 |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소재의 대형 종합병원 또는 국립병원을 대상으로 WES, DGS 등 희귀질환 진단서비스 유통 및 판매 |
주요특징 및 기대점 | -대표거래품목: 그린바이옴 등 -오래된 업력만큼 UAE내 병의원 네트워크가 탄탄하여 유전자 검사에 대한 문의가 특정 품목에 국한되지 않음 | -대표거래품목: G-NIPT, 지놈헬스, 아이캔서치 등 -캄보디아 내 NIPT 공급 선발주자로 VIP 대상 프리미엄 병원과의 신뢰가 두터우며, NIPT 외 고가 품목(아이캔서치, WES) 에 대한 수요도 새롭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 -캄보디아 내에서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지도가 타 국가 대비 비교적 저조하여, 출장을 통해 현지 임직원 및 병의원 대상 정기 교육 진행 | -대표거래품목: G-NIPT, 유전성암패널 등 -인도네시아 4위 수탁 기관으로 충분한 검체 확보가 가능 -G-NIPT 수검자 대상 여성암 유전자검사 패널도 권장하여 추가 매출 발생 기회 확보 -illumina 시퀀서 보유하여 중장기 플랜으로 기술 이전 가능성 있음 | -대표거래품목: G-NIPT, 약물유전체검사 등 -본 기관은 최초 마케팅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했던 기관인 만큼 동사 검사의 현지화 마케팅에 특장점을 갖고 있는 기관으로, 태국 내 한국이 가지는 긍정적 이미지를 함께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최근 헬스케어 담당을 위한 기관이 따로 분화되어, 더욱 전문성을 갖추며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 대표거래품목: WES, 고형암 패널 등 - 하노이 아동병원, 빈맥 국제종합병원 의 종양과, 희귀질환 과 전문의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보유 |
(나) 아이캔서치 동사의 아이캔서치 제품은 사람의 혈액내에 존재하는 세포유리 DNA 중 무증상 일반인 혹은 암환자에게서 검출되는 순환 종양 DNA를 검출하여 동사의 분석기술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암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고 어떤 암종인지 예측하여 수검자에게 안내하는 액체생검 기반 유전체 검사 서비스입니다.동사의 아이캔서치 제품의 기술은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므로 전체 유전체 변이의 탐지가 가능하고 포괄적 유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번의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다종의 암을 선별할 수 있으나, 현재 동사는 임상적 성능검증이 이뤄져 뛰어난 검사성능이 확보된 6개 암종(폐암, 대장암, 간암, 식도암, 췌담도암, 난소암)을 검사하는 다중암 선별검사 제품 아이캔서치를 2023년 9월, 국내에 출시하였습니다. 한편, 동사는 아이캔서치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하여 2023년 4월 미국 Genece Health사에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계약에 따라 Genece Health는 종양 액체생검 기술 특허의 북미(미국, 캐나다)에 대한 독점적 전용실시권 및 상업화 권리를 취득하게 되며, 동사는 Genece Health로부터 계약금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을 수취하였으며,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를 수령하게됩니다. 다만, Genece Health에서는 미국에서의 아이캔서치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시장 수요를 고려하여 단일암종 조기선별 제품을 런칭할 예정이며, 2025년 4분기에 폐암 조기선별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동사-Genece Health의 기술수출 계약조건] |
구분 | 세부 내용 | 수령액 |
---|---|---|
선급금 |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 수령완료) | |
개발 마일스톤 | 첫 상업화 | 0.5백만달러 |
미국 특허 등록 | 1백만달러 | |
FDA 허가 | 비공개 | |
진입 지역 확장 | 비공개 | |
판매 마일스톤 |
누적 순매출액 1억달러 달성 시 |
비공개 |
판매 로열티 | 연 순매출액의 6~7% 로열티(매출액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주2) | 기재내용 외 비공개 금액에 대해서는 파트너사와의 비밀유지 합의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따라서 동사의 아이캔서치 매출추정 또한 국내를 포함한 다중암 조기선별 제품의 매출추정과 미국시장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의 매출을 구분하여 추정하였으며, 제품 및 국가별 상세 매출 추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사 아이캔서치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아이캔서치 (다중암 조기선별) | 134 | 2,119 | 5,982 | 10,297 | 15,168 |
한국 | 129 | 1,975 | 3,375 | 4,984 | 6,819 |
일본 | - | 140 | 2,551 | 5,090 | 7,930 |
베트남 | - | - | 15 | 142 | 290 |
카타르 | 5 | - | 5 | 9 | 15 |
태국 | - | 4 | 36 | 72 | 113 |
아이캔서치(단일암 조기선별) | - | 2,104 | 657 | 1,451 | 3,035 |
마일스톤 | - | 2,025 | - | - | - |
판매 로열티 | - | 79 | 657 | 1,451 | 3,035 |
합계 | 134 | 4,223 | 6,639 | 11,748 | 18,203 |
1) 아이캔서치 (다중암 조기선별, MCED, Multi-Cancer Early Detection)동사의 아이캔서치(다중암 조기선별) 제품의 추정은 1) 국가별 적합모집단 , 2) 표준검사 수행률, 3) MCED 권고율 , 4) MCED 수용률, 5) TSO 검사 비중 및 추정 침투율을 고려하여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국가별 동사의 아이캔서치 예상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금액을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국가별 적합모집단 아이캔서치는 암 조기선별 제품으로 대표 암종인 대장암 검진 대상 기준을 참고하여 각 국가별 50세부터 74세까지의 모든 인구를 적합모집단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국가별 50세~74세 검진 대상 인구 추정] |
(단위: 명)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한국 | 18,658,026 | 18,946,067 | 19,191,398 | 19,375,844 | 19,522,294 |
일본 | 40,690,548 | 40,474,703 | 40,372,833 | 40,314,090 | 40,292,019 |
베트남 | 22,720,909 | 23,271,384 | 23,846,863 | 24,402,955 | 24,930,085 |
카타르 | 338,432 | 355,436 | 373,838 | 394,000 | 416,312 |
태국 | 22,783,231 | 23,003,941 | 23,187,224 | 23,353,992 | 23,508,486 |
출처: | 통계청-인구동향조사(2024.08), Population Pyramids of the World from 1950 to 2100 (Population Pyramid, 2024.07) |
주1) | 2023년말 기준 각 국가별 연령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추산하였습니다. |
나) 표준검사 수행률 적용검진 대상 인구 중 실제로 주기적인 검진을 받는 비율을 적용하여 보수적으로 유효시장을 추산하고자 하였으며, 대표적인 암으로 국가별로 표준검사 수행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장암 표준검사 수행률을 각 국가별로 적용하였습니다.
[암 검진 수행 인구 추정] |
(단위: 명)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표준검사수행률 |
---|---|---|---|---|---|---|
한국 | 12,015,769 | 12,201,267 | 12,359,260 | 12,478,044 | 12,572,357 | 64.4% |
일본 | 17,985,222 | 17,889,819 | 17,844,792 | 17,818,828 | 17,809,072 | 44.2% |
베트남 | 1,545,022 | 1,582,454 | 1,621,587 | 1,659,401 | 1,695,246 | 6.8% |
카타르 | 101,530 | 106,631 | 112,151 | 118,200 | 124,894 | 30.0% |
태국 | 2,055,047 | 2,074,955 | 2,091,488 | 2,106,530 | 2,120,465 | 9.0% |
출처: | Trends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Rates in Korea: Korean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2005-2020(KNCSS, 2022.04.22), Cost of illness for colorectal cancer in Japan - a time trend and future projections (1996-2035) based on governmental statistics(National Cancer Registry System, 2023.08.22), Non-Communicable Diseases & Healthcare Demand (National Health and Morbidity Survey, 2023) |
주1) | 2023년말 기준 각 국가별 연령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추산하였습니다. |
다) 다중암 조기선별 (MCED, Multi-Cancer Early Detection) 권고율 적용직접적인 검진수요 대상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주기적인 검진을 받은 적합 모집단에 의료진의 MCED 권고율을 적용하여 모집단을 더욱 보수적으로 추정하고자하였습니다. 적용 권고율은 NIH(미국 국립보건원)의 대규모 학술의료 시스템에 게재된 문헌 상 939명의 1차 진료 제공자(의사, 레지던트/펠로우, 등)에게 보낸 설문 결과에 따르면, 실무에서 MCED 사용에 대한 수용도 관련 문항의 평균 점수는 3.62점(5.00점 만점)이고 이는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 시 72.4%로 나타나고 이를 국가별 사용화 시기의 첫 해 MCED 권고율로 설정하였으며, 이후 MCED 권고율은 국내 암 검진 수검률을 기준으로 최근 4개년(2020~2023년)까지 연평균 약 6.4% 증가한것을 고려하여 다중암 조기검진 수검 권고율을 보수적으로 추정하여 매년 3%씩 상승할 것으로 가정하고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여 검사에 대한 유효 인구를 파악하였습니다.
[암 검진 수행인구 중 의료진의 MCED 권고 인구 추정] |
(단위: 명) |
국가 | 2024연도(적용 권고율) | 2025연도(E) (적용 권고율) | 2026연도(E) (적용 권고율) | 2027연도(E) (적용 권고율) | 2028연도(E) (적용 권고율) | MCED상용화 시기 |
---|---|---|---|---|---|---|
한국 | 8,699,417(72.4%) | 9,098,729 (74.6%) | 9,493,044(76.8%) | 9,871,809(79.1%) | 10,244,816(81.5%) | 2024년이후 권고율 연 3% 상승 가정 |
일본 | 13,021,301 (72.4%) | 12,952,229 (72.4%) | 13,307,218 (76.8%) | 13,686,492(76.8%) | 14,089,369 (79.1%) | 2025년 이후 권고율 연 3% 상승 가정 |
베트남 | 1,118,596 (72.4%) | 1,145,697 (72.4%) | 1,174,029(72.4%) | 1,237,449(74.6%) | 1,302,104 (76.8%) | 2026년 이후 권고율 연 3% 상승 가정 |
카타르 | 73,508 (72.4%) | 77,201 (72.4%) | 83,633 (74.6%) | 90,788(76.8%) | 98,808 (79.1%) | 2025년 이후 권고율 연 3% 상승 가정 |
태국 | 1,487,854 (72.4%) | 1,502,267 (72.4%) | 1,559,664(74.6%) | 1,618,008(76.8%) | 1,677,573 (79.1%) | 2025년 이후 권고율 연 3% 상승 가정 |
출처: | Primary Care Provider Receptivity to Multi-Cancer Early Detection Test Use in Cancer Screening(Christopher V Chambers, 2023.11.29) |
라) MCED 수용률 적용추가적으로, 의사들이 권고한 검사유효인구에서 실제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의향이 있는 수검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MCED 수용률을 적용하여 추정검사건수를 추산하였습니다. Syneos Health의 시장조사에 따르면 1차 의료진은 32%의 환자가 100달러에서 500달러의 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감수하고 액체생검을 통한 조기암 검진 검사를 수요할 의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해당 비율을 국가별 상용화 시기의 첫 해 MCED 수용률로 설정하였으며, 이후 MCED 수용률은 국내 암 검진 수검률을 기준으로 최근 4개년(2020~2023년)까지 연평균 약 6.4% 증가한것을 고려하여 다중암 조기검진 수검 권고율을 보수적으로 추정하여 매년 3%씩 상승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MCED 권고 인구중 MCED 수용환자 추정] |
(단위: 명) |
국가 | 2024연도(적용 수용률) | 2025연도(E) (적용 수용률) | 2026연도(E) (적용 수용률) | 2027연도(E) (적용 수용률) | 2028연도(E) (적용 수용률) | MCED 수용률32% 적용시기 |
---|---|---|---|---|---|---|
한국 | 2,783,813(32.0%) | 2,998,941 (33.0%) | 3,222,775 (33.9%) | 3,451,902 (35.0%) | 3,689,802 (36.0%) | 2024년,이후 수용률 연 3% 성장 가정 |
일본 | 4,166,816 (32.0%) | 4,144,713 (32.0%) | 4,386,059 (33.0%) | 4,646,400 (33.9%) | 4,926,667 (35.0%) |
2025년 이후 수용률 연 3% 성장 가정 |
베트남 | 357,951 (32.0%) | 366,623 (32.0%) | 375,689 (33.0%) | 407,863 (33.9%) | 442,049 (35.0%) | 2026년 이후 수용률 연 3% 성장 가정 |
카타르 | 23,523 (32.0%) | 24,704 (32.0%) | 27,565 (33.0%) | 30,821 (33.9%) | 34,550 (35.0%) | 2025년 이후 수용률 연 3% 성장 가정 |
태국 | 476,113 (32.0%) | 480,725 (32.0%) | 514,065 (33.0%) | 549,294 (33.9%) | 586,601 (35.0%) | 2025년 이후 수용률 연 3% 성장 가정 |
출처: |
Syneos Health primary quantative research of 56 US Primary Care Physicians, January 2022 |
마) 검사수출 비중 및 시장 침투율 적용추가적으로, G-NIPT 매출 추정 근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외진출 검사 분석 서비스는 해외에서의 검사 위탁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고려해야하는 바, 검사수출 비중은 20%로 일괄 가정하였습니다. 다만, 검사수출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국내직접 매출 혹은 해외 검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진행하는 국가의 경우 검사수출 비율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검사건수를 추정하기 위한 단계로 동사의 시장 침투율을 적용하였습니다. 액체생검 기반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는 유전자 분석 패널검사 승인기관(병원 및 의료재단 등)을 통해 공급되므로 최종 소비자의 수요만큼 병원 및 검진센터 등으로 판매처 확대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홍보 뿐만 아니라 판매처의 확보도 필요하므로 런칭과 동시에 높은 시장침투율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따라 초기 침투율은 현재 국내 아이캔서치 서비스 검진자 수를 기반으로 추정된 0.07%를 적용하였으며(해외 진출국의 경우 보수적인 추정을 위하여 0.01% 가정), 최대 침투율의 경우 검진센터의 VIP 검진율이 1.5%임을 고려하여 국내는 1.3%, 기타국가는 1.0% 가정하고 이후 13년의 기간동안 최대점유율을 달성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국가별 동사의 아이캔서치 수검 유효 건수 추정] |
(단위: 건)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검사수출 비율 적용 |
최초 시장침투율 가정 |
이후 추정연도시장침투율상승률 가정 |
---|---|---|---|---|---|---|---|---|
한국 | 1,949 | 4,937 | 8,354 | 12,214 | 16,547 | 해당없음 | 0.07% | 0.09% |
일본 | - | 207 | 3,779 | 7,541 | 11,748 | 해당없음 | 0.01% | 0.08% |
베트남 | - | - | 38 | 351 | 717 | 해당없음 | 0.01% | 0.08% |
카타르 | - | - | 5 | 10 | 16 | 20% | 0.01% | 0.08% |
태국 | - | 10 | 89 | 178 | 280 | 20% | 0.01% | 0.08% |
[아이캔서치(다중암 조기선별) 국가별 판매단가 및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국가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판매단가 가정 |
---|---|---|---|---|---|---|
한국 | 585 | 1,975 | 3,375 | 4,984 | 6,819 | 주2) |
한국 아이캔서치판매단가 (달러) | 222.2 | 296.3 | 299.3 | 302.3 | 305.3 | |
일본 | - | 140 | 2,551 | 5,090 | 7,930 | 일괄 500달러 |
베트남 | - | - | 15 | 142 | 290 | 일괄 300달러 |
카타르 | - | - | 5 | 9 | 15 | 일괄 680 달러 |
태국 | - | 4 | 36 | 72 | 113 | 일괄 300달러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주2) | 국내가격은 현재 거래처 공급가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향후 암종 확대(6종~10종)에 따라 2025년 33.3%의 가격인상을 가정하고 이후 연 1.0%의 가격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참고로 동사는 해외 진출에 있어 국가별로 하기와 같은 제품 및 영업전략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출시기가 국가별로 상이합니다.
일본 | 베트남 | 카타르 | 태국 | |
---|---|---|---|---|
진출시기 | 2025년 | 2026년 | 2026년 | 2025년 |
사업전략 | 가격-성능-임상 균형을 통해 시장 침투① 재생의학클리닉 기반 시장 진입 목표로 현지화 맞춤 제품 설계② 로컬 검사 대비 신뢰할만한 임상 결과 data 기반과 차별화된 기술로 포지셔닝 | 사업전략: GC홀딩스-Phenikaa 의료사업 제휴 협약으로 검진센터설립 (유전자검사/암검진센터 포함) | 2024년 체결된 파트너사인 KMC(종합검진센터/도하)를 통해 중동지역 걸프협력회의 이의료 관광 수요 흡수 |
기존 체결된 파트너사(MP Group, WRM 사 등)를 통해 검사 수출
|
추진현황 | 현지 가족사 GC림포텍을 통해 영업망 구축① 재생의료클리닉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는 GC림포텍과 제휴② 프리메디카(의료서비스업/4,000개 이상 병의원 네트워크 보유/도쿄), ③ 클린트에그제 클리닉(종합건강검진/도쿄),나고야 키무라병원(소화기내과 등/나고야) 등과의 계약처 확대 중에 있음 | ① 사업구체화 (현지 핵심 마케팅 제품으로 아이캔서치 등 선정)② 하노이에 유전자검사/암검진센터 및 중앙연구소 운영 준비③ 유전자검사 서비스 본격화 | ① 아이캔서치 파일럿 테스트 및 검진 프로그램 공동 설계, 홍보물 제작 후 검사 의뢰중에 있음. ② 동사는 최근 카타르 외 중동지역내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에서 수요가 증가되고 있어 중동내 파트너사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
① MP Group : 아이캔서치 계약 관련 논의중 ② WRM : 아이캔서치 수출 계약 완료 및 판매 전략 협의 중 |
동사는 해외진출에 있어 하기와 같은 진출국별 주요 파트너사와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으며 이를통해 해외진출 주요 판로를 개척 및 확장하고자 합니다.
구분 | 일본 | 베트남 | 카타르 | 태국 |
---|---|---|---|---|
GC Lymphotec | Phenikaa | KMC | White Room Medical, WRM | |
사업영역 | -업태: 세포치료제 제조 및 판매업 -업력 및 직원 수: 1999년 및 30여명 -사업지역: 일본 | -업태: 하노이 유전자검사/암검진센터 및 중앙연구소 공동 설립 -업력 및 직원 수: 2026년 서비스 개시 (예정) -사업지역: 베트남 전 지역 | -업태: 종합 건강검진센터 -업력 및 직원 수: 2024년 7월약 103명 -사업지역: 카타르 도하 | -업태: 일반 수탁기관 (Distributor) -업력 및 직원 수: 2022년 약 24명 -사업지역 및 규모: 방콕 등지에서 102개 이상 병의원과 협력중 |
협업계기 | - 동사는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 일본 내 영업망 구축을 희망함 - GC림포텍은 창사 이래 일본의 재생의료 Clinic에 오랜 기간 배지를 공급하며 일본 내 여러 의료기관에 네트워크를 형성함 (지씨셀, FUJIFILM Wako Pure Chemical, Nippon Genetics, Cosmo Bio 등) - 2024년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 지분 인수 | 2023년부터 녹십자홀딩스와 함께 공동 지분투자를 통한 합작법인 설립 및 검진센터 설립 추진 중 | - KMC 파트너사 중 1처였던 국내 클리닉에서 유전자 검사 현지 도입을 목적으로 동사를 소개/ 이후 2023년 한-카타르 경제협력포럼 (산업통상부 및 대통령 초청행사) 을 통해 정식으로 MOU 를 체결하며 본격적인 협업 시작 | -Bio Asia Pacific 전시회 통해 연결되었으며 타기관 NIPT 이용중이었으나 GC의 한국에서의 인지도를 활용하여 G-NIPT로 성공적 수탁 전환 이루어짐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아이캔서치 추가 계약 |
협업방식 | - 도쿄 및 나고야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세포치료 클리닉, 암센터, 건강검진 센터 등의 협력체를 통해 검사를 의뢰받은 후, 주단위 정기 배송을 통해 동사로 해외배송하여 검사 위수탁 운영 | -하노이 유전자검사/암검진센터 및 중앙연구소를 GC-Phenikka 공동 설립 -Phenikaa사가 운영하는 사립대학 (Phenikaa University)내 관련 학부 (Faculty of Medical Technology)를 통한 인재양성 및 보급, 분석병리 기술교육 | - 검진센터 내 검진팩키지 (노인 건강 프로그램, 여성질환 검진 프로그램 등)에 속한 동사의 검사 서비스 상담 후 적합검체 발송하여 수탁검사 진행 | - 검체 채취 홈서비스 제공 -건강검진 센터 및 클리닉과 제휴하여 아이캔서치 후속 관리 프로그램 설계 |
주요특징 및 기대점 | -파일럿 진행 단계부터 핵심 네트워크 병원의 전문의 및 교수진과 협업하여 일본 시장 맞춤형으로 검사 재설계 및 홍보자료를 현지화 했다는 점이 강력한 장점 -고령인구가 많은 시장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검사 타깃이었던 건강한 성인 뿐만 아니라 암진단 후 예후 추적관찰을 진행하고 있는 환자들도 진행 가능하여 검사 대상자 대폭확대 | - 2026년에 동사의 아이캔서치 및 다양한 암검진 검사서비스 수출 모델로 시작 - 중장기적으로는 동사의 검사서비스를 베트남 현지에서 직접 운영 (아시아 허브) - 인근국 거점랩으로 활용할 계획 | - 대표거래품목: 아이캔서치, 그린바이옴 - 중동 소재 글로벌 대기업 Elegancia Health care Group 이 100% 지분출자하고 한국 서울아산병원 컨설팅을 통해 설립된 고급 건강검진 센터로, 10인 이상의 한국 전문의와 첨단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음 -이미 V hospital 이라는 종합병원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본 경험을 바탕으로 검진센터에서 종합병원으로 병원 capability 를 확장하고 있음 | -대표거래품목: G-NIPT, 약물유전체검사 등 -본 기관은 최초 마케팅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했던 기관인 만큼 동사 검사의 현지화 마케팅에 특장점을 갖고 있는 기관으로, 태국 내 한국이 가지는 긍정적 이미지를 함께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최근 헬스케어 담당을 위한 기관이 따로 분화되어, 더욱 전문성을 갖추며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2) 아이캔서치 (단일암 조기선별, SCED, Single-Cancer Early Detection)동사는 아이캔서치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2023년 4월 미국 Genece Health사에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계약에 따라 Genece Health는 종양 액체생검 기술 특허의 북미(미국, 캐나다)에 대한 독점적 전용실시권 및 상업화 권리를 취득하게 되며, 동사는 Genece Health로부터 계약금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을 수취하였으며,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및 판매마일스톤과 연도별 매출 달성액에 따른 판매 로열티(매출액의 6%)를 수령하게됩니다. Genece Health 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유전자검사기관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하기 위한 필수 인증요건인 CLIA 인증과 검사실 품질인증인 CAP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현재 미국 코카시안(백인) 샘플로 초기 임상 검증을 통해 기술의 뛰어난 성능을 검증 확인한 상태로 2025년 4분기부터 폐암을 타겟으로 하는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을 런칭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로열티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Genece Health 사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보험 승인 전략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FDA 인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하여, 2024년에는 미국 최대 암 전문 병원인 MSK(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AHN(Allegheny Health Network) 병원과 공동 임상 계약을 하여 폐암 임상 진행 중이며, FDA 인증용 임상을 설계하여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임상을 진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추후 FDA 승인을 통하여 아이캔서치 제품이 보험적용 코드를 부여받을 시, 환자가 아닌 보험사가 검사비용을 부담해야하는 바, 매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의 아이캔서치(단일암 조기선별) 제품의 추정은 1) 미국 내 Target age gruop 인구 수, 2) 표준검사 수행률, 3) SCED 권고율 및 SCED 수용률, 4) 추정 침투율을 고려하여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국가별 동사의 아이캔서치 예상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금액을 추정한 후 기술수출 계약조건에 따른 판매 로열티 6%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Genece Health의 기술수출 계약조건] |
구분 | 세부 내용 | 수령액 |
---|---|---|
선급금 | 0.5백만달러(약 6억 7천만원, 수령완료) | |
개발 마일스톤 | 첫 상업화 | 0.5백만달러 |
미국 특허 등록 | 1백만달러 | |
FDA 허가 | 비공개 | |
진입 지역 확장 | 비공개 | |
판매 마일스톤 |
누적 순매출액 1억달러 달성 시 |
비공개 |
판매 로열티 | 연 순매출액의 6~7% 로열티(매출액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주2) | 기재내용 외 비공개 금액에 대해서는 파트너사와의 비밀유지 합의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가) 미국 Target age group 인구 수Genece Health의 단일암 검사 품목인 폐암과 유방암의 검진 대상 인구는 USPSTF(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 기준에 따라 폐암은 50세~74세 성인인구, 유방암은 40세~74세 여성인구로 설정하였습니다.
[미국 폐암, 유방암 검진 대상 인구 추정] |
(단위: 명) |
암종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폐암 | 110,522,473 | 111,414,951 | 111,986,768 | 112,324,573 | 112,782,554 |
유방암 | 72,233,463 | 72,730,240 | 72,992,138 | 73,167,700 | 73,448,545 |
출처: | Population Pyramids of the World from 1950 to 2100 (Population Pyramid, 2024.07) |
나) 표준검사 수행률 적용Target age group 중 실제로 검진을 받는 비율을 파악하고 보수적으로 유효시장을 추산하고자 Target age group에 저선량 폐 CT 촬영 및 유방촬영술과 같은 기존 폐암 및 유방암 선별검사 수행률을 적용하였습니다. 추정연도 적용 표준검사의 수행률은 Syneos Health primary quantative research of 56 US Primary Care Physicians, January 2022 자료에 의거한 2021년 표준검사 수행률 폐암 11.9%, 유방암 72.4%에 각 암종별 표준검사 연성장률 1.2%p, 0.7%p를 적용하여 하기와 같이 추산하였습니다.
[암 검진 수행 인구 추정] |
(단위: 명) |
암종 | 2024연도(적용 표준검사 수행률) | 2025연도(E) (적용 표준검사 수행률) | 2026연도(E) (적용 표준검사 수행률) | 2027연도(E) (적용 표준검사 수행률) | 2028연도(E) (적용 표준검사 수행률) |
---|---|---|---|---|---|
폐암 | 17,130,983(15.5%) | 18,606,297 (16.7%) | 20,045,631 (17.9%) | 21,453,993 (19.1%) | 22,894,858(20.3%) |
유방암 | 53,813,930(74.5%) | 54,693,140(75.2%) | 55,401,033(75.9%) | 56,046,458(76.6%) | 56,775,725(77.3%) |
출처: |
Syneos Health primary quantative research of 56 US Primary Care Physicians, January 2022 |
다) SCED 권고율 및 수용률 적용적합 모집단에 의료진의 SCED 권고율을 적용하고 의사들이 권고한 검사유효인구에서 실제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의향이 있는 수검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SCED 수용률을 적용하여 모집단을 더욱 보수적으로 추정검사건수를 추산하였습니다. Syneos Health의 시장조사(Syneos Health primary quantative research of 56 US Primary Care Physicians, January 2022)에 따르면 1차 진료의들은 액체생검 조기폐암 선별검사에 대하여 비고위험군에게 61%의 도입률, 위험군에게는 65%의 도입률을 보고하였으며, 유방암의 경우 비고위험군에게는 57%, 고위험군에게는 62%의 도입률을 보고한 바, 암종별로 2021년 기준 폐암 61.0%, 유방암 57.0% 의 도입률을 적용하고 이후 추정연도에 대하여 연성장률 1%p를 적용하여 추정검사인구를 추산하였습니다. 한편, 동 문헌 따르면, 환자들 중 32%는 액체생검 조기암 선별검사에 대하여 100달러~500달러의 비용부담을 감수하고도 수검할 의향이 있을 조사된 바, 수용률은 각 32%를 적용하였습니다.
[SCED 권고율 및 수용률을 적용한 추정 검사인구] |
(단위: 명) |
암종 | 2024연도(적용 SCED 권고율) | 2025연도(E) (적용 SCED 권고율) | 2026연도(E) (적용 SCED 권고율) | 2027연도(E) (적용 SCED 권고율) | 2028연도(E) (적용 SCED 권고율) | SCED 수용률 |
---|---|---|---|---|---|---|
폐암 | 3,508,425(64.0%) | 3,870,110 (65.0%) | 4,233,637 (66.0%) | 4,599,736 (67.0%) | 4,981,921 (68.0%) | 32.0%일괄 적용 |
유방암 | 10,332,275 (60.0%) | 10,676,101 (61.0%) | 10,991,565 (62.0%) | 11,298,966 (63.0%) | 11,627,669 (64.0%) |
출처: |
Syneos Health primary quantative research of 56 US Primary Care Physicians, January 2022 |
라) 검사수출 비중 및 시장 침투율 적용검사건수를 추정하기 위한 단계로 Genece health의 시장 침투율을 가정하였습니다. 액체생검 기반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는 유전자 분석 패널검사 승인기관(병원 및 의료재단 등)을 통해 공급되므로 최종 소비자의 수요만큼 병원 및 검진센터 등으로 판매처 확대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홍보 뿐만 아니라 판매처의 확보도 필요하므로 런칭과 동시에 높은 시장침투율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따라 초기 침투율은 현재 국내 아이캔서치 서비스 검진자 수를 기반으로 추정된 0.07%를 차용하되 해외 진출국의 경우 보수적인 추정을 위하여 0.01% 가정하고, 최대 침투율의 경우 국내 검진센터의 VIP 검진율이 1.5%임을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1.0%를 가정하고 이후 15년의 기간동안 최대점유율을 달성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위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때 Genece Health에서 2024년 4분기 폐암 조기선별 제품, 2027년 유방암 조기선별 제품 런칭을 통해 예상되는 추정검사건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암종별 SCED 수검 유효 건수 추정] |
(단위: 건) |
암종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최초 시장침투율 |
이후 추정연도시장침투율상승률 |
---|---|---|---|---|---|---|---|
폐암 | - | 387 | 3,218 | 6,532 | 10,362 | 0.01% | 0.07% |
유방암 | - | - | - | 1,130 | 8,837 | 0.01% | 0.07% |
예상 판매단가는 Genece health의 내부 사업계획과 경쟁사들의 판매가격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동사는 기술이전 계약에 따라 Genece Health가 위와 같은 추정된 판매금액의 6%를 판매로열티로 수취하게 됩니다. 상기 추정검사건수에 Genece Health의 예상 판매단가를 적용한 Genece Health의 추정매출 및 동사의 수취 예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Genece Health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암종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판매단가 가정 |
---|---|---|---|---|---|---|
폐암 | - | 1,317 | 10,948 | 22,222 | 35,252 | 2,520달러 |
유방암 | - | - | - | 1,960 | 15,330 | 1,285달러 |
주1) | 환율은 서울외국환중개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기간별 원/달러 매매기준율인 1,368.98원을 차용하되 보수적인 매출추정과 계산의 편의성을 위하여 1,350원으로 일괄가정하였습니다. |
[동사 아이캔서치(SCED) 추정금액]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판매로열티 | - | 79 | 657 | 1,451 | 3,035 | - |
개발마일스톤 | - | 2,025 | - | - | - | 주1) |
주1) | 상술한 기술이전 계약조건과 같이 동사는 판매로열티 외 이전한 기술을 통한 Genece Health의 제품 첫 상업화 시 0.5백만달러, 이전기술의 미국 특허등록시 1백만달러의 개발마일스톤을 수취합니다. Genece Health는 이전받은 기술로 2025년 폐암 선별검사를 서비스할 예정이므로 이에대한 개발마일스톤 0.5백만달러를 수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동사가 이전한 핵심기술 관련 특허 2종이 미국에서 각각 2023년 2월 15일, 2023년 2월 19일에 출원되어 현재 등록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DDLA Piper LLP로부터 해당기술이 타특허의 권리를 침하히지 않는다는 FTO보고서를 수취하였으며, 미국내에서 특허등록은 통상적으로 24개월~30개월이 소요되므로 2025년 내 특허등록이 완료되어 관련 개발 마일스톤 1백만 달러 또한 수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참고로 Genece Health의 사업영역과 동사와의 협업계기 및 협업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미국 |
---|---|
Genece Health | |
사업영역 | - 업태: 액체생검 조기암 진단 검사 개발 및 검사 서비스 유통- 업력 및 직원 수: 10여명- 사업지역: 북미 |
협업계기 | - 2022년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법인 설립 |
협업방식 | - 지씨지놈의 기술이전을 받아 액체생검 조기암 진단 검사 개발(폐암, 유방암)- Genece Health의 미국 샌디에이고 LAB에서 조기암 진단 분석 서비스 실시 |
주요특징 및 기대점 | - 미국 현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허가 취득함(*CLIA LAB, **CAP 인증)-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미국의 대형 병원들(MSK, AHN)과 협업을 통해 미국인에 대한 임상 데이터 검증 진행 중 - 2025년 연내 폐암 조기 진단 검사 출시 예정 |
(다) 산과검사 동사의 산과검사는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산부인과 및 소아과 의료진들에게 병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검사로는 G-NIPT, 산전 CMA, i-Screen조기선별 등이 있 습니다.
[동사 산과검사 포트폴리오] |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의 출산율은 약 0.72명으로 보고되며, 이는 2013년의 출산율 1.19명에서 약 39.4%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처럼 낮은 출산율에도 불구하고 산모의 연령대는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2011년과 2021년 사이의 국내 산모 연령별 분석 결과, 35세 이상의 산모 비중이 10년 전 대비 약 두 배 증가하였고 산모의 평균 임신 연령 또한 고령화되어, 이에 따른 기형아 발생 위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위와같은 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강화됨에 따라, 임신 및 출산 진료비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정부의 임신 및 출산 진료비 지원 사업에 따르면, 출산 산모에게는 임신 1회당 100만원의 진료비가 지원되며, 다태아 임신부에게는 기본 140만원이 지원됩니다. 또한, 분만 취약지에 위치한 의료기관에서 출산하는 산모에게는 추가로 20만원이 지원됩니다. 이러한 지원 확대는 산과검사의 비용 부담을 부분적으로 완화시켜 산모의 본인 부담금을 줄이고, 검사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으로써 전반적인 검사 수요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산과검사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I-screen | 572 | 480 | 468 | 455 | 442 |
난청 선별검사 | 31 | 20 | 17 | 14 | 11 |
월슨병 선별검사 | 115 | 96 | 88 | 82 | 75 |
취약X증후군 선별검사 | 222 | 182 | 173 | 165 | 157 |
산전 CMA | 793 | 1,234 | 1,561 | 1,845 | 2,088 |
산전 기타 | 8 | - | - | - | - |
합계 | 1,741 | 2,012 | 2,308 | 2,561 | 2,774 |
동사의 산과검사 추정은 국내사업으로만 한정하여 1) 연간 신생아 수, 2) 검진 시행률(연 신생아 수 대비 동사제품의 시장침투율)을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동사의 추정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금액을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간신생아 수 KOSIS 국가통계포털의 신생아 통계를 이용하여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신생아의 연평균 성장률 -7.0%를 추산하였으며 이를 2024년을 포함한 추정연도의 신생아 수에 적용하여 신생아 수를 가정하였습니다.
[국내 연간 신생아 수 추정] |
(단위: 명)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신생아수 적용 CAGR |
---|---|---|---|---|---|---|
연간 신생아 수 추정 | 215,621 | 200,574 | 186,577 | 173,557 | 161,445 | -7.0% |
출처: | 통계청-인구동향조사(2024.08) |
참고로 통계청의 신생아수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신생아 수는 2015년 이후 9년만에 처음으로 전년대비 3.6% 증가하여 238,300명을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신생아 수 추정은 앞선 G-NIPT의 제품의 해외 진출국가 신생아수 추정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보수적인 추정을 하고자 2024년 신생아 수를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2) 검진시행률최근 3년간 동사 제품의 판매 실적을 토대로 동사 제품의 신생아 수 대비 검진시행률을 추산하여 2024년 검진시행률을 가정하였으며 이후 추정연도에 대하여 과거 추세를 반영하여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가정하였습니다.
[산과 제품 별 추정 검진시행률]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I-screen | 2.6% | 2.7% | 2.8% | 2.9% | 3.0% |
난청 선별검사 | 0.5% | 0.5% | 0.4% | 0.4% | 0.3% |
월슨병 선별검사 | 3.0% | 3.0% | 2.9% | 2.9% | 2.8% |
취약X증후군 선별검사 | 3.9% | 4.0% | 4.0% | 4.1% | 4.1% |
산전 CMA | 0.8% | 1.2% | 1.7% | 2.1% | 2.5% |
주1) | 각 추정연도별 검진시행률은 동사 과거실적을 고려한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반영하여 2028년 최대 검진시행률을 가정한 후, 2028년까지 최대 검진시행률에 수렴하도록 추정하였습니다. |
동사의 과거 검사건수 추세와 연간 신생아 수 추정을 반영한 동사 산과검사 제품별 추정 검사건수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동사 제품별 내부가격을 준용한 제품별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산과검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동사 산과검사 제품별 검사건수 추정] |
(단위: 건)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I-screen | 5,606 | 5,415 | 5,224 | 5,033 | 4,843 |
난청 선별검사 | 1,078 | 903 | 746 | 607 | 484 |
월슨병 선별검사 | 6,469 | 5,917 | 5,411 | 4,946 | 4,520 |
취약X증후군 선별검사 | 8,409 | 7,923 | 7,463 | 7,029 | 6,619 |
산전 CMA | 1,725 | 2,457 | 3,079 | 3,601 | 4,036 |
(라) 암 검사 동사의 암 검사는 암환자들의 유전적 발생 원인 파악 및 프로파일링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혈액종양내과 및 외과 등 암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나 예후, 위험 평가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Greenplan HRD, Greenplan TBx, Greenplan Hema 등이 있습니다.
[동사 암 포트폴리오] |
최근 암 및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및 승인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에 따른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 수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표적 치료제와 같은 맞춤형 치료가 늘어나면서, NGS 기반 유전체 검사를 통해 환자의 유전자 변이 및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미국 FDA는 2017년에 4건에 불과하던 희귀질환 치료제 승인은 2019년에는 21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에는 암, 희귀질환 등에서 한 해 동안 총 55개의 신약을 승인하였으며, 이 중 47개(약85%)가 표적 치료제였습니다. 이로 인해, 치료제 사용을 위한 동반 진단의 일환으로 NGS 패널 검사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신약 승인 확대와 함께 이러한 정밀진단 검사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동사는 암과 희귀질환 치료제와 연계된 검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환자의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검사 수요 증가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동사 암검사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GreenPlan HRD | 1,303 | 1,630 | 1,986 | 2,375 | 2,801 |
GreenPlan TBx | 2,618 | 3,768 | 5,192 | 6,926 | 9,011 |
GreenPlan LBx | 323 | 435 | 571 | 735 | 929 |
GreenPlan Hema | 1,550 | 1,890 | 2,278 | 2,720 | 3,223 |
GreenPlan Hereditary | 1,196 | 1,540 | 1,982 | 2,551 | 3,283 |
GreenPlan BRCA | 1,491 | 1,862 | 2,301 | 2,820 | 3,432 |
암검사기타 | 2,058 | 2,154 | 2,338 | 2,538 | 2,560 |
합계 | 10,539 | 13,278 | 16,648 | 20,665 | 25,238 |
동사의 암검사 추정은 국내사업으로만 한정하여 각 제품별로 1) 암종별 환자규모, 2) 암종별 NGS 검사 시행률, 3) 동사 추정 침투율을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동사의 추정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reenPlan HRD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HRD는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PARP억제제 치료 대상을 선별하기 위하여 종양 조직에서 상동 재조합 결핍 유무를 분석하는 동반진단 검사로 해당 검사의 유효환자를 추산하기 위하여 재발률이 높은 난소암의 특성과 상종 재조합 결핍 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고도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질환 환자를 유효시장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3개년 판매실적을 고려한 환자수 대비 시장침투율을 가정하고 동사의 내부가격을 준용한 판매가격을 적용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GreenPlan HRD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난소암 발병환자수 (명) | 3,618 | 3,770 | 3,929 | 4,095 | 4,267 | 주1) |
재발난소암, 고도장액성 난소암 환자수 (명) | 2,026 | 2,111 | 2,200 | 2,293 | 2,390 | 주2) |
시장침투율 | 40% | 48% | 55% | 63% | 70%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810 | 1,003 | 1,210 | 1,433 | 1,673 | - |
추정매출(백만원) | 1,303 | 1,630 | 1,986 | 2,375 | 2,801 | - |
출처: |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4.11.25) |
주1) |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자료에 보고된 연간 신규 난소암 발병 환자 규모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까지 과거 CAGR 4.2%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미국국립보건원(2019,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 Basic Sciences, Clinical and Therapeutic Standpoints)에 따르면 난소암의 재발확률은 80% 이상이라고 보고되었으며, 세계 3대 의학저널 The Lancet에 게재된 (Tumour stage, treatment, and survival of women with high-grade serous tubo-ovarian cancer in UKCTOCS: an exploratory analysis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에 고도장액성 난소암 환자는 70% 수준으로 보고된 바, HRD 검사 유효시장을 보수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발병 환자수에 두 질환의 환자비중을 모두 적용하였습니다. |
주3)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 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 장침투율(2021년-2024년 CAGR 267.3%)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Green Plan HRD 제품은 2024년에 신규처 20처 이상을 확보하는 등 근시일내 2024년 시장침투율 이상의 추가적인 시장침투율 확대가 예상되나 시장환경을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2) GreenPlan TBx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TBx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생검을 이용하여 종양조직에서 100여 개 이상의 암 관련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는 NGS 패널검사로 암이 확진된 환자들에게 동반진단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정밀의료 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개인의 유전정보 등을 고려하여 암의 위치보다 암의 유전자 변이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사의 GreenPlan TBx는 환자의 특정 유전자 변이 여부를 활용한 유전적 진단을 통해 표적치료제나 면역항암제의 사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여 환자의 치료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GreenPlan TBx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고형암 환자수(명) | 111,732 | 116,807 | 122,141 | 127,748 | 133,644 | 주1) |
NGS 검사시행률 | 27.0% | 30.3% | 33.5% | 36.8% | 40.0% | 주2) |
시장침투율 | 7.5% | 9.1% | 10.8% | 12.4% | 14.0%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2,263 | 3,224 | 4,399 | 5,810 | 7,484 | - |
추정매출(백만원) | 2,618 | 3,768 | 5,192 | 6,926 | 9,011 | - |
출처: |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4.11.25) |
주1) |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자료에 보고된 연간 신규 고형암(폐암, 대장암, 난소암, 유방암, 기타상세불명의암) 발병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까지 과거 CAGR 2.7%~6.7%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5개 고형암 발병 환자 수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최근 5년간 전체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 검사 건수를 대입하여 NGS 검사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이에따른 NGS 검사시행률은 2019년 12%에서 2023년 23.9%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2024년 검사시행률을 27%로 가정하고 이후 2028년 40%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20년-2023년 CAGR 28.4%)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Green Plan TBx 제품의 타겟시장인 국내 고형암 시장은 2019년 162.6억원에서 2023년 466.3억원으로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기술우위성을 바탕으로 과거 성장률수준의 시장침투율을 확보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3) GreenPlan LBx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LBx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액체생검을 이용하여 유전자 돌연변이를 분석하는 NGS 패널검사로 순환 종양 DNA를 분석해 치료 반응, 잔여질환, 재발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조직을 채취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유용하며, 치료 후 반복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부담이 적어 실제 임상에서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암 치료 패러다임이 정밀의료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처럼 단발성 조직검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치료 전후에 걸쳐 지속적인 유전자 모니터링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재발조기탐지나 치료 반응 예측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는바, LBx의 시장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GreenPlan LBx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고형암 환자수(명) | 111,732 | 116,807 | 122,141 | 127,748 | 133,644 | 주1) |
NGS 검사시행률 | 27.0% | 30.3% | 33.5% | 36.8% | 40.0% | 주2) |
시장침투율 | 1.0% | 1.1% | 1.2% | 1.4% | 1.5%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290 | 387 | 503 | 641 | 802 | - |
추정매출(백만원) | 323 | 435 | 571 | 735 | 929 | - |
출처: |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4.11.25) |
주1) |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자료에 보고된 연간 신규 고형암(폐암, 대장암, 난소암, 유방암, 기타상세불명의암) 발병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까지 과거 CAGR 2.7%~6.7%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5개 고형암 발병 환자 수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최근 5년간 전체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 검사 건수를 대입하여 NGS 검사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이에따른 NGS 검사시행률은 2019년 12%에서 2023년 23.9%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2024년 검사시행률을 27%로 가정하고 이후 2028년 40%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20년-2023년 CAGR 36.2%)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Green Plan LBx 제품의 타겟시장인 국내 고형암 시장은 2019년 162.6억원에서 2023년 466.3억원으로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기술우위성을 바탕으로 과거 성장률수준의 시장침투율을 확보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4) GreenPlan Hema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Hema제품은 혈액암 대상 NGS 기반 유전체 검사로, 골수나 말초혈액 등에서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분석해 암의 진단, 예후 예측, 치료 반응 평가에 주요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급성골수성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등 혈액암의 분류 및 위험도 평가를 위한 주요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어, 조혈모 세포 이식 여부나 표적치료제 선택 등 치료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GreenPlan Hema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혈액암 환자수(명) | 17,699 | 18,547 | 19,443 | 20,390 | 21,392 | 주1) |
NGS 검사 시행률 | 48.0% | 53.5% | 59.0% | 64.5% | 70.0% | 주2) |
시장침투율 | 24.7% | 25.5% | 26.4% | 27.2% | 28.0%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2,098 | 2,533 | 3,023 | 3,574 | 4,193 | - |
추정매출(백만원) | 1,550 | 1,890 | 2,278 | 2,720 | 3,223 | - |
출처: |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4.11.25) |
주1) |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자료에 보고된 연간 신규 혈액암(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림프성 및 골수성 백혈병, 골수증식성질환,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발병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까지 과거 CAGR 2.1%~8.2%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혈액암 발병 환자 수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최근 5년간 전체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 검사 건수를 대입하여 NGS 검사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이에따른 NGS 검사시행률은 2019년 27%에서 2023년 47%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2024년 검사시행률을 48%로 가정하고 이후 2028년 70%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19년-2023년 CAGR 2.5%)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Green Plan Hema 제품의 타겟시장인 국내 혈액암 시장은 2019년 44억원에서 2023년 124억원으로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기술우위성을 바탕으로 과거 성장률수준의 시장침투율을 확보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5) GreenPlan Hereditary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Hereditary 검 사는 유전성 암 관련 NGS 기반 유전체 검사로 가족성 암의 위험을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의 검사입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유전적 원인이 작용하는 암중 흔한 암종은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이들 종양의 5~10%가 유전적 원인(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암의 발생)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동사의 GreenPlan Hereditary 검사는 이와 같은 BRCA1/2, MLH1 등 유전적 암 발생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들을 분석해 유전성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등에서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 가족력 기반의 정밀 진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출 증대가 예상됩니다.
[GreenPlan Hereditary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유전성질환 NGS패널검사(건) | 20,059 | 25,241 | 31,762 | 39,968 | 50,293 | 주1) |
검사대상 환자규모 | 3,410 | 4,291 | 5,400 | 6,795 | 8,550 | 주2) |
시장침투율 | 47.5% | 48.1% | 48.8% | 49.4% | 50.0%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1,621 | 2,066 | 2,633 | 3,355 | 4,275 | - |
추정매출(백만원) | 1,196 | 1,540 | 1,982 | 2,551 | 3,283 | - |
출처: | 성별입원외래별현황(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2019-2023) |
주1)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보고된 전체 유전성 질환 NGS패널 검사건수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까지 과거 CAGR 25.8%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 급여 후 사용 현황 및 관련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라 유전성질환 NGS패널검사 중 17%가 유전성 암 검사 시행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추정연도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주3)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19년-2022년 CAGR 0.9%)성장을 고려하되 실제 성장보다 보수적인 시장침투율 상승을 가정, 추정연도간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추산하였습니다. |
6) GreenPlan BRCA 매출추정동사의 GreenPlan BRCA 검 사는 유전성 암 관련 NGS 기반 유전체 검사로 특히, BRCA1 및 BRCA2에 특화된 검사입니다. 2018년 미국의 영화배우 안젤리나 졸리는 어머니와 이모, 외할머니가 각각 유방암과 난소암으로 사망한 것을 계기로 유전체 검사를 받았으며, 검사결과 BRCA 유전자에 변이를 확인하고 예방적으로 유방과 난소 절제술을 받은 바 있습니다. 동사의 GreenPlan BRCA 검사는 이와 같이 BRCA1/2 유전자 변이를 검사하여 유방암, 난소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 가족력 기반의 정밀 진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GreenPlan BRCA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BRCA1/2 급여대상 암종 발병환자 수 (명) | 25,474 | 28,613 | 32,139 | 36,100 | 40,548 | 주1) |
검사대상 환자규모 (명) | 13,246 | 14,736 | 16,391 | 18,230 | 20,274 | 주2) |
시장침투율 | 9.0% | 10.0% | 11.0% | 12.0% | 13.0% | 주3) |
동사검사 건수(건) | 1,192 | 1,474 | 1,803 | 2,188 | 2,636 | - |
추정매출(백만원) | 1,491 | 1,862 | 2,301 | 2,820 | 3,432 | - |
출처: |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4.11.25) |
주1) |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자료에 보고된 연간 신규 BRCA 1/2급여대상 암종 발병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 과거 CAGR 12.3%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BRCA1/2 급여대상 암종 발병 환자 수에 최근 5년간 전체 BRCA1/2 유전자 NGs 패널 검사 건수를 대입하여 검사 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최근 3년간 하락 추세 2021년 66%, 2023년 54%를 반영하여 2024년 시행률을 52%로 설정하고, 2028년까지 50%로 단계적 하락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동사의 시장침투율은 2020년 15.8%로 이후로 점진적으로 하락하였으나, (2020년 15.8%, 2021년 12.7%, 2022년 11.1%, 2023년 9.2%,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타겟시장인 국내 난소암 등 시장이 2019년 134억원에서 2023년 189억원으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에서 BRCA 변이에 기반한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적응증이 추가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적응증 추가에 따른 시장 확대도 예상되어해당 검사에 뛰어난 기술력은 가진 동사의 점유율이 단계적으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마) 유전희귀 검사 동사의 유전희귀질환 카테고리는 7,000종 이상의 희귀 유전질환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한 유전체 검사 제품군입니다. 소아과나 신경과 전문의들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과 동사 전문가의 유전적 해석을 통해 결과를 제공합니다. 대표 제품으로 NGS 희귀패널, 세균 rDNA 동정 16s ribosomal rDNA,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CMA 검사가 있습니다.
[동사 유전희귀 검사 포트폴리오] |
최근 암 및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및 승인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에 따른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 수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표적 치료제와 같은 맞춤형 치료가 늘어나면서, NGS 기반 유전체 검사를 통해 환자의 유전자 변이 및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미국 FDA는 2017년에 4건에 불과하던 희귀질환 치료제 승인은 2019년에는 21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에는 암, 희귀질환 등에서 한 해 동안 총 55개의 신약을 승인하였으며, 이 중 47개(약85%)가 표적 치료제였습니다. 이로 인해, 치료제 사용을 위한 동반 진단의 일환으로 NGS 패널 검사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신약 승인 확대와 함께 이러한 정밀진단 검사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동사는 암과 희귀질환 치료제와 연계된 검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환자의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검사 수요 증가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동사 유전희귀검사 추정매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NGS 희귀 패널 | 2,986 | 3,788 | 4,691 | 5,701 | 6,824 |
CMA | 1,202 | 1,202 | 1,202 | 1,200 | 1,199 |
16S rDNA | 209 | 227 | 245 | 264 | 283 |
Gene Plus | 316 | 395 | 478 | 566 | 657 |
기타 유전희귀검사 | 563 | 586 | 609 | 634 | 659 |
동사의 암검사 추정은 국내사업으로만 한정하여 각 제품별로 1) 질환별 환자규모, 2) 질환별 NGS 검사 시행률, 3) 동사 추정침투율을 고려하여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고 이에 동사의 추정 판매단가를 적용하여 매출을 추정하였습니다. 추정 검사건수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NGS 희귀패널 검사 동사의 NGS 희귀패널 검사는 주요 유전자의 변이를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는 유전체 검사입니다. 다양한 유전성 희귀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제공하며, 질환 검사 항목에 따라 총 93여 종의 NGS 패널 검사를 보유하고 있고 주로 표적 엑솜 시퀀싱 검사를 통해 희귀질환의 유전적 기전을 탐색합니다. 동사의 NGS 희귀 패널검사는 많게는 수백여개의 유전자를 한번에 검사할 수 있어 특히 진단이 어려운 복합 증상환자나 비정형적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동사 NGS 희귀패널 검사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희귀질환 보유자(명) | 56,441 | 56,632 | 56,823 | 57,014 | 57,207 | 주1) |
유전성질환 NGS 검사시행률 | 30.0% | 35.0% | 40.0% | 45.0% | 50.0% | 주2) |
희귀질환 검사 비중 | 83.0% | 83.0% | 83.0% | 83.0% | 83.0% | 주3) |
시장침투율 | 28.0% | 29.8% | 31.5% | 33.3% | 35.0% | 주4) |
동사 검사건수(건) | 3,935 | 4,894 | 5,943 | 7,081 | 8,309 | - |
추정매출(백만원) | 2,986 | 3,788 | 4,691 | 5,701 | 6,824 | - |
출처: | 2023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질병관리청, 2023.12.30) |
주1) | 질병관리청의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지정 및 통계연보에 따라 연간 신규 희귀질환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 과거 CAGR 0.34%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희귀질환 보유자 수에 최근 5년간 전체 유전성 질환 NGS 패널 검사 건수를 대입하여 검사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최근 5년간 상승 추세 2019년 11%, 2023년 28%를 반영하여 24년 시행율을 30%로 설정하고, 2028년까지 50%로 단계적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 급여 후 사용 현황 및 관련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라 유전성질환 NGS패널검사 중 83%가 유전성 희귀질환 검사 시행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추정연도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였습니다. |
주4)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19년-2023년 CAGR 3.0%)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NGS 희귀패널 검사는 타겟시장인 국내 희귀질환 검사 시장이 2019년 64억원에서 2023년 184.6억원으로 성장해왔으며, 희귀질환 치료제 허가 및 개발증가에 따라 앞으로도 시장의 확대가 예상됩니다. 이 가운데 동사의 기술우위성을 바탕으로 과거 성장률수준의 시장침투율을 확보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
2) CMA 검사 동사의 CMA 검사는 전 장 유전체를 분석하여 염색체의 복제수변이 및 구조적 이상을 분석하여 염색체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선천성 기형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원인을 알 수 없는 발달 지연 및 지적 장애 환자를 진단율을 높이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전적 요인을 파악하는 등 여러 유전희귀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동사 CMA 검사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희귀질환 보유자(명) | 56,252 | 56,441 | 56,632 | 56,823 | 57,014 | 주1) |
시장점유율 | 3.3% | 3.2% | 3.2% | 3.1% | 3.0% | 주2) |
동사 검사건수(건) | 1,863 | 1,826 | 1,790 | 1,753 | 1,716 | - |
추정매출(백만원) | 1,202 | 1,202 | 1,202 | 1,200 | 1,199 | - |
출처: | 2023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질병관리청, 2023.12.30) |
주1) | 질병관리청의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지정 및 통계연보에 따라 연간 신규 희귀질환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 과거 CAGR 0.34%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동사의 시장침투율은 2021년 4.2%로 이후로 점진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2022년 3.5%, 2023년 3.4%,9.2%,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타겟시장인 국내 영유아 선천성 유전질환시장은 2019년 12억원에서 2023년 38억원으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하락 추세를 고려하여 동사의 침투율은 단계적으로 하락을 가정하였습니다. |
3) 16S rDNA 검사동사의 16S rDNA (세균 rDNA 동정 16s rDNA) 검사는 기존의 세균 배양 검사와 비교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제공하는 현대적인 검사법입니다. NGS 기술을 활용하여 감염 원인균의 속(Genus) 단위의 종류와 비율을 정밀하게 분석하며, 기존의 배양검사는 특정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만을 검출할 수 있지만, NGS를 이용한 16S rDNA 검사는 배양이 어려운 세균이나 비배양성 세균도 포함하여 검체 내 존재하는 거의 모든 세균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동사 16S rDNA 검사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방광염 환자수(명) | 1,663,978 | 1,664,513 | 1,665,049 | 1,665,584 | 1,666,120 | 주1) |
기존 배양검사 실패율 | 83.0% | 83.0% | 83.0% | 83.0% | 83.0% | 주2) |
시장침투율 | 0.1% | 0.1% | 0.1% | 0.1% | 0.2% | - |
동사 검사건수(건) | 1,658 | 1,762 | 1,866 | 1,971 | 2,075 | - |
추정매출(백만원) | 209 | 227 | 245 | 264 | 283 | - |
주1) | 보건의료빅테이터개방시스템의 국민관심질병통계 자료에 보고된 방광염 환자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환자수는 2019년~2023년 과거 CAGR 0.03%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희귀질환 보유자 수에 최근 5년간 동사의 제품 판매건수를 대입하여 동사 제품 검진 시행률을 추산하였습니다. 이에 최근 3년간 2021년 4.1%에서 2023년 3.4%로 하락추세를 반영하여 2024년 시행률을 3.3%로 설정하고 2028년까지 3.0%까지 단계적으로 하락 가정하였습니다. |
주3 | 동사의 시장침투율은 3년간(2021년 0.13% 2022년 0.13%, 2023년 0.12,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으로 큰 변화가 없으나, 타겟시장인 방광염암 환자 수는 2021년 157만명에서 2023년 169만명으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사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2028년까지 소폭의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4) Gene Plus 검사동사의 Gene Plus는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로 LDLR 유전자와 같이 유전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유전자만을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동사는 유전희귀질환에 대한 약 30여 가지 검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LDLR 유전체 검사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비롯한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 및 기타 질환의 유전적 원인을 규명하는데 사용됩니다. 특히, 2017년 국내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 사용할 수 있는 에볼로쿠맙(evolocumab) 표적 치료제가 허가된 이후 유전체 검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동사 Gene Plus 검사 단계별 매출 추정]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비고 |
---|---|---|---|---|---|---|
20세 이상 성인인구(명) | 43,979,406 | 44,254,211 | 44,530,733 | 44,808,983 | 45,088,972 | 주1) |
고콜레스테롤 비중 | 20.7% | 20.7% | 20.7% | 20.7% | 20.7% | 주2) |
Statin 불내성 비중 | 5.0% | 5.0% | 5.0% | 5.0% | 5.0% | 주3) |
검사대상 환자규모(명) | 455,187 | 458,031 | 460,893 | 463,773 | 466,671 | - |
시장침투율 | 0.2% | 0.2% | 0.2% | 0.3% | 0.3% | 주4) |
동사 검사건수 | 728 | 893 | 1,060 | 1,229 | 1,400 | - |
추정매출(백만원) | 316 | 395 | 478 | 566 | 657 | - |
주1) |
통계청-인구동향조사(2024.08) |
주1)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자료에서 보고된 20세 이상 성인인구 규모를 준용하였으며, 추정연도 인구는 2019년~2023년 과거 CAGR 0.63%를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한국지질동맹경화학회에서 발표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 20.7%를 일괄 적용하였습니다. |
주3) | 미국국립지질협회(NLA)에 따르면,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고지질혈증제 Statin은 환자중 5~30%정도 부작용이 나타나는 불내성이 있으며, 검사대상 환자규모를 보수적으로 추산하기 위하여 5%를 적용하여 Gene Plus 검사대상 환자규모를 추산하였습니다. |
주4) | 시장침투율 상승은 최근사업연도 동사의 해당 제품 실제 시장침투율(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준, 2021년-2023년 CAGR 26%)을 기반으로 산정였습니다. 동사의 Gene Plus 검사는 주 타겟인 20대 이상 인구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 4,560만명에서 2023년 4,630명으로 성장하였으며, 해당 시장의 경쟁에서동사의 검사가 안정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어 단계적으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
(바) 건강검진 검사
동사의 건강검진 검사는 건강인의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위험성 평가, 그리고 가족력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유전체 검사 제품군입니다. 대표 제품으로 아이캔서치 , 지놈헬스, 그린바이옴 등이 있습니다. 다만, 아이캔서치의 경우 동사의 핵심제품으로 추정을 위한 별도 제품군으로 분류 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마. 추정당기순이익 산정내역 - (3) 항목별 매출액 세부 추정 및 근거 - (나) 아이캔서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외 건강검진 포트폴리오로는 지놈헬스 (질환 발병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질환 취약 유전인자를 확인하는 종합 검진 검사), 그린바이옴(장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개인의 소화기 건강을 평가하고,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맞춤형 건강계획을 제공하는 검사) 등이 있습니다.
[동사 건강검진 검사 포트폴리오] |
한편, 일반건강검진과 대상인원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CAGR 3.3%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또한 COVID-19 여파를 감안하더라도 평균 74.1%를 기록하는 등 준수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등 국내 건강검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이에따라 동사의 건강검진 항목의 매출액은 2021년 32.5억원에서 2024년 41.2억원으로 3년 CAGR 8.2%로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동사는 현재도 태국, 인도네시아, 영국 등 해외로 건강검진 검사를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G-NIPT 및 암 패널검사 등의 수출 지역으로 건강검진 검사 품목을 확대하여 추가적인 성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동사는 질병의 조기선별과 예측, 더 나아가 맞춤형 치료에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매출추정의 보수성을 더하고자 건강검진 검사 항목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조사의 최근 3개년(2022년~2024년) 물가상승률 평균 3.7% 및 건강검진 대상인원 상승률, 과거건강검진 매출 증가추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균 4%의 매출성장을 가정하였습니다.
[대한민국 건강검진 수검현황 추이] |
(단위: 천명)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CAGR |
---|---|---|---|---|---|---|---|
일반건강검진 대상인원 | 19,593 | 21,717 | 21,446 | 22,837 | 22,862 | 23,001 | 3.3% |
암검진 대상인원 | 22,503 | 23,123 | 22,973 | 23,937 | 23,456 | 23,313 | 0.7%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평균 |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 76.9% | 74.1% | 67.8% | 74.2% | 75.4% | 75.9% | 74.1% |
암검진 수검률 | 53.9% | 55.8% | 49.6% | 56.6% | 58.2% | 59.8% | 55.7% |
출처: | 2023 건강검진 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 24.12.31) |
(4) 매 출원가 추정 매출원가의 경우, 중립적 매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매출원가 | 14,181 | 15,910 | 19,125 | 22,029 | 25,087 |
재료비 | 7,610 | 9,231 | 11,690 | 13,767 | 15,817 |
노무비 | 1,923 | 2,006 | 2,160 | 2,373 | 2,608 |
제조경비 | 4,648 | 4,672 | 5,276 | 5,890 | 6,662 |
합계 | 14,181 | 15,910 | 19,125 | 22,029 | 25,087 |
(가) 재료비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
핵심기술검사 | G-NIPT | 1,455 | 1,316 | 1,929 | 2,179 | 2,421 |
아이캔서치 | 106 | 925 | 1,893 | 2,789 | 3,606 | |
기존검사 | 산과검사 | 785 | 844 | 904 | 940 | 955 |
암검사 | 2,180 | 3,041 | 3,792 | 4,623 | 5,534 | |
유전희귀검사 | 1,326 | 1,551 | 1,635 | 1,719 | 1,802 | |
검진검사 | 1,757 | 1,554 | 1,536 | 1,517 | 1,499 | |
합계 | 합계 | 7,610 | 9,231 | 11,690 | 13,767 | 15,817 |
매출액 | 25,888 | 35,618 | 44,617 | 56,357 | 70,113 | |
로열티 수입 제외 매출액 | 25,888 | 33,514 | 43,961 | 54,906 | 67,079 | |
매출액 대비 재료비 | 29.40% | 27.54% | 26.59% | 25.07% | 23.58% |
동사는 현재 하기와 같이 검사설비를 도입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주로 사용중인 NGS 시퀀싱 장비는 일루미나(illumina) 사의 Novaseq 6000 장비로, 샘플 당 단가는 약 11만원이며, 시퀀싱시 데이터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36시간입니다. 그러나 현재 시퀀싱 장비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 생산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중 미국의 울티마 지노믹스(Ultima Genomics) 사의 UG100 장비는 샘플 당 데이터 생산 단가가 약 1.8만원이고 데이터 생산 소요시간은 12시간이라고 알려져있어 도입시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적으로 Ultima Genomics사는 2016년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뉴어크에 본사를 둔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개발하여 유전체 분석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UG100 시퀀싱 플랫폼, ppmpSeq 기술 , Solaris workflow 등이 있습니다. 동사는 이중 UG10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는 NGS에 대표적인 플랫폼인 일루미나사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gNDA, cfDNA, cDNA, amplicon등 다양한 물질들이 처리 가능하고 저농도 cfDNA 기반의 액체생검 연구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표준 NGS 라이브러리 구조와 FASTQ 포맷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과 호환 가능합니다. 이에 동사는 보유중인 일루미나 플랫폼과 장비간 비교 검증 진행 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UG100장비를 도입한 기업으로는 마크로젠, 소마젠, 이노크라스 등이 있으며 동사 Pilot test로 확인해 본 결과, Feature level 에서 기존 Illumina 장비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 호환성이 높을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현재 UG100의 경우 기존 Novaseq 6000 수준의 성능을 보이면서 재료비는 1/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 두 장비의 병행 사용을 통해 시약재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동사의 재료비를 추정 시 상기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료비율은 감소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동사의 과거 매출액 및 재료비의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로열티수입 제외매출 | 12,156 | 13,556 | 18,498 | 24,114 | 26,473 |
재료비 | 3,993 | 3,761 | 5,844 | 6,697 | 6,997 |
매출액 대비 재료비 | 32.85% | 27.74% | 31.59% | 27.77% | 26.43% |
[동사 검사설비 현황] |
(단위: 백만원) |
장비명 | 적용 검사항목 | 설비대수 |
---|---|---|
NovaSeq 6000 | NIPT, 지놈헬스, I-screen, 아이캔서치 | 2 |
NextSeq 500/550D | 암패널검사, 유전희귀패널검사 | 2 |
MiSeq | MRD | 1 |
MiSeqDx | 16S, 그린바이옴 | 2 |
IonS5 system | 고형암, 액체생검 | 2 |
GCS 3000D | CMA | 2 |
ABI 3500xL | 취약X증후군 선별검사 | 1 |
PCR machine | 난천 선별검사, 월슨병 선별검사 | 1 |
EP1 | 리스크스크린 | 1 |
[시퀀싱 장비 비교] |
장비명 |
Novaseq 6000 시퀀싱 장비 |
UG 100 Sequence 시퀀싱 장비 |
---|---|---|
제조사 | iIlumina | Ultima Genomics |
1 run 생산 데이터양(Gb) | 2,000 | 1,800 |
Running time(시간) | 36 | 12 |
시간당 데이터 생산량(Gb) | 55 | 150 |
1 run 단가 (달러) | 12,000 | 1,800 |
1Gb 당 단가 (달러) | 6 | 1 |
샘플 당 시퀀싱 단가 (원) | 110,000 | 18,000 |
출처: | 동사 내부자료 |
동사는 2025년 중 UG100장비를 도입할 예정으로 장비도입시 기대되는 절감효과는 데이터 생산단가 6배 감소, 데이터 생산시간 3배 감소 등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도입된 장비를 이용한 검사법이 기존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법과 동일한 성능을 내는지, 여러장비를 동시에 사용함에 있어 검사성능의 차이는 없는지 등 여러 검토비용과 시간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장비의 전환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Capex 투자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합계 | |
---|---|---|---|---|---|---|
기계장치 | UG100 (Ultima Genomics) | 2,000 | - | - | 2,000 | 4,000 |
NextSeq 500/550D | - | 900 | 400 | 400 | 1,700 | |
MiSeq | - | 200 | - | - | 200 | |
MiSeqDx | - | - | - | 300 | 300 | |
IonS5 system | 250 | 250 | 950 | 500 | 1,950 | |
GCS 3000D | - | - | 300 | 300 | 600 | |
Sequencer(ABI 3500xL) | - | - | 200 | - | 200 | |
PCR machine | - | - | 100 | 200 | 300 | |
EP1 | - | 220 | 200 | - | 420 | |
Sequencer(Novaseq6000 외) | - | 500 | 1,000 | - | 1,500 | |
기타 검사장비 | 290 | 300 | 350 | 775 | 1,715 | |
구 축 물 | 검사실 | - | - | - | 1,700 | 1,700 |
기 타 | 검사 공구 | 100 | 300 | 300 | 400 | 1,100 |
분석서버 | 250 | 1,095 | 595 | 795 | 2,735 | |
기타 비품 | 40 | 50 | 65 | 90 | 245 | |
합계 | 2,930 | 3,815 | 4,460 | 7,460 | 18,665 |
(나) 노무비 및 기타경비 매출원가의 급여를 포함한 인건비 추정 근거는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 (나) 인력계획 및 인건비'를 참고하시기바랍니다. 복리후생비 및 복지증진비는 전년대비 인건비 증가율만큼을 반영하였으며, 여비교통비, 교육훈련비, 도서인쇄비 등 직원수와 관련되어 있는 비용들은 인력계획 규모에 최근 인당 지출비용을 감안하여 추정하였습니다. 그외 통신비, 수도광열비, 세금과공과, 임차료 등은 충분한 비용집행을 가정하기 위하여 매년 10%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기타 경비에 대한 자세한 추정 근거는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 (다) 기타 경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수선비는 공모자금 사용계획에 따라 추가적인 장비 투입등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노무비 | 1,923 | 2,006 | 2,160 | 2,373 | 2,608 |
급여 | 1,759 | 1,841 | 1,981 | 2,177 | 2,393 |
상여 | 11 | - | - | - | - |
퇴직급여 | 153 | 166 | 178 | 196 | 215 |
제조경비 | 4,648 | 4,672 | 5,276 | 5,890 | 6,662 |
소모품비 | 59 | 120 | 126 | 132 | 139 |
잡비 | 0 | 4 | 4 | 6 | 7 |
복리후생비 | 128 | 133 | 143 | 158 | 173 |
복지증진비 | 266 | 276 | 297 | 327 | 359 |
여비교통비 | 7 | 8 | 8 | 8 | 9 |
통신비 | 22 | 17 | 18 | 20 | 22 |
수도광열비 | 124 | 136 | 150 | 165 | 182 |
세금과공과 | 11 | 11 | 12 | 13 | 14 |
감가상각비 | 890 | 949 | 1,180 | 1,390 | 1,892 |
무형자산상각비 | 2 | 2 | 2 | 2 | 1 |
사용권자산상각비 | 361 | 359 | 395 | 435 | 478 |
임차료 | 237 | 236 | 260 | 286 | 314 |
수선비 | 0 | 19 | 20 | 21 | 23 |
보험료 | 3 | 2 | 2 | 3 | 3 |
운반비 | 15 | 36 | 45 | 56 | 70 |
교육훈련비 | 7 | 10 | 40 | 42 | 46 |
지급수수료 | 2,498 | 2,314 | 2,524 | 2,764 | 2,854 |
위탁검사료 | 19 | 36 | 45 | 56 | 70 |
광고선전비 | 1 | 1 | 1 | 1 | 1 |
도서인쇄비 | 0 | 4 | 4 | 4 | 5 |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판매비 및 관리비 중 급여를 포함한 인건비 추정 근거는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 (나) 인력계획 및 인건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판매비 및 관리비 중 복리후생비 및 복지증진비는 전년대비 인건비 증가율만큼을 반영하였으며, 여비교통비, 교육훈련비, 도서인쇄비 등 직원수와 관련되어 있는 비용들은 인력계획 규모에 최근 인당 지출비용을 감안하여 추정하였습니다. 그외 통신비, 수도광열비, 세금과공과, 임차료 등은 충분한 비용집행을 가정하기 위하여 매년 10%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기타 경비에 대한 자세한 추정 근거는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 (다) 기타 경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수선비는 공모자금 사용계획에 따라 추가적인 장비 투입등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판매비 및 관리비 | 12,940 | 14,538 | 14,683 | 16,091 | 17,654 |
인건비 | 3,483 | 3,679 | 3,932 | 4,221 | 4,452 |
급여 | 3,167 | 3,379 | 3,612 | 3,877 | 4,089 |
퇴직급여 | 316 | 299 | 320 | 344 | 362 |
고정비 | 619 | 684 | 769 | 856 | 940 |
통신비 | 29 | 34 | 37 | 41 | 45 |
수도광열비 | 34 | 47 | 51 | 57 | 62 |
보험료 | 8 | 9 | 10 | 11 | 12 |
교육훈련비 | 14 | 33 | 34 | 36 | 37 |
임차료 | 172 | 167 | 184 | 202 | 223 |
감가상각비 | 184 | 218 | 252 | 288 | 323 |
무형자산상각비 | 38 | 40 | 51 | 56 | 56 |
사용권자산상각비 | 140 | 136 | 150 | 165 | 181 |
변동비 | 2,786 | 2,887 | 2,884 | 3,168 | 3,451 |
복리후생비 | 114 | 122 | 130 | 140 | 147 |
복지증진비 | 361 | 385 | 412 | 442 | 466 |
여비교통비 | 354 | 328 | 344 | 362 | 370 |
소모품비 | 17 | 27 | 29 | 30 | 31 |
세금과공과 | 54 | 56 | 62 | 68 | 75 |
차량유지비 | 3 | 3 | 3 | 3 | 3 |
접대비 | 146 | 219 | 229 | 241 | 247 |
운반비 | 90 | 133 | 156 | 197 | 245 |
도서인쇄비 | 18 | 22 | 23 | 24 | 25 |
지급수수료 | 1,305 | 1,039 | 1,024 | 1,062 | 1,096 |
위탁용역료 | 226 | 284 | 223 | 282 | 351 |
광고선전비 | 90 | 265 | 245 | 310 | 386 |
잡역비 | - | 4 | 4 | 6 | 7 |
회의비 | 0 | 1 | 1 | 1 | 1 |
대손상각비 | 7 | - | - | - | - |
경상연구개발비 | 6,053 | 7,289 | 7,098 | 7,846 | 8,812 |
(가) 경상연구개발비
동사가 속한 유전체 분석검사 산업의 특성상, 시장의 수요에 맞는 제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는 필수적이고 동사는 2024년 매출액 대비 경상연구개발 비중은 3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경상연구개발비 중 약 40%를 차지하는 인건비이며 그 외 동사는 향후 추가적인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한 인력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급격한 경상연구개발비의 상승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외 경상연구개발비 중 복리후생비 및 복지증진비는 전년대비 인건비 증가율만큼을 반영하였으며, 여비교통비, 교육훈련비, 도서인쇄비 등 직원수와 관련되어 있는 비용들은 인력계획 규모에 최근 인당 지출비용을 감안하여 추정하였습니다. 그외 통신비, 수도광열비, 세금과공과, 임차료 등은 충분한 비용집행을 가정하기 위하여 매년 10%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기타 경비에 대한 자세한 추정 근거는 '(5)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 - (다) 기타 경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경상연구개발비 | 6,053 | 7,289 | 7,098 | 7,846 | 8,812 |
급여 | 2,352 | 2,471 | 2,601 | 2,721 | 2,886 |
퇴직급여 | 218 | 230 | 242 | 253 | 268 |
복리후생비 | 100 | 105 | 111 | 116 | 123 |
복지증진비 | 251 | 263 | 277 | 290 | 308 |
여비교통비 | 68 | 96 | 98 | 99 | 103 |
통신비 | 1 | 5 | 5 | 5 | 6 |
수도광열비 | 87 | 120 | 132 | 145 | 159 |
소모품비 | 75 | 96 | 98 | 99 | 103 |
세금과공과 | 13 | 13 | 15 | 16 | 18 |
보험료 | 0 | 1 | 1 | 1 | 1 |
차량유지비 | 3 | 2 | 2 | 2 | 3 |
운반비 | 7 | 36 | 45 | 56 | 70 |
도서인쇄비 | 1 | 2 | 2 | 2 | 2 |
교육훈련비 | 9 | 16 | 16 | 17 | 17 |
지급수수료 | 361 | 445 | 483 | 530 | 585 |
임차료 | 208 | 208 | 219 | 230 | 241 |
사용권자산상각비 | 317 | 317 | 332 | 349 | 366 |
광고선전비 | 1 | 1 | 1 | 1 | 2 |
감가상각비 | 1,234 | 1,157 | 1,068 | 1,221 | 1,452 |
무형자산상각비 | 55 | 104 | 143 | 187 | 245 |
시약재료비 | 502 | 1,136 | 892 | 1,127 | 1,402 |
위탁연구비 | 185 | 379 | 223 | 282 | 351 |
정부과제기업부담금 | 6 | 87 | 92 | 96 | 101 |
(나) 인력계획 및 인건비동사의 향후 인원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는 현재 제품 개발이 완료되어 판매되고 있는 바, 많은 인원 채용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임금상승률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조사의 최근 3개년(2022년~2024년) 물가상승률 평균 3.7%를 고려하여 4.0%를 일괄가정하였습니다.각 부문별 충원예정 인력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용의 구분 | 내용 |
분석 및 검사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검사 건수를 현재 분석 및 검사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검사건수를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검사건수를 인당 검사건수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
영업 및 관리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매출을 현재 영업 및 관리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매출액을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매출액을 인당 인당매출액으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단, 추정연도의 인당 매출액은 병원 및 검진센터 등 거래처 확대에 따라 영업인력 등의 인당 매출액 상승을 감안하여 연간 20%의 인당매출액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연구개발인력 | 2024년 동사의 전체 매출을 현재 연구개발인원수로 나누어 인당 매출액을 산출하고 이후 추정연도별 총 매출액을 인당 인당매출액으로 나누어 필요 인력을 가정하였습니다. (단, 추정연도의 인당 매출액은 포트폴리오 확대 및 거래처 확대 등에 따라 연구개발인력 등의 인당 매출액 상승을 감안하여 연간 20~35%의 인당매출액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
주1) |
분석 및 검사인력 산정내역
|
|||||||||||||||||||||||||||||||||||||||||||||||||||||||||
주2) |
검사인원 건당 검사가능 건수 산정내역
당사는 매출 규모 성장을 고려하여, 설비투자를 통해 2022년~2024년 평균 가동율 각각 65.55%, 51.38%, 50.50% 감소 추이를 시현하고 있으며 목표 가동률은 65% 입니다. 2024년 인당 평균 검사량은 5,203건 (검사실적 171,688건 / 검사인원 33명) 이며, 현재 설비 기준 목표 가동률 65% 설비 가동 시 검사 가능량은 220,985건 (검사실적 171,688건 X 목표가동율 65.00% / 현 가동율 50.50%) 이며, 인당 가능 검사량은 6,696건 (검사 가능량 220,985건 / 현 검사인원 33명) 입니다. |
위에 따른 동사의 인력계획 및 인건비 추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
전체 인력계획 | 122 | 125 | 130 | 136 | 142 |
인원성장률 | - | 2.5% | 4.0% | 4.6% | 4.4% |
인건비 및 퇴직급여 | 7,976 | 8,386 | 8,934 | 9,567 | 10,214 |
분석 및 검사인력 | 38 | 38 | 40 | 43 | 46 |
급여 | 1,759 | 1,841 | 1,981 | 2,177 | 2,393 |
인당급여 | 46 | 48 | 50 | 51 | 52 |
상여 | 11 | - | - | - | - |
인당상여 | 0 | - | - | - | - |
퇴직급여 | 153 | 166 | 178 | 196 | 215 |
인당퇴직급여 | 4 | 4 | 4 | 5 | 5 |
영업 및 관리인력 | 53 | 55 | 57 | 60 | 62 |
급여 | 3,167 | 3,379 | 3,612 | 3,877 | 4,089 |
인당급여 | 60 | 61 | 63 | 65 | 66 |
퇴직급여 | 316 | 299 | 320 | 344 | 362 |
인당퇴직급여 | 6 | 5 | 6 | 6 | 6 |
연구개발인력 | 31 | 32 | 33 | 33 | 34 |
급여 | 2,352 | 2,471 | 2,601 | 2,721 | 2,886 |
인당급여 | 76 | 77 | 79 | 82 | 85 |
퇴직급여 | 218 | 230 | 242 | 253 | 268 |
인당퇴직급여 | 7 | 7 | 7 | 8 | 8 |
(다) 기타 경비
[3개년 기타 경비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계정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 경상연구 개발비 | 합계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 경상연구 개발비 | 합계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 경상연구 개발비 | 합계 |
통신비 | 7 | 10 | 9 | 27 | 23 | 30 | 5 | 57 | 22 | 29 | 1 | 51 |
수도광열비 | 54 | 38 | 29 | 121 | 92 | 41 | 105 | 239 | 124 | 34 | 87 | 246 |
세금과공과 | 8 | 48 | 13 | 69 | 10 | 46 | 14 | 70 | 11 | 54 | 13 | 78 |
보험료 | 3 | 33 | 0 | 36 | 4 | 12 | - | 16 | 3 | 8 | 0 | 11 |
차량유지비 | - | 7 | 3 | 9 | - | 3 | 4 | 6 | - | 3 | 3 | 6 |
임차료 | 148 | 168 | 147 | 463 | 216 | 158 | 221 | 596 | 237 | 172 | 208 | 617 |
사용권자산상각비 | 257 | 160 | 558 | 974 | 324 | 139 | 547 | 1,010 | 361 | 140 | 317 | 817 |
경비 합계 | 476 | 464 | 759 | 1,700 | 669 | 429 | 896 | 1,994 | 757 | 440 | 629 | 1,826 |
동사의 2022년~2024년 기타경비는 각각 17억원, 20억원, 18억원을 입니다. 주요 변동 원인으로는 1) 2023년 용인지점 설치로 인한 임차료 증가, 2) 리스 만료로 인한 사용권자산상각비 감소 등이 있습니다. 동사의 기타경비는 매출 등에 따른 변동이 없이 매년 일정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어,추정 시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임차료 및 사용권자산상각비는매년 8%씩 증가하고, 그외 통신비, 수도광열비, 세금과공과 등은 매년 10%씩 증가하는 것으로 반영하였습니다.이를 통한 동사의 추정연도에 대한 기타경비 추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연도(A) | 2025연도(E) | 2026연도(E) | 2027연도(E) | 2028연도(E) |
통신비 | 51 | 55 | 61 | 67 | 73 |
수도광열비 | 246 | 303 | 333 | 367 | 403 |
세금과공과 | 78 | 80 | 88 | 97 | 107 |
보험료 | 11 | 12 | 13 | 14 | 16 |
차량유지비 | 6 | 5 | 5 | 6 | 6 |
임차료 | 617 | 612 | 663 | 718 | 778 |
사용권자산상각비 | 817 | 812 | 877 | 948 | 1,026 |
경비 합계 | 1,826 | 1,879 | 2,040 | 2,217 | 2,409 |
주1) 경비합계 = 매출원가 + 판매비 및 관리비 + 경상연구개발비
(6) 영업외수익 및 영업외비용 동사가 발행한 전환사채는 모두 전환 완료되었으며, 이에 따른 회계적 비용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외 동사의 기타수익 및 비용은 해외매출대금 수취로 인한 외환차익 및 외환차손, 리스자산처분이익 등에 존 재하고 금융수익 및 비용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이자수익, 차량 및 사무실 리스로 인한 리스비용 등이 있습니다. 동사는 하기 향후 자금 운용계획에 따라 자금을 운용할 예정이며 동사의 영업외수익 및 영업외비용은 자금운용계획에 따른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이자수익(이자율 3% 가정)과 현재 지급하고 있는 차량 및 사무실에 대한 리스비용(연간 5% 상승가정)만을 고려하였습니다.
[동사 향후 자금운용계획]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
---|---|---|---|---|---|---|
기초 현금예금 (①) | 8,637 | 6,528 | 45,493 | 41,942 | 53,925 | |
현금 수입 (②) | 판매대금 | 27,906 | 35,446 | 43,420 | 54,707 | 68,131 |
이자수입 | 279 | 196 | 306 | 499 | 715 | |
증권 처분 | - | - | - | - | - | |
유형자산 처분 | - | - | - | - | - | |
기타수입 | - | - | - | - | - | |
계 | 28,185 | 35,642 | 43,726 | 55,206 | 68,847 | |
현금 지출 (③) | 매입대금 | 9,926 | 10,983 | 13,406 | 15,726 | 18,061 |
인건비 | 8,424 | 8,391 | 9,144 | 9,975 | 10,818 | |
경비 | 8,990 | 8,928 | 9,288 | 10,193 | 11,000 | |
이자, 배당금지급 | - | - | - | - | - | |
세금과공과 | 1,039 | 80 | 88 | 97 | 107 | |
경상투자 | 734 | 3,340 | 4,425 | 5,170 | 8,270 | |
증권 취득 | 1,181 | - | 5,000 | - | - | |
기술도입 | - | - | 5,000 | - | - | |
법인세 | (0) | 264 | 926 | 2,063 | 4,312 | |
계 | 30,294 | 31,986 | 47,277 | 43,223 | 52,569 | |
과부족 (④ = ①+②-③) | 6,528 | 10,183 | 41,942 | 53,925 | 70,203 | |
자금조달 및 상환 | 금융기관차입(⑤) | - | - | - | - | - |
증권시장조달(⑥) | - | 35,310 | - | - | - | |
차입금상환(⑦) | - | - | - | - | - | |
기타조달(⑧) | - | - | - | - | - | |
현금예금잔액 | 6,528 | 45,493 | 41,942 | 53,925 | 70,203 |
주1) | 매출매입 시점과 현금 수취 및 지급의 회계적 인식 및 시점 차이로 상기 매출 및 비용추정 표와 소폭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7) 법인세 비용 법인세 한계세율을 고려하여 법인세비용을 추정하였습니다.
바. 기상장기업과의 비교참고 정보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산업 및 사업 유사성, 영업성과 시현, 일반기준, 평가결과 유의성 검토 등을 통해 바디텍메드, Revvity, Inc., Hologic, Inc., DiaSorin S.p.A. 총 4개사를 최종 유사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다만, 유사기업은 주력 제품 및 관련 시장, 영업 환경, 성장성 등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투자자께서는 비교 참고정보를 토대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비교기업의 재무 현황
[동사 및 비교기업 2024년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지씨지놈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유동자산] | 13,663 | 135,822 | 3,458,975 | 5,143,103 | 1,398,055 |
[비유동자산] | 26,959 | 118,852 | 14,784,611 | 7,706,853 | 3,170,791 |
자산총계 | 40,622 | 254,674 | 18,243,587 | 12,849,956 | 4,568,846 |
[유동부채] | 3,199 | 27,386 | 961,461 | 1,475,683 | 455,424 |
[비유동부채] | 4,343 | 4,236 | 5,995,337 | 4,347,259 | 1,925,388 |
부채총계 | 7,543 | 31,622 | 6,956,798 | 5,822,942 | 2,380,812 |
[자본금] | 9,778 | 23,487 | 177,609 | 4,416 | 79,596 |
자본총계 | 33,080 | 223,053 | 11,286,789 | 7,027,014 | 2,188,949 |
매출액 | 25,888 | 138,160 | 3,756,984 | 5,507,782 | 1,747,974 |
영업이익 | (1,234) | 26,129 | 559,818 | 1,332,592 | 402,698 |
당기순이익 | (277) | 27,260 | 403,423 | 1,014,581 | 275,841 |
주1) | 자료: 각사 공시자료, Factset |
주2)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Factset에서 제공하는 현지통화 환산분(KRW)으로 적용하였습니다. (기준일 2025.03.31) |
주3) | 당기순이익은 각 사의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동사 및 비교기업 2023년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지씨지놈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유동자산] | 14,550 | 138,679 | 3,865,105 | 4,500,180 | 1,388,593 |
[비유동자산] | 28,269 | 89,223 | 13,604,827 | 6,407,689 | 3,210,742 |
자산총계 | 42,819 | 227,902 | 17,469,932 | 10,907,869 | 4,599,335 |
[유동부채] | 12,978 | 27,264 | 1,868,051 | 1,157,822 | 460,616 |
[비유동부채] | 4,794 | 3,221 | 5,462,580 | 3,756,418 | 2,087,759 |
부채총계 | 17,772 | 30,485 | 7,330,632 | 4,914,240 | 2,548,375 |
[자본금] | 9,067 | 23,487 | 158,960 | 3,864 | 75,504 |
자본총계 | 25,048 | 197,417 | 10,139,301 | 5,993,629 | 2,049,933 |
매출액 | 27,292 | 134,219 | 3,594,157 | 5,186,663 | 1,622,063 |
영업이익 | 160 | 26,777 | 522,013 | 1,181,644 | 333,095 |
당기순이익 | (550) | 25,947 | (154,684) | 673,078 | 225,817 |
주1) | 자료: 각사 공시자료, Factset |
주2) | 해외 비교기업의 적용환율은 Factset에서 제공하는 현지통화 환산분(KRW)으로 적용하였습니다. (기준일 2025.03.31) |
주3) | 당기순이익은 각 사의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2) 비교기업의 주요 재무 비율
[동사 및 비교회사 2024년 주요 재무비율] |
(단위: %, 회) |
구분 | 지씨지놈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
성장성 | 매출액 증가율 | -5.15% | 2.94% | 4.53% | 6.19% | 6.19% |
영업이익 증가율 | -870.57% | -8.17% | 7.24% | 12.77% | 12.77%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128.49% | 5.06% | -360.80% | 50.74% | 50.74% | |
총자산 증가율 | -5.13% | 11.75% | 4.43% | 17.80% | 17.80% | |
활동성 | 총자산 회전율 | 0.62회 | 0.57회 | 0.21회 | 0.46회 | 0.46회 |
재고자산 회전율 | 11.96회 | 1.6회 | 3.58회 | 2.61회 | 2.61회 | |
매출채권 회전율 | 5.31회 | 4.95회 | 4.3회 | 6.14회 | 6.14회 | |
수익성 | 매출액 영업이익률 | 45.22% | 59.20% | 48.01% | 55.94% | 55.94% |
매출액 순이익률 | -4.86% | 19.73% | 10.74% | 18.42% | 18.42% | |
총자산 순이익률 | -3.01% | 11.30% | 2.26% | 8.54% | 8.54% | |
자기자본 순이익률 | -4.32% | 12.97% | 3.77% | 15.58% | 15.58% | |
안정성 | 부채비율 | 22.80% | 14.18% | 61.64% | 82.87% | 82.87% |
차입금의존도 | 0.00% | 3.47% | 25.61% | 28.98% | 28.98% | |
유동비율 | 427.05% | 495.96% | 359.76% | 348.52% | 348.52% |
주1) 자료: 각사 공시자료, Factset |
주2) 당기순이익은 각 사의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동사 및 비교회사 2023년 주요 재무비율] |
(단위: %, 회) |
구분 | 지씨지놈 | 바디텍메드 | Revvity, Inc. | Hologic, Inc. | DiaSorin S.p.A. | |
---|---|---|---|---|---|---|
성장성 | 매출액 증가율 | 13.18% | 13.67% | -16.01% | -10.12% | -12.24% |
영업이익 증가율 | -104.95% | 15.43% | -48.28% | -27.71% | -35.82%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85.38% | 7.43% | -121.03% | -47.39% | -30.97% | |
총자산 증가율 | -12.43% | 16.48% | -2.22% | -7.15% | 5.30% | |
활동성 | 총자산 회전율 | 0.60회 | 0.63회 | 0.2회 | 0.46회 | 0.36회 |
재고자산 회전율 | 11.56회 | 1.71회 | 3.51회 | 2.82회 | 1.66회 | |
매출채권 회전율 | 6.40회 | 5.52회 | 4.52회 | 6.04회 | 5.49회 | |
수익성 | 매출액 영업이익률 | 0.59% | 21.22% | 14.52% | 22.78% | 20.54% |
매출액 순이익률 | -2.02% | 19.33% | -4.30% | 12.98% | 13.92% | |
총자산 순이익률 | -1.20% | 12.25% | -0.88% | 5.94% | 5.04% | |
자기자본 순이익률 | -2.13% | 13.94% | -1.59% | 10.83% | 11.59% | |
안정성 | 부채비율 | 70.95% | 15.44% | 72.30% | 81.99% | 124.32% |
차입금의존도 | 15.31% | 4.11% | 28.99% | 30.27% | 37.88% | |
유동비율 | 112.12% | 508.65% | 206.91% | 388.68% | 301.46% |
주1) 자료: 각사 공시자료, Factset |
주2) 당기순이익은 각 사의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 주요 재무비율 산식
(단위: %) |
구 분 | 산 식 | 설 명 |
---|---|---|
[수익성 비율] | ||
영업이익률 | 당기영업이익 ───────── ×100 당기매출액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제조 및 판매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영업외손익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만을 매출액과 대비한 것으로 영업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가 높을수록 매출액이 증가할때의 영업이익의 증가폭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영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
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100 당기매출액 | 매출액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 또한 영업으로 인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출총이익률, 매출 경상이익률과 비교하여 기타 영업외 자금조달이나 부수활동을 통해 비효율적으로 누수될 수 있는 기업의 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100 (기초총자산 + 기말총자산)/2 | 당기순이익의 총자산에 대한 비율로서 ROA(Return on Assets)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의 계획과 실적간 차이 분석을 통한 경영활동 평가나 경영전략 수립 등에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
자기자본 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100 (기초자기자본 + 기말자기자본)/2 | 자기자본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본 조달 특성에 따라 동일한 자산구성하에서도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자본구성과의 관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
[안정성 비율] | ||
유동비율 | 당기말 유동자산 ───────── ×100 당기말 유동부채 | 유동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 즉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여신취급시 수신자의 단기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지표로 이용되어 은행가비율(Banker's ratio)이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부채비율 | 당기말 총부채 ───────── ×100 당기말 자기자본 | 타인자본과 자기자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지표로서 일반적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은 여신자 측에서 채권회수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것이며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단기적 채무변제의 압박을 받지않는한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존도 | 당기말 차입금 ───────── ×100 당기말 총자산 | 총자산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
[성장성 비율] | ||
매출액 증가율 | 당기 매출액 ──────── ×100 - 100 전기 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에 대한 당해연도 매출액의 증가율로서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경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가 됩니다. |
영업이익 증가율 | 당기 매출액 ──────── ×100 - 100 전기 영업이익 | 전년도 영업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영업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순이익 증가율 | 당기 순이익 ──────── ×100 - 100 전기 순이익 | 전년도 순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순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지배주주순이익을 기준으로 산출되었습니다. |
[활동성 비율] | ||
매출채권 회전율 | 당기 매출액─────────────── (기초매출채권+기말매출채권)/2 |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나타내는 비율로 매출채권이 순조롭게 회수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원가─────────────── (기초재고자산+기말재고자산)/2 | 재고자산의 현금화 속도를 나타내는 비율로 유동성과 자본배분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 회전율 | 당기 매출액────────────── (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2 |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사. 인수인 실적 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최근 3년간 삼성증권(주)가 대표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원, %) |
순번 | 상장 회사명 | 소속시장 | 상장일 | 공모 희망가 | 공모가 | 수익률 | |||||||
---|---|---|---|---|---|---|---|---|---|---|---|---|---|
하단 | 상단 | 구분 | 상장일 | 1개월 | 3개월 | 6개월 | 9개월 | 12개월 | |||||
1 | 서울보증보험 | 유가증권 | 2025-03-14 | 26,000 | 31,800 | 26,000 | 공모주식 (A) | 23.08% | - | - | - | - | - |
시장지수 (B) | 1.59% | - | - | -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21.49% | - | - | - | - | - | |||||||
2 | 엠디바이스 | 코스닥 | 2025-03-07 | 7,200 | 8,350 | 8,350 | 공모주식 (A) | 32.93% | - | - | - | - | - |
시장지수 (B) | -0.98% | - | - | -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33.92% | - | - | - | - | - | |||||||
3 | 피아이이 | 코스닥 | 2025-02-04 | 4,000 | 5,000 | 5,000 | 공모주식 (A) | -12.70% | 90.60% | - | - | - | - |
시장지수 (B) | 2.29% | 5.71% | - | -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14.99% | 84.89% | - | - | - | - | |||||||
4 | 와이즈넛 | 코스닥 | 2025-01-24 | 24,000 | 26,000 | 17,000 | 공모주식 (A) | -36.47% | -17.35% | - | - | - | - |
시장지수 (B) | 0.65% | 6.99% | - | -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37.12% | -24.35% | - | - | - | - | |||||||
5 | 씨메스 | 코스닥 | 2024-10-24 | 20,000 | 24,000 | 30,000 | 공모주식 (A) | -23.00% | -48.33% | -7.33% | - | - | - |
시장지수 (B) | 1.40% | -9.15% | -2.21% | -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24.40% | -39.18% | -5.13% | - | - | - | |||||||
6 | 아이스크림미디어 | 코스닥 | 2024-08-30 | 32,000 | 40,200 | 32,000 | 공모주식 (A) | -29.70% | -47.00% | -59.84% | -59.69% | - | - |
시장지수 (B) | 1.50% | -0.50% | -10.30% | -1.60%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31.20% | -46.50% | -49.55% | -58.09% | - | - | |||||||
7 | 아이빔테크놀로지 | 코스닥 | 2024-08-06 | 7,300 | 8,500 | 10,000 | 공모주식 (A) | 33.60% | -30.00% | -51.00% | -50.25% | - | - |
시장지수 (B) | -5.70% | -3.60% | 2.60% | 7.09%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39.30% | -26.40% | -53.60% | -57.34% | - | - | |||||||
8 | 하스 | 코스닥 | 2024-07-03 | 9,000 | 12,000 | 16,000 | 공모주식 (A) | 7.20% | -18.90% | -43.10% | -56.31% | - | - |
시장지수 (B) | -0.70% | -6.80% | -8.80% | -17.26% | - | - | |||||||
시장지수초과 (A-B) | 7.90% | -12.10% | -34.30% | -39.05% | - | - | |||||||
9 | 그리드위즈 | 코스닥 | 2024-06-14 | 34,000 | 40,000 | 40,000 | 공모주식 (A) | 23.80% | -2.80% | -37.50% | -58.78% | -61.08% | - |
시장지수 (B) | 1.10% | -1.40% | -15.00% | -20.38% | -15.73% | - | |||||||
시장지수초과 (A-B) | 22.70% | -1.40% | -22.50% | -38.39% | -45.34% | - | |||||||
10 | 노브랜드 | 코스닥 | 2024-05-23 | 8,700 | 11,000 | 14,000 | 공모주식 (A) | 287.90% | 125.70% | 5.20% | 20.93% | -7.00% | - |
시장지수 (B) | -0.10% | 0.70% | -8.70% | -19.95% | -8.40% | - | |||||||
시장지수초과 (A-B) | 288.00% | 125.00% | 13.90% | 40.88% | 1.40% | - | |||||||
11 | 이닉스 | 코스닥 | 2024-02-01 | 9,200 | 11,000 | 14,000 | 공모주식 (A) | 165.00% | 64.29% | 26.07% | -21.00% | -14.29% | -33.36% |
시장지수 (B) | -0.06% | 7.97% | 8.72% | 1.79% | -8.78% | -8.88% | |||||||
시장지수초과 (A-B) | 165.06% | 56.31% | 17.35% | -22.79% | -5.50% | -24.48% | |||||||
12 | 삼성스팩9호 | 코스닥 | 2023-12-04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 (A) | 3.50% | -4.05% | 2.00% | 1.00% | 2.00% | 1.00% |
시장지수 (B) | 0.15% | 4.72% | 5.53% | 2.25% | -11.54% | -18.14% | |||||||
시장지수초과 (A-B) | 3.35% | -8.77% | -3.53% | -1.25% | 13.54% | 19.14% | |||||||
13 | 에이직랜드 | 코스닥 | 2023-11-13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 (A) | 21.20% | 87.00% | 108.40% | 104.80% | 18.00% | 20.60% |
시장지수 (B) | -1.89% | 5.07% | 7.07% | 8.25% | -3.10% | -12.63% | |||||||
시장지수초과 (A-B) | 23.09% | 81.93% | 101.33% | 96.55% | 21.10% | 33.23% | |||||||
14 | 큐로셀 | 코스닥 | 2023-11-09 | 29,800 | 33,500 | 20,000 | 공모주식 (A) | 8.50% | 23.00% | 29.00% | 62.75% | 48.50% | 46.00% |
시장지수 (B) | -1.00% | 2.39% | 1.92% | 7.29% | -5.74% | -8.34% | |||||||
시장지수초과 (A-B) | 9.50% | 20.61% | 27.08% | 55.46% | 54.24% | 54.34% | |||||||
15 | 레뷰코퍼레이션 | 코스닥 | 2023-10-06 | 11,500 | 13,200 | 15,000 | 공모주식 (A) | 53.33% | -8.80% | 7.67% | -27.13% | -31.20% | -42.87% |
시장지수 (B) | 1.92% | 4.80% | 9.65% | 8.90% | 5.80% | -4.00% | |||||||
시장지수초과 (A-B) | 51.41% | -13.60% | -1.98% | -36.03% | -37.00% | -38.87% | |||||||
16 | 센서뷰 | 코스닥 | 2023-07-19 | 2,900 | 3,600 | 4,500 | 공모주식 (A) | 27.79% | -26.65% | -24.13% | -1.40% | -25.63% | -31.61% |
시장지수 (B) | 1.05% | -4.03% | -14.23% | -7.82% | -7.90% | -9.34% | |||||||
시장지수초과 (A-B) | 26.74% | -22.63% | -9.90% | 6.42% | -17.72% | -22.27% | |||||||
17 | 기가비스 | 코스닥 | 2023-05-24 | 34,400 | 39,700 | 43,000 | 공모주식 (A) | 83.72% | 113.95% | 88.37% | 67.91% | 55.12% | 48.37% |
시장지수 (B) | -0.43% | 1.83% | 4.96% | -5.14% | 1.10% | -2.30% | |||||||
시장지수초과 (A-B) | 84.15% | 112.13% | 83.42% | 73.05% | 54.02% | 50.67% | |||||||
18 | 금양그린파워 | 코스닥 | 2023-03-13 | 6,700 | 8,000 | 10,000 | 공모주식 (A) | 62.00% | 116.50% | 69.20% | 23.80% | 21.80% | 19.30% |
시장지수 (B) | 0.04% | 13.40% | 13.72% | 11.94% | 5.16% | 12.85% | |||||||
시장지수초과 (A-B) | 61.96% | 103.10% | 55.48% | 11.86% | 16.64% | 6.45% | |||||||
19 | 삼성스팩8호 | 코스닥 | 2023-03-05 | 10,000 | 10,000 | 10,000 | 공모주식 (A) | -0.20% | -2.60% | -2.10% | -3.10% | -5.00% | -3.00% |
시장지수 (B) | -0.56% | 7.06% | 9.66% | 16.19% | 4.50% | 9.01% | |||||||
시장지수초과 (A-B) | 0.36% | -9.66% | -11.76% | -19.29% | -9.50% | -12.01% | |||||||
20 | 삼성스팩7호 | 코스닥 | 2022-10-26 | 10,000 | 10,000 | 10,000 | 공모주식 (A) | 41.00% | 9.00% | 0.40% | -2.70% | -2.40% | -3.40% |
시장지수 (B) | 0.80% | 7.40% | 8.20% | 24.50% | 31.80% | 8.90% | |||||||
시장지수초과 (A-B) | 40.20% | 1.60% | -7.80% | -27.20% | -34.20% | -12.30% | |||||||
21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 코스닥 | 2022-09-26 | 15,000 | 18,000 | 10,000 | 공모주식 (A) | 0.50% | -10.60% | -16.20% | 140.00% | 94.40% | 77.40% |
시장지수 (B) | 5.30% | -1.30% | -0.20% | 19.00% | 26.40% | 19.60% | |||||||
시장지수초과 (A-B) | -4.80% | -9.30% | -16.00% | 121.00% | 68.00% | 57.80% | |||||||
22 | 수산인더스트리 | 유가증권 | 2022-08-01 | 35,000 | 43,000 | 35,000 | 공모주식 (A) | -7.10% | -5.70% | -34.00% | -30.30% | -36.90% | -42.10% |
시장지수 (B) | 0.00% | 0.80% | -6.50% | 1.30% | 2.00% | 8.80% | |||||||
시장지수초과 (A-B) | -7.10% | -6.50% | -27.50% | -31.60% | -38.90% | -50.90% | |||||||
23 | 아이씨에이치 | 코스닥 | 2022-07-29 | 34,000 | 44,000 | 34,000 | 공모주식 (A) | -20.60% | -29.60% | -35.70% | -79.40% | -80.40% | -84.30% |
시장지수 (B) | -0.70% | -0.10% | -13.50% | -8.90% | 4.40% | 13.70% | |||||||
시장지수초과 (A-B) | -19.90% | -29.40% | -22.20% | -70.50% | -84.80% | -98.00% | |||||||
24 | 삼성스팩6호 | 코스닥 | 2022-06-30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 (A) | 160.00% | 234.00% | 107.50% | 40.00% | 68.30% | 50.80% |
시장지수 (B) | 3.40% | 7.80% | -7.10% | -6.80% | 11.00% | 16.50% | |||||||
시장지수초과 (A-B) | 156.60% | 226.20% | 114.60% | 46.80% | 57.20% | 34.30% | |||||||
25 | 레이저쎌 | 코스닥 | 2022-06-24 | 12,000 | 14,000 | 16,000 | 공모주식 (A) | -31.30% | -38.40% | -52.80% | -57.50% | -59.80% | -65.00% |
시장지수 (B) | -4.80% | 5.30% | 0.10% | -5.90% | 7.00% | 16.60% | |||||||
시장지수초과 (A-B) | -26.50% | -43.60% | -53.00% | -51.60% | -66.70% | -81.60% | |||||||
26 | 스톤브릿지벤처스 | 코스닥 | 2022-02-25 | 9,000 | 10,500 | 8,000 | 공모주식 (A) | -18.60% | -5.90% | -17.90% | -26.40% | -41.30% | -34.90% |
시장지수 (B) | -2.80% | 7.10% | -0.20% | -9.10% | -18.40% | -10.80% | |||||||
시장지수초과 (A-B) | -15.80% | -12.90% | -17.70% | -17.20% | -22.90% | -24.10% | |||||||
구분 | 상장회사의 수 | 평균 수익률 | |||||||||||
유가증권시장 | 2 | 시장지수초과 | 32.90% | 23.64% | 2.83% | -0.61% | -3.16% | -4.82% | |||||
코스닥시장 | 24 | 0.06% | 2.59% | -0.66% | 0.27% | 1.09% | 1.97% | ||||||
합계 | 26 | 32.84% | 21.06% | 3.49% | -0.87% | -4.25% | -6.79% |
주1) | 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 중 공모가 포함되지 않은 스팩합병 형태의 상장 건, REITs, 이전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주2) | 공모주식 수익률 계산은 수정주가(권리락, 액면분할 등 기준 가격 조정으로 주가(기준가)가 조정될 경우, 현재 주가와 공모가 등의 비교를 위하여 동일조정 비율을 공모가에 적용하여 소급 계산한 가격) 기준으로 계산했습니다. |
2. 평가기관
구 분 | 증 권 회 사 | |
회 사 명 | 고 유 번 호 | |
대표주관회사 | 삼성증권㈜ | 00104856 |
3. 평가의 개요 가.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71조 및 동법 시행령 제68조에 의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수인을 상대로 한 모집ㆍ매출 등에 관여하는 인수회사로서, 발행인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등에 허위의 기재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적절한 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제정한 「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Due Diligence)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이라 한다)의 내용을 회사 내부 규정에 반영하여 2012년 02월 01일부터 제출되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증권신고서를 대상(자산유동화증권 등 제외)으로 기업실사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사(Due diligence) 결과를 기초로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의 기명식 보통주식 4,000,000주를 총액인수 및 모집하기 위하여 동사의 지분증권을 평가함에 있어 2024년 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3사업연도의 결산서와 감사보고서, 사업계획서 등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동사가 속한 산업의 산업동향, 발행회사의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 유사회사의 주가 등 주식가치에 미치는 중요한 사항을 분석하여 평가하였습니다.
나. 평가 일정
구분 | 일시 |
대표주관계약 체결 | 2023년 9월 27일 |
기업실사 | 2023년 9월 27일 ~ 2025년 05월 15일 |
상장예비심사 신청 | 2024년 11월 29일 |
상장예비심사 승인 | 2025년 3월 26일 |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4월 8일 |
다. 기업실사 참여자(1) 대표주관회사 기업실사 참여자
소속 | 부서 | 직책 | 성명 | 담당업무 | 참여기간 | 주요경력 |
삼성증권㈜ | Capital Market본부 | 본부장 | 이기덕 | IPO 총괄 | 2023.09.27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24년 |
ECM2팀 | 팀장 | 최유리 | 기업실사 총괄 | 2023.09.27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22년 | |
ECM2팀 | 부장 | 정지영 | 기업실사 실무 총괄 | 2023.09.27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13년 | |
ECM2팀 | 과장 | 안재현 | 기업실사 실무 | 2023.09.27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7년 | |
ECM2팀 | 과장 | 백승빈 | 기업실사 실무 | 2023.09.27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5년 | |
ECM2팀 | 대리 | 김혜민 | 기업실사 실무 | 2024.09.02 ~ 2025.05.15 | 기업금융업무 2년 |
(2) 발행회사 기업실사 참여자
소속 |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지씨지놈 | 대표이사 | 기창석 | 경영 총괄 (CEO) |
경영관리실장 | 정상훈 | 재무 총괄 (CFO) | |
연구소장 | 조은해 | 기업부설연구소 총괄 (CSO) | |
경영관리팀 | 박민규 | 경영관리 및 IR/공시 담당 | |
경영관리팀 | 이상준 | 경영관리 및 IR/공시 담당 |
라. 기업실사 이행사항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지씨지놈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기업실사(Due-Diligence)를 실시하였으며, 동 기업실사의 참여자 및 일정, 실사내용 등 상세한 내용은 첨부서류인 「기업실사」에 기재하였으므로 해당 첨부서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마. 회사의 과거 3개년 신규 주식 발행 내역
(단위 : 주, 원 ) |
주식발행일자 | 발행형태및 방식 | 주식종류 | 총발행수량 | 주당발행가액 | 발행후 총 유통주식수 | 발행 관련중요 계약 조건 | 주요 투자자,행사자 | 비고 |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2022.12.9 |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 | 보통주 | 2,133,333 | 5,625 | 18,133,333 | - | 18,133,333 | 주1)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주2 |
2024.11.22 |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 | 보통주 | 1,422,222 | 5,625 | 19,555,555 | - | 19,555,555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주2 |
주1)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는 투자한 전환사채의 전환권을 행사하여 취득한 보통주에 대해 발행일로부터 4년뒤에 해당하는 기간(2024년 12월 22일)부터 연복리 4%로 이해관계인(녹십자홀딩스)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주식매수청구권은 상장이 완료되면 소멸하는 조건으로 공모자금의 유출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주2) 전환사채 전환을 통해 발행된 보통주의 경우, 주당 전환가액을 기재하였습니다. |
주3) 기발행 전환사채는 모두 보통주로 전환 및 상환되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환가능주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바. 기업공개 관련 평가 의견(1)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시 중요 확약사항 (가) 대표주관 회사의 책임 강화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아 환매 청구권을 부여할 의무가 없으나, 투자자 보호를 고려하여 일반청약자에게 상장일로부터 3개월까지 금번 공모 시 배정받은 주식을 대표주관회사에게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를 부여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환매청구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III.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카.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 부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사외이사 선임,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확약 동사는 사업 특성상 특수관계자(녹십자의료재단, 지씨셀)와의 거래가 잦아,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시 거래가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1인을 추가선임하고,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을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추가 제정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만약, 해당 위원회 설치 및 규정 제정 등이 예정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공모 일정을 연기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2) 주관회사 내부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
동사의 금번 공모의 경우 주관회사 내부위원회 개최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삼성증권㈜의 사내규정 중 인수위험관리준칙 제2-3조(전결권)에 따를 경우 IPO의 경우 증권신고서 제출 시, 공모금액 1,000억원 초과 딜의 경우 투자인수위원회에 보고 및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번 공모의 경우 공모금액이 1,000억원에 미달하기 때문 삼성증권(주) 내부적으로 투자인수위원회에 보고절차를 진행하지 않았으나, 실무자협의체(Commitment Committee)를 개최하여 리스크관리담당, 경영관리담당, 컴플라이언스담당 등의 합의 및 IB1부문 부사장의 승인을 통해 금번 공모의 지분증권 관련 총액인수를 검토하고 진행하였습니다.
내부위원회 명칭 | 위원회 주요 구성 | 일시 | 논의내용 | |
실무자협의체(Commitment Committee) | 기업심사팀, 경영관리팀, 법무팀, 경리팀, 경영관리팀, 자금팀, 준법감시팀, 컴플라이언스운영팀, IB1지원팀 | 2025.04.02 | 1. 산업 내 사업경쟁력2. 재무안정성 | - 동사 영위사업에 대한 산업 현황과 성장성 논의, 주요 경쟁사 파악 및 동사 기술경쟁력 검토- 직접적인 경쟁사는 현재 모두 적자상태이나, 동사는 안정적인 판매처 확보 및 이후 확대전략을 통해 매출성장 및 이익시현 기대 |
3. Valuation4. 규정 준수에 대한 사항 | -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기입된 2024년 온기 재무수치 및 주요 카테고리별 매출 검토 -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변경된 Valuation 로직 및 PER 산정에 활용된 비교기업들의 적정성 검토- 본건 인수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23년 개정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및 24년 개정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누락 유의 - 대표주관회사의 의무인수분 의무보유기간 준수 유의 | |||
5. 인수리스크6. IPO 일정 관련 사항 | - 심사과정에서 주관사의 의무인수 및 환매청구권이 추가되어 인수리크스 증가에 대한 검토 -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공모시장에 대한 점검 및 발행회사와 유사한 업종이면서 상장한 회사들에대한 데이터 확인- 미매각 등으로 인한 실권주 발생시 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는 지분율은 최대 17.4%인바, 당사 취득 지분율에 따라 금융위 승인 또는 보고 등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음을 논의 |
한편, 금번 개정된 금융투자협회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를 경우 금번 공모와 같이 수요예측을 통하여 공모가격을 결정하는 경우 동 공모가격의 결정(공모희망가격의 범위 산정 및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을 포함)에 대한 내부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공모가격의 결정을 진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 개정 규정 부칙 제2조제2항에 따라 동 내용은 2024년 10월 1일 이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는 건부터 적용하도록 함에 따라 금번 (주)지씨지놈의 경우 대표주관계약 체결일이 2023년 9월 27일임에 따라 해당 개정된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상황입니다. 금번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삼성증권(주)는 동 개정내용과 관련된 내부 기준을 마련하여 내부규정을 개정할 계획에 있는 상황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사업모델기업 특례동사의 경우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사업모델기업 특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4. 기업실사결과 및 평가내용
㈜지씨지놈은 2013년 설립된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질병 진단 및 치료 현장에서 수집된 개인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질병의 조기 선별과 예측, 더 나아가 맞춤형 치료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기술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연구·개발하는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 기업입니다.동사는 정밀의료의 발전에 따른 유전체 검사 시장의 확대로 임상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질병 예방, 진단 및 치료/예후 관리 등 생애 전주기를 다루는 맞춤형 분자진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사업 영역은 사용목적 및 대상에 따라 크게 4가지의 검사 서비스 분야로 구분 됩니다.
- 산과검사: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산부인과 및 소아과 의료진들에게 병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검사로는 G-NIPT, 산전 CMA, i-Screen조기선별 등이 있습니다.
- 암 검사: 암환자들의 유전적 발생 원인 파악 및 프로파일링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혈액종양내과 및 외과 등 암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나 예후, 위험 평가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 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Greenplan HRD, Greenplan TBx, Greenplan Hema 등이 있습니다.
- 유전희귀 검사: 약 7,000여종 이상의 유전성 희귀질환 환자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오가와 및 신경과 등 희귀질환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올바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결과와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NGS 희귀패널검사, CMA 검사 등이 있습니다.
- 검진 검사: 건강한 성인의 질병 조기 발견 및 예방, 위험성 평가, 가족력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유전체 검사로, 건강검진기관에서 개인별 맞춤형 건강 계획이 가능하도록 유전자 분석 결과와 상대적인 위험도를 평가하여 동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하며, 대표제품으로는 아이캔서치, 지놈헬스, 지놈스크린 등이 있습니다.
가. 영업현황(1) 시장의 규모
유전체 검사 시장은 유전자, 염색체 또는 단백질 변화를 식별하는 의료 검사로, 유전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특정 유전적 상태를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분야로는 질병 진단, 발병 전 검사, 산과 검사가 포함됩니다.
특히 암 분야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의 강력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 및 정밀 의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암 발생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 접근 방식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암 조기 선별 및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전체 기반 암 치료 및 진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글로벌 정밀의료 및 유전체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 PRECISION MEDICINE MARKET SIZE & SHARE ANALYSIS - GROWTH TRENDS & FORECASTS 2024 to 2029 (Mordor Intelligence, 2024)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Mordor Intelligence 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10억 3 천만 달러로 추산되면 2028년에는 약992억 5천 달러로 연평균성장률(CAGR)은 5.20%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정밀의료 시장의 주요 성장동인은 유전자와 질환과의 특징 분석을 위한 연구 강화, 온라인 포럼의 증가, 암 생물학의 발전이 있었습니다. 지난 몇 년동안 암 및 희귀질환과 같은 중증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유전자 치료제, 진단법, 그리고 의약품들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암 발생률의 증가는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정밀의료의 필요성을 높이며, 시장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정밀의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요 성장 동인인 유전체 검사 시장도 연평균 성장률(CAGR) 10.81%로 성장하여 2024년 약 196억 6천만 달러에서 2028년 296억 4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전체 검사 시장에는 유전자, 염색체 또는 단백질 변화를 식별하는 의료 검사로서, 유전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특정 유전적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로 질병 진단, 발병 전 검사, 산전/신생아 검사가 포함됩니다.
특히 암 부문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의 강력한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예방 및 정밀 의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장은 암 발생에서 유전적 변이와 이에 따른 치료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암 발생률 증가로 인해 다양한 암의 조기 선별과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 수요가 증가하면서, 암 부문의 성장에 기여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는 정밀의료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 중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분야에서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을 통해 각 세부 목표 시장을 선정하여 공략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기술력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300가지 이상의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품목군 별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의 목표 시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품목군 | 대표제품 | 서비스 유형 | 목표 시장 |
---|---|---|---|
산과 | G-NIPT | 산전 선별검사 |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IPT) |
암 |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검사 | 암 진단검사 | 암 프로파일링 |
유전희귀 | 희귀NGS 패널검사 | 희귀 진단검사 |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
검진 | 아이캔서치(MCED, Multi-cancer Early Detection) | 검진 예측검사 |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MCED) |
[동사 품목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 PRECISION MEDICINE MARKET SIZE & SHARE ANALYSIS - GROWTH TRENDS & FORECASTS 2024 to 2029” (Mordor Intelligence, 2024) |
(가) 산과: NIPT 시장의 규모 및 전망
동사의 G-NIPT 검사는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on-invasive Prenatal Test, NIPT) 시장을 대상으로 합니다. NIPT 시장은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NIPT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64억 1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1.6%를 기록하며 2028년에는 101억 2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고위험 산모 증가, 유전질환 발생률 상승, 검사 권장 연령 가이드라인 변경 및 임신 지원 정책 확대 등이 있습니다.
NIPT는 기존 모체 혈청 선별검사(Maternal Serum Screening)를 대체하는 기술로, 1980년대 중반부터 사용되던 기존 기술이 2014년부터 NIPT로 대체된 점을 고려할 때, 기술의 수명주기가 약 30년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10년 내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나) 암: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 및 전망
동사의 고형암 NGS패널검사은 암 환자의 조직이나 혈액(액체생검)으로 유전학적 진단을 위한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 시장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27억 7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성장률 18.7%를 기록하여 2028년 약 254억 1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및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암 진단 및 표적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맞춤형 치료의 확산과 함께 시장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 세계 암 발생률 증가에 따라 정밀 진단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조직 생검에서 액체 생검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 모니터링과 예후 예측 검사 분야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다) 유전희귀: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동사의 희귀 NGS 패널 검사는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은 2024년 10억 6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 14.23%를 기록하며 2029년 약 20억 6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기술 발전과 희귀질환 환자 레지스트리 확대, 정부 지원 정책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 FDA를 비롯한 글로벌 보건 당국도 희귀질환 치료 및 진단 기술 발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16년 희귀질환 관리법 시행 이후, 2017년 NGS 패널 검사 보험 적용 및 2019년 염색체 질환 진단 검사 보험 적용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시장이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라) 검진: MCED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동사의 아이캔서치는 다중암 조기 선별(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MCED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0억 6,600만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 16.6%를 기록하며 2028년 약 22억 9,5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AI 분석 기술 및 액체 생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암 조기 진단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다중암 조기 선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캔서 문샷 프로젝트 등 정부 주도의 투자도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시장 경쟁 상황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서비스로, 질병관리청의 평가를 통해 검사 목적과 대상자에 적합한 방법인지, 안정성과 임상적 유용성이 충분한지를 검토 후 신고제로 운영됩니다. 체외진단의료기기와 비교해 제도와 인허가 과정이 비교적 간소하지만, 임상적 유용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은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신고 수리가 보류될 수 있어 서비스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 검사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검사실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유전체 검사 신고 후, 검사실 인증과 관리가 내부 및 외부 기관을 통해 검증되며, 이러한 체계는 유전체 검사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며, 시장에서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더불어, 유전체 검사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유전체 검사 기관이 신기술을 빠르게 흡수하고 이를 국내 시장에 적용해 상품화하는 역량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제품의 경우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암ㆍ희귀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는 결과에 따른 유전학적 해석과 임상 치료 방식이 중요 결정 요소로 대부분 고가 검사로 대학병원에서 수요가 높습니다. 대학병원에서는 유전체 검사 성능이 경쟁사와 유사하더라도 의료인은 임상 데이터가 많고 브랜드 가치가 높은 제품, 그리고 다양한 의료 미충족 수요를 만족시키는 유전자검사기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술 고도화와 함께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상품화할 수 있는 능력을 전반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유전체 검사 서비스의 시장 경쟁력에 필수적입니다.
동사는 주요 서비스 시장에 임상 유전체검사를 공급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습니다. 생애 전주기에 걸쳐 300여 종의 유전체 검사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포트폴리오는 산과/신생아, 암, 유전희귀 및 검진 유전체 검사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간 임상유전체 검사서비스 포트폴리오 비교] |
기업명 | 산과 | 암 | 유전희귀 | 검진 |
---|---|---|---|---|
지씨지놈 | ○ | ○ | ○ | ○ |
L사 | ○ | ○ | ○ | ○ |
T사 | ○ | - | - | ○ |
M사 | - | ○ | ○ | ○ |
G사 | - | ○ | - | - |
S사 | - | - | ○ | - |
I사 | - | ○ | - | ○ |
동사의 다양한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타사가 특정 시장에만 제한된 유전체 검사를 제공하는 것과 차별화되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동사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시합니다. 의료 생태계 전반에 걸친 유전체 검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고객에게 다양한 선택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진료과를 운영하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는 운영 효율성을 고려하여 동사의 검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동사의 포트폴리오는 태아부터 노년기까지 각 생애 단계별로 맞춤형 유전체 검사를 제공하여,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진단, 치료, 예방까지 모두 가능하게 하며 규모가 크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NIPT 및 다중암 조기선별(MCED) 시장에서 원천 기술을 확보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에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주요 경쟁 기업 중 하나인 L사의 경우 유전자검사기관으로, 임상 유전체 사업 외에도 다양한 용역 사업을 수행하고 있어 임상 유전체 검사에 대한 기술력이 다소 미비한 실정입니다. 또한, L사는 NIPT에 필요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지 않아 기술적 경쟁력에서 동사와 차별화됩니다.
암과 검진 핵심 제품의 경쟁 기업인 I사는 액체생검을 활용한 암 진단 및 모니터링, 암 검진 검사 포트폴리오와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전희귀질환이나 산과 관련 검사 포트폴리오가 없어 종합적인 유전체 검사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암 정밀진단에서 액체생검 활용 시 임상적 근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일부 임상 현장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동사가 영위하는 국내 유전체 검사서비스 사업의 경우 기업별로 서비스하는 검사 포트폴리오가 매우 상이하고 같은 종류의 검사에도 구성하는 질환항목등의 차이가 있어 각 제품별로 시장점유율을 집계하기가 어려워 공신력있는 기관의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이에따라, 제품별 혹은 카테고리별 점유율을 비교할 수 없어 국내 상장사의 공시자료를 기반으로 검사서비스를 통합하여 시장점유율을 아래와 같이 산정하였습니다.
[국내 검사서비스 사업영역 상장사 국내 매출액 기준 점유율 비교] |
(단위: 억원) |
회사명 | 주요 제품군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매출 | 시장점유율 | 매출 | 시장점유율 | 매출 | 시장점유율 | ||
지씨지놈 | 산과, 암, 검진, 희귀 | 232 | 10.0% | 257 | 15.4% | 251 | 17.4% |
랩지노믹스 | 산과, 암, 검진, 희귀 | 889 | 38.5% | 258 | 15.5% | 108 | 7.5% |
아이엠비디엑스 | 암, 검진 | 22 | 1.0% | 32 | 1.9% | 22 | 1.5% |
쓰리빌리언 | 희귀 | 6 | 0.3% | 16 | 1.0% | 18 | 1.2% |
마크로젠 | DNA Sequencing | 561 | 24.3% | 579 | 34.8% | 608 | 42.2% |
제이에스링크 | 검진 | 104 | 4.5% | 156 | 9.4% | 100 | 6.9% |
CJ바이오사이언스 | 검진 | 36 | 1.6% | 46 | 2.8% | 33 | 2.3% |
DXVX | 산과 | 75 | 3.2% | 37 | 2.2% | 22 | 1.5% |
EDGC | 산과, 암, 검진, 희귀등 | 53 | 2.3% | 47 | 2.8% | 44 | 3.1% |
지니너스 | 암 | 95 | 4.1% | 62 | 3.7% | 60 | 4.2% |
엔젠바이오 | 암 | 94 | 4.1% | 32 | 1.9% | 25 | 1.7% |
지노믹트리 | 검진 | 1 | 0.0% | 1 | 0.1% | 2 | 0.1% |
메디젠휴먼케어 | 검진 | 39 | 1.7% | 46 | 2.8% | 39 | 2.7% |
바디텍메드 | 암, 검진 등 체외진단기기 | 103 | 4.5% | 96 | 5.8% | 109 | 7.6% |
합계 | 2,310 | 100.0% | 1,665 | 100.0% | 1,441 | 100.0% |
출처: | 각사 사업보고서 |
주1) | 상기 시장점유율은 검사서비스 등을 사업영역으로 하는 국내 상장사 각 연도별 공시자료 상 국내매출의 합산 금액 대비 각 기업의 매출액 비중입니다. |
[해외기업간 임상유전체 검사서비스 포트폴리오 비교] |
기업명 | 산과 | 암 | 유전희귀 | 검진 |
---|---|---|---|---|
지씨지놈 | ○ | ○ | ○ | ○ |
N사 | ○ | ○ | - | ○ |
GH사 | - | ○ | - | ○ |
M사 | ○ | ○ | - | ○ |
G사 | - | - | - | ○ |
F사 | - | ○ | - | - |
C사 | - | - | ○ | - |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부분의 경쟁 기업들과 비교했을때, 동사는 다양한 서비스 분야를 통해 사업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 검사 수출 시 하나의 대리점과 계약을 맺은 후에도 다양한 검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동사는 산과 분야의 NIPT와 검진 분야의 다중암 조기선별(MCED) 시장을 겨냥하여 원천 기술을 확보해 왔으며, 성숙한 NIPT 시장에서는 활발한 검사 수출을 통해 대리점과 매출을 확보하고, 형성 단계에 있는 MCED 시장에서는 기술 수출을 통해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가) 산과: G-NIPT 검사의 비교 우위
산과 분야의 대표 제품인 G-NIPT는 국내외 경쟁 제품 대비 다양한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우선, 검사 소요일 측면에서 동사는 공정 설계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 7일에서 3일로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국내 최단 수준의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검사 정확도 측면에서도 G-NIPT는 다운증후군 검출 민감도 99.79%, 특이도 99.98%라는 높은 임상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임상 성능 검증 논문이 발표되어 의료 현장에서의 신뢰도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부수적인 염색체 이상에 대해서도 140종 이상의 질환을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범위 면에서 경쟁사 대비 폭넓은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G-NIPT는 국내 NIPT 제품 중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한 제품으로, 검사 성능과 임상적 유효성이 국가기관에 의해 공인되었기 때문에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동사는 타사와 달리 양성 결과에 대한 후속 확진 검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의 활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의료진과 산모는 양수 핵형검사, 산전 CMA 등 다양한 정밀 진단 옵션을 통해 보다 정밀하고 맞춤화된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경쟁사에서는 쉽게 제공하지 못하는 고부가가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G-NIPT는 소아 희귀질환 진단에 활용되던 CMA 장비를 산전 선별 검사로 확장 활용함으로써 진단의 연속성을 강화하였고, 이로 인해 대학병원 내 의뢰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일원화는 전국 87개 대학병원 중 60% 이상인 52개 병원에서 동사 서비스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지씨지놈 G-NIPT의 경쟁사 제품 비교] |
(나) 암: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검사의 비교우위
암 분야의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 역시 다방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해당 패널은 총 523개의 유전자 항목을 기반으로 고형암 환자의 종양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환자 맞춤형 치료에 적합한 표적치료제나 면역치료제 선택에 필요한 유전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함으로써, 치료 전략 수립의 정밀도와 예후 개선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동사 패널은 적은 양의 검체(조직 8절편)만으로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검체 확보가 어려운 환자들에게 특히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는 경쟁사들이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10절편보다 적은 양으로도 진단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검사 소요일 역시 14일로 단축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21일 이상 소요되는 경쟁사 제품에 비해 빠른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이는 수술이나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 시급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고형암 진료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더불어 동사는 국내 주요 NGS 실시기관 70여 곳 중 약 38%에 해당하는 27개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광범위한 유통망 확보를 가지고 동사는 제품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 유전희귀: 희귀 NGS 패널검사의 비교우위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진단 영역에서 동사는 총 93개의 희귀질환 NGS 패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업계에서 가장 폭넓은 검사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검사 소요기간은 평균 17~21일로, 희귀질환 진단에 있어 신속한 결과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의 치료 결정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희귀질환 환자의 절대 수가 적어 분석 장비 운영이 비효율적인 타 기관들과 달리, 동사는 전국 NGS 실시기관 70곳 중 52곳으로부터 검체를 안정적으로 수주하고 있어 장비 운영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GC-MD, GC-VIP, GC-Cnema 등 동사가 독자적으로 고도화한 희귀질환 진단 알고리즘은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의료진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특정 유전체 검사에 대해서는 소요 기간을 17일 이내로 단축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유전 상담 또한 강화되어, 유전상담사와 진단검사 전문의 간의 직통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핫라인(hot-line) 시스템을 구축하여 임상 현장의 대응력을 높이고 있으며, 이러한 전방위적 서비스 품질은 경쟁사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만들고, 동사의 초격차를 공고히 하는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라) 검진: 아이캔서치 검사의 비교우위
검진 영역의 대표 제품인 아이캔서치는 다양한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조기암 선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이캔서치는 최적화된 샘플 처리 공정, 검사법 및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생산성과 정확도 모두를 확보하였으며,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병의원에 합리적인 공급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생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암종으로의 기술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분석 알고리즘(FEMS 및 RMD)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고밀도 서열 분석 없이도 정확한 암 존재 여부 및 기원 암종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검체 요구량은 10ml로, 경쟁사의 20ml 대비 적고, 샘플당 데이터 생산량도 10Gb 수준으로 최적화하여 대형 검진센터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확보하였습니다.
검사 소요일은 평균 7~14일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며, 검사의 민감도는 82.2%, 특이도는 96.2%로 임상적으로 우수한 정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4,923건의 임상 검체 기반의 성능 검증이 완료되어, 신뢰성과 상용화 가능성 또한 충분히 입증되었습니다.
[지씨지놈 아이캔서치의 경쟁사 제품 비교] |
한편, 유전진단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데이터 생산 방식으로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 전장 메틸화 시퀀싱, 그리고 표적 메틸화 시퀀싱 등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방식은 각기 다른 활용 목적과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방식별 장단점이 존재합니다.1)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 (Low-Coverage Whole Genome Sequencing)동사가 활용하고 있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은 유전체 전체를 평균적으로 0.1배에서 1배 깊이로 얕게 시퀀싱하는 방식으로, 암 조기 진단, 비침습 산전 검사 등 cfDNA를 활용한 비침습적 질병 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해당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전 유전체 범위를 편향 없이 분석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이를 통해 염색체 이상(Chromosomal Copy Number Variation, CNV), 단편화 양상(fragmentation pattern), 뉴클레오솜 위치 정보(nucleosome positioning), DNA 말단 특성(end motif), DNA 조각 크기 분포(fragment size distribution) 등 다양한 생물학적 정보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틸화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샘플 손상이 적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처리량이 적어 비용이 낮고 분석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다만, 시퀀싱 깊이가 얕기 때문에 단일 염기 변이(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또는 세밀한 구조 변이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메틸화 정보는 직접적으로 얻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2) 전장 메틸화 시퀀싱 (Whole Genome Methylation Sequencing)전장 메틸화 시퀀싱은 전 유전체의 메틸화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가장 포괄적인 방식으로, DNA를 bisulfite(메틸화 시퀀싱을 위한 전처리 과정) 처리한 뒤 시퀀싱함으로써 CpG 부위의 메틸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프로모터, 인핸서, 유전체 간 영역 등 거의 모든 부분의 메틸화 정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해당 방식은 후성유전학적 정보(epigenetic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cfDNA가 유래한 조직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뚜렷한 강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bisulfite 처리 과정에서 cfDNA의 손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분석을 위해 높은 시퀀싱 깊이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분석 파이프라인이 복잡하고 처리 시간이 길기 때문에, 진단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있어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제약이 있습니다.3) 표적 메틸화 시퀀싱 (Targeted Methylation Sequencing)표적 메틸화 시퀀싱은 유전체 전체가 아닌, 미리 정의된 특정 유전자 영역 또는 CpG 섬(CpG island)에 한정하여 메틸화 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특정 질환과 연관된 후성유전학적 바이오마커(epigenetic biomarker)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할 때 적합합니다.해당 방식의 장점은 분석 대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소요 비용이 적고, 상대적으로 높은 깊이로 시퀀싱할 수 있어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은 점입니다. 또한, 특정 질환에 대한 진단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타겟 설계가 가능한 장점도 있습니다.반면, 유전체의 다른 영역에 대한 정보는 전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발견되거나 진단 대상이 바뀌었을 경우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우며, 플랫폼마다 타겟 영역 설계 방식이 달라 결과의 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동사가 활용하고 있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 방식은 다른 방식들에 비해 샘플 보존성이 높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순 시퀀싱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cfDNA 특성(CNV, 조각화 양상, 말단 모티프 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 다중 지표 기반의 정밀 진단 알고리즘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평균 0.1~1배 깊이의 시퀀싱만으로도 충분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샘플당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대규모 인구 기반 스크리닝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메틸화 기반 방식보다 잡음이 적고, 데이터 해석이 비교적 단순하여,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델 설계 시 효율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동사는 전장 메틸화 시퀀싱과 표적 메틸화 시퀀싱 대신 저밀도 전장 시퀀싱 방식을 활용하여 유전체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나. 기술력(1) 기술의 완성도 동사는 개발기술의 성숙도 또는 이행단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지표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방식을 응용하여 체계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동사는 제품개발 단계를 크게 컨셉정립 단계(TRL 1-3),개발 단계(TRL 4-5), 검증 단계(TRL 6-7), 임상서비스 단계(TRL 8-9)로 구분하였습니다. 컨셉정립 단계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진행됩니다. 여기에는 기초 이론과 실험,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정립 및 개념 정리가 포함됩니다. 이 단계에서 여러 가지 테스트를 통해 컨셉으로 정의된 기술을 PoC(Proof of Concept) 단계로 테스트하고, 실험실 배치 단위로 기술의 가능성과 성능을 측정합니다.개발 단계에서는 실험실 단위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의 완성도와 고도화에 집중합니다. 실험실 규모의 기본 성능을 검증하고, 부품 및 시스템 성능 평가를 통해 시제품을 제작합니다. 검증 단계에서는 대규모 임상 샘플을 활용하여 기술의 성능 평가와 신뢰성 검증을 통해 기술의 유효성을 입증합니다. 마지막으로 임상서비스 단계에서는 개발된 기술을 제품화하여 시장에 선보입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시제품의 인증 및 표준화를 거쳐 사업화를 진행합니다.동사의 주력 핵심기술 기반의 제품인 산전 염색체 이수성 이상 선별검사 제품인 G-NIPT와 다중암 조기 선별 제품인 아이캔서치 검사는 이러한 단계들을 거쳐 체계적으로 개발을 완료하고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 TRL단계와 지씨지놈 제품개발 단계의 비교] |
동사는 설립 이래 다양한 유전체 검사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혁신적인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위와같은 체계적인 단계를 통하여 핵심 기술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G-PrEMIA)과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G-SeNTInEL)을 개발하였으며, 두 기술 모두 검증 및 고도화 단계를 거쳐 시제품이 개발되었습니다.
[동사 핵심 기술 및 특징] |
핵심 기술 | 요소 기술 | 특징 | 핵심 기술 제품 |
---|---|---|---|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 (G-PrEMIA) |
FD(Fragment Distance): 각 정렬된 시퀀싱 리드(aligned reads) 간의 거리를 측정 | 데이터의 분포를 반영해 안정적이며 강한 신호 활용 및 앙상블 기법으로 검사 정확도 향상 |
G-NIPT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 |
GAViDL(Genomic Aneuploidy Visualization for Deep Learning): 복잡한 유전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간소화하는 기술 | 염색체의 전반적인 패턴 학습 및 타깃 염색체 중복 배치로 신호 증폭. 시각화를 통해 AI 학습 최적화 및 분석 정확도 제고 | ||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G-SeNTInEL) |
FEMS(Fragment End Motif by Size): 핵산단편 말단 서열 및 사이즈 이용 기술 |
cfDNA의 단편 크기(FS)와 단편 말단 모티프(FEM) 정보를 결합한 패턴을 분석하여 다양한 암 유형을 동시에 탐지 |
아이캔서치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 |
RMD(Regional Mutation Density): 돌연변이 밀도 및 시그니처 이용 기술 |
특정 유전자의 변이를 보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변이의 밀도를 패턴화하여 분석 |
(가) G-PrEMIA 기술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기존 경쟁사들의 양 기반 NIPT 검사는 산모의 복제수 변이(CNV)에 의해서 결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동사는 산모의 염색체 이수성을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NIPT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단순히 특정 영역의 양만으로는 그 영역의 패턴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거리 개념(Fragment Distance, FD)의 NIPT 검사를 개발하였습니다. 거리 개념분석기술은 NGS 데이터를 참조 유전체에 정렬한 후, 정렬된 데이터 간의 유전적 위치 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존 양기반 검사와 대비되어 정렬된 데이터의 분포를 분석할 수 있어 편향된 분포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양기반 분석기술과 동사의 거리기반 분석기술의 비교] |
또한, 기존 통계적 기법으로 FD(Fragment Distance)를 이용한 이수성 검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산모의 구조적 이상(CNV)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여전히 존재했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산모의 CNV 영향을 고려한 이수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복잡한 형태의 구조적 이상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판단하기 위해 AI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이미지 분석에 강점을 갖는 AI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NIPT 데이터를 AI가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가공하였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산전 선별 기술 G-PrEMIA는 총 17,678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성능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양성예측도에서는 동사의 G-PrEMIA 기술이 2배 이상 높은 성능을 보이고 특히, 위양성 샘플수는 G-PrEMIA 기술이 10배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등 기존 NIPT 기술에 대비해 우수한 검출 성능이 확인되었습니다.
[G-PrEMIA 기술의 성능지표비교] |
FD 관련 핵심 특허는 핵산 혼합물에서 복제수 변이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한국 등록 특허 제10-1686146호 및 그 패밀리 특허들과 핵산 단편간 거리 정보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에 관한 한국 등록 특허 제10-2452413호 및 그 패밀리 특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국 등록 특허 제10-2452413호 및 그 패밀리 특허는 핵산 단편 사이의 거리(fragment distance, FD) 값에 기반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을 보호하고 있으며, FD에 기반한 염색체 이상 검출 분야의 원천기술로서, 다양한 염색체 이상 검출로의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GAViDL 관련 핵심 특허는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에 관한 한국 등록 특허 제10-2586651호 및 그 패밀리 특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국 등록 특허 제10-2586651호 및 그 패밀리 특허는 염색체 이상 검출을 위한 핵산단편의 거리기반 정보를 이미지화 하는 기술을 넓은 권리범위로 보호하고 있습니다.아울러 동사는 각 기술에 대한 FTO 분석 보고서를 통해 타사의 특허를 침해할 가능성이 없음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G-PrEMIA 핵심특허 및 FTO 보고서] |
동사는 논문 게재를 통해 원천 기술과 기술 제품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성과 발표를 통해 글로벌 분자진단 분야에서 학술적 권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설립 이후 현재까지 총 145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이 중 G-NIPT 핵심 기술과 관련된 문헌은 12편으로 Front Genet 학술 권위적 저널에 출판되었습니다.
[G-PrEMIA 핵심기술 논문 게재 실적] |
구분 | 주제 | 학술지 | 피인용지수 | 저자 | 연도 |
---|---|---|---|---|---|
1 | Clinically significant maternal X chromosomal copy number variationdetected by noninvasive prenatal test | J ObstetGynaecol Res | 1.6 | 조은해 | 2019 |
2 |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algorithm using cell-free DNA fragment distance for non-invasive prenatal testing(aiD-NIPT) | Front Genet | 4.5 | 이준남, 이새미, 안진모, 이태림, 김완, 조은해, 기창석 | 2022 |
[G-PrEMIA 논문 게재 내용] |
(나) G-SeNTInEL기술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기존 연구에서 암환자의 cfDNA 길이는 건강인에 비해 짧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인의 경우 약 166bp에서 최빈값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암환자의 cfDNA는 이보다 짧은 구간에서 최빈값을 가지며, 종양분율(tumor fraction)이높은 샘플일수록 길이는 더 짧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동사에서는 cfDNA의 길이 정보를 활용하여 암의 진단 및 예후 에측을 위한 선행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cfDNA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short fragment 구간(118 bp ~150bp)과 long fragment 구간(169bp~220bp)으로 나누고, 이 구간의 핵산단편비(Fragmentation-Ratio, FR= short fragment 수 / long fragment 수)를 계산하여 feature로 활용하였습니다. 동사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통해 사이즈 정보를 통한 암의 진단이 가능한 것을 자체적으로 검증하였고 또한, cfDNA의 단편 크기(FS)뿐만 아니라 단편 말단 모티프(FEM) 정보를 결합한 패턴을 분석하여 다양한 암 유형을 동시에 탐지하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DNA 절편화(FEMS)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동사 FEMS 기술의 개요] |
한편, G-SeNTInEL의 두번째 요소기술인 돌연변이 밀도 및 시그니처 패턴 활용 기술(Regional Mutation Density; RMD)은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의 전반적인 염기서열 시그니처 정보와 변이 밀도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cfDNA 돌연변이 분석 시 발생했던 낮은 순환종양 비율과 시퀀싱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동사는 독자 개발한 다단계 필터링 시스템을 통해 낮은 깊이의 시퀀싱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터링된 변이를 암종별로 특이적인 변이 분포 지역 밀도와 변이 종류별 빈도를 계산하여, 높은 수준의 조기암 검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지씨지놈 RMD 기술 및 성능] |
FEMS 관련 핵심 특허는 cfDNA 말단 모티프의 크기와 빈도에 기반한 암 진단 및 암 종 구분 방법에 관한 한극 특허 출원 제10-2021-0068891호 및 그 패밀리 특허들과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162987호 및 그 패밀리 특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국 특허 출원 제10- 2021-0068891호 및 그 패밀리 특허는 높은 민감도 및 정확도를 가지는, 신규 개발한 동사만의 차별화된 FEMS feature를 청구범위로 하고 있습니다.
RMD 관련 핵심 특허는 무세포 핵산의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에 관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072680호 및 그 패밀리 특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072680호 및 그 패밀리 특허는 무세포 핵산 샘플을 이용함에도 암 조직 세포 기반의 방법과 동일하게 뛰어난 민감도와 정확도를 가지는, 신규 개발한 동사만의 차별화된 RMD feature를 청구범위로 하고 있습니다. FEMS 및 RMD 관련 핵심 특허는 인공지능 기반 세포유리 핵산의 특징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에 관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3-0169651호 및 그 패밀리 특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3-0169651호 및 그 패밀리 특허는 동사의 FEMS와 RMD를 융합하고 최적화하여 향상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을 청구범위로 하고 있습니다.아울러 동사는 각 기술에 대한 FTO 분석 보고서를 통해 타사의 특허를 침해할 가능성이 없음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G-SeNTInEL 핵심 특허 및 FTO 보고서] |
동사는 논문 게재를 통해 원천 기술과 기술 제품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성과 발표를 통해 글로벌 분자진단 분야에서 학술적 권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설립 이후 현재까지 총 145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이 중 G-SenTINEL 핵심 기술과 관련된 문헌은 13편으로 Nature Communications 등의 학술 권위적 저널에 출판되었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논문 게재 활동을 통해 핵심 기술의 개발 과정, 성능 평가 결과, 활용 사례 등을 명확히 규명하였으며, 검사법 개발, case report, 인구 통계학적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학술 저널에 발표함으로써 기술적 우수성과 업계 내 신뢰성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G-SeNTInEL 학술지 게재내용] |
구분 | 주제 | 학술지 | 피인용지수 | 저자 | 연도 |
---|---|---|---|---|---|
1 | Genome-wide copy number alteration and VEGFA amplification of circulating cell-free DNA as a biomarker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Sorafenib | BMC Cancer | 3.4 | 조은해, 이준남 | 2019 |
2 | Genomic analysis of Korea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by use of a comprehensive next-generation sequencing panel and low-coverage, whole-genome sequencing | Investig Clin Urol | 23.3 | 조은해, 이준남 | 2019 |
3 | Genome-wide and size-based cell-free DNA indices as predictive biomarkers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treated with preoperative or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 Curr Probl Cancer | 2.5 | 조은해, 이준남 | 2021 |
4 | Genomic mutation profiling using liquid biopsy in Korea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Circulating tumor DNA mutation predicts the development of castration resistance | Investig Clin Urol | 2.3 | 조은해, 이준남 | 2021 |
5 | Genomic Instability of Circulating Tumor DNA as a Prognostic Marker for Pancreatic Cancer Survival: A Prospective Cohort Study | Cancers (Basel) | 6.1 | 조은해, 이태림,기창석 | 2021 |
6 | Plasma Circulating Cell-free DNA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In Vivo | 1.8 | 조은해 | 2023 |
7 | Liquid biopsy using cfDNA to predict radiation therapy response in solid tumors | Radiat Oncol J | 1.8 | 이준남, 윤성민, 조은해 | 2023 |
8 | Shallow Whole-Genome Sequencing of Cell-Free DNA (cfDNA) Detects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Predicts Patient Prognosis | Cancers (Basel) | 6.1 | 조은해, 이준남, 윤성민 | 2023 |
9 | Copy number aberrations in ctDNA enables prognosis predic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breast cancer | J Natl Cancer Inst | 9.9 | 안진모, 이준남, 조은해 | 2023 |
10 | Chromosomal Instability in Cell-free DNA as a Prognostic Biomarker of Metastatic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Treated with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 Eur Urol Focus | 5.4 | 조은해, 이준남 | 2023 |
11 | Integrative modeling of tumor genomes and epigenomes for enhanced cancer diagnosis by cell-free DNA | Nat Commun | 14.7 | 이태림, 안진모, 이준남, 김다솜, 기창석, 조은해 | 2023 |
12 | Deep learning model integrating cfDNA methylation and fragment size profiles for lung cancer diagnosis | Sci Rep | 3.8 | 김민정, 박준태, 오성희, 조은해 | 2024 |
13 | A novel approach for screening of lung cancer: Integrating plasma cell free DN A fragment end motif by size with geno mic feature | Cancer Research | 12.5 | 이태림, 안진모, 이준남, 김다솜, 기창석, 조은해 | 2024 |
[G-SeNTInEL 학술지 게재내용] |
(2) 기술의 경쟁우위
(가) 기술 차별성 및 경쟁력1) G-PrEMIA 기술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동사의 G-PrEMIA 기술은 거리(Distance) 기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사용하고, AI 기반의 시각화 이미지를 통해 이수성을 검출합니다. 이 기술은 이수성 신호의 검출과 노이즈(CNV) 감소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며, 특히 시퀀싱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 계산을 통해 다양한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는 양성 신호의 증폭과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 경쟁 NIPT 검사기술들은 양(Count) 기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사용하고, 주로 Z-score나 NCV score와 같은 통계기법을 활용해 이수성을 검출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이수성 신호의 강도와 노이즈 감소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성능을 보이며, 전체 염색체를 이용하거나 분석 대상 염색체에 적합한 참조 염색체를 선별하여 정규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동사의 NIPT 검사와 다른 기존 NIPT 검사 방식과의 가장 큰 기술의 차별성은 동사에서는 G-PrEMIA의 분석 요소기술인 거리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점입니다. 거리 기반 분석은 기존의 양 기반의 분석 방법 대비 양성 시그널을 증폭하고 앙상블 기법을 통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기존의 NIPT 검사 방식은 주로 DNA 단편의 양에 의존하여 염색체 이상을 검출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염색체 내 DNA 단편들의 전체적인 분포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같은 양의 데이터라도 그 데이터가 어떻게 분포하는가에 따라 위양성, 위음성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양의 데이터라도 그 데이터가 특정 영역에 많거나 적은 경우 (산모의 CNV 상황) 위양성, 위음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산모의 CNV에 의한 위양성과 위음성 검사 결과] |
출처: | Snyder MW et al. N Engl J Med 2015;372:1639-1645., 지씨지놈 재가공 |
아래 그림과 같이, 동사의 거리 기반 분석은 양 기반 분석 대비 정상 샘플과 이수성 샘플 간의 분석 값 차이를 더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거리 기반의 다양한 대표 값을 활용한 앙상블 분석은 여러 모델의 예측 결과를 결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거리 기반 분석은 각 시퀀싱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여러 거리 값을 생성하며, 이러한 거리 값은 다양한 대표 값으로 변환되어 분석에 활용됩니다. 다양한 대표 값을 도출할 수 있는 점은 단일 데이터 포인트의 변동성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체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합니다.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과 예측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동사의 거리 기반 분석이 양 기반 분석에 비해 더 강한 이수성 신호를 도출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염색체 전반적인 패턴을 안정적으로 학습하고 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1번 염색체 양성 검체에서 양기반, 거리기반의 신호비교] |
주1) | 양기반(FC)과 거리기반(FD)의 건강인 샘플과 21번 양성 검체의 21번 염색체 분석 값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입니다. 21번 염색체를 1 메가베이스(Mb) 단위로 구간화(binning)한 후, 각 구간에 해당하는 FC와 FD를 건강인 샘플과 21번 양성 검체 사이에서 비교하였습니다. 비교 결과, FC에 비해 FD에서 값의 차이가 더욱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FD가 FC보다 21번 양성 검체를 구분하는 데 있어 더욱 강한 신호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거리기반 분석은 각 시퀀싱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다수의 거리 값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거리 값들은 다양한 대표값으로 변환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일 데이터 포인트의 변동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체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FD의 다양한 대표값을 활용한 앙상블 분석은 여러 모델의 예측을 결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합니다. 다수의 거리 값을 활용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다운증후군으로 확인된 임상샘플을 양기반, 거리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본 샘플은 태아분획 7%, 임신주수 10주 샘플이었으며, 다운증후군으로 확진 받은 샘플입니다. 양기반 분석에서는 모두 음성으로 예측되어 위음성 결과를 보였지만(Z-score cutoff 3.00, NCV score cutoff 3.00), 거리 기반의 분석에서는 양성으로 예측되어 진양성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거리 기반 분석의 강한 양성 시그널 사용과 앙상블 기법을 통해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분석기법에 따른 21번 염색체 양성 샘플의 분석결과 비교] |
주1) | 다운증후군으로 확인된 샘플의 양기반, 거리기반 비교 분석 결과입니다. 본 샘플은 태아분획 7%, 임신주수 10주 샘플이었으며, 다운증후군으로 확진 받은 샘플입니다. 양기반 분석에서는 모두 음성으로 예측되어 위음성 결과를 보였지만(Z-score cutoff 3.00, NCV score cutoff 3.00), 거리 기반의 분석에서는 양성으로 예측되어 진양성으로 분석되었습니다. FD_Mean(거리분포의 평균 대표값)에서는 0.5 cutoff의 borderline 에 걸쳐져 있었으며, 나머지 FD_Median(거리분포의 중간값 대표값), FD_IQR(거리분포의 사분위수 대표값)에서는 진양성으로 예측되었습니다. |
동사는 위와 같이 G-PrEMIA 기술에 차별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되며, 기존 NIPT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T21/T18/T13 양성 108 샘플을 포함한 전체 17,678 샘플을 이용하여 G-PrEMIA와 Z기반, NCV기반 기술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G-PrEMIA는 전반적으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G-PrEMIA 기술과 기존 NIPT 기술의 성능 비교표] |
민감도와 특이도 측면에서 G-PrEMIA는 99.07%의 민감도와 99.92%의 특이도를 기록하며, 이는 Z-score 기반 통계기법의 98.15% 민감도 및 99.12% 특이도, 그리고 NCV 기반 통계기법의 98.15% 민감도 및 98.96% 특이도와 비교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특히, 주요 삼염색체(T21, T18, T13)에 대한 민감도 분석에서 지씨지놈의 NIPT 검사 기술은 T21에서 100%, T18에서 94.74%, T13에서 100%의 민감도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Z-score 기반 통계기법의 T21에서 98.82%, T18에서 94.74%, T13에서 100%의 민감도 및 NCV 기반 통계기법의 T21에서 98.82%, T18에서 94.74%, T13에서 100%와 비교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냅니다.양성 예측도(PPV) 측면에서도 동사의 G-PrEMIA 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21에서 96.59%, T18에서 66.67%, T13에서 66.67%, 전체적으로는 88.43%의 양성 예측도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Z-score 기반 통계기법의 T21에서 50.91%, T18에서 33.3%, T13에서 9.09%, 전체 PPV 40.77%와 NCV 기반 통계기법의 T21에서 49.7%, T18에서 26.09%, T13에서 6.35%, 전체 PPV 36.81%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이러한 임상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G-PrEMIA는 Z기반 및 NCV기반 기술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였으며,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PPV) 모든 측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였습니다.
2) G-SeNTInEL기술 (AI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동사의 G-SeNTInEL 기술은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데이터 생산이 이루어지며, DNA 절편화(FEMS), 돌연변이(RMD), 복제수변이(CNV) 등 다양한 유전 정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본 기술은 4,923명의 임상 검체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간소화된 데이터 생산 공정을 통해 상업적 효율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생성된 유전 정보는 기존 기술 대비 강력한 신호를 제공하며, 동사의 독자적인 기술 개발로 인해 특허 침해의 우려 없이 자유롭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의 기술은 판캔서 검사로의 높은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경쟁 기술들은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 또는 전장 유전체 메틸화 서열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생산하며, 주로 절편 크기 정보나 메틸화 정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경쟁 기술은 많은 데이터 생산이 요구되거나 메틸화 과정으로 인해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일부 경쟁 기술은 특허 관련 이슈와 낮은 민감도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사의 전장유전체 서열분석과 타사 전장 유전체 메틸화 서열분석 비교] |
상기 표와 같이, 전장유전체 시퀀싱은 메틸레이션 시퀀싱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됩니다. 현재 상용화된 메틸레이션 검사에서는 DNA를 바이설파이트 처리, 효소 변환 같은 메틸레이션 영역을 변환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데이터를 생산하는데 1일이 더 소요되게 합니다. 또한 특정 유전영역의 메틸화를 분석하기 위한 Targeted Methylation 검사법의 경우에는 특정영역을 선택(capture)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소요시간이 전장유전체 시퀀싱에 비해 3일 더 소요됩니다.또한 메틸레이션 전처리 과정은 데이터의 다양성(diversity)을 감소시켜 시퀀싱 비용이 증가합니다. 비메틸화된 시토신(C)을 티민(T)로 변환하는 바이설파이트 처리는 메틸레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이로 인해 염기서열 분포가 불균형해져 데이터의 다양성이 줄어듭니다(그림 VI-6). 염기서열 분포가 불균형하면 시퀀싱 장비에서 이를 오류로 인식하여 자체적으로 데이터 필터링이 발생하고, 시퀀싱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동일한 샘플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양이 WGS에 비해 적어집니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 양을 얻기 위해서는 전장유전체 시퀀싱 보다 더 많은 양의 시퀀싱 데이터를 생산해야 합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설파이트 처리된 라이브러리의 염기서열 조성을 균형있게 하기 위해 PhiX라 불리는 컨트롤을 같이 시퀀싱하여 샘플 간의 다양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단, PhiX는 최소 5%에서 많게는 50%까지 spike-in하기 때문에 동일 데이터 생산량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샘플이 차지하는 데이터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전장 유전체 시퀀싱의 데이터는 안정적이고 정확도와 재현성이 높습니다. 메틸레이션 시퀀싱에서 전처리 과정이 화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DNA 손상이 매우 크며 DNA가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DNA의 불안정성은 데이터의 재현성을 감소시켜 신뢰성을 떨어트립니다. 반면 WGS은 전처리 과정 없이 직접적인 시퀀싱을 통해 데이터를 얻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고 정확도와 재현성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동사의 내부 실험결과 확인 시, 동일한 농도의 샘플을 3번 반복하여 실험하였을 때 각 샘플별 데이터 생산양의 재현성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G-SeNTInEL 기술을 타사와 비교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회사 1곳(아이엠비디엑스)과 해외 회사 2곳(GRAIL47, Delfi diagnostics48)의 기술적 차별성을 분석했습니다. 각 회사마다 제공하는 정보의 한계가 있어, 홈페이지나 논문을 통해 공개된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동사 G-SeNTInEL 경쟁사 기술비교표] |
동사의 G-SeNTInEL 기술은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ow-Coverage Whole Genome Sequencing, lcWGS)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암 유형을 탐지하며, 기술적 확장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이 기술은 End-Motif와 1bp 단위의 Size 정보를 활용한 독자적인 Fragmentomics 기능인 FEMS(Fragment End Motif by Size)와 lcWGS 데이터에서 변이 정보를처리하는 RMD(Regional Mutation Density)를 통해 암 진단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FEMS와 RMD는 동사의 독자적인 핵심 기술로,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동사만의 고유한 기술입니다.
동사는 차별화된 비침습적 유전자 분석기술을 토대로 산전 선별검사 및 암 진단 분야에서 관련 사업을 리드하는 회사로서, 핵산 단편 길이 기반 산전 선별 기술에 대한 원천 특허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사는 총 143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핵심 기술인 G-PrEMIA와 G-SeNTInEL에 대해 49개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유럽, 일본,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등 최대 16개국까지 진입하여 해외에서도 동사의 독자적인 기술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동사는 회피 설계를 통한 경쟁사의 시장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원천 특허뿐만 아니라, 개량 기술에 관한 다양한 특허망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등록된 특허들은 2042년까지 독점 기간을 확보함으로써 체계적인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나) 특허 현황 동사가 영위하는 NGS 기반의 임상 유전체 분석 검사 사업은 회사가 보유한 특화된 기술 및 제품화 능력에 의하여 성패가 결정되는 기술지향형 산업이며, 이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술보호가 필수적입니다. 동사 역시 기술 노하우 및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사업 을 영위하는데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 사안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동사는 동사 핵심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에서도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진행하여 지식재산의 권리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동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국내 및 해외에 총 153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핵심기술인 G-PrEMIA와 G-SeNTInEL에 대해 49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유럽, 일본,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등 최대 16개국까지 진입하여 해외에서도 동사의 독자적인 기술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동 사가 보유한 특허 상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허권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출원국 |
1 | 특허권 | 핵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샘플에서 복제수 변이를 결정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15.12.04 | 2016.12.07 | 한국 |
2015.12.04 | - | PCT | ||||
2 | 특허권 | 핵산 단편간 거리 정보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08.18 | 2022.10.04 | 한국 |
2020.08.19 | - | PCT | ||||
2022.02.07 | - | 싱가포르 | ||||
2022.02.10 | - | 캐나다 | ||||
2022.02.14 | - | 미국 | ||||
2022.02.16 | - | 유럽 | ||||
2022.02.18 | - | 일본 | ||||
2023.11.27 | - | 일본 | ||||
2022.02.22 | 2024.03.07 | 호주 | ||||
2022.02.22 | 2024.06.25 | 뉴질랜드 | ||||
2022.07.25 | - | 홍콩 | ||||
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2023.10.04 | 한국 |
2020.11.27 | - | PCT | ||||
2022.05.27 | - | 미국 | ||||
2022.05.27 | 2024.08.16 | 일본 | ||||
2022.05.27 | - | 캐나다 | ||||
2022.06.07 | - | 뉴질랜드 | ||||
2022.06.07 | 2024.04.18 | 호주 | ||||
2022.06.07 | - | 유럽 | ||||
2022.05.25 | - | 싱가포르 | ||||
2022.11.10 | - | 홍콩 | ||||
4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02.19 | - | 미국 | ||||
2023.11.21 | - | 태국 | ||||
2023.11.23 | - | 브라질 | ||||
2023.11.24 | - | 캐나다 | ||||
2023.11.26 | - | 카타르 | ||||
2023.11.27 | - | 사우디아라비아 | ||||
2023.11.26 | - | 아랍에미리트 | ||||
2023.11.27 | - | 베트남 | ||||
2023.11.28 | - | 일본 | ||||
2023.11.27 | - | 싱가포르 | ||||
2023.11.28 | - | 유럽 | ||||
2023.11.28 | - | 호주 | ||||
2023.11.28 | - | 뉴질랜드 | ||||
2023.11.27 | - | 중국 | ||||
2023. 12.08 | - | 인도네시아 | ||||
2024.05.16 | - | 홍콩 | ||||
5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6 | 특허권 | 무세포 핵산의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6.15 | - | 한국 |
2023.06.15 | - | PCT | ||||
2023.02.15 | - | 미국 | ||||
2024.12.10 | - | 유럽 | ||||
7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세포유리 핵산의 특징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023.02.03 | - | 미국 | ||||
8 | 특허권 | 무세포 DNA를 포함하는 샘플에서 순환 종양 DNA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1.11 | 2019.09.30 | 한국 |
2019.01.10 | - | PCT | ||||
9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간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재)아산사회복지재단울산대산학협력단 | 2019.02.19 | 2022.03.28 | 한국 |
2020.02.19 | - | PCT | ||||
2021.08.08 | - | US | ||||
10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위치별 서열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03 | - | 한국 |
2022.11.01 | - | PCT | ||||
2024.05.02 | - | 미국 | ||||
2024.05.01 | - | 유럽 | ||||
2024.05.02 | - | 일본 | ||||
11 | 특허권 | 유전자 복제수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췌장암 환자의 생존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 2020.11.04 | 2024.12.27 | 한국 |
2021.01.28 | - | PCT | ||||
12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모체 시료 중 태아 분획 결정 방법 | (주) 지씨지놈 DoAI | 2020.11.09 | - | 한국 |
1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 | 한국 |
2021.11.15 | - | PCT | ||||
2022.12.27 | 2024.12.10 | 미국 | ||||
2024.09.01 | - | 미국 | ||||
2023.05.25 | - | 뉴질랜드 | ||||
2023.05.26 | - | 일본 | ||||
2023.05.25 | - | 호주 | ||||
2023.07.07 | - | 중국 | ||||
2023.05.31 | - | 유럽 | ||||
2023.05.24 | - | 싱가포르 | ||||
2023.05.26 | - | 캐나다 | ||||
2024.01.10 | - | 홍콩 | ||||
14 | 특허권 | DNA 데이터의 분류 및 판독을 위한 학습모델 생성방법 및 컴퓨팅 장치 | (주) 지씨지놈 DoAI | 2021.01.28 | - | 한국 |
15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무세포 DNA의 종양 유래 변이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 조기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3.25 | - | 한국 |
2022.03.25 | - | PCT | ||||
2023.09.15 | - | 유럽 | ||||
2023.09.20 | - | 미국 | ||||
2023.09.21 | - | 일본 | ||||
16 | 특허권 | 조직 특이적 조절지역의 무세포 DNA 분포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암 조기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05 | - | 미국 | ||||
2023.11.09 | - | 유럽 | ||||
2023.11.28 | - | 일본 | ||||
17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과 이미지 분석기술 기반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27 | - | 미국 | ||||
18 | 특허권 | 막 단백질 정보를 이용한 치료 타깃 유전자 발굴 방법 및 분석장치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09.14 | 2024.08.07 | 한국 |
2022.08.29 | - | PCT | ||||
19 | 특허권 | 메틸화된 무세포 핵산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0.26 | - | 한국 |
2022.10.26 | - | PCT | ||||
2024.04.26 | - | 미국 | ||||
2024.04.24 | - | 유럽 | ||||
2024.04.24 | - | 일본 | ||||
20 | 특허권 | 핵산 길이 비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11.22 | - | 한국 |
2021.11.22 | - | PCT | ||||
21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유방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2.06 | - | 한국 |
2022.12.05 | - | PCT | ||||
2024.06.03 | - | 미국 | ||||
2024.05.29 | - | 유럽 | ||||
2024.06.06 | - | 일본 | ||||
22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3 | 특허권 | 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4 | 특허권 | 폐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5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4.11.28 | - | PCT | ||||
26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 환자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2.17 | - | 한국 |
2025.02.17 | PCT | |||||
27 | 특허권 | 전사체 기반 면역학적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4.22 | - | 한국 |
2024.04.22 | - | PCT | ||||
28 | 특허권 |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1.24 | - | 한국 |
2025.01.24 | - | PCT | ||||
29 | 특허권 | 대장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5.07 | - | 한국 |
30 | 특허권 | 제 1 형 근긴장성 이영양증의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삼성생명공익재단 | 2013.04.18 | 2015.03.25 | 한국 |
31 | 특허권 | 고혈압과 관련된 장내 미생물 마커의 선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혈압 위험도 측정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1.28 | - | 한국 |
32 | 특허권 | 혈우병 치료제의 효능 예측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혈우재단 | 2016.06.23 | 2017.08.30 | 한국 |
2017.06.16 | - | PCT | ||||
33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6.24 | 2017.05.29 | 한국 |
2017.06.16 | - | PCT | ||||
34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4.03 | 2018.01.03 | 한국 |
35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5.24 | 2022.01.24 | 한국 |
2017.06.16 | - | PCT | ||||
36 | 특허권 | 유전성 대사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20 | 한국 |
2017.07.20 | - | PCT | ||||
37 | 특허권 | 유전성 발달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09 | 한국 |
38 | 특허권 | 유전성 혈액응고 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3.20 | 한국 |
39 | 특허권 | 전장유전체 시퀀싱 기반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7.27 | 2022.05.30 | 한국 |
2019.07.23 | - | PCT | ||||
40 | 특허권 | 혈중 스타틴 약물농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18.09.21 | 2021.01.15 | 한국 |
2019.09.19 | - | PCT | ||||
41 | 특허권 | LATS1 유전자 변이 마커 기반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진단방법 | (주) 지씨지놈 | 2019.11.29 | 2021.08.23 | 한국 |
2020.11.27 | - | PCT | ||||
42 | 특허권 | 스타틴 약물 부작용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20.06.12 | - | 한국 |
43 | 특허권 | 구절초 추출물의 골관절 질환 치료효과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녹십자웰빙 | 2020.11.10 | - | 한국 |
2021.11.08 | - | PCT | ||||
44 | 특허권 | 스타틴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19 | - | 한국 |
2022.11.18 | - | PCT | ||||
45 | 특허권 | NUDT15 유전자 변이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1.05 | - | 한국 |
2025.01.03 | - | PCT | ||||
46 | 특허권 | 비기능성 전사체를 이용한 PARP 저해제 또는 DNA 손상 약물 감수성 판정방법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11.03 | 2025.03.07 | 한국 |
2021.11.03 | - | PCT | ||||
2023.05.04 | - | 유럽 | ||||
2023.05.02 | 2024.12.26 | 일본 | ||||
2023.04.28 | - | 미국 | ||||
47 | 특허권 | 동일 클래스의 특징 벡터에 대해 발산 패널티를 부여하는손실 기반의 완화된 대조 학습을 이용한 연합 학습 방법 및장치 | (주) 지씨지놈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10.11 | - | 한국 |
2025.01.07 | - | PCT | ||||
48 | 특허권 | 음성 대조군 및 지식기반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NGS 데이터 내 오염 데이터의 제거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10.22 | - | 한국 |
49 | 특허권 | 핵산 단편 말단 서열 패턴을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1.23 | - | 한국 |
(3) 기술의 상용화 경쟁력 동사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 플랫폼에 필수적인 인프라를 구축하여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형병원들이 동사의 검사를 선호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동사의 제품 서비스화 역량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전문 인력 보유: 동사의 임상 유전체 진단검사 전문의는 국내 의료 생태계와 미충족 수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 개발 역량: 생애 전주기에 걸쳐 300여 종 이상의 유전체 검사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실용적인 유전체 검사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구축: 대학병원 및 대형병원과의 안정적인 시장 접근과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EMR 및 전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검체 운송: 제약산업과 의료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그룹사를 통해 검체 운송, 검사, 결과 해석, 후속 검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 서비스: 유전체 검사에 특화된 고객 상담 서비스를 포함하여, 의료기관의 다양한 요구를 종합적으로 충족하는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은 역량들은 동사가 유전체 검사 서비스 플랫폼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유전체 검사 분석 업계에서의 입지를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동사의 포괄적인 시스템은 자체 개발, 검사, 분석, 판독, 영업 및 물류까지 모든 과정을 내부적으로 관리하여 의뢰부터 결과 보고까지 효율적이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사 유전체 검사 서비스 플랫폼 경쟁력] |
(가) 제품 성능/가격 비교1) G-PrEMIA: 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 동사의 핵심기술인 G-PrEMIA를 활용한 제품으로는 G-NIPT가 있습니다. G-NIPT(Genome Non-Invasive Prenatal Screening Test) 검사는 딥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 적용 산전 선별검사로서 혈관 속을 떠다니는 세포유리 DNA(cell-free DNA, cfDNA)를 추출하여 전장유전체 시퀀싱 (Whole Genome Sequencing,WGS)을 시행하고 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태아 주요 염색체 질환인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에드워드 증후군(Edward Syndrome), 파타우 증후군(Patau Syndrome) 등 염색체의 수적 이상 및 구조적 이상을 선별하는 비침습적 산전 선별 검사입니다.
산과 분야의 대표 제품인 G-NIPT는 국내외 경쟁 제품 대비 다양한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우선, 검사 소요일 측면에서 동사는 공정 설계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 7일에서 3일로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국내 최단 수준의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검사 정확도 측면에서도 G-NIPT는 다운증후군 검출 민감도 99.79%, 특이도 99.98%라는 높은 임상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임상 성능 검증 논문이 발표되어 의료 현장에서의 신뢰도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부수적인 염색체 이상에 대해서도 140종 이상의 질환을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범위 면에서 경쟁사 대비 폭넓은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G-NIPT는 국내 NIPT 제품 중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한 제품으로, 검사 성능과 임상적 유효성이 국가기관에 의해 공인되었기 때문에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동사는 타사와 달리 양성 결과에 대한 후속 확진 검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의 활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의료진과 산모는 양수 핵형검사, 산전 CMA 등 다양한 정밀 진단 옵션을 통해 보다 정밀하고 맞춤화된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경쟁사에서는 쉽게 제공하지 못하는 고부가가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G-NIPT는 소아 희귀질환 진단에 활용되던 CMA 장비를 산전 선별 검사로 확장 활용함으로써 진단의 연속성을 강화하였고, 이로 인해 대학병원 내 의뢰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일원화는 전국 87개 대학병원 중 60% 이상인 52개 병원에서 동사 서비스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지씨지놈 G-NIPT의 경쟁사 제품 비교] |
2) G-SeNTInEL기술: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사의 핵심기술인 G-SeNTInEL를 활용한 제품으로는 아이캔서치가 있습니다. 아이캔서치 검사는 딥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신개념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로서 혈관속을 떠다니는 세포유리 DNA(cell-free DNA, cfDNA)를 추출하여 전장유전체 시퀀싱(Whole Genome Sequencing, WGS)을 시행하고 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현재 암의 존재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검진 영역의 대표 제품인 아이캔서치는 다양한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조기암 선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이캔서치는 최적화된 샘플 처리 공정, 검사법 및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생산성과 정확도 모두를 확보하였으며,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병의원에 합리적인 공급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저밀도 전장 유전체 서열 분석(lcWGS)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생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암종으로의 기술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분석 알고리즘(FEMS 및 RMD)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고밀도 서열 분석 없이도 정확한 암 존재 여부 및 기원 암종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검체 요구량은 10ml로, 경쟁사의 20ml 대비 적고, 샘플당 데이터 생산량도 10Gb 수준으로 최적화하여 대형 검진센터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확보하였습니다.
검사 소요일은 평균 7~14일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며, 검사의 민감도는 82.2%, 특이도는 96.2%로 임상적으로 우수한 정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4,923건의 임상 검체 기반의 성능 검증이 완료되어, 신뢰성과 상용화 가능성 또한 충분히 입증되었습니다.
[지씨지놈 아이캔서치의 경쟁사 제품 비교] |
(나) 국내 시장 성과 동사의 국내 판매 네트워크는 수탁기관 및 직접거래 등의 영업 유통망을 통하여 의료기관, 기업, 공공기관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공동연구 등 다양한 협업을 진행함으로써 약 900여개 이상의 병.의원 국내 영업망을 구축하고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검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40여 년의 경험을 가진 녹십자의료재단과 지씨셀(바이오 물류전문 기업)이 구축한 5,000여 개의 병의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검사 공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상급종합병원 및 대학병원과 협력을 강화하고, 기존의 전산 시스템을 연동하여 운영 비용 절감과 서비스 효율성 향상을 이루고 있습니다.
[동사 국내 판매 네트워크] |
또한 동사의 전문의와 마케팅 조직을 통해 정기적으로 워크숍 및 교육 세미나를 개최하여 새로운 검사 기술과 방법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실제 검체를 사용한 검사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워크숍 및 교육 세미나에서는 검체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사의 기술을 소개하고, 임상 연구 데이터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여 동사 제품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 수집과 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의료진과 신뢰 관계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동사 국내 영업의 대형병원, 수탁기관, 거점 지역 병원 별 주요 거래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주요 대형병원 (상급종합 및 대학병원)- 국립암센터: 국립암센터는 암의 예방, 진단, 치료, 연구, 교육을 위한 전문 기관으로 동사의 암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G-SeNTInEL 기술제품인 아이캔서치의 공동 연구 개발 병원 중 하나이며,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거래하고 있는 동사의 거점 거래처입니다. -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다양한 전문 진료센터와 클리닉을 운영하는 국내 대표적인 상급종합병원으로 각종 질환에 대한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동사의 산과, 암,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검사를 다양하게 의뢰하고 있으며, 아이캔서치의 공동 연구 개발 병원으로 2015년부터 동사와 꾸준히 거래하고 있는 거점 거래처 중 하나입니다.-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대표적인 상급종합병원으로 동사의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검사를 전반적으로 의뢰하고 있습니다. 특히, G-PrEMIA 기술제품인 G-NIPT 검사를 2016년부터 의뢰하고 있으며, 2019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작성한 임상 논문에서 동사의 G-NIPT 검사를 이용하여 NIPT 검사가 기존 산전선별검사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평가하였습니다.또한, 삼성서울병원은 아이캔서치의 공동 연구개발에도 참여하였으며, 2023년부터 동사의 암, 심장 지놈스크린 건강검진 유전체 검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향후 검진 프로그램에 아이캔서치 검사의 런칭이 유력한 병원 중 하나입니다.
2) 주요 수탁기관 - 녹십자의료재단: 1982년에 설립된 녹십자의료재단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고 있고 40년 이상의 업력을 보유한 의료 검사 전문 수탁기관으로 임직원 수는 약 600여명 입니다. 최신 검사 장비와 전산 시스템을 갖추고 국제적 기준에 맞춘 5,000여 가지의 다양한 검사 항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룹사인 지씨셀과의 영업 제휴를 통해 400여 명의 영업사원이 검사 판매, 고객 관리, 검체 수거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5,000여 개의 병원 네트워크를 확보하여 2023년에는 3,58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의료 검사 전문 기관 중 하나입니다. 동사는 수탁기관인 녹십자의료재단의 병의원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업 모델이 사업 전략 면에서 매우 유리합니다. 이를 통해 구축된 병의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동사의 제품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시스템 연동과 고객 서비스 운영 면에서도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동사는 더욱 경쟁력 있는 사업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3) 주요 지역 거점병원 (산부인과 및 전문검진센터)- 강북삼성병원 건강검진센터 (서울, 수원): 강북삼성병원 건강검진센터는 국내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전문건강검진기관 중 하나입니다. 1981년에 국내 최초로 종합검진을 시행한 의료기관으로 서울과 수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각각 약 300여명의 의료진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각의 건강검진센터 수검자는 매년 20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암검진, VIP 검진, 성인병에 특화된 검진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에 국내 동종업계 검사와 비교를 통해 동사의 아이캔서치 우수성을 인정하여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8월부터 검진프로그램에 도입 되었습니다. - 차움 건진센터: 2010년 10월 국내 최초로 고가의 프리미엄 건강검진센터를 개원한 차움은 전세계 부호와 유명인사들이 찾는 국내 대표적인 의료관광센터 중 하나입니다. 차움 건진센터는 국내 고가 검진 VIP 고객과 외국인 관광 유치에 적극적으로 영업하고 있으며, 2024년에 동사와 아이캔서치 계약 체결 후 병원에서 국내 60~70대 수검자 및 중국, 동아시아 등을 대상으로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제품 카테고리별 주요 고객사 구분] |
구분 | 주요고객사 | |
---|---|---|
병원 및 의료기관 |
산과 | 강남차병원, 분당차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안암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길병원, 조선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한림대성심병원, 강동성심병원,동탄성심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동국대학교일산병원, 분당제일여성병원, 미즈메디병원, 에이치큐브병원, 세인트마리여성병원, 시온여성병원, 마리아병원, 봄빛병원,아이브랩의원, 햇빛병원, 더블유여성병원, 하안유산부인과의원, 에스큐랩(선함의원), 삼광의료재단, 이원의료재단, 씨젠의료재단, 신원의료재단, 녹십자의료재단 등 |
검진 | 강북삼성병원 건진센터 (태평로/수원), 차움의원, 녹십자아이메드 강남/강북의원, 한국건강관리협회 17개 지부,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안암병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길병원,조선대학교병원,한양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인천성모병원, 고신대복음병원, 한림대성심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유성선병원,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동국대학교경주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보라매병원, 동탄성심병원, 춘천성심병원 ,랩지노믹스, 삼광의료재단, 씨젠의료재단, 신원의료재단, 녹십자의료재단 등 | |
암 정밀진단 | 국립암센터,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안암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서울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 길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전북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전남대학교병원, 강릉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등 | |
유전희귀 정밀진단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국립암센터,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안암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서울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 길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전북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전남대학교병원, 강릉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등 | |
기업 및 공공기관 제휴 |
제약사 | 종근당, 온코닉테라퓨틱스 등 |
공공기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 |
기타 | SD의학연구소, 지씨씨엘, 라엘코리아, 싸이토젠, 셀레믹스, 한국수력원자력, 키튼플래닛, 한국혈액암협회 등 |
주1) | 동사의 3년이내 거래실적에 한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동사는 의료수요에 맞춘 지속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과 기술성능 발전, 국내 판매네트워크 확장 등에 따라 꾸준한 외형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다음은 동사의 제품 카테고리별 검사건수 추이입니다. 동사의 핵심기술 G-PrEMIA를 적용한 G-NIPT 제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사 제품의 타사대비 검사성능, 검사소요일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고령 산모수의 증가와 미국산부인과학회(ACOG)의 NIPT 가이드라인에서 NIPT 권장 검사연령을 기존 35세에서 전 연령으로 확장하는 등 수요 변동요인으로 인하여 국내 연간 신생아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사건수는 오히려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2024년 2월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따른 의정갈등이 심화되면서 주요 대학병원 등에서 의료 파업이 발생하였고 이로인해 전체적으로 진단검사 건수 또한 줄어든 것으로 예상되었던 상황속에서 동사의 검사건수 증가는 매우 고무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품 카테고리별 검사건수 추이] |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G-NIPT | 7,586 | 7,666 | 9,296 | 14,402 | 14,657 | 18,390 |
증감률 | - | 1.1% | 21.3% | 54.9% | 1.8% | 25.5% |
산과검사 | 34,071 | 29,144 | 27,124 | 27,083 | 24,528 | 27,101 |
증감률 | - | -14.5% | -6.9% | -0.2% | -9.4% | 10.5% |
암검사 | 5,345 | 6,122 | 8,182 | 9,932 | 11,047 | 10,809 |
증감률 | - | 14.5% | 33.6% | 21.4% | 11.2% | -2.2% |
유전희귀검사 | 4,974 | 5,784 | 9,168 | 10,562 | 11,595 | 9,029 |
증감률 | - | 16.3% | 58.5% | 15.2% | 9.8% | -22.1% |
검진검사 | 62,830 | 46,046 | 89,906 | 103,476 | 102,958 | 106,944 |
증감률 | - | -26.7% | 95.3% | 15.1% | -0.5% | 3.9% |
주1) | 동사의 G-NIPT는 산과검사 카테고리에 속하나, 핵심기술을 이용한 주요제품으로 따로 분류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또한, 아이캔서치의 경우 검진검사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으며, 2024년부터 검사건수가 발생했으나 건수가 미미하여 따로 분류하지 않았습니다. |
(다) 해외시장 성과 동사의 주요 해외 판매 네트워크는 현지 파트너사 (Commercial Lab 또는 유통 중개사) 및 병의원과의 직접계약을 통한 의료기관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선진 주요 기업과 검사 수출(Test Send Out, TSO), 기술수출(License-Out, LO), 임상 연구 계약 협력을 통해 판매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주요 4개 권역(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아프리카, 미주)의 19개국의 33개처 기업과 거래 계약 체결을 완료 후 검사 수출이 진행되고 있으며 추가 40개의 거래처와 NDA 계약 후 지속적으로 거래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동사 해외 판매 네트워크] |
동사의 해외 판매네트워크 유형 (검사수출, 기술수출) 별 주요 파트너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기술수출(License-out)- Genece Health (미국)Genece Health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유전자검사기관으로 CLIA와 CAP 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동사의 G-SeNTInEL 기술수출 계약 체결(License-Out)을 완료하였으며, 미주 독점 및 중남미와 유럽 우선 영업권을 체결하였습니다. 미국에서 LDT(Laboratory Development Test)로 제품을 상용화하기 위하여 현지 조달된 미국인 샘플로 밸리데이션(Validation)을 수행하였으며, 미국 최대 암 전문 병원인 Memorial SloanKettering (MSK)을 통해 공동 임상 연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임상 연구 완료 후 LDT 제품으로 2025년 4분기부터 MSK 병원을 포함하여 미국 전역의 병원에서 판매에 따른 로열티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Genece Health의 주요 전략 추진 현황] |
경과 | 내용 |
2023년 4월 | - 지씨지놈, Genece Health 간 License-Out 계약 체결 |
2023년 7월 | - L/O 조건에 따라 검사법, 분석법 및 기타 노하우 이전 |
2023년 9월 |
- 액체생검 분야 글로벌리더사의 혁신적 암 진단 커뮤니티 BLOODPAC 컨소시엄 합류(Grail, Delfi, Lilly, Pfizer, Novartis, AstraZeneca 등) |
2023년 10월 | - 미국인 검체를 통한 임상성능 검증 진행 (Analytical Validation) |
2024년 4월 | - Genece Health & 지씨지놈 미국암연구학회 학술대회(AACR 2024) 『인공지능(AI) 기반 액체생검 기술』 발표 |
2024년 5월 | - ASCO(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미국 임상종양학회) G-SeNTInEL 관련 연구결과 발표 |
진행 중 |
- MSK(Memorial Sloan Kettering) 미국 주요 암 전문병원 및 Alleghany Health 그룹과 임상 계약 체결, 임상시험 진행 중 - 2025년 3분기 중, Chief Commercial Officer 영입 및 Sale Team 구축 예정 - 2025년 4분기 중 지씨지놈 License-Out 기술 G-SeNTInEL 이용 폐 단일암 조기선별 LDT 서비스 실시 예정 |
- MP Group (태국)MP Group은 태국에 본사를 둔 의료기기 유통기업으로, 2023년에 동사와 지놈헬스조기선별 제품 관련 원격 판독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계약에 따라 MP Group은 지놈헬스조기선별의 실험법 기술을 이전 받고, 태국 내에서 상업화 권리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선급금, 기술료(마일스톤), 유전자 분석 데이터 판독 서비스 수수료를 동사에 지불하게 됩니다.현재까지 선급금과 기술료로 수익이 발생했으며, 상업화 완료 후 매출화를 위한 홍보 단계에 있습니다. 또한 해당 라이선스 계약을 기반으로 MP Group과의 협력 범위 확장을 위한 서비스 품목 확대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2024년 5월, 지놈헬스조기선별 검사의 기술로 현지화 하여 genechecks 검사(서비스명)로 런칭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텔로미어 길이 측정을 통해 생체나이를 측정하는 텔로리스크조기선별와 미생물검사 시리즈인 그린바이옴조기선별 등 다른 검진 서비스로 품목 확대를 계획 중에 있습니다.
[지씨지놈 -MP Group 간 기술이전계약 주요 내용] |
구분 | 세부 내용 | 수령액 |
---|---|---|
선급금 | 계약 체결에 따른 선급금 | 75,000달러(수령 완료) |
마일스톤 |
Upon the delivery of Items 1 and 2 of Wet Lab Deliverables (i.e. SOP and inventory list of equipment, reagent and specifications for laboratory set-up) as specified in Section 2.1 of the Web-Lab Technology Transfer Plan 실험실 표준운영절차 절차(SOP), 장비 및 시약 목록, 실험 검증 방법 등 기술 전수 |
37,500달러(수령 완료) |
Upon the completion of Wet-Lab Technology Transfer Wet-Lab(실제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실험 및 분석기술) 기술 이전 완료 시 |
37,500달러(수령 예정) | |
로열티 |
The Unit service charge for such Raw Data analysis and Report generation services, inclusive of GST/VAT, shall be twenty dollars(20$) MP Group이 기술을 이용해 생성된 데이터를 지씨지놈에게 제공하고 지씨지놈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레포트 제공, MP Group은 해당 분석을 지씨지놈에게만 의뢰할 수 있으며, 건당 20달러씩 지불 |
2) 검사서비스 수출 (TSO)
- K-Labtech (베트남)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에 영업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파트너사로, 동사의 암 검사 및 유전희귀질환 검사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2019년 동사와 계약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동사의 유전희귀질환 검사 수출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파트너사입니다. 현지 주요 도시에 위치한 60여 개 병의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종합병원급으로는 하노이 아동병원, 호치민 대학병원, VINMEC 국제병원 등 있습니다.현재 하노이 아동병원으로부터 유전희귀질환 검사를 수탁 의뢰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검진검사와 고형암 검사 등도 적극 홍보 중에 있습니다. 특히 검진검사 항목 중 리스크 스크린 검사가 고속 성장하였고, 텔로리스크조기선별, 지놈스크린, 그린바이옴조기선별 검사를 2024년에 첫 의뢰 시작하며 G-NIPT와 아이캔서치를 비롯한 동사의 다양한 제품을 활용하여 품목 다각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VINMED 혈액종양학과 전문의 10인을대상으로 고형암 패널검사 세미나를 공동 주최하였으며, 현지 수요가 높은 암 정밀진단 제품의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동사 베트남 파트너사를 통한 추진전략] |
- Phenikaa (베트남)Phenikaa 그룹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현지 대기업으로, 자동차 기계시설 제조, 정보통신, 유통, 교육, 의료 등 다방면에 걸쳐 폭넓은 산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Phenikaa는 의료서비스 산업분야의 확장을 위해 2026년에 분석연구시설을 신규 개소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지난 2023년부터 녹십자홀딩스와 함께 공동 지분투자를 통한 합작법인 설립을 진행 추진 중에 있습니다. 사업구조는 합작법인의 하노이 유전자검사/암검진센터 및 중앙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해당 기업이 운영하는 사립대학 (Phenikaa University)내 관련 학부 (Faculty of Medical Technology)를 통한 인재양성 및 보급, 분석병리 기술교육을 통해 2026년에 동사의 아이캔서치 및 다양한 암검진 검사서비스 수출 모델로 시작하여 중장기적으로는 동사의 검사서비스를 베트남 현지에서 직접 운영하여 인근국 거점랩으로 활용할 계획에 있습니다. 베트남 병의원의 유전체 검사 수요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현재 녹십자홀딩스와 MOU를 맺고, 법인 등록 및 구체적 사업모델 수립을 위해 동사와 공동협력 중으로 제품 선정 및 현지 마케팅 전략 수립 중에 있습니다.
[동사 베트남 파트너사를 통한 추진전략] |
- GC Lymphotec (일본)일본의 GC 그룹사인 GC Lymphotec은 1999년 도쿄에 설립된 암 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일본 내 세포치료제 제조 및 세포배양 배지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국립암센터 연구원 출신의 세키네 박사가 개발한 독자적인 세포 배양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사의 아이캔서치 검사의 일본 진출을 위한 양사 간 업무 협약 논의 단계에 있으며, GC Lymphotec의 기존 재생의료 클리닉과의 시장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중입니다. GC Lymphotec의 기존 병원/클리닉 영업망과 일본 시장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일본 사업 개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사 일본 파트너사를 통한 추진전략] |
[GC Lymphotec 주요전략 상세 추진 현황] |
경과 | 내용 |
---|---|
2024년 11월~2025년 3월 | - GC림포텍 기존 6개 재생의학 Clinic을 대상으로 Market Pilot Test 50건 진행(일본어 검사지 예시 별첨) |
2024년 12월 | - 현지 추가 Partnership 검토(PreMedica와 최종 조건 협의 중) |
2025년 1월~3월 | - GC림포텍 영업조직 구축(일본 대형제약사 출신 등 3명) |
2025년 2월 | - 지씨지놈 - GC림포텍 검사 유통계약 체결 |
2024년 2월~ | - 현지 보험등재 등을 위한 일본내 임상 준비 중(쇼와대학 등 다수의 기관과 논문발표 논의 중) |
2024년 4월 (예정) |
- 4월 17일 아이캔서치 제품 정식 런칭 및 세미나 예정 - 30 ~ 50명의 일본 현지 의료진 및 KOL대상이며 동사와 Pilot Test를 진행한 JTK클리닉 원장의 발표세션 준비 중 |
- Biotrust (캄보디아)Biotrust는 캄보디아 프놈펜 소재의 커머셜 랩 (Commercial Lab)이자 파트너사입니다. 캄보디아 현지 내 150처 이상의 병의원 네트워크를 보유한 강력한 기업으로, 현지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Orienda International Hospital, Sunrise Japan Hospital 등과 제휴하여 G-NIPT 검사를 의뢰하고 있습니다. 2022년 동사의 파트너사로 첫 계약을 맺게 되었으며, 매년 꾸준한 매출 증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지 상류층 수진자가 주로 이용하는 병원대상 영업을 진행하고 있어, 안정적인 판매가를 기반으로 매년 큰 폭으로 검사를 동사로 의뢰하고 있습니다. 병원과의 탄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산전검사 뿐만 아니라, 향후 동사의 전략 품목인 아이캔서치 수주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캄보디아 파트너사를 통한 추진전략] |
위 주요 판매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동사는 하기와 같은 해외 파트너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단기적으로는 검사수출로 해외 진출하여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형성 후 중장기적으로는 동사의 해외 거점랩으로 활용하여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해외진출형태에 따른 파트너사 확보 현황] |
권역 | 수출 국가명 | 진출형태 | 파트너사 확보 |
---|---|---|---|
아시아(20 개처) | 홍콩 | 검사수출 | 3 |
인도네시아 | 검사수출 | 4 | |
캄보디아 | 검사수출 | 2 | |
베트남 | 검사수출 | 1 | |
미얀마 | 검사수출 | 1 | |
파키스탄 | 검사수출 | 2 | |
태국 | 검사수출 및 기술수출 | 7 | |
유럽(8 개처) | 튀르키예 | 검사수출 | 4 |
그리스 | 검사수출 | 1 | |
이탈리아 | 검사수출 | 1 | |
러시아 | 검사수출 | 1 | |
슬로바키아 | 검사수출 | 1 | |
중동/아프리카(8 개처) | 아랍에미리트 | 검사수출 | 1 |
바레인 | 검사수출 | 1 | |
카타르 | 검사수출 | 1 | |
사우디아라비아 | 검사수출 | 3 | |
이집트 | 검사수출 | 1 | |
요르단 | 검사수출 | 1 | |
미주(2 개처) | 미국 | 검사수출 및 기술수출 | 2 |
(4) 연구인력의 수준 (가) 연구개발 조직 개요 동사의 연구 조직은 연구소 산하의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AI개발팀과 제품개발팀, 의학본부 산하의 Medical Office, BI(Bio-Informatics)팀, 분석본부 산하의 검사개발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개발 조직도 및 팀별 업무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 연구개발 조직도] |
연구기획팀은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지원하며,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연구개발팀은 NGS 기반 액체생검 관련 다양한 검사법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며, 연구개발 성과를 통해 제품화를 하고 있습니다. 설계, 개발 및 제조, 출시에 이르는 전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품개발팀은 액체생검 관련 단일암 검사 제품의 설계, 개발 및 제조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AI개발팀은 동사의 핵심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부서 중 하나로, 주로 Bioinformatics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액체생검 기반의 암 검사 서비스와 제품에 대한 분석 부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Medical Office Unit은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검사결과를 판독하며 수많은 판독 경험을 바탕으로 유전성 질환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개발 부서의 검사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도 기술적 조언 및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과제, 특허 및 논문에 참여하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BI팀은 NGS 서비스의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Bioinformatics를 고도화하여 더욱 정확한 판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개발팀은 분석본부에서 운영하는 검사 서비스의 성능 개선 작업 및 신규 검사 항목을 설계, 개발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각 팀은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체계적인 업무 분장을 통해 혁신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검사 서비스의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사 연구개발 팀별 주요 업무] |
구분 | 부서명 | 주요업무 |
연구소 | 연구기획팀 | 연구 기획 및 관리 |
연구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AI개발팀 | Bioinformatic, AI 개발 | |
제품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개발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유전체 검사 판독, 검사법 개발 |
BI팀 | 유전체 정보 분석, Bioinformatic 파이프라인 운용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GCLP, 검사 서비스 개발 |
동사의 연구개발인력은 박사 7명, 석사 25명, 학사 4명으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국내 최대 규모의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 구성된 Medical Office를 구축함으로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분석결과를 직접 판독하는 업계 최상위 수준의 검체 판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도와 기술력이 매우 높은 핵심인력입니다. 또한, 연구 조직 내 각 팀은 국내외 대형 제약사, 종합병원, 대기업 연구원 경력자 등 박사 출신 업계 전문 연구인력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 | 4 | 2 | 6 | |
연구기획팀 | - | 3 | - | 3 | |
제품개발팀 | 1 | 3 | - | 4 | |
AI개발팀 | 1 | 7 | - | 8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3 | - | - | 3 |
BI팀 | 1 | 5 | 2 | 8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3 | - | 3 |
계 | 7 | 25 | 4 | 36 |
[2024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 | 3 | 2 | 5 | |
연구기획팀 | - | 1 | - | 1 | |
AI개발팀 | 1 | 5 | - | 6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3 | - | - | 3 |
BI팀 | 4 | 2 | 6 | ||
GS팀 | 1 | - | - | 1 | |
개발본부 | 개발본부장 | 1 | - | - | 1 |
제품개발팀 | 1 | 2 | - | 3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4 | - | 4 |
계 | 8 | 19 | 4 | 31 |
[2023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2 | 4 | 2 | 8 | |
AI개발팀 | 1 | 7 | - | 8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2 | 1 | - | 3 |
BI팀 | - | 5 | 2 | 7 | |
GS팀 | 1 | - | - | 1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5 | - | 5 |
계 | 7 | 22 | 4 | 33 |
[2022년 연구개발 인력 구성] |
(단위: 명) |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유전체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5 | 2 | 7 | ||
연구운영팀 | 2 | 2 | 1 | 5 | |
AI개발팀 | - | 7 | - | 7 | |
Medical Office | 2 | 2 | - | 4 | |
정밀의학본부 | BI팀 | 1 | 5 | 2 | 8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4 | - | 4 |
계 | 6 | 25 | 5 | 36 |
[동사 핵심연구 인력] |
성명 | 담당업무/부서 | 직책 | 주요 경력 |
---|---|---|---|
기창석 | 경영총괄 | 대표이사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 - 現. GC지놈 대표이사 - 現. (재)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이사(바이오벤처 대표) - 現. 대한진단유전학회 특임이사 - 前. 성균관의대/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 前.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특임이사 - 前. 대한의학유전학회 대외협력이사 - 업력: 총 29년 |
조은해 | 연구소 총괄 | CSO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 - 現. GC지놈 CSO/연구소장 - 前. 녹십자의료재단 유전체연구소 이사 - 前. 삼성서울병원 전임의 - 업력: 총 24년 |
이 OO | 검사실 운영 총괄 | 본부장 |
- 연세대학교 임상병리학 석사 - 임상병리사 - 現. GC지놈 분석본부 본부장 - 前.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파트장 - 업력: 총 29년 |
이 OO | AI개발팀 | 팀장 |
-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박사 - 現. GC지놈 AI개발팀 팀장 - G-PrEMIA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 (10-2086651,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G-PrEMIA 기술 기반 논문 Front Genet 저널 게재, G-SeNTInEL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 (10-2022-0072680, 무세포 핵산의 단일 염기 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G-SeNTInEL 기술 (RMD) 관련 논문 게재 (Nature Communications), Bioinformatics 및 딥러닝 기술 활용한 액체생검 기반 제품 기술 분석 및 개발 - 업력: 총 10년 |
정 OO | 제품개발팀 | 팀장 |
- 명지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박사 - 現. GC지놈 제품개발팀 팀장 액체생검 단일암 조기진단 개발 (10-2024-0013134, 무세포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10-2024-0059797 대장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진단 기술 설계 및 개발 - 前. 진스랩 R&D본부 다중진단팀 팀장 - 前. 싱가포르국립대 합성생물학연구실 Research Fellow - 前. 서울대학교 종자생명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업력: 총 19년 |
김 OO | 연구개발/기획팀 | 팀장 |
- 을지대학교 임상병리학 학사 - 現. GC지놈 연구개발팀 팀장 (연구기획팀 팀장 겸직) NGS 연구개발 프로젝트 기획 및 지원, G-NIPT 기술 개발 및 검사 서비스 수행, G-SeNTInEL 기술 실험법 개발 및 검사 서비스 수행 , G-SeNTInEL 기술 (RMD) 관련 논문 게재 (Nature Communications) - 前. 녹십자의료재단 인간유전체팀 소속 - 업력: 총 12년 |
이OO | BI팀 | 팀장 |
-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 박사 - 現. GC지놈 BI팀 팀장 NGS 패널 특허 5종 및 약물(혈우병 치료제, 스타틴) 효과 및 부작용 관련 특허 3종 개발 NGS 기반 검사 Bioinformatics 개발 및 판독 효율화 - 前.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업력: 총 10년 |
다. 성장성 (1) 기업 성장 전략 (가) 설립 배경 동사는 생애전주기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의료 생태계는 과거의 경험적이고 보편적인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현재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진단과 정밀의료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미래의 의료 시장은 유전체검사와 AI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혁신적이고 개인화된 치료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전망하며 인류 건강 증진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가치를 크게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나) 설립이후 회사의 주요 연혁
연 월 | 내 용 |
2013.07 | 법인 설립 |
2013.08 | 제 1차 유상증자 21억원 실시(주주우선공모) |
2013.12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
2015.04 | 비침습적 산전 선별 검사『G-NIPT』 출시 |
2015.07 |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유전자검사 정확도 평가 A등급』 획득 |
2015.08 |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주관기업』 선정 |
2015.10 | 제 2차 유상증자 15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16.03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NGS 임상검사실 인증제 시범사업 기관』 선정 |
2017.02 | 미국병리학회 『CAP 인증』 확보 |
2017.04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NGS 임상검사실 인증』 획득 |
2018.01 | cfDNA 분석을 이용한 암 진단 연구 착수 |
2019.06 | G-PrEMIA 요소기술 FD(Fragment Distance) 개발 착수 |
2019.08 | G-PrEMIA 요소기술 GAViDL (시각화기술) 개발 착수 |
2019.12 | 제 3차 유상증자 40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0.08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Fragment Distance) 출원 |
2020.10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주관 『인공지능 기반 간암 조기진단 및 미세잔존암 검출을 위한액체생검 유전체 데이터 통합 시스템 구축』 국책과제 수행기관 선정 |
2020.11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GAViDL) 출원 |
2020.11 | 핵심기술 G-SeNTInEL의 요소기술 FEMS 개발 착수 |
2020.12 | 전환사채 200억원 발행을 통한 투자유치( 지노베이션1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2020.12 | 제 4차 유상증자 100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1.5 | 핵심기술G-SeNTInEL 관련 특허( FEMS) 출원 |
2021.09 | G-PrEMIA 대규모 임상연구 수행 『비침습적 태아 염색체 이수성 검사의 검사 성능 확인에 대한 연구』 |
2021.10 | G-SeNTInEL 요소기술 RMD 개발 착수 |
2022.03 |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 글로벌 혁신대전 『10대 등대기업』 선정 |
2022.04 | 『그린플랜 HRD』 국내 최초 HRD 신의료기술 승인 |
2022.04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선정 |
2022.04 | 사명변경(녹십자지놈 → 지씨지놈) |
2022.04 | 미국암연구학회 학술대회(AACR 2022) 『인공지능(AI) 기반 액체생검 기술』 발표 |
2022.04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주관 『폐암 조기진단용 액체생검 바이오마커 기반 검사의 상용화』 국책과제 수행기관 선정 |
2022.06 | 핵심기술G-SeNTInEL 관련 특허(RMD) 출원 |
2022.09 | 『탈모 리스크 스크린』 출시 |
2022.10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Fragment Distance) 등록 |
2022.11 |
G-PrEMIA 기술 관련 논문 Front Genet 학술지 게재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using cell-free DNA fragment distance for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aiD-NIPT) |
2022.11 | G-NIPT검사에 G-PrEMIA 핵심기술 적용 |
2022.12 | 용인지점 증축 및 기업부설연구소 이전 |
2022.12 | 전환사채 120억원 보통주 전환 |
2023.03 | 미국 Genece Health 액체생검 기술 및 노하우 라이선스 계약 체결 |
2023.04 |
G-SeNTInEL 기술 관련 논문 Nature Communications(IF : 14.7) 학술지 논문 게재 Integrative modeling of tumor genomes and epigenomes for enhanced cancer diagnosis by cell-free DNA |
2023.09 | AI 알고리즘 기반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 『아이캔서치』 출시 |
2023.10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시각화 기술) 등록(GAViDL) |
2023.11 | 건강검진 유전자검사 「지놈헬스」 태국 기술수출 |
2024.01 | 『무세포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 액체생검 관련 특허 출원 |
2024.02 |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 환자의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액체생검 관련 특허 출원 |
2024.03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기술(Fragment Distance) 특허 호주 등록 |
2024.04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기술(시각화 기술) 특허 호주 등록 (GAViDL) |
2024.04 | 미국암연구학회 학술대회( AACR 2024) G-SeNTInEL 기술관련 2편 발표 |
2024.08 | G-PrEMIA 관련 특허(시각화 기술) 일본 등록(GAViDL) |
2024.12 | G-SeNTInEL 관련 특허(RMD) 유럽 출원 |
2024.11 | 전환사채 80억원 보통주 전환 |
2024.12 |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유전자 검사 정확도 평가 A등급』 획득 |
2025.03 |
AI기반 액체생검 폐암 검출 알고리즘 연구 논문 국제 학술지「Cancer Research」에 게재 |
(2) 향후 사업 계획
향후 동사의 주요 사업 계획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시장의 진출을 통한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세부 항목별 사업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G-NIPT 국내 전략
G-NIPT 검사는 2015년에 최초 출시하여 이미 시장에서 10년 가까이 서비스를 해온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24년 동사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제품입니다. 이는 고령산모의 증가, 출산율의 반등, 태아 성별 고지 합법화라는 시장 상황의 변화에 동사의 역량이 합쳐져서 나온 결과로 판단됩니다. 동사는 앞으로도 R&D를 통해 검사 서비스 고도화하여(검사 질환 140종 -> 200여종 확대, 2025년 4분기) 경쟁사 제품과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거래처의 Needs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동사 제품의 산모 선택률을 높이기 계획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병원 내 광고물 비치 확대 등) 또한 온오프라인 홍보활동을 통해('마미톡') NIPT 검사의 인지도를 높이고, 선택 연령에 해당하지 않는 산모들에게도 NIPT 검사의 필요성을 알려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나) G-NIPT 해외 전략 동사는 국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한 후 2021년대부터 해외시장 개척을 시작했습니다. 국내 출생율 감소 등의 외부적 요인 등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해외 경쟁자들이 선점하지 않고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시장탐색: 동사가 속한 GC 그룹이 보유한 해외 Network 및 세미나 등 참여를통해 진출하고자 하는 현지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해외 시장에 경력을 가진 인원 확보도 진행하였습니다. 2) 주요 파트너 선정: 동사 제품의 확장이 가능하고 시장 성장성이 높은 거점지역을 선정하여 우선 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전략을 통해 시장을 확장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베트남 : GC그룹- Phenikka 社 와 유전자검사센터/암검진센터 설립을 통한 직접 G-NIPT 판매, ② 인도네시아 : 파트너사 및 직접 현지 고급 종합병원과 계약을 통한 시장 확대, ③ 사우디아라비아 : 파트너사를 통한 공공입찰 기회 발굴을 통해 사업 확대 3) 경쟁력 강화: 각 시장별로 동사 NIPT의 Penetration 상황에 따라, 거점 Lab 설립, License-out 등의 전략을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 아이캔서치 국내 전략
동사가 '23년 9월 출시한 아이캔서치 검사는 새롭게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단계로써, 동사는 해당 시장의 First Mover로써 빠르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검진 시장에서는 동사의 다중암 조기선별 제품인 아이캔서치는 아직 시장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음으로, 동사는 동사 제품의 검사를 수행할 검진기관 확보에 중점을 두고 영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2025년 2월기준 55개 검진기관과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5년 중에는 70개 까지 검진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단순히 검진기관을 늘리는 것 뿐 아니라, 국내 검진 시장 중 가장 중요한 기업검진 프로그램에 동사의 아이캔서치가 선택검사로 포함될 수 있도록 검진기관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2024년 강북삼성병원 계약 완료) 그 결과 작년 600여건 이었던 아이캔서치 검사 의뢰건수가 검강검진 비수기인 2025년 2월까지 2개월동안 약 600여건 이상의 검사가 의뢰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검진기관의 검진 추이를 고려할 경우, 동사가 올해 목표하고 있는 약 5천여건 검사는 충분히 달성가능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검진 기관에 많은 VIP 고객을 보유한 대형 병원 및 검진센터를 대상으로 한 계약에 집중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라) 아이캔서치 해외 전략
한국 및 일부 서구 선진국을 제외하면, 자국에서 개발된 다중암 조기선별 제품이 소개된 국가는 없습니다. 따라서 동사는 아래와 같이 국가별 환경을 고려한 진출전략을 수립, 각 시장에서의 빠르게 진출하면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 일본: 동사는 일본시장 진출을 위하여, 일본 재생의학 시장에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는 GC Lymphotec의 지분을 2024년 확보하여 일본에서 동사 제품의 확대를 위한 영업망 구축을 의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사는 일본 Clinic(JTK Clinic 등) 및 일본 건강검진 중계 회사(PreMedica 사)와 계약 체결을 하여, 아이캔서치의 일본 시장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2025년 4월 예정) 2) 베트남: 동사가 속한 그룹인 녹십자 그룹과 현지 대형 의료기업 Phennikaa과 설립한 Central Lab 및 검진센터에 동사의 아이캔서치 서비스 출시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3) 카타르 및 태국의 경우, 2023년 주요 파트너사(카타르 KMC, 태국 MP Group)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카타르에서는 2024년부터 검진센터를 통한 서비스 의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캄보디아의 G-NIPT 파트너사(Biotrust) 와도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검체 의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기존에 맺어진 해외 네트워크사들을 통해 추가적인 계약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마) 원가 절감 및 서비스 역량 확충 계획
동사는 Gb당 시퀀싱 단가가 낮은 최신형 시퀀싱 장비를 확보하여 원가 절감과 동시에 서비스 역량을 확충할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시퀀싱 단가가 기존 NovaSeq 6000 장비대비 1/6 수준인 최신 UG100 시퀀싱 장비를 추가 확보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공모자금 사용계획 동사는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사의 기술은 다양한 암종과 암 전주기에 걸쳐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광범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핵심기술을 개발하는데 총 353억을 투자할 계획이며, 유전자 암선별 기술 고도화에 투자비중을 중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가) 자금의 사용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합계 |
R&D 투자 | 연구개발 인력 인건비, 연구 기자재, 및 일반 경상연구개발비 등 | 3,908 | 3,806 | 4,207 | 4,725 | 16,645 |
시설투자 | 검사설비 증설, 검사실 확장, 서버구축 등 | 2,930 | 3,815 | 4,460 | 7,460 | 18,665 |
합 계 | 6,838 | 7,621 | 8,667 | 12,185 | 35,310 |
( 나) 상세 자금 사용 계획1) 연구개발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
연구명 | 내용 | 개발기간 | 금액 |
G-SeNTInEL기술: 암종 확대 |
G-SeNTInEL기술을 활용한 다중암종 진단 확장 연구 |
2024.01 ~2028.12 |
3,242 |
G-SeNTInEL기술: NGS 플랫폼 추가 |
G-SeNTInEL 기술 기반의 NGS 플랫폼 통합 연구 |
2025.01 ~2028.12 |
3,715 |
G-SeNTInEL기술: 단일암(폐암,유방암) 연구개발 | G-SeNTInEL 기술을 이용한 폐암 및 유방암 단일암 연구개발 |
2023.06 ~2028.12 |
3,416 |
G-SeNTInEL기술 : 암전주기 확장 |
G-SeNTInEL 기술을 통한 모니터링, 예후예측 확장 연구 |
2019.05 ~2028.12 |
5,245 |
EMFLiMax 기술 :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 구축 |
EMFLiMax 기술을 활용한 Real-time PCR 기반의 단일암 조기선별 검사 개발 |
2024.01 ~2028.12 |
1,028 |
합계 | - | 16,645 |
2) 시설 투자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설비 | 내용 | 수량 및 시기 | 금액 |
---|---|---|---|---|
기계장치 | UG100 (Ultima Genomics)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5년, 28년) |
4,000 |
NextSeq 500/550D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4대 (26년~28년) |
1,700 | |
MiSeq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6년) |
200 | |
MiSeqDx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8년) |
300 | |
IonS5 system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3SET (26년~28년) |
1,950 | |
GCS 3000D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7년~28년) |
600 | |
Sequencer(ABI 3500xL)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1대 (27년) |
200 | |
PCR machine | 검사설비 증설 |
총 3SET (27년,28년) |
300 | |
EP1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2SET (26년~28년) |
420 | |
Sequencer (Novaseq6000 외) |
연구설비 증설 |
총 3SET (26년~28년) |
1,500 | |
기타 검사설비 | 자동핵산추출장비 등 기타 검사설비 | 25년~28년 | 1,715 | |
구축물 | 검사실 확장 | 검사인력, 검사량 증가에 따른 검사실공간 확장 | 28년 | 1,700 |
기타 | 검사실 장비 | 검사실 냉동고, 원심분리기 등 검사공구 | 25년~28년 | 1,100 |
서버 구축 | 검사량 증가 및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서버 구축 | 25년~28년 | 2,735 | |
기타 비품 | 인력증원에 따른 PC등 사무설비 | 25년~28년 | 245 | |
합 계 | 18,665 |
3) 상세 투자 계획 - G-SeNTInEL기술: 암종 확대 및 NGS 플랫폼 통합연구
G-SeNTInEL 기술을 활용하여 출시한 아이캔서치 검사의 암종을 확장하는 연구개발은 2024년 착수하였습니다. 다중 암종 진단 확장 연구개발을 통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G-SeNTInEL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암종에 대한 진단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2025년까지 유방암, 위암, 두경부암, 임파종 등 총 4종의 암종 추가를 통해 10종암으로 확대하고 2028년까지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육종, 혈액암, 자궁체부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피부암, 뇌 및 중추신경계 종양을 포함하여 20종 암으로 확대하여 지속적인 성능개선과 다양한 암종에 대한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새로운 시퀀싱 장비를 2025년 도입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데이터 생산 시간을 단축시켜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할 예정입니다.
- G-SeNTInEL기술: 단일암(폐암, 유방암) 연구개발
동사는 백인 코호트에서도 한국인 코호트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파트너사인 Genece Health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 폐암 및 유방암 관련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동사는 공동 연구에도 투자할 계획입니다..
- G-SeNTInEL기술: 암전주기 확장
2019년부터 기초 연구를 통해 조기 선별 뿐만 아니라 미세잔존암 검출과 치료 예후예측에도 유용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동사는 이 기술의 적용 분야를 확장하기 위해 2028년까지 점진적으로 투자를 늘려 암의 발견부터 치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G-SeNTInEL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모니터링 및 치료 예후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EMFLiMax) 구축: Real-time PCR 기반의 단일암 조기선별 검사 개발
비침습적 혈액 기반 DNA 메틸화 검출을 통해 수검자의 신체적 부담을 대폭 경감시켜 검사 순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동사는 원천특허를 기반으로 암종 간의 확장성이 뛰어난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Real-time PCR 기반의 높은 접근성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검사출시를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라. 재무상황(1) 재무적 성장성
동사는 생애전주기 맞춤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입니다. 현재 산과검사, 건강검진, 암 및 희귀질환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며 핵심기술인 AI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과 AI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기반의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2021년~2023년 매출액은 각각 185억원, 241억원, 273억원을 시현함과 동시에 동기간 매출총이익률 또한 38.82%, 44.60%, 50.20%로 원가절감 또한 동시에 이루어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에 동사는 외형성장과 동시에 시장 내 기술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고자 차세대 핵심기술인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출시를 위한 연구개발비를 2022년도부터 본격적으로 투입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021년 (-)21억 대비 2022년 (-)32억을 시현하며 역성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판관비 대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외형성장 및 매출원가율 개선을 통해서 2023년 BEP 달성 및 신제품인 다중암 조기선별제품(아이캔서치) 출시를 완료하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2월,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따른 의정대치가 심화되면서, 주요 NGS 실시기관이 참여하는 대학병원에서 의료 파업이 발생하여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이번 의료파업은 암 및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에 필수적인 NGS 패널 검사의 접근성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매출 중 국내 NGS 패널 검사 시장 비중이 높은 동사는 2024년 외형 역성장 및 영업손실 (-)12억원을 시현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동사는 2025년 1분기 매출액 68.1억원, 매출총이익률은 44.75%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 매출액 57.5억원, 매출총이익 25.8억원 대비 각각 18.45%, 18.4% 성장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비경상적 상황이었던 의료 파업 효과를 제외한다면 동사의 외형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의료시장 정상화 및 동사 제품/서비스 매출 확대에 따라 원가구조가 업종 평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4개년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동업종 평균주1) (2023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액 | 6,814 | 25,888 | N/A | 27,292 | 24,114 | 18,498 |
매출원가 | 3,765 | 14,181 | N/A | 13,595 | 13,349 | 11,318 |
매출총이익 | 3,049 | 11,707 | N/A | 13,697 | 10,765 | 7,180 |
매출총이익률 | 44.75% | 45.20% | 43.60% | 50.20% | 44.60% | 38.82% |
판매비와 관리비 | 3,074 | 12,940 | N/A | 13,537 | 14,000 | 9,289 |
영업이익 | (25) | (1,234) | N/A | 160 | (3,236) | (2,109) |
영업이익률 | (0.37%) | (4.80%) | 7.30% | 0.60% | (13.40%) | (11.0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0 | (1,127) | N/A | (815) | (3,874) | 407 |
당기순이익 | 297 | (1,257) | N/A | (550) | (3,763) | 293 |
당기순이익률 | 4.36% | (4.90%) | 10.40% | (2.00%) | (15.60%) | 1.58%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767 | 378 | N/A | 3,340 | (1,610) | (67)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1-M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주2)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2) 재무적 안정성 (가) 재무 안정성 지표 동사의 2020년~2024년까지의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 |
(단위: %, 배)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
유동비율 | 318.90% | 427.05% | 112.12% | 232.08% | 128.74% |
당좌비율 | 290.64% | 388.95% | 103.24% | 220.54% | 124.34% |
부채비율 | 27.63% | 22.80% | 70.95% | 83.92% | 62.91% |
차입금의존도 | 0.00% | 0.00% | 15.31% | 11.90% | 20.49% |
이자보상배율(배) | (0.49) | (1.29) | 0.17 | (1.91) | 3.13 |
주1) |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3. 기타 전문, 과학 및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
동사의 2022년, 2023년 및 2024년, 2025년 1분기 유동비율은 각 232.08%, 112.12%, 427.05%, 318.9% 로 2023년을 제외하고는 동업종평균인 128.74%를 상회하고 있으며 당좌비율 또한 2022년부터 2024년, 2025년 1분기까지 각 220.54%, 103.24%, 389.95%, 290.64%로 2023년 제외하고는 동업종평균인 124.34%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지점신설로 인한 공사잔금지급으로 인한 현금 감소 및 전환사채의 유동부채 계정전환으로 인한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 악화에 기인합니다. 지점 신설 및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 완료가 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동사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의 악화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사의 2022년 및 2023년 부채비율은 각 83.9%, 71.0%로 동업종 평균인 62.91%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4년 22.8%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27.63%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가 2020년 12월 발행한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가 2022년 및 2024년 2차례에 거쳐 전량 보통주로 전환된 것에 기인합니다. 또한 차입금의존도는 전환사채 전량 보통주 전환되며 2024년 0.00%를 달성했습니다.
동사의 이자보상비율은 2023년부터 동사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따라 개선하였습니다. 향후 본격적인 동사 핵심기술의 수출 및 제품화가 이루어지면서 동사의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하며 비율이 개선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매출채권
동사의 매출채권의 규모는 향후 신규 제품의 지속적인 출시/적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매출채권 현황 및 연령분석은 하기와 같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
구 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2022년 |
---|---|---|---|---|---|
매출채권(순액) | 5,101 | 5,439 | 4,307 | N/A | 4,221 |
매출채권회전율 | 5.17 | 5.31 | 6.40 | 6.22 | 6.09 |
주1) |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3. 기타 전문, 과학 및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
주2) |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
동사의 매출채권은 손실충당금을 차감한 순액 기준으로 2022년 4,221백만원, 2023년 4,307백만원, 2024년 5,439백만원, 2025년 1분기 5,101백만원 입니다. 동사의 매출채권은 대부분 3개월 미만 매출채권의 비중으로 1년 이상 매출채권 비중은 0.1% 미만으로 매우 적습니다. 동사의 매출채권이 대부분 3개월 내에 회수됨에 따라 대손충당금 역시 1% 이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안정적인 매출채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은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원활하게 회수되어 현금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반대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져 현금 유동성 악화 및 대손 발생의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동사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6.09회, 2023년 6.40회, 2024년 5.31회, 2025년 1분기 5.17회 로 동업종평균(6.22회) 수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의료 파업 이후 업황이 악화되며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향후 점진적인 업황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매출채권 회전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재고자산
동사 재고자산은 원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주)지씨지놈 2024년 기준 재고자산 연령분석] |
(단위: 천원) |
품 목 |
재고자산(A) (2024년도말) |
연령분석 |
평가충당금 (2024년도말)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
NovaSeq 6000 SP Rgt Kit v1.5_100cyc | 130,999 | 130,999 | - | - | - | - |
CYTOSCAN DX ASSAY KIT | 141,324 | 113,059 | 28,265 | - | - | - |
xGEN EZ kit_96rxn | 147,200 | 145,360 | 1,840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300cycle) | 45,983 | 45,983 | - | - | - | - |
NexSeq 500High Output Kit(75cycle) | 51,192 | 51,192 | - | - | - | - |
기타 | 778,135 | 545,247 | 17,631 | 139,268 | 75,989 | 75,997 |
계 | 1,294,833 | 1,031,840 | 47,736 | 139,268 | 75,989 | 75,997 |
주1) | 동사의 원재료시약의 사용기간은 2년정도이며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소진하고 있으나, 일부 1년 이상 출고가 없는 품목은 평가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한편 동사 재고자산 및 재고자산 회전율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지씨지놈 재고자산 및 재고자산 회전율] |
(단위: 백만원, 회) |
구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 | 동업종 평균 (2023년)주1 | 2022년 | 2021년 |
---|---|---|---|---|---|---|
재고자산 | 1,420 | 1,219 | 1,152 | N/A | 1,200 | 598 |
재고자산 회전율 | 11.41 | 11.96 | 11.56 | 48.63 | 14.85 | 37.84 |
주1) 업종 평균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M71-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중견기업) 업종 평균입니다. |
주2) 2020년 동사 재고자산이 없어 2021년 재고자산 회전율이 과대계상되었습니다. |
주3) 업종 평균의 경우 비교 용이성을 위해 재무비율만 기재하였습니다. |
동사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2년 26.82회, 2023년 23.21회, 2024년 21.84회, 2025년 1분기 11.41회 를 기록하며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기간 재고자산의 규모는 약 12억원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점, 2022년 전년동기대비 100%가 넘는 재고자산 증가된 점, 2024년 2월부터 시작된 의료파업으로 인한 실적 감소한 점 감안시 재고자산 회전율 감소가 동사 재고관리 능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재고 및 발주계획을 수립하고 발주를 의뢰하는 동사 내부 시약재료비 재고관리 프로세스 상 매출 감소분 이외 다량의 재고가 진부화될 위험은 낮습니다
(3) 재무자료의 신뢰성(가) 재무자료의 신뢰성 동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삼도회계법인(2023년, 2024년)과 지정감사 계약을 체결한 내역이 존재합니다. 동사가 지정 감사인으로부터 받은 감사의견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연도 | 감사인 | 감사의견 | 회계기준 | 비고 |
---|---|---|---|---|
2021년(제9기) | 한영회계법인 | 적정 | K-IFRS | 법정감사 |
2022년(제10기) | 한영회계법인 | 적정 | K-IFRS | 법정감사 |
2023년(제11기) | 삼도회계법인 | 적정 | K-IFRS | 지정감사 |
2024년(제12기) | 삼도회계법인 | 적정 | K-IFRS | 지정감사 |
(나) 감사인의 독립성 외부감사인 및 그 임직원과 동사 간에는 감사인의 독립성 훼손을 의심할 만한 이해관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당 회계법인의 회계감사 관련 임직원은 동사의 주주 또는 친인척 등과 관계가 없으며, 동사의 주식 등을 보유한 사실이 없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감사인 및 감사 관련 인력은 동사의 신고서 관련 재무자료에 대하여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사의 재무자료는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 K-IFRS 도입현황 동사는 설립시부터 K-IFRS를 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함에따라 K-IFRS 도입 영향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또한, 제출일 현재까지 재무제표 작성과정에서 K-IFRS 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회계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재무제표 관련 재무회계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동사의 회계팀는 다년간 회계업무를 담당하여 회계에 관한 지식 및 실무경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바, K-IFRS 회계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산출 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마. 경영환경(1) CEO의 자질
[대표자(CEO) 정보] |
구 분 | 내 용 | ||||
---|---|---|---|---|---|
직 위 | 대표이사 | ||||
성 명 | 기창석(Chang-Seok Ki, 奇昌錫) | 생년월일 | 1969.11.07 | ||
학 력 | 기 간 | 학 교 명 | 전 공 | 수학상태 | 취득학위 |
2001 - 2004 | 성균관대학교 | 의학 | 졸업 | 박사 | |
1996 - 1998 | 고려대학교 | 의학 | 졸업 | 석사 | |
1988 - 1994 | 서울대학교 | 의학 | 졸업 | 학사 | |
주요경력 | 근 무 기 간 | 근 무 처 | 최종직위 | ||
2018 - 현재 | 지씨지놈 | 대표이사 | |||
2015 - 2018 | 삼성서울병원 | 교수 | |||
2009 - 2015 | 삼성서울병원 | 부교수 | |||
2005 - 2009 | 삼성서울병원 | 조교수 | |||
2003 - 2005 | 삼성서울병원 | 임상조교수 | |||
2001 - 2003 | 삼성서울병원 | 전임의 | |||
경영철학 |
「인류의 건강한 삶에 이바지한다」 지씨지놈은 인류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확한 치료법을 제시하고 개인별 맞춤 의학을 실현합니다. |
||||
가입 단체 |
(재)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이사 대한진단유전학회 특임이사 |
||||
법률위반사항 및 소송 |
해당없음 | ||||
경영자 관련 소송 | 해당없음 |
동사의 기창석 대표이사는 29년 이상 진단검사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성과 및 논문발표 등을 통하여 국내 유전자분석 업계의 발전을 이끈 권위자입니다. 특히 DDX58 등 세계 최초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였고, MEMO-PCR 등의 새로운 유전진단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취득 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및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직을 역임하며 유전질환 및 분자진단기술 관련 논문 200편 이상을 발표하는 등 연구능력 및 학술적 역량을 증명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우수한 이력과 풍부한 진단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에 동사의 대표이사로 합류하여 경영을 총괄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R&D투자와 해외진출을 통하여 취임 후 연평균 20% 이상의 매출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인력 및 조직 경쟁력
동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 122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회사 임직원 모두가 오너십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인 회사 발전에 노력한 결과 경영관리조직은 효율적 업무수행을 위한 체계를 갖추었으며, 기업부설연구소 또한 업계 우수 인력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사 조직도] |
동사 조직은 1실 1소 4본부로 관리조직, 연구개발조직, 검사조직, 영업조직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인력은 현장에 대한 이해도와 기술력을 동시에 갖춘 최상급 전문 기술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어 질병 진단 및 치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임상 검사들을 환자의 전주기에 맞추어 빠르게 개발하는 최적의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최대 규모의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 구성된 Medical Office를 구축함으로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분석결과를 직접 판독하는 업계 최상위 수준의 검체 판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 부서명 | 주요업무 |
연구소 | 연구기획팀 | 연구 기획 및 관리 |
연구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AI개발팀 | Bioinformatic, AI 개발 | |
제품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개발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유전체 검사 판독, 검사법 개발 |
BI팀 | 유전체 정보 분석, Bioinformatic 파이프라인 운용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GCLP, 검사 서비스 개발 |
[지씨지놈 조직구성 및 주요업무] |
본부/실/소 | Unit/팀 | 주요업무 |
---|---|---|
분석본부 | 분석1팀 | Real time PCR, NGS기반 검사 서비스 |
분석2팀 | CE, Microarray 기반 검사 서비스 | |
분석3팀 | 액체생검 NGS기반 검사 서비스 | |
검사운영팀 | 검사 운영 및 문의 응대 | |
검사개발팀 | GCLP, 검사 서비스 개발 | |
품질관리팀 | 검사 품질 관리 및 인증 | |
LIMS팀 |
검사실 정보 관리 시스템 운영 관리 |
|
영업본부 | 영업관리팀 | 용역매출 및 영업 프로세스 관리 |
마케팅팀 | 마케팅 및 대외협력 | |
TS-H팀 | 국내 건강검진 유전체 검사 영업 | |
TS-C팀 | 국내 암 유전체 검사 영업 | |
TS-G팀 | 국내 유전희귀, 산전검사 영업 | |
해외사업팀 | 해외 유전체 검사 영업 | |
연구소 | 연구기획팀 | 연구 기획 및 관리 |
연구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AI개발팀 | Bioinformatic, AI 개발 | |
제품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암검사 제품 개발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유전체 검사 판독, 검사법 개발 |
BI팀 | 유전체 정보 분석, Bioinformatic 파이프라인 운용 | |
경영관리실 | 경영관리팀 | 전사 경영 관리 |
회계팀 | 회계 업무 전반 | |
재무팀 | 재무 업무 전반 | |
인사총무팀 | 인사, 총무 업무 전반 | |
IT운영팀 | 전산 운영 관리 | |
사업개발팀 | 해외 사업 개발 |
(3) 경영의 투명성 및 안정성
경영투명성 측면에서 동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3인, 사외이사 1인, 감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영상 중요한 사안에 대하여 이사회 운영 규정에 의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등기임원 현황] |
직책명 | 성 명(출생년) | 담당업무 | 약 력 |
사내이사 (상근, 등기) |
기창석 ('69년) |
대표이사(CEO)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04) - 現. 지씨지놈 대표이사('18.06-현재) - 現. (재)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이사(바이오벤처 대표)('24.01-현재) - 現. 대한진단유전학회 특임이사 ('19.01-현재) - 前. 성균관의대/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05.03-'18.05) - 前.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특임이사('16.01-'18.12) - 前. 대한의학유전학회 대외협력이사('20.01-'21.12) |
사내이사 (상근, 등기) | 조은해('74년) | 연구소장(CSO) | - 성균관대학교 의대 의학박사('2) - 現. 지씨지놈 CSO/연구소장('13.08-현재) - 前. 녹십자의료재단 유전체연구소 이사 ('05.05-'13.07) - 前. 삼성서울병원 전임의('04.03-'05.04) |
사내이사 (상근, 등기) | 정상훈 ( '76년) | 경영관리실장 (CFO) | - 서강대학교 경영학 학사( '03)- 現. GC지놈 경영관리실장('24.06-현재)- 前. 녹십자홀딩스 금융지원센터장 ('20.04-'24.05)- 前. GS글로벌 홍콩법인장('10.01-'19.06) |
사외이사 (비상근, 등기) |
김상욱 ('69년) |
사외이사 |
- FLORIDA STATE UNIVERSITY 생물정보학 박사('02) - 現. 포항공과대학교 교수('05.03-현재) - 前. 포항공과대학교 기획처장('17.09-'21.02) - 前. 생물학연구정보센터 BRIC 센터장('06.03-'21.02) - 前. UCLA Bioinformatics연구원('02.08-'05.02) |
감사 (비상근, 등기) | 현승아 ('81년) | 감사 |
- Georgetown University LLM('17) - 제38기 사법연수원 수료('09) - 現. 법무법인 광장 파트너 변호사('12.04-현재) |
또한, 동사는 경영투명성을 확보하고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시 거래가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1인을 추가선임하고,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내부거래위원회 운영규정을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추가 제정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이 에따라 동사는 이사회에 사외이사 1명이 추가 선임하고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동사는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코스닥협회에서 발간한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을 준용하여 정관을 개정하였으며 이사회 운영규정,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대한 통제규정, 감사직무규정, 내부회계관리규정 등 주요 사규를 제개정하여 충실히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기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동사는 경영 투명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청회사의 최대주주 등 및 특수관계인의 합산 지분율은 54.2%입니다. 신청회사는 4,000,000주(의무인수분 제외)의 신주 공모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분희석을 고려한 최대주주 등 합산 지분율은 44.8%로 20% 이상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외 동사는 주식매수선택권,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등 행사로 인한 희석이 가능한 권리 및 사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바, 경영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씨지놈 공모 후 전 후 주식의 분포] |
(단위: 주, %) |
구 분 | 성 명 | 주식종류 | 소유주식수 | 공모전지분율 | 공모후지분율 |
---|---|---|---|---|---|
최대주주등 | (주)녹십자 | 보통주 | 4,636,500 | 23.71 | 19.59 |
(주)녹십자홀딩스 | 보통주 | 2,256,656 | 11.54 | 9.54 | |
주식회사 지씨셀 | 보통주 | 22,571 | 0.12 | 0.10 | |
(주)녹십자엠에스 | 보통주 | 16,928 | 0.09 | 0.07 | |
이외 최대주주등 25인 | 보통주 | 3,670,900 | 18.71 | 15.5 | |
소 계 | 보통주 | 10,603,555 | 54.22 | 44.80 | |
5% 이상 소유주주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보통주 | 3,555,555 | 18.18 | 15.02 |
소 계 | 보통주 | 3,555,555 | 18.18 | 15.02 | |
소액주주 | 기타 433명 | 보통주 | 5,396,445 | 27.6 | 22.80 |
소 계 | 보통주 | 5,396,445 | 27.6 | 22.80 | |
총 계 | 보통주 | 19,555,555 | 100.0 | 82.63 |
주1) | 공모후 지분율은 기존 주식수 19,555,555주에 공모 예정주식수 4,000,000주와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111,111주를 고려하였습니다. |
(4) 경영의 독립성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3인, 사외이사 1인 으로 총 4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사는 이사 총수의 4분의 1 이상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있으며, 최대주주 및 그의 특수관계자에 해당하지 않고 각 분야 전문가인 바, 상법상 사외이사 결격요건에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동사는 추가적으로 사외이사 1인 추가 선임을 계획하고 있어 적절한 감시 및 견제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영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씨지놈 사외이사 및 감사의 결격요건 여부] |
성명 | 주요경력 |
결격요건 여부 |
최대주주등과의 이해관계 |
---|---|---|---|
김상욱 |
FLORIDA STATE UNIVERSITY 생물정보학 박사('02) - 現. 포항공과대학교 교수('05.03-현재) - 前. 포항공과대학교 기획처장 ('17.09-'21.02) - 前. 생물학연구정보센터 BRIC 센터장 ('06.03-'21.02) - 前. UCLA Bioinformatics연구원('02.08-'05.02)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현승아 |
- Georgetown University LLM('17) - 제38기 사법연수원 수료('09) - 現. 법무법인 광장 파트너 변호사('12.04-현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바. 인수인과 일반투자자간 이해상충 가능성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은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6조(공동주관회사) 제1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6조(공동주관회사)①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의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기업인수목적회사2. 외국 기업(한국거래소의「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8호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23호에 따른 외국기업과 주식등의 보유를 통하여 해당 외국 기업의 사업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관하여는 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을 준용한다.③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따라 취득하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 및 「코넥스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지정자문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코넥스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은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있어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④ 제2항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또는 집합투자기구(이하 이항에서 "조합등"이라 한다)의 경우 출자자 또는 수익자가 해당 조합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비율만큼 조합등에서 보유한 주식등을 보유한 것으로 본다.1. 「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제5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2. 「여신전문금융업법」제41조제3항에 따른 신기술사업투자조합3.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4조의3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4.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사모집합투자기구 중 환매가 금지된 집합투자기구 |
사. 기타 투자자 보호 및 증권시장의 건전한 발전
동사의 산업, 영업, 재무, 경영에 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주권을 상장하는 것이 투자자 보호 및 증권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유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총 공모금액 (1) | 36,00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999,999,000 |
발행제비용 (3) | 1,689,866,626 |
순수입금 [(1)+(2)-(3)] | 35,310,132,374 |
주) 총 공모금액은 예상 주당 공모가액(9,000원~10,500원) 중 하단 9,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은 의무인수분 111,111주에 대하여 공모가 하단 기준(9,000원)으로 산정하였습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계산 근거 |
인수수수료 | 1,479,999,960 | (공모금액+의무인수금액)*4.0% |
등록세 | 8,222,222 | 증가 자본금의 0.4% |
교육세 | 1,644,444 | 등록세의 20% |
상장심사수수료 | - | 혁신기술기업에 따른 면제 |
상장수수료 | - | 혁신기술기업에 따른 면제 |
기타비용 | 200,000,000 | 법무사 수수료, IR 비용, 인쇄비 등 |
합계 | 1,689,866,626 | - |
주1) 인수수수료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9,000원 ~ 10,500원)의 최저가액 기준입니다. 인수수수료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는 공모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의 재량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주2) 등록세는 지방세법 제 28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증자 자본금의 1천분의 4로 계산하였습니다.
주3)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제1항제39호에서 정의하는 혁신기술기업에 해당하므로 상장심사수수료 및 상장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주4) 인수수수료 및 발행제비용은 총액인수계약 체결시점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 자금의 사용목적
(기준일 : |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1) 자금의 사용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합계 |
R&D 투자 | 연구개발 인력 인건비, 연구 기자재, 및 일반 경상연구개발비 등 | 3,908 | 3,806 | 4,207 | 4,725 | 16,645 |
시설투자 | 검사설비 증설, 검사실 확장, 서버구축 등 | 2,930 | 3,815 | 4,460 | 7,460 | 18,665 |
합 계 | 6,838 | 7,621 | 8,667 | 12,185 | 35,310 |
(2) 상세 자금 사용 계획 당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술은 다양한 암종과 암 전주기에 걸쳐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광범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기술을 개발하는데 총 353억을 투자할 계획이며, 유전자 암선별 기술 고도화에 투자비중을 중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가) 연구개발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
연구명 | 내용 | 개발기간 | 금액 |
G-SeNTInEL기술: 암종 확대 |
G-SeNTInEL기술을 활용한 다중암종 진단 확장 연구 |
2024.01 ~2028.12 |
3,242 |
G-SeNTInEL기술: NGS 플랫폼 추가 |
G-SeNTInEL 기술 기반의 NGS 플랫폼 통합 연구 |
2025.01 ~2028.12 |
3,715 |
G-SeNTInEL기술: 단일암(폐암,유방암) 연구개발 | G-SeNTInEL 기술을 이용한 폐암 및 유방암 단일암 연구개발 |
2023.06 ~2028.12 |
3,416 |
G-SeNTInEL기술 : 암전주기 확장 |
G-SeNTInEL 기술을 통한 모니터링, 예후예측 확장 연구 |
2019.05 ~2028.12 |
5,245 |
EMFLiMax 기술 :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 구축 |
EMFLiMax 기술을 활용한 Real-time PCR 기반의 단일암 조기선별 검사 개발 |
2024.01 ~2028.12 |
1,028 |
합계 | - | 16,645 |
나) 시설 투자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설비 | 내용 | 수량 및 시기 | 금액 |
---|---|---|---|---|
기계장치 | UG100 (Ultima Genomics)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5년, 28년) |
4,000 |
NextSeq 500/550D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4대 (26년~28년) |
1,700 | |
MiSeq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6년) |
200 | |
MiSeqDx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8년) |
300 | |
IonS5 system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3SET (26년~28년) |
1,950 | |
GCS 3000D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7년~28년) |
600 | |
Sequencer(ABI 3500xL)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1대 (27년) |
200 | |
PCR machine | 검사설비 증설 |
총 3SET (27년,28년) |
300 | |
EP1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2SET (26년~28년) |
420 | |
Sequencer (Novaseq6000 외) |
연구설비 증설 |
총 3SET (26년~28년) |
1,500 | |
기타 검사설비 | 자동핵산추출장비 등 기타 검사설비 | 25년~28년 | 1,715 | |
구축물 | 검사실 확장 | 검사인력, 검사량 증가에 따른 검사실공간 확장 | 28년 | 1,700 |
기타 | 검사실 장비 | 검사실 냉동고, 원심분리기 등 검사공구 | 25년~28년 | 1,100 |
서버 구축 | 검사량 증가 및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서버 구축 | 25년~28년 | 2,735 | |
기타 비품 | 인력증원에 따른 PC등 사무설비 | 25년~28년 | 245 | |
합 계 | 18,665 |
다) 상세 투자 계획 l) G-SeNTInEL기술: 암종 확대 및 NGS 플랫폼 통합연구
G-SeNTInEL 기술을 활용하여 출시한 아이캔서치 검사의 암종을 확장하는 연구개발은 2024년 착수하였습니다. 다중 암종 진단 확장 연구개발을 통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G-SeNTInEL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암종에 대한 진단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2025년까지 유방암, 위암, 두경부암, 임파종 등 총 4종의 암종 추가를 통해 10종암으로 확대하고 2028년까지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육종, 혈액암, 자궁체부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피부암, 뇌 및 중추신경계 종양을 포함하여 20종 암으로 확대하여 지속적인 성능개선과 다양한 암종에 대한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새로운 시퀀싱 장비를 2025년 도입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데이터 생산 시간을 단축시켜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할 예정입니다.
2) G-SeNTInEL기술: 단일암(폐암, 유방암) 연구개발
당사는 백인 코호트에서도 한국인 코호트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파트너사인 Genece Health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 폐암 및 유방암 관련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공동 연구에도 투자할 계획입니다.
3) G-SeNTInEL기술: 암전주기 확장
2019년부터 기초 연구를 통해 조기 선별 뿐만 아니라 미세잔존암 검출과 치료 예후예측에도 유용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당사는 이 기술의 적용 분야를 확장하기 위해 2028년까지 점진적으로 투자를 늘려 암의 발견부터 치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G-SeNTInEL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모니터링 및 치료 예후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4)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EMFLiMax) 구축: Real-time PCR 기반의 단일암 조기선별 검사 개발
비침습적 혈액 기반 DNA 메틸화 검출을 통해 수검자의 신체적 부담을 대폭 경감시켜 검사 순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당사는 원천특허를 기반으로 암종 간의 확장성이 뛰어난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Real-time PCR 기반의 높은 접근성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검사출시를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3.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이번 공모로 유입된 자금은 당사의 유전자 암 선별 기술을 한층 더 고도화하는 데 집중적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더욱 편리한 검사 환경을 제공하고, 암 치료에 드는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는 든든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4. 환매청구권에 관한 사항
당사의 대표주관사인 삼성증권은 당사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하여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환매청구권을 부여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인 행사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
행사 기간 | 매매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 08:00 ~ 16:00 (행사신청 및 취소) |
행사 대상 | 일반청약자가 인수회사로부터 배정받은 공모주식 |
행사 가격 |
공모가격의 90%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 조정가격* 이상을 권리행사가격으로 함.) *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1.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안정조작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회사의 법적·상업적 명칭 당사의 한글 명칭은 "주식회사 지씨지놈"이며, 영문으로는 "GC Genome Corporation" 이라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당사는 2013년 7월 3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 내용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30번길 107(보정동) |
전화번호 | 031-260-9600 |
홈페이지 | www.gcgenome.com |
마.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사.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주요 사업의 내용(주요제품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관한 간략한 설명 당사는 핵심기술을 사용한 제품인 G-NIPT 및 아이캔서치를 포함한 유전체 검사 서비스 제공하는 유전체 검사 및 분석 전문기업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Ⅱ. 사업의 내용」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등여부 | 특례상장 등적용법규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기술성장기업코스닥시장 특례상장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30조(기술성장기업에 대한 특례)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당사의 본점소재지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기 이현로30번길 107(보정동)으로, 설립 후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본점소재지 변경은 없습니다.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사내이사 3인(기창석 이사, 조은해 이사, 정상훈 이사),사외이사 1인(김상욱 이사), 비상근감사 1인(현승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변동일자 주1)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 또는 해임 | 비고 | |
---|---|---|---|---|---|
신규 | 재선임 | ||||
2020년03월26일 | 정기주총 | - | 감사 서원규 | - | - |
- | 대표이사 기창석 | - | 주2) | ||
2021년03월26일 | 정기주총 | 기타비상무이사 고성규감사 김연근 | 사내이사 조은해사내이사 김정호 | 감사 서원규(사임) | 주3) |
2022년03월30일 | 정기주총 | 기타비상무이사 김봉진 | - | 기타비상무이사 고성규(사임) | 주4) |
- | 대표이사 기창석 | - | - | ||
2022년12월31일 | - | - | - | 사내이사 김정호(사임) | 주5) |
2023년03월30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김상욱 | 사내이사 조은해 | - | - |
2024년03월29일 | 정기주총 | 감사 현승아 | 기타비상무이사 김봉진 | 감사 김연근(임기만료) | - |
대표이사 기창석 | |||||
2024년11월22일 | - | - | - | 기타비상무이사 김봉진(사임) | 주6) |
2025년03월27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정상훈 | 사내이사 조은해사외이사 김상욱 | - | - |
주1) 변동일자에는 회의 개최일을 기재하였으며, 사임의 경우 법인 등기부등본 상 변동일자를 기재하였습니다.주2) 주주총회일 기준 임기조정을 위하여 주주총회일 기준 사임 및 재선임 되었습니다. 주3) 감사 서원규는 일신상의 이유로 감사를 사임하였습니다. 주4) 기타비상무이사 고성규는 일신상의 이유로 기타비상무이사를 사임하였습니다. 주5) 사내이사 김정호는 일신상의 이유로 사내이사를 사임하였습니다. 주6) 기타비상무이사 김봉진은 일신상의 이유로 기타비상무이사를 사임하였습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식회사 녹십자이며 2013년 8월 유상증자 시 최대주주가 된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경은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일자 | 상 호 | 비고 |
2013.07.31 | 주식회사 녹십자지놈 | 설립 |
2022.04.05 | 주식회사 지씨지놈 | 변경 |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설립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의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 월 | 내 용 |
2013.07 | 법인 설립 |
2013.08 | 제 1차 유상증자 21억원 실시(주주우선공모) |
2013.12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
2015.04 | 비침습적 산전 선별 검사『G-NIPT』 출시 |
2015.07 |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유전자검사 정확도 평가 A등급』 획득 |
2015.08 |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주관기업』 선정 |
2015.10 | 제 2차 유상증자 15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16.03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NGS 임상검사실 인증제 시범사업 기관』 선정 |
2017.02 | 미국병리학회 『CAP 인증』 확보 |
2017.04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NGS 임상검사실 인증』 획득 |
2018.01 | cfDNA 분석을 이용한 암 진단 연구 착수 |
2019.06 | G-PrEMIA 요소기술 FD(Fragment Distance) 개발 착수 |
2019.08 | G-PrEMIA 요소기술 GAViDL (시각화기술) 개발 착수 |
2019.12 | 제 3차 유상증자 40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0.08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Fragment Distance) 출원 |
2020.10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주관 『인공지능 기반 간암 조기진단 및 미세잔존암 검출을 위한액체생검 유전체 데이터 통합 시스템 구축』 국책과제 수행기관 선정 |
2020.11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GAViDL) 출원 |
2020.11 | 핵심기술 G-SeNTInEL의 요소기술 FEMS 개발 착수 |
2020.12 | 전환사채 200억원 발행을 통한 투자유치( 지노베이션1호 사모투자합자회사) |
2020.12 | 제 4차 유상증자 100억원 실시(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1.5 | 핵심기술G-SeNTInEL 관련 특허( FEMS) 출원 |
2021.09 | G-PrEMIA 대규모 임상연구 수행 『비침습적 태아 염색체 이수성 검사의 검사 성능 확인에 대한 연구』 |
2021.10 | G-SeNTInEL 요소기술 RMD 개발 착수 |
2022.03 |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 글로벌 혁신대전 『10대 등대기업』 선정 |
2022.04 | 『그린플랜 HRD』 국내 최초 HRD 신의료기술 승인 |
2022.04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선정 |
2022.04 | 사명변경(녹십자지놈 → 지씨지놈) |
2022.04 | 미국암연구학회 학술대회(AACR 2022) 『인공지능(AI) 기반 액체생검 기술』 발표 |
2022.04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주관 『폐암 조기진단용 액체생검 바이오마커 기반 검사의 상용화』 국책과제 수행기관 선정 |
2022.06 | 핵심기술G-SeNTInEL 관련 특허(RMD) 출원 |
2022.09 | 『탈모 리스크 스크린』 출시 |
2022.10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Fragment Distance) 등록 |
2022.11 |
G-PrEMIA 기술 관련 논문 Front Genet 학술지 게재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using cell-free DNA fragment distance for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aiD-NIPT) |
2022.11 | G-NIPT검사에 G-PrEMIA 핵심기술 적용 |
2022.12 | 용인지점 증축 및 기업부설연구소 이전 |
2022.12 | 전환사채 120억원 보통주 전환 |
2023.03 | 미국 Genece Health 액체생검 기술 및 노하우 라이선스 계약 체결 |
2023.04 |
G-SeNTInEL 기술 관련 논문 Nature Communications(IF : 14.7) 학술지 논문 게재 Integrative modeling of tumor genomes and epigenomes for enhanced cancer diagnosis by cell-free DNA |
2023.09 | AI 알고리즘 기반 다중암 조기 선별 검사 『아이캔서치』 출시 |
2023.10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특허(시각화 기술) 등록(GAViDL) |
2023.11 | 건강검진 유전자검사 「지놈헬스」 태국 기술수출 |
2024.01 | 『무세포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 액체생검 관련 특허 출원 |
2024.02 |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 환자의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액체생검 관련 특허 출원 |
2024.03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기술(Fragment Distance) 특허 호주 등록 |
2024.04 | 핵심기술 G-PrEMIA 관련 기술(시각화 기술) 특허 호주 등록 (GAViDL) |
2024.04 | 미국암연구학회 학술대회(AACR 2024) G-SeNTInEL 기술관련 2편 발표 |
2024.08 | G-PrEMIA 관련 특허(시각화 기술) 일본 등록(GAViDL) |
2024.12 | G-SeNTInEL 관련 특허(RMD) 유럽 출원 |
2024.11 | 전환사채 80억원 보통주 전환 |
2024.12 |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유전자 검사 정확도 평가 A등급』 획득 |
2025.03 |
AI기반 액체생검 폐암 검출 알고리즘 연구 논문 국제 학술지「Cancer Research」에 게재 |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제9기 | 제8기 |
(2024년말) | (2023년말) | (2022년말) | (2021년말) | (2020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9,555,555 | 18,133,333 | 18,133,333 | 16,000,000 | 16,000,000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9,777,777,500 | 9,066,666,500 | 9,066,666,500 | 8,000,000,000 | 8,000,00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9,777,777,500 | 9,066,666,500 | 9,066,666,500 | 8,000,000,000 | 8,000,000,0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보통주식 | 종류주식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50,000,000 | - | 5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19,555,555 | - | 19,555,555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 - | - | |
1. 감자 | - | - | - | - | |
2. 이익소각 | -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 | -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Ⅱ-Ⅲ) | 19,555,555 | - | - | - | |
Ⅴ. 자기주식수 | - | - | - | - | |
Ⅵ. 유통주식수(Ⅳ-Ⅴ) | 19,555,555 | - | 19,555,555 | -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 | - | - | -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종류주식의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정관 변경 이력 당사의 최근 정관 개정일은 2024년 3월 29일 이며,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 안건이 승인되었습니다.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2020.03.26 | 제7기 정기주주총회 | 제5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제8조 (주식의 종류 및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12조 (주금 납입의 지체) <삭제>제12조 (명의개서대리인)제15조 (주주의 주소 등의 신고) | 발행예정주식 총수 변경 등 |
2020.11.20 | 임시주주총회 | 제8조의1 (주식의 종류 및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8조의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제9조 (신주인수권)제16조 (전환사채의 발행)제17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종류주식 발행 및 주식 전자 등록 규정 신설신주인수권/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규정 신설 |
2021.03.26 | 제8기 정기주주총회 | 제8조의1 (주식의 종류 및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11조 (신주의 동등배당)제14조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제15조 (주주의 주소 등의 신고)제16조 (전환사채의 발행)제18조 (소집시기)제41조 (감사의 선임·해임)제47조 (재무제표,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제49조 (이익배당) | 상법의 개정내용을 반영 |
2022.03.30 | 제9기 정기주주총회 | 제1조 (상호)제2조 (목적)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 | 국문 및 영문 상호 변경 반영사내병원 사업 목적 추가주식매수 선택권 규정 신설 |
2023.03.30 | 제10기 정기주주총회 | 제2조 (목적) | 체외진단 사업 등 사업목적 추가 |
2024.03.29 | 제11기 정기주주총회 | 제1조 (상호)제7조 (회사의 설립 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제8조의1 (주식의 종류 및 주식등의 전자등록)제8조의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제9조 (신주인수권)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제11조 (동등배당)제12조 (명의개서대리인)제13조 (주식의 소각) <삭제>제16조 (전환사채의 발행)제17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제22조 (의장)제27조 (의결권의 대리행사)제28조 (주주총회의 결의방법)제30조 (이사의 수)제33조 (이사의 직무)제36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제37조 (이사회의 결의방법)제38조 (이사회의 의사록)제39조 (대표이사 등 선임)제41조 (감사의 선임·해임)제42조 (감사의 임기와 보선)제43조 (감사의 직무와 의무)제46조 (영업년도)제47조 (재무제표,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 | 상장을 위한 표준정관 수용 |
나. 사업목적 (1)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1 | 유전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사업 | 영위 |
2 | 유전자 분석 및 질병유전자 발굴 사업 | 영위 |
3 |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상업화 사업 | 영위 |
4 | 유전자 분석 시약, 기기 및 장비개발, 제조, 판매 및 도소매 사업 | 영위 |
5 | 체외진단 시약, 의료기기 및 장비 개발, 제조, 판매 및 도소매 사업 | 영위 |
6 | 분자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및 치료제의 개발, 제조, 판매 및 도소매 사업 | 영위 |
7 | 생물정보학과 관련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 사업 | 영위 |
8 | 유전자 분석 및 기술에 대한 자문사업 | 영위 |
9 | 의료기기 및 장비 임대업 | 비영위 |
10 | 통신판매업 | 영위 |
11 | 부동산 임대 사업 | 비영위 |
12 | 부속의원 사업 | 비영위 |
13 | 위 각 호에 관련된 수출·입업 등 부대사업 일체 | 영위 |
(2) 사업목적 변경 내용
구분 | 변경일 | 사업목적 | 변경사유 | |
---|---|---|---|---|
변경 전 | 변경 후 | |||
추가 | 2022.03.30 | - | 11. 부속의원 사업 | 사내병원 설치에 따른 규정 추가 |
추가 | 2023.03.30 | - | 5. 체외진단 시약, 의료기기 및 장비 개발, 제조, 판매 및 도소매 사업 | 체외진단 사업 추진 검토에 따른 규정 추가 |
(3) 사업목적 추가
구 분 | 사업목적 | 추가일자 |
---|---|---|
1 | 부속의원 사업 | 2022.03.30 |
2 | 체외진단 시약, 의료기기 및 장비 개발, 제조, 판매 및 도소매 사업 | 2023.03.30 |
당사는 본사 내 부속의원 설치 및 체외진단 사업 검토에 따라 해당 사항을 정관에 추가하였습니다. 부속의원 사 업은 당사의 영위 사업에 해당하지 않으며, 체외 진단 사업은 사업 추진을 위한 검토를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지 않아 진행상황에 대한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당사는 2013년 설립된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질병 진단 및 치료 현장에서 수집된 개인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질병의 조기 선별과 예측, 더 나아가 맞춤형 치료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기술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연구·개발하는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 기업입니다.
당사는 정밀의료의 발전에 따른 유전체 검사 시장의 확대로 임상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질병 예방, 진단 및 치료/예후 관리 등 생애 전주기를 다루는 맞춤형 분자진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 영역은 사용목적 및 대상에 따라 크게 4가지의 검사 서비스 분야로 구분 됩니다.
[당사 사업영역] |
또한,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상품성이 있는 유전체 분석 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제품-시장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며 현재 국내 상급종합병원 45개 기관(100%)을 포함하여, 병·의원 900여 곳에 유전체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유전체 비즈니스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당사 거래 기관] |
이외에도 당사는 해외 시장에서도 검사 수출(TSO, Test Send Out), 기술수출(L/O, License-Out), 연구 개발 협력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아프리카, 미주 등 주요 4개 권역의 21개국 44개 기업과 거래 계약을 체결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이전 사업 모델을 통해 미국(Genece Health)과 태국(MP Group) 등으로 성공적으로 진출하였으며, 주요 거점 사업 및 해외 총판과 협력하여 판매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유한 기술력, 사업 역량, 검사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① 국내 판매 확대와 해외 사업 가속화 전략을 추진하고, ② 핵심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과 기술 고도화 전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강화하며, ③ 기술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계획을 수립하여 국내외에서 지속 가능한 사업을 전개할 것입니다.
[당사 성장 전략] |
가. 주요 제품등의 현황
당사는 자체 보유한 생애전주기 맞춤 분자진단 플랫폼을 통해 생산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여 질병 예방, 진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품화 하였습니다.
당사는 유전체 검사에 특화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타 기관의 서비스와 차별화되어 강력한 경쟁력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또한 당사는 생애전주기에 걸친 4가지 제품군으로 유전체 검사를 300개 이상 서비스하고 있으며 매년 최소 5개 이상의 검사를 신규 출시하여 병ㆍ의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유전체 검사는 병원에서 채취한 환자나 건강검진 대상자, 또는 산모의 혈액이나 암환자의 조직과 같은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 DNA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장비로 분석되어 DNA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얻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생물정보학(BI, Bioinformatics)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활용해 주요 유전자 변이와 질병의 연관성을 분석합니다. 이후, 저희 전문 의료진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합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과 판독 과정을 거친 유전체 검사 결과지는 안전한 시스템을 통해 병원에 전달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환자 개개인의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4가지 유전체 검사 서비스 제품군으로 태아 또는 산모를 위한 유전체 검사 서비스인 ① 산전/신생아 선별 유전체 검사 서비스, 무증상 일반인 대상의 ② 건강검진 유전체 검사 서비스 그리고 암 환자와 희귀질환 환자의 정밀진단을 위한 ③ 암 정밀진단 검사 서비스 그리고 ④ 유전희귀질환 진단 유전체 검사 서비스로 제품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으며 대표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제품군별 대표 유전체 검사 서비스] |
(1) 산과: 산전/신생아 선별 유전체 검사 서비스
산전/신생아 검사 서비스는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산부인과 및 소아과 의료진들이 이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병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당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산전/신생아 검사에서 대표적으로 서비스하는 검사는 G-NIPT가 있으며, 국내 대학병원 및 산부인과에 검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 산전 및 신생아 유전자검사 서비스 포트폴리오] |
(2) 암 정밀진단: 암 환자의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 서비스
암 검사 서비스는 암 환자들의 유전적 발생 원인이나 프로파일을 분석하는 유전체 검사로, 혈액종양내과 및 외과 등 암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나 예후, 위험 평가가 가능하도록 병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당사와 병리ㆍ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당사에서는 유전성 암, 고형암 조직생검 및 액체생검, 혈액암, 난소암 환자의 표적항암제 처방을 선별하는 NGS 패널 유전체 검사를 서비스합니다. 당사는 유전체 검사 기관 중 가장 많고 다양한 암 유전체 검사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암 정밀진단 부문에서 대표적으로 서비스하는 검사는 고형암 패널 검사가 있으며 국내 대학병원 혈종내과에 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 암 유전체 검사 서비스 포트폴리오] |
(3) 유전희귀 정밀진단: 희귀질환 환자의 정밀진단 유전체 검사 서비스
희귀질환 검사 서비스는 약 7,000여종 이상의 유전성 희귀질환 환자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로, 소아과 및 신경과 등 희귀질환 전문의들이 그에 따른 올바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병의 원인 유전자 분석 결과와 당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희귀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유전체 검사는 희귀패널(표적 엑솜 시퀀싱), 전장 엑솜 시퀀싱, 전장 지놈 시퀀싱 검사 등이 있습니다.
[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서비스 포트폴리오] |
(4) 검진: 건강검진 유전체 검사 서비스
건강검진 검사 서비스는 건강한 성인의 질병 조기 발견 및 예방, 위험성 평가, 가족력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유전체 검사로, 건강검진기관에서 개인별 맞춤형 건강 계획이 가능하도록 유전자 분석 결과와 상대적인 위험도를 평가하여 당사의 진단검사전문의의 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당사는 검진 유전체 검사를 8개의 서비스 부문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NGS로 서비스하는 대표적인 유전체 검사로는 지놈헬스조기선별, 아이캔서치가 있습니다. 다양한 검진 유전체 검사 포트폴리오는 검진기관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검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당사의 강점입니다.
나. 제품별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매출유형 | 품목 | 제13기(2025년)1분기 | 제12기(2024년)1분기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제10기(2022년)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용역 | 산과검사 | 1,900 | 27.88 | 1,488 | 25.87 | 6,525 | 25.21 | 5,269 | 19.31 | 5,159 | 21.39 |
암검사 | 2,640 | 38.75 | 2,303 | 40.03 | 10,197 | 39.39 | 10,461 | 38.33 | 9,524 | 39.50 | |
유전희귀질환 | 1,405 | 20.61 | 1,282 | 22.29 | 4,885 | 18.87 | 6,031 | 22.10 | 5,550 | 23.01 | |
검진 | 845 | 12.40 | 672 | 11.69 | 4,256 | 16.44 | 4,643 | 17.01 | 3,833 | 15.90 | |
기타 | 25 | 0.36 | 7 | 0.12 | 24 | 0.09 | 888 | 3.25 | 48 | 0.20 | |
합계 | 6,814 | 100.00 | 5,752 | 100.00 | 25,888 | 100.00 | 27,292 | 100.00 | 24,114 | 100.00 |
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가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의 가격은 시장에서 경쟁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가.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1) 매입현황
(단위 : 천원) |
매입유형 | 품 목 | 구 분 | 제13기(2025년)1분기 | 제12기(2024년)1분기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제10기(2022년) |
원재료 | 시약 | 국 내 | 1,878,151 | 1,625,507 | 7,101,165 | 6,397,165 | 6,794,786 |
기타 | 국 내 | 372,039 | 103,485 | 575,302 | 552,324 | 503,467 | |
합계 | 국 내 | 2,250,190 | 1,728,992 | 7,676,467 | 6,949,489 | 7,298,253 |
(2) 원재료의 제품별 비중
(단위 : %) |
사업연도 | 주요제품명 | 비중(%) |
제13기 (2025년)1분기 | 산과검사 | 30.72 |
암검사 | 32.00 | |
유전(희귀)질환 | 20.61 | |
검진 | 16.67 | |
제12기 (2024년)1분기 | 산과검사 | 35.65 |
암검사 | 26.05 | |
유전(희귀)질환 | 19.31 | |
검진 | 18.99 | |
제12기 (2024년) | 산과검사 | 29.44 |
암검사 | 28.64 | |
유전(희귀)질환 | 17.43 | |
검진 | 24.49 | |
제11기 (2023년) | 산과검사 | 24.59 |
암검사 | 31.13 | |
유전(희귀)질환 | 22.18 | |
검진 | 22.09 | |
제10기 (2022년) | 산과검사 | 25.60 |
암검사 | 30.33 | |
유전(희귀)질환 | 22.23 | |
검진 | 21.84 |
주) 각 검사공정별 원재료 표준소요량 기준산출
(3)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 |
품목 |
2025년(제13기)1분기 |
2024년(제12기)1분기 |
2024년(제12기) |
2023년(제11기) |
2022년(제10기) |
|
---|---|---|---|---|---|---|
시약 | 국내 | 143,238 | 123,322 | 129,023 | 119,970 | 73,112 |
기타 | 국내 | 105,821 | 86,963 | 82,682 | 73,979 | 79,726 |
주) 해당연도의 평균 매입단가 기준
(4)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
(단위 : 천원) |
품목 | 구입처 | 제13기(2025년)1분기 | 제12기(2024년)1분기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제10기(2022년) | 결제조건 | |
시약 | 국내 | 일루미나코리아 외 | 1,878,151 | 1,625,507 | 7,101,165 | 6,397,165 | 6,794,786 | 매입일로부터 60일 내 현금지급 |
기타 | 국내 | 코원바이오 외 | 372,039 | 103,485 | 575,302 | 552,324 | 503,467 | |
합계 | 2,250,190 | 1,728,992 | 7,676,467 | 6,949,489 | 7,298,253 |
나. 생산 및 생산설비에 관한 현황 (1)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단위 : 수량 건, 금액 천원, 가동율 %) |
장비명(그룹) | 구분 | 제13기(2025년)1분기 | 제12기(2024년)1분기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제10기(2022년)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NovaSeq 6000 외 | 검사능력 | 84,997 | 15,820,410 | 84,997 | 14,759,612 | 339,988 | 47,420,055 | 319,497 | 47,622,571 | 250,102 | 32,950,926 |
검사실적 | 33,603 | 6,254,489 | 31,345 | 5,443,011 | 171,688 | 23,946,279 | 164,170 | 24,470,318 | 163,936 | 21,598,550 | |
가동율 | 39.53 | 36.88 | 50.50 | 51.38 | 65.55 |
주) 검사 설비 평균값 반영
(가) 생산 인력 구성
검사 인력은 모두 분자유전 분야에서 고도의 교육을 받은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으며, 분석본부와 의학본부로 조직이 나뉘어 있습니다. 분석본부는 2024년말 기준 총 49명의 검사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약 20만 건의 유전자 분석 검사를 수행하는 동종 업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자랑합니다. 분석본부에서 생산을 담당하는 팀은 분석1팀, 분석2팀, 분석3팀으로 나뉘어 검사항목별로 체계화되어 있으며, 검사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검사개발팀, 검사 품질 관리를 전담하는 품질관리팀, 검사 운영 및 고객 문의를 지원하는 검사운영팀, 검사실 정보 관리 및 시스템을 운영하는 LIMS팀이 별도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생명정보 분석가와 임상 유전체 분석 전문의로 구성된 의학본부의 Medical Office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효율적인 생산성을 유지하고,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검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나) 생산 능력
당사는 총 140여 대의 검사 장비와 분석 서버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신 유전체 검사 장비와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업계의 임상 유전체 검사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Novaseq6000을 포함한 다양한 시퀀서 모델을 운영하여 대용량 샘플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검사 과정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검사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표준화된 절차를 시행하고 있으며,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해 신규 장비 도입과 인력 충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향후 검사 라인 확장과 생산 규모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 품질 관리
당사는 임상 유전체 분석 검사의 질 관리를 체계적이고 정기적으로 수행하여 높은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을 통해 검사 공정과 설비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가) 현황
(단위 : 천원) |
자산별 | 취득가액 | 기초가액(2024.12.31) | 당기증감 | 당기상각 | 손상차손 | 기말잔액(2025.3.31) | |
증가 | 감소 | ||||||
구축물 | 7,726,715 | 4,894,242 | - | - | (171,242) | - | 4,723,000 |
기계장치 | 9,681,737 | 4,390,612 | 52,400 | (1) | (180,423) | - | 4,262,588 |
공구와비품 | 3,737,508 | 861,196 | 11,650 | - | (149,410) | - | 723,436 |
소계 | 21,145,959 | 10,146,049 | 64,050 | (1) | (501,074) | - | 9,709,024 |
(나) 최근 3년간 변동사항
(단위 : 천원) |
설비자산명 | 취득(처분)가액 | 취득(처분)일 | 취득(처분)사유 | 용 도 | 취득(처분)처 |
Centrifuge(4-16KS) | 15,950 | 22-04-18 | 연구개발 | 원심분리 | (주)대일테크 |
NGS(NovaSeq 6000) | 970,000 | 22-06-20 | 연구개발 | 염기서열 분석 | 일루미나코리아 유한회사 |
자동핵산추출기(Kingfisher,A5400630) | 18,100 | 22-08-29 | 연구개발 | 핵산 추출 | 주식회사 파우바이오(Pau-bio) |
CFX-96 Dx system (RealtimePCR) | 13,636 | 22-08-29 | 연구개발 | 핵산 증폭 | 주식회사 협진메디텍 |
4200 TapeStation | 62,000 | 22-08-29 | 연구개발 | DNA 정량 및 size측정 |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주) |
Centrifuge(5930) | 15,900 | 22-12-22 | 연구개발 | 원심분리 | (주)동방사이메드 |
Deep Freezer(TDE60086FD) | 17,240 | 22-12-2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시약 및 검체 보관 |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 유한회사 |
Deep Freezer(TDE60086FD) | 17,240 | 22-12-2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시약 및 검체 보관 |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 유한회사 |
Deep Freezer(TDE60086FD) | 17,240 | 22-12-2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시약 및 검체 보관 |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 유한회사 |
Echo Liquid Handler (Echo 525) | 336,800 | 22-03-2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Library 제작 자동화 | 주식회사 파워랩 |
Hybrid NGS (Biomek i7 Hybrid) | 263,200 | 22-03-2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Library 제작 자동화 | 주식회사 파워랩 |
Real Time PCR | 227,273 | 22-02-1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핵산 증폭 | 지더블유바이텍 주식회사 |
NextSeq550Dx SequencingSystem | 390,000 | 22-02-1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염기서열 분석 | 일루미나코리아 유한회사 |
자동핵산추출기(Kingfisher Flex, A5400630) | 18,100 | 22-07-27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핵산 추출 | 주식회사 파우바이오(Pau-bio) |
NGS (DNBSEQ-T7RS & MGISEQ-2000RS) | (870,000) | 20-11-24 | 검사법 변경으로 반출 | 염기서열 분석 | (주)비엠에스 |
Centrifuge 등 | 28,230 | 22-12-3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검사 및 실험 | |
Real Time PCR(A47326) | 64,500 | 23-01-17 | 연구개발 | 핵산 증폭 | 보성과학(주) |
3차증류수기(PURELAB Chorus 1 Complete) | 12,000 | 23-01-13 | 연구개발 | 검사용수 공급 | 화인테크 |
대형 Centrifuge(5930) | 15,900 | 23-01-13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원심분리 | (주)동방사이메드 |
Homogenizer(FP-24 Classic Instrument) | 11,500 | 23-01-12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DNA 균질화 | (주)이노진텍 |
진공농축기(SPD1030P1-115) | 17,850 | 23-01-12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핵산 농축 | (주)썬더바이오사이언스 |
BSC(NU-543-600S) | 17,500 | 23-02-27 | 연구개발 | 시약 및 검체 취급 | (주)에이치에스바이오시스템즈 |
BSC(NU-543-600S) | 17,500 | 23-02-27 | 연구개발 | 시약 및 검체 취급 | (주)에이치에스바이오시스템즈 |
항온항습기 | 78,500 | 23-01-3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실험실 온습도유지 | 주식회사 에어비씨 |
QuantStudio5 Real-Time PCR | 45,450 | 23-08-16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핵산 증폭 | 보성과학(주) |
NGS System (NovaSeq 6000Dx) | 822,800 | 23-07-2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염기서열 분석 | 일루미나코리아 유한회사 |
Clean Bench 등 | 268,230 | 23-12-3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검사 및 실험 | |
QuantStudio5 Real-Time PCR | 43,000 | 24-06-13 | 연구개발 | 핵산 증폭 |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 유한회사 |
Real-Time PCR(QuantStudio5) | 44,450 | 24-06-13 | 연구개발 | 핵산 증폭 | 보성과학(주) |
자동핵산추출기 등 | 11,100 | 23-12-31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검사 및 실험 | |
Real-time qPCR(QuantStudio5 DX) | 43,000 | 25-03-18 | 서비스 개발 및 검사서비스 | 핵산 증폭 | 디케이에스에이치코리아㈜ |
현미경(BX53F2+XCAMTOP4K) | 9,400 | 25-02-05 | 연구개발 | 검사 및 실험 | 택산엠에스(주) |
(다)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설비 | 내용 | 수량 및 시기 | 금액 |
---|---|---|---|---|
기계장치 | UG100 (Ultima Genomics)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5년, 28년) |
4,000 |
NextSeq 500/550D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4대 (26년~28년) |
1,700 | |
MiSeq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6년) |
200 | |
MiSeqDx | 검사설비 증설 |
총 1대 (28년) |
300 | |
IonS5 system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3SET (26년~28년) |
1,950 | |
GCS 3000D | 검사설비 증설 |
총 2대 (27년~28년) |
600 | |
Sequencer(ABI 3500xL)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1대 (27년) |
200 | |
PCR machine | 검사설비 증설 |
총 3SET (27년,28년) |
300 | |
EP1 | 검사설비 증설 및 노후설비 교체 |
총 2SET (26년~28년) |
420 | |
Sequencer (Novaseq6000 외) |
연구설비 증설 |
총 3SET (26년~28년) |
1,500 | |
기타 검사설비 | 자동핵산추출장비 등 기타 검사설비 | 25년~28년 | 1,715 | |
구축물 | 검사실 확장 | 검사인력, 검사량 증가에 따른 검사실공간 확장 | 28년 | 1,700 |
기타 | 검사실 장비 | 검사실 냉동고, 원심분리기 등 검사공구 | 25년~28년 | 1,100 |
서버 구축 | 검사량 증가 및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서버 구축 | 25년~28년 | 2,735 | |
기타 비품 | 인력증원에 따른 PC등 사무설비 | 25년~28년 | 245 | |
합 계 | 18,665 |
가. 매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기준일 현재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관련 300여가지 이상의 유전체 검사를 국내ㆍ외에서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1) 매출 실적
(단위 : 백만원) |
매출유형 | 품목 | 구분 | 제13기(2025년) 1분기 | 제12기(2024년) 1분기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제10기(2022년)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용역 | 산과검사 | 내수 | 11,822 | 1,739 | 9,755 | 1,284 | 42,633 | 5,908 | 35,769 | 4,602 | 37,952 | 4,493 |
수출 | 697 | 161 | 1,030 | 205 | 2,858 | 617 | 3,416 | 667 | 3,533 | 666 | ||
합계 | 12,519 | 1,900 | 10,785 | 1,488 | 45,491 | 6,525 | 39,185 | 5,269 | 41,485 | 5,159 | ||
암검사 | 내수 | 2,787 | 2,633 | 2,552 | 2,298 | 10,776 | 10,179 | 11,037 | 10,455 | 9,820 | 9,348 | |
수출 | 10 | 7 | 5 | 5 | 33 | 18 | 10 | 6 | 112 | 176 | ||
합계 | 2,797 | 2,640 | 2,557 | 2,303 | 10,809 | 10,197 | 11,047 | 10,461 | 9,932 | 9,524 | ||
유전희귀검사 | 내수 | 2,657 | 1,385 | 2,425 | 1,277 | 8,990 | 4,849 | 11,587 | 6,025 | 10,518 | 5,510 | |
수출 | 25 | 19 | 6 | 5 | 39 | 36 | 8 | 6 | 44 | 40 | ||
합계 | 2,682 | 1,405 | 2,431 | 1,282 | 9,029 | 4,885 | 11,595 | 6,031 | 10,562 | 5,550 | ||
검진 | 내수 | 15,635 | 821 | 15,555 | 657 | 106,521 | 4,184 | 102,863 | 4,631 | 103,344 | 3,817 | |
수출 | 122 | 24 | 107 | 15 | 423 | 73 | 95 | 11 | 132 | 16 | ||
합계 | 15,757 | 845 | 15,662 | 672 | 106,944 | 4,256 | 102,958 | 4,642 | 103,476 | 3,833 | ||
기타 | 내수 | - | 22 | - | - | - | 0 | - | 18 | - | 22 | |
수출 | 5 | 3 | 5 | 7 | - | 24 | - | 870 | - | 26 | ||
합계 | 5 | 25 | 5 | 7 | - | 24 | - | 888 | - | 48 | ||
합계 | 내수 | 32,901 | 6,601 | 30,287 | 5,515 | 168,920 | 25,120 | 161,256 | 25,731 | |||
수출 | 859 | 213 | 1,153 | 237 | 3,353 | 768 | 3,529 | 1,561 | ||||
합계 | 33,760 | 6,814 | 31,440 | 5,752 | 172,273 | 25,888 | 164,785 | 27,292 | 165,455 | 24,114 |
(2) 판매조직
(3) 판매경로(가) 국내
당사의 주요 국내 판매 방식은 약 900여개 이상의 병의원 영업 유통망을 통하여 의료기관, 기업, 공공기관으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당사의 국내 유전체 검사 판매 방식은 의료기관을 통해서만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협력 서비스 모델과 같은 간접 판매와 단독 서비스 모델과 같은 직접 판매가 있습니다.
(나) 해외 당사의 주요 해외 판매 방식은 현지 파트너사 (Commercial Lab 또는 유통 중개사) 및 병의원과의 직접계약을 통한 의료기관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선진 주요 기업과 검사 수출(Test Send Out, TSO), 기술수출(License-Out, LO)을 통해 판매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주요 4개 권역(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아프리카, 미주)의 21개국의 44개처 기업과 거래 계약 체결을 완료 후 검사 수출이 진행되고 있으며 추가 40개의 거래처와 NDA 계약 후 지속적으로 거래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
(4) 기타 사업모델 당사는 국내외 유전체 검사 서비 스 외에 임상시험 검체 분석 기관 인증을 통해 국내외 제약사 및 임상시험 수탁기관(CRO)과 협력하여 임상 시험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였습니다.
(5) 판매전략(가) 국내
당사는 전국 약 900여 개 이상 병의원에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검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40여 년의 경험을 가진 녹십자의료재단과 지씨셀(바이오 물류 전문 기업)이 구축한 5,000여 개의 병의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검사 공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상급종합병원 및 대학병원과 협력을 강화하고, 기존의 전산 시스템을 연동하여 운영 비용 절감과 서비스 효율성 향상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마케팅팀과 국내 영업팀(Technical Specialist Team, TS)은 국내 의료 생태계를 면밀히 조사하고 알맞은 타겟 고객군과 KOL(Key Opinion Leader)을 선정하여 학술 세미나, 심포지엄, 전략적 조기 공급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 EAP), 학술대회 참석 등 다양한 영업 전략을 채택하여 대형병원, 소규모 1,2차 병원, 전문검진센터 등 의료기관 네트워크를 빠르고 공격적으로 선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전문의와 마케팅 조직을 통해 정기적으로 워크숍 및 교육 세미나를 개최하여 새로운 검사 기술과 방법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실제 검체를 사용한 검사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워크숍 및 교육 세미나에서는 검체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당사의 기술을 소개하고, 임상 연구 데이터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여 당사 제품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 수집과 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의료진과 신뢰 관계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나) 해외
당사는 현재 보유한 21개국 44개 파트너사를 통해 해외로 검사 서비스를 수출하고 있습니다.기존에는 산과 중심의 검사 수출(Test Send-Out, TSO)에 집중해 왔으나, 최근에는 검진, 암 및 희귀질환 분야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계약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GC 그룹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수출 대상 지역 및 파트너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GC 그룹의 일본 계열사인 GC Lymphotec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당사의 액체생검 기술을 접목한 일본 시장 전용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현지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자체 보유한 우수한 기술력과 플랫폼을 기반으로 2023년 미국과 태국에 기술수출(License-Out, LO)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지 제품화 계획을 추진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검사 수출(TSO)과 기술수출(LO)을 양축으로 하는 다각적인 해외 진출 전략을 통해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나. 수주현황 당사가 영위 중인 주요 사업은 수주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에 속하지 않습니다. 유전체 검사서비스는 의료기관별로 미리 수주를 받는 수주산업이 아니고, 의료기관의 의뢰를 통해 즉시 용역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
노출 위험 |
측정 |
관리 |
---|---|---|---|
시장위험 - 환율 |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
- |
시장위험 - 주가 |
지분상품 투자 |
민감도 분석 |
포트폴리오분산 |
신용위험 |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계약자산 |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
- |
유동성위험 |
차입금 및 기타 부채 |
현금흐름 추정 |
차입한도 유지 |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원칙과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정책을 문서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외환 위험 (가) 외환 위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회사의 금융자산 중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외화금융자산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USD)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전전기말 |
---|---|---|---|
매출채권 |
168,498 | 123,169 | 107,355 |
(나) 회사의 위험
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 위험, 특히 주로 USD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2) 가격위험
(가)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지분증권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는 회사가 정한 한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나) 민감도 분석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회사는 주가에 연동을 받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 당기손익 및 기타포괄손익
회사의 투자 금융상품이 당기손익 및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중 '5. 재무제표주석' 중 6번 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회사는 변동이자부 차입금이 없는 관계로 차입금과 관련된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회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및 개인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유리한 파생상품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1) 위험관리
회사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감독할 책임은 이사회에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업부서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재무위험을 식별, 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 뿐 아니라,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을 제공합니다.
회사의 위험관리 정책은 회사가 직면한 위험을 식별 및 분석하고, 적절한 위험 한계치 및 통제를 설정하고, 위험이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위험관리정책과 시스템은 시장 상황과 회사의 활동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훈련 및 관리기준, 절차를 통해 모든 종업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엄격하고 구조적인 통제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의 내부감사는 경영진이 회사의 위험관리 정책 및 절차의 준수여부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감독하고, 회사의 위험관리체계가 적절한지 검토합니다.
(2)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ㆍ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ㆍ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가) 매출채권과 계약자산
회사는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미청구용역에 따른 계약자산은 동일 유형의 계약에서 발생한 매출채권과 유사한 위험속성을 가지므로 회사는 매출채권의 손실율이 계약자산의손실율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치로 판단하였습니다.
기대신용손실율은 보고기간말 기준으로부터 각 36개월 동안의 매출과 관련된 지불 정보와 관련 확인된 신용손실 정보를 근거로 산출하였습니다. 과거 손실 정보는 고객의 채무 이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거시경제적 현재 및 미래전망정보를 반영하여 조정합니다.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은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경우 제각됩니다.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지표에는 회사와의 채무조정에 응하지 않는 경우, 1년 이상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등이 포함됩니다.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상은 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로 순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상각후원가측정 기타금융자산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자산에는 기타미수금 등이 포함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기타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의 변동 내역은 없습니다.
(4) 대손상각비
당기와 전기 중 손익으로 인식된 금융자산의 손상 관련 대손상각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기 |
전전기 |
---|---|---|---|
대손상각비(환입) | 7,659 | 7,415 | (4,253) |
다. 유동성 위험
회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예상현금흐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차입금 한도 약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정은 회사가 설정한 관행과 한도에 따라 각 영업회사의 지역별로 관리됩니다. 이러한 한도는 회사가 속한 지역 시장의 유동성 상황을 고려하여 달리 책정됩니다. 또한 회사의 유동성 위험 관련 정책은 주요 통화별 필요 현금흐름을 추정하여 이를 충족하기 위한 유동성 자산의 현황을 고려하고, 유동성 비율을 내부 및 외부 감독 기관 등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자금조달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관리합니다.
(1) 유동성 약정
회사는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음의 차입금 한도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 |
전기 |
전전기 |
---|---|---|---|
변동금리 |
|
|
|
- 산업운영자금대출한도 약정 |
3,000,000 | 3,000,000 | 3,000,000 |
(2) 만기분석
유동성 위험 분석에서는 회사의 다음의 금융부채를 계약상 만기별로 구분하였습니다.
ㆍ 모든 비파생 금융부채
ㆍ 순액 및 총액 결제 파생상품 중 계약상 만기가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하기 금융부채의 잔존만기별 현금흐름은 할인되지 아니한 명목금액으로서 지급을 요구 받을 수 있는 기간 중 가장 이른 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금융부채의 만기별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3개월 이내 |
3개월~ 1년이내 |
1년 초과 |
합 계 |
장부금액 |
---|---|---|---|---|---|
비파생상품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351,164 | - | 166,398 | 2,517,562 | 2,517,562 |
리스부채 |
210,610 | 645,043 | 4,318,724 | 5,174,377 | 4,554,322 |
합 계 | 2,561,774 | 645,043 | 4,485,122 | 7,691,939 | 7,071,884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3개월 이내 |
3개월~ 1년이내 |
1년 초과 |
합 계 |
장부금액 |
---|---|---|---|---|---|
비파생상품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12,942 | 273,370 | 156,605 | 542,917 | 542,917 |
리스부채 |
207,181 | 630,095 | 4,495,962 | 5,333,238 | 4,670,176 |
합 계 | 320,123 | 903,465 | 4,652,567 | 5,876,155 | 5,213,093 |
주) 전환사채의 경우, 계약상 조기상환 가능시점을 만기로 하여 현금흐름 총액을 표시하였습니다.라. 자본위험 관리
회사의 자본위험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산업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부채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는 바, 순부채는 부채총액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기타금융자산을 차감하고 산정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순부채 및 자기자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전전기말 |
---|---|---|---|
부채총계 |
9,223,415 | 7,542,609 | 17,771,585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5) | (6,527,500) | (3,636,815) |
순부채 |
140,630 | 1,015,109 | 14,134,770 |
자본총계 |
33,376,632 | 33,079,869 | 25,047,814 |
부채비율 | 0.42% | 3.07% | 56.43% |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단위: 천원) |
계약 상대방 | 계약기간 | 계약의 목적 및 주요내용 | 계약금액 | 대금수금기준 |
---|---|---|---|---|
녹십자의료재단 |
2019.01.01 ~ |
검사실운영에 관한 용역계약 |
단가 계약 | 60일이내 현금 |
삼성서울병원 |
2019.06.25 ~ |
Guardant360 임상검사위탁서비스계약 |
단가 계약 | 30일이내 현금 |
Genece Health | 2023.04.11 | Exclusive License Agreement | $10.3 M | Upfront, Milestone |
MP Group | 2023.09.22 ~ 2033.09.21 | Exclusive License Agreement | $0.15 M | Upfront, Milestone |
일루미나코리아 |
2022.01.20 |
물품공급계약NGS(NovaSeq 6000) |
1,202,440 | 30일이내 현금 |
(주)비엠에스 | 2019.12.20 |
물품공급계약DNBSEQ-G400Dx |
575,000 | 30일이내 현금 |
(주)파워랩 | 2021.06.03 |
물품공급계약Echo Liquid Handler |
574,000 | 30일이내 현금 |
(1)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라이센스 아웃(License-out) 계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센스아웃 계약 총괄표 |
(단위: 백만원) |
품 목 | 계약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체결일 | 계약종료일 | 총계약금액 | 수취금액 | 진행단계 |
---|---|---|---|---|---|---|---|
아이캔서치 | Genece Health | 미국 / 북미 | 2023.04.11 | 모든 로열티 지급 종료 후 | 주2) | 670 | 제품 개발 |
지놈헬스 | MP group | 태국 | 2023.09.22 | 2033.09.21 | 214 | 149 | 기술이전 |
주1) | 외화금액은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환율인 원/달러 환율 1428.4원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2) | 총계약금액의 경우 영업기밀에 해당되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가) 아이캔서치
계약상대방 | Genece Health (미국) |
계약내용 | Genece Health는 지씨지놈의 기술특허에 기반하여 액체생검 기술에 대해 연구·개발·제조·상용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갖고 제품개발, 허가, 상업화 등을 진행 |
대상지역 | 미국 / 북미/ 유럽/ 중ㆍ남미 |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2023.04.11 (계약변경일: 2024.04.03) ~ |
총계약금액 | 영업기밀에 해당되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수취금액 | <반환의무 없는 금액>계약금: 670백만원(USD 0.5M), 2023년 5월 수취 |
계약조건 | 계약금(Upfront Payment): 670백만원(USD 0.5M)- 수취조건: 계약 체결시마일스톤(Milestione): 수취조건: 첫 상업화, 미국 특허 등록, 미FDA 허가, 진입 지역 확장 (1) 첫 상업화 USD 0.5M , (2) 특허등록 USD 1.0M 이외 마일스톤 금액은 영업기밀에 해당되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로열티(Royalty): 매출액의 6% ~ 7% (매출액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수취조건: 매출 발생시임상,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의무는 없음 |
회계처리방법 | 계약금 수취액 670백만원(USD 0.5M)은 당월 수익 인식이후 마일스톤 수취액은 당월 수익 인식 예정 |
대상기술 | AI 기반 조기암 선별 기술 |
개발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CLIA LAB 인증 취득(2023년 6월)- CAP 인증 취득(2024년 2월)- 폐암 조기스크리닝 검사 개발 중<회사>- 기술이전 완료(2023년 4월) |
(나) 지놈헬스
계약상대방 | MP Group (태국) |
계약내용 | MP Group은 지씨지놈의 지놈헬스에 대해 태국에서 검사 및 판매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갖고 제품개발, 허가, 상업화 등을 진행 |
대상지역 | 태국 |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2023.09.22계약종료일: 계약 발효일로부터 10년 |
총계약금액 | 214백만원(USD 150,000), 로열티는 별도 |
수취금액 | <반환의무 없는 금액>계약금:100백만원(USD 75,000), 2023년 9월 수취마일스톤: 49백만원(USD 37,500) 2023년 11월 수취 |
계약조건 | 계약금(Upfront Payment): 100백만원(USD 75,000)- 수취조건: 계약 체결시마일스톤(Milestione): 100백만원(USD 75,000)- 수취조건: 실험실 표준운영절차(SOP) 및 랩 세팅 리스트 전달,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실험 및 분석기술(Wet-Lab) 기술이전 완료로열티(Royalty): 건당 USD 20- 수취조건: 생명정보학 데이터 분석 및 검사 결과지 생성 |
회계처리방법 | 계약금 수취액 100백만원(USD 75,000)은 당월 수익 인식마일스톤 수취액 49백만원(USD 37,500)은 당월 수익 인식 |
대상기술 | 혈관 속에 존재하는 DNA에서 질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유전인자를 확인하는 검사 |
개발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실험실 표준운영절차(SOP) 및 랩 세팅 리스트 수령 (2023년 10월)- 태국 현지 실험실 세팅 중<회사>- 실험실 표준운영절차(SOP) 및 랩 세팅 리스트 전달 (2023년 10월) |
나. 연구개발활동(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서 질병 진단 및 치료 현장에서 수집된 개인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질병의 조기 선별과 예측, 더 나아가 맞춤형 치료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기술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연구 개발하고 있습니다.당사가 보유중인 생애전주기 맞춤 유전체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적용 분야 확장, 기술고도화, 포트폴리오 다각화 등을 통해 국내 및 해외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임상유전체 분석기업으로 성장해 가고자 합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가) 연구개발 조직 개요 당사의 연구개발 조직은 연구소 산하의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제품개발팀, AI개발팀, 의학본부 산하의 Medical Office, BI팀, 분석본부 산하의 BI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연구기획팀은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지원하며,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팀은 NGS 기반 액체생검 관련 다양한 검사법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며, 연구개발 성과를 통해 제품화를 하고 있습니다. 설계, 개발 및 제조, 출시에 이르는 전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품개발팀은 액체생검 관련 단일암 검사 제품의 설계, 개발 및 제조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AI개발팀은 당사의 핵심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부서 중 하나로, 주로 Bioinformatics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액체생검 기반의 암 검사 서비스와 제품에 대한 분석 부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Medical Office Unit은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검사결과를 판독하며 수많은 판독 경험을 바탕으로 유전성 질환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개발 부서의 검사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도 기술적 조언 및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과제, 특허 및 논문에 참여하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BI팀은 NGS 서비스의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Bioinformatics를 고도화하여 더욱 정확한 판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개발팀은 분석본부에서 운영하는 검사 서비스의 성능 개선 작업 및 신규 검사 항목을 설계, 개발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각 팀은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체계적인 업무 분장을 통해 혁신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검사 서비스의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부서명 | 주요업무 |
연구소 | 연구기획팀 | 연구 기획 및 관리 |
연구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AI개발팀 | Bioinformatic, AI 개발 | |
제품개발팀 | 액체생검 기반 단일암 조기선별 제품 개발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유전체 검사 판독, 검사법 개발 |
BI팀 | 유전체 정보 분석, Bioinformatic 파이프라인 운용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GCLP, 검사 서비스 개발 |
연구개발 조직도 |
(나) 연구개발 인력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석박사급 32명을 포함한 총 36명의 연구개발 관련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구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학사 | 합계 | ||
연구소 | 연구소장 | 1 | - | - | 1 |
연구개발팀 | - | 4 | 2 | 6 | |
연구기획팀 | - | 3 | - | 3 | |
제품개발팀 | 1 | 3 | - | 4 | |
AI개발팀 | 1 | 7 | - | 8 | |
의학본부 | Medical Office | 3 | - | - | 3 |
BI팀 | 1 | 5 | 2 | 8 | |
분석본부 | 검사개발팀 | - | 3 | - | 3 |
계 | 7 | 25 | 4 | 36 |
(다) 핵심 연구인력 당사의 핵심 연구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 위 | 성 명 | 담당업무 | 주요 경력 |
연구소장 | 조은해 | 연구개발총괄 | - 성균관대 의학 박사 -現. 지씨지놈 연구소장 -前.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이사 -前. 삼성서울병원 전임의 -前. 삼성서울병원 전공의 |
팀장 | 김00 | 액체생검 기반 NGS 검사 제품 개발 | - 을지대 임상병리학 학사 -現. 지씨지놈 연구소 연구개발팀 팀장 -前.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
팀장 | 이00 | Bioinformatic, AI 개발 | - 숭실대 생명정보학 박사 -現. 지씨지놈 연구소 AI개발팀 팀장 |
팀장 | 이00 | 유전체 정보 분석 | - 서울대 농생명공학 박사 -現. 지씨지놈 BI팀 팀장 -前.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팀장 | 정00 | 액체생검 기반 암검사 제품 설계 및 제조 | - 명지대 환경생명화학 박사 -現. 지씨지놈 제품개발팀 팀장 -前. 진스랩 R&D본부 다중진단팀 팀장 -前. 비엠에스 기술영업팀 -前. 싱가포르국립대 합성생물학연구실 |
(3) 연구개발비용
(단위: 천원) |
과 목 | 제13기 (2025년)1분기 | 제12기 (2024년)1분기 | 제12기 (2024년) | 제11기 (2023년) | 제10기 (2022년) | 비고 |
---|---|---|---|---|---|---|
연구개발비용 계 | 1,547,524 | 1,596,645 | 6,052,989 | 7,355,432 | 8,121,031 | - |
매출액 | 6,813,908 | 5,752,175 | 25,887,799 | 27,292,052 | 24,113,610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22.7% | 27.8% | 23.4% | 27.0% | 33.7% | - |
(4) 연구개발실적
(가) 자체 연구개발 실적 당사는 12건의 연구개발을 통해 58개의 제품을 출시하였으나, 핵심기술 제품과 매출실적이 높은 연구개발 실적에 대하여 아래 기재하였습니다. 1) 산과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AI 기반 비침습적 산전 선별 기술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산모의 혈액 내 태아의 세포유리 DNA를 분석하여 태아의 염색체 이상을 검출하는 AI기반 산전태아 염색체 이상 검출 기술 개발 완료 ㆍ기존 산전 태아 염색체 이상 기술 대비 민감도와 특이도를 개선 하였으며 양성예측도를 기존기술보다 2배 이상 높은 성능 확보 ㆍ[특허] 핵산 단편간 거리 정보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특허등록 제10-2452413호) ㆍ[특허]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특허등록 제10-2586651호) ㆍ [논문] Front Genet 2022년 게재 |
관련제품 |
ㆍG-NIPT |
2) 암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NGS 기반 림프종 유전자 패널 검사법 및 분석법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림프종(Lymphoma) 환자의 골수 및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정보를 분석 검사법 개발 완료 ㆍ 혈액암 진단과 예후 평가 및 치료방침 결정 |
관련제품 |
ㆍ 악성림프종 유전자 패널검사 |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NGS 기반 난소암 표적항암제 동반진단 기술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난소암의 표적 치료제 대상을 선별하기 위한 위한 동반진단 기술 개발 완료 ㆍ국내 최초 신의료기술 승인(보건복지부고시 제2022-63호) ㆍ 해외 검사 국내 내수화를 통한 유전자데이터 보안 강화 및 검사비용 절감 |
관련제품 |
ㆍ 2021년 난소암 상동 재조합 결핍 검사(그린플랜 HRD) |
3) 유전희귀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NGS 기반 희귀질환 유전자 패널 검사법 및 분석법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질환 관련 변이 필터링 및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자체 알고리즘 개발 완료 ㆍ 희귀질환의 유전성 진단 및 확진 ㆍ 환자의 경과에 대한 예측 및 삶의 질 향상 |
관련제품 |
ㆍ 빈혈 유전자 패널검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유전자 패널검사, 골수부전증후군 유전자 패널검사 외 20종 |
4) 검진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혈액 속 떠다니는 순환 종양 DNA 정보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6종 암 (대장암, 폐암, 식도암, 간암, 췌장담도암, 난소암)을 조기선별 하는 기술 개발 ㆍ국내 최다 임삼검체로 검증하였으며, 기존 암 표지자 검사보다 민감도,특이도 높음 ㆍ 해당 기술제품은 기존 검사성능 낮은 국가암검진 선별검사를 보완 ㆍ국가암검진 미포함 암종에 대한 (췌장암, 난소암, 식도암) 미충족 수요 해결 ㆍ조기암 검출률 상승 ㆍ [특허]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특허출원 제10-2021-0068891호) ㆍ [특허] 무세포 핵산의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특허출원 제10-2022-0072680호) ㆍ [논문] Nat Communications 2023년 게재 |
관련제품 |
ㆍ아이캔서치 |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실험 배치 효과 보정 기술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배치 효과를 보정하는 기술 개발 ㆍ암 환자의 검출 정확도 향상 ㆍ [특허]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화낮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특허출원 제10-2024-0022357호) |
관련제품 |
ㆍ아이캔서치 |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NGS 기반 지놈헬스 검사법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질환 발병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질환 취약 유전인자 확인 검사 개발 완료 ㆍ주요 암과 일반질환 45종과 연관성이 있는 SNP 검사를 통해 유전적 위험도를 예측하고 질환의 효율적인 예방, 관리 방법을 제공 |
관련제품 |
ㆍ지놈헬스 프리미엄 외 17종 |
구분 | 내용 |
---|---|
연구과제 | ㆍ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법 개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ㆍ 미생물 관련 최신 논문을 바탕으로 임상적 가치가 높은 균종을 선정하여 개발 완료 ㆍ 장내 세균, 구강 세균, 질내 세균 유전체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정량값 및 밸런스 결과 보고 ㆍ [논문]Frontiers in Microbiomes 게재 |
관련제품 |
ㆍ그린바이옴 Gut 외 5종 |
(나) 정부과제 수행 실적
당사는 2021년부터 2024까지 동안 총 9건의 국책과제를 수행하였습니다. 그 중 주요제품과 관련된 국책과제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과제명 | 연구기간 | 관련제품 | 비고 |
---|---|---|---|
유방암의 선별항암치료를 위한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 기반 액체생검기술의 상용화 | 2019.05 ~ 2021.12 | 아이캔서치 | 완료 |
간세포암 치료반응 예측을 위한 AI기술 유전체분석데이터 융합형 진단보조기기개발 | 2019.06 ~ 2024.06 | 아이캔서치 | 완료 |
액체생검 유전체 데이터의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방사선 치료효과 모니터링 및 치료반응의 예측검사 개발 | 2020.07 ~ 2023.12 | 아이캔서치 | 완료 |
난소암 항암치료제 선별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RNA 패턴 기반 HRD 검사 실증 | 2020.09 ~ 2022.03 |
tHRD 개발 중 |
완료 |
폐암 조기진단용 액체생검 바이오마커 기반 검사의 상용화 | 2022.04 ~ 2023.12 | 아이캔서치 | 완료 |
(5) 연구개발 계획 당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개발 계획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가) 산과
구분 | 내용 |
---|---|
기술명 | G-PrEMIA |
연구과제 | AI 기반 산전 태아 유전질환 검출 확대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G-NIPT 검사의 적용 범위 확대 ㆍ태아의 미세결실/중복 증후군 유전질환 검출 200종 검출 ㆍ국내 최다 유전질환 검사 개발을 통해 G-NIPT 검사의 국내외 경쟁력 확보 |
(나) 암/유전희귀
구분 | 내용 |
---|---|
기술명 | G-Predict |
연구과제 | AI 기반 유방암 치료예후예측 기술 개발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유방암 치료 후 무질병 생존에 대한 예후예측 ㆍ수술 전 항암치료 대상자를 대상으로 치료 효과 모니터링 및 맞춤치료제 선별 활용 |
구분 | 내용 |
---|---|
기술명 | G-MRD |
연구과제 | AI 기반 비침습적 액체생검 기술을 이용한 미세잔존암 검출 기술 개발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치료 예후예측을 통해 치료 효과 모니터링 및 맞춤치료제 선별 활용 ㆍ기존 영상 검사로 발견하기 어려운 미세잔존암을 조기에 감지하여 재발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환자의 치료과정의 편의성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가능 ㆍ유방암 ,대장암 대상 미세잔존암 검출 기술 개발 |
구분 | 내용 |
---|---|
기술명 | G-HRD |
연구과제 | AI기반 난소암 표적항암제 동반진단 기술 개발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난소암의 표적 치료제 대상을 선별하기 위한 AI를 접목한 동반진단 기술 개발 ㆍRNA를 이용하여 당사에서 출시된 상동재조합결핍 검사의 성능 향상 |
(다) 검진
구분 | 내용 |
---|---|
기술명 | G-SeNTInEL |
연구과제 | AI 기반 비침습적 조기암 선별 기술 암종 확대 및 기술 고도화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동일비용으로 기존 대비 20종의 암 선별 검사 제공 가능 (위암, 유방암, 두경부암, 임파종,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육종, 혈액암, 자궁체부암, 자궁경 부암, 갑상선암, 피부암, 뇌 및 중추신경계 종양) ㆍ차세대 NGS 플랫폼 통합 연구를 통한 고효율 데이터생산 ㆍAI 기반 비침습적 액체생검 기술을 이용한 조기암 선별 기술 성능 향상 ㆍ국가암건진 미포함 암종에 대한 선별검사 확장 ㆍ알고리즘 고도화에 따른 조기암 검출 성능 향상 |
구분 | 내용 |
---|---|
기술명 | EMFLiMax |
연구과제 | 메틸화 마커 검출 플랫폼 기반 단일암 조기선별 검사 개발 |
연구기관 | ㈜지씨지놈 |
기대효과 |
ㆍ비침습적 혈액기반 암관련 DNA 메틸화검출 플랫폼으로 수검자의 순응도 증대 ㆍ원천특허기반 메틸화 마커선발 및 검출 플랫폼화로 타 암종으로의 유연한 확장성 ㆍReal-time PCR 기반 플랫폼으로 높은 접근성 및 가격경쟁력 |
가. 지적재산권 현황 (1) 특허권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출원국 |
1 | 특허권 | 핵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샘플에서 복제수 변이를 결정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15.12.04 | 2016.12.07 | 한국 |
2015.12.04 | - | PCT | ||||
2 | 특허권 | 핵산 단편간 거리 정보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08.18 | 2022.10.04 | 한국 |
2020.08.19 | - | PCT | ||||
2022.02.07 | - | 싱가포르 | ||||
2022.02.10 | - | 캐나다 | ||||
2022.02.14 | - | 미국 | ||||
2022.02.16 | - | 유럽 | ||||
2022.02.18 | - | 일본 | ||||
2023.11.27 | - | 일본 | ||||
2022.02.22 | 2024.03.07 | 호주 | ||||
2022.02.22 | 2024.06.25 | 뉴질랜드 | ||||
2022.07.25 | - | 홍콩 | ||||
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2023.10.04 | 한국 |
2020.11.27 | - | PCT | ||||
2022.05.27 | - | 미국 | ||||
2022.05.27 | 2024.08.16 | 일본 | ||||
2022.05.27 | - | 캐나다 | ||||
2022.06.07 | - | 뉴질랜드 | ||||
2022.06.07 | 2024.04.18 | 호주 | ||||
2022.06.07 | - | 유럽 | ||||
2022.05.25 | - | 싱가포르 | ||||
2022.11.10 | - | 홍콩 | ||||
4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02.19 | - | 미국 | ||||
2023.11.21 | - | 태국 | ||||
2023.11.23 | - | 브라질 | ||||
2023.11.24 | - | 캐나다 | ||||
2023.11.26 | - | 카타르 | ||||
2023.11.27 | - | 사우디아라비아 | ||||
2023.11.26 | - | 아랍에미리트 | ||||
2023.11.27 | - | 베트남 | ||||
2023.11.28 | - | 일본 | ||||
2023.11.27 | - | 싱가포르 | ||||
2023.11.28 | - | 유럽 | ||||
2023.11.28 | - | 호주 | ||||
2023.11.28 | - | 뉴질랜드 | ||||
2023.11.27 | - | 중국 | ||||
2023. 12.08 | - | 인도네시아 | ||||
2024.05.16 | - | 홍콩 | ||||
5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말단 서열 모티프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6 | 특허권 | 무세포 핵산의 단일염기변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6.15 | - | 한국 |
2023.06.15 | - | PCT | ||||
2023.02.15 | - | 미국 | ||||
2024.12.10 | - | 유럽 | ||||
7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세포유리 핵산의 특징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023.02.03 | - | 미국 | ||||
8 | 특허권 | 무세포 DNA를 포함하는 샘플에서 순환 종양 DNA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1.11 | 2019.09.30 | 한국 |
2019.01.10 | - | PCT | ||||
9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간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재)아산사회복지재단울산대산학협력단 | 2019.02.19 | 2022.03.28 | 한국 |
2020.02.19 | - | PCT | ||||
2021.08.08 | - | US | ||||
10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단편 위치별 서열 빈도 및 크기를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03 | - | 한국 |
2022.11.01 | - | PCT | ||||
2024.05.02 | - | 미국 | ||||
2024.05.01 | - | 유럽 | ||||
2024.05.02 | - | 일본 | ||||
11 | 특허권 | 유전자 복제수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췌장암 환자의 생존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 | (주) 지씨지놈국립암센터 | 2020.11.04 | 2024.12.27 | 한국 |
2021.01.28 | - | PCT | ||||
12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모체 시료 중 태아 분획 결정 방법 | (주) 지씨지놈 DoAI | 2020.11.09 | - | 한국 |
13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0.11.27 | - | 한국 |
2021.11.15 | - | PCT | ||||
2022.12.27 | 2024.12.10 | 미국 | ||||
2024.09.01 | - | 미국 | ||||
2023.05.25 | - | 뉴질랜드 | ||||
2023.05.26 | - | 일본 | ||||
2023.05.25 | - | 호주 | ||||
2023.07.07 | - | 중국 | ||||
2023.05.31 | - | 유럽 | ||||
2023.05.24 | - | 싱가포르 | ||||
2023.05.26 | - | 캐나다 | ||||
2024.01.10 | - | 홍콩 | ||||
14 | 특허권 | DNA 데이터의 분류 및 판독을 위한 학습모델 생성방법 및 컴퓨팅 장치 | (주) 지씨지놈 DoAI | 2021.01.28 | - | 한국 |
15 | 특허권 | 인공지능 기반 무세포 DNA의 종양 유래 변이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 조기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3.25 | - | 한국 |
2022.03.25 | - | PCT | ||||
2023.09.15 | - | 유럽 | ||||
2023.09.20 | - | 미국 | ||||
2023.09.21 | - | 일본 | ||||
16 | 특허권 | 조직 특이적 조절지역의 무세포 DNA 분포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암 조기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05 | - | 미국 | ||||
2023.11.09 | - | 유럽 | ||||
2023.11.28 | - | 일본 | ||||
17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과 이미지 분석기술 기반의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05.28 | - | 한국 |
2022.05.30 | - | PCT | ||||
2023.11.27 | - | 미국 | ||||
18 | 특허권 | 막 단백질 정보를 이용한 치료 타깃 유전자 발굴 방법 및 분석장치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09.14 | 2024.08.07 | 한국 |
2022.08.29 | - | PCT | ||||
19 | 특허권 | 메틸화된 무세포 핵산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암 종 예측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0.26 | - | 한국 |
2022.10.26 | - | PCT | ||||
2024.04.26 | - | 미국 | ||||
2024.04.24 | - | 유럽 | ||||
2024.04.24 | - | 일본 | ||||
20 | 특허권 | 핵산 길이 비를 이용한 암 진단 및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1.11.22 | - | 한국 |
2021.11.22 | - | PCT | ||||
21 | 특허권 | 혈중 무세포 DNA 기반 유방암 치료 예후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2.06 | - | 한국 |
2022.12.05 | - | PCT | ||||
2024.06.03 | - | 미국 | ||||
2024.05.29 | - | 유럽 | ||||
2024.06.06 | - | 일본 | ||||
22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3.11.29 | - | PCT | ||||
23 | 특허권 | 간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4 | 특허권 | 폐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0.31 | 2024.08.28 | 한국 |
2023.10.31 | - | PCT | ||||
25 | 특허권 | 식도암 및 위암 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3.11.29 | - | 한국 |
2024.11.28 | - | PCT | ||||
26 | 특허권 | 세포유리 핵산 단편 전장 유전체 시퀀싱 데이터에서 실험 배치 효과를 보정하여 암 환자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2.17 | - | 한국 |
2025.02.17 | PCT | |||||
27 | 특허권 | 전사체 기반 면역학적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4.22 | - | 한국 |
2024.04.22 | - | PCT | ||||
28 | 특허권 | 핵산의 메틸화 마커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01.24 | - | 한국 |
2025.01.24 | - | PCT | ||||
29 | 특허권 | 대장암 진단용 DNA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5.07 | - | 한국 |
30 | 특허권 | 제 1 형 근긴장성 이영양증의 진단 방법 | (주) 지씨지놈삼성생명공익재단 | 2013.04.18 | 2015.03.25 | 한국 |
31 | 특허권 | 고혈압과 관련된 장내 미생물 마커의 선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혈압 위험도 측정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2.01.28 | - | 한국 |
32 | 특허권 | 혈우병 치료제의 효능 예측 마커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혈우재단 | 2016.06.23 | 2017.08.30 | 한국 |
2017.06.16 | - | PCT | ||||
33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6.24 | 2017.05.29 | 한국 |
2017.06.16 | - | PCT | ||||
34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4.03 | 2018.01.03 | 한국 |
35 | 특허권 | 선천성 기능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7.05.24 | 2022.01.24 | 한국 |
2017.06.16 | - | PCT | ||||
36 | 특허권 | 유전성 대사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20 | 한국 |
2017.07.20 | - | PCT | ||||
37 | 특허권 | 유전성 발달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6.09 | 한국 |
38 | 특허권 | 유전성 혈액응고 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주)녹십자엠에스 | 2016.07.20 | 2023.03.20 | 한국 |
39 | 특허권 | 전장유전체 시퀀싱 기반의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용도 | (주) 지씨지놈 | 2018.07.27 | 2022.05.30 | 한국 |
2019.07.23 | - | PCT | ||||
40 | 특허권 | 혈중 스타틴 약물농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18.09.21 | 2021.01.15 | 한국 |
2019.09.19 | - | PCT | ||||
41 | 특허권 | LATS1 유전자 변이 마커 기반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진단방법 | (주) 지씨지놈 | 2019.11.29 | 2021.08.23 | 한국 |
2020.11.27 | - | PCT | ||||
42 | 특허권 | 스타틴 약물 부작용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 | 2020.06.12 | - | 한국 |
43 | 특허권 | 구절초 추출물의 골관절 질환 치료효과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유전자 마커 | (주) 지씨지놈녹십자웰빙 | 2020.11.10 | - | 한국 |
2021.11.08 | - | PCT | ||||
44 | 특허권 | 스타틴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 예측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1.11.19 | - | 한국 |
2022.11.18 | - | PCT | ||||
45 | 특허권 | NUDT15 유전자 변이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주) 지씨지놈 | 2024.01.05 | - | 한국 |
2025.01.03 | - | PCT | ||||
46 | 특허권 | 비기능성 전사체를 이용한 PARP 저해제 또는 DNA 손상 약물 감수성 판정방법 | (주) 지씨지놈한국과학기술원 | 2021.11.03 | 2025.03.07 | 한국 |
2021.11.03 | - | PCT | ||||
2023.05.04 | - | 유럽 | ||||
2023.05.02 | 2024.12.26 | 일본 | ||||
2023.04.28 | - | 미국 | ||||
47 | 특허권 | 동일 클래스의 특징 벡터에 대해 발산 패널티를 부여하는손실 기반의 완화된 대조 학습을 이용한 연합 학습 방법 및장치 | (주) 지씨지놈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10.11 | - | 한국 |
2025.01.07 | - | PCT | ||||
48 | 특허권 | 음성 대조군 및 지식기반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NGS 데이터 내 오염 데이터의 제거방법 | (주) 지씨지놈 | 2024.10.22 | - | 한국 |
49 | 특허권 | 핵산 단편 말단 서열 패턴을 이용한 염색체 이상 검출 방법 | (주) 지씨지놈 | 2025.01.23 | - | 한국 |
(2) 상표권
No. | 구분 | 상태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국 | 출원일 (등록일) |
1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EMFLiMax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9-25 |
2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EMFLiMax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9-25 |
3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Methyl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8-29 |
4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Methyl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8-29 |
5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DNA CT Cancer Tracking Test Using ctDNA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7-22 |
6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DNA CT Cancer Tracking Test Using ctDNA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7-22 |
7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M-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7-22 |
8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M-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4-07-22 |
9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콜로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0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콜로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1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colo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2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colo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3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아이캔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4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아이캔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5 | 상표 | 출원 | 상표권-42류 | ai-CAN 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6 | 상표 | 출원 | 상표권-44류 | ai-CAN 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3-11-21 |
17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캔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9-16 (2024-06-24) |
18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캔서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9-16 (2024-03-08) |
19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CAN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9-16 (2024-06-24) |
20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CANCER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9-16 (2024-03-08) |
21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진스케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8-02 (2024-04-02) |
22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진스케치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8-02 (2024-03-08) |
23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ene-Sket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8-02 (2024-04-02) |
24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ene-Sketc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8-02 (2024-03-08) |
25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아이닙스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6 (2024-03-05) |
26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아이니프트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6 (2024-03-05) |
27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아이닙스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6 (2023-09-21) |
28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아이니프트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6 (2023-09-21) |
29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그린플랜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3 (2023-09-11) |
30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그린플랜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3 (2023-09-11) |
31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reenPla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3 (2023-09-11) |
32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reenPla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2-01-03 (2023-09-11) |
33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어보이드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4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어보이드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5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어보이드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6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AVOID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7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AVOID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8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AVOID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9-30 (2023-05-22) |
39 | 상표 | 등록 | 상표권-9류 | 지놈헬스, GH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7-29 (2023-06-14) |
40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텔로리스크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7-29 (2023-06-09) |
41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텔로리스크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7-29 (2023-03-28) |
42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Telorisk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7-29 (2023-06-09) |
43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Telorisk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7-29 (2023-03-28) |
44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G-Tracker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1-26 (2022-06-15) |
45 | 상표 | 등록 | 상표권-9류 | G-Tracker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1-01-26 (2022-06-15) |
46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i 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0-03-30 (2021-08-30) |
47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i 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20-03-30 (2021-08-30) |
48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그린바이옴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8-04) |
49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그린바이옴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17) |
50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그린바이옴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17) |
51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greenbiome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8-04) |
52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reenbiome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17) |
53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reenbiome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17) |
54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GREENTARGE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8-04) |
55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REENTARGE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23) |
56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REENTARGE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9-06-21 (2020-06-23) |
57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AC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58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지액트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59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CA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60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지캣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61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AC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62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지액트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8-08-28 (2019-09-09) |
63 | 상표 | 등록 | 상표권-5류 | gene doctor +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6-11-09 (2017-11-15) |
64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ene doctor +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6-11-09 (2017-11-15) |
65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ene doctor +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6-11-09 (2017-11-15) |
66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i 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6-09-26 (2017-05-10) |
67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i scree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6-09-26 (2017-05-10) |
68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NIP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5-03-31 (2015-12-30) |
69 | 상표 | 등록 | 상표권-44류 | G-NIP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5-03-31 (2015-12-30) |
70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Genest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4-03-10 (2015-03-23) |
71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제네스트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4-03-10 (2014-12-08) |
72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아기 지키미, Genetic Test for Baby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4-03-10 (2014-12-30) |
73 | 상표 | 등록 | 상표권-42류 | 여성암 지키미, BRCA/TP53 Test for Woman | (주) 지씨지놈 | 한국 | 2014-03-10 (2014-12-30) |
나. 논문 발표 실적 논문 발표 실적에 관한 상세 내용은 "XI. 상세표 - 3. 논문 발표 실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사업영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법규 및 규제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산업의 현황 및 전망
유전체 검사 산업은 기술 발전과 정밀의료의 확산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질병 중심 의료(Disease-Centered Care)에서 환자 개인의 유전 정보, 환경, 생활 양식 등을 고려하는 환자 중심 의료(Patient-Centered Care)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질병 예측 및 치료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 의료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중요한 접근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10억 3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20%를 기록하여 약 992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밀의료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으로는 유전자와 질환 간의 특성 분석 연구 강화, 온라인 포럼 증가, 암 생물학의 발전 등이 꼽힙니다. 최근 몇 년간 암 및 희귀질환과 같은 중증 질환의 발생률 증가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치료제, 진단법, 그리고 의약품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암 발생률의 증가는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의 필요성을 높이며, 이는 정밀의료 시장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처: Mordor Intelligence
정밀의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유전체 검사 시장도 연평균 성장률(CAGR) 10.81%를 기록하며, 2024년 약 196억 6천만 달러에서 2028년 296억 4천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전체 검사 시장은 정밀의료의 확산과 유전체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과, 암, 유전희귀 및 검진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전체 검사 비용 감소에 따른 소비자 접근성 확대 및 개인 맞춤형 의료에 대한 관심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당사 내부자료(1) 유전체 분석 대중화 가속화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개인 유전체 분석 비용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유전체 검사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2000년대 초반 휴먼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성과와 2000년대 중반 등장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기존 PCR 기반 분석 방법에 비해 NGS 기술은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대규모 유전자 연구와 임상 진단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유전체 분석기술의 발전] |
출처: Human Genome Project (미국국립보건원),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2) 정밀의료 확대에 따른 유전체 검사 수요 증가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각 개인의 유전체 정보, 환경, 생활양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이에 따라 대용량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NGS 검사의 건강보험 적용과 개인 유전체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 최대 의료 시장을 보유한 미국에서는 의료 비용 증가와 정밀의료 인프라 확충이 맞물리며, 정부 주도의 정밀의료 연구 및 정책적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15년 오바마 정부의 정밀의료 이니셔티브 시행 이후, 미국 정부는 환자 개인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질병 예측 및 맞춤형 치료를 국가적 과제로 삼고 있으며, 규제 완화를 통해 유전체 검사와 치료 기술 연구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3) 미국 유전체 분석 시장의 확장 미국 정부는 2015년 정밀의료 이니셔티브 정책 시행과 함께 유전체 관련 규제 완화를 추진하였으며, 2021년 바이든 정부는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를 통해 유전체 분석 산업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향후 25년간 암 환자 사망률을 5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약 8억 달러(한화 약 2조 3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특히, 이 프로젝트에서는 AI 기반 다중암 조기선별 액체생검 기술의 고도화가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2024년 주요 신기술 리스트(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List)에도 ‘Cell-free systems and technologies’가 포함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National Cancer Institute)는 2024년부터 4년간 2만 4천 명을 대상으로 ‘다중 암 조기 발견(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기술을 활용한 혈액 검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포지티브 규제로 인해 유전체 산업 성장에 다소 제한이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최신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액체생검 검사 시장 역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는 유전체 분석과 정밀의료의 발전을 촉진하며, 암 조기선별과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유전체 검사 시장은 유전자, 염색체 또는 단백질 변화를 식별하는 의료 검사로, 유전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특정 유전적 상태를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분야로는 질병 진단, 발병 전 검사, 산과 검사가 포함됩니다.
특히 암 분야에서 유전체 검사 시장의 강력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 및 정밀 의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암 발생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 접근 방식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암 조기 선별 및 진단을 위한 유전체 검사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전체 기반 암 치료 및 진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출처: Mordor Intelligence
품목군 별 대표적인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제품의 목표 시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품목군 | 대표제품 | 서비스 유형 | 목표 시장 |
산과 | G-NIPT | 산전 선별검사 |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IPT) |
암 |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검사 | 암 진단검사 | 암 프로파일링 |
유전희귀 | 희귀NGS 패널검사 | 희귀 진단검사 |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
검진 | 아이캔서치 | 검진 예측검사 |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MCED) |
(가) 산과: NIPT 시장의 규모 및 전망
당사의 G-NIPT 검사는 비침습적 산전 선별검사(Non-invasive Prenatal Test, NIPT) 시장을 대상으로 합니다. NIPT 시장은 유전체 검사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NIPT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64억 1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1.6%를 기록하며 2028년에는 101억 2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고위험 산모 증가, 유전질환 발생률 상승, 검사 권장 연령 가이드라인 변경 및 임신 지원 정책 확대 등이 있습니다.
NIPT는 기존 모체 혈청 선별검사(Maternal Serum Screening)를 대체하는 기술로, 1980년대 중반부터 사용되던 기존 기술이 2014년부터 NIPT로 대체된 점을 고려할 때, 기술의 수명주기가 약 30년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10년 내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나) 암: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고형암 NGS패널검사은 암 환자의 조직이나 혈액(액체생검)으로 유전학적 진단을 위한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 시장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암 프로파일링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27억 7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성장률 18.7%를 기록하여 2028년 약 254억 1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및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암 진단 및 표적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맞춤형 치료의 확산과 함께 시장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 세계 암 발생률 증가에 따라 정밀 진단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조직 생검에서 액체 생검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 모니터링과 예후 예측 검사 분야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다) 유전희귀: 유전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희귀 NGS 패널 검사는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희귀질환 유전체 검사 시장은 2024년 10억 6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 14.23%를 기록하며 2029년 약 20억 6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NGS 기술 발전과 희귀질환 환자 레지스트리 확대, 정부 지원 정책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 FDA를 비롯한 글로벌 보건 당국도 희귀질환 치료 및 진단 기술 발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16년 희귀질환 관리법 시행 이후, 2017년 NGS 패널 검사 보험 적용 및 2019년 염색체 질환 진단 검사 보험 적용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시장이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라) 검진: MCED 검사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아이캔서치는 다중암 조기 선별(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MCED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0억 6,600만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 16.6%를 기록하며 2028년 약 22억 9,5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AI 분석 기술 및 액체 생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암 조기선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다중암 조기 선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캔서 문샷 프로젝트 등 정부 주도의 투자도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 경쟁 현황
임상 유전체 검사 서비스 시장은 일반적으로 과점 구조입니다. 유전자 검사 서비스는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서비스로, 질병관리청의 평가를 통해 검사 목적과 대상자에 적합한 방법인지, 안정성과 임상적 유용성이 충분한지를 검토 후 신고제로 운영됩니다.
체외진단의료기기와 비교해 제도와 인허가 과정이 비교적 간소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지만, 임상적 유용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은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신고 수리가 보류될 수 있어 서비스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검사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검사실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유전자 검사 신고 후, 검사실 인증과 관리가 내부 및 외부 기관을통해 검증되며, 이러한 체계는 유전자 검사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며, 시장에서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더불어, 유전자 검사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유전자검사 기관이 신기술을 빠르게 흡수하고 이를 국내 시장에 적용해 상품화하는 역량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제품의 경우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당사가 서비스 중인 주요 검사들에 대한 경쟁우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산과: G-NIPT 검사
G-NIPT는 국내외 경쟁 제품 대비 다수의 경쟁 우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강점으로는 병원 공급가가 합리적이며, 검사 소요 시간이 3일로 타 제품보다 압도적으로 짧아 신속한 검사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NIPT는 모체 혈액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태아 핵산을 분석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유전체 검사 공정과는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당사는 NIPT 공정 설계를 최적화하고 다른 유전체 NGS 공정과 일원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최적의 공정 효율화를 통해 검체 도착 후 라이브러리 제작, 시퀀싱 및 데이터 분석을 24시간 이내에 완료하고 있으며 기존 7일이었던 검사 소요일을 3일 이상 단축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뿐만 아니라, 경쟁사와 확연히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확보한 것입니다.
또한 다운증후군 검출 검사 성능에서 99.79% 이상의 민감도와 99.98% 이상의 특이도로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며, 임상 성능 검증에 관한 논문 발표가 이루어져 신뢰성을 확보하고있습니다. 이외에도 부수적인 염색체 질환 검출 수에서도 140종 이상을 검출하여 타사 대비 넓은 범위를 커버합니다.
이뿐만아니라 G-NIPT는 국내 NIPT 제품 중 식약처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신뢰성과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이 인증은 G-NIPT의 검사 성능과 임상적 유효성을 국가 공인기관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의료 현장에서 더 높은 신뢰도를 부여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유전자검사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강점으로 타사와 달리 양성 확진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의료인과 산모들에게 양수 핵형 검사 및 산전 CMA 등 다양한 후속 조치 검사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모와 의료진은보다 정밀하고 개인 맞춤형 진단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에 따른 추가적인 판단과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타사에서는 쉽게 구축할 수 없는 서비스로 경쟁사에서도 당사로 의뢰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소아 희귀질환 진단을 위한 CMA 장비를 산전 선별 검사에 접목하여, 당사의 서비스 우위성을 강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학병원에서는 NIPT 검사 뿐만 아니라 확진 검사까지 한 번에 당사에 의뢰할 수 있어, 산모에 대한 임상 검사와 소견의 연속성을 고려할 때 당사의 편의성은 독보적입니다. 이러한 일원화된 검사 서비스 포트폴리오 덕분에, 경쟁 기관에서도 확진 검사를 당사에 의뢰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국내 매출액 1위와 국내 87개 대학병원 중 60% 이상(54처)에서 사용되고 있어 대학병원에서 압도적인 거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암검사: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검사
당사의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은 경쟁 제품 대비 여러 방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의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은 523개의 유전자 검사 항목을 제공합니다. 이는 고형암 환자의 종양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종양의 유전적 변이와 연관된 다양한 치료 옵션을 파악하는 데 유리합니다. 유전자 검사 항목이 많을수록 환자 맞춤형 치료에 적합한 표적 치료제나 면역치료제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암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고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포괄적인 유전자 검사 항목은 의료진에게 더욱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판단과 치료 전략 수립에 있어 보다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당사의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은 고형암 환자에게서 적은 양의 검체(조직 8절편)로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의 요구 검체량인 조직 10절편보다 낮아, 검체 확보가 어려운 환자들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고형암 환자들은 종종 검체 채취 과정에서 불편함을 겪기 때문에 적은 검체로도 정밀한 검사를 제공할 수 있는 당사의 기술은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의 검사소요일이 14일이라는 점은 고형암 환자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고형암 환자의 경우, 진단과 동시에 수술 일정을 빠르게 계획하거나 적절한 표적치료제를 신속하게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짧은 검사소요일은 환자의 치료 전략 수립과 치료 시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쟁사의 검사소요일이 21일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해, 당사의 14일 검사 완료는 수술 전후의 신속한 결정이 필요한 임상 상황에서 의료진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빠르게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치료의 성공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이러한 신속성은 의료진과 환자에게 신뢰를 주며, 당사의 NGS 패널 검사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은 특히 NGS 실시기관 중 주요 대형병원에서는 병원내에서 직접 수행하므로 유전자검사기관에서 시장점유가 매우 어려운데, 당사는 국내 NGS 실시의료기관 중 60%에 해당하는 44개 기관과 거래하고 있어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의 4%에 불과한 거래율과 비교하여 당사의 비유전성 고형암 NGS 패널이 더 널리 활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검사 신뢰도와 유연한 공급 체계에서 당사의 강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쟁우위 요소들은 당사의 제품이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유전희귀: 희귀 NGS 패널검사
당사의 희귀 NGS 패널은 총 93개의 패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쟁사 대비 가장 폭넓은 검사항목을 제공합니다.
검사 소요기간은 17일이내 빠른 검사 결과 제공이 가능하여 경쟁사 대비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희귀질환 환자의 수가 적어 많은 수의 검체를 모아 장비를 운영해야 하는 NGS 분석기기는타 기관에서 운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NGS 실시의료기관 중 73곳 중 59곳에서 의뢰를 받아 이러한 운영상의 장벽을 극복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검사 항목을 운영하면서도 신속한 결과 제공이 가능합니다.
특히 당사는 축적된 희귀질환 환자의 임상적 유전자 진단 경험을 바탕으로 GC-MD, GC-VIP, GC-Cnema 분석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내부 자산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당사의 희귀질환 유전 진단의 서비스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진료 현장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표적치료제 사용이나 수술과 같은 치료 결정에 주요한 유전자 검사는 소요일을 17일로 앞당겨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NGS 검사 의뢰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인 대상의 유전 상담을 원활히 하기 위해 유전상담사와 당사의 진단검사전문의와 바로 소통할 수 있는 핫 라인(hot-line)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서비스는 당사에서 희귀질환 환자의 임상적 유전자 진단 경험을 다수 보유할 수 있게 되었고, 타 경쟁기관들이 해당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워졌으며 초격차 제품으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당사의 우수한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한 결과입니다.
(4) 검진: 아이캔서치 검사
아이캔서치는 여러 측면에서 경쟁 제품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이캔서치 검사는 국내외 시장에서 뛰어난 검사 성능을 바탕으로 시장 접근성이 높은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최적화된 샘플 처리, 검사법, 데이터 분석법을 개발하고, 임상 검증을 거듭하여 경쟁 기관보다 뛰어난 경쟁력을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기존 유전자검사 서비스를 통해 구축한 탄탄한 병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 시장의 확대와 선점에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이캔서치 제품 개발 단계에서, 당사는 건강검진 조기암 선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시장에 적합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검사법과 기술을 고안했습니다.
당사가 구축한 아이캔서치는 NGS 분석기기를 활용한 저밀도 전장 유전체 시퀀싱(Low Coverage Whole Genome Sequencing, lcWGS)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생산합니다. 이 방식은 원가 경쟁력과 기술 확장성을 용이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최적화된 lcWGS 검사법은 수검자의 전체 염색체를 저밀도로 서열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암의 유전적 다양성과 복잡성을 더 넓게 포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구축된 검사법 변경 없이 다양한 암종으로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당사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당사는 lcWGS에서 생산된 데이터에서 특징적인 암종 별 패턴을 분석해 고밀도 서열화 없이도 암 여부와 기원 암종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당사만의 core 알고리즘(Fragment End-Motif by Size; FEMS와 Regional Mutation Density; RMD)기반의 AI 분석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였습니다.
당사는 자체 기술력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여,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병원 공급가로병의원에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샘플당 데이터 요구량을 10 Gb로 줄여 생산성을 200건까지 높임으로써, 대형 검진센터의 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기술력으로 아이캔서치 검사의 필요한 검체량은 10 ml로, 경쟁사의 20 ml 대비 적고, 검사 소요일은 7-14일로 유연하게 제공되어 빠른 결과 제공이 가능하다는 제품의 강점을 확보했습니다.
또한 검사성능 면에서 민감도 82.2%, 특이도 96.2%로 우수한 정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임상검체 검증 사례는 4,923명으로, 경쟁사보다 높은 신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바. 그 밖에 투자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13기 1분기(2025.03.31 현재) | 제12기(2024.12.31 현재) | 제11기(2023.12.31 현재) | 제10기(2022.12.31 현재)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삼정회계법인(검토) | 삼도회계법인(적정) | 삼도회계법인(적정) | 한영회계법인(적정) |
[유동자산] | 16,027,355,404 | 13,663,035,403 | 14,549,983,368 | 24,120,493,282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4,870 | 6,527,500,226 | 3,636,814,677 | 13,636,828,692 |
ㆍ단기금융상품 | - | - | 5,000,000,000 | 4,000,000,000 |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 5,128,929,307 | 5,451,796,765 | 4,372,542,925 | 4,546,368,752 |
ㆍ재고자산 | 1,420,005,659 | 1,218,836,528 | 1,152,191,799 | 1,199,837,059 |
ㆍ기타유동자산 | 395,635,568 | 464,901,884 | 388,433,967 | 737,458,779 |
[비유동자산] | 26,572,691,887 | 26,959,442,921 | 28,269,415,994 | 24,775,856,192 |
ㆍ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1,207,818,980 | 1,207,818,980 | 300,993,158 | 1,330,096,911 |
ㆍ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6,599,250,000 | 6,615,000,000 | 5,802,300,000 | 1,900,950,000 |
ㆍ유형자산 | 9,709,024,011 | 10,146,049,467 | 13,263,444,028 | 13,137,962,517 |
ㆍ무형자산 | 508,576,848 | 526,088,403 | 533,372,409 | 577,518,497 |
ㆍ사용권자산 | 4,608,810,503 | 4,772,200,213 | 5,495,263,696 | 4,956,447,197 |
ㆍ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2,193,547,510 | 2,064,273,013 | 1,245,201,626 | 1,737,131,066 |
ㆍ기타비유동자산 | 1,745,664,035 | 1,628,012,845 | 1,628,841,077 | 1,135,750,004 |
자산 총계 | 42,600,047,291 | 40,622,478,324 | 42,819,399,362 | 48,896,349,474 |
[유동부채] | 5,025,860,157 | 3,199,403,301 | 12,977,503,556 | 10,392,979,408 |
[비유동부채] | 4,197,554,892 | 4,343,205,816 | 4,794,081,522 | 11,918,297,650 |
부채 총계 | 9,223,415,049 | 7,542,609,117 | 17,771,585,078 | 22,311,277,058 |
[자본금] | 9,777,777,500 | 9,777,777,500 | 9,066,666,500 | 9,066,666,500 |
[자본잉여금] | 29,864,993,008 | 29,864,993,008 | 21,010,431,250 | 21,010,431,250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281,980,812) | (1,281,980,812) | (1,065,472,829) | (247,954,960) |
[이익잉여금(결손금)] | (4,984,157,454) | (5,280,920,489) | (3,963,810,637) | (3,244,070,374) |
자본 총계 | 33,376,632,242 | 33,079,869,207 | 25,047,814,284 | 26,585,072,416 |
부채와 자본 총계 | 42,600,047,291 | 40,622,478,324 | 42,819,399,362 | 48,896,349,474 |
구 분 | 제13기 1분기(2025.01.01~2025.03.31) | 제12기(2024.01.01~2024.12.31) | 제11기(2023.01.01~2023.12.31) | 제10기(2022.01.01~2022.12.31) |
매출액 | 6,813,908,340 | 25,887,798,646 | 27,292,051,619 | 24,113,610,174 |
영업이익(손실) | (25,092,142) | (1,233,500,726) | 160,076,955 | (3,235,574,949) |
당기순이익(손실) | 296,763,035 | (1,256,914,171) | (550,095,144) | (3,763,105,673) |
총포괄이익(손실) | 296,763,035 | (1,533,617,835) | (1,537,258,132) | (3,983,981,639) |
기본주당순이익(단위: 원) | 15 | (69) | (30) | (233) |
희석주당순이익(단위: 원) | 15 | (69) | (30) | (233) |
주1) 주당 순이익은 액면가 500원 기준입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재 무 상 태 표 | |
제 13(당)기 1분기말 2025년 03월 31일 현재 | |
제 12(전)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1(전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0(전전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지씨지놈 | (단위: 원) |
과 목 | 제 13(당)기 1분기말 | 제 12(전)기말 | 제 11(전전)기말 | 제 10(전전전)기말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6,027,355,404 | 13,663,035,403 | 14,549,983,368 | 24,120,493,282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4,870 | 6,527,500,226 | 3,636,814,677 | 13,636,828,692 |
2. 단기금융상품 | - | - | 5,000,000,000 | 4,000,000,000 |
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5,128,929,307 | 5,451,796,765 | 4,372,542,925 | 4,546,368,752 |
4. 재고자산 | 1,420,005,659 | 1,218,836,528 | 1,152,191,799 | 1,199,837,059 |
5. 기타유동자산 | 363,638,993 | 414,185,444 | 324,389,727 | 737,458,779 |
6. 당기법인세자산 | 31,996,575 | 50,716,440 | 64,044,240 | - |
Ⅱ. 비유동자산 | 26,572,691,887 | 26,959,442,921 | 28,269,415,994 | 24,775,856,192 |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1,207,818,980 | 1,207,818,980 | 300,993,158 | 1,330,096,911 |
2. 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6,599,250,000 | 6,615,000,000 | 5,802,300,000 | 1,900,950,000 |
3. 유형자산 | 9,709,024,011 | 10,146,049,467 | 13,263,444,028 | 13,137,962,517 |
4. 무형자산 | 508,576,848 | 526,088,403 | 533,372,409 | 577,518,497 |
5. 사용권자산 | 4,608,810,503 | 4,772,200,213 | 5,495,263,696 | 4,956,447,197 |
6.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2,193,547,510 | 2,064,273,013 | 1,245,201,626 | 1,737,131,066 |
7. 기타비유동자산 | 784,253,651 | 733,400,096 | 515,884,550 | 147,938,649 |
8. 이연법인세자산 | 867,598,858 | 634,105,212 | 680,035,007 | 163,813,375 |
9. 순확정급여자산 | 93,811,526 | 260,507,537 | 432,921,520 | 823,997,980 |
자 산 총 계 | 42,600,047,291 | 40,622,478,324 | 42,819,399,362 | 48,896,349,474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5,025,860,157 | 3,199,403,301 | 12,977,503,556 | 10,392,979,408 |
1. 전환사채 | - | - | 6,556,158,108 | - |
2.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351,164,156 | 386,311,573 | 1,765,204,349 | 8,012,411,108 |
3. 기타유동부채 | 1,840,100,490 | 2,020,925,343 | 1,337,304,040 | 1,383,144,616 |
4. 단기리스부채 | 834,595,511 | 792,166,385 | 802,308,180 | 997,423,684 |
5. 파생상품부채 | - | - | 2,516,528,879 | - |
Ⅱ. 비유동부채 | 4,197,554,892 | 4,343,205,816 | 4,794,081,522 | 11,918,297,650 |
1. 전환사채 | - | - | - | 5,819,345,614 |
2.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66,397,510 | 156,605,204 | 98,351,694 | 68,182,531 |
3. 장기리스부채 | 3,719,726,554 | 3,878,009,773 | 4,398,242,312 | 3,787,241,801 |
4. 복구충당부채 | 311,430,828 | 308,590,839 | 297,487,516 | 286,783,700 |
5. 파생상품부채 | - | - | - | 1,956,744,004 |
부 채 총 계 | 9,223,415,049 | 7,542,609,117 | 17,771,585,078 | 22,311,277,058 |
자 본 | ||||
Ⅰ. 자본금 | 9,777,777,500 | 9,777,777,500 | 9,066,666,500 | 9,066,666,500 |
Ⅱ. 자본잉여금 | 29,864,993,008 | 29,864,993,008 | 21,010,431,250 | 21,010,431,250 |
Ⅲ. 이익잉여금(결손금) | (4,984,157,454) | (5,280,920,489) | (3,963,810,637) | (3,244,070,374)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281,980,812) | (1,281,980,812) | (1,065,472,829) | (247,954,960) |
자 본 총 계 | 33,376,632,242 | 33,079,869,207 | 25,047,814,284 | 26,585,072,416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42,600,047,291 | 40,622,478,324 | 42,819,399,362 | 48,896,349,474 |
주) 상기 제13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재무제표입니다. 제12기, 제11기, 제10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입니다.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13(당)기 1분기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03월 31일까지 | |
제 12(전)기 1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03월 31일까지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
제 12(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1(전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10(전전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지씨지놈 | (단위: 원) |
과 목 | 제 13(당)기 1분기 | 제 12(전)기 1분기 | 제 12(전)기 | 제 11(전전)기 | 제 10(전전전)기 |
---|---|---|---|---|---|
I. 매출액 | 6,813,908,340 | 5,752,175,023 | 25,887,798,646 | 27,292,051,619 | 24,113,610,174 |
II. 매출원가 | (3,765,110,092) | (3,177,096,864) | (14,181,034,672) | (13,594,981,388) | (13,349,034,364) |
III. 매출총이익 | 3,048,798,248 | 2,575,078,159 | 11,706,763,974 | 13,697,070,231 | 10,764,575,810 |
IV. 판매비와관리비 | (3,073,890,390) | (3,372,669,030) | (12,940,264,700) | (13,536,993,276) | (14,000,150,759) |
V. 영업이익(손실) | (25,092,142) | (797,590,871) | (1,233,500,726) | 160,076,955 | (3,235,574,949) |
기타수익 | 5,485,928 | 16,516,665 | 82,059,221 | 120,794,468 | 429,849,982 |
기타비용 | (11,076,557) | (2,344,375) | (1,201,397,887) | (45,984,704) | (105,303,456) |
금융수익 | 188,107,224 | 358,310,813 | 2,185,529,471 | 500,257,951 | 882,911,702 |
금융원가 | (67,718,599) | (254,223,521) | (959,768,118) | (1,549,741,340) | (1,842,579,381) |
관계기업투자손실 | - | - | - | - | (2,928,245)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89,705,854 | (679,331,289) | (1,127,078,039) | (814,596,670) | (3,873,624,347) |
VII. 법인세비용(수익) | (207,057,181) | (51,844,379) | 129,836,132 | (264,501,526) | (110,518,674) |
VIII. 당기순이익(손실) | 296,763,035 | (627,486,910) | (1,256,914,171) | (550,095,144) | (3,763,105,673) |
IX. 기타포괄손익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 | (276,703,664) | (987,162,988) | (220,875,966)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손실) | - | - | (216,507,983) | (817,517,869) | (247,954,960)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재측정요소 | - | - | (60,195,681) | (169,645,119) | 27,078,994 |
X. 총포괄이익(손실) | 296,763,035 | (627,486,910) | (1,533,617,835) | (1,537,258,132) | (3,983,981,639) |
X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15 | (35) | (69) | (30) | (233) |
희석주당이익(손실) | 15 | (35) | (69) | (30) | (233) |
주) 상기 제13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된 제12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제12기, 제11기, 제10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입니다.
자 본 변 동 표 | |
제 13(당)기 1분기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03월 31일까지 | |
제 12(전)기 1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03월 31일까지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
제 12(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1(전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10(전전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지씨지놈 | (단위: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 익잉여금 | 총 계 |
---|---|---|---|---|---|
2022.01.01(전전전기초) | 8,000,000,000 | 10,474,751,400 | - | 491,956,305 | 18,966,707,705 |
전환사채의전환 | 1,066,666,500 | 10,535,679,850 | 11,602,346,350 |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손실) | (3,763,105,673) | (3,763,105,673)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 | (247,954,960) | (247,954,960) |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27,078,994 | 27,078,994 | |||
2022.12.31(전전전기말) | 9,066,666,500 | 21,010,431,250 | (247,954,960) | (3,244,070,374) | 26,585,072,416 |
2023.01.01(전전기초) | 9,066,666,500 | 21,010,431,250 | (247,954,960) | (3,244,070,374) | 26,585,072,416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손실) | (550,095,144) | (550,095,144)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 | (817,517,869) | (817,517,869) |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169,645,119) | (169,645,119) | |||
2023.12.31(전전기말) | 9,066,666,500 | 21,010,431,250 | (1,065,472,829) | (3,963,810,637) | 25,047,814,284 |
2024.01.01(전기초) | 9,066,666,500 | 21,010,431,250 | (1,065,472,829) | (3,963,810,637) | 25,047,814,284 |
전환사채의전환 | 711,111,000 | 8,854,561,758 | 9,565,672,758 |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손실) | (1,256,914,171) | (1,256,914,17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216,507,983) | (216,507,983) |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60,195,681) | (60,195,681) | |||
2024.12.31(전기말) | 9,777,777,500 | 29,864,993,008 | (1,281,980,812) | (5,280,920,489) | 33,079,869,207 |
2024.01.01(전기초) | 9,066,666,500 | 21,010,431,250 | (1,065,472,829) | (3,963,810,637) | 25,047,814,284 |
분기순손실 | - | - | - | (627,486,910) | (627,486,910) |
2024.03.31(전기 1분기말) | 9,066,666,500 | 21,010,431,250 | (1,065,472,829) | (4,591,297,547) | 24,420,327,374 |
2025.01.01(당기초) | 9,777,777,500 | 29,864,993,008 | (1,281,980,812) | (5,280,920,489) | 33,079,869,207 |
분기순이익 | - | - | - | 296,763,035 | 296,763,035 |
2025.03.31(당기 1분기말) | 9,777,777,500 | 29,864,993,008 | (1,281,980,812) | (4,984,157,454) | 33,376,632,242 |
주) 상기 제13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된 제12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제12기, 제11기, 제10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입니다.
현 금 흐 름 표 | |
제 13(당)기 1분기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03월 31일까지 | |
제 12(전)기 1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03월 31일까지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
제 12(전)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1(전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10(전전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지씨지놈 | (단위: 원) |
과 목 | 제 13(당)기 1분기 | 제 12(전)기 1분기 | 제 12(전)기 | 제 11(전전)기 | 제 10(전전전)기 |
---|---|---|---|---|---|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 2,767,399,716 | 384,276,809 | 377,991,532 | 3,340,488,345 | (1,610,455,847)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2,773,409,131 | 367,156,709 | 257,180,017 | 3,090,819,869 | (1,993,761,721) |
2. 이자의 수취 | 50,101,455 | 84,332,963 | 329,176,290 | 419,727,543 | 444,424,583 |
3. 이자의 지급 | (48,394,270) | (54,212,203) | (210,897,572) | (173,156,047) | (116,042,439) |
4. 법인세의 납부 | (7,716,600) | (13,000,660) | 2,532,797 | 3,096,980 | 54,923,730 |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 (51,167,338) | 3,696,790,734 | 3,128,232,855 | (12,475,907,493) | 5,177,326,194 |
1. 임차보증금의 증가 | - | - | - | (204,507,000) | (468,935,000) |
2. 임차보증금의 감소 | - | - | - | 471,798,000 | 52,422,000 |
3.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 - | - | (8,000,000,000) | (53,000,000,000) |
4. 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 | - | - | (3,965,224,997) | (2,046,900,000) |
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취득 | - | - | (1,180,540,086) | - | - |
6.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 | - | - | - | (2,928,245) |
7. 유형자산의 취득 | (19,170,000) | (205,644,413) | (328,592,600) | (7,405,801,718) | (4,028,864,114) |
8. 유형자산의 처분 | - | - | - | - | 813,982,892 |
9. 무형자산의 취득 | (7,253,512) | (3,660,720) | (87,110,509) | (49,421,337) | (40,702,347) |
10.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 | 4,000,000,000 | 5,000,000,000 | 7,000,000,000 | 64,000,000,000 |
11. 기타비유동자산의 증가 | (24,743,826) | (93,904,133) | (275,523,950) | (322,750,441) | (100,748,992) |
Ⅲ.재무활동현금흐름 | (160,966,830) | (152,745,097) | (615,544,533) | (859,185,756) | (671,841,503) |
1. 리스부채의 상환 | (160,966,830) | (152,745,097) | (615,544,533) | (859,185,756) | (671,841,503) |
Ⅳ.외화표시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9,096 | 252,891,409 | 5,695 | (5,409,111) | (993,623) |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 2,555,265,548 | 3,928,322,446 | 2,890,679,854 | (9,994,604,904) | 2,895,028,844 |
Ⅵ.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6,527,500,226 | 3,636,814,677 | 3,636,814,677 | 13,636,828,692 | 10,742,793,471 |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4,870 | 7,818,028,532 | 6,527,500,226 | 3,636,814,677 | 13,636,828,692 |
주) 상기 제13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된 제12기 1분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제12기, 제11기, 제10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입니다.
제 13(당)기 1분기 2025년 03월 31일 현재 |
제 12(전)기 1분기 2024년 03월 31일 현재(검토받지 않은 재무제표) |
주식회사 지씨지놈 |
1. 회사의 개요주식회사 지씨지놈(이하 "회사")은 유전체 분석사업을 목적으로 2013년 7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중 사명을 주식회사 녹십자지놈에서 주식회사 지씨지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편, 회사의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 30번길 107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
(주)녹십자 | 4,636,500 | 23.71 |
(주)녹십자홀딩스 | 2,256,656 | 11.54 |
(주)지씨셀 | 22,571 | 0.12 |
(주)녹십자엠에스 | 16,928 | 0.09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3,555,555 | 18.18 |
기타 | 9,067,345 | 46.36 |
합 계 | 19,555,555 | 100.00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회사의 분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2) 추정과 판단ⓛ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분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회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② 공정가치 측정회사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을 요구하고 있는 바, 회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회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주석 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2.2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분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회계기준이 있으나, 그 기준들은 회사의 요약분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영업부문(1) 회사의 보고부문 구분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영진은 자원배분과 성과평가를 수행하는 이사회에서 검토 및 보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업부문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지역측면에서 영업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지역적으로 한국과 외국으로 구분합니다. 회사는 영업부문의 성과를 영업손익에 근거해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내용과 차이가 없습니다.
(2) 주요 고객에 대한 정보
당분기와 전분기 중 회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 고객과 관련된 정보는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매출액 | |
당분기 | 전분기 | |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 5,599,377 | 4,920,460 |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회사는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본 주석은 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위의 위험에 대한 정보와 회사의 목표, 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는 본 분기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모든 재무위험관리와 공시사항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의 정보도 함께 참고하여야 합니다. 전기말 이후 회사의 재무위험관리 목적 및 정책과 관련한 중요한 변동사항은 없습니다.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회사의 재무상태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회사의 재무부서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업부문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금융위험을 모니터링, 식별, 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의 내부감사를 통해 위험관리정책 및 절차의 준수 여부와 위험노출 한도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4.1.1 시장위험
(1) 외환 위험1) 외환 위험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금융자산 중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외화금융자산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USD)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매출채권 | 168,498 | 123,169 |
2) 회사의 위험
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 위험, 특히 주로 USD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2) 가격위험
1)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지분증권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는 회사가 정한 한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2) 민감도 분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는 주가에 연동을 받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회사는 변동이자부 차입금이 없는 관계로 차입금과 관련된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회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4.1.2 신용위험회사는 금융상품의 당사자 중 일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상대방에게 재무손실을 입힐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신용보강을 위한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유동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9,078,997 | 6,522,932 |
매출채권 | 5,100,602 | 5,438,855 |
기타채권 | 28,327 | 12,941 |
소 계 | 14,207,926 | 11,974,728 |
비유동자산: | ||
장기금융자산 | 6,599,250 | 6,615,000 |
기타채권 | 2,193,548 | 2,064,273 |
소 계 | 8,792,798 | 8,679,273 |
합 계 | 23,000,724 | 20,654,001 |
(*) 회사가 보유하는 현금시재액은 제외하였습니다.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익으로 인식된 금융자산의 손상 관련 대손상각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대손상각비(환입) | 7,659 | (1,856) |
4.1.3 유동성 위험유동성위험이란 회사가 금융부채에 관련된 의무를 충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회사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회사의 평판에 손상을 입힐 위험 없이, 만기일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4.2 자본위험 관리
회사의 자본위험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산업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부채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는 바, 순부채는 부채총액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기타금융자산을 차감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순부채 및 자기자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총계 | 9,223,415 | 7,542,609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5) | (6,527,500) |
순부채 | 140,630 | 1,015,109 |
자본총계 | 33,376,632 | 33,079,869 |
부채비율 | 0.42% | 3.07% |
5. 금융상품 공정가치
5.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5 | 9,082,785 | 6,527,500 | 6,527,50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322,477 | 7,322,477 | 7,516,070 | 7,516,07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207,819 | 1,207,819 | 1,207,819 | 1,207,819 |
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6,599,250 | 6,599,250 | 6,615,000 | 6,615,000 |
합 계 | 24,212,331 | 24,212,331 | 21,866,389 | 21,866,389 |
금융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517,562 | 2,517,562 | 542,917 | 542,917 |
리스부채 | 4,554,322 | 4,554,322 | 4,670,176 | 4,670,176 |
합 계 | 7,071,884 | 7,071,884 | 5,213,093 | 5,213,093 |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종업원관련 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5.2 공정가치 서열체계
회사는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의 유의성을 반영하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공정가치측정치를 분류하고 있으며,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
수준1 |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공시가격 |
수준2 | 수준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
수준3 |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1,207,819 | 1,207,819 |
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6,599,250 | 6,599,250 |
합 계 | - | - | 7,807,069 | 7,807,069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 | - | - | 1,207,819 | 1,207,819 |
당기손익인식-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2) | - | - | 6,615,000 | 6,615,000 |
합 계 | - | - | 7,822,819 | 7,822,819 |
(*1) 전기 중 GC LYMPHOTEC Inc.의 지분을 취득하여 기타포괄손익인식-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습니다.(*2) 전환어음에 대하여 피투자기업으로부터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수 없으며, 당분기의 가치변동이 유의적이지 않아 원가를 최선의 공정가치로 보아 측정하고 있습니다.5.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회사는 반복적으로 공정가치로 인식하는 금융상품에 대해 매 보고기간말 분류를 재평가(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투입변수 중 가장 낮은 수준에 근거함)하여 수준간의 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분기와 전분기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은 없습니다.
당분기 중 회사의 가치평가과정, 가치평가기법 및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의 종류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5.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비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에 대해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당기말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
Cipherome,Inc | -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환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Genoplan,Inc | -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Convertible Note | 6,599,250 | 3 | 장부가치법 | - |
GC Lymphotec Inc. | 1,207,819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환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전기말) |
(단위: 천원) |
전기말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
Cipherome,Inc | -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환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Genoplan,Inc | -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Convertible Note | 6,615,000 | 3 | 장부가치법 | - |
GC Lymphotec Inc. | 1,207,819 | 3 | 현금흐름 할인법(DCF) | 이자율, 환율, 신용위험이 반영된 할인율 |
5.5 수준3의 공정가치 변동 내역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 중 수준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기초 | 7,822,819 | - | 6,103,293 | 2,516,529 |
기타 | (15,750) | - | 258,300 | - |
기말 | 7,807,069 | - | 6,361,593 | 2,516,529 |
6. 범주별 금융상품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1)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9,082,785 | - | - | - |
금융자산 | - | 6,599,250 | 1,207,819 |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322,477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 - | 2,517,562 |
리스부채 | - | - | - | 4,554,322 |
합 계 | 16,405,262 | 6,599,250 | 1,207,819 | 7,071,884 |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종업원관련 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527,500 | - | - | - |
금융자산 | - | 6,615,000 | 1,207,819 |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516,070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 - | 542,917 |
리스부채 | - | - | - | 4,670,176 |
합 계 | 14,043,570 | 6,615,000 | 1,207,819 | 5,213,093 |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종업원관련 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현금및현금성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보유현금 | 3,788 | 4,568 |
요구불예금 등 | 9,078,997 | 6,522,932 |
합 계 | 9,082,785 | 6,527,500 |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은 없습니다.
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비상장주식 | ||
Cipherome, Inc(*) | - | - |
GC Lymphotec Inc. | 1,207,819 | 1,207,819 |
Genoplan,Inc(*) | - | - |
합 계 | 1,207,819 | 1,207,819 |
(*) 독립된 평가법인에 공정가치를 의뢰하여 결정된 금액이며, 평가손실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Convertible Note | 6,599,250 | 6,615,000 |
10. 관계기업투자주식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관계기업투자주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소재지 | 관계의 성격 | 보고기간종료일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지분율(%) | 취득가액 | 장부가액 | 지분율(%) | 취득가액 | 장부가액 | ||||
관계기업투자주식 | |||||||||
Genece Health, Inc. | 미국 | 연구개발 | 12월 | 25.6 | 2,928 | - | 25.6 | 2,928 | - |
(2) 당분기말 현재 관계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자산총액 | 부채총액 | 매출액 | 당기손익 | 총포괄손익 |
---|---|---|---|---|---|
Genece Health, Inc. | 1,101,695 | 29,946,222 | - | (2,448,494) | (2,448,494) |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관계기업투자의 변동내역은 없습니다.
1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매출채권 | 5,134,558 | - | 5,465,152 | - |
손실충당금 | (33,956) | - | (26,297) | - |
미수금 | 11,192 | - | 566 | - |
미수수익 | 17,135 | 872,005 | 12,375 | 759,909 |
보증금 | - | 1,649,222 | - | 1,649,222 |
보증금 현재가치할인차금 | - | (327,679) | - | (344,858) |
합 계 | 5,128,929 | 2,193,548 | 5,451,796 | 2,064,273 |
매출채권은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된 용역에 대하여 고객이 지불해야 할 금액입니다. 일반적으로 90일 이내에 정산해야 하므로 모두 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최초 인식시점에 매출채권이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래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매출채권의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매출채권 | |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26,297 | 19,071 |
증가 | 7,659 | - |
감소 | - | (1,856) |
기말 | 33,956 | 17,215 |
12. 기타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선급금 | 42,617 | 784,254 | 42,617 | 733,400 |
선급비용 | 321,022 | - | 371,569 | - |
합 계 | 363,639 | 784,254 | 414,186 | 733,400 |
13. 재고자산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가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가액 | |
원재료 | 1,496,003 | (75,997) | 1,420,006 | 1,294,833 | (75,997) | 1,218,836 |
14. 유형자산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유형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구축물 | 기계장치 | 공구비품 | 합 계 |
---|---|---|---|---|
기초 | 4,894,242 | 4,390,612 | 861,195 | 10,146,049 |
취득 | - | 52,400 | 11,650 | 64,050 |
처분 | - | (1) | - | (1) |
감가상각비 | (171,242) | (180,423) | (149,409) | (501,074) |
기말 | 4,723,000 | 4,262,588 | 723,436 | 9,709,024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구축물 | 기계장치 | 공구비품 | 합 계 |
---|---|---|---|---|
기초 | 6,295,795 | 5,612,536 | 1,355,113 | 13,263,444 |
취득 | - | - | 151,950 | 151,950 |
감가상각비 | (209,372) | (219,706) | (164,589) | (593,666) |
기말 | 6,086,423 | 5,392,830 | 1,342,474 | 12,821,728 |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담보로 제공된 회사의 유형자산은 없습니다.
15. 무형자산당분기와 전분기 중 무형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특허권 | 합 계 |
---|---|---|---|---|
기초 | 30,312 | 382,324 | 113,452 | 526,088 |
취득 | - | - | 7,254 | 7,254 |
무형자산상각비 | (1,321) | (18,472) | (4,972) | (24,765) |
기말 | 28,991 | 363,852 | 115,734 | 508,577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상표권 | 소프트웨어 | 특허권 | 합 계 |
---|---|---|---|---|
기초 | 29,546 | 396,476 | 107,350 | 533,372 |
취득 | 3,661 | - | - | 3,661 |
무형자산상각비 | (1,236) | (17,072) | (4,236) | (22,544) |
기말 | 31,971 | 379,404 | 103,114 | 514,489 |
16. 리스(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사용권자산 | 리스부채 |
---|---|---|
기초 | 4,772,200 | 4,670,176 |
증가 | 45,113 | 45,113 |
감가상각 | (208,502) | - |
이자비용 | - | 48,394 |
지급 | - | (209,361) |
분기말 | 4,608,811 | 4,554,322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사용권자산 | 리스부채 |
---|---|---|
기초 | 5,495,264 | 5,200,550 |
감가상각 | (203,588) | - |
이자비용 | - | 54,212 |
지급 | - | (206,957) |
분기말 | 5,291,676 | 5,047,805 |
(2) 연장선택권회사는 일부 리스계약에 해지불능기간 종료 전에 리스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선택권을 포함합니다. 회사는 운영의 효율성을 위하여 가능하면 새로운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을 포함하려고 노력합니다. 회사는 리스개시일에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 평가합니다. 회사는 통제 가능한 범위에 있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 다시 평가합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장선택권과 관련하여 증가된 리스부채는 없습니다.
17. 매입채무및기타채무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매입채무(*) | 1,343,237 | - | - | - |
미지급금 | 74,026 | - | 3,036 | - |
미지급비용 | 933,901 | 166,398 | 383,276 | 156,605 |
합 계 | 2,351,164 | 166,398 | 386,312 | 156,605 |
(*) 매입채무에 제공된 담보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3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18. 기타유동부채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선수수익 | 1,486,951 | 1,502,766 |
예수금 | 54,357 | 117,389 |
부가가치세예수금 | 298,792 | 400,770 |
합 계 | 1,840,100 | 2,020,925 |
19. 기타충당부채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충당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복구충당부채(*) | 311,431 | 308,591 |
(*) 회사는 원상복구의무가 있는 리스 시설의 계약종료시 발생할 수 있는 복구비용과관련하여 장래에 지출될 것이 예상되는 금액을 추정하여 복구충당부채를 계상하고, 사용권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하였습니다.
20. 순확정급여부채(자산)(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자산)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확정급여채무의 공정가치 | 3,789,523 | 3,667,666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3,883,335) | (3,928,174) |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93,812) | (260,508)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자산)와 관련하여 포괄손익계산서에 반영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근무원가 | 169,288 | 176,787 |
이자비용 | 34,780 | 35,208 |
이자수익 | (37,372) | (40,133) |
합 계 | 166,696 | 171,862 |
21. 법인세비용(수익)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및 당기손익 이외로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수익)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당분기와 전분기의 평균유효세율은 음수이므로 산정하지 아니합니다.
22.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발행주식수 | 19,555,555 | 19,555,555 |
주당금액 | 500 | 500 |
보통주자본금 | 9,777,777,500 | 9,777,777,500 |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주식발행초과금 | 29,890,242 | 29,890,242 |
주식할인발행차금 | (25,249) | (25,249) |
합 계 | 29,864,993 | 29,864,993 |
23. 기타포괄손익누계액(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실 | (1,281,981) | (1,281,981) |
(2) 회사는 특정 지분상품투자의 공정가치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지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공정가치 변동은 자본 내에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누적됩니다. 회사는 관련 지분상품을 제거하는 시점에서 이러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합니다.
24. 이익잉여금(결손금)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이익잉여금(결손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이익잉여금(결손금) | (4,984,157) | (5,280,920) |
2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및 관련 계약자산과 계약부채
(1)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회사가 수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 6,813,908 | 5,752,175 |
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
(단위: 천원) |
부 문 | 당분기 | 전분기 |
---|---|---|
부문 수익 | 6,813,908 | 5,752,175 |
수익인식 시점 | ||
한 시점에 인식 | 6,813,908 | 5,752,175 |
지리적 시장 | ||
국내 | 6,600,847 | 5,515,347 |
국외 | 213,061 | 236,828 |
(2) 고객과의 계약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가 고객과의 계약과 관련하여 인식한 자산과 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매출채권 | 5,134,558 | 5,465,152 |
손실충당금 | (33,956) | (26,297) |
자산 합계 | 5,100,602 | 5,438,855 |
선수수익 | 1,486,951 | 1,502,766 |
부채 합계 | 1,486,951 | 1,502,766 |
2)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인식한 수익전기에서 이월된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당분기에 수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955,807천원 (전분기 : 686,400천원)입니다.
26. 판매비와 관리비당분기와 전분기의 판매비와 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급여 | 733,477 | 866,771 |
퇴직급여 | 74,257 | 79,083 |
복리후생비 | 27,977 | 26,860 |
복지증진비 | 74,236 | 86,429 |
여비교통비 | 64,437 | 105,008 |
수도광열비 | 8,630 | 11,184 |
감가상각비 | 46,680 | 44,801 |
무형자산상각비 | 10,066 | 8,581 |
사용권자산상각비 | 34,679 | 34,590 |
소모품비 | 6,571 | 2,776 |
세금과공과 | 32,977 | 36,388 |
보험료 | 1,959 | 1,234 |
접대비 | 32,922 | 45,168 |
운반비 | 21,262 | 26,431 |
지급수수료 | 236,752 | 286,824 |
임차료 | 46,641 | 45,198 |
광고선전비 | 21,566 | 24,246 |
대손상각비(환입) | 7,659 | (1,856) |
위탁용역료 | 29,910 | 33,590 |
경상개발비 | 1,547,524 | 1,596,645 |
기타 | 13,708 | 12,718 |
합 계 | 3,073,890 | 3,372,669 |
27.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와 전분기의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천원) |
구 분 | 매출원가 | 판매비와관리비 | 경상연구개발비 | 합 계 |
---|---|---|---|---|
원재료 매입액 | 2,250,190 | - | - | 2,250,190 |
재고의 변동 | (201,169) | - | - | (201,169) |
급여 | 450,616 | 733,477 | 541,394 | 1,725,487 |
퇴직급여 | 37,866 | 74,257 | 54,573 | 166,696 |
유무형상각비 | 172,853 | 56,747 | 296,239 | 525,839 |
사용권자산상각비 | 94,691 | 34,679 | 79,132 | 208,502 |
소모품비 | 2,321 | 6,571 | 36,834 | 45,726 |
임차료 | 60,417 | 46,641 | 60,150 | 167,208 |
기타 | 897,325 | 573,994 | 479,202 | 1,950,521 |
합 계 | 3,765,110 | 1,526,366 | 1,547,524 | 6,839,000 |
(전분기) (단위:천원) |
구 분 | 매출원가 | 판매비와관리비 | 경상연구개발비 | 합 계 |
---|---|---|---|---|
원재료 매입액 | 1,728,992 | - | - | 1,728,992 |
재고의 변동 | (68,989) | - | - | (68,989) |
급여 | 481,123 | 866,771 | 611,652 | 1,959,546 |
퇴직급여 | 38,261 | 79,083 | 54,518 | 171,862 |
유무형상각비 | 228,860 | 53,383 | 333,967 | 616,210 |
사용권자산상각비 | 89,821 | 34,590 | 79,177 | 203,588 |
소모품비 | 14,196 | 2,776 | 21,638 | 38,610 |
임차료 | 58,226 | 45,198 | 51,853 | 155,277 |
기타 | 606,607 | 694,223 | 443,840 | 1,744,670 |
합 계 | 3,177,097 | 1,776,024 | 1,596,645 | 6,549,766 |
28. 기타수익과 기타비용(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기타수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외환차익 | 762 | 2,392 |
외화환산이익 | 4,692 | 1,341 |
잡이익 | 32 | 12,784 |
합 계 | 5,486 | 16,517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기타비용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외환차손 | 11,045 | 1,796 |
외화환산손실 | 31 | 548 |
유형자산처분손실 | 1 | - |
합 계 | 11,077 | 2,344 |
29. 금융수익과 금융비용(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융수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수익 | 184,871 | 93,860 |
외환차익 | 3,217 | 6,150 |
외화환산이익 | 19 | 258,301 |
합 계 | 188,107 | 358,311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융비용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이자비용 | - | 197,274 |
이자비용(리스) | 51,234 | 56,950 |
외화환산손실 | 16,485 | - |
합 계 | 67,719 | 254,224 |
30. 주당순손익(1) 기본주당순손익
1) 당분기와 전분기의 기본주당순손익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보통주분기순이익(손실) | 296,763,035원 | (627,486,910) 원 |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 19,555,555주 | 18,133,333주 |
기본주당순이익(손실) | 15원 | (35)원 |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유통주식수 | 일수 | 적수 | 유통주식수 | 일수 | 적수 | |
기초 | 19,555,555 | 90 | 1,759,999,950 | 18,133,333 | 91 | 1,650,133,303 |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 19,555,555 | 18,133,333 |
(2) 희석주당순이익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없어 희석효과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희석주당순이익은 기본주당순이익과 동일합니다.
31. 현금흐름표(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분기순이익(손실) | 296,763 | (627,487) | ||
조정사항 | 589,599 | 593,071 | ||
퇴직급여 | 166,696 | 171,862 | ||
복리후생비 | 9,792 | 6,732 | ||
감가상각비 | 501,074 | 593,666 | ||
무형자산상각비 | 24,765 | 22,544 | ||
사용권자산상각비 | 208,502 | 203,588 | ||
대손상각비(환입) | 7,659 | (1,856) | ||
외화환산손실 | 16,515 | (252,343) | ||
유형자산처분손실 | 1 | - | ||
이자비용 | - | 200,011 | ||
리스이자비용 | 51,234 | 54,212 | ||
법인세비용 | (207,057) | (51,844) | ||
이자수익 | (184,871) | (93,860) | ||
외화환산이익 | (4,711) | (259,641) | ||
운전자본의 변동 | 1,887,046 | 401,572 | ||
매출채권 | 335,256 | 468,952 | ||
미수금 | (10,625) | (8,430) | ||
재고자산 | (201,169) | (68,989) | ||
기타자산 | 50,546 | 21,449 | ||
미지급비용 | 550,626 | 199,200 | ||
매입채무 | 1,343,237 | (107,002) | ||
기타부채 | (180,825) | (108,391) | ||
퇴직금의 지급 | - | 4,783 |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2,773,408 | 367,156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회사의 현금 유입과 유출이 없는 주요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유형자산 취득 미지급금 변동 | (44,880) | 53,694 |
리스부채의 증감 | 45,113 | - |
리스부채의 유동성대체 | 203,396 | 139,678 |
(3)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기타 | 당분기말 |
---|---|---|---|---|
리스부채 | 4,670,176 | (160,967) | 45,113 | 4,554,322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기타 | 전분기말 |
---|---|---|---|---|
리스부채 | 5,200,550 | (152,745) | - | 5,047,805 |
32. 약정사항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산업은행과 3,000백만원(전기말: 3,000백만원)을 한도로 운영자금대출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서울보증보험에 용역이행을 위하여 서울보증보험에 66백만원의 이행지급보증보험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33. 특수관계자 등 (1) 당분기말 현재 회사와 특수관계에 있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회사명 |
---|---|
최상위 지배기업 | (주)녹십자홀딩스 |
지배기업 | (주)녹십자 |
관계기업 | Genece Health, Inc. |
기타특수관계자 | (주)녹십자엠에스, (주)녹십자웰빙, (주)지씨셀, (주)녹십자이엠,(재)목암생명공학연구소,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주)지씨웰페어,(주)GC케어, (주)진스랩, (주)지씨씨엘, Lymphotec lnc. 등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매출 등 | 매입 등 | 자산취득 | 매출 등 | 매입 등 | 자산취득 | |
최상위 지배기업 | ||||||
(주)녹십자홀딩스 | - | 177,389 | - | - | 191,237 | - |
지배기업 | ||||||
(주)녹십자 | - | 42,515 | - | - | 22,866 | - |
관계기업 | ||||||
Genece Health, Inc. | 112,830 | - | - | - | - | - |
기타특수관계자 | ||||||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 5,538,486 | 17,826 | - | 4,824,994 | 11,090 | - |
(주)지씨셀 | - | 36,440 | - | - | 40,922 | - |
(주)녹십자엠에스 | - | 48,764 | - | - | 24,712 | - |
(주)녹십자이엠 | - | 67,314 | - | - | - | - |
(주)지씨씨엘 | 18,804 | - | - | 1,800 | - | - |
(주)지씨웰페어 | - | 5,427 | - | - | 6,226 | - |
합 계 | 5,670,120 | 395,675 | - | 4,826,794 | 297,053 | -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의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매출채권 등 | 임차보증금 | 미지급비용 등 | 매출채권 등 | 임차보증금 | 미지급비용 등 | |
최상위 지배기업 | ||||||
(주)녹십자홀딩스 | - | 1,050,000 | 113,072 | - | 1,050,000 | - |
지배기업 | ||||||
(주)녹십자 | - | - | 29,846 | - | - | 9,220 |
관계기업 | ||||||
Genece Health, Inc. | 872,004 | - | - | 759,909 | - | - |
기타특수관계자 | ||||||
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 4,237,348 | - | 6,563 | 4,580,326 | - | 4,681 |
(주)지씨셀 | - | - | 56,403 | - | - | 24,697 |
(주)녹십자엠에스 | - | - | 25,486 | - | - | - |
(주)GC케어 | - | - | - | 566 | - | - |
(주)녹십자이엠 | - | - | 24,682 | - | - | 20,525 |
(주)지씨웰페어 | - | - | 1,653 | - | - | 1,653 |
합 계 | 5,109,352 | 1,050,000 | 257,705 | 5,340,801 | 1,050,000 | 60,776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회사명 | 당분기 | 전분기 | ||
---|---|---|---|---|---|
리스 차입액 | 리스 상환액 | 리스 차입액 | 리스 상환액 | ||
기타특수관계자 | (주)지씨셀 | - | (61,164) | - | (55,468) |
(5) 회사는 기업활동의 계획ㆍ운영ㆍ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임원, 비등기임원 및 각 사업부문장 등을 경영진으로 판단하였는 바, 회사가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지급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단기종업원급여 | 163,300 | 225,905 |
퇴직급여 | 35,869 | 38,411 |
기타장기급여 | 274 | 173 |
합 계 | 199,443 | 264,489 |
(6)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를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담보 및 보증은 없습니다.
가. 배당에 관한 사항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정관에서는 아래와 같이 배당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제8조의1 (주식의 종류 및 주식등의 전자등록) |
1.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기명식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으로 한다 |
제8조의2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
1.당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 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 |
제11조 (신주의 배당기산일) |
제11조 (신주의 배당기산일)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
제48조 (이익금의 처분) |
제48조 (이익금의 처분) 당 회사는 매사업년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 이익준비금 2. 기타의 법정준비금 3. 배당금 4. 임의적립금 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
제49조 (이익배당) |
제49조 (이익배당) 1.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2.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3.제1항의 배당은 이사회결의로 정하는 배당기준일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
나. 주요배당지표
(단위 : 원,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2024연도 (제12기) |
2023연도 (제11기) |
2022연도 (제10기) |
주당액면가액 | 500 | 500 | 500 | |
당기순이익 | (1,256,914,171) | (550,095,144) | (3,763,105,673) | |
발행주식수 | 19,555,555 | 18,133,333 | 18,133,333 | |
주당순이익 | (69) | (30) | (233) | |
현금배당금총액 | - | - | - | |
주식배당금총액 | - | - | - | |
현금배당수익률 | - | - | - | - |
-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 | |||
- |
주1)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에서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를 나눠 계산한 값입니다.
다. 과거배당이력
(단위 :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3년간 | 최근5년간 |
- | - | - | - |
가.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원, 주)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종류 | 수량 |
주당 액면가액 |
주당발행 (감소)가액 |
비고 | ||
2013.07.31 | 유상증자 | 보통주 | 1,980,000 | 500 | 500 | 설립자본 |
2013.08.02 | 유상증자 | 보통주 | 4,020,000 | 500 | 500 | 주주우선공모 |
2015.10.06 | 유상증자 | 보통주 | 3,000,000 | 500 | 500 | 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19.12.18 | 유상증자 | 보통주 | 5,000,000 | 500 | 800 | 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0.12.23 | 유상증자 | 보통주 | 2,000,000 | 500 | 5,000 | 주주배정 및 실권주 3자배정 |
2022.12.09 | 전환청구 | 보통주 | 2,133,333 | 500 | 5,625 | 전환사채자본전환 |
2024.11.22 | 전환청구 | 보통주 | 1,422,222 | 500 | 5,625 | 전환사채자본전환 |
계 | 19,555,555 | 500 | - |
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채무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회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사유 등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설립 | 2013.07.31 | 운영자금 | 990 | 운영자금 | 990 | - |
유상증자 | 2013.08.02 | 경상연구개발/운영자금 | 2,010 | 경상연구개발/운영자금 | 2,010 | - |
유상증자 | 2015.10.06 | 경상연구개발/운영자금 | 1,500 | 경상연구개발/운영자금 | 1,500 | - |
유상증자 | 2019.12.18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4,000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4,000 | - |
전환사채 | 2020.12.22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20,000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20,000 | - |
유상증자 | 2020.12.23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10,000 | 운전자금,시설비,개발비 등 | 1,193 | 주1) |
계 | 38,500 | 29,693 |
주1)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자금 집행 중으로 자금사용 계획과 실제 자금사용 현황의 차액은 상기와 같으며, 미사용자금은 안정성이 높은 보통 및 정기예금에 예치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조달한 사모자금 중 29,693백만원은 당초 자금사용 계획대로 운영자금 및 시설자금으로 사용하였고,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속 사용 중으로 계획과 실제 자금사용 내역의 차이가발생하였습니다. 실제로 사용되지 아니한 8,807백만원의 경우 자금사용 계획에 따라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현재 사용하지 않은 자금은 아래와 같이 안정적인 예ㆍ적금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백만원) |
종류 | 운용자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비고 |
사모자금 | 보유현금 | 4 | - | ||
예ㆍ적금 | 153 | - | 보통예금 | ||
3,650 | - | MMDA | |||
5,000 | 2025년02월~2025년05월 | 3개월 | 정기예금 | ||
계 | 8,807 |
주1) 상기 실투자기간은 납입 이후 현재까지의 운용기간 입니다.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의 유의사항 등(1) 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 재작성사유, 내용 및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당사의 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 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중 '5. 재무제표 주석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단위: 천원) |
구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설정율 |
제13기1분기 | 매출채권 | 5,134,558 | 33,956 | 0.66% |
합계 | 5,134,558 | 33,956 | 0.66% | |
제12기 | 매출채권 | 5,465,152 | 26,297 | 0.48% |
합계 | 5,465,152 | 26,297 | 0.48% | |
제11기 | 매출채권 | 4,325,837 | 19,071 | 0.44% |
합계 | 4,325,837 | 19,071 | 0.44% | |
제10기 | 매출채권 | 4,253,868 | 32,920 | 0.77% |
합계 | 4,253,868 | 32,920 | 0.77% |
주1)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천원) |
구분 | 제13기 1분기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기초 | 26,297 | 19,071 | 32,920 | 39,088 |
설정(환입) | 7,659 | 7,415 | (4,253) | (6,168) |
채권제각 등 | - | (189) | (9,596) | - |
연결범위 변동 | - | - | - | - |
보고기간말 | 33,956 | 26,297 | 19,071 | 32,920 |
(3)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개별적으로 손상징후가 식별가능한 채권은 개별법으로 적절한 대손설정율을 계상하며, 개별적으로 중요하지 않고 유사한 성격별로 분류되는 집합채권은 과거 대손경험율을 고려한 연령분석을 적용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손상된 채권에 대한 충당금 설정액은 포괄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관리비 및 기타비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4)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천원) |
경과기간 | 만기일 미도래 | 3개월 이하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 6개월 초과 | 계 |
매출채권 | 5,050,167 | 64,929 | 1,065 | 18,397 | 5,134,558 |
구성비율 | 98.4% | 1.3% | 0.0% | 0.4% | 100.0% |
주1)상기 금액은 2025년 1분기말 개별재무제표 금액입니다.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 보유현황
(단위: 천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13기 1분기 | 제12기 | 제11기 | 제10기 | 비고 |
(주)지씨지놈 | 원재료 | 1,420,006 | 1,218,837 | 1,152,192 | 1,199,837 | - |
합계 | 1,420,006 | 1,218,837 | 1,152,192 | 1,199,837 | -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3.33% | 3% | 2.69% | 2.45%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11.96 | 11.96 | 11.56 | 14.85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재고조사일 | 2023년 01월 02일 |
재고실사대상 | 원재료 등의 재고 |
실사내용 | 회사가 보관 중인 재고의 수량 및 상태파악 |
실사방법 | 경과기간 사이의 입출고 내역을 작성하여 기말재고자산 내역 확인 |
실사참여 | 당사 회계담당, 재고 담당 |
실사결과 | 실사결과 중대한 차이 없음 |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 장기체화 및 진부화 재고 특이사항 없음 |
재고조사일 | 2023년 12월 29일 |
재고실사대상 | 원재료 등의 재고 |
실사내용 | 회사가 보관 중인 재고의 수량 및 상태파악 |
실사방법 | 경과기간 사이의 입출고 내역을 작성하여 기말재고자산 내역 확인 |
실사참여 | 당사 회계담당, 재고 담당 |
실사결과 | 실사결과 중대한 차이 없음 |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 장기체화 및 진부화 재고 특이사항 없음 |
재고조사일 | 2024년 12월 31일 |
재고실사대상 | 원재료 등의 재고 |
실사내용 | 회사가 보관 중인 재고의 수량 및 상태파악 |
실사방법 | 경과기간 사이의 입출고 내역을 작성하여 기말재고자산 내역 확인 |
실사참여 | 당사 회계담당, 재고 담당 |
실사결과 | 실사결과 중대한 차이 없음 |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 장기체화 및 진부화 재고 특이사항 없음 |
주1) 당사는 매월 말 장부가 기준으로 재고자산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금번 제12기 에도 2024년 12월 31일 현재 마감 기준으로 외부감사인의 입회 하에 원재료등의 재고자산에 대해 각 현장 담당자의 실사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3) 장기체화재고 당사는 기준일로부터 1년간 재고의 이동이 없는 재고자산에 대하여 장기체화재고로 인식하여 평가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제13기(당기 1분기말) | 제12기(전기말) | 제11기(전전기말) | 제10기(전전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
원재료 | 1,496,003 | (75,997) | 1,420,006 | 1,294,833 | (75,996) | 1,218,837 | 1,197,124 | (44,932) | 1,152,192 | 1,227,998 | (28,161) | 1,199,837 |
합계 | 1,496,003 | (75,997) | 1,420,006 | 1,294,833 | (75,996) | 1,218,837 | 1,197,124 | (44,932) | 1,152,192 | 1,227,998 | (28,161) | 1,199,837 |
주1) 당사의 원재료시약의 사용기간은 2년정도이며 대부분 6개월이내에 소진하고 있으나, 일부 1년 이상 출고가 없는 품목은 평가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4) 재고자산의 담보제공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수주계약 현황 당사가 영위 중인 주요사업은 수주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에 속하지 않으며, 고객의 주문을 통한 즉시 유전체 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띄고 있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내역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평가 내용에 관한 상세 내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5. 재무제표 주석 > 5. 금융상품 공정가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등
사업연도 | 감사의견 | 감사인 | 채택회계기준 | 수정사항 및 그 영향 | 감사인 지정 | 특이사항 |
2025년도 1분기 (제13기 1분기) |
주1) | 삼정회계법인 | K-IFRS | 해당사항 없음 | - | - |
2024년도 (제12기) |
적정 | 삼도회계법인 | K-IFRS | 해당사항 없음 | 2024-10-15 | - |
2023년도 (제11기) |
적정 | 삼도회계법인 | K-IFRS | 해당사항 없음 | 2023-10-17 | - |
2022년도 (제10기) |
적정 | 한영회계법인 | K-IFRS | 해당사항 없음 | - | - |
주1) 2024년 10월 15일 삼도회계법인 지정 후, 2024년 사업연도 감사 계약 체결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제13기 1분기 재무제표에 대해 삼정회계법인으로부터 검토를 받았으며 검토 의견은 적정이었습니다.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2025년도 1분기 (제13기 1분기) |
삼정회계법인 | 1분기 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 18백만원 | - | - | - |
2024년도 (제12기) |
삼도회계법인 | 중간감사, 기말감사 | 85백만원 | 620 | 160백만 | 620 |
2023년도 (제11기) |
삼도회계법인 | 중간감사, 기말감사 | 85백만원 | 670 | 85백만 | 670 |
2022년도 (제10기) |
한영회계법인 | 중간감사, 기말감사 | 38백만원 | 550 | 38백만 | 550 |
다. 회계감사인과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보수 | 비고 |
2024년 (제12기) |
2024년 02월 | 국내특수 관계회사 간 거래 시가 검토 |
2024년 02월 ~2024년 04월(보고서제출일) |
35백만원 | 삼정회계법인 |
2024년(제12기) | 2024년 10월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검토 |
2024년 10월 ~2025년 02월(보고서제출일) |
75백만원 | 삼도회게법인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1 | 2022년 01월 14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에 대한 안내 |
2 | 2022년 03월 11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기말감사결과 보고 |
3 | 2022년 10월 14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외부감사 수행계획 안내독립성 및 기말감사 주요사항 논의 |
4 | 2023년 01월 13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에 대한 안내 |
5 | 2023년 03월 10일 | 10월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기말감사결과 보고 |
6 | 2023년 11월 15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외부감사 수행계획 안내독립성 및 기말감사 주요사항 논의 |
7 | 2024년 02월 05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기말감사결과 보고 |
8 | 2024년 11월 15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외부감사 수행계획 안내독립성 및 기말감사 주요사항 논의 |
9 | 2025년 01월 23일 | 감사, 업무수행이사, 담당회계사 | 서면회의 | 기말감사결과 보고 |
마. 회계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 중인 회사로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11조 제1항 및 제2항,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7조 및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대한 규정」제10조 및 제15조 제1항에 의거하여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12기(2024.01.01 ~ 2024.12.31) 및 제11기(2023.01.01 ~ 2023.12.31)에 대한 외부감사인으로 삼도회계법인을 지정 통지받아 동 회계법인과 감사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지정감사 종료에 따라 당사는 삼정회계법인을 제13기(2025.01.01~2025.12.31)의 감사인으로 자유선임하였습니다.
가. 감사위원회의 내부통제의 유효성에 대한 감사 결과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내부회계관리제도 2024년 5월부터 안진회계법인과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2024년 8월 1일부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제8조 및 동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9조,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이하 ‘외감규정’이라 한다) 제6조에 의거하여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1)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요 규정명: 내부회계관리규정 (2024년 8월 1일 제정) (2) 내부회계관리조직
직책 | 성명 | 소속 | 담당업무 | 근무연수 | 비고 |
---|---|---|---|---|---|
내부회계책임자 | 기창석 | 대표이사 | 내부회계관리제도 총괄 | 7년 | |
내부회계관리자 | 정상훈 | 경영관리실장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총괄 | 1년 | - |
감사 | 현승아 | 감사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보고 및 감사 | 1년 | |
내부회계관리제도 실무담당 |
이준화 | 회계팀장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무 | 4년 | - |
(3) 내부회계관리자의 인적사항
성 명 | 학 력 | 주요 경력 |
---|---|---|
정상훈 | 서강대학교 경영학 학사 |
現. 지씨지놈 경영관리실장 前. 녹십자홀딩스 금융지원센터장 前. GS글로벌 홍콩법인장 |
다.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회계의 부정과 오류를 예방하고 적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회계시스템을 관리/통제하며, 회사의 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 공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2024년 04월 안진회계법인과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구축 용역 계약을 체결하여 2024년 12월에 내부회계관리제도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2024년 08월 01일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고 내부회계관리자를 선임하는 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을 위한 내부환경을 정비하였으며, 상장 이후 최초로 도래하는 사업연도부터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적절히 설계평가 및 운영평가를 진행할 것이며 기말 감사 시 외부감사인의 검토 또는 감사를 받을 예정입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 개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1명으로 총 4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법령 및 정관에 정해진 사항, 주주총회로 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이사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 의장은 정관 제 36조에 따라 대표이사 기창석이 맡고 있습니다.
(1) 이사의 수 및 사외이사 변동현황 당사의 당기 중 사외이사 변동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3 | 1 | - | - | - |
(2) 이사회의 주요 권한 내용 당사의 이사회는 상법, 기타법령,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서 정한 사항 및 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부의, 심의 및 의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사회 규정에서 정하는 이사회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
권한 |
제3조(권한) ①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
구성 |
제4조(구성)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한다. |
종류 |
제6조(종류)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한다.② 정기이사회는 3개월에 1회 이상 개최한다.③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 |
결의방법 |
제9조(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관련 법령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 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이사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 하지 아니한다. |
권한내용 |
제10조(부의사항)①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자기자본, 매출액 등은 직전 사업연도 말 기준).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주주총회의 소집 (2)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2. 경영에 관한 사항 (1)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2) 공동대표의 결정 (3) 영업보고서의 승인 (4) 회사경영 기본방침의 결정 및 변경 (5) 중요한 CI의 제정 및 변경 (6) 이사회규정의 변경에 관한 사항 (7)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8)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9) 이사회 내 위원회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10)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11) 준법지원인의 선임 및 해임, 준법통제기준의 제.개정 및 폐지 등 (12) 지점, 공장, 사무소, 사업장의 설치·이전 또는 폐지 (13)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합병 및 소규모분할합병의 결정 (14) 주주총회 결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영업양수도 (별도 자산총액, 부채총액, 매출액 5% 이상) 3. 재무에 관한 사항 (1) 결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의 승인 (2) 신주의 발행 (3) 준비금의 자본전입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5)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취소 (6) 사채의 발행 또는 대표이사에게 사채발행의 위임 (7) 전환사채의 발행 (8)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9) 교환사채 및 상환사채의 발행 (10) 별도 자기자본 10% 이상의 장·단기 차입 (11)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담보 제공 또는 채무 보증 (12) 자기주식의 취득 및 처분 (13) 자기주식의 이익 소각 (14) 중간배당 (15)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타법인 출자 및 처분 (16) 주식 분할 또는 병합 (17)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파생상품 거래 4. 투자 및 지출에 관한 사항 (1)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신규사업 (2)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신제품 개발 및 개발과제 선정 (3)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특허권 양수도 및 기술도입, 이전, 제휴 (License In or Out) (4)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공장 및 연구소 신·증축 (5)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유·무형자산의 취득 및 처분 (6) 별도 자기자본 5% 이상의 비경상적 경비지출 (7) 1억원 이상의 기부금(동일 대상에 대한 당해 사업연도 기부금 누계액이 1억원 이상이 되는 경우 포함). 단, 태풍, 홍수, 화재, 지진 등 긴급 구호에 따른 기부는 선집행 후 사 후 보고할 수 있다. 5. 영업 및 생산에 관한 사항 (1) 별도 매출액 5% 이상의 판매계약 및 거래중단 (2) 별도 매출액 5% 이상의 제·상품 폐기 결정 (3) 별도 매출액 5% 이상의 생산 활동 중단 6. 이사 등에 관한 사항 (1) 이사, 주요주주 및 특수관계자 등과 회사간 거래의 승인 (2) 이사의 회사 기회 이용에 대한 승인 7. 기타 (1) 명의개서대리인 (2) 기타 결의 사항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및 대 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② 이사회에 보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거나 그 행위를 할 염려가 있다고 감사가 인 정한 사항 2. 준법지원인의 준법통제기준의 준수여부 점검 결과 3. 내부회계관리자 및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및 평가 보고 4. 기타 경영상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
나. 중요의결사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사내이사 | 사외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감사 | |||||
---|---|---|---|---|---|---|---|---|---|---|---|---|
기창석출석률:100% | 조은해 출석률:100% | 김정호출석률:100% | 정상훈출석률:100% | 김상욱출석률:100% | 고성규출석률:100% | 김봉진출석률:94% | 김연근출석률:100% | 현승아출석률:100% |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찬반 여부 | ||||
2022-1 | 2022.02.10 |
제1호: 제9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제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제9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참석 | - |
2022-2 | 2022.03.30 | 제1호: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참석 | - |
2022-3 | 2022.05.03 | 제1호: 공사도급 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참석 | - |
2022-4 | 2022.05.06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불참 | 참석 | - |
2022-5 | 2022.10.24 |
제1호: 미국 법인 투자의 건 제2호: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참석 | - |
2022-6 | 2022.12.13 |
제1호: 지점 설치의 건 제2호: 사업자단위과세 신청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참석 | - |
2022-7 | 2022.12.13 | 제1호: 주주명부의 폐쇄 기준일 결정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 | 찬성 | 참석 | - |
2023-1 | 2023.01.05 | 제1호: 건물임대차 변경 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 | 찬성 | 참석 | - |
2023-2 | 2023.02.10 |
제1호: 제10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제10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 | - | 찬성 | 참석 | - |
2023-3 | 2023.04.03 | 제1호: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3-4 | 2023.05.12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3-5 | 2023.07.28 | 제1호: 미국 Genece Health 투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3-6 | 2023.09.15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3-7 | 2023.12.01 | 제1호: 건물임대차 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3-8 | 2023.12.15 | 제1호: 주주명부의 폐쇄 기준일 결정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4-1 | 2024.02.14 | 제1호: 제11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호: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3호: 제11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제5호: 임원 성과급 지급기준 수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4-2 | 2024.03.29 | 제1호: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참석 | - |
2024-3 | 2024.05.10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 | 참석 |
2024-4 | 2024.07.26 | 제1호: 사내규정 승인의 건제2호: 지분취득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찬성 | - | 참석 |
2024-5 | 2024.11.26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 승인의 건제2호: 주식매수청구권(풋옵션)에 대한 합의서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 | - | 참석 |
2024-6 | 2024.12.13 | 제1호: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 결정의 건제2호: 배당기준일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 | - | 참석 |
2025-1 | 2025.02.12 | 제1호: 제12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3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제4호: 내부거래 한도 승인의 건제5호: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 | - | 참석 |
2025-2 | 2025.02.27 | 제1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 | - | 참석 |
2025-3 | 2025.03.10 | 제1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 | - | - | 참석 |
2025-4 | 2025.04.02 |
제1호: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주주명부 기준일 설정의 건 제2호: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임시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사외이사 후보자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 | - | 참석 |
2025-5 | 2025.04.07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제2호: 신주인수권 부여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 | - | 참석 |
다. 이사회내 위원회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 이사의 독립성 (1) 이사 선임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상 절차에 따라 이사회에서 이사 후보자를 선정하고 후보자의 성명, 약력사항을 주주총회에서 결의할 의안으로 제출하여 주주총회에서 최종적으로 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2) 이사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성 명 | 추천인 | 담당업무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임기 | 연임여부(횟수) | 선임일 | 선임배경 |
---|---|---|---|---|---|---|---|---|---|
사내이사(대표이사) | 기창석 | 이사회 | 경영전반 | - | 계열회사 임원 | 2년 | 연임(3회) | 2024.03.29 | 사업 및 연구 전 부문을 아우를 수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리더십과 통찰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 |
사내이사 | 조은해 | 이사회 | 연구개발 | - | 계열회사 임원 | 2년 | 연임(6회) | 2025.03.30 | 오랜 임상유전체 분석업계 경력과 전문 식견을 바탕으로 연구소장으로서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왔으며, 앞으로도 당사의 R&D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 |
사내이사 | 정상훈 | 이사회 | 경영관리 | - | 계열회사 임원 | 2년 | - | 2025.03.27 | 재무, 경영관리분야의 전문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내부 통제 및 경영관리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당사의 운영관리 부문에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사외이사 | 김상욱 | 이사회 | 사외이사 | - | 계열회사 임원 | 2년 | 연임(1회) | 2025.03.30 | 유전공학, 생명공학, 생물정보학 등 광범위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로서 당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이사회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1)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보조하는 지원조직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의 업무지원을 위한 별도 조직을 구축하고 있지는 않으나, 경영관리팀에서 사외이사가 이사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 주요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이사회의 각 안건에 대한 내용과 경영현황에 대하여 사외이사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교육은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추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가. 감사위원회(감사) 설치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정관 40조에 따라 1인의 비상근감사를 두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 정관에 규정된 감사의 직무와 의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
제43조(감사의 직무와 의무) |
1. 감사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2.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3.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없이 보고를 하지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조사할 수 있다.4. 감사에 대해서는 정관 제34조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5 .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
나. 감사의 인적사항
성명 | 주 요 경 력 | 최대주주등과 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
현승아 |
2012~현재 법무법인(유) 광장 변호사 2009~2012 육군법무관 2017 Georgetown University-LL.M 2009 제38기 사법연수원 수료 2006 제48회 사법시험 합격 2000~2005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
없음 | 없음 |
다. 감사의 독립성 감사는 상법 등 관계법령상의 절차를 준수하여 주주총회에서 특별결의를 통해 선임합니다.이사회에 참석하여 독립적으로 이사의 업무를 감독할 수 있으며, 제반업무와관련하여 관련장부 및 관계서류를 해당부서에 제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시 회사로부터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받을 수 있으며, 적절한 방법으로 경영정보에접근할 수 있습니다.
라. 감사의 주요 활동내역
구 분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감사 김연근 | 감사 현승아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2022-1 | 2022.02.10 |
제1호: 제9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제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제9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2 | 2022.03.30 | 제1호: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3 | 2022.05.03 | 제1호: 공사도급 계약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4 | 2022.05.06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5 | 2022.10.24 |
제1호: 미국 법인 투자의 건 제2호: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6 | 2022.12.13 |
제1호: 지점 설치의 건 제2호: 사업자단위과세 신청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2-7 | 2022.12.13 | 제1호: 주주명부의 폐쇄 기준일 결정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1 | 2023.01.05 | 제1호: 건물임대차 변경 계약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2 | 2023.02.10 |
제1호: 제10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제10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3 | 2023.04.03 | 제1호: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4 | 2023.05.12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5 | 2023.07.28 | 제1호: 미국 Genece Health 투자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6 | 2023.09.15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7 | 2023.12.01 | 제1호: 건물임대차 계약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3-8 | 2023.12.15 | 제1호: 주주명부의 폐쇄 기준일 결정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4-1 | 2024.02.14 | 제1호: 제11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호: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3호: 제11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제4호: 내부거래 매입 및 매출 한도 승인의 건제5호: 임원 성과급 지급기준 수립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4-2 | 2024.03.29 | 제1호: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참석 | - |
2024-3 | 2024.05.10 | 제1호: 산업은행 운영자금(단기한도대출) 기한연장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4-4 | 2024.07.26 | 제1호: 사내규정 승인의 건제2호: 지분취득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4-5 | 2024.11.26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 승인의 건제2호: 주식매수청구권(풋옵션)에 대한 합의서 체결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4-6 | 2024.12.13 | 제1호: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 결정의 건제2호: 배당기준일 결정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5-1 | 2025.02.12 | 제1호: 제12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3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제4호: 내부거래 한도 승인의 건제5호: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5-2 | 2025.02.27 | 제1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5-3 | 2025.03.10 | 제1호: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5-4 | 2025.04.02 |
제1호: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주주명부 기준일 설정의 건 제2호: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임시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제4호: 사외이사 후보자 추천의 건 |
가결 | - | 참석 |
2025-5 | 2025.04.07 | 제1호: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제2호: 신주인수권 부여의 건 | 가결 | - | 참석 |
마. 교육 실시 현황 및 계획
(1) 교육 실시 현황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당사의 감사는 감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을 감안하여 교육 미실시 함. |
(2) 교육 실시 계획 당사는 현재 감사 교육을 실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향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바. 감사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 지원을 위한 별도 조직을 구축하고 있지는 않으나, 회계팀에서 감사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 하고 있습니다.
사.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상법제542조의 13에 따른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 상장법인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준법지원인을 선임하고 있지 않습니다.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배제 | 미도입 | 도입 |
실시여부 | 미실시 | 미실시 | 실시 |
나.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경영권 경쟁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의결권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19,555,555 | - |
- | - | -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 | - |
- | - | -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 - |
- | - | -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 - |
- | - | -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 - |
- | - | -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보통주 | 19,555,555 | - |
- | - | - |
마. 주식사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정관상 주식사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관상신주인수권의 내용 | 1. 당 회사의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주식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2.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 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2) 상법 등 관련 법령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반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ㆍ판매ㆍ자본제휴, 재무구조개선을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6) 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국내ㆍ외 법인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8)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신주인수권)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3.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주식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결의로 정한다. | |||
결 산 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사업년도종료후 3월이내 | |
주주명부폐쇄시기 | 1. 당 회사는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배당을 받을 자 기타주주 또는 질권자로서 권리를 행사할 자를 정하기 위하여 이사회 결의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일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질권자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 또는 질권자로 볼 수 있다.2. 회사가 제1항의 기간 또는 날을 정하는 경우 3개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3개월 내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다.3. 회사가 제1항의 기간 또는 날을 정한 때에는 그 기간 또는 날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
주권의 종류 | 주권의 종류 관련하여,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가 의무적으로 전자등록됨에 따라 '주권의 종류'를 기재하지 않음 | |||
명의개서대리인 | 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전화번호 : 051-519-1500주 소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문현동)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없음 | 공고방법 | 당사 홈페이지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개최일자 | 구분 | 안 건 | 결 의 내 용 | 비 고 |
---|---|---|---|---|
2022.03.30 | 제9기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승인의 건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제4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5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2023.03.30 | 제10기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10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승인의 건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제4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5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2024.03.29 | 제11기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11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정관 개정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7호 의안: 임원퇴직금지급규정 변경의 건 |
가결 | - |
2025.03.27 | 제12기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11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 주,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녹십자 | 최대주주 | 보통주 | 4,636,500 | 23.71 | 4,636,500 | 23.71 | 1 |
(주)녹십자홀딩스 | 계열사 | 보통주 | 2,256,656 | 11.54 | 2,256,656 | 11.54 | 2 |
주식회사 지씨셀 | 계열사 | 보통주 | 22,571 | 0.12 | 22,571 | 0.12 | 3 |
(주)녹십자엠에스 | 계열사 | 보통주 | 16,928 | 0.09 | 16,928 | 0.09 | 4 |
허용준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846,428 | 4.33 | 846,428 | 4.33 | 5 |
허은철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784,357 | 4.01 | 784,357 | 4.01 | 6 |
허일섭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507,857 | 2.60 | 507,857 | 2.60 | 7 |
허진성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82,142 | 1.44 | 282,142 | 1.44 | 8 |
허진훈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12,857 | 0.58 | 112,857 | 0.58 | 9 |
최승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50,785 | 0.26 | 50,785 | 0.26 | 10 |
기창석 | 임원 | 보통주 | 169,285 | 0.87 | 169,285 | 0.87 | 11 |
조은해 | 임원 | 보통주 | 138,250 | 0.71 | 138,250 | 0.71 | 12 |
양송현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152,357 | 0.78 | 152,357 | 0.78 | 13 |
박용태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101,571 | 0.52 | 101,571 | 0.52 | 14 |
박대우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57,714 | 0.30 | 57,714 | 0.30 | 15 |
박순영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56,428 | 0.29 | 56,428 | 0.29 | 16 |
장평주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50,785 | 0.26 | 50,785 | 0.26 | 17 |
김창섭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50,785 | 0.26 | 50,785 | 0.26 | 18 |
이은희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41,571 | 0.21 | 41,571 | 0.21 | 19 |
이상곤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38,089 | 0.19 | 38,089 | 0.19 | 20 |
김상만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33,857 | 0.17 | 33,857 | 0.17 | 21 |
강우봉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30,089 | 0.15 | 30,089 | 0.15 | 22 |
김연근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2,571 | 0.12 | 22,571 | 0.12 | 23 |
한준희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2,571 | 0.12 | 22,571 | 0.12 | 24 |
JEONG JAEUK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2,571 | 0.12 | 22,571 | 0.12 | 25 |
이득주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2,571 | 0.12 | 22,571 | 0.12 | 26 |
강정훈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1,160 | 0.11 | 21,160 | 0.11 | 27 |
박두홍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5,392 | 0.13 | 25,392 | 0.13 | 28 |
방영주 | 계열회사임원 | 보통주 | 28,857 | 0.15 | 28,857 | 0.15 | 29 |
계 | 10,603,555 | 54.22 | 10,603,555 | 54.22 |
나. 최대주주의 주요 경력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 (명) |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주)녹십자 | 60,799 | 허은철 | 0.25 | - | - | (주)녹십자홀딩스 | 50.06 |
- | - | - | - | - |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주)녹십자 |
---|---|
자산총계 | 2,221,588 |
부채총계 | 975,877 |
자본총계 | 1,254,711 |
매출액 | 1,275,965 |
영업이익 | 60,079 |
당기순이익 | 21,216 |
주) 재무현황은 2024년말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 거래 유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주요 경력
(1)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주)녹십자홀딩스 | 31,312 | 허일섭 | 12.20 | - | - | 허일섭 | 12.20 |
허용준 | 2.91 | - | - | - | - |
(2)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주)녹십자홀딩스 |
---|---|
자산총계 | 1,088,623 |
부채총계 | 279,189 |
자본총계 | 809,434 |
매출액 | 61,817 |
영업이익 | 17,056 |
당기순이익 | 162,021 |
주) 재무현황은 2024년말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최대주주 변동내역 2013년 8월 유상증자를 통하여 주식회사 녹십자로 최대주주가 변경된 후, 최대주주가 변경된 사항은 없습니다.
3. 주식의 분포 가. 5%이상 주주 및 우리사주조합 등의 주식소유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주)녹십자 | 4,636,500 | 23.71 | - |
지노베이션1호사모투자합자회사 | 3,555,555 | 18.18 | - | |
(주)녹십자홀딩스 | 2,256,656 | 11.54 | - | |
우리사주조합 | - | - | - |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 주)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433 | 463 | 93.52 | 5,396,445 | 19,555,555 | 27.60 | - |
주1) 상기 주식 소유현황은 가장 최근(24.12.31)의 주주명부 폐쇄일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상기 소액주주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에 미달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입니다.
4. 주가 및 주식 거래실적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임원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기창석 | 남 | 1969.11 | 대표이사 | 등기 | 상근 | CEO | 서울대 의과대 졸성균관대 의학박사 [前]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現](주)지씨지놈 대표이사 | 169,285 | - | 계열회사 임원 | 6년 10개월 | 2026.03.30 |
조은해 | 여 | 1974.07 | 연구소장 | 등기 | 상근 | CSO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 졸성균관대 의학박사 [現](주)지씨지놈 연구소장[前]녹십자의료재단 유전체연구소 이사 | 138,250 | - | 계열회사 임원 | 11년 8개월 | 2027.03.27 |
정상훈 | 남 | 1976.07 | 실장 | 등기 | 상근 | CFO | 서강대학교 경영학 졸 [前](주)녹십자홀딩스 금융지원센터장[前](주)GS글로벌 홍콩법인장[現](주)지씨지놈 경영관리실장 | - | - | 계열회사 임원 | 10개월 | 2027.03.27 |
김상욱 | 남 | 1969.12 | 이사 | 등기 | 비상근 | 사외이사 | Florida State University 생물정보학 박사[前]생물학연구정보센터 BRIC 센터장[前]UCLA Bioinformatics 연구원 [現]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 | - | - | 2년 | 2027.03.27 |
현승아 | 남 | 1981.09 | 감사 | 등기 | 비상근 | 감사 | 고려대학교 법과대 졸Georgetown University LLM제38기 사법연수원 수료[現]법무법인 광장 파트너 변호사 | - | - | - | 1년 | 2027.03.29 |
주1) 재직기간은 당사에서 근무한 기간을 모두 합산하였습니다. 나. 임원 겸직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
겸직임원 | 겸직현황 | |||||
성명 | 직위 | 회사명 | 직위 | 담당업무 | 재직기간 | 겸직회사와 청구회사와의 관계 |
김상욱 | 사외이사 | 포항공과대학교 | 교수 | 강의 및 연구 | 2019.11 - 현재 | 해당사항 없음 |
현승아 | 감사 | 법무법인 광장 | 변호사 | 법률검토 및 자문 | 2012.01 - 현재 | 해당사항 없음 |
다.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명, 백만원)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균근속연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기간제 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
검사서비스 | 남 | 42 | - | 2 | - | 44 | 4.5년 | 3,301 | 70 | 1 | - | 1 | |
검사서비스 | 여 | 77 | - | 4 | - | 81 | 3.4년 | 3,815 | 48 | - | - | - | |
합계 | 119 | - | 6 | - | 125 | 3.7년 | 7,116 | 56 | 1 | - | 1 |
주1) 연간급여총액은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급여로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주2) 1인 평균 급여액은 월별 평균 급여 합산액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주3) 직원 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수입니다. 주4) 평균 근속연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개인별 근속연수의 평균을 기재하였습니다. 라. 육아지원제도 현황
(단위 : 명) |
구분 | 당기(12기) | 전기(11기) | 전전기(10기) |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 | - | 1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1 | 4 | 2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1 | 4 | 3 |
육아휴직 사용률(남) | 0% | 0% | 0% |
육아휴직 사용률(여) | 100% | 100% | 100%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57% | 50% | 50%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남) | - | - | -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여) | 3 | 1 | -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전체) | 3 | 1 | -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2 | 2 | 1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 3 | 3 | 2 |
주1) 사용자 수는 육아휴직, 단축근무, 출산휴가의 시작일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주2) 육아휴직 사용률은 당해 출산 이후 1년이내에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수를 당해 출생일로부터 1년이내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마.유연근무제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유연근무제 현황이 없습니다. 바.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현재 미등기임원이 없습니다.
가.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이사 | 4 | 1,500 | - |
감사 | 1 | 100 | - |
주1) 상기 보수한도는 2025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 보수한도입니다. (2)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 보수액 | 비고 |
---|---|---|---|
5 | 166 | 33 | - |
주1) 보수총액은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2025년 1월부터 증권신고서 제출일까지의 금액입니다.주2) 1인당 평균보수액은 당기 중 지급된 등기임원의 보수 총액 / 보수가 지급되는 등기임원 인원수로 산출하였습니다. (3) 유형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 (사외이사제외) | 3 | 154 | 51 | |
사외이사 | 1 | 9 | 9 | |
감사 | 1 | 3 | 3 |
주1) 보수총액은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기재하였며 2025년 1월부터 증권신고서 제출일까지의 금액입니다 (4)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금액 내에서 직급과 업무, 전문성,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연간 보수를 책정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나.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 및 감사의 개인별 보수 지급금액이 5억원 이상에 해당하는 자가 없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 현황이 없습니다.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녹십자 | 6 | 38 | 44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2025년 0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단순투자 | - | 4 | 4 | 7,823 | - | (16) | 7,807 |
계 | - | 4 | 4 | 7,823 | - | (16) | 7,807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 공여 등
가. 가지급금 및 대여금에 대한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 사항 없습니다.
나. 담보제공 및 채무보증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 사항 없습니다.
다. 그 밖의 보증의 성격을 가지는 이행약속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 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가. 증권 등 매수 또는 매도 내역(1) 주식 매수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 | 거래종류 | 거래일자 | 거래 대상 | 거래금액 | 거래조건 | 이사회 승인일 |
---|---|---|---|---|---|---|
지씨쎌 | 지분취득 | 24.08.30 | GC Lymphotec 지분 15% | 1,181 | 현금매수 | 24.7.26 |
(2) Convertible Note 인수
(단위 : 천USD) |
거래상대방 | 거래종류 | 거래일자 | 거래 대상 | 거래금액 | 거래조건 | 이사회 승인일 |
---|---|---|---|---|---|---|
Genece Health | Convertible Note 인수 | 22.11.11 | Genece Health Convertible Note | 1,500 | 현금매수 | 22.10.24 |
Genece Health | Convertible Note 인수 | 23.08.11 | Genece Health Convertible Note | 3,000 | 현금매수 | 23.07.28 |
나. 부동산 매매 또는 임대차 내역
(단위 : 백만원) |
성 명 (법인명) |
관계 | 소재지 |
수량 (면적)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임차 보증금 |
임차료 | ||||
(주)녹십자홀딩스 | 최상위 지배기업 |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 30번길 107 셀센터 |
1,708.21 m² (516.73평) |
1,448 | 383 | 1,050 | 263 | 1,050 | 294 |
다. 기타 무형자산의 매입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 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가. 매출 및 매입
(단위:천원) |
구분 | 회사명 | 거래내용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최상위 지배기업 | (주)녹십자홀딩스 | 매출 | - | - | - |
매입 | 744,213 | 685,752 | 718,429 | ||
지배기업 | (주)녹십자 | 매출 | - | - | - |
매입 | 72,099 | 67,809 | 92,086 |
주1) 최상위 지배기업인 (주)녹십자홀딩스 24년 매입금액은 Staff 기능대행 위수탁 수수료 및 건물 임차비용 등입니다 주2) 지배기업 (주)녹십자 24년 매입금액은 전산사용료, 셔틀버스이용료 등입니다.
나. 채권 및 채무
(단위:천원) |
구분 | 회사명 | 거래내용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최상위 지배기업 | (주)녹십자홀딩스 | 임차보증금 | 1,477,578 | 1,050,000 | 1,050,000 |
채무 | 170,247 | 92,679 | - | ||
지배기업 | (주)녹십자 | 미수금 | 2,927 | - | - |
채무 | 14,686 | 26,359 | 9,220 |
주1) 지배기업 (주)녹십자 24년 채무금액은 셔틀버스이용료 등입니다.
4. 대주주에 대한 주식기준보상 거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특수관계인과의 주요 거래 내역, 채권ㆍ채무 잔액, 자금 거래 내역 및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내역 등에 대한 상세 내역은『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5. 재무제표 주석』주석 '34. 특수관계자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계열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6 | ㈜녹십자홀딩스 | 134511-0000014 |
㈜녹십자 | 110111-0109854 | ||
㈜녹십자웰빙 | 134511-0083218 | ||
㈜녹십자엠에스 | 134511-0076627 | ||
㈜지씨셀 | 134511-0172532 | ||
㈜유비케어 | 110111-1105364 | ||
비상장 | 38 | ㈜녹십자이엠 | 134511-0047793 |
㈜지씨케어 | 110111-2833584 | ||
농업회사법인인백팜㈜ | 205211-0026721 | ||
㈜지씨지놈 | 134511-0215100 | ||
㈜지씨웰페어 | 134511-0169795 | ||
㈜녹십자메디스 | 135111-0087407 | ||
㈜아진디앤엠 | 134511-0269214 | ||
㈜지씨씨엘 | 134511-0405503 | ||
㈜에이블애널리틱스 | 110111-6788917 | ||
Lymphotec lnc. | - | ||
Green Cross North America Inc. | - | ||
GC BIOPHARMA USA, INC. | - | ||
GC Labtech, Inc. | - | ||
GC BIOPHARMA DO BRASIL CONSULTORIA DE NEGOCIOS LTDA | - | ||
㈜헥톤프로젝트 | 110111-6449147 | ||
㈜헥톤씨앤씨 | 110111-2984361 | ||
㈜케이컨셉 | 131111-0278365 | ||
㈜비브로스 | 110111-5299030 | ||
㈜유팜몰 | 110111-6262367 | ||
Novacel, Inc | - | ||
㈜그린벳 | 134511-0487618 | ||
㈜진스랩 | 124411-0093089 | ||
㈜아이쿱 | 110111-4714188 | ||
㈜더블유비엔피 | 110111-8009551 | ||
COERA, INC. | - | ||
BIOCENTRIQ, INC. | - | ||
㈜이원 | 150111-0233283 | ||
㈜크레템 | 110111-2866436 | ||
Genece Health, Inc. | - | ||
CRETEM USA, INC | - | ||
㈜크레너헬스컴 | 110111-6424553 | ||
㈜조아 | 134511-0098423 | ||
㈜또하나의가족서울센터(*1) | 110111-6138261 | ||
㈜또하나의가족대전센터(*2) | 160111-0429195 | ||
㈜또하나의가족광주센터(*3) | 200111-0469027 | ||
㈜또하나의가족부산센터(*4) | 180111-1063641 | ||
㈜어니스트리 | 110111-8940549 | ||
GC DH VIETNAM CO., LTD | - |
(*1) (주)조아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서울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2) (주)원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대전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3) (주)수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광주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4) (주)효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부산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계열회사간 출자 현황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 %) |
투자회사 피투자회사 | ㈜녹십자 홀딩스 | ㈜녹십자 | ㈜녹십자 엠에스 | ㈜지씨셀 | ㈜지씨케어 | ㈜유비케어 | ㈜헥톤 프로젝트 | ㈜조아 | ㈜녹십자웰빙 | COERA, INC. | ㈜크레템 | ㈜지씨지놈 |
---|---|---|---|---|---|---|---|---|---|---|---|---|
㈜녹십자 | 50.06 | |||||||||||
㈜녹십자엠에스 | 40.32 | |||||||||||
㈜녹십자이엠 | 100.00 | |||||||||||
㈜지씨케어 | 91.37 | 0.14 | ||||||||||
㈜녹십자웰빙 | 12.39 | 22.08 | 0.06 | |||||||||
농업회사법인 인백팜㈜ | 89.98 | |||||||||||
㈜지씨셀 | 8.48 | 33.28 | ||||||||||
㈜지씨지놈 | 11.54 | 23.71 | 0.09 | 0.12 | ||||||||
㈜지씨웰페어 | 70.00 | |||||||||||
㈜녹십자메디스 | 36.85 | 61.41 | ||||||||||
㈜지씨씨엘 | 65.45 | |||||||||||
GC BIOPHARMA USA, INC. | 100.00 | |||||||||||
Green Cross North America Inc | 53.15 | 46.85 | ||||||||||
GC Labtech, Inc. | 66.67 | |||||||||||
GC BIOPHARMA DO BRASIL CONSULTORIA DE NEGOCIOS LTDA | 99.99 | |||||||||||
Lymphotec, lnc. | 60.41 | 24.43 | 15.00 | |||||||||
㈜에이블애널리틱스 | 85.67 | |||||||||||
㈜유비케어 | 52.65 | |||||||||||
㈜헥톤프로젝트 | 75.00 | |||||||||||
㈜헥톤씨앤씨 | 100.00 | |||||||||||
㈜케이컨셉 | 70.00 | |||||||||||
㈜비브로스 | 2.11 | 44.30 | ||||||||||
㈜유팜몰 | 45.00 | |||||||||||
Novacel, Inc. | 100.00 | |||||||||||
㈜그린벳 | 74.46 | |||||||||||
㈜진스랩 | 54.87 | |||||||||||
㈜아이쿱 | 22.39 | |||||||||||
㈜더블유비엔피 | 45.56 | |||||||||||
COERA, INC. | 72.60 | 27.40 | ||||||||||
BIOCENTRIQ, INC. | 8.21 | 91.79 | ||||||||||
㈜이원 | 50.00 | |||||||||||
㈜크레템 | 100.00 | |||||||||||
Genece Health, Inc. | 59.80 | 25.63 | ||||||||||
CRETEM USA, INC | 100.00 | |||||||||||
㈜크레너헬스컴 | 50.01 | |||||||||||
㈜조아 | 100.00 | |||||||||||
㈜또하나의가족서울센터(*2) | 100.00 | |||||||||||
㈜또하나의가족대전센터(*3) | 100.00 | |||||||||||
㈜또하나의가족광주센터(*4) | 100.00 | |||||||||||
㈜또하나의가족부산센터(*5) | 100.00 | |||||||||||
㈜어니스트리 | 100.00 | |||||||||||
GC DH VIETNAM CO., LTD | 70.00 |
※ 상기 지분율은 총발행주식수 중 보통주 기준 지분율 입니다. (*2) (주)조아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서울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3) (주)원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대전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4) (주)수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광주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5) (주)효메디가 (주)또하나의가족부산센터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2.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2025년 0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 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 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2024.12.31) | 증가(감소) | 기말잔액 (2025.03.31) | 최근 사업연도말 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취득(처분) | 평가 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총자산 | 당기 순손익(손실) | ||||||
수량 | 금액 | ||||||||||||||
Cipherome | 비상장 | 2017년 02월 17일 | 단순투자 | 520 | 138,888 | 1.21 | - | - | - | - | 138,888 | 1.21 | - | 621 | (1,544) |
Genoplan | 비상장 | 2018년 07월 12일 | 단순투자 | 1,128 | 50,226 | 1.90 | - | - | - | - | 50,226 | 1.90 | - | 5,703 | (849) |
Genece Health, Inc. | 비상장 | 2022년 11월 03일 | 단순투자 | 3 | 2,250,000 | 25.63 | - | - | - | - | 2,250,000 | 25.63 | - | 1,507 | (14,018) |
Genece Health, Inc.(전환사채) | 비상장 | 2022년 11월 11일 | 단순투자 | 6,012 | - | - | 6,615 | - | - | (16) | - | - | 6,599 | 1,507 | (14,018) |
Lymphotec, lnc. | 비상장 | 2024년 08월 30일 | 단순투자 | 1,181 | 12,921 | 15.0 | 1,208 | - | - | - | 12,921 | 15.0 | 1,208 | 7,194 | 603 |
합 계 | - | - | 7,823 | - | - | 7,807 | - | - |
3. 논문 발표 실적
No. | 제목 | 저널 |
발행 년도 |
저자 | DOI |
1 | Atypical teratoid rhabdoid brain tumor in an infant with ring chromosome 22 | Korean J Pediatr | 2014 | cho eh , Park JB, Kim JK. | 10.3345/kjp.2014.57.7.333 |
2 | Frequency of DMPK mutation carriers in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 Clin Genet | 2014 | Jang JH, Lee JW, cho eh, Lee EH, Kim JW, ki cs. | 10.1111/cge.12310 |
3 | A novel case of extreme thrombocytosis in acute myeloid leukemia associated with isochromosome 17q and copy neutral loss of heterozygosity | Ann Lab Med | 2015 | You E, Cho SY, Yang JJ, Lee HJ, Lee WI, Lee J, Cho KS, cho eh, Park TS. | 10.3343/alm.2015.35.3.366 |
4 | A Korean family with KBG syndrome identified by ANKRD11 mutation, and phenotypic comparison of ANKRD11 mutation and 16q24.3 microdeletion | Eur J Med Genet | 2015 | Kim HJ, Cho E, Park JB, Im WY, Kim HJ. | 10.1016/j.ejmg.2014.11.003 |
5 | The first Korean patient with Potocki-Shaffer syndrome: a rare cause of multiple exostoses | J Korean Med Sci | 2015 | Sohn YB, Yim SY, cho eh, Kim OH. | 10.3346/jkms.2015.30.2.214 |
6 | Identification of a Novel De Novo Variant in the PAX3 Gene in Waardenburg Syndrome by Diagnostic Exome Sequencing: The First Molecular Diagnosis in Korea | Ann Lab Med | 2015 | Jang MA, Lee T, Lee J, cho eh, ki cs. | 10.3343/alm.2015.35.3.362 |
7 | Mutation profiling of 19 candidate genes in acute myeloid leukemia suggests significance of DNMT3A mutations | Oncotarget | 2016 | Shin SY, Lee ST, Kim HJ, cho eh, Kim JW, Park S, Jung CW, Kim SH. | 10.18632/oncotarget.10240 |
8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F1 splicing mut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 J Hum Genet | 2016 | Jang MA, Kim YE, Kim SK, Lee MK, Kim JW, ki cs. | 10.1038/jhg.2016.33 |
9 | Temple syndrome: A patient with maternal hetero-UPD14, mixed iso- and hetero-disomy detected by SNP microarray typing of patient-father duos | Brain Dev | 2016 | Shin EH, Cho E, Lee CG. | 10.1016/j.braindev.2016.01.008 |
10 | Identification of a Heterozygous SPG11 Mutation by Clinical Exome Sequencing in a Patient With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A Case Report | Ann Rehabil Med | 2016 | Oh JY, Do HJ, Lee S, Jang JH, cho eh, Jang DH. | 10.5535/arm.2016.40.6.1129 |
11 | CLEC4C p.K210del variant causes impaired cell surface transport i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Oncotarget | 2016 | Lim SM, Kim YE, Choi WJ, Oh KW, Noh MY, Kwon MS, Nahm M, Kim N, ki cs, Kim SH. | 10.18632/oncotarget.7886 |
12 | Identification of the KCNJ2 Mutation in a Korean Family with Andersen-Tawil Syndrome and Developmental Delay | Ann Clin Lab Sci | 2016 | Kim NR, Jang JH, Jeon GW, cho eh, Sin JB. | - |
13 | Patient fibroblasts-derived induced neurons demonstrate autonomous neuronal defects in adult-onset Krabbe disease | Oncotarget | 2016 | Lim SM, Choi BO, Oh SI, Choi WJ, Oh KW, Nahm M, Xue Y, Choi JH, Choi JY, Kim YE, Chung KW, Fu XD, ki cs, Kim SH. | 10.18632/oncotarget.12812 |
14 | Familial aplasia cutis congenita associated with mega-cisterna magna | Pediatr Int | 2016 | Lee EH, Park TS, Choi YS, cho eh. | 10.1111/ped.13041 |
15 | A novel nonsense mutation of GPR143 gene in a Korean kindred with X-linked congenital nystagmus | Int J Ophthalmol | 2016 | Kim US, Cho E, Kim HJ. | 10.18240/ijo.2016.09.25 |
16 | Maternally inherited autosomal dominant intellectual disability caused by 16p13.3 microduplication | Eur J Med Genet | 2016 | Lee CG, Cho E, Ahn YM. | 10.1016/j.ejmg.2016.02.005 |
17 | Characteristics of BRCA1/2 mutations carriers including large genomic rearrangements in high risk breast cancer patients | Breast Cancer Res Treat | 2017 | Park B, Sohn JY, Yoon KA, Lee KS, cho eh, Lim MC, Yang MJ, Park SJ, Lee MH, Lee SY, Chang YJ, Lee DO, Kong SY, Lee ES. | 10.1007/s10549-017-4142-7 |
18 | Novel Mutation (c.8725T>C) in Two Siblings With Late-Onset LAMA2-Related Muscular Dystrophy | Ann Lab Med | 2017 | Kim MW, Jang DH, Kang J, Lee S, Joo SY, Jang JH, cho eh, Choi YC, Lee JH. | 10.3343/alm.2017.37.4.359 |
19 | Genetic and functional analysis of TBK1 variants in Korean patients with 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Neurobiol Aging | 2017 | Kim YE, Oh KW, Noh MY, Nahm M, Park J, Lim SM, Jang JH, cho eh, ki cs, Lee S, Kim SH. | 10.1016/j.neurobiolaging.2016.11.003 |
20 | Diagnostic yield of 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 to identify the genetic etiology of disorders of sex development | Mol Cell Endocrinol | 2017 | Kim JH, Kang E, Heo SH, Kim GH, Jang JH, cho eh, Lee BH, Yoo HW, Choi JH. | 10.1016/j.mce.2017.01.037 |
21 | Kallmann syndrome with a Tyr113His PROKR2 mutation | Medicine (Baltimore) | 2017 | Ha JH, Lee S, Kim Y, Moon JI, Seo J, Jang JH, cho eh, Kim JM, Rhee BD, Ko KS, Yoo SJ, Won JC. | 10.1097/MD.0000000000007974 |
22 | Carrier frequency of Wilson's disease in the Korean population: a DNA-based approach | J Hum Genet | 2017 | Jang JH, Lee T, Bang S, Kim YE, cho eh. | 10.1038/jhg.2017.49 |
23 |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variants in genes related to channelopathy and cardiomyopathy in Korean sudden cardiac arrest survivors | J Hum Genet | 2017 | Song JS , Kang JS, Kim YE, Park SJ, Park KM, Huh J, Kim JS, Cho H, ki cs , On YK. | 10.1038/jhg.2017.8 |
24 | Findings of a 1303 Korean whole-exome sequencing study | Exp Mol Med | 2017 | Kwak SH, Chae J, Choi S, Kim MJ, Choi M, Chae JH, cho eh, Hwang TJ, Jang SS, Kim JI, Park KS, Bang YJ. | 10.1038/emm.2017.142 |
25 | A De Novo RAPGEF2 Variant Identified in a 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 Impairs Microtubule Stability and Axonal Mitochondria Distribution | Exp Neurobiol | 2018 | Heo K, Lim SM, Nahm M, Kim YE, Oh KW, Park HT, ki cs, Kim SH, Lee S. | 10.5607/en.2018.27.6.550 |
26 | Analysis of frontotemporal dementia,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other dementia-related genes in 107 Korean patients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 Neurobiol Aging | 2018 | Kim EJ, Kim YE, Jang JH, cho eh, Na DL, Seo SW, Jung NY, Jeong JH, Kwon JC, Park KH, Park KW, Lee JH, Roh JH, Kim HJ, Yoon SJ, Choi SH, Jang JW, ki cs, Kim SH. | 10.1016/j.neurobiolaging.2018.06.031 |
27 | First Molecular Diagnosis of a Patient with Unverricht-Lundborg Disease in Korea | Yonsei Med J | 2018 | Kim KH, Song JS, Park CW, ki cs, Heo K. | 10.3349/ymj.2018.59.6.798 |
28 | Phenotypic Analysis of Korean Patients with Abnormal Chromosomal Microarray in Patients with Unexplained Developmental Delay/Intellectual Disability | Yonsei Med J | 2018 | Kim HJ, Park CI, Lim JW, Lee GM, Cho E, Kim HJ. | 10.3349/ymj.2018.59.3.431 |
29 | Bronchiectasis an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with a De Novo STAT1 Gain-of-Function Variant: First Case in Korea | Yonsei Med J | 2018 | Huh HJ, Jhun BW, Choi SR, Kim YJ, Yun SA, Nham E, Kong T, ki cs, Koh WJ. | 10.3349/ymj.2018.59.8.1004 |
30 | Clinically significant maternal X chromosomal copy number variation detected by noninvasive prenatal test | J Obstet Gynaecol Res | 2019 | Kim SC, Cha DH, Jeong HR, Lee J, Jang JH, Cho EH. | 10.1111/jog.14033 |
31 | Genome-wide copy number alteration and VEGFA amplification of circulating cell-free DNA as a biomarker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Sorafenib | BMC Cancer | 2019 | Oh CR, Kong SY, Im HS, Kim HJ, Kim MK, Yoon KA, Cho EH, Jang JH, Lee J, Kang J, Park SR, Ryoo BY. | 10.1186/s12885-019-5483-x |
32 | Genomic analysis of Korea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by use of a comprehensive next-generation sequencing panel and low-coverage, whole-genome sequencing | Investig Clin Urol | 2019 | Kang M, Cho E, Jang J, Lee J, Jeon Y, Jeong BC, Seo SI, Jeon SS, Lee HM, Choi HY, Jeon HG. | 10.4111/icu.2019.60.4.227 |
33 | Methylmalonic Acid and Homocysteine as Indicators of Vitamin B12 Deficienc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fter Gastrectomy | Nutrients | 2019 | Lee SM , Oh J, Chun MR, Lee SY. | 10.3390/nu11020450 |
34 | T-Cell Receptor Rearrangements Determined Using Fragment Analysis in Patients With T-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Ann Lab Med | 2019 | Kim H, Kim IS, Chang CL, Kong SY, Lim YT, Kong SG, cho eh, Lee EY, Shin HJ, Park HJ, Eom HS, Lee H. | 10.3343/alm.2019.39.2.125 |
35 | Two Novel Mutations (c.883-4_890del and c.1684C>G) of WDR62 Gene Associated With Autosomal Recessive Primary Microcephaly: A Case Report | Front Pediatr | 2019 | Yi YG, Lee DW, Kim J, Jang JH, Lee SM, Jang DH. | 10.3389/fped.2019.00457 |
36 | Genetic variants of PARK genes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Parkinson's disease | Neurobiol Aging | 2019 | Youn J, Lee C, Oh E, Park J, Kim JS, Kim HT, Cho JW, Park WY, Jang W, ki cs. | 10.1016/j.neurobiolaging.2018.10.030 |
37 | Multimodal imaging analyses in patients with genetic and sporadic forms of small vessel disease | Sci Rep | 2019 | Kim KW, Kwon H, Kim YE, Yoon CW, Kim YJ, Kim YB, Lee JM, Yoon WT, Kim HJ, Lee JS, Jang YK, Kim Y, Jang H, ki cs, Youn YC, Shin BS, Bang OY, Kim GM, Chung CS, Kim SJ, Na DL, Duering M, Cho H, Seo SW. | 10.1038/s41598-018-36580-0 |
38 | A novel SMAD6 variant in a patient with severely calcified bicuspid aortic valve and thoracic aortic aneurysm | Mol Genet Genomic Med | 2019 | Park JE, Park JS, Jang SY, Park SH, Kim JW, ki cs, Kim DK. | 10.1002/mgg3.620 |
39 | Different parental origins of supernumerary X chromosomes in brothers with Klinefelter syndrome: A case report | Medicine (Baltimore) | 2019 | Kim SH, Park MJ, cho eh, Kim S, Yoo SJ. | 10.1097/MD.0000000000017838 |
40 | De novo mutations in COL4A5 identified by whole exome sequencing in 2 girls with Alport syndrome in Korea | Korean J Pediatr | 2019 | Han KH, Park JE, ki cs. | 10.3345/kjp.2018.06772 |
41 | Author Correction: Multimodal imaging analyses in patients with genetic and sporadic forms of small vessel disease | Sci Rep | 2019 | Kim KW, Kwon H, Kim YE, Yoon CW, Kim YJ, Kim YB, Lee JM, Yoon WT, Kim HJ, Lee JS, Jang YK, Kim Y, Jang H, ki cs, Youn YC, Shin BS, Bang OY, Kim GM, Chung CS, Kim SJ, Na DL, Duering M, Cho H, Seo SW. | 10.1038/s41598-019-51400-9 |
42 |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QT3 variant with a selective efficacy of mexiletine treatment | Sci Rep | 2019 | Kim HJ, Kim BG, Park JE, ki cs, Huh J, Youm JB, Kang JS, Cho H. | 10.1038/s41598-019-49450-0 |
43 | Compound Heterozygous Pathogenic Variants of the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Gene in a Patient With Hypertrophic Osteoarthropathy: First Case in Korea | Ann Lab Med | 2019 | Ryu MR, Yang JH, Rhee SY, Cho A, Kim SY, ki cs. | 10.3343/alm.2019.39.1.105 |
44 | Is Cross-reactivity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 a Systematic Problem in the Xpert MTB/RIF Assay | Tuberc Respir Dis (Seoul) | 2019 | Huh HJ, Song DJ, ki cs, Lee NY. | 10.4046/trd.2018.0075 |
45 | GenoType NTM-DR Performance Evaluation for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avium Complex and Mycobacterium abscessus and Determination of Clarithromycin and Amikacin Resistance | J Clin Microbiol | 2019 | Huh HJ, Kim SY, Shim HJ, Kim DH, Yoo IY, Kang OK, ki cs, Shin SY, Jhun BW, Shin SJ, Daley CL, Koh WJ, Lee NY. | 10.1128/JCM.00516-19 |
46 |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the RealStar Pneumocystis jirovecii PCR Kit and the AmpliSens Pneumocystis jirovecii (carinii)-FRT PCR Kit for Detecting P. jirovecii in Non-HIV Immunocompromised Patients | Ann Lab Med | 2019 | Huh HJ, Lim KR, ki cs, Huh K, Shim HJ, Song DJ, Kim YJ, Chung DR, Lee NY. | 10.3343/alm.2019.39.2.176 |
47 | Comparison between DiaPlexQ™ STI6 and GeneFinder™ STD I/STD II multiplex Real-time PCR Kits in the detection of six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pathogens | J Clin Lab Anal | 2019 | Huh HJ, ki cs, Yun SA, Lee J, Oh GY, Lee NS, Yoon YH, Lee NY. | 10.1002/jcla.22703 |
48 | Challenges and Considerations in Sequence Variant Interpretation for Mendelian Disorders | Ann Lab Med | 2019 | Kim YE, ki cs, Jang MA. | 10.3343/alm.2019.39.5.421 |
49 | Ring Finger Protein 213 Variant and Plaque Characteristics, Vascular Remodeling, and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Stroke: A High-Resolu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emodynamic Study | J Am Heart Assoc | 2019 | Choi EH, Lee H, Chung JW, Seo WK, Kim GM, ki cs, Kim YC, Bang OY. | 10.1161/JAHA.119.011996 |
50 | Phe5notypic association of presence of a somatic GNAQ mutation with port-wine stain distribution in capillary malformation | Head Neck | 2019 | Lee KT, Park JE, Eom Y, Lim HS, ki cs, Lim SY. | 10.1002/hed.25962 |
51 |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Molecular Test for Mutations in the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A Prospective Study of BRAF-Prevalent Population | Int J Mol Sci | 2020 | Cho YY, Park SY, Shin JH, Oh YL, Choe JH, Kim JH, Kim JS, Yim HS, Kim YL, ki cs, Kim TH, Chung JH, Kim SW. | 10.3390/ijms21165629 |
52 | Genetic heterogeneity and prognostic impact of recurrent ANK2 and TP53 mutations in mantle cell lymphoma: a multi-centre cohort study | Sci Rep | 2020 | Jeong S, Park YJ, Yun W, Lee ST, Choi JR, Suh C, Jo JC, Cha HJ, Jeong JY, Chang H, Cha YJ, Kim H, Park MJ, Song W, cho eh, Jeong EG, Lee J, Park Y, Lee YS, Kim DJ, Lee HS. | 10.1038/s41598-020-70310-9 |
53 | Exon splicing analysis of intronic variants in multigene cancer panel testing for hereditary breast/ovarian cancer | Cancer Sci | 2020 | Ryu JS, Lee HY, cho eh, Yoon KA, Kim MK, Joo J, Lee ES, Kang HS, Lee S, Lee DO, Lim MC, Kong SY. | 10.1111/cas.14600 |
54 | From Genetic Testing to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RCA-Related Breast Cancer | Ann Lab Med | 2020 | ki cs . | 10.3343/alm.2020.40.2.99 |
55 | The First Korean Case of De Novo Proximal 4p Deletion Syndrome in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 Ann Lab Med | 2020 | Park S, Jeon BR, Lee YK, ki cs, Jang MA. | 10.3343/alm.2020.40.5.435 |
56 | High prevalence of increased sitosterol levels in hypercholesterolemic children suggest underestimation of sitosterolemia incidence | PLoS One | 2020 | Lee JH, Song DY, Jun SH, Song SH, Shin CH, ki cs, Lee K, Song J. | 10.1371/journal.pone.0238079 |
57 | Distribution and clinical impact of apolipoprotein E4 in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nd early mild cognitive impairment | Sci Rep | 2020 | Cho H, Kim YE, Chae W, Kim KW, Kim JW, Kim HJ, Na DL, ki cs, Seo SW. | 10.1038/s41598-020-69603-w |
58 | The First Korean Case of Baraitser-Winter Cerebro-Fronto-Facial Syndrome with a Novel Mutation in ACTB Diagnosed Via 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 and Literature Review | Ann Clin Lab Sci | 2020 | Choi GJ, Kim MS, Park H, Kim JY, Choi JM , Lee SM , Jang JH, Cho SY, Jin DK. | - |
59 | A Novel Heterozygous Missense Variant (c.667G>T;p.Gly223Cys) in USH1C That Interferes With Cadherin-Related 23 and Harmonin Interaction Causes Autosomal Dominant Nonsyndromic Hearing Loss | Ann Lab Med | 2020 | Song JS , Bahloul A, Petit C, Kim SJ, Moon IJ, Lee J, ki cs . | 10.3343/alm.2020.40.3.224 |
60 | Spontaneous Pisa syndrome in a patient with early-onset Alzheimer's disease | Neurol Sci | 2020 | Woo KA, Yoo D, ki cs, Lee JY. | 10.1007/s10072-019-04160-3 |
61 | PSEN1 variants in Korean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icious early-onset familial Alzheimer's disease | Sci Rep | 2020 | Kim YE, Cho H, Kim HJ, Na DL, Seo SW, ki cs. | 10.1038/s41598-020-59829-z |
62 | Carrier Frequency of Spinal Muscular Atrophy in a Large-scale Korean Population | Ann Lab Med | 2020 | Park JE, Yun SA, Roh EY, Yoon JH, Shin S, ki cs. | 10.3343/alm.2020.40.4.326 |
63 | Flow Cytometry for the Diagnosis of Primary Immunodeficiency Diseas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Allergy Asthma Immunol Res | 2020 | Kwon WK, Choi S, Kim HJ, Huh HJ, Kang JM, Kim YJ, Yoo KH, Ahn K, Cho HK, Peck KR, Jang JH, ki cs, Kang ES. | 10.4168/aair.2020.12.2.292 |
64 | Determining the best candidates for next-generation sequencing-based gene panel for evaluation of early-onset epilepsy | Mol Genet Genomic Med | 2020 | Lee J, Lee C, ki cs, Lee J. | 10.1002/mgg3.1376 |
65 | Genotype-Rel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yocardial Fibrosi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rognosis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J Clin Med | 2020 | Kim HY, Park JE, Lee SC, Jeon ES, On YK, Kim SM, Choe YH, ki cs, Kim JW, Kim KH. | 10.3390/jcm9061671 |
66 | Analysis of dementia-related gene variants in APOE ε4 noncarrying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Alzheimer's disease | Neurobiol Aging | 2020 | Park JE, Kim HJ, Kim YE, Jang H, Cho SH, Kim SJ, Na DL, Won HH, ki cs, Seo SW. | 10.1016/j.neurobiolaging.2019.05.009 |
67 | A nonsense variant in NME5 causes human primary ciliary dyskinesia with radial spoke defects | Clin Genet | 2020 | cho eh , Huh HJ, Jeong I, Lee NY, Koh WJ, Park HC, ki cs . | 10.1111/cge.13742 |
68 | ANXA11 mutations in ALS cause dysregulation of calcium homeostasis and stress granule dynamics | Sci Transl Med | 2020 | Nahm M, Lim SM, Kim YE, Park J, Noh MY, Lee S, Roh JE, Hwang SM, Park CK, Kim YH, Lim G, Lee J, Oh KW, ki cs, Kim SH. | 10.1126/scitranslmed.aax3993 |
69 | The First Korean Family with Aarskog-Scott Syndrome Harboring a Novel Mutation in FGD1 Diagnosed via 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 | Ann Clin Lab Sci | 2020 | Bae GY, Kim MS, Kim JY, Jang JH, Lee SM, Cho SY, Jin DK. | - |
70 | Moyamoya Disease and Spectrums of RNF213 Vasculopathy | Transl Stroke Res | 2020 | Bang OY, Chung JW, Kim DH, Won HH, Yeon JY, ki cs, Shin HJ, Kim JS, Hong SC, Kim DK, Koizumi A. | 10.1007/s12975-019-00743-6 |
71 | The first familial case of inherite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with dysmorphic facies and behavioral abnormalities (IDDFBA) with a novel FBXO11 variant | Am J Med Genet A | 2020 | Lee CG, Seol CA, ki cs. | 10.1002/ajmg.a.61828 |
72 | COVID-19 Testing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the Need for Faster Diagnostics | Ann Lab Med | 2020 | Kim YJ, Sung H, ki cs, Hur M. | 10.3343/alm.2020.40.5.349 |
73 | Genome-wide and size-based cell-free DNA indices as predictive biomarkers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treated with preoperative or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 Curr Probl Cancer | 2021 | Kim EJ, Im HS, Lee J, Cho EH, Kim YH, Kim HR, Kim JH, Park SR. | 10.1016/j.currproblcancer.2020.100685 |
74 | Genomic mutation profiling using liquid biopsy in Korea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Circulating tumor DNA mutation predicts the development of castration resistance | Investig Clin Urol | 2021 | Yu J, Cho E, Choi J, Lim JE, Lee J, Kang M, Sung HH, Jeong BC, Seo SI, Jeon SS, Lee HM, Jeon HG. | 10.4111/icu.20200406 |
75 | Genomic Instability of Circulating Tumor DNA as a Prognostic Marker for Pancreatic Cancer Survival: A Prospective Cohort Study | Cancers (Basel) | 2021 | Woo SM, Kim MK, Park B, Cho EH, Lee TR, Ki CS, Yoon KA, Kim YH, Choi W, Kim DY, Hwang JH, Cho JH, Han SS, Lee WJ, Park SJ, Kong SY. | 10.3390/cancers13215466 |
76 | TERT Promoter Mutations and the 8th Edition TNM Classification in Predicting the Survival of Thyroid Cancer Patients | Cancers (Basel) | 2021 | Park J, Lee S, Kim K, Park H, ki cs, Oh YL, Shin JH, Kim JS, Kim SW, Chung JH, Kim TH. | 10.3390/cancers13040648 |
77 | Proposal of a New Prognostic Model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ith TERT Promoter Mutations | Cancers (Basel) | 2021 | Park J, Lee S, Park J, Park H, ki cs, Oh YL, Shin JH, Kim JS, Kim SW, Chung JH, Kim K, Kim TH. | 10.3390/cancers13122943 |
78 | Genetic Confirm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Variants for Glanzmann Thrombasthenia and Other Inherited Platelet Function Disorders: A Study by the Korean Pediatric Hematology Oncology Group (KPHOG) | Genes (Basel) | 2021 | Yang EJ, Shim YJ, Kim HS, Lim YT, Im HJ, Koh KN, Kim H, Suh JK, Park ES, Lee NH, Choi YB, Hah JO, Lee JM, Han JW, Lee JH, Lee YH, Jung HL, Ha JS, ki cs, | 10.3390/genes12050693 |
79 | A Population-Based Analysis of BRCA1/2 Genes and Associated Breast and Ovarian Cancer Risk in Korean Patients: A Multicenter Cohort Study | Cancers (Basel) | 2021 | Park KS, Lee W, Seong MW, Kong SY, Lee KA, Ha JS, cho eh, Han SH, Park I, Kim JW. | 10.3390/cancers13092192 |
80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estimation of Smith-Lemli-Opitz syndrome in East Asian populations by Genome Aggregation Database (gnomAD) based analysis | Orphanet J Rare Dis | 2021 | Park JE, Lee T, Ha K, ki cs. | 10.1186/s13023-021-01789-2 |
81 | Identification of de novo EP300 and PLAU variants in a patient with Rubinstein-Taybi syndrome-related arterial vasculopathy and skeletal anomaly | Sci Rep | 2021 | Park JE, Kim E, Lee DW, Park TK, Kim MS, Jang SY, Ahn J, Park KB, Kim KH, Park HC, ki cs, Kim DK. | 10.1038/s41598-021-95133-0 |
82 | A Novel De Novo Heterozygous ARID1A Missense Variant Cluster in cis c.[5954C>G;6314C>T;6334C>T;6843G>C] causes a Coffin-Siris Syndrome | Ann Lab Med | 2021 | Lee CG, ki cs. | 10.3343/alm.2021.41.3.350 |
83 | Metaphyseal Dysplasia Without Hypotrichosis Caused by RNA Component of Mitochondrial RNA-Processing Endoribonuclease (RMRP) Gene Variants: The First Case in Korea | Ann Lab Med | 2021 | Namgoong H, ki cs, Hyun H, Yoo IH, Cho WK, Lee JH, Oh JH. | 10.3343/alm.2021.41.3.346 |
84 | Genetic Analysis of Korean Adult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 Suspected of Primary Ciliary Dyskinesia Using Whole Exome Sequencing | Yonsei Med J | 2021 | cho eh , ki cs , Yun SA, Kim SY, Jhun BW, Koh WJ, Huh HJ, Lee NY. | 10.3349/ymj.2021.62.3.224 |
85 | Genomic Analysis of Korean Patient With Microcephaly | Front Genet | 2021 | Lee J, Park JE, Lee C, Kim AR, Kim BJ, Park WY, ki cs, Lee J. | 10.3389/fgene.2020.543528 |
86 | Case report of juvenile polyposis/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syndrome: first report in Korea with a novel mutation in the SMAD4 gene | Transl Pediatr | 2021 | Kang B, Hwang SK, Choi S, Kim ES, Lee SY, ki cs, Cho eh, Lee JH, Choe BH. | 10.21037/tp-21-12 |
87 | Genetic Analysis Using a Next Generation Sequencing-Based Gene Panel in Patients With Skeletal Dysplasia: A Single-Center Experience | Front Genet | 2021 | Kim SJ, Lee SM, Choi JM, Jang JH, Kim HG, Kim JT, Cho JH, Sohn YB. | 10.3389/fgene.2021.670608 |
88 | Comparison of Longitudinal Changes of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Markers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nd Without NOTCH3 Variant: A 5-Year Follow-Up Study | Front Neurol | 2021 | Yoon CW, Kim YE, Kim HJ, ki cs, Lee H, Rha JH, Na DL, Seo SW. | 10.3389/fneur.2021.586366 |
89 | A boy with Coffin-Siris syndrome with a novel frameshift mutation in ARID1B | Neuro Endocrinol Lett | 2021 | Park H, Kim MS, Kim J, Jang JH, Choi JM, Lee SM, Cho SY, Jin DK. | - |
90 | Genetic Evaluation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with Gland in situ Using Targeted Exome Sequencing | Ann Clin Lab Sci | 2021 | Shin JH, Kim HY, Kim YM, Lee H, Bae MH, Park KH, Lee SM, Kwak MJ. | - |
91 | Prevalence of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related TGFBI p.R124H variant in a South Korean population | Mol Vis | 2021 | Park JE, Yun SA, Roh EY, Yoon JH, Shin S, ki cs. | - |
92 | Genetic Profile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of 150 Korean Patients with Retinitis Pigmentosa | J Ophthalmol | 2021 | Kim YN, Kim YJ, Seol CA, Seo EJ, Lee JY, Yoon YH. | 10.1155/2021/5067271 |
93 | Development of Crohn's Disease in a Child With SLC26A3-related Congenital Chloride Diarrhea: Report of the First Case in East Asia and a Novel Missense Variant | Ann Lab Med | 2021 | Kim ES, Song JS, ki cs, Choe YH, Kang B. | 10.3343/alm.2021.41.2.255 |
94 | A late-onset male Fabry disease patient with somatic mosaicism of a classical GLA mutation: a case report | Ann Palliat Med | 2021 | Bae EH, Choi JM, ki cs, Ma SK, Yoo HW, Kim SW. | 10.21037/apm-19-635 |
95 | Prenatal diagnosis of combined methylmalonic acidemia and homocystinuria cobalamin C type using clinical exome sequencing and targeted gene analysis | Mol Genet Genomic Med | 2021 | Hwang N, Jang JH, cho eh, Choi R, Choi SJ, Park HD. | 10.1002/mgg3.1838 |
96 | Urinary Microbiome Characteristics in Female Patients with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and Recurrent Cystitis | J Clin Med | 2021 | Yoo JJ, Shin HB, Song JS, Kim M, Yun J, Kim Z, Lee YM, Lee SW, Lee KW, Kim WB, Ryu CB, Park SW, Park SK, Song HY, Kim YH, On The Behalf Of Sms Soonchunhyang Microbiome Multi-Disciplinary Study Group. | 10.3390/jcm10051097 |
97 | Recent Advanc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 Pediatr Gastroenterol Hepatol Nutr | 2021 | ki cs . | 10.5223/pghn.2021.24.1.1 |
98 | Response of Clinical Laboratories to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 Ann Lab Med | 2021 | Kim YJ, Sung H, ki cs, Hur M. | 10.3343/alm.2021.41.6.519 |
99 |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using cell-free DNA fragment distance for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aiD-NIPT) | Front Genet | 2022 | Lee J, Lee SM, Ahn JM, Lee TR , Kim W, Cho EH, Ki CS . | 10.3389/fgene.2022.999587 |
100 | Targeted next generation sequencing of circulating tumor DNA provides prognost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 Ann Transl Med | 2022 | Shim H, Kwon MJ, Park IH, Kim MK, cho eh, Lee J, Lee ST, Sim SH, Lee KS, Kim YH, Kim SK, Lee ES, Kong SY. | 10.21037/atm-21-4881 |
101 | Aberrant Transcript Usage Is Associated with 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 and Predicts Therapeutic Response | Cancer Res | 2022 | Kang HG, Hwangbo H, Kim MJ, Kim S, Lee EJ, Park MJ, Kim JW, Kim BG, cho eh, Chang S, Lee JY, Choi JK. | 10.1158/0008-5472.CAN-21-2023 |
102 | Molecular classification of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based on TERT promoter mutations | Mod Pathol | 2022 | Park H, Shin HC, Yang H, Heo J, ki cs, Kim HS, Kim JH, Hahn SY, Chung YJ, Kim SW, Chung JH, Oh YL, Kim TH. | 10.1038/s41379-021-00907-6 |
103 | Clin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with ANXA11 variants | Brain Commun | 2022 | Sung W, Nahm M, Lim SM, Noh MY, Lee S, Hwang SM, Kim YH, Park J, Oh KW, ki cs, Kim YE, Kim SH. | 10.1093/braincomms/fcac299 |
104 | Whole-genome Sequencing Reveals a Novel Structural Variant of CCDC39 in a Term Neonate with Primary Ciliary Dyskinesia | Ann Lab Med | 2022 | Shin JH, Lee SM, Kim HH, Kim JK. | 10.3343/alm.2022.42.4.500 |
105 | Hypertriglyceridemia with acute pancreatitis in a 14-year-old girl with diabetic ketoacidosis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2 | Park H, Kim MS, Kim J, Lee SM, Cho SY, Yoo EG, Jin DK. | 10.6065/apem.2040250.125 |
106 | Genetic Screening in Korean Patients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Syndrome | J Alzheimers Dis Rep | 2022 | Kim EJ, Na DL, Kim HJ, Park KW, Lee JH, Roh JH, Kwon JC, Yoon SJ, Jung NY, Jeong JH, Jang JW, Kim HJ, Park KH, Choi SH, Kim S, Park YH, Kim BC, Youn YC, ki cs, Kim SH, Seo SW, Kim YE. | 10.3233/ADR-220030 |
107 | De novo mutations in SOD1 are a cause of ALS |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 2022 | Muller K, Oh KW, Nordin A, Panthi S, Kim SH, Nordin F, Freischmidt A, Ludolph AC, ki cs, Forsberg K, Weishaupt J, Kim YE, Andersen PM. | 10.1136/jnnp-2021-327520 |
108 | Wilson disease diagnosed incidentally by 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 in a Korean boy with severe obesity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2 | Im M, Song A, Kim J, Kim MS, Lee SM, Kim MJ, Cho SY, Jin DK. | 10.6065/apem.2142042.021 |
109 | Pharmacokinetics and Genetic Factors of Atorvastatin in Healthy Korean Subjects | Front Genet | 2022 | Kim S, Seo JD, Yun YM, Kim H, Kim TE, Lee T, Lee TR, Lee JH, cho eh, ki cs. | 10.3389/fgene.2022.836970 |
110 | Gardnerella vaginalis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Dysbiosis of the Bladder Microbiome | J Clin Med | 2022 | Yoo JJ, Song JS, Kim WB, Yun J, Shin HB, Jang MA, Ryu CB, Kim SS, Chung JC, Kuk JC, Shin EJ, Song HY, Yu BC, Lee ES, Ryu S, Kim JH, Jung SS, Kim YH, On Behalf Of The Sms Soonchunhyang Microbiome Multi-Disciplinary Study Group. | 10.3390/jcm11092295 |
111 | Genetic Analysis of Cardiac Syncope-Related Genes in Korean Patients with Recurrent Neurally Mediated Syncope | J Cardiovasc Dev Dis | 2022 | Lee SH, Park JE, ki cs, Park SJ, On YK, Park KM, Kim JS. | 10.3390/jcdd9080265 |
112 | Osteoarthritis improvement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extract in relation to genotype | Int J Vitam Nutr Res | 2022 | Lee T , Na CB, Kim D , Han HJ, Yun J, Park SK, Cho E . | 10.1024/0300-9831/a000745 |
113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estimation of familial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in East Asian populations by genome aggregation database (gnomAD) based analysis | Front Pediatr | 2022 | Park JE, Lee T, Ha K, cho eh, ki cs. | 10.3389/fped.2022.975665 |
114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estimation of RPE65-associated inherited retinal diseases in East Asian population by population database-based analysis | Orphanet J Rare Dis | 2022 | cho eh , Park JE, Lee T , Ha K, ki cs . | 10.1186/s13023-022-02566-5 |
115 | Plasma Circulating Cell-free DNA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In Vivo | 2023 | Kim DY, Cho EH , Kim JS, Chie EK, Kang HC . | 10.21873/invivo.13333 |
116 | Liquid biopsy using cfDNA to predict radiation therapy response in solid tumors | Radiat Oncol J | 2023 | Cho WK, Lee J, Youn SM, Oh D, Lim DH, Yoon HG, Cho EH , Noh JM. | 10.3857/roj.2022.00444 |
117 | Shallow Whole-Genome Sequencing of Cell-Free DNA (cfDNA) Detects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Predicts Patient Prognosis | Cancers (Basel) | 2023 | Bak SE, Kim H, Ho JY, Cho EH , Lee J, Youn SM, Park SW, Han MR, Hur SY, Lee SJ, Choi YJ. | 10.3390/cancers15020530 |
118 | Copy number aberrations in ctDNA enables prognosis predic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breast cancer | J Natl Cancer Inst | 2023 | Kim MH, Kim GM, Ahn JM , Ryu WJ, Kim SG, Kim JH, Kim TY, Han HJ, Kim JY, Park HS, Park S, Park BW, Kim SI, Jeong J, Lee J, Paik S, Kim S, Jung KH, Cho EH , Sohn J. | 10.1093/jnci/djad080 |
119 | Chromosomal Instability in Cell-free DNA as a Prognostic Biomarker of Metastatic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Treated with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 Eur Urol Focus | 2023 | Lee CU, Cho E, Lee J , Lim JE, Chung JH, Song W, Kang M, Sung HH, Jeong BC, Seo SI, Jeon SS, Lee HM, Jeon HG. | 10.1016/j.euf.2022.09.002 |
120 | Integrative modeling of tumor genomes and epigenomes for enhanced cancer diagnosis by cell-free DNA | Nat Commun | 2023 | Bae M, Kim G, Lee TR, Ahn JM , Park H, Park SR, Song KB, Jun E, Oh D, Lee JW, Park YS, Song KW, Byeon JS, Kim BH, Sohn JH, Kim MH, Kim GM, Chie EK, Kang HC, Kong SY, Woo SM, Lee JE, Ryu JM, Lee J, Kim D, Ki CS, Cho EH, Choi JK. | 10.1038/s41467-023-37768-3 |
121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ermline Pathogenic Variants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 Cancer Res Treat | 2023 | Ryu KH, Park S, Chun JW, Cho E, Choi J, Lee DE, Shim H, Kim YH, Han SS, Park SJ, Woo SM, Kong SY. | 10.4143/crt.2023.291 |
122 | ASO Visual Abstract: Selection Criteria for Completion Thyroidectomy in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Using Primary Tumor Size and TERT Promoter Mutational Status | Ann Surg Oncol | 2023 | Park H, Heo J, ki cs, Shin JH, Oh YL, Son YI, Kim JS, Kim SW, Chung JH, Kim TY, Kim TH, Kim JH. | 10.1245/s10434-023-13146-7 |
123 | Selection Criteria for Completion Thyroidectomy in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Using Primary Tumor Size and TERT Promoter Mutational Status | Ann Surg Oncol | 2023 | Park H, Heo J, ki cs, Shin JH, Oh YL, Son YI, Kim JS, Kim SW, Chung JH, Kim TY, Kim TH, Kim JH. | 10.1245/s10434-022-13089-5 |
124 | Age-associated mortality is partially mediated by TERT promoter mutation statu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 PLoS One | 2023 | Heo J, Lee S, Park J, Yang H, Park H, ki cs, Oh YL, Kim HI, Kim SW, Chung JH, Kim K, Kim TH. | 10.1371/journal.pone.0294145 |
125 | Clinically relevant core genes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in clinical NGS panel testing | Blood Res | 2023 | Song JS . | 10.5045/br.2023.2023196 |
126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of alpha-mannosidosis: population database-based study-focus on the East Asian and Korean population | Front Genet | 2023 | Park JE, Lee T, Ha K, cho eh, ki cs. | 10.3389/fgene.2023.1297543 |
127 | A case of Type A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a 14-year-old girl without common clinical features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3 | Lee N, Jeong J, Park H, ki cs, Kim JK. | 10.6065/apem.2244106.053 |
128 | A Korean boy with a CHD8 mutation who presented with overgrow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3 | Kim C, Kim MS, Noh ES, Bae GY, Jang JH, Lee SM, Cho SY, Lee J, Jin DK. | 10.6065/apem.2244130.065 |
129 | First female Korean child with Coffin-Lowry syndrome: a novel variant in RPS6KA3 diagnosed by exome sequencing and a literature review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3 | Song A, Im M, Kim MS, Noh ES, Kim C, Jang J, Lee SM, ki cs, Cho SY, Jin DK. | 10.6065/apem.2142134.067 |
130 | Identification of two novel COL3A1 variants in patients with vascular Ehlers-Danlos syndrome | Mol Genet Genomic Med | 2023 | Heo WY, Jang SY, Park TK, ki cs, Kim JW, Kim DK, Jang JH. | 10.1002/mgg3.2240 |
131 | Differential Diagnosis of 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and/or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after Identification of Two Novel EIF2AK4 Variants by Whole-Exome Sequencing | Mol Syndromol | 2023 | Park JE, Chang SA, Jang SY, Lee KS, Kim DK, ki cs. | 10.1159/000527524 |
132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a gnomAD-based study | Pediatr Res | 2023 | Park JE, Lee T, Ha K, cho eh, ki cs. | 10.1038/s41390-023-02685-0 |
133 | Role of NCKAP1 in the Defective Phagocytic Function of Microglia-Like Cells Derived from Rapidly Progressing Sporadic ALS | Mol Neurobiol | 2023 | Noh MY, Kwon MS, Oh KW, Nahm M, Park J, Kim YE, ki cs, Jin HK, Bae JS, Kim SH. | 10.1007/s12035-023-03339-2 |
134 | An analysis of variants in TARDBP in the Korean population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omparison with previous data | Sci Rep | 2023 | Sung W, Kim JA, Kim YS, Park J, Oh KW, Sung JJ, ki cs, Kim YE, Kim SH. | 10.1038/s41598-023-45593-3 |
135 | Novel In-Frame Deletion CNOT3 Variant in a Family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With Speech Delay and Dysmorphic Facies | Neurol Genet | 2024 | Lee CG, Kim HJ, Seol CA, ki cs. | 10.1212/NXG.0000000000200116 |
136 | Resistance to thyroid hormone and nonfunctioning pituitary microadenoma in a 13-year-old boy with THRB mutation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4 | Kim J, Noh ES, Kim MS, Choi JM, Lee SM, Cho SY. | 10.6065/apem.2346056.028 |
137 | Progranulin haploinsufficiency mediates cytoplasmic TDP-43 aggregation with lysosomal abnormalities in human microglia | J Neuroinflammation | 2024 | Sung W, Noh MY, Nahm M, Kim YS, ki cs, Kim YE, Kim HJ, Kim SH. | 10.1186/s12974-024-03039-1 |
138 | Next-generation sequencing using tissue specimen collected with a 1.1 mm-diameter cryoprob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Respirology | 2024 | Kim MH, Kim SH, Lee G, Mok J, Lee MK, Song JS, Eom JS. | 10.1111/resp.14680 |
139 | 16S rRNA Next-Generation Sequencing May Not Be Useful for Examining Suspected Cases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 Medicina (Kaunas) | 2024 | Yang CJ, Song JS, Yoo JJ, Park KW, Yun J, Kim SG, Kim YS. | 10.3390/medicina60020289 |
140 | Genetic evaluation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of children with short stature: a single tertiary-center experience |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 2024 | Kim SJ, Joo E, Park J, Seol CA, Lee JE. | 10.6065/apem.2346036.018 |
141 | Whole-Exome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T Cell Receptor β and γ Repertoires in Rheumatoid Arthritis | Diagnostics (Basel) | 2024 | Cho J, Kim J, Song JS, Uh Y, Lee JH, Lee HS. | 10.3390/diagnostics14050529 |
142 | KCNJ3 is a novel candidate gene for autosomal dominant pure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identified using whole genome sequencing |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 2024 | Lee WW, Lee CG, ki cs. | 10.1002/ajmg.b.32984 |
143 |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 case reports of siblings with deletions of the GPIHBP1 gene | BMC Endocr Disord | 2024 | Kim KY, Heo YJ, Ko JM, Lee YA, Shin CH, ki cs, Lee YJ. | 10.1186/s12902-024-01574-9 |
144 | Cartilage-hair hypoplasia-anauxetic dysplasia spectrum disorders harboring RMRP mutations in two Korean children: A case report | Medicine (Baltimore) | 2024 | Park JH, Im M, Kim YJ, Jang JH, Lee SM, Kim MS, Cho SY. | 10.1097/MD.0000000000037247 |
145 | Deep learning model integrating cfDNA methylation and fragment size profiles for lung cancer diagnosis | Medicine (Baltimore). |
2024 |
Kim M, Park J, Seonghee Oh , Jeong BH, Byun Y, Shin SH, Im Y, Cho JH, Cho EH. | 10.1038/s41598-024-63411-2 |
146 | Prevalence Estimation of the PALB2 Germline Variant in East Asians and Koreans through Population Database Analysis | Sci Rep |
2024 |
Park JE, Kang MC, Lee T, Cho EH , Jang MA, Won D, Park B, Ki CS , Kong SY. | 10.3390/cancers16193318 |
147 | The clinical relevance of surgical specimens for RNA sequencing in lung cancer: a cohort study | Cancers (Basel) |
2024 |
Eom JS, Kim SH, Kim K, Kim A, Ahn HY, Mok J, Cho JS, Lee MK, Song JS , Kim MH. | 10.3389/fonc.2024.1462519 |
148 | Carrier Frequency and Incidence of MUTYH-Associated Polyposis Based on Database Analysis in East Asians and Koreans | Front Oncol |
2025 |
Park JE, Lee T, Cho EH, Jang MA, Won D, Park B, Ki CS , Kong SY. | 10.3343/alm.2024.0242 |
149 | PALB2 germline pathogenic variants: frequency, clinical features, and functional analysis of c.3350+5G>A variant in 3987 Korean cancer patients | Ann Lab Med |
2025 |
Kang MC, Lee S, Kim H, Kang HS, Jung SY, Hwang JA, Kwon J, Lee KS, Lim MC, Park SY, Sim SH, Choi W, Park JE, Cho EH, Kong SY. | 10.1016/j.esmoop.2024.104132 |
150 | Integrating Plasma Cell-Free DNA Fragment End Motif and Size with Genomic Features Enables Lung Cancer Detection | ESMO Open | 2025 | Lee TR, Ahn JM, Lee J, Kim D, Park J, Jeong BH, Oh D, Kim SM, Jung GC, Choi BH, Kwon MJ, Wang M, Salmans M, Carson A, Leatham B, Fathe K, Lee BI, Jung B, Ki CS , Park YS, Cho EH . | 10.1158/0008-5472.CAN-24-1517 |
151 | Microbial and Immune Landscape of Malignant Ascites: Insights from Gut, Bladder, and Ascitic Fluid Analyses | Cancers (Basel) | 2025 | Yun J, Song JS , Yoo JJ, Kweon S, Choi YY, Lim D, Kuk JC, Kim HJ, Park SK. | 10.3390/cancers17081280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