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9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08월 14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디와이덕양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윤성희, 배운교, 문경호 |
본 점 소 재 지 : | 울산광역시 북구 효암로 366 |
(전 화) 052)219-1114 | |
(홈페이지) http://www.dydeokyang.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성 명) 정 영 찬 |
(전 화) 052)219-1114 | |
우리는 당사의 대표이사 및 신고업무담당이사로서 이 공시서류의 기재내용에 대해 상당한 주의를 다하여 직접 확인·검토한 결과, 중요한 기재사항의 기재 또는 표시의 누락이나 허위의 기재 또는 표시가 없고, 이 공시서류에 표시된 기재 또는 표시사항을 이용하는 자의 중대한 오해를 유발하는 내용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하였음을 확인합니다.
또한, 당사는「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8조의 규정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음을 확인합니다.
2025. 08. 14
【디와이덕양 주식회사】
대표이사 【배 운 교】 (서명) 신고업무담당이사 【정 영 찬】 (서명)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가. 공시대상기간 중 주요변동내역
1977.07. 회사설립 (자본금 1억, 초대 대표이사 사장 홍인표 취임)
1987.09. 기업부설연구소설립인가 (과학기술처)
1997.01. 노사협력 우량기업 선정 (노동부)
1997.06. 주식상장(한국증권거래소)
2000.07. ㈜덕양 흡수합병
2003.04. ISO / TS16949 : 2002 품질경영시스템인증
2005.01. KS-A 14001:2001 / ISO 14001:1996 환경경영시스템인증
2005.01. K-OHSMS 18001:2001 / OHSAS 18001:1999 안전경영보건시스템 인증
2008.12. IT이노베이션 대상 국무총리상 수상(행정안전부)
2009.03. 신기술개발 우수사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수상(교육과학기술부)
2011.03. 제23회 울산상공대상 기술대상 수상
2011.11. 2011년 GWP 일하기 좋은 100대기업 수상
2012.03 한국상공대상 산업포장 수상(행정안전부)
2014.09 경주공장 준공
2015.05 북경덕양중차 가동
2017.08 중경덕양중차 가동
2021.01 DUCKYANG AMERICA INC 설립(배터리모듈제조기업)
2021.02. 기술혁신대상(한국자동차공학회)
2021.10 ㈜디에스에스에너셀 설립(전기자동차 배터리부품 전문기업)
2021.11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국무총리상 수상(산업통상자원부)2022.11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유공부문 장관 표창 수상(산업통상자원부)2023.02 ㈜디엔씨배터리솔루션설립(전기자동차 배터리부품 전문기업)2023.05 북경덕양중차와 중경덕양중차 합병(존속법인 : 북경덕양중차)
2023.07 DYIC(덕양이노베이션센터) 설립2024.07 PT VARIA DUCKYANG INDONESIA 설립(인도네시아 합작법인, 출자 20%)2024.11 국가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장관상 12회 수상(산업통상자원부)2024.12 10억불 수출의탑 수상(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협회)
2025.04 사명변경(덕양산업→디와이덕양)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 대표이사는 각자대표로 윤성희, 배운교, 문경호 총 3명이며, 최근 5사업연도의 경영진 및 감사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2020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강문철 | 감사 박상일 | 사외이사 이인식 |
2020년 09월 20일 | 임시주총 | 대표이사 한상욱 | - | - |
2021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서종환 | 사내이사 이국진 | 사외이사 강우 |
2022년 03월 29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박장우 | 대표이사 윤성희대표이사 손동인사내이사 하란수 | - |
2023년 03월 29일 | 정기주총 | - | 대표이사 한상욱사외이사 강문철감사 박상일 | - |
2023년 06월 13일 | - | - | - | 대표이사 손동인(사임) |
2023년 07월 11일 | 임시주총 | 대표이사 정홍규 | - | - |
2024년 02월 20일 | - | - | - | 대표이사 한상욱(사임) |
2024년 03월 26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송기봉 | 사내이사 이국진사외이사 서종환 | - |
2024년 12월 31일 | - | - | - | 사내이사 송기봉(사임) |
2025년 03월 25일 | 정기주총 | 대표이사 문경호 | 대표이사 윤성희사내이사 하란수사외이사 박장우 | - |
2025년 04월 30일 | - | - | - | 대표이사 정홍규(사임) |
2025년 05월 14일 | - | - | - | 감사 박상일(사임) |
2025년 06월 24일 | 임시주총 | 대표이사 배운교감사 박장우 | - | 사외이사 박장우(사임) |
다.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당사 본점소재지는 울산광역시 북구 효암로 366이며, 최근 5사업연도 중 본점소재지의 변경이 없습니다.
자본금 변동추이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49기 (2025년 반기말) |
48기 (2024년말) |
47기(2023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32,564,980 | 32,564,980 | 32,564,980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
자본금 | 16,282,490,000 | 16,282,490,000 | 16,282,49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합계 | 자본금 | 16,282,490,000 | 16,282,490,000 | 16,282,490,000 |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 ) |
취득방법 | 주식의 종류 | 기초수량 | 변동 수량 | 기말수량 | 비고 | ||||
---|---|---|---|---|---|---|---|---|---|
취득(+) | 처분(-) | 소각(-) | |||||||
배당가능이익범위이내취득 | 직접취득 | 장내 직접 취득 | |||||||
장외직접 취득 | |||||||||
공개매수 | |||||||||
소계(a) | |||||||||
신탁계약에 의한취득 | 수탁자 보유물량 | ||||||||
현물보유물량 | |||||||||
소계(b) | |||||||||
기타 취득(c) | |||||||||
총 계(a+b+c) | |||||||||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자동차부품산업은 품질, 기술 등의 이유로 완성차산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자동차산업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자동차산업은 철강, 화학, 전기, 전자 등의 산업과 2만여개의 부품을 제조하는 부품업체들이 연계되어 있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높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5년 세계 자동차 시장 판매는 중국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물가 안정과 금리인하,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구매 여건 개선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로 3.3% 증가한 9,471만대 규모가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자동차는 대표적인 내구재 상품으로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한 선진시장에서는 이런 관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4) 경쟁요소
자동차산업은 개발과 생산에 막대한 시설투자와 개발비가 소요되어 생산수량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생산비용의 감소효과(규모의 경제 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규업체의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자동차부품산업 또한 기술과 품질이 중요시되고, 완성차업체의 주문에 의해 생산 및 판매가 독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효과가 그대로 나타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1977년 7월 11일 설립된 당사는 자동차용 내장재인 Cockpit Module(Crash Pad), Door Trim, Anti-Vibration Pad 등을 생산하는 자동차부품 전문생산업체로서 생산품의 대부분을 현대자동차에 납품하고 있으며 1997년 6월 증권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1981년 현대자동차 부사장과 현대종합상사 대표이사를 역임한 故윤주원회장이 대표이사에 취임한 후 현재는 전문경영인이 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1999년 부품모듈화를 위해 미국의 비스티온 인터내셔널 홀딩스사와 자본제휴 관계를 유지해 오다 2014년 4월 2대주주였던 윤성희 대표이사가 비스티온의 지분을 인수하여 최대주주로서 회사 경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년 4월 현대모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북경모비스중차기차의 지분 및 경영권 인수를 완료하여 중국자동차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21년 3월 부터 신사업 분야인 BMA부품을 유럽과 미국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Cocpit Module시장은 자동차완성업체와 긴밀한 협력관계하에서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성차업체의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시장의 정확한 시장점유율의 추정은 어려우나 현재 국내시장을 주도하는 현대기아자동차(주)와 협력관계에 있는 당사와 현대모비스(주) 그리고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주)와 협력관계에 있는 크레아아이엔,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등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습니다. 반면 BMA 시장은 주요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의 합리적 추정이 곤란하여 해당시장의 시장점유율은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현대자동차의 1차 부품협력업체로서 현대자동차와 영업상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완성차업체들이 추진하는 부품모듈화, 시스템화로 인하여 관련업체들로부터 납품받아 현대자동차에 동사의 제품을 모듈형태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신차개발계획에서부터 참여하여 신차종에 들어가는 부품의 금형 등을 제작하고 있으며, 생산관리 및 재고관리 부분에서도 현대자동차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주총회나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정된 결의 사항에 대해 즉시 공시를 하고 있으며 기타 주요한 투자내용은 자율공시를 통해 정보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주요상표등 | 매출액 | 비율 |
제조 | 제품등 | Crash Pad | 자동차부품 | 디와이덕양외 | 722,232 | 81.56% |
Door Trim | 자동차부품 | 디와이덕양 | 115,885 | 13.09% | ||
MEB 외 | 자동차부품 | 덕양아메리카 | 16,536 | 1.86% | ||
기타 | 자동차부품 | 디와이덕양외 | 30,864 | 3.49% | ||
합 계 | 885,517 | 1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원 ) |
품 목 | 주요상표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C/PAD | 디와이덕양 | 1,050,415 | 1,085,622 | 1,195,470 |
Door Trim | 디와이덕양 | 125,327 | 114,531 | 107,735 |
Carrier | 북경덕양 | - | - | 40,195 |
Cooling Plate | 덕양아메리카 | 46,462 | 41,169 | 39,406 |
※ 판매단가의 변동은 매출구성 변동 및 제품의 사양 변경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다.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매입액 | 비율 | 비 고 |
자동차부 품 | 원재료등 | CPM자재류 | CrashPad외 | 641,191 | 71.36% | 현대모비스외 |
대형프라스틱류 | 1,471 | 0.16% | 에코플라스틱외 | |||
스킨성형재료류 | 14,452 | 1.61% | LX하우시스외 | |||
전장및스위치류 | 118,301 | 13.16% | 유라코퍼레이션외 | |||
MEB자재류 | 15,266 | 1.70% | 티엔디외 | |||
기 타 | 107,905 | 12.01% | 한국석유공업외 | |||
계 | 898,586 | 100.00% |
라.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1)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별도)
(단위 :원 ) |
구 분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CPM자재류 | 51,933 | 53,068 | 51,895 |
대형프라스틱류 | 9,137 | 8,731 | 9,229 |
스킨성형재료류 | 8,642 | 6,142 | 4,214 |
전장및스위치류 | 3,683 | 3,762 | 3,857 |
ESS자재류 | - | - | 5,808 |
MEB자재류 | 6,790 | 4,088 | 5,024 |
※ 산출기준 - 원자재별 총평균단가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주요제품의 생산능력(별도)
(단위 : 개 ) |
사업부문 | 품 목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자동차부 품 | Cockpit Module | 417,651 | 858,000 | 883,231 |
Crash pad | 419,778 | 860,312 | 663,706 | |
Door Trim | 1,104,323 | 2,235,240 | 1,961,754 | |
MEB 외 | 2,000,000 | 4,000,000 | 4,000,000 | |
합 계 | 3,941,752 | 7,953,552 | 7,508,691 |
(3)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산출기준 - 차종별 Unit Per Hour를 기준으로 1일 작업시간 16시간반기작업일수 181일적용② 산출방법 - UPH ×16시간(1일작업시간) ×181일(반기작업일수)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별도)
(단위 : 개 ) |
사업부문 | 품 목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자동차부 품 | Cockpit Module | 345,114 | 696,258 | 723,568 |
Crash pad | 346,871 | 726,713 | 507,346 | |
Door Trim | 912,525 | 1,790,962 | 1,593,940 | |
MEB 외 | 633,602 | 1,186,040 | 3,886,712 | |
기타 | 229,577 | 423,146 | 676,565 | |
합 계 | 2,467,689 | 4,823,119 | 7,388,131 |
(3)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시간,% ) |
사업소(사업부문) | 가동가능시간 | 실제가동시간 | 평균가동률 |
자동차부품제조업(본사) | 448,052 | 370,235 | 82.63% |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종속회사 포함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 | 미상각액 | 당기상각액 | 비고 |
토지 | 67,995 | - | 67,995 | - | - |
건물 및 구축물 | 67,695 | (20,254) | 47,441 | (934) | - |
기계장치 | 71,213 | (40,259) | 30,954 | (1,928) | - |
차량운반구 | 4,571 | (2,543) | 2,028 | (184) | - |
공구기구 및 비품 | 52,950 | (40,927) | 12,023 | (2,050) | - |
사용권자산 | 13,780 | (7,700) | 6,080 | (1,394) | - |
합계 | 278,204 | (111,683) | 166,521 | (6,490) | - |
(2) 생산설비의 현황(별도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 | 미상각액 | 당기상각액 | 비고 |
토지 | 67,995 | - | 67,995 | - | - |
건물 및 구축물 | 59,656 | (16,980) | 42,676 | (866) | - |
기계장치 | 70,991 | (40,471) | 30,520 | (1,970) | - |
차량운반구 | 4,346 | (2,391) | 1,955 | (175) | - |
공구기구 및 비품 | 52,057 | (40,267) | 11,790 | (2,029) | - |
사용권자산 | 5,360 | (1,876) | 3,484 | (772) | - |
합계 | 260,405 | (101,985) | 158,420 | (5,812) | - |
(3)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 신차종 개발과 관련한 설비 및 금형에 대한 투자분임
① 진행중인 투자(별도 기준)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 | 구 분 | 투자기간 | 투자대상자산 | 투자효과 | 총투자액 | 기투자액 | 향후투자액 | 비 고 |
---|---|---|---|---|---|---|---|---|
자동차부품 | 증축 | 1년 | 건물 및 구축물 | 신차종개발 | 4,521 | 5,443 | - | - |
개발 | 1년 | 기계장치 | 신차종개발 | 17,488 | 4,081 | 13,407 | - | |
물류개선 | 1년 | 차량운반구 | 물류개선 | 495 | 162 | 333 | - | |
개발 | 1년 | 공구기구 | 신차종개발 | 2,253 | 1,766 | 487 | - | |
사무개선 | 1년 | 집기비품 | 신차종개발 | 1,942 | 350 | 1,592 | - | |
합 계 | 26,699 | 11,802 | 15,819 | - |
② 향후 투자계획(별도기준)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계획명칭 | 예상투자총액 | 투자효과 | 비고 | |
---|---|---|---|---|---|
자산형태 | 2025년 | ||||
자동차부품 | 증축 | 건물 | - | 신차종개발 | - |
개발 | 기계장치 | 13,407 | 신차종개발 | - | |
물류개선 | 차량운반구 | 333 | 물류개선 | - | |
개발 | 공구기구 | 487 | 신차종개발 | - | |
사무개선 | 집기비품 | 1,592 | 신차종개발 | - | |
합 계 | 15,819 | - |
※위 투자계획은 예상투자금액으로 실제투자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자동차부품 | 제품등 | CRASH PAD | 722,232 | 1,565,772 | 1,535,583 |
DOOR TRIM | 115,885 | 217,044 | 177,488 | ||
MEB 외 | 16,536 | 21,089 | 67,061 | ||
기 타 | 30,864 | 79,381 | 95,758 | ||
합 계 | 885,517 | 1,883,286 | 1,875,890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① 덕양산업 - 생산담당중역(1명), 생산관리팀장(1명), 생산관리팀원(14명)(2) 판매경로
① 본사
- 내수 : 발주서 접수(현대자동차, ON LINE) → 생산계획 수립(생산관리팀) → 생산(생산팀,BAR-CODE) → 검사(품질관리팀) → 적재(생산팀) → 출하(생산관리팀) → 납품(생산관리팀)
- 수출 : 매도확약서접수(현대자동차) → L/C OPEN → 공급요청서접수(현대자동차)(LOCAL) 생산관리팀 → 생산계획 수립(생산관리팀) → 생산(생산팀,BAR-CODE) → 검사(품질관리팀) → 적재(생산팀) → 출하(생산팀) → 납품(생산관리팀) → 인수증접수(자재관리팀) → L/C NEGO
(3) 판매방법 및 조건
① 본사 : 내수-전자어음, 수출-현금결제
(4) 판매전략
- 적기납품을 통한 고객불만 "0"화 실현- 적정재고관리시스템 운영을 통한 재고비용 절감- 전품목 불량율 SINGLE PPM달성을 통한 고객 품질만족 실현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자금부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회사의 현업부서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재무위험을 식별, 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신용위험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 뿐 아니라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을 제공합니다.
가. 시장위험
(1) 가격위험당사의 매출액은 완성차업체의 매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경기변동에 따른 가격변동보다는 원가절감 등에 따른 원가개선을 반영하여 가격이 변동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판매가격의 변동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은 타 산업보다 크지 않습니다. (2) 외환위험 연결실체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 통화는 CNY,USD입니다.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
구분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법인세비용 차감전 순이익 | 2,950 | (2,950) |
(3) 이자율위험 연결실체는 변동이자율 조건의 차입금으로 인하여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기말 현재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시 세전 당반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
구분 | 1%포인트 상승시 | 1%포인트 하락시 |
이자비용 | (276) | 276 |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회사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매출거래처와 은행 및 금융기관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합니다. 매출거래처의 경우 독립적으로 신용평가를 받는다면 평가된 신용등급이 사용되며, 독립적인 신용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고객의 개별적인 재무상태, 과거경험 등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에는 신용등급이 AA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용한도는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경영진은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 유동성위험
현금흐름의 예측은 회사의 재경팀이 수행하며,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자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채무를 적기에 이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잉여자금은 정기예금 등의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투자하고 있습니다.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2025.06.30 현재) |
종합연구소장(전무 1명) | ||
설계실 | 미래기술전략팀 | 신기술연구팀 |
책임연구원 8명 | 책임연구원 1명 | 책임연구원 2명 |
선임연구원 19명 | 선임연구원 1명 | 선임연구원 2명 |
주임연구원 8명 | 주임연구원 2명 | 주임연구원 2명 |
연구원 5명 | 연구원 0명 | 연구원 2명 |
연구원보 0명 | 연구원보 1명 | 연구원보 1명 |
40명 | 5명 | 9명 |
(2) 연구개발비용(별도기준)
(단위 :백만원) |
과 목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비 고 | |
원 재 료 비 | - | 1,255 | 655 | - | |
인 건 비 | - | 10,543 | 9,547 | - | |
감 가 상 각 비 | - | 186 | 254 | - | |
기 타 | - | 9,007 | 8,903 | - | |
연구개발비용 계 | - | 20,991 | 19,359 | -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 | 5,742 | 6,171 | - |
제조경비 | - | 15,249 | 13,188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 | 1.11% | 1.03% | - |
※ 제49기(2025) 연구개발비 지출내용은 기말에 표기할 예정입니다.
나. 연구개발 실적
당사의 부설연구소는 1987년 9월 설립되어 로타리조인트 등 산업재산권을 아래와 같이 등록하였으며, 신소재 개발을 위한 PSM 제조공법을 도입하였고, 운전석모듈 설계능력 제고를 위해 선진 해외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설계기술확보 및 현대자동차의 신차종 개발에 Guest Engineer로 참여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연구소의 인원 및 설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산업재산권 등록 현황]
1. 특허 -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2022)2. 특허 - 내장재 성형 금형(2022)
3. 특허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BMA 하우징(2022)4. 특허 -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절연성 검사 장치(2022)5. 특허 -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2022)6. 특허 -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2022)7. 특허 - HINGE STRUCTURE FOR AIR BAG DOOR(2022)8. 특허 -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2022)9. 특허 -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2022)10. 특허 - DOOR FOR VEHICLE(2022)11. 특허 - 일체형 다중커버를 갖는 배터리모듈(2022)12 .특허 - INPUT DEVICE FOR VEHICLE(2022)13. 특허 - 적층형 배터리셀에 대한 가압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2022)14. 특허 - 진공압력을 이용한 내장재 제조 장치(2022)15. 특허 - LOCALIZED OVER-MOLDING DIE STRUCTURE(2022)16. 특허 - 안전커버가 구비된 배터리모듈용 커넥터(2022)17. 특허 - 배터리셀의 리드탭용 레이저 용접방법(2022)18. 특허 - 용접조건을 달리한 배터리셀의 리드탭용 레이저 용접방법(2022)19. 특허 -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제조방법(2022)20. 특허 - 개폐형 커버구조를 갖는 배터리모듈(2022)21. 특허 - 충격저감형 결합구조가 부설된 일체형 카울크로스맴버(2022)22. 특허 - 접철식 커버구조를 갖는 배터리모듈(2022)23. 특허 - 회전 접속형 전기회로부가 구비된 배터리모듈(2022)24. 특허 - 버스바와 리드탭간 무용접 방식의 배터리모듈(2022)25. 특허 - 분체 도장 장치(2022)26. 특허 - 배터리모듈용 냉각플레이트(2022)27. 특허 - 배터리셀용 팽윤억제 케이스(2022)28. 특허 - 걸림고정형 스트랩이 구비된 배터리모듈(2022)29. 특허 - 가스배출용 파열부가 구비된 배터리모듈(2022)30. 특허 - 배터리팩용 버스바 고정브라켓(2022)31. 특허 - 배터리 셀 조립용 냉각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2022)32. 특허 - HVAC SYSTEM FOR VEHICLE(2022)33. 특허 - 차량용 입력기구(2022)34. 특허 - 차량용 도어(2022)35. 특허 - 버스바 매설형 커버구조를 갖는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팩(2022)36. 특허 -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2023)37. 특허 - 차량용 도어(2023)38. 특허 - 차량 내장부품의 스티치 프린팅 공법 및 스티치 프린팅 시스템(2023)39. 특허 -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2023)40. 특허 - 자율주행차량의 실내구조(2023)41. 특허 - 강화된 냉각성능을 갖는 배터리모듈(2023)42. 특허 - 개선된 조립성의 배터리팩용 하우징(2023)
43. 특허 - 차량용 배터리 팩 화재의 신속 소화 시스템(2023)44. 특허 - 자동차 내장재용 스킨(2023)
45. 특허 - 차량용 도어(2024)46. 특허 - 생분해성 복합소재의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차 내장재 제조 장치(2024)47. 특허 - 자동차용 도어트림(2024)48. 특허 - 자동차용 대쉬보드(2024)49. 특허 - 자동차용 콘솔(2024)50. 특허 - 개선된 공간 활용성과 강화된 강성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2024)51. 특허 -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2024)52. 특허 - 상하 냉각온도 편차를 개선하고 강화된 강성을 구비하는 배터리 냉각 시스템(2024)53. 특허 - 자동차 내장재 및 자동차 내장재 제조방법(2024)54. 특허 - 취출성 개선구조가 형성된 사출금형(2024)55. 특허 - 에어백 도어구조(2024)
56. 특허 - 개선된 열전달 효율과 강화된 강성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2024)57. 특허 - 블록화된 기밀 구조 및 강화된 강성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2025)58. 특허 - 경량의 보강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멤버(2025)59. 특허 - 경량의 진동소음저감형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멤버(2025)60. 특허 - 균등 병렬 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2025)61. 특허 - 배터리 모듈 제조 라인의 화재 진압 시스템(2025)62. 특허 - 개선된 단열 및 전자파 차폐 성능과 강화된 강성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2025)63. 특허 - 차량의 도어 암레스트 구조(2025)64. 특허 - 슬라이딩 도어 차량 오픈시 레일부를 가려주는 플랩부구조(2025)65. 특허 - 기재간 접합성을 개선한 자동차 내장재용 제조장치(2025)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요약재무정보(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유동자산] | 360,590 | 362,763 | 400,452 |
·당좌자산 | 338,530 | 341,227 | 380,020 |
·재고자산 | 22,060 | 21,536 | 20,432 |
[비유동자산] | 193,102 | 195,804 | 173,197 |
·투자자산 | 6,944 | 6,947 | 7,518 |
·유형자산 | 163,173 | 161,036 | 139,418 |
·무형자산 | 2,932 | 2,977 | 2,949 |
·기타비유동자산 | 20,053 | 24,844 | 23,312 |
자산총계 | 553,692 | 558,567 | 573,649 |
[유동부채] | 411,331 | 424,933 | 444,468 |
[비유동부채] | 42,084 | 31,941 | 38,119 |
부채총계 | 453,415 | 456,874 | 482,587 |
[자본금] | 16,282 | 16,282 | 16,282 |
[주식발행초과금] | 13,808 | 13,808 | 13,808 |
[이익잉여금] | 34,960 | 36,821 | 25,357 |
[기타자본구성요소] | 39,477 | 39,240 | 39,466 |
[비지배주주지분] | (4,250) | (4,458) | (3,851) |
자본총계 | 100,277 | 101,693 | 91,062 |
사업연도 | 2025.01.01~06.30 | 2024.01.01~12.31 | 2023.01.01~12.31 |
매출액 | 885,517 | 1,883,286 | 1,875,890 |
영업이익 | 2,487 | 8,230 | 27,728 |
당기순손익 | (243) | 16,683 | 4,450 |
지배회사지분순손익 | (239) | 16,848 | 12,419 |
비지배회사지분순이익 | (4) | (165) | (7,969) |
기본주당손익 | (7원) | 520원 | 383원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4 | 4 | 4 |
※ 원화정보이용시 유의사항제공되는 원화표시 재무정보는 외화표시 재무정보의 참고자료로서 환율적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니 이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요약재무정보(별도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유동자산] | 355,204 | 357,127 | 386,659 |
·당좌자산 | 340,318 | 347,544 | 378,419 |
·재고자산 | 14,886 | 9,583 | 8,240 |
[비유동자산] | 185,773 | 186,293 | 156,584 |
·종속기업투자주식 | 2,661 | 2,054 | 2,264 |
·투자자산 | 6,915 | 6,915 | 6,996 |
·유형자산 | 157,668 | 154,995 | 127,115 |
·무형자산 | 2,662 | 2,662 | 2,662 |
·기타비유동자산 | 15,867 | 19,667 | 17,547 |
자산총계 | 540,977 | 543,420 | 543,243 |
[유동부채] | 405,552 | 416,579 | 425,365 |
[비유동부채] | 41,016 | 30,448 | 33,613 |
부채총계 | 446,568 | 447,027 | 458,978 |
[자본금] | 16,282 | 16,282 | 16,282 |
[주식발행초과금] | 13,808 | 13,808 | 13,808 |
[이익잉여금] | 24,500 | 26,401 | 14,709 |
[기타자본구성요소] | 39,819 | 39,902 | 39,466 |
자본총계 | 94,409 | 96,393 | 84,265 |
종속기업투자주식 평가방법 | 지분법 | 지분법 | 지분법 |
사업연도 | 2025.01.01~06.30 | 2024.01.01~12.31 | 2023.01.01~12.31 |
매출액 | 878,261 | 1,879,199 | 1,839,600 |
영업이익 | 2,061 | 15,025 | 24,722 |
당기순손익 | (280) | 17,078 | 10,837 |
기본주당손익 | (9원) | 527원 | 334원 |
제 49 기 반기말 |
제 48 기말 |
|
---|---|---|
제 49 기 반기 |
제 48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
|||
제 49 기 반기 |
제 48 기 반기 |
|
---|---|---|
(1) 지배기업의 개요 지배기업인 디와이덕양 주식회사(구,덕양산업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1977년 7월 11일 설립되어 Cockpit Module(CrashPad), Anti-Vibration Pad 등 자동차내장부품을 생산하여 대부분의 제품을 현대자동차주식회사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1997년 6월 23일자로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울산광역시 북구에 본사와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주요 주주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재무제표는 회사와 회사의 종속기업(이하 통칭하여 '연결회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종속기업의 현황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당반기말 현재 주요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4)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비지배지분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1) 회계기준의 적용연결회사의 반기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연결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연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은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연결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추정과 판단①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 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 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반기연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연결회사의 회계정책 적용과 회계추정치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② 공정가치 측정연결회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 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 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 3 자 정보를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 3 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연결회사는 유의적인 평가에 관한 사항을 감사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연결회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수준 2: 수준 1 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연결회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 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하기에 기재된 사항을 제외하고 반기연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연결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연결회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회계정책의 변경은 연결회사의 2025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에도 반영될 것입니다. |
(1) 부문 구분의 근거경영진은 영업전략을 수립하는 이사회 등에서 검토되는 보고정보에 기초하여 영업부문을 결정하고 있으며, 자동차부품매출에 대하여 단일부문으로 성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연결회사 내 각 보고부문의 영업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중국 |
미국 |
중요한 조정사항 |
||
부문간 제거한 금액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중국 |
미국 |
중요한 조정사항 |
||
부문간 제거한 금액 |
|||||
A사 |
|
---|---|
A사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금융상품 |
국공채 및 지방채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금융상품 |
국공채 및 지방채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주식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요약재무정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선양화성덕양자동차부품유한회사
나. PT VARIA DUCKYANG INDONESIA
(3) 당반기 및 전기 중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지분법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형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
유형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자산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매출원가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
---|---|---|
매출원가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국민은행 - On-Lending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운전자금 |
Shinhan Bank America - 운전자금 |
차입금명칭 합계 |
|
---|---|---|---|---|---|---|
국민은행 - On-Lending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운전자금 |
Shinhan Bank America - 운전자금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운전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운전자금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국민은행 - On-Lending |
신한은행 - On-Lending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운전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운전자금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국민은행 - On-Lending |
신한은행 - On-Lending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산업은행 |
국민은행 |
하나은행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Cockpit Module(C/P 포함) |
DOOR TRIM |
기타제품매출 |
용역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Cockpit Module(C/P 포함) |
DOOR TRIM |
기타제품매출 |
용역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 및 상품 판매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특수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
PT VARIA DUCKYANG INDONESIA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
PT VARIA DUCKYANG INDONESIA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약정의 유형 |
||||||||||||||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산업은행 |
국민은행 |
우리은행 |
Shinhan Bank America |
|||||||||
외상매출채권담보부대출한도 |
WR외담대 간접익스포져 |
무역어음차입 |
E-BIZ기타약정 |
전자방식외상매출채권 |
일반자금대출 |
온렌딩차입 |
시설자금차입 |
운전자금차입 |
온렌딩차입 |
무역어음차입 |
시설자금차입 |
운전자금차입 |
운전자금대출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공탁보증 |
이행지급보증 |
하자보증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공탁보증 |
이행지급보증 |
하자보증 |
|
법적소송우발부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상품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금융자산, 유형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상품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금융자산, 유형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연결회사의 주요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장ㆍ단기차입금, 기타지급채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현금 및 단기예금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연결회사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절차를 검토하고 정책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투기 목적의 파생상품거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정책입니다. (1) 시장위험① 이자율위험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② 환위험 환율변동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연결회사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연결회사가 거래하는 주요 통화는 USD입니다. ③ 가격위험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연결회사는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중요한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신용위험신용위험은 연결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매출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 뿐 아니라 현금성자산과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독립적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의 신용등급이 최소 AA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매출거래처의 경우 독립적으로 신용평가를 받는다면 평가된 신용등급이 사용되며, 독립적인 신용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경험 등 기타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개별적인 위험 한도는 이사회가 정한 한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결정된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결정됩니다. 신용한도의 사용여부는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반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상기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3) 유동성 위험현금흐름의 예측은 연결회사의 재무팀이 수행합니다. 연결회사의 재무팀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자금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채무를 적기에 이행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유동성에 대한 예측시에는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재무팀은 상기에서 언급한 예측을 통해 결정된 대로 여유있는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절한 만기나 충분한 유동성을 제공해주는 정기예금과 수시입출금식예금 등의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잉여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4) 자본관리자본관리의 주 목적은 연결회사의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높은 신용등급과 건전한 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회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반기 중 자본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어떠한 사항도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연결회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재무제표에 공시된 숫자로 계산합니다. |
제 49 기 반기말 |
제 48 기말 |
|
---|---|---|
제 49 기 반기 |
제 48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자본 합계 |
|
제 49 기 반기 |
제 48 기 반기 |
|
---|---|---|
디와이덕양 주식회사(구, 덕양산업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1977년 7월 11일 설립되어 Cockpit Module(Crash Pad), Anti-Vibration Pad 등 자동차내장부품을 생산하여 대부분의 제품을 현대자동차주식회사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1997년 6월 23일자로 한국거래소에 주식을상장하였습니다. 회사의 본사는 울산광역시 북구 효암로 366에 소재하고 있으며, 국내 및 해외(중국,미국)에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위한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주요 주주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회계기준의 적용회사의 반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 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선별적 주석은 직전 연차 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회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한편, 회사는 2016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라 종속기업,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을 범주별로 원가법 또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에 따른 회계처리 뿐만 아니라 지분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회계처리할 수 있는 바, 종속기업 투자에 대해서는 지분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 하였습니다. (2) 추정과 판단①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 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 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반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회사의 회계정책 적용과 회계추정치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② 공정가치 측정회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 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 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 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 3 자 정보를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 3 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 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회사는 유의적인 평가에 관한 사항을 감사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회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 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 은 공시가격수준 2: 수준 1 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 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회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 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하기에 기재된 사항을 제외하고 반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회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회계정책의 변경은 회사의 2025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에도 반영될 것입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금융상품 |
국공채 및 지방채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금융상품 |
국공채 및 지방채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종속기업투자주식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주식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정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북경덕양중차기차영부건유한공사
나. DUCKYANG AMERICA INC.
다. 주식회사 디에스에스에너셀
라. 주식회사 디엔씨배터리솔루션
(4)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요약재무정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선양화성덕양자동차부품유한회사
나. PT VARIA DUCKYANG INDONESIA
(5) 당반기 및 전기 중 종속기업에 대한 지분법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6) 당반기 및 전기 중 종속기업에 대한 지분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7) 당반기 및 전기 중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지분법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형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
유형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와비품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자산 합계 |
|
---|---|---|---|
토지와 건물 |
차량운반구 |
자산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매출원가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
---|---|---|
매출원가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국민은행 - On-Lending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운전자금 |
차입금명칭 합계 |
|
---|---|---|---|---|---|
국민은행 - On-Lending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산업은행 - 운전자금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운전자금 |
신한은행 - On-Lending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운전자금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국민은행 - On-Lending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운전자금 |
신한은행 - On-Lending |
산업은행 - 시설자금 |
우리은행 - 운전자금 |
국민은행 - 시설자금 |
국민은행 - On-Lending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신한은행 |
산업은행 |
국민은행 |
하나은행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Cockpit Module(C/P 포함) |
DOOR TRIM |
기타제품매출 |
용역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Cockpit Module(C/P 포함) |
DOOR TRIM |
기타제품매출 |
용역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 및 상품 판매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1) 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특수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DUCKYANG AMERICA INC. |
주식회사 디에스에스에너셀 |
주식회사 디엔씨배터리솔루션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DUCKYANG AMERICA INC. |
주식회사 디에스에스에너셀 |
주식회사 디엔씨배터리솔루션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북경덕양중차기차영부건유한공사 |
DUCKYANG AMERICA INC. |
주식회사 디에스에스에너셀 |
주식회사 디엔씨배터리솔루션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북경덕양중차기차영부건유한공사 |
DUCKYANG AMERICA INC. |
주식회사 디에스에스에너셀 |
주식회사 디엔씨배터리솔루션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
||
공시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
PT VARIA DUCKYANG INDONESIA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관계기업 |
|
PT VARIA DUCKYANG INDONESIA |
|
전체 특수관계자 |
|
---|---|
종속기업 |
|
DUCKYANG AMERICA INC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약정의 유형 |
|||||||||||||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산업은행 |
국민은행 |
우리은행 |
|||||||||
외상매출채권담보부대출한도 |
WR외담대 간접익스포져 |
무역어음차입 |
E-BIZ기타약정 |
전자방식외상매출채권 |
일반자금대출 |
온렌딩차입 |
시설자금차입 |
운전자금차입 |
온렌딩차입 |
무역어음차입 |
시설자금차입 |
운전자금차입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공탁보증 |
이행지급보증 |
하자보증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공탁보증 |
이행지급보증 |
하자보증 |
|
법적소송우발부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상품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금융자산, 유형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상품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기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금융자산, 유형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회사의 주요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장ㆍ단기차입금, 기타지급채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회사는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현금 및 단기예금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회사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절차를 검토하고 정책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투기 목적의 파생상품거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정책입니다. (1) 시장위험① 이자율위험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② 환위험 환율변동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회사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회사가 거래하는 주요 통화는 CNY, USD입니다. ③ 가격위험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회사는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중요한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신용위험신용위험은 연결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매출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 뿐 아니라 현금성자산과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독립적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의 신용등급이 최소 AA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매출거래처의 경우 독립적으로 신용평가를 받는다면 평가된 신용등급이 사용되며, 독립적인 신용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경험 등 기타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개별적인 위험 한도는 이사회가 정한 한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결정된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결정됩니다. 신용한도의 사용여부는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반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상기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3) 유동성 위험현금흐름의 예측은 회사의 재무팀이 수행합니다. 회사의 재무팀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자금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채무를 적기에 이행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유동성에 대한 예측시에는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재무팀은 상기에서 언급한 예측을 통해 결정된 대로 여유있는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절한 만기나 충분한 유동성을 제공해주는 정기예금과 수시입출금식예금 등의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잉여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4) 자본관리자본관리의 주 목적은 회사의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높은 신용등급과 건전한 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회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에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반기 중 자본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어떠한 사항도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회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재무제표에 공시된 숫자로 계산합니다. |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정관 및 관련 법령에 의거, 이사회 결의 및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사 정관상의 배당에 관한 사항제 46 조 (이익배당)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할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제1항의 배당은 매 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당사는 대내외적인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배당금을 검토하고 있으며, 제48기 배당 검토 시 별도 기준 이익잉여금과 향후 투자계획 등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액면가액의 10%에 해당하는 주당 50원의 현금배당 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회사는 제4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배당안을 승인받아 2025년 4월 23일에 배당금을 지급하였습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대손충당금 설정현황(연결기준) (1) 최근 3사업연도의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백만원 ) |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 총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설정률 |
제49기 반기 | 매출채권 | 200,668 | 550 | 0.3% |
기타수취채권(유동) | 22,539 | - | 0.0% |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9,375 | - | 0.0% | |
합 계 | 232,582 | 550 | 0.2% | |
제48기 | 매출채권 | 227,421 | 550 | 0.2% |
기타수취채권(유동) | 23,210 | - | 0.0% |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8,757 | - | 0.0% | |
합 계 | 259,388 | 550 | 0.2% | |
제47기 | 매출채권 | 270,625 | 550 | 0.3% |
기타수취채권(유동) | 22,444 | - | 0.0% |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8,713 | - | 0.0% | |
합 계 | 301,782 | 550 | 0.2% |
(2) 최근 3사업연도의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백만원 ) |
구 분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550 | 550 | 550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 - |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 | - | -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550 | 550 | 550 |
(3)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과거의 대손경험율과 장래의 대손예상액을 기초로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였으나 한국채택기업회계기준에 따라 개별분석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4) 당해 사업연도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잔액 현황
(단위 :백만원) |
구 분 | 연체되지않은 채권 | 만기가경과된 채권 | 손상채권 | 합 계 |
매출채권 | 200,668 | - | 550 | 200,118 |
기타수취채권(유동) | 22,539 | - | - | 22,539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9,375 | - | - | 9,375 |
합 계 | 232,582 | - | 550 | 232,032 |
나. 연결회사의 재고자산 현황 등
(1) 최근 3사업연도의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49기 반기 | 제48기 | 제47기 | 비고 |
자동차부품제조업 | 제 품 | 5,207 | 2,004 | 3,683 | - |
재공품 | 642 | 560 | 358 | - | |
원재료 | 8,633 | 6,648 | 8,191 | - | |
저장품 | 970 | 972 | 211 | - | |
상 품 | 6,608 | 11,352 | 7,989 | - | |
합 계 | 22,060 | 21,536 | 20,432 | -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3.9% | 3.9% | 3.6% | -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80회 | 88회 | 60회 | -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역 등
① 재고실사일자 : 당사는 2025년 반기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2025년 06월 30일 공장가동 종료 후 재고자산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재고실사를 실시하였습니다.② 재고실사 참여 및 입회자 : 재고실사는 외부감사인 참여 및 입회없이 실시하였습니다.③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 당사의 2025년 06월 30일 현재 재고자산 평가충당금은567백만원 입니다.④ 기타 : 당사는 2025년 06월 30일 현재 담보제공된 재고자산은 없습니다.라. 공정가치평가 절차 요약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와 평가방법
① 금융상품의 분류
당사는 금융상품을 그 취득목적과 성격에 따라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과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대여금 및 수취채권, 매도가능금융자산, 만기보유금융자산 및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최초 인식시점에서 이러한 금융상품의 분류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② 공정가치 추정
회사는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에 대하여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로 분류하였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수준 1 |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예:상장 파생상품 및 지분증권)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 말의 공시된 시장가격에 기초합니다. 회사가 보유한 금융자산에 사용되는 공시된 시장가격은 현재의 매입가격입니다. 해당 금융상품은 수준1로 분류합니다. |
수준 2 |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예:비상장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를 산정하는 데에는 관측할 수 있는 시장자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고 기업 특유의 추정치는 가능한 적게 사용하는 평가기법을 사용합니다. 공정가치 산정에 사용된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를 관측할 수 있다면 해당 금융상품은 수준2로 분류합니다. |
수준 3 | 관측할 수 있는 시장자료를 기초로 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를 사용한 경우 해당 금융상품은 수준 3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금융상품에는 비상장 지분증권이 있습니다. |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 측정치는 위의 별도재무제표 주석 [32. 범주별 금융상품]와 연결재무제표 주석 [33. 범주별 금융상품]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 유형자산의 공정가치와 그 평가방법
당사는 재평가모형이 회사의 재무상태를 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낸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해당 자산이 소재한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서 공정가치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된 토지의 회계처리방법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반기 보고서의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기재를 생략합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를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1 | 2025년 03월 07일 |
회사 : 내부감사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1인 |
대면보고 | 감사 결과 논의 |
2 | 2025년 05월 09일 | 회사 : 내부감사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2인 | 대면보고 | 외부감사 계획보고 |
3 | 2025년 08월 13일 | 회사 : 내부감사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2인 | 대면보고 | 외부감사 진행현황 보고 |
경영진의 내부회계 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당반기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계평가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당반기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계평가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검토결론)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당반기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계평가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
가. 내부회계관리제도 1) 내부회계관리자 -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24.12 31일 기준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 되고 있습니다. ※ 당반기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계평가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 개요
보고서 작성기준일(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5명의 사내이사와 2명의 사외이사, 총 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내 설치된 위원회는 없습니다.
나. 중요의결사항 등
당기 중의 이사회의 중요 의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사내이사 | 사외이사 | 비 고 | |||||||
---|---|---|---|---|---|---|---|---|---|---|---|---|---|
하란수 | 이국진 | 윤성희 | 정홍규 | 문경호 | 배운교 | 서종환 | 박장우 | 강문철 | |||||
1 | 2025년 02월 24일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점검결과 및 평가 보고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불참 | - |
2 | 2025년 03월 04일 | 제 4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외 1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불참 | 찬성 | - |
3 | 2025년 03월 18일 | 우리은행 기업운전자금대출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불참 | 찬성 | 찬성 | - |
4 | 2025년 03월 25일 | 대표이사 중임 외 1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5 | 2025년 04월 22일 | 임시주주총회 소집 외 1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불참 | 불참 | - |
6 | 2025년 05월 30일 | 임시주주총회 안건 추가 외 1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불참 | 불참 | - |
7 | 2025년 06월 13일 | 신한은행 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8 | 2025년 06월 24일 | 대표이사 신규선임에 관한 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 | 찬성 |
※문경호 사내이사는 3월 25일자로 취임하였습니다.※정홍규 사내이사는 4월 30일자로 사임하였습니다.※배운교 사내이사는 6월 24일자로 취임하였습니다.※박장우 사외이사는 6월 24일자로 사임하였습니다.※기준일(2025년 6월 30일)까지의 의결사항입니다.
다. 이사의 독립성당사의 이사는 관계법률에 따라 주주총회에서 선임하고 있으며, 그 선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② 이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또한,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8 제2항의 요건을 충족하는 사외이사는 이사 총수의 4분의 1이상을 두도록 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이사 7명에 대한 각각의 추천인 및 선임배경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작성기준일 : 2025년 06월 30일)
성 명 | 추천인 | 선임배경 | 활동분야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등과의 관계 |
하란수 | 이사회 | 회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경영관리 | - | 친인척 |
이국진 | 이사회 | 회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경영관리 | - | 친인척 |
윤성희 | 이사회 | 회사의 업무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경영관리 | - | 본인 |
배운교 | 이사회 | 회사의 업무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경영관리 | - | 임원 |
문경호 | 이사회 | 회사의 업무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경영관리 | - | 임원 |
서종환 | 이사회 | 회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사외이사 | - | - |
강문철 | 이사회 | 회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사외이사 | - | - |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2025. 3. 25 정기주주총회에서 박장우 사외이사 1명 재선임.※2025. 6. 24 박장우 사외이사 1명 중도퇴임.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며, 주주총회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당사 정관 제36조의 규정에 따라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시하며,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으며, 이사회에 임시주총 소집을 요구할 수 있으며, 또한 영업보고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가. 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 요 경 력 | 비 고 |
박 장 우 | 현.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 상근 |
※박상일 감사는 2025년 5월 14일자로 사임하였습니다.
나. 감사의 독립성당사의 감사는 관계법률에 따라 주주총회에서 선임하고 있으며, 그 선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②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 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 당사의 감사에 대한 추천인 및 선임배경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 명 | 추천인 | 선임배경 | 활동분야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등과의 관계 |
박 장 우 | 이사회 | 회사의 감사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감사 | - | - |
다. 감사의 주요 활동내용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비 고 |
1 | 2025년 02월 24일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점검결과 및 평가 보고 | 가결 | - |
2 | 2025년 03월 04일 | 제 4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외 1건 | 가결 | - |
3 | 2025년 03월 18일 | 우리은행 기업운전자금대출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 |
4 | 2025년 03월 25일 | 대표이사 중임 외 1건 | 가결 | - |
5 | 2025년 04월 22일 | 임시주주총회 소집 외 1건 | 가결 | - |
6 | 2025년 06월 24일 | 대표이사 신규선임에 관한 건 | 가결 | - |
※상기 주요 활동내용중 5회차 까지의 활동은 사임한 박상일 감사의 활동내용 입니다.
라. 감사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마. 감사위원회(감사)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경영기획팀 | 2 | 팀장 1명(17년)팀원 1명(4년) | 재무제표 등 경영전반에 관한 감사업무 지원 |
바.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해당사항 없습니다
투표제도 현황
투표제도 현황당사는 집중투표제, 서면투표제는 채택하고 있지 않으나,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의 편의를 위해 이사회 결의로 전자투표제를 채택하고 적용하였습니다.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2.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당사 최대주주의 주요경력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준일 : 2025년 06월 30일)
최대주주 성명 | 직위 | 주요경력 | ||
기간 | 경력사항 | 겸임현황 | ||
윤성희 | 대표이사 | 2007년 ~ 현재 | 디와이덕양(주) 근무 | - |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 | ||||
우리사주조합 | - |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임시주주총회 주주명부 폐쇄일(2025년 5월 14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총발행주식수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임.(자기주식 137,400주)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본부장 이상만 기재함.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소속외 근로자는 기말에 표기할 예정입니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단위 : 명, %) |
구분 | 제49기 반기(당기) | 제48기(전기) | 제47기(전전기)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 | 2 | -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1 | 2 | 1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1 | 4 | 1 |
육아휴직 사용률(남) | 0% | 22% | 0% |
육아휴직 사용률(여) | 100% | 100% | 100%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8% | 36% | 20%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이상 근속자(남) | 2 | - | -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이상 근속자(여) | - | 1 | 1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 | 2 | 0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 7 | 8 | 4 |
※육아휴직 사용자수 : 당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의 수※육아휴직 사용률 : 당해 출산 이후 1년 이내에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 수/ 당해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 : 전기 육아휴직 복귀 인원 중 복귀일자 이후 1년 이상 근무자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
(단위 : 명, %) |
구분 | 제49기 반기(당기) | 제48기(전기) | 제47기(전전기)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활용 | 활용 | 활용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 수 | - | - | - |
선택근무제 사용자 수 | 271 | 264 | 258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 수 | - | - | -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선택근무제 활용※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 수에는 코로나등으로 인한 일시적 재택근무를 한 경우는 제외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보수총액은 퇴직급여 포함된 금액이며, 당사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에 의거하여지급된 금액입니다.
2-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2025년 6월 30일 기준 등기이사는 5명 입니다.(상기 인원수 6명은 사임이사 포함)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등에 신용공여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 해당사항 없습니다.
한국거래소를 통하여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의 진행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
신고일자 | 계약내역 | 계약금 총액 | 판매공급금액 | 대금수령금액 | ||
당기 | 누적 | 당기 | 누적 | |||
2021-10-12 | 계약상대 : 현대모비스계약기간 : 2023-08-15 ~ 2028-08-15계약명 : MX5(SUV) 신규차종 Crash Pad외 공급계약 | 64,515 | 5,384 | 19,376 | 5,384 | 19,376 |
2023-08-18 | 계약상대 : 기아자동차계약기간 : 2025-07-15 ~ 2035-10-15계약명 : SW1K 신규차종 Door Trim 공급계약 | 508,927 | - | - | - | - |
2024-04-15 | 계약상대 : 현대자동차계약기간 : 2026-02-15 ~ 2032-02-14계약명 : 아반떼 후속차종 COCKPIT MODULE 공급계약 | 482,254 | - | - | - | - |
2024-04-15 | 계약상대 : 현대모비스계약기간 : 2023-08-15 ~ 2028-08-15계약명 : MX5(SUV) 신규차종 Crash Pad외 공급계약 | 945,128 | - | - | - | - |
주1) 계약기간이 미도래한 계약은 판매공급금액과 대금수령금액을 미기재 하였습니다.주2) 계약금액 및 기간등은 향후 진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1)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금융기관과 체결하고 있는 무역어음대출 등의 약정사항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천USD) |
약정기관 | 구 분 | 통화 | 한도금액 | 실행금액 |
---|---|---|---|---|
하나은행 | 외상매출채권담보부대출한도 | KRW | 40,000 | - |
WR외담대 간접익스포져 | KRW | 10,000 | - | |
무역어음차입 | KRW | 10,000 | - | |
신한은행 | E-BIZ기타약정 | KRW | 10,000 | - |
전자방식외상매출채권 | KRW | 30,000 | - | |
일반자금대출 | KRW | 5,200 | 5,200 | |
온렌딩차입 | KRW | 4,000 | 4,000 | |
산업은행 | 시설자금차입 | KRW | 7,500 | 7,500 |
운전자금차입 | KRW | 5,000 | 5,000 | |
국민은행 | 온렌딩차입 | KRW | 4,000 | 4,000 |
무역어음차입 | KRW | 3,000 | - | |
시설자금차입 | KRW | 18,500 | 18,500 | |
우리은행 | 운전자금차입 | KRW | 10,000 | 10,000 |
Shinhan Bank America | 운전자금대출 | USD | 4,000 | 1,010 |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지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보증내역 | 보증인 | 통화 | 당반기말 | 전기말 |
---|---|---|---|---|
공탁보증 | 서울보증보험 | KRW | 80 | - |
이행지급보증 | 서울보증보험 | KRW | 624 | 469 |
차입금지급 | 신용보증기금 | KRW | 17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은 2024년 12월 31일 재무상태표상 금액입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은 2024년 12월 31일 재무제표 금액입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