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08월 01일 |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ES큐브 | |
| 대 표 이 사 : | 우인선 |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556, 12층(논현동, 이투데이빌딩) | |
| (전 화) 02-3446-4872 | ||
| (홈페이지) http://www.escube.co.kr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표이사 | (성 명) 우인선 |
| (전 화) 02-3446-4872 | ||
| (제48기 1차 임시주주총회) |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회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48기 1차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8월 18일(월)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55, 호텔카푸치노 2층, 프라이빗 펑션 룸
3. 회의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우인선 선임의 건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윤태영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 등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우리 회사의 본점 및 지점, 명의개서대행회사(한국예탁결제원),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비치 또는 전자공시 시스템에 공고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주주 본인 : 본인 신분증
나. 대리인 :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주주의 인감증명서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주주)의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위임인(주주)의 날인 또는 서명-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위임장 양식(상기 기재사항이 포함된 다른 양식도 무방합니다.)
|
위 임 장 대리인의 성 명: 생년월일: 상기 대리인에게 2025년 8월 18일(월) 개최하는 주식회사 ES큐브의 제48기 1차 임시주주총회와 관련된 모든 권한을 위임합니다. 2025년 월 일 주주의 생년월일 : 성 명 : (인)
|
다. 신분증 미지참 시 주주총회 입장이 제한되오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08월 01일 |
| 주식회사 ES큐브 |
| 대표이사 우 인 선 |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 윤태영(출석률:100%) | 윤성근(출석률:100%) | 김동국(출석률:100%) | |||
| 찬반여부 | |||||
| 1 | 2025.03.14 | 제47기 내부결산 및 영업보고서 등 승인, 정총소집, 전자투표도입의 건 | 참석(찬성) | 참석(찬성) | 참석(찬성) |
| 2 | 2025.07.10 | 제48기 1차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기준일 설정의 건 | 참석(찬성) | 참석(찬성) | 참석(찬성)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동내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 (단위 : 명, 천원) |
| 구분 | 인원수(*1)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2) | 1인당 평균 지급액(*2) | 비고 |
|---|---|---|---|---|---|
| 사외이사 | 2 | 1,500,000 | 48,000 | 24,000 | - |
| 비상임이사 | 1 | - | - | 지급액 없음 |
(*1) 주총소집공고일인 2025년 8월 1일 기준으로 재임 중인 사외이사 및 비상임이사의 인원수입니다.(*2) 2024년 12월 말일 기준입니다.
| (단위 : 원)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1) | 거래금액(*1) | 비율(%)(*2) |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1-01 | 246,960,000 | 2.13%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1-04 | 145,655,360 | 1.26%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1-09 | 202,268,001 | 1.74%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1-24 | 118,652,436 | 1.02%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1-24 | 171,956,200 | 1.48% |
| 상품매입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2-23 | 248,254,469 | 2.14%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2-26 | 195,290,550 | 1.68%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04 | 199,112,550 | 1.72% |
| 상품매입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10 | 171,538,411 | 1.48% |
| 상품매입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13 | 177,679,497 | 1.53%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13 | 198,198,000 | 1.71%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17 | 213,353,694 | 1.84%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18 | 206,774,400 | 1.78% |
| 상품매입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3-24 | 357,410,185 | 3.08% |
| 상품매출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5-02-19 | 241,879,774 | 2.09% |
(*1) 2분기 거래실적의 미확정으로 인해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 종료일(2025년 3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2) 직전 사업연도(2024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총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이 1% 이상인 거래입니다.
| (단위 : 원) |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1) | 거래금액(*1) |
비율(%) (*2) |
|---|---|---|---|---|
| T.O.P OUTDOOR VINA CO., LTD.(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수출입거래 | 2025.01.01~2025.03.31 | 3,003,759,683 | 25.90% |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해당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수출입거래 | 2025.01.01~2025.03.31 | 1,173,163,212 | 10.12% |
(*1) 2분기 거래실적의 미확정으로 인해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 종료일(2025년 3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2) 직전 사업연도(2024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총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이 5% 이상인 거래입니다.
1) 산업의 특성
레저용 텐트산업의 특성은 미국, 유럽, 일본 등 비교적 휴양문화 및 레저문화가 발달된 선진국가에서 널리 시장이 형성되었고 현재는 중국과 한국도 5대 아웃도어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레저용 텐트 산업구조는 노동집약적으로, 원부자재의 자본공급과 풍부한 노동력이 충족되어야 합니다.레저용 텐트산업은 1970년대 까지만 해도 선진국가인 일본, 북미, 유럽 등에서 제조 및 생산시설을 갖추고 자체 생산품을 직접 공급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1970년대 말부터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생산공장이 본격적으로 이전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내에서도 제조공장이 설립되기 시작하여 텐트의 제조 및 수출이 본격화되었습니다.1990년대 들어서며 국내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생산시설의 해외이전이 점차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텐트 제조사는 저임금과 노동력이 풍부한 중국과 동남아시아 현지에 생산공장을 설립하여 직접 제조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제조사는 원가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중국 및 동남아시아 등이 주요 경쟁국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중국의 인건비 상승과 미·중 무역분쟁, 그리고 미국의 중국에 대한 관세 강화로 인해 생산기지가 동남아 및 제3국으로 더욱 다변화되고 있습니다.텐트시장은 중저가 시장과 고가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제조 및 판매사(Brand)의 수는 중저가텐트 제조 및 판매사(Brand)가 대다수를 점유합니다. 지속적으로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저가와 고가텐트 시장이 모두 성장하고 있습니다. 소득수준이 높은 북미와 유럽, 일본 등지에서 고가텐트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의 고가텐트 시장도 확대 중입니다. 제품의 유형별로 백패킹 텐트는 초경량 화(BPL: Backpacking Light)를 추구하는 다양한 원단과 폴 등의 소재 개발 경쟁이 치열하고, 패밀리 텐트는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거나 사용목적에 적합한 여러 기능을 강화한 신모델 개발과 함께 다양한 소재의 채택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최근 들어 친환경에 대한 전세계적 요구가 높아지며, 텐트제조사 역시 친환경 경영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산시설과 제조과정에서의 친환경적 전환을 시도하고, ESG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친화적 요소가 강한 캠핑에 있어서 친환경 소재 개발이나 재생가능 소재 개발에 판매사(Brand)나 제조사(Maker) 모두 노력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규제사항으로 미국과 유럽은 이미 PFAS(과불화화합물)가 포함된 원부자제 사용 제한이 시행되어 PFAS FREE가 의무화되어 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텐트를 포함한 아웃도어시장은 레저인구의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루어 왔습니다. 특히,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펜데믹은 아웃도어시장의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나라별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이 시행되고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레저가 새로운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그 결과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아웃도어 시장이 급팽창하였습니다. 같은 시기, 14억 인구를 가진 중국의 중산층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글램핑을 필두로 한 캠핑 붐이 일어나며 전세계 캠핑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이후 급팽창한 시장이 다시 장기성장 수준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재고 과다로 인해 판매사(Brand)와 제조사의 성적은 일시적으로 후퇴하였지만, 캠핑을 즐기는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한국 캠핑시장의 경우, 2009년 1천억원 수준에서 2019년 3조689억원 규모로 성장한 후 2022년에 6조3천억원으로 급성장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2월 한국관광공사가 발간한 '2022년 기준 캠핑 이용자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이용자가 향후 캠핑시 고려하는 숙박형태 중 일반텐트의 비중이 55.4%로 캠핑카, 카라반 등의 다른 형태보다 더욱 크게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중국 아이미디어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캠핑 경제의 주요 제품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164억4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52% 가량 성장했고 2020년 66억7000만 달러 규모로 2년새 약 2.5배 급성장 하였습니다. 동 시장 규모는 1인당 가처분 소득의 증가, 캠핑 문화의 대중화와 캠핑 장비의 업그레이드 수요 증가 등 요인에 힘입어 2025년 기준 약 359억9000만 달러에 달하며 2022년 대비 약 2배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또한 2025년 한국캠핑산업협회가 주최한 '캠핑산업트렌드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국내 캠핑산업은 2024년 기준 약 6조3,000억 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증가한 캠핑 인구가 최근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나, 사회적 스트레스 완화와 힐링 문화 확산 등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도시 근교 및 주거지 인근 캠핑장에 대한 수요 증가, 시니어층의 캠핑카 활용 확대 등이 시장 성장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산업은 신규 캠퍼 유입 둔화에도 불구하고 미니멀 캠핑, 백패킹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성숙기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처럼 캠핑산업은 안정적 규모 확대와 지속 가능한 질적 성장 가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2023년 들어 각국은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하였고, 전세계적 인플레이션과 환율변동의 영향으로 판매사(Brand)들의 재고가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장기화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휴전 후 재발 위험이 잔존하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미국 성장률 하향 조정(IMF 전망 1.8%) 등 글로벌 리스크가 다층화되면서 소비시장 회복은 지역별 편차를 보일 전망이며, 기존 재고 소진도 완만한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러나 시장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 또한 여전히 혼재합니다. 2024년 10월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의 미국 캠핑장비시장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북미 캠핑장비시장의 규모는 2022년에 314억달러, 2023년에 337억달러로 20억달러 증가하였으며, 전세계 캠핑장비시장의 규모는 2023년 836억달러에서 2024년 898억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동 보고서는 시장규모가 2024년부터 연평균 8.48% 성장하여 2032년에는 1,722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점차 확대되고 있는 AI기반의 다양한 생활 변화는 향후 사람들의 생활습관 전반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즉, 옥외 활동은 더욱 감소하고 가정이나 공간 내에서의 생활이 더욱 많아지면서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인간 본연의 욕망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따라서 이에 가장 적합한 외부활동으로 캠핑은 미래에 더욱 각광받는 성장산업이 될 것이라 전망됩니다.
캠핑시장은 지속적으로 보다 가벼운 소재 또는 편리성을 갖춘 신모델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발맞춘 많은 연구개발 노력이 지속되고 있어 단순한 봉제산업과는 다른 첨단산업의 일부로서 지속될 것입니다. 가상의 캠핑을 경험하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이 경험을 기반으로 현실에서의 캠핑수요는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레저용 텐트산업은 주로 중산층의 레저활동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산업부문으로 전세계 중산층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과거에 비해 경기변동 영향력은 꾸준히 감소해 왔습니다. 또한, 여러 특수목적 텐트(가정용, 공무용, 군용 등)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점도 경기변동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입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기에는 중산층의 가처분소득 감소에 따라 수요가 감소할 수 있으며, 소모성 용품이 아니므로 일시적으로 수요가 폭증한 후 교체주기까지 기간 동안에도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최근의 텐트산업은 꾸준한 레저인구의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루고 있으며, 2008년 국제 금융위기 등 경기위축 시기에도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고,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펜데믹 경기급락의 상황에서는 오히려 급성장 하였습니다.2023년 이후로는 COVID-19 엔데믹에 따라 비대면 여가생활의 수요는 통상수준의 성장기로 회귀하고,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아웃도어 산업은 소비회복시기까지 영향을 받을 전망이며, 각국의 캠핑시장 성장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4) 계절성
당사가 영위하는 텐트산업은 계절에 따른 판매량 변동이 다소 존재하는 산업입니다. 아시아권에 판매되는 텐트는 여름휴가 철을 대비하여 매년 4~5월에 가장 많이 팔리며, 8월 정도에는 대부분의 판매가 마무리됩니다. 북미·유럽권의 경우도 계절에 따라 판매량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나 지역별로 월별 계절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각 국에서 겨울 캠핑이 일부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과거 판매 비수기였던 가을과 겨울철에도 판매량은 과거 대비 증가하고 있어 계절성은 옅어졌습니다.
5) 경쟁상황(국내외 시장여건)
텐트 소비시장은 북미, 유럽, 일본 등 비교적 휴양과 레저문화가 발달된 나라에서 시장이 형성 발전 되었으며 국내 시장도 세계 5위의 대형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중산층이 빠르게 증가하는 중국의 시장규모가 전세계 2위 규모로 성장하였습니다.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많은 신규 판매사(Brand)가 시장에 진입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소재의 아이템들로 기존 전통의 판매사(Brand)들과 경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판매사(Brand)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중국에서는 성장하는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많은 신규 판매사(Brand)들이 탄생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과거와 달리 20~30대 젊은 층의 니즈에 부합하는 감각적 마인드의 청년 경영자들이 새로이 시장에 진입하며 Brand들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텐트 제조사는 오랜 기간 당사를 비롯한 한국의 여러 제조사들이 전세계 텐트의 주요생산자로 활동하였으나, 2010년대 들어 한국의 기술을 습득한 다수 중국과 대만계 회사들이 성장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한국과 중국의 생산기지가 다수 이전된 베트남 내에서도 자체적인 제조사들이 탄생하며 또 다른 경쟁자로 등장할 전망입니다.
중국은 저임금 노동력과 오랜 기간 자재를 공급해 온 많은 자재업체들이 존재하여 이를 기초로 여러 텐트 제조사들이 등장하였고, 하이엔드 제품이 아닌 중저가의 텐트 제조에 있어서 가격적 측면에서 경쟁력이 매우 큽니다. 다만, 제품개발과 하이엔드 급의 제품 생산능력 면에서 많은 업체들이 아직은 한국 업체들에 비해 경쟁력이 낮고, 판매사(Brand)와의 소통이나 업무관행, 품질관리 및 납기준수나 A/S 면에서 최고의 수준으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텐트제품의 품질향상과 환경친화 운동이 진행되면서 전체 텐트시장은 성장하는 속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기업만이 그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에 가격적 메리트를 초점으로 중국 제조사와 거래한 많은 판매사(Brand)들은 고품질 텐트 생산을 위해 당사를 비롯한 한국의 제조사들로 거래처를 이전하는 경우가 현재까지 빈번하여 한국의 업체들이 아직까지는 시장의 최상위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6)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당사는 고가의 전문가용/오토캠핑용 텐트가 주 생산품이며 자체 개발능력과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하이엔드 제품 시장 선도기업의 위치에 있습니다. 생산 상위 주요 제조사들은 주로 한국과 중국계 기업들이며, 중국계 기업들은 주로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으나 개발능력을 보유한 제조사가 드물고 대량생산 시 품질 유지 능력과 판매사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열위에 있습니다. 한국계 제조사들은 업력이 오래되었으나 당사에 비해 생산 CAPA가 작고 판매사층이 엷습니다.
당사는 텐트와 관련된 다양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제품의 30%를 자체 개발하고 40%는 판매사(Brand)와의 협력개발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품질관리 인력의 비중을 타사보다 높게 유지하며 여러 단계의 검사절차를 통해 판매사에 도달한 제품의 크레임을 최소화하여 품질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 유지를 위해 텐트제조에 필요한 원단, POLE, 봉사, ZIPPER 등 각종 원·부자재 선정 시 판매사들의 눈높이보다 높은 품질 기준을 내부 설정하고 있습니다.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해도 품질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또 다른 능력으로 당사는 고품질 제품의 생산과 품질 유지능력 면에서 업계 수위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품질 유지능력을 입증하고, 품질 경쟁력을 지속가능하면서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당사의 자회사인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 고밀화신여유용품유한공사 및 T.O.P OUTDOOR VINA CO., LTD. 는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 국제규격인 ISO 9001 을 취득한바 있습니다.또한 ESG 경영 기조에 발맞추어 당사의 자회사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는 2022년에 ISO가 제정한 환경경영체제 국제규격인 ISO 14001과 안전보건경영체제 국제규격인 ISO 45001을 취득하였고, 2024년 상반기에 고밀화신여유용품유한공사는 ISO 14001, ISO 45001을 T.O.P OUTDOOR VINA CO., LTD.는 ISO14001을 신규로 취득하였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레저 및 기능성 텐트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에 의한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레저 및 기능성 텐트 제조 및 판매업이 있으며, 회사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부문 | 주요 사업내용 | 회사명 |
| 텐트사업부문 | 레저 및 기능성 텐트 제조 | 청도경조여유용품유한공사고밀화신여유용품유한공사T.O.P OUTDOOR VINA CO., LTD. |
당사는 판매사(Brand)에게 개발된 제품을 소개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브랜드로 제품을 납품하는 ODM방식과 주문자의 요청에 따른 모델을 생산하는 OEM방식으로 매출이 발생합니다. 주요 원자재로는 원단 및 POLE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자회사인 중국 현지법인에 연구개발 조직을 두고 있으며, 2022년에 베트남 법인에도 연구개발실을 신설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추이당사의 텐트사업부문은 ODM과 OEM생산방식으로서, 국내는 물론 북미와 일본의 주요 아웃도어 판매사(Brand)에게 각각의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공표되거나 집계 가능한 통계정보가 없어 시장점유율 추이의 기재는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텐트시장은 중저가 시장과 고가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제조 및 판매사(Brand)의 수는 중저가텐트 제조 및 판매사(Brand)가 대다수를 점유합니다. 지속적으로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저가와 고가텐트 시장이 모두 성장하고 있습니다. 소득수준이 높은 북미와 유럽, 일본 등지에서 고가텐트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의 고가텐트 시장도 확대 중입니다. 제품의 유형별로 백패킹 텐트는 초경량 화(BPL: Backpacking Light)를 추구하는 다양한 원단과 폴 등의 소재 개발 경쟁이 치열하고, 패밀리 텐트는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거나 사용목적에 적합한 여러 기능을 강화한 신모델 개발과 함께 다양한 소재의 채택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최근 들어 친환경에 대한 전세계적 요구가 높아지며, 텐트제조사 역시 친환경 경영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산시설과 제조과정에서의 친환경적 전환을 시도하고, ESG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친화적 요소가 강한 캠핑에 있어서 친환경 소재 개발이나 재생가능 소재 개발에 판매사(Brand)나 제조사(Maker) 모두 노력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규제사항으로 미국과 유럽은 이미 PFAS(과불화화합물)가 포함된 원부자제 사용 제한이 시행되어 PFAS FREE가 의무화되어 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텐트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 사업부분외에 신규로 진행하는 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 윤태영 | 1977.02.27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 우인선 | 1971.10.11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 총 ( 2 ) 명 |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거래내역 | |
|---|---|---|---|---|
| 기간 | 내용 | |||
| 윤태영 | ㈜ES큐브사외이사 | 2022~현재 | 현) ㈜ES큐브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 2013~현재 | 현) 예일회계법인 이사 | |||
| 2004~2013 | 삼정회계법인 | |||
| 우인선 | ㈜ES큐브CEO | 2024~현재 | 현) ㈜ES큐브 CEO | 해당사항 없음 |
| 2023~2024 | ㈜ES큐브 CFO, 텐트사업본부장 | |||
| 2022~2023 | 신한회계법인 | |||
| 2013~2022 | ㈜국일유니밀 관리총괄 | |||
| 2000~2012 | 뉴욕멜론은행 서울지점 회계부 부장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윤태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 우인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윤태영 후보자>1. 전문성 발휘 회계법인에서 오랜 기간 쌓은 회계사 경험과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회사의 미션과 비전 실현에 기여하겠습니다. 2. 독립성 유지 대주주 및 타 이사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3. 책임 있는 의사결정 회사의 성장과 목표 달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책임감 있게 표결에 임하겠습니다. 4. 법적 의무 준수 선관주의, 충실의무, 보고 및 감시의무, 경업·자기거래 금지, 기업비밀 준수 등 사외이사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인식하고 철저히 준수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윤태영 후보자>윤태영 후보자는 20년 넘는 회계감사 경력과 금융기관, 상장사에서의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회계투명성과 자산건전성 강화에 전문성을 갖추었음. 또한, 부실채권과 구조조정 분야의 실무 역량은 물론 금융위원회 자문위원 활동과 공식 표창 등으로 공신력도 인정받아 기업의 회계투명성과 건전성 강화를 위한 적임자로 추천함. <우인선 후보자>우인선 후보자는 오랜 기간 동안 주요 직책을 충실히 수행하며 업무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책임감을 입증해 왔으며, 이러한 경험은 당사의 이사회 운영에도 큰 자산이 될 것으로 판단함.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도 전략적 사고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이사 후보자로 추천함.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