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8월 05일 |
| 회 사 명 : | 에스엔시스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배 재 혁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 830 (영천동, 동탄SKV1center) 7층 |
| (전 화) 031-229-1212 | |
| (홈페이지) http://www.snsys.net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성 명) 황 외 열 |
| (전 화) 031-229-1071 |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6월 25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보통주 1,9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57,000,000,0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5. 정정사항 금번 정정은 기재내용 추가 및 보완을 위한 정정으로서, 정정사항은 "굵은 빨간색" 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공통 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 27,000원 ~ 30,000원- 모집(매출)총액(예정) : 51,300,000,000원 ~ 57,000,000,000원-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475,000주 ~ 570,000주-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330,000주 ~ 1,425,000주-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 75.0% | - 모집(매출)가액(예정) : 30,0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57,000,000,000원-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475,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425,000주-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5.0% |
| 요약 정보 |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 1. 공모개요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 2. 공모방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 III. 투자위험요소 | ||
| 2. 회사위험 - 더. 경영안정성 관련 위험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 3. 기타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 3. 기타위험 - 마.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 3. 기타위험 - 차.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 3. 기타위험 - 거.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 (주10) 정정 전 | (주10) 정정 후 |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주11) 정정 전 | (주11) 정정 후 |
| V. 자금의 사용목적 |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12) 정정 전 | (주12) 정정 후 |
| 2. 자금의 사용 목적 | (주13) 정정 전 | (주13) 정정 후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 (단위: 원, 주) |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 보통주 | 1,900,000 | 500 | 27,000 | 51,300,000,000 | 일반공모 |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1,900,000 | 51,300,000,000 | 1,307,499,975 | 총액인수 |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 2025.08.07 ~ 2025.08.08 | 2025.08.12 | 2025.08.07 | 2025.08.12 |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27,000원~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참고 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액인 30,0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57,000,000,000원입니다. |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 주5) | [청약일]-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08일 (금)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08일 (금) (2일간)※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8월 07일 (목) ~ 08일 (금) (2일간)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5년 04월 10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5년 06월 19일)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 주8) |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이외 발행회사 및 매출주주는 대표주관회사의 공모 관련 실적,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 인수금액의 1.0% 한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에게 지급할 수 있습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 (단위: 원, 주) |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 보통주 | 1,900,000 | 500 | 30,000 | 57,000,000,000 | 일반공모 |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1,900,000 | 57,000,000,000 | 1,449,999,750 | 총액인수 |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 2025.08.07 ~ 2025.08.08 | 2025.08.12 | 2025.08.07 | 2025.08.12 |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30,000원 기준입니다. |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30,000원입니다. |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 주5) | [청약일]-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08일 (금)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08일 (금) (2일간)※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8월 07일 (목) ~ 08일 (금) (2일간)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5년 04월 10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5년 06월 19일)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 주8) |
금번 공모 시「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이외 발행회사 및 매출주주는 대표주관회사의 공모 관련 실적,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 인수금액의 1.0% 한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에게 지급할 수 있습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에스엔시스 주식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1,795,000주(공모주식의 94.5%), 구주매출 105,000주(공모주식의 5.5%)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 일반공모】 |
| 공 모 대 상 | 주식수 (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9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900,000주(100.0%) |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475,000주~ 570,000주 | 25.0%~30.0% | 27,000원 | 12,825,000,000원~ 15,39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30,000주~ 1,425,000주 | 70.0%~ 75.0% | 35,910,000,000원~ 38,4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900,000주 | 100.0% | 51,300,000,000원 |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4) | 2020년 11월 30일 개정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 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 【모집방법 : 일반공모】 |
| 모 집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795,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795,000주(100.0%) | - |
| 【모집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 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448,750주~ 538,500주 | 25.0%~30.0% | 27,000원 | 12,116,250,000원~ 14,539,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256,500주~ 1,346,250주 | 70.0%~75.0% | 33,925,500,000원~ 36,348,75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795,000주 | 100.0% | 48,465,000,000원 | - |
| 주1)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2)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 주6) |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 27,0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 주7)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 【매출방법 : 일반공모】 |
| 매 출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05,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05,000주(100.0%) | - |
| 【매출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매출 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26,250주~ 31,500주 | 25.0%~30.0% | 27,000원 | 708,750,000원~ 850,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73,500주~ 78,750주 | 70.0%~75.0% | 1,984,500,000원~ 2,126,25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05,000주 | 100.0% | 2,835,000,000원 | - |
| 주1) | 금번 매출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2) | 금번 매출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 주6) | 주당 매출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 27,0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 주7) | 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 위탁의 내용 및 조건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
|---|---|---|
| 에스엔시스㈜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 830, 7층 | 매출 주주 삼성중공업㈜의 보유주식 105,000주를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 |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 (단위: 주)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증권의 종류 | 매출 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주1)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삼성중공업㈜ | 주요주주 | 기명식보통주 | 1,520,000 | 105,000 | 1,415,000 |
| 합 계 | 1,520,000 | 105,000 | 1,415,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 구분 | 상장주선인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37,037주 | 27,000원 | 999,999,000원 | - |
| 합계 | 37,037주 | 999,999,000원 | -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 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에스엔시스 주식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1,795,000주(공모주식의 94.5%), 구주매출 105,000주(공모주식의 5.5%)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 【공모방법 : 일반공모】 |
| 공 모 대 상 | 주식수 (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9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900,000주(100.0%) |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475,000주 | 25.0% | 30,000원 | 14,25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425,000주 | 75.0% | 42,75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900,000주 | 100.0% | 57,000,000,000원 |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4) | 2020년 11월 30일 개정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 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을 진행하지 않으나, 상기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우선배정여부와 무관하게 일반투자자에게 공모주식의 5% 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 【모집방법 : 일반공모】 |
| 모 집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795,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795,000주(100.0%) | - |
| 【모집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모집 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448,750주 | 25.0% | 30,000원 | 13,462,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46,250주 | 75.0% | 40,387,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795,000주 | 100.0% | 53,850,000,000원 | - |
| 주1)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2)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 주6) |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 주7)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을 근거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 【매출방법 : 일반공모】 |
| 매 출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 일 반 공 모 | 105,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05,000주(100.0%) | - |
| 【매출 세부내역】 |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공모가액 | 매출 총액 | 비 고 |
| 일반청약자 | 26,250주 | 25.0% | 30,000원 | 787,5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78,750주 | 75.0% | 2,362,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 합 계 | 105,000주 | 100.0% | 3,150,000,000원 | - |
| 주1) | 금번 매출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2) | 금번 매출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 주6) | 주당 매출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 주7) | 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입니다. |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 위탁의 내용 및 조건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
|---|---|---|
| 에스엔시스㈜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 830, 7층 | 매출 주주 삼성중공업㈜의 보유주식 105,000주를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 |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 (단위: 주)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증권의 종류 | 매출 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주1)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삼성중공업㈜ | 주요주주 | 기명식보통주 | 1,520,000 | 105,000 | 1,415,000 |
| 합 계 | 1,520,000 | 105,000 | 1,415,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 구분 | 상장주선인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33,333주 | 30,000원 | 999,990,000원 | - |
| 합계 | 33,333주 | 999,990,000원 | -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 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3) 정정 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금번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통하여개별 통보(부득이한 경우 유선 Fax 및 E-mail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는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 구 분 | 내 용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27,000원 ~ 30,000원 |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에스엔시스㈜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상기 도표에서 제시한 주당 공모희망가액 범위는 에스엔시스㈜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공모희망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330,000주~ 1,425,000주 | 70.0%~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주1)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1,9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475,000주~570,000주(25.0%~30.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후략)
(주3) 정정 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금번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통하여개별 통보(부득이한 경우 유선 Fax 및 E-mail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는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주당 30,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구 분 | 내 용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27,000원~30,000원 |
| 주당 확정공모가액 | 30,000원 |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에스엔시스㈜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상기 도표에서 제시한 주당 공모희망가액 범위는 에스엔시스㈜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주당 30,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공모희망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425,000주 |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주1)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1,9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475,000주(25.0%)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중략) (13) 수요예측 결과(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 (유) 주1) | 거래실적 (무) | |||
| 공모 | 사모 | |||||||||
| 건수 | 20 | 1,022 | 309 | 19 | 50 | 634 | 138 | 33 | 111 | 2,336 |
| 수량 | 17,656,000 | 496,363,000 | 87,032,000 | 27,000,000 | 57,961,000 | 194,536,000 | 115,760,000 | 12,374,000 | 44,638,000 | 1,053,320,000 |
| 경쟁률 | 12.39 | 348.32 | 61.08 | 18.95 | 40.67 | 136.52 | 81.24 | 8.68 | 31.32 | 739.17 |
|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 주2) 경쟁률은 기관투자자 배정주수 1,425,000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단순 경쟁률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 구 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 계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유) (주1) | 거래실적(무) | |||||||||||||
| 공모 | 사모 |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 밴드상단의 130% 초과 | - | - | 6 | 1,642,000 | 1 | 21,000 | - | - | - | - | 4 | 146,000 | - | - | - | - | - | - | 11 | 1,809,000 |
| 밴드상단의 120% 초과~밴드상단의 130% 이하 | - | - | 36 | 14,447,000 | 6 | 3,394,000 | 1 | 1,425,000 | - | - | 5 | 355,000 | 1 | 1,425,000 | 6 | 2,875,000 | - | - | 55 | 23,921,000 |
| 밴드상단의 110% 초과~밴드상단의 120% 이하 | - | - | 1 | 367,000 | 4 | 1,079,000 | - | - | 2 | 2,850,000 | 1 | 26,000 | 2 | 2,186,000 | - | - | 1 | 150,000 | 11 | 6,658,000 |
| 밴드 상단 초과~밴드상단의 110% 이하 | - | - | 20 | 8,806,000 | 20 | 5,304,000 | - | - | 6 | 6,715,000 | 14 | 7,848,000 | 4 | 2,889,000 | 2 | 428,000 | 26 | 2,940,000 | 92 | 34,930,000 |
| 밴드 상단 | 20 | 17,656,000 | 947 | 465,479,000 | 278 | 77,234,000 | 18 | 25,575,000 | 42 | 48,396,000 | 607 | 184,223,000 | 131 | 109,260,000 | 25 | 9,071,000 | 84 | 41,548,000 | 2,152 | 978,442,000 |
| 밴드 상위 75% 초과~100%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5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5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50% 미만∼7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 미만~100% 초과 | - | - | 1 | 8,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8,000 |
| 밴드하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제시 | - | - | 11 | 5,614,000 | - | - | - | - | - | - | 3 | 1,938,000 | - | - | - | - | - | - | 14 | 7,552,000 |
| 합계 | 20 | 17,656,000 | 1,022 | 496,363,000 | 309 | 87,032,000 | 19 | 27,000,000 | 50 | 57,961,000 | 634 | 194,536,000 | 138 | 115,760,000 | 33 | 12,374,000 | 111 | 44,638,000 | 2,336 | 1,053,320,000 |
|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 주2)「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 (단위: 건, 주, %) |
| 구분 | 참여건수 기준 | 신청수량 기준 | ||
| 참여건수(건) | 비율 | 신청수량(주) | 비율 | |
| 가격미제시 | 14 | 0.60% | 7,552,000 | 0.72% |
| 30,000원 초과 | 169 | 7.23% | 67,318,000 | 6.39% |
| 30,000원 (상단) | 2,152 | 92.12% | 978,442,000 | 92.89% |
| 27,000원 초과 30,000원 미만 | 1 | 0.04% | 8,000 | 0.00% |
| 27,000원 (하단) | - | 0.00% | - | 0.00% |
| 27,000원 미만 | - | 0.00% | - | 0.00% |
| 합계 | 2,336 | 100.00% | 1,053,320,000 | 100.00% |
(다)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 (단위 : 건, 주. %) |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
| 공모 | 사모 |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 6 개월 확약 | 2 | 940,000 | 30,000 | 61 | 23,770,000 | 30,066 | 7 | 1,202,000 | 30,000 | 2 | 2,850,000 | 30,000 | 3 | 3,826,000 | 34,000 | 96 | 13,435,000 | 30,083 |
| 3 개월 확약 | 1 | 817,000 | 30,000 | 209 | 87,370,000 | 31,343 | 28 | 4,395,000 | 30,036 | - | - | - | 2 | 2,362,000 | 31,000 | 58 | 9,173,000 | 30,190 |
| 1 개월 확약 | 4 | 5,136,000 | 30,000 | 89 | 48,197,000 | 30,056 | 28 | 6,718,000 | 30,321 | 2 | 2,850,000 | 30,000 | 2 | 2,395,000 | 32,000 | 37 | 7,173,000 | 30,135 |
| 15 일 확약 | 3 | 3,001,000 | 30,000 | 16 | 12,948,000 | 30,000 | 4 | 1,581,000 | 30,750 | - | - | - | - | - | - | 12 | 3,240,000 | 30,000 |
| 미확약 | 10 | 7,762,000 | 30,000 | 647 | 324,078,000 | 29,723 | 242 | 73,136,000 | 30,461 | 15 | 21,300,000 | 30,600 | 43 | 49,378,000 | 30,116 | 431 | 161,515,000 | 30,014 |
| 합계 | 20 | 17,656,000 | 30,000 | 1,022 | 496,363,000 | 30,064 | 309 | 87,032,000 | 30,427 | 19 | 27,000,000 | 30,473 | 50 | 57,961,000 | 30,486 | 634 | 194,536,000 | 30,031 |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 주1) |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 6 개월 확약 | 1 | 261,000 | 30,000 | - | - | - | - | - | - | 172 | 46,284,000 | 30,140 |
| 3 개월 확약 | 8 | 7,529,000 | 30,125 | - | - | - | 13 | 10,790,000 | 30,000 | 319 | 122,436,000 | 30,927 |
| 1 개월 확약 | 2 | 1,061,000 | 30,000 | - | - | - | 22 | 22,739,000 | 30,000 | 186 | 96,269,000 | 30,124 |
| 15 일 확약 | - | - | - | - | - | - | 3 | 2,490,000 | 30,000 | 38 | 23,260,000 | 30,079 |
| 미확약 | 127 | 106,909,000 | 30,220 | 33 | 12,374,000 | 31,727 | 73 | 8,619,000 | 31,151 | 1,621 | 765,071,000 | 30,075 |
| 합계 | 138 | 115,760,000 | 30,212 | 33 | 12,374,000 | 31,727 | 111 | 44,638,000 | 30,222 | 2,336 | 1,053,320,000 | 30,181 |
| 주1)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라) 주당 확정 공모가액의 결정
상기와 같은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에스엔시스㈜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30,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30,000원 이상 가격 제시자(확정공모가액의 -10% 이내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 중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희망하는 자 포함)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4)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 항목 | 내용 |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보통주 1,900,000주 |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27,000원 | |
| 확정가액 | 주1)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51,300,000,000원 | |
| 확정가액 | 주1) | ||
| 청약단위 | 주2) |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8월 07일 (목) |
| 종료일 | 2025년 08월 08일 (금) |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8월 07일 (목) | |
| 종료일 | 2025년 08월 08일 (금) |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 | |
| 일반투자자 | 50% | ||
| 납입기일 | 2025년 08월 12일 (화) | ||
| 주1) | 상기 예정가액은 희망공모가액인 27,000원~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4)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3)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 2025년 08월 08일 (금) |
| 주4) | 청약증거금 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②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③ 일반청약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2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2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2025년 08월 12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2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그 납입방식을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1)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2) 일반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투자자(청약자)는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 신한투자증권㈜ | 475,000주 ~ 570,000주 | 주) | 50% |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45,000주 ~ 57,000주(300%) 30,000주 ~ 38,000주(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15,000주 ~ 19,000주(100%)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신한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 2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 5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100주 |
| 2,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 10,000주 초과 | 1,0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 ~ 75.0% (1,330,000주 ~ 1,425,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 ~ 30.0% (475,000주 ~ 570,0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대표주관회사 및 대표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475,000주 이상 570,000주 이하를 배정할 예정이며, 균등방식 배정 예정물량은 237,500주에서 285,000주 이상입니다.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⑥ 비례배정 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수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수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수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후략)
(주4)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 항목 | 내용 |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보통주 1,900,000주 |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27,000원 | |
| 확정가액 | 30,000원 주1)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51,300,000,000원 | |
| 확정가액 | 57,000,000,000원 주1) | ||
| 청약단위 | 주2) |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8월 07일 (목) |
| 종료일 | 2025년 08월 08일 (금) |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8월 07일 (목) | |
| 종료일 | 2025년 08월 08일 (금) |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 | |
| 일반투자자 | 50% | ||
| 납입기일 | 2025년 08월 12일 (화) | ||
| 주1)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와 협의하여 30,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4)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3)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8월 07일 (목) ~ 2025년 08월 08일 (금) |
| 주4) | 청약증거금 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②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③ 일반청약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8월 12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8월 12일)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2025년 08월 12일)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8월 12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그 납입방식을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 주5) | 청약취급처 1)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2) 일반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투자자(청약자)는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 신한투자증권㈜ | 475,000주 | 주) | 50% |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45,000주 (300%) 30,000주 (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15,000주 (100%)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신한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 2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 5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100주 |
| 2,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 10,000주 초과 | 1,0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5.0%(1,425,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475,0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대표주관회사 및 대표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475,000주를 배정할 예정이며, 균등방식 배정 예정물량은 237,500주입니다.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⑥ 비례배정 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수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수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수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후략)
(주5)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 [인수방법 : 총액인수] |
| (단위: 주, 원) |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여의도동, 티피타워) | 기명식 보통주1,900,000주(100.0%) | 51,300,000,000원 | 총액인수 |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27,000원~30,0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 (단위: 원) |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 인수수수료(성과수수수료 제외) | 신한투자증권㈜ | 1,307,499,975 | 인수금액의 2.5% | 납입일로부터5영업일 이내 | 주3) | - | - | 주1)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 성과수수료 | 신한투자증권㈜ | 미정 | 인수금액의 최대 1.0% | 납입일로부터5영업일 이내 | 주3)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3조제2항에 의하여, 대표주관계약 해지 시 업무 수행에 대한 대가로 해지 시점에 따라 하기 수수료가 발생합니다.상장예비심사신청 이전: 10,000,000원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50,000,000원 | ||||||||
| 주3) |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상장주선인으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취득자 | 증권의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신한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37,037주 | 999,999,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으로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후략)
(주5)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 [인수방법 : 총액인수] |
| (단위: 주, 원) |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여의도동, 티피타워) | 기명식 보통주1,900,000주(100.0%) | 57,000,000,000원 | 총액인수 |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 (단위: 원) |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 인수수수료(성과수수수료 제외) | 신한투자증권㈜ | 1,449,999,750 | 인수금액의 2.5% | 납입일로부터5영업일 이내 | 주3) | - | - | 주1)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 성과수수료 | 신한투자증권㈜ | 미정 | 인수금액의 최대 1.0% | 납입일로부터5영업일 이내 | 주3)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 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3조제2항에 의하여, 대표주관계약 해지 시 업무 수행에 대한 대가로 해지 시점에 따라 하기 수수료가 발생합니다.상장예비심사신청 이전: 10,000,000원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50,000,000원 | ||||||||
| 주3) |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상장주선인으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취득자 | 증권의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신한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33,333주 | 999,99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후략) (주6) 정정 전
|
더. 경영안정성 관련 위험
당사의 최대주주인 배재혁의 경영권 안정을 위해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등기임원 3인, 미등기임원 3인)이 2년 6개월 간 유효한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한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 포함 지분은 2,803,935주(지분율 36.85%)입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통해 상장 후에도 최대주주인 배재혁 대표이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관의 변경,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분할, 합병 등 회사의 본질적 구조나 경영권, 재무적 기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특별결의의 경우, 공모후 29.70%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등이 특별결의에 필요한 추가 지분 확보에 실패할 경우 최대주주등이 단독으로 특별결의의 가결요건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14.99%의 지분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이 사실상 비토권(veto right)을 행사할 수 있는 바,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주주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2017년 당사가 삼성중공업 기전사업부로부터 독립하여 설립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체결한 이사 지명권,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 및 협의권 등 경영에 대한 관여의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사 이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공모 희석 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약 29.70% 수준에 해당하여 경영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 보유주식이 특정 대상자에게 집중적으로 양도되거나,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최대주주 지분이 희석될 경우 당사의 경영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략적 투자자인 삼성중공업㈜가 지분 1,520,000주(지분율 19.98%), 배재혁 대표이사는 지분 1,136,000주(지분율은 14.93%)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삼성중공업㈜의 특수관계인이 당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배재혁 대표이사는 임원의 임면 등 당사의 중요한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바, 당사 및 그 임원이 배재혁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제1호 아목)에 해당합니다. 배재혁 대표이사 및 등기임원 3인이 당사의 가장 많은 지분 총 2,612,000주(지분율 34.33%)을 보유하고 있어 배재혁 대표이사가 당사의 최대주주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당사 공모 전/후 주요 주주 지분율】 |
| (단위: 주, %) |
| 구 분 | 성 명 |
주식 종류 |
공모 전 소유주식수 |
공모전 지분율 |
공모 후 소유주식수 |
공모후 지분율 |
|---|---|---|---|---|---|---|
| 최대주주등 | 배재혁(대표이사) | 보통주 | 1,136,000주 | 14.93% | 1,136,000주 | 12.03% |
| 정태경(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이태영(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황외열(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정수형(미등기임원) | 보통주 | 68,012주 | 0.89% | 68,012주 | 0.73% | |
| 강상윤(미등기임원) | 보통주 | 68,951주 | 0.91% | 68,951주 | 0.72% | |
| 박홍규(미등기임원) | 보통주 | 54,972주 | 0.72% | 54,972주 | 0.58% | |
| 소 계 | 2,803,935주 | 36.85% | 2,803,935주 | 29.70% | ||
|
5% 이상 소유주주 |
삼성중공업 | 보통주 | 1,520,000주 | 19.98% | 1,415,000주 | 14.99% |
| 소 계 | 1,520,000주 | 19.98% | 1,415,000주 | 14.99% | ||
당사의 대표이사인 배재혁의 경영권 안정을 위해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등기임원 3인, 미등기임원 3인)이 2년 6개월간 유효한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한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 포함 지분은 2,803,935주(지분율 36.85%)입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서의 주요 내용은 하기와 같으며, 상장 후에도 최대주주인 배재혁 대표이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 【 공동목적보유확약서 주요 내용 】 |
|
제1조 (약정의 기간 및 대상 주식등) ① 본 약정의 기간은 본 회사의 주식등이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날로부터 2년 6개월로 한다. ② 본 약정의 대상 주식등은 제1항의 본 약정의 기간 동안 하기와 같이 당사자들이 보유 중인 주식으로 하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된 이후 코스닥시장에서 장내/장외 매도한 주식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2조 (의결권의 공동행사) 제1조에 따른 기간 동안 당사자들은 본 회사의 경영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배재혁에게 위임하여 공동으로 행사하도록 한다. 당사자들 중 일방이 주주총회에 참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재혁에게 대상 주식등에 대하여 의결권 위임에 필요한 제반 서류를 제공한다. 배재혁은 본 회사의 운영 및 영업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경영상 판단을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 개최 10영업일 전에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에 관한 계획을 당사자들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제3조 (준거법 및 관할법원) 본 약정 및 본 약정에 따라 체결되는 다른 계약 및 서류와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는 대한민국 법령에 따라 규율 되고 해석된다. 본 약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분쟁에 관하여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한다 |
최대주주등의 전체 공모후 지분율은 29.70%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단일주주 기준 공모후 지분율 약 14.99%에 해당하는 삼성중공업은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상법 제368조(총회의 결의방법과 의결권의 행사)제1항에 따르면 주주총회의 일반결의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하며, 제434조(정관변경의 특별결의)에 따르면,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이상의 수와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정관의 변경,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분할, 합병 등 회사의 본질적 구조나 경영권, 재무적 기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특별결의의 경우, 공모후 29.7%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등이 특별결의에 필요한 추가 지분 확보에 실패할 경우 최대주주등이 단독으로 특별결의의 가결요건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15.0%의 지분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이 사실상 비토권(veto right)을 행사할 수 있는 바,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주주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2017년 당사가 삼성중공업 기전사업부로부터 독립하여 설립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체결한 이사 지명권,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 및 협의권 등 경영에 대한 관여의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사 이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공모 희석 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약 29.70% 수준에 해당하여 경영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 보유주식이 특정 대상자에게 집중적으로 양도되거나,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최대주주 지분이 희석될 경우 당사의 경영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주6) 정정 후
|
더. 경영안정성 관련 위험
당사의 최대주주인 배재혁의 경영권 안정을 위해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등기임원 3인, 미등기임원 3인)이 2년 6개월 간 유효한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한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 포함 지분은 2,803,935주(지분율 36.85%)입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통해 상장 후에도 최대주주인 배재혁 대표이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관의 변경,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분할, 합병 등 회사의 본질적 구조나 경영권, 재무적 기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특별결의의 경우, 공모후 29.71%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등이 특별결의에 필요한 추가 지분 확보에 실패할 경우 최대주주등이 단독으로 특별결의의 가결요건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14.99%의 지분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이 사실상 비토권(veto right)을 행사할 수 있는 바,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주주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2017년 당사가 삼성중공업 기전사업부로부터 독립하여 설립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체결한 이사 지명권,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 및 협의권 등 경영에 대한 관여의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사 이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공모 희석 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약 29.71% 수준에 해당하여 경영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 보유주식이 특정 대상자에게 집중적으로 양도되거나,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최대주주 지분이 희석될 경우 당사의 경영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략적 투자자인 삼성중공업㈜가 지분 1,520,000주(지분율 19.98%), 배재혁 대표이사는 지분 1,136,000주(지분율은 14.93%)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삼성중공업㈜의 특수관계인이 당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배재혁 대표이사는 임원의 임면 등 당사의 중요한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바, 당사 및 그 임원이 배재혁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제1호 아목)에 해당합니다. 배재혁 대표이사 및 등기임원 3인이 당사의 가장 많은 지분 총 2,612,000주(지분율 34.33%)을 보유하고 있어 배재혁 대표이사가 당사의 최대주주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당사 공모 전/후 주요 주주 지분율】 |
| (단위: 주, %) |
| 구 분 | 성 명 |
주식 종류 |
공모 전 소유주식수 |
공모전 지분율 |
공모 후 소유주식수 |
공모후 지분율 |
|---|---|---|---|---|---|---|
| 최대주주등 | 배재혁(대표이사) | 보통주 | 1,136,000주 | 14.93% | 1,136,000주 | 12.04% |
| 정태경(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이태영(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황외열(등기임원) | 보통주 | 492,000주 | 6.47% | 492,000주 | 5.21% | |
| 정수형(미등기임원) | 보통주 | 68,012주 | 0.89% | 68,012주 | 0.73% | |
| 강상윤(미등기임원) | 보통주 | 68,951주 | 0.91% | 68,951주 | 0.72% | |
| 박홍규(미등기임원) | 보통주 | 54,972주 | 0.72% | 54,972주 | 0.58% | |
| 소 계 | 2,803,935주 | 36.85% | 2,803,935주 | 29.71% | ||
|
5% 이상 소유주주 |
삼성중공업 | 보통주 | 1,520,000주 | 19.98% | 1,415,000주 | 14.99% |
| 소 계 | 1,520,000주 | 19.98% | 1,415,000주 | 14.99% | ||
당사의 대표이사인 배재혁의 경영권 안정을 위해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등기임원 3인, 미등기임원 3인)이 2년 6개월간 유효한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한 배재혁 대표이사와 임원 포함 지분은 2,803,935주(지분율 36.85%)입니다. 공동목적보유확약서의 주요 내용은 하기와 같으며, 상장 후에도 최대주주인 배재혁 대표이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 【 공동목적보유확약서 주요 내용 】 |
|
제1조 (약정의 기간 및 대상 주식등) ① 본 약정의 기간은 본 회사의 주식등이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날로부터 2년 6개월로 한다. ② 본 약정의 대상 주식등은 제1항의 본 약정의 기간 동안 하기와 같이 당사자들이 보유 중인 주식으로 하되,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된 이후 코스닥시장에서 장내/장외 매도한 주식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2조 (의결권의 공동행사) 제1조에 따른 기간 동안 당사자들은 본 회사의 경영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배재혁에게 위임하여 공동으로 행사하도록 한다. 당사자들 중 일방이 주주총회에 참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재혁에게 대상 주식등에 대하여 의결권 위임에 필요한 제반 서류를 제공한다. 배재혁은 본 회사의 운영 및 영업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경영상 판단을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 개최 10영업일 전에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에 관한 계획을 당사자들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제3조 (준거법 및 관할법원) 본 약정 및 본 약정에 따라 체결되는 다른 계약 및 서류와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는 대한민국 법령에 따라 규율 되고 해석된다. 본 약정과 관련하여 발생된 분쟁에 관하여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한다 |
최대주주등의 전체 공모후 지분율은 29.71%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단일주주 기준 공모후 지분율 약 14.99%에 해당하는 삼성중공업은 공동목적보유확약을 체결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상법 제368조(총회의 결의방법과 의결권의 행사)제1항에 따르면 주주총회의 일반결의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하며, 제434조(정관변경의 특별결의)에 따르면,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이상의 수와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정관의 변경,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분할, 합병 등 회사의 본질적 구조나 경영권, 재무적 기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특별결의의 경우, 공모후 29.71%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등이 특별결의에 필요한 추가 지분 확보에 실패할 경우 최대주주등이 단독으로 특별결의의 가결요건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14.99%의 지분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이 사실상 비토권(veto right)을 행사할 수 있는 바,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주주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2017년 당사가 삼성중공업 기전사업부로부터 독립하여 설립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체결한 이사 지명권,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 및 협의권 등 경영에 대한 관여의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사 이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공모 희석 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약 29.71% 수준에 해당하여 경영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 보유주식이 특정 대상자에게 집중적으로 양도되거나,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최대주주 지분이 희석될 경우 당사의 경영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주7) 정정 전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 시 동사의 상장예정주식수 9,440,268주 중 37.88%에 해당하는 3,576,222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3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0.39%에 해당하는 37,037주, 6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9.62%에 해당하는 908,517주, 12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8.52%에 해당하는 804,037주, 24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02%에 해당하는 1,606,935주, 30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6.56%에 해당하는 2,507,520주가 추가적으로 의무보유기간 만료에 따라 매도 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매도 가능 물량으로 인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상주식수 9,440,268주 중 동사의 최대주주인 배재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136,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30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 최대주주 배재혁의 특수관계인인 등기임원 정태경, 이태영, 황회열 각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492,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30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동사 최대주주 배재혁의 특수관계인인 미등기임원 정수형, 강상윤, 박홍규 각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68,012주, 68,951주, 54,972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8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100%를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한편, 동사의 전략적 투자자인 삼성중공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415,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대상이 아니나 자발적으로 보유주식의 100%를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그외 동사의 1%미만 주주 113인이 보유한 3,284,296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대상이 아니나 전·현직 임직원 82인이 보유한 2,680,203주 중 보유주식의 30%인 804,037주를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보유주식의 30%인 804,037주를 상장일로부터 12개월 간 자발적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상장주선인 신한투자증권㈜은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 공모주식의 3% 혹은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37,037주(상장예정주식수의 0.39%)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상장 후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0.39%(상장예정주식수 기준)에 해당하는 37,037주에 대하여 계속보유의무가 없습니다.상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한 의무보유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각이 제한됩니다. 동사의 상장 이후 유통가능물량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장 후 유통제한 및 유통가능주식수 현황] |
| (단위: 주) |
| 구분 | 주주명 | 주식종류 | 회사와의 관계 | 공모전 | 공모후 | 의무보유기간 | 비고 | ||||||
|---|---|---|---|---|---|---|---|---|---|---|---|---|---|
| 보유주식 | 유통가능물량 | 매각제한물량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최대주주등 | 배재혁 | 보통주 | 대표이사 | 1,090,560 | 14.33% | 1,090,560 | 11.55% | - | - | 1,090,560 | 11.55% | 2년 6개월 | 주1) |
| 45,440 | 0.60% | 45,440 | 0.48% | - | - | 45,440 | 0.48% | 6개월 | 주1) | ||||
| 정태경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0% | - | - | 472,320 | 5.00%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이태영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0% | - | - | 472,320 | 5.00%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황외열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0% | - | - | 472,320 | 5.00%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강상윤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68,951 | 0.91% | 68,951 | 0.73% | - | - | 68,951 | 0.73% | 2년 | 주2) | |
| 정수형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68,012 | 0.89% | 68,012 | 0.72% | - | - | 68,012 | 0.72% | 2년 | 주2) | |
| 박홍규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54,972 | 0.72% | 54,972 | 0.58% | - | - | 54,972 | 0.58% | 2년 | 주2) | |
| 소계 | 2,803,935 | 36.85% | 2,803,935 | 29.70% | - | - | 2,803,935 | 29.70% | - | - | |||
| 주요주주 | 삼성중공업 | 보통주 | SI | 1,520,000 | 19.98% | 1,415,000 | 14.99% | - | - | 1,415,000 | 14.99% | 2년 | 주3) |
| 소계 | 1,520,000 | 19.98% | 1,415,000 | 14.99% | - | - | 1,415,000 | 14.99% | - | - | |||
| 1% 미만 보유주주 | 전*현임직원 82인 | 보통주 | 전*현임직원 | 2,680,203 | 35.23% | 804,037 | 8.52% | - | - | 804,037 | 8.52% | 1년 | 주4) |
| 보통주 | 804,037 | 8.52% | - | - | 804,037 | 8.52% | 6개월 | 주5) | |||||
| 보통주 | 1,072,129 | 11.36% | 1,072,129 | 11.36% | - | - | - | - | |||||
| 전*현임직원 31인 | 보통주 | 전*현임직원 | 604,093 | 7.94% | 604,093 | 6.40% | 604,093 | 6.40% | - | - | - | - | |
| 소계 | 3,284,296 | 43.17% | 3,284,296 | 34.79% | 1,676,222 | 17.76% | 1,608,074 | 17.03% | - | ||||
| 공모주식 | 신주모집 | 보통주 | - | - | - | 1,795,000 | 19.01% | 1,795,000 | 19.01% | - | - | - | - |
| 구주매출 | 보통주 | - | - | - | 105,000 | 1.11% | 105,000 | 1.11% | - | - | - | - | |
| 소계 | - | - | 1,900,000 | 20.13% | 1,900,000 | 20.13% | - | - | - | - | |||
| 의무인수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 보통주 | - | - | - | 37,037 | 0.39% | - | - | 37,037 | 0.39% | 3개월 | 주6) |
| 합계 | 7,608,231 | 100.00% | 9,440,268 | 100.00% | 3,576,222 | 37.88% | 5,864,046 | 62.12% | - | - | |||
| 주1)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상장일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2년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상장일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6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은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3) | 주3)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2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4)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1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5) | 주5)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6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6) | 주관사의 의무인수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
| [상장 이후 시점별 유통가능 주식수]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구분 | 주식수(주)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3,576,222 | 37.88% |
| 상장후 3개월 뒤 유통가능 | 3,613,259 | 38.27% |
| 상장후 6개월 뒤 유통가능 | 4,521,776 | 47.90% |
| 상장후 12개월 뒤 유통가능 | 5,325,813 | 56.42% |
| 상장후 24개월 뒤 유통가능 | 6,932,748 | 73.44% |
| 상장후 30개월 뒤 유통가능 | 9,440,268 | 100.00% |
상기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이 단기간 내 급격하게 출회될 경우 동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주요 주주 등의 소유주식 매각은 당동사의 사업성, 성장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후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 시 동사의 상장예정주식수 9,436,564주 중 37.90% 에 해당하는 3,576,222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3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0.35% 에 해당하는 33,333주 , 6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9.63% 에 해당하는 908,517주, 12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8.52%에 해당하는 804,037주, 24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03% 에 해당하는 1,606,935주, 30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6.57% 에 해당하는 2,507,520주가 추가적으로 의무보유기간 만료에 따라 매도 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매도 가능 물량으로 인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상주식수 9,436,564주 중 동사의 최대주주인 배재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136,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30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 최대주주 배재혁의 특수관계인인 등기임원 정태경, 이태영, 황회열 각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492,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30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동사 최대주주 배재혁의 특수관계인인 미등기임원 정수형, 강상윤, 박홍규 각각의 공모 후 보유 주식 68,012주, 68,951주, 54,972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8개월 추가하여 보유주식의100%를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한편, 동사의 전략적 투자자인 삼성중공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415,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대상이 아니나 자발적으로 보유주식의 100%를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그외 동사의 1%미만 주주 113인이 보유한 3,284,296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대상이 아니나 전·현직 임직원 82인이 보유한 2,680,203주 중 보유주식의 30%인 804,037주를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보유주식의 30%인 804,037주를 상장일로부터 12개월 간 자발적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상장주선인 신한투자증권㈜은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 공모주식의 3% 혹은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33,333주(상장예정주식수의 0.35%)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상장 후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0.35%(상장예정주식수 기준)에 해당하는 33,333주에 대하여 계속보유의무가 없습니다.상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한 의무보유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각이 제한됩니다. 동사의 상장 이후 유통가능물량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장 후 유통제한 및 유통가능주식수 현황] |
| (단위: 주) |
| 구분 | 주주명 | 주식종류 | 회사와의 관계 | 공모전 | 공모후 | 의무보유기간 | 비고 | ||||||
|---|---|---|---|---|---|---|---|---|---|---|---|---|---|
| 보유주식 | 유통가능물량 | 매각제한물량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최대주주등 | 배재혁 | 보통주 | 대표이사 | 1,090,560 | 14.33% | 1,090,560 | 11.56% | - | - | 1,090,560 | 11.56% | 2년 6개월 | 주1) |
| 45,440 | 0.60% | 45,440 | 0.48% | - | - | 45,440 | 0.48% | 6개월 | 주1) | ||||
| 정태경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1% | - | - | 472,320 | 5.01%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이태영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1% | - | - | 472,320 | 5.01%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황외열 | 보통주 | 등기임원 | 472,320 | 6.21% | 472,320 | 5.01% | - | - | 472,320 | 5.01% | 2년 6개월 | 주1) | |
| 19,680 | 0.26% | 19,680 | 0.21% | - | - | 19,680 | 0.21% | 6개월 | 주1) | ||||
| 강상윤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68,951 | 0.91% | 68,951 | 0.73% | - | - | 68,951 | 0.73% | 2년 | 주2) | |
| 정수형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68,012 | 0.89% | 68,012 | 0.72% | - | - | 68,012 | 0.72% | 2년 | 주2) | |
| 박홍규 | 보통주 | 미등기임원 | 54,972 | 0.72% | 54,972 | 0.58% | - | - | 54,972 | 0.58% | 2년 | 주2) | |
| 소계 | 2,803,935 | 36.85% | 2,803,935 | 29.71% | - | - | 2,803,935 | 29.71% | - | - | |||
| 주요주주 | 삼성중공업 | 보통주 | SI | 1,520,000 | 19.98% | 1,415,000 | 14.99% | - | - | 1,415,000 | 14.99% | 2년 | 주3) |
| 소계 | 1,520,000 | 19.98% | 1,415,000 | 14.99% | - | - | 1,415,000 | 14.99% | - | - | |||
| 1% 미만 보유주주 | 전*현임직원 82인 | 보통주 | 전*현임직원 | 2,680,203 | 35.23% | 804,037 | 8.52% | - | - | 804,037 | 8.52% | 1년 | 주4) |
| 보통주 | 804,037 | 8.52% | - | - | 804,037 | 8.52% | 6개월 | 주5) | |||||
| 보통주 | 1,072,129 | 11.36% | 1,072,129 | 11.36% | - | - | - | - | |||||
| 전*현임직원 31인 | 보통주 | 전*현임직원 | 604,093 | 7.94% | 604,093 | 6.40% | 604,093 | 6.40% | - | - | - | - | |
| 소계 | 3,284,296 | 43.17% | 3,284,296 | 34.80% | 1,676,222 | 17.76% | 1,608,074 | 17.04% | - | ||||
| 공모주식 | 신주모집 | 보통주 | - | - | - | 1,795,000 | 19.02% | 1,795,000 | 19.02% | - | - | - | - |
| 구주매출 | 보통주 | - | - | - | 105,000 | 1.11% | 105,000 | 1.11% | - | - | - | - | |
| 소계 | - | - | 1,900,000 | 20.13% | 1,900,000 | 20.13% | - | - | - | - | |||
| 의무인수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 보통주 | - | - | - | 33,333 | 0.35% | - | - | 33,333 | 0.35% | 3개월 | 주6) |
| 합계 | 7,608,231 | 100.00% | 9,436,564 | 100.00% | 3,576,222 | 37.90% | 5,860,342 | 62.10% | - | - | |||
| 주1)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상장일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2년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4%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96%는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제1항제1호에 의거하여 최대주주등이 보유한 주식은 상장일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되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년 6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은 상장일로부터 2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3) | 주3)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2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4)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1년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5) | 주5)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제1항 제7호에 의거하여 자발적으로 6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
| 주6) | 주관사의 의무인수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
| [상장 이후 시점별 유통가능 주식수]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 구분 | 주식수(주)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 상장일 유통가능 | 3,576,222 | 37.90% |
| 상장후 3개월 뒤 유통가능 | 3,609,555 | 38.25% |
| 상장후 6개월 뒤 유통가능 | 4,518,072 | 47.88% |
| 상장후 12개월 뒤 유통가능 | 5,322,109 | 56.40% |
| 상장후 24개월 뒤 유통가능 | 6,929,044 | 73.43% |
| 상장후 30개월 뒤 유통가능 | 9,436,564 | 100.00% |
상기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이 단기간 내 급격하게 출회될 경우 동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주요 주주 등의 소유주식 매각은 당동사의 사업성, 성장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전
| 마.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상장 시 공모 주식 1,900,000주 이외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37,037주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의해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내역】 |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 후 의무보유기간 |
|---|---|---|---|---|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37,037주 | 999,999,000원 | 상장 후 3개월 |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해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
| 주3) |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 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시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37,037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시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할 예정입니다.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이 공모 이외의 주식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
| 마.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상장 시 공모 주식 1,900,000주 이외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33,333주 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의해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내역】 |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 후 의무보유기간 |
|---|---|---|---|---|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33,333주 | 999,990,000원 | 상장 후 3개월 |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 |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해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
| 주3) | 상장주선인 의무취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 제5항 및 제6항 제1호에 의거, 코스닥 대형법인에 해당하여 상장주선인이 의무인수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가 존재하나, 주관사 책임 및 투자자보호 조치 측면에서 '대형법인'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의무인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 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시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33,333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시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할 예정입니다.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이 공모 이외의 주식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 차.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공모가 하단 기준 48,028백만원(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377억원을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건설/생산설비 투자,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 설비 투자, AI R&D 센터 설립 등으로 활용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103억원을 연구개발을 포함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등으로 사용될 계획입니다.다만,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해당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 자금 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 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공모가 하단 기준 48,028백만원(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377억원을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건설/생산설비 투자,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 설비 투자, AI R&D 센터 설립 등으로 활용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103억원을 연구개발을 포함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등으로 사용될 계획입니다.공모자금 사용계획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다만,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해당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 자금 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할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후
| 차.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확정 공모가액 30,000원 기준 53,269백만원 (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428억원 을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건설/생산설비 투자,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 설비 투자, AI R&D 센터 설립 등으로 활용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104억원 을 연구개발을 포함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등으로 사용될 계획입니다.다만,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해당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 자금 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 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확정 공모가액 30,000원 기준 53,269백만원 (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428억원 을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건설/생산설비 투자,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 설비 투자, AI R&D 센터 설립 등으로 활용될 계획입니다.당사는 공모자금 중 약 104억원 을 연구개발을 포함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등으로 사용될 계획입니다.공모자금 사용계획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다만,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해당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 자금 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할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10) 정정 전
| 거.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배재혁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2,803,935주(상장예정주식수의 29.70%)를 보유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동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배재혁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은 보통주 2,803,935주(상장예정주식수의 29.70%)를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주10) 정정 후
| 거.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배재혁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2,803,935주(상장예정주식수의 29.71% )를 보유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동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배재혁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은 보통주 2,803,935주(상장예정주식수의 29.71% )를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주11) 정정 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공모가 산정 요약표] |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 평가모형 | PER |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 |||
| 적용산식 |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①) x 유사기업의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 ① |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주) | 18,462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 ② | 유사기업의 PER | 21.60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나) 유사기업 PER 산출 | |
| ③ | 주식수 | 9,440,268주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 주당 평가 가액 | 42,200원 | ① x ② ÷③ |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6.00% ~ 28.8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
| 공모가 산정 결과 | 27,000원 ~ 30,0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
|
주) 동사의 적용 당기순이익은 동사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22,490백만원에서 법인세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받은 세액 5,517백만원을 제외하고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용역비용 1,490백만원을 환입한 실적입니다. 동사의 기업가치를 산정시 비경상적인 손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 구분 | 내용 |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27,000원 ~ 30,000원 |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에스엔시스㈜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중략)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PER에 의한 에스엔시스㈜의 평가가치] |
| 구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고 |
| 적용 당기순이익 | (A) | 18,462백만원 | 주1) |
| 적용 PER | (B) | 21.60배 | - |
| 적용 기업가치 평가액 | (C) = (A) X (B) | 398,784백만원 | - |
| 적용 주식수 | (D) | 9,440,268주 | 주2) |
| 주당 평가가액 | (E) = (C) ÷ (D) | 42,200원 | 주3) |
|
주1) 동사의 적용 당기순이익은 동사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22,490백만원에서 법인세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받은 세액 5,517백만원을 제외하고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용역비용 1,490백만원을 환입한 실적입니다. 동사의 기업가치를 산정시 비경상적인 손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동사는 조세특례제한법 6조제2항 및 제3항, 제10항 제1호 나목 및 동법 시행령 제5조 제21항의 분사창업 요건을 충족함에 따라, 창업벤처중소기업 세액감면(감면율 50%) 적용대상에 해당하여 2024년 중 2020년~2022년 사업연도에 대한 법인세 경정청구를 제기하였으며, 경정청구 환급세액 5,517백만원을 지급받았습니다. 다만, 경정청구 세액환급분은 특정 사업연도(2020년~2022년)를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비경상적인 영업외 손익이며,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비용 또한 특정 사업연도에 일회성으로 발생한 비경상적인 영업외 손익으로 동사의 적용당기순이익 산정 시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
||||||||||||||||||||||
|
주2) 적용주식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편,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138,130주의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이 존재합니다. 다만, 해당 주식매수선택권의 50%는 2027.03.26~2027.04.30, 잔여 50%는 2028.03.26~2028.04.30의 기간동안 행사 가능합니다. 상장 후 주가 변동, 자발적 퇴사, 추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등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불필요한 희석 효과를 피하고자 상장 후 1년 이내 행사 가능한 수량만 적용주식수에 포함하고자 하였으나, 동사의 경우 주식매수선택권 전량의 행사기간이 상장 1년 이후 도래함에 따라 적용주식수에 주식매수선택권 수량을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해당 가정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적용주식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138,130주를 합산한 9,578,398주입니다. 이 경우 상기 공모 할인전 주당 평가가액은 42,200원에서 41,600원으로 변경됩니다. |
||||||||||||||||||||||
| 주3) 주당평가가액은 십의자리에서 반올림하였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는 없습니다.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에스엔시스㈜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 구 분 | 내 용 | 비고 |
|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 42,200원 |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6.00%~28.80% | 주1) |
| 희망공모가액 밴드 | 27,000원 ~ 30,000원 | - |
| 확정공모가액 | - | 주2) |
| 주1) |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과거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 [2024년 이후 코스닥 신규 일반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상장일 | 회사명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 상단 | 하단 | ||
| 2025-06-02 | 키스트론 | 20.00% | 31.00% |
| 2025-05-20 | 바이오비쥬 | 31.42% | 39.67% |
| 2025-05-09 | 원일티엔아이 | 41.12% | 49.54% |
| 2025-04-04 | 한국피아이엠 | 30.59% | 42.37% |
| 2025-04-03 | 에이유브랜즈 | 8.79% | 20.19% |
| 2025-03-24 | 더즌 | 24.41% | 36.51% |
| 2025-03-20 | 한텍 | 43.00% | 51.50% |
| 2025-03-20 | 티엑스알로보틱스 | 25.49% | 36.53% |
| 2025-03-07 | 엠디바이스 | 40.11% | 48.36% |
| 2025-03-06 | 대진첨단소재 | 30.11% | 41.40% |
| 2025-02-25 | 엘케이켐 | 29.73% | 39.76% |
| 2025-02-24 | 위너스 | 22.09% | 33.48% |
| 2025-02-20 | 모티브링크 | 17.53% | 29.88% |
| 2025-02-17 | 동국생명과학 | 11.20% | 21.75% |
| 2025-02-13 | 동방메디컬 | 38.78% | 47.53% |
| 2025-02-04 | 피아이이 | 23.96% | 39.17% |
| 2025-02-03 | 삼양엔씨켐 | 17.70% | 26.90% |
| 2025-01-24 | 아스테라시스 | 13.70% | 24.95% |
| 2025-01-24 | 미트박스 | 29.18% | 41.50% |
| 2024-12-20 | 듀켐바이오 | 30.99% | 39.80% |
| 2024-12-16 | 벡트 | 23.70% | 31.53% |
| 2024-11-20 | 위츠 | 14.76% | 29.41% |
| 2024-11-19 | 사이냅소프트 | 27.98% | 38.26% |
| 2024-11-18 | 엠오티 | 6.48% | 19.84% |
| 2024-11-13 | 닷밀 | 20.91% | 33.08% |
| 2024-11-01 | 탑런토탈솔루션 | 37.80% | 46.70% |
| 2024-11-01 | 에이럭스 | 13.41% | 26.24% |
| 2024-10-30 | 성우 | 14.03% | 25.89% |
| 2024-10-25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9.37% | 31.78% |
| 2024-10-22 | 한켐 | 18.90% | 30.08% |
| 2024-10-18 | 인스피언 | 16.38% | 33.10% |
| 2024-10-18 | 와이제이링크 | 23.05% | 32.47% |
| 2024-09-30 | 제닉스 | 23.44% | 36.95% |
| 2024-08-30 | 아이스크림미디어 | 9.41% | 27.89% |
| 2024-08-22 | M83 | 33.63% | 43.84% |
| 2024-08-21 | 티디에스팜 | 11.86% | 21.75% |
| 2024-08-16 | 유라클 | 22.74% | 33.78% |
| 2024-06-27 | 하이젠알앤엠 | 19.13% | 33.83% |
| 2024-06-14 | 그리드위즈 | 43.11% | 51.65% |
| 2024-05-24 | 노브랜드 | 14.45% | 32.34% |
| 2024-05-07 | 코칩 | 9.08% | 28.57% |
| 2024-03-13 | 오상헬스케어 | 39.89% | 47.91% |
| 2024-02-06 | 스튜디오삼익 | 19.62% | 29.36% |
| 2024-02-01 | 이닉스 | 21.93% | 34.71% |
| 2024-01-29 | 포스뱅크 | 17.23% | 28.26% |
| 2024-01-26 | 현대힘스 | 24.20% | 39.84% |
| 2024-01-25 | HB인베스트먼트 | 26.62% | 37.10% |
| 2024-01-24 | 우진엔텍 | 14.87% | 25.30% |
| 평균 | 23.29% | 34.86% | |
| 주1) |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 주2) | DART, 분석기준일: 2025년 6월 18일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비교기업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6.00%~28.80%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27,000원 ~ 3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4년 이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기업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기업과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후략)
(주11) 정정 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공모가 산정 요약표] |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 평가모형 | PER |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 |||
| 적용산식 |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①) x 유사기업의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 ① |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주) | 18,462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 ② | 유사기업의 PER | 21.60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나) 유사기업 PER 산출 | |
| ③ | 주식수 | 9,436,564주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 주당 평가 가액 | 42,300원 | ① x ② ÷③ |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6.00% ~ 28.8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
| 공모가 산정 결과 | 30,0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 하였습니다. | ||
|
주) 동사의 적용 당기순이익은 동사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22,490백만원에서 법인세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받은 세액 5,517백만원을 제외하고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용역비용 1,490백만원을 환입한 실적입니다. 동사의 기업가치를 산정시 비경상적인 손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 구분 | 내용 |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27,000원~30,000원 |
| 주당 확정공모가액 | 30,000원 |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확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에스엔시스㈜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에스엔시스㈜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에스엔시스㈜가 협의하여 1주당 30,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중략)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PER에 의한 에스엔시스㈜의 평가가치] |
| 구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고 |
| 적용 당기순이익 | (A) | 18,462백만원 | 주1) |
| 적용 PER | (B) | 21.60배 | - |
| 적용 기업가치 평가액 | (C) = (A) X (B) | 398,784백만원 | - |
| 적용 주식수 | (D) | 9,436,564주 | 주2) |
| 주당 평가가액 | (E) = (C) ÷ (D) | 42,300원 | 주3) |
|
주1) 동사의 적용 당기순이익은 동사의 2025년 1분기 기준 과거 12개월(LTM) 당기순이익 22,490백만원에서 법인세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받은 세액 5,517백만원을 제외하고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용역비용 1,490백만원을 환입한 실적입니다. 동사의 기업가치를 산정시 비경상적인 손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동사는 조세특례제한법 6조제2항 및 제3항, 제10항 제1호 나목 및 동법 시행령 제5조 제21항의 분사창업 요건을 충족함에 따라, 창업벤처중소기업 세액감면(감면율 50%) 적용대상에 해당하여 2024년 중 2020년~2022년 사업연도에 대한 법인세 경정청구를 제기하였으며, 경정청구 환급세액 5,517백만원을 지급받았습니다. 다만, 경정청구 세액환급분은 특정 사업연도(2020년~2022년)를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비경상적인 영업외 손익이며, 경정청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위탁한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에 지급한 비용 또한 특정 사업연도에 일회성으로 발생한 비경상적인 영업외 손익으로 동사의 적용당기순이익 산정 시 경정청구에 따라 환급세액은 제외, 용역비용은 환입한 실적을 고려하였습니다. |
||||||||||||||||||||||
|
주2) 적용주식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편,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138,130주의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이 존재합니다. 다만, 해당 주식매수선택권의 50%는 2027.03.26~2027.04.30, 잔여 50%는 2028.03.26~2028.04.30의 기간동안 행사 가능합니다. 상장 후 주가 변동, 자발적 퇴사, 추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등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불필요한 희석 효과를 피하고자 상장 후 1년 이내 행사 가능한 수량만 적용주식수에 포함하고자 하였으나, 동사의 경우 주식매수선택권 전량의 행사기간이 상장 1년 이후 도래함에 따라 적용주식수에 주식매수선택권 수량을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해당 가정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적용주식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미행사 주식매수선택권 138,130주를 합산한 9,574,694주입니다. 이 경우 상기 공모 할인전 주당 평가가액은 42,300원에서 41,600원으로 변경됩니다. |
||||||||||||||||||||||
| 주3) 주당평가가액은 십의자리에서 반올림하였습니다.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는 없습니다.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에스엔시스㈜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 구 분 | 내 용 | 비고 |
|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 42,200원 |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6.00%~28.80% | 주1) |
| 희망공모가액 밴드 | 27,000원 ~ 30,000원 | - |
| 확정공모가액 | 30,000원 | 주2) |
| 주1) |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과거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30,000원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
| [2024년 이후 코스닥 신규 일반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상장일 | 회사명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 상단 | 하단 | ||
| 2025-06-02 | 키스트론 | 20.00% | 31.00% |
| 2025-05-20 | 바이오비쥬 | 31.42% | 39.67% |
| 2025-05-09 | 원일티엔아이 | 41.12% | 49.54% |
| 2025-04-04 | 한국피아이엠 | 30.59% | 42.37% |
| 2025-04-03 | 에이유브랜즈 | 8.79% | 20.19% |
| 2025-03-24 | 더즌 | 24.41% | 36.51% |
| 2025-03-20 | 한텍 | 43.00% | 51.50% |
| 2025-03-20 | 티엑스알로보틱스 | 25.49% | 36.53% |
| 2025-03-07 | 엠디바이스 | 40.11% | 48.36% |
| 2025-03-06 | 대진첨단소재 | 30.11% | 41.40% |
| 2025-02-25 | 엘케이켐 | 29.73% | 39.76% |
| 2025-02-24 | 위너스 | 22.09% | 33.48% |
| 2025-02-20 | 모티브링크 | 17.53% | 29.88% |
| 2025-02-17 | 동국생명과학 | 11.20% | 21.75% |
| 2025-02-13 | 동방메디컬 | 38.78% | 47.53% |
| 2025-02-04 | 피아이이 | 23.96% | 39.17% |
| 2025-02-03 | 삼양엔씨켐 | 17.70% | 26.90% |
| 2025-01-24 | 아스테라시스 | 13.70% | 24.95% |
| 2025-01-24 | 미트박스 | 29.18% | 41.50% |
| 2024-12-20 | 듀켐바이오 | 30.99% | 39.80% |
| 2024-12-16 | 벡트 | 23.70% | 31.53% |
| 2024-11-20 | 위츠 | 14.76% | 29.41% |
| 2024-11-19 | 사이냅소프트 | 27.98% | 38.26% |
| 2024-11-18 | 엠오티 | 6.48% | 19.84% |
| 2024-11-13 | 닷밀 | 20.91% | 33.08% |
| 2024-11-01 | 탑런토탈솔루션 | 37.80% | 46.70% |
| 2024-11-01 | 에이럭스 | 13.41% | 26.24% |
| 2024-10-30 | 성우 | 14.03% | 25.89% |
| 2024-10-25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9.37% | 31.78% |
| 2024-10-22 | 한켐 | 18.90% | 30.08% |
| 2024-10-18 | 인스피언 | 16.38% | 33.10% |
| 2024-10-18 | 와이제이링크 | 23.05% | 32.47% |
| 2024-09-30 | 제닉스 | 23.44% | 36.95% |
| 2024-08-30 | 아이스크림미디어 | 9.41% | 27.89% |
| 2024-08-22 | M83 | 33.63% | 43.84% |
| 2024-08-21 | 티디에스팜 | 11.86% | 21.75% |
| 2024-08-16 | 유라클 | 22.74% | 33.78% |
| 2024-06-27 | 하이젠알앤엠 | 19.13% | 33.83% |
| 2024-06-14 | 그리드위즈 | 43.11% | 51.65% |
| 2024-05-24 | 노브랜드 | 14.45% | 32.34% |
| 2024-05-07 | 코칩 | 9.08% | 28.57% |
| 2024-03-13 | 오상헬스케어 | 39.89% | 47.91% |
| 2024-02-06 | 스튜디오삼익 | 19.62% | 29.36% |
| 2024-02-01 | 이닉스 | 21.93% | 34.71% |
| 2024-01-29 | 포스뱅크 | 17.23% | 28.26% |
| 2024-01-26 | 현대힘스 | 24.20% | 39.84% |
| 2024-01-25 | HB인베스트먼트 | 26.62% | 37.10% |
| 2024-01-24 | 우진엔텍 | 14.87% | 25.30% |
| 평균 | 23.29% | 34.86% | |
| 주1) |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 주2) | DART, 분석기준일: 2025년 6월 18일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에스엔시스㈜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비교기업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6.00%~28.80%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27,000원 ~ 3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4년 이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기업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기업과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공모가액을 1주당 30,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후략) (주12)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 (단위 : 천원) |
| 구분 | 금액 | 비고 |
| 총 공모금액 | 51,300,000 | (1) |
| 구주매출금액 | 2,835,000 | (2) |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 | 999,999 | (3) |
| 발행제비용 | 1,437,297 | (4) |
| 순수입금 | 48,027,702 | [ (1) - (2) + (3) - (4) ] |
| 주1) 상기 금액은 공모가 하단금액인 27,0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3)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거하여 모집 또는 매출하는 주권 총수의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부분입니다. 단, 모집하는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 (단위 : 천원) |
| 구분 | 금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1,307,500 |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의 2.5% |
| 등록세 | 3,664 | 증자자본금의 0.4% |
| 교육세 | 733 | 등록세의 20% |
| 상장수수료 | 15,400 | 1,320만원+2,0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4만원 |
| 상장심사수수료 | 10,000 | 자기자본 1,000억원 초과 5천억원 이하 1,000만원 |
| 기타비용 | 100,000 | IR 비용, 공고비용, 등기비용 등 |
| 합계 | 1,437,297 | - |
| 주1) | 인수수수료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27,000원 ~ 30,000원 중 최저가액인 27,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 주2)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2)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 (단위 : 천원) |
| 구분 | 금액 | 비고 |
| 총 공모금액 | 57,000,000 | (1) |
| 구주매출금액 | 3,150,000 | (2) |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 | 999,990 | (3) |
| 발행제비용 | 1,580,948 | (4) |
| 순수입금 | 53,269,042 | [ (1) - (2) + (3) - (4) ] |
| 주1)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0,0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3)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거하여 모집 또는 매출하는 주권 총수의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부분입니다. 단, 모집하는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 (단위 : 천원) |
| 구분 | 금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1,450,000 |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의 2.5% |
| 등록세 | 3,657 | 증자자본금의 0.4% |
| 교육세 | 731 | 등록세의 20% |
| 상장수수료 | 16,560 | 1,320만원+2,0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4만원 |
| 상장심사수수료 | 10,000 | 자기자본 1,000억원 초과 5천억원 이하 1,000만원 |
| 기타비용 | 100,000 | IR 비용, 공고비용, 등기비용 등 |
| 합계 | 1,580,948 | - |
| 주1) | 인수수수료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 공모가액 30,000원 기준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의 1.0%의 범위 내에서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 주2)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3) 정정 전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자금의 사용계획당사는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만, 아래의 자금 사용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안정성 높은 금융상품에 예치하여 일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 (기준일 : | 2025년 06월 25일 | ) | (단위 : 백만원)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37,728 | - | 10,300 | - | - | - | 48,028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48,028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연구개발)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다만, 아래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조달하는 자금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사용목적대로 사용하기 위해 실제 자금 집행 이전에 관련 부서 간 내부 협의를 통해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내용에 근거하여 자금 사용 방안의 합리성, 집행 금액, 소진율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입니다. 또한 동사는 자금입출입과 관련하여 재무회계팀 및 CFO가 발생 사건별 현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결재 문서화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철저한 관리 및 내부통제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동사의 자금관리규정 등 내부 규정에 따라 자금관리 및 집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자금 사용 목적에 맞게 자금을 집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며 관련 내용을 매 분기별 정기공시하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분/반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변동상황에 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다만,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한편, 당사 공모자금 사용계획 중 2025년 중 집행 예정 금액은 약 73억원으로, 2026년 집행예정금액 278억원, 2027년 집행예정금액 129억원 대비 다소 적습니다. 당사의 상장 예상 시점을 고려하였을 경우, 공모자금의 2025년 사용 가능 기간은 약 4개월 내외로 예상되며 이에 2025년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투자 가능기간 및 2026년으로 이월 가능성을 고려하여 현재 확정되어 진행중인 사용계획 위주로 수립되었습니다. 2026년 상반기 사용계획의 경우 현재 추진중인 계획이나, 2026년 중으로 이월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보수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및 2026년 상하반기, 2027년 상하반기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계 | ||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
| 시설자금 |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 | 설계·인허가 및 인프라 계획 | 500 | - | - | - | - | 500 |
| 건축공사 | 4,500 | 3,500 | - | - | - | 8,0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1,000 | - | - | 1,0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MG SET 등) | - | - | - | 500 | - | 500 | ||
|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거제 생산공장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 토지매입·부지조성 | - | 7,000 | - | - | - | 7,000 | |
| 설계·인허가 및 인프라 계획 | - | 300 | - | - | - | 300 | ||
| 건축공사 | - | - | 700 | 2,000 | - | 2,7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 | 700 | - | 7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300 | - | 300 | ||
|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 인수 대상 검토 | - | 28 | - | - | - | 28 | |
| 공장 매입 | - | 6,000 | - | - | - | 6,0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400 | - | - | 4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800 | - | - | 8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500 | - | 500 | ||
|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 현지 공장조사 | - | 100 | - | - | - | 100 | |
| 공장 인수 실사·계약 | - | 3,000 | - | - | - | 3,0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400 | - | - | 4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500 | 500 | - | 1,0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500 | - | 500 | ||
| AI R&D센터 설립 | 입지선정 및 연구소 계약 | - | - | - | 2,000 | - | 2,0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 | 1,000 | - | 1,000 | ||
| 연구장비·서버 도입 | - | - | - | - | 1,000 | 1,000 | ||
| 소 계 | 5,000 | 19,928 | 3,800 | 8,000 | 1,000 | 37,728 | ||
| 운영자금(연구개발) |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 하이시스 해석 | 100 | - | - | - | - | 100 |
| 실증설비 설계·엔지니어링 | 200 | - | - | - | - | 200 | ||
| 장비 제작·설치 | 200 | 700 | - | - | - | 90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250 | - | - | - | 250 | ||
| 인증 취득 | - | 250 | - | - | - | 250 | ||
|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 선상시험 수행 | 600 | - | - | - | - | 600 | |
| IMO/USCG 인증시험 | 250 | - | - | - | - | 250 | ||
| 인증 취득 | 250 | - | - | - | - | 250 | ||
|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 | 설계 외주용역 | 250 | - | - | - | - | 250 | |
| 프로토타입 제작 | 450 | 770 | - | - | - | 1,220 | ||
| 선상시험 수행 | - | 530 | 500 | - | - | 1,03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 | 200 | 250 | - | 450 | ||
| 시험생산 | - | - | - | 450 | - | 450 | ||
|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 | 100 | - | - | - | 100 | |
| 시제품 제작 | - | - | 200 | 400 | - | 600 | ||
| 공인인증시험 수행 | - | - | 600 | - | 600 | |||
| 개선·양산 준비 | - | - | 100 | - | 100 | |||
|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 | 100 | - | - | - | 100 | |
| 시제품 제작 | - | - | 100 | 200 | - | 300 | ||
| 공인인증시험 수행 | - | - | - | 250 | - | 250 | ||
| 개선·양산 준비 | - | - | - | 50 | - | 50 | ||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 요구분석 및 아키텍처 설계 | - | 200 | - | - | - | 200 | |
| 프로토타입 개발 | - | - | 200 | 500 | - | 700 | ||
| 데이터 연계·통합 테스트 | - | - | - | 600 | - | 60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 | - | - | 250 | 250 | ||
| 인증 취득 | - | - | - | - | 250 | 250 | ||
| 소 계 | 2,300 | 2,900 | 1,200 | 3,400 | 500 | 10,300 | ||
| 합 계 | 7,300 | 22,828 | 5,000 | 11,400 | 1,500 | 48,028 | ||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 세부적인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설자금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 당사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하여 부산 1공장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부산2공장을 증축하고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을 생산할 계획입니다.당사 배전반 신사업(육상/해양)에 대한 시장 진출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사가 목표로 하는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적용 범위] |
| 육상 | 해양 |
| 반도체 공장, 데이터센터, 바이오플랜트 등 | FSRU 해양플랜트, FLNG 해양플랜트, 해상풍력발전소 등 |
| 주1)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는 액화천연가스(LNG)를 해상에서 저장하고 기화하여 육상으로 공급하는 설비를 갖춘 선박 형태의 부유식 터미널입니다. |
| 주2)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액화천연가스(LNG) 생산, 저장, 하역 기능을 갖춘 부유식 해양 설비입니다. |
| [당사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사업화 전략] |
| 1) 글로벌 기술 인증 | 2) 공급 마켓 확대 | 3) 글로벌 시장 진출 |
| ABB 사업제휴 및라이선스 확보(완료) | 반도체 공장, 데이터센터, FLNG, 해상풍력 수주 추진 중(진행중) | 미국, 일본, 중동 등글로벌 시장 진출(계획) |
| [당사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사업 진행 사항] |
| 구분 | 내용 |
| 2023 | 육상 배전반 개발 시작, 2024년 중 개발 완료 |
| 2024 | 육상 전력 TF 신설 |
| ABB 사업제휴 및 고/저압반 라이선스 확보(고압반 해양, 저압반 육상/해양 진출 기반 확보) | |
| 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공급 Maker List 등재 착수 | |
| 2025 | ABB 고/저압반 생산 및 시운전 기술 확보(Z-FLNG 공동수행 진행 등) |
| S2사 전력설비 증설 납품완료(`25.06)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공급 Maker List 등재 진행중 | |
| 2026(E)~ | S2사 FLNG 수주 계획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수주 계획일본 데이터센터 수주 계획 |
당사는 기존 삼성중공업을 비롯한 국내 유수 조선소에 선박용 고저압 배전반을 공급해 온 선박용 배전반 전문기업이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매출을 확대하기 위해 당사는 2023년 말부터 육상 배전반 시장으로의 신규 진출을 결정하고 현재 적극 추진중에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육상 배전반 시장은 이미 다수의 경쟁사로 포화된 상태로, 당사는 육상 분야에서도 특히 고스펙과 고기술을 요구하는 대형 육상 플랜트와 데이터센터 등 고부가 산업시설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해양, 국내 공장증설 증가, 데이터센터의 시장성장에 따라 선박용 위주의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ABB 사업제휴 (*) 및 자체 육상배전반 개발을 완료 (**) 하여 시장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를 생산하기 위한 배전반 CAPA 확대가 필요하며 현재의 부산공장 유휴부지에2공장 증축을 2025년 하반기부터 진행할 예정으로 공장설립과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100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 ABB는 1883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전기화·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본사는 취리히에 위치하며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약 105,000명의 임직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140여 년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4년 연결 매출 329억 USD, 영업이익 51억 USD, 영업이익률 18.1%를 기록하며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ABB의 사업영역은 네 가지 핵심영역으로 구성돼, 상호 협업을 통해 종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1) Electrification: 저·중압 배전, 스마트빌딩·e-모빌리티·에너지관리 솔루션2) Motion: 전동기·드라이브 시스템3) Process Automation: 산업용 제어·계측, 플랜트 자동화4) Robotics & Discrete Automation: 로봇·팩토리 자동화당사는 ABB Electrification 사업부의 Distribution Solutions 및 Smart Power 디비전과 전략적 사업제휴를 맺고, 해양배전반 시장을 겨냥해 다음 두 모델의 라이선스를 확보했습니다.① System pro E power (저전압 배전반): 모듈러 배전반 (6,300 A, 120 kA급 / IEC 61439 기준 완전형식시험 완료)② UniGear ZS1 (고전압 배전반): 내부 아크 분리형 공기절연 스위치기어 (최대 24 kV, 4,000 A, 63 kA급)
| [ABB 라이선스 확보 상세 내용] |
| 구분 | 라이선스 주체 | 계약기간 | 주요범위 | 적용분야 |
| System pro E power (저전압 배전반) | ABB S.p.A (Electrification - Smart Power, Milano, Italy) | 2024.02.14~2026.12.31(2년 단위 갱신 가능) | - IEC 61439-1/-2 준수- System Pro E power 스위치기어 설계, 조립, 공급- ABB 승인 부품 사용 및 패턴별 Routine Verification 수행 | - 육상/해양 모두 적용 가능 |
| UniGear ZS1(고전압 배전반) | ABB s.r.o (Marine Power Parts, Prague, Czech Republic) | 2024.04.22~2027.06.20(2년 단위 갱신 가능) | - UniGear ZS1 MV switchgear 모듈 현지 조립, 테스트- ABB 부품 통합 OEM 공급- 독립 단일 주문 체결 후 판매 권한 | - 해상 전용 |
(**) 당사는 S1사 모터제어반(MCC)와 분전반 모델의 시제품 개발과 인증을 완료했으며, 현재 S1사 배전반 공급업체 등록절차를 공식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절차상 3단계인 Vendor Survey를 `25년 5월에 통과하였으며, 7월 기술평가를 통해 최종 등록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당사 육상 배전반 제품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사 육상배전반 제품] |
| 구분 | 제품 | 사양 |
| SIMCC (S&SYS Industry Motor Control Center) |
|
■ Rated Voltage : 460V ■ Rated Current: 250A ■ Rated short-time withstand current: 50kA ■ Ingress Protection(IP):IP4X ■ Mechanical Impact: IK 07 |
| - 개요 : 육상배전반의 한 형태인 MCC(Motor Control Center, 모터제어반)는 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panel이며,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됨- 인증 현황 : IEC 61439, KEMC 1108 규격 시험 완료- 특징 : S사 반도체 생산설비에 적용가능한 MCC 구조 구현 | ||
| SIDB (S&SYS Industry Distribution Board) |
|
■ Rated Voltage : 220V ■ Rated Current: 400A ■ Rated short-time withstand current: 35kA ■ Ingress Protection(IP):IP4X ■ Mechanical Impact: IK 07 |
| - 개요 :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급전된 대전력을 받아서 사용 부하 크기에 맞게 각각의 작은 전력으로 분배하고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함- 인증 현황 : IEC 61439 , KEMC 2104 규격 시험 완료- 특징 : S사 반도체 생산설비에 적용가능한 분전반 구조 구현 | ||
한편, 당사 육상 배전반 제품의 기술 수준의 경쟁우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패널 등급: 당사는 IEC 규격 중 최고급 Metal-Clad(MCSG)급을 적용해 구조적·안전적 강도를 높였고, 타사는 비교적 단순한 Cubicle형 패널을 사용합니다.- 설치 면적 절감 기술 보유 ( 진공차단기 크레들을 구성 자재화하여 설치 공간 축소)- 정격: 12 kV/4,000 A로 고전압·고전류 수요를 충족하며, 경쟁사 모델(≤6.6 kV/3,000 A) 대비 상위 사양입니다.- 내아크 등급: 내부 아크 사고 보호 성능을 IAC AFLR(40 kA·1 s)로 확보하여, 20 kA·1 s 이하인 일반사 대비 2배 이상의 내아크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인증: KEMC, IEC 61439, ABS·DNV·LR·RINA선급 등 복수 인증을 획득 한편, 조선(일반선)시장과 별개로 친환경 에너지 수요증가에 따라 당사 주요 고객인 대형조선소에서 FLNG, FSRU, 부유식 해상 풍력설비 등의 해양 PLANT 건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양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글로벌 해양 전력솔루션 공급사인 ABB와 사업협력을 통한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2024년 체결 완료하고 해양용 배전반 생산설비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당사는 해양 프로젝트 사업추진을 위해, ABB사에서 기 수주한 S2사 건조공사인 Z-FLNG PJT*에 배전반 설비의 현장 커미셔닝을 `25년말 동시 수행 협의중이며, 이후 S2사에서 수주가 예상되는 후속 FLNG PJT**등에 협력 확대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액화하여 저장, 하역하는 설비로, Z-FLNG PJT는 S사가 건조 중인 부유식 LNG 생산 설비(FLNG)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Z-FLNG PJT는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P사의 시리즈 3번째 PJT명이며, 5억 달러(약 2조원) 규모로 S사에서 수주한 해양플랜트입니다. **S2사 해양플랜트 FLNG 프로젝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S2사 해양플랜트 FLNG 프로젝트 내역] |
| 프로젝트 | 고객사 | 상태 | 수주 규모 | 수주 예정일 |
| 모잠비크 Coral Norte FLNG | 모잠비크Coral Norte | Pre-EPCI 수주완료 | 약 3.6조 KRW(US$ 2.5 B) | 2025년 하반기 |
|
FLNG 4기 수주 협의 공사 |
Eni, Delfin LNG, Western LNG, Golar LNG |
예정 | 약 8조 KRW(US$ 5.5 B) | 2025년 말 이후 |
다만, 당사는 상기와 같은 S2사 FLNG 프로젝트 협력 확대를 추진중에 있으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이 확정된 것은 없습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해양 프로젝트 납품 실적은 없으며 아직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기 이전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ABB와의 협력을 통해 S2사의 구매/설계/영업에 영업활동 및 협력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1-2)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거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이중연료추진 시스템은 선박의 친환경화 트렌드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중이며 당사는 본격적인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외주사 위주의 생산체계 개선 및 CAPA 증설을 위하여 경상남도 거제지역에 신규 생산공장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거제지역의 해상과 인접한 토지매입을 추진중이며 공장설립 및 생산설비 투자까지 총 110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중연료추진 시스템은 육상운송이 불가능하여 해상운송이 필수적인 제품으로 대형조선소가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인 거제시에 거점을 확보하여 물류 및 프로젝트 대응에 유리한 입지를 구축하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1-3)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 주요 시장에서 배전반 공급과 고객사의 유지보수 요청사항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공장 확보가 필수적으로 당사는 경기지역에 공장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공장매입, 시설개조, 생산설비를 위해 약 77억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1-4)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조선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중국은 국영 조선소를 중심으로 설계 기업과 연구소 등 조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조선 수주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중국의 시장점유율은 약 70%입니다.
| [한중일 3국의 수주량 및 점유율 추이] |
| 출처: | Clarkson, 한국수출입은행, 해운조선업 2024년 동향 및 2025 전망(2025.01) |
중국 조선업은 기존 중소형/일반선종 위주의 조선 시장에서 최근 LNG운반선, 대형 컨테이너선 및 탱커선으로도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고부가가치 선박의 점유율 상승은 중국 내 친환경 고사양의 기자재 수요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하기 Clarksons Research 자료를 확인할 시, 고급 및 중대형 선종이라고 할 수 있는 LNG, LPG, 대형컨테이너 등의 수주 척수가 증가 추이에 있습니다. LNG 선박의 경우 2023년 81척에서 2024년 101척, LPG 선박의 경우 2023년 91척에서 2024년 135척, 대형컨테이너(8,000 TEU( Twenty-foot Equivalent Unit) 이상)의 경우 2023년 188척에서 2024년 366척으로 증가한 바 있습니다.
| [중국 조선소 수주 잔량] |
| 자료 : Clarksons Research(2024.12) |
중국은 글로벌 조선 점유율 1위의 최대 시장으로 당사는 수주 확대를 위해 2024년 중국에 상해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현지에서 영업, 설계, 생산, 커미셔닝, 유지보수에 이르는 Business Value Chain 완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해 공장 매입 및 시설 개조, 생산설비 확보에 총 50억원을 투자하여 중국 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당사는 중소형 선박의 최대시장인 중국에서 평형수처리시스템(BWMS)의 수주 확대를 위하여 신모델(Eco-Purimar)을 개발하였습니다. 본 모델은 기존 모델 대비 전력 소모량이 적고, 물리적 사멸 방식을 채택하여 중화제 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설치 공간이 작아 다양한 중소형 선박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최근 선박 시장의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친환경화 및 소형화를 구현해 경쟁사와 차별화된 강점을 확보하였으며 기존 당사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진출 시장 대비 더 다양한 선종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IMO 형식인증 시험 진행중이며, 현재 육상시험은 완료되었고 선상시험 진행중입니다. 2025년 말 IMO 형식인증서, 2026년 상반기에 USCG 형식인증서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또한, 중국 시장에서 LNG 운반선 및 대형 컨테이너선과 같은 고사양 선박의 건조 증가에 따라 당사는 고압배전반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이미 국내 선박용 고압배전반 분야에서 다양한 실적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 내 현지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서 실적과 경험이 부족한 상황을 활용하여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통해 경쟁우위를 더욱 확고히 다질 예정입니다. 당사의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투자계획은 2026년 약 40억원, 2027년 약 10억원입니다. 당사는 2024년 중국 상해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영업 체계를 강화하였으며 2025년 현재 현지법인 안정화와 중국 내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생산거점 선정, 협력사 발굴, 법규 검토 등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까지 생산체계 구축 준비과정을 마무리하고 2026년에 본격적인 자금 투자를 실행할 계획입니다.
1-5) AI R&D센터 설립
당사는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신규사업의 일환으로 AI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내부적으로는 AI 인프라를 구축하여 사내 업무의 자동화 및 효율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2027년부터 AI 플랫폼의 본격적인 개발과 제품화를 통해 신규 사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우수한 AI 전문인력 확보가 용이한 수도권 지역에 AI R&D센터를 설립하고자 하며, 2027년부터 총 40억원을 투자하여 AI플랫폼 개발 인프라 구축 및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2) 운영자금(연구개발)
2-1)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현재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시장은 LNG, 메탄올 연료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EU의 Net-Zero 환경규제 등에 따라 무탄소 연료 수요가 장기적으로 증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LNG, 메탄올 연료추진시스템의 기술개발과 제품화를 완료하였고 LPG, 암모니아, 수소 등의 차세대 연료추진 시스템 개발을 위해 17억원을 투자하여 실증설비 구축과 시험 및 인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2) ECO-PURIMAR IMO/USCG 시험 ·인증
당사의 평형수처리시스템 기존 모델 PURIMAR는 대형선박(LNG운반선, 탱커선 등)에 특화된 제품으로, 이를 중소형 선박까지 확대하고 친환경화를 실현하기 위한 혁신모델 ECO-PURIMAR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육상시험을 완료하고 선상시험을 진행중이며, IMO(국제해사기구) 및 USCG(미국해안경비대) 인증을 2025년까지 완료하기 위해 시험 및 인증에 11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2-3) IMO(국제해사기구)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IMO는 2025년부터 평형수처리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소독부산물의 배출량 주기적 검사 의무화 및 최대 허용 농도 설정 등 더욱 강화된 규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에 당사는 전기분해 방식의 PURIMAR 모델의 성능 고도화를 위해 핵심 구성품인 전해설비 및 필터 신제품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성능의 평형수처리시스템을 확보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설계 및 개발, 인증 완료까지 총 34억원을 2027년까지 투자할 예정입니다.
2-4)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당사는 2023년 12월 육상배전반 개발을 시작하여 2024년 중 개발을 완료한 바 있으며, 2025년 중 삼성중공업 육상배전공사에 대한 초도를 수주하여 상반기에 납품완료 한 바 있습니다. 당사 육상배전반 제품 개요는 상기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당사는 기술개발본부 하 육상전력 T/F팀을 통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육상전력 T/F는 현재 5인(팀장 1인, 수석부장 1인, 부장 2인, 사원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육상배전반 납품 완료 실적은 삼성중공업 1건입니다. 당사는 현재 S사 배전반 공급업체 등록절차 진행 중에 있으며 최종 등록 시 S전자 관계사의 공장증설 프로젝트에 수배전반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향후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대형 육상 플랜트 전력설비 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고성능 시장에 대비하기 위하여 신모델 개발, 공인시험, 인증에 14억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2-5)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ABB Parts 적용 등)
데이터센터 시장은 글로벌 AI 트렌드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중이며 당사는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ABB와 사업협력 체결을 완료하였습니다. ABB 사업협력 체결에 대한 상세사항은 상기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의 경우, 데이터센터별로 필요한 스펙을 맞추어 개발이 되어야하며 당사는 발주사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신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인증/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는 ABB 사업협력을 통해 일본 PDG 데이터센터 안건을 `25년 말 수주를 추진중에 있습니다.당사는 7억원을 투자하여 ABB Parts를 적용한 신모델 개발, 공인시험, 인증까지 완료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2-6)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당사의 운항제어솔루션 SSAS-Master는 엔진 제어, 연료 관리 및 안전 감시 기능을 통해 선박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항을 지원하는 핵심 솔루션입니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급속한 발전으로 기존의 수동 및 규칙 기반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운항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2027년까지 총 20억원을 투자하여 AI 기술을 접목한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을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에 출시할 계획입니다(후략)
(주13) 정정 후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자금의 사용계획당사는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만, 아래의 자금 사용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안정성 높은 금융상품에 예치하여 일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 (기준일 : | 2025년 08월 05일 | ) | (단위 : 백만원)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42,828 | - | 10,441 | - | - | - | 53,269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53,269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연구개발)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다만, 아래 사용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조달하는 자금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사용목적대로 사용하기 위해 실제 자금 집행 이전에 관련 부서 간 내부 협의를 통해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내용에 근거하여 자금 사용 방안의 합리성, 집행 금액, 소진율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입니다. 또한 동사는 자금입출입과 관련하여 재무회계팀 및 CFO가 발생 사건별 현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결재 문서화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철저한 관리 및 내부통제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동사의 자금관리규정 등 내부 규정에 따라 자금관리 및 집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자금 사용 목적에 맞게 자금을 집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며 관련 내용을 매 분기별 정기공시하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분/반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변동상황에 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다만,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분들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한편, 당사 공모자금 사용계획 중 2025년 중 집행 예정 금액은 약 73억원으로, 2026년 집행예정금액 314억원 , 2027년 집행예정금액 145억원 대비 다소 적습니다. 당사의 상장 예상 시점을 고려하였을 경우, 공모자금의 2025년 사용 가능 기간은 약 4개월 내외로 예상되며 이에 2025년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투자 가능기간 및 2026년으로 이월 가능성을 고려하여 현재 확정되어 진행중인 사용계획 위주로 수립되었습니다. 2026년 상반기 사용계획의 경우 현재 추진중인 계획이나, 2026년 중으로 이월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보수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및 2026년 상하반기, 2027년 상하반기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계 | ||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
| 시설자금 |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 | 설계·인허가 및 인프라 계획 | 500 | - | - | - | - | 500 |
| 건축공사 | 4,500 | 5,500 | - | - | - | 10,0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1,000 | - | - | 1,0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MG SET 등) | - | - | - | 500 | - | 500 | ||
|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거제 생산공장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 | 토지매입·부지조성 | - | 7,000 | - | - | - | 7,000 | |
| 설계·인허가 및 인프라 계획 | - | 300 | - | - | - | 300 | ||
| 건축공사 | - | - | 700 | 3,000 | - | 3,7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 | 700 | - | 7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300 | - | 300 | ||
|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 인수 대상 검토 | - | 28 | - | - | - | 28 | |
| 공장 매입 | - | 7,000 | - | - | - | 7,0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1,000 | - | - | 1,0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800 | - | - | 8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500 | - | 500 | ||
|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 현지 공장조사 | - | 100 | - | - | - | 100 | |
| 공장 인수 실사·계약 | - | 3,000 | - | - | - | 3,0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400 | - | - | 400 | ||
| 생산설비 도입·설치 (크레인 등) | - | - | 500 | 500 | - | 1,000 | ||
| 시험/검사 설비 도입 | - | - | - | 500 | - | 500 | ||
| AI R&D센터 설립 | 입지선정 및 연구소 계약 | - | - | - | 2,500 | - | 2,500 | |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공사 | - | - | - | 1,000 | - | 1,000 | ||
| 연구장비·서버 도입 | - | - | - | - | 1,000 | 1,000 | ||
| 소 계 | 5,000 | 22,928 | 4,400 | 9,500 | 1,000 | 42,828 | ||
| 운영자금(연구개발) |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 하이시스 해석 | 100 | - | - | - | - | 100 |
| 실증설비 설계·엔지니어링 | 200 | - | - | - | - | 200 | ||
| 장비 제작·설치 | 200 | 700 | - | - | - | 90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250 | - | - | - | 250 | ||
| 인증 취득 | - | 250 | - | - | - | 250 | ||
| ECO-PURIMAR IMO/USCG 시험/인증 | 선상시험 수행 | 600 | - | - | - | - | 600 | |
| IMO/USCG 인증시험 | 250 | - | - | - | - | 250 | ||
| 인증 취득 | 250 | - | - | - | - | 250 | ||
| IMO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 | 설계 외주용역 | 250 | - | - | - | - | 250 | |
| 프로토타입 제작 | 450 | 770 | - | - | - | 1,220 | ||
| 선상시험 수행 | - | 530 | 500 | - | - | 1,03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 | 200 | 250 | - | 450 | ||
| 시험생산 | - | - | - | 450 | - | 450 | ||
|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 | 100 | - | - | - | 100 | |
| 시제품 제작 | - | - | 200 | 500 | - | 700 | ||
| 공인인증시험 수행 | - | - | - | 600 | - | 600 | ||
| 개선·양산 준비 | - | - | - | 100 | - | 100 | ||
|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 | 100 | - | - | - | 100 | |
| 시제품 제작 | - | - | 100 | 241 | - | 341 | ||
| 공인인증시험 수행 | - | - | - | 250 | - | 250 | ||
| 개선·양산 준비 | - | - | - | 50 | - | 50 | ||
|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 요구분석 및 아키텍처 설계 | - | 200 | - | - | - | 200 | |
| 프로토타입 개발 | - | - | 200 | 500 | - | 700 | ||
| 데이터 연계·통합 테스트 | - | - | - | 600 | - | 600 | ||
| 선급인증시험 수행 | - | - | - | - | 250 | 250 | ||
| 인증 취득 | - | - | - | - | 250 | 250 | ||
| 소 계 | 2,300 | 2,900 | 1,200 | 3,541 | 500 | 10,441 | ||
| 합 계 | 7,300 | 25,828 | 5,600 | 13,041 | 1,500 | 53,269 | ||
당사는 이번 공모자금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 세부적인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설자금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 당사는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하여 부산 1공장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부산2공장을 증축하고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을 생산할 계획입니다.당사 배전반 신사업(육상/해양)에 대한 시장 진출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사가 목표로 하는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적용 범위] |
| 육상 | 해양 |
| 반도체 공장, 데이터센터, 바이오플랜트 등 | FSRU 해양플랜트, FLNG 해양플랜트, 해상풍력발전소 등 |
| 주1)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는 액화천연가스(LNG)를 해상에서 저장하고 기화하여 육상으로 공급하는 설비를 갖춘 선박 형태의 부유식 터미널입니다. |
| 주2)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액화천연가스(LNG) 생산, 저장, 하역 기능을 갖춘 부유식 해양 설비입니다. |
| [당사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사업화 전략] |
| 1) 글로벌 기술 인증 | 2) 공급 마켓 확대 | 3) 글로벌 시장 진출 |
| ABB 사업제휴 및라이선스 확보(완료) | 반도체 공장, 데이터센터, FLNG, 해상풍력 수주 추진 중(진행중) | 미국, 일본, 중동 등글로벌 시장 진출(계획) |
| [당사 육상 및 해양 배전반 사업 진행 사항] |
| 구분 | 내용 |
| 2023 | 육상 배전반 개발 시작, 2024년 중 개발 완료 |
| 2024 | 육상 전력 TF 신설 |
| ABB 사업제휴 및 고/저압반 라이선스 확보(고압반 해양, 저압반 육상/해양 진출 기반 확보) | |
| 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공급 Maker List 등재 착수 | |
| 2025 | ABB 고/저압반 생산 및 시운전 기술 확보(Z-FLNG 공동수행 진행 등) |
| S2사 전력설비 증설 납품완료(`25.06)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공급 Maker List 등재 진행중 | |
| 2026(E)~ | S2사 FLNG 수주 계획S1사 반도체공장 배전반 수주 계획일본 데이터센터 수주 계획 |
당사는 기존 삼성중공업을 비롯한 국내 유수 조선소에 선박용 고저압 배전반을 공급해 온 선박용 배전반 전문기업이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매출을 확대하기 위해 당사는 2023년 말부터 육상 배전반 시장으로의 신규 진출을 결정하고 현재 적극 추진중에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육상 배전반 시장은 이미 다수의 경쟁사로 포화된 상태로, 당사는 육상 분야에서도 특히 고스펙과 고기술을 요구하는 대형 육상 플랜트와 데이터센터 등 고부가 산업시설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해양, 국내 공장증설 증가, 데이터센터의 시장성장에 따라 선박용 위주의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ABB 사업제휴 (*) 및 자체 육상배전반 개발을 완료 (**) 하여 시장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를 생산하기 위한 배전반 CAPA 확대가 필요하며 현재의 부산공장 유휴부지에2공장 증축을 2025년 하반기부터 진행할 예정으로 공장설립과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120억원 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 ABB는 1883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전기화·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본사는 취리히에 위치하며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약 105,000명의 임직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140여 년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4년 연결 매출 329억 USD, 영업이익 51억 USD, 영업이익률 18.1%를 기록하며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ABB의 사업영역은 네 가지 핵심영역으로 구성돼, 상호 협업을 통해 종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1) Electrification: 저·중압 배전, 스마트빌딩·e-모빌리티·에너지관리 솔루션2) Motion: 전동기·드라이브 시스템3) Process Automation: 산업용 제어·계측, 플랜트 자동화4) Robotics & Discrete Automation: 로봇·팩토리 자동화당사는 ABB Electrification 사업부의 Distribution Solutions 및 Smart Power 디비전과 전략적 사업제휴를 맺고, 해양배전반 시장을 겨냥해 다음 두 모델의 라이선스를 확보했습니다.① System pro E power (저전압 배전반): 모듈러 배전반 (6,300 A, 120 kA급 / IEC 61439 기준 완전형식시험 완료)② UniGear ZS1 (고전압 배전반): 내부 아크 분리형 공기절연 스위치기어 (최대 24 kV, 4,000 A, 63 kA급)
| [ABB 라이선스 확보 상세 내용] |
| 구분 | 라이선스 주체 | 계약기간 | 주요범위 | 적용분야 |
| System pro E power (저전압 배전반) | ABB S.p.A (Electrification - Smart Power, Milano, Italy) | 2024.02.14~2026.12.31(2년 단위 갱신 가능) | - IEC 61439-1/-2 준수- System Pro E power 스위치기어 설계, 조립, 공급- ABB 승인 부품 사용 및 패턴별 Routine Verification 수행 | - 육상/해양 모두 적용 가능 |
| UniGear ZS1(고전압 배전반) | ABB s.r.o (Marine Power Parts, Prague, Czech Republic) | 2024.04.22~2027.06.20(2년 단위 갱신 가능) | - UniGear ZS1 MV switchgear 모듈 현지 조립, 테스트- ABB 부품 통합 OEM 공급- 독립 단일 주문 체결 후 판매 권한 | - 해상 전용 |
(**) 당사는 S1사 모터제어반(MCC)와 분전반 모델의 시제품 개발과 인증을 완료했으며, 현재 S1사 배전반 공급업체 등록절차를 공식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절차상 3단계인 Vendor Survey를 `25년 5월에 통과하였으며, 7월 기술평가를 통해 최종 등록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당사 육상 배전반 제품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사 육상배전반 제품] |
| 구분 | 제품 | 사양 |
| SIMCC (S&SYS Industry Motor Control Center) |
|
■ Rated Voltage : 460V ■ Rated Current: 250A ■ Rated short-time withstand current: 50kA ■ Ingress Protection(IP):IP4X ■ Mechanical Impact: IK 07 |
| - 개요 : 육상배전반의 한 형태인 MCC(Motor Control Center, 모터제어반)는 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panel이며,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됨- 인증 현황 : IEC 61439, KEMC 1108 규격 시험 완료- 특징 : S사 반도체 생산설비에 적용가능한 MCC 구조 구현 | ||
| SIDB (S&SYS Industry Distribution Board) |
|
■ Rated Voltage : 220V ■ Rated Current: 400A ■ Rated short-time withstand current: 35kA ■ Ingress Protection(IP):IP4X ■ Mechanical Impact: IK 07 |
| - 개요 :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급전된 대전력을 받아서 사용 부하 크기에 맞게 각각의 작은 전력으로 분배하고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함- 인증 현황 : IEC 61439 , KEMC 2104 규격 시험 완료- 특징 : S사 반도체 생산설비에 적용가능한 분전반 구조 구현 | ||
한편, 당사 육상 배전반 제품의 기술 수준의 경쟁우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패널 등급: 당사는 IEC 규격 중 최고급 Metal-Clad(MCSG)급을 적용해 구조적·안전적 강도를 높였고, 타사는 비교적 단순한 Cubicle형 패널을 사용합니다.- 설치 면적 절감 기술 보유 ( 진공차단기 크레들을 구성 자재화하여 설치 공간 축소)- 정격: 12 kV/4,000 A로 고전압·고전류 수요를 충족하며, 경쟁사 모델(≤6.6 kV/3,000 A) 대비 상위 사양입니다.- 내아크 등급: 내부 아크 사고 보호 성능을 IAC AFLR(40 kA·1 s)로 확보하여, 20 kA·1 s 이하인 일반사 대비 2배 이상의 내아크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인증: KEMC, IEC 61439, ABS·DNV·LR·RINA선급 등 복수 인증을 획득 한편, 조선(일반선)시장과 별개로 친환경 에너지 수요증가에 따라 당사 주요 고객인 대형조선소에서 FLNG, FSRU, 부유식 해상 풍력설비 등의 해양 PLANT 건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양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글로벌 해양 전력솔루션 공급사인 ABB와 사업협력을 통한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2024년 체결 완료하고 해양용 배전반 생산설비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당사는 해양 프로젝트 사업추진을 위해, ABB사에서 기 수주한 S2사 건조공사인 Z-FLNG PJT*에 배전반 설비의 현장 커미셔닝을 `25년말 동시 수행 협의중이며, 이후 S2사에서 수주가 예상되는 후속 FLNG PJT**등에 협력 확대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액화하여 저장, 하역하는 설비로, Z-FLNG PJT는 S사가 건조 중인 부유식 LNG 생산 설비(FLNG)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Z-FLNG PJT는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P사의 시리즈 3번째 PJT명이며, 5억 달러(약 2조원) 규모로 S사에서 수주한 해양플랜트입니다. **S2사 해양플랜트 FLNG 프로젝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S2사 해양플랜트 FLNG 프로젝트 내역] |
| 프로젝트 | 고객사 | 상태 | 수주 규모 | 수주 예정일 |
| 모잠비크 Coral Norte FLNG | 모잠비크Coral Norte | Pre-EPCI 수주완료 | 약 3.6조 KRW(US$ 2.5 B) | 2025년 하반기 |
|
FLNG 4기 수주 협의 공사 |
Eni, Delfin LNG, Western LNG, Golar LNG |
예정 | 약 8조 KRW(US$ 5.5 B) | 2025년 말 이후 |
다만, 당사는 상기와 같은 S2사 FLNG 프로젝트 협력 확대를 추진중에 있으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이 확정된 것은 없습니다.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해양 프로젝트 납품 실적은 없으며 아직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기 이전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ABB와의 협력을 통해 S2사의 구매/설계/영업에 영업활동 및 협력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1-2)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생산확대를 위한 거제 생산공장 토지매입/공장건설/생산설비 투자이중연료추진 시스템은 선박의 친환경화 트렌드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중이며 당사는 본격적인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외주사 위주의 생산체계 개선 및 CAPA 증설을 위하여 경상남도 거제지역에 신규 생산공장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거제지역의 해상과 인접한 토지매입을 추진중이며 공장설립 및 생산설비 투자까지 총 120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중연료추진 시스템은 육상운송이 불가능하여 해상운송이 필수적인 제품으로 대형조선소가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인 거제시에 거점을 확보하여 물류 및 프로젝트 대응에 유리한 입지를 구축하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1-3)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생산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대형 육상플랜트 주요 시장에서 배전반 공급과 고객사의 유지보수 요청사항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공장 확보가 필수적으로 당사는 경기지역에 공장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공장매입, 시설개조, 생산설비를 위해 약 93억원 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1-4)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공장 매입/생산설비 투자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조선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중국은 국영 조선소를 중심으로 설계 기업과 연구소 등 조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조선 수주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중국의 시장점유율은 약 70%입니다.
| [한중일 3국의 수주량 및 점유율 추이] |
| 출처: | Clarkson, 한국수출입은행, 해운조선업 2024년 동향 및 2025 전망(2025.01) |
중국 조선업은 기존 중소형/일반선종 위주의 조선 시장에서 최근 LNG운반선, 대형 컨테이너선 및 탱커선으로도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고부가가치 선박의 점유율 상승은 중국 내 친환경 고사양의 기자재 수요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하기 Clarksons Research 자료를 확인할 시, 고급 및 중대형 선종이라고 할 수 있는 LNG, LPG, 대형컨테이너 등의 수주 척수가 증가 추이에 있습니다. LNG 선박의 경우 2023년 81척에서 2024년 101척, LPG 선박의 경우 2023년 91척에서 2024년 135척, 대형컨테이너(8,000 TEU( Twenty-foot Equivalent Unit) 이상)의 경우 2023년 188척에서 2024년 366척으로 증가한 바 있습니다.
| [중국 조선소 수주 잔량] |
| 자료 : Clarksons Research(2024.12) |
중국은 글로벌 조선 점유율 1위의 최대 시장으로 당사는 수주 확대를 위해 2024년 중국에 상해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현지에서 영업, 설계, 생산, 커미셔닝, 유지보수에 이르는 Business Value Chain 완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해 공장 매입 및 시설 개조, 생산설비 확보에 총 50억원을 투자하여 중국 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당사는 중소형 선박의 최대시장인 중국에서 평형수처리시스템(BWMS)의 수주 확대를 위하여 신모델(Eco-Purimar)을 개발하였습니다. 본 모델은 기존 모델 대비 전력 소모량이 적고, 물리적 사멸 방식을 채택하여 중화제 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설치 공간이 작아 다양한 중소형 선박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최근 선박 시장의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친환경화 및 소형화를 구현해 경쟁사와 차별화된 강점을 확보하였으며 기존 당사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진출 시장 대비 더 다양한 선종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IMO 형식인증 시험 진행중이며, 현재 육상시험은 완료되었고 선상시험 진행중입니다. 2025년 말 IMO 형식인증서, 2026년 상반기에 USCG 형식인증서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또한, 중국 시장에서 LNG 운반선 및 대형 컨테이너선과 같은 고사양 선박의 건조 증가에 따라 당사는 고압배전반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이미 국내 선박용 고압배전반 분야에서 다양한 실적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 내 현지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서 실적과 경험이 부족한 상황을 활용하여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통해 경쟁우위를 더욱 확고히 다질 예정입니다. 당사의 중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투자계획은 2026년 약 40억원, 2027년 약 10억원입니다. 당사는 2024년 중국 상해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영업 체계를 강화하였으며 2025년 현재 현지법인 안정화와 중국 내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생산거점 선정, 협력사 발굴, 법규 검토 등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까지 생산체계 구축 준비과정을 마무리하고 2026년에 본격적인 자금 투자를 실행할 계획입니다.
1-5) AI R&D센터 설립
당사는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신규사업의 일환으로 AI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내부적으로는 AI 인프라를 구축하여 사내 업무의 자동화 및 효율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2027년부터 AI 플랫폼의 본격적인 개발과 제품화를 통해 신규 사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우수한 AI 전문인력 확보가 용이한 수도권 지역에 AI R&D센터를 설립하고자 하며, 2027년부터 총 45억원 을 투자하여 AI플랫폼 개발 인프라 구축 및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2) 운영자금(연구개발)
2-1) 이중연료추진시스템 차세대 연료(LPG/암모니아/수소) 기술개발 실증설비 구축 및 시험/인증
현재 이중연료추진 시스템 시장은 LNG, 메탄올 연료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EU의 Net-Zero 환경규제 등에 따라 무탄소 연료 수요가 장기적으로 증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LNG, 메탄올 연료추진시스템의 기술개발과 제품화를 완료하였고 LPG, 암모니아, 수소 등의 차세대 연료추진 시스템 개발을 위해 17억원을 투자하여 실증설비 구축과 시험 및 인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2) ECO-PURIMAR IMO/USCG 시험 ·인증
당사의 평형수처리시스템 기존 모델 PURIMAR는 대형선박(LNG운반선, 탱커선 등)에 특화된 제품으로, 이를 중소형 선박까지 확대하고 친환경화를 실현하기 위한 혁신모델 ECO-PURIMAR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육상시험을 완료하고 선상시험을 진행중이며, IMO(국제해사기구) 및 USCG(미국해안경비대) 인증을 2025년까지 완료하기 위해 시험 및 인증에 11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2-3) IMO(국제해사기구) 규제강화 대비 고성능 PURIMAR 시스템 확보(필터·전극 등) 시험·인증
IMO는 2025년부터 평형수처리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소독부산물의 배출량 주기적 검사 의무화 및 최대 허용 농도 설정 등 더욱 강화된 규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에 당사는 전기분해 방식의 PURIMAR 모델의 성능 고도화를 위해 핵심 구성품인 전해설비 및 필터 신제품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성능의 평형수처리시스템을 확보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설계 및 개발, 인증 완료까지 총 34억원을 2027년까지 투자할 예정입니다.
2-4) 대형 육상 플랜트용 배전반 신모델 개발 및 시험/인증
당사는 2023년 12월 육상배전반 개발을 시작하여 2024년 중 개발을 완료한 바 있으며, 2025년 중 삼성중공업 육상배전공사에 대한 초도를 수주하여 상반기에 납품완료 한 바 있습니다. 당사 육상배전반 제품 개요는 상기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당사는 기술개발본부 하 육상전력 T/F팀을 통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육상전력 T/F는 현재 5인(팀장 1인, 수석부장 1인, 부장 2인, 사원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육상배전반 납품 완료 실적은 삼성중공업 1건입니다. 당사는 현재 S사 배전반 공급업체 등록절차 진행 중에 있으며 최종 등록 시 S전자 관계사의 공장증설 프로젝트에 수배전반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향후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대형 육상 플랜트 전력설비 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고성능 시장에 대비하기 위하여 신모델 개발, 공인시험, 인증에 15억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2-5) 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 개발 및 시험/인증 (ABB Parts 적용 등)
데이터센터 시장은 글로벌 AI 트렌드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중이며 당사는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ABB와 사업협력 체결을 완료하였습니다. ABB 사업협력 체결에 대한 상세사항은 상기 '1-1) 해양 및 데이터센터 배전반 생산을 위한 부산 2공장 증축 건설/생산설비 투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데이터센터용 육상배전반의 경우, 데이터센터별로 필요한 스펙을 맞추어 개발이 되어야하며 당사는 발주사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신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인증/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는 ABB 사업협력을 통해 일본 PDG 데이터센터 안건을 `25년 말 수주를 추진중에 있습니다.당사는 7.4억원을 투자하여 ABB Parts를 적용한 신모델 개발, 공인시험, 인증까지 완료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2-6) AI기반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당사의 운항제어솔루션 SSAS-Master는 엔진 제어, 연료 관리 및 안전 감시 기능을 통해 선박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항을 지원하는 핵심 솔루션입니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급속한 발전으로 기존의 수동 및 규칙 기반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운항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2027년까지 총 20억원을 투자하여 AI 기술을 접목한 선박 통합 운영관리 솔루션을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에 출시할 계획입니다(후략)
|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7월 28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