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원일티엔아이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9월 1일
회 사 명 : (주)원일티엔아이
대 표 이 사 : 이 정 빈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50
(전 화)031-498-0521
(홈페이지)http://www.woniltni.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상무이사 (성 명)이 승 욱
(전 화)031-498-052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 28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고자 통지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9월 19일 (금)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50 (주)원일티엔아이 3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이정빈 선임(재선임)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금번 당사의 임시주주총회는 주주님께서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대리인 신분증,인감증명서(개인/법인)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회사의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서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6. 참고사항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님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별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5년 9월 1일

주식회사 원일티엔아이

대표이사 이정빈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연도 회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여부 사외이사
김택동 김정수 강경국
출석률 (100%) 출석률 (100%) 출석률 (100%)
2025년 2025_01 2025.01.20 1. 하나은행 운영자금(한도) 40억 차입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025_02 2025.03.05 1. 제2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025_03 2025.03.19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및 구주매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025_04 2025.04.22 1. 임직원 대출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025_05 2025.05.28 1.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80억원 대환 및 40억원 기한연장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025_06 2025.08.08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2,000,000 52,000 17,333 -

주1)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를 포함한 총 5명의 등기이사 보수한도액입니다.주2)상기 지급총액은 2025년 1월~8월까지 지급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천연가스시장 가스수출국포럼인 GECF(Gas Exporting Countries)의 Global Gas Outlook 2050에서는 오는 2050년에는 천연가스가 석탄과 석유를 제치고 가장 비중이 큰 에너지원이될 것이라고 전망을 하고 있으며, 예상되는 수요는 총 5,625bcm(Billion cubic meter)으로 2020년의 3,840bcm에 비해 46%정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의 이러한 위상 변화는 연료로서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며, 안정성까지 겸비함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확대가 전망되기 때문입니다.한편, 당사의 목표시장인 LNG터미널과 관련하여 IGU의 World LNG 2023에 의하면,천연가스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LNG 수용능력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 중 9개의 새로운 터미널 가동과 기존 터미널의 3개 확장 프로젝트 완료로 인해 총 31.2MTPA(연간3,120만톤: Million Ton Per Annual)의 재기화 용량이 추가되어 2023년 4월 48개 시장에서 970.6MTPA에 도달했으며, 추가된 기화용량 중 80% 이상이 신규터미널에서 발생하였습니다. LNG수용능력의 확장은 주로 중국,인도, 대만, 미국 및 브라질을 포함한 기존 LNG시장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및 아시아 태평양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룩하고 있습니다. 한편, 확립된 LNG수입 시장은 이후 터미널의 용량 추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높은 천연가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파이프라인을 건설 중에 있는 아시아 특히, 중국 및 인도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LNG터미널 현황 및 건립계획】
(단위: MTPA, %)
lng터미널_현황및건립계획.jpg lng터미널_현황및건립계획
출처: World LNG 2023. IGU(*)(2023.07.12)
(*) The International Gas Union (IGU)는 1931년에 설립된 비영리 국제 조직으로, 전 세계 가스 산업의 기술적, 경제적, 정치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IGU는 150개 이상의 회원국 및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세계 가스 시장의 90% 이상을 대표합니다.

한편, 현재 전세계 LNG 수입의 70% 이상은 아시아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유럽은 20% 가량 기여하고 있으나, 향후 LNG에 대한 수요는 석탄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었던 이머징 국가들은 물론, 러시아산 PNG를 대체하고자 하는 EU를 중심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금까지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천연가스 배관망을 통한 상당량의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도입해 사용해 왔으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독일, 핀란드, 라트비아 등 여러 유럽국가들이 LNG의 신규 또는 확대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이에 따른 LNG 터미널의 신설 및 증설이 예상되며, 이에 연소식기화기를 포함한 기화기의 신규 수요가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세계 각국의 LNG터미널 확대계획을 당사 연소식기화기 시장의 확대로 보고 있으며, 최근 중국을 향한 연소식기화기 납품 경험을 근거로 인도, 동남아시아 및 유럽 등으로 당사의 제품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수소시장 수소경제를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조성한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에 따르면 수소경제 규모는 빠르게 확대될 예정입니다. 2050년 수소는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차지하고 4억대의 승용차와 2천만대의 상용차가 활용될 전망으로 이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약 20%에 해당합니다. 또한 시장 규모는 2.5조 달러(약 2,940조원)에 이르고 3천만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한국에서도 70조원의 시장 규모와 60만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되며, 연간 CO2 감축 목표의 약 20%가 수소 활용을 통해 감축되어 기후변화 대응에도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블룸버그 전망에 따르면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강력한 정책을 실시할 경우 2050년 수소 수요는 최종 에너지 수요의 24%에 해당하는 696MMT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운송용, 발전용, 산업용 등의 순서로 수요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매년 약 60억 톤 감축하고, 수소 및 관련 장비에서 연간 2조 5,000억 달러(2,871조 원)의 시장과 3,000만 개의 누적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2050년 글로벌 수소 수요 전망】
2050년 글로벌 수소 수요 전망.jpg 2050년 글로벌 수소 수요 전망
출처: Bloomberg, KPMG경제연구원(*)(수소생산에서 활용까지, 수소경제에서 찾는 기회, 2021.10.26)
(*)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2005년에 설립되어 국내 및 해외 경제, 경영, 산업 전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보고서를 발간합니다. 이 연구원은 KPMG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기업의 글로벌 경영을 지원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에는 금융 서비스, 소비자 시장, 정보통신, 인프라 및 정부, 산업 시장을 포함하며, 다양한 보고서와 서적을 통해 기업의 성공 경영을 지원합니다.

1) 수소저장시장(잠수함용 수소저장합금)방위산업은 일반산업과 달리 주요 고객이 정부임에 따라, 정부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이며, 방위산업 시장규모인 국방예산은 중장기 국방예산 및 군 운용계획에 의해 결정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국방예산은 전력운영비와 방위력개선비로 분류됩니다. 전력운영비는 현존전력을 유지 운영하는 비용으로 급여, 군수지원, 교육훈련 등이 포함됩니다. 방위력개선비는 현존 전력을 향상시키거나, 신규전력을 창출하기 위해 군사력 건설에 투입되는 비용으로, 대표적으로 첨단무기 구입 및 연구개발 비용 등이 있습니다. 국방예산은 2019년의 46.7조원에서 2025년 61.2조원으로 증가하였으며, 동 기간 연평균 4.6%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방예산 추이】
(단위 : 억원)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정부재정 총액 3,317,770 3,565,686 3,808,509 4,214,160 4,462,422 4,495,267 4,736,594
(재정대비국방비,%) 14.1 14.1 13.9 13.0 12.8 13.2 12.9
국방비 총액 466,971 501,527 528,401 546,112 570,143 594,244 612,469
전력운영비 313,238 334,723 358,437 379,195 400,974 417,712 434,007
(전력운영구성비,%) 67.1 66.7 67.8 69.4 70.3 70.3 70.9
방위력개선비 153,733 166,804 169,964 166,127 169,169 176,532 178,462
(방위력개선구성비,%) 32.9 33.3 32.2 30.6 29.7 29.7 29.1
출처: e-나라지표(2025.02.26)

국방부는 2024년~2028년 중기계획에서 향후 5년간에 있어서도 평균 7.6%로 지속적으로 국방재원을 증가시켜갈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방위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방위력개선비의 경우 평균 12.9%를 증가시킬 계획을 갖고 있음에 따라 방위산업 시장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해상 및 상륙 전력분야에서는 항공·수상·수중·상륙 전 영역의 전력을 첨단화하여 통합 해상작전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잠수함 시장과 관련하여 국방부는 해상에서 지상표적을 정밀타격할 수 있도록 중형잠수함(3,000~4,000톤급)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무장 탑재능력과 잠함능력을향상시키고자 하고 있으며, 2021년 4월 개최된 제13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장보고-III, Batch-II 이후의 후속함 3척에 대한 건조 계획을 발표하여 총 사업비 약 3조 4,100억원을 책정한 바 있습니다.

2) 수소생산시장(수소개질기)수소개질기의 주요 목표시장은 수소개질기를 통한 수소 생산 시장에 해당합니다. 국내 수소생산 로드맵에 따르면 2030년 194만톤의 수소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부생수소는 울산, 여수 등 화학·제철단지에서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로 생산량에 한계가있습니다. 그마저도 대부분 자가 연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에 유통할 수 있는 수소는 약 5만톤 정도로 추산됩니다. 현재 국내에서 단기간 내 그린수소 생산은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나머지는 개질수소로 충당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수소 생산 로드맵】
국내수소생산로드맵.jpg 국내수소생산로드맵
출처: 산업통상자원부(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2019.01.17)

정부는 개질 수소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천연가스 공급망에 수소추출기를 설치해 수소를 대량생산하는 거점형 수소생산기지와 수요처 인근의 도심지 LPG·CNG 충전소 또는 CNG 버스 차고지 등에 수소추출기를 설치하는 분산형 소규모 수소생산기지를 구축 중에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에서 2040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를 1,200기구축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수소 충전소 설치 확대를 위해 부지매입을 제외한 설치비용의 50%를 지원(최대15억원)하고 있으며, 2020년 12월 충전소 운영 여건 개선을 위해 상·하한 기준을 두고 수소 연료 구입비를 지원하겠다고발표하였고, 환경부는 2024년 수소충전소당 평균 5.4백만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주민수용성 이슈로 민간 사업자들이 수소충전소 사업에 소극적이게 되자 정부는 기존 자치구에 귀속된 허가권을 환경부로 상향시키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소충전소 구축전략】
수소충전소_구축전략.jpg 수소충전소_구축전략
출처: 산업통상자원부(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2019.01.17)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98년에 설립되어 천연가스 생산공급설비 및 발전, 원자력, 조선해양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가스 및 수소사업부문에 당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1) 천연가스사업

당사의 천연가스사업 중 주된 제품인 고압연소식기화기(SCV : 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s)는 LNG터미널 등에서 액화상태의 LNG를 기화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하며, 기화기는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연소식 기화기 외에 해수식기화기(ORV : Open Rack Vaporizers)와 대기식기화기(AAV : AmbientAirVaporizers)로 구분됩니다.

【LNG기화기의 종류 및 특징】
품목 연소식기화기 해수식기화기 대기식기화기
설명 HEAT EXCHANGER가 들어가 있는 BATH에 물을 BURNER로 HEATING하여 열교환하는 기화기 fin type의tube에 해수를 뿌림으로써 열교환하는 기화기 FIN TUBE TYPE의 형식으로대기온도가 FIN TUBE에 영향을 주어 열교환하는 기화기
용량 일반적으로 20 ~ 220 ton/hr 가 쓰이고대용량도 설계가능 20 ~ 150ton/hr 설치 면적이 크게 요구되므로소용량에 사용
장단점

- 초기설치비용이 ORV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크기가 컴팩트하여 설치에 따른 제약이 적음

- 난기류가 발생하여 열교환기 표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감소시켜 높은 효율성(98%이상)

- 높은 열용량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 갑작스러운 LOAD 변경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

- 각종 안전설비가 구비되어 폭발 위험성이 없음

- CONTROL이 용이하며 온도와 날씨 영향을 받지 않음

- 취배수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건설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 연료가스에 의한 운전비용이 상대적으로 큼

- 해수를 이용하여 운전비용 절약

- 초기 설치비용이 비싸고 설치면적을 많이 필요

- 사용된 해수를 바다로 흘러내보내기 때문에 해수의 온도변화로 인한 환경 파괴 우려로 선진국에서는 점차 설치가 배제되는 추세

- 해수온도 5℃이상에서만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는 대체장치로 SCV를 운전

- 해수를 이용하는 만큼 특수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지보수 비용이 큼

- 운전비용이 저렴함

- tube 표면 결빙문제에 따른 운전 제약

- 환경적인 요인(습도, 고도, 바람, 온도 등)에 의해 성능에 영향을 많이 끼침

-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

당사의 고압연소식기화기(SCV)는 일본 S그룹의 원천기술을 한층 더 개량한 것으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료로서의 우수성과 함께 천연가스 고유의 친환경성 및 안정성을 보유한 LNG는 전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해외의 LNG터미널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당사의 연소식기화기는 다양한 국가에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수소사업(수소저장 및 생산사업)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 제2조에 의하면 수소산업이란 수소의 생산·저장·운송·충전·판매 및 연료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제품·부품·소재 및 장비의 제조 등 수소와 관련한 산업을 의미합니다. 이를 토대로 수소경제 벨류체인을 구성하면 크게 수소에 대한 생산-저장-운송-충전-활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당사는 동 밸류체인에 있어 수소개질기를 통한 수소의 생산과 수소저장합금을 통한 수소의 저장 분야에서 수소와 관련한 사업을 영위해 나가고 있습니다.

【수소경제 벨류체인】
수소경제_벨류체인.jpg 수소경제_벨류체인
출처: 수소생산에서 활용까지, 수소 경제에서 찾는 기회. 삼정KPMG 경제연구원
주1) CCUS :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장치(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주2) SMR : 수증기 메탄 개질(Steam Methane Reforming)

(가) 수소저장사업(수소저장합금)

당사가 영위하는 고체수소 저장방식인 수소저장합금(Metal hydride)은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합성금속체에 해당합니다.

수소를 고체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합금의 주원료를 수소저장용기(실린더)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만든 후 합금이 삽입된 용기에 기체수소를 압축해 저장하듯 주입하게 됩니다. 이렇게 주입된 기체수소를 실린더 내부에서 일정압력 이상으로 압축시키고 온도를 내리면, 수소가 수소저장합금(금속 수소화물)에 달라붙어 고체수소가 되는 방식입니다. 동 고체수소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반대로 온도를 올리고 내부압력을 낮춰주면 기체수소가 방출되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방출된 수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잠수함 등의 동력원으로 삼게 됩니다.

고체수소저장방식은 고압기체 및 액화수소에 비해 상온과 저압에서 안전하게 보관할수 있고, 수소를 장기간 보관해도 누설이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고체수소는 동일 체적 대비 고압수소저장방식(700bar)의 약 3배, 액체수소저장방식 대비 약1.5배 높은 저장량을 가집니다. 특히, 이러한 고체수소의 장점과 함께 당사의 수소저장합금 및 실린더의 가장 큰 특징은 고체수소가 기화될 때 방출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11barA에서 30barA사이로 방출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초기의 연구개발된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방출 과정에서 대부분 열화문제로 인해 일정 횟수가 되면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당사의 저장합금은 열화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했다는 특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 수소생산사업(수소개질기)당사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천연가스를 개질하는 방식으로 수소를 추출하는 300Nm³/h급의 중소형 수소개질기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1일 2,000kg급 탄소배출 저감형 고효율 중대형 개질기술 개발을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을 국산화하여 향후에는 청색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소추출기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수증기개질에 의한 추출수소는 주로 탄소와 수소의 화학적 결합체인 탄화수소(특히, 천연가스)에서 화학적 반응을 통해 수소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당사가 관련 기술을 보유한 수증기메탄추출방식(SMR : Steam Methane Reforming)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방식에 해당합니다. 천연가스에 해당하는 메탄(CH4)을 수증기(H2O)와 결합시키면 일산화탄소(CO)와 수소(3H2)가 만들어지고, 여기서 발생한일산화탄소(CO)를 한번 더 수증기(H2O)와 결합시키면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가 추가로 만들어지는 방식에 의한 것으로, 생성물 중에 이산화탄소(CO2)의 생성비가 낮고, 일정량의 탄화수소로부터 더 많은 양의 수소를 얻을 수 있으며, 정제장치와 연계하여 고농도의 수소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생산기지는 거점형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와 분산형 소규모 수소생산기지로 구분됩니다. 거점형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는 천연가스 공급망에 수소개질기를 통해 수소를 대량생산(300~1,000Nm³/h 이상급 수소개질기 구축)하며, 분산형 소규모 수소생산기지(300Nm³/h)는 수요처 인근 도심지 LPG 및 CNG 충전소 또는 CNG 버스 차고지 등에 수소추출기를 구축해 수소를 생산합니다.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은 대중교통망과 연계한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하여 저렴한 가격에 직접 수소를 생산하여 주변 지역에 공급할 수 있으며, 수소생산기지에서 생산된 수소는 외부에서 공급받는 수소보다 운송비용을 낮출 수 있어 수소충전소의 수소공급단가 인하 및 경제성 제고 효과가 기대됩니다. 또한,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밝힌 목표 이행을 위해 후속 정책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강원도 삼척/경상남도 창원/경기도 평택/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강원도 춘천시/광주광역시/경상남도 창원시에서 현재까지 실제로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정부시책에 의한 수소공급방안에 따라 당사가 제작한 수소개질기를 평택 및 안산 등 수소생산기지와 수소충전소에 납품한 바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분 관련분야 제품명
매출 LNG 고압연소식기화기(SCV)
수소 수소저장합금
수소개질기
기타 가스히터 등

당사는 LNG, 수소, 기타 등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천연가스 및 수소 관련 제품에서 글로벌 기업 1~3곳과 경쟁하거나 국내 1~2개 업체와 경쟁하는 독과점적인 시장구조에 속해 있다고 판단됩니다.(가) 천연가스 관련 고압연소식기화기(SCV) 고압연소식기화기의 경쟁업체로는 글로벌 프로젝트의 경우 Linde(독일)사가 있으며,중국 프로젝트의 경우 중국업체인 Sun Power, 711 Research Institute 가 있어 수주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Linde의 경우 대체로 당사 대비 가격대가 높아 대부분의 SCV 구매입찰에서 당사가 수주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Linde사도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나 핵심부품인 고가의 버너나 전계장 부품들을 유럽에서 조달하는 관계로 SCV의 가격 경쟁력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중국 업체들의 경우 글로벌 프로젝트 보다는 일부 중국 내수용 SCV를 제한적으로 수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기 제작/납품된 중국 업체들의 SCV 성능 만족도가 높지 않음에 따라 대부분의 중국 수요처에서는 수입산 SCV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부 부품 조달에 있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프로젝트 수주 실적을 기반으로 판단컨대 당사의 국내 SCV 시장점유율은 독일의 Linde사와 경쟁하고 있는 구조로 판단됩니다.

(나) 수소시장수소시장은 현재 개화단계로 정부 및 지자체의 주도하에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으나, 이 목표를 이행할 민간주체인 기업들의 수소산업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확대되어 가고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생산·저장·운송·충전분야는 중소기업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활용분야는 대기업이 주도하여 생태계 형성 중에 있습니다. 기술수준 또한 대기업이 주도하는 모빌리티 수소전기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부분에서만 높은 것으로 관찰되어 대량생산-대량소비로 이어지는 수소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 분야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수소산업 국내 기업 분포 현황】
수소산업_국내기업_분포현황.jpg 수소산업_국내기업_분포현황
출처: 수소산업생태계경쟁력강화방안. 산업통상자원부. 다올투자증권(구 KTB투자증권) (2020.9.18)
(*) 다올투자증권은 금융 서비스 회사로, 2022년에 KTB투자증권에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이 회사는 주식, 채권, 자산 관리, 벤처 캐피탈, 사모펀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① 수소저장합금 및 수소실린더당사가 개발한 수소저장합금 및 수소실린더의 경우 군사목적의 특수목적용으로 본 사업영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방위사업청, 기술품질관리원 등의 내부 절차(응용연구, 시험개발)를 진행하고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국내의 경우 당사가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 잠수함에 공급되는 기준으로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실린더는 당사가 유일한 공급 업체로 관련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해외의 경우 당사 개발품과 유사한 품질과 성능을 가진 업체로는 수소저장합금의 경우 1곳(Thyssenkrupp, 독일), 수소실린더의 경우 1곳(Gfe, 독일)이 있다고 파악되고 있습니다.② 수소개질기당사가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수소생산 단계의 수소개질기 사업분야에 있어 분산형 소형개질시스템은 당사를 포함하여 국내에서 자체공급이 가능한 업체는 3개의 회사로 파악되고 있으며, 관련 생산기술을 보유한 3개 회사(당사, 현대로템, 제이엔케이글로벌) 간의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거점형의 중형개질시스템은 모두 국외의수입기술로 독일의 Linde사가 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III. 경영참고사항-1. 사업의 개요-가. 업계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현재 주요 사업부문인 천연가스 분야와 수소 분야와 연관이 있는 신규 제품 출시를 위해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신규 제품을 통해 추가적인 사업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1) 중대형 수소개질기 및 탄소포집기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정부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기로 함에 따라 안정적인수소공급을 위한 중대 규모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도 필요하며, 중대형 수소추출기의 국산화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수소추출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문제도 현안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2019년 10월 발표한 수소기술 로드맵에서 2025년까지 거점형 수소생산기지(1,000 Nm³/h이상)와 소형 온사이트 수소충전소(300~1,000Nm³/h) 구축을 위한 중소형 개질 수소생산 시스템 개발계획을 반영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2,000kg/day 급 탄소배출 저감형 고효율 중대형 개질기 기술개발 과제(총 사업비 280억원)를 당사가 수행하게 됨에 따라, 당사는 금번 과제를 통해 탄소포집기능(CCUS)까지 융합한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용 추출기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 포집 및 활용, 저장 기술(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은 그간 일부 산업에서 사용되었지만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며, 최근 탄소중립 목표와 맞물려 탄소감축이 어려운 산업 분야의 잠재적탄소 제거 방법으로 각광받는 중입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서 CCUS는 탄소감축이 어려운 산업에서의 탄소제거 감축 방안이자 기존 인프라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탄소포집은 대부분 배출가스의 CO2 농도가 높은 천연가스 가공시설에 설치되었으나, 향후 CCUS 산업은 화력 발전, 수소 생산, 화학제품 생산, 시멘트, DAC 등에서 큰 폭의 성장 기대가 됩니다.

(2) 건설 중장비용 수소저장합금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수송기기와 건설기계 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규제들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친환경 수소에너지 저장기술을 이용한 연료전지 건설기계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당사는 수소저장합금(AB2 type)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당사의 수소저장합금은상온, 상압에서 수소저장이 가능하며, 기존 잠수함용 수소저장합금 및 수소실린더 개발 및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대형화도 가능합니다. 당사는 가온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연료전지 지게차의 개발 및 실증을 진행하는 울산규제자유특구 사업과 현대자동차 수소에너지사업추진팀과 함께 연료전지 지게차용 고체수소저장시스템을 개발하는 방식을 통해 건설 중장비용 수소저장합금의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료전지 지게차용 고체수소저장시스템 시장과 기술표준을 선점하고 굴삭기 등을 포함하는 건설기계 및 농기계까지 시장을 확대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3) 알레인 수소저장합금

수소 저장 물질로서 알레인(AlH3)을 이용하는 알레인-연료전지 시스템의 에너지 밀도는 50%의 효율을 가정할 때 1200 Wh/L와 850 wh/kg의 용량을 갖습니다. 이 값은전형적인 리튬 전지의 에너지 밀도인 300 Wh/L (150 Wh/kg)보다 약 4배 이상 높은 용량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알레인-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미래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알레인의 주원료인 알루미늄은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 중 8.1%를 차지하는 원소로 자원량 측면에서 리튬보다 매우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규모 생산시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알레인은 10 wt.% H2 및 149 kg H2/㎥의 중량과 부피 용량을 갖는 수소 저장량이 매우 높은 준안정 결정성 고체로서 향후 수소저장 시스템 개발을 위해 유망한 후보 물질 중의 하나입니다.

현재 당사는 알레인 수소저장합금 개발의 시장성 조사 및 제조방법 분석, 알레인 적용 어플리케이션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정빈 1953.08.05 - - 특수관계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정빈 (주)원일티엔아이 대표이사 1990.09~1998.06 원일산업 대표이사 -2023년도 회생채무변제완료-2024년도 주식무상증여
1998.06~현재 (주)원일티엔아이 대표이사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정빈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1998년부터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으며 합리적인 사고와 탁월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경영 역량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오랜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회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회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책임과 의무를다할 것으로 평가되어 추천함.

확인서 후보자확인서.jpg 후보자확인서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제출 및 통지는 해당사항없습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의 최근 사업연도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 참고사항

※ 소집통지서 발행에 관한 사항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제542조의4, 정관 제23조의 2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