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0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앱트뉴로사이언스 | |
대 표 이 사 : | 김 재 섭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43, B동 402호(시흥동, 판교글로벌비즈센터) | |
(전 화) 031) 757 - 2023 | ||
(홈페이지)http:// www.apt-neuroscienc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사내이사 | (성 명) 강 종 수 |
(전 화) 031) 757 - 2023 | ||
(제9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제9기(2025년)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시 :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대로 83, 밀리토피아 호텔 문화센터 5층 아트홀
3. 회의 목적사항가. 보고사항1) 감사 보고나. 의결사항1)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2) 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신현동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상법 제542조의4, 동시행령 31조에 의거 당사의 경영참고사항을 본점, 회사의 홈페이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주주님께서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으로 직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①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 시 : 본인 신분증 지참 ②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 시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지참
2025년 07월 10일 |
주식회사 앱트뉴로사이언스 |
대표이사 김 재 섭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정찬우(출석률: 100%) | 이종환(출석률: 100%) | 성노현(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1-09 | 제9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조항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 |
2 | 2025-01-10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 | - | 찬성 |
3 | 2025-01-24 |
공동연구개발계약 체결의 건 |
- | - | 찬성 |
골프회원권 탈회(매각)의 건 | - | - | 찬성 | ||
4 | 2025-02-04 | 장비 구매 계약 체결의 건 | - | - | 찬성 |
5 | 2025-02-28 | 제8기(2024년)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 | - | 찬성 |
6 | 2025-02-28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 | - | 찬성 |
제8기(2024년)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 | - | 찬성 | ||
이사회 규정 개정의 건 | - | - | 찬성 | ||
7 | 2025-03-05 | 제8기(2024년)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 | - | 찬성 |
8 | 2025-03-18 | 제8기(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 - | - | 찬성 |
제8기(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보고의 건 | - | - | 찬성 | ||
일부 사규 폐지의 건 | - | - | 찬성 | ||
9 | 2025-03-24 | 타법인 신규 자금 대여의 건 | - | - | 찬성 |
10 | 2025-03-26 | 타법인 발행 전환사채 인수의 건 | - | - | 찬성 |
11 | 2025-04-15 | 타법인 자금 대여의 건 | - | - |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취소의 건 | - | - | 찬성 | ||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및 내부회계관리 업무지침 제정의 건 | - | - | 찬성 | ||
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 - | - | 찬성 | ||
12 | 2025-04-15 | 오산지점 이전의 건 | - | - | 찬성 |
13 | 2025-04-21 | 유상증자 발행내역 일부 변경의 건 | - | - | 찬성 |
유상증자 발행내역 일부 변경의 건 | - | - | 찬성 | ||
유상증자 발행내역 일부 변경의 건 | - | - | 찬성 | ||
14 | 2025-05-16 | 유상증자 정정의 건 | - | - | 찬성 |
15 | 2025-06-16 | 제9기(2025년)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 | - | 찬성 |
기준일 설정의 건 | - | - | 찬성 | ||
16 | 2025-06-23 | 제9기(2025년) 임시주주총회 안건 확정의 건 | - | - | 찬성 |
17 | 2025-06-26 | 타법인 자금 대여의 건 | - | - | 찬성 |
18 | 2025-07-10 | 제9기(2025년) 임시주주총회 안건 변경의 건 | - | - | 찬성 |
주) 2025.01.10 자로 정찬우, 이종환 사외이사가 사임하였고, 성노현 사외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9 | 9 | - |
주1) 인원수는 작성기준일 현재 재임중인 인원 기준입니다. |
주2)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등기임원 총원의 보수한도 금액이며, 지급 총액은 2025년 1분기말 기준 지급분입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에이프로젠(최대주주) | 공동연구개발금 | 2025.01.24 | 350 | 16.96 |
㈜에이프로젠(최대주주) | 대여금 | 2025.03.24~2028.03.23 | 50 | 2.4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최대주주의특수관계인) | 전환사채 취득 | 2025.03.26 | 650 | 31.49 |
주) 상기비율은 2024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대비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에이프로젠(최대주주) | 공동연구개발금 | 2025.01.24 | 350 | 16.96 |
㈜에이프로젠(최대주주) | 대여금 | 2025.03.24~2028.03.23 | 50 | 2.4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최대주주의특수관계인) | 전환사채 취득 | 2025.03.26 | 650 | 31.49 |
주) 상기비율은 2024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대비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
[신재생에너지 사업부문]1) 산업의 특성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온실가스 감축 및 국제환경 규제 대응에 맞춰 국민 생활에 근간이 되는 주택 및 빌딩건설에서부터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생산과 고용 및 부가가치의 창출 측면에서 유발효과가 지대하기 때문에 향후 국가경제의 전략산업이기도 합니다. 특히 세계 에너지시장의 변화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정한 연료로의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뒷받침을 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인 공공기관 신재생 에너지 의무사용제도와 보급지원정책 및 보급보조사업 그리고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등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확대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이용, 보급, 촉진법 12조 규정에 근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신재생에너지의 이용/보급을 촉진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연면적 1,000㎡이상의 신축·증축 또는 개축하는 건축물에 대하여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였으며,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사용율을 2011년 10%에서 2022년 32% 이상, 2030년에는 40% 이상 의무사용토록 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 | (단위 : %) |
해당연도 | 20년~21년 | 22년~23년 | 24년~25년 | 26년~27년 | 28년~29년 | 30년 이후 |
공급의무비율(%) | 30 | 32 | 34 | 36 | 38 | 40 |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공공기관 설치의무화제도) |
또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단계적 의무화를 위하여 2020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의 공공건축물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등급 5등급이상, 2024년부터는 민간건축물 대상으로 범위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최종적으로 2050년 전(全) 건물 1등급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설비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될 추세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화석 에너지 고갈, 국제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신재생에너지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선진국은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감축의 동시달성을 목표로 자국 특성에 맞는 에너지, 기후변화 대응분야의 신성장 동력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에너지 의존도가 높고 유가변동에 의한 영향의 폭 이 크기에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며, 에너지의 해외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수급의 불안정에 대비하는 에너지 다각화 정책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열에너지는 풍부한 매장량, 폭넓은 유통, 청정, 환경 보호, 안정성 및 신뢰성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저탄소, 재활용 및 재생가능 에너지로 지하의 열을 사용하며 전기 생산, 냉난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에너지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청정 에너지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지열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23년 11월 서울시는 2030년까지 지열에너지를 원전 1기 설비용량에 해당하는 1gW(1,000mW) 수준으로 확대하는 '지열보급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서울시를 중심으로 지열에너지의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은 한국에너지공단의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시장에 2009년 등장하였으며 최근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 및 지방자치 단체의 민간 건축물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의 수혜로 빠르게 확대, 보급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연료전지의 경우 설치 수요처와 설비용량에 따라 3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통상 주택에 설치되는 가정용(1~2kW), 국가/지자체 등의 공공기관 건물에 설치되는 건물용(5~900kW), 그리고 발전사 또는 발전사업을 통한 발전용(1~100mW이상) 연료전지로 분류됩니다. 특히 건물용 연료전지로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분산발전, 비상전원, 선박,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전원 등에 응용이 가능한데다, 전력생산 효율이 높아 차세대 분산전원으로서 전력공급시스템으로의 역할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등을 토대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도 강력히 추진되면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 세계 연료전지시스템 시장규모] | (단위 : 조원)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5년 | 2030년 |
발전용 | 0.86 | 0.94 | 1.28 | 2.9 | 5.09 |
가정 건물용 | 0.45 | 0.51 | 0.55 | 1.82 | 3.86 |
수소전기차 | 0.21 | 0.47 | 0.59 | 3.11 | 19.03 |
수소모빌리티 | 0.4 | 0.53 | 0.75 | 3.05 | 15.39 |
이동용/백업전원 | 0.06 | 0.06 | 0.08 | 0.06 | 1.32 |
전자기기용 | 0 | 0 | 0 | 0.01 | 0.03 |
합계 | 1.98 | 2.51 | 3.24 | 11.48 | 44.71 |
(출처 : 대한설비공학회 - 제로에너지건축물 적용을 위한 연료전지 확대방안 연구(2023)) |
신재생에너지산업은 가격경쟁력 확보시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며 미래 신에너지산업과 녹색기술개발로 새로운 기술과 사업, 시장 및 고용 창출이 가능하여 산업성장의 돌파구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업은 기본적으로 수주산업으로써 국내외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추세의 영향을 많이 받아 건설업 불황과 연관되어 민간 건설분야 신재생에너지 적용비율을 감소시킬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주요국에서 경기부양책을 녹색산업 중심으로 추진중이고,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의무화 비율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달성하는 것을 정부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공분야와 민간분야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비율을 해마다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건축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조례 등을 제정하고 있는 추세를 따르면 경기변동의 영향을 벗어나 지속적으로 사업규모가 성장하는 산업분야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건설업은 설계와 시공이 수년이 걸리는 중장기 건설사업의 한 분야이며 계절적 요인에 따라 수주, 매출의 변화추이가 심하지 않습니다. 다만, 새로운 사업의 예산배정 검토 등이 연초에 진행되므로 일시적인 수요감소가 발생할 여지는 있습니다.
4) 경쟁요소
국내 지열산업은 기계설비공사업 또는 난방 시공업의 자격 요건만 갖추면 특별한 규제 없이 사업 진출이 가능한 사업으로 많은 기계설비공사업 면허 보유사가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그 중 지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설계, 시공, 사후관리 등을 일괄 진행할 수 있는 회사는 20여개 미만입니다. 지열의 경우 현장 시공을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와 지열 히트펌프 장비를 생산, 공급하는 회사로 구별되는데 후자인 장비 관련 업체는 10여개 이내로 시장이 형성 되어 있습니다. 2010년 이후 공공기관 정부 이전사업과 맞물려 2015년까지 지열 시장은 안정적 성장을 하였으며 당사는 지열 시장 초기부터 주력으로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고효율 기술의 확보와 적용을 통해 차별화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또한,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과거 시공실적이 요구되고 시공사의 협력업체에 등록되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잠실 제2롯데월드, F.E.D 미군 통신기지, 세종시 정부청사, 거여동APT, 청량리4구역재개발APT 등 대형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부산대 양산병원과 같은 민감한 건물의 지열 시스템을 공급하는 등 다양한 시공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국내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은 두산퓨얼셀과 에스퓨얼셀 2개사와 MOU를 체결한 업체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형건설사 또는 대형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업체는 10개사 내외이며, 당사는 대형프로젝트 설계능력을 바탕으로 두산퓨얼셀 MOU사 중에서 우선권을 가지고 에스퓨얼셀 MOU사들과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건설산업의 자금조달은 기본적으로 발주처의 선수금 및 기성금으로 진행되는 공사비를 충당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건설 원자재값 상승이 지속되면 발주처 및 시공사, 협력업체 모두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은 건설산업의 영향을 받아 기간시설 확충, 고용 유발, 주택 보급 등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성상 건설 관련 법령이나 정부의 각종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습니다.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은 사업 및 공종에 따라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기술진흥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건축법, 주택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도시개발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표시 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기공사업법, 중대재해 처벌법 등다양한 법규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또한 건설업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기환경보전법,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소음진동관리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물환경보전법, 환경영향평가법, 화학물질관리법등의 환경법규에 따른 규제를 받고있습니다.
[리튬사업 부문]1) 산업의 특성 리튬 시장은 최근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겪었으며, 이는 전세계적인 관심이 전기차 산업으로 집중되었다는 점이 주요한 원인입니다. 전기차 산업이 부상하기 전, 리튬은 세라믹이나 유리 등의 첨가제나 윤활제로 주로 쓰였기 때문에 수요가 그리 크지 않았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의 개발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세계적인 집중이 서로 맞물리면서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패러다임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리튬의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리튬 수요의 약 89%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로 이는 배터리 원가의 40% 비중을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전기차 판매 성장률이 둔화하는 추세로리튬 수요는 단기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기차 판매가 확대됨에 따라 리튬의 수요도 또한 증가할 것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경쟁요소 한국은 리튬을 100% 수입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리튬이 남미와 호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채굴된 리튬의 제련과 정제가 대부분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튬 수급 현황]
(기준일 : 2025년 07월 01일) | (기준국가 : 대한민국) |
구분 | 대상국 | 금액(천USD) | 중량(톤) | 금액 점유율(%) |
---|---|---|---|---|
수입 | 중국 | 1,364,388 | 112,747 | 61.26 |
칠레 | 565,409 | 33,871 | 25.39 | |
호주 | 131,726 | 117,035 | 5.91 | |
아르헨티나 | 95,821 | 5,888 | 4.30 | |
미국 | 48,814 | 2,236 | 2.19 | |
남아프리카공화국 | 8,015 | 18,685 | 0.36 | |
베트남 | 3,646 | 1,774 | 0.16 | |
인도네시아 | 2,307 | 1,100 | 0.10 | |
러시아 | 2,162 | 15,095 | 0.10 | |
짐바브웨 | 1,162 | 456 | 0.05 |
(출처 : KOMIS_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안정적으로 리튬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입 의존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리튬 공급망을 내재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자재 확보 및 공급망 구축, 리튬 추출 및 정제기술의 효율성 향상, 시장 진입 장벽 극복 및 기존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4) 자금조달상의 특성
당사는 리튬이 매장되어 있는 염호(염수) 및 리튬폐수 등을 확보하고 관계회사인 이스라엘 XtraLit Ltd.와의 합작투자를 통해 리튬 추출 상업화 검증을 위한 Pilot Plant 건설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리튬의 상업화 생산설비 등에 대한 총 투자 규모는 Pilot Plant를 통한 상업화 검증이 완료된 후 산정될 예정입니다.
또한, Pilot Plant 건설 후 상업화 검증까지는 투자자금 여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Scale-up 생산설비 투자를 위해서는 추가자금 유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Pilot Plant 건설을 통한 리튬 추출 상업화 검증 후, 신규 투자자금 유치 등을 통한 상업생산 설비투자를 진행할 예정입니다.다만, 예상 자금소요액 등 투자 자금 관련 자세한 사항에 관하여는 회사의 경쟁력에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존 당사 및 계열사의 관련 계획에 대한 공시자료 이외 기재를 생략합니다.
5)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르면 리튬 원료(탄산 리튬, 수산화 리튬 등)는 제3류 위험물로 분류되어, 이를 취급하는 사업은 반드시 위험물 취급업소 허가가 필요합니다.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및 수입 핵심광물 규제, 중국의 리튬 및 양극재 수출 제한 등 국제적 법령 및 국내외의 정책 동향이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뇌질환치료제 사업부문]1) 산업의 특성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대뇌 기저핵의 선조체(striatum, ST) - 흑질치밀부(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의 도파민(dopamine) 신경계의 퇴행으로 인한 진행성 신경계 질환으로써, 뇌 흑질치밀부의 멜라닌 색소를 함유한 도파민의 결핍으로 인해 진전, 운동완서, 근육경직, 비정상적 자세, 운동불능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인들에게 흔히 발생하고 여자보다는 남자에게 유병률이 높으며, 평균 발생 연령은 약 60세로 알려져 있습니다.파킨슨병은 흑색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감에 따라 그 증상들이 점점 심해지며, 이러한 병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파킨슨병의 의학적 치료는 대증적(symptomatic) 요법, 신경보호적(neuroprotective) 요법, 그리고 복원(restorative) 요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대증적 요법인 레보도파(Levodopa)는 정상적인 운동기능을 유지시키는 증상 호전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임상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레보도파 사용은 약물효과 시간의 점진적인 단축, 약물의 효과에 대한 운동조절기능의 변동 심화, 이상 운동증 등의 부작용들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따라서 최근에는 병의 발병원인과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기전(apoptosis)에 대한 연구들을 통하여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진행을 완화시키는 치료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기존 치료제의 한계]
약효감소 | - 레보도파는 초기에만 효과적임- 사용기간이 늘어날수록 'ON-OFF' 현상이 있음 |
부작용 | - 장기 복용시 운동 합병증 발생(예시 : 이상 운동증)- 비운동 합병증 발생(예시 : 환각, 인지 저하) |
근본 치료제 부재 | -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는 증상 관리에 초점- 신경세포 퇴행을 늦추거나 예방하는 치료제 전무 |
개인화 치료 부족 | - 환자별로 질병의 진행 속도 및 증상이 다양- 기존 치료법은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
2) 산업의 성장성 파킨슨 병의 환자수는 2015년 중반 이전까지의 증가세는 완만했지만, 최근 인구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2019년부터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파킨슨병 환자 수 예상 증가 추이]
(출처 : The Parkinson Pandemic - A Call to Action) |
치료제 시장 중 미국시장 규모가 가장 크며, 주요 시장 중 가장 높은 시장 성장률(7.2%)을 보이고 있습니다. 7개 주요국가(미국, 5개 유럽국가, 일본) 시장규모는 19년 약 34억 달러 수준에서 29년 약 63억 달러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또한, 파킨슨병 환자와 그 가족 및 정부가 부담하는 경제적 비용이 연간 약 5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이러한 사회, 경제적 비용과 함께 인구고령화, 유병률 상승,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따른 신규치료제 추가 승인과 분석 장비의 발달 등으로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시장성 비교]
(출처 : GlobalData; Parkinsons Disease Seven Market Drug Forecast and Market Analysis Update, 당사 재구성) |
7개 주요 시장(미국, 5개 유럽 국가, 일본)의 환자 수는 2023년 대비 2033년에 약 20% 가량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중 유럽 5개국의 환자 수는 미국보다 약 20%높은 약 146만명으로 예상됩니다. 그 외 일본은 중기 ~ 말기 단계의 환자 비율이 높으며, 미국 및 유럽은 초기 ~ 중기 단계의 환자 비율이 높습니다.[주요 7개국 파킨슨병 환자 수 증가 추세(2023년 / 2033년 비교)]
(출처 : GlobalData; Parkinson's Disease: Epidemiology Forecast to 2033, 당사 재구성) |
[주요 7개국 파킨슨병 단계별 환자 수(질병 단계별)]
(출처 : GlobalData; Parkinson's Disease: Epidemiology Forecast to 2033, 당사 재구성) |
3) 경기변동의 특성 의약품 산업은 인류의 건강 증진 및 생명연장, 질병치료 등의 필수재 특성을 지닌 산업으로 다른 산업에 비하여 경기변동 및 계절에 따른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4) 경쟁요소
레보도파 치료(Levodopa Therapy)와 도파민 작용제(Dopamine Agonists)가 전체 시장 규모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약품은 저분화 화학합성 의약품입니다.
[경쟁 제품 등 현황] | (단위 : Million USD) |
분류 | 제품명(혹은 프로젝트명) | 판매사 | 매출규모 | FDA 승인 연도 | |
---|---|---|---|---|---|
매출(2019년) | 예상 매출(2029년) | ||||
LevodopaTherapy | Sinemet | Merck | 63.8 | 44.9 | 1975년 |
CREXONT(IPX203) | Amneal | - | 114.5 | 2024년 | |
Vyalev(Produodopa) | Abbvie | - | 1,070.9 | 2024년 | |
DopamineAgonists | ReQuip XL | GSK | 124.4 | 63.5 | 1997년 |
Nuepro | UCB | 295.5 | 179.9 | 2007년 | |
Apokyn | Bertek | 127.1 | 63.3 | 2022년 |
(출처 : GlobalData; Parkinson Disease Seven Market Drug Forecast and Market Analysis Update, 당사 재구성) |
현재 파킨슨병의 치료 방향은 근본적인 치료제의 부재로 환자의 운동기능을 가능한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기존 상업화된 치료제는 짧은 반감기, 낮은 흡수율, 장기 복용 시 심한 약물 효과 'ON-OFF' 변동 및 운동 장애 악화 등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당사는 2025.01.09 최대주주가 기존 ㈜엔투텍에서 ㈜에이프로젠으로 변경되었고, 2025.01.24 ㈜에이프로젠과 350억 규모의 파킨슨병 치료제 및 진단 공동연구개발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에이프로젠이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 인적·물적 기술 및 노하우, 기투자된 시설 및 장비 등을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술이전 및 상업화 등의 단계로 도달하기까지 추가적인 자금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투자 및 자금 소요액과 기타 관련 사항에 관하여는 회사의 경쟁력에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① 관계법령 및 규정약사법,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우수의약품 제조기준(KGMP), 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KGSP),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등② 정부의 규제사항약가재평가 제도, 보험약가제도, 판매자 가격표시제도, 사용량-약가 연동제도, 허가ㆍ특허연계제도, 실거래가 상환제도 등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① 영업개황
현재 부정적인 글로벌 이슈가 경제 전반에 여파를 미치는 가운데 국내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수주 경쟁 또한 심화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영환경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지속적인 수주물량을 확보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국내외 경영환경악화, 투자위축 등이 경기 침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당사는 정부의 그린뉴딜사업정책에 부응하며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Total Solution Company로써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관리로 수익성을 개선하고 공사수행능력을 더욱 강화시키며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신규시장 개척을 통해 한층 내실 있고 발전된 회사가 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②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신재생에너지, 리튬, 뇌질환치료제 부문으로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사업 | 주요 사업내용 |
---|---|
신재생에너지 사업부문 | 주거용 지열냉난방시스템, 공공기관 및 업무용 건축물 지열냉난방시스템건물 및 발전용 연료전지, 기계공사, 전기공사 등 |
리튬 사업부문 | 리튬 생산 및 판매 등 |
뇌질환치료제 사업부문 | 뇌질환치료제 개발 및 연구 등 |
2)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은 주요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의 합리적인 추정 및 동종 업계와 관련된 협회 등이 없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시장점유율을 확인할 자료가 없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양질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기존사업 수행을 바탕으로 구축한 사업 개발 Know-how와 경쟁력으로 신규 시장 진입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지열시스템 설계, 개발 및 시공 역량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영역의 새로운시장으로 진입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하천수, 광역상수, 해수 등의 공급이 가능한 지역 및 지구에 적용할 수 있는 고효율 수열에너지 시스템이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기술을 이미 10년전 확보하고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가며 이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것입니다.하천수 기반 수열에너지는 2019년 10월 '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시행령' 의 개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로 편입되었으며, 당사는 이를 대비하여 다양한 분야에 수열/지열 복합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한 인력, 자원, 기술의 준비를 갖추었습니다. 이러한 신기술을 기존 건물의 확대적용과 함께 신규 대형사업에 기술접목을 통해 단순한 에너지 설계 시공사가 아닌 에너지 공급자로서 도약할 장기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리튬 사업당사는 최근 원자재 값 급등, 금리 상승 등 급격히 악화된 건설경기로 인한 기존사업의 부진을 만회하고 회사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이차전지 소재 사업진출을 계획하고 사업목적들을 추가하며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리튬 시장은 최근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겪었으며, 이는 전세계적인 관심이 전기차 산업으로 집중되었다는 점이 주요한 원인입니다. 전기차 산업이 부상하기 전, 리튬은 세라믹이나 유리 등의 첨가제나 윤활제로 주로 쓰였기 때문에 수요가 그리 크지 않았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의 개발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세계적인 집중이 서로 맞물리면서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패러다임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리튬의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당사는 단기적으로는 리튬 사업의 교두보인 미국 현지법인 설립과 XtraLit 지분투자를 통해 리튬 추출 기술 확보를 완료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리튬의 상업생산을 최종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② 뇌질환치료제 개발 사업
당사는 신성장 동력확보를 위해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파킨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원천기술의 권리를 취득하고, 뇌질환치료제 사업부를 신설하여, 파킨슨병 치료용 기술을 이용한 신약 개발을 통해 뇌질환 치료제 사업분야 진출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에 당사는 확보한 기술을 이용해 기존 파킨슨병 표준 치료법의 한계인 효과의 일시성과 부작용을 극복하며, 파킨슨병 증상 완화와 도파민 신경 사멸 방지가 가능한 최초의 파킨슨병 근원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조 [상호] 회사의 상호는 ‘주식회사 앱트뉴로사이언스’(이하“회사”라고 한다)라 하며, 영문으로 APT Neuroscience, Inc.라 표기한다. |
제1조 [상호] 회사의 상호는 ‘주식회사 앱튼’(이하“회사”라고 한다)라 하며, 영문으로 APTN Inc.라 표기한다. |
사명 변경 |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66. (전과 동일) |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66. (전과 동일) 67. 블록체인 관련 사업68. 암호화폐, 코인, 토큰, NFT 등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관련 사업69. 암호화폐, 코인, 토큰, NFT 등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생태계 조성 관련 사업70. 67~69호와 연관된 데이터 매매, 보관, 관리 등 관련 사업71. 67~69호와 연관된 디지털콘텐츠 매매, 보관, 관리 등 관련 사업72. 67~71호와 연관된 AI 관련 사업73. 67~71호와 연관된 메타버스, 가상현실 등 확장현실(XR) 관련 사업74. 67~73호와 연관된 지적재산(IP), 노하우 등 지식재산(IA) 관련 사업75. 67호~74호의 유·무형자산(Item)과 관련된 투자업76. 67호~74호의 유 ·무형자산(Item)과 관련된 금융업 |
사업목적 추가 |
제4조 [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apt-neuroscience.com)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매일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제4조 [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aptn-inc.com)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매일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사명변경에 따른 홈페이지 주소 변경 |
제19조의2 (신설) |
제19조의2 [이익참가부사채의 발행] ① 상법 제469조제2항제1호에 따라 사채권자가 그 사채발행회사의 이익배당에 참가할 수 있는 사채(이하 “이익참가부사채”라 한다)를 회사가 발행하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이사회가 결정한다. 1. 이익참가부사채의 총액 2. 이익배당 참가의 조건 및 내용 3. 주주에게 이익참가부사채의 인수권을 준다는 뜻과 인수권의 목적인 이익참가부사채의 금액
②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주외의 자에게 이익참가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의거하여 발행하는 이익참가부사채의 가액과 이익배당참가의 내용은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
이익참가부사채 규정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신현동 | 1962-08-01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신현동 | 연구교수 | 2025.06 ~ 현재 | 경기대학교 콘텐츠융합소프트웨어연구소 디지털자산 연구교수 | 해당사항 없음 |
2024.12 ~ 현재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
2024.05 ~ 현재 | 한국디지털자산경제협회 회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신현동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
1. 전문성본 후보자는 한국디지털자산경제협회장, 경기대학교 콘텐츠융합소프트웨어연구소 디지털자산 연구교수 등의 경력으로 이와 관련된 전문적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하여 회사의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 에 준하여,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 전문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 가능성을 증명합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1) 회사의 영속성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2) 기업 성장을 통한 구성원 및 주주 가치 제고3)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 가치 제고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본 후보자는 선관주의 충실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진행 감시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을 다짐합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신현동 후보자는 법률상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로서, 회사의 신사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회사의 관련 단계에서 전문적인 자문 및 경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외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주) 당사의 감사보고서(2025.03.21) 및 제8기 사업보고서(2025.03.21)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
당사의 감사보고서(2025.03.21) 및 제8기 사업보고서(2025.03.21)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