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 비큐 AI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3 월 14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비큐AI
대 표 이 사 : 임 경 환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85(흥인동, 준타워9층)
(전 화) 02-3487-0215
(홈페이지)http://www.becuai.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정 진 욱
(전 화) 02-3487-021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7기 정기)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늘 감사드립니다.상법 제 363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27기 정기 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31일 월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9길 40 (서울시 중구 구민회관 소강당) ※ 주차가 불가하여 반드시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안건

● 감사의 감사보고

● 제27기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7기(2024.01.01~2024.12.31)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액 결정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액 결정의 건※ 주주총회 소집결의 당시 제4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은 소집공고 전 주식매수택권을 부여받는 자의 선택으로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되어 금번 소집 공고시에서 안건이 제외되었습니다.

4.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 본인 참석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 대리인 참석 : 대리인은 아래 ①, ②, ③ 을 반드시 모두 지참 ① 대리인의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② 위임장 원본 (주주/대리인 인적사항,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기명날인) ③ 주주의 신분증 사본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의한 위임 행사

- 당사는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지정한 의결권 수임인을 통해 위임장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위임장은 동봉된 위임장 또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회사가 공시한 내역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제출처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85(흥인동, 준타워) 9층 주주총회 담당자 앞
√제출기한 : 정기주주총회 개최 전까지

5. 기타 사항불가피한 상황 발생으로 총회의 일정, 장소의 변경이 있을 경우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오니, 주주께서는 주주총회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과 회사 홈페이지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주주 총회 시 참석 주주님을 위한 별도의 주총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많은 양해 바랍니다.

2025년 03월 14일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태호(출석률: 100%) 박성수(출석률: 100%) 강필성(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24-1 2024.01.08 베트남 법인(해외자회사) 설립의 건 찬성 찬성 -
2024-2 2024.01.26 베트남법인 설립 자본금 결정의 건 찬성 찬성 -
2024-3 2024.02.15 제26기(2023년)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
2024-4 2024.02.15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찬성 찬성 -
2024-5 2024.03.29 대표이사 선정의 건 - - 찬성
2024-6 2024.04.04 임직원 대출 승인의 건 - - 찬성
2024-7 2024.08.13 FY'24년 상반기 결산 승인의 건 외 - - 찬성
2024-8 2024.11.12 FY'24년 3분기 결산 승인의 건 - - 찬성
2024-9 2024.12.19 종된사업장 이전의 건 - - 찬성
2025-1 2025.02.14 제27기(2024년)재무제표 승인의 건 - - 찬성
2025-2 2025.02.14 제2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 찬성

※ 사외이사 김태호, 박성수는 2024.03.29 정기주총에서 임기만료로 퇴임 하였으며, 사외이사 강필성은 24.03.29 정기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투명경영위원회 대표이사 임경환,사내이사 고민균사외이사 강필성 2024.04.04 임직원 대출 승인의 건 가결
투명경영위원회 대표이사 임경환,사내이사 고민균사외이사 강필성 2024.08.08 법인차량 매도의 건 가결
투명경영위원회 대표이사 임경환,사내이사 고민균사외이사 강필성 2024.08.13 베트남 자회사와의 용역계약 체결의 건 가결
투명경영위원회 대표이사 임경환,사내이사 고민균사외이사 강필성 2024.09.09 법인차량 매도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 9 9 주총승인금액은 이사 총수에 대한 보수 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BECUAI Vietnam 외주용역 2024.05 ~ 2024.12 2 1.69

※ 위 비율은 24년말 현재의 자산총액에 대한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생성형 AI 서비스의 확대와 미래 전망

최근 몇 년간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급격한 발전을 이루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생성형 AI는 단순한 보조 도구를 넘어 독창적인 창작을 수행하는 수준까지 도달했습니다. 이에 따라 AI 서비스의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업과 개인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AI 도입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의 최신 미래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의 77%가 AI를 업무에 도입하거나 계획이 있다고 답했으며(Straight Arrow News, 2025), 특히 생성형 AI의 도입 속도는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McKinsey & Company, 2023) 또한, 마케팅, 고객 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의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AI 기반 자동화 도구의 사용으로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Statista, 2023)

(나) AI 생태계에서 데이터의 중요성

AI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증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언론사의 기사 및 공신력 있는 자료를 AI 모델이 참조하도록 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과 맞물려 뉴스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저작권 소송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2023년 OpenAI를 상대로 자사의 기사를 무단 사용했다며 소송을 제기했으며, 이에 앞서 AP, 가디언 등 주요 언론사들도 AI 기업들과 데이터 라이선스 협상을 진행하거나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송이 증가함에 따라, AI 기업들은 언론사와의 협력 모델을 구축하거나 공정한 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동시에, 데이터 신디케이터(Data Syndicator)와 MCP(Multi Contents Provider)와 같은 데이터 중개 기관의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으며, AI 기업과 언론사 간의 원활한 협력을 조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생성형 AI와 LLM + RAG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AI 서비스 시장 확대

생성형 AI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최근 LLM +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서비스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RAG는 LLM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외부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검색(Retrieval)하여 이를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Generation)하는 방식으로 LLM이 학습하지 않은 최신 정보나 전문 지식을 반영하여 단순한 생성형 AI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이에 따라 산업별 고객 지원, 법률 문서 검토, 기술 문서 생성, 뉴스 정보 검색 등에서 더욱 정밀하게 AI를 통한 질문과 답변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AI의 실용성과 신뢰도를 동시에 강화하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생성형 AI 시장의 성장세 지속생성형 AI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5년 630억 달러에서 연평균 42% 성장하여 2030년에는 약 3,5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Statista, 2025.)

[글로벌 생성형 AI 시장 규모]
단위 : $B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CAGR
세계 62.72 88.76 125.62 177.79 251.62 356.10 41.53%
SOURCE : STATISTA

(나) RAG 시장의 대두RAG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RAG 시장 규모는 2025년 20억 달러에서 연평균 43% 성장하여 2030년에는 약 1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KBV Research, 2023) 이는 AI 기반 정보 검색 및 응답 생성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있으며, 특히 금융, 의료, 법률 등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RAG 시장 규모]
단위 : $B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CAGR
전체 1.36 1.96 2.80 4.02 5.77 8.27 11.85 17.00 43.40%
SOURCE : KBV Research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Data + AI Tech + Service” 수직 계열화를 통한 각 단계별 개별 수익 성장 기반 마련 " [Data →DataPipeLine→LLM→RAG→AI SaaS]

"DATA + AI Tech + Service"의 수직 계열화는 단순히 각 요소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마치 제조업에서 원료(데이터), 공정(AI 기술), 제품(서비스)이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 통합되는 것과 유사합니다. AI 생태계에서 성공하려면 이 세 가지를 분리할 수 없는 유기적 관계로 보고, 통합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이런 구조가 없다면 AI는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도구에 머물 가능성이 큽니다.

가) Data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작동합니다. 양질의 데이터가 없으면 AI 모델은 정확성이나 유용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수직 계열화에서는 데이터 수집, 정제, 관리 과정이 체계적으로 통합되어 있어, AI 기술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의료, 금융 등)에 특화된 데이터를 확보하면 해당 분야에서 더 정교한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나) AI Tech

AI 관련 핵심 기술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찾아내며, 예측하거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엔진입니다. 수직 계열화가 없으면 데이터와 AI 기술이 분리되어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어도 이를 활용할 맞춤형 알고리즘이 없다면 활용도가 떨어집니다. 반대로, AI 기술이 데이터와 직접 연결되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학습하고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어 성능이 극대화됩니다.

다) Service (SaaS & DaaS)

AI 기반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용자나 기업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AI 기술이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구현되어야 합니다. 수직 계열화가 이루어지면 데이터와 AI 기술이 서비스에 맞춰 최적화되며,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데이터와 기술을 다시 개선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라) 수직 계열화를 통한 실질적 사업 경쟁력

① “효율성” : 데이터 수집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단일 생태계에서 관리되므로 중간 단계에서의 손실(시간, 비용, 품질 저하)이 줄어듭니다.

② “맞춤화” :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데이터와 기술이 서비스에 반영되면서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③ “지속 가능성” : 서비스에서 나온 결과를 다시 데이터로 활용해 AI를 개선하는 피드백 루프가 가능해집니다.

④ “경쟁 우위” : 수직 계열화는 데이터와 기술의 외부 의존도를 낮추고,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해 시장에서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하게 합니다.

2) 뉴스 및 다양한 데이터의 중요성뉴스는 가장 사실에 가까운 정보를 다루며,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특성 덕분에 뉴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제공합니다. 특히, 뉴스 콘텐츠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점에서 뉴스는 AI 모델 학습에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집니다. 최신 사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는 그 자체로 높은 정보 가치를 지니며, 변화하는 세계의 동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특성 덕분에 AI가 최적의 답변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3) LLM + RAG 기술과 뉴스, 데이터의 결합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검색증강생성) 기술은 생성형 AI 모델의 주요 문제인 환각 현상, 오래된 정보 제공, 답변 출처 부재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기존의 생성형 AI는 주로 사전 학습된 데이터에 의존하여 답변을 생성하는데, 이로 인해 최신 사건이나 구체적인 정보를 잘못 제공하거나, 출처를 명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RAG는 생성형 AI가 답변을 생성하기 전에 외부 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인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즉, RAG는 사전 학습된 정보만을 사용하는 대신,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질문에 담긴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답변을 제공합니다.RAG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RAG는 실시간 데이터 검색을 통해 최신 정보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둘째, 사용자 맞춤형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검색기를 통해 사용자 질문에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고, 그에 맞춰 생성기를 통해 고품질의 텍스트를 만들어냅니다.이렇게 뉴스의 특성과 가치가 RAG 기술과 결합하면 매우 매력적인 대안이 됩니다. 당사가 보유한 뉴스 빅데이터를 중요한 자산으로 활용하여, RAG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뉴스 데이터는 최신 사건에 대한 정보를 즉시 반영할 수 있어, RAG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신뢰성 높고 시의적절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뉴스의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AI 모델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RAG 기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4) 당사 연구 및 기술 개발

가) AI와 결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확보와 유연한 관리당사는 'RDPLINE' 사업의 확장을 통해 뉴스 등 다양한 산업별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단단하게 확보 및 구축하고, 이를 AI빅테크 플랫폼과 전기차 플랫폼 등 다양한 산업의 플랫폼에 지속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확장하여 Data→AI Tech→Service로 이어지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RDPLINE’은 AI 또는 산업별 플랫폼 기업들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 및 기술 공급 플랫폼으로, 실시간 데이터 제공의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데이터와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여러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더욱 확장된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데이터 & AI 기술 확보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습니다.나) 차별화된 ONE-STOP 서비스 구현당사는 데이터에서부터 기술, 서비스까지 결합해 Value Chain을 확장하여 AI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와 AI 검색 기술의 결합을 통해 One-stop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특히 RAG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검색하고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와 AI 검색 기술, 문서 요약 및 추출 기술 등의 결합으로 고객에게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와 효율적인 솔루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AI 기술 기반의 경쟁력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5) 기존 AI 제품군 경쟁력의 강화당사는 국내 최대 뉴스 데이터 공급 기업으로서, 뉴스와 AI 기술의 결합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서비스는 원천 데이터 수집/가공 기술 플랫폼 'AIROOT', 데이터 유통 파이프라인 'RDPLine', 뉴스 데이터 통합 SaaS 플랫폼 'AISURFER', 레거시 데이터 클라우드 뷰어 서비스 'WIGOVIEW', AI 저널리스트 서비스 'Jcopilot' 등으로 분류됩니다.AI 제품군의 경우, 'AISURFER' 는 전년 대비 4.0%, 'RDPLine' 은 7.3% 성장하며 당사의 핵심 사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AISURFER' 는 매일 수십만 건의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축적한 빅데이터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 제공하며, AI 기술이 접목된 부가 기능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뉴스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DPLine' 은 AI 기업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 공급 플랫폼으로, 국내 주요 기업에 공급되고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 공급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여 효과적인 사업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국내를 넘어 해외 주요 미디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체결을 도모하며 글로벌 확장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WIGOVIEW'와 'Jcopilot'은 주요 대형 언론사와 타 산업군으로 고객군이 확장되어 성장하고 있습니다.당사는 기존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더 다양한 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제품 연구와 개발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핵심 제품인 'AISURFER'에는 고객 맞춤형 뉴스룸 서비스인 'AISURFER VU'와 뉴스 빅데이터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뉴스 기사 생성 AI Jcopilot'을 연이어 출시하며, 매출 확대와 시장 점유율 증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또한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 5월 베트남 법인을 설립하고, 국내에 위치한 운영 센터를 베트남으로 이관하며 사업의 전진 기지를 베트남에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원가 우위 전략을 취하며, 현지화 및 추가적인 사업 확장 기회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단위 및 최고영업 의사결정자의 영업성과에 대한 검토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2021년부터 단일 영업부문으로 분류를 변경하였습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세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21일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재무제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연결 대차대조표(연결 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7 기 2024. 12. 31 현재
제 26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자산  
I. 유동자산   14,054,400,634   14,781,181,347
현금및현금성자산 2,682,708,962   5,492,504,74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27,633,480   1,075,436,592
기타유동금융자산 10,206,415,639   7,855,669,078
기타유동자산 71,347,417   33,580,474  
단기대여금 - 250,000,000  
당기법인세자산 66,295,136   73,990,460  
II.비유동자산   1,693,401,594 1,661,337,642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89,352,712   302,724,732
유형자산 500,600,930   392,923,359
무형자산 316,973,500   340,409,554  
사용권자산 486,474,452   625,279,997
자산총계   15,747,802,228   16,442,518,989
부채
I.유동부채   3,669,097,563   3,850,368,394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981,071,741   2,879,989,224
기타유동부채 397,358,449   602,539,901
유동리스부채 290,667,373   367,839,269
II.비유동부채 248,981,204   276,162,717
비유동리스부채 177,509,592   213,778,881
충당부채 71,471,612   62,383,836
부채총계 3,918,078,767   4,126,531,111
자본
I.자본금 15,722,862,500 15,722,862,500
II.주식발행초과금 2,946,836,947 2,946,836,947
III.기타자본 1,538,549,718   1,427,565,507
IV.기타포괄손익누계액 3,426,166   -
V.결손금 (8,381,951,870)   (7,781,277,076)  
자본총계 11,829,723,461   12,315,987,878
부채와자본총계 15,747,802,228   16,442,518,989

- 연결 손익계산서(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7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6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I.영업수익 17,300,348,332 16,892,288,214
II.영업비용 18,112,729,059 16,652,005,439
III.영업손익 (812,380,727) 240,282,775
IV.영업외손익 211,705,933 492,747,746
금융수익 479,098,814 483,947,971
기타영업외수익 946,190 95,498,565
금융비용 (40,380,812) (50,739,800)
기타영업외비용 (227,958,259) (35,958,990)
V.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600,674,794) 733,030,521
VI.법인세비용 - -
VII.당기순이익(손실) (600,674,794) 733,030,521
VIII.기타포괄손익 3,426,166 -
IX.총포괄손익 (597,248,628) 733,030,521
X.주당손익
기본주당순손익 (19) 23
희석주당순손익 (19) 23

- 별도 대차대조표(별도 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7 기 2024. 12. 31 현재
제 26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자산  
I. 유동자산   14,020,647,432 14,781,181,347
현금및현금성자산 2,615,520,027   5,492,504,74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69,740,942   1,075,436,592
기타유동금융자산 10,206,415,639   7,855,669,078
기타유동자산 62,675,688   33,580,474  
단기대여금 - 250,000,000  
당기법인세자산 66,295,136   73,990,460  
II.비유동자산   1,693,625,041 1,661,337,642
종속회사및관계회사투자 203,231,003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78,703,158 302,724,732
유형자산 436,915,861   392,923,359
무형자산 311,163,918   340,409,554  
사용권자산 363,611,101   625,279,997
자산총계   15,714,272,473 16,442,518,989
부채
I.유동부채   3,645,517,520 3,850,368,394
매입채무및기타채무 3,017,946,409   2,879,989,224
기타유동부채 397,358,449   602,539,901
유동리스부채 230,212,662   367,839,269
II.비유동부채 183,462,560   276,162,717
비유동리스부채 118,345,134   213,778,881
충당부채 65,117,426 62,383,836
부채총계 3,828,980,080   4,126,531,111
자본
자본금 15,722,862,500 15,722,862,500
주식발행초과금 2,946,836,947 2,946,836,947
기타자본구성요소 1,538,549,718 1,427,565,507
결손금 (8,322,956,772) (7,781,277,076)  
자본총계 11,885,292,393 12,315,987,878
부채와자본총계 15,714,272,473 16,442,518,989

- 별도 손익계산서(별도 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7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6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I.영업수익 17,300,348,332 16,892,288,214
II.영업비용 18,061,683,473 16,652,005,439
III.영업손익 (761,335,141) 240,282,775
IV.영업외손익 219,655,445 492,747,746
금융수익 478,422,521 483,947,971
기타영업외수익 946,190 95,498,565
금융비용 (29,264,761) (50,739,800)
기타영업외비용 (230,448,505) (35,958,990)
V.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541,679,696) 733,030,521
VI.법인세비용 - -
VII.당기순이익(손실) (541,679,696) 733,030,521
VIII.기타포괄손익 - -
IX.총포괄손익 (541,679,696) 733,030,521
X.주당손익
기본주당순손익 (17) 23
희석주당순손익 (17) 23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7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6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I.미처리결손금 (8,322,956,772) (7,781,277,076)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7,781,277,076) (8,514,307,597)
당기순손익 (541,679,696) 733,030,521
II.결손금처리액 - -
III.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8,322,956,772) (7,781,277,07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

(전 기)

(단위 :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2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90
최고한도액 2,000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 백만원)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

(전 기)

(단위 : 백만원)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0
최고한도액 200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03.21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향후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becuai.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출일에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이며, 향후 사업보고서의 오기 등이 발견되거나, 주주총회에서 부결 또는 수정사항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과 경영진 및 이사진의 일정을 고려하여 주주총회일을 3월 31일(월)로 결정하였습니다.

□ 당해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로서 추후 감사과정에서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종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 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상세한 주석사항은 2025년 3월 중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 : 신분증

-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기명날인),

위임한 주주의 신분증, 대리인의 신분증